2017/04/11

Resurrection? | The Postmodern Quaker

Resurrection? | The Postmodern Quaker

Resurrection?


Was Jesus raised bodily from death after his crucifixion? And is belief that he was raised necessary for Christian faith and practice? Compelled by those questions, in 1989 I made a critical analysis of the biblical resurrection testimony. I concluded that Jesus’ body probably corrupted in the earth some two thousand years ago, but I was able to affirm that my faith does not depend upon an ancient miracle-story. The following is a more polished version of the essay I wrote back then. The essay presumes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about which I am now agnostic; I hope that it will prove interesting for readers regardless of their opinion on that question.
----
William Blake: Christ after the resurrection
Then entered also that other disciple, who had arrived at the tomb first; and he saw, and he believed [Mary’s news, that Jesus’ body had been removed]. For they had not as yet perceived that scripture requires him to rise from the dead. — John 20:8-9
Biblical scholars have spoken of two aspects of the resurrection, the objective and the subjective. The former usually refers to the question of what, if anything, happened to Jesus after his death, while the latter refers to the rise of the resurrection belief in the minds of his disciples. In examining the Christian scriptures’ testimony to the resurrection of Jesus, I found that the texts provide keys to understanding both aspects in a way that does not require belief in supernatural interventions. I also found that the two aspects constitute a unity.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hristian scriptures reveals that the authors did not share our modern concept of history: they shaped narratives and even the words of Jesus to suit their theological and literary purposes, and they invented apparently historical events to serve as vehicles for the communication of religious messages. Such activities can be seen in, among other things, textual developments from earlier to later works (compare, for example, the Jesus of Mark to the Jesus of John), and they resulted in contradictions among the various books. The historicizing tendency in particular provides us with a key for understanding the two forms of resurrection testimony that seem to point to objective, historical events; namely, the story of the empty tomb, and the accounts of appearances of the risen Jesus.
The meaning of the empty tomb has been debated since early Christian times. Certainly the fact that someone’s tomb is discovered to be empty does not prove, or even suggest, that the person has been raised from the dead. If Jesus’ tomb was in fact found empty, there are reasons other than his resurrection why it may have been so. Perhaps there was confusion about where he’d been buried. Perhaps someone removed the body. The evangelists recognize the ambiguity of the empty tomb: all of them provide one or more messenger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scene (although in John’s book, Jesus himself appears before the angels can explain). Matthew even provides unsympathetic witnesses in the form of guards – witnesses not to the resurrection itself, for the scriptures never assert that anyone witnessed the resurrection, but to the rolling away of the stone by an angel.
The empty tomb, then, is at best ambiguous; it may also be apocryphal. Like other victims of Roman crucifixion, Jesus may have been thrown into a common grave after his death. According to Acts 13:29, it was those who had Jesus crucified who buried him. That presents the possibility that the burial in a tomb belonging to Joseph of Arimathea, whom Luke 23:51 explicitly excludes from those who had Jesus crucified, is a legend, and that the empty tomb tradition is a product of the Christian scriptures’ historicizing tendency. Mark, the earliest of the canonical gospel books, originally included no appearance narratives, but ended with the young man’s revelation of the resurrection to the women, who “said nothing to anyone, for they were afraid” (Mk. 16:8) and whose testimony may have had little weight in a patriarchal society. The story of the empty tomb, with its messenger of revelation, is reminiscent of theophanies in the Hebrew scriptures. In the absence of appearance stories, it could have served the Markan tradition as a narrative vehicle for the belief that Jesus had been raised.
Unlike the earlier Mark, the other gospel books do provide narrative accounts of appearances of Jesus. There are, however, unresolvable contradictions among them. (See “A Comparison of N. T. Resurrection Accounts” for details.) Further, those relatively late compositions are replete with elements of myth and legend. We cannot simply assume that they record what we would consider to be objective history; on the contrary, they appear to be instances of historicization.
Earlier than those narratives – and in contradiction to them – is 1 Corinthians 15:3-8, where Paul gives us a sequential listing of appearances with no narrative detail. The list seems to be part of a liturgical or credal formula that predates Paul’s letter. Consequently, the passage is often cited as a proof-text for the historicity of appearances of Jesus. However, it is possible that the passage is a composite of a pre-existing formula and additional elements. The original formula would have proclaimed simply that Jesus died in accordance with the scriptures, that he was buried, and that he was raised from the dead in accordance with the scriptures. The list(s) of appearances, including the appearance to him, would have been appended by Paul (and, perhaps, a redactor). While this view does not preclude a relatively early date for the appearance tradition, it does suggest that the earliest proclamation of the resurrection, as represented by the formula Paul quoted, may not have included it.
Some scholars have held, therefore, that the appearance stories represent a visual model for experiences of forgiveness and vocation that implied the continuing presence of Jesus. I agree that “appearance of Jesus” was probably an articulating model for the disciples’ experience. However, it seems likely to me that it was the idea of Jesus’ resurrection which first dawned upon the disciples; from that revelation came the confidence that neither the forgiveness and vocation Jesus had offered them nor the Kingdom he had proclaimed had been nullified by his death. That, I think, is a more natural sequence of events. In either case, however, it was the revelatory experience of Jesus that was primary; the appearance accounts would serve as a common narrative vehicle for communicating that experience.
We find, then, that we can be confident of the historicity of only one event: somehow, some disciples came to believe that Jesus had been raised from death. In attempting to understand that event, we must give full weight to the transformation it effected in those disciples. People who had fled in fear at Jesus’ arrest, and who may at first have believed that the crucifixion was God’s rejection of Jesus and his message of the Kingdom, began to proclaim that Jesus had been exalted to God and would soon bring in that Kingdom in power. I don’t think that locating the rise of that faith solely in the disciples’ continuing to be inspired by Jesus’ message does justice to their transformation. The disciples staked their salvation and possibly their lives on their resurrection belief. As Paul says, they understood that anyone who would fabricate such a story would be guilty of misrepresenting God (1 Cor. 15:15). It seems to me that their belief in the resurrection of Jesus could not have arisen without some objective event or reality as a catalyst.
I submit, however, that we have only to look to the Hebrew scriptures for that reality.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n as now, it was not unusual for scripture to be applied to current events as if it had been written specifically about them. The disciples of Jesus had experienced the Kingdom of God breaking into history in the person and ministry of Jesus — in other words, they had experienced themselves as living in the eschaton, the end-time that heralded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and the birth of God’s new world. They had trusted that what had begun in a small way in their lives would inevitably and soon become a reality for all the world. But the idea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expectation of its imminent arrival, would have come to Jesus and the disciples through scripture and through their interpretation of events of their time in light of scripture. When the Kingdom seemed threatened by the crucifixion, the disciples would have looked to scripture for the meaning of that event as well. It was, then, scripture itself that provided the objective basis for belief in the resurrection.
If scripture was the objective element, then the disciples’ application of scripture to current events is the key to the subjective aspect of the resurrection belief. The disciples found revelation in scripture that God’s eschatological servant would suffer and die but would not be abandoned to the power of death. One source of that revelation would have been the psalms. In Mark 15:34 and Matthew 27:46, for example, the dying Jesus quotes the beginning of Psalm 22, crying out “My God, my God, why have you forsaken me?” That psalm goes on to describe how the psalmist, “dry as a potsherd,” watches ruffians cast lots for his clothing (v. 18) — a scene that Matthew has historicized in 27:34. Psalm 22 ends with a paean of praise to God; evidently, God did not abandon the sufferer in the end. The theme of deliverance is sounded in other psalms as well. In Psalm 18:4-19 we read, “When the cords of death held me fast … then in anguish of heart I cried to the Lord … [and] he reached down from the height and … rescued me because he delighted in me.” Psalm 16:10-11 declares, “… for you will not abandon me to Sheol [death] nor suffer your holy one to see the pit. You will show me the path of life; in your presence is fullness of joy, in your right hand delight for evermore.” And Psalm 116:3, 16b says, “The cords of death bound me, Sheol held me in its grip. [But] you have undone the bonds that bound me.” The psalms, then, pointed to Jesus’ deliverance from death. But they were not the only scriptural sources of light on the fate of Jesus.
Among other scriptures, the book of the prophet Isaiah was a rich source of material for primitive Christianity. That complex and composite book contains marvelous visions of the Day of the Lord and the Kingdom of God. It asserts that the dead will rise (see Is. 26:19), although the idea of an eschatological resurrection is more fully developed in apocalyptic books such as Daniel and Enoch. More importantly, the book of Isaiah describes a “suffering servant” in terms that were later applied to Jesus. It speaks of the innocent servant of God who is despised by his people, suffers and dies for the sins of many, is buried, and is brought back from death and rewarded by God. Scripture revealed to the disciples both the meaning of Jesus’ death and the fact of his vindication by God through his resurrection. Thus their earliest proclamation was that Jesus had died and been raised in accordance with the scriptures.
In scripture and its interpretation by the disciples, th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aspects of the resurrection are united. They coalesce in a divine revelation received through sacred writings as interpreted in light of the disciples’ experience of the incipient Kingdom. Scripture disclosed that Jesus had not died a failure; his death was a part of the process of the Kingdom’s arrival. That process had begun with his ministry and reached a climactic point in his resurrection to God’s right hand, and it would continue on to its inevitable and imminent conclusion – the coming of the Kingdom in fullness and power. The revelation prepared the disciples to open their hearts to the spirit of Jesus and to continue his work of proclaiming the Kingdom and living out its implications.
I believe that this analysis of the rise of the resurrection faith has much to commend it. It accepts the evidence of critical research that the writers of the Christian scriptures were concerned with proclamation (kerygma), not with objective history. It respects the integrity of both the primitive Christian and the twenty-first-century, post-Christian world-views, as well as that of the biblical texts themselves. And it understands the events narrated in those texts in terms of natural, human processes – in a way that does not, however, rule out the possibility of revelation.
Of course, this view means that Jesus’ resurrection, while it may have mythic and spiritual truth, is not historical in the same way in which — presumably — his life and death are. For some, this conclusion is unacceptable. Paul, for example, felt that “if Christ has not been raised, then your faith is vain; you are still in your sins. Consequently, those who have gone to repose in Christ are perished. If it is for this life only that we have hope in Christ, then we are the most forlorn of all” (1 Cor. 15: 17-19). Paul and other primitive Christians, believing that they lived in the “last hour” (1 John 2:18), expected the imminent completion of the eschaton — “the end, when [Christ] gives the kingdom to God the father, nullifying all [worldly] sovereignty, all authority and power” (1 Cor. 15:24) — when the dead would be raised to eternal life in Christ. Without a bodily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 first-fruits of them that slept” (1 Cor. 15:20), their faith would have felt groundless.
But our horizons are necessarily broader. We know that the eschaton was not fulfilled some two thousand years ago: the simple fact of our existence in a world of injustice, pain, and death tells us that that expectation, held by primitive Christians and apparently even by Jesus himself, was wrong. The outward Kingdom did not appear as promised; the parousia, the coming on the clouds of the Son of Man in power and glory (see Mt. 24), failed to occur. If the scriptures are to speak meaningfully to us as critical thinkers today, we must read them, as our Quaker forebears (following the evangelist John) have taught us, in the inward sense: Christ can be raised and revealed in power within us, defeating the spiritual death in our hearts, lifting us into a new and different life. The scriptures direct us not so much to the past or future as to the present, in which they open for us a way to authentic being, a way out of self-absorption and into compassionate and just relationship. Almost two millennia after the failure of the parousia, the scriptures point to the inner revelation of the spiritual power that was in Jesus. Giving ourselves over to that power, we know the resurrecti

A Quaker Understanding of Jesus Christ, Part 1, by Arthur O. Roberts - QuakerInfo.com

A Quaker Understanding of Jesus Christ, Part 1, by Arthur O. Roberts - QuakerInfo.com


A Quaker Understanding
of Jesus Christ
Part 1 of 4

by Arthur O. Roberts
Originally published October 1, 1999 at Suite101.com
[EDITOR'S NOTE: This article is taken, by permission, from an article, "A Quaker Understanding of Jesus Christ", by Arthur O. Roberts in Quaker Religious Thought, Vol. 29, No. 3, July 1999. Due to the length of that article, it is published online in four parts. The article was adapted from a paper read at the Quaker Theological Discussion Group, Orlando, Florida, November 21, 1998, and responses to it. Arthur Roberts is a past Editor of Quaker Religious Thought. He is the author of many journal articles, poems, devotional pieces, books, and other writings. He has served in the past as Professor of Religion and Philosophy and as Dean of Faculty at George Fox University, as well as a pastor in Friends' (Quaker) churches. Quaker Religious Thought is published two times a year,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Phil Smith, Religion Department, George Fox University, Newberg, OR 97132.]

Introduction

In this paper I first state five assumptions about truth basic to theological expressions by 17th century Quaker leaders. Then under twelve headings I summarize what early Friends believed about Christ, supported by citations. After this I identify seven contemporary cultural barriers to acceptance of these early Quaker beliefs about Christ. I then summarize certain points at issue and suggest lines of resolution.

A.  Basic Quaker Assumptions About the Nature of Truth

  1. God reveals truth.
  2. Christianity is based upon revealed truth.
  3. Revealed truth is transformational, and not just cognitive.
  4. Truth is fully comprehended through obedience.
  5. Christian truth claims are experientially and rationally credible.

B.  What early Friends believed about Christ

1.  There is unity in the Christ as historically revealed and as spiritually received.
This is very clear to anyone who reads early Quaker writings. It is also apparent that 17th century Friends shared with other Christians a firm belief in the unique, messianic nature of Jesus of Nazareth. What Quakers labored against was a prevalent unbelief in the immediate presence of Christ. They labored to show that the universality of Christ is coherent with the particular historical incarnation, that Christ was not encapsulated within priestly ritual nor within the Scriptures that testified of him.
My friend, the late John H. McCandless, in a presentation to the New Foundation Fellowship, Fernbrook PA, 12/31/88, (cited in New Foundation Papers, No. 60) stated:
It is important that we recognize the unity between the inward and the outward teachings; this explains why early Quakers never had any trouble accepting New Testament teaching and ethical precepts. If they were guided inwardly by the same Jesus Christ who had spoken outwardly in Scripture, then they did not expect that there could be any sort of contradiction between scriptural teachings and the inward guidance that came to them.
William Penn stoutly defended Quakers against the accusation that they deny Christ to be God. He called this charge "a most untrue and unreasonable censure," and, citing John 1:9 and 8:12, declared that the "great and characteristic principle" of the Quakers is, that Christ as the Divine Word enlightens everyone. Penn also defended Quakers against the accusation that they deny the human nature of Christ. "We never taught, said, or held so gross a thing," wrote Penn, who further affirmed the manhood of Christ Jesus--"of the seed of Abraham and David after the flesh and therefore truly and properly man, like us in all things, and once subject to all things for our sakes, sin only excepted." (The Key, sections VI and VII)
2.  The Bible authentically defines the person and work of Christ.
Robert Barclay stated it plainly: "We believe that everything which is recorded in the holy scriptures concerning the birth, life, miracles, suffering, resurrection, and ascension of Christ actually happened." (Apology, Proposition 5, xv, Freiday Edition p. 88. See also Proposition 3 on Scripture). To get a feel for how Barclay actually drew upon Scriptures as the "true and faithful record" one only has to scan the pages of his Catechism. An example:
"Q.  Was Jesus Christ really crucified and raised again?
A.  For I delivered unto you first of all, that which I also received, how that Christ died for our sins, according to the scriptures: and that he was buried, and that he rose again the third day, according to the scriptures. I Cor. 15. 3, 4." (Philadelphia, n.d., 16).
George Fox quibbled with Baptists over the term "word of God;" they wanted to use it as a synonym for the Bible, whereas Fox insisted the term denotes Jesus Christ. Fox buttressed his arguments from the Scriptures themselves, which, said Fox, are the "words of God." In many similar phrases, Fox exhorted people to read the Scriptures "sitting down in him who is the author and end of them." (Journal, Nichols Edition, pp. 32ff., 145ff. and ad passim) That Quakers held an inclusive view of revelation did not discredit the Bible, but elevated its importance as an outward test and spiritual guide.
We believe that the Holy Scriptures are the words of God; for it is said, in Ex. xx. 1, "God spake all these words, saying," etc., meaning the ten commandments given forth upon Mount Sinai. And in Rev. xxii. 18, saith John, "I testify to every man that heareth the words of the prophecy of this book: if any man addeth unto these, and if any man shall take away from the words of the book of this prophecy" (not the word,) etc. So in Luke i. 20, "Because thou believest not my words." And in John v. 47xv. 7xiv. 23; and xii. 47. So that we call the Holy Scriptures, as Christ and the apostles called them, and holy men of God called them, viz., the words of God. [from Some of the Mysteries of God's Kingdom Glanced At, 1663]
3.  Christ's resurrection occurred, signifying spiritual renewal and life after death.
A contemporary Friend, Gusten Lutter, Jr. asks "How can people deny the resurrection and still claim that Christ has come to teach his people himself?" Lutter writes:
Jesus' Resurrection fuses the Incarnation. It is a claim that God is (now)connected in an intimate (physical) way with Creation, perhaps in a way that was not before. Jesus raised was not a spirit untouched by thirty years in a mortal coil. The marks of his life were upon him, and (promise to be) with him eternally. Jesus' resurrected body promises us that our lives are real, even from the standpoint of a Creator who could unmake us at will. When we ask, "Was the Resurrection an historical event?" we are asking "Was it real?" Real to us, material, available to the senses. At the same time, when we say, "God raised Jesus from the dead," we are giving what we saw (through the eyes of the disciples) in three dimensions greater depth. The three dimensional surface of Jesus' body becomes transparent to the eyes of the spirit, and we see God in and through him. The incarnation & resurrection make claims about the world without which the New Testament (the books of the New Covenant of God with God's People) is [merely] a nice story. (To: friends-theology@xc.org Gusten Lutter, Jr. Wed, 08 Jul 1998 14:28:39 -0600)
4.  Christ's life, death and resurrection is the procuring cause of human salvation.
For George Fox it was central to "the people of God called Quakers" to let everyone know, whether Jews, Turks, Christians, or heathens, that "there is no salvation in any other name under heaven, whereby they must be saved but in the name of Jesus Christ of Nazareth, crucified and raised from the dead." (Works 5, 87) Early Friends did not use scholastic atonement theories but used a variety of Biblical metaphors to affirm casuality. To the question: How doth Christ convey life? Isaac Penington wrote:
As the living Word; as the promised seed. He soweth the seed of the kingdom in the heart, in which is life: and as he maketh way for this to spread and grow up in and leaven the vessel, even so he quickeneth and gathereth into his life. Again, he is the enlightening word, the quickening word, the word of wisdom, the word of power, the word of love and reconciliation, whose voice worketh mightily towards the destroying of sin, and saving of the soul from it.
Job Scott, at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stressed the outer-inner meaning of Jesus' death in a plenary rather than substitutionary mode. He speaks for the conservative Quaker tradition:
Christ...has shown us plainly that nothing will do, short of death in us. That the death must be in man; that we must die to all creaturely corruption, as he died to the creaturely life. "In that he dies, he died unto sin once," says the apostle, "and in that he liveth, he liveth unto God." Though he was sinless, yet he died unto sin; he died to the very first risings and motions of evil; for "he was in all things tempted as we are." In yielding to these temptations, lust would have been so conceived as to have brought forth sin, but in dying, instantly, the death of the holy cross, to every motion whose tendency was unto sin, he is properly said to have died unto sin. And herein, as well as in his death on the cross outwardly to the life of the creature, he has powerfully taught us the necessity of dying with him unto all sin. He that will lose his life for his sake, shall save a divine and eternal life with and in him. But he that will save his life, will not die with him unto sin, must and shall lose it. He that will reign with him, must suffer with him; and he that will rise with him in the newness of the divine life, must first be buried with him in that baptism which is into real death unto all sin, even the baptism by which the floor of the heart is thoroughly cleansed. [from Essays on Salvation by Christ, ca. 1793, pp. 40-44 in Quaker Heritage Press edition]
William Bacon Evans, a weighty Philadelphia Friend during the first part of our century, blessed his generation with religious verse. One of his sonnets, "The Gospel" speaks to the atoning sacrifice of Christ.
Best of Good News! which science ne'er contrived,
Nor charlatan devised, nor sibyl saw -
Whose swelling words the undiscerning draw
Toward panaceas idle and short lived -
O prodigy of Grace in Heaven prepared!
Strong in the might of all-embracing law;
Love without bound, outreaching to withdraw
From toils of hell and death the sin-ensnared;
Thou son of God and Son of man in one!
Who bare our loads of sin upon the tree,
With empty hands of need we come to Thee!
Salvation promised, preached in everyone;
  For us Thou tasted vinegar and gall,
  O miracle of Love encircling all!
  -- 10th, IV, 1942
[next page]

Go to Part 2
Special Links for this Subject

I have created a special page of links related to this subject for your use.


5.  The indwelling Christ is a reality distinct from persons indwelled.
George Fox frequently referred to Christ as the substance, fulfilling the types and shadows of the past, offering a greater reality, one subordinated to God the creator, not to man the created. Christ has come, he said, "to redeem, translate, convert, and regenerate man. . . out of all the true types, figures, and shadows, and out of death and darkness, up into the light, and life, and image, and likeness of God again as man and woman were in before they fell." (Nichols ed. Journal of George Fox, p. 367)
Friends such as Stephen Crisp repeatedly emphasized a spirituality that, even in its fullness retains a lowliness of spirit before the indwelling Christ. No one can become smug about the Light of Christ. Immediate revelation increases rather than decreases awe before the Lord. Indeed, Crisp warned that Satan deceptively comes as an angel of light to draw away from the "simplicity of the Truth" those who haven't fully died to self. Such persons are beguiled into "libertinism." In their carnal reasoning they put their trust in uncertainties and neglect weighty matters; or they decide hell is only in one's conscience, or that death annihilates one anyway so why struggle, or that if one falls short of righteousness now they can make it up in other bodies in the hereafter. ("A Faithful Warning" in Gospel Labours and Writings, Philadelphia: 1822, p. 340-1)
6.  Personal and corporate experiences of Christ constitute valid knowledge.
Robert Barclay asserted that divine inward revelations are integral to true faith, and that they "possess their own clarity and serve as their own evidence," and cohere with right reason ("well-disposed mind") and "common principles of natural truths."(Apology, Freiday ed., Prop. 2, p. 16).
Isaac Penington defended the sensible understanding of the triunity of God:
Now consider seriously, if a man from his heart believe thus concerning the eternal power and Godhead; that the Father is God, the Word God, the Holy Spirit God; and that these are one eternal God, waiting so to know God, and to be subject to him accordingly; is not this man in a right frame of heart towards the Lord in this respect? Indeed friends, we do know God sensibly and experimentally to be a Father, Word, and Spirit, and we worship the Father in the Son by his own Spirit, and here meet with the seal of acceptance with him. (Works iv:360, Quaker Heritage Press ed.)
7.  The universality of Christ the Light is affirmed by the particularity of Jesus.
When early Friends used the term light they referred to Jesus Christ, to the historical, redemptive, event, not just to an inner spiritual quality. To know Christ as the Light eternal means "as he was yesterday, is today, and will be forever" wrote Isaac Penington. He drew parallels with the rejection of Jesus Christ inwardly by establishment religion in his day and rejection of Christ historically by the Jewish leaders. The stone which builders rejected, is nonetheless, the cornerstone. Professing believers acknowledge Christ as the rock in words but miss doing so in substance. For the early Friends, after a night of apostasy, the rejected stone was again, in England, reaffirmed. (See Works, Selections and Letters. Philadelphia, 1818, pp. 80ff.)
8.  There is no "natural light" of conscience separate from the Light of Christ.
Robert Barclay asserted that the power to determine right from wrong, although sometimes described as "the law of nature" in reality is not distinct from the Light of Christ. For Barclay it is a "universal evangelical principle. . . that the salvation of Christ is shown to every man, whether Jew or Gentile, Scythian or Barbarian, of whatever country or kindred" Which is why, he adds, that "God has raised faithful witnesses and evangelists in our age to help all become aware of the light within themselves and to know Christ in them." (Apology Prop. VI, XXVIII, Freiday, pp.123ff.) The early Friends did not denigrate nature but sought to recover a Biblical unity between God as creator and God as redeemer. This unity they envisioned as divine election through an accessible logos, Christ, rather than through a limited, predestined, redemption.
9.  God's Spirit is intrinsically linked to Christ (filioque).
Early Friends referenced their usage of the term Spirit to Jesus Christ. This was the case whether they used the term Christ, or metaphors such as light and seed, or the word Spirit. In short, they had a Christo-centric doctrine of the Holy Spirit. This doctrine conveyed an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and saving light graciously available to all persons. It was clearly linked to the spiritual nature of baptism. Of the Pentecostal experience recorded in the Acts George Fox wrote, "Baptized by one spirit into one body. . . is the answer of a good conscience toward God by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 . Christ is the substance, whereby we are baptized into his death." Fox quotes Paul approvingly, "those that are baptized into Christ have put on Christ." (Galatians 3:27). (Saul's Errand to Damascus, cited in Early Quaker Writings, p. 258.)
10. Christ's presence in the world does not foreclose a fuller future coming.
In his often-reprinted Apology, Barclay refutes accusations that theiremphasis upon the contemporary presence of the Kingdom implies no belief in a future life. The Quaker insistence upon accepting judgment of the Light now doesn't imply disbelief in a final judgment, or in heaven or hell. Just talking about the outward life of Christ, he wrote, won't redeem or justify people, they must know "Christ resurrected in them." If people partake of the first resurrection, i.e., inward redemption from sin, they are better able to judge the second resurrection. We are called, he said, to be the first fruits of those who serve and worship Christ not "in the oldness of the letter but in the newness of the Spirit" until "all the kingdoms of the earth become the kingdom of Christ Jesus."(Apology, Freiday ed., p. 439. See also Barclay's Catechism, Chap. XIV, cited in Early Quaker Writings, p. 348).
11.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witnesses to God's kingdom.
Writes Fox: "Now Christ is the heavenly, living, spiritual head of these his heavenly, living, spiritual members: and he that sanctifieth and they that are sanctified are all of one. . . So here you may see the unity and the love that is betwixt Christ and his church, which is his body, which he is the head of." (Works V., p. 306)
12.  Christ is real both in and outside of time.
A citation from Job Scott speaks to this mystical blending of time and eternity:
It may be thought by many, that Christ is not the son of any but God, and the virgin Mary; but Christ himself positively declares, he that doeth the will of his Father, "the same is his mother, and sister, and brother." Shall we suppose he only meant that they were dearly beloved by him, and owned "as if" they were his nearest relations? By such glosses and interpretations, is the true meaning of many of his deep, and deeply instructive sayings qualified away. But, verily, he meant as he said; and had he not carefully confined his words to a strict meaning, he might have called such his father too. But in the spiritual sense in which he was speaking, no man can possibly be his father, but God. It is true that we read of his father David: In regard to his outward genealogy and descent, David was his forefather; but in regard to his birth in man, none can be Christ's father but God only. And in order to hold this forth to mankind, even his body that was born of the virgin, was conceived by the overshadowing efficacy of the holy ghost, without the agency of any other immediate father but God. Thus the outward holds a lively analogy with the inward. But though, speaking of the inward, no man can be his father, yet man can and must be, his "mother," as well as "sister and brother," if ever he comes to be truly regenerated and born of the "incorruptible seed and word of God." This new birth is ever produced by the overshadowing of the holy ghost upon the souls of men. [from Essays on Salvation by Christ, ca. 1793, pp. 40-44 in Quaker Heritage Press edition]
[previous part]

Return to
Part 1
[next part]

Go to
Part 3



C.  Current cultural barriers to accepting early Quaker beliefs about Christ

1.  Scientific method questions the credibility of revealed truth. This is particularly so in respect to empirically unverifiable claims, such as miracles, the resurrection of Jesus, the mystical presence of Christ within believers and in the church, and the afterlife. A scientific rejection of the supernatural erodes the Christological assumptions which formed the basis for the Quaker awakening. These assumptions affirmed a revelatory unity between God acting in creation and in redemption.
2.  A predilection for psychological explanations makes theological ones seem archaic. According to this world view, inner feelings and subjective states can be empirically explained without reference to salvation language- to "God talk" and altered without the need of divine agency. Television confessionals and talk shows reveal the pervasiveness of psychological explanations in our culture. This stance weakens the force of the 17th century movement by implying that theological language, e.g. "there is one Christ Jesus, who can speak to thy condition," is a pre-scientific way of describing events that are now more credibly understood, and dealt with, in psychological terms.
3.  A mind set that the self is sovereign. This mind-set blunts the early Quaker experience of the Light coming as terror and judgment before bringing assurance and peace. This enthronement of self-esteem makes penitence, discernment, submission to authority, covenant commitments, and acceptance of external discipline difficult. Furthermore it facilitates self-justified conduct. This mind set is considerably at variance with the normative Quaker emphasis upon self-denial.
4.  An assumption that cultural pluralism entails religious and ethical relativism. This produces a penchant for diversity that prizes inclusiveness as the highest form of tolerance, that delights aesthetically in discovering peripheral religious views. This position attracts religious seekers unhappy with dogma or organizational structure, but it weakens central Christian doctrines of creation, incarnation and atonement, and it diminishes awe before the Lord God almighty. When truth is considered disparate rather than coherent, unified actions become difficult to achieve, resulting in an inordinate preoccupation with process, including modes of worship, moral discipline, and decision-making. As settled convictions become fewer, ethical options multiply and Biblical/covenantal authority weakens. For Quakers this means that in meetings "gathered for business" consensus becomes rather than reflects the "the mind of Christ."
5.  A rejection of any foundational universe of discourse. All systems of thought accordingly are viewed as provisional products of human thought. In rejecting foundational concepts of any sort (Platonic, Biblical, or enlightenment, or blends thereof) post-modernist epistemology challenges Quaker assumptions about the nature of truth. From a reductionist perspective such an epistemology reduces Quakerism to instructive sociological phenomena - a museum exhibit of human religious behavior. From a pluralistic perspective such an epistemology releases Quaker, or other religious truth claims, from a burden of empirical proof. Neither a disparagement of religious claims nor their exclusion from canons of rationality accords well with the passionately unified spiritual, rational and moral convictions of the first "Publishers of Truth."
6.  A flirtation with neo-animism. To replace abandoned mystery ("Christ in you the hope of glory"), or from a sense of unfulfilled spirituality, some Quakers have turned to neo-animistic paganism, in forms such as goddess or new age religions. These approaches substitute myth making for theological reflection and naturalistic ethics for Biblical morality. Fox's vision on that ancient haunt of demons, Pendle Hill, ("a people in white raiment to be gathered to the Lord") may be better understood by Friends (Latino, African, Inuit) more recently freed from animistic fears and priest-burdened religion than by modern neo-animists who bask in the socio-cultural benefits of a culture leavened by reason while rejecting its theological foundation.
7.  The substitution of 'notional' theology for spiritual experience. Although normatively anathema, 'notional' religion assails Friends along the whole theological spectrum, from fundamentalist to humanistic theologies. The word "credo" simply means "I believe." The negative connotation of "creedalism," refers to the substitution of propositional for experiential truth, of head knowledge for heart knowledge. The current cultural animus against religious dogma is more severe now than i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may be numb to the forces of secular dogma. Nevertheless, William Penn's warning against "superfining" (prooftexting) Scripture texts, is still relevant, although more diversely applicable. Penn wrote:
Men are too apt to let their heads outrun their hearts, and their notion exceed their obedience, and their passion support their conceits; instead of a daily cross, a constant watch, and an holy practice. The despised Quakers desire this may be their care, and the text their creed in this, as in all other points; preferring self-denial to opinion, and charity to knowledge, according to that great Christian doctrine, 1 Cor. Xiii. (The Key, Section V).
[previous part]

Return to
Part 2
[next part]

Go to
Part 4



D.  Certain points at issue and possible resolution

1.  What reality informs the metaphor? A leading Quaker metaphor is "light." Is its ground a rational construct, a universal idea such as love, a non-embodied world spirit; or is its reality Jesus Christ, the incarnate, risen Lord? Early Friends would say the latter. So do I. The same goes for other key metaphors, such as Seed, Truth, etc. A definiens entails a definiendum., otherwise there is no meaningful discourse, no existential import. Gnostic answers seem to relieve some Friends from a cultural burden they find awkward, namely, affirming an incarnated spiritual reality. But such answers betray the ethos of the 17th century Quaker awakening of the Church and are at variance with its apologetic, prophetic, and devotional literature. Such answers generally fix upon a substitute reality, e.,g. Platonic, Hindu, or Buddhist conceptualizations, which have their own ontological problems.
I suggest a better resolution: to affirm the unity of Christ in history and in the heart. And to do so confidently and devoutly. This has been a major Quaker witness. It should be so again. By affirming both the particularity and the universality of Christ, in word and deed, Quaker testimony is as relevant in our pluralistic culture as it was in the 17th century. We engage in religious dialogue with integrity when we speak from the strength of this conviction. Quaker belief in the universal and saving light affirms a Gospel that is unique and central without being exclusive. I think this message will speak to persons who hunger and thirst for righteousness, who want to affirm the Good News of Christ within a global culture.
2.  Is Christ one term in a series of culturally-based synonyms or a unique and essential referent for these linguistic variables? Do advances in human knowledge through the sciences and through global cultural and technological interaction require Friends to subsume their story to a larger one? If so, would that larger story be ecumenically Christian or ecumenically religious? Can one with integrity assert that early Friends "were on the right track" to a larger religious vision but were restrained by the boundaries of a now outmoded world view? I think not. Such a judgment strikes me as parochial in making contemporary western culture the test of truth. Such a judgment seems both narrow and elitist. It denies the "scandal of particularity" which is Jesus Christ, the Word of God for all persons for all time. To resolve the problem requires a patience with how people use culturally variable synonyms to signify the spiritual reality that is Jesus Christ. As Augustine said, God is greater in our thoughts than in our words and greater in reality than in our thoughts. But we can also firmly resolve fully to affirm the referent of such linguistic signs - the Word made flesh, who dwelt among us, whose glory we, too, have witnessed.
3.  What is phenomenal and what is epiphenomenal? Does a reality affirmed by scientific reason and logic carry the Gospel reality on its back, as it were, or is the Word spoken in Jesus Christ the reality that carries reason and logic? To use a Venn diagram, which circle encloses other manifestations of reality: revelation or science? To use another metaphor, which is text and which is commentary? The fear of the Lord is the beginning of wisdom, said the Psalmist. So said the early Friends. So say I. To stand in awe before a transcendent God may require of Quakers a needed poverty of spirit, which in Jesus' list constitutes the first step toward the virtues of peacemaking and holiness.
4.  Is the early Quaker view of the Bible, as the inspired words of God, central or peripheral to Quaker understandings about spiritual reality? Some critics have claimed the Gospels were written to rationalize the failure of Jesus. Some Friends eagerly embrace the views of the Jesus seminar people who deny historicity to the accounts of Jesus, particularly the miraculous claims about nativity and resurrection. Are we to replace Barclay with Borg? Can we sustain a Christian understanding of the Spirit while rejecting the outward authority of the Scriptures which our fore parents stoutly declared were given forth by the Spirit? No. We may quibble about interpretation, and we shall continue to seek guidance of the Spirit in discernment, but Friends cannot, without squandering their theological inheritance, deny the Scriptures as providing "clear testimony to the essentials of the Christian faith" and the "only proper outward judge of controversy among Christians." (Robert Barclay, <(Apology, III, VI). I ask Bible scholars and ministers to approach the text with reverence befitting the "words of God" lest notional religious activity erode the work of the Holy Spirit, lest Bible study become a trade and not prayerful inquiry into the will of God.
Last year on the Internet occurred an extended discussion of George Fox's Letter to the Governor of Barbados. It is well known that some Friends are uncomfortable with it, claiming that such propositional orthodoxy was contrived for prudential reasons. A Friend from Spain, however, discounted the issue of political correctness. He writes of this document: "We can see the first ideas of Friends referring to Jesus and the Bible. They were not humanistic, secular or philosophical ideas. They were really biblical. What was most characteristic in a Quaker was to be biblical! We have walked a long way from then to now and I think that the way has been not the best. In Jesus, César Vidal."
David Johns sent the following quotation, which shows the Barbados letter to be consistent with other testimony. George Fox wrote from Worchester prison, "Something in answer to all such as falsely say, the Quakers are no Christians ..." (Andrew Sowle, 1682).
We believe concerning God the Father, Son and Spirit, according to the testimony of the holy Scripture, which we receive and embrace as the most authentic and perfect Declaration of Christian Faith, being indited by the holy Spirit of God that never errs. 1st that there is one God and Father, of whom are all things. 2ndly, that there is one Lord Jesus Christ, by whom all things were made (John 117) Who was glorified with the Father before the World began, who is God over all blessed forever (John 14). [3rdly] That there is one holy Spirit, the Promise of the Father and the Son, and Leader, and Sanctifier, and Comforter of his people (I John 5) . . . [Christ] exercises his Prophetical, Kingly and Priestly office now in his Church, and also his Offices, as a Counselor and Leader, Bishop, Shepherd and Mediator, he (to wit) the Son of God, he exercises these Offices in his Household of Faith, whose House we are, that are believers in the Light, & by faith ingrafted into Christ, the Word, by whom all things were made; and so are Heirs of eternal Life, being elected in him before the World began. . . . Can there any good thing come out of Nazareth? we say with Philip, "Come and see."

Conclusion

David Finke, a Friend from Illinois Yearly Meeting, raised an evocative question about cultural barriers to modern Friends accepting early Quaker theology:
What makes it so hard for us to say with George Fox that "There is one, even Christ Jesus, who can speak to [our] condition," or that "Christ has come to teach his people himself"? In my increasing travels among Friends in recent years, I've found this as a joyous proclamation - in deed as well as word - among Friends for whom it is absolutely obvious that what makes us Quakers is our encounter with the Living Christ, the Presence in our Midst, the Friend who transcends the power of death. (printed in Winter '97-'98 issue, Among Friends)
Many years ago, a British Friend, Maurice Creasey , disturbed by non-Christian trends within the Society of Friends, wrote the following:
Whatever else may be learned from a study of our origins, this much at least is clear: that the early Quaker teaching concerning "the universal and divine light of Christ" was a message concerning the action of God rather than the nature of man. . . Friends were united in the certainty that the same power, wisdom, and grace of God which had ever been seeking to save man from his futile desire for autonomy, and which had been concretely revealed and expressed in Jesus Christ, was now available to lead into all truth those who trusted and obeyed it. (Christ in Early Quakerism. Philadelphia: The Tract Association of Friends, undated.)
[previous part]

Return to
Part 3



2017/04/05

알라딘: 국가와 교육 - 메이지 국민교육사



알라딘: 국가와 교육 - 메이지 국민교육사










국가와 교육 - 메이지 국민교육사

이권희 (지은이) | 케포이북스 | 2017-03-05
공유
URL














[외국어.수험서.컴퓨터 - 셜록 스테인리스 컵, 클립보드, 분철쿠폰]
정가 22,000원
판매가 19,800원 (10%, 2,200원 할인) | 무이자 할부



양장본 | 327쪽 | 232*155mm | 631g | ISBN : 9788994519975
----


권력과 근대라는 관점에서 근대 일본의 교육 실태와 교육사상사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 책. 메이지기 일본의 근대 교육체계의 성립 과정과 교육사상의 창출과 변용 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근대 일본, 일본인의 자기 분열적 사유체계 형성의 메커니즘과 그 한계를 분석했던 연구 성과물을 대폭 수정,보완해 엮은, 저자의 지난 몇 년간의 노력의 작은 결과물이다.

그리고 이것은 현대 일본인의 에스니시티(ethnicity)의 연원에 대한 규명이었으며, 한일 양국의 화해와 미래지향적 관계를 방해하는 심화한 갈등 요소들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던 인문학적 성찰의 모색이었다.





책머리에

제1부 근대 국민국가와 교육
제1장 | 근대교육의 출발
1. 들어가는 말
2. 황도(皇道) 이데올로기의 대두
3. 근대 천황상의 확립과 ‘황도주의’ 교육
4. ‘황도주의’ 교육의 좌절과 보통교육 시행
5. 맺음말

제2장 | 학제의 교육이념
1. 들어가는 말
2. 양학에 대한 관심과 학교의 발견
3. 학제 반포 이전
4. 학제의 교육이념에 대한 재검토
5. 맺음말

제3장 | 국민국가 만들기와 교육
1. 들어가는 말
2. 학제 제정





저자 : 이권희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국가와 교육>,<근대 일본의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고사기 왕권의 내러티브와 가요> … 총 5종 (모두보기)
소개 :
일본 상대문학 및 근대 교육사상 전공. 단국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 도쿄대학 총합문화대학원에서 수학. 문학박사. 현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학술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대가요를 중심으로 하는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고사기(古事記)』의 구조론 연구에 진력해 왔으며, 최근에는 근대기 일본 국민국가 형성 과정에 있어 교육의 역할을 제도적?교육사상적 접근을 통해 규명하는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문화 속 에도 - 도쿄 표상연구>(공저, 제이엔씨, 2009), 『古事記 왕권의 내러티브와 가요』(제이엔씨, 2010), 『근...


----




한일 양국의 반목과 갈등의 역사는 그 뿌리가 깊다.

고대 한일관계는 협력과 부조(扶助)의 역사보다는 지배와 피지배의 허구를 구축하기에 급급했으며, 근대 한일관계는 가해와 피해의 역사로 점철되어 왔다. 그리고 현재 두 나라는 종군위안부 문제로 상징되듯이 한 치의 양보도 없는 자국 중심적 역사인식에 독도를 둘러싼 영토문제가 맞물리면서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 속에 갇혀 버렸다. 이에 자국사 중심의 역사인식을 극복하고 심화한 갈등의 요소들을 상호이해 속에서 객관적으로 이해하며, 한일 양국의 특정적이고도 부정적인 대결과 해묵은 갈등 구조를 해소함으로써 참된 화해를 통한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구축에 이바지하는 인문학적 성찰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오늘날 한일 양국의 반목과 갈등의 원인 중 하나로 ‘공적(公的) 기억’에 대한 인식과 소비의 차이가 지목되고 있다.

‘기억의 정치학(politics of memory)’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공적 기억’이란 ‘자명한 사실들의 집합체’가 아닌 공공의 이익, 혹은 ‘공공선(公共善)’을 위해 구성과 재구성을 반복하며 만들어낸 인위적 산물인 것이다. 여기에는 당연 과장과 왜곡이 작용한다. 이는 과거사에 대해 누구의 기억을 ‘정통한 기억(authentic memory)’으로 간주하고, 또 어떠한 방식으로 그것을 보존?확산해 나가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 특정 단체나 국가 권력이 개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일 양국이 과거사 문제로 대립을 반복하는 핵심 이유는 기억하고 싶은 ‘공적 기억’의 내용이 다르고 이를 만들어내고 소비하는 방식, 다시 말해 역사를 수용하고 인식하는 방식에 결정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정치사상가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는 아시아?태평양전쟁의 종료 후 그와 동시대인들에게 절대적인 가치체(價値體)였던 천황(天皇)과 천황을 정점으로 하는 수직적 국가 질서, 천황과의 거리에 비례하는 권력의 존재 양태 등을 비판하고, 아시아?태평양전쟁에 임했던 일본 지배층의 심리분석을 통해 누구도 책임지려 하지 않는 ‘무책임의 구조’를 파헤쳐 ‘국체사상’의 허구성을 폭로했다. 그러나 일본이 근대화되어 가는 전 과정에서 다양한 기재를 통해 창출되고 연습(沿襲)되어 온 ‘국체사상’은 마루야마의 바람과는 달리 21세기 현재도 일본?일본인?일본사회를 지배하는 ‘절대선(絶對善)’으로 작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집단 기억’ 창출의 근원적 사유체계를 형성하며 일본인의 보편적 윤리감각을 밀어내고 자기 성찰적 역사인식을 방해하는 지배 사상으로서 굳건히 자리 잡고 있다. 이에 오늘날 한일 양국의 반목과 갈등을 유발하는 일본 우경화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일본인들의 윤리관과 역사인식이 어떠한 기재를 통해 만들어지고 연습 되어 왔으며, 또한 어떠한 방법으로 공적 기억과 내셔널리즘을 형성하는가 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오랜 세월 자연스럽게 체계화된 ‘사유(思惟)’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 미디어 등의 문화 권력에 의해 인위적으로 형성되어 유전되어 내려온 특정적 ‘사유체계(思惟體系)’에 기인하는 것이다.

한 시대의 교육이념과 이를 실행하고 수용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는 특정 시대와 사회를 이해하는 효율적 테마이다.

왜냐하면 각 시대마다 지향하는 교학이념이 다르고, 교육을 통해 형성된 자아와 다양한 가치관은 오랜 세월 인간의 관념을 강하게 지배하기 때문이다. 특히 어린 시절 보통교육을 통해 공유되는 공공적 가치체계는 일생 개인의 사유와 행동을 통제하는 ‘규범’으로 작용하며 국가와 민족, 나아가 세계를 인식하는 인위적 사유체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일찍이 일본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보통교육의 실시를 통해 국체사상이라는 특정적 사유체계를 창출해 냈으며 결과적으로 근린 제국(諸國)을 불행한 역사의 소용돌이로 몰아넣은 비극의 역사를 낳았다. 오늘날 동아시아 3국간의 과거사를 둘러싼 갈등과 반목 또한 그 연원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근대기를 통해 형성된 국체사상이 네오내셔널리즘(neo-nationalism)이란 이름으로 그 외피만을 갈아입었을 뿐 의연히 일본인들의 역사관?세계관 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지금까지 ‘근대 일본의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이라는 커다란 문제의식을 견지하며 메이지기의 학제(學制)와 각종 교육령(敎育令) 등의 분석을 통해 근대 일본의 국가주의 교육이 어떠한 방법으로 ‘국민’ 내지 ‘민족’을 형성해 왔는지를 다각적으로 분석해 왔다. 저자가 이렇듯 메이지기의 교육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근대 국민국가 형성기라고 할 수 있는 메이지기를 통해 국가권력에 의해 구상되고 시행되었던 그 어떤 제도나 정책보다도 교육이야말로 ‘국가(國家)’와 ‘국민(國民)’이라는 ‘상상의 공동체(imagined association)’를 만들어내고, 절대 군주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창출해 내기 위한 가장 유효한 장치로 기능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일본의 근대교육을 일본인들의 생활세계를 지배하는 특정적 사유체계 형성의 기재로서 이해하며, 권력과 근대라는 관점에 입각해 근대 일본의 교육 실태와 교육사상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던 것이다.

총 3부 9장으로 구성된 <국가와 교육-메이지 국민 교육사>는 메이지기 일본의 근대 교육체계의 성립 과정과 교육사상의 창출과 변용 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근대 일본?일본인의 자기 분열적 사유체계 형성의 메커니즘과 그 한계를 분석했던 연구 성과물을 대폭 수정?보완해 엮은, 저자의 지난 몇 년간의 노력의 작은 결과물이다.

그리고 이것은 현대 일본인의 에스니시티(ethnicity)의 연원에 대한 규명이었으며, 한일 양국의 화해와 미래지향적 관계를 방해하는 심화한 갈등 요소들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던 인문학적 성찰의 모색이었다. 이는 다이쇼[大正], 쇼와[昭和] 시대 제국주의 사상 형성과 교육의 문제를 포괄하고, 나아가 1911년 조선교육령(朝鮮敎育令)으로 시작되는 우리의 근대교육 연구를 위해서도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식민지 문화 권력의 구상화(具象化) 문제를 포함하는 것이기도 하다.





류시화 “덜 움츠리고 덜 비난하고 더 많이 예찬하라” | YES24 문화웹진 채널예스

류시화 “덜 움츠리고 덜 비난하고 더 많이 예찬하라” | YES24 문화웹진 채널예스



류시화 “덜 움츠리고 덜 비난하고 더 많이 예찬하라”
<월간 채널예스> 4월호 커버 스토리
『새는 날아보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 펴내
류시화는 “다만 길 위에서 당신과 함께 인생을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했다.



문학의 길을 걷겠다고 노숙자가 되자 사람들은 제정신이 아니라고 했다. 시를 쓰고 책을 읽
느라 학교는 낙제했다. 국문학을 공부하고 국어 교사가 되는 행운을 얻었으나 포기하고 잡
지사에 들어간다. 하지만 반년이 안 돼 퇴사했다. 이후 클래식 음악카페를 열었지만 석 달
만에 문을 닫았다. 출판사에 취직했다가, 바바 하리 다스의 『성자가 된 청소부』 원서를 읽
고 그 책을 번역하겠다는 일념으로 회사에 사표를 냈다. 이후 뉴욕으로 떠났다가 인도의 명
상 센터에 머물다가 서귀포에서 두 해를 살다 또 서울로 왔다. 지금도 한 해에 서너 번 인도
를 여행한다.
1 / 8



류시화는 자신의 삶을 두고 “방황한다고 길을 잃은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인간은 ‘호모 비
아토르Homo Viator’ 즉 떠도는 사람, 길 위의 사람이다. 봄이 자꾸 머뭇거리던 3월의 한
낮. 류시화 시인과 마주했다. 그는 선택을 앞둔 순간 ‘이 길에 마음이 담겨 있는가?’를 생각
한다고 했다. 불확실한 시대에 한 권의 책을 쓰고 남기는 일.



류시화는 “다만 길 위에서 당
신과 함께 인생을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했다.
내게 독자란, 글을 나눠 읽는 동지
20년 만에 펴낸 에세이다. 30대 초반에 쓴 산문집은 바로 절판을 시켰다.
내가 깊이 경험하지 않은 것,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에 대해 문
학적 수사를 동원해 글을 썼다는 자책감이 컸다. 이후 ‘나 자신이
경험한 것만을 쓰자’
고 결심했다. 경희대학교 국문학과에 문예장
학생으로 입학해 산문을 몇 편 썼는데, 당시 우리를 가르치시던 소
설가 황순원 교수께서 이런 말씀을 했다. “시는 젊어서 쓰는 것이
고, 산문은 나이 들어서 쓰는 것이다.” 시는 고뇌를, 산문은 인생을
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이제 산문을 쓸 만큼 나이가 들었다. 하
지만 더 나이가 들어 ‘경전’을 쓰지 않게 되기를 바란다. 나는 언제
까지나 그저 시인이고 떠돌이 여행자일 뿐이다.
평소 인터뷰를 안 하기로 유명하다. 독자들을 따로 만나는 행사도 하지 않았다.
강연과 인터뷰는 거의 사절해 왔다.




거절하는 것이 곤혹스러울 때도 있지만, 나는 글 쓰는
사람이지 말하는 사람은 아니라서 그렇다. 지금 이 인터뷰도 여러 차례 거절했지만, 출판
시장이 불황이기 때문에 도와줘야 한다는 요청에 등 떠밀려 하게 됐다.



이집트 사막에서 수
행하던 초기 기독교 교부 중 한 명은 사람들이 찾아올수록 더 깊은 사막으로 달아났다. 세
상에 나와서 좋은 말씀을 해달라는 사람들의 요청에 그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추하고 보
잘것없기 때문에 세상에 얼굴을 내밀지 않는 것이다. 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나의 덕행
때문이 아니라 나의 약점 때문이다.” 나도 그렇다
. 내 글이 세상에서 읽히는 것만으로도 두
려울 때가 있다.
시인으로서 독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고 지금도 받고 있다.



독자의 관심은 당신에게 어
떤 의미인가.



나는 작가이지만 ‘독자’라는 단어에 거부감을 느낀다. 한 권의 책을 읽을 때, 우리는 그 저자
와 끈끈한 동맹 관계에 돌입한다. 그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책은 실패한 것이다. 내게 독
자란, ‘글을 나눠 읽는 동지’다. 시집과 번역서를 세상에 내놓을 때 나는 같은 공간대와 시간
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중에 적어도 천 명은 내 생각과 느낌에 공감할 것이라는 믿음을 갖는
다. 사랑은 곧 그 공감에서 출발한다. 알베르 카뮈는 “빗속에서 담배를 나눠 피울 때 우리는
동지애를 느낀다”라고 썼지만, 나는 내 글을 읽는 사람을 만날 때 같은 인간 존재로서의 동
지애를 느낀다. 위대한 시인 파블로 네루다가 여행을 하다가 칠레의 탄광에 들른 적이 있
다. 그때 갱도에서 일하던 얼굴이 새까매진 광부가 다가와 네루다를 와락 껴안으며 외친다.
“당신을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어요!” 그런 동지가 있을 때 우리는 이 세상 속에서 굳건해
진다.
이 산문집은 골방에서 쓴 글이 아니다. 따라서 거리에서 만난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여행자로서 만난 사람들이 당신에게는 스승이 아닐까 싶다.
러시아 출신의 게오르기 구르지예프는 20세기 유럽인들의 의식 변화에 큰 영향을 준 신비
가이며 영적 스승이다. 그는 서양 문화권이 명상 교사나 스승들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
도록 토대를 닦았다. 심오한 사상에도 불구하고 그의 생애가 미스터리였는데, 훗날 어떤 이
가 그를 가르친 스승들을 추적해 책을 썼다. 놀랍게도 그의 스승들은 구두 수선공, 향수 판
매상, 마을의 숨어 사는 노인 등이었다. 여행지에서 우리는 낯선 여인, 혹은 처음 보는 아이
와 눈이 마주친다. 그럴 때 우리는 언어가 달라도 삶에서 똑같은 경이와 슬픔을 느낀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똑같은 행복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나 자신도 무너지거나 절망한 적이 많다. 그럴 때 나를 일으켜 세워 준 사람들, 내가 길을
잃었을 때 방향을 가리켜 보인 이들 모두가 나의 스승이다.
“인생은 관광이 아니라 여행이다”라고 했다.



주체적인 인생을 살라는 뜻인가?



 “우리는 우리가 여행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여행이 우리를 만들어 나간다”는 말에 동의한
다. “나는 계속 길을 감으로써 가야 할 곳을 발견한다”라는 말도 내가 좋아하는 글귀다. “우
리는 새로운 세상을 보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보는 새로운 눈을 뜨기
위해 떠나는 것
”이라는 명언도 있다. 자신의 편견과 판단 기준을 들고 여행하는 사람은 전
보다 더 폐쇄적이 되어 돌아온다.
인도 여행 중에 힌디어를 배울 때, 어떤 새로운 단어를 알
고 나면 그 단어가 일상 대화에서 자주 들린다. 없었던 단어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
은 늘 거기에 있었지만 내 귀가 듣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했을 뿐이다. 매일 힌디어 단어들
을 새롭게 알듯이 여행은 세상에 대한 이해의 원, 인식의 원, 정신의 원을 넓히는 일이다.



근작이 2015년에 출간한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이다. 시를 더 많이 발
표해야겠다는 생각은 없나?



나뿐만 아니라 모든 시인은 한 가지 딜레마에 빠진다. 시를 쓰면서 동시에 내가 너무 많은
말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자책감이다. 이것은 다른 직업군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민이다. 물건을 만드는 사람은 더 많은 물건을 만들기를 원할 것이고, 집 짓는 사람은 더
많은 집을 지으려고 할 거다. 그러나 유독 이 괴팍하기로 소문난 시인은 밤을 새워 시를 쓰
고서도 스스로 단어와 행들을 줄이고, 마침내는 폐기해 버린다. 에밀리 디킨슨이 평생 시만
쓰고 1,770여 편의 시를 썼으면서도 작품을 거의 발표하지 않았던 것도 단순히 그녀의 개
인주의적이고 비사교적인 성격 탓만이 아니라 그런 결벽증에 기인한 것이라고 나는 해석
한다. 내가 제3시집 『나의 상처는 돌 너의 상처는 꽃』을 낸 것이 5년 전인데, 그 시들도
350여 편의 미발표시 중에서 고른 것이다.
평소 시를 종이에 쓰지 않고, 입속에서 수없이 중얼거리면서 외워 쓴다.



메모는 전혀 하지
않나?



메모를 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 계속 소리 내어 암송하면서 시를 쓴다. 인도의 기차 안에 서
는 이 방법이 매우 용이하고 효과적이다. 뜻 모를 말을 계속 중얼거리는 나를 머리가 이상
한 자나 만트라를 외는 명상 수행자로 여기기 때문에 나도 사람들을 경계할 필요가 없다.



최근에 암송해서 쓴 시가 있나?



‘선운사 동백’이라는 제목의 시다.
당신과 나
그 사이에
아무도 없었던 적이 있었다
이 붉은 동백만이
모든 꽃은 다음에 피는 꽃에
지는 법
지금은
바닥에 떨어진 심장처럼
붉은 이 동백만이
당신과 나
그 사이에
구호와 선동이 난무하는 시대,
시가 더 많이 필요하다



당신에게 문학은 어떤 의미를 갖나?



문학은 ‘은유’다. 은유로 말하는 것이 시이며 문학이다. 은유는 그 안에 많은 층을 지니고 있
다. 그래서 해석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그것이 문학의 은유가 주는 울림과 깊이다. 직설
적인 표현과 구호가 지배하는 사회는 획일적이고 공격적이며 깊이가 얕다. 은유가 사라진
사회는 비극이다. 사람들이 은유를 이해할 인내와 상상력을 잃어버릴 때, 그들이 선호하고
열광하는 지도자들은 대개 직설적인 구호를 남발하고 돌직구를 날리는 선동꾼이다. 작가
와 시인들은 여기에 동참하지 말아야 한다. 은유는 풀꽃이고, 강의 물결이고, 철쭉의 붉음
이다. 그리고 우리의 마음 세계와 영혼의 세계도 은유로 가득 차 있다. 인도 시인 K. 사치다
난단의 시에 이런 구절이 있다.
‘당신의 시선은 돌/ 그것이 유리처럼 나를 깨뜨린다’



최근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했나?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모든 예술인은 블랙리스트, 즉 위험인물 명단에 오른다. 이는 가장
힘없는 자가 예술인이면서 가장 강한 자가 예술인이라는 증거다. 말 그대로 ‘동태가 수상한
자’가 곧 예술인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 세상을 수상하게 보기 때문이다. 이 세상의 가치
관, 진행 방식 등을 째려보는 거다. 어느 정권에서든 편애를 받는 예술인은 예술인이기를
포기하고 기생하는 삶을 선택한 것이다. 예술인이 가장 멀리해야 하는 집단이 정치인, 권력
자들이다
. 도스토옙스키의 일화가 있다. 대문호 도스토옙스키는 혁명 운동에 가담한 혐의
로 체포되어 총살 선고를 받았다. 그리고 다른 사형수들과 함께 사형 집행장으로 끌려간다.
죄수들이 말뚝에 묶이고 방아쇠가 당겨지려는 순간, 한 병사가 “중지!”를 외치며 달려온다.
황제의 특별 감형이 내려진 거다. 그렇게 해서 죽음 직전에 갑자기 자유인이 된다. 같이 밧
줄에 묶여 있던 친구 하나는 이 일을 겪고 나서 정신이상자가 돼 버리지만 도스토옙스키는
죽음의 순간에 갑자기 살아난 그 순간을 결코 잊지 않았다. 그는 남은 생을 문학에 바쳐 ‘이
미 죽은 사람들이 깨달은 것’을 표현하겠노라고 다짐한다. “과거를 되돌아보며 내가 얼마나
많은 시간을 낭비했는가 생각했다. 삶은 하나의 선물이다.” 그 결심으로 도스토옙스키
는 『죽음의 집의 기록』
『지하 생활자의 수기』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죄와 벌』 등 불후의
명작들을 탄생시켰다.
“타인이 생각하는 나는 내가 아닐 때가 많다”고 했다. 자신을 잘 아는 것만큼 인생에 큰 도
움이 되는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나 자신을 잘 알 수 있을까?



영화로도 만들어진 미국의 소설가 톰 로빈스의 소설 『카우걸 블루스Even Cowgirls Get
the Blues』의 주인공 씨씨는 기형적으로 커다란 엄지손가락을 가지고 태어난다. 주위에서
손가락을 수술하라고 권하지만 그녀는 자신을 기형적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타인들의 평가가 아니라 자신의 있는 그대로를 자기 자신이라고 여긴다. 또한 세상 사람들
이 사물을 보는 방식을 의심 없이 받아들이지 않고 그것에 저항한다. 거울 앞에 선 그녀는
자신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성형수술을 받으면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었지만 거부한
다. 그리고 어느 날 실룩거리는 자신의 커다란 엄지손가락을 보다가 남다른 재능을 발견한
다. 즉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히치하이커가 되기로 결심한 것이다. 거대한 크기 덕분에 그
녀가 엄지손가락을 세우기만 하면 4차선 반대편의 차들도 멈춰선다. 그래서 그녀는 미국
전역을 히치하이킹으로 여행하며 새로운 삶을 발견해 나간다. 자신을 안다는 것은 ‘세상이
자신에 대해 말하는 것을 자기 자신으로 착각하지 않는’ 일이다. 또한 세상이 자신에게 부
여한 역할이나 기능을 자기 자신이라고 오해하지 않는 일이다. 큰 엄지손가락은 그 자체로
아름답고, 따라서 숨길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세상은 결코 말해 주지 않는다. 여기서 비극
이 시작된다. 자신의 불완전한 부분을 숨겨야만 완전하게 보인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가
짜 사람이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50여 권의 명상 서적을 번역했다.



출판사의 의뢰를 받아서 번역한 책이 아니라
직접 선택한 책들이다.
내가 공부하면서 읽은 책 중에서 나 자신의 영적 성장에 도움이 되고 마음에 울림을 주는
책을 선정해 번역했다. 나는 의뢰를 받아 책을 번역할 만큼 외국어 실력이 뛰어나지 못하
다. 지금도 책 한 권을 번역하려면 수없이 단어를 찾아야 하고, 장발 머리를 쥐어뜯는다.

상의 모든 번역가들에게 경의를 표하면서. 그래서 저자를 비롯해 세상의 모든 번역가들이
내 옆에 앉아서 나에게 조언을 해 준다고 상상하면서 작업한다. 그런 상상이 원활히 이루어
질 때 일이 훨씬 수월해진다. 오로지 나의 힘만으로 번역한다고 생각했다면 작업이 불가능
했을 거다. 히말라야 트레킹을 할 때 나는 나 이전에 그 길을 여행한 모든 존재가 내 옆에서
나와 함께 걷고 있다고 상상한다. 마음을 열고 그들의 안내에 따르려고 노력한다. 그러면
두려움과 고난이 사라지고 길이 열린다. 그때 나는 더 강하고 세상과 더 연결된다. 혼자라
고 여기고, 거부하고 단절할 때 우리는 허약해진다.

『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의 표지는 20년 가까이 함께한 디자이너 ‘행복한 물
고기’가 맡았다.
본문 편집 역시 15년 넘게 내 창작집과 번역서를 담당해 온 편집자가 맡아주었다. 그들의
올바른 판단과 헌신적인 노동으로 완성된 책이다. 나는 오래된 인연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
좋다. 많은 것이 변해도 여전히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는 것은 좋은 일이다. 표지화는 내 부
탁을 두말없이 들어주는 일본 판화가 호사카 유코의 작품이다. 나 역시도 젊은 시절에는 독
립적이고 자유로워지려고 노력했는데, 결국 깨닫게 된 것은 어느 누구도 이 세상의 상호의
존과 연결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성장을 가로막는 것은 자기 중심성이다. 우리는
서로가 있어야만 온전해질 수 있다.
최근 ‘엮은 시집’이 많이 출간되고 있다.



1998년에 펴낸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
라면』이 시초가 됐는데, 몇 차례 출판사로부터 거절당했던 책으로 알고 있다.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은 내가 읽은 명상 관련 서적들에서 발견한 시들을
10여 년에 걸쳐 모은 책이다. 처음 이 원고를 출판사에 보냈을 때 반응은 “시를 읽는 독자
는 거의 없다” “유명한 시인들보다 무명 시인들의 시가 더 많기 때문에 상품성이 부족하다”
등이었다. 그러다 대학교 후배가 일하는 출판사에서 겨우 내게 되었는데 1백만 부가 넘게
책이 판매됐다. 이 시집의 성공 이후 많은 엮은 시집이 출간된 것으로 알고 있다. 어떤 형태
로든 시를 소개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구호와 선동이 난무하는 시대에는 시가 더 많이 필
요하다.
예찬하는 능력을 잃어버린 사람이 가장 가난한 사람
여행 중에는 책을 들고 가지 않는다고 들었다. 대신 여행지에서는 책방을 들른다고.
어느 도시에 가든 먼저 그곳의 책방을 들르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특색 있는 책방과
책방 주인을 만나면 그 도시에 대한 인상도 당연히 좋아진다. 인도 델리의 옥스포드 서점이
나 북웜(책벌레) 서점, 바라나시의 아시가트에 있는 서점들, 네팔 카트만두의 필그림 서점
등을 좋아한다. 이런 독특한 서점에서 책을 뒤적이며 하루 이틀 시간을 보내는 것은 내 여
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쁨이다
. 올해 1월, 델리 칸마켓의 서점에서 발견한 심리치료사 토
머스 무어의 대표작 『영혼의 돌봄Care of the Soul』은 여행 내내 좋은 독서가 됐다.





인상 깊었던 대목이 있나?



어떤 남자가 사랑하는 여자와 심하게 다투고 나서 경솔하게 여자를 비난하고 결별하는 편
지를 쓴다. 편지가 도착하기 전에 그는 여자에게 전화를 걸어 그 편지를 읽지 말라고 말한
다. 여자는 편지를 받고 나서 바로 찢어 버린다. 그리고 호기심을 느껴 휴지통에 버린 편지
조각들을 보니까 남자가 적은 글씨와 단어들이 보인다. 하지만 여자는 유혹을 이기고 휴지
통을 비워버렸고, 두 사람은 다시 예전의 사랑하는 관계로 돌아온다. ‘영혼의 돌봄’을 선택
한 거다. 우리가 구덩이에 빠졌을 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더 구덩이를 파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서 얼른 빠져나오는 일이다. 책은 때로는 외롭기도 한 여행의 좋은 동행이 되어 준
다. 여행 중의 독서는 그 저자와 함께 다닌다는 상상을 불러일으켜서 좋다. 국내여행도 마
찬가지다.



지금 어떤 시집을 읽고 있나?



19세기 우르두 시인 미르자 갈리브의 시집들을 읽고 있다. 무굴 왕조의 마지막 시인이기도
한 그는 산문가로도 명성을 떨쳤다. 그가 쓴 가잘Ghazal, 즉 2행시가 계속 연결된 형식의
시들은 오늘날에도 인도와 아랍의 많은 전통 음악 가수들에 의해 불리고 있다. 갈리브는 종
교의 형식 안에서가 아니라 우리 자신의 삶과 내면에서 신을 발견하라는 것을 노래한 시인
이다. 언젠가는 갈리브의 시들을 번역해 보려고 한다. ‘내 손금을 보려고 하지 말라/ 손이
없는 자에게도 행운이 찾아오리니’
번역가로 당신의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들도 많다.
일 년에 적어도 한 권은 번역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것이 이번 생에 내게 주어진 사명이
라고 여긴다. 성경의 『시편』과 『아가서』를 번역하고 싶고, 인도의 고대 사상서 『바가바드 기
타』를 번역하고 싶고, 소로우의 방대한 일기도 번역하고 싶다. 이 계획들을 10년 전, 아니
20년 전부터 해 오고 있지만, 매번 새로운 책들에 유혹당해 미루고 있다. 지금은 융 심리학
자이며 원형 이론 전문가인 캐럴 피어슨이 쓴 『The Hero Within』을 번역하는 중이다. 우
리 내면에는 고아, 방랑자, 전사, 이타주의자, 순수주의자, 마법사 등 6가지 심리적 원형들
이 있는데, 이 중 어떤 원형이 자신을 지배하고 어떤 원형이 억압되어 있는지 이해함으로써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내용이다.
현실에 색을 입히는 법으로 ‘예찬’을 꼽았다. “덜 움츠리고 덜 비난하고 더 많이 예찬하
라”고 했다. 당신은 세월을 보내며, 예찬의 대상이 달라졌나? 또 덜 움츠리게 되었나? 당신
이 감동할 때는 어떤 순간인가?
우리는 나쁜 뉴스가 끊임없이 들려오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나쁜 뉴스’란 우리가 그것에
대해 어떻게 할 수도 없이 이미 일어나 버린 나쁜 일들을 의미한다. 세상뿐 아니라 개인의
삶에도 나쁜 뉴스가 계속해서 일어난다. 그 나쁜 뉴스들은 우리에게서 삶과 세상에 대한
‘예찬’ 능력을 앗아가 버린다. 사실 이것이 우리 자신에게는 훨씬 더 나쁜 뉴스다. 프랑스의
소설가이며 심미가인 미셸 투르니에는 산문집 『예찬』에서 ‘볼바시옹volvation’이라는 단어
를 소개한다. 이는 고슴도치가 조금만 위험이 닥쳐도 몸을 둥글게 움츠리는 현상을 의미한
다. 고슴도치식의 방어법이다. 인간 역시 세상을 향해 마음을 닫는 반사적인 행동에 길들여
진다. 그러나 우리가 그것에 대해 변화를 시도할 수 있다면 그것은 더 이상 나쁜 뉴스가 아
니다. 어김없이 봄이 오고, 세상의 모든 곳에서 일출과 일몰의 릴레이가 이어지고, 파도가
쉼 없이 춤추는 한 우리는 수많은 예찬할 것들로 둘러싸여 있다. 예찬하는 능력을 잃어버린
사람이 가장 가난한 사람이다.
예찬과 행복은 비례할까?
여기 좋은 일화가 있다. 삶과 세상에 대해 끊임없이 불평을 늘어놓는 제자에게 어느 날 영
적 스승이 소금 한 줌을 물에 타서 마시게 한다. 그리고 묻는다. “맛이 어떤가?” 제자가 말
한다. “너무 짜서 먹을 수가 없습니다.” 이번에는 스승이 근처 호숫가로 제자를 데리고 가
서 호수에 소금 한 줌을 뿌리고는 호수의 물을 한 모금 마셔 보게 한다. 그리고 맛이 어떠냐
고 묻자, 제자가 말한다. “시원합니다.” 스승이 “소금 맛이 나느냐?”고 묻자 제자는 “안난
다”고 대답한다. 삶과 세상의 문제는 소금과도 같다. 소금의 양은 같지만, 우리가 얼마만 한
넓이의 마음으로 그것을 인식하는가에 따라 불평의 정도가 달라진다. 스승은 제자에게 조
언한다. “유리잔이 되지 말고 넓은 호수가 되라.”
아마 책을 좋아하고 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당신의 인터뷰를 읽을 것이다.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더 많은 책을 읽고, 더 많은 시를 읽으시길 바란다. 그것이 ‘영혼의 돌봄’이다. 우리의 눈은
활자를 읽어 내려가지만, 그때 우리의 영혼은 세상을 읽어 내려가고 풍요로워진다. 나는 우
리가 “영혼을 가진 육체가 아니라 육체를 가진 영혼”이라는 말에 동의한다. 인도의 라자스
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
류시화 저 | 더숲
51편의 산문이 태피스트리를 직조해 가며 사람들의
마음에 있는 궁극적인 물음에 답하는 이 책은 오랫동
안 그의 신작을 기다려 온 독자들에게는 그가 20여
년 전에 발표했던 첫 산문집보다 더 첫 산문집인 것
처럼 신선하다. 그의 글들이 언제나 ‘지금, 살아 있다
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과도 무관치 않을 것이다. 다
작하지 않는 작가이기에 그의 새 글을 읽는 마음이
탄 지역을 여행한 사람이라면, 낙타 사파리를 하면서 사막에서 텐트를 치고 하루나 이틀 자
본 적이 있다. 자정 너머 밖으로 나오면 별들이 머리 위로 쏟아진다. 단단하게 못과 콘크리
트로 고정된 지붕, 단단히 동여맨 관념들에서 벗어나 내 눈동자 속에 활자로 흐르는 별들의
반짝임을 갖는 것이 독서다.
시인이기 전에 한 개인으로 바라는 것이 있나?
언제나 나답게 사는 것, 그것이 나의 계획이고 소망이다. 여행을 더 자주 하고, 더 열심히
글 쓰는 것. 그리고 미래에 대한 일들보다 현재의 일에 더 집중하는 것. 13세기 페르시아
시인 루미의 시가 있다.



 ‘내가 무엇을 행하고 있는지/

나는 알고 있는가/

내가 나를 소유하
는 순간은/

숨을 들이마시는 동안인가/

아니면 내쉬는 동안인가/

내가 알고 있는 것은/

다음
은 무엇을 쓸지/

연필이 알고 있는 정도/

또는 다음에 어디로 갈지/

그 연필심이 짐작하는
정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문화정책 방향 모색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웹진 2017년 03월



처음 > 이달의 이슈1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문화정책 방향 모색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이 거세다. 2016년 다보스 포럼의 키워드로 부상한 이후 일 년이 갓 지났을 뿐이지만, 이미 전 세계의 주요 정부와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의 도래를 상수로 받아들이면서 대응책 마련으로 분주한 모양새다. 우리 정부 역시 2월 중 4차 산업혁명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 컨트롤타워로서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회'를 신설하고, 4월 중에는 '4차 산업혁명 대책'을 마련해 발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양질의 저서와 급조된 저서들이 뒤엉켜 서점의 신간코너를 가득 차지하고 있고, 시사 프로그램은 물론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자녀교육 관련 내용들이 그득하다.

이러한 급류 속에서 우리나라의 문화정책은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할까? 2017년 문체부 업무계획에도 '4차 산업혁명'은 하나의 주제어로 제시되어 있지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아직까지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이 가시화된 것으로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물론 '친구 따라 강남 간다'는 식의 시류에 편승한 대책 마련은 정책적 조급증의 일환으로서 환영받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정책을 고민하는 입장에서, 국민적 관심이 지대한 사회적 현상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백안시하는 태도 역시 바람직한 것일 수는 없다. 오해와 곡해, 편취와 과장을 넘어 차분히 전체를 조망하며, 나름의 관점을 수립하고, 진중하게 대안을 준비하는 것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 글은 문화부 차원에서 제4차 산업혁명을 처음으로 화두로 삼은 <2016 문화융성포럼>에서 이루어진 발제들과 이후 진행된 두 차례의 자문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문화정책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결론을 선취하자면, 제4차 산업혁명은 단순히 새롭고 강력한 기술의 출현이 아니라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존재론적이고 인식론적인 도전을 제기하기 때문에 문화정책의 핵심적인 조건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널리 알려져 있는 평가적(evaluative) 정의와 기술적(descriptive) 정의를 종합하여, 문화를 '살되 좀 더 인간답게 살기 위해, 인간 공동체가 만들어낸 비(非)발생적인 행위의 총체'로 이해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인간'에 대한 대조군으로 '짐승'이 차지하던 자리를 '로봇'이 차지하게 되는 변곡점이 제4차 산업혁명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4차 산업혁명의 역사적·개념적 위치를 포착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창조경제 vs 4차 산업혁명

2016년의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화두를 마주하면서, 2013년의 '창조경제'라는 화두를 떠올리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양자는 모두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야심찬 기획으로 제시되었으며, 사회 각 부문에 떠들썩한 논쟁거리를 가져다주었다.

가령 1998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창조산업/창조경제 정책이 제시되었을 때, 존 하틀리, 스튜어트 커닝햄, 테리 플류 등의 학자들은 신경제와 창조성을 바탕으로 21세기 문화정책과 산업정책의 융합이 추진된다며 열렬한 환영의 의사를 표시하였지만, 앤디 프랫, 토비 밀러, 니콜라스 간햄과 같은 학자들은 한 세기 넘게 지속되어온 조야한 기술결정론의 판본이자 부정확한 개념들로 이루어진 선동에 불과하다는 격렬한 비판을 제기하기도 했다.1) 그나마 예술과 문화산업을 중심으로 한 13개의 산업영역을 구체적으로 적시했던 영국식 창조경제 정책에 대해서도 이처럼 찬반양론이 격렬하게 대립하였으니, 훨씬 더 모호하고 추상적으로 제시된 한국식 창조경제 정책에 대해서는 현 정부 내내 의심과 비판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던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든 해외에서든 '4차 산업혁명' 담론에 대한 언론과 학계의 태도는 '창조경제'에 대한 그것과는 사뭇 달라 보인다. 왜 일까?

서서히 그러나 어느덧, 우리 곁에 있는 4차 산업혁명

엇갈린 운명의 첫 번째 이유는 1차 산업혁명(수력과 증기기관)-2차 산업혁명(전기)-3차 산업혁명(전자기술과 IT)-4차 산업혁명(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이라는 사적(史的) 진화단계에 대한 서술이 어느 정도 설득력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담론을 전 세계적으로 유행시킨 것은 다보스 포럼의 설립자인 클라우스 슈밥2)이라고 할 수 있지만, 사실 이 관점은 2011년부터 스마트 팩토리를 목표로 진행된 독일정부의 '인더스트리 4.0'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독일기술과학아카데미의 헤닝 카거만 회장에게 직접적으로 빚을 지고 있다. 또한 인간의 육체적 노동을 기계로 대체하고자 했던 제1의 기계시대(1, 2차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정신적 노동마저 기계로 대체하고자 하는 제2의 기계시대(3, 4차 산업혁명)가 열렸으며, 이러한 새로운 시대에는 '컴퓨터와 로봇으로 상징되는 기계와 인간의 관계를 재설정'하는 것이 최우선의 과제가 된다는 MIT의 정보경제학자들(에릭 브린욜프슨&앤드루 맥아피)의 관점도 상당 부분 녹아들어있다. 이외에도 다보스 포럼이 자체적으로 진행한 다양한 설문조사와 보고서들이 존재한다. 즉, 거시적인 산업발전의 단계에 대한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연구와 성과를 바탕으로 담론적 포지셔닝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당한 설득력을 노정할 수 있었다는 말이다.

보다 중요한 이유는 4차 산업혁명의 엔진으로 제시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가 이미 (알파고나 자율주행차의 사례와 같이) 상당부분 상용화된 기술이라는 사실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이 ICT와 제조업의 융합에 초점을 맞춘 다소 작은 범위의 지능화와 자동화에 관한 것이라고 한다면,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이 제조업은 물론이고 물리학과 생물학 같은 기초학문 분과와 융합되고, 개인의 취향이나 사회적 관계, 정치 체계 등 모든 사회 영역에도 스며들게 된다는 관점을 갖추고 있다. 사물인터넷, 블록체인기술, 3D프린팅, 첨단로봇공학, 합성생물학, VR/AR, 무인운송수단,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등 현재 4차 산업혁명과 연계된 기술은 엄청난 사회적 관심과 자본 투자를 바탕으로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처럼 거대한 범위와 규모를 갖추고 엄청난 강도와 속도로 쏟아져 나오는 '증거'들이 4차 산업혁명 담론의 확산을 추동하고 있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어디까지 보아야 제대로 보는 것일까?

4차 산업혁명의 범위와 규모, 강도와 속도가 보통이 아니라는 사실은 4차 산업혁명의 실체를 규정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어렵게 만드는 수준을 넘어, 끊임없이 변화하며 융합하는 속성으로 인해 아예 불가능하게 만드는 측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문화정책을 고민하고 탐색하려는 우리의 관심에 비추어 볼 때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국면에 대해서는 특별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그림 1 4차 산업혁명의 다각적 국면들

앞서도 강조하였지만, 4차 산업혁명의 차별성을 담보하는 핵심기술로서 (1)인공지능과 빅데이터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현재까지 인공지능은 감독된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통해서 작동하고 있는데, 이는 일종의 '극단적인 주입식 교육'의 방식, 즉 가능한 모든 선택지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입력하여 기계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설계된 것이다. 물론 기계가 실행하는 알고리즘이 엄청나게 복잡해졌고 빨라졌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지만, Volume, Velocity, Variety라는 3V를 추구하는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이 없었다면, 그리고 그러한 데이터에 대한 가치판단을 실행하는 인간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투입되지 않는다면, 기계의 지능화와 자동화의 '표상'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는 인공지능의 발전도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빅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이 어려운 분야에서는 인공지능의 적용이 제한적이다.

하지만 (2)웨어러블 인터넷과 유비쿼터스 컴퓨팅 등의 기술 발전으로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 Thing) 실현이 가까워오면 올수록,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 작동하지 않는 영역은 점차로 지구상에서 사라져갈 것이다. 이와 같은 초연결사회에서는 더 이상 소품종 대량생산은 이루어질 이유가 없으며, (3)실시간으로 취향을 만족시키는 온디맨드 경제를 넘어서 소비자 스스로 4D프린터 등을 활용한 자족적인 '메이커'의 라이프스타일 역시 빠르게 확산될 공산이 크다. 따라서 (4)비즈니스 기업들은 상품기획은 물론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있어서도 초개인화된 수요자들과의 협업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며, 골드코프 광산이나 캐글의 사례 등을 통해서 이미 검증된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중심으로 전문가들의 집단지성을 기술혁신이나 문제해결의 핵심적인 수단으로 삼게 될 것이다. 한편 이미 (5)게임분야를 중심으로 그래픽의 완성도나 어지럼증 등의 기술적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한 VR/AR 기술은 현실과 가상현실, 증강현실의 구분과 간섭, 혼합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새로운 세대와 함께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짐승과 기계 사이에 선 사이보그

이러한 다양한 변화들을 단순히 새로운 기술 도입의 파급효과 차원에서가 아니라, 인류 문화사의 흐름에서 새로운 도전의 출현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입장이다. '경작하다'라는 의미의 문화(culture) 개념이 처음 출현했을 때, 인류는 더 이상 있는 그대로의 자연(nature)과 뒤엉켜서는 안 되는 존재로 스스로를 규정하였다. 계몽주의 시대를 거치면서 일반화된 이러한 개념은 문화정책이 추구하는 인간형을 짐승과 구분되는 '교양인'으로 제시하는 논법의 토대가 되었다. 하지만 IOT 기술과 뇌파를 연결하여 생각만으로 자신의 취향을 관철하고자하는 극단적인 초연결사회의 초개인화된 시민-소비자(citizen-consumer)들에게 더 이상 근대적인 논법만으로는 소구할 수 없다. 이들은 컴퓨터와 인터넷, 그리고 모바일 혁명을 거치면서 이미 '자신의 신체와 정신의 일부를 기계화한 사이보그'가 되었으며, 4차 산업혁명은 유전자 편집 및 인공지능의 고도화를 통해서 인류의 사이보그화를 가속화할 것이 명약관화하다. 3)

짐승과 구분되는 교양인이라는 근대적 문화정책의 이념은 이제 로봇과 구분되는 사이보그를 위한 접근 방식을 새롭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시대에 이르렀다. 4차 산업혁명이 촉진하는 초연결사회(존재론: 융합과 편재의 패러다임 속에서 사람, 사물, 기계가 뒤섞이는 가운데 인간은 존재의 위계질서를 어떻게 정리해야할 것인가?)와 혼합현실(인식론: 가상, 실상, 그리고 증강된 현실 속에서 인간은 참과 거짓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초개인화(미학: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것을 즉각적으로, 자동적으로 만족시키는 인류의 감성적 인식과 심미적 판단은 과연 충분히 반성적일 수 있을까?)와 협업창작(윤리학: 개방/공유/참여라는 웹2.0의 금언이 이제는 개인과 공동체의 생존을 위한 정언명령으로 자리 잡는 것이 과연 바람직하기만 한 것일까?)은 앞으로도 한참동안 우리가 곱씹어야할 주제들이 분명하다.

사이보그를 위한 문화정책 마련의 단초

'사이보그를 위한 문화정책'은 이러한 고민들을 통해 서서히 구체화되어 나가겠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몇 가지 지향점들을 통해 발견한 단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문정신 관련 정책의 역할이 중요하다. 단순히 전통에 머무르는 대신에 '기계와 다른 인간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데 미션을 집중해야한다. '호모 루덴스'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요구되고 문화정체성 형성에 필수적인 서사들의 종류가 완전히 바뀌고 있는 시점에 과거보다는 미래에 시야를 고정한 정책 발굴이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역시 귀추가 주목되는 분야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엄청난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은 더 이상 창조적인 활동이 아니다. 즉, 기존의 창조성에 대한 이해와 정의가 상당 부분 맞지 않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제는 기계와 경쟁하는 대신에 기계를 활용하여/하되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는 '사이보그적 창조성' 계발이 가치를 갖는다. 또한 혼합현실이 강화될수록 만질 수 있는 것(tangibility)에 대한 갈구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역문화 정책은 실질적인 참여와 체험을 중심으로 이러한 욕구를 공간 단위에서 해결하는 장을 활성화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지역 사정에 정통하면서도 새로운 문화적 실험에 갈급한 문화기획자들의 역할이 성패를 좌우할 것이다. 팹랩, 메이커 스페이스 등 생활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을 적극적으로 연결하는 공간들을 지역 단위의 문화예술기반시설에 조성하고 24시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같은 맥락에서 고민되어야 한다.

한편 창작지원 정책은 고립된 장르 또는 지역의 칸막이를 걷어내고 '협업창작' 기반의 수평적이고 점진적인 협력형 창작지원 모델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시점이다. 정부 주도의 사업관리플랫폼은 거의 성공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캐글이나 이노센티브 등의 사례처럼 수익창출 플랫폼과 연계하여 협업창작을 위한 새로운 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어쩌면 보다 시급한 것은 향유지원 정책이다. '딥드림'의 사례처럼4) 전혀 새로운 패턴을 만들어내는 창작이 아니라, 엄청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창작이나 일종의 조합적 창작은 supervised learning을 중핵으로 삼는 인공지능이 더 잘할 수 있는 부분이다. 오히려 뛰어난 감식안을 가지고 세밀한 취향을 적용한 향유는 인간만의 고유한 능력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향유지원 정책이 단순히 저소득층 기회 확대로 가기 보다는 인간적인 감식안의 계발 및 기계와 구별되는 창조성 발전을 위한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콘텐츠산업 정책이 2000년대 초반의 현장감이나 기업가정신에서 다소간 멀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최근의 위기를 거울삼아, 4차 산업혁명의 주요한 계기들을 중심으로 지원체계를 개편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관료화된 장르 지원의 성과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초기처럼 새로운 정책지원의 영토를 탐색하는 전위의 역할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그림 2 구글의 인공지능 '딥드림'이 그려낸 다양한 회화작품

1) 정종은(2013), 영국 창조산업 정책의 부상, 『문화정책논총』 제27집 1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슈밥, 2016)은 좋은 입문서가 분명하다. 같은 맥락을 견지하면서도 좀 더 풍성하고 다채로운 논구들을 만나기 위해서는 이어서 『4차 산업혁명의 충격』 (슈밥 외, 2016)을 읽으면 된다.
3) 다보스포럼이 2015년 출간한 『거대한 변화-기술의 티핑 포인트와 사회적 영향』에 따르면, 2025년까지 상업화된 최초의 (인체)삽입형 모바일폰이 등장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81.7%의 전문가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4) 구글이 바둑계 평정을 위해 만든 인공지능이 '알파고'라면, 미술계를 위해 만든 인공지능이 '딥드림'이다.

본 웹진에 수록된 원고는 집필자 개인의 견해로, 발행처의 공식적인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아님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