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8

[펌] 동양철학사상 음양오행설 비판

학술연구 > 철학 > [펌] 동양철학사상 음양오행설 비판

  제 목 : [펌] 동양철학사상 음양오행설 비판   
  글쓴이 : 미선이날 짜 : 10-12-17 17:11조회(18643)
    트랙백 주소 : http://freeview.org/bbs/tb.php/e001/97 




 

음양오행설의 연구 양계초 외 지음 김홍경 옮김 신지서원 1993년 08

음양오행비판 ①- 김홍경의『음양오행설의 연구』
 
(졸고, 음양오행설에 관한 연구 pp5-7)
 
현대에 음양오행설에 관한 가장 주목할 만한 연구 자료 중의 하나로 양계초, 풍우란, 서복관, 곽위, 이택후, 궁철병, 사송령 등의 음양오행설에 관한 연구서를 통합 해석한 김홍경의『음양오행설의 연구』라는 서적이 있다.
 
김홍경은 이 책에서 음양오행설의 내용 중 밝혀진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현대적 시각으로 개념정의를 해놓았고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신랄하게 비판을 해놓았는데, 그 자신의 견해는 음양오행설에 대하여 부정적 입장을 취하였다.
 
그는 음양오행설과 이를 적용한 사주명리학, 풍수지리, 한의학의 질병론 등에 대해 합리적 근거가 없고,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지 않았다고 하며, ‘동태적 평형’이란 용어로서 음양오행설이 법칙체계가 아니기 때문에 그것은 언제나 현상의 꽁무니를 쫓아간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음양오행설은 계절의 순환 같은 원의 순환론이라 할 수 있는데 원의 순환은 일정한 기간에 이루어지는 변화는 항상 동일하여 진정한 변화가 아니며 따라서 동일한 반복만 계속될 뿐 발전이 없기 때문에 음양오행설이 완전한 법칙체계가 아니라고 비판하였다.
 
“도참 이니 풍수지리니 성명학이니 사주팔자니 운명, 궁합 등과 같은 잡다한 종류의 점 술들은 모두 합리적 근거가 없다. 혹시 이것들에 아주 초보적인 사실적 연관이 존재할지도 모르겠다.” (김홍경 편역, 같은 책, p7)
 
“아직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것을 신뢰하는 것은 위험하다. 더욱이 단 음식을 많이 먹으면 신장이 나빠진다는 현상이 사실이라는 것과 단 음식을 많이 먹으면 土기가 왕성해지고 상극관계에 있는 水기가 약해지며 결국 水기와 관련이 있는 신장이 손상을 입게 된다는 설명이 진실이라는 것은 구분되어야 한다.
 
음양오행설은 일련의 유사한 현상체계들을 계열화하여 그것들의 연관성을 보여주기 위한 설명의 상징체계이지 현상상이의 연관성을 추상화 해낸 법칙체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언제나 현상의 꽁무니를 쫓아간다.” (같은 책, p20)
 
“음양오행설에서의 변화는 직선적이거나 나선형의 모습을 띠지 않고 원을 그린다. 곧 원운동이 음양오행설에서의 변화의 도식이며 그것은 순환론의 도식이기도 하다. 순환론에서의 변화는 엄밀한 의미에서 변화가 아닐 수 있다. 일정한 기간에 이루어지는 변화는 항상 동일하기 때문이다. 木 火 土 金 水 의 계기적 변화가 일단락되면 다시 木 火 土 金 水의 변화가 시작되고, 탄생 성장 수확 저장의 과정이 끝나면 다시 탄생 성장 수확 저장의 과정이 되풀이되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의 체계는 불변한다.
 
이에 근거하여 음양오행설에서의 변화의 관념을 부정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그곳에 발전의 관념이 존재하지 않는 것만은 확실하다. 음양오행설의 체계를 두고 적지 않은 사람들이 ‘동태적평형’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동태적이라는 것은 음양오행설이 설명하는 세계가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는 세계라는 것이며 평형이라는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전체는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같은 책, p 21)
 
 
그러나 김홍경의 비판 근거가 되는 ‘변화는 나선형의 모습을 띠지 않고’ 와 ‘동태적 평형(순환만 있고 변화가 없다)’에 대한 문제는 그의 생각이 짧았다고 볼 수 있다.
 
순환 원은 대자연의 진리인 천체현상 즉,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서 기인한 원이다. 이때 자전과 공전은 각각 작은 원과 큰 원을 이루게 되는데, 자전원의 순환측면을 보면 이는 김홍경의 주장처럼 반복되는 원운동 일뿐이며 때문에 ‘동태적 평형’ 상태라 할 수 있지만, 지구는 자전과 동시에 공전을 하게 되기 때문에 반복속에 이동을 하게 되어 나선형의 원운동이 되고 있는 것이다.
 
즉 자전원을 정면에서 관찰하면 반복운동이지만, 측면에서 관찰하면 자전의 작은 원이 공전의 큰 원을 그리는 나선형의 운동이 된다. 반복순환의 원운동 속에 변화가 존재하게 되며, 때문에 김홍경이 음양오행설에 대하여 부정적 시각을 드러내는 ‘변화는 나선형의 모습을 띠지 않는다.’ 와 ‘동태적 평형’으로 ‘순환만 있고 변화가 없다.’ 는 등에 대한 비판의 근거는 소멸 된다. (이 부분은 론자의 견해이며, 졸고에서도 1주기 자전운동인 순환하는 오행원을 모델로 하여 각 부분들에 대한 원리를 분석 해나간다.)
 
                                                                                              奭廈(석하) 소재학
 
음양오행비판 ②- 양계초의『음양오행설의 역사』
 
                                                                                 (졸고, 음양오행설에 관한 연구 pp7-8)
 
양계초는 음양오행설이 미신임을 밝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했다는『음양오행설의 역사』에서 음양오행설을 2000년 동안 미신을 낳은 본거지라고 아주 혹독하게 비판한다.
 
음양오행설은 이천 년 동안 온갖 미신을 낳은 본거지였으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도 사회적으로 여전히 막강한 세력을 떨치고 있다. 이제는 마땅히 그것을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이제 그 역사를 밝히려고 한다. (양계초 외, 김홍경 편역, 같은 책, p 29)
 

그는 평범한 자연현상의 설명인 ‘음양’이 '노자'에 의해서 비약적으로 변화되었다고 주장 한다.
 
또한 일 년 사시를 오행에 분배하여 木은 봄, 火는 여름, 金은 가을, 水는 겨울이라 하고 土는 남는 계절이 없어 여름과 가을 사이에 끼워 넣고, 모든 사물을 오행에 배속시키는데 그 수가 오와 일치 되지 않는 것도 억지로 쪼개어 꿰어 맞추었다고 하며 음양오행설을 비판하였다.
 
그는 모든 경전과 공자, 노자, 묵자, 맹자, 순자, 한비자 등 모든 사상가들도 음양오행설에 대하여 언급한 바가 없는데 이러한 사설을 지어 혹세무민(세상을 어지렵히고 백ㄷ성을 속임)한 죄를 추연과 동중서와 유향 세 사람에게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대로 오행과 4계절에 대한 문제는, 오행 중 특별한 의미를 갖는 ‘중앙 土’의 문제와 함께 아직도 명쾌하게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졸고 ‘음양오행설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제III장 제2절 에서 오행 원을 이용하여 론리적 방법으로 분석해 나간다.)
 
                                                                               奭廈(석하) 소재학
 
 

음양오행비판 ③ - 서복관의『음양오행설과 관련문헌연구』
 
                                                                              (졸고, 음양오행설에 관한 연구 pp8-10)
 
서복관은『음양오행설과 관련문헌연구』에서 음양오행설에 대하여 상당히 심도 있게 론한다. 그는 양계초의 견해에 동의하면서 음양오행설은 비판하고 유가정신을 옹호하려 한다.
 
또한 그는『주역』과『역전』에는 결코 오행사상이 존재하지 않고, 오행관념의 전개는 사회의 저급한 미신 중에서 배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하며『백호통』의 ‘오행상승’ 과『춘추번로』의 ‘오행상생’의 이치에 대한 설명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비판한다.
 
단지 土가 水를 이길 수 있다면 水는 어째서 土를 이길 수 없는가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할 방법이 없다. … 金이 水를 낳는다는 설명은 타당하지 않다. … 土는 木을 낳는다는 말은 왜 합리적이지 않는가? 이러한 점들에 입각해보면 오행의 상생․상승이 실상 매우 유치하고 불합리 한 설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양계초 외, 김홍경 편역, 같은 책, pp77-78)
 
 
이 부분이 현재까지도 음양오행설에서 비론리적인 부분이라고 크게 비판받는 문제들 중의 하나이다.

만약 정말 오행이 사물 자체라면 위의 문제뿐이 아니라 金극木의 경우도 문제가 된다. 나무가 가장 무서워하는 것이 과연 ‘도끼’ 일까? ‘산불’ 일까? 누가보아도 ‘불’이 ‘도끼’보다는 효과적으로 나무를 제압할 수 있을 것이고 그렇다면 나무를 극하는 것은 金 보다는 火라고 해야 더 정확할 것이다.
 
자연계의 사물인 나무, 불, 흙, 쇠, 물이 오행 木 火 土 金 水 자체는 아니다. 이것은 단지 오행 각각의 기능적 특성에 부합되는 자연계의 사물일 뿐인데 이를 오행과 동일시하고 이후 계속 와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부분들이 현재까지도 음양오행설에 대한 부정적 요소로 작용한다. (졸고, Ⅲ장 2절 ‘가’항「오행의 개념과 특성분석」, pp68-70)
 
 
또한 서복관은 오행설의 기원을 천문의 오행성이라 주장하는 설이 타당하지 않다는 것에 대해서 시기적 근거를 들어 설명하였다.
 
『여씨춘추』의「십이기」는 현재로 볼 때 오행관념을 여러 가지 측면에 투영하여 완전한 체계로 만든 전적이다. 만일 제사화의 말처럼 새로운 오행관념이 고대천문가에 의해서 발전된 것이라고 한다면 오행을 천문상의 오성으로 보는 견해가 반드시『여씨춘추』「십이기」에 나와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십이기는 고대의 천문학적 지식에 대한 일대정리라고 할 수 있음에도 거기에서 열거된 성숙는 오히려 오행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 … 오행을 가지고 천문상의 오성을 얘기하는 것은 대개『회남자』「천문훈」에서 시작 되었으며 … 오행설이 천문상의 오행에 적용된 것은 한초에 이루어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행관념의 전개는 고대의 천문과는 무관하다. (양계초 외, 김홍경 편역, 같은 책, pp136-137)
                                          
 
 
음양오행비판 ④ - 오행설의 허실
                                                                   (졸고, 음양오행설에 관한 연구 pp3-4)
 
오행설에서 오행 木 火 土 金 水는 서로 순환하며 인접해 있는 것끼리는 생하고 하나 건너있는 것끼리는 극하는 상생상극의 이론을 가지고 있으며, 오행 각각은 木의 분출하고 뻗어가는 특성, 火의 분산하는 특성 등 고유의 특성과 자연계의 나무, 불, 흙, 쇠, 물 등에 대입되기도 한다. 또한 오행의 상생관계를 물상에 비유하여 나무는 불을 낳고, 불은 흙을 낳으며, 흙은 쇠나 돌을 낳고, 쇠나 돌은 물을 낳으며, 물은 나무를 낳는다고 설명한다.
 
상생관계는 상극과 함께 오행의 가장 중요한 이론이다. 이것이 논리적인 이론이라면 오행의 다섯 가지인 木 火 土 金 水 모두가 동등하며 타탕한 관계가 성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쇠나 돌이 물을 낳는다는 것은 누가 보아도 적절한 관계가 아니며, 적절한 설명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것은 객관적으로 보편타당한 관계가 아니다. 때문에 이것이 오행의 상생이론 이라면 이것은 이미 논리적 이론으로서의 자격을 상실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만약 상생이론이 정확하다면 나무, 불, 흙, 쇠, 물 등이 잘 못 적용된 경우 일 것이다.
 
오행의 상극관계에서도 나무가 흙을 극하고, 흙이 물을 극하고, 물이 불을 극하고, 불이 쇠를 극하고, 쇠가 나무를 극한다고 설명하는데 과연 이들의 관계역시 모두 동등하고 개관적으로 타탕한가에 대하여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특히 이중에서 나무와 흙의 관계가 서로 극하는 관계라는 설정은 누가 보아도 부자연스러운 면을 배제할 수 없다. 흙이 있어야 나무가 자라고, 산에는 나무가 있어야 산의 흙이 산사태 등으로부터 보호 될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상식이다.
 
그렇다면 이 역시 오행의 상극설이 모순이든지 아니면 오행을 나무, 불, 흙, 쇠, 물 등으로 적용한 것이 잘못일 것이다.
 
또한 오행은 각각의 木 火 土 金 水는  가 동등하게 생을 하고 동등하게 극을 하는 상생상극론을 가장 기본으로 하면서도, 오행중 하나인 ‘土’에게만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오행에 방위를 대입할 때 木은 동, 火는 남, 金은 서, 水는 북에 대입하고 土는 중앙에 대입하여 ‘중앙 土’가 된다. 이때 이 ‘중앙 土’는 사방을 주관하며 木 火 土 金 水는 모두를 통괄하는 ‘土’로서 이미 다른 4개의 오행과 차별화 된다.
 
이렇게 차별화된 ‘중앙 土’는 이미 평범한 오행이 아니기에 火의 생을 받아 金만을 생하고, 木에게 극을 받으며 水만을 극하는 오행 고유의 상생상극운동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게 된다.
 
때문에 ‘土’에게 론리적으로 양립할 수 없는 일반적인 ‘오행 土’의 역할과 특별한 ‘중앙 土’의 역할이 동시에 부여되는 矛盾이 발생한다. 이러한 矛盾이 객관적이고 보편타당한 논리로 설명 되지 못 한다면 오행설 역시 논리적 이론체계로서의 자격을 상실하게 될지도 모른다.
 
사실 이러한 부분들 때문에 음양오행설과 이를 이론적 근거로 하는 동양학 각 분야가 비과학적, 혹은 비논리적이라는 통념의 언저리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矛盾들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음양오행설은 동양의 신비주자들이 주장하는 미신이라는 등의 비판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奭廈(석하) 소재
 
 
 
 
음양오행을 비판한 학자들또한 있는데 홍대용과 정약용이다
일든  그들의 비판을 보자
[홍대용]
'음양학설에 얽메여 이치에 막히고 천도를 살피지 않는 것은 先儒(선유)의 허물이다’라고 하여,음양설에 대해 비판을 가하고 있다. 그는 음양에 대해,"만물이 봄과 여름에 化生(화생)하는 것을 교(交)라 하고, 가을과 겨울에 거두어 저장하는 것은 폐(閉)라 했으니, 옛사람이 말을 세운 것도 각각 까닭이 있다. 그러나 그 근본을 미루어 본다면 실상 태양빛의 얕음과 깊음에 속할 뿐, 후세 사람의 말대로 천지 사이에 별도로 음양 두 기가 있어서 때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고 숨기도 하여 조화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라고 하여, 음양을 태양과 연관된 본래적인 의미로 파악하고 있으며, 음양이 기(氣) 에 의해 사물의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오행에 대해서도, "옛사람들이 만물의 전체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각자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으므로, 《서경》<하서>에 6부라 말했는데 화,수,목,금,토,등이 이것이고, <주역>에 8상을 말했는데 천,지,화,수,뢰,풍,산,택이 이것이며, <서경>에는 오행이라 하여 화,수,목,금,토가 이것이고, 불가에서는 사대(四大)라 말했는데 지,수,화,풍이 이것이다."라고 하여, 5라는 숫자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행의 수는 원래 정해진 정론이 아닌데, 술가는 이는 조종으로 삼아 하도와 낙서로써 억지로 맞추고, <주역>의 상수를 파고 들어가 생극이니 기복이니 하는 지리한 수작으로 여러 술수를 장황스럽게 이야기 하나 끝내 그런 이치는 없다는 것이다.
[정약용]
{천주실의}를 편찬하면서, Ricci(마테오 리치)는 천주교의 중요한 개념, 특히 '기독교의 하느님(天主)'를 바로 유교의 경전 속에 등장하는 '天'이나 '상제'와 동일한 존재로 본다는 기본 전제를 하고 있다. 인격적인 의미를 띠고 있는 '天'이나 '상제'에 대한 제사와 숭배의 사상이 드러나고 있는 고대 중국 본래의 유교사상은 기독교의 상제숭배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말함으로써, 유학적 문화 전통을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대담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천주학자 Ricci는 한편 유교와 기독교 사상 사이의 근원적인 동일성을 강조하면서도, 또 다른 한편 주자학의 이기론에 의한 태극 음양 오행으로 설명되는 무신론적 세계관을 근본적으로 부정해 버리고 있다. 그는 후대의 유학사상인 주자학에 합류한 이교사상(불교와 도교)에 물들어 무신론적 특성이 있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Ricci는 태극을 理라고 해석함으로써 천지만물을 이기(理氣)로 설명하려는 이기설에 대해서도 결정적인 비판을 시도하였다. 그는 理 혹은 태극이 만물의 근원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理는 본래 실체가 아니고 속성이기 때문에 결코 다른 사물의 근본이 될 수 없고 오히려 그것이 다른 사물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氣가 四行 중의 하나이고 이 氣가 음기와 양기로 갈라져 있을 뿐이라고 한다. 그는 이러한 태극의 개념을 홀수(양)와 짝수(음)의 형상(form)을 취한 것이라 하여 태극과 함께 음양의 개념을 실재가 아니고 형식이라 규정하는 입장을 보인다.
茶山도 이처럼 {중용강의}의 첫머리에서부터 "하늘(天)이 음양오행으로 만물을 형성(化生)할 때, 氣로 형태를 이루면 理 또한 여기에 부여한다"는 주자의 음양오행설과 이기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음양의 氣에 대해서도 주자학자들은 사물의 재료라 하여 우주자연의 현상적 존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는 음양을 햇볕의 양지와 음지 정도로, 氣 역시 인간의 혈기라는 의미가 강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에게서 '음양'은 빛과 그늘의 경우처럼 서로 상대되는 형식이지 형체나 성질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밝힌다.
그는 '五行'에 대해서도 유학에서의 水火木金土가 아니라, 서학에서의 경우처럼 天(氣)地(土)水火의 四行이 만물의 요소라고 한다. Ricci는 불(火), 공기(氣), 흙(土), 물(水)의 네 요소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Ricci의 四行說을 수용하고 있다.
"세상의 모든 만물은 불(火), 공기(氣), 물(水), 흙(土)이라는 네 원소(四行)가 서로 결합하여 생성되지 아니하는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四行에 대한 준거에는 차이가 있다. Ricci는 고대 희랍의 Empedokles(495-425)가 공기(氣), 물(水), 불(火), 흙(土)을 만물의 뿌리라고 주장한데 근거를 두고 있다. 茶山은 "오직 복희의 팔괘에는 원래 사정(四正) 사편(四偏)이 있는데 天地水火는 정방의 괘이며, 바람(風)/ 우뢰(雷)/ 산(山)/ 못(澤)이란 편기의 괘이다. 하늘(天) 불(火)이 서로 합하게 되면 바람(風)/ 번개(雷)가 생기고 물(水)흙(土)이 서로 교착되면 산과 못(山澤)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변화하고 생육하여 만물이 낳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오히려 역학의 '4정괘'(건곤감리)에 기본구조로서의 의미를 부여한다. 이것은 하늘(건) 땅(곤) 물(감) 불(리)의 물질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서학의 '4원소'와 비교하면 그 준거와 의미는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 4원소(四行)의 문제는 그에게 있어서 주자학의 오행설을 극복하는 사유 형식으로서 중요시되었다. 결국 주자학의 자연관이 가진 기본구조를 벗어나는 것이고, 그 만큼 천주교 교리와의 연결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주자학의 氣는 理에 의존하고 있는 실재이지만, 그는 氣가 자주적 독립적 실재임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나 茶山은 理를 앎도 애증도 희락도 없고 형체도 없는 것이라 한다. 따라서 理는 아무런 지각도 위엄도 없는 것이라고 한다. 理와 氣는 상호 의존적이 아니다.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그는 주자학의 대전제인 '성즉리'(性卽理)를 가능하게 한 이기론의 구도를 해체하고 하느님(상제) 사상을 근본으로 하는 세계관을 제시하였다.
이리하여 두학자의 음양오행의 비판약술을 살펴보았다.
이것에 대한 나의 소견또한 말하려한다.
[내 소견]
1. 오행설은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이다.
우선 이 세상에는 수많은 사물이 있고 이 사물들의 속성이나 형태는 그 사물의 특성에 따라서 각각 2분, 3분, 4분, 5분, 6분 등등 여러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음양오행설은 이 모든 사물들의 구분 범주를 오직 음양이라는 2분법이나 오행이라는 5분법에 의해 갈라놓았다. 이것은 지극히 비과학적이고 일률적인 방식으로 흡사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처럼 적당히 늘이거나 줄이는 인위적 조작의 틀에서 벗어날 수가 없게 됬다(홍대용도 이 점을 지적하고 있다).
아주 쉬운 예를 든다면 <방위>는 보통 동서남북의 4방으로 구분한다. 그런데 5행은 이를 5개의 범주로 구분해야 하므로 중앙이라는 방위를 만들어 채운다. 또 계절은 ㅡ 그나마도 이는 온대에나 해당하는 구분인데도 ㅡ 4철이라 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을 구분하는 것이 보통인데 5행에 맞추기 위해 [4계]라는 것을 억지로 만들어 토부에 넣어 5등분한다.
천간은 다행(?)히 10종이라서 5로 균등히 나누어지므로 2종씩 사이좋게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런데 지지인 12지에 이르러서는 이것이 불가능하자 다른 것은 다 2종씩 나누어 넣고 진술축미 4종은 토부에 한꺼번에 밀어넣었다.
색의 기본은 3원색이다. 흑색은 모든 색을 가합한 것이고 백색은 그 반대입니다. 그런데 5행에서는 동일한 자격으로 각각 한 자리를 차지한다.
인체를 5행에 맞추기 위해 어깨/ 가슴/ 다리/ 머리/ 배 등으로 구분해서 집어넣은 것을 보면 실소를 금할 수 없다. 팔은 어디로 갔을까? 둔부는?
동물 분류, 인간의 감관 분류, 하루의 시간 배분 등 일일히 거론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이상스러운 구분을 시도하는, 이러한 것이 바로 5행이다.

2. 5행의 자리는 과연 맞는가?
어찌되었든 세상 만물을 꿰맞추어 억지로라도 5로 구분시켜 놓긴 했다고 치면. 이제 이것들을 목화토금수에 각각 해당시켜야 하는데 이 역시 이해하기가 어렵다.
봄이 어찌 수가 아니고 목인지? 눈이 어찌 목에 해당하는지? 왜 물이 흑이 되며 백색이 금에 해당되는지 도무지 알 길이 없다는 것이다.
남자를 양이라 하고 여자를 음이라 하는 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또 근거로 하는지 알 수가 없다. 실제 음양설의 초기에는 여자를 양에 넣었던 적도 있다고 한다.
말하자면 이현령비현령인 것이이다.
음양 오행 어찌보면 억지가 아닌가?
 
국학역사 07 이진호
 

글쓴이를 찿지 못한 글 입니다. 양해 부탁 드리며 좋은 글 감사 드립니다.
 
홍대용의 음양오행 비판
 
지동설을 주장한 조선의 갈릴레이 홍대용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지동설을 주장한 인물이다. 그는 의산문답에서 지구가 지축의 둘레를 하루에 한 바퀴씩 돈다는 자전설을 주장했다. 또한 그의 바람, 비, 구름, 눈, 서리, 우박 , 우레, 번개, 무지개, 기온등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은 현대의 과학적 설명과 그다지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래도 지구는 돈다." 이 말은 갈릴레이가 1616년 당시 서양 중세 사회를 주도하던 기독교적 세계관과 대립되는 지동설로 인해 종교재판에 회부되어 지동설을 포기하도록 명령받고, 고뇌에 차서 내뱉은 말로 유명하다. 비록 사회적인 압력에는 굴복했으나, 과학으로서의 진리를 포기할 수 없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말이다. 이것은 갈릴레이 이전에 코페르니쿠스가 주장했던 지동설에 대해 좀더 과학적인 자료를 가지고 그 정당성을 입증한 것이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과학시간 혹은 역사 시간 때 흔히 들어본 낯익은 것이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도 비슷한 시기에 지구가 돌고 있다는 말을 한 사람이 있었다. 어떻게 과학하고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조선시대에 앞선 서양의 과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이론이 나올 수 있었을까? 그렇다면 과연 그는 누구이고 그러한 이론이 나올 수 있었던 시대적인 배경은 어떠했는가?
 
조선시대는 중기 이루에 접어들면서 기존의 성리학이 기가 먼저니 이가 먼저니 하면서 현실과는 동떨어진 이야기를 하면서 모든 학문적인 역량을 소모하고 현실에서 벌어지는 문제 해결에는 관심조차 보이지 않은 탓에 실생활에서 너무나 뒤떨어진 부분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성리학의 공리공론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실천적인 학문을 주장하는 실학이 등장했다. 당시 실학파들은 사회 구석구석 모든 분야에 걸쳐 실증적인 태도로써 개혁을 시도했는데 이러한 경향은 자연 과학적인 사고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가 바로 지금 우리가 주목하고 있는 지동설로도 나타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지동설을 주장한 사람답게 홍대용은 세계 최초의 지동설 주창인 갈릴레이의 두 우주 구조에 관한 대화와 같은 서술 방식으로 의산문답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먼저 갈릴레이의 두 우주 구조에 관한 대화의 서술 방식은 지구중심의 아리스토텔레스-프톨레마이오스 우주 구조와 태양 중심의 코페르니쿠스 우주 구조의 장단점을 토론하는 대화형식이고 홍대용의 의산문답의 서술 방식은 허자와 실옹이라는 두 사람이 문답을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시간과 공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지동설에 관한 두 인물의 학문적 성과가 이처럼 유사한 것은 놀라운 사실입니다.
 
실학파 중에서도 북학파의 한 사람이었던 홍대용은 학문, 사회, 국가, 역사 등 다방면에 걸쳐 자신의 관심을 드러냈는데 그 가운데 홍대용 사상의 독창성이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분야는 바로 자연관, 다시말해 자연과학에 관한 것이었다. 이전까지 중국이나 우리나라에 수천년 동안 내려온 우주와 자연에 대한생각이 비과학적인 면을 비판하면서 그는 현대 과학과 그 방법이나 태도에 있어서 거의 유사한 실증적인 태도로서 자연을 분석하고 관찰하였다.

그는 의산문답에서 지구가 지축의 둘레를 하루에 한 바퀴씩 돈다는 자전설을 주장하였고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해와 지구의 인력에 관한 착상으로서 증명해 보였다. 그리고 태양계와 우주 해와 달과 지구의 크기를 비교하여 바람, 비, 구름, 눈, 서리, 우박, 우레, 번개, 무지개 등 자연계의 여러 현상, 그리고 기온, 주야의 시간차, 조석 등에 관해서도 관심을 자기고 그 현상들을 현대 과학이 말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정확한 근거를 가지고 설명해 나갔다.

또한 홍대용은 당시의 지식인들 사이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과학지식을 가지고 있었을 뿐 아니라 그가 견지하고 있던 자연현상을 보는 새로운 태도는 기존의 뿌리 깊은 동양적 과학관의 바탕인 음양오행설을 비판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이것은 성리학이 보인 현실적인 폐단들로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홍대용이 음양오행설을 비판한 것이다.

5행의 5라는 수는 원론 정론이 있을 것이 아닌데, 술가(술가:음양, 점술에 정통한 사람)들이 이를 근본으로 삼아 하락이 여기에 부회(말을 억지로 끌어대어 이치에 맞게함)하고 역상이 이를 천착해 상극이니 비목이니 지리 장황하게 되었지만 아무 이치에 없는 것이다.

홍대용은 의산문답 이라는 저술에서 허자와 실옹이라는 두 사람의 문답을 통해 실학자인 자신의 입장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앞에서 음양오행을 비판한 것도 그것이 이와 같은 실심, 실사, 실학이라는 기준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이었다.

홍대용이 음양오행설을 비판했다는 사실은 의미 심장합니다. 중국에서 우리 나라로 건너온 사상엔 유교 불교 도교가 있습니다. 실학이 유교의 반동으로 태동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그러나 실학도 청나라의 고증학을 비판 수용했다는 점에서 유교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데 조선 시대의 유학자의 한 흐름인 서경덕 이항복 등이 음양오행설을 깊이 있게 탐구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홍대용의 실학 사상을 받아들인 정약용 또한 음양오행이론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기이하게 들릴지 모릅니다. 그러나 홍대용은 과학적 사고, 즉 과학성신에 위배되는 것을 모조리 비판했다는 점에서 그들과 다른 사실을 자기고 있었습니다. 또한 그는 표현의 자유를 강조한 지식인이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그의 주장이 그것을 잘 증명해 줍니다. "우리 나라 중엽 이후로 편론이 나와 시비가 공정하지 않다. 중국의 경우를 보면 주자학에 배치되는 양명학을 존중하는 자도 많지만, 이 때문에 죄가 된다는 얘기를 들어보지 못했다."
 

다음은 의산문답에서 허자와 실옹이 지구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는 내용으로 실옹이 허자에게 자신이 연구한 결과를 가르치고 있는 대목이다. 이 글을 통새 당시의 홍대용이 과거의 학문에 대해 보이는 비판적인 태도와 그 자신의 주장을 제시하는 실증적인 자세를 확인해 볼 수 있다.
 
 
허자: 예 사람이 말하기를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라고 하였는데 지금 선생은 어찌하여 땅덩어리가 둥글다고 하십니다?
 

실옹: 사람을 깨우치기란 심히 어렵도다, 만물이 완성된 형태는 둥근 것은 있어도 네모진 것은 없는데 하물며 땅덩어리야 말할 것이 있겠소? 달이 해를 가려서 일식이 될때 일식된 부분이 둥근 것은 땅덩어리가 둥글기 때문이오. 그런 즉 월식은 곧 땅덩어리의 거울이오 월식을 보고도 땅덩어리가 둥근지를 모르는 것은 거울을 가지고 자기를 비춰 보고도 자기 모습을 분별하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 또한 어리석지 아니하오? 그대는 계 사람의 말을 그대의 눈으로 본 일식 월식의 실제 모습보다도 더 믿는단 말이오? 그리고 땅덩어리가 진실로 네모지다면 네 귀퉁이, 여덟 모서리, 여섯 면이 꼭 같고 그 측면은 담벼락처럼 가파를 것이라는 말이 되는데 그대의 생각도 이와 같소?
 

허자: 그렇습니다.
 

실옹: 그렇다면 강이나 바닷물이며 삶과 물체들이 그 네모진 땅덩어리의 한 쪽면에만 모여 있소? 아니면 여섯면에 다 널려 있소?
 

허자: 윗면에만 모여 있을뿐이며 옆면과 아랫면에서는 옆으로 살거나 거꾸로 살아야 하기 때문에 있을수 없는 일이옵니다.
 

실옹: 만일 옆면에나 아랫면에서 산다면 밑으로 떨어지겠지요?
 

허자: 그렇습니다.
 

실옹:그렇다면 사람 물체와 같은 작은 것들도 떨어지게 마련인데 어찌하여 이 무거운 땅덩어리는 밑으로 떨이지지 않는 것이오?
 

허자: 기가 믿에서 받쳐 주기 때문이옵니다.
 

실옹: (소리높여 말하기를) 군자가 도를 논할 때는 이치에 막히면 승복하는데, 소인이 도를 논할때는 말이 막히면 꾸며대기 일수요. 배와 물의 관계를 보더라도 배 안이 비면 물위에 뜨고 배 안이 차면 가라앉는 것은 기라는 것이 무력하기 때문인데, 그 기가 어떻게 큰 땅덩이를 받치고 있을 수 있겠소? 지금 그대는 낡은 지식에만 집착하여 남에게 이기려 들고 경솔한 말로 사람을 누르려 하면서도 도를 들으려 하니, 이 또한 어긋나지 않소? 소옹은 이치에 밝은 선비로되 땅덩어리에 대한 이치를 궁구하다가 끝내 터득하지 못하자' 하늘은 땅에 의지하여 있고 땅은 하늘에 붙어 있다'고 하였소. 땅이 하늘에 붙어 있다고 한 것은 옳다고 하겠지만 하늘이 땅에 의지하고 있다고 한다면 그 크고 넓은 태허(우주공간)가 이 한 흙덩어리에 의지한다는 말이오? 또 땅덩어리가 밑으로 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은 그 자체의 세기가 있기 때문이지 결코 하늘에 이어져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니오. 소옹은 지혜가 여기까지 미치지 못하자 억지로 큰 소리를 쳐서 한 시대를 속인 것이니 이는 소옹이 자신을 속인 것이오.
 

허자: (절을하고 다시 말하기를)제가 실언하였으니 어찌 허물을 모르리오마는 그러나 비록 터럭과 같이 가벼운 물체도 떨어지는데 그 무거운 땅덩어리가 영구히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이오리까?
 

실옹: 낡은 지식에 집착하는 사람과는 더불어 도를 논할 수 없고 이기려고만 생각하는 사람과는 더불어 입다툼을 할 수 없는 것이오. 만일 그대가 도를 묻고자 한다면 그대의 그 낡은 지식과 생각을 버릴 것이며 마음을 비우고 말을 신중히 해야 할 것이오. 그러면 내 어찌 드러내지 않으리오. 무릇 넓고 큰 태허는 육합의 구분이 없는 것인데, 어찌 상하의 세가 있겠소!
 

허자:......
 

실옹: 자, 말해보시오. 그대의 발이 아래로 땅에 붙어 있는데 그대의 머리가 하늘로 떨어져 나가지 않는 것은 무엇 때문이오? 해와 달과 별은 하늘에 떠올라도 위로 올라가지 않으며 땅으로 지고 무너지지 않고, 허공에 달려 영구히 그대로 있으니, 태허에 상하의 세가 없는 증가가 너무도 뚜렷하오. 땅덩어리가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 사실만 해도, 진실로 그 까닭을 추구한다면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이오. 땅덩어리 위에는 상하의 세가 있는데 이것이 곧 지면의 세이오. 땅에서 거리가 멀어 지면 이 세도 자연 없어지는 것이오 오늘날 사람들은 지면의 상하의 세를 보고서 태허에 일정한 세가 있다고 잘못 생각했으니, 이 또한 좁은 소견이 아니겠소?
 

허자: 그렇군요. 지구의 형체와 상하의 세에 대하여 잘 알았습니다.
 
 
 
아래는 charmdae님의 글입니다.
 
※ 나도 평소부터 음양오행설에 대해 비판적이므로 약간의 의견을 첨부합니다.
 
ⓐ 오행설은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이다.
 
우선 이 세상에는 수많은 사물이 있고 이 사물들의 속성이나 형태는 그 사물의 특성에 따라서 각각 2분, 3분, 4분, 5분, 6분 등등 여러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음양오행설은 이 모든 사물들의 구분 범주를 오직 음양이라는 2분법이나 오행이라는 5분법에 의해 갈라놓습니다. 이것은 지극히 비과학적이고 일률적인 방식으로 흡사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처럼 적당히 늘이거나 줄이는 인위적 조작의 틀에서 벗어날 수가 없게 됩니다(홍대용도 이 점을 지적하고 있지요).
 
아주 쉬운 예를 든다면 <방위>는 보통 동서남북의 4방으로 구분합니다. 그런데 5행은 이를 5개의 범주로 구분해야 하므로 중앙이라는 방위를 만들어 채웁니다. 또 계절은 ㅡ 그나마도 이는 온대에나 해당하는 구분인데도 ㅡ 4철이라 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을 구분하는 것이 보통인데 5행에 맞추기 위해 [4계]라는 것을 억지로 만들어 토(土)부에 넣어 5등분합니다.
 
천간(天干)은 다행(?)히 10종이라서 5로 균등히 나누어지므로 2종씩 사이좋게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지(地支)인 12지에 이르러서는 이것이 불가능하자 다른 것은 다 2종씩 나누어 넣고 진술축미(辰戌丑未) 4종은 토(土)부에 한꺼번에 밀어넣습니다.
 
색(色)의 기본은 3원색입니다. 흑색은 모든 색을 가합한 것이고 백색은 그 반대입니다. 그런데 5행에서는 동일한 자격으로 각각 한 자리를 차지합니다.
인체를 5행에 맞추기 위해 어깨(肩)/ 가슴(胸)/ 다리(足)/ 머리(頭)/ 배(腹) 등으로 구분해서 집어넣은 것을 보면 실소를 금할 수 없습니다. 팔은 어디로 갔을까요? 둔부는?
 
동물 분류, 인간의 감관 분류, 하루의 시간 배분 등 일일히 거론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이상스러운 구분을 시도하는, 이러한 것이 바로 5행입니다.

ⓑ 5행의 자리는 과연 맞는가?
 
어찌되었든 세상 만물을 꿰맞추어 억지로라도 5로 구분시켜 놓긴 했다고 칩시다. 이제 이것들을 목화토금수에 각각 해당시켜야 하는데 이 역시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봄(春)이 어찌 수(水)가 아니고 목(木)인지? 눈(目)이 어찌 목에 해당하는지? 왜 물이 흑(黑)이 되며 백색이 금(金)에 해당되는지 도무지 알 길이 없다는 것입니다.
남자를 양이라 하고 여자를 음이라 하는 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또 근거로 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실제 음양설의 초기에는 여자를 양에 넣었던 적도 있다고 합니다.
 
말하자면 이현령비현령인 것이지요.
 
 
  


장재와 서경덕의 우주론 -개천설에서 혼천설로-손영식

장재와 서경덕의 우주론 -개천설에서 혼천설로-손 영 식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77274/1/03%EC%86%90%EC%98%81%EC%8B%9D.pdf

【주제분류】철학 일반, 과학/자연철학
【주요어】개천설, 혼천설, 태허(太虛), 태화(太和), 천인합일, 리 주재, 기자
이(機自爾), 장재(張載), 서경덕, 󰡔주역󰡕


【요약문】중국의 우주론은 크게 개천설(蓋天說)과 혼천설(渾天說)로 나뉜다.
개천설은 눈에 보이는 그대로를 세계로 본다. 즉 하늘과 땅(천지)으로 둘러
싸인 영역이다. ‘蓋天’은 ‘덮개 하늘’이라는 뜻으로 하늘이 덮고 땅이 받쳐
주는 영역을 뜻한다. 개천설의 핵심은 천지라는 경계로 둘러싸인 영역이라
는 개념이다.
 ‘혼천(渾天)’은 ‘섞인 하늘’로, ‘渾’은 氣를 뜻한다. 하늘은 경계선이 아니
라 기이다. 경계선을 타파하므로, 하늘은 무한 공간으로 확장된다. 무한 공
간에 기로 가득 차 있다.
 개천설은 천지와 사물을 엄격하게 구분한다. 사물은 천지를 숭배하게 된
다. 신화와 종교의 근원 중 하나이다. 혼천설은 무한 공간 속의 기에서 천
지를 포함 만물이 발생한다고 본다. 자연학의 시초가 된다.
 제자백가 이래 송대까지 대다수 사상은 개천설에 근거한다. 위진 시대부
터 천문학에서 혼천설이 나타나지만, 이를 자연 형이상학적 우주론으로 체
계화한 사람이 장재이다. 󰡔정몽(正蒙)󰡕 태화(太和) 편이 그것이다. 태화
는 󰡔주역󰡕 계사 에 근거하고 있다. 󰡔주역󰡕은 고전적인 개천설 우주론을
가장 잘 정리한 것이다. 하늘과 땅 사이의 만물의 변화를 음양 감통(感通)
개념으로 설명한다.
 장재는 ‘태허(太虛)-객형(客形; 현상 사물)’을 우주의 기본 구조로 제시
한다. 태허는 ‘크게 빈 것’, 즉 공간이면서, 거기에 가득찬 기(氣)이다. 태
허에서 객형이 발생하는 기제를 ‘음양의 상호 작용(感通)’이라 한다. 그 상
68 논문
호 작용이 잘되면 ‘위대한 조화’(太和)를 이룬다. 천지는 테두리가 아니라
태허의 무한 공간이다. 거기에서 음양의 작용으로 사물들이 생겨났다 없어
진다. ‘태허-음양(태화)-객형’의 구조이다.
 그는 자연과 인간의 동일 구조(天人合一)론을 전개한다. 자연에 ‘테허-
객형’의 구조가 있듯이, 사람에게도 그 구조가 있다. 태허-마음, 객형-몸,
이런 식의 대응이 된다. 동일 구조론을 통해서 그는 마음과 인식의 구조,
마음 수양의 방법을 제시한다.
 서경덕은 태화 편의 우주론을 논리적으로 정리한다. 우주의 최초의 순
간을 선천(先天), 천지와 만물(客形)이 발생하는 이후를 후천(後天)이라 한
다. 선천은 태허이고, 후천은 객형이다. 이 사이를 매개하는 것이 음양의
상호 작용이다. 선천의 태허는 균질하고 절대 평형 상태이다. 문제는 이
상태가 깨어져야 음양의 상호 작용 속에 사물이 발생한다. 그렇다면 무엇
이 태허를 요동치게 만드는가? 이를 서경덕은 ‘기자이(機自爾; 틀이 스스로
그러함)’이라 한다. 바탕이 원래 그렇다는 것으로, ‘그냥’이라는 말과 같다.
 그래서 그는 ‘機自爾’를 ‘리의 때’, 리의 ‘주재’라고 부연 설명한다. 리가
개입하는 순간 선천 태허는 음양으로 분리되면서 만물이 발생한다. 그가
선후천을 나눌 때 ‘기자이, 리 주재’는 이미 예견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서경덕은 운동, 변화의 원인 문제를 제기했다. 리 주재 개념은 많은 약점
이 있다. ‘주재’는 신이나 사람같은 인격적 존재가 하는 일이다. 선천에는
태허만 있었는가, 아니면 태허와 리가 동시에 있었는가? 동시에 있다면 선
천 태허는 존재할 수 없다. 등등의 문제점이다.
 서경덕은 장재의 ‘천인합일-동일 구조론’ 대신 ‘리 주재’로 간다. 성리
학은 사람의 마음과 인식을 리로 설명한다. 그는 성리학을 따른다. 서경덕
의 ‘리 주재’이론은 이이 송시열 한원진 등 주기론자들의 핵심 기본 이론
이 된다.
 장재와 서경덕 이래 혼천설이 거의 정설이 된다. 그러나 그들의 문제를
파헤치면서 혼천설을 발전시킨 후대의 학자는 드물었다.
* 중국의 우주론의 발전을 요약하자면,
 중국 우주론의 발전을 요약하는 열쇠말은 ‘개천설에서 혼천설로’이다. 개
천설은 겉보기 우주이다. 일반인의 맨눈에 보이는 것 그대로를 우주로 간
주한다. ‘天地, 天下, 中原, 中國, 天圓地方’ 등이 개천설에서 나온 말들이다.
 혼천설은 이성적 사변과 논리적 추론으로 도출해낸 우주론이다. 개천설
장재와 서경덕의 우주론 69
이 가진 논리적 난점들을 숙고를 통해서 제거한 모델이다. 개천설이 감각
에 의존한다면, 혼천설은 이성에서 나왔다. 개천설에서 혼천설로의 변화는
서양에서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바뀐 것과 맞먹는다.
 장재는 혼천설에 근거해서 태허의 우주론을 세웠다. 서경덕은 장재 우주
론에서 시작의 문제를 제기했다. 여기까지는 발전이다. 이런 발전의 발목을
잡고, 우주론을 수렁에 몰아넣은 게 주희의 태극도설 풀이이다.
 주희는 우주의 시초를 ‘태극-리’로 바꾼다. 태허는 기이다. 물질적 재료
이다. 자연 설명에 적합하다. 그러나 태극은 리이다. 리가 우주의 최초라고
하는 것, 이는 자연학이라기보다는 신학에 접근한다. 성리학에서 태극은 기
독교에서 신과 비슷한 점이 있다.
 리일분수는 ‘부분 속에 전체의 정보가 담겨 있다’는 유기체 논리이다. 이
는 생물이나 생명체, 혹은 사회를 설명하는 데는 적합하다. 그러나 우주
자연은 무생명체이다. 리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게 하지 못 하는 결
정적인 걸림돌이다. 리는 개천설이라는 겉보기 우주론을 성립시켰던 해-
태양과 비슷하다. 해는 인간들이 우주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했다.

===


Ⅰ. 들어가는 말

서경덕의 태허설 (太虛說)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태허설(太虛說)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태허설 (太虛說)



화담집 / 태허설
유교
작품
1544년 서경덕(徐敬德)이 존재와 비존재, 생성과 소멸의 연속성을 기(氣)와 허(虛)의 인식을 통해 밝힌 논문.
---
궁극자를 무(無)에서 파악하는 노자(老子)의 세계관과 인식론 또한 비판하였다. 56세에 썼다. 『화담집』에 수록되어 있다.

태허는 “비어있으면서 비어있지 않다.” 아무것도 없는 듯하지만 우주는 보이지 않는 기로 충만하고 있다. 그것은 공간적으로 무한하고 시간적으로 영원하다. 미세하고 균질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고요한 기는 ‘본체(體)’의 상태이고, 그것이 내적 필연과 상황의 영향에 따라 때로 응집하고 때로 분산되는 것은 그 ‘작용(用)’의 상태이다. 그런 점에서 허는 결코 그야말로 ‘아무것도 없는’ 진공이나 허무가 아니라고 하였다.

노자는 “유(有)는 무(無)에서 생긴다.”고 하는데, 이는 허가 곧 기(氣)임을 모른 소치이다. 그리고 또 “허가 능히 기를 낳는다.”고 하는데, 이는 더욱 틀린 생각이다. 만일 그럴 경우, 기가 존재하지 않았던 시점이 있었을 것이고, 그것은 허를 생동하지 않는 죽은 허로 만드는 결과가 된다.

다시 말하지만, 기 이전으로부터 기는 생성되지 않는다. 기의 원동자 혹은 모태는 없으며, 기는 그 자체 자기 원인의 실체이다. 기는 “시작도 없고 태어남도 없다.” 시작이 없으니 끝도 없고, 태어남이 없으니 죽음도 없다. 서경덕은 노자가 허무를 말하고, 불교가 적멸을 말하는 것은 이기의 근원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잘라 말한다.

그의 「태허설」은 당시에 쓴 다른 논문인 「원이기(原理氣)」, 「이기설(理氣說)」, 「귀신사생론(鬼神死生論)」 등에서 피력한 논의와 동일한 궤를 그리고 있고, 이들은 서로 유기적인 연관을 갖고 있다.
---

접기/펼치기참고문헌


『화담집(花潭集)』
접기/펼치기관련 미디어(1)


화담집 / 태허설

서경덕, 은둔의 철학자 | Redian

서경덕, 은둔의 철학자 | Redian


서경덕, 은둔의 철학자

By 레디앙
2010년 04월 08일 11:11 오전





송도삼절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긍익이 쓴 <연려실기술>에 이런 일화가 실려 있다.

황진이는 개성에 살던 여자 소경의 딸이다. 성격이 쾌활하였고 거문고를 잘 탔으며 노래를 잘 불렀다. 산과 물을 찾아 놀기를 좋아하여 풍악산, 태백산, 지리산을 두루 다니다 금성(지금의 나주)에 이르렀다.

마침 고을의 원님이 잔치를 베풀어 감사를 대접하고 있었다. 기생들이 가득히 앉아 있었는데, 황진이는 헤어진 옷을 입고 세수도 제대로 안한 채 윗자리에 앉아 태연히 이를 잡으며 거문고를 타고 노래를 불렀다.

황진이는 평소 화담 서경덕을 사모하여 거문고와 술을 들고 화담의 집을 찾아가 놀곤 하였다. 황진이는 말하기를 “지족선사는 30년간 벽을 보고 수도를 하였다 하지만 나에게 무너졌다. 그런데 화담 선생은 여러 해 동안 친하게 지냈지만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다. 이 분은 진실로 성인이시다.”

일찍이 황진이가 화담에게 "송도에 삼절이 있습니다." 하고 말했다. 화담이 "삼절은 무엇이냐?" 하고 물으니, 황진이가 "박연폭포와 선생님과 저입니다." 하고 답했다. 이에 화담이 크게 웃었다.


▲ 소리극 <황진이>에서의 서경덕과 황진이 (사진=국립국악원)


송도삼절(松都三絶). 송도(지금의 개성)의 빼어난 것 세 가지라는 말이다. 박연폭포와 서경덕 그리고 황진이를 그렇게 부른다. <연려실기술>에 실린 이 일화는 서경덕의 인품을 잘 보여준다.

서경덕(1489년~1546년)는 조선 11대 임금 중종 때 사람이다. 이 시기는 정치적 격변이 일어났던 시기이다. TV 드라마의 소재로도 자주 등장했던 시대이다. 중종의 부인인 문정왕후, 문정왕후의 동생인 윤원형의 첩 정난정 등이 드라마 소재로 자주 등장하였다.

중종은 사림파인 조광조를 등용하여 정치 개혁을 추진하였다. 조광조는 덕치를 근간으로 하는 왕도 정치의 실현을 주장하여 왕에 대한 교육을 중시하였다. 또한 당시의 집권 세력인 훈구파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개혁정책을 내놓았다. 현량과를 실시하여 사림파를 대거 합격시켰고, 훈구파의 공훈을 삭제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그러나 중종은 자신을 계속 교육시키려는 조광조에 대해 염증을 냈다. 훈구파들은 자신들의 공훈이 삭제된 것에 불만을 품고 계략을 꾸몄다. 결국 1519년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는 제거되었다. 중종은 훈구파에 대한 견제를 위해 사림파가 필요했고, 그 수장인 조광조를 등용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조광조가 그 이상의 것을 시도하려 하자 제거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서경덕은 일체의 벼슬을 하지 않았다. 조광조가 거듭 요청했음에도 그는 거절하고 은둔생활을 하였다. 또한 그의 은둔생활은 자신의 철학과 연관된 것이었다.

격물을 통해 이치를 깨닫다

서경덕은 농사를 지으며 가난하게 살았다. 그는 후일 "나는 스승을 얻지 못하여 학문을 익히고 깨닫는데 힘이 들었다."고 말했다. 독학을 통해 자신의 학문을 이룩한 것이다. 그래서 그의 학문을 ‘자득지학(自得之學)’, 즉 스스로 터득한 학문이라 부른다.

그가 독학을 한 데에는 집안이 가난하여 스승을 구하지 못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14세 때에 선생을 정하고 공부를 하였는데, 선생이 <상서>의 기삼백(朞三百) 대목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때부터 그는 선생을 두지 않고 홀로 독학을 하였다고 한다. 18세 때 <대학>을 읽다가 ‘격물치지(格物致知)’에 이르러 학문의 방법을 깨달았다고 한다.

이때의 감격을 그는 "우리가 학문을 하는 데 있어 먼저 격물을 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고 말했다. ‘격물치지’. 알기 위해서는 사물을 연구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만약 이백이나 두보의 시에서 시구를 찾는 버릇이 여전히 있다면, 소씨(昭氏)의 거문고와 같지 않겠는가. 시가 마음을 즐겁게 하면서 그 뜻을 잃지 않는다면 올바른 태도가 아니겠는가. – 서경덕, <송심교수서>

소씨의 거문고는 <장자>에 나오는 얘기이다. 소씨가 거문고를 타니 제대로 나오지 않는 소리가 있고, 거문고를 타지 않으니 소리가 제대로 나온다는 말이다. 스스로 연구하여 시를 짓지 않고, 이백이나 두보의 시구를 모방하는 자세에 대한 비판이다.

격물, 즉 사물에 대한 연구. 이것이 서경덕의 학문하는 방법이었다. 그는 자신의 방에 천지만물의 이름을 써 붙여 놓고, 그것을 하나하나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3년을 연구한 끝에 그는 "나는 20세가 되어서야 한 번 저지른 실수를 두 번 다시 저지르지 않게 되었다"고 자부심을 가지고 말할 수 있게 되었다.

그의 연구는 주로 주변 자연 환경에 집중되었다. 종달새는 왜 나는 걸까, 바람은 왜 부는 걸까. 이러한 것들이 그의 주된 연구 주제였다. 그는 연구를 통한 발견에 기쁨과 자부심을 느꼈다. 자신이 도달한 경지에 대해 이렇게 시로 썼다.

눈에는 발을 드리우고 귀에는 문을 닫았지만,
솔바람 시내 소리는 더욱 뚜렷하기만 하구나.
나를 잊고 물(物)을 물대로 보게 되니,
마음이 어디에 있든 절로 맑고 따뜻하구나.
– 서경덕, <무제>

나를 잊고 물을 물대로 본다는 것은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를 말한다. 이런 경지에 다다르니 눈귀를 가려도 바람 소리, 시내 소리를 뚜렷하게 들을 수 있다는 얘기이다. 서경덕은 자연에 대한 탐구를 통해 물아일체에 이르렀음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우주만물의 근원은 기(氣)

서경덕은 오랜 연구를 통해 무엇을 알아냈을까. 다음의 시를 보자.

바람이 지나간 뒤 달은 밝게 떠오르고,
비온 뒤 풀 냄새 향기롭다.
하나가 둘을 타고 있는 것을 보니,
물(物)과 물이 서로 의지해 있구나.
오묘한 낌새를 꿰뚫어 얻어,
방을 비우고 앉으니 빛이 생겨난다.
– 서경덕, <천기>

바람이 불고 난 뒤에 달이 밝고 비가 온 뒤 풀 냄새가 향기롭다는 것은 서경덕이 자연을 관찰한 결과이다. 그것은 물과 물이 서로 의지해 있음을 말한다. 하나가 둘을 타고 있다는 것에 대해 서경덕은 <원리기>에서 "하나의 기(氣)가 음양의 두 기를 가지고 있어서 음양의 두 기가 하나의 기에서 나타나는 원리"라고 말한다. 이런 오묘한 이치를 알게 되니, 방을 비워도 즉 마음을 비워도 진리를 얻게 된다는 얘기이다.

서경덕이 얻은 이치는 기에서 물이 생겨났고, 물과 물은 서로 의존해 있다는 사실이다. 그는 자신이 밝혀낸 진리에 대해 <태허설>에서 재차 설명을 한다.

태허는 비어 있으나 비어 있지 않다. 태허는 곧 기이다. 태허는 끝이 없고 기 또한 끝이 없다. – 서경덕, <태허설>

태허와 기는 만물의 근원이다.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 태허와 기는 같은 것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태허인 기는 만물을 만들어낸다. 그러면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기이하고 기이하다. 묘하고 묘하다. 갑자기 튀어 나오고 홀연히 열린다. 누가 그렇게 하였는가. 스스로 그렇게 한 것이다. – 서경덕, <태허설>

기의 운동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기는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스스로 운동한다는 얘기이다. 기는 만물의 근원 즉 만물의 재료이자 만물의 창조자 즉 운동의 주체이다. 기의 역할과 작용에는 인간의 정신도 포함된다. 이 점에서 기는 유물론에서 말하는 물질과 다르다.

사람과 자연이 모두 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서경덕은 자연의 연구를 통해 물아일체의 경지에 다다를 수 있었다. 물아일체를 주장하는 철학에 도교가 있다. 서경덕은 도교로부터 몇 가지 아이디어를 차용하였다. 예를 들어 태허는 장자가 사용한 개념이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철학과 도교 철학의 차이를 분명하게 밝혀놓았다.

노자는 유에서 무가 생겨난다고 말하는데, 이는 태허가 곧 기라는 것을 모르고 한 말이다. 태허에서 기가 생겨난다면 기가 생겨나기 전에는 기가 없는 것이니, 태허는 죽은 것이다. 태허에서 기가 생겨난다면 기는 시작과 끝이 있는 한정적인 것이 된다. – 서경덕, <태허설>

태허와 기를 분리하는 도교 철학에 대한 비판이다. 이 둘을 구분하면 만물의 근원과 운동에 대해 제대로 설명할 수 없게 된다. 태허는 만물의 근원이고 기는 운동인데, 기 이전에 또 다른 운동이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기의 무한성은 부정되고, 기인 태허 역시 부정되어 버린다는 얘기이다.

생성과 극복의 통일

서경덕의 철학은 김시습의 제기한 기일원론을 체계화한 것이었다. 김시습은 만물의 시작과 끝이 음과 양이 모이고 흩어짐에 따라 생긴다는 주장에 머물렀다. 서경덕은 이를 체계화하여 만물의 구성과 생성 원리를 밝혀놓았다. 다음의 설명을 보자.

태허가 움직여 양을 낳고 조용히 하여 음을 낳는다. 기가 모여 두텁게 쌓인 것이 하늘과 땅과 사람이다. 모여 있던 사람의 기가 흩어지는 것은 몸과 영혼이 흩어지는 것이다. – 서경덕, <태허설>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이 어떻게 생겨나고 어떻게 소멸하는지를 밝혔다. 사람이 태어나고 죽는 것은 기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에 불과하다. 서경덕은 기의 운동 법칙 또한 밝힌다.

태허는 하나이지만 그 속에 둘을 포함하고 있다. 이미 둘이기에 그것은 열리고 닫히고 움직이고 멈추고 생성하고 극복한다. – 서경덕, <이기설>

또한 그는 생성과 극복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

하나는 둘을 생성하지 않을 수 없고 둘은 능히 스스로 극복한다. 생성이 극복이고 극복이 생성이다. 기가 미세하게 움직이든 크게 움직이든 생성과 극복이 있다. – 서경덕, <이기설>

만물이 생겨나고 발전하는 데 외부의 힘은 필요하지 않다. 내부에서 스스로 생성과 극복의 운동을 한다. 생성과 극복. 요샛말로 바꾸어 놓으면 조화와 투쟁이다. 이런 두 가지 운동과 그것의 통일을 통해 만물이 생성, 유지, 발전을 하여간다고 서경덕은 말한다. 조화만을 강조하는 입장도 투쟁만을 강조하는 입장도 반대한다. 원효의 화쟁사상과 상통하는 얘기이다.

서경덕의 철학은 정통 성리학과 대치된다. 성리학은 이(理)와 기(氣)를 가지고 세계와 자연과 인간을 설명하는 철학이다. 이 둘 중에서 성리학은 이치를 말하는 이를 더 중시한다. 이는 귀한 것이고 기는 천한 것이다. 서경덕은 이런 구분을 부정한다.

이는 기를 주재한다. 주재한다는 말은 바깥에서 주재한다는 말이 아니다. 이는 기보다 선행할 수 없다. 만약 선행한다면 기를 유한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 서경덕, <이기설>

이는 기에 포함된 것에 불과하다. 이를 앞세우게 되면 태허와 기를 분리하는 도교와 마찬가지로 만물의 생성과 운동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는 얘기이다. 서경덕은 이를 폐기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의 독자성은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그것은 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 어디까지나 기가 중심인 것이다.

은둔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서경덕은 자신이 발견한 원리로 자연 현상을 설명하였다. 종달새는 왜 나는가. 떨어지려는 음기와 솟아오르려는 양기가 상호작용함으로써 종달새는 날아간다고 하였다. 부채를 부치면 왜 바람이 부는가. 부채가 공간 가득히 차 있는 기를 밀어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서경덕은 여기에서 멈추어 선다. 그는 <송심교수서>에서 "군자가 학문을 소중히 여기는 까닭은 학문으로써 그치는 것을 아는 데 있다"고 말한다. 학문으로서 그친다는 말은 사회 현실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얘기이다. 실제로 그는 일체의 벼슬을 하지 않았다.

또한 그는 자신의 철학으로 인간과 사회에 대해 설명하는 데로 나아가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철학이 당대에 미칠 파장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사회 현실에 대해 입을 닫고 철저히 은둔자 생활을 하였다.

그는 제자들에게 이런 유언을 남겼다. "학문의 대부분은 성현들이 밝혀놓았기에 나는 그 분들이 미처 밝히지 못한 부분을 밝혀내려 했다"고. 이것은 자신의 철학이 미칠 폭발력을 알고 있었기에 그것을 최소화해 보려는 의도된 발언이라 할 수밖에 없다.

그가 자신이 철학에 대해 얼마나 조심스러웠는지는 그의 주요 철학 저작인 <원리기>, <이기설>, <태허설>, <귀신생사론> 등을 죽음에 임박하여 썼던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그는 성현들이 밝히지 못한 부분을 밝힌 것뿐이라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철학이 정통 성리학을 완전히 뒤집어놓는 것임을 잘 알았다.

서경덕은 성현의 글을 따르지 않고 스스로 사물을 연구하여 자신의 철학을 세웠다. 그는 스스로 우주의 비밀을 풀었다고 자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철학을 세상에 내놓는 데는 소극적이고 신중하였다. 그가 살았던 시대가 아직 그의 철학을 받아들일 준비가 안 되어 있었던 것이다.



필자소개
레디앙
레디앙 편집국입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사항은 webmaster@redian.org 로 보내주십시오


페이스북 댓글

알라딘: [전자책] 서경덕이 들려주는 기 이야기 -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 이야기 084

알라딘: [전자책] 서경덕이 들려주는 기 이야기 -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 이야기 084







[eBook] 서경덕이 들려주는 기 이야기 - 철학자가 들려주는 철학 이야기 084 
이종란 (지은이) 자음과모음 2016-03-08
정가
5,500원


책소개
세상은 '기'로 가득하다고 주장한 서경덕의 사상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풀어냈다. 서경덕은 기氣는 모였다 흩어질 뿐 사라지지 않는 세상 만물의 이치라고 말했다. 사람의 정신과 영혼은 하나임을 강조하고, '이(理)'보다는 '기(氣)'를 중시하는 주기철학의 입장에 선 학자 서경덕의 '기氣 사상'을 만나볼 수 있다.



목차


책머리에
프롤로그

제1장. 정말 귀신이 있을까?
1. 무당 집
2. 나팔나팔
3. 서화담 이야기
4. 난 겁쟁이가 아니야!
5. 새 친구 정숙이
◆철학 돋보기

제2장. 기란 무엇일까?
1. 종달새는 왜 날까
2. 귀신 사냥꾼
3. 명당자리
4. 죽음과 영혼
◆철학 돋보기

제3장. 사람만이 가진 힘
1. 종교에 귀의하다
2. 탄저병에 걸린 고추
3. 재가 또 다른 열매를 키우듯
4. 바람이 분다!
◆철학 돋보기
에필로그
부록_통합형 논술 활용노트
접기



저자 소개
지은이: 이종란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올바름을 찾아가는 슬기로운 생활>,<민족종교와 민의 철학>,<서양 문명의 도전과 기의 철학> … 총 66종 (모두보기)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근무했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철학을 전공하고, 최한기(崔漢綺)의 철학을 연구하여 박사학위(철학)를 받았다. 한국방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 출강하였으며, 조선대학교 리철학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는 집필 활동에만 전념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서양 문명의 도전과 기의 철학』 『민족종교와 민의 철학』(공저) 『기란 무엇인가』 『의산문답』 『최한기의 운화와 윤리』 

『전래동화.민담의 철학적 이해』 『전래동화 속의 철학1~5』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 논어』 『주역, 삶에 미학을 입히다』(공저) 『한국철학스케치』(공저) 등이 있고, 『쉽고 재미있는 동양고전 30』 외 다수의 철학동화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운화측험』 『왕양명실기』 『공제격치』 『주희의 철학』(공역) 『왕부지 중용을 논하다』(공역)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주역』을 통해 구축한 동서철학 융합의 플랫폼」 외 다수가 있다.
접기

Engaged Buddhism: A Skeleton in the Closet? Brian Daizen Victoria, Koichi Miyata, Critical Comments

Engaged Buddhism: A Skeleton in the Closet?

Engaged Buddhism: A Skeleton in the Closet?


By
Brian Daizen Victoria
Senior Lecturer
Centre for Asian Studies, University of Adelaide

brian.victoria@adelaide.edu.au

Introduction

Over the past few years, numerous books have been published on the Engaged Buddhism movement.(1) As shown by the 1996 Engaged Buddhist Reader: Ten Years of Engaged Buddhist Publishing (EBW), this movement has matured to the point of having its own "retrospective." Widely recognized leaders of this movement are now found in both the Northern and Southern schools of Buddhism, the exoteric and esoteric traditions, Asia and the West.

To be sure, there are still those Buddhist leaders, predominantly in Asia, who believe that Buddhists, especially clerics, should not take part in any form of social activism, most especially that which challenges either the political or social status quo. As one leading Japanese Zen master informed this writer some years ago, "Zen priests don't get involved in politics!" (Victoria 1997: ix).

Despite comments like these, I personally am a strong supporter of this movement. The enlarged German edition of my book Zen at War contained the following:

Happily, there are today a number of socially active Buddhist movements in the world that may, in general, be loosely identified by the term "Engaged Buddhism." Having literally once been the "lotus in the sea of fire" during the Vietnam War, Vietnamese monks like Thich Tri Quang, Thich Nhat Hanh and others, both in the East and West, have taken the lead in describing and living this movement, a movement that continues to be actively involved in bringing Buddhist insight and non-violence to the building of a just society and world (Victoria 1999: 351).

If this is an accurate description, what is the problem? Or, phrased differently, what skeleton(s) could possibly be hidden in the closet of a movement generally regarded as dating back no earlier than the Vietnam War era of the early 1960s?

If the authors of recent books on Engaged Buddhism are to be believed, there are no skeletons. The diverse Buddhist leaders, not to mention Western scholars and scholar-practitioners, who contributed to these books are certain that the values and practices associated with socially engaged Buddhism offer solutions to the world's multiple problems, most especially Western materialism, as well as the danger of nuclear holocaust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Nevertheless, the question must be asked, can these Buddhist leaders be believed? As Martin E. Marty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bitingly notes, "Positive thinkers and public relations officers for the faiths . . . want religion to be nothing but godspel, good news. Apologists for the faiths usually minimize the distress that can come with religion or that religion can produce" (Marty 1996:14). Is it possible that Marty's remarks apply to proponents of the Engaged Buddhism movement as well? That is to say, could they, through either "wishful thinking" or simple ignorance, be guilty of ignoring or minimizing the distress that the Buddhist tradition (or at least its leaders) has produced, especially in the modern period?

Nichidatsu Fujii

Of course, any movement, religious or otherwise, is composed of both theory and practice, not to mention the practitioner who embodies or actualizes both. In a religious movement, it is typically the practitioner, as a "hero of the faith," who takes center stage. Such practitioners, especially founders, are presented as role models to be emulated by the faithful while their exemplary lives are testaments to the value (and truth) of the movement's theory and practice.

In light of this background, it is not surprising that many of the recent books on Engaged Buddhism devote considerable space to introducing such heroes of the faith. For example, in an essay entitled "Walking for Peace: Nipponzan Myoohooji" in EBW, Paula Green expounds at length on the lifelong "unwavering commitment to nonviolence and peace" of the founder of this order, the Venerable Nichidatsu Fujii (p. 128). According to Green, even in prewar years Fujii "recognized the evils of dominance and colonial exploitation by his own government, and criticized Japanese ambitions for war against China. Walking and beating the prayer drum while chanting Na Mu Myoo Hoo Ren Ge Kyoo throughout Japan, he warned of the dangers of the growing militancy of Japanese thinking. . . . [and] increased his denunciation of the Japanese authorities and their military ambitions" (pp. 135-136).

We also learn that Fujii's commitment to peace led him to travel to India and meet Mahatma Gandhi at his ashram in Wardha where "a deep recognition transpired between these two spiritual seekers who were so nourished by their Hindu or Buddhist faiths" (p. 136). In fact, Gandhi was so taken with Fujii that he bestowed the latter with the title of Guruji (spiritual teacher) and then "actively took up the practice of the chant and drum as part of his daily prayer" (p. 136). Nevertheless, Fujii could not escape his desire to prevent the outbreak of war, and Green describes what happened next as follows:

Deeply concerned during his India years about Japan's expansion of military power, Guruji [Fujii] returned from India in 1938. He presented the defense ministers with ashes of the Buddha, which he had received in Sri Lanka, and proposed the adoption of peaceful national and international policies. Guruji suffered as he watched the false gods of militarism dominate the Japanese people. During the war years of 1939-1945, Guruji and his followers moved actively within and beyond Japan, chanting and beating the prayer drum, crying out for the early termination of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righteousness" (p. 137).

The above, if true, would be one of the most amazing Buddhist-related stories to come out of the Asia-Pacific War. Here we have a Nichiren Buddhist leader "denouncing" Japanese authorities for their militant policies and colonial exploitation even before the outbreak of war and then going on to "cry out for the early termination of war" once it began and up through its bitter end. This latter period, of course, includes the very years when Sooka Gakkai, founder Tsunesaburoo Makiguchi, and his chief disciple, Joosei Toda, were imprisoned for their own alleged opposition to the war. Yet, according to Green, Fujii and his followers "moved actively within and beyond Japan." How can this be?

Interestingly, Robert Kisala also deals at length with Fujii in his 1999 book Prophets of Peace (PP). Kisala, however, presents a drastically different picture of this man, especially in his prewar and wartime years. To begin with, he writes that while Fujii did return to India in October 1933, he was allowed no more than "two audiences with Gandhi, which lasted only twenty and five minutes respectively" (p. 49).

And what did the two men discuss? According to Kisala, in his second audience Fujii handed a letter to Gandhi describing the purpose of his mission in India. Included in it was a strong defense of Japan's military activities in Manchuria in northern China. "Fujii acknowledges that Japan has been forced into a position of isolation because of its actions in China, but states that even if it should face the threat of armed coercion from the whole world Japan should not sway from the course that it believes is just" (p. 50).

Kisala further notes that the contents of Fujii's letter "clearly reflect the acceptance of some of the beliefs pertaining to Japanese ethnic and cultural superiority" (p. 50). Not only that, Kisala records that the monks of Nipponzan Myoohooji have been criticized for having assisted in Japan's invasion of China by acting in ways similar to army chaplains. "Specifically, there are reports that Myoohooji monks accompanied Japanese troops in their conquest of Nanking in 1937. Fujii does not deny the fact of their presence, and even boasts that it was the monks and their daimoku standard that were first to enter the city at the fall of Nanking" (p. 51).

The Fujii that Kisala describes admits to having made repeated trips to China during the war years to meet Japan's top military leaders. Fujii claims he did so in order to hand over relics of the Buddha to these men so that "Buddhism might tie the two people [Japanese and Chinese] together" (p. 51). Nevertheless, Fujii admits in his autobiography that the purpose of these meetings was not always for religious purposes. For example, he was invited to Tokyo to meet with members of the military general staff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 of Burma. "According to Fujii's account, the purpose of the meeting was clear from the time of the invitation: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in India that might be helpful to the military planners" (p. 51).

In light of Fujii's wartime activities, it is not surprising that Kisala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evidence then does not support Fujii's postwar claims to have been a pacifist throughout the war years" (p. 51). And, needless to say, it is only when Kisala's well-documented assertions are taken into account that it becomes possible to understand wh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military allowed Fujii and his followers to, as Green claims, "move actively within and beyond Japan."

Green, it should be noted, is described as having a "close affiliation with the Nipponzan Myoohooji community in Leverett, MA" (p. 526). If this serves to explain, at least in part, her one-sided portrayal of Fujii, it is equally important to point out that she is by no means alone among advocates of the Engaged Buddhism movement to have written in a similar vein. In an article entitled "New Voices in Engaged Buddhist Studies" in EBW, Kenneth Kraft also claims, "The influential Japanese monk Nichidatsu Fujii (1885-1985) made absolute pacifism the touchstone of his thinking and acting" (p. 491).

Tsunesaburoo Makiguchi

In both EBW and David Chappell's Buddhist Peacework (BP), Tsunesaburoo Makiguchi is presented as another foundational exemplar of Engaged Buddhism. Makiguchi's Buddhist faith, it is claimed, impelled him not only to advocate a humane and peaceful world but to sacrifice his very life in resisting Japanese militarism.

In an article in EBW entitled "The Angulimala Lineage: Buddhist Prison Ministries," Virginia Cohn Parkum and J. Anthony Stultz describe Makiguchi (and his disciple, Joosei Toda) as having "experienced incarceration in Japan during World War II for resisting the war effort and refusing to follow state Shinto worship" (p. 360). A second article in the same book, "Racial Diversity in the Sooka Gakkai" by David Chappell, states that "when Makiguchi refused to support government thinking during the war, he was arrested in 1943 and died in prison on November 18, 1944 at the age of seventy-three" (p. 216).

Though somewhat more ambivalent, Peter Harvey adds his voice to the chorus in An Introduction to Buddhist Ethics (IBE) where he writes, "In the Second World War, most Buddhist schools agreed to support the nation in its efforts. Seemingly the one exception was the Sooka Gakkai, which refused to take part in this unified front" (p. 270). Nevertheless, none of these voices can compare with that of Daisaku Ikeda, president of Sooka Gakkai International, who has the strongest words of praise for Makiguchi. In an essay included in BP entitled "The SGI's Peace Movement," Ikeda writes:

Early in the twentieth century (1903), President Makiguchi published The Geography of Human Life (Jinsei Chirigaku), which strongly advocated a shift to humanitarian competition at a time when imperialism and colonialism were still the prevailing mod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He analyzed competition among nations as consisting of the phases of: military competition, political competition, economic competition, and humanitarian competition. He stressed that humanity's aim should be humanitarian competition (p. 136).

Robert Kisala, however, once again presents us with an alternative view. He begins by noting that the central focus of Makiguchi's first book, Jinsei Chirigaku, was on "drawing connections between geography and everyday life and advocating the study of geography through field trips and other hands-on experiences" (p. 75). As for Makiguchi's alleged war resistance, Kisala explains that the crux of the matter was Makiguchi's refusal to venerate a talisman of Amaterasu, the Sun Goddess, issued by the central Shinto shrine at Ise. It was this refusal, he claims, not war resistance, that led Makiguchi and some twenty other leaders of what was then known as Sooka Kyooiku Gakkai (Academic Society for Value-Creating Education) to be arrested on charges of lèse majesté and the violation of the Peace Preservation Law on July 6, 1943.

Kisala concludes his study of Makiguchi by pointing out that while "Sooka Gakkai literature often claims that this persecution was the result of an anti-military stance taken by Makiguchi. . . . my reading of the situation indicates that Makiguchi's opposition was more narrowly focused on the religious policy of the government" (p. 90).

This writer's research on Makiguchi shows that not only is Kisala's conclusion correct but that he revealed only a small part of the story. That is to say, while Makiguchi may, as Ikeda claims, have looked forward to the coming of a future world based on "humanitarian competition," that world did not yet exist. In Jinsei Chirigaku, Makiguchi described the actual world he inhabited as follows:

It is my view that the sole cause of the present danger to world peace is Russia's promotion of its own viability. That is to say, in the present age of economic struggle for existence, Russia seeks to exploit weaknesses among the international powers in order to acquire what it must have: access to the oceans. Thus it i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in three directions, from the Dardanelle Straits in eastern Europe to the Persian Gulf in western Asia and the Yellow Sea in the Far East (Makiguchi 1903:950-951).

In identifying Russia as being solely responsible for endangering world peace, Makiguchi adopted a stance identical with that of the Japanese government of his day. Japan used this alleged threat to justify its surprise attack on Russia the following year, ostensively to protect Korea's independence and prevent further Russian encroachments on Chinese territory, most especially Manchuria. The reality, however, was that following its victory over Russia in 1905, Japan moved to take control of Korea for itself, turning it into a full-fledged colony in 1910. As for Manchuria, Japan steadily increased its control of this area of China until it established the puppet state of Manchukuo in February 1932.

Significantly, neither Ikeda nor Kisala mention a second seminal book Makiguchi first published in November 1912. Entitled Kyoodoka Kenkyuu (Study of Folk Culture), this volume was an extension of the ideas contained in Jinsei Chirigaku, with special emphasis on their relevance to the life and structures of local communities. Makiguchi wanted rural educators (rather than the central government's bureaucrats) to take the lead in developing educational initiatives attuned to local communities. But toward what end? The book's concluding chapter explained Makiguchi's ultimate goal for education as follows:

Regardless of social class, everyone should be conscious of the nation's destiny, harmonizing their lives with that destiny and, at all times, prepared to share that destiny.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work of national education is to prepare ourselves to do exactly this, omitting nothing in the process. . . . However, in order to do this, and prior to placing ourselves in service to the state, we should first contribute to the local area that has nurtured us and with which we share common interests (Makiguchi 1933:460-461).

It should be noted that Makiguchi wrote the above specifically for an enlarged 1933 edition of this book (see Makiguchi 1933:6). Despite championing rural education under local control, by 1933 both he and his publisher, none other than Sooka Kyooiku Gakkai, shared a vision of education that was as "state-centered" as any of his contemporaries. Only a few years later, millions of young Japanese would be called on to sacrifice their lives, and those of their victims,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m]selves in service to the state." Thus, Makiguchi's quarrel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bureaucrats over the control of local education was not about whether or not service to the state should be promoted, but simply how best to attain that goal.

If, as the preceding quote demonstrates, Makiguchi believed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was to serve the state, what was the emperor's role in fostering this? Was Makiguchi in any way opposed or critical of either the emperor or the imperial system? Though critical of patriotism based on "superficial reasons," Makiguchi wrote,

His Majesty, the Emperor, on whom is centered the exercise of Imperial authority, does so through his military and civilian officials. The reason he exercises this authority is definitely not for his own benefit. Rather, as leader and head of the entire nation, he graciously exerts himself on behalf of all the people. It is for this reason that in our country, the state and the emperor, as head of state, should be thought of as completely one and indivisible. We must make our children thoroughly understand that loyal service to their sovereign is synonymous with love of country. . . I believe it is only in so doing that we can clarify the true meaning of the phrase "loyalty to one's sovereign and love of country" [chuukun aikoku] (Makiguchi 1933:411-412).

In urging his fellow educators to make the nation's children "thoroughly understand that loyal service to their sovereign is synonymous with love of country" we once again find Makiguchi situated squarely in the mainstream of the nationalistic fervor that increasingly came to characterize the 1930s. No matter how Makiguchi's position toward the emperor may have changed later on, in 1933 Makiguchi advocated the widely held proposition that love of country was synonymous with loyal service to the emperor. It was exactly this educational ideology that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Japanese military's demand of absolute and unquestioning obedience from its soldiers, claiming that "the orders of one's superiors are the orders of the emperor."

Makiguchi also touched on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claiming that Korea, prior to being formally annexed by Japan in August 1910, had been in such a state of anarchy that it was unable either to defend itself or protect its citizens. Not only that, the Chinese people presently found themselves in exactly the same situation (see Makiguchi 1933:413). The clear implication of the latter claim was that China, like Korea before it, would greatly benefit from Japanese control. This was of course a sentiment shar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s seen, for example, in the Amau Statement of April 1934 issued by its Foreign Office. China, the statement declared, was not to avail itself of the assistance of any country other than Japan.

This said, it is equally clear that Makiguchi's chief concern in writing favorably about Japan's expansion onto the Asian continent was, as ever, directed toward the manner in which Japan's children were to be educated. Makiguchi saw, in a discussion of Korea's recent past and China's present, a golden opportunity to demonstrate to Japanese children just how fortunate they were to be living in Japan. Makiguchi continued,

It is when we look at these concrete examples [of Korea and China] that thoughts about our own country emerge. . . . The result is that we cannot help but feel grateful and want to repay the debt of gratitude we owe [the stat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tudy of folk culture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basis for an understanding of the state by having [our children] look at situations like these that are right before their very eyes. I feel very deeply that we must vigorously seek to create persons of character who will in the future lead a state-centered life, having first acquired the germ of the idea of serving the state at the town and village levels (Makiguchi 1933:413).

Makiguchi demonstrates yet again that his ultimate concern was implanting in Japan's children a willingness to serve the state. Makiguchi simply believed he knew how to do this in a more effective way than the central government's bureaucrats who showed such little concern or understanding of local conditions.

While it is true that Makiguchi was arrested in July 1943 for refusing to worship a talisman of the Sun Goddess Amaterasu issued by the Ise shrine, this had nothing to do with being disloyal to the emperor. As he informed his police interrogators, "I think it is, for we Japanese, the Way of the Subject to be loyal. This is what I have realized from my study of the truth of the Lotus Sutra" (Akashi & Matsuura, eds. 1975:172). Further, as contradictory as it may seem, Makiguchi's refusal to worship a talisman of the Sun Goddess did not even signify a lack of respect for this alleged progenitress of the Imperial family. Makiguchi made this clear when he told the police,

The Sun Goddess is the venerable ancestress of our Imperial Family, her divine virtue having been transmitted to each successive emperor who ascended the throne up to and including the present emperor. Thus has her virtue been transformed into the August Virtue of His Majesty which, shining down on the people, brings them happiness. It is for this reason that Article III of the Constitution states: "The person of the Emperor is sacred and inviolable."

Just as we [association members] recognize the fundamental unity of filial piety and loyalty, so it is our conviction that it is proper to reverently venerate His Majesty based on the monistic view that "His Majesty, the Emperor is One and Indivisible" [Tennoo Ichigen-ron], thus making it unnecessary to pay homage at the Grand Shrine at Ise. . . .

In light of this, who is there, apart from His Majesty, the Emperor himself, to whom we should reverently pray? (Akashi & Matsuura, eds. 1975:174-175).

In fact, nowhere in Makiguchi's writings, either before or during the war, either in prison or out, do we find any statements critical of Japan's wartime policies. On the contrary, not only did Makiguchi justify Japan's colonial takeover of Korea (and earlier war with Russia), but he devoted his entire life as an educator to devising more effective ways of instilling "service to the state" in Japanese children. He further advocated that these same children "thoroughly understand that loyal service to their sovereign is synonymous with love of country." Even after imprisonment, he affirmed that loyalty to the emperor was but a natural part of the "Way of the Subject"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the Lotus Sutra. And, as we have seen, as far as the emperor was concerned, Makiguchi asked, "Who is there, apart from His Majesty, the Emperor himself, to whom we should reverently pray?"

For apologists to now claim that, his imprisonment and death notwithstanding, Makiguchi resisted or opposed Japan's war effort is an attempt to turn night into day.(2) Like Paula Green's earlier one-sided description of Nichidatsu Fujii, it is yet another attempt to "minimize the distress that can come with religion or that religion can produce."

Haku'un Yasutani

Minimizing the distress produced by religion is by no means the exclusive preserve of those associated with the Nichiren tradition. Past and present members of the Dharma lineage associated with one of Engaged Buddhism's best-known Western proponents have been equally adept at accomplishing this feat. I refer here to Zen master Robert Aitken, one of the foremost contemporary representatives of the Harada-Yasutani line. Writings by or about Aitken feature prominently in BPEBW, and Arnold Kotler's Engaged Buddhist Reader.

Aitken, now retired, is widely known and respected for his long and passionate opposition to warfare, especially nuclear weapons, coupled with his concern for protecting the environment. Furthermore, Aitken is personally acquainted with Japanese militarism in that, while working as a civilian construction worker on the island of Guam, he was captured by the Japanese in 1941 and held for three years in an internment camp near Kobe. Ironically, it was as a prisoner of war that Aitken first came into contact with Zen.

In light of his background, it is only natural that Aitken would have something to say about the relationship of (Zen) Buddhism to violence and war. In an essay entitled "Net of Vows" included in BP, he admits that over the two thousand years of Mahaayaana history "we find only the rare monk who might be involved, say, in a peasant revolt, for until modern times Buddhist clerics have been either aloof from, or part and parcel of, their political system" (p. 96). Yet despite this less than exemplary history of clerical social engagement, Aitken goes on to assert, "Today, however, the old vows must mean what they say. Now or never, swaraj [self-government] must be our watchword" (p. 96).

If Aitken offers a caustic critique of past Buddhist clerics, his comments on nominally Buddhist rulers and their allies are no less damning: "Buddhist teaching places responsibility upon human beings for maintaining harmony and enhancing maturity, but rulers who have professed the Buddha's Way have governed oppressively down through the ages, and Buddhist teachers have neglected their vows and played political games. Government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to this day can include the five main Buddhist precepts in their respective constitutions, yet violate them outrageously" (p. 95).

In seeking to identify the root cause of the failure of both Buddhist rulers and clerics to implement the tenets of their faith, Aitken identifies what he calls the dangerous fallacy of egocentrism in the individual and the group. "Here rises nationalism; here rises corporate arrogance and exploitation; here rises structural and systemic violence, racism, sexism, and caste systems; here rises the ruthless despoliation of oceans, forests, wetlands, and family farms; here rises acute danger to the Earth itself" (p. 95).

Aitken finds the solutions to these ills in the teachings of one of his former teachers, Zen Master Haku'un Yasutani. Aitken quotes a critique of nationalism and group-centered views that Yasutani made in 1967:

Unenlightened people have this karmic illness of considering whatever they attach themselves to to have a self. It they make a group, they consider the group to have a self. If they attach themselves to the nation, they consider the nation to have a self (p. 95).

Wha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about Aitken's comments is that he admits that Yasutani was not always the staunch critic of the state he appears to be in the above quote. In fact, Aitken writes that Yasutani "is currently under fire for his nationalist pronouncements during World War II" (p. 95). Nevertheless, Aitken claims Yasutani's postwar change of heart represents an "apparent shift in views from subservience to governmental dominion to a social and political application of perennial truths" (p. 95). Further, Yasutani's newly acquired understanding represents nothing less than "a small prototype of the extended axial shift that Buddhism and Buddhists have been undergoing gradually since the rise of Mahayana 2,000 years ago" (pp. 95-96).

But the question must be asked, did Yasutani really undergo a change of heart? If he did, how does one account for the following remarks Yasutani made four years after the critique Aitken cites above, in the March 1971 issue of his organization's publication Awakening Gong [Gyooshoo]:

Those organizations which are labeled as right-wing at present are the true Japanese nationalists. Their goal is the preservation of the true character of Japan. There are, on the other hand, some malcontents who ignore the Imperial Household, despise tradition, forget the national structure, forget the true character of Japan, and get caught up in the schemes and enticements of Red China and the Soviets. It is resentment against such malcontents that on occasion leads to the actions of young [assassin] Ojiya Yamaguchi or the speech and behaviour of [right-wing novelist] Yukio Mishima (quoted in Victoria 1997:168).

Should there be any doubt of his ongoing nationalist sentiments, in January 1972 (only a year before his death), Yasutani revealed his equal distaste for both Japan's labor movement and universities in a second article in the Awakening Gong:

It goes without saying the leaders of the Japan Teachers' Union are at the forefront of the feebleminded [in this country]. . . . They, together with the four Opposition political parties, the General Council of Trade Unions, the Government and Public Workers Union, the Association of Young Jurists, the Citizen's League for Peace in Vietnam, etc. have taken it upon themselves to become traitors to the nation. . . .

The universities we presently have must be smashed one and all. If that can't be done under the present Constitution, then it should be declared null and void just as soon as possible, for it is an un-Japanese constitution ruining the nation, a sham constitution born as the bastard child of the Allied Occupation Forces (quoted in Victoria 1997:168).

Whether Aitken wishes to acknowledge it or not, these quotes demonstrate that Yasutani never underwent a significant change of heart in the postwar period, at least as far as his right-wing and nationalist comments directed toward Japanese followers were concerned. As Rinzai Zen scholar-priest Hakugen Ichikawa notes, Yasutani was "no less a fanatical militarist and anti-communist than his master Soogaku Harada" (quoted in Victoria 1997:167).

Warfare

As unrelated as it may seem, I suggest that Ichikawa's insight into the Harada-Yasutani lineage helps explain yet another anomaly, this one pointed out in an article in EBW by Kenneth Kraft, entitled "New Voices in Engaged Buddhist Studies." Kraft notes that not all participants in the Engaged Buddhism movement have adopted a pacifist stance toward warfare. Specifically, with regard to NATO's intervention in the 1999 crisis in Kosovo, Kraft questions whether a commitment to Engaged Buddhism yields ready-made answers in times of crisis. "Apparently not," he answers (p. 492).

To illustrate his point, Kraft introduces Bodhin Kjolhede, abbot of the Rochester Zen Center, as one of those who supported NATO intervention. Kjolhede justified his position as follows: "We have a responsibility to respond. That's what responsibility means in Zen: responsiveness. If there is such a thing as a justifiable war, then this would appear to be it. . . . I am willing to come out and say that we needed to intervene militarily" (p. 492).

Kraft goes on to suggest that the question of pacifism versus what he regards as Kjolhede's Buddhist variation of Christian just-war theory "deserves more attention than it has yet received" (p. 493). This writer suggests that Kjolhede's position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looking at the teachings of his own Zen master, Philip Kapleau, yet another disciple of Haku'un Yasutani.

Like Aitken, Kapleau was well acquainted with the nature of Japanese militarism by virtue of his service as a court reporter for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for the Far East (or Tokyo War Crimes Tribunal) held in Tokyo from 1946-1948. Kapleau literally sat face to face, day after day, with Japan's "A Class" war criminals, including wartime prime minister, General Hideki Toojoo.

One might easily imagine that Kapleau would have come away from this tribunal harboring bitter feelings, even anger, toward Japan's wartime leaders for having caused such massive destruction and loss of life, and toward those many Japanese soldiers who carried out the orders of their superiors without question, no matter how brutal and inhumane. This was not the case, however, for Kapleau quickly found an admirable quality in the Japanese people, something he favorably contrasted with the "self-pitying despair" of the Germans in the immediate postwar period. What impressed Kapleau was that "the Japanese on the whole had accepted the war's aftermath with remarkable restraint and composure" (Kapleau 1980:263).

Upon investigation, Kapleau discovered the source of this attitude to be in the "law of karmic retribution" as taught by Buddhism. He quoted one Japanese acquaintance as telling him, "Because we Japanese have inflicted so much pain on others, we are now reaping the painful harvest" (Kapleau 1980:263). With his curiosity aroused, and thanks to a helping hand from D. T. Suzuki among others, Kapleau set out on what would become a lifelong quest to personally experience and then transmit Zen as a living practice to the West.

Once again, one might think that somewhere along the way Kapleau would have asked what his own Zen teachers, Soogaku Harada and Haku'un Yasutani, said and did during the war years, especially since these masters, as Buddhists, would have been well acquainted with the law of karmic retribution. That is to say, he might have asked, "Have my allegedly enlightened masters contributed anything to the 'painful harvest' experienced by Japan and especially the countries she victimized?"

It appears that Kapleau never asked these questions. Perhaps he felt no need to do so, since he was convinced that "no religious war has ever been fought in the name of Buddhism" (Kapleau 1980:250). Thus, during his training at various Japanese Zen temples he simply accepted at face value "the deep serenity that seemed to radiate from the giant cryptomeria trees, the temple buildings, the faces of the monks and laymen, from the very earth itself" (Kapleau 1980:264). Nevertheless, when Kapleau later instructed his Western disciples on the meaning of the Buddhist precept forbidding killing, he did not hesitate to state,

Yet the right to life is not absolute, and individual life may unavoidably have to be sacrificed to preserve the health and welfare of society. . . . Whether painful karma would accrue to one depriving an animate being of its life, even when the killing was motivated by concern for the common welfare, would depend foremost on one's mind state. If the act [of killing] were done no-mindedly, beyond self-conscious awareness of one taking life and a life being taken, no painful karma would be incurred, for in the profoundest sense there would be no killer and nothing killed. Let me hasten to add that only a highly developed individual could act in this way (Kapleau 1980:246-247).

Lest it be thought that Kapleau might have created this antinomian stance on his own, that highly developed individuals may kill with karmic impunity, in IBE Peter Harvey demonstrates that there are ample precedents in both the Japanese and Chinese Zen traditions. For example, Harvey quotes the great seventeenth century Rinzai Zen master Takuan (1573-1645), who included the following passage in a letter written to his warrior patron, Yagyuu Tajima no kami Munenori:

The uplifted sword has no will of its own, it is all of emptiness. It is like a flash of lightning. The man who is about to be struck down is also of emptiness, and so is the one who wields the sword. . . . Do not get your mind stopped with the sword you raise, forget about what you are doing, and strike the enemy. Do not keep your mind on the person before you. They are all of emptiness, but beware of your mind being caught in emptiness (p. 268).

Although Harvey notes that the ideas in this passage "sound morally dangerous," he defends Takuan by pointing out that he "was adapting teachings to those who were already committed by birth to fighting, and he also emphasized the virtues of sympathy and human-heartedness" (p. 268).

Significantly, Harvey does not place the responsibility for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Zen and the sword on Japanese Zen masters alone. Instead, he introduces a discussion by the late French Buddhalogist Paul Demiéville on a seventh-century Chinese Ch'an text entitled "Treatise on Absolute Contemplation." This treatise claims that "as long as one sees a 'person' or 'living being' standing out from emptiness, one should not kill even an ant. One who overcomes these perceptions can kill, though; in a way similar to natural events like a storm or collapsing cliff bringing death" (p. 267).

Harvey caustically comments that "to claim that one who truly knows emptiness can kill might well be seen as implausible: such people should also know that they themselves and their 'side' are empty too!" (p. 267). Yet, it is unclear from these remarks whether Harvey intends to deny the antinomian thought underlying this treatise altogether.

Nevertheless, when Harvey encounters endorsements for killing on the part of Japanese Zen masters in the Asia-Pacific War, his attitude is much clearer. Specifically, he identifies as "an amazing distortion of Buddhist values" comments made in 1939 by Sootoo Zen master Soogaku Harada to the effect that "a soldier should become 'completely at one with' his work, doing whatever he is ordered to do, whether march or shoot, this being 'the clear statement of the highest Bodhi-wisdom, the unity of Zen and war'" (p. 270). Yasutani was, of course, Harada's disciple and received his master's "seal of enlightenment" (inka) in April 1943.

It was in the same year that his complete enlightenment was confirmed, 1943, that Yasutani addressed the following comments to Japanese soldiers and civilians alike:

What should the attitude of disciples of the Buddha, as Mahaayaana Bodhisattvas, be toward the first precept that forbids the taking of life? For example, what should be done in the case in which, in order to remove various evil influences and benefit society, it becomes necessary to deprive birds, insects, fish, etc. of their lives, or, on a larger scale, to sentence extremely evil and brutal persons to death, or for the nation to engage in total war? Those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Mahaayaana precepts should be able to answer this question immediately. That is to say, of course one should kill, killing as many as possible. One should, fighting hard, kill everyone in the enemy army. . . . Failing to kill an evil man who ought to be killed, or destroying an enemy army that ought to be destroyed, would be to betray compassion and filial obedience, to break the precept forbidding the taking of life. This i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the Mahaayaana precepts.

And then Yasutani added the antinomian kicker: "In killing [the enemy] one should swallow one's tears, bearing in mind the truth of killing yet not killing" (Yasutani 1943:245-246).(3)

With Dharma ancestors like Harada, Yasutani, and Kapleau, it should not be surprising to find a Dharma descendant like Kjolhede "willing to come out and say that we needed to intervene militarily" or that Zen Buddhists have a "responsibility to respond" by killing their fellow human beings. What Kjolhede fails to mention is that Zen's responsibility to respond is never so great as when the "national interest" is said to be at stake.

The historical record reveals that Ch'an/Zen has been responding to the demands of political and military rulers dating back at least to the time of the Seventh Patriarch Shen-hui (670-762). Heinrich Dumoulin informs us that Shen-hui "spent his old age basking in the graces of the powers that be" (Dumoulin 1988:114). What Dumoulin conveniently omits, however, was that this was Shen-hui's reward for having served as a fundraiser for China's Imperial forces at the time of the An Lu-shan Rebellion of 756.(4)

As at least certain members of the Harada-Yasutani lineage demonstrate, the traditional "unity of Zen and the sword" (Zenken ichinyo) is as alive in the West as it always has been in East Asia. Thus, if the Engaged Buddhism movement encompasses the killing that has historically accompanied the unity of Zen and the sword, something Yasutani identified a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the Mahayana precepts," this movement might more aptly be called "Engaged in Combat Buddhism"!

Conclusion

By now if not before, some readers may have concluded, perhaps angrily, that I have an "axe to grind" with regard to the individuals introduced above. In reply, I must admit that if setting the historical record straight is "axe-grinding," then I am indeed "guilty as charged." Yet personally I find the crux of the problem to be far more profound than the past actions of this or that exemplar of Engaged Buddhism.

The deeper problem lies in the historical reality that it was Japanese Buddhists who, dating from the early years of the Meiji period (1868-1912), first endeavored to make the Buddha Dharma relevant to a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They did this at a time when they themselves were under severe attack by Shinto-affiliated forces who sought to eliminate Buddhism altogether. If only to protect itself, the Buddhist response was to embrace the nationalistic fervor of the day as its own. Thus, in 1889, Buddhist leaders from all of Japan's major sects joined to create the "United Movement for Revering the Emperor and Worshipping the Buddha" (Sonno Hoobutsu Daidoodan). The organization's prospectus described its purpose as follows:

The goal of this organization is to preserve the prosperity of the Imperial Household and increase the power of Buddhism. The result will be the perfection of the well-being of the Great Empire of Japan. . . . The time-honored spiritual foundation of our empire is the Imperial Household and Buddhism. The independence and stability of our empire cannot be maintained if so much as the slightest injury is inflicted upon it. How can true patriots not be inspired and aroused to defend against such injury? (quoted in Victoria, 1997:18).

Japan's Buddhist leaders also established Buddhist "missions" in China, some as early as 1876. The Japanese government supported these efforts; for, as a pan-Asian religion, Buddhism was seen as a useful tool in promoting the unity of East Asian peoples under Japanese hegemony. In addition, Japan's Buddhist leaders maintained that Buddhism in China and the rest of Asia was backward, passive, and indifferent to social needs while Japanese Mahaayaana Buddhism was activist, socially engaged, and scientific, in short, the world's only "true" Buddhism. Thus it was their duty to bring Japan's true Buddhism to the benighted peoples of Asia and even the West, whether the latter wanted it or not.

Seen in this light, it should be clear that the "skeleton in the closet" of today's Engaged Buddhism movement is simply this: nationalism. And Engaged Buddhism's ongoing challenge is how to deal with nationalism in the context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Dharma. As seen above, all of the alleged Japanese exemplars of Engaged Buddhism examined in this article were themselves heavily involved in the promotion of Japanese aggress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aths of millions. Do today's Engaged Buddhists seek to contribute to yet another round of bloodletting?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obviously no. Yet today's Engaged Buddhists may nevertheless end up contributing indirectly to bloodletting by not actively campaigning for a Buddhist morality that firmly opposes it, instead basing their moral stance on teachings going back, in the case of Zen, no further than Dharma ancestors deeply indebted to their military, samurai or imperial patrons. This also leads Western disciples of nationalistic Japanese Buddhist leaders to either ignore, minimize, or otherwise "explain away" the wartime involvement of their particular hero of the faith. For example, when faced with Yasutani's militarist and anti-Semitic pronouncements, Robert Aitken claimed that it was possible to "link the anger [Yasutani] manifested in his political and sectarian pronouncements with the fact that his mother gave him up for adoption to a Buddhist priest when he was only five years old and that he grew up to be an angry youth and adult" (Aitken, 1999:68).

No doubt there is an element of truth to Aitken's claim, for Buddhist temples throughout Asia have long been used as dumping grounds for the children of the poor. It would therefore hardly be surprising if some of those who were dumped became embittered by their experience, especially in light of the harshness of temple life from a child's perspective. Yet Yasutani succeeded in becom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s an adult and was under no obligation to remain in the priesthood. Unless one accepts a form of rigid determinism, Yasutani was a free agent and ought to be held accountable for the moral consequences of his acts, not least of all because he claimed, from at least 1943 onwards, to be "promulgating and exalting the true Buddha Dharma" (Yasutani, 1943:2).

Another member of the Harada-Yasutani lineage, Zen Master Bernie Glassman, who is himself of Jewish background, claims that Yasutani may have written his words "without believing in them, simply because he needed to placate the powers that be" (Glassman, 1999:74). Again, even if this were true regarding his wartime writings, it would still not explain Yasutani's ongoing right-wing crusade in postwar years. Nevertheless, Glassman offers what might be termed the "ultimate defense" of Yasutani through redefining the very nature of enlightenment:

If your definition of enlightenment is that there's no nationalism, or militarism, or bigotry in the state of enlightenment, you better change your definition of enlightenment. For the state of enlightenment is maha, the circle with no inside and no outside, not even a circle, just pulsating of life everywhere (Glassman, 1999: 74).

Commenting on Glassman's definition of enlightenment in the Winter 2000 issue of Dharma Life, Vishvapani, the magazine's editor, writes,

To some, such sentiments will seem profound. I think they are transcendental platitudes, confusion raised to the level of metaphysics. Glassman's way of seeing the mundane in terms of the absolute flattens distinctions and erodes values. What is missing is ethics, and Glassman's inclusivity seems to me to culminate in a moral failure (Vishvapani 2000:36).

Martin Marty would no doubt have wanted Glassman to recognize that the infinite circle he referred to was, historically speaking, "pulsating of life and death everywhere." I say this because Marty added the following to his earlier statement on the distress that religion can produce:

You will not read about the destructive element in religious impulses in the advertisements for the church of your choice. Yet, if the pursuit of truth is still to be cherished as a foundational theme in the academy, one must note the feature of religion that keeps it on the front page and on prime time: it kills. Or, if, as the gun lobbies say of weapons—that they do not kill; people do—one must say of religion that if it does not kill, many of its forms and expressions motivate people to kill (Marty 1996:14).

If there is a redeeming feature to this article, it is my attempt to have those who believe in the potential of the Engaged Buddhism movement recognize the need for practitioners, scholar-practitioners, and scholars alike to open their eyes to the shortcomings of those who are all too often uncritically promoted as this movement's exemplars. It was, after all, ‘Saakyamuni Buddha who in the Dhammapada is recorded as having said, "There never was, there never will be, nor is there now, a man who is always blamed, or a man who is always praised" (Babbit 1965:36).

Likewise, if there is an element of truth in the old maxim "Physician heal thyself," then those who today champion the Engaged Buddhism movement must be conspicuous in their willingness to fully and honestly confront any and all skeletons in its closet, most especially those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deaths of millions. Only in so doing can Engaged Buddhism realize its true potential to benefit all sentient beings.

Ironically for leaders of a religion that teaches the non-existence of self, the question boils down to this: Will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egos" of today's proponents of Engaged Buddhism allow them to honestly recognize and learn from the "dark side" of their faith? For example, will Sooka Gakkai's leadership ever be able to publicly admit that, despite Makiguchi's unwillingness to worship the Sun Goddess, he nonetheless embraced the state-centered and imperialist goals of his contemporaries?

In the absence of such admissions, Engaged Buddhism cannot expect to be taken seriously when it claims to be a movement dedicated to constructive and liberating change for both individual and society. Without evidence to the contrary, who but the naive will believe that Engaged Buddhism is the sole exception to the ongoing reality that national self-interest readily turns religions, all religions, into its willing and obedient servants, ever ready to condone state-sanctioned killing when called upon to do so?

Notes

1. Representative of these books, arranged chronologically, are the following:

Kotler, Arnold ed. Engaged Buddhist Reader: Ten Years of Engaged Buddhist Publishing. Berkeley: Parallax Press, 1996, 262 pages, ISBN 0-938077-98-8 (paperback), US $18.00.

Chappell, David W. ed. Buddhist Peacework: Creating Cultures of Peace. Boston: Wisdom Publications, 1999, 253 pages, ISBN 0-86171-167-X (paperback), US $14.95.

Kisala, Robert. Prophets of Peace: Pacifism and Cultural Identity in Japan's New Religions.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viii + 242 pages, ISBN 0-8248-2267-6 (paperback), US $21.95.

Kraft, Kenneth. The Wheel of Engaged Buddhism: A New Map of the Path. New York: Weatherhill, 1999, 101 pages, ISBN 0-8348-0463-8 (paperback), US $12.95.

Harvey, Peter. An Introduction to Buddhist Eth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xx + 478 pages, ISBN 0-521-55640-6 (paperback), AUS $38.40; ISBN 0-521-55394-6 (hardback), AUS $108.70.

Queen, Christopher S. ed. Engaged Buddhism in the West. Boston: Wisdom Publications, 2000, xi + 554 pages, ISBN 0-86171-159-9 (paperback), US $24.95. Return to text

2. For a more detailed discussion of Yasutani's wartime writings, see Victoria, Zen War Stories, Chapter Five: "Zen Master Doogen Goes to War—The Militarist and Anti-Semitic Writings of Yasutani Haku'un" (forthcoming from Curzon Press). Return to text

3. For a more detailed explication of this incident see pp. 284-287 of the enlarged German edition of Zen at War, i.e., Zen, Nationalismus und Krieg—Eine unheimliche Allianz. For further discussion of Ch'an/Zen's "service to the state" see pp. 283-294 and 297-318 in the same volume. Return to text

References

Aitken, Robert. "Robert Aitken Responds" in Tricycle 9/1 (1999), pp. 67-68.

Akashi, Hirotaka & Soozoo Matsuura, eds. 1975. Shoowa Tokkoo Dan'atsu-shi 4 —Shuukyoo-jin ni taisuru Dan'atsu (ge) [History of Suppression by the Special Higher Police Division—Suppression of Religious Persons (Part Two)]. Tokyo: Taihei Shuppan-sha.

Babbit, Irving, trans. 1965. The Dhammapada. New York: New Directions Paperback.

Bix, Herbert P.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New York: HarperCollins, 2000.

Borton, Hugh. Japan's Modern Century. New York: Ronald Press, 1970.

Ch'en, Kenneth. 1964. Buddhism in China.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Dumoulin, Heinrich. 1963. A History of Zen Buddhism. Boston: Beacon Press.

-----. 1988.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1 India and China. New York: Macmillan.

Glassman, Bernie. "Bernie Glassman Responds" in Tricycle 9/1 (1999), pp. 72-75.

Kapleau, Philip. 1980. Garden City, N. Y.: Anchor Press/Doubleday.

Lopez, Donald S., Jr, ed. Buddhism in Practic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Makiguchi, Tsunesaburoo. 1903. Jinsei Chirigaku [The Geography of Human Life]. Tokyo: Bunkaidoo.

-----. 1933. Kyoodoka Kenkyuu [Research on Folk Culture], rev. 10th ed. Tokyo: Sooka Kyooiku Gakkai.

Marty, Martin E. 1996. "An Exuberant Adventure: The Academic Study and Teaching of Religion," in Academe 82/6, pp. 14-17.

Suzuki Daisetz T. 1959. Zen and Japanese Cultur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Originally published in 1938 as Zen and Its Influence on Japanese Culture. Kyoto: Eastern Buddhist Society, Otani Buddhist University.

Victoria, Brian. 1997. Zen at War. New York: Weatherhill.

-----. 1999. Zen, Nationalismus und Krieg: Eine unheimliche Allianz. Berlin: Theseus Verlag.

-----. 2001 (expected). Zen War Stories. London: Curzon Press.

Vishvapani. "Zen: A Rude Awakening" in Dharma Life (Winter 2000), pp. 30-37.

Yasutani Ryookoo (a.k.a. Haku'un). 1943. Doogen Zenji to Shuushoogi (Zen Master Doogen and the Shuushoogi). Tokyo: Fuji Shoboo.

===

Critical Comments on Brian Victoria's "Engaged Buddhism: A Skeleton in the Closet?"

Koichi Miyata
Soka University, Department of Humanities
1-236 Tangi-cho, Hachioji, Tokyo, 192-8577, Japan
miyata@s.soka.ac.jp
81-426-91-2211

Abstract
In "Engaged Buddhism: A Skeleton in the Closet?" (Vol. 2) Brian Daizen Victoria claims, among other things, that Tsunesaburo Makiguchi (1871-1944), founder of the Soka Kyoiku Gakkai (forebear of the Soka Gakkai and Soka Gakkai International), was an active supporter of the Japanese wars of aggression. In this response, Koichi Miyata argues that Victoria's claims rest on the highly selective use of quotes, and ignore key interpretative issues associated with Japanese imperial fascism and its underlying belief structures. Miyata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Makiguchi's arrest and imprisonment under a law specifically aimed at opponents of the war efforts, in his analysis of critical lapses in Victoria's article.

Having read the recent essay by Brian Daizen Victoria, I found its contents so problematic that, as someone who has studied the ideas of Tsunesaburo Makiguchi (1871-1944) for many years, I feel compelled to respond.

While many studies and essays on Tsunesaburo Makiguchi exist in Japanese, researchers unable to read Japanese have had limited access to Makiguchi's ideas and actions. To help fill this gap, last year I edited a small collection of English-language essays for the 2000 special edition of The Journal of Oriental Studies (TJOS) which was devoted to the "Ideas and Influence of Tsunesaburo Makiguchi." In this response, I will refer to this research as I attempt to shed some light on the thoughts and actions of Tsunesaburo Makiguchi.

Turning to my first point: Victoria quotes a passage from Makiguchi's 1903 work Jinsei Chirigaku (The Geography of Human Life), in which Makiguchi notes that Russia was engaged in a policy of expansionism in the search for year-round harbors. Victoria asserts that this world view was identical to that of the government of Japan, a view used to justify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then the annex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1910) and the founding of the puppet state of Manchukuo (1932). Victoria's assertion, and his implicit criticism of Makiguchi, simplistically links analysis of the global situation with the policies taken in response to that. Makiguchi was merely voicing what was then the accepted understanding of the geopolitical motives for Russia's expansionist policies, a view held not only by the Japanese government, but shared by the British, with whom Japan had formed the Anglo-Japanese Alliance. Certainly I know of no scholar of political geography who rejects this commonsense view in favor of one that Russia posed no danger. If we were to extend Victoria's argument, the logical conclusion would be to find not only Makiguchi but everyone who studies political geography guilty of complicity with Japanese aggression.

Elsewhere in Jinsei Chirigaku Makiguchi points out that the countries of Western Europe had a great deal of trouble operating their colonies, and expresses doubts about the value of acquiring colonies, particular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inancial burden that they would entail. If Victoria had read Jinsei Chirigaku carefully, he would not identify the thoughts of Makiguchi with the expansionist doctrine of the time.

Secondly, Victoria quotes an extract from Makiguchi's book Kyodoka Kenkyu (A Study of Folk Culture), in which Makiguchi notes that the sta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ives of citizens. From this, Victoria draws the conclusion that as the Japan moved closer to war, Makiguchi adopted the view that education should be "in service to the state". (Victoria states that Makiguchi added this section for the 1933 revised edition of the book. This is incorrect, as it appears in the first edition published in 1912.) Since the publication of Jinsei Chirigaku Makiguchi had consistently emphasized the formation of identity on three levels-that of a person's local community, the national and global levels. Within this context, and against a backdrop of global competition for empire, he placed particular importance on national independence. This is hardly unreasonable. Japan was one of only a handful of countries in Asia that had maintained independence amid encroachment by the Western powers, and Makiguchi was well aware of the miserable circumstances of colonized peoples. What we may find problematic-in terms of the current view that controlling peoples is intrinsically wrong-is that Makiguchi did not say enough after Japan itself acquired colonies, omitting to comment on the issue of independence for these colonized peoples, and only suggesting that imperialism was not the optimal policy choice because of the financial burden involved. Here I refer Dr. Victoria to my essay "Tsunesaburo Makiguchi's Theory of the State" in TJOS, in which I discuss Makiguchi's view that imperialistic-military and economic-competition should be supplanted by a cooperative sense of community, what he called "humanitarian competition."

Further, in deciding that Makiguchi viewed education as a means of serving the state, Victoria completely ignores Makiguchi's argument in his 1930 Soka Kyoikugaku Taikei (The System of Value-Creating Pedagogy) that the goal of education must in fact be the happiness of the child. In the March 1942 issue of Kachi Sozo (Value Creation), the short-lived periodical of the Soka Kyoiku Gakkai, Makiguchi criticizes the ideologically central concept of messhi hoko — sacrificing the interests of the individual to those of the state. He noted that this was mere rhetoric to ordinary Japanese, impossible to put into practice. Rather, he stressed, it is natural to strive for the realization of one's own and others' happiness. In May 1942, he was ordered to halt publication of Kachi Sozo. While Makiguchi did view the state as having an important role to play, this is entirely different from holding the ultra nationalist view of education that people should be educated to ensure their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policies of the state. Here I refer Dr. Victoria to "Value-Creating Pedagogy and Japanese Education in the Modern Era," in TJOS, by Kazunori Kumagai in which he compares Makiguchi's educational philosophy with the statist educational system.

Thirdly there is the problem of the emperor system. Quoting a section from Kyodoka Kenkyu in which Makiguchi argues that loyalty to the emperor is synonymous with love of one's country, Victoria implies that Makiguchi's view was identical to that of the military government. This, however, is a far too loosely framed argument that ignores the interpretative issues associated with the 1889 Meiji Constitution. The preamble to the Meiji Constitution recognizes the supreme authority of the emperor, while Article 3 declares the sacred nature of the emperor, and Article 4 his sovereign rights over the state — making the state and the emperor system inseparable. If we stress the supreme authority of the emperor, the emperor is then cast in the role of absolute monarch. If we consider instead the role of the Constitution as a brake on the supreme authority of the emperor, he becomes a constitutional monarch. The former view is represented by the imperial fascism supported by the military regime, while the latter corresponds to Tatsukichi Minobe's theory of the emperor as an organ of the state. From the era of Taisho democracy through to the suppression of Minobe's theory in 1935, this view held sway among constitutional scholars and members of the Diet. The idea that loyalty = patriotism is common to both views, and by aligning Makiguchi with the imperial fascism of the military simply on the basis of his comments here, Victoria again appears determined to ignore the written record of Makiguchi's thoughts. From his earliest writings, Makiguchi viewed the emperor as a constitutional monarch, and was critical of moves to make the emperor's powers absolute.

Victoria also quotes from a report produced by the special police on their interrogation of Makiguchi as proof that Makiguchi acknowledged the divine status of the emperor. Again, this assertion arises from a distortion of the relevant passage. Victoria quotes a reference by Makiguchi to "praying" to the emperor. He could hardly, however, have been more distorting in selecting the passage he quoted, deliberately excluding the following extract, which I have underlined:

"The august virtue of His Majesty the Emperor is manifested in the security and happiness of the people, through the organs of his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Should these be deficient in some way, the people can petition him through the Diet or other bodies. In light of this, who is there, apart from His Majesty, the Emperor himself, to whom we should reverently pray?" ("Pray" is Victoria's translation; "beseech" is probably more accurate in this context.)

It is obvious that "beseech/pray" and "petition" have the same meaning in this context. The manner in which Victoria has misused Makiguchi's choice of a term normally used in a religious context, but with a special meaning in this context, to claim that Makiguchi supported emperor worship, is not what one would expect from a serious scholar endeavoring to document his claim. Surely in examining the interrogation report Victoria must have encountered the following statements by Makiguchi:

"His Majesty the Emperor is an ordinary man, who went to the Peers' School as Crown Prince, and studied how to be an emperor. The Emperor too makes mistakes. They say that in the early years of the Meiji era Tesshu Yamaoka admonished the Meiji Emperor and pointed out his mistakes on many occasions." [Tokko Geppo (Monthly bulletin of Special Higher Police), August 1943 issue, p. 152]

These comments indicate clearly that Makiguchi rejected completely the deification of the emperor. Victoria mentions the military indoctrination of soldiers that "the orders of one's superiors are the orders of the emperor," and asserts that Makiguchi supported this view. In fact, however, Makiguchi commented: "The orders of the emperor could be mistaken, mind you", thereby rejecting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emperor. This point is an important one when we come to consider the next, tha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kiguchi's criticism of the religious policies of the military government and his anti-war activities. I refer Dr. Victoria here to Hiroo Sato "Nichiren Thought in Modern Japan: Two Perspectives" in TJOS in which he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kiguchi and the emperor system from a religious-historical perspective.

My fourth point concerns the significance of Makiguchi's persecution by the military government for criticizing its policy on religion. This is also relevant to the arguments of Robert Kisala, which Victoria cites in developing his own argument. We must remember that when Makiguchi was persecuted by the authorities for instructing members of the Soka Kyoiku Gakkai to burn talismans provided by the Ise shrine, regarded as home of the ancestral deity of the imperial family, it was not under any law dealing with religious matters, but the Peace Preservation Law. Neither Victoria nor Kisala appear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is. The Peace Preservation Law was demanded by the Privy Council in exchange for approving the Universal Manhood Suffrage Law in 1925 to ensure that the newly enfranchised populace did not begin criticizing the emperor system. It was originally designed for the suppression of anti-Establishment groups such as socialists, communists and anarchists. Having all but eliminated anti-Establishment activity of an overtly political nature with a massive crackdown on the Communist Party in the early years of the Showa era (1926-1989), the military government next targeted liberals and religious movements as impediments to implementation of their war policies. By completely obliterating Tatsukichi Minobe's liberal view of the emperor as organ of the state in 1935, the militarists establish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emperor, brooking no opposition whatsoever their policies, now fully shielded by imperial authority.

Next they turned to the religious movements. Religions having as their object of worship gods, or the Buddha, which their teachings accord a position in the cosmic order far superior to that of the emperor, religious groups tended to have less regard for his authority. The year 1936 saw a crackdown on Ohmotokyo, a new Shinto movement that preached the restoration of peace and order to the world under a mythical god. To enable more systematic repression of religious movements, the military government revised the Peace Preservation Law in 1939 to provide for punishment of religious groups found to be committing blasphemy against the Ise shrine. This shows the military government viewed religious movements that rejected the authority of the emperor as the last remaining impediments to rallying the nation behind its war policies. It was against this political and social backdrop that Makiguchi came to criticize the religious policy of the military regime. His arrest under the Peace Preservation Law shows that the regime judged his actions a hindrance to their conduct of the war. Thus, Makiguchi directly opposed the militarist ideology of imperial fascism for its religious policies, and because this opposition constituted an impediment to conduct of the war by the military regime, there is no doubt that he was persecuted for implicitly anti-war activities. I refer Dr. Victoria to my Introduction to TSOJ in which I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Makiguchi's wartime persecution.

I have responded to the views of Brian Victoria on four fronts. I can only imagine that in order to prove Tsunesaburo Makiguchi cooperated with the war effort, Victoria has shaped his arguments to fit his pre-established conclusion, willfully quoting only those passages of Makiguchi's writings that would seem to support it. I cannot imagine he studied all ten volumes of Makiguchi's writings in Japanese to reach this conclusion. While there is ample room for the frank exchange of academic views, including highly critical ones, it is important that a tendentious agenda, clothed in the guise of academic research, not stand unchallenged.


References

Makiguchi, Tsunesaburo. Makiguchi Tsunesaburo Zenshu (Collected works of Tsunesaburo Makiguchi). 10 vols. Tokyo: Daisanbunmeisha, 1983-1987.

The Journal of Oriental Studies, vol. 10, Special Issue: Ideas and Influence of Tsunesaburo Makiguchi (2000). (The electric version can be viewed at http://www.iop.or.jp)

"Soka Kyoiku Gakkai Kaicho Makiguchi Tsunesaburo ni Taisuru Jinmon Chosho Bassui (Excerpts from the interrogation record of Tsunesaburo Makiguchi, president of Soka Kyoiku Gakkai)," Tokko Geppo (Monthly bulletin of Special Higher Police), August 1943: 137-61.

Victoria, Brian The Journal of Global Buddhism, vol. 2"Engaged Buddhism: A Skeleton in the Clos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