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8

Using The Tat Tvam Asi Mantra: Definition, Meaning, and Sutra Statements

Using The Tat Tvam Asi Mantra: Definition, Meaning, and Sutra Statements



Using The Tat Tvam Asi Mantra: Definition, Meaning, and Sutra Statements



by thejoywithin
in Mantras
on September 15, 2019
0


Tat Tvam Asi is a common Sanskrit mantra that is used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universe.

The phrase is used widely in Hindu traditions, and the idea is also frequent in many Buddhist teachings.

Tat Tvam Asi Meaning and Definition

Tat Tvam Asi is most often translated as: “I am that.”

This means that when you look at objects in the world, whether in the form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or the physical objects and circumstances around you, you understand that everything you observe is an extension of yourself.



The world you witness is a mirror to your own consciousness, and the understanding of oneness begins with your understanding that you are the other, which you appear to be observing.

When you work with this mantra, you will begin to find it easier to practice loving kindness and compassion for others, and to observe the world from a new, higher perspective.

Alan Watts Explains: What Is Tat Tvam Asi?


In this video, Alan Watts reflects on the principles of Tat Tvam Asi and gives a lecture on the two sides of energy and how to begin to see unity and connection in the world around you. The video is set to beautiful background music to allow you to tune in and listen as in a soft, guided meditation.

Meditation and Sutra Statements

When working with mantras, one technique for improving your understanding of the phrase is to combine the mantra with a series of statements, or sutras, that help you to intuit the meaning of the mantra more clearly. Sutras help you to internalize the meaning of the mantra in order to evoke its power from a subconscious level.

In his book, Synchrodestiny Deepak Chopra discusses the importance of using sutras when working with mantras, and he offers the following statements to help you with the implementation of Tat Tvam Asi. In Chopra’s exercise, these statements are to be used on Day 2 of your practice, following your work with the mantra Aham Brahmasmi.


Read these statements slowly, pausing after each, and repeating the mantra: tat tvam asi.

Imagine that your spirit is not only in you but in all other beings, and everything that is.
Imagine that everybody is a reflection of yourself.
Imagine that when you look at the universe you are looking at your mirror.
Imagine that you see what others see.
Imagine that you can feel what others feel.
Imagine that you are the qualities you most admire in others.
Imagine that others reflect the qualities you cherish in yourself.
Imagine that you are a person in a hall of mirrors where you can see yourself for miles and every reflection you see is of yourself, but appears different.

Browse more common mantras and sutras, or read more inspiring quotes by Deepak Chopra.

Catherine of Genoa - Wikiquote

Catherine of Genoa - Wikiquote

Catherine of Geno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Saint Catherine by the Master of Frankfurt
My I am God, nor is any other self known to me except my God

Saint Catherine of Genoa (Caterina Fieschi Adorno, 1447 – 15 September 1510) was an Italian saint and mystic of the Catholic Church. She is recognised for her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purgatory.

Quotes[edit]

From, Martin Buber, Ecstatic Confessions
I no longer see union, for I know nothing more and can see nothing more than him alone without me. I do not know where the I is, nor do I seek it, nor do I wish to know or be cognizant of it
  • In God is my being, my I, my strength, my bliss, my desire. But this I that I often call so...in truth I no longer know what the I is, or the Mine, or desire, or the good, or bliss.
    • P.108.
God became man in order to make me God; therefore I want to be changed completely into pure God
  • I find in myself by the grace of God a satisfaction without nourishment, love without fear
I am so plunged and submerged in the source of his infinite love, as if I were quite underwater in the sea and could not touch, see, feel anything on any side except water
  • Faith seems to me wholly lost, and hope dead; for it seems to me that I have and hold in the certainty that which I believed and hoped at other times. I no longer see union, for I know nothing more and can see nothing more than him alone without me. I do not know where the I is, nor do I seek it, nor do I wish to know or be cognizant of it.
I see without eyes, and I hear without ears. I feel without feeling and taste without tasting. I know neither form nor measure; for without seeing I yet behold an operation so divine
  • I am so submerged in the sweet fire of love that I cannot grasp anything except the whole of love, which melts all the marrow of my soul and body.
I shall never rest until I am hidden and enclosed in that divine heart wherein all created forms are lost, and, so lost, remain thereafter all divine
  • Therefore it seems to me that I am no longer of this world, since I can no longer do the work of the world like the others; indeed, every action of others that I see disturbs me, for I do not work as they do, nor as I myself used to do. I feel altogether estranged from earthly affairs, and from my own most of all
I am mute and lost in God
  • I cannot work, or walk, or stand, or speak, but all this seems to be a useless thing
God so transforms the soul in Him that it knows nothing other than God, and He continues to draw it up into His fiery love until He restores it to that pure state from which it first issued
  • Many are astonished at this, and since they do not know the reason, they are offended. And truly, if it were not that God stands by me, the world would often consider me mad, and that is because I almost always live outside myself.
The soul becomes like gold that becomes purer as it is fired, all dross being cast out. Having come to the point of twenty-four carats, gold cannot be purified any further; and this is what happens to the soul in the fire of God’s love
  • God became man in order to make me God; therefore I want to be changed completely into pure God
    • Ibid., P.109.
  • I am so plunged and submerged in the source of his infinite love, as if I were quite underwater in the sea and could not touch, see, feel anything on any side except water
    • Sally Kempton, Meditation for the Love of It: Enjoying Your Own Deepest Experience (2011), p. 227

Life and Doctrine[edit]

From, "Life and Doctrine of Saint Catherine of Genoa" by CHRISTIAN PRESS ASSOCIATION PUBLISHING CO. (1907)
  • I see without eyes, and I hear without ears. I feel without feeling and taste without tasting. I know neither form nor measure; for without seeing I yet behold an operation so divine that the words I first used, perfection, purity, and the like, seem to me now mere lies in the presence of truth. . . . Nor can I any longer say, “My God, my all.” Everything is mine, for all that is God’s seem to be wholly mine. I am mute and lost in God...God so transforms the soul in Him that it knows nothing other than God, and He continues to draw it up into His fiery love until He restores it to that pure state from which it first issued
    • p. 50
  • So long as anyone can speak of divine things, enjoy and understand them, remember and desire them, he has not yet arrived in port; yet there are ways and means to guide him thither. But the creature can know nothing but what God gives him to know from day today
  • This is the beatitude that the blessed might have, and yet they have it not, except in so far as they are dead to themselves and absorbed in God. They have it not in so far as they remain in themselves and can say: `I am blessed.' Words are wholly inadequate to express my meaning, and I reproach myself for using them. I would that everyone could understand me, and I am sure that if I could breathe on creatures, the fire of love burning within me would inflame them all with divine desire. O thing most marvelous!
    • Ch. IX
  • I do not wish a love which may be described as for God, or in God. I cannot see those words, for and in, without their suggesting to me that something may intervene between God and me; and that is what pure and simple love, by reason of its purity and simplicity, is unable to endure. This purity and simplicity is as great as God is, for it is his own
    • Ch. XVIII
  • I cannot desire any created love, that is, a love which can be felt, enjoyed, or understood. I do not wish love that can pass through the intellect, memory, or will; because pure love passes all these things and transcends them
  • I shall never rest until I am hidden and enclosed in that divine heart wherein all created forms are lost, and, so lost, remain thereafter all divine; nothing else can satisfy true, pure, and simple love
  • In my soul, therefore, I can see no one but God, since I suffer no one else to enter there, and myself less than any other, because I am my own worst enemy.
  • If, however, it happens to be necessary to speak of myself, I do so on account of the world, which would not understand me should I name myself otherwise than as men are named, yet inwardly I say: my I is God, nor is any other self known to me except my God
  • All things which have being, have it from the essence of God by his participation: but pure love cannot stop to contemplate this general participation coming from God, nor to consider whether in itself, considered as a creature, it receives it in the same way as do the other creatures which more or less participate with God. Pure love cannot endure such comparison; on the contrary, it exclaims with a great impetus of love; my being is God, not by participation only but by a true transformation and annihilation of my proper being.
  • In God is my being, my me, my strength, my beatitude, my good, and my delight. I say mine at present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speak otherwise, but I do not mean by it any such thing as me or mine, or delight or good, or strength or stability, or beatitude; nor could I possibly turn my eyes to behold such things in heaven or in the earth; and if, notwithstanding, I sometimes use words which may have the likeness of humility and of spirituality, in my interior I do not understand them, I do not feel them. In truth, it astonishes me that I speak at all, or use words so far removed from the truth and from that which I feel. I see clearly that man in this world deceives himself by admiring and esteeming things which are not, and neither sees nor esteems the things which are
    • Ch. XIV

The Treatise on Purgatory[edit]

From, Catherine of Genoa: Purgation and Purgatory, The Spiritual Dialogue (Classics of Western Spirituality)
  • When God sees the Soul pure as it was in its origins, He tugs at it with a glance, draws it, and binds it to Himself with a fiery love that by itself could annihilate the immortal soul. In so acting, God so transforms the soul in Him that it knows nothing other than God; and He continues to draw it up into His fiery love until He restores it to that pure state from which it first issued. These rays purify and then annihilate. The soul becomes like gold that becomes purer as it is fired, all dross being cast out. Having come to the point of twenty-four carats, gold cannot be purified any further; and this is what happens to the soul in the fire of God’s love
    • p. 79-80

Quotes about Catherine[edit]

  • Dear friends, in their experience of union with God, Saints attain such a profound knowledge of the divine mysteries in which love and knowledge interpenetrate, that they are of help to theologians themselves in their commitment to study, to intelligentia fidei, to an intelligentsia of the mysteries of faith, to attain a really deeper knowledge of the mysteries of faith, for example, of what purgatory is. With her life St Catherine teaches us that the more we love God and enter into intimacy with him in prayer the more he makes himself known to us, setting our hearts on fire with his love. In writing about purgatory, the Saint reminds us of a fundamental truth of faith that becomes for us an invitation to pray for the deceased so that they may attain the beatific vision of God in the Communion of Saints (cf.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 1032). Moreover, the humble, faithful, and generous service in Pammatone Hospital that the Saint rendered throughout her life is a shining example of charity for all and encouragement, especially for women who, with their precious work enriched by their sensitivity and attention to the poorest and neediest, make a fundamental contribution to society and to the Church.
    • Pope Benedict XVI, General Audience Address, 12 January 2011 [1]
  • One characteristic of Italian spirituality at this period is the theme of divine love. Historically, it can be traced back to St.Catherine of Genoa (+ 1510), the foundress of Italian hospitals. One of her disciples, Ettore Vernazza, founded a religious group under the title, Oratorio del Divino Amore, and it very quickly spread throughout Italy
    • Jordan Altman,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Catholic Tradition, p. 181
  • Catherine came from the famous Fieschi family in Genoa, where she received a careful and sound education as befitted her noble status. Her early aspirations to become a nun were frustrated by her relatives when, for political reasons, they married her off at the age of sixteen to a young man, Guiliano Adorno, who was worldly, pleasure-loving, and indulgent. Catherine experienced considerable unhappiness and spent some sorrowful years in seclusion until she was able to free herself from her husband. She then devoted herself to prayer, contemplation and strict discipline. In 1473 she underwent a deep mystical experience marked by close union with God. From now on her life was transformed. She reached great spiritual heights, but balanced ascetic discipline with an active life of service to the ill and poor
    • Ursula King, Christian Mystics: Their Lives and Legacies throughout the Ages (1998), p. 41
  •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ttention was drawn to Catherine’s remarkable mystical, mental, and at times almost pathological, experiences through the classic study by Baron Friedrich von Hügel, The Mystical Element in Religion as Studied in Saint Catherine of Genoa and Her Friends (1908). The last ten years of Catherine’s life were marked by violent interior emotions, mentioned in her works. It has been said that in many ways Catherine of Genoa is a “theologian of purgatory,” a purgatory that she herself experienced in a marriage she did not desire, in her care for plague victims, and also in her nervous illness. She also experienced purgatory spiritually as the soul’s realization of its own imperfections, in her search for salvation and purification. Influenced by Plato and Dionysius, the focus of her mysticism was, in spite of her eucharistic devotion, not so much Christ, but above all the infinite God. Her mysticism is primarily theocentric, not Christocentric. She speaks of the absorption into the totality of God as if immersed into an ocean: “I am so…submerged in His immense love, that I seem as though immersed in the sea, and nowhere able to touch, see or feel aught but water.” At the height of her mystical experiences, she could exclaim: “My being is God, not by simple participation but by a true transformation of my being.”
    • Ursula King, Christian Mystics: Their Lives and Legacies Throughout the Ages (1998), p. 42
  • Some of the mo[st] daring statements [are] of another Catherine who has been canonized by the Church—Catherine of Genoa (1447-1510). Among the autotheistic sayings of this mystic are the following: "My me is God, nor do I recognize any other Me except my God Himself," and "My being is God, not by some simple participation but by a true transformation of my being."
    • James A. Wisemann, O.S.B. (1990), The Autotheistic sayings of the Mystics
  • Saint Catherine of Genoa was born in the Vicolo del Filo in that city, in 1447. She was of the great Guelph family of Fiesta, being the daughter of Giacomo Fiesta, at one-time Viceroy of Naples, and granddaughter of Roberto Fiesta, whose brother was Pope Innocent IV...She grew up to be very lovely: "taller than most women, her head well proportioned, her face rather long but singularly beautiful and well-shaped, her complexion fair and in the flower of her youth rubicund, her nose long rather than short, her eyes dark and her forehead high and broad; every part of her body was well-formed." About the time she failed to enter the convent, or a little later, her father died, and his power and possessions passed to her eldest brother Giacomo. Wishing to compos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actions into which the principal families of Genoa were divided--differences which had long entailed cruel, distracting, and wearing strife--Giacomo Fiesta formed the project of marrying his young sister to Giuliano Adorni, son of the head of a powerful Ghibelline family. He obtained his mother's support for his plan, and found Giuliano willing to accept the beautiful, noble and rich bride proposed to him; as for Catherine herself, she would not refuse this cross laid on her at the command of her mother and eldest brother. On the 13th of January, 1463, at the age of sixteen, she was married to Giuliano Adorni.
  • Catherine's states of absorption in prayer, such as we find ever since her conversion, were transparently real and sincere, and were so swift and spontaneous as to appear quasi involuntary. They were evidently, together with, and largely on the occasion of, her reception of the Holy Eucharist, the chief means and the ordinary form of the accessions of strength and growth to her spiritual life... Catherine's teaching, as we have it, is, at first sight, strangely abstract and impersonal. God nowhere appears in it, at least in so many words, either as Father, or as Friend, or as Bridegroom of the soul. This comes to no doubt, in part, from the circumstance that she had never known the joys of maternity, and had never, for one moment, experienced the soul-entrancing power of full conjugal union. It comes, perhaps, even more, from her somewhat abnormal temperament, the (in some respects) exclusive mentality which we have already noted. But it certainly springs at its deepest from one of the central requirements and experiences of her spiritual life; and must be interpreted by the place and the function which this apparently abstract teaching occupies within this large experimental life of hers which stimulates, utilizes, and transcends it all. For here again we are brought back to her rare thirst, her imperious need, for unification; to the fact that she was a living, closely knit, an ever-increasing spiritual organism, if there ever was one.
    • Baron Von Hugel, The Mystical Element of Religion (1923), p. 226-7
  • The one true divine root-center of her individual soul is ever, at the same time, experienced and conceived as a present, in various degrees and ways, simply everywhere, and in everything. All the world of spirits is thus linked together; and a certain slightest remnant of a union exists even between Heaven and Hell, between the lost and the saved. For there is no absolute or really infinite Evil existent anywhere; whilst everywhere there are some traces of and communications from the Absolute Good, the Source and Creator of the substantial being of all things that are. And to possess even God, and all of God, herself alone exclusively, would have been to her, we can say it boldly, a truly intolerable state, if this state were conceived as accompanied by any consciousness of the existence of other rational creatures entirely excluded from any and every degree or kind of such possession. It is, on the contrary, the apprehension of how she, as but one of the countless creatures of God, is allowed to share in the affluence of the one Light and Life and Love, an effluence which, identical in essential character everywhere, is not entirely absent anywhere: it is the abounding consciousness of this universal bond and brotherhood, this complete freedom from all sectarian exclusiveness and from all exhaustive appropriation of God, the Sun of the Universe, by any or all of the just or unjust, upon all of whom He shines: it is all this that constitutes her element of unity, saneness, and breadth, the one half of her faith, and the greater part of her spiritual joy.
    • Baron Von Hugel, The Mystical Element of Religion (1923), p. 231

Mahāvākyas - Wikipedia Tat Tvam Asi - "That art thou," "You are that,"

Mahāvākyas - Wikipedia

Tat Tvam Asi[edit source]

The phrase "Tat Tvam Asi" in the Malayalam and Devanagari scripts, displayed outside the sanctum sanctorum of the Sabarimala Temple in Kerala, India. The sacred syllable "Om" is the glyph in the middle.

Chandogya Upanishad 6.8.7,[21] in the dialogue between Uddalaka and his son Śvetaketu. It appears at the end of a section, and is repeated at the end of the subsequent sections as a refrain:

[6.2.1] In the beginning, son, this world was simply what is existent - one only, without a second. [6.2.3] And it thought to itself: "let me become many. Let me propagate myself." [6.8.3] It cannot be without a root [6.8.4] [l]ook to the existent as the root. The existent, my son, is the root of all these creatures - the existent is their resting place, the existent is their foundation[7] The finest essence here - that consitutes the self of this whole world; that is the truth; that is the self (ātman). And that's how you are, Śvetaketu.[22]

Etymology and translation[edit source]

Tat Tvam Asi (Devanagari: तत्त्वमसि, Vedictát tvam ási) is translated variously as "Thou art that," "That thou art," "That art thou," "You are that," "That you are," or "You're it":

  • Tat - 'it', 'that', from which an absolutive derivation is formed with the suffix -tvatattva,[23] 'thatness', 'principle', 'reality' or 'truth';[24] compare tathātā, "suchness", a similar absolutive derivation from tathā - 'thus', 'so', 'such', only with the suffix -tā, not -tvaTat refers to Sat, "the Existent,"[3][4] Existence, Being,[25] which is the base of everything.[25] Deutsch: "Although the text does not use the term brahman, the Vedanta tradition is that the Existent (sat) referred to is no other than Brahman."[26]
  • tvam - you, thou[27][25]
  • asi - are, 'art'[25]

Tat, the true essence or root or origin of everything that exists is sat, "the Existent,"[3][4] and this essence is what the individual at the core is.[28][29]

Interpretation[edit source]

Major Vedantic schools offer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phrase:

  • Advaita - absolute equality of 'tat', the Ultimate Reality, Brahman, and 'tvam', the Self, Atman.
  • Shuddhadvaita - oneness in "essence" between 'tat' and individual self; but 'tat' is the whole and self is a part.
  • Vishishtadvaita - tvam denotes the Jiva-antaryami Brahman while Tat refers to Jagat-Karana Brahman.
  • Dvaitadvaita - equal non-difference and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 self as a part of the whole which is 'tat'.
  • Dvaita of Madhvacharya - “Sa atmaa-tat tvam asi” in Sanskrit is actually “Sa atma-atat tvam asi” or “Atma (Self), thou art, thou art not God”. In refutation of Mayavada (Mayavada sata dushani), text 6, 'tat tvam asi" is translated as "you are a servant of the Supreme (Vishnu)"
  • Acintya Bheda Abheda - inconceivable oneness and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self as a part of the whole which is 'tat'.
  • Akshar Purushottam Upasana - oneness of the individual self, Atman, with Aksharbrahman, while worshipping Purushottam (God) as a supreme and separate entity.[30][31]

'two-timers. - Google Search

'two-timers. - Google Search
Two-timers - The Free Dictionaryhttps://www.thefreedictionary.com › 
two-timers
1. To be unfaithful to (a spouse or lover). 
2. To deceive; double-cross

카비르 - 위키백과, Kabir From Wikipedia

카비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비르(영어: Kabir, 힌두어: कबीर, 펀자브어: ਕਬੀਰ, 우루두어: کبير‎, 1440∼1518)는 인도의 철학자, 성자, 시인이다. 
원래 비나레스 브라만 계급의 한 과부의 아들이었으나 길거리에 버려진 것을 이슬람 교도의 방직공 부부가 양육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비슈누파의 수행자(修行者) 라마난다를 사사(師事)한 뒤부터 유일절대신(唯一絶對神)인 라마(Rama), 즉 범(梵)에 대한 신애(信愛)를 통한 해탈을 주장하였다. 
그 설은 힌두교를 근간으로 하면서도 이슬람 교도에 대해서까지 똑같은 해탈을 주장하여 이슬람교·힌두교의 차이를 초월하는 것이 되었다.

예컨대 우상 숭배나 고행, 카스트를 부인하고 일신숭배 등의 이슬람교(특히 수피파)적인 영향을 많이 볼 수 있다. 
카비르 자신이 방직공으로서의 세속적인 직업을 가졌으며, 더구나 힌디의 속어(俗語)로 설법했기 때문에 그 가르침은 널리 번져 이윽고 이슬람교의 시칸다르 로디왕(王)과 대립, 여러 나라를 방황한 끝에 죽었다.

그의 작품들은 박티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Kabir Das (IAST: Kabīr; 1398/1440 — 1448/1518)[1] was a 15th-century Indian mystic poet and saint, whose writings influenced Hinduism's Bhakti movement and his verses are found in Sikhism's scripture Guru Granth Sahib.[2][3][4] His early life was in a Muslim family, but he was strongly influenced by his teacher, the Hindu bhakti leader Ramananda.[2] Kabir was born in the city of Varanasi, Uttar Pradesh.

  • Kabir is known for being critical of both organized religion and religions. He questioned meaningless and unethical practices of all religions primarily the wrong practices in Hindu and Muslim religion.[2][5] 
  • During his lifetime, he was threatened by both Hindus and Muslims for his views.[6]:4 
  • When he died, both Hindus and Muslims he had inspired claimed him as theirs.[3]
  •  Kabir means Famous Poet/Saint

Kabir suggested that Truth is with the person who is on the path of righteousness, considered everything, living and non living, as divine, and who is passively detached from the affairs of the world.[3] 
To know the Truth, suggested Kabir, drop the "I" or the ego.[6]:4 
Kabir's legacy survives and continues through the Kabir panth ("Path of Kabir"), a religious community that recognises him as its founder and is one of the Sant Mat sects. Its members are known as Kabir panthis.[7]

[[조성환, 한국철학의 특징을 찾아서 – 다시개벽

한국철학의 특징을 찾아서 – 다시개벽

한국철학의 특징을 찾아서

글: 조성환

이 글은 개벽신문에 게재되었습니다
----

폐강 직전의 한국철학

이 글은 이번 학기에 서울에 있는 모대학에서 <한국철학특강>을 강의하게 된 것이 계기가 되어 탄생하게 되었다. 나의 모교이기도 한 이 대학은 1년에 30여 개에 달하는 철학과목이 개설되지만 ‘한국철학’ 과목은 단 한 개에 불과하다. 그런데 그것조차도 이번 학기에는 학생 10명을 채우지 못해 폐강 위기에 처한 것이다. 서양철학과목은 적게는 50명, 많게는 100명까지도 학생들이 몰려오고, 중국철학도 기본적으로 수십 명은 채워지는데 왜 유독 한국철학만은 이렇게 외면당하는 것일까? 한국철학을 연구하는 한 사람으로서 이 참담한 현실을 눈앞에 두고 무언가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이 글을 연재하게 된 것이다.
---
물론 <한국철학특강>이 폐강직전까지 간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가령 전문적인 ‘특강’ 과목이라는 점, ‘동학’이라는 생소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 시간대가 금요일 늦은 오후라는 점, 가톨릭 계열의 학교라서 상대적으로 한국철학에 소홀하다는 점, 강사인 나의 역량이 부족하다는 점 등등. 그러나 이런 점들을 다 감안해도 한국철학에 대한 철학과 학생들의 무관심은 정도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런 무관심은 무엇보다도 철학과 교수들의 한국철학 인식과 무관하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왜냐하면 철학과 학생들은 기본적으로 철학과 교수들의 절대적인 영향 하에 있기 때문이다.

사실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는 이번에 처음 생각하게 된 것은 아니다.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쯤, 일본에 유학하고 있을 때부터 이 물음은 시작되었다. 그때 나는 한국에서 생각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일본’의 모습을 접하고서 오히려 ‘한국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우연히 교토포럼을 기획하고 진행하시는 한국인 철학자 김태창 선생을 만난 뒤로 처음으로 ‘한국철학’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다가 한국에 돌아와서 한국철학으로 박사학위논문을 준비하면서 본격적으로 ‘한국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고민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원을 더 거슬러 올라가면, 이 질문은 지금으로부터 꼭 30년 전에 당시로서는 보기 드물게 동양철학 전문서적으로서는 초대형 베스트셀러가 되었던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저서에 의해 촉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인 도올 김용옥 선생은 ‘고전 번역’의 중요성을 화두로 던지면서 동양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과 아울러 동양철학의 언어도 서양철학처럼 정교한 ‘학’의 논리를 갖출 수 있다는 실례를 보여주었다. 그 결과 사회적으로 고전번역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확산되었고 동양학에 대한 관심도 증폭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그다음 세대가 이 물음을 이어가지 못했다는 점이다. 즉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에 이어서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제기를 하지 못한 것이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가령 민주화운동으로 연구자들의 문제의식이 다른 데로 이동했다는 점, 90년대의 포스트모던 열풍 이후로 서양철학이 학계의 지배적인 담론이 되었다는 점, IMF와 신자유주의의 등장으로 논의의 초점이 경제 문제로 집중되었다는 점 등등. 그러나 좀 더 결정적인 이유는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물음 안에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이 들어 있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즉 그때 ‘동양학’은 주로 ‘중국학’으로, 그것의 핵심 내용 역시 ‘고전번역’이지 ‘한국철학’은 아니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은 이러한 문제들을 염두에 두면서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고민하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물음을 새롭게 제기하면서 그 안에서 ‘한국철학’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중국철학으로서의 한국철학 연구

혹자는 나의 문제제기에 이렇게 반문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다른 대학에는 한국철학 과목도 많이 개설되고 있고 한국철학 교수도 많지 않은가?”

그러나 이런 반문에 대한 나의 대답은 여전히 회의적이다. 왜냐하면 기존의 한국철학 연구자들은 중국철학과 한국철학을 혼동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한국철학 연구는 ‘중국철학의 일부’로서의 한국철학을 연구하는 것이지 한국철학 그 자체를 탐구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가령 조선유학을 연구하는 한국철학 연구자의 태도는 ‘동아시아 유학사’의 일부로서의 한국철학 연구이지 한국철학 그 자체에 대한 연구는 아니다. 얼핏 보면 별반 다를 바 없이 보이는 이 차이는 실은 어머어마한 결과를 초래한다. 무엇보다 연구자들로 하여금 ‘한국철학사’를 기술할 수 없게 만든다. 왜냐하면 ‘한국’이라는 수식어에 해당하는 내용을 채울 수 없기 때문이다. 단지 한국 땅에서 전개된 철학적 활동들을 나열하는 것을 ‘한국철학사’라고 한다면, 그것은 ‘사(史)’라기보다는 일개 ‘보고서’에 불과할 것이다. 적어도 ‘사’라고 하려면 일관된 관점과 해석이 필요하다. 그리고 ‘한국철학사’라고 한다면 거기에는 무엇보다도 ‘한국인의 사유방식’이 담겨야 한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우리는 ‘한국인의 사유방식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던지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기존의 한국철학 연구자들, 그중에서도 특히 조선성리학 연구자들은 이 물음을 던지지 않았다.

기존의 조선유학 연구는 암암리에 다음과 같은 전제를 깔고 있다: “조선은 주자학의 나라였고, 퇴계를 비롯한 대부분의 조선유학자들은 중국의 주자(朱子)를 하늘처럼 받들었다. 따라서 조선의 유학은 주자학의 연장이다. 그러므로 주자학만 알면 조선유학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나는 이것이 대단히 비(非)역사적인 발상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조선의 성리학으로서의 주자학의 전개는 한국 땅에서 이루어졌고, 그것이 한국 땅에서 이루어졌다면 당연히 ‘한국’이라는 변수가 작용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상사를 서술하는데 있어서 사상을 수용하는 쪽의 성향도 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는 이 부분에 대한 성찰이 빠져 있다. 그 결과 한국을 단지 일방적으로 문화를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수용자로서만 규정하고 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났을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아마도 조선유학 연구자들이 유교경전으로 한국철학을 공부하기 때문일 것이다. 즉 한문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논어』나 『맹자』 또는 『시경』이나 『서경』 등을 읽으면서 문법과 어휘를 익히기 마련인데, 그러는 사이에 어느새 중국적 세계관이 그들의 머릿속에 소프트웨어처럼 깔려 버리는 것이다. 뒤집어 말하면 한국적 사유방식을 생각하기 이전에 먼저 유교적 세계관이 프로그래밍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한국사상의 모든 것을 중국사유와 중국문헌으로 환원해서 이해하려는 습성이 배게 된다.

이것은 가령 일본 학자들의 장기인 주석 작업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가령 조선유학의 텍스트를 읽다가 중요한 철학적 개념이나 어려운 용어가 나오면 이른바 출전을 조사해서 중국고전의 전거를 찾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시경』에 나오는 말이랄지 『사기』의 무슨 편에 나오는 말이랄지 하는 식으로 방대한 사전들을 동원해가며 열심히 조사한다. 그리고 이것으로 자신들의 소임을 다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들은 단 한 번도 그 개념 속에 한국적 문화나 사유가 들어 있을 수 있다고는 의심해 보지 않는다. 한국철학을 연구하는 일본 학자는 물론이고 그 영향을 받은 한국사람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내가 주목한 것은 ‘한중비교철학’이다. 즉 중국철학과 한국철학을 비교하는 것이다. 흔히 ‘비교철학’ 하면 동서비교철학을 떠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을 비교하는 것이 비교철학의 영역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중국철학과 한국철학을 비교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종래와 같이 중국철학의 연장선상에서의, 중국철학의 우산 속에서의 한국철학 연구가 아니라, 그 막대한 영향력을 인정한 상태에서, 중국철학과 한국철학을 대등하게 비교해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 작업은 동서비교철학 작업과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거시적 차원에서는 동아시아철학이라는 분야 자체가 서양철학에 의해 왜곡되어 있고, 그 안에서 다시 한국철학이 중국철학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수양으로서의 학문

먼저 동아시아철학 또는 동양철학을 서양철학과 비교하는 문제를 생각해보면, 무엇보다도 ‘철학’ 그 자체의 이해, 더 나아가서는 ‘학문’ 그 자체에 대한 생각이 달랐다는 점을 주목하게 된다. 나는 이 차이를 ‘동도서학(東道西學)’이라는 말로 나타내고자 한다. ‘동도서학’이란 ‘동양의 도학과 서양의 과학’을 줄인 말이다. 다시 말하면 동양은 도학을 추구했고 서양은 과학을 추구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비는 그리 낯선 것이 아니다. 가령 몇 년 전에 교토포럼에 참석한 연세대학교 철학과 이광호 교수는 도학과 과학으로 동서양의 학문을 대비시킨 적이 있다. 이때 양자의 차이는 도학이 대상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반면, 과학은 대상과 분리되어 객관적 사실을 탐구한다는 것이었다. 한편 일제시대에 탄생한 원불교 역시 도학과 과학으로 동서양을 암묵적으로 대비시키고 있다. 원불교는 ‘과학과 도학을 겸비한 전인적인 인재 양성’(원광대학교 교학대학 홈페이지)을 지향하는데, 이때 과학은 기술에 바탕을 둔 물질문명을, 도학은 도덕에 바탕을 둔 정신문명을 상징한다. 따라서 원불교에서의 도학과 과학의 대비는 정신과 물질, 또는 도덕과 기술의 다른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내가 여기에서 말하는 ‘도학’의 핵심은 ‘수양’이다. 즉 ‘동도(東道)’라고 할 때의 ‘도’는 곧 ‘수양’을 가리킨다. 다시 말하면 동양학은 학문 자체가 수양을 목적으로 하고, 모든 논의가 수양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서양은, 설령 그것이 철학이라고 할지라도, 객관적 진리 추구라는 ‘과학’ 쪽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래서 똑같이 ‘마음(Mind)’을 논해도, 서양의 경우에는 우리의 ‘앎’이 어떻게 성립하는지, 그 ‘앎’이 객관적인 타당성을 지니는지와 같은 ‘인식론’(Theory of Knowledge)에 치중해 있다면, 동양의 경우에는 ‘마음(心)’을 어떻게 닦을 것인가, 본래 마음[本心]을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와 같은 ‘마음공부[心學]’에 일차적인 관심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동서양의 학문을, 거칠게 구분하자면, ‘수양으로서의 학문’과 ‘과학으로서의 학문’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유교에서 말하는 ‘수기치인’은 일종의 ‘수양정치론’으로 이해할 수 있고, 같은 맥락에서 도교는 ‘수양양생론’, 불교는 ‘수양해탈론’이라고 각각 규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양’은 각각 정치와 양생 그리고 해탈에 이르기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우리는 흔히 신유학하면 불교의 ‘리’의 존재론과 도교의 ‘기’의 우주론을 대폭 수용하여 리기론 체계를 수립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수양’의 관점에서 신유학을 다시 생각해보면, 형이상학이나 우주론보다는 오히려 수양론이 대폭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유학은 불교 수양론의 도전을 받아서 마음공부를 전폭적으로 강화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신유학 역시 여전히 ‘심학’의 영역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사실은 신유학에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 성(誠)-경(敬), 미발-이발, 함양-찰식, 거경-궁리, 정좌, 정성(定性), 허심, 명경(明鏡) 등이라는 사실로부터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중국불교나 유학이 마음공부에 치중하고, 그런 점에서 ‘심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면, 중국도교나 인도요가의 경우에는 몸의 동작을 통한 ‘기’의 순환을 중시한다. 그런 점에서 ‘기학’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원래 ‘기학’이라는 표현은 조선말의 대유학자인 최한기가 자신의 철학체계를 지칭해서 쓴 말로, ‘기’ 중심의 학문체계를 가리킨다. 그래서 거기에는 우주론, 인식론, 윤리학 등이 포괄적으로 망라되어 있다. 반면에 여기에서 말하는 ‘기학’은 그것보다는 훨씬 좁은 의미이다. 즉 수양론에 국한해서 쓰는 개념이다. 그렇다면 최한기의 ‘기학’ 체계에는 수양론으로서의 ‘기학’은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원광대학교 불교학과대학원에는 ‘기학’ 전공과정이 있는데, 커리큘럼은 기공학, 내단수행, 도인법 등이 중심이 되고 있다. 이때의 ‘기학’이 바로 이 글에서 말하는 수양론으로서의 ‘기학’에 가깝다. 한편 순수하게 수양론의 관점에서만 보면 기독교 역시 ‘심학’으로 분류될 수 있다. 왜냐하면 ‘기’ 수련보다는 믿음이나 기도와 같은 심적인 요소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퇴계가 도교의 양생서인 『활인심방』을 받아들였던 것은, 수양학적 측면에서 보면 유교에는 취약한 기학적 요소를 보완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한국철학의 특징을 찾아서

이상이 서양철학과 대비되는 동양철학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다음으로 이 글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중국철학과 대비되는 한국철학의 특징이다. 나는 그것을 ‘하늘’, ‘회통’, ‘개벽’, ‘살림’이라는 네 개념으로 잡아보았다. 그리고 이 네 사상이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로 조선후기에 탄생한 ‘동학’이라고 본다.

먼저 ‘하늘’은 한자어 ‘天(천)’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필자가 생각하기에는 중국의 ‘天’과 서양의 ‘God’의 중간쯤에 위치하는 개념이다. 이 ‘하늘’은 ‘한국종교의 원형’이라고도 말해질 정도로(박재순), 한국인들의 심성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개념이다. 단군신화의 천신강림설화를 비롯하여 윤동주의 「서시」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고대 부족국가의 제천행사에서 시작하여 식민지시대 민족종교의 천제(天祭)에 이르기까지, ‘하늘’은 한국인들의 이야기와 생활방식 속에 한 번도 빠진 적이 없었다. 그렇다면 조선성리학자들이 사용했던 한자어 ‘天’ 개념에도, 중국 유교에서 말하는 ‘天’뿐만이 아니라, 한국적인 ‘하늘사상’이 가미되어 있음을 추측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편 ‘회통’은 한국종교의 경향성을 대변하는 말이다. 일찍이 9세기의 최치원이 풍류도를 ‘포함삼교’, 즉 “삼교를 포함하고 있다”고 규정한 이후로, 흔히 한국불교의 특징으로 거론되는 ‘통불교’ 담론, 조선후기의 실학자로 알려진 다산 정약용의 유교와 천주교의 융합, 그리고 일제강점기 이능화의 『백교회통』(1912) 논의를 거쳐, 실제로 유불도 삼교를 종합했다고 하는 원불교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는 외래 사상을 수용하여 새로운 ‘도’를 만들고자 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경향은 아마도 문화를 전파하는 입장에 있었던 중국이나 서양과는 달리, 그것들을 수용하는 입장에 있었기 때문에 발달된 것이리라.

또한 19세기 말 동학에서 시작된 ‘개벽’ 사상은 ‘개화’와 대비되는 말이다. 개화가 지식인들 중심의 전반서구화를 의미한다면, 개벽은 민중들이 중심이 된 자주적인 근대화운동이었다. 흔히 민족종교로 분류되는 동학(천도교)-증산교-원불교는 모두 이 ‘개벽’이라는 용어를 공유하고 있다(1909년에 탄생한 대종교 역시 ‘개벽’과 사상적으로 상통하는 ‘중광重光’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바로 이 점이 당시의 중국이나 일본사상에서는 보기 드문 요소이다. 즉 근대 한국의 개벽사상은 종교를 초월하여 100년 넘게 전개되었고, 지금도 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살림’ 역시 외국어로는 좀처럼 번역하기 힘든 한국적인 개념이다. ‘살림’은 ‘살리다’는 동사에서 왔다는 점에서 ‘생명’과는 구분된다. 따라서 생명철학이나 생명학이 생명현상의 탐구에서 출발하고 있다면, 살림철학이나 살림학은 살리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신유학에서 말하는 ‘생물(生物)’ 역시 “대자연이 만물을 ‘낳는’ 생성작용”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살림’과는 다르다. ‘살림’은 단지 생명을 살리는 것뿐만 아니라, ‘기’를 살리고, 개인의 능력을 살리고, 조직을 살리는 것까지 포함하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그런 의미에서 ‘살림’은 ‘경영’의 의미까지 담고 있다. ‘나라살림’, ‘가정살림’이라고 할 때의 ‘살림’이 그런 예이다. 이 ‘살림’ 개념은 특히 현대 한국철학에서 주목받고 있는데, 장일순의 한살림운동, 박재순 등의 살림신학, 김태창의 활사개공(活私開公) 등이 그것이다.

이상의 네 가지 개념이 응축되어 있는 사상이 동학이다. 그래서 한국철학사는 동학으로 수렴되어 동학에서 다시 시작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관련

하늘과 땅의 살림영성
2021년 05월 01일

"술이창작(述而創作)"에서
한국인이 추구한 공공성은?
2021년 05월 01일

"술이창작(述而創作)"에서
다시 『개벽』을 열며
2020년 12월 01일
"계간 다시개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