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ie Antoinette: The Portrait of an Average Woman
![]() Viking Press first edition 1933 | |
Author | Stefan Zweig |
---|---|
Original title | Marie Antoinette. Bildnis eines mittleren Charakters |
Translator | Eden Paul Cedar Paul |
Language | German |
Publisher | Insel-Verlag |
Publication date | 1932 |
Publication place | Germany |
Published in English | 1933 |
Pages | 639 |
Marie Antoinette: The Portrait of an Average Woman (German: Marie Antoinette. Bildnis eines mittleren Charakters) is a 1932 biography of the French queen Marie Antoinette by Austrian writer Stefan Zweig. Viking Press published the first English-language edition, translated by Eden and Cedar Paul, in 1933.[1]
The book served as the inspiration the 1938 Metro-Goldwyn-Mayer film Marie Antoinette starring Norma Shearer,[2] and the Japanese manga series The Rose of Versailles written and illustrated by Riyoko Ikeda.
See also
References
- Library of Congress (1934). Catalog of Copyright Entries. Part 1. [A] Group 1. Books. For the Year 1933.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552.
- "Marie Antoinette". AFI Catalog of Feature Films. American Film Institute. Retrieved 2015-11-25.
The Rose of Versailles
The Rose of Versailles | |
![]() Second tankōbon volume cover, featuring Marie Antoinette (background) and Oscar François de Jarjayes (foreground) | |
ベルサイユのばら (Berusaiyu no Bara) | |
---|---|
Genre | Historical, romance[1] |
Manga | |
Written by | Riyoko Ikeda |
Published by | Shueisha |
English publisher | |
Imprint | Margaret Comics |
Magazine | Margaret |
Volumes | 14 |
Series titles | |
| |
Anime television series | |
Directed by |
|
Music by | Kōji Makaino |
Studio | Tokyo Movie Shinsha |
Licensed by |
|
Original network | NNS (NTV) |
English network | TMS Entertainment |
Original run | October 10, 1979 – September 3, 1980 |
Episodes | 40 |
Other notable adaptations | |
| |
Sequels & spin-offs | |
|
The Rose of Versailles,[a] also known as Lady Oscar and La Rose de Versailles, is a Japanese manga series written and illustrated by Riyoko Ikeda. It was originally serialized in Shueisha's shōjo manga magazine Margaret from 1972 to 1973, while a revival of the series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from 2013 to 2018. The series is a historical drama set in 18th century France before and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Using a combination of historical personages and original characters, The Rose of Versailles focuses primarily on the lives of two women: the Queen of France Marie Antoinette, and Oscar François de Jarjayes, who serves as commander of the Royal Guard.
Ikeda created The Rose of Versailles as a story about revolution and populist uprisings after becoming involved with Japan's New Left as a member of the Communist Party of Japan in the late 1960s. The series was developed during a significant transitional period for shōjo manga as a medium, characterized by the emergence of stories with complex narratives focused on politics and sexuality. The Rose of Versailles was a significant critical and commercial success, and by 2022 had sold over 23 million copies worldwide. The serie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shōjo manga, and was one of the primary works responsible for its shift from a genre aimed at children to a genre aimed at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The Rose of Versailles spawned a media franchise, having been adapted into an anime television series produced by TMS Entertainment and broadcast on Nippon Television during the 1979—80 season, a 1979 live-action film directed by Jacques Demy, a series of musicals staged by the Takarazuka Revue, and a 2025 anime film produced by MAPPA. Several sequels and spin-offs have also been produced, notably Eikou no Napoleon – Eroica. The manga series was licensed for an English language release in North America by Udon Entertainment, while the anime adaptation is currently licensed in North America by Discotek Media.
Synopsis

The Rose of Versailles follows the young Queen of France Marie Antoinette, though the series later refocuses to Oscar François de Jarjayes, the youngest of six daughters who was raised as a man from birth by her military general father to succeed him as commander of the Royal Guards at the Palace of Versailles. Oscar's commoner friend (and later lover) André Grandier, the grandson of her nanny, serves as her attendant.
In 1770, Antoinette begins an affair with the Swedish count Axel von Fersen, which becomes the subject of gossip and scandal throughout the country and damages Antoinette's reputation. After von Fersen leaves Europe to fight in the American Revolutionary War ten years later, a distraught Antoinette begins spending lavishly on jewelry and clothing to distract herself from his absence. Her spending mires the country in debt, while the 1784 Affair of the Diamond Necklace and the machinations of the scheming Duchess of Polignac further aggravate public sentiment toward the monarchy.
Oscar, meanwhile, begins to realize how France is governed and sympathizes with those living in poverty. With the impending outbreak of the French Revolution, Oscar leaves the Royal Guard to join the French Guards Regiment. André dies fighting alongside Oscar with the revolutionaries and the regiment during a skirmish with the military; Oscar herself dies the following day, leading the revolutionaries during the Storming of the Bastille. Three years later, the revolutionaries capture Antoinette and the royal family. After being tried by the Revolutionary Tribunal, Antoinette is sentenced to death by guillotine.
Characters
The Rose of Versailles juxtaposes a combination of real-life historical personages and original characters created by Ikeda. The action of the story is primarily focused on Marie Antoinette and Oscar François de Jarjayes, who alternately serve as the primary character of the series, while Axel von Fersen serves as the object of affection for both women.[2] Two additional characters, André Grandier and Rosalie Lamorliere, function within the story as audience surrogates.[3]
Development
Context

Riyoko Ikeda came of age in the 1960s, a decade that saw the rise of the New Left in Japan. This political movement, inspired in part by the ideals of the French Revolution, galvanized Japanese youth and led to the formation of student protest movements. Upon entering university in 1966, Ikeda became a part of this movement after joining the Democratic Youth League of Japan, the youth branch of the Japanese Communist Party.[4][5] Ikeda made her debut as a manga artist in 1967, with her early works generally falling into one of two categories: romantic stories typical of shōjo manga of the era, and socially and politically motivated stories that addressed themes such as poverty, diseases caused by nuclear weapons, and discrimination against Japan's burakumin population.[4]
Shōjo manga (girls' manga) of the 1960s largely consisted of simple stories marketed towards elementary school-aged girls, with discussions of topics such as politics and sexuality considered taboo.[6] These attitudes began to shift in the 1970s, as new authors began to move shōjo manga away from an audience of children towards an audience of adolescents and young women.[6] This shift came to be embodied by a new generation of shōjo manga artist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Year 24 Group, of which Ikeda has been associated; the group was so named because its members were born in or around year 24 of the Shōwa era (or 1949 in the Gregorian calendar).[7] The group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shōjo manga by expanding the genre to incorporate elements of science fiction, historical fiction, adventure fiction, and same-sex romance: both male-male (yaoi) and female-female (yuri).[8]
Production and release

As the New Left declined in the early 1970s, Ikeda decided to create a manga focused on themes of revolution and populist uprising.[9] After researching the French Revolution for two years,[10] Ikeda proposed a manga series that would be a biography of Marie Antoinette to her editors at the Japanese publishing company Shueisha.[11] Though Ikeda's editors were reticent about the concept, the first chapter of The Rose of Versailles was published on May 21, 1972, in the weekly shōjo manga magazine Margaret.[12] As a result of this lack of support from her editors, Ikeda frequently relied on feedback from fans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story;[11] for example, Rosalie was initially conceived by Ikeda as an audience surrogate character, but she proved to be unpopular among readers and her role was decreased.[3]
Ikeda modeled her depiction of Antoinette on typical shōjo heroines of the era: lively, sentimental, and seeking love, with her rivalry with Madame du Barry mirroring shōjo stories that focus on rivalries between schoolgirls. The exotic Western setting marked by a rococo style was also similarly aligned with typical shōjo manga settings of the 1970s.[11] Oscar is initially introduced as a supporting character, with Ikeda's decision to make the commander of the Royal Guard a woman rooted in her belief that she could not convincingly write a character who was a male soldier.[13] Ikeda based the character's appearance on Swedish actor Björn Andrésen, who became immensely popular in Japan in the early 1970s after starring in the film Death in Venice.[14] Oscar became immediately popular, with her characterization as a strong and charismatic woman resonating with the shōjo audience; in response to positive feedback from readers,[15] Oscar shifted to become the primary protagonist of the series as it progresses.[13]
As the series shifted to focus on Oscar, Ikeda pursued a more serious tone relative to early chapters of The Rose of Versailles in terms of her depiction of politics, social issues, and sexuality;[13] the art style also shifts, both to reflect this tonal change and to depict how the characters have aged.[16] Following Oscar and André's deaths, readership of The Rose of Versailles declined precipitously; the November 4, 1973, issue of Margaret, published two weeks after Oscar's death, contains a note from the editors indicating that they had been inundated with letters from readers asking for Oscar and André be brought back to life.[17] Though Ikeda wished to continue the series and depict the entirety of the French Revolution, her editors convinced her to conclude the series shortly thereafter.[18] The final chapters of the series shift back to Antoinette as the primary character, and depict the events of the revolution from the fall of the Bastille to Antoinette's death.[17]
Revival
In 2013, Shueisha invited Ikeda to write a column in Margaret to mark the 50th anniversary of the magazine. Ikeda asked if she could instead write additional chapters of The Rose of Versailles that she was unable to publish due to the series' shortened serialization;[19] her request was accepted, and additional chapters of The Rose of Versailles began serialization in Margaret on April 20, 2013.[20] The first chapter, which focuses on André's childhood, adapts a story that Ikeda had written for a musical adaptation of The Rose of Versailles staged by the Takarazuka Revue.[19] The final chapter of the revival was published on February 5, 2018, and connects the story of The Rose of Versailles to the manga series The Poe Clan by Moto Hagio; Ikeda is a friend of Hagio's and a fan of The Poe Clan, and received Hagio's permission to connect the two stories.[21]
English-language release
Writer and translator Frederik L. Schodt translated The Rose of Versailles into English for use as reference by the producers of the manga's 1979 live-action film adaptation Lady Oscar; only one copy of the translation was produced, which was lost.[16] In 1981, Schodt again translated the first two volumes of The Rose of Versailles into English for the Japanese publishing house Sanyusha,[22] which were published as instructional materials for Japanese readers seeking to learn English.[16] An excerpt from Schodt's translation was included in his 1983 book Manga! Manga! The World of Japanese Comics.[23]
In July 2015, Udon Entertainment announced that it had acquired English-language publishing rights for The Rose of Versailles.[24] Originally scheduled for release in 2016, the first volume in the five-volume hardcover series was released in January 2020,[25] while the final volume was released in April 2021.[26]
Themes and analysis
Sexuality
Shōjo manga of the 1960s and earlier generally depicted one of two kinds of love stories: heterosexual romances between a passive girl and a Prince Charming-like male, and Class S stories that depicted intense but fleeting homoerotic romantic friendships between girls.[27] Rosalie is reminiscent of Class S dynamics: the young and naïve Rosalie pines for the older and mature Oscar, though Oscar rebuffs her advances on the grounds that they are both women.[9] Her subsequent romantic interests are two Prince Charming figures: von Fersen, who rejects Oscar because he perceives her only as a man, and The Count of Girodelle, Oscar's arranged fiancé whom she rejects because he treats her only as a woman.[9]
Oscar ultimately enters a relationship with André, who Ikeda did not initially conceive as a potential romantic partner for Oscar; his status as Oscar's true and final love was incorporated into the story on the basis of reader feedback.[15] Manga scholar Deborah Shamoon notes that while Oscar and André's relationship is "in a biological sense heterosexual, it is still configured within the story as homogender": Oscar is a masculine woman, while André is an emasculated man.[17] Shamoon notes that André is of lower social status relative to Oscar, that it is André and not Oscar who experiences "the stereotypically female pain of unrequited love",[15] and that the close physical resemblance between Oscar and André echoes the aesthetics of the then-emerging boys' love (male-male romance) genre.[15]
Historicity

Ikeda derived the historical elements of The Rose of Versailles from the 1932 biography Marie Antoinette: The Portrait of an Average Woman by Stefan Zweig. The depiction of Marie Antoinette in The Rose of Versailles is largely rendered as it is narrated in the biography: her close relationship with her mother Maria Theresa, her loveless marriage with Louis XVI, her rivalry with Madame du Barry, her friendship with the Duchess of Polignac, the Affair of the Diamond Necklace, and her love for Axel von Fersen.[11] Both Zweig and Ikeda portray Antoinette as a relatively unremarkable person who had an "accidental encounter with fate", contrasting both the villainous portrayals of Antoinette by the sans-culottes and the saintly depictions of Antoinette by pre-revolutionary Bourbons.[28]
The largest deviations from historical events come in the form of Ikeda's original characters: Oscar, André, and the Jarjayes family are original creations of the author, though Oscar's father is loosely based on the real-life historical figure François Augustin Regnier de Jarjayes . The familial connection between Rosalie, Jeanne de Valois-Saint-Rémy, and the Duchess of Polignac is similarly an invention of the author, as are several supporting characters, such as Alain de Soissons. The chronology of certain historical events are also slightly altered for dramatic purposes (for example, von Fersen is not present during the Affair of the Diamond Necklace in the manga), and the manga contains some visual inaccuracies (for example, Oscar's French Guard uniform is actually the uniform worn by the Royal Guard during the Napoleonic era in the early 19th century).[29]
Ikeda's depiction of the events of the French Revolution are informed by both her feminist and communist political leanings, and are personified in the story by Oscar.[30] The narrative of The Rose of Versailles dramatizes the social realist doctrine advocated by the Japanese communist movement, addressing issues such as class consciousness, inequality between economic classes, the subordinate status of women, the duties of citizens, the material conditions of labor,[31] and the manner in which rights for citizens arise from a mass and spontaneous revolt.[32]
Feminism and gender
The feminist movement of post-war Japan was divided between consumerism, which advocated for the individualist pursuit of personal pleasure, and socialism (as embodied by the New Left), which rejected consumerism and sought a collectivist response to the subordinate status of women.[33] Following the Asama-Sansō incident of February 1972, in which fourteen members of the United Red Army were killed in a purg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Japanese feminists rejected socialism in favor of consumerism.[34] According to Nobuko Anan, a scholar of Japanese visual arts and gender, The Rose of Versailles embodies the tension between consumerism and socialism as a work of mass consumerist culture that nonetheless depicts what Ikeda describes as "the inner revolution of the Japanese women".[35]
Ikeda has stated that she saw Marie Antoinette as a compelling figure in the way that she symbolized insubordination against the patriarchy, specifically her reluctance to accept the social impositions of Versailles, her loveless marriage, and the hatred that she aroused from both the court and public.[36] However, Antoinette is limited in her ability to resist patriarchal forces by the imposition of motherhood; indeed, the abolition of the social obligation to become a mother was one of the main demands of the Japanese feminist movement at the time.[37]
Deborah Shamoon argues that Oscar's popularity relative to Antoinette can be owed to her more complex characterization: first, that she is torn between her affection for Antoinette and the realization that she perpetuates a corrupt system; and second, that she "questions the assumptions of heterosexual romance and gender roles" through her androgyny and her search for an equal romantic partner who respects both her femininity and her masculinity.[13] In this regard, the sex scene between Oscar and André is particularly notable: their relationship is egalitarian, both possess an androgynous appearance, and Oscar's breasts are not visible.[38] Academic Yukari Fujimoto argues that the scene's depiction of a highly aestheticized version of sex "determined the image of sex in the minds of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around the time [...] not as a daily activity but as the ultimate way to convey once-in-lifetime love."[35]
Adaptations
Anime
Animated series
An anime television adaptation of The Rose of Versailles, produced by TMS Entertainment, aired on Nippon Television from October 10, 1979, to September 3, 1980.[39] The first 12 were directed by Tadao Nagahama, while the rest of the series was directed by Osamu Dezaki. Other members of the production team included Shingo Araki as animation director and character designer, Michi Himeno as character designer, and Kōji Makaino as music composer. The series' theme song "Bara Wa Utsukushiku Chiru " ("Roses Scatter Beautifully") was composed by Makaino, written by Michio Yamagami , and performed by Hiroko Suzuki .[40] A single episode summarizing the events of the 1979 series, The Rose and Women of Versailles (ベルサイユのばらと女たち, Berusaiyu no Bara to On'na-tachi), was also produced.[39]
In North America, distribution rights for the anime adaptation of The Rose of Versailles were acquired by Right Stuf in 2012; the company released the series under its Nozomi Entertainment brand on DVD and on the streaming platform Viki in 2013.[1] Rights for the series were later acquired by Discotek Media, which released the series on Blu-ray in 2021.[41] In April 2025, TMS Entertainment began streaming the series on their official YouTube channel, with both English and Spanish subtitles.[42]
Animated films
The Rose of Versailles: I'll Love You As Long As I Live (ベルサイユのばら 生命あるかぎり愛して, Berusaiyu no Bara: Inochi aru kagiri Aishite), an anime film adaptation of the 1979 series, was released on as an original video animation on May 21, 1987.[43] In 2007, Toei Animation announced that it would produce a new Rose of Versailles animated film, but no film was ever produced.[44]
A new anime film adaptation of The Rose of Versailles was announced to mark the 50th anniversary of the release of the manga series on September 6, 2022,[45] and was released in theaters in Japan on January 31, 2025.[46][47] The film is produced by MAPPA and directed by Ai Yoshimura, with Tomoko Konparu writing the script, Mariko Oka designing the characters, and Hiroyuki Sawano and Kohta Yamamoto composing the music. It stars Miyuki Sawashiro as Oscar, Aya Hirano as Marie Antoinette, Toshiyuki Toyonaga as André, and Kazuki Kato as von Fersen.[48] The theme song for the film, "Versailles", is performed by Ayaka.[49] Netflix released the film on April 30, 2025.[50]
Musicals
The all-female theater revue the Takarazuka Revue has dramatized The Rose of Versailles multiple times since 1974. The show's role in Takarazuka history is particularly notable, as it triggered a significant surge in the revue's popularity and established its "Top Star" system of assigning lead roles.[51] From 1974 to 1976, all four Takarazuka troupes staged The Rose of Versailles, drawing a total audience of 1.6 million; the revue's 1986 production alone drew an audience of 2.1 million.[52] In 2024, a Korean adaption debuted at the Chungmu Art Center, Seoul.[53]
Live-action film
Lady Oscar, a live-action film adaptation of The Rose of Versailles, was released in Japan on March 3, 1979. The film was directed by Jacques Demy, and stars Catriona MacColl as Oscar and Barry Stokes as André.[54]
Other
In 2014, an official Flash animation parody of The Rose of Versailles produced by the artist Frogman was released.[55] In 2017, video game developer Otomate announced Berubara Private Academy: Rose of Versailles Re*imagination, a visual novel inspired by The Rose of Versailles,[56] which was released in 2019.[57]
Reception and legacy
Critical reception
Manga critic Jason Thompson has praised The Rose of Versailles as "a classic" of the medium, describing Ikeda's creation of Oscar as a "stroke of genius" and foundational to manga archetype of "a woman who plays the role of a man, sometimes struggling with the burden, but mostly surpassing men at their own game". Thompson notes that while this archetype was established in Osamu Tezuka's manga series Princess Knight, he favorably compares the "elegant and tragic" Oscar to Tezuka's "childlike and cute" series.[16] Reviewing the first two English-language volumes of The Rose of Versailles for Otaku USA, Danica Davidson similarly praises The Rose of Versailles as a series that "helped revolutionize shōjo manga", drawing specific attention its "elegant, detailed and Rococo-infused" artwork.[58]
Reviewing the anime adaptation of The Rose of Versailles for IndieWire, Charles Solomon noted that while the series "makes American daytime soap operas feel restrained", he cites it as "an intriguing example of cross-cultural cross-pollination". He notes that while that the "Versailles of the story is no more French than the town of Titipu in Gilbert and Sullivan's The Mikado is Japanese", he praises he manner in which an "occidental setting [is] treated as an exotic backdrop for a Japanese romantic fantasy, paralleling the way Western works of fiction have treated Japan".[59] Jennifer Berman of THEM Anime gave the adaptation five out of five stars, praising its historical fiction elements but noting that its 1970s-style animation defined by "pointy chins" and "big sparkly eyes" may be unappealing to contemporary viewers.[60]
Impact

The Rose of Versailles was a significant commercial success upon its release. The social phenomenon of its popularity among Japanese audiences in the early 1970s is referred to as the "beru bara boom" (ベルバラブーム, berubara būmu; as derived from the original Japanese title Berusaiyu no Bara).[61] By 2022, collected volumes of The Rose of Versailles had sold over 23 million copies worldwide.[62] Manga artist Moto Hagio notes that the commercial success of The Rose of Versailles influenced Japanese manga publishers to routinely publish serialized manga in the tankōbon format.[63] The series is credited with contributing to Japanese interest in French culture and popularizing the Palace of Versailles as a destination for Japanese tourists;[64] its impact in promoting French history and culture was such that Ikeda was awarded the Legion of Honour by the French government in 2009.[65]
The serie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shōjo manga as a medium. Susan J. Napier notes that Oscar's characterization as a "complex and three-dimensional" female character who contrasted the "traditional demure and subdued idea of Japanese womanhood" heavily influenced how female characters were portrayed in shōjo media subsequent to The Rose of Versailles' release.[1] Oscar inspired multiple other "feisty cross-dressing heroines" in manga and anime, in series such as Hayate × Blade and Revolutionary Girl Utena.[1][16] The series was additionally one of the primary works responsible for shōjo manga's shift from a genre aimed at children to a genre aimed at adolescents.[66] This shift is reflected directly in the plot of the story itself, which progresses from a frivolous and light-hearted tone to a serious tone focused o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Notably, the often brutal and violent deaths of the series' characters are permanent; this was a new paradigm in shōjo manga at the time, where it was common to bring deceased characters back to life using plot contrivances.[17]
The success and notability of The Rose of Versailles has been sustained in the decades subsequent to the release of the manga through its various adaptations, notably the Takarazuka Revue musical adaptations. The musicals have been credited with popularizing Ikeda and The Rose of Versailles in Japan among the general public;[67] by 2014, Takarazuka musical adaptations of The Rose of Versailles have been performed roughly 2,100 times to an estimated audience of over 5 million.[68]
Sequels and spin-offs
Following the conclusion of The Rose of Versailles, Ikeda produced the following works:
- The spin-off manga series The Rose of Versailles: Gaiden (ベルサイユのばら 外伝, Berusaiyu no Bara Gaiden). It focuses on characters from the original series in stories unrelated to the events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introduces Oscar's niece Loulou de la Laurencie. It was serialized in Margaret from 1984 to 1985.[69]
- The sequel manga series Eikou no Napoleon – Eroica. The series focuses on the First French Empire under the reign of Napoleon Bonaparte and features several characters from The Rose of Versailles in supporting roles, notably Rosalie, Bernard and Alain de Soissons. It was serialized in Margaret from 1986 to 1995.[70]
- The parody manga series Beru Bara Kids (ベルばらKids). It was serialized as a series of four-panel yonkoma comics in the newspaper The Asahi Shimbun from 2005 to 2013.[71]
Notes
References
- Davidson, Danica (October 30, 2012). "Making History: The Rose of Versailles".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9, 2021. Retrieved June 9, 2019.
- McKnight 2010, p. 132.
- Shamoon 2012, pp. 123–125.
- Nakagawa 2019.
- Anan 2014, p. 52.
- Shamoon 2012, p. 102.
- Hemmann 2020, p. 10.
- Toku 2004.
- Shamoon 2012, p. 123.
- Nishimura-Poupée 2013, p. 242.
- Shamoon 2012, p. 120.
- Nishimura-Poupée 2013, p. 240.
- Shamoon 2012, p. 121.
- Chen, Nick (July 30, 2021). "Björn Andrésen on being 'The Most Beautiful Boy in the World'". Daz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31, 2023. Retrieved October 31, 2023.
- Shamoon 2012, p. 125.
- Thompson 2010.
- Shamoon 2012, p. 127.
- McKnight 2010, p. 127.
- Ikeda 2019, Preface.
- "「ベルばら」新作を描き下ろし!マーガレット創刊50周年で". Comic Natalie (in Japanese). Natasha, Inc. April 5, 2013. Retrieved May 8, 2021.
- "「ベルサイユのばら」ロザリー編完結、「ポーの一族」とのリンクも明らかに". Comic Natalie (in Japanese). Natasha, Inc. February 2,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2, 2021. Retrieved April 12, 2021.
- Schodt, Frederik L. "Translations of Manga". Jai2.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7, 2013. Retrieved October 20, 2016.
- Schodt 2012, pp. 216–237.
- Hodgkins, Crystalyn (July 11, 2015). "Udon Entertainment Adds Rose of Versailles Manga".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3, 2021. Retrieved April 13, 2021.
- "North American Anime, Manga Releases, January 26-February 1".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7, 2023. Retrieved February 19, 2023.
- Mateo, Alex (April 20, 2021). "North American Anime, Manga Releases, April 18–24".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1, 2021. Retrieved August 15, 2021.
- Shamoon 2012, pp. 104, 120.
- McKnight 2010, p. 131.
- Ikeda 2011, Preface.
- Anan 2014, p. 59.
- McKnight 2010, p. 120.
- McKnight 2010, p. 125.
- Anan 2014, pp. 51–52.
- Anan 2014, p. 46.
- Anan 2014, p. 51.
- Nishimura-Poupée 2013, p. 241.
- Anan 2014, p. 43.
- Anan 2014, p. 49.
- Yuasa, Hiroyuki (August 2020). ベルサイユのばら アニメ大解剖. Sanei. pp. 124–125. ISBN 9784779641923.
- "NHKアニメワールド ベルサイユのばら". NHK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30, 2021. Retrieved May 14, 2021.
- Cardine, Kyle (September 14, 2020). "Discotek Announces The Rose of Versailles, Hajime no Ippo and More Releases". Crunchyro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5, 2021. Retrieved May 14, 2021.
- Mateo, Alex (April 3, 2025). "TMS Entertainment Streams N. American Premiere of Big X Anime's 11th Episode on YouTube". Anime News Network. Retrieved June 17, 2025.
- "ベルサイユのばら 生命あるかぎり愛して". Amazon Japan (in Japanese). May 21, 198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0, 2024. Retrieved May 14, 2021.
- Loo, Egan (November 29, 2007). "The Rose of Versailles Film Remake's Date to be Announced". Anime News Network. Retrieved May 14, 2021.
- Loo, Egan (September 6, 2022). "Rose of Versailles Manga Gets New Anime Film".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6, 2022. Retrieved September 6, 2022.
- Cayanan, Joanna (October 7, 2024). "New The Rose of Versailles Anime Film Reveals January 31 Premiere".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8, 2024. Retrieved October 8, 2024.
- "Interview: Riyoko Ikeda Reflects on Gender Inequality in Her 20s and Staying True to Her Beliefs". Japan Anime News powered by ORICON NEWS. January 24, 202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30, 2025. Retrieved January 29, 2025.
- Tai, Anita (July 1, 2024). "New Rose of Versailles Anime Film's 2nd Teaser Unveils Cast, Staff, Early 2025 Opening".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 2024. Retrieved July 1, 2024.
- Cayanan, Joanna (November 21, 2024). "New The Rose of Versailles Anime Film's Main Trailer Reveals Theme Song by Ayaka". Anime News Network. Retrieved December 27, 2024.
- Mateo, Alex (April 2, 2025). "Netflix to stream new The Rose of Versailles anime film on April 30".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4, 2025. Retrieved August 5, 2025.
- Brau 1990, p. 80.
- Cavaye & Senda 2004, p. 246.
- "[REVIEW] Preview gala sets stage for grand premiere of 'La Rose de Versailles' musical". koreatimes. December 4, 2023. Retrieved November 14, 2024.
- Shamoon 2007, p. 13.
- "FROGMAN's 1st The Rose of Versailles Parody Short Streamed". Anime News Network. November 18,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9, 2019. Retrieved September 6, 2017.
- Loo, Egan (September 3, 2017). "Rose of Versailles Gets Screen Adaptation, Game in School Setting".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4, 2021. Retrieved May 14, 2021.
- "Love Songs Abound on Rose of Versailles Dating Sim Soundtrack". Crunchyroll. March 28,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0, 2024. Retrieved May 14, 2021.
- Davidson, Danica (September 29, 2020). "The Rose of Versailles Volumes 1-2 Are a Shojo Epic". Otaku US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0, 2024. Retrieved May 18, 2021.
- Solomon, Charles (September 18, 2013). "Anime Review: "The Rose of Versailles"". IndieWi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1, 2020. Retrieved May 18, 2021.
- Berman, Jennifer. "Rose of Versailles". THEM Anime Revi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2, 2019. Retrieved May 18, 2021.
- Shamoon 2007, p. 3.
- "『eBookJapanで「この少女マンガがすごい!」特集公開 黄金時代の少女マンガをランキング形式で紹介 1位は、少女マンガの代名詞 不朽の名作『ベルサイユのばら』(池田理代子)". PR Times. June 16,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2, 2022. Retrieved November 22, 2022.
- Thorn, Rachel (2005). "The Moto Hagio Interview". The Comics Journal (269). Seattle: Fantagraphics Books: 13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9, 2007.
- Nishimura-Poupée 2013, p. 244.
- Nishimura-Poupée 2013, p. 245.
- Shamoon 2012, p. 101.
- Nishimura-Poupée 2013, p. 243.
- Anan 2016, p. 137.
- Shamoon 2012, p. 154.
- McKnight 2010, p. 121.
- "「ベルサイユのばら展」初公開のセル画や原画など約300点". Comic Natalie (in Japanese). Natasha, Inc. September 5,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8, 2021. Retrieved May 18, 2021.
Bibliography
- Anan, Nobuko (2014). "The Rose of Versailles: Women and Revolution in Girls' Manga and the Socialist Movement in Japan" (PDF). Journal of Popular Culture. 47. Wiley: 41–63. doi:10.1111/jpcu.12107.
- Anan, Nobuko (2016). "Citizen Girls". Contemporary Japanese Women's Theater and Visual Arts: Performing Girls' Aesthetics. Palgrave Macmillan. ISBN 978-1-349-55706-6.
- Brau, Lorie (1990). "The Women's Theatre of Takarazuka". TDR. 34 (4).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95. doi:10.2307/1146045. JSTOR 1146045.
- Cavaye, Ronald; Senda, Akihiko (2004). A Guide to the Japanese Stage: From Traditional to Cutting Edge. Translated by Paul Griffith. Kodansha International. p. 288. ISBN 4-7700-2987-X. OCLC 6088382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0, 2024. Retrieved October 29, 2016.
- Hemmann, Kathryn (2020). Manga Cultures and the Female Gaze. London: Springer Nature. ISBN 978-3-030-1809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0, 2024. Retrieved May 14, 2021.
- Ikeda, Riyoko (2011). La Rose de Versailles vol. 1 (in French). Kana. ISBN 978-2-505-00949-8.
- Ikeda, Riyoko (2019). La Rose de Versailles vol. 4 (in French). Kana. ISBN 978-2-505-07049-8.
- McKnight, Anne (2010). "Frenchness and Transformation in Japanese Subculture, 1972-2004". Mechademia. 5.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18–137.
- Nakagawa, Yusuke (2019). "「ポーの一族」「ベルサイユのばら」-新しい少女マンガが同時多発". Gentosha Plus (12). Gentosh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1, 2019.
- Nishimura-Poupée, Karyn (2013). "La Rose de Versailles: Marie-Antoinette, une reine martyre mangaïsée". Histoire du Manga: L'école de la Vie Japonaise (in French). Éditions Tallandier. ISBN 979-1-02100-216-6.
- Shamoon, Deborah (2007). "Revolutionary Romance: The Rose of Versailles and the Transformation of Shojo Manga". Mechademia. 2: 3–17. doi:10.1353/mec.0.0009. S2CID 121163032.
- Shamoon, Deborah (2012). "The Revolution in 1970s Shōjo Manga". Passionate Friendship: The Aesthetics of Girl's Culture in Jap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3-542-2.
- Subramian, Erin (2008). "Women-Loving Women in Modern Japan". Yuric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6, 2011.
- Toku, Masami (2004). "The Power of Girls' Comics: The Value and Contribution to Visual Culture and Society". Visual Culture Research in Art and Education. Chico: California State University, Chic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4, 2018. Retrieved May 14, 2021.
- Thompson, Jason (May 6, 2010). "Jason Thompson's House of 1000 Manga: The Rose of Versailles". Anime News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1, 2021. Retrieved April 13, 2021.
- Schodt, Frederik L. (2012). Manga! Manga! The World of Japanese Comics. Kodansha USA. ISBN 978-1568364766.
External links
- The Rose of Versailles (manga) at Anime News Network's encyclopedia
- The Rose of Versailles (anime) at Anime News Network's encyclopedia
베르사이유의 장미

![]() ベルサイユのばら | ||
![]() | ||
장르 | 역사, 드라마, 로맨스 | |
---|---|---|
만화: 베르사이유의 장미 | ||
작가 | 이케다 리요코 | |
작화 | 이케다 리요코 | |
출판사 | ![]() ![]() | |
연재 잡지 | ![]() | |
레이블 | ![]() | |
연재 기간 | ![]() | |
권수 | 10권 | |
TV 애니메이션: 베르사이유의 장미 | ||
원작 | 이케다 리요코 | |
감독 | 나가하마 다다오 (1화 ~ 18화) 데자키 오사무 (19화 ~ 40화) | |
제작 | TMS 엔터테인먼트 | |
방송사 | ![]() | |
| ||
등급 | 15세관람가 | |
방영 기간 | ![]() ![]() 2011년 2월 28일~2011년 5월 30일 (EBS1)~현재 | |
화수 | 40화 | |
틀 - 토론 |
《베르사이유의 장미》(ベルサイユのばら 베루사이유노바라[*])는 일본의 만화가인 이케다 리요코가 창작한 만화이다.
1972년부터 1973년까지 일본 슈에이샤의 소녀 만화 잡지 《주간 마가렛》에 연재되었으며, 혁명 전후의 프랑스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역사 소설 작가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유의 장미》(독일어: Marie Antoinette. Bildnis eines mittleren Charakters)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1979년부터 1980년까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총 40편으로 방영되었다. 원래 애니메이션 감독은 데자키 오사무가 맡기로 되어 있었으나 원작자 이케다 리요코와의 이견 충돌로 1화에서 18화까지 나가하마 다다오가 감독을 맡았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이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자 이케다 리요코가 데자키 오사무에게 사과하여 19화부터 41화까지 데자키 오사무가 감독을 하였다.[1] 1974년부터 여성들만 출연하는 노래극인 다카라즈카 가극으로도 상연되고 있다.
배경이 된 프랑스에서도 인기를 얻어 1974년에 영화 《쉘부르의 우산》(프랑스어: Les Parapluies De Cherbourg)의 자크 데미(Jacques Demy) 감독이 《레이디 오스카(Lady Oscar)》이란 영화로 만들기도 했으나 흥행 성적은 좋지 않았다.
대한민국에서도 1980년대 해적판으로 만화판이 발행되었고, 1993년 한국방송공사에서 애니메이션이 방영되었다. 2011년에는 EBS에서도 방영하였으며, 성우진은 KBS와는 달리 전부 교체되었다. 정식 한국어판은 대원씨아이에서 2001년에 발행하였다. 2009년 외전 포함 총 9권으로 완전판이 발행되었다.
줄거리
요약 설명
줄거리는 주인공 오스칼이 절대 왕정 하에서 비참하게 생활하는 프랑스 민중의 현실을 깨닫고 혁명에 동참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또 다른 주요 줄거리는 마리 앙투아네트와 페르젠의 사랑 이야기다. 목걸이 사건과 폴리냑 백작 부인의 등장은 바스티유 감옥 습격사건과 더불어 줄거리의 개연성을 더해주며, 허구의 인물인 오스칼과 동료들은 각자 이런 역사적 사건에 나름의 해석을 내리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설명
오스칼의 유년 시절
사회의 모순을 경험하는 민중들에 의해 시민 혁명이 일어나기 직전의 프랑스. 오스칼은 아들을 원했던 아버지에 의해 어릴 적부터 남장을 하고 검술과 승마를 익힌다. 오스칼의 호위이자 몸종인 앙드레는 오스칼 유모의 손자로 어릴 적부터 오스칼의 검술 상대를 하며 신분의 차이는 있었지만 친한 친구로 지낸다.
근위대장 복무
오스칼은 프랑스 왕가의 근위대장으로 복무하면서 어린 나이에 시집온 황태자비 마리 앙투아네트를 섬기는 일을 맡는다. 그 즈음, 마리 앙투아네트는 프랑스에 유학 온 스웨덴 귀족 페르젠과 사랑에 빠진다. 둘의 관계를 지켜보던 오스칼은 루이 15세가 천연두로 서거한 후, 왕비로 등극한 마리 앙투아네트가 스캔들에 휘말릴 것을 염려해 페르젠에게 국외로 떠날 것을 요청한다.
페르젠이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러 프랑스를 떠나자 마리 앙투아네트는 상사병에 걸리고 만다. 왕비는 값비싼 보석과 드레스를 사들이고 매일 밤 가장 무도회에 도박까지 손대며 애인에 대한 그리움을 채우려고 한다. 그러나 왕비의 사치는 세금을 더욱 과중하게 만들었고 프랑스 민중들은 교회에 바치는 십일조와 세금 모두를 내느라 기아에 허덕여야 했다.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의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도 화려한 드레스로 자신을 꾸민 딸의 천박한 모습을 보면서 걱정한다.
프랑스 대혁명
바스티유 감옥의 포대가 시가지를 향한 것을 보면서 불안해 하던 파리 시민들이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하면서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난다. 그러나 군대의 규칙과 법으로 엄격하게 훈련된 정부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덜 조직적이고 화력에서 열세였던 시민들은 정부군의 진압에 밀리게 되고, 이것을 본 오스칼과 파리 위병대는 군인으로서의 지위를 이용하여 시민들이 조직적으로 싸울 수 있게 돕는다. 전투 도중 오스칼은 총탄에 맞아 전사하고 앙시앵 레짐의 상징인 바스티유 감옥은 시민들에게 함락된다.
이후 혁명의 불길은 베르사유 궁전까지 번져, 시민들은 증오의 대상인 마리 앙투아네트와 왕실 가족을 잡으려 혈안이 된다. 왕과 왕비는 파리에서 반 연금 생활을 하다 국외 탈출(바렌느 사건)을 시도하지만 실패하고 결국 단두대에서 처형된다.
등장인물
주요 인물
- 씩씩한 여장부이다. 딸만 있는 백작 집안에서 태어나, 군인인 아버지 자르제 프랑스 육군 대령이 검술을 가르치는 등 따님을 아들처럼 키웠다. 씩씩한 아들을 키우고 싶었던 욕심을 따님인 오스칼에게 투영한 것. 만나는 사람마다 아름답다는 말을 빼놓지 않을 정도로 남녀노소, 사회계급을 막론하고 사랑을 받는 미녀. 또한 검술, 사격, 승마 등 무인으로서의 능력은 기본이고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동아시아의 한자처럼 학식이 깊은 엘리트들이 쓰는 학문언어인 그리스어, 라틴어 등 6개국어 능력과 바이올린, 피아노, 콘트라베이스 등 악기도 잘 다루는 등 팔방미인. 동전 한 닢 가지고 다니지 않을 정도로 청렴결백하며, 낮은 신분의 사람들을 도와주는 따뜻한 성품을 지녔다. 백작 집안 출신의 군인으로 사관학교를 조기 졸업하고, 근위대장 시절 황태자비인 마리 앙투아네트와 가까운 친구 사이가 되었으며, 천연두로 승하한 시아버지 루이 15세의 첩이 성매매 여성출신이라는 사실에 깊은 혐오감을 느끼는 마리를 보면서 '이분은 여왕으로서 기품이 있으시다'라고 감탄했다. 로잘리의 첫사랑이며, 부하 군인인 제로델의 짝사랑 상대이다.
- 마리 앙투아네트의 총애로 근위연대장이자 여백작 지위로 임명되지만, 흑기사 사건 이후 사임하고 프랑스 위병대로 옮긴다. 한때 페르젠을 짝사랑을 했지만, 단념하고 후에 항상 자신의 곁에 있던 앙드레를 사랑한단 걸 깨닫는다. 군법을 존중하는 강직한 군인이지만, 안하무인인 귀족들을 "귀족이 평민들에게 본을 보이지 못한다","철없는 어린이를 죽이다니"라며 비판할 정도로 싫어하고, 평민들의 피폐한 생활을 겪게 된 후 아버지와 갈등하다 프랑스 평민의 비참한 현실을 깨닫고 혁명에 가담한다. 바스티유 습격 당시 혁명군 편에서 포격을 지휘하다가 적군이 쏜 총탄에 전사한다.
- 앙드레 그랑디에(André Grandier)
- 자르제 가문의 하인으로, 오스칼을 돌봐온 유모의 손자이다. 오스칼과는 어릴 적부터 같이 자라 신분은 다르지만 친구처럼 지내왔다. 신분의 차이 때문에 오스칼을 사랑하는 마음을 숨기고 곁에 머물면서 함께한다. 흑기사 사건 때 오스칼을 대신해 가짜 흑기사 역을 하다 한쪽 눈을 실명하고 결국 양쪽 눈 모두 실명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오스칼은 앙드레가 실명한 것을 알고 있었고, 앙드레도 이를 느끼지만 서로 모르는 척 해주는 장면이 있다. 앙드레의 초상화를 화가가 그려서 가져왔는데, 이를 본 앙드레가 보이지도 않으면서도 감상하는 척하고, 오스칼은 앙드레가 마음이 상할까봐서 눈물을 흘리며 맞장구를 쳐 주는 선의의 거짓말을 한 것이다. 오스칼이 위병대로 옮기자 자신도 위병대에 입대한다. 앙드레의 사랑은 결국 오스칼에게 받아들여져 둘만의 결혼식을 올리지만 혁명에 가담하다가 적군의 총탄에 맞아 전사한다.
- 마리 앙투아네트(Marie Antoinette)
- 오스트리아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의 막내 공주. 다정한 성격이지만 철이 없다. 어린 나이에 정략 결혼으로 프랑스 왕가에 시집와 앞으로 닥칠 운명을 예견하듯 첫날부터 문화적인 차이로 갈등을 겪는다. 남편인 루이 16세에게 그다지 사랑을 느끼지 못하다가, 스웨덴 귀족 페르젠과 밀회를 하기도 한다. 비참한 생활을 하던 프랑스 민중들에게 외국인이자 여성인 마리는 증오심의 표적이 되고, '목걸이 사건'을 계기로 증오는 극에 달한다. 혁명이 발발한 후 탕플 탑에 갇혀 있다가 단두대에서 시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사형을 당했다. 오스칼과는 친구 사이로, 오스칼이 논리적인 제안을 하면 귀담아 듣는다. 귀족들이 자신들의 수탈로 비참한 삶에 빠진 민중들의 처지를 알게 될 것을 두려워하여 알현을 금한 적이 있다. 오스칼은 언권을 청한 뒤 "두 분이 알현을 하셔서 민중들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으신다면 민중들이 두 분을 존경할 것입니다."라고 제안하자, 마리와 루이 16세는 오스칼의 말을 존중하여 민중들을 만난다.
- 한스 악셀 폰 페르젠(Hans Axel von Fersen)
- 마리 앙투아네트의 정부. 한때 오스칼의 첫사랑이기도 하다. 스웨덴의 귀족으로 유학차 프랑스를 방문했다가 가장무도회에서 마리 앙투아네트와 사랑에 빠진다. 마리 앙투아네트가 왕비가 되자 스캔들을 피해 프랑스를 떠나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지만 후에 돌아와 왕당파로서 왕비의 곁을 지킨다. 왕비가 죽은 후 민중을 증오하여 독재를 하다가 혁명이 일어나 민중에게 피살된다.
주변 인물
- 플로리안 빅토르 클레망 드 제로델 (Florian Victor Clement de Gerodelle)
- 근위대 소속의 백작집안 출신이자, 오스칼의 보좌관.
- 오스칼보다 2살 연하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여자와의 근위대장직을 두고 대결하는 걸 찜찜해 여기나 오스칼이 (근위대장을 하고 싶지 않으면서 무인으로서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먼저 검술 대결을 신청하지만 제로델이 패해서 루이 15세에게 오스칼이 근위대장을 해야한다고 강력하게 요청한다. 반면 만화책에서는 어릴때 오스칼에게 키가 작다는 말로 자존심 상했고, 오스칼이 사관학교에 들어간단 소식을 듣고 제로델이 먼저 검술 대결 신청했지만 제로델이 패했다. 초반에비중이 없었지만 중반에 들어서 오스칼에게 청혼을 한다. 오스칼을 처음 봤을 때부터 반했던 듯하다. 만화책에선 아버지 자르제 장군은 반색을 하며 기뻐하고 오스칼도 (청혼하는 귀족들을 물리치려고 무도회 망친 후) 조금은 마음이 흔들리고 키스까지 갈 뻔 했다가 오히려 앙드레에 대한 마음을 깨닫고 거절한다.
- 애니메이션에서는 틈만 나면 오스칼을 찾아와 청혼하지만 오스칼은 한결같이 단호하게 거절한다. 애니메이션에서나 만화책에서나 똑같이 오스칼의 거절에 물러나지만 후에 반역자와 반역자를 잡으러 온 왕실 근위대 소속 무관으로 다시 만나게 된다. 오스칼에게 거절을 당했지만 오스칼을 계속 사랑해서 당신에게 손을 대느니 차라리 반역자가 되겠다고, 지금 물러가는 것은 당신에 대한 단 하나의 사랑의 증표라며 검을 거두고 퇴각했다. 에피소드편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다른 나라로 잠시 도피했다가 페르젠의 여동생 소피가 말리는데도 오스칼이 혁명에 참가한 이유를 알기 위해 프랑스로 돌아왔다가 단두대에 처형된 것으로 보인다.
- 로잘리 라 몰리에르(Rosalie La Morlière)
- 귀족 부인의 마차에 치어 어머니가 죽자 어머니의 복수를 결심한다. 로잘리의 어머니는 죽기 전 로잘리의 친어머니가 '마르티느 가브리엘'이라는 귀족 부인이라는 유언을 남긴다. 오스칼의 어머니를 어머니의 원수로 착각하여 복수를 하려 하지만 오스칼에게 저지당한다. 사정을 들은 오스칼은 로잘리의 양어머니의 원수를 찾는 동시에 로잘리의 친어머니를 찾는 것을 돕기로 한다. 자르제 가에 머물면서 오스칼에게 사랑을 느끼기도 한다. 오스칼과 함께 간 사교파티에서 양어머니의 원수가 폴리냑 백작 부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사실 마르티느 가브리엘은 폴리냐크 백작부인의 옛 이름으로, 백작부인은 로잘리의 원수인 동시에 친어머니였다. 진실을 알게 된 로잘리는 자르제 가를 떠나고, 베르나르 샤틀레의 아내가 된다.
- 폴리냐크 백작 부인(Duchess Julie de Polignac)
- 궁정 가수로 마리 앙투아네트의 환심을 산 뒤 권력을 손에 쥔다. 로잘리 양어머니의 원수이지만 로잘리의 친어머니이기도 하다. 자신의 궁정 내 세력을 넓히기 위해 어린 딸 샤를로트를 롤랑공드과기결혼시키려 하지만 샤를로트의 자살로 실패로 돌아간다. 또다른 딸인 로잘리를 협박하여 자신의 집으로 데려오지만 로잘리가 달아나는 바람에 이용하는 데는 실패한다. 후에 마리 앙투아네트가 멀리해서 권력이 약화된다.
- 잔 발루아 드 라 모트(Jeanne Valois de la Motte)
- 로잘리 양어머니의 친딸로 로잘리의 이복 언니이자, '목걸이 사건'을 일으킨 주범이다. 로잘리와 함께 자랐으나 가난에 환멸을 느껴 집을 나온다. 거리에서 불랭빌리에 후작 부인(Marquise Boulainvilliers)을 만나, 그녀에게 자신이 발루아 가의 핏줄이라고 하고 후작 부인의 집에서 보살핌을 받게 된다. 후작 부인의 호의로 교양을 익힌 잔은 결혼을 약속한 니콜라스와 함께 집에 불을 질러 후작 부인을 살해하고 유서를 조작해 유산을 손에 넣는다. 돈으로 백작 부인의 작위를 산 잔은 궁정에 출입하게 되지만 왕비의 관심을 끄는 데에는 실패한다. 이후 왕비의 친구라는 거짓말로 로앙 추기경을 속여 160만 리브르에 달하는 다이아 목걸이를 손에 넣지만 결국 사기 행각이 들통나 체포된다. 법정에서 유죄를 선고받고 투옥되지만 후에 탈옥하여 외국에서 회고록을 내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그 뒤, 오스칼이 있는 근위대에 의해 체포될 위기에 처하자 니콜라스가 폭탄을 터트려 함께 죽게된다.
- 니콜라스 드 라 모트(Nicolás de la Mott)
- 잔의 남편. 오스칼의 지휘를 받는 군인이었으나 불성실한 태도로 오스칼의 눈총을 받았다. 아내인 잔과 함께 각종 악행을 저지르다 죽음을 맞는다.
- 루이 16세(Louis XⅥ)
- 마리 앙투아네트의 남편. 루이 15세의 손자로 마리 앙투아네트와 결혼할 당시에는 황태자의 신분이었다. 할아버지의 죽음으로 프랑스의 국왕이 된다. 국왕으로서의 책임감이 있어서 루이 15세의 서거가 임박하자 매우 두려워한다. 왕비와는 달리 검소하고 소박한 성품을 지녔지만 우유부단한 면모도 있다. 프랑스 혁명으로 단두대에서 처형된다.
- 알랭 드 수아송(Alain de Soisson)
- 몰락한 귀족출신 프랑스 민병대 병사로 일반 병사들 사이에선 리더 역할을 하고 있다. 다혈질적인 성격으로 처음에는 귀족 여자인 오스칼을 상관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비아냥대고 깔보지만, 상관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병사들을 처벌하지 않고, 총살형에 처하게 될 때 구해주고, 민중의 마음을 헤아리는 오스칼을 사랑하게 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혁명 이후 농사지으며 묵묵히 사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반면 프랑스 혁명 이후 나폴레옹 제정까지를 다룬 작가의 후속작 《에로이카의 사랑을 담아서》에서는 계속 프랑스 위병 장교로 복무하며, 로잘리가 다른 여자를 소개시켜 주려해도 거절하며 오스칼을 잊지 못하고 죽을 때까지 독신으로 살아가는 순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처음에는 나폴레옹을 지지하고 그를 따랐으나 그가 독재의 길을 걷자 베르나르와 함께 암살에 나섰다가 목숨을 잃는 것으로 묘사된다.
- 베르나르 샤틀레(Bernard Châtelet)
- 파리의 신문 기자로, 귀족의 사생아이다. 귀족을 증오해 무도회를 노려 보석 등을 훔치는 흑기사로 활약하나, 오스칼에게 체포된 이후, 그를 대하면서 귀족에 대한 편견을 바꾸게 된다. 오스칼의 도움 요청에 도와주기도 하며, 후에 로잘리와 결혼하게 된다. 카미유 데물랭을 모델로 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 생 쥬스트 (Saint-Just)
- 로베스피에르를 숭배하는 젊은 혁명가. 과격한 자코뱅당원이었던 것으로 유명하지만 만화책 내에서는 베르나르 샤틀레의 집에 숨어사는 식객 정도로만 등장한다. 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오스칼을 죽이려하거나 오스칼의 아버지인 자르제 백작에 총을 쏘는 등 온갖 악한 짓을 다한다.
- 루이 드 로앙 추기경(Cardinal de Rohan)
- 스트라스부르의 명문 출신이나 로마 가톨릭 고위 성직자로서는 지나치게 방탕한 성격인 탓에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는 그를 대단히 혐오하고 있었고 그 영향으로 딸인 마리 앙투아네트도 그를 멀리했다. 당시 로앙은 왕비의 환심을 사고 싶었지만 이미 마리 앙투아네트의 미움까지 받고 있었기 때문에 어떻게든 왕비의 마음을 돌리고 싶어했고, 결국은 잔느의 회유에 넘어가 목걸이 사건에 휘말리지만 무죄판결을 받는다. 프랑스 대혁명 이전 프랑스 교회의 타락상을 보여주는 상징적 인물.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éon Bonaparte)
- 프랑스군 위병으로 코르시카섬 출신 에니에서는 등장하지 않았지만 만화책에서는 오스칼과 잠시 스치는 장면이 나온다. 후에 그는 프랑스의 황제가 되는데 오스칼은 그가 제왕의 눈을 가졌다는 걸 알아봤다.
단행본 부제
베르사유 장미
![]() |
베르사유 장미 Rose de Versailles (la) Lady Oscar![]() ![]() ![]() | |
---|---|
![]() | |
장르 | |
만화 | |
작성자 | 이케다 리요코 |
출판사 | 슈에이샤 |
게재지 | 주간 마가렛 |
라벨 | 마가렛 만화 |
발표호 | 1972년 21호 - 1973년 52호 |
발표 기간 | 1972년 -1973 년 |
권수 | |
기타 | 부정기 게재 |
애니메이션 | |
원작 | 이케다 리요코 |
총 감독 | 나가하마 타다오 (제1화-제13화) 데자키 통 (제19화-제40화) |
각본 | 시노자키 요시 , 야마다 마사히로, 스기에 케이코 |
캐릭터 디자인 | 아라키 신고 , 히메노 미치 |
음악 | 마키노 야스지 |
제작 | 도쿄 무비 신사 |
방송국 | 일본 TV 계열 |
방송 기간 | 1979년 10월 10일 - 1980년 9월 3일 |
이야기 수 | 전 40화 + 총집편 1화 |
템플릿 - 노트 | |
프로젝트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털 | 만화 , 애니메이션 |
「베르사유 의 장미」는, 이케다 리요코 에 의한 만화 작품. 통칭 「벨 장미」. 프랑스 혁명 전부터 혁명 전기의 베르사유를 무대로 남장의 여인 오스칼 과 프랑스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등의 인생을 그리는 픽션 작품. 프랑스 본국에서는 ' Rose de Versailles (la) ', 영어권에서는 ' Lady Oscar '의 타이틀로 번역되어 있다.
이 항목에서는, 슈에이 샤 의 마가렛 코믹스 제1권부터 제10권까지를 「본편」, 제10권의 「외전」을 「흑의」, 제11권 이후의 「신 에피소드(에피소드편)」를 「신」, 실업지 일본 사의「외전」을 「외전」, 아사히 신문 출판 의 「벨
개요
1972년 21호부터 1973년 52호까지 『주간 마가렛』( 슈에이샤 )에서 연재. 프랑스·부르본 조후기, 루이 15세 말기부터 프랑스 혁명 에서의 앙투아네트 처형까지를 그리고 있다. 전반은 오스카르와 앙투아네트의 두 사람을 중심으로 그렸고, 중반 이후에는 오스카르를 주인공으로 프랑스 혁명에 이르는 비극을 그렸다.
다카라즈카 가극단에 의한 무대 화의 대성공이 작품의 히트에 박차를 가해 사회 현상 화. 1970년대 말에는 실사 영화 나 TV 애니메이션 등이 제작되었다.
오스트리아 의 작가 슈테판 츠바이크 [ 주석 2 ] 의 소설『마리 앙투아네트』[ 1 ] 에 감명을 받은 이케다가 이 소설을 (사실 부분의 대부분 은 번역문에서) 참고로 그린 작품. 작중에서 그려진 오스칼의 프랑스 위병대 베르사유 상주부대장 시대의 군복은 프랑스 혁명기의 것이 아니라, 보다 호화로운 날카로운 나폴레옹 제정기의 것을 기초 로 했다고 한다 [ 2 ] [ 3 ] .
신서판·문고판·애장판 등 많은 단행본이 발매되어 현재는 문고간행 15주년 기념의 신장판이 발매중.
2014년 8월 25일에 슈에이샤로부터 40년 만에 새로운 에피소드의 단행본이 발매된다 [ 4 ] [ 주석 1 ] . 『신 에피소드』에서는 앙드레편을 잡지 게재시부터 15페이지 가필 [ 5 ] . 또한 2014년 7월 1일 마가렛 코믹스 1-10권을 복각 발매했다 [ 5 ] .
2013년 12월 시점에서 누계 발행 부수는 2000만부를 돌파하고 있다 [ 6 ] .
2022년에 50주년을 맞이함에 있어서, 그것을 기념한 전람회 “탄생 50주년 기념 베르사유의 장미전 「벨 장미는 영원히」를 같은 해 9월 17일부터 11월 20일까지 도쿄· 롯폰기 힐즈 모리 타워 52층의 도쿄 시티뷰(전망대)에서 개최, 같은 해 11월 30일부터 12월 12일까지 오사카·한큐 우메다 본점 에서 개최되어, 차년도 2023년 6월 18일. [ 7 ] [ 8 ]
2022년 9월 7일, 탄생 50주년을 기념한 완전 신작의 극장 애니메이션의 제작이 발표 [ 9 ] . 2025년 1월 31일에 공개되었다 [ 10 ] .
줄거리
1755년 , 유럽의 3개국에, 곧 프랑스 의 베르사유 에서 숙명적인 만남을 기다리게 되는 3명이 태어났다. 마리 앙투아네트 , 한스 액셀 폰 페르젠 , 그리고 오스칼 프란소와 드 자르제이다 .
1770년 봄. 오스트리아 제국 합스부르크 가문 의 황녀 마리 앙투아네트는 14세에 프랑스 부르봉 가문에 며느리 왔다. 왕태자비를 호위하는 근위사관 오스카르 프랑소와 드 자르제는 유서 있는 장군가의 막내딸이면서, 후계로서 검도 학문도 수련해, 남자로서 키워진다. 이국의 궁정에서 외로움을 깊게 하는 앙투아네트는 파리 오페라 자리의 가면무도회에서 스웨덴의 타카코코 페르젠 백작과 알게 되어 사랑에 빠진다. 3명은 모두 18세. 운명의 만남의 밤이었다.
국왕 루이 15세 서거에 의해 손자의 루이 16세가 즉위. 앙투아네트는 프랑스의 왕비가 되었다. 자기의 영달만을 바라는 사람들에 둘러싸여, 세련되고 놀고 좋아하는 왕비의 낭비만은 국가의 재정난에 박차를 가해 버린다. 중세와 빈곤에 시달리는 프랑스 민중의 비난의 눈은 오랜 세월의 적대국이었던 오스트리아에서 며느리 왕비를 향해 접어들었던 페르젠과의 불륜의 소문은 더욱 그 증오를 부추겼다. 거기에는 약간의 추측과 국왕의 힘을 약화시키려는 귀족의 악의를 참으로 받은 오해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증오를 부풀리는 민중의 눈에는 왕비가 원흉이라고 밖에 비추지 않았다. 길이 없는 사랑에 시달리는 두 사람을 지켜보는 오스카르도 또 숨겨진 사랑을 견디고 있었지만, 오스카루는 그런 자신에게 신분 때문에 마음을 입으로 하는 것조차 못하고 그리워하는 앙드레의 마음에 미진도 눈치채지 못했다.
궁정 속의 귀부인의 동경적인 오스카르의 첫 사랑, 왕비의 연인 페르젠에 대한 편사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녀의 슬픔을 부드럽게 지켜보는 오스카르의 유모의 손자 앙드레 그란디에. 오스카루는 어릴 때부터 형제 이상으로 영혼을 맞대고 청춘의 모든 것을 나누어 살아온 앙드레. 언젠가 앙드레는 오스컬을 깊이 사랑하게 되었다. 그러나 자신의 보통의 귀족령양으로서의 행복을 포기하고 남성으로 사는 것과 왕비만을 생각하는 페르젠에 대한 편사랑의 고뇌밖에 보이지 않는 오스카르는 너무 가까이 앙드레의 생각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그 무렵, 귀족의 저택을 덮치는 '검은 기사'라고 자칭하는 도적을 잡은 오스카루는 그 남자로부터 민중의 불만의 고조를 떠올린다. 그것과 상전후해 콘티 대공비의 무도회에서 외국 백작 부인이라고 칭해 자신과 춤추는 귀부인이 오스카르라고 깨달은 페르젠과 결별해, 또, 너무 가까워서 시야에도 넣지 못했던 불각 때문에 앙드레의 기분도 미친 듯한 자신에 대한 연심을 아는 것이다.
검은 기사 베르나르의 호소로 파리 민중의 비참한 상태를 알게 되었고, 오스칼은 왕궁 수호의 근위대를 그만두고 위병대를 지원했다. 빈곤과 귀족 사이에도 존재하는 격차 때문에 거친 부하와 격투 끝에 마음을 열어 부대를 장악했을 무렵, 자르제 장군은 결혼 이야기를 든다. 구혼자는 재산목표의 타락한 귀족이라고 생각했고, 전부하의 제로델이었다. 그는 처음부터 오스카르를 여성으로 응시하고 있었다고 말하는 제로델을 찌르는 오스카르, 두려워했던 신분의 벽 너머로 오스카르가 누군가가 되어 버리자 동요하는 앙드레. '검은 기사' 소동의 무렵보다 자신을 인형 취급하고 있다고 아버지 레니에에 반발하게 된 오스카루는 연담도 그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어머니에게 쫓겨 자신의 것이 되지 않는다면 무리심 속을 도모한 앙드레도 자신의 과실에서 사형에 걸려 오스칼에게 구원받고 그녀를 지킨다는 맹세를 떠올리고 오스컬의 독살을 생각해 낸다. 그것을 밝힌 오스카르는 제로델의 마음에 응할 수 없으면 "앙드레가 불행해지면 나도 불행해진다."라고 앙드레를 사랑하는지는 스스로도 이해할 수 없으면서도 구혼을 거절하는 이유를 진지하게 고하고, 거기에 납득한 제로델은 사랑하는 사람의 불행은 내 몸의 불행과
1789년 5월 5일. 승려·귀족·평민으로 구성된 3부회가 열렸다. 국왕·귀족과 평민의원의 대립은 격화해 혁명의 색을 띠는 것이었다. 7월 13일 위병대에 파리 출동 명령이 내렸다. 오스카르는 폭도에 습격당했을 때 무심코 '내 앙드레'라고 입을 달려 처음으로 오랜 그림자처럼 곁들여 계속 사랑해 준 앙드레를 자신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이번에는 오스카르 스스로 두 사람의 사랑을 확인해 앙드레를 찾는다. 출동 전날 밤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고 두 사람은 묶였다.
가난함과 왕후 귀족의 횡포에 대한 불만을 폭발시킨 민중의 증오는 혁명으로 이어지고, 그 불은 燎原의 불처럼 전토에 불타 퍼진다. 오스칼과 위병대는 민중 측에 대해 국왕군과 싸우기로 결심한다. 격렬한 전투 속에서 앙드레가 쓰러졌다. 그리고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 함락. 민중의 승리의 환성 속에서 오스카르는 조용히 숨이 끊겼다.
혁명군은 베르사유에서 국왕 일가를 파리로 옮겨 감금했다. 유폐된 왕비 안토와네트의 바탕으로 달려가 자신의 기분을 전하는 페르젠. 안토와네트를 사랑하기 때문에 국왕 일가의 구출에 분주하는 페르젠이었지만, 운명의 기어를 멈추는 일은 이루어지지 않고, 루이 16세에 이어 안토와네트도 또 처형되었다. 실의 안에 조국 스웨덴으로 돌아온 페르젠은 1810년 자신의 죄의 날과 저주하는 발렌 도망 실패의 날에 민중에 의해 참살당함과 동시에 이야기는 막을 내린다.
혁명의 폭풍 속에서 순식간의 삶을 회개하지 않고 살았던 연인들의 이야기.
등장인물
담당 성우 는 TV 애니메이션판 / 영화판 / web애니메이션판 / 구 드라마 CD판 / 신드라마 CD판 / 2025년판의 순서. 1명만 기재의 경우는, 특별 기재가 없으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판의 캐스트.
메인 캐릭터
- 마리 앙투아네트
- 목소리 - 우에다 미유키 (겸 영화판) /아마미야 텐 / 이노우에 키쿠코 / 스즈키 타츠오 / 히라노 아야
- 본작의 주인공 중 한 명. 오스트리아의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의 황녀. 루이 16세의 왕비 . 아름답고 자랑스럽고 사람을 끌어들이는 천성의 매력을 가지지만, 어릴 적부터 사물을 깊이 생각할 수 없고 뒤의 사정을 추찰할 수 없는 황녀로서 치명적인 결점을 겸비한다. 오스카르를 가장 친한 친구처럼 생각하고 무엇이든 털어놓고 의지하고 있다. 왕비의 공무나 세계 탄생을 바라는 주위의 중압에서 벗어나려고 자유롭고 호화로운 생활을 보내고, 페르젠과의 사이를 오스칼에게 붙잡혀도 그녀가 여심을 이해하지 못한 적도 있어, 사랑하는 이전에 사랑조차도 모르고 며느리한 정략 결혼의 고통을 호소했다. 한편, 폴리냑 부인 뿐만 아니라 자신이 호의를 품는 상대를 망신하는 버릇이 있고, 뒤 배리 부인과의 대립의 건이 개인적인 감정이 아니라 국익을 해치는 것으로, 오스트리 아의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의 귀에 들어간 것에는 전혀 눈치채지 않고 카우니츠의 훈령문을 들었을 때, 메르시 백이 테레지아에 보고한 것을 눈치채지 않고 이상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주위를 걱정시키는 것도 공주 탄생 후는 침착해, 점차 본래의 고상함에 깨어나도 자신이 민중의 말에 끝까지 눈을 돌리지 않았기 때문에, 또 왕가의 인간은 신으로부터 통치하는 사명을 수 했다는 생각( 왕권신 수설 )에 고집해, 지켜야 할 국민을 신성한 사명을 더럽히는 폭도와 간청하고 무력으로 붕괴하려고 한 것도 그들의 분노의 불에 기름을 부어 송곳니를 향해 버린다. 형제 루이 조제프의 편지에 데려 가고 싶다고 생각하는 루이 샤를과 마리 테레즈와 함께 두 명의 왕제 프로방스 백과 알투아 백의 이야기를 우연히 듣고 버려, 루이 조제프 의 죽음을 기다려 그가 죽어도 샤를르가 있다고 해도 페르젠과의 불의의 아이라는 음문에 그 자리를 뒤로 하고 「왜… 나에게는 단지 하나의 사랑도 풀리지 않는 것…?」라고 방에서 울고 있었다. 이미 지켜야 할 국민을 적이라고 생각했지만, 평민뿐만 아니라 왕후 귀족 속에도 적이 숨어 있던 것 [ 주석 3 ] 에 충격을 받으면서 우리 아이의 정통성을 지키기 위해 싸우기로 결심했다. 혁명 발발 후, 베르사유에서 탈출하려고 발렌 도망 을 기획하는 것도 혁명군에 잡혀 버려, 파리에 강제 송환된 직후, 도망 생활의 공포로 아름다웠던 금발의 머리카락이 「노파와 같은 백발」[ 주석 4 ] 로 바뀌어 버린다. 나중에 일가에서 튈르리 궁전 에서 탬플탑으로 옮겨져 컨시어지 줄리옥 에 투옥 된 후 단두대 에서 처형되었다.
- 사실과의 비교
- 사실에서는 2남 2녀의 4자를 받지만, 본작에서는 1세에 미치지 못하고 뭉툭한 제2공주 마리 소피 베아트리스는 그려지지 않았다. 왕후 귀족 속에서 오랜 세월 적대 관계에 있던 오스트리아 황녀가 루이 16세의 비비가 된 것에 반발하고 증오를 안는 자에 의해 악평을 빌라라는 형태로 장미 뿌리 민중에게는 낭비가의 악처라고 오해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왕가가 사용할 수 있는 궁정비는 국가 예산의 약 6%이며,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은 그 일부였다. 쁘띠 트리아논에서의 생활도 외부의 상상과는 달랐다. 또 유명한 '빵이 없으면' 발언도 다른 사람의 말이었다 [ 11 ] 가 그녀가 발언한 것이라고 생각한 민중의 착각으로 증오가 깊어졌다.
- 한편으로 「가벼운 박제로 자질이 부족한 왕비」라고 하는 작중에서의 마이너스 묘사나 현재도 계속되는 이미지는,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로부터의 흩어진 고언이나 멸망의 예언, 발렌 사건에서의 그녀의 아유를 원인으로 하는 미주와 체포(작중에서는 여기는 건드리지 않지만) 등 수
- 오스트리아 황녀 시대의 독일어 이름은 '마리아 안토니아'이지만, 본작에서는 독자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처음부터 '마리 앙투아네트'에 통일되어 있다 [ 12 ] . 자르제 부부의 나레소메의 이야기에서 이름 중 하나가 아버지 프란츠 1세 의 고국의 이름인 것으로 알려졌다.
- 오스칼 프랑소바 드 자르제
- 목소리 - 타지마 레이코 (어린 시절 - 스즈키 레이코 ) / 토다 케이코 / 스즈카 마키 / 미사키 레어 / 모리카와 토모유키 / 사와 기로 미유키
- 자르제 장군의 딸. 후계의 남아를 요구하는 아버지의 기대에 반하여 여아만 5명이 태어난 후에 생을 받지만, 울음소리의 너무 건강한 장점에, 아버지 레니에에 의해 후계로서 키워진 남장 의 여인. 또 하나의 주인공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인물이며, 중반 이후부터 그녀의 시점을 중심으로 이야기는 진행되어 간다 [ 13 ] .
- 여성 때문에 왕태자비가 붙은 근위사관으로 선정되어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동맹이 묶여 꼼꼼한 앙투아네트를 호위하게 됐다. 냉정 침착으로 보이고 아버지 양보의 끓기 쉬운 성격이며, 검은 기사 사건 때는 앙드레의 머리카락을 자르고 검은 기사의 가짜를 연기하는 것을 그에게 강제하고 마음대로 뛰어오르고 있는 머리카락과는 다르게 거절되고, "이것도 매일 아침 고생하고 세트하고 있다."라고 격노하고 있다.
- 처음부터 앙투아네트에 충성을 맹세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앙투아네트에 살롱에 초대받는 것도 「여자라고는 해도 무인으로서 프랑스와 왕실을 지키는 것이 맡아」라고 거절한 직후에 듀·버리 부인과 의 속담을 재미있게 구경하기도 했던 등, 마음 밑에서 프랑스와 왕실 가치관이 조금 보통과 다르고, 출세를 위해 도입하거나 뇌물 수수를하는 귀족을 타락한다고 멸망하는 반면, 앙투아네트가 (루이 15 세의 딸들이다) 아델라이드 등 ) 3명의(의리의) 이모에게 시사되어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동맹의 결렬을 초래할 수 있는 다툼을 펼치는 모습을 구경할 뿐이었다. 어머니가 속담에 휘말려 시부들과 미래의 프랑스 왕비인 앙투아네트를 선택해, 그녀가 신부로 2년 후, 신춘의 인사로 드디어 듀· 배리 부인에게 말을 건 건 '왕태자비가 창녀에게 패했다'고 굴욕에 떨며 울부짖는 그녀의 모습에 성심 성의 섬기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민중의 고통을 목격하고 근위대를 그만두고 프랑스 위병대 로 옮겼다. 그 때 대귀족으로 고생 모르는 살아서 보이지 않았던 현실을 앨런들에게 밀어붙인다. 잠시 후 자신이 노침을 앓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혁명 발발을 계기로 한 시민으로서 위병대를 이끌고 민중 측에 대해 참전한 바스티유 습격 으로 총격에 의해 요새의 함락을 지켜 전사했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함락의 1시간 전에 절명.
- 원작·애니메이션판 쌍방에서 페르젠에게 심탈당해, 실연 후에 강간당할 때까지 앙드레는 완전히 연애 대상으로서는 시야에 없었다. 페르젠 밖에 시야에 없었기 때문에, 어릴 적부터 친구로서 대등한 관계를 요구한 앙드레가 너무 가까워서 자신의 마음에 머무는 앙드레에 대한 감정을 잘못 보고 있었다.
- 격렬한 성정 때문에 '목걸이 사건'의 재판에서는 쟌느의 레즈비언 발언으로 공격받고 굳어져 '부른 베어 준다'고 검을 뽑아 방청석에서 쟌느에게 반론하려고 판사에게 엄격히 꾸짖는 일막을 맡았다.
- 덧붙여 페르젠에 대한 처음의 사랑을 차단하기 위해서 평생에 단 한 번만 드레스를 입고 그와 춤을 추었지만, 컬러로 핑크하게 보이지만 그림자를 붙이려고 색을 더한 것만으로 작자 이케다 웬 "웨딩 드레스의 생각으로 입었다"는 것으로 하얀 드레스이다. 오달리스크풍의 디자인이 된 것은, 「로코코 양식의 드레스가 (오스카루에는)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 [ 요출전 ] .
- 앙드레 그란디에
- 목소리 - 시가키 타로 ( 어린 시절 - 노자키 타카미코 ) / 미즈시마 유 / FROGMAN / 미키 신이치로 / 스즈무라 켄이치 / 토요 나가 리유키
- 오스카르의 졸업 및 소꿉친구. 자르제가의 영지의 마을에서 자라지만, 아버지는 대부분 전에 죽은 것 같고 모자 가정이었던 모양. 어머니가 죽어서 유일한 육친의 할머니에게 끌렸다는 것이다. 신분 따로 없이 자란 것으로 오스카루와는 타메구이지만, 분부상응의 특별 취급을 신경쓰는 할머니에게 곁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신분 차이의 사랑에 시달리며, 제로델의 구혼에 의해 오스카르가 빼앗기자 싸움을 무서운 날들에 휘두르며, 대귀족인 자르제가에서는 단순히 귀족의 신분을 얻은 것만으로는 결혼은 불가능하다는 현실 이 보이지 않게 될 정도로 귀족의 신분을 원했다. 그러나 귀족과의 결혼 자체가 용서되지 않는 제3 신분의 평민이지만, 역대의 왕실 수호를 자부하는 대귀족의 저택에서 아무런 자유도 없이 자란 것도 있고, 빈곤과는 무관하게 신분만 밖에 머리에 없는 것으로 귀족이라도 평민보다 가난한 생활을 강요당하는 아란의 분노를 살 것이다.
- 검은 기사와의 싸움으로 좌안을 채찍질해 의사로부터 “지시가 있을 때까지 붕대를 떼어선 안 된다”고 말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병신의 몸이면서 팔레 로얄로 향해 오스칼을 구출하는 것도 좌안을 완전히 실명 하거나 남은 우안 에 그만큼의 부담 ] 서서히 희미해 경향이 있어 오스컬을 지키기 위해 위병대에 입대해, 앨런 등 대원에게 「메카치!」라고 욕성을 받는다. 3부회당에서 완전히 맹목이 되어 버려, 실명의 사실을 할머니나 연적 앨런에게 깨어난다. 3부회 를 둘러싼 소동으로 레니에에게 죽임을 당한 오스카르를 구했을 때, 사랑하고 있다고 말해져 상사상애의 사이가 된다. 오스카르와 함께 혁명으로 민중 측에 대해 싸우지만, 오스카르를 망쳐 전사했다.
- 당초는 오스카르의 반려를 누구로 할 것인가는 정해지지 않았고, 후보로서도 설정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 외 대세의 1명으로서 그려져 수수했다. 마음은 오스카르 일근이지만, 18세 때에 팔레 로얄 세계의 창녀 와 경험이 끝났다.
-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마쵸. 초반은 루이 15세의 죽음을 앞두고 서도 있을 수 없는 오스칼의 심정을 이해할 수 없는가 하는 소리를 내며 제로델을 멸시하고 종종으로서의 신분과 입장을 원작 이상으로 돌보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서서히 종종으로 깨달은 언동으로 변화한다. 연인의 시간이 가진 원작과는 달리, 오스카르와 상사상애가 된 것과 부부의 계기를 나눈 것은 위병대 B중대에 출동 명령이 내린 직후이며, 민중의 시간벌기의 착동으로 사투를 벌인 귀로, 적병에 발견된 오스컬이 사살하는 것도 그 적병의
- 한스 액셀 폰 페르젠
- 목소리 - 노자 와 나치 , 호리 카츠 노 유우 ( 제 6-8 화 )
- 스웨덴 귀족. 4명의 주인공 중 1명. 외모 단려하고 사려깊고 지성적인 청년. 오스카르를 가장 친한 친구로 삼으십시오. 앙투아네트를 망치고 오스카르가 부상할 때까지 그녀가 여성이라고 몰랐다 [ 주석 7 ] . 오랜 세월 그녀 자신에 대한 연심을 깨닫지 못했지만, 오스카르가 페르젠에 대한 연모를 과감하기 위해 소성을 엎드려 참석한 야회에서 춤을 추는 것을 계기로 그녀의 심정을 알고 결별하게 된다. 자신과의 추문에 노출되는 앙투아네트를 생각하고, 미국 독립 전쟁 에 몸을 던져 그녀의 근원을 떠나지만, 귀국 후에는 한층 더 그녀의 지지가 되도록 노력한다.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가족의 맹반대도 동행하자 할아버지의 이국 실권을 잃은 국왕 일가에 다할 필요가 없다는 반대를 털어놓고 약속된 모국에서의 미래를 버리고 혁명의 폭풍이 불어오는 프랑스로 향했다. 발렌 도망시에 전력으로 준비 등을 하여 국왕 일가를 구하려고 하지만 결국은 앙투아네트를 잃는다 [ 주석 8 ] .
- 그 후, 고향의 스웨덴으로 귀국하고 나서는, 앙투아네트를 잃은 것에 의한 실의가 민중에의 깊은 증오로 바뀌어, 마음 차가운 지배자로 변모해 버린다. 그 증오를 맑게 하는 것처럼 민중을 용서 없이 탄압해 가는 것으로 반대로 민중으로부터의 분노와 증오를 샀던 끝, 1810년, 결국 탄압을 견디기 어려워 폭도화한 민중의 역습을 당해, 학살당했다.
- 사실과의 비교
- 사실에서는 펠 '세'인이 아니라 펠 '세'. 아우구스텐부르크 가문 (덴마크 왕가 올덴부르크 가문 의 분가)의 칼 아우구스트 (스웨덴 국왕 칼 13 세에 가 없었기 때문에 스웨덴 왕 태자로 지명되었다)가 1810 년에 사고 죽은 직후부터 왕위를 노린 페르젠에 의한 암살이라는 루머가 퍼져 칼 13세조차 의심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에 같은 해 6월 20일 근위연대조차 견살된 꼼짝에 학살당했다. 사후에도 의복을 벗겨낸다는 욕을 받고 시신은 측홈에 던져 버려 방치되었다. 사후에 결백이 증명되어 같은 혐의를 받은 여동생의 손으로 떠올랐다.
- 로사리 라 모리에르 / 로사리 샤틀레
- 소리 -요시다 리호 코 / 미고미나코 (구 드라마 CD판) / 마에노 토모아키 (신 드라마 CD판) / 하야미 사오리 (2025년판)
- 오스카르가 파리의 마을에서 만난 딸이며, 그녀를 강하게 당황하고 있다. 나중에 오스카르에게도 실제 여동생 이상의 존재가 되었다. 어머니의 적을 토벌하기 위해 베르사유에 온 그녀를 오스카르가 인수해 자르제가에서 귀부인으로서의 교육을 받았다. 실은 폴리냑 부인의 헤어짐의 딸이며, 육아의 어머니를 마차로 치고 죽인 것이 실의 어머니였던 것을 알고 괴롭힌다. 「목걸이 사건」때, 폴리냑 부인의 위협에 오스카르의 몸을 안고 폴리냑 집에 떠나도, 폴리냑 부인에게 있어서는 죽은 여동생 샬롯의 대신일 밖에 없는 것을 깨닫고, 타운마을로 돌아와 살고 있었는데, 검은 기사를 쫓아 부상한 오스카르와 재회해, 검은 기사와 베르나르의 간병을 하는 동안 걱정하게 되어 회복된 베르나르와 함께 자르제가를 떠났다. 앙투아네트가 재판을 위해 컨시어지 줄리 감옥 에 수감되었을 때, 그녀가 처형 당일까지 몸을 돌보고 있었다. 원작에서는 앙투아네트 처형의 날에 리본을, 애니메이션에서는 화장지로 만든 장미를 주어 「이 장미에 오스카르의 좋아하는 색을 붙여주세요」라고 부탁받았다.
- ' 영광의 나폴레옹-엘로이카 '에서도 오스카르에 대한 자정은 강하고, 일생분의 편사랑을 오스카르에 대해 품은 것으로 결혼은 하지 않을 것이다 알란을 걱정하는 남편 베르나르의 눈앞에서 '오스카르님은 내게야!'라고 외쳤다. 인호함은 변함없이 생활은 편하다고는 할 수 없는데 동거인을 두기도 했다. 그러나 그 동거인은 왕당파를 숨기고 푸쉐에게 정보 를 흘리는 스파이였기 때문에, 모르고 남편의 일에 심각한 방해를 주는 원인이 되어, 나폴레옹 암살을 실행하는 것도 실패해 베르나르와 친구의 알란 을 잃고 망명한 스웨덴에서 잠시 잠들어 갈 정도로 충격을 받지만 나폴레옹에 대한 증오에 사로잡힌 아들 프랑수아에게 개인적인 증오를 안지 말라고 사서 민주공화제 의 존중을 전하는 것이었다.
- 사실과의 비교
- 모델은 평민 신발 장인 의 딸로 컨시어지 줄리 안토와네트를 섬긴 문맹 [ 주석 9 ] 의 여중 ‘마리 로사리 드라모리에르(Marie- Rosalie Delamorlière)’이다 . 혁명 당시 교회나 성직자가 탄압된 종교 사정 때문에 성모 마리아를 상기시키는 퍼스트 네임 ' 마리 '와 귀족의 성 앞에 붙는 '드'와 같은 울림의 '드라모리에르'의 '드'를 숨기고 '로자리 라모리에르(Rosalie Lamorlière)'라고 명승 평생 독신이었지만, 한 딸이 있었다. 후년 당시를 되돌아보며 수기를 남겼다. 앙투아네트가 처형되는 날, 그녀의 머리카락을 잘라 흰 리본 을 건네주었다.
자르제 집
- 레니에 드 자르제 ( fr )
- 목소리 - 내해 켄지 (겸 영화판) / 후지조 히로시 (구 드라마 CD판) / 엔도 오토모 (신 드라마 CD판) / 은하 만장 (2025년판)
- 오스카르의 아버지. 자르제 백작가 당주로 프랑스 왕가에게 충성을 바치는 장군. 후계가 되는 남아를 갖고 싶었지만, 여아가 최후까지 계속되어 소년처럼 건강한 울음소리에 말딸 오스컬을 후계로서 엄격히 기른다. 그러나 후년은 그 선택을 아버지로 후회하고 있었다. 혁명의 격화에 의해 오스카르의 몸을 안고 결혼시키려고 생각했던 화살, 제로델의 구혼을 기뻐 널리 신랑을 모집했다. 그러나 결국은 포기. 오스카르가 혁명측에 붙은 반면 딸과 함께 혁명측에 대해 싸운 앨런에 국내에 머무르는 것은 위험하다고 충고되더라도 끝까지 왕실에 충성을 다했다. 오스칼이 민중과 함께 걷기로 했던 것처럼 왕실에 대한 충성을 관철하는 것이 자신이 선택한 길이라고 말했다. 의장으로부터의 평민의원의 배제를 명령받은 제로델 등 근위연대를 저지하는 반역행위를 저지른 오스카르를 성패하려고 했을 때, 다른 귀족이 전원 평민에게 주어도 자르제가는 왕실에 불멸의 충성을 다한다고 말한 근금들이 왕당파 이다. 이야기 종반, 국왕 일가를 면회하기 위해 틸리 궁에 들어가려고 하는 페르젠의 무모를 「죽여 가는 것 같다!」라고 말하기도 페르젠의 각오를 알고, 또 페르젠이 죽은 딸의 오스컬을 「평생 최고의 친구」라고 느끼고. 페르젠과 함께 앙투아네트를 컨시어지 줄리옥 에서 탈출·도망시키려고 하는 것도 마리 텔레즈와 루이 샤를을 두고 자신만이 도망치면 어머니로서 지옥의 고통을 누리며 행복할 수 없다고 거부되어 반대로 국외로 탈출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청년 시절, 루이 15세의 밀사로 찾아온 로렌 공국 에서 작열의 사랑을 거쳐 아내 졸젯을 불렀다. 의외로 격정가였고, 당초는 가난한 귀족의 딸 수수께끼를 용서하지 않았던 주군 루이 15세에 등을 붙여도 조르제트를 요구했을 정도였다. 그 격렬함은 막내딸에게 계승되어 버린다.
- 남아에게 축복받지 않고 오스컬을 아들로 키우지만, 아이를 위험에 노출시키고 싶지 않다는 친심은 있어, 큰 싸움도 없이 안태한 세상에서 궁정중이 연애에 새롭게 사는 근위대, 안토와네트 첨부라면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었다.
- 신분 때문에 앙드레가 오스칼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는 귀족의 혼인은 국왕의 허가가 필요하다고 격노하지만, 내심, 앙드레를 아들처럼 소중히 생각하고 있다. 오스칼을 사관학교에 넣었을 때도, 근위대에 입대시켰을 때도, 오스카르가 마음대로 프랑스 위병대에 옮겼을 때도 단절하고 말딸을 단독으로 행동시키는 일은 없고 앙드레에게 호위를 명령하고 있었다. 오스카르를 깊이 사랑하고 있지만, 앙드레도 아들처럼 자비하고 있었고, 바야의 존재가 무겁기 때문에 앙드레가 죽으면 살지 않았다면 아야를 계산에 넣고 오스카의 목숨을 구하려고 했던 앙드레의 지능범만에 몰렸다.
- 사실과의 비교
- 모델은 왕당파의 군인 "프랑수아 오규스탄 오귀스트 레니에 슈발리에 드 자르제 (프랑스어로 정확하게 발음하면 "자르자유") [ 14 ] "이다. 마리 앤 루이스 브루세 드 라 세뉴(Marie-Anne Louise Bourcet de la Saigne)와 결혼해 두 아이를 벌지만, 아내는 1786년에 병사. 그 다음 해, 칸팡 부인과 마찬가지로 앙투아네트의 방을 가진 제일 사무라이를 맡은 미망인 루이즈 드 라보르드(Louise Marguerite Émilie Henriette Quetpée de Laborde) 와 재혼 했다. 사실은 컨시어지 줄리 감옥에 구출 작전을 고하자 앙투아네트에 면회한 것은 다른 사람이었다. 오스칼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왕실에 충성을 맹세했다.
- 자르제 백부인
- 음성- 기쿠치 히로코 / 시마모토 스미(2025년판)
- 오스카르의 어머니. 조용하고 친절한 귀부인. 퍼스트 네임은 '조르제트'이며, 로렌 공국의 가난하면서 루이 13세의 궁정 화가를 맡은 조르주 드 라 투르 의 소손인 것으로 밝혀지지만 구 성은 불명.
- 안토와네트의 수석 사무라이가 된 것으로 뒤 배리 부인의 분노를 사서 함정에 빠지지만, 오스카르가 나타난 것으로 어려움을 피했다. 프랑스 위병대의 부하와 함께 혁명 측으로 달린 말딸 오스카르가 전사했기 때문에, 그 슬픔에서 다시 돌아오지 못하고 죽었다. 여성이라고 자각해도 아버지의 의사에 따라 남성·군인으로서 사는 오스카르의 마음의 거점이며, 남성으로서 살아라고 명령하면서 결혼을 말한 아버지에게 반발하는 오스카르에 폭풍에 뛰어들어도 애용하는 딸을 따뜻한 가정을 갖게 하고 여성으로서의 행복을 주고 싶다는 친심을 설득하고, 후계의 남아에게 축복받지 않고 오스컬에게 남성으로서의 인생을 강한 것을 남편이 후회하고 있다고 말했다.
- 바야
- 목소리 - 쿄다 나오코 / 리바 유키코 / 마지마 아츠시 (신 드라마 CD 버전) / 다나카 마유미 (2025 년판)
- 오스카르의 유모 . 앙드레의 어머니의 할머니로 본명은 '마론 그라세 몽블랑'이지만, 오스칼의 초상화를 그린 화가가 프로포즈를 시도했을 때 부른 것 외에는 불리는 일은 없었다. 짜증나게 걱정이지만, 진심으로 오스컬을 사랑하고 있다. 주인인 자르제 장군이 오스칼을 남자로 키우는 방침에 가장 먼저 반대했다. 그 때문에 폴리냑 백부인의 자객에게 습격당해 오스카르가 중상을 입었을 때, 자르제 장군을 노려보며 비난하는 것도 울고, 당황한 자르제 장군에게 술이라도 마시려고 먹고 부엌으로 데려갔다.
- 제로델이 오스카르에 프로포즈해 자르제 장군이 승차했던 결혼 소동 때, 원작과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반응이 다르고, 원작에서는 금방 오스카르에 꽂힌 연담을 싫어하고,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소중한 아가씨에게 여성으로서의 행복이 방문했다고 기뻐했다. 또, 제로델을 맞이한 만찬 의 준비중, 오스카르를 죽이고 자살하려고 일을 먹은 앙드레에게 불평을 늘어놓으면서 「가애하게, 바보 같은 아이야. 프랑스 혁명 직전 병에 쓰러졌다. 오스카르와 앙드레의 조반과 전사의 보도에 가라앉는 자르제 가문에 화가 선생님(후술)이 프로포즈를 하려고 방문하지만 이미 숨을 끌고 있었다. 화가를 사랑했는지 여부는 특히 묘사가 없었다.
- 오스카르에게 뭔가 있으면 본인의 자업자득이라도 앙드레에 야키를 넣지만 유일하게 남겨진 육친인 손아들을 깊게 사랑하고 있어 앙드레가 죽으면 살지 않았다. 오스카르가 모반인으로서 자르제 장군에게 성패당했을 때 앙드레가 그녀 대신 자신을 죽이고 싶다고 오스카르의 목숨을 걸지만, 앙드레를 죽이면 할머니가 살지 못할 정도로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숙지해야 그 버려진 작전이라고 보고 있던 자르제군은 사실 앙드레와 오스카르가 잇따라 전사한 직후 화가가 프로포즈에 왔을 때 이미 숨이 끊어 잠자리에 누워 있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화가와의 싸움도 연애 모양도 없었던 것으로 변경됐다.
- 코믹스 제11권에 수록된 에피소드 1에서는 오스카르와 앙드레의 전사 후, 앙드레가 받은 리본을 원래의 소유자의 소꿉친구 크리스티누에게 되돌려 갔다. 본편에서 오스컬 전사 직후 사망했다고 밖에 비치지 않는 묘사였지만, 실은 병사하기까지 며칠간이 있었다는 설정이었다. 그러나, 매우 이해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독자의 혼란을 초래했다.
- 라손 선생님 ( fr )
- 음성 - 이즈카 아키조
- 자르제 집의 주치의 . 애니메이션 버전의 오리지널 캐릭터. 대대로 의사를 하고 자르제가의 돌보는 세습의. 「의사」라는 역명으로 제8화에서는 낙마한 오스컬의, 제18화에서는 폴리냑 일당에 습격된 오스컬의 진료에 해당하고 있다. 개인명 초출에서는 앙드레의 눈의 치료나 오스컬의 가슴병의 진료에 해당한다. 오스카르가 3세 때 열을 냈을 때 검진에 주었다고 오스카르의 진찰시에 회고하고 있어 그것이 진실(여명)을 그녀에게 선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실명하는 것은 시간의 문제라는 것을 앙드레는 숨기고 있었지만, 입을 막지 않았기 때문에 오스카르에게 알려져 버린다.
왕가의 사람들
- 루이 16세
- 목소리 - 안하라 요시토 / 이노우에 카즈히코 / FROGMAN / 사쿠라이 토시지 / 오치아이 후쿠 히토 (2025 년판)
- 프랑스 국왕. 앙투아네트의 남편. 할아버지 루이 15세의 붕괴에 의해 즉위. 취미는 독서와 대장장이와 사냥. 뚱뚱하고 부드럽고 우유부단이지만, 성실하고 가정적인 부드러운 성격으로, 국민으로부터도 당황하고 있었다. 그러나 발렌 사건을 계기로 국민의 신뢰를 잃고 처형된다. 탬플탑으로 옮겨지기 직전, 페르젠에서 다시 도망 계획을 갖게 되었지만, 국민은 어쩌면 국외로 도망한 귀족들로부터도 놓쳐진 것으로부터, 「이제 나는 전세계에서 버려져 버렸다… 」라고 중얼거리고 있었다.
- 너무 아름답고 매력적인 아내에게 사랑한다고 말할 수 없고, 왕비로서의 의무를 완수한 그녀가 페르젠과 연중이 되어도 [ 주석 10 ] 비난할 수 없다고 아픈 마음을 숨기고, 안토와네트가 "페르젠에게 귀국 명령을 내리자"고 말하기도 그의 사람 무늬.
- 사실과의 비교
- 본작의 참고가 된 츠바이크의 소설 '마리 앙투아네트'에서는 키가 낮고 뚱뚱해지고 있지만, 사실에서는 장신으로 근육질이며, 당시로서는 과감한 정책을 내세우려는 정도에는 과단한 면이 있었다. 한편 반대 세력을 밀어줄 정도의 결단력과 실행력이 둔했기 때문에, 작중 묘사와 같은 우유부단함이나 팔방미인인 비명도 잘못되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앙투아네트와의 사이에 왕자·공주가 탄생하기까지 7년의 세월이 지났던 것은, 결혼 당시는 미성숙의 아이였기 때문이며, 불능으로 포경 수술을 받았다는 사실은 없다.
- 루이 15세
- 목소리 - 카츠다 히사 / FROGMAN (web 애니메이션 판) / 모 가미 츠키 (신 드라마 CD 판) / 오츠카 요시 타다 (2025 년 판)
- 프랑스 국왕. 루이 16세 할아버지. 향락적이고 국민은 생략하지 않고, 궁전에서 호화스러운 매일을 보내고 있다. 사랑스러운 앙투아네트가 손수가 되어 만족하지만, 그녀와 애연 뒤 배리 부인의 대립에 머리를 아프게 한다. 나중에 천연두를 앓고 무너진다. 심야, 매장을 위해 산드니 교회에 관이 옮겨졌지만, 그 관을 지키는 것은 오스칼을 포함한 근위병 40명과 소성 36명뿐이었다. 거듭되는 전쟁에 쏟아진 군사비가 원인으로 재정은 박박하고 있으며, 그 부정적인 유산을 나라도 이어받은 앙투아네트에 증오의 모순이 향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 애들라이드 내 친왕 , 빅토월 내 친왕 , 소피 내 친왕
- 목소리 - 콘도 타카코 (아델라이드), 기무라 아리사토 (빅토월), 혼야마 가쿠코 ( 소피)
- 순서대로 루이 15세의 4녀, 5녀, 6녀. 루이 16세의 이모이기도 하다.
-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동맹의 파탄에 의한 전쟁의 위기보다 자신들의 뒤 배리 백부인에 대한 증오를 우선시켜 궁궐 안에 불화를 일으켜 그 소동에 앙투아네트를 휘말렸다. 창녀로 아버지 루이 15세의 애녀 뒤 배리 백인을 싫어하고 앙투아네트에게 뒤 배리 백부인을 무시하도록 제안한다. 오스카르 웬 "올드 미스의 이모군들". 무도회에서 안토와네트가 뒤 배리 백부인에게 말을 걸려고 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애들라이드가 직전에 안토와네트를 데리고 나왔다. 루이 15세의 사망으로 공주로서의 영광은 끝났다.
- 오를레앙 공 필립
- 목소리 - 이치카와지 (제2화-제24화)→니치 우치 건노 (제27화 [ 주석 11 ] )
- 프랑스 왕족 중 한 명으로, 성명은 "루이 필립 조셉 드 오를레앙".
- 거성의 팔레 로얄을 평민의 문화인들에게 해방하고 있어 검은 기사의 근성이기도 했다.
- 한 번만 밖에 차례가 없었던 원작과는 달리,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안토와네트의 프랑스 진입 저지를 기획하는 등, 왕위를 노리고 다양한 책모를 둘러싸고, 그 때문에 가장 방해한 오스컬을 배제하려고 암약한다. 초기에는 노골적으로 야심 벗겨내고 고압적인 명령 말투였지만, 검은 기사 사건의 때는 조용한 신사적인 정중 어조로 거악스러움을 자아내고 있었다.
- 속편 『영광의 나폴레옹-에로이카』의 중반에서 조카의 안기안 공이 등장 하지만, 분죄 사건으로 처형되어 버린다.
- 사실과의 비교
- 사실에서는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를 활발히 중상해 그 정적이었던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왕위를 노리고 이미지 전략으로 앙투아네트의 평판을 나쁘게 하여 '목걸이 사건'을 공격 재료로 이용했다. 왕정 복고를 노리는 듀무리에 장군에 의한 오를레앙 공옹립의 음모가 파탄하고, 루이 14세 의 서계 계의 판티에블 공작 루이 쟌마리 의 딸 루이즈 마리 와의 사이에 생을 받았다 적남 루이 필립이 혁명정부에 반기를 휘두른 듀무리에와 함께 오스트리아군에 투하했기 때문에 지론드파 에 의해 공화제 전복의 혐의를 받고 재산 몰수 위에 체포됐다. 무고를 호소하는 것도 유죄로 여겨져 루이 16세가 처형된 같은 해인 1793년 11월 6일 저녁,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졌다. 자신이 왕위에 오르지 않았지만, 남남 루이 필립이 국민의 분노를 사서 영국으로 추방될 때까지 칠월 왕정 의 루이 필립 1세 로서 왕위에 머무른다.
- 알투 아 백 [ 주석 12 ]
- 목소리 - 사와이 마사노부
- 루이 16세의 동생. 원작에서는 루이 조제프가 아직 무동성에서 정양해 존명 중인 시절부터 빨리 죽으면 좋다고 말하고 있으며 조카에 대한 정애의 조각도 보이지 않는다.
- 프로방스 백 [ 주석 13 ]
- 루이 16세의 차동생. 원작만의 등장으로, 작중에서는 「러시아에 망명한 왕제 전하」라고 불리는 사람.
- “제2왕자 루이 샤를은 페르젠과의 불의의 아들임에 틀림없다”고 동생 알투아 백과 함께 음부를 두드렸다.
- 엘리자베스 내 친왕
- 루이 16세의 여동생. 원작만 등장. 앙투아네트의 가차 직후 노아이유 백부인이 프랑스 궁정의 흔적을 설명했을 때 이름과 모습이 나왔을 뿐이었고, 형부부 옆에 있어도 작중에서 거의 그려지지는 않았다. 혁명의 폭풍이 날아가는 가운데 발렌 도망으로 갑자기 등장해 루이 16세 처형까지 그려졌다. 왕제이면서 경애하는 장형을 버리고 망명했을 뿐 아니라 각국에 프랑스에의 공격을 시사한 차형의 프로방스 백과 삼형의 알투아 백을 증오 [ 주석 14 ] 해 절규하고 안토와네트에게 왕가의 자랑을 잊지 말라고 촉구되었다.
- 사실과의 비교
- 사실상 이름은 "엘리자베트 필리핀 드 프랑스". 맏형과 차형의 뱃속에 의해 장자가 된 세 번째 형 루이 오규스트(루이 16세)에 항상 충실하며, 「천상의 프린세스」라고 불린 인격자의 칭찬도 높은 여성. 연담을 거절하고 국왕인 오빠 옆에 머물렀다. 혁명 발발 후에도 형국왕 일가와 행동을 함께 한다. 처형 직전의 앙투아네트가 편지를 보내려고 한 상대이다. 앙투아네트의 죽음을 모르는 채, 자신도 기로틴의 이슬로 사라졌다.
- 코믹스 제11권에 수록된 에피소드 3에서, 조카인 마리 텔레즈가 포로 교환에 의해 오스트리아에 인수되는 전년, 형부부의 형사의 다음해에 처형된 것을 말했다. 그 회상 속에서 마리 텔레즈는 '엘리자벳 이모님'이라고 부르며, 사실 그대로의 이름으로 변경되고 있다.
- 마리 텔레즈
- 음성- 스가야 마사코 / 다나카 미우미 (2025년판)
- 프랑스 공주 . 앙투아네트의 장녀. 오랜 세월, 아이에게 축복받지 못했던 루이 16세와 안토와네트의 대망의 제1자.
- 사실과의 비교
- 사실에서는 2남 2녀 중 4명 중 욕절한 여동생 마리 소피 베아트리스를 제외한 3명 중 유일하게 혁명 이후까지 살아남지만, 혁명의 비극에 의해 여성으로서의 매력이 부족한 거대하고 붉은 얼굴의 엄격한 여성으로 성장해 유전의 삶을 보냈다. 1799년, 알투아 백작 샤를르(복고왕정의 부르봉 아침 마지막 프랑스 국왕 샤를르 10세)의 장남 앵글렘 공 루이 앙투안 과 결혼해, 상사상애의 부부였지만 아이는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녀의 죽음에 의해 루이 16세와 앙투아네트의 혈통은 끊어져 버린다.
- 루이 요제프
- 목소리 - 마츠오 카코 / 도쿠이 아오카 (2025 년판)
- 왕태자(몬세뉴르) ( 도팡 ). 앙투아네트의 장남. 병약하지만 소명한 소년으로 오스컬을 동경하고 있다. 척추 칼리에스 때문에 겨우 7세로 사망. 죽기 직전 오스카르와 원구에 갔던 곳에서 오스카루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키스하고 있었다 [ 주석 15 ] . 장례 때 재무 장관이 " 국고 는 비어 있고 장례비용이 없다"고 털어놓고 루이 16세는 은의 식기를 팔아 장례비용을 비쌌지만 와 왕실에는 한 나라의 왕태자인 그의 장례를 내는 비용조차도 '지금까지의 호화의 보상이라고 하는 거야!?
- 루이 샤를
- 음성 - 미타 유코
- 앙투아네트의 차남. 노르망디 공 . 형의 사후, 왕태자가 된다. 부왕의 처형 후, 앙투아네트와 분리된다. 작중에서는 시민과 명랑하게 노래하거나 즐겁게 웃으면서 어머니나 누나를 잊어 버린다.
- 사실과의 비교
- 사실에서는 열악한 환경에 놓여 교격파의 에베일에 의해 후견인 겸 교육계로 지명된 문맹의 신발 가게 안토완 시몬에게 '재교육'이라는 명목으로 학대되어 불과 10세 만에 불행한 죽음을 이루었다.
- 마리아 테레지아
- 음성- 기타무라 마사코 / 우에노 아사 (web 애니메이션판)
- 앙투아네트의 어머니. 오스트리아 여제. 프랑스와의 전쟁 종결을 위해 말딸의 앙투아네트를 프랑스 왕태자비로 내보내지만, 그녀의 성정을 숙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되돌릴 수 없는 잘못을 저지른 것은 아니고 헤어질 때까지 내심을 버릴 수 없었다. 앙투아네트의 미래를 생각하고 있어, 그녀가 점차 사치품 삼매의 나날을 보내게 된 기구, 소트리아논궁 에 둘러싸는 것만을 데리고 닫혔다는 것을 알게 된 충격으로 병에 쓰러져, 장남의 요제프 황제 (목소리- 마츠오카 후미오 )나 신하의 지켜보는 중 원작에서는 잠든 끝에, 애니메이션판에서는 평소의 여제로서의 옷차림으로 옥좌에 앉고 죽었다.
귀족
- 폴리냑 백부인
- 목소리 - 무토 레이코 / 하타노 섭 (신 드라마 CD판)
- 줄 드 폴리냑 백작의 아내. 앙투아네트에서 사랑받는 귀부인. 퍼스트 네임 '마르틴 가브리엘'을 오랫동안 밝히지 않았지만, 앙드레가 조사하고 있어 로사리의 실모라고 밝혀졌다. 혼가는 궁정에의 출입은 인정되고 있었지만, 다액의 빚을 안고 가난했기 때문에, 왕비에게 말 능숙하게 친족의 승진을 기르거나, 도박을 추천해 대금을 감아 올리거나와 상냥한 외모에 반해 그 본성은 강욕한 야심가. 방해자인 오스카르의 살해도 여러 번 도모하고 있다. 무도회에서 재회했을 때는 로사리가 소녀시대에 산레미 남작에 쏟아져 낳은 우리 아이라고는 눈치채지 못했지만, 나중에 딸이라고 알고 자신이 마차로 붙어 죽인 여성이야말로 로자리를 빼앗아 키워준 은인 니콜이었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는 니콜과 로사리에 대한 냉혹한 소업을 분개하고 있었다.
- 샬롯의 사후, 쟌느가 일으킨 「목걸이 사건」으로 로사리를 위협해 폴리냑 집에 끌어들이지만, 서서히 앙투아네트의 총애를 잃으면 위기감을 안고, 로자리를 호색한 고위 귀족의 도기슈공의 곁에 아내가 하도록 하자, 애상을 잡았다. 프랑스 혁명이 본격화되어 왔을 무렵, 일족으로 프랑스에서 망명했다.
-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로사리를 출산한 15세 당시는 「마르틴 가브리엘」이었지만, 결혼 후에 퍼스트 네임을 「샤론」으로 변경. 로사리의 아버지, 그리고 니콜과의 연결도 명언되지 않았다.
- 샬롯 드 폴리냑
- 목소리 - 코미야 카즈에
- 폴리냑 백작 부인의 딸. 11세. 묵주의 이부매. 가난했을 때에는 어머니가 준비한 드레스에 눈을 빛내고 있었지만, 어머니의 권력을 배경으로 무도회 등에서 고비차 태도로 행동한 적도 있다. 오스카르에 마음을 전하고 있어 어머니가 결정한 드기슈 공작의 소름 끼치는까지의 호색한 분위기에 겁을 먹고, 그 결혼을 혐오하고 “이번에 태어날 때는 귀족이 아닌 집의 아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투신 자살 [ 주석 16 ] 한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드 기슈 공작에 소름 끼치는 눈빛으로 말해져, 강하게 손에 키스를 한 것으로 혐오와 공포의 너무 발광. 광기의 충동 그대로 탑에 올라 그대로 투신 자살했다.
- 원작에서는 당초 묵주를 내려다보고 있었지만, 나중에 결혼의 일로 우울해 자신을 위로해준 것으로 "누나 같다"고 친밀감을 느끼는 것도 최후까지 진짜 자매라고 알지 못했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몇 차례 말을 나눈 것만으로 화해하지는 않았다.
- 원작에서는 등장은 하지 않지만 동생이 있다. 이야기 전반에, 「폴리냑 백부인이 출산 때문에 궁정을 내리고 있다」(오스카루담)라고 하는 장면이 있다.
- 드 기슈 공작
- 음성 - 이시다 타로
- 프랑스 대귀족 중 한 명으로, 풀네임은 '로랑 드 기슈'.
- 회계검사청 장관을 맡아 국왕의 신뢰도 두껍다. 보나주 지방의 거의 전역을 영유하고 있다. 43세.
- 젊은 딸이 취향에 폴리냑 백부인으로부터 제시된 샬롯과의 결혼에 승차했다. 샬롯의 자살 후는 그녀의 언니, 로사리와의 결혼을 기다리고 있었지만 도망칠 수 있다.
- 본인이 등장하는 것은 애니메이션판만으로, 원작에서는 이름만의 등장.
- 드 기슈 공작 자체는 실재의 인물이지만, 본작에 등장하는 것은 전혀 다른 사람.
- 드 게네메 공작
- 목소리 - 테라지마 미키오 / 타카기 섭 (2025년판)
- 프랑스 대귀족 중 한 명으로 풀네임은 '앙리 살바도르 드 게메네'.
- 오를레앙 공의 파벌로, 왕족 한정의 만찬에도 열석할 정도의 지위를 가진다.
- 존대함과 교만함을 훌륭하게 구현한 남자로, 신분이 낮은 사람을 벌레 부르며, 웃으면서 속이고 토벌을 하는 냉혹 비도한 비열한.
- 피에르보야를 배후에서 조소하면서 총살한 건을 국왕 부부와의 만찬회에서 오스카르로부터 폭로되어 아와야 결투 직전이 되지만, 앙투아네트에 멈추어 내심에서는 안도하고 있었다.
- 애니메이션판에서는 폭로된 것에 격앙하고, 심지어는 「기상은 어느 쪽이다. 공작이라면 무엇을 해도 허락된다는 것인가? 그래도 당신은 귀족인가」라고 직언된 것으로, 분노 그대로 장갑으로 오스카르의 뺨을 두드려 결투가 정해져 버린다. 거기서, 오랫동안 오스카르의 말살을 기획하고 있던 오를레앙공과 결탁해, 추후 새벽전에 결투를 걸고 나서 불리한 조건에 반입해 오스카르를 사살하려고 했다 [ 주석 17 ] . 그러나, 한 걸음 더 예측보다 빨리 날이 오르기 때문에, 오스칼에게 눈길을 깨닫고 총탄을 권총으로 막힌 양구, 반대로 손잡이였던 오른손을 쏘아냈다.
- 권총의 솜씨는 매우 높고, 본편의 전년에 행해진 프랑스에서의 사격 대회에서 2위의 성적을 취했을 정도.
- 덧붙여서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게메네 공작」또는 「게메네 공」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었다.
- 사실과의 비교
- 드게메네 공이라는 인물은 실재하지만, 인물 조형은 『두 도시 이야기』의 에브레몬드 후작이 모델.
- 드 로네 후작
- 목소리 - 토쿠마루 완 / 나카기 타카시 (구 드라마 CD 버전) / 콘도 코토쿠 ( 2025 년판)
- 7월 14일 당시 바스티유 감옥 의 지휘·경비를 하고 있었다.
- 감옥 내의 대포를 파리 중심부로 향해 시민과의 대결 자세를 나타냈다. 오스칼이 이끄는 위병대와 전투를 계속해도 위병대와 시민의 압도적인 전력에 밀려 항복의 백기를 내걸었다. 그 후 파리 시장 프레셀 과 함께 처형되고 목은 떨어지고 파리 시내에서 노출된다.
- 노아이유 백인( en )
- 소리 - 종형 토모코 / 오하라 타카시 (신 드라마 CD판)
- 프랑스 왕실에 신부한 앙투아네트의 교육계. 앙투아네트에서는 '에티켓 부인'이라고 불린 적도 있다. 다소 입맛이 많은 면이 있지만, 안토와네트를 진심으로 걱정하고 있다. 거의 모든 귀부인들을 망라하고 있기 때문에, 오스컬이나 앙드레로부터도 의지할 때가 있다. 자세한 것은 불명하지만, 도중부터 등장하지 않게 된다.
- 메르시 백
- 음성- 무라코시 이치로 / 스즈키 치히로 (신 드라마 CD판)
- 앙투아네트를 걱정한 마리아 테레지아가 파견한 주불 오스트리아 대사. 앙투아네트의 교육계이기도 하다. 귀가 아픈 작은 말만 말하지만, 앙투아네트를 걱정하는 것이며, 진정한 충성심으로 섬기고 있다. 앙투아네트에 대해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의 죽음에 대해 회개의 편지를 쓰도록 말하는 장면을 마지막으로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지만, 목걸이 사건 직후 페르젠이 앙투아네트에게 "메르시 백의 원래로 돌아가 주세요"라고 충고하거나 혁명 발발 직전에 마리 테레즈가 "메르시 백이 무서운 얼굴을 하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기 때문에 실은 주위에 있는 모습이 엿보였다. 혁명 발생 후 벨기에 로 망명한다.
- 카우니츠
- 음성 - 다나카 야스로
- 오스트리아 총리 장관. 유럽의 평화를 위해 앙투아네트의 프랑스에 가마를 제안했다. 여제의 뜻을 속이고 프랑스 궁정의 공식 姵姫인 듀버리 부인에 대한 태도를 바꾸도록 앙투아네트에게 훈령을 내렸다. 안토와네트가 부른 혼명은 "카우니츠의 갈리지지지".
- 소피아 폰 페르젠 ( en )
- 페르젠의 여동생. 원작만 등장. 오스카루에 매료되지만 오빠에게 "그 분은 오래 살 수 없는 타입이다"라고 인상을 낸다. 신 에피소드에서는 제로델과 동지적인 감정을 공유해 오스카르가 평생 한 번만 여성으로 드레스를 입고 페르젠과 춤을 추었을 때 그 귀부인이 오스카르라고 깨졌다.
- 카론느
- 네켈의 후임 대장 대신. 재정이 위험해졌기 때문에 귀족으로부터도 세금을 제안했지만, 격노한 귀족 의회에 의해 전회 일치로 파면되었다. 이 배고파에 왕실의 재정적자를 서류에 정리해 그가 가두 연설하는 형태로 이치이에 폭로했다. 이 행동이 바스티유 습격 의 방아쇠가 된다.
- 로메니 드 브리엔
- 오쿠라 대신. 재정 곤란과 파산을 회피하기 위해 절약 정책에 의해 궁정에 근무하고 있던 소성 ·급사계·사동· 위병 · 경기병 을 면직·해고시켰지만, 역대의 국왕과 귀족의 낭비와 사치에 의해 쌓인 적자는 맨손의 정책으로는 메울 수 없었다.
- 리안 쿨 공 ( en )
- 소리- 코무로 마사유키(구 드라마 CD판)
- 루이 16세의 측근. 공작. 원작만 등장. 심야에 베르사유 궁으로 나타나 병사의 제지를 뿌리며 루이 16세의 침실로 가서 바스티유 습격을 보고할 때 폭동인가라고 묻는 국왕에게 「아니 폐하, 혁명에 있습니다… !」라고 말했다.
- 풀네임은 "프랑소와 알렉산드르 프레데릭 드 라 로슈 푸코=리안쿠르". 프랑스 유수의 명문 귀족 리안쿠르가의 당주 데스티작공 프란소와 아르만 드 라 로슈후코의 남남으로서 삶을 받았다. 1783년, 죽은 아버지의 관직을 계승해 국왕 루이 16세에 취해져 측근의 1명이 되어, 「왕실 의상 기숙사 장관」에 취임했기 때문에 국왕의 침실에 들어가는 자격을 주어져, 취침중의 루이 16세의 근원 처해 참석해 습습 .
- 페르젠의 아버지
- 페르젠 집의 당주. 스웨덴의 육군 원수로 하여 왕실 고문관을 맡는다. 장남인 한스 악셀을 수업에 내놓은 당시 [ 주석 18 ] 와 달리, 혁명의 폭풍 속에 뛰어들어도 동연한 장남의 프랑스행에 맹반대하지만, 그것이 한스에 도착하지는 않았다.
- 롱샷하면서 모습이 1컷만 그려졌다.
- 파비안 폰 페르젠
- 페르젠의 동생. 페르젠이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혁명의 동란에 흔들리는 프랑스를 향했을 때, 죽음을 각오하고 있던 형에게 페르젠가를 맡겼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소피아뿐 아니라 스웨덴에서 혁명의 동란에 흔들리는 프랑스를 목표로 하는 페르젠을 멈춘 가족의 모습은 그려지지 않았다.
- 툴젤 부인
- 형의 사후에 왕태자가 된 앙투아네트의 차남 루이 샤를르 의 교육계인 여관 . 폴리냑 부인이 앙투아네트 등 왕가를 버리고 망명했기 때문에 새로 왕태자의 교육계로 임명되었다. 발렌 도망에도 동행했다. 원작만의 등장.
- 라 파예트 후지
- 목소리 - 치다 미츠오
- 이야기 후반, 3부회 에서 평민 의원이 의장에서 배제될 것 같은 장면에서 등장. 로베스피에르들을 망치고 의장( fr , 구희장의 맹세 도 참조)을 향해 오는 근위병을 퇴각시키려고, 다른 청년 귀족들과 함께 근위병 앞에 서기 시작했다.
- 프랑스 혁명이 본격화했을 무렵, 바스티유 감옥 함락으로 무장한 평민들을 정식으로 병대로서 채용. 그 후, 국민위병 사령관으로서 혁명파에 붙지만, 그 후의 정쟁 등을 거쳐 장군직을 사임.
- 돌루브레제후 ( fr )
- 3부회의 진행역인 의전장( fr )을 맡는다. 의장 입구에서 점호를 취하면서 의원들을 입장시키는 가운데 고의로 평민의원을 정면에서 입장시키지 않고 그들에게 뒷문에서 입장하도록 시사, 치안을 주는 오스칼이나 로베스피에르들 평민의원과 대치한다.
- 오노레 가브리엘 드 미라보 백작
- 음성 - 오가타 켄이치
- 제1권부터 등장. 오스카르는 "술과 여자에게 익사했던 방탕아 "였지만 나중에 혁명파 가 되어 3부회에서는 프로방스 주의 평민 의원 으로 당선돼 로베스피에르를 지지했다. 프랑스 혁명이 본격화한 1791년 4월, 비밀리에 혁명을 배신하고 프랑스 왕실측에 대해 있었지만, 급사했다.
- 디안 드 소와슨
- 음성- 오카모토 마리 / 타케우치 켄 (신 드라마 CD판)
- 알란의 여동생. 사랑스럽고 청초하고, 위병대의 아이돌. 원래는 '디온느'였다. 이전 오스카르가 착임하기 전 대장에게 사령관실로 무리하게 잡아당겨 난폭해질 것 같았지만, 형 알란이 턱을 부수고 돌이켜 죽였다. 그 때문에, 앨런은 소위 → 병졸 에 강격처분 [ 주석 19 ] 이 되었다.
- 이름만의 귀족이라는 것과 가난함, 평민의 부유한 딸로 기괴한 약혼자에게 버려져 목을 매달린다. 원작에서는 육체는 부패해 백골화하고 있는 모습이 그려졌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피의 기운이 잃어버린 상태로 모습은 귀여워 아직도 있었다. 에피소드 4 '알란편'에서 알란은 전 약혼자를 사살하려고 했던 것을 포기했을 때 형의 마음 속에서 도와주신 것에 감사하고 있었다.
- 조세핀
- 자르제 장군이 개최한 오스카르의 남편 후보를 모집하는 무도회에서 반발하는 오스카르가 유혹해 춤추는 흑발의 여성. 그녀의 다섯 누나 중 한 명과 같은 이름.
군 관계자
- 알란 드 소와슨
- 목소리 - 키톤 야마다 (겸 영화판 [ 주석 20 ] ) / 코야스 무인 (구 드라마 CD판) / 나카이 카즈야 (신 드라마 CD판)/타케우치 하스케 (2025년판)
- 프랑스 제일연대 프랑스 위병대 베르사유 상주 B중대의 반장 . 남존녀비의 덩어리로, 여동생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선대의 대장을 때리고 강격되어 규칙 [ 주석 21 ] 에 의해 원래의 계급에는 돌아갈 수 없고, 자폭자기가 되어 반항을 반복한다. 우여곡절 끝에 오스컬에게 일생분의 짝사랑과 상관으로서의 경애를 품는다. 검의 팔에서는 오스컬과 호각. 바스티유 습격 때 오스카르를 망치고 어깨에 총격을 받았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앙드레의 마시는 친구로서 등장해, 동년대의 친구로서 앙드레를 지지했다. 바스티유 습격 후 해변 향리로 돌아와 농부가 되어 밭을 경작하면서 어머니와 여동생의 무덤을 지키고 있다. 극적인 묘사를 좋아하는 원작자는 이 농부 앨런의 후일담을 사람으로 듣고 놀랐지만, ' 영광의 나폴레옹-에로이카 '에도 등장시키는 것은 상당한 전부터 결정했고, 베르나르와 함께 나폴레옹 암살에 실패해 사살됐다. 『벨 장미』 본편이 더 계속되고 있으면, 위병대 중에서 유일한 생존으로 해, 척팔의 장군으로 할 예정이었다 [ 요출전 ] .
- 빅토르 클레만 드 제로델 / 플로리안 드 제로 델
- 목소리 - 삼경 게이지 / 키시오 다이스케 (신 드라마 CD판)/ 에구치 타쿠야 (2025년판)
- 근위대에서 오스카르의 부관. 제로델 백작가의 차남.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제1화부터 등장하고 있었다. 계급은 대위 → 소령 [ 주석 22 ] → 대령 [ 주석 23 ] .
- 오스카르가 프랑스 위병대에 떠난 후, 그녀의 추거에 의해 근위 연대장을 배명. 나중에 오스카르가 떠난 것으로 처음으로 그녀를 여자로 볼 수밖에 없었고, 사랑하고 있는 것을 깨달아 자르제 장군에게 오스카르와의 결혼을 바라보았다. 그러나 앙드레가 불행해지면 자신도 불행해진다고 말한 오스카르의 심정을 듣고 납득하며 “당신이 불행해지면 자신도 불행해진다”고 말하며 깨끗하게 몸을 당긴다. 자신의 외모와 가문에 자신감을 갖고 불편한 남성이지만, 오스카르의 여성으로서의 조밀한 갈등을 간파하고 있다. 세련된 귀공자이자 신분·가문도 잘 오스카르의 남편 후보에 적합한 것이었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이들은 일체 삭제되고, 자르제 장군에게 혼활 무도회에서의 전말을 말해 연담은 끝나고 있다. 생전의 오스컬을 본 것은 원작·애니메이션 모두, 평민 의원 배제를 그녀에 따라 등, 철퇴한 것이 마지막으로 이것이 지금 생의 이별이 되었다.
- 신 에피소드가 수록된 『베르사유 장미』 제11권에서는 제3권의 첫 등장시의 제로델이 다시 게재되고 있지만, 그 외 대세의 일대장으로서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편집자로부터 「신 에피소드로 여기까지 출세한다고는 작자나 누구나가 예상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 15 ] .
- 원래는 이름이 없고, 「빅토르 클레 만 」 이란 애니메이션으로 명명된 것이고, 새로운 에피소드에서는 「플로리안 F」라는 이름이 설정되었다.
- 부에 장군
- 목소리 - 이즈카 아키조→ 마스오카 히로시 / 오기노 하루로(신 드라마 CD판)/ 오츠카 아키오 (2025년판)
- 왕당파 군인. 육군 참모 총장 → 육군 총사령관. 귀족으로서의 계급은 후작. 프랑스 위병대 이동 후 오스칼의 상사. 원작에서는 자르제 장군과는 사이가 나쁘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낡은 친구이며 제1화로부터 동료로서 등장하고 있어, 오스카르의 결혼화 때에는 그녀를 위해 성대하게 무도회를 열 정도의 사이였다. 삼부 회의장에서 오스카르의 대역에 의해 자르 제 장군을 망설일 수 없게 된다. 오스칼에게 평민의원이나 시민에게 발포를 명령한다.
- 원작과 사실에서는 발렌 사건 에 있어서는 국왕 일가 구출에 실패했다. 페르젠의 위험을 일소에 붙이는 것도 적중해 버려, 첫 번째 장소에서 민가에 가까운 장소에 병사를 배치해 의심을 받고 철수를 강요당하고, 다음으로는 기다리는 병사가 술에 취해 소란을 일으킨 뒤 국왕 일가는 오지 않는다고 마음대로 결정해 떠나버립니다. 게다가 연락 장교로서 두 명의 아들이 국왕 일행에 휩쓸렸지만, 권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경종을 울린 자코반파의 도루에가 일으킨 소란에 앙천해 계획이 발각되었다고 착각해 도망쳐 버린다. 도착했을 무렵에는 이미 국왕 일가가 도루에 등의 손에 떨어지고 있어, 「참깨하고 있어는 이쪽이 위험하다」라고 퇴각 랩퍼를 울려, 벨기에의 국경 도시에서 페르젠에게 일의 나름을 털어놨다.
- 쇼와지에 라 폭풍 대령 ( fr )
- 목소리 - 나카기 타카시
- 부에 장군의 복심. 육군 대령. 애니메이션판만 등장. 부에 장군의 생명으로 삼부 회의장 오텔 데 무뉴 입장의 지휘 안내(원작에서는 도루브레제 후작)를 맡는다.
- 다구 대령 ( en )
- 목소리 - 츠 카다 마사아키 / 미야자키 히로무 (신 드라마 CD판) / 야마노이 히토시 (2025년판)
- 프랑스 위병대에서 오스칼의 부관.
- 귀족이며, 혁명시에는 "이제, 귀족 이외의 누구도 될 수 없습니다 ..."라고 말하고, 고뇌하면서 오스카르들과는 함을 분배하게 된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작중의 1년전에 아내를 가슴의 병 으로 죽고 있어, 오스카르가 같은 증상을 앓고 있는 것에 단지 인기 있어, 저택에서의 휴양을 눈물면서 추천한다. 오스칼과 B중대가 이반할 때에는 “무단으로 휴가를 받기 때문에 상층부에 대한 보고는 다음날 이후가 된다”고 이해를 보였고 단지 단단하다고 생각했던 알란 등 B중대의 심경에 변화를 주었다.
- 라살 드레셀
- 음성- 이구치 성인 / 다마루 아츠시 (2025년판)
- 프랑스 위병대 B 중대대원. 군으로부터 지급된 검(애니메이션판에서는 제식총)을 팔았던 것이 발각되어 헌병대에 체포되지만, 그것을 계기로 오스칼은 평민병사나 민중이 어떻게 곤궁하고 있는지를 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그 후 대장 오스카르가 스페인 왕실에서 내빈한 알데 로스 공어 일가를 호위한 공적을 꺼내 부에 장군에게 직담판, 라살은 헌병대에서 석방된다. 혁명파와 합류 후 동료를 죽인 분노와 슬픔으로부터 역상하여 적 부대에 돌진해 벌집으로 되었다.
- 람베스크 공
- 목소리 - 요시미즈 케이
- 왕비의 두꺼운 왕당파 군인. 다른 연대와 마찬가지로 시민의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지방 주둔보다 파리에 올라간다. 독일인 기병연대를 이끌고 튈르리 광장을 점거한다. 민중의 도발을 탄 병사의 발포로부터 폭동으로 발전한다. 육군을 제대한 오스컬들 전 B중대와 응전했다.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영광의 나폴레옹-에로이카』의 주인공. 원작만. 본 작품 등장시는 라 페일 포병 연대 [ 주석 24 ] 첨부 소위 . 당시 포병연대는 오성에 주둔 중이기 때문에 그 자리에 있는 것을 부자연스럽게 생각한 오스컬이 불러낸다.
- 그 풍모에서 오스카르는 "저것은 제왕 의 눈이다... 독수리 의 눈이다...!"라고 격렬하게 전율했다. 앙투아네트와 로베스피에르들의 처형을 거쳐 프랑스 황제에 올랐다.
혁명파
- 베르나르 샤틀레
- 목소리 - 노지마 아키오 ( 겸 영화판) / 세키 토시히코 (구 드라마 CD판 )
- 르 뷰 코르도리에 종이 신문 기자. 카미유 데무 란이 모델. 1760년생. 태어난 [ 주석 25 ] 에서 귀족을 미워하고 오스카르를 '왕비의 개'라고 불평했다. 그 후, 의적 「검은 기사」로서 귀족으로부터 도둑질을 일한다. 오스칼에 잡히지만 평민의 실태를 알게 된 오스컬은 절도를 멈추는 것을 조건으로 묵주를 맡기고 거리로 돌아간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묵주는 자르제 저택으로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에, 정양처로서 그녀의 집으로 향해, 묵주가 양모를 잃었을 때도 있어 점차 매료된다는 설정으로 변경되었다.
- 앨런과 마찬가지로 '영광의 나폴레옹-엘로이카'에도 등장했고, 거기서는 로사리와의 부부원만이 그려져 있다. 앨런과 함께 나폴레옹 암살을 실행하려고 실패, 장절한 최후를 이루었다.
- '목걸이 사건'에서도 심판되어야 하는 것은 진상이나 사물의 선악보다 앙투아네트의 부정이라고 믿는 인간 중 하나이며, 태어난 왕후 귀족에 대한 어둠의 증오와 '왕후 귀족은 악'이라는 가치관을 계속 유지했기 때문에 나폴레옹이 황제에 취직 직전에 푸쉐 와 탈레이란 에 의해 젖은 옷을 입혀 재판을 받지 않고 처형된 앙 기안 공 의 분죄 사건으로 인한 암살을 신경쓰이는 묵주를 신기해, 단지 공화국에 있어서 위험도가 낮은 귀족이 죽었다는 인식이었다.
- 막시밀리안 드 로베스피에르
- 목소리 - 모리 공지 / 이케미즈도리 / 오노 켄쇼 (2025년판)
- 오스카르가 영지의 아라스에서 만난 변호사 . 평민이지만, 대대로 성 앞에 '드'를 붙이고 있다. 루이 16세 즉위 때에는 총대로서 루이 르 그란 학원 에서 축사를 말한다. 나중에 알투아주 선출 의원 이 되어 3부회에서 재회한다. 어느 폭우의 날에 개최된 3부회에서, 평민 의원은 정면 현관을 통과시키지 못하고, 도르·브레제후로부터 「뒷문에 돌려달라고 한다」라고 말해져, 「그들은 선명한 국민의 대표야!!」라고 항의하는 오스카루를 꺾고, 스스로 지금의 체제를.
- 원작에서는 가난한 평민의 아군으로, 열정적인 혁명가라는 조형이지만, 애니메이션판에서는 혁명의 기운이 높아짐에 따라 과격화해, 수단을 선택하지 않게 되는 등, 후의 공포 정치 를 암시시키고 있다.
- 6살 때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로부터 3명의 동생과 함께 버려진 과거를 베르나르가 뜨겁게 말했다.
- 루이 앙투안 레온 플로렐 드 산 주스트
- 목소리 - 후루카와 토시오
- 베르나르의 먼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청소년. 비 속에서 보인 오스컬은 '남장의 여인'이라고 잘못 틀리지만, 선명한 남자. 에로소설(본인 웬 예술) '오르간'을 출판한 것이 계기로 경찰에 쫓기는 몸이었지만, 앨런 등 구출을 위한 연설을 베르나르에게 의뢰하기 위해 방문한 오스카르를 자신을 체포하러 왔다고 착각하고 사살하려고 돌려보냈다. 피칼디 주 선출 의원을 거쳐 로베스피에르의 측근이 된다. 이야기 종반, 의장에서 루이 16세의 형을 둘러싸고 토론이 되었을 때, 그의 사형을 결정 붙이는 스피치를 했다.
- 원작에서는 유머러스한 성격이었지만,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급진적이고 냉혹한 테러리스트 로서 그려져, 베르나르의 인연이라는 설정은 삭제되었다.
- 에베일 [ 주석 26 ]
- 파리 시의회 의원. 원작만 등장. 자코반파 중에서도 교격파라고 불리는 급진좌파로 극좌세력 '에베르파'의 주요 멤버 . 앙투아네트 재판 때 루이 샤를르와의 근친상간이 있었다는 허위 사건을 완성해 앙투아네트를 빠뜨리려 했지만, 청중의 여성들로부터 반감을 정도로 산주스트에게 그 후의 운명을 암시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 장 - 침례자 돌루에 ( en )
- 자코반 클럽 에 가입하는 혁명가. 원작만 등장. 1763년생. 전 근위병으로 해 공화주의자. 여관 역장을 맡는 산 무누(en )에서 국왕 일가의 정체를 깨고, 앞을 한 발 렌느 에서 잡아 파리 로 귀환시킨다.
- 바이이
- 삼부회 개최로부터 등장. 후 파리 시장. 주 드 폼 에서는 자신들을 의장에서 마무리한 왕가에 대해 결코 포기하지 않고 헌법 제정까지 싸우는 것을 평민 의원들과 맹세한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그 역할을 로베스피에르로 변경되었다.
목걸이 사건 관계자
- 잔느 발로아
- 목소리 - 마츠 가네 요네코 / 요시다 리호코
- 묵주의 이모 누나 (로자리와 어머니가 다른 것은 모르는 채 죽는다). 구왕조 바로아 왕조의 서말예 , 산레미 남작 [ 주석 27 ] 의 낙원. 자신의 미모와 혈근에 적합한 생활을 얻기 위해서는 수단을 가리지 않고, 귀족의 양녀가 되어, 항에 「안토와네트의 친구」라는 소문을 흘려 진정으로 받은 로앙 대주교를 이용해 다양한 범죄 행위에 손을 물든 끝에 「목걸이 사건」을 일으킨다. 고등법원에서 유죄가 되어, 「V」(도둑의 뜻)의 구이를 양 어깨에 날린 뒤( fr ), 종신 금고형의 판결을 받고, 사르페트리에르 감옥( en )에 투옥되었지만, 누군가의 맹조로 탈옥하고, 사베른 수도원에 몸을 숨기면서 '장느·바로아 회상록'이라는 폭로본 수권을 날조해 출판, 왕실을 강렬하게 비판한다.
- 마지막은 니콜라스와 함께 사베르느의 저택에 쯤성. 벨트레 화약을 걸고 저항하지만, 앙드레에게 쓰러져 벗어나 니콜라스를 자살해 버려, 발코니로 도망치는 것도 전락사했다. 사실의 죽음에 비유한 마지막이었다.
-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소성을 숨긴 오를레앙공의 도움으로 탈옥해, 그 지시로 폭로책의 출판 활동을 실시했지만, 출판이 일단락하면 시말 때문에 거처를 밀고되었다. 오를레앙 공은 당초부터 신용하지 않았고, 은신처를 포위되어 더 이상 도망칠 수 없다고 보고 있으며, 오스카르를 짜내려고 한 니콜라스를 칼로 찌르고 미리 걸어놓은 화약으로 이어지는 도화선에 불을 붙이고, 서로 납득을 위하여 마음에 들었다. 사실에서는 누가 탈옥시켰는지는 수수께끼이다.
- 니콜라스 드 라 모트 대위
- 목소리 - 연못 물통양
- 원래는 부렌빌리에 집에 출입하는 평민의 군인이었지만, 잔느의 안내로 귀족을 자칭하게 되고 [ 주석 28 ] , 잔느에게 반해 결혼. 로앙의 추천으로 근위사관이 된다. 쟌느가 부정을 계획할 때마다 그녀의 대담함에 놀라지만, 중반 즐겨 가담한다. 쟌느의 명령으로 로사리를 죽이려고 하지만, 나중에 무도회에서 재회했을 때 그녀라고 눈치채지 못하는 등 머리는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고, 그 밖에도 근위대에서도 악의에 오스카루에 어슬렁거리는 일도 있었다. 오스컬에 대해 반감을 안고 있다.
- ' 목걸이 사건 '에서 보석상 베메르에서 속은 다이아몬드 의 목걸이를 팔아서 바로 영국에 건너 사건 발각 후에는 도망중에 부재한 채로 지명 수배되어 종신조역형 [ 주석 29 ] 의 판결을 받았다.
- 마지막은 쟌느와 함께, 사베르느의 저택에 쯤성. 저항하지만 앙드레의 반격으로 쓰러진 쟌느가 가지고 있던 검이 박히는 사고로 사망했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납득 만들기의 마음속에 되었다.
- 루이 드 로앙 대주교
- 목소리 -鎗田順吉
- 교회의 고위직에 있는 스님. 오스트리아 대사의 경력이 있어 방탕한 버릇과 여자놀이의 격렬함 [ 주석 30 ] 에서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와 왕비 앙투아네트에게 미움받고 있었다. 안토와네트의 고귀한 아름다움에 연심을 품고 있지만, 여전히 방탕한 버릇으로 미움받고 있다. 부렌빌리에 후작 부인의 지인이었던 인연에서, 왕비의 가장 친한 친구를 자칭하는 쟌느에게 붙여져, 허언에 당황해 목걸이 구입의 보증인이 되어, 「목걸이 사건」에 말려 들어간다. 사건 발각 후 목걸이의 대금 전액 지불을 신청하는 것도 로앙을 혐오하는 앙투아네트에 거절되어 체포된다. 재판 시작까지 바스티유 감옥 에서 유치됐다. 법정에서 쟌느에게 젖은 옷을 입을 수 있지만, 판결로 무죄를 전해졌다. 행상을 모르는 민중보다 열광적으로 지지됐다.
- 재판에서는 무고하더라도 루이 16세에 의해 국외 추방처분이 되었다. 덧붙여서, 조카 샬롯의 남편으로 '영광의 나폴레옹-에로이카'에서 분죄 사건의 희생이 된 앙기안 공 루이 앙투안은 , 루이 16세의 사촌 오를레앙 공의 여동생 루이스 마리 테레즈 바틸드를 어머니로 하는 오를레앙 공의 조카.
- 부렌빌리에 후작부인
- 목소리 - 시마 미야코
- 마차로 시타마치를 지나갔을 때 온 쟌느의 「바로아 왕조의 후예의 고아」라는 말을 가득 채우고, 그녀를 저택에 인수해 귀부인으로서의 교육을 받게 한다. 궁정으로의 출입은 인정되지 않았다 [ 주석 31 ] .
- 사실과의 비교
- 실재의 인물이지만, 「자르제 부인의 친구, 쟌느의 야망과 증거 은멸 때문에 살해되었다」라는 부분은 픽션.
- 레토 드 빌레트 ( en )
- 목소리 - 카토 슈
- 타인의 필적을 모방하는 것이 특기인 사기꾼. 쟌느와 공모해, 부렌빌리에 후작 부인의 유언서나 왕비의 로앙충 러브레터를 작성했다(그러나 왕비의 필적에 관해서는, 국왕으로부터 「전혀 다르다」라고 지적된다) 판결로, 채찍질 50회 위에서 35년간의 국외추방.
- 니콜 드 올리바
- 목소리 - 마츠시마 미노리
- 파리 시내의 창녀. 앙투아네트에 2개의 외모를 쟌느에게 이용되어 '목걸이 사건'에 관여시킨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맹목적으로, 순수한 성격으로 변경되고 있어, 입봉에 살해하려고 한 잔의 마음을 움직인다. 재판을 위해 증인으로 출정했는데, 너무나도 두개이기 때문에 파리 고등법원 의 재판장(목소리 - 카토 세이조 )과 방청인을 놀라게 했다. 판결에서는 무죄를 전해졌다.
- 모델은, 후에 가명 「니콜 드리바 남작 부인」을 칭하는 창녀 마리 니콜 르게이 데시니 .
- 베메르
- 음성- 기타무라 히로이치
- 왕실에 출입하는 보석상. 루이 15세의 재위 중, 듀·버리 부인 에게 주는 다이아몬드 의 목걸이의 주문을 받았지만, 급속한 때문에 수취인이 없어져, 게다가 가격이 160만 리블(약 192억엔) 시))라고 하는 고액이기 때문에, 어느 나라의 왕실도 상대로 해 주지 않고, 「분할해도 꽤이니까…
- 거기서, 「왕비와 친하다」라고 하는 쟌느에게, 다이아몬드의 매입을 추천해 주었으면 한다고 의뢰. 로앙 대주교를 보증인으로 하지만 쟌느에게 속아 버린다. 나중에, 속임수를 받았다는 것을 모르고 앙투아네트에게 청구의 편지를 보내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앙투아네트는 그 편지를 불태워 버린다. 지불이 멈추고 있는 것에 참을 수 없이 베르사유에 갔고, 캄팡 부인 에게 일의 나름을 호소했기 때문에, 사건이 발각했다. 쟌느의 '안토와네트의 가장 친한 친구'라는 루머를 진정으로 받은 1명이다.
기타
- 뒤 배리 백부인
- 목소리- 내궁 료코 /스즈키 치히로(신 드라마 CD판)
- 루이 15세의 애연 . 시타마치에서 창부를 하고 있었지만, 당시의 정부에게 돈을 내게 해 명문의 듀·버리 백작과 형태만의 결혼을 해 백작 부인이 된 다음날에 백작을 독살했다. 그 후, 궁정에 출입하게 되어, 미모와 육체를 무기에 국왕의 寵姫의 자리를 손에 넣었다. 앙투아네트와 대립하여 한때는 앙투아네트를 굴복시킬 정도의 권세를 자랑하고 있었지만, 루이 15세의 위기에 따라 사제의 생명에 의해 궁정에서 추방된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거친 옷으로 갈아입히게 되어, 병사에게 채찍질되어 있던 곳을 오스컬에 구출된다. 그 후, 호위로 동행한 오스카르에게 「자신을 지키기 위해 붙은 거짓말」을 깨뜨리고 예를 말해, 평민으로서의 태생과 긍정적인 심경을 이야기해 들려, 이후의 바스티유에서의 잠자리에의 복선이 된다.
- 사실과의 비교
- 어린 시절에 고아가 된 것과 궁궐에서 권력을 부딪힌 횡포한 행동은 픽션이다.
- 앙투아네트를 궁지에 빠지는 ' 목걸이 사건 '의 목걸이는 붕괴 직전인 루이 15세가 그녀를 위해 주문한 물건이다.
- 니콜 라 몰리에르
- 목소리 - 공경 케이코
- 잔 어머니, 묵주 양모. 떨어지고 있던 바로아 집의 여중을 하고 있을 때, 마지막 당주 산 레미 남작과 연중이 되어, 쟌느를 미혼으로 출산. 몇 년 후, 당시 15세의 귀족의 딸, 마르틴 가브리엘이 당주에 농락되어 임신. 당황하다는 것을 알고, 그녀가 출산한 묵주를 자신의 두 번째 딸로 끌어들였다. 친절한 성격으로 본래라면 연적일 것이다 마르티누를 생각했다.
- 당주의 사후는 시모마치로 이사. 쟌느의 성격에 괴로워하고 있어, 훔친을 그녀를 꾸짖는 곳(애니메이션판에서는 자신은 미인과 자매해 일하려고 하지 않는 쟌느에게 입복과 변경) 가출되어 버린다. 이 일에 의한 심로와 과로로부터 바닥에 덮는다. 폴리냑 부인의 마차에 휩싸여 로사리에게 자신의 열매의 딸이 아닌 것, 귀족인 그녀의 친어머니의 이름을 남기고 사망한다. 원작에서는 쟌느와 같은 흑발이었지만, 애니메이션판에서는 로사리에 실의 부모와 자식이라고 믿는 요인의 하나로서 금발로 변경되었다.
- 덧붙여 퍼스트 네임 「니콜」은 애니메이션판으로 명명된 것이며, 원작에서는 로사리도 폴리냑 백부인도 「라・모리에르」라고 밖에 부르고 있지 않다.
- 피에르
- 목소리 - 아 키노 마리코
- 파리의 마을에 사는 아이로 묵주와는 이웃끼리. 가난한 나머지 드 게네메 공작의 마차에서 돈을 훔쳤기 때문에 용서하는 척한 공작에 배후에서 속여 토벌로 총살 당했다. 어머니 (목소리 - 카가와 산기 )는 나중에 시타마치로 돌아온 묵주를 기상시키고있다.
- 실
- 페르젠이 어릴 때부터 섬기고 있다. 그가 프랑스 혁명 직전의 파리로 여행을 떠날 때에도 수행해 국왕 일가가 오스트리아 로 망명할 때의 준비를 도왔다.
- 최종회에서는 이미 늦은 앙투아네트를 구출하려는 페르젠을 필사적으로 제지했다. 그것을 뿌리치지 못할 정도로 그 존재는 페르젠에게 무거웠다. 페르젠의 앙투아네트에 대한 사랑에 기인하는 프랑스 국왕 일가 구출 작전을 도와주었지만, 스웨덴인의 페르젠이 실권을 잃은 프랑스 국왕을 위해 거기까지 해야 할 것인가와 불만을 모으고 있어 소중히 생각해도 페르젠의 심정을 이해할 수 없었다.
- 비제 르블랑 부인
- Antonet의 포옹 화가. 임신 중에도 앙투아네트의 초상화를 계속 그리며 앙투아네트에 걱정됐다. 원작만 등장. 사실에서는 마리 테레즈 공주 탄생 후에 작중의 사건이 있었기 때문에, 아직 임신·출산을 미경험이었던 무렵의 앙투아네트와의 교환은 픽션.
- 로즈 베르탄 아가씨
- 목소리 - 모리 히로코
- 파리의 산 트레노 거리에서 양장점을 경영하는 복식 디자이너. 평민이지만 앙투아네트에 마음에 들어 납품 드레스 메이커로서 궁정에 출입을 하게 되어, 유행의 최첨단을 만들어 내고 있었다. 자신이 반입한 원단의 색에 대한 감상 [ 16 ] (원작에서는 루이 16 세. 애니메이션 버전에서는 앙드레)를 유행으로 연결할 정도로 상재에 뛰어나고, 앙투아네트에 비싼 드레스, 장식품을 차례로 추천해 간다. '목걸이 사건' 후 경비 삭감을 위해 해고됐다는 부분은 픽션으로, 사실은 컨슐리 줄리 감옥으로 이송되기 직전까지 앙투아네트를 섬겼다. 안경을 쓰고 있다.
- 캄팡 부인
- 풀네임은 '잔느 루이스 앙리엣 캄팡'. 옛 성은 「쥬네」.
- 안토와네트의 방이 있는 제일 사무라이의 1명으로, 낭독계. 여관장. 또, 회계계·보석의 관리계의 임무도 임임되었다. 평민의 여성으로 외교관 혹은 고급 관료 였던 부르주아 의 아버지에게 교육을 받고, 루이 15세의 공주(오스카르 엎드리는 「올드 미스의 이모군」아델라이드 , 빅토르 , 소피 )의 낭독계에 임명되어 오스트리아로부터 가득 넣은 안토와네트를 섬기도록 혁명에 의해 파산하는 것도 교육자로서 재출발해, 제정하에 열린 학교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의 친족을 교육해 그에게 인정되지만, 왕정 복고 후, 제정하에서 성공한 자를 적시하는 마리 텔레즈로부터 절연된다.
- 가만 선생님 ( fr )
- 루이 16세의 취미인 자물쇠 만들기의 스승. 이름은 원작만 등장.
- 베르나르 샤틀레의 어머니
- 회상 장면에 등장. 분위기가 묵주와 비슷하다. 베르나르는 "평민의 가난한 상가의 딸"이었지만, 처자 있는 귀족에게 굳건히 권력으로 둘러싸였다. 파리에게 저택을 주어 베르나르를 낳지만, 베르나르가 5세 무렵, 자신을 둘러싸고 있던 귀족에게 새로운 애인이 생겼던 것으로부터 베르나르 모두에게 저택을 쫓겨 노두에 헤매고, 눈물면서 베르나르를 끌어안고 세느강 에 몸을 던져 입수 마음속을 잃고 아들을 남겨두고.
- 화가 선생님
- 목소리 - 미야우치 코헤이
- 뚱뚱한 초상화 화가. 하쿠바에 걸친 오스컬을 그린다. 바야 (마론 그라세)에 사랑을 하고 있었다. 어리석은 「도근 안의 야마 아라시」이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슬리밍으로 알만이라는 이름으로 바야에 대한 연정은 없었던 것으로 변경되었다.
- 잭 네켈
- 목소리 - 오키 민부
- 오쿠라 대신 . 스위스 은행가에서 평민 출신. 재정위기 및 삼부회를 개최함으로써 왕정개혁을 제안한다. 그러나 특권계급에 과세하는 방안이 원이 되어 앙투아네트에 파면됐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그의 실각이 로베스피에르들의 선동 에 이용된다. 딸 스탈 부인 은 ' 영광의 나폴레옹' 에 등장한다.
- 출처
- 발렌의 시장. 조야에서 공격적인 도루에와는 정반대에 부끄럽게 접해, 어떻게든 온화하게 마음을 부수었다. 더 이상 국왕 일행의 안전이 확실하지 않다고 보고 곧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죄송하게 루이 16세에 촉구했다.
- 사실에서는, 도르에에 의해 「히키토메이면 반역죄다.」라고 협박된 발렌의 촌장의 추천으로 식료품점 「소스」의 2층에 방에, 24시간의 도피행으로 피곤했던 국왕 일행이 쉬어진 것에 근거한다.
외전 흑의 백작 부인
'검은 기사' 소동 시절의 에피소드로서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그려져 있다. 문고판의 5권과 완전판의 8권에 수록.
누나의 오르탄스가 사는 성에 휴양에 나간 오스카르, 앙드레, 로사리. 성에 도착한 그들을 기다리고 있던 것은, 오르탄스와 그 딸의 르루, 그리고 사람들을 위협하고 있는 「흡혈귀」의 소문이었다…
「쿠로이의 백작 부인」등장 캐릭터
- 오르탄스 드 라 로랑시
- 오스카르의 맨 위 누나 [ 주석 32 ] 에서 르 루의 어머니. 훌륭하게 성장한 여동생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 또한, 딸에게는 손을 굽고 있다. 재봉이 나쁘다.
- 롤랜시 백
- 오르탄스의 남편. 르 루의 아버지. 오스카루에서는 '의형상'이라고 불리고 있다. 3컷만의 등장. 수염이 특징.
- 르 루 드 라 로랑시
- 6세. 오르탄스의 한 딸로 오스카르의 조카. 묘하게 어른을 먹은 곳이 있다. 폭발한 듯한 천연 파마를 트윈 테일로 하고 있어 애교가 있다. 오르탄스가 만든 르루 인형을 항상 가지고 있어 사건 해결에도 도움이 됐다. 묵주에 그리워, 사이좋게 된다. 당인은 어쨌든 미인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앙드레로 해 보면, 「무리일 것이다」라는 것.
- 후술의 「Kids」에서는 생일이 3월 24일. 모델도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17 ] .
- 엘리자베트 드 몬테크레일
- 몬테 클레르 성에 사는 미모의 백작 부인. 시계 기사에게 살인 인형 「리오넬」을 만들게 해, 그 인형으로 많은 소녀를 살해. 그 피로 목욕하는 것으로, 스스로의 젊음과 아름다움을 유지한다고 믿고 있었다. 엘리자벳 바트리가 모델 . 오스카르의 거절과 범행의 노견에 의해, 리오넬에 의한 죽음을 선택한다.
- 리오넬
- 몬테크레일 성에 사는 아름다운 청소년. 몬테 클레르 백작 부인의 조카라는 촉감이지만, 그 정체는 정교한 태엽의 인형으로, 철의 신체 위에 인간과 똑같은 피부가 씌워져 있다. 가슴 장식의 보석을 누르면 움직이고, 천천히 양손을 펼쳐 곧바로 희생자에게 다가가, 무서운 힘으로 구속해 흉부에서 돌출하는 칼날로 살해한다. 등 가운데를 누르면 정지합니다.
- 르페부엘 후부인
- 로랑시 백의 원연에 해당하는 귀부인. 딸 칼로린을 데리고 로랑시가의 무도회에 참석한다.
- 칼로린 드 르페부르
- 르페부르후작가의 영양. 오스카르에 동행하는 로사리에게 질투하고 의지악을 짓지만, 몬테크레일 백작 부인에 의해 리오넬을 사용해 살해된다.
- 앙리 조베르
- 프랑스 제일의 팔을 가진다고 하는 시계 기사. 몬테크레일 백작 부인에게 협박되어 리오넬을 무리하게 만들어진 뒤 눈을 잡아 지하 감옥에 유폐되고 있었다.
베르사유 장미 외전
부제는 「명탐정 르·루편」.
잡지『월간 Jam』( 실업지 일본사간)에서 1984년 6월호 - 1985년 4월호까지 연재되었다. 전 4화. 단, 원고 소재 불명에 대해 복각하고 있어, STORY4 「악마의 구석 후편」은 잡지 미게재.
'흑의 백작 부인'과 마찬가지로 '검은 기사' 소동이 일어났을 무렵의 에피소드로 쓰여져 있다. 「쿠로이의 백작 부인」에도 등장한 오스카르의 조카 르 루를 주인공에 둔 코미디색의 강한 시리즈이다. 중앙 공론사 에서 애장판·문고판(전 1권)이 간행되고 있는 것 외에, 슈에이샤보다 「SG코믹스(슈에이샤 걸즈 코믹스)」의 완전판 9권에도 수록되어 있다.
외전 등장 캐릭터
본편·「흑의의 백작 부인」에 등장한 캐릭터는, 추가점만을 말한다.
- 르 루 드 라 로랑시
- 외전의 주인공. 오스카르의 긴 누나 오르탄스의 한 딸. 수다에서 호기심 왕성하고, 길을 잃는데 호기심의 명령대로 행동하기 위해 오스카르 등 주위의 두통의 씨앗이 되고 있다. 매우 감각이 좋고, 기전이 오기 때문에 오스컬이나 주위의 인간의 핀치를 몇번이나 구한다. STORY3에서 첫사랑을 경험하지만 상대가 남장한 인신매매를 하는 수도원의 원장임을 알고 실연에 끝난다. 또한 오스카르와 앙드레, 각각의 연정도 눈치채고 있다. 변함없이 르 루 인형을 놓지 않고 가지고 다니고 있으며, 내부에 다양한 도구 (장난감 권총, 마개 제거, 폭약, 칼, 압정, 낙하산 등)를 숨겨. 귀족의 딸이지만, 신분을 신경쓰지 않는 곳이 있어, 평민의 딸과도 사이좋게 된다.
- STORY1에서 어머니 오르탄스가 케치로 스프링이 나쁜 마차라고 엉덩이가 아파서 지루하다고 달리고 있는 마차의 창으로부터 뛰어 내려, 길을 잃고 듀플레 백작과 조우해 버린다.
- 오스칼 프랑소바 드 자르제
- 르루에서 보면 이모에게 맞는다. 르 루에게서는 「오네 짱」이라고 불리고 있다. 작자의 도안의 변화에 의해, 보다 남성적인 몸매가 되고 있다. STORY2에서는, 갑자기 나타난 동생을 전에 자신의 존재의의에 대해 흔들리게 된다. 아직 페르젠에 사랑을 하고 있었을 무렵이며, 앙드레의 기분은 눈치채지 못하고 있다. 애인을 가지는 것이 귀족으로서 당연하다는 풍조를 인식하고 있는 소위로부터인가 STORY2에서 모리스를 중반 이모동생이라고 생각해 아버지에게 의심을 안고 있어, 자수 들어간 조끼가 도착하면 이름을 속았다는 가능성을 생각하지 않고 완전하게 동생이라고 생각해 버린다. 사과했는지는 불명.
- 앙드레 그란디에
- 자르제 부부를 제외하고, 타메구. '검은 기사'를 뛰어오르기 위해 오스컬에게 억지로 머리카락을 자르고 가짜를 연기하고 있을 무렵이기 때문에 머리카락은 짧아지고 있지만 STOY1의 첫 컷만 리본을 묶고 있다. 거의 르루의 놀이 상대 겸 장난감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완전 꺾인 역이라는 것도 없고, 오스컬이나 르루를 지키는 장면도 많다. 또한 말을 돌보는 등 본편에서는 그리 그리지 못한 종인으로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오스카루의 괴롭히는 대상 겸 8개당의 상대가 되거나, 세 번째 캐릭터의 낮은 취급. 또, 불필요한 한마디를 말해 버려, 할머니의 분노를 사서 안면 킥을 받는다. STORY1에서 어렸을 때, 알고 있던 조금사가 귀족으로 이어져 두플레 부부의 저택에 있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또 STORY3에서 어리석은 소망을 안고 끈질기게 노력하고 있다고 르루에게 말해져 쇼크를 받는다.
- 로사리 라 모리에르
- 본편보다 한층 더, 촉촉한 부분·천연 노망 부분이 강조되고 있다. 르루의 내방의 보도에 주위의 인간이 싫은 얼굴을 하는 가운데, 바야와 함께 기뻐한 사람. 간단하고 속기 쉽기 때문에 STORY4에서 에베라의 평판을 진정으로 받아 버린다.
- 바야 (말론 그라세 몽블랑)
- 마지막 STORY4에서는 요통 덕분에 사건에 휘말린다. 또, STORY2에서 자르제 장군의 숨겨진 아이 의혹 때에는 맨 먼저 실신해, 부인으로부터 걱정되고 있다. 자르제 장군의 몸의 결백을 믿으려 하지 않고, 애인과 숨겨진 아이를 만들고 있었다고 결정해 비난의 눈을 돌렸다.
- 앙드레에 대한 야키는 건재.
- 레니에 드 자르제
- 오스카르의 아버지, 르 루의 할아버지. 근위대 총사령관. 귀족으로서의 계급은 백작. 멋과 바람기로 유명한 프랑스 남성의 풍상에도 둘 수 없는 견물과 음구를 두드려 아내 모두 평민의 부부 같다고 한다.
- 뜻밖의 숨겨진 아이 의혹의 젖은 옷을 입게 되면 아야와 사용인 뿐 아니라 오스카루까지 의심되어 괴로운 입장에 서게 된다. 의심을 품은 르·루 이외, 가족·사용인에게 거의 전원에게 애인·숨겨진 아이의 젖은 옷을 입을 수 있다. 손자에게 진지하게 휘두르며 "농담이 통하지 않는 군인 오르기 노인"이라고까지 말해지고 있다.
- 자르제 백부인
- 오스카르의 어머니, 르 루의 할머니. 결혼하고 수십 년이 지나도 남편만을 사랑하고 있어, 연인도 만들지 않고 남편밖에 눈 속에 없는 것은 부도덕과 비난되어 귀족의 부인에 있는 진지한 삶의 방식과 다른 귀부인분에게 어리석고 있다.
- 친구들로부터 불근신이라고 말할 정도의 정숙한 양처 현모. 헤매어 온 모리스가 바람기 상대의 아이일지도 모르는 가운데, 동정해 저택에 살게 했다. 다른 가족이나 하인처럼 남편에게 애인이 있었다고 의심을 품았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 오르탄스 드 라 로랑시
- 행의견습을 위해 딸 르루를 어머니에게 맡긴다. 오스카르의 맨 위 누나. 그러나 원래는 삼녀의 설정이었다.
- 마리 앙투아네트
- 외전 전반에 등장한다. 보석을 노리거나 미라화한 여성의 손목 이야기를 듣고 불쾌한 생각을 한다. 르 루를 만나고 싶었지만, 오스칼에게 수명이 줄어드는 존재라고 말해져, 등근을 떨게 했다. STORY4에서는 수상한 기도사를 경계하고, 오스칼에게 상담하는 등 왕비다운 태도를 보이지만, 에베라의 정체를 모르고 신앙하고 있는 귀족으로부터는 혐오 되어 버린다.
STORY1 르 루와 함께 온 인형
- 듀플레 백작, 듀플레 백작 부인
- 조상 대대로 도둑을 생업으로 하는 도둑 귀족 「듀후레 일족」. 돈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크레아몬 백작에 막대한 사례금으로 "조카를 궁정에 오르게 하고 싶다"고 들고 마들렌을 잠입시켰다. 왕비의 보석을 정교한 모조품으로 바꿔 진짜를 인형에 숨기고 넘겨주기 위해 마들렌에게 명령했다. 오스칼에 의해 정체와 목적을 폭로해 도망하지만, 지금까지 훔친 보석류를 반환했다.
- 마들렌
- 듀플레 백작 부부의 조카. 앙투아네트의 시녀. 의상계. 이모 부부 모두 도둑 일족의 일원. 로즈·베르탄양의 가게에서 침자를 하고 있었지만, 도둑질을 위해 왕비에 접근하기 위해서 크레아몬 백작의 양녀가 되어, 드레스에 맞추어 보석을 선택하는 센스의 장점을 팔아 의상계가 되었다. 듀플레 백작 부부와 함께 도망쳤다.
- 클레어몬 백작
- 부채로 고통받는 귀족. 듀플레 일당에 이용되어 버린다.
- 캄팡 부인
- 여관장. STORY1에서 오스카루에 지적돼 내린 장식품이 모조품으로 바뀐 것을 알고 푸른다.
- 로즈 베르탄 아가씨
- 의상 디자이너.
STORY2 자르제 장군의 아들 나타난다!?
- 집사
- 자르제 집을 나누는 종인. 그러나 주인인 자르제 장군의 몸의 결백을 믿지 않았던 한 사람.
- 모리스
- 자르제 백부인의 생일에 자르제 장군의 아들이라고 자칭해 자르제가에 들어간 소년. 곧 자르제 장군이 펜던트에 넣은 아버지의 초상화와는 다른 사람이며, 죽은 어머니 플로라로부터 「아버지는 레니에 드 자르제」 「근위대의 총사령관」이라고 말해지고 있었지만 자르제가를 방문한 뷰조 대령이 초상화와 같은 인물인 것으로 아버지라고 몰랐다. 그 때문에, 누구에게도 사실을 이야기하려고 하지 않았던 것으로 자르제 장군의 입장을 위태롭게 해 버린다. 몰래 나가려고 하는 것도 오스카루에 끌려갔기 때문에, 자르제 장군과는 부모와 자식이 아니라는 중요한 사실을 말하지 않은 채 보내고, 무고한 자르제 장군에 있는 엄청난 애인·숨겨진 아이의 의혹을 깊게 한 제일의 원인이다.
- 플로라
- 모리스의 어머니. 생전, 저녁이 되면 한가지 거리의 노파 밀자에게 맡겨 일에 나와 있었다. 10년 이상이나 옛날에 뷔조 대령과 사랑하고, 그의 부모님에게 결혼을 반대받아 어쩔 수 없이 둘러싸이는 처지에 있었다. 뷰조 대령을 ‘레니에 드 자르제’라고 믿은 채 사망했다. 뷔조 대령이 빌린 말의 소유자가 드디어 전달한 조끼를 죽음 전날 자수하고 있어 죽을 때 일을 위해 아들을 맡고 있던 밀자에게 맡긴 것이었다.
- 뷰조 대령
- 모리스의 친아버지. 아내와 아들·딸이 있다. 그러나, 아내와는 불친하다. 플로라의 마음을 끌고 싶은 일심으로 자르제 장군의 이름을 속인 것이 자르제 장군에 엄청난 폐를 끼쳐 버리고, 결국 모리스가 자르제 가에 온 것의 원인을 알게 된 피해자의 자르제 장군의 번개가 떨어진다. 6년 전, 빌린 말을 골절시켜 죽게 한 것도 자르제 장군에게 밀어붙였다.
- 10년 이상 전 부모님께 결혼을 반대해 플로라와 달려가겠다는 약속을 하는 것도 무서워 배반해 버리고 상처 입은 플로라가 모습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부모님께 정해진 여성과 결혼해 아들과 딸이 태어나 행복하게 살고 있었다. 그러나 직장 지방에서 장말의 술집에서 일하는 얽힌 플로라와 재회했는지 가족과 파도를 세우고 싶지 않아 플로라를 위해 파리에 한 집을 사주고 그녀를 애인이라는 형태로 둘러싸고 아들 모리스가 태어났다. 아직 아기의 모리스가 고열을 냈기 때문에 의사의 근원으로 데려가지만, 의사에게 플로라와의 관계를 느끼게 되는 것을 두려워 가족의 곁으로 도망쳐 돌아간다. 2주 후, 플로라와 모리스는 모습을 끄고 6년을 거쳐 모리스와는 재회하더라도 플로라는 죽어 영원히 만날 수 없었다. 르루에게 말의 변상을 해준다고 조언된 소유자가 찾아온 것으로, 행방불명의 아들에게 재회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그 후, 정부녀와 딸이나 아들과 자신이 진실 사랑하는 여성과의 아이 모리스가 어떻게 된지는 불명.
STORY3 터키 해적과 수녀
- 샹탈
- 르루가 만난 평민의 딸. 고아였지만 귀족의 사생아라고 불려 수도원으로 보내진다. 귀족에 대한 호감은 없었지만 솔직하고 어린 르루는 친구가 된다. 감이 날카롭게 수도원의 부정을 깨닫는 것도 반대로 잡히고, 르루와 협력해 탈출을 측정한다. '검은 기사'라고는 모르고 '이웃의 오빠'(베르나르 샤틀레)와는 이웃의 몫으로 사이가 좋고, 그로부터 들은 혁명 사상과 '자유'의 소중함을 르 루에게 말해 들렸다. 두 번이나 르루의 미아 소동에 휘말린다.
- 시몬
- 샹탈의 친구. 남자의 셔츠를 20장이나 씻어야 한다고 어리석은 말을 하고 있던 화살, 그녀와 함께, 강을 흘러 온 트렁크에 들어간 여성의 손목을 발견해 버린다.
- 빌레르 부인
- 절개 구이의 귀부인. 자르제 부인에게 딸을 수도원에 넣어 덕고 대공녀의 근원에서 행의작법이나 도덕심을 배우고 교육을 받게 하는 것은 전통적인 당연한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그렇게 해서 가문이나 재산의 어울리는 남자와 결혼하고 남편의 뒤 방패로 사교계에 데뷔하는 것이야말로 여성에게 더 이상의 안전한 행복은 없다고 말한다. 사건 해결 후 다시 잃어버린 르루를 돕고 자르제 가문으로 보내게 된다.
- 베아트리스
- 산 마르가리타 수도원의 원장. 왕가의 피를 당기는 대공녀. 익숙하지 않은 고아와 사생아를 찾아서 수도원에 넣어 넣어 사용해, 부모가 발견되었다고 속여 터키의 해적에 보석과 교환해 팔아주고 있었다. 20년 이상 전, 제노아의 가난한 귀공자인 부오나 솔테 남작과 사랑에 빠지지만, 신분이 너무 달라 찢어져 수도원에 넣어 버린다. 가난한 남작이 전력으로 손에 넣고 결혼 선물로 할 생각이었던 금과 진주를 다룬 멋진 세공의 굵은 에메랄드 반지를 되찾으려고 부정하게 손을 물들여 미술품을 숨긴 방이 르루가 화약의 폭파로 소동 를 일으켜 오스칼과 앙드레의 행동을 도왔지만, 화재를 깨닫고 미술품을 지키려고 하면 전신에 심한 화상을 입고 얼굴은 괴물 같은 유양이 되고, 법의 심판은 면할 수 있어도 식물처럼 잠들어 버린다.
- 은발의 늠름한 여성이기 때문에, 남장한 모습은 르루의 「첫사랑의 사람」으로서 그녀의 마음에 굽는 본작의 또 다른 남장의 여인이지만, 원장으로서 대면했을 때에 같은 향수를 붙이고 있었던 것으로 여성이라고 알고, 르루에게 실연의 슬픔을 모르게 준다.
- 부오나 솔테 남작 부인
- 베아트리스의 연인이었던 부오나 솔테 남작의 아내. 베아트리스와 거래하고 있던 터키 해적에 빼앗기게 된 에메랄드 반지를 잡은 채 죽여 손목을 절단되어 버린다. 특수한 가죽 트렁크에 들어가 있던 손목은 미이라화해 말린 것도 반지를 잡고 있었다.
STORY4 악마의 쓰레기
- 에베라
- 여성기도사. 그 정체는 최면술과 마약으로 진위를 확인하지 않고 머리에서 믿어 버리는 사람들을 속이는 사기꾼. 법외에 고가의 약과 수상한 고언으로 강도 사건이나 살인을 일으키는 인간을 내, 체포당해도 최면술로 소신 자살했다고 보여 도망. 심야, 복수를 위해 자르제 가에 들어가 오스카르를 몰아넣지만, 르루의 발포로 최면술이 깨져 사살되었다. 르 루에게 '아줌마'라고 불리며 분개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망신하는 귀족 속에 왕비에 대한 증오를 심어 버린다.
- 듀브비에
- 에베라의 약을 분석해 마약이라고 폭로한 의사.
새로운 에피소드
개요
본편이나 ' 영광의 나폴레옹-에로이카 ', 하기오 망도 의 ' 포의 일족 '과 연동한 추가 에피소드 작품이다. 단행본은 컬러 페이지를 완전 수록한 「신·에피소드」와 마가렛 본지에서 게재된 「벨 장미 Fan Room」의 2부 구성으로 되어 있다.
11권, 『안드레』편은 다카라즈카 상연 「외전 베르사유의 장미」를 위해서 작성한 작품 [ 18 ] . 『페르젠』편은 일찌기 이케다가 「그려보고 싶다」라고 인터뷰에서 공언하고 있던 작품 [ 19 ] 로, 새로운 에피소드에서 실현되었다. 화수 카운트는 「에피소드 ○」이다.
12권에서는 컬러 페이지에 표지 일러스트 이외에 잡지『SPUR』의 특별 기획 「오스컬 모드를 입는다」의 일러스트도 게재. ‘벨 장미 Fan Room’은 SP로 ‘당시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관계’ ‘고귀한 사람의 결혼 사정’을 ‘신’에 따른 일화를 게재하고 있다.
14권에서는 이케다의 코멘트에 있어서, 「신」의 끝을 고했다 [ 20 ] .
에피소드
- 에피소드 1 '안드레'편, 에피소드 2 '제로델'편, 에피소드 3 '페르젠'편, 에피소드 4 '알란'편
- 에피소드 5 '제로델 다시! 』편(전후편), 에피소드 6 『오스컬의 출생의 비밀이』(전후편)
- 에피소드 7 『오스컬』편 ( 전후 편 ) [ 21 ]
- 에피소드 9 "로자리"편
새로운 에피소드 등장 캐릭터
에피소드 주인공
- 오스칼 프랑소바 드 자르제
- 에피소드 7의 주인공. 본편처럼 스토리에 등장하지만, 도중에 자신도 눈치채지 못하는 본심을 날리는 '언니와 비슷한 소녀'가 얽힌다. 실은, 아버지 레니에에 의해 남성·군인으로서의 인생을 강제되어 의심도 없이 살고 있을 생각으로 피를 토하는 것 같은 생각으로 포기한 소망의 화신이며, 자정의 결혼식, 아이를 돈벌이 등등의 보통으로 여성으로서 길러졌다면 손에 들었던 것의 것을 보여준다. 포기한 결과가 아니라 스스로 골라낸 길을 걷고 있다고 아버지에게 말했지만, 또 한명의 여성으로서의 분신에 밀려붙은 실현되지 않는 소망의 여러 가지를 마음의 안쪽에 봉인하고 있었다. 언니를 닮은 귀족의 소녀가 붙어 있다고 믿고 있었다고는 해도, 상대를 「너」라고 부르고 귀부인에 대한 예의가 결락하고 있어, 직장 포기라고 판단되어 훼손되었을지도 모르는 행동을 취하고 있었다. 같은 해의 페르젠에 대해 「와카조」라고 불리는 첫 대면도 본편과 같았다. 바스티유의 전투로 전사했지만, 본편에서 알란과 로사리에 개포되어 바스티유 감옥에 백기가 오르는 것을 보고 만족한 마지막이었던 것과는 달리 임종의 말 “프랑스 '반자이'는 같지만 단독으로 피투성이가 되어 노면에 쓰러져 앨런이나 위병대원, 로사리의 모습은 없고 저격되어 쓰러졌을 때 우울증이었기 때문에 표정은 확인할 수 없었다.
- 대부분의 에피소드에 등장하지만 과거와 회상 장면만의 등장. 에피소드 2에서 5세 때부터 검을 허리에 대고 자랐다고 제로델에게 말해, 본래라면 입대 자격은 15세를 11세에 근위대에 입대하고 있어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동맹의 체결 및 왕태자 루이 오규스트(루이 16세) 와 오스트리아 황녀 마리·아 트와 넷의 혼인이 진행되고 있었을 무렵, 근위대에 정식 입대하기 전에 15년전에 퐁파두르 부인 의 제안으로 창설된 파리 의 왕립 육군 사관학교에서 장래의 부하가 되는 사관 후보생과 직접 접해 그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살고 있는지를 배워 앙드레의 호위 첨부로 에피소드 5에서는 처음으로 마지막 '웨딩 드레스'로 오달리스크풍(터키 후궁)의 하얀 드레스를 입은 모습이 그려졌다. 에피소드 6에서 그 미들네임은 영지를 폴란드 국왕 스타니스와프에 양도시킨 것에 죄의식을 가진 아버지 레니에가 로렌공프란소바의 이름을 붙인 것이었다. 갓 태어난 아기로 등장했다. 에피소드 8에서는 로사리와 자르제 장군의 회상 속에서 '목걸이 사건'과 검은 기사의 출현으로 근위를 계속하는 것에 의문을 품고, 종생의 충성을 맹세하는 것도 왕비와는 길을 나누어 프랑스 위병대로 옮겨 왕실에 등을 돌린 운명의 때를 맞이한다.
- 앙드레 그란디에
- 에피소드 1의 주인공. 자르제가의 영지 마을에서 자라도 어머니와 사별한 8세의 모습이 그려져, 친숙한 크리스티누가 눈물면서 이별을 아끼는 가운데 “마만이 죽어 버렸기 때문에, 육친은 저택의 할머니만이 되어 버렸다.”고 말했다. 아버지에 대해서는 본편처럼 만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에피소드에 등장하지만 과거와 회상 장면만의 등장. 소꿉친구의 소녀와 사이가 좋았던 것이 밝혀져, 수년 후, 그녀와 눈치채지 못한 채 재회했다. 그녀를 보고 놀란 듯한 표현은 있었지만, 그것이 소꿉친구의 소녀라고 알고 있는 것인지 아름다운 여성을 보고 있는 것인지는 모른다. 주로 크리스티느의 관점에서 이야기는 진행되어 자신의 심정이 그려지지는 않았다. 에피소드 7에서는 본편과 마찬가지로 스토리에 등장해 수수께끼의 소녀에게 동요하고 들판을 떠나는 오스컬을 찾거나, 그녀의 괴로움을 이해할 수 있어도 어떻게 할 수 없다고 우울한 색을 띄웠다. 에피소드 8에서 시계사 브레게가 자르제 장군에게 주문 시계를 전달했을 때, 반왕실 사상의 소유자 말러와 교류가 있다는 것을 오스칼에게 설명했다.
- 플로리안 F. 드 제로델
- 에피소드 2, 에피소드 5의 주인공. 본편에서 오스컬을 ' 마드모아젤 ' ' 실피드 '라고 부른 유일한 인물 [ 23 ] . 2화에서는 플로리안이라고 하는 퍼스트 네임으로 불려 오스칼의 나이가 11세의 1개 차이로 등장한다. 『외전』에서 자르제가는 6명의 아이 전원을 수중에 키우고 있는 것에 대해, 플로리안은 10년도 시골의 마을 부모에게 방치되고 있었다. 친가로 돌아왔을 때, 주근깨 가 뜨는 정도 무두질 하고 있었다. 에피소드 2의 끝에 어린 시절에 적 헌신을 안은 오스카르에 대한 감정에 변화가 있어 에피소드 5 이후에도 변하지 않았다. 에피소드 5에서는 전술한 풀네임이 공개. 페르젠을 위해 처음이자 마지막 드레스를 입은 오스카르를 보고 눈치채지 못했던 반면,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의 다리 역할을 하고 있던 페르젠의 여동생 소피아를 돕기 위해 위병 앞에서 입안을 한 척하고 어려움을 피했지만, 궁정 내 소문에. 이후는 플로리안의 시점에서 본편처럼 진행해, 평민 의원의 배제를 오스카르의 설득으로 생각해 내는 것도 명령에 등을 씌워 관위 박탈 위에서 에이쿠라에 처했다. 그 사이에 바스티유 습격 사건이 일어나 사랑하는 오스카르는 전사해 자신만 살아남았다고 괴로워한다. 그들을 소피아에게 말해, 고국 프랑스에 여행 서 소식이 끊긴 곳에서 끝나고 있다. 스웨덴의 그녀의 집에서 떠날 때, 이번에 만날 때는 그 때와 같은 갑작스런 입안이 아니라 보통으로 해도 좋을지 물어, 소피아는 수긍하고 수락하고 있다.
- 에피소드 9에서 묵주와 프랑수아를 그림자에서 돕고 봄이 될 때까지 별장에 익숙했다. 30대밖에 보이지 않고 오스칼과 거의 같은 나이의 플로리안이 바스티유 습격 보다 15년 후에도 살아 있다면 50세 가까이 되기 때문에 너무 젊다 외관에 로사리는 2개의 다른 사람인가와 혼란했지만, 1793년에 파리로 돌아가도 영국에 망명해 각지를 전전했을 때에 「안개에 싸인 장미가 피어난 골짜기 마을」[ 주석 33 ] 에 헤매고 영원한 때를 사는 ' 이상한 일족 '의 아름다운 형제를 만나 일족에게 맞이하여 자신도 ' 시간을 넘어 사는 존재 '가 된 것이었다 [ 주석 33 ] .
- 한스 액셀 폰 페르젠
- 에피소드 3의 주인공. 프랑스의 혁명을 무너뜨리기 위해 유럽 각국의 결속을 위해 비엔나 주재 스웨덴 대사로 향한 오스트리아의 궁전에서 처음 만났을 때 마리 앙투아네트와 2개의 마리 텔레즈를 재회한다. 꽤 둔감. 에피소드 5에도 등장해 여동생과 제로델의 동지적인 관계와 제로델이 오스카르에게 구혼해 거절당한 것이 아니라 몸을 당긴 것을 모르고 세상에 유포하는 ‘척했다’는 소문을 웃으며 소피아에게 말했다. 자신을 위해 드레스를 입은 것으로 오스카르의 짝사랑을 알게 된 제로델에게 노려보거나 앙투아네트 이외에 눈을 돌리면 어둠 속에 오스카르의 마음을 말한 소피아의 심정도 눈치채지 못했다. 그 후는 본편처럼 진행된다. 에피소드 7에도 등장하지만 본편처럼 진행된다.
- 에피소드 9에서 앙투아네트가 처형된 것으로 '살아가는 사인'과 여동생 소피아에 평평하고, 무구하고 엄격한 인물이 되어 보수적이고 귀족 친밀한 정책을 취하고 평판은 떨어질 뿐이다. 왕제 폐지와 민주공화제로의 이행을 서두르는 일파가 신문을 사용해 “구스타프 4세 추방에 발전한 쿠데타와 덴마크에서 맞이한 황태자 칼 아우구스트 의 사고사에 보인 암살의 흑막이며, 자신이 스웨덴의 왕위에 취임 , 전쟁을 일으켜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를 처형한 프랑스 국민에게 복수를 기획하고 있다. 앙투아네트를 잃은 날부터 죽음을 기다리고 있던 것이 일기에서 밝혀진다.
- 알란 드 소와슨
- 에피소드 4의 주인공. 여동생 디안느를 배반한 전 약혼자의 남성을 죽이려고 하지만, 앙드레의 말과 전 약혼자가 갈아타는 신중의 아내 슈잔느의 생명을 내기한 행동으로 단념했다. 베르나르와 마찬가지로 과거의 편견과 증오로부터 탈피할 수 없다. '영광의 나폴레옹-에로이카'에서 나폴레옹에게 그의 여동생 폴린과의 결혼을 권해받아도 거절하고, 로사리가 카트린과 어울리면 마음대로 상상을 부풀리기도 '일생분의 짝사랑'을 오스컬에 안았으니 안 된다고 베르나르가 말한 대로, 거의 색연 탈레이란의 아내가 된 것으로 실연한 카트린에게는 그녀가 샤틀레 가문에 동거하고 있던 독신 무렵부터 마음이 기울어졌지만, 자신이라도 예상대로 하지 않을 만큼 “늦은”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실연의 충격은 컸다. 카트린의 행동에 의심을 품은 것은 있었지만, 그녀가 푸쉐의 스파이를 연기한지 얼마 안 있어 왕당파로 혁명과 자코반파를 깊이 증오하고 있던 것은 끝까지 눈치채지 못했다.
- 에피소드 9에서 『영광의 나폴레옹~』과 같이 나폴레옹 암살 계획을 실행하지만, 사전에 연락도 없이 부로뉴 주둔 부대가 파리에 입성한 것에 의문을 품은 병사가 참모 본부에 문의한 것으로 계획이 노견하고 암살에 실패해 도망하려고 하는 것도 떠났다. 그 때문에, 처자가 있는 몸으로 계획에 참가한 베르나르를 걱정해, 로사리와 프란소와의 용서에 베르나르를 되돌리려고 하는 것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 가르티에
- 에피소드 6의 주인공 중 한 명. 오스카르의 아버지 레니에 드 자르제. 주군 루이 15세의 생명으로 로렌 공국의 클레멘스 왕자와 협상하기 위해 밀사로 방문했다. 가르티에는 가명. 로렌 공국을 소국으로 불러, 그래도 아름다운 시골 풍경에 국왕 폐하가 고집하는 것도 알겠다고 감탄했다. 사생님으로부터 돌아오는 도상인 졸제트에 매료되어 클레멘스 사망으로 소란이 되는 교회에서 그녀에게 말을 걸지만, 협상 상대를 잃고 오스트리아는 클레멘스의 동생 프랑소바에 손을 뻗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조르제트가 그린 가르티에의 그림을 본 조르제트가 달린 부스런 뤼시루에서는 '아름다운 귀공자'로 평가된다. 당초 조젯과의 결혼은 그녀의 소성을 몰랐기 때문에 루이 15세에 용서받지 못했지만, 할아버지를 창백하게 만들 때까지 주군에게 거역해도 그녀와 결혼식을 강행하려고 폭주할 정도의 격정가였다. 로렌 프랑소바와 오스트리아 황녀 마리아 테레지아의 결혼을 인정하는 대신 로렌 공국의 통치권을 양도하라는 주군의 횡창을 잃고 클레멘스 대신 로렌 공국을 이어가며 마리아 테레지아의 약혼자가 된 프랑수아에게 전해, 그것을 승낙시켜 고국을 버린 것은 마음의 깊은 부분에 죄의식이 되어 새겨져 있었기 때문에, 마지막 아이가 되는 말딸의 6녀 오스칼의 미들네임에 프랑수아라고 명명했다. 다음이야말로 남아를 희망을 가하는 것도 저주받은 여계도라고 불리는 모습을 증명해 6명 전원이 여아였기 때문에, 마침내 포기함과 함께 건강한 말딸에게 남자 이름을 붙여 흔들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대부분 전부터 졸젯의 몸에 더 이상은 임신·출산의 부담을 가하는 것은 그만두라고 주치의 에게 경고받고 있던 것도 오스컬로 아이 만들기를 막아낸 이유이다.
- 에피소드 2 - 4, 7에 등장했고, 에피소드 2에서는 오스칼과 앙드레도 10대 초반의 어린이 때문에 젊은 모습으로 등장해 사관학교에서 장래 부하의 심리를 배우라고 명령했다. 에피소드 3에서는 페르젠, 에피소드 4에서는 알란과 말을 나누고 있다. 앨런에 대해 자신과 딸은 선택하는 길이 다르다고 말했다. 에피소드 6에서 청년 시절의 사랑이 그려졌다. 에피소드 7에서는 본편처럼 스토리에 등장한다. 에피소드 8에서는 안토와네트의 유품을 지닌 로사리의 방문을 받아 당시를 되돌아 본다. 앙투아네트를 탈출시키는 것만으로도 굉장히 도망 계획을 제안하지만, 그녀가 어머니이기 때문에 거절당하고 눈물면서 포기했을 때, 로사리로부터 왕비가 브레게의 시계를 원한다는 것을 상담받아 아내의 모양의 시계를 그녀를 통해서 전달하는 것이었다.
- 졸젯
- 에피소드 6의 또 다른 주인공. 나중에 자르제 부인, 오스카르의 어머니. 전체 이름은 알 수 없습니다. 로렌 공국의 가난한 귀족의 딸. 가르티에의 감상은 「청초하고 지적」인 여성. 그림을 그리는 것을 좋아하고 어머니에 의하면 라투르가의 혈근 때문이라고 하지만, 무언가에 붙여 빠져들기 쉬운 성격. 자산가와의 인담으로 원조를 얻거나 소조부의 그림을 팔아야 할지 두 자택일을 강요당할 정도의 생가의 궁상을 알고 강하게 끌리는 청년 가르티에에 대한 생각을 포기하고 자산가 우리아스에게 아내 결의를 굳힌다. 그래도 가르티에에 재회해 조를 바쳐 버려, 장녀 오르탄스를 신장했다. 가난한 귀족 때문에 처음에는 루이 15 세는 결혼을 용서하지 않았지만, 조부 조르주 드 라 투르 가 루이 13 세의 세상에 궁정 화가로서의 공적을 인정받아 귀족의 칭 호를 받은 것이 얼굴도 기억하지 못한 죽은 아버지의 손을 받은 화가의 증언으로 밝혀져 혼전 협상 으로 인한 결혼 하면서 정식으로 결혼할 수 있었다. 아직 가르티에라는 가명 밖에 몰랐을 무렵, 한 번 더 만날 수 있다면 가장 소중한 그림 붓을 버린다는 맹세를 하나님께 세웠기 때문에, 만났을 뿐 결혼까지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예쁘게 상쾌하게 그림을 그리는 것은 버렸다. 『Kids』의 담당 편집자가 「이름이 확실하지 않다」라고 기술 [ 24 ] 되고 있었지만, 「신」으로 명명되었다.
- 에피소드 2 - 4, 8에 등장하지만, 이름이나 그 뒤를 말하는 정도. 오스카르의 죽음 후 1791년 말딸을 잃은 슬픔에서 뒤집히지 않고 타계한 것이 남편 레니에의 입보다 밝혀졌다. 남편이 되고 처음에는 에피소드 6에. 프랑스 귀족이 아니라 로렌 출신의 가난한 귀족의 영양. 에피소드 8에서는, 결혼 45주년에, 남편 레니에가 지인으로부터 싸게 양도된 시제품이라고 해도 왕비나 오를레안 공이 손에 넣는 시계사 브레게의 회중 시계를 주어진다.
- 마리 앙투아네트
- 에피소드 8의 주인공. 검은 기사가 암약을 시작했을 무렵, 쟌느가 일으킨 '목걸이 사건'으로 그녀의 루머를 진정으로 받은 민중이 자신의 패배를 기뻐하며 사실 무근임에도 불구하고 깊이 증오되고 있음을 알고 충격을 받는다. 시계사 브레게의 회중 시계에 매료되어 당시 최고의 기능을 모두 갖춘 회중 시계를 만들고 싶다고 의뢰하고, 루이 16세의 형사 후 남은 가족과 떼어져 컨시어지 줄리 감옥에 옮겨져 재 만난 묵주를 돌보면서 자신의 사형 판결이 내리는 것은 시간의 문제였던 어느 날, 혁명위원회보다 삽입의 희망을 묻고, 속옷과 가늘게 한 물건을 넣는 상자 외에 '브레게의 시계'라고 대답한다. 누구와는 알 수 없었지만, 묵주에서 건네받은 회중 시계 때를 새기는 소리에 위로받으면서 죽음을 맞이했다.
- 대부분의 에피소드에 등장하지만 과거와 회상 장면만의 등장. 에피소드 6에서 아버지가 어머니와의 결혼으로 울어 울고 놓은 로렌 공국의 이름을 계승하고 있는 것이 분명히. 에피소드 7에서는 본편처럼 등장한다.
- 로사리 샤틀레
- 에피소드 9의 주인공. 베르나르의 아내. 구 성은 "라 모리에르". 반돔 광장 에 있는 양재점 ‘기낭 상회’에서 침자 로 일하고 있다. 이모언니 잔느 바로아와 마찬가지로 구왕조 바로아 왕조 의 후예인 산 레미 남작 의 낙원 이며, 15세 무렵의 폴리냑 백부인을 어머니로 삶을 받았다. 같은 아버지를 가진 이모 누나 쟌느의 친모 라 모리에르에게 자란다. 동성의 여성과 알면서 오스컬을 그리워하지만, 군인으로서 사는 남장의 여인이라도 사랑에 찢어진 적도 있었던 여성 때문에 오스카르에 거절당하고 마음은 이루어지지 않고 '검은 기사' 사건으로 재회한 오스카루 '마자콘'의 베르나르와 묶였다. 혁명이 발발해 오스칼과 앙드레가 전사한 해 아들 프랑수아를 출산했다. 도망에 실패하고 컨시어지 줄리 옥 에서 죽음을 기다리는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를 돌보고 잇따라 처형된 국왕 부부의 유품을 자르제 장군에게 넘겼다. ' 영광의 나폴레옹-에로이카 '와 링크한 에피소드 9는 베르나르와 앨런이 나폴레옹 암살 미수 사건이 결행했을 때이며, 나폴레옹이 권력을 쥐고 프랑스를 우려하는 남편 베르나르와 장군에게 발탁되면서도 혁명을 지키려고 한 알란 드 소와슨이 나폴레옹 암살을 결의했을 때, 평소와는 다른 모습 의 베르나르를 보고 불안하게 자극되지만, 그의 지시에 따라 비밀리에 애식 프랑수아와 함께 스웨덴 대사관의 전 대장 장관 잭 네켈 의 딸 스탈 부인 의 수배에 의해 스위스 코페에 있는 별장을 목표로 그녀의 남편인 스탈-홀슈타인 남작이 있는 스웨덴 에 망명하기 위해 밤 그늘에 탑승해 파리를 출립했다. 문을 닫는 시간에 늦지 않고 열리는 것은 다음날 아침 5시로 불려 붙어 있지만, 암살로 향하는 도중 앨런의 도움 배로 파리 탈출에 성공했다. 그 후 파리에서 2일 거리에 있는 여관에서 두 사람의 죽음과 그분의 실종을 알게 된다. 아무도 그가 자신을 놓고 떠나 버려, 그래도 봄바람 같은 미소를 띄워야 하는가와 슬픔의 별로 자포자기가 되지만, 프랑수아의 존재로 일어나는 기력을 되찾아 출립한다. 그 때, 소리를 알아차린 손님과 모습을 보러 온 동료를 누군가에게 쓰러뜨리고, 스탈 부인의 별장에서도 침착하는 일도 이루어지지 않고 경품금에 눈이 눈부신 별장의 사용인과 마을인에게 쫓기는 도상에서 마차에 실려, 숙소에서도 별장에서도 도와 주었다 하지만 연령적으로 자신이 아는 '플로리안 F 제로델'과 닮아 있으면서 별명이 아닐까 혼란스럽지만, 스웨덴으로 망명해 6년을 거쳐 페르젠 암살 사건 후 소피아보다 플로리안의 이상한 체험을 듣는다. 구스타프 4세 추방극의 흑막이 페르젠에서는과의 소문을 프랑수아로부터 들었을 때 민중을 원망하고 있어도 자신이 권력을 잡기 위해 주군을 빠뜨리는 인물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때는 흐르고, 프랑수아에게 지켜보면서 잠들도록 타계했다. 코믹스화 때 오스카르 1세가 말한 임종의 장면 다음으로 파리의 조약돌 길에서 남편 베르나르와 다가오는 모습이 가필되었다.
- 에피소드 4, 에피소드 7, 에피소드 8에도 등장했다. 혁명으로 망명 귀족 사냥이 눈에 띄는 가운데 베르나르의 입에서 '로랑시'의 이름이 나와 르루를 안다. 에피소드 7에서는 본편처럼 등장한다. 에피소드 8에서는 잠복 중인 자르제 장군의 용서를 방문해 자신이 검은 기사 베르나르와 결혼한 것을 밝히도 자르제 장군에게 놀랄 모습은 없었다. 둘이서 당시를 되돌아 보겠다는 형태로 이야기는 진행되었다. 베르나르와 앨런의 죽음을 알았을 때 그 이야기를 하고 있던 숙박객에 따르면 베르나르가 '검은 기사'였던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었다.
자르제가 관련
- 바야 (말론 그라세 몽블랑)
- 에피소드 1, 에피소드 7에 등장. 앙드레의 할머니. 앙드레 8세와 그의 사망 시 등장한다. 어린 시절의 크리스티누를 기억하고 앙드레 사망 다음 날 오스카르도 죽었을 때 마리 크리스티누에 대면해 리본을 돌려주었다. 병사하지 않은 것으로 변경됐을까 보였지만, 오스카르와 앙드레의 전사의 보가 꽂히고 나서 병사할 때까지 며칠 공백이 있었고, 그 사이에 신체에 채찍질하여 크리스틴에 리본을 반환하기 위해 찾아왔다 [ 주석 34 ] 였다. 앙드레가 눈치채고 있어도 눈치채지 못한 척 하고 털어놓았는지, 눈치채지 못하면서도 이야기를 듣고 리본의 반환에 향했는지는 불명하다. 에피소드 7에서는 본편과 같이 등장한다.
- 빅토월 외 3명의 오스컬 누나 [ 주석 35 ]
- 에피소드 6에 등장.
로랜시 하우스
- 르 루 드 라 로랑시
- 에피소드 4에 등장. 벨기에의 친척을 만나러 가는 도중 망명 귀족 사냥을 당하지만 그녀가 발을 멈추고 있다. '흑의' 때 '장래는 오스카루 부끄러움처럼 깨끗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앙드레에게 말했다. 어린 시절의 예쁜 오스컬을 알고 있는 앙드레에게서는 「무리라고 생각한다」라고 돌입되고 있었지만, 새로운 에피소드 등장시에 오스컬 유사의 외모 [ 25 ] 로 변화하고 있다.
- 오르탄스 드 라 로랑시
- 에피소드 4와 에피소드 6에 등장. 자르제 가문의 오스카르를 마지막으로 하는 6 자매의 장녀. 벨기에의 친척을 만나러 가지만 시민들로부터 발걸음을 먹는다. 그러나 앨런에 의해 바스티유 습격 으로 민중 측에 참전한 오스칼의 언니라고 밝혀진 것으로 어려움을 피한다. 에피소드 6에서는 부모님의 나레소메를 어머니로부터 듣고 자신이 ' 할 수 있던 결혼 '으로 생긴 아이라고 알고 충격을 받았다.
- 롤랜시 백
- 에피소드 4에 등장. 오르탄스의 남편. 르 루의 아버지. 「흑의의 백작 부인」의 때에 있었던 수염이 없어지고 있다. 이번은 4컷만의 등장.
제로델 집 관련
- 제로델 백
- 에피소드 2와 에피소드 5에 등장. 플로리안의 아버지, 아말리아의 남편. 2화에서는 사관학교에 가고 싶은 말 아들에 대해 「신분으로 지위를 준다」라고 말할 정도로 낙천적인 인물. 에피소드 5에서는 결혼할 것을 선언한 플로리안에 대해 기뻐한 데다 “지참금을 가져오는 유서 있는 영양인가?”라고 할 정도로, 그러나 결혼하고 싶은 상대가 오스칼이라고 알고 아내 아말리아와 함께 경악하고 있다.
- 아말리아
- 에피소드 2와 에피소드 5에 등장. 플로리안의 어머니, 제로델 백의 아내이지만, 차남 플로리안에 대해서도 흥미가 없다. 에피소드 5에서는 위 아들의 결혼식에서 연인과 참석한 것으로 주위에서 차화되거나 결혼을 선언한 플로리안에 대해 기뻐했다.
- 여성
- 에피소드 2에 등장. 플로리안에 대해 친숙해지는 여성. 이름이나 입장이 사토모인지 사무라이인지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 에리카
- 에피소드 5에 등장. 플로리안을 신경 쓰는 소녀. 우등생 타입의 장남을 닮아 있기 때문에, 플로리안에게 말을 걸어도 순조롭게 변해 버린다. 형제라도 내용은 비슷하지 않다는 것을 친구들에게 가르친다.
왕족 관련
- 오를레앙 공 필립
- 에피소드 1에 등장. 스스로 '필립 평등공(에가리아)'을 자칭하지만, 루이 16세 사망 후는 자신의 차례라고 마리 크리스티누가 푸르게 할 정도의 야심을 가지고 있다.
- 루이 16세
- 에피소드 2-5에 등장. 본편과 마찬가지로 에피소드 2에서는 왕태자 때 파리 방문. 에피소드 3은 마리 텔레즈의 대화만. 에피소드 4에서는 발렌 사건 후에 파리로 이동할 때 꽤 작게 등장. 에피소드 5, 에피소드 7에서는 프랑스의 대관식 때 등장한다.
- 마리 텔레즈
- 에피소드 3에 등장. 표지가 그녀 혼자 되어 있다. 앙투아네트의 형사에 의해 1명 남겨져 탬플탑 에 투옥되고 있었지만, 어머니의 죽음의 2년 후에 인질교환으로 오스트리아에 인수되어, 수년 후에 페르젠과 재회하는 것도 누군가는 몰랐다. 페르젠이 평가하고 엎드려, 만난 당시의 앙투아네트에 瓜二의 미모.
- 루이 샤를
- 에피소드 3에 등장. 회상 장면만의 등장. 아버지 루이 16세의 사후, 어머니 앙투아네트나 언니 마리 텔레즈와 벗어나는 장면이 다시 그려졌다.
- 엘리자벳 내 친왕
- 본편에서는 「엘리자베스 내 친왕」이라고 되었다. 에피소드 3에서는 마리 텔레즈의 회상에서 죽음을 말하는 가운데 이름을 불렀을 뿐이지만, 사실대로 '엘리자벳'으로 변경되었다. 마리 텔레즈가 오스트리아로 보내기 전 해에 처형되었다.
- 프란츠 2세
- 에피소드 3에 등장. 오스트리아 국왕. 마리아 테레지아 사망 후 황제 요제프 2세의 동생 레오포르트 2세 의 아들로 앙투아네의 조카로 마리 테레즈의 사촌이다. 마리 텔레즈 해방을 위해 인질과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오스트리아 체재시 마리 텔레즈에 드레스를 준다. 페르젠과의 대면전에 얼굴을 낸다.
- 구스타프 4세
- 에피소드 3에 등장.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3세 암살 후 13세에 즉위한 젊은 국왕. 섭정단의 일원인 구스타프 4세의 삼촌 칼 요한은 페르젠가를 잘 생각하지 않았지만, 나중에 페르젠과 대면해 오스트리아 대사로 임명한다. 아버지 구스타프 3세의 힘이었던 페르젠에게 도와 달라고 했다. 그러나 러시아와의 전쟁에 패한 이래 정신을 앓고 버려 페르젠이나 측근의 말도 효과가 없어져 버린다. 1809년 3월, 실정이 원인으로 일어난 쿠데타에 의해 유폐되어, 왕자 구스타프(구스타프 폰 홀슈타인=고틀프)의 계승권도 부정되어 폐태자로 되어, 왕비나 다른 아이들과도 찢어졌다. 추방 후 빈곤 속에서 유럽 국가를 방랑한 끝에 정신에 이상을 와 스위스의 장크트 갈렌 호텔에서 뇌졸중 으로 몰린다.
- 알투아 백
- 에피소드 4에서 이름만 나왔고, 아직 파리에 잔류하는 자르제 장군을 보고 탈출을 진행했을 때, 이미 주였던 귀족 모두에게 망명하고 있는 것이 알란의 입에서 말했다. 에피소드 8에서는 나중에 암살된 말러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마리아 테레지아
- 에피소드 6에 등장. 오스트리아의 여제. 앙투아네트의 어머니. 15세의 황녀 시대가 그려져 주변 국가의 야심의 표적이 된다. 어린 시절부터 프란츠와 사랑에 빠졌고, 당시의 왕후 귀족으로서는 기적에 가까운 연애 결혼으로 맺어지게 된다. 당초 약혼자로 여겨진 클레멘스는 건강하고 영리하고 아름다운 왕자로 평판이었지만, 나이가 멀고 프란츠에 연심을 품고 있었던 것도 있어 그의 형 클레멘스와의 결혼을 원하지 않았다. 1994년에 동필자가 그린, 예카테리나 2세 부터는 축복받은 연애, 왕위 계승, 자식 등으로 질투에 가까운 감정을 안고 있었다 [ 26 ] . 아버지 칼 6세의 사후, 발발한 오스트리아 계승 전쟁에서 한 걸음도 양보하지 않고 프로이센과 단호하게 싸우는 결의를 굳히고 있어 오스트리아군의 취약성을 아는 프란츠가 조건에 따라 화목을 생각해 협상의 장에서 조금이라도 양보할 것이라고 개입했다.
- 프랑수아 스테판 드 로렌
- 에피소드 6에 등장한다. 로렌 공국의 두 번째 왕자. 앙투아네트의 아버지. 쾌활하고 친숙한 성격으로 탁월한 재정 재능을 가지고 있다. 재종 형제 ( 하토코 )의 소꿉친구 마리아 테레지아와는 서로 호의를 가지고 있으며, 그녀에게는 프란츠라고 불린다. 마리아 테레지아의 아버지인 아버지의 종 배부 신성 로마 황제 칼 6세 의 마음에 드는 것이기도 했다. 형 클레멘스 의 급사와 뒤를 쫓도록 아버지가 죽은 것에 의해, 로렌공이 된다. 프랑스가 마리아 테레지아와의 결혼을 인정하는 대가로 영지를 루이 15세의 현으로 양도시켰다. 결혼 후, 상사상애의 연애결혼이라고는 해도 아내의 가신이나 오스트리아 국민으로부터는 곁들임 취급으로 모욕되고, 남아 탄생을 바라는 신민의 기대에 반해 여아만은 남편의 소위라고 비난되고, 그 외 셀 수 없는 괴롭힘을 받는다는 굴욕의 인생을 그러나 서서히 관대하고 쾌활한 인품의 장점을 깨달은 신민에게 놀라게 되어, 루이 15세에 고국과 교환에 밀려붙은 적빈국가 토스카나 대공국 의 재정개혁을 가서 오스트리아를 지지하는 금고로 하고, 칼 6세가 남긴 빚을 청산한 뒤 전비와 국채 발행에 있어서 보증인이 될 수 있을 만큼 막대한 재산을 만들어 오스트리아를 지지했다. 1765년 8월 18일 저녁, 급사했을 때는 슬퍼하는 사람들이 장례식에 참석했다. 자신은 모르고 그 이름이 오스카르의 미들 이름에 붙여졌다.
- 루이 15세
- 에피소드 6에 등장하지만, 강국 때문에 로렌 공국이 오스트리아의 손에 건너는 것을 혐오하고, 로렌 공 프랑소바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의 결혼을 인정하는 대신에 로렌 공국의 통치권을 자신의 정비의 아버지인 폴란드 국왕에게 양도시키는 조건을 밀어 조건 로렌이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의 소령이 되면 유럽의 균형이 무너질 뿐 아니라 프랑스와 로렌의 전쟁이 되고, 아무래도 결혼하고 싶다면 조건을 삼키고 레니에를 통해 다가갔다. 그 대가로 프랑수아에게 대공국이란 이름만의 토스카나 대공국의 군주의 자리를 주었다. 명가인 자르제가의 당주의 아내에게 이국의 가난 귀족의 딸 등 터무니 없으면 처음에는 결혼의 허가를 요구하는 레니에에게 조르제트와의 결혼을 허락하지 않고 다른 좋은 연담을 찾으려고 했지만, 루이 13세의 궁정 화가를 맡은 라투르의 소손이라고 알고 결혼
- 칼 13세
- 구스타프 4세의 삼촌으로 그를 대신하는 스웨덴의 새로운 국왕이 되었다. 그러나 60세를 넘은 고령이자 병약하고 세계가 되는 남아가 없었기 때문에 덴마크보다 황태자 칼 아우구스트 를 맞이하지만 군사 연습 중 낙마사고로 잃는다. 새롭게 나폴레옹 밑 아래의 베르나닷 장군을 섭정왕 태자로 한다.
귀족 관련
- 디안 드 소와슨
- 에피소드 4에 등장한 앨런의 여동생. 이미 타계하고 있지만 클라이맥스의 키 캐릭터이기도 하다.
- 남성
- 에피소드 4에 등장. 본편에서는 얼굴도 나오지 않았던, 디안느의 전 약혼자. 새로운 에피소드에서도 이름 설명이 없다. 디안느에게 소개되어 앨런에게 인사까지 했지만, 슈잔에 갈아타자 앨런의 역린에 접했다. 아내에게 마음을 바꾸어 디안느를 배반한 것은 사실이지만, 금에 눈이 눈부시고 환승했다는 알란의 말과는 불일치의 부부 사랑으로 가득한 모습은 그의 부자나 대귀족에 대한 편견에 근거한 상상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자세한 것은 불명.
- 소피아 폰 페르젠
- 에피소드 5에 등장. 페르젠의 여동생. 정말 여행이었던 본편과 달리 형과 마리 앙투아네트의 다리 역할을 하고 있었다. 드레스를 입은 오스카르에 자르제가와 관련된 인물 이외에서 눈치채는 인물이다. 프랑스 궁정 귀족으로부터 '시대 지연의 드레스'라고 음문을 두드리고 있다. 이후는 본편 같은 흐름으로 진행되어 오스카르에게 구혼하는 것도 몸을 끈 플로리안에게 편지를 쓰고 있다. 이 시점에서 독신, 페르젠에서 오빠를 모시고 독신을 관철할 생각이라고 물었다. 바스티유 습격 후 평민 의원 배제의 목숨을 뒤집어 관위 박탈과 영소 들어가 살아남은 플로리안을 맞이한다. 그러나 형과 마찬가지로 혁명의 사지인 프랑스로 여행하는 플로리안을 배웅하게 되었다. 서로 프라이드의 너무 높은 부분까지 닮았고, 줄무늬로 끌어당기는 것조차 할 수 없었다.
- 에피소드 9에서 묵주와 프랑수아를 데리러 오빠의 전언으로 프랑수아에게 왕립 도서관의 일을 돌본다. 앙투아네트의 죽음에 의해 페르젠이 살면서 죽고 있다고 로자리에게 말한다. 형의 죽음 후, 형의 일기를 묵주에게 보여주고, 자신의 손으로 구워 재로 하는 것을 고했을 때 플로리안이 나이가 들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수수께끼에 대해 묵주에게 말했다.
- 라 파예트 후지
- 에피소드 5에 등장. 본편과 마찬가지로 삼부회에서 의장에서 배제될 것 같은 평민의원을 지켰다.
- 조르젯의 어머니
- 에피소드 6에 등장. 로렌의 가난한 귀족의 과부. 딸에게는 내밀하게 하고 있었지만, 원조를 목적으로 한 인담을 꺼낼 정도로 곤궁에 헐떡였다. 조르제트가 그림을 그리는 것은 혈통이라고 하는 가계이며, 저택 안에는 할아버지(조르젯에는 소조부) 조르주 드 라 투르가 소유하는 그림이 장식되어 있다. 딸의 사랑에 놀라지만, 사과와 울리아스의 대화 상대를 맡는 가운데 매료 재혼했다.
- 메르시 백
- 에피소드 8에서 앙투아네트의 유품 중 하나를 주는 상대로 이름이 나왔다. 마리아 테레지아가 파견한 주불 오스트리아 대사. 앙투아네트의 교육계이기도 하다. 본편의 도중부터 그려지지 않게 되는 것도 베르사유 궁전에는 있었던 것이 마리 테레즈의 증언으로 분명하지만, 앙투아네트가 처형된 시점에서는 페르젠과 같이 벨기에 에 체재하고 있다.
기타
- 마리 크리스틴
- 에피소드 1에 등장. 본명은 「크리스티누」. 앙드레와 같은 마을에서 자란 소꿉친구. 앙드레에게 자신의 리본을 건네주고, 반환에 앙드레에서 도토리 를 받고 있다. 부모가 죽고 병신의 남동생을 안고 마을을 나와 파리의 술집 에서 일하는 것도 주위에 괴롭힘을 당한 것도 실패 계속이었지만, 귀족의 양녀의 교육을 받고 오를레앙 공의 공주가 되었다. 앙드레에 대한 생각은 연애 감정으로 자라서 재회해 그라고 알았지만 앙드레에게는 눈치채지 못했다. 오를레앙 공의 평민의 아군 기취를 진정으로 받고 있었다. 앞면은 남작 령양이라는 것이 되어 있지만, 왕족인 오를레앙 공의 공주라고 해도 평민의 여성이다.
- 막시밀리안 드 로베스피에르
- 에피소드 1과 에피소드 4에 등장하지만 에피소드 2에서는 팔레 로얄에 있다. 에피소드 4에서는 베르나르의 대화에 이름이 나올 뿐.
- 베르나르 샤틀레
- 에피소드 4와 에피소드 8에 등장하는 묵주 남편. 파리에 거주하는 기자 . 귀족의 아버지에게 어머니 모두에게 버려진 과거 때문에 '왕후 귀족은 악'이라는 가치관에 사로잡혀 있다. 앨런의 목적지를 듣고도 가르치지 못했고, 르루는 모르는 모습이었다. 에피소드 8에서는 회상 장면에서 본편처럼 검은 기사의 모습으로 등장. 에피소드 9에서 황제에 즉위하기 전에 나폴레옹을 암살하려고 하지만 실패하고 앨런 모두에게 사살되었다.
- 슈잔
- 에피소드 4에 등장. 디안의 전 약혼자의 아내. 아이를 태우고 있다. 상사상애의 중견 마법의 부부이며, 신중의 몸으로 남편을 지키려고 앨런의 총구 앞에 튀어나와 남편의 방패가 되려고 했다.
- 류 씰
- 에피소드 6에 등장. 졸젯의 부스러기.
- 우리아스
- 재산가. 부모와 자식만큼 나이가 떨어져 있지만, 졸젯을 아내에게 갖고 싶다고 신청했다. 졸젯이 어렸을 때부터 그녀를 알고 있었고, 노후의 외로운 날들을 다가줬으면 좋겠다고 졸젯에게 마음을 말했다. 그녀의 사랑을 알고 비밀리에 그 행복을 기원하며 몸을 끌지만 나중에 졸젯의 어머니와 재혼하여 장인이 되었다.
- 화가
- 이름은 알 수 없지만, 조르젯의 죽은 아버지의 손길을 받은 인물이며, 그 증언에 의해 루이 13세의 세상에 궁정 화가를 맡은 조르젯의 조조부를 가르티에(레니에 드 자르제)와 조르제트에게 말해, 2명의 결혼의 큰 힘이 되었다. 후에 자르제가의 딸들의 초상화를 그리는 모습이 있었다. 오스칼의 초상화를 그린 화가와 매우 비슷합니다.
- 여성
- 이름은 불명. 오스컬과 같은 얼굴이지만 오스컬 자신은 '언니 같은 여자'라고 평했다. 앙투아네트의 수납이 정해진 11세 때, 아버지 레니에에 의해 검의 연습으로 철저히 당한 직후, 정원에 서 있었다. 그 이후에도 접어서 오스컬 앞에만 나타난다. 앙투아네트가 프랑스왕 태자비로 궁궐에 첫 선보일 때 가면무도회에서 오스카르와 앙투아네트가 처음 페르젠과 만난 밤에 “앞으로 네가 몰랐던 고통이 시작되는 것이다.”고 말해 사라졌다. 안토와네트 페르젠의 소문이 만연한 것으로 일시적으로 귀국한 페르젠이 다시 프랑스의 땅을 밟았을 때, 심야의 교회에서 음악이 들려왔기 때문에 문을 열고 들어갔을 때, 소녀의 성장한 모습인 여성의 거식을 목격했다. 그러나, 이 일련의 불가해한 사건은 오스카르에게 밖에 보고 듣고 있지 않고, 앙드레는 아무것도 보고 있지 않고 듣고도 없다. 우리 아이를 안고 마차를 타는 여성의 모습도 오스카루는 목격하고, 평생에 단 한 번만 드레스를 입고 페르젠과 춤추고 그에 대한 짝사랑을 포기한 밤 오스카르가 뛰기 전에 오스카르로서 페르젠과 뛰고 있었다. 심야 베르사유 궁전의 ' 거울 사이'에서 오스카르가 거울에 손을 대고 있었는데, 거울을 지나 이공간에 들어간 것으로 희미하게 정체를 헤아친 그녀에게 '나는 너의 포기한 물건의 전부'라고 말했다.
- 아브라안 루이 브레게
- 스위스, 누샤텔에서 삶을 받은 천재 시계사. 시계의 역사를 200년 앞당겼다고도 말해진다. 스위스에서 와서 순식간에 시테섬에 공방을 세웠다. 동향의 소(요시미)에서 말러와 교류가 있다. 가난한 시민들에게 마음을 기울이고 있어, 당초는 안토와넷의 「영원히 계속 움직이는 회중 시계」의 주문을 폐가 하고 있었지만, 시계사로서의 자랑 때문에 열정을 기울여 완성을 목표로 한다.
- 말러에게 강하게 국외 퇴거를 권유받았기 때문에, 삽입을 묻고 앙투아네트가 '브레게의 시계'라고 대답한 것으로 밟아 온 혁명위원회에서 한발 차이로 도망쳐 스위스의 향리 누 샤텔 에 아들 앙투안과 함께 피난했다. 정정이 차분한 프랑스로 돌아와 공방을 재개하고, 중반에서 쓰러졌다면 유지를 이어 시계를 완성하라고 아들에게 말했다. 1802년, 앙투아네트가 발주한 지 19년의 세월이 걸릴 때도 회중시계는 완성되었고, 그 직후에 쓰러져 회중시계에 '마리 앙투아네트 No.160'이라고 명명하라고 앤투안에게 말했다. 1815년 ' 레지용 도누르 훈장 '을 수훈, 1823년 76세로 평생을 닫았다.
- 장 폴 마라
- 에피소드 8에 등장해 동향의 즐거움으로 베르게와 친하다. 본업은 의사. 반왕실 사상의 소유자. 가난한 시민을 위해 만들고 싶은데, 왕후 귀족으로부터의 사치의 한계를 다한 시계의 주문에 고민하는 베르게에게 발명에는 자금이 필요하다고 권한다. 그러나 위험한 상황에 기울이면 앙투아네트의 주문한 시계 만들기 등 그만두도록 경고한다. 앙드레의 증언에 따르면 프로방스 백 모두 왕위에 대한 야심을 품는 알토아 백과 연결이 있다.
- 앙투안 브레게
- 브레게의 아들. 파리에서 삶을 받았다. 아버지와 함께 스위스로 피난해 공방이 재개되면 병신의 아버지를 의지해 지지하고 있었지만, 아버지의 사후에는 공방을 계승했다.
- 프란소와 샤틀레
- 베르나르와 묵주의 아들. 오스카르가 바스티유 습격으로 전사한 1789년 에 탄생. 로사리의 첫사랑인 오스카르 프랑소바의 미들네임을 명명되었다. 부모의 영향도 있어, 자코반파적 사상의 소유자. 주위의 열광에 흐르기 쉽다. 1804년 15세 때 아버지 베르나르가 알란과 함께 나폴레옹 암살을 결행하기 직전 스웨덴으로 향하는 망명의 길로 어머니 묵주를 지지한다. 스위스를 눈앞에 두고 아버지와 앨런의 죽음을 알게 된다. 플로리안의 도움으로 스웨덴의 페르젠의 저택에 도착해, 소피아에 의해 거리에 주거를 주어져, 페르젠의 추천으로 왕립 도서관 의 법률 고문 직원으로서 근무하는 것이었다. 페르젠이 암살된 날, 그 위험을 알린 것을 배신이라고 단절한 동료에게 참살된 친구 노벨의 유언과 소피아의 「형 한스 악셀의 사랑과 죽음에 무슨 의미가 있는지, 후세의 역사가의 손에 맡기면 된다.」라는 말도 있어, 스웨덴에 머물 것 이듬해 새로운 왕위 계승자로 맞이한 베르나도트 왕가 초대 국왕이 되는 샤를르 베르나도트 장군의 일립종, 황태자 오스컬(오스컬 1세) 의 교육계로 발탁된다. 에피소드 9의 마지막에, 어머니의 죽음을 간취했다.
- '에로이카'에서는 아버지 베르나르를 죽인 사원에게 사로잡히는 것도 어머니 로사리에게 공화제의 이념을 받고 극복했지만, 에피소드 9에서는 그런 모습은 없었다.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영광의 나폴레옹-에로이카』의 주인공. 코르시카 출신의 군인. 통령정부의 제1통령(제1집정). 공화제의 수호자로서의 영웅이되기를 원했지만, 서서히 황제가 되는 야망을 안게 된다. 은고의 장군이기도 한 앨런 드 소와슨, 저널리스트 베르나르 등 공화제의 수호자인 것을 버리고 황제위를 바라보며 살의를 받고 암살에 이르는 자나 어머니 레티지아나 코미디 프랑세즈의 애인 조르지나처럼 국민의 대표자라는 것을 버렸다.
- '영광의 나폴레옹~'은 베르나르가 쏜 총탄은 얼굴 왼쪽을 희미했지만 에피소드 9에서는 오른쪽으로 변경됐다.
- 집사
- 플로리안의 하인. 로사리가 나이의 차이에 다른 사람이라고 의심하면서도 "제로델까지는?"라고 먹어 내리지만, 날카로운 눈빛과 어려운 말로 침묵시킨다.
- 파비안 노벨
- 프랑수아의 왕립 도서관 동료. 노벨 일족의 일원. 과학자만의 노벨 일족에 있어 스웨덴의 왕제를 폐지해, 민주 공화제를 소원 활동하고 있다. 대국의 의혹에 흔들리는 소국 때문에 비운을 짊어진 고국 스웨덴을 우울하고 있어 중상 기사에서 선동된 민중이 페르젠을 죽이려고 한다고 프란소바에게 경고한다. 암살 당일, 동료에게 배신자라고 불려 자살되어 버린다. 죽을 때, 고국 스웨덴의 가는 말을 지켜 주었으면 한다고 프랑소바에 간청해 숨을 끌어낸다.
- 부관
- 페르젠을 지키려고 한 유일한 군인. 폭도로 변한 민중에게 데려간 페르젠을 구하자 근위연대에게 폭도를 걷어차라고 명령하는 것도 거절되고, 그들도 황태자의 사고사는 페르젠이 왕위를 노리고 암살이라는 풍문을 진정으로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서지 정보
단행본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슈에이샤 <마가렛 코믹스>, 총 14권
- "새로운 운명의 소문에!의 권"1972년 10월 25일 발매 [ 27 ] , ISBN 4-08-850106-3
- "영광의 자리에 좋을지도!의 권"1972년 11월 25일 발매 [ 28 ] , ISBN 4-08-850108-X
- 「유루되지 않을 사랑의 권」1973년 3월 24일 발매 [ 29 ] , ISBN 4-08-850116-0
- "검은 기사를 잡아라!의 권"1973년 7월 25일 발매 [ 30 ] , ISBN 4-08-850124-1
- '오스컬의 고통의 권' 1973년 9월 25일 발매 [ 31 ] , ISBN 4-08-850131-4
- "불타는 혁명의 불의 권"1973년 11월 25일 발매 [ 32 ] , ISBN 4-08-850137-3
- 「아름다운 치카이의 권」1974년 1월 25일 발매 [ 33 ] , ISBN 4-08-850142-X
- 「 하나님 에게 돌려…의 권」1974년 2월 25일 발매 [ 34 ] , ISBN
- 「타마시키 왕비의 마지막 권」1974년 3월 25일 발매 [ 35 ] , ISBN 4-08-850148-9
- 「외전/흑의 백작 부인의 권」1974년 4월 25일 발매 [ 36 ] , ISBN 4-08-850151-9
- 「에피소드편·1」2014년 8월 25일 발매 [ 37 ] , ISBN 978-4-08-845251-7
- 「에피소드편・2」2015년 7월 24일 발매 [ 38 ] , ISBN 978-4-08-845409-2
- 「에피소드편・3」2017년 1월 25일 발매 [ 39 ] , ISBN 978-4-08-845701-7
- 「에피소드편·4」2018년 3월 23일 발매 [ 40 ] , ISBN 978-4-08-844002-6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 외전』 실업지 일본사 <MB코믹스>
- 「상」1985년 10월 3일 발행, ISBN 4-408-43000-5
- “아래” 1985년 10월 3일 발행, ISBN 4-408-43001-3
- 이케다 리요코 '벨 장미 키즈' 아사히 신문 출판, 총 7 권
- 2006년 10월 6일 발매 [ 41 ] , ISBN 4-02-330376-3
- 2007년 8월 7일 발매 [ 42 ] , ISBN 978-4-02-330382-9
- 2008년 7월 4일 발매 [ 43 ] , ISBN 978-4-02-330394-2
- 2009년 1월 9일 발매 [ 44 ] , ISBN 978-4-02-330410-9
- 2010년 1월 8일 발매 [ 45 ] , ISBN 978-4-02-330478-9
- 2011년 8월 5일 발매 [ 46 ] , ISBN 978-4-02-330962-3
- 2013년 3월 7일 발매 [ 47 ] , ISBN 978-4-02-331184-8
문고판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슈에이샤 <슈에이샤 만화 문고>, 총 10권
- 1977년 9월 30일 발행, ISBN 4-08-612071-2
- 1977년 9월 30일 발행, ISBN 4-08-612072-0
- 1977년 10월 31일 발행, ISBN 4-08-612073-9
- 1977년 10월 31일 발행, ISBN 4-08-612074-7
- 1977년 11월 30일 발행, ISBN 4-08-612075-5
- 1977년 11월 30일 발행, ISBN 4-08-612076-3
- 1977년 12월 31일 발행, ISBN 4-08-612077-1
- 1978년 1월 31일 발행, ISBN 4-08-612078-X
- 1978년 2월 28일 발행, ISBN 4-08-612079-8
- 1978년 3월 31일 발행, ISBN 4-08-612080-1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슈에이샤 <슈에이샤 문고>, 총 5권
- 1994년 12월 1일 발매 [ 48 ] , ISBN 4-08-748220-0
- 1994년 12월 1일 발매 [ 49 ] , ISBN 4-08-748221-9
- 1994년 12월 1일 발매 [ 50 ] , ISBN 4-08-748222-7
- 1994년 12월 1일 발매 [ 51 ] , ISBN 4-08-748223-5
- 1994년 12월 1일 발매 [ 52 ] , ISBN 4-08-748224-3
- 이케다 리요코 '벨 장미 키즈' 아사히 신문 출판 <아사히 문고>, 총 2 권
- 「상」2016년 4월 7일 발매 [ 53 ] , ISBN 978-4-02-261852-8
- ‘아래’ 2016년 4월 7일 발매 [ 54 ] , ISBN 978-4-02-261853-5
아이조 버전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슈에이샤, 1976년 4월, 총 5권
- 이케다 리요코 『애장판 베르사유의 장미』 중앙공론사, 전 2권
- 1987년 3월 28일 발행, ISBN 4-12-001559-9
- 1987년 4월 28일 발행, ISBN 4-12-001560-2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 외전』 중앙 공론사〈Chuko☆comics〉, 1990년 2월 28일 발행, ISBN 4-12-001898-9
복각판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 외전 복각판』 실업지 일본사, 2003년 6월 발행, ISBN 4-408-61229-4
정식 버전
- 이케다 리요코 『완전판 베르사유의 장미 외전』 중앙 공론 신사 <중공 문고>, 전 2권
- 2004년 10월 23일 발행, ISBN 4-12-204439-1
- 2004년 10월 23일 발행, ISBN 4-12-204440-5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판」슈에이샤 <슈에이샤 걸스 코믹스>, 전 9권
- 2005년 12월 19일 발매 [ 55 ] , ISBN 4-08-855133-8
- 2005년 12월 19일 발매 [ 56 ] , ISBN 4-08-855134-6
- 2006년 1월 19일 발매 [ 57 ] , ISBN 4-08-855135-4
- 2006년 2월 17일 발매 [ 58 ] , ISBN 4-08-855136-2
- 2006년 3월 17일 발매 [ 59 ] , ISBN 4-08-855137-0
- 2006년 4월 19일 발매 [ 60 ] , ISBN 4-08-855138-9
- 2006년 5월 19일 발매 [ 61 ] , ISBN 4-08-855139-7
- 2006년 5월 19일 발매 [ 62 ] , ISBN 4-08-855140-0
- 2006년 6월 19일 발매 [ 63 ] , ISBN 4-08-855141-9
염가판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 코단샤〈고단샤 플래티넘 코믹스〉, 총 6권
-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탄생"2013년 3월 19일 발매 [ 64 ] , ISBN 978-4-06-377756-7
- '근위연대장 오스칼과 앙드레' 2013년 3월 19일 발매 [ 65 ] , ISBN 978-4-06-377765-9
- 「소용돌이치는 사랑의 유쿠에」2013년 4월 17일 발매 [ 66 ] , ISBN 978-4-06-377777-2
- ‘다가오는 혁명의 발소리’ 2013년 5월 15일 발매 [ 67 ] , ISBN 978-4-06-377792-5
- '오스컬과 안드레, 영원한 사랑' 2013년 6월 19일 발매 [ 68 ] , ISBN 978-4-06-377812-0
- 「아라시에 흩어진 아름다운 장미들」2013년 7월 17일 발매 [ 69 ] , ISBN 978-4-06-377830-4
호화 한정판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 1972-73 호화 한정판』 복간닷컴, 전 7권
- 2016년 9월 발행, ISBN 978-4-8354-5394-1
- 2016년 11월 발행, ISBN 978-4-8354-5395-8
- 2017년 1월 발행, ISBN 978-4-8354-5396-5
- 2017년 3월 발행, ISBN 978-4-8354-5397-2
- 2017년 5월 발행, ISBN 978-4-8354-5398-9
- 2017년 7월 발행, ISBN 978-4-8354-5399-6
- 2017년 9월 발행, ISBN 978-4-8354-5400-9
일러스트 컬렉션
- "베르사유의 장미 올 컬러 일러스트 전집"(슈에이샤 <주간 마가렛 특별 편집>, 1976년 4월 30일 발행) 雜誌 코드:0429-4/30
- “이케다 리요코 베르사유의 장미 자선 복제 원화집”(슈에이샤, 1979년 3월 20일 초판 발행) 0071-790001-3041
- 이케다 리요코 프로덕션 공동 프로젝트 화집 “베르사유의 장미 올 컬러 일러스트집”( JTB 퍼블리싱 , 2003년 11월 1일 초판 발행) ISBN 978-4-533-05012-1
관련 서적
- 슈에이샤 에서
- '벨 장미 연재 개시 30주년 기념 베르사유 장미 대사전' 2002년 10월 8일 발매 [ 70 ] , ISBN 4-08-782052-1
- 「어른의 색칠 베르사유의 장미 초보편」2006년 7월 26일 발매 [ 71 ] , ISBN 4-08-781354-1
- 「어른의 색칠 베르사유의 장미 어드밴스편」2006년 7월 26일 발매 [ 72 ] , ISBN 4-08-781355-X
- 베르사유 장미 카르타 2010년 11월 10일 발매 [ 73 ] , ISBN 978-4-08-780582-6
- 베르사유 장미 365일 행복 노트 2015년 11월 25일 발매 [ 74 ] , ISBN 978-4-08-780772-1
- 『어른의 색칠 베르사유 의 장미 수수께끼 그리기 편』
- 『베르사유의 장미 애니버서리 북 사랑과 감사의 50주년』 2022년 9월 15일 발매 [ 76 ] , ISBN
- JTB 퍼블리싱 에서
- 「베르사유의 장미」의 거리 산책 파리 베르사유 2002년 12월 25일 발매, ISBN 4-533-04571-5
- 「베르사유의 장미」그 수수께끼와 진실 영구 보존판」2003년 1월 1일 발매, ISBN 4-533-04570-7
- 「영원한 「베르사유의 장미」」2008년 1월 1일 발매, ISBN 978-4-533-06994-9
- 다카시마 사 에서
- 「별책 보물도 우리가 좋아하는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 보존판」이케다 리요코 프로덕션 감수, 2003년 4월 27일 발매 , ISBN 4-7966-3184-4
- 『베르사유의 장미 아름다운 후센 BOOK』 2013년 12월 13일 발행, ISBN 978-4-8002-1827-8
- 「피아 MOOK 「벨 장미」연재 45주년 기념 베르사유의 장미 피아」2017년 4월 10일 발매, ISBN 978-4-8356-3203-2
- 신시오 사 에서
다카라즈카 가극
TV 애니메이션
1979년 10월 10일부터 1980년 9월 3일까지 일본 TV 및 그 계열국 에서 방송된 TV 애니메이션 [ 77 ] . 전 40화 + 총집편 1화. 방송 시간은 매주 수요일 19:00-19:30 [ 77 ] ( 일본 표준시 ). 타이틀 로고는 ‘유’가 묘음 처럼 작게 쓰여 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 에서는 'Lady Oscar'의 타이틀로 방송됐다.
1993년부터 94년에 걸쳐 『중공 코믹 수리(애니메이션판) 베르사유의 장미』 전 12권이 중앙 공론사에서 간행, 1996년에 중공 문고 코믹판으로서 재판매되었다.
2014년 5월부터는,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의 애니맥스 로 디지털 리마스터판의 방송을 개시. 같은 해 9월 24일에는, 반다이 비주얼 로부터 본작을 수록한 Blu-ray BOX가 발매되었다.
2015년 5월부터 NHK BS 프리미엄 에서 디지털 리마스터판의 방송을 개시.
2025년 1월 17일부터, 동년의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의 장미」공개를 기념해 YouTube 로 매주 5화씩 전화 전달.
캐스트
- 주요 인물
- 자르제 집
- 왕가
- 귀족
- 군 관계자
- 혁명파
- 목걸이 사건 관계자
- 이치이 사람들
- 기타
- 로즈 베르탄 양 - 모리 히로코
- 쟌 (니세 안토와네트) -오타 숙자
- 샤를 콜데이 (전 근위대사의 폭탄마) - 시오자와 겸인
- 알만 화가 - 미야우치 코헤이
- 네켈 장관 - 오키 민부
- 말하는 사람 - 혼야마 가쿠코
- 기타 - 쿠마쿠라 시게유키, 다나카 타카시 , 아리마 미즈코 , 타카기 사나에 , 타케에코 , 야스다 타카시 , 히라 바야시 나오조 , 이시마루 히로야 , 나카무라 타케 미 , 야마다 레이코 , 토모코 , 스즈키 키요노부 , 세이코 , 카시이 쿠니코 , 사토 유미코, 사카이환, 지바시게, 쿠 로베 철 , 마츠다 시게하루 , 하야시 이치코, 바바 하루미, 시마 기 코코 , 사쿠마 아이 , 츠츠이 타카코, 미네 아츠코 , 미야 시타 카츠 , 와카 모토 기쇼 , 야마오카 하코 , 토 부미츠요, 치요 마츠 사치코 , 히로세 마사시 , 나가 호리 요시오, 시바타 키요코 , 야나가 와코 , 쿠보타 민화 , 이나바미 , 아리모토 울 타카, 아사이 숙자 , 우에다 토시야 , 마사무네 카즈나리 , 오카다 와코, 화노 아이 , 이시 모리 타츠 유키 , 가와 나미 하코, 후지 시로 유지, 사카키하라 료코 , 누마 나키 아키 에다, 히라 바야시 나오조 , 치다 미츠오 , 쇼준코 , 나가시마 료코 , 타카시마 마사라 , 시바 나미 , 무라야마 아키라 , 타니구치 절 , 스가야 마사코 등
직원
- 원작 - 이케다 리요코 [ 77 ]
- 기획 - 우메야 시게루(일본 TV) [ 77 ] , 야마모토 마타이치로 [ 77 ] ( 키티·필름 ) [ 요출전 ]
- 음악 - 마키노 야스지 [ 77 ]
- 캐릭터 디자인 · 작화 감독 - 아라키 신고 , 히메 노 미치 [ 77 ]
- 미술 감독 - 쿠보타 타다오 (-18화, 20화), 가와이 헌(-18화, 20화), 미즈타니 리하루(19화, 21화-) [ 77 ]
- 촬영 감독 - 다카하시 히로고, 미야우치 타케오 [ 77 ]
- 녹음 감독 - 야마다 에츠지 (제13화-) [ 77 ]
- 선곡 - 스즈키 키요시 [ 77 ]
- 문예 담당 - 혼마 일행 [ 77 ]
- 제작 담당 - 아오노 시로 [ 77 ]
- 총감독 - 나가 하마 타다오 (-13화) [ 77 ]
- 치프 디렉터 - 데자키 통 (제19화 - ) [ 77 ]
- 프로듀서 - 긴타니 세이이치(일본 TV), 카토 슌조 ( 도쿄 무비 신사 ) [ 77 ]
- 미술 보좌 - 마츠미야 마사유미, 타카노 쇼도
- 촬영 - 타카하시 프로덕션 히라야마 아키오, 사이토 카조, 나카무라 요시노리, 대전 카츠미, 타카하시 기쿠, 호소노 마사
- 녹음 연출 - 카와무라 죠헤이(- 제15화), 나가하마 타다오(제2화-제10화) [ 77 ]
- 녹음 기술 - 이즈카 히데호
- 음향 효과 - 동양 음향
- 편집 - 츠루부치 히로시, 다카하시 와코
- 제목 - 공구 히데오
- 동영상 체크 - 호리코시 신타로
- 특수 효과 - 사토 도리코, 하야시 호미
- 색상 지정 - 야마나 공지, 이토 준코
- 제작 진행 - 요코미조 다카히사, 오자키 온통, 토키 유지, 미즈시마 쇼아키, 미즈누마 켄지
- 녹음 - 도호쿠 신사 [ 77 ]
- 현상 - 동양현상소
- 제작 - 도쿄 무비 신사 [ 77 ]
제작
원작자 이케다 리요코의 마음에 드는 아란은, 연하에서 등장시에 화려하게 반항한 원작의 전개가, 연장으로 어른의 캐릭터로 변경되고 있어, 최종회에서는 군을 그만두고 농부를 하고 있던 후일담이 말해진다. 이케다는 이 후 담담을 듣고 놀랐지만, '영원한 베르사유 장미'에서의 인터뷰에 의하면, 애니메이션은 최초의 분을 조금밖에 보지 않았고, 앨런은 10주만에 중단되지 않으면 위병대 안에서 유일하게 살아 남아, 척완의 장군으로 할 생각이었다. 그 때문에, 농부가 된 것을 불만으로 생각해 『영광의 나폴레옹-에로이카』에 등장시킨 것은 아니고, 『에로이카』에 알란이 등장하는 것은 상당한 전부터 결정하고 있었다.
오스칼과 앙드레가 상사상애가 되고 나서 하룻밤을 함께 할 때까지 얼마간 있었던 원작과 달리 몸도 마음도 맺어지는 애니메이션에서 유일한 기회인 제37화 제작 때는 '예쁜 연출을'이라는 제작 측의 의향을 받아 보통 1주일 협의를 3주간 걸렸다. 격론 끝에 이번 각본 담당이었던 스기에 케이코가 추구하는 원작과는 다른 반딧불의 환상적 장면이 결정되었다. 원작이 묶이는 방법이라면 귀족의 영양이 종종을 방에 데려가는 형태로 부자연스럽고, 여성 측에서 고백하기 위해서는 나름대로의 준비와 배경과 기분이 필요하다는 것이 스기에의 논거이다 [ 79 ] .
감독의 교체
스탭의 증언에 의하면, 나가하마 감독 하차의 원인은 오스카르 역의 타지마 나리코가 나가하마의 연출에 반발해, 일본 TV의 수석 프로듀서에 상담한 것이 발단이라고 한다. 일본 TV의 수석 프로듀서는 도쿄 무비의 사장과 담판해 감독 교체에 이르렀다. 타지마가 반발한 것은 나가하마가 요구하는 연기가 너무 타이거였던 것에 있었다고 한다 [ 80 ] .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거인의 별」의 감독이며, 「베르사유의 장미」TV 애니메이션의 13화까지 총 감독을 담당한 나가하마 타다오는, 「거인의 별」에서도 이용된 이것이라든지 성고에 설명해 나가는 독특한 「나가하마조」의 연출을 행했다. 나가하마의 연출이 산문적인 것으로 하면, 후임이 된 데자키 통은 대조적으로, 별로 그림을 움직이지 않는 시적인 연출이었다. 그 때문에 『벨 장미』는 애니메이션 팬들 사이에서 열렬한 지지를 얻게 되었다고 문예의 야마자키 케이유키 는 코멘트하고 있다 [ 81 ] . 2023년 텔레비전 아사히의 취재를 받은 타지마 본인도 “연출가의 연기지도와 나의 연기 방법과의 차이로, 제작 사이드의 의향으로 그는 현장을 떠나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 82 ] .
급히, 타진을 받은 데자키 통은, 프로듀서의 1명으로부터 「좋아하게 해 주세요」라고 청청되었지만, 「감독이 있는데 감독을 하는 것은 가지 않는다」라고, 나가하마 타다오가 완전히 하차한 후 감독 취임을 수락했다. 그 때문에, 감독이 공백인 14화-18화는, 나가하마·데자키의 쌍방의 체크가 일절 들어가 있지 않다. 데자키는 나가하마가 다룬 13화분의 수화를 시청해, 캐릭터 디자인을 다룬 아라키 신고의 장점이 나오지 않았다고 느끼고 아라키에게 「이것은 미소녀 물건이 아니다. 마음껏 해 줘. 데자키는 "더 드라마틱하게 만들어 가려고. 프랑스 혁명이 나중에 무대가 되어 갈 이유이기 때문에, 제대로 모두의 삶이 없으면 형태만이 되어 버린다 . .
본작의 작화 감독과 캐릭터 디자인은 전화를 통해 아라키 신고와 히메노 미치이지만, 애니메이션 라이터의 코구로 유이치로에 의하면 데자키 감독에의 교대에 수반해 작화 감독도 데자키와의 콤비로 알려진 스기노 아키오 가 되었다고 하는 오해가 존재한다 [ 주석 37 ] . 이 원인은 1992년에 일본 소프트 시스템 발매된 레이저 디스크 의 재킷이 본작에는 미참가의 스기노에 의해 그려졌기 때문이 아닐까라고 코구로는 추측하고 있다 [ 85 ] .
주제가
- 오프닝 테마 「장미는 아름답게 흩어진다」
- 작시 - 야마가미 로오 / 작곡 · 편곡 - 마키노 야스지 / 노래 - 스즈키 히로코
- 엔딩 테마 「사랑의 빛과 그림자」
- 작시 - 야마가미지오 / 작곡·편곡 - 마키노 야스지 / 노래 - 스즈키 히로코, 시가키 타로 [ 주석 38 ]
위 2곡을 수록한 LP레코드 ' 베르사유 장미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장미는 아름답게 흩어진다' 와 ' 베르사유 장미 명장면 음악집 장미는 아름답게 흩어진다'가 키티 레코드 에서 발매되었다. 또 이 2곡(풀버전·텔레비전 버전)과 BGM 이 CD앨범 ' 베르사유 장미 장미는 아름답게 흩어지는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 명장면 음악집 '에 담겨 있다. 2016년 유니버설 뮤직보다 3매 세트 CD-BOX ' 베르사유 장미 음악집 [완전판]'이 발매되었다. 이 '베르사유 장미 음악집 [완전판]'에서는 마사노의 곡뿐만 아니라 작중에서 흐른 바흐 , 보케리니 , 라모 , 그노 등 고전 음악도 본편을 음원으로 수록되어 있다.
작중에 있어서는, 마키노가 직전에 다룬 『극장판 에이스를 사라라!』의 BGM이 다수 유용된 것 외에, 음악 프로듀서 의 스즈키 키요시가 선곡에 해당한 관계로, 스즈키가 참가한 작품에서 사용된 극반도 곳곳에 흐르고 있다 [ 주석 39 ] .
삽입곡・이미지곡
- " 나는 잡히고 "
- 작사 - 내생 에츠코 / 작곡 · 편곡 - 마키노 야스지 / 노래 - 스즈키 히로코
- " 사랑 때문에 슬픔 "
- 작사 - 야마가미지오 / 작곡·편곡 - 마키노 야스지 / 노래 - 스즈키 히로코, 타지마 나리코
- " MAGICAL ROSE "
- 작사 - Alice Sokulas / 작곡·편곡 - 마키노 야스지 / 노래 - 블로우니
- 「별이 되는 두 사람」
- 작사 - 카타기리 카즈코 / 작곡·편곡 - 마키노 야스지 / 노래 - 블로우니
각 이야기 목록
이야기 수 | 부제 | 각본 | 그림 콘티 | 연출 | 방송일 |
---|---|---|---|---|---|
1 | 오스칼! 장미의 운명 | 시노자키 요시 | 오다 히비키도 | 야마요시 야스오 | 1979년 10월 10일 |
2 | 춤! 오스트리아 나비 | - | 이마자와 테츠오 | 10월 17일 | |
3 | 베르사유에 불꽃 흩어져 | 야마다 마사히로 | 오카자키 미노루 | 10월 24일 | |
4 | 장미와 술과 타쿠라미와... | 나가오카 소전 | 10월 31일 | ||
5 | 고귀함을 눈물에 담아… | 야마요시 야스오 | 11월 7일 | ||
6 | 실크 드레스와 보로 옷 | 스기에 케이코 | 타카야시키 히데오 | 데자키 테츠 | 11월 14일 |
7 | 사랑의 편지는 누구의 손에 | - | 나가오카 소전 | 11월 21일 | |
8 | 내 마음의 오스컬 | 시노자키 요시 | 데자키 테츠 | 11월 28일 | |
9 | 양은 가라앉고 양은 떠오른다 | 나가오카 소전 | 12월 5일 | ||
10 | 아름다운 악마 잔 | 야마다 마사히로 | 야마요시 야스오 | 12월 12일 | |
11 | 페르젠 북국으로 떠나 | 타카야시키 히데오 | 12월 19일 | ||
12 | 결투의 아침 오스컬은…? | 스기에 케이코 | - | 12월 26일 | |
13 | 아라스의 바람이야 응해… | 나가오카 소전 | 1980년 1월 9일 | ||
14 | 천사의 비밀 | 시노자키 요시 | 세키네 요시히사 | 야마요시 야스오 | 1월 16일 |
15 | 카지노 백작 부인 | 이마자와 테츠오 | 1월 23일 | ||
16 | 어머니, 그 사람의 이름은...? | 야마다 마사히로 | - | 야마요시 야스오 | 1월 30일 |
17 | 지금 순회할 때 | 나가오카 소전 | 2월 6일 | ||
18 | 갑자기 이카루스처럼 | 스기에 케이코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야마요시 야스오 | 2월 13일 |
19 | 안녕, 여동생! | 사키쿠라 | 타케우치 케이오 | 2월 20일 | |
20 | 페르젠 이름 남은 윤무 | 시노자키 요시 | 2월 27일 | ||
21 | 검은 장미는 밤 히라쿠 | 3월 5일 | |||
22 | 목걸이는 불길한 빛 | 야마다 마사히로 | 3월 12일 | ||
23 | 똑똑하고 멋지다! | 3월 19일 | |||
24 | Aduu 내 청춘 [ 주석 40 ] | 스기에 케이코 | 3월 26일 | ||
25 | 카타 사랑의 메누엣 | 다케우치 케이오 니시 쿠보 미즈호 | 4월 2일 | ||
26 | 검은 기사를 만나고 싶다! | 시노자키 요시 | 4월 9일 | ||
27 | 비록 빛을 잃어도... | 4월 16일 | |||
28 | 안드레 블루 레몬 | 야마다 마사히로 | 4월 30일 | ||
29 | 걷기 시작한 인형 | 5월 14일 | |||
30 | 너는 빛 나는 그림자 | 스기에 케이코 | 다케우치 케이오 니시 쿠보 미즈호 오가 슌지 | 5월 21일 | |
31 | 병영에 피는 리라의 꽃 [ 주석 41 ] | 6월 4일 | |||
32 | 폭풍의 전주 | 시노자키 요시 | 6월 18일 | ||
33 | 황혼에 이종이 울린다. | 7월 2일 | |||
34 | 지금 " 테니스 코트의 맹세 " | 야마다 마사히로 | 7월 9일 | ||
35 | 오스컬, 지금, 둥지에서 | 7월 23일 | |||
36 | 비밀번호는 "사요나라" | 스기에 케이코 | 7월 30일 | ||
37 | 뜨거운 맹세의 밤에 | 8월 6일 | |||
38 | 운명의 문 앞에서 | 시노자키 요시 | 8월 20일 | ||
39 | 그 미소는 더 이상 돌아 가지 않습니다! | 8월 27일 | |||
40 | 안녕 우리 사랑의 오스카 | 야마다 마사히로 | 9월 3일 | ||
41 | 베르사유 장미와 여자들 [ 주석 42 ] | 야마다 마사히로 시노자키 호스 케이코 | - | 다케우치 케이오 오가 슌지 | 9월 10일 |
환상의 제24화 “불타는 장미의 초상화”
주요국인 일본 TV의 나이터 중계 프레임은 1980년 시즌부터 19:00 스타트가 되었다. 본작을 늦게 네트하고 있던 나이터 중계를 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프로야구 시즌 개막에 의해 야구 중계에 의한 본작의 방송 휴지가 생겼을 때 방송에 구멍이 생기게 되었지만, 선행 넷을 하면 스포일러가 일어나 버리기 때문에 앞으로는 「 편성 상의 사정」 등이라고 설명하고 [ 86 ] , 본래의 제24화 「어듀우 나의 청춘」의 내용과는 전혀 다른 중단용의 최종회 「타오른 장미의 초상화」가 방송되었다. 자료에 따라서는 총집편으로 되는 일이 있지만 실제로는 회상 장면을 제외한 대부분이 신규 작화가 되고 있어 본래의 3 쿨째에 상당하는 내용이 본편과는 다른 스탭에 의해 다이제스트로 그려져 있다 [ 87 ] .
"불타는 장미의 초상"은 그 후 재방송되는 것이 없고, DVD 등의 비디오 소프트에도 일절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야기 수 | 부제 | 각본 | 그림 콘티 | 연출 | 방송일 |
---|---|---|---|---|---|
24 | 불타는 장미의 초상화 | 하자마 시작 | 지금 절삭 | 타카야시키 히데오 | 1980년 3월 26일 |
방송국
방송 기간(또는 방송 체제) | 방송 시간 | 방송국 | 대상 지역 [ 89 ] | 비고 |
---|---|---|---|---|
1979년 10월 10일 -- 1980년 9월 3일 | 수요일 19:00 - 19:30 | 일본 TV [ 77 ] | 관동광역권 | 제작국 |
삿포로 TV | 홋카이도 | |||
아오모리 방송 | 아오모리현 | 방송 당시는 TV 아사히 계열 과 의 크로스넷. | ||
TV 이와테 | 이와테현 | 1980년 3월까지는 TV 아사히 계열과의 크로스넷. | ||
미야기 TV [ 90 ] | 미야기현 | |||
야마나시 방송 | 야마나시현 | |||
시즈오카 다이이치 TV | 시즈오카현 | |||
나카교 TV | 나카교 광역권 | |||
讀賣テレビ | 긴키 광역권 | |||
일본해 TV | 돗토리현・시마네현 | |||
히로시마 TV | 히로시마현 | |||
야마구치 방송 | 야마구치현 | |||
서일본 방송 | 가가와현・오카야마현 | |||
고치 방송 | 고치현 | |||
후쿠오카 방송 | 후쿠오카현 | |||
TV 오이타 | 오이타현 | 방송 당시는 후지 TV 계열 , TV 아사히 계열과의 크로스넷. | ||
알 수 없음 | 수요일 19:00 - 19:30 | 난카이 방송 [ 91 ] | 에히메현 | |
- 1980년 3월 29일 [ 92 ] | 토요일 17:00 - 17:30 | 아키타 방송 | 아키타현 | 도중 중단 |
- 1980년 3월 29일 [ 92 ] | 토요일 18:00 - 18:30 | 야마가타 방송 | 야마가타현 | 도중 중단 |
1979년 10월 18일 -- 1980년 3월 27일 | 목요일 18:00 - 18:30 [ 93 ] | 후쿠시마 중앙 TV | 후쿠시마현 | 방송 당시는 텔레비 아사히 계열과의 크로스넷 제24화 「타오른 장미의 초상화」로 중단 |
1986년 5월 23일 - 8월 11일 | 월요일 - 금요일 17:00 - 17:30 | 후쿠시마 방송 | 후쿠시마현 | 텔레비전 아사히 계열 계속 지역의 제24화 「아듀우 나의 청춘」과 제25화 이후를 방송 [ 94 ] |
- 1980년 3월 27일 [ 95 ] | 목요일 18:30 - 19:00 | 니가타 종합 TV | 니가타현 | 현 · NST 니가타 종합 TV 방송 당시는 후지 TV, 일본 TV, TV 아사히 계열의 트리플 넷 도중 중단 |
1979년 10월 13일 -- 1980년 3월 29일 | 토요일 17:00 - 17:30 | 북일본방송 | 도야마현 | 1980년 3월 29일 방송의 제24화 「타오른 장미의 초상」에서 중단 [ 96 ] . 후방 프로그램은 「도라에몽」 |
1979년 10월 15일 -- 1980년 3월 31일 | 월요일 17:30 - 18:00 [ 97 ] | 호쿠리쿠 방송 | 이시카와현 | TBS 계열 도중 중단 |
1979년 10월 19일 -- 1980년 3월 28일 | 금요일 18:00 - 18:30 [ 98 ] | 후쿠이 방송 | 후쿠이현 | 방송 당시는 일본 TV 계열 단독 가맹. 도중 중단. |
1979년 10월 15일 - 1980년 3월 31일 [ 99 ] | 월요일 17:30 - 18:00 | 신에츠 방송 | 나가노현 | TBS 계열 도중 중단. |
- 1980년 3월 31일 [ 95 ] | 월요일 18:30 - 19:00 | TV 나가사키 | 나가사키현 | 방송 당시는 후지 TV 계열, 일본 TV 계열의 크로스 넷 도중 중단 |
- 1980년 3월 24일 [ 95 ] | 월요일 | 구마모토 방송 | 구마모토현 | TBS 계열 도중 중단 |
1979년 10월 19일 - 1980년 3월 28일 [ 95 ] | 금요일 19:00 - 19:30 | 가고시마 TV | 가고시마현 | 방송 당시는 후지 TV, 일본 TV, TV 아사히 계열의 트리플 넷 제24화 「불타는 장미의 초상화」로 중단 |
지연 그물 | 일요일 17:15 - 17:45 [ 95 ] →일요일 8:30 - 9:00 | 오키나와 TV | 오키나와현 | 후지TV 계열 |
인터넷 배달
YouTube 의 「TMS 애니메이션 공식 채널」로부터, 다음의 전달이 행해지고 있다.
- 2019년 4월 24일 부터 제1화만을 상시 전달.
- 2021년 11월 26일 부터 제1화 - 제4화를 정리해 상시 전달. 2019년 배포판도 병행하여 배포.
- 2025년 의 극장판 공개를 기념해, 같은 해 1월 17일부터 전 40화를 5화씩으로 정리해, 매주 금요일 19:00( JST )에 1주일의 기간 한정으로 전달. 이 기간 동안 앞서 언급 한 상시 배포도 계속됩니다.
배달 이야기 | 배달 기간 | ||
---|---|---|---|
01 | 05 | 2025.01.17 | 2025.01.24 |
06 | 10 | 2025.01.24 | 2025.01,31 |
11 | 15 | 2025.01.31 | 2025.02.07 |
16 | 20 | 2025.02.07 | 2025.02.14 |
21 | 25 | 2025.02.14 | 2025.02.21 |
26 | 30 | 2025.02.21 | 2025.02.28 |
31 | 35 | 2025.02.28 | 2025.03.07 |
36 | 40 | 2025.03.14 | 2025.03.21 |
- 덧붙여 제20화는 「불타는 장미의 초상화」가 아니고, 「아듀우 나의 청춘」을 전달했다.
일본 TV 계열 수요일 19:00 프레임 | ||
---|---|---|
이전 프로그램 | 프로그램 이름 | 다음 프로그램 |
베르사유 장미 (1979년 10월 10일 - 1980년 9월 3일) |
극장판 애니메이션(제1작)
베르사유의 장미 생활이 있는 한 사랑해 | |
---|---|
감독 | |
각본 | |
제작 | 후지오카 토요 |
출연자 | |
음악 | 마키노 야스지 |
주제가 | 스즈키 히로코 |
촬영 | 다카하시 히로고 |
편집 | 쓰루부치 히로시 |
배급 | 공동 영화 |
공개 | ![]() |
상영시간 | 90분 |
제작국 | ![]() |
언어 | 일본어 |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판의 재편집 작품으로, 당초는 비디오 작품으로서 1987년 5월 21일 에 발매되었다. 마리 앤트와넷 역의 우에다 등 계속하고 있는 사람도 있지만 성우를 변경하고 새롭게 수록하고 있다. 이후 프랑스혁명 200주년 이듬해에 해당하는 1990년 에 공개됐다.
캐스트
- 오스칼 - 도다 케이코
- 안드레 - 미즈시마 유
- 마리 앙투아네트 - 우에다 미유키
- 페르젠 - 도야마 케이
- 잔 - 요시다 리호코
- 루이 16세 - 이노우에 카즈히코
- 자르제 장군- 내해 켄지
- 베르나르- 노지마 아키오
- 알란 - 키튼 야마다
- 로베스피에르 - 연못 수통 양
- 바야 - 이와 유키코
- 말하는 사람 - 무토 레이코
직원
- 감독 - 고다마 켄지 , 다케우치 케이오
- 제작 - 후지오카 유타카
- 프로듀서 - 카토 슌조
- 원작 - 이케다 리요코
- 각본 - 야마다 마사히로, 시노자키 요시, 스기에 케이코
- 기획 - 우메야 시게루, 야마모토 마타이치로
- 캐릭터 디자인 - 히메노 미치
- 작화 감독 - 아라키 신고
- 촬영 - 타카하시 히로고
- 음악 - 마키노 야스지
- 미술 - 미즈타니 리하루, 쿠보타 타다오 , 가와이 헌
- 녹음 - 야마다 에지
- 구성 - 다케우치 케이오
극장판 애니메이션(파일럿판)
2007 년 3 월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2007에서 "베르사유 장미 LA ROSE DE VERSAILLES "가 상영되었다. 등장인물에 대사는 없고, 전편에 YOSHIKI 작곡의 악곡이 흐르는 5분 미만의 영상이다. 영상 끝에 '극장 공개 예정'의 문자가 기록됐다. 하지만 공개 시기나 캐스트 등 자세한 정보는 이후 몇 년 동안 밝혀지지 않았다.
직원
극장판 애니메이션(2025년판)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의 장미」 | |
---|---|
감독 | 요시무라 아이 |
각본 | 김춘 토모코 |
원작 | 이케다 리요코 |
내레이터 | 쿠로키 히토미 |
출연자 | 사와시로 미유키 히라노 아야 토요나가 리유키 카토 카즈키 |
음악 | 사와노 히로유키 |
주제가 | 아야카「Versailles-베르사유- 」 |
제작회사 | MAPPA |
제작회사 |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 장미 제작위원회 |
배급 | TOHO NEXT 에이벡스 픽처스 |
공개 | ![]() |
상영시간 | 113분 |
제작국 | ![]() |
언어 | 일본어 |
2007년의 파일럿판 공개로부터 15년이 경과한 2022년 9월,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제작이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 101 ] . 제작은 베르사유의 장미 제작위원회, 배급은 에이벡스·픽처스 [ 102 ] .
2025년 1월 31일,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의 장미」가 공개되었다 [ 103 ] [ 104 ] .
캐스트(2025년판)
- 오스칼 프랑소와 드 자르제 - 사와성 미유키 [ 105 ]
- 마리 앙투아네트 - 평야 아야 [ 105 ]
- 안드레 그란디에 - 도요나가 리행 [ 105 ]
- 한스 액셀 폰 페르젠 - 카토 카즈키 [ 105 ]
- 앨런 드 소와슨 - 타케우치 슌스케 [ 105 ]
- 플로리안 드 제로델 - 에구치 타쿠야 [ 105 ]
- 베르나르 샤틀레 - 이리노 자유 [ 105 ]
- 루이 16세 - 오치아이 후쿠 [ 105 ]
- 자르제 장군 - 은하 만장 [ 105 ]
- 말론 그라세 몽블랑 (바아야) - 다나카 마유미 [ 105 ]
- 노아이유 백인 - 히라노 분 [ 105 ]
- 루이 15세 - 오츠카 요시타다 [ 105 ]
- 로사리 - 하야미 사오리 [ 105 ]
- 다구 대령 - 야마노이 히토 [ 105 ]
- 부에 장군 - 오츠카 아키오 [ 105 ]
- 자르제 부인- 시마모토 스미 [ 105 ]
- 로베스피에르 - 오노 켄쇼 [ 105 ]
- 루이 요제프 - 도쿠이 푸른 하늘 [ 105 ]
- 마리 텔레즈 - 다나카 미우미 [ 105 ]
- 라살 - 타마루 아츠시 [ 105 ]
- 장 - 야마시타 다이키 [ 105 ]
- 프랑수아 - 스즈키 유토 [ 105 ]
- 피에르 - 테라지마 쇼타 [ 105 ]
- 드 게메네 - 다카기 협상 [ 105 ]
- 드 로네 - 콘도 코토 쿠 [ 105 ]
- 나레이션 - 쿠로키 히토미 [ 105 ]
스탭(2025년판)
- 원작 - 이케다 리요코
- 감독 - 요시무라 아이
- 각본 - 김춘 토모코
- 캐릭터 디자인 - 오카 마리코
- 미술 감독 - 나카무라 코키
- 미술 설정 - 구사모리 히데이치, 신바야시 노조미
- 총기 디자인 - 가을 시노 Denforword 날씨
- 음악 프로듀서 - 사와노 히로유키
- 음악 - 사와노 히로유키, KOHTA YAMAMOTO
- 3DCG 디렉터 - 노모토 이즈키
- 편집 - 사카모토 쿠미코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가와고에 항, 노다 카에코
- 애니메이션 제작 - MAPPA
- 제작 -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 장미 제작위원회
- 배급 - TOHO NEXT , 에이벡스 픽처스
- 후원 - 재일 프랑스 대사관 , 안스티추 프란세 일본
- 예고 영상 음악 - 「The rose of Versailles」 ( 작사:후지바야시 세이코 / 작곡·편곡:사와노 히로유키)
주제가(2025년판)
협업
- 사가현 [ 106 ]
- 사가현의 정보 발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극장판 애니메이션과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 「베르사유의 사가 장미를 찾아 사가현에(벨 사가)」를 2025년 1월 28일부터 개시해, 사가현 산품을 중심으로 한 정보 발신을 일본 전국을 위해 실시한다. 오스칼, 마리 앙투아네트, 앙드레, 페르젠의 4명이 '장미'를 찾아 사가현을 여행한다는 오리지널 스토리를 축으로 전개된다.
- 베르크 [ 107 ]
- 식품 슈퍼마켓 체인 의 베르크에서는 자사의 전자 화폐 서비스 「베르크 페이」 이용자 전용의 캠페인을 개최하는 것 외에 「베르크 돼지 장미 덮밥 (약칭 「벨 장미」)」의 판매를 실시한다.
- 힐튼 도쿄 오다이바 [ 108 ]
- '베르사유 장미'를 이미지한 디저트 등을 제공하는 '베르사유 장미 Special Afternoon tea'를 2025년 2월 14일부터 개최한다.
- A3! [ 109 ]
- 2025년 2월부터 게임 내 콜라보레이션이 구현 예정.
- 산리오 캐릭터 [ 110 ]
- 오스카 의상 헬로 키티 등 의 마스코트 상품이 가샤폰 으로 판매된다.
- 파파브레 [ 111 ]
- 캐릭터의 문장이나 브로치를 재현한 캔디와 구미의 세트, 캐릭터를 이미지 한 로즈 맛의 롤리팝 캔디를 판매한다.
웹 애니메이션
「채널 5.5」는, DLE 제작에 의한 칼로리 메이트를 스폰서로 명작 만화를 원작 무시로 애니메이션화하는 「명작 만화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제4탄으로서 전달된 FLASH 애니메이션. 전 4화.
각 이야기 목록
이야기 수 | 부제 | 배달일 |
---|---|---|
#01 | 베르사유 마리모 | 2014년 11월 17일 |
#02 | 베르사유의 미생물 | 12월 2일 |
#03 | 선술집 장미 | 12월 24일 |
#04 | 베르사유의 은인 | 12월 26일 |
모션 만화
시프트원이 운영하는 ‘ 엔소쿠 ’에서 만화의 이미지를 그대로 올 컬러화나 특수효과, 배경음악을 더해 인기 성우를 다수 기용해 모션 코믹 화됐다 [ 112 ] . 오스카르를 박리미 , 마리 앙투아네트를 반메구미 가 담당 했다 [ 113 ] [ 114 ] . 2015년 7월 2일부터 2016년 1월 14일에 걸쳐 총 29화 전달 [ 113 ] [ 115 ] .
전술한 모션 코믹과는 별도로, 동사의 애플 리코 어플리 「SAY-U」내에서 「벨 장미×호소야 카쇼 × 너 「애플레코 공연 축제」라는 기획이 2015년 6월 26일부터 기간 한정으로 개최되어, 동영상 내의 1캐릭터에 자신의 목소리를 불어넣어, 다른 유저가 연기한 다른 캐릭터의 음성과 함께 동영상을 작성한다는 취지의 본 앱 에어리어용의 소재로서 「베르사유의 장미」의 명장면의 여러가지 모션 코믹화되고 있어, 호소타니 카사마사가 연기 하는 부주인공 앙드레의 대사에 맞추어, 오스카르가 되어 아프리카 공연할 수 있었다 [ 116 ] [ 117 ] .
실사판 영화
베르사유 장미 | |
---|---|
레이디 오스카 | |
감독 | 잭 두미 |
각본 | |
제작 | 야마모토 마타 이치로 |
제작 총 지휘 | 아니에스 발다 |
출연자 | |
음악 | 미셸 루그랑 |
촬영 | 진 판젤 |
편집 | 폴 데이비스 |
제작회사 | 키티 필름 |
배급 | 토호 |
공개 | 1979년 3월 3일 |
상영시간 | 117분 |
제작국 | ![]() |
언어 | 영어 [ 118 ] |
제작비 | 10억엔(공칭) [ 119 ] |
배급 수입 | 9억 3000만엔 (1979년 일본화 배급 수입 7위) [ 120 ] |
자세한 내용은 " 베르사유 장미 (영화) "를 참조하십시오.
1979년 3월 공개 실사 영화. 주연은 국적을 고집하지 않는 오디션을 했고, 오스카르 역은 영국인 신인 여배우가 발탁됐다. 앙드레 역도 영국인, 마리 앙투아네트 역은 사실 그대로의 오스트리아인 여배우이다.
일본어 자막은 이케다 리요코가 담당. 감독 에게 잭 두미 , 음악에 미셸 르그랑 . 프랑스 정부 의 협력에 의해 베르사유 궁전 에서의 촬영이 특별히 허가되었다. 총 제작비 10억엔 [ 119 ] 에 대해 배급수입 9억 3000만엔 [ 120 ] 과 TV특전까지 짊어질 정도의 대캠페인에 맞는 정도의 성적을 올리지 못했다. 로사리는 자르제 가와는 관계를 가지지 않고, 오스카르는 싸우지 않고 앙드레와 함께 일평민으로서 혁명에 참가해, 라스트는 뒤틀린 앙드레를 찾아 오스카르가 군집에 얽히는 장면으로 끝나는 등, 스토리 전개는 원작과 크게 다르다. 사토 타다오는 ' 키네마 순보' 별책으로, 묘사의 박력 부족을 지적해, 이 원작을 이렇게 수줍게 연출된 것으로는 일본인에게는 즐길 수 없다고 비판하고 있다.
캐스트
괄호 안은, 1980년 10월 8일에 일본 텔레비전 의 「수요일 로드쇼」에서 방송되었을 때의 다시마 캐스트. 2018년 발매의 DVD/BD에 수록.
- 오스카르 - 카트리오나 맥콜 ( 뱃나츠코 )
- 오스칼 (어린 시절) - 패치 켄짓
- 앙드레 - 배리 스토크스 ( 호리 카츠유키 )
- 마리 안토와 네트- 크리스티네 베임( 오하라 노리코 )
- 페르젠 - 조나스 벨리슈트룸 ( 이노우에 마키오 )
- 레니에 드 자르제 - 마크 킹스턴 (미야가와 요이치 )
- 제로델 백작 - 마틴 포터
- 로사리 발로아 - 쉐라 맥로드 ( 도이 미카 )
- 로사리의 어머니 - 카딘 콘스탄 ( 스즈키 레이코 )
- 루이 16세 - 테렌스 배드( 마스오카 히로시 )
- 막시밀리안 로베스피에르 - 크리스토퍼 엘리슨 ( 나카기 타카시 )
- 폴리냑 백부인 - 수 로이드(翠準子)
- 루이 드 로앙 대주교 - 그레고리 플로이 ( 카토 마사유키 )
- 부에 장군 - 조르주 윌슨 ( 후지모토 양 )
- 바스티유 수비대 병사 - 램베일 윌슨
직원
- 제작 - 야마모토 마타 이치로
- 제작 총 지휘 - 아니에스 발다
- 감독 - 잭 두미
- 각본 - 잭 두미, 패트리샤 루이지애나 냅
- 음악 - 미셸 르 그랑
- 미술 - 베르나르 에반
- 제작 - 키티 뮤직 코퍼레이션
- 제공 - 시세이도, 일본 TV 방송망 , 도호 주식회사
에피소드
타이 업은 시세이도 . 동사는 1979년 봄의 화장품 캠페인에 본작의 주연인 카트리오나 맥콜 을 기용해, 오스카르의 극적인 인생을 상징한 「극적인, 극적인, 봄입니다.레드」라고 하는 카피로 전개했다 [ 121 ] .
시세이도의 경쟁사인 카네보 화장품 은 동시기, 화장품 캠페인에 올리비아 하세를 기용해 「너는 장미보다 아름답다.」라고 하는 카피로 전개했다 [ 121 ] [ 122 ] . 립스틱의 상품명도 장미에 연관된 "슈퍼 로즈"였다 [ 121 ] . 동사는 부정하고 있지만, 이 「장미」는 「베르사유의 장미」를 가리키고 있다고 되어 시세이도에 대항한 모습이 되었다 [ 121 ] .
기타
- 목요일 스페셜 (일본 TV) - 공개 전인 1980년 2월 22일, 시사회 모양을 생중계하는 '그 '벨 장미'가 영화가 됐다! 베르사유 장미 대시사회'를 방송했다. 사회는 후쿠루데 공남 (당시: 일본 TV 아나운서)과 스이젠지 키 요코 .
이미지곡
만화 이미지 곡으로 제작된 레코드의 수록곡.
- "베르사유 장미" "사랑의 오스컬" "사랑의 치카이"
- 3곡 모두, 작사: 야마구치 요코 , 작곡: 스즈키 쿠니히코 , 편곡: 마키노 야스지 , 노래: JOHNNYS' 주니어·스페셜
- 싱글 「베르사유의 장미/사랑의 오스컬」CBS・소니 , 규격 품번:SOLB-215, 싱글 「사랑의 치카이/백조」 CBS・소니, 규격 품번:SOLB-276에 수록
드라마 CD
- 베르사유의 장미 드라마 CD vol.1 -잊을 수 없는 사람·오스카르-(2003년 7월 21일 발매) GPCV-1001
- 베르사유의 장미 사운드 극장 드라마 CD(2010년 4월 22일 발매) BJCA-151
- 베르사유의 장미 II 사운드 극장 드라마 CD(2010년 8월 26일 발매) MOMO-8002
- 베르사유의 장미 FIN 사운드 극장 드라마 CD(2010년 12월 23일 발매) MOMO-8006
우메다 프레임 극장 뮤지컬 버전
1975년 4월 3일부터 16일까지 우메다 프레임 극장(현 우메다 예술극장 )에서 상연되었다. 뮤지컬 로맨 『베르사유의 장미』 전 2막 15장. 다카라즈카 초연의 성공을 받아 배우 여배우의 출연에 의해 제작된 뮤지컬. 어른의 연애극의 정취가 강하고, 페르젠과 앙드레를 니시 키노 아키라(현 니시키노단)가 1인 2역으로 연기하는 등 독특한 연출이 이루어졌지만, 공연 기간은 2주일에 못 미쳤다.
캐스트
- 페르젠 백작 앤드레 - 니시키노 아키라
- 오스카르 근위대위 - 모리타 일기
- 안토와네트 왕비 - 나미 에츠코
- 폴리냑 백작 부인 - 니시오 미에코
- 음유시인 - 토모타케 마사노리
- 로사리 - 순 앨리스
- 앨런 백장 - 하야시 유타카
- 루이 16세 - 오하시 쇼타
- 로베 스 피에르 - 하야사키 분지
- 베르나르 - 안도 나오키
- 자르제 장군 - 마츠모토 토쿠지
- 샬롯 - 쿠리 카즈요
- 로즈 베르탄 - 오월 케이코
- 오스컬 유모 - 삼각 야에
- 로사리의 어머니 - 마에카와 미치코
- 노와엘 부인·춤추는 여자 - 오오시마 쿠리코
- 샤를 왕자 - 요시무라 히토미
- 술집의 아버지 - 이즈미 유스케
- 텔레즈 공주 - 교토 마이코
직원
벨 장미 키즈
2005년 10월부터 2013년 3월 30일까지, 아사히 신문 토요일 별책 조간『be on Saturday・엔터테인먼트』에 연재된 이케다 작화의 4컷 만화 와 칼럼으로 이루어지는 미니 코너. 본편으로부터 32년만의 만화화이다 [ 123 ] . 4컷 만화는 개그 테이스트가 되어 있어 오스컬들이 현대 일본의 시점에서 스토리를 전개하는 등 『벨 장미』 본편의 패러디적 측면도 가진 독자적인 내용. 루이 16세가 스모를 좋아하는 등 독자적인 설정도 존재한다. 앙드레의 어머니 등 본편에는 등장하지 않았던 캐릭터도 등장. 캐릭터는 전원이 3마리 몸이지만, 예외적으로 오스칼과 앙드레와 페르젠이 보통 머리 몸으로 등장한 적이 있다. 연재 개시부터 2009년 4월까지는 매회 2작의 만화가 게재되고 있었지만, 이후는 1작만 게재. 2012년 4월 7일 이후부터는, 붉은 be에서 청 be로 이동해, 동시에 초기부터 칼럼에 사용하고 있던 원작의 일러스트가 삭제가 되었다 [ 주석 43 ] . 단행본화되어 2012년 11월 24일분까지를 수록한 7권까지가 발매되고 있다. 2권에서는 경품 선물. 4권부터 6권까지 첫회 특전이 추가되었다. 이후 2016년 4월 7일, 아사히 신문 출판 에서 '벨 장미 Kids'(아사히 문고상 · 하)가 간행되었다.
Kids 한정 캐릭터
- 작성자
- 만화 본편에서는 「작자」라고 불리고 있지만, 칼럼에서는 이케다의 이름을 들고 있다. 등장은 신체의 일부, 본인은 등장하고 있지 않지만 만화 내에서 실제로 있었던 이벤트로 어디에 등장했는지를 칼럼으로 해설되거나, 동일본 대지진 후의 만화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등장해 출전하는 이벤트로 일러스트의 판매 선전까지 가고 있었다.
Kids 고유 설정
- 오스칼
- 르루가 동경하는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 관심을 갖고 입학시험까지 받고 있다. 그러나 연령 사칭으로 떨어졌다. 본작만 장미를 좋아하는 음식이 되고 있다.
- 안드레
- 오스칼과 춤을 추고 싶기 때문에 종종 여장을 하고 있다. 흑발의 롱 헤어이며, 꽤 아름다움이다.
- 르 루
- 다카라즈카 음악학교나 손수건 왕자 등 여러 가지에 동경하고 있다. 또한 우주인과 같은 아이들과 때때로 邂逅을 한다.
- 루이 16세
- 앞서 언급했듯이 상당한 스모 좋아. 그것이 오랫동안 베르사유의 일각에 몰래 마이 츠바키를 만들어 버렸을 정도다.
- 베르나르
- 꽃가루 증기. 또 개 좋아하는 설정. 전 재료는 오스카르에 대해 왕비의 개와 외쳤던 것에 의한 것.
- 제로델
- 꽤 고양이 좋아. 고양이를 위해 털실구슬이나 燬燵을 조달, 끝은 집을 리폼까지 해 버린다. 오스칼 앙드레 알란의 생일 선물은 모두 같은 고양이 달력이었습니다.
- 로베스 피에르
- 참석으로 술집에 온 루이 16세의 정체를 전혀 눈치채지 못하고, 의기투합해 버린다.
- 산주스트
- 원작인 '남장의 여인'이 도약해, 완전히 소녀에게 잘못되어 생일에 대량으로 여물의 옷을 주어지고 있다. 그 후 오스카루에게 어떻게 하면 남자답게 보이는가 하는 다소 어려운 상담을 하고 있었다.
- 뒤 배리 백부인, 폴리냑 백부인, 진
- 원작에서는 같은 장면에 등장하는 일도 없었지만, 베르사유의 장미 3대 악녀라고 칭해져, 일이 있을 때마다 상충해, 충돌한다. 결과적으로 세 사람 모두 아픈 눈에 맞는 경우가 많다.
영어 번역판
1981년 에 미토모사 출판이 전 7작의 영역판의 간행을 기획해, 같은 해 7월에 The Rose of Versailles Vol.1 , 11월에 The Rose of Versailles Vol.2 가 발행되었지만, 이후, 기획이 좌절하고 있어, 복간 닷컴 등 으로 팬으로부터 완결이 기대되고 있다 . 역자는 『일본 만화론―일본 만화에 빠진 미국인의 열혈 만화론』( 마르사 , 1998년 ) 등의 저자 프레드릭·L. 샷 .
게임
모바일 게임
『베르사유의 장미 if ~환상의 날들~』의 타이틀로, 비주얼라이즈로부터 휴대전화용 으로 소셜 게임이 제공되었다. 장르는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2011년 10월 4일 부터 GREE 에( 피처폰 · 스마트폰 양대응) 해 전달된 [ 124 ] 후, 같은 해 12월20일 부터 피처폰용의 mixi 게임으로부터도 서비스가 제공되어 [ 125 ] , 이쪽도 다음 해 3월 에는 스마트폰에 대응하고 있다 [ 126 ] .
오스카루의 저택에 살게 되는 소녀가 플레이어의 분신이 되어 시나리오가 진행되는 노벨 게임에서 이케다 리요코 프로덕션의 감수 아래 새롭게 쓰여진 「if」의 이야기가 되고 있었다.
소비자 게임
「사립 벨 장미 학원 ~베르사유의 장미 Re*imagination~」의 타이틀로, 오토메이트 및 아이디어 팩토리 로부터 Nintendo Switch 용으로 2019년 5월 23일에 발매되었다. 장르는 어드벤처 게임.
다만, 베르사유의 장미를 모티브로 해 원작으로서 표기되고 있는 것만으로, 베르사유의 장미의 등장 인물을 어디까지나 이미지 한 개성적인 캐릭터들이 다니는 유명 사립학교 「벨로즈 학원」을 무대로, 사랑과 청춘의 부활극이 그려져 있다.
파칭코
- 2004년 부터 에이스 전연 (2015년부터는 필두 주주의 니시 진 )에 의해 파칭코 시리즈가 발매되어 점포에 놓여 있다.
- 2004년 6월 ' CR 베르사유 장미 '가 설치되었다.
- 2006년 8월, 『CR 베르사유의 장미 II』가 발표되어 [ 127 ] [ 128 ] , 같은 해 9월에 설치되었다.
- 2009년 5월, 'CR 베르사유의 장미 III 장미는 아름답게 흩어진다'가 발표되어 [ 129 ] [ 130 ] , 같은 해 6월에 설치되었다.
- 2012년 5월, ' CR 베르사유 장미 장미의 운명 '이 발표되었다 [ 131 ] [ 132 ] , 같은 해 7월에 설치되었다.
- 2015년 11월, ' CR 베르사유의 장미 굉장한 때를 넘어'가 발표되어 [ 133 ] [ 134 ] , 같은 해 12월에 설치되었다.
- 2016년 2월 선행기의 단 디지스펙 'CRA 베르사유 장미 어리석은 때를 넘어'가 발표되어 [ 135 ] 동년 3월에 설치되었다.
- 2018년 11월, ' P 베르사유의 장미~혁명에의 서곡~'이 발표되어 [ 136 ] [ 137 ] , 같은 해 12월에 설치되었다.
- 2019년 3월, 선행기의 추가 스펙 'P 베르사유 장미~혁명에의 서곡~GLB'가 발표되어 [ 138 ] , 같은 해 5월에 설치되었다.
기타
- 다카라즈카 가극단에서 무대 초연된 무렵은 텔레비전의 취재가 쇄도해, 타카라즈카붐의 화부역이 된다 [ 139 ] . 2022년 7월 16일 에는 NHK 종합 텔레비전 의 교양 프로그램 「어나더 스토리즈 운명의 분기점」에서 「베르사유의 장미 오스컬이 되고 싶었던 우리」의 테마로, 당시를 되돌아 보는 프로그램이 방송되어 원작자 이케다, 오스카루 역의 히로나 유 .
- 2022년 에는 도쿄·오사카(다른 순회 예정)에서 “ 탄생 50주년 기념·베르사유의 장미전-벨 장미는 영원히- ”가 행해져, 최초 공개를 포함한 이케다의 원화, 무대 의상, 그 외 각종 자료 전시를 실시할 예정이다.
-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판 방송 개시 직전인 1979년 9월 17일에 방송된 ' 루팡 3세' 제101화 '베르사유는 사랑에 불타났다'에 오스컬(성우 : 니키 테루미 )이 등장한다. 이 이야기는 루팡 3세 100회 기념 시나리오 공모작품이었다(안드레가 마리 앙투아네트의 분노를 사서 석화의 비약으로 돌로 되어 있는 스토리. 자세한 내용은 “ 베르사유는 사랑에 타버렸다 ” 참조).
- 2000년, 비주얼계 록 밴드· LAREINE이 , 애니메이션판의 주제가 「장미는 아름답게 흩어진다」를 커버 . 원작자 이케다 리요코도 코러스 로 참가. 첫회 한정판의 재킷 일러스트 에는 이케다의 신작 LAREINE의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
- 연재 당시에는 오스카르의 팬클럽도 결성됐다. 『장미 베르사유』라는 기관지가 발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그 일부를 2002년 발행의 『베르사유 장미대사전』에서 볼 수 있다 [ 주석 44 ] .
- 본작에서는 오스카르의 사후, 바스티유 함락에서 앙투아네트의 처형까지가 10회의 연재가 되고 있는 것은, 가장 인기 있는 오스카르가 퇴장하는 것에 의해 인기가 떨어지는 것을 우려한 편집부의 의향에 의한 것이었다고 작자 자신이 밝히고 있다 [ 140 ] .
- 원작자의 이케다 리요코는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판의 비디오를 구입은 했지만, 「눈이 피곤하다」라고 하는 이유로 한 번도 통과해 본 적이 없다. 또한, 사람들이 들었던 앨런의 그 후가 마음에 들지 않고, 나중에 자신의 작품 「에로이카」에 등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140 ] .
- 오스카르를 남장의 여인으로 그린 이유는 남성 심리를 이해할 수 없는데 혁명시에 시민 쪽에 서 있는 위병대의 대장을 그리기 위한 고육의 책이었다고 원작자는 말했다 [ 141 ] .
- 1979년 공개의 실사 영화판의 캐스팅에 즈음해, 오스카르 역으로서, 여배우 기시 케이코가 프랑스 의 영화 감독 이브 샴피 와의 사이에 돈벌인 딸, 델핀=마이코·샴피(당시 14세)의 이름이 올랐다. 어머니 양도의 미모와 프랑스어와 일본어가 능숙한 것이 큰 이유였다. 당시 시세이도 해외 담당이었던 상무인 오노 료오 (나중에 사장 취임)가 해안이 사는 파리까지 발길을 옮겨 출연을 의뢰 . 기슭도 승차했지만, 마이코 본인이 「절대로 여배우가 되지 않는다」라고 담백하게 거절했다 [ 142 ] .
- 다카라즈카 가극단 출신의 전 여배우 미유키 하나요가 경주마 의 목장 , 미시로 목장을 전 남편의 사망에 따라 경영을 계승함에 있어서 '베르사유의 장미'에서 유래한 ' 베르사유 팜 '에 사명을 바꾼 [ 143 ] .
- 2024년 11월 15일에 지바현 카시와시가 시제 70주년을 맞이하는 것을 기념해, 「베르사유의 장미」디자인의 맨홀을 설치했다고 발표했다.
관련상품
- 1923년 (다이쇼 12년), 모리나 가 제과의 주력 상품인 「모리나가 비스킷」시리즈의 하나 『 마리 』 는, 과자를 좋아 했던 안토와네트가 궁정내에 과자용 구이 가마를 만들고, 특히 뛰어난 풍미의 비스킷의 레시피에 자신의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 일 145 ] . 2023년에는 『마리』 발매로부터 100주년을 기념해, 콜라보레이션 기획을 실시해 특별 한정 패키지를 발매했다 [ 146 ] .
- 2006년 봄에 타키이 종묘로부터 「베르사유의 장미」라고 명명된 페튜니아 의 신품종이 발매되고 있다. 또 발매 기념 상품에 벨 장미의 일러스트가 사용되었다.
- 2008년 , 반다이 의 화장품 브랜드 "Creer Beaute(클레어 보테)"에서 "베르사유 장미 시리즈"를 전개 [ 147 ] . 아이라이너와 마스카라에 이어 팩이나 입욕제, 2012년에는 콜라겐 음료도 발매되고 있다.
- 2009년 , 반다이보다 만보계 「유보계 베르사유의 장미 ~ 걷고 자신 혁명 태어나서 좋았다!!~」발매.
- 2010년 야마토 포도주에서 '베르사유 장미' 오스카르 스파클링 와인이 발매되었다.
- 2010년 11월, 슈에이샤에서 「베르사유의 장미 카르타」발매.
- 2011년 11월, 호수이케 야 ‘슈퍼 무초’(장미 향기 식초 맛, 깔끔한 매실맛, 깔끔한 식초 맛)의 패키지에 장미를 쏟은 오스카르의 일러스트가 채용되었다.
- 2011년 6월 10일 , 일본 우정이 발행한 기념 우표「애니메이션・히어로・히로인 시리즈」의 제16집에 「베르사유의 장미」가 채용되었다 [ 148 ] . 1,500만장 한정. 히메노 미치가 그려내고 있다.
- 2012년 3월 16일 , 게이세이 장미 원예 로부터 프랑스의 육종업체 메이안사가 개발한 「베르사유의 장미」라고 명명된 장미 의 신품종이 발표되었다. 이날부터 회사 EC 사이트에서 선행 예약을 시작했지만 불과 1일 만에 매진되었다. 5월 12일 에 제14회 국제 장미와 가드닝쇼(세이부 돔)에서, 일반 공개되었다 [ 149 ] .
- 2012년 8월, 여성 속옷 메이커 피치 존이 앙투아네트를 2012년 가을의 이미지 캐릭터에 기용. 로코코 시대의 여성미에 오마쥬를 바친 「에어봄 트리니티브라」를 발매.
- 도야마산 코시히카리의 패키지에 채용되고 있다.
- 그 밖에도 가이드북과 색칠, 초급자용 프랑스어 참고서 등 수많은 콜라보레이션을 하고 있다. 또 대만 에서는 애니메이션 전화 수록·더빙 포함 DVD-BOX 가 발매되고 있다.
- 2013년 11월 24일, 제1회 베르사유의 장미 검정이 개최 [ 152 ] . 검정에 맞춰 공식 문제집이 발매되었다 [ 153 ] .
- 2014년 5월, 에스테틱 살롱 「소시에」와 타이업, 「오스카르와 앙투아네트의 미적 생활 2014」라고 명명해, 「미의 혁명」 「마리 앙투아네트 코스」 「오스카르 코스」를 발매(기간 한정) [1] . 또 특설 사이트에는 web 한정의 만화도 게재되고 있다.
- 2016년 11월 15일, LINE이 전개하는 게임 서비스 「LINE GAME」의 3 매치 퍼즐 게임 「LINE 포코 포코」로 기간 한정으로 콜라보레이션을 실시했다. 콜라보레이션 스테이지나 BINGO 스테이지, 보물 스테이지를 개최한 것 외, 각 이벤트의 클리어 보상 혹은 프리미엄 뽑기로부터 「베르사유의 장미」의 캐릭터에 포코타가 분장한 「포코오스컬」 「포코마리」를 동료로 할 수 있거나, 한정 LINE 스탬프를 전달 [ 154 ] .
- 2017년 3월 18일부터 5월 31일에 걸쳐 캐러움 카페에서 콜라보 카페를 개최하고 [ 155 ] , 점내 장식이나 푸드 메뉴, 상품 판매 등 실시했다.
- 2017년 5월 1일, 「닛신의 돈베이 동서 먹어 비교」라고 콜라보레이션해, 한정 패키지의 상품이 기간 한정으로 발매되었다 [ 156 ] .
- 2018년 9월 3일, 아카기 유업의 아이스 브랜드 「Premil(프레밀)」의 상품 「프레미르몽블랑~농후 말론 재봉~」과 콜라보레이션해, 캠페인에 기용되었다 [ 157 ] .
- 2019년 베르사유의 가구 가정용 고성능 오일 흡착재. 나노 화이버 기술과 「베르사유의 장미 이케다 리요코 프로덕션」이 콜라보레이션. 이름의 유래는, 벨 채유(사이유·아부라를 취한다)로부터.
- 2020년 중앙 클리닉 그룹이 콜라보레이션하고 프로모션을 전개. 2021년 3월 22일부터는 그 제2탄으로서 '미용의료로 이루어진다! 화려한 에이징 케어' 프로젝트를 실시해 주요 캐릭터인 오스카르 앙드레 펠젠의 3명이 닥터 역으로서 백의 모습이 되었다 [ 158 ] .
- 2022년 3월 31일 발매의 잡지 「쇼와 45년 여자·1970년 여자」Vol.6의 표지를 장식한다. 또, 본지 14페이지보다 6페이지에 걸쳐 「축・연재 개시 50주년!!『베르사유의 장미』에서 이케다 리요코가 일으킨 여자의 혁명」이라는 제목의 특집이 짜여져, 작자의 이케다의 스페셜 인터뷰 기사가 게재되고 있다.
- 2022년 9월 26일, 반다이 로부터 어른용 알코올이 들어간 과자 상품 「베르사유의 장미 지극의 한 알 와인구미」가 발매되었다. 발매에 앞서, 같은 해 9월 17일부터 도쿄 시티뷰(롯폰기 힐즈 모리 타워 52F)에서 개최된 「탄생 50주년 기념 베르사유의 장미전-벨 장미는 영원히-」에서 선행 발매되고 있다 [ 159 ] .
- 2024년 5월 2일부터 창미식품「국물의 깨끗하고 부드러운 식초」와 콜라보레이션 기획 개시 [ 160 ] .
각주
주석
- ^ a b c 다만, 신 에피소드의 권수는 슈에이샤 마가렛 코믹스 11권-14권 표기.
- ^ 경련 맛 넘치는 표현에 흐르는 경향이 있다.
- ^ 잠시 후 개최된, 3부회에서 자신이 등단했을 때. 자신에 대해 박수는 커녕 갈채조차 없이 백안시되고 있는 것에 충격을 받는다고도, 3부회에 임하기 위해, 죽은 어머니에게 힘을 빌려 주세요라고 기도하고 있었다.
- ^ 현실에 충격이나 공포로 머리카락이 하얗게 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진위 정도는 확실하지 않고, 원래는 회색을 띤 금발에 감옥 안의 먼지를 입은 것으로 잘못되었다는 설도 있다.
- ↑ 코믹스 제11권의 「벨 장미 Fan Room Vol.02」에서 작자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 ^ 한눈 밖에 보이지 않는 일로, 오스카르의 부담이 되지 않도록 자르제가의 계단에서, 단수를 읽으면서 걷는 연습을 하고 있었다.
- ^ 말론 글래세가 오스카르의 수당을 하기 위해, 방에서 나오라고 말하면, 「남자끼리라도 피부는 보이지 않는다고 하는지 왕족도 아닌 주제에」라고 말해 화난 말론으로부터 「잘도 아가씨(=오스카르)에!!」라고 쫓겨나, 그것이 계기로 그녀가 여성
- ↑ 이야기 종반, 평생 독신을 관철한 것이 밝혀졌다.
- ^ 혁명 당시 아직도 문지율이 낮았다. 무학·무교양이 대부분이며, 아이들과 찢어지기 전에 앙투아네트가 공부를 가르치고 있을 때 수학을 이해할 수 없는 감옥은 암호화 통신문을 아이들이 쓰고 있다고 착각했다.
- ^ 근습으로부터 건네받은 밀고의 편지를 읽고, 2명의 사이를 알게 되었다.
- ^ 단, 캐스트 크레딧은 이치카와
- ↑ 에피소드 8에서 앙드레는 혁명파인 마라와의 관계를 말했다.
- ^ 알투아 백공들에게 동필자 집필 속 공문고 '영광의 나폴레옹-엘로이카'에서 각 사자와 혁명파 폴 바라스가 접촉한다.
- ^ 나라를 버린 뒤에 자신들이 민중에게 죽게 되기를 바라는 형들에 대해, 「지옥에 떨어지는 것이 좋다!!」라고 울고 있었다.
- ^ 삼부회 개최 첫날, 오스카르는 죽은 조제프를 기억해 「나는 프랑스 왕비가 되어 거기 있었어」라고 앙드레에 중얼거리고 있었다.
- ↑ 기독교 에서는 교리에서 자살을 금지하고 있고, 자살했을 경우는 교회에서의 장례를 거절당하기 때문에 폴리냑 집에서는 사고사와 위증하여 장례를 집행했다.
- ^ 일출의 빛이 가져오는 사원의 유리의 반사광으로 눈을 떴다. 결투를 새벽 전에 한 이유가 이것이며, 제안한 것은 오를레앙 공이다.
- ^ 이야기 초반에서 여러 나라에서 병법 등을 배우고 '여기 프랑스에서 마지막 만남을 만들기 위해' 프랑스로 온 것이 밝혀졌다.
- ^ 본래라면 총살형 이었지만, 자신의 강간 미수가 발레를 두려워하기 전의 대장에 의해 강격 처분이 되었다.
- ↑ TV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야마다 슌지」명의
- ↑ 1781년에 당시의 육군 장관 드 세규르공 에 의해 제정된, 규칙. 4대 이상 계속된 귀족 출신이 아니면, 일체의 승진을 금지한다는 법률( en ). 이는 대귀족들이 고위고관의 직업을 독점하기 위한 악법이다. 이 일을 끌어내고, 앨런은 오스칼에게 “귀족이라고 해도 핀에서 키리까지 있는 거야”라고 말했다.
- ^ 오스칼에게 구혼했을 때, 스스로 그녀에게 그렇게 말했다.
- ↑ 에피소드 5 『제로델 다시! 』편의 후편에서, 평민 의원을 배제하라는 명령을 실행하려고 했을 때.
- ↑ 현재의 제1포병 연대 .
- ^ 실은 귀족의 낙원이었다(※어머니의 항을 참조).
- ^ ' 라세느의 별 '에도 등장해 왕비와 아이들을 찢기도 했다.
- ↑ 사실 의 잭 드 산 레미.
- ↑ 쟌느가 근위사관을 추천한 로앙에 대해, 니콜라스를 「백작」이라고 경력 사칭했기 때문에, 「세금을 지불하지 않고 귀족을 자칭한다니… 」라고 새파랑이 된다.
- ^ 가 레선 등 젓는 사람이 되는 징역형의 일종.
- ^ 니콜라스 이와쿠 "보주의 주제에 여자라고 보면 보이지 않는다" 정도의 놀이 사람이다.
- ^ 쟌느로부터 「베르사유 궁전으로는 언제 데려와 주시겠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유감스럽지만 우리는 궁정에의 출입을 허락되어 있지 않아」라고 밝히고, 잔느는 귀족에게도 (가문이) 여러가지 있다고 실감하고 있었다.
- ↑ 『베르사유의 장미대사전』에서는 3여자가 되고 있어 오스칼의 언니 전원의 이름이나 3녀 혹은 장녀이거나, 설정의 변동이 심하다.
- ^ a b '포의 일족'의 팬이기도 한 작가가 '제로델이 '포의 마을'에 흘러들어간다'는 아이디어를 하기 오 망도 에 말하고 쾌락된 것으로 실현했다. 에피소드 9의 제4화의 마지막 페이지에 「작중의 마을의 이미지는, 하기오 망도 선생님의 허가를 얻어 「포의 일족」으로부터 사용해 주셨습니다.」라고 하는 설명문이 게재되고 있다.
- ^ 편집부에 확인한 결과, 작자가 「2명의 전사 직후에 죽었다는 것이 아니라 며칠이 비어 있었기 때문에, 그 사이의 사건이었다.」라고 하는 것이다.
- ↑ 『베르사유의 장미대사전』에서는 마리안느, 크로틸드, 오르탄스, 카트린느, 조제핀이 되어 있었다.
- ↑ ED 텔롭에서는 이치카와
- ^ 예를 들면, 라이터의 미나미타 조는 "데자키 통이 치프 디렉터에 기용된 것이다. 작화도 아라키, 히메노의 미형파에서, 데자키와 불멸의 태그를 짜는, 명수, 스기노 아키오 로 교체 . .
- ↑ 제22화 이후, 시가키의 음성 부분은 흐르지 않는다.
- ^ 그 외, 제19화의 로사리가 폴리냑 부인에게 단총을 찌르는 장면에서는, Daniel Faure의 「Prelude A La Vie」가 흐르고 있다.
- ↑ 일부 지역에서는 내용이 전혀 다른 별버전의 제24화 「타오른 장미의 초상」을 방송.
- ↑ 예고 나레이션에서는 「병영에 피는 리라의 꽃」. 디지털 리마스터판에서는 '개화'로 수정됐다.
- ↑ 총집편
- ^ 단, 단행본판에서는 일러스트가 계속되고 있었다.
- ^ 기관지를 중심으로 편집하고 있던 것은 작중, 무도회 장면에 플래카드를 가지고 등장한 적도 있는 에밀리라는 여성 [ 요출전 ] .
출처
- ^ 츠바이크 전집 11 - 12 『마리 앤트와넷』 후지모토 아츠오・모리카와 토시 오역( 미스즈 서방 , 1962년) 사실 부분의 대부분을 유용하고 있어, 단행본 제9권의 후기로, 참고문헌의 필두에 본서를 들 수 있다.
- ↑ 마가렛 코믹스 「베르사유의 장미 제9권」(슈에이샤, 1974년) 앞으로.
- ↑ 『애장판 베르사유의 장미상권』(중앙공론사, 1987년) 저자 앞서부터.
- ↑ 마가렛 2014년 12호 표지부터.
- ↑ a b 마가렛 2014년 14호 벨 장미 단행본 홍보 광고보다.
- ^ “ 『베르사유의 장미』 신작 읽기가, 마가렛 3·4 합병호(2014년 1월 4일 발매/슈에이샤)에 게재!주인공은 페르젠.『벨 장미』 본편의 「그 후」를 그립니다 !! ” .
- ^ “ 베르사유 장미” 50주년에 전시회, 첫 공개 원화와 “오스칼의 방”이 등장” . 코믹 나탈리 . 25 May 2022 .
- ↑ “탄생 50주년 기념 베르사유의 장미전 -벨 장미는 영원히-” . 도쿄 시티뷰 . 25 May 2022 . 2022년 5월 25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극장 애니메이션화 결정 원작 탄생으로부터 50년의 고비에 재애니메이션화 . 영화.com (에이가 닷컴) .
- ↑ “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의 장미” 공개는 2025년 신춘에, 사와키 미유키·히라노 아야 등이 참가 ”. 영화 나탈리 . 나타샤(2024년 7월 2일). 2024년 7월 2일 열람.
- ^ “ 마리 앙투아네트가 “빵이 없으면 과자를 먹으면 좋다”고 말했다는 것은 어디에서 나온 이야기인가? 출전이 있으면 알고 싶다. ”. 국립국회 도서관 . 2024년 12월 10일 열람.
- ^ 단행본 9권 170페이지 「베르사유의 장미 연재를 마치고…」참고.
- ^ 엔터테인먼트!
- ↑ ( François Augustin Regnier de Jarjayes : 1745년 10월 2일 - 1822년 9월 11일 )
- ↑ 마가렛 코믹스 「베르사유의 장미」11권 「벨 장미 Fan Room」보다.
- ^ 루이 16세 이와쿠「뭐죠 이건? 마치 벼룩 의 색이 아닐까」라고.
- ↑ 2009년 5월 9일 아사히 신문 「be」 「벨 장미 Kids」보다. 해설자· 이시즈카 치코 가 이케다에 문의에 의한, 해답으로부터.
- ↑ 마가렛 2014년 18호 「벨 장미 Fan Room」보다.
- ↑ 마가렛 2014년 15호 「벨 장미 Fan Room」보다.
- ↑ 『베르사유의 장미』 14권 「끝에 2018년 3월 이케다 리요코」P211 - 213.
- ↑ Margaret 2016년 1호, P86.
- ↑ Margaret 2016년 21호, P467.
- ↑ 마가렛 2014년 16호 「벨 장미 Fan Room」보다.
- ^ 「벨 장미 Kids」7권 P23보다.
- ↑ 마가렛 2014년 13호 「벨 장미 Fan Room」의 편집자의 르루의 소개의 기술보다.
- ↑ 중공문고, 이케다 리요코 『여제 예카테리나』 제3권보다.
- ↑ “ 베르사유의 장미 1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2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3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4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5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6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7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8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9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10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 장미 11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12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 장미 13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14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벨 장미 Kids 1 ”. 아사히 신문 출판.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벨 장미 Kids 2 ”. 아사히 신문 출판.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벨 장미 Kids 3 ”. 아사히 신문 출판.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벨 장미 Kids 4 ”. 아사히 신문 출판.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벨 장미 Kids 5 ”. 아사히 신문 출판.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벨 장미 Kids 6 ”. 아사히 신문 출판.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벨 장미 Kids 7 ”. 아사히 신문 출판.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1(슈에이샤 문고판)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2(슈에이샤 문고판)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3(슈에이샤 문고판)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4(슈에이샤 문고판)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5(슈에이샤 문고판)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벨 장미 Kids 1(문고판) ”. 아사히 신문 출판.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벨 장미 Kids 2(문고판) ”. 아사히 신문 출판.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판 1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판 2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판 3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판 4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판 5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판 6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판 7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판 8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완전판 9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탄생 ”. 코단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근위 연대장 오스칼과 앙드레 ”. 코단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 장미 소용돌이치는 사랑의 유쿠에 ”. 코단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다가오는 혁명의 발소리 ”. 코단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 장미 오스칼과 앙드레, 영원한 사랑 ”. 코단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아라시에 흩어진 아름다운 장미들 ”. 코단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벨 장미 연재 개시 30주년 기념 베르사유의 장미 대사전 ”. 슈에이샤. 2022년 3월 3일 열람.
- ↑ “ 어른의 색칠 베르사유의 장미 초보편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어른의 색칠 베르사유의 장미 어드밴스편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 카르타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365일 행복 노트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어른의 색칠하기 베르사유의 장미 수수께끼 그리기 편 ”. 슈에이샤. 2022년 3월 4일 열람.
- ↑ “ 베르사유 장미 애니버서리 북 사랑과 감사의 50주년 ”. 슈에이샤. 2024년 7월 2일 열람.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유아사 유유 편 「베르사유의 장미 애니메이션 대해부」미사에 <산 에이무크>, 2020년, 124-125페이지. ISBN 978-4-7796-4192-3 .
- ^ a b 산에이 뮤크 2020 , p. 117.
- ^ 「베르사유의 장미 뜨거운 맹세의 밤에 이것이 충격의 장면이다!!」 「월간 애니메이션」1980년 9월호, 도쿠마 서점 .
- ↑ 야마자키 케이노 “TV 애니메이션 영혼” 코단샤 현대 신서, 2005년, pp.178-179
- ↑ 야마자키 케이노 “TV 애니메이션 영혼” 코단샤 현대 신서, 2005년, p.180
- ^ 텔레 아침 POST » 타지마 레이코, 사회 현상이 된 '벨 장미'의 오스카루 역. 연기하는 동안 자신의 목소리가 나오지 않게 ... "회복까지 20 년 정도 걸렸습니다"
- ^ https://www.youtube.com/watch?v=zXhnC0ZpNGQ&t=694s
- ^ '후타바샤 MOOK 호기심 북 그 장면을 잊지 않는다 걸작 애니메이션 100 타이틀
- ^ 코구로 유이치로 “ 애니메님 일기 2018년 2월 4일(일)~ ” WEB 애니메이션 스타일 (2018년 2월 19일) 2023년 3월 31일 열람
- ↑ 주간 TV가이드 1980년 4월 25일호 「REPORT 에너지 절약 나이터로 「벨 장미」가 사라졌다!?」(p.22)
- ^ WEB 애니메이션 스타일 업데이트 및 미니 뉴스 편집장의 히토코토 불타는 장미의 초상화
- ↑ 『애니메이션』 1980년 5월호 『전국 방영 리스트』(74-75페이지)(개별적으로 출전이 제시된 것을 제외)
- ↑ TV 방송 대상 지역 출처:
- 정부 규제등과 경쟁 정책에 관한 연구회 (2009년 10월 9일). “ 방송 분야의 동향 및 규제·제도(자료 2) ” (PDF). 통신·방송의 융합의 진전하에 있어서의 방송 분야의 경쟁 정책의 존재 방법 . 공정 거래 위원회 . p. 2. 2018년 10월 24일 열람.
- “ 기간 방송 보급 계획 ”. 우정성 고시 제660호 . 총무성 ( 1988년 10월 1일). 2022년 5월 11일 열람.
- “ 지상 디지털 방송국 정보 ”. 일반 사단법인 디지털 방송 추진 협회 . 2022년 8월 5일 열람.
- ↑ 『허베이 신보』 1979년 10월 10일자 조간, TV란.
- ^ 난카이 방송 발행 1980년 4월 프로그램표보다. 일본 TV와 같은 시간 방송이지만 동시 인터넷인지 지연 인터넷인지는 불분명
- ↑ a b 「애니메이션」1980년 4월호 「전국 방영 리스트」(64페이지)
- ↑ 『후쿠시마 민보』 1979년 10월 18일 - 1980년 3월 27일자 조간, TV란.
- ↑ 『후쿠시마 민보』 1986년 5월 23일 - 8월 11일자 조간, TV란.
- ↑ a b c d e 「애니메이션」1980년 4월호 「전국 방영 리스트」(65페이지)
- ↑ 『북일본신문』 1979년 10월 13일 - 1980년 3월 29일자 각 조간 TV란에서
- ↑ 『 기타쿠니 신문』 1979년 10월 15일자 - 1980년 3월 31일 각 조간 TV란에서.
- ↑ 『기타쿠니 신문』 1979년 10월 19일자 - 1980년 3월 28일 각 조간 TV란에서.
- ↑ 『일간 스포츠』 1979년 10월 15일, 1980년 3월 31일자 조간, TV란.
- ^ 「「프리큐어」영화 제5탄 결정 「벨 장미」 제작 준비중」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 주식회사 이드, 2008년 1월 28일. 2025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극장 애니메이션화 결정 원작 탄생으로부터 50년의 고비에 재애니메이션화 .. 영화.com (2022년 9월 7일).
- ↑ 작품 정보 영화 “베르사유의 장미” 무비 워커 2023년 3월 31일 열람
- ↑ “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의 장미” 2025년 신춘 공개! 오스카루 역은 사와키 미유키 & 제작은 MAPPA ”. 코믹 나탈리 . 나타샤 (2024년 7월 2일). 2024년 7월 2일 열람.
- ^ a b “ 극장 애니메이션 “벨 장미” 나레이션은 쿠로키 히토미, 주제가는 아야카의 신작 ”. 코믹 나탈리. 나타샤 (2024년 11월 21일). 2024년 11월 21일 열람.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Cast&Staff” .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의 장미” 공식 사이트 . 2025년 2월 1일 열람 .
- ^ 「사가현×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의 장미」의 신프로젝트 「베르사유의 사가 장미를 찾아 사가현에」시동! 제1탄은 호화 성우진에 의한 스페셜 무비 「베르사유의 사가」를 1월 28일(화요일) 공개」(보도자료) 사가현 , 2025년 1월 28일 . 2025년 2월 1일에 확인함 .
- ↑ 「베르크, 불후의 명작 「베르사유의 장미」와 콜라보레이션 캠페인을 실시」(보도자료) 주식회사 베르크 , 2025년 1월 20일 . 2025년 2월 1일에 확인함 .
- ^ 「【힐튼 도쿄 오다이바】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의 장미」공개 기념! 「베르사유의 장미」의 세계관을 스위트로 즐길 수 있는 스페셜 이벤트 2월 14일(금)부터 개최」(보도자료) HMJ, 2025년 1월 27일 . 2025년 2월 1일에 확인함 .
- ^ “ 꽃미남 배우 육성 게임 “A3!”이 서비스 개시로부터 8주년! 기념 역 광고 & 대형 비전 광고도 공개 중 |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 의 장미” 와의 콜라보레이션 개최 결정! ”.
- ^ “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의 장미”와 산리오 캐릭터즈의 콜라보라 바 마스코트가 가샤폰에 등장!오스카루로 분한 헬로 키티 등 전 8종이 라인 업 ! ” .
- ^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유의 장미」디자인의 캔디 구미가 등장! 오스카르의 문장이나 브로치를 표현한 시리즈를 1월 31일(금)부터 전국 및 파파브레 공식 사이트에서 수량 한정으로 판매』(보도자료)PAPABUBBLE JAPAN, 2025년 1월 31일 . 2025년 2월 1일에 확인함 .
- ↑ “ 이케다 리요코 공식 사이트 ”. 2024년 4월 9일 열람.
- ↑ a b ensoku_info 2015년 7월 2일 트윗 , 2024년 4월 9일에 확인함.
- ↑ ensoku_info님의 트윗 2015년 7월 9일, 2024년 4월 9일에 확인함.
- ↑ ensoku_info님의 트윗 2016년 1월 14일 , 2024년 4월 9일에 확인함.
- ^ “ 시프트 원, 애플 리코 앱 'SAY-U'로 '벨 장미' 나름 기획을 개시 호소야 카마사 씨가 연기하는 안드레와의 공연을 즐길 수 있는, 동영상 점유율도 가능 ”. gamebiz (2015년 6월 26일). 2024년 4월 9일 열람.
- ^ “ "벨 장미" 당신이 오스컬에? 호소야 가사가 연기하는 안드레와 앱으로 공동 출연 ”. 코믹 나탈리 (2015년 6월 24일). 2024년 4월 9일 열람.
- ↑ IMDb : Lady Oscar 보다
- ↑ a b 『요미우리 신문』 1978년 10월 19일자 석간, 7면.
- ↑ a b 「키네마 순보 베스트 텐 전사: 1946-2002」키네마 순보사, 2003년, 238-239페이지. ISBN 4-87376-595-1 .
- ^ a b c d “영국 미녀 가쓰기 “장미 전쟁” 봄의 캠페인 백열 시세이도 VS 카네보 화장품” “아사히 신문” 1979 년 1월 17일자 도쿄 조간, 8면.
- ^ 【1979년】스킨케어 제품(쇼와 54년)▷군은 장미보다 아름답다(가네보우 화장품) - 재팬 아카이브스 2018년 3월 31일 열람.
- ^ 벨 장미 Kids 1권의 띠 선전보다.
- ^ “ GREE 앱 연애 게임 “베르사유 장미 if~환상의 날들~” 앱 제공 개시에 대해 ”. 비주얼라이즈. 2019년 7월 30일 열람.
- ^ “ -장미는 다시 피어 자랑한다- “베르사유 장미 if ~환상의 날들~”이 mixi 게임에 등장! ”. CNET Japan. 2019년 7월 30일 열람.
- ↑ “ 비주얼라이즈, 스마트폰판 “mixi 게임”으로 “베르사유의 장미 if ”의 제공 개시 ”. 소셜 게임 인포. 2019년 7월 30일 열람.
- ↑ CR 베르사유 장미 Ⅱ - 파킨코 라이브
- ^ “ 그 파칭코 '벨 장미'가 돌아왔다! ”. P-WORLD. 2019년 7월 30일 열람.
- ↑ CR 베르사유 장미 III - 파킨코 라이브
- ↑ “ 드라마틱 파칭코 “벨 장미” 최신작이 등장 ”. P-WORLD. 2019년 7월 30일 열람.
- ↑ CR 베르사유 장미 장미의 운명
- ↑ “ 에이스 전연이 신내규 사양의 “벨 장미”를 발표 ”. P-WORLD. 2019년 7월 30일 열람.
- ↑ CR 베르사유의 장미 어리석은 시간을 넘어서 - 니시진
- ↑ “ 알기 쉬운 게임성으로 폭넓은 층에 소구 ”. P-WORLD. 2019년 7월 30일 열람.
- ^ “ 니시진으로부터 단 데지 2 타이틀이 등장! ”. P-WORLD. 2019년 7월 30일 열람.
- ↑ P 베르사유의 장미 혁명에의 서곡
- ↑ “ 설정 첨부+소박 RUSH 탑재 “벨 장미”가 등장 ”. P-WORLD. 2019년 7월 30일 열람.
- ↑ “ 니시진 'P벨 장미'에 추가 스펙이 등장 ”. P-WORLD. 2019년 7월 30일 열람.
- ↑ 사회 현상이 된 다카라즈카 『벨 장미』 붐 (일본 방송)
- ↑ a b 『베르사유의 장미대사전』 저자 인터뷰에서
- ^ 코바야시 아키라(2019년 9월 13일). “ 이케다 리요코씨 “벨 장미” 오스컬은 왜 여성에게 ”. 일본 경제 신문사 · 닛케이 BP . p. 3. 2019년 9월 15일 열람.
- ↑ 『기시코 자전』 이와나미 서점, 2021년 5월 1일, 289쪽. ISBN 9784000614658 .
- ^ 【vol.2 】전타카라젠느
- ^ 모리나가나가 긴로 “ 도시사 영학교와 모리나가 서양 과자 제조소 : 창시자들의 귀국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 신지마 연구” 제103호, 도시사 대학 도시 사 사사 자료 센터, 2012 년 2월, 27-47쪽, doi : 10.14988/ 3.000 0287-5020 , NAID 110009559006 .
- ↑ “ 시대를 넘은 비스킷 “마리” ”. 모리나가 비스킷 . 모리나가 제과 주식회사. 2024년 7월 3일 열람.
- ↑ “ 모리나가 제과와 “벨 장미”가 어른 여자 노리는 “마리” 발매 100주년으로 특별 한정 패키지 ”. 산케이 뉴스 . 산케이 신문사(2023년 3월 31일). 2024년 7월 3일 열람.
- ↑ 클레어 보테 베르사유의 장미
- ↑ 일본우편 우표 SHOP 보다
- ^ 치바) 오스카루, 안드레… '벨 장미' 장미 5종 탄생 asahi.com
- ↑ 게이세이 장미 원예 베르사유의 장미 특설 페이지
- ^ 오리지널 향수 ~ 오스카르 프랑수아 ~ 게이 세이 장미 원예
- ↑ 베르사유 장미 검정
- ↑ 베르사유의 장미 검정 공식 문제집
- ^ “ “LINE 포코포코”가 베르사유의 장미와 콜라보. 한정 LINE 스탬프 배포도 ”. 4Gamer.net. 2016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 “ 베르사유의 장미 카페 개최 결정! ”. 칼라움 카페. 2017년 5월 26일 열람.
- ^ “ 벨 장미가 점점 병위와 콜라보레이션! 오스카르와 앙투아네트가 동서 먹어 비교 ”. 코믹 나탈리. 2017년 4월 29일 열람.
- ^ “ 몽블랑 아이스의 혁명적 농후함에, 인기 만화 “벨 장미”의 마리와 오스컬도 깜짝!? ”. 아카기 유업. 2018년 8월 30일 열람.
- ^ “ 『베르사유의 장미』의 오스카르가, 중앙 클리닉 그룹의 닥터에!? ”. @Press (2021년 3월 22일). 2022년 2월 20일 열람.
- ^ “ 보상이 부족한 당신에게… 『베르사유의 장미』보다 지극의 와인구미가 등장 ”. @Press (2022년 9월 16일). 2022년 10월 22일 열람.
- ^ 창미식품【공식】 [@somishokuhin] (2 May 2024). “다시마로 식초×베르사유의 장미 콜라보레이션 기획 제1탄!다시마로 식초의 POP 씰에 벨 장미의 캐릭터가 등장! 모든 종류를 찾아보세요! X(구 Twitter)에서 2024 년 7월 3일 열람 .
외부 링크
TV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21세기판)
실사판 영화
- 베르사유 장미 - allcinema
- 베르사유 장미 - KINENOTE
- LADY OSCAR - 올 영화
- LADY OSCAR - IMDb
- 베르사유 장미
- 이케다 리요코의 만화 작품
- 만화 작품 하기
- 1972년 만화
- 마가렛
- 역사 만화
- 프랑스 혁명을 소재로 한 만화 작품
- 파리를 무대로 한 만화 작품
- 남장 만화
- 신분의 연애를 다룬 작품
- 시각장애를 다룬 만화
- 군인을 소재로 한 작품
- 궁전을 무대로 한 작품
- 프랑스 왕실을 소재로 한 만화 작품
- 부르봉 아침을 무대로 한 작품
- 군주의 배우자를 주인공으로 한 만화 작품
- 귀족을 소재로 한 만화 작품
- 마리 앙투아네트를 소재로 한 작품
- 베르사유를 무대로 한 작품
- 스웨덴을 무대로 한 작품
- 스웨덴의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
- 애니메이션 작품 하기
- 1979년 TV 애니메이션
- 일본 TV 계 애니메이션
- 도쿄 영화의 애니메이션 작품
- 반다이 비주얼의 애니메이션 작품
- 마가렛 만화의 애니메이션 작품
- 파리를 무대로 한 애니메이션 작품
- 역사 애니메이션
- 남장 애니메이션
- 귀족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작품
- 프랑스의 역사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작품
- 1979년 영화
- 파리를 무대로 한 영화 작품
- 프랑스 역사 영화
- 프랑스 혁명을 소재로 한 영화 작품
- 신분의 연애를 다룬 영화 작품
- 미셸 루그랑의 작곡 영화
- 남장 영화
- 귀족을 소재로 한 영화 작품
- 시각장애를 다룬 영화 작품
- 처녀 게임
- 패미통 크로스 리뷰 골드 전당들이 소프트
- 후지 TV 제작 애니메이션 영화
- 슈에이샤의 출판물
- 타카시마 사의 출판물
Kindle
$10.59
Available instantly
Hardcover
$110.31
Paperback
$64.44

Read sample
Follow the author

Stefan ZweigStefan Zweig
Follow
Marie Antoinette: The Portrait of an Average Woman Kindle Edition
by Stefan Zweig (Author), Eden Paul (Translator), & 1 more Format: Kindle Edition
4.6 4.6 out of 5 stars (139)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Originally published in 1932 and for decades since one of Stefan Zweig’s most popular biographies, this “portrait of an average woman,” betrothed at fourteen, crowned queen at nineteen, and beheaded at thirty-seven, aimed “not to deify, but to humanize.” Supplementing library and archival research with psychological insight, Marie Antoinette: The Portrait of an Average Woman is a vivid narrative of France’s most famous queen, her relations with her mother Empress Maria Theresa, her husband Louis XVI, and her lover Swedish Count von Fersen, se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French and Austrian courts of the ancien régime,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Terror.
“... the biography to end all biographies on Marie Antoinette ... [Zweig's book] possesses all the qualities of the excellent biography — directness, frankness, full exposition, picturesqueness, characterization, color and delectable readableness.” — The New York Times
“Powerful, magnificent, poignant…” — The New Republic
“A stupendous and superb piece of work.” — Chicago Daily Tribune
Read less
Print length
640 pages
Language
English
Next slide of product details
About the Author
Stefan Zweig (1881-1942) was an outstanding Austrian novelist, playwright, journalist, and biographer whose work became very popular in the US, South America, and Europe especially between the 1920s and 1930s. In 1904 he earned his doctorate degree in philosophy at the University of Vienna. Throughout his life he remained a pacifist, and instead of becoming a soldier at the start of World War I, he worked in the Archives of the Ministry of War. He became friends with notable people in history, including Romain Rolland, Sigmund Freud, and Arthur Schitzler. Among his most famous writings are Beware of Pity, Chess Story, and his memoir The World of Yesterday. --This text refers to an alternate kindle_edition edition.
Product details
ASIN : B00FHIEPNS
Publisher : Plunkett Lake Press
Accessibility : Learn more
Publication date : 26 September 2013
Language : English
File size : 3.9 MB
Screen Reader : Supported
Enhanced typesetting : Enabled
X-Ray : Not Enabled
Word Wise : Enabled
Print length : 640 pages
Page Flip : Enabled
Best Sellers Rank: 1,258,500 in Kindle Store (See Top 100 in Kindle Store)831 in Historical France Biographies
1,103 in History of France (Kindle Store)
1,215 in Biographies & Memoirs of Royalty
Customer Reviews:
4.6 4.6 out of 5 stars (139)
About the author
Follow authors to get new release updates, plus improved recommendations.

Follow
Stefan Zweig
Stefan Zweig (/zwaɪɡ, swaɪɡ/; German: [tsvaɪk]; November 28, 1881 in Vienna – February 22, 1942 in Petrópolis) was an Austrian novelist, playwright, journalist and biographer. At the height of his literary career, in the 1920s and 1930s, he was one of the most popular writers in the world.
Bio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Photo by s/a [Public domain, GFDL (http://www.gnu.org/copyleft/fdl.html) or CC-BY-SA-3.0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 via Wikimedia Commons.
Read more about this author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amidio
5.0 out of 5 stars Sehr gute Qualität des E-BuchesReviewed in Germany on 7 February 2018
Verified Purchase
Das ist genau was ich brauche. Die E-version habe ich lange gesucht. Sehr schönes Buch kann man einfah lesen und kommentieren.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Excellent read couldn't put the book down readers interested in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22 November 2014
Verified Purchase
Excellent read couldn't put the book down readers interested in this should read 'Marie Antoinette The Journey by Antonia Fraser
Report
Annie
5.0 out of 5 stars A Brillant Account of the Queen of Franc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7 February 2016
Verified Purchase
Stefan Zweig gives us his interpretation of one of the best known women in history and does so with great skill and expertise.
He is criticised by the odd reviewer for taking the Freudian approach....for not giving an accurate account according to historical accounts etc but I disagree. In the postface, Zweig details the "forgers" of the times and how he has avoided any incredible documents.He discounts the infamous "let them eat cake" and the apology Marie Antoinette supposedly offered to her executioner for stepping on his foot on the scaffold as anecdotal at best and explains how he has attempted to avoid any heresay by consulting archives that were wholly credible.
Any historian, or writer who attempts to portray a person who lived centuries in the past is subject to archival evidence and who is to say who has it right or wrong.It is knitpicking at the least to point out the minor discrepancies in this wonderful dialogue.
Marie Antoinette comes to life in this biography and Zweig allows all her follies and disastrous decisions to paint her character as well as her goodness and courage, so that at the end we, the reader, can come to our own conclusions about this woman who made, and still continues to make, such a huge impact in history.
Through the exchange of letters written by Marie Antoinette and her mother, Maria Theresa of Austria we discover what went through this child's mind during the early years of her reign.
Yes....she was spoilt and narcissistic ........yes... she made terrible decisions in her youth. She was misguided and thoughtless and her mother, like all mothers attempted to warn her very young and badly equipped daughter of the disastrous path on which she was headed.
However, nothing she did deserved the horror she had to undergo at the hands of the Revolutionists.
The poignant last letter, written by Marie Antoinette to her sister-in-law only hours before her death, portrays a desolate and distraught human being expressing only love and understanding as she faced her own mortality.
We will never know the absolute Marie Antoinette, but Zweig's biography will get as close as we can to knowing one of the most fascinating women in history.
I felt deeply moved by this book and am finding it difficult to get on with my next reading experience as a result.
Read more
Report
S-00999
5.0 out of 5 stars さすが!ツヴァイクReviewed in Japan on 25 June 2016
Verified Purchase
執行草舟の「根源へ」に伝記も文学に昇華されているものは、魂に留まります。、、、こういう名著を読むと、その人物の生涯を文学として読む事になり、魂に留まるものができるのです。、、、その中にツヴァイクの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も挙げられていた。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の最後の手紙をゲーテがかつてのべた死の直前に、表明される最後の発言「人生の終わりにのぞんで、覚悟のできた人の心にうかぶ思いというものは、これまでは考えつくこともなかったような類のものである。それば、過去にそびえる峰々の上に光まばゆく降下する天界の霊たちのようなものである。」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の覚悟を表現したこの言葉は私の魂に留まった。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Laurent Beaulieu
5.0 out of 5 stars An epic tragedyReviewed in Canada on 23 February 2016
Verified Purchase
The reputation of Stefan Zweig is well established and as a writer he is superb. In his biography of Marie-Antoinette he presents a full portrait of the Queen's personality, her marriage, sexual problems of her husband Louis XVI, family betrayals and the maliciousness of the Court of Versailles. The reader will come away seeing the French Court as vicious, dysfunctional and thoroughly unpleasant. She was married very young at 14, became Queen at 17 and died at 34. A tragic figure made even more so despite all the warnings she was given, but her personality did not allow her to see the events that were coming despite terrible warning signs. Her life was a tragedy on the epic scale. A very good book putting to rest all the mainstream silliness you so often hear. A good book to rea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