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an investigative journalist, it seems that over the years you have found yourself in various types of trouble.
Well, I started work at the BBC as a radio producer in 1985. I was taken on to make investigative environmental programmes, of which there weren’t any at the time. I spent the last year and a half at university hammering on their doors and I got the post with the words: ‘you’re so fucking persistent you’ve got the job’.
It was all going incredibly well until Thatcher launched her coup against the BBC in 1987. The BBC had been probing deep into some of the machinations of government, particularly with its Secret Society series and a programme called Maggie’s Militant Tendency. It was doing what a national broadcaster ought to be doing.
But, unfortunately, government has ultimate power over the BBC. Thatcher swept in, and sacked the Director-General Alasdair Milne. On the day that Milne was sacked, my boss came in and said that there were going to be no more investigative programmes.
I was a young man of twenty-four when the coup happened. I had already been working on what I had intended would be a radio series investigating what was happening in West Papua, where Indonesia was moving vast numbers of people from Java and Bali onto the outer islands, including this annexed state of West Papua. Basically, Suharto was using the Javanese and Balinese to displace the indigenous people and create a sort of monocultural state that supported his dictatorship, and so to assert control over this vast archipelago. This was accompanied by devastat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in some cases, genocidal killing and every imaginable form of brutality.
I rang my old friend Adrian Arbib, the photographer, and said that I had just got a contract to go to Indonesia and West Papua, and that it would be extremely dangerous. He said ‘yes’. I said: ‘I haven’t asked you a question yet’. He said: ‘the answer is yes!’
“‘You’re so fucking persistent you’ve got the job’”
And so, the two of us—who were greatly under-qualified and under-resourced—found ourselves in this fantastically perilous situation. Two previous journalists who had tried to do a similar thing had both been killed there.
The only way of getting in was on a special government permit, and we just couldn’t get this permit. What eventually happened was that, after many days going backwards and forwards to the central police station in Jakarta, I was walking down the corridor one day looking for a glass of water when I saw this door which was ajar that said ‘Head of Immigration Police’.
So, I thought I’m just going to go in and talk to the man himself and see if I can persuade him. I knocked on the door but there was no answer. I pushed the door open and there was no one there. But on the desk was a pad of headed notepaper and a stamp. I thought: ‘okay, here’s my chance’. So I stole them.
With the help of an Indonesian friend, we wrote ourselves a letter of introduction saying that if anyone messed with us, they would have to come to this man in Jakarta. And it got us out of and into a lot of trouble. It got us through various army and police blocks. But there was one point at which they just didn’t believe us. They didn’t believe the letter. This guy just kept shaking his head. They took us into custody while they spent three days trying to make radio contact with Jakarta to check out whether we were bona fide. My hair was coming out in clumps. It was a very frightening period.
They couldn’t make radio contact, and so eventually they just let us go. I had really thought we were going to be shot at that point. The only way to get to where we wanted without getting caught was to walk over the mountains and canoe through the swamps. This took three or four weeks of getting lost in the forest and running out of food, eating stick-insects and rats, getting swept away down a mountain river, and stung almost to death by hornets. It was an adventure. But we got the story.
Was it in Brazil that you read a story in a newspaper about your own death?
That’s right, yes. On the basis of my book on West Papua, I got an advance to go to Brazil and do a similar thing looking at land expulsions and the resulting mass movements into the Amazon.
First of all the story of my death appeared in the local newspaper in Maranhão, but then it got picked up by Folha de São Paulo.
I got beaten up by the military police when I was investigating the land-grabbing that was going on in the state of Maranhão. The human rights lawyers whom I was working with told me to leave the state immediately. They told me to leave on the night bus because the police would come after me, and might kill me. One of them must have said something to someone else, which started a rumour.
It got into the local paper as me being found garrotted behind the police station in the town of Bacabal. This was picked up slightly more cautiously by the Folha de São Paulo, which said: ‘it is believed that…’.
“I got beaten up by the military police when I was investigating the land-grabbing that was going on in the state of Maranhão.”
So, I took the bus back overnight, and eventually got to Manaus where I was living. The following day, I went into the office of a group that defends indigenous people and land rights. The man who had set me off on that particular investigation was talking on the phone.
He passed the phone over and said that it was Jan Rocha from the Guardian. I didn’t know her at the time. She said: ‘I don’t know if you can help with this but I’m investigating a British journalist who had been killed in Maranhão. It sounds like he was killed by military police’. I said: ‘I’m not surprised, they’re total bastards. They beat me up as well’.
She said: ‘yes, one report said that he was found garrotted behind the police station in Bacabal’. I said: ‘Bacabal! That’s extraordinary, that’s where I’ve been! If I had known there was another British journalist, I could have teamed up. But this is terrible! Who was this person?’ She said: ‘I’m not sure how to pronounce his name, I think it’s George Mon-biot’. I said: ‘Ah. I think that story might not be entirely accurate…’
Would it be accurate to say that, since these early days in West Papua and Brazil, the environment has been one of your abiding concerns?
It is one of them, but I see myself as embedded in a wider circle of concerns, all of which are linked. So, whether one is talking about environmental destruction, social justice, human rights, corporate power, neoliberalism, international power, and cultural power, it all meshes. I guess what I was doing in those six years abroad was educating myself, because I had a very conservative education.
You studied zoology?
I did. Zoology teaches you about the wonders of the living world, but it doesn’t teach you anything else. I was extremely frustrated as a student that my course was so narrow. I wanted to know about philosophy, history, literature and politics.
There were so many other issues, but we were living in a specialist bubble. I think it’s crazy when you’re that young to have to narrow your interests so severely. So, I came out of this elite education knowing almost nothing of the world. Slowly, both through experience and reading during those six years, I began to develop some inkling of an understanding of the world. But that process of education continues to this day.
“Zoology teaches you about the wonders of the living world, but it doesn’t teach you anything else.”
After six years abroad, I had a powerful urge to come home and start applying some of what I had learnt. As it happened, just as I did come home, the roads protests were kicking off in the UK. A friend persuaded me to come to Twyford Down and see what was going on there. I began to realise the links involving land alienation and the overriding of local people’s will, with what I’d been studying abroad.
I began to understand that the only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what I’d been seeing abroad and in my own country was that the things to which I had been witness—the mass brutality, land alienation and killings—had happened earlier in Britain. I began to understand Britain for the first time, as a result of my experience abroad. And, ever since, my task has been to try to apply that understanding to our own situation.
Buy
I was intrigued that one of the books you chose was a work of fiction: Cormac McCarthy’s The Road.
I think this is possibly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book ever written. It is a thought-experiment that imagines the world without a biosphere. That is the fundamental thought-experiment at the heart of environmentalism.
All the horrors of that story arise from the disappearance of the biosphere, leaving people without any means of feeding themselves and without any means of survival. They are thrown into a brutal and fatal competition where the only thing left to eat is each other.
As both a thought-experiment and a metaphor, it is incredibly powerful and valuable because it reminds us that without the biosphere we have nothing, we are nothing and we can do nothing except to tear each other apart. By describing such a scenario, it reminds us of just what a precious and magnificent thing we have in the living world.
“I think this is possibly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book ever written.”
If I were to compile an environmental reading list for anyone, the first book I would give them to read would be The Road because that is the Ground Zero of environmentalism. It imagines the extreme scenario of losing everything. The consequences are conveyed with McCarthy’s brilliant sparseness and starkness, and his total refusal to offer hope where there is no hope.
By contrast, the film version of The Road did try to offer some shreds of hope in an entirely hopeless situation. As such, I felt it was dishonest.
I thought that the opening scenes in the film, which show desolated landscapes and expanses of felled trees, convey this idea of the destruction of biosphere particularly powerfully.
In many ways it was a great film. The cinematography was astonishing. But it was not true to the book, because it kept trying to offer us glimpses of hope and a way out, whereas McCarthy is saying that there is no way out.
I felt that the ending of McCarthy’s novel was completely misunderstood by the film. I saw the ending of the novel as looking back to what had been lost. You can’t conceive brook trout from nothing. If there are no trout then there can be no trout. It is this contrast which is moving and terrible.
By contrast, in the film the ending became a message of hope and renewal. Yet there would be no chance within any human span of hope and renewal. In hundreds of millions of years, perhaps, the biosphere could return. After the Permian–Triassic extinction, it was tens of millions of years before marine biodiversity got back to what it was. It happened eventually but it would not happen again during the period in which humans were extant on earth, especially if we had lost the biosphere.
So, the film ending was a cop-out in that respect. But it almost had to be because McCarthy is so uncompromising: it’s almost too much to bear.
Is apocalypse a useful paradigm for thinking about environmental damage?
There are many different versions of apocalypse, both religious and secular. And there are various environmental situations that readily lend themselves to apocalyptic description.
Think of the Iraq War, which played out in a post-apocalyptic landscape. This was the cradle of civilisation: the very first cities and the very first agriculture began there in Mesopotamia. The British zone is where the Epic of Gilgamesh was set. There were a series of extraordinarily rich, diverse civilisations that had existed in what is now a grey desert littered with the burnt out remains of Saddam Hussein’s tanks.
Every one of those civilisations has been completely erased, but for certain archaeological artifacts and the odd mound sticking out of the desert. All of them have been destroyed by a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change and human agency. The primary reason was the rivers changing course: suddenly these city states had no sustenance because the rivers no longer provided irrigation for their fields.
What you see in Mesopotamian history is a whole series of civilisations rising, often lasting for many hundreds or thousands of years. The empires lasted far longer than empires do in the modern age. And you see them not just collapsing but utterly disappearing into the grey dust. If you remember back to all those scenes of soldiers fighting in the desert, they were fighting over the remains of those previous civilisations.
So, apocalypse is there in the entire history of civilisation. We live in a sort of civilizational interglacial. We live in a little period of respite from apocalypse. But in all civilisations, people forget how lucky they are to be in that respite. And through a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change and endogenous civilisational collapse (which might be accelerated by raiders and opposing empires and armies), all civilisations eventually fall and succumb to apocalypse.
So, the idea of apocalypse as discussed by environmentalists is not some far-flung black fantasy. It’s simply what happens to everyone eventually.
“We live in a little period of respite from apocalypse.”
In the case of The Road, what makes its environmental apocalypse particularly notable is that humans take most life-forms with them. Human beings are remarkably resilient. This is one of the things that the novel suggests: everything else has gone but there are still human beings on the planet. That seems quite plausible to me: we are a highly adaptable generalist species which can survive when we have wiped out all of the specialist species and then most of the generalist species as well. And it is quite likely to come down to rats, cockroaches, human beings, and not much else.
So this could happen?
It is an extreme scenario. On the spectrum of potential apocalypses, it is the ultimate one, when you lose everything. But along that spectrum are a whole series of other losses, some of which we are experiencing at the moment: look at what’s happening to coral reefs, rainforests, ice caps, insects, and megafauna on both land and at sea.
This makes me think of the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reports, and their projection of different possible future scenarios. The Road seems like a fictional imagination of one of the most extreme IPCC scenarios; even imagining such a scenario could be enough to galvanise us into acting.
Well, it should be. And I think Cormac McCarthy has done us a great service in creating that thought-experiment. It is a challenge to all the economists who say that the environment is just an ‘externality’, and that we don’t need to worry about it because the market will sort it out. Well fix that then, market!
Buy
Indeed, you selected several provocative books on economics, including Thomas Piketty’s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We’re at a time of crisis. We obviously face an environmental crisis but at the same time we face a political crisis, and a series of economic crises. These things cannot be separated. Our primary task in all such situations is to understand the roots of these crises.
I choose this book for two reasons. First of all, in the economic sphere, Piketty explains the economic crisis that we face in ways that also explain the political crisis. He does this by talking about the rise of what he calls ‘patrimonial capital’: wealth arising from inheritance, rent, and interest payments which greatly outweighs any wealth arising from hard work and enterprise. Patrimonial capital creates a class which is effectively inviolable: a class whose position cannot be challenged economically and therefore cannot be challenged politically.
You can take Piketty’s argument a little further and say that patrimonial capital breeds patrimonial politics. It creates a class of people who cannot ordinarily be displaced by democracy because they are able to buy their way back into power through our unreformed political-funding arrangements, the use of dark money, funding think-tanks, social media astroturfing, and sock puppetry. That solid and unredeemable core of wealth creates a solid and unredeemable power block.
When you have got an elite that is far richer than the rest of the population, they become much less amenable to political demands. And their eventual aim is to release themselves from the constraints of democracy.
Now, when you consider that these people are by far and away the most damaging people in environmental terms with their vast carbon footprints, their consumption of rare fish sushi, their use of mahogany fittings, super-yachts and private planes, and the huge demands that they make (especially with the help of their dark money funding networks) for their complete release from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the destruction of those regulations, you realise that the power of patrimonial capital also presents an imminent environmental threat.
“Patrimonial capital creates a class which is effectively inviolable: a class whose position cannot be challenged economically and therefore cannot be challenged politically.”
As well as offering a meta-analysis of our current crisis, Piketty provides some withering statistical analys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his work was his extension of the Kuznets curve to the present day. The Kuznets curve was supposed to show that inequality diminishes over time.
However, Piketty was able to show that inequality diminished in the post-war decades only because of the vast taxation of the very rich that took place. The average rates of taxation were about 80-90%. It was the Second World War followed by the rise of Keynesian social democracy on both sides of the Atlantic that eroded the position of the very rich and removed their massive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and created more egalitarian societies.
So, there were the Trente Glorieuses (as the French call them) between 1945 and 1975 during which there was a great redistribution of both wealth and power. And then, of course, it closed up again with the new era of patrimonial capital, which now begins to resemble that of the years before the Great Depression—the first quarter of the twentieth century. We’re heading back into that territory now, with the help of a justifying ideology which is similar to but not the same as the laissez-faire ideology that led to the Great Depression. And this justifying ideology is called neoliberalism.
However, one complaint that I have about Piketty is that, while he brilliantly analyses the problems that we face, his solutions are in no way commensurate with the scale of the problem.
He calls for a global tax on inherited wealth.
Which is good as far as it goes, but it only goes ten per cent of the way towards challenging the scale of the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that he exposes.
But worse still, he has nothing to say about the environmental crisis. His solutions are all about Keynesian stimulus measures. These would actually exacerbate the environmental crisis by seeking to ensure that the rate of economic growth resumes.
This is one of the fundamental problems that we face: the two great narratives of the twentieth century—Keynesianism and neoliberalism—are the only two political narratives we still have. And there has been little effort within mainstream politics on the left and centre, since Keynes wrote his General Theory, to develop a new narrative which allows us to live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 a way that benefits human beings without destroying the living world on which we depend.
Buy
Naomi Klein’s The Shock Doctrine explores what she calls ‘disaster capitalism’. What is that?
The Shock Doctrine explains some of the mechanisms by which patrimonial capital acquires power and enhances its wealth. It’s a brilliant piece of work, and one of those rare books that changes the way you perceive the world.
By showing how neoliberals, in particular, use disasters to create opportunities to extend their programme in ways that would never be accepted in ordinary circumstances because they are profoundly undemocratic and exclusive, she was able to explain a series of phenomena that we see operating all over the world.
She is able to fill in some of the gaps in Piketty’s account. Piketty demonstrates quite rightly that there is an organic momentum in patrimonial capital, in that once you’ve got money you can increase that money through what is laughably called ‘investment’.
As Andrew Sayer points out in Why We Can’t Afford the Rich, ‘investment’ means two completely different things. It means investing in creating new products, ideas and things that did not exist before, and it also means putting money into things that already exist in order to multiply that money. These are opposed meanings. The second one should be called ‘speculation’. But it disguises itself under the term ‘investment’ in order to justify the simple harvesting of rent and interest payments.
“This is a brilliant piece of work, and one of those rare books that changes the way you perceive the world.”
Klein shows that the organic momentum of patrimonial capitalism is greatly enhanced by being extended through the doctrine of capitalising on crises, which is what neoliberal advisors,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have been doing from Iraq to New Orleans.
They move in and hit any place that has suffered from catastrophic disruption as hard as they can with a whole series of new policies that people are in no state to resist. These policies basically involve transferring public or generally shared wealth into the hands of a private elite.
We saw something very similar in the UK following the financial crash—a financial crash caused by the neoliberal policy of the deregulation of the banks—which was used to enhance neoliberal policy. While we were reeling, George Osborne and others moved in and said right, we’re having that. Basically, through austerity, they transferred a great deal of public wealth and public sector assets into the hands of their chums in the city and in corporations.
Naomi Klein attributes the most succinct formulation of the shock doctrine to Milton Friedman and the Chicago school.
Yes. Milton Friedman and the Chicago school are just one component of a global movement that began in 1947 with the formation of the Mont Pelerin Society. This was set up by Friedrich Hayek and others following the success of his book The Road to Serfdom, which really laid out the territory for neoliberal philosophy. It created ‘a kind of neoliberal international’ (as Daniel Stedman Jones called it in his book Masters of the Universe) composed of academics, journalists, think-tanks, and a whole series of independent thinkers around the world who gradually worked this up into a series of strategies and tactics—of which the shock doctrine was one.
Very patiently, they waited for Keynesian economics to get into trouble, which it did in the 1970s. They were able to move in and say that they had got the solutions: a completely different way of doing economics and a new way of organising society. This was then picked up by Thatcher and Reagan, and then by Clinton and by Blair, and became hegemonic.
What we’re lacking now is a new narrative that acknowledges that neoliberalism has failed, but offers a new story to replace it. We can’t go back to Keynesianism. It ran into all sorts of problems in the 1970s which have not gone away.
When people say they’re Keynesians today, they’re just talking about a very small fraction of the Keynesian program: they’re talking about stimulus spending and interest-rate manipulation. But there is a lot more to it than that: capital controls, foreign exchange controls and the International Clearing Union, and a whole series of all other issues that were essential for his program to be carried out. But it’s very hard to see how they could be brought in today. We can certainly recruit elements of Keynesianism but we can’t use the whole package. We need a new political narrative.
I suppose that Paul Verhaeghe adds another piece of the puzzle by discussing how neoliberalism manifests itself on an individual level, in terms of our identity.
One of the extraordinary aspects of neoliberalism is the doctrine—which goes far beyond economics—that the natural form of human organisation is extreme competition and individualism.
This doctrine holds that individualism is not just natural but also good, and should be encouraged. Supposedly, any effort of people to organise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o create a better world disrupts the natural functioning of what is called ‘the market’, which is a sorting system for deciding who the winners should be and who the losers should be. If you disrupt the market, then the wrong people are identified as the winners, and the wrong people become the losers.
“The state of nature (as Hobbes would have called it) for human beings is the exact opposite of what he proposes: we have to work together to survive.”
So, it’s an intensely moral doctrine, but one founded on a complete misconception of human nature. It’s a Hobbesian worldview. And when Thomas Hobbes formulated his philosophy in 1651—the notion that we’re engaged in a war of every man against every man, and that in the state of nature our lives were solitary, poor, nasty, brutish and short—it was understandable because he’d just witnessed the English Civil War in which a high proportion of the men in England were killed. His understanding of human evolution was limited to the book of Genesis, and he subscribed to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So, while it was understandable in 1651, it is completely unsustainable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 which we see an extraordinary conjunction of neuroscience, social science, anthropology, psychology, and evolutionary biology all pointing us in the same direction which is that we are, in the words of an article in Frontiers in Psychology, ‘spectacularly unusual when compared to other animals’, in that we are fantastically altruistic and socially minded.
The state of nature (as Hobbes would have called it) for human beings is the exact opposite of what he proposes: we have to work together to survive. Here we were in the African savannahs, the slowest and weakest of all the large mammals, living in a world of horns and tusks and fangs and claws. The only way we survived was through extreme reciprocity and mutual aid. That is deeply implanted in our psyches. We have an innate tendency to help each other, and we prosper by doing so.
So, neoliberalism is founded on a complete myth. But it’s a myth that has been very successfully propounded through the media and by the government. It’s a story which we keep being told until we start telling it to ourselves, and imagining that this is how it ought to be.
But it turns out, as Verhaeghe demonstrates, that we can’t actually live like that. If we tell ourselves we are lone rangers, sole traders, self-made men and women living in complete isolation, our psyches collapse and we end up with epidemics of mental health problems. We end up simply being unable to sustain our inner lives. This leads to a whole series of social phobias,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s, anxiety disorders, eating disorders, and self-harm. We see that—as happens so often in societies—it is children that bear the brunt of social trends.
We’re now seeing in Britain, for example, what appear to be epidemics of mental health problems amongst children. When you look at the admissions of children to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ments because of self-harming, the levels of eating disorders, and the complete inability to find beds for children with severe mental health problems, you see that something bad is happening. What Verhaeghe proposes is that we have internalised the neoliberal narrative and it simply does not work for us.
Verhaeghe describes meritocracy as ‘the loincloth of neoliberalism’. Thinking about children internalising neoliberal attitudes, do you think that Theresa May’s plans to revitalize grammar schools are just going to exacerbate the problem?
I think that’s right. Interestingly, by the time Hayek came to write his book The Constitution of Liberty, he had completely given up on the idea of meritocracy. He simply equated wealth with merit. It didn’t matter how you acquired that wealth—whether you inherited it, or whether you or your parents stole it. The fact of being rich was a demonstration of merit, and the rich should be unimpeded in the way they wanted to live because they would be the scouts or pioneers who would show everybody else how to live.
It’s interesting that, as the doctrines of neoliberalism evolved, their purpose became more and more transparent. Originally, neoliberals claimed that they wanted a meritocracy as a justifying rhetoric. But in fact, the last thing they wanted was a true meritocracy, as that would threaten the very rich.
There were billionaires funding the neoliberal international all over the world to huge amounts: setting up think tanks to promote it, establishing academic departments and sponsoring academics, and promoting it through their newspapers. What they wanted was an unassailable position for the very rich. They wanted the very rich to be able to detach themselves from the demands and constraints of democracy.
Similarly, the last thing Theresa May wants is a true meritocracy. Yet there are elements of the original neoliberal doctrine which still run through modern neoliberal ideology. These say that we have to create elit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discover merit in people. And, of course, this sets up almost impossible expectations for a lot of children, pressure to which no child should be subject. This is a factory style of education where children, having been rescued from the looms of the cotton towns, are now forced to a similar system of absurd working hours and all the devastating complications that arise from that. And we’ve ended up creating severe mental health issues.
“If we tell ourselves we are lone rangers, sole traders, self-made men and women living in complete isolation, our psyches collapse and we end up with epidemics of mental health problems.”
One of the interesting points that Verhaeghe makes is that neoliberalism was supposed to free us from the stifling control of bureaucracy, but that it has had the opposite effect. This is because, in order to discern merit, you have to have total monitoring and surveillance.
So, in the workforce, if you want to establish who are the most productive workers, you have to keep tabs on them at all times. There has to be constant quantification and assessment, which requires constant monitoring and micromanagement. If you look in any public service, for example, you will see people being absolutely crushed by this stifling regime of micromanagement. It’s the same in much of the private sector as well. Well, so much for freeing us from bureaucracy…
Buy
You hinted that we need an alternative to neoliberal ideology. Does Kate Raworth’s Dougnut Economicsprovide such an alternative?
Doughnut Economics takes us quite a long way towards redeeming some of the economic issues that we’re talking about and, at the same time, ensuring that the better distribution of wealth and social justice does not destroy the living world on which we depend. That is, it tries to reconcile the environmental vision with the vision of widely shared prosperity.
What she has done is quite literally to redraw economics. She starts by saying that the diagrams around which we base our economic imagination are simply wrong. They do not describe the world in any of the ways in which it really works. They exclude huge sectors such as, for instance, the economics of the home and the work of women. They exclude the living world and see any damage that we do to the living world as merely an ‘externality’.
Get the weekly Five Books newsletter
Raworth rejects the old circular flow diagrams that are central to mainstream economics. She argues that we need to show that we depend on energy inputs and materials from the natural world, for example, which circular flow diagrams don’t demonstrate. And we need to show all the different spheres—state, commons, household and market—and how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From there, she says we’ve got to decide what economics is for. One of the important points she makes is that economics has lost its goals. It claims to be just a description of human behaviour, yet it has got all sorts of hidden agendas, many of which are hidden from economists themselves.
Of course, even taken as a description of human behaviour, economics is generally a very bad one. Most economists have a woeful misconception of human behaviour. An extreme example is their model of people as homo economicus: self-maximising man just pursuing his own interests at the expense of everybody else. That’s simply not how human beings work.
By contrast, Raworth says economics should have an agenda and the agenda should be to create a better life for everyone, without destroying the living world on which we depend. And if creating a world in which all can thrive without exceeding natural limits is the purpose, then let’s draw that.
“What she has done is quite literally to redraw economics.”
So, she creates this doughnut diagram whose outer ring is the planetary boundaries that we shouldn’t cross if we—and our descendants—are to have a good and prosperous life and if we are to allow other species to live on earth alongside us. The outer ring is constituted by factors identified by a group of scientists, such as biodiversity loss, ocean acidification and climate change.
The inner ring of the doughnut is the social floor below which we shouldn’t fall. This inner ring is described by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o, we should all have decent quality of housing, water, education, political voice, and so on. We should live within the safe and just space between the two rings.
Now, there’s a lot more work to be done to explore how this is going to be realised, but she has made a very good start.
One suggestion that Raworth makes it to replace the idea of ‘the tragedy of the commons’ with the idea of ‘the creativity of the commons’. What does that mean?
The commons is an essential sphere that is routinely overlooked by economists. It’s quite hard to define. It’s neither the state nor the market. Rather, it can be thought of as a particular set of assets, the people possessing those assets, and the rules that those people develop in order to manage those assets cooperatively.
So, the commons is not just the pasture, the coral reef or the free software that you and your group of friends and neighbours might be managing together and surviving from, but it’s also you and your group of neighbours, and the common rules that you have developed to manage those things.
“We should create new commons.”
The commons have been greatly maligned in all sorts of ways but particularly by the doctrine of ‘the tragedy of the commons’, formulated by Garrett Hardin in 1968. This doctrine proposes an entirely theoretical situation in which you have pastoralists using some pasture. Every one of them has an incentive to add another animal to their flocks because they get the full benefit of that animal, but the commons as a whole loses as a result of overgrazing.
Well, that’s not how it actually happens in the real world. Had Hardin had any experience of the real world, he would have recognised that. I saw this myself in Turkana district in northern Kenya. The commons are extremely closely regulated by the people who keep their animals on them. This directly speaks to Hardin’s example because this is a pastoralist society.
If somebody came into the commons and started grazing their animals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elders, and without an allocated pasture right, in the first instance they’d be driven off with sticks. In the second instance, they’d be caught and tied to a tree and beaten with sticks. In the third instance, they’d be killed.
This was an extremely closely-regulated situation because on those regulations people’s survival depended. If the commons were overgrazed, everyone would die of starvation, which is what Hardin predicted. But it doesn’t happen there because of that regulation.
Elinor Ostrom has demonstrated repeatedly over many years just how false this picture was. But it was one of those convenient arguments—like those that appeal to the Kuznets curve—which was used by people who wanted to enclose the commons and grab common wealth in order to enhance their personal fortune.
How can we do justice to the creativity of the commons?
I think we have to do several things. One is to defend the commons we already have. A second is to reclaim commons which have been taken from us. That might be everything from our local forests to academic journals which have been seized by one of the most ruthless bunch of privateers in the modern world—groups like Elsevier and Springer.
Thirdly, we should create new commons. In Martin Adams’s book Land: A New Paradigm for a Thriving World there are some very good proposals for how we can gradually and peacefully—in a completely compensated way—take land back into common ownership and control. I think that’s an essential step towards building a more just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society.
We haven’t discussed the idea of ‘rewilding’, which you explored in your book Feral. Could you tell us about that idea?
If we are to confront the current environmental crisis, we need a positive vision as well as visions of doom. And rewilding is one of those positive visions.
Rewilding envisages a mass restoration of ecosystems in places where we can do that without greatly impinging on human welfare and in ways which could greatly enhance human welfare.
To give one example, in Britain there are vast areas that are grazed extremely unproductively, with only one or two sheep per hectare. There are roughly four million hectares of upland sheep grazing in Britain which is roughly equivalent to the amount of land we use for all arable and all horticulture production. And yet, it produces just one per cent of our food.
This is grossly misused land. And it’s only sustained through agricultural subsidies. This is a terrible misuse of public money and I believe that that money would be much better spent paying the same people to restore that land, to bring back trees, to bring back our missing wildlife, and to make magnificent habitats once more. People would then wish to visit these habitats, and we could create a new economy around that.
Again, at sea, there is overfishing almost everywhere. We could create large marine reserves in which no fishing takes place. These could then become the breeding grounds which enhance the fishing industry, as well as creating wonderful marine ecosystems which large numbers of scuba divers, recreational anglers, and whale watchers would want to visit, again creating a new economy.
Interview by David Shackleton
Five Books aims to keep its book recommendations and interviews up to date. If you are the interviewee and would like to update your choice of books (or even just what you say about them) please email us at editor@fivebooks.com
Climate Change Nature & Environment Politics & SocietyCapitalism
Support Five Books
Five Books interviews are expensive to produce. If you've enjoyed this interview, please support us by donating a small amount, or by buying some of our most recommended books from Amazon. Since we are enrolled in their affiliate program, we receive a small percentage of any product you buy, at no extra cost to you.
$5
$10
$20
$50
Other
BOOKS BY GEORGE MONBIOT
Out of the Wreckage: A New Politics in an Age of Crisis
by George Monbiot
How Did We Get Into This Mess?: Politics, Equality, Nature
by George Monbiot
Feral: Rewilding the Land, the Sea, and Human Life
by George Monbiot
Out of the Wreckage: A New Politics in an Age of Crisis
by George Monbiot
Feral: Rewilding the Land, Sea and Human Life
by George
Monbiot
2018/09/22
2018/09/21
[생명 자체의 정치] 사회학자 니컬라스 로즈
마르크스를 버렸다! 푸코를 따랐다! 생명을 말하다!
[생명 자체의 정치] 사회학자 니컬라스 로즈
강양구 기자(정리)
2012.11.02 19:10:00
--------
마르크스를 버렸다! 푸코를 따랐다! 생명을 말하다!
최근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을 꿰뚫는 열쇳말은 '생명'이다.
일찌감치 21세기를 '생명과학의 시대'로 명명하고 인간 유전체(게놈) 프로젝트 등을 통해서 '생명의 비밀'에 파헤치려는 야심을 숨기지 않는 자연과학이 생명을 되뇌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그동안 과학기술의 변화에도 꿈쩍 않던 인문·사회과학이 생명에 주목하는 일은 어떻게 봐야 할까?
이런 변화의 맨 앞에 서 있는 지식인이 바로 영국의 사회학자 니컬라스 로즈(영국 런던대학교 킹스 칼리지 교수)다. 로즈는 2000년대부터 새로운 생명과학과 그 결과로 나타난 의료의 변화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지를 고민해왔다. 그는 이런 지적 실험의 중간성과를 2006년 <생명 자체의 정치(The Politics of Life Itself)>로 펴내고, 분과 학문을 넘나드는 학제 간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국에서도 곧 출간될 <생명 자체의 정치>는 현대 생명과학이 낳은 삶의 변화를 분자화(molecularization), 최적화(optimization), 주체화(subjectification), 전문성(expertise), 생명경제(bioeconomy), 이렇게 다섯 가지로 정리하고, 그것이 가지는 함의를 과학과 의료 현장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서 설명한다.
니컬러스 로즈는 푸코 철학에 대한 영어권의 대표적인 해석자로 꼽힐 뿐만 아니라, 최근 국내 인문·사회과학계에서도 주목을 받는 이른바 '통치성(Governmentality)' 연구의 권위자다. 그는 6년간 편집장을 맡았던 <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를 통해서 푸코의 통치성 연구를 조명하고 발전시키며 영국의 이른바 '통치성 학파'를 이끌었다.
<프레시안>은 국민대학교 '생명공학의 새로운 정치와 윤리' 연구팀(책임 교수 : 김환석)이 개최한 국제 워크숍(21세기 생명 정치와 생명 윤리)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니컬라스 로즈를 만나 마르크스, 알튀세르, 푸코 그리고 생명과학으로 이어진 지적 여정을 들었다. 인터뷰는 김환석 국민대학교 교수(사회학)가 맡았다.
▲ 니컬라스 로즈 영국 런던 대학교 킹스 칼리지 교수. ⓒ프레시안(손문상)
생물학에서 심리학으로
김환석 : 한국에서 선생님은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가 1970년대 후반에 고안한 통치성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발전시킨 영국 통치성 학파의 좌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선생님의 명성에 비해서 정작 구체적인 연구 성과는 제한적으로만 소개가 되어 있는 것 같아요. 선생님 개인사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요. (웃음)
더구나 선생님은 2000년대 들어서는 현대 생명과학과 의료를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2006년에는 이 새로운 지적 실험의 성과를 정리해 <The Politics of Life Itself(생명 자체의 정치)>를 펴내기도 했습니다. 마침 이 책은 국내에서도 조만간 번역, 출간될 예정입니다.
1980년대부터 유럽, 미국에 득세한 신자유주의를 연구하던 미셸 푸코의 계승자가 생명과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를 설명하려면, 아무래도 선생님의 지적 배경을 소개하는 게 순서일 듯합니다. 먼저 가족 관계부터 살펴볼까요? (웃음) 형이 저명한 과학자죠? 생물학자이자 뇌 과학자로 유명한 스티븐 로즈 영국 개방 대학 교수 말입니다.
로즈 : 맞습니다. 형이 한국에서도 유명한가요? (웃음)
김환석 : 한국에서도 1980년대부터 국가나 자본이 주도하는 현대 과학기술을 비판적으로 보려는 사회 운동이 있었습니다. 그런 사회 운동에 참여해온 이들이 참고했던 사례 중 하나가 바로 스티븐 로즈 교수가 주도한 '급진 과학 운동'이었습니다. 이들의 지향은 잡지 <Science for the People(민중을 위한 과학)>의 제호에 잘 드러나 있지요.
아, 일반 대중에게 스티븐 로즈 교수는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한울 펴냄)의 저자로도 유명합니다. 이 책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이기적 유전자>의 리처드 도킨스와 <통섭>, <사회생물학>의 에드워드 윌슨 등을 강하게 비판한 책으로 유명하지요. 스티븐 로즈 교수는 최근에는 뇌 과학의 최전선에서 뇌 과학의 오용을 비판하는 작업도 수행하고 있더군요.
로즈 : 형(1938년생)은 저(1947년생)보다 아홉 살 많아요.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공부했고 아주 젊은 나이에 영국 개방 대학의 첫 번째 생물학 교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방금 지적했듯이 사회운동가 정체성이 아주 강했지요. 앞으로 또 얘기할 기회가 있겠지만, 저는 형과 비교하면 사회 운동에 훨씬 소극적이었습니다.
김환석 : 선생님이 대학 학부에서 생물학을 공부한 것도 형의 영향을 받았습니까?
로즈 : 아주 없지는 않았을 거예요. 어렸을 때, 형의 실험실에서 실험을 돕기도 했으니까요. 아무튼 형을 따라서 1965년에 서섹스 대학교의 생물학과를 진학했습니다. 당시 그 대학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생물학자 존 메이너드 스미스가 가르쳤어요. 초파리의 유전학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었습니다.
서섹스 대학교는 새롭게 설립된 대학으로서 1960년대 후반 유럽의 급진적인 분위기가 감싸던 곳이었어요. '초파리 연구가 세상을 돌아가는 것을 이해하는데 무슨 도움이 되지' 이런 회의가 들더군요. 이후에 동물 행동학으로 관심을 옮겼지만 잘하지 못했어요. 그래서 관심을 바꿔서 생물학과 심리학을 복수 전공하다, 아예 심리학으로 관심을 옮겼습니다.
김환석 : 학생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까?
로즈 : 베트남 전쟁,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인종 차별 정책) 반대 운동에 참여했어요. 하지만 형과 비교할 수 없습니다. (웃음)
마르크스에서 푸코로
ⓒ프레시안(손문상)
김환석 : 1970년 런던 대학교(Institute of Education)에서 심리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로즈 : 어린이를 가르치고 싶어서 교사로 훈련을 받았어요. 어린이 교육을 바꾸는 일이 사회를 바꾸는 길의 하나로 생각했지요. 1년간 환경 부적응 아동을 위한 학교에서 일하기도 했습니다. 그런 관심 속에서 어떻게 어린이에게 '비정상 아동', '부적응 아동' 딱지를 붙이는지를 놓고 연구를 진행했고, 그 주제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런 관심의 연장선상에서 아동 학대 예방 단체에서 3년간 일했지요. 그러다 런던 대학교(Institute of Education) 사회학과 박사 과정에 진학했습니다. 당시 저는 프랑스의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를 따르는 마르크스주의자였어요. 그래서 이데올로기와 또 그것을 극복하는 문화 투쟁에 관심이 많았고, 대학에서도 그 주제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김환석 : 그 즈음에 <Ideology & Consciousness>를 창간했지요?
로즈 : 네, 작은 학술 잡지였어요. 알튀세르의 철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잡지였습니다. 그런데 이 잡지 동인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알튀세르와 같은 접근에 환멸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 때부터 푸코의 글을 번역해서 읽기 시작했어요. '통치성'에 대한 푸코 에세이의 첫 영어 번역이 실린 것도 이 학술지입니다.
김환석 : 어떤 이유로 알튀세르와 같은 접근에 거리를 두게 된 건가요?
로즈 : 박사 학위를 시작할 때만 하더라도 관심은 알튀세르처럼 이데올로기 비판에 있었어요. 그런데 안토니오 그람시에서 알튀세르에 이르는 이데올로기 개념으로는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없었어요. 예를 들어, 학교가 어떻게 작동하는가, 심리학이 어떻게 작동하는가, 감옥이 어떻게 작동하는가, 이런 질문에 이데올로기는 답을 주지 못했습니다.
왜냐고요? 이데올로기는 항상 진실(truth)에 대비되는 거짓(false) 혹은 오류(error)에 집중합니다. 그러니까 사람들이 어떻게 진실 대신 거짓을 믿는가? 그런 오류에 기반을 둔 그런 허위의식이 어떻게 확산되는가? 환영 밑의 진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런 질문을 끊임없이 던집니다.
하지만 푸코를 읽으면서 이런 진실/거짓의 구분이 과연 타당한지 의문을 품게 되었습니다. 사실 진짜 중요한 질문은 이런 것이었습니다. 왜 이것을 진실이라고 믿게 되었나? 무엇이 이것을 진실로 만들었나? 이것을 진실이라고 말하는 권력은 무엇인가? 이것을 진실이라고 말했을 때 그 효과는 무엇인가?
'오류의 문제'에서 '진실의 문제'로 관심이 바뀐 거예요. 그리고 이런 관심의 이동은 1984년 박사 학위 논문으로 결실을 맺게 됩니다. 이 논문은 영국에서 심리학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추적한 것입니다. 이듬해에 <The Psychological Complex>(1985년)로 출간됩니다. 이 책에 관심을 보인 이들은 거의 없었지만요. (웃음)
당시만 하더라도 푸코의 이론이나 방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거나 철학적으로 논의하는 연구는 있었지만, 그것을 실제로 활용한 연구는 영어권에서는 전무했어요. 이 책은 그것을 시도한 영국 최초의 연구라고 할 수 있어요. 이 책을 시작으로 푸코의 이론과 방법을 적용한 여러 경험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합니다.
김환석 : 박사 학위 논문의 내용을 좀 더 소개하면요?
로즈 : 방금 '진실의 문제'가 중요하다고 얘기했잖아요? 영국과 같은 자유주의 사회에서 권위(authority)의 획득은 국가에 의해서 주어지지 않아요. 사람들이 진실이라고 믿는 것을 얘기할 때 권위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심리학이 그 하나의 예였어요. 심리학자는 인간에 대한 진실을 얘기한다고 믿어짐으로써 막강한 권위를 지니게 됩니다.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비판이 그렇듯이) 이들에게 '권력의 하수인'이나 혹은 '자본의 하수인'이라는 딱지를 붙이고, 이들이 권력이나 자본의 이해관계를 위해서 거짓 주장을 꾸며내고 있다는 식으로 비판하는 접근은 한계가 있어요. 왜냐하면, 이들은 바보도 아니고 꾸미지도 않아요. 이들은 자신이 하는 일이 진실이며 고결하고 과학이라고 진심으로 믿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심리학자들이 자신이 하는 일을 진실이라고 믿게끔 하는 전제가 무엇인지 따져 묻는 게 필요합니다. 박사 학위 논문이 영국 심리학의 탄생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도 바로 이런 문제의식 때문이었습니다. 1980년대는 계속해서 심리학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고 <Inventing Ourselves>, <Governing the Soul> 등의 책들을 냈어요.
ⓒ프레시안(손문상)
김환석 : 그러니까 1970년대 후반에 마르크스에서 푸코로 문제의식이 바뀌고 나서 계속 그걸 심화해 온 셈이군요.
로즈 : 맞아요. 마르크스에서 푸코로의 관심 변화가 현실에의 개입 의지가 약해졌다는 식으로 해석해서는 곤란합니다. 1970년대나 1980년대나 저나 같은 문제의식을 가진 동료들은 여전히 기존 사회 권력을 비판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데 아주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만 비판의 도구로서 마르크스나 알튀세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했을 뿐이에요.
이점을 강조하고 싶군요. 지금도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마르크스나 엥겔스의 글을 읽어볼 것을 권합니다. 하지만 그들의 글은 지금과는 전혀 다른 시대(19세기)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걸 꼭 기억해야 합니다. 그들은 '진실의 저장고'가 아니에요. 그들이 자신의 시대를 제대로 이해하려고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 확인하고, 우리의 시대를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해야지요.
푸코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푸코의 이론이나 방법이 당대의 자유주의 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해 적극적으로 수용했습니다. 하지만 푸코를 그대로 되뇌는 게 아니라 그것을 얼마나 창조적으로 활용할지가 중요합니다. 물론 당분간 사람들은 저를 '푸코디언(Foucauldian)'이라고 부를 테지만요. (웃음)
김환석 : 마르크스에서 푸코로의 이동은 '거대 이론'에 대한 회의 탓도 있지 않나요?
로즈 : 맞아요. 거대 이론은 세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요. 거대 이론은 종종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자신의 틀에 맞춰서 설명하고 심지어 예측까지 합니다. 그런데 도대체 그런 설명과 예측에서 우리가 무슨 통찰을 얻을 수 있을지 의문이에요. 예를 들어, 지구화를 둘러싼 거대 이론이 유행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들에게 이렇게 물어봅시다. "도대체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지구화요!" "그럼, 이런 일들이 왜 일어났나요?" "지구화요!" 다른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도대체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신자유주의요!" "그럼, 이런 일들이 왜 일어났나요?" "당연히 신자유주의 때문이지요!" 이런 동어반복이 도대체 세상을 이해하는데 어떤 유의미한 통찰을 줄지 저는 의문이에요.
이제 어떤 사건이 '왜' 일어났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일어났는지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어떤 사건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따져 묻다 보면 작은 사건들이 다른 사건과 어떻게 연결되고 결합되며, 그 연결과 결합이 더 큰 규모의 변동을 어떻게 가능하게 했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앤서니 기든스, 울리히 벡과 같은 동료의 연구가 흥미롭다는 걸 부정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그들의 작업이 과연 세상을 이해하는 적절한 설명을 제공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입니다. 예를 들어, 1980년대 미국과 영국의 신자유주의적 통치가 유럽을 넘어서 어떻게 그렇게 빨리 전 세계 곳곳으로 확산될 수 있었을까요? "지구화!" 이렇게 답하고 나면 더 이상 할 얘기가 없습니다.
하지만 신자유주의적 통치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그 구성 요소를 살피면 이 질문에 훨씬 더 설득력 있는 대답을 내놓을 수 있습니다. 더구나 이 구성 요소는 훨씬 더 구체적으로 삶과 밀착된 것이기 때문에 현실 개입의 가능성도 커집니다.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거대 이론의 설명 방식보다 푸코에 주목하게 된 것은 바로 이런 사정과도 무관하지 않아요.
김환석 :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거대 이론을 여전히 따르는 입장에서 보면, 선생님의 입장은 피상적이라는 비판을 면키 어려워 보입니다. (웃음)
로즈 : 맞아요. 저는 피상적인 사상가입니다. (웃음) 이것은 앞에서 이데올로기 비판을 회의하게 된 것과도 맞닿아 있지요. 마르크스주의는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려면 그 심층에 존재하는 근원적인 원인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숨겨진' 법칙이 표면의 사건을 가능하게 한다는 발상이지요.
반면에 푸코는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들 자체에 주목하자고 강조합니다. 심층에 근원적인 원인이 있다고 가정하지 말고,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어떻게 연결되어서 새로운 변화를 야기하는지를 보는 게 세상을 이해하는 좀 더 나은 방법이라는 생각이었죠. 저 역시 그런 푸코의 입장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프레시안(손문상)
통치성에서 생명과학으로
김환석 : 푸코를 수용해서 기존의 사회과학을 혁신하려는 시도가 바로 통치성 연구입니다. 선생님은 1989년에 'History of the Present(현재의 역사)'라는 공부 모임을 만들었습니다.
로즈 : 당시 저와 동료를 사로잡고 있었던 문제는 당시 영국과 같은 자본주의 복지 국가에서 정치권력이 어떻게 자기를 정당화하면서 스스로를 유지하는지 보여주는 일이었습니다. 특히 당시는 전통적인 복지 국가와는 또 다른 새로운 형태의 정치권력(신자유주의)이 등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과제는 시급한 일이었어요.
'현재의 역사'는 바로 이런 질문에 답해보려는 연구자들의 공부 모임이었습니다. 푸코의 이론이나 철학에 대한 논평이 아니라 (푸코의 접근을 취해서) 구체적인 경험 연구를 진행하던 영국 곳곳의 연구자들이 한 달에 한 번씩 런던에 모였습니다. 나중에는 외국 연구자도 참여해서 모임이 좀 더 국제적이 되었어요. 그 때부터 'History of the Present network'라고 불렀지요.
"현재의 역사"는 푸코가 <감시와 처벌>에서 사용한 표현입니다. 푸코는 역사에 관심을 갖는 이유가 과거에 대한 관심 때문이 아니라 바로 '현재'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에 대한 관심 때문이라면서 이 표현을 사용했지요. 우리도 똑같은 문제의식에서 이 표현을 사용한 것입니다.
김환석 : 통치성 연구를 통해서 선생님이 강조하고 싶었던 건 무엇이었습니까?
로즈 : 한 사회의 권력관계가 유지되는 방식이 바로 푸코가 얘기한 통치성입니다. 저는 1980년대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정치권력의 통치성에 '자유'가 핵심적인 요소임을 포착했습니다. 흔히 자유는 자동적으로 '해방'과 연결됩니다. 특히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은 동구권 사회주의가 몰락하면서 모두 자유에 열광하던 시절이었어요.
하지만 영국과 같은 자유주의 복지 사회에서 자유는 정치권력이 통치를 유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그 사회 구성원이 자유의 이름으로 관리되고 지배받고 있으니까요. 여기서 저는 푸코가 던졌던 방식과 비슷한 질문을 자유를 상대로 던져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예를 들자면 이런 질문들입니다.
우리는 무엇을 자유라고 부르는가? 그런 자유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사람들은 자신을 어떻게 자유롭다고 여기고 살아가는가? 우리가 자유롭기 위해서 치러야 할 대가는 없는가? 그렇게 사람들이 자신을 자유롭다고 믿게끔 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그렇게 사람들이 자신을 자유롭다고 믿게끔 하는 과정에서 지식 특히 전문가의 역할은 무엇인가? 등.
마치 앞에서 '거짓의 문제'나 '오류의 문제'가 아니라 '진실의 문제'로 관심을 전환했던 것처럼, 이제는 '지배의 문제'나 '통제의 문제'가 아니라 '자유의 문제'로 관심을 전환할 필요가 있었고, 그것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통치성 개념을 활용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문제의식에 당시만 하더라도 반감을 가진 이들이 많았어요. (웃음)
즉각 이런 반문이 따랐죠. "그럼 너는 영국에 사는 우리가 충분히 자유롭지 못하다는 말이냐?" 이런 반응은 제 문제의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반응이었습니다. 오히려 제가 던지고 싶은 질문은 "그런 당신은 왜 그렇게 자유에 집착하는가?" 혹은 "당신이 그렇게 충분히 자유롭다고 믿는 근거는 무엇인가?" 이런 것이었지요.
(로즈는 1980년대 이후 영국의 대처 정부와 같은 정치권력이 득세한 시대를 흔히 통용되는 '신자유주의' 대신 '선진 자유주의(advanced liberal)'라고 부른다. 이런 선진 자유주의, 즉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중요한 특징은 바로 스스로의 삶을 관리하는 '자유로운 개인'의 등장이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한국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로즈의 문제의식을 적용해 보자.
한국 사회에서 개인은 자신의 '몸값'을 높이기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을 관리한다. 자기 계발에 나서고, 경쟁에서 뒤처지면 자신이 몸값을 높이지 못하거나 '혁신'에 성공하지 못한 탓이라면 스스로를 탓한다. 이 과정에서 정부나 기업(자본)은 강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유가 역설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통치 수단이기 때문이다.
이런 로즈의 문제의식과 공명하는 책으로는 서동진의 <자유의 의지 자기 계발의 의지>(돌베개 펴냄), 한병철의 <피로 사회>(김태환 옮김, 문학과지성사 펴냄)가 있다.) (☞관련 기사 : 노무현 이명박 낳은 괴물은 어떻게 탄생했나?, 아프면 청춘, 견디면 직딩, '피로 사회'의 맨얼굴은?)
김환석 : '현재의 역사' 네트워크는 여전합니까?
로즈 : 통치성 연구의 역사를 간략히 언급할 필요가 있겠군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10여 년간 통치성 연구에 몰두했습니다. 특히 런던정경대학(LSE) 교수 피터 밀러와 공동 작업을 진행했어요. 푸코의 통치성 개념을 활용해 정치권력 일반에 대해서 분석을 시도한 논문('Political Power beyond the State')은 널리 알려졌어요.
통치성 개념은 구체적 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하고 유용한 개념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특히 이제 막 연구를 시작한 젊은 연구자에게는 더욱더 그렇지요. 이런 이유 때문인지, '현재의 역사'의 멤버 혹은 다른 연구자에 의해서 통치성에 대한 수많은 논문이 생산되었고 그것이 제가 편집장으로 있었던 <Economy and Society>에 발표되었어요.
하지만 1990년대 후반에 이르면 저나 밀러 모두 통치성 연구에 상당히 지치게 됩니다. 우리가 보기에 통치성 연구가 점차 반복적이고 창의성을 잃어가기 시작했어요. 통치성 개념은 이것에 대한 통치, 저것에 대한 통치 이런 식으로 무엇이든 유사하게 분석하는 도구가 되어 버렸습니다.
결국 1990년대 후반에는 통치성에 대해서 새로운 얘기를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Powers of Freedom>(1999년)을 출간한 이후에는 더 이상 통치성 연구를 진행하기 않기로 결심했어요. 그리고 '현재의 역사' 네트워크에서도 더 이상 역할을 하지 않고 있고요. 현재로서는 '현재의 역사' 네트워크는 해체된 것이나 다름이 없어요.
ⓒ프레시안(손문상)
'죽음의 생명 정치'에서 '삶의 생명 정치'로
김환석 : 선생님께서 새롭게 선택한 분야가 바로 생명과학과 그것에 기반을 둔 생의료(biomedicine)입니다. 2006년에는 <The Politics of Life Itself(생명 자체의 정치)>를 펴냈고요. 이번에 한국을 방문한 것도 국민대학교 '생명공학의 새로운 정치와 윤리' 연구팀에서 주최한 워크숍 때문이고요.
로즈 : 화제를 바꾸기 전에 통치성 연구를 놓고서 한 가지만 덧붙일게요. 저는 많은 학자들이 한 사회의 정체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국가'에만 치중하는 게 불만이었습니다. 국가는 정치권력의 유일한 장소가 아니에요. 오히려 국가는 한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권력의 효과로서 파악해야 합니다.
즉 국가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사회 곳곳에 존재하는 여러 권력의 양상에 주목해야 합니다. 제가 인간에 대한 진실을 말한다고 여겨져 온 심리학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시작해 정치권력의 성격을 해명하는 데까지 이르게 된 것은 한 가지 예입니다. 그런데 여전히 국가를 정치권력의 유일한 혹은 최종적인 장소라고 보는 견해가 대세입니다.
아무튼 이런 불만 속에서 저는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했습니다. 이런 관심의 변화는 극적으로 보이지만, 사실 저로서는 자연스러운 관심 변화입니다. 통치성 연구에 지칠 무렵, 다시 아주 구체적인 경험 연구로 돌아가고 싶었습니다. 다시 사회 곳곳에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권력에 관심을 가지고 싶었던 거지요.
그런데 저는 석사 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부터 계속해서 정신 의학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어요.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던 당시에는 정신 병원(타비스톡 연구소)에서 일을 하기도 했었고, 친구 중에 심각한 정신 질환을 앓는 친구도 있었습니다. 푸코를 접할 무렵 읽은 논문 '광기와 문명'도 인상적이었고요.
그런 관심의 연장선상에서 정신 의학을 들여다보기 시작했어요. 그런데 20세기 후반부터 정신 의학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더군요. 생물학적 정신 의학, 유전학적 정신 의학, 뇌 과학 등이 전면에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이런 생물학적 사유 방식의 대두는 정신 의학뿐만 아니라 심리학, 범죄학 등에도 영향을 주고 있었어요. '야, 이것이야말로 새로운 주제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런 새로운 생물학적 사유 방식을 이해하려면 생명과학 분야에서 무슨 일이 진행 중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당시 저는 런던 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 재직 중이었는데, '현재의 역사'와 비슷한 연구자 네트워크인 BIOS(The Study of Bioscience, Biomedicine, Biotechnology and Society)를 만들었어요.
ⓒ프레시안(손문상)
김환석 : 이 새로운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이 바로 '생명 정치(biopolitics)'입니다. 이 개념 역시 푸코가 1970년대 후반에 고안했습니다. 사실 이 푸코의 생명 정치는 조르조 아감벤 등과 같은 이탈리아 철학자들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주목했지요.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같은 책은 한국에서도 유명합니다.
로즈 : 현대 생명과학과 의료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푸코의 생명 정치 개념에 주목하게 되었어요. 그런데 (아감벤을 비롯해서) 이 개념에 주목한 이들은 19세기에서 2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존재했던 생명 정치에만 관심을 기울였어요. "추방" "절멸" "배제" "강제" "우생학" "수용소" 같은 단언들을 특징으로 하는 '죽음의 생명 정치'라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지금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가 마주치는 생명 정치는 그런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삶의 생명 정치'입니다. 가장 큰 변화는 내가 "모든 사람을 위한 건강"이라고 부르는 것이죠. 의학이 담당하는 영역은 이제 질병 치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뀌었어요. 개인들은 건강을 관리하고, 생명을 연장하려고 합니다. 이런 욕망은 새로운 생명과학, 의료 기술 그리고 경제 활동을 자극하고 있지요.
이뿐만이 아닙니다. 이런 욕망은 새로운 주체화의 과정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는 여러 질환의 환자들이 결집해 정부, 기업, 과학자 공동체, 사회를 향해서 자신의 목소리를 높이는 일을 경험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질환에 대한 투자, 자원, 연구, 치료법을 요구하지요. 저는 이런 새로운 주체화 과정을 (능동적인) '생물학적 시민권'이라고 부릅니다.
앞으로 이런 생명/삶을 둘러싼 여러 관계가 비약적인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그런 생명/삶을 둘러싼 권력 관계의 효과야말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줄 거예요. 그런 점에서 더 많은 이들이 이런 삶의 생명 정치에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푸코가 말했듯이, 이제는 생명 그 자체가 정치의 주제가 될 테니까요.
김환석 : 그런 문제의식에는 적극적으로 공감을 합니다. 하지만 선생님과 같은 입장은 자칫하면 현대 생명과학과 의료의 변화를 은연중에 긍정하는 효과를 낳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로즈 : 기존의 인문·사회과학은 생명과학과 사회를 연결하려는 방식에 대단히 비판적이었습니다. 방금 지적한 대로 생명과학과 의료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보지 않으면 그것을 '무비판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닌가, 이런 생각이었죠. 그래서인지 많은 인문·사회과학자는 생명과학과 의료의 변화를 놓고서 습관적으로 부정적인 면을 부각하곤 했습니다.
눈부신 속도로 발전하는 생명과학과 그것의 결과로 나타난 의료의 변화에 인문·사회과학자들이 우려를 표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런 우려가 과연 현실의 구체적인 내용에 기반을 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굉장히 회의적이에요. 혹시 20세기 초반 나치 독일이 우생학을 내세우면서 벌어졌던 참극의 기억을 현대 생명과학에 그대로 덧씌우고 있는 건 아닌가, 이런 의심을 하는 겁니다.
저는 이런 식의 대응이야말로 지금 진행 중인 변화를 그냥 방치하는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생명과학과 그것을 이용한 의료 기술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것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또 그런 변화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진지하게 숙고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 후에야 비로소 그것의 의미를 놓고서 진지하고 생산적인 토론이 가능할 겁니다.
김환석 : 마지막 질문입니다. 아까 잠깐 능동적인 생물학적 시민권을 언급했습니다. 혹시 선생님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시민들의 이상적인 모습을 바로 그런 부분에서 포착한 건가요?
로즈 : 사실 자신의 건강 상태 하나하나에 전전긍긍하면서 전문가의 처분에 모든 것을 맡기는 그런 개인만 모여 사는 미래는 얼마나 불행합니까? 그런데 자칫하면 그런 미래가 도래할지도 모릅니다. 그런 점에서 개인들이 연대해서 공통의 목소리를 내고 더 나아가 자신의 삶을 둘러싼 권력 관계를 바꾸는 일이야말로 멋진 일 아닐까요? 이것이야말로 제가 지향하는 새로운 삶의 생명 정치입니다.
ⓒ프레시안(손문상)
[생명 자체의 정치] 사회학자 니컬라스 로즈
강양구 기자(정리)
2012.11.02 19:10:00
--------
마르크스를 버렸다! 푸코를 따랐다! 생명을 말하다!
최근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을 꿰뚫는 열쇳말은 '생명'이다.
일찌감치 21세기를 '생명과학의 시대'로 명명하고 인간 유전체(게놈) 프로젝트 등을 통해서 '생명의 비밀'에 파헤치려는 야심을 숨기지 않는 자연과학이 생명을 되뇌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그동안 과학기술의 변화에도 꿈쩍 않던 인문·사회과학이 생명에 주목하는 일은 어떻게 봐야 할까?
이런 변화의 맨 앞에 서 있는 지식인이 바로 영국의 사회학자 니컬라스 로즈(영국 런던대학교 킹스 칼리지 교수)다. 로즈는 2000년대부터 새로운 생명과학과 그 결과로 나타난 의료의 변화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지를 고민해왔다. 그는 이런 지적 실험의 중간성과를 2006년 <생명 자체의 정치(The Politics of Life Itself)>로 펴내고, 분과 학문을 넘나드는 학제 간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국에서도 곧 출간될 <생명 자체의 정치>는 현대 생명과학이 낳은 삶의 변화를 분자화(molecularization), 최적화(optimization), 주체화(subjectification), 전문성(expertise), 생명경제(bioeconomy), 이렇게 다섯 가지로 정리하고, 그것이 가지는 함의를 과학과 의료 현장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서 설명한다.
니컬러스 로즈는 푸코 철학에 대한 영어권의 대표적인 해석자로 꼽힐 뿐만 아니라, 최근 국내 인문·사회과학계에서도 주목을 받는 이른바 '통치성(Governmentality)' 연구의 권위자다. 그는 6년간 편집장을 맡았던 <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를 통해서 푸코의 통치성 연구를 조명하고 발전시키며 영국의 이른바 '통치성 학파'를 이끌었다.
<프레시안>은 국민대학교 '생명공학의 새로운 정치와 윤리' 연구팀(책임 교수 : 김환석)이 개최한 국제 워크숍(21세기 생명 정치와 생명 윤리)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니컬라스 로즈를 만나 마르크스, 알튀세르, 푸코 그리고 생명과학으로 이어진 지적 여정을 들었다. 인터뷰는 김환석 국민대학교 교수(사회학)가 맡았다.
▲ 니컬라스 로즈 영국 런던 대학교 킹스 칼리지 교수. ⓒ프레시안(손문상)
생물학에서 심리학으로
김환석 : 한국에서 선생님은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가 1970년대 후반에 고안한 통치성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발전시킨 영국 통치성 학파의 좌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선생님의 명성에 비해서 정작 구체적인 연구 성과는 제한적으로만 소개가 되어 있는 것 같아요. 선생님 개인사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요. (웃음)
더구나 선생님은 2000년대 들어서는 현대 생명과학과 의료를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2006년에는 이 새로운 지적 실험의 성과를 정리해 <The Politics of Life Itself(생명 자체의 정치)>를 펴내기도 했습니다. 마침 이 책은 국내에서도 조만간 번역, 출간될 예정입니다.
1980년대부터 유럽, 미국에 득세한 신자유주의를 연구하던 미셸 푸코의 계승자가 생명과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를 설명하려면, 아무래도 선생님의 지적 배경을 소개하는 게 순서일 듯합니다. 먼저 가족 관계부터 살펴볼까요? (웃음) 형이 저명한 과학자죠? 생물학자이자 뇌 과학자로 유명한 스티븐 로즈 영국 개방 대학 교수 말입니다.
로즈 : 맞습니다. 형이 한국에서도 유명한가요? (웃음)
김환석 : 한국에서도 1980년대부터 국가나 자본이 주도하는 현대 과학기술을 비판적으로 보려는 사회 운동이 있었습니다. 그런 사회 운동에 참여해온 이들이 참고했던 사례 중 하나가 바로 스티븐 로즈 교수가 주도한 '급진 과학 운동'이었습니다. 이들의 지향은 잡지 <Science for the People(민중을 위한 과학)>의 제호에 잘 드러나 있지요.
아, 일반 대중에게 스티븐 로즈 교수는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한울 펴냄)의 저자로도 유명합니다. 이 책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이기적 유전자>의 리처드 도킨스와 <통섭>, <사회생물학>의 에드워드 윌슨 등을 강하게 비판한 책으로 유명하지요. 스티븐 로즈 교수는 최근에는 뇌 과학의 최전선에서 뇌 과학의 오용을 비판하는 작업도 수행하고 있더군요.
로즈 : 형(1938년생)은 저(1947년생)보다 아홉 살 많아요.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공부했고 아주 젊은 나이에 영국 개방 대학의 첫 번째 생물학 교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방금 지적했듯이 사회운동가 정체성이 아주 강했지요. 앞으로 또 얘기할 기회가 있겠지만, 저는 형과 비교하면 사회 운동에 훨씬 소극적이었습니다.
김환석 : 선생님이 대학 학부에서 생물학을 공부한 것도 형의 영향을 받았습니까?
로즈 : 아주 없지는 않았을 거예요. 어렸을 때, 형의 실험실에서 실험을 돕기도 했으니까요. 아무튼 형을 따라서 1965년에 서섹스 대학교의 생물학과를 진학했습니다. 당시 그 대학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생물학자 존 메이너드 스미스가 가르쳤어요. 초파리의 유전학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었습니다.
서섹스 대학교는 새롭게 설립된 대학으로서 1960년대 후반 유럽의 급진적인 분위기가 감싸던 곳이었어요. '초파리 연구가 세상을 돌아가는 것을 이해하는데 무슨 도움이 되지' 이런 회의가 들더군요. 이후에 동물 행동학으로 관심을 옮겼지만 잘하지 못했어요. 그래서 관심을 바꿔서 생물학과 심리학을 복수 전공하다, 아예 심리학으로 관심을 옮겼습니다.
김환석 : 학생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까?
로즈 : 베트남 전쟁,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인종 차별 정책) 반대 운동에 참여했어요. 하지만 형과 비교할 수 없습니다. (웃음)
마르크스에서 푸코로
ⓒ프레시안(손문상)
김환석 : 1970년 런던 대학교(Institute of Education)에서 심리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로즈 : 어린이를 가르치고 싶어서 교사로 훈련을 받았어요. 어린이 교육을 바꾸는 일이 사회를 바꾸는 길의 하나로 생각했지요. 1년간 환경 부적응 아동을 위한 학교에서 일하기도 했습니다. 그런 관심 속에서 어떻게 어린이에게 '비정상 아동', '부적응 아동' 딱지를 붙이는지를 놓고 연구를 진행했고, 그 주제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런 관심의 연장선상에서 아동 학대 예방 단체에서 3년간 일했지요. 그러다 런던 대학교(Institute of Education) 사회학과 박사 과정에 진학했습니다. 당시 저는 프랑스의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를 따르는 마르크스주의자였어요. 그래서 이데올로기와 또 그것을 극복하는 문화 투쟁에 관심이 많았고, 대학에서도 그 주제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김환석 : 그 즈음에 <Ideology & Consciousness>를 창간했지요?
로즈 : 네, 작은 학술 잡지였어요. 알튀세르의 철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잡지였습니다. 그런데 이 잡지 동인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알튀세르와 같은 접근에 환멸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 때부터 푸코의 글을 번역해서 읽기 시작했어요. '통치성'에 대한 푸코 에세이의 첫 영어 번역이 실린 것도 이 학술지입니다.
김환석 : 어떤 이유로 알튀세르와 같은 접근에 거리를 두게 된 건가요?
로즈 : 박사 학위를 시작할 때만 하더라도 관심은 알튀세르처럼 이데올로기 비판에 있었어요. 그런데 안토니오 그람시에서 알튀세르에 이르는 이데올로기 개념으로는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없었어요. 예를 들어, 학교가 어떻게 작동하는가, 심리학이 어떻게 작동하는가, 감옥이 어떻게 작동하는가, 이런 질문에 이데올로기는 답을 주지 못했습니다.
왜냐고요? 이데올로기는 항상 진실(truth)에 대비되는 거짓(false) 혹은 오류(error)에 집중합니다. 그러니까 사람들이 어떻게 진실 대신 거짓을 믿는가? 그런 오류에 기반을 둔 그런 허위의식이 어떻게 확산되는가? 환영 밑의 진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런 질문을 끊임없이 던집니다.
하지만 푸코를 읽으면서 이런 진실/거짓의 구분이 과연 타당한지 의문을 품게 되었습니다. 사실 진짜 중요한 질문은 이런 것이었습니다. 왜 이것을 진실이라고 믿게 되었나? 무엇이 이것을 진실로 만들었나? 이것을 진실이라고 말하는 권력은 무엇인가? 이것을 진실이라고 말했을 때 그 효과는 무엇인가?
'오류의 문제'에서 '진실의 문제'로 관심이 바뀐 거예요. 그리고 이런 관심의 이동은 1984년 박사 학위 논문으로 결실을 맺게 됩니다. 이 논문은 영국에서 심리학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추적한 것입니다. 이듬해에 <The Psychological Complex>(1985년)로 출간됩니다. 이 책에 관심을 보인 이들은 거의 없었지만요. (웃음)
당시만 하더라도 푸코의 이론이나 방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거나 철학적으로 논의하는 연구는 있었지만, 그것을 실제로 활용한 연구는 영어권에서는 전무했어요. 이 책은 그것을 시도한 영국 최초의 연구라고 할 수 있어요. 이 책을 시작으로 푸코의 이론과 방법을 적용한 여러 경험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합니다.
김환석 : 박사 학위 논문의 내용을 좀 더 소개하면요?
로즈 : 방금 '진실의 문제'가 중요하다고 얘기했잖아요? 영국과 같은 자유주의 사회에서 권위(authority)의 획득은 국가에 의해서 주어지지 않아요. 사람들이 진실이라고 믿는 것을 얘기할 때 권위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심리학이 그 하나의 예였어요. 심리학자는 인간에 대한 진실을 얘기한다고 믿어짐으로써 막강한 권위를 지니게 됩니다.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비판이 그렇듯이) 이들에게 '권력의 하수인'이나 혹은 '자본의 하수인'이라는 딱지를 붙이고, 이들이 권력이나 자본의 이해관계를 위해서 거짓 주장을 꾸며내고 있다는 식으로 비판하는 접근은 한계가 있어요. 왜냐하면, 이들은 바보도 아니고 꾸미지도 않아요. 이들은 자신이 하는 일이 진실이며 고결하고 과학이라고 진심으로 믿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심리학자들이 자신이 하는 일을 진실이라고 믿게끔 하는 전제가 무엇인지 따져 묻는 게 필요합니다. 박사 학위 논문이 영국 심리학의 탄생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도 바로 이런 문제의식 때문이었습니다. 1980년대는 계속해서 심리학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고 <Inventing Ourselves>, <Governing the Soul> 등의 책들을 냈어요.
ⓒ프레시안(손문상)
김환석 : 그러니까 1970년대 후반에 마르크스에서 푸코로 문제의식이 바뀌고 나서 계속 그걸 심화해 온 셈이군요.
로즈 : 맞아요. 마르크스에서 푸코로의 관심 변화가 현실에의 개입 의지가 약해졌다는 식으로 해석해서는 곤란합니다. 1970년대나 1980년대나 저나 같은 문제의식을 가진 동료들은 여전히 기존 사회 권력을 비판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데 아주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만 비판의 도구로서 마르크스나 알튀세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했을 뿐이에요.
이점을 강조하고 싶군요. 지금도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마르크스나 엥겔스의 글을 읽어볼 것을 권합니다. 하지만 그들의 글은 지금과는 전혀 다른 시대(19세기)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걸 꼭 기억해야 합니다. 그들은 '진실의 저장고'가 아니에요. 그들이 자신의 시대를 제대로 이해하려고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 확인하고, 우리의 시대를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해야지요.
푸코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푸코의 이론이나 방법이 당대의 자유주의 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해 적극적으로 수용했습니다. 하지만 푸코를 그대로 되뇌는 게 아니라 그것을 얼마나 창조적으로 활용할지가 중요합니다. 물론 당분간 사람들은 저를 '푸코디언(Foucauldian)'이라고 부를 테지만요. (웃음)
김환석 : 마르크스에서 푸코로의 이동은 '거대 이론'에 대한 회의 탓도 있지 않나요?
로즈 : 맞아요. 거대 이론은 세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요. 거대 이론은 종종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자신의 틀에 맞춰서 설명하고 심지어 예측까지 합니다. 그런데 도대체 그런 설명과 예측에서 우리가 무슨 통찰을 얻을 수 있을지 의문이에요. 예를 들어, 지구화를 둘러싼 거대 이론이 유행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들에게 이렇게 물어봅시다. "도대체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지구화요!" "그럼, 이런 일들이 왜 일어났나요?" "지구화요!" 다른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도대체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신자유주의요!" "그럼, 이런 일들이 왜 일어났나요?" "당연히 신자유주의 때문이지요!" 이런 동어반복이 도대체 세상을 이해하는데 어떤 유의미한 통찰을 줄지 저는 의문이에요.
이제 어떤 사건이 '왜' 일어났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일어났는지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어떤 사건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따져 묻다 보면 작은 사건들이 다른 사건과 어떻게 연결되고 결합되며, 그 연결과 결합이 더 큰 규모의 변동을 어떻게 가능하게 했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앤서니 기든스, 울리히 벡과 같은 동료의 연구가 흥미롭다는 걸 부정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그들의 작업이 과연 세상을 이해하는 적절한 설명을 제공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입니다. 예를 들어, 1980년대 미국과 영국의 신자유주의적 통치가 유럽을 넘어서 어떻게 그렇게 빨리 전 세계 곳곳으로 확산될 수 있었을까요? "지구화!" 이렇게 답하고 나면 더 이상 할 얘기가 없습니다.
하지만 신자유주의적 통치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그 구성 요소를 살피면 이 질문에 훨씬 더 설득력 있는 대답을 내놓을 수 있습니다. 더구나 이 구성 요소는 훨씬 더 구체적으로 삶과 밀착된 것이기 때문에 현실 개입의 가능성도 커집니다.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거대 이론의 설명 방식보다 푸코에 주목하게 된 것은 바로 이런 사정과도 무관하지 않아요.
김환석 :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거대 이론을 여전히 따르는 입장에서 보면, 선생님의 입장은 피상적이라는 비판을 면키 어려워 보입니다. (웃음)
로즈 : 맞아요. 저는 피상적인 사상가입니다. (웃음) 이것은 앞에서 이데올로기 비판을 회의하게 된 것과도 맞닿아 있지요. 마르크스주의는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려면 그 심층에 존재하는 근원적인 원인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숨겨진' 법칙이 표면의 사건을 가능하게 한다는 발상이지요.
반면에 푸코는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들 자체에 주목하자고 강조합니다. 심층에 근원적인 원인이 있다고 가정하지 말고,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어떻게 연결되어서 새로운 변화를 야기하는지를 보는 게 세상을 이해하는 좀 더 나은 방법이라는 생각이었죠. 저 역시 그런 푸코의 입장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프레시안(손문상)
통치성에서 생명과학으로
김환석 : 푸코를 수용해서 기존의 사회과학을 혁신하려는 시도가 바로 통치성 연구입니다. 선생님은 1989년에 'History of the Present(현재의 역사)'라는 공부 모임을 만들었습니다.
로즈 : 당시 저와 동료를 사로잡고 있었던 문제는 당시 영국과 같은 자본주의 복지 국가에서 정치권력이 어떻게 자기를 정당화하면서 스스로를 유지하는지 보여주는 일이었습니다. 특히 당시는 전통적인 복지 국가와는 또 다른 새로운 형태의 정치권력(신자유주의)이 등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과제는 시급한 일이었어요.
'현재의 역사'는 바로 이런 질문에 답해보려는 연구자들의 공부 모임이었습니다. 푸코의 이론이나 철학에 대한 논평이 아니라 (푸코의 접근을 취해서) 구체적인 경험 연구를 진행하던 영국 곳곳의 연구자들이 한 달에 한 번씩 런던에 모였습니다. 나중에는 외국 연구자도 참여해서 모임이 좀 더 국제적이 되었어요. 그 때부터 'History of the Present network'라고 불렀지요.
"현재의 역사"는 푸코가 <감시와 처벌>에서 사용한 표현입니다. 푸코는 역사에 관심을 갖는 이유가 과거에 대한 관심 때문이 아니라 바로 '현재'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에 대한 관심 때문이라면서 이 표현을 사용했지요. 우리도 똑같은 문제의식에서 이 표현을 사용한 것입니다.
김환석 : 통치성 연구를 통해서 선생님이 강조하고 싶었던 건 무엇이었습니까?
로즈 : 한 사회의 권력관계가 유지되는 방식이 바로 푸코가 얘기한 통치성입니다. 저는 1980년대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정치권력의 통치성에 '자유'가 핵심적인 요소임을 포착했습니다. 흔히 자유는 자동적으로 '해방'과 연결됩니다. 특히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은 동구권 사회주의가 몰락하면서 모두 자유에 열광하던 시절이었어요.
하지만 영국과 같은 자유주의 복지 사회에서 자유는 정치권력이 통치를 유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그 사회 구성원이 자유의 이름으로 관리되고 지배받고 있으니까요. 여기서 저는 푸코가 던졌던 방식과 비슷한 질문을 자유를 상대로 던져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예를 들자면 이런 질문들입니다.
우리는 무엇을 자유라고 부르는가? 그런 자유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사람들은 자신을 어떻게 자유롭다고 여기고 살아가는가? 우리가 자유롭기 위해서 치러야 할 대가는 없는가? 그렇게 사람들이 자신을 자유롭다고 믿게끔 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그렇게 사람들이 자신을 자유롭다고 믿게끔 하는 과정에서 지식 특히 전문가의 역할은 무엇인가? 등.
마치 앞에서 '거짓의 문제'나 '오류의 문제'가 아니라 '진실의 문제'로 관심을 전환했던 것처럼, 이제는 '지배의 문제'나 '통제의 문제'가 아니라 '자유의 문제'로 관심을 전환할 필요가 있었고, 그것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통치성 개념을 활용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문제의식에 당시만 하더라도 반감을 가진 이들이 많았어요. (웃음)
즉각 이런 반문이 따랐죠. "그럼 너는 영국에 사는 우리가 충분히 자유롭지 못하다는 말이냐?" 이런 반응은 제 문제의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반응이었습니다. 오히려 제가 던지고 싶은 질문은 "그런 당신은 왜 그렇게 자유에 집착하는가?" 혹은 "당신이 그렇게 충분히 자유롭다고 믿는 근거는 무엇인가?" 이런 것이었지요.
(로즈는 1980년대 이후 영국의 대처 정부와 같은 정치권력이 득세한 시대를 흔히 통용되는 '신자유주의' 대신 '선진 자유주의(advanced liberal)'라고 부른다. 이런 선진 자유주의, 즉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중요한 특징은 바로 스스로의 삶을 관리하는 '자유로운 개인'의 등장이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한국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로즈의 문제의식을 적용해 보자.
한국 사회에서 개인은 자신의 '몸값'을 높이기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을 관리한다. 자기 계발에 나서고, 경쟁에서 뒤처지면 자신이 몸값을 높이지 못하거나 '혁신'에 성공하지 못한 탓이라면 스스로를 탓한다. 이 과정에서 정부나 기업(자본)은 강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유가 역설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통치 수단이기 때문이다.
이런 로즈의 문제의식과 공명하는 책으로는 서동진의 <자유의 의지 자기 계발의 의지>(돌베개 펴냄), 한병철의 <피로 사회>(김태환 옮김, 문학과지성사 펴냄)가 있다.) (☞관련 기사 : 노무현 이명박 낳은 괴물은 어떻게 탄생했나?, 아프면 청춘, 견디면 직딩, '피로 사회'의 맨얼굴은?)
김환석 : '현재의 역사' 네트워크는 여전합니까?
로즈 : 통치성 연구의 역사를 간략히 언급할 필요가 있겠군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10여 년간 통치성 연구에 몰두했습니다. 특히 런던정경대학(LSE) 교수 피터 밀러와 공동 작업을 진행했어요. 푸코의 통치성 개념을 활용해 정치권력 일반에 대해서 분석을 시도한 논문('Political Power beyond the State')은 널리 알려졌어요.
통치성 개념은 구체적 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하고 유용한 개념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특히 이제 막 연구를 시작한 젊은 연구자에게는 더욱더 그렇지요. 이런 이유 때문인지, '현재의 역사'의 멤버 혹은 다른 연구자에 의해서 통치성에 대한 수많은 논문이 생산되었고 그것이 제가 편집장으로 있었던 <Economy and Society>에 발표되었어요.
하지만 1990년대 후반에 이르면 저나 밀러 모두 통치성 연구에 상당히 지치게 됩니다. 우리가 보기에 통치성 연구가 점차 반복적이고 창의성을 잃어가기 시작했어요. 통치성 개념은 이것에 대한 통치, 저것에 대한 통치 이런 식으로 무엇이든 유사하게 분석하는 도구가 되어 버렸습니다.
결국 1990년대 후반에는 통치성에 대해서 새로운 얘기를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Powers of Freedom>(1999년)을 출간한 이후에는 더 이상 통치성 연구를 진행하기 않기로 결심했어요. 그리고 '현재의 역사' 네트워크에서도 더 이상 역할을 하지 않고 있고요. 현재로서는 '현재의 역사' 네트워크는 해체된 것이나 다름이 없어요.
ⓒ프레시안(손문상)
'죽음의 생명 정치'에서 '삶의 생명 정치'로
김환석 : 선생님께서 새롭게 선택한 분야가 바로 생명과학과 그것에 기반을 둔 생의료(biomedicine)입니다. 2006년에는 <The Politics of Life Itself(생명 자체의 정치)>를 펴냈고요. 이번에 한국을 방문한 것도 국민대학교 '생명공학의 새로운 정치와 윤리' 연구팀에서 주최한 워크숍 때문이고요.
로즈 : 화제를 바꾸기 전에 통치성 연구를 놓고서 한 가지만 덧붙일게요. 저는 많은 학자들이 한 사회의 정체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국가'에만 치중하는 게 불만이었습니다. 국가는 정치권력의 유일한 장소가 아니에요. 오히려 국가는 한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권력의 효과로서 파악해야 합니다.
즉 국가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사회 곳곳에 존재하는 여러 권력의 양상에 주목해야 합니다. 제가 인간에 대한 진실을 말한다고 여겨져 온 심리학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시작해 정치권력의 성격을 해명하는 데까지 이르게 된 것은 한 가지 예입니다. 그런데 여전히 국가를 정치권력의 유일한 혹은 최종적인 장소라고 보는 견해가 대세입니다.
아무튼 이런 불만 속에서 저는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했습니다. 이런 관심의 변화는 극적으로 보이지만, 사실 저로서는 자연스러운 관심 변화입니다. 통치성 연구에 지칠 무렵, 다시 아주 구체적인 경험 연구로 돌아가고 싶었습니다. 다시 사회 곳곳에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권력에 관심을 가지고 싶었던 거지요.
그런데 저는 석사 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부터 계속해서 정신 의학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어요.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던 당시에는 정신 병원(타비스톡 연구소)에서 일을 하기도 했었고, 친구 중에 심각한 정신 질환을 앓는 친구도 있었습니다. 푸코를 접할 무렵 읽은 논문 '광기와 문명'도 인상적이었고요.
그런 관심의 연장선상에서 정신 의학을 들여다보기 시작했어요. 그런데 20세기 후반부터 정신 의학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더군요. 생물학적 정신 의학, 유전학적 정신 의학, 뇌 과학 등이 전면에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이런 생물학적 사유 방식의 대두는 정신 의학뿐만 아니라 심리학, 범죄학 등에도 영향을 주고 있었어요. '야, 이것이야말로 새로운 주제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런 새로운 생물학적 사유 방식을 이해하려면 생명과학 분야에서 무슨 일이 진행 중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당시 저는 런던 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 재직 중이었는데, '현재의 역사'와 비슷한 연구자 네트워크인 BIOS(The Study of Bioscience, Biomedicine, Biotechnology and Society)를 만들었어요.
ⓒ프레시안(손문상)
김환석 : 이 새로운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이 바로 '생명 정치(biopolitics)'입니다. 이 개념 역시 푸코가 1970년대 후반에 고안했습니다. 사실 이 푸코의 생명 정치는 조르조 아감벤 등과 같은 이탈리아 철학자들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주목했지요.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같은 책은 한국에서도 유명합니다.
로즈 : 현대 생명과학과 의료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푸코의 생명 정치 개념에 주목하게 되었어요. 그런데 (아감벤을 비롯해서) 이 개념에 주목한 이들은 19세기에서 2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존재했던 생명 정치에만 관심을 기울였어요. "추방" "절멸" "배제" "강제" "우생학" "수용소" 같은 단언들을 특징으로 하는 '죽음의 생명 정치'라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지금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가 마주치는 생명 정치는 그런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삶의 생명 정치'입니다. 가장 큰 변화는 내가 "모든 사람을 위한 건강"이라고 부르는 것이죠. 의학이 담당하는 영역은 이제 질병 치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뀌었어요. 개인들은 건강을 관리하고, 생명을 연장하려고 합니다. 이런 욕망은 새로운 생명과학, 의료 기술 그리고 경제 활동을 자극하고 있지요.
이뿐만이 아닙니다. 이런 욕망은 새로운 주체화의 과정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는 여러 질환의 환자들이 결집해 정부, 기업, 과학자 공동체, 사회를 향해서 자신의 목소리를 높이는 일을 경험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질환에 대한 투자, 자원, 연구, 치료법을 요구하지요. 저는 이런 새로운 주체화 과정을 (능동적인) '생물학적 시민권'이라고 부릅니다.
앞으로 이런 생명/삶을 둘러싼 여러 관계가 비약적인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그런 생명/삶을 둘러싼 권력 관계의 효과야말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줄 거예요. 그런 점에서 더 많은 이들이 이런 삶의 생명 정치에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푸코가 말했듯이, 이제는 생명 그 자체가 정치의 주제가 될 테니까요.
김환석 : 그런 문제의식에는 적극적으로 공감을 합니다. 하지만 선생님과 같은 입장은 자칫하면 현대 생명과학과 의료의 변화를 은연중에 긍정하는 효과를 낳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로즈 : 기존의 인문·사회과학은 생명과학과 사회를 연결하려는 방식에 대단히 비판적이었습니다. 방금 지적한 대로 생명과학과 의료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보지 않으면 그것을 '무비판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닌가, 이런 생각이었죠. 그래서인지 많은 인문·사회과학자는 생명과학과 의료의 변화를 놓고서 습관적으로 부정적인 면을 부각하곤 했습니다.
눈부신 속도로 발전하는 생명과학과 그것의 결과로 나타난 의료의 변화에 인문·사회과학자들이 우려를 표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런 우려가 과연 현실의 구체적인 내용에 기반을 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굉장히 회의적이에요. 혹시 20세기 초반 나치 독일이 우생학을 내세우면서 벌어졌던 참극의 기억을 현대 생명과학에 그대로 덧씌우고 있는 건 아닌가, 이런 의심을 하는 겁니다.
저는 이런 식의 대응이야말로 지금 진행 중인 변화를 그냥 방치하는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생명과학과 그것을 이용한 의료 기술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것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또 그런 변화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진지하게 숙고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 후에야 비로소 그것의 의미를 놓고서 진지하고 생산적인 토론이 가능할 겁니다.
김환석 : 마지막 질문입니다. 아까 잠깐 능동적인 생물학적 시민권을 언급했습니다. 혹시 선생님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시민들의 이상적인 모습을 바로 그런 부분에서 포착한 건가요?
로즈 : 사실 자신의 건강 상태 하나하나에 전전긍긍하면서 전문가의 처분에 모든 것을 맡기는 그런 개인만 모여 사는 미래는 얼마나 불행합니까? 그런데 자칫하면 그런 미래가 도래할지도 모릅니다. 그런 점에서 개인들이 연대해서 공통의 목소리를 내고 더 나아가 자신의 삶을 둘러싼 권력 관계를 바꾸는 일이야말로 멋진 일 아닐까요? 이것이야말로 제가 지향하는 새로운 삶의 생명 정치입니다.
ⓒ프레시안(손문상)
Moon and Kim Stage an Exuberant Summit in Pyongyang
Moon and Kim Stage an Exuberant Summit in Pyongyang
Moon and Kim Stage an Exuberant Summit in Pyongyang
Bold proposals on demilitarization break the logjam with Washington.
By Tim ShorrockTwitter
TODAY 2:36 PM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wave to the crowd during a parade in Pyongyang, North Korea, on September 18, 2018. (Kyodo via AP Photo)
-------------------
Seoul
Over three days of diplomacy and pageantry in Pyongyang this week, the leaders of North and South Korea put on a stunning display of national unity and purpose that sent an unmistakable message that the two Koreas have moved into a new phase of reconciliation and are ready to overcome the barriers that have kept them divided since 1945.
“We have lived together for 5,000 years and been separated for 70 years,”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told some 150,000 people who had gathered in Pyongyang’s May Day Stadium to celebrate the summit in a climactic moment on Wednesday night. “We must live together as one people.”
The summit, the third between Moon and North Korean Chairman Kim Jong-un, was designed to tell the world—and skeptics in Washington—that North and South are determined to end, once and for all, the danger of war and nuclear conflict on their divided peninsula and resolve years of tension over North Korea’s nuclear-weapons program.
Minutes after returning from Pyongyang on Thursday night, Moon summarized his conversations with the North Korean leader to hundreds of Korean and foreign reporters covering the summit at the Seoul Press Center. “Chairman Kim expressed his wish to finish complete denuclearization at an early date and focus on economic development,” he said.
If the North makes good on its promises, “the US side, as well as our side too, need to take steps that would eradicate our hostile relations with the North,” he added. On Wednesday, following their first day of meetings, the two leaders laid out their goals.
“Today we adopted a military agreement to make a nuclear-free Korean peninsula,” Kim declared. Moon, standing next to him, added: “A Korean Peninsula free of war has begun to take shape. The South and North agreed today to eliminate all risks that could lead to war from all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t was the first visit to Pyongyang by a South Korean leader since 2007.
The summit was “peacemaking at its finest,” said Christine Ahn, the founder of Women Cross DMZ, an international coalition of women seeking to transform the 1953 armistice that ended the Korean War into a permanent peace treaty. “This is history being made; there’s no turning back.”
On the nuclear front, North Korea offered to “permanently dismantle” two key facilities of its ICBM program that is so threatening to the United States, including a missile-engine test facility and a missile launchpad, and to allow outside experts into the country to observe the process. It also said it would permanently shut its nuclear facility at Yongbyon if certain conditions were met.
In addition to these gestures, President Moon said Thursday, Kim said he want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s “North Korea visit and a second summit with President Trump to happen at the earliest convenience in order to speed up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Moon Chung-in, a special adviser to President Moon who accompanied him to Pyongyang, said in a press briefingWednesday that the situation has fundamentally changed.
North and South Korea now “share a common starting point: prevent random conflicts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in turn, could lead to preventing nuclear conflicts,” he said. “Through this process, the two Koreas should be able to achieve complete denuclearization on the peninsula.”
Highlights of the summit included a detailed agreement to defuse military tensions alo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dividing the two countries, a decision by Kim to make an unprecedented visit to Seoul later this year, and a joint proposal to host the Olympic Games in 2032. Moon was accompanied on his trip by dozens of corporate executives, sports stars, artists, and leaders of civic organizations.
In Pyongyang, the two leaders issued a sweeping joint declaration they hope will knit their countries together economically and socially. It includes agreements to quickly link their road and rail connections, promote binational cooperation on environmental protections and public health, and open a permanent facility so divided families can visit each otheron a regular basis. Most of the agreements completed proposals first made at their initial summit in Panmunjomlast April.
Moon and Kim also agreed to reopen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just north of the DMZ, one of the most enduring symbols of previous eras of détente,, which was closed in 2016 during a period of severe tension. But the joint projects, which will also include tourism projects and a west-coast special economic zone, can only happen “as conditions rip[en],” Moon and Kim said. This was a reference to the US and UN economic sanctions on the North.
RELATED ARTICLE
AN AUDACIOUS PROPOSAL FOR A US–NORTH KOREAN ALLIANCE
Tim Shorrock
“There’s good potential for economic cooperation, but to really obtain these benefits, they have to get out of the sanctions,” Daniel Pinkston, a professor at Troy University in Seoul and an expert on North Korean politics, told The Nation in an interview outside the press center. Pinkston has been highly skeptical that the North will ever give up its weapons, but said the military agreements hold serious promise.
“The two sides agreed to refrain from any action to infiltrate, attack or occupy each other’s area of jurisdiction by any means or method,” the agreement states.
Among other steps, according to an analysis by the Associated Press, the two Koreas agreed to establish “buffer zones” on land and at sea and a “no-fly zone” in the air over the b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accidental confrontations.
“There appears to be real movement in confidence-building measures,” said Pinkston. “But can the agreement address issues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 lot of work remains there.” He noted that Yongbyon—a reactor complex where North Korea extracts plutonium from spent fuel and produces highly enriched uranium for weapons—“is only a piece of the nuclear program. Just closing it is not abandoning that program. Are they willing to trade it off in pieces? I’m not convinced.”
Moon Chung-in, the presidential adviser, seemed to address that concern in his press briefing during the summit. This was “the first time, ever, for Pyongyang to announce its willingness to permanently give up its plutonium- and highly-enriched uranium-producing facilitie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its nuclear weapons,” he said.
The US and UN sanctions, which increased in 2017 as the North tested one nuclear weapon and over a dozen ICBMs, have prevented the two countries from moving forward on new transportation and economic proposals. They also sparked a dispute between Seoul and Washington last month over the two Koreas’ opening of a permanent liaison office in Gaesong.
Seoul and Pyongyang opened it anyway. That was the right move and should not be seen as problematic by the US government, James Clapper, the former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 told The Nation while traveling from Washington to Seoul on a Korean Air flight last Sunday. “The two Koreas have every right to move ahead like they are, even if people here [in Washington] don’t like it,” he said.
The proposals by the North to close the two missile facilities were designed to get movement on the sanctions, which the United States has insisted must remain in place until the North completely and permanently eliminates its nuclear and ballistic-missile programs.
So was the offer on Yongbyon, which Kim, in the joint declaration, said he would permanently dismantle if “the United States takes corresponding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June 12 US-DPRK Joint Statement.”
That term—“corresponding measures”—was a reference to promises made by President Trump to Kim in Singapore last June to create a new US–North Korean relationship and “build a lasting and stabl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has insisted that Trump follow up on his pledge before it takes further steps on disarmament.
Even though the Koreans left the ball in the US court, the proposals from Moon and Kim were met with immediate approval from President Trump, who tweeted his thanks moments after their joint news conference in Pyongyang. He will meet with Moon on September 25 in New York to discuss the developments and the possibility of a future summit with Kim. In his press conference Thursday, Moon said he would discuss with Trump the idea of declaring an end to the Korean War by the year’s end.
But even as the usual gang of Washington hard-liners, missile-technology experts, and skeptics of the Korean peace process were criticizing the Moon-Kim promises as too little, too late, Pompeo, who has been the North’s chief interlocutor in this year’s negotiations, welcomed the gestures. “On the basis of these important commitments, the United States is prepared to engage immediately in negotiations to transform U.S.-DPRK relations,” Pompeo said in a statement issued by the State Department (the DPRK, or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s North Korea’s formal name).
Pompeo said he had invited his counterpart in the North, Foreign Minister Ri Yong-ho, to meet in New York at next week’s UN General Assembly, and added that he had invited the North to meet the new US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 Stephen Biegun, in Vienna.
“This will mark the beginning of negotiations to transform U.S.-DPRK rel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rapid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o be completed by January 2021, as committed by Chairman Kim, and to construct a lasting and stabl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Pompeo said.
The use of the term “transform” was clearly designed to respond to the North Korean concerns that Pompeo and Trump had not fulfilled their pledge in Singapore. “It was not having the peace declaration to offer that led Pompeo to tell Trump to call off the last visit,” Leon Sigal, the author of Disarming Strangers: Nuclear Diplomacy with North Korea, reminded The Nation in an e-mail.
On the summit’s final day, Moon and Kim climbed Mount Paektu, the highest mountai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 symbol to both Koreas of the mythical founding of their 5,000-year-old nation.
This fulfilled a lifetime dream for President Moon, an avid hiker whose family fled North Korea in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in 1950. But to many Koreans, the climb up Mount Paektu—a live volcano where Korean guerrillas fighting Japanese colonialism during the 1930s and ’40s often hid out—was also a reminder of their historical struggle for independence from foreign powers.
--------------
The summit was “peacemaking at its finest,” said Christine Ahn, the founder of Women Cross DMZ, an international coalition of women seeking to transform the 1953 armistice that ended the Korean War into a permanent peace treaty. “This is history being made; there’s no turning back.”
On the nuclear front, North Korea offered to “permanently dismantle” two key facilities of its ICBM program that is so threatening to the United States, including a missile-engine test facility and a missile launchpad, and to allow outside experts into the country to observe the process. It also said it would permanently shut its nuclear facility at Yongbyon if certain conditions were met.
In addition to these gestures, President Moon said Thursday, Kim said he want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s “North Korea visit and a second summit with President Trump to happen at the earliest convenience in order to speed up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Moon Chung-in, a special adviser to President Moon who accompanied him to Pyongyang, said in a press briefingWednesday that the situation has fundamentally changed.
North and South Korea now “share a common starting point: prevent random conflicts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in turn, could lead to preventing nuclear conflicts,” he said. “Through this process, the two Koreas should be able to achieve complete denuclearization on the peninsula.”
Highlights of the summit included a detailed agreement to defuse military tensions alo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dividing the two countries, a decision by Kim to make an unprecedented visit to Seoul later this year, and a joint proposal to host the Olympic Games in 2032. Moon was accompanied on his trip by dozens of corporate executives, sports stars, artists, and leaders of civic organizations.
In Pyongyang, the two leaders issued a sweeping joint declaration they hope will knit their countries together economically and socially. It includes agreements to quickly link their road and rail connections, promote binational cooperation on environmental protections and public health, and open a permanent facility so divided families can visit each otheron a regular basis. Most of the agreements completed proposals first made at their initial summit in Panmunjomlast April.
Moon and Kim also agreed to reopen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just north of the DMZ, one of the most enduring symbols of previous eras of détente,, which was closed in 2016 during a period of severe tension. But the joint projects, which will also include tourism projects and a west-coast special economic zone, can only happen “as conditions rip[en],” Moon and Kim said. This was a reference to the US and UN economic sanctions on the North.
RELATED ARTICLE
AN AUDACIOUS PROPOSAL FOR A US–NORTH KOREAN ALLIANCE
Tim Shorrock
“There’s good potential for economic cooperation, but to really obtain these benefits, they have to get out of the sanctions,” Daniel Pinkston, a professor at Troy University in Seoul and an expert on North Korean politics, told The Nation in an interview outside the press center. Pinkston has been highly skeptical that the North will ever give up its weapons, but said the military agreements hold serious promise.
“The two sides agreed to refrain from any action to infiltrate, attack or occupy each other’s area of jurisdiction by any means or method,” the agreement states.
Among other steps, according to an analysis by the Associated Press, the two Koreas agreed to establish “buffer zones” on land and at sea and a “no-fly zone” in the air over the b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accidental confrontations.
“There appears to be real movement in confidence-building measures,” said Pinkston. “But can the agreement address issues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 lot of work remains there.” He noted that Yongbyon—a reactor complex where North Korea extracts plutonium from spent fuel and produces highly enriched uranium for weapons—“is only a piece of the nuclear program. Just closing it is not abandoning that program. Are they willing to trade it off in pieces? I’m not convinced.”
Moon Chung-in, the presidential adviser, seemed to address that concern in his press briefing during the summit. This was “the first time, ever, for Pyongyang to announce its willingness to permanently give up its plutonium- and highly-enriched uranium-producing facilitie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its nuclear weapons,” he said.
The US and UN sanctions, which increased in 2017 as the North tested one nuclear weapon and over a dozen ICBMs, have prevented the two countries from moving forward on new transportation and economic proposals. They also sparked a dispute between Seoul and Washington last month over the two Koreas’ opening of a permanent liaison office in Gaesong.
Seoul and Pyongyang opened it anyway. That was the right move and should not be seen as problematic by the US government, James Clapper, the former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 told The Nation while traveling from Washington to Seoul on a Korean Air flight last Sunday. “The two Koreas have every right to move ahead like they are, even if people here [in Washington] don’t like it,” he said.
The proposals by the North to close the two missile facilities were designed to get movement on the sanctions, which the United States has insisted must remain in place until the North completely and permanently eliminates its nuclear and ballistic-missile programs.
So was the offer on Yongbyon, which Kim, in the joint declaration, said he would permanently dismantle if “the United States takes corresponding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June 12 US-DPRK Joint Statement.”
That term—“corresponding measures”—was a reference to promises made by President Trump to Kim in Singapore last June to create a new US–North Korean relationship and “build a lasting and stabl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has insisted that Trump follow up on his pledge before it takes further steps on disarmament.
Even though the Koreans left the ball in the US court, the proposals from Moon and Kim were met with immediate approval from President Trump, who tweeted his thanks moments after their joint news conference in Pyongyang. He will meet with Moon on September 25 in New York to discuss the developments and the possibility of a future summit with Kim. In his press conference Thursday, Moon said he would discuss with Trump the idea of declaring an end to the Korean War by the year’s end.
But even as the usual gang of Washington hard-liners, missile-technology experts, and skeptics of the Korean peace process were criticizing the Moon-Kim promises as too little, too late, Pompeo, who has been the North’s chief interlocutor in this year’s negotiations, welcomed the gestures. “On the basis of these important commitments, the United States is prepared to engage immediately in negotiations to transform U.S.-DPRK relations,” Pompeo said in a statement issued by the State Department (the DPRK, or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s North Korea’s formal name).
Pompeo said he had invited his counterpart in the North, Foreign Minister Ri Yong-ho, to meet in New York at next week’s UN General Assembly, and added that he had invited the North to meet the new US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 Stephen Biegun, in Vienna.
“This will mark the beginning of negotiations to transform U.S.-DPRK rel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rapid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o be completed by January 2021, as committed by Chairman Kim, and to construct a lasting and stabl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Pompeo said.
The use of the term “transform” was clearly designed to respond to the North Korean concerns that Pompeo and Trump had not fulfilled their pledge in Singapore. “It was not having the peace declaration to offer that led Pompeo to tell Trump to call off the last visit,” Leon Sigal, the author of Disarming Strangers: Nuclear Diplomacy with North Korea, reminded The Nation in an e-mail.
On the summit’s final day, Moon and Kim climbed Mount Paektu, the highest mountai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 symbol to both Koreas of the mythical founding of their 5,000-year-old nation.
This fulfilled a lifetime dream for President Moon, an avid hiker whose family fled North Korea in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in 1950. But to many Koreans, the climb up Mount Paektu—a live volcano where Korean guerrillas fighting Japanese colonialism during the 1930s and ’40s often hid out—was also a reminder of their historical struggle for independence from foreign powers.
--------------
Tim ShorrockTWITTERTim Shorrock is a Washington, DC–based journalist and the author of Spies for Hire: The Secret World of Intelligence Outsourcing.
[사설] 남북 정상회담 주변의 이상한 풍경들 - 조선닷컴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남북 정상회담 주변의 이상한 풍경들 - 조선닷컴 -
[사설] 남북 정상회담 주변의 이상한 풍경들
조선일보
입력 2018.09.21 03:18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밤 '빛나는 조국' 대집단체조를 관람한 뒤 경기장에 모인 15만 평양 시민에게 인사말을 하면서 "(평양에서) 어려운 시절에도 민족의 자존심을 지키고 끝끝내 스스로 일어나고자 하는 불굴의 용기를 보았다"고 했다. 북이 어려운 시절을 겪은 것은 김씨 왕조의 폐쇄 경제에 핵 개발로 대북 제재를 자초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수십만 이상의 주민이 굶어 죽었다. 북핵의 최대 피해자인 한국 대통령이 이것을 "민족의 자존심을 지키고…불굴의 용기"라고 한다면 한국 국민과 죽은 북한 주민은 뭐가 되나. 문 대통령은 스스로를 '남쪽 대통령'이라고 했는데 대한민국은 이렇게 국호 아닌 '방향'으로 불려야 할 나라가 아니다. 김정은을 협상 상대자로 예우할 수는 있지만 수많은 반인도적 잔학 행위를 저지른 그에게 찬사까지 보내야 하나.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북측 사람들에게 "우리가 정권을 뺏기는 바람에 남북 관계가 단절됐다"고 했다. 남북 관계가 경색된 것은 북이 민족을 공멸시킬 핵실험을 하고 우리 관광객을 총으로 쏘아 죽이고 천안함을 폭침시켜 우리 군인들을 떼죽음시켰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명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08년 "남북 간 전면적인 대화를 재개하자"는 제의를 했다. 그런데 바로 그날 금강산 관광객이 북한군의 총에 맞아 사망한 것이다. 이 대표 말은 본말을 뒤집은 것이다.
송영무 국방장관은 남북 정상과 함께 백두산에 오른 자리에서 김정은의 답방 때 "우리 해병대 1개 연대를 시켜서 한라산 정상에 헬기 패드를 만들겠다"고 했다. 아무리 덕담이라도 이게 국방장관 입에서 나올 말인가. 해병대는 북의 연평도 포격으로 전우를 잃었다. 왜 해병대 장병들을 모욕하나.
사소한 일로 거짓 발표까지 해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청와대는 마지막 날 일정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했는데 알고 보니 백두산에 올라가 이벤트를 벌일 한라산 물까지 준비해 놓고 있었다. 그냥 발표해도 충분한데 굳이 깜짝 이벤트로 만들려고 한다. 대기업 총수들의 방북이 북 요청 때문이라는 보도에 대해 청와대는 "북의 요청은 없었다"고 부인했었다. 그런데 북측 관계자가 이재용 삼성 부회장에게 "우리가 오시라고 요청한 분"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북의 요청은 없었다"고 또 부인했다.
웬만한 나라의 국가원수도 삼성, SK, LG 같은 글로벌 기업 총수들을 쉽게 만나기 힘들다. 그런데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북한 경제부총리가 이들 총수를 일렬로 세워 놓고 훈시 같은 것을 했다. 이들 총수가 방문한 산업 현장은 묘목 재배장이었다. 코미디가 따로 없다.
남북 정상회담 첫날 저녁 대전의 동물원에서 퓨마가 우리 밖으로 나왔다. 그런데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위기관리센터가 개입해 사실상 작전을 지휘했다고 한다. 퓨마 사살 지시를 청와대가 내렸다는 일부 증언도 나왔다. 이게 NSC가 할 일인가. 퓨마보다 결코 덜 위험하지 않은 야생 멧돼지가 도심에 출몰할 때는 왜 NSC가 열리지 않았나. 이런 나라가 어디 있나. 그러자 인터넷에는 '남북 정상회담이 희석될까봐 청와대가 퓨마 사살 결정을 내린 것 아니냐"는 말이 떠돌았다. 실제 인터넷에선 '남북 정상회담'보다 '퓨마'가 5배 넘게 검색되는 등 큰 관심을 끌었다. 청와대의 상식 밖 과잉 행동이 이런 추측까지 낳은 것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0/2018092004453.html
--------------
2018년 추석 즈음의 웃픈 자화상이다. 먼 훗날 치매를 심하게 앓는 나라의 갈짓자 행보를 증언하는 기념비적 글이 아닐까한다.
개그 프로그램 보다 더 우습다. 이 또한 지나갈 것이고 민족을 팔아 야만을 산 놈들은 필히 죄값을 치르겠지만, 그래도 전세계가 상식과 이성의 향도를 받아 열심히 뛰어가는 마당에 베네주엘라에 이어 대한민국도 열심히 역주행하는 것 같아서.......웃프다 우리나라 대한민국!
----------
<서평> 과학기술로 북한을 읽으면 보이는 것들 : 네이버 블로그
<서평> 과학기술로 북한을 읽으면 보이는 것들 : 네이버 블로그
<서평> 과학기술로 북한을 읽으면 보이는 것들
통일경제포럼
2017. 4. 19. 2:2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 ‘과학기술로 북한읽기1’을 읽고
김수현 통일경제포럼 청년학생위원회 교육국장
“북한에게서 배울점을 배우자” 이렇게 주장한다면 대다수 사람들은 헛소리로 치부할 것이다. 진짜 종북이 나타났다고 소리칠지도 모른다. 경제규모가 우리의 50분의 1정도에 불과하고 몇십년 전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이 굶어죽은 나라에게서 배울점이 있다고 하니 그러한 반응이 어쩌면 당연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물리학과를 나와 북한의 과학기술 정책을 연구한 강호제박사의 ‘과학기술로 북한읽기’에는 우리가 잘 몰랐던 북한의 모습들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 다양한 시사점도 얻을 수 있다. 4차산업혁명이 세계적인 이슈가 되면서 과학기술과 그에 대한 국가정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책에 소개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과학기술과 정책에 관련하여 2가지의 시사점을 살펴보려 한다.
첫째. 과학기술을 중시하는 정책이다.
북한과 과학기술은 어쩐지 어울리지 않는 단어이다. 정치와 사상을 중요시하고 과학기술은 천대할 것 같은 이미지도 있고, 낙후한 북한의 모습이 익숙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은 김일성 시대부터 지금까지 일관적으로 과학기술을 중요시해왔다고 한다. 1940년대에는 자체적인 교육여건이 어려웠기 때문에 다른 사회주의 나라들에 유학을 보냈는데, 과학기술보다 사회과학을 선호했던 학생들에게 김일성은
‘과학기술을 배워야 합니다. 그것이 진짜 정치를 배우는 것입니다. 기술을 아는 공산주의자라야 정치를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라고 조언했다고 한다. (p13) 이공계기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과학기술자를 우대하는 다양한 정책들도 펼쳤다.
/ 평양의 미래과학자거리 전경.
또한 고급 과학기술자들을 북으로 유치하는 사업에 공을 많이 들였는데, 북한의 과학기술자들이 김일성의 위임장을 가지고 다니면서 남한의 과학기술자들을 설득했다고 한다. 게다가 당시 남한에서는 미군정에 반대하는 교수들이 대거 자리에서 밀려나고 과학기술은 홀대받는 상황이었다. 그 결과 해방 후 물리학과를 정상화하는데 앞장섰던 도상록, 서울대학에서 응용화학과를 세우고 합성섬유 연구에 앞장섰던 리승기 등이 자신의 동료,제자들과 함께 월북하였다. (p20) 이들은 모두 북한에서 자신들의 능력을 십분 발휘했고 5~60년대 북한의 경제성장과 기술발전의 밑거름이 되었다. 이처럼 북한의 과학기술 중시는 단순히 선언에 그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실천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평양에 미래과학자거리와 과학기술전당을 완공하고 과학기술자들의 생활과 연구환경 조성에 힘을 쏟고 있다.
/ 평양의 과학기술전당. 원자구조를 본딴 모습이라고 한다.
둘째. 실패를 대하는 태도이다.
이정동 서울대 공대 교수와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는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실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779819.html, 한국은 왜 4차 산업혁명이 안 보일까) 이정동 교수는 창의와 도전이 중요하지만 ‘빨리빨리’ ‘실수없이’ ‘메뉴얼대로’를 바탕으로 성장해온 한국사회는 여전히
실수없이 빠르게 창의적이 되라
고 요구하는 모순에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정재승 교수도 실패 책임을 묻고 누군가 희생양을 찾아온 기성 조직문화와 결별해야 한다며 실패로부터 회복탄력성을 도울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을 강조했다. 새로운 분야에 도전은 항상 실패의 위험을 수반한다. 과학기술 분야는 시행착오가 더욱 많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우리는 실패에 관대하지 못하다. ‘나로호’ 개발 과정에서도 첫 시험 발사에 실패하면 여론의 몰매를 맞고 예산과 인력이 삭감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1단 로켓 완제품을 러시아에서 구입하는 안전한 방법을 선택했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과학기술자들이 책임 추궁에 대한 걱정 없이 연구개발에 몰두할 수 있는 풍토를 만들어주는 북한의 태도는 우리와 크게 대비된다. 책에서는 이와 관련한 여러 에피소드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특히 1955년 새로운 제철공법에 대한 연구 도중 발생한 실패에 대한 태도가 인상적이다. “과학자들이 비록 큰 실수를 해서 국가적으로 손해를 일으키긴 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제철공업의 자립화라는 당의 노선을 충실히 따르다가 생긴 일입니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다보면 실수를 하기 마련입니다. 실수할 때마다 책임을 추궁하고 제재를 가한다면 누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덤비겠습니까. 우리 과학자들은 잘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연구를 더 잘하도록 우리는 믿어주고 밀어주어야 합니다.” (p168) 이러한 응원에 힘입어 당시 연구 책임자였던 주종명은 결국 1958년에 무연탄을 이용하는 제철법을 완성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한반도미래포럼의 천영우 이사장도 칼럼에서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도 과학기술자들이 책임 추궁을 당할 걱정 없이 연구개발에 몰두할 풍토를 만들어주는 것이 북한의 가장 큰 힘이라고 주장했다. (http://news.donga.com/List/3/0806/20160707/79060788/1, 북한 과학기술의 힘 어디서 나오나)
/ 북한의 과학기술전당을 방문한 김정은 위원장 모습.
과학기술을 중요시하고 실패를 과정으로 여기는 북한의 모습은 우리가 평소에 생각하던 것과는 많이 다른 것이었다. 북한 축구팀이 경기에 지면 북한에 돌아가서 처벌을 받을것이라 걱정하는 것이 우리사회의 일반적 여론이다. 하지만 축구경기도 아니고 연구 실패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 과학자를 믿어주고 밀어주는 북한의 모습은 매우 신선하게 다가온다. 한국사회가 의도적으로 왜곡했건, 제한된 정보로 잘 몰랐건 북한은 과학기술을 통한 경제발전을 주창하며 인공위성과 핵 기술의 능력을 발전시키고 미래과학자거리를 건설하는 등 자신의 길을 가고 있다. 북한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북에 대한 정보가 거의 10년간 업데이트되지 못하고 있다는 저자의 지적처럼 북한에 대한 우리의 인식수준을 돌아볼 때가 되었다. 특히 대선국면을 맞이하여 많은 이들이 안보와 통일을 이야기하는데 상대방에 대한 이해 없이는 대화도, 안보도 불가능하다. ‘과학기술로 북한읽기’는 북한을 새롭게 이해하고, 그로부터 좋은점은 배우고, 나쁜점은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 있는 두가지 소중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김수현
통일경제포럼 청년학생위원회 교육국장
kimtoad21@gmail.com
<서평> 과학기술로 북한을 읽으면 보이는 것들
통일경제포럼
2017. 4. 19. 2:2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 ‘과학기술로 북한읽기1’을 읽고
김수현 통일경제포럼 청년학생위원회 교육국장
“북한에게서 배울점을 배우자” 이렇게 주장한다면 대다수 사람들은 헛소리로 치부할 것이다. 진짜 종북이 나타났다고 소리칠지도 모른다. 경제규모가 우리의 50분의 1정도에 불과하고 몇십년 전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이 굶어죽은 나라에게서 배울점이 있다고 하니 그러한 반응이 어쩌면 당연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물리학과를 나와 북한의 과학기술 정책을 연구한 강호제박사의 ‘과학기술로 북한읽기’에는 우리가 잘 몰랐던 북한의 모습들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 다양한 시사점도 얻을 수 있다. 4차산업혁명이 세계적인 이슈가 되면서 과학기술과 그에 대한 국가정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책에 소개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과학기술과 정책에 관련하여 2가지의 시사점을 살펴보려 한다.
첫째. 과학기술을 중시하는 정책이다.
북한과 과학기술은 어쩐지 어울리지 않는 단어이다. 정치와 사상을 중요시하고 과학기술은 천대할 것 같은 이미지도 있고, 낙후한 북한의 모습이 익숙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은 김일성 시대부터 지금까지 일관적으로 과학기술을 중요시해왔다고 한다. 1940년대에는 자체적인 교육여건이 어려웠기 때문에 다른 사회주의 나라들에 유학을 보냈는데, 과학기술보다 사회과학을 선호했던 학생들에게 김일성은
‘과학기술을 배워야 합니다. 그것이 진짜 정치를 배우는 것입니다. 기술을 아는 공산주의자라야 정치를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라고 조언했다고 한다. (p13) 이공계기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과학기술자를 우대하는 다양한 정책들도 펼쳤다.
/ 평양의 미래과학자거리 전경.
또한 고급 과학기술자들을 북으로 유치하는 사업에 공을 많이 들였는데, 북한의 과학기술자들이 김일성의 위임장을 가지고 다니면서 남한의 과학기술자들을 설득했다고 한다. 게다가 당시 남한에서는 미군정에 반대하는 교수들이 대거 자리에서 밀려나고 과학기술은 홀대받는 상황이었다. 그 결과 해방 후 물리학과를 정상화하는데 앞장섰던 도상록, 서울대학에서 응용화학과를 세우고 합성섬유 연구에 앞장섰던 리승기 등이 자신의 동료,제자들과 함께 월북하였다. (p20) 이들은 모두 북한에서 자신들의 능력을 십분 발휘했고 5~60년대 북한의 경제성장과 기술발전의 밑거름이 되었다. 이처럼 북한의 과학기술 중시는 단순히 선언에 그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실천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평양에 미래과학자거리와 과학기술전당을 완공하고 과학기술자들의 생활과 연구환경 조성에 힘을 쏟고 있다.
/ 평양의 과학기술전당. 원자구조를 본딴 모습이라고 한다.
둘째. 실패를 대하는 태도이다.
이정동 서울대 공대 교수와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는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실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779819.html, 한국은 왜 4차 산업혁명이 안 보일까) 이정동 교수는 창의와 도전이 중요하지만 ‘빨리빨리’ ‘실수없이’ ‘메뉴얼대로’를 바탕으로 성장해온 한국사회는 여전히
실수없이 빠르게 창의적이 되라
고 요구하는 모순에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정재승 교수도 실패 책임을 묻고 누군가 희생양을 찾아온 기성 조직문화와 결별해야 한다며 실패로부터 회복탄력성을 도울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을 강조했다. 새로운 분야에 도전은 항상 실패의 위험을 수반한다. 과학기술 분야는 시행착오가 더욱 많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우리는 실패에 관대하지 못하다. ‘나로호’ 개발 과정에서도 첫 시험 발사에 실패하면 여론의 몰매를 맞고 예산과 인력이 삭감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1단 로켓 완제품을 러시아에서 구입하는 안전한 방법을 선택했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과학기술자들이 책임 추궁에 대한 걱정 없이 연구개발에 몰두할 수 있는 풍토를 만들어주는 북한의 태도는 우리와 크게 대비된다. 책에서는 이와 관련한 여러 에피소드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특히 1955년 새로운 제철공법에 대한 연구 도중 발생한 실패에 대한 태도가 인상적이다. “과학자들이 비록 큰 실수를 해서 국가적으로 손해를 일으키긴 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제철공업의 자립화라는 당의 노선을 충실히 따르다가 생긴 일입니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다보면 실수를 하기 마련입니다. 실수할 때마다 책임을 추궁하고 제재를 가한다면 누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덤비겠습니까. 우리 과학자들은 잘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연구를 더 잘하도록 우리는 믿어주고 밀어주어야 합니다.” (p168) 이러한 응원에 힘입어 당시 연구 책임자였던 주종명은 결국 1958년에 무연탄을 이용하는 제철법을 완성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한반도미래포럼의 천영우 이사장도 칼럼에서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도 과학기술자들이 책임 추궁을 당할 걱정 없이 연구개발에 몰두할 풍토를 만들어주는 것이 북한의 가장 큰 힘이라고 주장했다. (http://news.donga.com/List/3/0806/20160707/79060788/1, 북한 과학기술의 힘 어디서 나오나)
/ 북한의 과학기술전당을 방문한 김정은 위원장 모습.
과학기술을 중요시하고 실패를 과정으로 여기는 북한의 모습은 우리가 평소에 생각하던 것과는 많이 다른 것이었다. 북한 축구팀이 경기에 지면 북한에 돌아가서 처벌을 받을것이라 걱정하는 것이 우리사회의 일반적 여론이다. 하지만 축구경기도 아니고 연구 실패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 과학자를 믿어주고 밀어주는 북한의 모습은 매우 신선하게 다가온다. 한국사회가 의도적으로 왜곡했건, 제한된 정보로 잘 몰랐건 북한은 과학기술을 통한 경제발전을 주창하며 인공위성과 핵 기술의 능력을 발전시키고 미래과학자거리를 건설하는 등 자신의 길을 가고 있다. 북한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북에 대한 정보가 거의 10년간 업데이트되지 못하고 있다는 저자의 지적처럼 북한에 대한 우리의 인식수준을 돌아볼 때가 되었다. 특히 대선국면을 맞이하여 많은 이들이 안보와 통일을 이야기하는데 상대방에 대한 이해 없이는 대화도, 안보도 불가능하다. ‘과학기술로 북한읽기’는 북한을 새롭게 이해하고, 그로부터 좋은점은 배우고, 나쁜점은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 있는 두가지 소중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김수현
통일경제포럼 청년학생위원회 교육국장
kimtoad21@gmail.com
NVC training Shari - Hi Sejin, Im smiling as I remember the sweetness of...
(1) Sejin Pak - Hi Sejin, Im smiling as I remember the sweetness of...
Sejin Pak
21 September 2016 · Campbelltown ·
Hi Sejin,
Im smiling as I remember the sweetness of our connection at the NVC training - and wondering how you are going with connecting with your son in a new way?
You asked about NVC being used in the world in creating social change and peace, and I said I would come back to you. I see this as a really important question as Im constantly asking, "how can I contribute to creating a world where there is care for all beings through our systems and structures" . Of course, the contributions NVC has had often are not captured on video or recorded in an article, but are part of a dialogue… frequently unrecognised within a worldwide community… but still potent and having affect. So here are a few of the examples of what is happening world wide in recent times (with people other than marshall) that I AM aware of.
1. There is for me such an inspirational documentary which was created in Nepal which was part of the reconciliation from the civil war. There is a bigger program which has now flowed on from this documentary. The link to that is… https://www.youtube.com/watch?v=RqA2OydkXgg&feature=youtu.be
2. This is an outline of what happened to bring a group of decision makers together to reform Minnesota’s child custody legislation. Everyone believed reform had no possibility of happening to this legislation as there was such diverse perspectives and because people had become so hostile with each other. This change affects thousands and thousands of families to create more peaceful families - the basic structure of society. Miki Kashtan who headed this reform dialogue is an NVC certified trainer who developed systems based on using NVC as the basis of everything she does. http://baynvc.org/minnesota-dialogues/
3. Dominic Barter has been engaged in Rio at a grass roots level, working in the favelas and directly with the police force there. Here is an excerpt from an email he recently sent. The work he has done there using NVC has reduced killings by large numbers by affecting systemic systems through creating understanding and engagement. Sadly, government policy has now changed and much of the work is undone but still there were 100’s if not 1000’s of lives saved in the time it was working. Here is his email…
In the next few days and weeks many of you will see news reports from Rio, and maybe wonder how this experience relates to the NVC work we do here.
This article, published yesterday in the UK's Guardian newspaper, gives a good summary of the situation as it relates to the police. The article describes the very significant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controversial, significantly flawed but nonetheless transformative programme of Police Pacification Units in the city's favelas. From 2011 to 2014 I was 'orientor' of the mediation programme for the police in these units. This involved basic introductions to NVC for hundreds of police, but mostly it involved intensive accompaniment of them in their daily work as they patrolled communities and worked in their makeshift bases. It also involved supporting them in building different community relationships and creating what I call 'spaces safe for dialogue', with the systemic conditions necessary for offering mediation and conducting Restorative Circles.
The article also describes how the significant drops in death rates and the improvements in community relations were lost in the years since. I hope knowing of both the changes and their recent loss can help you in your work of illustrating the conditions that violence requires to grow and to diminish, and in exemplifying to those you teach how NVC is being used around the world.
http://www.theguardian.com/…/rio-police-violent-killing-oly…
Today and tomorrow you may see images from the official opening of the Olympic Games. You're unlikely to see the thousands who occupied Rio's most iconic music venue last night, or the many more who'll be demonstrating for a more humane response to unmet social needs throughout the day. Please keep such 'invisible' actions in your thoughts.
Sejin, This is a small smattering of what I know and what I can quickly connect with to send you. But without understanding and moving beyond our enemy images, I cannot see how any shift in peace can occur - and our inherited language won’t help us.
I will call you separately to explore attending the ENCT in October. To check it out, http://embodyingnvc.com/.
Blessings Sejin
Shari
2018/09/19
朝中 역사에서 사라진 기념일, 조중우호월(朝中友好月) : 네이버 뉴스
朝中 역사에서 사라진 기념일, 조중우호월(朝中友好月) : 네이버 뉴스
朝中 역사에서 사라진 기념일, 조중우호월(朝中友好月)
기사입력 2018-09-18 10:26
좋아요 좋아요 평가하기3 1
[글로벌 In&Out][서울신문]
지난 9월 9일 북한 건국 70주년 기념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의 리잔수가 이끄는 중국 대표단이 방북하여 북한 고위간부들과의 회담을 진행하였다. 이 회담에서 북한과 중국은 양국 관계 발전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고 9월 10일 중국대표단은 중국인민지원군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여를 기념하는 조중우의탑(朝中友誼塔)에 헌화하였다.
평양시 모란봉구역에 위치한 이 우의탑은 올해로 정주년(整週年)인 60년이 되는 또 하나의 북·중 관계, 나아가서 한반도 정세에 있어서 커다란 영향을 가져온 사건을 기념하는 것이다. 이 사건은 1958년 9월~10월에 이루어진 중공군의 완전철수이다. 중공군의 철수는 북한은 물론이고 중국에서도 정치적인 이유로 장기간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사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학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지만 60년이나 흘러간 오늘도 그 원인과 진상이 완전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1950년 10월 19일, 압록강 도하로 시작된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은 전세를 역전시켰다. 1953년 7월 27일, 유엔군, 북한과 중공군의 대표들이 정전협정에 서명해 전쟁은 끝났지만, 군사분계선 이북에는 북한군 거의 3배 규모인 120여만 명의 중공군이 주둔하게 되었다. 한반도는 미·소 1949년 철군 후 4년 만에 또다시 남북에 각각 외국군대가 주둔하는 상태로 돌아왔다.
중국의 지도부에게 한국전쟁의 참전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웃을 자본주의 진영에 편입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신생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위신과 안보를 확보하는 데 중요했다. 1953년 9월 중공군 총사령관인 팡더화이는 회의에서 한국전쟁은 ‘서방 침략자가 수백년 동안 동방의 한 해안에서 대포 몇발만 쏴도 한 나라를 점령할 수 있었던 시대는 가고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였다’고 선언하였다. 하지만 북한군이 극도로 약한 상태를 파악한 중국 정부는 한반도에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중공군의 주둔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한국으로부터의 모든 외국군대의 철수 및 한국문제의 평화적 해결문제들을 협의할 것을 이에 건의한다’는 정전협정의 제4조 60항을 실현하기 위한 제네바 회의 소집을 기다리기로 했다.
제네바 회의는 1954년 4월 26일부터 7월 20일까지 진행되었으나 첫번째 안건인 한반도 문제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는 100만 병력이 넘는 군대의 외국주둔을 유지하는 경제적 부담과 극동지역의 긴장 상태를 완화하기 위해서 미국과 제4조 60항의 공동 실현에 대한 협상을 사실상 포기했다. 미군과의 공동철수를 포기한채 북한 주둔군의 규모를 조정하기 시작하였다. 중국은 1954년 9월부터 1955년 말까지 3차례에 걸쳐 약 25만명의 병력만 남기고 거의 100만명에 달하는 56개 사단 등을 일방적으로 철수하였다. 물론, 이 시기에 조정된 것은 중공군의 규모만이 아니었다.
1953년 11월에 중국을 방문한 김일성은 참전에 대해 감사를 표하고 복구건설을 위한 원조를 요청했다. 중국 정부는 북한과 ‘조중경제 및 문화합작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전쟁 중 완전히 파괴된 북한 경제의 복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서 4년에 걸쳐 인민폐 8만 억 원의 대규모 원조를 무상으로 제공하기 시작하였고, 1954년 3월부터 지원군의 역할도 수리건설, 농업노동 등 경제의 복구로 바뀌었다.그러던 중 1958년에 중공군은 북한과 아무런 협정이나 상호방위 조약 체결하지 않은 채 갑작스럽게 일방적으로 나머지 15개 사단의 철수를 진행하였다. 북한과 중국이 북중 우호와 협조 및 호상원조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는 시점은 1961년 7월이다.
중국 공간사(公刊史)는 이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1957년 11월 10월혁명 경축 행사에 참여하러 소련을 방문한 김일성이 마오쩌둥과 만나서 중공군의 철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모스크바에서 귀국한 후 김일성은 마오쩌둥에게 편지를 보내서 철수에 대한 2가지의 방안 제시하였다. 하나는 북한 정부가 외국군대의 한반도 철수에 대한 성명을 발표한 후 중국정부가 이에 응답하여 철수를 진행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유엔에 공개서한을 보내고 소련이 이에 대한 지지를 표시한 후 지원군이 철수하는 것이었다.
중공 정치국은 김일성 제안에 대하여 숙고하고 소련지도부와 상의한 후 12월 30일 중공군 철수의 계획을 세웠고 1958년 1월 24일 마오가 김일성에게 보낸 편지에서 김일성의 첫째 제안을 지지한다고 이 결정을 북한정부에 알렸다. 북한은 중국 정부와 합의한 대로 1958년 2월 5일에 외국군대 한반도 완전 철수를 호소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2월 7일 중국정부가 이를 지지한다는 성명서를 냈다. 2월 19일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와 김일성은 ‘연합성명’에 서명함으로써 중공군의 철수의 과정을 정식적으로 출범시켰다. 중국인민지원군의 마지막 부대들이 북한을 떠난 1958년 10월이 북한에서 “조중우호월(朝中友好月)”이 되었고 1959년 10월 25일 중공군 참전 9주년과 철수 1주년을 기념으로 우의탑이 건립되었다.
이렇게나 비정상적인 철군은 왜 이루어졌을까? 오늘날 학계에 주요 학설이 2가지 있다.
첫번째는 중국 공간사가 제시한 ‘지원군 사명의 완수’와 ‘북한 국방력의 강화’ 등으로 북한에 군대를 주둔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학설이다. 그러나 그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전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전쟁 직후 유엔군의 상당부분이 철수하였지만 1954년 11월에 한미 상호방위조약의 정식적으로 발효되고 ‘한국에 대한 군사 및 경제원조에 관한 한미 간의 합의 의사록’이 체결되었다. 이를 통해 미국은 72만 명의 한국군을 육성할 수 있는 군사원조를 제공하기로 하였고, 1957년 6월 21일에 유엔군은 “한반도 밖에서 증원하는 작전비행기, 장갑차량, 무기 및 탄약이 들어오는 것을 금지”한 휴전협정 13조 D항의 폐기를 일방적으로 선언하고 1958년 1월 29일 한국에 원자무기를 들여온 사실을 정식으로 발표하였다. 물론, 작전통제권은 아직도 유엔군 측에 있었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이 북한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철군한 행위는 중공측 입장에서 모험적인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많은 학자는 이보다 더 설득력이 강한 학설을 두 번째로 제시하고 있다. 1956년 말, 헝가리 봉기는 당시 소련의 헝가리 주둔군에 의한 유혈진압으로 끝났다. 이 사실을 알게 된 김일성은 1956년말부터 마오쩌둥에게 철군을 계속 요구했다. 그 철군 요구는 싹트기 시작한 중·소 분쟁에서 북한을 중국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물론, 이 관점도 어디까지는 공개된 사료에 기초한 추측에 불과하다. 중공국 철군 결정에 관한 사료가 비밀 해제되면 그 이유도 꼭 밝혀질 것이다.
글: 바실리 블라디미로비치 레베데프(고려대 사학과 석사)
사진제공: 바실리 블라디미로비치 레베데프
ⓒ 서울신문(www.seoul.co.kr)
1953년 11월에 중국을 방문한 김일성은 참전에 대해 감사를 표하고 복구건설을 위한 원조를 요청했다. 중국 정부는 북한과 ‘조중경제 및 문화합작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전쟁 중 완전히 파괴된 북한 경제의 복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서 4년에 걸쳐 인민폐 8만 억 원의 대규모 원조를 무상으로 제공하기 시작하였고, 1954년 3월부터 지원군의 역할도 수리건설, 농업노동 등 경제의 복구로 바뀌었다.그러던 중 1958년에 중공군은 북한과 아무런 협정이나 상호방위 조약 체결하지 않은 채 갑작스럽게 일방적으로 나머지 15개 사단의 철수를 진행하였다. 북한과 중국이 북중 우호와 협조 및 호상원조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는 시점은 1961년 7월이다.
중국 공간사(公刊史)는 이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1957년 11월 10월혁명 경축 행사에 참여하러 소련을 방문한 김일성이 마오쩌둥과 만나서 중공군의 철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모스크바에서 귀국한 후 김일성은 마오쩌둥에게 편지를 보내서 철수에 대한 2가지의 방안 제시하였다. 하나는 북한 정부가 외국군대의 한반도 철수에 대한 성명을 발표한 후 중국정부가 이에 응답하여 철수를 진행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유엔에 공개서한을 보내고 소련이 이에 대한 지지를 표시한 후 지원군이 철수하는 것이었다.
중공 정치국은 김일성 제안에 대하여 숙고하고 소련지도부와 상의한 후 12월 30일 중공군 철수의 계획을 세웠고 1958년 1월 24일 마오가 김일성에게 보낸 편지에서 김일성의 첫째 제안을 지지한다고 이 결정을 북한정부에 알렸다. 북한은 중국 정부와 합의한 대로 1958년 2월 5일에 외국군대 한반도 완전 철수를 호소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2월 7일 중국정부가 이를 지지한다는 성명서를 냈다. 2월 19일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와 김일성은 ‘연합성명’에 서명함으로써 중공군의 철수의 과정을 정식적으로 출범시켰다. 중국인민지원군의 마지막 부대들이 북한을 떠난 1958년 10월이 북한에서 “조중우호월(朝中友好月)”이 되었고 1959년 10월 25일 중공군 참전 9주년과 철수 1주년을 기념으로 우의탑이 건립되었다.
이렇게나 비정상적인 철군은 왜 이루어졌을까? 오늘날 학계에 주요 학설이 2가지 있다.
첫번째는 중국 공간사가 제시한 ‘지원군 사명의 완수’와 ‘북한 국방력의 강화’ 등으로 북한에 군대를 주둔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학설이다. 그러나 그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전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전쟁 직후 유엔군의 상당부분이 철수하였지만 1954년 11월에 한미 상호방위조약의 정식적으로 발효되고 ‘한국에 대한 군사 및 경제원조에 관한 한미 간의 합의 의사록’이 체결되었다. 이를 통해 미국은 72만 명의 한국군을 육성할 수 있는 군사원조를 제공하기로 하였고, 1957년 6월 21일에 유엔군은 “한반도 밖에서 증원하는 작전비행기, 장갑차량, 무기 및 탄약이 들어오는 것을 금지”한 휴전협정 13조 D항의 폐기를 일방적으로 선언하고 1958년 1월 29일 한국에 원자무기를 들여온 사실을 정식으로 발표하였다. 물론, 작전통제권은 아직도 유엔군 측에 있었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이 북한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철군한 행위는 중공측 입장에서 모험적인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많은 학자는 이보다 더 설득력이 강한 학설을 두 번째로 제시하고 있다. 1956년 말, 헝가리 봉기는 당시 소련의 헝가리 주둔군에 의한 유혈진압으로 끝났다. 이 사실을 알게 된 김일성은 1956년말부터 마오쩌둥에게 철군을 계속 요구했다. 그 철군 요구는 싹트기 시작한 중·소 분쟁에서 북한을 중국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물론, 이 관점도 어디까지는 공개된 사료에 기초한 추측에 불과하다. 중공국 철군 결정에 관한 사료가 비밀 해제되면 그 이유도 꼭 밝혀질 것이다.
글: 바실리 블라디미로비치 레베데프(고려대 사학과 석사)
사진제공: 바실리 블라디미로비치 레베데프
ⓒ 서울신문(www.seoul.co.kr)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