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8/30

Mennonite Central Committee - Wikipedia

Mennonite Central Committee - Wikipedia


Mennonite Central Committe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ennonite Central Committee
Logo of the Mennonite Central Committee
AbbreviationMCC
FormationSeptember 27, 1920
23-6002702 (USA)
Registration no.107690877RR0001 (Can.)
Legal statusNon-profit charity
PurposeRelief, service, peace
HeadquartersAkron, Pennsylvania, US
Winnipeg, Manitoba, Canada
Revenue (2014)
US$30,562,776 (US)[1]
CA$23,369,034
(Can.)[2]
Websitewww.mcc.org
Mennonite Central Committee (MCC) is a relief, service, and peace agency representing fifteen MennoniteBrethren in Christ and Amish bodies in North America. The U.S. headquarters are in Akron, Pennsylvania, the Canadian in Winnipeg, Manitoba.

History[edit]


Mennonite Civilian Public Serviceworker Harry Lantz distributes rat poison for typhus control in Gulfport, Mississippi.
Founded in Chicago, Illinois, MCC held its first meeting on September 27, 1920.[3] Its original goal was to provide food for Mennonites starving in Ukraine. MCC soon realized that it could not help only their Mennonite brothers and sisters and began to help anyone in need. MCC (Canada) was founded in 1963.
The initial work of MCC focused on:[4]
1920–1925: famine relief work in Ukraine.
1925–1930: inactive
1930–1937: colonization of Russian Mennonite and Bruderhof refugees[5] in Paraguay and Brazil.[6]
1939–present: relief work; initially in Poland, then (1940) England and France.
1941–1947: administration of Civilian Public Service (CPS) as part of National Service Board for Religious Objectors.
1950s: administration of 1-W service, the replacement of CPS, for draftees classified as conscientious objectors.

Famine in Ukraine[edit]

Mennonites of Molotschna sent a commission to North America in the summer of 1920 to alert American Mennonites of the dire conditions of war-torn Ukraine. Their plight succeeded in uniting various branches of Mennonites to form Mennonite Central Committee in an effort to aid these Russian Mennonites. P. C. Hiebert of the Mennonite Brethren Church initially chaired the organization, with secretary Levi Mumaw of the (Old) Mennonite Church and attorney Maxwell Kratz of the General Conference Mennonite Church. Other Mennonite conferences joined later.
The new organization planned to provide aid to Ukraine via existing Mennonite relief work in Istanbul. The Istanbul group, mainly Goshen College graduates, produced three volunteers, who at great risk entered Ukraine during the ongoing Russian Civil War. They arrived in the Mennonite village of Halbstadt just as General Wrangel of the White Armywas retreating. Two of the volunteers withdrew with the Wrangel army, while Clayton Kratz, who remained in Halbstadt (Molotschna) as the Red Army overran the village, was never heard from again.
A year passed before official permission was received from the Soviet government to do relief work among the villages of Ukraine. Kitchens provided 25,000 people a day with rations over a period of three years beginning in 1922, with a peak of 40,000 servings during August of that year. Fifty Fordson tractor and plow combinations were sent to Mennonite villages to replace horses that had been stolen and confiscated during the war. This relief effort cost $1.2 million.[7]

Voluntary service[edit]

As Civilian Public Service started to wind down in 1946, MCC began exploring a peacetime service program that would continue the types of projects performed by CPS. The new program, Voluntary Service, had several aims.[8] It would provide young people with a way to voluntarily perform Christian service for up to a year as a means of testifying more widely to the gospel and its way of love and nonresistance. Projects were to help alleviate human need in a culturally sensitive manner. 
The program would operate as an internship in Christian service, developing the workers' service motivation, witness and religious conviction. It would provide Mennonite young people with an opportunity to express appreciation for the material blessings, religious and other national liberties and to contribute to the well-being of the nation. Finally, it was hoped that some individuals would decide to devote their careers to full-time ministry or missionary service.
The first Voluntary Service unit started during the summer of 1946 in association with the CPS unit at Gulfport, Mississippi .

Activities[edit]


Akron, Pennsylvania, headquarters, August 1982.
MCC was an early proponent of fair trade through its Ten Thousand Villages program.[9]
Funds for MCC's worldwide relief and service projects are raised through independent Mennonite relief sales. Around 45 sales are held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raising US$5 million annually.[10] Many of these sales feature quilts handmade by Mennonite and Amish volunteersauctions, artwork, crafted woodwork, homemade foods, antiques, crafts, plants, children's activities, and musical programs. Most of the goods and labor are donated, and 78.2% of the funds raised go directly into the field.
MCC focuses its development efforts in areas such as health, education, peace and justice, and fair trade. It responds to disaster situations, as well as focusing its efforts on the longer-term issues of economic and social policy.
MCC maintains offices in both Washington, D.C.,[11] and Ottawa[12] to advocate to the American and Canadian federal governments, respectively. MCC also has an international advocacy office at the United Nations in New York City.[13] As of 2015, Ewuare Osayande served as the group's Anti-Oppression Coordinator.[14]

Peacemaking[edit]

MCC also takes an active role in advocating for peace both in North America and around the world, seeking "to be a witness against forces that contribute to poverty, injustice and violence."[15] In North America, MCC established the Mennonite Conciliation Service (MCS) in 1979 to encourage Mennonites and others to actively pursue peaceful resolution of conflicts. MCS was a pioneer in the burgeoning field of conflict resolution in the 1980s and director Ronald S. Kraybill led early mediation workshops in Northern Ireland which eventuall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ern Ireland Mediation Network. John Paul Lederach took over MCS in 1989 when Kraybill moved on to South Africa, and in the years following, MCC moved active peace building into the forefront of its work abroad.
Responding in part to the establishment of active Mennonite-led peace centers that had emerged in the 80s and 90s, such as the Conflict Transformation Program at Eastern Mennonite University, the Lombard Mennonite Peace Center in Lombard, Illinois, a group of peace builders at Fresno Pacific University, the Peace and Justice Network of the Mennonite Church and other activities, MCS was discontinued in 2004. But the Peace Office of MCC continues to advocate peace interests broadly in the US and in MCC programming abroad. Internationally, MCC partners with local organizations to reduce violence in the aftermath of conflict or war.
Perhaps one of MCC's more controversial activities is in advocating military exemption or alternative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in times of war. MCC runs a "conscientious objector registry" in Canada, taking statements from Canadians in the hope that they will be recognized by the Canadian government should the government restart drafting citizens into the military.

Affiliated organizations[edit]

See also[edit]

Notes[edit]


  1. ^ Mennonite Central Committee U.S. and Subsidiaries Years Ended March 31, 2014 and 2013
  2. ^ Financial Statements of Mennonite Church Canada, Year ended March 31, 2014
  3. ^ Gingerich p. 16.
  4. ^ Gingerich p. 17.
  5. ^ "Why I Keep Talking About…Alternativity, the Bruderhof, and Church of All Nations". Proximity. October 23, 2017. Retrieved October 24, 2017.
  6. ^ "Bruderhof Communities - GAMEO". gameo.org. Retrieved November 8, 2017.
  7. ^ Smith, p. 320.
  8. ^ MCC Headquarters Letter, No. 90, November 1946 as quoted by Haury pp. 13-14.
  9. ^ Ebeling, Ashlea (August 20, 2009). "Ten Thousand Villages Grows With Fair Trade". Forbes. Retrieved December 20, 2016.
  10. ^ jamesstuckeyweber (March 17, 2014). "Annual report 2015: Growing together in Christ".
  11. ^ jamesstuckeyweber (April 17, 2014). "Washington Office".
  12. ^ jamesstuckeyweber (April 17, 2014). "Ottawa Office".
  13. ^ jamesstuckeyweber (March 19, 2014). "MCC United Nations Office". Mennonite Central Committee U.S. Retrieved December 14, 2018.
  14. ^ Herholz, Quinci. "BLACK AND WHITE MENNONITES IN ST. LOUIS WORK TOGETHER FOR RACIAL JUSTICE" (April 14, 2015). St. Louis Post-Disbatch. Retrieved September 19, 2015.
  15. ^ Integrating peacemaking into relief, development and service Archived March 21, 2006, at the Wayback Machine
  16. ^ "Home". canadianbic.ca.

References[edit]

  • Gingerich, Melvin (1949), Service for Peace, A History of Mennonite Civilian Public Service, Mennonite Central Committee.
  • Haury, David A. (1979), The Quiet Demonstration: The Mennonite Mission in Gulfport, Mississippi, Faith and Life Press.
  • Smith, C. Henry (1981). Smith's Story of the Mennonites. Revised and expanded by Cornelius Krahn. Newton, Kansas: Faith and Life Press. pp. 316–320. ISBN 0-87303-069-9.

External links[edit]


Official website
Mennonite Central Committee in Global Anabaptist Mennonite Encyclopedia Online

Success Made Simple: Why Amish Businesses Thrive (Audio Download): Erik Wesner, Nick Sullivan, Audible Studios: Amazon.com.au: Audible_AU

Success Made Simple: An Inside Look at Why Amish Businesses Thrive (Audio Download): Erik Wesner, Nick Sullivan, Audible Studios: Amazon.com.au: Audible_AU


Business can be discouraging. According to U.S. Department of Labor figures, only 44 percent of newly opened firms will last four years. Amish firms, on the other hand, have registered a 95% survival rate over a five-year period. And in many cases, those businesses do remarkably well. As Donald Kraybill writes "the phrase 'Amish millionaire' is no longer an oxymoron."
Success Made Simple is the first practical book of Amish business success principles for the non-Amish reader. The work provides a platform of transferable principles - simple and universal enough to be applied in the non-Amish world, in a wide variety of business and management settings.
  • Learn how to develop profitable and fulfilling enterprises as Amish explain how to build fruitful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nd employees, prosper by playing to strengths, and create an effective marketing story
  • Includes interviews with over 50 Amish business owners outline the role of relationships in business and the importance of the big picture-taking in long-term goals, the welfare of others, and personal integrity
  • Offers ideas on practical application of Amish business practices to non-Amish businesses, with "bullet" summaries at the end of each chapter reviewing the most important take-away points
With a focus on relationship-building and the big pictureSuccess Made Simple offers business owners everywhere the tools for better, smarter, more successful enterprises.

재세례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재세례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재세례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개신교

교파
성공회 · 루터교
장로교 · 감리교
침례교 · 오순절주의
성결 운동 · 구세군 · 회중교회
재침례파 · 퀘이커 · 개혁교회
역사
종교개혁 · 정통주의
경건주의 · 대각성
옥스퍼드 운동
은사주의 운동
예전
성공회 기도서
루터교 예배
개혁주의 예배
주요 신학 개념
삼위일체 · 복음주의
다섯솔라 · 예정설
구원 · 자유의지
신정통주의 · 자유주의 신학
에큐메니즘
vdeh


재침례파(再浸禮派, Anabaptist, 그리스어: Αναβαπτιστές)[1]는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급진적 개혁을 따른 기독교 종파를 가리킨다. 그 사상을 이어받고 있는 현대의 개신교 교파들로는 아미시파, 후터라이트, 메노나이트 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120여만 명의 교인들이 있으며, 대한민국에도 재세례파(재침례파) 교회가 한 곳 있다.[2] 이 문서에서 재세례파라 함은 주로 16세기 급진적 종교개혁자들을 가리킨다. 크리스트교 종교개혁 초기에 등장하여 유아세례를 부인하고 오직 성인의 세례만 유효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유아세례뿐만 아니라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받은 세례도 무효이기 때문에 그런 사람들은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고, 여기서 그 이름이 유래한다. 유아 세례를 반대하는 교파들은 침례교도 역시 마찬가지이나 그렇다고 해서 그것을 무효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대다수 기독교 교파에서는 세례가 죄의 용서[3]구원[4]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사람이 일생 한 번만 받는 것이라고 가르친다. 그러나 재세례파는 이에 반대한 것이다.


목차
1발생 배경
2탄압
3교리
4학자
5문학작품 속의 재침례교도
6외부 링크
7각주와 참고 자료

발생 배경[편집]

재침례파의 역사는 그 사상을 반대하는 사람들과 옹호하는 사람들에 의해 왜곡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근원이 일원이냐 다원이냐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다. 소수이기는 하나 재침례파야 말로 초대교회의 사도적 전통을 계승하였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지역적으로 구분하면 '스위스 형제단' (Grebel, Manz), 네덜란드 및 프리시안 재침례파 (Menno Simons, Dirk Philips), 그리고 남부 독일 재침례파 (Hübmaier, Marpeck)로 구분할 수 있다.

역사학자와 사회학자들은 더 나아가 급진적 재침례파평화주의 재침례파로 나눈다. 급진적 재침례파는 "새 예루살렘"을 땅 위에 건설하기 위해 폭력 동원을 인정했다. 급진적 재침례파로 인해 발생한 사건이 뮌스터 반란이다. 그에 반해 신약성서에 근거한 비폭력주의를 주장하는 평화주의자들은 메노나이트(Mennonites)의 기원이 된다. 다시 말해, 원래 메노나이트의 기원은 네덜란드 로마 가톨릭 신부인 메노 시몬스(Menno Simons)가 두 부류의 전통적인 재세례파인 평화적인 오비파(Obbenites)와 급진적인 호프만파(Melchio Hoffman)사이에서 고민하다가 "어떻게 그리스도인이라 자부하는 자가 영적인 무기는 내려두고 세속적인 것을 취하는 것에 하나님의 말씀이 부합하겠는가?"라고 반문하며 평화주의자인 오비파 쪽으로 가입한 것이 계기가 되었고, 이후에 그곳의 지도자가 되었는데, 그의 추종자들을 그의 이름을 따서 메노나이트라 부르게 되었다.[5]메노는 신약성서의 가르침에 따라, 폭력에 반대하는 비폭력주의를 주장하였다.[6]

탄압[편집]

스페인 종교재판소에의해 이단으로 화형당하는 16세기 네덜란드의 재세례파, Anneken Hendriks

한 번 받은 세례(특히 유아세례)를 무효라고 주장하는 교리로 로마 가톨릭교회 및 다른 개신교로부터 이단으로 배척되어 수많은 순교자들이 생겼다. 1525년 스위스의 가톨릭 지역과 그 다음 해에는 취리히의 의회정부가 재세례파를 이단과 반역죄로 사형에 처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수천에 달하는 순교자가 발생했는데 처형 방법도 잔인하였다. 이들의 침례를 희화하여 산채로 물에 빠드리기도 했으며, 그밖에 화형에 처하거나 사지를 절단하는 예도 흔히 있었다. 1523~66년 사이 네덜란드에서 1만3000여명이 희생 되었다는 조사도 있다. 이런 극심한 박해속에 재세례파는 극단적 종말론을 믿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종교적 극단주의가 활개를 치기에 이르렀다.[7] 1930년에는 나치의 탄압을 피해 후터라이트(재세례파의 일파)공동체인 부르더호프 공동체가 영국으로 건너가기도 했다.

교리[편집]

학자[편집]
존 하워드 요더(John Howard Yoder, 1927년 12월 29일~1997년 12월 30일)는 미국 재세례파의 대표적인 신학자, 윤리학자이다. 메노나이트 교단 출신으로 평화주의를 표방한다. 20세기 초반이 칼 바르트의 시대라면 20세기 후반은 요더의 시대라는 말이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 1972년 출판된 예수의 정치학(IVP, 2007)이 있다. 성추행과 권력남용 문제가 있었고, 이와 관련해 야수의 송곳니를 뽑다(대장간, 2018)라는 책이 출판되고 번역되었다.

문학작품 속의 재침례교도[편집]

볼테르의 대표 소설인 캉디드에는 주인공 캉디드를 도와주는 착한 재침례교도 이야기가 나온다. 캉디드가 전쟁터에서 목숨을 구해 네덜란드에 갔을 때 사람들은 캉디드에게 이렇게 묻는다 "당신은 교황이 적그리스도라고 생각하오?" 라고 질문한다. 캉디드가 이에 우물쭈물 대답하지 않자 그들은 욕을 하며 캉디드를 쫓아내는데 이때 캉디드를 도와주고 빵과 돈을 준 사람이 재침례교도 자크다.[8] 볼테르는 이 작품에서 가톨릭교회 신부들을 타락하고 부패한 인물로 묘사하지만 재침례교도는 착하고 선한 인물로 묘사했다.


각주와 참고 자료[편집]

ανα(/아나/, again) + βαπτιζω(/밥티조/, baptize) = re-baptizers
한겨레 2005년 11월 16일자, 자생적인 재세례파(재침례파) 교회인 춘천 예수촌 교회 기사.



베드로가 이렇게 대답하였다. “회개하시오. 그리고 여러분은 한 사람도 빠짐없이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여러분의 죄를 용서받으시오. 그리하면 성령을 선물로 받게 될 것입니다.” ”

사도행전, 2:38




믿고 세례를 받는 사람은 구원을 받겠지만 믿지 않는 사람은 단죄를 받을 것이다. ”
마르코 복음서(마가 복음서), 16:16

Justo L. Gonzalez, A history of Christian, Vol. III, Abingdon Press, 1975, p.86
유재덕 지음. 《《5시간만에 읽는 쉽고 재미있는 교회사》》. 작은행복.
최강희《박해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재세례파 신앙의 본질》(영남신학대 신학대학원)
볼테르《캉디드》(한울,P18)

야수의 송곳니를 뽑다 - 존 하워드 요더의 성추행과 권력남용에 대한 메노나이트의 반응 - 도서출판 대장간



야수의 송곳니를 뽑다 - 존 하워드 요더의 성추행과 권력남용에 대한 메노나이트의 반응 - 도서출판 대장간



야수의 송곳니를 뽑다 - 존 하워드 요더의 성추행과 권력남용에 대한 메노나이트의 반응

SALE
NEW
지은이 : 존 D. 로스 | 옮긴이 : 김복기 | 페이지수 : 304쪽 | 책크기 : 225*152mm (신국판)












CIP제어번호 2018003687
ISBN 978-89-7071-437-0 93230
정 가 15,000원
판매가격 13,500원 (1,500원 절약)
적립금 750원 (구매확정 시 지급)
발행일/출판사 2018년 2월 13일/도서출판 대장간

상품수량
-+13,500원 X
총 합계금액 13,500원
바로구매 장바구니담기 찜




성추행에 대한 집단의 은폐와 침묵이라는 범죄에 대해
올바른 기억 행동을 실행하기로 선택한 집단지성의 여정과 기록


이 책은 먼저 요더의 성추행 사건의 전말에 대한 “사실”을 알리고, 그의 성추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실과 사건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성추행이 일어났을 때, 건강한 공동체가 대처해야 할 방안들과 예방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메노나이트 교단의 기나긴 치리과정을 지켜보면서, 종교와 거룩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고 자행하는 성폭력이라는 야수의송곳니를 뽑아내겠다는용기가 우리 한국 교회에서도 예외 없이 일어나길 바란다.
성직자들의 성추행 소식이 수시로 신문의 사회면을 장식하곤 한다. 지금 한국교회의 현실은 어떤가? 한국교회는 어떤 변화를 원하는가? 진정으로 변화할 생각은 있는가? 교회의 권력 중심에 있는 사람에 대한 치리는 어디까지 가능할 것인가?

평화신학의 탁월한 학자, 배움의 폭, 신념의 깊이, 언어적 천재성, 심오한 통찰력 … 요더는 종파에 매이지 않고 경계를 넘어 상상하기 힘들 만큼 폭넓은 신학적 궤도와 관계성을 가진 천재였다. 20년 간 그와 관계한 수많은 개인, 그가 몸 담았던 다양한 그룹, 다양한 교회와 기관들은 요더의 행동에 대한 비밀보장 유지에 동의하였다. 그들은 정보를 통제했고 피해자들을 무력화하는데 앞장섰다. 상처는 곪아서 피해자 및 생존자는 물론 수많은 사람들을 힘들게 했다.
--------
… 이 주제에 대해 엄청난 고통과 논쟁이 빚어지고 있다는 점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 교회에 속한 많은 사람들은 이 주제가 계속 반복해서 언급하는 것에 지쳐버렸다. 어떤 사람들은 죄를 지은 형제가 이미 교회의 교제 안으로 회복되었으니 더 이상 이 주제로 왈가왈부하지 않을 때가 되었다고 말하면서 이미 충분히 언급된 주제라고 믿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특별히 최근 몇 십 년에 걸쳐 무엇이 적절한 행동인지 정의하는 기준 자체가 변했기 때문에 현재의 표준으로 과거의 행동을 심판하려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여전히 이 사건과 우리의 관계가 너무 가깝기 때문에 양극화된 사건의 맥락을 공정하게 판단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대화에서 서로 다른 입장에 서있는 모든 사람들은 성추행에 직접 관련된 친구들과 가족 구성원들, 그리고 그 외 여러 사람들이 겪고 있는 끊임없는 고통에 대해 함께 슬퍼하고 있다. …
이 쉽지 않은 문제를 투명하고 끈질기게 다루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성추행이 메노나이트 회중에 실재한다는 뼈아픈 사실과 교회가 신중을 기해 규율, 상호책임, 치유와 같은 주제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공개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존 D.로스>





존 D. 로스 John D. Roth

미국 인디아나 고센대학의 역사학 교수이다. 고센에 있는 메노나이트 역사 도서관장과 학술 메노나이트 계간지 “Mennonite Quarterly Review”의 편집장이다. 아내 루스와의 사이에 네 명의 딸들이 있으며 버키 애비뉴 메노나이트 교회 (Berkey Avenue Mennonite Fellowship)의 멤버이다.
존 로스는 『13인의 기독교 지성 아나뱁티즘을 말하다』(2015, 대장간)를 편집했고 『맛보아 알지어다』(2013, 대장간), 『전쟁을 반대하여 선택하라』(2002) 외 『메노나이트 믿음, 실천,이야기』(3권, 대장간 ) 등을 저술하였다.





김복기

강원대학교 조경학과와 캐나다 메노나이트 성경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메노나이트 연합신학 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런던의 샬롬 아도나이 교회에서 회중을 섬겼으며, 현재 캐나다 메노나이트교회 소속 선교사로 춘천에서 KAC 총무로 섬기고 있다.
『다른 터는 없나니』, 『아나뱁티즘』, 『동성애』, 『교리적 상상력』, 『어떻게 용서할 것인가?』, 『재세례신앙의 씨앗으로부터』 , 『반석 위에 세우리라』 , 『일과 쉼』 , 『재세례신앙의 비전』 , 『아나뱁티스트 역사』 , 『아나뱁티스트 크리스천』, 『교회, 그 몸의 정치』 , 『그리스도의 충만함』 , 『열 두 사람이야기』 , 『아이들과 절대 흥정하지 마라』외 여러 권을 번역했다.






  • 역자 서 문
  • 메노나이트 계간지 특집호를 발행하며
  • “야수의 송곳니를 뽑다” -존 하워드 요더의 성추행과 권력남용에 대한 메노나이트의 반응
  • 교회 리더들에 의한 성폭력과 피해자들을 위한 치유
  • 샬롬의 끈덕진 희망-성추행과 트라우마에 대한 회중의 반응
  • 고통에 이름을 붙이고, 빛을 추구하라-성추행에 대한 메노나이트 교회의 반응
  • 일흔 번씩 일곱 번-성폭력과 터무니없는 용서에 대한 부르심
  • 아나뱁티스트 비전 쇄신-존 하워드 요더의 잘못 인식된 성의 정치학
  • 왜 “화려하고 고상한 실험”이 실패했다 하는가?-이 사건이 메노나이트 교회에 대해 폭로하는 것은 무엇인가?
서평글 -존 럼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