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11

번거로움 - Wikipedia 煩悩 일어

번거로움 - Wikipedia

번거로움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불교 용어
번뇌
파리어kilesa [킬레사]
산스크리트어trouble (kleśa) [크레이샤]
티베트어ཉོན་མོངས།
와일리 : 뇬몽;
THL : 뇬몽
 )
버마어열정
IPA:  [kḭlèθà] )
중국인문제
병음 :  fánnǎo )
일본어번뇌
로마자 : bonnō )
한국어번뇌
RR : 번뇌 )
영어고통,
파괴적인 감정,
불안한 감정,
부정적인 감정,
마음의 독
크메르어켈레스
_
몽골어니스바니스
태국어Kiles
rtgs :  킬렛 )
베트남어고통
템플릿 보기

煩悩(혼노, 산스크리트어 : क्लेश , kleśa , 크레셔, 토모 : kilesa , 킬레사,  : Kleshas )는 불교 의 교리 중 하나이며, 신앙을 어지럽히고 지혜를 방해하는 마음 의 작용 (더러움 ) 말한다. 동의어로서  (여, aśrava 아슈 라바,asava , 아사바) [주 1 ] [ 주 ] , 수면 사용되기도 한다.

불교에서는, 사람의 고통 의 원인을 스스로의 번뇌라고 파악해, 그  을 파악·극복하는 해탈 · 열반 에의 길이 요구되었다. 석가는, 우선 번뇌의 일을 멈추는 것은 눈치채고 , 그리고 근원으로부터 끊는 것은 반약 (智慧)이라고 설고 있다 [1] [2] .

부파 불교 의 시대가 되면, 번뇌의 깊은 분석이 행해졌다.

번뇌의 수에 대해 편집 ]

번뇌의 근본에는 삼독 이 있다. 인생 에서 어떠한 국면이 어떠한 번뇌가 되는가를 잘 알기(유지) 때문에, 후대에 그것을 세세하게 분석해 수습의 도움으로 한 것이며, 「수」를 파악하면 무한하게 있다고 생각 된다. 이 때문에, 「희림」(삼림과 같이 수많은 번뇌)이라고도 한다.

속에 번뇌는 108개이며, 제야 의 종을 108회 충격하는 것은 108개 번뇌를 멸하기 위함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시대·부파·교파·종파에 의해 수는 옳다. 소는 3으로 시작해, 통속적으로는 108, 대는( 약) 84,000이라고 한다.

심장 의 구분으로부터 말하면,

을 번뇌로 간주할 수 있다.

98수면 편집 ]

또, 설 일절 유부 에서는, 『구사론』「수면품」등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전통적으로 번뇌(수면)를 98수면 으로서 표현하기도 한다.

이것은, 탐·검·치매·만·의심·견의 여섯 수면을 기점으로 삼계 안의 욕계 에 32, 색계 · 무색계 에 각각 28, 합계 88의 전망(전망 소단) 에 의해 거절되는 번뇌)를 배치하고, 10개의 수혹(수도 소단에 의해 거절되는 번뇌)을 더해, 98수면으로 한 것이다.

이것에 십배라고 불리는 10개의 번뇌를 덧붙인 것이 속에 108개의 번뇌라고 불리는 것이다.

기본 편집 ]

삼독 편집 ]

번뇌의 근원(인간의 제악의 근원)은,

의 3개로 되어, 이것을 아울러 삼독(산도쿠)이라고 부른다. 삼독 중에서도 특히 치매, 즉 사물의 올바른 도리를 모르는 것, 십이인연의 무명이, 가장 근본적인 것이다 .

번뇌는 아집 (자기가 실체적으로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집착하는 것 [3] )에서 나온다. 이 의미에서 십이인연 중의 '사랑'은 때로 번뇌 중에서도 근본적인 것으로 여겨진다(일상어의 사랑과 의미가 다른 것을 주의).

오개 편집 ]

또한,

의 5개를, 오개(고개)라고 부른다. 뚜껑이란 말 그대로, 마음을 덮는 것의 의미이며, 번뇌의 이칭.

이들은 히오카 의 명상 수행을 방해하는 것으로서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오하 분결 · 미유키 편집 ]

수행자를 욕계(하분 )로 묶는 번뇌를, 오하 분결 ( 고게 부케)이라고 부른다.  와는 속박의 뜻.

  1. 탐욕 (토니쿠) - 갈망 · 욕망
  2. 瞋恚(신) - 악의·미움
  3. 유신미 (우신켄) - 가집
  4. 계금취견 (카이곤쥬켄) - 잘못된 계율·금제에의 집착
  5. 의심 (기) - 의심

이 5개를 끊음으로써 불환과 에 도달할 수 있다 [4] [5] .

이 5개 중, 3.~5.의 3개를 특히 삼결 (산케츠)이라고 부르며, 이들은 사향사과 의 첫 단계인 예류과  있어서 일찍 끊어지게 된다.

오가미 분결 편집 ]

수행자를 색계 · 무색계 (상분)로 묶는 번뇌를, 오상분결 (고상부케)이라고 부른다.

  1. 色貪 (시키 돈) - 색계  대한 욕망 · 집착
  2. 무색 탐 (무시키 톤) - 무색계 에 대한 욕망 · 집착
  3. 掉昌(정자) - (색계와 무색계에서) 마음의 부동
  4. 만 (만) - 만심
  5. 무명 (무명) - 근본 무지

이 5개를 끊는 것으로, 사향사과 의 최종 단계인 아라한과 에 도달할 수 있다 [ [5] .

사폭류 편집 ]

부다 고사 에 따르면, 석가는 갈증을 강에 비유하고 "강의 흐름"즉 폭류 (ogha)를 건너 그 해안에 이르는 것을 열반으로 자리 매김 했다 [ 6 ] .

Cattārome āvuso oghā: kāmoso bhavogho diṭṭhogho avijjogho. Ime kho āvuso cattāro oghāti.
친구여, 이 네 가지 폭류가 있다. 욕폭류, 유폭류, 견폭류, 무명폭류. 친구여, 이들이 사폭류이다.

 폭류는 사루라고도 한다. 이들 사폭류를 끊는 길은 팔정도라고 석가는 말하고 있다 [7] .

제설 편집 ]

모든 것이 부분이 있다고 말하십시오 편집 ]

설 일절 유부 에서는 번뇌를 분석해, 미혹과 수혹(사망)으로 나누어, 또 탐·검·토·만·만·  · 악견  6 종  근본 번뇌 로 했다 게다가 부수하는 번뇌를 19 종으로 세었다.

유식파·법상종 편집 ]

대승불교 의 유가행파 에서는 위의 근본 번뇌에서 파생하는 것으로서 20종의 번뇌를 세웠다.

瑜伽行派의 후계인 동아시아의 법상종도 이 설을 따른다.

여래장 사상 편집 ]

여래장 사상에서는 번뇌란 본래 청정한 인간의 마음에 우발적으로 부착한 것이라고 말한다(객진 번뇌 ) . 이 번뇌를 지혜 에 의해 단멸하고, 중생 이 본래 가지고 있는 불성을 밝히는 것, 즉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 지혜를 얻는 것이 대승불교가 요구하는 깨달음에 불과 하다 .

보살 의 사홍 서원 에 "번뇌무량 서원단"이 세워져 있는 것은 번뇌를 거절하는 것이 대승불교의 기본사상임을 보여준다.

인간은 소정, 번뇌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곳에 관념해, 번뇌를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파악해, 거기에 깨달음을 발견한다고 하는 번뇌 즉보제 의 생각이, 점차 대승 불교 속에서 큰 사상 적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각주 편집 ]

각주 사용법 ]

주석 편집 ]

  1.  유누」의 항목도 참조.
  2.  예 : 「누진통
  3. ^ 일반 읽기와 다릅니다.

출처 편집 ]

  1. 우오가와 유우지 「불교 사상의 제로 포인트: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신쵸샤, 2015년 4월, 125쪽. ISBN  978-4103391715 .
  2. ↑ 스타니파타 ,section:1035
  3. "아집" - 브리타니카 국제 대백과 사전 작은 품목 사전 , Britannica Japan.
  4. ↑ b 깨달음의 계단 - 후지모토 아키라 / 일본 테일러 와다 불교 협회
  5. ↑ b 파오 삼림 승원에서의 가르침과 수행 일본어 번역 pp33-34
  6. ↑ 테로 벤 란돔베 수니타 (2018). “Mahāparinibbānasutta의 뗏목의 은유에 관하여”. 논리의 비교 연구를 위한 연구 프로젝트 센터의 연대기 15 : 173-181. 나이드 120006517938 . 
  7. ↑ 파리 불전 , 상응부 점부 카다카 상응 폭류 문경, Sri Lanka Tripitaka Project

관련 항목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