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민
정서 |
---|
펼치기 기쁨 펼치기 신뢰 펼치기 공포 펼치기 놀람 펼치기 슬픔 펼치기 혐오 펼치기 분노 펼치기 호기심 펼치기 사랑 펼치기 특정 문화에서의 정서 펼치기 기타 |
연민(憐憫/憐愍)은 다른 사람의 처지를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다. 상대의 슬픔을 견디기 힘들어하는 감정이기도 하다.
공포와 연민[편집]
공포와 연민(恐怖와憐憫)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비극을 경험하는 요소이다. 인간의 내면에서 공포와 연민이 일어나 카타르시스를 느끼며, 극의 등장인물을 동정하여 비극을 느낀다고 하였다.
거미줄[편집]
의상대사는 화엄사상을 정립한 것으로 존경받는데 이는 마치 거미줄의 한편에서 신음하는 괴로움이 다른 반대편 거미줄에서도 그 고통이 전해지는 것처럼 이 세상이 거미줄의 씨줄과 날줄로 촘촘히 짜여 있어서 그 어느 하나라도 홀로 있거나 저혼자 일어난 일은 없으며 이 모두가 연관되어 끝없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서로의 원인과 결과로 얽히고 섥혀있는바 자신의 욕망을 위해 악을 선택하기보다는 서로에게 연민을 갖고 어렵지만 선을 베푸는 것이 결국 모두를 위해 선한 곳으로 만들 수 있는 궁극적으로 우리가 평화롭게 함께 살 수 있는 길이라는 맥락의 언급을 한 바있다.[1]
연민[편집]
남을 위한 선한 행동으로서의 연민에 대해서 주역에서 이를 언급한 바있다.
- 積善之家,必有餘慶, 積不善之家,必有餘殃。(주역 곤 문언전)[2]
- 선을 쌓는 집안에는 반드시 경사의 여유가 있는 바인 것이다. 선행을 행하지 못하여 선이 쌓이지 않으면 반드시 넘치는 재앙이 있는 것이다.
이는 '받은 선행보다 준 선행이 많으면 남는 선행이 있고 받은 악행보다 준 악행이 많으면 남는 악행이 있다. 남는 것이 적으면 자신에게서 그치나 남는 바가 크면 세상에 미친다'는 맥락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리스도의 연민[편집]
프로테스탄트이자 청교도인 토머스 굿윈은 그리스도를 연민의 표상으로 제안한바있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마음이 인류사적으로 유일한 십자가 사건에서 확인되는 바와같이 지극히 온전하고 연민적이라는 것이다. 이런 묘사는 사랑으로 표현되는 보다 더 상대방의 감정을 같이 느끼는 공감능력을 보여주는 그리스도로 본 점에서 인성도 그 결정성이 얼마나 이타적으로 최고조에 이르는 연민의 감정으로 가능할 수 있는지를 잘 언급하고 있다.[3][4]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 ↑ (위키문헌 - 법성게또는 화엄일승법계도)https://ko.wikisource.org/wiki/%EB%B2%88%EC%97%AD:%ED%99%94%EC%97%84%EC%9D%BC%EC%8A%B9%EB%B2%95%EA%B3%84%EB%8F%84
- ↑ (위키문헌-주역 곤 문언전)https://ko.wikisource.org/wiki/%EC%A3%BC%EC%97%AD%EC%83%81#%E7%AC%AC%E4%BA%8C%E5%8D%A6_%E5%9D%A4
- ↑ Beeke, Joel R., 1952-. 《A Puritan theology : doctrine for life》. Grand Rapids, Michigan. 390쪽. ISBN 978-1-60178-166-6.
- ↑ (성경 개역한글판,위키문헌) 요한복음 제13장34절~제14장 4절 외 -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9A%94%ED%95%9C%EB%B3%B5%EC%9D%8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