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20

구술사강좌 – 한국구술사연구소

구술사강좌 – 한국구술사연구소







인터넷 강의 안내



한국구술사연구소는 2017년부터 인터넷 강좌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저희 연구소와 구술사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시간적 장소적 제한으로 인해서 구술사 강좌에 참여하지 못한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연구소에서는 다양한 지역에서 구술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들을 위해서 언제 어디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인터넷 강의는 한 해에 3학기로 운영이 됩니다. 매해 1월, 5월, 9월에 개강하여 4개월 간 강의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15주 중 13주 이상 강의를 들으신 분에 한하여 수료증(pdf 파일)을 우편 혹은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구술사 연구

1. 강의 데모


 

2. 개요
이 강좌는 구술사를 이해하고 구술사 인터뷰를 충실히 하기 위해서 구술사의 이론과 방법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좌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 번째 부분은 국내외 구술사 연구의 현황 파악과 구술사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구술사 인터뷰하는 기술을 익히는 것이다. 세 번째 부분은 수집된 구술 자료를 정리한 후, 구술 자료를 해석하여 학문적 글쓰기를 시도하는 것이다.

 

3. 교재
윤택림, 2019, 『역사와 기록 연구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윤택림 편역, 2010, 『구술사, 기억으로 역사쓰기』, 아르케.
김귀옥, 2014, 『구술사연구』, 한울.
한국구술사연구회 편, 2014, 『구술사: 기획과 수집』, 선인.
 

4. 강의 수 : 15강
강의 1구술사 연구의 지형도 I : 외국의 구술사 연구 현황
강의 2구술사 연구의 지형도 II : 한국의 구술사 연구 현황
강의 3구술사란, 그 개념과 특징
강의 4구술사의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들
강의 5구술과 기억
강의 6구술사 인터뷰 I : 현지조사와 인터뷰 준비
강의 7구술사 인터뷰 II : 인터뷰 하기
강의 8구술 생애사란
강의 9구술 생애사 인터뷰
강의 10인터뷰 자료의 정리
강의 11구술 자료의 해석 I : 서사분석
강의 12구술 자료의 해석 II : 재구성적 교차분석
강의 13구술 자료의 텍스트화
강의 14구술 자료로 학문적 글쓰기
강의 15구술사와 윤리



질적 연구 방법
1. 강의 데모


 

2. 개요
이 강좌는 질적 연구 방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들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의는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대표적인 질적 연구 방법인 인류학적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심층 면접, 생애사, 초점집단연구 등 연구 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세 번째 부분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 내지는 해석하고 텍스트화 하는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질적 연구에 대한 평가와 윤리적 문제들을 살펴볼 것이다.

 

3. 교재
윤택림, 2013,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개정판, 아르케.
 

4. 강의 수 : 15강
강의계획서 다운로드

강의 1질적 연구 방법이란: 양적 연구 방법과의 비교
강의 2현지조사(field work)와 문화기술지(ethnography)
강의 3초국적 현지조사(transnational fieldwork)와 다문화연구
강의 4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강의 5연구자와 제보자(informant) : 라포
강의 6연구자의 정체성과 현지조사의 역사적 맥락 : 초국적 현지조사에서
강의 7인터뷰의 종류
강의 8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 하기
강의 9초점 집단 연구(focus group interview)
강의 10생애사(life history)와 생애사 인터뷰
강의 11서사 분석(narrative analysis)
강의 12질적 자료의 해석 : 해석인류학적 접근
강의 13문화기술지 쓰기
강의 14질적 연구에 대한 평가
강의 15질적 연구와 윤리적 문제 : IRB(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구술사와 기억연구

1. 강의 데모

2. 개요
이 강좌는 구술사 연구에서 중요한 주제인 기억을 본격적으로 논의하여 구술사 연구에서 기억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을 진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 부분은 왜 기억인가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면서 서구와 한국에서의 기억연구의 흐름을 정리한다. 두 번째 부분은 기억 연구의 주요 이론들을 검토하는 것이다. 마지막 부분은 기억 연구의 다양한 사례 연구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구술과 기억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논의는 앞으로 구술사 연구의 지평을 더욱 심화하고 확대해 나갈 것이다.

 

3. 교재
윤택림 편역, 2010, 『구술사, 기억으로 역사쓰기』, 아르케.
윤택림, 2019, 『역사와 기록연구를 위한 구술사연구방법론』, 아르케.
 

4. 강의 수 : 15강
강의 1서구의 기억연구와 구술사
강의 2한국에서 기억 연구의 흐름
강의 3기억과 구전
강의 4집합기억
강의 5기억과 권력
강의 6기억의 장소들
강의 7기억과 정체성
강의 8문화적 기억
강의 9기억의 정치학
강의 10기억과 역사와의 관계
강의 11기억과 지역사
강의 12기억과 젠더
강의 13기억과 역사적 상흔
강의 14기념의 정치
강의 15기념의 공간



여성구술생애사

1. 강의 데모


 

2. 개요
이 강의는 여성학에서 대두되고 있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구술 생애사 연구가 여성의 경험을 드러내고 역사화 하는데 효과적인 연구 방법인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미국과 한국에서 축적된 여성 구술사, 생애사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들을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여성 생애사 인터뷰 기술을 익히고, 여성 구술 생애사 자료의 해석과 텍스트화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또한 한국의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 사례들을 검토함으로써 더 진전된 연구의 방향을 논의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가 얼마나 여성학과 페미니스트 정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가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교재
윤택림, 2019, 『역사와 기록 연구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이재경 윤택림 이나영 외 공저, 2012, 『여성주의 역사쓰기: 구술사 연구방법』, 아르케.
 

4. 강의 수 : 15강
강의 1한국의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 현황: 왜 여성 구술 생애사인가
강의 2미국의 여성 구술사 연구 현황
강의 3질적 연구와 젠더
강의 4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방법론적 쟁점들
강의 5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이론적 쟁점들
강의 6젠더와 기억
강의 7여성 구술 생애사
강의 8여성 구술 생애사 인터뷰 I
강의 9여성 구술 생애사 인터뷰 II
강의 10여성 구술 생애사 인터뷰 사례: 성공과 실패 사례
강의 11여성 구술 생애사 해석 I: 서사분석
강의 12여성 구술 생애사 해석 II: 재구성적 교차분석
강의 13여성 구술 생애사의 텍스트화
강의 14여성 구술 생애사 텍스트화의 유형별 사례 분석
강의 15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와 윤리적 쟁점


지방사와 공동체 아카이브

1. 강의 데모


 

2. 개요
이 강좌는 한국 지방사 연구와 공동체 아카이브의 연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왜냐하면 한국 지방사 연구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동체 아카이브의 구축이 필수적이기 문이다. 이를 위하여 이 강의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지방지를 포한하여 한국 지방사 연구의 지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지방사 자료란 무엇인가를 논의하고 지방사 자료 수집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수집된 지방사 자료들을 어떻게 공동체 아카이브로 만들 것인가를 논의할 것이다.

 

3. 교재
윤택림, 2013,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수정판), 아르케.
윤택림, 2019, 『역사와 기록 연구를 위한 구술사연구방법론』, 아르케.
 

4. 강의 수 : 15강
강의 1지방사란
강의 2지방사와 지방지
강의 3새로운 지방지와 구술사
강의 4지방사 연구 이론
강의 5지역성(지방성, locality)이란?
강의 6지방사와 지방기록물관리
강의 7지방사 자료의 수집 I: 현지조사와 문화기술지적 자료 수집
강의 8지방사 자료의 수집 II: 구술 자료 수집
강의 9지방사 자료 정리 I
강의 10지방사 자료 정리 II
강의 11공동체 아카이브란
강의 12공동체 아카이브 구축 I
강의 13공동체 아카이브 구축 II
강의 14공동체 아카이브의 활용
강의 15공동체 아카이브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