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26

Backhouse Lecture 2022 - Working for Justice in a Warming World | Australia Yearly Meeting

Backhouse Lecture 2022 - Working for Justice in a Warming World | Australia Yearly Meeting

Backhouse Lecture 2022 - Working for Justice in a Warming World

Backhouse Lecture 2022 Working for Justice in a Warming World

Delivered by Yarrow Goodley

Tuesday 5 July 7:00pm AEST 

The 2022 Backhouse lecture looks at the critical issue of climate justice – at how our responses to the climate emergency have the potential for great suffering, as well as great redemption. In a world where the rich pollute, and the poor suffer, we do not just need to address our rapidly-warming planet, but also the injustices which drive this environmental catastrophe.

Yarrow, in conversation with Quaker and non-Quaker activists, explores the history of this crisis, and the despair and hope we must negotiate in coming to grips with a problem of planetary proportions. This crisis offers us an unparalleled opportunity to remake our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ystems, in ways that support a liveable planet, while addressing the profound injustices of our age, especially racial inequality. Yarrow asks us ‘what can we do?’ and seeks to offer ways forward that create hope not just for all people, but for all the living creatures on our small blue-green planet.

Bio: Yarrow was nineteen years old in 1988, when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was founded, and the IPCC’s five-yearly reports have sounded ever more dire warnings throughout their adulthood. Having worked all their life as an early childhood educator, Yarrow is reminded every day of the uncertain future that awaits their young students. These children will be Yarrow’s current age in 2070 – a future that may be either apocalyptic or utopian, depending on our actions now. As a Quaker, an activist, and a gardener, Yarrow aims for that utopian future, even when the path to that place is murky.

Join us via zoom: https://us06web.zoom.us/j/5968713127?pwd=dlJvVGdHeWxScm1XRFJqbC9VSE9tdz09
Meeting ID: 596 871 3127
Passcode: 6477804


===

  • Greg Rolles
    What better way to enjoy watching someone talk about climate activism than just after coming and actually doing some too. Come to Sydney June 27th and take part in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 They're jailing young climate activists. 2 We're refused bail and are being held in remand until the 12th of July. Come on Friends, walk the talk.
  • Helen Bayes
    Yes, let’s share about the activism we do too, wherever we live.
  • Greg Rolles
    No. Let's share about effective climate activism that sees us being raided day after day. Our first nations elder was taken away by cops today. Get real, get active.







Last modified: 
Thursday, 19 May 2022 - 2:32pm

Hyun Ju Kim Ludrup Yongsoo "저는 ING, 중입니다"

(2) Facebook

Hyun Ju Kim
42 m ·



"저는 ING, 중입니다"
.

  • 수행이란 말을 할 수도 없고 아니 할 수도 없는 것이다. 
  • 그래서 무분절의 경지로, 아무것도 분별이 없는 무와 공의 처지로 가야 한다. 
  • 간다는 생각조차 버려야 간다. 
  • 산은 산이 아니고 산은 그저 산이다. 산은 본질이고 본질이 산이라서 산이 걷고 산이 흐르고 산이 사라져도 산은 있고 그러나 없다.
  • .
  • 그러니 누가 스님일까. 
  • 그저 공간을 차지하고 시간을 지나가는 행위에 지나지 않으니, 중. ING라는 말씀이다. 
  • 기독교식으로는 already, not yet 이라는 상태를 연상하게 하지만. 또 용수스님은 약간 그런 의도로 쓰신 것도 같지만. 
  • 나는 이 <중>이라는 말이 공. 무. 라는 개념을 표현하는 말이라는 생각도 한다. 
  • 원래 무리를 뜻하는 말이라지만 그 무리들이 다 ING 상태이지 않나.
  • .
  • 임윤찬인가. 다 단절하고 싶지만 너무 가난해지니까 할 수 없이 연주한다던가. 
  • 좋은 곡이 너무 많아서 이번 생에서는 가장 좋은 몇 곡만 골라서 친다던가. 그런 표현에서 나는 우주가 전부 사라지고 소리만 남는, 그나마도 시간의 함수에 걸려서 매 순간 소멸하는 상상을 한다. 
  • 소멸하는 빛을 바라보는 순간을 영원으로 체험하는 몸을 상상한다. 
  • 죽은 리스트와 악보로 소통하며, 사라질, 죽어버릴 소리를 허공에 날려버리며 교감하는 그를 생각한다.
.
"경험은 해도 이해는 못하는 미묘한 실재"
.
  •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거울 밖의 세계. 말씀으로 오신 하나님. 
  • 능력의 말씀으로 만물을 붙드신다. 고 할 때 말씀은 법. 이라는 말과 비슷한 느낌이다. 
  •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역사적 예수로 오셨지만 시간이 짧았다. 
  • 그분의 행위와 말씀을 문서로 기록하였지만 턱없이 동떨어질 수밖에 없지 않았을까. 
  • 실제로 본 사람들이 경험한 압도적인 신적 슈퍼파월을 기록되어 번역된 사복음서로 상상하기란 공룡피 한방울로 쥐라기공원을 만드는 것보다 터무니없다. 
  • 인간으로 온 신의 모습을 어떻게 양피지 몇 두루마리에 적을까. 
  • 그래서 요한은 그 기록한 책을 다 담기에 이 세상이라도 부족하다고 썼다. 
  • 물론 USB가 나오기 전 이야기다. 
  • 그럼에도 예수는 <내가 가는 것이 낫다. 그래야 보혜사가 오신다.>며 자신을 지나가는 존재라고 한다. 
  • ING. 잠시 머물다 간다. 
  • 너희들도 잠시 머물다 오렴. 
  • 내가 너희들 있을 곳을 마련해 두겠다. 기다릴게. 
  • 그래서 우리들도 ING.


Ludrup Yongsoo

사람들이 자꾸 스님은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해서 특별한 존재처럼 행해야 하는 집착이 생겼어요. 항상 평화롭고 지혜롭고, 기분 나쁘면 안 되고 약한 모습, 못난 모습 보여 주면 안 되는 집착이 생겼어요.
그래서 부인 성명을 하고 싶어요. 저는 이기적이고 인색하고 산만해요. 기복도 집착도 많고 수행력과 자비심이 부족해요. 기분 나쁠 때가 많고 대체로 부정적이에요. 일반인 보다 못 하는 게 너무 많아요.
그래도 스님상을 알아봐서 약한 모습을 보여줘도 되겠네요. 척 하는 게 힘들어요. 사람들의 기대를 충족시키려고 하는 게 힘들어요. 자신의 기대가 힘들어요. 사람들의 인정을 받으려고 하는 게 힘들어요. 못난 중, 이대로 있을게요. 진정한 법의 벗이 되어 주고 싶어요.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 저는 ING, 중 입니다.
이제 네팔 순례팀이 귀국했어요. 저는 네팔에 10일 더 있다가 귀국합니다. 히말라야가 주는 감동과 도반님들의 따뜻한 마음과 룸비니의 신성함과 카트만두의 매력과 여행사 하지은 대표님의 훌륭한 기획과 네팔 가이드님의 능숙한 인도로 평생 기억에 남을 여정이었어요! 네팔을 아주 다양하게 잘 경험했어요
.

23일 타계 조순 증손자 대학생기자가 쓴 증조부 부고기사 - 오마이뉴스

23일 타계 조순 증손자 대학생기자가 쓴 증조부 부고기사 - 오마이뉴스
한림랩 뉴스룸 | 49화

23일 타계 조순 증손자 대학생기자가 쓴 증조부 부고기사[증조부 조순, 당신의 가르침을 기립니다] "영어사전 씹어먹던 학구파"
22.06.24 18:40l최종 업데이트 22.06.24 20:34l
한림미디어랩 조중만(hmltheh)



▲ 지난 23일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고 조순 전 경제부총리의 빈소가 마련돼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23일 오전 한국 정치, 경제계의 큰 별이었던 조순 증조부님이 노환으로 작고했다. 향년 94세. 서울 아산병원에서 노환으로 치료를 받던 조순 증조부님은 가족들이 임종을 지킨 가운데 생을 마감했다.

조순 할아버지는 나의 9촌 증조부이시다. 고인이 된 할아버지의 명복을 빌며 할머니·아버지로부터 들은 이야기를 토대로 시중 언론에 나와 있지 않는 내용을 독자들에게 전해보고자 한다.

1928년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풍양조씨 평장사공파 집성촌)에서 태어난 조순 증조부님은 학창 시절부터 영단어를 외우기 위해 영어사전 속 단어를 외운 후 해당 페이지를 찢어 삼켜 드실 정도로 학구열이 남달랐다.

증조부님의 아버지인 조정재 고조부님은 한학자셨다. 중학 시절, 조순 증조부님은 어려운 집안 환경 탓에 당신의 숙부님께 유학을 갔었다. 고조부님은 자식의 공부가 얼마나 무르익었는지를 보기 위해 한문 편지를 보냈다. 이를 잘 해석해야 집으로 올 수 있다는 엄명에 보낸 편지를 해독하기가 어려웠던 증조부님은 수많은 한학자들을 백방으로 찾아다녀 겨우 그 뜻을 해석하고 나서야 집으로 갈 수 있었다.

어릴 때부터 교육열이 남달랐던 가정환경의 영향을 받아 경기고, 서울대를 졸업한 증조부님은 한국전쟁 당시 육군 통역 장교와 육군사관학교 교관 등으로 군에 복무했다. 전역 후 30세의 나이로 미국으로 유학,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박사를 마친 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부임해 1988년까지 재직했다.


▲ 이 시대의 희망과 현실, 조순 문집
ⓒ 조중만

관련사진보기

'조순 학파'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경제학계의 유명한 제자들이 수두룩하다. 1974년, 제자 정운찬과 공저로 쓴 <경제학원론>은 경제학과 최고 인기 교과서로 '경제학계의 바이블'로 불린다.


육군사관학교 영어 교관 시절 노태우 대통령을 가르친 인연으로 1988년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을 지냈다. 1992년에는 한국은행 총재를 역임했다.

대한민국 사상 두 번째 민선 서울특별시장을 지냈고, 1995년 헌법 개정 후 첫 민선 시장을 지냈다. 1997년에는 제15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며, 서울 시장직을 물러났다. 필자의 아버지는 서울시장직을 계속하셨으면 오히려 국민으로부터 더 사랑받아 자연스레 대권주자로 추대받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갖고 계신다.


1998년 강원도 강릉시 재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됐다. 2000년 16대 총선에서 민주국민당을 창당했으나, 당이 실패하면서 정계를 은퇴했다. 이후, 특별한 건강 이상 없이 지내오셨고, 23일 오전 노환으로 돌아가셨다.

"한 시대를 풍미하시며, 많은 후학을 길러내시고, 모든 이의 귀감이 되셨던 증조부님께서 영면하셨습니다. 할아버지께서 살아생전 쓰신 문집을 어루만져 봅니다. 앞으로 제가 살아가는 인생길에 길잡이가 되어줄 것입니다. 늘 할아버지의 목소리를 통해 더 나은 사회인으로 거듭나도록 정진하겠습니다. 세상사 많은 근심과 걱정을 내려놓으시고 편히 잠드십시오."


덧붙이는 글 | 조중만 대학생기자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대학생기자가 취재한 것으로, 스쿨 뉴스플랫폼 한림미디어랩 The H(www.hallymmedialab.com)에도 게재됩니다.

[임진택 특별기고] 위악자 김지하를 위한 변명 | 중앙일보

[임진택 특별기고] 위악자 김지하를 위한 변명 | 중앙일보
Opinion :임진택 특별기고
위악자 김지하를 위한 변명
중앙일보
업데이트 2022.06.24

생명사상의 선구자 김지하를 추도하며


임진택 마당극 연출가, 창작판소리 명창

2022년 5월 8일 김지하 시인이 돌아가셨다. 그리고 49일이 되는 6월 25일, 가까운 지인들이 서울 천도교 대교당에서 김지하 시인을 추모하는 문화제를 만들어 고인의 혼백을 저 세상으로 보내드리는 마지막 재(齋)를 마련한다.

한국 현대사에서 김지하만큼 극과 극의 평가를 받은 사람은 거의 없다. 1970년대 김지하는 빼어난 서정시인이자 파격적인 풍자시인으로, 반독재 투쟁의 선봉에 서있던 상징적인 인물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그는 배신자 혹은 변절자라는 낙인이 찍힌 대표적 인물로 오인되었다. 김지하처럼 영광과 오욕을 동시에 받은 인물은 찾아보기 힘들다.

김지하 시인이 세상을 떠난 마당에, 이제 그동안 말할 수 없었던 불편한 진실을 털어놓아야 할 것 같다. 그것도 파격적으로….

김지하 시인은 위악자(僞惡者)였다. 위악자는 내가 만들어낸 신조어(新造語)다. 위선자(僞善者)의 반대말이다. 위선자가 비난받는 것은 당연하지만, 위악자가 비난받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김지하가 왜 위악자인지, 왜 더 이상 비난받아서는 안 되는지, 변명해보고자 한다.
선한 사람이면서 ‘목숨 걸고’ 악한 역할 자처했던 위악자
49재 맞아 시인을 기리는 추모 문화제 25일 서울서 열려
40년 전 기후위기·팬데믹 등 대전환 예견한 생명사상가
시인의 인간 변혁에 대한 고뇌와 구도적 일생 경외해야

민청학련 사건으로 첫 옥고


저항시인과 생명운동가. 지난 5월 타계한 김지하 시인은 한국 현대사를 비추는 거울과 같다. 25일 49재를 맞아 그의 고단했던 여정을 기리는 문화제가 열린다. [중앙포토]
===

1974년 4월 3일 긴급조치 4호 위반 ‘민청학련’ 사건이 터지고, 유신독재 정권은 이 사건에 터무니없는 용공조작을 시도했다. 김지하는 사건에 자신이 연루되자 직감적으로 중대한 결단을 내린다. 그것은 자신이 빠져나가려고 하면 할수록 상황은 더욱 악화할 것이며, 무엇보다 남은 학생들이 위험하다는 생각이었다. 그는 이 사건에 자신은 물론 지학순 주교, 박형규 목사, 심지어는 윤보선 전 대통령까지 끌어들인다. 도저히 빨갱이일 수 없는 저명인사들이 등장함으로써 공안당국의 용공조작은 민망 무색한 꼴이 된다. 그리하여 독재정권은 다음 해 2월 민청학련 사건 구속자들 대부분을 가석방한다. 김지하의 ‘목숨을 건’ 위악적(僞惡的) 지략이 일단 성공한 것이다.

사형선고를 받고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가 풀려난 사람이라면 당연히 자중하고 근신했을 법한데, 김지하는 그렇지 않았다. 장모인 소설가 박경리 선생의 정릉 집에 머물고 있던 김지하는 거기에 찾아온 동아일보 이부영 기자(전 국회의원)의 요청으로 옥중수기를 써 내놓은바, 3회에 걸쳐 연재된 ‘고행-1974’의 핵심 내용은 “인혁당 사건은 조작이며, 인혁당의 실체는 없다”는 것이었다.

유신 독재자는 노발대발했다. 민청학련을 용공으로 만들기 위해 인혁당 사건을 갖다 붙여놓은 것인데, 인혁당이 조작이면 민청학련도 당연히 조작 아닌가? 하여 유신 독재자는 유언비어(?)의 발설자 김지하를 다시 감옥에 가두었다. 오호, 그로 인해 김지하의 6년 독방 수형 생활이 다시 시작된 것이다.

사형선고까지 받고 형 집행정지로 풀려난 사람이면 당연히 ‘착하게’ 살아야 함에도 김지하는 ‘착하게’ 살지 않았다. 지배자의 입장에서 볼 때 김지하는 ‘악한 사람’이었다. 김지하는 선한 사람이면서 악한 역할을 자처한 위악자(僞惡者)였다. ‘목숨을 건’ 위악자였다.

박근혜 지지로 진보로부터 배척


김지하가 민주 진보진영의 사람들로부터 많은 비판 혹은 비난을 받게 된 계기가 두 번 있었다. 하나가 1991년에 벌어진 소위 ‘죽음의 굿판’ 필화사건이다. 당시 과도한 공안 탄압과 경찰 진압으로 시위 대학생이 맞아 죽거나 자결을 택하던 상황에서 김지하가 “죽음의 굿판” 운운하고 나섬으로써 민주화 운동이 타격을 입게 된 사건이다. 하지만 거기에는 중대한 오해가 개재되어 있다.

먼저 그 칼럼이 실린 조선일보 지면을 제대로 한번 살펴보라. 그 칼럼의 원제목은 분명히 ‘젊은 벗들, 역사에서 무엇을 배우는가?’이다. ‘죽음의 굿판 걷어치워라’는 중간 크기의 글자로 된 또 다른 소제목일 뿐, (물론 그같은 내용이 글 안에 들어있다 하더라도) 필자가 원래 정해놓은 그 칼럼의 방향이자 주제는 ‘젊은 벗들, 역사에서 무엇을 배우는가?’였다. 그런데 자극적인 소제목이 갑자기 부각되면서 필자의 언설(言說)이 침소봉대(針小棒大)되어 만파(萬波)를 일으킨 것이 바로 ‘죽음의 굿판’ 사건인 것이다. 이 사건은 굳이 그러한 발언을 하지 않아도 충분한 명예를 누리고 있던 김지하가 섬망(譫妄) 중에 저지른 위악적 행위의 자해적 결과였다.

김지하가 민주 진보진영의 사람들로부터 결정적인 비난을 받게 된 또 하나의 빌미가 ‘박근혜 지지’ 사건이다. 당시의 정치평론 중에는 “김지하가 박근혜의 품에 안겼다”는 식의 비유적 표현까지도 떠돌고 있었다. 여기에도 중대한 오해가 개재되어 있다.

김지하는 박근혜의 아버지인 박정희와는 철천지 원수지간이다. 박정희 폭압정권은 김지하가 보는 앞에서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고문했다. 김지하 자신이 황량한 독감방에서 일체의 면회와 운동마저 금지된 상태로 6년을 보냈다. 그러한 김지하가 대선 당시 박근혜의 방문을 받아들인 데는 이유와 조건이 있었다. 하나는 박정희와의 악연을 끊고 국민통합의 길을 모색하자는 것, 또 하나는 생명사상을 정치적으로 실현하자면 여성이(혹은 여성적인 것이) 앞장서야 한다는 것, 그리고 자기를 만나려면 배론성지 지학순 주교 묘소를 먼저 참배하고 지난 일을 참회하고 오라는 것 등이었다. 이는 ‘박근혜의 품에 안기는’ 것이 아니라박근혜까지 품에 안으려는’ 행동이었다고 봄이 옳다. 아마 상대 후보인 문재인이 찾아왔더라도 김지하는 당연히 방식을 달리하여 받아들였을 것이다. 이 사건은 김지하 스스로 후에 자신의 위악적 행동이 잘못된 판단이었다고 술회했으므로 일단락되는 것이 필요하다.

김지하가 세상을 떠나자 대다수의 언론이 그를 ‘저항시인’으로 부각했다. 작품 중에서는 정치풍자 담시(譚詩) ‘오적(五賊)’과, 민주화를 염원한 서정시의 걸작 ‘타는 목마름으로’를 대표작으로 꼽았다. 그 시들이 김 시인의 대표작이라는 데는 이의가 있을 수 없다.

하지만 김지하를 저항시인으로만 칭하는 것은 그의 세수(歲數) 여든 가운데 전반부 반절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다. 감옥에서 나온 1980년 이후 김지하는 시인과 더불어 사상가로, 생명운동가로 거듭났다. 그것도 아주 탁월한, 기실 전무후무한 사상가로.

1982년 김지하는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에 관련한 최초의 보고서를 초안하였다. 이 보고서를 무위당 장일순 선생을 비롯하여 원주캠프의 활동가들이 함께 읽고 토론하여 완성한 것이 바로 ‘생명의 세계관 확립과 협동적 생존의 확장’이라는 문건이다.

‘지하 형님’은 그 문건이 완성되자마자 어느 날 조용히 나에게 그 문건을 보여주었다. “죽음의 먹구름이 온 세계를 뒤덮고 있다”로 시작되는 첫 대목부터 나는 그 문건에 완전히 압도되었다. 앉은 자리에서 바로 탐독(耽讀)했는데, 한참을 기다려주던 지하 형님이 평가(?)를 구하는 것 아닌가?

나는 글의 내용에 너무나 감동한 나머지 급하게 이렇게 말을 지어냈다. “형님, ‘공산당 선언’ 이후 최고의 선언이 나왔습니다.” “그래?” 지하 형님이 뜻밖이라는 듯 어리둥절해 하면서도 기분은 좋으신 것 같았다. 나는 지하 형님이 더 물어보면 어쩌나 좀 걱정이 되었는데, 사실은 내가 ‘공산당 선언’을 읽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저항시인에서 생명운동가로

그 문건은 후에 주요 내용이 재정리되어 김지하의 산문집 『남녘땅 뱃노래』(두레출판사)에 ‘삶의 새로운 이해와 협동적 생존의 확장’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는 바, 기실 오늘날 우리와 전 세계가 겪고 있는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40년 전에 벌써 예견한 내용이었다.

‘생명의 세계관’의 핵심은 이원론적 세계관을 부정·극복한 일원론적 세계관을 설파한 것으로, 이는 천동설을 부정한 지동설에 비견할 만한 엄청난 사고의 전환, 문명의 대전환을 예고하는 것임에도 아직 일반화(보편화)되고 있지 못한 점이 못내 아쉽다.

이제 충격적인 ‘불편한 진실’을 털어놓아야 할 것 같다.

김지하 시인은 밀폐된 독감방의 외로운 면벽 생활에서 깊은 병을 얻었다. 그것은 정신적인 증상으로, 인간의 의지로는 어쩔 수 없는 불치의 천형(天刑)이었다. 감옥에서의 고통스러운 인내와 사유는 한편으로는 섬광(閃光)처럼 생명에 대한 깨달음으로 왔고, 한편으로는 섬망(譫妄)이라는 어두운 그물이 그를 감아 죄었다. 그가 불시에 저지른, 정상을 벗어난 (이해할 수 없는) 언행은 대체로 그 섬망 속에서 일어난 일시적 정신 착란과 연관이 있다.

우리는 오히려, 그러한 육체적 고통과 한계 속에서도 처절하리 만큼 치열하게 인간과 사회의 변혁과 완성을 고뇌하고, 지구와 우주 생명에 대한 전 일체적 깨달음에 다다른 김지하의 구도(求道)적 일생을 경외해야 마땅하다.

그는 이 세상을 떠났지만, 남은 우리는 그가 그토록 애타게 알려주고 싶었던 생명의 길, 평화의 길로 이 세상을 지키고 가꾸어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임진택 마당극 연출가, 창작판소리 명창

==
내 댓글
PICK
에디터픽 안내
최신순
joon****
8시간 전
네, 선생님 말씀대로 안타까운 분이죠, 생각할수록 눈에 눈물이 고이네요, 김지하선생님, 이제는 편히 영면하소서 !

답글 작성
좋아요
2

화나요
0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youn****
23시간 전
지금 김지하를 되돌아볼때 그는 대한민국을 지짜로 사랑하는 애국자요 참 민주화 운동가였다 그는 사면복권후 당시 야당에서 금뺏지를 달아주려 고 러브콜했지만 거절했었다 한세상보람있고 멋지게 살다가 가셨다 머리좋고 인물좋고 이런인물은 한세기에 하나가 나올뚱 말뚱 할것이다

답글 작성
좋아요
6

화나요
1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hsha****
2022.06.24  16:29
그대가 무슨 자격으로 고인의 판단을 일방적으로 섬망에 의한 정신착란의 결과라고 정의하는가? 이땅의 의식있다는 일부 지식인들은 여전히 종북 얼치기 좌파들의 논리에 사고의 틀이 정지해 있다. 북한정권의 인류사 최악의 인권유린과 독재에는 철저히 눈감고 그에 맞서 나라를 지키고 선진국으로 도약시킨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역사는 부정하려고만 한다. 그대는 도대체 어느 땅에서 교육받고 입에 풀 칠하며 자식들 키워 성장시켰으며 나름 명성도 얻었는지 그리고 그게 북한 땅에서는 가능하기나 했을지 진중하게 생각해 보기 바란다.

답글 작성
좋아요
38

화나요
13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hech****
2022.06.24  13:31
김지하 선생을 위악자로 묘사한것에 분노를 느낀다. 선생의 부친은 북괴의 조종을 받지 않는 대한민국 자생 좌파투사였다. 선생은 "국내의 모든 좌익을 북괴노동당과 연계하여 종북 뺠.갱.이로 일반화 시키는것" 에 반대 하셨다. 김지하 선생이 박근혜를 지지했기 때문에 좌파에게 배척당했다고? 공부좀 다시하고 이런 헛소리 그만 하기 바란다. 유감스럽게도 김지하 선생은 좌익이 아니고 사시는 동안 좌익였던적이 단 한번도 없다. 선생의 투쟁 대상은 민중의 권리를 짓누르는 독재였다. 종북, 좌익 세력들은 김지하 선생이 자기들 편을 들어 종북질에도도 앞장서 주길 원했겠지만 김지하 선생은 종북질을 칼같이 거부하신 분이다. 이런 선생의 바탕심성을 알아챈 종북좌익세력들은 선생을 철저히 외면했다. 특히, 김대중 정부때 눈에 띄게 선생을 헌작대기 취급하고 무시했고 노무현, 문재인도 마찬가지였다. 자유와 인권을 압살당한 인간의 분노와 서러움을 토로한 시인이자 순수한 민주화 운동가 선생을 존경한다.

답글 작성
좋아요
77

화나요
8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rmaw****
2022.06.24  12:05
김지하의 문화산업이 앞으로 먹거리사업이라고 대통령 박근혜에게 부탁하여 그리하여 케이 미르재단을 만들어 예체능에 종사할 인재들 보살펴 주려고 시작했는디 촛불부역자 조중동놈들과 촛불수괴 문제인에게 뒤치기 당했지

답글 작성
좋아요
42

화나요
7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The JoongAng
[최진석 칼럼] 야망과 필요와 감동
[최진석 칼럼] 야망과 필요와 감동
rmaw****
2022.06.24  11:59
김일성 주사파 좌익 문화예술인놈들 림을 위한 행진곡이나 떼창 나팔불다가 디져라 니놈들은 국가에 전혀 도움이 안되는 개 쓰레기놈들이다

답글 작성
좋아요
35

화나요
3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join****
2022.06.24  11:00
70년대 반미 아프리카국에 서 바람 불었던 Yankee go home을 답습하여 대가리엔 붉은띠 묶고 주접의 향연을 펼쳤던 86그룹. 낭만적이고 감성에 찌들은체 저쪽 뒷산 돼지혈통가의 주체사상을 꺼집어 들고 독제타도니 하며 미군철수. 양키 고 홈 하며 가짜 민주주의 외쳤던 86그룹, 최악의 위선자들로 똘똘 뭉쳤던 86그룹, 위선의 꼭지점을 형성해 세력화 하며 대한민국 온갖 권력의 헤게모니를 꿰찼고 꿰차고 있는 86그룹과는 김지하는 전혀 달랐지.

답글 작성
좋아요
44

화나요
4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jayc****
2022.06.24  10:41
운동권은 '두 부류'로 나눠진다.하나는, '주체사상으로 무장'하고독재반대 했던 자들.나머지는, '순수히 독재반대'를주장했던 자들.'김지하'는 후자에 속했다.

답글 작성
좋아요
53

화나요
1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stor****
2022.06.24  10:24
잘디졌다는 우좀 글을 보니 마음이 한결 편해졌다

답글 작성
좋아요
4

화나요
25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tech****
2022.06.24  08:34
소위 민주화운동을 하는 인간들의 실체를 보고 뭔가 크게 깨달은듯합니다/

답글 작성
좋아요
56

화나요
1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The JoongAng
15세 간 빼고 눈 뽑힐 뻔했다…英데려간 의원 부부의 두 얼굴
15세 간 빼고 눈 뽑힐 뻔했다…英데려간 의원 부부의 두 얼굴
bsks****
2022.06.24  08:10
이런 놈들 잘디졌다

답글 작성
좋아요
12

화나요
63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forn****
2022.06.24  06:56
무위당, 조한알 장일순 선생을 만나 오랜동안 극심하게 상처받았던 마음을 위로받고, 난치기를 배우고 무수히 반복하며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고인을 존경합니다. 모지란 후학들이 이러쿵저러쿵해도 다 받아주실 분입니다. 큰 사랑은 분별없이 모두를 품어주는 것이겠지요. 내일이 49재군요. 선생의 명복을빕니다.

답글 작성
좋아요
79

화나요
2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hiye****
2022.06.24  05:28
말씀을 묘하게 하시네요. 김지하씨를 초기 저항시인으로서만 존경하고 , 그의 후기의 죽음의 굿판을 걷어 치우는 삶은 섬망 속에서 일어난 일시적 청신 착란으로 치부해 버리는 듯 여겨집니다. 처음에는 알지 못해 이 쪽 길을 택했으나 후에 제대로 알아 보고 저 쪽 길로 나갔다고 보는 것이 더 자연스럽지 않나요?

답글 작성
좋아요
38

화나요
19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이란 무엇인가 No.4 : 모리시타 나오키 | 노성학 연구소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이란 무엇인가 No.4 : 모리시타 나오키 | 노성학 연구소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이란 무엇인가 No.4 : 모리시타 나오키
 2020.12.04


이츠키 슌히코의 「도요 철학」이란 무엇입니까?
일본 형이상학과 21세기 리얼리티
노화 연구소 대표 모리시타 나오키

제4회 21세기의 일본 형이상학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의 핵심은 익숙하지 않은 말일지도 모르지만 일본 형이상학이다. 그렇다면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철학은 일본의 형이상학 속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 그리고 또 21세기의 리얼리티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이것이 마지막 회의 고려 사항의 초점입니다.
---
형이상학이 리얼리티의 근거를 둘러싼 지적인 탐구라고 하면, 여기서 말하는 일본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일본어로 쓰여진 형이상학일까. 아니면 일본인이 쓴 형이상학일까. 그 중 어느 것도 아니다. 일본 열도의 풍토 속에서 길러진 형이상학적인 전통을 적극적으로 계승해 이를 발전시킨 형이상학을 말한다.

사람은 누구나 특정 시대와 사회 속에서 태어나 성장하는 이상 해당 문화(의미 해석의 연관)를 계승하게 되지만, 이것은 당연하다. 그 이외의 방식으로 사는 것도, 생각할 수도 없다. 그러나 보통 자신의 생활과 사고 뒤에 있는 문화를 자각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문화의 근간에 있는 리얼리티의 근거를 둘러싼 전통에 관해서는 더욱더 일 것이다.

하지만 그런 자각을 가능하게 하는 기연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것이 외부 타인(의 형이상학)과의 만남이다. 일본 사상에 그런 자각은 지금까지 세 번 있었다. 
  1. 헤이안 시대 초기부터 가마쿠라 시대에 걸쳐 형성된 일본 불교, 
  2. 도쿠가와 시대에 퍼진 일본 유교와 국학, 
  3. 그리고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에 걸쳐 모색된 일본 철학이다. 
그 모두 핵심에는 형이상학이 있다.

일본철학에 이야기를 짜면 그 전개는 3단계가 된다. 왜 3단계라고 하냐하면 근대화 그 자체가 3단계로 구분되어 그에 따라 자각의 내용이 변용되기 때문이다.

근대화란, 제 생각으로는, 사회 집단에 포괄되어 있던 여러 기능이 기능 시스템으로서 분립해, 상호 연관하는 경향을 말한다. 그리고 그 경향은 19세기의 <전통적 근대>에서 20세기의 <현대적 근대>21세기의 <오늘적 근대>로 이어지고 있다. 덧붙여 시대 구분의 상세에 대해서는 별서에 양도한다(『〈쇼와 사상〉신론』).

〈전통적 근대〉란 서양의 전통과 근대화(예를 들면 증기기관과 가스등)가 충돌한 서양 근대의 시대이다. 이 충돌 속에서 19세기 서양철학이 태어났다.

다음 <현대적 근대>서양 근대를 벗어 순화된 근대(자동차와 전기)의 시대다. 근대의 자립과 순화를 받아 20세기 세계철학이 태어났다.

그리고 <오늘적 근대>자립한 근대를 더욱 벗어난 초근대(글로벌화와 디지털화)의 시대다. 사견에서는 이 초근대의 과제에 부응하는 21세기 철학은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일본철학의 행보는 서양화=근대화 뒤에 있는 형이상학과의 격투의 궤적이다.

우선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에 걸쳐 사람들이 만난 것은 제1단계 서양 근대이다. 이때 지배적인 패러다임이 된 것이 '서양(근대) 대 동양(일본)'이라는 틀이다. 다만 '서양근대'를 파악하는 방법의 심도에 따라 '동양(일본)'을 파악하는 방법도 변화했기 때문에 이 시대는 4기로 나뉜다.

(1) 막부 말기에 주창된 것이 「서양 예술 대 동양 도덕」(사쿠마 상산)이다. 거기서 대립하는 것은 이차원의 물질과 정신이다.

(2) 메이지 초기에는 「서양 문명 대 문명」이 내세워졌다. 여기에서는 문명화라고 하는 공통의 토우쿠 위에서, 서양 문명을 넘는 문명이 목표로 되었다(후쿠자와 유키치). 철학자의 서주의 경우, 그것은 콩트의 학문체계를 넘는 학문체계의 구축이라는 지향이 되었다.

(3) 메이지 중기, 「서양 철학 대 동양 철학」이 합언이 되었다. 여기에서는 철학=형이상학을 공통의 토대로 하면서 서양철학과 늘어선 동양철학의 확립이 지향되었다. 대표자 이노우에 엔료와 이노우에 테츠지로는 동양철학의 핵심을 '현상 즉실재론'으로 파악했지만, 그 '실재'는 전통적인 진여와 이치였다.

(4) 메이지 후기부터 다이쇼기에 이르는 시기, 전통적인 실재를 경험의 근저로 탐구한 형이상학이 등장했다. 그것이 니시다 철학이다. 여기에 이르러 ‘동서문화의 종합으로서의 일본’이라는 틀이 명확해졌다.

다음으로, 다이쇼 후기부터 쇼와기에 걸쳐 사람들이 만난 것은, 제2단계의, 서양을 벗은 순수 근대이다. 이때 지배적인 패러다임은 '근대대동양(일본)'이다. 일본철학의 계승자들은 근대를 넘는 원리를 탐구했다.

와쓰지 테츠로는 자본주의=개인주의=이기주의의 근대에 대항하여 간접 관계주의와 풍토에 근거한 공동체를 거점으로 삼았다.

타나베 모토는, 신체에 뿌리를 둔 공동체(종)를 기반으로 하면서, 이것과 특수끼리의 이해 대립을 부정적으로 매개하는 보편=국가를 이상으로 했다.

미키 키요시는 고대의 실체주의(수공예)와 근대의 기능주의(기계기술)를 변증법적으로 통일하는 사회기술에 주목하여 이에 따른 사회변혁에 베팅했다.

고산암남高山 岩男(こうやま いわお)은 유럽중심주의=백인지상주의=합리주의=인간중심주의의 근대에 대항하기 위해 천인합일의 경지와 동아시아 공동체에 일본국가의 활로를 요구했다.


그러면, 제일의 질문,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철학=일본형이상학은 일본철학의 전개 속 어디에 위치할 수 있을까.

이즈쓰가 자른 '동양'은 '정신적 동양', 즉 의식의 심층 차원이다. 그것은 신체 경험에 의해 공개되는 세계이다. 그리고 신체=자연 현실은 20세기 세계철학의 기반이었다. 
  • 일본 츠지의 풍토, 
  • 타나베의 종의 논리, 
  • 미키의 기술, 
  • 다카야마의 천인 합일은 
모두 신체=자연 리얼리티를 지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즈쓰의 동양 철학의 위치는, 근대화의 제2 단계, 즉 20세기의 현대적 근대에 대항하는 패러다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즈쓰의 동양철학=일본형이상학은 신체=자연 리얼리티를 바탕으로 한 한 
20세기 세계에 대해 일정한 실천적인 의의를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의식의 심층 차원에서 표층 의식의 세계를 바라보고 기성의 규범적·가치적인 리얼리티를 유동화한다

구체적으로는 
  • 욕망에서 나오는 대립이나 다툼에 대해 관용과 평화를 밀어내고, 
  • 죽음의 공포나 사랑하는 것과의 별리에 대해서는 진혼과 위령을 준비하고 
  • 자연환경에 대해서는 공생을 추진한다. . 
이렇게 행복의 의미를 재검토하고 마음의 평화를 가져온다. 그것은 20세기 후반을 사는 사람들의 소원이었다.

그런데 21세기 글로벌화와 디지털화로 리얼리티가 변용한다. 
이 때 철학에 요구되는 것은 무엇보다 신체=자연 현실과 디지털 현실을 통합하는 새로운 틀이다. 
이 틀 안에서 AI 로봇과 동물과 인간과의 경쟁적인 공생이나 사후의 영혼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제2의 질문, 이즈쓰의 동양철학=일본형이상학은 21세기의 리얼리티 속에서 어떠한 의의를 가지는가. 더 이상 역할을 완수한 것일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즈쓰의 심층 의식의 차원을 한층 더 철저히 하면, 21세기의 리얼리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즈쓰가 잘라낸 심층의식은 의식=말의 차원과는 다른 코토바=구별의 차원이다. 
이 차원은 
  • 공해Kukai와 도모토의 일본 불교에서 
  • 인사이와 소후의 일본 유학을 거쳐 
  • 이노우에 테츠지로와 니시다의 일본 철학에 이르기까지 
모든 일본 사상을 관철하고 있는 형이상 학적 전통이다. 

이즈쓰은 그러한 전통을 널리 동양철학 전체 안에 자리매김하고 구조화하고 논리화해 보여줬다. 이것은 이즈쓰의 공적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거기로부터 한 걸음 더 나아가, 코토바=구별의 차원이 허공에 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끼리의 커뮤니케이션중에서 교환되고 있다고 하는 지점까지 가지 않았다.

커뮤니케이션 일반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생물끼리의 커뮤니케이션, 물체끼리의 커뮤니케이션, 장기끼리의 커뮤니케이션(인체), 세포끼리의 커뮤니케이션, 물질끼리의 커뮤니케이션과 나란히, 의식도 또 커뮤니케이션으로서 보이고 있다. 

의식=말의 세계의 토대는 단순한 신체=자연의 리얼리티가 아니다. 것끼리가 코토바를 주고받는 커뮤니케이션의 리얼리티인 것이다.

「물건끼리의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는 일반적인 견지는, 물리학의 초현 이론으로 말하는 멤브레인(막)이든, 니시다 철학의 말하는 것끼리가 일하는 장소이든, 그들을 <물끼리의 커뮤니케이션의 네트워크>로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의 내측으로부터 시스템이 형성된다고 생각할 때, 거기에 문계리계의 학문을 포괄하는 플랫폼이 부상한다. 21세기의 철학은 그 커뮤니케이션의 시스템 이론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보인다고 생각된다.
===
* 이상의 이즈쓰론은 구상 중인 '근대 '일본형 이이상학'이란 무엇인가--니시즈미·이노우에 테츠지로·니시다 기타로·이즈쓰 도시히코' 에 들어갈 예정이다.


(편집:마에자와 유키코)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이란 무엇인가 No.3 : 모리시타 나오키 | 노성학 연구소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이란 무엇인가 No.3 : 모리시타 나오키 | 노성학 연구소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이란 무엇인가 No.3 : 모리시타 나오키
 2020.12.04

이츠키 슌히코의 「도요 철학」이란 무엇입니까?
일본 형이상학과 21세기 리얼리티
노성학 연구소 대표 모리시타 나오키



제3회 말 이전의 코토바의 세계

전회까지 이통이 포착한 동양철학의 세계를 정사해 왔다. 이번에는 의문점을 파고들면서 생각해보고 싶다. 고려사항의 초점은 우물통의 의식 구조 모델이다. 이것을 3개의 기둥이 지지하고 있었다. 순서대로 검토하자.

우선은, 제1의 기둥인 의미분절 이론으로부터 시작한다. 

  • 이 이론의 근본적인 견지는 의식=말=분절=존재이며, 
  • 거기에서 말 이전의 존재=혼돈(절대 무분절)으로 되어, 분절=보편적 본질이 된다. 
  • 이 견지의 원은 대승불교의 선이겠지만, 이통은 이 이론을 전제로 해서 이론을 진행하고 있다.
  • 그러나 이 전제를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 「성희롱」이라는 말을 예를 들어 생각해보고 싶다.

확실히, 이 말이 이용되게 되어 처음으로, 그때까지 엉망이었던 유사한 사상이 <성희롱>이 되었다. 그러니까 <성희롱>이라는 사건은 '성희롱'이라는 말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말할 수 없다. 
  • '성희롱'이 지시하는 것은 '보편적 본질'이다. 
  • 사고는 이 보편적 본질에 비추면서 사건에 대해 판단하거나 추론하기도 한다. 
  • 이처럼 '성희롱'과 관련된 다양한 개인, 관계, 인과의 세계가 나타난다. 
  • 또한 이 세계에는 일상의 커뮤니케이션(파롤)을 통해 '성희롱' 관련 '~다움'이나 '~ 있어야 한다'라는 일련의 가치와 규범이 붙여진다.

그러나 '성희롱'이라는 말이 태어나기 전에 사건으로서의 <성희롱>은 존재하지 않았는가. 
  • 그렇지 않을거야. 명확하게 분절되지 않고 인지되지 않았을 뿐이다. 
  • 말이 없는 존재(사건), 또는 말 이전의 존재는 당연히 있다.
  •  그 존재는 말=분절에서 보면 무분절에 비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무런 구별을 가지지 않고, 무분절=혼돈이라는 것은 되지 않는다. 
  • 오히려 말 = 분절과는 다른 구별을 상정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사실, 말 이전의 존재의 세계란 구체적으로 말하면 의식=말을 갖지 않는 생물이나 물체의 세계이며, 거기에는 여러 가지 구별이 있다.

인간의 의식=말이 존재를 분절(区分)한다는 것은 말이 없는 세계의 여러 가지 구별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기파(빛)의 자극을 시세포는 2분에서 4분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말이 더 3색으로 고정한다. 
의미분절 이론은 인간의 의식=말=분절의 세계로 한정되어 있다. 
인간 이외의 생물이나 물체, 물질과 같은 자연의 세계에도 어떠한 구별이 있는 이상, 
여기에도 말과는 다른 코토바=구별, 말=분절 이전의 코토바=구별이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

은 단순한 명칭도 명사의 시차연관(랑)도 아니고, 커뮤니케이션(파롤) 중에서 명지나 호소로서 일하고 있다. 무언가를 교환하는 것이 커뮤니케이션이며, 이 중에서 교환되는 무언가가 말이다. 그렇다면 생물끼리나 물체끼리, 물질끼리도 커뮤니케이션 속에서 음성이나 생체분자나 빛에너지를 교환하고 있는 한, 그들을 말(기호)이 되지 않는 코토바로 간주해도 결코 황당무료가 아니다. 이 관점에서는 의식에 대해서도 내부에서 말을 주고받는 커뮤니케이션으로 간주된다. 이즈쓰의 의미 분절 이론(랑)이 부족한 것은 이 커뮤니케이션(파롤)의 관점이다.


다음은 A 표층 의식과 심층 의식의 구별 및 후자의 중층 구조이다. 단어 = 존재를 비추는 표층 의식을 수직 방향으로 내려가면 그 앞에 나타나는 것이 심층 의식이다. 이 심층 의식을 구성하는 것은 
  • 시적 신화적 상상의 세계 M, 
  • 언어 아라야식 B, 
  • 무의식 C, 그리고 
  • 의식의 제로 포인트의 
    • 4층이다. 
그러나 왜 이 4층인가. 그리고 각각의 정체는 무엇인가.

동양철학의 사고 타입 중 절대무의 사고나 의 사고, 정명의 사고의 경우, 무의식과 의식의 제로 포인트의 2층만으로 끝난다. 우화의 사고가 되면 더욱 M이 더해진다. 
4개의 층 모두를 필요로 하는 것은 원형 생각만이다. 
즉, 다채로운 원형 사고를 포괄하기 위해 사층이 설정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물이 원형 사고가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심층 의식의 처음에 나타나는 것이 시적 신화적 상상의 세계 M이다.

표층 의식의 차원에는 현실의 분절에 맞는 이미지군이 있지만, 
심층 의식의 차원에는 현실 이미지를 데포르메한 비현실 이미지가 충만하다
이미지는 의식 내부의 단순한 형태 (형상)가 아니라 시간의 변화를 관통하여 지속되는 형태의 동일한 패턴 (형)이다. 
그러므로, 현실 이미지와 비현실 이미지의 차이패턴=형태의 디포르메 정도의 차이가 된다.
환경으로부터 오는 외부 자극을 기연으로 표층 의식의 내부에 패턴=형이 발동되어 지각 경험을 낳는다. 
그러나 외부 자극이 차단되면 심층 의식의 내부에서 패턴=형이 쓸어넘기고 다의적인 상징(심볼)을 산출해 비현실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그것이 몽상이나 환상이다.

둘째는 「언어 아라야식」B이다.

이것은 패턴 = 유형을 기록하고 유지하는 장소입니다. 
환경과의 작용 속에서 형성되고 심층 의식의 차원에서 디포르메된 패턴=형은 뇌세포끼리의 동형 패턴으로서 물질화되어 축적된다. 
그것이 기억의 신체적 토대이다. 이 기억에 지탱할 수 없다면 의식은 잘 작동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나의 노성학 연구소를 처음 방문했다고 하자. 쿄로쿄로와 곳곳을 돌아다닌 만큼 세세한 부분을 거의 기억할 수 없다. 여러 번 방문을 거듭하면서 마침내 세부 사항이 보인다. 의식의 일을 기억이 배후에서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기억된 패턴=형에는 문화 유래의 것도 있고, 생물 유래의 것도 있다. 
그럼, 이즈쓰가 말하는 「원형」은 어디에서 유래하는 것일까. 
예를 들어, 음양이원의 조합으로부터 전개하는 팔경십육경은 훌륭한 체계이다. 
또한 아자에서 분기한 알파벳과 카바라의 십개의 '세피로트'도 마찬가지다. 
이때 일하고 있는 것은 체계를 만들려고 하는 도식적 사고이다. 
이것은 다양한 패턴 = 금형을 조작하여 원래 금형을 만듭니다. 
원형의 사고란 체계를 지향하는 도식적 사고이며, 널리 말하면 형이상학적 사고를 말한다.

형이상학적 사고란 무엇인가. 기호를 조작하는 추리의 커뮤니케이션이 자신에게 되돌아가서 보내면, 거기에 무한히 자기 언급을 반복하는 반성의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난다. 
그 고차화한 것이 형이상학적 사고이다. 
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면, 그것은 극한까지 갈라진 의식을 의식하는 메타 의식이다. 
이것이 심층 의식의 차원에 있는 상상 세계, 언어 아라야식, 심지어 다음에 검토할 무의식과 의식의 제로 포인트를 능숙하게 정사한다. 
그러나 형이상학적 사고는 우물통의 의식 구조의 어느 곳에도 위치하지 않았다.

세 번째는 무의식 C의 층이다.

무의식이란 무엇인가. 이즈쓰 도시히코는 그것을 의식=말이 생기지 않은 차원
혹은 의식=말이 일어나지 않는 차원이라고 밖에 설명하고 있지 않다. 
거기서 나 나름대로, 무의식이란 본능(욕동)이라는 패턴=형에 의해 통어된 정동의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이라고 생각해 본다. 
본능에 의해 통고된 정동의 차원은 의식 전체에 에너지와 정보(형)를 주입한다. 
다만, 인간의 경우 본능의 차원이 독립적으로 일하는 것은 드물며, 대부분은 거기에 의식=말이 겹친다. 
로렌츠가 말하는 것처럼 문화적인 의식 행동본능적 행동을 수식한 것이다.

넷째는 「의식의 제로 포인트」이다.

이것에 대해서도 이즈쓰 도시히코의 설명은 부족하다. 
내 해석을 추진한다면 본능에 의해 통어된 정동 커뮤니케이션의 바닥은 신체이며, 
제로포인트는 신체의 중심(자기)이 된다. 
그것은 다마시오가 추측하는 것과 같이 신체를 구성하는 세포끼리의 다중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고차원의 중심(자기)일 것이다. 이 신체의 중심(자기)은 말을 발하지 않는다.

심층 의식의 다중 구조는 수행의 몸에서 실행되고 체득된다
따라서 심층 의식은 신체 경험이다. 
갈라진 메타의식인 형이상학적 사고가 심층의식=신체경험을 정사하고 
그 내용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검토하는 것은, 제3의 기둥, 동양 철학을 분류하기 위한 열쇠가 되는 「보편적 본질」이다. 
이즈쓰는 다양한 본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중요한 본질의 본질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말하지 않았다. 
본질의 원은 패턴 = 형이고 패턴 = 형의 원은 물건의 형태이다. 
물체의 형태가 표층 의식에 비추어지는 것은, 신체에 기초한 지각이 복잡한 자극을 축감하고, 이 축감된 형태를 의식=말이 더욱 단순화하는 것에 의한 것이다. 
축소와 단순화의 변환에 의해 의식된 형태를 직관하면, 변하지 않는 패턴=형이 얻어진다. 
물건의 형태는 패턴 = 유형의 표현이고 패턴 = 유형은 본질입니다. 
보편적 본질, 개별적 본질, 종적 본질, 개념적 본질의 구별은 그 위의 이야기다.

표층의식에 비추어지는 패턴=형은 변환에 의해 축감·단순화되고 있다. 
이 견지에 서면, 의식=말의 세계에 있어서의 패턴=형의 측으로부터, 
단어 이전의 코토바의 세계의 사물에 대해서도 패턴=형이 있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이것을 반대측에서 보면, 코토바의 세계의 패턴=형이 변환되어 의식=말의 세계의 패턴=형이 생기고 있다. 
이 변환의 논리에 의해서 처음으로, 
의식=말의 세계와 코토바의 세계가 패턴=형에 있어서 대응지어지고, 
의식=말의 외부에 있는 코토바=구별의 세계에 대해서 말로 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의식=말의 세계 외부에는 말 이전의 코토바, 따라서 의식의 커뮤니케이션 이외의 커뮤니케이션의 세계가 퍼진다. 
이를 탐색하는 방향은 수평 수직의 두 가지다. 
수평 방향에는 인간의 말과 나란히 생물의 소리나 물체가 일으키는 음향이 있다. 
수직 방향으로는 인간의 의식의 기반인 신체 내부에서 세포끼리 상호 작용하는 생체분자의 진동음이 있다. 
그리고 두 방향이 겹치는 곳에, 물건끼리가 <물건=코토바>를 교환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세계가 나타난다(계속한다).

(편집:마에자와 유키코)

2022/06/25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이란 무엇인가 No.2 : 모리시타 나오키

井筒俊彦の東洋哲学とは何か No.2 : 森下直貴 | 老成学研究所
井筒俊彦の東洋哲学とは何か No.2 : 森下直貴

 2020.12.04

이즈쓰 도시히코의 「도요 철학」이란 무엇입니까?
일본 형이상학과 21세기 리얼리티
노화 연구소 대표 모리시타 나오키


제2회 동양철학의 세계

이즈쓰는 동양철학을 정리하기 위해 설정한 공시적 구조모델에 근거하여 '보편적 본질'의 실재를 축으로 하여 동양철학 전체의 분류를 수행한다. 본서에서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은 부분도 있다. 그 때문에 제 생각으로 과감히 정리하고 다시 보편적 본질의 실재를 부정하는 입장(N)의 3가지 타입과 긍정하는 입장(P)의 3가지 타입으로 정리해 보았다. 아울러 알기 쉬움을 고려하여 내가 만든 개념도를 더한다.

우선 보편적 본질을 부정하는 입장(N)부터 시작한다. 이것은 표층의식의 차원을 뚫고 무극이라는 의식의 제로포인트로 돌아가 그 시점에서 표층의식에 포착된 분절의 리얼리티를 미망으로 부정한다. 이 입장에는 대승불교의 제1타입(N1) , 베단타 철학(특히 샹카라의 불이일원론)과 이븐아라비의 존재 일성론의 제2타입(N2) 이 있다.

두 유형은 표층 의식을 미망으로 간주하고 보편적 본질을 부정하는 점에서는 일치하지만, 
무극의 포착 방법이 대조적이다. 
대승불교의 경우 절대 무분절적 무의 관점에서 현상계는 길조적이고 자성을 가지지 않는다고 한다. 
반대로 샹카라와 이븐 아라비에서는 절대 무분절적 유가 경험 세계의 모든 개체에 내재·구현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개체라는 모습은 가상·그림자·환상에 불과하다고 한다. 즉, 절대무의 사고와 절대유의 사고의 차이이다. 

두 종류(사고)를 도 2, 3 에 나타낸다.









그 외, 선과 유사한 타입에 샤머니즘(후술하는 긍정의 입장의 제2 타입)을 철학적으로 밀어넣은 장자의 철학이 있다. 이것은 우화에 의한 환상 이미지를 구사하면서, 모든 사물 사건은 꿈 환하게 해 상대적이며, 어떠한 확고한 본질도 없다고 본다. 이것을 제3타입(N3)의 우화의 사고 로 하자. 이것을 도 4 에 나타낸다.



이어 보편적 본질의 실재를 긍정하는 입장(P) 으로 넘어간다. 여기에도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첫째, 제1타입(P1) 의 전형은 중국의 주자에 의해 대성된 송학이다. 주자는 정좌와 격물 궁리를 통해 의식의 무극에 이르고, 무극의 표면인 태극을 만물의 이리로서 파악하고, 이 이가 표층 의식의 차원의 현상 속에 (성으로서) 내재하는 것을 확인한다. 이치는 만물이 고유의 목적을 가지고 완성에 이르고 유기적인 우주를 짜는 것이다. 이것이 리의 사고다. 도 5 에 도시된다.



제2타입(P2) 은 의식의 시원(무극)으로부터 아키타입(원형)이 생겨, 이것이 원형 이미지로서 상상되어, 이 원형 이미지가 현현하는 가운데 표층 의식의 리얼리티가 성립한다고 한다. 여기에 속하는 것은 신비주의, 샤머니즘, 진언불교의 만다라, 음양오행의 용이, 카바라의 세피로트 등 시적 신화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사상이다. 이들이 원형의 사고다. 도 6 에 도시된다.




제3타입(P3) 은 심층의식의 제로포인트까지까지 가지 않고, 따라서 심층의식의 차원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표층의식의 차원에서 보편적 본질을 정확하게 파악하려고 한다. 이 전형은 플라톤의 아이디어 이론이지만, 동양 철학에서 그에 해당하는 것이 공자의 정명론이며, 또한 바이셰시카파의 존재론이다. 정명의 사고 라고 부르자. 도 7 에 도시된다.




이즈쓰는 본서의 「후기」 중에서, 공시적 구조화에 의한 동양철학의 분류는 자신의 일의 제1단이며, 그 위에서 주체적인 시점의 구축이라고 하는 제2 단계에 옮길 필요가 있다 라고 말하고 있다.

그 경우 일본인은 메이지 이후의 수용·흡수 속에서 표층의식에 서양적인 것이 정착하면서 그 심층의식에 동양적인 것이 뿌리 내리고 있다. 
그래서 동서의 2축을 가진 일본인이라면 자기 속의 동양적인 것을 음미함으로써 현대의 세계 상황을 향해 '동양철학'을 내세울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포착 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본 철학」을 담당한 이노우에 테츠지로나 니시다 기타로에 의해서도 말해지고 있었다. 이즈쓰의 동양철학은 '일본철학'을 계승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일본인으로서의 이즈쓰 도시히코는 무엇을 자신의 주체적인 동양 철학적 시점으로 한 것인가.

일본의 형이상학적인 전통 중 이즈쓰가 주목하는 것은 
  • 동양철학은 선(N1)과 밀교(P2)의 두 가지이다. 
  • 선도 밀교도 신체 수행이 전제에 있다
  • 그 철학상의 입장은 머리로 비틀어낸 것이 아니라, 
  • 갈라진 의식에 의해 신체 경험을 말로 한 것이다.

선에 대해서는 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무분절 존재라는 심층의 극점에서 보면 표층 의식에 비치는 유 "본질" 존재의 리얼리티는 일거에 유동화하고 비 "본질" 존재의 리얼리티가 나타난다. 이처럼 심층과 표층의 이중 시선을 거듭해 리얼리티를 보는 것이 선의 사고다. 스즈키 오오츠키는 이 사고를 「즉비의 논리」라고 불렀지만, 이즈쓰에 의해 훌륭하게 말로 논리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선의 극점은 일상의 말을 이용해 말을 넘는 언어도단의 경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상의 말과는 다른 코토바(진언)의 차원, 따라서 표층 의식의 말=존재를 넘는 심층 의식의 코토바=존재가 있고, 이것을 개시하는 것이 밀교이다.
밀교의 원형의 사고에 대해 이즈쓰는 별서(『의미의 깊이에』) 속에서, 의미분절 이론에 근거해 이하의 대담한 해석을 실시하고 있다.

현실의 근원은 의식의 제로 포인트에서 발생하는 순수한 시니피안 (아자)이다. 
이것은 진동하여 시니피안 그룹으로 분할합니다. 
그리고 이 분절군 주위에 명확한 형태를 가지지 않고 부유하고 있던 시니피에군이 불려 들어 거기에 가능한 의미 연관(시니피안=시니피에)을 형성한다. 
그것이 언어 아라야식의 원형이다. 
이어서,이 원형은 다양하게 분화되어 원형의 이미지 (심볼) 그룹이된다. 
그것이 예를 들어 상상 세계의 진언 만다라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들의 다채로운 원형 이미지는 표층 의식에 나타나고, 눈에 보이는 현실이 된다.

이상의 해석은 공해Kukai가 현대 언어 철학자로 등장한 것처럼 참신하다. 
이즈쓰 도시히코 자신은 선의 절대무의 사고에도 끌리고 있지만, 
동양철학의 시좌로서 선택하고 있는 것은 원형의 사고쪽일 것이다. 
일본 사상이라고 하면 해외에서는 에 주목되지만
일본인의 신체와 감성에 짜여져 있는 점에서 보면, 밀교의 전통은 뿌리깊고 지속적이다. 
공해는 고대 동아시아 세계에 충만한 주술적 감성(샤머니즘)을 철학적으로 세련시켰다
즈쓰 도시히코의 형이상학은 그 공해Kukai의 소생·부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계속).

(편집:마에자와 유키코)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이란 무엇인가 No.1 : 모리시타 나오키 | 노성학 연구소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이란 무엇인가 No.1 : 모리시타 나오키 | 노성학 연구소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 철학이란 무엇인가 No.1 : 모리시타 나오키 
2020.12.04





이즈쓰 도시히코의 「도요 철학」이란 무엇입니까? 
일본 형이상학과 21세기 리얼리티

노성학 연구소 대표 모리시타 나오키

이즈쓰 도시히코의 '동양철학'은 형이상학이다. 그것은 일본의 형이상학의 전통 속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 그리고 또, 21세기의 리얼리티의 변용 속에서 어떠한 의의를 가질 수 있을까. 이 논고에서는 이즈쓰 도시히코의 대표작 '의식과 본질'을 거론하고 그 내용을 정사한 후, 나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이론의 관점에서 질문의 대답을 찾는다. 총 4회.

제1회 공시적 구조화의 방법

이즈쓰 도시히코(1914~1993)는 이슬람 철학의 세계적인 권위였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독자에게 있어서는 그 이상으로 독자적인 방법론에 근거해 완막인 '동양 철학'의 본질을 파악하고, 세상에 알린 희대의 귀학이었다. 20 몇 국어를 조종하는 천재였기 때문에 원래 외국어의 저작과 논문이 많았다. 사보에 접한 프랑스의 철학자 데리다는 이즈쓰 도시히코을 아는 거장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27년이 된다. 최근에는 드디어 일본어판 전집이 간행되어 그의 철학의 전체상이 밝혀지고 있다. 철학의 동행자에게 있어 이통 슌히코의 동양 철학을 논하는 것은, 언젠가 완수해야 하는 숙제라고 할 수 있다.

나는 그동안 그의 대표작인 '의식과 본질'(이와나미 서점, 1983년)을 세 번 읽었다. 첫번 째 눈은 1984년, 유감스럽지만 동양철학의 깊이에 압도되는 것만으로 이해에는 멀었다. 두 번째는 잊지 못하는 2011년, 이통의 사상의 대요는 잡았지만, 자신의 견지가 미완성이었기 때문에 생각하도록 논할 수 없었다. 그리고 2020년의 이번에, 드디어 손에 넣은 나 자신의 시스템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관점에서, 그의 동양 철학을 「일본 철학」안에 위치시켜 보고 싶다고 생각했다.

「동양철학」이란, 이즈쓰 도시히코의 생각에 따라 말하면, 의식의 심층 차원에 들어가 리얼리티를 포착하는 사고의 총칭이다. 동양은 일반적으로 중동 유대와 이슬람에서 인도를 거쳐 중국과 일본에 걸친 지리적 개념이다. 하지만, 이통의 생각으로는, 의식의 심층에 밟히는 한, 「정신적 동양」은 서양에도 있는 것이 된다. 그 동양철학은 리얼리티의 근거를 탐구하기 때문에 모두 형이상학이다.

'형이상'의 출처는 '이케이'의 연결사전상 12의 '형이상이란 이것을 길이라 하며 형이하란 이것을 그릇이라고 한다'이다. 문자 그대로 취하면, 우리에게 보이는 것은 모두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 형태 있는 것을 위로부터 성립시키는 것이 길, 아래로부터 성립시키는 것이 그릇이라는 것이 된다. 위의 길이나 아래의 그릇을 둘러싸고는 다양한 해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자는 길=리, 그릇=기분으로 해석했다.

한편, 서양의 아리스토텔레스 강의록에 '자연학'이 있었고, 그 후속 속에 '메타피시카(meta physica)'라는 명칭이 주어졌다. 거기에서는 사물의 「가 있다」나 판단의 「이다」등, 여러가지 「있는」이 통일적으로 논의되고 있었기 때문에, 존재론(ontology)이라고 불렸다. 존재론은 중세 이후의 기독교 세계에서는 영혼·우주·신의 존재를 논하고 신학의 토대가 되었다.

그 메타피시카가 메이지의 일본에 있어서 동양의 전통(형이상의 이리와 진여)과 연결되어 「형이상학」이라고 번역되었다(이노우에 테츠지로편 「철학자 彙」1881년). 「토요 철학」을 최초로 내세운 것도 이노우에 테츠지로이기 때문에, 이노우에의 일을 이즈쓰 도시히코는 시간을 멀리 이어받은 것이 된다. 19세기 서양철학 속에서 자란 이노우에의 '동양'은 서양에 대한 지리적 공간적인 개념이었다. 20세기 세계철학을 씹은 이통과의 차이는 '일본철학'의 성숙 관점에서 흥미롭다.

서양철학의 경우 히브리즘과 헬레니즘을 누르면 전체상이 떠오른다. 그런데 동양철학에서는 그럴 수 없다. 지리적으로 퍼질 뿐만 아니라 그 뿌리는 깊고 역사도 길다. 그래서 이것을 유기적인 통일체로 논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지적인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것이 이즈쓰 도시히코의 '공시적 구조화'다.

공시적 구조화란 다양한 철학 전통의 시간축을 제거하여 하나의 이념 평면 위에 찍어 다중 구조 안에 사상의 유형을 위치시키는 방법론이다. 공시적 구조화의 틀은 다음의 3개의 기둥에 의해 지원된다.

첫 번째 기둥소슈르에서 시작하는 20세기 언어 철학을 바탕으로 한 의미분절 이론이다. 이 견지에서는, 눈에 보이는 존재자의 세계(리얼리티) 자체가 구별되고, 거기에 말이 들어맞는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 대신 오히려 말에 의한 분절에 의해서 처음으로 존재자의 세계가 구별된다고 파악한다. 즉, 단어 = 분절 = 존재이며, 단어 이전의 존재는 절대 무분절 (혼돈)이된다.

두 번째 기둥은 말을 통해 분절을 하는 의식이 표층의식과 심층의식의 2차원으로 나뉘어진 것이다. 
서양 철학에서 리얼리티는 경험적인 표층 의식의 차원에서만 포착된다. 
이에 대해 동양철학에서는 심층의식의 차원까지 밟아 이 차원에서 표층의식의 리얼리티를 다시 잡는다. 
이러한 의식론에서는, 의식=말=분절=존재(현실)가 되어, 의식으로부터 떨어진 존재라는 포착 방법은 있을 수 없다.

덧붙여 「마음」이 아니라 「의식」을 이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유저가 된 「의식의 형이상학」(1993년)에서는, 대승불교에 말하는 「마음」이, 개인의식을 넘어 생명적·집합적 한 퍼짐을 갖고, 또한 수행적 선악(오탁청정)의 관점에서 관철되고 있기 때문에, 동양철학 전체를 간문화적으로 논하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설명되고 있다.

세 번째 기둥은 현실 분절과 관련하여 사물의 "보편적 본질"에 주목하는 것입니다. '보편적 본질', 즉 사건의 '무성(아랍어로 마히어)'을 말로 정의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사고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다만, 개체적 본질(이것의 성, 후야)의 실재를 주창하는 개인주의의 입장에서는 보편적 본질은 개념적 본질로서 자리매김된다.

이즈쓰 도시히코에 의하면, 시인의 대부분이 「이것의 성」에 매료되었다. 예를 들어, 릴케는 개인적 리얼리티의 순화를 철저히 추구했고, 바쇼는 '고금'의 보편적 본질을('신고금'의 유현화를 받아) 한순간에 감각화했다. 다만, 예외는 말라루메이며, 순수한 보편적 본질(이데아)만의 부동·정적의 세계를 요구했다고 한다.

일본 사상에 눈을 돌리면 가인이기도 한 선장은 사상가로서 보편적 본질을 철저히 거절했지만 직관적=정감적 파악에 고집했다. 그것이 "사물의 불쌍"이다. 일본 사상의 본령은 이 개인주의에 있다고 이즈쓰는 파악한다.

또, 본질에는 그 외, 이슬람의 철학자 아비켄나가 제창한, 보편의 무엇성과 개별의 이 성에 공통되는 근원, 즉 「본성(타비아)」도 있다. 이것이 나중에 서양 스코라 철학에서는 '자연(Natura)'으로 번역되어 논쟁을 일으켰다. 이 종적 특수성을 기반으로 하는 생각은 일본철학에서는 타나베 모토의 「종의 논리」를 상기시킨다.


이상의 3본주에 지지된 구조론의 모델을 도 1 에 나타낸다(본서 222쪽의 도면을 개작).

여기서 A는 표층 의식을 나타내고, MBC는 심층 의식을 구성한다. M은 시적 신화적 상상(비현실적인 이미지 패턴)의 세계, B는 이통 독자적인 "언어 아라야식"(가능한 의미 연관이 잠재하는 세계), C는 무의식이며, 이 근본적으로 의식의 제로 포인트(무극=태극)가 온다.

심층 의식의 중층 구조는 유식과 융을 깔고 있다. 표층과 심층으로 나눌 뿐만 아니라, 심층을 한층 더 4층화한 점, 특히 아라야식에 언어를 씌운 점이 이즈쓰 도시히코의 독자성일 것이다. 다음 번은 동양철학의 세계로 밟는다.





(편집:마에자와 유키코)





The Mundus Imaginalis - Appliedjung

The Mundus Imaginalis - Appliedjung



HOME PAGE
ABOUT THE CENTRE OF APPLIED JUNGIAN STUDIES
The Team
BLOG
MY ACCOUNT
SUBSCRIBE

Home
The Mundus Imaginalis







Jung’s complex psychology makes the Image the basic element of the psyche and gives us the praxis of Active Imagination that can heal us and teach us and then break through to the mundus imaginalis.

(Tom Cheetham, All the world an Icon, p. 209)



WHAT IS THE MUNDUS IMAGINALIS?


Mundus Imaginalis or the Imaginal was a term coined by Henry Corbin, a friend and colleague of Jung. This concept captured for Jung the fundamental key to working with symbols, allowing the psyche to move beyond the limiting constraints and one-sided attitude of the ego. Jung believed that the psyche contained all that is required for wholeness, but the ego is trapped in a rational reductive perspective which cuts us off from the healing power of the imagination. Imagination connects us to our desires, brings together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provides us with the means to build a cohesive story of our lives, to discern the meaning of our lives. Imagination is therefore the agency that enables us to create our world and to keep creating new and endless possibilities. Imagination connects us with movement and change, compels us towards the new.

In the words of Jung:

“The great joy of play, fantasy and the imagination is that for a time we are utterly spontaneous, free to imagine anything. In such a pure state of pure being, no thought is ‘unthinkable.’ ( Jung on Active Imagination p.5)

Throughout his work, Jung came to recognise that the imaginal world, the world of our imagination, fantasies and dreams was an authentic reality, in other words just as real as the world in which we live and that this imaginal world contained a “witches cauldron” of inner knowledge and wisdom.

“Every good idea and all creative work are the offspring of the imagination, and have their source in … fantasy. Not the artist alone, but every creative individual whatsoever owes all that is greatest in his life to fantasy. The dynamic principle of fantasy is play, a characteristic also of the child, and as such it appears in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serious work. But without this playing with fantasy no creative work has every yet come to birth. The debt we owe to the play of imagination is incalculable.” (CW 6, par 93)

Here Jung is telling us that whether we are children or adults and whether we are conscious of it or not, imaginative activity goes on within us all the time and that this imaginative activity is part of our inborn psyche, expressed in many ways, through – play, dreams, fantasy, creativity and active imagination.

This course offers a phenomenological and experiential approach, which is a profound and effective way to not only grasp but integrate Jungian theory.



WHAT DOES THE COURSE COURSE EXPLORE?


The focus of this course is to teach the approach and method of Active Imagination in order to form a bridg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orld, a threshold between our everyday awareness and our fantasy life, between our conscious ego ad the unconscious.

This course will take you through the journey of experiencing and integrating the symbols from your Active Imagination in order to connect with your inner guide. This process will provide you will insight, energy, passion and most importantly, meaning on your journey towards individuation.



KEY AREAS OF FOCUS



The Power of Imagination:

exploring the imaginal



Accessing the Unconscious:

learning how to access the imaginal



Extracting the Value:

how to extract associations and amplifications



Uncovering the Meaning:

how to analyse and assimilate the active imagination



Manifestation in the Real:

insight brought into reality





HOW DOES THE COURSE WORK?


The Mundus Imaginalis is an online programme, runs over 10 weeks, starting on the 8th of August 2022. The course includes both elements of working through the material on your own, as well as interacting with others on the course on a private and confidential Facebook Forum. There will be one webinar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which will be recorded and made available to view. All learning material is delivered via email to download onto your PC or tablet and consists of a podcast and PDF reading material. At the beginning of each week you will receive the weeks material, as both a podcast and transcript, focusing on one of the five respective elements we will be covering on the course. Group work and guidance with the applications are facilitated on a private and confidential Facebook Forum. The Facebook Forum is optional, but please note that you will miss out on the shared experience of the community and facilitation.




WHO IS THIS COURSE FOR?



This course is for anyone who wants:

* Have a direct experience of the unconscious and active engagement with it.

* Break down the barriers we face in our lives and move beyond our circumstances.

* Connect to the life enhancing emotions of joy and interest which have the power to heal.

* Gradually transform troublesome complexes.

* Enlarge and enrich the personality.

* Constantly progress in our lives.

* Access our inner wisdom.

* Undertake the journey of individuation, moving towards become whole.




REGISTRATIONS AND BOOKINGS


Registration closes midnight 7 August 2022 (PST)

The Mundus Imaginalis start on Monday 8 August 2022



Anima and Animus 2022Please enter your details below if you want to be notified when this course opens for intake.
Name*

Email*
Enter Email Confirm Email




TESTIMONIALS




Thank you both so much for opening my inner and outer eyes, my heart, my soul ever more to the magic of the alchemical process.

Natalie

Many thanks for the symbols course. i was expecting a more theoretical explanation of symbols (that’s my thinking part taking over) but realized immediately that the symbols exercises were much more fruitful, challenging and insightful. i am going to read Jung’s Man and his symbols again, this time with a much more personal slant and will try and be constantly mindful of symbols around me . very enjoyable!

Henriette

I will offer my gratitude here, as well, for this course, Anja and Stephen – the materials, lectures and applications were so well put together, and your responses to questions asked by participants so illuminating. And of course I am grateful for all that shared here, as it was thought provoking process all around. My tool/medicine kit for living fully has been profoundly enriched. I am also particularly appreciative of the materials covered and applications, as they reflect a solid grounding in this approach to well-being and authenticity. They require much energy, and sometimes patience, but were presented in a way that I find very usuable/ accessible. I have added to my resource kit for living fully, and I am quite grateful for those able to share over this course’s forum, as I learned much from that openness. Cheers

Carli

Thank you Anja and Stephen for the depth of your heart. Also For the offerings of these modules and providing a safe venue to share this moment in time with a community of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Noreen

Well – this part of my journey is over and it has been mind blowing. I can fill my tray with symbols and there are so many. They are all around me because that’s how I play. My biggest symbol is THE SONG…. and it was my transcendent symbol. So here is the song I will leave this course with. Thanks Stephen and Anja for your wisdom and guidance and Good luck. It has been an honour. So glad you chose Jung to be a passion for you because it has made me realise what a powerful soul he was. The answer is blowing in the wind, the synchronicities, THE SYMBOLS…..and therin – THE ALCHEMY. XXXXX

Max

Thank you for this course. I feel I have once again awakened to The Transformation. You are to be commended for the depth and divergence brought to bear in such a concise and succinct way. Leaving you with this borrowed symbol.

Durelle

The course has been very good for me. Shoring up existing understating and opening new areas. This infuses my counselling work seamlessly and I move closer to my imaginal vision – A small house in the woods with a wooden sign at the gate; Alchemist. Enquire within.

Steven

I wish I had been more present throughout this course. I was actually reluctant to join initially knowing I would be traveling on these dates. But I am glad I did join and learn what I could. I really needed this course right now to work on myself. I have begun thanks to you two and wonderful others in the group and I plan to continue working on it. This has been an immense learning experience. I enjoyed it. Looking forward to any other courses in the near future. Thank you again for your understanding and support.

Pragya

Some last words. Thank-you Thank-you Thank-you.
How to put into words what this course has meant to me, let me try. I have taken courses and gone on retreats, and even been on amazing trips and they have all changed my life, some more than others. This experience is different. It has quietly pulled together many many loose ends that have been dangling, like an unidentified plant on the walls of my life, Important, beautiful, interesting just not named. Sometimes I didn’t even know they all belonged together. It was done so quietly, gently and calmly you had to pay attention, or you didn’t notice. The results it was just meant to be. Like a puzzle fitting back together. Like putting one foot in front of the other and looking down and finding you have the most striking red shoes on. Each and everyone of you where part of this magic for me. Of course, for creating the space for this to happen I thank Anja and Leonie, Thanks-you for your focus. To lift the veil and give us a peek at the magical world of symbols and all it can mean to us, priceless. This is a beautiful, special thoughtfully, amazing gift. Please know it is appreciated.

Debi

Dear Leonie, Anja, this course has been amazing, deep and satisfying. Thank you 🙏🙏For long I’ve been wanting to study symbols, i did some work but none if it seemed satisfying or enough. This space was gentle and compassionate. The modules just the right size and the exercises so very well thought of and facilitative. Its only a start of this journey for me, i hope to carry it forward. Thank you again. Love and gratitude to all you lovely people

Neha

Thank you !! This class has been amazing! I think I’ve finally cleared another piece of resistant childhood garbage that needed healing, so thankful I signed on. I’ll continue to work with the modules and applications because I know there’s more work to do. I send Love to you and all of you who encouraged me with your posts. Keep me notified, please, of other classes!!

Joyce

Dear Anja, thank you for this offering! I found the content approachable and yet deep, and the applications described well and enticing! My understanding of the healing power of symbols calls for more exploration and more reading from Jung and Taoism…and simply playing in this realm.

Toni

Thanks for a very enlightening and healing course – I feel like I am developing a more creative and playful relationship to my “problems”, “issues”, wounds – no longer connected to them in a pathological way, but as clues and symbols towards envisioning and carrying out a life of meaning and purpose. I believe in the value and importance of seeing and living life in its poetic form.

Justine

Better late than never 🙂 I’m grateful for people who shared their often very private and bitter experiences and very mature reflections during that course. I have learnt a lot from you and grown through that enormously. I’m grateful for the tutors for setting up the course in a way which pushed me into symbols more forcefully than I’d be able to do myself. I made my first steps into active imagination. It is a huge leap, methinks.. I thank everybody who contributed and wish the luck and courage for your next life turns.

Merle

FacebookTwitterEmailShare

Get in Touch!

Latest from the Blog
FOUR ARCHETYPES Mother, Rebirth, Spirit, TricksterJune 14, 2022
Systema munditotius: a Master SymbolJune 7,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