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15

John Howard Yoder - Wikipedia

John Howard Yoder - Wikipedia

John Howard Yoder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John Howard Yoder
John Howard Yoder.jpg
BornDecember 29, 1927
Near SmithvilleOhio, US
DiedDecember 30, 1997 (aged 70)
Spouse(s)
Anne Marie Guth
 
(m. 1952)
[1]
Academic background
Alma mater
ThesisDie Gespräche zwischen Täufern und Reformatoren in der Schweiz, 1523–1538[2] (1957)
Doctoral advisorErnst Staehelin [de][1]
Influences
Academic work
DisciplineTheology
Sub-discipline
School or traditionAnabaptism
Institutions
Doctoral studentsMarva Dawn[10]
Notable worksThe Politics of Jesus (1972)
Influenced

John Howard Yoder (1927–1997) was an American theologian and ethicist best known for his defense of Christian pacifism. His most influential book was The Politics of Jesus,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72. Yoder was a Mennonite and wrote from an Anabaptist perspective. He spent the latter part of his career teaching at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In 1992, media reports emerged that Yoder had sexually abused women in preceding decades, with as many as over 50 complainants. The Anabaptist Mennonite Biblical Seminary acknowledged in a statement from 2014 that sexual abuse had taken place and it had been tolerated partly because he was the leading Mennonite theologian of his day and partly because there were not the safeguards in place that there are today.

Life[edit]

Yoder was born on December 29, 1927, near SmithvilleOhio.[1] He earned his undergraduate degree from Goshen College where he studied under the Mennonite theologian Harold S. Bender.[17] He completed his Doctor of Theology degree at the University of BaselSwitzerland, studying under Karl BarthOscar CullmannWalther Eichrodt, and Karl Jaspers.

After the Second World War, Yoder traveled to Europe to direct relief efforts for the Mennonite Central Committee. Yoder was instrumental in reviving European Mennonites following the war. Upon returning to the United States, he spent a year working at his father's greenhouse business in Wooster, Ohio.

Yoder began his teaching career at Goshen Biblical Seminary. He was Professor of Theology at Goshen Biblical Seminary and Mennonite Biblical Seminary (the two seminaries that formed what is now called Anabaptist Mennonite Biblical Seminary) from 1958 to 1961 and from 1965 to 1984. While still teaching at Associated Mennonite Biblical Seminary, he also began teaching at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where he became a Professor of Theology and eventually a Fellow of the Institute for International Peace Studies.

Yoder sexually abused over 100 women during the 1970s and 1980s while at Anabaptist Mennonite Biblical Seminary. The abuse was widely rumored, but not acted upon even when board members became aware of the numerous accusations. The Elkhart Truth first reported on the allegations June 29, 1992.[18] The seminary has acknowledged Yoder's crimes against women and has apologized for not acting on them at the time.[19]

Yoder died on December 30, 1997. His personal papers are housed at the Mennonite Church USA Archives.

Thought[edit]

Yoder is best remembered for his work related to Christian ethics. Rejecting the assumption that human history is driven by coercive power, Yoder argued that it was rather God – working in, with, and through the nonviolentnonresistant community of disciples of Jesus – who has been the ultimate motivational force in human affairs. When a Christian church in the past made alliances with political rulers, it was because it had lost confidence in this truth.

He called the arrangement whereby the state and the church each supported the goals of the other Constantinianism, and he regarded this arrangement as a dangerous and constant temptation. He argued that the early Church was a socially subversive community because of their shared life focusing on the Kingdom of God rather than the kingdoms of any mere man, but later after the rise of Constantine the Great the more worldly focused Church came to covet desire temporal power and political influence. Yoder called this the Constantinian shift. He further argued that Jesus himself rejected this temptation, even to the point of dying a horrible and cruel death. The resurrection of Jesus from the dead was, in this view, God's way of vindicating Christ's unwavering obedience, as well as setting the example of a life laid down in serving and loving others, for all who claim to follow Jesus. Constantine Revisited: Leithart, Yoder, and the Constantinian Debate (2013), edited by John D. Roth, is a collection of essays by Christian pacifists addressing the scholarly debate between Yoder and Peter Leithart about the nature of the Emperor Constantine's impact on Christianity. In his book Constanttine Revisited,' Leithart opposed Yoder's argument that God preferred Christians to focus on the spiritual needs around them and to build the Kingdom of God, rejecting coercion for a life of service, thereby remaining a politically powerless, physically defenseless minority.[20]

Likewise, Yoder argued,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Christians is not to take over society and impose their convictions and values on people who don't share their faith, but to "be the church." By refusing to return evil for evil, by living in peace, sharing goods, and doing deeds of charity such as caring for widows and orphans as opportunities arise, the church witnesses, says Yoder, to the fact that an alternative to a society based on violence or the threat of violence has been made possible by the life, death, resurrection and teachings of Jesus. The Kingdom of God comes to rule in a different way, by one heart at a time yielding to the love of God. Yoder claims that the church thus lives in the conviction that God calls Christians to imitate the way of Christ in his absolute obedience, even if it leads to their deaths, for they, too, will finally be vindicated in resurrection.

In bringing traditional Mennonite convictions to the attention of a wider critical audience, Yoder reenergized stale theological debates over foundational Christian ecclesiologicalChristological, and ethical beliefs. Yoder rejected Enlightenment presuppositions, epitomized by Immanuel Kant, about the possibility of a universal, rational ethic. Abandoning the search for a universal ethic underlying Christian and non-Christian morality, as well as attempts to "translate" Christian convictions into a common moral parlance, he argued that what is expected of Christians, morally, need not be binding for all people. Yoder defended himself against charges of incoherence and hypocrisy by arguing for the legitimacy of moral double standards, and by pointing out that since world affairs are ultimately governed by God's providence, Christians are better off being the Church, than following compromised moral systems that try to reconcile biblical revelation with the necessities of governance.

The Politics of Jesus[edit]

Of his many books, the most widely recognized has undoubtedly been The Politics of Jesus (1972); it has been translated into at least ten languages. In it, Yoder argues against popular views of Jesus, particularly those views held by Reinhold Niebuhr, which he believed to be dominant at the time. Niebuhr argued for a realist philosophy, which Yoder felt failed to take seriously the call or person of Jesus Christ. After showing what he believed to be inconsistencies of Niebuhr's perspective, Yoder attempted to demonstrate by an exegesis of the Gospel of Luke and parts of Paul's letter to the Romans that, in his view, a radical Christian pacifism was the most faithful approach for the disciple of Christ. Yoder argued that being Christian is a political standpoint and that Christians ought not ignore that calling.

The Politics of Jesus was ranked by the evangelical magazine Christianity Today as the fifth most important religious book of the 20th century.[21][22]

Sexual abuse[edit]

According to articles in The Elkhart Truth, allegations that Yoder had sexually abused, harassed, and assaulted women circulated for decades and became known in wider Christian circles, but were never publicly acknowledged until 1992.[23][full citation needed] After repeated institutional failures to address these abuses a group of victims threatened to engage in a public protest at a Bethel College (in North Newton, Kansas) conference where Yoder was to be a speaker. The college President rescinded Yoder's invitation, the student newspaper reported the story, and one of the victims reported that Bethel was "the first institution in the church that has taken this seriously".[24][full citation needed] The Elkhart Truth articles detail extensive allegations of harassment of students and others.[23][full citation needed]

From the summer of 1992 to the summer of 1996, Yoder submitted to the discipline of the Indiana–Michigan Conference of the Mennonite Church for allegations of sexual misconduct. Yoder's writing in the unpublished 1995 book The Case for Punishment suggested he believed he was the innocent scapegoat of a conspiracy. Upon the conclusion of the process, the church urged Yoder "to use his gifts of writing and teaching."[25]

Despite the allegations of abuse, Yoder's obituary in The New York Times did not mention any improprieties.[26] Sixteen years after his death, in October 2013, The New York Times ran an article discussing the allegations, quoting one of the complainants Carolyn Heggen who claimed that more than 50 women "said that Mr. Yoder had touched them or made advances." The article also discussed the recent formation of a support group for victims.[27]

More recently, the Mennonite church and Christian peace theologians are actively trying to come to grips with the sexual abuse – and apparent institutional cover-up – which taints the legacy of John Howard Yoder.[28]

In October 2014, the governing board of Anabaptist Mennonite Biblical Seminary (AMBS) released the following statement:

With a desire to contribute to the larger church discernment process and to own the specific responsibility of the seminary, the AMBS board in their October 23–25 meeting approved a statement acknowledging the pain suffered by women who were victimized by Yoder:

As an AMBS Board, we lament the terrible abuse many women suffered from John Howard Yoder. We also lament that there has not been transparency about how the seminary's leadership responded at that time or any institutional public acknowledgement of regret for what went so horribly wrong. We commit to an ongoing, transparent process of institutional accountability which the president along with the board chair initiated, including work with the historian who will provide a scholarly analysis of what transpired. We will respond more fully once the historical account is published. We also support the planning of an AMBS-based service of lament, acknowledgement and hope in March 2015.

Seminary leaders held an AMBS-based gathering, including a Service of Lament, Confession, and Hope on the weekend of March 21–22, 2015.[29]

The historian Rachel Waltner Goossen was commissioned by Mennonite Church USA to produce a complete report chronicling Yoder's sexual abuse and church responses to it, which was published in January 2015.[28][30]

Selected works[edit]

  • The Christian and Capital Punishment (1961)
  • Christ and the Powers (translator) by Hendrik Berkhof (1962)
  • The Christian Pacifism of Karl Barth (1964)
  • The Christian Witness to the State (1964)
  • Discipleship as Political Responsibility (1964)
  • Reinhold Niebuhr and Christian Pacifism (1968)
  • Karl Barth and the Problem of War (1970)
  • The Original Revolution: Essays on Christian Pacifism (1971)
  • Nevertheless: The Varieties and Shortcomings of Religious Pacifism (1971)
  • The Politics of Jesus (1972)[31]
  • The Legacy of Michael Sattler, editor and translator (1973)
  • The Schleitheim Confession, editor and translator (1977)
  • Christian Attitudes to War, Peace, and Revolution: A Companion to Bainton (1983)
  • What Would You Do? A Serious Answer to a Standard Question (1983)
  • God's Revolution: The Witness of Eberhard Arnold, editor (1984)
  • The Priestly Kingdom: Social Ethics as Gospel (1984)
  • When War Is Unjust: Being Honest In Just-War Thinking (1984)
  • He Came Preaching Peace (1985)
  • The Fullness of Christ: Paul's Revolutionary Vision of Universal Ministry (1987)
  • The Death Penalty Debate: Two Opposing Views of Capital Punishment (1991)
  • A Declaration of Peace: In God's People the World's Renewal Has Begun (with Douglas Gwyn, George Hunsinger, and Eugene F. Roop) (1991)
  • Body Politics: Five Practices of the Christian Community Before the Watching World (1991)
  • The Royal Priesthood: Essays Ecclesiological and Ecumenical (1994)
  • Authentic Transformation: A New Vision of Christ and Culture (with Glen Stassen and Diane Yeager) (1996)
  • For the Nations: Essays Evangelical and Public (1997)
  • To Hear the Word (2001)
  • Preface to Theology: Christology and Theological Method (2002)
  • Karl Barth and the Problem of War, and Other Essays on Barth (2003)
  • The Jewish-Christian Schism Revisited (2003)
  • Anabaptism and Reformation in Switzerland: An Historical and Theological Analysis of the Dialogues Between Anabaptists and Reformers (2004)
  • The War of the Lamb: The Ethics of Nonviolence and Peacemaking (2009)
  • Christian Attitudes to War, Peace and Revolution (2009)
  • Nonviolence: A Brief History – The Warsaw Lectures (2010)
  • Theology of Mission: A Believers Church Perspective (2014)

Articles and book chapters[edit]

  • (1988) The Evangelical Round Table: The Sanctity of Life (Volume 3)
  • (1991) Declaration on Peace: In God's People the World's Renewal Has Begun
  • (1997) God's Revolution: Justice, Community, and the Coming Kingdom

See also[edit]

References[edit]

Footnotes[edit]

  1. Jump up to:a b c Nation 2011.
  2. ^ Yoder 2013.
  3. Jump up to:a b Dorrien 2009, p. 460.
  4. ^ Nation 2006, p. 32.
  5. ^ Zimmerman 2015, p. 148.
  6. ^ Zimmerman 2015, pp. 148–149.
  7. ^ Park 2009.
  8. ^ Moore 2011, p. iv; Zimmerman 2015, pp. 148–149.
  9. ^ Weaver 1999, p. 638.
  10. ^ Dawn 2015, p. xi.
  11. ^ Smith 2016, p. 165.
  12. ^ Dayton 2007, p. 425.
  13. ^ Dear, John (October 18, 2011). "John Howard Yoder's Political Jesus"National Catholic Reporter. Retrieved February 2, 2020.
  14. ^ Heide 2009, p. 79.
  15. ^ Goossen 2015, p. 9.
  16. ^ Chaves 2013, p. 71.
  17. ^ Nation 2003, pp. 360–363.
  18. ^ Price, Tom (June 29, 1992). "Theologian Cited in Sex Inquiry"The Elkhart Truth. Elkhart, Indiana. Retrieved March 13, 2019.
  19. ^ Sokol, Michelle (April 9, 2015). "Mennonite Seminary Apologizes to Victims of Famed Theologian"National Catholic Reporter51 (13). p. 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4, 2017. Retrieved October 22, 2017.
  20. ^ "Review of Constantine Revisited: Leithart, Yoder, and the Constantinian Debate, Edited by John D. Roth"The Christian Century. June 3, 2014. Retrieved September 26, 2018.
  21. ^ "Books of the Century"Christianity Today. Vol. 44 no. 5. Carol Stream, Illinois. April 24, 2000. p. 92. ISSN 0009-5753. Retrieved February 2, 2020.
  22. ^ "Table of Contents". Christianity Today. Vol. 44 no. 5. Carol Stream, Illinois. April 24, 2000. p. 5. ISSN 0009-5753.
  23. Jump up to:a b Price, Tom (1992). "John Howard Yoder's Sexual Misconduct". The Elkhart (Indiana) Truth. Retrieved March 14, 2007.
  24. ^ Mennonite Weekly Review. March 12, 1992.
  25. ^ Nation 2003.
  26. ^ Steinfels, Peter (January 7, 1998). "John H. Yoder, Theologian At Notre Dame, Is Dead at 70"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rch 13, 2019.
  27. ^ Oppenheimer, Mark (October 11, 2013). "A Theologian's Influence, and Stained Past, Live On"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rch 13, 2019.
  28. Jump up to:a b Goossen 2015.
  29. ^ Klassen, Mary E. (December 5, 2014). "AMBS Service to Acknowledge Harm from Yoder Actions"The Mennonite. Retrieved March 13, 2019.
  30. ^ Huber, Tim (January 5, 2015). "New Sources Give Clearer View of Abuse by Theologian"Mennonite World Review. Retrieved August 1, 2017.
  31. ^ Yoder 1994.

Bibliography[edit]

External links[edit]

알라딘: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 - 존 하워드 요더의 성폭력과 교회의 대응 김성한

알라딘: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 - 존 하워드 요더의 성폭력과 교회의 대응   
김성한 (지은이)IVP2021-05-27

기본정보196쪽

책소개

한때 세계적인 신학자였던 존 하워드 요더(John Howard Yoder, 1927-1997). 신학계에서 누구보다 빛났던 그가 저지른 성폭력의 진실은 모두를 충격에 빠뜨렸다. 그러나 그보다 더 충격적이었던 것은 평화 교회라 불리는 메노나이트 교회가 사건과 치리 과정을 철저히 은폐하고 축소시켰다는 사실이었다.

이 책에는 요더 사건에 대응한 기관 및 교회의 1차 자료들과 저자가 인터뷰한 관련 인물들의 증언을 담았다. 이를 토대로 ‘교회 내 성폭력’이라는 더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 중심적 해결 방식, 여성 리더십을 배제하는 제도와 권위주의적 구조의 한계 등 한국 교회의 현실을 돌아본다.


목차
감사의 글
들어가는 글
1장. 어두운 이야기: 저명한 신학자의 성폭력
2장. “야수의 송곳니를 뽑다”
3장. 꼬여 버린 실타래
4장. 새로운 변화
5장. 미국 메노나이트 교회 차원의 대응
6장. 요더가 남긴 복잡한 유산
7장. 다시 써야 할 결론
나가는 글

부록1
—끝내지 못한 이야기1:
“정의가 실현될 때 평화가 찾아옵니다” 사라 웽어 쉥크 인터뷰
—끝내지 못한 이야기2:
“교회는 성폭력으로부터 가장 안전한 공간이어야 합니다” 캐럴린 & 로다 인터뷰

부록2
—‘여성들의 진실을 존중하다’ 예배 순서
—‘애통, 고백, 헌신’의 예배 순서

부록3
—성적 학대에 대한 범교회 성명서

부록4
—존 하워드 요더의 성폭력과 미국 메노나이트 교회의 주요 대응 연표

접기
책속에서
P. 17~18 요더의 성폭력과 관련된 메노나이트 교회의 1차 자료들이 공개되기 시작하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이들의 인터뷰가 게재된 이후 지금까지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교회는 성폭력으로부터 가장 안전한 공간이어야 한다’는 매우 상식적인 바람과 달리 교회는 아직도 안전한 곳이 되지 못했다.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 전반에 성폭력과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이해 등 그나마 작은 변화의 조짐들이 나타나고 있음에도, 교회는 여전히 성폭력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공간으로 남아 있다. 오히려 ‘교회 내 성폭력’이라는 ‘동그란 네모’와 같은 현실이 계속 죽은 요더를 불러내는 형국이다.
요더의 사상과 신학의 영향력이 크고 깊었던 만큼, 그가 남긴 어둠은 더욱 그러하다. 한때 대안이자 지향점이었던 그의 신학과 실제 삶이 어떻게 봉합될 수 있을지 그의 신학에 경도되었던 이들에게는 큰 혼란과 충격이었기 때문이다. 아니, 어쩌면 이를 봉합하려는 어떠한 의도나 시도조차 정당하지 않을지 모른다. 다만 내가 여기에 담은 이야기들이 요더의 어둠을 넘어, 교회가 가야 할 길을 비추는 작은 빛이 되길 바란다.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이 모인 교회야말로 성폭력으로부터 가장 안전한 곳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누구보다 먼저 피해자 편에 서서 그들을 보호하며, 더 이상 같은 범죄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실제적인 변화가 시작되는 곳이어야 한다. 더 나아가 폭력으로 얼룩진 세상에서 평화를 이루는 장이 되어 주어야 한다.
--들어가는 글  접기
P. 20~21 성폭력과 관련한 모든 이야기는 아프다. 세계적인 신학자 존 하워드 요더의 성폭력 사건이 아픈 것은 그가 주장하고 정교하게 발전시킨 비폭력 평화주의 신학을 스스로 부정했다는 안타까움 때문이 아니다. 너무나 오랫동안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외면당하고 무시당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회 안의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외면과 조직적 은폐는 시간과 상황, 문화와 신학적 차이를 넘어 반복되고 있기에 더욱 아프다. 이 책은 2012년 어간부터 다시 시작된 요더의 성폭력 논란과 미국 메노나이트 교회 및 신학교가 보인 반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장 어두운 이야기: 저명한 신학자의 성폭력  접기
P. 53 성직자 및 종교 지도자들에 의한 성폭력은 희생자들과 주변의 많은 사람에게 심각한 피해와 고통을 남긴다. 이런 형태의 폭력이야말로 영적 권력을 가장 나쁜 방식으로 남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평화 신학자’ 요더의 성폭력은 복잡한 질문들을 남겼다. 단지 그가 가장 영향력 있는 20세기 신학자 중 하나였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아나뱁티스트-메노나이트 평화 신학에 있어 매우 독특한 대표성을 띠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인이 취해야 할 제자도의 핵심으로 비폭력과 평화 원칙을 강조하는 사람이 어떻게 많은 여성을 고통 속에 몰아넣은 폭력의 주체가 될 수 있단 말인가? 또한 평화 교회를 지향하는 미국의 메노나이트 교회는 이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어떻게 이렇게도 무력했단 말인가?
--3장 꼬여 버린 실타래  접기
P. 129 완전한 교회는 없다. 우리는 모두 연약하여 실패한다. 그러나 그 연약함이 약자들에 대한 폭력을 정당화하는 도구가 될 수는 없으며, 되어서도 안 된다. 쉥크의 고백과 같이, “우리는 교회의 성스러운 신뢰를 지키는 데 실패했습니다. 우리는 복음의 진리에 대해 알고 있는 대로 행하는 일에 실패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께 잘못을 저질렀습니다”라며 우리의 실패를 인정하고 서로에게 잘못을 고백하고 사죄할 때, 비로소 회복되고 화해할 기회를 얻게 된다. 교회는 그런 곳이어야 한다.
또한 교회는 탁월한 누군가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보다 끊임없이 주변으로 내몰리고 배제당하며 침묵을 강요당하는 약자들의 목소리를 주의 깊게 들어야 한다. 지금 우리에게 요더는 누구인가? 그에게 가려져 들리지 않는 목소리들은 누구의 것인가? 빛과 어둠이 극명한 요더가 남겨 놓은 질문이다. 거꾸로 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한 ‘예수의 정치학’이 답해야 할 질문이기도 하다.
--7장 다시 써야 할 결론  접기


추천글

존 하워드 요더는 20세기 최고의 신학자이자 기독교 윤리학자였다. 그는 분파적 신학이라 평가받던 메노나이트 교파의 신학을 독특한 제자 공동체의 교회론적 신학으로 주류 신학계에서 재평가받게 하는 데 엄청난 신학적 공을 세웠다. 여기에는 그의 해박하고도 세련된 신학과 학문적 탁월성이 크게 작용했다. 이런 업적으로 그는 메노나이트 교파 내에서 최고의 위상과 카리스마를 지니고 누렸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의 실제 삶은 그가 그토록 주창했던, 예수와 같은 힘없는 모습을 자원하여 낮아지는 ‘예수의 정치학’의 모습이 아니었다. 오히려 권력을 이용해 약자들에게 성적 폭력을 행사하며 그들 위에서 군림하는 행동을 일삼았다. 실제로 백여 명의 여성들을 성적으로 착취하고 폭력을 행사하였음에도 사과하기보다 자신의 행동을 기묘한 논리로 변호하여 더욱 충격을 안겼다.
이 책은 급진적 삶의 신학을 강조하며 신학계에 우뚝 선 요더가 예수를 본받는 ‘혁명적 낮아짐’을 취하기보다 약자들에게 성폭력을 일삼은 이력을 피해자들의 증언, 메노나이트 교회의 대응과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담아냈다. 그의 이론과 신학에 신선한 충격과 선한 영향을 받은 많은 독자에게는 이 책을 읽는 것이 무척 고통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예수를 따르는 성도들이 모인 교회야말로 성폭력이 행사될 수 없는 신앙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확고히 한다면 큰 유익이 될 것이다. - 신원하 (고신대 신학대학원 기독교윤리학 교수) 

폭력을 본질적으로 극복하려는 평화주의 신학의 선지자와 같았던 존 하워드 요더가 오히려 성폭력의 가해자가 된 현실은 매우 역설적이다. 이는 전 세계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폭력 문화 바이러스에 오염되어 버린 스스로를 성찰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빈번한 교회 내 성폭력, 특히 목사에 의한 성폭력이 자주 발생하는 한국 교회는 요더 성폭력 사건을 극복하고자 했던 미국 메노나이트 교회의 대응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그들의 대응은 실패한 대응이기 때문이다. 메노나이트 교회는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를 옹호함으로써 요더의 성폭력에 암묵적으로 동조했고 피해자들은 2차 가해를 당했다. 그래서 이 책은 ‘예수의 정치학’을 다시 해방시켜야 한다는 기독교 공동체의 절박한 의제를 면밀하게 설파한다. 오늘의 한국 교회, 특히 교회 지도자들은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스스로를 깊이 통찰하고 회개하며, 회복과 쇄신을 위한 영성과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이문식 (광교산울교회 담임목사)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은 신학자이자 윤리학자인 존 하워드 요더가 오랜 기간 저지른 성폭력의 실체와 피해자들의 증언을 집요하게 외면한 교회의 죄에 관한 ‘실패’의 기록이다. 우리는 이 책을 정독하며 “교회는 왜 성폭력 앞에서 번번이 실패하는가?”라는 오랜 질문 앞에 서야 한다.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교회 제도, 성폭력에 침묵하는 정의와 피해자의 말을 외면하는 평화는 마땅히 폐기되어야 할 ‘기울어진 복음’이다. 그러나 이 책은 다시 써야 할 ‘예수의 정치학’을 위한 ‘가능성’의 기록이기도 하다. 성폭력에 대한 교회의 침묵과 은폐, 거짓 정의와 평화에 맞설 연대의 언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책이 우리가 다시 써야 할 ‘예수의 정치학’의 서문이 되길 바라며 추천한다. - 오수경 (청어람ARMC 대표) 

저명한 신학자의 성적 학대와 성폭력에 대한 진실을 말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분명 매우 중요한 일이고 꼭 해야만 하는 일이다. 저자는 예리한 통찰력,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깊은 헌신, 평화 복음의 진정성을 지키고자 하는 열망으로 이 글을 써냈다. 그는 용기 있는 ‘진실 전달자’다. 평화와 진리, 풍성한 삶의 방식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고자 하는 모든 이에 게 마음을 다해 이 책을 추천한다. - 사라 웽어 쉥크 (아나뱁티스 메노나이트 신학대학원(AMBS) 총장) 


저자 및 역자소개
김성한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현재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Mennonite Central Committee) 동북아시아 지부 대표와 평화 교육가로 일하고 있다. 이곳에서 일하기 전 한국기독학생회(IVF)에서 캠퍼스 간사, 미디어 총무, 지방회 대표 간사로 일했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아나뱁티스트 메노나이트 성경 신학교(Anabaptist Mennonite Biblical Seminary)에서 평화학을 공부했다. 강의실에서 평화 신학에 대해 배우는 동안, 메노나이트 지역 교회와 평화를 실천하는 어르신들로부터 평화를 위한 삶을 배웠다. 2013년에서 2015년까지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선교학 박사 과정을 공부하는 동안 미국 인디애나주 고센(Goshen) 지역에 거주하면서 메노나이트 교회를 조금 더 들여다보고 경험할 수 있었다. 현재는 38선이 가까운 곳에서 살고 있으며 춘천에 있는 예수마음메노나이트 교회에 출석 중이다. 접기
최근작 : <실패한 요더의 정치학>
-----
출판사 제공 책소개

현실 교회의 뼈아픈 실패를 기록하고
요더 이후 평화 신학의 가능성을 논하다

“이 책은 아픈 반성문이다. 성폭력과 관련한 모든 이야기는 아프다.”

“요더의 이론과 신학에 신선한 충격과 선한 영향을 받은 많은 독자에게는 이 책을 읽는 것이 무척 고통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예수를 따르는 성도들이 모인 교회야말로 성폭력이 행사될 수 없는 신앙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확고히 한다면 큰 유익이 될 것이다.” --신원하(고려신학대학원 기독교 윤리학 교수)

사라 웽어 쉥크(아나뱁티스트 메노나이트 성경 신학교), 오수경(청어람ARMC), 이문식(광교산울교회) 추천!

요더 사건과 메노나이트 교회의 대응, 실패한 그들의 정치학

세계적인 신학자이자 윤리학자였던 존 하워드 요더, 그의 힘과 영향력이 컸던 만큼 그가 저지른 성폭력 사건들의 진실은 은폐되고 축소되었다. 그래서 요더의 범죄에 대해 정확한 정보나 사실은 드러나지 않은 채, 뜬소문이나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들만 무성했다. 1997년 가해자가 죽음으로써, 제대로 된 진상 조사나 피해자들에 대한 사죄 없이 사건들의 진실은 묻혀 있었다. 그러다 2012년부터 요더 성폭력 사건들은 다시 가시화되었고, 이후 2015년부터 요더 사건에 연루된 기관 및 교회에서는 그의 범죄를 증명하는 직접적 자료들을 공개하고 공식적으로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기에 이른다.

이 책에는 신학교 및 교회가 공개한 1차 자료를 비롯해, 저자가 인터뷰한 요더 사건 관련 인물들 다섯 명의 증언을 담았다. 

요더 사건의 개요 및 사실과 더불어, 이 사건을 대하는 메노나이트 교회의 안일한 태도와 대응 방식, 피해자가 아닌 힘을 가진 가해자를 옹호하는 문제 해결, 평화주의 신학이라는 이상을 향한 완벽주의와 이에 희생되는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가감 없이 전한다.

요더의 사상 및 신학의 영향력에 비례해, 그의 신학과 삶 간 불일치가 주는 혼란과 충격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그러나 그의 신학과 삶을 어떤 식으로든 ‘정반합’으로 이끌어 가려는 의도, 그와 신학은 분리해서 보아야 한다는 이분법적 안일한 태도, 그에 대한 가치 판단을 유보하려는 입장은 모두 요더의 실패와 결을 같이할 수밖에 없다. 요더의 급진적 윤리학과 메노나이트 평화 신학의 실패를 인정하고, 그의 만성적 성폭력을 막지 못하고 오히려 피해자들에게 침묵을 강요한 교회와 신학교는 자신들의 모순과 실패를 뼈아프게 돌아보아야 한다.

요더 사건으로부터 ‘교회 내 성폭력’이라는 더 큰 의제로의 전환

저자는 요더 사건과 메노나이트 교회의 대응 과정을 살펴보면서 ‘교회 내 성폭력’이라는 더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지금이라도 한국 교계가 ‘교회 내 성폭력 근절’이라는 더 큰 의제로 전환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한국 교회의 미래는 더욱 어두워질 수밖에 없다고 호소한다.

메노나이트 교회는 사건들이 발생하고 수십 년이 지난 후에야 진상 규명을 시작했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 나갔다. 교회 전체가 공개적으로 잘못을 인정하고 바른 방향으로 가겠다는 첫걸음을 뒤늦게 시작한 것이다. 요더 사건과 교회의 대응을 거울삼아, 한국 교회는 ‘동그란 네모’와 같은 교회 내 성폭력이라는 문제, 여전히 가해자 중심적인 교계의 해결 방식, 여성 리더십을 배제하는 권위주의적인 구조적 문제들을 돌아보고 회복과 쇄신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나아가 교회를 성폭력으로부터 가장 안전한 공간으로 만드는 데 앞장서야 하며, 원래 교회의 사명인 ‘평화를 이루는 장’이 되어 그에 마땅한 사회적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 대상 독자

교회 내 성폭력 문제와 관련하여 책임과 인식을 가진 독자
메노나이트 신학의 대표자로 꼽히던 요더의 신학과 교회론 및 저작에 대해 정리가 필요한 독자
존 하워드 요더에게 영향을 받았거나 관심 있는 독자 

접기

2021/06/14

Ten things Anne of Green Gables taught me | Society books | The Guardian

Ten things Anne of Green Gables taught me | Society books | The Guardian

Ten things Anne of Green Gables taught me
The modern reader can learn much from Lucy Maud Montgomery’s plucky heroine, 11-year-old orphan Anne Shirley

Samantha Ellis
Fri 19 May 2017 23.00 AEST

72
I’ve just had a baby so I’m up a lot in the small hours, and when I can’t get back to sleep, I’ve been indulging in the guilty pleasure of reading everything I can find about the new TV adaptation of Anne of Green Gables. I read LM Montgomery’s 1908 novel and its seven sequels over and over as a girl. I’d get to the end of book eight and start again, with plucky red-headed orphan Anne Shirley waiting at a train station for her new life to begin. She taught me things I still think about every day.

Girls are just as good as boys
Matthew and his sister Marilla decide to get an orphan boy to help out on their farm and are miffed when, due to a mix-up, Anne arrives instead. But they soon admit she’s made them happier than a boy could have done. Anne doesn’t cede first place to any boy, and certainly not her school rival, roguish Gilbert Blythe. Their (spoiler alert) relationship gave me hope that even swots and misfits could find love.

Own your rage
When Gilbert teases her about her hair, Anne breaks a slate over his head. And she isn’t sorry. And he takes her anger seriously and respects her for it.

You can be bright and ambitious and still go nuts for a nice frock
Anne prays, “Please let me be good-looking when I grow up.” In any other children’s book – I’m looking at you, Little Women – she’d be punished for vanity. But Anne gets her dream dress, and her red hair even, eventually, goes auburn, just as she wished it would. Because what’s wrong with a bit of beauty?

Fun is a serious business
Anne’s mantra that “you can nearly always enjoy things if you make up your mind firmly that you will” is nothing like Pollyanna’s nauseating “glad game”. Anne has a gift for pleasure – whether she’s taking apple blossoms up to her bedroom “for company”, walking a ridgepole or savouring her first ice cream. She also – and this is almost revolutionary – thinks everyone has a right to joy.

Friendship is crucial
Anne taught me to be always on the lookout for “kindred spirits”, especially the unlikely (and supposedly unlikable) ones. My life is richer for it.

It’s never too late to open up to love
Marilla starts out stern, tart and repressed, her body all angles, her hair all pins, her experience narrow, her conscience rigid. Anne makes her laugh, challenges her assumptions and just loves her. Marilla mellows, and once her heart is open it stays open. She even adopts two more orphans.

Too much romance can be dangerous
Not only does Anne nearly drown while re-enacting “The Lady of Shalott” in a leaky barge, she faces an even more existential danger when her penchant for dark, inscrutable dreamboats with ridiculous names leads her to go out with vacant clothes horse Royal Gardner. For two whole years. Eventually, she realises that you have to actually be able to talk to The One, and that romantic heroes don’t have to look or sound a certain way.

But imagination can change the world
As a child I was always being told I had an “overactive imagination”, as though it was a terrible flaw. Anne showed me that while imagination could get you into trouble, you can also channel it. Anne uses her imagination to write, and also to put herself into other people’s shoes and work out how to make them feel better. I can only aspire to her radical altruism.

It’s OK to be odd
Anne is deeply peculiar, and she’s not embarrassed about it. She’s forever curious about other oddballs, eccentrics and outsiders, and in finding her own way to live, beyond the straitjackets of convention.

Some compromises are a compromise too far
Ironically, given where I’m at, I don’t want to learn from Anne when it comes to motherhood. I’m gutted that Anne becomes a smug married, subsumes herself in her children’s lives and fades out of view. In the final novel, she’s even referred to, in the narration, as “Mrs Blythe”. And why does she give up writing, saying she’s penning “living epistles” (ie bringing up her children)? It seems a compromise too far. It’s a relief to find Montgomery thought so, too. Miserably married to a jealous, depressive minister, and burdened with responsibilities and despair, Montgomery fulfilled all of Anne’s wishes, giving her heroine the perfect home life she wanted for herself. But it didn’t make her happy. Instead, Montgomery got sick of Anne so she rewrote her. Her other great heroine, Emily Byrd Starr, is much tougher. And she holds fast to her dreams.

 Samantha Ellis is the author of How to Be a Heroine, and Take Courage: Anne Brontë and the Art of Life. Anne of Green Gables is on Netflix.

2021/06/11

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 Wikipedia

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 Wikipedia

Plot

Montauk station, where Joel and Clementine meet each other again after the erasing of their memories.
After a fight, Joel Barish discovers that his girlfriend Clementine Kruczynski has had her memories of him erased by the New York City firm Lacuna. Heartbroken, he decides to undergo the same procedure. In preparation, he records a tape for Lacuna, recounting his memories of their volatile relationship.

The Lacuna employees work on Joel's brain as he sleeps in his apartment so that he will wake up with no memory of the procedure. One employee, Patrick, leaves to see Clementine; since her procedure, he has been using Joel's and Clementine's memories as a guide for seducing her. While the procedure runs on Joel's brain, technician Stan and secretary Mary party and have sex.

Joel re-experiences his memories of Clementine as they are erased, starting with their last fight. As he reaches earlier, happier memories, he realizes that he does not want to forget her. His mental projection of Clementine suggests that Joel hid her in memories that do not involve her. This halts the procedure, but Stan calls the Lacuna boss, Howard, who arrives and restarts it. Joel comes to his last remaining memory of Clementine: the day they first met, on a beach in Montauk. As the memory crumbles around them, Clementine tells Joel to meet her in Montauk.

In Joel's apartment, while Stan is outside, Mary tells Howard she is in love with him and they kiss. Howard's wife, furious, tells Howard to tell Mary the truth: that Mary and Howard previously had an affair, and that Mary had her memories erased. Disgusted, Mary steals the Lacuna records and mails them to the patients, including Joel and Clementine.

Joel wakes up, his memories of Clementine erased. He goes to Montauk on impulse and meets Clementine again on the train home. They are drawn to each other and go on a date to the frozen Charles River in Boston. Joel drives Clementine home and Patrick realizes they have found each other again. Joel and Clementine receive their Lacuna records and listen to their tapes. They are shocked by the bitter memories they had of each other, but agree to try again.

“뒷산에 운동 가는데 값비싼 전문 등산복이 필요해요?” : 환경 : 사회 : 뉴스 : 한겨레

“뒷산에 운동 가는데 값비싼 전문 등산복이 필요해요?” : 환경 : 사회 : 뉴스 : 한겨레


“뒷산에 운동 가는데 값비싼 전문 등산복이 필요해요?”

등록 :2021-06-05 
[토요판] 인터뷰
아웃도어 비즈니스 전문가 이현상 대표

코로나19로 등산 인구 늘었지만
친환경 개념은 옛날에 머물러
쓰레기 줍는 건 좁은 의미 행동

“자원 제일 많이 쓰는 제조사가
적정량 만들어 수거도 책임져야”

이현상 그레이웨일디자인 대표가 지난 1일 서울 마포구 자신의 사무실에서 아웃도어 스포츠를 즐기는 이들과 관련 업계가 함께 지속가능한 방법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 우리나라에서 단지 즐거움을 위해 산에 오른 역사는 100년이 채 되지 않는다. 최근 산은 아웃도어 활동으로 가장 인기를 끄는 장소의 하나로 꼽힌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등산과 캠핑은 더욱 조명받고 있다. 아웃도어 비즈니스 전문가 이현상 대표에게 지금 시대에 필요한 친환경, 지속가능한 아웃도어 활동이란 무엇인지 들어봤다.“코로나19 이후 실내에서 할 게 없다 보니 아웃도어 스포츠를 찾을 수밖에 없는데요. 예전에는 전문 복장, 그러니까 값비싼 등산복을 차려입고 산에 가는 분위기가 강했죠. 그런데 뒷산에 운동 가는데 대체 왜 이렇게까지 차려입냐는 거죠.”

이현상(56) 그레이웨일디자인 대표는 한때 ‘등산객 계급’이라고까지 불리던 아웃도어 의류·장비 고급화에 대해 “코로나19가 우리 사회 전반을 뒤흔든 것처럼 등산과 캠핑 분야에도 상당한 변화의 바람을 불렀다”고 짚었다. 집합금지 강화로 특히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이 극히 적어지다 보니 대표적인 아웃도어 스포츠인 등산·캠핑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산으로 몰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특히 활동성이 높은 20~30대 젊은층이 자주 산을 찾으면서 의류나 장비도 경량화·간소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지난 35년간 캠핑, 백패킹, 암벽등반 애호가로 살았다. 2011년엔 친환경 백패킹 용품 브랜드 ‘제로그램’을 설립해 기존에 불필요하다 싶을 정도로 고급화해온 등산·캠핑 용품 업계에 ‘친환경·경량 백패킹’을 화두로 던졌다. 간편하면서도 꼭 필요한 장비로 자연을 즐기고, 친환경 소재를 활용해 환경과 함께 지속가능한 아웃도어 문화를 만들자는 것이다. 지난해부터는 10년간 헌신한 제로그램에서 독립해 새 아웃도어 용품 브랜드 ‘그레이웨일디자인’을 만들어 키우는 중이다.

이런 경험을 묶어 지난 5월 낸 책 <인사이드 아웃도어>(리리)에 비박, 차박, 퇴근박까지 점점 진화하는 아웃도어 문화의 흐름을 담기도 했다. 그는 책에서 “우리는 지난 수십년간 너무 무겁게 메고 다녔고, 너무 많이 먹었으며, 너무 많이 마셨다. 길을 걷거나 야영을 하는 것도 즐거운 일이지만 배낭 무게를 줄이는 습관을 기르는 일, 출발하기 전 미니멀하게 배낭을 꾸리는 일도 그에 못지않은 즐거운 경험”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일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이 대표 사무실에서 코로나19 이후 아웃도어 문화의 흐름과 변화를 읽어달라고 했다.




이젠 가치지향적 소비의 시대

이 대표가 본격적으로 산을 마음에 품은 것은 대학교 1학년 때 처음 지리산을 만나고 나서였다. 무작정 찾아가 가까이서 본 지리산은 웅장하고 거대했다. 두번째 지리산과의 만남 때 종주를 했다. 2박3일 동안 40~50㎞를 걸었다.

“동네 작은 산들만 보다가 지리산 종주를 하고는 자연에 대한 대단한 경외감을 느꼈죠. 이후 산을 계속 좋아했던 것 같아요.” 이를 계기로 외국의 세계적인 명산을 찾아다녔다. 자연스럽게 외국 브랜드가 만든 여러 등산 장비를 찾아 사용했다. 산을 오르면서 장비에 대한 관심도 커져 일종의 ‘얼리 어답터’(일찍 받아들이는 사람)가 됐고 유명 업체들의 새 장비들은 어김없이 그의 손을 거쳤다. 20대부터 40대 중반까지 꾸준히 외국 브랜드의 등산 장비를 쓰면서 뛰어난 내구성과 성능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늘 마음 한구석에 아쉬움이 남았다.

“외국 브랜드를 많이 써봤죠. 좋은 장비가 많으니까요. 그런데 항상 아쉬운 마음이 드는 게 나한테 딱 맞지가 않는 거예요. ‘아, 이건 이렇게 만드는 것도 좋을 텐데.’ 이런 생각들이 점점 쌓이다 직접 한번 만들어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는 왜 계속 외국 제품만 써야 하지? 우리나라에도 가치지향적이고 철학이 있는 아웃도어 브랜드가 있었으면 좋겠다 싶었죠.”





2019년 암벽등반 중 북한산 인수봉 정상에선 이 대표. 이현상 제공

그는 20대 때 자동차공장 용접일을 하고, 30대에는 아이티(IT)업계에서 프로젝트 매니저로 10여년 일했다. 젊은 시절부터 수십년 취미로 푹 빠져 있던 아웃도어 스포츠 일을 직업으로 삼은 건 46살 때였다. 한 아이티회사의 사내벤처로 아웃도어 용품 브랜드 ‘제로그램’을 만든 게 시작이었다. 여러 동료들과 친환경을 추구하는 국내 첫 브랜드를 만들어보자고 했다. 재래시장에서 직접 발로 뛰며 재료를 구했다. 한때 숙련 용접공이었던 그의 손을 거쳐 더 가볍고 우수한 기능의 텐트를 비롯해 각종 아웃도어 장비가 개발됐다. 그렇게 브랜드 창업자이자 장비 개발자로 10년을 일했다.

“당시 외국에는 이미 철학과 스토리를 가진 가치지향적 브랜드들이 있었어요. 제품의 품질도 좋지만, 브랜드가 얘기하는 메시지에 감명받은 소비자들이 꾸준히 같은 브랜드 제품을 사는 것을 많이 봤죠. 한국에도 이런 소비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 봤던 거죠.”

그는 국내 소비자들도 예전처럼 가성비만으로 제품을 고르는 시대는 지났다고 했다. 브랜드에 호응하고 공감해 충성 고객이 되는 방식으로 물건을 소비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우리 사회가 다양성을 중시하는 사회가 되면서 개인의 취향이 강해지고, 작더라도 신뢰할 만한 브랜드와 소수 취향의 독립 브랜드가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이런 경향은 점점 더 강화될 것이라고 했다.

“옛날엔 등산 가면 사람들이 알록달록한 빨간색 노란색 등산복으로 모두 똑같은 옷을 입었잖아요. 지금 2030세대들은 누구나 똑같이 입는 걸 싫어해요. 자기만의 스타일을 강조하고요. 결국 이 흐름은 산업적으로 보면 대규모 생산이 답이 아니란 걸 말하죠. 다양한 브랜드가 공존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브랜드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질 것입니다.”

영화계에 천만 관객의 상업영화만 있지 않듯, 의류와 스포츠 용품 제조업체도 작지만 단단한 브랜드를 추구하면 된다는 것이다. 모든 의류제조사가 똑같은 방식의 대량생산을 유일한 모델로 가져갈 일도 아니다.




쓰레기 줍는 게 친환경 전부 아냐

그에게 또다른 화두는 친환경이다. 10년 전만 해도 산에 쓰레기를 마구 버리는 일이 적지 않았다. 지금은 국내에서도 봉투를 가져가 산에서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조깅을 하며 쓰레기를 줍는 스웨덴에서 시작된 사회운동)이 상식이 됐다. 하지만 이 대표는 산에 가서 쓰레기를 줍는 정도로 환경을 위해 할 일을 다 했다고 생각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2010년 초반, 아직 국내에 생소하던 ‘친환경 아웃도어 용품’이란 개념을 들여왔다. 환경에 나쁜 영향을 덜 주는 제품과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를 최대한 활용할 방법을 꾸준히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기업과 소비자가 적정 생산과 적정 소비를 하는 게 가장 친환경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세일할 때 마음에도 없는 물건을 삽니다. 10만원에 팔던 걸 5만원에 파니까 덜컥 사고는 옷장에 넣고 안 입어요. 제품으로서 가치를 실현하지 못하니 쓰레기와 다르지 않죠.”

적당한 양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기업들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는 아웃도어 업계의 ‘친환경’에 대한 개념도 달려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결국 자원을 가장 많이 쓰는 곳은 가정이 아니라 공장입니다. 기업이 공정과 유통 방식을 개선하지 않고 친환경을 말하는 것은 위선입니다. 단지 재생 종이를 써서 포장지를 만들었다고 친환경 브랜드가 아니죠.”

특히 그동안 아웃도어 의류와 잡화를 생산하는 브랜드들은 시장의 수요보다 많은 물량을 대량생산한 뒤, 팔리지 않은 나머지 물건을 파격 할인과 땡처리를 통해 해결해왔다. 이 대표는 이런 판매 방식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과도하게 만들어서 일단 비싸게 팔다가, 나머지는 땡처리하는 유통 구조야말로 우리 환경을 가장 해치는 행위입니다. 예를 들어, 수요가 100개라고 칩시다. 여유분까지 생각해도 120개 정도 만드는 게 적정 생산량이죠. 그런데 단가를 떨어뜨리기 위해 기업이 200개, 300개를 만들어요. 결국 팔리지 않는 것들이 생기니 나중에 가격을 대폭 할인해 땡처리를 합니다. 지구의 자원을 필요 이상 쓰는 행위죠. 그렇게 만든 물건이 결국 쓰레기가 되고 있는데, ‘친환경 원단’을 썼다고 친환경 제품일까요?”

제품을 적당량 만들어 적절하게 유통시키고 있는지, 소비자들에게 잘 쓰이고 있는지, 효용이 떨어진 제품을 나중에 어떻게 수거할지 등 모든 제품 제작 공정에서 기업이 책임을 느껴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이 대표는 기업의 이런 반환경적인 행위를 소비자들이 꼼꼼히 지켜봐야 한다고 꼬집는다.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제조·판매 공정을 유지하면서 재료의 일부분만 친환경 소재로 쓴 뒤 ‘친환경’이라고 홍보하는 기업을 소비자들이 눈여겨봐야 한다는 것이다. ‘친환경’을 그저 마케팅 기법으로만 활용하는 위장 환경주의(그린워싱·친환경적 활동을 하는 것처럼 거짓 홍보하기)는 아닌지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스스로 착한 기업은 없죠. 소비자가 그렇게 되도록 만드는 게 중요합니다. 결국 기업을 움직이는 것은 소비자의 힘이니까요.”





2014년 미국 워싱턴 노스캐스케이드 국립공원에서 아웃도어 즐기는 이 대표. 이현상 제공


아웃도어란 일상 탈출

등산을 포함해 완만한 산을 걷는 트레킹까지 합하면 인구의 상당수가 산을 벗하며 살고 있다. 지난해 7월 발표한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생활체육조사(2019)를 보면 최근 1년간 참여 경험이 있는 체육활동 1위는 걷기(56.7%), 2위는 등산(32.4%)이다. 가볍게 산에 오르거나 걷는 것이 가장 많은 이들이 즐기는 체육활동인 셈이다.

이 대표는 대단한 채비와 각오를 하고 수십명씩 단체여행처럼 가는 등산의 시대는 가고, 편안한 복장으로 일상에서 소규모로 가는 등산으로 시대 흐름이 변했다고 설명했다.

“(험한 산이 아니고서야) 반바지, 레깅스, 뭐 아무거나 입고 산에 가도 된다는 걸 사람들이 이제 알았고요. 코로나19가 끝났다고 해서 사람들이 갑자기 수십만원짜리 등산복을 다시 차려입고 산에 가진 않을 겁니다. 이제 그런 시대는 끝났어요.” 아웃도어 문화가 젊은층을 중심으로 이제 ‘생활의 영역’으로 들어왔고, 예전 같은 관광버스식 등산은 다시 찾아보기 힘들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아웃도어 문화는 거창한 것이 아니며 도심에 있는 캠핑장이라도 일상을 벗어날 수 있다면 즐거운 경험이 된다고 말했다. “우리가 보통 사각형 안에 살잖아요. 아웃도어는 콘크리트 안 사각형에서 보내는 하루를 벗어나는 시간입니다. 일주일간 뺑뺑 돌았던 쳇바퀴를 벗어난다면 도심에서 30분~1시간만 가도 현대인들한테는 특별한 시간이 된다고 생각해요. 하루라도 텐트에서 아침을 맞을 수 있다면 훨씬 큰 즐거움이 되겠죠.”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98118.html#csidx61d3ce22ee4bf999c083ee9bb638e53

알라딘: 동학의 재해석과 신문명의 모색

알라딘: 동학의 재해석과 신문명의 모색

동학의 재해석과 신문명의 모색   소득공제
김용해, 김용휘, 성해영, 정혜정, 조성환 (지은이)   모시는사람들   2021-05-31



책소개
다섯 명의 학자가 “회심, 소통, 공동체, 생태, 영성”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학과 서양의 여러 사상적 맥락을 교차시켜 가며 재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신문명을 모색하는 작업을 담아냈다. 동학을 한쪽 축에 놓고 그리스도교(회심), 신비주의(소통), 사회주의(공동체), 토마스 베리(생태), 인도의 오르빈드(영성) 등을 배치하여 두 사상의 접점을 찾아 가는 과정에서 상호 이해와 내적 심화-확장을 통한 창조적 재해석이 일어난다.

이들 동학과 서학의 만남과 그로부터 파생한 제 사상은 수세기에 걸친 세계사의 갈등과 격변을 야기하는 과정과도 맞물린 것으로, 오늘의 세계가 새로운 지구적-인류적 과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성실하게 공부하고 실행해야 하는 지혜를 제공해 준다.

접기
목차
회심/김용해

회심이 왜 중요한가?―동학 천도교와 그리스도교의 대화

1. 서언: 회심과 시대정신

2. 종교와 회심

3. 회심 여정의 전제조건들

4. 회심의 동인(動因): 초월과 은총

5. 결언: 동귀일체를 향한 회심



소통/성해영

인간 내면에서 찾은 소통의 근거―동학의 신비주의적 보편성과 윤리성

1. 서언: 소통과 공존의 근거를 찾아서

2. 수운 최제우와 동학, 그리고 종교적 돌파구의 모색

3. 수운 최제우의 종교적 해답

4. 수운의 종교적 보편주의와 종교 다원주의

5. 결언: 인간 내면에서 찾는 역설적 중심



공동체/정혜정

동학의 신문화운동과 공동체론―서구 자본주의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1. 서언: 인류의 위기와 자본주의

2. 중국 신문화운동 통찰과 조선 신문화수립의 방안

3. 이동곡의 조선 신문화건설론과 서구 문예부흥운동

4. 이창림의 동양 신문화수립과 한살림 공동체

5. 결언: 인내천의 사상혁명과 한살림 공동체



생태/조성환

생태문명에 관한 동서양의 대화―토마스 베리와 해월 최시형을 중심으로

1. 서언: 관점의 개벽

2. 현대인의 우주상실과 지구소외

3. 토마스 베리의 지구인문학

4. 해월 최시형의 생태문명론

5. 결언: 지구를 공경하는 신앙



영성/김용휘

오로빈도와 최제우의 인간 완성과 새로운 문명의 길

1. 서언: 전환이 이미 시작되었다

2. 스리 오로빈도의 사상과 신문명론

3. 동학과 신문명론

4. 비교: 새로운 문명의 비전과 의식의 진화

5. 결언: 과제와 전망

접기
책속에서
P.63
회심이란 인간의 마음을 한울님(하느님 또는 절대지평)께 돌려 합치시켜 한울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자신의 인식과 능력의 한계 속에서도 자신이 관계 맺고 있는 다양한 영역에서 더 큰 책임을 지려는 내적 결단이자 실행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심의 수행은 의미 내용적 차원에서 그리스도교와 동학 천도교에서 핵심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동학 천도교의 비전을 인간의 한울님과의 소통성, 천지인 삼재의 일체성, 모든 존재자의 평등성, 행위 주체로서의 인간의 소명으로 요약하였는데 우리는 이 비전을 관통하는 지향이 곧 회심의 수행임을 이해하게 되었다.
P.77
수운의 종교적 해답은 다음에서 살펴볼 세 가지 구체적인 주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보편주의적 진리관이다. 수운은 동서양의 모든 문명이 동일한 천도(天道)를 소유한다고 굳게 믿었다. 그리고 동일한 천도가 시공의 맥락에 부합하도록 각기 다르게 표현된 것이 동서양의 다양한 종교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둘째, 개인 체험에 근거한 신비주의의 강조이다. 수운에 따르면 보편적 천도는 우리 모두의 내면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 점에서 우리 모두는 어느 문명에 속해 있든지 간에 동일한 천도에 가 닿을 수 있는 존귀함을 태생적으로 가진 존재이다. 셋째, 실천적 윤리의 강조이다. 수운은 각자가 자신의 내면에서 체득한 보편적인 천도를 현실에서 구현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P.117
수운이 품었던 꿈은 비록 현실에서 좌절되었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통찰의 원천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종교의 다름이 빚어내는 갈등과 긴장을 경험 중이며, 종교가 더욱 전면적으로 만나게 될 미래에 불협화음은 커질 위험이 있다. 그러니 수운의 종교적 보편주의는 매력적이다. 또 그가 종교의 제도화된 형식이 아닌, 인간 종교성의 근원에 가 닿으려 했다는 점도 중요하다. ‘무종교의 종교(religion of no religion)’나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은(Spiritual But Not Religious)’과 같은 표현이 암시하듯, 제도 종교 밖에서 인간의 종교성을 발견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된 상황에서 수운의 가르침은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다.
P.160
이창림은 동학을 “민중의 철학”으로 규정했다. 일찍이 수운 최제우는 ‘새로운 세상의 개벽(新世開闢)’을 창도하여 조선민중뿐만 아니라 장차 세계 민중에까지 계급해방운동의 길을 개척하는 민중철학을 전개하였다는 것이다. 동학은 사회의 부패, 혼돈, 암흑 속에서 죽어 가는 모든 민중에게 「새 세상은 다 잘 살아보자」고 외치는 고함소리로 계급투쟁의 전선에 나서서 갑오동학농민혁명(1894), 갑진개화운동(1904), 3·1운동(1919)의 대 풍운을 일으켰다. 그리하여 민중운동과 계급해방의 새로운 길을 열어나갔던 것이 동학이다.
P.208
동학을 사상적 차원에서 좀 더 깊게 들여다보면, 단순히 외세에 대한 ‘항거’나 정치적 ‘혁명’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던 것만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동학이 표방한 ‘개벽’은 보다 큰 ‘문명전환’의 차원을 말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개벽’이라는 말 자체가 ‘시대의 전환’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개벽을 표방한 동학을 ‘한국적 근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modern’의 번역어로서의 ‘근대’에는 ‘새로운 시대’라는 의미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이때의 ‘근대’가 서구 유럽이 추구한 ‘근대’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동학농민혁명이 ‘척왜양’을 외쳤다면, 오히려 동학이 지향한 근대는 그것과는 반대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으리라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더보기 
저자 소개
지은이: 김용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한반도의 분단, 평화, 통일 그리고 민족>,<인간존엄성의 철학> … 총 4종 (모두보기)
1986년 한국예수회에 입회하여 1996년 사제서품을 받고 2006년에 최종서원을 한 예수회 신부이다. 전남대학교에서 법학사(1986), 서강대학교에서 철학석사(1990), 오스트리아 인스브룩대학에서 신학석사(1996), 독일 뮌헨 예수회철학대학에서 철학박사(2002)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15년 현재 서강대학교에서 인권과 인간존엄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면서 사회철학, 윤리학, 인간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Zur Begruendung der Menschenwuerde und Menschenrechte auf einer interreligionen Metaebene(IKO-Verlag, 2005), 『젊은이의 행복학』(서광사, 2011), 역서로 『일반윤리학』(Friedo Ricken 저, 서광사, 2006), 『알프레드 델프』(시와진실, 2011) 등이 있다. 논문으로 「Die philosophischen Grundlagen der Menschenrechtsidee in Asien」, 「Die Tonghak-Vision, Ein kreatives Beispiel fuer das interreligioese Gespraech」, 「인간존엄성의 근거: 종교적 실존」, 「현대 영성의 초월철학적 이해」, 「이타적 자살과 이중효과의 원칙」, 「죽음의 철학적 함의와 죽음교육의 필요성」 등이 있다.
지은이: 김용휘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동학의 재해석과 신문명의 모색>,<개벽의 징후 2020>,<손병희의 철학> … 총 8종 (모두보기)
대구대 자유전공학부 조교수, 방정환배움공동체 구름달 대표. 저서로는 『우리 학문으로서의 동학』, 『최제우의 철학』, 『손병희의 철학』 이 있다.
--
지은이: 성해영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수운(水雲) 최제우의 종교 체험과 신비주의>,<다시 이어지다: 궁극의 욕망을 찾아서>,<지금, 한국의 종교> … 총 16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열일곱 살에 뜻하지 않게 찾아온 신비적 합일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뒤늦게 종교학을 시작했다. 2003년에 종교학 석사학위를, 2008년에 미국 라이스대학교에서 종교심리학과 신비주의의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 다. 지은 책으로 《A Happy Pull of Athene: An Experiential Reading of the Plotinian Henosis in the Enneads》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공저)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탄트라의 종교 사상 비교〉 〈수운水雲 종교체험의 비교종교학적 고찰〉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프로이트의 《문명 속의 불만》이 있다. 종교 체험의 비교 연구를 통해 영성과 종교성을 탐구하는 것이 주된 관심이다.
--
지은이: 정혜정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백년의 변혁>,<몸-마음의 현상과 영성적 전환> … 총 7종 (모두보기)
동국대학교 교육학 박사. (現)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저서> 「몸-마음의 현상과 영성적 전환」(2016). 「백년의 변혁」(2019, 공저) <역서> 「동학문명론의 주체적 근대성」(2019) <주요논문> 3.1운동과 국가문명의 ‘교(敎)’: 천도교(동학)를 중심으로(2018). 일제하 식민지 여성해방운동과 동아시아(2019). 한국 근대 서구 국가사상 수용에서의 정치체제 유형과 자연권(2019). 일제하 ‘학술강습소’의 문화운동과 샘골학원(2019) 외 다수
--
지은이: 조성환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동학의 재해석과 신문명의 모색>,<세계는 왜 한국에 주목하는가>,<개벽의 징후 2020> … 총 10종 (모두보기)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 『다시개벽』 편집인. 저서로는 『한국 근대의 탄생』이 있고, 역서로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등이 있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서세동점, 지구적 위기의 근본 원인

최근 2, 3백년 남짓한 (길게는 500년) 세계 근대 역사는 서구 문명의 폭력적 확장 과정이 그 이외 각 지역의 고유한, 자주적인 역사 흐름을 압도하였던 시기이다. 19세기의 조선 또한 이러한 서구 문명의 폭력적 내도(來到)에 대응하여 기존의 성리학 기반 체제를 수호하거나(守舊派), 서기동도(西器東道)의 실용적 대처를 모색하거나(實學派), 혹은 서학 천주교를 수용하고 재해석하고(親西派), 이를 기반으로 적극적인 사회 개혁을 추구하기도 하였다(開化派). 이런 가운데 세계 문명을 조망하면서, 당대의 변화가 조선에 국한된 것이 아닌 문명사적 대전환의 일각임을 간파하고 대안적 종교-사상-철학운동을 펼친 세력이 있는데 이것이 ‘다시개벽’을 표방한 동학이다(開闢派).

동학은 그 시대의 주류 종교 또는 세력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에, 그리고 어쩌면 인류 역사 이래 대대로 고통 받고 소외받아 온 이들의 고통과 희망으로부터 자생하면서 그보다 더 밑층, 자기 문화의 가장 심층에 있는 잠재력으로부터 싹튼 영성운동이다. 동학은 한편으로 서구로부터 연원하였으나 당대 민중들의 일각에서 신앙으로 수용하고 죽음으로써 지켜 나온 서학(西學)과 짝을 이룬다. 조선 민중들의 영성은 제국주의와 더불어 동점해 오는 서학(천주교)마저 개벽적으로 승화시킨 것이다.

다시 말해 조선 사회가 서세의 동점과 내부 질서의 와해라는 이중의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 민중들은 궁극자이고 보편자인 하늘을 지향하여, 현실의 질곡을 일거에 도약적으로 극복하는 천도(天道)의 선포로 나아간 것이다. 어둠 속에서 달빛이 더욱 빛나듯이 위기와 고통 속에서 한울님(天主)의 현존은 더욱 뚜렷이 다가왔다. 그리고 그때로부터 다시 1.5세기 혹은 2세기가 지난 오늘의 한반도는 지구 전역적인 위기가 더욱 깊어지고 넓어지고 뚜렷해지는 시간을 지나고 있다. 돌이켜보면, 이 위기의 시간은 지난 2세기 남짓한 시간 동안 인류사의 주도적인 흐름이 걸어온 길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오래된 미래의 지혜, 하늘학(天學)으로서 동학과 서학의 대화

중요한 것은 오늘 한국인은 물론 인류 전체가 직면한 문제들이 하나의 전통, 하나의 문화, 하나의 종교 비전으로 해결할 수도 없는 다원주의적, 전 지구적 문제라는 점이다. 이는 2세기 전에도 마찬가지였지만, 그때는 ‘우리가’, ‘우리만이’ 새로운 세계의 비전을 갖고 있다는 생각 때문에 진실이 호도되고 감추어졌다면 오늘의 문제, 즉 지구열화, 핵전쟁 위협, 생활세계의 식민지화, 고삐 풀린 자본의 횡포 같은 문제는 모두가 동의할 수 있을 만큼 그 심각성이 도드라지고, 명명백백하여, 이에 대하여 다차원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에 없던 새로운 지혜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지난 역사, 오늘의 지구적 문제가 처음 시작하던 시기에 원천적으로 이 문제의 대안이 제시되던 그때의 지혜를 다시 주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아니, 그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해답은 문제 속에 이미 주어져 있고, 문제의 문제점은 그 출발점에서 가장 잘 보이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인류에게 희망을 줄 ‘새로운 문명’을 모색해 온 저자들은 오래된 미래의 지혜로서 동학을 위시한 개벽적 담론들을 논찬하면서, 한국인들의 고유한 사상과 지혜들을 관통하는 알갱이가 곧 ‘하늘’임을 새삼 스럽게 발견하게 되었다. 하늘은 어원적으로 우리 민족의 이름인 ‘한’과 일치한다. ‘한’은 하나, 전체, 위대함, 대략적이라는 뜻을 담고 있어서 ‘한울(한우리)→하눌→하늘’은 자연스레 전체를 아우르는 하나의 형상을 담고 있다. 이 한을 매개로 할 때 동학과 서학은 쉽게 만나 소통할 수 있으며 과거와 현재, 남과 여, 인간과 비(非)인간도 스스럼없이 서로 만날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하늘의 뜻(天命)을 찾아 자연과 세계(地)와 조화하고 완성하는 인간학(人)이니 이는 다름아닌 하늘학(天學)인 것이다.

하늘학으로 그려내는 미래, 미래의 현재화 - 하늘학

하늘학은 “하늘을 모든 존재자를 창조하고 각각의 존재자의 본성을 완성하는 인격신으로 혹은 근원적 원리로 삼는 사상 또는 종교가 자신들의 하늘-자연생태-인간 삼자 간의 경험과 의미 체계를 공유하고 토론하여 인류의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하늘학은 정태적인 관점과 동태적 관점을 아울러서 인간과 사회의 개혁과 진보를 다룬다. 개체와 전체, 정체성과 관계성, 의식과 무의식, 주체와 객체, 정치와 종교, 개성과 공공성이 대립하고 분열하여 서로를 배제하는 문화를 극복할 대안으로 ‘동귀일체(同歸一體)’의 지평을 모색한다. 이것이 서구의 근(현)대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논쟁을 해소하는 지평이라 생각한다.

자연에 대한 과학적 인식과 종교적 믿음을 분리하고, 인식 주체의 이성(과학)만을 절대화하는 근(현)대성과 주객 이분법, 도구적 이성에 의한 세계의 사물화, 과학과 기술의 이면의 파괴성이 오늘의 ‘괴물 지구’를 낳았다. 이에 대한 반발로 이성을 해체하려고 봉두난발이 되도록 뛰어다니던 포스트모더니즘을 화해시키는 것, 다시 말해 주체의 강조와 주체의 해체를 통합하는 것은 서구 문명의 한계-과제를 해소하는, 그들의 아픈 심신을 달래고 치유하여 행복한 미래 세계로 인도하는 길이기도 하다. 오늘, ‘동아시아-한국’의 사람들이라고 해서 그러한 ‘서구 문명의 한계’로부터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독을 농축된 형태로 체화한 것이 우리이다.

한민족의 지혜를 담고 있는 하늘학은 어떤 비방으로서 그 독(毒)을 해소하고, 아니 그 독(毒)마저 약으로 승화시키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지가 이 책에서 답하려는 물음이다. 하늘학은 하나의 종교문화, 하나의 비전으로 환원하려는 것이 아니라 여러 종교문화와 여러 비전들이 공통으로 지향하는 가치를 모색하는 가운데, 다양한 개성과 전통, 사상과 강조점을 존중하며 현대 세계의 문제를 해소하는 공론장이 될 것이다.접기




사설 탈원전에 석탄발전 수출도 금지…발전생태계 고사시킬 건가 | 한경닷컴

사설 탈원전에 석탄발전 수출도 금지…발전생태계 고사시킬 건가 | 한경닷컴


[사설] 탈원전에 석탄발전 수출도 금지…발전생태계 고사시킬 건가
입력2020.08.24
 

탈(脫)원전 정책의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발전업계가 이번에는 석탄발전 수출까지 전면 중단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해외석탄발전투자금지 4법’(한국전력법·수출입은행법·산업은행법·무역보험법 개정안)이 9월 정기국회 통과가 유력시되기 때문이다. 법안은 한전과 금융공기업의 해외 석탄발전사업 참여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세계 최고 친환경 석탄발전 기술을 보유한 두산중공업 등 관련 산업 생태계의 급격한 붕괴가 우려된다.

탈원전처럼 석탄발전 수출 금지도 환경단체의 압력이 컸다. 환경단체들은 석탄발전은 온실가스 배출이 많다며 ‘비윤리 사업’으로 낙인찍고 있다. 하지만 국내 기업이 수출하는 석탄발전은 탄소배출량을 대폭 줄인 ‘초초임계압’이란 친환경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LNG) 발전과 비교해도 탄소배출량 차이가 크지 않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적용하는 석탄발전 수출 규제에서도 예외다. 그런데도 환경단체들은 석탄발전 수출을 하는 국가는 죄다 ‘기후악당’인 양 몰아붙인다.

법안이 통과되면 한전이 베트남에서 추진하는 석탄발전소 건립부터 위태롭게 된다. 인도네시아 자와 9·10호기에 참여하고 있는 342개의 국내 중소·중견기업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그렇지 않아도 국내에서 석탄화력발전소 허가 금지, 노후 발전소 조기 폐쇄 등 ‘탈석탄화’로 위기에 처한 업계가 수출까지 차단당할 경우 치명타를 입을 수밖에 없다. 화력발전을 중단한다던 유럽연합(EU)조차 유예기간을 두는 등 속도 조절을 하는 마당이다. 거대 여당이 산업에 미칠 악영향을 무시한 채 환경단체의 일방적 주장을 추종하는 것은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

관련기사

[사설] 고쳐야 할 부동산 세제가 '부부 공동명의 불이익'뿐인가

[사설] 의료 갈등, '정부안 재검토, 코로나 방역 매진'이 해법

[사설] '방역의 정치화'로는 코로나 대유행 못 막는다
원전에 이어 석탄발전까지 붕괴하면 에너지 수급의 불안정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35%로 늘린다지만 날씨에 민감한 에너지로는 대체가 어렵다. 장마·태풍 등 하늘·바다만 쳐다보는 태양광·풍력 발전량이 올해 6분의 1가량 감소한 것만 봐도 그렇다.

발전업계가 고사하면 제조업 르네상스도 신산업 육성도 어렵다. 더 늦기 전에 탈원전뿐 아니라 석탄발전 수출 금지 등 자해적인 에너지 정책과 입법을 바로잡아야 한다. 여당이 환경단체에 휘둘리면 정부라도 중심을 잡아야 할 것 아닌가.
#사설

탈원전이 위험한 선택인 이유 : 지식협동조합 좋은나라

탈원전이 위험한 선택인 이유 : 지식협동조합 좋은나라



탈원전이 위험한 선택인 이유
2020-09-28
수정지우기


현안과정책 329호

글/안도현 (제주대학교 교수)

탈원전을 추진하는 이유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원자력의 위험은 대처하고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설령 원전 격납건물이 붕괴하는 극단적인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사고지역에서 모든 사람이 대피해야 할 정도의 재난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후쿠시마원전 사고 당시 가장 심각하게 방사능 오염의 영향을 받은 일본 토미오카에서 주민을 대피시키지 않았을 경우, 이 지역 주민의 기대수명이 두달반 단축된다. 런던에서 대기오염으로 단축되는 기대수명이 넉달반이다. 일본정부가 16만명이나 강제 이주시킨 결과 첫 3년간 1,121명이 신체적 정신적 고갈로 사망했다. 방사선 자체로 인한 사망은 1명도 없는데, 방사선 공포가 1천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것이다. 원전이 지난 30여년간 화석연료를 대체함으로써 구한 생명이 180만명이다. 배출을 줄인 온실가스가 1976년이래 64기가톤이나 된다. 원자력을 포기하면 화석연료인 가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그만큼 대기오염과 기후변화에 취약해친다. 탈원전이 오히려 국민의 생명과 안전,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문제제기

“여우 피하려다 호랑이 만난다”는 속담이 있다. 작은 해를 피하려다 더 큰 화를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노루를 피하다 호랑이를 만난다는 避獐逢虎(피장봉호)도 마찬가지다. 원전(원자력발전소)사고가 여우나 노루이고,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 호랑이다. 대한민국의 탈원전 정책에 꼭 들어맞는 속담이다.

탈원전 정책은 원자력발전소의 신규건설을 중지하고, 기존 원자력 발전소도 순차적으로 폐쇄시키겠다는 정책이다. 정부 방침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이사회는 2018년 6월 월성1호기 조기폐쇄하고 신규 원전 사업 백지화를 결정했다. 다만, 신고리 5,6호기의 경우 2017년 10월 공론화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건설을 재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탈원전 선언을 했을 때만 해도 나는 그 선언1)을 환영했다. 원자력은 한번 사고가 나면 수습할 수 없으니, 도저히 해답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좀 더 깊이 자료를 살펴보던 중 혹시 내가 뭔가 잘못알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쿨츠게작(Kurzgesagt)의 핵에너지(원자력) 찬반 설명 3부작 동영상에 접하면서다. 쿨츠게작은 독일어로 ‘간단한 요약’이란 뜻인데, 어렵고 복잡한 자연현상과 사회현상을 과학적 근거를 통해 쉽고 명확한 동영상으로 풀어 설명하는 유튜브 채널이다. 핵에너지에 대해서도 원리를 설명하는 발제 동영상 및 반대와 찬성 동영상을 3편으로 만들어 제시했다.




원자력이 위험한 이유

원자력이 위험한 이유는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2) 첫째, 핵확산 가능성이다. 핵무기 제작에 필요한 기술과 재료를 원전 건설 기술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구할수 있게 된다. 둘째, 핵폐기물과 오염문제다. 원전을 가동하면 사용후 핵연료가 생긴다. 비록 사용을 마친 연료지만, 충분히 연소되지 않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방사능이 나온다.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하면 연료로 다시 쓸수 있지만, 재처리를 통해 핵무기 원료가 확보되기 때문에 재처리가 허용된 나라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셋째, 원전사고로 인한 재난 가능성이다. 원자로의 노심이 녹는 중대사고가 발생해 격납건물이 폭발을 견뎌내지 못하고 무너지면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주변 환경으로 누출된다. 1987년 구 소련 체르노빌, 2011년 일본 후쿠시마에서 발생했던 일이다.




원자력이 필요한 이유

원자력이 필요한 이유는 3가지가 있다.3) 첫째, 원자력이 생명을 구한다. 미국 NASA의 2013년 연구에 따르면 원자력이 1976년부터 2009년까지 33년간 약 180만명의 생명을 죽음으로부터 구했다.4)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를 포함한 수이다. 원전이 생명을 구하는 주된 이유는 화석연료 사용을 대체해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폐기물을 대기에 배출하는 가스나 석탄 등과 같은 화석연료와 달리 오직 원자력만 폐기물을 격리된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둘째, 원자력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다. 원전을 가동해 배출을 줄일 수 있었던 온실가스의 양은 1976년 이래 약 64기가톤이나 된다. 21세기 중반이면 원전이 줄일 수 있는 온실가스의 양은 추가로 80~240 기가톤이 될 전망이다. 셋째, 신기술의 개발이다. 원전사고나 핵폐기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원전 개발이 진행중이다. 가까운 시일내에 차세대 원전을 가동할수는 없더라도, 적어도 수십년 늦어도 수백년 내에는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핵폐기물을 수만년이나 보관해야 한다는 논리는 오류다.




재생에너지가 대안일수 없는 이유

태양광이나 풍력같은 재생에너지를 원자력 대안으로 삼으려하지만, 간헐성과 낮은 에너지밀도 때문에 원자력의 대안이 될 수 없다. 간헐성이란 에너지를 24시간 안정적으로 생산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흐린날에는 태양광발전이 안된다. 바람이 안불거나 너무 센 날에는 풍력발전이 불가능하다. 우리에게는 이미 지난 2020년 7월과 8월 장마기간에 50일내내 비가오고 흐려 태양광발전이 무용지물이 됐던 경험이 있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수소가 유력한 저장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생산비용이 너무 비싸다.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수소를 저렴하게 생산하는 방법은 원자력뿐이다. 리튬전지와 같은 배터리에 저장하는 것도 비현실적이다. 배터리 가격이 고가일 뿐 아니라, 국가단위의 전기수요를 감당할 만큼의 배터리 재료(희귀금속)를 조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재생에너지는 화력이나 원자력처럼 24시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탈원전을 선택한다면 재생에너지의 사용은 화력발전 의존도를 높일 수밖에 없다. 실제로 탈원전을 선택한 나라의 화석연료 의존도가 줄지 않고 있다. 가스의존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가스도 화석연료다. 온실가스와 오염물질을 배출한다. 특히, 가스는 채굴과 이송과정에서 메탄이 누설돼 기후변화에 석탄보다 더 나쁜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재생에너지의 보조수단으로 화력발전소를 가동하면 오염물질이 더 많이 배출된다. 미국의 전력회사 듀크에너지(Duke Energy)의 분석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증가가 대기오염을 악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5) 듀크 에너지는 태양광발전이 의도대로 대기오염을 줄여주는지 파악하기 위해 7개월간 발전소 운영과 대기오염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결과는 태양광발전이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 배출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감축에 기여하지도 못했다. 심지어 태양광발전으로 전기를 많이 만드는 한낮에도 오염물질이 증가했다. 이유는 태양광의 전기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변할 수 밖에 없는데, 그 변화에 맞춰 화력발전소의 가동과 중단을 반복해 열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재생에너지에 거액을 투자해 대기오염을 악화시킨 셈이다.

재생에너지 투자가 오히려 대기오염과 기후변화에 취약하게 만드는 현상은 재생에너지에 투자를 늘린 나라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다. 국가별 탄소발자국(에너지 생산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하는 정도)을 보면, 탈원전을 선택한 독일이 원전중심인 프랑스의 10배나 된다. 전기생산 배출요인(Grid Electricity Emission Factors; KgCO2e per kWh)이 프랑스는 0.047에 불과한데, 독일은 0.469나 된다.6) 재생에너지 투자로 석탄의존은 줄였지만, 화석연료인 가스 의존도가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7) 온실가스 배출정도를 지도에 시각화해 보면 분명하게 드러난다(그림1). 녹색이 짙을수록 온실가스 배출이 적고, 갈색이 짙을수록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데, 재생에너지 투자에 적극적인 독일, 덴마크, 스페인은 갈색이고, 원전중심인 프랑스는 녹색이다.



<그림 1> 유럽 주요국가의 온실가스 배출정도 www.electricitymap.org/zone/DE

프랑스와 독일의 에너지원 구성을 1969년부터 2018년까지 비교해보면 프랑스는 원전의존도가 가장 높은데, 독일은 상위 3위가 석유, 석탄, 가스 등 모두 화석연료다 (그림2). 재생에너지에 거액을 투자했는데도 오히려 화석연료 의존도가 증가한 것이다.



<그림 2> 프랑스와 독일의 1969년부터 2018년까지의 에너지원 https://www.visualcapitalist.com/energy-consumption-by-source-and-country-1969-2018/

낮은 에너지밀도도 재생에너지의 근본적인 한계다. 에너지밀도란 단위 부피당 저장 혹은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에너지밀도는 원자력이 가장 높다. 원자력 연료인 우라늄 1그램이면 석탄 3톤을 태워 나오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원자력은 에너지밀도가 높은 만큼 배출하는 폐기물의 양도 적다. 원전 1기가 수십년간 배출하는 폐기물은 실내체육관 정도의 공간으로 해결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는 에너지밀도가 낮기 때문에 산업공단 등에 공급할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태양광 패널이나 풍력발전기를 매우 많이 건설해야 한다. 그만큼 많은 토지를 소모해야 한다. 에너지밀도가 낮은데다 하루 4시간밖에 전기를 생산하지 못하는 태양광으로 원전2기가 생산하는 만큼의 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태양광패널(330W)이 1억장 이상 필요하다. 태양광패널의 두께가 4cm라면 두께만 계산해도 4,000km나 된다. 부산부터 시베리아 땅 끝까지 거리가 4,000km다. 토지는 한정된 자원이다.

간헐성과 낮은 에너지밀도 때문에 재생에너지는 매우 비싸다. 독일의 에너지전환 전문가들이 계산한 에너지투자수익률(EROI: Energy Return on Investment)은 태양광이 가장 낮고, 원자력이 가장 높다.8) 미국 시카고대학의 에너지연구소(EPIC)는 재생에너지가 가장 비싸다는 결론을 내렸다. 에너지비용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LCOE(Levelized Cost of Energy)는 간헐성비용(백업 용량 비용), 막대한 물리공간 비용(태양광 및 풍력발전부지 및 송전비용) 및 기저발전 조기퇴출 비용 등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재생에너지의 비용을 제대로 산출할수 없다고 지적한다.9)




원전사고가 치명적이지 않은 이유

“그래도 원전 격납건물이 붕괴하는 초대형 사고보다는 낫지 않을까“라는 질문이 가능하다. 정당한 질문이다. 원전중대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절대로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99.99% 안전해도 사고가능성이 0%인것은 아니다. 만일 후쿠시마원전 사고같은 일이 산업시설 밀집지대인 남동해안에서 발생하면, 인근 산업공단을 비워야 할까? 원전중대사고가 한국에서 발생하면 국가경제의 붕괴로 이어질까? 과연 원전중대사고는 절대 발생해서는 안되는 사건일까?

위 질문에 대한 답을 하기 위해서는 판단기준이 필요하다. 그 판단기준이 J값(the Judgement or J-value)이다. 영국 브리스톨 대학의 필립 토마스 교수가 2012년부터 영국과 인도정부의 지원을 받아 NREFS (Management of Nuclear Risk Issues: Environmental, Financial and Safety)프로젝트로 개발한 지표다.10)

J값은 삶의 질 지표(Life Quality Index)를 이용해 어느 안전조치가 안전의 이익이란 측면에서 비용대비 가치가 가장 뛰어난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위험노출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의 비용을 투입하는 것이 윤리적인지 판단하는 경제지표다. 코로나19 사태에서 봉쇄조치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사용한 도구다.

J값을 이용하면 원전 중대사고 발생시 대규모 주민이동조치가 과연 정당했는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구소련과 일본정부는 5~10배나 많은 인원을 불필요하게 강제 이주시켰다. 최악의 원전사고인 체르노빌의 경우, 33만명을 강제 이주시켰는데, J값을 적용하면 3만명으로 국한했어야 했다. 후쿠시마는 16만명을 강제이주시켰는데, 전적으로 불필요한 조치였다(지진과 해일때문에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 방사능 오염의 영향을 가장 심각하게 받은 일본 토미오카에서 주민들을 대피시키지 않았을 경우, 주민의 기대수명이 두달반 단축된다. 영국 런던에서 대기오염으로 단축되는 기대수명이 넉달반이다. 후쿠시마의 기준을 적용하면 런던시민들도 모두 강제이주 대상이 된다. 지구상의 모든 대도시 주민이 강제이주 대상이 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일본정부가 16만명이나 불필요하게 강제 이주시킨 결과 첫 3년간 1,121명이 신체적 정신적 고갈로 사망했다는데 있다. 즉, 방사선 자체로 인한 사망은 1명도 없는데, 방사선 공포가 1천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것이다.




결어

탈원전을 추진하는 이유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다. 국민을 위협하는 요인은 원전이 아니다.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다. 탈원전은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를 악화시킨다. 탈원전 때문에 결과적으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 건강이 위협받게 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사실을 잘못 알면, 누구라도 잘못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새로운 사실을 알았다면, 그 결정을 바꿔야 한다. 사실이 바뀌면 마음을 바꿔야지, 마음은 안바꾸고 사실을 바꾸려 해서는 안된다. 여우(원전사고)를 피하려고 굳이 호랑이(기후변화와 대기오염)와 마주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참고문헌>
1) 연합뉴스 (2017.6.19.). [전문] 文대통령 고리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 기념사. https://www.yna.co.kr/view/AKR20170619071500001
2) Kurzgesagt – In a Nutshell. (2015.4.1.). 원자력이 끔찍한 세 가지 이유! (2/3). https://www.youtube.com/watch?v=HEYbgyL5n1g
3) Kurzgesagt – In a Nutshell. (2015.4.1.). 원자력이 멋진 세 가지 이유! (3/3). https://www.youtube.com/watch?v=pVbLlnmxIbY
4) Kharecha, P. A., & Hansen, J. E. (2013). Prevented mortalit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historical and projected nuclear power.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7(9), 4889-4895. https://pubs.acs.org/doi/abs/10.1021/es3051197
5)North State Journal. (2019.8.14). Duke Energy application points finger at solar for increased pollution. https://nsjonline.com/article/2019/08/duke-energy-application-points-finger-at-solar-for-increased-pollution
6)Carbon footprint. (2019). Country specific electricity grid greenhouse gas emission factors. https://www.carbonfootprint.com/docs/2019_06_emissions_factors_sources_for_2019_electricity.pdf
7) Bloomberg. (2018.8.15). Germany’s Failed Climate Goals A Wake-Up Call for Governments Everywhere. https://www.bloomberg.com/graphics/2018-germany-emissions
8) Global Energiewende. (2014.9.4). EROI ranking of different power sources. https://energytransition.org/eroiranking/
9) Greenstone & Nath. (2019). Do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Deliver? https://epic.uchicago.edu/wp-content/uploads/2019/07/Do-Renewable-Portfolio-Standards-Deliver.pdf
10) Watson. (2019.4.12). For The First Time, World Learns Truth About Risk Of Nuclear. https://medium.com/generation-atomic/for-the-first-time-world-learns-truth-about-risk-of-nuclear-6b7e97d435df

[기고] 탈원전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이유들 - CEONEWS - 시이오뉴스

[기고] 탈원전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이유들 - CEONEWS - 시이오뉴스



[기고] 탈원전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이유들

이덕환 교수
승인 2018.10.12 

탈원전 고집하는 정부가 원전 수출한다는 발상은 비윤리의 극치

[CEONEWS=이덕환 교수] 이낙연 국무총리가 ‘탈(脫)원전’이 우리 머리에 맞지 않는 ‘너무 큰 모자’로 평가했다고 한다. 현재 2023년 완공을 목표로 원전 5기를 짓고 있으니 완전한 탈원전은 60년 후에나 실현될 수 있는 먼 미래의 꿈이라는 것이다. 어설픈 탈원전 정책을 무리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백운규 산업통산자원부 장관의 입장도 크게 다르지 않은 모양이다. 오히려 괜한 탈원전에 발목이 잡혀서 정작 중요한 산업혁신과 신산업 개발에 신경을 쓸 여유가 없다고 기자들에게 푸념을 했다는 소식이다. 지난 1년 동안 온 나라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멀쩡했던 전력 수급체계를 엉망으로 만들어버린 책임감은 찾아볼 수 없는 해괴한 유령(幽靈) 화법이다.

탈원전은 명백한 현실

탈원전은 작년 6월 19일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의 핵폭탄급 ‘탈핵’(脫核) 선언으로 시작됐다. 국민 안전과 환경을 위협하는 위험하고 더러운 개도국형 에너지 생산 기술인 원전과 석탄화력을 안전하고 깨끗한 선진국형 신재생으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40년 동안 산업 발전과 국민 생활에 크게 기여했던 고리 1호기를 우리 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핵폭탄으로 전락시켜버린 황당한 선언이었다.

그러나 탈핵 선언은 괜한 것이 아니었다. 멀쩡하게 돌아가던 석탄화력을 늙었다는 이유만으로 가동을 중단시켰고, 공정이 진행 중이던 신고리 5‧6호기의 공사도 중단시켜버렸다. 역시 멀쩡하게 가동 중이던 원전 24기 중 11기를 안전 점검을 핑계로 무작정 세워버리기도 했다. 7천억 원을 들여 보수해놓은 월성 1호기를 영구 폐쇄하고, 진행 중이던 신규 원전 4기의 건설 공사도 중단시켜버렸다. 지난 1년 동안 탈원전에 쏟아 부은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는 추정도 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지난 겨울의 기록적인 혹한이 그 시작이었다. 2월 6일에는 전력 수요가 당시 사상 최대인 88.2GW까지 치솟았다. 수급에 비상이 걸린 정부는 기업의 조업을 강제로 중단시키는 수요감축 지시를 10차례나 발령해야만 했다. 기상 관측 이후 최악의 폭염이었던 여름에도 전력 수급에 다시 비상등이 켜졌다. 7월 24일에는 전력 수요가 다시 사상 최대인 94.5GW로 폭증해버렸다. 5개월 사이에 전력 수요가 7%나 늘어나 버린 것이다. 다행히 어렵사리 최악의 위기는 모면했지만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과연 다가오는 겨울을 무사히 넘길 수 있을 것인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공기업인 한전과 한수원의 위상도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원전의 발전 총량은 재작년 상반기의 70%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석탄과 LNG 화력의 가동을 늘여야만 했다. 결국 초우량 기업이었던 한전은 최근 3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냈고, 8조원의 시가 총액이 날아가 버린 부실기업으로 전락해버렸다.

포기할 수 밖에 없는 원전 수출의 꿈

원전이 위험하다는 이유로 탈원전을 고집하는 정부가 원전 수출을 계속하겠다는 발상은 아무도 용납할 수 없는 비윤리의 극치다. 원전이 우리에게 위험하다면 다른 나라 국민에게도 위험한 것일 수밖에 없다. 그런 원전은 절대 수출하지 말아야 한다. 어쨌든 원전 수출이 ‘바라카’(신의 축복)라는 대통령의 꿈은 환상으로 끝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이미 영국의 무어사이드 원전 건설 참여도 불확실해졌다.

현실은 훨씬 더 심각하다. 이미 원자력을 전공하겠다는 학생들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원전의 건설과 운영에 필수적인 원전 부품 공급 산업은 더욱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미 상당수의 중소기업들이 중국으로 떠나가고 있다. 정말 심각한 문제는 원자로 생산에 세계적인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두산중공업이다. 원전과 석탄화력의 신규 수주 물량이 사라져버린 우리나라에서 두산중공업이 현실적으로 살아남을 가능성은 없다. 두산중공업이 중국으로 떠나버리면 지난 60년 동안 애써 이룩해놓은 원전 산업은 온전히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어낼 혁신 성장의 구호가 공허하게 들릴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원전의 신규 건설이나 수출만 불가능해지는 것이 아니다. 지금 건설해서 앞으로 60년 동안 남아있을 원전의 안전한 가동도 보장하기 어려워진다. UAE에 완공될 바라카 원전의 운영권도 포기하게 될 가능성도 걱정해야 한다.

원전 산업의 붕괴는 절대 괜한 걱정이 아니다. 실제로 원전의 종주국이었던 미국과 영국이 경험했던 현실이다. 미국은 세계에서 최초로 원자폭탄을 개발했고, 영국은 1956년 세계 최초로 상업용 원전을 건설한 원전 선진국이다. 우리와는 비교할 수도 없을 정도의 원전과 핵 기술을 보유한 미국과 영국이 모두 상업용 원전 건설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78년 쓰리마일아일랜드 원전 사고 이후 원전 건설을 포기한 탓이었다. 원전 건설에 필요한 전문 인력과 기반 산업이 사라져버리기까지는 채 30년도 걸리지 않았다. 우리의 사정은 다를 것이라는 기대는 온전한 착각일 수밖에 없다.

신재생 마피아들의 이기주의

탈원전의 대안으로 태양광과 풍력을 비롯한 ‘신재생’을 내세운다. 그런데 탈원전을 전제로 어설프게 만들어진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드러난 신재생의 진실은 충격적이다. 2030년까지 건설하겠다는 58.5GW의 신재생 발전 시설이 생산할 수 있는 전력은 고작 8.8GW에 지나지 않는다. 발전효율이 평균 15%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전국의 숲·농지·저수지를 파헤치고 세워놓은 태양광과 풍력이 사실은 하루 평균 고작 3.6시간 동안 발전을 하고, 나머지 20.4시간은 아무 쓸모가 없는 혐오시설로 남게 된다는 뜻이다.

비용은 더욱 황당하다. 2030년까지 신재생에 쏟아 부을 비용이 무려 170조원에 이르고, 서울 면적의 15배에 달하는 산림·농지·저수지를 훼손시켜야 한다. 더욱이 신재생 시설의 수명은 고작 10년 남짓이다. 수명이 다하면 또 천문학적 비용을 투입해서 모두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엄청난 양의 폐기물이 쏟아져 나오고, 숲·농지·저수지가 훼손된다. 태양광 패널 폐기물의 재활용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신재생이 친환경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이다. 더욱이 8.8GW의 전력을 생산하는 원전의 건설은 40조원으로 충분하고, 적어도 60년을 활용할 수 있다. (참고로 4대강 사업에 들어간 비용은 25조를 넘지 않았다.)

더욱이 태양광과 풍력을 비롯한 신재생은 태생적으로 간헐성을 극복할 수 없다. 전력이 필요할 때 가동을 보장할 수 없다는 뜻이다. 전력저장장치(ESS)는 현재 개발 중인 미완성의 기술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로는 국가적 규모의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다. 전 세계적으로 공급이 제한되어 있는 리튬 원자재의 수급도 보장할 수 없다.

결국 신재생의 간헐성을 채워줄 현실적인 대안은 화석연료인 천연가스(LNG)가 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2030년까지 21.1GW의 LNG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해야만 한다. 결국 온실가스와 초미세먼지를 내뿜고, 발전단가는 널 뛰듯 할 수밖에 없는 LNG 발전소에서 신재생으로 생산하는 전력(8.8GW)의 5.4배에 이르는 47.5GW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배보다 훨씬 더 큰 배꼽이 필요한 신재생은 절대 친환경이라고 할 수 없다.

결국 밀실로 운영된 대선 캠프의 ‘신재생 마피아’들이 어설프게 급조한 탈원전은 사실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마구 쏟아내는 LNG 확대 정책이다. 개발도상국의 기술이라는 석탄의 비중도 줄어들지 않는다. 2030년에도 38.9GW의 전력을 석탄화력으로 생산해야만 한다. 탈원전의 대안이라는 신재생은 허울뿐이고, 국민안전과 환경보존도 불가능한 꿈이 될 수밖에 없다.

어쩔 수 없이 소규모 분산형으로 운영할 수밖에 없는 신재생 시설의 현실적인 관리도 불가능에 가깝다. 태양광과 풍력으로 생산한 전력을 송전망에 올리려면 직류를 교류로 전환시켜주는 인버터(inverter)라는 정밀장비가 필요하다. 과연 신재생 마피아들이 신재생 발전설비를 전문적으로 관리할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는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 자칫하면 애써 생산해놓은 전력의 품질(전압, 주파수)만 떨어뜨리는 장애요인으로 전락해버릴 수도 있다.

탈원전은 국가 에너지 정책의 중대한 변화를 뜻한다. 헌법 88조에 따라 국무회의의 심의 사안이고, 원자력진흥법에 따라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원자력진흥위원회의 심의‧의결 사안이다. 에너지법도 있고, 녹색성장기본법도 있다. 국회가 제정한 법률이 철저하게 무시하고 추진되는 탈원전은 여전히 ‘제도화’되지 못한 어설픈 대선 공약일 뿐이다. 밀실에서의 야합에 의한 적폐(積弊)를 거부한 촛불 정신을 잊지 말아야 한다.

‘머리에 맞지 않는 모자’는 고치거나 버리는 것이 순리다. 이름을 바꾼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장관이라면 자신이 무슨 정책을 어떻게 추진하고 있는지는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누진제 완화를 약속한 자신의 발언도 확실하게 기억해야 한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법적근거 없는 '탈원전'은 불법" 에너지 교수들 성토 - 조선비즈

"법적근거 없는 '탈원전'은 불법" 에너지 교수들 성토 - 조선비즈


"법적근거 없는 '탈원전'은 불법" 에너지 교수들 성토
설성인 기자
입력 2018.12.18 18:07

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 토론회

"전 세계 어떤 나라도 정부의 일방적인 명령으로 탈원전 정책을 집행하지 않는다. 지금이라도 정부가 정정당당하게 국회에 법률안을 제출하던지 국민투표를 고려해야 한다."(정승윤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에교협)는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에너지 전환 정책의 법적, 윤리적 문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는 정승윤 교수, 조성진 경성대 에너지학과 교수, 손양훈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정부가 말하는 에너지 전환은 합리적인 에너지 믹스(mix·혼합)가 아니라 탈원전이며, 불법·비윤리적"이라고 비판했다. 정승윤 교수는 "(탈원전이라는) 대통령 공약은 반드시 법을 통해 실현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대한민국 헌법에 규정돼 있다"면서 "탈원전 정책은 국회를 거치지 않았는데, 사법부가 제동을 걸 용기와 신뢰는 없다. 결국 국민들이 나서서 정치적으로 해결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는 18일 ‘에너지 전환 정책의 법적, 윤리적 문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왼쪽부터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 이덕환 서강대 교수, 손양훈 인천대 교수, 정승윤 부산대 교수, 조성진 교수.

◇ 독일·대만·이탈리아·스위스, 법·국민투표로 탈원전 근거 확보

독일, 대만, 이탈리아, 스위스 등 우리보다 앞서 탈원전을 추진했던 국가들은 법률을 기반으로 에너지 정책을 추진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투표 등으로 국민의사를 묻고 수십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탈원전 정책을 실행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지난해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불과 1년반 만에 월성 1호기 조기 폐쇄와 신규 원전 4기 사업 백지화 등을 일사천리로 진행했다.

정승윤 교수는 "우리는 행정계획(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집권 세력이 탈원전 정책을 시행했다"면서 "독일은 2011년 원자력법을 개정해 법률을 통해 탈원전에 나섰으며, 대만은 2011년 헌법재판소가 국회의 승인 없는 정부의 일방적인 원전 건설 중단 결정은 위법하다는 판결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대만 정부는 지난해 초 ‘2025년까지 가동중인 모든 원전을 중단시킨다’는 조항을 전기사업법에 신설했지만, 지난달 국민투표에서 조항 폐지가 결정됐다.


정 교수는 "이탈리아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 직후인 1987년 국민투표로 탈원전을 결정했으며, 스위스는 국민이 신규 원전 건설 금지 등을 제안하는 국민발안이 수차례나 있었다"고 했다.

이덕환 교수는 "우리 사회는 준법투쟁이 살아있다"면서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를 결정하고 신규 원전 4기 사업을 백지화한 것은 원자력진흥법·전기사업법 위반이다. 국회에서 법을 지키지 않는 행정부를 견제하고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 조성진 교수 "한수원 이사회, 월성 1호기 폐쇄 자의적 결정 아냐"

올 6월 한수원 이사회에서 월성 1호기 조기 폐쇄와 신규 원전 4기 사업 백지화에 반대했던 조성진 교수는 "한수원 이사회에 원자력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사람은 몇명 안 된다. 원자력도 모르고 에너지도 모르는 사람이 그걸(월성 1호기 조기 폐쇄와 신규 원전 4기 사업 백지화) 끄집어냈겠냐"며 "이사회가 자의적으로 결정했다는 건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했다.

정용훈 교수는 "2040년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3차 에너지기본계획(2019~2040년)에서 제시한 25~40%의 절반 이하로 낮춰야 합리적"이라며 "최근 탈핵에너지전환 국회의원 모임에서는 원전이 사양산업이라고 하면서 중국의 원자력은 제외하고, 신재생이 대세라는 주장에는 중국을 포함하는 근거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통계만 봐도 신재생에너지 총합이 24%이지만 태양광(2%)과 풍력(5.5%)의 합은 7.5%에 불과하다"며 "(OECD가 신재생을 하니깐 우리도 해야한다는) 당위성에는 신재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력이 빠져 있다"고 했다.

토론회에서 축사를 한 윤한홍 자유한국당 의원은 "(정부가 제시하는) 에너지 전환이라는 용어에 동의할 수 없다. 신고리 5·6호기 공사가 2022년이면 끝나며, 이후에는 원전 건설이 없다"면서 "내년에 원전 산업의 핵심인 두산중공업에서 1200명의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이며, 문을 닫고 눈물로 호소하는 두산중공업의 협력사들이 속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현실적이고 비윤리적인 탈원전, 이제는 접어야 - 지구와에너지

비현실적이고 비윤리적인 탈원전, 이제는 접어야 - 지구와에너지


You are here
Home > 퍼스펙티브 > 비현실적이고 비윤리적인 탈원전, 이제는 접어야

비현실적이고 비윤리적인 탈원전, 이제는 접어야


퍼스펙티브
지구와에너지 - 2019년 11월 13일
29



이덕환 서강대 화학, 과학 커뮤니케이션 전공. 명예교수 과학기술훈장 웅비장 수상. 서울대학교 화학과, 미국 코넬대 화학과 졸업. 프린스턴대 연구원 역임.

정부가 대선 공약이라는 이유만으로 무작정 밀어붙이고 있는 탈원전이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과 효율을 자랑해왔던 원전 산업이 위험하게 붕괴되고 있다. 원전의 수출은커녕 현재 가동하고 있는 원전의 안전을 걱정해야 하는 형편이다. 그렇다고 깨끗하고 안전한 신재생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도 아니다. 애써 가꿔왔던 숲·농지·어장이 싸구려 중국산으로 망가지고,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내뿜는 석탄화력과 LNG 화력의 가동만 속절없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안정적인 전력 수급 체계가 흔들리고, 미세먼지가 국민안전을 위협하고, 국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약속 이행도 어려워지고 있다. 법과 제도를 무시하고 추진하는 탈원전은 더 이상 고집할 수 없는 형편이다.

‘에너지 전환’의 탈을 쓴 탈법적 ‘탈원전’

정부는 에너지 전환을 시도하고 있고, 진정한 탈원전은 60년 후에나 걱정 할 일이라는 주장은 국민을 무시하고 속이려는 의도가 담긴 명백한 ‘가짜 뉴 스’다. 2017년 6월 19일 대통령의 ‘탈핵 국가’ 선언으로 시작된 ‘탈원전’은 지 금도 맹렬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부지 매입 등의 건설 작업이 진행 중이던 6기의 신규 원전 계획이 폐기되었고, 7천억을 투자해서 가동 연한을 연장해놓았던 월성 1호기의 조기 폐로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세 계 최고 수준을 기록해왔던 원전의 가동률을 2018년에는 65%로 떨어뜨리기 도 했다. UAE의 바라카에 건설한 신규 원전의 운전·유지·보수도 포기할 수밖 에 없는 형편이다. 원전 수출의 꿈은 산산이 부서져 버렸다. 전문인 력은 이탈 하고, 원전 부품산업은 무너지고 있다. 신기술을 개발하고, 미래 인력을 양성 해야 할 원자력공학과도 머지않아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밀실에서 만들어진 대선 공약은 반드시 공론화를 통한 법률적·제도적 근 거를 확보해야만 행정부가 집행할 수 있는 정책으로 완성되는 법이다. 그런 데 탈원전 정책에 대해서는 아무런 공론화 노력도 없었고, 국회의 논의도 없 었다. 법률 개정도 없었고, 국민투표도 없었다. 법률적 효력도 의심스럽고, 목적도 불확실했던 신고리 5·6호기 공사 재개에 대한 공론화가 고작이었다. 실 제로는 원자력진흥법에 따라 원자력 이용에 관한 사항의 종합·조정을 심의· 의결해야 하는 원자력진흥위원회는 단 한 번도 개최하지 않았다. 원전의 건설 과 운영에 관한 사항을 엄중하게 규정해놓은 녹색성장기본법·에너지법·원자 력안전법·전기사업법도 철저하게 무시했다. 법치를 요구하는 촛불 혁명으로 탄생했다고 자부하는 정부와 여당은 정작 탈원전에 대해서는 법과 제도를 철 저하게 무시하고 있다는 뜻이다.

기술에 대한 비현실적 환상

탈원전의 가장 중요한 근거는 ‘국민 안전’과 ‘지속 가능한 환경’이다. 원전 은 안전하지도 않고, 저렴하지도 않고, 친환경적이지도 않다는 것이 문과 출 신 대통령의 확고부동한 인식이다. 실제로 2011년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사망자가 1,368명에 이르고, 피해 복구에 200조 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2017 년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밝힌 탈핵 국가 선언의 명분이었다. 그런데 동일본 대지진의 희생자들은 모두 지진에 이어 발생한 대형 해일 때문에 사망했고,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에 의한 사망자는 한 명도 없었다는 것이 일본 정부 의 공식 입장이다. 우리 원전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있었고, 심지어 원자로 전원이 끊어지는 ‘블랙아웃’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는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선포식에서의 대통령의 지적도 명백한 사실 왜곡이었다. 우리가 지난 40 여 년 동안 원전을 안전하게 운전해왔다는 2018년 11월 대통령의 프라하 발 언이 진실이다.

원전이 위험하고 더럽다는 주장은 기술의 속성을 무시한 무의미한 궤변이다. 자동차도 위험하고 더럽다. 우리나라에서만 해도 매년 3천 명 이상이 자 동차 사고로 목숨을 잃는다. 동일본 대지진의 3배에 이르는 엄청난 규모다. 비행기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다. 2001년 뉴욕의 세계무역센터 붕괴 사고에 서는 2,966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더욱이 자동차의 배기가스는 도시의 생 활환경과 지구 환경을 망치는 주범이다. 그렇다고 국민 안전과 지구를 살리 기 위해 자동차와 비행기를 포기하자는 비현실적인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사실 인류가 생존을 위해 개발한 모든 기술은 상당한 수준의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다. 우주에는 공짜 점심이 없다는 것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스티 븐 와인버그가 가장 즐겨 썼던 말이다. 절대적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기술이 바로 그런 비현실적인 공짜 점심이다. 현실 세계에서 우리의 생활과 산업에 필요한 편익을 제공해주는 기술은 동시에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고, 환경을 더럽히는 대가를 요구하기 마련이다.

기술의 안전성과 환경성은 기술 자체의 고유한 속성이 아니라 기술을 활용 하는 우리가 감수하는 사회적 비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기 술이라도 안전성과 환경성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비용을 들여서 노력하지 않고, 함부로 사용하면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아무리 나쁜 기술 이라도 많은 비용과 노력을 들여서 조심스럽게 활용하면 원하는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기술 활용을 위해 우리가 감수해야 하는 사회적 비용은 편익 에 비례한다. 우리에게 더 많은 편익을 제공해주는 기술일수록 우리가 감당 해야 하는 사회적 비용도 늘어난다는 뜻이다. 원전도 예외가 아니다. 1978년 에 가동을 시작한 고리 1호기는 당시 전력수요의 9%를 공급해줄 정도의 초 대형 시설이었다. 그런 대규모 발전 시설에 문제가 생긴다면 그 피해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클 것은 누구나 짐작할 수 있는 상식이다. 그런 위험을 감 수할 의지가 없었다면 우리는 당시의 고질적인 전력난과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었을 것이다.

상당한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안전을 위해 충분히 노력함으로써 전력난을 해결하고, 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 당시 우리의 용감한 선택이었다. 그런 우리가 이제 안전과 환경을 핑계로 위험의 극복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확인된 원전 기술을 포기하겠다는 주장은 패배주의적이고 비겁한 것이다. 오 늘날 우리가 정말 고민해야 할 문제는 ‘원전의 안전성’이 아니라 과연 우리가 ‘원전을 안전하고 깨끗하게 관리할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미완성의 미래 기술에 대한 환상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한다. 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편익을 제공해주는 기 술도 필요하고, 경제성·안전성·환경성을 개선해주는 기술도 필요해지기 때문 이다. 19세기 말에 처음 등장한 전기의 생산 기술도 예외가 아니다. 석탄 · 석 유 · LNG를 이용하는 화력발전, 1956년에 처음 등장한 원자력, 물의 낙차를 이용하는 수력은 상당한 수준으로 검증된 전통적인 전력 생산 기술이다. 흔히 재생에너지라고 부르는 태양광·풍력·조력(潮力)은 아직도 경제성과 환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에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한 미완성의 미래 기술이 다. 요즘 정부가 부쩍 관심을 보이고 있는 수소에너지도 역시 아직은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신(新) 에너지로 분류되는 미래 기술이다.

미래 기술을 완성시키기 위한 투자와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국민 생활 이나 국가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 분명한 신재생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그러나 지나친 장밋빛 환상은 확실하게 경계해야 한다. 특히 거 대 장치산업이 될 수밖에 없는 전력 생산 기술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빠르 게 발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자칫 성급한 과잉 투자가 미래 기술의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설익은 기술로 생산한 태양광 패널은 일단 설치하면 20년 동안 새로운 기술 의 활용이 불가능해진다.

현재 정부가 성급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신재생은 우리의 현실에서는 완성 도가 크게 떨어지는 미완성의 미래 기술이다.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는 태양 광·풍력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친환경적인 청정에너지라고 보 기 어렵다는 뜻이다. 실제로 우리가 신재생을 위해 극복해야 할 환경적·지리 적 어려움은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우리와 상황이 전혀 다른 국가에서 신재생을 활용한다고 우리도 무작정 따라가겠다는 정책은 어리석은 것이다.

중위권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일조량(日照量)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65% 수준에 불과하다. 더욱이 겨울철과 장마 기간에는 일조량이 더욱 크게 줄어든다. 태양광·풍력의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도 없다. 우리나 라에서 태양광과 풍력은 하루 평균 2.4시간을 가동할 수 있을 뿐이다. 그래 서 태양광·풍력에는 보조 발전용으로 LNG 화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결국 일 조량이 적은 우리나라에서 신재생의 확대는 LNG 화력의 확대를 뜻할 수밖 에 없다.

태양광·풍력 설비가 넓은 부지 면적을 요구한다는 사실도 국토가 좁고 인 구밀도가 높은 우리에게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태양광으로 원전 1기에 해 당하는 1GW의 전력을 생산하려면 축구장 1,200개의 면적이 필요하다. 더욱 이 태양광·풍력에 활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부지가 산악 지형이라는 사실도 불리하게 작용한다. 2018년에 태양광 설비 때문에 훼손된 숲의 면적이 축구 장 3,300개에 해당한다. 식량자급률이 24%에 불과한 형편에 전력 생산을 위 해 농지를 포기하기도 어렵다.

더욱이 태양광 설비의 짧은 수명도 문제가 된다. 많은 비용을 들여 설치 한 태양광 패널이 20년 후면 폐기물로 변해버린다. 가장 값싼 소재인 유리로 만든 태양광 패널의 재활용 기술은 현실적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수명을 다 한 태양광 패널을 아프리카로 수출하는 것을 바람직한 재활용 대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지리적인 조건 때문에 태양광·풍력 설비가 영세 규모가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심각한 걸림돌이다. 발전설비의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불가능 해지기 때문이다. 태양광 시설에 들여놓은 에너지저장장치(ESS)의 화재도 관 리 부실과 무관하지 않다. 영세 신재생 시설과 연결된 송전망이 지나치게 복 잡해지고, 결과적으로 송전망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불가능해진다는 것도 심각한 문제다.

부실한 정책과 도덕적 해이

국가에너지 정책은 국민 생활과 국가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밖에 없 는 중차대한 과제이다. 더욱이 에너지 전환을 위해 국가·기업·개인이 감수해 야 하는 부담이 적지 않다. 완성도가 높은 기술이 필요하고, 기업과 국민을 설 득시키기 위한 정교한 설득 논리가 필요하고, 투자의 우선순위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정부가 지금까지 추진해왔던 탈원전 정책이 현실에 대한 충분한 고민이 결여된 졸속이었다.

신재생의 보급 과정에서 드러난 도덕적 해이도 용납할 수 없다. 서울을 비 롯한 대도시의 태양광 설치 사업은 대부분 정부의 지원금에 의존해서 진행되 고 있고, 기술적인 효율성에 대한 관심은 찾아볼 수가 없는 형편이다. 태양광 의 적극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태양광 패널 제조업은 도산 위기에 놓여 있다는 사실도 간과할 수 없다.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부도덕한 태양광 업체들이 효율이 매우 낮은 싸구려 태양광 패널을 집중적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이념적 민간단체들이 신재생 사업을 틀어쥐고 있는 현실도 심각하다.

정부가 내놓은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에너지기본계획이 용납할 수 없을 정 도로 부실하다. 정부의 주장이 정직하지 못하다는 사실도 심각하다. 탈원전 정책에도 불구하고 전기 요금은 인상하지 않겠다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주장 이다. 그러나 연간 수조 원의 흑자를 내왔던 한전이 감당할 수 없는 부실의 늪 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것이 명백한 현실이다. 발전단가가 낮은 원전과 석탄 화력을 줄이고, 발전단가가 불안정한 LNG의 비중을 확대한 결과다. 재정적 으로 돌이킬 수 없는 부실의 늪에 빠져버린 한전이 한전 대학 설립이 1조 원이 넘는 비용을 쏟아붓고 있는 것도 용납할 수 없다.

원전의 안전 관리에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원전의 관리를 맡고 있는 원 자력안전위원회가 원전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비전문가로 채워져 버렸다. 그 나마도 라돈 침대와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문제에 대한 국제적 논란에 행 정력을 집중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원전 운전과 부품 산업계의 핵심 기술 인력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고, 어렵게 구축해놓은 원전 부품 산업이 붕괴 되고 있는 것도 심각한 문제다. 이미 한빛 1호기에서는 무자격 운전자의 조작 미숙과 절차 위반으로 안전사고가 일어났다. 자칫하면 자격을 갖춘 운전자의 부족으로 원전의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탈원전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37%나 감축해야 하는 국제적 약속의 이행도 불가능해지고 있다. 작년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 커녕 오히려 크게 늘어나버렸다. 탈원전으로 LNG 발전의 비중이 늘어난 결 과다. 대도시 인근에 들어서는 LNG 화력에서 배출되는 미세·초미세먼지도 심각한 환경오염 요인이 된다. 특히 태양광의 보조 전원으로 활용하는 LNG 화력은 출력을 수시로 변동시키기 때문에 미세·초미세 발생량이 크게 늘어 날 수밖에 없다.

정부가 졸속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탈원전은 기술적·정책적·윤리적으로 한 계에 도달했다. 정치적인 이유로 당장 필요한 전기 요금 인상을 외면하고 있 는 현실도 심각하다. 뉴욕 증시에도 상장되어 있는 한전의 부실은 자칫 외교 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안정적인 전력 수급 체 제가 무너지면 국민 생활과 국가 경제가 무너지고, 안보도 흔들리게 된다. 명 분도 없고, 준비도 안 된 탈원전은 더 이상 고집할 수 없는 상황이다.

– 이덕환

2021/06/07

How to Stop the Negative Chatter in Your Head - WSJ

How to Stop the Negative Chatter in Your Head - WSJ

How to Stop the Negative Chatter in Your Head
A neuroscientist explains how to curb unhelpful thoughts

ILLUSTRATION: CAROLE HENAFF
Ethan Kross, a neuroscientist, has a book coming out this month called ‘Chatter: The Voice in Our Head, Why it Matters, and How to Harness It.’
PHOTO: JEN GREER
-----
By Elizabeth Bernstein
Jan. 5, 2021 --

I hope you put “cognitive reappraisal” on the list. Psychologists use this term to refer to the practice of replacing negative thoughts with ones that are both more positive and true. People who control their self-talk in this manner have better mental health, more life satisfaction, and even better-functioning hearts, research shows. Experts say the technique, which is central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an important skill to master during difficult times. The good news is that you can do it at home.

Ethan Kross is an experimental psychologist and neuroscientist who specializes in emotion regulation. He is a professor of psychology and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d director of the Emotion & Self Control Laboratory, where he studies the science of introspection, or the silent conversations people have with themselves. He has a new book coming out this month called “Chatter: The Voice in Our Head, Why it Matters, and How to Harness It.”

Here are edited excerpts from my conversation with Dr. Kross.

Does everyone talk to themselves?

Dr. Kross: Yes. There are lots of ways we use language internally. We use it to keep things fresh in our heads, like repeating a phone number. We try to simulate what we are planning to say, like when we go on an interview or a date. We talk to ourselves when we’re trying to control ourselves or when we are trying to solve a problem. When we are doing something difficult we mentally walk ourselves through the steps we need to take.

Self-talk helps us to author the stories of our life, to capture stories that explain what we have gone through. Even if our self-talk is negative, that doesn’t always mean it’s bad. We can learn things from painful experiences that help us grow and improve.

How much time do we spend in self-talk?

We spend between a third and a half of our waking hours not focused on the present. And engaging in nonverbal reasoning, or talking to ourselves silently, is a significant portion of that.

Inner speech can take a compressed form, which allows our words to flow at a rapid pace. One study estimated that people can think to themselves at a rate that is equivalent to speaking 4,000 words per-minute out loud. A contemporary State of the Union address is about 6,000 words and can last over an hour. So you are getting the same verbal punch thinking to yourself for about a-minute-and-a-half as you would if you listened to an entire State of the Union address.

But sometimes self-talk can sabotage us?

Unfortunately, sometimes we go inside and verbally introspect hoping to find an answer to our problems, but we end up making the problems worse. We worry, ruminate or catastrophize. We end up getting stuck and start spinning in negativity. And that is what I call “chatter.”

Chatter can sabotage us by undermining our ability to think clearly and perform well. It can also interfere with our relationships, because it can lead us to push people we care about away. And it can impact our physical health.

Do tough times make our negative chatter worse?

This is the chatter event of the century. Political instability. A once-in-a-hundred-years virus that is causing us to not socialize directly with others. Tribalism. Civic unrest. Political divisiveness. Unemployment. A shaky economy. We don’t have a lot of control or certainty right now, and when we lose those qualities we try to regain them. We typically go inside and become introspective to do that.




Can other people make our self-talk worse?

We often want to talk about our emotions or share our feelings with others, to get help and improve the way we feel. But some people just help us keep the chatter active. We need help to broaden our perspective. Yet they get us to relive that event over and over. This is co-rumination, a vent session.

I am very deliberate in who I go to for help when I am experiencing chatter. I think carefully if this person is just there to hear me talk or can give me advice or help me put the experience in perspective.

MORE FROM BONDS
What to Expect When You Reconnect With Friends in Person May 29, 2021
How to Handle Your Re-Entry Anxiety as Pandemic Recedes May 15, 2021
Can the Pandemic Make Us Stronger? Endurance Athletes Tell Us How May 4, 2021
Partner Keeping You Awake? Here’s How to Fix That April 17, 2021
Let’s talk about tools to control chatter. How can broadening our perspective help?

When we experience chatter we narrowly focus on our problem. What we want to do is zoom out. Think about our experience as something that many people deal with. Think about other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omething similar and have endured it.

One of my go-to techniques is to think about the 1918 flu pandemic. We got through it and endured and excelled and we will do it again. Doing this is empowering. It gives hope.

Tell me how to use “distanced self-talk.”

There is a lot of research that shows we are much better at advising other people than ourselves. So it can help to think of yourself as if you are someone else. One way to do this is to use “distanced self talk” and coach yourself as if you were advising a friend. Use your own name. “Ethan, here is how you do this.” Many people do this intuitively without knowing why.

Does it help to reframe your experience as a challenge?

Yes. It can be as simple as telling yourself: “I can do this.”

You can also reinterpret your body’s response to chatter. The next time you feel your stomach turning in knots before a big presentation, rather than interpreting that as a cue that you can’t perform, think of it as a signal that you are rising to the occasion.

You write that rituals can be helpful. How?

Rituals can provide us with a sense of order. They can help direct our attention away from the problem.

You could even create your own ritual, such as before you give a talk. For example, remind yourself of advice you’ve received by someone you value, take three deep breaths and clench and unclench your fists twice.

How does our environment affect our self-talk?

People crave a sense of order and control. But when we are experiencing chatter, our thoughts are spinning. You can compensate for the lack of order in your head by creating order around you. By organizing your space. Cleaning the kitchen. Tidying up the bedroom. Going for a walk in nature can help clear your mind.

One of my favorite topics is awe. How can experiencing awe help us control our negative thoughts?

We experience awe when we are in the presence of something vast that we have trouble explaining. Some people get it from religious experiences. Others from looking at the sky or at an incredible piece of art or by attending an amazing concert. When we experience chatter we are narrowly focused on our problems. Experiencing awe shows us how much broader the universe is. And that puts things into perspective pretty significantly.


Write to Elizabeth Bernstein at elizabeth.bernstein@wsj.com follow her on Twitter, Facebook or Instagram at EBernsteinWSJ



Copyright ©2020 Dow Jones & Company, Inc. All Rights Reserved. 87990cbe856818d5eddac44c7b1cdeb8
Appeared in the January 6, 2021, print edition as 'Too Much Negative Chatter in Your Head? Here’s How to Stop It.'
===
The conversation on this article is currently closed. WSJ limits the number of articles that are open to reader respons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ence our community guidelines.
E
SUBSCRIBER
4 months ago
Michael Singer discussed this in great detail in his 2007 book The Untethered Soul. It seems if one can allow the presupposition that we are spirit having a human experience, and that you are not your body, your mind, or your thoughts, then you are better able to cope with useless, incessant chatter. Singer asks, are you the voice, or the presence that observes the voice? Modern masters like Tolle call it “living in the now,” Singer calls it “The Seat of Self,” NLP practitioners refer to it as disassociating, Hinduism knows it as Sakshi or witness, and Buddhism as Enlightenment or awareness of awareness. Everyone begins their journey from wherever they are, and it’s good that spirituality, religion, and psychology can share the same space to assist others. I do find it interesting that psychology claims credit for these breakthrough ideas that are clearly rooted in spirituality—the raising of the conscious awareness. I’ll look forward to reading this new work by Dr. Kross. 
Likethumb_up5
D
SUBSCRIBER
4 months ago
I find that anything that demands my full attention, to the exclusion of all other matters, is good for breaking the cycle of negative chatter.  Riding a motorcycle, hitting golf balls, or even a good game of ping-pong, oddly enough, seems to work wonders.
Likethumb_up5
Tim HSUBSCRIBER
4 months ago
I've called it "thought stopping" for decades. My depression disappeared when I learned to replace negative thoughts with positive ones. Habits are powerful things and negative thoughts can kill you.  Honest, it really does work.
Likethumb_up3
G
SUBSCRIBER
4 months ago
I teach about it as ANTs or Automatic Negative Thoughts when people struggle with Self-Talk as a problem. We focus on Philippians 4:4-9 of course as an antidote with meditation.

I also use praise and worship to refocus my mind and heart. 


Likethumb_up6
P
SUBSCRIBER
4 months ago
Chatter is not such a bad thing. It gives you an opportunity to set aside one’s ego and reflect in solitude. It helps one to clear the clutter in your brain and self coach the ideas!
i like the strategies mentioned in the article ! Good source for personal development! Thanks for the article! 
Likethumb_up2
A
SUBSCRIBER
4 months ago
So much of this can be directly seen in Christian religious practice.
Likethumb_up2
M
SUBSCRIBER
4 months ago
Thank you for this article.
Likethumb_up4
B
SUBSCRIBER
4 months ago
It's tricky stuff.  Everybody has a certain level of anxiety, when it is crippling, it is pretty easy to spot, but most of us operate in a gray area and it is hard to know how big a problem it might me.

I have found, through 2020, that by focusing outward, on others, getting outside of my own head (or at least trying to) has helped minimize chatter.  The more I talk to people the more I find that what I thought in my own head was not correct.  
Likethumb_up3
J
SUBSCRIBER
5 months ago
Interesting article and I find the insights useful. But I’ve come to despise the word “empowering”. 
Likethumb_up7
G
SUBSCRIBER
5 months ago
I have found that meditation helps me quiet my mind. For me breath counting meditation helps a lot. I also talk to my wife  or my siblings when I have problems. They help me put things in perspective.  One  more thing which is quite effective is going out for a good run. 
Likethumb_up8

알라딘: 과학의 원수 계봉우 1920년대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였던 계봉우의 미간행 친필본 저작.

알라딘: 과학의 원수
과학의 원수  
계봉우 (지은이),김학민 (주해)학민사1999-06-10



과학의 원수

정가
8,000원
판매가
7,200원 (10%, 800원 할인)
마일리지
40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유료 (단, 도서 1만원 이상 또는 신간 1권 포함시 무료) 
11
8
양탄자배송
지금 주문하면 6월 9일 (수) 오후 8시 퇴근후 배송
(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45 
 0.0 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소득공제 330원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268쪽148*210mm (A5)348gISBN : 9788971931073
주제 분류 
신간알리미 신청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이벤트

6월 특별 선물! 본투리드 선풍기, 미니 핸디 선풍기(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달의 문장 투표

이 달의 적립금 혜택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였던 저자가 조상숭배사상·도교신앙·정감록 등에 나타난 비합리성을 비판한 책.


1920년대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였던 계봉우의 미간행 친필본 저작. 이 저작은 표지에 레닌의 초상이 그려져 있는 공책 250여 페이지에 걸쳐 한글로 깨알같이 빽빽하여 씌어져 있다. 친필원본은 독립기념관 소장.

지은이는 수천년 동안 조선인들에게 깊게 뿌리내린 샤머니즘적 제요소--조상숭배, 유교, 불교, 도교신앙, 정감록, 음양술수, 음력과 절일에 대한 민속--가 민중의 과학적 사고와 혁명적 삶의 전개를 가로막는 미신이라고 간주하고, 그 허구성과 비합리성을 비판하였다.

그는 '미신의 폭로'라는 명제에 맞게 합리성과 과학적 근거를 기준으로 조선인의 심성에 자리잡고 있는 토속신앙, 민속, 풍속관념들을 분석해내고 있다. 하지만 인간이 수천년 동안 개인적 또는 공동체적 삶을 영위하면서 자연스럽게 형성해 온 신앙관념과 민속, 풍속의 현상들을 과학성 하나의 잣대로만 분석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현재의 인문과학의 발전 수준으로 볼 때 그의 이런 관점과 해석들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이 많긴 하지만 참고할 자료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이만큼 체계적이고 자세하게 한국 민족의 전승을 정리하여 놓은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목차
1. 샤머니즘
샤먼의 발생과 그 분포 구역/ 샤면의 직성/ 샤먼의 종류/ 샤먼의 다신 숭배/ 샤머니즘과 대종교

2. 조상숭배
그 숭배사상의 기원/ 한울님 숭배도 조상숭배/ 용신 숭배도 조상숭배/ 수신 숭배도 조상숭배/ 석신 숭배도 조상숭배/ 해와 달의 숭배도 조상숭배/ 산신 숭배도 조상숭배/ 조상 숭배와 가정제도/ 귀신이 있느냐, 없느냐/ 보물에 대한 미신

3. 유교
유교가 들어온 것과 그 연혁/ 그 학설의 변천/ 유교와 샤머니즘

4. 불교
불교의 기원/ 불교의 동래/ 불교의 미신/불교와 샤머니즘

5. <정감록>에 대한 미신
그 비결의 기원과 유래/ 신지의 해석/ 선인의 해석/ 정감과 단군/ <정감록>의 내용 비판/ <정감록>과 천도교/ 천도교와 그 교파

6. 도교

7. 음양술수
풍수/ 사주팔자/ 관상법/ 복술/ 일관

8. 예수교
예수교의 기원/ 예수교의 동래/ 예수교의 내용 해부

9. 구력과 절일에 대한 미신
구력의 미신/ 절일의 미신

10. 통속적 미신
명령에 관한 미신/ 해설에 관한 미신/ 꿈에 관한 미신/ 흉풍에 관한 미신/ 기상에 관한 미신/ 경종에 관한 미신/ 축산에 관한 미신/ 수역 예방에 관한 미신/ 양잠에 관한 미신/ 농작물의 병, 해충 기타에 관한 미신/ 전답 기타 제신, 또는 기원에 관한 미신
  
저자 및 역자소개
계봉우 (지은이) 

항일시대 역사학자이자 국문학자이고, 교육자이며 독립운동가이다. 1880년에 태어나 일제가 조선을 병탄한 1910년에 북간도로 망명한 뒤 연해주, 만주, 상해, 중앙아시아 등 이국땅을 떠돌다가 1959년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에서 여연하기까지 독립운동과 교육, 그리고 민족사 정립에 평생을 바쳤다.

1920년 상해에서 한인사회당에 입당하여 사회주의 운동에 가담했지만, 상해파와 이르크츠크파 사이의 파벌투쟁에서 상해파에 속했던 그는 이 파벌투쟁의 여파로 소위 임시고려군사혁명재판에서 유죄판결을 받고 옥고를 치르면서 사회주의 운동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게 되었다.

이후 그는 연해주의 이만에 정착하여 동포 교육과 민족사, 국문학사 연구에만 전념했다. 1937년 구 소련내 한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할 때, 그도 가족들과 함께 중앙아시아의 크즐오르다로 옮겨가 고려사범대학에서 조선어를 가르쳤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이주 후 1년도 못 되어 조선어 교육이 전면 봉쇄당하자, 그 후에는 세상을 뜰 때까지 농사와 저술활동에만 전념했다.

최근작 : <과학의 원수>

김학민 (주해) 

연세대학교 재학 시절 반유신 학생운동에 투신한 이래 지금까지 재야 민주화운동과 민중문화운동에 몸담아 오면서,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장, 경기문화재단 문예진흥실장, 한국사학진흥재단 이사장 등을 거쳐 현재는 이한열기념사업회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자전수필집 《564세대를 위한 변명》(1999), 청소년 독서 지침서 《길을 찾는 책읽기 : 청소년에게 권하는 100권의 책》(2004), 먹을거리 문제를 사회문화적으로 다룬 음식 칼럼집 《맛에 끌리고 사람에 취하다》(2004), 술 칼럼집 《태초에 술이 있었네》(2012)가 있고, 이 책은 1961년 북한의 밀사로 내려왔다가 간첩으로 몰려 죽은 황태성의 평전 《박정희 장군, 나를 꼭 죽여야겠소》(공저, 2015)에 이어 ‘조작 간첩’을 다룬 두 번째 결과물이다. 접기

최근작 : <만들어진 간첩>,<박정희 장군, 나를 꼭 죽여야겠소>,<태초에 술이 있었네> … 총 12종 (모두보기)

계봉우(지은이)의 말
본서는 순전히 우리 조선의 반만년 미신을 폭로시킨 것뿐입니다. 그 내용이 충실하다고는 감히 말할 수 없으나 제3전선에 당면한 투사에게 적의 정형을 알게 하는 재료로 하여서는 적지 아니한 보조가 되리라고 믿습니다. 그러므로 나의 바라는 바는 본서가 만일 여러 투사에게 있어 수기응변하는 그 전략의 참고자료로 취하게 된다면, 그에서 더 기쁜 일은 없을 것입니다.


2021/06/06

홍승진 잡지 유심에 동학(천도교)과 대종교와 '조선'불교라는 한국 고유사상의 특성이 나타난다

Facebook



홍승진
t1S0epaonsomrohed ·



내 논문 두 편이 4월 발간된 두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하나는 만해 한용운이 편집 및 발행인을 맡은 잡지 <유심>에 동학(천도교)과 대종교와 '조선'불교라는 한국 고유사상의 특성이 나타난다는 논의이다. 이 논문에서는 <유심>지에 실린 타고르 번역의 저본을 처음 밝히고 역자가 한용운일 가능성이 높은 까닭을 실증적으로 살폈다는 점에서, 정혜정 교수님으로부터 '한용운 연구에 한 획을 그었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자기 자랑 같지만 기분 좋은 말이므로 여기에 기록한다.) 한국 현대문학 연구는 아직도 기초적인 작업부터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절감한다. 앞으로 한용운 관련 논문은 최소 5편 이상 더 투고해야 한다.


다른 하나는 이상화의 시를 대종교 미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럴 필요가 있다는 논의이다. 동학(천도교)의 경우에는 그래도 꾸준히 연구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대종교의 경우에는 연구가 거의 끊긴 상황이다. 특히 대종교를 이해하려면 내 안의 익숙한 통념들을 무너뜨려야 한다는 것이 이상화 논문 집필에서 가장 크게 깨달은 점이다. 

대종교에서 말하는 천지인 삼극은 <주역> 등의 유교 경전에서 말하는 천지인 삼재와 전혀 다른 개념이다. 
이는 마치 하이데거가 <예술작품의 기원>에서 '내용과 형식'이라는 개념 틀, 너무나 당연해보이고 자연스러운 것 같은 그 개념 틀을 벗어나려고 '세계와 대지'라는 개념을 발견하는 과정과 같다.
앞의 한용운 논문을 투고할 때도 겪은 일이지만, 동학이나 대종교라는 말을 꺼내기만 하면 덮어놓고 '근거 부족'이라고 말하는 심사의견을 받게 된다. 그런 의견을 받으면 속상하긴 하지만 그보다 쾌감이 더 크다. 그만큼 두터운 편견을 건드렸다는 쾌감이. 그만큼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는 쾌감이.











101You, Sunghwan Jo, 박길수 and 98 others
3 comments

2 shares

Like




Comment


Share


3 comments




김재형

승진님 작업 고마워요.
어려우실 거예요.
저는 인문운동가로서 공부하기에 자유로운데 연구자가 벽을 건드리는 건 어려워요.
언제 곡성에 한번 오세요.
줌미팅에 초대하고 싶어요.
전화 한번 주실래요.
010 6410 5238

1






Like

‘한 여자가 한 세상’ 작가 김서령, 영원한 자유 얻다…향년 62 : 궂긴소식 : 사회 : 뉴스 : 한겨레

‘한 여자가 한 세상’ 작가 김서령, 영원한 자유 얻다…향년 62 : 궂긴소식 : 사회 : 뉴스 : 한겨레


‘한 여자가 한 세상’ 작가 김서령, 영원한 자유 얻다…향년 62

등록 :2018-10-06 
조일준 기자 사진
조일준 기자

지난 9월 김서령 작가가 서울 효자동 ‘갤러리 우물’ 앞에서 <한겨레21>과 인터뷰를 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사진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여자전-한 여자가 한 세상이다>를 쓴 작가 김서령씨가 6일 새벽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62.

고인은 수년째 암과 투병하면서도 맑은 눈과 따뜻한 마음으로 세상과 사람을 응시하고 글로 기록해왔다. 지난해 3월 개정판을 낸 <여자전>(푸른역사)에 한국 현대사의 굴곡을 맨몸으로 헤쳐 온 보통사람 여자들 7명의 이야기를 담으면서 ‘한 여자가 한 세상이다’라는 부제를 붙인 데서도, 사람들이 저마다 품고 있는 오롯하고 웅숭깊은 세계를 감각해내는 작가의 섬세함이 느껴진다.

김 작가는 지난 9월 중순까지도 서울 종로구 효자동 갤러리 우물에서 ‘김서령의 다정하고 고요한 물건들의 목록 물목지전(物目誌展)’이란 전시회를 열었으나, 최근 갑자기 병세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고인은 위 전시회에서 자신이 소중하게 간직해온 토기와 자기, 가구, 소품 180여 점을 선뵈면서 <한겨레 21>과 한 인터뷰에서 “아끼고 매만져 살짝 피가 돌기도 했던 어여쁜 생명들”이 새 인연을 만났으면 한다는 듯을 밝혔었다. “애착을 버린다는 것은 추상적인데, 물건을 버리는 게 가장 구체적인 연습”이라고도 했다. 작가는 이미 이 즈음 남몰래 세상과의 이별 연습을 하고 있었던 걸까. 
▶관련기사= <한겨레21> ‘버리니 보이는 것들 그 인연 그 눈빛 그 순간’

김서령 작가는 경북 안동 김씨 3대 종가 중 하나인 의성 김씨 집성촌에서 나고 자랐다. 경북대 국문과를 졸업한 뒤 1980년대 중반부터 <샘이 깊은 물> 기자로 일하면서 인물 인터뷰의 매력에 눈이 띄여 여러 매체에 인터뷰 칼럼을 썼다. “300명인지 500명인지” 헷갈릴 정도(한겨레 21 인터뷰)라고 했다. 천생 글쟁이였고 이야기꾼이었다. <김서령의 家> <김서령의 이야기가 있는 집> 등 여러 권의 책도 펴냈다. 특히 <여자전>은 2007년 초판이 나온 지 십년만인 2017년 개정판을 내면서 독자들로부터 더 큰 사랑을 받았다.

고인은 지난 9월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올렸다.

“오늘 열흘간의 전시를 마친다. 두어번 외엔 그 공간에 가지 않았다. 대신 누가 어느 물건을 가져갔다는 기록만은 빼놓지 않고 미소띠며 들여다보았다. 나는 이제 물건들을 떠나보내고 이름과 인연을 지우고 자유와 질병을 함께 누리며 원하는 대로 행주좌와할 수 있을 것인가. 한마리 늙은 자칼처럼? ㅋㅋ”

버림 혹은 떠나보냄의 의미를 사유하며, 자유와 질병을 함께 누리는 행주좌와(行住坐臥)를 소망한 이 글이 결국 작가가 세상에 남긴 많지 않은 마지막 육성 중 하나가 됐다. 작가는 그렇게 자신의 몸을 떠나보내고 영원한 자유를 얻었다.

서울 연세대세브란스 병원. 장후영(EBS 피디), 이영(서초구청 근무)씨 모친. 이미솔(EBS 피디)씨 시모, 이관용(엘지화학 근무 )씨 장모, 김기현(빙그레 상무)씨 누나. 발인 8일 오전 7시. (02)2227-7590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obituary/864704.html#csidx8d9745f10432d3dbb38bf9095ed15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