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03

반야심경 - 위키백과, The Heart Sutra日本における般若心経

반야심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야심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불교의 중심이 되는 경전으로《대반야바라밀다경》의 요점을 간략하게 설명한 짧은 경전으로, 당나라 삼장법사인 현장(玄裝)이 번역한 것이다. 260자로 되어 있다.

개요[편집]

《대반야바라밀다심경》(大般若波羅蜜多心經)《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또는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산스크리트어प्रज्ञापारमिताहृदयसूत्र,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이라고도 한다. 불교의 핵심적인 이치인 반야바라밀다를 간결하고 명징하게 요약한 불교 경전의 정수에 해당한다.

《반야심경(般若心經)》의 산스크리트어 제목은 프라즈냐파라미타 흐르다야 수트라(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로 한자어 명칭에서 '심(心)'은 마음[心]을 뜻하는 치타(citta)의 번역어가 아니라 핵심 · 정수(精髓) · 정요(精要) · 에센스 또는 참된 앎[正知]을 뜻하는 흐르다야(hṛdaya)의 번역어이다.[1] 따라서 '반야심경(般若心經)'이라는 제목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반야바라밀다 또는 《대반야바라밀다경》의 핵심 또는 정요(精要)를 간추려 담고있는 경전'이다.[2][3][4]

《반야심경》은 '관자재보살이 깊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로 시작되는데, 두 《인왕경》 즉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과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에서 고타마 붓다는 반야바라밀다를 행한다는 것이란 복인(伏忍) · 신인(信忍) · 순인(順忍) · 무생인(無生忍) · 적멸인(寂滅忍)의 5인(五忍)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5][6][7][8] 5인(五忍)은 보살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의 수행계위인 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등각 · 묘각의 52위 가운데 최초의 10신을 제외한 나머지 42위 즉 42현성(四十二賢聖)을 (忍) 즉 지혜, 그 중에서도 특히 무루혜의 성취라는 관점에서 크게 다섯 그룹으로 나눈 것으로, 따라서 반야바라밀다를 행한다는 것은 10신 즉 청정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여 상위의 42위의 보살 수행계위를 직접 밟아가 최종적으로 적멸인(寂滅忍) 즉 묘각(妙覺)을 증득하는 것을 말한다.[9][10] 즉, 본래 갖추고 있는 위대한 지혜(prajñā)에 이르는(pāramitā) 것을 말한다.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본래 갖추고 있는 위대한 지혜에 이르는 열쇠[心: 핵심]를 설하고 있는 경전'을 뜻한다.

본문[편집]


   
관자재보살(관세음보살)이 반야바라밀다(부처님의 지혜)를 행할때 오온이 공(불법번역 4대 원칙상 공을 풀어쓰지 않음)한 것을 비추어 보시고 온갖(일체) 괴로움을 건넜다.

      
사리자여, 물질이 공(空)과 다르지 않고 공이 물질과 다르지 않으며 물질이 곧 공이요, 공이 곧 물질이다. 느낌생각과 지어감의식 또한 그러하니라.

    
사리자여, 이 모든 은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느니라

      
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색이 없고 수 상 행 식도 없으며, 안이비설신의도 없고, 색성향미촉법도 없으며, 눈의 경계도 의식의 경계까지도 없으며

    
무명도 무명이 다함까지도 없으며, 늙고 죽음도 늙고 죽음이 다함까지도 없고

     
고집멸도도 없으며, 지혜도 얻음도 없느리라. 얻을것이 없는 까닭에 보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어서 뒤바뀐 헛된 생각을 멀리 떠나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며

        
삼세의 모든 부처님도 이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최상의 깨달음을 얻느니라. 반야바라밀다는 가장 신비하고 밝은 주문이며, 위없는 주문이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니,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음을 알지니라.

 
이제 반야바라밀다주를 말하리라.

    (3)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3)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삼가테 보디 스바하)
가자, 가자, 피안(彼岸)으로 가자, 피안으로 넘어가자, 영원한 깨달음이여

— 

기타[편집]

  • 반야심경을 영어로 번역한 것이 'Th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Sutra' 또는 줄여서 'The Heart Sutra'이다.

관련 문화[편집]

영화[편집]

대한민국에서는 1989년에 임권택 감독의 영화 《아제 아제 바라아제》가 반야심경에 나오는 반야바라밀다의 주문을 따서 만들어졌다.또한 영화 색즉시공도 이 반야심경의 내용을 가지고 제목을 붙였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1.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hrdaya". 2013년 4월 14일에 확인.
  2.  곽철환 2003, "심(心)". 2013년 4월 14일에 확인.
  3.  佛門網, ""般若心經". 2013년 4월 14일에 확인.
  4.  운허, "般若波羅蜜多心經(반야바라밀다심경)". 2013년 4월 14일에 확인.
  5.  구마라습 한역 T.245, 《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 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敎化品)〉. p. T08n0245_p0826b21 - T08n0245_p0826b25. 5인(五忍)
    T08n0245_p0826b21║白佛言:「世尊!護十地行菩薩云何行可行?
    T08n0245_p0826b22║云何行化眾生?以何相眾生可化?」佛言:「大
    T08n0245_p0826b23║王!五忍是菩薩法:伏忍上中下、信忍上中下、
    T08n0245_p0826b24║順忍上中下、無生忍上中下、寂滅忍上中下,
    T08n0245_p0826b25║名為諸佛菩薩修般若波羅蜜。
  6.  구마라습 한역, 번역자 미상 K.19, T.245,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 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敎化品)〉. p. 11 / 50. 5인(五忍)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10지행(地行)을 수호하는 보살은 어떠한 행을 행하여야 하며, 어떠한 행으로 중생을 교화하며, 어떠한 모습의 중생을 교화할 수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대왕이여, 5인(忍)이 이 보살의 법이니, 복인(伏忍)의 상(上)ㆍ중(中)ㆍ하(下)와 신인(信忍)의 상중하와 순인(順忍)의 상중하와 무생인(無生忍)의 상중하와 적멸인(寂滅忍)의 상하를 이름하여 모든 불ㆍ보살이 반야바라밀을 닦는다고 하느니라.
  7.  불공 한역 T.246, 《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 상권 〈3. 보살행품(菩薩行品)〉. p. T08n0246_p0836b11 - T08n0246_p0836b17. 5인(五忍)
    T08n0246_p0836b11║爾時,波斯匿王白佛言:「世尊!護十地行菩薩
    T08n0246_p0836b12║摩訶薩,應云何修行?云何化眾生?復以何相
    T08n0246_p0836b13║而住觀察?」
    T08n0246_p0836b14║佛告大王:「諸菩薩摩訶薩依五忍法以為修
    T08n0246_p0836b15║行,所謂:伏忍、信忍、順忍、無生忍——皆上中下,於
    T08n0246_p0836b16║寂滅忍而有上下,名為菩薩修行般若波羅
    T08n0246_p0836b17║蜜多。
  8.  불공 한역, 번역자 미상 K.1340, T.246,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 상권 〈3. 보살행품(菩薩行品)〉. pp. 8-9 / 47. 5인(五忍)
    그 때 바사닉왕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십지의 행[十地行]을 보호하는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어떻게 수행하고 어떻게 중생을 교화하며 또 어떤 모양으로 머물러 관찰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대왕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5인(忍)의 법에 의해서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른바 복인(伏忍)ㆍ신인(信忍)ㆍ순인(順忍)ㆍ무생인(無生忍)인데, 모두 상ㆍ중ㆍ하가 있고 적멸인(寂滅忍)에도 상ㆍ하가 있다. 이것을 보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한다고 한다.
  9.  운허, "五忍(오인)". 2013년 4월 12일에 확인.
  10.  星雲, "五忍". 2013년 4월 12일에 확인.

외부 링크[편집]


------

Heart Sutr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A reproduction of the palm-leaf manuscript in Siddham script, originally held at Hōryū-ji Temple, Japan; now located in the Tokyo National Museum at the Gallery of Hōryū—ji Treasure. The original copy may be the earliest extant Sanskrit manuscript dated to the 7th–8th century CE.[1]

The Heart Sūtra (Sanskritप्रज्ञापारमिताहृदय Prajñāpāramitāhṛdaya or Chinese心經 XīnjīngTibetanབཅོམ་ལྡན་འདས་མ་ཤེས་རབ་ཀྱི་ཕ་རོལ་ཏུ་ཕྱིན་པའི་སྙིང་པོ) is a popular sutra in Mahāyāna Buddhism. In Sanskrit, the title Prajñāpāramitāhṛdaya translates as "Th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The Sutra famously states, "Form is emptiness (śūnyatā), emptiness is form." It is a condensed exposé on the Buddhist Mahayana teaching of the Two Truths doctrine, which says that ultimately all phenomena are sunyata, empty of an unchanging essence. This emptiness is a 'characteristic' of all phenomena, and not a transcendent reality, but also "empty" of an essence of its own. Specifically, it is a response to Sarvastivada teachings that "phenomena" or its constituents are real.[2]:9

It has been called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recited text in the entire Mahayana Buddhist tradition."[3] The text has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dozens of times from Chinese, Sanskrit and Tibetan as well as other source languages.

Summary of the sutra[edit]

In the sutra, Avalokiteśvara addresses Śariputra, explaining the fundamental emptiness (śūnyatā) of all phenomena, known through and as the five aggregates of human existence (skandhas): form (rūpa), feeling (vedanā), volitions (saṅkhāra), perceptions (saṃjñā), and consciousness (vijñāna). Avalokiteśvara famously states, "Form is Emptiness (śūnyatā). Emptiness is Form", and declares the other skandhas to be equally empty—that is, dependently originated.

Avalokiteśvara then goes through some of the most fundamental Buddhist teachings such as the Four Noble Truths, and explains that in emptiness none of these notions apply. This i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two truths doctrine as saying that teachings, while accurate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truth, are mere statements about reality—they are not reality itself—and that they are therefore not applicable to the ultimate truth that is by definition beyond mental understanding. Thus the bodhisattva, as the archetypal Mahayana Buddhist, relies on the perfection of wisdom, defined in the Mahāprajñāpāramitā Sūtra to be the wisdom that perceives reality directly without conceptual attachment, thereby achieving nirvana.

The sutra concludes with the mantra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bodhi svāhā, meaning "gone, gone, everyone gone to the other shore, awakening, svaha."[note 1]

Popularity and stature[edit]

The Heart Sutra engraved on a wall in Mount Putuobodhimanda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he five large red characters read "guān zì zài pú sà" in Mandarin, one of the Chinese names for Avalokiteśvara, which is the beginning of the sutra. The rest of the sutra is in black characters.

The Heart Sutra is "the single most commonly recited, copied and studied scripture in East Asian Buddhism."[4][2][note 2] [note 3] It is recited by adherents of Mahayana schools of Buddhism regardless of sectarian affiliation.[5]:59–60

While the origin of the sutra is disputed by some modern scholars,[6] it was widely known in Bengal and Bihar during the Pala Empire period (c. 750–1200 CE) in India, where it played a role in Vajrayana Buddhism.[7]:239,18–20[note 4] The stature of the Heart Sutra throughout early medieval India can be seen from its title ‘Holy Mother of all Buddhas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8]:389 dating from at least the 8th century CE (see Philological explanation of the text).[2]:15–16[7]:141,142[note 5]

The long version of the Heart Sutra is extensively studied by the various Tibetan Buddhist schools, where the Heart Sutra is chanted, but also treated as a tantric text, with a tantric ceremony associated with it.[7]:216–238 It is also viewed as one of the daughter sutras of the Prajnaparamita genre in the Vajrayana tradition as passed down from Tibet.[9]:67–69[10]:2[note 6][note 7]

The text has been translated into many languages, and dozens of English translations and commentaries have been published, along with an unknown number of informal versions on the internet.[note 8]

Versions[edit]

There are two main versions of the Heart Sutra: a short version and a long version.

The short version as translated by Xuanzang is the most popular version of adherents practicing East Asian schools of Buddhism. Xuanzang's canonical text (T. 251) has a total of 260 Chinese characters. Some Japanese versions have an additional 2 characters. The short version has also been translated into Tibetan but it is not part of the current Tibetan Buddhist Canon.

The long version differs from the short version by including both an introductory and concluding section, features that most Buddhist sutras have. The introduction introduces the sutra to the listener with the traditional Buddhist opening phrase "Thus have I heard". It then describes the venue in which the Buddha (or sometimes bodhisattvas, etc.) promulgate the teaching and the audience to whom the teaching is given. The concluding section ends the sutra with thanks and praises to the Buddha.

Both versions are chanted on a daily basis by adherents of practically all schools of East Asian Buddhism and by some adherents of Tibetan and Newar Buddhism.[11]

Dating and origins[edit]

The third oldest dated copy of the Heart Sutra, on part of the stele of Emperor Tang Taizong's Foreword to the Holy Teaching, written on behalf of Xuanzang in 648 CE, erected by his son, Emperor Tang Gaozong in 672 CE, known for its exquisite calligraphy in the style of Wang Xizhi (303–361 CE) – Xian's Beilin Museum

Earliest extant versions[edit]

The earliest extant dated text of the Heart Sutra is a stone stele dated to 661 CE located at Yunju Temple and is part of the Fangshan Stone Sutra. It is also the earliest copy of Xuanzang's 649 CE translation of the Heart Sutra (Taisho 221); made three years before Xuanzang passed away.[12][13][14][15]:12,17[note 9]

A palm-leaf manuscript found at the Hōryū-ji Temple is the earliest undated extant Sanskrit manuscript of the Heart Sutra. It is dated to c. 7th–8th century CE by the Tokyo National Museum where it is currently kept.[1][16]:208–209

Source of the Heart Sutra - Nattier controversy[edit]

Jan Nattier (1992) argues, based on her cross-philological study of Chinese and Sanskrit texts of the Heart Sutra, that the Heart Sutra was initially composed in China.[16] The extant Sanskrit text of the Heart Sutra contains a number of Chinese idioms and unidiomatic Sanskrit phrases, suggesting a Chinese original was "back-translated" into Sanskrit.[17] Jayarava Attwood concurs, adding that the text seems to be a "framed extract" of a set of identical passages occurring in Chinese translations of the Aṣṭasāhasrikā and Pañcaviṃśati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sutras, composed in a Tang Chinese context favoring devotion to Avalokiteśvara, meditative practices involving examination of the skandhas, and dharani chanting.[18]

Fukui, Harada, Ishii and Siu based on their cross-philological study of Chinese and Sanskrit texts of the Heart Sutra and other medieval period Sanskrit Mahayana sutras theorize that the Heart Sutra could not have been composed in China but was composed in India.[19][8][note 10][20][21][22]:43–44,72–80

Kuiji and Woncheuk were the two main disciples of Xuanzang. Their 7th century commentaries are the earliest extant commentaries on the Heart Sutra; both commentaries, according to Dan Lusthaus and Hyun Choo, contradict Nattier's Chinese origin theory.[5]:27[23]:146–147[note 11] However, Jayarava Attwood systematically disputes all of Lusthaus' examples, illustrating that they refer in fact to various earlier translations of the source texts the Heart Sutra is extract from (primarily the Aṣṭasāhasrikā and Pañcaviṃśatisāhasrikā), and not some theorized "original Sanskrit text".[24] Attwood also asserts that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to confirm that Sanskrit versions of the text were the original, as it just as easily could have been back-translated by Xuanzang into Sanskrit, as the earliest extant Sanskrit versions only appear after the time of his floruit.[25]

Philological explanation of the text[edit]

Title[edit]

Historical titles[edit]

Gridhakuta (also known as Vulture's Peak) located in Rajgir Bihar India (in ancient times known as Rājagṛha or Rājagaha (Pali) - Site where Buddha taught the Prajñāpāramitāhṛdaya (Heart Sutra) and other Prajñāpāramitā sutras.

The titles of the earliest extant manuscripts of the Heart Sutra all includes the words “hṛdaya” or “heart” and “prajñāpāramitā” or "perfection of wisdom". Beginning from the 8th century and continuing at least until the 13th century, the titles of the Indic manuscripts of the Heart Sutra contained the words “bhagavatī” or "mother of all buddhas" and “prajñāpāramitā”.[note 12]

Later Indic manuscripts have more varied titles.

Titles in use today[edit]

In the western world, this sutra is known as the Heart Sutra (a translation derived from its most common name in East Asian countries). But it is also sometimes called the Heart of Wisdom Sutra. In Tibet, Mongolia and other regions influenced by Vajrayana, it is known as The [Holy] Mother of all Buddhas Heart (Essence) of the Perfection of Wisdom.

In the Tibetan text the title is given first in Sanskrit and then in Tibetan: Sanskritभगवतीप्रज्ञापारमिताहृदय (Bhagavatīprajñāpāramitāhṛdaya), Tibetanབཅོམ་ལྡན་འདས་མ་ཤེས་རབ་ཀྱི་ཕ་རོལ་ཏུ་ཕྱིན་པའི་སྙིང་པོWyliebcom ldan 'das ma shes rab kyi pha rol tu phyin pa'i snying po English translation of Tibetan title: Mother of All Buddhas Heart (Essence) of the Perfection of Wisdom.[10]:1[note 13]

In other languages, the commonly used title is an abbreviation of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ṃ : i.e. The Prajñāhṛdaya Sūtra )(The Heart of Wisdom Sutra). They are as follows: e.g. Korean: Banya Shimgyeong (반야심경 / 般若心經); Japanese: Hannya Shingyō (はんにゃしんぎょう / 般若心経); Vietnamese: Bát-nhã tâm kinh (chữ Nho般若心經).

Content[edit]

Sanskrit manuscript of the Heart Sūtra, written in the Siddhaṃ script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Various commentators divide this text into different numbers of sections. In the long version, we have the traditional opening "Thus have I heard" and Buddha along with a community of bodhisattvas and monks gathered with Avalokiteśvara and Sariputra at Gridhakuta (a mountain peak located at Rajgir, the traditional site where the majority of the Perfection of Wisdom teachings were given) , when through the power of Buddha, Sariputra asks Avalokiteśvara[27]:xix,249–271[note 14] [28]:83–98 for advice on the practice of the Perfection of Wisdom. The sutra then describes the experience of liberation of the bodhisattva of compassion, Avalokiteśvara, as a result of vipassanā gained while engaged in deep meditation to awaken the faculty of prajña (wisdom). The insight refers to apprehension of the fundamental emptiness (śūnyatā) of all phenomena, known through and as the five aggregates of human existence (skandhas): form (rūpa), feeling (vedanā), volitions (saṅkhāra), perceptions (saṃjñā), and consciousness (vijñāna).

The specific sequence of concepts listed in lines 12–20 ("...in emptiness there is no form, no sensation, ... no attainment and no non-attainment") is the same sequence used in the Sarvastivadin Samyukta Agama; this sequence differs in comparable texts of other sects. On this basis, Red Pine has argued that the Heart Sūtra is specifically a response to Sarvastivada teachings that, in the sense "phenomena" or its constituents, are real.[2]:9 Lines 12–13 enumerate the five skandhas. Lines 14–15 list the twelve ayatanas or abodes.[2]:100 Line 16 makes a reference to the 18 dhatus or elements of consciousness, using a conventional shorthand of naming only the first (eye) and last (conceptual consciousness) of the elements.[2]:105–06 Lines 17–18 assert the emptiness of the Twelve Nidānas, the traditional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2]:109 Line 19 refers to the Four Noble Truths.

Avalokiteśvara addresses Śariputra, who was the promulgator of abhidharma according to the scriptures and texts of the Sarvastivada and other early Buddhist schools, having been singled out by the Buddha to receive those teachings.[2]:11–12, 15 Avalokiteśvara famously states, "Form is empty (śūnyatā). Emptiness is form", and declares the other skandhas to be equally empty of the most fundamental Buddhist teachings such as the Four Noble Truths and explains that in emptiness none of these notions apply. This i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two truths doctrine as saying that teachings, while accurate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truth, are mere statements about reality—they are not reality itself—and that they are therefore not applicable to the ultimate truth that is by definition beyond mental understanding. Thus the bodhisattva, as the archetypal Mahayana Buddhist, relies on the perfection of wisdom, defined in the Mahaprajnaparamita Sutra to be the wisdom that perceives reality directly without conceptual attachment thereby achieving nirvana.

All Buddhas of the three ages (past, present and future) rely on the Perfection of Wisdom to reach unexcelled complete Enlightenment. The Perfection of Wisdom is the all powerful Mantra, the great enlightening mantra, the unexcelled mantra, the unequalled mantra, able to dispel all suffering. This is true and not false.[29] The Perfection of Wisdom is then condensed in the mantra with which the sutra concludes: "Gate Gate Pāragate Pārasamgate Bodhi Svāhā" (literally "Gone gone, gone beyond, gone utterly beyond, Enlightenment hail!").[30] In the long version, Buddha praises Avalokiteśvara for giving the exposition of the Perfection of Wisdom and all gathered rejoice in its teaching. Many schools traditionally have also praised the sutra by uttering three times the equivalent of "Mahāprajñāpāramitā" after the end of the recitation of the short version.[31]

Mantra[edit]

The Heart Sūtra mantra in Sanskrit IAST is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bodhi svāhāDevanagari: गते गते पारगते पारसंगते बोधि स्वाहा, IPAɡəteː ɡəteː paːɾəɡəteː paːɾəsəŋɡəte boːdʱɪ sʋaːɦaː, meaning "gone, gone, everyone gone to the other shore, awakening, svaha."[note 15]

Buddhist exegetical works[edit]

Chinese text of the Heart Sūtra by Yuan dynasty artist and calligrapher Zhao Mengfu (1254–1322 CE)

China, Japan, Korea and Vietnam[edit]

Two commentaries of the Heart Sutra were composed by pupils of Xuanzang, Woncheuk and Kuiji, in the 7th century.[5]:60 These appear to be the earliest extant commentaries on the text. Both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23][32] Both Kuījī and Woncheuk's commentaries approach the Heart Sutra from both a Yogācāra and Madhyamaka viewpoint;[5][23] however, Kuījī's commentary presents detailed line by line Madhyamaka viewpoints as well and is therefore the earliest surviving Madhyamaka commentary on the Heart Sutra. Of special note, although Woncheuk did his work in China, he was born in Silla, one of the kingdoms located at the time in Korea.

The chief Tang Dynasty commentaries have all now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Notable Japanese commentaries include those by Kūkai (9th Century, Japan), who treats the text as a tantra,[33][34] and Hakuin, who gives a Zen commentary.[35]

There is also a Vietnamese commentarial tradition for the Heart Sutra. The earliest recorded commentary is the early 14th century Thiền commentary entitled ‘Commentary on the Prajñāhṛdaya Sutra’ by Pháp Loa.[36]:155,298[note 16]

All of the East Asian commentaries are commentaries of Xuanzang's translation of the short version of the Heart Sutra. Kukai's commentary is purportedly of Kumārajīva's translation of the short version of the Heart Sutra;but upon closer examination seems to quote only from Xuanzang's translation.[34]:21,36–37

Major Chinese language Commentaries on the Heart Sutra
#English Title [note 17]Taisho Tripitaka No.[38]Author [note 18]DatesSchool
1.Comprehensive Commentary on the Prañāpāramitā Heart Sutra[11]T1710Kuiji632–682 CEYogācāra
2.Prajñāpāramitā Heart Sutra Commentary[23]T1711Woncheuk or (pinyin :Yuance)613–692 CEYogācāra
3.Brief Commentary on the Prajñāpāramitā Heart Sutra[2]:passim[39]T712Fazang643–712 CEHuayan
4.A Commentary on the Prajñāpāramitā Heart Sutra[2]:passimM522Jingmaic. 7th century[40]:7170
5.A Commentary on the Prajñāpāramitā Heart Sutra[2]:passimM521Huijing715 CE
6.Secret Key to the Heart Sutra[34][33]:262–276T2203AKūkai774–835 CEShingon
7.Straightforward Explanation of the Heart Sutra[2]:passim[41]:211–224M542Hanshan Deqing1546–1623 CE[40]:7549Chan Buddhism
8.Explanation of the Heart Sutra[2]:passimM1452 (Scroll 11)Zibo Zhenke1543–1603 CE[40]:5297Chan Buddhism
9.Explanation of the Keypoints to the Heart Sutra[2]:74M555Ouyi Zhixu1599–1655 CE[40]:6321Pure Land Buddhism
10.Zen Words for the Heart[35]B021Hakuin Ekaku1686–1768 CEZen

India[edit]

Eight Indian commentaries survive in Tibetan translation and have been the subject of two books by Donald Lopez.[42][7] These typically treat the text either from a Madhyamaka point of view, or as a tantra (esp. Śrīsiṃha). Śrī Mahājana's commentary has a definite "Yogachara bent".[7] All of these commentaries are on the long version of the Heart Sutra. The Eight Indian Commentaries from the Kangyur are (cf first eight on chart):

Indian Commentaries on the Heart Sutra from Tibetan and Chinese language Sources
#English Title[note 19]Peking Tripitaka No.[43][44][45]Author / Dates
1.Vast Explanation of the Nobl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No. 5217Vimalamitra (b. Western India fl. c. 797 CE – 810 CE)
2,Atīśa's Explanation of the Heart SutraNo. 5222Atīśa (b. Eastern India, 982 CE – 1045 CE)
3.Commentary on th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No. 5221Kamalaśīla (740 CE – 795 CE)
4.Commentary on the Heart Sutra as MantraNo. 5840Śrīsiṃha (probably 8th century CE)[7]:82[note 20]
5.Explanation of the Nobl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No. 5218Jñānamitra (c. 10th–11th century CE)[46]:144
6.Vast Commentary on the Nobl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No. 5220Praśāstrasena
7.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No. 5223Śrī Mahājana (probably c. 11th century)[47]:91
8.Commentary on the Bhagavati (Mother of all Buddhas)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Sutra, Lamp of the MeaningNo. 5219Vajrāpaṇi (probably c. 11th century CE)[47]:89
9.Commentary on th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M526Āryadeva (or Deva) c. 10th century[note 21]

There is one surviving Chinese translation of an Indian commentary in the Chinese Buddhist Canon. Āryadeva's commentary is on the short version of the Heart Sutra.[26]:11,13

Other[edit]

Besides the Tibetan translation of Indian commentaries on the Heart Sutra, Tibetan monk-scholars also made their own commentaries. One example is Tāranātha's A Textual Commentary on the Heart Sutra.

In modern times, the text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mongst exegetes as a growing number of translations and commentaries attest. The Heart Sutra was already popular in Chan and Zen Buddhism, but has become a staple for Tibetan Lamas as well.

Selected English translations[edit]

The first English translation was presented to the Royal Asiatic Society in 1863 by Samuel Beal, and published in their journal in 1865. Beal used a Chinese text corresponding to T251 and a 9th Century Chan commentary by Dàdiān Bǎotōng (大顛寶通) [c. 815 CE].[48] In 1881, Max Müller published a Sanskrit text based on the Hōryū-ji manuscript along an English translation.[49]

There are more than 40 published English translations of the Heart Sutra from Sanskrit, Chinese, and Tibetan, beginning with Beal (1865). Almost every year new translations and commentaries are published. The following is a representative sample.

AuthorTitlePublisherNotesYearISBN
Geshe RabtenEchoes of VoidnessWisdomIncludes the Heart Sutra with Tibetan commentary1983ISBN 0-86171-010-X
Donald S. Lopez Jr.The Heart Sutra ExplainedSUNYThe Heart Sutra with a summary of Indian commentaries1987ISBN 0-88706-590-2
Thich Nhat HanhThe Heart of Understanding

"Translation amended 2014". Retrieved 2017-02-26.

Parallax PressThe Heart Sutra with a Vietnamese Thiền commentary1988ISBN 0-938077-11-2
Norman WaddellZen Words for the Heart: Hakuin's Commentary on the Heart SutraShambhala PublicationsHakuin Ekaku's commentary on Heart Sutra1996ISBN 9781570621659
Donald S. Lopez Jr.Elaborations on EmptinessPrincetonThe Heart Sutra with eight complete Indian and Tibetan commentaries1998ISBN 0-691-00188-X
Edward ConzeBuddhist Wisdom: The Diamond Sutra and The Heart SutraRandom HouseThe Diamond Sutra and The Heart Sutra, along with commentaries on the texts and practices of Buddhism2001ISBN 978-0375726002
Chan Master Sheng YenThere Is No Suffering: A Commentary on the Heart SutraDharma Drum PublicationsHeart Sutra with Modern Commentary on Heart Sutra from Major Chan Master From Taiwan China2001ISBN 1-55643-385-9
Tetsugen Bernard GlassmanInfinite Circle: Teachings in ZenShambhala PublicationsTranslations and commentaries of The Heart Sutra and The Identity of Relative and Absolute as well as Zen precepts2003ISBN 9781590300794
Geshe Sonam RinchenHeart Sutra: An Oral CommentarySnow LionConcise translation and commentary from a Tibetan Buddhist perspective2003ISBN 9781559392013
Red PineThe Heart Sutra: the Womb of BuddhasCounterpointHeart Sutra with commentary2004ISBN 978-1593760090
14th Dalai LamaEssence of the Heart SutraWisdom PublicationsHeart Sutra with commentary by the 14th Dalai Lama2005ISBN 978-0-86171-284-7
Geshe Tashi TseringEmptiness: The Foundation of Buddhist ThoughtWisdom PublicationsA guide to the topic of emptiness from a Tibetan Buddhist perspective, with English translation of the Heart Sutra2009ISBN 978-0-86171-511-4
Geshe Kelsang GyatsoThe New Heart of Wisdom: An explanation of the Heart SutraTharpa PublicationsEnglish translation of the Heart Sutra with commentary2012ISBN 978-1906665043
Karl BrunnholzlThe Heart Attack Sutra: A New Commentary on the Heart SutraShambhala PublicationsModern commentary2012ISBN 9781559393911
Doosun YooThunderous Silence: A Formula For Ending Suffering: A Practical Guide to the Heart SutraWisdom PublicationsEnglish translation of the Heart Sutra with Korean Seon commentary2013ISBN 978-1614290537
Kazuaki TanahashiThe Heart Sutra: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Classic of Mahayana BuddhismShambhala PublicationsEnglish translation of the Heart Sutra with history and commentary2015ISBN 978-1611800968
Peter Lunde JohnsonDelivering the Heart of Transcendental DiscernmentAn Lac PublicationsEnglish translations of all 9 Chinese versions of the sutra and the commentaries on it by Fazang (Huayan School) and Kukai (Shingon School)2020ISBN 979-8593119438

Recordings[edit]

MENU
0:00
Japanese recitation

The Heart Sūtra has been set to music a number of times.[50] Many singers solo this sutra.[51]

  • The Buddhist Audio Visual Production Centre (佛教視聽製作中心) produced a Cantonese album of recordings of the Heart Sūtra in 1995 featuring a number of Hong Kong pop singers, including Alan TamAnita Mui and Faye Wong and composer by Andrew Lam Man Chung (林敏聰) to raise money to rebuild the Chi Lin Nunnery.[52]
  • Malaysian Imee Ooi (黄慧音) sings the short version of the Heart Sūtra in Sanskrit accompanied by music entitled 'The Shore Beyond, Prajna Paramita Hrdaya Sutram', released in 2009.
  • Hong Kong pop singers, such as the Four Heavenly Kings sang the Heart Sūtra to raise money for relief efforts related to the 921 earthquake.[53]
  • An Mandarin version was first performed by Faye Wong in May 2009 at the Famen Temple for the opening of the Namaste Dagoba, a stupa housing the finger relic of Buddha rediscovered at the Famen Temple.[54] She has sung this version numerous times since and its recording was subsequently used as a theme song in the blockbusters Aftershock (2010)[55][56] and Xuanzang (2016).[57]
  • Shaolin Monk Shifu Shi Yan Ming recites the Sutra at the end of the song "Life Changes" by the Wu-Tang Clan, in remembrance of the deceased member ODB.
  • The outro of the b-side song "Ghetto Defendant" by the British first wave punk band The Clash also features the Heart Sūtra, recited by American beat poet Allen Ginsberg.
  • A slightly edited version is used as the lyrics for Yoshimitsu's theme in the PlayStation 2 game Tekken Tag Tournament. An Indian styled version was also created by Bombay Jayashri, titled Ji Project. It was also recorded and arranged by Malaysian singer/composer Imee Ooi. An Esperanto translation of portions of the text furnished the libretto of the cantata La Koro Sutro by American composer Lou Harrison.[58]
  • The Heart Sūtra appears as a track on an album of sutras "performed" by VOCALOID voice software, using the Nekomura Iroha voice pack. The album, Syncretism of Shinto and Buddhism by VOCALOID,[59] is by the artist tamachang.
  • Toward the end of the opera The (R)evolution of Steve Jobs by Mason Bates the character inspired by Kōbun Chino Otogawa sings part of the Heart Sūtra to introduce the scene in which Steve Jobs weds Laurene Powell at Yosemite in 1991.
  • Part of the Sutra can be heard on Shiina Ringo's song 鶏と蛇と豚 (Gate of Living), from her studio album Sandokushi (2019) [60]

Popular culture[edit]

In the centuries following the historical Xuanzang, an extended tradition of literature fictionalizing the life of Xuanzang and glorifying his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Heart Sūtra arose, of particular note being the Journey to the West[61] (16th century/Ming dynasty). In chapter nineteen of Journey to the West, the fictitious Xuanzang learns by heart the Heart Sūtra after hearing it recited one time by the Crow's Nest Zen Master, who flies down from his tree perch with a scroll containing it, and offers to impart it. A full text of the Heart Sūtra is quoted in this fictional account.

In the 2003 Korean film Spring, Summer, Fall, Winter...and Spring, the apprentice is ordered by his Master to carve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sutra into the wooden monastery deck to quiet his heart.[62]

The Sanskrit mantra of the Heart Sūtra was used as the lyrics for the opening theme song of the 2011 Chinese television series Journey to the West.[63]

The 2013 Buddhist film Avalokitesvara, tells the origins of Mount Putuo, the famous pilgrimage site for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China. The film was filmed onsite on Mount Putuo and featured several segments where monks chant the Heart Sutra in Chinese and Sanskrit. Egaku, the protagonist of the film, also chants the Heart Sutra in Japanese.[64]

In the 2015 Japanese film I Am a Monk, Koen, a twenty-four year old bookstore clerk becomes a Shingon monk at the Eifuku-ji after the death of his grandfather. The Eifuku-ji is the fifty-seventh temple in the eighty-eight temple Shikoku Pilgrimage Circuit. He is at first unsure of himself. However, during his first service as he chants the Heart Sutra, he comes to an important realization.[65]

Bear McCreary recorded four Japanese-American monks chanting in Japanese, the entire Heart Sutra in his sound studio. He picked a few discontinuous segments and digitally enhanced them for their hypnotic sound effect. The result became the main theme of King Ghidorah in the 2019 film Godzilla: King of the Monsters.[66]

Influence on western philosophy[edit]

Schopenhauer, in the final words of his main work, compared his doctrine to the Śūnyatā of the Heart Sūtra. In Volume 1, § 71 of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 Schopenhauer wrote: "…to those in whom the will [to continue living] has turned and has denied itself, this very real world of ours, with all its suns and Milky Ways, is — nothing."[67] To this, he appended the following note: "This is also the Prajna–Paramita of the Buddhists, the 'beyond all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point where subject and object no longer exist."[68]

See also[edit]

Notes[edit]

  1. ^ This is just on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 mantra. There are many others. Traditionally mantras were not translated.
  2. ^ Pine :
    *On p 36-7: "Chen-k'o [Zibo Zhenke or Daguan Zhenke (one of the four great Buddhist Masters of the late Ming Dynasty - member of the Chan sect] says 'This sutra is the principal thread that runs through the entire Buddhist Tripitaka. Although a person's body includes many organs and bones, the heart is the most important.'
  3. ^ Storch :
    *On p 172: "Near the Foguangshan temple in Taiwan, one million handwritten copies of the Heart-sutra were buried in December of 2011. They were interred inside a golden sphere by the seat of a thirty-seven-meter-tall bronze statue of the Buddha; in a separate adjacent stupa, a tooth of the Buddha had been buried a few years earlier. The burial of one million copies of the sutra is believed to having created gigantic karmic merit for the people who transcribed it, as well as for the rest of humanity."
  4. ^ Lopez Jr.:
    * On p 239: "We can assume, at least, that the sutra was widely known during the Pala period (c. 750–1155 in Bengal and c. 750–1199 in Bihar)."
    * On pp 18–20 footnote 8: "...it suggests that the Heart Sutra was recited at Vikramalaśīla (or Vikramashila)(located in today's Bihar, India) and Atisa (982 CE – 1054 CE) appears to be correcting his pronunciation [Tibetan monks visiting Vikramalaśīla – therefore also an indication of the popularity of the Heart Sutra in Tibet during the 10th century] from ‘’ha rūpa ha vedanā’’ to ‘’a rūpa a vedanā’’ to, finally, the more familiar ‘’na rūpa na vedanā’’, saying that because it is the speech of Avalokita, there is nothing wrong to saying ‘’na’’."
  5. ^ Lopez Jr.:
    Jñānamitra [the medieval Indian monk–commentator c. 10th–11th Century] wrote in his Sanskrit commentary entitled 'Explanation of the Nobl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Āryaprajñāpāramitāhṛdayavyākhyā), "There is nothing in any sutra that is not contained in th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Therefore it is called the sutra of sutras."
    Jñānamitra also said regarding the Sanskrit title of the Heart Sutra 'bhagavatīprajñāpāramitāhṛdayaṃ' and the meaning of the word bhagavatī,"With regard to [the feminine ending] 'ī', all the buddhas arise from practicing the meaning of the perfection of wisdom. Therefore, since the perfection of wisdom comes to be the mother of all buddhas, [the feminine ending] 'ī' is [used].
  6. ^ Sonam Gyaltsen Gonta : 在佛教教主釋迦牟尼佛(釋尊)對弟子們講述的眾多教義中,《般若經》在思想層面上是最高的。....而將《大般若經》的龐大內容、深遠幽玄本質,不但毫無損傷反而將其濃縮在極精簡扼要的經文中,除了《般若心經》之外沒有能出其右的了...(transl: Among all the teachings taught by Sakyamuni Buddha to his disciples, the highest is the prajñāpāramitā....there are no works besides the Heart Sutra that even comes close to condensing the vast contents of the Mahaprajnaparamita Sutra's [the name of a Chinese compilation of complete prajñāpāramitā sutras having 16 sections within it] far-reaching profundity into an extremely concise form without any lost in meaning...
  7. ^ The Prajñāpāramitā genre is accepted as Buddhavacana by all past and present Buddhist schools with Mahayana affiliation.
  8. ^  Of special interest is the 2011 Thai translation of the six different editions of the Chinese version of the Heart Sutra under the auspices of Phra Visapathanee Maneepaket 'The Chinese-Thai Mahāyāna Sūtra Translation Project in Honour of His Majesty the King'; an example of the position of the Heart Sutra and Mahayana Buddhism in Theravadan countries.
  9. ^ He and Xu:
    On page 12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discovers ... the 661 CE Heart Sutra located in Fangshan Stone Sutra is probably the earliest extant "Heart Sutra"; [another possibility for the earliest Heart Sutra,] the Shaolin Monastery Heart Sutra commissioned by Zhang Ai on the 8th lunar month of 649 CE [Xuanzang's translated the Heart Sutra on the 24th day of the 5th lunar month in 649 CE][15]:21mentioned by Liu Xihai in his unpublished hand written draft entitled "Record of Engraved Stele's Surnames and Names", [regarding this stone stele, it] has so far not been located and neither has any ink impressions of the stele. It's possible that Liu made a regnal era transcription error. (He and Xu mention there was a Zhang Ai who is mentioned in another stone stele commissioned in the early 8th century and therefore the possibility Liu made a regnal era transcription error;however He and Xu also stated the existence of the 8th century stele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re could have been two different persons named Zhang Ai.)[15]:22–23 The Shaolin Monastery Heart Sutra stele awaits further investigation."[15]:28
    On page 17 "The 661 CE and the 669 CE Heart Sutra located in Fangshan Stone Sutra mentioned that "Tripitaka Master Xuanzang translated it by imperial decree" (Xian's Beilin Museum's 672 CE Heart Sutra mentioned that "Śramaṇa Xuanzang translated it by imperial decree"..."
  10. ^ Harada's cross-philological study is based on Chinese, Sanskrit and Tibetan texts.
  11. ^ Choo :
    * On p 146–147 [quote from Woncheuk's Prajñāpāramitā Heart Sutra Commentary] "A version [of the Heart Sūtra (in Chinese)] states that “[The Bodhisattva] illuminatingly sees that the five aggregates, etc., are all empty.” Although there are two different versions [(in Chinese)], the latter [that is, the new version] is the correct one because the word “etc.” is found in the original Sanskrit scripture. [The meaning of] “etc.” described in the latter [version]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doctrine of Dharmapāla]."
  12. ^ Some Sanskrit Titles of the Heart Sutra from 8th–13th centuries CE
    1. āryabhagavatīprajñāpāramitāhṛdayaṃ (Holy Mother of all Buddhas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Sanskrit title of Tibetan translation by unknown translator.
    2. bhagavatīprajñāpāramitāhṛdayaṃ (Mother of all Buddhas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Sanskrit title of Tibetan translation by Vimalamitra who studied in Bodhgayā (today's Bihar State in North Eastern India) in the 8th century CE.
    3. āryabhagavatīprajñāpāramitā (Holy Mother of all Buddhas Perfection of Wisdom) Sanskrit title of Chinese translation by Dānapāla who studied in Oddiyana (today's Swat Valley Pakistan near Afghanistan-Pakistan border) in the 11th century CE.
    4. āryabhagavatīprajñāpāramitā (Holy Mother of all Buddhas Perfection of Wisdom) Sanskrit title of Chinese translation by Dharmalāḍana in the 13th century CE.[26]:29
  13. ^ Sonam Gyaltsen Gonta : 直譯經題的「bCom ldan ’das ma」就是「佛母」之意。接下來我們要討論的是「shes rab kyi pha rol tu phyin pa'i」(般若波羅蜜多)。....講述這個般若波羅蜜的經典有《十萬頌般若》、《二萬五千頌般若》、《八千頌般若》...而將《大般若經》的龐大內容、深遠幽玄本質,不但毫無損傷反而將其濃縮在極精簡扼要的經文中,除了《般若心經》之外沒有能出其右的了,因此經題中有「精髓」兩字。(transl: Directly translating the title "bCom ldan 'das ma" - it has the meaning of "Mother of all Buddhas". Now we will discuss the meaning of "shes rab kyi pha rol tu phyin pa'i" (prajñāpāramitā).... Describing the prajñāpāramitā, we have the Śat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Prajñāpāramitā Sūtra in 100,000 verses], the Pañcaviṃśati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Prajñāpāramitā Sūtra in 25,000 verses],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Prajñāpāramitā Sūtra in 8,000 verses]...there are no works besides the Heart Sutra that even comes close to condensing the vast contents of the Mahaprajnaparamita Sutra's [(the name of a Chinese compilation of complete prajñāpāramitā sutras having 16 sections within it and including the 3 aforementioned sutras)] far-reaching profundity into an extremely concise form without any lost in meaning and therefore the title has the two words ["snying po"] meaning "essence" [or "heart"]
  14. ^ Powers xix: [Avalokiteśvara Bodhisattva's association with the Prajñāpāramitā genre can also be seen in the Saṁdhinirmocana Mahāyāna Sūtra, where Avalokiteśvara asks Buddha about the Ten Bodhisattva Stages and ] Each stage represents a decisive advance in understanding and spiritual attainment. The questioner here is Avalokiteśvara, the embodiment of compassion. The main meditative practice is the six perfections - generosity, ethics, patience, effort, concentration and wisdom - the essence of the Bodhisattva's training. (for details pls see pp 249-271)
  15. ^ There were two waves of transliterations. One was from China which later mainly spread to Korea, Vietnam and Japan. Another was from Tibet. Classical transliterations of the mantra include:
    • simplified Chinese揭谛揭谛,波罗揭谛,波罗僧揭谛,菩提萨婆诃traditional Chinese揭諦揭諦,波羅揭諦,波羅僧揭諦,菩提薩婆訶pinyinJiēdì jiēdì, bōluójiēdì, bōluósēngjiēdì, pútí sàpóhē
    • VietnameseYết đế, yết đế, Ba la yết đế, Ba la tăng yết đế, Bồ đề tát bà ha
    • Japanese羯諦羯諦、波羅羯諦、波羅僧羯諦、菩提薩婆訶Japanese pronunciationGyatei gyatei haragyatei harasōgyatei boji sowaka
    • Korean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romajaAje aje bara-aje baraseung-aje moji sabaha
    • Tibetanག༌ཏེ༌ག༌ཏེ༌པཱ༌ར༌ག༌ཏེ༌པཱ༌ར༌སཾ༌ག༌ཏེ༌བོ༌དྷི༌སྭཱ༌ཧཱ། (gate gate paragate parasangate bodi soha)
  16. ^ Nguyen 
    *gives the Vietnamese title of Phap Loa's commentary as 'Bát Nhã Tâm Kinh Khoa Sớ' which is the Vietnamese reading of the Sino-Viet title (also given) '般若心經科疏'. (The English translation is 'Commentary on the Prajñāhṛdaya Sutra'.) 
    Thich 
    *gives Pháp Loa's name in Chinese as 法螺[37]
  17. ^ For those interested, the Chinese language titles are as follows:
    1. 《般若波羅蜜多心經幽贊》 ( 2 卷)[1]
    2. 《般若波羅蜜多心經贊》 ( 1 卷) [2]
    3. 《般若波羅蜜多略疏》 ( 1 卷) [3]
    4. 《般若心經疏》( 1 卷) [4]
    5. 《般若心經疏》( 1 卷) [5]
    6. 《般若心経秘鍵》( 1 卷) [6]
    7. 《心經直說》( 1 卷) [7]
    8. 《心經說》( 29 卷) (參11 卷) [8]
    9. 《心經釋要》( 1 卷) [9]
    10. 《般若心経毒語》[10]
  18. ^ For those interested, the CJKV names are as follows:
    1. 窺基
    2. 원측圓測
    3. 法藏
    4. 靖邁
    5. 慧淨
    6. 空海
    7. 憨山德清
    8. 紫柏真可
    9. 蕅益智旭
    10. 白隠慧鶴
  19. ^ For those interested, the Sanskrit titles are as follows:
    1.Āryaprajñāpāramitāhṛdayaṭīkā
    2.Prajñāhṛdayaṭīkā
    3.Prajñāpāramitāhṛdayamaṭīkā
    4.Mantravivṛtaprajñāhṛdayavṛtti
    5.Āryaprajñāpāramitāhṛdayavyākhyā
    6.Āryaprajñāpāramitāhṛdayaṭīkā
    7.Prajñāpāramitāhṛdayārthamaparijñāna
    8.Bhagavatīprajñāpāramitāhṛdayathapradīpanāmaṭīkā
    9.Prajñāpāramitāhṛdayaṭīkā
  20. ^ Lopez Jr.:
    [Vairocana, a disciple of Srisimha was] ordained by Śāntarakṣita at bSam yas c. 779 CE.
  21. ^ Zhou 1959 :
    (not the famous Āryadeva from the 3rd century CE but another monk with a similar name from c. 10th century)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e-Museum 2018   Ink on pattra (palmyra leaves used for writing upon) ink on paper Heart Sutra: 4.9x28.0 Dharani: 4.9x27.9/10.0x28.3 Late Gupta period/7–8th century Tokyo National Museum N-8'
  2.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k l m n Pine 2004
  3. ^ Brunnhölzl 2017.
  4. ^ McRae 2004, p. 314.
  5. Jump up to:a b c d Lusthaus 2003
  6. ^ Buswell_Jr. & Lopez_Jr. 2014, p. 657: there is as yet no scholarly consensus on the provenance of the text
  7. Jump up to:a b c d e f Lopez Jr. 1996
  8. Jump up to:a b Harada 2010
  9. ^ Tai 2005
  10. Jump up to:a b Sonam Gyaltsen Gonta 2009
  11. ^ प्रज्ञापारमिताहृदयसूत्र (मिलन शाक्य)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Sutra (tr. from Sanskrit to Nepal Bhasa)] (in Nepali). Translated by Shākya, Milan. 2003.
  12. ^ Ledderose, Lothar (2006). "Changing the Audience: A Pivotal Period in the Great Sutra Carving Project". In Lagerway, John (ed.). Religion and Chinese Society Ancient and Medieval China. 1.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and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p. 395.
  13. ^ Lee, Sonya (2010). "Transmitting Buddhism to A Future Age: The Leiyin Cave at Fangshan and Cave-Temples with Stone Scriptures in Sixth-Century China". Archives of Asian Art60.
  14. ^ 佛經藏經目錄數位資料庫-般若波羅蜜多心經 [Digital Database of Buddhist Tripitaka Catalogues-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 CBETA (in Chinese). 【房山石經】No.28《般若波羅蜜多心經》三藏法師玄奘奉詔譯 冊數:2 / 頁數:1 / 卷數:1 / 刻經年代:顯慶六年[公元661年] / 瀏覽:目錄圖檔 [tr to English : Fangshan Stone Sutra No. 28 "Prajñāpāramitāhṛdaya Sutra" Tripitaka Master Xuanzang translated by imperial decree Volume 2, Page 1 , Scroll 1 , Engraved 661 CE...]
  15. Jump up to:a b c d He 2017
  16. Jump up to:a b Nattier 1992
  17. ^ Attwood, Jayarava. "The History of the Heart Sutra as a Palimpsest", 157.
  18. ^ Attwood, Jayarava. "'Epithets of the Mantra' in the Heart Sutra", 31, 44.
  19. ^ Harada 2002.
  20. ^ Fukui 1987.
  21. ^ Ishii 2015.
  22. ^ Siu 2017.
  23. Jump up to:a b c d Choo 2006
  24. ^ Attwood, Jayarava. "The History of the Heart Sutra as a Palimpsest", 174-178.
  25. ^ Attwood, Jayarava. "'Epithets of the Mantra' in the Heart Sutra", 43-44.
  26. Jump up to:a b Zhou 1959
  27. ^ Powers, 1995
  28. ^ Keenan 2000
  29. ^ Yifa 2005, p. 7.
  30. ^ "Prajñaparamita mantra: Gate gate paragate parasaṃgate bodhi svaha"wildmind.org. Retrieved 2018-08-10Gate gate pāragate pārasamgate bodhi svāhā... The words here do have a literal meaning: “Gone, gone, gone beyond, gone utterly beyond, Enlightenment hail!
  31. ^ BTTS 2002, p. 46cf bottom of page
  32. ^ Shih and Lusthaus, 2006
  33. Jump up to:a b Hakeda 1972.
  34. Jump up to:a b c Dreitlein 2011
  35. Jump up to:a b Waddell 1996.
  36. ^ Nguyen 2008
  37. ^ Thích 1979.
  38. ^ If listing starts with 'T' and followed by number then it can be found in the Taisho Tripitaka; if listing starts with 'M' and followed by number then it can be found in the Manjizoku Tripitaka; If listing starts with 'B' and followed by number then it can be found in the Supplement to the Great Tripitaka
  39. ^ Minoru 1978 (cf references)
  40. Jump up to:a b c d Foguangshan 1989
  41. ^ Luk 1970
  42. ^ Lopez Jr. 1988.
  43. ^ von Staël-Holstein, Baron A. (1999). Silk, Jonathan A. (ed.). "On a Peking Edition of the Tibetan Kanjur Which Seems to be Unknown in the West"Journal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22 (1): 216. cf footnote (b)-refers to Ōtani University (大谷大学) copy (ed.) of Peking Tripitaka which according to Sakurabe Bunkyō, was printed in China 1717/1720.
  44. ^ 藏文大藏經 [The Tibetan Tripitaka]. 全球龍藏館 [Universal Sutra of Tibetan Dragon]. Retrieved 2017-11-17北京版。又名嵩祝寺版。清康熙二十二年(1683)據西藏霞盧寺寫本在北京嵩祝寺刊刻,先刻了甘珠爾。至雍正二年(1724)續刻了丹珠爾。早期印本大部為硃刷,也稱赤字版。版片毀於光緒二十六年庚子之役。 (tr. to English: Beijing (Peking Tripitaka) ed., is also known as Songzhu Temple edition. In 1683, Beijing's Songzhu Temple first carved woodblocks for the Kangyur based on manuscripts from Tibet's Xialu Temple (Shigatse's Shalu Monastery). In 1724, they continued with the carving of woodblocks for the Tengyur. The early impressions were in large part, printed in vermilion ink and therefore are also known as the 'Vermilion Text Edition.' The woodblocks were destroyed in 1900 during the Boxer Rebellion.)
  45. ^ If listing starts with 'M' and followed by number then it can be found in the Manjizoku Tripitaka
  46. ^ Fukuda 1964
  47. Jump up to:a b Liao 1997
  48. ^ Beal (1865: 25–28)
  49. ^ Müller (1881)
  50. ^ DharmaSound (in web.archive.org): Sūtra do Coração in various languages (mp3)
  51. ^ 心经试听下载, 佛教音乐专辑心经 - 一听音乐网lting.com (in Chinese).
  52. ^ 佛學多媒體資料庫. Buda.idv.tw. Retrieved 2013-03-16.
  53. ^ 經典讀誦心經香港群星合唱迴向1999年, 台灣921大地震. Youtube.com. 2012-08-10. Retrieved 2013-03-16.
  54. ^ Faye Wong sings at Buddhist Event
  55. ^ 《大地震》片尾曲引爭議 王菲尚雯婕誰是主題曲Sina Daily News(in Chinese). 2010-07-28.
  56. ^ 般若波罗密多心经.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4-28. Retrieved 2015-05-17.
  57. ^ 黄晓明《大唐玄奘》MV曝光 王菲版《心经》致敬 (in Chinese). People.com.cn Entertainment. 2016-04-21.
  58. ^ "Lou Harrison obituary" (PDF)Esperanto magazine. 2003. Retrieved December 15, 2014. (text in Esperanto)
  59. ^ Syncretism of Shinto and Buddhism by VOCALOID, 2015-11-12, retrieved 2018-07-19
  60. ^ "Aya Dances 3 Earthly Desires in Gate of Living-Ringo Sheena". en.cabin.tokyo. 2019-05-22. Retrieved 2019-09-03.
  61. ^ Yu, 6
  62. ^ Ehrlich, Dimitri (2004). "Doors Without Walls"Tricycle: The Buddhist Review. Retrieved August 3, 2019.
  63. ^ Chen, Xiaolin (陳小琳); Chen, Tong (陳彤). Episode 1西遊記 (2011年電視劇) (in Chinese). This prelude song was not used in the television series shown in Hong Kong and Taiwan. The mantra as sung here is Tadyatha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64. ^ 不肯去观音 [Avalokitesvara] (in Chinese). 2013. In the first five minutes, there are two chantings of the Heart Sutra. The first time, Buddhist monks chant in Chinese blessing the making of a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for the benefit of a disabled prince. (The prince is later healed and becomes the future Emperor Xuānzong.) The second time, we hear the singing of the mantra of the Sanskrit Heart Sutra in the background. Shortly after the Nīlakaṇṭha Dhāraṇī is chanted. The Chinese version of the Eleven-Faced Guanyin Heart Dharani is also chanted. Egaku chants the Heart Sutra in Japanese in a later segment. The film is a loose retelling of the origin of Mount Putuo.
  65. ^ ボクは坊さん。 [I Am a Monk] (in Japanese). 2015.
  66. ^ McCreary, Bear (June 15, 2019). "Godzilla King of the Monsters"Bear's Blog. Retrieved August 3, 2019.
  67. ^ …ist denen, in welchen der Wille sich gewendet und verneint hat, diese unsere so sehr reale Welt mit allen ihren Sonnen und Milchstraßen—Nichts.
  68. ^ Dieses ist eben auch das Pradschna–Paramita der Buddhaisten, das 'Jenseit aller Erkenntniß,' d.h. der Punkt, wo Subjekt und Objekt nicht mehr sind. (Isaak Jakob Schmidt, "Über das Mahâjâna und Pradschnâ-Pâramita der Bauddhen". In: Mémoires de l'Académie impériale des sciences de St. Pétersbourg, VI, 4, 1836, 145–149;].)

Sources[edit]

  • Beal, Samuel. (1865) The Paramita-hridaya Sutra. Or. The Great Paramita Heart Sutra.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No.2 Dec 1865, 25-28
  • BTTS,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2002). Daily Recitation Handbook : Sagely City of Ten Thousand BuddhasISBN 0-88139-857-8.
  • Brunnhölzl, Karl (September 29, 2017), The Heart Sutra Will Change You ForeverLion's Roar, retrieved August 24, 2019
  • Buswell Jr., Robert E. (2003), Encyclopedia of BuddhismMacMillan Reference BooksISBN 0-02-865718-7
  • Buswell Jr., Robert E.Lopez Jr., Donald S. (2014),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Princeton University PressISBN 978-0-691-15786-3
  • Choo, B. Hyun (February 2006),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Banya paramilda simgyeong chan: Wonch'uk's Commentary on the Heart Sūtra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e.6: 121–205.
  • Conze, Edward (1948), "Text, Sources, and Bibliography of the Prajñāpāramitā-hṛdaya",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80 (1): 33–51, doi:10.1017/S0035869X00101686JSTOR 25222220
  • Conze, Edward (1967), "The Prajñāpāramitā-Hṛdaya Sūtra", Thirty Years of Buddhist Studies: Selected Essays, Bruno Cassirer, pp. 147–167
  • Conze, Edward (1975), Buddhist Wisdom Books: Containing the "Diamond Sutra" and the "Heart Sutra", Thorsons, ISBN 0-04-294090-7
  • Conze, Edward (2000), Prajnaparamita Literature,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ISBN 81-215-0992-0 (originally published 1960 by Mouton & Co.)
  • Conze, Edward (2003), The Short Prajñāpāramitā Texts, Buddhist Publishing Group, ISBN 978-0946672288
  • Dreitlein, Thomas Eijō (2011). An Annotated Translation of Kūkai's Secret Key to the Heart Sūtra (PDF)24. 高野山大学密教文化研究所紀要(Bulletin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Esoteric Buddhist Culture). pp. 1–48(L).
  • e-Museum, National Treasures &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of National Museums, Japan (2018), "Sanskrit Version of Heart Sutra and Vijaya Dharani"e-Museum
  • Foguangshan Foundation for Buddhist Culture and Education (佛光山文教基金會) (1989). 佛光山大詞典 [Foguangshan Dictionary of Buddhism] (in Chinese). ISBN 9789574571956.
  • Fukuda, Ryosei (福田亮成) (1964). 般若理趣經・智友Jñānamitra釋における一・二の問題 [A Few Problems with Jñānamitra's Commentary on the Adhyardhaśatikā prajñāpāramitā]. 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Indogaku Bukkyogaku Kenkyu) (in Japanese). 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12 (23): 144–145. doi:10.4259/ibk.12.144.
  • Fukui, Fumimasa (福井文雅) (1987). 般若心経の歴史的研究 [Study of the History of the Prajñāpāramitā Sūtra] (in Japanese, Chinese, and English). Tokyo: Shunjūsha (春秋社). ISBN 978-4393111284.
  • Hakeda, Y.S. (1972). Kūkai, Major works: Translated and with an account of his life and a study of his thought.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059336esp. pp 262–276 which has the English translation of Secret Key to the Heart Sutra
  • Harada, Waso (原田和宗) (2002). 梵文『小本・般若心経』和訳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Prajñāpāramitāhṛdaya]. 密教文化 (in Japanese). Association of Esoteric Buddhist Studies. 2002 (209): L17–L62. doi:10.11168/jeb1947.2002.209_L17.
  • Harada, Waso (原田和宗) (2010). 「般若心経」の成立史論」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m] (in Japanese). Tokyo: Daizō-shuppan 大蔵出版. ISBN 9784804305776.
  • He, Ming (贺铭); Xu, Xiao yu (续小玉) (2017). "2" 早期《心经》的版本 [Early Editions of the Heart Sutra]. In Wang, Meng nan (王梦楠); Fangshan Stone Sutra Museum (房山石经博物馆); Fangshan Stone Sutra and Yunju Temple Culture Research Center (房山石经与云居寺文化研究中心) (eds.). 石经研究 第一辑 [Research on Stone Sutras Part I] (in Chinese). 1. Beijing Yanshan Press. pp. 12–28. ISBN 9787540243944.
  • Ishii, Kōsei (石井 公成) (2015). 『般若心経』をめぐる諸問題 : ジャン・ナティエ氏の玄奘創作説を疑う [Issues Surrounding the Prajñāpāramitā-hṛdaya: Doubts Concerning Jan Nattier’s Theory of a Composition by Xuanzang]. 64. Translated by Kotyk, Jeffrey. 印度學佛教學研究. pp. 499–492.
  • The Scripture on the Explication of the Underlying Meaning [Saṁdhinirmocana Sūtra]. Translated by Keenan, John P.; Shi, Xuanzang [from Sanskrit to Chinese].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and Research. 2006. ISBN 978-1886439108Translated from Chinese
  • Kelsang Gyatso, Geshe (2001). Heart of Wisdom: An Explanation of the Heart SutraTharpa Publications, (4th. ed.). ISBN 978-0-948006-77-7
  • Liao, Bensheng (廖本聖) (1997), 蓮花戒《般若波羅蜜多心經釋》之譯注研究 (廖本聖著) [Research on the Translation of Kamalaśīla’s Prajñāpāramitāhṛdayamaṭīkā], Chung-Hwa Buddhist Journal, 10 (in Chinese): 83–123
  • Lopez Jr., Donald S. (1988), The Heart Sutra Explained: Indian and Tibetan Commentaries, State Univ of New York Pr., ISBN 0-88706-589-9
  • Lopez Jr., Donald S. (1996), Elaborations on Emptiness: Uses of the Heart Sūtra,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01883
  • Luk, Charles (1970), Ch'an and Zen Teaching (Series I), Berkeley: Shambala, pp. 211–224ISBN 0877730091 (cf pp 211–224 for tr. of Hanshan Deqing's Straight Talk on the Heart Sutra (Straightforward Explanation of the Heart Sutra))
  • Lusthaus, Dan (2003). The Heart Sūtra in Chinese Yogācāra: Some Comparative Comments on the Heart Sūtra Commentaries of Wŏnch’ŭk and K’uei-chi.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e 3, 59–103.
  • McRae, John (2004), "Heart Sutra", in Buswell Jr., Robert E. (ed.),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 Minoru Kiyota (1978). Mahayana Buddhist Meditation: Theory and Practice Hawaii: University of Hawaii Press. (esp. Cook, Francis H. ‘Fa-tsang’s Brief Commentary on the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 pp. 167–206.) ISBN 978-8120807600
  • Müller, Max (1881). ‘The Ancient Palm Leaves containing the Prajñāpāramitā-Hṛidaya Sūtra and Uṣniṣa-vijaya-Dhāraṇi.’ in Buddhist Texts from Japan (Vol 1.iii). Oxford Univers* ity Press. Online
  • Nattier, Jan (1992), "The Heart Sūtra: A Chinese Apocryphal Text?"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15 (2): 153–223
  • Nguyen, Tai Thu (2008). The History of Buddhism in Vietnam. Institute of Philosophy, Vietnam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The Council for Research in Values and Philosophy. ISBN 978-1565180987.
  • Pine, Red (2004), The Heart Sutra: The Womb of the Buddhas, Shoemaker 7 Hoard, ISBN 1-59376-009-4
  • Wisdom of Buddha The Saṁdhinirmocana Mahāyāna Sūtra. Translated by Powers, John. Dharma Publishing. 1995. ISBN 978-0898002461Translated from Tibetan
  • Rinpoche, Tai Situ (2005), Ground, Path and Fruition, Zhyisil Chokyi Ghatsal Chatitable Trust, ISBN 978-1877294358
  • Shih, Heng-Ching & Lusthaus, Dan (2006). A Comprehensive Commentary on the Heart Sutra (Prajnaparamita-hyrdaya-sutra).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 Research. ISBN 978-1886439115
  • Siu, Sai yau (蕭世友) (2017). 略本《般若波羅蜜多心經》重探:漢譯,譯史及文本類型 [Reinvestigation into the Shorter Heart Sūtra: Chinese Translation, History, and Text Type] (in Chines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 Sonam Gyaltsen Gonta, Geshe (索南格西); Shithar, Kunchok(貢卻斯塔); Saito, Yasutaka(齋藤保高) (2009). チベットの般若心経 西藏的般若心經 [The Tibetan Heart Sutra] (in Chinese). Translated by 凃, 玉盞 (Tu Yuzhan). (Original language in Japanese). Taipei: Shangzhou Press (商周出版). ISBN 9789866369650.
  • Storch, Tanya (2014).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t Bibliography: Censorship and Transformation of the Tripitaka. Amherst, New York: Cambria Press. ISBN 978-1604978773.
  • Tanahashi, Kazuki (2014), The Heart Sutra: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Classic of Mahayana Buddhism'Shambala PublicationsISBN 978-1611803129
  • Thích, Thiện Ân (1979). Buddhism and Zen in Vietnam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Asia. Charles E.Tuttle & Co. ISBN 978-0804811446.
  • Waddell, Norman (1996). Zen Words for the Heart: Hakuin's Commentary on the Heart Sutra. Boston, Massachusetts: Shambhala. ISBN 978-1-57062-165-9.
  • "Prajnaparamita Heart Sutra]" (PDF). Translated by Yifa, Venerable; Owens, M.C.; Romaskiewicz, P.M. Buddha's Light Publishing. 2005.
  • Yu, Anthony C. (1980). The Journey to the West.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97150-6. First published 1977.
  • Zhou, Zhi'an (周止菴) (1959). 般若波羅蜜多心經詮注 [Commentaries on the Prañāpāramitāhṛdaya Sutra] (in Chinese). TaichungThe Regent Store.

Further reading[edit]

External links[edit]

Documentary[edit]

Translations[edit]



日本における般若心経[編集]

各宗派[編集]

日本では仏教各派、特に法相宗天台宗真言宗禅宗が般若心経を使用し、その宗派独特の解釈を行っている。

浄土真宗は『浄土三部経』を、日蓮宗法華宗は『法華経(妙法蓮華経)』を根本経典とするため、般若心経を唱えることはない。これは該当宗派の教義上、所依経典以外は用いる必要がないとされ、唱えることも推奨されない。しかし教養的な観点から学ぶことは問題視されておらず、例えば、浄土真宗西本願寺門主であった大谷光瑞は般若心経の講話録を出版している[20]

  • 天台宗では、最澄作とされる般若心経の注釈がある。また中国天台宗の明曠作とされる注釈書も存在する。
  • 真言宗では、読誦・観誦の対象としている。日用経典(日課等通常行事用の経典)であり儀典でも用いる(空海の般若心経秘鍵を参照)。繰り返し読誦する場合は、一回目は、冒頭の「仏説」から読み始めるが、2回目以降の読誦では「仏説」を読まず、「摩訶」から読む慣わしとなっている。開祖空海が般若心経を重視したことで、注釈・解釈を著す僧侶・仏教学者が多く、昭和では高神覚昇(1894 - 1948)『般若心経講義』(角川文庫で再刊)、平成の現在では宮坂宥洪『真釈般若心経』、加藤精一『空海「般若心経秘鍵」』(各角川ソフィア文庫)松長有慶『空海 般若心経の秘密を読み解く』(春秋社)などの著作が版を重ねている。高神の解釈書は、戦前にNHKラジオ放送で行われ、経典解釈として非常に評価が高く多数重版し、異なる宗派の僧侶や仏教学者からも評価されている。
  • 浄土宗も、根本経典は浄土真宗と同様に『浄土三部経』だが、祈願の時と食作法(食事の時の作法)にのみ唱える。
  • 時宗では、神社参拝及び本山での朝の勤行後に、熊野大社の御霊を祀る神棚に向かい三唱することが必須となっている。日用に用いる場合もある。
  • 臨済宗では、日用経典の一つ。名僧で名高い一休宗純盤珪白隠が解釈を行っている。般若心経とは自分の心の本来の姿を現した経典であるという仏説をみなす説が強い。
  • 曹洞宗では、日用経典の一つ。開祖道元正法眼蔵の中で解釈し、かつて異端の僧とされた天桂伝尊(1648 - 1736年)の「観自在菩薩とは汝自身である」という解釈が著名である。また良寛種田山頭火など般若心経の実践に取り組んだ僧侶も多い。良寛は般若心経の大量の写経を残しており、種田は般若心経を俳句に読み込んでいる。
  • 修験道では、修験者(山伏などの行者)が「行」を行う際に唱える。
  • 神道でも唱えるところがある。神社(神前)で読誦の際は、冒頭の「仏説」を読まずに、「摩訶」から読む。また、前もって「般若心経は仏教の全経典の中から選りすぐられた経典であり、それを謹んで捧げます」というような内容の「心経奉讃文(しんぎょうほうさんもん)」を読み上げる場合もある。

在家信者[編集]

一般の人々にとっては、「空」を説く経典と言うより、むしろ、「霊験あらたかな真言」の経典として受け止められており、一部には悪霊の力を「空ずる」という解釈もされた。古くから般若心経の利益で病気が治るという信仰があり、既に日本霊異記にその説話が残っている。お守りとして所持したり、病気になったときに写経して平癒を祈願したりした人が多い。 江戸時代には、文字を読めない層のために、内容を絵に表した絵心経も製作された。百瀬明治『般若心経の謎』によれば、これは元禄年間に現在の岩手県二戸郡の八幡源右衛門という人が文字の読めない人向けに創作した後、随筆によって諸国に伝播されブームとなったものであり、文字が読める人たちの間でも判じ物的に楽しまれたという。

一般書籍等[編集]

現在では写経の際によく筆写される。また手拭いなどにも印刷され、極めて普及している。解釈書も大量に出版されており、中には般若心経の原意を取り違えたものさえあり、仏教学者が警鐘を鳴らしているような状態である。

翻訳[編集]

現代の主な翻訳及び解説としては、訳者自身が校訂したサンスクリット原文を含む中村元紀野一義訳の岩波文庫本[21]、高神覚昇の『般若心経講義』[22]、また臨済宗の僧侶の立場から解釈した松原泰道の『般若心経入門』[23]金岡秀友 『般若心経』[24]などがある。

現代文化における受容[編集]

般若心経は、サブカルチャーも含めた現代文化でもモチーフとしてよく使われる。

般若心経をプリントしたTシャツ
  • 1970年代のSF漫画『ザ・ムーン』では、少年たちが般若心経をとなえることで巨大ロボットを動かした。
  • 2002年放送開始のテレビ番組『トリビアの泉 〜素晴らしきムダ知識〜』のトリビアNo.258「カラオケボックスで『般若心経』が歌える」で、タイトーの通信カラオケ機器に入っている「般若心経」のカラオケビデオにあわせて、曹洞宗桃源院の僧侶6名が読誦するビデオが放送された。
  • 2017年、 群馬県太田市の郷土料理店「新田乃庄」の般若心経を書いた「ほうとう」が「食べる般若心経」として話題に[28]
  • 2018年、キッサコ(薬師寺寛邦の僧侶ボーカルプロジェクト)がアルバム「般若心経」をリリース。
  • 2020年、禅僧・赤坂陽月がYouTubeに「般若心経ビートボックスRemix」を投稿。
  • タトゥーとして般若心経の自分の体に彫り込む人もいる(ロックミュージシャンの雅-MIYAVI-など)。

脚注[編集]

[脚注の使い方]

註釈[編集]

  1. ^ この真言は『般若大心陀羅尼』と同じ真言である。(大正新脩大藏經 佛説陀羅尼集經卷第三 大唐天竺三藏阿地瞿多譯 般若波羅蜜多大心經(印有十三呪有九) 般若大心陀羅尼第十六 ( T0901_.18.0807b19 - 21 ))阿地瞿多(あじくた[3]Atikūṭa[4])は中インド出身の訳経僧[4]。本経は654年訳出とされ、玄奘の般若心経訳出との関連は不明。
  2. ^ 訳経史の概念として、鳩摩羅什までの漢訳経典を「古訳」、鳩摩羅什以降、玄奘までを「旧訳(くやく)」、玄奘以降を「新訳」と言う(訳経史区分
  3. ^ 【北京共同】中国北京の古寺、雲居寺は、同寺が保管していた石に刻まれた般若心経が、唐代の中国の僧で、「西遊記」の三蔵法師として知られる玄奘三蔵による現存する最古の漢訳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と発表した。西暦661年に刻まれたとしている。中国メディアが27日までに伝えた。(著作権等考慮して本文・拓本写真省略、[18]
  4. ^ 大蔵経所収の玄奘譯 般若波羅蜜多心經には『一切』の二字がない。(T0251_.08.0848c04 - c23)
  5. ^ こばやし しょうせい (1876 - 1937年)茨城県古川市出身。明治~昭和前期の真言宗僧侶。

出典[編集]

  1. a b c d 三枝充悳「般若心経」 -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小学館。
  2. ^ 「般若心経」 -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平凡社。
  3. ^ 「軍荼利明王」 -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小学館
  4. a b 『佛光大辭典』(慈怡法師 主編)
  5. ^ 金岡1973 p.149
  6. ^ 宮坂2004[要ページ番号]
  7. ^ 福井文雅 「般若心経の核心」 早稲田大学東洋哲学会『東洋の思想と宗教』4号 1987年 PP.20-28
  8. ^ 佐保田鶴治「般若心経の実態」平河出版社 『ヨーガの宗教理念』1976年 ISBN 9784892030215、242-315頁
  9. ^ 工藤順之・吹田隆道訳 「般若心経は中国偽経か?」『財団法人三康文化研究所年報』第37号、2006年/o。"The Heart Sutra: A Chinese Apocryphal Text?",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vol. 15, no. 2 (1992),153-223.
  10. ^ 原田和宗、「梵文『小本・般若心経』和訳」 『密教文化』 2002年 2002巻 209号 p.L17-L62, doi:10.11168/jeb1947.2002.209_L17
  11. ^ 原田和宗 『「般若心経」の成立史論 大乗仏教と密教の交差路』 大蔵出版、2010年 ISBN 978-4804305776
  12. ^ 石井公成、「『般若心経』をめぐる諸問題 -ジャン・ナティエ氏の玄奘創作説を疑う-」 『印度學佛教學研究』 2015年 64巻 1号 p.499-492, doi:10.4259/ibk.64.1_499
  13. ^ 梵本心経および尊勝陀羅尼 - e国宝
  14. ^ 金岡1973 p.138
  15. ^ 金岡1973 p.141-147
  16. ^ 金岡1973 p.151-152 p.155-156
  17. ^ 金岡1973 p.158
  18. ^ 最古の玄奘訳の般若心経か、中国 北京の雲居寺が保管 - 共同通信
  19. ^ 賀・続2017 p.13の拓本写真には<顯慶六年二月八日造>[661年2月8日に作った]という言葉が以上の報道よりもっと読みやすいです。
  20. ^ 『大谷光瑞猊下述 般若波羅密多心經講話』 1922年 大乗社 影印 。
  21. ^ 岩波文庫 ISBN 978-4003330319 初版1960年。
  22. ^ 角川ソフィア文庫 ISBN 978-4043007011 初版1947年。
  23. ^ 祥伝社新書 ISBN 978-4396111830 初版1972年。
  24. ^ 講談社学術文庫、2001年。ISBN 978-4-06-159479-1
  25. ^ http://www.nicovideo.jp/watch/sm11982230
  26. ^ 【ネット番記者】ポップな「般若心経」 - MSN産経ニュース - ウェイバックマシン(2010年10月6日アーカイブ分)
  27. ^ http://otakei.otakuma.net/archives/2014021803.html
  28. ^ 食べる般若心経!? 群馬「新田乃庄」のほうとうが謎すぎてネット騒然! 2017年11月28日 更新」2021年1月4日閲覧

参考文献[編集]






2021/02/02

알라딘: [전자책] 책, 이게 뭐라고

알라딘: [전자책] 책, 이게 뭐라고

] 책, 이게 뭐라고  대여 epub 
장강명 (지은이)arte(아르테)2020-09-28 

책소개

책, 팟캐스트,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책을 중심에 둔 소통을 시도해온 작가 장강명. 결혼에 대한 솔직하고 유머러스한 모습을 가감 없이 보여주었던 첫 번째 에세이 <5년 만에 신혼여행> 이후 4년 만에 펴낸 장강명의 두 번째 에세이 <책, 이게 뭐라고>는 독서 팟캐스트 [책, 이게 뭐라고?!]를 2년여간 진행하면서 만난 책과 사람, 직접 만든 작은 독서 공동체에 대한 경험 그리고 전업 작가의 현실적인 고민과 미래를 향한 작가적 야망까지 진솔하게 써 내려간 40편의 글로 엮었다.

명백하게 ‘읽고 쓰는 인간’ 장강명이 팟캐스트 [책, 이게 뭐라고?!]를 통해 말하고 듣는 세계에서 펼치는 고군분투가 퍽 실감 나게 그려져 있다. 장강명은 ‘읽고 쓰는 세계’와 ‘말하고 듣는 세계’를 대비하면서 “맥락과 교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소통 방식을 배워가는 과정이 “꽤나 분열적인 작업”이었다고 고백하면서도, 마치 묘기를 부리는 듯한 재치와 우애가 한껏 담긴 대화는 예술의 경지와도 같았다고 말한다. 두 세계의 균형을 익혀가는 성숙의 과정을 솔직하게 풀어냈다.
목차
프롤로그_ 어지간하면 다 나간다는 자세와 최순실 게이트

1장_
말하는 작가의 탄생
오후 4시 52분 마산행 무궁화호 열차와 코딱지 삼촌
정액제 스트리밍 상품과 우리의 미래
셀럽 비즈니스와 비굴한 후보정 프로필 사진
점점 더 화려해지는 백화점 인테리어와 손오공이 처음으로 받은 불경
소크라테스식 산파술과 ‘비포’ 시리즈
회의가 시작하기만을 기다리는 소설가와 온갖 암초 같은 딜레마
진짜로 들으려 하는 사람과 공포의 지하 특훈

* 장강명의 읽고 쓰는 세계 ① ― 내 인생의 책

2장_
책을 읽는 일, 책에 대해 말하는 일
한밤중에 TV 책 소개 프로그램과 거기에 나오는 특이한 이력의 소설가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공동체와 짧고 차가운 경멸의 시선
갓 고등학교를 졸업한 열아홉 살들과 무앙 사르투에서 열린 도서전
예비 장인이 예비 사위에게 하는 질문과 맨정신 토론
1만 명과 교제한 사람과 1만 권을 읽은 사람
안타인지 파울인지 애매한 타구와 비 오는 날 반납해야 하는 책
비논리적인 생각의 결론과 물성을 강조하는 흐름
이라크 공군 조종사를 회유하는 작전과 아카데미상 수상자 자레드 레토
울란바토르 백화점에서 산 미니어처 보드카와 이스라엘 소설가 에트가르 케레트
논쟁적인 주제를 파고드는 책과 공공도서관에 보급하기 위해 구매하는 도서 목록
폴리네시아 원주민들이 쓰는 말과 고매한 인간에 대한 판타지
당신만의 오디오 콘텐츠와 크리스마스 책 홍수
마오쩌둥의 다채로운 독서생활과 곰팡이가 만드는 기하학적인 균사

* 장강명의 읽고 쓰는 세계 ② ― 끝내주는 책

3장_
말하기-듣기의 세계에서 만난 작가들
저승에서 돌아온 남자와 마케팅의 부스터
신선한 피에 환장하는 드라큘라와 몰래 우월감을 품는 작가들
단 한 사람의 독자와 죽음을 기다리는 병든 짐승
동물이 대접받는 나라와 구식 저널리즘의 열렬한 지지자
무언가 의미 있는 일을 한다는 감각과 젊은이들이 이별하고 들었던 노래
기준 없이 손 가는 대로 집어 들었던 몇 권과 포인트 적립이라는 유혹
첨단 플랫폼에서 강조하는 정절과 내가 고치지 못하는 나쁜 버릇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 선제후의 답장과 내가 할 수 있는 일
하느님 품으로 돌아오는 험버트 험버트와 옛 연인이 보낸 카카오톡 메시지

* 장강명의 읽고 쓰는 세계 ③ ― 숙제 같은 책

4장_
그럼에도 계속 읽고 쓴다는 것
사람을 장난감처럼 여기는 악취미와 길들지 않는 야수들의 왕국
수도꼭지를 올리는 순간 콸콸 쏟아지는 뜨거운 물줄기와 저음을 잘 구현하는 오디오 장비
불확정성원리에 대한 20세기 예술가들의 반응과 변화를 일으키고 발전의 길을 제시하겠다는 실제적인 전망
부잣집 딸과 결혼하겠다는 생각과 인간이 스스로를 가축화한 과정
영화 제작자들이 제인 오스틴을 좋아했던 이유와 제인 오스틴을 너무 싫어했던 마크 트웨인
세 번째 소챕터의 제목과 유튜브로 검색하는 아이들
세탁실의 배수구와 바둑 기사들의 전성기
영원한 갈증에 시달리는 탄탈로스와 렉사프로를 처방받은 소설가
축제의 열기와 반드시 흔적을 남기는 글

* 장강명의 읽고 쓰는 세계 ④ ― 충동 대출

에필로그_
지향성 마이크와 서툴게 걷는 양서류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이게 뭐라고>에 출연하기로 한 날 할머니가 돌아가셨다. 그날 새벽에 연락을 받았다.
P. 22~23 1장. 말하는 작가의 탄생

나는 궁금하다. 왜 여섯 살짜리조차 작가라는 직업에 대해 그런 환상을 품는지. 왜 1년에 책 한 권 읽지 않는 사람조차 도서관이나 서점에 들어가면 행동이 조심스러워지는지. 책, 그게 뭐라고?
P. 25 나는 인세로 먹고살고 싶었다. 책을 잘 쓰면 책이 잘 팔릴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신문 칼럼이나 시사 프로그램 패널 출연, 외부 강연 같은 가욋일에 한눈팔지 말고, 잘 팔릴 만한 재미있는 신작을 쓰자 마음먹었다.
2017년 봄이 되자 그 결심이 아래서부터 흔들렸다. 당대 한국 소설을 읽는 사람들 사이에서 ‘저 작가 책 괜찮더라’는 평가를 받아도 판매량은 신통치 않다. 애초에 독서 인구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다. 책을 읽지 않는 사람도 사는 작가가 돼야 인세로 먹고살 만해진다.  접기
P. 33 20세기소녀는 나를 연예인처럼 보이게 하려고 작심한 것 같았다. 그날은 말하는 장강명이 말하는 사람들의 업계에 본격적으로 데뷔하는 날이기도 했다. 사진을 찍으며 스타일리스트가 가져온 셔츠 두 벌과 재킷을 번갈아가며 입었다. 사진가는 카메라 앞에 선 내게 “편하게 하시면 돼요”라고 했지만, 그 말은 아무리 들어도 절대 편해지지 않았다.  접기
P. 48 시간을 견디는 것이 무엇이 중요한가, 하고 물을 수 있겠다. 나는 그 질문이 어쩌면 쓰는 인간과 말하는 인간을 가르는 중요한 선이 아닐까 생각한다. 전화와 녹음기가 생기기 전까지 말하기와 듣기는 그 행위가 이뤄지는 시공간에 집중하는 의사소통 기술이었다. 실시간 메신저가 등장하기 전까지 쓰기와 읽기는 (필담이라는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면) 보통 마주하지 않은, 다른 시간에 있는 사람을 향했다.  접기
P. 56 정치적 올바름을 둘러싼 논란의 상당수는 예의와 윤리를 혼동하는 데서 비롯된 것 아닌가 나는 생각한다. 예의와 윤리는 폭력을 줄이기 위한 두 가지 수단이다. 이 두 덕성은 서로 겹치지 않으며, 맥락과 상황의 문제(예의)를 보편적인 법칙(윤리)으로 만들고자 할 때 종종 충돌이 발생한다.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장강명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작가. 〈동아일보〉에서 11년 동안 기자로 일했다. 장편소설 《표백》으로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열광금지, 에바로드》로 수림문학상을, 《댓글부대》로 제주4·3평화문학상과 오늘의작가상을,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으로 문학동네작가상을 받았다. 장편소설 《우리의 소원은 전쟁》 《호모도미난스》, 연작소설 《뤼미에르 피플》 《산 자들》, SF소설집 《지극히 사적인 초능력》과 에세이 《5년 만에 신혼여행》 《책, 이게 뭐라고》, 논픽션 《당선, 합격, 계급》 《팔과 다리의 가격》을 출간했다. 접기
수상 : 2016년 오늘의작가상, 2015년 문학동네 작가상, 2015년 제주4.3평화문학상, 2014년 수림문학상, 2011년 한겨레문학상
최근작 : <표백>,<책, 이게 뭐라고>,<책 한번 써봅시다> … 총 60종 (모두보기)
인터뷰 : 소설적 야심을 말하는 작가,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장강명 인터뷰 - 2015.09.03
SNS : //twitter.com/tesomiom
출판사 제공 책소개


현실에 발을 딛고, 더 멀리 더 깊이 세상을 보고 싶은
‘읽고 쓰는 인간’ 장강명의 책에 대한 생각들

“우리는 읽으며 과거와 대화한다. 우리는 쓰면서 미래로 메시지를 보낸다.
지금의 상식 대부분을 고작 50년 전 사람들이 듣는다면 격분할 것이다.
같은 원리로 50년 뒤 독자들에게 존중받으려면
우리 시대 사람들 다수를 불편하게 만들어야 할 테다.” _ 228쪽

책, 팟캐스트,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책을 중심에 둔 소통을 시도해온 작가 장강명의 에세이 『책, 이게 뭐라고』가 아르테에서 출간되었다.
장강명은 2011년 장편소설 『표백』으로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후 10년간 장편소설 『댓글부대』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한국이 싫어서』, 연작소설집 『산 자들』 등 여러 작품을 선보이면서 당대와 그에 속한 인간 존재에 대한 날카로운 현실 인식과 그만의 깊은 사고로 지금 이 시대를 대표하는 한국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결혼에 대한 솔직하고 유머러스한 모습을 가감 없이 보여주었던 첫 번째 에세이 『5년 만에 신혼여행』 이후 4년 만에 펴낸 장강명의 두 번째 에세이 『책, 이게 뭐라고』는 독서 팟캐스트 〈책, 이게 뭐라고?!〉를 2년여간 진행하면서 만난 책과 사람, 직접 만든 작은 독서 공동체에 대한 경험 그리고 전업 작가의 현실적인 고민과 미래를 향한 작가적 야망까지 진솔하게 써 내려간 40편의 글로 엮었다.
명백하게 ‘읽고 쓰는 인간’ 장강명이 팟캐스트 〈책, 이게 뭐라고?!〉를 통해 말하고 듣는 세계에서 펼치는 고군분투가 퍽 실감 나게 그려져 있다. 장강명은 ‘읽고 쓰는 세계’와 ‘말하고 듣는 세계’를 대비하면서 “맥락과 교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소통 방식을 배워가는 과정이 “꽤나 분열적인 작업”이었다고 고백하면서도, 마치 묘기를 부리는 듯한 재치와 우애가 한껏 담긴 대화는 예술의 경지와도 같았다고 말한다. 두 세계의 균형을 익혀가는 성숙의 과정을 솔직하게 풀어냈다.

말하고 듣는 세계의 한가운데서 시작된 작은 독서 공동체

“처음에는 책 이야기가 우리 자신에 대한 이야기로 번지는 것에 당황했다.
우리가 너무 수다스럽고 사생활 털어놓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건가 궁금했다.
그러다 머지않아 이게 여러 독서 모임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_ 97쪽

2016년 12월, 모든 이슈를 블랙홀처럼 집어삼키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그때 새로운 소설을 발표한 작가 장강명은 ‘책 홍보에 도움이 된다면 어디든 어지간하면 다 나간다는 자세’로 〈책, 이게 뭐라고?!〉에 출연하게 된다. 이후 〈책, 이게 뭐라고?!〉 시즌 2의 진행자 역할을 제안받아 수락하게 된 그는 작게는 프로필 사진 촬영부터 크게는 서울국제도서전 등 대형 행사로까지 ‘말하고 듣는 세계’를 본격적으로 종횡무진 누비며 알아가기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장강명은 말하고 듣는 사람 사이에서는 예의가, 읽고 쓰는 사람 사이에서는 윤리가 중요하다는 중요한 차이를 발견하게 된다. 보편성과 일관성을 지향하는 읽고 듣는 세계의 원칙인 ‘윤리’와 달리 맥락에 좌우되는 ‘예의’는 문화와 주관의 영역에 속해 있기 때문에 비판 의식보다는 그 상황에 필요한 적절한 감수성을 더욱 필요로 한다. 말하고 듣기에 능숙한 이들은 상대의 비언어적인 표현을 빠르게 알아채고 그에 적절히 대응할 줄 아는데, 그런 감수성이 만들어내는 우아한 대화에 강한 인상을 받는다.
하지만 읽고 쓰듯이 말하고 들으려 했던 장강명에게 말하고 듣는 세계에서의 고군분투는 필연적이었다. 독서를 지극히 개인적인 일로 여기며 독서 모임조차 회의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았던 그가 먼저 팀원들에게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한 온라인 독서 토론을 제안하기에 이른다. 스스로가 팟캐스트 분위기에 적응하기 위해 제안한 일이었기에 다른 사람의 참여는 기대하지 않았지만, 그의 예상을 깨고 모든 팀원들이 적극적으로 독서 토론에 뛰어들었다. 그들은 작은 독서 공동체 안에서 한 사람의 질문에 서로의 생각과 느낌을 간단히 나누기도 하고, 때로는 각자의 사적인 이야기를 깊게 나누기도 했다.
그 경험 속에서 장강명은 읽고 쓰는 세계뿐 아니라 말하고 듣는 세계의 소통에서도 책이 중요한 무게중심이 되어주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좋은 삶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와 같이 일상 속에서는 쉽게 나눌 수 없는 대화를 책은 존재 자체로 강하게 질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누구보다 현실에 단단히 발붙이고 냉정하게 세상을 바라보고자 하는 작가 장강명은 ‘책이 중심에 있는 사회’를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었다.

같은 꿈을 꾸는 ‘읽고 쓰는 인간’들을 향한 나지막하고도 단단한 응원의 메시지


“내게 독서는 호흡이다. 나는 이미 읽고 쓰는 세계에서 살고 있다. 소크라테스가 경고한 그 세계다.
나는 물을 벗어난 물고기들처럼 몇몇 용감한 선조들이 2,400년 전에 그 땅으로 올라왔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깨달음을 얻은 어류가 되기보다 서툴게 걸으며 공기를 직접 들이마시는 양서류가 되기를 택했다.
언젠가 우리는 보다 우아하고 빠르게 달릴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나는 상상한다.” _ 310~311쪽

팟캐스트 〈책, 이게 뭐라고?!〉를 진행하면서 장강명 작가가 꼽은 즐거움이자 특권은 바로 다양한 작가들을 직접 만나 고민과 아이디어를 나눠볼 수 있다는 점이었다. 전에 없던 새로운 길을 개척한 작가들부터 동지 의식을 느꼈던 소설가들, 특별히 더 큰 응원의 목소리를 보태고 싶었던 르포르타주 작가들과 웹소설 작가들까지 다양한 읽고 쓰는 사람들을 만났다. 장강명은 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글에 대해 조금 더 뾰족하게 질문의 날을 세워 고민하게 된다. 출판 기획에 대해 생각해보기도 하고, 장강명이 추구하는 르포르타주는 어떤 방식인지도 생각해본다. 트렌디하고 가벼운 글이나 책을 손에 들었을 때는 동시대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일과 미래의 평가 사이에서 떠오른 갈등과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놓기도 한다.
이런 대화를 통해 장강명은 자신의 읽고 쓰는 행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식사가 주는 기쁨 이상의 것을 추구’하며, 그것을 추구하는 행위로 읽고 쓰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또 자신이 속한 읽고 쓰는 세계를 돌아보며 ‘우리 시대의 어떤 작품이 고전이 될까’ 궁금해한다. 읽으며 과거와 대화하고, 쓰면서 미래로 메시지를 보낸다고 믿고 있는 장강명은 동시대에 사랑받는 것을 넘어 미래의 독자와도 의미 있는 소통을 나눌 작품을 남기길 원한다. 그렇게 장강명은 세계문학전집에서 작가 연표를 유심히 살피며 그들이 의미 있는 작품을 마지막으로 남긴 때를 확인해본다. 그리고 자신에게 현실적으로 허락된 작가로서의 시간을 가늠해본 후 단호히 ‘읽고 쓰는 세계’로 돌아갈 것을 결심한다. 그동안 장강명의 현실적 삶의 기반을 만들어주었던 ‘말하고 듣는 세계’와의 거리 두기를 선택한 그의 작가로서의 야망과 진솔한 속내가 담겨 있다.
장강명은 ‘읽고 쓰는 사람’이 ‘말하고 듣는 사람’에 비해 훨씬 역사가 짧고 어려운 방식의 소통을 추구하는 존재들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들은 깨달음을 얻고 우아하게 헤엄치는 어류가 되기보다 물을 벗어나 ‘서툴게 걷고 공기를 들이마시는 양서류’와 같이 서툴게 읽고 쓰며 살아가는 존재들이다. 장강명은 그들을 같은 꿈을 꾸는 ‘동족’들이라 여기며 강한 유대감을 표한다. 그리고 ‘읽고 쓰는 세계’로 돌아가는 길목에서 그들을 향해 나지막하고도 단단한 응원의 메시지를 전한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50) 읽고 있어요 (29) 읽었어요 (145)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0%
12.2% 20대 3.8%
32.1% 30대 6.4%
26.3% 40대 4.5%
9.0% 50대 3.2%
1.9% 60대 0.6%
여성 남성
평점
분포
    9.0
    65.3%
    24.5%
    7.1%
    1.0%
    2.0%
100자평
    
 
등록
마이페이퍼 > 마이페이퍼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10)
전체 (24)
공감순 
     
알람뜨자마자 구매완료. 기대됩니다♡  구매
러브북스 2020-09-08 공감 (9) 댓글 (0)
Thanks to
 
공감
     
그간에 밀려 있던, 너무 많은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 같다. 지나치다 보니 소신이나 주관이라기 보다는 변명처럼 들린다.  구매
깐따삐야 2020-09-17 공감 (7) 댓글 (0)
Thanks to
 
공감
     
작가가 책에서 말하는 시시한 책이 바로 이 책.  구매
stolidcan 2020-09-25 공감 (7) 댓글 (0)
Thanks to
 
공감
     
이얏호 !! 주문했습니다
장강명 작가님 책 거의 다 읽어온 팬입니다
팟캐스트도 잘 들었었는데 팟캐 제목과 같아서 더 친근감이 가네요~~


 구매
이지연 2020-09-11 공감 (6) 댓글 (0)
Thanks to
 
공감
     
ㅠㅠ 제가 젤 좋아하는 작가님 책이라 알람뜨자마자 바로 구매했어요 빨리 배송왔으면 좋겠어요 헤헿 기대됩니다  구매
happy9238824 2020-09-08 공감 (4) 댓글 (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리뷰
구매자 (10)
전체 (75)
리뷰쓰기
공감순 
     
인류를 미워하자 새창으로 보기 구매
“언닌 참 낙천적이야.”
그게 싫다는 것인지 좋다는 것인지 알 수 없는 오묘한 말투로 동생이 말했었다. 응? 모처럼의 칭찬인가? 귀를 쫑긋했는 데 뒤에 따라오는 이야기를 들어보니 역시 비아냥이었다. 살면서 본성이 낙천적인 사람 딱 두명 봤는 데 OO과장님이랑 언니야, 차암~ 맑아~ 사람이. 왜, 그게 싫어? 아니, 걍, 그런 사람들 보면 부럽다는 거지, 나는 왜 이렇게 꼬였나 싶다는 거지.

어쨌든 낙천적이지는 않은 동생의 이야기는 이러했다. 자기는 부정적인 사람이라서 나랑 이야기하면 자기가 부정적인가 싶어서 자괴감이 들었다고. 그래서 자신과 뜻이 맞는 부정적인 친구를 사귀었는 데 둘이 아주 죽이 잘맞아서 세상을 비관하고 타인을 혐오하고 특히(!) 지인의 뒷담화를 하며 공감하는 게 정말 즐거웠다고. 덧붙여 둘이서 내욕도 많이했다고ㅋㅋ. 한동안 그 친구한테 홀딱 빠져있었는 데, 어느 날 친구 만나러가는 것을 매우 피로해하는 자신을 느꼈고 얘는 너무 비관적이어서 자주 만나면 안되겠다 싶어졌다나? 나는 속으로 말했다. 응^^, 그게 내가 너와의 만남을 한달에 두 번으로 제한하는 이유야. 동생에게 큰 깨달음을 주신 그분에게 감사함을 느꼈다ㅋㅋ

내가 낙천적인가? 스스로한테 물어봤다. 아닌데? 난 불만 많은데?라고 생각하다가 초등학교 저학년 방학 때 선생님이 써주는 가정통신문(?)에 ‘낙천적임’이라고 적혀있던 기억이 빼꼼났다. 그 때, 그 말이 뭔지 국어사전 찾아봤거든. 초등학교 저학년때 부터 낙천적이었고 지금도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낙천적이라는 말을 듣는다면 나는 낙천적인 사람이 맞겠다는 결론이다. 슬픈 노래도 좋고 슬픈 영화도 좋고 특별히 슬픈 드라마는 내가 애정하는 장르지만 그건 취향인거고, 현실의 나는 대체로 잘 웃고 잘 떠드는 긍정가인 것이다. 가끔 세상에서 제일 시니컬한 독설가 모드를 장착하기도 하는 데 그건 가끔이고(-_-) 그러고 난 날에는 항상 이불킥을 한다(하지만 어쩔 수 없었어...라고 생각하며).

청춘시절 좌파사상에 심취하지 않았다면, 엄청난 자기계발형의 인간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장점을 보고 교훈을 찾는 게 싫은 감정을 느끼는 것보다 수월하다. 그걸 낙천적이라고 하는 걸까? 싫어하거나 미워하고 싶지 않아서 좋은 점을 보려고 노력하는 게.

“(28) 그리고 내 앞에 있는, 살아있는 개인을 미워하지 말자는 개인적인 결심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것은 말하는 장강명쪽의 철학이자 신념이다.”

장강명씨는 결심을 해서 실천하고 계신다지만 살아있는 내 앞의 개인을 미워하지 못하는 건 나에게 성격에 가깝다.  그건 나에게 고나리질과 폭언을 일삼는 류의 개인에게도 마찬가지고(그걸 학대라고 인식한 것도 멀지않은 과거의 일이다) 대놓고 무시ㆍ질투하는 사람들에게도… 그랬었다. (으음, 그랬었군.)

왜 그래? 라고 묻는다면 - 글쎄, 좋은 사람이고 싶어서. 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이해하고 나면 감정이 생기지 않는다고 보는게 맞다. 사회생활이건 일상생활이건 당장 손절 할 수 없는 가까이 있는 사람이라면- 미워하는 데에 에너지를 쓰는 것보다 이해하는 데에 에너지를 재빨리 쓰고 덜 미워하는 것이 ‘나’라는 한정적인 자원을 경제적으로 쓰는 거다, 라고 생각한다. 이래서 밉고 저래서 싫고 보단, 이런 저런 싫은 점도 있지만 요론조론 괜찮은 점도 있지 뭐. 나한테 다 맞을 수는 없는 거지 뭐~ 가 편하다. 물론 부작용도 많다. 나를 향한 대놓고 공격의 말들마저 튕겨내지 못하거나(그말도 맞긴 해), 아주 작은 친절을 확대해석(이런 좋은 점도 있었네) 할때도 있다는 거지. 확실히 스톡홀록 증후군에 취약한 성격인 것이다.....

일례로 얼마전에 단톡방에 회사에서 일어난 요론조론 이야기를 친구들에게 했었는 데, 친구들이 다 내 대신 분노했다. 기분 안나쁘냐며 나더러 순둥이라고까지 했다. 아, 순둥이....... 망했다. 나는 자본주의에 길들어졌다. 그렇지만 역시 다시 생각해봐도 기분이 나쁘지 않았다. 뭐랄까. 이 정도로 기분이 나쁘면 여기서 어떻게 살아남죠?

“(29) ‘인류를 사랑하는 건 쉽지만 인간을 사랑하는 건 어렵다’는 명언이 있다. 내 기억에는 버트런드 러셀이 한 말 아니면 <피너츠>에서 나온 스누피의 대사다. 어쨌든 이 말에 썩 동의하지 않는다. 인류와 인간을 동시에 사랑하는 건 어렵다. 그러나 어느 한쪽만 사랑하는 것은 가능하다. 인류를 사랑하고 인간을 미워하는 것보다, 인간을 사랑하고 인류를 미워하는 편이 더 낫다. 아주 더. 굉장히 더. 쓰는 장강명과 말하는 장강명 모두 그렇게 생각한다.”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좇같은 화풀이의 대상이 될 때. 매일 얼굴을 봐야하는 너를 미워하는 것보다 이 상황이 가능하게 하는 세상이 싫다고. “화내서 미안.” “괜찮아요, 어떤 부분에서는 이해가 되니까.” 오해하지마. 너를 이해한다는 뜻이 아니라 이것이 가능해지는 권력의 작동방식에 대해서 이해한다는 뜻이야. 착각하지마. 너라는 사람이 괜찮다는 게 아니라, 내가 이 정도에는 흔들리지 않을 정도로 괜찮다는 뜻이니까. 언제나 맥락을 읽는 것은 중요하단다.

“(54) 말하고 듣는 사람 사이에서는 예의가 중요하다. 읽고 쓰는 사람 사이에서는 윤리가 중요하다. 
예의와 윤리는 다르다. 예의는 맥락에 좌우된다. 윤리는 보편성과 일관성을 지향한다. ... 예의는 감성의 영역이며, 우리는 무례한 인간이 되지 않기 위해 감수성을 키워야 한다. 윤리는 이성의 영역이며, 우리는 비윤리적인간이 되지 않기 위해 비판 의식을 키워야 한다. 전자도 쉽지 않지만 후자는 매우 어렵다. 직관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윤리에 대해서는 보편 규칙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온갖 암초 같은 딜레마를 넘어 우리가 어떤 법칙을 발견하거나 발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예의는 끝까지 그런 법칙과는 관련이 없는, 문화와 주관의 영역에 속해있을 것이다.”

그가 괜찮은 사람이었으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감수성을 키웠겠지만, 굳이 그 감각을 동원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는 피곤하게 눈치 볼 필요가 없으며, 눈치 볼 상황이 적어질 수록 눈치에 속하는 감수성은 도태되었을 테니- 아마 영원히 내 언어의 맥락은 읽히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길 바란다.

그러니까.... 이런 나는
정말로 낙천적인 걸까.
순둥이인가.
내 앞의 개인을 미워하지 않는 사람일까.
.....
세가지 다 생존의 기술로 터득한 방법인 것 같은 데....
음.. 이게 진짜 착한거야?

*

지구멸망, 재기, 자살, 인류애 폭망, 그 인간 쓰레기라는 말을 달고 사는 동네 친구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술자리 대화 상대 중 한명이다. 그가 얼마나 개인에게 예의바르게 대하며, 착실히 노동하고, 일을 야무지게 처리할지는 안봐도 비디오처럼 알 것 같다. 그냥 봐서는 멀쩡하고 좋은 사람이라는 소리다. 하지만 사적인 자리에서 입을 열면 달라지지. 아직까지 나는 그 이상으로 인류를 싫어하는 사람을 만나 본 적이 없다. 우리의 대화는 엄청난 블랙코메디 같아서 평소에 착한(?) 내가 구구절절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살아야하는 이유를 막 설파하면, 친구는 온갖 근거들을 들어 우리모두가 자살해야 하는 이유를 말해준다. 그럼 넌 왜 자살안하는 건데요? 그건, 언제라도 할 수 있으니깐요. 와하하하. 나는 그 친구를 만나면서 나를 덜 미워하는 방법을 배웠다. 어쩌면 그 친구는 나를 만나면서 사람을 조금은 덜 미워하게 되지 않았을까? 추측해본다. 인생은 단짠단짠. 세상은 소리없는 아우성. 내가 아는 최악의 인류멸망찬성론자가 비건을 지지하는 페스코 생활을 하는 것은 일관적이면서 신기하다. 나는 말하곤 한다. “저기요, 당신 누구보다 인류를 생각하는 마음으로 살고 계신데요?”

이건 글을 쓰며 내려보는 어떤 결론인데.
난 내 앞의 개인을 미워하지 못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
그런데 그 성격은 종종 방향을 잘못틀어 나를 미워하는 방식을 취한다.
하지만 더는 나를 미워하고 싶지 않다. 나를 더 미워하다간 내 앞의 개인마저 미워하게 될 판이다.
어쨌든, 미움이라는 건 어디론가는 가야한다.
그렇다면?
인류를 미워하기로 한다.

인간을 사랑하고 인류를 미워하는 편이 낫다.
역시
그편이 낫다.


*

장강명 에세이에 장강명 이야기를 아니할 수 없으니 또 장강명을 안좋아하는 이몸이 나서서 에세이 대해서도 몇마디 더 적자면

“(131) 이제 나는 내 이상형에 대해 안다. 맥주와 책을 모두 좋아하는 사람이다. 그것은 내 인생의 두 가지 낙인데, 그중 어느 하나라도 사랑하는 이와 함께 즐길 수 없다면 참 아쉬울 것 같다. 그런데 맥주와 책을 다 좋아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나 정도로 맥주를 좋아하는 사람은 아마도 대한민국 인구의 10퍼센트 미만일 것이다. 나 정도로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확실히 전 인구의 10퍼센트 미만이다. 그러니까 나 정도로 맥주를 좋아하고 동시에 책도 좋아하는 사람은 백에 한 명도 안된다.”

엄마, 나 장강명 이상형됐어... 하아.... 심지어 대한민국 일프로야.

그리고 놀랍게도

“(306) 나의 친구여, 플라톤이 뭐라고 썼는지는 중요하지 않다네. 중요한 것은 ‘파이드로스’라는 책에 무어라 적혀있느냐가 아니라, 문자의 영향에 대한 우리의 진정한 앎이지. 그렇지 않은가? 모든 사람이 그 앎으로부터 제각기 다른 거리로 떨어져 있기에 가르침은 맞춤식으로 접근할 수 밖에 없다네. 바로 대화이지. 사실 그것이 책의 함정이기도 하다네. 책과는 대화를 할 수 없으니 말일세. ....”

장강명 에세이에도 테스형이 등장해.. 읔큭큭큭..

말하고 듣는 인간, 읽고 쓰는 인간 사이에서의 진지한 고찰 -읽고쓰는 인간을 은근 위에 올려놓지만-이 돋보이는 이 에세이를 구입해 읽은 것은 이제는 들을 수 없는 동 제목의 팟캐스트 때문이다. 사실 싫어했던 작가였던 장강명에 대한 시선이 바뀐 것은 팟캐스트 속 ‘예의’를 갖추는 ‘말’하는 장강명의 인간적 매력 때문이었다. 글과 사람이 다르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글보다 사람이 나은 경우는 처음이었다..!!!

“(222) 분노의 포도 같은 작품을 쓸 수 있다면 팔을 한 짝 잃어도 상관 없다고 생각한다. ... 지금은 말하는 일과 쓰는 일에서 오는 수입이 달리는 자전거의 양쪽 페달 같다. 두 페달을 번갈아가며 열심히 밟아야 프리랜서 글쟁이라는 자전거가 쓰러지지 않고 달린다.”
“(228) 50년 뒤의 독자들에게 존중받으려면 우리 시대의 사람들 다수를 불편하게 만들어야 할 테다. ... 가끔은 내가 당대를 굉장히 못마땅해한다는 사실이 위안이 된다. 세상이 너무 좋고 아름답고 옳은 방향으로 제대로 굴러간다고 보는 사람은 중요한 글은 못 쓸 것 같기 때문이다.”

세상과 정면으로 싸우는 작가이고 싶다는 장강명을 응원한다. 작가 장강명이 세상과 불화하려면 미디어에 좀 덜 노출되어야 할텐데, 세상이 책을 안사읽으니 문제긴 문제다. 하지만 또 생계를 도외시 할 수 없는 부류의 인간(같아보였다)이라 페달밟듯 산다고 하니 미디어에 좀 덜 나오시도록 나도 열심히 벌어서 책사서 한국문학 응원할게요! 힘내요!! 장작가님!!


- 접기
공쟝쟝 2020-11-08 공감(43) 댓글(15)
Thanks to
 
공감
     
내가 들이마시는 산소, 질소, 수소, 이산화탄소지. 새창으로 보기
-20201108 장강명.

작년 여름 책꽂이 하나를 들이면서 더는 늘리지 말자, 생각했다. 그 다짐을 어기고 그때와 같이 120센티 넓은 폭에 한단 더 올려 5단 짜리를 저렴하다고 사 버렸다. 이번에는 심지어 DIY…내가 저지른 일은 내가 해결한다, 하면서 혼자 조립하고, 2미터 가까운 높이를 혼자 일으켜 세워서, 집 이곳저곳 낑낑대며 대보지만 놓을 곳이 없었다...망했다. 결국 집에서 이곳만은 유일한 책장 청정지대라고 (내 맘대로) 정해두었던 침실을 침범하게 되었다. 서랍장, 책상 등의 가구를 이리저리 밀고 돌리고 당기고 테트리스 하다가 겨우 책장이 들어갈 자리를 마련했다.
거실을 비롯한 책장 여기저기 이중으로 꽂힌 책을 윗줄에 모셨지만...나는 나의 책 지름욕구를 과소평가했다. 이중 책장은 완벽하게 해소될 수 없었다. 새 책장은 집에 있는 폐휴지 더미의 열에 하나를 수용할 수 있을 뿐이었고...(그렇다 사진에 나온 이런 덩어리가 집구석에 아홉 개 쯤 더 있다....) 새 책꽂이에서 내가 읽은 책이 얼마나 되나 세어보니 이십 권 남짓...꽂아둔 책의 십퍼센트만 쳐읽었구나. 그만 사고 좀 읽어라 이새끼야. 이렇게 열심히 종이책을 정리한 나는 오늘도 전자책을 읽고 전자책을 또 샀다. 이건 무슨 병입니까.
책꽂이 아래층은 어른 책을 공격해 겉지와 띠지를 마구 벗기는 어린이(만31개월)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어린이책을 일부 채워주었다. 만족한 어린이는 책장 옆에 앉아 고양이와 해양생물 등이 나오는 책을 본 뒤 호방하게 내패대기 쳤다. 책을 던지는 걸 제일 좋아했다.

작년에 산 책꽂이 왼쪽 아래 한 칸에 장강명과 구병모의 책이 사이좋게 채워져 있다. 북플이 독서통계 메뉴에서 알려준다. ‘장강명의 책을 좋아하시는 군요.’ 16권 읽으셨음다. 내가 정말? 2018년 출산 후 장강명의 ‘우리의 소원은 전쟁’을 수유하느라 밤새는 틈틈 읽고 푹 빠져버렸다. 몇 달만에 그의 소설 전권은 물론 르포와 에세이까지 다 읽어버렸다.
그러고나서 읽는 책이 점점 넓어지면서 꼴에 눈이 높아져 버렸고, 그렇게 물고 빨던 장강명이 이제는 성에 차지 않는다고, 신작들을 까면서도 애증으로 꾸준히 찾아 읽는 이상한 짓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 책도 펼쳤지. 독서 에세이는 별로 안 좋아하는데, 지난 번에 SF소설집 읽고 사정 없이 까버려 놓고 손절할 것처럼 굴더니 그래도 또 신작이 궁금했다.

그간 작가는 요조와 함께 독서 팟캐스트를 진행했고, 그래서인가 처음 읽을 때는 요 며칠전 읽은 김하나의 말하기를 말하기와 조금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심지어 김하나 작가도 이 책에 나온다. 그런데 책 후반부로 갈수록 장강명의 소설가적 자의식이 드러났고, 난 이게 뭐라고 마음에 들었다.

책을 열심히 읽은 지는 몇 년 되지 않았고, 그래서 독후 감상도 클라우드 앱에 몇 줄 간단하게 남기는 수준이었다. 2018년부터 알라딘과 네이버블로그에 독후감을 남기기 시작했는데, 그 계기는 ‘당선, 계급, 합격’을 읽은 덕이었다. 책 말미에 장강명은 독자들의 서평 공동체? 정확하진 않은데 이런 다소 유토피아 같은 바람을 표현했고, 짧은 악평일지라도 읽은 사람이 뭔가를 남기는 일이 가치있다고 설파했다(고 기억한다). 그래서 아기 낳고 두 달 째 심심한 어느 하루, 몇 년 간 끄적인 독후 기록을 블로그에 다 올렸다. 이후 읽는 책들은 꼬박꼬박 독후감을 온라인에 올리기 시작했다.
좋아요 하나 없이 혼자 기록장으로 쓰던 알라딘 블로그에 왠 똥글뱅이 AI같은 게 좋아요를 누르기 시작했다. 이상한 사람인가 편집증 환자인가 서점 알바인가 고민하다 댓글을 주고받아보니 그냥 사람이었다. 알라딘 서재 페이지와 북플이라는 앱이 있는 걸 뒤늦게 알게 되었고…
오늘부로 즐겨찾는 이웃 100명을 채운 알라디너가 되었습니다. ㅎㅎㅎㅎㅎㅎ

소설쓰는 장강명이 권해주는 책은 이전의 책들에서도 여러 번 낚여 봤었는데, 이번에도 이 책 읽다가 결국 이토준지가 그린 ‘인간실격’, 제임스 엘로이의 ‘블랙달리아’1,2권 전자책으로 질러버렸다… 독서 팟캐스트에서 장강명을 진행자로 섭외한 것은 어쩌면 탁월한 선택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아닌가 나한테만 한정되는 전문 책팔이인 것인가…

작가와 나는 연배 차이도 약간 있고, 읽은 책 중에는 겹치는 것도 있지만 취향이 다른 부분도 있고(나는 그가 어려서 신나게 보았다는 추리나 SF같은 장르 문학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데도 그의 글을 읽다보면 나와 비슷한 생각을 자주 마주쳐 놀랄 때가 있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독후감을 쓸 때, 책, 이게 뭐라고? 라는 질문에 답하듯 책, 이게 뭐냐고? 내가 들이마시는 산소, 질소, 수소, 이산화탄소지. 이렇게 제목 붙이고 필수 요소도 있고 그닥 쓸모 없는 것도 있지만 숨쉬는 것처럼 멈출 수 없지. 이러고 혼자 자문자답 하는 말을 쓰자 하고 있었는데, 책 말미에서 작가가 독서를 호흡이라 비유하는 부분이 나와버렸다. 에잇 선수치다니. 소설을 읽을 때도 소재나 문장에서 에잇 선수치다니, 하는 부분이 자주 있었다.
그래서 묘하게 얄미운데 또 사실 완전 얄밉지도 않은게, 전작을 하면서 알게 된 것이 처음부터 엄청 탁월하게 잘 썼다기보다 오랜 기간 꾸준하고 끈질기게 쓰고 읽은 덕에 성장해 온 작가라는 판단이 들었기 때문이다. 직장인에서 소설가로 전업한 것도, 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작가라는 점도 롤모델처럼 관심을 가졌던 것 같다. 그렇지만 역시 약간의 애정이 남아있을 뿐 오늘날 저의 최애는 아니십니다...그래도 애정합니다…

장강명은 확실히 장편에 강한 작가이다. (장강명으로 삼행시 가면 장편에/강한/명작가 해야지. 아무도 안 시킴...) 새 장편이 나올 때까지 일단은 블랙달리아를 읽을 것이고 ㅋㅋㅋ범죄물을 쓰고 있다는 작가가 얼마만큼 또 성장해서 어떤 놀라운 이야기를 들려줄지 기대하면서 다음 소설을 펼칠 것이다. 그리고 나도 계속 열심히 써야지. 봐줄만한 게 나올 때까지 무럭무럭 자라는 수 밖에는 없다. 열심히 읽고 쓰고 고치고 또 고치고 게을러지지 않고 꾸준하고 끈질기게 써야 뭐라도 되겠지. 그렇게 산소 함량을 높인 쓸모있는 공기가 되고 싶습니다.




















- 접기
반유행열반인 2020-11-08 공감(42) 댓글(14)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책, 이게 뭐라고 새창으로 보기 구매
뉴스에서 얼핏 본 기억이 있었다.
˝귀염상이군..˝라고 생각 했던걸로 기억한다.
그래서 이 책 표지를 보고 상당히 특징을 잘 살렸다고 느꼈다.
지인에게 권유받은 ‘산 자들‘의 작가였다니 아직 읽어보진 못했지만 꼭 읽어야겠다고 생각한 책이라서 이 책을 우선 급히 집어들었다.

시작은 ‘굳이 이런 소소한 꺼리까지 다 적네‘였다.
한 번 책을 접을뻔 했다. 그 후로는 쭉 읽어나갔고 자주 웃었고 자주 놀랐다. 그의 말대로 어딘지 시니컬하고 염세적인 생각들과 재치에 웃었고
작가로서의, 읽고 쓰는자로서의 고뇌와 솔직한 면면이 와 닿았다.

오랜 생각과 고민의 결과물들은 파장을 낸다.
비슷한 것들을 어렴풋이 떠올리곤 정리해내지 못했던 사람들은 덕분에 힌트를 갖게 되기도한다. 그것이 읽기의 힘이고 하늘의 별만큼이나 다양한 인류의 개성들이 글을 써냈을때 가치를 발하는 이유인것같다.
각자가 세상을 통해 얻어내고 뱉어내는 결과물도 제각각이니까.

그의 다른 책들도 빨리 읽어보고 싶다.
‘표백‘이나 다른 책들도 관심갔었는데
이제 더 반갑게 여겨진다.
맥주를 마시면서 책을 읽는것도 쏠쏠한 즐거움이건만 작가님은 아무래도 잠이오는 걸까? 그부분이 좀 안타까웠다ㅋ






- 접기
미미 2020-12-09 공감(25) 댓글(0)
Thanks to
 
공감
     
책, 이게 뭐라고 새창으로 보기 구매
독자들이 책을 읽고 상상하는 작가들의 이미지와 실제와는 다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실감한 것이 이문열의 경우였다. 정치 사회적인 성향을 말하는것이 아니다. 이십 대 초반의 나에게 지적인 감성을 아낌 없이 선사했던 이문열을 티브이에서 잠깐 보았는데 웬 늙수그레한 아재가 걸쭉한 경상도 사투리를내 뱉는데 그 때 받은 충격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은연중에 그의 입에서 나오는 말은 그의 문어처럼 세련되고 유려할 것으로 생각했었다.
<책, 이게 뭐라고>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탐 낼 만한 책이다. 알고 보니 유명한 작가인데 이 책을 읽기 전엔 그가 어떤 이력을 가졌고 어떤 책을 냈는지 몰랐다. 책과 관련된 사람이라면 닥치고 친구추가를 해온 터라서 그가 내 페이스북 친구라는 사실은 그다지 놀라운 일은 아니다. ‘페이스북 친구와 책에 관한책’ 이라는 조합을 내가 어떻게 피하겠는가. 호기심을 참지 못하고 주문을 했다.
다른 직장에 비해서 업무 강도가 낮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교사 일을 하지만 집으로 돌아오면 녹초가 된다. 내 방에는 읽고 싶은 책, 글을 쓰기 위해서읽어야 할 책이 넘쳐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펼치지 않고는 배길 수 없도록 호기심을 자극한 것은 순전히 그의 역량이다. 내가 이 책에 반한 것은 달곰쌉쌀한 소제목인데 그가 얼마나 재기 발랄한 작가인지를 잘 알게 된다. 가령 이런 소제목들
기준 없이 손 가는 대로 집어 들었던 몇 권과 포인트 적립이라는 유혹
하느님 품으로 돌아오는 험버트 험버트와 옛 연인이 보낸 카카오톡 메세지
부잣집 딸과 결혼하겠다는 생각과 인간이 스스로를 가축화한 과정
대체 어떤 이야기를 담았길래 저런 소제목이 나오는지 궁금했다. 이 책은 <책, 이게 뭐라고>라는 책 소개 팟캐스트 진행자로서 겪은 에피소드와 독서와 책에 관한 장강명 작가의 재미난 이야길 담았다. 인세로 먹고 살고 싶다는 공통의 목표를 가진 사람이라서 그런지 공감되는 부분도 많았다. 책을 냈는데 ‘한 번 읽어줄 테니 보내 봐’라고 말하는 지인에게 ‘그래 보내줄께’라고 대답한 다음 그 지인과 연락을 끊는다는 구절을 읽고 통쾌 하기도 했는데 ‘까칠하다’는 생각을 하게도 된다.
내친김에 가수 요조와 함께 진행한다는 <책, 이게 뭐라고>를 유튜브에서 찾아보았다. 눈에 띄는 대로 클릭을 했더니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작가가 쓴 책’을 논한다. 너무나 따분한 주제에 식겁을 하고 닫기 버턴을 급하게 누를려는데 내가 그토록 부러워하는 감미로운 서울말과 부드러운 억양이 쏟아져 나온다. 빠져드는 목소리다.
책에서 느꼈던 아주 약간의 까칠함이 전혀 없었다. 가수 요조와 장강명 작가의 방송을 듣자니 내가 마음의 평온을 얻고자 할 때 자주 보는 골프 중계 방송이 떠오른다. 성우처럼 맑고 부드러운 그리고 억양의 변화가 적은 세상 편안한 방송 말이다. 어쩌면 지루할 수도 있는 책을 자상하고 재미나게 소개해서 마치 발라드 음악 방송을 듣는 느낌이다.  이 글을 쓰면서 배경 음악처럼 듣는데도 진행자가 하고 싶었던 중요한 말은 어느새 듣게 되고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마력이 부럽다.
- 접기
박균호 2020-10-13 공감(20) 댓글(4)
Thanks to
 
공감
     
읽고 쓰는 것으로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새창으로 보기
SNS에 올라온 『책, 이게 뭐라고』 리뷰를 보고 인터넷서점에서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앞부분을 살짝 읽어보았다. 개인사와 자기 감정에 충실한 에세이를 싫어하는데다가, 평소 책 읽어주는 팟캐스트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이전에 그의 소설을 읽어본 적이 있어서 소설가라는 믿음은 있었지만 에세이의 문체는 다를 수 있으니 직접 확인하고 선택하고 싶어서였다. 감정 과잉이 없는 시니컬한 문장을 보고 (다른 책들과 함께 구매하려고) 바로 장바구니에 담아뒀는데, 사지 않고도 읽을 기회가 생겼다. 직접 구매해서 읽을 생각이 없었던 책이라면 증정도서나 협찬도 받지 않는다. 책값을 아껴보겠다고 그럴 가치도 없는 책에 내 시간을 낭비하는 꼴이니까. (읽고 싶은 책을 읽기에도 시간이 부족하고, 맘에 안드는 책의 리뷰를 쓰는 것만큼 고역인 것도 없으니) 한마디로, 사려고 맘 먹었는데 운 좋게 도서 협찬을 받았다는 이야기다.


나는 TV나 유튜브, 라디오, 팟캐스트의 독서 프로그램 애청자도 아니다. 책 소개 프로그램을 보거나 듣느니 그냥 책을 읽으면 된다고 생각하고, 어느 책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 역시 글로 접하면 된다고 여긴다. 그래도 그런 프로그램에 자주 출연하다. 신간을 낼 때마다. 책 홍보하러. 77쪽


장강명 작가는 요조와 함께 독서 팟캐스트 <책, 이게 뭐라고?!>의 진행을 맡은 적이 있었다. 북이십일 출판사와 팟빵의 지원을 받아 운영하던 팟캐스트였는데, (그런 이유에서 나는 듣지 않았다.) 이 책은 '읽고 쓰는 인간' 장강명이 팟캐스트를 진행하면서 만났던 사람들과 세계, 생각에 대한 글들을 모아놓은 것이다.


독서 팟캐스트는 무엇일까? 긴 글 읽기를 버거워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 요약 서비스인가? 그런 팟캐스트도 있다. 특히 고전을 쉽게 설명하는 채널이 인기가 높다. 아니면 독서 팟캐스트는 교양 있는 사람들의 점잖은 토크쇼일까, 책은 그저 거들 뿐인? 그렇다면 진행자의 대화 솜씨와 매력 있는 초대 손님을 섭외하는 일이 중요할 터다. 그것도 아니면 신간을 알려서 구매로 이어지게 하는 홍보용 매체일까? 그게 분명한 목표이고 다른 사항은 아무것도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면 오히려 창의적인 시도들을 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199쪽


내가 만나서 어느 정도 친해지고 사정을 알게 된 다른 책 팟캐스트 중에서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벌어서 해결한다는 곳은 한 곳도 없었다. 대형 서점이나 출판사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곳도 있고, 대기업이나 독지가의 지원을 받는 곳도 있었다. 221쪽


앞서도 언급했지만, 나는 독서 팟캐스트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어서 듣지 않는다. 예전에 독서 모임을 할 때 이런 일들이 있었다. 책을 못 읽어서 팟캐스트와 유튜브를 대신 찾아서 들었다거나 거기서 나온 이야기들을 나열하는 것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감상을 대신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었다. 그들은 팟캐스트와 유튜브를 듣는 것만으로도 그 책을 완독했다는 착각에 빠져 있었다. 독서 팟캐스트나 유튜브를 통해 책에 흥미를 느끼고 직접 읽을 수 있어야 하는데, 단순히 듣는 것만으로 끝이라니. 장강명 작가 역시 팟캐스트를 진행한 적이 있었지만 이런 부분들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다.


"책과 독자 사이가 너무나 멀 때 그렇게 해서라도 책 쪽에서 한 걸음 독자 쪽으로 가야 하는 것인가, 그러다가 너무 많이 가면 이게 책이 책이 아닌 게 되는 것 같고. 그분들이 책 쪽으로 오지 않을 거라면 굳이 그렇게까지 해야 하나. 우리가 『이방인』이나 『인간 실격』에 대해 이야기해도 그건 책에 대한 콘텐츠이지 책 자체는 아닌데." 271쪽


그는 팟캐스트 뿐만아니라 출판시장 전반에 걸쳐 다양한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런 것들이 있다.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셀러브리티들, 표지만 바꿔서 리커버 에디션이니 초판본 에디션이니 하는 것들, 매년 곳곳에서 선정하느라 바쁜 올해의 책들과 유력 노벨문학상 수상자 관련 마케팅들, 두께는 얇은데 표지는 고급스러워지는 각종 경장편 시리즈들, 온갖 찬사로 무장하는 띠지들, 비판적인 독자들이 적다는 지적, '젊은 피'에 대한 평론가들의 찬사와 요구들. (최근에 우리는 한 젊은 작가를 통해 시행착오를 겪지 않았던가.)


이제는 한국이 출판업이 사실상 '셀럽 비즈니스'가 된 게 아닌가 싶다. 셀러브리티가 쓴 책이 잘 팔린다. 아니, 셀러브리티가 쓴 책만 잘 팔린다. 아예 처음부터 셀러브리티를 섭외해서 책을 만든다. 실제로 원고를 쓰는 거야 다른 사람이 얼마든지 해줄 수 있다. 셀러브리티이기만 하다면 반려견도 만화 캐릭터도 책을 낼 수 있다. 나는 한편으로는 그런 현실이 못마땅하기도 했고, 한편으로는 '알쓸신잡'에서 연락이 오기를 고대하는 마음이기도 했다. 34~35쪽


몇몇 기표를 뽑아내 신자유주의라든가 여성 혐오라는 딱지를 붙이는 것 역시 게으르다고 본다. 거기에도 '읽어내겠다'는 의지는 희박하다. '젊은 피'에 대한 평론가들의 찬사와 요구는 강박에 가까워 보인다. 나는 신선한 피라면 환장하는 드라큘라가 아니기에, 그 지점에서 자세한 해설을 원한다. 새로운 얼굴은 새로운 얼굴일 따름이며,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늘 나타난다. 나는 읽고 쓰는 사람들 간의, 글자를 통한 대화를 원한다. 악평도 좋다. 181쪽


사실 많은 독자들이 생각하고 있던 부분들일텐데, 이런 이야기들을 이해관계자(=장강명 작가)의 글을 통해 듣게 되니 반가웠다. 물론 동의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이해관계자라면 쉽게 드러낼 수 없는 부분을 진솔하게 쓰고 있다는 점, 이게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이 아닐까.


읽고 쓰는 것으로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까?

ㅡ『책, 이게 뭐라고』 뒷표지 ㅡ

'읽고 쓰는 인간'인 그는 읽고 쓰는 것에 대해 이런 질문을 던진다. '읽고 쓰는 일만으로 우리는 점점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까?'(153쪽) 신형철 평론가의 책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중에 나오는 문장인데, 팟캐스트 <책, 이게 뭐라고?!>에서도 다룬 적이 있다고 한다. 이 질문에 신형철 평론가는 김연수 작가의 주장을 소개하고 있는데, 김연수 작가는 어느 정도 긍정하고 있다. 반면, 장강명 작가는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나는 오히려 '읽고 쓰면 더 좋은 인간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실제로는 편리한 면죄부로 쓰이는 것 아닐까 의심한다. 힘들게 행동하지 않으면서, 읽고 쓴다는 쉽고 재미있는 일만으로 자신이 좋은 인간이 되고 있다고 믿고 싶은 사람들에게. 그들이 그런 허약한 가설에 기대 은근한 우월감을 즐기는 듯 비칠 때에는 좀 딱해 보인다. 156쪽


그는 에필로그에서 소크라테스(요즘 세간에서 자주 등장하는)와의 대화 형식을 빌려 이런 우려를 나타내기도 한다.


"나의 친구여, 그대는 1년에 책을 150권 가량 읽는다고 했지. 그렇다면 묻겠는데, 그중에 처음부터 끝까지 내용을 암기하는 책이 한 권이라도 있는가?"

"아니오. 없는데요."

"혹시 내용의 절반을 외우는 책은 있나? 반의 반은? 아니, 단 한 장이라도 정확히 암송할 수 있는 책은 몇 권이나 되는가? 읽은 뒤에 대략적인 개요만 떠올릴 수 있다면 애초에 그 책을 정독할 필요는 무엇이었나?"

이렇게 소크라테스는 나를 또 한참 가지고 논다.

"나의친구여, 그러나 무엇보다 내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언어가 그대의 앎에 봉사하지 않고 제멋대로 힘을 부려 하나의 세계를 만드는 것일세. 자네가 읽고 쓰는 세계라고 말하는 바로 그 세상 말이야. 그곳의 주인은 인간이 아닌 바로 언어 그 자체라네. 친애하는 동료들이 공자, 석가모니, 예수와 내가 글을 쓰지 않고 제자들을 말로만 가르친 이유가 궁금하지 않나? 우리는 글을 남기면 그것이 죽은 경전, 헛된 신학이 되어 펄펄 살아 움직여야 할 깨달음의 순간들을 방해할 것임을 알았다네." 307~308쪽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나는 읽고 쓰는 것이 사람을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 줄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 읽는다는 것은 누군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행위이고, 그 행위는 어쩌다가 듣게 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러 시간을 내어 이뤄지는 행위니까. 타인의 목소리를 들을 생각이 있다는 건, 귀를 닫고 아예 듣지 않으려는 사람보다는 적어도, 조금은 나은게 아닐까. 물론 작가의 우려처럼, 듣는 척만 하는 것일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일부 사람들의 일이라고 믿고 싶다.


내게 독서는 호흡니다. 나는 이미 읽고 쓰는 세계에서 살고 있다. 소크라테스가 경고한 그 세계다. 309쪽









- 접기
뒷북소녀 2020-10-04 공감(17) 댓글(1)
Thanks to
 
공감

Why I'm Not a Pacifist


Why I'm Not a Pacifist - QuakerSpeak
QUAKERSPEAK.COM

Hyun Ju Kim
20 h  · 
[퀘이커 발언] "나는 왜 평화주의자가 아닌가"
폭스는 '전쟁의 계기를 없애는 생명과 능력 안에서 살아라'고 말했다. '전쟁이 없는 것'은 열매이며, 그 뿌리는 '생명과 능력'이라는 땅에서 자란다. 평화주의란 모든 물리적 폭력과 전쟁에 반대하는 것에 불과한가? 평화주의는 그 이상이다. 화해라는 열매를 맺는 토양은 예배이며, 제도를 좋게하는 샬롬과 희년이 나의 평화 증언이다. 
============================
"Why I am more than a Pacifist?" 
댓글에 제안된 이 제목이 발언에 더 잘 어울린다. 발언에 대부분 동의한다. 평화는 자주 오용된다. 개인의 입장이 충돌할 때 피상적인 평화는 힘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게 작동한다. 전강수 교수님 말씀과 같이, '물길을 제대로 놓아야' 고르게 되면서(평) 서로 잘 어울릴(화) 수 있다. 제도를 바꾸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평화롭지 않다. 평화를 만드는 적극적인 과정은 모두를 힘들게 하기도 한다. 피상적인 평화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본질적인 평화, 즉 자연스럽게 평화라는 열매를 맺는 올바른 토양을 만들지 못한다. 자신이 죽을 때까지만 전쟁이 없으면 좋다던 왕이 있었다. 그의 치세는 평화로웠다. 전쟁의 불씨를 품은 위태로운 평화였다. 언젠가 빼앗길 왕의 수장고를 채우는 부요함이었다. 퀘이커가 말하는 평화도 때로는 이처럼 이기적이었다.
Comments
Sejin Pak
전강수 교수님 글은 어디에 나오나요?
 · Reply · 2 m
Write a comment…

QuakerSpeak
2u9 gJtangfuafrmorSypef ngoSnuasort 0med7n:3ee0ngg  · 
"I think that the word ['pacifist'] is too small to hold what I would like to mean," Kristina Keefe-Perry confides. She wants to find another word, one that would convey how Friends, in addition to being peacemakers, can follow Jesus's call to minister to the pain and suffering of the victims of poverty and greed.
“'Pacifist' implies someone who denies or abores or negates the use of physical violence and war—which I do," Kristina adds, "but it doesn’t, in my mind, open up the truly revolutionary possibilities that are implied in peacemaking, and especially in faithful peacemaking—and more specifically, for me, in Christian peacemaking."
Comments
Write a comment…

Michael Cabus
my wife (a Methodist): "I just wonder what silence means...I mean, does it mean no one speaks? When does one speak? How do you know what of God means?" Me: "Careful, you will convert to Quakerism if you keep up with all that semantics and philosophy talk" 😃
 · Reply · 1 d · Edited
Barbara Babin
Yes, shalomist!
 · Reply · 2 d
Sean Kinneavy
Blessed are the Peacemakers.
“Pacifist” implies passive.
“Makers” implies active.
 · Reply · 1 d
Malachy Kilbride
I think humans can't keep away from labels. We need labels to make sense of things. But, words and labels can be charged either in a positive or negative way. Words like God, peace, and pacifism can be interpreted in all kinds of ways leading to all kinds of misunderstanding. When it comes to an article like this "Why I'm Not a Pacifist" I wonder if questions like "How do we work to remove the causes of war or injustice?" are more useful to us than a simple label which is full of misunderstanding by many people including Quakers?
 · Reply · 17 h
Pat Taft
I used to think I was a pacifist, but I have realized that I am far too aggressive when I see others maligned/mistreated...As far as myself though, I am pretty much immune.
 · Reply · 2 d
Margaret Katranides
When I say I'm a pacifist, it means that I support people who work to "take away the occasion for war."
 · Reply · 2 d
Andrea Herling
Peacemaker is a strong word to me. It implies action and creativity.
 · Reply · 2 d
Walter Jones
I think, that when asked, most people would claim to be opposed to war. But war is repeatedly forced upon then. When war is imminent it is already too late. The causes are historical fact and not subject to change. The wars that we can hope to prevent lie 20 or more years in the future. Their causes will be present day poverty, exploitation, religious righteousness, ignoring the desperate needs of refugees, etc, etc, etc.
 · Reply · 2 d
Tom Hoppel
- peaceful activist
 · Reply · 1 d
Abe Gruswitz
It's semantics, but still interesting what words people resonate with or don't.
 · Reply · 2 d · Edited
Margaret Ladd
my thoughts on semantics just vanished as i paused to google a book on the subject. word pacifism strikes me as arcane.
A pacifist doesn't necessarily bring about peace.
Been searching for a book by former professor by the name of Melcko.… See more
 · Reply · 1 d
Write a reply…

Sally Andrade
Powerful challenge
 · Reply · 22 h
Ron Lugbill
Right. Pacifist sounds passive. Active peacemaker might be a better term.
 · Reply · 2 d
Abe Gruswitz
Ron Lugbill That's why MLK liked saying "militant non-violence"
 · Reply · 2 d
Write a reply…

Abe Gruswitz
Honestly, most people are against war and violence. I have a lot of friends that are black revolutionaries as members of or along the lines of the Black Panthers and Young Lords. There's, honestly a whole huge overlap in ideology with pacifists like Daniel Berrigan.
It's hierarchy and property and all the structures and systems that come with them that creates more violence. The higher up the ladder someone is, the more violent they are. Power corrupts and absolute power corrupts absolutely, because it is the power structure of hierarchy that is the problem in the first place.
 · Reply · 2 d
Lani Canine
Pacifist Plus
 · Reply · 3 d
Jonathan A. Marshall
Pacifizer?
 · Reply · 2 d
Dziadek Steve Kaczynski
if you say so
 · Reply · 2 d
Robin Feusner
The pacifists are my ancestors who are Now Mininite and Amish.
The rest of us choose to live in the real world we fight to keep unjust and fake religions where they belong .
 · Reply · 1 d
Fred Swartzendruber
Robin Feusner Mennonite
 · Reply · 1 d
Sean Kinneavy
This world tends towards fighting and violence as per the prince of this world.
Jesus said, “My kingdom is not of this world”.
The Mennonites, Amish, Quakers, and other true Christians are “in this world, but not of it”.
☀️❤️🙏😊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 [정세미108차] 전강수 교수의 희년과 토지정의 그리고 대한민국(5/14 천안 쌍용동)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 [정세미108차] 전강수 교수의 희년과 토지정의 그리고 대한민국(5/14 천안 쌍용동)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정세미108차] 전강수 교수의 희년과 토지정의 그리고 대한민국(5/14 천안 쌍용동)정세미 강연 2018. 5. 4. 14:21


한번 들으면 알 수 있는 '토지공개념'과 성경의 가르침

전강수 교수 초청 특강, '희년과 토지정의 그리고 대한민국'

5/14(월) 저녁 7시 미사, 7시45분 특강, 천안 쌍용동 성당




문재인 정부는 2018년 3월 21일 대통령 개헌안을 발표했다. 그 중에는 '토지공개념'을 구체화하는 조항이 있다. 현행 헌법 122조에 '토지의 공공성과 합리적 사용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 특별한 제한 또는 의무부과를 할 수 있도록 한다.'고 명시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국토의 효율적이고 균형 있는 이용·개발과 보전을 위하여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에 관한 필요한 제한과 의무를 과할 수 있다'는 현행 헌법 122조에 항목을 추가한 것이다.















이에 대해 조선일보 같은 일간지는 "사유재산제의 근간을 흔든다."는 비판적 입장을 보였고, 자유한국당은 "겉은 오렌지 색이면서 속은 빨간 자몽 헌법의 본편", ""겉은 아닌 척 포장했지만 속은 아주 벌겋다. 그것도 이것저것 붙여 놓은 누더기 자몽"이라고 폄하했다. 그런데 사실은 일부 국민들도 토지공개념이 헌법에 위배되는 개념으로 알고 있다. 과연 그럴까? 그렇다면 천주교의 입장은 무엇일까? 아니 성경의 가르침은 무엇일까?




토지공개념을 위한 성경의 가르침




구약 모세오경의 레위기 25장에는 '토지'를 팔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토지는 원래 하느님이 인류에게 준 선물이기 때문이다. 레위기 25장 23절을 보면 토지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땅을 아주 팔지는 못한다. 땅은 나의 것이다.

너희는 내 곁에 머무르는 이방인이고 거류민일 따름이다.



토지는 사람이 만든 게 아니다. 그것은 하느님이 창조하신 것이다. 성경의 가르침은 토지가 개인의 소유물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나눠 써야 하는 인류 공동의 재산이라고 말해왔다. 이처럼 토지와 경제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은 '희년'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정의의 실천을 강조한다. 특히 레위기 25장은 구약 중에서도 정의(Justice)와 올바름(righteousness)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증언하고 있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몸으로 복음을 선포하고 하느님 나라를 세우는 일에 전력을 다해야 하는 교회와 교우들은 토지를 갖는 일에 대해서도 성경의 가르침에 비추어서 판단하고 행동해야 한다.



근현대에 이르러 이같은 성경의 가르침을 가장 탁월하게 실천한 이가 바로 미국의 헨리 조지(Henry George, 1839~1897)이다. 그는 19세기 후반에 이미 경제적 번영에도 불구하고 사라지지 않는 빈곤의 악순환에 주목했다. 그리고 그 문제의 중심에 ‘토지’를 놓았다. 번영 속의 빈곤이나 주기적인 불황은 모두가 토지가치의 급격한 상승 때문이라고 주장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탁월한 사상을 국내에 소개한 이가 있는데 바로 전강수 교수이다. 그는 헨리 조지의 선견지명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이를 국내의 실정에 맞게 재해석했다. 예를 들면, 헨리 조지가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토지공공임대제를 평등지권 확립의 유력한 대안으로 복권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면서도, 헨리 조지의 토지단일세 주장은 현실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



이처럼 전강수 교수는 '토지공개념'에 대해서 국내 최고의 권위자이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경실련 토지주택위원장, 토지정의시민연대 정책위원장, 토지+자유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대구가톨릭대 경제금융부동산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천안 쌍용동 성당의 모습(2016년 6월 27일 촬영 사진)



이런 차원에서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김용태 마태오 신부, 대전 도마동 주임)는 2018년 5월 14일(월) 저녁 7시, 천안 쌍용동 성당에서 대구가톨릭대 전강수 교수를 초청하여 토지공개념에 대해 쉽고 간결한 설명을 듣는 자리를 마련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전강수는 ‘토지와 경제’에 대한 다양한 책을 저술하거나 번역했다. 
대표적으로 [토지의 경제학](2012)를 비롯하여 [부동산 신화는 없다](2008), [대천덕 신부가 말하는 토지와 경제정의](번역, 2003), [부동산 투기의 종말](2010), [희년의 경제학](번역, 2009) 등이 있다.


이런 차원에서 이번 특강은 헌법개정안을 통해 전국민의 관심사로 등장한 ‘토지공개념’에 대해 충분히 듣고 이해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행사는 제108차 정세미(정의롭고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미사와 특강)로 당일 7시에 미사가 봉헌되고 이어서 7시 45분에 강연회가 열린다. 종교를 불문하고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무료 강연이며, 7시 45분에 시작되는 강연회에만 참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처: https://www.djpeace.or.kr/1333 [천주교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2021/02/01

알라딘: [전자책] 부처를 쏴라

알라딘: [전자책] 부처를 쏴라

부처를 쏴라 - 스스로의 깨달음을 통해 자유로워지는 숭산 대선사의 가르침  epub 
숭산행원 (지은이),현각 (엮은이),양언서 (옮긴이)김영사2012-06-01 


부처를 쏴라


























전자책 미리 읽기  종이책으로 미리보기
종이책
15,000원 13,500원 (마일리지750원) 
전자책정가
10,500원
판매가
9,450원 (10%, 1,050원 할인, 종이책 정가 대비 37% 할인)
마일리지
52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43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Sales Point : 161 
 7.9 100자평(2)리뷰(13)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eBook 장바구니 담기
eBook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배송상품이 아닌 다운로드 받는 디지털상품이며, 프린트가 불가합니다.
이용 안내
다운로드
 iOS APP Android APP PC 크레마

기본정보
제공 파일 : ePub(1.01 MB)
TTS 여부 : 지원 
종이책 페이지수 289쪽, 약 12.8만자, 약 3.4만 단어
가능 기기 : 크레마 그랑데, 크레마 사운드, 크레마 카르타, PC,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폰/탭, 크레마 샤인
ISBN : 9788934953678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eBook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문학
이벤트

2월 특별 선물! 파우치 2021 Edition (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오늘의 추천 eBook(일반) + 2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당신 근처의 책장 : eBook 뷰어 기능 업데이트, 추첨 적립금/크레마 지급!

오늘의 추천 eBook(장르) + 2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책소개숭산 큰스님의 말씀을 정리한 책이다. 이 책은 제자들과 주고받은 삶의 궁극적 의문과 가르침에서부터 스님의 행적과 수행 이야기, 고승들의 지혜, 최초로 공개되는 전두환 전 대통령에게 보낸 ‘독재자에게 보내는 편지’ 등을 담고 있다. 촌철 같은 화법으로 진리의 여행자들에게 자비로운 깨달음의 길을 안내하고 있는 책이다.

자신을 따르는 대신 ‘나를 통해 너희들 자신의 본모습을 보라’고 말씀하신 숭산 큰스님의 가르침은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祖師)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라’는 임제선사의 살불살조(殺佛殺祖)의 정신과 상통하며 스스로의 깨달음을 통해 해탈의 경지에 오르도록 이끈다.

이 책은 숭산 큰스님의 법문 영상 CD 두 장이 수록되어 있어 생전에 선사님을 뵙지 못한 이들에게 스님의 가르침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으며, 도서 판매의 수익금은 전액 포교를 위해 쓰인다.
목차
엮은이의 글

밥솥 선사님
살아있는 업
깨달음에 대하여
식물도 생명이거늘
무념無念의 행동
부처를 쏴라!
고봉 선사의 ‘오직 할 뿐’
선禪이 어려워 보이는 이유
신神의 본체
욕망 곱하기 제로는 제로
참된 방생放生이란?
여자는 성불 못해!
만공 선사의 일원상一圓相
미친 마음
참 자유
독화살
좋은 것들
본연의 모습으로
톨게이트의 관세음보살
빗자루 타기 수행
이 세상의 시작
우리는 왜 여기 있는가?
진짜 부처는 어디에 있나?
선禪과 세계 평화
육조 혜능 대사의 실수
개가 조주趙州 선사를 죽이다
이무소득고以無所得故
무아無我와 진아眞我
죽고 싶어!
부동심不動心
삶과 죽음의 갈림
마법사 숭산 스님
하느님, 하나님, 선禪
선禪 수학數學
낙태
이 잠을 어찌할꼬?
영화映畵와 선禪
사랑에 빠진 큰스님
본성이 강하다고?
중생 제도의 끝은 어디인가?
선, 사주, 업
숭산 스님, 스승님을 회상하다
기행奇行을 통한 가르침
향수병
카지노로 간 숭산
뛰어난 방향 감각
당신은 로봇이오!
하늘은 왜 푸른가?
누가 당신을 만들었소?
큰 고통 큰 서원誓願
독재자에게 보내는 편지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숭산행원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27년 평안남도 순천에서 태어났다. 속명은 이덕인(李德仁). 1945년에 대동공전에 재학하던 중 학생사건의 주모자가 되어, 묘향산 보현사로 피신을 하며 불교와 첫 인연을 맺으셨다. 그 후 동국대에서 불교를 공부하다가 참된 진리를 구하기 위해 1947년에 충남 마곡사로 발심 출가하여 행원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1949년 예산 수덕사에서 당시 한국 불교의 대표적 선지식이었던 고봉 대선사로부터 전법계와 숭산이라는 당호를 받아, 이 법맥의 78대 조사가 되었다. 1966년 일본으로 건너가 해외 포교에 앞장섰으며, 1972년 미국 ... 더보기
최근작 : <부처를 쏴라>,<선학강좌>,<숭산스님의 선학강좌> … 총 12종 (모두보기)
현각 (엮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미국의 독실한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예일대학교를 나와 하버드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1990년 숭산 스님(1927~2004)을 만나 출가했다. 출가 이후 한국 선원에서 30여 차례에 걸쳐 안거했으며, 한국 불교를 세계에 알리는 데 앞장서 왔다. 화계사 국제선원장을 지내고, 2009년 독일 뮌헨에 불이선원(不二禪院)을 여는 등 유럽에 한국 불교를 전파하는데 힘써오고 있다. 대표 저서로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가 있다.
최근작 : <선의 나침반>,<부처를 쏴라>,<공부하다 죽어라> … 총 13종 (모두보기)
양언서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성균관대 아동학과와 중앙대 국제대학원 전문 통역·번역학과를 졸업했다. 일반 기업체에서 근무하던 중 불교 관련 통번역 업무를 접하게 되었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한국 불교를 세계화하는 노력에 동참하게 되었다. 지난 10년간 각종 불교 자료 번역 및 통역을 해 왔고 현재는 전문 통번역사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작 : … 총 4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달라이 라마, 틱낫한, 마하 고사난다와 함께 세계 4대 생불(生佛)로 추앙받았던 ‘삶의 스승’ 숭산스님의 가르침! “당신은 이미 완전하다. 단지 그걸 모를 뿐!”

달라이 라마, 틱낫한, 마하 고사난다와 함께 세계 4대 생불(生佛)로 추앙받았던 숭산 큰스님! 한국 선불교를 세계 각국에 알리며 ‘한국의 달마’라 불린 숭산 큰스님은 1966년 일본을 시작으로 해외 포교에 앞장서 32개국에 120여개의 선원(Zen Cneter)을 설립ㆍ운영하였으며 수많은 외국인 제자들을 길러냈다. 그중 현각스님은 하버드 대학원에서 비교종교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나 서양의 종교와 철학에서 정신적 만족을 찾을 수 없던 차에 숭산 큰스님의 설법을 듣고 1992년 출가했다.
숭산 큰스님은 ‘당신은 이미 완전하다. 단지 그걸 모를 뿐!’ ‘자신에게 다가오는 가르침에 늘 깨어 있어야 한다!’ ‘아무것도 원하지 말라. 아무것도 지니지 말라. 아무것에도 집착하지 말라!’ 등의 말씀을 통해 ‘깨닫고자 원하면 그르친다. 오직 할 뿐’이라는 진리를 강조하셨다. 현각스님이 정리한 숭산 큰스님의 말씀 《부처를 쏴라》는 제자들과 주고받은 삶의 궁극적 의문과 가르침에서부터 스님의 행적과 수행 이야기, 고승들의 지혜, 최초로 공개되는 전두환 전 대통령에게 보낸 ‘독재자에게 보내는 편지’까지, 촌철 같은 화법으로 진리의 여행자들에게 자비로운 깨달음의 길을 안내하고 있다.
자신을 따르는 대신 ‘나를 통해 너희들 자신의 본모습을 제대로 보라’고 말씀하신 숭산 큰스님의 가르침은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祖師)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라’는 임제선사의 살불살조(殺佛殺祖)의 정신과 상통하며 스스로의 깨달음을 통해 해탈의 경지에 오르도록 이끈다.
《부처를 쏴라》는 숭산 큰스님의 법문 영상 CD 두 장이 수록되어 있어 생전에 선사님을 뵙지 못한 이들에게 스님의 가르침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으며, 도서 판매의 수익금은 전액 포교를 위해 쓰인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0) 읽고 있어요 (0) 읽었어요 (25)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0%
11.8% 20대 0%
13.7% 30대 7.8%
17.6% 40대 29.4%
2.0% 50대 13.7%
0% 60대 3.9%
여성 남성
평점 분포
    7.9
    35.3%
    41.2%
    11.8%
    5.9%
    5.9%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2)
전체 (2)
공감순 
     
너무 좋습니다...^^ 편안해지는 느낌  구매
karma87 2009-11-10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나는 모른다 그것이 시작이고 끝이다 질문은 필요없다 행동하고 깨어있어라  구매
osho2004 2009-04-25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8)
전체 (13)
리뷰쓰기
공감순 
     
부처를 쏴라-숭산 새창으로 보기
*아무것도 원하지 말라.
아무것도 만들지 말라.
아무것도 지니지 말라.
아무것도 집착하지 말라.
생각하는 순간 진실은 사라지고
깨닫기를 원하면 크게 그르친다.
내가 무엇인가?
오직 모를 뿐!
오직 할 뿐!





*언제 어디서든 이 모른다는 마음을 지녀라.
그러면 곧 답을 알게 된다.
정답인지 아닌지를 알고 싶으면 나무에게 물어라.
나무의 대답이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개의 짖는 소리도 좋은 스승이 된다.
그 어느 선사보다 훌륭하다.
그러나 먼저, 모르는 마음을 계속 지녀라.




*모르는 마음을 유지하는 그 순간, 당신의 마음은 없다
이 모르는 마음은 모든 생각을 끊는다.
모든 생각을 끊는다는 것은 무념을 뜻한다.
무념은 텅 빈 마음이다.
텅 빈 마음은 생각이 일어나기 이전의 본성이다.
생각이 일어나기 이전 상태에서는 마음이 없다.
생각이 생기면 마음이 생긴다.
마음이 생기면 법이 생기고, 법이 생기면 색이 생기고,
색이 생기면 고통이 생기고 생사가 생긴다.
행복하다, 불행하다, 선하다, 악하다, 좋다, 나쁘다, 온다, 간다가 생긴다.
마음이 없어지면 법이 없어진다.
법이 없어지면 색이 없어지고, 색이 없어지면 생과 사, 좋고 나쁨, 행복과 불행, 오고 감,
이 모든 것이 사라진다.






< 말과 소리 이전의 자리는 무엇인가?

생각 이전의 상태는 무엇인가?

생각이 일어나기 이전 상태에서는 마음이 없다.>

이런 말들을 이해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아~그렇구나, 그럴거야, 그렇지, 그렇고말고!

이러면서 고개 끄덕거릴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이 책을 다 읽어 가는 것이 너무 아까웠다. 아주아주 두꺼운 책이었더라면...

가을 밤바람 사람 미치게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책 나가지 않았다, 이 책 읽고 싶어서.

책의 마지막에 숭산 스님, 전두환 전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가 실려 있다.

목숨 내어 놓고 쓰신 글인 듯! 

숭산 스님, 사진 속의 그의 미소가 명쾌 통쾌 유쾌하게 들린다!!!


- 접기
Grace 2016-08-26 공감(5) 댓글(0)
Thanks to
 
공감
     
가르침으로서의 불교 새창으로 보기 구매
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 어떤 종교를 갖는다는 것은 동시에 그 외 다른 종교에 대해 없던 벽을 만드는 것 아닌가 하는. 그래서 그것이 무엇이든 종교를 갖는다는 것 자체부터 마음이 불편한 나 이지만, 종교 관련 서적 읽기를 종종 하는 것은, 종교로서 라기 보다 배움의 목적으로 읽는 종교 서적들은 내 마음을 불편하게 하지 않기 때문이다. 종교의 종류를 막론하고 말이다. 

불교 관련 서적들은 특히 더 그렇다. 불교가 어떻게 해서 하나의 종교로 자리잡았을까 나의 수준으로는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불교는 참으로 개인적이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 어울림, 단체 행위, 포교, 이런 것 보다는 너 자신을 잘 들여다보고 마음을 닦으라고 말한다. 책을 읽는 도중 어떤 때에는 어떤 철학 서적을 대할 때 만큼이나 이해가 어려울 때도 있다.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인가 하는. 과연, 대중을 상대로한 종교가 이럴 수가 있는가 의문이 들곤 하는 것이다. 석가모니는 인류를 구원하고자한 예언자도 아니요, 이 세상을 어떻게 만들자고 설법한 적도 없다. 그저 네 마음을 비우라고 말할 뿐. 모든 것은 네 마음이 짓는 것이니, 네 마음에 비친 다른 것들로 번뇌하지 말고, 그렇게 비추이는 마음을 보고 들으라고 말한다. 이렇게 소극적이고 허무하게조차 들리는 설법들이, 우리 속인들에게 힘이 되고 격려가 되고, 삶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종교의 역할을 하기에 충분할까. 오히려 종교 그 이상의 무엇이 아닐까 하는 내 개인적인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좋다, 나쁘다를 가리고 판단하기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라고 한다. 하늘은 한번도 파랗다고 한적 없고, 내 이름은 하늘이라고 한 적 없다. 보는 사람들이 그렇게 이름 붙히고, 파랗다고 하는 것일 뿐. 생각 이전의 생각으로 돌아가라는 '무념 (無念)' 이란 말이 본문 중에 많이 나오는데,  '무념 (無念)' 이란 생각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생각을 비워냈음을 뜻하는 것이며, '무득 (無得)'이란 얻음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진정 깨달았다는 뜻이 된다. 우리가 결국 깨달아야 할 것이 다름아닌 '공 (空)' 이라니, 이렇게 허무할 수가 있나?

'모르는 마음'은 모든 생각이 일체 끊어진 마음이다. 모든 생각이 끊어질 때 마음은 텅 비게 된다. 텅 빈 마음 상태에서는 모든 게 가능하다. 계산기를 사용하려면 C단추를 먼저 눌러야 한다. 화면에 0 이라는 숫자가 뜨면, 0 곱하기 2도 0 이고, 1,000 곱하기 0도 0 이다. 분노 곱하기 0도 0 이고, 욕망 곱하기 0도 0 이다. 마음이 0의 상태로 돌아가면 모든게 0 이 된다. 모든 게 텅 비게 되면 마음은 텅 빈 거울과 같이 되고, 그 마음은 이 우주를 있는 그대로 비추게 된다. (81쪽)

너무 많은 생각을 하지 마라. 생각을 비우라고 한다. 영화를 보는 동안 따지지 않고 그 영화 보는 일에만 몰두하듯이, 나와 영화가 하나가 되어 안과 밖이 없는 것 처럼 말이다. 상영 전과 후에는 늘 따지고 이런 저런 생각을 하지만 영화를 보는 동안만은 생각하지 않는다. '선(禪)'은 바로 이 영화 관람 같은 것이라고 한다.

오래 전에 '관(觀)'이라는 책을 읽고 또 읽고 한 적이 있다. 관, 본다는 것. 내 마음을 본다는 것이다. 내 마음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가만히 집중하고 들여다 보는 것 말이다. 내 마음을 억누르려 들지도 말고, 왜곡시키지도 말고, 남에게 일부러 내보이려 들지도 말고, 내 마음의 상태를 들여다보는데 집중하며, 일상에서 마음을 찰나 찰나 어떻게 지니는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책을 읽고 난 내 마음을 들여다본다.
채워졌는가, 아니면 비워졌는가.
그 생각에 집착함 부터 버려야 옳은가.

- 접기
hnine 2009-03-27 공감(4) 댓글(2)
Thanks to
 
공감
     
부처를 쏴라 새창으로 보기 구매
 
부처를 쏴라



종교의 궁극의 목적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도 참 나를 발견하여 현생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리라. 숭산 대선사의 가르침을 그의 제자 현각스님이 엮은 이 책에서는 항상 바로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 즉 생각 이전의 원점에 머물라는 점을 강조한다.


나라는 존재도 나를 인식함으로써 존재하게 되는 것이므로 그 나라는 생각조차 떨쳐 버림으로써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깨닫고자 하는 그 마음조차도 눈(眼)이 눈(眼)을 보려는 것과 같아(38쪽) 길을 잘못 들게 하는 요인이 되므로 ‘오직 할 뿐’(正念, 14, 62쪽)임을 강조하고 있다.

아무런 생각없이 정진하되, 완전히 고요한 적정(寂靜), 즉 부동심(不動心)을 얻기 위해서는 모든 생각을 끊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마음’이란 이름으로 ‘마음’을 어지럽히는 존재들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써 아마도 부처를 만나면 그 부처까지도 쏘아서 없애버리라고 하지 않았나 싶다.

주위를 살펴보면 이 세상에 진리가 아닌 것은 없고, 모든 진리들은 생각의 여지없이 찰나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것들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마치 물 위를 걷는 사람처럼 물에 빠져 죽지 않기 위해서는 그 보다 빨리 걸어야 하는 또 하나의 진리를 강조하시는 셈인가.

“순간을 유지하면 당신과 신은 결코 분리되지 않아요”(68쪽)

하나의 우주가 음양의 질서로 교차하고, 하나의 국가가 보수와 진보의 가치로 어지럽고, 한 사람이 자신을 지키려는 마음(着)과 벗어나려는 마음(脫)이 싸우고 있는 것은 고통스런 현실의 삶의 모습일 수 있다.


그러나 한 생각을 내려 놓음(放下着)으로써 평화를 구할 수 있다고 한다. 생각 때문에 싸우고, 개념 때문에 싸우는 것은 결코 평화가 될 수 없다고 강조한다. 차라리 아무 것도 모른다면 생각도 없어질 것이므로 싸울 일도 없어질 것인가.

마음의 공부란 마음의 방향을 정하는 연습을 하는 일일 것이다. 그 마음의 방향을 정하는 연습을 전생에서 잘 해 온 사람은 이생에서의 삶은 물 위를 걷듯이 비교적 순탄하겠지만, 그 연습을 게을리 한 사람의 삶은 각종의 장애에 부닥치는 일들이 많을 것이리라.

그러나 아무리 마음의 연습을 많이 한다고 한들, 애초에 방향이 잘못되어 있다면 다시 업을 쌓는 일일 것이며, 내생에 다시 그 댓가를 치르게 되는 것이리라. 모든 결과에는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원인들이 있듯이 말이다.

아마도 지금의 생(生)은 지난 생(生)의 결과인 동시에 다음 생(生)의 원인이 될 지도 모르는 것이므로 우리는 지금 각자 예비・음모적 삶을 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문제는 무엇을 예비하고 어떤 음모를 왜 하는가에 따라 참 나를 찾게 되는 결정적 실마리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책을 많이 읽거나 머리를 많이 쓰는 사람이 종종 길을 잘못 찾는 이유는 집착하고 분별하려는 생각 때문(224쪽)이므로, 지식이 아닌 무엇이 본성(自性, 佛性)인지를 꿰뚫어 보려는 지혜가 더 필요할 것이라고 한다.

그렇다고 게으르고 생각없이 사는 사람이 본성(自性, 佛性)에 가까이 있는 것은 결코 아닐 것이다. 사람은 동물과 달리 끊임없이 생각에 시달릴 수 밖에 없는 존재이므로 그 생각이 몸을 뒤죽박죽으로 잘못 흔들지 못하게 마음의 방향을 항상 올바로 향하도록 끊임없는 수행이 필요한 것이리라.
- 접기
踰城 2010-07-28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여여하게 보고... 다만 할 뿐... 새창으로 보기
세상 만사를 있는 그대로 보라.
거울에 비추어 보듯...
자기와 남을 구별하고, 중생과 수자를 구별하는 판단을 믿지 말고...
그 판단은 옳은 것이 아니니...
다만, 실상을 여여하게 바라보고,
다만, 모를 뿐이란 이치를 생각하고,
다만, 즉여하게,
이러하게 움직이며 할 일을 할 뿐. 

현각 스님이 숭산 스님의 언동을 모은 책이다. 

선이란 것이 보이지 않는 것이고,
가르칠 수도, 가르쳐 지지도 않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부정해 보라는 가르침이다.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인간의 시원을, 그 공한 곳을 바라보지 못하고, 

오로지 1과 2는 3을 만들 생각만으로 가득한 중생들에게,
할~과 방!을 내리기도 하고,
1도 2도 0이 될 수도 있음을 가르치는 말씀이다. 

학교가 요즘 많이 짜증난다.
사고가 난 것도 수습이 미봉상태로 끌고 있는데,
교과부에선 법률적으론 문제가 없다면서도 선언교사들을 징계하겠다는 어불성설의 지껄임을 내뱉고, 가끔 비슷한 지껄임을 내뱉는 교사들을 보면서... 짜증이 만땅 난다. 

그렇지만, 아이들 곁에 가 있으면 마음이 텅 빔을 느낀다.
다만, 가르칠 뿐...
아이들은 배울 자세가 덜 되어 있다.
떠들고, 졸고 한다.
그래도, 다만 가르칠 뿐... 자꾸 깨우고 혼내고 해서 가르칠 뿐이지,
뭐, 예수님도 그랬잖은가.
귀가 있는 사람은 알아 들어라...

- 접기
글샘 2009-06-19 공감(1) 댓글(2)
Thanks to
 
공감
     
너는 누구냐? 새창으로 보기 구매
숭산행원(崇山行願) 스님. 그의 법호처럼 평생 우뚝 솟은 산과 같이 한국의 선불교를 온 세상에 전하는 원력을 실천해온 스님. 그리고 그러한 스님의 삶을 좇는 푸른 눈의 제자 현각 스님. 비록 국적과 인종은 다르지만 이 아름다운 스승과 제자의 이야기는 오래 전부터 우리들을 감동시켜 왔다.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로 널리 알려진 현각 스님이 그의 스승 숭산 스님의 가르침과 일화들을 엮어 만든 <부처를 쏴라>(원서 제목은 '깨달음을 구하는 것은 큰 실수(Wanting Enlightenment is a Big Mistake)')는 이미 열반하신 옛스승에 대한 존경과 그리움이 잘 나타나 있다. 

 

포대화상을 연상시키는 통통하고 동글동글한 몸집에 늘 웃음을 잃지 않은 숭산 스님. 문법에 맞지 않는 짧은 영어이지만 수많은 서양의 지성인들의 복잡한 머리 속을 단번에 멈추게 하는 스님의 언변.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직접적이고 강력한 '오직 모를 뿐!'이란 가르침. 모든 생각을 내려놓고 오직 모른다는 분명한 사실에서 아무런 판단없이 '오직 할 뿐'!

 

흔히 불교가 종파가 다양하고 팔만대장경이라 할 만큼 경전이 많고 철학적이어서 어렵다고 생각하는 보통 사람들에게 스님의 가르침은 불교를 매우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 준다. 자기 자신을 깨닫는 일이 무엇이 어렵다는 말인가?

 

스님은 묻는다. "너는 누구(무엇)이냐?" 이에 대한 가장 진실한 답은 "모른다."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모른다'는 무엇인가? 그 말뜻이 아닌 '모름'의 실체, 본질! 여기서 모든 생각이 떨어져 나간다. 바로 그 순간, 붐(BOOM)! 우리는 본래의 자기 자신을 직접 발견하게 된다.
- 접기
몽지 2009-12-12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