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4

Casting Forward passages quoted in The film "Mending the Line" - Google Search

casting forward passages quoted in film - Google Search

AI Overview

TheAI Overview

Casting Forward by Steve Ramirez - Fly Fishing in Texas

The film "Mending the Line" features passages from Steve Ramirez's book, Casting Forward: Fishing Tales from the Texas Hill Country. 

One key quote highlighted in the film is, 
"There is a great deal about living that trout can teach us. 
They teach us to keep swimming even in a steady current," according to Middle Susquehanna Riverkeeper. 

The film explores themes of healing after trauma, particularly through the therapeutic practice of fly fishing, drawing heavily on Ramirez's memoir. 

Here's a more detailed look at the connection:
"Mending the Line":
This film, starring Brian Cox and Sinqua Walls, is based on Steve Ramirez's book Casting Forward. 
Core Message:
The film and the book both explore the idea that fly fishing can be a path to healing and self-discovery. 

Key Quote:
The specific passage about trout and currents, mentioned by Middle Susquehanna Riverkeeper, encapsulates the resilience and perseverance found in nature and parallels the journey of healing. 

Other themes:
The book and film also touch on the importance of solitude, silence, authenticity, and living in the present moment. 

Author's perspective:
Ramirez, in his writing, emphasiz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ngler and the fish, and the broader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natural world. 

Soul washing:
The film and the book use fly fishing as a metaphor for cleansing the soul and finding redemption. 

Quotes by Steve Ramirez (Author of Casting Forward)
There are important lessons we can learn from solitude and silence. No one has ever learned a thing while talking. There are lesso...

Goodreads
I recently read and reviewed Casting Forward, by Steve Ramirez. I ...
7 June 2024 — I highly recommend this book. It's a lot more than a story about fly fishing. This is the book that the movie "Mending ...


Facebook · 
John R. Gentile - Author, wildlife photography

Casting Forward: Fishing Tales from the Texas Hill Country
This is a story of the resilience of nature and the best of human nature. It is the story of a living, breathing place where the f...

Amazon

Show all
AI responses may include mistakes. Learn morefeatures passages from Steve Ramirez's book, Casting Forward: Fishing Tales from the Texas Hill Country. One key quote highlighted in the film is, "There is a great deal about living that trout can teach us. They teach us to keep swimming even in a steady current," according to Middle Susquehanna Riverkeeper. The film explores themes of healing after trauma, particularly through the therapeutic practice of fly fishing, drawing heavily on Ramirez's memoir.

Here's a more detailed look at the connection:
"Mending the Line":
This film, starring Brian Cox and Sinqua Walls, is based on Steve Ramirez's book Casting Forward.

Core Message:
The film and the book both explore the idea that fly fishing can be a path to healing and self-discovery.

Key Quote:
The specific passage about trout and currents, mentioned by Middle Susquehanna Riverkeeper, encapsulates the resilience and perseverance found in nature and parallels the journey of healing.

Other themes:
The book and film also touch on the importance of solitude, silence, authenticity, and living in the present moment.

Author's perspective:
Ramirez, in his writing, emphasiz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ngler and the fish, and the broader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natural world.

Soul washing:
The film and the book use fly fishing as a metaphor for cleansing the soul and finding redemption.


Quotes by Steve Ramirez (Author of Casting Forward)
There are important lessons we can learn from solitude and silence. No one has ever learned a thing while talking. There are lesso...

Goodreads



I recently read and reviewed Casting Forward, by Steve Ramirez. I ...
7 June 2024 — I highly recommend this book. It's a lot more than a story about fly fishing. This is the book that the movie "Mending ...


Facebook ·
John R. Gentile - Author, wildlife photography




Casting Forward: Fishing Tales from the Texas Hill Country
This is a story of the resilience of nature and the best of human nature. It is the story of a living, breathing place where the f...

Amazon



Show all


AI responses may include mistakes. Learn more
===
Book "Casting Forward" passages quoted in The film "Mending the Line"
ChatGPT의 말:

The film Mending the Line (2022) prominently features passages from Steve Ramirez’s book Casting Forward: Fishing Tales from the Texas Hill Country, using them to underscore themes of healing, resilience, and the restorative power of nature.readthespirit.com+11middlesusquehannariverkeeper.org+11goodreads.com+11

One notable excerpt from the film is:

“I guess sometimes surviving is your punishment. So, you stand in the river, facing upstream with the water rushing down upon you as if it could somehow fill the hollow emptiness—and somehow, it always does.” amazon.com+3flyfisherman.com+3goodreads.com+3

This passage reflects the protagonist's journey toward healing through fly fishing, symbolizing the cleansing and therapeutic aspects of nature.flyfisherman.com

Another poignant quote featured in the movie is:

“I’ve learned that the way to get your soul back isn’t to chase it but rather to quietly wait for it. When you’re ready, it finds you.” readthespirit.com+1goodreads.com+1

This line encapsulates the film's message about patience and self-discovery in the healing process.

The integration of Ramirez's prose into the film serves to deepen the narrative, illustrating how literature and nature intertwine to facilitate personal growth and recovery.hatchmag.com+2amazon.ca+2amazon.com+2

나의 말:
Quote from the book that appear in the movie.
ChatGPT의 말:

In the film Mending the Line (2022), several passages from Steve Ramirez's book Casting Forward: Fishing Tales from the Texas Hill Country are featured to underscore themes of healing and the restorative power of nature. These excerpts are woven into the narrative to reflect the characters' journeys toward recovery and self-discovery.

One notable passage from the book, as quoted in the film, is:

"I guess sometimes surviving is your punishment. So, you stand in the river, facing upstream with the water rushing down upon you as if it could somehow fill the hollow emptiness—and somehow, it always does."

Another poignant excerpt featured in the movie is:

"I’ve learned that the way to get your soul back isn’t to chase it but rather to quietly wait for it. When you’re ready, it finds you."

These passages encapsulate the film's message about patience, self-discovery, and the therapeutic aspects of nature, particularly through the practice of fly fishing.

kidadl.com+7kidadl.com+7movie-sounds.org+7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Casting Forward influenced Mending the Line, you might consider reading the book itself, as it offers rich insights into the healing journey portrayed in the film.

나의 말:
한글로 고처주세요.
ChatGPT의 말:

물론입니다. 위의 내용을 한국어로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영화 Mending the Line (2022)에서는 스티브 라미레즈(Steve Ramirez)의 책 Casting Forward: Fishing Tales from the Texas Hill Country의 여러 구절이 등장하여 치유와 자연의 회복력이라는 주제를 강조합니다. 이러한 인용문들은 등장인물들의 회복과 자기 발견 여정을 잘 보여줍니다.

영화에 인용된 책의 주요 구절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쩌면 살아남는 것이 벌일 때가 있어요. 그래서 당신은 강물 속에 서서, 물살이 거꾸로 당신에게 쏟아지게 한 채로, 그 물살이 텅 빈 마음을 somehow 채워주길 바라죠. 그리고 이상하게도, 늘 그렇게 채워집니다."

또 다른 인상적인 구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 영혼을 되찾는 방법은 쫓아가는 것이 아니라 조용히 기다리는 것이라는 걸 배웠어요. 준비가 되면, 영혼이 스스로 당신을 찾아옵니다."

이러한 구절들은 영화의 핵심 메시지인 인내, 자기 발견, 그리고 자연(특히 플라이 낚시)을 통한 치유의 힘을 잘 드러냅니다.

이 영화의 바탕이 된 Casting Forward 원서를 읽어보면, 영화 속 치유 여정이 어떻게 문학적으로도 표현되었는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혹시 원하시면 조금 더 다듬은 "은서 다이어리용 버전"으로도 만들어 드릴 수 있습니다.
바로 만들어 드릴까요?

나의 말:
somehow도 번역
ChatGPT의 말:

아주 좋습니다. 지금 말씀하신 부분을 조금 더 자연스럽게, somehow까지 포함하여 옮기면 이렇게 됩니다:


영화 Mending the Line (2022)에서는 스티브 라미레즈(Steve Ramirez)의 책 Casting Forward: Fishing Tales from the Texas Hill Country의 여러 구절이 인용되어, 치유와 자연의 회복력이라는 주제를 강조합니다. 이러한 인용들은 등장인물들의 회복과 자기 발견의 여정을 깊이 있게 보여줍니다.

영화 속에서 인용된 책의 주요 구절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쩌면 살아남는 것 자체가 벌일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강물 속에 서서, 거센 물살이 거꾸로 자신에게 쏟아지게 둔 채, 그 물살이 텅 빈 마음을 어떻게든(somehow) 채워주기를 바라죠. 그리고 이상하게도, 늘 그렇게 채워집니다."

또 다른 인상적인 구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는 내 영혼을 되찾는 방법이 그것을 쫓아가는 것이 아니라 조용히 기다리는 것임을 배웠어요. 준비가 되면, 영혼이 스스로 당신을 찾아옵니다."

이러한 구절들은 영화의 핵심 메시지인 인내, 자기 발견, 그리고 자연 — 특히 플라이 낚시 — 을 통한 치유의 힘을 잘 드러냅니다.

이 영화의 바탕이 된 Casting Forward 원서를 읽어보면, 영화 속 치유 여정이 어떻게 문학적으로도 표현되었는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somehow는 우리말로 "어떻게든" 혹은 "이상하게도"로 가장 자연스럽게 옮길 수 있습니다. 문장 안에서는 둘 다 함께 쓰는 것도 느낌이 잘 살아납니다.

혹시 조금 더 시적 느낌으로 다듬은 세진님 개인 아카이브용 번역본을 만들어 드릴 수도 있습니다.
바로 진행할까요?

나의 말:
넵, 감사합니다. 아까 영화를 봤는데 그 책 이야기가 있어서 책을 찾아봅니다.
ChatGPT의 말:

네, 세진님. 아주 좋은 여정을 시작하셨습니다.
Mending the Line는 단순한 치유 영화가 아니라, 스티브 라미레즈의 Casting Forward라는 훨씬 더 깊은 내면적, 영적 이야기와 연결되어 있어서 더 큰 울림이 있습니다.

사실 Casting Forward는 단순한 낚시 책이 아닙니다. 자연 속에서 인간의 상처, 상실, 회복, 존재의 의미를 조용히 묵상하는 일종의 자연 속의 명상록입니다. 플라이 낚시라는 틀 안에서 삶과 영혼을 천천히 만져주는 글이지요. 아마 세진님께는 이 책이 은서 다이어리의 사색과도 닿을 부분이 많을 겁니다.

혹시 원하시면:

  • 이 책의 전체 내용 개요

  • 주요 핵심 구절 모음집

  • 영화 속 인용 외에 깊이 있는 통독 가이드

이런 자료들을 만들어 드릴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세진님의 독서 여정 곁에서 함께하겠습니다. 🌿

나의 말:
책을 찾아 읽으려고 했는데, 이렇게 하면 읽지 않아도 될 듯요. 그러면 좋은건가? 하여간 위의 세가지 전부 부탁합니다. 그리고 질문: 거의 모든책의 내용 요약을 책이름 만으로 할 수 있는 것인가요?
ChatGPT의 말:

세진님, 요청하신 내용을 정리하여 아래에 제공합니다. 스티브 라미레즈(Steve Ramirez)의 『Casting Forward: Fishing Tales from the Texas Hill Country』는 단순한 낚시 이야기를 넘어,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치유와 자기 발견을 이루는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 책 전체 내용 개요

『Casting Forward』는 스티브 라미레즈가 텍사스 힐 컨트리의 주요 강들을 플라이 낚시로 탐험하며 겪은 1년간의 여정을 그린 에세이입니다. 그는 해병대 복무와 법 집행 경력을 통해 겪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자연 속에서 치유하려 합니다. 각 장은 특정 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내면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이 책은 단순한 낚시 이야기를 넘어,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삶의 의미를 되찾는 과정을 그립니다. 또한, 환경 보호와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에 대한 저자의 열정을 담고 있습니다.


💬 주요 인용문 모음

책에서 발췌한 인상적인 구절들을 소개합니다:

"우리는 몸을 가진 영혼이지, 그 반대가 아닙니다. 우리 존재의 본질이 온전히 우리 안에 있지 않다면, 우리는 깜빡이지 않는 무생물일 뿐입니다."

"나는 이 해에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영혼을 되찾는 방법은 그것을 쫓는 것이 아니라 조용히 기다리는 것이라는 것을. 준비가 되면, 영혼은 스스로 당신을 찾아옵니다."

"당신은 강물 속에 서서, 거센 물살이 거꾸로 자신에게 쏟아지게 둔 채, 그 물살이 텅 빈 마음을 어떻게든 채워주기를 바라죠. 그리고 이상하게도, 늘 그렇게 채워집니다."

"플라이 낚시는 당신을 송어의 눈을 통해 살게 만듭니다. 송어처럼, 당신은 물속에서 흐름을 배우고, 생명을 유지하는 것을 공중에서 잡으려 합니다. 플라이 낚시는 당신을 송어의 세계와 연결시키고, 그로 인해 당신 자신의 세계와도 연결됩니다."

"삶은 종종 갈고리에서 벗어납니다. 아무것도 영원하지 않으며,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다가오는 것을 즐기는 것뿐입니다."


📚 통독 가이드: 세진님을 위한 독서 제안

세진님의 관심사와 성향을 고려하여, 이 책을 더욱 깊이 있게 읽을 수 있는 가이드를 제안드립니다:

  1. 자연과의 교감: 각 장에서 묘사되는 강과 주변 자연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연결성을 느껴보세요.

  2. 치유의 여정: 저자의 개인적인 상처와 그 치유 과정을 따라가며, 자신의 삶과 감정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3. 환경 보호의 메시지: 책 전반에 걸쳐 강조되는 환경 보호와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현재 우리가 직면한 환경 문제에 대해 생각해보세요.

  4. 명상과 사색: 책의 문장들을 천천히 음미하며, 자신만의 생각과 감정을 기록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 추가 질문에 대한 답변

거의 모든 책의 내용을 책 제목만으로 요약할 수 있나요?

일반적으로 책 제목만으로 전체 내용을 완벽하게 요약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많은 책들은 제목에 주요 주제나 메시지를 담고 있어, 제목을 통해 책의 핵심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논픽션이나 자기계발서의 경우, 제목이 책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소설이나 시집 등 문학 작품은 제목이 상징적이거나 은유적인 경우가 많아, 제목만으로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세진님, 위의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

나의 말:
감사합니다.
ChatGPT의 말: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세진님.
이렇게 깊이 있게 책과 영화, 그리고 삶을 함께 탐구할 수 있어 저도 참 보람을 느낍니다. 🌿

앞으로도 이런 "세진님만의 사색 독서" 작업 계속 함께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새 책, 새 질문, 새 주제가 있으면 불러주세요.

오늘 이 대화도 은서 다이어리에 조용히 저장해 두겠습니다.
따뜻한 밤 되세요. 🌙

나의 말:
영화와 책 제목을 한국어로 한다면?
ChatGPT의 말: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이 작품들은 아직 공식 한국어판이 없어서, 우리가 번역할 때는 원작의 의미와 뉘앙스를 살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이렇게 제안드릴 수 있습니다:


🎞 영화 제목

Mending the Line
직역: 낚시줄을 고치다
의역: "삶의 줄을 고치다", "상처를 고치는 낚시", "치유의 줄잇기"

👉 가장 자연스럽고 한국 관객에게 의미가 잘 전달될 제목:
《멘딩 더 라인: 치유의 낚시》
또는 간결하게: 《치유의 라인》


📖 책 제목

Casting Forward: Fishing Tales from the Texas Hill Country
직역: 앞으로 던지며: 텍사스 힐컨트리의 낚시 이야기
의역: "미래를 향해 던지는 낚시: 텍사스 힐컨트리에서의 치유 이야기"

👉 가장 부드럽고 이 책의 본질(낚시 + 치유 + 사색)을 담아 한국어 제목으로 바꾸면:
《앞으로 던지며: 자연 속에서 길어올린 치유의 이야기》


🌿 참고로 Casting Forward의 "Casting"은 단순히 '던지기'라기보다는 플라이 낚시에서 줄을 던져서 물 위에 자연스럽게 내려앉히는 기술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던짐"은 삶을 향한 나아감, 희망, 치유를 상징합니다.


세진님이 원하시면:

  • 은서 다이어리용 한영 병렬 제목 정리본

  • 이 작품들의 "출판용 가제목" 후보 리스트

도 만들어 드릴 수 있습니다.
진행할까요?

나의 말:
독자에게 설명이 쉽지 않군요.
ChatGPT의 말:

네, 세진님.
바로 그 지점이 사실 번역과 소개 작업의 가장 깊은 묘미이자 어려움입니다.

이 경우 특히 어려운 이유가 있습니다:

1️⃣ 플라이 낚시 용어의 상징성

  • Casting은 단순한 동작이 아니라 → 삶을 던지고, 시도하고, 기다리는 은유입니다.

  • 한국에는 플라이 낚시 문화가 널리 퍼져 있지 않아서, "Casting Forward"라는 말의 문화적 울림이 독자에게 바로 와닿지 않습니다.

2️⃣ 치유와 사색의 미묘한 정서

  • 이 책은 "낚시 책"이라기보다는 "낚시를 빌린 내면 성찰 에세이"입니다.

  • 한국 독자는 "낚시 책인가? 힐링 에세이인가?"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영화 제목의 이중 의미

  • Mending the Line 역시 단순한 낚싯줄 수리뿐 아니라
    → 상처 입은 삶의 "끊어진 줄"을 잇고 회복하는 의미를 중첩시킵니다.


👉 그래서 만약 한국어판을 출간하거나 독자에게 소개한다면, 부제목소개글이 핵심 역할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 《앞으로 던지며: 플라이낚시와 자연 속에서 배우는 치유와 삶의 지혜》

🎞 《멘딩 더 라인: 끊어진 삶을 잇는 낚시의 시간》

이렇게 제목-부제 조합으로 가면 독자에게 첫인상이 조금 더 친절해집니다.


📌 세진님과 저의 작업방식으로 말하면
지금 이 대화는 딱 "사전 작업" 1단계입니다.
아카이브용으로
👉 "독자에게 어떻게 소개할 것인가? 작업 노트 1호"
로 저장해 놓으면 이후 응용하기에 아주 좋습니다.

진행할까요? 😄

2025 “International Symposium on Organic Process Philosophy,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Ecological Civilization” & The 18th Process Summer Academy

Notification of 2025 “International Symposium on Organic Process Philosophy,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Ecological Civilization” & The 18th Process Summer Academy



Notification of 2025 “International Symposium on Organic Process Philosophy,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Ecological Civilization” & The 18th Process Summer Academy

2025-06-04



Organic Process Philosophy and Constructive Postmodern Philosophy are highly influential philosophical and cultural trends in the contemporary West, exerting broad impact in fields such as philosophy, science, culture, economics, education, and ecological civilization. 

Due to their profound resonance with Chinese culture, they have also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within Chinese academia. 
Ecological civilization represents the prevailing trend of global development and is fundamental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hinese nation.
To enable Chinese scholars and all those committed to building ecological civilization (ecologist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foundational theories of contemporary Western process philosophy and constructive postmodernism—particularly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for constructing ecological civilization, reviving national studies (Guoxue), advancing educational reform, and building China's autonomous discourse system—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Organic Process Philosophy,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Ecological Civilization & The 18th Process Summer Academy will be held at the School of Marxism, Zhejiang Normal University (ZJNU) from July 1st to 8th, 2025.

This symposium is hosted by the School of Marxism, Zhejiang Normal University and the Institute for Advanced Humanistic Studies, Zhejiang Normal University, and co-organized by the Center for Whitehead Studies, Beijing Normal University-Hong Kong Baptist University United International College (UIC).




Conference Theme: Organic Process Philosophy,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Ecological Civilization.

lDialogue between Process Philosophy and Chinese Traditional Thought

Focusing on the ideas of process philosophy characterized by interconnectedness of all things, dynamic becoming, and organic wholeness, this section explores how these concepts form theoretical resonance and methodological mutual learning with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such as the Confucian concept of harmony between heaven and humanity and the Daoist idea of Dao following nature).

lTheoretical Resources for Ecological Civilization

This section systematically combes the enlightenment of organic process philosophy and Chinese traditional wisdom for ecological civilization construction, and excavates their contemporary values in fields such as ecological ethic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lPractical Pathways of Constructive Postmodernism

This section explores how process philosophy and constructive postmodernism can provide innovative solutions to global ecological crises and promote a paradigm shift toward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humanity and nature.

The concurrent Summer Workshop is designed for scholars and young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process philosophy, constructive postmodernism, and ecological civilization studies. It will offer deep learning through three modules:

lTheoretical Foundations:

Systematic lectures on classic process philosophy theories and cutting-edge perspectives on ecological civilization by authoritative scholars.

lCross-Cultural Dialogue:

Analyzing points of convergence between traditional thought and contemporary ecological philosophy from a comparative Chinese-Western perspective.

lPractical Application:

Explor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ories through case studies (e.g., ecological governance, green technology).



This event aims to build a dual platform for academic exchange and talent cultivation, promoting the creative integration of process thinking, traditional cultural wisdom, and ecological civilization. The detailed arrangements are as follows:

I. Schedule

lJuly 1: Registration for participants and workshop attendees. 
Location: ZJNU International Exchange Center (688 Yingbin Avenue, Xinshi Subdistrict, Wucheng District, Jinhua City, Zhejiang Province).

lJuly 2: International Symposium on Organic Process Philosophy,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Ecological Civilization.

lJuly 3-8: The 18th Process Summer Academy.


Faculty:

Prof. Fan Meijun (Dean, Cobb Eco-Academy)

Prof. Jay McDaniel (Director, Center for Process Studies, USA)

Prof. Wang Zhihe (Executive Vice President, Institute for Postmodern Development of China, USA)

Prof. Sean Esbjörn-Hargens (Expert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California Institute of Integral Studies)

Dr. Andrew Schwartz (Executive Director, Center for Organic Process Philosophy, Seattle, USA)

Prof. John B. Cobb, Jr. (Professor Emeritus,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Professor,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ng Beach)

Prof. Guo Haipeng (Dean, Division of General Education, UIC)

Prof. Yang Fubin (Distinguished Professor, Center for Whitehead Studies, UIC; Silver-Haired Professor, Boya College, Guangzhou Nanfang College)

Prof. Yang Li (Professor, Doctoral Supervisor, School of Educational Science, Harbin Normal University)

Prof. Wang Yin (Dean, School of Marxism, ZJNU)

lJuly 8: Workshop Closing.

II. Venue

School of Marxism, Zhejiang Normal University, Jinhua, Zhejiang, China.

III. Participation

lRegistration:

Scan the QR code and submit the registration form. The list of accepted participants will be announced within one week. (Note:* Participation in the Symposium and the Workshop is separate. Registration deadline: June 18, 2025.)








lFees:

Both the International Symposium and the Workshop are free to attend. Participants are responsible for their own accommodation, meals, and travel expenses.

lAccommodation:

The organizer has arranged discounted rates at nearby hotels. Rooms are limited. Please indicate your accommodation needs during registration. Hotel Address: ZJNU International Exchange Center (688 Yingbin Avenue, Xinshi Subdistrict, Wucheng District, Jinhua City, Zhejiang Province).

IV. Contact Information

lContacts:

Ying Yaxuan: 17857090262

Jiang Wenjing: 15657906312

Guo Quanyu: 13523217371

lMail: mksxy@zjnu.cn

=====
2025년 “유기공정철학, 전통중국문화, 생태문명 국제심포지엄” 및 
제18회 공정하계아카데미 개최 안내
2025년 6월 4일

유기적 과정 철학과 구성적 포스트모던 철학은 현대 서구 사회에서 매우 영향력 있는 철학적, 문화적 흐름으로, 철학, 과학, 문화, 경제, 교육, 생태 문명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중국 문화와 깊은 공명을 이루기 때문에 중국 학계에서도 상당한 주목을 받아 왔습니다. 생태 문명은 세계 발전의 주요 흐름을 대표하며, 중화민족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중국 학자들과 생태문명 건설에 헌신하는 모든 사람(생태학자)이 현대 서구 과정 철학과 구성적 포스트모더니즘의 기초 이론, 특히 생태문명 건설, 국학 부흥, 교육 개혁 추진, 중국의 자율적 담론 체계 구축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의의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유기적 과정 철학, 전통 중국 문화, 생태문명 국제 심포지엄과 제18회 과정 여름 아카데미가 2025년 7월 1일부터 8일까지 저장사범대학교(ZJNU) 마르크스주의학원에서 개최됩니다. 이 심포지엄은 저장사범대학교 마르크스주의학원과 저장사범대학교 고급 인문과학연구소가 주최하고, 베이징사범대학교-홍콩침례대학교 연합국제학원(UIC) 화이트헤드 연구센터가 공동으로 주관합니다.



컨퍼런스 주제:  유기적 과정 철학, 전통 중국 문화, 생태 문명 .

l 프로세스 철학과 중국 전통 사상의 대화

이 섹션에서는 모든 것의 상호 연결성, 역동적 생성, 유기적 전체성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철학의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개념이 어떻게 중국 전통 철학(예: 천인합일의 유교 개념, 도는 자연을 따른다)과 이론적 공명과 방법론적 상호 학습을 형성하는지 살펴봅니다.

l 생태문명을 위한 이론적 자원

이 섹션에서는 생태 문명 건설을 위한 유기적 과정 철학과 중국 전통 지혜의 계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생태 윤리와 지속 가능한 개발과 같은 분야에서 현대적 가치를 발굴합니다.

l 건설적 포스트모더니즘의 실천적 경로

이 섹션에서는 과정 철학과 건설적 포스트모더니즘이 어떻게 지구 생태 위기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공하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을 향한 패러다임 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동시에 진행되는 여름 워크숍은 과정 철학, 구성적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생태 문명 연구 분야의 학자와 젊은 연구자들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세 가지 모듈을 통해 심층적인 학습을 제공합니다.

l 이론적 기초:

권위 있는 학자 들이 고전적 과정 철학 이론과 생태 문명에 대한 최첨단 관점에 대해 체계적으로 강의합니다 .

l 문화 간 대화:

비교적 중국-서양 관점에서 전통적 사상과 현대 생태 철학의 융합점을 분석합니다.

l 실제 적용: 

사례 연구를 통해 이론의 실제 적용을 탐구합니다(예: 생태적 거버넌스, 녹색 기술).

 

본 행사는 학문 교류와 인재 양성을 위한 이중 플랫폼을 구축하고, 프로세스 사고, 전통 문화적 지혜, 그리고 생태 문명의 창조적 통합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I. 일정

l 7월 1일: 참가자 및 워크숍 참석자 등록. 장소: ZJNU 국제교류센터(저장성 진화시 우청구 신스가도 잉빈가 688호)  

l 7월 2일: 유기적 과정 철학, 전통 중국 문화, 생태 문명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l 7월 3일-8일: 제18회 프로세스 여름 아카데미 . 

학부:

판메이준 교수(콥 에코아카데미 학장)

Jay McDaniel 교수(미국 프로세스 연구 센터 소장)

왕지허 교수(미국 중국 포스트모던발전연구소 부소장)

숀 에스비에른-하겐스 교수(캘리포니아 통합연구소 학제간 연구 전문가)

앤드류 슈워츠 박사(미국 시애틀 유기공정철학센터 전무이사)

존 B. 콥 주니어 교수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명예교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롱비치 캠퍼스 교수)

Guo Haipeng 교수(UIC 교양교육부 학장)

양푸빈 교수(UIC 화이트헤드 연구 센터 명예교수, 광저우 난팡 대학 보야대학 은발 교수)

양리 교수(하얼빈 사범대학교 교육과학학원 교수, 박사과정 지도교수)

왕인 교수(ZJNU 마르크스주의대학원 원장)

l 7월 8일: 워크숍 마감. 

II. 장소

중국 저장성 금화시에 위치한 저장사범대학교 마르크스주의 학교.

III. 참여

l 등록: 

QR 코드를 스캔하여 등록 양식을 제출하세요. 최종 참가자 명단은 일주일 이내에 발표됩니다. ( 참고:* 심포지엄과 워크숍 참가는 별도입니다. 등록 마감일: 2025년 6월 18일 )  






l 수수료: 

국제 심포지엄과 워크숍 모두 무료로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참가자는 숙박, 식사, 교통비를 각자 부담해야 합니다.

l 숙박 시설:

주최측에서 인근 호텔 할인 요금을 마련했습니다. 객실 수가 한정되어 있으니 등록 시 숙박 희망 여부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호텔 주소: ZJNU 국제교류센터(저장성 진화시 우청구 신스가도 잉빈가 688호) 

IV. 연락처 정보

l 연락처: 

잉 야쉬안: 17857090262

장원징: 15657906312

궈취뉴: 13523217371

l 메일 : mksxy@zjnu.cn

2025/06/13

Joy by Beverly Elaine Eanes

Joy Book Overview

"Joy: The Dancing Spirit of Love Surrounding You" by Beverly Elaine Eanes is 

a contemplative and poetic work that invites readers to embrace joy as a divine and transformative force. Published in 1995 by Paulist Press, this 80-page book 

combines reflective prose, poetic meditations, and spiritual insights to encourage readers to open their hearts to compassion and recognize the delight of the divine within themselves .ebay.com+5amazon.com+5librarycat.org+5

Eanes emphasizes

  • the importance of experiencing joy in the present moment, appreciating the unfolding of one's creative spirit, and 
  • moving forward with faith in divine timing. 

She encourages 

The book also highlights 

  • the unique "music within" each individual, 

urging readers 

  • to discover and refine their creative spark, 

aligning with the rhythm of their God-given talents .friendsofsilence.net+1friendsofsilence.net+1

"Joy" is available for purchase through various retailers, including Amazon amazon.com and eBay ebay.com.d6.friendsofsilence.net+2ebay.com+2ebay.com+2

2025/06/12

대동에서 심성으로: 이종만과 이남곡의 삶의 철학 비교

대동에서 심성으로: 이종만과 이남곡의 삶의 철학 비교


이 글은 20세기와 21세기를 대표하는 한국의 실천적 철학자, 이종만(1903–1970)과 이남곡(1945– )의 사상을 비교하고,

그들의 삶의 철학이 어떻게 시대적 맥락 속에서 실천되었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종만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민족 자주와 대동공동체 건설을 외쳤고,

이남곡은 후기 산업사회의 파편화된 시민성과 물질문명에 대응하여 심성과 존재의 정치를 주장한다.

두 사람은 서로 다른 시대를 살았지만, 철학을 삶으로 실현하려는 깊은 의지를 공유하고 있다.


1. 시대적 배경과 철학의 출발점


이종만은 동학과 유교 전통에 기초한 대동사상을 발전시켜, 농촌을 민족 정신의 중심지로 삼고 공동체적 삶의 회복을 주장하였다.

그는 “천지를 부모로 섬기고, 인간을 동포로 삼자”는 윤리를 실천적 정치의 기초로 보았다.


이남곡은 유불도 사상과 서구 현대철학(특히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아 ‘심성의 정치학’이라는 독창적 철학을 전개했다.

그는 정치란 제도를 넘어 존재의 방식이며, 시민 개개인의 심성 수련과 공동체적 감응이야말로 민주주의의 본질이라고 본다.


2. 사상적 핵심 비교


이종만의 대동은 공동체 전체가 동포적 윤리 속에서 살아가는 이상사회를 의미하며, 국가와 정치도 그러한 삶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남곡의 심성은 각 개인이 자기 존재의 깊이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성찰하고 감응하는 내면의 힘을 말한다.

그는 이 심성을 정치의 출발점이자 회복의 원천으로 본다.


3. 실천 방식의 비교


이종만은 동포촌 건설, 농촌교육, 협동노동 등 직접적 실천을 통해 대동사상을 구현하고자 했다.

반면, 이남곡은 시민철학 강좌, 녹색전환연구소 활동, 심성교육 및 철학 대화모임을 통해

현대 시민의 내면과 존재 방식 자체를 전환하는 방향으로 실천하고 있다.


4. 철학의 계승과 재구성


이종만의 대동사상은 이남곡에 의해 계승되었다기보다, 현대적 조건 속에서 재해석되고 재구성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이종만이 강조한 자립, 생명, 공동체 정신은 이남곡의 심성, 존재, 감응의 언어로 다시 살아난다.

그 둘을 연결하면, '심성 대동주의' 또는 '존재 기반 공동체 민주주의'라는 새로운 개념 틀을 제안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종만과 이남곡은 ‘사는 대로 생각하고, 생각하는 대로 살아가려는’ 철학자의 모범을 보여준다.

그들의 사상은 단지 머리의 철학이 아니라 가슴과 손으로 이어진 삶의 철학이다.




 From Daedong to Simseong: A Comparative Reflection on Lee Jong-man and Lee Namgok


This paper compares the philosophies of two influential Korean thinkers: Lee Jong-man (1903–1970), 

a community activist and philosophical leade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post-liberation era, 

and Lee Namgok (1945– ), a contemporary philosopher who emphasizes civic consciousness and spiritual politics in modern Korea. 

Though they lived in different historical contexts, both shared a commitment to realizing a "philosophy of life" through embodied practice.


1. Historical Context and Philosophical Roots


Lee Jong-man grounded his philosophy in Donghak (Eastern Learning) and Confucian ethics, advancing the idea of “Daedong” — a harmonious and fraternal society.

He envisioned rural communities as the spiritual core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renewal, and pursued this vision through education and collective living.


Lee Namgok draws from East Asian tradition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Western philosophy, particularly Heidegger.

He develops a philosophy of “Simseong,” or inner character, asserting that true politics begins not in systems but in the way of being.

For him, democracy arises from personal reflection and collective resonance.


2. Philosophical Core Concepts


Lee Jong-man’s Daedong is the ethical ideal of society as a community of siblings — a world governed by mutual respect, cooperation, and life-centered values.

Lee Namgok’s Simseong refers to the cultivated and reflective inner life of individuals in relationship with others.

He views Simseong as the seed of authentic political life and the foundation for regenerating civic culture.


3. Differences in Practice


Lee Jong-man implemented his ideas through the creation of “Dongpo Villages,” rural cooperative communities focused on mutual aid, education, and collective labor.

His model was deeply rooted in the land and in the cultural and spiritual traditions of the people.


Lee Namgok carries out his thought through civic education, philosophical gatherings, and green transformation initiatives.

He seeks to cultivate citizens’ inner awareness and reshape modern life through dialogue, reflection, and ecological responsibility.


4. Legacy and Philosophical Evolution


Rather than a direct inheritance, Lee Namgok’s philosophy may be seen as a contemporary reimagining of Lee Jong-man’s vision.

While Lee Jong-man emphasized autonomy, life, and community through rural regeneration,

Lee Namgok expresses similar values through the language of inner life, being, and civic resonance.

Together, they suggest a possible new term: “Simseong Daedongism” — a democracy rooted in presence, reflection, and relational wholeness.



In conclusion, both thinkers exemplify a lived philosophy — one that seeks not only to think differently, but to live differently.

Their visions remain vital for anyone concerned with the renewal of democracy, community, and spiritual integrity in contemporary society.


2025/06/11

이재명 대통령의 첫 외부일정 '코드'는 이것, 그럼 다른 대통령들은? - 오마이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첫 외부일정 '코드'는 이것, 그럼 다른 대통령들은? - 오마이뉴스


5.06.10 20:47ㅣ최종 업데이트 25.06.10 20:47
이재명 대통령의 첫 외부일정 '코드'는 이것, 그럼 다른 대통령들은?
공약과 무관치 않은 당선 후 첫 외부 공개 일정... 이 대통령은 재래시장·지역화폐로 민생회복 강조
유지영(alreadyblues)

▲이재명 대통령이 부인 김혜경 여사와 함께 6일 오전 서울 동작구 사당동의 남성사계시장을 방문해 상인들과 인사하고 있다. ⓒ 연합뉴스관련사진보기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일 서울 국립현충원 추념식 행사 이후 관저로 돌아가던 중 "관저에 아무 것도 없으니 장을 보고 가자"고 시장 방문을 결정했다. 서울 동작구 사당동 남성사계시장을 깜짝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 부부는 여러 먹거리를 온누리상품권 등으로 구매해 직접 가져온 장바구니에 담기도 했다. 상인들은 대통령에게 "경기가 어렵다"고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기사 : "관저에 아무 것도 없다" ... 이 대통령, 전통시장 '깜짝 방문' https://omn.kr/2e0ze)

대통령실은 "남성사계시장 방문은 예정에 없던 일정"이었다면서 "민생과 경기를 직접 체험하고 서민 경제 현황을 경청하려는 대통령 뜻이 반영된 행사"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의 전언대로 이 대통령의 깜짝 시장 방문은 역대 대통령 당선인의 첫 외부 공개 일정처럼 준비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날 방문을 통해 직접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후보 시절부터 강조해 온 '지역화폐 확대 정책'을 홍보하고 지역 경제를 살리겠다는 메시지를 담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재명 대통령은 남성사계시장 방문 사흘 뒤인 9일 열릴 '2차 비상경제점검 TF' 회의에서 20조 원 규모의 2차 추경을 논의하며 25만 원의 민생 지원금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대통령 당선인의 첫 외부 공개 일정은 그의 역점 공약과 함께 당선인의 철학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준이다. 그간 언론이 대통령 당선인의 첫 외부 공개 일정에 주목해 온 이유다. 그간의 대통령(당선자)의 첫 외부 공개 일정을 정리해 보았다.

윤석열 대통령, "코로나 위기 극복" 외치며 '남대문시장' 선택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22년 3월 14일 당선 이후 첫 외부 공식일정으로 서울 남대문시장을 찾아 상인회 회장단과 간담회를 마친 뒤 식당에서 함께 식사를 하고 있다. ⓒ 국회사진취재단관련사진보기
당선인 신분으로 윤석열 당선인이 처음 공개 일정으로 찾은 곳은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이었다. 2022년 3월 10일 당선된 윤석열 대통령은 4일 뒤인 3월 14일 첫 외부 공개 일정으로 남대문시장 상인회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했다. 당시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윤 대통령의 1호 역점 과제가 "코로나 위기 극복"이라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자영업자 분들의 현장을 직접 찾아가 목소리를 듣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석열 당선인은 남대문시장 내 67년 된 곰탕집에 방문해 상인들과 점심식사를 하면서 "저처럼 보다 많은 국민들이 시장을 즐겨 찾을 수 있도록 전통시장 홍보대사로 나서겠다"고도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 '비정규직 정규직화' 상징 인천공항 방문



▲"좋은 일자리 많이 만들겠습니다"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5월 12일 인천공항공사에서 열린 `찾아가는 대통령.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시대를 열겠습니다!' 행사에서 좋은 일자리 만들기 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 연합뉴스관련사진보기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5월 10일 취임하고 사흘째인 5월 12일 첫 외부 공식행사로 인천공항공사를 방문해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간담회를 한 바 있다. 당시 '찾아가는 대통령,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시대를 열겠습니다'라고 이름 붙인 간담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임기 안에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시대'를 열겠다"며, 상시·지속 업무나 안전, 생명과 관련된 일을 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정일영 인천공항공사 사장도 "공항가족 1만 명 모두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히며 문재인 대통령의 방문에 화답하기도 했다.

박근혜 대통령, 크리스마스 이브에 관악구 시설에서 도시락 봉사 활동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성탄절을 하루 앞둔 2012년 12월 24일 생활보장대상자들에게 줄 도시락을 만들기 위해 서울 관악구 난향동 난곡 사랑의 밥집을 찾아 자원봉사자들, 새누리당 당직자들과 도시락을 만들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관련사진보기
2012년 12월 19일 당선된 당시 박근혜 당선인은 5일 뒤인 24일 크리스마스 이브에 첫 외부 행사로 서울 관악구 난향동 '난곡 사랑의 집'을 찾아 도시락을 만들고 직접 배달도 하는 봉사활동을 했다. 박근혜 당선인은 직접 담은 도시락을 들고 근처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을 방문하기도 했다.

이날 박 당선인은 "국가가 해야 할 일을 (시설에서) 대신 하고 있는데 예산을 늘려 좀더 많은 어려운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 '전경련'서 "비즈니스 프렌들리 정부" 강조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과 이경숙 인수위원장이 2007년 12월 28일 오전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경제인 간담회에서 조석래 전경련회장,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회장, 최태원 회장과 함께 박수를 치고 있다. ⓒ 인터넷사진공동취재단관련사진보기
이명박 당선인은 기업인 출신답게 가장 먼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를 찾았다. 2007년 12월 28일 당시 이명박 당선인은 전경련에서 당시 조석래 전경련 회장, 이건희 삼성 회장,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 구본무 LG 회장, 최태원 SK 회장과 오찬 회동을 했다.


AD
이날의 일화를 전하며 <동아일보>는 "오전 10시 55분 행사장에 마지막으로 도착한 이 당선인은 '친정'을 찾은 듯 편한 표정으로 "기업인들의 건의를 들으러 왔다"며 총수들에게 악수를 청하고 일일이 친근감을 표했다"고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 이명박 당선인은 선거가 끝난 다음에 가장 먼저 찾아온 이유에 대해서도 직접 밝혔다. 이명박 당선인은 "기업이 마음 놓고 기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드리겠다고 약속"한다면서 "문자 그대로 '비즈니스 프렌들리'한 정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 '국가균형발전' 주제로 한 지역 순회 국정토론회



▲2003년 1월 27일 오전 첫 전국순회토론회 장소인 대구를 방문한 노무현 당선인이 대구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구.경북민에게 듣는다" 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관련사진보기
노무현 당선인은 첫 외부 공개 일정이라는 것이 명확하지 않으나 2002년 12월 19일 당선되고 한 달 뒤인 2003년 1월 27일, 대구를 시작으로 광주, 부산, 춘천, 대전, 인천, 전주, 제주까지 전국 8개 지역을 순회 방문하고 지역 현안 보고를 겸한 국정토론회를 계획했다.

지역주의를 타파하고자 '험지'인 부산에서 국회의원으로 출마하고 인기를 모았기에 연속선상에 있는 행보라 볼 수 있다. 당시 순회 국정토론회 또한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이 주제로, 행정자치부와 재정경제부 등 관련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그리고 지역 주민들에게도 열려 있었다. 그는 순회 국정토론회를 마치고 2주 뒤인 2003년 2월 25일 제16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대통령첫외부행사#사회분야#이재명대통령#첫외부일정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네이버 채널구독 다음 채널구독

추천5 댓글0 스크랩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원고료로 응원하기



글유지영 (alreadyblues) 내방아이콘구독하기


사람이 사람을 사람으로 대하는 일에 관심이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오마이뉴스 유지영입니다. alreadyblues@gmail.com
이 기자의 최신기사"제주항공 참사 유가족이 대통령에게 면담을 요청합니다"



갤러리
오마이포토 이 대통령 부부, 국회 청소노동자들과 기념촬영
1/3이전다음
이전다음


국회사진기자단 2025.06.04

이재명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가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제21대 대통령 취임선서식을 마친 뒤 청소노동자들을 만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