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13

알라딘: 역사 속의 성리학 Neo-Confucianism in History

알라딘: 역사 속의 성리학


역사 속의 성리학  성리총서 13
피터 K. 볼 (지은이),김영민 (옮긴이)예문서원2010-10-30

원제 : Neo-Confucianism in History






















































미리보기

정가
28,000원
판매가
26,600원 (5%, 1,400원 할인)
마일리지
800원(3%)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무료
107
양탄자배송
밤 10시까지 주문하면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중구 서소문로 89-31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733

8.5 100자평(2)리뷰(2)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
무이자 할부
소득공제 1,200원






수량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
중고 등록알림 신청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양장본
488쪽

The Mind's Own Physician: A Scientific Dialogue With The Dalai Lama On The Healing Power of Meditation | PDF | Mindfulness | Mind

The Mind's Own Physician: A Scientific Dialogue With The Dalai Lama On The Healing Power of Meditation | PDF | Mindfulness | Mind

20 pages

The Mind's Own Physician: A Scientific Dialogue With The Dalai Lama On The Healing Power of Meditation


Uploaded byNew Harbinger Publications

Date uploaded
on Jan 06, 2012
In Washington, DC, the Dalai Lama met with Jon Kabat-Zinn, author of Full Catastrophe Living, Richard Davidson, and other leading meditation researchers to explore the intersection between a…Full description
Download
67%67% found this document useful, Mark this document as useful
33%33% found this document not useful, Mark this document as not usefulEmbed
SharePrint
You are on page 1of 20


The Mind's Own Physician: A Scientific Dialogue with the Dalai Lama on the Healing Power of Meditation Paperback – 1 September 2013
by Jon Kabat-Zinn (Author)
4.5 4.5 out of 5 stars    67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17.12
Read with Our Free App
 
Hardcover
$42.22 
2 Used from $79.00
4 New from $42.22
 
Paperback
$33.95 
8 New from $33.95


By inviting the Dalai Lama and leading researchers in medicine, psychology, and neuroscience to join in conversation, the Mind & Life Institute set the stage for a fascinating exploration of the healing potential of the human mind. The Mind's Own Physician presents in its entirety the thirteenth Mind and Life dialogue, a discussion addressing a range of vital questions concerning the science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meditation: How do meditative practices influence pain and human suffering? What role does the brain play in emotional well-being and health? To what extent can our minds actually influence physical disease? Are there important synergies here for transforming health care, and for understanding our own evolutionary limitations as a species?
Edited by world-renowned researchers Jon Kabat-Zinn and Richard J. Davidson, this book presents this remarkably dynamic interchange along with intriguing research findings that shed light on the nature of the mind, its capacity to refine itself through training, and its role in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
288 pages
 2013

About the Author
Jon Kabat-Zinn, PhD, is founding Executive Director of the Center for Mindfulness in Medicine, Health Care, and Society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He is also the founding director of its renowned Stress Reduction Clinic and Professor of Medicine emeritus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He teaches mindfulness and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in various venues around the world. He received his Ph.D. in molecular biology from MIT in 1971 in the laboratory of Nobel Laureate, Salvador Luria. He is the author of numerous bestselling books about mindfulness and meditation. Overall, his books have been translated into over 30 languages.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New Harbinger Publications; Reprint edition (1 September 2013)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288 pages


Customer Reviews: 4.5 4.5 out of 5 stars    67 ratings
About the authors
Follow authors to get new release updates, plus improved recommendations.
Previous page

Follow
Jon Kabat-Zinn
Jon Kabat-Zinn, PhD, is internationally known for his work as a scientist, writer, and meditation teacher engaged in bringing mindfulness into the mainstream of medicine and society. He is professor of medicine emeritus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and author of numerous books, including Full Catastrophe Living, Arriving at Your Own Door, and Coming to Our Senses.

See more on the author's page

Follow
Zara Houshmand
Discover more of the author’s books, see similar authors, read author blogs, and more

See more on the author's page



See more on the author's page
Next page

Sponsored 


How would you rate your experience shopping for books on Amazon today?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anh tran
5.0 out of 5 stars exceed expectation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6 September 2022
Verified Purchase
I bought this book described as "Used-Very Good", sold by Jenson Books, Inc. The book I received is perfect, clean, and like new. I am so very pleased. Thank you Jenson Books.
The book itself is a pleasure to read. The book presents fascinating and interesting scientific evidence of healing effects of meditation and mind training.
Report
Big Bill
4.0 out of 5 stars Good , but requires furthur elaboration.
Reviewed in Canada on 28 March 2014
Verified Purchase
This book is worth reading for anyone interested in the Dalai Lama. This book is a record of a panel discussion
regarding the benifits of meditation on the mind , particularly regarding the treatment of depression , attended by the leading scientists in that field of study at the time. The results were very positive. While the book is an overwhelming endorsement
encouraging the study of meditation , it is not a mediation manual.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Report
Anjum Sayed
4.0 out of 5 stars I am sure this is going to be as good as his other books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5 June 2017
Verified Purchase
Have not read it fully yet, but started it and as the Dalai Lama always says the right thing, I am sure this is going to be as good as his other books. Like it and will recommend it.
Report
MR_JB
3.0 out of 5 stars Page missing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8 January 2022
Verified Purchase
Page 68 is missing. I guess I'll find out if anything else is missing as I continue to read
Customer image
Report
Mindfulness Grower
5.0 out of 5 stars Being There!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30 October 2012
Verified Purchase
I have had the pleasure of hearing live, both Jon Kabat-Zinn and Richard Davidson, so was very interested in this work. As I work my way through the book, it is like "being there" and listening to this very powerful dialogue. I find myself re-reading pages, and then turning back to the index, and looking for links and connections that add to my understanding. This is going to be on my must read list for individuals in my meditation and mindfulness experiences from cancer survivors to employees. Enjoy and grow!
7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Displaying 1 - 10 of 40 reviews
Profile Image for RandomAnthony.
RandomAnthony
394 reviews
110 followers

Follow
April 10, 2012
The Mind's Own Physician is a fascinating book. The text is an edited collection of transcripts from a conference where the Dalai Lama listened and responded to various presentations (from what I can tell) on the intersection between meditation/mindfulness and empirical brain research. Moderated dialogue and questions from the audience followed each presentation. I'm not a neurologist (they're the ones who study the brain, right?) but I could follow along with the science pretty well and comprehend most of the conversations' implications (I hope). The dialogue appeared to focus mostly on how meditation and meditation-like activity impact the brain and, by extension, physical health and well-being. For example, a presenter might discuss the findings of a study on how meditation succeeded or failed to succeed in treating chronically depressed patients. Then the Dalai Lama would respond with his perspective of how the Buddhist tradition might frame these implications.

This book is more interesting than I'm describing. A few of the scientists are downright giddy with meditation's potential health impact, but they're academics, so they're careful to temper their assertions with reasonable concerns about methodology. The text and conference seem to embody rarefied air; I don't think a reader could ever lose the sense that the conference speakers are a slew of rich white people fawning over the Dalai Lama, and some of the conversations about the definition of happiness, while well-intentioned, are tainted a bit as I picture these broad, theoretical dialogues taking place in a comfortable auditorium amongst pampered professors. Still, I think the participants mean well, and they seem way into what they're doing. I learned a lot about the brain and strengthened my very inconsistent meditation practice while reading The Mind's Own Physician. I imagine nearly all academic conferences would make awful books, but The Mind's Own Physician is an exception, and whoever chose to transform the conference into a book made a wise decision.

5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Carol.
Carol
1,639 reviews
22 followers

Follow
February 6, 2012
'The Mind's Own Physician' is a dialogue in five sessions between the Dalai Lama and a set of physicians and researchers before an audience at the Mind and Life Institute. If you would like more information about the past or future sessions, here is the web address:
http://www.mindandlife.org/

The dialogue in this book was aimed at finding meditation and mindfulness practices that could be incorporated in medicine. There are very many ways to meditate as HH Dalai Lama states. He didn’t have an educational background in medicine, biology so he needed more information about the terms or how things worked, he asked questions. He was asked to and gave a summary of the principle themes in Buddhism. That also helped to make sure that no one was getting lost when he was using terms common in Buddhism.

Since I don’t want to give too much away in the findings explored and the commonalities of Buddhist thought and modern neurobiology, I will just mention a little of what was discussed in Session One.

Pain was discussed. HH Dalai Lama explained there are two parts to pain (1) the pain itself and (2) the arrows around it or the feelings around it. We ask ourselves, will this ever end? It is killing me; will it ever get any better? Buddhist meditation can do nothing about the pain but it can change the added pain of thoughts about the pain. And that can help people feel better. That part of the burden can be lifted and the person with pain can feel freer.

A research study on psoriasis was given as an example of using mediation as a healing tool.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UVB or PUBA light treatments. Bu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also listened to meditation tapes. But as illustrated in this book, the graphs showed that the group who listened to the tapes healed faster than those who just received the light treatment.

This book does still have a lot of religious and medical terminology that you need to lear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s so it is not a book that you can read quickly. I recommend reading about one session and then letting the book sit for a while. That way, you can come up with your own questions and perhaps explore something in more detail that was brought up in a chapter.

I recommend this book to everyone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meditation to medical problems.

I received this book from the GoodReads program but that in no way influenced my review.


2012
 
first-reads
 
non-fiction

2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Matthew.
Matthew
34 reviews
3 followers

Follow
August 12, 2022
Sadly, not much of a dialogue. More like people talking at each other. The scientists and clinicians try to champion "meditation", this apparently universal remedy, while the Buddhists keep trying to remind everyone that "meditation" isn't one thing, that each form has its own purposes and methods, and that some could even be harmful to the wrong person at the wrong time. The best parts of the books are the discussion sessions between presentations where the Monks share at length about Buddhist theories and practices. Makes me want to keep learning more.

2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Anthony Louis Garavito.
Anthony Louis Garavito
103 reviews
7 followers

Follow
February 12, 2019
The dialogues have extensive philosophical, scientific and religious content. It touches on such interesting topics as psychology, medicine, neuroscience and theology. From the hand of eminent world-class researchers such as Richard Davidson, Jon-Kabat Zinn and Wolf Zinger, they teach us in a well-founded way the importance of training the mind to achieve well-being and emotional balance that the citizens of the 21st century so need. Meditation is not a practice exclusive to a religious group; Quite the opposite is a universal and secular training; as Buddha said: Do not do the things I teach you because Buddha says so; Put them into practice yourself and draw your own conclusions. The interventions that I liked the most were those of Matthieu Ricard, Ajan Amaro and Alan Wallace.
favorites
====





























일본 주자학 - 제타위키

일본 주자학 - 제타위키

일본 주자학

목차
1 개요
2 관련서적
3 함께 보기
4 참고
1 개요
일본 주자학
2 관련서적

안거 (하안거, 동안거) www.buljahome.com [불자홈]

안거 (하안거, 동안거)_나누며 함께하는 www.buljahome.com [불자홈]



   좋은 달은 이울기 쉽고
   아름다운 꽃엔
   풍우(風雨)가 많다
   그것을 모순이라 하는가

   어진 이는
   만월(滿月)을 경계하고
   시인은 낙화(落花)를
   찬미하느니
   그것은 모순의 모순이다

   모순이 모순이라면
   모순의 모순은
   비모순이다.

   모순이냐 비모순이냐
   모순은 존재가 아니고
   주관적이다.

   모순의 속에서
   비모순을 찾는
   가련한 인생

   모순은
   사람을 모순이라 하느니

   아는가.


안거(安居, Varsa)란, 유행을 멈추고 머물러 수행하는 것으로, 원래 인도에서는 우기인 몬순기에는 비가 많이 오는데, 이 때에는 수행자들이 다니기가 불편하고 어려움이 많아, 몬순기에 해당하는 3개월 동안 유행을 중단하고 한 곳에 머물러 수행을 하게 된 연유에서 생겨난 것으로, 이후 불교교단의 특수한 연중행사로 자리잡은 것이며, 이를 '안거(安居)'라고 이름하고 있다. 최초의 안거는 석존 재세시 '라자가하'에서 이루어졌다고 한다_

우리나라에서 치루어지는 '안거'내용을 보면
_♧ 하안거(夏安居) : 음력  4 월 15일 ~ 음력 7월 15 일.
_♧ 동안거(冬安居) : 음력 10월 15일 ~ 다음해 음력 1월 15일 까지의, 두 번이 있다. -

 안거(安居)가 시작되는 첫날을 '결제(結制)'라 하고, 안거기간 동안의 안거를 마치고 해당 기간의 안거를 푸는 (結制→終)것을 '해제(解制)'라고 한다. 

또한 안거 기간중의 마지막 날은 '자자일(自恣日)'이라 하여, 안거기간 중에 잘못을 묻고 답하는 '자자(自恣)'라고 하는 참회의식을 치루게 된다. 

이 안거는 석존 당시부터 행하여 지던 것으로
석존의 열반 이후에도 불교가 전해진 지역 · 나라에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행하여지고 있는 것(행사)이다. 

사찰에서는 안거가 시작되면 보통 100일기도를 입재한다. 

- 재가불자들 또한 이 기간 실질적인 삶속에서 수행생활의 용맹정진 기간으로 활용되면 좋을 것이다.

정제두 철학의 새로운 해석 - 시대적 배경ㆍ선대 철학자 비판ㆍ생리설을 중심으로 -

정제두 철학의 새로운 해석 - 시대적 배경ㆍ선대 철학자 비판ㆍ생리설을 중심으로 -

정제두 철학의 새로운 해석 - 시대적 배경ㆍ선대 철학자 비판ㆍ생리설을 중심으로 -
Die neue Interpretation in der Philosophie der Jeongjedu
동양철학

2011, vol., no.36, pp. 249-273 (25 pages)

DOI : 10.19065/japk..36.201112.249

UCI : G704-001243.2011..36.004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 철학
김승영 /Seungyoung Kim 1
1충남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정제두의 철학을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새로운 해석이란 시대적 배경과 선대철학자를 넘어서 자신의 논리를 계발한 것을 말한다. 이것은 생리설(生理說)로 나타난다. 시대적 배경에는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반에 몰아닥친 양란을 통해 기존 성리학의 체계로는 시대정신을 담지할 수 없음을 파악하고 기존의 성리학자들의 핵심사상을 논박한 가운데 자신의 입론을 세운 것이 생리설이다. 그는 양란 이후 밀어닥친 사상적 교조주의에 맞서 자신만의 세계관을 내세워 일관되게 밀고 나간 것이 양명학이었다. 윤증과 박세채로부터 성리학에 대한 이탈을 지속적으로 지적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초지일관 양명학을 버리지 않았다. 기실 이러한 배경에는 그가 강조하고 있듯이, 양명의 학이 정주의 학과 다를 것이 없다는 기조에 서 있다.
그의 학문적 입론이 단순히 중국의 양명학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16세기 선대학자들의 사상적 핵심을 비판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완성된 자신만의 양명학이라 할 수 있다. 서경덕의 기일원론을 비판하고, 이황의 리기 이원론을 반대하였으며 더 나아가 이이의 리무위설을 논박하기에 이른다. 그러한 논박의 토대 위에서 자신이 고안한 ‘생리’라는 논리를 창출하게 된다.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반까지 휩쓴 전쟁의 시기를 마감하고 국가재건이라는 엄청난 난국의 시기에 정제두 만의 시대를 관통하는 독특한 사상적 논리를 만든 것이다. 이 생리는 마음의 능동성이며, 도덕의 분별성이고, 진리의 생명성을 담지하는 개념이다. 생리를 간직한 인간은 진리를 주체적으로 실천하게 되고 전 우주적 세계로 확장시켜 나간다. 양지의 본체가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므로 마음의 주체성을 강조하게 되는 것이다.


Dieses Papier hat die Ideen der Jeongjedu untersucht. Seine Ideen “saengli(生理)” erscheint als das Konzept. Er zeitweise gegen den ideologischen Dogmatismus vor, die eigene Weltsicht. Es ist Yangmingstudie. Seine akademische Position ist einfach nicht zu beachten Chinas Ming haben. Er kritisiert früheren Gelehrten Ideen und zur Überwindung der Kern im Laufe abgeschlossen sein wird. Er Seogyeongdeok, Hwang, Yiyi sollten zu kritisieren.
Seine Studie ist die Philosophie der : “saengli”. Dies ist die Subjektivität der Moral. So erweiterte die universelle Wahrheit “saengli” als Veranstalter in die Welt hinaus. Der Yangji(良知) in den Herzen aller Menschen von Natur aus vorhanden ist. Er betont die Universalität des menschlichen Willens. Dies ist ein Beweis der menschlichen Gleichheit.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정제두, 생리, 진리, 물리, 리기체용일원론
Jeongjedu(鄭齊斗), Saengli(生理), Wahrheit(眞理), Mulli(物理)
===


한국 양명학의 형성과 하곡 정제두 - 양명학 - 한국양명학회 : 논문 - DBpia 2001

한국 양명학의 형성과 하곡 정제두 - 양명학 - 한국양명학회 : 논문 - DBpia



한국 양명학의 형성과 하곡 정제두

The Yang-ming Studies formalized in Korea and Jeong, Jae-doo
저널정보한국양명학회
양명학 학술저널
陽明學 제6호
2001.8 5 - 33 (29page)
저자정보송석준
이용수446
내서재0
피인용수2
인용
244개 국내 학회 간행물 인용양식 구축공유
내서재 담기다운받기논문보기


초록·키워드오류제보하기
조선조에 있어서 양명학의 배척은 양명학 자체가 이단사설의 학이었다기보다는 양명학이 수용되는 역사적 배경과 사회적 조건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이다. 그것은 중국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주자학의 한계가 노정 된 이후 이를 극복하려는 양명학이 전개된 것과는 달리 조선에 있어서 양명학은 오히려 주자학의 학문적 성과가 절실하게 요청되었던 시점에 전래되었다는 점이 양명학 배척의 중요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양명학은 조선 최대의 양명학자 하곡 정제두를 기점으로 하여 학문적 성격을 중심으로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되고 있다.
첫째는 조선 후기의 실학사조와 경향을 함께 하는 양명학이다. 조선조는 임ㆍ병양난을 계기로 민생이 도탄에 빠지게 되자 당시 주도적인 학문이었던 주자학에 대한 비판 의식이 싹트기 시작하였다. 이에 양명학은 현실 문제 해결이라고 하는 차원에서 실학과 그 흐름을 함께 하게 된다.
둘째는 전통 유교로부터 천주교로 전향해 가는 학자들에 의해 형성된 양명학이다. 조선 후반기에 전래된 천주교(Catholicism)는 합리적이고 규범적 형식을 중시하는 주자학보다는 정감적이고 주체적 판단을 중시하는 양명학을 매개로 하여 당시 종교적 성향을 지닌 양명학자들에 의해 수용ㆍ전파되기에 이르렀다.
셋째는 개화사상과 관련하여 東道西器的 主體思想으로 수용된 양명학이다. 서세동점의 위기 속에서 박은식에 의해 수용된 양명학은 당시의 시대 상황과 관련하여 주체의 학문으로, 그리고 시대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隨時應變의 학문으로 수용되었다.
하곡 정제두는 한국 양명학의 대가이다. 그의 학문적 특징은 ‘참된 마음(實心에 바탕을 둔 참된 인간상의 확립’이었으며, 그는 이러한 이론을 가지고 여러 가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 중 生理論과 良知體用論은 하곡 양명학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이론이다.

Yang-ming Studies was introduced to Korea at the height of Chu-tzu Studies instead Yang-ming Studies arose succeeding to Chu-tzu Studies in China. It was the time everyone was desperate for the scientific result of Chu-tzu Studies and the scholars specializing in Chu-tzu Studies tried to exclude Yang-ming Studies at the beginning stage. Yang-ming Studies was developed in three different courses afterward. Jeong, Jae-doo was one of the scholars who led Yang-ming Studies those days.
Yang-ming Studies developed in the Practical Science:
Lee Dynasty was in disorder suffered "The Im-Jin War" and "The Byung-Ja War" and Chu-tzn Studies had been faded away from the realities of life. The scholars accommodated Yang-ming Studies to bring the actual matters to a settlement as the practical science.
Catholicism accommodated and spread by the scholars studied Yang-ming Studies:
Those scholars of a religious disposition, who studied Yang-ming Studies, accommodated and spread Catholicism, introduced at the latter period of the Lee Dynasty, through the medium of Yang-ming Studies since Yang-ming Studies laid stress on sentimental, subjective decisions, instead Chu-tzu Studies stressed reasonable, nonnative formality.
Yang-ming Studies with Park, Eun-sik:
During the last period of conversion of Lee Dynasty, Yang-ming Studies was accommodated by Park, Eun-sik. Park was a scholar who took an active part as a philosopher during the period of conversion. He assured himself that the crisis of those days could be overcome by Yang-ming Studies Park realized Yang-ming Studies had a good point of accommodating the merit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without losing our subjectivity such a changeful period.
Jeong, Jae-doo was one of most famous scholars majored in Yang-ming Studies His distinctive feature was scientifically to establish 'Genuine-Humanity' based on a truthful-heart. He tried to resolve the actual problems existing on the basis of his theory. Among his theory, 'The Realistic-Principles(生理論)' 'The Essence & Function of the Soul(良知體用論)' are important as those ideas distinguish from others.접어두기
#실학#천주교#개화#주체성#양지론#생리론
목차

논문 개요
Ⅰ. 서론
Ⅱ. 양명학의 전래와 수용
Ⅲ. 한국 양명학의 형성과 전개
Ⅳ. 한국 양명학에 있어서 하곡의 위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0)

정제두 - 위키백과, 양명학자

정제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제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제두(鄭齊斗, 1649년 8월 5일(음력 6월 27일)∼1736년 9월 15일(음력 8월 11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다. 본관은 영일,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 추곡(楸谷)이다. 성리학자였으나 양명학에 관심을 갖고 양명학자가 되었으며 강화학파의 시초가 되었다. 윤증의 문인이다.

생애[편집]

포은 정몽주의 후손으로 어려서 조실부모하여 현종 때 우의정을 지낸 할아버지 도촌 정유성 밑에서 자랐다. 일찍이 학문에 뜻이 있어 백가(百家)에 통달하였고, 박세채윤증의 문인이다. 숙종 때에 6품(六品)·대성(臺省)·방백(方伯)의 벼슬을 받았으나 사퇴하고 전생애의 대부분을 학문 연구에 바쳤다. 

처음에는 주자학을 공부했으나 곧 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20여세 때부터 양명학(陽明學)에 심취(心醉), 41세에 안산(현 시흥시 화정동 가래울楸谷)으로 이거하여 당시 학계와 정계에서 이단으로 몰려 배척당하면서도 조선 최초로 양명학의 사상적 체계를 완성(학변學辯 존언存言 저술) , 그의 이러한 학문은 비판적인 그의 학풍과 함께 61세 이후 강화도 하곡(霞谷)로 이주하여 신작(申綽)·이광사(李匡師)·유희(柳僖) 등 실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왕양명의 학설 중 제일의(第一義)라고 할 수 있는 '치량지설(致良知說)'의 '양'(良)이 '지'(知)에 대하여 주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즉 '치지'의 '지'(知)가 지식의 '지'(知)가 아니라 선천적 지혜라고 했다. 그러므로 '양'(良)는 생래적으로 얻은 혜명(慧明)한 선천적 지성을 뜻한다고 했으며, '양지'가 있으므로 경험이 가능하고 지식을 지식으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성현의 말씀이 중요한 것은 그 말씀 속에 흐르는 논리가 중요한 것이요, 논리보다도 그 논리를 이해할 수 있는 양지가 더욱 귀하다고 했다.

그의 학풍은 조선과 한국의 학술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그의 학술사상의 본령(本領)은 양명학에 있었다. 

그의 저서로는 <논어해(論語解)> <맹자설(孟子設)> <존언(存言)> <서(書)> <성학설(聖學說)> <대학설(大學說)> <중용해(中庸解)> 등이 있다.[1]


참고자료[편집]어느 양명학자의 커밍아웃 한겨레 21 2006년12월14일 제639호
====
정제두

최근 수정 시각: 2023-10-10 02:07:44
https://namu.wiki/w/%EC%A0%95%EC%A0%9C%EB%91%90
분류 1649년 출생조선의 유학자연일 정씨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


정제두(鄭齊斗, 1649-1736)는 독창적인 안목으로 우리나라 양명학(陽明學)의 체계를 완성한 조선후기의 유학자(儒學者)입니다. 호는 하곡(霞谷)이고 자는 사앙(士仰)이며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1337-1392)의 11대손입니다. 그는 효종 1년인 1649년에 한양에서 태어나 노론(老論)과 소론(少論) 대립의 정치적 파란의 시기였던 영조시대(1724-1776 재위)까지 살았던 인물이며 많은 저서를 남겼습니다.


그는 당시 절대적 우위를 차지했던 학문인 성리학과 억압받고 있던 학문인 양명학의 양면을 두루 섭렵하여 높은 안목을 갖추었던 인물입니다. 그러한 안목을 토대로 당시 억압받아오던 양명학을 연구하여 하곡학파, 혹은 강화학파로 불리는 한국적 양명학을 체계화하였으며 200년 이상 대를 이어 내려올 수 있는 사상적 기반을 만들었습니다.


하곡은 사상적으로 한국적 양명학이라는 독창적인 사상체계를 정립하였을 뿐만 아니라 주로 은둔하여 학문에 몰두하였음에도 정치적으로도 높은 영향력이 있었으며 영조에게 탕평책을 진언하여 어려웠던 시기 정국의 안정에 크게 기여한 인물입니다. 또한 경세학, 자연학 등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제자로는 조선후기 명필로 이름난 원교 이광사 등이 있습니다.




===

정제두 (鄭齊斗)


목차메뉴 접기정의
개설
생애 및 활동사항
학문세계와 저서
상훈과 추모
참고문헌



하곡문집 / 학변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학변』, 『존언』 등을 저술하였으며, 양명학을 발전시켜 사상적 체계를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경세론을 전개한 학자.
이칭자사앙(士仰)호하곡(霞谷), 추곡(楸谷)시호문강(文康)
인물/전통 인물성별남성출생 연도1649년(인조 27)사망 연도1736년(영조 12)본관영일(迎日)더보기
접기/펼치기정의
조선 후기에, 『학변』, 『존언』 등을 저술하였으며, 양명학을 발전시켜 사상적 체계를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경세론을 전개한 학자.

접기/펼치기개설


서울 출신.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 · 추곡(楸谷).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 정유성(鄭維城)이고, 아버지는 진사 정상징(鄭尙徵)이며,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호조판서 이기조(李基祚)의 딸이다.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이다.

조선에 전래된 양명학주1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최초로 사상적 체계를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경세론을 전개한 조선 후기의 양명학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몇 차례 과거시험에 실패한 뒤 1672년(현종 13)부터는 과거공부를 그만두고 학문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1680년(숙종 6)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천거로 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종부시주부 · 공조좌랑에 임명되었다. 1688년 평택현감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서연관(書筵官)을 비롯하여 상령군수 · 종부시주부 · 사헌부장령 · 사헌부집의에 임명되었다.

1709년 강화도 하곡(霞谷)으로 옮겨 살았으며, 호조참의 · 강원도관찰사 · 동지중추부사 · 한성부좌윤에 임명되었다. 1722년(경종 2) 사헌부대사헌 · 이조참판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성균관좨주 · 사헌부대사헌에 임명되었다. 1726년(영조 2) 이정박(李廷撲)이 정제두가 양명학을 한다고 배척했으나 영조의 보호를 받았다. 1728년 의정부우참찬에 임명되었고, 1736년 세자이사(世子貳師)에 임명되었다.


학문세계와 저서


정제두는 처음에는 주자학을 공부하다가 일찍부터 양명학에 심취하였다. 당시의 도학은 정통주의적 신념에서 양명학을 이단으로 배척했으나, 정제두는 확고한 신념으로 양명학의 이해를 체계화시키고 양명학파를 확립하였다.

정제두는 당시 주자학의 권위주의적 학풍에 대해 학문적 진실성이라는 관점에서 비판하면서, “오늘날에 주자의 학문을 말하는 자는 주자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곧 주자를 핑계대는 것이요, 주자를 핑계대는 데에서 나아가 곧 주자를 억지로 끌어다 붙여서 그 뜻을 성취시키며, 주자를 끼고 위엄을 지어서 사사로운 계책을 이루려는 것이다.”라고 지적하였다.

정제두는 송시열(宋時烈)과 서신을 통해 경전의 뜻과 처신의 의리 문제에 관해 논의하였고, 스승 박세채를 비롯하여 윤증(尹拯) · 최석정(崔錫鼎) · 민이승(閔以升) · 박심(朴鐔) 등과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양명학의 문제를 토론하였다.

박세채는 「왕양명학변(王陽明學辨)」을 지어 양명학을 비판하고, 정제두에게 양명학을 버리도록 종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제두는 “왕수인(王守仁)주2의 학설에 애착을 갖는 것이 만약 남보다 특이한 것을 구하려는 사사로운 마음에서 나온 것이라면 결연히 끊어 버리기도 어려운 바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가 학문하는 것은 무엇을 위한 것입니까? 성인의 뜻을 찾아서 실지로 얻음이 있고자 할 뿐입니다.”라고 하며 결연한 자세를 보여주었다.

특히 민이승과는 여러 차례 만나서 토론을 벌이거나 서신을 통해 조목별로 심즉리(心卽理) · 치양지 · 지행합일 · 친민(親民) 등 양명학의 문제들에 관해 논의함으로써 양명학과 주자학에 관한 본격적인 토론을 전개하였다. 또한 민이승에게 왕수인의 글을 초록하여 제시하기도 하고, 「양지체용도(良知體用圖)」와 「여명체용도(麗明體用圖)」를 그려서 양명학의 심성론과 양지론의 도상적 표현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정제두는 왕수인의 심즉리를 받아들여 주자가 마음[心]과 이(理)를 구별하는 것을 비판하고 마음과 이의 일치를 주장하였으며, 이와 기(氣)의 이원화도 거부하고 이기합일론의 입장을 취하였다. 나아가 이가 마음과 일치되어 마음 밖에 이가 따로 존재할 수 없게 되기에 이가 공허하지 않고 실실하게 있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정제두는 양지의 개념에 대해서 지각이나 지식의 뜻과 구별하여 성체(性體)의 지(知)요, 본연의 선(善)이며, 오상(五常)의 지(知)를 가리키는 것이라 하여 성의 본체라 하였다. 「양지체용도」에서도 중심의 원 속에 마음의 성과 인의예지(仁義禮智), 마음의 본원과 양지의 본체를 동일시하고 있으며, 바깥의 가장 큰 원은 천지만물인 동시에 마음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정제두는 심(心) · 성(性) · 정(情)의 관계도 성은 양지의 본체이고, 정은 양지의 작용이며, 마음은 바로 양지의 전체라 이해하였다. 또한 지행합일설에 대해서도 지와 행을 둘로 나누어 놓는 것은 물욕에 가려진 것이라 하고, 양지의 본체에서 보면 지와 행이 하나라고 지적하였다.


정제두는 이황과 이이의 성리설도 비판하면서 양명학의 확립에 전념하였다.
아들 정후일(鄭厚一)을 비롯하여 윤순(尹淳), 김택수(金澤秀), 이광사(李匡師) 형제 등이 정제두의 문인으로서 학풍을 계승하였으며, 정제두가 속하는 소론의 가학으로서 학파를 형성하여 강화도를 중심으로 표면에 나타나지 못한 채 계승되어갔다.

저서로는 양명학의 치양지설(致良知說)과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을 받아들여 저술한 『학변(學辨)』 · 『존언(存言)』, 경전 주석서인 『중용설』 · 『대학설』 · 『논어설』 · 『맹자설』 · 『삼경차록(三京箚錄)』 · 『경학집록』 · 『하락역상(河洛易象)』, 송대 도학자의 저술에 대한 주석서인 『심경집의(心經集義)』 · 『정성서해(定性書解)』 · 『통서해(通書解)』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The Trinity in Asian perspective : Lee, Jung Young Internet Archive

The Trinity in Asian perspective : Lee, Jung Young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The Trinity in Asian perspective
by Lee, Jung Young

Publication date 1996
Topics Trinity, Theology, Doctrinal -- Asia, Christianity and culture, East and West, Religion, Theology, Doctrinal, Trinitätslehre, Christian sociology, East and West -- Religion -- Christianity, Asia -- Religion, Asia, Asien, Asia -- Religion -- Christianity
Publisher Nashville : Abingdon Press
Collection inlibrary; printdisabled; internetarchivebooks
Contributor Internet Archive
Language English
255 pages : 23 cm

Western Christians often despair of finding meaning in the paradoxical statement that God is both "One" and "Three". The problem, says Jung Young Lee, is not with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tself; rather, it is with the Western conceptual tendency to view reality in exclusive, "either/or" terms. The Trinity is at its heart an inclusive doctrine of one God who is nonetheless three distinct persons. In order to grasp this fact, we need different conceptual categories, not only with which to view God, but all of reality. The Asian philosophical construct of yin and yang can offer a way out of this problem, with its inherently "both/and" way of thinking. Drawing on a variety of East Asian religious traditions, Lee offers a creative reinterpretation of this central Christian doctrine. He shows how a global perspective can illuminate Western theological constructs as he establishes the necessity of a contextual approach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 Book cover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pages 246-251) and index
===
삼위일체의 동양적 사유 
이정용 (지은이),임찬순 (옮긴이)동연출판사2021-12-09

원제 : The Trinity in Asian Perspective (1996년)







412쪽
목차


1장 머리글
2장 음양의 상징적 사유: 동양적 시각
3장 삼위일체적 사고
4장 성자 하나님
5장 성령 하나님
6장 성부 하나님
7부 신의 삼위일체 서열
8부 삼위일체적 삶
9장 결론



저자 및 역자소개
이정용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35년 평안남도 출생으로, 한국동란 직후 도미하여 오하이오 핀들레이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한 후 개럿신학교에서 신학석사를, 보스턴대학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3~1964년 흑인 대학인 하워드대학의 전문사서로 근무하면서 흑인민권운동에 참여했으며, ‘한국농촌목회자 평생교육을 위한 재단’(Fund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Korean Ministers)을 설립하여 농촌목회자들을 돕기 위해 헌신했다. 1968년부터 오토바인대학, 노스다코타주립대학에서 종교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기독교 및 세계종교를 가르... 더보기

최근작 : <[큰글자책] 역易과 모퉁이의 신학>,<역易과 모퉁이의 신학>,<그 길을 걸으라> … 총 8종 (모두보기)

임찬순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 철학과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철학과 종교학을 공부했다. 벨기에 루뱅대 연수 후 미국 뉴저지 드루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Div.)와 박사(Ph.D.)를 마쳤다. 현재는 텍사스 알링턴에 있는 언약감리교회(UMC of the Covenant)를 섬기고 있다. 재미 신학자 고 이정용 박사의 제자로 ‘정용리안’으로 불렸으며, 역서로는 줄리아 칭의 『유교와 기독교』, 이정용의 『삼위일체의 동양적 사유』와 목회현장을 담담하게 그려낸 영성시집 『바람의 노래, 목자의 노래』가 있다.

최근작 : <[큰글자책] 역易과 모퉁이의 신학>,<역易과 모퉁이의 신학> … 총 5종 (모두보기)
====
A Glimpse at Spirituality
Quiet Reflection: Toward Human Flourishing by Lan Yong Xing
Wednesday, 17 July 2013
TRINITY IN ASIAN PERSPECTIVE

Jung Young Lee’s Trinity in Asian Perspective departs from the author’s view on the needs to present and share Asian perspective of the Trinity to the Western world. As the world has become more and more interrelated as the result of globalization, therefore no longer can Europe be seen as the axis of world civilization. The rapid growth of Christianity in Asia has changed the once “Christian West” into “Global Christianity” (my terminology). Lee’s attempt in introducing the Trinity in Asian perspective is not to replace the traditional theology of the Trinity but to complement it. Lee modestly presents this new insights or new dimension of thinking in his thesis. He equates his thesis to his daughter’s Sunday School drawing of God – a flat-faced person with big eyes. Due to our finitude, we cannot have full understanding about the infinite God. God is far beyond our comprehension to grasp.

The reviewer agrees with the author on the understanding of God as “an unknown mystery” (p.12). God is beyond human comprehension. Lee has rightly said, “When we speak of God, we therefore mean the God of our understanding, who is not identical with Godself” (p.13). Lee is right when he adds “everything we say or attempt to say about God is not about God himself but about our perception of God through the symbols or images that are meaningful within the limits of our own existence in time and space” (p.50). 

Lee also reminds that every theological statement we make is “a symbolic statement” because we cannot talk about the reality of God for we can only understand God in terms of its meaning to our lives (p.13). Hence, the task of theology is not to replace symbols but to find its meaning to our lives. Lee understands the task of theology as “symbolic quest” seeking the meaning of divine reality (p.14). With this in mind, we can move forward to explore Lee’s delineation on the Trinity in Asian perspective.

Yin Yang symbolic thinking is used by Lee as East Asian way of thinking to examine the concept of Trinitarian God. Lee believes that yin-yang symbol is deep-rooted in the sub consciousness of the East Asian mindsets (p.23). He calls it “collective sub-consciousness”, imprinted and resides in East Asian worldview. Similar to David Kwang Sun Suh, Lee also thinks that theology is autobiographical, however Lee adds that theology is more than an autobiography, it is the story of a life journey (p.23). This is Lee’s prolegomena in developing his minjung theology.

Yin-ying symbolic thinking is relational thinking, non-conflicting but “complementary dualism” (p.31). Lee calls the yin-yang complementary dualism as “both-and” thinking different from Aristotelian either-or logic. By “both-and” meaning it also includes “either-or” because “both-and” that rejects “either-or” is an “either-or” itself. According to “I-Ching” change is the ultimate reality whilst being and substance is its manifestation (p.27). Hence, in order to understand yin-yang we need to shift our basis of thinking from ontological to changelogical (p.27). “Change is the ultimate reality in yin-yang symbolic thinking” (p.53).
Lee urges his readers to preserve the symbol of “one in three and three in one” (p.57). Lee affirms that replacing the numbers “three and one” with other symbols such as “plurality-singularity or unity-diversity” does injustice to Trinity (p.55).  Jesus’ Trinitarian statement “I am in the Father and the Father is in me” (John 14:11) is the best proof for the co-existence and non-contradictory for one and three and three in one according to yin-yang thinking (p.59).

“If everything in the world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yin-yang symbolism, then everything that happens in the world can be regarded as a trinitarian act” (p.63). Lee uses East Asian notion of Trinity: heaven, earth and humanity in correspondence with Christian Trinity - heaven as Father, earth as the Holy Spirit and humanity as Christ (p.64). Lee explains that God is both personal and non-personal being (p.65). In the reviewer’s understanding, God is personal because He relates, He is deeply involved in His creation and God is impersonal in His various manifestations in His creation.

Lee demonstrates that Christ is beyond male for Christ is both male and female as He is a single person but also a people representing a community (pp.78-79). Thus, according to yin-yang thinking system, Christ is both the Son and the Daughter of God. Ironically, Lee’s yin-yang thinking system is open for Christ to be the Daughter of God but cannot accommodate God the Father as God the Mother. Lee firmly states that the view of God as Mother is making Christianity into an “ahistorical religion” (p.191) because Christ Himself calls God as Father. Isn’t it more ahistorical if we call Christ the Daughter of God? Does Jesus have to be a female in order to be able to represent individuality and communality?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its connectivity and relevancy to living. We can probably view “Trinitarian Living” as the pinnacle of Lee’s doctrine of the Trinity (p. 180). Lee has clearly explained in the beginning of his book that theology is autobiographical, it is a life story and our knowledge of God is derived from His revelation as well as our experience with Him. Hence, we cannot take “Trinitarian Living” out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arian God. God the Creator, Provider and Sustainer of Life will never be apart from living. Our living is dearest to Him, for He cares and loves to relate.

Lee’s cosmo-centric approach to anthropology can be a good bridging point to bring across the gospel to the Chinese community as the Chinese tends to use cosmological approach to explain about the human person. Yin-yang philosophical thinking is the best example of this kind of approach. The role of human beings in the world is an important point for reflection for it determines the meaning of life. Lee uses Chi in parallel with the Spirit. Seemingly, Lee is unconcerned to differentiate between Chi as the Holy Spirit and Chi as any other spirits. The reviewer thinks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between Chi and the Holy Spirit. Using the term Chi to explain about the Holy Spirit can be helpful but it will be harmful if differentiation is not made. Other spiritual entities or demonic spiritual entities are to be carefully considered and observed.

Hopefully, Lee’s modest presentation of the Trinity in East Asian perspective inspire more Asian theologians to explore and develop theology in Asian perspective to complement the so-called western theology. With the help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becomes much easier. Theology from various parts of the world can interact and complement one another. It is time for Global Christianity.


at July 17, 2013  
Email This
BlogThis!
Share to Twitter
Share to Facebook
Share to Pinterest
Newer PostOlder PostHome
Kekuatan Kelemahlembutan - Bilangan 12


MENGAPA ROH ALLAH MELAYANG-LAYANG DI ATAS AIR?
Kej 1:2   Bumi belum berbentuk dan kosong; gelap gulita menutupi samudera raya, dan Roh Allah melayang-layang di atas permukaan air. Bu...

Persepsi & Insepsi
Setiap kita hidup dengan ide, pandangan, persepsi, konsep dan paradigma. Setiap tindakan dan keputusan kita dipengaruhi oleh ide, konsep mau...

왜 하나님의 영이 물 위에 매달리나요? 창 1: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캄캄함이 깊음을 덮었고 하나님의 신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부인... 인식 및 시작 우리 모두는 아이디어, 관점, 인식, 개념 및 패러다임을 갖고 살고 있습니다. 우리가 내리는 모든 행동과 결정은 아이디어, 개념의 영향을 받습니다.








알라딘: 역易과 모퉁이의 신학 - 육성으로 듣는 이정용 박사의 삶과 신학 이야기 이정용 2023

알라딘: 역易과 모퉁이의 신학


역易과 모퉁이의 신학 - 육성으로 듣는 이정용 박사의 삶과 신학 이야기 
이정용 (지은이),임찬순 (엮은이)동연출판사2023
-03-19
다음







전자책
13,300원
356쪽

책소개
임찬순 박사가 묶어 낸 이정용 박사의 육성은 그의 학문적 공과 신학적 상상력의 세계로 우리를 끌어들이고 있다. 동양적 해석학을 다루면서도 한국적 신학과 영성의 숨 자리를 다양하게 접근해 온 이정용의 학문 여정은 더욱 정진하고 다듬어가야 할 우리의 신학적 과제를 제시한다. 생생하게 울리는 이정용의 육성은 우리 시대에 절실한 신학하는 사명을 가진 목회자들과 교회에 주는 진정한 ‘살아내는 신학’(Doing & Living Theology)의 지침서이다.


Philo Kalia · 한국신학 독서회: 10월 13일(금, 74회) 제1장 “머리글”(21-36) 교재: 이정용, 『삼위일체의 동양적 사유』

Facebook

Philo Kalia
·
한국신학 독서회:
10월 13일(금, 74회) 10.00시: 제1장 “머리글”(21-36)
교재: 이정용, 『삼위일체의 동양적 사유』(동연, 2021)

ZOOM(ID: 380-389-5679):
 
오늘부터 서양신학자들의 신학이 아니라 한국신학자들의 신학을 공부하게 된 것을 정말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 큰 기쁨을 왜 이제야 시작햐느냐고 되물을 사람이 있겠으나, 서양에서 시작된 신학을 먼저 공부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서양의 신학자들처럼 자기 자리에서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서양과 동양, 동양과 서양, 이 양쪽 세계를 넘나들 수 있는 사유의 안목을 갖추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정용의 易의 신학을 통해 이러한 삶과 사유를 공부합니다.

관련된 이정용의 저서:
1. 『易과 기독교 사상』, 정진홍 옮김, (한국신학연구소, 1980)
2. 『易의 신학』, 이세형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1998)
3. 『易과 모퉁이의 신학』, 임찬순 엮고 씀, (동연, 2023)







All reactions:44You, Taechang Kim, 임덕수 and 41 others

Chansoon Lim


Philo Kalia

Chansoon Lim 덕분입니다.

Taechang Kim

만시지탄이긴 하지만 심광섭목사님과 함께 서양신학의 근본을 잠시나마 강독하고 이해의 토대를 세우고나서 비교 대조 감각을 가지고 한국신학을
새겨볼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는 것은 아주 귀한 일이라 여기고 감사합니다. 우리 모두 함께
선행연구의 값진 깨달음을 공공지로 발전승화 공유 계승하도록 노력하는 기쁨을 나누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5 h


Philo Kalia

Taechang Kim 한사상에 맥을 둔 한국학, 한국철학, 한국 종교와 신학을 지지해주시는 선생님이 계셔 든든합니다.


Taechang Kim

Philo Kalia 저 자신은 심광섭
신학정립을 위한 조교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고 이ㅣ 의미있는 공부방에 참석하고
있습니다.

Philo Kalia

Taechang Kim 과분한 말씀을 주시니 무거움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


조선과 너무 달랐던 일본의 주자학


조선과 너무 달랐던 일본의 주자학

함재봉TV
5.89K subscribers

Subscribed

334


Share

5,174 views  Jan 25, 2020

주자학은 에도 시대 사회 윤리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에도 시대의 유학자 들은 중국이나 조선의 사대부에 비해 형편없이 낮은 사회적 지위에도 불구하고 고유의 사상을 정립하고 전파 시키면서 일본의 '지적 르네상스'를 이룬다. 그러나 이들은 주자학을 받아들이면서도 중국도, 주자학도 절대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대신, 주자학을 일본 고유의 사상과 접목 시키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