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7

Lou Andreas-Salomé - Wikipedia

Lou Andreas-Salomé - Wikipedia

Lou Andreas-Salomé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Lou Andreas-Salomé
Lou Andreas-Salomé - Foto Atelier Elvira.jpg
Lou Andreas-Salomé in 1897
Born12 February 1861
Died5 February 1937 (aged 75)
Göttingen, Germany
NationalityGerman

Lou Andreas-Salomé (born either Louise von Salomé or Luíza Gustavovna Salomé or Lioulia von Salomé, Russian: Луиза Густавовна Саломе; 12 February 1861 – 5 February 1937) was a Russian-born psychoanalyst and a well-traveled author, narrator, and essayist from a French Huguenot-German family.[1] Her diverse intellectual interests led to friendships with a broad array of distinguished thinkers, including Friedrich NietzscheSigmund FreudPaul Rée, and Rainer Maria Rilke.[2]

Life[edit]

Early years[edit]

Lou Salomé was born in St. Petersburg to Gustav Ludwig von Salomé (1807–1878), and Louise von Salomé (née Wilm) (1823–1913). Lou was their only daughter; they had five sons. Although she would later be attacked by the Nazis as a "Finnish Jew",[3] her parents were actually of French Huguenot and Northern German descent.[4] The youngest of six children, she grew up in a wealthy and well-cultured household, with all children learning Russian, German, and French; Salomé was allowed to attend her brothers' classes.

Born into a strictly Protestant family, Salomé grew to resent the Reformed church and Hermann Dalton, the Orthodox Protestant pastor. She refused to be confirmed by Dalton, officially left the church at age 16, but remained interested in intellectual pursuits in the areas of philosophy, literature and religion.

In fact, she was fascinated by the sermons of the Dutch pastor Hendrik Gillot, known in St. Petersburg as an opponent of Dalton's. Gillot, 25 years her senior, took her on as a student, engaging with her in the fields of theology, philosophy, world religions, and French and German literature. Together they studied innumerable authors, philosophers, theological and religious subjects, and all of this wide-ranging study laid the groundwork for her intellectual encounters with very well-known thinkers of her time. Gillot became so smitten with Salomé that he wanted to divorce his wife and marry his young student. Salomé refused, for she was not interested in marriage and sexual relations. Though disappointed and shocked by this development, she remained friends with Gillot.

Following her father's death in 1879, Salomé and her mother went to Zürich so Salomé could acquire a university education as a "guest student." In her one year at the University of Zurich—one of the few schools that accepted female students—Salomé attended lectures in philosophy (logic, history of philosophy, ancient philosophy, and psychology) and theology (dogmatics). During this time, Salomé's physical health was failing due to lung disease, causing her to cough up blood. Due to this, she was instructed to heal in warmer climates, so in February 1882, Salomé and her mother went to Rome.

Left to right, Andreas-Salomé, Rée and Nietzsche (1882)

Rée and Nietzsche, and later life[edit]

Salomé's mother took her to Rome when Salomé was 21. At a literary salon in the city, Salomé became acquainted with the author Paul Rée. Rée proposed to her, but she instead suggested that they live and study together as 'brother and sister' along with another man for company, and thereby establish an academic commune.[5] Rée accepted the idea, and suggested that they be joined by his friend Friedrich Nietzsche. The two met Nietzsche in Rome in April 1882, and Nietzsche is believed to have instantly fallen in love with Salomé, as Rée had earlier done. Nietzsche asked Rée to propose marriage to Salomé on his behalf, which she rejected. She had been interested in Nietzsche as a friend, but not as a husband.[5] Nietzsche nonetheless was content to join Rée and Salomé touring through Switzerland and Italy together, planning their commune. On 13 May, in Lucerne, when Nietzsche was alone with Salomé, he earnestly proposed marriage to her again, and she again rejected him. He was happy to continue with the plans for an academic commune.[5] After discovering the situation, Nietzsche's sister Elisabeth became determined to get Nietzsche away from what she described as the "immoral woman".[6] The three travelled with Salomé's mother through Italy and considered where they would set up their "Winterplan" commune. This commune was intended to be set up in an abandoned monastery, but as no suitable location was found, the plan was abandoned.

After arriving in Leipzig in October 1882, the three spent a number of weeks together. However, the following month Rée and Salomé parted company with Nietzsche, leaving for Stibbe without any plans to meet again. Nietzsche soon fell into a period of mental anguish, although he continued to write to Rée, asking him, "We shall see one another from time to time, won't we?"[7] In later recriminations, Nietzsche would blame the failure in his attempts to woo Salomé both on Salomé, Rée, and on the intrigues of his sister (who had written letters to the families of Salomé and Rée to disrupt their plans for the commune). Nietzsche wrote of the affair in 1883 that he felt "genuine hatred for [his] sister".[7]

Salomé would later (1894) write a study, Friedrich Nietzsche in seinen Werken (Friedrich Nietzsche in his Works), of Nietzsche's personality and philosophy.[8]

In 1884 Salomé became acquainted with Helene von Druskowitz, the second woman to receive a philosophy doctorate in Zurich.[citation needed] It was also rumoured that Salomé later had a romantic relationship with Sigmund Freud.[9]

Marriage and relationships[edit]

Salomé and Rée moved to Berlin and lived together until a few years before her celibate marriage[10] to linguistics scholar Friedrich Carl Andreas. Despite her opposition to marriage and her open relationships with other men, Salomé and Andreas remained married from 1887 until his death in 1930.

Salomé's co-habitation with Andreas caused the despairing Rée to fade from Salomé's life despite her assurances. Throughout her married life, she engaged in affairs and/or correspondence with the German journalist and politician Georg Ledebour, the Austrian poet Rainer Maria Rilke, about whom she wrote an analytical memoir,[11] and the psychoanalysts Sigmund Freud and Victor Tausk, among others. Accounts of many of these are given in her volume Lebensrückblick. Her relationship with Freud was still quite intellectual despite gossip about their romantic involvement. In one letter Freud commends Salomé's deep understanding of people so much that he believed she understood people better than they understood themselves. The two often exchanged letters.[12]

Meeting Rilke[edit]

In May 1897, in Munich, she met Rilke, who had been introduced to her by Jacob Wassermann.[13] She was 37 while Rilke was only 21. She had already published with some success Im Kampf um Gott "where she exposed the problem of loss of faith (which had been her own for a long time)", several articles, and the study Jesus der Jude that Rilke had read.[13]

As Philippe Jaccottet reports, Salomé wrote in Lebensrückblick: "I was your wife for years because you were the first reality, where man and body are in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an indisputable fact of life itself. I could have said literally what you told me when you confessed your love to me: Only you are real. That is how we became husband and wife even before we became friends, not by choice, but by this unfathomable marriage [...] We were brother and sister, but as in a distant past, before the marriage between brother and sister became sacrilegious".[14]

In 1899 with her husband Friedrich-Carl, then again in 1900, Lou travelled to Russia, the second time with Rilke, whose first name she changed from René to Rainer.[15] She taught him Russian, to read Tolstoy (whom he would later meet) and Pushkin. She introduced him to patrons and other people in the arts, remaining Rilke's advisor, confidante, and muse throughout his adult life.[10] The romance between the poet and Lou lasted three years, then turned into a friendship, which would continue until Rilke's death, as evidenced by their correspondence. In 1937, Freud said of Salomé's relationship with Rilke: "she was both the muse and the attentive mother of the great poet".[16]

Death[edit]

Lou Andreas-Salomé's grave in Göttingen

By 1930, Salomé was increasingly weak, suffered from a heart condition and diabetes, and had to be treated several times in the hospital. Her husband visited her daily during a six-week stay after a foot operation, which was arduous for the old, rather ill man, and this made them grow very close after a forty-year marriage marked by hurtful behaviour on both sides and long periods of non-communication.[17] Freud appreciated this from afar, writing: "only what is true proves itself so long-lasting" ("So dauerhaft beweist sich doch nur das Echte."). Friedrich Carl Andreas died of cancer in 1930, and Salomé herself underwent a difficult cancer operation in 1935. At the age of 74, she ceased to work as a psychoanalyst.

On the evening of 5 February 1937, Salomé died in her sleep due to uremia in Göttingen. Her urn was laid to rest in her husband's grave in the cemetery on the Groner Landstraße in Göttingen. She is commemorated in the city by a memorial plaque outside the property where her house stood, a street named after her (Lou-Andreas-Salomé-Weg), and the name of the Lou Andreas-Salomé Institut für Psychoanalyse und Psychotherapie. A few days before her death, the Gestapo confiscated her library (according to other sources it was an SA group who destroyed the library shortly after her death). The reasons given for this confiscation were that she had been a colleague of Sigmund Freud's, had practised "a Jewish science", and owned many books by Jewish authors.[18]

Work[edit]

Salomé was a prolific writer who wrote fiction, criticism and essays on religion, philosophy, sexuality and psychology.[19] A uniform edition of her works is being published in Germany by MedienEdition Welsch.[20] She authored a "Hymn to Life" that so deeply impressed Nietzsche that he was moved to set it to music. Salomé's literary and analytical studies became such a vogue in Göttingen, where she lived late in her life, that the Gestapo waited until shortly after her death to "clean" her library of works by Jews.

She was one of the first female psychoanalysts and one of the first women to write psychoanalytically on female sexuality,[21] before Helene Deutsch, for instance in her essay on the anal-erotic (1916),[22] an essay admired by Freud.[23] However, she had written about the psychology of female sexuality before she ever met Freud, in her book Die Erotik (1911).

She wrote more than a dozen novels and novellas, including Im Kampf um GottRuthRodinkaMaFenitschka – eine Ausschweifung, as well as non-fiction studies such as Henrik Ibsens Frauengestalten (1892), a study of Ibsen's female characters, and a book on Nietzsche, Friedrich Nietzsche in seinen Werken (1894). The first English translation of her novel Das Haus (1921) appeared in 2021 under the title Anneliese's House, in an annotated edition by Frank Beck and Raleigh Whitinger.[24]

Salomé edited a memoir about Rilke after his death in 1926. Among her works is also her Lebensrückblick, which she wrote during her last years based on memories of her life as a free woman. In her memoirs, first published in their original German in 1951, she goes into depth about her faith and her relationships.

Whoever reaches into a rosebush may seize a handful of flowers; but no matter how many one holds, it's only a small portion of the whole. Nevertheless, a handful is enough to experience the nature of the flowers. Only if we refuse to reach into the bush, because we can't possibly seize all the flowers at once, or if we spread out our handful of roses as if it were the whole of the bush itself – only then does it bloom apart from us, unknown to us, and we are left alone.[25]

Salomé is said to have remarked in her last days, "I have really done nothing but work all my life, work ... why?" And in her last hours, as if talking to herself, she is reported to have said, "If I let my thoughts roam I find no one. The best, after all, is death."[26]

Published works[edit]

Lou Andreas-Salomé's published works as cited by An Encyclopedia of Continental Women Writers.[27]: 36–38 

  • Im Kampf um Gott, 1885.
  • Henrik Ibsens Frau-Gestalten, 1892.
  • Friedrich Nietzsche in seinen Werken, 1894.
  • Ruth, 1895, 1897.
  • Fenitshcka. Eine Ausschweifung, 1898,1983.
  • Menschenkinder, 1899.
  • Aus fremder Seele, 1901.
  • Ma, 1901.
  • Im Zwischenland, 1902.
  • Die Erotik, 1910.
  • Drei Briefe an einen Knaben, 1917.
  • Das Haus, 1919,1927.
  • Die Stunde ohne Gott und andere Kindergeschichten, 1921.
  • Der Teufel und seine Grossmutter, 1922.
  • Rodinka, 1923.
  • Rainer Maria Rilke, 1928.
  • Mein Dank an Freud: Offener Brief an Professor Freud zu seinem 75 Geburtstag, 1931.
  • Lebensrückblick. Grundriss einiger Lebenserinnerungen, ed. E. Pfeiffer, 1951, 1968.
  • Rainer Maria Rilke – Lou Andreas-Salomé. Briefwechsel, ed. E. Pfeiffer, 1952.
  • In der Schule bei Freud, ed. E. Pfeiffer, 1958.
  • Sigmund Freud – Lou Andreas-Salomé. Briefwechsel, ed. E. Pfeiffer, 1966.
  • Friedrich Nietzsche, Paul Rée, Lou von Salomé: Die Dokumente ihrer Begegnung, ed. E. Pfeiffer, 1970.

Translations:

  • The Freud Journal of Lou Andreas-Salomé, tr. Stanley Leavy, 1964.
  • Sigmund Freud and Lou Andreas-Salomé, Letters, tr. byu W. and E. Robson Scott, 1972.
  • Ibsen's Heroines, ed., tr., and introd. by Siegfried Mandel, 1985.
  • Anneliese's House, edited and translated by Frank Beck and Raleigh Whitinger. Boydell and Brewer, 2021.

In fiction and film[edit]

Fictional accounts of Salomé's relationship with Nietzsche occur in four novels: Irvin Yalom's When Nietzsche Wept,[28] Lance Olsen's Nietzsche's Kisses, Beatriz Rivas', La hora sin diosas (The time without goddesses).[29] and William Bayer's The Luzern Photograph, in which two reenactments of the famous image of her with Nietzsche and Rée impact a murder in contemporary Oakland, California.[30]

Mexican playwright Sabina Berman includes Lou Andreas-Salomé as a character in her 2000 play Feliz nuevo siglo, Doktor Freud (Freud Skating).[31]

Salomé is also fictionalized in Angela von der Lippe's The Truth about Lou,[32] in Brenda Webster's Vienna Triangle,[33] in Clare Morgan's A Book for All and None,[34] in Robert Langs' two-act play Freud's Bird of Prey,[35] and in Araceli Bruch's five-act play Re-Call (written in Catalan).[36]

In Liliana Cavani's movie Al di la' del bene e del male (Beyond Good and Evil) Salome is played by Dominique Sanda. In Pinchas Perry's film version of When Nietzsche Wept, Salome is played by Katheryn Winnick.

Lou Salome, an opera in two acts by Giuseppe Sinopoli with libretto from Karl Dietrich Gräwe, premiered 1981 at the Bavarian State Opera, with August Everding as General Director, staging by Götz Friedrich and set design by Andreas Reinhardt.[37]

Lou Andreas-Salomé, The Audacity to be Free [de], a German-language movie directed by Cordula Kablitz-Post [de], released in German cinemas on 30 June 2016.[38] Andreas-Salome is portrayed onscreen by Katharina Lorenz [de] and as a young woman by Liv Lisa Fries. The film was released in New York City and Los Angeles in April 2018, with a wider release to follow.

Notes[edit]

  1. ^ "Lou Andreas-Salome biography"Encyclopædia Britannica.
  2. ^ "Lou Andreas-Salome | German writer"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17 July 2017.
  3. ^ Young, Julian. Friedrich Nietzsche: A Philosophical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p. 553. ISBN 9780521871174
  4. ^ Powell, Anthony (1994). Under Review: Further Writings on Writers, 1946–1990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440. ISBN 0-226-67712-5.
  5. Jump up to:a b c Nietzsche: The Man and his Philosophy, by R.J. Hollingda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page 149
  6. ^ Nietzsche: The Man and his Philosophy, by R.J. Hollingda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page 151
  7. Jump up to:a b Nietzsche: The Man and his Philosophy, by R.J. Hollingda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page 152
  8. ^ Salomé, 2001
  9. ^ Borossa, Julia; Rooney, Caroline. "Suffering, Transience and Immortal Longings Salomé Between Neitzsche and Freud"The Gale Group. Sage Publications. Retrieved 1 December 2016.
  10. Jump up to:a b Mark M. Anderson, "The Poet and the Muse", The Nation, 3 July 2006, pp. 40–41.
  11. ^ Andreas-Salomé, 2003
  12. ^ Borossa, Julia; Rooney, Caroline. "Suffering, Transience and Immortal Longings Salome Between Nietzsche and Freud"The Gale Group. Sage Publications. Retrieved 1 December 2016.
  13. Jump up to:a b Philippe Jaccottet, Rilke par lui-même, 1970, p.29
  14. ^ Philippe Jaccottet, Rilke par lui-même, 1970, p.29–30
  15. ^ Gerald Stieg, 2007, p.979-980
  16. ^ Roudinesco and Plon, 2011, p. 65
  17. ^ "Lou Andreas-Salomé © 2003-2012 by Prof. Dr. med. K. Sadegh-Zadeh"www.lou-andreas-salome.de. Retrieved 6 April 2020.
  18. ^ Heinz F. Peters: Lou Andreas-Salomé: Das Leben einer außergewöhnlichen Frau. Kindler, München 1964, S. 7 (Vorwort, ohne Quellenangabe).
  19. ^ Livingstone, Angela (1984). Salomé: Her Life and Work. London: Gordon Fraser Gallery. pp. 246–248.
  20. ^ "Lou Andreas-Salomé Werkedition"andreas-salome.medienedition.de. Retrieved 25 June 2021.
  21. ^ Popova, Maria (12 February 2015). "Lou Andreas-Salomé, the First Woman Psychoanalyst, on Human Nature in Letters to Freud"Brain Pickings. Retrieved 17 July 2017.
  22. ^ Andreas-Salome, Lou (April 2022). ""Anal" and "Sexual""Psychoanalysis and History24 (1): 19–40. doi:10.3366/pah.2022.040. Retrieved 21 January 2023.
  23. ^ Freud, Sigmund. Richards, Angela, editor. Three Essays on the Theory of Sexuality and Other Works. The Penguin Freud Library, Vol. 7 Penguin. (1977) ISBN 9780140137972 pp.295-302
  24. ^ "Anneliese's House"Boydell and Brewer. Retrieved 25 June 2021.
  25. ^ "Books of The Times – Her Friends Included Nietzsche, Rilke and Freud"The New York Times. 10 May 1991.
  26. ^ Peters, 'My Sister, My Spouse', p. 300
  27. ^ Wilson, Katharina M. (1991). An Encyclopedia of Continental Women Writers. New York and London: Garland Publishing, Inc.
  28. ^ "When Nietzsche Wept"Litmed.med.nyu.edu. Retrieved 5 December 2015.
  29. ^ "La hora sin diosas"Alfaguara.com. Retrieved 4 December 2015.
  30. ^ Bayer, WilliamThe Luzern PhotographISBN 978-0-7278-8546-3
  31. ^ Bruno Bosteels (21 August 2012). Marx and Freud in Latin America: Politics, Psychoanalysis, and Religion in ... p. 237. ISBN 9781844678471. Retrieved 5 December 2015.
  32. ^ The Truth about LouISBN 1-58243-358-5
  33. ^ Vienna TriangleISBN 978-0-916727-50-5
  34. ^ A Book for All and NoneISBN 978-0-7538-2892-2
  35. ^ Freud's Bird of PreyISBN 1-891944-03-7
  36. ^ Re-CallISBN 1905512201
  37. ^ "Lou Salome: Muse, Geliebte, Therapeutin"Musik in Dresden. 6 February 2012. Retrieved 4 December 2015.
  38. ^ "In Love with Lou"World Literature Today. 22 June 2016. Retrieved 17 July 2017.

References[edit]

  • Astor, Dorian: Lou Andreas-Salomé, Gallimard, folio biographies, 2008; ISBN 978-2-07-033918-1
  • Binion, R., Frau Lou: Nietzsche's Wayward Disciple, foreword by Walter Kaufmann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8
  • Freud, S. and Lou Andreas-Salome: Letters, New York: Norton, 1985
  • Jaccottet, PhilippeRilke par lui-même, Paris, Seuil, coll. " Ecrivains de toujours ", 1970, " Naissance de Rainer-Maria ", p. 29–37
  • Livingstone, Angela: (1984). Lou Andreas Salomé: Her Life and Work. London: Gordon Fraser, 1984; ISBN 0918825040
  • Michaud, Stéphane: Lou Andreas-Salomé. L'alliée de la vie. Seuil, Paris 2000; ISBN 2-02-023087-9
  • Pechota Vuilleumier, Cornelia: 'O Vater, laß uns ziehn!' Literarische Vater-Töchter um 1900. Gabriele Reuter, Hedwig Dohm, Lou Andreas- Salomé. Olms, Hildesheim 2005; ISBN 3-487-12873-X
  • Pechota Vuilleumier, Cornelia: Heim und Unheimlichkeit bei Rainer Maria Rilke und Lou Andreas-Salomé. Literarische Wechselwirkungen. Olms, Hildesheim 2010; ISBN 978-3-487-14252-4
  • Peters, H. F., My Sister, My Spouse: A Biography of Lou Andreas-Salome, New York: Norton, 1962
  • Roudinesco, Elisabeth et Michel Plon, Dictionnaire de la psychanalyse, Paris, Fayardcoll. " La Pochothèque ", 2011 (1re éd. 1997) (ISBN 978-2-253-08854-7), " Andreas-Salomé Lou, née Liola (Louise) von Salomé (1861–1937). Femme de lettres et psychanalyste allemande ", p. 63–68
  • Salomé, Lou: The Freud Journal, Texas Bookman, 1996
  • Salomé, Lou: Friedrich Nietzsche in seinen Werken, 1894; Eng., Nietzsche, tr. and ed. Siegfried Mandel, Champaign,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niv. of Illinois Press, 2001
  • Salomé, Lou: You Alone Are Real to Me: Remembering Rainer Maria Rilke, tr. Angela von der Lippe, RochesterBOA Editions, 2003
  • Stieg, Gerald: « Rilke (Rainer Maria) », in Dictionnaire du monde germanique , Dir: É. Décultot, M. Espagne et J. Le Rider, Paris, Bayard, 2007, p. 979–980 (ISBN 9782227476523)
  • Vollmann, William T.Friedrich Nietzsche: The Constructive NihilistThe New York Times, 14 August 2005.
  • Vickers, Julia: Lou von Salome: A Biography of the Woman who Inspired Freud, Nietzsche and Rilke. McFarland 2008

External links[edit]

When Nietzsche Wept | Full Drama Movie | WORLD MOVI...



When Nietzsche Wept (Когато Ницше плака) | Full Drama Movie | WORLD MOVIE CENTRAL

World Movie Central
215K subscribers
-----

123,521 views  Premiered Nov 1, 2021  #FreeYouTubeMovies #WorldMovieCentral #DramaMovies
Viennese doctor Josef Breuer meets with philosopher Friedrich Nietzsche to help him deal with his despair.
2007 | Stars: Ben Cross, Armand, Assante, Joanna Pacula | Director: Pinchas Perry | Writers: Pinchas PerryIrvin D. Yalom(novel)
**This film is under license from Walla Entertainment.  All rights reserved***

Binge-watch more here:   

 / worldmoviecentral  
★ SUBSCRIBE FOR MORE WORLD MOVIES★ 
Do not forget to click the notification bell to get more World Movies like this and share your thrilling experience.
*** World Movie Central - a collection of great action, horror, comedy, family, and other genres of movies that are translated into multiple languages and with subtitles.

#WorldMovieCentral #FullMovies #FreeYouTubeMovies #FullMultipleLanguageMovies #DramaMovies

Taechang Kim 서양인의 무신론, 일본인의 무종교

(14) Facebook


Taechang Kim

Comments
Taechang Kim
一読して日本人
の考え方の基本を理解するのに
参考になりました。著者は言ってます。
"歴史的に見ると、一神教の神、仏教の空-
縁起のそれぞれには、次のような文化的副産物
があったように
思われる。一神
教の神の概念は、実体をはっきりさせ、物事のシロクロ(二元的対立)をはっきりさせる
姿勢とむすびついてきた。これがさらに古代ギリシャ伝来の数理的伝統と結びつくことで、近代科学を生み出した。しかし対立を強調する思考は、神をめぐる保守とリベラルの思想的対立も生み出した。保守が超保守化
することでファンダメンタリズムがうまれ、反科学の潮流が生まれた。リベラルが超リベラル化したのが無神論だ。こちらは
反宗教を提唱している。文化現象としては、無神論もまた一神
教の神信仰の派生物なのである。これに対して、仏教の空の
概念は、物事の
シロクロをはっきりさせず、すべてを曖昧な相互依存関係の中で見ていく傾向
を許容し、また
涵養した。こうした伝統から科学も合理的な民主的討論の制度も生まれない。面白いのは、仏教社会どこでも、科学を生み出さなかった一方で、科学を輸入することに抵抗が無かったことだ。何事にもぬらりひょんなところがあり、反進化論や反同性愛に血道を上げる原理主義者
がいない一方で、無神論やLG
BTの人権闘争で
社会が燃えることもない。<創造の神>と<空-縁起>を対照させるこうした図式はあくまでも
ここだけの仮説にすぎない。しかしこの図式は
伝統的な文化論
の図式と無関係
ではない。昭和
時代には、西洋と日本(あるいは東洋)とを対比する議論が流行した。西田幾多郎によれば、西洋は<有>の文化、日本は<無>
の文化である。丸山真男は聖書が<つくる>神話、古事記は<なる>神話であることに注目した。人類学者ルース-ベネデイクトの<罪>の文化と<恥>の文化を対照させる理論はかなり流行した。ユング派の河合隼雄は西洋人は意識の中心としての<自我>に焦点をもち、日本人は無意識内の<自己>に焦点をもつというふうに図式化した。いずれも意志的でガッチリしたものと関係的で曖昧なものとの対照になっている。<創造の神>
VS<空-縁起>の
図式がこれら先達たちの対照と
関係があることは、おわかりいただけるだろう。欧米社会と日本のあらゆる
文化の諸相をこうした観念の枠組みでとらえるのは行き過ぎかとも思う。それに世界には欧米と日本しかないわけじゃないだろう。それでも、無神論をめぐる彼我の違いについては、<創造の神>VS
<空-縁起>の対照が有効だとおもうのである"。
(pp. 283-284)
著者の意見に賛同しますか?

Kurozumi Makoto
ある程度の理屈また文化論としては賛成しますが、人間の体験自体まで考えると、とてもいい加減な客観主義のようで全く賛成できません。大抵、人生上や仕事上で上手く行った人がそうした議論をします。ただ、宗教をとらえるときに体験となる事態が大事で、そこに霊性論やその良し悪し等も出て来ると思われます。その意味で、学問のあり方自体を反省すべきです。昭和前期に、和辻哲郎が『原始基督教の文化史的意義』というのを書いて、基督教内部から批判されたり考えたりした歴史があります。そうしたことも考えねば、キリスト教も仏教もその実質は消えると思われ、そうした日本史をもっと反省してほしいです。

Taechang Kim
黒住 真 様、仰る通りで、まず
基礎的な一般論として理解し、そこから、より深い体感-体験-
体得の次元に踏み込むというわたくし自身のアプローチの仕方で対話を促す "呼び水"のようなものです。勿論、わたくし自身の所見は本格的な対話が進む
段階になれば自ずから出て来る
ことにならざるを得ませんでしよう。



柳生真
日本の場合は神道の「国土崇拝」という別の軸もあるような気がします。これは一神教の唯一神・創造神とも仏教の空・縁起とも異質なものだと思います。

柳生真 様、それに関連する議論は鎌田東二教授との二回の対談を通して深めた
ことがあります。例えば日本人の霊性は大地
(日本国土)への
根降ろし=土着化に拘るのに対して韓国人は(特に日帝時代の国土簒奪以後)大地=国土よりも
天(宇宙)への自由な飛翔を願う
という特性を持つと言ったことが思い出されます。



Kurozumi Makoto
キリスト教でのキリスト・受肉(托身)とか仏教での菩薩とか、いったことをとらえ考えるべきで、それはどうなのでしょうか。金先生の活私にも繋がります。

Taechang Kim
だから、中村圭志さんの見解はそれとして認めながらわたくし自身の考えとしては西洋との比較という観点からも、また内向的な日本論としてもやや単純化
し過ぎたところがある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
しかし、そういうのがよく受けるというが、どうも、日本的な
habitusであるというのも否定
できないでしょう。
===
읽고 일본인의 사고방식의 기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자는 말합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일신교의 신, 불교의 하늘 - 인기 각각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적 부산물이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일신교의 신의 개념은 실체를 분명히 하고 사물의 시로쿠로(이원적 대립)를 뚜렷하게 하는 자세와 흩어져 왔다.이것이 한층 더 고대 그리스 전래의 수리적 전통과 결합하는 것으로, 근대 과학을 낳았다.그러나 대립을 강조하는 사고는, 하나님을 둘러싼 보수 리버럴의 사상적 대립도 낳았다.보수가 초보수화하는 것으로 펀더멘탈리즘이 태어나, 반과학의 조류가 태어났다.리버럴이 초리버럴화한 것이 무신론이다.이쪽은 반종교를 제창해 문화현상으로서는 무신론도 일신교의 신신앙의 파생물이다.이에 비해 불교의 하늘의 개념은 사물의 시로크로를 분명하게 하지 않고, 모든 것을 모호한 상호 의존관계 가운데서 보아 가는 경향을 허용해, 또 함양했다.이러한 전통으로부터 과학도 합리적인 민주적 토론의 제도도 태어나지 않는다.재미있는 것은, 불교 사회 어디에서나, 과학을 낳지 않았던 한편, 과학을 수입하는 것에 저항이 없었던 일이다.무슨 일에도 적당한 곳이 있어, 반진화론이나 반동성애에 혈도를 올리는 원리주의자가 없는 한편, 무신론이나 LGBT의 인권 투쟁으로 사회가 불타는 일도 없다 <창조의 신>과 <하늘-연기>를 대조시키는 이러한 도식은 어디까지나 여기만의 가설에 지나지 않는다.그러나 이 도식은 전통적인 문화론의 도식과 무관하지 않다.쇼와 시대에는, 서양과 일본(혹은 동양)을 대비하는 논의가 유행했다.니시다 기타로에 의하면, 서양은 <유>의 문화, 일본은 <무>의 문화이다.마루야마 마오는 성경이 <만들다>신화, 고사기 는 <나루> 신화임을 주목했다. 인류학자 루스-베네데이크트의 <죄>의 문화와 <수치>의 문화를 대조시키는 이론은 상당히 유행했다. "자아"에 초점을 맞추고 일본인은 무의식 내에서 "자기"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으로 도식화했습니다. <창조의 신> VS <하늘-연기>의 도식이 이들 선두들의 대조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구미사회와 일본의 모든 문화의 제상을 이러한 관념의 틀에서 잡히는 것은 지나치다고 생각한다.게다가 세계에는 구미와 일본밖에 없는 것이 아닐 것이다.그래도, 무신론을 둘러싼 그아의 차이에 대해서는, <창조의 신>VS<하늘-연기>의 대조가 유효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pp. 283-284) 저자의 의견에 찬동하십니까? . 대부분 인생상이나 일상에서 잘 간 사람이 그러한 논의를 합니다. 다만, 종교를 파악할 때 체험이 되는 사태가 중요하고, 거기에 영성론이나 그 좋고 나쁜 등도 나온다고 생각됩니다. 그 의미에서, 학문의 본연의 자체를 반성해야 합니다. 쇼와 전기에, 와즈지 테츠로가 『원시 기독교의 문화사적 의의』라고 하는 것을 써, 기독교 내부로부터 비판되거나 생각하거나 한 역사가 있습니다. 그런 것도 생각하면 기독교도 불교도 그 실질은 사라진다고 생각되고 그러한 일본사를 더 반성해 주었으면 합니다. 
Taechang Kim 쿠로스미 마사마, 말씀대로, 우선 기초적인 일반론으로 이해하고, 거기에서, 보다 깊은 체감-체험-체득의 차원에 밟는다고 하는 나 자신의 어프로치의 방법으로 대화를 재촉하는 "부르는 물"과 같이 입니다. 물론, 내 자신의 소견은 본격적인 대화가 진행되는 단계가 되면 스스로 나오게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야나기 마코토 일본의 경우는 신도의 「국토 숭배」라고 하는 다른 축도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이것은 일신교의 유일한 신·창조신 모두 불교의 하늘·연기도 이질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야나기 마사마, 그것에 관련된 논의는 가마타 히가시지 교수와의 두 번의 대담을 통해 깊어진 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인의 영성은 대지(일본 국토)에의 뿌리 내림=토착화에 구애되는 것에 대해 한국인은 (특히 일제시대의 국토 탈탈 이후) 대지=국토보다 하늘(우주)에의 자유 한 비상을 바란다는 특성을 가진다고 말한 것이 기억됩니다.


Taechang Kim 니체, 생명과 치유의 철학 김정현

(7) Facebook

Taechang Kim

Taechang Kim
キムジョンヒョン著
ニーチェ
生命と治癒の哲学
(チェックセサン、2006)

日韓生命開新美学の重要論点の幾つかが、著者特有の
ニーチェ哲学論から読み取れるので一読しました。特にわたくし自身が注目した
文言を紹介することを通して日韓対話の話題にしたいのです。先ず、何故今、ニーチェ哲学なのか?
"ニーチェの生命思想は今まで全うに浮揚できなかった。ニーチェの全著作に底流するデイオニソス、大地、身体、自然、生命、健康、自己克服と自己創造、
明朗性と神聖なる笑い、現存の美学等々の主題たちは、力への意志、永遠回帰、克服人、価値転倒、運命愛の思想たちと共に彼の思想の骨組みを形成してきた。従来のニーチェ思想に対する我々の論議たちは、主にハイデガーによって規定された、五つの形而上学的テーマたち(虚無主義、今までの全ての価値の価値転倒、力への意志、永遠回帰、克服人)に対する註釈を中心に扱われてきた。今後はより根本的な問い掛けのなかで、即ち何故ニーチェがこのようなテーマたちを
哲学的に問題視したのか、時代と文明の病理現象たちを如何に診断し、さらにそれに対する対案を如何に模索したのか、またニーチェ思想が如何なる面で脱近代の言語を提供しているのか、21世紀文明の中で彼の思想は果たして如何なる位置づけが可能なのか、等々に対して批判的に省察する
必要がある"。(p. 328)
どうですか?

もう少し著者のニーチェ解読の文言を読んでみましょう。
"ニーチェの生命思想は近代性を批判することによって、
西洋近代の機械論的世界、
生きている全てのものを、死んだものとして無機化して説明するタナトスの文明を新な思惟に転換することを提唱したのである。生命畏敬思想を主張したシュバイツァーによれば、ニーチェが言った生の肯定の倫理はヨーロッパ文明の限界を克服するための世界観から出来したものである。ニーチェが主に語る生命、自然性、からだ、本能、大地、デイオニソス、生成、妊娠、生産性,
女性、愛情、等々に関する
論議たちは生の本能(エロース)が支配する新しい文明の形成のための未來哲学を定立しようとする試みであった。
これは、理性の傲慢と専制による自然搾取と人間の自己隷属の過程に対する反省から生じた新しい '生命の文化'を建設するための試図でもある。このような新しい文明文化を
定礎するためにニーチェは先ず、人間自身の自己克服を要求した。自身の身体の言語に対する目覚め、自己の自覚を
通して漸く真の生命に出会えるということです。人間自身の自己肯定と世界肯定、静観
的自己自覚と自己創造、愛
(エロース、生の本能) と生命の言語をとおして世界との
本当の出会いを探るニーチェの生命思想は経済的な言語が
支配する今日の地球文明のなかで新な生命言語の思惟文法
を開発する一つの滋養分になれる。新な生命文化が切実に
要請される21世紀地球文明の未來にニーチェの生命思想は一つの思想的地平を提供す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 pp. 329-330)
どうお考えでしょうか
わたくし自身の個人的な意見では、著者のニーチェ解読の中から生命開新美学の問題意識と問題提起の道筋の類似性を見取れ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気がするのです。どうでしょうか?

한일생명개신미학의 중요한 논점 중 일부가 저자 특유의 니체철학론에서 읽을 수 있으므로 일독했습니다. 특히 나 자신이 주목한 문언을 소개함으로써 일한 대화의 화제로 하고 싶습니다.
----
 우선, 왜 지금, 니체 철학인가?

"니체의 생명 사상은 지금까지 전혀 부양할 수 없었다.
니체의 전 저작에 저류하는 데이오니소스, 대지, 신체, 자연, 생명, 건강, 자기 극복과 자기 창조, 명랑성과 신성한 웃음, 현존의 미학 등의 주제들은 힘에 대한 의지, 영원회귀, 극복인, 가치전도, 운명애의 사상들과 함께 그의 사상의 골조를 형성해 왔다.

종래의 니체 사상 에 대한 우리의 논의들은 주로 하이데거에 의해 규정된 다섯 가지 형이상학적 테마들(허무주의, 지금까지의 모든 가치의 가치전도, 힘에 대한 의지, 영원회귀, 극복인)에 대한 주석을 중심 앞으로는 보다 

근본적인 질문 속에서, 즉 왜 니체가 이러한 테마들을 철학적으로 문제시했는지, 시대와 문명의 병리 현상들을 어떻게 진단하고, 더욱 에 대한 대안을 어떻게 모색했는지, 또 니체 사상이 어떤 면에서 탈근대의 언어를 제공하고 있는지, 21세기 문명 속에서 그의 사상은 과연 어떤 위치설정이 가능한지 등에 대한 비판 로 성찰할 필요가 있다". (p. 328) 

어떻습니까?
---
 "니체의 생명사상은 근대성을 비판함으로써 서양근대의 기계론적 세계, 살아있는 모든 것을 죽은 것으로 무기화하여 설명하는 타나토스의 문명을 새로운 사유로 전환하는 것 니체가 말한 생의 긍정의 윤리는 유럽 문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세계관에서 생긴 것이다. 

생명, 자연성, 몸, 본능, 대지, 데이오니소스, 생성, 임신, 생산성, 여성, 애정 등에 관한 논의들은 원시 본능(엘로스)이 지배하는 새로운 문명의 형성을 위한 미천철학을 정립하자 이것은 이성의 오만과 전제에 의한 자연 착취와 인간의 자기예속의 과정에 대한 반성에서 생긴 새로운 '생명의 문화'를 건설하기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문명문화를 정초하기 위해 니체는 먼저 인간 자신의 자기극복을 요구했다. 세계 긍정, 정관적 자기자각과 자기 창조, 사랑(에로스, 삶의 본능)과 생명의 언어를 통해 세계와의 진정한 만남을 찾는 니체의 생명사상은 경제적인 언어가 지배하는 오늘의 지구 문명 속에서 새로운 생명언어 사유문법을 개발하는 하나의 자양분이 될 수 있다.새로운 생명문화가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 지구문명의 미래에 니체의 생명사상은 하나의 사상적 지평을 제공한다 (pp. 329-330) 어떻게 생각합니까? 
---
내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저자의 니체 해독 중에서 생명 개신 미학의 문제 의식과 문제 제기의 길의 유사성을 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어떻습니까?


===


니체, 생명과 치유의 철학
김정현 (지은이)책세상2006-01-30









Sales Point : 330

10.0 100자평(1)리뷰(1)


책소개
니체의 철학과 기존 니체 연구를 되짚고, 니체 사상의 영향과 미래적 가치를 탐색한 니체 연구서이다. 저자가 10년여간 써온 니체 관련 논문, 강연 발표문 등을 페미니즘, 종교, 근대성 등의 주제 하에서 새로이 묶었다. 시대와 인간·자아·생명 등 니체의 해석적 지평을 확장시켜 니체 철학의 현재적, 미래적 의미를 명확히 보이고자 했다.

총 4부 구성으로 1부는 니체가 남긴 새로운 철학을 읽어내기 위해 하이데거와 루카치 등 니체 사상을 오독한 기존 연구들을 비판, 니체를 인간 자신과 삶을 긍정하는 생명 사상의 패러다임을 주창한 사상가로 새로이 바라본다. 2부에서는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을 끌어들여 근대를 죽음의 문명으로 바라보고 이를 비판한 니체의 모습에서 생명 사상의 출바점을 찾아본다.

3부에서는 니체의 이성 중심으로 편향된 기존 철학에 대한 비판이 어떻게 그리스도교를 비판으로 이어지는지, 그리고 그의 사상이 어떻게 불교 등의 동양 사상과 공명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본다. 그리고 4부에서는 니체의 생명 사상을 종합하고, 데리다와 코프만의 니체 해석을 통해 그의 근대성 비판이 페미니즘 등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미친 영향을 정리했다.


목차


약어표
서문


제1부 형이상학 담론 및 합리주의 비판과 몸이성 찾기

제1장 파괴와 건설의 철학
1. 고르하르트 터널은 언제 완성되는가 : 서양 정신의 파괴와 건설의 철학
2. 니체의 허무주의, 근대성과 형이상학 비판의 문제
3. 니체의 형이상학에 대한 철학적 담론
4. 니체와 탈형이상학과 탈근대

제2장 니체의 소크라테스적 합리주의 비판과 몸이성 찾기
1. 삶의 해석학과 탈이성의 계보학
2. 합리주의와 비합리주의를 넘어서
3. 소크라테스 합리주의와 비극의 해체
4. 이성중심주의와 근대성
5. 탈이성과 몸이성

제3장 니체, 루카치, 그리고 정치적 미학주의의 담론
1. 니체 오독의 담론사
2. 루카치의 비합리주의 개념 : 이성 파괴의 철학과 부르주아 반동 철학
3. 루카치의 니체 비판
4. 루카치의 니체 비판에 대한 비판적 논의


제2부 근대성 비판과 역사적 치료제 찾기

제4장 니체와 비판이론, 그리고 근대성 비판
1. 서양 근대성의 문화적 파장
2. 근대의 두 얼굴 : 삶의 희망과 상처받은 삶
3. 니체와 호르크하이어, 니체와 아도르노의 사상적 만남
4. 니체가 본 근대의 변증법 : 근대성과 인간성의 부식
5.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 유럽 문명의 발전사와 주체의 형성사 및 인간의 사물화
6. 탈근대적 휴머니즘 : 서양 근대성의 치유

제5장 니체의 역사치료학
1. 역사적 사유의 필요성
2. 니체의 역사의 의미 : 역사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대화다
3. 역사적 사유의 필요성과 역사주의 비판
4. 니체의 역사관
5. 역사의 건강성


제3부 종교 비판과 자기 찾기

제6장 니체의 원시 그리스도교 비판
1. 니체의 그리스도교 비판에 대한 담론
2. 니체와 19세기 신학
3. 허무주의 종교로서의 원시 그리스도교
4. 예수와 바울의 그리스도교에 대한 니체의 평가
5. 근원적인 그리스도교 정신
6. 예수의 그리스도교적 정신과 참된 종교

제7장 니체의 불교 이해와 서양의 무아 사상
1. 니체와 불교적 사유의 만남
2. 19세기 유럽의 불교 연구와 니체의 불교 연구
3. 니체의 불교 이해의 두 모습
4. 니체의 주체 해체와 불교의 무아 사상
5. 존재론적, 위생학적 치료로서의 깨어 있는 삶

제8장 니체와 융 사상에서의 '자기' 찾기
1. 심층심리학자 니체
2. 융의 니체 읽기
3. 자아와 자기의 구분
4. 자기에게 다가서기 : 페르조나와 그림자의 문제
5. 자기를 깨닫기: 바다, 벼락의 상징과 자기화의 문제
6. 깨어 있는 정신으로 살아가기


제4부 진리 비판과 생명 찾기

제9장 니체의 생명 사상
1. 인간중심주의적 사유와 서양의 근대 문명
2. 생리학적 관점에서 본 근대 문명의 귀결 : 허무주의
3. 탈근대적 생명 사상: 생명이란 무엇인가
4. 자연의 언어: 자연의 인간화와 인간의 자연화
5. 몸의 언어와 몸의 건강 : '위대한 정치'
6. 디오니소스와 '생명' 자각의 사유
7. 여성의 기호 : 페미니즘 사상
8. 21세기 지구 문명과 니체의 생명 사상

제10장 니체와 페미니즘
1. 서양 철학의 새로운 화두로서의 니체의 여성성 문제
2. 니체,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포스트페미니즘
3. 니체의 진리관 : "진리는 여성이다"
4. 데리다의 니체 해석 : 여성성의 존재론적 담론
5. 코프만의 니체 해석 : 여성성의 정신분석학적 담론
6. 여성적 사유의 정신 운동과 생명 사상의 발효로서의 페미니즘

제11장 니체의 건강 철학
1. 구체성의 철학으로서의 건강의 철학
2. 철학적 의학
3. 병과 건강의 문제
4. 큰 건강과 치유
5. 몸의 치료로서의 자기 치료


참고문헌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서명)
찾아보기 (용어)
접기


책속에서


니체의 생명 사상은 근대성을 비판함으로써 서양 근대의 기계론적인 세계, 살아 있는 모든 것을 죽은 것으로 무기화하여 설명하는 타나토스의 문명을 새로운 사유로 전환할 것을 제창한 것이다. 생명 경외 사상을 주창한 슈바이처(Albert Schweitzer)에 의하면 니체가 말한 삶의 긍정의 윤리는 유럽 문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세계관에서 나온 것이다. 니체가 주로 이야기하는 생명, 자연성, 몸, 본능, 대지, 디오니소스, 생성, 임신, 생산성, 여성, 사랑 등에 관한 논의들은 생의 본능(에로스)이 지배하는 새로운 문명의 형성을 위한 미래 철학을 정립하려는 시도였다. 이는 이성의 오만과 전제에 의한 자연 착취와 인간의 자기 예속의 과정에 대한 반성에서 나온 새로운 '생명의 문화'를 건설하기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 본문 329~330쪽에서 접기
왜냐하면 그들은 육체적으로 강건한 사람들보다 정신적 건강과 회복의 철학과 그리고 이 철학을 가르치는 교사들인 오전, 햇빛, 숲 그리고 샘에 대해 더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병으로 인해 스스로 자신의 거주지를 선택하여 유럽의 여러 지역을 돌아다녔고 엄격한 섭생이나 일상생활의 분배를 통해 자신의 건강을 강건하게 하고자 노력했다. 접기 - min


추천글
니체 철학으로 힐링하는 방법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저자 및 역자소개
김정현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고려대학교 철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에서 철학, 사회학, 종교학을 공부한 뒤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세계표준판 니체전집 한국어본(전 21권, 책세상)의 편집위원과 한국니체학회·범한철학회·대한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원광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있으며, 중앙도서관장을 역임했다. 현재 한중관계연구원장, 동북아인문사회연구소장으로 HK+사업단의 책임을 맡고 있다.
저서로 《니체의 사회 철학Nietzsches Sozialphilosophie》, 《니체의 몸 철학》, 《니체, 생명과 치유의 철학》, 《철학과 마음의 치유》, 《소진 시대의 철학》 외 다수가 있으며, 역서로 알프레트 쉐프의 《프로이트와 현대철학》, 니체의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유고(1884년 가을-1885년 가을)》, 야스퍼스의 《기술 시대의 의사》, 살로메의 《살로메, 니체를 말하다》 외 다수가 있다. 접기

최근작 :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소진 시대의 철학>,<니체의 미학과 예술철학> … 총 24종 (모두보기)


김정현(지은이)의 말
나는 이 책에서 니체에게 나타난 문제의식들을 숙주 삼아 우리 시대와 사회의 위기와 문제점들, 현대 문명의 문제와 미래 문명이 나아가야 할 좌표, 종교적 지평에서의 삶의 의미 파동과 자기 찾기, 과거사 문제와 같은 역사적 치료 등의 문제를 수정(受精)시키는 의학적 글쓰기를 시도해보았다. 철학자란 단순히 논리나 개념의 미라를 꼼꼼히 분석하는 학문적 노동자가 아니라 시대의 고통이나 인간 영혼의 상처를 읽고 치유하는 '철학적 의사'라는 니체의 말처럼, 나는 철학이란 이제 의학적 글쓰기의 영역, 즉 인간 영혼의 아픔과 시대의 고통을 치유하는 치료학으로 복권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출판사 소개
책세상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헤븐>,<횔덜린 시 깊이 읽기>,<빈곤의 가격>등 총 550종
대표분야 : 고전 6위 (브랜드 지수 481,961점), 과학소설(SF) 7위 (브랜드 지수 104,487점), 철학 일반 11위 (브랜드 지수 62,619점)








치유의 철학자로서 니체를 읽는다. 수천년간 이어져 온 이분법적 서양형이상학의 틀을 깨고 고양된 정신적 힘의 의지를 추구하는 능동적 허무주의로 고통을 극복하고자 한다. 깊은 고통은 사람을 고귀하게 만든다.
dr4mind 2014-06-26 공감 (0) 댓글 (0)



[마이리뷰] 니체, 생명과 치유의 철학


min 2015-04-13 공감(2) 댓글(1)
Thanks to
공감








Taechang Kim フランス人の人生観の 精神的特徴 (マンタリテ)

(1) Facebook

Taechang Kim
元外交官の著者によれば、次の四つの諺に老いを生きるフランス人の人生観の
精神的特徴 (マンタリテ)がよく表れていると言うのです。

"第一に、'La vie est belle' という言葉です。日本語に直訳すりと '人生は美しい'ですが、
フランスの高齢者たちは、'人生を美しいものにしよう' と自分達を鼓舞する呼びかけにも使っています。
第二に、'一番よいスープがdrきるのは古い鍋の中である' (C'est dans les vieux
pots qu' on fait la meilleur soupe) という 老いを賛美、自負するフランスの諺です。
第三に、'古いかまどは新しいかまどよりも暖めやすい' (Un vieux four est aise' a chauffer qu' un neuf) という諺。これも 古い鍋の諺と同様、老いを誇るものです。
第四に、'絹地を 裁断するのに古いはさみに優るものはない' (Il n' nest rien comme les vieux ciseaux pour couper la soie) という諺。高齢者の人生経験は、繊細さを要するあらゆる仕事をするときに、最も効果的な道具になるとという意味です。高齢者を生きている人たちの長い間の経験に基づく優れた感覚や才能を称賛する諺です".(pp.12-13)

先ず出だしの文言にご興味が感じられますでしょうか?

わたくし自身は 著者の生き様こそ "人生は美しい" (La vie est belle) という諺を日常的に実行してきているところに深い共感を感じ、この本が好きなのです。1939年生まれの元外交官。長い間の外交活動の時も常に、社会をもっぱらその底辺と周辺から見るという低い視点を手に入れ、貧しい人々、心身に障害のある人々, 高齢者、女性、子ども、社会的
少数者、性的少数者など社会的弱者の目線で、世の中を見直すという観点と
立場に徹しながら、いつも利己心や虚栄心を警戒する心構えを疎かにせず、退職後は、フランスの老人ホームでのボランティア活動に全力投球する途中、2016年になってがんが見つかり、治療のためにフランスでのボランティアを断念せざるをえなくなったにも
かかわらず、美しく生きるというフランスの諺を放棄することなしに、先に幽明を異にした親友故ルネ-ペルシヱ氏が始終口にしていた "年をとるということ、それは生きるということだ。年をとりながら、生きる喜びを見つけましょう" (Vieillir, c' est vivre. Trouvons la joie de vivre en vieillissant) と言い残した言葉に忠実な生き方を続けているところに深い共感を感じるのです。

Taechang Kim 전 외교관의 저자에 의하면, 다음의 4개의 속담에 늙음을 사는 프랑스인의 인생관의 정신적 특징(만타리테)이 잘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첫째, 'La vie est belle'이라는 말입니다. 일본어로 직역하고 '인생은 아름답다'입니다만, 프랑스의 노인들은 '인생을 아름다운 것으로 하자'고 자신들을 고무한다 둘째, '가장 좋은 수프가 드는 것은 낡은 냄비 속이다' (C'est dans les vieux pots qu' on fait la meilleur soupe) 하는 프랑스의 속입니다.셋째로, '오래된 가마도는 새로운 가마도보다 따뜻하게 하기 쉬운' (Un vieux four est aise' a chauffer qu' un neuf) 라는 속담.이것도 낡은 냄비의 속과 마찬가지로, 늙음을 자랑한다 넷째, '비단을 재단하는 데 오래된 가위에 친숙하지 않다' (Il n' nest rien comme les vieux ciseaux pour couper la soie)라는 속담 필요한 모든 일을 할 때 가장 효과적인 도구가된다는 의미입니다. 노인을 살고있는 사람들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뛰어난 감각과 재능을 칭찬하는 속담입니다. "(pp.12 -13) 먼저 출생의 문언에 흥미가 느껴질까요? 저는 자신의 저자의 삶이야말로 "인생은 아름답다"(La vie est belle)라는 속담을 일상적으로 실행해 오고 있는 곳에 깊은 공감 느낌이 책을 좋아합니다. 1939년생의 전 외교관. 오랫동안 외교 활동 때도 항상 사회를 유일하게 그 저변과 주변에서 보는 낮은 관점을 손에 넣고 가난한 사람들, 심신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 노인, 여성, 어린이, 사회적 소수자, 성 적 소수자 등 사회적 약자의 시선으로, 세상을 재검토한다는 관점과 입장에 철저히 하면서, 항상 이기심이나 허영심을 경계하는 마음을 소홀히 하지 않고, 퇴직 후에는, 프랑스의 노인홈에서의 자원봉사 활동에 전력 투구하는 도중, 2016년에 암이 발견되어, 치료를 위해 프랑스에서의 자원봉사를 포기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름답게 사는 프랑스의 속담을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에 유명을 달린 가장 친한 친구 고 르네 페르시 씨가 시종구로 하고 있던 "나이를 먹는다, 그것은 살아 있다는 것이다. 나이가 들면서 살 기쁨을 찾아라" Trouvons la joie de vivre en vieillissant) 라고 남겨둔 말에 충실한 삶을 계속하고 있는 곳에 깊은 공감을 느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