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31

알라딘: 불가능한 누드 프랑수아 줄리앙 (지은이), 박석 (옮긴이) 2019

알라딘: 불가능한 누드



불가능한 누드 
프랑수아 줄리앙 (지은이),
박석 (옮긴이)들녘2019-02-28




6.0 100자평(1)리뷰(0)

232쪽

책소개
동서양 비교철학 최고의 석학, 프랑수아 줄리앙 신작으로, 누드를 매개로 동양과 서양의 미학을 분석하였다. 또한 저자의 초청으로 프랑스에 머물며 저자와 함께 동서양의 문화와 사상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던 박석 교수가 직접 저자의 부탁을 받아 시작한 번역으로, 이 책 자체가 동서양 학계의 합작인 셈이다.

근대 이전의 동양에서 누드모델의 존재는 상상조차 하기 어려울 것이다. 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의 찬양을 받아오며 미술의 기초로 여겨지던 누드가 동양에서는 아예 성립 자체가 불가능했다는 사실에서 이 책은 시작한다.


목차


역자 해제

서문
I. | II. | III. | IV. | V. | VI. | VII. | VIII. | Ⅸ. | X. | XI. | XII. | XIII. | XIV. | XV. | XVI. | XVII.

역자 후기 | 한문 해설 | 크로키 목록 | 인명 색인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문화일보
- 문화일보 2019년 3월 22일자
서울신문
- 서울신문 2019년 3월 22일자
연합뉴스
- 연합뉴스 2019년 3월 22일자 '신간'



저자 및 역자소개
프랑수아 줄리앙 (Francois Jullien)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프랑스의 철학자로 파리7대학 교수, 프랑스 파리국제철학대학원원장, 프랑스 중국학협회 회장, 파리7대학 현대사상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프랑스 인문과학재단 교수로 재직중이다. 줄리앙은 40여 년간 중국사유와 서양사유를 맞대면시키는 작업을 통해 중국학의 차원을 뛰어넘어 완전히 새로운 사유를 펼쳐왔다. 역사, 언어, 개념 등 모든 면에서 서로 무관하게 정립된 중국사유와 서양사유는 각각의 습벽(習癖)을 서로에게 드러냄으로써 철학을 재가동시킨다. 줄리앙은 그동안 동서양 사유의 관계를 통찰한 40여 종의 단행본을 저술했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방대한 지적 자산을 토대로 독창적인 문화론과 실존의 윤리학을 정립하고 있다. 서양의 대다수 이론가들이 동양사상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많은 동양학자들은 서양사상을 정확히 다루지 못하기 때문에 줄리앙의 관점은 엄밀한 연구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그의 철학은 동서양 양쪽 이론가들에게 무궁무진한 영감을 제공할 것이다. 이미 그의 많은 저작이 20여 개국에서 번역되었다. 접기


최근작 : <탈합치>,<현자에게는 고정관념이 없다>,<문화적 정체성은 없다> … 총 94종 (모두보기)

박석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상명대학교 글로벌인문학부대학 중국어권지역학전공 교수
저서: <두보 초기시 역해>(솔출판사, 공저), <동양사상과 명상>(제이앤씨), <대교약졸, 마치 서툰 것처럼 보이는 중국문화>(들녘), <송대의 신유학자들은 문학을 어떻게 보았는가>(역락), <불가능한 누드>(들녘), <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들녁), <의식과 본질>(위즈덤하우스), <한산 시선>(지식을만드는지식)


최근작 : <참선 잘하그래이>,<인문학, 동서양을 꿰뚫다>,<하루 5분의 멈춤> … 총 21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동서양의 예술철학을
한 권에 담아내는
놀라운 역작”
_아마존 독자평

동서양 비교철학 최고의 석학, 프랑수아 줄리앙 신작
누드를 매개로 동양과 서양의 미학을 분석하다

전통적으로 서양 문화에서 누드는 미술의 기원이 되었지만, 중국에서는 누드가 아예 무시돼왔다. 무엇이 중국에서 누드의 발달을 억제하게 만들었는가? 이 문제는 인류학적 문제가 아니라 철학적 문제다. 동서양 철학을 아우르는 세계적인 석학 프랑수아 줄리앙은 이 문제를 놓고 누드를 통해 예술과 사유 모드의 차이, 예술과 사상의 차이를 깊숙이 탐구해나간다. 저자는 이미 한계에 다다른 서양 철학에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시도로서 중국학을 공부하게 됐다고 말한다.
미술사에서 누드화를 분석한 서양 책은 많지만 왜 그토록 누드를 그렇게 중시했는가에 대해 질문을 던진 사람은 거의 없다. 『불가능한 누드』는 서양철학자면서 동시에 프랑스 최고의 중국학자인 프랑수아 줄리앙의 독특한 경력과 꾸준한 연구가 만들어낸 걸작이다. 또한 저자의 초청으로 프랑스에 머물며 저자와 함께 동서양의 문화와 사상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던 박석 교수가 직접 저자의 부탁을 받아 시작한 번역으로, 이 책 자체가 동서양 학계의 합작인 셈이다.
근대 이전의 동양에서 누드모델의 존재는 상상조차 하기 어려울 것이다. 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의 찬양을 받아오며 미술의 기초로 여겨지던 누드가 동양에서는 아예 성립 자체가 불가능했다는 사실에서 이 책은 시작한다.
저자는 중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누드작품이라 평가받는, 명明대 후기 구영仇英의 「춘몽」을 살펴본다. 이 작품에서 신체를 감싸고 있는 옷의 선들이 굉장히 잘 표현되고 있는 데 비해 옷을 벗은 신체는 마치 포대자루를 쌓은 것처럼 밀도와 구성 모든 면에서 문제가 많음을 지적한다. 또한 빼어나게 표현하는 곤충이나 동물의 그림과 전혀 다르게 인체는 왜 잘 그리지 못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본격적으로 동서의 회화와 그 속에 담긴 철학을 풀어낸다.
중국 회화사 초기에는 인물화가 중시됐지만 후대로 갈수록 산수화가 주류를 이뤄 인물화에 대한 관심이 줄었다. 게다가 중국에서는 엄밀히 말하면 신분, 지위나 성격에 따라 제왕도, 종교인물화, 궁녀화 등등으로 나뉘어 ‘인물화’라는 독립적 개념 자체가 없었다.
이에 비해 서양에서는 누드를 통해 신분 지위와 무관한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고 있다. 즉 누드는 철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작업인 것이다. 누드의 목표는 감각적 모델을 통해 불변의 이상적인 형상을 찾는 것이다. 플라톤Platon식으로 표현하면 영혼의 상승을 추구하는 행위다. 인간의 본질이라는 개념을 지지하며 누드가 일관성을 지니도록 만드는 것은 형태학인데,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의 『회화론』에서도 보듯이 해부학적 지식은 유럽의 전통에서 회화 기법의 기초로 쓰였다.

누드가 완전히 무시돼온 중국 예술
누드의 부재, 곧 ‘불가능한 누드’에 의해 정체성이 확립되다
중국에서는 해부학 자체에 대해 관심이 전혀 없었다. 중국인들은 형태학보다는 경락을 중심으로 하는 기의 순환체계에 더 많은 관심을 지녔다. 그리고 그 기운은 인체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와 소통하는 것이다.
구영이 옷의 선을 중시했던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산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기맥이 있다고 여겨 산맥山脈이라 부른다. 사람이나 산은 모두 기운의 흐름이고 그래서 서로 교류할 수 있다고 여기는 셈이며, 가시적인 형태를 통해 그 너머에 있는 본질적인 형상을 찾을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저자는 누드야말로 감각적 형태를 통해 원형의 형상을 찾는 행위라고 규정한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형상과 질료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으며, 이는 이 세계를 존재라는 개념이 아니라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유와 무에 대한 명확한 구분도 없고, 유와 무는 하나의 과정에 불과하다.
중국의 회화는 서양처럼 정지된 형상, 존재의 본질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만물의 변화 속에 감추어져 있는 이理와 기氣를 표현하고 싶어한다. 중국 화가들이 인체보다는 바위나 대나무를 더 좋아했던 이유는, 뚜렷한 형태를 지닌 바위나 대나무로써 이와 기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소동파蘇東坡나 예찬倪瓚이 그린 바위는 구체적이고 뚜렷한 형상을 지닌 바위가 아니라 소용돌이치는 기운 속에 있거나 유와 무의 경계가 흐려진 상태에 있는 바위들로서 노자老子가 말한 큰 형상은 형태가 없다는 구절과 잘 어울린다.
역자 박석은 그럼에도, 이와 같은 작업이 결국은 서구인의 시각에서 나왔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우리 스스로의 관점에서 동과 서를 바라보려는 노력 또한 잊지 말아야 하며, 단순히 우리의 정체성을 찾거나 동서의 차이를 비교하는 작업에 그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동과 서를 넘어서 시대를 설명할 새로운 틀을 모색할 수 있는 단초를 독자들에게 제시할 것이다. 접기



《전략 》의 저자 책이라서 읽게되었다. 왜 서양에서는 누드를 가지는 문화적선택을 하고 중국에서는 누드를 문화적선택에서 불가한 대상으로 하였는가라는 물음으로 시작하여 누드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있다.내용은 별개로 하여 책구성 자체만보면 불필요할만큼 수록된 부차적 자료에 아쉬움이 많다
독서중 2019-03-18 공감 (3) 댓글 (0)

마이페이퍼


안녕하세요, 캥거루는 안 나오지만 굿즈 통신입니다


작년에 사고 싶은 종이책을 거의 다 사서 살 게 없는 와중에 또! 신상 굿즈가 제 맘을 설레게 했습니다ㅜㅜ!소띠 해라고 소 굿즈들 잔뜩 나오지만 전혀 관심이 안 생겼고(예쁜 소 굿즈 하나도 발견 못함. 스타벅스마저도), "~ 하소" 말놀이도 별로예요;지난달에 어린 왕자 메리고라운드 캔들 홀더에 이어 이달엔 어린 왕자 도자기 머그 + 트레이 때문에 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블랙이냐 초록이냐 엄청 갈등하다 초록 머그 하나쯤은 있어야지! 되지도 않는 핑계를 대고 초록으로 구매ㅎㅎ 어쩐지 이 초록, 스타벅스 느낌... + 더보기
AgalmA 2021-01-10 공감 (41) 댓글 (4)
Thanks to
공감
찜하기



심란할 땐 책, 책, 벽돌책


2014년에 나온 토마 피케티 『21세기 자본』이 전체 800여 쪽 중 평균 26쪽이 읽혀 호킹 지수 2.4%라고 한다. 경제학 책이 재밌는 건 아니지만 너무한 거 아닌가😅 신간 『자본과 이데올로기』(2020)는 1000여 쪽이 넘으니 호킹 지수가 더 걱정된다😅 난 『21세기 자본』을 완독했지만 힘들게 읽었던 기억 때문에 다시 펼치려면 짜증이ㅎㅎ;; 그래서 이번 신간은 e book으로 샀다. 보라, 얼마나 간편한 자태인가~ 에센스 북까지 한 번에 다 들고 다닌다. 크레마도 거추장스러... + 더보기
AgalmA 2020-07-26 공감 (33) 댓글 (2)
Thanks to
공감
찜하기



혼밥 생활자의 책장


"혼자 산다는 것은 나 자신과 함께 사는 것이다" 혼자 산다는 것에 대한 불편함은 그런 것이다. 혼자 밥 먹기. 물론 아팠을 때 - 병원에 가면 될 정도의 수준이 아니라 병원에도 못 기어들어갈 정도로 아팠을 때 어떻게 해야하나,의 문제는 불편이 아니라 불안한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나는 아직도 밖에서 혼자 밥 먹는 것이 쉽지 않다.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을텐데 왜? 라고 잠시 생각해봤을 때. 나는 먹는 것이 느려서 느릿느릿 식사하면서 딴짓하는 걸 좋아하는데 분명 식당에서 혼자 밥을 먹... + 더보기
chika 2019-04-29 공감 (12)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중국고전읽기와 통하는 중국미술읽기




프랑수아 줄리앙 의 책을 새로 접했다. <불가능한 누드>다. 이 책은 <무미예찬> 과 함께 중국미술비평의 좋은 예라고 생각한다.





















































중국고전도 그렇지만, 중국미술도 오늘날 시선으로 한눈에 그 아름다움을 다 잡기는 쉽지 않은데, 이는 동아시아 문화는 형이상학을 위한 추상영역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점을 말로 풀어 적당히 설명해내기는 쉽지 않은데, 우리가 현대한국인이기때문이다. 그래서 당연시하고 익숙하지만, 그 원래 맥락을 모르는 지점들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다. 말하자면, 서양의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어느정도 추상적인 가치관들을 여러 과정을 통해 수용했고, 동아시아 책읽기 전통도 낯설지 않기 때문에, 알면서도 모르고, 모르면서 익숙한 점들이 많다. 예를 하나 들면 과거나 현대 중국인 저자들의 고전읽기나 인물전기에서 흔히 보게되는, 관련 문헌이나 주석을 거의 빠짐없이 읽어내 해석하고 글을 쓰기때문에 생기는 경향이 그렇다. 필력도 느껴지고 정보도 어느정도 주지만, 뭔가 겉돌고 있는 느낌이 있다. 이런 글쓰기도 나름의 장점과 시선을 갖고 있지만, 우리 현대인이 갖는 의문점이나 의문을 해결해주는 방향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그리고 양의 문제도 있다. 중국고전과 이를 설명해줄 서양고전에 둘다 정통하고 어느 선까지 능통해야 할 수 있기도 하다. 이 두 문화에 정통하기는, 언듯, 동아시아 문화권에 있던 사람이 서양고전문화에 진입하는 것이, 서양문화권에 있는 사람이 동아시아 고전문화에 진입하는 것보다 쉬울거 같지만, 서양문화를 동양문화로 설명하기는 정말 어려울거 같다. 정량화하고 계량화하는 객관적 관점은 서양문화의 전통인 거 같다.




<불가능한 누드>는 중국전통미술과 서양전통미술을 '누드'라는 키워드를 놓고 다양한 관점에서 다룬다. 그래서 처음에는 목차가 없는게 아쉬웠지만, 로마문자로 숫자로만 챕터를 해놓은 것이 읽다보면 이해가 간다.

그래서 예를 들면손자병법같은 고전읽기와는 다소 결이 다르다. 똑같이 동아시아 문화와 서양문화를 대비하기는 하지만, 비교적 읽어 내는 순서가 예상되는 고전읽기와는 다른 미술읽기다.
















































서양문화가 누드를 어떻게 중요하게 다루는지를 얘기하면서, 고대중국이 왜 누드에 관심이 없었는지 다 방면으로 보여준다.

3장에서 중국 회화사를 일부 다룬다. 당연히 <중국화론유편>이 계속해서 인용된다.

4장에서 해부학적 지식과 누드 사이의 관련을 다룬다.

5장에서 '형상'에 초점을 맞춘 서양문화를 설명한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로티노스를 인용한다. 형상에 초점을 맞춤으로서 '정지'에 집중하게 됨을 얘기한다.

6장에서 사람그리기와 바위그리기를 같은 선상에서 설명하는 중국그림을 언급한다. 형상에 중요한 요소인 경계에 주목하지 않는 중국미술을 설명한다.

...

이런 식으로 서양과 동아시아를 오가면서 설명해낼 수 있는 것들을 소개하고, 그 관련의 깊이를 만들어 낸다. 다 읽고나서도 저자가 못한 얘기들이 당연히 더 있겠구나 생각이 들고, 두 문화의 차이를 어느정도 미술영역에서 설명해냈다는게 대단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프랑수아 줄리앵의 책 중 그림에 관련됐을 싶은 다른 책들도 매우 궁금하다.








- 접기

Mantra of Avalokiteshvara - Tibetan Incantations (COMPLETO)


LYRICS
ITS SANSKRIT.......

Namo Ratna Trayaya, 
Namo Arya Jnana 
Sagara, Vairochana, 
Byuhara Jara Tathagataya, 
Arahate, Samyaksam Buddhaya, 
Namo Sarwa Tathagate Bhyay, 
Arhata Bhyah, 
Samyaksam Buddhe Bhyah, 

Namo Arya Avalokite 
shoraya Bodhisattvaya, 
Maha Sattvaya, 
Maha Karunikaya, 
Tadyata, Om Dara Dara, 
Diri Diri, Duru Duru 
Itte We, Itte Chale Chale, 
Purachale Purachale, 
Kusume Kusuma Wa Re, 
Ili Milli, Chiti Jvalam, Apanaye Shoha

155

===================
 in English:

Homage to the Three Jewels,
Homage to the Ocean of that Superior,
Exalted Transcendental Wisdom,
The Appointed King, Vairocana,
The Tathagata, the Arhat,
the Pure and Complete Buddha,

Homage to All the Tathagatas, the Arhats,
the Pure and Complete Buddhas,
Homage to the Supreme Avalokiteshvara,
the Bodhisattva, the Great Being,
that Great Compassion,
Thus, Om, Apprehending the Deity of Sound,
Apprehending the Deity of Form,
Apprehending the Deity of Sign,
and the Surrounding Entourage.

35



2022/03/30

힙하게 중생 구제하는 남해의 관음상 스태츄입니다 | 피규어 갤러리

힙하게 중생 구제하는 남해의 관음상 스태츄입니다 | 피규어 갤러리

[레진] 힙하게 중생 구제하는 남해의 관음상 스태츄입니다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