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09

Jason Josephson Storm - Wikipedia

Jason Josephson Storm - Wikipedia

Jason Josephson Stor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Jason Ānanda Josephson Storm
Born
Jason Ānanda Josephson
NationalityAmerican
Other names
  • Jason Storm
  • Jason Josephson-Storm
RelativesFelicitas Goodman (grandmother)[1]: 302–304 
AwardsDistinguished Book Award,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2013[2]
Academic background
EducationMTSHarvard Divinity SchoolPhD Stanford University
Alma materStanford University
ThesisTaming Demons: The Anti-Superstition Campaign and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1853-1920) (2006)
Academic advisors
Academic work
Discipline
Sub-discipline
School or tradition
Notable works
Notable ideas
WebsiteFaculty profile

Jason Ānanda Josephson Storm ( Josephson) is an American academic, philosopher, social scientist, and author. He is currently Professor and Chair in the Department of Religion and Chair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t Williams College.[4] He also holds affiliated positions in Asian studies and Comparative Literature at Williams College. Storm's research focuses on Japanese religions, European intellectual history from 1600 to the present, and theory in religious studies.[4] His more recent work has discussed 

disenchantment and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Storm has written three books and over a dozen academic essays in English.[4] He has also published articles in French and Japanese, and translated academic essays and primary sources from Japanese to English. His first book,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earned the 2013 "Distinguished Book Award" from the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and was a finalist for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s "Best First Book" award in the History of Religions.[2][4] Benjamin G. Robinson, a scholar of religion and race, has described Storm's work as "seminal."[5]

Education[edit]

Storm earned a Master of Theological Studies degree from Harvard Divinity School in 2001. He earned a PhD in Religious Studies from Stanford University in 2006, where he studied Japanese religions under Bernard Faure, Carl Bielefeldt, and Helen Hardacre. During this time, he also researched Continental philosophy, especially post-structuralism. He was a visiting student at St Antony's College, Oxford in the 2004 academic year.[4] Storm's doctoral dissertation was entitled Taming Demons: The Anti-Superstition Campaign and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1853-1920).

Research[edit]

Japanese religions[edit]

Much of Storm's early writing on Japanese religions built on his doctoral research. This writing particularly examined how the categories of religionsuperstition, and science came to be constructed in Meiji-era Japan. For example, the paper "When Buddhism became a 'Religion'," one of Storm's most cited papers according to Google Scholar,[6] examined the categorization of different aspects of traditional Japanese Buddhism as religion and superstition in the work of Inoue Enryō.[7]

In his 2012 book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Storm expanded this argument to examine how Japanese thinkers in the Meiji era adopted Western categories of religion, superstition, and science. Storm examined the origins of State Shinto in this light.[8]: 133  The book also examined the confluence of Japanese religious thought, political theory, science, and philology in movements such as the Kokugaku.[8]: 110–111 

Kevin Schilbrack has associated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with "Critical Religion" or the "critical study of religion", an approach in religious studies that challenges the stability of religion as an analytical category.[3]: 93–94  Other thinkers in this movement include Talal Asad and Russell T. McCutcheon. Within this field,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draws on insights from postcolonial theory and has been connected to Edward Said's Orientalism and Richard King's Orientalism and Religion.[9]: 82  At the same time, Storm complicates Said's thesis, noting in particular that Japanese scholars adapted the concept of religion to their own ends and contributed to orientalist scholarship in order to position Japan as a culturally and intellectually dominant force in East Asia, including over Korea during Japan's colonization of the region.[9][8]: 247 

In his book introducing different concepts of religion, Benjamin Schewel claimed that Storm's work in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made "major conceptual contributions" to what Schewel terms the "Construct Narrative" of the definition of religion.[10]

Other ideas developed in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have been applied more broadly in religious studies. For instance, the ideas of hierarchical inclusion and exclusive similarity, which Storm coined to describe Japanese methods of conceiving religious difference,[8]: 24–39  have been applied in research on South Asian religions.[11]

Magic and disenchantment[edit]

Storm's 2017 book The Myth of Disenchantment challenged the validity of the thesis of disenchantment in the social sciences. The book argues that social-scientific data do not support the idea of a widespread loss of belief in magic in the West.[1]: ch. 1  The book distinguishes between secularization and disenchantment as theoretical and sociological phenomena and argues that they have not been correlated in European history. According to Storm, these data challenge traditional definitions of modernity.[1]: 306–310  Storm argues that disenchantment has come to serve as a myth in the sense of a "regulative ideal" that impacts human behavior and leads people to act as though disenchantment has occurred, even though it has not.[12]

In addition to its sociological critique of the reality of disenchantment, The Myth of Disenchantment offered new intellectual-historical interpretations of sociological theorists commonly associated with disenchantment. The book argued that many of these thinkers, including Max WeberJames George Frazer, and Sigmund Freud, engaged with mysticism and the occult.[1] For this reason, Storm argues, accounts of disenchantment derived from the work of these figures may need to be revised. In The Myth of Disenchantment and other academic articles, Storm also argued for a close connection between Western esotericism and the origin of religious studies as a discipline.[13][1]: ch. 4 

Around the time of The Myth of Disenchantment's publication, Storm discussed the thesis and main arguments of the book in semi-popular articles for aeon.co and The Immanent Frame as well as through interviews with magazines and podcasts.[14][15][12]

Theory[edit]

Storm has written on broader questions of epistemology and theory in religious studies. Some of his work in this field seeks to extend and generalize concepts developed in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Building on ideas in his 2012 book, Storm has developed a trinaristic approach to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larism, superstition, and religion that he argues is applicable more generally.[16] This trinary contrasts to earlier social-scientific accounts of secularization, which tend to presuppose a binary between religion and secularism. According to Storm, the trinaristic formulation may allow for a more refined theorization of secularism, secularization, and modernity. Brill's Method &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 devoted an issue to further discussing and applying Storm's idea in other subfields of religious studies.[17]

Storm has also been a proponent of what he calls "Reflexive Religious Studies," inspired by the "reflexive sociology" of Pierre Bourdieu and Loïc Wacquant, which describes sociology itself in sociological terms. Reflexive Religious Studies addresses the way that "that academic social science produces feedback in culture in such a way that it produces greater coherence in the social sphere that it then studies."[18] More specifically Reflexive Religious Studies "examine[s] those societies in which the category “religion” and its entangled differentiations (e.g., the distinction between religion and the secular) have begun to function as concepts" and it describes how the academic study of religion "actually reverberates in the religious field, revitalizing and even producing religions."[18]

In a 2020 article for Method &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 Storm applied analytic philosophy of science to critique attempts to model the methods of religious studies on the natural sciences.[19] There Storm also discussed his plans to develop a new approach to the social sciences that he terms metamodernism.[19]

Reception[edit]

The Myth of Disenchantment has been favorably reviewed in several academic publications, including Magic, Ritual, and Witchcraft,[20] Fides et Historia,[21] and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22]

Writing in History of ReligionsHugh Urban called The Myth of Disenchantment "a powerful book that forces us to rethink many of our basic assumptions in the modern history of ideas", although he argued that Storm could have more close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enchantment and capitalism.[23]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was a finalist best first book in the History of Religion at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and it won a distinguished book of the year award from the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24] It has also been favorably reviewed in Numen,[25]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26] Religious Studies Review,[27] and the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28] among other academic publications.

A 2019 doctoral dissertation has engaged extensively with the arguments in The Myth of Disenchantment, recognizing their significance but seeking to more deeply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enchantment and European colonialism.[29] Matthew Melvin-Koushki, a scholar of Islam and Islamic occultism, has also cited The Myth of Disenchantment to challenge orientalizing accounts of magic in the Islamic world.[30]: 238–239 

The 2017 annual AAR-SBL meeting in Boston included an "Author Meets Critics" panel devoted to The Myth of Disenchantment.[31]

Bibliography[edit]

Books[edit]

Select journal articles in English[edit]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c d e Josephson Storm, Jason (2017). 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40336-6.
  2. Jump up to:a b "Distinguished Book Award"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Retrieved 9 November 2021.
  3. Jump up to:a b Schilbrack, Kevin (January 14, 2020). "A metaphysics for the study of religion: A critical reading of Russell McCutcheon"Critical Research on Religion8 (1): 87–100. doi:10.1177/2050303219900229. Retrieved 9 November 2021.
  4. Jump up to:a b c d e f g h "Jason Josephson Storm"williams.edu. Retrieved 9 November 2021.
  5. ^ Robinson, Benjamin (May 27, 2019). "Racialization and modern religion: Sylvia Wynter, black feminist theory, and critical genealogies of religion"Critical Research on Religion7 (3): 257–274. doi:10.1177/2050303219848065S2CID 189964035. Retrieved 9 November 2021.
  6. ^ "Jason Josephson Storm"Google Scholar. 2021. Retrieved 9 November 2021.
  7. ^ Josephson, Jason Ānanda (2006). "When Buddhism Became a "Religion": Religion and Superstition in the Writings of Inoue Enryō"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33 (1): 143–168. JSTOR 30233795. Retrieved 9 November 2021.
  8. Jump up to:a b c d Josephson, Jason Ānanda (2012).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412344.
  9. Jump up to:a b Goldstein, Warren (April 4, 2020). "What makes Critical Religion critical? A response to Russell McCutcheon"Critical Research on Religion8 (1): 73–86. doi:10.1177/2050303220911149. Retrieved 9 November 2021.
  10. ^ Schewel, Benjamin (September 26, 2017). 7 Ways of Looking at Religion: The Major Narrativ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231410.
  11. ^ Berkwitz, Stephen C. (January 17, 2017). "Sinhala Buddhist Appropriations of Indic Cultural Forms: Literary Imitations and Conquests"Religions of South Asia10 (1): 31–53. doi:10.1558/rosa.27959. Retrieved 9 November 2021.
  12. Jump up to:a b Gyrus (February 2018). "Myth & Disenchantment: An interview with Jason Ā. Josephson-Storm"Dreamflesh. Retrieved 9 November 2021.
  13. ^ Josephson, Jason Ānanda (2013). "God's Shadow: Occluded Possibilities in the Genealogy of "Religion""History of Religions52 (4): 309–339. doi:10.1086/669644S2CID 170485577. Retrieved 9 November 2021.
  14. ^ Josephson Storm, Jason (June 25, 2019). "Against Disenchantment"aeon. Retrieved 9 November 2021.
  15. ^ Josephson Storm, Jason (May 23, 2017). "The Myth of Disenchantment: An Introduction"The Immanent Frame. SSRC. Retrieved 9 November2021.
  16. ^ Josephson Storm, Jason Ānanda (January 2, 2018). "The Superstition, Secularism, and Religion Trinary: Or Re-Theorizing Secularism"Method &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30 (1): 1–20. doi:10.1163/15700682-12341409. Retrieved 9 November 2021.
  17. ^ "Method &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 volume 30, issue 1"Brill Publishers. January 2, 2018. Retrieved 9 November 2021.
  18. Jump up to:a b Josephson-Storm, Jason (2017). 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1–14. ISBN 97802264032299780226403533.
  19. Jump up to:a b Josephson Storm, Jason Ânanda (28 July 2020). "Revolutionizing the Human Sciences: A Response to Wiebe"Method &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33: 82–88. doi:10.1163/15700682-12341498. Retrieved 9 November 2021.
  20. ^ Bindell, S.M. Mendell (Spring 2018). "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 by Jason Ā. Josephson-Storm (review)"Magic, Ritual, and Witchcraft13 (1): 120–125. doi:10.1353/mrw.2018.0004. Retrieved 9 November 2021.
  21. ^ Larsen, Timothy (Fall 2019). "Featured Review: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 Fides et Historia51 (2): 168–170.
  22. ^ Heyes, Michael E. (July 27, 2018). "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 By Jason A. Josephson-Storm"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86 (4): 1158–1161. doi:10.1093/jaarel/lfy035. Retrieved 9 November 2021.
  23. ^ Urban, Hugh. "Review of 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 By Jason Ā. Josephson-Storm"History of Religions59 (1): 78–9. doi:10.1086/703523. Retrieved 9 November 2021.
  24. ^ "List of Distinguished Book Awards,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25. ^ MacWilliams, Mark W. (June 8, 2015).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written by Jason Ānanda Josephson"Numen62 (4): 468–473. doi:10.1163/15685276-12341383. Retrieved 9 November 2021.
  26. ^ Dobbins, James C. (Summer 2014). "Review of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by Jason Ānanda Josephson"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40 (2): 478–483. doi:10.1353/jjs.2014.0092JSTOR 24242739S2CID 141043276. Retrieved 9 November 2021.
  27. ^ Kawamura, Satofumi (December 2016). "The Politics of Studying Religion in Modern Japan—Review of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Religious Studies Review42 (4): 255–258. doi:10.1111/rsr.12640. Retrieved 9 November 2021.
  28. ^ Roemer, MK (December 4, 2013). "Book Reviews: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52 (4): 852–853. doi:10.1111/jssr.12070. Retrieved 9 November 2021.
  29. ^ Becker, Martin Stephan (2019). The Disenchantment of the World and Ontological Wonder (PhD). UC Santa Barbara.
  30. ^ Melvin-Koushki, Matthew (April 23, 2018). "Taḥqīq vs. Taqlīd in the Renaissances of Western Early Modernity"Philological Encounters3(1–2): 193–249. doi:10.1163/24519197-12340041. Retrieved 9 November2021.
  31. ^ "Boston Annual Meeting, November 18-21 2017" (PDF)sbl-site.org.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7. Retrieved 9 November 2021.

External links[edit]

Read The Essential Unity of All Religions Online by Bhagavan Das | Books

Read The Essential Unity of All Religions Online by Bhagavan Das | Books
The Essential Unity of All Religions

The Essential Unity of All Religions

820 pages
16 hours

Included in your membership!
at no additional cost

Description

An examination of the similar truths in the religions of the world. Topic include Scientific Religion, Divine Will, the Nature of God, Evolution, Prayer, and the Sacraments.

Read on the Scribd mobile app

Read On the Seven Deadly Sins Online by Kenneth Baker | Books

Read On the Seven Deadly Sins Online by Kenneth Baker | Books
On the Seven Deadly Sins

On the Seven Deadly Sins

465 pages
7 hours

Included in your membership!
at no additional cost

Description

In this fascinating book Kenneth Baker explores how the Seven Deadly Sins – Pride, Anger, Sloth, Envy, Avarice, Gluttony and Lust – have shaped history from the Greek and Roman Civilisations, through their heyday in the Middle Ages, when sinners really believed they could go to Hell for all eternity, to the secular world of today, where they are still an alluring and destructive force.
Today most sinners are punished in this world not the next:
• Black Pride and Gay Pride have made tens of millions more understood and more accepted, but the overweening pride of certain leaders – Hubris – has led to wars and devastation: Hitler in Russia; the Japanese at Pearl Harbour; Saddam Hussein in Kuwait; and Blair and Bush in Iraq.
• Anger, when righteous, can be a virtue, which helped to end the slave trade in the 19th century and to expose child abuse today, but there is still personal anger in domestic violence and Daesh terrorism.
• Sloth can be an amiable weakness as Tennyson said, ‘Ah why should life all labour be’, but the rewards go to the energetic.
• Envy is the mainstay of the global advertising industry encouraging everyone to improve their lives, but it is also a secret vice, a self-destroying morbid appetite.
• Avarice, has led to better living conditions for many people but also to the Great Depression, the financial collapse of 2008, and to 1,800 billionaires with the combined wealth of US $6.48 trillion.
• Gluttony is not a sin but a destructive ailment leading to obesity, bottle-noses, bleary eyes, grog-blossoms and breath like a blowlamp.
• Lust that demands immediate gratification is clearly still a sin, whether Paris’ abduction of Helen of Troy, or websites that encourage marital infidelity, or the fate of many politicians, as Kipling said, ‘For the sins they do by two and two, they must pay for one by one.’
This book is lavishly illustrated from Medieval manuscripts to Picasso, and Kenneth Baker has drawn on his knowledge of cartoons down the ages to include a few by Gillray, Rowlandson, Bateman, Eric Gill and today Peter Brookes.

2021/11/08

Read The Leap Online by Steve Taylor and Eckhart Tolle | Books

Read The Leap Online by Steve Taylor and Eckhart Tolle | Books

The Leap: The Psychology of Spiritual Awakening

5/5 (5 ratings)
435 pages
14 hours

Included in your membership!
at no additional cost

Description

What does it mean to be enlightened or spiritually awakened? In The Leap, Steve Taylor shows that this state is much more common than is generally believed. He shows that ordinary people — from all walks of life — can and do regularly “wake up” to a more intense reality, even if they know nothing about spiritual practices and paths. Wakefulness is a more expansive and harmonious state of being that can be cultivated or that can arise accidentally. It may also be a process we are undergoing collectively. Drawing on his years of research as a psychologist and on his own experiences, Taylor provides what is perhaps the clearest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ate of wakefulness ever published. Above all, he reminds us that it is our most natural state — accessible to us all, anytime, anyplace.

キリスト教思想への招待 : 田川 建三: Japanese Books

Amazon.co.jp: キリスト教思想への招待 : 田川 建三: Japanese Books
===

내용(「BOOK」데이터베이스에서)

기독교 사상에는 너무 알려지지 않은 뛰어난 유산, 귀중한 사고방식이 있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성서를 찔러 잘 보이는 지점으로 초대한다.
====
일본의 최고 리뷰
모든 리뷰를 영어로 번역
구도자_666
별점 5점 만점에 5.0점 '역설적' 호교 스타일로 도발
2006년 2월 27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확인된 구매
좋은 것은 좋은, 나쁜 것은 나쁘다, 잘못하고 있는 것은 잘못하고 있다··치아에 옷을 입을 수 없는 이야기 = “타가와절?”은 건재합니다.

“이 사람, 랩퍼를 좋아한다.” 등등, 웃음을 자아내면서도, “현대” 기독교 사상의 본질에 대해 재고를 다가가는 기술이, 무성한 모습입니다.

(발트 신학에 대한 악랑(웃음)을 지금 굉장히 평하는 분도 계시는 것 같습니다만, 일본에서의 지배력·주박은 아직도 크기 때문에, 저자에게 박수를 두고 싶습니다).

「제4장 끝없는 종말론」에서는, 「요한의 계시록」을 「로마 제국에 의한 대박해하에 있던 신도에게 향한 격려의 서」라고 하는, 현재의 「(온건파) 업계」의 「상식」 를, 사실(도미티아누스제에 의한 탄압은 국지적·일시적)이나 유대(교) 묵시 문학의 전통을 근거로 한 「독서」를 논거에, 저자는 담백하게 얽혀 보입니다. "로마 제국의 (화폐 경제) 지배의 실태를 알기 위해서는, 이만큼 알기 쉬운 표현은 없고, 이것에 비해 고대 문헌은 남아 있지 않다"라고.

때때로 폭주하는 문체는 '요한의 계시록' 기자와 '분노'를 공유하기 때문입니까?

또 「후기」도 필독입니다. 저자의 뜨거운 생각을 알기 위해서도.
덜 읽기
36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처럼
별점 5점 만점에 5.0점 리뷰가 아니라 감상을 한마디
2005년 1월 25일에 일본에서 검토됨
확인된 구매
저는 저자의 부정의에 대한 분노를 마음껏 생각했고, 그것을 표현하는 말의 정확하고 호화로운 것들을 기쁘게 생각했습니다. 특히 요한의 묵시록을 설명하고 “문장의 세세한 책장 등 맞추고 있을 여유가 없다. 더 강했다." 에 있는 것 같았습니다. 저자는 아티스트라고 생각한다(무슨 표현!).
꼭 오랫동안 살아 많은 사람들로부터 미움받고(웃음), 쓰고 있는 책을 제대로 출판해 주었으면 합니다.
23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UKIUKI
별점 5점 만점에 1.0점 또 다른 타가와 켄조
2008년 8월 6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확인된 구매
신약 성경 연구자로서는 일류. 마르코 주해나 「서로로서의 신역 성경」은 성십개의 것. 꼭 읽어주세요.
하지만 이 사람은 (본인은 눈치채지 못했지만) 옛날부터 있는 종교적 반세속 사상에 굳어지고 있어, 정치나 경제(혹은 세상의 구조)를 이해할 수 없다. 교환과 분업이 사람들을 풍요롭게 하고, 사유재산제와 이익추구가 자유와 번영의 초석이며, 그 부정은 전체주의에의 길인 것. 이러한 기본적인 사실을 경험으로부터, 아렌트나 페더러리스트나 스미스로부터 배웁니다.
타가와씨는 마르코 주해의 이어나 신역의 번역에 전념해 주었으면 한다.
26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익명의 희망
명예의 전당TOP 500 리뷰어바인 보이스
별 5개 중 4.0개 새로운 종교의 성립과 발전에 관련된 사상사
2010년 11월 30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기독교의 탄생부터 종교 개혁 무렵까지 주로 성경의 해석을 둘러싼 사상사입니다.

왜 급속하게 퍼졌는가? 왜 로마의 국교가 되었는가? 당시의 다신교의 모습, 위정자의 생각 등을, 그리스어, 라틴어 그 외의 문헌을 정성껏 읽어 설명해 줍니다.

저자의 문체는 구어조라고 할까 독특하네요. 이야기는 종종 옆길에 그것, 정치 비판에까지 이르고, 전치가 오랫동안 계속됩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싫어할지도 모릅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그리스 신들을 믿는 측에서 '무신론자'라고 불렸고, 율리아누스가 왜 기독교를 싫어했는지, 현재의 공동 번역에도 원문의 잘못된 해석이 있는 것 같다는 것, 요한의 묵시록 의 의미는 묵시록의 그리스어 문법의 실수가 많은 것, 몰랐던 것을 많이 깨닫고 즐거운 독서였습니다.

기독교 측으로부터 이론이나 비판이 있는 것 같지만, 깊은 지식과 연구에 근거한 진짜 논의입니다. 반드시 현재의 교회의 해석에 동의하지는 않지만, 쫓아낸 견해라고 하는 것보다, 애증코도 굉장한 것일까라고 느꼈습니다.

세계 인구의 몇 분 중 하나는 기독교이기 때문에, 글로벌화가 진행되는 지금, 이웃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알아 두어 손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같은 저자의 『 예수라는 남자 』를 읽으려고 합니다.
덜 읽기
14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시지미가이
별점 5점 만점에 5.0점 기독교의 근간을 뜨겁고 격렬하게 어리석게
2007년 11월 6일에 일본에서 검토

1장에서는 성경을 통해 무언가를 배우고 생각한다는 것은 어떤 행위인지를, 창조설을 주제로, 온화하게도 “자연에 대한 겸손한 경경을”이라고 주장하는 가운데서 설명한다. 2장에서는 이웃사랑을 주제로 그 사상을 배경으로 신자·교회가 실시하고 오늘까지 계속하는 유럽의 좋은 전통인 “모두가 자고 먹을 수 있는” 사회를 목표로 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기까지 성경이나 타가와 절에도 익숙해져 왔기 때문에 

드디어 본제. 3장은 예수께서 무엇으로부터 구제하셨는지에 대해 즈바리 그것은 종교로부터의 구제이다. 아니고 제국 지배다, 자본주의다, 국가에 의한 폭력이다, 이런 악은 없어져 버리라는 비통한 원념이 신약성경의 종말론임에 요한계시록의 독해로부터 도착한다.

마르크스가 자본주의를 분석하고 그 현재를 철저히 비판한 것처럼, 타가와는 성서를 분석하여 현재를 철저히 비판한다. 그리고 성서도 그 자체도 예수를 분석하고 그 현재를 철저히 비판하는 책일 것이다. 이들 모두 지금 현재에 그대로 통하여, 결국 강대한 권력하에 많은 인간이 굶주림을 흘리며 불합리하게 죽어가는, 이 구조를 화내고 있다. 내일을 긍정적으로 살기 위해서라든지, 하물며, 이라크 아프간 침공을 의로 하기 위해서, 등 결코 없는 것이 성경. 자신의 신념과 주의 주장으로부터 출발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여기까지 뜨겁고 재미 있고, 도착할 수 있는 주장이다.
읽기 쉬운.
덜 읽기
16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창롱
별 5개 중 4.0개 전반은 기독교 사상사로서 꽤 나쁘지는 않지만, 후반은 이야기가 치우쳐 곤란하다
2012년 9월 9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처음에 이 저작은 저자가 후기로 말하는 것처럼 부담없이 읽을 수 있도록 쓰여진 책이므로 같은 저자의 다른 본격적인 학술서와 비교해도 어쩔 수 없다. 기독교 사상에 관한 학술적 에세이로서 어떻게 평가할지가 문제가 된다.

전반의 1장과 2장은 기독교 사상으로서의 자연신학과 이웃사랑사상(자치사상)의 소개가 되어 있어, 그들은 현대에 이어지는 영향력을 가진 사상이라고 생각하면 흥미로운 이야기다. 그러나, 후반의 3장과 4장이 되면(구속의 이야기는 아직 재미있지만) 종교 비판으로서의 고대 기독교에 대한 치우친 이야기나 요한계시록의 약간의 주석이 오랫동안 계속되어 읽고 지쳐 온다. 기독교 사상사의 에세이로서 성공하고 있는 것은 기껏해야 전반일 뿐이다. 전체적으로 이야기가 가는 길도 많고, 그 중에는 발트 비판이나 바울 비판도 있어, 사람에 따라서는 흔들지도 모른다. 그것을 담아도 전반의 기독교 사상사는 읽을 가치가 있다.

자연신학이라고 하면 무심코 반진화론 근처를 생각해 버리지만, 그것은 자연신학의 한 측면 밖에 없다. 원래 다윈의 진화론이 만들어질 때까지는 진화론적인 자연신학의 전통이 있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버크슨이나 샤르단의 진화론적인 철학도 참조) 위에 현대 생물학에 대한 영향력도 지금 하지만 남아 있다(내츄럴리스트 정신과 자연신학과의 관계는 「 사회생물학논쟁사2 」 p.461 참조). 또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생태 사상의 배경에도 자연 신학이 비쳐 보인다. 일신교는 자연 파괴의 근원이다! 같은 단락화된 일본의 무지한 생각을 걷어차기 위해서도 이 저작으로 자연신학의 근원을 아는 것은 나쁘지 않다.

이웃사랑에서 자치사상이 생긴 것에 대해서도 그것이 (종교개혁을 통해) 민주주의사상의 근원이 되고, 심지어 사회주의가 되어 공동체주의가 되게 되기 위한 토양이 되었을 것이다. 뭔가 하면 바로 위를 의지하는 일본과는 달리, 서양에서는 자치사상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었던 것을 잘 알 수 있다.

일본에서는 사상이라고 하면 일시적인 유행으로 밖에 없는 곳이 있지만, 서양에는 역사를 가진 기독교 사상이 뿌리 내리고 있어 그 근원의 종교성이 사라져도 그 사상의 근본이 뿌리 깊게 살아 남아 있다. 그런 서양의 뿌리깊은 사상을 아는데 (적어도 전반은) 읽을 가치가 있다.
덜 읽기
11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텐소바
별점 5점 만점에 1.0점 중복하고 낭비가 많은
2011년 10월 8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확인된 구매
타가와 켄조씨에 대해서는 다시 말할 것은 없을 것입니다.
이번에, 이 책을 읽기 시작해 매우 화가 난다. 어쨌든, 너무 문장이 어지럽히고 중복이니까.
유럽이나 아프리카에서 생활한 것이 어쨌든 자랑하고 싶을 것이다. 자신이 일본인임을 부정하는 것이 많이 쓰여져 있다.
그래서 좁은 세계관을 바탕으로(그에게 말하게 되면 그것이 본래의 성경 해석이라니) 현대의 정치 비판에 이른다. 일찌기 ICU를 해고된 트라우마에서 아직 개방되지 않은 독성이 있는 성서학자라는 느낌이 들었다.
성서 해석에 관해서는 글쎄, 평소대로 그에게 말하게 하면 나에게 이런 일이 있으면 나오라고 말할 뿐이지만, 그러한 그 자신이 성경 해석은 무수히 있음을 인정하면서 자신의 해석 독특한 독설로 밀어 넣는다. 바로 그가 싫어하는 '미국식'과 같을 것이다.
읽을 가치가 없다고는 말하지 않지만, 이 정도의 것이라면 얼마든지 그 밖에 있다.
13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고양이 aisu
별점 5점 만점에 5.0점 무서운 지성
2015년 5월 18일에 일본에서 작성됨
타가와씨에게는, 엎어질지도 모릅니다만, 우리 독서 경험에 있어서, 깊은 감동을 불러일으킨 일본의 그리스도인은, 우치무라 감조와 타가와 건조뿐입니다. 양자에서 공통되는 것은 그 뛰어난 인간 인식입니다. 본서를 얇은 관점에서 통통적 고등학교 참고서 수준의 자본주의론(웃음)으로 비판하고 있는 사람은 인간의 생활고와 정신고에 대한 상상력도 사색력도 무섭게 누락되어 있습니다. 배관료를 버는 것을 목적화하고 있는데, 마치 인류를 구하기 위해 신사 불각 교회를 운영하고 있는 것 같은 얼굴을 하고 있는 무리의 타락을 접해, 분노에 떨린 적도 없을 것입니다 . 이 책은 이 세상의 불합리에 신경을 쓰면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모르게 헤매는 약한 사람들을 위해 쓰여져 있습니다. 현재의 생활에 아무런 의문도 가지지 않고, 보이지 않는 뒤편의 세계에 둔감한 사람들에게는, 아마 이 책은, 품위 있는 말을 위대하게 늘어놓은 것 밖에 받아들일 수 없을 것입니다. 인연없는 중생입니다.
19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田川 建三: 書物としての新約聖書

Amazon.co.jp:Customer Reviews: 書物としての新約聖書
일본에서
FT
별점 5점 만점에 1.0점 어리석은 방담
2019년 1월 4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아무리 좋은 가감한 것, 옳지 않은 일이라든지, 자신감을 가지고 단언만하면 상당히 세상에 받아들여져 버리는 것이 자주 있다. 강한 확신을 가지고 말한다는 것이 말에 박력을 줄 것이다. 타가와씨의 이 책은 바로 그러한 예가 아닌가 생각된다.

 분명히 말해서, 이것은 진지한 학술서라고는 매우 말할 수 없다. 그러면 어떤 것일까라고 하면, 이것은 일종의 엔터테인먼트 책이라고 하는 것이 아닐까. 화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재밌게 재미있고 무책임하게 세운 것뿐이라는 것이 이 책의 진짜라고 생각한다.

 서문에 있어서 저자는 「원칙적으로는, 어떠한 기술에 대해서도, 어째서 그러한 것을 말할 수 있는지, 라고 하는 논거(반대의 논거도 포함해)를 가능한 한 모두 제시하는 것이 요구된다」(vi 페이지) 등으로 말해, 이 책에서도 스스로 그것을 실천한 것처럼 말하고 있다. 하지만 사실, 저자는 그것을 거의 실행하지 않았습니다. 저자는 대부분 자신이 의거하고 있는 책이나 논문을 들고 그 결론을 소개하고 있을 뿐이다. 그들이 무엇을 근거에 어떤 판단을 했는가 하는 길을 나타내는 것조차 하지 않는다. 즉, 저자는 자신이 받아들이고 있는 학설을(그런데 꼬리 지느러미를 붙이면서) 그럴듯하게 받아 팔고 있을 뿐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다른 연구자들의 저술과 번역을 종종 매우 엄격히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그 비판의 대부분은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저자가 비판하고 있는 것은, 거기에 말해지고 있는 내용 그 자체가 아니고, 오히려, 개개의 단어의 사용법에 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이 「아마네쿠」는 실수이다」, 「이 「구어」라고 하는 개소도 실수이다」(322, 326 페이지)라고 하는 느낌의 비판을 볼 수 있지만, 대상으로 하고 있는 문헌의 단어 하나 하나 하나를 문맥으로부터 분리해 비판해도, 그것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의 의미라는 것은 그다지 확정적이고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모양"이라고 해도, "전혀 예외없이 백퍼센트"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사람도 있으면, 단지 "널리 일반적으로"정도의 의미로 사용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구어」라고 해도, 「구두로의, 음성에 의한 말」이라고 하는 의미로 밖에 사용하지 않는 사람도 있으면, 단지 단순히 「일상적인 말」정도의 의미로 사용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의미가 엄격히 한정되어 있는 학술 용어라도 어쨌든, 타자가 자신과는 다른 말의 사용법을 하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바로 실수라고 결정하기에는 어려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자신과는 다른 말의 사용법을 아무것도 실수로 잘라버리고 있는 것이다.
 다른 연구자의 저술이나 번역에 대한 비판에 관한 문제점은 그것만이 아니다. 저자는, 잘못하고 있다고 자신이 판단한 기술을 소개할 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말을 하고 있다. 「얼마든지… … 일부러… 선정적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는 말씀이다. 이것은 결코 학술서에 어울리는 스타일이 아니다.

 이 책의 주장 내용 자체도 상당히 어색하다. 그건 상세한 검토를 할 필요도 없고, 「이것은 서투른 그리스어다」라든가 「이것은 그리스어의 감각으로부터 하면 생각할 수 없는 표현이다」라고 하는 듯한 취지를 말하고 있는 개소( 333, 339쪽)을 보는 것만으로도 분명할 것이다. 극히 간단한 일본어에 대해서도, 「이 말은 이상하다」라고 하는 일본인도 있으면, 「아니, 별로 위화감은 없다」라고 하는 일본인도 있고, 의견이 깨지는 경우도 많다. 그리스어의 네이티브 스피커도 아니면, 그리스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해 살아온 것도 아닌 저자가, 위와 같은 것을(자신의 책임으로) 말할 수 있을 리가 아닌가. 실은, 그리스어나 영어 등의 여러 언어에 관한 다가와씨의 설명은 실수 투성이이다. 그것도, 뭔가 특수한 용법의 존재를 간과했다거나, 지금은 버려져 버린 낡은 설에 의거해 버렸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써 있는 것이 본질적으로 잘못되고 있는 것이다. 「셈어의 명사에는 격이라는 발상이 원래 없다」등이라고는 잘 말한 것이다(338페이지).
 아니, 어학에 관한 해설 이전에, 저자는 간단한 영문조차 제대로 읽지 않았다. 예를 들면, 어떤 독일어 서적의 영어 번역을 비판하고 있는 곳에서 저자는 영어 번역 속에 있는 Can…?Or… 저자는 전반의 Can… 오해하고 있다. 이런 것을 다음부터 다음에 하고 있는 것 같아서는 물론, 외국어로 쓰여진 문헌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도 없다. 이 책의 내용은 외국어 문헌의 그러한 불충분한 이해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이 책에는, 실수라고까지는 말할 수 없을지도 모르지만, 오해를 초래하는 것 같은 기술도 여러가지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정역 성경에 대한 해설에서 저자는 다음과 같이 썼다.
“초판 때에 두 개의 다른 판이 만들어졌다는 진묘한 학설이 일시 유행한 적이 있다. 루츠기 3·15로, 「마을에 갔다」라는 글의 주어가 초판에서는 he가 되어 있는데, 제2판에서는 she가 되어 있는 것에 유래한다. 이것은 물론 초판 인쇄의 실수로, 제2판에서 이것을 정정한 것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후세의 고문서업자가 소지의 제2판을 제1판이라고 말하기 어리석으면 높게 팔리기 때문에, 그 목적으로, 제1판에 다른 2개의 판이 있다, 등이라는 진설을 유포한 것이다. (566쪽)
그러나 이것만을 읽고 있었던 것은 진짜는 결코 알 수 없다. 실은, 루츠기의 히브리어 원문에는 「마을에 갔다」의 주어가 he이면 받을 수 있는 것과 she이면 받을 수 있는 것이 모두 있어, 문맥 등으로부터 하면 she가 약간 적절하지 않은가 라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로 주어를 he로 번역하고 있는 번역도 있을 정도로, 사태는 저자와 같이 “물론 초판의 인쇄의 실수로, 제2판에서 이것을 정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간단하게 말할 수 있는 것 같은 아니다. 고문서업자의 이야기로 해도 그렇다. 실은, 제2판의 신약의 부의 문에 쓰여져 있는 연대는 초판과 같은 1611년이며, 제2판을 초판의 일종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전혀 근거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이런 것을 모르면, 여기에 말해지고 있는 고문서업자는 무엇이라고 하는 바보 바삭하고 어색한 일을 했는가라고 누구도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 이런 함정이 이 책으로서의 신약성경이라는 책에는 다수 숨어 있는 것이고, 이 책의 설명을 참으로 받고 있는 한, 뜻밖의 실패가 기다리고 있는 것은 틀림없다.
24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옥수수
별점 5점 만점에 2.0점 전문가를 위한 책
2018년 9월 12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이것은 전문가용, 혹은 기독교에 깊게 끼어 있는 사람을 위한 책이다. 나 같은 불신심이 손을 내야 하는 책이 아니었다. 또한 글자가 작고 (주석은 더 작음) 읽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예수라는 남자'를 읽은 흐름으로 본서를 구입했지만 구입 자체가 실수였다.

별 2개의 평가는 나 같은 인간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7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되는
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사토
별점 5점 만점에 5.0점 재미있는
2019년 4월 19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성서학의 전문가가 아닌 평자에게는, 본서의 내용에 대해 말할 수는 없지만, 몹시 재미있는 것만은 분명.
4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되는
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체자 로네 일 그란데
별점 5점 만점에 5.0점 문서를 읽는 기본 자세에 공감
2010년 8월 28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확인된 구매
문장을 읽고 읽은 내용을 상대에게 전하기 위해서는 읽어야 한다.

저자는 읽어들이기를 확실히 하고 있고 가능한 한 모든 검토를 한 다음, 알고 있는 것은 여기까지, 이후는 모른다, 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거기가 나에게는 통쾌했다. 호교적인 속임수나, 학자가 자신의 입장을 지키기 위해 잘 하기 쉽고, 궤변도 없다.

처음에는 호교의 입장에서 어느 쪽인가라고 비판적으로 읽고 있었습니다만, 저자와 나의 입장이나 생각의 차이는 저것, 여기까지 힘껏 읽은 저자의 일에는 단지 머리가 내려갔습니다.

철저한 추억이 있기 때문에 여기까지 읽기 쉬워지고 있다. 이것은 망설이지 않고 사는 한 권입니다.
34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되는
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구도자_666
별점 5점 만점에 5.0점 여기는 망설이지 않고 「구입」입니다!
2006년 2월 15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확인된 구매
종래의 「성경・신학사전」이나 「주해・강해서」의 종류가 부족했던, 정말로 알고 싶은 것들은 거의 망라되고 있습니다. 다른 리뷰어가 이미 지적한 것처럼, 「문장=일본어」 「구성」 모두 잘 짜여져 있고, 실로 읽기 쉽습니다. 또, 교직이(알고 있는 주제에) 신도에게는 가르치고 싶지 않은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사전적인 사용법도 가능합니다. 문헌 비평학을 배우는 학생의 최선의 입문서로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와 같이(웃음), 「타가와절?」도 곳곳에서 작렬하고 있어, 서비스 정신 만점. 결코 독자를 지루하게하지 않습니다.

이만큼의 대저를, 공저자 없이 독력으로 완성된 타가와씨의 힘・지의 높이에는, 단지 경복할 뿐입니다. 틴달에 대한 씨의 생각의 깊이 이유도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성경」번역, 연구와는 일생을 베팅한, 바로 생명의 작업이군요. 구부러져도 일본어로 성경을 읽을 수 있는 현대의 행복. (가장 신공동역에서는 괜찮은 주석이 없습니다만).

바라면 예고되고 있는 ‘신약성경·역과 주’ 전권의 출판이 가능하게 되도록.
71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무각
별점 5점 만점에 5.0점 이 테마, 볼륨을 편하게 읽는 것은 놀라움
2010년 6월 19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확인된 구매
서점에서 봐도 전화 번호부와 같은 볼륨에 압도되어 계속 경원하고 있었다.

게다가 테마를 생각해도, 신자도 연구자도 아닌 제가 흥미를 가지고 읽을 수 있을까, 조금 마음도 가지지 않았다. 지금 읽고 있는 신약성경이 어떻게 성립했는지, 원전이 그리스어로 쓰여진 경위에서 현재까지의 번역의 변천을 정성껏 따라가는 700페이지.

그런데, 타가와 켄조씨의 저작은 몇 권인가 읽고 있지만, 제일 수수해야 할 대저가, 제일 편하게,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흥분의 정도가 강해서 그 이유를 스스로 분석할 수 없다.
내용 소개는 다른 검토자에게 맡기고 그 놀라움만 적어 둔다. 놀라운 책.
34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프리잔
별 5개 중 3.0개 타가와 켄조라는 사람에 대해
2013년 7월 17일에 일본에서 작성됨
확인된 구매
일반적으로 독창적인 견해를 말하는 사람은 극도로 자신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그리스도인이 아닌 사람이 신약성경이라는 책을 이해하는 데 가르쳐지는 점이 많은 책이지만, 어느 곳에서 바울은 매우 자부심이 높은 인간이라고 지적하고 있는 것에 걸렸다. 그런 눈으로 보면 바울은 모든 것에 걸쳐 자부심이 강한 인간으로 보일까 생각했다(제1고린도서 3,6의 다가와씨의 해석). 나에게 있어서 의문은 타가와씨가 자신의 일생을 걸어 왜 신약성경을 연구하고 있는지, 그 점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재능이 있는 사람이니까, 무엇을 연구해도 나름의 실적을 올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신약성경과 같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살아가는 사람을 위한 책을 연구 대상으로 하지 않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하는 생각이 든다 . 아니면 쓰는 것과는 별도로 숨겨진 깊은 신앙심이 있는 것일까.
15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되는
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탄십육
별점 5점 만점에 5.0점 역사의 기초를 배울 수 있습니다.
2014년 11월 9일에 일본에서 작성됨
성서 연구가 역사 연구의 최전선이었다고 생각하면 실증주의적인 이 책이 사실은 모든 역사 연구의 표준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를 정성스럽게, 성의를 가지고, 도그마나 감정론에 흘리지 않고, 연구하는 것의 중요함… 저자 개인역의 신약 성서도 절반을 넘었습니다. 저자의 모든 책은 정직한 연구자의 기지입니다. (다른 사람의 심한 연구에 불만을 말할 수밖에 없는 것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만, 때때로, 일선을 넘어 버립니다. 그것이 매력이기도 합니다만, 일반의 사람을 멀어 버릴지도 모릅니다)
15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되는
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비스킷
별점 5점 만점에 5.0점 399~414페이지만으로도 읽을 수 있습니다!
2011년 2월 18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먼저 거절해 두면, 나는 별로 타가와 켄조씨의 문장(이른바 「타가와절」)을 좋아하지 않는다. 최근, 타가와씨가 사역하고 있는 신약성경의 다른 번역(특히 이와나미역)에 대한 비판도 솔직히 독선적이고 공평함이 부족하다고 느껴지는 부분도 적지 않다. 그러나 그래도 다카와 씨가 쓴 책은 필독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리뷰어 분들도 지적하고 있듯이 '서로로서의 신약성서'는 일본어로 쓰여진 신약성서학의 입문서로서는 최고의 부류에 속하는 것은 틀림없을 것이다. 원래 신약성경의 사본이나 본문 비평의 이야기 등 강의로 듣고 있으면 하품이 나오는 듯한 「심심」한 내용뿐이지만, 타가와씨의 생생한 문서로 읽으면 「재미있다!」라고 느낌 그러니까 타가와씨의 문장력은 상당한 것이다!

 오늘날 신약성경을 번역할 때 사용되는 소위 "원전"은 Nestle-Aland 27판 또는 the Greek New Testament 4판 중 하나이다. 두 사람이 어떻게 다른지는 '서로서 신약성서' 399~414쪽을 읽으면 잘 이해할 수 있다. 『책으로서의 신약성경』은 700페이지를 넘는 대저이기 때문에 읽는데도 상당히 뼈가 부러지지만, 신약성경을 원전으로 읽어보고 싶은 분은 399~414페이지만으로도 읽어 보라 그렇다면 본문 비평의 중요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꼭 읽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412페이지 이하에서 언급하고 있는 BM Metzger의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에 대해 다가와씨는 「내용적으로 보수적으로 강인한 곳이 있기 때문에 요주의이다」라고 하고 있지만, 잘 알려진 대로 다가와 씨의 주장도 「강인한 곳이 있기 때문에 요주의이다」는 말할 필요도 없다. BM Metzger의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가 보수적이고 강한지 여부는 그야말로 각자가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일 것이다. 뭐, 타가와씨로부터 보고 「보수적이지 않다」신약학자 등, 세계에 10명도 있을지 모릅니다만.

 타가와씨는 겸손해서 본서의 가격이 심하게 비싼 것을 독자에게 사과하고 있지만, 나 자신은 전문서(혹은 입문서)로서 결코 너무 비싸다고는 생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평가는☆☆☆☆☆ 했다.
42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영어 강사
별점 5점 만점에 5.0점 수준·재미함 모두 발군
2002년 2월 28일 일본에서 검토
~「아무래도 좋지만, 상당히 높은 책이구나」라고 생각해 구입을 헤매고 있는 사람이 있으면, 이 순간에 결심해도 분명 후회하지 않습니다:구입입니다. 확실히, 본 1권에 이 정도의 지출이 되면(일용의 전문서가 아닌 한), 조금 무서운 것이 있습니다. 나도 1시간 정도 괴로워했다. 그러나, 적어도 3회는 통독하고 있어, 때때로 만져 여기저기 참조하고 있어, 그~~의 때에 재미있기 때문에 즐즐 읽고 있어 무엇보다 내용이 제대로 하고 있다 - 요컨대, 충분히, 원래는 잡을 수 있습니다.
~~
「무엇이 쓰여 있을까, 결국은 수상한 종교화가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으면, 안심해 주실 수 있습니다. 신약성경은 어떻게 완성되었는가. 어떤 사정으로 그리스어로 쓰여졌는가. 어떻게 2천년을 거쳐 현재에 전해졌는가. 어떤 번역이 있는지, 어떤 번역이 좋은지(좋은 번역이란 어떤 것인가)―~~ 이 책이 아니라 속편의 수비 범위라는 것.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을 명확하게 구별하면서, 읽기 쉬운 일본어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곳곳에 저자의 의견이 분출됩니다 (이것도 다시 재미있다).
~~
이 정도 읽기 쉽고, 내용이 짙고, 게다가 700페이지 너무 큰 부분이기 때문에, 아침 아침 저녁에 생긴 책이 아닐 것이며, 또 독자 분도, 초이 초이와 읽고 「하이 알았다」라고 하는 것은 갑자기 (적어도 제 경우에는). 그러나, 쓰는 방법이나 일본어가 서투르다고 하는 지루하지 않은 번거로움이 최소한이기 때문에, 문제의 내용에 직접 부딪칠 수 있어, 실~~에 읽을 수 있는 응답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의미로 읽을만한 책이며, 매우 추천할 수 있습니다. ~
90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되는
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