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05

Quakerism as Contemplative Practice

Quakerism as Contemplative Practice



Quakerism as Contemplative Practice


Introduction

"The Society of Friends is perhaps the most remarkable demonstration in history of the availability of mystical experience to groups of open but otherwise ordinary people."

John Ferguson - Encyclopedia of Mysticism
"Great things did the Lord lead me into and wonderful depths were opened unto me beyond what can by words be declared; but as people come into subjection to the Spirit or God and grow up in the image and power of the Almighty; they may receive the Word of Wisdom that opens all things and come to know the hidden unity in the Eternal Being".
"I came to know God experimentally."

"This I knew experimentally"

 George Fox - as quoted inFriends for Three Hundred Years


Meeting for Worship

Meeting for worship based on silence can be the setting for powerful unitive experience.

"There was little said in that meeting but I sat still in it, and was bowed in the spirit before the Lord, and felt him with me and with Friends, and saw that they had their minds retired, and waited to feel his presence and power to operate in their hearts and that they were spiritual worshipers who worship God in Spirit and in truth and I was sensible that they felt and tasted of the Lord's goodness as at that time I did, and though few words were spoken, yet I was well satisfied with the meeting. And there arose a melody that went through the meeting and the presence of the Lord was in the midst of us and more true comfort, refreshment and satisfaction did I meet with from the Lord in that meeting than ever I had in any meeting in all my life before."

John Gratton 1641-1712
Rudolf Otto says there is the silence of sacrament, the silence of waiting, and the silence of union or fellowship.

"When the Quakers assemble for a quiet time together, this is first and foremost a time of waiting and it has in this sense a double value. It means our submergence, i.e., inward concentration and detachment, from manifold outward distraction; but this again has value as a preparation of the soul to become the pencil of the unearthly writer, the bent bow of the heavenly archer, the tuned lyre of the divine musician. This silence is then, primarily not so much a dumbness in the presence of Deity, as an awaiting His coming in expectation of the Spirit and its message."

"That is, silence, and especially the silent communion of worshippers, is the most desirable state for the conduct of collective worship. Any speaking that should take place during worship must emerge from the inward silence of the speaker and be directed toward bringing the auditors to silence or enhancing the condition of silence in which they already reside."

Bauman
"Quaker worship: "It is impossible for the enemy, namely the devil, to counterfeit it so as for any soul to be deceived or deluded by him in the exercise thereof . . He can accompany the priest to the alter, the preacher to the pulpit, the zealot to his prayers, yea, the doctor to his study . . . when the soul comes to this silence and as it were is brought to nothingness as to her own workings, then the devil is shut out."

Barkclay


What is your practice in meeting for worship?


In an article in a British Quaker journal the author searched for the method of worship used historically by Friends. The title summarized his findings, "They Just Sat". But how did they just sit? Did they just sit in the Zen Buddhist tradition of just sitting (Zazen)? Or did they just sit in a passive, Quietist, openness to Being or Surrender to God? Or did they just sit in some other way?
Did Friends sit in an "attitude of vigilant expectation" (listening, waiting)?

"As Benoit pointed out, my thinking process will start up again only when I cease the "Speak, I am listening" attitude. He summarizes this inner gesture by stating that it "is realized when I authorize the totality of my tendencies before the conscious appearance of any one of them; and then none of them appears". And when none of these imaginative-emotive tendencies appear as conscious objects, then I am grounded in pure non-dual organic consciousness, "thanks to which I am virtually already free."

Ken Wilber - Spectrum of Consciouses
Someone has said that what we are aiming for in meeting for worship is a powerful energetic vigilant total listening. Listening, like that which we experience after being awakened in the night, for a potentially threatening sound to repeat itself so that we can identify it.

High energy may be generated in vigilant listening, especially if we take seriously the possibility of receiving a Divine leading to speak. A good deal of energy can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cernment (is this an insight just for me, an ego prompting, or true leading); the danger of not speaking when we are called (called quenching by early Quakers); and the danger saying more than we are called to say (called out running our measure of truth by earlier Quakers).



Query 5
Do you "just sit" in meeting for worship? Do you sit in vigilant expectation? If you don't just sit, how would you describe what you do in meeting for worship?Does formal meditation practice such as concentration or insight meditation feel appropriate to you in meeting for worship? What about centering prayer?
Is there a formal practice which we should be recommending to newcomers to meeting for worship?
How do you discern between leadings to speak and your own ego driven promptings and personal insights?
Is meeting for worship linked to unitive experience in your own life?






Silence And Compassionate Action

In Meeting for Worship we listen in silence with the expectation that we may be called to speak. This adds prophetic dimension and dimension of ministry to our experience of silence. Unitive experience often leads to insight which cuts through our social fictions as well as our personal fictions and has led of social action and peace work among Friends. Some times the spoken word carries these insights.

"If contemplation, which introduces us to the very heart of creation, does not inflame us with such love that it gives us, together with deep joy, the understanding of the infinite misery of the world, it is a vain kind of contemplation; it is the contemplation of a false God. The sign of true contemplation is charity."

Marius Grout - French Quaker
What we receive in contemplation, we pour out in love.

Meister Eckhart
At this point lets look at a most provocative paradox which a Japanese Zen Buddhist, Teruyasu Tamura, sees as he looks at Quakerism..

". . . A bodhisattra (an enlighten one who vows to return until all sentient beings are enlightened) is supposed to save others before saving themselves. But Zen has done very little to save the poor and the suffering. It seems to me that Quakers have been far greater Bodhisattras than Zen Buddhists."
Yet he thinks that vocal ministry, which may be one source of Friends action orientation, tends to reduce the depth of unitive experience.

"A greater, more serious difference consists in "vocal ministry." The problem is that it is not merely a difference from Zen but seems to be a great cause of confusion and frustration even to Quakers themselves. From the standpoint of Zen, of the Cloud of Unknowing, and depth psychology for that matter, vocal ministry seems to be an irrational form of devotion rather a hindrance than a help to attaining the deepest spirituality, because it breaks silence and prevents one from sinking further down into consciousness."

Teruyasu Tamura - A Zen Buddhist Encounters Quakerism

 


QUERY 6
Do you find a link between unitive experience and compassion in your own life? Are there ways you are expressing in action, the oneness with all being found in contemplation?Have there been moments of action in which you have felt something like unitive experience?


Monasticsim and Testimonies

Friends have not withdrawn to monasteries, but the sober simple life style of early friends might be seen as the equivalent.



QUERY 7 
Remember those testimonies which make the old Quakers seem like such fuddy-duddies? The testimonies against frivolity, music, celebrating holidays, feasting on holidays, playing idle games as pastimes, fancy dress, etc. Is it time to mentally revisit the forgotten testimonies with the idea that they may be ways to remove hindrances to the spiritual life?Do you embody spirit of these Friends' testimonies or are they errors or anachronisms?
How does your life style help free you from desire, aversion, and illusion?
 


Meeting For Business As Spiritual Practice

Though it is not always approached in this way, meeting for worship for business can be experienced as a spiritual discipline of emptiness and non-attachment. In fact Scott Peck gives us a very interesting approach to arriving at community throughemptiness, which seems to be a group equivalent of meditation. He argues that there are four stages of community: pseudo communitychaosemptiness, andcommunity. He says that we need to go through these stages to arrive at real community.

"There are only two ways out of chaos," I will explain to a group after it has spent a sufficient period of time squabbling and getting nowhere. "One is into organization - but organization is never community. The only other way is into and through emptiness.

The most common (and interrelated) barriers to communication that people need to empty themselves of before they can enter genuine community are: Expectations and Preconceptions. ... Prejudices. ... Ideology, Theology, and Solutions ... The Need to Heal, Convert, Fix, or Solve. ... The Need to Control."

Scott Peck - A Different Drum




QUERY 8:
Is emptiness in group process the communal equivalent of contemplation for the individual?It is one thing to enter deep silence in meeting for worship, but do you maintain this same inner peace at meeting for business? If not, do you use the emotions (both positive and negative) that you feel to examine your attachments?
Do you share your deepest intuition of truth at meetings for business in a spirit of love?
Is this one place to practice the presence (mindfulness) corporately?



Contemplative Mentors

Other contemplative traditions have Gurus or Spiritual Directors who offer spiritual direction and guidance along this path. Modern Friends tend not to have developed these roles in at least as visible a form though there have recently been some moves in this direction. Spiritual nurture groups, spiritual friends, and friends enrolling in spiritual direction courses of study are examples of this. Other Friends have found guidance from spiritual directors from other traditions.

"And when all my hopes in them and all men were gone, so that I had nothing outwardly to help me, nor could tell what to do, then, oh then, I heard a voice which said, "There is one, even Christ Jesus, that can speak to thy condition, and when I heard it my heart did leap for joy. Then the Lord did let me see why there was none upon the earth that could speak to my condition, namely, that I might give him all the glory; for all are concluded under sin, and shut up in unbelief as I had been, that Jesus Christ might have the pre-eminence who enlightens, and gives grace, and faith, and power."

George Fox
"The proclamation of George Fox in the first generation of Quakers should be enough to startle us right out of our chairs. It is that Christ has come to teach his people himself, in the same way that the historical Jesus walked in Galilee proclaiming the imminence and immanence of the Kingdom of God, and that the risen Christ lived in the hearts and souls of his people in the days following the resurrection."
J. Anthony Gaeslen - Christ Centered Quakerism
The radical Protestantism expressed above, the belief in equality, and the rejection of authority that characterize American Friends seem to have moved us away from developing spiritual teachers in the same way that other traditions have.



QUERY 9:
Are we standing outside of Friends' tradition in efforts like these web pages or the work shop they were developed for? Should we instead rely on Christ to teach us directly in worship?Does our tradition tell us that spiritual directors, Eastern teachers, and perhaps even weighty Friends only stand between us and Christ (Inner light) and thus should go the way of paid pastors?
Or, have we erred to the other side and by overvaluing individuality and tolerance so that we are now in danger of losing our discipline and hence our integrity as a religious society? 
Are we losing potential members to other groups that are more explicit in their teaching of contemplative disciplines?
 

Contemplate Practice and Nature

There is a group called Quaker Earthcare Witness (formerly Friends in Unity With Nature) who from a conviction and consciousness that the global crisis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is at root a spiritual crisis. The following quotes from other contemplatives seem to strongly support this restatement of contemplative wisdom. 

The manifold delight I learn to take in earthly things

Can never drive me from my Love.

For in the nobility of creatures,

in their beauty and in their usefulness,

I will love God -

and not myself!"

The truly wise person

kneels at the feet of all creatures

and is not afraid to endure

the mockery of others.

Mechtild of Magdeburg

Every creature is a word of God.
Meister Eckhart

Glance at the sun. See the moon and the stars.

Gaze at the beauty of earth's greenings. Now, think

What delight God gives to humankind

with all these things . . .

All nature is at the disposal of humankind.

We are to work with it.

Forwithout it we cannot survive.

Hildegarde of Bingen (1098-1179)


QUERY 10: 


Do you find that natural environments have been conducive to unitive experience for you?

Do you think earthcare can be a contemplative practice?

How do you honor the life of all living things, the order of nature, the wildness of wilderness, the richness of the created world?

How do you seek the holiness which God has placed in these things, and the measure of Light which God has lent them?

What are you doing to reduce the destructiveness of the human impact on the ecosystem?




Injunctive Knowledge of Quakerism

We started out talking about an injunctive form of knowledge that leads to knowledge that does not seem to be expressed well in words.


QUERY 11:
What do you believe to be the elements of the Quaker recipe for an injunctive knowledge of Quakerism?



 
BIBLIOGRAPHY


The Perennial Philosophy by Aldous Huxley
Though not easy reading and somewhat dated (1948), I find this to be one of the best collections of literature and ideas concerning mysticism. Huxley's thesis is that there is a common core to mysticism across time. He states what he believes this common core of beliefs to be and illustrates ideas with quotes from various traditions. His approach is universalistic but draws more on the Eastern traditions than on Western traditions.
The Observing Self by Arthur J. Deikman
This book looks at mysticism and meditation from a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An interesting secular introduction to the topic.
The Miracle of Mindfulness by Trich Nhat Hanh
If you are looking for clear practical suggestions and exercises for beginning meditation and the associated life disciplines, I can think of no better place to start than with this book. Short and straight forward.
Pilgrimage Home: The Conduct of Contemplative Practice in Groups byGerald May
This book can provide some good ideas if you are interested in starting a group aimed at spiritual development along the lines we have been talking about. Based on the experience of some weighty folks including some Quakers, who have been engaged in ecumenical spiritual development groups. I think that most Friends would feel comfortable with the practices they have developed.
Original Blessing by Matthew Fox
If you are coming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you may find this interpretation an exciting new look with a mystical point of view. Some of his other books offer a more popular, less theologically oriented introduction to his ideas.
No Boundary, A Sociable God, or The Spectrum of Consciousness, Grace and Grit, by Ken Wilber
Wilber presents a developmental stages approach to understanding personal and transpersonal growth. If you prefer a psychological approach try the first book, for a sociological approach try the second. For a biographical approach to his ideas try Grace and Grit.  Quite readable and very thought provoking.
Shambala by Chogyam Trungpa
An attempt by a Tibetan religious leader to describe a humanistic nonsectarian approach to the contemplative life. Don't be put off with the image of the warrior until you have read how he defines the term. Very interesting metaphors and has the virtue of being short.
The Choice is Always Ours by Dorothy B. Phillips, et. al.
A very good anthology of the contemplative way that makes good devotional reading.
New Seeds of Contemplation by Thomas Merton
This is my favorite book by Merton but you may find others more to your taste. Though interested and knowledgeable of other traditions Merton's practice and self understanding come from the Catholic tradition.
Mysticism by Evelyn Underhill
Another classic which concentrates on the Western mystical tradition through history. Check this out of the library first to see if you like it, before buying it.
Care of Mind. Care of Spirit  by Gerald May
May looks at the interface betwee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piritual direction in this short but interesting book. May was a psychiatrist who is interested in exploring the contemplative way looking for terms that are meaningful for us today. You might also enjoy his more theoretical book titled Will and Spirit. In the latter he tries to outline a contemplative psychology using psychological terms that are familiar to most of us.
Open Mind, Open Heart: The Contemplative Dimension of the Gospel by Thomas Keating
A very nice practical guide to contemplative prayer. Outlin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centering prayer from a Christian context. Though written from a Catholic perspective it is not narrow in its view and I think that anyone comfortable with Christian language will find it useful.
Seeking the Heart of Wisdom - Joseph Goldstein & Jack Kornfield
A very readable, useful introduction to Buddhist insight meditation which offers a very contemporary applications and examples.
A Zen Buddhist Encounters Quakerism - Teruyasu Tamura.

A very provocative Pendle Hill Pamphlet (302) in which the author who values both traditions points out what seem to him to be fascinating contradictions within Quakerism.
The Seed and the Tree Daniel A. Seeger Pendle Hill Pamphlet (269)

A wonderful exploration of nonviolence as an expression of contemplative practice. The best writing on spiritually based nonviolence I have ever read.
Transformations of Consciousness by Ken Wilber, Jack Engler, and Daniel Brown. 

Very interesting exploration of the psychological problems and meditation. Fairly technical psychological jargon.

Ordinary Magic - Edited by John Welwood

My favorite book of readings on contemporary contemplative daily practice. Highly recommended.

A Path With Heart - Jack Kornfield

Very good from American Buddhist perspective but which uses examples from other traditions as well.

From the Quaker perspective of course read Rufus Jones, Douglas Steere, John Youngblut, and Howard Brinton. 

The Top Non-Asian Civil Rights Heroes For Japanese Americans | Discrimination | 8Asians.com | An Asian American collaborative blog

The Top Non-Asian Civil Rights Heroes For Japanese Americans | Discrimination | 8Asians.com | An Asian American collaborative blog



WP Greet Box icon
Thanks for visiting 8Asians, a blog about Asian American issues. If you find this interesting, subscribe to the RSS feed!
After Japan attacked Pearl Harbor, there was only one national organization that was willing to stand up for the rights of Japanese Americans (JAs). They were the Quakers. Not only did they speak out against the unconstitutional incarceration of JAs they helped many of the Nisei (second generation) kids go to college.
Even though the Quakers were the only national group, there were some brave individuals who spoke out for the rights of Japanese Americans. These individuals were willing to put their professional and personal reputations and sometimes their safety on the line for their fellow Americans, even when the majority did nothing. Here is my list (in no particular order) of some of the more famous non-JA Civil Rights heroes.
Who says librarians or teachers can’t be heroes? Clara Breed, a librarian from San Diego, corresponded with JA children and encouraged them to continue to read by bringing them books and hope. Frida Mix was so outraged about what was going on, she quit her job and became a volunteer teacher in Gila River, Arizona. She remained in the camp until it closed.
Lazo was only a teenager in Los Angeles when Pearl Harbor was attacked. Despite his age, he knew what was happening to the Japanese Americans was wrong. He believed that his Nisei friends were as American as he was. So when his friends were sent off to “camp,” he went too. He was willing to put his freedom on the line for what he believed in.
Besig was the founder and executive director the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of Northern California. He believed what was happening to Japanese Americans to be unconstitutional and persuaded Fred Korematsu to challenge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internment,” something that not everyone at the ACLU agreed with. The case eventually made its way to the Supreme Court where he lost. However, in a time of war hysteria and racism, Besig forced people to questioned the legality of what the government was doing.
Collins was a civil rights attorney who also worked on the Korematsu case. But when I think of Collins I think of his “two mass class habeas corpus proceedings with the U.S. District Court of San Francisco in 1945, which aimed to establish American nationality, end internment, and cancel renunciation of Japanese Americans.” Because of Collins, my father and his family (and thousands of  other families like mine) were able to remain in the United States.

조계종은 지금 '깨달음' 논쟁 중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 문화 > 종교ㆍ학술

조계종은 지금 '깨달음' 논쟁 중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 문화 > 종교ㆍ학술



조계종은 지금 '깨달음' 논쟁 중

입력 : 2016.01.15 03:00

교육원장 현응 스님 "깨달음은 토론·대화로 가능"
선원수좌회·수불 스님 반박 "간화선 부흥에 불교 미래 걸려"

현응 스님, 수불 스님 사진
현응 스님, 수불 스님.
깨달음은 '이루는 것'인가, '이해하는 것'인가. 조계종이 지금 '깨달음' 논쟁으로 뜨겁다.

방아쇠는 교육원장 현응 스님이 당겼다. 그는 작년 9월 한 세미나 발표를 통해 "깨달음이란 '잘' 이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초기 경전을 보면, 통찰하고 이해하는 내용이 바로 부처님의 깨달음"이라며 "깨달음은 이해 영역이었기 때문에 설법, 토론, 대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지, 선정(禪定) 수행을 통해 이루는 몸과 마음의 높은 경지, 즉 신비로운 경지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이 뜨거운 논쟁의 시작이 된 것은 바탕에 간화선(看話禪) 특히 선정과 좌선(坐禪)에 대한 비판을 깔고 있기 때문이다. 화두에 몰두하는 참선 수행인 간화선은 조계종이 근간으로 삼는 수행법이며 지금도 매년 선승(禪僧) 2000여 명이 간화선 수행을 하고 있다.

게다가 현응 스님은 현재 조계종 승려 교육의 총책임자이며, 성철 스님이 간화선 수행 기풍을 펼쳤던 해인사의 주지를 지냈기 때문에, 그가 일으킨 파문은 컸다. 현응 스님은 간화선에 대해, 원래는 언제 어디서나 문답을 통해 가능했는데 원나라 이후로 좌선(坐禪) 위주로 바뀌었으며 이 과정에서 깨달음이 '이해하는 것'에서 '이루는 것' 즉 신비한 것으로 변질했다고 말한다. 그는 특히 "그런 깨달음을 이룬 사람이 있는지 잘 모르겠다"고까지 직격탄을 날렸다.

선승들의 대표 단체인 전국선원수좌회는 한 달 후 성명을 내 "현응 스님이 말한 '이해하는 것'은 부처님과 조사들이 경계한 '알음알이'"라고 반박했다. 수좌회는 "이해(알음알이)를 깨달음으로 삼게 되면 도둑을 자식으로 삼는 것과 같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자 현응 스님은 재반박을 통해 '조계종'이란 이름까지 재고해야 한다고 한 걸음 더 나갔다. 한국 불교는 1700년 동안 다양한 역사와 전통을 승계한 '통(通)불교'이기 때문에 육조 혜능 이후 선종(禪宗)의 느낌이 강한 조계종보다 더 큰 그릇 명칭이 필요하다는 것.

소강상태를 보이던 논쟁에 다시 불을 붙인 것은 간화선 현대화·대중화의 기수(旗手)인 수불 스님(안국선원장)이다. 수불 스님은 지난 연말 '종지(宗旨)의 현대적 구현'이란 책자를 만들어 전국 선원과 불교계에 배포했다. 이 글에서 수불 스님은 "'깨달음이란 이해하는 것'이라는 주장은 책상물림의 말일 뿐이고, 정작 진실된 수행자라면 '깨달음이란 사유의 영역을 초월한다'는 부처님 말씀에 동의할 것"이라며 "간화선 부흥에 한국 불교의 미래가 달렸다"고 말했다.

불교계에서는 "오랜만에 추문이나 논란이 아닌 본질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깨달음 논쟁'을 반기는 분위기다. 

[키워드정보] 간화선(看話禪) 수행법이란?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불교닷컴 모바일 사이트, 그런 깨달음은 ‘환상’이다

불교닷컴 모바일 사이트, 그런 깨달음은 ‘환상’이다



그런 깨달음은 ‘환상’이다

기사승인 2016.10.04  14:15:04
공유

- [김광수] 다시 ‘깨달음’

한국불교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그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많은 사람들이 “불교의 최고의 목표가 깨달음에 있다”고 하는 생각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나는 그것을 ‘깨달음이라는 환상’이라고 표현한다. (참고로, 이 글은 지난해부터 벌어진 현응 스님의 글에 대한 전통불교의 반발-수불스님으로 대표되는-과는 상관이 없다. 나는 그 분들의 글이나 말은 전혀 보지 않았다. 십여 년 전에 현응 스님 책만 대충 본 적이 있다.)
1. 깨달음?
  
▲ 김광수 정의평화불교연대 공동대표,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깨닫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무아(無我)사상을 깨닫는다는 것이고, 공(空)사상과 연기법(緣起法)을 깨닫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방법으로는 반야지혜를 닦는다든가, 선정 참선을 닦는다든가, 교학을 한다든가, 육바라밀을 한다든가, 여러 가지가 있겠다. “그래, 그게 수행이지, 그렇게 깨달아서 부처가 되면 윤회를 벗어나고, 해탈, 열반을 얻는 거지. 그런데 뭐가 문제란말인가?” 여기까지 나는 당연한 불교의 기본을 말하였다. 그리고 열반의 정의는 “탐진치의 불길을 불어서 끈다.”이다. 그것이 곧 성불이고 불교의 목표이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를 제기하자. 탐진치(貪瞋痴)의 불길이 과연 깨달음만으로 꺼지는가?
“깨달으면 차차, 혹은 자연히 꺼지게 된다?” 언제? 그렇게 막연히 얘기하면 안 된다. 그게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깨달음 그 자체도 쉬운 일은 아니지만, 깨닫는다고 해서 저절로 탐진치의 불길이 꺼지는 않는다는 점이 중요하다. 깨달아서 쉽게 꺼진다면 그것을 “세 마리 독사”라고 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이치로써 깨닫는다고 해도, 마음의 불길은, 마음의 갈애심은, 마음의 탐욕심은, 마음의 증오심은 여전히 남아있는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우치(어리석음)라는 독사 이외에 탐(貪, 갈애), 진(瞋, 싫어하는 마음, 미워하는 마음)이라는 독사를 두 마리 더 설정한 것이다.
즉, 깨닫는다고 해도 그것은 우치(愚癡)라는 한 마리 독사만 잡을 뿐, 나머지 두 마리 독사는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 깨달음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깨달으면 자연히 (혹은 쉽게) 貪과 瞋은 사라진다.”고 하는데, 그건 아니다. 이 부분이 중요하다. 다른 두 마리가 중요하니까 부처님께서는 세 마리라고 따로 말씀하신 것이다. 깨닫더라도 마음 밑바닥에 있는 갈애심, 애욕, 소유욕, 자기집착, 자기애(自己愛) 이런 것들은 그대로 남아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깨달음이라는 단어의 뜻을 그렇게 확장시키기 말라는 것이다. 바로 그 단어의 뜻을 그렇게 손쉽게 확장하는데서 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나는 지금 “그런 것까지도” 깨달음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잘못을 지적하는 중이다. 바로, 자기 마음(욕애와 갈애)을 조복 받지 못하고, 참선해서 깨달았다고 주장하면서 할 일을 다 했다고 하지 말아달라는 말씀이다. 왜냐. 두 마리의 독사가 아직 남아있기 때문이다. 하물며 선정 수행 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이상한 현상 몇 가지를 겪고서 깨달았다고 하지 말라는 것은 여러 경전에서도 경계하였고, 조사의 어록에서도 크게 경계하였다.
그런데 초기불교에서도 이 점을 잘 알았다. 그래서 경전에서는 우치(愚癡)를 극복하여 해탈한 것을 혜(慧)해탈이라고 하고, 갈애와 증애심을 극복한 것을 심(心)해탈이라고 했다. 다른 말로 그것은 생각 머리의 해탈과, 마음 본능의 해탈이다. 그리고 그 이후의 교학에서도 이것을 잘 알았다. 그래서 원효(元曉)도 마명(馬鳴)도 해탈로 이르지 못하게 하는 장애, 우리를 결박하는 장애(障碍)에는 크게 보아 두 가지가 있다고 했으니, 그것이 소지장(所知障)과 번뇌장(煩惱障)이라고 했다. 논서에서 말하는 소지장이 법집을 일으키는 장애라고 하지만 결국 그것은 머리의 장애이다. 그보다 더 무섭고, 더 어려운 것이 가슴의 장애인 탐심과 진심이다. 탐심은 실제로는 raga를 번역한 말로, 그것은 물질적인 탐욕보다는 “애욕의 근본”을 말한다. 그러니 그것이 단지 선종에서 말하는 깨달음으로 단박에 없어진다는 것은 공허한 억지일 뿐이다.
소지장, 안다는 것의 장애, 그것은 불교의 진리인 무아사상을 잘 모른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벗어나는 것이 깨달음이다. 그러나 안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깨닫는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깨닫는다는 말에는 그것까지 포함한다.”고 하실지 모르겠으나, 실제로 사람들은 그렇게 쓰고 있지 않다. 그리고 그러한 오해 때문에 수없이 많은 잘못이 생겨나는 것이다. 깨닫기만 하면 된다는 잘못.
깨달음에 대한 인가(認可)도 문제이다. 실제로 깨달은 선사가 없는데 누가 누구를 인가해 준다는 말인가. 또 깨달았다는 것은 행동으로 드러나고, 감화력으로, 성인(聖人)의 행동으로 드러나야 하는데, 현실이 전혀 그렇지 못한데 참선에서의 깨달음이란 것이 성불이라는 것을 증명할 방법은 없지 않은가.
2. 그러면 어찌해야 탐진치가 조복되는가
탐진치를 조복 받으려면 일단 육바라밀이나 8정도를 열심히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별로 새로울 것도 없는 말인데? 그렇지 않다. 한국의 선종이 깨달음을 목표로 한다고 하면 6바라밀이나 8정도는 관심에서 멀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6바라밀은 너무도 기본적인 기초 교리이다. 즉, 바라밀 중에서도 <보시, 인욕, 지계> 등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선정, 지혜”만 닦아서는 부처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불교 교리의 가장 기초이다. 아, 물론 참된 지계(持戒)가 없는 선정수행은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도 다 아는 얘기지만, 오늘은 지계 이야기는 하지 말자, 그 이야기 하게 되면 할 말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유일하게 참선만을 강조하는 것이 오늘날 한국불교의 잘못된 풍조인데, 그 근저에는 “불교가 깨닫는 중교”라고 잘못 주장하는 데 이유가 있을 것이다. 8정도 중에서 선정만 중요하다면 어째서 “성스러운 도”가 8가지나 된다고 부처님께서 직접 말씀 하셨겠는가. 깨달음이 나쁜 것은 아니로되, <불교가 깨닫는 종교다>라는 생각이 잘못된 생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깨달으면 다 된다”는 생각이 선종이 심어놓은 가장 나쁜 독소라는 것이다. 그 생각이 오늘날 한국불교를 망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말하기를 “깨달음은 환상”이다. 어떤 깨달음? “그런 깨달음”은 환상이다.
물론 이렇게 한국불교에서 압도적으로 선종 우위의 풍토가 된 것은 이른바 60년 전에 벌어진 “정화(淨化)” 때문이기도 하다. 정화의 과정이 그리 떳떳하지 못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정화 사태의 결과로 가장 큰 혜택을 누린 것이 비구승단이다. 그리그 그 결과로 오늘날 한국불교는 선종 일색이 되었다. 그런데 지금의 한국불교가 과연 깨달음 수행이라도 제대로 하는지, 그리고 종단 중진 스님들이 출가비구인지 그 문제는 차치해 두자. 그 이전에 과연 공허한, 증명되지 않는 “깨달음”이라는 이데올로기만으로 종교지도자라는 자신들만의 허상을 유지해 갈 수 있는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대승의 초기 성자들을 소승적 깨달음 수행을 극복하기 위해서 매우 노력했다. 그래서 나오게 된 것이 보살사상이고 이타사상이다. 이렇게 오랫동안 발전되어 온 불교를 모르고, 깨달음만을 강조하고, 그것이 불교의 전부인양 주장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것은 매우 이기적인 것이고, 소승적인 것이고 대승불교가 가장 경계했던 것이다.
3. 참선할 자격
사람들은 깨닫는 것이 불교의 목적이라고 한다. 그래서 선불교에서는 참선을 열심히 하라고 한다. 그러나 참선을 할 자격이 있는 사람은 6바라밀의 네 가지를 잘 수행한 사람이다. 그 네 가지란 보시, 인욕, 지계. 정진이다. 오늘날 선종 스님들은 보시 잘했나? 인욕 잘 했나? 지계 잘 했나? 그러니 그렇지 않다면 참선 할 자격도 없지 않은가. 그런 사람들이 “깨닫는답시고” 앉아서 깨닫기만 하면 된다고 가르치고 셈 아닌가. 선방에 들어가 앉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은 보시 인욕 지계를 잘 수행해 마친 사람들이다. 그리고 경전을 충분히 공부한 사람들만이 선방에 들어갈 자격이 있다. 그것이 사교입선(捨敎入禪)의 의미이다. 오늘날 한국 불교에서, 한국의 선종에서 그럴 자격 있는 사람 몇이나 되는지 상당히 의심스럽다.
깨달을 자격은 보시를 잘해야, 인욕을, 지계를 잘해야 생기는 것이다. 사회, 이웃 생각 안하고, 정치 경제에도 관심 없고, 사회의 도덕성에도 관심 없고, 이 사회의 교육문제 가정문제에도 관심 없이, 그저 참선만 한다고 깨달음이 저절로 이루어지는가? 깨달음이란 그런 게 아니다. 그러므로 한국 선종이 주장하는 깨달음, 그런 이기적인 깨달음은 근거 없는 “환상”이다. 그것은 일종의 부도수표일 뿐이다.
4. 부처가 되고 나서는?
깨달으면 부처가 된다고 한다. 성불(成佛)한다고도 한다. 열반(涅槃)이라고도 한다. 그것은 지극한 즐거움이다. 그리고 할 일을 다 마친 것이다. 깨달은 후의 즐거움, 그것을 선종에서는 극찬한다. 한(閑)도인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도인이 한가한가? 도인이 한가해도 되는가? 그래서 부처님께서 깨닫고 나서, 매일 놀고, 옥황상제처럼 하늘에서 선녀들과 춤추고 노셨나? 아니면 열반락에 취해서, 혹은 한없는 선정의 즐거움 속에서 노셨나?
그럼 깨닫고 나서는 뭘 해야 하는가? 당연히 보살행을 해야지. 보살행이 한가한가?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45년 동안을 온 인도 대륙을 헤매고 다니시면서 고생하셨나? 그래서 코삼비에서 제자들이 속 썩일 때 괴로워하시고, 제바달다의 모함과 종단의 분열을 해결하기 위해서 그리도 동분서주하셨나?
그래서 부처님은 유리왕(위두다바)이 석가족을 멸망시키려고 군사를 몰고 오셨을 때 세 번이나 유리왕께 간청을 했나? 그래서 부처님은 자신의 일족이 멸망하고, 석가족의 왕이 된 사촌동생 “마하나마”가 물속에 빠져 일족을 구하기 위해서 스스로 바위덩어리를 몸에 묶고 물에 빠지는 비극을 목도하셨나? 그래서 부처님은 자신을 도와 불교를 마가다국의 국교로 발전시킨 빔비사라 왕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한 그 아들 아사세 왕(아자타사투)을 달래서 조복시키기 위해서 그리도 애쓰셨나? 잘 생각해 보라. 그것이 깨달은 후 도인의 한가한 모습이던가. 그래서 당신께서는 세수 80에 지친 몸을 이끌고 고요히 열반하고자 해도 수많은 제자들의 만류를 당하셔야 했나?
부처님은 깨닫고 나셔도 여전히 바쁘셨다. 쉴 사이가 없으셨다. 깨닫고 나면 할 일을 마쳐? 할 일이 없어? 그게 바로 선불교의 독소(毒素)이다. 깨달은 후의 보살행, 이타행에 관심이 없고, 그저 깨달으면 한도인(閑道人)이 된다는 깨달음, 그런 깨달음은 매우 이기적이 깨달음이고, 매우 암적(癌的)인 깨달음이다. 부처님이 말씀하신 깨달음은 그런 깨달음이 아니다. 그렇기에 나는 ‘당신들, 한국 선종이 생각하는 그런 깨달음은 없다, 당신들이 생각하는 그런 깨달음은 환상이다’라고 하는 것이다. 나는 내 주위 사람들이 왜 스님들은 한 결같이 그렇게 “피둥피둥하냐”는 얘기를 들을 때마다 불자로서 한없이 부끄럽다.
5. 올바른 깨달음?
그럼 어떤 깨달음이 올바른 깨달음인가? 그래서 나는 더 이상 깨달음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자 하는 것이다. 깨달음이라는 단어를 일단 쓰면 바로 “잘못된 깨달음”으로 넘어가 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교는 온통 깨달음이라는 말로 채색되어 있다. 그래서 나는 그것이 환상이라는 주장을 계속 해야만 한다. 다시 정리하자.
① 불교의 목적은 해탈, 성불이고, 인생고를 제거하는 것이다.
② 그것을 위해서는 탐진치 삼독을 조복 받아야 한다. 즉 번뇌를 조복 받아야 한다. 그것은 혜해탈과, 심해탈을 의미하고, 번뇌장과 소지장을 없애는 것이다.
③ 그리고, 깨닫는 과정보다도 깨닫고 나서의 보살행, 이타행이 더욱 중요하다.
깨닫는 과정의 중요도가 45% 라면 깨달은 후에 해야 할 일이 55% 이다.
④그런데 탐진치의 조복 중에서 깨달음을 통해서 얻는 것은 우치(愚癡)의 극복이다. 깨달음만으로는 욕애 (갈애), 증오심, 증애심(憎愛心) 등을 극복하지 못한다. 그것은 번뇌장의 극복으로서 가능하다. 그래서 수행(전체의 45%) 의 과정 중에서 “깨달음”이란 것은 그 1/3이다. 즉 15%이다.
⑤ 역시 6바라밀로 설명하자면, 앞의 네 가지 보시 인욕, 지계 정진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깨달음이란 아무 의미가 없다. 그래서 전체 수행 중에서 깨달음이 갖는 중요도는 1/3, 즉 45% 의1/3인 15%이다.
6. ‘보리도차제론’으로 설명해 보자
<보리도차제론>은 티베트 불교의 가장 중요한 교과서이다. 그에 의하면, 수행에는 3단계가 있다. 그것은 하사도 중사도 상사도(下士道 中士道 上士道)인데, 마치 3층 건물을 짓는 것과도 같다. 1층이 보시 지계 인욕 정진이고, 2층이 선정이고, 3층이 반야지혜와 보살행이다. 1층이 없이는 2층이 있을 수 없다. 지금 깨달음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선정을 열심히 해야 깨닫는다고 하는데 선정수행은 (즉 “깨달음” 수행은) 3층 누각에서 중간에 있는 2층일 뿐이다. 그래서 그것은 1/3이다. 그리고 그것은 1층이 없으면, (보시, 지계가 없으면) 불가능한 절름발이 2층이다. 또한 선정 수행을 열심히 한다는 것과 3층인 반야지혜를 얻고 보살행을 한다는 것과는 또 다르다. 선정수행은 단지 2층일 뿐이다. 자, 이래도 계속 “깨달음”만 주장해도 되겠는가. 그래도 조금이라도 지각이 있다면 ‘깨달음’ 이전에 보시와 지계, 그리고 보살행을 먼저 주장해야 하지 않겠는가.
김광수 /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동 대학원 졸업(치의학 박사). 동국대 불교대학 대학원 졸업(철학박사). 주요 논문으로 〈시장경제에 대한 불교경제학적 연구〉 〈불교의 가치관을 통해본 심층생태론 비판〉 〈소비사회에 대한 불교의 역할〉 등이 있다. 동국대학교 평생교육원 불교사회경제사상 담당. 정의평화불교연대 공동대표.
김광수 정의평화불교연대 공동대표, 한양여자대학교 & mytrea70@gmail.com

나의소개 - 개인이력 (2013. 9월 현재)

나의소개 - 개인이력 (2013. 9월 현재)



개인이력 (2013. 9월 현재)조회 수 1664 추천 수 0 2006.07.03 11:03:18

관리자*.83.160.85http://www.ecopeace.pe.kr/index.php?document_srl=976

이 름: 박성용(Sung Yong Park)

email :ecopeace21@hanmail.net

손전화: 016-774-7613

단체웹사이트: 비폭력평화물결/www.peacewave.net



활동분야:

* 시민사회: 생명평화관련 조직, 훈련 및 교육기획, 각종 비폭력 실천 워크숍 진행

* 학교 영역: 학교폭력관련 갈등중재, "안전하고 평화로움 학교세우기" 기획과 교사훈련, 학생자치임원훈련 등



전공 분야: 종교학, 생태신학, 참여불교학, 기독교평화신학, 비폭력 영성과 실천





현직 - 비폭력평화물결 대표

         기독교대한감리회 평화서클교회 담임목사

         남북평화재단내 평화연구소 소장    

         감리교신학대학 외부교수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선교국 환경위원회 정책실장

         한국교회협의회(NCC) 정의 평화 위원회 위원

         기독교환경운동연대 집행위원  

 

전직: 유네스코/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시민사회실장



○ 현재 훈련가로서 진행하고 있는 교육훈련모델들

- “삶을 변혁시키는 평화훈련 AVP” 진행자(AVP trainer; 국제모델)

- 영성수련으로서 “비폭력 대화” 훈련가 (NVC trainer; 국제모델)

- “비폭력대화에 기초한 조정” 훈련가 (NVC Mediator; 국제모델)

- “회복적 서클 (Restorative Circle)” 실천가(RC trainer; 국제모델)

- “어린이 청소년 평화지킴이(HIPP)” 진행자 (HIPP trainer; 국제모델)



- “갈등과 혼란의 폭풍우속에서 중심세우기”(교사 및 시민사회활동가

                              훈련워크숍; 본인이 자체개발) 기획과 진행

- “평화로운 수단을 통한 갈등전환 TRANSCEND”워크숍 진행

  (TRANSCEND Trainer; 국제모델)

- 각종 회의와 모임용 서클 프로세스(Circle Process) 연구, 개발 및 진행

- "서클로 하는 비폭력평화수업" 진행(매뉴얼 본인 저술)

- "대중운동을 위한 전략적 기획 워크숍" (비폭력직접교육) 진행자



○ 학 력



1977년 2월 덕수상고 졸업

1985년 2월 감리교신학대학교(B.A) 졸업

1987년 2월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M.Th) 졸업

1993년 5월 Graduate Theological Union (Berkeley, California, USA) MA 졸업

2001년 9월 -12월 퀘이커 평화영성훈련센터, Pendlehill 에서 Visiting Scholar로 평화학 연구

2002년 2월 Temple University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종교학부 (Ph.D) 박사과정 졸업

논문제목-"The Greening of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for the Florishing of the Oppressed Others: Focusing on Sallie McFague's Embodiment Theology and Joanna Macy's Engaged Darmology"



○ 목회경력



1985년 7월-1991년 8월 동부연회 괴산지방 고사리교회 담임

1990년 3월 기독교대한 감리회 목사안수

1994년 2월-1995년 4월 미국 Maryland 주의 Baltimore Methodist Church 담임

1995년 9월-1999년 8월 미국 Pennsylvani주 The First Korean United Methodist Chruch of    Philadelphia

                                      교육목사

2006년 5월 -2013.1월 기독교대한감리회 청수교회 부목사

2013년 4월 - 현재   기독교대한감리회 평화서클교회 담임목사 (광명시 철산역 근처)



○ 사회단체활동경력



1994.9월-2001.12월 북미주 자주평화통일 연합  필라델피아 지부장 및 실행위원

2001년 9월 - 12월 퀘이커 평화교육센터, Pendlehill(Wallingford, USA)에서 기독교평화 운동 연구

2003년 1월 - 2005년 12월  The United Religions Initiative-Korea 실행위원

2004년 5월 - 현재  기독교대한감리회 평화교육정책위원회 위원

2005년 3월 - 현재  기독교 환경연대 실행위원(2006년 4월이후-정책위원장)

2005년 4월 - 현재  기독교대한감리회 환경선교위원회 교육정책위원장

2002년 2월 - 2005년 5월 유네스코/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시민사회실장/사업조정자 역임

2006년 6월 - 현재  비폭력평화물결 대표/ 청년평화운동 푸름 지도위원

2007년 1월 - 현재  한국교회협의회 생명/윤리 위원회 위원

2007년 6월 - 현재  비폭력대화센터 자문위원

2009년 1월 - 현재  동북아갈등해결센터(NARPI; North-East Asia Regional Peace Institute) 실행위원

2010년 5월- 현재   남북평화재단내 비폭력평화훈련센터 소장





○ 연구결과물



가. 저서 /역서

박성용외 공저, 회복적서클에 기초한 또래조정 매뉴얼(동그라미와네모, 2013)

박성용, 비폭력평화교육:각모델의 흐름과 지평(동그라미와네모, 2012)

-----, 평화로운 수단에 의한 갈등전환 TRANSCEND 매뉴얼 (비매품, 2012)

-----, 『청소년을 위한 비폭력평화수업 매뉴얼』(비매품) 비폭력평화물결, 2012. 5.

-----,  『에코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기독교와 불교의 생태평화화』다산글방  2007. 2.

이삼열, 박성용외,   『아시아의 종교분쟁과 평화 』 오름 2005.1.



마이클 네글러 저, 박성용 옮김,  『폭력의 세기에 새로운 희망을 찾아서』비폭력평화물결, 2008.12.



나. 논문



-“생명평화 공동체를 위한 종교간의 대화,” 『지구촌 시대의 한국문화와 불교』

  오성컴, 2005.8.



-“생태여성신학의 관점에서의 종교담론,”『생태신학강의』크리스찬헤럴드 2006.3.



-“매튜폭스의 창조영성과 우주 그리스도론,”『현대생태신학자의 신학과 윤리』

  대한기독교서회, 2006. 8.



-"비폭력의 길"  샘, 2007 봄호





이 게시물을

sns_share sns_share sns_share sns_share sns_share



엮인글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 은총과 진실과 자비가 삶의 실재로 -박성용 비폭력평화물결 대표 인터뷰 기사 관리자 2012-05-27 1525

» 개인이력 (2013. 9월 현재) 관리자 2006-07-03 1664

1 Personal Experience of Peace Works in Korea 관리자 2005-06-28 1912

목록 쓰기

첫 페이지 1 끝 페이지



    검색


나의소개 - 박성용 비폭력평화물결 대표 인터뷰 기사

나의소개 - 은총과 진실과 자비가 삶의 실재로 -박성용 비폭력평화물결 대표 인터뷰 기사



은총과 진실과 자비가 삶의 실재로 -박성용 비폭력평화물결 대표 인터뷰 기사조회 수 1526 추천 수 0 2012.05.27 07:31:50

관리자*.83.160.85http://www.ecopeace.pe.kr/index.php?document_srl=1763

은총과 진실과 자비가 삶의 실재로

 

사진ㆍ박숙영 / 인터뷰ㆍ문경민

 (잡지 "좋은교사" /2012.6월호, '만나고 싶었습니다")







회복적 정의, 평화, 비폭력 대화, 회복적 생활지도, 회복적 써클.  학교 폭력 문제에 대한 좋은교사운동의 대안에 주로 오르내리는 단어들이다. 이 단어들이 오고가는 상황의 중심에 있지는 않지만, 그 상황을 물끄러미 바라보며 바둑돌 놓듯 고요히 움직이고 있는 한 사람을 만났다.  “뭐...배꼽에 있는 거 다 꺼내야지.” 준비되지 않은 인터뷰 요청에 박성용 목사님은 특유의 웃음을 터뜨리며 자신의 이야기를 내어놓기 시작했다.



왜 목회자의 길을 가고자 하셨나요?



저희 집은 힘든 가정이었습니다. 6.25로 인한 상처는 아버지를 30여 년의 알콜 중독으로 끌어들였고, 저는 그 상황 속에서 염세주의자가 되어 버렸습니다. 살아갈 이유를 못 느꼈죠. 하지만 살아갈 이유를 느끼지 못하는 나의 내면은, 살아가야할 의미를 치열하게 찾고 있었습니다. 그 방황의 끝에 교회를 만나게 됐죠. 교회는 저에게 위로와 안식을 주었습니다. 그게 중학교 때였어요.

상업 고등학교를 나온 뒤에 은행에 취직을 했습니다. 정말 즐겁게 직장생활을 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서 폐결핵에 걸렸어요. 각혈을 하는 상황이었죠. 그런 것들이 연결이 되어서 야간신학교에 간 후 다시 감신대를 가게 됐어요. 신학대학생에게 목사 외에 특별히 다른 길은 잘 보이지 않았죠. 조령 관문에 고사리 마을이라고 있어요. 거기에 처음 교회를 시작하게 되었는 데, 주변 사람들이 그곳은 목회가 될 곳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하지만 저는 그게 더 맘에 들었어요.

‘오호라... 목회가 안 되면 나는 학자의 길을 가겠다. 공부하겠다.'했죠. 그런데 거기에서 7년 반을 보내게 됐어요. 잘한 목회라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도시화물결속에 버틴 목회였죠.



목사님은 좀 특별한 삶을 살아오신 것 같습니다. 실례지만 가정에 대해 궁금한데요. 좀 소개 부탁드립니다.



그 당시에 ‘고사리에서 띄우는 편지’라는 묵상 편지를 여기 저기 보냈는데, 그걸 본 어떤 사람이 ‘당신에게 맞는 여자가 있다.’고 해서 지금의 아내를 만나게 됐어요. 세 번 정도 만난 다음에 계룡산에 텐트를 가지고 올라갔죠. 산장 뜰에서 촛불 켜놓고 밤새도록 서로의 인생을 다 털었어요. 그러고 나서 결혼하기로 했죠. 딸이 둘(대학생, 고등학생) 있는데, 자기가 좋아하는 걸 찾아갔으면 좋겠다 싶어서 대안학교로 보냈어요. 알아서 행하게 하니까 일찌감치 성장하더라고요. 스스로 삶의 방향을 찾기 위해 고민하는 것을 보면서 참 고맙다는 생각을 해요. 저는 진짜 그냥 뒀어요. 하지만 저는 애들이 저를 보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지요. 제가 새벽에 일어서나 책 붙들고 있는 거,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거, 애들한테 도시락 만들어 주고 아침 챙겨주는 거... 그런 것들을 우리 애들이 보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어요. 애들한테 말로 가르치려 드는 것은 잘 안 했어요. 그냥 보여줬죠. 제가 보는 책의 제목들이 아이들에게 암시를 줄 거다, 그렇게 생각했어요. 저는 주로 애들한테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애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퀘이커들의 영성이라고 할까요. 그래서 그런지 지금도 애들이 저 퇴근하면 와서 안기고 뽀뽀하고 그래요. 그러면 저는 애들에게 ‘너 이거, 지금 이러는 거 폭력이야. 나는 지금 자발적으로 너랑 뽀뽀하고 싶지 않다고. 징그럽다야.’ 그러죠. (웃음)



내 삶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누구였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카리스마적인 사람들에 대해 호기심을 갖지만, 그들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았어요. 스승이라고 부를 사람은 없었지요. 내게 있어서 스승이란 힘을 갖지 않았던, 그러니까 카리스마적인 요소가 전혀 없는 그런 것들이었어요. 음... 동물 중에도 그런 친구가 있었는데... 내 삶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어떤 토끼였어요.(웃음)

필라델피아에 있을 때였어요. 아침에 여느 때와 다름없이 산책을 하는데, 야생 토끼 한 마리가 뭔가를 먹다가 나와 눈이 마주쳤어요. 토끼는 나를 뚫어져라 바라보았지요. 나는 토끼의 눈을 보면서 나의 존재 자체가 상대방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그것은... 뭐랄까요, 울림, 울림 그 자체였죠. 2,3분동안 우리는 미동도 없이 서로를 응시했지요. 저에게는 그것이 계시적 사건이었어요. 상대방의 안전이 나에게 전적으로 달려있다는 것, 상대방의 약함이 나의 폭력성을 노출시키는 것을 보았던 것이죠. 그 사건은 제가 특권을 경계하는 삶의 스타일을 갖추는 계기가 됐어요. 저는 미국에 있을 때에도 목회자 넥타이를 하지 않았어요. 다른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눈에 보이는 차별을 받았지만 목회자들은 인종에 상관없이 대접을 잘 받았거든요. 그게 싫었어요.저는 카리스마 있는 사람들의 삶도 아름답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정작 제게 강렬한 인상을 주었던 것은 자기 타이틀이 없는 사람들이었어요. 그들은 종종 저를 소스라치게 만들었습니다. 제가 교인들도 거의 없는 고사리에서 7년 반 동안 버틸 수 있었던 것도, 그런 약한 존재들로부터 힘을 얻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어요. 그것을 통해서 저의 허무주의와 염세주의가 치유되기도 했어요. 그것이 나에게 은총이었지요.



운동가의 길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요?



저는 제가 운동가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미국 생활을 하면서 운동가로서의 삶에 눈을 뜨게 된 것 같아요. 제게 큰 영향을 준 사건은 모두 세 개 정도 되는데...



첫 번째는 LA로드니 킹 사건이었어요. 한인 점포들이 불타는 걸 많이 봤죠. 2000개 정도 탔으니까요. 이해가 안 되는 사건이었죠. 로드니 킹과 한인들의 연결고리는 로드니 킹이 현대 엑셀 승용차를 탔다는 것 밖에 없었는데 말이죠.



두 번째는 우리나라의 IMF였어요. 미국에서 내 조국이 부도가 난 걸 알게 됐어요. 아빠는 거리에서 자고, 아이는 먼 곳으로 보내고... 그 장면들이 정말 참담했어요. 그걸 보면서 영성을 공부하러 갔던 것은 다 집어 치우게 됐어요. 그리고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 무엇인지 보는 공부를 하는 걸로 방향을 바꾸게 됐지요. 그렇게 해서 페미니즘을 공부하게 됐죠.



그러다가 911사태가 났어요. 그 사건이 저에게 결정적이었죠. 온갖 인종들이 함께 공부하고 있던 템플 대학이 911사태이후 섬뜩한 분위기가 됐어요. 성조기를 밖에 내걸지 않은 집들은 종종 보복의 대상이 되기도 했죠. 그런 분위기에서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는 새로운 인간들을 봤어요. ‘펜들힐’ 라는 퀘이커 영성 센터는 911사태가 일어난 그 다음 주에 자신들의 공개강좌 제목을 즉각 바꾸어 이슬람 사람들을 불러들였어요. 그리고 그들에게 우리들의 잘못이 무엇인지 이야기해달라고 했죠. 울분으로 꽉 차 있는 미국 상황에서 그런 공개강좌를 연다는 건요, 정말... 목숨을 걸고 한 거나 다름없었어요. 저는 거기에서 세상과 다르게 사는 사람들을 만나게 됐어요. 그렇게 퀘이커를 알게 됐지요.



그런 일들을 겪고 난 뒤 한국에 들어오게 될 때 한가지 결심했어요. ‘나는 내 문제를 가지고, 내게 어떤 불행이 닥쳐오게 된다고 할지라도, 나 자신을 위한 기도는 하지 않겠다.’ 그런 결심이었죠. 그리고 오자마자 유네스코에서 아시아의 빈곤과 종교의 무능력, 종교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일을 하게 됐어요. 필리핀과 스리랑카의 분쟁지역을 돌아보고, 반군 사령부까지 들어가서 인터뷰를 했어요. 종교가 그 분쟁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종교에 어떤 희망이 있는지 보고 싶었어요. 거기에서 아시아의 참담한 현실을 보았고, 깊은 분노를 느끼게 됐어요. 대농장에서 붙어먹고 사는 사람들의 가슴 아픈 상황... 기독교가 아시아에서 주는 의미... 그것들을 직면하는 것은 제게도 아픔이었죠. 기독교는 그곳에서 침략의 도구로 쓰이고 있었어요. 자기 성찰에 집중하는 기독교의 무능력, 기독교가 정치권력과의 타협하는 현실. 그리고 새롭게 솟아나오는 대안의 힘들을 보았어요. 그런 것들은 책에서 볼 수 없는 것들이었죠.

한국 기독교는 곪아있는 상태이죠. 저는 교단에 대해서는 희망을 갖지 않습니다. 하지만 고름에서도 싹은 나니까요. 한국 기독교에 필요한 것은 문화적 크리스천이 아닌, 실천적 의지를 갖고 있는 크리스천입니다. 저는 여전히 기독교가 우리 사회에 의미 있다고 생각해요. 환경운동 등, 여기저기 선한 일들을 위해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에 가보면 많은 크리스천들이 함께 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저는 이 사회를 지탱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데 크리스천들이 하고 있는 역할이 있다고 봅니다.



지금 활동하고 계신 비폭력평와물결이라는 단체와 활동에 대해 자세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유네스코 일을 매듭짓고 비폭력 평화 물결이라고 하는 단체에 오게 됐죠. 처음에 저는 헤맸어요. 비폭력, 평화. 이게 뭔지 몰랐으니까요. 간디를 읽고, 퀘이커 등 기독교내 평화전통을 확인하면서 저의 중심이 다시 세워지기 시작했어요.



제가 했던 일은 평화 운동을 하는 사람들 자신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게 해주고, 재충전할 수 있게 도와주고, 거대한 악 앞에 서 있는 사람이 어떻게 새 힘을 얻을 수 있는지 에너지를 공급 해주는 것이었어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폭력이 일어날 수 있는 현장을 방어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그 현장을 돌보는 일꾼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들을 위한 훈련 모델이 필요해요. 연구자로 살아온 내 사명은 이들을 훈련시키는 게 내 적성이라고 본 것입니다. 유네스코 관련 교육기관에 있었을 때 지구촌 현장에서 일어나는 실천적이고 실제적인 모델에 대한 감각이 지금의 활동에 도움이 됐습니다. 거대한 구조악과 맞서 싸우는 어느 누구가 어디에 있는지, 어떤 투쟁의 모델이 있는지 안내해주고 설명해줄 수 있는 연구 경험과 지식을 좀 갖고 있었거든요.

비폭력 평화운동을 하는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종교성을 앞서 내세우지 않습니다. 그저 상대방이 고통가운데 있으면 그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섬기는 역할을 하죠. 저에게는 그 섬김(service)이 곧 예배(service), 신을 향해 나가는 거룩한 길입니다. 그래서 나는 훈련하는 워크숍(workshop)을 진행을 할 때 이를 거의 예배(worship)하는 자세로 임하곤 해요. 훈련하여 평화의 일꾼을 만드는 것은 바로 ‘샬롬의 통치’에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해서 처음으로 한국에 도입되어 훈련커뮤니티로 성장하고 있는 모델이 “삶을 변혁시키는 평화훈련(AVP)” “어린이청소년평화지킴이(HIPP)” “회복적서클” 등이었고, 타 단체들과 함께 처음으로 꾸려나가고 있는 것이 “회복적정의네트워크” “비폭력대화에 기초한 중재모임” 그리고 “사회적·감정적 배움(SEL)”입니다. 이 모두가 처음 시도되어 배움과 돌봄의 커뮤니티로 성장하고 있지요.



왜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을 가장 안전한 곳에서만 추앙을 하고 어둠과 폭력이 있는 곳에서는 그분의 역사하심을 못보는 것일까요? 낮과 밤의 하나님이라면 우리는 밤, 곧 폭력과 아픔이 있는 곳에서 그분의 주권성을 세워드려야 합니다. 가장 힘든 곳에서 그분의 현존하심을 가장 잘 계시하도록 우리가 증언하는 것, 이것이 바로 문화적 그리스도인이 아닌 속그리스도인의 할 일입니다. 지금 한국 사회에 필요한 것은 분노의 힘이 아닌, 성찰과 섬김의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공감하고 연대하는... 그런 방식으로 구조악 앞에 설 수 있어야 한다고 봐요.

사람들을 세우고, 연대하는 세력으로 키우고, 스스로 굴러가는 힘을 갖게 하는 것이 제 사역의 방향이에요. 새로운 에클레시아를 만드는 것이죠. 하나님 나라의 평등, 섬김, 같이 가는 사랑의 힘. 이런 것이 실제로 우리 사회에 통용되고 삶에서 소통이 되고 원리가 되고 가치가 되는 것... 저는 그것이 에클레시아라고 생각해요.



근본적으로 폭력이 나쁜 이유에 대하여 좀 더 설명 부탁드립니다



파괴와 죽임과 혼돈과 부패를 몰고 오는 것, 그것이 폭력이죠. 폭력은 하나님의 ‘생명, 은총과 평화’라는 본성과 어긋나는 것이라 생각해요. 심지어 폭력에 대적하기 위해 쓰는 ‘구원하는 폭력’은 우리가 원치않는 악을 우리도 은연히 닮아가게 되기 때문에 이것도 허락이 안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직접 말씀하시기를 “평화를 위해서 일하는 사람이 하나님의 자녀”라고 하셨고, 또 이어 더욱 확실하게 정의하시기를 “원수를 사랑하고 너를 대적하는 사람을 위해서 기도하라. 이것이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길”이라고 하셨습니다. 이게 바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이고, 이것이 핵심이죠. 사도바울은 에베소서에서 말하기를 ‘그리스도는 우리의 평화’시고 십자가 지심은 바로 원수된 것을 자신의 몸으로 하나되게 하시고 화해를 위한 것임을 분명하게 밝히셨습니다. 복음서의 핵심이자 산상수훈의 핵심이 이것이고 목회서신으로 알려진 에베소서를 통해 사도바울이 영으로 만난 그리스도에 대한 핵심이 이것입니다. 제자직이란 평화와 화해를 위한 섬김에 있다는 것이 나의 신앙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이 바라는 것은 상대방을 쳐서 없애는 게 아니에요. 상대방을 틀어잡고 선을 행하게 하는 것이 목적인 것이죠.



기독교사들에게 꼭 당부학 싶은 말슴이 있으시다면 부탁드립니다



기독교사가 쫓아야할 모델은 둘이예요.



하나는 예수님이죠. 예수님은 삶의 실천적인 문제,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이미 우리에게 모범을 보여주셨죠. 산상수훈과 식탁교제, 그리고 치유를 통해 보여주신 샬롬(평화)의 통치, 이것이 첫 번째 모델이죠.



또 다른 하나는 성령님이세요. 성령의 역사나 열매는 부자로 살게 되는 게 아니라, ‘평화’입니다. 기독교사는 이 두 모델을 마음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신앙은 차치하고 배움의 본성에 대해서만 얘기해 봅시다. 애들에게 폭력과 강제가 효과가 있다는 말은요, 애들이 움찔하고 겁을 먹게 된다는 말과 다르지 않아요. 우리는 상대방이 변화되길 기대합니다. 여기에서는 모두가 “예”라고 말할 것입니다. 정말 그런 태도, 습관은 그대로 있어서는 안되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두 번째 질문을 해볼까요? 상대방이 바꾸어질 때, 그 행동을 안 할 때, 어떤 동기로, 어떤 마음으로 그런 변화가 일어나길 기대할까요?

우리는 상대방이 내 진심을 이해해서, 자신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면서, 자발적으로 하기를 바라는 것이 맞지 않나요? 상대방이 자신의 태도를 바꾸는 동기가 나의 말을 존중해주고, 내 말의 뜻을 알고, 진심으로 내가 상대방을 위하는 마음을 품고 있다는 것을 알아서 그런 변화가 있어주기를 바랍니다.



아침에 애가 일어나지 않아서 지각할 것 같을 때, 딴 짓을 할 때, 성적이 나쁠 때, 우리는 그 아이를 때리거나 혼을 내곤 합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우리는 그 아이가 우리 마음을 이해해주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실제로 무엇이 일어나는가요? 아이들의 마음에 움트는 것은 무엇이죠? 수치심? 두려움? 도덕적 강요? 보상에 대한 기대가 아닙니까? 폭력으로 아이를 가르치려 들면 이런 것들이 작동하게 됩니다. 교육자라면 이 문제는 명확해요. 이건 교육이 아니죠. 변화의 동기가 두려움, 수치심, 도덕적 강요, 보상 따위라면 그 변화를 성장이라고 볼 수는 없어요. 아이들은 그냥 길들여질 뿐이고, 안전하게 행동하는 정치를 배울 뿐이에요. 아이들에게 내면적 자율성이 있어야 해요. 이게 없는 상태에서 폭력적인 훈육이 들어오면, 진정한 자신을 찾지 못하고 상대방을 다루는 정치술을 배우게 됩니다. 신앙인을 떠나서, 교육자의 양심으로 이렇게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우리가 배운 성육신 신앙이라는 것은 모범자 되시고 스승이 되신 예수님을 따라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진리와 은총, 진정성과 자비로움이 눈에 보이는 바 곧 실재가 된다는 것 그리고 그것도 충만할 정도로 실제 삶에서 작동됨을 보게 될 때, 우리는 우리를 진정한 크리스천이라고 부를 수 있어요. 존재의 기반이 되고, 말하고 듣고 관계를 맺는 데 있어서, 회의나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이 진리와 은총이 눈에 보이는 실재로 보여주지 않으면 과연 그를 그리스도인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저는 이 원리가 교실에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애들을 응보적으로 처벌하는 것은 이 종교 신념에 위배된다고 봅니다. 응보적 처벌이라고 하는 것은 기독교의 핵심에도 전혀 맞지가 않아요. 우리는 기독교인으로 살아왔다고 생각들을 하지만, 기독교의 원리대로 산 것이 아니라 유일한 보편적 종교, 궁극적 종교, 곧 폭력이라는 종교의 신봉자였을 수 있습니다. 무서운 거예요, 이것은. 기독교의 핵심이 뭔지 다시 한 번 봐야합니다.

기독교의 원리, 예수님의 삶, 성령의 열매, 이런 것들을 다시 살펴보면 회복적 정의, 비폭력 평화교육. 이런 것들은 당연한 것입니다. 아이들이 학교 끝나고 집에 들어왔을 때, 그 아이를 사랑의 눈길로 보는 것이 아니라, 얘가 무슨 잘못을 했을지 생각하고, 숙제는 했을지 점검하고 싶어 하고, 잘못한 것에 대해 먼저 체크하고 아이들을 대하는 삶의 태도의 이면에는 폭력이라는 유해한 종교에 대한 신봉, 그리고 이것이 효과가 있다는 종교적 신봉이 숨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건 정말 그리스도인으로... 상상조차 해서는 안 되는 것이에요. 이런 일들이 우리의 삶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데, 그게 인식이 안 되고 화나는 일이 되지 않고, 심각하게 다가오지 않는지... 저는 그게 놀라워요.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요. 이해가 가지 않는 상황이에요. 지금의 폭력적인 문화가 자연스럽고, 비폭력에 대해 제가 이야기하는 것은 긴 설명을 해야 하는 현 상황......(한숨) 제가 하는 이게 비정상, 비상식이 된 것이 저는 섬뜩합니다. 핵심은 거기에 있어요.



회복적 교육이라는 것은 자비롭고, 평화롭고, 서로 돌보는 인성과 관계가 따사로운 교실과 학교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건 종교적 언어-샬롬의 통치라는 단어를 ‘회복적’이라는 말로 바꾼 것일 뿐이죠. 내용은 딱 같아요. 참된 기독교성과 전혀 위배되지 않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자비롭고 평화롭고 서로 돌보는 품성을 갖게 하는 일을, 교육을 통해 하는 것일 뿐이죠. 기독교의 진리 개념과 교육학이 전략적으로 제휴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박성용 목사님과의 인터뷰를 마치고 나서,

삶의 깊이와 무게가 남다른 한 사람을 만나고 왔다는 것을 느꼈다.



세속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나 몰라라 하고,

높은 목표를 향해 오늘의 한 걸음을 옮기는 사람은

이익을 쫓는 바람에 휩쓸리지 않으려는 우리 모두의 모범이 된다.



한 사람이 자신의 삶의 길을 정하게 되는 이야기는

하나 하나 모두 드라마틱하지만,

그 드라마가 모두 아름다운 것은 아닌 것 같다.



아름다운 드라마를 이어갈 박성용 목사님의 오늘을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