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16

A Theology of Dao - BR James Jinhong Kim, 2020

A Theology of Dao - James Jinhong Kim, 2020

    This article reviews Heup Young Kim’s A Theology of Dao, which presents an articulate argument for the synthesis of Daoist and Christian theologies. It also provides a helpful overview of systematic theology that has come out of East Asia in recent decades. As with other works of its kind, one wishes there were (1) more accounting for the decline of Asian values from within, instead of simply assuming their destruction by encounter with Christianity/the West and (2) more grounding of the new theo-Dao with reference to its history within Asian Christianity, which could show its applicability for global Christianity generally.

    Reading Heup Young Kim’s Theology of Dao, one can’t help but hold the work in enormous esteem and appreciation.1 It is a rich amalgam of current trends in systematic theological thinking, especially those concerned with broadening, enriching, and enlarging Christian theology with perspectives drawn from non-Western traditions. He has gathered here decades of effort by such pioneers of “theo-Dao” thinking as Ryu Yŏng-mo and Lee Jung Young (to name only two among the many he cites), introducing readers to Asian—especially Daoist and Confucian—parallels of concepts in Western theology. Encyclopedic in its coverage from Christology to ecology, he brings together rich clusters of related ideas and terminology (e.g., apophatic vs. cataphatic) from both cultural spheres for mutual elucidation, with which to engage in further studies of this kind. In that sense this is a major contribution adding an important layer to the synthetic, constructive model of Christian theological thinking in which theo-logos and theo-praxis are brought together toward a new theo-Dao. Professor Kim’s work is moreover sure to be a useful tool for students of theology of both East and West for its painstakingly detailed footnotes.

    Without wanting to reduce in any way what Kim has achieved in the present volume, however, I feel bound to point out two fundamental flaws that in fact have been characteristic of a fair portion of the systematic theology that has come out of East Asia in recent decades and that are laced throughout this work as well. In all fairness, it is more as a reflection on Asian theology as a whole and not of Kim’s work in particular that I venture to discuss them here. The first is a flaw of historical inaccuracy; the second is a matter of confusion or hubris in which theory is substituted for theology. The two together suggest a third comment. It is not so much a flaw as it is a need for a shift in approach to East/West syntheses.

    Put simply, the point of historical inaccuracy stated outright in Kim’s work but also implied in a number of works by others concerns the assumption that it was Christianity (and more broadly the coming of the West and its ideas) that wreaked havoc on Asian values, spiritual and otherwise, in Korea and elsewhere in Asia. Kim specifically suggests, for example, that the monotheistic exclusivity of the Christian Gospel message destroyed or at least made contentious the culture of peaceful religious pluralism in which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ad freely coexisted. Concepts of personal salvation in Christ are blamed for the erosion of communitarian dynamics built on social trust and cooperation, and the idea of original sin is said to have broken down the deeply held Mencian view of human nature as good, on which a complex tradition of social dynamics and structure had been built. Indeed, there are bound to be incalculable differences of ethos between a culture founded on the belief that “There are no bad people, only bad environments” and one that not only categorically imputed “sin” to everyone without exception (an idea that had its strong counterpart in East Asia through Xunzi and the Legalists) but, even more important, categorically denied the possibility of human solution by effort.

    There is much that is not wrong about Kim’s diagnosis—for example, his understanding of what is happening currently, especially in some circles of South Korean and Chinese underground church communities. But before entering into questions of the validity or invalidity of his analysis (including specific aspects of Confucian and Daoist developments he discusses)—and without in any way disregarding the very real upheavals the coming of the West did inflict on the East in many other ways—it is of great importance to recognize that Confucian and other Asian spiritual values had been on a long downward spiral of decline from within, long before Christianity ever appeared on the scene. It was the state of spiritual vacuum that those values found themselves increasingly unable to fill throughout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hat—at least in Chosŏn Korea—made the people so receptive and even hungry for the new teachings brought by missionaries. In other words, it was not Christianity that rendered Asian values ineffective but something else. I certainly do not mean to imply that the values that had sustained and given vitality to civilizations in Asia for millennia were in some way intrinsically defective or inadequate. All civilizations go through cycles of decline and renewal according to rhythms marked by the combination of internal cohesion of values and external pressures. But such an admission does not absolve us of the imperative to understand and come to terms with the causes of a given decline. Put another way, one needs to first grapple with what fundamental human issues those values, as understood and practiced at the time, had not been able to adequately address, and why. Only then can one move forward to rebuild those values in ways that do address current needs.

    Before going on to my second point, it is perhaps worth noting that such historical inaccuracy as pointed out above is far from unique to any one region or time. America in this very moment is divided over the issue of immigrants, with their various faiths and cultures said to be “eroding and destroying” American values and way of life. But as had been the case in eighteenth- and nineteenth-century Asia, many intellectuals, cultural historians, and even pundits sensitive to nuances of such things have been pointing out for some time how American values have been in slow decline for decades, its once-stalwart individualism increasingly corrupted to outright materialism and “me-ism” and leaving a huge spiritual vacuum in its wake that no amount of consumerism, virtual reality, and flag-waving about “family values” are able to fill. To try to fill that vacuum, some are indeed turning to different traditions of thought, including Islam—sometimes even to the most militant forms of Islam—but it is not Islam that created the vacuum. However politically convenient to blame the coming of these other traditions onto American soil for all of America’s problems, their presence actually provides new prisms by which to study, update, and revitalize American values for our time—if Americans should so choose.

    The ramification of starting from the historically more accurate view—according to which the arrival of Christianity led not to the destruction of Confucian, Buddhist, or Daoist values but instead to an opportunity for their renewal and revitalization—is directly related to my second point about theory being mistaken for theology. One cannot propose a “theo-Dao” as a solution or an alternative to Western theology (maybe “theo-logos” or “theo-logy”) when this “theo-Dao” has had no history of success or indeed even of application as contemporary Daoism, much less as part of Asian Christianity. Daoist philosophy and spirituality lost its vitality (i.e., its ability to identify and directly address fundamental issues of society) in Asia before the arrival of challenges from abroad, and it has yet to demonstrate the recovery of that vitality in Asia. That is to say, Daoism in Asia has yet to develop the wherewithal within itself to engage with Western or Christian teachings in such meaningful ways as to have become a necessary sustaining value in today’s largely Westernized Asia. Not having found relevance even in one’s home contexts, on what grounds should it be proposing itself as a solution for the contexts of another? At best, this could be only speculative hypothesizing, not theology founded on engagement with the deepest human questions. One understands, even shares, the wish that precisely by engaging in the kind of theorizing involving “systematic theology,” the synthesis of Western theo-logos (as theo-logy) with Eastern theo-praxis one would somehow arrive at a theo-Dao that not only unites East and West seamlessly toward a more “global” ethos but helps each move beyond its past toward an equally “glocal” future. Indeed, syntheses founded on such terms may not be lacking in sparks of academic brilliance. But ultimately such endeavors will not move beyond the postcolonial status quo—one side eager to demonstrate the value of its native culture without sufficient attention to soundness of methodology, the other side eager to show its neocolonial generosity by assuming the pose of intellectual affirmative action. It cannot lead to true synthesis.

    The preceding thoughts lead to my third point, which is a call for a shift in approach. I have said elsewhere that the arrival of Christianity in Asia offered an opportunity for renewal and revitalization of Asian spiritual values (esp. in the case of Chosŏn Korea) by way of what I have elsewhere called interculturation—an opportunity that in my view neither side has understood even now, more than a century later, to take advantage of to its full potential.2 As the three components of the word indicate, “inter-culturation” involves activity of some kind between (“inter”) different cultures but in addition carries strong implications of directionality that might be described as a self-transformation that is mutually enlarging. And I argue these components of interculturation not as theory (and of course, not as theology either) but as a pattern shown again and again throughout world history at points of successful transition to renewal, as for example when China absorbed Buddhism into itself in a way that not only embedded Buddhism within Chinese culture but ultimately gave impetus to the rise of neo-Confucianism. In the process, China also fundamentally changed and enlarged the way the world subsequently understands Buddhism, which was a natural but hardly intended by-product of China’s self-transformation.3 Similarly, Korea took those neo-Confucian ideals from China and so developed and applied them to its own contexts that it led to a remarkable social and cultural renaissance in which, it has been said, Korea rediscovered new heights of its nascent character.4 Again, the transformation was of Korea, but one of its by-products was to enlarge and even redefine the potential of “neo-Confucianism,” to the point where no discussion of it would be considered complete without taking account of its application in Korea. Europe, too, entered its Renaissance as it learned how to reevaluate its relations to the “pagan” Greek and Roman philosophy it had “always known” yet held at arm’s length. Though Greece itself never again reached such intellectual heights and even may go bankrupt in our time, it will yet always be known to history as a major source of the grand Western tradition. In each case there was no effort to try to change the source of the challenge; effort was always focused on deep-level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nature of the challenge, not so much for the purpose of accepting or rejecting it, as learning how to be challenged by it.

    So what might these considerations mean in the present work and its contexts? For one thing, Asian theologians might begin by trying to understand the reasons that caused the values of the Dao to have been on the wane, also the reason why the influx of “theo” into the world of the “Dao”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was not enough to inspire a renewal and revitalization of Daoist values. The question might in time be extended to ask also why the “theo” that met with “Dao” in the land of Dao has not been able to transform itself into a life-sustaining “theo-Dao” in Asia either. In short, the task confronting Asian theologians is not to presume to find solutions for Western Christianity or global Christianity as a whole that lie outside their own contexts, as Western Christianity once presumed to do for peoples everywhere and failed. The way forward, rather, is to engage in serious studies of (1) why “Dao” entered a trajectory of decline, (2) why and what aspects of it had stopped providing vital energy for renewal of society even before Christianity came into the picture, and (3) how it can engage in meaningful interculturation with Christianity to strengthen both itself and Asian Christianity for real human contexts emergent in the region. It will indeed involve going back to the texts—but an ad fontes through the lens of reality, because the task is to rebuild from a place of actual historical decline and failure. It will not be enough, in other words, to point to the wisdom of this or that text in all its abstract perfection, which in the end is as meaningless as its opposite of rejecting everything indigenous by way of indiscriminately confusing corrupted practices of tradition to be true expressions of its core principles.

    This is where I think the example of someone such as Horace G. Underwood,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to set foot in Korea, can be so illustrative. For over twenty years he agonized mightily both in himself and with colleagues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using the Korean word “Hananim” to refer to God instead of the term “Ch’ŏnju” (i.e., Tien-chu, used in China), before finally coming round to support the former wholeheartedly. He understood that words carry not only literal meanings and etymological overtones but also strong (though not always articulated) connotations of accumulated local cultural understanding and nuance. He understood the need for time to sufficiently familiarize himself with the ethos of such an important word as “Hananim” among the Korean people, to understand how the living ethos contained in the word expanded not only the “God” he himself knew but would influence and characterize the future of Korean Christians’ manner of relating to God. The choice of word was not only a textbook matter of translation and analysis but a taking stock of the deepest longings of a people toward the Gospel from the Korean glocal context (long before the word “glocal” had been coined). It was not that he sought to change Korean Christianity according to his own vision of it; on the contrary, what he undertook was his own self-transformation through his coming to understand the Korean people, their context and ethos. And ultimately it was this—that his missional activities had been a proactive process of self-transformation more than an effort to transform an Other—that served Korea and Korean Christianity so well.

    Do such considerations leave any room for Asian theologians to contribute to the future of Christian theology as a whole? As I have argued, self-transformation is the best way to transform the whole. Only after truly understanding for themselves the reasons for the historical failure of values within Asia would Asian Christians perhaps be in a position to begin to understand why Western theology, similarly, is having difficulty breaking through its current theological impasse. Usually, elements of the answer lie already embedded within the tradition if that tradition has been around long enough, and indeed contemporary Western theologians as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Jürgen Moltmann and Sarah Coakley are increasingly looking to previously “peripheral” aspects of their own traditions—to trajectories represented by the likes of Gregory of Nyssa and the medieval mystics—for new direction. What is needed is not some new answer from outside but rather an understanding of why the West’s (or East’s) manner of looking at things has not allowed them to harvest the answer staring at them. In that sense, what each cultural hemisphere can offer the other in this age of global identity is not theology but pedagogy.

    Author biography

    James Jinhong Kim is the Horace G. Underwood Chair in Missiology and Global Christianity and the director of the Underwood Center for Global Christianity at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New Brunswick, NJ.

    행공(行功)수련

    행공(行功)수련
    석문호흡/호흡수련
    행공(行功)수련
    天心
    2016. 4. 21.
    ---

    ※ 행공(行功)수련


    행공은 호흡과 더불어 석문호흡 수련에 있어서 조금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본 수련에서의 호흡을 음(陰)적이라 한다면 행공은 양(陽)적인 호흡입니다.
    다시 말해서 본 수련이 마음(心)을 70%, 몸(身)을 30%의 비율로 단련하는 것이라면,
    행공 수련은 몸(身)을 70%, 마음(心)을 30% 비율로 수련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상의 수련 법은 음양이 조화된 본 수련과 행공 수련을 함께 하는 것입니다.
    행공은 수련 단계에 맞는 정확한 행공 자세를 취하고
    이 때의 호흡은 본수련 때보다는 조금 더 강하고 길게 하는 것이 좋으며,
    의식도 단전에 강하게 집중하여야 합니다.

    행공 동작을 취할 때는 비록 힘이 들어, 쉴 때 쉬더라도
    자세는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확실한 행공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수련자 스스로가 자신의 기력향상을 몸소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행공을 꾸준히 하게 되면 많은 이로움이 있습니다.

    실례로 양신을 하주에서 생성시켜 중주로 올리고
    다시 상주로 올려서 출신(出神)하고자 할 때
    필요한 힘이 바로 행공에서 얻어지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어려운 행공을 통해 심신의 한계를 극복하므로
    수련자의 근기가 커져서 어려운 수심이 오더라도 잘 극복할 수 있게 됩니다.

    결국 행공 때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은
    수심과 다가올 수련단계를 준비하는 중요한 요건이 됩니다.

    무한불성(無汗不成)이라 하였듯이 땀 흘리는 고련(苦練) 속에서만이
    비로소 성취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행공의 효능

    1. 전신의 근골을 단련시켜 집중력과 의지력을 크게 기른다.
    2. 강한 기운이 형성되어 경락을 튼튼하게 단련시킨다.
    3. 혈액을 맑게 해준다.
    4. 행공 동작에 숨에 있는 현묘한 기운의 작용으로 공부가 깊어질수록
      눈에 보이지 않는 큰 도움을 받는다.

    ---

    2021/07/15

    알라딘: [전자책] 지금, 한국의 종교 가톨릭.개신교.불교, 위기의 시대를 진단하다 박병기, 김진호, 조성택, 성해영, 김근수, 정경일 (지은이)

    알라딘: [전자책] 지금, 한국의 종교


    [eBook] 지금, 한국의 종교 
    가톨릭.개신교.불교, 위기의 시대를 진단하다
    박병기, 김진호, 조성택, 성해영, 김근수, 정경일 (지은이)   메디치미디어   2017-06-05
    정가 12,600원
    책소개
    고려대 철학과 조성택 교수가 불교를,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연구실장이기도 한 김진호 목사가 개신교를, 김근수 해방신학연구소 소장이자 가톨릭프레스 편집장이 가톨릭의 대표로 나섰다. 이들은 자신의 종교를 각각 내부자의 시선으로 비판하며, 각 종교의 문제점과 그 이유를 진단했다. 그러나 이들은 원효의 화쟁 사상처럼 싸우되 평화롭게 싸우며, 종교 간 경계를 넘나들면서 한국 사회에서 종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발제자 3인의 성역 없는 비판과 종교를 넘나드는 날카로운 시선으로 나눈 논의와 대담, 그리고 청중들의 진지한 질문과 반론도 정리하여 함께 수록했다. 각각의 종교가 ‘무엇이 걱정인지’, ‘왜 걱정인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주제로 총 아홉 차례에 걸쳐 발제와 토론, 질의응답으로 구성했다. 이른바 한국 3대 종교의 화쟁적 대화의 결과물이다.


    목차
    들어가며

    추천의 글 1 · 추천의 글 2

    제1부 무엇이 걱정인가

    01 오만과 편견 :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인가?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인가? │ 오리엔탈리즘과 불교의 신비화 │ ‘깨달음’이라고 하는 오만과 편견 │ 불교 본래의 ‘전통’은 무엇인가? │ 부처님은 도인이 아니라 행동가였다 │ 현재를 부처로 살라 │ 대담

    02 개신교의 배타주의와 타자의 악마화는 필연적인가?

    그리스도교 배타주의는 어디에서 왔는가 │ 한국 개신교의 배타주의의 역사, 분단과 증오 │ 오늘의 한국 개신교의 배타주의, 다시 전면전을 향한 망상 │ 대담

    03 가톨릭의 권위주의

    가톨릭교회가 보이는 권위주의의 두 모습 │ 권위주의를 가져온 성경과 트리엔트 공의회 │ 가톨릭은 권위주의를 버리고 가난한 사람에게 가야 │ 대담

    제2부 경계 너머: 왜 걱정인가

    04 그리스도교는 가난한 사람들을 향해 있는가

    그리스도교와 가난 │ 가난한 사람과 그리스도교의 관계 │ 누가 가난한 사람인가 │ 지금 그리스도교는 가난한가 │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가난할 것인가 │ 대담

    05 이웃의 고통에 공감하지 않는 불교

    부처님의 꿈과 당부 │ 왜 이웃의 고통에 외면하는가? │ 감성의 복권: 머리의 종교에서 가슴의 종교로 │ 시민보살 │ 대담

    06 성형사회의 그리스도교

    성형 권하는 기형적인 ‘성형사회’ │ 성형사회의 병증: 강박증과 공포증 │ 성형사회와 교회 │ ‘성형사회 너머’의 그리스도교 │ 대담

    제3부 어떻게 해야 하는가

    07 신자유주의적 현상들로서의 ‘영성들’과 ‘그것 너머의 영성’

    개신교 배타성의 배후, 성형사회 │ 영성 현상이 무엇인가 │ 영성의 의미와 맥락 │ 사회적 영성, 타자됨의 영성 │ 대담

    08 자유와 해방을 향하여

    권위주의와 가난, 그리고 해방자 예수 │ 신앙과 정의의 관계, 그리고 자유와 해방 │ 고통받는 예수, 가난한 사람들 │ 자유와 해방을 위한 싸움에서 승리하려면: 종교를 위한 제언

    09 배타적 주장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정의(正義)들’의 화쟁

    옳음과 옳음의 대결, 안티고네와 화쟁 │ 해결이 아닌 대결로, 한국 사회의 문제 │ 원효의 화쟁론과 화쟁의 정치학 │‘옳음’과 ‘옳음에 대한 견해’는 다르다: 사실과 진실의 문제 │ 정의‘들’의 화쟁 │ 대담

    마치며

    주석
    ==========================
    접기
    책속에서
    P.23
    과연 깨달음은 일종의 체험이며, 이 체험이 불교의 요체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에 앞서 지적하고 싶은 것이 있다. 깨달음이 단지 종교적 체험으로만 머문다면 불교는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종교라는 덫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이다. 개인의 문제, 때로 불교 전통에서 말하는 생사의 문제가 사소한 문제라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러나 개인은 개체로서 완성되는 것이 아니며 사회와 무관한 존재가 아니라는 점에서 불교가 그 관심을 개인의 생사 문제에만 국한한다면, 스스로 제도적 종교로서의 존립 근거를 없애는 일이며 연기와 무아를 핵심으로 하는 불교의 세계관과도 맞지 않다. 사실 불교에서의 깨달음을 어떤 특수한 심적 체험으로 환원해버린 것은 근대 서구적 관점의 영향 탓이다. (23p_‘깨달음’이라고 하는 오만과 편견)

    P.59
    한기총이 불러일으킨 주된 효과는 무수한 미시동원체들을 생성하고, 재활성화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이들은 미시적인 영역에서 이념적 적그리스도를 찾아내고, 그들을 향해 아낌없는 공격을 퍼부었다. 미시동원체들은 지난 1945~1960년에 공격적 개신교도들이 벌인 전면전을 꿈꾸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망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서북청년단’이라는 이름을 다시 내건 단체의 태동이다(단, 이들이 주로 공격을 퍼붓는 장이 사이버공간이라는 점에서, 과거 1940~1950년대의 공격적 기독교 신자들과는 확연하게 다르다). 이 극우적 미시동원체들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이른바 종북 마케팅의 자원이 되었다. 최근 이러한 개신교의 배타주의적 신앙은 이념 프레임을 넘어서 무슬림을 적으로 삼는 인종주의적 프레임(제노포비아)과 성소수자를 적으로 하는 이성애주의적 프레임(호모포비아)으로 지형을 확장하고 있다. (59p_오늘의 한국 개신교의 배타주의, 다시 전면전을 향한 망상)

    P.92
    개신교가 ‘타인이 악마다’라고 주장한다면, 가톨릭은 ‘나는 천사’라고 말한다. 자신이 천사라는 말이 타인은 악마라는 뜻을 논리적으로 포함하진 않지만, 정서적으로 타인을 나보다 아랫사람으로 얕잡아보기 쉽다. 가톨릭은 하느님이 주신 구원의 진리를 소유하고 있다고 믿는다. 그런데 자신이 진리를 가지고 있다고 자부하는 사람은 덜 관용적이기 마련이다. 더구나 진리를 안다고 확신하면서 권력을 독점하려 애쓰는 경향이 있다. 진실로 진리를 아는 사람은 권력을 멀리 할텐데 말이다. (92p_ 가톨릭교회가 보이는 권위주의의 두 모습)

    P.153
    신자유주의는 가난한 사람들의 숫자를 더 증가시킵니다. 또한 신자유주의 체제 속에서 종교는 부자에 더 의지하도록 만듭니다. 그리고 종교와 종교인들이 경영자 마인드에 빠지기 쉽습니다. 종교가 거대업체를 소유하고 경영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종교 재단이 소유한 대학이나 병원이 그 좋은 예입니다. 종교는 신자유주의와 맞서 싸워야 하는데 오히려 신자유주의의 기본 원리를 채택해서 종교를 운영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가톨릭 주교들은 대부분 경영자 마인드에 투철합니다. 교구를 마치 사기업처럼 운영하여 수익을 내는 사업으로 보는 경우가 있고, 본당 신부들도 예외는 있지만 대부분은 프랜차이즈 지점처럼 본당을 운영합니다. 지금 가톨릭은 무신론과 싸울 때가 아니고 신자유주의와 싸워야 합니다.(153p_그리스도교는 가난한 사람들을 향해 있는가_대담 중에서)

    P.177
    지금 한국 불교에는 감동이 없다. 종교가 감동을 주지 못한다는 것은 생명체에 비유하자면 생명이 없는 것과 같다. 로봇의 정교한 움직임은 감탄을 자아내지만 감동을 주지는 못한다. 하지만 어린아이의 뒤뚱거리는 발걸음은 바라보는 이에게 감동을 준다. 생명의 활동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한국 불교의 수행 문화를 살펴보면 불교가 지나치게 교리화 혹은 일종의 원리화되어 있어 일상의 가르침을 주지 못하고 있다. (177p_감성의 복권: 머리의 종교에서 가슴의 종교로)

    P.220
    개신교계에는 재건축의 신화가 있습니다. 교회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빚을 내서라도 교회당을 크게 지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런 재건축의 신화는 교회의 성장뿐 아니라 교인 개개인의 삶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생각과 연결되어 있기도 합니다. 대형교회는 거대한 인맥 공장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교회가 성장하면 그 인맥 공장의 일원이 될 수 있으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신도들도 기회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기도 합니다. (220p_성형사회의 그리스도교_대담 중에서)

    P.241
    그리스도교는 그 타자가 ‘저 높은’ 공간의 존재가 아니라 ‘가장 낮은’ 공간의 존재다. 신이 지극히 낮은 그곳으로 도래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신의 도래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지극히 높은 타자’라는 속성은 그리스도로 인해 사라지고, 그 신은 이미 ‘지극히 낮은 타
    자’가 되었다. 요컨대 그리스도교 영성은 지극히 낮은 타자와 나/우리의 만남, 그로 인한 두 존재의 자기 초월적 유착을 가리키는 감성적 언표다. 그러므로 우리는 현재 폭발적으로 분출하는 영성 현상에서 타자성의 몰락과는 다른 가치의 영성을 이야기해야 한다. 그것을 가리키는 용어가 ‘사회적 영성’이다. (241p_사회적 영성, 타자됨의 영성)

    P.293
    가난은 개인 문제가 아니라 구조 문제라는 겁니다. 또 가난한 사람은 종교가 다루는 여러 주제 중 하나가 아니라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종교는 가난한 사람을 편들어야 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말을 빌리자면, 구조적 불평등을 해결하지 않으면 폭력과 테러의 문제는 풀릴 수 없다고 합니다. 구조적 불평등이 무엇으로 인해 생겼는지 잘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사실 신도들에게 자꾸 ‘내 탓이오’라고 가르치는 것이 너무 못마땅합니다. 우리 탓이 아니고 너희 탓이야, 이런 말도 가르쳐줘야 해요. 그러면 이념이나 갈등 문제가 또 제기될 수 있겠죠. 그렇지만 정말 제대로 세상을 봐야 하지 않을까요? 정확히 구분이 안 된다는 말로 포기할 것이 아니라, 기준이 흐릿하고 경계가 왔다갔다 변한다 하더라도 구조적 불평등이 누구 때문에 생기고 지속되는지 종교는 사람들에게 분명히 말해주어야 합니다. (293p_자유와 해방을 향하여_질의응답 중에서)

    P.306
    화쟁의 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든 견해가 일종의 조건문이라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일체개고(一切皆苦, 모든 것은 고통이다)와 같은 종교적 가르침도 예외는 아니다. 조건문이기 때문에 일정한 관점을 전제하고 있으며 그 의미는 그 견해가 설파되는 맥락에 의존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조건이 없는 그리고 맥락을 떠난 절대적 견해는 없다. 특정한 의미와 맥락에서만 참일 수 있다. 그러나 진영논리는 견해의 조건성과 맥락을 용인하지 않는다. 자신의 견해는 무조건 옳고 상대의 견해는 무조건 틀렸다. 그러나 무조건의 견해는 없다. 화쟁의 개시개비는 모든 견해가 조건적임을 용인하는 데서 출발한다. 서로 충돌하는 배타적 견해를 양자택일의 갈등 국면으로 이해하지 않고 둘 다 맞는 말로 받아들일 때, 다시 말해서 모순을 용인할 때 상황을 이해하는 새로운 지평이 열리게 된다. (306p_원효의 화쟁론과 화쟁의 정치학)


    저자 소개

    지은이: 박병기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윤리학과 도덕교육 1>,<배려연구>,<지금, 한국의 종교> … 총 17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교육학 박사) 불교원전전문학림 삼학원(三學院) 수료(5년제) 서울도봉여자중학교 교사,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역임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가산불교문화연구원 전문위원 〈주요 연구업적〉 『윤리학과 도덕교육 1·2』(1996, 2000, 인간사랑) 『우리 시대의 문화와 사회윤리』(2003, 인간시랑) 『직업과 윤리』(2006, 방송대 출판부) 『아동인격교육론』(1999, 인간사랑, 역서) 외 다수

    지은이: 김진호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지금, 한국의 종교>,<담임목사가 꿈꿔야 할 예배>,<그 집에서 만난 복음> … 총 53종 (모두보기)
    제3시대그리소도교연구소 연구실장이자 민중신학자로 한국 교회와 사회에 대한 신학적·문화적 비평의 글을 쓰고 있다. 서강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했고,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민중신학자 안병무로부터 신학을 배웠다. 한국신학연구소에서 연구원, 계간 《당대비평》 편집주간을 거쳐, 안병무 선생이 설립한 ‘한백교회’의 담임 목사를 지냈다. 인권연대가 수여하는 “올해의 종교인권상”(2011)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함께 읽는 신약성서》, 《실천적 그리스도교를 위하여》, 《예수 르네상스: 역사의 예수 연구의 새로운 지평》, 《예수 역사학: 예수로 예수를 넘기 위하여》, 《반신학의 미소》, 《리부팅 바울》이 있고, 공저로 《함께 읽는 구약성서》를 집필했다.

    지은이: 조성택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우리가 살고 싶은 나라>,<지금, 한국의 종교>,<어떻게 살 것인가> … 총 13종 (모두보기)
    고려대 영문학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 대학원에서 인도철학을 전공했으며, U.C버클리에서 인도 초기 대승불교의 성립에 관한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학 비교종교학과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미국종교학회 한국종교분과위원회 상임위원 및 위원장을 지냈다. 화쟁문화아카데미 대표이자 고려대 철학과 교수,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불교와 불교학: 불교의 역사적 이해』, 공저로 『인생교과서 부처』, 『석전과 한암, 한국불교의 시대정신을 말 하다』가 있다.

    지은이: 성해영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동학의 재해석과 신문명의 모색>,<수운(水雲) 최제우의 종교 체험과 신비주의>,<다시 이어지다: 궁극의 욕망을 찾아서> … 총 17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열일곱 살에 뜻하지 않게 찾아온 신비적 합일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뒤늦게 종교학을 시작했다. 2003년에 종교학 석사학위를, 2008년에 미국 라이스대학교에서 종교심리학과 신비주의의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 다. 지은 책으로 《A Happy Pull of Athene: An Experiential Reading of the Plotinian Henosis in the Enneads》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공저)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탄트라의 종교 사상 비교〉 〈수운水雲 종교체험의 비교종교학적 고찰〉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프로이트의 《문명 속의 불만》이 있다. 종교 체험의 비교 연구를 통해 영성과 종교성을 탐구하는 것이 주된 관심이다.

    지은이: 김근수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예수 평전>,<평화의 예수>,<가난한 예수> … 총 16종 (모두보기)
    해방신학연구소 소장. 평신도 신학자이며 가톨릭 인터넷신문 《가톨릭프레스》 초대 편집장을 맡았다.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인츠대학교에서 신약성서를 전공했다. 로메로 대주교의 땅, 엘살바도르 중앙아메리카대학교(UCA)에서 해방신학의 대가 혼 소브리노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유일한 아시아인 제자가 되었다. 지은 책으로 〈마르코복음〉 해설서 《슬픈 예수》, 〈마태오복음〉 해설서 《행동하는 예수》, 〈요한복음〉 해설서 《평화의 예수》, 〈루가복음〉 해설서 《가난한 예수》, 개혁가 프란치스코 교황과 한국에 관해 쓴 《교황과 나》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스승 혼 소브리노의 대표작 《해방자 예수》 등이 있다. 2014년 8월 교황 방한 마지막 날, 주한 교황청 대사관에서 교황을 직접 알현하고, 저서 《교황과 나》를 헌정했다.

    지은이: 정경일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일본의 종교문화와 비판불교>,<아픔 넘어>,<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 총 9종 (모두보기)
    유니온신학대학원(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참여불교와 해방신학을 비교 연구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새길기독사회문화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민중신학회, 연구공동체 ‘평화와 신학’, ‘대구와 카레’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공저로 Terrorism, Religion, and Global Peace, 『사회적 영성』, 『고통의 시대, 자비를 생각한다』, 『한국적 작은 교회론』, 『종교 안에서 종교를 넘다』,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등이 있고, 역서로는 『신성한 목소리가 부른다』, 『붓다 없이 나는 그리스도인일 수 없었다』(공역)와 『신성한 목소리가 부른다』 등이 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불교·개신교·가톨릭이 종교와 종교, 종교와 사회의 경계를 넘어
    오늘날 종교가 나아갈 길을 모색한다

    한국 3대 종교 간 최초의 화쟁적 대화
    “싸우되, 평화롭게 싸우자”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는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만남을 꼽았다. 21세기, 한국의 3대 종교인 가톨릭·개신교·불교가 1년 가까이 포럼으로 만났다. ‘종교를 걱정하는 불교도와 그리스도인의 대화: 경계 너머, 지금 여기’의 주제로 말이다.
    고려대 철학과 조성택 교수가 불교를,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연구실장이기도 한 김진호 목사가 개신교를, 김근수 해방신학연구소 소장이자 가톨릭프레스 편집장이 가톨릭의 대표로 나섰다. 이들은 자신의 종교를 각각 내부자의 시선으로 비판하며, 각 종교의 문제점과 그 이유를 진단했다. 그러나 이들은 원효의 화쟁 사상처럼 싸우되 평화롭게 싸우며, 종교 간 경계를 넘나들면서 한국 사회에서 종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이 책에서는 발제자 3인의 성역 없는 비판과 종교를 넘나드는 날카로운 시선으로 나눈 논의와 대담, 그리고 청중들의 진지한 질문과 반론도 정리하여 함께 수록했다. 각각의 종교가 ‘무엇이 걱정인지’, ‘왜 걱정인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주제로 총 아홉 차례에 걸쳐 발제와 토론, 질의응답으로 구성했다. 이른바 한국 3대 종교의 화쟁적 대화의 결과물이다.

    ‘너는 악마다’ 혐오를 양산하는 개신교
    ‘내가 천사다’ 권위주의에 의존하는 가톨릭
    사회를 등진 채 깨달음만 추구하는 불교

    개신교의 ‘불신지옥’의 외침은 일상화된 풍경이며 이따금 각종 반(反)집회, 극우 세력과의 연합, 혐오 발언 등의 주체로 한국 사회에 등장하고 있다. 사랑의 종교인 개신교는 왜 배타주의와 타자의 악마화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을까? 독일 신학에서 한때 “과연 아우슈비츠 이후 신학을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나왔다고 한다. 마찬가지의 질문을 한국 사회에 던질 수 있을 것이다. ‘과연 세월호 이후 신학을 할 수 있는가?’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 이후 가톨릭은 어떤 행보를 보이고 있는가? 이는 한국의 근대화와 맞물려 수입된 개신교, 가톨릭 그리스도교의 현주소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전통 종교의 자리를 지키는 불교의 모습은 어떠한가? 불교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조용한 암자에서 머물거나 고담준론을 베푸는 ‘큰스님’의 모습을 떠올리지 않는가. 마치 ‘도인’을 연상케 하는 불교의 이미지가 덧입혀진 원인을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적 관점과, 이를 역수입한 한국 불교의 전통을 꼽는다.

    종교개혁 500주년, 종교 간 대화 100주년
    한국의 종교는 어디로 가야 하나

    종교 간 대화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사회 참여적인 성격을 발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3·1 운동이다. 2019년이면 100주년을 맞이하는 3·1 운동은 천도교가 주도하고,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참여했다. 이는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이 사회 문제를 직시하고, 민중의 고통에 대한 응답으로 시작되었음을 상징한다. 불교·개신교·가톨릭이 서로 만난 《지금, 한국의 종교》는 사회 참여적인 종교 대화의 전통을 계승 및 발전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2017년, 루터와 칼뱅을 중심으로 일어난 종교개혁이 500주년을 맞이한다. 악습과 부패에 물들어가던 구종교를 개혁하여 새로운 종교로 거듭났듯이, 한국의 종교도 개혁이 필요하다. 이 책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과 같은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

    ◆ 도서 소개

    종교가 세상을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이 종교를 걱정하는 시대!
    “종교를 걱정하는 불교와 개신교, 가톨릭의 대화”

    지구 한편에서는 종교전쟁까지 불사하는 IS가 활개를 치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신도 수 감소가 증명하듯 세속화와 더불어 탈종교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한국 사회도 근대화와 일본의 제국주의, 한국 전쟁과 분단을 거쳐 신자유주의 시대를 맞고 있다. 종교는 진공 상태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사회 현상과 맞물려, 때로는 사회 현상을 주도하며 우리 앞에 현신한다. 그렇기에 개인적 신앙으로써의 종교만을 강조하는 것은 부족하며 제도적 종교를 주목해야 한다.
    지금, 한국의 종교는 구원과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정의 실현과 화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교회와 사찰은 대형화되고 있으며, 상품화된 영성을 중심으로 신앙은 상업화되고 있다. 종교적 권위를 빙자한 권력의 사유화는 종교에 대한 불신의 원인이다. 이러한 현실을 부끄러워하고 또 걱정하는 한국의 3대 종교, 이른바 불교, 개신교, 가톨릭이 한자리에 모여 종교의 걱정거리를 토로하고 또 나아갈 방향을 모색했다.

    옳음‘들’의 화쟁
    종교계와 한국 사회에 죽비를 내리치다

    싸우되, 평화롭게 싸우는 ‘화쟁’은 장님 코끼리 만지기의 예화에서 잘 드러난다. 코끼리의 전모를 볼 수 없는 장님들은 각자 만지고 있는 부분이 코끼리의 모습이라고 주장한다. 원효는 이를 두고 모두 옳고, 또 모두 그르다고 말한다. 어떤 주장도 코끼리가 아닌 것을 언급하지 않으며, 누구도 코끼리의 전모를 묘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옳음들’의 대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는 각각 종교에서 바라보는 ‘옳음들’이 있다.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라는 오만과 편견을 깨고, 도인불교에서 벗어나 ‘시민보살’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스도교는 교회와 한 몸이라는, 신체 기관의 위계성에 방점이 찍히는 것이 아니라 몸의 연결성에 중점을 두고 한 곳이 아프면 다른 곳도 아프게 된다는 관점에서 바울의 정신을 되살려야 한다. 그리고 가톨릭은 권위주의에서 벗어나 가난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자유와 해방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이들은 각자의 옳음을 이야기하고 서로의 종교를 이해하며 옳음‘들’의 화쟁을 도모한다. 아울러 한국 사회에서 종교라는 커다란 코끼리를 더듬어 나가며, 앞으로 종교가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해 나간다.
    이 책의 토대가 되는 포럼에서 기조 강연을 한 종교학자 오강남은 “탈종교화 시대에 불교, 개신교, 가톨릭에 소속된 중견 학자들이 각기 종교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에 대해 서로 경계를 넘어 의견을 교환하며 종교 활성화를 모색했다”라고 평하며 추천의 글을 썼다. 이 책은 각 종교의 지성인들이 종교계, 나아가 한국 사회에 내리치는 죽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겨레 2016. 11. 15일자 기사 보러가기


    경향신문 2016. 11. 11일자 기사 보러가기


    매일경제 2016. 11. 11일자 기사 보러가기


    서울신문 2016. 11. 11일자 기사 보러가기


    중앙일보 2016. 11. 12일자 기사 보러가기


    연합뉴스 2016. 11. 10일자 기사 보러가기접기
    구매자 (0)전체 (1)
    공감순
     문사철  2020-01-30

    행위가 배제되거나 행위를 결한 깨달음은 깨달음이 아니다. 지혜와 자비가 함께 동반되지 않는 깨달음은 일종의 신비 체험일 뿐 부처님이 보여 주신 본래적인 불교적 깨달음이라고 할 수 없다.  
    -------------------------------------  
    마이리뷰쓰기
    구매자 (1)전체 (1)
    공감순
     tipheret   2017-02-15

    특정한 종교는 없지만 여름 성경학교도 다녀봤고 절밥도 먹어봤다. 어렸을 때 교회와 절에는 나쁜 인상이 없었다. 교회하면 활기차고 경쾌한 찬송가가 떠올랐고 절하면 맑은 물소리와 고즈넉이 울리는 목탁소리가 떠올랐다. 그런데 언제부터 교회를 생각하면 ‘예수천당 불신지옥’ 같은 불쾌한 외침을, 절하면 소란스럽고 요란한 연등행사 마이크 소리를 떠올리게 되었을까?



    요즘 종교는 사람들에게 구원과 희망의 메시지를 주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교 자체가 사회적 정의의 실현과 화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부끄러워하고 걱정하는 그리스도인과 불교인이 만나서 대화했다. 이 책은 한국을 대표하는 세 종교, 가톨릭, 개신교, 불교가 가진 문제점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면 좋을지에 관하여 9차례에 걸쳐 열린 종교 포럼의 내용을 정리한 대담집이다.



    불교는 ‘깨달음’을 출가 스님의 특수한 심적 체험으로 환원하여 불자들을 ‘관중’으로 만드는 깨달음의 권위주의를 지적한다. 깨달음을 신비화하는 도인불교를 지향해온 결과, 지혜만 추구할 뿐 실천하지 않는 종교가 되었다. 반대조차 하지 않는 방관주의, 또는 말로써 행동으로써 옮기지 않고 침묵으로 대신하는 냉소주의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도인불교에서 도인의 원조인 석가모니 부처님은 사실 ‘명행족(明行足)’, 지혜(明와) 실천(行을) 두루 갖춘 실천가였다. 불교는 깨달음을 ‘추구’하는 종교가 아니라 깨달음을 ‘실천’하는 종교로 거듭나야 한다. 역사와 사회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개신교는 적그리스도의 색출, 즉 타자의 악마화를 통해 ‘증오의 종교’로 자리 잡은 배타성이 가장 큰 문제다. 그 배타성의 배후는 무엇인가. ‘현실의 몸’을 부정하고 ‘이상적 몸’을 추구하는 의지와 행위다. 이상적인 몸의 추구는 더 강한 권력에의 욕구와 다름 아닌 것이 되었다. 그것이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난 것이 대형교회다.



    개신교의 해결 방법으로 ‘사회적 영성’을 들었다. 영성은 타자인 신과의 만남이며 두 존재의 유착이다. 두 존재가 하나로 붙어 서로 형질이 변화하는 상호적 자기초월의 체험이다. 사회적 영성은 타자됨의 영성이다. 나와 우리가 바뀌고 배제된 타자의 변화를 추구한다. 우리와 타자가 함께 체험하는 구원이고 해방인 것이다.



    가톨릭교는 가톨릭교회가 최고라는 교회 권위주의와 가톨릭교회의 핵심은 성직자라는 성직자 권위주의를 지적했다. “생선은 머리부터 썩는다.”는 터키 속담처럼 권력과 권위주의가 있는 곳에 부패도 있다. 자신을 최고로 내세우는 가짜 권위주의를 버리고 가난한 사람에게 봉사하는 진짜 ‘권위’를 되찾아야 한다.



    가톨릭에서 추구하는 신앙과 정의의 관계에서 자유와 해방은 핵심 주제다. 부패를 버리고, 희생자를 기억하며, 희생자들의 곁으로 다가가야 한다. 또 종교가 서로 진리를 강요하지 말고 서로 배울 것을 제안한다. 자유와 해방으로 가는 단 하나의 길은 없다. 어느 그릇에 담겨 있든지 진리의 물을 마시면 되며 그러려면 종교 간 협조가 필요하다.



    포럼의 횟수와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만큼 다양한 내용을 다루지는 않지만, 그만큼 가장 관심이 갈만한 주제에 집중되어 무척 흥미롭다. 특히 불교가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한 원효의 ‘화쟁’이 인상적이었다. 장님 코끼리 만지기 일화로 ‘모두 옳고 모두 그르다는 개시개비(皆是皆非)’를 설명한다. 나의 옳음이 저들의 틀림을 증명하는 것도 아니고 저들이 옳다고 해서 반드시 내가 틀린 것은 아니다. 다만 나의 옮음과 저들의 옮음이 다를 뿐이다. ‘온전한 코끼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상정함으로써 갈등이라고 하는 모순적 상황을 더 큰 그림을 위한 전환의 에너지로 제시한다.



    그러나 화쟁이 정치 갈등에서도 도움이 되는지, 사회적 강자와 약자 중에 누구에게 유리한 논리인가 하는 반문과 과연 화쟁이 논리적 허상이 아닌 실질적인 방법론인지 곧바로 의문이 제기된다. 이렇듯 다양한 의견을 동시에 접하여 독자 스스로 새로운 의문을 품을 수 있다는 점이 커다란 장점이다.

    공감 (0)  댓글 (0)

    “성경은 기독교가 아니다” 종교는 성경(의 영성)을 구심점으로 역사를 추동한다 이호재

    “성경은 기독교가 아니다” - 에큐메니안
    “성경은 기독교가 아니다”종교는 성경(의 영성)을 구심점으로 역사를 추동한다
    이호재
    원장(자하원) | 승인 2020.12.22 16:50

    종교는 권위를 잃었다: 성경은 신학과 교학을 통해 형성된 제도종교와는 다르다

    <표 1, 새 축 시대의 구도자의 강령>
    명제 1 : 바르게 알았다면 반드시 행하여야 한다. 그것이 바른 앎이다.
    명제 2 : 바르게 믿었다면 반드시 행하여야 한다. 그것이 바른 믿음이다.
    명제 3 : 바르게 깨달았다면 반드시 행하여야 한다. 그것이 바른 깨달음이다.


    구도자는 성경의 황금률을 귀감삼아 무소유의 삶을 지향하며 제도종교의 원천적 영성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직업종교인은 위계적 조직화, 교리와 교학체계 정비, 구제(원)신앙을 종교적 기제로 종교조직을 유지하고 확산시킨다. 이 양자의 팽팽한 긴장관계가 무너지는 큰 원인은 제도종교의 성장의 핵심이었던 ‘교리와 신학, 교학, 유학과 도학’의 해석학적 전통과 의례체계가 영성의 원천인 성경의 생명을 ‘동맥경화’시키는데서 기인한다. 제도종교는 세속화의 원심력에 의해 형식화, 형해화되면서 종교백화점에 진열된 상품으로서 존재한다.

    현대는 축 시대의 종교적 언어가 가진 종교적 영성이 역사의 추동력을 상실하고 있는 시대이다. 성경의 영성과 제도종교의 문화의 ‘영성적 거리’가 회복불능의 단계까지 벌어진 ‘말기암’증상을 보이고 있다. 제도종교가 낡은 문명의 차별적인 사유체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건물성소를 맹신하고 자본신앙과 기복신앙에 함몰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1) 동시에 과학적 유토피아가 선전하는 초과학의 시대, 4차 산업혁명의 시대, 포스트 휴먼시대라는 신조어에 주눅이 들어 권위의 원천이었던 종교는 새 축 시대의 한 차원 높은 문명사적 지향점을 설정하지 못한채 과거의 영광을 찬미하는 복고풍의 소리만이 들린다.

    종교혁신은 구도자적인 정신을 가진 종교인이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순교적인 수난과 성경해석전통의 대전환을 통해 성경의 종교영성을 되살린다. 건물성소 중심의 종교문화의 극복과 종교 간의 융합과 회통, (초)과학의 지도적 영성의 확보는 새 축 시대의 종교가 지향해야 할 삼대과제이다. 새 축 시대는 종교 간의 분별과 차별의 시대가 아닌 다양성을 바탕으로 융합과 회통의 시대이자, 초과학을 포용한 초종교의 시대이다.

    새 축 시대는 천문학의 발달에 따른 거시세계의 확장과 이론물리학이 가져다준 미시세계의 발견에 따른 공간확대의 혁명, 통신과 교통의 혁명으로 인한 우주가 축소되는 시간혁명, 생명공학과 로봇공학의 결합 등으로 새로운 인간유형의 혁명을 예고한다. 축 시대에 형성된 공간과 시간, 그리고 인간에 대한 개념자체가 획기적으로 탈바꿈하여 새로운 정의가 필요한 시대임을 웅변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필자는 ‘새 축 시대’라고 제안한 바 있다.(2) 바야흐로 종교성과 영성을 다시 회복해야 할 새 축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새 축 시대에 종교가 가장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포용해야 할 대상은 다른 종교뿐만 아니라 오히려 과학이다. (초)과학은 이미 종교의 울타리를 넘어 새로운 생명창조와 같은 창조주의 창조성을 모방하려는 차원까지 다가왔다. 과학도 분명한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과학이 마치 인간 이성이 제시하는 합리성과 논리성의 가치척도라는 생각한다면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다. 수학에서는 괴델이 ‘불완전성의 원리’를 말하고, 양자역학에서는 ‘불확정성의 원리’를 말하고 아인쉬타인은 상대성 이론을 말하고 있다. 수학세계와 관찰세계는 상대적이며, 완전히 알 수 없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인간 이성의 결론이다.

    종교적 인간은 인간이성의 한계, 과학기술의 한계, 자본의 한계를 가진 과학적 유토피아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과학을 이해하지 못하는 종교인은 종교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과학을 배타적으로 배척하지만, 우주의 공간이 확대되고 우주시간의 거리는 오히려 축소되며, 생명에 대한 제정의가 필요하다는 것은 직업종교인과 종교영역에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눈앞의 도전이다.

    변찬린은 1985년 초에 그리스도교가 제도종교로서 형해화되어가는 시점에 과학적 유토피아가 선전하는 내용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37년 전의 기록이지만 문명패러다임 전환점에 대한 적확한 인식을 담고 있다.

    ▲ 변찬린, 『요한계시록 信解』, 1985년 2월 22일 탈고 [원고 복사본] , 1986년 5월 25일 초판, 1992년 12월 25일 개판, 2019년 5월 18일 개정신판.


    축 시대의 관성에 빠진 제도종교는 과학의 공세와 종교적 영성의 고갈로 무기력에 빠져 있다. 양식 있는 종교인은 현대가 바로 성경이 말하는 ‘말법시대’이고 ‘종말론적인 운세’임을 직감하며 끊임없이 경고음을 내고 있다. 종교인이야말로 과학을 배우고 과학적 유토피아의 난맥상을 지적하고 바른 길로 이끌어나가야 할 시대적 책임이 있다. 새 축 시대의 종교인에게 과학은 배척의 대상이 아니라 지도(指導)의 대상이다.

    위대한 종교인은 새로운 차원의 ‘종교(으뜸가는 가르침)’를 지향하며 종교관리자가 아닌 영원한 구도자의 길을 가면서 새로운 차원의 세계를 열어가야 한다. 낡은 문명의 사유체계를 넘어 새로운 문명의 차원을 제시하여야 한다. 동아시아에서 종교는 ‘宗敎’(=‘으뜸가는 가르침’)(3), 즉 시대의 화두, 역사의 공안, 혼돈의 문명에 대한 나침반과 등대불의 역할을 하는 시대적 언어이다. 종교적 영성을 체득한 구도자는 축적된 종교정보와 혼돈의 현실정보를 융합하고 회통하여 미래의 갈 길을 밝히는 목소리를 낸다. 혹자는 호교론적인 신앙의 울타리에서 안주할 줄 모르지만 구도자는 ‘불확실성의 시대’와 포스트 휴먼시대 등의 시대적 개념의 출현, 호모 데우스, 호모 이후의 호모 등 인간 자체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동 시대에 출현한 것 자체가 새 문명의 전조를 알리는 상징적 표식임을 직감하고 있다.

    그럼 한국 그리스도교는 새 축 시대를 준비하고 있는가?

    한국 종교가 새 축 시대를 준비하고 있는가 하는 질문에 긍정적인 대답을 내놓기는 쉽지 않다. 오히려 종교조직은 사회적 기능조직 가운데 가장 생기를 잃은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지는 않은지 반문해 보아야 한다. 역사 속에 작동하는 종교는 위대한 종교인과 각성된 민중들에 의해 역사의 변곡점을 만든 위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보자. 이스라엘의 민족종교에 불과하였던 유대교는 예수와 바울에 의해 세계 종교인 그리스도교로서 재탄생되고, 중세 가톨릭은 존 위글리프, 얀 후스, 마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등이 주도한 가톨릭 혁신운동으로 탈바꿈되었다. 개신교의 다양한 교단과 교파가 형성된 것도 결국은 성서텍스트의 정신을 당대에 구현하고자 하는 종교운동의 일환이다. 이는 신유학, 양명학, 선불교의 전통 등 역사 속의 다른 종교도 위대한 종교인의 혁신을 통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음은 마찬가지다.

    그러나 지구촌 사유가 합류하는 시점에 유대교는 유대인의 민족종교로서 이스라엘 지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그리스도교는 가톨릭(로마 가톨릭, 동방 가톨릭), 정교회, 개신교로 나뉘어져 있다. 문명전환기에 과연 그리스도교가 창교목적에 합당한 본질적 정신을 역사 속에서 구현하고 있는지 진지하게 물어보아야 할 때이다. 예를 들면 개혁교회는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라는 개혁을 시대의 언어로 삼아 대중에게 호소하여 성장한 교회이다. 만약 개혁교회가 개혁을 중단하면 개혁교회의 역사적 실험은 실패로 귀결되었다고 교회사가들이 후세에 기록할 것이다.

    그럼 서학으로서의 천주교, 그리고 개신교가 전래된 이래 한국 그리스도교는 어떠한 길을 걸어왔을까? 한마디로 한국 그리스도교 문화는 서구 신학의 연장선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리전이다. 마치 조선시대에 성리학을 정통으로 삼아 선맥(僊脈)과 무맥(巫脈) 등 한국의 종교문화를 ‘이도(異道)’ 취급을 하던 역사적 데자뷰이다.

    이찬수의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은 어쩌면 한국에서 한국 천주교와 한국 개신교를 동시에 균형 있게 비평한 거의 ‘유일한’ 책이랄 수 있다. 그는 한국에는 아직도 한국 천주교사와 한국 개신교사가 통사적 관점에서 쓰여지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과연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이해관계자가 잘 이해할 것이다. 우리는 ‘토착화 신학’을 말하기에 앞서 서구의 역사적 맥락에서 형성된 교회 분열사가 한국 교회에서 고스란히 재현되는 종교현상에 대해 깊은 반성적 성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그리스도교가 그리스도교답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교의 보편성이 한국 종교문화의 맥락에서 특수성을 가지면서 발현되어야 한다는 이찬수의 지적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누군가는 이렇게 질문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스도교가 어찌 되었든 그리스도교적이면 충분하지 굳이 한국적일 필요가 있느냐고 … 하지만 이런 주장에는 정답의 절반만 들어있다. ‘한국적’이라는 것에 대한 논의는 두고두고 진행되겠지만 그리스도교가 한국적이라는 말속에는 그리스도교가 더 그리스도교적다워야 한다는 뜻이 전제되어 있으며, 그리스도교가 그리스도교적이면 충분하다는 말 역시 지역적 특수성 – 이 글의 맥락에서는 한국 문화-이 반영되고 있을때에만 그리스도교도 성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편성은 특수성을 통해서만 성립된다.(4)


    한편 한국의 종교문화의 맥락에서 서구에서 전래된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토착화를 추진하였을까? 김경재는 『해석학과 종교신학』에서 개신교 신학의 관점에서 한국 종교문화에 적응하는 개신교의 모델을 범주화하여 비평한다. 즉 보수주의 신학의 파종모델, 진보주의 신학의 발효모델, 자유주의 신학의 접목모델, 민중주의 신학의 합류모델이다. 그렇다면 천주교는 어떠한 모델에 해당할까? 이정배는 정약용, 유영모, 함석헌을 사례로 하여 『토착화와 세계화 – 한국적 신학의 두 과제』 등에서 “탈민족, 탈기독교적 기독교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한국문화신학회에서는 최병헌, 유동식, 유영모, 최태용, 함석헌, 김교신, 윤성범, 서남동, 안병무, 이정용 등을 『한국신학, 이것이다』라는 주인공으로 내세워 조명한다. 그렇다면 천주교인 가운데서는 어떤 종교인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을까? 한국 천주교에서는 “한국 신학은 이렇다”라는 주제의 글은 거의 보이지 않고 다른 종교와 대화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천주교의 이런 입장은 보편교회를 표방한 제국종교의 관성이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천주교의 위계질서속에 정양모, 심상태, 김승혜, 박일영 등의 학문적 성과는 기억되어야 한다.



    또 한 가지 드문 의문은 장 칼뱅, 존 웨슬리 등 교파교회를 계승한 한국 개신교는 교파교회가 만들어진 역사적 전통이 계승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다원적 종교적 문화전통에 뿌리를 둔 ‘한국 교회’는 발생할 수 없는지 궁금하다. 서구의 교파교회만이 왜 한국 개신교 전통이 되어야만 하는가? 한국의 종교적 전통을 계승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그리스도교’가 새롭게 출현하는 것은 불가능한가라는 문제제기이다.

    또 다른 시각에서 그리스도교 신학자, 천도교학자, 원불교학자 등이 모여 원불교, 천도교, 불교, 천주교, 개신교 등의 한국종교를 “종교답게 하기 위한 애정 어린 비판들”이 『한국종교를 컨설팅하다』에서 제시되고 있다. 이 책은 결국 성경에 근거한 종교적 신앙과 이를 상실한 종교문화의 괴리로 인해 종교가 사회를 걱정하게 만드는 종교현상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5)

    변선환은 “아시아 종교들이 텍스트가 되어야 하고 서구 신학적 내용들이 각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자는 촉구하고 나선다. 그럼에도 이런 물음은 여전히 남는다. “아시아 종교들이 텍스트가 되고 서구 신학적 내용이 각주가 되어”야 한다면 그리스도교의 ‘성서’는 어디에 자리매김하고 있을까? 그리스도교 문화의 근저인 ’성서‘를 읽고 연구하고 해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또 다른 관점에서 ‘도의 신학자’인 김흡영은 한국 개신교에서 벌어지는 서구 신학의 대리담론에 각성을 촉구한다. 즉 한국 개신교는 서구신학의 구원론, 원죄론, ‘말씀의 신학’, ‘종교다원주의 논쟁’, ‘번역신학의 경향’, 로고스신학과 프락시스 신학의 이원화‘, 교회론적, 인식론적 수준의 신학“은 재고되어 한국의 주체적인 신학하기를 주장한다.(6) 이를 위해 선행되거나 병행되어야 할 작업은 무엇일까?

    필자는 새 축 시대를 준비하는 한국 그리스도교는 

    1) 성서를 서구 그리스도교 역사의 맥락에서 형성된 ’교리와 신학‘에서 탈피하여 한국의 종교문화적 전통에서 새롭게 읽기, 
    2) 성서를 다종교적 언어, 간텍스트적 해석, 다학제적 방법으로 회통적인 성서해석을 하기 
    3) 성서와 제도그리스도교의 괴리된 ’영성적 거리‘를 축소시키기 위한 종교운동을 전개하여야 한다고 제안한다. 

    지금도 일부 직업종교인은 한국 종교계의 혁신을 위한 종교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운동을 위한 운동‘인 종교이벤트행사가 아니라 핵심담론을 포함한 지속성이 담보되는 종교운동이어야 한다. 핵심담론에는 일제강점기 시대에 신사참배의 역사적 참회, 그리고 성전매매와 성전세습의 근절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이 두 과제는 실추된 제도종교의 종교적 권위를 일거에 회복할 수 있는 종교적 행위이다.

    새 축 시대는 성경을 읽고 실천하는데서 새로 시작되어야 한다

    한국의 성경읽기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변찬린은 ‘교리와 신학’에 의해 왜곡된 그리스도교 문화의 본질적 훼손을 ‘성서’를 잘못 이해한 데서 기인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서구신학의 바탕이 된 성서해석을 텍스트로 삼고, 이로 형성된 서구 ‘신학과 교리’가 각주로 된 그리스도교 문화가 한국 종교문화의 맥락에서 소화도 되지 않은 채 이식되었다고 한다. 변찬린은 이에 대하여 그리스도교 문화의 근간을 이룬 성서해석 자체에 대한 해석학적 전환을 시도한다. 즉 성서를 새롭게 읽어 교리화된 서구신학의 한계를 극복해 보자는 것이다. 성서를 텍스트로 삼아 다종교적 언어의 전통을 가진 한국인으로서 ‘성서’를 새롭게 읽어 새 문명의 사유체계로 보편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종교혁명의 대선언이다. 그 종교적 주장이 “성경과 교리화된 기독교를 혼동”하는 데서 탈피하자는 선지자적 목소리이다. 이것이 성경의 정신과 ‘교리와 신학’에 의해 형성된 제도종교 문화와의 영성적 거리를 좁히는 첫 걸음이다.


    우리는 이날까지 성경해석을 서구 신학자들의 방법을 무조건 답습(踏襲)했고 모방했다. 그들이 만들어낸 신학과 교리를 소화도 하지 못한 채 포식(飽食)만 하는 어리석음을 범했다. 서양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교리만이 진리의 전부요 성경 해석의 방법이지 그 밖의 것은 이단으로 정죄하고 타매(唾罵)하는 경향이 농후하였다. 서구 기독교가 우리에게 주입한 교리와 교파의 잘못된 선입관념을 버리고 빈 마음자리에서 성경을 다시 읽자. 우리는 성경과 교리화된 기독교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성경 = 기독교라는 등식에서 빨리 해방되는 길만이 참 하나님과 예수그리스도와 성신과 해후할 수 있는 첩경임을 대각(7)해야 한다.

    - 변찬린, 『성경의 원리 上』, 한국신학연구소, 2019, 486.

    번개와 피와 아픔과 눈물과 고독 속에서 쓴 〈성경의 원리〉 상·중·하 세 권은 두 사이비 종교 (기독교와 맑스교)의 괴뢰로 전락된 이 민족과 세계 앞에 제출한 나의 피 묻은 각서이다.
    - 변찬린, 『성경의 원리 下』, 한국신학연구소, 2019, 10.


    위의 발언에 대해 ‘성서’와 ‘그리스도교’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는 진지하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 종교학, 신학을 포함한 모든 인문학은 학문의 근거가 되는 텍스트의 비평과 텍스트로 인해 형성된 텍스트문화를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터 위에 지식의 고고학을 형성한다. 비평이 없거나 비평을 허용하지 않는 학문은 죽은 학문이다. 동시에 성경의 정신과 상당한 영성적 거리를 가진 종교문화를 비평하는 것은 해당 종교의 건전한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그런데 한국의 그리스도교 종교문화는 건전한 비평과 진실된 종교선전이 균형을 이루기보다는 호교론적이고 선교론적인 글이 넘쳐난다. 이로 인해 역설적으로 ‘성서’와 ‘그리스도교’가 다른 종교와 차별화될 수 있는 우월성이 가려져 있는 것 같아 안타깝기 그지없다.

    이런 측면에서 성경의 본질과 정신이 서구 신학에서 ‘교파와 교단과 교리’를 통해 고착되어가는 그리스도교 문화와의 괴리현상에 대한 비평은 한국 그리스도교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8) 특히, 일제 강점기의 신사참배의 역사적 과오와 교회매매와 교회세습은 이 시대 그리스도교가 극복해야 할 시대적 과제이다. 신앙의 근저인 “하나님과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신성모독을 한 한국교회가 진정한 참회없이 어떤 종교적 권위로 세상을 향해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또한 기복신앙과 자본신앙에 경도된 그리스도교의 종교문화는 성서의 정신과는 동떨어진 현상임은 그리스도교 내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런 혁신의 목소리가 한국교회에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는 교계 내부에서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순교의 정신과 고난의 십자가는 그리스도교가 세계 종교로 성장할 때 종교적 영성의 상징이었다.

    주류 직업종교인은 ‘교리와 교학’을 통한 정교한 의례체계로 제도종교의 유지에 힘을 기울이기보다는 창교자의 언행이 종교문화에 생동하고 있지 못한 현실에 귀를 기우려야 한다. 그럼 어떻게 새 축 시대를 준비해야 하는가?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성경을 바르게, 새롭게 읽어야 할 때이다. 변찬린은 성서와 그리스도교 문화에 국한하여 이렇게 진단한다.
    무출구(無出口)의 현대적인 상황 속에서 이 시대를 뚫어보는 깬 자라면 마땅히 산으로 퇴수해야 한다. 현대의 산은 어디 있는가? 우리가 올라야 할 산은 히말라야산도 시내산도 계룡산도 아니다. 성경은 상징의 아아(峨峨)한 영산(靈山)이다. 이 산에 입산하여 서양의 지혜에 의해 잘못 해석된 하나님의 말씀을 바르게 풀어야 한다.
    (중략)
    예수가 승천하고 사도들이 순교한 후 진리의 정맥은 지하깊이 스며들고 역사의 지표에는 연원을 잃은 온갖 교파들이 백강(百江)의 흐름처럼 아집과 독선의 탁류(濁流)를 일으키면서 도도(滔滔)히 흘러갔다.
    생명수의 뿌리를 잃고 온갖 교리로 절단된 삽목(揷木)들이 나라와 민족과 풍토와 습관에 따라 심어지기 시작했다. 성경의 진리가 로마에 이식되면서부터 정치적으로 이용되어 곡해되고 헬레니즘과 혼음한 후 기독교(가톨릭) 라는 옷을 입고 서양화된다. 모든 고등종교는 동양에서 발아(發芽)되어 정과(正果)를 맺었다. 성경도 동양의 심성 속에 계시된 평화의 문서인데 피묻은 서양의 가위로 오리가리 재단(裁斷)되어 사과(邪果)를 맺고 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 민족에게 참 포도나무가 되길 원했으나 쓸개 포도가 된 것처럼….
    그리하여 성경과 기독교를 동일시하는 착각이 2천 년 동안 지속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먼저 이 엄청난 미망과 허위와 독단을 타파해야 한다.
    - 변찬린, 『성경의 원리 上』, 한국신학연구소, 2019, 9-10.


    새 축 시대의 성경읽기는 글의 맨 앞에 제시된 [표 1, 새 축 시대의 구도자의 강령]을 전제로 하여야 한다. 성경은 구도자의 입장에서 본향을 찾아가는 문서로서 읽혀져야 하며, 제도종교는 성경의 정신을 공동체성으로 구현하는 지향점을 가질 때에만 존재근거가 있다. 만일 그 심각한 부조화의 간격을 극복하지 못하는 제도종교는 역사의 유적으로 남을 뿐이다.

    과연 우리는 성경의 정신과 제도종교문화의 영성적 거리를 좁힐 수 있는 건강한 종교적 영성을 회복할 수 있을까? 코로나 판데믹 시대의 제도종교가 관습과 관례의 굴레 속에서 쳇바퀴를 돌리는 역사적 고아로서 후세는 기록될 것인가? 아니면 이 시대의 종교인들이 진정한 종교운동의 기수로서 기록될 것인지는 이해관계자의 실존적 결단에 달려있다.

    새 축 시대의 종교인은 혼합과 융합, 혼잡과 회통을 혼돈하는 지점에 배타적인 종교담론을 형성하지 말고 ‘포월적 상생’할 수 있는 포용의 준거점을 설정하는데서 새 축 시대를 시작할 줄 알아야 한다. 지금이다.

    미주
    (미주 1) 이 글의 논지와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길희성은 탈종교시대가 지향해야할 바를 쉽게 풀이하고 있다. 길희성, 『종교에서 영성으로』, 북스코프, 2018.
    (미주 2) 이호재, 『한밝 변찬린(한국종교사상가)』, 문사철, 2017. 이 책의 제1편에서 개념을 도입하여 이런 맥락하에서 본문을 전개하고 있다.
    (미주 3) 서양 종교문화에서 종교를 지칭하는 religio’는 신과 인간사이에 단절된 관계를 연결시켜 준다는 그리스도교적 환경에서 만들어 졌으나, 이 ‘religio’가 1869년 독일과 일본의 두 나라가 통상협정을 만드는 과정에서 종교라고 번역되었다. 종교는 벽암록에서 첫 출전을 보이며 ‘중요한 가르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본학자들은 종교를 능가경의 싯단타(siddhanta), 즉 ‘성취하여 완성하다’는 싯다(siddha)와 ‘끝내다’라는 안타(anta)의 뜻을 차용하여 번역하였다. 
    최종석, 『불교의 종교학적 이해』, 민족사, 2017, 5-8.
    (미주 4) 이찬수, 『한국 그리스도교 비평』,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11.
    (미주 5) 사실 한국종교가 가진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글은 호교론적인 글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건전한 비판과 대안을 제시한 글들은 건강한 종교문화가 형성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다음을 참고할 것: 
    • 김근수 외, 『지금, 한국의 종교』, 매디치미디어, 2016; 
    • 김광식, 『새 불교운동의 전개』, 도피안사, 2002; 
    • 이정배, 『두 번째 종교개혁과 작은교회운동 : 종교개혁 500년 이후, 기독교의 한국적 재주체화를 위하여』, 동연, 2017; 
    • 이오갑, 『한국 기독교 개혁의 태마 20』, 한들출판사, 2002; 
    • 김영철, 『목회자가 사는 길: 하나님 앞에 선 노목사가 후배 목회자들에게 전하는 애끓는 당부』, 아바서원, 2013.
    (미주 6) 김흡영, 『도의 신학 Ⅱ』, 동연, 2012, 27-41.
    (미주 7) 인용글의 고딕체는 필자가 강조를 위하여 표시함.
    (미주 8) 이호재, 〈한국교회에는 올바른 교회론이 있는가-건물 교회에서 인격 교회, 인격 공동체로〉, 《뉴스앤조이》, 2019, 11.5; 같은 필자, 〈한국교회, 새로 시작해야 한다-자기 십자가를 지고 새 문명을 선도하는 교회로 거듭나기 위하여〉, 《뉴스앤조이》, 2020, 11.2.


    이호재 원장(자하원) injicheo@naver.com

    동아시아신학의 미래와 한국신학의 과제 김흡영

    아시아 속의 한국교회 > 특집 | (재)기독교서
    > 아시아 속의 한국교회
    특집 (2016년 12월호)

    동아시아신학의 미래와 한국신학의 과제

    하나님의 선교(mission Dei)가 인식된 이후 세계선교는 교세 확장보다는 그 선결 요건으로서 ‘땅끝까지’ 복음을 적용할 수 있는 기독교 내용의 구성, 즉 신학의 세계화가 절실하게 요구되어 왔다. 신학의 세계화에 있어서 마지막 ‘땅끝’은, 오랜 역사를 가졌으면서도 한국 외에는 선교에 실패한, 전통적으로 유교 문화권에 속한,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이다. 글로벌신학의 미래는 이 마지막 보루인 유교 문화에 익숙한 동아시아인들을 설득할 수 있는 신학, 즉 동아시아신학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동아시아신학은 글로벌신학의 완성이며 미래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기독교의 세계화를 위해 중요한 동아시아신학의 미래를 누가 담당하느냐? 그것은 당연히 제1세계와 제3세계의 중간에 위치하며, 기독교와 유교가 동시에 강렬하게 작동하고 있고, 동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신학자를 보유한 한국교회가 담당해야 할 몫이다. 그것이 동아시아신학 및 나아가서 글로벌신학의 미래를 위한 한국교회와 한국신학이 지닌 최대의 시대적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특집에서 필자가 맡은 부분은 신학 담론에 관한 것이어서, 교회 및 다른 실천적 주제에 관한 논의는 다른 필자들에게 위임하고 있음을 독자들은 양지해주기 바란다.

    서구신학과 아시아신학
    필자는 지난 20여 년간 미국종교학회(American Academy of Religion, 이하 AAR)에 거의 매년 빠짐없이 참석해왔으며, 지난 8차 총회를 제외한 7차에 걸친 아시아신학자협의회(Congress of Asian Theologians, 이하 CATS)에도 모두 참석했다. AAR은 신학과 종교학 분야의 최대 학회로 매년 11월에 세계에서 약 1만 명의 신학자와 종교학자들이 대거 참석한다. 현역 학자들은 물론이고 박사수련생들을 포함한 전 세대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매년 새로운 연구 주제들을 발표하며 토론하는 최고의 학회이다. 이곳에 참석하지 않으면 세계 담론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고, 최신 학술정보와 네트워크에 소속될 수 없을 정도로 학자로서 자기 분야의 학술적인 촉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꼭 참석해야 하는 필수적인 학회이다. CATS는 아시아 전역에 걸쳐 있는 약 15개 국가의 대표적인 신학자와 신학생들이 참석하는 지역적 신학 플랫폼이다. 이 두 곳을 중심으로 필자는 나름 서구신학과 아시아신학 간의 일종의 가교 역할을 하려고 노력해온 셈이다.
    이 여정에서 필자는 항상 경계선 신학자로서의 딜레마를 경험했다. 그러나 그 딜레마는 필자만의 문제가 아닌 이 학회들에 속한 모두에게 내재하는 공동의 문제이기도 하다. 우선, 오늘날 그 어떤 신학도 지금까지 주도해 온 서구신학 전통의 중요성을 결코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서구적 문화사유체계에 토착화된 서구신학은 20세기 후반부터 서구사상이라는 맥락적 한계에 부딪혀 글로벌신학으로 발전하는 돌파구를 찾으려고 몸부림치고 있다. 그 대표적인 한계가 형상과 질료, 초자연(신)과 자연(인간), 정신과 육체, 이론(로고스)과 실천(프락시스) 등 서구신학의 온갖 것에 깊이 내포된 그리스적 이원론이다. 특히나 역사가 오랜 동양종교들을 만나서는 사유체계에 근본적인 도전을 받아 당황하고 있다. 더욱이 서구신학자들은 기독교의 지형 변화라는 엄연한 현실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 중심의 서구 기독교는 교인 숫자로 볼 때, 더 이상 다수를 점하지 못하고 총 기독교인의 4분의 1에 불과한 소수로 전락하였다. 그리고 그 감소 속도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유럽으로부터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아시아로 기독교의 중심축이 이동한 것은 이제 기정사실이다. 이렇게 기독교의 중심이동과 함께 ‘서구 기독교의 신화’는 이제 완전히 사라져가고 ‘새로운 기독교의 출현’이 도래하고 있다.1)
    특별히 세계 모든 종교의 고향이라 할 수 있는 아시아 종교들과의 만남에서 서구신학은 충격을 받아 흔들리고 있다. 그래서 그동안 서구신학자들은 문화신학, 종교 간의 대화, 종교신학, 글로벌신학, 비교신학 등 계속해서 새로운 이름을 붙인 신학 장르를 만들어가며 대책을 마련해왔다. 그러나 그것은 새로운 글로벌신학을 형성하기 위해 환골탈태하는 대규모적 패러다임 전환보다는 기존 서구신학의 몸통에 성형 및 약간의 부분 시술을 하는 수준에 머물러왔다. 그들의 속내는 앞으로도 계속 서구의 신학적 주도권을 유지하는 데 있었던 것이다. 그들은 19세기 식민주의 선교 시절의 군림하던 자세에서 벗어나려는 몸짓을 보이지만, 아직 그들의 몸통은 서구신학이다. 도널드 트럼프가 승리한 이번 미국 대통령 선거의 통계에서 숨겨져 있던 것이 확인된 것처럼, 내부적으로 백인 남성 기독교인 우월주의는 아직도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다.
    지난해 AAR에서 그들은 보다 진일보한 신학 상품들을 내놓았다. 소위 ‘담 없는 신학’(theology without wall) 또는 ‘간종교적 신학’(trans-religious theology)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들은 앞으로는 각종 교회의 담은 물론이고, 상표(레테르)가 붙은 기존 종교들의 담을 넘어 서로 소통하는 신학을 해야 한다고 과감하게 제안했다. 겉으로 보면 그럴듯하다. 그러나 서구 기독교가 아시아에서 지금까지 ‘선교’라는 미명하에 아시아 종교전통들을 반기독교적이라고 무시하며 파괴해온 역사적 오류에 대한 철저한 회개와 반성 없는 그런 상품과 제안들은 일종의 ‘값싼 은총’을 서구신학에 주려는 신학적 획책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이제 와서 서구신학자들이 그냥 책상에 앉아 생각나는 대로 말할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 그러한 역사적 오류들을 참회하고 복구하려는 ‘값비싼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런 취지로 지난해 AAR의 한 분과 모임에서 필자는 그런 주장을 하는 서구신학자들을 강렬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아시아 신학자들의 모임에서 하나의 큰 주제는 여전히 “어떻게 서구신학의 지배에서 벗어나서 자유롭게 아시아신학을 할 수 있느냐?”이다. 이런 이유로 초기 민중신학자들을 비롯하여 1세대 아시아 신학자들은 ‘반(서구)신학이 아시아신학’(Anti-theology is doing theology for us!)이라는 선언을 했지만, 그것은 너무 단순하고 환원적인 해체신학이었고, 그 비판과 해체의 방법론도 대부분 서구적 패러다임을 벗어나지 못한 것들이었다. 그 후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아시아신학은 로고스(토착화)신학과 프락시스(해방)신학이라는 서구신학의 이원론적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아직까지도 아시아신학은 토착화신학(문화신학, 종교 간의 대화, 종교신학 등)과 해방신학(민중신학, 달릿신학, 투쟁신학, 아시아여성신학 등)의 분리를 확실하게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아시아신학과 동아시아신학
    아시아신학은 그동안 서구 기독교의 선교 역사와 식민지의 경험을 가진, 언어적으로도 영어권이라 할 수 있는 인도를 비롯해 서양 언어에 능숙한 동남아시아 지역의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세계적으로도 그렇게 알려져왔다. 서구 식민지의 경험이 없는 한국과 일본 등에 있는 동아시아의 신학자들은 언어 장벽 때문에 세계적 토론에 참여가 제한되었다. 또한 유교 및 도교 등 동북아시아의 종교문화적 배경은 이슬람, 힌두교 등 유신론적인 동남아시아의 그것과 그 궤를 완전히 달리한다. 한스 큉(Hans Küng)이 이러한 동북아시아의 종교전통을 독특한 지혜적 유형으로 규명하고, 중·근동의 유일신적 유형과 인도의 신비적 유형을 구분하여 제3의 세계종교 패러다임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지만, 그리 많은 조명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점이 극명하게 나타난 것이 2013년 부산에서 개최된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총회이다. 분명히 이것은 유교 문화권에서 처음 개최되는 세계적인 기독교인들의 모임임에도 불구하고, 서구와 동남아시아의 기독교를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며, 종교 간의 대화도 유교와 같은 주최지역의 전통보다는 중·근동과 동남아시아 종교전통들에 국한되었다. 다만 한 마당 프로그램에서 행한 필자의 발표가 거의 유일한 것이었다. 이 동북아시아 종교문화 전통에 대한 엄연한 무시에 대하여 필자는 WCC에 강력하게 항의했다. 그래서 WCC의 종교 간 대화 담당국은 자체 예산으로 한국에 사절단을 보내 유교와 기독교 간의 대화를 추진하겠다고 약속했고, 필자에게 그 주선을 일임했다. 그러나 아직 그 대화를 위한 마땅한 후원단체와 유림 등 유교를 대표해서 대화할 수 있는 파트너를 찾지 못해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글로벌신학과 한국신학
    세계적으로 한국 기독교가 가진 위상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우선 일본과 중국 등 기독교인 숫자가 소수에 불과한 다른 동아시아 나라들과 달리, 한국은 총인구의 4분의 1 이상이 기독교인이며, 사회적으로도 강력한 위세를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신학적으로 볼 때는 그 양상이 전혀 다르다. 서구와 아시아와 관련된 글로벌신학 담론에서 한국신학에 대한 논의는 민중신학을 제외하고는 그리 활발하지 못하다.(성서신학 분야 외에 AAR과 같은 세계학회에 참여하는 한국 신학자들은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우선 AAR과 같은 경우, 한국신학으로 소개되는 것은 오히려 한국적 맥락에서 온전하게 연구된 것이라기보다는 미국이라는 디아스포라적 상황에서 한국계 미국인으로 경험한 실존적 입장에서 구상한 코리안-아메리칸(Korean-American)신학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의 업적도 중요하지만, 그들은 결코 한국신학을 대변한다고 할 수 없다. 이들의 활발한 신학 활동으로 인해 동아시아 문화를 모르는 서구학자들에게는 이들이 마치 한국신학의 핵심인 것처럼 인식되고 와전되는 경향마저 보여서 걱정된다.
    그런가 하면, 아시아신학에 관심을 가지고 CATS와 같은 아시아 신학자들의 모임에 참여하는 한국 신학자들도 극소수이다. 비교적 정교한 서구신학과 제1세계적 풍요에 익숙한 대부분의 한국 신학자들은 아시아신학의 수준을 우습게 보고, 제3세계적 열악한 상황에서 고투하며 쌓아 온 아시아 신학자들의 업적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현재의 한국신학은 AAR과 CATS와 같은 세계적(글로벌-에큐메니컬) 신학토론의 장에서 동떨어져 있는, 고립된 고도에서 벌어지는 ‘우물 안 개구리’식 지역담론으로 고착되는 인상마저 든다.
    한국에는 해외의 유수한 신학교육기관에서 연수를 받은 유능한 신학자들이 많다. 그러나 막상 그들이 국내에 돌아와서는 글로벌신학 토론에 계속해서 참여하기보다는 한국교회와 신학교육 현장에 필요한 몇몇 주제에 국한되어 그것에 매이게 된다. 그래서 대다수 학자들은 아시아신학 같은 것에는 아예 관심이 없고, 학생 시절 외국에서 배운 서구신학만 소개하다가 시간이 지나 글로벌 담론의 흐름에 대한 촉각마저 상실한다. 그리하여 우수한 자질과 교육 배경, 그리고 탁월한 신학적 장래성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용 신학자로 국한되어 굳어버리는 듯해서 애석함을 금할 수 없다. 능력 있는 교회들이 이런 우수한 자질을 가진 신학자들이 미래지향적인 한국신학의 개발을 위해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고무하고 지원해주기보다는, 한물간 백인 신학자들을 호사롭게 초청하여 고귀한 교인들의 헌금을 낭비하는 것을 볼 때 매우 안타깝다. 이렇게 간다면 한국신학은 비단 제1세계적 글로벌신학 담론에서 10년 이상 뒤처진 채 계속 그 후진성을 탈피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3세계 신학에서도 그렇게 될 가능성이 크다. 민중신학과 달릿신학의 관계에서 이미 그 실례가 나타나는 듯하다. 한국신학의 세계화에 대한 민중신학의 공헌은 크다. 그러나 앞으로의 논의는 보다 큰 세계적 지평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인도의 달릿신학은 민중신학의 영향을 많이 받고 발전한 신학임에도 불구하고 지금 글로벌신학으로서 자리매김은 오히려 민중신학을 앞서고 있는 듯하다.

    동아시아신학의 미래
    동아시아 국가들의 세계적 영향력이 강력하게 부상하고 있다. 한국, 중국, 일본,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이 세계화 시대에 차지하는 경제적 비중은 이미 상당한 수준이다. 이들이 속한 전통적인 유교 문명권과 미국과 유럽 등 전통적 기독교 문명권 간의 충돌에 대한 경고음은 석학들을 통해 서방세계에 이미 울려 퍼지고 있다. 그리고 공산주의 이념 대신 유교를 내세우며 G2를 넘어서 세계적 리더십마저 주장하는 중국의 부상은 눈이 부실 정도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 동아시아신학이 처한 글로벌신학적 입지는 매우 민감하고 중요하다고 하겠다.
    우선, 서구신학은 20세기 후반부터 위기에 봉착해 있는 것을 인정했으며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20세기 중반까지 세계를 주도해온 유럽신학은 박물관 신학으로 전락하였고, 미국신학도 급진적 미국신학 및 포스트모던신학을 내세우며 극복하려 했지만, 뾰쪽한 대안을 내놓지 못한 채 강대국 백인 우월주의의 담을 성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오랫동안 젖어 있던 서구신학의 배타적 선민주의와 변증법적 지배 속성으로부터 벗어나서 조화와 소통과 융합의 새로운 대안적 신학 패러다임을 동아시아의 신학적 자원에서 찾고자 한다.
    더욱이 동아시아에서 한국을 제외하고는 기독교 선교는 실패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서구 신학자들과 선교사들의 무지, 즉 유신론과 전혀 다른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는 동아시아 종교와 문화에 대한 몰이해에 있다. 글로벌신학은 진정한 세계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러한 유교적 종교문화의 담을 넘어서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유교와 기독교의 대화는 동아시아신학의 토착화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일 뿐만 아니라 글로벌신학의 온전한 세계화를 위한 선결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 세계 종교와의 만남 이외에도 가장 시급한 신학적 과제는 자연과학과의 대화이다. 그동안 초자연(신)과 자연(인간)의 계층적 분리를 전제 조건으로 하던 서구적 사유 얼개에서는 신학과 자연과학의 진정한 대화가 불가능했다. 그래서 글로벌신학은 이웃 종교들에서 그 대안을 찾고 있다. 여기에 유교와 도교 등 자연(내재)과 초자연(초월)의 분리를 극복한 동아시아의 지혜전통의 시대적 필요성이 있다.
    필자는 이에 대한 한 대안으로서 ‘도(道)의 신학’(theodao: theology of the Dao)을 제시해왔다.2) 개신교 신학의 시작은 루터(Martin Luther)가 말한 ‘coram Deo’(하나님 앞에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말은 그것이 발생하게 된 역사적 질곡의 배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루터는 면죄부를 위시한 당시 가톨릭교회의 횡포에 저항하여 하나님 앞에서 기독교인의 독립된 자아를 천명한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몸을 제외한 환원주의적 요소는 결과적으로 개인주의와 인간중심주의라는 역기능을 초래했고, 결국 극단적인 무한경쟁적 상업주의와 더불어 생태계(지구의 몸)의 위기라는 종말론적 현상을 유발하였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흙으로 몸을 빚고 숨(영혼)을 불어 넣어 사람을 창조하셨다(창 2:7)고 믿는 기독교 신앙은 루터의 ‘코람 데오’보다는 다석 유영모(柳永模)가 언급한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통전적(天地人) 실존, 즉 ‘가온찍기’라고 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3) 신앙이란 하나님 앞에서 대상화된 나 또는 나와 너(Martin Buber)의 관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하늘(天)과 땅(세상·우주, 地)과 내(人)가 연결된 통전적 상황에서 신과 연합된 나의 자리를 확립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구원은 정신만이 아닌 육체(몸)의 구원, 나아가서 생태계의 구원이 포함되는-몸이 생태계의 일부이므로-온전함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육체를 무시하고 정신을 강조하는 그리스적 이원론을 극복하지 못하는 서구의 정체적 로고스신학은 이 한계에 막혀 더 이상 활로를 찾지 못하는 것이다. 현재 글로벌신학은 이러한 서구신학의 고질병을 이어받아 그 이원론적 한계의 역사적 결과인 로고스신학(theo-logos)과 프락시스(해방)신학(theo-praxis)의 분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아시아신학도 여전히 그 한계를 답습하고 있다. 필자는 동아시아신학과 한국신학은 동아시아의 종교문화 전통에서 그 대안적 지혜와 통찰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그러한 제3의 신학 유형을 ‘도의 신학’이라고 명명했다. 여기서 도(道)란 보통 오해의 소지가 있는 그런 ‘도’가 아니라 ‘머리 수’(首) 자와 ‘달릴 착’(辶) 자로 이루어진 ‘도’, 즉 지(logos)와 행(praxis)이 일치를 이룬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신학을 말하는 것이다. 더욱이 ‘도’는 ‘로고스’보다도 더 성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복음서에서 예수는 자신을 로고스라고 말한 적이 없고 단지 호도스(o`do.j), 곧 길(道)이라 했고(요 14:6a), 사도행전에서도 기독교의 최초의 이름은 예수의 ‘도’였던 것이다.(행 9:2, 22:4, 24:14, 22)

    한국신학의 과제
    전통적으로 유교 문화권인 동아시아에서 기독교 선교가 성공한 나라는 오직 한국뿐이다. 여기에는 명백한 신학적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가장 강력한 개신교 전통인 개혁신학과 한국 성리학의 사유체계는 이들이 전혀 다른 맥락에서 발생한 이질적인 전통임에도 불구하고 두터운 유사성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특히 동시대의 인물인 장 칼뱅(John Calvin)의 신학과 퇴계 이황(李滉)의 유학 사이에는 놀랄 만한 유사성이 내재한다.4) 그들은 경천애인(敬天愛人) 사상, 경건과 학문의 방법론(fides quarens intellectum과 居敬窮理), 인간론(신형상론과 천명론), 수양론(성화론과 수신론) 등에서 서로 크게 공명한다.5) 그러나 한국신학은 그동안 이러한 우리의 중대한 종교문화적 자산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오히려 무시해왔다. 이러한 기독교 신앙과 유교전통 간의 특별한 만남의 자리가 한국신학이 정체성을 확립(가온찍기)하고 글로벌신학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천재일우의 기회를 줄 수 있는데도 말이다. 그러므로 한국신학의 최대 과제 중 하나는 한국인의 종교적 유전자에 스며 있는 유교전통을 어떻게 신학화하느냐에 달려 있다.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 둘 다 비판적 지식인들이던 조선의 선비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시작되었고, 따라서 한국 기독교는 태생적으로 유교적이다. 초기 성서 번역은 물론이고 실천 현장에서도 강한 유교적 내성을 표출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독교는 우리의 주요한 종교문화적 콘텍스트인 유교에 대한 연구와 교육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예컨대, 한국 개신교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여러 큰 행사들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500년 전 이러한 개신교 신학을 품고 성장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 사상적 콘텍스트인 퇴계를 비롯한 한국의 유학에는 아무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를 볼 때, 한국 개신교는 더 오랜 전통을 가진 자신의 종교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오히려 남의 역사 속에 발전해온 개신교 전통이 우리에게 그대로 이식될 수 있다는 착각에 여전히 빠져 있는 듯하다. 전혀 다른 종교문화적 상황에서 발생한 남의 신학인 개신교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그 영성과 정신(골수)을 우리 몸(종교문화) 속에 알맞게 체화하여 우리 신학으로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 남의 신학을 베끼고 모방하는 종속적인 사대신학의 구태를 답습하는 듯해서 안타깝다. 자기의 종교문화를 제대로 모르면서 다른 종교문화에서 발생한 남의 신학을 맹신하는 신학, 그러한 가현설적 신학에는 온전한 윤리성과 도덕성이 담보될 수 없다.
    결론적으로, 글로벌신학의 큰 틀에서 오늘날 한국신학에 주어진 과제를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해보고자 한다.

    - 동아시아신학: 동아시아의 전통적 종교문화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대화를 통해 동아시아신학을 개발하여 종교문화적으로 비교적 비슷한 동아시아에서 신학 청지기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다만 이 지역이 같은 유교 문화권에 속하였다고는 하나 한·중·일 각 나라와 유교와의 관계에는 온도 차가 있다. 일본은 유교의 역사가 짧아 불교의 영향이 더욱 강하다. 중국은 문화혁명의 조직적 파괴 때문에 유교 전통이 사실상 붕괴되었으며, 도교가 성행하고 있다. 유교 전통이 아직도 역동적으로 살아 있는 곳은 한국사회이다. 그러므로 동아시아신학에서 종교 간의 대화를 위한 분업을 하자면, 일본은 불교와의 대화, 중국은 도교와의 대화, 한국은 유교와의 대화를 맡는 것이 적절하다. 여기에 한국신학의 유교 연구에 대한 특별한 중요성이 있고, 그것은 곧 글로벌신학이라는 큰 틀에서 ‘동아시아신학의 지킴이’로서 한국신학이 가진 시대적 사명을 함의한다고 하겠다.
    - 글로벌신학: 이처럼 유교와의 대화를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형성된 한국신학은 토착화 및 상황신학(contextual theology)의 차원을 넘어 글로벌신학의 한 패러다임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할 수 있다. 그것은 로고스신학과 프락시스신학으로 이원화된 글로벌신학에 통전적 돌파구를 제공하고, 나아가 선교의 난제였던 동아시아 문화권을 포함한 기독교의 새로운 지평을 열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예컨대, 도의 신학) 특히 현대신학의 최대 안건인 자연과학과의 대화에서 자연과 초자연의 분리라는 장벽을 넘어 과학기술시대인 21세기에 적절한 신학의 모형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글로벌한국신학: 한국신학에 주어진 이러한 시대적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서 한국 신학자들은 서구 신학자들과 아시아 신학자들 모두와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해야 한다. AAR과 CATS와 같은 국제적인 모임에 참여하여 활발하게 소통하고 서로 간의 간극을 극복해야 한다. 그리하여 서구 신학자들에게 동아시아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촉진하고, 아시아 현장의 어려운 사정을 인식시키며 아시아신학과 서구신학 간의 가교 역할을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앞으로 한국신학은, 지금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것과 같이, 서구신학의 연장선상에서 우리의 신학을 정초하려는 맥락적 착오에서 시급히 탈피해야 한다. 오히려 우리의 입장에서 서구신학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그들이 지닌 문화제국주의적 독소와 반문화적 요소를 해체하고 난 후, 그 골수(핵심)를 우리의 실정에 맞게 조정하여 수용하는 신학적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기 위한 안티테제의 자원으로서 유영모와 같은 토종신학의 활용이 중요하다. 그리하여 한국신학을 더욱 심화시켜 글로벌신학 담론에 공헌할 수 있는 수준의 글로벌한국신학을 정립해야 한다.
    - 환대(hospitality)신학: 나아가 한국신학은 토착화신학과 문화(상황)신학의 단계를 넘어 복음적인 환대신학으로 더욱 성숙되어야 한다. 성육신과 삼위일체론은 서로 다른 모든 사람을 하나님께서 품어주시는 신적 환대의 극치를 천명한다.6) 한국사회에 이주민들의 숫자가 급격히 늘고 있고, 문화와 인종적으로 다양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모든 문화적·인종적·이념적 장벽을 넘어 모든 것을 품고 환대하는 환대신학이 한국교회에 요청되고 있다.(마 25:31-46) 이것은 그동안 무시해온 우리의 종교문화는 물론이고 이웃들의 것, 나아가 우리를 억압한 자들의 것도 포함한다.

    한국신학이 주께서 우리 민족에게 주신 특별한 은혜에 보답하여 하나님께 참된 영광을 돌리고 세계 속에 모든 이들을 품고 성령의 인도 아래 역동적으로 살아 숨 쉬는 복음적 한국교회와 한국 기독교로 성숙할 수 있는 신학적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1) Philip Jenkins, The Next Christendom: The Coming of Global Christianity(Oxford University Press, 2002), 79-105; 김신권 역, 『신의 미래』(도마의길, 2009) 참조.
    2) 김흡영, 『도의 신학』(다산글방, 2000), 『도의 신학 2』(도서출판 동연, 2012) 참조.
    3) 김흡영, 『가온찍기: 다석 유영모의 글로벌 한국신학 서설』(도서출판 동연, 2013) 참조.
    4) 김흡영, 『도의 신학』, 181-228 참조.
    5) 위의 책, 231-261 참조.
    6) Heup Young Kim, “Embracing and Embodying God’s Hospitality Today in Asia,” CTC Bulletin: 28/1(2012), 1-11 참조.

    김흡영 | 세계과학종교학술원(ISSR) 창립회원이고, 아시아신학자협의회(CATS) 공동의장과 한국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강남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이며 한국과학생명포럼의 대표이다. 저서로는 『도의 신학 I』, 『도의 신학 II』, 『가온찍기: 다석 유영모의 글로벌 한국신학』, 『현대과학과 그리스도교』 등이 있다.


    ‘도의 신학’자 김흡영 교수가 한국신학과 세계신학의 나가야 할 길을 말한다 - 에큐메니안

    ‘도의 신학’자 김흡영 교수가 한국신학과 세계신학의 나가야 할 길을 말한다 - 에큐메니안
    ‘도의 신학’자 김흡영 교수가 한국신학과 세계신학의 나가야 할 길을 말한다종교학자의 물음에 신학자가 한국신학으로 답하다
    이호재 원장(자하원) | 승인 2021.01.19 15:05
    댓글0
    icon트위터
    icon페이스북

    이 인터뷰는 2020년 11월 18일부터 2021년 1월 9일까지 대면 인터뷰, 유선 통화와 이메일을 통해 이루어진 것임을 밝힙니다. - 필자 주


    종교학자: 교수님 반갑습니다. 아시아신학연합회 공동대표, 한국조직신학회장, 강남대학교 신학교수를 은퇴하신 후에도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GTU)의 석학교수를 역임하는 등 힘차게 일하고 계시는 김흡영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지금도 해외의 연구요청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시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에큐메니안 독자들에게 간단하게 신년 인사 겸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 김흡영 교수 근영


    신학자: 에큐메니안 편집진은 칼럼 마당까지 마련해주며, 제 연구에 관심을 가져주셨는데 그동안 해외 논문요청에 매달리느라고, 글을 제대로 올리지 못했습니다. 캠브리지(Cambridge), 옥스퍼드(Oxford), 티엔티클락(T&T Clark), 블랙웰(Blackwell), 블룸스베리(Bloomsbury) 등 세계 주요 출판사들이 차세대 신학자들의 교육을 위한 핸드북을 만드는데, 그 교재들에 실릴 챕터(chapter)를 요청한 것들이었습니다. ‘도의 신학’과 한국신학을 소개하고 후학들을 지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들이라 거절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호재 교수님께서 이렇게 독자들과 만날 좋은 기회를 마련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에큐메니안의 편집진과 독자들에게 먼저 심심한 인사를 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어려운 시절이지만 늘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올해는 지면으로 종종 뵙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도의 신학’의 대선언: 한국 신학계가 서구신학의 대리전이 되어서는 안 된다

    종교학자: 아주 기본적인 질문이지만 단도직입적으로 하나 여쭈어보겠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성리학 이외의 학문은 이도(異道)와 외도(外道)로 취급되는 상황이 한국 그리스도교계에서도 유비적인 역사적 상황이 벌어지는 듯합니다. 한국신학은 마치 서구 신학의 전시장 혹은 대리전이 벌어지는 것 같습니다. 서구 신학과 서구 신학자에 의탁하지 않으면 ‘신학’을 할 수 없는지요?

    신학자: 우리 민족은 산골짜기 지형 때문에 그런지 가진 것을 지키는데 큰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새로운 사상을 받아드리기도 힘들지만, 일단 받아드리면 끝까지 원형을 보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불교도 그렇고, 유교도 그렇고, 공산주의도 그렇고, 자본주의도 그렇고. 특별히 이미 근본주의화 돼서 우리에게 전래된 개신교는 더욱 그렇습니다. 주자학의 약점을 보강하려 양명학이 이미 나왔는데도 주자학을 끝까지 고집해서, 약삭빠른 일본이 양명학을 받아드리고 개방하여 순식간에 우리를 앞지르고 심지어 지배까지 하게 된 데에는 후기 조선 성리학자들에게 큰 책임이 있다고 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신학자들이 세계에서는 이미 도태되어가는 때 지난 낡은 신학들에 매달려 옹고집을 부리다가는, 성령께서 마련해 주신 이 땅의 위대한 선교 은총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훼손하는 죄와 직무유기를 범하게 될 것입니다.

    그동안 한국신학은 서구신학을 이해하려고만 애쓰는 학생 근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때때로는 오히려 그들의 홍위병이 되어 이 땅에서 살벌한 대리전을 치루며 서로 싸우며 교회를 갈라놓는 작태를 벌리곤 했습니다. 제가 바라기는 앞으로 후학들이 더 이상 이러한 서구신학에 주눅 들지 말고, 서구신학의 수련생이라는 자격지심을 넘어 자기 신앙을 있는 그대로 솔직히 고백하는 주체적인 신학을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과 배짱을 가졌으며 합니다. 서구에서는 신학이 이미 지나칠 정도로 발전돼서 더 이상 창의적인 새로운 신학이 나오기 어렵습니다. 아무리 21세기이지만 그들은 천여 년 이상 쌓아놓은 큰 업적들에 각주달기조차 어렵습니다.

    그러나 그 대단한 사상들은 우리의 정신문화와 동양 사상을 모른 채 형성된 우리와는 거리가 먼 것들이고 지구촌적 상황에서는 한 쪽에만 쏠린 매우 부족한 것들입니다. 창조주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교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정신 자원들을 이 땅에 베풀어 놓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우리 신학자들에게 우리 땅에 숨겨놓은 이 미개발의 정신유산들을 개발하여 위기에 접한 세계신학을 구하고 발전시켜주기를 바라고 계십니다. 지금부터는 서구신학자들은 신학할 것이 그리 많지 않고, 오히려 신학을 개혁하고 개발하여 서구신학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글로벌 그리스도교를 이끌어 나갈 사명은 우리 신학자들에게 있다고 믿습니다.

    ‘도의 신학’: 생태신학 등 세계 신학계에 새 바람을 불러일으키다

    종교학자: 세계적인 지구학자이자 생태신학자인 토마스 베리(Thomas Berry, 1914-2009)의 제자인 메리 에버린 터커(Mary Evelyn Tucker)와 존 그린(John Green) 등이 교수님의 영문저서 『A Theology of DAO』를 소중하게 평가하고 서구 신학자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세계적인 신학이라고 평가한다고 하는데 어떤 계기가 있었는지요?

    ▲ 『A Theology of DAO』의 겉표지


    신학자: 20세기 후기 지구생태계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면서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그 대안을 종교사상에서 찾고자 노력했습니다. 그중에 중요한 연구가 하버드대학 세계종교연구소에서 메리 에버린 터커와 존 그린이 주도한 <종교와 생태계> 컨퍼런스 프로젝트였습니다. 이 연구는 수년간에 걸쳐 모든 종교들을 망라하여 시도되었는데, 터커와 그린의 결론은 세계종교사상들 중 가장 자연친화적이고 생태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전통은 동아시아의 유교와 도교라는 것이었습니다. 그 프로젝트가 가장 활발하던 때, 제가 마침 그 하버드 연구소에 있었고, 적극적으로 컨퍼런스에 참여하게 되면서 두 분과 깊은 교제를 맺게 되었습니다.

    세계교회가 생태신학에 대하여 내놓은 문서들 중 신학적으로 중요한 것이 현 프란체스코 교황이 2015년 발표한 회칙 <찬미 받으소서>(Laudato Si) 입니다. 이 회칙의 사상적 배경을 제공한 주요한 인물이 뉴욕 시에 있는 포덤대학의 교수였던 토마스 베리라는 가톨릭 신학자입니다. 그 분은 20세기 후반에 생태위기를 가장 중요한 영성적, 신학적 문제라고 끌어올리는 데 큰 공한을 한 생태신학의 선구자입니다. 베리 교수에게는 두 부분의 애제자가 있었는데, 그들이 바로 터커와 그린 부부였습니다. 베리는 앞으로 생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원은 결국 종교적 영성인데 그 중에서도 유교와 북미주 토착민들의 영성전통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애제자 터커에게는 유교(성리학)를, 그린에게는 아메리카 인디언의 토착 영성을 박사과정에서 전공하게 하였습니다. 그들 부부가 지금은 예일대학교 <종교와 생태학 포럼>의 대표로서, 세계에서 가장 앞장서서 생태학과 종교 분야를 이끌어가는 리더들입니다. 이러한 동아시아 사상에 대한 이해와 배경 때문에 나의 『도의 신학』을 매우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모든 신학생들이 앞으로 꼭 읽어야 하는 책이라고 추천해 주었지요.

    종교학자: 그런 계기가 있었는지는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이런 면에서 세계신학계에서 핫이슈인 생태신학의 담론이 벌어지고 있는 담론현장에서 ‘도의 신학’등 한국신학자도 이 방면에 적극적인 발언을 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신학자: 앞으로 생태신학은 서구형에서 이탈하여 근본적인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합니다. 에코-페미니즘조차도 서구적이란 한계를 넘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제 ‘도의 신학’적 생태신학의 입장을 에코-다오(Eco-Dao)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세계학계가 관심을 가지고 여러 곳에서 논문 요청을 해왔습니다. 옥스퍼드의 윌리-블랙웰과 티엔티클락을 인수한 블룸스베리 출판사 등의 종교와 생태학 핸드북들에 제 챕터들이 실렸지요. 미국종교학회의 종교와 생태학 분야에서도 초청을 받아 발표를 했습니다. 서구학자들이 제 신학적인 입장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이와 같이 도와 관련된 유교와 도가 사상들이 생태계를 살릴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라고 인식해서 이루어진 것입니다. 그래서 그런 방향으로 앞으로 한국신학의 전망이 아주 밝습니다. 저는 총론적인 화두를 던졌지만, 앞으로 후학들이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각론과 더불어 더욱 발전시켜주었으면 합니다.

    ‘도의 신학’: 조직유학(Confuciology)과 그리스도교 신학(Theology)로 종교간 대화모델을 유형화하다

    종교학자: 작년에 출간한 『왕양명과 칼 바르트』(예문서원)라는 책은 28년 전 미국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GTU) 박사논문을 거의 그대로 한국말로 번역한 책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당시 신 정통신학자인 칼 바르트와 양명학의 창시자인 왕양명의 사상을 비교하면서 그리스도교 신학(theology)과 대등한 개념의 조직유학(confuciology)을 도입한 것은 지금 보아도 선구적인 신학적 모델의 대화유형인 것 같습니다.

    ▲ 『왕양명과 칼 바르트』의 겉표지


    신학자: 먼저 제 졸저에 대해 훌륭한 서평을 해주신 데 대해 감사를 드립니다. 프린스턴신학대학원에서 아우구스투스, 루터, 칼뱅, 바르트 신학에 매료되어 개혁신학 전통을 열심히 공부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공부해도 이들이 제 것이라는 생각이 안 들었고 마치 영어 같은 외국어를 배우는 듯 했습니다. 유교같이 다른 전통이 몸에 밴 우리들은 우리의 전통을 신학과 더불어 같이 공부해야 하며, 그것도 단순 비교가 아니라 사상사적인 큰 틀에서 서로 대비하며 연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종교 간의 대화에 앞장서온 GTU로 옮겨 본격적인 비교연구를 시작했습니다. 맹자와 아우구스투스, 주희와 칼뱅, 왕양명과 바르트와 같은 식으로 사상사적으로 짝을 맞춰 전체적 패러다임을 비교하는 방법론을 개발했지요. 미국종교학회에서는 작년에야 비로소 『칼 바르트와 비교신학』이라는 책이 나오고 세션이 개최되었는데, 저는 그 서구신학자들보다 약 30년 앞서 한 것이지요.

    제가 논문 쓰던 당시, 그리스도교와 유교간의 대화가 한스 큉과 줄리아 칭 등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그들은 방법론적으로 유가 사상을 신학의 범주와 개념에 맞춰 절충적으로 비교한 것이어서 체계나 학술 정밀성이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우선 고도로 체계화되고 정밀한 현대조직신학과 전근대적 유교전통을 비교하자면, 그러한 조직신학 체계에 상응할만한 유학체계가 필요하다고 보고 개발해 낸 것이 신학(theology)에 대비된 조직유학(confuciology)이란 개념입니다. 곧 조직신학과 종교 간의 대화(또는 비교신학)의 새로운 신학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지요. 그러나 한국신학계에서는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가 작년에서야 비로소 번역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앞으로 유교를 비롯하여 동아시아 전통들로 가득 찬 우리나라에서 신학하기 위해서는 이 방법론을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에게 이러한 작업은 신학 현장이 불분명하고 막연한 서구형의 비교신학(comparative theology)이 아니라 그 자체가 우리의 조직신학/구성신학(constructive theology)을 하는 것입니다.

    종교학자: 근본적 상이성을 가진 왕양명과 칼 바르트를 통해 상생적 대화 모델을 제시하셨다면 1996년에는 근본적 유사성 속에 차별성을 가진 대화 모델을 종교학자 금장태 교수와 공동 연구한 『존 칼빈과 이퇴계의 인간론에 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도의 신학’의 확장성을 입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의 신학”을 구상하신 근본적인 문제의식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신학자: 한국에 귀국해서 서울대학교의 유학자 금장태 교수님을 설득하여, 칼뱅과 퇴계 간의 대화를 추진했습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장로교 개혁전통이 이렇게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칼뱅신학과 퇴계학을 위시한 한국유학간의 유사성에 기인한다는 주장을 하게 되었지요. 이 또한 한국신학계에서는 별로 주목을 못 받았지만, 해외 개혁신학자들로부터는 긍정적인 반응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두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것은 성화론을 중요시했던 칼뱅이나 바르트는 형이상적인 이론신학보다는 삶속에 실천적인 ‘도의 신학’에 가깝다는 사실입니다. 바르트는 신학(앎)과 윤리(행위)는 서로 나눠져서는 안 된다고 고집했는데, 이것은 그야말로 양명의 지행합일(知行合一)론과 맞아 떨어지는 것이지요. 그래서 ‘도의 신학’을 본격적으로 구상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또한 도(道)자는 머리 수(首)와 움직일 착(辶)로 구성되어, 어원적으로도 지행합일을 뜻한다고 할 수 있지요. 그동안 세계신학의 가장 큰 문제는 이론적인 로고스신학(theo-logos)과 그를 비판한 실천적 프락시스 신학(theo-praxis) 간의 이원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행합일의 ‘도의 신학(theo-dao)’이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3의 글로벌 신학이라고 주장해 왔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로고스라고 하신 적이 없고, 오히려 길(호도스, ὁδός), 곧 ‘도’라고 하셨지요(요 14:6). 크리스천이란 말이 나오기 전 사도행전에서는 교인들을 예수의 ‘도를 따르는 자’라 하였습니다(행 24:14).

    종교학자: 도(道)는 국제적으로 ‘Tao’로 영역되다가, 최근에는 ‘Dao’로 번역이 되고 교수님의 영문 저서도 “A Theology of DAO”라고 표현합니다. 이런 경우에 중국 종교문화의 맥락에서 도(道)로 이해가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만큼 한국의 종교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로 생각하는 의식이 팽배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세계 학문계의 실정이거든요, 그런데 ‘도의 신학’이라고 하면 외국인에게는 그럼 중국의 신학이냐는 오해가 있을 수 있고, 한국신학자에게는 이게 ‘한국신학’인가라고 되물을 수도 있을 것 같은 편견이 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신학자: ‘도의 신학’을 영어로 소개하면서, 바로 이점에 대해 많이 고민했습니다. 일단 한국성서신학에 대한 옥스퍼드 핸드북에서는 한국적 맥락이 분명하여, ‘Dao’ 대신 ‘Do’를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창조론에 대한 티앤티클락 핸드북에서는, 그냥 ‘Dao’를 사용했습니다. ‘도의 신학’의 영어표기를 시작부터 ‘Theo-dao’보다는 ‘Theo-do’로 사용하려 했지만, 우선 후자가 일본의 ‘신도’와 혼돈을 가져 올 염려가 있고, 영어단어 ‘do’ 자체가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그 당시는 아직 중국신학이 떠오르기를 시작하지 못한 상태이었습니다. 세계신학에서 동아시아가 무시당하고 있어서 동아시아 전체를 아우르는 신학을 부각시켜야 한다는 사명감이 들어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tao/dao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단어에서도 한국이라는 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된다는 취지에서, 최근 싱가폴에 있는 한 명문대학 저널의 요청으로 집필한 다석의 영성신학에 대한 논문에서는 한자 전체를 핀인(平音, pingyin) 같은 중국식 로마자화 시스템이 아닌 우리 한글 발음의 로마자화를 사용하였습니다. 이것은 그동안 동아시아에 대한 학술논문에서는 획기적인 일이겠지요. 그래서 그런지 아직 소식이 없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자가 중국 것이라고 믿는 현실에서(저는 그렇게 믿지 않지만) 한자의 로마자화는 중국 것으로 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당연하게 생각하겠지요. 우리 역사학자들이 하루빨리 한자의 근원에 대해 밝히고 세계적으로 그것을 인정받게 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도의 신학’을 창안했고 저는 한국신학자라는 사실은 이미 세계가 알고 있습니다. 제 업적들이 먼저 출판되어있는 상황에서 양심적인 학자라면 ‘도의 신학’이 중국신학의 아류라고 결코 할 수 없겠지요. 오히려 앞으로는 제 생각과 업적들에 대한 표절들이 문제가 되겠지요. 또한 ‘영어표기를 중국식으로 했다 해서 한국신학이 아니다’라고 하는 옹졸한 배타주의적 태도를 우리 학자들이 더 이상 가져서는 안 될 것입니다. 국수적 배타주의를 넘어서 중국이던 미국이던 좋고 필요한 것들을 품는 대승적 아량을 가져야 합니다. 앞으로 세계신학, 특히 동아시아 신학을 이끌어 가는 것은 우리 신학자들의 몫이니까요.

    옥스퍼드 핸드북에 변찬린의 『성경의 원리』 소개

    종교학자: 개인적으로 한국신학자들의 저술과 김 교수님의 관점의 차이 가운데 감명 깊었던 대목 가운데 하나가 “신학적 사대주의와 식민주의적 근성을 극복해야 한국신학이 그래서 한국 교회가 바로 설 수가 있다”는 주장을 하셨습니다. 이에 대한 한국의 사례로서 다석 유영모의 신학을 조명한 『가온찍기』는 그 부제가 “다석 유영모의 글로벌 한국신학 서설”이라고 할 정도로 상당한 공력을 들인 역작이라 평가됩니다. 그럼 유영모 이외에 서구신학의 전이해에 오염되지 않으면서도 성서를 한국의 종교적 심성으로 읽어낸 종교인들이 있다면 소개해 주실 수 있을까요?

    ▲ 『가온찍기』의 겉표지


    신학자: 2008년 세계철학자대회가 한국에서 열렸는데, 준비위원회가 가장 한국적인 철학자를 내세우는데 애를 먹었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급기야 채택된 인물이 다석 유영모 선생과 함석헌 선생이었습니다. 다석은 세계신학이 반드시 주목해야 할 한국이 배출한 최고의 종교사상가이지요. 그래서 20여 년간 깊은 관심을 갖고 강남대 신학대학원에 과목을 설치하며, 연구에 천착하였지요. 그의 그리스도론은 2003년에 최초 영어로 출판되었고, 그 후 한국연구재단의 후원으로 『가온찍기』를 출판하게 되었지요.

    다석은 워낙 자유스럽게 동서고금의 경전들을 넘나들며 종교사상을 득도하신 분이 돼서, 조직신학 등 서구식 신학교육을 통해 오히려 서구적인 개념과 체계에 익숙한 신학자, 신학생, 목회자, 그리고 신자들이 그 오묘한 동양적 생각들에 접근해서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그 교량역할을 할 입문서로 그의 사상들을 좀 더 신학에 가깝게 체계화해 본 것입니다. 그런데 그 책도 너무 어렵다고 하는 소리가 들리더군요.

    그 연구에서 제가 발견한 하나는 다석이 우리의 토착적 선도전통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그건 다석학회 회원들을 비롯하여 여러 학자들이 무시했던 부분 같습니다. 그래서 다석 사상은 선도 수행자로서의 입장에서 더 깊이 조명해야 될 필요가 있습니다. 주역을 비롯한 동양생명사상들과 특히 선도에서 중요한 한 수행지침은 ‘수승화강(水昇火降)’입니다. 내려가야 할 물은 올라가고 올라가야 할 불은 빛이 되어 내려 쪼여줘야 나무가 자라듯 생명이 자랍니다. 다시 말해 오히려 몸은 올라가야 하고 얼은 내려와야 합니다. 몸나는 가라앉고 얼나를 뜨게 하는 것이 다석의 생각이라고 하는 것은 착오입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혼비백산(魂飛魄散)을 말하는 것으로 생명이 아니라 사망의 길입니다.

    교수님 앞에서는 변찬린 선생을 또한 언급하지 않을 수 없겠지요. 변찬린 선생의 중요성도 그가 성경을 우리의 독특한 가장 근본적인 영성이라 할 수 있는 선도의 시각에서 읽었다는 것입니다. 사실 한국 기독교가 발전하게 된 데에는 개신교와 유교사상 간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성경이 우리의 삶에 깊이 흡수되어 있는 선사상과 맞물려 있다는 점도 크게 일익을 담당했을 것입니다.

    길선주와 이용도 같은 한국기독교의 토착적 영성 개발자들은 선도와 깊은 연관성이 있습니다. 한국장로교의 개척자 길선주 목사는 본래 열렬한 선도 수행자였지요. 그러한 것을 성경에서 구체적으로 푼 이가 바로 변찬린 선생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성경에서 하늘나라(선경)에 이르는 선맥(僊脈), 곧 도맥(道脈)을 찾아내었지요. 이 성경해석은 ‘도의 신학’에서는 고마운 일이지요.

    그러나 조직신학적으로 그를 받아드리기에는 갈 길이 멉니다. ‘도의 신학’조차도 꺼리는 현실에서 말입니다. 이것은 조직신학보다는 오히려 우리 성서신학이 먼저 해야 할 일이겠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한국성서신학에 대한 옥스퍼드 핸드북에서는 변 선생의 도맥 해석론을 소개했습니다. 변 선생이 한국성서학계와 세계성서학계에 소개된 것이지요. 이것은 지금까지 끊임없이 제게 이걸 숙제로 밀어붙여주신 교수님의 공로가 아니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한국의 신학자는 세계 신학계에 공헌할 풍부한 한국의 종교적 자산을 개발해야 한다

    종교학자: 개인적으로 뜻밖의 기쁜 소식입니다. ‘도의 신학’과 더불어 변찬린 선생의 『성경의 원리』가 “Oxford Handbook of the Bible in Korea”에 소개된다니 말입니다. 한국 신학으로서도 큰 경사입니다. 우리는 지금은 문명사적 전환기에 살고 있습니다. 지구촌 사유의 합류시대에 천문학의 발달에 따른 거시세계의 확장과 이론물리학이 가져다준 미시세계의 발견에 따른 공간 확대의 혁명, 통신과 교통의 혁명으로 인한 우주가 축소되는 시간혁명, 생명공학과 로봇공학의 결합 등으로 새로운 인간유형의 혁명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즉 공간과 시간, 그리고 인공지능, 포스트 휴먼 등 인간에 대한 개념자체가 탈바꿈하여 새로운 정의가 필요한 시대임을 웅변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새 축 시대’라고 제가 말하고 있습니다만, 이런 문명사적 전환기에 한국이라는 자리에서 학문하는 입장은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까요?

    신학자: 그런 문명사적 큰 그림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신학자로서 앞으로 새 시대 신학의 매크로 패러다임은 한국에서 나와야 하고 그렇게 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제국의 예언자가 아니었습니다. 새 시대의 사상가는 기득권 문명을 지배하며 호령하는 곳이 아닌 핍박 속에 고통과 한이 맺힌 변방의 자리에서 나왔습니다. 노자나 공자도 제국의 지배층이 아니었습니다.

    지형적으로 태극을 그리고 있는 한반도는 태극기 이미지대로 새 시대의 핵, 블랙홀입니다. 동서양의 초대국인 중국과 미국이 만나서 각축하고 있고, 아직까지 공산주의와 자본주의가 치열하게 맞부딪치고 있습니다. 바로 이런 자리가 새 시대를 여는 사상이 나올만한 곳입니다. 예수 시대의 팔레스타인이 그랬고, 공자와 노자의 춘추전국시대가 그랬습니다. 초강대국 미국과 초강대국 중국에서는 결코 새 시대를 이끌 수 있는 사상이 나올 수 없습니다. 초강대국으로서 기득권의 유지가 절대적 명제이기 때문입니다. 그 사이에 끼여 항상 긴장할 수밖에 없고 항상 미래가 불투명한 지금의 한반도가 현실적으로 괴롭지만, 영적으로 그러한 사상이 나올 수 있는 최적지, 최고명당자리입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세계를 이끌 신학은 우리나라에서 나와야 합니다. 저는 그저 그 길을 열기 위한 터를 닦고 있는 정도이지만, 앞으로 그런 신학자와 사상가들이 이 땅에서 나올 것입니다.

    종교학자: 한국에서 세계적인 신학자가 많이 나올 것이라는 예언적 소식은 상당히 반가운 말씀입니다. 특히 교수님은 회심 사건 후 유교인·그리스도교인·세계 속 한국인으로서 ‘신학과 동양 종교’ 그리고 ‘신학과 과학’이라는 두 주제가 결국 ‘신학, 동양 종교, 자연과학 간의 삼중적 대화’라는 명제를 가지고 신학의 길을 가고 있습니다. 이런 문명사적 전환기에 처한 한국과 한국신학의 길이 나가야 할 길은 어떠해야 하는지요?

    ▲ 『현대과학과 그리스도교』 겉표지


    신학자: 지금 경험하고 있는 코로나(COVID-19) 사태나 인공지능 시대에 거센 물결은 말과 지능 중심의 서구 문명의 한계를 그대로 노출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를 비롯하여 서구인들이 마스크 쓰기를 극히 꺼려하며 괴로워하는 것은 말로 자기 존재감을 과시하고 정체성을 주장하는 문명에 길들여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본래 입을 가리고 말이 아닌 덕으로서 이웃을 대하며, 자기 존재를 나타내기보다는 겸손하게 감추는 것을 오히려 미덕으로 받아드리는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의 서양인들은 물론이고 (이젠 우리들도) 이해하기 어려운 문화적 유산이 되었지요. 그러나 코로나 사태는 그러한 말 중심의 문명에 대해 자연이 이제는 입을 고만 닫고 잠잠하라고 전면전을 선포하고 있습니다. 말(로고스)이 아닌 덕(道)이 중심인 문명으로 돌아가라고 말입니다.

    또한 알파고의 등장과 함께 인간의 지능을 훨씬 능가하는 인공지능의 출현과 더불어 초지능의 포스트-휴먼 또는 기계인간을 추구하는 트랜스휴머니즘 운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초지능을 가진 인공지능의 출현은 플라톤 이후 순수지능만의 세계를 추구해 온 서구적 이상의 기계적 완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연 그 완성이 인류에게 유토피아를 가져올까요, 멸망을 가져 올까요? 최근에야 유럽연합과 미국 스탠포드 대학 같은 곳에서 연구소를 설립하며 인간중심적 인공지능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서양인들에게는 정작 인간이 무엇인가를 규명할 수 있는 사상적 자원이 고갈되어 버렸다는 것입니다. 서구문화가 극단적 신중심주의로 흘러 인간존재에 대한 가치와 덕을 논할 수 있는 인간론적 공간을 상실한 것입니다. 인간론이나 휴머니즘에 대해서 가장 오랜 전통을 지닌 정신적 자원은 유교입니다. 그래서 20세기 말부터 과학기술의 시대에 있어서 유교의 중요성을 설득해 왔습니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경기 이후 시카고대학의 한 웹저널에 도덕적 과학기술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그래서 테크노-다오(Techno-dao)라는 신조어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마침 유교의 본산지 안동에 있는 경안신학대학원대학 박성원 총장님이 이러한 아이디어를 받아드려 안동시의 후원을 받아 해외 에큐메니칼 네트워크 신학자들과 함께 콘퍼런스를 4년째 계속했습니다. 그로 말미암아 세계선교연합회(CWM) 및 세계교회연합회(WCC)가 인공지능 문제를 향후 장기간 다루어야 할 주요주제로 채택하게 되었습니다. 다행히도 세계교회 기관들이 이 중대한 문제에 대해 나서기로 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 콘텐츠는 유교를 비롯하여 우리의 정신자원에서 발굴해내야 할 것입니다. 곧 기독교 신학, 과학기술, 그리고 우리 사상 간의 삼중적 대화를 통해 과학기술 시대의 적절한 신학 및 사상 패러다임을 개발해야 하는 것이지요. 그것을 후학들에게 부탁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새 시대에 세계를 이끌어가기를 바랍니다.

    종교학자: 세계신학계의 동향, 선생님의 극적인 신학여정, 그리고 유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폭 넓은 말씀을 더 듣고 싶은데 지면이 허락하지를 않습니다. 「에큐메니안」 독자에게도 큰 울림을 주는 대담이리라 생각합니다. 지금도 해외에서 요청받은 주요한 글로 바쁘신 줄 아는데 많은 시간을 내주셔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신학자: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새해에 늘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에큐메니안」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이호재 원장(자하원) injicheo@naver.com

    <저작권자 © 에큐메니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에큐메니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흡영] 왜 ‘도의 신학’인가? 한국의 신학인들이여!(요한복음 14장 6절) : 설교 : 베리타스

    [김흡영] 왜 ‘도의 신학’인가? 한국의 신학인들이여!(요한복음 14장 6절) : 설교 : 베리타스
    [김흡영] 왜 ‘도의 신학’인가? 한국의 신학인들이여!(요한복음 14장 6절)
    김흡영 교수·한국조직신학회 회장입력 Apr 22, 2013

    한국조직신학회(회장 김흡영)가 주최한 한국조직신학자전국대회가 지난 20일(토) 오전 10시 서울 서초교회에서 ‘한국신학은 무엇인가’란 주제로 개최됐다. 다음은 개회예배시 한국적 신학으로서 ‘도의 신학’을 제안한 김흡영 교수(강남대 신학과)의 설교문 전문.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김흡영 강남대 신학과 교수(한국조직신학회 회장) ⓒ베리타스 DB


    오늘의 성경 본문(요 14:6)에서 예수께서는 자신을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고 나 외에는 하나님께로 갈 자가 없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곧 자신이 하나님께로 가는 진리와 생명의 길이라고 설명하신 것입니다. 여기서 길이라는 말의 원어는 호도스(hodos)입니다. 희랍어 호도스는 길, 여행, 방법 등 여러 가지 뜻을 가진 것으로 동양의 도(道)라는 개념과 매우 유사합니다. 이와 같이 예수는 자신을 ‘호도스’라고 하였지 ‘로고스’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호도스는 그리스도교의 최초의 이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도행전은 최초의 그리스도교를 예수의 도(호도스)라고 했지, 그리스도교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행9:2; 19:9; 22:4; 24:14,22).

    그러나 헬레니즘 문화 속으로 그리스도교가 전파되면서 희랍적 사유 속에서 그리스도교의 규명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교부들과 신학자들은 희랍 철학의 가장 핵심이 되는 로고스라는 개념을 통해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을 로고스로 설명하는 담론, 하나님(Theos)과 로고스(logos)를 합친 데오-로고스(Theo-logos) 또는 데올로기아(Theologia), 즉 신학(Theology)이라는 개념이 성립된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서구 신학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데오스를 로고스로 이해하는 담론이었습니다.


     
    애당초 로고스는 좋은 의미였습니다. 오늘날 계몽주의 이후, 하나의 기술 이성으로서 환원되기 이전의 로고스는 실천과 영성이라는 의미도 포함되었고, 지적인 것과 남성적인 것만이 아닌 소피아(sophia)라는 개념처럼 보다 넓고 통전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서구적 사유와 신학은 로고스를 남성적이고, 계층적이고, 그리고 특히 계몽혁명 이후 모더니즘은 그것을 더욱 이원론적이고 실천과 분리된 기술 이성으로 발전시켰습니다. 기술 이성으로서의 로고스는 현대문명을 크게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으나, 대신 로고스가 본래 가졌던 좋은 의미들을 상당부분 상실하여 버렸습니다.

    오늘날 Theologos로부터 출발한 서구신학이 그야말로 한계에 부딪히게 된 것은 바로 로고스라는 개념이 이렇게 환원되어 버렸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세기에 그러한 서구신학의 문제점에 결정타를 가한 것은 경제정의가 성립되지 않은 채, 착취당하고 억압받고 있는 남미의 특수한 상황에서 발생한 해방신학의 도전이었습니다. 오랫동안 로고스를 중심으로 정통교리 (Orthodoxy)를 추구하며 이루어진 신학체계는 균형을 잃었던 것이었습니다. 그동안 교회는 Orthodoxy(정론)를 주장하면서도 복음서에서 예수가 선포한 가난한 자를 돌보는 것보다는 부자 나라의 잘사는 사람들을 위하여 축복해주는 기복신앙에 가까운 사역에 치중해왔습니다. 해방신학은 교회와 신학이 진정으로 해야 할 임무는 그런 제1세계에서 잘 사는 사람들만을 축복하는 것보다는, 갈릴리의 예수가 보여준 것처럼 제3세계와 같은 곳에 있는 가난한 이들과 소외된 자들을 돌보는 데 있다고 강력하게 주장하고 나선 것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 신학은 정통교리보다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따른 올바른 실천, 곧 Orthopraxis(정행)을 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해야 하고 이론보다는 실천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역설한 것입니다. 그로부터 해방신학은 20세기 최고의 혁명적인 신학 운동으로서 그와 유사하게 억압적인 사회적 위치(social location)에 있는 여성, 흑인, 제3세계의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그리하여 각종 해방운동의 물꼬를 트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20세기 신학에서 전통적인 Theologos를 비판하는 Theopraxis의 바람을 일으키며 그리스도교 신학의 대혁명을 몰고 왔습니다. 그 결과 세계 최대 그리스도교단인 로만 가톨릭이 해방신학에 승복하게 되었고, 그 증표로 최근 남미 해방신학 출신의 인물을 교황으로 선출함으로써 그 사실을 확증시켜 주었습니다. 프란체스코 교황이 즉위함으로써 그리스도교의 세계적인 지평은 이제 해방신학을 그리스도교 신학의 명실상부한 전통으로 품고 새로운 신학적 패러다임을 개발하여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저는 오래 전부터 오늘날 세계 신학의 문제는 희랍적 사유 그리고 모더니즘에 의하여 강화된 로고스와 프랙시스의 이원화에 있다고 말해왔습니다. 이러한 이원화는 비단 서양에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 신학 그리고 한국 신학에서도 여실하게 나타나고 있었던 것입니다. 한국에 서구신학이 들어오면서 로고스 신학은 보수신학에서는 보다 근본주의화 되었고, 진취적인 계열에 있어서도 토착적인 종교의 로고스, 즉 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토착화신학으로 발전하였습니다. 반면에 해방적 프랙시스 신학은 한반도의 독특한 억압적 상황에서 민주화를 위하여 저항하는 민중신학을 발전시켰습니다. 결과적으로 토착화신학과 민중신학의 분리처럼 한국신학에서도 로고스신학과 프랙시스신학의 이원화가 극명하게 나타났던 것입니다. 저는 이러한 것을 극복하는 새로운 동아시아 그리고 한국적 신학패러다임이 등장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습니다. 즉, 그것은 이원론이 고질화된 서양의 사유에서는 그 해법이 나오기 어렵고, 그러한 이원론을 극복한 지혜적 패러다임을 보여준 동아시아의 유교와 도교사상에서 배워야 한다는 주장을 해왔던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제시한 것이 바로 ‘도(道)의 신학’인 것입니다. 도의 신학이 증산도와 무엇이 다르냐고 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동아시아 사상에 있어서 도라는 개념은 서양 사상의 로고스처럼 우리 사유체계에 기본적인 것으로서, 모든 종교사상이 그 방향을 향하여 수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더욱이 도를 한자로 따져보면 머리 수(首) 자와 움직일 착(辶) 자로 이루어져서 ‘머리 수’ 자는 생각하는 로고스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고, ‘움직일 착’ 자는 프랙시스를 뜻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도는 로고스와 프랙시스의 일치, 곧 지식과 행위의 합일을 함의하는 것입니다. 동아시아 사상에서 왕양명(王陽明) 같은 이는 이것을 지행합일(知行合一), 곧 앎과 행함이 하나가 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로고스와 프랙시스가 합일을 이루는 신학을 저는 도의 신학이라고 명명한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20년 이상 도의 신학을 주장해왔는데 아시아 및 해외 신학자들에게는 나름대로 신선한 충격을 주었던 것 같고, 최근에 와서는 Andrew Park 같은 Korean-American 신학자도 Theology of the Way (Tao)를 주장하고 나선 것 같습니다.

    도의 신학은 이러한 세계 신학사적 그리고 새로운 동아시아 또는 한국 신학적 패러다임으로서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도의 신학은 동아시아 및 한국의 구성신학으로서 맥락적 당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도의 신학화’는 그리스도교가 우리의 진정한 그리스도교가 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거쳐야 하는 신학적인 세례식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도라는 우리의 기본적인 사유체계를 신학적으로 이해하지 못하는 한, 우리는 우리 것 보다 어디까지나 서양 것인 로고스라는 개념에 뿌리를 두는 신학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도의 신학이라는 중요한 관문을 통과해야 그리스도교가 단지, 서구 로고스신학의 화분을 이곳에 옮겨 놓은 것이 아니라, 우리 땅에 뿌리를 내린 한국의 그리스도교, 한국의 종교, 동아시아의 종교로 정착하지 않겠느냐 라는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오래전 한국에 토착화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인도의 신학자 Preman Niles가 말한 것처럼 더 이상 아시아와 한국의 그리스도교가 서양 선교사들이 가져온 화분 속의 화초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그 화분을 과감히 깨고 복음의 씨를 우리 땅에 심고, 우리의 맨땅에서 자란, 우리의 나무로 길러져야 할 것입니다. 아직도 로고스라는 서양 화분 속에서 길러져서 우리의 도라는 땅에 뿌리를 내리지 못한, 화분 속 화초 수준을 넘지 못하는 신학이 아니라, 척박할지는 모르지만 우리의 땅 속에 심겨져 자라난 우리의 그리스도교 나무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신학이 되어야 할 때가 되지 않았나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한국신학은 무엇인가?” 라는 주제를 가지고 전국대회를 개최하게 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특별히 금년 10월 말에 개최되는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총회는 이러한 화두에 대한 시대적 요청의 긴박함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존경하는 한국의 신학인 여러분, 나는 한국이 아닌 외국에서 신학공부를 해서 30여 년간 한국인으로서 신학을 한다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정체성의 문제를 가지고 기도하고 묵상하며 고민해 온 사람입니다. 이런 내게 이렇게 회장으로서 설교하게 해주신 것에 대해 감사하고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제가 말씀드리고자 하는 바를 요약하면, 로고스신학과 프랙시스신학, 고전신학과 해방신학, 또는 토착화신학과 민중신학 모두 다 중요하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신학적 사명은 진일보하여 그들의 분리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고 그들을 통전하여, 그보다 더욱 성서적인 도(hodos)라는 메타포의 해석학적 지평에서 새로운 신학나무를 자라게 해서 꽃을 피워야 하는데 있다는 것입니다. 더 이상 로고스나 프랙시스의 신학을 번역하고 번안하는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좀 틀려도 좋으니까 우리식의 신학을 멋들어지게 하고, 선배들은 후배들이 끼 있는 신학을 하는 것을 밀어주고 기뻐해주고 칭찬해주는 그런 신학이 나와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정년퇴임을 곧 앞둔 사람으로서 이 자리를 빌려 여러분들께 솔직한 권면의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이제는 더 이상 우리의 한국신학이 서구신학의 아류에 불과하게 내버려 둬서는 안 됩니다. 서구신학에 주눅이 들지 말고 그로부터 독립하십시오. 그들이 유명하다는 이유로 그들의 신학을 흉내 내는데 그치거나, 이름 있는 명품 서구 브랜드신학들에 여러분의 신학을 억지로 맞추려고 하지 마십시오. 조금 부족하더라도 여러분 자신의 신학을 자신있게 하십시오. 하루빨리 신학유학생 멘탈리티에서 벗어나서 더 이상 서양 신학자들에게 인정받으려고 애쓰지 말고, 있는 그대로 우리의 끼 있는 신학을 끄집어내서 한판 벌려 보십시오. 그래서 신명나고 흥이 나는 신학의 한류를 마음껏 창조하십시오. 삼천년대 그리스도교를 조성하는 신학의 구성은 우리들에 손에 달려 있다고 나는 확신합니다. 그 특별한 사역을 위한 주님의 놀라운 축복과 인도하심이 여러분과 함께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그리고 주안에서 항상 행복하시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