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22

Laozi - Wikipedia

Laozi - Wikipedia

Laozi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Laozi
老子
Zhang Lu-Laozi Riding an Ox.jpg
Laozi by Zhang LuMing dynasty (1368–1644)
BornUnknown, 6th century – 4th century BC
Chujen village, State of Chu
DiedUnknown, 6th century – 4th century BC
EraAncient philosophy
RegionChinese philosophy
SchoolTaoism
Notable ideas
Taowu wei
Influenced
Laozi
Laozi (Chinese characters).svg
"Lǎozǐ" in seal script (top) and regular (bottom) Chinese character
Chinese name
Chinese老子
Hanyu PinyinLǎozǐ
Literal meaning"Old Master"
Vietnamese name
VietnameseLão Tử
Hán-Nôm老子
Korean name
Hangul노자
Hanja老子
Japanese name
Kanji老子
Hiraganaろうし
Clan name:Li ()
Given name:Er (Ěr)
Courtesy name:Boyang (Bóyáng), Dan (Dān)
Styled:Old Master (老子Lǎozǐ)

Lao Tzu (/ˈlˈts/[2] or /ˈlˈdzʌ/),[3][4] also rendered as Laozi (UK/ˈlˈzɪə/;[2] US/ˈlˈts/Chinese老子Mandarin: [làu̯.tsɹ̩]; commonly translated as "Old Master") and Lao-Tze (/ˈlˈdz/),[5] was an ancient Chinese philosopher and writer.[6] He is the reputed author of the Tao Te Ching,[7] the founder of philosophical Taoism, and a deity in religious Taoism and traditional Chinese religions.

semi-legendary figure, Lao Tzu was usually portrayed as a 6th-century BC contemporary of Confucius, but some modern historians consider him to have lived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the 4th century BC.[8] A central figure in Chinese culture, Laozi is claimed by both the emperors of the Tang dynasty and modern people of the Li surname as a founder of their lineage. Laozi's work has been embraced by both various anti-authoritarian movements[9] and Chinese Legalism.[10]

Names[edit]

Lao Tzu itself is a Chinese honorific title (Old *rˤuʔ, "old, venerable")[11] and  (Old *tsəʔ, "master").[11] In traditional accounts, Laozi's actual personal name is usually given as Li Er (, Old *ʔ nəʔ,[11] Mod. Lǐ Ěr) and his courtesy name as Boyang (trad. , simp. , Old *Pˤrak-lang,[11] Mod. Bóyáng). A prominent posthumous name was Li Dan (, Lǐ Dān).[12][13][14] Sima Qian in his biography mentions his name as Lǐ Ěr, and his literary name as Lǐ Dān, which became the deferential Lǎo Dān (, Lǎo Dān).[15] The name Lǎo Dān also appears interchangeably with Lǎo Zi in early Daoist texts such as the Zhuangzi,[15] and may also be the name by which Lao Tzu was addressed by Confucius when they possibly met.[15] According to the Companion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the 'founder' of philosophical Daoism is the quasi-legendary Laodan, more commonly known as Laozi (Old Master)".[16]

The honorific title Lao Tzu has been romanized numerous ways, sometimes leading to confusion. The most common present form is still Lao Tzu, which is based on the formerly prevalent Wade–Giles system.[17][18] In the 19th century, the title was usually romanized as Lao-tse.[18][19] Other forms include the variants Lao-tze,[20] Lao-tsu[21] and Laozi/Lao Zi.

As a religious figure, he is worshipped under the name "Supreme Old Lord" (太上老君Tàishàng Lǎojūn)[22] and as one of the "Three Pure Ones". During the Tang dynasty, he was granted the title "Supremely Mysterious and Primordial Emperor" (太上玄元皇帝, Tàishàng Xuānyuán Huángdì).[23]

Historical views[edit]

In the mid-twentieth century, a consensus emerged among scholars that the historicity of the person known as Laozi is doubtful and that the Tao Te Ching was "a compilation of Taoist sayings by many hands".[24] The earliest certain reference to the present figure of Laozi is found in the 1st‑century BC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collected by the historian Sima Qian from earlier accounts.[25] In one account, Laozi was said to be a contemporary of Confucius during the 6th or 5th century BC. His surname was Li and his personal name was Er or Dan. He was an official in the imperial archives and wrote a book in two parts before departing to the west. In another, Laozi was a different contemporary of Confucius titled Lao Laizi () and wrote a book in 15 parts. In a third, he was the court astrologer Lao Dan who lived during the 4th century BC reign of Duke Xian of the Qin Dynasty.[26][27] The oldest text of the Tao Te Ching so far recovered was part of the Guodian Chu Slips. It was written on bamboo slips, and dates to the late 4th century BC.[7]

According to traditional accounts, Laozi was a scholar who worked as the Keeper of the Archives for the royal court of Zhou.[28] This reportedly allowed him broad access to the works of the Yellow Emperor and other classics of the time. The stories assert that Laozi never opened a formal school but nonetheless attracted a large number of students and loyal disciples. There are many variations of a story retelling his encounter with Confucius, most famously in the Zhuangzi.[29][30]

He was sometimes held to have come from the village of Chu Jen in Chu.[31] In accounts where Laozi married, he was said to have had a son named Zong who became a celebrated soldier.

The story tells of Zong the Warrior who defeats an enemy and triumphs, and then abandons the corpses of the enemy soldiers to be eaten by vultures. By coincidence Laozi, traveling and teaching the way of the Tao, comes on the scene and is revealed to be the father of Zong, from whom he was separated in childhood. Laozi tells his son that it is better to treat respectfully a beaten enemy, and that the disrespect to their dead would cause his foes to seek revenge. Convinced, Zong orders his soldiers to bury the enemy dead. Funeral mourning is held for the dead of both parties and a lasting peace is made.

Many clans of the Li family trace their descent to Laozi,[32] including the emperors of the Tang dynasty.[33][32][34] This family was known as the Longxi Li lineage (隴西李氏). According to the Simpkinses, while many (if not all) of these lineages are questionable, they provide a testament to Laozi's impact on Chinese culture.[35]

The third story in Sima Qian states that Laozi grew weary of the moral decay of life in Chengzhou and noted the kingdom's decline. He ventured west to live as a hermit in the unsettled frontier at the age of 80. At the western gate of the city (or kingdom), he was recognized by the guard Yinxi. The sentry asked the old master to record his wisdom for the good of the country before he would be permitted to pass. The text Laozi wrote was said to be the Tao Te Ching, although the present version of the text includes additions from later periods. In some versions of the tale, the sentry was so touched by the work that he became a disciple and left with Laozi, never to be seen again.[36] In others, the "Old Master" journeyed all the way to India and was the teacher of Siddartha Gautama, the Buddha. Others say he was the Buddha himself.[29][37]

A seventh-century work, the Sandong Zhunang ("Pearly Bag of the Three Caverns"), embel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ozi and Yinxi. Laozi pretended to be a farmer when reaching the western gate, but was recognized by Yinxi, who asked to be taught by the great master. Laozi was not satisfied by simply being noticed by the guard and demanded an explanation. Yinxi expressed his deep desire to find the Tao and explained that his long study of astrology allowed him to recognize Laozi's approach. Yinxi was accepted by Laozi as a disciple. This is considered an exemplary interaction between Taoist master and disciple, reflecting the testing a seeker must undergo before being accepted. A would-be adherent is expected to prove his determination and talent, clearly expressing his wishes and showing that he had made progress on his own towards realizing the Tao.[38]

The Pearly Bag of the Three Caverns continues the parallel of an adherent's quest. Yinxi received his ordination when Laozi transmitted the Tao Te Ching, along with other texts and precepts, just as Taoist adherents receive a number of methods, teachings and scriptures at ordination. This is only an initial ordination and Yinxi still needed an additional period to perfect his virtue, thus Laozi gave him three years to perfect his Tao. Yinxi gave himself over to a full-time devotional life. After the appointed time, Yinxi again demonstrates determination and perfect trust, sending out a black sheep to market as the agreed sign. He eventually meets again with Laozi, who announces that Yinxi's immortal name is listed in the heavens and calls down a heavenly procession to clothe Yinxi in the garb of immortals. The story continues that Laozi bestowed a number of titles upon Yinxi and took him on a journey throughout the universe, even into the nine heavens. After this fantastic journey, the two sages set out to western lands of the barbarians. The training period, reuniting and travels represent the attainment of the highest religious rank in medieval Taoism called "Preceptor of the Three Caverns". In this legend, Laozi is the perfect Taoist master and Yinxi is the ideal Taoist student. Laozi is presented as the Tao personified, giving his teaching to humanity for their salvation. Yinxi follows the formal sequence of preparation, testing, training and attainment.[39]

The story of Laozi has taken on strong religious overtones since the Han dynasty. As Taoism took root, Laozi was worshipped as a god. Belief in the revelation of the Tao from the divine Laozi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the Way of the Celestial Masters, the first organized religious Taoist sect. In later mature Taoist tradition, Laozi came to be seen as a personification of the Tao. He is said to have undergone numerous "transformations" and taken on various guises in various incarnations throughout history to initiate the faithful in the Way. Religious Taoism often holds that the "Old Master" did not disappear after writing the Tao Te Ching but rather spent his life traveling and revealing the Tao.[40]

Taoist myths state that Laozi was conceived when his mother gazed upon a falling star. He supposedly remained in her womb for 62 years before being born while his mother was leaning against a plum tree. (The Chinese surname Li shares its character with "plum".) Laozi was said to have emerged as a grown man with a full grey beard and long earlobes, both symbols of wisdom and long life.[41][42] Other myths state that he was reborn 13 times after his first life during the days of Fuxi. In his last incarnation as Laozi, he lived nine hundred and ninety years and spent his life traveling to reveal the Tao.[40]

Tao Te Ching[edit]

Laozi Immortal and Grand Master of Heaven

Laozi is traditionally regarded as the author of the Tao Te Ching (Daodejing), though the identity of its author(s) or compiler(s) has been debated throughout history.[44][45] It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reatises in Chinese cosmogony. As with most other ancient Chinese philosophers, Laozi often explains his ideas by way of paradox, analogy, appropriation of ancient sayings, repetition, symmetry, rhyme, and rhythm. In fact, the whole book can be read as an analogy – the ruler is the awareness, or self, in meditation and the myriad creatures or empire is the experience of the body, senses and desires.

The Tao Te Ching, often called simply Laozi after its reputed author, describes the Dao (or Tao) as the source and ideal of all existence: it is unseen, but not transcendent, immensely powerful yet supremely humble, being the root of all things. People have desires and free will (and thus are able to alter their own nature). Many act "unnaturally", upsetting the natural balance of the Tao. The Tao Te Ching intends to lead students to a "return" to their natural state, in harmony with Tao.[46] Language and conventional wisdom are critically assessed. Taoism views them as inherently biased and artificial, widely using paradoxes to sharpen the point.[47]

Livia Kohn provides an example of how Laozi encouraged a change in approach, or return to "nature", rather than action. Technology may bring about a false sense of progress. The answer provided by Laozi is not the rejection of technology, but instead seeking the calm state of wu wei, free from desires. This relates to many statements by Laozi encouraging rulers to keep their people in "ignorance", or "simple-minded". Some scholars insist this explanation ignores the religious context, and others question it as an apologetic of the philosophical coherence of the text. It would not be unusual political advice if Laozi literally intended to tell rulers to keep their people ignorant. However, some terms in the text, such as "valley spirit" (gushen) and "soul" (po), bear a metaphysical context and cannot be easily reconciled with a purely ethical reading of the work.[47]

Wu wei (無為), literally "non-action" or "not acting", is a central concept of the Tao Te Ching. The concept of wu wei is multifaceted, and reflected in the words' multiple meanings, even in English translation; it can mean "not doing anything", "not forcing", "not acting" in the theatrical sense, "creating nothingness", "acting spontaneously", and "flowing with the moment".[48]

It is a concept used to explain ziran (自然), or harmony with the Tao. It includes the concepts that value distinctions are ideological and seeing ambition of all sorts as originating from the same source. Laozi used the term broadly with simplicity and humility as key virtues, often in contrast to selfish action. On a political level, it means avoiding such circumstances as war, harsh laws and heavy taxes. Some Taoists see a connection between wu wei and esoteric practices, such as zuowang "sitting in oblivion" (emptying the mind of bodily awareness and thought) found in the Zhuangzi.[47]

Taoism[edit]

Laozi is traditionally regarded as the founder of Taoism,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Tao Te Ching and "primordial" (or "original") Taoism. Popular ("religious") Taoism typically presents the Jade Emperor as the official head deity. Intellectual ("elite") Taoists, such as the Celestial Masters sect, usually present Laozi (Laojun, "Lord Lao") and the Three Pure Ones at the top of the pantheon of deities.[49][50]

Influence[edit]

Potential officials throughout Chinese history drew on the authority of non-Confucian sages, especially Laozi and Zhuangzi, to deny serving any ruler at any time. Zhuangzi, Laozi's most famous follower in traditional accounts,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Chinese literati and culture. Lao Tsu influenced millions of Chinese people by his psychological understanding. He persuaded people by his inaction and non-speaking.[51]

Political theorists influenced by Laozi have advocated humility in leadership and a restrained approach to statecraft, either for ethical and pacifist reasons, or for tactical ends. In a different context, various anti-authoritarian movements have embraced the Laozi teachings on the power of the weak.[52]

Laozi was a proponent of limited government.[53] Left-libertarians in particular have been influenced by Laozi – in his 1937 book Nationalism and Culture, the anarcho-syndicalist writer and activist Rudolf Rocker praised Laozi's "gentle wisdom" and understanding of the opposition between political power and the cultural activities of the people and community.[54] In his 1910 article for the Encyclopædia BritannicaPeter Kropotkin also noted that Laozi was among the earliest proponents of essentially anarchist concepts.[55] More recently, anarchists such as John P. Clark and Ursula K. Le Guin have written about the conjunction between anarchism and Taoism in various ways, highlighting the teachings of Laozi in particular.[56] In her rendition of the Tao Te Ching, Le Guin writes that Laozi "does not see political power as magic. He sees rightful power as earned and wrongful power as usurped... He sees sacrifice of self or others as a corruption of power, and power as available to anyone who follows the Way. No wonder anarchists and Taoists make good friends."[57]

The right-libertarian economist Murray Rothbard suggested that Laozi was the first libertarian,[58] likening Laozi's ideas on government to Friedrich Hayek's theory of spontaneous order.[59] James A. Dorn agreed, writing that Laozi, like many 18th-century liberals, "argued that minimizing the role of government and letting individuals develop spontaneously would best achieve social and economic harmony."[60] Similarly, the Cato Institute's David Boaz includes passages from the Tao Te Ching' in his 1997 book The Libertarian Reader.[61] Philosopher Roderick Long, however, argues that libertarian themes in Taoist thought are actually borrowed from earlier Confucian writers.[62]

References[edit]

Citations[edit]

  1. ^ Favrholdt, Martin (21 March 2007). Niels Bohr's Philosophical BackgroundCopenhagen, Denmark: Royal Danish Academy of Sciences and Letters. ISBN 9788773042281.
  2. Jump up to:a b "Lao Zi"Collins English Dictionary.
  3. ^ "Lao-tzu"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4. ^ "Lao Tzu"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ifth 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2016.
  5. ^ "Laotze"Collins English Dictionary.
  6. ^ "Lao-tzu – Founder of Taoism"en.hubei.gov.cn. Government of Hubei, China. Retrieved 15 November 2018.
  7. Jump up to:a b "Laozi"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tanford University. 2018. The discovery of two Laozi silk manuscripts at Mawangdui, near Changsha, Hunan province in 1973 marks an important milestone in modern Laozi research. The manuscripts, identified simply as 'A' (jia) and 'B' (yi), were found in a tomb that was sealed in 168 BC. The texts themselves can be dated earlier, the 'A' manuscript being the older of the two, copied in all likelihood before 195 BC.

    "Until recently, the Mawangdui manuscripts have held the pride of place as the oldest extant manuscripts of the Laozi. In late 1993, the excavation of a tomb (identified as M1) in Guodian, Jingmen city, Hubei, has yielded among other things some 800 bamboo slips, of which 730 are inscribed, containing over 13,000 Chinese characters. Some of these, amounting to about 2,000 characters, match the Laozi. The tomb...is dated around 300 BC.
  8. ^ Kohn (2000, p. 4)
  9. ^ "Lao-tse"ztopics.com.
  10. ^ Han Fei Tzu, the paradigm legalist, wrote one of the earliest commentaries on the Lao Tzu (cf. University of Hong Kong page).
  11. Jump up to:a b c d Baxter, William; Sagart, Laurent (20 September 2014). "Baxter–Sagart Old Chinese Reconstruction" (PDF). Retrieved 1 May 2018.
  12. ^ Luo (2004, p. 118)
  13. ^ Kramer (1986, p. 118)
  14. ^ Kohn (2000, p. 2)
  15. Jump up to:a b c "Sima Qian identifies the old master as a "Lao Dan"...." in Rainey, Lee Dian (2013). Decoding Dao: Reading the Dao De Jing (Tao Te Ching) and the Zhuangzi (Chuang Tzu). John Wiley & Sons. p. 31. ISBN 978-1-118-46567-7.
  16. ^ "The 'founder' of philosophical Daoism is the quasi-legendary Laodan, more commonly known as Laozi (Old Master)" in Carr, Dr Brian; Mahalingam, Indira (2002). Companion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Routledge. p. 497. ISBN 978-1-134-96058-3.
  17. ^ Also encountered as Lao Tzu and Lao-Tzu.
  18. Jump up to:a b Franz, Alex et al. ed. Google corpus. 2008. Retrieved 17 Jan;2014.
  19. ^ Also encountered as Lao Tse and Lao-Tse.
  20. ^ Also encountered as Lao Tze and Lao-Tze.
  21. ^ Also encountered as Lao Tsu and Lao-Tsu.
  22. ^ "Lao Zi and the Canon of Virtue"sacu.org.
  23. ^ 傅勤家 (1996). 道教史概論 (in Chinese). Taipei: 臺灣商務印書館. p. 82. ISBN 978-957-05-1324-0.
  24. ^ Watson (1968, p. 8)
  25. ^ "Sages and Saints Part XV: Lao Zi, the Dragon"Purple Cloud. 20 January 2021. Retrieved 26 January 2021.
  26. ^ Fowler (2005, p. 96)
  27. ^ Robinet (1997, p. 26)
  28. ^ "Lao Tzu (Lao Zi) Scroll Paintings and Posters". Edepot.com. Retrieved 15 February2013.
  29. Jump up to:a b Simpkins & Simpkins (1999, pp. 12–13)
  30. ^ Morgan (2001, pp. 223–24)
  31. ^ Morgan (2001)
  32. Jump up to:a b Woolf, Greg (2007). Ancient civilizations: the illustrated guide to belief, mythology, and art. Barnes & Noble. pp. 218–19. ISBN 978-1-4351-0121-0.
  33. ^ Latourette, Kenneth Scott (1934), The Chinese: their history and culture, Volume 1(2 ed.), Macmillan, p. 191, retrieved 8 February 2012T'ai Tsung's family professed descent from Lao Tzu (for the latter's reputed patronymic was likewise Li)
  34. ^ Hargett, James M. (2006). Stairway to Heaven: A Journey to the Summit of Mount Emei. SUNY Press. pp. 54–. ISBN 978-0-7914-6682-7.
  35. ^ Simpkins & Simpkins (1999, p. 12)
  36. ^ Kohn & Lafargue (1998, pp. 14, 17, 54–55)
  37. ^ Morgan (2001, pp. 224–25)
  38. ^ Kohn & Lafargue (1998, p. 55)
  39. ^ Kohn & Lafargue (1998, pp. 55–56)
  40. Jump up to:a b Kohn (2000, pp. 3–4)
  41. ^ Simpkins & Simpkins (1999, pp. 11–12)
  42. ^ Morgan (2001, p. 303)
  43. ^ Renard (2002, p. 16)
  44. ^ Simpkins & Simpkins (1999, pp. 11–13)
  45. ^ Morgan (2001, p. 223)
  46. ^ Van Norden & Ivanhoe (2005, p. 162)
  47. Jump up to:a b c Kohn (2000, p. 22)
  48. ^ Watts (1975, pp. 78–86)
  49. ^ Maspero (1981, p. 41)
  50. ^ Robinet (1997, p. 63)
  51. ^ Reynolds, Beatrice K. (February 1969). "Lao Tzu: Persuasion through inaction and non-speaking"Today's Speech17 (1): 23–25. doi:10.1080/01463376909368862ISSN 0040-8573.
  52. ^ Roberts (2004, pp. 1–2)
  53. ^ Dorn (2008, pp. 282–283)
  54. ^ Rocker (1997, pp. 256, 82)
  55. ^ "Britannica: Anarchism". Dwardmac.pitzer.edu. Retrieved 14 November 2011.
  56. ^ Clark, John P. "Master Lao and the Anarchist Pri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October 2017. Retrieved 1 November 2011.
  57. ^ Le Guin (2009, p. 20)
  58. ^ Rothbard, Murray (2005). Excerpt from "Concepts of the Role of Intellectuals in Social Change Toward Laissez Faire", The Journal of Libertarian Studies, Vol. IX, No. 2 (Fall 1990) at mises.org
  59. ^ Rothbard, Murray (2005). "The Ancient Chinese Libertarian Tradition", Mises Daily, (5 December 2005) (original source unknown) at mises.org
  60. ^ Dorn (2008)
  61. ^ Boaz (1997)
  62. ^ Long (2003)

Sources[edit]

Further reading[edit]

  • Kaltenmark, Max (1969), Lao Tzu and Taoism, Translated by Greaves, Roger,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0689-6
  • Lao, Tzu (2009), Lao-Tzu's Taoteching, Porter, Bill (Red Pine) (3rd Revised ed.), Port Townsend, WA: Copper Canyon PressISBN 978-1-55659-290-4
  • Sterckx, Roel. Ways of Heaven. An Introduction to Chinese Thought. New York: Basic Books, 2019.

Translations into English[edit]

External links[edit]

그리스도인들이 희년이라는 말을 남발하고 있다 - 바른믿음

그리스도인들이 희년이라는 말을 남발하고 있다 - 바른믿음


그리스도인들이 희년이라는 말을 남발하고 있다

조덕영
승인 2019.12.12


조덕영 교수의 희년의 법과 헨리 조지의 토지법(1)

I. 서론

성경에서 하늘과 땅은 당연히 창조되었다(창 1: 1; 2:4; 시 124:8). 그 가운데 창조의 땅을 나타내는 구약 단어는 10여 가지가 있다. 창세기 1-2장에 나타난 단어는 주로 “에레츠”("erets", 창 1:1, 2, 10, 11, 12, 15, 17, 20, 22, 24, 25, 26, 28, 30; 2:11, 12, 13)와 “아다마”(“adama", 창 1:25; 2:5, 6, 9)다. 1절의 땅(”erets")은 하늘과 대조된 의미에서 ”지구“를 가리키기도 하고 넓게는 땅 아래의 지하 세계(the Underworld)를 가리키기도 한다. 땅은 최초의 인류와 마찬가지로 선하게 창조되었다(창 1:31). 그런데 땅에 저주가 임한 것은 인간의 타락과 관련된다. 하지만 이 타락 때문에 하나님의 창조 섭리(보존과 통치)까지 속절없이 무너진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는다. 피조 된 땅은 늘 그 창조주 하나님의 섭리 아래 놓여있는 하나님의 소유이기 때문이다.

성경은 타락한 인간을 흙이라 했다(창 3:18). 그렇게 인간은 땅의 흙으로 돌아간다. 땅이 곧 흙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땅은 성서 신앙의 ‘유일한 중심 주제’는 아닐지라도 중심 주제들 중의 하나다. 땅 없이는 인류 역사 자체가 지속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에게도 이 땅은 결코 주인 없는 공간이 아니라 항상 ‘야웨께서 함께 하시는 자리’(a place with Yahweh)요 역사적 공간이었다. 그래서 월터 브루거만(Walter Bruggermann)은 “땅이 성서의 용법과 현대적인 용례에서 끊임없이 문자적 의미와 상징적인 의미 사이에서 움직인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했다.

사실 땅만 흙이 아니요 우리 인류를 포함한 모든 생명은 흙이요 흙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모든 생명체가 딛고 서 있는 이 땅은 단순한 물질적 존재가 아닌 규정이 쉽지 않을 만큼 다양한 사회적 함축을 포함하고 있다 할 수 있다. 이 “땅”의 복잡하고도 다양한 사회적 함축 속에서 본고는 성경의 희년과 (마르크스 그리고) 헨리 조지의 토지법을 중심으로 창조의 땅의 토지법이 무엇을 지향하는 지 살펴보려고 한다.


II. 희년에 대해

1. 희년에 대한 오해

최근 부동산 문제와 관련하여 국내 정치권은 때 아닌 토지 공(公) 개념 공방이 불거졌다. 여당 대표가 국회 연설에서 헨리 조지(Henry George, 1839-1897)라는 한 인물을 소개하며 그가 살아 있었다면 땅의 사용권은 인민에게 주되 소유권은 국가가 갖는 중국 방식을 지지했을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왜 갑자기 헨리 조지 이야기가 나온 것일까? 그의 주장이 그렇게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 것일까? 그가 기독교 신앙적 배경을 가진 인물이었으니 그의 주장도 절대적으로 옳은 것일까? 그의 주장이 옳다면 토지만 공개념을 가지는 것은 반쪽만 옳은 것이고 오히려 토지와 자본 모두를 국가 소유로 하는 마르크스주의가 더 완전한 유토피아적 주장이고 성경적 주장이 아닌가? 이런 생각을 대중들은 가질 수 있다. 이 같은 논리에 동원되는 성경의 개념은 바로 희년이다. 따라서 성경이 말하는 희년의 함축성이 마르크스나 헨리 조지가 생각한 그런 토지법을 함축하고 있는 지 그리스도인으로서 살펴볼 당위성이 생긴다.


2. 희년과 안식년

희년(The Year of Jubilee, 히브리어 ‘요벨’'yobel': יובל )은 ‘수양의 뿔’ 또는 ‘나팔’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레위기 25장에 따르면, 희년은 50년마다 돌아온다고 기록되어 있다. 희년은 출애굽 이후 안식년과 관련하여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내린 유대의 법이었다. 애굽의 이스라엘 민족은 자기 땅이 없고 자기 법이 없던 민족이다. 그런 민족이 조상 아브라함이 먼 옛날 살던 가나안으로 입성을 할 때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613 가지 율법 가운데서도 아주 특이한 법을 주셨다. 바로 안식년과 희년의 법이다. 이 두 법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는 법이 아니었다(레위기 25장 참조). 즉 안식년을 지키지 않는 민족에게 희년은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 이렇게 여호와께서 시내 산에서 모세에게 내리신 희년의 법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으로 들어간 후 ‘수양의 뿔 나팔’을 불며 그 땅으로 하나님 앞에 안식하게 하는 법이었다(레25:1-2).

여기에는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이 있다. 첫째 이 법은 창조주 하나님이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에게 친히 내리신 법이란 점이다. 즉 믿음 없는 이방인들에게 이 법은 이해할 수 없는 아주 낯선 법이었다. 두 번째 희년은 “안식”과 연동된 법이란 점이다. “안식”에 무지한 이방인들에게는 이 사실도 아주 낯선 규례였다. 안식년 준수와 아무런 연관 없이 오직 해마다 토지의 연간 임대 가치인 지대(地代)만 (창조주가 아닌) 세속 정부가 환수하고 다른 조세는 모두 면제해도 된다는 지대조세제(land value taxation)가 헨리 조지 토지법의 근간이다. 이렇게 이스라엘 신앙의 법인 희년과 지대조세제 중심의 헨리 조지 토지법은 그 성격이 서로 전혀 다른 법이었다 할 수 있다.


3. 희년의 상징성?-인간의 진정한 자유 선포와 약자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

그렇다면 희년의 상징성은 어떠할까? 안식년은 힘써 6년을 일하되 7년째에는 땅을 완전히 쉬어야 되는 법이었다(레25:3-4). 이때 파종과 포도원을 가꾸는 일은 모두 금지되었다. 저절로 자란 곡식이나 가꾸지 않은 포도송이도 추수는 금지되었다(레25:5). 이들 안식년에 저절로 자란 농산물은 거두지 않을 뿐이지 방치하여 버리는 것은 아니었다. 안식년에 자란 이들 농산물들은 이스라엘의 종들과 품군과 이방 나그네와 가축과 들짐승의 몫이었다(레25:6-7). 여기서 안식년 제도의 중요한 함축적 의미를 한 가지 찾을 수 있다.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방 나그네들과 가축과 들짐승까지 포함한 모든 생명에 대한 하나님의 배려와 사랑이다. 혹시 구속사적 모형을 떠나 희년에 어떤 사회적 함축성이 있다면 희년은 바로 약자와 소외된 자들에 대한 배려와 사랑이라는 연장선상에 있는 절기였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이 아니거나 안식년을 지키지 않는 이방인들에게 희년 준수란 무의미할 뿐 아니라 지킬 수도 없는 율례였다.

사실 안식년 율례는 이스라엘조차 지키기 쉬운 법이 아니었다. 그 이유는 당연히 우리 인간이 가진 보편적 죄성(罪性) 때문이다. 유대 랍비들이 안식년 때에도 우기 후에는 땅을 갈아엎는 일을 허용하고 대신에 안식년 직전 여름에 쟁기질하는 것을 금하는 방법으로 금지 계명을 어기고 타협한 것은 안식년 규례가 지키기 쉬운 법이 아님을 증거하고 있다. 희년은 7년마다 돌아오는 이 안식년을 일곱 번 바르게 지킨 다음, 곧 49년이 지난 다음 50년째가 되는 해의 대 속죄일인 7월 10일 전국적으로 수양 나팔을 불며 이 날을 거룩한 해로 정하고 땅에 사는 모든 백성에게 자유를 선포하는 율례였다. 안식년과 대 속죄일을 지키고 양각 나팔을 불지 않는 희년이란 희년이 아니다. 헨리 조지의 토지법에는 약자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과 배려도, 안식년도, 대 속죄일도, 참된 자유함도, 양각 나팔도 당연히 없다는 점에서 헨리 조지의 토지법에 희년의 상징성을 덧입히는 논리는 바른 신앙과 신학적 적용이라 보기는 어렵다 하겠다.


4. 희년과 믿음

희년은 안식년과 관련된 법이요, 반드시 수양 나팔을 불어야 하는 법이요, 50년마다 돌아오는 법이요, 대 속죄일과 관련된 법이라는 점 말고도 몇 가지 규례가 첨가되어 있었다.

먼저 희년에는 안식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안식년처럼 파종과 경작과 추수가 금지된다. 경작 금지는 안식년 포함 희년까지 2년이 연속되므로 유대인들은 파종하여 거두는 3년차 수확 때까지 도합 3년을 경작 없이 지내야만 했다. 이 규례를 준수한다는 일이 과연 믿음 없이 가능한 일이었을까? 랍비들이 비유대인들이 만들어낸 과학적 자료들을 인용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던 이유도 문자적으로 성경의 규례 지킨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었는지를 보여준다.

하나님은 6년째 되는 해에 추수할 때까지 묵은 양식이 떨어지지 않도록 복을 내려 대풍년을 주겠다고 약속한다. 그렇게 경작 없이 3년을 믿음으로 살아야 한다. 경작 없이 하나님께서 3년을 먹여주신다는 것을 믿는다는 것은 보통의 믿음이 아니다. 이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한다(히12:6). 그리스도를 보지 않고도 믿는 믿음이 더 복된 이유다. 희년 속에는 이렇게 보이지 않는 믿음의 요소가 담겨있다. 헨리 조지의 토지법에 믿음으로 3년 경작 금지나 3년 토지세 면제 제도 같은 것을 적용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헨리 조지의 토지법이 믿음으로 지키는 희년의 상징성에 부합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외에도 희년 속에는 613 가지 율례 가운데 (336) 무엇을 사거나 팔 때에 부당한 이익을 남겨서는 안 되며(레25:14). (337) 땅을 사고 팔 때 속이지 말며(레25:14) (338) 말을 함부로 하여 이웃에게 상처를 주어서는 안 되며(레25:17) (339) 땅을 아주 팔지는 못하며(레25:23) (340) 희년에는 땅을 본래의 주인에게로 돌려주어야 하며(레25:24) (341) 성곽 안에 있는 집을 판 경우에는 일 년 안에는 언제든지 다시 살 수 있으나, 일 년이 지나면 그렇게 할 수 없고 희년이 되어도 집은 본래의 주인에게 돌아가지 않는다(레25:29, 30).

그 외에도 (342) 제사장 가문인 레위 사람의 땅과 집에 관한 규정(레25:32-34), (343) 가난한 사람에게서 이자를 취해서는 안 되는 규정(레25:36, 37), (344) 가난하여 종이 된 동족(同族)을 노예 부리듯 하지 말 것(레25:39), (345) 동족인 종은 팔 수 없고(레25:42), (346) 동족인 종을 심하게 부려서는 안 되며(레25:43), (347) 종이 가나안 사람인 경우에는 그를 영원히 부릴 수 있다(레25:46). 그리고 (348) 이교도들에게 동족이 종으로 팔려갔으면, 값을 치르고 그를 다시 되돌려 와야 한다(레25:53)는 10여 가지 율례 항목이 추가되어 있다. 이렇게 모세가 시내 산에서 계시로 받은 율례인 희년의 법과 단순한 땅의 토지법이요 경제법 체계인 헨리 조지의 토지법과는 전혀 유사성이 없는 것이다.


5. 희년을 경제법이나 토지법이라 볼 수 있나?

희년은 신앙 없는 세상 사람들이나 성경을 겉핥기식으로 아는 미숙한 신자들이 제멋대로 아전인수식으로 이해하는 그런 단순한 토지법이 전혀 아니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수백 년 애굽의 노예로 체념하며 살다 모세를 얼떨결에 하나님의 선지자요 지도자로 인정하고 애굽에서 탈출한 집단이다. 희년은 땅이 없던 이들 이스라엘 민족이 앞으로 새로운 지도자 여호수아를 창조주 하나님이 보내신 수장으로 모시고 가나안 땅에 들어가 치열한 전쟁 수행을 통해 이방 가나안 족속들을 점령하고 하나님이 모세에게 내린 율례를 따라 안식년과 연계하여 지켜야 되었던 쉽지 않은 규례였다. 희년의 내용이나 은혜 시대의 예수님의 말씀 가운데 어디에도 토지법만 바꾸면 모든 경제 문제가 해결된다는 실마리는 없다. 희년이나 예수님이나 토지법 문제가 ‘메시지의 중심’은 당연히 아니었던 것이다.

오히려 희년을 포함한 모든 율법에는 참된 인간 영생과 구원의 길이 보이지 않는다. 사도 바울은 율법은 구원의 길이 될 수 없으며 오히려 죄만 깨닫게 만드는 도구일 뿐임을 분명히 한다(롬3:20). 여호와께서 엄하게 명한 율례임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희년을 제대로 지켰다는 역사적 기록이 없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 희년을 토지법이나 경제의 법으로 치환하는 것은 결국 영생과 구원의 십자가의 도(道)보다 땅의 법에 천착하는 누(累)를 범할 수 있다.


6. 희년(율법) 아닌 성전 재건(주님의 오심)으로 완성된 율법(그리스도의 십자가)

이스라엘의 솔로몬 성전은 주전 586년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에 의해 철저히 훼파되었다. 성경은 유대 백성들이 안식년을 비롯한 절기를 제대로 지키지 않고 불순종한 것이 하나님의 진노를 샀으며 바벨론에 노예로 끌려간 근본 원인이었다고 말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사야서의 예언대로 바사 왕 고레스의 칙령에 따라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정치 지도자 스룹바벨과 종교 지도자 여호수아를 따라 극적으로 귀환한다. 그런데 여호와 하나님은 놀랍게도 이들 지도자들에게 과거 선조들이 지키지 못했던 “절기 준수”(희년 등)가 아닌 “성전 재건”을 명한다. 유대 전통적 가르침을 전하는 미쉬나(Mishna)도 공식 견해로 바벨론 포로 이후 희년은 폐지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학개 선지서에 기록된 이 계시의 내용은 무엇을 말하는가?

이미 무너져버린 과거의 일이 되어버린 솔로몬의 성전보다 더한 새 성전의 영광은 과연 무엇을 말하는 것이었을까? 하나님께서 진정 원하는 것은 보이는 새 성전(보이는 땅의 법)이었을까? 학개서 마지막 장(2장) 마지막 구절(2절)에 그 실마리가 있다. 스룹바벨이 받은 참된 복은 보이는 성전이 주는 복이 아니었다. 온 우주의 창조주요 심판자이신 하나님께 택함 받은 자가 누리는 복이었다. 조금 나은 토지법이 조금 나은 땅의 복을 누릴 수는 있다. 하지만 솔로몬이 잠시 누린 세상 영광은 들의 백합화보다 나을 것이 없었다.

보이는 소망은 참된 소망이 아니다(롬8:24). 세상의 토지법이란 그저 잠시 잠간 보이는 소망일뿐이다. 그리고 그 희년의 법조차 실현된 적이 없었다. 당연하다. 성경은 그런 책이 아니기 때문이다. 성경은 토지법으로서의 희년이 아닌 참된 희년으로서의 온 세상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의 진리를 담은 책이다. 그것이 바로 희년이 주는 참된 자유요 사랑인 것이다.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도록 기도해야 한다. 그러나 진정한 희년의 법은 세상의 땅이 아닌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은 세상 속에서 희년이라는 말을 남발하여 그리스도교를 왜곡하면 절대 안 된다. 희년 전의 제 49년 7월의 속죄일과 나팔절은 그리스도의 재림과 성도들의 영화를 의미하는 것이지 무슨 세속적 토지법을 지향하는 법이 전혀 아닌 것이다. 따라서 희년(레27:21)은 이 세상의 끝날 그리스도의 재림 때에 주 안에 있는 자들이 부활과 변화를 받아 참되고 영원한 본향인 천국에 들어가고 회복될 것을 상징하는 모형으로 결코 그림자에 불과한 땅의 규례에 적용할 율법으로 주신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땅과 토지는 어떤 사람이나 정부 권력의 것이 아니고 창조주 하나님의 것이다. 세속의 토지법인 헨리 조지의 토지 세법과는 더더구나 다른 것이다. (다음에 계속이어진다)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조직신학)

조덕영 박사는환경화학공학과 조직신학을 전공한 신학자다. 강남대, 개신대학원, 건양대, 명지대, 서울신(예장 합동), 서울기독대학원, 백석대와 백석대학원, 피어선총신, 한세대신대원에서 가르쳤고, 안양대 겸임교수, 에일린신학연구원 신대원장을 역임했다. <과학으로 푸는 창조의 비밀>’(전 한동대총장 김영길 박사 공저), <기독교와 과학> 등 30여 권의 역저서를 발행했고, 다양한 창조론 이슈들을 다루는 '창조론 오픈포럼'을 주도한다. 창조론과 관련된 방대한 자료들을 비축하고 있는 인터넷 신학연구소'(www.kictnet.net)을 운영하며, 현재 참기쁜교회의 담임목사이며 김천대, 평택대의 겸임교수이다
---

[빛과소금] 성경 속 ‘희년’이 무엇이고,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까요? 글 신상목

[빛과소금] 성경 속 ‘희년’이 무엇이고,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까요? 글 신상목


story 2018년 09월호성경 속 ‘희년’이 무엇이고,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까요?글 신상목


지난 3월 26일 청와대가 발의한 헌법 개정안에는 이른바 ‘토지 공개념’이 포함됐습니다. 문구 내용은 이렇습니다. ‘국가는 토지의 공공성과 합리적 사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법률로써.’ 여기서 토지의 공공성은 토지 공개념을 말합니다.

토지 공개념이란 토지의 개인적 소유권은 인정하되, 이용은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하자는 것으로 토지 시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 정부가 시장에 개입한다는 것입니다. 현행 헌법 제23조 제3항 및 제122조 등에서도 토지 공개념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원래 토지 공개념은 성경에서 나온 사상입니다. 레위기 25장 23절 말씀인 “토지는 하나님의 것이라”는 말씀에 근거합니다.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철학자인 헨리 조지가 이를 설파했고 국내에서는 예수원 설립자인 대천덕 신부가 이를 확산시켰습니다.

그런데 토지 공개념 안에는 희년 정신이 담겨 있습니다. 희년이란 50년마다 빚이 탕감되고, 팔렸던 자신의 땅과 집과 몸을 회복하게 되는 해를 의미합니다. 레위기에서는 토지의 영구 매매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물론 매매를 할 수 있는데 최장 50년이 지나면, 즉 희년이 되면 토지를 다시 원래의 주인에게 돌려주도록 돼 있습니다. “토지를 영구히 팔지 말 것은 토지는 다 내 것임이니라”(레 25:23)라는 구절에 근거한 것입니다.




성경에 등장하는 희년 제도
희년은 오늘의 사회 경제 원리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유토피아 같은 개념입니다. 그러나 이 안에 하나님 나라의 정신이 담겨 있습니다. 레위기 25장 23절 전체를 새번역 성경으로 보면 이렇습니다. “땅을 아주 팔지는 못한다. 땅은 나의 것이다. 너희는 다만 나그네이며, 나에게 와서 사는 임시 거주자일 뿐이다.”
희년은 히브리어로 ‘요벨’인데, ‘뿔 나팔 소리’란 뜻입니다. 나팔을 불어 자유의 기쁨을 선포하는 해라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50년마다 돌아오는 해방의 해로서, 모든 노예가 자유를 얻고, 모든 소유가 원주인에게로 되돌려지며 모든 땅은 휴경하게 됩니다(레 25:10). 현대 영어에서 ‘환희’, ‘축제’를 뜻하는 ‘주빌리(jubilee)’란 말은 여기서 유래했습니다.
희년은 안식년(7년)이 7번 행해지고 난 다음에 찾아오는 50번째 해입니다. 다른 말로는 ‘대안식년’이라고도 부릅니다. 안식일이 7일을 의미하는 것처럼 7은 하나님의 완전수입니다. 7년씩 7번이 지나고 나면 그다음에 희년이 찾아오는 것입니다. 희년은 쉽게 말해 ‘리셋(Reset)’, 즉 모든 소유의 원상 복귀가 핵심입니다.
그런데 이스라엘 역사에서 이 희년 제도가 실제로 지켜졌을까요. 여기엔 논쟁이 있습니다. 성경에 준수했다는 기록이 없어서 희년은 단 한 번도 실행된 적이 없다고 주장하는 측과 희년의 정신에 따라 지켜진 증거들이 있다고 보는 주장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다만 솔로몬 이후 왕정시대에는 확실히 희년은 지켜지지 않았다는 게 일반적 견해입니다. 왕이 백성들의 땅을 장악하게 되면서 초기의 땅 분배 개념이 무의미해졌기 때문입니다. 열왕기상 21장의 나봇 이야기는 군주가 자신의 땅을 넓히려는 모습을 간접적으로 보여줍니다. 전문가들은 하나님께서 성경을 통해 희년을 오늘 우리에게 주신 뜻은 구약시대 사람들이 희년을 준수했든 하지 않았든 관계없이 상황에 맞게 적용하고 실천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이는 것이 옳은 태도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희년의 현대적 적용
그러면 현대에서는 희년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을까요. ‘빚 탕감 운동’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경제의 글로벌화, 시장 경제화가 촉진되면서 양극화 현상은 극심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10년 이상 채무국의 채무를 삭감해 주자는 캠페인이 있었습니다. 유럽과 미국 등의 NGO들이 ‘주빌리 2000’이라는 연합체입니다.

이들은 세계 160개국에서 받은 1700만 명 이상의 서명을 1999년 6월 18일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 제25회 선진 8개국 정상회담에 참석한 각국 정상에게 전달하고, 남북문제와 빈곤국의 채무 문제에 관한 심포지엄 등을 개최했습니다. 이들은 정상회담의 폐회 성명에서 중채무국의 채무 총액 1300억 달러를 절반 이하로 감소시킬 것을 제안한, 이른바 쾰른채무이니셔티브를 채택하게 한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세계 최빈국의 부채를 탕감하고 가난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구하자는 국제 연대운동인 주빌리 2000은 바로 희년에 기원을 둡니다. 이 운동은 1990년 아프리카 교회위원회가 아프리카의 빚을 탕감해 줄 것을 촉구하면서 발단이 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는 1996년 각국 NGO와 종교, 인권 단체들이 적극적으로 호응하면서 국제적인 연대운동으로 발전했습니다. 주빌리 2000은 해외 협력을 통하거나 각 분야에서의 다양한 활동 등을 통해 각국 정부의 정책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빚 탕감 운동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2015년 출범한 주빌리 은행은 장기 연체 중인 부실 채권을 매입해 소각해 왔습니다. 소각한 개인부실채권을 싼값에 사들여 채무자들을 빚의 굴레에서 벗어나게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주빌리은행은 부실채권을 소각하는 퍼포먼스를 통해 눈앞에서 빚을 날려버리는 행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희년 정신을 이어받은 만큼 교회에서도 빚 탕감 운동에 참여해 부실채권을 구입하는 데 기부하기도 합니다.




통일의 염원으로 이어지는 희년 정신
통일 운동에도 희년 정신이 깃들어 있습니다. 분단된 남북이 희년을 선포하며 하나 되자는 염원입니다. 매주 목요일이면 어김없이 기도회를 열고 있는 주빌리 통일 구국기도회가 그것입니다. 지난 2004년 3월 5일부터 매주 목요일 기도회를 열었고 지난 7월 5일엔 700회를 돌파했습니다.

주빌리 기도회는 원래 ‘(한국교회) 부흥을 위한 연합기도운동’이 그 출발이었습니다. 그러다가 2007년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을 맞으면서 북한을 향한 기도에 힘을 싣기 시작했습니다. 한국교회의 유산이 북한교회로부터 전수됐고 북한의 회복은 한국교회 갱신의 열쇠가 된다는 깨달음에서였습니다.
이듬해 기도회는 ‘주빌리 연합기도운동’으로 명칭이 변경됐고 무명의 그리스도인들은 ‘주빌리’라는 이름처럼 희년을 꿈꾸며 북녘 동포의 회복을 위해 기도했던 것입니다. 지금의 주빌리 통일구국기도회는 2011년 3월 3일 31개 통일선교단체가 교단과 교파를 뛰어넘어 마음을 모아 재출범한 것입니다. 당시 기도회에서는 “통일은 우리가 함께 모여 기도할 때 주시는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천명했습니다. 하나님을 향한 탄원과 경외가 깔려 있습니다.
분단 70년을 맞은 올해 통일을 위한 기도의 열기는 더욱 높았습니다.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 이스라엘 백성이 70년 만에 귀환 명령이 떨어져 무너진 성전 벽을 재건한 것처럼 한국 민족도 70년 만에 통일을 이루어 무너진 나라의 성벽, 무너진 교회의 하나 됨을 이루자는 심정이었습니다. 기도의 응답일까요. 올해는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면서 한반도 정세는 크게 바뀌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제50회 대한민국 국가조찬기도회에서도 희년이 등장했습니다. ‘역사를 주관하시는 하나님’을 주제로 열린 국가조찬기도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국가조찬기도회 역사 50주년을 언급하며 ‘희년’을 강조했습니다.
그리고는 “약자는 속박으로부터, 강자는 탐욕으로부터 해방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성경 속 희년”이라며 “포용과 화합의 정신이 희년을 통해 나타난 하나님의 섭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당시 대북특사단의 평양 방문으로 비롯된 화해 분위기 속 교회의 역할에 대해서도 강조한 바 있습니다.

개인적 차원에서 희년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최근 신학계에서는 공공신학, 복음의 공공성 등의 주제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복음은 개인 구원에만 집중된 것이 아니라 사회와 공적 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희년 정신은 복음의 공공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일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 희년을 선포할 거리는 없는지 찾아보면 어떨까요?

 

2021/05/21

알라딘: 아들이 부모를 간병한다는 것

알라딘: 아들이 부모를 간병한다는 것

아들이 부모를 간병한다는 것 - 부모를 간병하는 아들 28명의 체험담   
히라야마 료 (지은이),류순미,송경원 (옮긴이),우에노 지즈코 (해설)어른의시간2015-02-05
-
정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10%, 1,500원 할인)
마일리지
-
- 절판 확인일 : 2020-01-03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6)
-
책소개고령화 시대에 늙은 부모를 간병하는 중년 아들 28명의 체험담을 사회심리학자가 날카롭게 분석한 책이다. 간병하는 아들은 배우자나 형제의 유무, 부모와 동거 여부 등 사례의 다양성을 염두에 두고 선별하였으며 그들의 현실과 가족 관계, 일, 인간관계 등을 깊이 있게 파헤치고 있다. 한창 일할 시기에 자녀 양육과 부모 부양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는 남성들의 체험담을 통해 남 일로만 여겨 왔던 간병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간병/ 복지현장에서 일하시는 분과 연구자들에게

제1장 간병하는 아들의 현실
-통계로 알 수 있는 경향과 그들의 경험

간병하는 며느리는 줄고, 간병하는 아들은 늘고 / 아들이 간병할 ‘확률’이 높아진 이유 / 간병을 하게 되는 결정적인 요건 / 간병 이야기를 들려준 28명의 아들들

제2장 부모의 간병과 아내와의 관계
-결혼한 아들이 간병인이 될 때

남편이 혼자 간병하면 아내는 편할까
보고만 있는 것도 불편한 아내 / 남편이 부모를 돌보고 있지만 / 아내는 가정을 돌본다 / 결혼한 아들이 간병인을 한다는 특이성 / 아내의 헌신이 있어야 간병할 수 있다 / ‘간병의 기초’는 아내에게 의존한다
간병하는 아들과 아들 부부
그룹① 부모와 함께 살며 아내를 잃다 / 그룹② 한 지붕 아래 부부는 ‘일심동체’ / 그룹③ 부모를 간병할 수 있는 건 아내 덕분 / 힘이 되어 주는 아내를 배려한다 / 간병 방식에 대한 아내의 영향력 / 아내의 정보망이 남편을 돕는다 / 아내의 조언에 남편이 귀를 열어야 / 그룹④ 혼자서 간병하기로 마음먹은 아들 / ‘한 지붕 아래’라 보이지 않는 것들 / 간병하면서 부부 사이가 돈독해졌다 / 간병하는 남편을 보는 아내의 심리적 부담 / 아내가 죄책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려면 / 남편이 간병하면 아내의 부담이 줄어들까

제3장 ‘다른 형제도 있는데 왜 내가’라는 생각
- 간병 책임을 둘러싼 형제간의 갈등

간병을 하지 않는 남자 형제들
‘장남이니까 당연’하다고? / 장남이 간병하게 된 것은 우연일 뿐 / 태어난 순서는 상관없다 / ‘보통’ 남자로 살 수 없는 생활 / 적절하게 분담하는 방법은 없다 / 장남이 아닌 아들이 간병하는 경우 / 대를 잇는 아들이 느끼는 무게 / 부모를 돌보는 것은 자식 된 도리
시집간 여자 형제들과의 관계
고맙거나 짜증나거나 / ‘며느리 역할’이라는 족쇄 / 간병 책임이 똑같지 않다 / 적극적인 도움은 오히려 간섭 / 못 말리는 여자 형제, 말 잘 듣는 남자 형제 / 그저 도움만 받을 수 없는 남자 마음 / 형제의 배우자에게도 간병을 기대할까 / 여자 형제가 결혼하지 않았다면
간병은 불시에 찾아온다
간병을 미리 준비하긴 어렵다 / 간병한다는 각오를 해도 갑작스럽다

제4장 아들의 간병법 들여다보기
-남자라서 힘든 점과 바람

남자가 하는 집안일에 대한 남자의 시선
요령 부족은 우리 세대까지 / 남자라는 건 핑계일 뿐 / 여자라서 더 잘하는 건 아니다 / 잘 해내고 싶은 남자들의 ‘트레이너’ / 집안일에 대한 외부의 평가가 필요하다
어머니를 간병하는 남자로서의 마음
불편함을 따질 여유가 없다 / 불편함이 줄어드는 과정이 있다 / 간병 대상보다 간병 자체에 집중 / 간병보험서비스라는 구원 / 어머니의 기분을 생각하면 / 어머니가 의지하면 아들은 자신감이 생긴다 / 거부감이 생기는 경우 / 모녀 사이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 / 사이좋은 모녀가 아니라서 좋은 점 / 자매라도 다른 어머니와의 심리적 거리 / 남자는 변명이 통한다
아버지에 대한 기대, 어머니에 대한 기대
부모의 성별에 따른 대처법 / 간병을 하면서 알게 된 아버지의 진짜 모습 / 아버지와 아들의 수평 관계 / 아들은 어머니에게 도움이 안 된다는 생각 / 어머니에게 바라는 것은 ‘고맙다’는 말 / 어머니가 고마워하지 않으면 / 여자인 어머니를 간병한다는 것 / 어머니의 변화로 아들이 받는 충격
‘미니멈 케어’의 장단점
너무 헌신하지 않는다 / 남자와 여자의 바람직한 간병 / 무턱대고 돕는 가족 떼어 놓기 / 이해가 부족하면 싸움이 나기도 / 남자의 사명감과 과보호 / 아들의 간병 스타일 ‘미니멈 케어’ / ‘미니멈 케어’를 지속하는 것은 힘들다
간병하는 아들에게 ‘직장’의 의미
간병하는 사람에게 일이란 / 일하지 않으면 간병할 수 없다 / 아들인 동시에 아버지 / 간병만 해도 곱지 않은 시선 / 변함없이 일할 수 있는 제도 / 간병할 자유도 필요하다

제5장 가족 이외의 인간관계
- 간병하는 아들을 바라보는 세상 사람들

간병하는 아들과 직장 동료들
직장에 다니며 간병하는 아들 / 간병 경험이 있는 멘토를 만나다 / 털어놓는 것이 의외의 결과로 / 직장은 간병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는 곳 / 일은 간병하는 남성을 지탱해 준다 / 보통 남성처럼 행동한다 / 계속 일할 수 없게 되는 시기 / 직장에서 간병하는 아들은 없다
부모 간병과 친구 관계
간병하는 아들의 친구 / 가정이 있는 사람은 친구보다 아내 / 친구에게 바라는 건 정보보다 기분 전환 / 즐거운 관계는 즐겁기만 한 관계 / 상대가 들어주기만 할 때 느끼는 불안 / 힘들다고 말해 뭘 하나 / 편하게 털어놓을 수 있는 관계 / 동성보다 편한 이성 친구 / 동성 친구와 만나는 괴로움 / 남자끼리의 유대라는 건
지역 인간관계
고립되기 십상인 간병하는 아들 / 부모를 보살피는 이웃 사람들 / 부모가 치매라는 게 밝혀지면 / 어머니가 만든 이웃 사람들과의 인연 / 이웃 여성들과 간병하는 아들 / 주위의 관심으로 바뀌는 간병 / 여자끼리의 유대 / 친척이지만 결국은 타인 / 스스로 바꾸어야 한다

에필로그
해설 ㅣ 또 하나의 남성학 (우에노 치즈코)
책을 내며
---

접기
책속에서
P. 76
걸핏하면 찾아와 온 집안을 돌아다니며 치우는 누나를 탐탁지 않게 여기는 동생도 있었다. 누나는 도움이 될까 싶어 ‘이렇게 해 보면 어떨까’ 하고 이런저런 제안을 해도 동생 입장에서는 자신의 방식을 부정만 하는 것 같아 짜증이 날 수도 있다. ‘매일 부모를 간병하며 현재 상태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바로 나다’, ‘가끔 얼굴이... 더보기
P. 102
아들이 부모를 간병하며 고민하는 것 중 하나는 이성인 부모의 신체활동지원, 즉 신체에 직접 접촉해야 하는 문제가 아닐까? 아들이라면 어머니의 옷을 갈아입히거나 몸을 씻기는 일, 용변을 돕거나 기저귀를 가는 일에 대해 과연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남성에게는 신체활동지원이 난관이라고 지적하며 ‘남자... 더보기
P. 147
아들로서 하는 간병과 아버지로서 하는 일, 어느 한쪽에 전념할 수 있다면 편해지겠지만 그러고 싶은 마음은 없다. 괜한 고집일 수도 있고 자기만족을 위한 것일지도 모르지만 무엇보다 ‘우선순위를 매길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2015년 2월 14일자 '책 속으로'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5년 2월 14일자 '책의 향기'
저자 및 역자소개
히라야마 료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79년 가나가와 현에서 태어나 도쿄대학 문학부와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 연구과 석사 과정을 거쳐 오리건주립대학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전문 분야는 사회 노년학과 사회 심리학이다. 도쿄건강장수의료센터 연구소에서 장수과학진흥재단 리서치 레지던트(치매대책 종합연구 추진사업)를 지낸 뒤, 현재 같은 연구소에서 일본 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최근작 : <나는 형제를 모른 척할 수 있을까>,<아들이 부모를 간병한다는 것> … 총 2종 (모두보기)
류순미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일본 도쿄에서 일한통역을 전공하고 10여 년간 일본 국제교류센터에서 근무하며 일본 외무성을 비롯해 르노삼성, 닛산, 후지TV, TBS, KBS 등에서 통역사로 활동했다. 옮긴 책으로는 『예술가가 사랑한 집』, 『오후도 서점 이야기』, 『여자, 귀촌을 했습니다』, 『싱그러운 허브 안내서』,『향기로운 꽃 안내서』등이 있다.
최근작 : … 총 28종 (모두보기)
송경원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대학원에서 일어교육을 전공했다. 재미가 일이 되고 일이 재미가 되는 삶을 꿈꾸며, 재미있고 의미 있는 작품을 기획, 검토 및 소개하는 일에 힘쓰고 있다. 현재 소통인(人)공감 에이전시에서 번역가로 활동하며 《대중을 사로잡는 장르별 플롯》,《후회병동》,《누구나 혼자인 시대의 죽음》 등을 옮겼다.
최근작 : … 총 13종 (모두보기)
우에노 지즈코 (上野 千鶴子) (해설)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일본 최고의 지성으로 손꼽히는 사회학자. 교토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도쿄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쳤다. 현재 도쿄대학교 명예교수, 리쓰메이칸대학교 첨단학술종합연구과 초빙교수로 40년간 교육과 연구에 종사하고 있다. 1994년 《근대 가족의 성립과 종언》으로 학술연구자의 등용문이라 일컬어지는 산토리 학예상을, 2011년에는 인문 및 자연과학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인 아사히상을 받았다. 최근에는 노약자나 환자에 대한 ‘돌봄[介護〕’의 문제까지 연구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지은 책... 더보기
최근작 : <논문 쓰기의 기술>,<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여자가 말하는 남자 혼자 사는 법> … 총 157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고령화 시대, 간병에 대한 상식이 바뀐다!
날카로운 사회심리학자가 밝히는 ‘간병하는 아들의 속마음’

‘간병하는 아들’이라는 말은 아들이 부모의 주요 간병인이라는 뜻이다.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늙은 부모를 간병하는 중년의 아들이 늘고 있다. 간병은 주로 ‘여성의 일’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고, 실제로도 간병하는 여성 쪽이 여전히 많다. 그런데 왜 간병하는 아들에 주목해야 하는가? 그 이유는 간병하는 남성의 실태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은 자신의 상황에 대해 말하지 않고 타인의 개입마저 꺼린다. 그로 인해 사회에서 고립되기 십상이다. 하지만 간병하는 아들의 문제는 곧 가족 모두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남성의 경우라면 당사자가 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 남편이나 형제가 간병을 하게 될 수 있고, 아들이 있다면 나중에 자신이 아들의 간병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 될지도 모른다. 마지막까지 아들의 손을 빌리지 않겠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 이 책은 그러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이 책에 나오는 인터뷰 참가자는 30에서 60대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층의 남성이다. 배우자가 있거나 독신인 경우, 여자 형제 또는 남자 형제가 있는 경우, 일을 하거나 하지 않는 경우 등 다양한 사례를 선별해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하나하나 살펴보았다. 특히 장남이 느끼는 부모 부양의 책임감, 아들이 여성인 어머니를 간병하면서 겪게 되는 불편함이나 여자 형제의 개입을 꺼리는 이유, 너무 헌신하지 않는 ‘미니멈 케어’ 등은 남성의 심리를 충분히 엿볼 수 있게 한다.
세계적 권위의 저명한 사회학자 우에노 치즈코는 ‘또 하나의 남성학’이라는 제목의 해설을 통해 이 책이 치밀한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간병하는 아들의 실태에 접근했다며 높게 평가하였다. 간병하는 아들이 힘들 때 힘들다고 말하거나 도와달라고 말하지 않는 것을 남자로서의 ‘강점’이라고 착각하고 있다며 간병을 받는 부모를 위해서라도 이 책을 통해 그들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한다. 접기

알라딘: 이것으로 충분한 생활

알라딘: 이것으로 충분한 생활


이것으로 충분한 생활 - 씨앗 할머니의 작은 살림 레시피
하야카와 유미 (지은이),류순미 (옮긴이)열매하나2021-05-01

























미리보기


224쪽

책소개
아시아 소수 민족의 천으로 작품을 만들고 천연 염색을 하는 직물 작가 하야카와 유미. 그는 가족들과 함께 일본 고치 현에 있는 산꼭대기 다랑이 밭에서 씨앗을 심고 과수원을 일구며 산다. 이 책은 다랑이 마을에서 단출한 삶을 지향하며 만드는 일상을 살아가는 작가의 살림 레시피이다.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반복적인 생활을 즐겁고 건강하게 지탱해주는 텃밭, 식물, 부엌, 바느질 이야기가 4개의 장에 각각 쓰여 있고, 마지막 5장에는 단출한 생활에서 건져올린 저자의 단단한 생각이 담겨 있다.


목차


시작하며_흙에서 태어나다

제1장 작은 밭을 일구자
씨앗 뿌리기 / 모종 만들기 / 잎채소 키우기 / 콩 키우기 / 브로콜리 키우기 / 참마 키우기 / 채소 꽁지로 퇴비 만들기 / 마늘 자급자족 / 씨앗과 소통하는 달 / 생강 자급자족

제2장 나무에게 배운다
과일나무 심기 / 토종꿀벌 기르기 / 천연 밀랍 크림 만들기 / 과수원 잼 만들기 / 효소 주스 만들기 / 들풀차, 차나무 심기 / 닭 키우기 / 다랑이에 사다리 만들기 / 불을 때는 일상 / 밀원식물 늘리기

제3장 부엌에서 시작하자
두유 요구르트 / 두유 푸딩 / 곤약 / 된장 담그기 / 누룩 만들기 / 수타 우동 / 우메보시 / 우메비시오 / 락교 절임 / 단무지 / 쌀겨 채소 절임 / 생강 초절임 / 말린 고구마와 곶감 / 박고지 / 가다랑어 맛국물 / 멸치 맛국물 / 낫토

제4장 한 땀 한 땀 생활을 만들다
손걸레 / 앞치마 / 속옷 자급자족 / 뜨개 수세미 / 날 갈기 / 감물 들이기 / 새끼줄 / 냄비 잡이 / 탕파 주머니 / 벌레 쫓는 약

제5장 작은 생각을 품다
단출하게 살기 / 주위 둘러보기 / 감각 기르기 / 나를 지우기 / 삶의 토착 / 돌고 도는 나누기 경제 / 바지런히 일하기 / 더불어 사는 씨앗 / 야생적인 삶 / 자급자족

마치며_흙으로 돌아가다


책속에서



P. 14~15씨앗 뿌리기

씨앗은 엄청난 양의 정보를 우주에서 얻고, 또 흙의 기억을 이어받아 다음 세대 씨앗에게 전해줍니다. 씨앗은 지난 시간을 기억하고 현재의 기후와 바람과 하나가 됩니다. 씨앗을 뿌리다 보면 우리 인간 역시 씨앗과 다르지 않음을 깨닫게 됩니다.
P. 38채소 꽁지로 퇴비 만들기
저는 도시에 살던 예전부터 남은 음식물을 쓰레기 수거함에 내다 버리기보다 흙으로 돌려보내고 싶었습니다. 그런 작은 생각이 모여 이곳 고치 현에 있는 산으로 이주한 것 같습니다. 채소 꽁지라도 어쩐지 쓰레기로 버리는 일이 내키지 않았던 고집이 삶의 커다란 뿌리로 이어졌다고 생각합니다.
P. 39생강 초절임
우리의 진짜 일은 살림이 아닐까요. 사람은 살림을 위해 살아갑니다. 하지만 사회는 경제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돈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살고 있지요. 살림과 사회의 이런 모순을 깨기 위해서는 가정을 무언가 생산해 내는 곳으로 바꿔가는 일이 중요합니다. 생강 초절임을 만들... 더보기
P. 74들풀차, 차나무 심기
처음 찻잎을 따던 날, 어린잎을 따면서 손으로 느꼈던 감각이 무척 좋았습니다. 컴퓨터로 일하던 손과 찻잎을 따는 손이 같은 손이라는 게 믿어지지 않을 정도였죠. 부드러운 어린잎을 만질 때는 손도 즐거워하는 것 같습니다.
P. 163손걸레
바느질을 하는 건 기도하는 일과도 닮았습니다. 엄청난 집중력으로 한 땀 한 땀 바느질에 몰두하다 보면 오로지 나 자신만 생각했던 이기적인 마음까지 완전히 사라져 버립니다. 신기할 정도로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P. 202단출하게 살기
지금 삶에서 정말 필요한 것은 아주 조금입니다. 단출한 집. 단출한 밭. 단출한 과수원. 단출한 일. 단출한 부엌. 무엇이든 단출함이 기준입니다. 이것이 고도 성장기와 경제 호황을 경험한 우리가 지금 세대에게 줄 수 있는 선물입니다. 부작용이 컸던 수직 성장에서 벗어나 단출하지만 지속가능한 경제를 바탕으로 한 생활 양식을 만들고 싶습니다. 접기
P. 203주위 둘러보기
가끔은 의식적으로 주위를 둘러보며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언가를 아름답다고 느끼는 사람의 마음은 무척 고귀합니다. 평화를 바라는 마음 역시 그렇습니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마음과 평화를 기도하는 마음은 분명 같은 샘물에서 솟아나는 것이니까요.
P. 219자급자족
밭에서 자급자족을 하면 더 이상 사는 일이 불안하지 않습니다. 먹을거리가 항상 밭에 있으니 안심이지요. 삶의 뿌리를 작은 생활과 자급자족에 두면 느긋하게 미소가 번지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저자 및 역자소개
하야카와 유미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직물작가. 1957년 출생. 아시아에서 생산된 수직 직물로 옷을 만들며 일본 각지에서 직물 작품 전시회를 열고 있다. 남편인 도예가 오노 텟페이, 두 자녀와 함께 1998년부터 고치 현에 있는 산꼭대기 다랑이 마을에서 작은 과수원과 밭을 일구며 산다.
주요 저서로는 『씨앗 뿌리기 노트』, 『씨앗 뿌리는 사람의 물건 만들기』, 『씨앗 뿌리는 사람의 부엌』,『여행하는 씨앗 뿌리는 사람』, 『씨앗 뿌리는 사람의 그림일기』, 『내 몸 공책』 등이 있다.
한 땀 한 땀 워크숍과 전람회 등 자세한 활동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www.une-une.com 접기


최근작 : <이것으로 충분한 생활>

류순미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일본 도쿄에서 일한통역을 전공하고 10여 년간 일본 국제교류센터에서 근무하며 일본 외무성을 비롯해 르노삼성, 닛산, 후지TV, TBS, KBS 등에서 통역사로 활동했다. 
옮긴 책으로는 『예술가가 사랑한 집』, 『오후도 서점 이야기』, 『여자, 귀촌을 했습니다』, 『싱그러운 허브 안내서』,『향기로운 꽃 안내서』등이 있다.


최근작 : … 총 28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씨앗 할머니의 단출한 살림 레시피

아시아 소수 민족의 천으로 작품을 만들고 천연 염색을 하는 직물 작가 하야카와 유미. 그는 가족들과 함께 일본 고치 현에 있는 산꼭대기 다랑이 밭에서 씨앗을 심고 과수원을 일구며 산다. 이 책은 다랑이 마을에서 단출한 삶을 지향하며 만드는 일상을 살아가는 작가의 살림 레시피이다.
음식, 옷, 집, 차. 우리는 매일 무엇인가를 산다. 가정은 무언가를 계속 사들이는 소비 공간이 되었다. 소비하기 위해 돈이 필요하고 돈을 벌기 위해서 일한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괜찮을까? 토종 씨앗을 심고 자신의 손으로 먹거리와 옷을 만드는 저자는 작은 것부터 만들어보자 권한다. 일상에서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것은 인간 생명 활동 그 자체이며 나아가 건강한 삶의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반복적인 생활을 즐겁고 건강하게 지탱해주는 텃밭, 식물, 부엌, 바느질 이야기가 4개의 장에 각각 쓰여 있고, 마지막 5장에는 단출한 생활에서 건져올린 저자의 단단한 생각이 담겨 있다.

텃밭과 부엌에서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작가는 텃밭에 한해살이 씨앗(F1 품종)이 아닌 다음 세대를 잇는 ‘재래종(토종)’ 씨앗을 심는다. 토종 꿀벌과 앞으로 자라날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서다. 씨앗과 각종 작물을 심는 방법부터 된장, 누룩, 효소 주스, 절임류 등 1년 이상을 내다보며 준비하는 저장 식품까지 하나씩 소개되어 있다.
계절이 깃든 요리는 맛은 물론 몸에도 좋다. 무엇보다 씨앗이 쑥쑥 자라나 가지를 뻗고 열매를 맺기까지의 과정이 주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다. 저자는 아주 작은 씨앗에서 인간의 성장과 자연의 순환을 배운다. 컴퓨터가 아닌 잎을 만졌을 때 손에 느껴지는 즐거움, 과일을 따기 위해 나무에 오르는 야생의 감각 등 자신이 자연 속에서 느낀 기쁨도 함께 전한다.

아름다움을 채우는 한 땀 한 땀 바느질

걸레조차 마트에서 살 수 있고 또 금세 버리는 요즘이지만, 추억이 깃든 옷을 잘라 한 땀 한 땀 수를 놓아 예쁘게 만든 걸레를 사용하면 걸레질도 한결 즐거워진다. 이 책에서는 뜨개 수세미, 에코백, 앞치마, 속옷, 수세미, 감물 치마 등 편안하고 유용한 살림을 만드는 법과 쓰임이 담겨 있다.
저자는 “산다는 건 무언가를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일이기에 의식적으로 주변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평범한 천 조각이나 뜨개실이 아름다운 물건으로 바뀌고 일상에 생기를 불어넣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물건이 아니라 인간이 중심

저자는 미국 9.11 테러 이후 석유에 의존해 사는 것이 괜찮은 일인지, 3.11 동일본대지진 이후에는 원자력과 전기에 의존하는 생활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게 되었다. 이렇게 지금까지의 생활에 의구심을 가진 뒤 ‘물건이 아닌 인간이 중심이 된 삶’을 살을 살아야겠다고 마음먹는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살지만, 사실 지금 삶에서 정말 필요한 것은 아주 조금이라고 강조한다. 수직 성장에서 벗어나 단출한 일상을 사는 것이 지금의 우리가 다음 세대에 줄 수 있는 선물이라고 말하는 저자. 그는 몸속에 자연에서 얻은 것만을 채우는 일상, 자연 친화적인 삶의 방식이 당연한 세상이 되기를 바라며 오늘도 작은 생활을 살아간다. 접기

알라딘: 날마다 한 생각 마하트마 간디 (지은이),함석헌,진영상 (옮긴이)

알라딘: 날마다 한 생각


날마다 한 생각  
마하트마 간디 (지은이),함석헌,진영상 (옮긴이)삼인2019-06-15
--


기본정보
256쪽

책소개

인도의 문호 타고르로부터 '마하트마'(위대한 영혼)라고 칭송한 시를 받은 뒤로 '마하트마 간디'라고 불리운 위대한 영혼 간디가 제자 아난드 힝고라니에게 매일 한 생각씩 2년여 동안(1944년 11월 20일 ~ 1946년 10월 10일) 보낸 말씀을 힝고라니가 정리하여 엮은 것을 진영상과 함석헌이 완역한 책이다.

목차
1. 마음을 씻는 생각 / 함석헌
2. 책을 엮으면서 / 아난드 힝고라니
3. 생각 1 (1944.1.1~12.31)
4. 생각 2 (1945.1.1~12.31)
5. 생각 3 (1946.1.1~10.10)
6. 발문 : 왜 간디인가 / 양화규

책속에서

친구가 나와 정신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알았을 때, 얼마만큼이나 그 친구와 행동을 같이 해야 하느냐가 문제가 된다. (1945.9.18)
화나는 일이 있는데도 화내지 앟는 사람만이 분노를 이겼다고 말할 수 있다. (1945.9.19)
마음속에는 분노가 차 있는데 밖으로 나타내지 않았다고 분노를 정복한 것이 아니다. 침착하게 분노의 뿌리와 가지를 모두 뽑아 버리는 것이 진정한 정복이다.(1945.9.20.)
친구가 나와 정신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알았을 때, 얼마만큼이나 그 친구와 행동을 같이 해야 하느냐가 문제가 된다.(1945.9.18)
화나는 일이 있는데도 화내지 앟는 사람만이 분노를 이겼다고 말할 수 있다. (1945.9.19)
마음속에는 분노가 차 있는데 밖으로 나타내지 않았다고 분노를 정복한 것이 아니다. 침착하게 분노의 뿌리와 가지를 모두 뽑아 버리는 것이 진정한 정복이다. (1945.9.20.)
친구가 나와 정신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알았을 때, 얼마만큼이나 그 친구와 행동을 같이 해야 하느냐가 문제가 된다. (1945.9.18)
화나는 일이 있는데도 화내지 앟는 사람만이 분노를 이겼다고 말할 수 있다. (1945.9.19)
마음속에는 분노가 차 있는데 밖으로 나타내지 않았다고 분노를 정복한 것이 아니다. 침착하게 분노의 뿌리와 가지를 모두 뽑아 버리는 것이 진정한 정복이다. (1945.9.20.)
화나는 일이 있는데도 화내지 앟는 사람만이 분노를 이겼다고 말할 수 있다. (1945.9.19)
---
추천글
이 책은 간디가 일생을 통해 발견하고 확인한 진리들의 요약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진주 같은 삶의 원리들이 수없이 많이 들어 있다. 물론 요즘 세대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특히 금욕주의적인 부분들이 그렇다. 하지만 간디가 평생을 통해서 실천한 진리 파악의 노력을 하루 아침에 이해하려 하거나 쉽게 비판하려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자신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단 한 구절이라도 부여잡고 삶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시작해 봄이 좋을 것이다. 한 인간이 걸어갔다고는 도저히 믿기 어려운 그 길을 한번 더듬어 보는 것만으로도 가슴 벅찬 일이다. - 양희규 (철학 박사·간디학교 설립자) 

---

마음을 씻는 생각
 
 
말씀이 있기를 이렇다. “맨 처음에 생각이 있었다. 그리고 생각이 하나님과 더불어 있었다. 하나님이 그 생각이었다. 그이가 맨 처음에 하나님과 더불어 있었다. 모든 것이 그이로 말미암아 지어졌고, 그이 아니고는 지어진 것이 하나도 없었다. 지어진 것이 그이 안에서 생명이었고, 그리고 그 생명이 사람의 빛이었다.” (로고스를 이렇게 생각이라고 하면 알기가 쉽지 않을까? 노자의 도도 마찬가지다.)
생각은 스스로 하는 것이요 영원무한하다.
그러나 사람은 지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올바르게 하자지만 그렇게 할 수가 없다.
그래서 공자(孔子) 가운데[中]를 말했고 고르게 함[和]을 말했다. 가운데란 여기나 저기가 아니다. 여기면서 저기요 저기면서 여기인 곳이다. 고르게 함이란 함이나 아니함이 아 니라, 하면서 아니하고 아니하면서 하는 지경이다.
그래서 노자가 빔[虚]을 말했고 됨[化]을 말했다. 빔이란 있음이나 없음이 아니다. 있으면서 없고 없으면서 있음이다. 됨이란 달라짐이나 그대로 있음이 아니다. 달라지면서 그대 로 있고 그대로 있으면서 달라짐이다.
그래서 예수가 십자가를 졌고 새로 남을 보여주었다. 십자가란 죽음이나 삶이 아니다. 죽음으로 살고 삶으로 죽음이다. 새로 남이란 육이나 영이 아니다. 육이면서 영이요 영이면서 육이다.
그래서 석가가 반야[智慧]를 말했고 해탈을 말했다. 지혜란 안다 모른다가 아니다. 앎으로 모르고 모름으로 아는 지리다. 해탈이란 이 세상이나 저 세상에 가는 것이 아니다. 이 세상이면서 저 세상이요 저 세상이면서 이 세상인 삶이다.
그래서 가장 정확하노라 자랑하던 물리학이 불확실론에 이르게 되고, 물질과 운동이 따로 있는 것 아니라 하나라고 하게 되었다.
 
생각하는 사람이 첨으로 일어났을 때 하나님과 우주가 따로 있지 않았고, 우주와 만물, 만물과 사람, 인생과 종교, 종교와 정치, 나라와 씨알, 나와 너가 따로 있지 않았다. 그저 산 하나가 있을 뿐이었다. 하나 둘의 하나가 아니다. 그저 두루뭉수리지, 그러므로 살았고, 빛 속에 사는 줄도 모르리만큼 살았다. 사는 줄을 몰랐으니 죽는 줄을 알았을 리가 없다. 생 각은 생각하는 줄 모르게 하였고, 말은 나오는 줄 모르게 나왔으며, 행동은 하는 줄 모르게 했다. 그러니 안다 모른다, 좋다 나쁘다, 옳다 그르다, 화다 복이다, 선이다 악이다가 있었 을 리 없다. 그래서 후에 와서 어렴풋이 그 광경을 상상해 보면서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했다. 어느 눈이 본 것 아니요, 어느 입이 말한 것 아니다. 그러므로 그 ‘좋아’ 는, 좋다 나쁘다 하는 사람의 ‘좋아’가 아니고, 하나님의 ‘좋아’이다.
그렇지만 이 세계에서는, 사림이 아는(만든) 이 세계에서는. 한정이 있는 세계이기 때문에, 사람의 생각은 가다가(절대의) 벽에 부딪치게 마련이고, 일단 부딪치고 나면 반드시 부서져 갈라지고 제게로 되돌아올 수밖에 없다. 그래서 ‘나’란 것이 나오고. 하나님이란 우상이 생기고, ‘이럴까 저럴까’가 일어나 생각이 많아지게 되었다. 창세기의 인간 타락의 신화는 그 어간의 소식을 전하는 것이다. 벽에 부딪쳤다고 했지만 그 벽이 무슨 벽일까? 하나님 밖에 다른 무엇이 있을 수 없다. 하나님인데, 생각하는 마음이 그만 우상을 만들었기 때문에 벽이 된 것이다. 하나님은 인식의 대상이 아니다. 믿을 이일 따름이지. 다시 말하면 받아들일 하나 됨이지. 뜯어보고 알 물건이 아니다. 믿으면 아는 데에 이르지만, 감히 알기부터 먼저 하려 하면 뒤집힌다. 하나님을 정면으로 보면 죽는다고 했다. 그는 그 앞에 우리가 보일 이이지 우리가 볼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 앞에 나아갈 때는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려야 한다. 다시 말해 자기를 전적으로 부정해야 한다. 자기를 부정하면 입으로 불러 우상화한 하나님도 사라지고 영이 된다.
 
그런데 생각하는 인간이 그만 잘못 생각하여 자기를 절대 자유인 양 착각했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등을 돌리신 것이다. 하나님이 그럴 리가 없지만 사람이 스스로 그렇게 어두워진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이 변해 사탄으로 보이기 시작했다. “눈이 밝아져 선악을 알게 되었다”고 하지만, 참으로 밝아진 것이 아니라 사실은 어두워진 것이다. 살리는, 참인 선을 잃었으므로, 갈라진, 죽이는 선악이 보이게 된 것이다. 그래서 사탄에게 속았다는 것이다. 여인이 그 유혹에 넘어갔다지만, 그 ‘여인’이 누군가? 사람의 자아의식 곧 “나는 나다” 하는 생각이다. 그 생각이 하나님의 형상대로인 나를 속였다. 이로 부터 모든 것이 잘못되었다.
 
그 “나다” 히는 나는 참 나가 아니다. 참 나는 아들로 표시되는 지경이다. 둘이면서 하나란 뜻이다. 대립이 없다는 말이다. 예수가 “내가 아버지 안에 있고, 아버지가 내 안에 계신 다” 하신 지경이다. 그것은 창조의 뜻을 참으로 깨달은 말이다. 생각에서 지어져 나온 만물을 맨 첨같이 다시 살리는 말씀이다. 그러므로 그것을 “아버지께 영광을 돌린다. 아버지가 또 아들을 영화롭게 하신다”는 말로 표시했다. 생각에서 만물이 나왔지만, 생각하는 사람이 그것이 깨달으면서도, “나다” 하는 생각 때문에 잘못된 것을 그 맨 첨[元初的]의 생명으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그러지 않고는 생각하는 인간은 절대의 하나님의 압도 속에서 평안을 얻을 길이 없다.
 
그러므로 스스로 생각하는 인간이 하는 모든 일을 문명이요 발달이라 하지만 그것은 참말이 아니다. 모두 거짓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첨으로 아들 됨을 자각하여 다시 산 생명의 하 나됨에 돌아간 예수는 인간들을 향해 “당신들은 악마의 아들입니다. 그는 정녕 거짓말쟁이며 거짓말의 아비입니다” 했다.
이제 그 거짓말의 문명과 그 철학이 절정에 이르렀다. 첫 바벨탑의 운명이 그랬던 것같이 둘째 바벨탑의 운명도 멸망일 것이다. 기술은 행동으로 하는 거짓말이다. 기술이 절정에 오른 오늘의 철학이 거의 죽은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제 우리에게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참말이다.
참말은 참 생각에서 나온다. 그 참 생각은 어디 있을까? 모든 교리와 의식, 제도를 가득히 갖춘 여러 종교들은 금으로 테를 두른 그 경전을 들고 나올 것이다. 옳은 일이다. 그렇지만 되돌려 묻고 싶은 것은, 그러면 왜 그 경전을 가지고도 이 기울어지는 담 같은 문명을 건지지 못하는가? 그러면 아마 또 대답하기를, 우리가 하고 있지 않으냐, 시대가 달라졌다, 시간이 든다 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바로 거짓말인 것은 이 인간주의 문명의 필연적인 산물인 농촌과 공장과 전쟁터와 유흥가에 우글거리는 인간 아닌 인간의 무리가 잘 말해 줄 것이다. 그런 거짓말을 예수 시대의 바리사이파들이 했고, 춘추 전국 시대의 제자백가가 했으며, 중세기의 성직자가 했고, 석가모니 전과 후의 모든 철학자・종교가가 해 왔다. 말의 살리는 힘이 어찌 그 글자에 있을까? 그 입에 있다. 일러 말하기를 “하나님의 입으로 나오는 모든 말씀”이라 하지 않았나? 하나님이 어찌 입이 있을까? 그의 생각으로 뚫린 사람의 입이 곧 그것 아닌가?
 
아주 중요한 핵심을 말하면 지금 종교에 하나님의 사람이 없다. 그것은 종교까지도 현대 문명의 물결에 휩쓸려 거기 빠져 버렸기 때문이다. 생각해 보라. 오늘의 종교 중에 국가주의에 야합하지 않은 종교가 어디 있나? 하늘나라, 혹은 하나님 나라, 부처님 나라는 사실 없지 않은가? 그 나라가 없는데 그 사람이 어찌 있으며, 그 하나님의 사람이 없는데 하나님의 말을 어찌 전할 수 있을까? 진리는 완전한 것이기 때문에 한 점이 이지러져도 죽은 것이 되어 버린다. 이것이 현대 사람이 학문주의에 기울어 잘못된 아주 치명적인 점이다. 마음을 다, 뜻을 다, 영혼을 다…하던 것을 다 잊어버리고 이 세상주의에 떨어져 버렸다. 그러므로 그들의 최고는 크고 작고를 서로 다투는 이 정치적인 나라지 결코 하늘나라, 진리의 나라가 아니다.
 
이런 때에 진영상 님과 함께 간디의 「날마다 한 생각」을 우리말로 옮긴 것은 크게 뜻있는 일이다. 이야말로 “죽을 병에 청심환”이다. 간디처럼 제 나라를 사랑하고 제 종교에 충실한 사림이 어디 있을까? 옛날은 또 모르겠지만, 적어도 오늘 우리에게 그 숨결이 와 닿을 만치 가까운 사람은 간디뿐이다. 그런데 그 간디는 결코 정치의 사람이 아니라 생각의 사람이었다. 그는 참이 하나님이라 하리만큼 철저하고 거짓이 없었다. 그러므로 참에 반대된다면 인도(印度)를 버리기도 주저 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랬기 때문에 그는 인도를 건질 수가 있었다. 더구나 여기 내는 글은 무슨 논문도 아니요 전략도 아니요, 순수한, 하나님 앞에서 자기를 알기를 자기 신발의 티끌처럼 겸손히 여기는 마음의 사색에서 나온 생각이다. 그것은 모든 허깨비를 쫓아내고 오로지 하나님 안에서 완전히 자기를 잊고 살고 싶어하는 마음에서 솟아나온 말이다. 그것은 생명의 숨쉼이다.
 
그는 인류의 살 길을 보여주는 것이 없으면 인도는 존재의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고, 인도를 살리는 길은 촌락을 생각하는 생명체로 만드는 데 있다고 했으며, 촌락을 살리는 길은 봉사 생활에 있고. 봉사는 참을 지켜서만 가능하고, 참은 아힘사[不殺生]를 지켜서만 기를 수 있고, 아힘사는 부라마챠랴 곧 감각주의를 극복함으로써만 가능하고, 감성의 극복은 하나님에게 전적으로 돌아가야만 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사람들에게서 ‘마하트마’란 존칭을 받았다. 마하트마는 성인(聖人)이란 뜻이다. 돌아가신 유영모(柳永模) 선생님은 성인을 우리말로 ‘씻어 난 이’라 했다. 무엇을 씻는단 말인가? 생각을 씻음이다. 그릇된 생각으로 더러워진 생각을 씻고 씻어 영의 빛에 이름이다. 그래서 물과 영으로 다시 난다 하지 않았던가?
생각은 생각으로만 씻을 수 있다. 나라를 진정으로 사랑하고 인류의 장래를 마음 아프게 걱정하며 나 자신을 참으로 하나님께 바치고자 애쓰는 혼들에게 한번 씻음의 생명물을 권 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1981년 9월 15일   함석헌
 
----

책을 엮으면서
 
 
내 생애에 많은 위기가 있었지만, 그때마다 바푸여(Bapu, ‘아버지’ 라는 뜻의 인도 말. 글쓴이는 마하트마 간디를 ‘바푸’ 라고 부른다ᅳ옮긴이)께서 도움의 손길을 뻗어 나를 위기에서 건져 주고, 나를 내리막길에서 보호해 주셨다. 1943년 7월 20일에 내 아내 비댜(Vidya)가 세상을 떠났을 때 나로서는 가장 힘든 위기를 맞았다. 나에게는 내 아내가 바푸 다음으로 큰 영감의 원천이었기 때문이다. 바푸께서는 내 아내를 딸처럼 여기면서 진정으로 사랑해 주셨다.
그 무렵 바푸께서는 푸나의 아가칸 궁전에 억류되어 있었다. 그래서 그분이 1944년 5월 6일에 석방되실 때까지 나는 혼자 슬픔을 견뎌야만 했다. 1944년 6월 2일자 편지에서 바푸께서는 이렇게 밀씀하셨다.
“이젠 슬퍼하지 말아라. 네가 배워서 알고 있는 모든 것을 동원해야 한다. 여기 어느 여인이 내게 보내준 진실한 생각을 전한다. 속으로 깨달아라. 비댜는 죽은 것이 아니라, 자기가 머물던 육체를 떠나서 자기 때에 맞는 다른 새로운 몸을 가지려고 딴 곳으로 떠났을 뿐이다.”
그러면서 존경하는 카스투르바(Kasturba,간디의 부인ᅳ 옮긴이)가 세상을 떠났을 때 미국의 글렌 스나이더(Glen E. Snyder) 여사가 바푸를 위로하려고 그분에게 보냈던 아름다 운 글귀를 함께 적어 보내 주셨다.
 
당신은 말할 수도 없거니와 말해서도 안 되오,
그녀가 죽었다고.
그녀는 떠나갔을 뿐.
쾌활한 미소를 머금고
손을 흔들며
그녀는 미지의 땅으로 걸어 들어갔소.
얼마나 아름다운지 우리를 꿈꾸게 하면서.
 
그녀는 그곳에 머무니 그렇게 생각하시오.
그래서 그녀가 살아가고 있다고 여기시오.
그곳도 이곳처럼 사랑하면서.
그녀를 그 전처럼 똑같이 생각하시오.
그리고 말하시오,
“그녀는 죽지 않고 그저 떠났을 뿐”이라고.
 
그러나 아무리 “그녀가 죽지 않고 떠났을 뿐”이라고 믿으려 해도 아내를 여읜 슬픔을 달랠 수가 없었고, 내 마음은 계속 서글펐다. 1944년 6월 20일자로 보낸 또 하나의 기쁨의 편지에서 바푸께서는 이렇게 쓰셨다.
“비댜의 죽음을 너무 골똘히 생각하지도 말고 마음 산란해 하지도 말이라. 그가 육체로 살아 있을 때 네 삶의 영감이었다면. 그가 쉴 곳으로 간 지금은 더 큰 삶의 영감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그것이 진정한 영혼의 결합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예수의 경우가 대표적인 예이고, 가깝게는 라마크리슈나 (Ramakrishna)의 경우가 그렇다. 그들은 죽고 난 뒤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그들의 정신이 죽지 않았듯이 비댜의 혼 또한 죽지 않았다. 그러니 슬퍼하지 말고 네 앞의 의무에 대해 생각해라.”
 
1944년 7월 17일자 편지에서는 또 이렇게 쓰셨다.
 
“비댜는 위대한 성인이었어. 그의 마음은 금(金)같은 마음이었지. 자기 부정에 대한 열의가 대단했고, 그의 사랑은 바다 같았지. 너는 그러한 비댜에 걸맞는 사람이 되어야 해.”
 
바푸께서 1944년 9월 30일에 세바그람(Sevagram)으로 떠나신다는 소식을 듣고 나도 서둘러 세바그람으로 떠났다. 아슈람(Ashram)에서 바푸와 함께 보낸 여덟 주일과 그때 그 분이 내게 보여주신 사랑은 결코 잊을 수가 없다. 매일 아침 기도가 끝난 뒤 내가 그분의 축복을 받으러 발밑에 엎드리면 동정과 위로의 말씀을 들려주었을 뿐더러, 그날 내가 명상할 말씀을 종이에 적어 주기도 하셨다. 1944년 10월 13일부터 두 주일 동안은 날마다 써 주었고, 그 뒤로도 이따금씩 써 주셨다. 그분이 그렇게 슬픔에 잠긴 내 마음을 달래려고 적어 주신 명상의 글을 몇 개만 소개해 본다.
 
“하나님만 바라보려는 사람은 죽은 사림이든 산 사림이든 사람을 바라보는 일은 그만두어야 하네. 자네가 이것을 이해하면 이제 더 이상 슬퍼하지 않겠지.”(1944년10월13일)
 
“「다시 한 번」(Try Again)이란 시를 아는가? 포기하지 말게. 다른 믿음은 모두 허사라네. 오직 하나님만 믿게. 그것이 비댜의 죽음에서 배워야 할 것이지. 자네 사랑이 지금 시련을 겪고 있는 거네.”(1944년 10월 14일)
 
“하나님의 은혜는 하나님의 일을 해야만 얻을 수 있다. 하나님의 일을 해야 하네. 물레질은 하고 있는가? 물레질은 모든 희생 중에서 가장 위대한 희생이지. 울면서도 물레질을 해 야 하네.”(1944년 10월 15일)
 
“모든 일은 평화와 안정 속에서 가능하다. 물레질은 배고프고 괴로운 사람들의 위안이요 또한 밥과 의복이지 슬픔 가운데서도 물레질을 포기해서는 안 되네.”(1944년 10월 16일)
 
“한 순간도 헛되지 않게 그날 그날의 일을 배정해야 한다. 이것이 떠난 사람에 대한 진정한 사랑이다. 영국 사람들을 보게. 그들도 그 사랑하는 사람을 사랑하지만 그들은 그 사랑하는 사람을 잃으면 오히려 더욱 더 봉사하는 데 자기를 바친다네.”(1944년 10월 17일)
 
“죽은 사림이 산 사람과 의사소통을 한다고 분명히 말할 수는 없지만, 산 사람이 죽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니 우리는 가까운 사람이 죽었다고 해서 울어서는 결코 안 된다.”(1944년 10월 18일)
 
“하나님의 은혜는 하나님의 일을 해야 얻을 수 있다. 하나님의 일은 가난한 사람을 위하여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으로 봉사함으로써 할 수 있다.”(1944년 10월 18일)
 
“가난한 사람이 자네의 처지라면 어떻게 할까 생각해 보게. 그가 만일 아내를 잃었다면 전보다 두 곱절이나 일해야 하네. 가난한 사람도 하나님의 사람이 아닌가. 내면의 기쁨은 하나님의 일을 함으로써 얻는다네. 늘 가난한 사람의 처지에서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네. 그리고 자네의 귀먹음도 하나님의 축복으로 여겨야 해. 한 순간이라도 게으르게 지내는 것은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하는 일이지. 나는 이밖에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행복에 이르는 다른 어떤 길도 모르네.”(1944년 10월 19일)
 
“오늘은 자네에게 경사스런 날이다. 나는 자주 비댜를 울렸네. 비댜는 자네처럼 울곤 했지. 자기에게 하나님을 보여 달라고 조르면서 말이야. 그러면 나는 그를 꾸짖으며, 물레바퀴에서 하나님을 볼 수 있지 내 곁에 앉아서는 하나님을 볼 수 없다고 말해 주었네. 마침내 그는 그 진리를 깨달았어.”(1944 년 10월 20일)
 
“우리는 기계를 운전하는 사람인 동시에 기계이기도 하다. 우리의 몸은 하나의 기계이고 영혼은 그 기계를 움직이는 사람이다. 오늘 자네는 기계 같은 일을 자네 몸으로 택해서 나 에게 보고해야 한다.”(1944년 10월 20일)
 
“사람이 무슨 대상을 놓고 명상하든지 그것을 통해서 하나님을 보게 된다. 물레바퀴는 그 중 가장 좋은 매개체이고 그 결과 또한 분명 그렇다.” (1944년 10월 21일)
 
“아슈람 같은 단체가 존재하는 것은 사람이 그 자신과 같은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교제를 통해서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은 편지 왕래나 명상을 통해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우리가 날마다 툴시다스(Tulsidas, 간디가 영향을 많이 받은 라마야나의 작자)에 의지하여 살아가듯이, 돌아간 이들의 성스러운 말씀으로 사는 사람들도 있다.”(1944년 10월 21일)
 
“희망은 영원하다. 그에 대한 예배는 결코 헛되지 않다.” (1944년 10월 22일)
 
“자네가 나와 함께 있을 때 이무런 해도 없다. 그러나 나와 함께 있을 때는 마하데브(Mahaderv, 간디의 제자)나 크리파라니 (Kripalani, 간디의 제자)처럼 타그리(Takli)를 열심히 해야 한다. 그래야 하나님의 시간을 도둑질하지 않게 된다. 타그리는 우리의 침묵의 벗이다. 이는 시끄러운 소리를 내지도 않고 세상에 필요한 실(絲)을 제공해 준다. 타그리를 열심히 하는 동안은 모든 것을 들을 수 있고 볼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일에 몰두한다면 하나님의 은총으로 자네 귀가 밝아질 수도 있다고까지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카르마 요기 (Karma Yogi)가 될 때면 지네는 자네의 귀에 대해서는 거의 상관하지 않게 될 것이다. 나의 바나르선생(Vanar-Guru)은 일부러 귀를 막았다. 주위의 시끄러운 소리를 듣지 않으려고 말이야.” (1944년 10월 23일)
 
“나의 침착함과 나의 기쁨은 하나님을 전적으로 의지하는 데서 비롯한 것이다. 다시 말해 진리에 대한 흔들림 없는 믿음에서 나온 것이다. 나는 내 자신의 힘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을 안다. 니는 하나님 안에 있고, 내가 하는 것은 무엇 이든 하나님의 명령에 따른 것이다. 그러니 어떻게 불행해질 수 있겠는가? 하나님께서 나를 통해 하시는 일은 무엇이든 모두 나의 선(善)이 된다는 것도 안다. 이 모든 것을 알기 때문에 나는 행복을 지킬 수가 있다. 하나님이 내 아내 카스툴바를 데려가신 것은 카스툴바의 선을 위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내와 헤어진 것이 나에게는 슬픔이 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자네도 비댜의 죽음을 슬퍼하는 것이 죄가 됨을 알아야 한다.”(1944년 10월 24일)
 
이와 길이 바푸께서는 내 어지러운 마음에 평화를 가져다주려고 마음의 양식을 계속 주셨다. 그뿐만 아니라 내 몸의 건강에도 관심을 기울여, 내가 안드라 프라대쉬(Andhra Pradesh)의 비마바람(Bhimavaram)에서 자연 요법 과정을 이수하도록 해 주셨다. 그 과정을 밟기 위해 나는 1944년 11월 28일 그분 곁을 떠나야 했다. 내가 그 동안 바푸와 친밀한 동무가 되어 그분과 영감 넘치는 대화를 나눌 만큼 자랐다고는 해도, 바푸와 헤어지는 것은, 그분의 뜻에 따른 것이긴 하지만, 몹시 어려운 일이었다. 그래서 어쩔 줄 몰라하며 당황 하다가 한 가지 묘안을 떠올렸다. 날마다 좋은 글을 써서 보내 달라고 바푸께 부탁드릴 수 있지 않을까? 다음날 아침 일찍 그분께 이 생각을 밝혔다.
바푸께서는 아버지처럼 내 말을 귀기울여 듣고는 “참 좋은 제안이다” 하며 생각해 보겠노라고 하셨다. 바푸의 호의적인 대답에 비로소 마음이 안정되었다. 그 다음날 아침에 다시 부탁 드렸더니 여전히 생각중이라고 하셨다. 그래서 셋째날에 가서는, 언제나 생각이 떠오르면 곧바로 쓰실 수 있도록 적당한 종이 한 첩을 마련해서 바푸 옆에 갖다 놓겠다고 말씀 드렸다. 마침내 바푸께서는 그러겠노라고 하셨고, 나는 종이첩을 마련하여 1944년 11월 16일에 바푸께 갖다 드렸다. 그 다음 며칠 동안 잠잠히 있으면서 모든 일을 바푸가 뜻대로 하시도록 맡겨 두었다. 1944년 11월 22일 아침 바푸가 밝게 웃으며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을 때 내가 느낀 희열은 무엇이라 말로 표현할 수 없었다.
 
“아난드, 자네를 위해 쓰기 시작했어. 20일부터 써 오고 있네.”
 
그날부터 바푸는 나에게 ‘한 생각’을 계속 글로 써 주셨다.
1946년 6월 나는 푸나에서 다시 바푸를 만날 기회가 있었다. 그때 나는 바푸께서 그 동안 나에게 써 보내 주신 ‘한 생각’을 출판하도록 허락해 달라고 졸랐다. 그러자 바푸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것이 출판할 만한 값어치가 있을까? 만일 꼭 출판하고 싶으면 나 죽은 다음에나 하게. 내가 과연 내가 쓴 생각대로 살 수 있을는지 누가 알겠는가? 마지막 숨을 넘길 때까지 내 가 실제로 그 생각대로 산다면 혹시 출판할 만할지도 모르겠네.”
 
바푸께서는 계속해서 날마다 한 생각을 글로 쓰시다가 1946년 말경에 그 일을 멈추었다. 뒤에 1947년 3월에 한 보름 동안 뉴델리에서 바푸와 함께 지내게 되어 그 까닭을 여쭈었다.
 
“내 나오카리(Naokhali) 일을 (일을 을 모아 수행하기 위해 나는 모든 일을 접었다네. 아슈람도, 친구들도. 그리고「하리잔(Harijan)」지에 기고하던 일도. 모두 그만두었네. 그래서 자네에게 써 주던 매일 매일의 생각도 그만두게 되었네."
 
바푸께서는 2년 동안 ‘날마다 한 생각’을 써 주셨다. 이 생각들은 그분의 지혜와 성스러움의 알짬을 담고 있다. 마치 우유의 바다에서 버터를 짜내듯이 그의 마음의 바다에서 정수를 짜 내셨다. 나에게는 이 명상록이 무엇보다 큰 축복이여 유산이다.
내가 그분의 깊은 사랑을 받을 자격은 없지만. 이 말씀들은 바푸께서 내게 보여주신 사랑을 영원히 기억하게 해 줄 것이다. 내가 이 귀중한 사랑을 값있게 하고 또 항상 올바른 길을 걸어갈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지켜 주시기를 기도할 뿐이다.
이『날마다 한 생각』의 영문 번역본을 한 줄 한 줄 교정해 준, 존경하는 스리 바리바이 데사이(Shri Valjibhai Desai, 간디의 측근으로서 구자라드 비쟈피스Gujarat Vidyapith의 전교수이자 유명한 학자)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정말 소중한 그의 도움에 뭐라고 감사의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다.
  
                                                   1968년 10월 2일 아라하바드에서
                                                    아난드 힝고라니(Anand T. Hingorani)

---
간디 자서전을 옮기면서
 
 
나는 내가 하지는 못하면서도 남을 나무라기는 잘한다. 칼릴 지브란의『예언자』를 읽고는 왜 이날껏 이『예언자』를 번역한 사람도 하나 없었느냐 하고,『바가바드 기타』를 얻어 들고는, 이런 보배를 어째서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알려주지 않았을까 했다. 내가 나무라는 것은 당연하다. 나는 재지(才智)가 없으니 나은 선배들에게 기대할 수밖에 없다. 이 간디의 자서전도 그렇다.
 
아마 우리나라에서 외국 인물로서 일반 사람에게 가장 존경받는 것은 간디 아닐까? 그런데 3.1운동 이후 그렇게 좋아하는 간디인데 어째서 그 전기는 해방될 때까지 하나도 번역된 것이 없었는지 모른다. 나라가 씨알에게 있는 줄 알고, 씨알을 깨워주고 길러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요, 무엇보다 먼저 할 일이라면, 글을 배운 책임을 하기 위해서라도 씨알들에게 간디를 스승으로, 친구로 소개해 주었어야 할 것인데 아니했다. 생각해보자, 해방 전에 공산주의자들이 방방곡곡을 파고들어 쑤셨듯이, 간디의 사상과 투쟁 방법을 그만큼 씨알에게 알려주었더라면 일이 어떻게 됐겠나? 붉은 군대가 북한 사람을 속이려고 할 때에 가장 먼저 한 일이 조만식 선생을 내세우며 ‘조선의 간디’ 라고 했던 것을 생각해보자. 그것이 무슨 뜻인가? 자기네와는 180도 반대 방향의 간디인데 왜 그 이름으로 조선생을 내세웠을까?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백승(百戰百勝)이라, 조선놈을 잡으려면 조선놈의 심정을 알아야 할 것 아닌가? 우리는 도리어 그렇게 못했는데 우리 대적은 간디주의를 내세우면 조선놈은 다 속일 수 있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었다. 간디의 길은 그만큼 우리에게 들어맞는 길이었다. 그런데 아까울 손, 그것을 우리가 못했다는 말이다.
 
안타깝고 부끄러워하는 소리지, 남을 나무랄 것 있겠는가, 나를 채찍질해야지.
겨우 1958년에 와서야 ‘간디 연구회’란 것을 몇이서 시작했는데, 시작 하자마자 7월 서리를 맞았다. 그러나 이상기후를 탓해도 소용없고, 생명은 제 책임을 제가 만들어 지는 거다. 내가 했어야 할 것인데 약했다. 지금 와서야 솔직히 하는 고백이지만 모든 책임은 내게 있었다.
 
이번에 삼성출판사에서『간디 자서전』과 도로우의『시민의 불복종』을 한 권으로 만들어낼 것을 계획하면서 그 번역을 부탁해왔기 때문에 첫 마디에 응했다. 이제는 간디가 유명은커녕 잊혀지려 하고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 사양할 여유도 없었다. 그러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책상 앞에 앉아 번역에 몰두할 수 없었다. 그때 다른 것은 별로 없으나 걱정되는 것이 둘이 있었다. 하나는 병석에 누워 7년 동안 몸을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고 언제나 한 사람이 옆에 있어야 하는 늙은 아내요, 그 다음은 약속해 놓은 간디의 자서전이었다. 다행히 일을 잘 풀려 일을 할 수는 있었으나 너무 늦어서 삼성출판사에 대해 미안하기 짝이 없다. 본래 6월 말까지 약속한 것인데 9월 15일로, 또 10월 15일로 연기를 하다가 이제 11월 15일이 됐으니 사과를 단단히 해야 할 것이다.
 
지연은 됐지만 그 대신 얻은 것이 많다. 병석에 있던 아내는 그 고통의 부르짖음으로 내 속에 들어 있는 죄악의 뿌리를 들추어내고, 그것을 청소하고 책상에 앉아 간디를 대하면 폭풍 속을 가르고 나가는 사공의 모습이 보였다. 이리하여서 나는 지난 70여 년보다 이한 해에 배운 것이 더 많다.
이번은 정말 한 자 한 자, 내 부족한 영어 실력으로 할 수 있는 힘을 다하여서 하노라고 했고, 첫 번 번역에서 잘못이 있던 것도 더러 발견한 것이 있다. 그래서 스스로 전보다는 간디에 조금 더 가까이 선 것 같은 느낌이다.
 
독자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 될 수록이면 주를 많이 달려했으나 그래도 출처를 알 수 없어 못한 것이 많고, 혹시 잘못된 것이 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고유명사의 발음은 어쩔 도리가 없었다. 도저히 인도인들이 하는 대로는 할 수가 없고 부득이 보통 하는 로마자 발음대로 하는 수밖에 없었다. 독자들의 양해를 빈다.
여러 군데서 눈시울이 뜨거워 그냥은 써 내려갈 수가 없어서 손수건을 찾곤 했다. 특히 말하고 싶은 것은 간디의 인격적 매력이라 할까, 영어로 한다면 참말 스위트한 점이 있다. 선배의 존경을 어쩌면 그렇게 하는지 자기의 위대함은 전연 잊고 그저 어린애처럼 선배를 위한다. 자기의 위대함을 잊으니 정말 위대하지 않겠는가?
 
끝으로 부질없는 내 탄식이나 적자. 내가 10년 전에 이 태도로 간디를 읽었다면 내가 조금 다른 사람이 됐을 것이요, 우리나라 역사도 조금 달라진 것이 있을지도 모른다. 아, 그러나 지나간 것이 문제랴, 앞이 문제지. 간디는 간디고 나는 나야 하지.        
 
                                                                                                                            함석헌
 
 
 
 
영문 번역자의 머리말
 
 
간디의 자서전 초판 두 권으로 출판이 됐었다. 1권은 1927년에, 2권은 1929년이다. 정권 1루피의 구자라트어 원판은 5판을 거듭하는 동안 근 5만 부나 나갔다. 영문 번역판(문고판으로 나온)의 값은 인도인으로서는 너무 비싸기 때문에 염가판의 필요를 느낀 지 오래다. 이제 이것을 단권으로 낸다.
번역을 『영 인디아』에 연재로 낼 때는 다행히 구자라트어 판을 수정을 해가면서 할 수 있었는데, 이번에는 전체에 걸쳐 다시 자세한 수정을 했다. 또 언어면에서 특히 영문학에 소양이 깊은 친구가 세밀히 수정을 해주어서 다행으로 여긴다. 그는 그 일을 맡으려 할 때 자기의 이름은 발표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승낙을 했고 나도 그 조건을 능낙했다.
 
말할 필요도 없지만 나는 그럴수록 더욱 고맙게 생각한다. 제5편의 29장부터 43장까지는 내가 1928-29년 브룸필드 위원회에서 주최한 바르돌리 농업연구회에 나가 있는 동안 나의 친구요 동업자인 파렐랄이 번역한 것이다.
 
                                                                                                      1940년 마하데브 데자이
 
 
 
머리말
 
 
나와 일을 같이 하는 몇몇 분의 권고에 따라 나는 자서전을 쓰기로 했는데, 쓰기 시작하여 첫 장을 넘기자마자 봄베이에 폭동이 일어나 일은 중단되어버렸다. 그 후 연달아서 사건들이 계속 일어났고 나는 결국 예라브다(Yeravda) 감옥에 투옥되고 말았다. 나와 함께 감옥에 들어갔던 사람 중의 하나인 제람다스(Jeramdas)씨는 나더러 만사를 젖혀놓고 그 자서전을 완성하도록 하라고 권하였다. 나는 이미 내 공부를 위하여 순서를 짜놓았었기 때문에 그 과정을 다 마칠 때까지는 다른 일은 생각 할 수 없다고 하였다. 내가 만일 예라브다에서 내 형기를 다 치렀더라면 나는 자서전을 정말 끝낼 수도 있었을 것이다. 아직 한 해가 남아 있어서 내 일을 마치려면 마칠 수 있었다. 그런데 그때에 나는 석방이 되었다. 그런데 이제 와서 스와미 아난드(Swami Anand)가 다시 그 제안을 해왔는데, 나는 남아프리카에서의 진리파지운동(眞理把持運動)의 역사를 쓰던 것도 다 마쳤으므로, 자서전에 손을 대서『나바지반』(Navajivan) 지(誌)에다 내자는 생각이 들었다. 스와미는 따로 단행본으로 내자고 하지만 내게 그럴 시간의 여유가 없다. 나는 매주 계속해서 한 장씩밖에 쓸 수가 없다.『나바지반』에는 어차피 매주 무엇을 써야 하니, 그러면 자서전이라고 해서 안될 것이 없지 않은가? 스와미도 나의 제안에 동의하여 지금 나는 이것을 부지런히 쓰고 있다.
 
그런데 한 경건한 친구가 그것에 대해 의문을 품고 나의 침묵일(沈默曰)에 내게 이렇게 말하였다. “무엇 때문에 그런 모험을 할 생각이 들었습니까?” 하고 그는 물었다. "자서전을 쓴다는 것은 서양 사람만이 하는 짓입니다. 내가 알기로는 동양에서는 서양식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자서전을 쓴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또 쓴다 합시다, 무엇을 쓰시렵니까? 생각해봅시다. 오늘 당신이 주의 주장으로 내세우시던 것을 내일 가서 버리시게 될 때 오늘 당신이 세웠던 계획을 장차 고치시게 될 경우에 입으로거나 글로거나 당신의 하신 말씀을 표준으로 삼고 행동해오던 사람들이 방황할 것 같지 않습니까? 자서전 같은 것은 그만두시는 것이, 적어도 아직은 쓰시지 않는 것이 좋지 않습니까?”
 
그 주장을 듣고 나니 어느 정도 그렇기도 했다. 그러나 내가 뜻하는 것은 정말 자서전을 쓰려는 것은 아니다. 나는 다만 나의 수많은 진리 실험의 이야기를 해보자는 것뿐이다. 그런데 내 생애는 그러한 실험들만으로 되어 있으니, 이야기는 자연히 자서전의 형태를 가지게 될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정말 매 페이지마다 나의 실험 이야기밖에 쓴 것이 없다 하더라도 나는 걱정하지 않는다. 이 모든 실험을 앞뒤를 가려서 관련된 이야기로 하기만 한다면 나는 그것이 읽는 이에게 유익함이 없지 않으리라고 믿는다. 적어도 그렇게 스스로 믿는다고 자위하고 싶다. 정치적 분야에서의 나의 실험은 인도뿐 아니라 어느 정도는 온 ‘문명 된’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내게는 그 일들은 큰 가치가 없다. 그 일들 때문에 내게 주어진 마하트마의 칭호는 더군다나 가치가 없다. 그 칭호는 내게 깊은 고통을 준 일이 많다. 그것이 내 마음을 흐뭇하게 해 주었다고 생각되는 때는 한 번도 없다. 내가 정말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나만이 알 수 있는 정신적 분야에서의 나의 실험이요, 실상 내가 정치적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었던 그 힘은 여기서 얻어진 것이었다. 그리고 그 실험들이 참으로 정신적인 것일진대 제 자랑의 여지는 있을 수가 없다. 그것은 다만 나의 겸손을 더할 뿐이다. 나의 지난날들을 돌아보아 반성하면 할수록 나는 더욱 나의 부족을 느낄 뿐이다.
 
내가 성취하려고 원하는 것, 지금껏 30년 동안 성취하려고 싸우고 애써온 것은 자아(自我)의 실현이다. 하나님의 얼굴과 얼굴을 마주 대고 봄이다. ‘모크샤’에 도달함이다. 나는 이 목적을 달성하려고 살며 움직이며 존재하는 것이다. 내가 말로나 글로나 행하는 모든 것, 그리고 내가 정치적 분야에서 한 모든 모험은 다 이 한 목표를 지향한 것이다. 그러나 나는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이면 누구나 할 수 있다고 믿어온 사람이기 때문에 나의 실험은 골방에서 되어진 것이 아니고 드러내놓고 한 것이었다. 그리고 나는 이 사실이 그 정신적 가치를 손상시킨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람의 일에는 자기와 자기의 창조주만이 아는 것들이 있다. 그것은 꼬집어 말로는 할 수 없는 것이다. 내가 말하려는 실험들은 그런 것들이 아니다. 그것은 정신적인 것들이다. 혹은 그 보다도 도덕적이라고 하는 편이 나을지 모른다. 종교의 알짬은 도덕이기 때문이다.
 
종교적인 일 중에서도 나이든 사람뿐 아니라 어린이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것만을 여기서 이야기하기로 하겠다. 내가 그 이야기를 냉정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할 수 있다면 많은 실험자들이 정진(精進)하는 데 필요한 양식을 거기서 발견할 것이다. 나는 절대로 이 실험에 있어서 다소라도 완전했다는 생각을 할 수는 없다. 과학자가 자기의 실험을 더할 수 없는 정확과 신중과 정밀을 가지고 행하면서도 자기가 얻은 결론에 대해서 결코 완전을 주장함이 없이 언제나 융통성 있는 태도를 가지는 것처럼 나도 내 실험에 대해 과학자 이상의 것을 주장하지 않는다. 나는 엄밀한 자기성찰을 했고, 나 자신을 샅샅이 뒤졌으며 모든 심리적 상태를 조사하고 분석했다. 그렇지만 나는 결코 내 결론이 완전하다든지, 잘못이 없다든지 하는 말을 하지는 않는다. 한 가지만은 내가 분명히 주장할 수 있겠는데, 그것은 즉 내게는 그것이 절대로 옳다고 생각 됐으며, 그때 현재로는 그것이 완전으로 보였다는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았다면 내가 그것을 내 행동의 기초로 삼지 않았을 것이다. 나는 매 걸음마다 취사선택의 순서를 밟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행동하였다. 그러므로 내 행동이 내 이성과 양심에 어긋나지 않는 한 나는 내 당초의 결론을 굳게 지키지 않으면 안된다.
 
내가 만일 학문적 원리를 토론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삼았다면 자서전은 아예 쓰려고 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렇지 않고 내 목적은 이 원리들을 실제에 적용했던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자는 데 있었으므로 내가 쓰고자 하는 이 글의 제목을『나의 진리실험의 이야기』(The Story of my Experiments with Truth)라고 정했다. 이 안에는 물론 비폭력의 실험, 독신생활의 실험 등, 진리와는 다르다고 생각되는 그밖의 여러 가지 행동의 원리들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내게 있어서는 진리는 최고의 원리요, 다른 여러 가지 원리는 그 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 진리는 말의 진실뿐만 아니라 또 행동의 진실이기도하다. 또 우리의 생각으로 하는 상대적인 진리만이 아니라 절대적인 진리, 영원한 진리 곧 하나님 자신이기도 하다. 하나님의 정의는 무수하다. 하나님의 나타나심은 무한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놀라움과 두려움에 압도되어 대번에 어리둥절해 버린다. 그러나 그를 진리로 대할 때만 나는 그를 예배할 수 있다,나는 아직 그를 발견하지 못했지만 그를 찾고 있다. 그를 찾기 위해서라면 내게 가장 소중한 것이라도 즐겨 희생할 것이다. 바쳐야 하는 그 희생이 비록 나의 생명이라 할지라도 나는 즐겨 바쳤으면 한다. 그러나 내가 절대의 진리를 아직 깨닫지 못하는 한 내가 이해하고 있는 이 상대적 진리를 굳게 잡는 수밖에 없다. 이 상대적 진리 가 그때까지는 나의 등대요, 나의 작은 방패요, 나의 큰 방패다. 이 길이 비록 험하고, 좁고, 면도날같이 날카로울지라도, 그것이 내게는 가장 가깝고 가장 쉬운 길이다. 나의 히말라야 산맥 같은 실책조차도 내게 대해 아무것도 아니었던 것은 내가 이 길을 엄격하게 지켜왔기 때문이었다. 그 길은 나를 실패에 빠지지 않게 건져주었고, 나는 내 빛을 따라 앞으로 앞으로 나아갔던 것이다. 앞으로 나아가는 동안 나는 종종 ‘절대진리’, 곧 하나님의 희미한 모습을 볼 수 있었고, 따라서 그이만이 참이요, 다른 모든 것은 다 참이 아니라는 확신이 날마다 자라났다. 누구나 원하거든 내게서 이 확신이 어떻게 자라났는가를 알아보기 바란다. 할 수 있거든 나의 실험에도 참여하고 나의 확신에도 참여하기 바란다. 내게 가능한 것이면 어린아이들에게도 가능하다는 확신이 가면 갈수록 내 속에서 자라났고, 또 내가 그렇게 말하는 데는 상당한 이유가 있다. 진리탐구의 방법은 어렵다면 어렵지만 또 쉽다면 쉽다. 교만한 어른에게는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보이겠지만 순진한 어린이에게는 온전히 가능한 것으로 여겨질 것이다. 진리를 찾아가는 자는 티끌보다도 겸손해져야 한다. 세상은 티끌을 그 발밑에 짓밟지만 진리를 찾는 사람은 티끌에게 조차도 짓밟힐 수 있으리만큼 겸손해져야 한 다. 그런 다음에야만 비로소, 진리의 한 별견(瞥見)을 얻을 수 있을 것이요, 그렇지 않는 한 아니 될 것이다. 바시슈다(Vasishtha)와 바슈바미트라(Vashvamitra)의 대화는 이것을 명백히 밝혀주고, 기독교와 회교도 역시 이것을 충분히 증거하고 있다.
 
이 글 중에 조금이라도 내 자랑을 했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다면 나의 진리탐구에 뭔가 잘못된 점이 있다고 생각하여야 할 것이고 내가 어렴풋이 봤다는 것도 신기루에 지나지 않았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나 같은 것은 천백이 망하더라도 진리는 왕성해야 한다. 나 같은 잘못 많은 인간들을 심판함에 있어서 티끌만큼이라도 진리의 표준을 낮추어서는 아니 된다.
아무도 이 자서전 속에 여기저기 들어있는 권고의 말을 명령하는 것으로 알지 않기를 믿고 또 바란다. 이 실험담은 하나의 실례로 알아야 할 것이요, 각자는 자기의 의향과 능력에 따라 자기의 실험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한정된 범위 안에서 하면 이 실험담은 정말로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왜냐하면 꼭 이야기할 필요가 있는 것이면 나는 아무리 창피스러운 일이라도 숨기지도 줄여서 말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나는 내 모든 실수와 잘못을 독자들에게 충분히 알리고 싶다. 내 목적은 내 실험을 진리파지의 과학에 의해 서술하자는 것이지 내가 어떻게 잘했느냐를 말하잔 것이 아니다. 내 자신을 판단함에 있어서 나 는 진리 자체같이 엄격해야 하는 것이며, 또 다른 사람들도 그렇기를 바란다. 이 표준에 의하여 나를 저울질할 때 나는 수르다스(Surdas)와 함께 이렇게 부르짖지 않을 수 없다.
 
나같이 불쌍한 그렇게 악하고 못난 것이
세상에 또 어디 있을 수 있느냐?
내 창조주를 내버렸었구나.
그토록 나는 믿음이 없었구나.
 
왜냐하면, 그분께서 내 생명의 숨의 마디마디를 다 주장하고 계시며, 나를 낳으신 것이 그분임을 내가 분명히 알고 있는데, 그분에게서 내가 아직도 이렇게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은 내게는 끊임없는 고통이기 때문이다. 나를 붙들어 그분에게 못 가게하고 그분으로부터 멀리 있게 하는 것이 내 속에 있는 저 나쁜 정욕인 것을 나는 알고 있다. 그러면서도 나는 그것을 떼어버릴 수가 없다.
그러나 이만 그칠 수밖에 없고, 나는 다음 장에서부터 사실 이야기를 시작하여야 한다.
 
 
                                                                                                              1925년 11월 26일
                                                                                                              사바르마티 아슈람
                                                                                                              M.K. 간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