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07

최현민 > 일본종교 연구 > 제8장 2. 엔도 슈사쿠를 통해 본 일본 그리스도교

최현민 연구실 > 일본종교 연구 > 제8장 2. 엔도 슈사쿠를 통해 본 일본 그리스도교

25 제8장 4. 일본개신교의 시작 2 관리자 09-05 707

24 제8장 4. 일본 개신교의 시작 관리자 09-05 767

23 제8장 3. 2) 정통그리스도교 신학과 자유신학 3) 한국… 관리자 09-05 781

22 제8장 3. 일본그리스도교와 천황제 관리자 09-05 703

21 제8장 2. (4) 엔도슈사쿠의 깊은강에서 드러난 하느님 관리자 09-05 797

20 제8장 2. (4) 엔도슈사쿠의 <깊은 강>에서 드러… 관리자 09-05 831

19 제8장 2. (3) 후미에를 통해 본 일본그리스도교 관리자 09-05 841

18 제8장 2. 엔도 슈사쿠를 통해 본 일본 그리스도교 관리자 09-05 873

17 제8장 일본 그리스도교- 1. 일본그리스도교의 전래 관리자 09-05 698

===

제8장 2. 엔도 슈사쿠를 통해 본 일본 그리스도교

2014-09-05 

===

2. 엔도 슈사쿠를 통해 본 일본 그리스도교


엔도 슈사쿠라는 가톨릭 작가의 문제 의식을 통해 전통 그리스도교가 일본 문화 안에서 왜 뿌리를 내리기 어려운지 살펴보기로 하자. 

오늘날 한국에서는 그리스도교 신도가 총 종교인구의 약 25%에 해당되는 데 반해, 일본 그리스도교 신자수는 전체 인구의 1%에 해당된다. 
그것은 일본이라는 문화에, 일본인들의 마음자리에 그리스도교가 먹혀 들어가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리스도교와 일본문화는 마치 물과 기름처럼 섞이기 어려운 뭔가가 있는가? ~~은 엔도 슈사쿠 작품 안에 잘 녹아 있다. 따라서 그의 작품을 읽는 것은 일본 그리스도교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엔도 슈사쿠는 일본의 풍토 안에서 그리스도 신자로서 자신이 겪는 갈등 문제를 자기 작품 안에 그대로 녹여서 표현했다. 그가 쓴 대부분의 소설에는 그러한 문제의식이 잘 나타나 있으므로 그의 소설을 통해 일본 그리스도교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1) 엔도 슈샤쿠(1923-1996)의 생애와 침묵의 배경

침묵이라는 작품을 살펴보기에 앞서 엔도 슈사쿠의 생애에 대해 먼저 언급할 필요가 있다. 
어렸을 때 그의 모친은 아버지로부터 버림을 받고 이혼을 당했다. 엔도 슈샤쿠는 자신도 아버지와 함께 어머니를 배반했다는 죄의식을 갖고 있었다. 그는 어머니로부터 가톨릭신앙을 물려받았다. 그는 고백하기를 나는 어머니로부터 양복을 받은 셈이다. 이 양복은 일본인인 내 몸에 잘 맞지 않았다. 몸에 안 맞는 양복을 입었을 때 느껴지는 어색한 느낌이 바로 자신이 지닌 그리스도교 신앙이라고 그는 고백한다.
그는 신앙을 버리는 것은 어머니를 버린다는 느낌을 가졌으므로 그리스도교를 버릴 수도 없었다. 그래서 뭔가 자기 몸에 맞는 그리스도교를 만들려는 문제의식 속에서 작품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침묵>이라는 소설은 그의 나이 44세 되는, 1966년 작품이다. 작품 배경은 그리스도교를 박해했던 17세기 초,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세바스찬 로돌리코는 요셉 페켈러라는 예수회 선교사로 일본에 들어왔다가 결국 배교하고 일본 여자와 결혼해서 오카야마라는 이름으로 64세까지 살았던 실제 인물을 모델로 하고 있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또 한 인물인 페레이라 역시 예수회 선교사이다. 그는 로돌리코에 앞서 일본에 와서 선교활동을 한 로돌리코의 스승으로 로돌리코가 존경했던 사람이었다. 그런데 일본 선교에 성공했던 페레이라가 배교하는 엄청난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그의 배교 소식을 듣고 로돌리코는 어떻게 자신이 존경하던 스승께서 배교할 수 있단 말인가 하는 의문을 지니고 일본으로 건너오게 되었다.

<침묵>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좀 더 살펴본다면, 그것은 일본에 그리스도교가 토착화되려면 전통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변형되어 갈 것인가 라는 문제의식이다. 전통 그리스도교의 신관은 아버지로서의 신이었다. 이러한 신관이 엔도 슈사쿠에 와서 <침묵>이라는 소설 끝에서 나타나듯이 어머니로서의 신관으로서 변형이 일어난다. 전통 그리스도교의 신관이 아버지로서의 신관이었다면, 엔도 슈사쿠에 와서 일본 그리스도교의 신관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시도한 것이 어머니로서의 신관이다.

(2) 어머니로서의 하느님

<침묵>이라는 소설 이후에도 엔도 슈사쿠는 어머니로서의 모습을 띤 하느님의 모습을 소설의 문제의식으로 삼았다. <깊은 강> 외 다른 소설들에서도 이를 확인해볼 수 있다. 즉 어머니로서의 하느님은 어떠한 하느님인지를 그리는 것이 엔도 슈사쿠의 소설 주제라 할 수 있다.

 어머니로서의 하느님은 인간과 함께 하시는 동반자로서의 하느님이시다. 초월적인 하느님으로서 우리와 무관한 분이 아니라 자신을 밟고 있는 사람들의 마음자리를 이해하는 하느님, 배교하는 사람의 심정과 함께 하는 하느님. 엔도는 그런 하느님을 그리고 싶었던 것이다.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유태인들을 총살할 때 다른 유태인들이 보는 앞에서 한다고 한다. 어느 날 한 유태인이 ‘하느님이 어디 있는가?’ 하고 독백하자 옆에 있던 사람이 ‘하느님은 죽어가는 저 사람들 옆에서 함께 죽어가고 있다’ 고 대답했다고 한다. 엔도 슈사쿠가 말하려던 어머니로서의 하느님 역시 인간의 고통과 무관한 하느님이 아니라 그들의 고통에 동참하시는 하느님이었다. 그는 그런 하느님을 그리려고 노력한 것이다.

엔도 슈사쿠는 일본에서 그리스도교라는 종교는 마치 일본인이 몸에 안 맞는 서양 양복을 입은 것에 비교할 수 있다고 했다. 일본인의 감성에 전통 그리스도교 사상이 잘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맞출 수 있나? 어머니라는 이미지를 동원해서 맞춘다고 했지만 그래도 아직 잘 ~~가 남아있다. 

일본인의 감성이 무엇이길래 그런 차이가 생겨났을까? 
엔도가 본 일본인의 감성은 자연 속에 자신을 몰입시키고 죽음과도 화해하는 감성이다. 
절대신이나 죄에 대해 무감각적으로 반응하는 일본인의 감성에 그리스도교는 잘 맞지 않다.
엔도 슈사쿠는 일본인의 감성에 걸맞은 신을 생각했고 거기서 나온 것이 어머니로서의 이미지를 지닌 신이다. 
사실 어머니로서의 신관은 엔도 슈사쿠에게서만 찾아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그리스도교는 위엄을 갖춘 아버지로서의 신관보다 어머니로서의 이미지에 대해 더 많이 말하고 있다. 
초월적인 신관아버지로서의 신관이라면 어머니로서의 신관포월적인 신관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포월적 하느님이라는 표현은 ‘기어가시는 하느님’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초월적인 신은 하느님과 세상 사이에 간격이 있다면, 포월적인 신은 그들의 역사 안에 함께 하신 분이시다. 
구약성경은 유대인들의 역사 안에 하느님이 어떻게 함께 하셨는지 그들의 체험을 써 놓은 것이다. 여기에서 그들 체험의 핵심은 출애급 사건이다. 그 사건을 중심으로 성서가 씌어졌다. 이 사건에 대한 체험이야말로 유대인들의 신앙의 핵심이다. 유대인들이 이집트에서 탈출해서 시나이 광야를 지나 약속의 땅인 가나안으로 가는데 자그마치 40년이라는 세월이 걸렸다. 
어떻게 갔길래 40년이나 걸렸을까. 기어갔다는 것이다. 이는 하느님이 그들의 삶에 함께 하셨음을 의미한다. 사실 구약성경에서는 출애굽 사건을 중심으로 유대인들이 체험한 바로 그 하느님이 창조주임을 고백하고 있다.

어머니로서의 하느님이 사실 그리스도교에서 말하려는 신관에 가깝다고 보기 때문에 엔도 슈사쿠의 작품은 일본 그리스도교 안에서 새롭게 조명받아 왔다.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어머니로서의 하느님의 모습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 돌아온 탕자의 비유를 들 수 있다. 돌아온 탕자에 나타난 아버지의 모습이야말로 예수께서 알려주고자 한 하느님의 모습이다. 아들 둘에게 재산을 똑같이 나눠주었는데 큰 아들은 집에 남아 일을 했고 작은 아들은 가출해서 재산을 모두 탕진하고 먹을 것도, 입을 것도 없자 집으로 돌아왔다. 아버지는 아들이 돌아온 것을 보고는 맨발로 달려가 아들을 껴안았다. 이 이야기를 통해 예수께서 말씀하고자 한 것은 하느님이 어떤 분이신가 하는 것이다. 재산을 다 탕진하고 빈털터리가 되어 돌아온 아들을 맨발로 나가 맞으며, 죽었던 내 아들이 돌아왔네 하며 껴안고 돌아와서 잔치를 벌리는 분이 바로 하느님이시라는 것이다.

구약성서에서의 신관신약성서에서의 신관은 차이가 있다. 구약성서는 아버지의 이미지가 강하게 드러난다. 이에 반해 예수는 ‘돌아온 탕자’에서와 같은 이미지의 하느님을 얘기하면서 율법중심주의에 바탕을 둔 신관을 뛰어넘는 신앙을 제시하려고 했다. 예수가 체험한 하느님은 ‘압바’였다. 예수는 하느님을 ‘압바’라고 불렀다. ‘압바’라는 표현은 한국말의 ‘아빠’와 뉘앙스가 유사하다. 하느님을 아빠라고 부른 것은 하느님에 대한 전폭적인 신뢰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스도 신앙인이란 예수가 체험한 하느님을 자신의 하느님으로 고백하는 이들이다. 
예수를 통해 새롭게 경험된 하느님을 자신의 하느님으로 고백하는 사람들이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만들었고 그것이 오늘날의 그리스도교 교회가 되었다. 
예수가 빠진 그리스도교는 있을 수 없다.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의 가르침을 통해 하느님을 만난다. 그래서 엔도 슈사쿠는 그리스도의 얼굴에 포인트를 맞추고 그의 얼굴을 통해서 새롭게 하느님을 찾고자 했다. 

그리스도교는 희랍 철학과 만나 그리스도 신학을 형성해 나갔는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했다. 이 그리스도교 신학이 플라톤의 이데아와 만나면서 그리스도교의 본래 정신이 변형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희랍 철학의 껍질을 벗겨내고 원시그리스도교로 돌아가자는 운동은 본래 예수의 정신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최현민 > 일본종교 연구 > 제8장 2. (4) 엔도슈사쿠의 깊은강에서 드러난 하느님

최현민 연구실 > 일본종교 연구 > 제8장 2. (4) 엔도슈사쿠의 깊은강에서 드러난 하느님

25 제8장 4. 일본개신교의 시작 2    관리자 09-05 707

24 제8장 4. 일본 개신교의 시작    관리자 09-05 767

23 제8장 3. 2) 정통그리스도교 신학과 자유신학 3) 한국…    관리자 09-05 781

22 제8장 3. 일본그리스도교와 천황제    관리자 09-05 703

21 제8장 2. (4) 엔도슈사쿠의 깊은강에서 드러난 하느님    관리자 09-05 797

20 제8장 2. (4) 엔도슈사쿠의 <깊은 강>에서 드러…    관리자 09-05 831

19 제8장 2. (3) 후미에를 통해 본 일본그리스도교    관리자 09-05 841

18 제8장 2. 엔도 슈사쿠를 통해 본 일본 그리스도교    관리자 09-05 873

17 제8장 일본 그리스도교- 1. 일본그리스도교의 전래    관리자 09-05 698


===

제8장 2. (4) 엔도슈사쿠의 깊은강에서 드러난 하느님

2014-09-05


<범신론과 범내재신론>


일본은 기본적으로 범신론적인 측면이 있다. 범신론은 범내재신론(凡內在神論)과 구별할 필요가 있다. 범신론에서는 자연 자체를 신으로 여기는 데 반해 범내재신론은 존재하는 모든 삼라만상 내에 신이 존재한다고 본다. 신이 활동하신다는 활동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즉 범신론은 존재 자체를 신으로 여기지만 범내재신론은 하느님이 활동하신다고 본다

그리스도교 교회에서는 범신론적 사상은 이단으로 간주해왔다. 그럼 범내재신론은 어떻게 보는가?

현대신학자인 매튜 폭스원복(original blessing)을 강조한다. 종래 그리스도교에서는 원죄 사상을 강조해온데 반해 매튜 폭스는 원복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하느님이 인간을 창조했을 때 원죄있는 존재로 창조한 게 아니라, 하느님의 모상을 닮은 축복받은 존재로 창조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메튜폭스의 신학 사상에 범내재신론적인 측면이 농후하다 하여 가톨릭 교회는 그를 파문시켜버렸다. 매튜 폭스는 원래 도미니코 수도회 소속 사제였는데 교회로부터 파문당한 후 성공회로 개종했다. 교회는 오류 없는 집단이 아니다. 옛날부터 지금까지 인간은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기 때문에 계속 오류를 저지르고 오류 속에서 성찰하고 변화해가면서 살아가고 있다. 범내재신론 역시 교회가 계속 성찰해야할 과제임에 틀림 없다.


<일본 그리스도교의 박해사>

<침묵> 소설은 교회박해를 배경으로 씌어졌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등장하면서 그리스도 금령이 내려진 것은 1587년이다. 그 후 1596년에 펠리페호 사건이 일어났다. 스페인 선박이 일본에 들어왔을때 그 배에 탄 스페인 선원이 스페인이 영토를 확장하려 한다는 소문을 퍼트렸다. 당시는 포르투갈, 스페인이 세력을 펼치던 시기였다. 스페인은 동남아시아에 선교사를 보내서 주민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후 일본을 침략하려 한다고 선원이 소문을 낸 것이다. 

이것이 도요토미 히데요시 귀에까지 들어갔다. 히데요시는 기독교를 가만히 두면 안 되겠다 생각하고 모든 선교사들에게 추방령이 내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남아있던 프란치스코회 신부님들 중 1597년 남아 있던 6명이 발각되고 말았다. 이 6명의 신부님들과 20명의 신자들이 이때 순교를 당함으로써 26명의 순교성인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히데요시가 죽고나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막부를 열었다. 이에야스는 가톨릭 150개 교회를 모두 파괴시켜버렸다. 처음에 그가 정권을 잡았을 때는 관대함을 좀 보였으나 1614년에 다시 그리스도교 금교령을 내렸다. 그 후 1619년 교토에서 박해가 일어나 25명이 순교했고 1622년에는 나가사키에서 박해가 일어나 55명이 순교했다. 나가사키는 사실 선교사들이 처음 정착했던 곳이다. 일본 다른 지역에서는 그리스도교인을 찾아보기 힘든데 나가사키는 주민 대부분이 그리스도교 신자이다. 

1623년에는 에도에서 박해가 일어나 50명이 순교했고 1627년에 운젠에서 16명이 순교했다. 이것은 문헌으로 확인된 순교자의 숫자이다. 이 사람들을 포함해서 에도막부 시대 순교자는 총 4045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사실 기록에 남아있지 않은 수까지 합치면 4만 명 정도 될 것으로 본다. 실로 엄청난 박해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박해와 함께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배교하기를 강요당했고 후미에 제도도 약 1650년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침묵> 소설도 후미에 사건과 깊은 관련이 있음은 앞서 말한바 있다. 순교하는 방법도 십자가형, 화형, 열탕을 붓는 고문, 거꾸로 매달려서 귀에 구멍을 뚫어 죽게 하는 방법 등 각양각색의 방법이 동원되었다. 당시 그리스도인 중에 순교한 사람들은 이런 고문을 당하면서 죽어간 것이다.

도쿠가와 이에야스 시대에 가톨릭 신자 수는 약 200만 명이었다. 그러다가 선교사가 완전히 모습을 감추게 된 것이 1644년, 그 후 서서히 가톨릭도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1853년에 안세이 조약으로 인해 서구와의 문호 개방이 이뤄졌는데 1644‐1853년 사이에 가톨릭 교회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약 20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지하 신앙공동체가 형성되어 면면히 맥을 이어갔고 한참 뒤에야 개신교 선교사들이 일본에 들어왔다. 개신교는 1859년 일본에 돌어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개신교는 순교의 역사없이 일본에 정착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