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10

모리스 블랑쇼 - 위키백과, Maurice Blanchot

모리스 블랑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리스 블랑쇼
Maurice Blanchot
작가 정보
출생1907년 9월 22일
프랑스 손에루아르 드브루즈
사망2003년 2월 20일
프랑스 이블린 메닐생드니
직업소설가, 문학비평가

모리스 블랑쇼(Maurice Blanchot)는 프랑스의 소설가문학비평가철학자로, 1907년 9월 22일 손에루아르 드브루즈 코뮌의 마을, 캥에서 태어나 2003년 2월 20일 이블린 메닐생드니에서 사망했다. “그는 일생 동안 전적으로 문학에 몸을 바쳤고 자신의 특질인 침묵에 전념했다.”[1]

모리스 블랑쇼와 반유대주의극우파와의 관계는 수차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블랑쇼가 1930년대에 선택한 정치적 노선은, 전쟁 동안, 특히 프랑스 해방 동안 그가 보여준 태도로 인하여, 그리고 공산주의와 극좌파에 참여한 것으로 상쇄되었다. 그는 알제리 전쟁에 반대하여 적극적으로 운동을 벌였으며, 68운동에 참여하며 드골 정권과 싸웠다.

블랑쇼의 사상과 저술은 1950년대와 1960년대 프랑스 문화 전반에 걸쳐, 프랑스론(論)French Theory이라 불리는 학설의 대표 인물들에게 있어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생애

[편집]

모리스 블랑쇼는 1907년 9월 22일 드브루즈(손에루아르)에 위치한 마을, 캥의 유복한 환경에서 태어났다. 불랑쇼는 1925년까지 스트라스부르에서 독일어와 철학을 공부했다. 그는 악시옹 프랑세즈에 드나들었고, 끝이 은으로 된 지팡이를 갖추고 거닐었다. 

블랑쇼가 엠마뉘엘 레비나스를 만난 건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였다. "당대 정치에 있어 나와 의견차가 있던 그는 왕정주의자였다." 블랑쇼는 "서로 말을 놓았던 (존칭인 vous가 아닌 친칭인 tu로 칭한다는 뜻) 엠마뉘엘 레비나스, 유일한 친구— 아, 동떨어진 친구—; 말을 놓았던 것은 단지 우리가 어려서 그런 것이 아니고, 숙고하여 내린 결정이니, 절대 깨지 않으리라 희망하는 약속이다."라며 말한다. (<우정을 위하여>). 

1928년, 블랑쇼는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독해를 마친다. "엠마뉘엘 레비나스 덕택에, 그가 없었다면야 나는 1927년이나 1928년부터 <존재와 시간> 강독을 시작할 수조차 없었을 것이다. 이 책은 내게 진정한 지적 충격을 주었다. 최고의 사건이 벌어진 것이다. 지금에서도, 내 기억속에서도, 이 충격을 완화하는 건 불가능하다."(크리스토프 비당 인용, p. 44). 

블랑쇼는 1929년 파리에서 고등 교육 자격(1966년 이전의 학위로 석사 학위에 대응하나 실제로는 학사 학위에 더 가까움)을 받으며, 이후 1930년 소르본에서 회의론자들의 독단론 개념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학위를 취득한다. 이후 그는 생트안 병원에서 신경학과 정신의학 전문으로서 의학을 수련했다.

소설책

[편집]
  • 토마 알 수 없는자 (Thomas l'Obscur) (1941)
  • 아미나다브 (Aminadab) (1942)
  • 죽음의 선고 (L'Arrêt de mort) (1948)
  • 지극히 높은 자 (Le Très-Haut) (1949)
  • 최후의 남자 (Le Dernier homme) (1957)
  • 기다림 망각(L'Attente l'oubli) (1962)
  • 저 너머로의 발걸음 (Le Pas au-delà) (1973)
  • 대낮의 광기 (La Folie du jour) (1973)
  • 나의 죽음의 순간 (L'Instant de ma mort) (1994)

사유책

[편집]
  • 불의 몫 (La Part du feu) (1949)
  • 문학의 공간 L'Espace littéraire (1955)
  • 도래할 책 (Le Livre à venir) (1959)
  • 무한한 대화 (L'Entretien infini) (1969)
  • 우정 (L'Amitié) (1971)
  • 재앙의 글쓰기 (L'Ecriture du désastre) (1980)
  • 카프카에서 카프카로 (De Kafka à Kafka) (1981)
  • 밝힐 수 없는 공동체 (La Communauté inavouable) (1983)
  • 다른 곳에서 온 목소리 (Une voix venue d'ailleurs) (2002)
  • 정치 평론 1953-1993 (2003)
====
モーリス・ブランショ
モーリス・ブランショ
Maurice Blanchot
生誕1907年9月22日
フランスの旗 フランス共和国ソーヌ=エ=ロワール県、ドゥヴルーズ
死没2003年2月20日(95歳没)
フランスの旗 フランスイル=ド=フランス地域圏、ル・メニル=サン=ドニ
時代20世紀の哲学、21世紀の哲学
地域西洋哲学
学派大陸哲学、美的経験の現象学
研究分野の哲学、存在論倫理学文学文学理論文芸批評言語哲学政治哲学
主な概念"Le neutre"(中性的なもの)、死への権利、二種類の死
テンプレートを表示

モーリス・ブランショ(Maurice Blanchot、1907年9月22日 - 2003年2月20日)は、フランス哲学者作家批評家。通称“顔の無い作家”。ストラスブール大学卒業。戦前のポール・ヴァレリーに比せられる戦後最大のフランスの文芸批評家であるという評価が定着している。

生涯

[編集]

フランス・ソーヌ=エ=ロワール県のドゥヴルーズに生まれる。ストラスブール大学ドイツ語哲学を学んだ。在学中、一つ歳上で、同じくストラスブール大学に在籍していた哲学者エマニュエル・レヴィナスと親交を結んでいる。また大学時代にはアクション・フランセーズなどの影響を強く受け、自らも右翼思想に接近。マルティン・ハイデッガーの『存在と時間』と出会ったのもこの頃であり、ハイデッガー哲学との対話・対決は、その後長らくブランショの課題の一つとなった。

極右のジャーナリスト

[編集]

ブランショは、極右機関紙『コンバ(戦闘)』の右翼イデオローグとして文筆活動を開始し、ラディカルな極右の論陣を張る。ピエール・アンドリューのドリュ=ラ=ロシェル伝(Pierr Andreu/Frederic Grover:DRIEU LA ROCHELLE.1979)によれば、ブランショは、1930年代には、後に対独協力派ファシスト作家となるピエール・ドリュ=ラ=ロシェルの秘書をしていた。当時、ブランショは、ブルジョワ社会と議会制民主主義を拒絶し、マルクス主義の物質への偏向を批判し、犠牲を厭わぬ英雄的な行動によって現状を打倒し、フランスの精神的価値を高めようとの主張を繰り返していた。ただし、彼の思想は、現状に対する“拒否”の精神の重視と革命の意義の賞賛の二点で通例の右翼思想と異なっており、この点がのちにブランショを右翼的立場から転換させる大きな契機となったのではないかと西谷修は指摘している。なお、『謎の男トマ』をはじめとするブランショの初期の作品は、この頃に既に書き始められていた。

転向と第二次大戦

[編集]

1930年代末頃、ブランショは、政治的な活動から身を引き、文学活動に沈潜するようになる。『謎の男トマ』初版を刊行した1941年には、ジョルジュ・バタイユと知り合い、彼をはじめとする非共産主義的な左翼の担い手たちとも交友するようになる。またユダヤ人レヴィナスとは大学時代からの親交が続いていた。 第二次世界大戦中のブランショについては、親ドイツ的中立のヴィシー政権で職に就いていたとの報告がある一方で、二つの伝記的事実が公にされている。ユダヤ人哲学者レヴィナスの親族を第二次世界大戦中のユダヤ人狩りから匿ったことと、バタイユの主著『内的体験』の執筆過程に参与したことである(これはバタイユ自身の証言がある)。当時の状況でユダヤ人を匿ったこと、そして、バタイユが戦前からナチスフリードリヒ・ニーチェ濫用を咎め精神分析理論を活用してその政治的な力学を批判的に分析していたことを考え合わせれば、戦中においてすでに彼の政治的姿勢は転向を経たものであったことがわかる。もっとも、それゆえに前記のピエール・アンドリューは、ブランショの転向について「もっとも信用のおけない人物」と酷評している。転向後のブランショの立場を要約して説明することは難しいが、大まかに捉えて右翼的立場から左翼的立場に転じたことは確かだと思われる。極右時代のブランショも含めた知識人たちの反ユダヤ主義を研究したジェフリー・メールマンの『巨匠たちの聖痕』があるにしても、彼の「転向」後の政治的態度は一貫しており、みずからの転向についての考えはその著作から窺い知ることはできないが、推測することは難しくない。

ナチズムの成立・侵略と第二次世界大戦の経験はブランショに大きな衝撃を与えた。とりわけホロコーストはブランショにとって決定的な出来事となり、彼はのちに繰り返しこの大虐殺について語ることになる。その彼の痛恨の思いは、例えば『問われる知識人』と題された一文の末尾の、ルネ・シャールの断章を引用しつつ語った部分に表れている。また戦争末期にドイツ軍(といってもドイツ人は指揮官だけで兵士はウラソフ[要曖昧さ回避]軍出身のロシア人だったが)に銃殺されかかり助かった経験は、のちのブランショの人生と著作に大きな影響を及ぼした。フョードル・ドストエフスキーの処刑直前の恩赦の体験に比する人もあるこの体験は、例えば小説『白日の狂気』に反映されており、最後の小説となった『私の死の瞬間』ではこの体験がそのまま用いられている。

顔なき作家

[編集]

戦後、ブランショは、執筆活動に専念し、創作と思索を深めていくことになる。1946年にバタイユが創刊した雑誌「クリティック」の編集に協力しながら、書くとはどういうことかについて考察し、ステファヌ・マラルメフランツ・カフカエクリチュールに見出した書き手の不在や死の経験を、また無為や忘却といった事柄を書くことそのものに結びつけていくことになる。戦後のブランショは顔写真一枚公開することなく、ただ書かれたテクストを書物として提示するのみとなるが、それは「書くとはどういうことか」について考えていく中で彼が辿りついた、「書くその場において、そして書かれたものにおいては書き手は不在となる」ということを自ら引き受けたことを示すものでもある。このことから、ブランショは、「顔なき作家」「不在の作家」と呼ばれるようになる。

小説と批評の両面において注目されるようになったブランショは、1955年に『文学空間』を発表した。さまざまな文学者や文学作品を論じながら、マルティン・ハイデッガー存在論を批判的に応用し、書くことについて、エクリチュールについて、について、「非人称の死」について、そして書くにあたって書き手が潜り彷徨う場としての「文学空間」について論じたこの本によって、ブランショは文学についての思想・思考に新たな一歩を記し、批評の新しい局面を開くとともに、現代思想の最前線に位置する思想家として知られるようになる。ブランショの影響はロラン・バルトをはじめ多くの批評家思想家に見られ、その反響は特にポスト構造主義の哲学者たちに見出せる。また彼は同年にアラン・ロブ=グリエの小説『覗くひと』の評価をめぐって起きた「ヌーヴォー・ロマン論争」においてはロラン・バルトらとともにロブ=グリエ擁護の論陣を張るなど、20世紀後半の文学の新しい展開とその評価の確立にあたっても大きな役割を果たした。その後は小説と批評とが接近する様相を見せはじめ、1962年、小説『期待 忘却』や1973年、評論『彼方への一歩』ではどちらも断章が連ねられた形式がとられている。

政治的には、エミール・ゾラジャン=ポール・サルトルのような、知識人として公衆の面前に姿を現して意見や主張を述べ自らの影響力の大きさを利用して社会を動かそうとする政治参加の手法に批判的立場をとりつつ、自らの政治的活動を模索することになる。アルジェリア戦争の際には、アルジェリアの独立を阻止しようとするフランス政府を批判し、マルグリット・デュラスディオニス・マスコロらとともに命令に対するフランス軍兵士の不服従を擁護する「121人宣言」に署名したりした。デュラスらとは、1968年五月革命でも共に「作家学生行動委員会」を組織し、街頭行動にも参加して、無署名文書を執筆したことでも知られる(ブランショはデュラスに対して作家としても高い評価を与え、「彼女の書いたいくつかの本をもはやそれ以上に先はないほど完璧に」愛したことがあると語っており、デュラスも小説『ユダヤ人の家』をブランショに捧げている)。五月革命はブランショにとって重要な意味を持った事件のひとつであり、ジャン=リュック・ナンシーの『無為の共同体』に触発されて書かれた論考『明かしえぬ共同体』では彼自身の共同体についての思想やレヴィナスの他者論などが織り交ぜられながら“68年5月”が振り返られている。

晩年になるにつれ次第に著作の発表が間遠になったが、それでも執筆は続けられた。1994年には、自らが銃殺されかかった体験を簡潔かつ慎重な文体によって記した小説『私の死の瞬間』を発表して反響を呼ぶ(ジャック・デリダの『滞留』は、この小説に触発されたデリダ自身の講演をもとにしている)。これ以降のブランショの著作はどれも評論、論考であった。2003年、95歳で死去。フランスでは新聞各紙が大きく取り上げ、デリダは墓地でのブランショの葬儀に際して参列者を前に弔辞を読んでいる。死去発表の4日後に「ル・モンド」紙に掲載された、アメリカの対イラク戦争に反対する市民活動「Not in our name(我々の名において為すな)」のアピールにはブランショの署名も記されていた。

作風と思想

[編集]

ブランショは、その文学的営為の根本において、マラルメフランツ・カフカから多大な影響を受けた。日常的な言葉(物事や情報を道具的に交換するための言葉)ではない本質的な言葉として文学的言語を考えたマラルメの視点、また本質的な言葉によって創られた純粋な作品においては語り手・書き手は消滅して「語に主導権を譲る」というマラルメの考えは、ブランショの創作においても文学思想においても決定的な重要性を持っている。同様に、カフカが日記やノートに書き記した様々な記述、例えば死や非人称的なものと書くこととの密接な関わりを記した箇所や、「私」から「彼」への移行によって文学の豊かさを経験したと記した箇所などからも、ブランショは絶大なインパクトを受けている。この二人からの影響を継承し、また友人たちや他の文学者・思想家たちと交流し感応しながら、ブランショは小説においても批評においても独自の地歩を達成していった。

小説について、『謎の男トマ』や『アミナダブ』、『至高者』などの初期の作品では、ジャン・ジロドゥーやカフカの影響が見られ、一応は小説的でありつつも既に従来のリアリズムからの逸脱・転倒が起きている。また、これらの作品での主人公の体験する彷徨や紆余曲折が、ブランショの文学批評における「書き手の彷徨」や「死を潜ること」と対応していると見る評者もいる。『死の宣告』以降はさらに伝統的リアリズムからの離脱が進み、作品の簡約化・簡潔化が進むと共に、次第に登場人物の固有名が明かされない傾向が強くなっていく(1950年に刊行された『謎の男トマ』改訂版で大幅な削除・短縮が行われたことに、このような作風の変遷が典型的に表れているとされる)。名前のわからない1人称の語り手による回想という形式の作品がいくつか続くなかで、作品の突き詰めはいっそう進み、『期待 忘却』では物語そのものが断片化・断章化され、そのなかでの名前の無い男女の対話がおこなわれるという形をとる。晩年の最後の作『私の死の瞬間』では語り手自身の問いかけを孕んだ簡潔な筆致によって一人の男の銃殺されかかる体験(ブランショ自身の実体験である)が記された。

文学思想においては、前述のマラルメやカフカをはじめ、ライナー・マリア・リルケフリードリヒ・ヘルダーリンアルベール・カミュハーマン・メルヴィルなどさまざまな作家・詩人の批評を通して、自らの思想を提示した。日常の活動的な「営み」から逸脱した「無為」として文学活動を捉え、その無為のさなかで作家は自らの死に臨み、死を前にして自らを支配し続け、顕現する非人称的なもののさなかを潜り、まさに「文学空間」を彷徨うのだ、それが書くということなのだと語るブランショは、その行為をオルペウスの冥界下りになぞらえている(このオルペウスというモチーフもマラルメを経由している)。神秘神学ユダヤ思想とも共鳴しながら提示されたブランショの文学思想は、それまでの「創作とは何か」ということについての考えに大きな変化をもたらすとともに、ロラン・バルトの『エクリチュールの零度』と並んで、現代思想におけるエクリチュールの問題の前景化に多大な役割を果たした。

また、ブランショは、文学理論家とだけ見られることも多いが、その思想の射程はずっと広範囲にわたっている。たとえば、ブランショは、死について「死においては、〈私〉が死ぬのではなく、〈私〉は死ぬ能力を失っている」と考え、バタイユらとともに死を「経験できないものの経験」「不可能な経験」として論じた最初の世代である。[要出典]また『文学空間』以降、ナチスに加担したハイデッガーの哲学への内在的批判を継続的に続けた。『友愛』などでの友愛についての論考、『明かしえぬ共同体』での共同体及び共同性についての思索も重要であるほか、現代思想における主体批判とそれ以降の思想の向かう先をそれぞれの思想家が論じた評論集『主体の後に誰が来るのか?』にも参加している。マルクス主義共産主義に対する論考でも重要な論点を示しており(ブランショは共産主義に対し、批判しつつも避けがたい重要な課題だと考える両義的な態度をとっていた)。ダニエル・ベンサイードは、『友愛』のなかでブランショがカール・マルクスについて述べた箇所を「過去の多くの注釈やテーゼよりも、はるかに多くを語っている」と讃えた。また、デリダは、『マルクスの亡霊たち』の中で、ブランショが提起した問題を論じている。晩年には、エマニュエル・レヴィナスの哲学やユダヤ思想への傾倒を強め、ミシェル・フーコーが『自己への配慮』などの著作や講義などで古代ギリシャを取り上げたことに対して、それはヘブライでもよかったのではないかと書き記した。

フーコーが青春時代を回顧して「僕はブランショになろうと熱望していた」と述懐し、また『外の思考』などの著作においてブランショに言及していることや、ジル・ドゥルーズが「ブランショこそが死の新しい概念を作り上げた」と称賛していることは注目すべきである。ジャック・デリダも、その文体からしてブランショの圧倒的影響下にあり、『滞留』や『境域』などの著作で、ブランショに言及している。また、日本の哲学者田邊元も、晩年に「マラルメ論」を執筆する際、前年に出版されていたブランショの『文学空間』を取り寄せ精読していた。また、ブランショの友人であったエマニュエル・レヴィナスは、ブランショに関する論考(『モーリス・ブランショ』として出版)を発表している。

著作

[編集]

小説

[編集]
  • Thomas l'obscur (1941年) ※初版『謎のトマ』
  • Aminadab (1942年) 
    • 『アミナダブ』清水徹訳、集英社、1967年、新版1978年 - 各「世界文学全集」
      • 新版『アミナダブ』書肆心水、2008年
  • Le Très-Haut (1948年) 
  • L'Arrêt de mort (1948年) 
  • Thomas l'obscur (1950年) ※新版で大幅に改訂
    • 『謎の男トマ』菅野昭正訳、新潮社「現代フランス文学13人集 第4巻」、1966年
    • 『謎のトマ』篠沢秀夫訳、中央公論新社、2013年
    • 『謎の男トマ』門間広明訳、月曜社、2014年
  • Au moment voulu (1951年) 
    • 『望みのときに』谷口博史訳、未來社、1998年
  • Le ressassement éternel (1951年)
    • 『永遠の繰言』(牧歌/窮境の言葉)- 『ブランショ小説選』書肆心水、2005年
      • 中・短篇小説選で、他に『謎の男トマ』菅野昭正訳、『死の宣告』各・三輪秀彦訳
  • Celui qui ne m'accompagnait pas (1953年) 
    • 『私についてこなかった男』谷口博史訳・解説、書肆心水、2005年
  • Le Dernier Homme (1957年) 
    • 『最後の人』-「最後の人/期待 忘却」豊崎光一訳、白水社、1971年、新版2004年ほか
  • L'Attente, l'oubli (1962年) 
  • La folie du jour (1973年) 
  • Après Coup, précédé par Le ressassement éternel (1983年) (『事後的に 永遠の繰り言』)
  • L’instant de ma mort(1994年)、短篇 
    • 『私の死の瞬間』郷原佳以訳 - ジャック・デリダ「滞留 ポイエーシス叢書」未來社、2000年 収録

批評、論考

[編集]
  • Comment la littérature est-elle possible ? (1942年)(『文学はいかにして可能か』)
  • Faux pas (1943年) 
    • 『踏みはずし』神戸仁彦訳、村松書館、1978年
    • 『踏みはずし』粟津則雄訳、筑摩書房、1987年
  • La part du feu (1949年) (『火の部分』)
    • 『焔の文学』 重信常喜訳、紀伊国屋書店、1964年
    • 『虚構の言語 焔の文学Ⅱ』 重信常喜・橋口守人訳、紀伊国屋書店、1969年
      • 『完本 焔の文学』重信常喜・橋口守人訳、紀伊国屋書店、1997年
  • Lautréamont et Sade (1949年) 
  • L'espace littéraire (1955年) 
  • La Bête de Lascaux (1958年) (『ラスコーの野獣』)
  • Le livre à venir (1959年) 
  • L'entretien infini (1969年) 
    • 『終わりなき対話 Ⅰ・Ⅱ・Ⅲ』、湯浅博雄ほか全8名訳、筑摩書房、2017-18年
  • L'amitié (1971年) (『友愛』)
  • Le pas au-delà (1973年) (『彼方への一歩』)
  • 『マラルメ論』粟津則雄・清水徹訳、筑摩叢書、1977年
  • 『カミュ論』粟津則雄・清水徹訳、筑摩叢書、1978年
  • L'écriture du désastre (1980年) (『災厄のエクリチュール』)
  • De Kafka à Kafka (1981年) 
    • 『カフカ論』粟津則雄訳、筑摩叢書、1968年、増補版1977年
    • 増補版『カフカからカフカへ』山邑久仁子訳、書肆心水、2013年
  • La communauté inavouable (1983年) 
    • 『明かしえぬ共同体』西谷修訳、朝日出版社、1984年、ちくま学芸文庫、1997年
  • Le dernier à parler (1984年) (『最後に語る人』)
  • Michel Foucault tel que je l'imagine (1986年) 
    • 『ミシェル・フーコー 想いに映るまま』田中淳一・若森栄樹訳、朝日出版社、1985年
  • Joë Bousquet (1987年)
  • Une voix venue d'ailleurs - Sur les poèmes de LR des Forêts (1992年) (『他処から来た声――ルイ=ルネ・デ・フォレの詩について』)
    • Une voix venue d’ailleurs (2002年) (『他処から来た声』)新版
      • 『他処からやって来た声』守中高明訳、以文社、2013年。4名の作家論
  • Pour l'amitié (1996年) 
    • 『友愛のために』清水徹訳、〈リキエスタ〉の会、2001年。小冊子
  • Les intellectuels en question (1996年)
    • 『問われる知識人―ある省察の覚書』安原伸一朗訳、月曜社、2002年
  • Henri Michaux ou le refus de l'enfermement (1999年) (『アンリ・ミショー あるいは閉塞の拒否』)
  • Ecrits politiques (1958-1993) (2003年) 
    • 『政治論集 1958~1993』安原伸一朗・西山雄二・郷原佳以訳、月曜社、2005年
  • Chroniques littéraires du "Journal des Débats" (2007年)
  • Lettres à Vadim Kozovoï (1976-1998)" (2009年)
  • La Condition critique. Articles, 1945-1998" (2010年)
  • 『書物の不在』L'absence de livre、中山元訳、月曜社、2007年、第2版2009年。小冊子
  • 『文学時評 1941~1944』水声社、2021年
郷原佳以・門間広明・石川学・伊藤亮太・高山花子訳

共著

[編集]

作家論

[編集]

脚注

[編集]

外文文献

[編集]
  • Michael Holland (ed.), The Blanchot Reader (Blackwell, 1995)
  • George Quasha (ed.), The Station Hill Blanchot Reader (Station Hill, 1998)
  • Michel FoucaultMaurice Blanchot: The Thought from Outside (Zone, 1989)
  • Jacques Derrida, Demeure: Fiction and Testimony (Stanford, 2000)
  • Emmanuel LevinasOn Maurice Blanchot in Proper Names (Stanford, 1996)
  • Leslie Hill, Blanchot: Extreme Contemporary (Routledge, 1997)
  • Gerald Bruns, Maurice Blanchot: The Refusal of Philosophy (Johns Hopkins Press, 1997)
  • Christophe Bident, Maurice Blanchot, partenaire invisible (Paris: Champ Vallon, 1998) ISBN 978-2-87673-253-7
  • Hadrien Buclin, Maurice Blanchot ou l'autonomie littéraire (Lausanne: Antipodes, 2011)
  • Manola Antonioli, Maurice Blanchot Fiction et théorie, Paris, Kimé, 1999.
  • Élie Ayache, L'écriture Postérieure, Paris, Complicités, 2006.
  • Éditions Complicités: "Maurice Blanchot de proche en proche", collection Compagnie de Maurice Blanchot, 2007
  • Éditions Complicités: "L'épreuve du temps chez Maurice Blanchot", collection Compagnie de Maurice Blanchot, 2005
  • Éditions Complicites: "L'Oeuvre du Féminin dans l'écriture de Maurice Blanchot", collection Compagnie de Maurice Blanchot, 2004
  • Françoise Collin, Maurice Blanchot et la question de l'écriture, Paris, Gallimard, 1971.
  • Arthur Cools, Langage et Subjectivité vers une approche du différend entre Maurice Blanchot et Emmanuel Levinas, Louvain, Peeters, 2007.
  • Critique n°229, 1966 (numéro spécial, textes de Jean Starobinsky, Georges Poulet, Levinas, Paul de Man, Michel Foucault, René Char...).
  • Jacques Derrida, Parages, Paris, Galilée, 1986.
  • Jacques Derrida, Demeure. Maurice Blanchot, Paris, Galilée, 1994.
  • Mark Hewson, Blanchot and Literary Criticism, NY, Continuum, 2011
  • Eric Hoppenot, ed., L'Œuvre du féminin dans l'écriture de Maurice Blanchot, Paris, Complicités, 2004.
  • Eric Hoppenot, ed.,coordonné par Arthur COOLS, L'épreuve du temps chez Maurice Blanchot, Paris, Complicités, 2006.
  • Eric Hoppenot & Alain Milon, ed., Levinas Blanchot penser la différence,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Paris X, 2008.
  • Mario KopićEnigma Blanchot (Pescanik, 2013)
  • Jean-Luc Lannoy, Langage, perception, mouvement. Blanchot et Merleau-Ponty, Grenoble, Jérôme Millon, 2008.
  • Roger Laportel'Ancien, l'effroyablement Ancien in Études, Paris, P.O.L, 1990.
  • Lignes n°11, 1990 (numéro spécial contenant tout le dossier de La revue internationale).
  • Pierre Madaule, Une tâche sérieuse ?, Paris, Gallimard, 1973, pp. 74–75
  • Meschonnic, HenriMaurice Blanchot ou l'écriture hors langage in Poésie sans réponse (Pour la poétique V), Paris, Gallimard, 1978, pp. 78–134.
  • Ginette Michaud, Tenir au secret (Derrida, Blanchot), Paris, Galilée, 2006
  • Anne-Lise Schulte-Nordholt, Maurice Blanchot, l'écriture comme expérience du dehors, Genève, Droz, 1995.
  • Jadranka Skorin-KapovThe Aesthetics of Desire and Surprise: Phenomenology and Speculation (Lexington Books, 2015).
  • Jadranka Skorin-KapovThe Intertwining of Aesthetics and Ethics: Exceeding of Expectations, Ecstasy, Sublimity (Lexington Books, 2016)
  • Daniel Wilhelm, Intrigues littéraires, Paris, Lignes/Manifeste, 2005.
  • Zarader, Marlène, L'être et le neutre, à partir de Maurice Blanchot, Paris, Verdier, 2000.
  • Fitzgerald, Kevin, "The Negative Eschatology of Maurice Blanchot" (master's thesis, New College of California, 1999) http://www.studiocleo.com/librarie/blanchot/kf/tocmn.html
  • Philippe Lacoue-LabartheEnding and Unending Agony: On Maurice Blanchot. New York: Fordham University Press, 2015.

関連項目

[編集]

====

모리스 브랜쇼

모리스 브란 쇼
Maurice Blanchot
탄생1907년 9월 22일 프랑스 공화국 · 소느=에=로아르현 , 두브루
프랑스 국기
사망2003년 2월 20일 (95세) 프랑스 · 일=드=프랑스 지역권 , 르메닐=산=드니
프랑스 국기
시대20세기 철학, 21세기 철학
지역서양 철학
학파대륙 철학 , 미적 경험의 현상학
연구분야죽음 의 철학, 존재론 , 윤리학 , 문학 , 문학 이론 , 문예 비평 , 언어 철학 , 정치 철학
주요 개념"Le neutre"(중성), 죽음에 대한 권리, 두 종류의 죽음
템플릿 보기

모리스 브란 쇼 (Maurice Blanchot, 1907년 9 월 22일 - 2003년 2월 20일 )는 프랑스 철학자 , 작가 , 비평가 . 통칭 " 얼굴이 없는 작가 ". 스트라스부르 대학 졸업. 전전 폴 발레리 에 비해 전후 최대 프랑스의 문예 비평가라는 평가가 정착하고 있다.

평생

편집 ]

프랑스 소느 =에=루아르현 의 두브루즈에서 태어난다. 스트라스부르 대학 에서 독일어 와 철학을 배웠습니다. 재학 중 한 세상에서 마찬가지로 스트라스부르 대학에 재적하고 있던 철학자 에마뉘엘 레비나스 와 친교를 맺고 있다. 또한 대학 시대에는 액션 프랑세즈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자신도 우익 사상에 접근. 마틴 하이데거 의 ' 존재와 시간 '을 만난 것도 요즘이며, 하이데거 철학과의 대화·대결은 그 후 오랫동안 브랜쇼의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

극우 저널리스트

편집 ]

브란쇼는 극우기관지 '콤바(전투)'의 우익 이데올로그 로서 문필활동을 시작해 라디컬한 극우 논진을 펼친다. 피에르 앤드류의 드류 라 로셸 전(Pierr Andreu/Frederic Grover: DRIEU LA ROCHELLE. 1979)에 따르면, 브란쇼는 1930 년대 에는 나중에 대독 협력파 의 파시스트 작가가 되는 피에르 드류= 라=로셸 의 비서를 하고 있었다. 

당시 브란쇼는 부르주아 사회와 의회 제민주주의를 거절하고, 마르크스 주의 물질에 대한 편향을 비판하고, 희생을 괴롭히지 않는 영웅적인 행동에 의해 현상을 타도하고, 프랑스의 정신적 가치를 높이려고 주장을 반복하고 있었다. 

다만 그의 사상은 현상에 대한 “거부”의 정신의 중시와 혁명의 의의의 칭찬의 2점으로 통례의 우익사상과 다르고, 이 점이 후에 브랜셔를 우익적 입장에서 전환시키는 큰 계기 가 된 것이 아닐까 니시타니 슈 는 지적하고 있다. 덧붙여 「수수께끼의 남자 토마」를 비롯한 브랜쇼의 초기 작품은, 이 무렵에 이미 쓰기 시작되고 있었다.

전향과 제2차 대전

편집 ]

1930년대 말 무렵, 브란쇼는 정치적인 활동에서 벗어나 문학 활동에 침잠하게 된다. 『수수께끼의 남자 토마』 초판을 간행한 1941년 에는, 조르주 바타이유 와 알게 되어, 그를 비롯한 비공산주의적인 좌익의 담당자들과도 교우하게 된다. 또 유대인 의 레비나스 와는 대학 시절부터의 친교가 계속되고 있었다제2차 세계대전 중의 브랜쇼에 대해서는, 친 독일적 중립의 비시 정권 에서 직업을 취하고 있었다고 하는 보고가 있는 한편, 2개의 전기적 사실이 공개되고 있다. 유대인 철학자 레비나스의 친족을 제 2 차 세계 대전 중의 유대인 사냥으로부터 익힌 것과 바타이유의 주저 '내적 체험'의 쓰기 과정에 참여한 것이다 (이것은 바타이유 자신의 증언이 있다). 당시의 상황에서 유대인을 익힌 것, 그리고 바타이유가 전전부터 나치 의 프리드리히 니체 남용을 훔쳐 정신 분석 이론을 활용해 그 정치적 역학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 전중에 벌써 그의 정치적 자세는 전향을 거친 것임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상기 피에르 앤드류는 브랜쇼의 전향에 대해 "가장 신용할 수 없는 인물"이라고 혹평하고 있다. 전향 후의 브랜쇼의 입장을 요약해서 설명하는 것은 어렵지만, 대략적으로 파악해 우익적 입장에서 좌익적 입장으로 돌린 것은 확실하다고 생각된다. 극우 시대의 브랜셔를 포함한 지식인들의 반유대주의 를 연구한 제프리 메일맨 의 '거장들의 성흔'이 있다고 해도 그의 ' 전향 ' 후의 정치적 태도는 일관되고 있다. , 미즈로부터의 전향에 대한 생각은 그 저작으로부터 엿볼 수 없지만, 추측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나치즘 의 성립·침략과 제2차 세계대전의 경험은 브랜쇼에 큰 충격을 주었다. 특히 홀로코스트 는 브랜쇼에게 결정적인 사건이 되고, 그는 나중에 반복해서 이 대학살에 대해 이야기하게 된다. 그 그의 통한의 생각은, 예를 들면 「문제받는 지식인」이라고 제목이 붙은 일문의 말미의, 르네 샤르 의 단장을 인용하면서 말한 부분에 나타나고 있다. 

또 전쟁 말기에 독일군 (그렇다고 해도 독일인은 지휘관만으로 병사는 우라소프 요애로움 회피 ] 군 출신의 러시아인이었지만)에 총살당해 짊어진 경험은, 이후의 브랜쇼의 인생 그리고 저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 료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의 처형 직전 은사의 체험에 비해 사람도 있는 이 체험은, 예를 들어 소설 '백일의 광기'에 반영되어 있어 마지막 소설이 된 '내 죽음의 순간'에서는 이 체험 그대로 사용됩니다.

얼굴없는 작가

편집 ]

전후, 브란쇼는, 집필 활동에 전념해, 창작과 사색을 깊게 해 가게 된다. 1946년 에 바타이유가 창간한 잡지 「크리틱」의 편집에 협력하면서, 쓰는 것은 어떤 것에 대해 고찰해, 스테판누·마랄메나 프란츠카프카 의 에크리츄르 에서 발견한 필자의 부재와 죽음의 경험을, 또 무위나 망각 같은 일을 쓰는 것 자체에 연결해 가게 된다. 전후의 브란쇼는 얼굴 사진 한 장 공개하지 않고, 단지 쓴 텍스트를 서적으로서 제시할 뿐이지만, 그것은 「쓰는 것은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해 가는 가운데 그가 추적했다, 「 쓰는 그 자리에서, 그리고 쓰여진 것에 있어서는 쓰는 사람은 부재가 된다”는 것을 스스로 맡은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로부터 브랜쇼는 '얼굴없는 작가', '부재의 작가'라고 불리게 된다.

소설과 비평의 양면에서 주목받게 된 브랜쇼는 1955년 ' 문학공간 '을 발표했다. 다양한 문학자와 문학 작품을 논하면서 마틴 하이데거 의 존재론 을 비판적으로 응용하고, 쓰는 것에 대해, 에크리츄르 에 대해, 죽음 에 대해, 「비인칭의 죽음」에 대해, 그리고 쓰는데 있어서 필자가 잠시 방황한다 장으로서의 「문학 공간」에 대해 논한 이 책에 의해, 브란쇼는 문학에 대한 사상·사고에 새로운 한 걸음을 적어, 비평의 새로운 국면을 여는 것과 동시에, 현대 사상의 최전선에 위치하는 사상가 로서 알려지도록 된다. 브란쇼의 영향은 로랑 발트 를 비롯한 많은 비평가 · 사상가 에서 볼 수 있으며, 그 반향은 특히 포스트 구조주의 의 철학자들에게 찾아낼 수 있다. 또 그는 같은 해에 앨런 롭 -그리 에의 소설 '엿보기 사람'의 평가를 둘러싸고 일어난 ' 누보 로맨 논쟁'에서는 로랑 발트 등과 함께 롭-그리에 옹호의 논진을 치는 등 20세기 후반 문학의 새로운 전개와 그 평가의 확립에 있어서도 큰 역할을 했다. 그 후는 소설과 비평이 접근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해 1962년 , 소설 『기대 망각』이나 1973년 , 평론 『그쪽으로의 한 걸음』에서는 모두 단장이 이어진 형식이 취해지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에밀 졸라나 쟌 - 폴·사르트르 와 같은, 지식인으로서 공중의 면전에 모습을 나타내 의견이나 주장을 말해 스스로의 영향력의 크기를 이용해 사회를 움직이려고 하는 정치참가의 수법에 비판적 입장을 취하면서 자신의 정치적 활동을 모색하게 된다. 알제리 전쟁 때에는 알제리 독립을 막으려는 프랑스 정부를 비판하고 마그리트 듀라스 와 디오니스 마스코로 등과 함께 명령에 대한 프랑스 군사의 불복종을 옹호하는 '121명 선언'에 서명하거나 했다. 듀라스 등은 1968년 5 월 혁명 에서도 함께 '작가 학생 행동위원회'를 조직하고 가두 행동에도 참가하여 무서명 문서를 집필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라고 해도 높은 평가를 주고, 「그녀가 쓴 몇개의 책을 더 이상 그 이상은 없을 만큼 완벽하게」 사랑한 적이 있다고 말하고 있어, 듀라스도 소설 「유대인의 집」을 브랜쇼에 바치다). 5월 혁명은 브랜쇼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 사건의 하나이며, 장뤽 낸시 의 ' 무위의 공동체'에 촉발되어 쓰여진 논고 '불명한 공동체'에서는 그 자신의 공동체에 대한 사상이나 레비나스의 타자론 등이 섞여가면서 “68년 5월”이 되돌아 보이고 있다.

만년이 되면서 점차 저작의 발표가 멀어졌지만, 그래도 집필은 계속되었다. 1994년 에는 스스로가 총살당한 체험을 간결하고 신중한 문체에 의해 기록한 소설 '내 죽음의 순간'을 발표하고 반향을 부른다 ( 잭 데리다 의 '체류'는 이 소설에 영감 되었다 데리다 자신의 강연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이후의 브랜쇼의 저작은 모두 평론, 논고였다. 2003년 95세에 사망. 프랑스에서는 신문 각지가 크게 다루었고, 데리다는 묘지에서의 브랜쇼 장례식에 참석자를 앞에 조사를 읽고 있다. 사망 발표 4일 후에 ' 르몽드 ' 종이에 게재된 미국 대 이라크 전쟁에 반대하는 시민 활동 'Not in our name(우리의 이름에 있어서는 안 된다)'의 어필에는 브랜쇼의 서명도 기 했다.

작풍과 사상

편집 ]

브란쇼는 그 문학적 영위의 근본에서 말라 루메 와 프란츠 카프카 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일상적인 말(물건이나 정보를 도구적으로 교환하기 위한 말)이 아닌 본질적인 말로서 문학적 언어를 생각한 말라루메의 시점, 또 본질적인 말에 의해 만들어진 순수한 작품에 있어서는・쓰는 사람은 소멸해 「어에 주도권을 양도한다」라고 하는 말라르메의 생각은, 브란쇼의 창작에 있어서도 문학 사상에 있어서도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카프카가 일기와 노트에 기록한 다양한 설명, 예를 들어 죽음이나 비인칭적인 것과 쓰는 것과의 밀접한 관계를 기록한 부분이나, 「나」로부터 「그」로의 이행에 의해 문학의 풍부함을 경험했다고 기록한 부분 등에서도 브란쇼는 절대적인 임팩트를 받고 있다. 이 두 사람으로부터의 영향을 계승하고, 또 친구들과 다른 문학자·사상가들과 교류해 감응하면서, 브란쇼는 소설에서도 비평에 있어서도 독자적인 지보를 달성해 갔다.

소설에 대해서, 「수수께끼의 남자 토마」나 「아미나답」, 「최고자」등의 초기의 작품에서는, 장 지로두나 카프카의 영향을 볼 수 있어 일단은 소설적이면서도 이미 종래의 리얼리즘으로부터의 일탈·전도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이들 작품에서 주인공이 체험하는 방황과 우여곡절이 브랜쇼 문학 비평에서 '작가의 방황'과 '죽음을 잠수함'이라고 대응하고 있다고 보는 평자도 있다. 『죽음의 선고』 이후는 한층 더 전통적 리얼리즘으로부터의 이탈이 진행되어 작품의 간략화・간결화가 진행됨과 함께, 점차 등장 인물의 고유명이 밝혀지지 않는 경향이 강해져 간다( 1950년 에 간행되었다 『수수께끼의 남자 토마』 개정판에서 대폭적인 삭제·단축이 행해진 것에, 이러한 작풍의 변천이 전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이름을 모르는 1인칭의 화자에 의한 회상이라는 형식의 작품이 몇 가지 계속되는 가운데, 작품의 침투는 한층 더 진행되어, 「기대 망각」에서는 이야기 그 자체가 단편화·단장화되어, 그 속에서의 이름이 없는 남녀 의 대화가 이루어진다는 형태를 취한다. 만년의 마지막 작 '내 죽음의 순간'에서는 말하는 사람 자신의 질문을 맡은 간결한 필치에 의해 한 남자의 총살당하는 체험(브랜쇼 자신의 실체험이다)이 기록되었다.

문학사상에 있어서는, 전술의 마랄메나 카프카를 비롯해, 라이너·마리아·릴케 , 프리드리히·헤르다린 , 알베르·카뮤 , 허먼·멜빌 등 다양한 작가·시인의 비평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제시했다. 일상의 활동적인 「영업」에서 일탈한 「무위」로서 문학 활동을 파악해, 그 무위의 속에서 작가는 스스로의 죽음에 임해, 죽음을 앞두고 스스로를 지배해 계속, 현현하는 비인칭적인 것인데 사나카를 숨기고, 바로 「문학 공간」을 방황하는 것이다, 그것이 쓴다고 하는 브랜쇼는, 그 행위를 오르페우스 의 명계 내리막에 비추고 있다(이 오르페우스라고 하는 모티프도 마랄메를 경유하고 있다 ). 신비 신학 이나 유대 사상 과도 공명하면서 제시된 브랜쇼의 문학 사상은, 지금까지의 「창작이란 무엇인가」라고 하는 것에 대한 생각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것과 동시에, 로랑 발트 의 「에크리츄르의 영도」라고 나란히 현대사상에서 에크리츄르 의 문제의 전경화에 큰 역할을 했다.

또한 브랜쇼는 문학 이론가로만 보이는 경우도 많지만, 그 사상의 사거리는 훨씬 광범위하다. 예를 들어, 브란쇼는 죽음에 대해 " 죽음에서 <나>가 죽는 것이 아니라 <나>는 죽는 능력을 잃고 있다 "고 생각하고 바타이유 등과 함께 죽음을 " 경험 할 수없는 것의 경험 " " 불가능한 경험 '으로 논한 최초의 세대이다. 요출전 ] 또 '문학공간' 이후 나치에 가담한 하이데거의 철학 에 대한 내재적 비판을 지속적으로 이어갔다. 『우애』등에서의 우애에 대한 논고, 『불명한 공동체』에서의 공동체 및 공동성에 대한 사색도 중요하며, 현대 사상에서의 주체 비판과 그 이후의 사상의 향하는 곳을 각각의 사상가가 논한 평론집 '주체 뒤에 누가 오는가?'에도 참여하고 있다. 마르크스주의 · 공산주의 에 대한 논고에서도 중요한 논점을 나타내고 있다(브랜셔는 공산주의에 대해 비판하면서도 피하기 어려운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하는 양의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다니엘 벤사이드 는 '우애' 속에서 브란쇼가 칼 마르크스 에 대해 말한 부분을 “과거의 많은 주석이나 테제보다 훨씬 더 많이 말하고 있다”고 칭찬했다. 또, 데리다는, 「마르크스의 망령들」안에서, 브란쇼가 제기한 문제를 논하고 있다. 만년에는 에마뉘엘 레비나스 의 철학과 유대 사상에 대한 기울기를 강하게 하고, 미셸 푸코 가 '자기 배려' 등의 저작이나 강의 등으로 고대 그리스를 다룬 것에 대해 그것은 히브리 에서도 좋았다 아닐까라고 적었다.

푸코가 청춘 시대를 회고하고 "나는 브랜쇼가 되려고 열망했다"고 술 회하고, 또 "밖의 사고"등의 저작에서 브랜쇼를 언급하고있는 것, 질 드루즈가 "브랜쇼야말로 가 죽음의 새로운 개념을 만들었다”고 칭찬하고 있는 것은 주목해야 한다. 잭 데리다 도 그 문체로 브란쇼의 압도적 영향하에 있어 '체류'나 '경역' 등의 저작으로 브랜쇼를 언급하고 있다. 또, 일본의 철학자 타나베 모토 도, 만년에 「마랄메론」을 집필할 때, 전년에 출판되고 있던 브란쇼의 「문학 공간」을 들여 정독하고 있었다. 또한 브란쇼의 친구였던 에마뉘엘 레비나스 는 브랜쇼에 관한 논고(『모리스 브랜쇼』로 출판)를 발표하고 있다.

저작

편집 ]

소설

편집 ]
  • Thomas l'obscur (1941년) ※초판『수수께끼의 토마』
  • Aminadab (1942년) 
    • 『아미나더브』시미즈 철역 , 슈에이샤 , 1967년, 신판 1978년 - 각 「세계 문학 전집」
      • 신판 「아미나 더브」서 갈심수, 2008년
  • Le Très-Haut (1948년) 
    • 「지고자」아마자와 퇴지로역, 쓰 쿠마 서방, 1970년
    • 『최고자』시노자와 히데오역, 현대사시오사, 1973년
  • L'Arrêt de mort (1948) 
  • Thomas l'obscur (1950년) ※신판으로 대폭 개정
    • 『수수께끼의 남자 토마』스가노 쇼쇼역 , 신시오 샤 「현대 프랑스 문학 13인집 제4권」, 1966년
    • 『수수께끼의 토마』 시노자와 히데오역, 중앙공론 신사 , 2013년
    • 「수수께끼의 남자 토마」몬간 히로아키 번역, 월요사, 2014년
  • Au moment voulu (1951년) 
    • 『바람의 때에』 타니구치 히로시역, 미야 사, 1998년
  • Le ressassement éternel (1951년)
    • 『영원의 언론』(목가/궁경의 말)
      • 중·단편 소설선에서, 그 밖에 『수수께끼의 남자 토마』 스가노 쇼쇼역, 『죽음의 선고』 각・삼륜 히데히코 번역
  • Celui qui ne m'accompagnait pas (1953년) 
    • 『나에 대해서 오지 않았던 남자』 타니구치 히로시역・해설, 서고심수, 2005년
  • Le Dernier Homme (1957년) 
  • L'Attente, l'oubli (1962) 
    •  기다리는 것 잊는 
    • 『기대 망각』-동상
  • La folie du jour (1973년) 
  • Après Coup, précédé par Le ressassement éternel (1983년) (『사후적으로 영원한 말씀』)
  • L'instant de ma mort (1994년), 단편 
    • 『내 죽음의 순간』고하라 카이 역

비평, 논고

편집 ]
  • Comment la littérature est-elle possible? (1942년)(『문학은 어떻게 가능합니까』)
  • Faux pas (1943년) 
    • 『밟아 벗기기』 고베 히토히코역, 무라마쓰서관, 1978년
    • 『밟아 벗기기』 아와즈 노리오역, 쓰쿠마 서방, 1987년
  • La part du feu (1949년) (『불의 부분』)
    • 『불의 문학』시게노부 쇼키역 , 기이쿠니야 서점, 1964년
    • 『허구의 언어 焔の文学Ⅱ』 시게노부 쇼키・하시구치 모리토역, 기이쿠니야 서점, 1969년
      • 『완본 焔의 문학』 시게노부 죠키・하시구치 모리토역, 기이쿠니야 서점, 1997년
  • Lautréamont et Sade (1949) 
    • 『로트레아몬과 사드』오하마 토시로 역, 국문사, 1970년
    • 『로트 레아몬과 사드』 이시이 요지 로 역, 미즈 사, 2023년
  • L'espace littéraire (1955년) 
  • La Bête de Lascaux (1958년) (『라스코의 야수』)
  • Le livre à venir (1959년) 
  • L'entretien infini (1969년) 
  • L'amitié (1971년) (『우애』)
  • Le pas au-delà (1973년) (『그분에게의 한 걸음』)
  • 『마랄메론』 아와즈 노리오・시미즈 토오루, 쓰쿠마 쇼서, 1977년
  • 『카뮤론』 아와즈 노리오・시미즈 토오루, 치쿠마 쇼서, 1978년
  • L'écriture du désastre (1980년) (『재앙의 에크리츄르』)
  • De Kafka à Kafka (1981) 
    • 『카프카론』 아즈즈 노리오역, 쓰쿠마 총서, 1968년, 증보판 1977년
    • 증보판 「카프카에서 카프카에」산읍 히사코 번역
  • La communauté inavouable (1983년) 
    • 『불명한 공동체』니시타니 슈역 , 아사히 출판사, 1984년, 치쿠마 학예 문고, 1997년
  • Le dernier à parler (1984년) (『마지막으로 말하는 사람』)
  • Michel Foucault tel que je l'imagine (1986) 
    • 『미셸 푸코 마음에 비치는 채』 다나카 준이치・와카모리 에이수역, 아사히 출판사, 1985년
  • Joë Bousquet (1987)
  • Une voix venue d'ailleurs - Sur les poèmes de LR des Forêts (1992년)
    • Une voix venue d'ailleurs (2002년) (『타처로부터 온 목소리』) 신판
      • 「타처로부터 온 목소리」수중 고명역, 이분사, 2013년. 4명의 작가론
  • Pour l'amitié (1996) 
    • 『우애를 위해』 시미즈 철역, <리키에스타>의 모임, 2001년. 소책자
  • Les intellectuels en question (1996년)
    • 「문제받는 지식인―어떤 성찰의 각서」아사하라 신이치로역, 월요사, 2002년
  • Henri Michaux ou le refus de l'enfermement (1999년) (『앙리 미쇼 혹은 폐색의 거부』)
  • Ecrits politiques (1958-1993) (2003년) 
    • 『정치론집 1958~1993』 안하라 신이치로, 니시야마 유우지, 고하라 카이역, 월요사, 2005년
  • Chroniques littéraires du "Journal des Débats" (2007년)
  • Lettres à Vadim Kozovoï (1976-1998)" (2009년)
  • La Condition critique. Articles, 1945-1998" (2010년)
  • 『책의 부재』 L'absence de livre, 나카야마 원역 , 월요사 , 2007년, 제2판 2009년. 소책자
  • 『문학시평 1941~1944』수성사, 2021년
가와하라 카이・몬마 히로아키・이시카와학・이토 료타・타카야마 하나코 번역

공저

편집 ]

작가 이론

편집 ]
  • 에마뉘엘 레비나스『모리스 브랜쇼』우치다 수역  , 1992년, 신장판 2015년
  • 크리스토프 비단 『모리스 브랜쇼 불가시의 파트너』 우에다 카즈히코 외역, 미즈사, 2014년
  • 장뤼 낸시『모리스 브랜쇼 정치적 열정』 안하라 신이치로 역, 수성사 , 2020년

각주

편집 ]

외문 문헌

편집 ]
  • Michael Holland (ed.), The Blanchot Reader (Blackwell, 1995)
  • George Quasha (ed.), The Station Hill Blanchot Reader (Station Hill, 1998)
  • Michel Foucault , Maurice Blanchot: The Thought from Outside (Zone, 1989)
  • Jacques Derrida, Demeure: Fiction and Testimony (Stanford, 2000)
  • Emmanuel Levinas , On Maurice Blanchot in Proper Names (Stanford, 1996)
  • Leslie Hill, Blanchot: Extreme Contemporary (Routledge, 1997)
  • Gerald Bruns, Maurice Blanchot: The Refusal of Philosophy (Johns Hopkins Press, 1997)
  • Christophe Bident, Maurice Blanchot, partenaire invisible (Paris: Champ Vallon, 1998) ISBN  978-2-87673-253-7
  • Hadrien Buclin, Maurice Blanchot ou l'autonomie littéraire (Lausanne: Antipodes, 2011)
  • Manola Antonioli, Maurice Blanchot Fiction et théorie , Paris, Kimé, 1999.
  • Élie Ayache, L'écriture Postérieure , Paris, Complicités, 2006.
  • Éditions Complicités : "Maurice Blanchot de proche en proche", collection Compagnie de Maurice Blanchot, 2007
  • Éditions Complicités : "L'épreuve du temps chez Maurice Blanchot", collection Compagnie de Maurice Blanchot, 2005
  • Éditions Complicites : "L'Oeuvre du Féminin dans l'écriture de Maurice Blanchot", collection Compagnie de Maurice Blanchot, 2004
  • Françoise Collin, Maurice Blanchot et la question de l'écriture , Paris, Gallimard, 1971.
  • Arthur Cools, Langage et Subjectivité vers une approche du différend entre Maurice Blanchot et Emmanuel Levinas , Louvain, Peeters, 2007.
  • Critique n°229, 1966 (numéro spécial, textes de Jean Starobinsky, Georges Poulet, Levinas, Paul de Man, Michel Foucault, René Char...).
  • Jacques Derrida, Parages , Paris, Galilée, 1986.
  • Jacques Derrida, Demeure. Maurice Blanchot , Paris, Galilée, 1994.
  • Mark Hewson, Blanchot and Literary Criticism , NY, Continuum, 2011
  • Eric Hoppenot, ed., L'Œuvre du féminin dans l'écriture de Maurice Blanchot , Paris, Complicités, 2004.
  • Eric Hoppenot, ed., coordonné par Arthur COOLS, L'épreuve du temps chez Maurice Blanchot , Paris, Complicités, 2006.
  • Eric Hoppenot & Alain Milon, ed., Levinas Blanchot penser la différence ,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Paris X, 2008.
  • Mario Kopić , Enigma Blanchot (Pescanik, 2013)
  • Jean-Luc Lannoy, Langage, perception, mouvement. Blanchot et Merleau-Ponty , Grenoble, Jérôme Millon, 2008.
  • Roger Laporte , l'Ancien, l'effroyablement Ancien in Études , Paris, POL, 1990.
  • Lignes n ° 11, 1990 (numéro spécial contenant tout le dossier de La revue internationale ).
  • Pierre Madaule, Une tâche sérieuse ? , Paris, Gallimard, 1973, pp. 74–75
  • Meschonnic, Henri , Maurice Blanchot ou l'écriture hors langage in Poésie sans réponse ( Pour la poétique V ), Paris, Gallimard, 1978, pp. 78–134.
  • Ginette Michaud, Tenir au secret (Derrida, Blanchot) , Paris, Galilée, 2006
  • Anne-Lise Schulte-Nordholt, Maurice Blanchot, l'écriture comme expérience du dehors , Genève, Droz, 1995.
  • Jadranka Skorin-Kapov , The Aesthetics of Desire and Surprise : Phenomenology and Speculation (Lexington Books, 2015).
  • Jadranka Skorin-Kapov , The Intertwining of Aesthetics and Ethics: Exceeding of Expectations, Ecstasy, Sublimity (Lexington Books, 2016)
  • Daniel Wilhelm, Intrigues littéraires , Paris, Lignes/Manifeste, 2005.
  • Zarader, Marlène, L'être et le neutre, à partir de Maurice Blanchot , Paris, Verdier, 2000.
  • Fitzgerald, Kevin, "The Negative Eschatology of Maurice Blanchot" (master's thesis, New College of California, 1999) http://www.studiocleo.com/librarie/blanchot/kf/tocmn.html
  • Philippe Lacoue-Labarthe , Ending and Unending Agony: On Maurice Blanchot. New York: Fordham University Press, 2015.

관련 항목

편집 ]

====

모리스 블랑쇼

최근 수정 시각: 
모리스 블랑쇼
Maurice Blanchot
모리스블랑쇼
출생
프랑스 브루고뉴 켕
사망
프랑스 르 메닐-생-드니
국적
학력
스트라스부르대학교 철학 학사
직업

1. 개요2. 생애3. 주요 저서
3.1. 소설3.2. 이론서 및 평론서

1. 개요[편집]

프랑스의 작가철학자, 문학이론가.

블랑쇼는 평생을 운둔하며 살아갔으며, 그의 사진은 에마뉘엘 레비나스를 비롯한 친구들과 찍은 사진 몇 장과 80년대 파파라치가 멀리서 찍은 사진 등을 제외하며 얼마 남아있지 않을 정도다.

질 들뢰즈미셸 푸코자크 데리다, 장뤽 낭시와 같은 현대 프랑스 철학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 생애[편집]

블랑쇼는 1907년 9월 22일 프랑스 동부에 있는 브루고뉴의 켕(Quain)에서 태어났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이 시기 에마뉘엘 레비나스와 만나 절친한 친구가 된다.

1930년대, 그는 극우 신문들에 글을 투고했다. 이 점에 대해서 후대에 논란이 되었는데 블랑쇼 본인은 이런 극우파 노선을 보인 자신의 글들에 부정하거나 굳이 감추려 하지도 않았으며 그렇다고 사과를 하지도 않았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블랑쇼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일화들이 전해진다. 강제 수용소로 이송될 뻔한 레비나스의 가족을 숨겨주었고, 사상가 조르주 바타유와 만나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 또한 자신의 집 앞에서 독일군에게 붙잡혀 총살형을 당할 위기에 놓이기도 했는데 레지스탕스의 극적인 습격으로 목숨을 구하게 된다.

전쟁이 끝나고, 블랑쇼는 소설 집필과 문학 비평에 천착한다. 앙드레 지드와 장폴 사르트르가 편집을 맡은 '라르쉬'나 사르트르와 모리스 메를로퐁티가 편집을 맡은 '현대', 바타유가 주도한 잡지인 '비평' 등 당대의 독립 매체들에 글을 쓰게 된다.

1947년, 블랑쇼는 파리를 떠나 니스와 몬테카를로 사이 지중해 해안에 있는 작은 마을인 에즈빌로 간다. 이 시기 '죽음의 선고', '지극히 높은 자'와 같은 소설들과 '불의 몫', '문학의 공간' 등의 이론서를 출간한다.

1953년에는 전쟁 막판에 폐간된 문예지 '누벨 르뷔 프랑세즈'(NRI)가 복간되었는데, 1968년까지 블랑쇼는 이 잡지에 매달 글을 싣는다. 블랑쇼의 문학비평 대부분이 여기서 나왔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프랑스 지성계에 이름을 날리기 시작한다.

1957년, 블랑쇼는 다시 파리로 돌아온다. 전쟁이 끝나고 한동안 문학과 비평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전쟁 이전과 같이 정치적 활동에 투신한다. 그렇지만 과거처럼 극우가 아닌 정반대인 급진 좌파적인 입장을 취하게 된다. 1950년대 드골 반대 운동에 동참하고, 사르트르, 로브그리예, 르네 샤르 등과 함께 알제리 전쟁 반대 '121인 선언'에 서명하여 투옥 위협을 받기도 했다.

1968년, 5월 혁명이 일어나자 블랑쇼는 '학생-작가 행동위원회'에 동참하는데 이 단체의 선언문 대다수는 그가 쓴 것이라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후 위원회가 반시오니즘 성향을 드러내자 이를 탈퇴한다. 이후 블랑쇼는 공적 활동을 완전히 중단하고, 발표되는 글도 줄어들었다.

2003년 2월 20일, 이블린의 르 메닐-생-드니에서 사망한다.

3. 주요 저서[편집]

3.1. 소설[편집]

  • 토마 알 수 없는자 (Thomas l'Obscur) (1941)
  • 아미나다브 (Aminadab) (1942)
  • 죽음의 선고 (L'Arrêt de mort) (1948)
  • 지극히 높은 자 (Le Très-Haut) (1949)
  • 최후의 남자 (Le Dernier homme) (1957)
  • 기다림 망각(L'Attente l'oubli) (1962)
  • 저 너머로의 발걸음 (Le Pas au-delà) (1973)
  • 대낮의 광기 (La Folie du jour) (1973)
  • 나의 죽음의 순간 (L'Instant de ma mort) (1994)

3.2. 이론서 및 평론서[편집]

  • 불의 몫 (La Part du feu) (1949)
  • 문학의 공간 L'Espace littéraire (1955)
  • 도래할 책 (Le Livre à venir) (1959)
  • 무한한 대화 (L'Entretien infini) (1969)[1]
  • 우정 (L'Amitié) (1971)
  • 재앙의 글쓰기 (L'Ecriture du désastre) (1980)[2]
  • 카프카에서 카프카로 (De Kafka à Kafka) (1981)
  • 밝힐 수 없는 공동체 (La Communauté inavouable) (1983)
  • 다른 곳에서 온 목소리 (Une voix venue d'ailleurs) (2002)
  • 정치 평론 1953-1993 (2003)
[1] 국내 미번역[2] 국내에는 '카오스의 글쓰기'로 번역 출간.
===

Maurice Blanchot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aurice Blanchot
Born22 September 1907
Died20 February 2003 (aged 95)
EducationUniversity of Strasbourg (B.A., 1922)
University of Paris (M.A., 1930)
Era20th-century philosophy
RegionWestern philosophy
School
Main interests
Notable ideas
The Neutral (le neutre)
Right to death
Two kinds of death[a]

Maurice Blanchot (/blænˈʃ/ blan-SHOHFrench: [blɑ̃ʃo]; 22 September 1907 – 20 February 2003) was a French writer, philosopher and literary theorist.[4] His work, exploring a philosophy of death alongside poetic theories of meaning and sense, bore significant influence on post-structuralist philosophers such as Gilles DeleuzeMichel FoucaultJacques Derrida and Jean-Luc Nancy.

Biography

[edit]

Pre-1945

[edit]

Blanchot was born in the village of Quain (Saône-et-Loire) on 22 September 1907.[5][6][7]

Blanchot studied philosophy at the University of Strasbourg, where he became a close friend of the Lithuanian-born French Jewish phenomenologist Emmanuel Levinas. He then embarked on a career as a political journalist in Paris. From 1932 to 1940 he was editor of the mainstream conservative daily the Journal des débats. In 1930 he earned his DES (diplôme d'études supérieures), roughly equivalent to an M.A. at the University of Paris, with a thesis titled "La Conception du Dogmatisme chez les Sceptiques anciens d'après Sextus Empiricus" ("The Conception of Dogmatism in the Ancient Sceptics According to Sextus Empiricus").[8]

Early in the 1930s he contributed to a series of radical nationalist magazines while also serving as editor of the fiercely anti-German daily Le rempart in 1933 and as editor of Paul Lévy's anti-Nazi polemical weekly Aux écoutes. In 1936 and 1937 he also contributed to the far right monthly Combat and to the nationalist-syndicalist daily L'Insurgé, which eventually ceased publication – largely as a result of Blanchot's intervention – because of the anti-semitism of some of its contributors. There is no dispute that Blanchot was nevertheless the author of a series of violently polemical articles attacking the government of the day and its confidence in the politics of the League of Nations, and warned persistently against the threat to peace in Europe posed by Nazi Germany.

In December 1940, he met Georges Bataille, who had written strong anti-fascist articles in the thirties, and who would remain a close friend until his death in 1962. Blanchot worked in Paris during the Nazi occupation. In order to support his family he continued to work as a book reviewer for the Journal des débats from 1941 to 1944, writing for instance about such figures as Sartre and Camus, Bataille and Michaux, Mallarmé and Duras for a putatively Pétainist Vichy readership. In these reviews he laid the foundations for later French critical thinking by examining the ambiguous rhetorical nature of language and the irreducibility of the written word to notions of truth or falsity. He refused the editorship of the collaborationist Nouvelle Revue Française for which, as part of an elaborate ploy, he had been suggested by Jean Paulhan. He was active in the Resistance and remained a bitter opponent of the fascist, anti-semitic novelist and journalist Robert Brasillach, who was the principal leader of the pro-Nazi collaborationist movement. In June 1944, Blanchot was almost executed by a Nazi firing squad (as recounted in his text The Instant of My Death).

Post-1945

[edit]

After the war, Blanchot began working only as a novelist and literary critic. In 1947, Blanchot left Paris for the secluded village of Èze in the south of France, where he spent the next decade of his life. Like Sartre and other French intellectuals of the era, Blanchot avoided the academy as a means of livelihood, instead relying on his pen. Importantly, from 1953 to 1968, he published regularly in Nouvelle Revue Française. At the same time, he began a lifestyle of relative isolation, often not seeing close friends (like Levinas) for years, while continuing to write lengthy letters to them. Part of the reason for his self-imposed isolation (and only part of it – his isolation was closely connected to his writing and is often featured among his characters) was the fact that, for most of his life, Blanchot suffered from poor health.

Blanchot's political activities after the war shifted to the left. He is widely credited with being one of the main authors of the important "Manifesto of the 121", named after the number of its signatories, who included Jean-Paul SartreRobert AntelmeAlain Robbe-GrilletMarguerite DurasRené CharHenri LefebvreAlain ResnaisSimone Signoret and others, which supported the rights of conscripts to refuse to serve in the colonial war in Algeria. The manifesto was crucial to the intellectual response to the war.

In May 1968, Blanchot once again emerged from personal obscurity, in support of the student protests. It was his sole public appearance after the war. Yet for fifty years he remained a consistent champion of modern literature and its tradition in French letters. During the later years of his life, he repeatedly wrote against the intellectual attraction to fascism, and notably against Heidegger's post-war silence over The Holocaust.

Blanchot wrote more than thirty works of fiction, literary criticism, and philosophy. Up to the 1970s, he worked continually in his writing to break the barriers between what are generally perceived as different "genres" or "tendencies", and much of his later work moves freely between narration and philosophical investigation.

In 1983, Blanchot published La Communauté inavouable (The Unavowable Community). This work inspired The Inoperative Community (1986),[9] Jean-Luc Nancy's attempt to approach community in a non-religious, non-utilitarian and un-political exegesis.

He died on 20 February 2003 in Le Mesnil-Saint-Denis, Yvelines, France.

Work

[edit]

Blanchot's work explores a philosophy of death, not in humanistic terms, but through concerns of paradox, impossibility, nonsense and the noumenal that stem from the conceptual impossibility of death. He constantly engaged with the "question of literature", a simultaneous enactment and interrogation of the idiosyncratic act of writing. For Blanchot, "literature begins at the moment when literature becomes a question".[10]

Blanchot drew on the poetics of Stéphane Mallarmé and Paul Celan, as well as the concept of negation in the Hegelian dialectic, for his theory of literary language as something that is always anti-realist and so distinct from everyday experience that realism does not simply stand for literature about reality, but for literature concerning paradoxes made by the qualities of the act of writing. Blanchot's literary theory parallels Hegel's philosophy, establishing that actual reality always succeeds conceptual reality. For instance, "I say flower," Mallarmé wrote in "Poetry in Crisis", "and outside the oblivion to which my voice relegates any shape, [...] there arises [...] the one absent from every bouquet."[11]

What the everyday use of language steps over or negates is the physical reality of the thing for the sake of the abstract concept. Literature - through its use of symbolism and metaphor - frees language from this utilitarianism, thereby draw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language refers not to the physical thing, but only to an idea of it. Literature, Blanchot writes, remains fascinated by this presence of absence, and attention is drawn, through the sonority and rhythm of words, to the materiality of language.

Blanchot's best-known fictional works are Thomas l'Obscur (Thomas the Obscure), an unsettling récit (which "is not the narration of an event, but that event itself, the approach to that event, the place where that event is made to happen ...")[12] about the experience of reading and loss, Death SentenceAminadab, and The Most High. His central theoretical works are "Literature and the Right to Death" (in The Work of Fire and The Gaze of Orpheus), The Space of LiteratureThe Infinite Conversation, and The Writing of the Disaster.

Themes

[edit]

Blanchot engages with Heidegger on the question of how literature and death are both experienced as an anonymous passivity, an experience that Blanchot variously refers to as "the Neutral" (le neutre). Unlike Heidegger, Blanchot instead rejects the possibility of an authentic relation to death, because he rejects the conceptual possibility of death. In a manner similar to Levinas, who Blanchot later became influenced by with regards to the question of responsibility to the Other, he reverses Heidegger's position on death as the "possibility of the absolute impossibility" of Dasein, instead viewing death as the "impossibility of every possibility".[13]

Bibliography

[edit]

Fiction and narrations (récits)

[edit]
  • Thomas l'Obscur, 1941 (Thomas the Obscure)
  • Aminadab, 1942
  • L'Arrêt de mort, 1948 (Death Sentence)
  • Le Très-Haut, 1949 (The Most High)
  • Celui qui ne m'accompagnait pas, 1953 (The One who was Standing Apart from Me)
  • "Le Dernier homme", 1957 ("The Last Man")
  • La Folie du jour, 1973 (The Madness of the Day)
  • L'Instant de ma mort, 1994 (The Instant of My Death)

Philosophical or theoretical works

[edit]
  • Faux Pas, 1943
  • La Part du feu, 1949 (The Work of Fire)
  • Lautréamont et Sade, 1949 (Lautréamont and Sade)
  • L'Espace littéraire, 1955 (The Space of Literature)
  • Le Livre à venir, 1959 (The Book to Come)
  • L'Entretien infini, 1969 (The Infinite Conversation)
  • L'Amitié, 1971 (Friendship)
  • Le Pas au-delà, 1973 (The Step Not Beyond)
  • L'Ecriture du désastre, 1980 (The Writing of the Disaster)
  • La Communauté inavouable, 1983 (The Unavowable Community)
  • Une voix venue d'ailleurs, 2002 (A Voice from Elsewhere)

Many of Blanchot's principal translators into English have since established reputations as prose stylists and poets in their own right; some of the more well-known of them include Lydia DavisPaul Auster and Pierre Joris.

Notes

[edit]
  1. ^ Blanchot's premise is that the first death is the actual event, happening in its own history; the second death is the virtual form of the event, which does not tangibly "happen".[2][3]

References

[edit]
  1. ^ Max Pensky, The Actuality of Adorno: Critical Essays on Adorno and the Postmodern, SUNY Press, 1997, p. 162.
  2. ^ Maurice Blanchot, The Station Hill Blanchot Reader: Fiction and Literary Essays (New York, Station Hill Press, Inc., 1999), p. 100.
  3. ^ Osaki, Harumi, "Killing Oneself, Killing the Father: On Deleuze's Suicide in Comparison with Blanchot's Notion of Death", Literature and Theology (2008) 22(1).
  4. ^ Kuzma, Joseph. "Maurice Blanchot (1907–2003)"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Retrieved 24 December 2023.
  5. ^ Taylor, Victor E.; Vinquist, Charles E. (2002). Encyclopedia of Postmodernism. London: Routledge. p. 36. ISBN 9781134743094. Retrieved 1 August 2014.
  6. ^ Zakir, Paul (2010). "Chronology"Maruice Blanchot: Political Writings 1953–1993. Fordham University Press. p. 36. ISBN 9780823229970.
  7. ^ Johnson, Douglas (1 March 2003). "Obituary: Maurice Blanchot"The Guardian. Retrieved 1 August 2014.
  8. ^ Alan D. Schrift (2006), Twentieth-Century French Philosophy: Key Themes and Thinkers, Blackwell Publishing, p. 101.
  9. ^ See Jean-Luc Nancy, La communauté désavouée at Lectures – Revues.org.
  10. ^ Maurice Blanchot, "Literature and the Right to Death" in The Work of Fire, C. Mandel (tran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5, p. 300.
  11. ^ Stephane Mallarmé, "Poetry in Crisis" in Selected Poetry and Prose, Mary Ann Cawes (ed), New Directions, 1982, p. 75.
  12. ^ Maurice Blanchot, "The Song of the Sirens", 1959
  13. ^ Maurice Blanchot, The Writing of the Disaster (trans. Ann Smock), University of Nebraska, 1995

Further reading

[edit]
  • Michael Holland (ed.), The Blanchot Reader (Blackwell, 1995)
  • George Quasha (ed.), The Station Hill Blanchot Reader (Station Hill, 1998)
  • Michel FoucaultMaurice Blanchot: The Thought from Outside (Zone, 1989)
  • Jacques Derrida, Demeure: Fiction and Testimony (Stanford, 2000)
  • Emmanuel LevinasOn Maurice Blanchot in Proper Names (Stanford, 1996)
  • Leslie Hill, Blanchot: Extreme Contemporary (Routledge, 1997)
  • Gerald Bruns, Maurice Blanchot: The Refusal of Philosophy (Johns Hopkins Press, 1997)
  • Christophe Bident, Maurice Blanchot, partenaire invisible (Paris: Champ Vallon, 1998) ISBN 978-2-87673-253-7
  • Hadrien Buclin, Maurice Blanchot ou l'autonomie littéraire (Lausanne: Antipodes, 2011)
  • Manola Antonioli, Maurice Blanchot Fiction et théorie, Paris, Kimé, 1999
  • Élie Ayache, L'écriture Postérieure, Paris, Complicités, 2006
  • Éditions Complicités: "Maurice Blanchot de proche en proche", collection Compagnie de Maurice Blanchot, 2007
  • Éditions Complicités: "L'épreuve du temps chez Maurice Blanchot", collection Compagnie de Maurice Blanchot, 2005
  • Éditions Complicites: "L'Oeuvre du Féminin dans l'écriture de Maurice Blanchot", collection Compagnie de Maurice Blanchot, 2004
  • Françoise Collin, Maurice Blanchot et la question de l'écriture, Paris, Gallimard, 1971
  • Arthur Cools, Langage et Subjectivité vers une approche du différend entre Maurice Blanchot et Emmanuel Levinas, Louvain, Peeters, 2007
  • Critique n°229, 1966 (numéro spécial, textes de Jean Starobinsky, Georges Poulet, Levinas, Paul de Man, Michel Foucault, René Char...)
  • Jacques Derrida, Parages, Paris, Galilée, 1986
  • Jacques Derrida, Demeure. Maurice Blanchot, Paris, Galilée, 1994
  • Christopher FynskLast Steps: Maurice Blanchot's Exilic Writing, Fordham University Press, 2013
  • Christopher FynskInfant Figures: the death of the infans and other scenes of origi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0
  • Mark Hewson, Blanchot and Literary Criticism, NY, Continuum, 2011
  • Eric Hoppenot, ed., L'Œuvre du féminin dans l'écriture de Maurice Blanchot, Paris, Complicités, 2004
  • Eric Hoppenot, ed.,coordonné par Arthur COOLS, L'épreuve du temps chez Maurice Blanchot, Paris, Complicités, 2006
  • Eric Hoppenot & Alain Milon, ed., Levinas Blanchot penser la différence,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Paris X, 2008
  • Mario KopićEnigma Blanchot (Pescanik, 2013)
  • Jean-Luc Lannoy, Langage, perception, mouvement. Blanchot et Merleau-Ponty, Grenoble, Jérôme Millon, 2008
  • Roger Laportel'Ancien, l'effroyablement Ancien in Études, Paris, P.O.L, 1990
  • Lignes n°11, 1990 (numéro spécial contenant tout le dossier de La revue internationale)
  • Pierre Madaule, Une tâche sérieuse ?, Paris, Gallimard, 1973, pp. 74–75
  • Meschonnic, HenriMaurice Blanchot ou l'écriture hors langage in Poésie sans réponse (Pour la poétique V), Paris, Gallimard, 1978, pp. 78–134
  • Ginette Michaud, Tenir au secret (Derrida, Blanchot), Paris, Galilée, 2006
  • Anna Norpoth, Die Forderung des Werkes. Inspiration, Schreiben und das Werk bei Maurice Blanchot, Berlin, Ch. A. Bachmann, 2022
  • Anne-Lise Schulte-Nordholt, Maurice Blanchot, l'écriture comme expérience du dehors, Genève, Droz, 1995
  • Jadranka Skorin-KapovThe Aesthetics of Desire and Surprise: Phenomenology and Speculation (Lexington Books, 2015)
  • Jadranka Skorin-KapovThe Intertwining of Aesthetics and Ethics: Exceeding of Expectations, Ecstasy, Sublimity (Lexington Books, 2016)
  • Daniel Wilhelm, Intrigues littéraires, Paris, Lignes/Manifeste, 2005
  • Zarader, Marlène, L'être et le neutre, à partir de Maurice Blanchot, Paris, Verdier, 2000
  • Fitzgerald, Kevin, "The Negative Eschatology of Maurice Blanchot" (master's thesis, New College of California, 1999) http://www.studiocleo.com/librarie/blanchot/kf/tocmn.html
  • Philippe Lacoue-LabartheEnding and Unending Agony: On Maurice Blanchot. New York: Fordham University Press, 2015

===

===

2024/08/08

알라딘: 노자 도덕경과 동아시아 인문학

알라딘: 노자 도덕경과 동아시아 인문학


노자 도덕경과 동아시아 인문학 - 자연은 소유하지 않는다
조성환,김현주,한승훈,박일준 (지은이),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전주시평생학습관 (기획)
모시는사람들2023-02-28




























미리보기

정가
15,000원


Sales Point : 118

288쪽

동아시아 삼국은 물론 동서양을 넘나들며, 고금을 통틀어 많은 영감을 제공한 『도덕경』을 읽으며, 삐걱거리는 동아시아의 공생을 모색하는 지혜를 찾아내고,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지구적 위기에 대한 통찰을 발견하여 독자들이 공감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재해석과 확장을 시도하였다.

노자(老子)와 그의 『도덕경(道德經)』이 전후 2천여 년, 동아시아라는 시공간 속에서 철학, 종교, 신학 등의 제 방면에 걸쳐 다양하게 해석되고 영향력을 발휘한 이력에서부터, 그 미래적, 지구학적인 의미와 오늘 우리 삶에 시사하는 바를 담아냈다.


목차


제1부 _ 도덕경의 철학적 해석

01 인간의 조건으로서의 자연 _ 조성환
1. 도와 덕: 길과 힘
2. 가도와 상도: 도는 이름이 아니다
3. 천장지구: 자연은 소유하지 않는다

02 성인은 자기가 없다 _ 조성환
1. 허무 철학자 노자
2. 장자의 허심응물
3. 비움의 디자인


03 자연스러운 정치를 꿈꾸다 _ 김현주
1. 무위와 유위, 그들의 관계는?
2. 도로서의 무위란?
3. 노자가 말하는 자연은?
4. 무위정치란 무엇인가?
5. 인간, 땅, 하늘, 도

제2부 _ 노자, 동아시아와 만나다

04 옌푸(嚴復), 노장을 현대화하다 _ 김현주

1. 옌푸, 센세이션을 일으키다
2. 전통의 정반합을 이루다
3. 노장 속에서 민주·과학 사상을 찾다
4. 노장에서 자유주의 사상을 찾다
5. 노장 사상을 현대화하다

05 신이 된 노자, 경전이 된 『도덕경』 _ 한승훈
1. 도교란 무엇인가?
2. 도교의 네 가지 요소
3. 국가도교, 교단도교, 민간도교
4. 도교와 『도덕경』
5. 도교와 노자
6. 도교와 한국

06 노자로 보는 한국사상 : 『도덕경』의 문화신학적 역할 _ 박일준
1. ‘한국적 텍스트’로서 『도덕경』
2. 동북아시아의 텍스트로서 『도덕경』
3. 해석적 다양성의 증가로서 텍스트의 의미 : 『도덕경』 1장을 중심으로
4. 천명의 해체로서 『도덕경』의 도 : 한국문화 속 『도덕경』의 해체적 역할
5. 절대화된 하나님의 해체로서 한국 기독교인들의 『도덕경』 읽기
6. 인류세 시대를 위한 텍스트로서 『도덕경』

참고문헌
찾아보기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