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31

바르트리하리 - 위키백과, Bhartṛhari/Bhartrihari

바르트리하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르트리하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르트리하리(भर्तृहरि, Bhartṛhari)는 고대 인도의 서정 시인이다. 산스크리트 문학과 산스크리트어 문법에 영향을 끼쳤다. 
동명(同名)의 언어철학자와 같은 사람인가 아닌가는 정설(定說)이 없다. 
왕족 출신으로 젊어서 인생의 향락을 체험한 후, 출가하여 고행(苦行)의 생활로 들어갔다고 한다. 세 가지의 《샤타카》(100송의 시집)를 남기고 있다. 《연애백송(戀愛百頌)》은 연애의 정서를 읊으면서 번뇌(煩惱)의 해탈(解脫)을 가르치며, 《처세백송(處世百頌)》 《이욕백송(離慾百頌)》은 더한층 이를 강조하여 해탈에 이르는 도(道)를 설파하고 있다.

===
발트리 하리 [일어한역]
29개의 언어 버전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발트리 하리 ( Boo : Bhartṛhari , भर्तृलरि )는 인도 시인, 문법학자. 5세기경의 인물로 되어 있어, 산스크리트어 의 저작이 전승되고 있지만, 시와 문법학은 각각 다른 사람의 실적으로 하는 설도 있다 [1] . 발토리하리의 인물상에 대해서는 수많은 전설이 남아 있다.

인도에 건너는 당승 의정의 ' 난카이 기귀내법전 ( 문화학자 바르트리하리 ) 에 관한 기술이 있다. 의정에 의하면, 바르트리하리는 문법학자 파니니에 대한 파탄 자리의 주석서 「마하바슈야」[3] 를 연구했다고 하고, 언어 철학서 「바키야·파디야 ( Vākya -padīya ) 문장 단어론(3장편)」[ 4] 를 썼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우주의 근본 원리는 언어 브라프만이고, 여러 현상은 그 가현이라고 한다 [5]
그의 주장은 "말은 브라프만 이다"라는 선언이라고 할 수 있다 [6] .

또한 시인으로서의 발토리 하리의 작품은 10 세기에서 14 세기에 걸쳐 3 종류의 "샤타카 ( Shataka ) (백뺨쇼시집)』[1] 로 정리되었다. 천국에 이르는 길에 대한 '이욕백배', 세속의 교제에 대한 '처세백배', 연애에 대한 '연애백배'의 3가지가 있어 '샤타카 트라 ( Śatakatraya ) ] 라고합니다. 17세기에는 아브라함 로겔 ( 영어판 ) 이 네덜란드어 로 번역, 유럽에도 전해졌다.

저작 (주된 일본어 연구) 편집 ]

출처・각주 편집 ]

  1. b 코트 뱅크 .
  2. ^ 역본 『현대어 번역 난카이 기귀내법전 7세기 인도 불교 승려의 일상생활』미야바야시 아키히코· 가토 에이지 역, 법 장관 2004년/법장관 문고, 2022년. ISBN 978-4831826435 
  3. 무라카미 마코토 2018년 7월 20일. "파탄자리" . 일본 대백과 전서(닛포니카) . 코트뱅크 에서 2023년 5월 18일 열람 .
  4.  번역 수록:『고전 인도의 언어 철학
  5. ↑ 기요시 마 히데키 『불교·인도 사상사전』 문법학파. 춘추사 , 1987년 4월 10일, 400페이지. ISBN 978-4393101025 . 
  6. 아카마츠 아키히코 『인도 철학 10강』 이와 나미 서점이와나미 신서〉, 2018년 3월 20일, 191쪽. ISBN 978-4004317098 . 
  7.  번역 수록:『몽환의 사랑

참고 문헌 편집 ]

관련 항목 편집 ]

외부 링크 편집 ]

===

Bhartṛhari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Bhartṛhari (Devanagariभर्तृहरि; also romanised as Bhartriharifl. c. 5th century CE) was a Hindu linguistic philosopher[1] to whom are normally ascribed two influential Sanskrit texts:

  • the Trikāṇḍī (including Vākyapadīya), on Sanskrit grammar and linguistic philosophy, a foundational text in the Indian grammatical tradition, explaining numerous theories on the word and on the sentence, including theories which came to be known under the name of Sphoṭa; in this work Bhartrhari also discussed logical problems such as the liar paradox and a paradox of unnameability or unsignifiability which has become known as Bhartrhari's paradox, and
  • the Śatakatraya, a work of Sanskrit poetry, comprising three collections of about 100 stanzas each; it may or may not be by the same author who composed the two mentioned grammatical works.

In the medieval tradition of Indian scholarship, it was assumed that both texts were written by the same person.[citation needed] Modern philologists were sceptical of this claim, owing to an argument that dated the grammar to a date subsequent to the poetry.[citation needed] Since the 1990s, however, scholars have agreed that both works may indeed have been contemporary, in which case it is plausible that there was only one Bhartrihari who wrote both texts.[citation needed]

Both the grammar and the poetic works had an enormous influence in their respective fields. The grammar in particular, takes a holistic view of language, countering the compositionality position of the Mimamsakas and others.

According to Aithihyamala, he is also credited with some other texts like Harikītika and Amaru Shataka.

The poetry constitute short verses, collected into three centuries of about a hundred poems each. Each century deals with a different rasa or aesthetic mood; on the whole his poetic work has been very highly regarded both within the tradition and by modern scholarship.

The name Bhartrihari is also sometimes associated with Bhartrihari traya Shataka, the legendary king of Ujjaini in the 1st century.

Date and identity[edit]

The account of the Chinese traveller Yi-Jing indicates that Bhartrihari's grammar was known by 670 CE, and that he may have been Buddhist, which the poet was not. Based on this, scholarly opinion had formerly attributed the grammar to a separate author of the same name from the 7th century CE.[2] However, other evidence indicates a much earlier date:

Bhartrihari was long believed to have lived in the seventh century CE, but according to the testimony of the Chinese pilgrim Yijing [...] he was known to the Buddhist philosopher Dignaga, and this has pushed his date back to the fifth century CE.

— [3]

A period of c. 450–500[4] "definitely not later than 425–450",[5] or, following Erich Frauwallner, 450–510[6][7] or perhaps 400 CE or even earlier.[8]

Yi-Jing's other claim, that Bhartrihari was a Buddhist, does not seem to hold; his philosophical position is widely held to be an offshoot of the Vyakarana or grammarian school, closely allied to the realism of the Naiyayikas and distinctly opposed to Buddhist positions like Dignaga, who are closer to phenomenalism. It is also opposed to other Mimamsakas like Kumarila Bhatta.[9][10] However, some of his ideas subsequently influenced some Buddhist schools, which may have led Yi-Jing to surmise that he may have been Buddhist.

Thus, on the whole it seems likely that the traditional Sanskritist view, that the poet of the Śatakatraya is the same as the grammarian Bhartṛhari, may be accepted.

The leading Sanskrit scholar Ingalls (1968) submitted that "I see no reason why he should not have written poems as well as grammar and metaphysics", like DharmakirtiShankaracharya, and many others.[11] Yi Jing himself appeared to think they were the same person, as he wrote that (the grammarian) Bhartṛhari, author of the Vakyapadiya, was renowned for his vacillation between Buddhist monkhood and a life of pleasure, and for having written verses on the subject.[12][13]

Vākyapadīya[edit]

Bhartrihari's views on language build on that of earlier grammarians such as Patanjali, but were quite radical. A key element of his conception of language is the notion of sphoṭa – a term that may be based on an ancient grammarian, Sphoṭāyana, referred by Pāṇini,[14] now lost.

In his Mahabhashya, Patanjali (2nd century BCE) uses the term sphoṭa to denote the sound of language, the universal, while the actual sound (dhvani) may be long or short, or vary in other ways. This distinction may be thought to be similar to that of the present notion of phoneme. Bhatrihari however, applies the term sphota to each element of the utterance, varṇa the letter or syllable, pada the word, and vākya the sentence. To create the linguistic invariant, he argues that these must be treated as separate wholes (varṇasphoṭapadasphoṭa and vākyasphoṭa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same speech sound or varṇa may have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word contexts (e.g. assimilation), so that the sound cannot be discerned until the whole word is heard.

Further, Bhartrihari argues for a sentence-holistic view of meaning, saying that the meaning of an utterance is known only after the entire sentence (vākyasphoṭa) has been received, and it is not composed from the individual atomic elements or linguistic units which may change their interpretation based on later elements in the utterance. Further, words are understood only in the context of the sentence whose meaning as a whole is known. His argument for this was based on language acquisition, e.g. consider a child observing the exchange below:

elder adult (uttama-vṛddha "full-grown"): says "bring the horse"
younger adult (madhyama-vṛddha "half-grown"): reacts by bringing the horse

The child observing this may now learn that the unit "horse" refers to the animal. Unless the child knew the sentence meaning a priori, it would be difficult for him to infer the meaning of novel words. Thus, we grasp the sentence meaning as a whole, and reach words as parts of the sentence, and word meanings as parts of the sentence meaning through "analysis, synthesis and abstraction" (apoddhāra).[9]

The sphoṭa theory was influential, but it was opposed by many others. Later Mimamsakas like Kumarila Bhatta (c. 650 CE) strongly rejected the vākyasphoṭa view, and argued for the denotative power of each word, arguing for the composition of meanings (abhihitānvaya). The Prabhakara school (c. 670) among Mimamsakas however took a less atomistic position, arguing that word meanings exist, but are determined by context (anvitābhidhāna).

In a section of the chapter on Relation Bhartrhari discusses the liar paradox and identifies a hidden parameter which turns an unproblematic situation in daily life into a stubborn paradox. In addition, Bhartrhari discusses here a paradox that has been called "Bhartrhari's paradox" by Hans and Radhika Herzberger.[15] This paradox arises from the statement "this is unnameable" or "this is unsignifiable".

The Mahābhāṣya-dīpikā (also Mahābhāṣya-ṭīkā) is an early subcommentary on Patanjali's Vyākaraṇa-Mahābhāṣya, also attributed to Bhartṛhari.[16]

Śatakatraya[edit]

Bhartrihari's poetry is aphoristic, and comments on the social mores of the time. The collected work is known as Śatakatraya "the three śatakas or 'hundreds' ('centuries')", consisting of three thematic compilations on shringaravairagya and niti (loosely: love, dispassion and moral conduct) of hundred verses each.

Unfortunately, the extant manuscript versions of these shatakas vary widely in the verses included. D.D. Kosambi has identified a kernel of two hundred that are common to all the versions.[11]

Here is a sample that comments on social mores:

And here is one dealing with the theme of love:

The clear bright flame of a man's discernment dies
When a girl clouds it with her lamp-black eyes. [Bhartrihari #77, tr. John Brough; poem 167][18]

Bhartrhari's paradox[edit]

Bhartrhari's paradox is the title of a 1981 paper by Hans and Radhika Herzberger[15] which drew attention to the discussion of self-referential paradoxes in the work Vākyapadīya attributed to Bhartṛhari.

In the chapter dealing with logical and linguistic relations, the Sambandha-samuddeśa, Bhartrhari discusses several statements of a paradoxical nature, including sarvam mithyā bravīmi "everything I am saying is false" which belongs to the liar paradox family, as well as the paradox arising from the statement that something is unnameable or unsignifiable (in Sanskrit: avācya): this becomes nameable or signifiable precisely by calling it unnameable or unsignifiable. When applied to integers, the latter is known today as Berry paradox.

Bhartrhari's interest lies not in strengthening this and other paradoxes by abstracting them from pragmatic context, but rather in exploring how a stubborn paradox may arise from unproblematic situations in daily communication.

An unproblematic situation of communication is turned into a paradox — we have either contradiction (virodha) or infinite regress (anavasthā) — when abstraction is made from the signification and its extension in time, by accepting a simultaneous, opposite function (apara vyāpāra) undoing the previous one.[19]

For Bhartrhari it is important to analyse and solve the unsignifiability paradox because he holds that what cannot be signified may nevertheless be indicated (vyapadiśyate) and it may be understood (pratīyate) to exist.

Works[edit]

Works attributed to Bhartr-hari include:[20]

  • Trikāṇḍī ("three books"), sometimes known under the inaccurate title Vakyapadiya
    • The author wrote the commentaries (vṛttis) on the first two books, and probably died before he could do it for the third book. The title Trikāṇḍī was probably not chosen by the author, who originally conceived them as "relatively independent" works, but later thought of unifying them.[21]
  • Tripadi, also known as Mahabhashya-tika or Mahabhashya-dipika
    • The earliest commentators on the text call it Tripadi, and the title Mahabhashya-dipika is known only from one manuscript.[22]
    • The author probably intended to write a commentary on the entire text, but died after completing the work on the three padas of Maha-bhashya. The title Tripadi was probably coined by someone other than the author.[23]
    • The currently surviving version of the work covers only the first seven ahnikas of the first pada of Mahabhashya. It is known from a fragmentary manuscript.[24]
  • Shabda-dhatu-samiksha, now lost
    • This work is attributed to Bharthari by the Kashmiri Shaivite authors Soma-nanda and Utpalacharya (9th-10th centuries). According to Utpalacharya, in this work, Bharthari described the concept of pashyanti, which he also discusses in the Trikandi.[25]
  • Possibly, a commentary on Jaimini's Mimamsa Sutras

Tradition also attributes several other works to "Bharthari", although the authenticity of such attributions is doubtful.[26] For example, tradition identifies Bharthari the grammarian with the poet who composed Subhashita-tri-shati, a work said to contain 300 stanzas. However, the number of stanzas in the surviving text is much more than 300, which complicates the identification of its actual author.[25]

See also[edit]

Regarding Bhartrhari's paradox, see:

  • B. K. Matilal, 1990, The Word and the World: India's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Language. Delhi: Oxford University Press. p. 129-130.
  • Hemanta Kumar Ganguli, "Theory of Logical Construction and Solution of some Logical Paradoxes" , appendix to Philosophy of Logical Construction: An Examination of Logical Atomism and Logical Positivism in the light of the Philosophies of Bhartrhari, Dharmakirti and Prajnakaragupta, Calcutta, 1963.
  • Jan E.M. Houben, The Sambandha-samuddeśa (chapter on relation) and Bhartrhari's philosophy of language, Gonda Indological Series, 2. Groningen: Egbert Forsten, 1995, pp. 213–219.

References[edit]

  1. ^ Cornille, Catherine (8 June 2020). The Wiley-Blackwell Companion to Inter-Religious Dialogue. John Wiley & Sons. p. 199. ISBN 978-1-119-57259-6.
  2. ^ Hajime Nakamura (1990), A history of early Vedānta philosophy, Part 1, Motilal Banarsidass Publ., p. 80, ISBN 978-81-208-0651-1
  3. ^ Edward Craig, ed. (1998),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Taylor & Francis, p. 764, ISBN 978-0-415-16916-5
  4. ^ Harold G. Coward (1976), Bhartṛhari, Twayne Publishers, ISBN 978-0-8057-6243-3
  5. ^ Saroja Bhate; Johannes Bronkhorst, eds. (1994), Bhartṛhari, philosopher and grammarian: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hartṛhari (University of Poona, January 6–8, 1992), Motilal Banarsidass Publ., p. 21, ISBN 978-81-208-1198-0
  6. ^ Mulakaluri Srimannarayana Murti (1997), Bhartṛhari, the grammarian, Sahitya Akademi, p. 10, ISBN 978-81-260-0308-2
  7. ^ Harold G. Coward; Karl H. Potter; K. Kunjunni Raja, eds. (1990),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The philosophy of the grammarians, Motilal Banarsidass Publ., p. 121, ISBN 978-81-208-0426-5
  8. ^ George Cardona (1998), Pāṇini: a survey of research, Motilal Banarsidass Publ., p. 298, ISBN 978-81-208-1494-3. Detailed discussion, see also notes on p. 366.
  9. Jump up to:a b Bimal Krishna Matilal (1990). The Word and the World: India's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10. ^ N. V. Isaeva (1995), From early Vedanta to Kashmir Shaivism: Gaudapada, Bhartrhari, and Abhinavagupta, SUNY Press, p. 75, ISBN 978-0-7914-2450-6Bhartrihari may have been "within the fold of Vedānta".
  11. Jump up to:a b Vidyākara (1968), Daniel Henry Holmes Ingalls (ed.), Sanskrit poetry, from Vidyākara's Treasury, Harvard University Press, p. 39, ISBN 978-0-674-78865-7
  12. ^ Miller, Foreword and Introduction
  13. ^ A. K. Warder (1994), Indian kāvya literature: The ways of originality (Bāna to Dāmodaragupta), Motilal Banarsidass Publ., p. 121, ISBN 978-81-208-0449-4
  14. ^ Panini 6.1.123. The 10-century Haradatta assumed that Sphoṭāyana was the author of the sphoṭa theory.
  15. Jump up to:a b Herzberger, Hans and Radhika Herzberger (1981). "Bhartrhari's Paradox"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9: 1-17 (slightly revised version of "Bhartrhari's Paradox" in Studies in Indian Philosophy. A memorial volume in honour of pandit Sukhlalji Sanghvi. (L.D. Series 84.) Gen. ed. Dalsukh Malvania et al. Ahmedabad, 1981).
  16. ^ Extensively used by later grammarians such as Kaiyaṭa, the text is only fragmentarily preserved. An edition based on an incomplete manuscript was published by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Pune (1985-1991), in six fascicules (fascicule 6 in two parts).
  17. ^ Bhartrihari: Poems. Translated by Miller, Barbara Stoler.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7. ISBN 9780231029995.
  18. ^ John Brough (trans.) (1977). Poems from the Sanskrit. Penguin. poem 12
  19. ^ Jan E.M. Houben, "Paradoxe et perspectivisme dans la philosophie de langage de Bhartrhari: langage, pensée et réalité"Bulletin d'Études Indiennes 19 (2001):173-199.
  20. ^ Ashok Aklujkar 1994, p. 33.
  21. ^ Ashok Aklujkar 1994, p. 25-26.
  22. ^ Harold G. Coward 1990, pp. 121–122.
  23. ^ Ashok Aklujkar 1994, p. 26.
  24. ^ Ashok Aklujkar 1994, p. 34.
  25. Jump up to:a b Harold G. Coward 1990, p. 122.
  26. ^ Harold G. Coward 1990, p. 121.

Bibliography[edit]

External links[edit]


[신신마당] 기독교 하나님의 이해 (박영식 교수)

[신신마당] 기독교 하나님의 이해 (박영식 교수)

기독미디어 로고스TV
19.3K subscribers

Subscribe

45


Share

1,448 views  Aug 7, 2019
기독미디어 로고스TV는 하나님의 말씀을 더 깊고, 풍성하게 이해할 수 있는 영상자료를 제작 및 배포하는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기독미디어 로고스TV 팟캐스트: "신신愛"
팟빵: http://www.podbbang.com/ch/16946
팟티: https://www.podty.me/cast/183359
기독미디어 로고스TV 페이스북: https://bit.ly/2K7fFw6

후원안내: https://go.missionfund.org/logostv
개인후원: 1005-003-812520 우리은행 (기독미디어 로고스)

박영식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질문: 기독교 하나님의 이해"

기독교의 하나님은 어떤 분일까요? 성경은 하나님을 어떻게 설명하고
기독교인들은 어떤 하나님을 믿고 또 믿어야할까요?

"신신마당"은 '기독교 하나님의 이해'라는 질문을 가지고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인 "박영식"교수님을 찾아 뵙고, 여쭈어 보았습니다.
Transcript


====
Transcript


0:00
5
0:01
[음악]
0:09
그리스도 교회에서의 하나님이 에는 아무래도 성서에 나타난 하나님 이해 줘
0:14
구약성서에 나타난 하나님 그리고 신약성서에 나타난 하나님이 이 두 분의
0:19
1은 서로 다른 하나님이 아니라 결국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이
0:23
달하는 것이 기독교 신앙의 하나님이 애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0:28
구약 성경에 보면 하나님께서 어떤 것으로도 나의 형상을 만들지 말라 라고
0:33
이야기를 하셨고 하나님을 실제로 인간이 가까이 가서 대면할 수 없는
0:38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0:40
그런데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는 항상 매개체가 필요 하죠
0:43
하나님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보이도록 하는 또는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그
0:48
하나님의 뜻을 우리에게 전달하는 매개체가 필요한데 이 매개체로 중요한
0:52
역할을 했던 사람들이 바로 예언자들이 줘
0:56
예언자들이 나타나서 하나님 말씀을 대신 전에 주었습니다 그러나 예언자는
1:01
하나님 아니었고 하나님 말씀을 대신 전하는 사람의 역할을 했던 것이죠
1:06
또 시대가 좀 또 다른 형태로 볼 때 율법이 라는 것도 하나님과 인간
1:12
사이를 매개 좀 굉장히 중요한 매개체로 등장합니다
1:16
율법은 하나님 자신은 아니지만 하나님 말씀이 그 안에 온전히
1:20
우리에게 전달되는 중요한 매개체로 역할을 하게 된 거예요
1:25
그런데 이제 율법의 중요한 핵심이 무엇이냐 하는 것에 있어서 예수께서는
1:30
사랑이라고 하는 걸 이야기 하셨고요
1:33
하나님의 사랑이라고 하는 것은 이웃 그리고 원수까지도 포괄하는 그래서
1:38
선인과 악인의 경계까지 허무는 사랑이다 라는 것은 예수님이 말씀하셨어요
1:43
결국 이제 예수님이 율법에 대한 새로운 해석 때문에 어떻게 봄 십자가에
1:48
못박혀 어죽 으셨는데 기독교 신앙의 역설적으로 이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고
1:53
하나님의 당시 사람들이 생각했던 신으로부터 저주받은 이 나사는 예수 야
2:00
말로 하나님의 형상이다 라고 표현을 한 거죠
2:03
보이지 않는 하나님이 보이는 사람의 형상으로 나타났다 라고 하는 것에서
2:08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찾는다 라고 이야기를 할
2:13
수가 있습니다
2:14
그렇담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 아버지 에그 하나님 속성은 무엇일까 했을
2:19
때 역시 예수님의 가르침을 우리는 생각해 볼 수가 있는데 결국 사랑의
2:25
하나님이라는 것이죠
2:26
사랑의 하나님에게는 일단 경계가 없다 우리가 이렇게 한번 생각해 볼 수가
2:31
있습니다
2:32
아 전통적인 그 율법의 해석에 따르면 악인가 선인 또 의와 재임 또
2:38
하나님의 사람 다 버림 받은 사람의 경계가 확연하게 있지만 예수님의
2:44
시각에서 봤을 때는 모두가 다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의 대상으로 보시는
2:49
거예요 그래서 하나님께서 해와 비를 악인가 선인 에게 주신다 라고
2:54
이야기를 하셨고 또 기독교 신앙은
2:57
죄인으로 십자가에 못 박힌 이 예수 야말로 하나님 앞에서 참된 의라고
3:02
보기 때문에
3:03
제인과 의인의 경계가 십자가 안에서 무너지는 것을 보게 됩니다
3:07
결국 우리의 인간의 관점에서 죄인 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3:12
관점에서 는 의미 될 수가 있고요
3:14
우리 스스로 의인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관점에서 는 죄인이
3:19
될 수가 있단 이 역설이 기독교 신앙의 하나님 을 이해하는 데 굉장히
3:24
중요한 역설이 라고 봅니다
3:26
하나님이 사랑이시다 라고 하는 것은 바로 우리가 갖고 있는 사랑의 겨냥
3:30
우리가 갖고 있는 선의 개념을 뛰어넘는
3:33
오히려 그것을 역전시킬 수 있는 어 정의의 개념 하고도 상 통한다고 볼
3:38
수가 있어요
3:39
우리가 생각하는 정의 라고 하는건 항상 어 분 배정 입니다
3:43
그러나 성경이 말하고 있는 정의는 사랑의 정의 라고 볼 수가 있어요
3:48
돌보고
3:50
어 푸 뭐 안고 같이 함께 간 그래서 어디 터진 자가 앞설 수 있고 또
3:56
약한 자가 어
3:57
하나님 품안에서 강한 자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이런 역설적인 형태가 바로
4:04
기독교의 정의라고 할 때 하나님은 사랑의 하나님
4:07
또 정의의 하나님 이라고 이야기할 수가 있고요
4:11
기독교는 하나님의 이야기할 때 항상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 그분을
4:16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4:19
4:19
[음악]
4:22

[신신마당] 의심없는 믿음을 가져야 하나요? by 박영식 교수



[신신마당] 의심없는 믿음을 가져야 하나요? by 박영식 교수

기독미디어 로고스TV
19.3K subscribers

Subscribe

35


Share

1,035 views  Apr 10, 2019
박영식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질문: 의심없는 믿음을 가져야 하나요?"

의심은 믿음과 절대 함께 할 수 없는 것이라 배우지 않았습니까? 하지만, 신앙생활을 하다보면 여러 의구심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왜 하나님을 믿지? 왜 이런일이 생기는 것이지? 등등 사람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의심을 끊을 수 있을까요? 

의심은 정말 선하지 않고, 믿음과 대치되는 것일까요?

"신신마당"은 의심없는 믿음을 가져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가지고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인 "박영식"교수님을 찾아뵙고, 의심에 관한 의견을 들었습니다.

===
Transcript


0:00
5
0:01
[음악]
0:09
의시 그러니까 신앙과 의심의 관계를 우리가 생각해 볼 수가 있는데 음
0:16
개인적으론 의심의 정도 또는 의심이 뭐냐 라고 하는 것들 한번 생각해 볼
0:22
필요가 있어요 우리가 이제 흔히
0:24
비판 의심 회 이런 것들은 좀 다르게 표현한 뭔가 꼼꼼히 따져본다 는
0:30
의미 이거든요
0:31
무턱대고 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물건을 살 때도 꼼꼼하게
0:36
따져보고 이것이 내한테 유용한거 또 이 물건은 튼튼 1가 다른 것과
0:40
비교해서 또 이게 값이 적당한가 이렇게 다양한 관점으로 우리가 볼 수가
0:46
있는데 그것을 이제 비판이라고 학문적인 오는 비판 이라고 볼 수도 있고
0:50
회의라고 볼 수도 있고 의심 이라고 볼 수가 있는데
0:54
신앙이라고 하는 것도 사실은 우리가 갖고 있는 기독교 신앙의 합리성을
0:59
이야기할 때 신앙이라고 항성 맹모 까는 달리 또는 미싱 과는 달리
1:04
무조건 어 그냥 순 복하고 받아들이는 자세가 아니라 두들겨 보고 또
1:09
따져보고 생각하면서 그 속에서 신앙의 합리성 의 근거 신앙의 근거를
1:15
마련하는 것이 사실은 신학에서 굉장히 중요한 작업 이거든요
1:19
우리 한국 교회가 아
1:22
아 조금 아쉬운 점 중에 하나가
1:25
신앙 그냥 믿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는 것 자체가 조금 아쉬운 점 이라고
1:29
저는 생각합니다
1:30
우리가 믿음을 같지만 아
1:33
그 믿음을 통해서 또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게 되고 또 새로운 세계를 경험
1:38
하다 보면 기존에 우리가 갖고 있는 생각과 부딪히는 것이 있기 때문에 그
1:42
속에선 반드시 해명 돼야 될 부분들이 있고요
1:45
그럼 해명의 작업을 통해서 사실은 생각의 폭도 넓어지고 신앙의 폭도
1:49
넓어지고 더 깊어지고 또또 도 풍성한 또 하나님의 마음도 이해할 수 있지
1:56
않나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1:59
이제 좀 다르게 표현하면 은 신앙은 어떤 면에서는 대환 돼 아 다른
2:04
사람과의 대화 일수도 있고요
2:07
어 자기 자신과의 대화 일수도 있어요 사실 이 예 신 학 점 5 파월 티
2:12
리 히 같은 사람은 신학을
2:15
변증 않은 신화 대답하는 신학이라고 이야기 했지만 우리가 뭔가를 대 다
2:19
팔리면 질문을 들어야 되거든요 근데 이 질문은
2:24
자기 자신에게서 사실 나오는 질문일 수도 있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던져진
2:28
질문 일수도 있고 이 시대가 던지는 질문일 수도 있어요
2:32
신학자는 어떤 의미에서는 그 질문을
2:35
기하게 바타 받아서 자기 자신의 질문으로 그 자기의 고민으로 끌어안는
2:41
사람들이죠
2:42
그런 면에서 의심 질문 회의 비판
2:45
이건 굉장히 중요한 신학을 하는 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2:49
아 계기다 저는 이렇게 에 이해하고 싶습니다
2:54
2:55
[음악]
2:56

'과학과 신학과의 대화'와 서울신대 학생회, 우종학 박영식 교수 초청 강연 2018

"신앙 안에서 과학은 창조 신비 이해하는 도구" : 감 : 기독일보

입력 2018. 11. 16 0

"신앙 안에서 과학은 창조 신비 이해하는 도구"
'과학과 신학과의 대화'와 서울신대 학생회, 우종학 박영식 교수 초청 강연

기독일보 노형구 기자 (press@cdaily.co.kr)
----

[기독일보 노형구 기자] 서울신학대학생회는 15일 오후 7시부터 ‘창조는 어떻게 HOW? 왜 WHY? 무엇 WHAT?’이란 주제로 강연회를 개최했다. 서울대 우종학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초청한 이번 강연회는 서울 신학대 박영식 조직 신학 교수도 참여해, 신학과 과학이 창조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살펴보는 시간이었다.

우선 박영식 서울신학대 조직 신학 교수는 ‘신학이 바라보는 창조’라는 주제로 강연을 전했다. 그는 “한국교회를 포함해 종래의 기독교는 종교개혁 이후 창조보다 구원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그는 “구원 속죄보다 성경 전체를 덮고 있는 주제는 아마 창조”라며 “창조는 성경의 아주 핵심적 개념”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장로교는 하나님의 영광이 바로 창조의 목표라고 강조하지만, 성경에는 뚜렷이 드러나는 구절은 없다”며 “창세기에 나와 있는 대로 인간 창조의 목표는 생육과 번성, 곧 생명의 충만함이 이 땅위에 번져가는 것”이라 밝혔다. 아울러 그는 “안식일 역시 하나님께서 일손을 놓고 쉬시는 개념이 아니라 피조물이 복을 받는 방향으로 세계 질서가 온전히 유지되는 날”이라며 “마태복음 12장에 손 마른 사람을 안식일에 고치시는 예수를 보며, 안식은 곧 무너졌던 창조질서를 회복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하여 그는 “안식과 창조는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그는 “기독교는 무로부터의 창조를 전하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아무 것도 생각할 수 없는 것에서 무언가를 창조하셨다는 개념”며 “실은 성경이 말하는 무는 아무 것도 없는 게 아닌 혼돈의 개념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그는 “성경은 무가 바로 우리 삶의 복된 질서를 방해하는 세력을 뜻하며, 이는 혼돈으로부터의 위협이라 봐도 무방하다”고 덧붙였다.


서울신학대 박영식 조직신학 교수 ©기독일보 노형구 기자
그렇다면 박영식 교수의 말대로, 교회 신앙에서 창조를 경시하는 흐름이 생긴 이유는 뭘까? 앞서 말했듯, 그는 “17세기 이후 루터 및 칼빈의 개신교 정통주의로 인해, 태초의 창조뿐만 아니라 계속된 창조를 더 많이 강조했다”며 “이는 다른 말로 하면 섭리의 하나님”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놓고, 그는 “섭리란 지금 만든 것을 보전하시면서, 이제 피조물과 함께 협동으로 질서를 세워 가시는 하나님의 통치와 창조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섭리로 본다면, 창조는 우리의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게 된다. “하나님의 창조를 섭리로 볼 수 있다면, 내 삶에 하나님의 섭리는 창조 행위라 볼 수 있다”며 그는 창세기 22장의 ‘여호와이레’를 들었다. 이는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기적으로 주신 이삭을 다시 번제할 것을 요구하는 장면으로, ‘여호와이레’는 그럼에도 하나님이 약속대로 준비하실 것이란 아브라함의 믿음의 고백이다.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부활한 이삭이든 이삭 대신 번제할 양이든 말이다. 결국 여호와 이레는 섭리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아브라함의 절대 신뢰였다.

이에, 그는 “섭리란 하나님이 미리 계획하신 개념이 아니라, 위기 상황에서 또 다른 새로운 길을 예비하시는 창조의 과정”이라며 “하나님은 항상 우리에게 창을 열어 놓으셨다”고 강조했다. 하여, 그는 “절망 가운데 흑암이 깊을 수 있지만, 하나님은 그 가운데 창문을 열어 놓으시면서 새로운 빛을 열어주시고 길을 새롭게 내신다”며 “이러한 하나님의 섭리가 어쩌면 우리 삶을 계속해서 창조하시는 과정”이라고 전했다.

끝으로 그는 “우리 삶은 창조 6일째와 7일째 사이를 살고 있다”며 “즉 완전한 창조가 완성되지 않는 채 십자가와 부활 사이를 살고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그는 “고난도 있겠지만 부활하신 예수를 바라보며, 하나님이 우리 삶을 복되게 빚어 가시는 과정 곧 선한 섭리를 믿으며 사는 게 우리 신앙”이라고 역설했다.

=======

곧바로 우종학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과학이 바라보는 창조’를 놓고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하나님이 세상을 말씀으로 창조하셨다고 성경에 나와 있지만, 빛이 어떻게 창조됐는지는 나와 있지 않다”며 성경이 ‘HOW’보다 ‘WHY’에 집중한 계시라고 설명했다. 때문에, 그는 “자연은 하나님이 세상을 어떻게 창조했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책이기에, 이런 인과과정을 탐구하는 학문이 과학”이라고 덧붙였다. 즉 과학은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또 다른 계시인 자연이 ‘어떻게’ 창조됐는지, 인과율에 따라 분석하는 학문이라는 게 그의 말이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우종학 교수 ©기독일보 노형구 기자

먼저 그는 과학적 탐구 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했다. 그는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에서 빅뱅 우주론은 시작됐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뉴턴은 중력의 속성은 인력(끌어당기는 힘)만 있는데, 결국 우주가 유한한 공간이라면 중심이라 할 수 있는 한 점으로 모든 은하가 뭉쳐져 우주는 붕괴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때문에 그는 뉴턴의 주장을 풀면서, “우주는 유한한 공간이 아닌 무한한 공간을 지닌다”고 말했다.

19세기 올버스란 과학자도 밤하늘이 왜 어두운가를 놓고 질문했다. 우종학 교수는 “만약이 우주가 무한히 크고 균일하다면 어느 방향을 보더라도 별이 있을 것”이라며 “그러면 밤하늘이 일정정도 환하게 빛나야 하는데, 실제 밤하늘 을 보면 어둡다”고 반박하면서, “그래서 밤하늘이 어두워지려면 우주는 끝없이 팽창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우주팽창론을 제시한 1920년대 학자인 허블을 설명했다. 그는 “‘먼 은하들이 가까운 은하들보다 더 빠른 속도로 멀어 진다’는 사실이 우주 팽창의 증거”라며 “풍선을 불면 풍선 위 각점은 서로 멀어지는데, 멀리 있는 점이 더 빨리 멀어진다는 사실은 우주도 풍선처럼 팽창한다는 증거”라고 못 박았다.

또 그는 빅뱅우주론의 구체적 데이터를 설명했다. 바로 우주배경복사다. 그는 “아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윌슨은 1965년에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했다”며 “그들이 전파망원경 관측 중 잡음을 발견했는데,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관측된 사실로 미루어 우주배경복사로 결론지었다”고 전했다. 즉 우주배경복사의 높은 등방성(等方性)은 어느 특정한 천체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태양계 밖 우주공간에 충만히 퍼져있는 전파임을 방증하는 셈이다. 이는 우주가 팽창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증거다. 나아가 그는 “1992년 NASA의 COBE위성은 우주배경복사의 등방성을 확인해 구체적인 실험 데이터를 제시했다”며 “전 방향에서 절대온도 2.73도의 복사파도 균일하게 검출했다”고 덧붙였다.

반면 그는 “창세기 1:3을 우주배경복사라고 말하는 건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유로 그는 “성경은 ‘왜’라는 의미에 집중하지만, ‘어떻게’라는 인과율에는 집중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 그는 “빅뱅우주론은 우주가 어떻게 창조됐는지 탐구하는 과학적 가설”이라며 “과학은 신학적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138억 년 전, 빅뱅이라는 특이점에 우주의 모든 물질이 포함되고 응축됐고 지금도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과학적 사실은 하나님이 지금도 창조하시고 일하고 계신다는 해석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즉 그는 “무에서 유로 창조됐다는 기독교적 해석을 뒤따라 적용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우주과학은 우주가 탄생한 138억 년 전부터 지금 까지 과정을 대략 밝혔지만, 빅뱅 당시 138억년의 시점은 현대물리학으로 규명할 수 없다”며 이를 특이점이라 지칭했다. 그는 이를 1/10^43 초라고 설명하며, “현대과학이 설명할 수 없는 극한의 시간이기에, 모든 비밀을 다 풀 수 있을 것처럼 과학을 맹신해서도 안 됨”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과학은 경험적 데이타가 핵심”이라며 “자연이라는 실재가 있으면 자연을 파악하는 과정이 과학이고, 이는 근사치를 제공할 뿐”이라며 과학만능주의를 경계했다.

때문에 그는 “과학은 절대주의도 아니고 상대주의 및 주관주의도 아닌 그 중간 지대에 있다”며 “과학은 존재의 이유를 말해주지 않는 가치중립”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하나님이 일반 은총으로 주신 자연을 이해하는 도구로 과학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하여, 그는 신앙 안에서 과학을 바라보는 바람직한 태도를 제시했다. 그는 “과학으로 신앙을 증명하려는 게 아닌, 신앙 안에서 과학적 사실은 하나님의 창조 신비를 이해하는 도구로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그는 “과학은 가변적이기에, 과학에 기대어 창세기 및 기독교신앙을 증명하려는 태도는 위험할 수 있다”고 했다. “구속 신학을 가진 사람이 과학을 보면 하나님이 창조하신 신비로 이해할 수 있지만, 과학적 사고관에 입각해 신앙을 바라보면 오류와 허점투성이”라며 “자칫하면 무신론으로 치우칠 가능성이 있다”고 그는 전했다.

이에 그는 “똑같은 과학적 사실을 가지고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문제도 발생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자현현상은 주어진 데이터이고, 과학은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체계”라며 “그 다음은 세계관이 뒤 따른다”고 했다. 즉 그는 “동일한 과학 현상에서 다른 세계관이 도출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가령, 그는 “리처드 도킨스는 유전자 분석을 통해 입증된 생물진화이론에서 신이 개입되지 않은 생물 스스로의 진화를 주장했다”며 “반면 세계적 유전학자인 프란시스 콜린스는 생물진화이론을 통해 하나님께서 다양한 생물 종을 창조하셨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시 말해, 그는 “과학은 유신론 혹은 무신론의 증거로서 제시되는 게 아닌, 어떻게 자연이 창조됐는지 인과관계만 알려 준다”고 전했다. 따라서 그는 “창조에 있어 하나님의 기적이 개입되는 부분이 분명 있지만, 과학은 일단 기적을 탐구하지 않고 다룰 수도 없다”며 “과학은 인과관계에 입각해 자연을 탐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기적은 인과관계를 초월하기 때문에 과학이 다룰 수 없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자연현상을 놓고 어떤 작동원리로 창조됐는지 밝히는 게 과학”이라며 “과학적 작동원리를 가지고, 여러 가지 해석이 도출될 수 있다”고 재차 말했다. 가령 그는 진화론을 놓고, “‘우주와 자연은 스스로 진화한다’는 무신론적 해석, ‘신이 자연을 창조했지만 더 이상 인간세계에 개입하지 않고, 자연은 내재하는 법칙에 의해 운행된다’는 이신론적 해석, ‘하나님이 자연을 붙들고 계셔서, 질서 있게 자연법칙을 부여하시고 우주를 다스린다’는 유신론적 해석”이 도출됨을 설명했다.

또 그는 “유신론 안에도 생물 진화를 인정하는 입장이 있는 반면 아닌 입장도 있다”며 “점진적 창조론, 젊은 지구론은 대표적으로 생물진화를 인정하지 않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하여, 그는 “과학적 사실과 세계관은 엄연히 분리된 해석”임을 재차 강조하며, 강연을 마무리 했다.

=====

"광대한 우주가 존재하려면, 그보다 더 광대한 존재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이란?"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창조론의 범주에서 진화론을 조화시키다
"존재는 사랑이신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응답"
신학자들의 관심사 '창조'…학회들 연달아 행사 개최
"성경의 창조, 과학과 대립되는 것 아니다"
"예수의 기적? 우리가 증명 못한다 해서 '아니'라 말 못한다"
'교회를위한신학포럼', 목회자 사역자 위한 성윤리 주제로 포럼 개최
"과학과 신학 대화의 장은 꼭 필요하다"
"가나안 성도는 기성교회 큰 도전…비제도권의 교회갱신운동"
"기독교세계관은 하나님 뜻 생각할 줄 아는 성경적 분별력"
기독교인 학자들, 삶 속의 '선교적 만남'이란 '신앙의 실천'

[출처] 기독교 일간지 신문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81449#share

과신대 사람들 (4) 박영식 교수 : 과학과 신학의 대화 과신대

과신대 사람들 (4) 박영식 교수 : 과학과 신학의 대화 과신대

과신대 사람들 (4) 박영식 교수

과학과 신학의 대화
2019-11-20
조회수 484

과신대와 함께 하는 분들을 인터뷰를 통해 만나보는 시간

과신대 사람들


이번 호의 주인공은 현재 과신대 자문위원으로 계신 서울신학대학교 박영식 교수님입니다.


-

[과신대(이하 과)]
안녕하세요, 교수님. 인터뷰에 앞서 간단한 본인 소개 및 전공 분야를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박영식 교수(이하 박)]
안녕하세요. 저는 박영식이라고 합니다. 지금 서울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있습니다. 전공은 조직신학입니다.

[과]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과신대와 함께하게 되셨습니까?

[박] 제가 어떻게 과신대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웃음) 예전에 우종학 교수님이 번역한 책이 있었는데, 그 책을 읽다가 번역이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 같아, ‘별아저씨의 집’이라는 블로그를 통해 수정을 요청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그때가 계기가 되어 우종학 교수님을 알게 되고 어쩌다 보니, 자문위원으로도 이름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과] ‘과학과 종교(신학)의 대화’라는 주제로 수업을 진행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수업 분위기가 어떠한지 들어보고 싶습니다.

[박] 일단 수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적지 않습니다. 저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과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몰라서 그렇죠. 특히 고등학교 때 이과를 나온 학생들이 유심히 수업을 듣곤 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이 ‘어렵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이런 분야의 학문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과] 교수님은 ‘과학과 신학 간의 대화’를 어떠한 입장에서 바라보십니까?

[박] 일단 저는 과학과 신학은 완전히 다른 분야의 학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수학과 사회가 각각의 독립적인 학문인 것처럼, 과학과 신학 역시 개별적으로 보아야하는 학문입니다. 그런데 질문이 제기될 때에는 경우가 달라집니다. 질문이 발생하면 두 학문은 만날 수 있는 ‘접점’이 생겨납니다. 

예를 들어, 사회학적인 변동에 수학적 패턴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경제활동 내에서 인간의 심리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물음이 있을 수 있듯이 말입니다. 저는 과학과 신학이 오른손과 왼손처럼 딱딱 맞아야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각 학문은 각자의 위치를 지켜야 합니다. 그러나 질문이 제기되었을 때에는 각자가 대답하는 질문이 서로 상충되거나 대립되기보다는, 공명을 이룰 수 있으면 좋겠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피아노나 바이올린은 서로 다른 악기죠? 서로 다른 악기임에도 불구하고 피아노와 바이올린은 충분히 합주할 수 있습니다. 그것과 같이 신학과 과학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유하고 작동하지만, 동일한 테마(Theme)를 두고 같이 합주하면 아름답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과] 앞으로 과학과 신학이라는 학문 내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박] ‘섭리’라는 기독교 개념을 과학적으로 어떻게 조명해야 하는 지에 대한 문제를 연구해보고 싶습니다. 프랜시스 콜린스는 창조 이후에 인간의 진화에 대해 신이 아무런 개입을 하지 않았다고 설명합니다. 그렇다면, 초자연적인 섭리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에 대한 물음도 제기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물질세계 내에서 창조주의 섭리를 과학과 함께 고찰해보는 연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 지금까지는 ‘과학’을 신학자들이 어떻게 조명하고 해석해왔는지에 대해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면, 이제는 ‘신학’이라는 주제를 과학자들이 어떻게 바라볼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면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가령, 예수님의 부활체(體)를 현대 물리학에서, 생물학에서, 의학에서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와 같은 문제를 다루어보는 것이죠.

옛날에는 이러한 주제를 생각조차 할 수가 없었습니다. 성경에서 예수님이 벽을 통과하는 장면과 같은 경우는 이전 시대의 인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어떻습니까? Wi-fi를 보면 충분히 벽을 뚫고도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와 동시에 편재하기까지 합니다. 이곳에도 있고, 저곳에도 있고……. 근원적으로 부활, 재림은 과학자의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 마지막으로 과신대 VIEW 독자분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박] 제가 한 말씀을 드릴 입장이 아닌데요...(웃음) 앞으로도 이 분야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시고, 힘내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작성 | 이준봉, 과신대 기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