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7

Generativity - Wikipedia

Generativity - Wikipedia:

Generativit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Erik Erikson (1902–1994) was the first to use the term generativity.

The term generativity was coined by the psychoanalyst Erik Erikson in 1950 to denote "a concern for establishing and guiding the next generation."[1] He first used the term while defining the Care stage in his theory of the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Jonathan Zittrain adopted the term in 2006 to refer to the ability of a technology platform or technology ecosystem to create, generate or produce new output, structure or behavior without input from the originator of the system.[2]

History[edit]

In 1950 Erik Erikson created the term generativity to explain the 7th stage in his theory of the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The 7th stage encompasses the middle ages of one's life, from 40 through 64. Generativity was defined as the “ability to transcend personal interests to provide care and concern for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3] It took over 30 years for generativity to become a subject of empirical research. Modern psychoanalysts, starting in the early 1990s, have included a concern for one's legacy, referred to as an “inner desire for immortality”, in the definition of generativity.[4]

More recently, the term has been adopted by people who deal with technology, first used by Johnathan Zittrain in 2006. Generativity in technology is defined as “the ability of a technology platform or technology ecosystem to create, generate or produce new output, structure or behavior without input from the originator of the system.”[2] An example of this could be any computing platform, such as the iOS and Android mobile operating systems, for which other developers have created millions of unique applications. It has been argued that the open Internet is both an inspiration of generativity and a means to spread the products of generativity. However, some people including Johnathan Zittrain fear that society and technology are moving away from a generative internet, claiming “A shift in consumer priorities from generativity to stability will compel undesirable responses from regulators and markets and, if unaddressed, could prove decisive in closing today’s open computing environments.”[2]

Use in Psychology[edit]

Psychologically, generativity is concern for the future, a need to nurture and guide younger people and contribute to the next generation.[5] Erikson argued that this usually develops during middle age (which spans ages 40 through 64) in keeping with his stage-model of psychosocial development.[6] After having experienced old age himself, Erikson believed that generativity maintains a more important role in later life than he initially had thought.

In Erikson's theory Generativity is contrasted with Stagnation.[6] During this stage, people contribute to the next generation through caring, teaching, engaging in creative work which contributes to society. Generativity involves answering the question "Can I Make My Life Count?", and in this process, finding your life's work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others through activities such as volunteering, mentoring, and contributing to future generations. It has also been described as a concern for one's legacy, accepting the independence lives of family and increasing philanthropic pursuits.[4] Generative concern leads to concrete goals and actions such as "providing a narrative schematic of the generative self to the next generation".[7]

McAdams and de St. Aubin developed a 20-item scale to assess generativity, and to help discover who it is that is nurturing and leading the next generation.[4] This model is not restricted to stages, with generativity able to be a concern throughout adulthood, not just in middle adulthood, as Erikson suggested. Example items include "I try to pass along the knowledge that I have gained through my experiences", "I have a responsibility to improve the neighborhood in which I live", and (reversed) "In general, my actions do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other people."

Use in Technology[edit]

Generativity in technology refers to cases where a technology supports the creation of novel products. Such technologies are referred to as generative systems. Canonical examples are the personal computer and the Internet.[2] From its inception, the Internet has acted as a generative force allowing users to create and communicate in ways unimagined but foreseen by its creators who for this purpose built-in an openness and hardware and software agnosticism.[8]

Zittrain was first to apply this term outside psychology, in cases where a generative technology leads to "unanticipated change through unfiltered contributions from broad and varied audiences."[9] Zittrain has also highlighted that precarious nature of generative technology: arguing that features which, for instance, may enhance security and stability may, even unintentionally reduce or destroy a generativity in a system. He highlighted cases in which apparently innocuous producer, consumer, and government actions from a move away from PCs to one-way systems such as "smart" appliances cause a decline in generativity.[2] As a result, he emphasised the need to be clear about treating generativity, rather than apparent means supporting this as the key valued characteristic of the system. In the case of the internet/PC complex this is its capacity as a generative networked grid, rather than traits associated with this, such as "open internet" or “network neutrality”. He termed a focus on these mere-means to the end of generativity a "myopic" "end-to-end theory" which confused means with ends. Zittrain argued:

focusing on “network” without regard to a particular network policy’s influence on the design of network endpoints such as PCs. As a result of this focus, political advocates of end-to-end are too often myopic; many writers seem to presume current PC and OS architecture to be fixed in an “open” position. If they can be persuaded to see a larger picture, they may agree to some compromises at the network level. If complete fidelity to end-to-end network neutrality persists, our PCs may be replaced by information appliances or may undergo a transformation from open platforms to gated communities to prisons, creating a consumer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betrays the very principles that animate end-to-end theory. ([2] p. 1978)

References[edit]

  1. ^ Slater, C. L. (2003). Generativity Versus Stagnation: An Elaboration of Erikson's Adult Stage of Human Development.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0(1), 53-65. Retrieved February 18, 2017.
  2. Jump up to:a b c d e f Zittrain, J. L. (2006). The Generative Internet. Harvard Law Review, 119, 1974-2040. doi:10.1145/1435417.1435426
  3. ^ Hutchison, Elizabeth D. Dimensions of Human Behavior: The Changing Life Course. 4th ed., vol. 10, SAGE Publications Ltd, 2010.
  4. Jump up to:a b c McAdams, D. P., & De St. Aubin, E. (1992). A Theory of Generativity and Its Assessment through Self-Report, Behavioral Acts, and Narrative Themes in Autobi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6), 1003-1015. Retrieved February 15, 2017.
  5. ^ Erikson, Erik H. (1979-05-17). Dimensions of a new identity. W.W. Norton and Co. ISBN 9780393009231OCLC 732894649.
  6. Jump up to:a b HQ, Psychology. "Erikson's Stages Of Development - Stages 7 And 8". Psychologynoteshq.com. N. p., 2017. Web. 27 Feb. 2017.
  7. ^ Cheng, S.-T. "Generativity In Later Life: Perceived Respect From Younger Generations As A Determinant Of Goal Disengag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4B.1 (2009): 45-54. Web. 27 Feb. 2017.
  8. ^ "Cultures Of The Internet". Google Books. N. p., 2017. Web. 6 Mar. 2017.
  9. ^ https://www.uio.no/studier/emner/matnat/ifi/INF5210/h14/slides/group-lectures/generativity-updated.pdf. N. p., 2017. Web. 6 Mar. 2017.

Further reading[edit]

2023/04/26

白樺教育館 だより 目次

白樺教育館 だより 目次

教育館だより 目次
Home
>
教育館だより 目次



白樺教育館


教育館だより 目次




2023年 4月26日

239.「武田先生との哲学対話」アイアイスクール 4月15日の写真
    次回の講義&対話は、7月22日【21世紀からの新たな生き方と知】
2023年 3月 2日

238 .「白樺教育館 新館落成20周年と白樺同人社誕生 W祝いの会」
  おかげさまで大盛況!!
2023年 1月24日

237.日常にあふれる「民主制」を阻む装置、そのひとつ「神社のお話」
2022年12月21日

236.未来へつなごう!クラリネットが紡ぐ音楽史 PartⅡ
  【過去からのメッセージ】
2022年11月14日

235.「宇宙(そら)に舞う鉄と着物」
   鉄の造形家・松岡信夫さんと、きものと帯の太田和(株)
2022年11月14日

234. 旧友の竹田青嗣さんとわたし武田哲学=恋知との根本的な違い
2022年11月 9日

233. 43年目の式根島キャンプ&ダイビング 中国シュタイナー学校のこどもたちと
2022年11月 5日

230. タケセン70年の実存の冒険 恋知への道のり 私が輝く私塾と哲学の切り開き
2022年10月24日

232. 22年前にデザインした白樺文学館の三つのテーブ 柳宗悦と武田康弘の違い
2022年10月24日

231. 衝撃の1995年の市長選挙を写真で見る ー 我孫子市の貴重な記録
2022年 7月 3日

229. 『緑と市民自治』(我孫子市全戸配布・福嶋裕彦発刊)誕生秘話
2022年 5月20日

228. タケセン古希の恋知の会
   2022年5月14日 武田康弘 70歳
2022年 4月14日

227. 恋知エピソード1 Love of thinking
   1991年 討論塾 討論会
   竹内芳郎・竹田青嗣・武田康弘
2022年 3月28日

226. 武田康弘のアイアイスクール哲学講座と対話の会. 3月21日 五反田
2022年 2月 7日

225. 清瀬保二・仏教カンカータ「板敷山の夜」再発見に至る深い縁.
  建永の法難・承久の乱.白樺文学館・松橋桂子・清瀬保二
2022年 2月 2日

224. 七三一部隊を支えた埼玉のネズミ
2022年 1月20日

223. タケセンの生き方と身体の歩み
2022年 1月 8日

222. 白樺同人社立ち上げ
   同人社の主旨と恋知・実存・公共マークについて

2021年12月 8日

221. 800年前の日本史最大の変革.
 北条政子らの前に後鳥羽上皇らが無条件降伏. 法然・親鸞の念仏宗と深く関係
2021年 9月11日

220. 恋知・実存マークの意味は? 自由・理性・愛情について.
2021年 9月 7日

219. ワクチンは不要に。
   新型コロナウイルス100%防御に成功! 長崎大学発表
   中央のマスコミはあまり報道しない。
2021年 8月 7日

218. クルレンツィスによるベートーヴェン交響曲7番、
   ソクラテスが神託を受けたデルフォイで演奏。
   変革と新たな精神文明への烽火!!
2021年 7月13日

217. 「堤久美子・中村由紀さんと武田康弘のイクテクテレビ」
     ー 武田哲学のルーツ
2021年 4月10日

216.新型コロナ騒動の問題の核心
2020年10月18日

215.吾国山ハイキングと大覚寺訪問
2020年10月18日

214. 哲学対話 小笠原晋也‐武田康弘 ‐ハイデガー存在論について‐
2020年 8月14日

213. 今年のソクラテス教室の”海”=鵜原理想郷 Part2
2020年 8月10日

212. 今年のソクラテス教室の”海”=鵜原理想郷
2020年 4月15日

211. 白樺教育館の生きているものたち
2020年 4月15日

210. ソクラテス教室 2020年4月5月の活動 & 犬吠埼での海遊び
2020年 3月18日

209. 「明治政府がつくった 天皇という記号」
2020年 2月 5日

208. ベートーベン、クルレンツィス、ベルリオーズ愛好会
2019年12月26日

207. トルコ・ギリシャ、エーゲ海文明の旅
2019年12月18日

206. 天皇system+ismとは、集団同調ismを生み、理性を育てません
2019年11月22日

205. 『恋知』第4章 金泰昌・武田康弘の恋知の哲学往復書簡34回
    オリジナル・ヴァージョン 2007年5月10日‐10月22日

2019年10月 3日

204. リーフレット【散歩と手づくりとアートと】
2019年 9月 4日

203. テオドール・クルレンツィス+ムジカエテルナ、コパチンスカヤ 日本初公演の衝撃 文字通りの革命に感嘆!
2019年 8月19日

202. 8年ぶりに仁王像復帰 椎尾山薬王院にて開眼法要
2019年 8月19日

201. 2019年ー44年目の式根島キャンプ&ダイビングの写真
2019年 8月17日

200. 「恋知」のA3ポスターが完成!! お役立てください。
2019年 8月10日

199. 筑波山で起きた廃仏毀釈とその後 - 現代に生き続ける国家神道 -
2019年 7月30日

198. 真夏のきつ~い話題三つ. 「人間になろ~よ!」
2019年 7月 4日

197. 「元号は伝統」というのは、真っ赤なウソです.
2019年 5月20日

196. Three Schools Of Thought That Have Impacted Humans Up Till The Present
translated by Jonathan Levy

2019年 5月20日

195.西暦=世界暦について。 ご存知でしょうか? ユリウス暦をグレゴリオ暦という名称に変えたのはカトリック教会の詐術です。
2019年 5月10日

194.体罰と丸刈り強制の我孫子市の教育=1986年に始めた改革運動の意味と価値ーー33年前のエピソードは、いまの停滞を破るキーです
2019年 4月23日

193. Three Schools Of Thought That Have Impacted Humans Up To The Present
translated by Kyoko Saegusa

2019年 4月22日

188. 人類思想の三分類 英語版追加
2019年 3月30日

192.私と共和制 楽しい公共社会を生むために
2019年 1月14日

191.マイヨール 賛
2018年12月20日

190.「白樺派とは何ですか?」への応え
2018年10月22日

189. 言語論を踏まえれば簡明になるイデア論 と 言語のもつ呪縛力の怖さ.
2018年10月11日

188. 人類思想の三分類 「儒教・儒学」、「ソクラテス・ブッダ・老子の実存思想」、「キリスト教・イスラム教などの一神教」 と 「恋知」
2018年 8月28日

187. 「古代フィロソフィーの旅」のお土産
2018年 7月19日

186. 熱中症ーー炎天下で長時間遊ばせても、42年間ゼロです。 秘訣は?

2018年 4月10日

185. 日本人の生き方と日本社会の問題の本質
    「オウム・20年目の真実」 と 「戦前の天皇教」と.

2018年 3月 5日

184. 明治維新がつくりだした 「エゴイズム」という精神と行為ー150年間の闇
2018年 2月25日

183. 『志賀直哉文学館』から『白樺文学館』へと飛躍したのはなぜ?
2017年12月 7日

182. 『恋知』第3章 民主制・公共思想
2017年12月 6日

181. タケセン大推薦のピアニスト=ポール・ルイスの演奏会に
     白樺同人6名も参加!
2017年11月15日

180. ウィキペディア - Wikipediaに載った「武田康弘」と「恋知」
2017年11月15日


179. 「恋知」事始め
2017年 8月29日

178. 式根島キャンプを映像で振り返る
2017年 5月 4日

177. 『人権思想の淵源は宗教ではない』(武田康弘)の二つの英訳
2017年 4月24日

176. 「白樺教育館」の教育と文化活動を支えてきた「お金」のはなし.
2017年 3月24日

175. 教育勅語は、「反道徳」の見本なのだ、ということが今も分からぬ日本人では哀れです.
2017年 3月21日

174. 人権思想の淵源は、宗教(一神教)や哲学(理論体系の哲学及び人生哲学)ではなく、幼子の存在です.
2017年 3月 4日

173. 『森友学園』騒動は、国のカタチを揺るがす大問題
2016年11月24日

172. 紅葉と雪 旧村川別荘を7枚の 写真で見る +
     村川堅固・堅太郎の現代的意義
2016年10月 7日

171. タケセンの体験と思想・二題
2016年 9月 7日

170. 漱石の手紙発見! 杉村楚人冠(そじんかん)と
    夏目漱石と「平民新聞」 ー杉村楚人冠邸園の写真7枚
2016年 8月 1日

169. ついにタケセンblog「思索の日記」が1位に!
     (255万blog中)一日で23万人がアクセス
2016年 8月 1日

168. 白樺の同人であった荒井達夫さん(参議院元職員)の見解が、朝日新聞社説に.
2016年 7月 6日

追記:166. 武田哲学の芯に迫るためのインタビュー3
    宗教について と フィロソフィは「学」ではない
2016年 2月29日

167.ソクラテス 教室(in 白樺教育館ー旧称は「我孫子児童教室」)
  40周年記念会 写真集
2016年 2月15日

166. 武田哲学の芯に迫るためのインタビュー3
    宗教について と フィロソフィは「学」ではない
2015年10月11日

165. 武田哲学の芯に迫るためのインタビュー =質問 内田卓志 2.
2015年 9月26日

164. 武田哲学の芯に迫るためのインタビュー =質問 内田卓志 1.
2015年 8月 9日

163. 『日本会議』の謎・倒錯した精神構造を解明する.
2015年 5月 4日

162. 我孫子市 散歩市 マップ 5月7日~22日(3つの彫刻説明)
2015年 3月21日

161. 音楽ホール設計者・小林宅サロンで、 とっても贅沢なコンサート.
     ピアニストの松本和将さんら7名で.
2015年 2月19日

157. 「従軍慰安婦問題」ー泥さんが、右派のウソを元から断つ.英語版の追加
2015年 1月 1日


160. 古代ギリシア史家、村川堅太郎の現代的意義+
      「旧村川別荘」紅葉の写真集
2014年12月27日

159. 秋の芦ヶ久保ハイキング
2014年 8月20日

158. 39回目の『手つかずの自然の海でのキャンプ&ダイビング』in式根島.
2014年 8月17日

157. 「従軍慰安婦問題」決着ーー泥さんが、右派のウソを元から断つ.
2014年 7月28日


156. 「思索の日記」の事件!なんと一日で10万件越え!!
2014年 7月28日

155. 38回目の『手つかずの自然の海でのキャンプ&ダイビング』in式根島
2014年 5月23日

154. 恒例 春のハイキング
    - 沢井‐御嶽渓谷 & 奥多摩 -
2014年 2月14日

153. 原理と現実と
    『地方自治・職員研修』‐巻頭言
2014年 2月 7日

152. 「白樺教育館」新館落成10周年の集い
2014年 2月 5日

151. 多峰主山と名栗川ハイキング
2013年10月 9日

150. 『恋知』―「私」の生を輝かす営み 第2章 恋知とは何か
2013年 9月 3日

149. 「白樺教育館」推薦の展覧会 ーコル ビュジエと20世紀美術・「国立西洋美術館」
2013年 7月 2日

148. 彫刻家・酒本雅行さんからの寄贈作品2点
2013年 3月17日

147. 『恋知』―「私」の生を輝かす哲学の営み
     第1章 天皇制ってなんだろう -わたしの経験から考える
2013年 1月23日

146.『東京新聞』トップ記事ー尹東柱研究・楊原泰子さん(『白樺教育館』学芸員)の成果‐
2012年11月1日

145.2012年の白樺教育館ーコラボ写真
2012年10月22日

144.歴史を学ぶことの意味 尖閣(釣魚島)と竹島(独島)問題の背景ー説明と結語
2012年 8月16日

143.37回目の『手つかずの自然の海でのキャンプ&ダイビング』in式根島 
2012年 8月15日

142.福嶋消費者庁長官任期満了による退官と記者会見     
2012年 7月 4日

141.10枚の写真に見る 子供たちの世界のタケセン     
2012年 5月11日

140.武田康弘による公共の本質論が、都の職員の研修論文に
    -首都大学東京機関誌「みやこ鳥」-
2012年 4月 3日

139.ほんとうの教育と哲学を目がけて ー 『全身の細胞で考える』 ー
    惰性態から脱するソクラテス的対話の36年
2012年 2月24日

138.18枚の写真で見る『白樺教育館』
2012年 1月20日

137. 市民の知を鍛える - 竹内哲学と柳思想を越えて -
2011年11月16日

136. 12枚の写真で見る《ふだんの手賀沼遊歩道》
2011年10月 9日

135. 36回目の式根島、キャンプ&ダイビング 写真集
2011年 7月30日

134. 講演会『柳宗悦の思想 - その面白さ -』 講師:武田康弘
2011年 6月 6日

133. 自分で放射線レベルを測る. 西山裕天(ひろたか)
2011年 6月 5日

132. 対話篇「自分を中心に考える、とはどういうことか。小我と大我」
2011年 6月 2日

131. 恒例 春のサイクリングとハイキング
2011年 4月27日

130. 原子力から太陽力へ! ‐ 太陽光発電の発電力は? ‐
2011年 3月17日

129. いま、最も学ぶべき石橋湛山(第55代総理大臣・哲学者)の思想と実践
2011年 1月10日

128. 『サークル とわの会』の活動 「地域新聞鎌ヶ谷版」の第一面に!
2010年10月 5日

127. 「公共」をめぐる哲学の活躍
   ‐‐ これですべてがわかる!!

2010年 9月15日

126. 本邦初討論 「ハーバード 白熱教室 Justice
   マイケル・サンデル教授」を 巡って
2010年 9月10日

125. 10.2 四谷集会 ~学校に言論の自由を求めて~
    モンスター都教委さま 裁判へようこそ Part ll
   元都立三鷹高校校長土肥信雄の闘い
2010年 8月 7日

124. 34年目の式根島、キャンプ&ダイビング 写真速報
2010年 7月10日

123. 金泰昌(キム・テチャン)‐武田康弘の往復書簡 出版へ
   『ともに公共哲学する』 東京大学出版会刊

2010年 7月 8日

122. 「新しい公共」について考えるパネル・ディスカッション
   参議院(行政監視委員会調査室、内閣委員会調査室)主催
2010年 6月23日

121. 「公共」をめぐるパネル・ディスカッション
   18年前と明日(6月24日)のパネル・ディスカッション
2010年 5月23日

120. みたけ渓谷ハイキング
2010年 5月 2日

119. 『行政監視と視察』発刊・画期的な報告書 (行政監視委員長・視察報告)
2010年 4月28日

118. あけぼの山公園サイクリング、ほか
2010年 4月11日

117. 小池静子著『柳宗悦を支えて 声楽と民藝の母・柳兼子の生涯』をめぐる 問題
2010年 2月12日

116. 二人のタケダ(竹田青嗣・武田康弘)思想 荒井達夫著(参議院『立法と調査』論文)
2010年 1月 7日

115. 「東大病」についての対話
2009年12月 7日

114. ブラームス交響曲全集  ラトル・ベルリンフィルのライブー21世紀のルネサンス
2009年12月 7日

113. オーディオ体験談 ‐ 普遍的な『よい』を求める
2009年11月28日

112. 日経新聞/『街の哲学 人を動かす』
2009年10月21日

111. 10月より武田館長
参議院・行政監視委員会の客員調査員-講師に

2009年 9月21日

110. 『生と哲学の原理』についての対話
2009年 8月21日

109. 2009式根島キャンプ&ダイビング
2009年 7月 2日

108. 東大病 ‐ 「キャリアシステム」を支えている歪んだ想念
2009年 6月28日

107. 奥多摩ハイキング
2009年 6月20日

106. 公と公共の分離への批判 2. ざっくばらんに言えば・・・
2009年 6月18日

105. 公と公共の分離への批判 ‐武田館長の見解‐
2009年 5月31日

104. 講師:武田康弘 講演会―「東大病」ってなんだろう?
2009年 5月20日

103. 手賀沼一周サイクリング
2009年 5月18日

102. 現代邦楽の黎明 清瀬保二から長澤勝敏へ
   日本音楽集団 第195回定期演奏会
2009年 4月29日

101. 『白樺文学館創成記』 オープン!
2009年 4月 8日

100. 教育館と桜
2009年 3月17日

99. 教育館5周年記念・白樺スピリット10周年の集い
2009年 3月 3日

98. 東京新聞/ 天下り根絶 『良識の府』が問う
「公僕の原則 見失うな」

2008年12月31日

97. 武田康弘館長による【哲学】する公開講座
ー市民アカデミア2008 の総括

2008年12月21日

96.『立法と調査 別冊 2008.11』発行のお知らせ
特集 「国家公務員制度改革とキャリアシステムに 関する意見調査」

2008年11月21日

95. 武田康弘館長による【哲学】する公開講座 ー市民アカデミア2008
2008年10月27日

94. 写真速報 『公務員を哲学する-市民社会と公共性を考える』ー市民アカデミア2008
2008年 9月10日

93. 参議院調査室からの論文依頼 『「国家公務員制度改革とキャリアシステム」 について』
2008年 9月10日

92. 公開講座『公務員を哲学する-市民社会と公共性を考える』ー市民アカデミア2008のご案内
2008年 7月13日

91. 『清瀬保二ピアノ独奏曲全集 花岡千春』
品位が高く上質なこと、柳兼子と清瀬保二

2008年 6月29日

90. 公(おおやけ)と公共を分けるべき!?
2008年 4月10日

89. 「公共哲学と公務員倫理」 ~パネルディスカッションを振り返って~
2008年 4月 1日

88. 『十五の心』(クラリネットとピアノ・大島姉妹) 日本語の美しさを≪器学≫で味わう
2008年 1月30日

87. 参議院主催パネル・ディスカッション「公共哲学と公務員倫理」
2008年 1月 9日

86. 館長・武田康弘が、 参議院主催「公共哲学と公務員倫理」のパネリスト
2007年12月23日

85. 5.13荒崎海岸と 12.16手賀沼サイクリング写真集
2007年12月23日

84. 金泰昌(キム・テチャン)‐武田康弘(たけだやすひろ) の 恋知対話(往復書簡) 
Part 1. 完結
2007年 6月 6日


79. 金泰明(キム・テミョン)さん来館
2007年 6月 4日


78. 新緑の益子参考館へドライブ
2007年 3月20日

77. 教育の本質 受験を目的に生きる!? 体遊び→豊かな心→優れた頭
2007年 2月 8日

76. 市民自治を創る(福嶋我孫子市長・武田館長)
2006年12月27日

75. 12.23 キムさん・タケセンを軸にした白樺討論会〈第5回白樺討論会〉
2006年12月20日

74. 12.9〈第4回白樺討論会〉 山脇直司氏・武田康弘氏
2006年11月25日

73. 10.8〈第3回白樺討論会〉 稲垣久和氏・古林治氏
2006年11月25日

72. 9.9〈第2回白樺討論会〉 山脇直司氏・荒井達夫氏
2006年8月25日

71.「白樺教育館の活動は、日本における注目すべき動向」 ―高い評価を頂きました
2006年7月25日

70.奥多摩ハイキング写真集
2006年 7月 8日

69.『6.3金さんとの対話』の感想 ー 染谷裕太、中西隼也、 中野牧人、楊原泰子、古林 治、清水光子(+川瀬優子)、 舘池未央子
2006年 5月30日

68.5.14民知の会・設立記念シンポジウム&パーティ
2006年 3月21日

67. 主観を消去する日本というシステム
2005年12月2日

66. ブログ「思索の日記」ー1年間でジャスト4万件!感謝です
2005年10月8日

65. 民知・恋知と公共哲学
2005年9月20日

64. 民知=恋知とは?
2005年 8月22日

63. 8・7会談ー竹田青嗣氏・山脇直司氏・武田康弘氏
2005年 8月11日

62. 今年も晴天・凪!の式根島―楽しいキャンプの写真です
2005年 7月 9日

61. 民知宣言!「公共哲学」編者ー金泰昌氏来館・会談
2005年9月20日

60. 『思索の日記』、3万件突破-1日100件越え!
2004年 9月 3日

59. 皇族の人権と市民精神の涵養
2004年 9月 3日

58. 2004式根島キャンプ写真集-予告-
2004年 6月16日

57. 日本の政治家は、 国という言葉の意味も知らない!!
2004年 6月16日

56. 靖国神社と君が代
2004年 5月22日

55. 認識における言葉 体験能力 よき生
2004年 5月22日

54. 思想 と 心情
2004年 5月22日

53. 精神的「自立」のための条件とは?
2004年 4月26日

52. [とわの会]写真アルバム
2004年 3月31日

51. ソクラテス教室・新入生(小1~高3)を募集
2004年 3月19日

50. トランジスタアンプと真空管アンプ
2004年 3月14日

49. 躾(しつけ)と称して子供の心を抑圧していませんか?
2004年 3月11日

48. 「音楽を聴く会ー至福のひとときー」に向けて
2004年 2月21日

47. 写真で見るー2.1落成祝いの集い
2004年 2月 1日

46. タケセンー武田先生―武田さんー武田康弘
2004年 1月24日

45. 白樺教育館・本校舎 落成を祝う集い
2004年 1月12日

44. 看板の”できるまで”と外観写真
2004年 1月12日

43. 白樺教育館 落成記念 ケーナコンサート”旅する魂”
2003年11月30日

42. 「彫刻」玄関の手の取っ手
2003年10月20日

41. 市民=シチズンとは
2003年10月 9日

40. 教育とは、魂への配慮のこと
2003年10月 8日

39. 「知」を有用なものとするために
2003年 9月13日

38.白樺教育館・本校舎 建前の様子
2003年 9月13日

37.2003 式根島キャンプ 写真集
2003年 9月 1日

36.「教育館」への四人のエール
2003年 7月22日

35.飯泉賢二さんのこと‐ 柳夫妻との親交 ‐
2003年 7月22日

34.「白樺教育館・本校舎」建築
2003年 6月 2日

33.思想は、真に現実的でなければ意味がない
2003年 5月25日

32.白樺教育館のソクラテス教室では
2003年 5月25日

31.ソクラテス教室・哲学の問い-A
2003年 4月 6日

30.清瀬保二(きよせやすじ)CD 生誕100年記念演奏会
2003年 2月20日

29.武田康弘 講演会 [生き方革命]のお知らせ
2003年 2月20日

28.清瀬保二の人と音楽語法
2003年 2月20日

27.柳兼子をたたえて 【お話と歌曲の夕べ】 その後
2003年 1月21日

26.わたしが選んだ2002クラシックベスト10
2003年 1月20日

25.こんな本はいかが? 民知の図書館 2.
2003年 1月13日

24.周さんからの年賀状
2003年 1月10日

23.柳兼子をたたえて 【お話と歌曲の夕べ】 講演録
2002年12月17日

22.柳兼子をたたえて 【お話と歌曲の夕べ】 レジュメ
2002年11月24日

21.憧れ・想う世界 (Bさんへの手紙)
2002年11月24日

20.ビフォー&アフター  - 哲研の顔の15年 -
2002年10月 9日

19.松橋さんとの雑談会
2002年10月 1日

18.ブレイク ってどんな人
2002年9 月24日

17.人が生きるということ/哲学の本質
2002年8 月16日

16.2002年 式根島キャンプ アルバム
2002年7 月30日

15.雑誌『白樺』を読む 1.
2002年7 月21日

14.教育館のオーディオ
2002年 7月21日

13.周さんとの再会/リーチの椅子
2002年 7月 7日

12.わたしが選んだ2001クラシックベスト10
2002年 7月 7日

11.我孫子野外美術展のお知らせ
2002年 6月10日

10.出来立てホヤホヤの教育館パンフレット
2002年 5月25日

9.こんな本はいかが? 民知の図書館 1.
2002年4月27日

8.白樺教育館の基本姿勢 - 所有から存在へ -
2002年 4月19日

7.教育館の彫刻、オブジェ
2002年 4月11日

6.教育館の彫刻、BOCOS(ボコス)到着 !!
2002年 3月 6日

5.我孫子・丸刈り狂騒曲を振り返る
2002年 3月 7日

4.本部設立記年コンサートほか
2002年 1月20日

3. 2002年第一回 哲学研究会/市政研究会
2002年 1月16日

2. 「神話」の消去
2002年 1月15日

1. 白樺教育館 本館 設立記念コンサート





 


白樺教育館の基本理念は白樺文学館設立の過程で育(はぐく)まれたものです。そのころに制作された、『白樺文学館 開館顛末記』および『白樺だより』は、その軌跡と言っても良いでしょう。『教育館だより』もまたその延長上にあります。というわけで以下に『白樺文学館 開館顛末記』および『白樺だより』も載せておきますので興味のある方はご覧下さい。
白樺だより 目次2001年10月15日

11. ロダンと白樺派
2001年 8月30日

10. 白樺教育館/佐野新館長
2001年 8月18日

9. 人間としての立場(憲法と私)
2001年 8月18日

8. 柳宗悦の生きた時代と現在(元号と西暦)
2001年 7月29日

7. 白樺派の封印がまた一つ・・・
2001年 6月20日

6. 白樺派と我孫子・手賀沼
2001年 5月28日

5. 書簡 [斎藤一二氏宛て]  柳 兼子
2001年 5月 5日

4. 《永遠のアルト 柳兼子》発売の顛末
2001年 5月 1日

3. ホームページ、トップメニューの変更
2001年 4月11日

2. 旧武者小路実篤邸訪問
2001年 4月 8日

1. 三樹荘(旧柳宗悦邸)訪問


しらかばぶんがくかん かいかんてんまつき
白樺文学館 開館顛末記 目次2001年 1月18日

26.顛末記の最後に
2001年 1月15日

25.開館セレモニー
2001年 1月 7日

24.あと4日/近況
2000年12月27日

23.ふりがなを追加したわけ/文学館、初めての利用者
2000年12月10日

22.できたてのホヤホヤ 建物見学
2000年11月20日

21.バーナード・リーチ、河井寛次郎、濱田庄司の作品
2000年11月20日

20.建設現場と彫刻
2000年11月20日

19.バーナード・リーチ
2000年10月14日

18.開館に向けて 白樺文学館設立の趣旨 他
2000年 9月16日

17.志賀 直哉と武者小路 実篤/『文学館』書体
2000年 8月 3日

16.ブレイクとグレイ 『A Long Story』その他
2000年 8月 6日

15.『白樺フィロソフィー』
2000年 8月 3日

14.学芸員紹介、ボランティア、共同作業の快楽
2000年 7月16日

13.文学館の顔、小林多喜二への書簡
2000年 7月 8日

12.本邦初公開
2000年 7月 8日

11.文化は第二の本能  -タケセン公演会-
5月21日の講演会「志賀直哉ら白樺派に学ぶ」について
2000年 7月 1日

10.白樺文学館の理念3  - 創造の地ー我孫子
改訂版(武田康弘)
2000年 7月 1日

9.佐野さんのこと、周さんのこと
2000年 6月21日

8.場所 - 建造物 白樺文学館の基本理念
2000年 6月16日

7.梅雨の合間(あいま)に
2000年 6月14日

6.建築の理念 -建築会議は哲学研究会分室?-
白棒文学館 - 彫刻・家具・造作・建築空間・形(武田康弘)
2000年 6月14日

5.白樺文学館の理念2  創造の地ー我孫子  改訂版(武田康弘)
2000年 3月 8日

4.リーチの絵、柳宗悦のこと
2000年 2月

3.白樺文学館の理念 - 創造の地ー我孫子
2000年 2月18日

2.起工式(地鎮祭ぢちんさい)
2000年 2月

1.白樺文学館開館まで


 
Home
>
教育館だより 目次


‘公共哲學’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試論 - 중앙대학 이명한 교수의 비판적 견해에 대한 반론을 포함해서 - earticle

‘公共哲學’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試論 - 중앙대학 이명한 교수의 비판적 견해에 대한 반론을 포함해서 - earticle



‘公共哲學’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試論 - 중앙대학 이명한 교수의 비판적 견해에 대한 반론을 포함해서
A Critical Essay on Prof. Lee Myeong-Han's Misunderstanding of Public Philosophy
‘공공철학’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시론 - 중앙대학 이명한 교수의 비판적 견해에 대한 반론을 포함해서


표지보기 SNS 공유
발행기관한국윤리교육학회 바로가기
간행물윤리교육연구 KCI 등재 바로가기
통권제25집 (2011.08)바로가기
페이지pp.31-48
저자야규 마코토
언어한국어(KOR)
URLhttps://www.earticle.net/Article/A152888복사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구매하기 인용하기 관심논문등록

초록영어
This paper is a preliminary attempt to critically respond to the ungrounded critique of
Kyoto Forum-promoting public philosophy in professor Lee Myeong-Han's paper titled
"the Reflective Consideration for the Dissemination of Public Philosophy in Korea now" in
Yangmyeonghak, No.28 (April 2011) published by Korea Yangmyeonghak Society. I would
like to summarize three points of my paper. The first point deals with the main currents
of thoughts and ideas underlying Kyoto Forum public philosophy movements. The second
point is concerned with clarifying Director Kim Tae-Changs philosophysing activities.
Then third point refers to clarifying prof. Lee Myong-Han's misunderstanding and/or
distortions of public philosophy promoted through Kyoto Forum for the past twenty years
in Japan and abroad.

한국어본 논문은『양명학』제28호(2011년 4월)에 실린 이명한 교수의「공공철학과 공공철학 보급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이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에 대한 반론을 계기로 해서 공공철학의 내용과 지향에 대한 열린 대화의 장을 펼쳐보고 싶은 것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공(公)과 사(私)에 대한 공공철학의 견해를 밝히고 그것에 대한 오해와 왜곡을 시정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공공철학은 어떤 개인이나 집단의 입장과 관점을 변호ㆍ계몽ㆍ보급하려는 것이 아니다. 국적, 민족, 정치적 신조 등이 서로 다른 사람들이 여러 주제에 대해 대화ㆍ토론하면서 새로운 철학적 지평을 열어나가는 철학 활동이고, 그것은 자기와 타자의 진솔하고 활발한 소통ㆍ상통ㆍ통달을 이루고자 하는 철학적 운동이며, 그것을 통해서 한일간, 나아가서는 동아시아의 대화와 상호이해 및 화해와 공복(共福)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염원을 가진 현재진행형의 철학적 영위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공공철학은 한 개인이나 조직이 만들고 보급하는 철학이 아니다
1. 공공철학과 사철학(私哲學)
2. 공공철학 교토포럼에서 요시다 쇼인을 비판의 도마에 올리다
III. 공공철학은 오래되고 새로운 철학운동이다
1. “보고 생각하는” 철학과 “듣고 얘기하는” 철학
2. 시민들이 토론하고 소통하여 세계를 밝히는 철학으로서의 공공철학
IV. 공ㆍ사ㆍ공공의 3차원
1. 3차원 상관연동의 철학
2. 대화와 공동을 통해 새로운 차원을 열다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public private public philosophy Activities with and together New Developments and New frontier(Gaisin) Multi-dimensional thinking in threeperspectives(Samwonsago). 公共 哲學 對話 共働 開新 三元思考

저자야규 마코토 [ Yagyu Makoto | 日本大阪公共哲學共働硏究所特任硏究員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1김태창 편저, 조성환 번역,『상생과 화해의 공공철학』(서울: 동방의 빛, 2010. 12)
2남상호 지음,『육경과 공자인학』(서울: 예문서원, 2003)
3야자키 카츠히코 지음, 정지욱 번역,『한 일본 기업인이 실천하는 실심실학』(서울: 동방의 빛, 2010. 12)
4金泰昌,『共福の思想地球時代の‘フランシスコ的革命’を求めて』(グローバル文化研究所・GEC出版, 1992)
5金泰昌편저,『ともに公共哲学する 日本での対話・共働・開新』(東京大学出版会, 2010)
6金泰昌편저,『公共哲学を語りあう 中国との対話・共働・開新』(東京大学出版会, 2010)
7公共哲学共同研究会レポート(金泰昌책임편집: 將來世代總合硏究所)
8『比較思想史的文脈からみた公私問題 ―第一回公共哲学共同研究会―』(1998. 4. 25~27)
9『学際的公私論の基本論点 ―第二回公共哲学共同研究会―』(1998. 6. 13~15)
10『各国別公私問題の現状と課題 ―米・仏・英・露・独・イスラエル・パレスチナにおける観察と体験―』(1998. 10. 17~19)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윤리교육학회 [The 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 설립연도
    2000
  • 분야
    사회과학>교육학
  • 소개
    본 학회는 윤리, 도덕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연구발전에 기여하려는 목적하에 설립되어 전국대학교의 윤리, 도덕교육 관련교수들과 대학원 석사, 박사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현장교사들을 회원으로 하고 있는 순수 학술단체이다. 이러한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학술회의 및 워크??, 학술교류, 출판활동에 주력하여 본 학회가 운영됨으로써 전국대학과 초중등학교에 있는 회원들의 학구열을 고취시키고 일선학교의 윤리교육분야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한국의 윤리, 도덕교육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간행물

 
  • 간행물명
    윤리교육연구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 간기
    계간
  •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 수록기간
    2000~2023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70 DDC 370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윤리교육연구 제25집

EBS 기획특강 : 왜 공공철학인가? / 김태창

EBS 기획특강 : 왜 공공철학인가? / 김태창

21세기, 공공철학을 지향하며 김태창왜 공공철학인가?

강의 내용
원광대학교에서 진행하는 <글로벌 인문학>에서는 철학자 김태창님의 강의가 진행된다
===

글로벌인문학 공개강좌

WKU GLOBAL HUMANITIES 원광대학교 글로벌인문학 공개강좌 - 인문학적 소양과 글로벌 통찰 능력을 기른다

강좌소개

매학기 철학, 역사, 사회, 정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롭고 다양한 인문학적 주제를 설정해 국내.외 석학을 비롯한 저명교수와 최고 전문가 등을 초빙하는 특강 형식으로 진행되며, 특히 일반시민들에게도 개방하여 대학의 지식나눔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본교에서는 2012년 1학기부터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 <글로벌인문학>이라는 강좌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강과 분반토론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특강은 강좌책임교수가 각 주제영역의 국내외 석학, 저명교수, 전문가 등을 모시고 진행하며, 분반토론은 분반교수들이 특강의 내용에 대한 예습과 복습뿐만 아니라, 글쓰기 연습, 비판적 사고훈련, 서평작성 요령 등의 내용으로 진행합니다. 이 강좌는 하버드대학의 교양강좌 운영방식을 참조해 국내 대학에서 처음 시도하는 강좌입니다.

이 강좌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사회와 세계에 대한 포괄적 성찰, 공유가능한 인류 문명의 자산에 대한 사유체험, 과거와 미래, 전통과 역사에 대한 성찰적 전망,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논리력과 표현능력, 지구촌의 사람들과 보편적 가치를 가지고 소통할 수 있는 소통능력, 지구촌에서 인류애(humanitas)를 실현할 수 있는 실천능력 등을 계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이를 위해 매 학기 새로운 하나의 대(大) 주제가 설정되고 그 아래 여러 가지 하부주제들이 다루어지며, 그 주제는 철학, 역사, 사회, 정치, 문학, 예술, 문화, 종교, 문명, 자연과학, 인간본성, 동서정신세계의 비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포괄적으로 다루어질 것입니다.

강좌특성

매 학기 새롭고 다양한 인문학적 주제 설정- 학제간 통섭적 주제와 인문학적 ‘큰 물음’을 다룸

  • 국내외 석학, 저명교수, 최고 전문가 초빙해 특강형식의 강좌운영
  • 국내 최초의 하버드식 강좌운영: 특강+분반토론
  • 대형강의와 분반형태의 소형강의 동시 운영
  • 강좌책임교수와 분반교수가 공동 운영
  • 강의에서 특강 내용의 이론적 배경정리 및 토론, 글쓰기연습, 비판적 사고훈련 등 다룸

글로벌인문학
교과목 소개2012년 1학기부터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 <글로벌인문학>이라는 강좌개설
– 지방대학 특성화사업(CK-1)지원(2017 ~ 2018년), 대학혁신지원사업 지원(2019 ~ 2021년 현재)
원광대에서는 2012년 1학기부터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 <글로벌인문학>이라는 강좌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강과 분반토론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특강은 강좌책임교수가 각 주제영역의 국내외 석학, 저명교수, 전문가 등을 모시고 진행하며, 분반토론은 분반교수들이 특강의 내용에 대한 예습과 복습뿐만 아니라, 글쓰기 연습, 비판적 사고훈련, 서평작성 요령 등의 내용으로 진행합니다. 이 강좌는 하버드대학의 교양강좌 운영방식을 참조해 국내 대학에서 처음 시도하는 강좌입니다.
사업목적이 강좌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사회와 세계에 대한 포괄적 성찰, 공유가능한 인류 문명의 자산에 대한 사유체험, 과거와 미래, 전통과 역사에 대한 성찰적 전망,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논리력과 표현능력, 지구촌의 사람들과 보편적 가치를 가지고 소통할 수 있는 소통능력, 지구촌에서 인류애(humanitas)를 실현할 수 있는 실천능력 등을 계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이를 위해 매 학기 새로운 하나의 대(大) 주제가 설정되고 그 아래 여러 가지 하부주제들이 다루어지며, 그 주제는 철학, 역사, 사회, 정치, 문학, 예술, 문화, 종교, 문명, 자연과학, 인간본성, 동서정신세계의 비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포괄적으로 다루어질 것입니다.
강좌특성

매 학기 새롭고 다양한 인문학적 주제 설정- 학제간 통섭적 주제와 인문학적 ‘큰 물음’을 다룸
– 국내외 석학, 저명교수, 최고 전문가 초빙해 특강형식의 강좌운영– 국내 최초의 하버드식 강좌운영: 특강+분반토론

– 대형강의와 분반형태의 소형강의 동시 운영

– 강좌책임교수와 분반교수가 공동 운영

– 강의에서 특강 내용의 이론적 배경정리 및 토론, 글쓰기연습, 비판적 사고훈련 등 다룸

2021학년도 2학기 글로벌인문학 KOCW 강좌보기
교수진 소개



담당교수 : 남유선 교수님 이메일 : nys@wku.ac.kr
학력 : 원광대학교 독어독문학과 학사
독일 퀼른(Koeln)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독일어 석사
독일 퀼른(Koeln)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독일어 박사
현재 : 인문대학 유럽문화학부



분반교수 : 이 영 교수님 이메일 : quellely0014@naver.com
학력 : 원광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졸업
원광대학교 독어교육 석사
충남대학교 박사과정수료


분반교수 : 한인철 교수님 이메일 : in-chul2790@hanmail.net
학력 : 원광대 문예창작학과 졸업
원광대 문예창작학 석사
원광대 문예창작학 박사 과정


분반교수 : 신현선 교수님 이메일 : kokesi77@naver.com
학력 : 전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석사
전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

동양포럼 김태창 노철개벽 일기 / 14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14 |: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13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6.07 21:08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12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5.24 20:17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11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5.10 19:46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10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4.26 19:56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9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4.12 20:13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8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3.22 19:28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7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1.12 20:07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6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19.12.22 19:26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5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19.12.08 20:33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4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19.11.24 19:56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3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19.11.10 21:12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2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19.10.27 20:12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으로 철학하는 나날1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14
김태창 동양포럼 주간
2020-06-21     동양일보


[동양일보]10월 9일 수요일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면 나는 70대 후반까지도 완벽주의자였다. 무슨 일이나 그때 그곳에서 완벽을 기하지 않으면 마음이 평온하지 않았다. 그러나 나 자신이 완벽주의자의 문제점을 확실하게 실감한 것은 70대 후반의 일이었다.

며칠 동안 입원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한 간호사의 한마디가 뜻하지 않게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그 간호사는 내게 병의 완쾌가 더딘 것은 나 자신의 완벽주의적인 고정관념 때문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통사람은 그 정도면 별로 신경을 쓰지 않고 지낼 수 있고, 그 정도면 크게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게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런데 나의 지나치게 완벽주의적인 편집이 나 자신을 병고에서 해방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나중에 알게 된 일이지만 그 간호사는 일본에서는 아주 유명한 간호전문가였다.

그런 일이 있어서이기도 하지만, 80대가 되면서 나 자신도 놀랍게 느낄 정도로 완벽주의의 올가미에서 벗어나서 최선주의자로—어떤 상황이나 조건에서도 완벽을 기하려는 집념을 버리고, 최선을 다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살아가려는 자세─ 바뀌었다.

행복은 완벽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최선을 다하는데서 찾아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완벽을 기하려는 마음이 너무 강하면 언제나 불만이고 불평과 불안에 시달리게 된다.

그러나 최선을 다하고 그 결과에 납득하게 되면 만족의 극대화가(maximization of satisfaction) 아닌 행복의 최적화를(optimization of happiness) 체득하게 된다는 것을 늦게나마 80대가 되어서야 체감하게 되었던 것이다.



10월 10일 목요일

청년철학의 출발점은 ‘나는 사랑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이다.(Amo, ergo sum. I love, therefore I am) 중년철학은 ‘나는 소비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로(Consumo, ergo sum. I spend, therefore I am)’ 요약된다. 그러나 노년철학은 ‘나는 비운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이다.(Vacuo, ergo sum. I empty, therefore I am)’.

청춘남녀의 사랑이야기가 철학적 고뇌‧ 사유‧ 상상‧ 언설의 핵심내용이다. 사랑에서 시작해서 사랑으로 끝이 난다. 삶의 원동력이 거기서 나오고 삶의 보람이 거기서 느껴지고 삶의 지향이 거기서 세워지기 때문이다.

중년에 접어들면, 특히 자본주의 시장경제사회에서는, 돈을 벌고 돈을 쓰는 것에서 사는 맛을 알 수 있고 사는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사는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부자이건 아니건 일상생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돈을 버는 일이나 아니면 돈을 쓰는 데서 보내진다.

그러나 노년이 되면 얼마나 비울 수 있는가가, 노년다운 삶의 기본이 된다. 청년이나 중년이 채우는—사랑의 욕구를 채우거나 돈의 소유와 소비로 채우거나— 삶이었다면 노년은 모든 것을 비우고 청년이나 중년의 채움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다시 채우는 것이 필요하고 중요하다.

텅 빈 내면 깊숙이 우주생명의 숨결과 원력(願力=지구사회와 인류문명의 보다 나은 미래를 함께 새롭게 열어가게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힘)을 가득 채우는 데 온 힘을 기울이게 된다. 개체생명이 완전히 비워질 때 비로소 우주생명이 충만하게 되어 아주 다른 새 생명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10월 11일 금요일

청년철학이나 중년철학은 중심과 방향은 다른 데가 있을 수 있지만 그 기반, 터전장소가 의식이라는(意識─consciousness)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말하자면 내가 살아있다는 것을 내가 의식하고 있다는 것이 기본이다.

누군가를 뜨겁게 사랑하는데서 삶의 기쁨을 얻거나 열심히 돈을 벌어서 마음껏 쓰는 가운데서 삶의 보람을 느끼는 것은 ‘의식하고 있다’는 것이 전제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청년철학이나 중년철학은 모두 의식 중심의 철학이다.

그러나 노년철학은 기반, 터전, 장소가 의식에서 생명으로 이동한다는 데서 출발한다. 의식보다 깊고 넓은, 그래서 의식조차도 거기서 생겨나오는, 생명을 아는 것이 아니라 깨닫는 것이다. 생명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지식을 쌓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자각하는 것, 자기 삶의 참모습에 눈이 뜨이는 것이다. 남의 삶을 보고 헤아리는 것이 아니라 내 삶을 몸으로 느끼고 마음으로 깨닫고 얼을 통해서 보다 큰 생명에 이어져 있고 그것에 의해서 내 삶이 지탱되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는 것이다. 그래서 나의 몸과 마음과 넋으로 이루어진 나 자신의 개인적인 삶 =개체생명을 비어가는 한편 나의 삶을 지탱해온 우주적 근원적 생명력이 빈자리를 채워가는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을 깨닫고 거기에 순응해가는 것이 노년철학의 첫 번째 의미다. 그리고 그런 변화를 겪어가면서 청소년세대와 중장년세대와 함께 서로 행복해지는 길을 열어가는 일이 노년철학의 두 번째 의미이다.

그렇기 때문에 노년철학은 노년의, 노년을 위한, 노년에 의한 철학이 아니다. 노년철학은 3세대가—청소년세대‧ 중장년세대‧ 노숙년세대— 함께 살면서 서로가 힘을 보태고 지혜를 모으고 능력을 발휘해서 화해와 상생과 공복=함께 행복해하는 좋은 사회를 이루기 위한 철학이다.



10월 12일 토요일

친구와 만나기 위해 시내로 나가려고 택시를 탔다. 그런데 중년의 여성운전기사가 내가 과거에 대학교수였다는 것을 안다면서, 평소에 궁금하게 생각해온 것들이 있는데 물어봐도 되겠냐고 묻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다음 질문들을 했다.

1) 왜 살아야 하는 거지요?

2) 무엇이 있으면=가지면 행복하게 될 수 있나요?

3) 행복은 나 자신 밖에서 찾아지는 게 아니라, 나 자신 안에서 찾아진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정말 그런가요?

요즘에 들어서 상당히 유식한 운전기사들이 운전하는 택시를 종종 타게 된다. 그때마다 나누는 대화는 아주 유익하다.

나의 개인적인 견해라는 것을 분명히 말해놓고 다음과 같이 답했다.

1) 태어났으니까 살아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고 그냥 사는 게 아니라 잘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2) 행복이란 무엇이 있다거나 가지고 있다는 조건에 따르는 결과가 아니라 나의 삶이 삶답게 가꾸어지고 이루어지고 있다는 자각이요 각성이다.

3) 행복은 나의 밖이나 나의 안에서보다는 나와 너 사이에 나타나는 일=현상=사건이다. 나만의 행복은 불충분 할 수밖에 없고 자기와 타자가 함께 나눌 수 있는 행복일—그러니까 공복(共福)—때 충분하고 온전하고 충만한 행복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나만의=나 홀로의 행복이 무시‧ 소외‧ 희생되는 데서는 어떤 행복도 성립되지 않는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필요가 있다.

간단히 이렇게 내 의견을 나눴다. 말하는 사이에 목적지에 도달했기 때문에 차에서 내리려고 하는데 “귀한 말씀 고맙습니다. 저의 작은 성의를 담은 수업료라고 여기시고 택시 요금은 안 받겠습니다”라고 하면서 떠나갔다. 일순 훈훈한 행복이 저만치 가고 있는 운전기사와 나 사이에 출현했다.



10월 13일 일요일

오후 3시 30분, C대학의 L교수와 전화로 이야기를 하던 중 요즘 행복에 관한 책들을—주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서적들─ 읽었는데 서양학자들의 행복론 또는 행복학설의 번역‧ 소개‧ 인용뿐이고, 막상 저자 자신의 생활체험이나 심사숙고에서 나온 견해나 소신이 들어있지 않아서, 매우 아쉽고 허전했다는 그의 소감을 토로했다.

나의 노철 개벽일기도 읽고 있으며, 특히 어제 쓴 부분을 읽고서 자기가 마침 생각해 온 문제와 동시성(Synchronicity=우연히 같은 생각을 동시에 하고 있다는 현상‧ 사실‧ 상황)을 느꼈다고도 했다.

나도 일본에서 공공철학대화운동을 주관하고 있을 때부터, 행복에 관해서 여러 나라에서 출판된 여러 권의 전문서와 교양서를 읽어보았고, 또 여러 나라의 대표적인 행복학 전문가들과도 진지하게 대화를 나누어 보았는데, 그 과정에서 나 나름대로의 현시점에서 나 자신이 깨달은 바를 최소한의 명제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고, 언젠가는 자세한 내용으로 펼쳐보려 한다는 나의 의중을 이야기했다.

1) 행복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지성적 행복이해, 감성적 행복이해, 영성적(또는 근원생명력적)행복이해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깨닫는 행복, 느끼는 행복, 통하는 행복이 있다는 것이다.

2) 행복은 소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존재 그 차체라는 것이다. 가령, 재산이나 명성이나 지위처럼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삶을 살아가는 과정을 통해서─존재의 차원에서─깨닫거나 깨우치거나 눈뜨는 순간에 일어나는 일이요 자각이요 기통(氣通=막혔던 생기=생명에너지가 확 뚫려서 거침없이 통하게 되는 현상)이다.

3) 행복이란 자기 밖 먼 곳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자기 안의 깊숙한 곳에서 근원적 생명에너지가 제대로 작동할 때 생성되며 그것이 얼마나 감격적이고 감동적이고 감사할 일인가를 깨닫는 것이다.

4) 그러나 거기서 끝나면 개인 속에 갇혀있는 불완전한, 온전치 못한, 부족한 행복이다. 자기 속에 일어나는 기적 같은 생명의 충만, 충일, 충전이 타자 속에서도 일어나서 자기와 타자사이에 공명(共鳴=함께 울리다), 공진(共振=함께 진동하다), 상통할(相通=서로 거침없이 통하다) 때, 비로소 자타간 공복이 이루어지고 그것이 온전한 행복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10월 14일 월요일

오랜만에 C대학의 K교수를 만났다. 여러 가지 지내온 이야기를 하던 중에 장수개벽일기를 읽었다면서 솔직한 감정표현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했다.

옳은 지적이다. 나 자신이 감정노출을 극력 자제했기 때문일 것이다. 감정이 담겨있지 않으면 공감의 통로가 막혀버릴 수 있어서 삭막한 글이 되기 쉽다고도 했다. 역시 솔직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친구가 있어서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D대학의 K교수와도 진솔한 대화를 나누었다. 그동안 함께 해온 노년철학에 인간적 온기와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시(詩) 문학적 감성을 더함으로써 인문학적 품격을 갖춘 노년철학으로 잘 다듬어서 한권의 책으로 세상에 내놓을 수 있는 길을 찾아보자는 생각도 공유했다.

우리가 함께 추구해온 노년철학은 3세대–청소년세대, 중장년세대, 노숙년세대–간 상화, 상생, 공복을 실현시킬 수 있는 좋은 사회건설을 지향하는 철학대화운동이다.

그 운동에너지의 원천은 동양포럼참가자들의 지성과 감성과 영성의 교향악적(Symphonic) 화합(和合), 융합, 조화에 있다. 정연한 논리가 있고 따듯한 감동이 있고 틀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영혼이 어우러지는 가운데서 공감에너지가 적정화될 수 있을 것이다.

노년철학은 논리가 바로선 언설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마음 깊숙한 내면에 와 닿는 시가 있으면 더 좋다. 그러나 거기서 한발 전진 할 수가 있다면 지역간, 남녀간, 세대간, 상호존중, 상호화합, 상호격려를 깊고 넓은 차원에서 성취할 수 있는 영성의 역동이 더해지게 되면 좋겠다. 시에는 그런 힘이 있다는 데는 인식을 같이했다.



10월 16일 수요일

정오(정확하게는 12시 15분)에 유성종 선생, 김용환 교수와 만나 점심을 함께하면서 즐거운 대화를 나누었다. 김용환 교수의 큰아들이 결혼을 했다고 해서 축하하는 뜻을 전했고,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시험에 합격하고, 국가공무원으로 특채되어 매우 흐뭇한 것 같았다.

그 젊은이는 오늘의 우리나라에서 일반시민들의 역할기대를 저버리고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는 법기술자가 되지 말고, 참다운 법률가가—판사이든 검사이든 변호사이든 국가공무원이든— 되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절실하다는 뜻을 전해 달라고 했다. 그런 뜻을 담고 인문학적 교양을 강조하는 책 한 권을 선물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 책이니까.

그리고 유성종 선생과 나는 2019년 12월 31일부로 동양포럼의 운영위원장과 주간의 자리에서 물러나려고 한다는 우리의 의중을 밝혔다.

우선 김용환 교수가 운영위원장과 주간 중 어느 쪽을 계승해 주겠느냐는 질문에 대해서, 주간 쪽을 맡고 싶다고 해서 그러면 운영위원장은 유성종 선생이 권유한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의 확답을 단시일 내에 받기로 하고, 두 분이 힘을 합쳐서 잘 키워달라는 간곡한 부탁도 했다.

유성종 선생과 나는 4년간 정말 최선을 다했고, 어느 정도 새 길을 열어놓기는 했으나 앞으로 연부역강한(年富力强=나이가 넉넉하고 힘이 강하다) 김 교수의 활동을 기대하겠다고 말했다.

나는 30년간 외국에 나가있었기 때문에 국내에 학맥이(學脈) 다 끊어져 버렸고, 그래서 좋은 사람들을 모시는 데 여러모로 역부족이었다. 그 점 스스로 인정한다.

그래서 김 교수가 우리나라 실정을 잘 감안해서 좋은 인선을 하고 좋은 성과를 내서, 노년철학을 한층 업그레이드 시켜주기를 당부했다.

나 자신은 더 자유로운 입장에서 일본과 한국을 아우르는 쪽으로 노년철학대화활동을 계속해 나가겠다. 정권주체들이 극단적인 반일태도를 취하고 국민에게도 직간접적으로 ‘반일은 애국이고 친일은 매국’이라는 식으로 마구 몰고 가는 가운데서, 한일철학대화를 계속한다는 것이 김 교수에게는 큰 부담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서, 내가 그 몫을 담당하기로 마음먹었다는 설명도 했다.




동양포럼 김태창 노철개벽 일기 / 13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14 |: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13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6.07 21:08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12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5.24 20:17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11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5.10 19:46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10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4.26 19:56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9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4.12 20:13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8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3.22 19:28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7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20.01.12 20:07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6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19.12.22 19:26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5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19.12.08 20:33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4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19.11.24 19:56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3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19.11.10 21:12

동양포럼 노철개벽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 2 이미지기사 동양포럼 동양일보 2019.10.27 20:12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으로 철학하는 나날1


동양포럼 노철개벽 일기/ 80대 중반에서 철학하는 나날13
기자명 동양일보   입력 2020.06.07 
김태창동양포럼 주간
 

[동양일보]10월 2일 수요일

6회 노년철학 국제회의 둘째 날 오전 회의는 야마모토 교시 미래공창신문사 사장의 ‘노년철학과 미래공창’이라는 발제강연이 있었고 토비오카 켄 박사의 진지한 질의가 계기가 되어 활발한 대화가 전개되었다.

질의의 요지는 ‘미래공창이라는 구호는 대단히 설득적이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미래공창이냐’는 것이었다.

야마모토 사장의 소상한 응답이 펼쳐지는 과정에서 불교의 인과론적 교리에 관련되는 언설이 나와서 김용환 충북대학 교수가 불교의 기본은 인과론적이라는 것은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되지만 그것이 반드시 결정되어 있다면 인간의 미래공창하려는 의지와 행위와 염원이 무의미한 도로가 되지 않겠느냐는 문제 제기다.

야마모토 사장도 결정론적인 세계관을 고집하려는 의도는 없었고 보다 나은 미래를 함께 열기 위해서는 오늘 우리들의 사고와 행위·이론과 실천·판단과 상상이 올바른 방향으로 결집·축적·진화되어야 그런 과정을 통해서 보다 바람직한=좋은 미래가 열리지 않겠느냐는 취지였다는 생각을 피력했다.



좋은 원인을 마련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善因善果, 惡因惡果)이라는 점을 언급했다는 것이다.

나는 현대물리학에서도 고전물리학에서 강조되었던 인과론적 물리를 수정해서 불확정성원리(不確定性原理)의 여지를 인정하고 확률론(確率論)적 물리관을 제시하고 있다. 결정론적 사고와 자유의지론을 적절하게 융합시키려는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요는 물질-물체-무기물의 세계에서는 모든 현상·변화·발전이 철저하게 인과법칙적으로 현현하지만 인간세계는 다소의 자유의지의 발휘· 작동· 작위를 통해서 인과론의 세계 속에서도 비인과의 지평· 차원· 세계를 형성· 건립·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미래공창적 사유· 판단· 행위· 실천· 책임 등의 문제 설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글표현으로는 ‘함께 미래를 여는 일’이라는 말을 쓰기로 하고 일본에서는‘미래공창(未來共創)’이라는 말을 쓰기로 함으로써 서로 다른 어감(한국에서는 공창이 여성멸시적인 공창(公娼)이라는 말을 연상시킨다는 일부 참석자들의 의견을 존중했음)의 차이를 넘어설 수 있는 방안을 강구했다.

국제회의는 그래서 여러 가지로 고려·배려·심려해야 할 일이 많다.



10월 3일 목요일

제6회 노년철학 국제회의 셋째 날의 오전회의는 하라다 켄이찌(原田憲一) 지성관대학 전 학장의 ‘비교문명이란 무엇인가?’와 김용환 충북대학 교수의 ‘노년철학과 문명의 대전환’, 그리고 오오하시 켄지(大橋健二) 선생의 ‘노년철학과 신문명론–교육과제’ 등을 주제로 하는 발제가 있었다.

김용환 교수만이 시간 조절을 잘해서 대화를 전개할 수 있었고, 나머지 두 분은 하고 싶은 말이 나무 많아서였겠지만 대화 시간을 남겨주지 않았다.

김용환 교수의 발제에 나오는 봉사라는 말의 내용에 대해서 황진수 교수가 어제의 자신의 발제 내용과 관련시켜서 자원봉사에 대한 법령은 있으나, 시행령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지원체계가 불충분한 점을 지적했다.

거기에 대해서 김용환 교수는 노년의 보수를 기대하지 않는 자원봉사가 진정한 행복을 가져오기 때문에, 보수를 받고 하는 일과는 근본 성격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나는 이 두 분의 논의를 흥미 있게 듣고 노년학과 노년철학의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노년학은 노년문제를 대상 인식적으로 접근하고 노년을 지원하는 제도설정에 중점이 주어진다면, 노년철학은 노년을 사는 사람들의 자각의 문제와 청소년이나 중장년이 노년을 어떻게 보느냐는 타자인식을 함께 아우름으로써 보다 나은 3세대(청소년세대·중장년세대·노숙년세대) 사이의 상화· 상생· 공복의 터전을 마련하는 데 역점을 둔다는 데서 서로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후 회의에서는 김영미 시인의 ‘로마와 경주의 비교에서 보는 노년의 의미’라는 발제에서 세월이 흘러 낡았어도 오히려 더 아름다운 문화유산과 고령자 인간의 모습을 시적 상상력을 살려서 그려보여 주었다.

원혜영 충북대학교 강사는 ‘성차(gender)와 나이듦(aging)’이라는 발제를 통해서 스피박과 보부아르의 문헌을 살피는 가원데서 여성철학과 노년철학의 상관연동성을 밝혀보려 했다.

그리고 전체토론으로 들어갔는데 주로 11월에 있을 일본 시즈어까(靜岡)현 주최의 국제회의에 대한 준비로 하라다 켄이찌 비교문명학회 회장의 취지 설명을 듣고 질의문답이 있은 후에 내가 한국 측 참가자들에게 두 가지 참고사항을 유념해 달라고 부탁을 했다.

시즈오까현에서는 ‘노년’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장수’라는 말로 통일하고 있기 때문에 장수철학이라는 말로 통일했으면 좋겠다는 것과, 시즈오까현에서는 무병장수 또는 건강장수를 강조하고 있는데, 우리 동양포럼에서는 행복장수를 장수철학의 기본으로 삼고, 평균수명과 건강수명은 행복수명과의 상관연동에서 성찰한다는 점을 의식해 달라는 말을 함으로써, 3일간의 국제회의를 마감했다.

정상혁 보은군수와 관계 직원 여러분에게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10월 4일 금요일

어제 10월 3일은 ‘하늘이 열린/열리는 날’이라는 뜻의 개천절이었다. 서울에서는 한국역사상=단군 이래 최다인수가 참가한 조국규탄, 문재인 퇴진 대규모 시민궐기가 있었고 그것이 밤늦게까지 계속되었다는 것을 보도를 통해 알았다.

속리산 숲마을에서 있었던 노년철학 6회 국제회의(2019년 10월 1~3일)를 보은군과 공동주최하고 나 자신이 주관해서 끝까지 충실하게 성공적으로 끝맺기 위해서 전력투구하느라 그쪽에 관심을 둘 새가 없었다.

그러나 오늘의 한국의 정치상황이 더없이 어렵고 국민은 극단적 대립, 분열, 갈등으로 더없이 아파하고 있기 때문에 마음조이며 그 귀추를 주목하고 있다.

나 자신의 개인적인 입장은 완전무결하지 않다는 것을 충분히 알면서도 자유민주주의를 나의 정치적 신념으로 삼고 사회민주주의나 인민민주주의를 수용하지 않는다. 정치사상이나 체제원리로서 그런 것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나 자신은 그런 사상에 공명하지도 않고 그런 체제 속에서 살기를 원하지도 않는다.

나 자신의 개인적인 선호를 구태여 말한다면 친북좌파정권보다는 한미일 안보체제 속에서 우리나라의 안전보장을 공고히 하고, 열린 국제관계 속에서 자유무역을 통해서 경제발전을 이루어 나가는 것이 우리의 국익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공직자는 정직하고 성실하게 국민에게 봉사하는 마음가짐과 자세정립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건전한 법치가 공평하게 시행되는데 있어서 최고책임자인 법무부장관은 다른 것은 몰라도 투철한 준법정신이 몸에 배어있기를 기대한다.



10월 5일 토요일

오늘은 심신이 몹시 피로하고 위와 장의 상태가 아주 나쁘다. 그래서 오늘 하루는 철저하게 휴식을 취하는 쪽으로 일정을 조정했다.

3일간 계속되는 학술회의를 연달아 주관, 주재하기 위해서 정신적으로 긴장했고 육체적으로 무리를 해서 그 폐해가 고스란히 쌓여 몸이 반발을 하고 마음이 심한 불평을 표시하는 것 같다.

젊을 때는 하루 밤 자고 나면 거뜬했는데 80대 중반의 노년에 이르고 보니 확실히 회복탄력성(resilience)이 약화되었음을 실감한다.

그래도 얼마 전까지는 의사들로부터 나의 회복탄력성이 나이에 비해서 아주 좋은 편이라는 말을 들었는데 이번에는 피로감이 말끔하게 씻기질 않는다. 그저 가만히 쉬어야겠다. 특히 머리를 쉬게 해야 할 것 같다. 평안히 잘 자야지.

Good night! Have a good sleep!



10월 6일 일요일

어제부터 장상태가 좋지 않다. 아프고 쓰리다. 배변을 몇 번씩 하고나서도 여전히 아프고 쓰리다. 오늘은 일요일이라 병원에 갈 수 도 없고 집에서 푹 쉬면서 나를 찾아준 이 불편함의 메시지를 헤아려 보려고 한다.

어렸을 때부터 시작해서 청소년기와 중장년기를 거치면서 노숙년기의 중반(80대에서 90대에 이르는 중간지점)에 이르게 된 지금까지 장 때문에 골치를 앓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그러나 특히 80대에 들어서면서 나의 사고와 판단과 행위가 뇌에서 보다는 장에서 이루어지는 것 같다. 아니다. 뇌에서 이루어지겠지만 장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 같다.

일본의 한 웹진 ‘생명과학정보실’의 대표이사이자 편집자이자 기자인 나가누마 타카노리(長沼敬憲)가 쓴 ‘장뇌력’이라는 책에 의하면 100세시대를 살아낼 힘은 뇌가 아닌 장에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장뇌력을 갈고닦아 본디의 생명력을 회복하자고 외치고 있다. 그는 “뇌의 지배에서 벗어나서 장이 이끄는 대로 느끼며 살자”고도 한다.

그의 말이 아니더라도 나 자신이 요즘에 와서 나날이 체감하는 것은 장의 상태가 좋으면 뇌작용도 활발해진다는 것이다. 그것은 발생학적으로 뇌보다 훨씬 오래전에 장이 생겨났고 생명작용의 중추적인 역할을 뇌보다 장이 훨씬 더 오래 담당해 왔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인간은 뇌를 발달시킨 덕에 고도의 지성을 갖추었으나 언제부터인가 뇌가 주인행세하기 시작한 탓에 목숨 속 가장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작동하고 있는 생명의 근원으로부터 상당히 멀어지고 말았다는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장을 모체로 살아간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는 데에 나는 동감이다.



10월 7일 월요일

새벽 3시 20분, 마침 트로이 윌슨 오건(Troy Wilson Organ)의 ‘Philosophy and the Self: East and West(Selinsgrove: Susquehanna University Press:1987)’를 읽다가 젊은 때는 시를 쓰는 시기이고 나이든 때는 철학하는 시기라는 언급이 있어서 눈여겨보았다.

그것은 쇼펜하우(Arthur Schopen-hauer·독일의 염세철학자, 1788~1860)의 말을 인용한 것인데 그는 이외에도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교를 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청춘—시: 노년—철학이라는 대비에 직접 연결되는 것만 추리면 다음과 같다.



젊은 때 / 나이든 때

의지보다 지성 / 지성보다 의지

행복의 시기 / 불행의 시기

세상사를 멀리서 봄 / 세상사를 가까이서 봄

만족을 모르는 행복추구 / 불행할까봐 두려움

시간이 늦게 간다는 느낌 / 시간이 빨리 간다는 느낌

죽음은 안 보인다 / 죽음이 가깝다

인생은 길다는 느낌 / 인생은 짧다는 느낌

계획을 많이 세움 / 추억 속에서 삶

소유욕은 적다 / 소유욕이 더하다

주위에 과민 / 주위에 둔감

세상사 외면에 관심 / 세상사 내면에 관심

지력이 왕성 / 지력이 쇠퇴

자기인식 부족 / 자기인식이 시작됨

지식을 축적 / 지식을 반성

불안의 시기 /휴식의 시기

좋은 일을 위해 분투 / 체념

환상 /환멸



글쎄,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 지 모르지만 나는 쇼펜하우어의 나이든 때의 모습과 특징에 공감 할 수 없는 면이 많다. 거의 내 견해와는 맞지 않는다. 그의 철학이 대체로 염세적인 경향이 있는데, 노년관도 그대로 나타나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젊어서는 시를 쓰고 나이 들어서는 철학한다는 말은 마음에 든다. 내 경우에는 젊어서는 (사회)과학을 했고 나이 들어서는 철학(공공철학과 노년철학)을 하게 되었지만 시에도 남다른 관심을 쏟았으니까. 역시 나이 들어 철학하는 삶이 제격인 것 같다.



10월 8일 화요일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 나이 들어가면서 생각하고 슬퍼하고 괴로워하고 즐거워하다가 마침내 죽어가게 되어 있는데, 나 자신이 가장 나다운 때가 언제일까? 생각할 때일까, 느낄 때일까, 괴로울 때일까, 아니면 즐거울 때일까?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을 수 있겠지만 나 자신의 경우에는, 그것도 85년을 살아오면서 여러 번 반복해서 체험‧ 경험‧ 증험‧ 효험해본 바로는 내가 아플 때, 아주 심하게 아플 때, 이 세상 어느 누구와도 함께 할 수 없는 오직 나만이 겪어야하는, 견디어 내야하는 바로 그때, 다름 아닌 나 자신의 의식이 한계상황에서 나 자신이 아직은 죽지 않고 살아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생각은 다른 사람과 교류‧ 교환‧ 공유할 수 있다. 즐거움이나 기쁨은 함께 나눌 수 있고 서로 통할 수도 있다. 함께 나누고 서로 통할 수 있는 사람이 많으면 그만큼 즐거움과 기쁨이 크고 넉넉한 것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아픔은 홀로 겪어야하고, 견디어 내야하고, 이겨내야 한다. 불교는 태어나는 것, 늙는 것, 병드는 것, 그리고 죽는 것은 네 가지 괴로움(四苦)이라고 규정하고 거기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지를 가르치고 있다. 또 괴로움과 아픔을 합쳐서 고통(苦痛)이라 말하는 경우도 많지만, 나 자신은 괴로움도 남과 함께 나누고 서로 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즐거움이나 기쁨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 그러나 그 어느 것과도 다른 것이 아픔이다. 아플 때, 심히 아플 때, 나는 가장 깊은 뜻에서 ‘나’ 일 수 있다. 그래서 감히 나는 단언한다.

‘나는 아프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