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28

'We found a baby on the subway - now he's our son' - BBC News

'We found a baby on the subway - now he's our son' - BBC News

'We found a baby on the subway - now he's our son'

By Lucy Wallis
BBC World Service

Published
Pete, Kevin and Danny in 2001IMAGE SOURCE,PETE MERCURIO
Image caption,
Pete, Kevin and Danny in 2001

Danny Stewart was rushing to meet his boyfriend for dinner when he ran past something lying on the floor of a New York subway station. Soon he would treasure it more than anything else in the world.

It was around eight o'clock on 28 August 2000, just past the frenzy of the New York rush hour when a subway train rattled down the track into 14th Street station, in the Chelsea district of Manhattan. Danny Stewart, 34, was late for dinner with his partner, Pete Mercurio, 32.

The couple had met three years earlier through a friend in Pete's softball team. Later Danny had moved in with Pete and his flatmate, but on this summer evening he had been back to his sublet apartment in Harlem to pick up the post.

As Danny was hurrying out of the station something caught his eye.

"I noticed on the floor tucked up against the wall, what I thought was a baby doll," he says.

He was puzzled - why would a child leave a doll on the ground? - but he continued up the stairs to the exit.

"I glanced back one more time, and that's when I noticed his legs moved."

He ran back down the stairs and realised that the doll was in fact a baby boy, wrapped in a dark sweatshirt, with his tiny legs sticking out.

"He didn't have any clothes on, he was just wrapped up in this sweatshirt. His umbilical cord was still partially intact, so I could tell he was a newborn. I was thinking maybe a day or so old," he says.

14th Street subway stationIMAGE SOURCE,GETTY IMAGES
Image caption,
The 14th Street subway station in the Chelsea district of Manhattan

Danny could hardly believe what he was seeing. He couldn't understand how a baby had been left on the floor, or who could have left it.

The little boy was very quiet, and yet also alert, with big, wide eyes.

"He did look up and I stroked his head and then he whimpered a little bit. It seemed really unreal, the whole situation, and at that point I was trying to alert people to what was happening, but I couldn't get anybody's attention."

Danny yelled out, "Please, call the police," but almost everyone ignored him.

"I did get the attention of one woman, but she didn't speak English, so she didn't really understand what I was saying, even when I was trying to point to the baby," Danny says. "I think she probably thought I may have been a little deranged."

This was before the time when everyone had a mobile phone and Danny was afraid to pick up the baby in case he was hurt. So Danny ran up the stairs to the street to a payphone and called 911.

"I found a baby," he blurted out. Then he told the police where he was located and ran back to check the baby was still OK. He waited for what seemed like ages.

"I'm sure it was just a few minutes, but time was standing still as my heart was racing," he says. "I thought, well they probably think this is a prank call and they're probably not believing me, so somebody else needs to call, and that's when I thought of Pete."

Grabbing a quarter out of his pocket he ran back to the payphone to call him.

"Once again, I blurted out, 'I found a baby. I don't think the police believe me so call them please right now.'"

Pete, who had been pacing up and down, looking out of his apartment window waiting for Danny, says the hair on the back of his neck stood up.

"Because Danny doesn't joke, he wouldn't say something if it wasn't true," he says.

Danny and Pete picked up Kevin from the foster care agency on Friday 22 December 2000IMAGE SOURCE,PETE MERCURIO

He bolted out of the apartment to the subway station, arriving as the police were carrying the baby away to be taken for a check-up at the hospital. After Danny had given his statement, the two of them left.

"I remember turning to Danny and saying to him on the sidewalk as the police car was driving away, 'You know, you're going to be connected to that baby in some way for the rest of your life,'" says Pete.

"Danny was like, 'What do you mean?' I said, 'Well, eventually, this child is going to learn of the night he was found and he may want to find the person who discovered him. Maybe there's a way that we can find out where he ends up and send a birthday gift every year on this date?'"

Presentational grey line

The next day, news of the baby found on the subway was all over the headlines.

"Danny Stewart was the Good Samaritan that found the seven-pound baby," said one reporter, as Danny was interviewed for TV news.

"The baby is Hispanic with patches of brown hair on the top of his head," said another.

Danny wanted to find out how the baby was, and so went to the hospital where he had been taken, but was unable to get any news.

So Danny and Pete returned to their daily lives - Danny to his role as a social worker and Pete as a playwright and web designer.

But before too long Danny received an invitation from the Administration for Children's Services to attend a family court hearing, to testify how he had found the baby. When this took place, in December 2000, the judge asked Danny if he could stay for the entire hearing. He waited for the police to give their testimony, and then the judge addressed Danny again.

"She says, 'Mr Stewart, I want to let you know what's happening here, in instances where we have a baby that has been abandoned, we want to place them in pre-adoptive foster care as quickly as possible.'

"In my head, I'm thinking, 'Well that makes sense,'" says Danny. "And then the next thing out of her mouth was, 'Would you be interested in adopting this baby?'"

Danny looked around, all eyes were on him.

"I think most of the mouths dropped in the courtroom, including mine. I said, 'Yes, but I don't think it's that easy,' and the judge smiled and she said, 'Well, it can be.'"

Although the judge's question had come completely out of the blue, friends and acquaintances had already queried why Danny and Pete had not taken the baby boy home to take care of the night he was found. You didn't need to be a social worker, as Danny was, to realise that this wasn't how things worked.

The adoption process took six to nine months and involved background checks and parenting training.

"I had not had thoughts of adopting," says Danny, "but at the same time, I could not stop thinking that… I did feel connected, I felt like this was not even an opportunity, it was a gift, and how can you say no to this gift."

Danny, Kevin and Pete at the beach in 2002IMAGE SOURCE,PETE MERCURIO

Outside the courtroom Danny telephoned Pete to tell him the news.

"My gut reaction was just to say, 'No - no, you're not, you're not interested. Go back right now into the courtroom and tell her, No, you made a mistake. Just tell her no,'" Pete says.

Over the next week they had what Danny says were tense conversations... Pete calls them heated arguments.

"I didn't want my life to change. I was happy the way we were and this was just going to change everything," Pete says.

"We had no money, we had no space, we still had a roommate… I was also a little angry with him, 'How could you say yes, without consulting me first?'"

The situation almost tore them apart.

"Danny had said at one point, 'I'm going ahead with this whether you're on board or not,' says Pete, and I just said, 'You're choosing a baby over our relationship?'

"He said, 'I would like us to all be a family, I'd like us to do this together, but if you're not ready, I understand and I'm going to do it with or without you.'"

Pete remembers saying some "awful things" to Danny such as, "Good luck being a single parent in New York."

Yet despite this, he says, there was a part of him that desperately wanted it to happen.

So Danny convinced Pete to come with him and visit the baby at his foster home.

When they arrived they said they noticed very quickly it was not an ideal place for him to be. He had painfully sore and infected nappy rash from his belly button all around his hips and thighs to his back.

The caseworker who was with them sat down with the foster mother and pushed the baby seat with the little boy in it towards Danny and Pete. The baby stared at them with wide eyes. Danny noticed he was not blinking and was very quiet.

Holding the baby in his arms for the first time, Danny gently said, "Remember me?"

When it was Pete's turn to hold the baby, an "instant wave of warmth" came over him, he says.

"The baby squeezed my finger with his entire hand so hard," says Pete. "He was just staring up at me and I was just looking at him, and it was almost like he found a pressure point in my finger that just opened up my heart to my head and showed me in that moment that I could be one of his parents, one of his dads."

Pete, Kevin and Danny on a visit to Kevin's school in 2007IMAGE SOURCE,PETE MERCURIO

After that, the adoption process began quickly. There were home visits, background checks and lots of questions to answer. Danny and Pete were told it would take months for the baby to be placed in their home, so they would have lots of time to prepare.

But they had to attend a court hearing on 20 December to state their intention to adopt the baby. The same judge was presiding, and she glanced down at the calendar on her desk.

"She looks back up at us and she says, 'How would you like him for the holiday?'" says Pete. "I think we both nodded, yes, but internally, I'm thinking, 'What holiday? I hope she's not meaning Christmas, because that's in a couple of days.'"

But that was what she meant and she started issuing orders to the caseworker and the attorneys to have the baby ready to pick up from the foster care agency in two days.

Back at home Pete called his family for help.

He'd already told them about their adoption plans, and got their full support.

"I said we're going to name him Kevin, and my mum just started bawling, because she had had a baby before me that died on birth, and they were naming that baby Kevin," says Pete.

"So this was just sort of a weird way of their baby Kevin coming back to them again as a grandchild from their gay son."

Pete, Kevin and Danny in 2011IMAGE SOURCE,PETE MERCURIO

With only two days to prepare, everyone was in a frantic rush. Pete's family went to the shops to buy all the supplies the couple needed. Danny and Pete started speed reading baby books such as What to Expect When You're Expecting. Their apartment was turned into a nursery with boxes of nappies everywhere and a cot.

On Friday 22 December at nine o'clock in the morning, Danny and Pete collected Kevin from the foster care agency. They snuggled him up in his blanket and - appropriately - took the subway back to their apartment.

"It had started to snow," says Danny, "so it made it feel even more magical."

Alone that evening as a family, they had a chance to take in everything that had happened.

"I think we exhaled probably for the first time," says Danny. "I remember just kind of marvelling in the moment that this was actually a reality."

Kevin lay fast asleep on Pete's chest, drooling.

The judge's plan had been for Kevin to visit for the Christmas holidays and then return to his foster home. But Danny and Pete asked if there was any way he could stay with them, and on 27 December, the case worker called with good news, Kevin could remain while they completed the home study and certified their home.

The Manhattan Family Court was located near Ground Zero, where the 9/11 attacks took place in September 2001, so the adoption process was delayed, but it was finally completed on 17 December 2002.

Danny, Pete and Kevin soon settled into family life together. Danny remembers how Kevin loved books. Every night they would read bedtime stories or sing him to sleep while stroking his head.

Pete made a picture book with the story of Kevin's discovery, which he decorated with clip art, and when Kevin was three or four, he and Danny would read it to him every night before bedtime.

"It was his favourite," says Pete.

"Some nights, and days, we read it multiple times. We'd often catch Kevin flipping through the pages by himself and mouthing the words he had memorised. This was the sweetest thing in the world to witness."

Kevin didn't make the connection for almost a year that this was his story, Pete says. But when he did, he was so proud and excited that he took the book for a show and tell at his school.

Pete, Danny and Kevin pictured in 2011IMAGE SOURCE,PETE MERCURIO

Kevin was also curious about who his biological family might be.

"He would, every now and then, if we were out, look at people on the sidewalk that were passing us by, or if we were at a restaurant, he would point out, 'That woman over there has the same skin colour as me,'" says Pete. "But he never stressed about it and then it just sort of went away. He never really brought it up much."

When Kevin was 10, he was on his way to school when "papa Pete" turned to ask him what he thought about an idea he and "daddy Danny" had been discussing the night before.

It was 2011 and New York had become the sixth state in the US to legalise gay marriage. Although Danny says he and Pete already felt married "by default", this would just make it official.

Danny, Kevin and Pete pose for a picture after Danny and Pete's wedding ceremonyIMAGE SOURCE,PETE MERCURIO
Image caption,
Danny, Kevin and Pete pose for a picture after the wedding ceremony

Kevin was excited about the idea and turned to his papa to ask him, "Don't judges marry people?"

It was an inspired idea, so Pete sent an email to Manhattan Family Court to ask if the same judge - Judge Cooper - would officiate at their marriage. Within two hours they got a reply, she would be delighted.

At their first meeting, she explained that she had been involved in a short-lived pilot project placing babies who had been abandoned into pre-adoptive foster care, and that she'd had the authority to "expedite that process".

"She also said that all babies needed a connection to somebody. And so when Danny was testifying in the courtroom about finding the baby, in her mind his most serious connection in the world was to Danny, so why not just ask him?" Pete says. "It was almost as simple as that. She saw a connection that was already made, and had a hunch that it would be the right connection."

Her hunch had been correct, as she could see for herself when she met Kevin at the marriage ceremony.

Danny says it was an occasion that left him overcome with emotion, happiness and amazement.

"This woman, the very reason we're a family, is once again, the very reason we're getting married. It was like coming full circle," he says.

Danny, Kevin and Pete in Yellowstone National Park in 2018IMAGE SOURCE,PETE MERCURIO

Kevin is now 20 years old, and at college studying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The tiny baby boy whom Danny discovered on the subway station is now over six feet tall, and taller than his dads.

He loves playing ultimate frisbee, has run numerous marathons and danced with the National Dance Institute from the age of nine to 14. Pete says when Kevin wants to learn something, he just goes out and does it, and has taught himself piano and guitar.

"Kevin's always been a respectful kid," says Pete. "He's empathic and kind. He keeps his emotions close to the vest. He's an observer, doesn't crave or seek attention. He's a private person, but also a quiet leader."

He can also be very funny, Pete says.

Pete, Kevin and Danny in Yosemite National Park in 2019IMAGE SOURCE,PETE MERCURIO
Image caption,
Pete, Kevin and Danny in Yosemite National Park in 2019

The family love visiting the national parks together, taking part in outdoor activities such as kayaking and supporting their favourite baseball team, the New York Mets.

"I can't imagine my life if it didn't turn out this way," says Danny, now aged 55. "My life has become much more enriched and full. It has changed my world view, my perspective, my whole lens."

Just as it was inconceivable 20 years ago to think about becoming parents, it is even more inconceivable says Pete, now 52, to think about not being parents.

"I did not know that this level of deep love existed in the world until my son came into my life."

Pete has written a children's book about their family's story called Our Subway Baby

Judge Cooper is a pseudonym Pete uses in his book as she does not want to be named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Family portrait with a boy drawn in

George is one of tens of thousands of children in the UK who've been taken into care because their parents are unable to look after them. Severely neglected, he struggled to express himself, so when there was something very important he wanted to ask his foster family, he chose an unusual way of doing it.

A Year of Writing to Uncover the Authentic Self | DailyOM

A Year of Writing to Uncover the Authentic Self | DailyOM:




BE HAPPY.

A Year of Writing to Uncover the Authentic Self
BY RACHEL ASTOR

59,421 PEOPLE HAVE TAKEN THIS COURSE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you became who you are today can be a wondrous journey of self-discovery. By thoughtfully remembering your beautiful experienc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you will find deeper understanding and begin to more fully live the authentic life you desire. By mining past experiences and inner wisdom, you'll finally be able to answer that question we all want to know: Who am I?

Tell Your Story and Discover Who You Are

This 52-week course by best-selling author and writing mentor, Rachel Astor, will allow you to explore a fuller, richer understanding of yourself and what makes you tick, all while recording and documenting your thoughts and experiences. This no-pressure course for novices and seasoned writers works whether you love deep emotional contemplation, want to express your comedic shenanigans, or wish to leave a legacy. Most importantly, you will tell your story.

What is included in this course:
52 lessons (1 per week) to help you uncover the truth of your experiences and memories.
Each lesson focuses on a specific life topic and includes teaching and thought-provoking writing prompts and questions to inspire you.
A deeper understanding of yourself and your truth.
How to use writing as a tool for forgiveness and healing of the past by gaining new perspectives.

Who should take this course:
Those who know they have stories to tell but don't know where to start.
Anyone who always wanted to write their life story but never found the time.
People who love short stories and essay collections.
Anyone looking for a creative or emotional outlet.
Seekers who want to get to know themselves better.
Individuals who want to begin a writing or journaling practice.
Anybody looking for greater well-being through self-expression.

With the tools learned in this course you will complete a collection of personal essays that you can use however you like: as a private, introspective experience for yourself, as a record for your family, or perhaps to publish and share with the world. No matter where you are on your journey, it's time to invest in you, to gift yourself this magical year, to find your truth and find yourself.

What People Are Saying About This Course

"I love this course, it has inspired and motivated me to get moving! I always have great ideas for writing but never had the map to get on with it. I sincerely appreciate this course. Thank you so much, Rachel." -Janet

"I can't believe how fast and easy the words flowed!" -Tonya

"I find myself coming to work on this course some every day. The motivation to write every day alone makes the course worth the price, the time and the effort. It's been a long time since I have been this consistent in writing." -Mark

"I loved the first lesson and I have a personal story that has hindered my life that I was finally able to put down on paper and get started writing about." -Meredith

"I enjoyed these writing assignments, reliving precious moments, and discovering the self long forgotten." -Susie

"I joined this course to encourage me to stick with my writing project. I am grateful to have a forum to hold myself accountable and cheer each other on! The questions help me to focus - which is my greatest obstacle!" -Laura

About Rachel Astor



USA Today and Amazon best-selling author, Rachel Astor, has written over 20 novels for adults and kids (under various pseudonyms and publishing umbrellas including Harper Collins, Entangled Publishing, and Audible). Wellness and emotional health through writing are her passion, 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her work as editor, mentor, and coach for authors of all genres.
How Does It Work?

Starting today, you will receive a new lesson every week for 52 weeks (total of 52 lessons). Each lesson is yours to keep and you'll be able to refer back to it whenever you want. And if you miss a lesson or are too busy to get to it that day, each lesson will conveniently remain in your account so you won't have to search for it when you're ready to get back to it.


Free Gift

As a free gift, when you sign up for this course, you will also receive the award-winning DailyOM inspiration newsletter which gives you daily inspirational thoughts for a happy, healthy and fulfilling day. We will also let you know about other courses and offers from DailyOM and Rachel Astor that we think you might be interested in.



Get Started Now

We are offering this course with the option of selecting how much you want to pay. No matter how much you pay, you'll be getting the same course as everybody else. We simply trust that people are honest and will support the author of the course with whatever they can afford. And if you are not 100% satisfied, we will refund your money.


How much do you want to pay?

A$25.00A$45.00A$70.00

THIS IS THE TOTAL AMOUNT FOR ALL 52 LESSONS


2021/12/27

한국교회와 죽음의 그림자 < 박충구의 이제는 바꿔야 할 교회 윤리 < 연재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한국교회와 죽음의 그림자 < 박충구의 이제는 바꿔야 할 교회 윤리 < 연재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한국교회와 죽음의 그림자
[이제는 바꿔야 할 교회 윤리] ①저항과 비판이라는 생명력
기자명 박충구  승인 2017.01.09 20:51 
SNS 기사보내기SNS 기사보내기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바로가기 메일보내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뒤로멈춤앞으로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교회 개혁의 과제를 생각해 보는 격주 연재 칼럼을 마련했다. 1월부터는 박충구 교수가 필진으로 참여한다. 박충구 교수는 감신대 교수(기독교윤리학)로 25년 동안 재직했으며, 현재 생명과평화연구소 소장으로 저술과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기독교윤리사>(대한기독교서회) 3부작, <종교의 두 얼굴>(홍성사) 등 다수가 있다. - 편집자 주
권위가 작동하는 두 방식
미국 백악관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백악관 청소부와 친구처럼 서로 손바닥을 부딪치며 하이파이브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박근혜 정권의 장관이나 수석비서관이 대통령 앞에서 두 손을 얌전히 모으고 긴장하며 서 있는 모습에 익숙한 우리의 관점에서 보면 참으로 신기한 장면이 아닐 수 없었다. 세계 제1의 강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 대통령의 권위와 나라가 분단된 나라의 대통령의 권위 행태는 왜 이렇게 다른 것일까? 한편이 평등주의적이며 합리적인, 탈권위주의적 성격을 가진다면 다른 편은 불평등한, 비합리적인 권위주의의 성격이 짙어 보였다.




뒤로멈춤앞으로
권력을 가진 이는 중대한 일을 결정할 권한을 가진다. 권한을 행사하는 힘이 권위라면, 특정한 집단이 내리는 중요한 결정과 그 과정에서 우리는 그 집단이 지닌 권위에 대한 이해 방식을 파악할 수 있다. 권력 행사에 있어서 합리적 권위가 존중되는 민주적 방식과 비합리적 권위가 행사되는 전근대적 방식은 매우 다르다.

민주적 방식에서는 옳고 그름에 대한 토론 문화가 수용될 수 있음으로, 토론을 허용하지 못하는 권위주의적 방식보다 더 좋은 결론에 이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전근대적 권위주의적 방식에서는 권력에 대한 비판과 저항 대신 굴종과 아부의 문화가 형성되기 쉽다. 따라서 권위주의가 판치는 사회에서는, 민주 사회와 달리 비판과 저항을 통한 변화와 개혁의 지평이 폐쇄된다.

전근대적 세계에서 근대 세계로 넘어오면서 진보된 사회는 신분과 권력 세습의 특권을 폐지했다. 권력을 가진 이가 다른 이의 사상의 자유와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자의적으로 재단했기 때문이다. 민주 사회는, 권력자의 독단보다는 토론을 통하여 다수의 지혜를 모으는 합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사회다.

그러나 전근대적 습성에 젖어 신분적 특권을 지속시키려는 이들은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서 민주 사회의 걸림돌로 기능하고 있다. 기회주의적으로 근대적인 권력 세습, 재산 세습, 그리고 심지어 교회 세습을 도모하며 이를 당연시하는 이들이다.

권위주의가 불러온 폐단
전근대의 유산인 세습 문화가 지속되고 있는 까닭은 공적인 권력과 권위를 쉽게 사유화하는 전근대적 습성 때문이다.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여 권력을 쉽게 사유화할 수 있는 사회는 권력 세습을 허용하는 사회가 될 수밖에 없다. 재산을 사유화할 수 있는 사회에서는 재산을 세습한다. 마찬가지로 교회 권력을 사유화할 수 있는 교회는 세습된다. 공적 세계의 사유화는 권위의 사유화라 할 수 있는 권위주의와 밀접히 관련된다.

전근대 세계에서는 권력과 권위가 혈연을 통하여 무비판적으로 세습될 수 있었다. 하지만 민주 사회에서의 권력의 사유화나 세습은 마땅히 불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민주 사회에서는 권력이란 그 본질이 공적인 것이며, 국민이 공직자에게 제한적으로 위임한 것이기 때문이다. 당연히 교회도 사유화될 수 없다. 하나님의 백성으로 이루어진 공교회(公敎會)로서의 성격이 원래 교회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유화할 수 없는 것을 버젓이 사유화하는 병폐가 우리 사회에 엄연히 존재하고 있다. 박근혜 정권의 위기 역시 이런 병폐가 초래한 결과다. 국민에 의하여 선출된 대통령이 민주적 원칙을 무시하고 권력을 사유화했고, 국가의 중대사를 헌법 정신이 아닌 자의를 앞세워 권위주의적으로 결정해 왔기 때문이다.

민주적 사회의 기본인 헌법 정신을 버리고 자의를 유통시키는 권위주의 정권은 부패할 수밖에 없다. 중차대한 국가적 사안에 대하여 대통령의 주장에 합리적 비판이나 이의를 제기할 경우 그에게 밉보여 즉각 관직에서 퇴출당하는 사례를 번번이 경험한 각료나 비서관들은 아마도 대통령의 권위나 심사를 건드리지 않는 것이 관료로서 장수하는 비결이라고 생각한 것 같다. 이런 정권에서 어찌 보다 나은 대한민국을 위한 비판과 저항, 그리고 책임 있는 토론이 가능했겠는가?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 최고의 권력 집단 속에서도 권위에 대한 전근대적인 이해가 여전히 극복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다. 민주 사회는 신분제와 특권을 인정하지 않는 평등주의를 전제한다. 따라서 특권의 세습은 민주 사회에서 용인되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권력의 세습, 재벌의 세습, 심지어 교회 세습까지 정당화하거나 당연시하는 전근대적 풍조가 넘쳐 나고 있다.

나는 이런 풍조의 산실이 바로 전근대적인 권위주의 행태라고 생각한다. 권위주의가 팽배한 세상에서는 공공의 영역이 손쉽게 사유화되고, 심지어 세습까지 이루어진다. 이런 세상에서는 합리적 비판과 토론의 검증 문화가 차단되고 권력자의 특권을 강화해 주는 일사불란한 상명하복의 질서가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권력자의 자의적(恣意的) 욕망이 필연적으로 법질서를 유린하게 되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이들이 우리 사회가 상당 부분 근대화되고, 민주화되었다고 말하고는 있지만 우리가 가지는 관계망의 실상에서는 전근대적인 가치 구조가 여전히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유구한 전통을 가진 이화여자대학교에서도 교육법과 대학 규정을 무시하는 권위주의적 행태가 암암리에 유통되었으니 다른 대학들은 어떠하겠는가?

생명력 파괴하는 권위주의
정치권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언론의 감시와 비판에서 벗어나 있는 종교계는 어떠할까? 오늘날 권위주의적인 목사들이 지배하는 목회 현장에서 그들의 천박한 비리를 찾는 일은 너무나 쉬운 일이다. 이렇듯 공적 권위를 부여받은 이가 법과 원칙을 무시하고, 자의에 따라 특권을 유통시키는 비리는 청와대만이 아니라 대학 사회에서도, 종교 공동체 안에서도 만연해 있다.

권위주의의 폐해는 악성 박테리아처럼 국가 사회나 대학 사회, 그리고 종교 공동체를 부패시킨다. 무엇보다도 권위주의는 무능하고 부도덕한 자에게도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무비판 지대를 형성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각료들과 대면하여 토론할 능력이 없는 대통령도 그의 권위에 맹종하는 무리들에 의하여 얼마든지 옹립될 수 있었던 이유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속설은 권위주의 사회의 허상을 잘 드러내 주는 말이다.

하지만 무능한 자에게 권위를 옷 입혀 주고 그의 자의에 의하여 중요한 사안들이 결정되는 집단의 운명은 오래잖아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하게 되어 몰락할 수밖에 없다. 더 나은 것을 위한 저항과 비판을 거부하며 토론 능력을 결여한 집단이 어찌 이 시대를 뛰어넘는 생명력을 가질 수 있겠는가?

지금 우리나라는 최순실에 휘둘린 박근혜 정권의 배후에서 저질러진 무수한 비리로 인한 위기를 직면하고 있다. 최순실의 수하에서 묵종하던 관료들과 대학 총장, 그리고 교수들부터 시작하여 심지어 이 나라 최고 통치자인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지위를 박탈당하고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할 처지에 놓인 것이다.

이런 국가적 수치를 초래케 한 것은 바로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행태 때문이다. 그간 박근혜 정부 안에서는 비판과 저항의 검증 과정을 거부하고 합리적 토론 절차를 생략한 상명하달의 수직적 명령 체계와 이에 대하여 맹종하는 체제만 작동하고 있었던 까닭이다. 이런 체제는 사실 대통령이 누구인가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대통령 자리에 최순실이 들어앉아 지배 조종해도 그 권위주의적 통치 체제는 수년간 무비판적으로 지속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박근혜 정권의 위기를 바라보면서, 이것이 권위주의적 목사의 자리를 그의 자식이 세습해 주어도 아무런 이상 없이 굴러가는 교회의 현실과 겹쳐져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박정희의 후광을 입고 대통령이 된 박근혜와 아비의 후광을 입고 교회를 세습한 자식은 정말 닮은꼴이지 않은가? 권위주의적 목사의 지배와 그에 맹종하는 무리들로 이루어진 교회와 권위주의적 대통령과 그에게 맹종하는 관료들로 이루어진 정권은 정말 닮은꼴이다. 박근혜의 권위주의적 통치 체제의 손발이 되어 무비판적인 맹종과 칭송의 송가를 불렀던 주요 인물들이(황교안, 서창원, 이정현 등) 기독교인이라는 사실은 우연이 아니다.

인간의 자유와 평등과 권리를 존중하는 민주 사회에서 권위주의는 우리의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사회악의 근원이다. 권위주의는 필경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형성되어야 할 평등한 관계를 거부하고 보편적인 인간의 권리를 무시하는 억압적 행태를 결과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박근혜 정권의 문화계 인사 블랙리스트 작성 사건이다.

문학과 예술적 상상력이 그 생명력을 유지하는 비결은 현실을 뛰어넘으려는 비판과 저항의 정신에 있다. 하지만 박근혜 정권은 문학과 예술의 생명력을 이해하고 소화해 낼만한 철학조차 지니지 못했다. 오히려 그 생명력을 억압하기 위하여 블랙리스트를 만들고 국가의 지원을 차단함으로써 그들의 문학과 예술혼을 고사(枯死)시키려 했던 것이다.

이렇듯 권위주의 정권은 저항과 비판의 생명력을 파괴하는 죽음의 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죽임의 문화의 수족이 된 이들이 바로 전근대적 질서 속에서 상명하복에 명을 걸고 살아온 군 출신과 정치 검사들이었다. 이들은 서열적 질서 속에서 저항과 비판의 생명력, 그리고 합리적 토론의 여백을 이해하지 못한다.

박근혜 정권에 나타난
기독교의 죽음
지난 늦가을부터 전국적으로 타오르기 시작한 촛불은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병폐인 군왕적 대통령에 의한 권위의 오남용에서 빚어진 부정부패에 대한 저항과 비판의 정신을 담고 있다. 부패한 현실을 거부하고 보다 나은 세상을 바라는 우리의 희망 속에 타오르는 촛불에는 그릇된 것을 거부하는 힘, 곧 생명력이 담겨 있다.

일부 정치가들은 대통령제 자체가 군왕적 대통령을 낳는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사실 인과관계가 꼭 그렇지만은 않다. 권력의 의무와 한계를 명시하고 있는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결여된 사람이 최고 권력자가 되어 주어진 권력과 권위를 무책임하게 남용하거나 오용해도 이에 비판을 제기하거나 저항하지 못하는 문화가 문제의 중심이다. 이런 그릇된 체제를 유지시켜 온 것이 바로 전근대적인 권위주의 문화이며, 기독교는 일면 이런 권위주의 문화라는 악성 박테리아를 키워 온 숙주 중 하나다. 그러므로 우리 사회에서 권위주의 문화를 청산하지 않고서는 보다 나은 정치를, 보다 나은 종교를 기대하기 어렵다. 나는 우리 사회 정치 영역이나 교육 영역, 그리고 종교 영역에서 보수나 진보를 막론하고 상당한 지위가 부여되어 특정한 권위를 행사하는 이들 중 자신에게 주어진 권위를 민주적으로 이해하는 이들이 얼마나 될 것인지 의문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교회는 어떠할까? 교회의 자락을 조금만 들추어 보면, 국가 사회나 대학 사회보다 더 깊이 곪아 있는 권위주의적 습성과 불투명한 행태들이 교회에 만연하다는 현실을 부정하기 어렵다. 종교는 관료적 권위를 행사하는 국가 사회나 진리 탐구의 자리로 간주되는 대학과는 달리 특정한 영적 권위를 행사한다. 그러므로 종교적 권위는 강제력을 행사하는 국가권력에 비하여 비폭력적이어야 하고, 진리 탐구의 합리성에 기반한 대학 사회의 권위를 초월하는 영성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국가 사회의 권위가 법치에 예속되고, 대학 사회의 권위는 합리적 지성에 예속되어야 한다면, 종교 집단의 권위는 양심과 영성의 깊이에 의존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언어를 빌린다면, 정치와 대학은 속(俗)의 아름다움으로서 정의와 진리를 위해 봉사하고, 종교는 영성적 아름다움으로서 사랑과 구원을 위해 봉사한다. 따라서 신학자들은 종교가 성성(聖性)을 견지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그 종교가 참된 종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성성은 결코 회칠한 무덤 같은 권위주의를 옷 입지 않는다.

따라서 종교의 본질은 속성(俗性)과 구별되는 성성(聖性)에 있다. 그런데 만일 종교가 그릇된 욕망을 향한 저항과 비판의 생명력을 상실하여 성(聖)과 속(俗)이 전혀 차이가 없다면, 아니 성과 속이 뒤바뀌어 전도(顚倒)되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속된 종교, 종교의 죽음을 의미한다. 권위주의를 옷 입고 있는 종교는 생명력을 상실한 죽음의 종교, 예수가 말했던 회칠한 무덤 같은 종교다. 내가 박근혜 정권의 위기에서 한국 기독교의 죽음의 그림자를 보는 이유다.

미완으로 끝난 투투 대주교의 진실과화해위원회 | 한경닷컴

미완으로 끝난 투투 대주교의 진실과화해위원회 | 한경닷컴
미완으로 끝난 투투 대주교의 '진실과화해위원회'
---
입력 2021.12.26


자백 통한 사면으로 용서와 치유 추구…흑인정권, 위원회 권고사항 이행 미흡
미완으로 끝난 투투 대주교의 '진실과화해위원회'

26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인권운동의 얼굴 데스몬드 투투 명예 대주교의 별세와 함께 그가 생전에 이끌었던 진실과화해위원회(TRC)의 성과와 한계도 함께 조명됐다.

1996∼1998년 활동한 TRC는 우리나라에서 반민주적 인권유린과 의문사 사건 등을 조사하기 위해 2005년 출범해 현재 제2기로 활동 중인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에도 영감을 줬다.

TRC는 아파르트헤이트(흑인차별정책)를 무자비하게 집행한 백인 소수정권의 가해자들과 고문 피해자, 실종자 가족 등이 당시의 인권유린을 고백하고 참상을 증언하는 자리였다.

TRC 위원장을 지낸 투투 대주교는 나중에 7권 분량의 TRC 보고서에서 "희생자들이 자신의 트라우마를 국민과 나누는 공간"이라고 적었다
2차대전 전범들을 단죄한 뉘렘베르크 재판과 달리 투투 대주교와 14인의 동료 위원들은 사람들이 저지른 행동의 도덕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국가적 치유와 화해, 용서를 위한 부화(incubation) 역할을 하기 위해 모였다는 것이다.

끔찍한 폭력을 저질렀던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의 하수인들은 위원회에 출석해 자신들의 행위를 고백하는 대가로 사면을 받았다.

미완으로 끝난 투투 대주교의 '진실과화해위원회'

투투 대주교는 이에 대해 많은 관찰자와 피해자들이 삼키기 힘든 약이었지만 정의를 인과 응보적이고 처벌적인 면에서만 봐서 그렇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른 종류의 정의가 있다.

회복적 정의가 그것으로 처벌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치유, 조화, 화해로 불균형을 시정하고 깨어진 관계를 복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가를 지불해야 사면을 얻게 돼 있다면서 화해와 용서는 전면 폭로를 통해서만 이뤄지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무리 고통스러운 경험이어도 과거의 상처는 곪아 터지게 놔둬서는 안 된다"면서 "그것은 공개돼 깨끗하게 돼야 하며 연고를 발라서 고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TRC 앞에 나온 수백 명의 남편과 아버지들은 자신의 최악의 범죄를 자세하게 진술했다.
그 과정에서 숨겨왔던 비밀과 분열된 충성심이 드러나면서 가족, 친구들과 갈라지기도 했다.

TRC 전직 위원이자 인권 변호사인 두미사 은체베자는 2015년 당시 AFP통신에 "사람들은 사면이 값싸다고 말한다"면서 "왜 싼가. 단지 사람들이 감옥에 안 가서 그런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사실 사면은 형사적 사법 체계를 통하는 것보다 더 무게가 있는 정의였다"며 "사면을 신청하는 사람은 자신이 저지른 짓을 변호사 입회하에 자신의 입으로 고백한다.
그것은 종신형으로, 씻어버릴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진실을 통해 깨끗해진 남아공'이라는 투투 대주교의 비전은 미완으로 끝났다.

TRC가 976쪽의 보고서를 1998년 발간한 뒤 흑인 자유투사들이 이끄는 아프리카민족회의(ANC) 정권은 TRC의 권고 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

미완으로 끝난 투투 대주교의 '진실과화해위원회'

인권을 유린한 범법자로 자백을 하지 않아 사면을 거부당한 어떤 누구도 기소되지 않았다.
또 청문회를 아예 회피한 장군과 사령관 누구도 책임을 추궁당하지 않았다.
정부는 남아공에 깊이 뿌리내린 부의 불평등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일회성으로 부유세를 부과하라는 권고도 시행하지 않았다.

투투 대주교는 남아공의 첫 민주선거인 1994년 총선 후 20년이 지났을 때 정부는 위원회 권고를 이행하지 않음으로써 환자인 남아공에 대한 치료를 계속하지 않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영혼은 심각하게 힘든 상태에 남아있다"고 진단했다.
남아공은 여전히 인종 간 거대한 빈부 격차와 흑백 간 제한적 통합, 고질적인 폭력에 시달리고 있다.

은체베자는 AFP에 투투 대주교의 TRC 비전이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가해자와 피해자 간 화해에 집중하느라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빈부 간의 화해를 다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오늘날 TRC의 비전이 없는 남아공은 생각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박충구 교수의 주장에 대해 팩트 체크함 - 당당뉴스

박충구 교수의 주장에 대해 팩트 체크함 - 당당뉴스
박충구 교수의 주장에 대해 팩트 체크함
여성구  |  목사
입력 : 2021년 02월 08일
==========================
박충구 교수의 주장에 대해 팩트 체크함

동성애는 질병이고, 치료가 가능하다.

박충구 전(前) 감신대 기독교 윤리학 교수(이하 박 교수)의 ‘차별의 악:선한 차별주의자는 없다’라는 글에 대해, 필자는 ‘편견이 아니라 사실이고, 혐오가 아니라 긍휼이다.’라고 반박한 데 대해, 박 교수는 ‘여성구 목사의 반론에 대하여 답함’이라는 글을 당당뉴스 2021년 2월 3일 자에 실으셨다. 

필자의 부족한 글을 답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박 교수께서 동성애에 대해 깊이 알지 못하는 평신도들과 목회자들에게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생각해 답글을 주셨듯이, 필자도 박 교수께서 제시한 몇 가지 주장에 대해 ‘팩트 체크(fact-check)’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현대 사회는 다양한 정보가 범람하는 시대이다 보니 사실이라고 굳게 믿었던 정보들이 어떤 경우는 일부 또는 전부가 잘못된 사실로 인해 생긴 가짜뉴스(fake news)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필자는 박 교수께 아무런 나쁜 감정도 없으며, 전체적인 맥락을 무시하고 말꼬리를 잡으려는 의도도 전혀 없습니다. 다만 박 교수가 근거로 제시한 내용 중에 동성애를 지탱하는 중요 기둥이 있어, 필자는 진실 검증을 통해 그것이 부정직한 결과임을 밝혀, 오늘도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질환에 시달리는 동성애 형제들과 자매들에게 동성애를 탈출하라고 촉구(促求)하려 합니다. 


박 교수의 답변에 대한 문제 제기

박 교수 말씀처럼 선량한 차별주의자가 없다면, 박 교수께서도 그에 해당합니다. 박 교수는 편파적 비판을 거부하셨는데, 세계적 석학 중에도 반동성애자가 많으니 그들을 폄하하지 마십시오(1단원). 박 교수는 동성애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섭렵하신 듯하나, 사실은 찬성하는 입장에 서셨습니다. 반대도 그렇지만 찬성도 가치중립적이지 않습니다. 박 교수는 학자 이전에 감리교회 원로 목사십니다(2단원). 박 교수는 동성애자가 이미 존재한다고 하셨으나, 성경은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셨다고 말씀합니다. 하나님의 창조를 왜곡시키는 것처럼 보입니다(3단원). 박 교수는 동성애 혐오를 인종 혐오와 동일시했습니다. 동성애를 당연시하는 것은 그들의 방종을 부추기는 행위입니다(4단원). 동성애는 에이즈의 주요인인데, 박 교수는 일언반구(一言半句)도 없이 극단적인 사례로 물타기 하였습니다(5단원). 박 교수는 기독교인들이 성경을 언급하며 동성애자들을 정죄한다 하셨는데, 이것은 박 교수께서 기독교인들을 대하는 혐오이며 정죄입니다(6단원). 동성애자나 이성애자나 모두 구원이 필요한 죄인입니다. 박 교수는 동성애자들을 보호하는 영웅이라 착각하지 마십시오. 진정한 영웅은 죄인을 구하는 사람입니다(7단원).


동성애는 질병일까? 아닐까?

박 교수는 8단원에서 필자의 오류를 일일이 지적했습니다. 네 번째에 필자가 동성애는 치료 불가능한 유전적인 문제가 아니라 의지적인 결단으로 고칠 수 있는 성적 취향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 박 교수는 ‘이런 판단은 근거가 없는 주장이다’라고 일축했습니다. 박 교수는 ‘1973년과 1975년에 세계 정신의학회와 세계심리학회에서 동성애는 고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고 정의하고, 정신이나 심리 질병 리스트에서 동성애를 제외했다’라고 말했습니다. 만약 박 교수 말처럼 동성애가 질병이 아니라면 고칠 수도 없으며, 동성애자들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편견이 분명합니다. 반대로 동성애가 질병이라면 고칠 수 있는 길이 열립니다. 자, 그럼 첫 번째 팩트 체크를 해 보겠습니다. 박 교수 주장처럼 1973년에 세계 정신의학회에서 동성애는 고칠 수 없는 질병이라고 선언했습니다. 1973년은 동성애자들에게는 역사적인 해였습니다. 동성애자들은 쾌재를 불렀고 동성애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물을 수 없게 됐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강압에 의한 결정이었다면 권위를 상실하게 됩니다. 헌법과 형사소송법에 ’자백 배제의 법칙‘이 있습니다. 피고인의 자백이 고문이나 폭행이나 협박이나 구속에 의한 진술이라면 그것을 통해 얻은 정보는 증거능력이 없다는 법칙입니다. 모든 일은 결과만큼 과정도 중요합니다. 과정이 공정해야 결과도 존중되고, 승리자도 자랑할 만하고 패배자도 수긍하게 됩니다.

박 교수는 필자의 짜깁기를 비판했는데, 필자는 박 교수의 그림자도 밟을 수 없을 정도로 지적 격차가 있는 사람인지라, 어쩔 수 없이 2, 3차 자료를 언급할 수밖에 없음을 양해 바랍니다. 곽혜원 박사(크리스천 투데이, 2021년 1월 24일)는 “1973년 미국정신의학회(APA)가 정신질환 목록에서 동성애를 삭제하기로 했는데, 이것은 의학적 논의의 결과가 아니었고 고위층을 점유한 동성애 옹호 세력의 강력한 로비와 정신의학과 의사들에게 가해진 정치적 협박으로 말미암은 일이었다.”라고 과정을 소상히 설명하였습니다. 곽 박사는 “전국 게이 특별팀”이 동성애를 정신장애에서 삭제하기 위해 폭력과 위협도 서슴지 않았다고 부연 설명하였습니다. 곽 박사는 아울러 “동성애 옹호 세력은 정신과 의사들에 대한 엄청난 협박과 폭력을 철저히 은폐하면서 이를 APA의 과학적 승리로 선전하지만, 역사는 이 사건을 ‘과학이 사회적 이슈에 굴복당한 정치적 사건’으로 평가한다.”라고 일갈했습니다. 곽 박사는 “이로부터 17년 후 세계보건기구(WHO)가 APA의 결정을 채택함으로써, 오늘날에는 동성애가 ‘자연적 변이’로 간주하는, 그야말로 인류 문명의 흑역사가 열리게 되었다.”라고 한탄하였습니다. 박 교수 주장하듯이 동성애는 질병이 아니라는 결정은, 의학적으로 동의를 얻지 못한 협박에 굴종한 결정이었습니다. 전혀 공감을 얻지도 정당성을 부여받지도 못한 잘못된 결정이었습니다. 박 교수는 아무리 올바른 최신효과라도 처음에 알려진 초두효과를 대치하지 못한다는 걸 알 것입니다. 그만큼 처음 발표된 내용이 인간의 뇌리에 깊이 똬리를 틉니다. 박 교수는 지적인 교만을 버리고, 다른 분야 전문가의 말을 귀담아듣기를 바랍니다. 그것이 박 교수를 편견이라는 구덩이에서 건질 유일한 밧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박 교수가 인용한 주장처럼 동성애가 질병이 아니라면 치료 효과도 없어야 합니다. 그러나 동성애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다면 질병이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고두현 한국 성 과학 연구협회 학술연구팀장(내과 전문의, 크리스천 투데이, 2020년 1월 19일)은 “현재 미국 16개 주에서 동성애 커플에 대한 전환 치료 및 회복 치료를 금지”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동성애를 질병 분류에서 제외하는 데 가장 큰 업적을 냈던 ‘스피처’는 그 스스로 종교적 기관과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와 기타 치료기관에서 5년간의 변화를 관찰하고 ‘전환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낸 바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고 팀장은 “이에 따르면 치료군이 대조군보다 평균 79% 증상이 호전됐으며 이는 우울증, 불안과 같은 다른 정신질환의 치료율과 비슷하다.”라고 말했습니다. 동성애나 양성애를 가진 이들을 이성애로 바꾸는 치료를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라고 하는데, 효과가 있다면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고 팀장은 계속해서 “법조계에서도 종교적, 도덕적 가치에 의해 치료받는 것을 막는 일은 자기 결정의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비판을 한 바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박 교수는 동성애는 치료할 수 없다는 잘못된 초두효과에 사로잡혀, 치료가 가능하다는 최신효과는 흘려버렸을 것입니다. 한번 확증편향에 빠지면 자기가 믿는 신념에만 주목하고 다른 주장들을 무시하기 마련입니다. 동성애 옹호 세력의 주장처럼 동성애가 질병이 아니라면 동성애 커플에 대해 전환 치료를 해도 소용이 없지만, 치료 효과가 나타난다 하니, 동성애자들을 보호한다는 그럴듯한 미명(美名)으로 치료를 받지 못하게 막지 말아야 합니다. 그것은 동성애자들에게 의료 혜택을 받지 못 하게 하는 자기 결정권 침해입니다. 박 교수는 치료의 문으로 들어서려는 동성애 형제들과 자매들에게 거짓이라는 방패로 원천봉쇄하지 말고, 구급차가 지날 때 자동차가 비켜주듯이 전환 치료를 받으라고 길을 터주기를 바랍니다. 동성애자들도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재창조된 새 사람(new humanity)입니다. 전환 치료를 막는 스크럼(scrum)을 풀어주기를 바랍니다.


동성애자들은 혐오 때문에 자살할까? 다른 요인일까?

박 교수는 8단원 여섯 번째에서 언제 조사인지 출처가 어디인지 언급도 하지 않고 ‘미국 청소년들의 자살률은 일반 청소년들보다 높으며 이는 호모포비아로 인한 적대적인 환경 때문이다’라고 인용하였습니다. 동성애 형제들과 자매들이 자살하는 것 그것도 꽃도 피어 보지 못하고 꿈도 펼쳐보지 못한 청소년과 청소녀들이 자살한다는 것은 여간 가슴 아픈 일이 아닙니다. 그들이 자살하는 것은 주변의 따가운 시선도 작용했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동성애자들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감정을 말하는 동성애 혐오(Homophobia)와 그로 인한 적대적인 환경 때문이라고 단정을 짓기엔 무언가 석연찮습니다. 미국은 2015년에 연방대법원에서 동성혼 찬성 5, 반대 4로 합법화되었습니다(한국일보, 2018년 6월 24일). 미국은 동성혼을 인정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혐오는 불가능하며 오히려 차별금지법으로 체포됩니다. 동성애자들은 1973년에 협박으로 동성애를 질병에서 제외했고, 1990년대에 표본을 조작해 동성애 유전자가 있는 것처럼 선전했습니다. 자, 그럼 두 번째 팩트 체크를 해 보겠습니다. 박 교수 주장처럼 동성애자들은 정신질환, 특히 심각한 우울증과 불안장애와 자살 충동이 높을 뿐 아니라 실제로 자살률이 이성애자들보다 월등히 높은 게 사실입니다. 필자도 동성애자들의 신체와 정신건강을 우려하였습니다. 곽 박사는 남성 동성애자들은 주로 40세 이전에 무수히 많은 파트너와 복수 연애하면서 성적으로 방종한 삶을 살다가, 40~50대 이후가 되면 그로 말미암은 각종 신체적 질병으로 인해 파트너들에게서 버림받고 실직하고 파탄 난 인생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곽 박사의 앞의 신문 참조). 박 교수 주장처럼 동성애 혐오로 인한 적대적인 환경이 자살 원인이라면 대부분 공통된 연구조사 결과가 나와야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더더욱 그래야 한다고 봅니다. 

박 교수는 미국 청소년의 자살을 동성애 혐오로 특정(特定)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떨까요? 우리나라 청소년의 최근 10년간 사망원인 1위는 ‘자살’이라고 합니다. 그렇다고 섣부르게 예단하지 마십시오. 우리나라는 특히 청소녀들의 자살률이 매우 높은 게 특징입니다. 홍현주 한림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우울증과 같은 정신병리가 많이 작용하며, 가정 스트레스라든지, 학업 스트레스라든지, 대인관계라든지, 이런 부분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인터뷰했습니다(YTN 라디오, 2019년 12월 2일). 필자는 우리나라 청소년과 청소녀들이 자살하는 원인은 동성애 혐오 때문이 아니라, 우리나라만의 학업 스트레스와 왕따 문화와 기타 정신질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자살로 내몰린다고 봅니다. 사춘기 청소녀들은 감정 기복의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자살률이 더 높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진단해 봤습니다.

이번에는 우리나라 전체 자살률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는 2019년에도 인구당 자살률이 OECD 국가 중 단연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년 이상 OECD 국가의 평균 자살률보다 높은 자살률을 보였습니다(파이낸셜뉴스, 2021년 1월 6일). 너무나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정부, 시민단체뿐만 아니라 교회가 나서서 예방 교육해야 합니다. 우리나라가 특히 동성애를 혐오하고 차별해서 자살하는 것일까요? 2018년에 국회 보건복지 위원회 소속 민주평화당 김광수 의원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살 사유별 자살통계자료’를 보면,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정신과적 원인으로 자살한 인원이 약 2만 700명으로 가장 많았다고 합니다. 이어 경제생활 문제 약 1만 4,500명, 육체적 질병 약 1만 4,000명 등이었습니다. 또한 김광수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우울증, 조울증, 조현병, 공황장애, 불안장애 등의 5대 정신질환 환자 현황’ 자료를 보면, 정신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5년간 약 750만 명에 달하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고 집계했습니다(가톨릭 뉴스, 2018년 10월 15일).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살하는 원인은 ‘기독교의 일그러진 얼굴’ 때문이 아니라, 정신질환으로 인해 자살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진실이 있습니다. 동성애자들은 우울증이나 정신질환을 많이 갖고 있는데, 동성애 혐오 때문에 우울증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우울증과 조현병에 걸린 사람들이 동성애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국민일보, 2021년 1월 29일). 우리나라는 정신질환자들이 급격히 늘면서 동성애자들도 늘고 자살자들도 느는 게 아닌가 우려됩니다. 박 교수는 이런 통계들을 참고해, 혐오라는 선입견을 버리고 다른 요인이 작용하는지 자세히 연구해 보기 바랍니다. 필자는 반동성애자들은 동성애 혐오를 통해 동성애자들을 죽게 만드는 ‘살인 교사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이 아니라고 분명히 말합니다. 오히려 친동성애자들이 이것은 없는 용어이지만 ‘치료방해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이라고 단언합니다. 이것은 비유이지 ‘죄인 만들기’가 아닙니다. 동성애자들의 자살은 그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정신질환이 제일 요인으로 작용해 부정적으로 나타난 불행한 결과입니다. 기독교가 할 일은 묵인하고 방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손을 내밀고 돌아오라고 외치는 일입니다. 우리는 그 일을 위해 부름을 받았습니다. 


박 교수께 부탁함

필자는 박 교수께 다시 요청합니다. 이제는 거짓된 가르침으로 후배들과 감리교회를 미혹하지 마십시오. 박 교수의 말 한마디가 동성애자들의 치료 기회를 사전에 박탈하고, 동성애자들에게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핑곗거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필자는 박 교수의 글을 읽으면서 ‘신학의 수원지(水源池)는 과연 어디여야 하는가?’ 자문해 보았습니다. 적어도 신학대학 교수 출신이라면 성경에서 생수(生水)를 길어와야 할 텐데, 박 교수는 다른 데서 우물을 길어오는 것 같아 입맛이 씁쓸합니다. 박 교수가 속죄(贖罪)하는 길은 자존심을 꺾고 과감하게 펜을 내려놓던지, 아니면 동성애 형제들과 자매들을 도울 수 있는 기독교 윤리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라 사려(思慮)됩니다. 박 교수의 단순한 날갯짓이 감리교회를 흑암으로 몰고 갈 수 있습니다. 여담(餘談)이지만, 필자가 목회하는 지역은 보수적이고 감리교회 약세이다 보니, 박 교수처럼 튀는 언동(言動)을 할 때면 어김없이 ‘감리교회는 이단’이라는 말을 들먹입니다. 아직도 그런 사람들이 정말로 있습니다. 그들은 무식(無識)하면서도 무식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말을 합니다. 제발 전도를 방해하지 마시길 부탁드립니다.


삼남연회 경북동지방 창대교회 여성구 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