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06

[서평1] 몸은 기억한다 - 트라우마가 남긴 흔적들 베셀 반 데어 콜크 2016


알라딘: 몸은 기억한다 - 트라우마가 남긴 흔적들   
베셀 반 데어 콜크 (지은이)

제효영 (옮긴이),김현수 (감수)
을유문화사2016-02-18 
원제 : The Body Keeps the Score

영어책 리뷰
https://sejinlifeforce.blogspot.com/2020/01/the-body-keeps-score-brain-mind-and.html































종이책
22,000원 19,800원 (1,100원) 
전자책정가
13,200원
판매가


 9.7100자평(13)리뷰(29)

종이책 페이지수 660쪽
----------

책소개

30년 이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분야를 연구한 베셀 반 데어 콜크의 최신작. 트라우마의 개념과 치료 방법의 발달 과정, 다각도로 연구 개발된 치료법들을 소개하며 트라우마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 주는 책이다. 트라우마 장애를 안고 있는 환자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부터 관련 연구, 우리 사회에 끼치는 파장까지 총망라하고 있다.

저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는 진단명이 어떻게 생겼는지부터 치료법의 발달은 물론이고 트라우마가 사회에 미치는 파장까지 보여 준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와 다각도로 연계한 연구들을 소개하고 사례에 따른 여러 가지 치료법을 알려 준다. 또한 트라우마의 특성과 그것이 개인이나 가족,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주게 되는지도 트라우마 환자의 사례를 통해 이야기한다. 트라우마 장애를 안고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보여 주며, 그들과 그 주변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주고 사회가 그들을 어떻게 품어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감수 및 추천의 말: 이 책을 읽지 않고서는 트라우마 입은 사람들의 인격과 영혼에 도달하기란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이 책에 대한 찬사

여는 글: 트라우마와의 대면

1부 트라우마의 재발견
1장 베트남전 참전 군인들이 알게 해 준 교훈
2장 마음과 뇌의 이해, 그 혁신적 변화
3장 뇌 속을 들여다보다: 신경과학의 혁명

2부 트라우마 상태의 뇌
4장 필사적인 도주: 생존의 해부
5장 신체와 뇌의 유대
6장 몸을 잃으면 자기self를 잃는다

3부 아이들의 마음
7장 애착과 조율: 동일한 파장을 일으키다
8장 관계의 덫: 학대와 방임의 대가
9장 사랑과는 거리가 먼
10장 발달 과정의 트라우마: 숨겨진 유행병

4부 트라우마의 흔적
11장 비밀의 발견: 트라우마 기억의 문제점
12장 참을 수 없는 기억의 무거움
=====
5부 회복으로 가는 길
13장 트라우마로부터의 회복: 트라우마의 치유
14장 언어, 기적이자 고통
15장 과거를 떠나보내는 방법: 안구 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
16장 내 몸에서 살아가는 법을 배우다: 요가
17장 조각 맞추기: 나를 리드하는 기술
18장 틈새 메우기: 새로운 구조 만들기
19장 뇌 회로의 재연결: 뉴로피드백
20장 잃어버린 목소리 찾기: 공동체의 리듬, 연극 치료
닫는 글: 선택의 앞에서

감사의 글
부록: 트라우마 발달 장애 진단 기준에 관한 합의안
참고 자료
더 읽을거리
주석
찾아보기
--------------------------


책속에서


첫문장
1978년 7월 4일 독립기념일이 낀 주말을 보내고 맞이한 화요일, 나는 보스턴 보훈병원에 정신과 전문의로 첫출근했다.

P. 57 의사들이 환자들의 증상을 열의 없이 논의하는 모습이나 환자를 자살로 몰고 가는 생각과 자해 행동을 이야기하면서 그 절망과 무기력감의 원인을 파악하는 대신 행동을 관리하는 일에 더 많은 시간을 쓴다는 사실을 알고 나는 자주 놀라곤 했다. 또한 의사들이 환자들이 이룬 성과와 그들이 가진 열망, 마음을 쓰고 사랑하는 대상이나 증오하는 대상이 누구인지, 또 무엇이 환자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고 행동을 이끌어 내는지, 무엇이 환자들을 옴짝달싹 못하게 만들고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평온함을 느끼게 하는지, 즉 환자의 삶의 생태에 관심을 거의 기울이지 않는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았다. 접기

P. 365 “인간이라는 유한한 존재가 나타내기에는 너무나 강렬한 아픔, 너무나 깊은 슬픔, 너무나 높은 황홀경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감정이 최고조에 이르면, 마음은 질식해 버린다. 기억은 다시 평범한 상황이 올 때까지 하얀 백지로 남아 있다.” 트라우마는 할 말을 잃게 만든다. 단어들이 보도블록처럼 하나씩, 조심스럽게, 마침내 모든 이야기가 드러날 때까지 배열되는 과정을 통해 그 상태에서 빠져나가는 길이 만들어진다. 접기

P. 388 “정신적 트라우마, 더 구체적으로 트라우마의 기억은 처음 유입된 시점에서 오랜 시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영향을 주는 이물질과 같다.” 어쩌다 찔린 작은 파편 하나가 감염을 일으키듯, 그 이물질에 노출된 신체가 보이는 반응은 유입된 이물질 그 자체보다 훨씬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현대 신경과학은 인간의 의식적인 사고 중 많은 부분이 물밀듯 쏟아지는 본능적 반응과 반사적인 반응, 행동의 동기, 무의식에서 생겨난 고질적인 기억이 복잡하게 합리화된 결과라고 보았던 프로이트의 생각을 확고히 지지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트라우마로 인해, 뇌에서 경험을 관리하고 해석하는 영역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내 생각은 이렇고, 나는 이런 기분이야.”라고, “나는 이런 일을 겪었어요.”라고 확신 있게 이야기하려면 자기 자신에 대한 확고한 감각이 필요한데, 이 감각은 뇌에서 바로 그 영역들이 건강하게 역동적으로 상호 작용할 때 형성된다. 접기

P. 438 집착, 충동, 공황 발작, 자기 파괴적인 행동 등 정신의학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분류되는 행동들은 자기방어 전략에서 시작된 경우가 많다. (…) 그러한 증상을 영원히 해결될 수 없는 장애로 여긴다면 치료의 목표가 적절한 투약 계획을 찾는 것으로 국한되고, 결국 환자는 평생 동안 약에 의존해야 한다. 트라우마 생존자들이 신장 질환을 앓고 투석을 받아야 하는 지경에 이르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런 이유다. 접기

전기의 도움을 받으면, 물질로 이루어진 세상이 거대한 신경이 되어 눈 깜짝할 사이 수천 마일 진동할 수 있다. 이것은 과연 사실일까, 아니면 내가 꿈을 꾼 걸까? - 그로잉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베셀 반 데어 콜크 (Bessel Van Der Kolk, M.D.) (지은이)
-------------

의학 박사로, 1970년대부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연구해 온 권위자이자 세계적인 학자다.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정신의학을 공부하고 매사추세츠 정신건강 센터에서 정신과 전문의 교육을 받았다. 보스턴 주립병원에서 근무하다가 보훈병원에서 일하며 참전 군인들에 관해 연구한 것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시작이 됐다. 1982년 매사추세츠 정신건강 센터에서 정신약리학을 가르쳤고, 1980년대 중반에 트라우마 센터를 설립했다. PTSD가 뇌에 일으킨 변화를 뇌 신경 영상으로 조사한 최초의 연구에 참여했는데,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트라우마 스트레스의 새로운 치료법이 탄생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신경 생물학, 뇌 과학 등 다양한 분야와 다각도로 연계해 여러 가지 성과를 이루어 내며 트라우마가 마음과 뇌, 몸의 발달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 결과를 발표해 왔고, 특히 정신적 해리와 경계성 인격 장애, 자해를 비롯한 다양한 문제와 트라우마의 연관성을 밝혀냈다. 그리고 트라우마가 발달 과정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 요가나 뉴로피드백, EMDR, 연극 치료 등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해 그런 치료법들이 뇌에 변화를 일으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국제 트라우마 스트레스 연구회의 대표직을 역임했고, 현재 보스턴 의과 대학에 정신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매사추세츠 주 브룩클린의 정의자원연구소 내 트라우마 센터에서 의학 책임자, 국립 아동 트라우마 스트레스 센터 소속 복합 트라우마 네트워크의 총책임자를 맡고 있다. 미국 전역의 대학교와 병원에서 강의를 해 왔고 유럽, 아프리카,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중국, 브라질,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강연했다. 또한 알코올과 약물 중독에 시달리는 트라우마 환자 치료 시설(The Meadows)의 선임연구원으로 치료사들에게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15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는 『심리학적 트라우마』, 『트라우마와 몸: 감각 운동을 활용한 심리 치료』, 알렉산더 맥팔레인, 라스 뷔새스와 함께 낸 『트라우마 스트레스: 감당하기 힘든 경험이 몸과 마음, 사회에 끼치는 영향』 등이 있다.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인 『몸은 기억한다』는 2014년에 출간한 그의 최신작으로, 트라우마에 의한 뇌 영역의 변화를 설명함으로써 트라우마 스트레스에 관한 통념을 바꾸어 놓았다. 또한 혁신적인 치료를 통해 기능이 떨어진 뇌를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접기


최근작 : <몸은 기억한다> … 총 7종 (모두보기)

제효영 (옮긴이)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 번역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 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메스를 잡다》 《괴짜 과학자들의 별난 실험 100》 《몸은 기억한다》 《밥상의 미래》 《세뇌: 무모한 신경과학의 매력적인 유혹》 《브레인 바이블》《콜레스테롤 수치에 속지 마라》 《약 없이 스스로 낫는 법》 《독성프리》 《100세 인생도 건강해야 축복이다》 《신종 플루의 진실》 《내 몸을 지키는 기술》 《잔혹한 세계사》 《아웃사이더》 《잡동사니 정리의 기술》 등 다수가 있다. 접기

최근작 : <HOW TO BREW 하우 투 브루> … 총 51종 (모두보기)

김현수 (감수)

서울에서 태어나 초.중.고와 의과대학을 모두 서울에서 마쳤다. 의사로서의 첫 근무지인 김천 소년 교도소에서 빈곤과 장애 청소년들의 현실을 배우기 시작했고, 이후 정신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고 현재까지 청소년, 지역사회, 중독, 트라우마, 정신분석 등의 분야에서 사회 정신의학과 관련된 일을 해오고 있다.
빈곤 가족, 노숙, 인터넷 중독증, 은둔형 외톨이, 가출, 학교폭력, 성폭력 등의 일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온 바 있다. 민간 및 정부 분야에서 다양한 역할을 맡아 활발히 활동했고,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으로 서울 강서구, 경기도 광역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맡아 운영하기도 했다.
2002년 ‘성장학교 별’을 설립하여 아픔과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들을 위한 치유형 대안학교 활동에 지금까지 참여하고 있고, ‘스타칼리지’라는 청년 학교와 더불어 경계인들의 작업공간인 ‘아자라마’를 마련해서 그들과 함께하고 있다.
프레네 교육학 및 제도적 교육학을 성장학교 별에서 실천하면서 공교육 교사들과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고, 참여소통 교사연구회의 자문, 그리고 관계를 위한 심리학 교사연구단도 함께하고 있으며 프레네 클럽을 통해 한국의 교사 및 프랑스와도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2004년 청소년 보호대상을 받았고, 두 번의 복지부 장관 표창과 더불어 14년간의 노숙인 진료로 서울시 자원봉사 표창을 받기도 했다. 2018년에는 안산정신건강 트라우마센터 및 복지부 중앙심리부검센터 운영 등에 따른 공로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환인정신의학 공로상을 받았다.
현재도 진료 및 상담, 교육과 강의 등 다양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저서로는
『공부 상처』
『교사 상처』
중2병의 비밀』
『무기력의 비밀』
『교실심리』가 있다.

역서로는
우리는 왜 분노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빈곤가족과 일하기』
『정신장애로부터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등이
 있으며 감수한 책으로『몸은 기억한다』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교실 심리>,<무기력의 비밀> … 총 35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몸은 기억한다』는 가히 트라우마에 대한 현대의 고전이 될 만한 책이다.
-김혜남(나누리병원 정신분석연구소 소장,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저자

이 책은 그야말로 바이블이라 할 수 있다. 트라우마 치료의 역사, 원리 그리고 충실한 사례와 트라우마를 다루는 사회의 철학과 방향까지 모두 담겨 있다.
-김현수(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부회장, 전 안산 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장)

30년 이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분야를 연구한 베셀 반 데어 콜크의 최신작으로, 트라우마의 개념과 치료 방법의 발달 과정, 다각도로 연구 개발된 치료법들을 소개하며 트라우마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 주는 책이 을유문화사에서 나왔다. 이 책은 트라우마 장애를 안고 있는 환자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부터 관련 연구, 우리 사회에 끼치는 파장까지 총 망라한 저서로, 관계자들은 트라우마와 관련해 당분간 이 이상의 책은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추천인들은 주저하지 않고 『몸은 기억한다』가 이 분야의 ‘현대의 고전’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 책은 가히 트라우마에 대한 현대의 고전이 될 만하다!
심리서나 정신의학서를 뛰어넘은, 사회 문제를 안은 인문서!


===

1. 도서 소개

트라우마 장애를 안고 있는 사람들은 현재를 살지 못한다. 그 사건이 일어난 시간에 멈춰 과거 속에 묶인 채 그 일을 반복해서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뇌에 변화가 생겨 상상마저 하지 못하는 그들은 과연 어떻게 트라우마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트라우마는 암호화되어 몸에 남는다!

트라우마는 정신뿐 아니라 몸에도 비극적인 경험의 상흔을 남긴다. 몸이 그 상처를 기억해서 반응하는 것이다. 요즘 위안부 관련 합의가 가장 큰 이슈이다. 일제강점기가 만들어 낸 상처인 위안부 관련 영화 <귀향>의 이야기를 예로 살펴보자. 위안부들을 산 채로 불구덩이에 던져 태운 사건이 있는데, 조정래 감독이 그 집단 학살 현장에서 가까스로 살아난 강일출 할머니가 그린 「태워지는 처녀들」이라는 그림을 보고 이 영화를 만들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조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어깨에 안마를 해드리려고 손을 딱 대는 순간 할머니가 그걸 탁 뿌리치시는 거예요. 반사적이었어요, 아주. 할머니도 놀라고 저도 놀라고. 할머니들이 아직까지 얼마나 끔찍한 고통 속에 사는가를 알게 됐던 것 같아요.”라고 말했는데, 이것이 몸이 기억하고 있는 트라우마에 대한 반응 중 하나다. 할머니가 조 감독을 해하려는 사람으로 여겨서가 아니라 자기 자신도 모르게 몸에 기억된 것이 순간적으로 반응한 것이다.

트라우마는 이렇게 어떤 행동으로 나타나는 데 그치지 않는다. 트라우마 장애를 안고 있는 이들을 정말 힘들게 하는 건 그들이 상처 입은 과거 속에 묶여 현재를 살지 못한다는 것이다. 뇌는 위급한 상황이 되면 신체를 방어 모드로 전환시켜 비상 체제로 돌입하는데, 트라우마 장애가 생기면 24시간 비상 체제를 유지하려 한다. 그 사건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속 그 상태로 살 수는 없기에 우리 몸은 비상 체제 돌입 시 방어하게 만드는 뇌 부분의 기능을 멈추게 한다. 그래서 진짜 위험한 일이 생겨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게 되거나 엉뚱한 것에 반응해 방어모드로 전환해 버린다. 뇌의 변화는 그뿐만이 아니다. 감정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게 되고, 그렇기에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인간관계에도 영향을 준다. 연인이나 가족, 공동체 안에서 교감하거나 어울리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트라우마 장애 환자의 뇌를 검사하면 이성적 뇌가 정서적 뇌를 적절히 통제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그런 기능 장애와 관련된 뇌파 패턴도 바뀔 수 있을까? 그 답은 495쪽의 그림이 보여 준다. 4개월간 뉴로피드백(뇌파 신경 치료)을 한 10세 아이가 그린 그림이다. 가족 초상화를 그리는 수준이 3세 수준이었던 아이가 점점 정교하게 표현하는 변화를 보인다.

뇌의 기능 장애도 치료가 가능한 것이다. 70년대부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분야를 연구해 온 베셀 반 데어 콜크는 이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다. 그는 이 책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는 진단명이 어떻게 생겼는지부터 치료법의 발달은 물론이고 트라우마가 사회에 미치는 파장까지 보여 준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와 다각도로 연계한 연구들을 소개하고 사례에 따른 여러 가지 치료법을 알려 준다. 또한 트라우마의 특성과 그것이 개인이나 가족,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주게 되는지도 말해 준다. 이런 것들을 트라우마 환자의 사례를 통해 이야기하기에 딱딱하거나 어렵지 않게 이해된다. 이 가슴 아픈 이야기들은 개인의 이야기에서 멈추지 않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전체와 연결되어 있다. 우리는 트라우마와 상관없는 존재가 아닌, 그 연결고리를 어떻게 끊어야 할지 함께 고민해야 하는 자리에 서 있는 것이다.

한 병명, 즉 진단명은 만드느냐 만들지 않느냐에 따른 파장이 생각보다 크다. 적절한 진단명이 없으면 엉뚱한 진단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치료를 할 수도 있다는 환자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뿐 아니라 진단명과 관련된 이익이 발생하는, 정치.경제적 색깔의 영향력이 있다. 이 책에는 그런 다양한 사회적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렇기에 이 책은 단순한 심리서나 정신의학서가 아닌 사회 문제를 안은 인문서라 할 수 있다. 트라우마는 한 사람의 정신, 뇌, 몸을 바꿔 놓는다. 하지만 거기서 끝나는 게 아니다. 이 책은 트라우마 장애를 안고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보여 주며(그것은 그들의 마음을 여는 열쇠이자 치료의 시작일 것이다), 그들과 그 주변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주고 사회가 그들을 어떻게 품어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한다.

저자가 중요하게 다뤘고 닫는 글에서도 강조했듯 생애 초기 아이들의 기억과 경험은 중요하다. 특히 아이들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양육자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양육자에 대한 기억과 안전한 유대 관계는 아이들이 이후에 겪게 될 충격을 튕겨 내 줄 쿠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에 그런 든든한 존재가 없다고 충격을 이겨낼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존재가 딛고 일어날 지팡이 역할을 해 주어 더 쉽게 일어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또한 아이들의 양육 환경과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범죄 발생률이 달라진다는 분석 결과는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보여 준다. 그렇기에 이 책은 부모와 교사는 물론 정책 관련자들도 읽어야 할 책이다. 이렇게 『몸은 기억한다』는 사람을 이해하는 데 관심 있는 모든 사람이 읽어야 할 중요한 책이다.

대한민국은 많은 트라우마를 안고 있는 사회다. 이는 한국의 정서를 대표하는 단어 중 하나가 한(恨)이라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한은 상처와 트라우마가 해결되지 않은 채 우리 안에 남아 생긴 것이다. 분단의 아픔은 대부분의 한국 남성들이 겪는 군대 트라우마를 만들었고, ‘빨갱이’로 몰려 죽임당하는 젊은이들을 낳았으며, 툭하면 불거지는 군대 내 살상 사고로 이어졌다. 
견고함이나 안전보다는 빠른 성장과 이익을 앞세운 사회 풍토는 삼풍백화점 붕괴, 성수대교 붕괴, 대학 오리엔테이션을 하던 건물 지붕의 붕괴에 이어 급기야 세월호 참사라는 비극을 만들어 냈다. 

이 과정에서 생존자나 유족의 트라우마 치유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래서 지금 한국은 자기 목숨은 자기가 챙겨야 한다는 분위기가 팽배해 있다. 대한민국은 그 어느 때보다 치유가 절박한 시점이다. 
한이 우리 정서의 한 줄기를 형성하고 있다며 놔 둘 것이 아니라 이젠 그 상처들을 치유해야 한다. 『몸은 기억한다』는 이런 우리 사회를 더 건강하게 하기 위한 출발점에 놓일 책이며, 치유 사회로의 길을 열어 줄 책이다. 접기

=============

마이리뷰




1] 트라우마 정보의 종결자

이 책을 읽기 전에 이미 다른 트라우마 저작들을 몇권 읽었었다. 그래서 내가 보다 깊이 느낀 이 책과 다른 트라우마 저작들의 극명한 차별성이라면 이 책은 트라우마를 지닌 이들의 정서에도 물론 주목하지만 그보다는 검증 가능하고 확실한 트라우마 치료법들을 열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누구나 자신만의 고통이 있다지만 전쟁에 참여해 외상 후 스트레스라는 트라우마를 지니게 된 사람들과 생에 있어 고통을 상쇄할만치의 기쁨과 즐거움이 아직 익숙치도 않을 시절 (뇌의 시스템 전체에 손상을 가져오는, 학대와 방치를 3세까지 경험했거나 더나아가 6세까지 학대와 방치에 노출된) 아동트라우마를 겪는 아이들을 보며 왜 이런 고통이 난무해야하는지 착잡하기 이를데 없었다.

학대나 방치 받은 아이들에게 일어나는 뇌손상은 치료법을 경험하기 전까지는 영구적이며 불가역적인 손상인 것이다.

본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즉 트라우마 환자들의 뇌를 통해 어떠한 손상이 일어나며 그것이 보편적인 사람들의 뇌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보여준다. 

이에 대해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 뉴로피드백 치료, 내적가족치료, 공동체가 함께하는 연극치료와 음악치료, 맛사지, 요가, 태극권, 무에타이, 무술, 춤 등의 치료가 얼마나 극적인 효과를 불러오는지를 전하고 있다.

이 책은
전쟁 후 나타난 외상 후 스트레스 환자들로 부터 시작된 트라우마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재해를 당한 사람들과 일상 속에서 학대와 방치를 당하는 영유아들로 확대되며 연구되어온 역사 그 자체와도 같은 책이다. 트라우마라는 것에 대한 그간의 연구와 성과를 집대성한 책이라 할 수 있다.

트라우마에 빠진 아이들이나 사람들을 보면서 마음 아파하다가 그들이 치유되는 과정에 환호하게 되는 그런 책도 읽어볼만은 할 것이다. 하지만 이 책처럼 트라우마에 빠진 사람들에 대해 이해하게 해 주고 그 치유 가능성과 치유 과정이 어떠리라고 짐작케 해 주는 책은 더욱 가치있는 책이 아닌가 싶다. 가까운 누군가가 트라우마에 빠져 있다거나 본인이나 가족이 트라우마를 치료받기 위해 준비 중이라면 더더욱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에게는 세상 사람들이 트라우마를 아는 사람과 알지 못하는 사람으로 극명히 나뉜다. 정신적 외상이 된 경험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은 그런 일을 이해하지 못하므로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안타깝게도 그 대상에 배우자나 자녀, 함께 일하는 동료들이 포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트라우마 희생자들에게 예전에 겪은 일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고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보통 그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신체가 자동으로 과도한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언제든 공격이나 폭력을 당할 태세를 갖추며 이에 따라 나타나는 신체와 호르몬 반응을, 당시 이야기를 말하는 것만으로는 바꿀 수 없다. 실질적인 변화를 유도하려면, 위험 요소가 지나갔다는 사실을 신체가 깨닫고 주어진 현실을 살아갈 수 있어야 한다.

사람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자신이 느끼는 것을 느끼지 못하면 결코 나아질 수 없다.
-엘빈 셈라드 교수

기본적인 욕구가 채워지지 않는 사람은, 생각이 아주 고귀하고 세상에 널리 알려진 업적이 아무리 많다하더라도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존재로 남는다.

자기 몸의 상태를 본능적인 욕구 측면까지 모조리 인정할 수 있을 때만 비로소 자신의 삶을 온전히 책임질 수 있다...

단순히 도망갈 기회가 주어진다고 해서 트라우마에 사로잡힌 동물이나 사람이 자유를 찾아가지는 않는다.
...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사람들 역시 기회가 주어져도 그냥 포기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정신적인 외상을 입은 사람들은 실질적인 위험이 사라지고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도 계속 다량의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게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가 낮게 확인됐다... 코르티솔이 몸에 ‘이제는 안전하니 안심해도 된다‘는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맡아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을 종결시킨다... 즉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경우 위험 요소가 다 사라진 후에도 체내 스트레스 호르몬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오지 않는 것이다. 스트레스 호르몬이 계속 분비되면서 불안과 공황 상태가 나타나며, 장기적으로는 건강이 사정없이 파괴된다.

반복되는 상황은 오히려 더 많은 고통과 자신에 대한 증오로 이어질뿐이다. 실제로 치료 과정에서 트라우마 경험을 다시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그 일에 관한 생각에 사로 잡히고 집착이 더 강해질 수 있다.

과거 사건의 재현과 재생은 어떤 면에서 트라우마 자체보다 더 큰 악영향을 미친다. 트라우마 사건에는 시작과 끝이 있고, 어떤 식으로든 종결되었다. 그러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에게는 그 사건이 깨어 있을 때나 잠을 잘 때나 어느 때고 재현된다. 언제 다시 떠오를지, 얼마나 오래 이어질지 알 수도 없다.

트라우마 구성 요소들이 반복해서 되살아나면, 그로 인해 분비된 스트레스 호르몬이 그 기억을 마음에 훨씬 더 선명하고 깊게 새긴다.

트라우마를 경험한 희생자들에게 그 일을 억지로 이야기하게 하면
혈압이 상승하는 사람도 있고 편두통이 시작되는 사람도 있다. 또 감정적으로 무감각해져 어떠한 변화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연구를 해 보면, 공통적으로 심장이 달음박질 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온몸을 휘젓고 다니는 상태가 예외없이 포착된다. 이와 같은 반응은 앞뒤 없이 불쑥 나타나고 대부분 통제가 불가능하다. 제어가 불가능한 강렬한 충동과 감정은 사람들을 미치게 만든다.

중요한 사실은 뇌의 인지 시스템이 바뀌었다는 점, 그리고 신체 반응에 과거의 흔적이 그대로 담겨 있다는 점이다.

내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느끼고, 정확히 밝히고, 확인하는 것이 회복의 첫단계다.

정신적 외상을 입은 사람들이 과거 일을 떠올리게 만드는 자극을 접하면, 우반구는 그 트라우마 상황이 지금 일어난 것처럼 반응한다. 그러나 좌뇌가 적절히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라 당사자는 자신의 과거를 다시 경험하고 있으며 과거 일이 재현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채, 그저 격분하거나 겁에 질려 펄펄 뛰고 수치스러워하고 그 자리에 얼어붙어 버린다.

정신적 외상을 입은 사람들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오기까지 훨씬 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스트레스를 느끼는 사소한 자극에도 단숨에 불균형적인 수준으로 증가한다. 순식간에 증가한 스트레스 호르몬은 서서히 영향력을 발휘해 기억력과 집중력에 문제가 생기고 쉽게 짜증 나게 만들며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몸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 어디냐에 따라 장기적으로 수많은 건강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트라우마에 시달리면 특정 상황이 위험한지 안전한지 잘못 해석하는 비율이 높아진다.

트라우마란 ‘영원히 지속되는‘ 상태가 최고조에 이르는 경험이다.

따라서 시상이 망가지면 트라우마가 처음부터
시작, 중간, 끝이 있는 하나의 이야기로 기억되지 않고 당시의 이미지, 소리와 공포, 무기력감 등 어떤 강렬한 감정 상태에서 느낀 신체 감각이 뿔뿔이 흩어진 감각의 흔적으로 기억된다.

머릿속이 멍해지는 증상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특성이다... 트라우마가 되살아나면 극적인 변화를 겪고 감짝 놀라 자기 파괴적인 행동까지 할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현실감을 잃어버리는 이 같은 변화는 훨씬 더 큰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트라우마 스트레스 치료에서는 환자가 과거에 대해 느끼는 감각을 없애버리는 데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다...... 감각을 없애면 반응성을 줄일 수 있겠지만,가만히 길을 걷거나 요리를 하고 아이들과 같이 노는 것과 같은 평범한 일상에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한다면 삶은 그냥 스쳐 자나가 버린다.

정신건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한가지만 꼽는다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지내면서 안심하고 살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안전한 유대 관계는 의미있고 만족스러운 삶을 만드는 필수 요소다.... 단지 다른 사람이 존재하기만 하는 상황은 사회적 지지와 다르다.

정신적 외상을 입은 사람들 중 많은 수가
만성적으로 주변 사람들과 잘 지내지 못한다.

트라우마는 싸움 또는 도주 반응으로 표출될 뿐만 아니라 신체 기능이 중단되고 현실에 참여하지 못하는 상태로도 나타난다.

이하라 2018-11-17 공감(21) 댓글(0)
---




2] 몸은 기억한다

"몸은 진실을 기억한다. 트라우마가 가슴이 터질 것 같은 느낌이나 속이 뒤틀리는 기분으로 몸에 남아 있다면, 가장 먼저 싸움 - 도주 상태에서 벗어나 위험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타인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552)

하나의 이야기처럼 책 한 권을 그대로 읽어내려가다가 문득 '몸은 진실을 기억한다'라는 말에 심장이 쿵 와닿는다. 트라우마라고 하면 커다란 사건이나 지워지지 않는 외상에 대한 것 같은 굵직한 덩어리만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것은 일상적으로 내게도 해당되는 것이기도 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한 내게 오히려 위안이 되어주고 있다. 언젠가부터 왠지 모를 불안에 빠져있곤 했었는데 어쩌면 그 이유가 어머니의 건강과 관련된 것인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어머니가 숨을 멈추고 쓰러졌을 때즈음 내가 인식하기도 전에 악몽에 시달려 비명을 지르기도 했고, 내가 내 비명소리에 놀라 깨기도 했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괜찮아지고 있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어머니가 조금이라도 몸이 이상한 것 같은 반응을 보이면 나도 모르게 심장이 뛰고 불안한 느낌이 지속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더 읽어보고 싶었다. 트라우마가 남긴 흔적들,이라는 부제도 의미심장하지만 '몸은 기억한다'라는 제목은 나뿐만 아니라 내 주위의 모든이가 나름대로 조금씩은 겪고 있을지 모르는 '트라우마'에 대해 좀 더 접근을 하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싶게 만들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노트에 옮겨적은 내용들이 꽤 많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서 이 책에 대한 요약을 해볼수도 있겠지만 솔직히 그러고 싶지 않다. 이 책을 읽으면서 중반이 넘어갈 때쯤 나는 나 자신의 트라우마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고 내가 주위에서 접해본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 사실 어떤 관점에서 보자면 별 것 아니라고 여길수도 있는 그런 가벼운 이야기들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이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우선은 나 자신에 대한 것을 알고 난 후 다시 읽어볼 때에는 다른 이들의 트라우마에 대해 깊이있는 파고들기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약물치료나 역할극을 하는 치유과정에 대해서는 트라우마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없다하더라도 다들 한번쯤은 들어서 알고 있는 내용일것이다. 여러가지 사례에 대해서는 무척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는데 솔직히 말하자면 뇌파에 대한 이야기들은 그림과 사진을 보면서 대략적으로 훑어지나가버려서 내가 이 책을 완전히 이해했다고는 할 수 없다.

다만 한 사람을 이해하려면 그 사람의 과거에 대해 아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며 확신하게 되었고, 그것은 단지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미래가 좀 더 평화로운 마음으로 살아가는 삶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 무엇인가를 시도해 볼 수 있으며, 그 무엇인가를 찾기 위한 첫번째 노력은 어쩌면 이 책을 읽는 것에서부터 이미 시작된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 책의 시작은 그리 재미있지는 않다. 지금은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되고 이해하고 있지만 백여년 전을 떠올려본다면 트라우마로 인한 고통을 겪는 이들에 대한 이해는 물론 과거의 상처로 인해 성인이 되어서 불안정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이들에 대한 이해도 없었던 시대가 있었음을 생각하게 된다. 그 후 전쟁, 홀로코스트 같은 커다란 사건뿐만 아니라 가정폭력, 성폭행 같은 개인의 아픈 상처 역시 뇌에 각인되어 무의식중에 그 상처를 드러내고 있음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알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트라우마는 결코 치유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극복하고 자신과 화해하며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상처임을 새삼 깨닫게 하고 있다.

누구에게나 저마다의 삶의 고통을 다 갖고 있다,라는 생각에 모두 동의할 것이다. 그렇지만 그 고통속에 자신을 파묻어버리고 살아갈 것인지, 변화하기 위해 마음을 열고 자신의 내적 경험을 받아들이며 자기 자신을 통제하고 자기 스스로를 자각하며 트라우마와 직면하여 이겨내려 노력하며 다른 시각과 다른 마음가짐으로 바라보는 다른 세상을 살아갈 것인지, 그것은 스스로의 선택이 될 것이다. 물론 혼자가 힘들다면 주위의 도움을 받을수도 있고, 전문의의 도움과 때로 누군가는 약물의 도움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트라우마는 자신의 나약함과 끊임없이 대면하게 만든다. 또한 인간이 다른 인간에게 가하는 비인간적인 행위에 대처하도록 만들지만, 동시에 월등한 회복 능력을 발휘하게 한다. ... 수많은 사람이 그 고통스러운 경험에도 불구하고 누군가의 소중한 파트너가 되고 부모가 되며 모범적인 선생님, 간호사, 과학자, 예술가로 살아간다"(563)

이 책의 모든 부분이 다 인상적이고 마음을 움직이고 있지만 특히 닫는 글의 마지막 문장은 더 마음을 울리고 있다. "공중보건 분야에서 현재 가장 시급한 문제는 트라우마이고 우리는 어떻게 해야 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지 잘 알고 있다. 알고 있는 사실대로 행동할 것인지는 이제 우리의 선택에 달려있다"

chika 2016-02-13 공감(10) 댓글(0)

-----



3] 몸은 기억한다


#트라우마 에 몰입되다. 내 몸엔 어떤 기억들이 담겨져 왔을까.... 겨울호랑이님을 통해 연을 맺을 뻔한 책이 이제사 내 손에. 신의입자를 다 읽어내긴 무리였는지 두통이 ㅠㅠ 생소한 물리학 양자역학은 이제 편독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는 건가. 그래도 욕심은 안 생기니 다행이다. 이 책도 신...에 만만치 않게 좋은 책이다. 나는 나의 직관을 믿는다.

고백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여러 차례 눈물을 훔쳤다. 나 자신의 개인적 트라우마를 건드릴 뿐 아니라 세월호, 위안부 등 지금 당면한 우리들의 트라우마를 어떻게 다가서야 하는지를 깨닫게 해 주었기 때문이다. 5p


- 감수 및 추천의 말 중에서


- 접기
:Dora 2017-03-14 공감(9) 댓글(0)





4] 몸은 기억한다
  • 사람들은 큰 트라우마는 아니지만 작은 트라우마를 가지고 살아간다고 생각했다. 
  • 모든 것에 생각의 틀을 잡고 인생을 혼란스럽게 하며 때로는 삶의 전반을 지배하는 정도로만 생각했다. 아마도 내게는 그렇게 큰 트라우마는 없었던 것인지 모른다. 
  • 책의 전반에 걸친 트라우마의 이야기는 내가 생각했던 것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 번의 트라우마가 만들어 내는 삶의 파괴는 내가 생각한 것 이상의 복잡하고 인생의 모든 것에 있어서 삶은 지배하고 옴짝 달싹 못하게 만드는 그런 현상이었다. 
  • 기억이 담아내는 하나의 현상이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그 것을 연구하고 고민하고 치료에 30년이라는 세월을 보낸 저자는 그 현상학적인 부분과 뇌에 각인되는 트라우마의 기억을 치료하기위한 많은 것을 고민하고 치료해 내고자 한다.

  • 내가 생각했던 트라우마에 대한 생각을 바로잡아준 게 있다면 트라우마는 정상적인 기억이 아니라는 점이다. 시작과 끝 그리고 과정을 기억하는 일반적인 기억의 체계를 타르지 않는다는 것과 트라우마에 대한 기억은 하나의 과정이 아니라 몸이 반응하는 극도의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었다는 점이다. 
  • 일반적인 행복한 기억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평생을 기억하는 것과 달리 트라우마는 작은 모티브 하나로도 떠오르며 그 기억의 실체가 어떤 반응을 보이고 어떻게 내 생각을 지배하는 지에 대한 것에는 일반적인 체계를 따르지 않는 다는 점이다. 
  • 또 한 가지는 일반적인 저항과 대응의 체계를 벗어난 현상 즉 불가항력적인 상황에 처하게 된 자신이 취할 수 있는 최후의 수단으로 그 현실을 부정하려는 기억이다. 한 번 트라우마에 빠진 사람의 경우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탈출구가 있음에도 동일한 상황에서 정상적인 사고를 할 수 없게 만드는 기억이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 힘이 없어 저항할 수 없는 상태를 접했을 때 동일한 상황이 성인이 되어 다가오게 되면 그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자신의 정상적인 체계를 놓아 버리는 상황이 된다는 것이다. 보통의 경우 긍정적인 반응이아니라 나는 할 수 없다 라는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나게 되어서 그 상황을 포기하거나 필요이상의 격한 반응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 책을 읽는 내내 생각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은 한 가지다. 내가 겪은 트라우마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내 생에는 큰 트라우마가 없었다면, 내가 누군가에게 큰 트라우마를 주었던 상황이 있었지 않았을까? 상대적으로 약자이며 누군가의 보호를 받아야 하며 자신이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믿었을 때 성장할 수 있는 아이들의 입장에서 보면 내가 혹시 큰 트라우마를 전해 주지 않았을까? 하는 반성이다. 
  • 아이들이 움츠리고 도전하지 않고 쉽게 포기하고 무기력 해지는 모습이 다만 사춘기의 반응일까? 아니면 양육 방식에서 잘못된 생각과 강압이 가져온 결과가 아닐까 하는 부분이었다. 항시 생각하는 것이지만 아이를 양육하고 가족이라는 굴레가 가질 수 있는 가장 견고한 고리는 사랑이고 믿음이라는 것을 알지만 그렇게 행하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가 따르기도 한다.

  • 전쟁, 성폭력, 가정폭력이 삶의 전반을 지배하는 트라우마의 대표적인 소스가 된다면 아마도 일반적인 사람에게 가장 가깝게 있는 것은 가정 폭력이 아닐까? 
  • 최근의 뉴스를 통해 전해지는 부모의 잘 못된 육아방식이 아이들을 상하게 하고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남기고 있는 것 같다. 폭력으로 아이를 죽음에 몰고 가고, 학대로 정상적인 몸무게를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최후의 보루가 되어야 할 가정을 탈출하는 아이들. 그들이 가져올 미래 사회는 정상적인 사회가 아닌 트라우마가 지배하는 비정상적인 사회가 될 것임을 저자는 경고하고 있다. 
  • 이런 사회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 어쩌면 그나마 정상적인 사랑을 받고 자란 사람들의 몫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 저자는 트라우마의 생성과정, 반응과정, 그리고 치료과정을 통해 어떻게 하면 일상에서 이 현상에서 벗어날 것인가를 고민하게 한다. 많은 사례와 전문적인 치료법을 전부다 이해 하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인 사람이 알아야할 일상에서 트라우마의 흔적을 지우는 법은 어렵지 않게 시도해 볼 만하다
  • 트라우마의 상흔을 치료하는 법의 핵심은 파편으로 기억된 트라우마의 기억을 하나의 온전한 기억으로 연장하는 것과, 자신이 무기력하게 당하고 행해야 했던 그 상황이 오롯이 자신만의 잘못이 아니었다는 것을 명확하게 믿게 하는 법, 그리고 신체에 각인된 그 상처를 일상의 작은 변화를 통해 치료하는 것이 그 방법이다. 
  • 심각한 상태의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그 것이 어쩌면 스트레스와 생존의 위협으로 항시 전전긍긍하는 현대인들의 보편적인 마음의 세계를 조금 편안하게 해 줄 수 있지 않을까?
- 접기
잠자자 2016-02-06 공감(7) 댓글(0)





5] 몸은 기억한다. - 트라우마가 남긴 흔적들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 고통에 대하여 무심하다. 그리고 무지하다. 과거는 그만 잊어라. 지나간 일인데 왜 그렇게 집착하냐. 너만 힘드냐 다른 사람들도 다 힘들게 산다. 그냥 용서해라. 라는 말을 조언이라며 서슴없이 한다. 하지만 당사자에게 과거의 아픔과 정신적 외상인 트라우마는 아직도 생생하다. 아픔이 남긴, 아픔보다 더 고통스러운 수치심과 함께 남들의 무지한 시선까지 감내해야 한다. 우리나라에 정신분석학, 아들러 심리학 관련 서적의 인기는 이렇게 남들에게 털어놓아도 이해받지 못하고 역효과만 돌아오는 마음 속 상처에 기인한 것일지도 모른다.


저자 베셀 반 데어 콜크는 정신의학 전문의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권위자이다. 그의 최신작 "몸은 기억한다"는 트라우마 전반을 다룬 책으로, 육백 여 페이지의 적지 않은 분량과 트라우마와 관련된 뇌의학, 다양한 치료방법 등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상담 사례, 저자의 수기 형식, 힐링서적이나 여타 심리학 대중서적에서 피상적으로 다뤘던 내용들을 뇌 신경과학을 통해 구체적으로 풀어내어, 전문서적의 분위기보다는 전문의의 이야기를 듣는 듯 편안했다.

저자가 보훈병원에서 베트남 참전군인들을 상담하기 시작한 이례로, 트라우마를 본격적으로 탐구한 이야기는 바로 트라우마 치료의 산 역사였다. ​다양한 임상사례들은 고전적인 정신분석학부터, 약리학, 신경과학, 그리고 현대의 치료법들 -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 뉴로피드백, 인지치료(CBT) 등을 담고 있다. 환자의 심박수, 뇌파, 뇌 측정을 통한 과학적인 검증은 이 책의 장점이다.

특히 트라우마 문제를 개인과 사회의 차원에서 동시에 다루고 있는데, 트라우마 환자의 경우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을 인지하고 감정을 느끼게 하는"(p.325) 내수용감각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심지어 사건 당시에 상황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했던 자신에게 무력감과 수치심을 느끼며, 정서적으로 통제감을 느끼기 위해서 비슷한 상황과 감정을 만들거나 자해 등의 부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기도 했다. 실제로 내수용감각 영역인 내측 전전두엽 피질언어와 관련된 브로카 영역이 상대적으로 비활성화된 것을 알수 있었다. 뇌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 소화기관, 호르몬계 등 트라우마는 단순히 정서적인 문제만이 아닌 인체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 트라우마 치료란, "트라우마는 유기체인 한 사람 전체, 즉 몸과 마음, 뇌에 모두 영향을" 주고, "이 지속적인 스트레스 유도 과정이 종료되고 유기체 전체가 안전한 상태로 회복되어야"(p.100) 하는 치유의 과정인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아동학대를 다룬 장도 흥미롭다. 미국의 통계에서도 구타, 방임, 성적 아동학대의 문제가 광범위한 것으로 나온다. 학대 아동들은 트라우마뿐 아니라 정상적인 애착관계에서 형성되는 자신과 사회적 관계의 조율 능력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가 없었다. 평생의 짐을 안고 살아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월호, 일제 위안부, 남북 분단 등 우리 사회는 다양한 트라우마를 안고 있다. 저자는 말한다. "사회도 마찬가지다. 가장 대대적인 발전은 트라우마를 계기로 얻은 결과물인 경우가 많다. 남북 전쟁 이후 노예제도가 폐지되었고, 대공황 이후 사회보장제도가 신설되었으며..."(p.564) 과연 우리 사회가 사회적 아픔들을 계기로 반성과 통찰을 얻었던 것일까. 정치적 당파논리와 이념싸움으로 변질되어 오히려 트라우마를 재생산한 것은 아닐까. 아프다.

트라우마 치료의 방향과 치료법들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트라우마를 벗어나 자기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합리적인 감정과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훈련법, 관계맺기부터 전문적인 인지행동, 약물, 다양한 요법들은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전문적인 치료는 여건상 어려울 수도 있지만, 구체적인 문제와 치료의 방향성, 요가 등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은 트라우마 환자에게 크나큰 보물이다.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안고 살아간다. 시시때때로 내면의 상처가 불쑥 떠오르고, 자라보고 놀란 마음은 솥뚜껑만 봐도 두려워 삶이 힘들기도 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그 동안 막연한 지식으로, 내면의 트라우마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는지, 무엇보다 남에게 조언한다고 하며 무지로 인해 비수를 꽂지 않았는지 반성하게 되었다. 이 점에서 "몸은 기억한다"는 분량은 적지 않지만, 두번 세번 읽을 가치가 있다.

캐모마일 2016-02-13 공감(4) 댓글(0)

================

    

6] 트라우마에 대한 몸의 기억 


트라우마라는 단어는 더 이상 우리에게 낯선 말이 아니다.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지만 트라우마라는 단어는 그 말의 무게와는 관계없이 우리 사회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가 되었다. 지금은 트라우마 즉 외상후 스트레스라는 말과 그에 관한 증상들이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이해하게 되었지만, 신경정신 분야에서는 외상후 스트레스 진단을 받아들이는 것에 상당히 오랫동안 사회적 저항이 있었다는 것과 사회적으로 용인받기 위해 저자를 비롯한 수많은 의사들의 노력이 있었다는 것을 본서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저자가 수 십년 간 트라우마에 이토록 집중하고 집착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이었을까? 책 중반에 적합한 예시가 나오는데 암 환자중 맹장 수술 받기를 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는 거다. 정확한 진단과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병행되어 최상의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것, 즉 치료성과때문이다. 의사로서 참다운 자세가 아닐까한다.
트라우마의 근본적 치료가 결국 세금도 더 늘릴 수 있다는 분석에서는 정부과 적극 협상하겠다는 저자의 의지도 느껴졌다. 공중 보건 정책의 중요성을 한번 더 강조하면서 안전하고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아이를 양육할 수 있도록 투자를 많이 하는 북유럽은 그 투자의 결과가 아이들의 학업 성적과 범죄율로 나타남을 예시로 제시하였다.(p.271) 요즘 우리 사회에 비상식적인 범죄가 증가하고 있는데 그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거나 줄일 수 있는 단초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한다. 더 좋은,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는 희망을 여기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상상도 해보게 되었다.
현 우리 사회는 공감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생각하는데, 어쩌면 이것도 가벼운 트라우마의 문제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근래 우리나라 분위기 정서를 들여다보면 떠오르는 단어가 하나 있다. 피해의식.

이것 역시 언제부터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아마 imf 이후가 아닐까 한다.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청년실업, 그 와중에 대기업들은 정경유착으로 더 승승장구하고, 매년 장바구니 물가는 상승하는데 반해 오르지 않는 월급. 특히 미국산 소고기 수입, 세월호와 같은 사건에서 힘없는 국민은 보호 받지 못한다는 자괴감. 이런 경험들이 체내에 쌓이면서 기득권에 들지 못하는 사람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되면서 나는 약자, 피해자라는 논리가 생성된거 같다. 이 모든 과정이 국민에게 부과된 일종의 강제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아니었을까. 그런 의미에서 "몸은 기억한다"는 이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너무나 적합한 책이 아닌가 한다. 책을 읽으며 내가 상담을 받고 치료를 받고 있다는 느낌마저 들었다.

정신의학에 대해 잘 모르지만 트라우마를 지닌 사람은 치유되지 않는 통증 속에 살아가고 있다는(p.6) 것과 인간의 뇌와 마음, 신체는 모두 사회 시스템 속에서 협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p.268) 부분을 통해 인간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해야하는 존재임을 그래서 외상후 스트레스를 입은 사람은 치료받아 하나의 사회적 인간으로 온전히 살아갈 수 있게 해야되는 것을, 이 책이 씌여진 목적을 알 수 있었다.

즉, 트라우마는 정신의 문제가 아닌 뇌의 문제라고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홀로코스트, 전쟁, 학대, 폭행, 사고 등의 정신적 충격이 큰 일을 겪고 뇌의 일부분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 것이라 하였다. 때문에 외상후 스트레스를 앓고 있는 환자는 치료를 받아야하는 대상인 것이다. 우리 사회는 트라우마를 앓고 있는 사람을 나약한 정신의 소유자 정도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트라우마는 결코 간단하거나 쉽게 취급할 만한 대상이 아니다. 저자는 외상후 스트레스를 지닌 사람들의 뇌 구조를 분석하여 트라우마를 갖게 되는 경과를 과학적으로 보여주어, 단순히 한 인간의 나약함으로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아님을 과학적으로 설명하였다. 트라우마는 마음과 뇌가 인지한 정보를 다루는 방식 자체를 근본적으로 재편하여,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과 생각하는 것을 바꾸어 놓을 뿐만 아니라 생각하는 능력도 변화시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망가진 뇌구조를 원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하고, 위험 요소는 과거의 일로 이미 지나갔다는 사실을 신체가 깨닫게 해야한다고 말하고 있다.(p.53)

그리고 어린 시절 학대의 사실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p.305)는 부분은 상당히 흥미로웠다. 이런 스토리는 드라마나 영화에서나 접할 법한 오바스러운 대본이라 생각했기에, 이 역시 내가 트라우마를 지닌 환자에 대한 이해도가 전무하였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었다. 트라우마를 겪은 후 나타나는 반응들이 살아남기 위한 노력에서 시작되었다는 사실을(p.333) 이제서야 알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이 나 한 사람만은 아닐거 같기에, 이런 이유로 특히 이 책은 한 사람의 인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판사 같은 사법계에 있는 사람들, 경찰들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생기기도 했다.

저자는 트라우마 환자들이 현실을 제대로 살게 하기 위한 치료법을 몇 가지 제시하고 있다. 언어치료, EMDR, 요가, 연극 등의 방법과 필요하다면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도 권한다.
우리 뇌의 회로 대부분은 다른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기능에 집중되어 있다.(p.332) 어쩔 수 없는 사회적 동물인 우리는 서로 서로가 맞물려 지낼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트라우마를 개인의 문제로 가볍게 여기고 넘어갈 것이 아니라 이제는 사회적인 문제로, 건강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그리고 나와 타인의 발전과 성숙을 위해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갖을 때가 아닐까 한다. 이 책을 처음 펼쳤을 때 십 수명의 사람들의 추천사에 놀랐다. 단순히 인맥과 홍보의 효과로 많은 추천을 받은건 아닐까하는 의구심이 들었지만, 책을 읽으면서 그 많은 추천사들이 그럴만 하다고 나도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다. 본서 "몸은 기억한다"가 우리 사회의 아픔, 회복에 대한 치유제 역할, 그 이정표가 되었으면 한다.
- 접기
taizhen 2016-02-15 공감(4) 댓글(0)
Thanks to
공감


    

7] [서평] 몸은 기억한다 

어릴 적 마음고생 없이 자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다르다. 어떤 사람은 정신적으로 다른 사람들보다 일찍 성숙해졌을 수도 있겠지만, 어떤 사람은 그 고통의 후유증으로 평생 행복하지 않은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다. 그러나 필자(서평쓰는 이)의 개인적인 생각일지 모르겠지만, 필자의 경험상 후유증으로 살아가는 경우가 더 많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애초에 트라우마가 생길 환경을 만들지 않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미 트라우마가 생겨 고생하고 있다면, 상처를 치유함으로써 사회생활을 하는데 큰 무리가 없어야 할 것이다.

필자는 우선적으로 필자 자신을 위해서 이 책을 읽었다. 잊혀진 것 같았던 과거의 기억이 필자를 옭아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필자의 조카가 살아가면서 겪게 될지 모를 상황을 대비하고자 읽었다.

트라우마의 상처를 겪고 있다거나 그런 사람을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한다면 5부 먼저 읽으면 좋을 것 같다. 그렇지 않고 트라우마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다면 차례대로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수많은 사례와 과학적인 방법들은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데 내용에 설득력을 실어줄 것이다.

책에서는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 중에 글쓰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어릴 적 초등학교 때 배웠던 일기쓰기도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 중 하나가 될 수도 있겠다. 다만, 의무감으로 억지로 글을 쓰는 일기를 쓰거나 누군가에게 보여줘야 하는 일기쓰기는 반감되겠지만 말이다.

어쩌면 필자가 책을 보고, 그 책에 대한 생각과 평, 그리고 개인적인 얘기를 써내려간 이런 행위들이 트라우마의 상처를 치유하는데 도움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아니 어느 정도 기능을 하긴 한 것 같다.

어릴 적 고통으로 현재도 괴로워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한번 읽어볼 것을 권하고 싶다. 선택은 본인이 알아서 하겠지만, 단순한 위로만 줄 뿐이고 깊이는 낮은(?) 일부 치유서적들과는 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인관계와 관련된 전공을 이수중인 사람들에게 이 책을 한 번 읽어볼 것을 권하고 싶다.

책이좋아 2016-02-10 공감(3) 댓글(0)


    

8] 몸은 기억한다.-트라우마가 남긴 흔적들 

요즘 세상이 떠들썩하다. 이유는 다름이 아닌 친부모에 의한 끔찍한 사건들...

많은 가해 부모들은 본인이 학대에 의한 트라우마를 고백한다. 그래서 이책을 읽기 전 혹시 이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한 두려운 마음이 들었다.

'기억은 마음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먼저 한다''
이말이 이토록 무서운 말인지는 책을 조그만 들여다 보아도 알 수 있다.
저자가 보훈병원에서 베트남 참전군인들을 상담하기 시작한 이례로, 트라우마를 본격적으로 탐구한 이야기는 바로 트라우마 치료의 산 역사이다. ​
다양한 임상사례들은 고전적인 정신분석학부터, 약리학, 신경과학, 그리고 현대의 치료법들 -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 뉴로피드백, 인지치료(CBT) 등을 담고 있다. 환자의 심박수, 뇌파, 뇌 측정을 통한 과학적인 검증은 이 책의 장점이다. 상담의 실제 사례들을 보면 꽤 많은 환자들이 오랜시간에 걸쳐 상담이 진행된다. 그래도 한번 기억된 기억은 자꾸자꾸 모습을 드러낸다. 많은 사례가 소개된 베트남전 참전 군인들, 근친 성폭행을 당한 어린 소녀들의 뇌 등은 다양한 형태의 뇌 이상으로 반응이 나타난다.

그냥 "미친사람"으로 넘기 기에는 그들의 상처가 안타까울 뿐이다.

특히 트라우마 문제를 개인과 사회의 차원에서 동시에 다루고 있는데, 트라우마 환자의 경우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을 인지하고 감정을 느끼게 하는"(p.325) 내수용감각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심지어 사건 당시에 상황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했던 자신에게 무력감과 수치심을 느끼며, 정서적으로 통제감을 느끼기 위해서 비슷한 상황과 감정을 만들거나 자해 등의 부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기도 했다. 실제로 내수용감각 영역인 내측 전전두엽 피질과 언어와 관련된 브로카 영역이 상대적으로 비활성화된 것을 알수 있었다. 뇌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 소화기관, 호르몬계 등 트라우마는 단순히 정서적인 문제만이 아닌 인체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전쟁이나 학대, 성폭력,추행, 그 밖에 다른 끔찍한 사건을 '치료'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며,이미 일어난 일은 되돌릴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 트라우마 치료란, "트라우마는 유기체인 한 사람 전체, 즉 몸과 마음, 뇌에 모두 영향을" 주고, "이 지속적인 스트레스 유도 과정이 종료되고 유기체 전체가 안전한 상태로 회복되어야"(p.100) 하는 치유의 과정인 것이다. 또한 자신에 대한 통제력을 되찾으려면 트라우마를 다시 만나야 한다고 전한다.

책에서 기술한 내용의 범위가 과하지 않고 중복되지 않은 분량으로 500여 페이지가 각각 의미있게 다가온다.

평생을 트라우마 연구에 매진한 저자를 따라가 보면 우리는 트라우마의 개념, 영향, 치료 방법과 발달 과정을 알 수 있게 된다.
벗어나고 싶은 과거, 그 곳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발버둥치는 사람들의 마음과 뇌에 어떤 일이 벌어진 건지 잘 알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자신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평소 심리학에세이에 관심이 많은 내가 지금 이 시점에서 이책을 만난 것은 정말이지 행운이다. 앞으로도 더 다양한 심리학에세이를 접하며 나를 포함하여 마음의 상처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싶다.

이령왕자 2016-02-16 공감(3) 댓글(0)


2020/04/05

Why this crisis is a turning point in history

Why this crisis is a turning point in history





Why this crisis is a turning point in history


The era of peak globalisation is over. For those of us not on the front line, clearing the mind and thinking how to live in an altered world is the task at hand.

BY JOHN GRAY




The deserted streets will fill again, and we will leave our screen-lit burrows blinking with relief. But the world will be different from how we imagined it in what we thought were normal times. This is not a temporary rupture in an otherwise stable equilibrium: the crisis through which we are living is a turning point in history.

The era of peak globalisation is over. An economic system that relied on worldwide production and long supply chains is morphing into one that will be less interconnected. A way of life driven by unceasing mobility is shuddering to a stop. Our lives are going to be more physically constrained and more virtual than they were. A more fragmented world is coming into being that in some ways may be more resilient.

The once formidable British state is being rapidly reinvented, and on a scale not seen before. Acting with emergency powers authorised by parliament, the government has tossed economic orthodoxy to the winds. Savaged by years of imbecilic austerity, the NHS – like the armed forces, police, prisons, fire service, care workers and cleaners – has its back to the wall. But with the noble dedication of its workers, the virus will be held at bay. Our political system will survive intact. Not many countries will be so fortunate. Governments everywhere are struggling through the narrow passage between suppressing the virus and crashing the economy. Many will stumble and fall.


In the view of the future to which progressive thinkers cling, the future is an embellished version of the recent past. No doubt this helps them preserve some semblance of sanity. It also undermines what is now our most vital attribute: the ability to adapt and fashion different ways of life. The task ahead is to build economies and societies that are more durable, and more humanly habitable, than those that were exposed to the anarchy of the global market.

does not mean a shift to small-scale localism. Human numbers are too large for local self-sufficiency to be viable, and most of humankind is not willing to return to the small, closed communities of a more distant past. But the hyperglobalisation of the last few decades is not coming back either. The virus has exposed fatal weaknesses in the economic system that was patched up after the 2008 financial crisis. Liberal capitalism is bust.

With all its talk of freedom and choice, liberalism was in practice the experiment of dissolving traditional sources of social cohesion and political legitimacy and replacing them with the promise of rising material living standards. This experiment has now run its course. Suppressing the virus necessitates an economic shutdown that can only be temporary, but when the economy restarts, it will be in a world where governments act to curb the global market.


A situation in which so many of the world’s essential medical supplies originate in China – or any other single country – will not be tolerated. Production in these and other sensitive areas will be re-shored as a matter of national security. The notion that a country such as Britain could phase out farming and depend on imports for food will be dismissed as the nonsense it always has been. The airline industry will shrink as people travel less. Harder borders are going to be an enduring feature of the global landscape. A narrow goal of economic efficiency will no longer be practicable for governments.

The question is, what will replace rising material living standards as the basis of society? One answer green thinkers have given is what John Stuart Mill in his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1848) called a “stationary-state economy”. Expand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would no longer be an overriding goal, and the increase in human numbers curbed. Unlike most liberals today, Mill recognised the danger of overpopulation. A world filled with human beings, he wrote, would be one without “flowery wastes” and wildlife. He also understood the dangers of central planning. The stationary state would be a market economy in which competition is encouraged. Technological innovation would continue, along with improvements in the art of living.

In many ways this is an appealing vision, but it is also unreal. There is no world authority to enforce an end to growth, just as there is none to fight the virus. Contrary to the progressive mantra, recently repeated by Gordon Brown, global problems do not always have global solutions. Geopolitical divisions preclude anything like world government. If one existed, existing states would compete to control it. The belief that this crisis can be solved by an unprecedented outbreak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magical thinking in its purest form.


Of course economic expansion is not indefinitely sustainable. For one thing, it can only worsen climate change and turn the planet into a garbage dump. But with highly uneven living standards, still rising human numbers and intensifying geopolitical rivalries, zero growth is also unsustainable. If the limits of growth are eventually accepted, it will be because governments make the protection of their citizens their most important objective. Whether democratic or authoritarian, states that do not meet this Hobbesian test will fail.





***

The pandemic has abruptly accelerated geopolitical change. Combined with the collapse in oil prices, the uncontrolled spread of the virus in Iran could destabilise its theocratic regime. With revenues plunging, Saudi Arabia is also at risk. No doubt many will wish both of them good riddance. But there can be no assurance that a meltdown in the Gulf will produce anything other than a long period of chaos. Despite years of talk about diversifying, these regimes are still hostages of oil and even if the price recovers somewhat, the economic hit of the global shutdown will be devastating.

In contrast, the advance of East Asia will surely continue. The most successful responses to the epidemic thus far have been in Taiwan, South Korea and Singapore. It is hard to believe their cultural traditions, which focus on collective well-being more than personal autonomy, have not played a role in their success. They have also resisted the cult of the minimal state. It will not be surprising if they adjust to de-globalisation better than many Western countries.

China’s position is more complex. Given its record of cover-ups and opaque statistics, its performance during the pandemic is hard to assess. Certainly it is not a model any democracy could or should emulate. As the new NHS Nightingale shows, it is not only authoritarian regimes that can build hospitals in two weeks. No one knows the full human costs of the Chinese shutdown. Even so, Xi Jinping’s regime looks to have benefited from the pandemic. The virus has provided a rationale for expanding the surveillance state and introducing even stronger political control. Instead of wasting the crisis, Xi is using it to expand the country’s influence. China is inserting itself in place of the EU by assisting distressed national governments, such as Italy. Many of the masks and testing kits it has supplied have proved to be faulty, but the fact seems not to have dented Beijing’s propaganda campaign.


The EU has responded to the crisis by revealing its essential weakness. Few ideas are so scorned by higher minds than sovereignty. In practice it signifies the capacity to execute a comprehensive, coordinated and flexible emergency plan of the kind being implemented in the UK and other countries. The measures that have already been taken are larger than any implemented in the Second World War. In their most important respects they are also the opposite of what was done then, when the British population was mobilised as never before, and unemployment fell dramatically. Today, aside from those in essential services, Britain’s workers have been demobilised. If it goes on for many months, the shutdown will demand an even larger socialisation of the economy.

Whether the desiccated neoliberal structures of the EU can do anything like this is doubtful. Hitherto sacrosanct rules have been torn up by the European Central Bank’s bond buying programme and relaxing limits on state aid to industry. But the resistance to fiscal burden-sharing of northern European countries such as Germany and the Netherlands may block the way to rescuing Italy – a country too big to be crushed like Greece, but possibly also too costly to save. As the Italian prime minister, Giuseppe Conte said in March: “If Europe does not rise to this unprecedented challenge, the whole European structure loses its raison d’être for the people.” The Serbian president Aleksandar Vucic has been blunter and more realistic: “European solidarity does not exist… that was a fairy tale. The only country that can help us in this hard situation i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o the rest of them, thanks for nothing.”

The EU’s fundamental flaw is that it is incapable of discharging the protective functions of a state. The break-up of the eurozone has been predicted so often that it may seem unthinkable. Yet under the stresses they face today, the disintegration of European institutions is not unrealistic. Free movement has already been shut down. Turkish president Recep Tayyip Erdogan’s recent blackmailing of the EU by threatening to allow migrants to pass through his borders, and the endgame in Syria’s Idlib province, could lead to hundreds of thousands, even millions, of refugees fleeing to Europe. (It is hard to see what social distancing might mean in huge, overcrowded and insanitary refugee camps.) Another migrant crisis in conjunction with pressure on the dysfunctional euro could prove fatal.


If the EU survives, it may be as something like the Holy Roman empire in its later years, a phantom that lingers on for generations while power is exercised elsewhere. Vitally necessary decisions are already being taken by nation states. Since the political centre is no longer a leading force and with much of the left wedded to the failed European project, many governments will be dominated by the far right.

An increasing influence on the EU will come from Russia. In the struggle with the Saudis that triggered the oil price collapse in March 2020, Putin has played the stronger hand. Whereas for the Saudis the fiscal break-even level – the price needed to pay for public services and keep the state solvent – is around $80 a barrel, for Russia it may be less than half that. At the same time Putin is consolidating Russia’s position as an energy power. The Nord Stream offshore pipelines that run through the Baltics secure reliable supplies of natural gas to Europe. By the same token they lock Europe into dependency on Russia and enable it to use energy as a political weapon. With Europe balkanised, Russia, too, looks set to expand its sphere of influence. Like China it is stepping in to replace the faltering EU, flying in doctors and equipment to Italy.

In the US, Donald Trump plainly considers refloating the economy more important than containing the virus. A 1929-style stock market slide and unemployment levels worse than those in the 1930s could pose an existential threat to his presidency. James Bullard, the CEO of th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has suggested the American jobless rate could reach 30 per cent – higher than in the Great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with the US’s decentralised system of government; a ruinously expensive healthcare system and tens of millions uninsured; a colossal prison population, of which many are old and infirm; and cities with sizeable numbers of homeless people and an already large opioid epidemic; curtailing the shutdown could mean the virus spreading uncontrollably, with devastating effects. (Trump is not alone in taking this risk. Sweden has not so far imposed anything like the lockdown in force in other countries.)

Unlike the British programme, Trump’s $2trn stimulus plan is mostly another corporate bailout. Yet if polls are to be believed increasing numbers of Americans approve of his handling of the epidemic. What if Trump emerges from this catastrophe with the support of an American majority?

Whether or not he retains his hold on power, the US’s position in the world has changed irreversibly. What is fast unravelling is not only the hyperglobalisation of recent decades but the global order set in place at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Puncturing an imaginary equilibrium, the virus has hastened a process of disintegration that has been under way for many years.

In his seminal Plagues and Peoples the Chicago historian William H McNeill wrote:

It is always possible that some hitherto obscure parasitic organism may escape its accustomed ecological niche and expose the dense human populations that have become so conspicuous a feature of the Earth to some fresh and perchance devastating mortality.

It is not yet known how Covid-19 escaped its niche, though there is a suspicion that Wuhan’s “wet markets”, where wildlife is sold, may have played a role. In 1976, when McNeill’s book was first published, the destruction of the habitats of exotic species was nowhere near as far gone as it is today. As globalisation has advanced, so has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spreading. The Spanish Flu of 1918-20 became a global pandemic in a world without mass air transportation. Commenting on how plagues have been understood by historians, McNeill observed: “For them as for others, occasional disastrous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 remained sudden and unpredictable interruptions of the norm, essentially beyond historical explanation.” Many later studies have come to similar conclusions.

Yet the notion persists that pandemics are blips rather than an integral part of history. Lying behind this is the belief that humans are no longer part of the natural world and can create an autonomous ecosystem, separate from the rest of the biosphere. Covid-19 is telling them they cannot. It is only by using science that we can defend ourselves against this pestilence. Mass antibody tests and a vaccine will be crucial. But permanent changes in how we live will have to be made if we are to be less vulnerable in future.

The texture of everyday life is already altered. A sense of fragility is everywhere. It is not only society that feels shaky. So does the human position in the world. Viral images reveal human absence in different ways. Wild boars are roaming in the towns of northern Italy, while in Lopburi in Thailand gangs of monkeys no longer fed by tourists are fighting in the streets. Inhuman beauty and a fierce struggle for life have sprung up in cities emptied by the virus.

As a number of commentators have noted, a post-apocalyptic future of the kind projected in the fiction of JG Ballard has become our present reality. Bu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this “apocalypse” reveals. For Ballard, human societies were stage props that could be knocked over at any moment. Norms that seemed built into human nature vanished when you left the theatre. The most harrowing of Ballard’s experiences as a child in 1940s Shanghai were not in the prison camp, where many inmates were steadfast and kindly in their treatment of others. A resourceful and venturesome boy, Ballard enjoyed much of his time there. It was when the camp collapsed as the war drew to a close, he told me, that he witnessed the worst examples of ruthless selfishness and motiveless cruelty.

The lesson he learnt was that these were not world-ending events. What is commonly described as an apocalypse is the normal course of history. Many are left with lasting traumas. But the human animal is too sturdy and too versatile to be broken by these upheavals. Life goes on, if differently than before. Those who talk of this as a Ballardian moment have not noticed how human beings adjust, and even find fulfilment, in the extreme situations he portrays.

Technology will help us adapt in our present extremity. Physical mobility can be reduced by shifting many of our activities into cyberspace. Offices, schools, universities, GP surgeries and other work centres are likely to change permanently. Virtual communities set up during the epidemic have enabled people to get to know one another better than they ever did before.

There will be celebrations as the pandemic recedes, but there may be no clear point when the threat of infection is over. Many people may migrate to online environments like those in Second Life, a virtual world where people meet, trade and interact in bodies and worlds of their choosing. Other adaptations may be uncomfortable for moralists. Online pornography will likely boom, and much internet dating may consist of erotic exchanges that never end in a meeting of bodie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may be used to simulate fleshly encounters and virtual sex could soon be normalised. Whether this is a move towards the good life may not be the most useful question to ask. Cyberspace relies on an infrastructure that can be damaged or destroyed by war or natural disaster. The internet allows us to avoid the isolation that plagues have brought in the past. It cannot enable human beings to escape their mortal flesh, or avoid the ironies of progress.

***

What the virus is telling us is not only that progress is reversible – a fact even progressives seem to have grasped­ – but that it can be self-undermining. To take the most obvious example, globalisation produced some major benefits – millions have been lifted out of poverty. This achievement is now under threat. Globalisation begat the de-globalisation that is now under way.

As the prospect of ever-rising living standards fades, other sources of authority and legitimacy are re-emerging. Liberal or socialist, the progressive mind detests national identity with passionate intensity. There is plenty in history to show how it can be misused. But the nation state is increasingly the most powerful force driving large-scale action. Dealing with the virus requires a collective effort that will not be mobilised for the sake of universal humanity.

Altruism has limits just as much as growth. There will be examples of extraordinary selflessness before the worst of the crisis is over. In Britain an over half-million strong volunteer army has signed up to assist the NHS. But it would be unwise to rely on human sympathy alone to get us through. Kindness to strangers is so precious that it must be rationed.

This is where the protective state comes in. At its core, the British state has always been Hobbesian. Peace and strong government have been the overriding priorities. At the same time this Hobbesian state has mostly rested on consent, particularly in times of national emergency. Being shielded from danger has trumped freedom from interference by government.


How much of their freedom people will want back when the pandemic has peaked is an open question. They show little taste for the enforced solidarity of socialism, but they may happily accept a regime of bio-surveillance for the sake of better protection of their health. Digging ourselves out of the pit will demand more state intervention not less, and of a highly inventive kind. Governments will have to do a lot more in underwriting scientific research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hough the state may not always be larger its influence will be pervasive, and by old-world standards more intrusive. Post-liberal government will be the norm for the foreseeable future.

It is only by recognising the frailties of liberal societies that their most essential values can be preserved. Along with fairness they include individual liberty, which as well as being worthwhile in itself is a necessary check on government. But those who believe personal autonomy is the innermost human need betray an ignorance of psychology, not least their own. For practically everyone, security and belonging are as important, often more so. Liberalism was, in effect, a systematic denial of this fact.

An advantage of quarantine is that it can be used to think afresh. Clearing the mind of clutter and thinking how to live in an altered world is the task at hand. For those of us who are not serving on the front line, this should be enough for the duration.



John Gray is the New Statesman’s lead book reviewer. His latest book is The Soul of the Marionette: A Short Enquiry into Human Freed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