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19

Divine grace - Wikipedia



Divine grace - Wikipedia



Divine grac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God's grace" redirects here. For the Bernard Malamud novel, see God's Grace.

Divine grace is a theological term present in many religions. It has been defined as the divine influence which operates in humans to regenerate and sanctify, to inspire virtuous impulses, and to impart strength to endure trial and resist temptation;[1] and as an individual virtue or excellence of divine origin.[2]


Contents
1Christianity
1.1Scriptural usage
2Hinduism
3Islam



4See also
5References
6Sources




Christianity[edit]

Main articles: Grace in Christianity, Irresistible grace, Prevenient grace, and Sola gratia

Grace in Christianity is the free and unmerited favour of God as manifested in the salvation of sinners and the bestowing of blessings.[3] 
Common Christian teaching is that grace is unmerited mercy (favor) that God gave to humanity by sending his Son, Jesus Christ, to die on a cross, thus securing man's eternal salvation from sin. Bill Gothard, an American conservative Christian, has suggested "God's grace gives us the desire and the power to do his will."[4]

Within Christianity, there are differing concepts of how grace is attained. In particular, Catholics and Reformed Protestants understand the attainment of grace in substantially different ways. It has been described as "the watershed that divides Catholicism from Protestantism, Calvinism from Arminianism, modern liberalism from conservatism".[5]

Catholic doctrine teaches that God has imparted Divine Grace upon humanity and uses the vehicle of sacraments, which are carried out in faith,[6] as a primary and effective means to facilitate the reception of his grace.[7] For Catholics, sacraments (carried out in faith) are the incarnational or tangible vehicle through which God's grace becomes personally and existentially received.[8] 

Reformed Protestants, generally, do not share this sacramental view on the transmittal of grace,[9] but instead favor a less institutionalized mechanism. For example, in the Catholic Church, the primary initiation into a state of grace is granted by God through baptism (in faith)[10] instead of by a simple prayer of faith (sinner's prayer); although, Catholics would not deny the possible efficacy of even a simple prayer for God's grace to flow (Baptism by desire[11][12]).

In another example, for Catholics, the sacrament of reconciliation (in faith) is the primary means of transmitting grace after a mortal sin has been committed.[13] Many graces are historically associated to the prayer of the holy Rosary; also, the tradition held by Dominicans reports of the fifteen rosary promises made by the Blessed Virgin Mary to Saint Dominic and Alan de Rupe in favour of Christians who faithfully pray the Rosary.

Scriptural usage[edit]

In the New Testament, the word translated as grace is the Greek word charis (/ˈkeɪrɪs/; Ancient Greek: χάρις), for which Strong's Concordance gives this definition: "Graciousness (as gratifying), of manner or act (abstract or concrete; literal, figurative or spiritual; especially the divine influence upon the heart, and its reflection in the life; including gratitude)".[14][15] 
A Greek word that is related to charis is charisma (gracious gift). Both these words originated from another Greek word chairo (to rejoice, be glad, delighted).[16]

In the Old Testament, the Hebrew term used is chen[17][18] (חֵן‬), which is defined in Strong's as "favor, grace or charm; grace is the moral quality of kindness, displaying a favorable disposition".[19] In the King James translation, chen is translated as "grace" 38 times, "favour" 26 times, twice as "gracious",[20] once as "pleasant",[21] and once as "precious".[22]
---

Hinduism[edit]
Main article: Kripa (philosophy)

Hindu devotional or bhakti literature available throughout India and Nepal is replete with references to grace (kripa) as the ultimate key required for spiritual self-realization.[23][additional citation(s) needed] Some, such as the ancient sage Vasistha, in his classical work Yoga Vasistha, considered it to be the only way to transcend the bondage of lifetimes of karma.[24] One Hindu philosopher, Madhvacharya, held that grace was not a gift from God, but rather must be earned.[25]
---

Islam[edit]
Main article: Fadl (Islam)

Umar Sulayman al-Ashqar, dean of the Faculty of Islamic Law at Zarqa Private University in Zarqa, Jordan, wrote that "Paradise is something of immense value; a person cannot earn it by virtue of his deeds alone, but by the Grace and Mercy of Allah."[26] This stance is supported by hadith: according to Abu Huraira, prophet Muhammad once said that "None amongst you can get into Paradise by virtue of his deeds alone ... not even I, but that Allah should wrap me in his grace and mercy."[27]

See also[edit]
Hana

---
References[edit]


  1. ^ OED, 2nd ed.: grace(n), 11b
  2. ^ OED, 2nd ed.: grace(n), 11e
  3. ^ OED, 2nd ed.: grace(n), 11a
  4. ^ Gothard, Bill. "Grace and Fait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7-21.
  5. ^ Charles C. Ryrie, The Grace of God (Chicago: Moody Press, 1963), pp. 10-11.
  6.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127. Vatican City-State. Celebrated worthily in faith, the sacraments confer the grace that they signify.
  7. ^ http://www.saintaquinas.com/Justification_by_Grace. html
  8. ^ Edward Schillebeeckx, Christ, the Sacrament of Encounter with God (Rowman & Littlefield, 1963), Foreword pp. 16
  9.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1-24. Retrieved 2010-12-14.
  10.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992. Vatican City-State. Justification is conferred in Baptism, the sacrament of faith.
  11.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260. Vatican City-State.
  12.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281. Vatican City-State. ... those who ... seek God sincerely and strive to fulfill his will, are saved even if they have not been baptized.
  13.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446. The Vatican. Christ instituted the sacrament of Penance for all sinful members of his Church: above all for those who, since Baptism, have fallen into grave sin, and have thus lost their baptismal grace and wounded ecclesial communion. It is to them that the sacrament of Penance offers a new possibility to convert and to recover the grace of justification. The Fathers of the Church present this sacrament as "the second plank [of salvation] after the shipwreck which is the loss of grace."
  14. ^ "Strong's Greek: 5485. χάρις (charis) -- grace, kindness". strongsnumbers.com.
  15. ^ Strong (2001) Grk entry number 5485 (p. 1653)
  16. ^ Strong (2001) Grk entry numbers 5486 and 5463
  17. ^ Blue Letter Bible entry for Strongs Hebrew term 2580, Blue Letter Bible institute, retrieved 2011-01-01
  18. ^ "Chen - Old Testament Hebrew Lexicon - New American Standard". Bible Study Tools.
  19. ^ Strong (2001) Hebrew entry number 2580 (p. 1501)
  20. ^ Proverbs 11:16 and Ecclesiastes 9:11
  21. ^ Proverbs 5:19
  22. ^ Proverbs 17:8
  23. ^ Descent of divine grace The Hindu, June 30, 2005.
  24. ^ venkatesananda. "Yoga Vasistha - Daily Readings - Swami Venkatesananda". www.venkatesaya.com.
  25. ^ Great Thinkers of the Eastern World, Ian McGreal.
  26. ^ Bassam Zawadi; Mansur Ahmed, Answering Common Questions on Salvation That Christians Pose to Muslims, retrieved 2011-01-01
  27. ^ "Chapter 15: None Would Attain Salvation Because of his Deeds but it is Through Lord's Mercy, Number 6764", Sahih Muslim, Book 39,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enter for Jewish-Muslim engagement, retrieved 2011-01-01

2019/02/18

82년생 김지영 - 나무위키



82년생 김지영 - 나무위키



82년생 김지영

최근 수정 시각: 2019-02-18 11:17:08



분류
한국 소설
베스트셀러
페미니즘
본 소설을 원작으로 삼은 영화에 대한 내용은 82년생 김지영(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는 비로그인 사용자의 편집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사유는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래디컬 페미니즘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책 표지
100만부 기념 특별판 책 표지



1. 개요2. 줄거리3. 평가
3.1. 전문가들의 평가3.2. 비전문가들의 호평3.3. 비전문가들의 비판4. 흥행5. 해외 출간6. 패러디7. 기타8. 영화화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페미니즘 소설. 2016년 출간. 작가는 조남주.

2. 줄거리[편집]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해당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 누설을 원하지 않으면 이 문서의 열람을 중단해 주십시오.
처음부터 끝까지 주인공 김지영이 어릴 적부터 여성 차별을 경험하는 이야기다. 일화들이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인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1]각 이야기에 특정한 결말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아래는 일화들의 목록이다.
김지영의 위로는 언니가 있고, 아래로는 남동생이 있다. 그녀가 태어나고 1년 후 원래대로라면 태어났어야 할 여동생은 여자아이라서 낙태당했다.(80-90년대의 여아 낙태 문제 문서 참조)
집에서 아침식사를 할 적에 아빠 - 아들 - 할머니 순으로 밥을 퍼주는 것이 당연했다.[2]
국민학교 때 남학생이 앞번호라고 남학생부터 급식을 먹었다.(출석 번호, 식사 순서 등 학교 행정상 순서를 할 때에 남자부터 앞 순번을 배정받는 차별을 표현한 것.)[3]
중학교 때 여학생의 복장 규제가 심했다.(남자 학생주임 선생님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더 엄격하고 다양하게 규제하는 복장 규제를 묘사.)[4]
학교에서 외부인에 의한 성범죄가 발생했고, 바바리맨이 있어서 쳐다보기만 한 것으로 교사한테 혼이 나고, 바바리맨을 잡은 용감하고 행동력 있는 여학생들에게 마치 그녀들이 나쁜 행동을 한 것처럼 혼이 났다.[5]
대중교통에서 성범죄를 당했다. 고등학교 때 자기를 짝사랑해서 스토킹하는, 같은 학원에 다니던 남학생 때문에 남성공포증이 생겼고, 아버지는 피하지 못한 주인공이 잘못이라며 2차 가해를 했다.[6]
대학교 때 남자 선배에게 성희롱을 들었다.(대학교에서 남녀 커플이 헤어지자, 여자에게만 '씹다 버린 껌'이라고 표현하는 동아리 선배의 인식.)
첫 손님으로 여자는 안 태운다는 택시기사의 미신에 의해 승차거부를 당했다.[7]
회사의 남직원 선호로 인해 취업에서 차별을 당했다.(같은 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의 취업이 어려운 것. 유리천장 참조)[8]
회식 자리에서 성희롱을 당했다.
직장 내 화장실에서 불법촬영을 당했다.
출산으로 인한 퇴사로 경력이 단절되고 길을 가다 맘충 욕을 듣고[9] 정신과 치료를 받게 된다. 김지영은 벤치에서 커피를 마시고 있었을 뿐이나, 지나가던 직장인이 주인공을 향해 '일 안하고 남편이 벌어주는 돈으로 편하게 커피나 마시는 맘충'이라는 폭언을 내뱉었다.[10]
3. 평가[편집]

3.1. 전문가들의 평가[편집]
신샛별 문학평론가는 "정치적 소재를 다루는 소설은 많지만 마침내 정치를 해내는 소설은 드물다. 이 소설로부터 시작된 한국사회의 어떤 각성이 노예해방만큼이나 희망적인 변화를 일으킬 조짐은 분명해 보인다."라고 호평했지만[11] 더불어 "여성의 삶을 표준화하여 균질적인 것으로 만들어 제시하는 거대서사의 논리를 따를 때, 개별 여성의 경험이 지닌 고유성은 훼손되거나 소외되기 십상이다."라고 과한 일반화를 비판했다.출처

문학평론가 김미정은 이 책이 소설로서의 문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호평하는 독자들과 달리 문학평론가들에게 낮은 평가를 받는다고 설명했고, 문학평론가 이명원은 이렇게 정보 전달을 위해서 소설을 쓰는 일은 사실상 비효율적이라고 제의했다.출처

[기사] 소설 '82년생 김지영'…"여자라서 공감" vs "피해 의식 거북해"
조강석 문학평론가: 페미니즘 메시지 전달 때문에 플롯과 스타일(문체)이 미흡해졌다.
조연정 문학평론가: 여성들이 공감할 수 밖에 없다는 자체로 의미있는 텍스트
심진경 문학평론가: 대중이 읽기에는 부담이 없지만 내면 묘사가 거의 없고 독자들의 변화를 일으키지 못한다.
장동석 출판평론가: 사회에 논쟁거리를 제공하고 세대간, 성별간 대립각을 확인해준 의미가 있다.

책 중간마다 통계 자료들을 삽입해서 대한민국의 여성 차별 현상이 실재함을 주장하고 있는데, 한 칼럼에서 통계와 보도 자료를 자의적으로 인용했다고 비판했다.
소설에서는 "'남성을 선호한다'는 대기업 인사 담당자는 44%였고, '여성을 선호한다'는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라고만 인용해 놓았다. 그런데 실제 출처 전문에는 바로 다음 구절에 "'남성이든 여성이든 상관없다'는 응답은 56%였다."는 서술이 있다. 소설 속 문장은 여성에 대한 차별만을 부각할 뿐이지, 성별 선호 없이 공정하게 채용하려고 노력하는 의견은 일부러 감추어 곡해된 해석을 유도한다.
소설에서 "대한민국이 OECD 회원국 중 남녀 임금격차가 가장 큰 나라"라는 통계를 인용했지만(124p), 통계청이 주최한 '제2회 통계 바로쓰기 공모전'에서 이 통계의 문제점을 지적한 논설이 상을 3개나 받았을 정도로 문제점과 오류가 많은 통계이다.[12]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겸 문학평론가 전성욱은 82년생 김지영에 날 선 비판을 가했다.#
여성에 대한 억압·차별·소외 등 복합적인 문제를 극히 단순한 통념으로 일반화
사람들이 생각하는 기존의 '대립' 방식을 안이하게 답습하여 성차별에 대한 고루한 통념을 더 확고히 함
남성과 여성의 대립 구도를 증폭

문학평론가 정기문은 82년생 김지영이 복잡하고 이질적인 존재들을 단순화하는 젠더 정치가 활용하는 경계선의 폭력성을 답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문화연구자 오혜진은 82년생 김지영이 다른 소수자를 배제시키고, 거기에 더해서 같은 여자들끼리 서로를 감별하게 만드는 한계점을 우려했다.#

3.2. 비전문가들의 호평[편집]

남자가 최고의 스펙인 대한민국의 많은 제도, 문화, 관습을 깨기 위해서라도, 차이를 차별로 만드는 야만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서라도 많은 남성들이 이 책을 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2017년 8월 29일, 예스24 문학학교의 '82년생 김지영 대담회'에 참가한 노회찬 의원이 한 말.[13]
김지영이 80년대에 태어난 여성들 중 가장 많은 이름이란 설정은 문학적 가치가 있다. 주인공인 김지영이 많은 여성들을 대변하는 캐릭터라는 은유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숨은 설정으로 여성들의 공감을 유도하였고, 김지영이 겪는 비극이 많은 여성들의 비극이라는 작품의 메세지 전달에도 큰 역할을 했다. 여성이 겪는 아픔과 그 보편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떠나서 주인공의 이름을 김지영으로 설정한 문학적 기교는 메세지 전달 측면에서 확실히 성공한 전략이다.

페미니스트들의 주요 목적인 '여성만의 목소리' 를 작품 하나로 사회에 알렸다. 82년생 김지영은 사회 전반에 페미니즘 성향을 가진 여성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하였고 대한민국에서 '여성이 이렇게 고통 받고 있다' 는 메세지를 사회에 널리 알림으로써 사회 전체가 페미니즘에 대해 관심을 갖게 했다. 그 수단이 테러, 폭력, 집회가 아니라 작품 출간이라는 건전한 방식이기 때문에 항구적으로 지속이 가능하다. 하지만 내용 면에서는 사회적 분란을 조장했으므로 앞으로 이런 류의 책이 사회에 나오는 것은 꺼려질 것으로 보여졌다. 그러나 대만, 일본 등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관심이 집중되어 기존에 있던 다른 페미니즘 서적의 판매량도 증가하였다.

3.3. 비전문가들의 비판[편집]
남성 독자들은 '남성을 너무 나쁘게 묘사한다'고 비판했는데 이에 대해 조남주 작가는 '실제보다 상황이 안 좋은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어찌 생각하든 거짓말 같은 삶을 보여주고 싶었다'는 모호한 표현으로 답했다. # 그러나 실제로 겪을 수 없는, 불가능한 요소들이 상당히 존재해 고의적으로 갈등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상업적으로는 흥행했다. 구매층의 성비는 압도적인 여초로, 2~30대 여성 구매자가 특히 높다. 그러나 문학적인 흥행은 문학평론가들 사이에서도 평이 갈린다. 페미니스트들에게는 성서 취급을 받지만, 페미니즘에 반감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그저 그런 소설도 아닌 봉인소설 취급을 받는다.

'작품의 치명적인 문제점은 과장'이라는 주장이 있다. 김지영은 사회비판적 소설인데 현실 사회를 부풀리며 왜곡해놓고 현실 사회를 비판하는 것은 오류라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회참여 소설들은 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주기 위해 극단적인 경우를 집어주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일례로,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도 가난한 사람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극단적인 일들을 종합하여 보여준다.

여성 문제와 관련된 통계를 구체적인 맥락을 무시하고 자의적으로 인용하였다는 단점은 존재한다. 또한 서사성을 무시한 여성 문제 에피소드의 나열과 통계를 이용한 주장 강화로 작품 내에서 독자의 사고를 제한하고 무조건적 수용을 암묵적으로 요구한다. 이것은 판소리에나 등장할 법한 "아, 주인공이 얼마나 불쌍한가!" 식의 서술자적 논평에 가깝고, 소설이라기보단 성별 갈등 문제를 토론하는 곳에 나와서 역설한 주장에 내러티브를 부여하여 글로 옮긴 것에 가깝다. 이에 대해 작품이 세련되지 못하다는 평이 있으며, 이것을 문학 혹은 소설로 봐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도 일어난다.

82년생 김지영에선 남자들이 주된 악당으로 등장하는데 이들은 생각 없이 성차별주의를 행할 뿐인 '나쁜 놈들'이다. 하지만 남성을 김지영과 비슷하게 해석한 델마와 루이스처럼 작품 자체가 흥미로운 서사성을 갖고 있거나 주인공이 능동적인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여자는 찍 소리만 내고 당할 수밖에 없는 존재로 설정해 동정심을 유발하고, 남자와 가족은 그런 불쌍한 여자를 의도했든 아니든 자연스럽게 괴롭히는 순수악으로 설정하였다. 주인공을 학대하고 학대하며 학대하다가 끝나는, 고전소설에서나 볼 법한 평면적인&지루한 이야기 구조다. 여성, 남성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를 격하시켰으며, 여자들을 능동적이지 못한데다 오직 피해자 입장에 선 존재로 설정했고, 여성들에게 남성과 사회를 향해 편협하고 적대적인 시선을 갖도록 부추겼다.

이 소설의 또다른 큰 문제점은 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이후로 남녀평등이나 인권 문제의 대두로 사라지거나, 적어도 사회 통념상 옳지 않은 행위로 여겨지기 시작한 과거의 악폐습들이 2010년대에도 아직 존재하는 마냥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성을 차별하거나, 성희롱을 하는 일부 남성들의 행태를 마치 모든 한국 남성들의 특징인 것처럼 서술하고 있다. 작가는 '거짓말 같은 삶을 보여주고 싶었다.' 라며 아직도 이러한 악폐습들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듯이 언급하고 있다. 이에 반례를 들자면 여아를 대상으로 한 낙태의 경우 남녀 성비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으며, 부모들이 역으로 아들보단 딸을 선호한다는 통계가 증명하듯 점차 사라져가는 악폐습이다.# 적어도 2010년대에 일반인 사이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사고방식은 아니며, 그런 사고방식을 지닌 기성세대들은 적어도 수십 년 후에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게 되니 그마저도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14]

대학 내의 성희롱과 같은 경우는 미투 운동에 대한 남성들의 지지를 통해 남성들 역시 성희롱이 잘못된 행위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고, 성희롱 피해자에게는 도움을 주어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도 증명되었다. 그러나 성희롱에 해당하는 행위가 습관화/일반화돼있는 탓에 성희롱 문제가 뿌리뽑히진 못하고 있으며, 그 탓에 역으로 한국에서 (넓은 의미의)펜스 룰과 같은 부작용도 생겨나기도 했다.

공통된 비판은 "작품의 내용이 현 세태와 비교했을때 굉장히 시대착오적이고 왜곡되어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 방송인 액시스마이콜은 이 책을 직접 읽어보고 내용의 모순점에 대해 "있을 수도 있는 일을 작중의 한 사람에게 몽땅 몰아넣어서[15] '불운한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붙여 이러한 일들을 '보편적'인 사례로 만들려 한 판타지 소설"이라며 가열차게 비판했다.#

4. 흥행[편집]

2017년 3월 금태섭 의원이 국회의원 전원에게 선물하고, 5월 노회찬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선물하면서 화제를 모아 뒤늦게 인기를 끌었다.



2017년 베스트 셀러에 올랐다. 페미니즘 소설의 특성으로 인하여 구매층이 2, 30대 여성에 상당히 몰려 있는 양상을 보인다.[16]

2017년 교보문고 및 예스24 베스트셀러 2위.

2018년, 아이린 논란 영향으로 다시 판매량이 올랐다.

누적 판매량 백만부를 넘어가며 2007년 칼의 노래, 2009년 엄마를 부탁해 이후로 9년만에 나온 소설 분야 밀리언 셀러에 등극했다. # 보통 문학 분야에서 베스트 셀러의 기준이 약 1~3만권이며, 문학 분야의 판매량이 주춤하는 추세에서 등장한 밀리언 셀러로 굉장한 사회적 파급력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난쏘공이 발간 29년만에 밀리언 셀러를 찍었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백만부라는 누적 판매량은 가볍게 볼게 아니다.

5. 해외 출간[편집]

2018년 5월 대만에서 출간되었다. 전자책 부문 판매 1위를 기록하는 등 흥행에 성공했다.

2018년 12월 8일 일본에서 출간되었다. 출판사는 치쿠마 쇼보.[17]82년생 김지영 일본판 홈페이지 번역자는 제1회 일본번역대상을 수상한바 있고, 한국어 시집을 출간한 적이 있는 사이토 마리코다. 이 작품 이외에도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박민규의 《핑퐁》, 정세랑의 《피프티 피플》등을 번역한 바 있다고 한다.

소설 '82년생 김지영', 日 베스트셀러 1위라는 제목으로 언론에 보도되었다만 가짜뉴스였다. 전체 카테고리 1위도 아니며 일본 아마존 서적 분류의 서적>문학/평론>문예작품>아시아 문학 카테고리에서 1위를 한 것이다. 일본인 유튜버 스시코에 의하면 2018년 12월 25일 기준 일본 아마존 서적 분류의 서적>문학/평론>문예작품>외국문학/저자별>타행의 저자에서 1위를 했다고 한다.2018년 12월 30일 유튜브 SushikoTV 스시코TV 82년생 김지영이 일본에서 베스트셀러???-1분~1분 20초경 즉 외국인 저자 이름 タ行으로 시작하는 책 중에서 1위라는 것이다. 참고로 전체 베스트셀러 순위로는 100위권 밖이며, 문학/평론 카테고리에서 41위, 문예작품 카테고리에서 22위이다.

2018년 12월 14일에 일본 유명 사이트 CINRA.NET 리뷰가 올라왔고 이게 일본 야후 메인 뉴스에 올라오면서 흥행했다. 출간일 당일인 2018년 12월 8일, 출판사 치쿠마 쇼보는 공식 트위터로 발매와 동시에 증쇄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발매된 지 4일 째인 12월 12일, 치쿠마 쇼보는 3쇄가 결정되었다며 "이렇게 빠른 속도로 재발행하는 경우는 좀처럼 없다. 감개무량하다."고 밝혔다.

한편 일본 아마존 리뷰에 1점 테러를 감행하는 일부 한국 유저들의 존재가 문제되어 일시적으로 리뷰 작성이 제한되었다. 어떤 한국 유저는 '한국인으로서 죄송합니다. 하지만 저도 당신들 때문에 오타쿠가 되어버렸다. 이건 복수다. 받아랏 페미빔' 등의 리뷰를 달기도 했다.(현재 삭제됨) 평점 리뷰가 5점과 1점으로 양분되고 있다.

이외에도 중국, 베트남, 태국, 영국(출판사는 사이먼 앤드 슈스터(Simon&Schuster)), 프랑스(출판사는 로베르 라퐁(Robert Laffont)의 임프린트 닐(NiL)), 스페인 등 총 16개국에 판권이 팔렸다.세계구급 국가 망신

6. 패러디[편집]

부경대 이상윤교수가 이 책을 남자 버전으로 미러링한 "82년생 김지영 그리고 90년생 김지훈" 책을 실제 출간하였다.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78144314https://www.aladin.co.kr/m/mproduct.aspx?start=short&ISBN=E002434214 리얼뉴스 출판사. 이상윤 저

이 책에 상대적인 비교가 되는 40대 남자 버전의 "82년생 김지영 그리고 74년생 유시민"책이 출판되었다.http://news.donga.com/3/all/20180423/89743399/1 “남녀 모두 고달픈 세상… 대립 말고 공감할때” 동아일보 장선희 기자 입력 2018-04-23 03:00 수정 2018-04-23 03:00 ‘82년생 김지영… 74년생 유시민’ 소설 펴낸 이상윤 부경대 교수 “군대-출산 등 남녀의 어려움, 서로 공감하도록 돕고 싶어”

이 책을 남자 버전으로 미러링한 '92년생 김지훈'이라는 게시물이 SNS상에서 화제가 되었다.기사[18]

카광이 이 책을 패러디해서 아마추어 만화 95년생 김지민은 캣맘을 그렸는데, 이게 한겨레에서 '여성비하 웹툰'이라고 보도되었다. #

이 책이 흥행하자 여성 차별만큼 남성 차별도 많다는 여론이 일어서, 이상윤 부경대학교 겸임교수가 '82년생 김지영 그리고 74년생 유시민'라는 책을 출판http://news.donga.com/3/all/20180422/89736572/1 이상윤 “여자가 힘든가, 남자가 더 힘든가의 문제가 아니라…” 동아일보 장선희 기자 입력 2018-04-22 14:56하고, 텀블벅에 아마추어 소설 '90년생 김지훈'[19]이 나오고, 페이스북에서 '79년생 정대현'이라는 게시글이 유행하는 현상이 있었다. 기사 서울대학교 대나무숲에 올라온 79년생 정대현 pgr21에 작성된 79년생 정대현 원문

82년생 김지영의 영화 리뷰란에 82년생 김철수라는 글이 올라왔다.

한 네티즌이 86년생 김현수로 패러디한 글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7. 기타[편집]

yes24에 의하면 노회찬은 '82년생 김지영'의 홍보대사로 불린다고 한다.#

노회찬은 청와대 오찬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이 책을 선물했으며, 82년생 김지영을 안아달라는 당부의 메시지도 전달하였다.

2018년 1월, 롯데푸드가 이 책을 돼지바로 패러디해서 온라인 마케팅을 시도했는데, 열혈 독자층의 항의를 받아서 하루 만에 해당 게시물을 삭제하고 공식 사과문을 올렸다. 페미니즘 독자들이 항의를 표한 이유는 이 페미니즘 책의 유명한 대사를 비꼬아 페미니즘 지지자들을 관종이라 비하했으며, 돼지바에서 연상되는 돼지는 페미니즘에 반발하는 사람들이 페미니스트를 뚱뚱한 여성으로 근거 없이 매도하는 인식을 반영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조선, 중앙, 동아, 한국, 국민 등 다수 언론에서 보도했다.
소녀시대 수영이 이 책을 읽고 감명을 받아 자신의 리얼리티 제목도 이것과 비슷하게 지었다고 한다. #
레드벨벳 아이린도 이 책을 읽었다고 밝혔는데, 이 소식이 알려지자 페미니즘에 반감을 갖고 있던 일부 팬들이 굿즈 훼손을 하는 등 논란이 일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네이버 포스트 '오디오클립 포스트'에서 [미리 만나는] '82년생 김지영' 오디오북 - 조남주 저 · 성수연 낭독이라는 제목의 포스트가 공개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여자로 살아가는 공포, 피로, 좌절의 연속을 담담한 목소리로 들려주는 베스트셀러 오디오북 <82년생 김지영> 과 함께 '읽기'보다 감각적인 '듣기'의 매력을 경험해 보라는 문구를 내세우고 있다.
국방부 진중문고에도 선정되었다.#
디시인사이드해외야구 갤러리에서 어떤 유동닉은 이 책을 한만두에 빗댔다.# 영원히 고통 받는 박찬호
100만부 판매 기념으로 11월 말, 작가 인터뷰와 평론 5편 등을 실은 '82년생 김지영 코멘터리 에디션'을 출간했다.
12월 18일, 일본의 걸그룹 AKB48 출신의 아키모토 사야카가 일본어로 번역 출판된 '82년생 김지영'을 '최근에 읽은 책'이라고 소개하며 트위터에 인증샷을 올렸다.#
수필이나 실화집 등으로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소설이다. 실제 경험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각색한 자전적 소설도 아니다. 최대한 여성들의 감정 이입을 위해서 세세한 부분까지 설정해 놓았는데, 주인공의 성인 김은 한국에서 제일 많이 쓰는 성씨, 이름인 지영은 1980년대 여아의 이름으로 많이 쓰인 것 등이 대표적인 예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작가는 책 속에 담긴 여성 차별에 대한 내용들이 지나치게 극단적이지 않고 현재 일상에서 벌어지는 내용을 주로 삼아 작위적인 느낌을 줄였다고 주장한다.
작가 조남주는 인터뷰에서 "카페에서 아메리카노 한 잔 사 들고 아이를 유모차에 태워 공원에 산책 나갔다가 점심 시간 회사원들로부터 맘충이라는 비아냥을 들은 적이 있다. 남성에 비하면 여성 팔자가 좋다는 얘기였다. 여성 차별을 심각하게 여기던 차에 그런 일들을 겪자 소설로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집필 이유를 밝혔다.[20][21]
집필 방식은 인물 설정을 먼저 만들고 등장인물이 자연스럽게 얘기를 만들어 내는 형식이 아니라, 여성취업, 출산 및 보육, 여성 대상 범죄, 페미니즘 등 네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자료를 모아 에피소드를 구상하는 형태로 진행했음을 밝혔다. 그래서 문학이라기보다 르포르타주에 더 가깝다는 평가도 있다.[22][23]

2019년 2월 일본에서 '82년생 김지영' 작가 초청 북토크를 여는데, 평일 저녁에 열리고 유료 1500엔 북토크임에도 이례적으로 티켓이 매진되었다고 한다. 로비 라이브 뷰잉(500엔)도 진행 한다고. 일본기사
8. 영화화[편집]
2019년 상반기에 본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의 상영이 예정되었다. 82년생 김지영(영화) 문서 참조.


[1] 전술했듯이 이 책은 자료를 찾아가며 각각의 일화를 하나씩 만드는 방식으로 저술되었기 때문에 큰 줄기가 없어 끊기는 느낌이 있다. 어떻게 보면 피카레스크식 전개다.[2] 이 소설을 비판한 액시스마이콜은 '조선시대에는 이런 집이 있을 수도 있겠다'고 그나마 변호는 해줬는데 이마저도 틀린 이야기다. 유교의 기본덕목인 삼강오륜에서 장유유서를 안다면 매우 이상한 이야기다. 조선 성리학의 바이블 격인 조선 왕실에서도 (후궁 출신이라) 신분적 차별이면 몰라도 왕의 어머니인 대비는 왕보다 상위 대우를 받고 왕이 문안인사를 드리러 가야했다. 양반가라도 크게 다를게 없었다. 더불어 밥을 푸고 있는 엄마는 할머니의 며느리이다. 즉, 시어머니 앞에서 자신의 아들을 먼저 챙겨줬다는 것인데 그 시절의 상식에 빗대어 생각해도 있을 수 없는 일이다.[3] '경북 지역 초등학교 477곳 가운데 42%인 200곳에서 남학생을 출석부의 앞 순서에 기록하고 있다'고 보도한 2013년 한겨레 기사나 '출석부에 남학생 앞번호 부여는 성차별'이라고 결정한 2005년 국가인권위원회의 결정을 볼 때, 출석부에는 실제로 이런 관행이 존재한다. 그러나 급식의 경우는 보통 일반화할 수는 없으나, 선착순/조별 또는 출석번호순으로 하는 경우라도 로테이션을 한다. 전격으로 초등학교 급식이 시작된건 1997년부터(도서 오지에서는 1993년부터 단계적 시행)였고 그 당시 국민학생은 도시락을 싸가야 했지만, 일부 국민학교에서 시범 급식을 하였고, 작중에서도 급식 시범학교라고 하고 있으니 이 작품의 경우 오류는 아니지만 상당히 희귀한 사례이다. 82년생들에게는 생소한 국민학교 급식에 대해 굳이 시범 급식 사례까지 언급하며 이야기를 썼다는 것에서 작가의 말과 추천사에 쓰인 보편적이라는 말과 상충된다.[4] 단, 이때는 남교사가 동성학생에게 더 엄격한 규제를 가했다. 특히 김지영이 학교에 다니던 90년대는 학생들이 더 심하게 체벌을 당하던 시절로, 90년대엔 보통 남학생에 대한 복장 및 두발 규제가 더 심각했다. 소설과는 정반대의 사례가 존재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것 조차도 추천사에 쓰인 보편적이라는 말과 상충된다.[5] 학생들이 바바리맨을 잡았다가 혼나는 일은 현실에서도 가능성이 있긴 하다. 물론 그런 경우 그게 나쁘다고 혼나는 것이 아니라 바바리맨이 학생들에게 위해를 가하는 등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혼나는 것이다.[6] 범죄, 특히 성폭력에 대하여 피해자의 태도를 문제시하는 전근대적인 시점이 드러난다.[7] 첫 손님으로 여자를 태우면 재수가 없다는 미신이 실제로 있었다. 거기에 여자가 안경까지 썼다면 더더욱 기피 대상. 90년대 후반까지도 흔했다. 다행히 IMF이후로는 줄어드는 추세로 2018년 현재에는 과거보단 없어졌다. 오히려 미신과는 반대로, 아예 여성 장년층 택시기사의 수가 늘었다.[8] 금복주 같은 기업의 사례처럼, 기업 문화가 보수적인 탓에 기혼 여성의 퇴직을 유도하는 악습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좋은 일자리가 드물어 별 수 없이 악덕 회사에 취직해야 하는 젊은이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 문제는 성별 프레임으로 볼 것이 아니라, 성별에 관련없는 직종임에도 특정 성별에 대한 기업 운영측에서의 선호를 문제로 봐야 한다.[9] 작가 조남주가 이 소설을 집필한 계기. 소설과는 달리 자신을 향한 맘충 소리가 아니라 맘충이란 단어를 입에 담는 사람을 보았을 뿐이라고 한다.("맘충이란 말은 저에게 한 걸 들어본 건 아니고, 직접 말로 내뱉는 사람을 봤어요.")출처[10] 작중 주인공은 일을 계속 하고 싶었으나 출산과 양육을 위해 남편 대신 희생하여 본인이 직장을 포기하고, 가정 주부가 된 상황이었다. 서구사회에서는 현대 페미니즘의 부작용으로 거론되는 가정 주부를 무능력자로 보는 케이스의 한국적 변형. 그래서 한편으로 주부로서, 엄마로서의 삶의 중요성과 이를 선택할 권리에 대한 목소리가 있다. 모성을 강조하던 초기 여성주의를 연상시키는 흐름이다. 맘충 문서 참조.[11] 조남주 '82년생 김지영' 100만부↑···정치를 해내는 소설, 뉴시스, 신효령 기자, 2018. 11. 27.[12] 단순히 성별만 기준으로 임금 격차를 분류했고, 근속연수나 남녀의 직업 선호도, 업무 시간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즉 성별이라는 하나의 기준으로만 만든 통계라서 문제가 되었다.[13] 조남주 “세상이 얼마나 여성을 지워왔는지 보여주고 싶었다”, 채널예스, 한재현 리포터, 2017. 9. 11.[14] 지방에서 보수적인 교육을 받은 경우, 40대 정도의 비교적 젊은 나이일지라도 가문에 대한 의무감에서 아들을 낳아드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 사람들마저도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에 그런 생각을 고수할지는 확실치 않다. 종가집의 종부들마저도 종가 문화에 변화가 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게 2010년대 분위기다.이런 사상이 아직까지도 조금이나마 남아있다는 것 자체가 문제이긴 하다[15] 뜻은 정반대이지만 엄친아와 비슷한 경우이다. 누구에게나 실제로 있는 일들이지만, 그것이 한 사람에게 전부 일어나는 것처럼 묘사하면 다소 황당무계한 설정이 되어버릴 수 있다. 다만 전달하고자하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상황을 극단적으로 묘사하는 것은 소설에서 흔한 표현 중 하나이다.[16] 그러나 애초에 40대 이상에서는 판매량이 급감하므로 베스트 셀러는 일반적으로 2, 30대에 몰리기 마련이다.[17] 다자이 오사무인간실격 초판이 여기에서 나왔다.[18] 현재는 기사가 삭제되었다.[19] 작가의 정체가 카광으로 밝혀져 화제가 되었다.[20] "'맘충'이란 비아냥 듣고 쓰기 시작한 소설", 중앙일보, 신준봉 기자, 2017. 8. 25.[21] 본인에게 맘충이라고 한 게 아니라 맘충이란 단어를 입에 담은 사람을 보았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맘충'이란 말은 저에게 한 걸 들어본 건 아니고, 직접 말로 내뱉는 사람을 봤어요."
조남주 “세상이 얼마나 여성을 지워왔는지 보여주고 싶었다”, 채널예스, 한재현 리포터, 2017. 9. 11.[22] [론칭기념 특강 '글쓰기의 힘' 스케치] 잘 지내나요, 지영씨들_ 조남주 작가, 한겨레 글터 론칭기념 특강 인터뷰, 유설희 지음.[23] ‘82년생 김지영’ 현상 왜?···“이기적 존재로 취급받는 여성들의 실제 삶 알아주길”, 경향신문, 심혜리 기자, 2017. 3. 8.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조남주 문서의 r73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분류:2016년 작품]

2019/02/17

God, A Human History by Reza Aslan | 9781473555143 | Booktopia

God, A Human History by Reza Aslan | 9781473555143 | Booktopia



EBOOK

$10.99

All the Light We Cannot See - Wikipedia



All the Light We Cannot See - Wikipedia



All the Light We Cannot Se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ll the Light We Cannot See
Author Anthony Doerr
Country United States
Language English
Genre Historical
Published 2014 (Scribner)
Media type Print (hardback)
Pages 544
ISBN 978-1-4767-4658-6
OCLC 852226410


All the Light We Cannot See is a novelwritten by American author Anthony Doerr, published by Scribner on May 6, 2014. It won the 2015 Pulitzer Prize for Fiction and the 2015 Andrew Carnegie Medal for Excellence in Fiction.

Set in occupied France during World War II, the novel centers on a blind French girl and a German boy whose paths eventually cross.


Contents
1Plot
2Characters
3Reception
4References
5External links

Plot[edit]

In 1934, 6-year-old Marie-Laure LeBlanc is the daughter of a widowed master locksmith at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Paris, and she often accompanies him to work. Marie suffered from rapidly deteriorating eyesight secondary to juvenile cataracts, and became fully blind at the age of 6.

Her father enriches her environment, crafting a wooden scale-model of their actual neighborhood and supervising her so that she is eventually able to navigate independently. He uses her birthday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her sense of touch, providing increasingly intricate puzzle boxes every year.

He also provides new novels in Braille to read. She becomes interested by the imagined worlds like those that she explores in her edition of Jules Verne's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The museum where Marie-Laure's father works as a locksmith is rumored to house the Sea of Flames, an exquisite blue diamond of immeasurable value with beautiful dancing "red flames" at its center. According to legend, however, the diamond is cursed: whoever keeps the "Sea of Flames" cannot die, but their loved ones will be stricken with unending misfortunes.

Meanwhile, in Germany, 8-year-old Werner Pfennig is an orphan in the coal-mining town of Zollverein. He and his sister Jutta find a broken short-wave radio behind the children's home where they live. Werner manages to repair the radio, and his natural skill for circuitry becomes apparent. He and Jutta tune in and listen to a variety of programs, including a regular broadcast from France hosted by an older gentleman who shares stories about the world of science, skillfully framed so that even younger listeners can understand.

When Germany invades France in 1940, Marie-Laure and her father flee from Paris to the coastal town of Saint-Malo[1] to take refuge with her great-uncle Etienne, a recluse suffering shell-shock from the Great War. Etienne spends all his days indoors but reveals to Marie-Laure that he and his deceased brother Henri used to broadcast lessons to children from a large radio inside the chimney, the lessons Werner and Jutta listened to.

Unbeknownst to Marie-Laure, her father has been entrusted with the Sea of Flames or one of three exact copies. The four jewels look very much alike, although three are worthless fakes. As a diversion, each of the four is given to a different protector, none of whom knows whether his blue stone is the real priceless gem or the look-alike fake. Each protector is charged with keeping his jewel out of the Germans' hands.

Marie-Laure's father conceals his stone in a small wooden replica of Etienne's house, a removable puzzle box which fits within the city model he makes of Saint-Malo. This model is placed at the foot of Marie-Laure's bed, where she spends hours learning the new town with her fingers before finally venturing out.

The father, who has been noticed drawing buildings and measuring distances in the town, is arrested by the Germans on suspicion of espionage and disappears into the Nazi prison camp system, leaving Marie-Laure alone with Etienne and Madame Manec (Etienne's longtime maid and housekeeper).

Soon, a Nazi gemologist, Sergeant Major Reinhold von Rumpel, is tasked with evaluating confiscated jewels and eventually sets out on the trail of the Sea of Flames. He has a malignant tumor and becomes ill during his search, which he continues while enduring treatment and the ravages of the relapse.

He finds his way to the Natural History Museum and learns that duplicate gems have been made. He traces each of the fakes, ultimately arriving in Saint-Malo, where the real gemstone is hidden. he learns about the legend of immortality that is bestowed by the jewel, and although he does not fully believe it, he clings to a hope that it might after all be true and that possession of the real jewel might save him from the growing tumors.

Meanwhile, Madame Manec participates in the Resistance along with other local women. These activities have some success, but Madame Manec becomes ill and unable to participate, and later succumbs to the illness. With Marie-Laure's father imprisoned, and Etienne unable to go outdoors, Marie-Laure begins to make trips to the bakery store to collect notes hidden within bread loaves, containing information that Etienne broadcasts from his radio.

Werner's passion for science and his gift for radio mechanics earn him a place at a nightmarish training school for the Nazi military elite where, he is told, "You will all surge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pace toward the same cause. ... You will eat country and breathe nation." Werner obeys, and his discipline and scientific aptitude carry him into the Wehrmacht, where he proves adept at finding the senders of illegal radio transmissions.

Werner works with Volkheimer, a large soldier from the same school as Werner. But Werner is increasingly sickened by what happens when he tracks a radio signal to its source and a young girl is killed. He is also haunted by his memories of the Frenchman's broadcasts, which remind him of a time when science seemed an instrument of wonder, not death.

Werner's and Marie-Laure's paths converge in 1944, when Allied forces have landed on the beaches of Normandy, and Werner's unit is dispatched to Saint-Malo to trace and destroy the sender of mysterious intelligence broadcasts. Etienne and Marie-Laure have been making these broadcasts for the French Resistance. Werner tracks the transmissions to Etienne's house but ultimately decides to allow the broadcasts to continue when he sees Marie-Laure. As the Allied forces lay siege to Saint-Malo, Werner is trapped beneath a pile of rubble. At the same time, Marie-Laure opens the model of Etienne's house and finds the diamond.

Werner escapes and heads for Etienne's house, where he finds von Rumpel in pursuit of the jewel. After a brief standoff, he kills von Rumpel and meets Marie-Laure, who had hidden in the attic. Although only together for a short time, they form a strong bond. As they flee from Saint-Malo, Marie-Laure places the Sea of Flames inside a gated grottoflooded with seawater from the tide, returning it to the ocean. Werner sends Marie-Laure away into safety but is captured and sent to an American disarmament center where he becomes gravely ill. Just as he begins to recover, he accidentally steps on a German landmine at night in a fit of delirium and is immediately killed.

Thirty years later, Jutta, Werner's sister, receives information from Werner's old associate and friend, Frank Volkheimer, that contains information on Werner's death as well as a house from the model that Marie-Laure's father had made. Jutta travels to France with her son Max, where she meets Marie-Laure in the museum at which her father had worked. Marie-Laure discovers that the miniature house was the one in which the Sea of Flames had been hidden, which she had put to sea with Werner. In it, she finds the key to the grotto. The story ends in 2014 with Marie-Laure, now 86 years old, walking with her grandson in the streets of Paris where she grew up.

Characters[edit]
Marie-Laure LeBlanc – A blind French girl; the main character
Werner Pfennig – A German orphan boy, very scientifically gifted; the second main character
Daniel LeBlanc – Marie-Laure's father and the head locksmith at the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Paris
Sergeant Major Reinhold von Rumpel – a sergeant major and gemologist in the German army
Etienne LeBlanc – Marie-Laure's great-uncle and a resident of Saint-Malo
Madame Manec – Etienne's longtime maid and housekeeper
Jutta Pfennig – Werner's sister
Frau Elena – caretaker of Werner and Jutta in the orphanage
Hauptmann – Werner's professor at Schulpforta
Frederick – Werner's friend; very strong-willed
Frank Volkheimer – Werner's friend; a sergeant in Nazi army
Reception[edit]

All the Light We Cannot See was received mostly positively by critics. William T. Vollmann, writing for The New York Times Book Review, praised the novel's writing style and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Marie-Laure, whom he calls "an exquisitely realized creation", but he criticized stereotyping of Nazism, particularly the perceived one-dimensionality of Frederick and von Rumpel.[2] Carmen Callil, by contrast, wrote that "[t]he chapters on Werner's schooling ... are the best in the book" in a review for The Guardian. Although applauding Doerr's attention to detail, she considers the novel too long and the dialogue too American.[3]

In a review in The Boston Globe, John Freeman praises Doerr's work, calling his language "fresh" and noting how "he allows simple details to say much".[4] Amanda Vaillcommends how the book is "[e]nthrallingly told, beautifully written and so emotionally plangent that some passages bring tears, [but] it is completely unsentimental" in a Washington Post review. She wrote, "Every piece of back story reveals information that charges the emerging narrative with significance, until at last the puzzle-box of the plot slides open to reveal the treasure hidden inside."[5]

The novel spent 130 consecutive weeks on The New York Times Best Seller list for hardcover fiction.[6] The New York Times also named it one of its 10 best books of the year.[7] The novel was shortlisted for the National Book Award.[8] Sales tripled the week after it lost to Redeployment by Phil Klay.[9]

The novel won the 2015 Pulitzer Prize for Fiction[10] and the 2015 Andrew Carnegie Medal for Excellence in Fiction.[11][12]

The novel was runner-up for the 2015 Dayton Literary Peace Prize for Fiction[13] and won the 2015 Ohioana Library Association Book Award for Fiction.[14]
---------------
References[edit]

  1. ^ Busch, Alison. "All the Light We Cannot See: Top Destinations From the Novel". Auto Europe Travel Blo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y 2015. Retrieved 20 May2015.
  2. ^ Vollmann, William T. (May 8, 2014). "Darkness Visible". The New York Times Book R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3, 2018. Retrieved June 18, 2018.
  3. ^ Callil, Carmen (May 17, 2014). "All the Light We Cannot See by Anthony Doerr review – a story of morality, science and Nazi occupation".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2, 2015. Retrieved June 18, 2018.
  4. ^ Freeman, John (May 3, 2014). "'All the Light We Cannot See' by Anthony Doerr". The Boston Glo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8, 2017. Retrieved June 18, 2018.
  5. ^ Vaill, Amanda (May 5, 2014). "'All the Light We Cannot See,' by Anthony Doerr". The Washington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1, 2016. Retrieved June 18,2018.
  6. ^ "Hardcover Fiction Books - Best Sellers - November 27, 2016 -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5, 2018. Retrieved 2018-05-24.
  7. ^ "The 10 Best Books of 2014". The New York Times. December 4, 2014. ISSN 0362-433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3, 2015. Retrieved September 26,2015.
  8. ^ Alex Shephard (October 15, 2014). "National Book Awards shortlists announced". Melville House Publish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0, 2014. Retrieved October 15, 2014.
  9. ^ Alter, Alexandra (December 26, 2014). "Anthony's Doerr's 'All the Light We Cannot See' Hits It Big".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 2015. Retrieved September 26, 2015.
  10. ^ Flood, Alison (April 21, 2015). "Pulitzer prize for fiction goes to All the Light We Cannot See". The Guardian. Guardian News &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2, 2015. Retrieved April 21, 2015.
  11. ^ "Anthony Doerr wins Carnegie Medal for fiction". Midcontinent Communications. Associated Press. June 28,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4, 2015. Retrieved June 28, 2015.
  12. ^ "'All the Light We Cannot See,' 'Just Mercy: A Story of Justice and Redemption' win 2015 Andrew Carnegie Medals for Excellence in Fiction and Nonfiction | News and Press Center". www.ala.org. July 1,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6, 2015. Retrieved September 26, 2015.
  13. ^ D. Verne Morland. "Dayton Literary Peace Prize – Anthony Doerr, 2015 Fiction Runner-Up". daytonliterarypeaceprize.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12-08.
  14.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9-05. Retrieved 2015-12-02.

External links

2019/02/15

“우리농촌살리기운동, 교회만이 할 수 있는 일”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우리농촌살리기운동, 교회만이 할 수 있는 일”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우리농촌살리기운동, 교회만이 할 수 있는 일”강우일 주교, 농민주일 담화

김수나 기자 ( ssuk316@catholicnews.co.kr )
승인 2018.07.13 14:23 | 최종수정 2018.07.16 18:00
댓글 0

글씨키우기
글씨줄이기
인쇄하기
신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스토리





제23회 농민주일을 맞아 강우일 주교(주교회의 생태환경위원장)가 "생태적 신앙고백"을 촉구했다.

강 주교는 담화문에서 특히 ‘우리농촌살리기운동’이 우리 교회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하느님 창조 질서를 보전하고 생명의 먹을거리를 제대로 나누는 것이 생태적인 신앙 고백이며, 믿음과 생활을 일치시키는 진정한 신앙인의 자세”라고 말했다.

강 주교는 하느님나라를 향한 회개는 인간의 정신적 차원에서만 이뤄지는 뉘우침이 아니며, 생태계 전체의 질서와 공식을 훼손한 우리의 오만과 남용, 방관을 근원적으로 성찰하고 회심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봤다. 또한 “그 가운데서도 생명을 돌보고 가꾸는 농업과 농촌 그리고 밥상을 살리는 것은 우리가 무엇보다도 먼저 해야 하는 생태적 성찰의 시작이다. 농촌은 생명공동체의 시작이자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바탕이며, 농촌을 잃어버린다는 것은 생명공동체를 잃어버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어려움 속에서도 농업을 지켜 가는 농민들이 우리 관심에서는 점점 멀어져 가고 있다고 지적하고, 농업, 농촌, 농민의 문제는 곧 우리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는 공동체 운동을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23회 농민주일 포스터. (자료 제공 = 우리농촌살리기운동본부)


강 주교는 무엇보다 “생명 공동체를 살리려고 애쓰는 농민들은 오늘의 사회에서 힘없는 소수자로 밀려나고” 있다면서 “농업, 농촌 그리고 농민의 문제를 내 문제로 인식하고 기도”할 것을 강조했다. 구체적인 실천과제로 현실적인 이익을 넘어서 생명 농산물을 함께 나누는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는 생활 공동체 운동”을 제안했다.

23회를 맞는 농민주일은 1994년 주교회의가 ‘우리농촌살리기운동본부’를 시작하면서 다음 해인 1995년부터 7월 셋째 주일에 지내고 있다.

올해 농민주일인 7월 15일에는 광주, 서울, 부산, 수원, 안동, 인천, 마산, 의정부, 광주 등 8개 교구에서 기념 행사와 도농공동체 결연식, 특별 강연, 직거래 장터 등이 진행된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도시 떠난 목사님 닭치다



도시 떠난 목사님 닭치다




도시 떠난 목사님 닭치다
[인터뷰] 곡성 선한이웃공동체 이형균 목사…농촌서 '자연 양계'하며 마을 공동체 꿈꿔

김문선 (moonsun1010@hotmail.com)
승인 2016.09.03 17:36


목사란 누구인가? 다른 이들보다 한두 걸음 더 예수를 따르기 위해 발버둥 치는 이들이라 생각한다. 예수를 따르고 있는가? 떠나지 않는 질문이다. 목사가 된 후, 이 질문은 더 생생하게 내 마음을 울리고 있다.


예수는 분명히 말했다.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멸망으로 인도하는 문은 크고 그 길이 넓어 그리로 들어가는 자가 많고 생명으로 인도하는 문은 좁고 길이 협착하여 찾는 이가 적음이니라."(마 7:13-14)

목사가 된 이후 목사의 정체성과 삶에 대해 고뇌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내면에서 솟구치는 욕망과의 씨름 때문이리라. 높은 곳에 서고 싶다. 사람들의 칭송이 그립다. 풍요로운 재물을 소유하고 싶다. 예수께서 40일 동안 광야에서 시험을 받으신 돈·명예·권력에 대한 유혹이 내 안에도 서슬 퍼렇게 살아 있다.

한국교회는 낮은 곳을 향해 가려하는가? 한국교회 목사들은 예수처럼 좁은 길, 협착한 길을 가고 있는가? 아니면 넓고 사람들이 많이 찾는 길을 가고 있는가? 한국교회에 대한 지탄의 목소리는 커져만 간다. 그 중심에 욕망에 도취된 목회자들과 세상보다 더 세상적인 삶의 방식을 지향하는 교회 문화가 자리하고 있다.

농촌 교회를 방문하기 시작한 지 일 년이 넘었다. 농촌 교회 목회야말로 좁은 길임을 깨닫는다. 이유는 자명하다. 농촌 목회에 대한 소명감을 갖고 찾아오는 목회자가 적은 곳이기 때문이다. 안수받기 위한 과정으로 잠시 머물다가는 젊은 목회자들은 있다. 그러나 농촌에 뿌리를 내리고 생명 돌봄의 목회를 지향하려는 젊은 목사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농촌 교회 탐방 일 년 만에 40대 초반 최연소 목사를 만나게 되었다. 전남 곡성 선한이웃공동체 이형균 목사다. 그는 39세가 되던 해 도시 교회 부목사 생활을 정리하고 농촌으로 내려와 5년째 생활하고 있다. 이형균 목사 이야기가 궁금했다. 그가 생각하는 교회와 목회, 생명 농업이란 무엇일까? 설렘과 기대를 안고 전남 곡성을 향했다.



▲ 이형균 목사. (사진 제공 김문선)




하나님은 약한 곳에 계신다

이형균 목사는 농촌 목회를 결심하기 이전, 한국교회 현주소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그 중심에 물질로 인한 목회자들의 타락이 있었다. 하나님보다 재물을 더 사랑하는 목회자와 교회에 예수는 없었다. 이 목사는 말한다.


"교회가 저를 낳고 품고 키웠습니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고 있습니다. 시대를 선도하고 사회의 등불이 되어야 할 교회가 제대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목사는 한국교회 현실 속에서 어디로 가는 것이 예수의 길인지 물었다. 그리고 그는 농촌을 자신이 가야 할 예수의 길로 선택했다. 이유를 물었다.


"저의 성향과 기질적인 부분이 농촌 목회와 맞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던 개인적인 신앙의 체험과 신학이 있었습니다. '약함'입니다. 하나님의 능력은 약한 곳에서 많이 나타났습니다. 또한 약한 곳에 하나님이 계시고 그곳에 하나님의 일이 많음을 깨달았습니다. 이 시대에 그리고 나에게 약한 곳은 어디일까 질문했습니다. 그곳이 바로, '농촌'이었습니다."

이 목사는 농촌 목회를 결심한 후, 보나쿰공동체에 들어가 1년을 살았다. 그곳에서 농촌 사회와 농업을 품는 목회를 꿈꾸게 되었다. 교회의 본질을 물으며 교회가 회복해야 할 신학적 가치를 고민했다. 이듬해 농촌 목회를 위한 지역을 선택하고 아무런 연고도 없는 곳으로 가족들과 함께 내려갔다. 여정은 특이했다.









▲ 이형균 목사는 한국교회 현주소를 고민하다가 농촌 목회를 선택했다. 도시 부목사 생활을 정리하고, 곡성으로 내려왔다. (사진 제공 김문선)




목회지의 기준을 교회가 아닌 지역(local)으로 삼았기 때문. 임지가 있는 곳으로 가지 않았다. 교회 역할이 필요한 곳을 찾아갔다. 이 목사는 말한다.


"요즘 목회지가 없다고 힘들어하는 젊은 목회자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분명히 말하고 싶습니다. 교회의 개념을 건물에 가두어 놓았기 때문입니다. 제 자신이 이미 교회입니다. 예수를 따르는 한 영혼, 영혼이 교회입니다. 건물과 제도에 갇혀 있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교회가 필요한 곳, 예수의 정신이 필요한 곳을 찾는다면 지금도 가야할 곳은 분명히 많습니다."

교회는 건물이 아닌 '삶' '관계' '모임'

농촌 목회를 향한 이 목사의 첫 도전은 순탄치만은 않았다. 이 목사는 농촌 목회를 준비하며 자연 양계를 배웠다. 첫 번째 목회지로 선택한 마을은 이 목사의 양계를 반기지 않았다. 이런저런 이유로 예상했던 민원이 들어왔고, 다른 마을로 옮겨야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그는 지난날을 회상하며 말한다.


"농촌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생각만 바르게 하면 된다고 믿었습니다. 실패를 통해 농촌 사회에 대한 이해를 얻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의 이곳으로 오게 되었습니다."

선한이웃공동체는 건물 없는 교회를 지향한다. 교회 건물을 따로 지을 생각이 없다. 같이 사는 것 그 자체를 교회로 여긴다. 그에게 교회는 건물이 아닌 삶이고 관계이며 모임이다.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함께 모여 예배하는 그 자리가 바로 교회다. 현재는 이 목사 가정에서 모여 성도들과 함께 공동체 모임을 갖고 있다. 그는 말한다.


"예수 믿는 한 사람, 한 사람이 교회입니다. 제가 속한 이 마을 공동체가 저에겐 교회입니다. 지역 주민들과 함께 마을 회관에서 예배드리는 날을 꿈꾸고 기다립니다."

이 목사에게 목회란 돌봄이다. 그가 생각하는 목회의 대상, 돌봄의 대상은 살아 있는 모든 생명이다. 사람이 있는 곳이 자신의 목회 현장이라면 그들의 생명을 북돋우면 된다. 사람이 없는 곳이라면 내가 만나는 자연 만물의 생명을 돌보면 된다.









▲ 이형균 목사는 자연 양계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 김문선)




"목회는 모든 생명을 돌보는 것"

이 목사에게 농촌 목회는 교회에 국한하지 않는다. 농촌과 농업이란 현실 속에서 예수의 생명을 꽃피우는 영역까지 확장된다. 이런 맥락에서 그는 목회와 함께 자연 양계를 하고 있다. 양계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현재 농촌 사회 현실에서 1차 농산물은 자급자족을 위한 식량 역할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존하기 힘든 수준입니다. 자금순환이 빠르고, 생산품으로 지역 주민과 소통할 수 있는 것이 양계였습니다. 좋은 농업을 위해선 좋은 거름이 필요합니다. 이런저런 측면을 고려해 양계를 선택했습니다."

보이지 않는 시행착오와 갈등, 상처와 어려움이 왜 없었겠는가? 이 목사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는 행복한 목회자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말과 행동에는 겸손한 소신과 보람, 기쁨이 배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느린 보폭의 목회를 지향한다. 살아 있는 생명들과 친밀한 소통의 목회를 펼치고 있었다. 그동안 걸어온 5년의 시간은 앞으로 그가 걸어갈 5년의 시간이기도 하다. 소리 없이 하늘의 소리를 전할 이 목사의 목회 여정을 기대하며 응원한다.

* 생명의 먹을거리 구입하고 농촌 교회도 돕는 생명의 망 잇기
농수산물 나눔터: www.lifenet.kr
블로그: blog.naver.com/good_namu
페이스북 페이지: www.facebook.com/lifenet01

희망을 안겨주는 생명농업 - 기독교타임즈



희망을 안겨주는 생명농업 - 기독교타임즈




희망을 안겨주는 생명농업

관리자
작성 2002.12.13 00:00
댓글 0

글씨키우기
글씨줄이기
메일보내기
인쇄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스토리



내셔널지오그래픽 11월호에 의하면 매주 백만명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은 아프리카와 인도 등 개발도상국의 사람들이며, 이들은 가축과 함께 걸어서 도시를 향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단지 먹을 것 때문이다.
아시아 농촌지도자 양성전문학교(Asian Rural Institute) 창설자 다가미목사(76세)는 “이러한 추세로 나간다면 2030년 경에는 세계적으로 도시인구는 60%, 농촌인구는 40%가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농촌을 지키는 사람들은 점점 없어지고 도시의 인구는 과밀화 현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역설적인 것은 동경에 자리잡고 있었던 A.R.I가 30년전 오지와 같았던 현재의 위치(관동지방 니시나스노)로 이전했다는 사실이다. 당시는 길도 없는 농촌이었다. 마을 사람들이 작은 묘목을 하나씩 심어주면서 격려했었고, 이제 그 묘목들은 울창한 숲을 이뤘다. 또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힘이 있는 땅으로 회복되었다.
온갖 농약으로 땅의 힘을 잃어버린 한국 농촌과 희망을 잃어가는 농촌교회의 교인들을 위해 오늘 교회가 할 일은 무엇일까.

■ 아시아 농촌지도자 양성전문학교를 가다
지난달 11일-16일까지 충북연회는 일본농촌연수를 실시했다. 이번 연수단은 엄태성목사(송학교회)가 인솔하는 20명의 목회자들로 구성됐으며, 아시아 농촌 지도자 전문학교를 비롯, 기독교 무소유공동체인 오와교회, 장애인 복지단체 등을 방문했다.
A.R.I는 일본기독교단 소속의 농촌지도자 양성전문학교로 ‘더불어 함께 살기 위하여’란 모토를 내걸고 있는 전문학교이다.
A.R.I.는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시고 인간을 창조하셨으며, 먹을거리 또한 하나님이 창조하셨다는 기본 전제 하에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는 농업을 연구하고 있다.
일본의 기독교인은 현재 1%도 안되는 극소수이지만 기독교인들이 사회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A.R.I.에서 배출하고 있는 아시아 농촌 지도자들은 각국으로 돌아가 농촌지도자로 일하고 있다.
A.R.I는 과거 일본인 학생을 받지 않았으나 현재는 소수의 일본 학생들도 이곳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A.R.I의 학생은 9개월 간 니시나스노에서 교육을 받고 이후 3개월 간 필리핀 분교에 가서 연수를 받게 된다. 이곳에는 기독교인을 포함해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있으며, 목사와 신부 수녀 등 많은 교역자들이 이곳을 졸업했다.
48개국에서 장단기 과정에 1천명 가량이 졸업했으며, 한국 졸업생만 해도 장단기 포함 1백여명은 된다고 한다. 졸업생 중 70%가 세계적인 농촌지도자로 활약하고 있으며, 이중 30%가량이 각 교단의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성분별로는 70%가량이 목사(신부, 수녀 포함)라고 한다.
A.R.I의 교수들은 대부분 미국에서 학위를 받은 농업에 대한 전문가들이며, 세계적인 학자들이다. A.R.I는 순환농업을 지향하고 있다. A.R.I에서는 벼의 유기농법, 축산, 농산가공, 지도력 양성 등을 교육하고 있다.
다가미박사는 “생명농업은 인간의 미래를 보다 나은 것으로 만들어 줄 것”이라며 “땅과 관계없이 마케팅에만 열중하는 농업은 반드시 병폐를 가져오며, 자연친화적인 농사와 신앙생활을 통해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어 가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 무소유기독공동체와 야마기즘


A.R.I 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연수단
연수단은 무소유기독공동체와 신앙을 배제한 야마기즘공동체를 방문해 신앙의 힘이 얼마나 큰 것이지를 확인하는 기회를 가졌다.
31년 동안 소유의 삶을 버리고 함께 나누는 삶을 지향해 온 무소유기독공동체 오와교회는 함께 일하고 함께 생산한 것을 공동분배한다. 자신의 인생을 하나님께 바친다는 서약을 통해 공동체를 구성한 이들은 농업 또한 유기농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미 창립 당시부터 A.R.I와는 깊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신앙생활을 무척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반면 한때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던 야마기즘 공동체는 생활의 모든 것 즉, 출산, 육아, 기능습득, 노후, 사망 등 인간의 삶 전반에 걸친 일체의 것을 보증한다고 주장했었다.
이러한 야마기즘은 전인행복을 강조하면서 세상사람들 모두가 행복해 지기 전에는 진정한 행복은 없다고 말하는 인본주의에 근거한 공동체로 일반인들이 꿈꾸는 이상사회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상사회를 주장했던 야마기즘은 현재 와해상태에 놓였다. 과거 전국적으로는 수십개의 공동체 센타가 있었고, 연수단이 방문한 오다하라 야마기즘 실현지에는 5백가구가 거주했었으나. 지금은 4가구만 남은 상태다. 현재 이들은 이상적인 사회를 주장했던 야마기즘의 문제에 대해 심각한 논의를 가지는 한편 거듭나기 위한 몸부림을 하고 있다.
인본주의와 기독교신앙에 근거한 두 공동체를 비교 검토한 연수단은 같은 유기농이라도 하나님이 주신 생명을 경외하는 신앙으로 모인 공동체가 진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 우리농촌의 미래상
도시화, 대형화의 바람은 교회에도 불고 있다.
그러나 농촌에는 사람들이 남아있고, 어김없이 그곳에는 농촌교회가 있다. 이 시대에 소외된 사람들 중 하나인 농촌교인들을 잘살 수 있게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번 연수에 참가한 교역자들의 한결같은 고민이다.
다가미박사는 “과거 일본의 기독교인구는 30%에 육박했었다”며 “기독교를 바탕으로한 사상가와 신학자, 과학자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후세대에 대한 기독교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독교인구가 낮아졌으며, 자기고백적인 신앙생활에 치중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기독교 교세가 약한 일본에 기독교정신을 바탕으로한 A.R.I가 있고, 아시아 각국에서 온 사람들이 이곳에서 생명농업을 배우며, 연구한 뒤 자국으로 돌아가 농촌을 살리고 있다.
기독교 교세가 일본과는 비교가 안되는 한국에는 농촌교회와 농촌교인들을 살리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현재 10개 연회 중에서 농촌선교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는 연회와 지방회는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농촌선교훈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귀농학교의 경우 정주목회를 희망하는 목회자들이 유기농사법을 배우고, 농촌의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을 연구하고 있다. 이와함께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평신도 농촌 지도자 양성과 교회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 구성, 유기농 특수작물 재배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전문연구단체를 만드는 일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대해 다가미목사는 “한국적인 농업지도자 양성과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제기를 하면서 A.R.I의 시스템을 한국에 도입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다가미목사는 “A.R.I의 각국 지부를 만들고 싶다는 의견들이 많다”며 “작은 규모에서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 우리농촌의 미래상
연수단은 일본 농촌연수를 통해 유기농사와 순환농법이야 말로 땅을 살리고 인간을 살리는 농업이라는데 뜻을 모았다. 특히 신앙을 바탕으로한 생명농업과 무소유공동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향후 농촌교회의 대안을 이끌어 내는데 긍정적인 모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수단은 이후 계속된 모임을 가질 수 있도록 연수참가인으로 구성된 모임을 결성했으며, 지속적인 농촌 연구와 농촌지도자 양성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이번 연수에 참가한 타연회 회원들은 “이러한 연수교육이 각 연회에서 실행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충북연회가 실시한 이번 연수는 여느 연수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특성이 있었다. 그것은 바로 A.R.I. 출신이자 한국지부 대표를 맡고 있는 엄태성목사가 가진 40여년 간의 농촌선교 노하우를 통해 축적된 경험이 녹아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했됐다는 것이다. 연수단은 한평생 생명농업에 몸바쳐온 사람들과 유기농산물을 이용한 제품 개발로 많은 이익을 얻고 있는 생산업체 등을 방문하면서 우리농촌의 미래에도 희망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농촌교인들을 위해 발벗고 나서는 농촌교회 교역자들의 열정이 있기에 더욱 밝아질 미래를 개대해 본다.

안혜총 기자bada@gamly.com





귀농학교에 가다

현재 일본의 귀농자는 수만명에 달하고 있다. 의아한 사실이지만 도시화, 현대화가 불러 온 유턴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연수단이 찾아간 귀농학교는 28년 전에 세워졌으며 그동안 이곳을 졸업한 학생은 1백여명에 이른다. 졸업생이 농장을 개설할 경우에는 일정액의 귀농기금을 지원하거나 빌려준다. 졸업생은 100%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귀농학교 자체는 정부의 지원 없이 10헥타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로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은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이 이곳에서 농사를 배우고 있으며, 학생이 개발한 작물을 가지고 나가 구매회원을 확보한 다음 자립하는 순서를 밟고 있다. 귀농학교의 농산물은 이미 확보된 2백여명의 구매자에게 판매된다.
귀농학교 사이또 교장은 “유기농을 해보니 삶 자체가 풍성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면서 “동남아시아의 농민에게 유기농을 확산시키는 일도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사이또 교장 “유기농산물은 방부제와 농약을 쓰지 않아도 오랫동안 신선하다”며 “성분 면에서도 유기농산물이 가지고 있는 영양분은 월등하다”고 말했다.
일본은 여러 가지 통계를 통해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유기농산물을 먹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귀농의 유턴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철저한 귀농교육과 작물 개발 그리고 귀농자금 지원 등은 지속적인 귀농인구를 확산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안혜총 기자 bada@gamly.com






(오·와·교·회)



기독교무소유공동체 탐방

기독교무소유공동체를 지향하고 있는 오와교회 공동체는 31년전 무소유에 뜻을 같이 한 15명의 멤버가 결성, 원시교회 공동체의 모형을 갖추고 있다.
31년이 지난 지금도 초기의 멤버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오와교회는 유기농으로 자급률 100%를 기록하고 있다. 총면적 7천5백여평의 농장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이 1년간 먹을 수 있는 농산물을 생산하며, 저장된 양식만해도 3년치가 넘는다. 주 수입원은 자연란으로 1천8백수의 닭을 키우고 있다. 오와교회에서 생산하는 자연란은 전량 구매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지역의 주민들과도 긴밀한 교류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아침 6시에 기상해 기도회를 가진후 15명이 한자리에 모여 하루의 일정을 의논한다. 하루의 일과가 끝나면 집으로 돌아가 개인생활을 한다. 예전에는 매일저녁 예배를 드렸으나 현재는 월, 화, 수요일 저녁예배와 주일예배를 드린다. 현재의 문제점은 고령화로 인한 질병문제인데 이런 경우 보험혜택을 받는다고 한다.
기꾸다 후미오목사(사진 좌, 오른쪽은 엄태성목사)는 “장부상으로는 늘 적자이지만 실제로는 적자가 아니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30년 동안 오와교회 공동체가 생활하기에 모자라거나 남는 것이 없었다고 설명한다.
오와교회공동체는 ‘이곳에 들어온 후 전 생애를 하나님께 바친다’고 서약 한 사람들이다.
새로운 공동체의 모델을 보여주는 오와교회가 과연 31년 동안 초기의 멤버를 유지하면서 무소유 공동체를 이끌어 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신앙으로 모인 사람들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안혜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