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23

Gandhi's Hope: Learning From World Religions As A Path To Peace (Faith Meets Faith Series): Jay B. McDaniel: 9781570755903: Amazon.com: Books



Gandhi's Hope: Learning From World Religions As A Path To Peace (Faith Meets Faith Series): Jay B. McDaniel: 9781570755903: Amazon.com: Books







See all 2 images


Follow the Author

Jay B. McDaniel
+ Follow


Gandhi's Hope: Learning From World Religions As A Path To Peace (Faith Meets Faith Series) Paperback – April 30, 2005
by Jay B. McDaniel (Author)
4.0 out of 5 stars 3 ratings


Paperback: 134 pages
Publisher: Orbis Books (April 30, 2005)
Language: English
3 customer reviews
Top Reviews

Patricia Adams Farmer

5.0 out of 5 starsSignificant and TimelyMay 23, 2005
Format: Paperback
"This small book is written for the spiritually interested general reader who would like to learn about and from the world religions; who is troubled by the arrogance and violence that can sometimes be inflicted on the world in the name of religion; who believes that despite their shortcomings all religions embody wisdom that is essential to the well-being of life; and who is especially interested in prospects for peace between religions"(1).

Thus begins the introduction of GANDHI'S HOPE, a significant and timely new offering on process thought and religious pluralism. McDaniel's religious philosophy cuts deeply and decisively into the fundamentalist and violent fabric of our present culture. In this respect GANDHI'S HOPE is refreshingly countercultural. It is an original work, comprehensive in scope, and abundant in fresh approach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view of God and the world.

GANDHI'S HOPE offers a professor's clear guidance in using Whitehead's cosmology as a framework for valuing complimentary-and even contradictory-differences in religious experience and belief, moving the reader toward a liberating expansion of mind and heart. McDaniel's interplay of philosophy, religion, poetry, science, and history is indeed a rare and rich treat. GANDHI'S HOPE represents perhaps the finest expression of McDaniel's signature style: integrating numerous strands of human experience into a wholly satisfying and creative synthesis (a decidedly Whiteheadian approach!).

The "Five Challenges" for all religions are elegantly stated: to live compassionately, to live self-critically, to live simply, to live ecologically, and to welcome religious diversity. McDaniel says candidly, "To the degree that religiously affiliated people respond to these challenges, there will be hope for the world, and religion will be part of the solution. And to the degree that they do not, there will be tragedy in the world, and religion will be part of the problem" (23). It is the last challenge of religious diversity that constitutes the meat of this book.

A concept of particular interest to this reader is McDaniel's focus on "Deep Listening," out of which emerges "an acoustic vision of reality." McDaniel writes, "Consider listening to music in a live concert. If we close our eyes while listening, we realize that the sound of the music is inside us and outside us at the same time, such that we would have a difficult time saying exactly where it is. It is present in us, and yet it is also beyond us. It is this sensation-this feeling of something being both part of us and more than us-that is at the heart of an acoustic vision of reality" (35).

McDaniel likens a Whiteheadian universe, then, to "an unfinished symphony or perhaps a jazz concert." Having established a process world view, the whole concept of peace becomes quite a different matter than is usually supposed (e.g., absence of conflict), paving a path to "peace as beauty-in-the-making" (78).

GANDHI'S HOPE gives us not only hope, but a way through the present morass of violence, intolerance, fear, and ignorance. We rediscover on this journey the cosmic value of "delight in diversity," with Gandhi and Whitehead as our companions and a culture of peace as our destination.

Reviewed by Patricia Adams Farmer, author of EMBRACING A BEAUTIFUL GOD

Note: This review was originally written for CREATIVE TRANSFORMATION, a publication of Process & Faith (...)

15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Allis

3.0 out of 5 starsA tangle of ideas....August 15, 2009
Format: Paperback
In Gandhi's Hope: Learning from Other Religions as a Path to Peace, Jay McDaniel seeks to bring attention to the necessity of religiously-minded people coming together to face five challenges he outlines in his book. The five challenges are: to live compassionately, to live self-critically, to live simply, to live ecologically, and to welcome religious diversity. McDaniel states plainly that to "the degree that religiously affiliated people respond to these challenges, there will be hope for the world, and religion will be part of the solution. And to the degree that they do not, there will be tragedy in the world, and religion will be part of the problem" (23).

Gandhi's Hope is a deceptively titled book. It implies that Jay McDaniel was writing book that outlined ways for different religions to open and sustain dialogue with one another, to learn from one another, and to promote peace from that growth. Inter-woven with the five challenges that religions face is a winding introduction to process theology. McDaniel is clearly well-versed in his subject matter and attempts to weave together many different strands to compose a rich and fulfilling book. Unfortunately the many strands seem to tangle here and there, making what could have been a refreshing book a chore to read. McDaniel also has a preoccupation with "the religion of consumerism" which deserves all of the scathing critique one can give it, but took away from what I had thought the book was to be about. The amalgam of subjects was repeated in various ways with various words that were probably supposed to render the subject more understandable and the book more readable, but in my case did not succeed.

McDaniel, who teaches religion at Hendrix College in Arkansas, is experienced in the field of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Christian and Buddhist, as well as Christian and Muslim. This shows clearly in the book, where mentions of other faiths - Jain, Baha'i, Jew, Hindu, etc - are brief and despite McDaniel's inclusive language, give the feeling of having been afterthoughts in the writing process. The entire book gave the impression of being a manuscript still in need of an editor. Had it been split into more than three chapters - perhaps a chapter called "a short introduction to process theology" and then a chapter on "how process theology applies to interreligious dialogue" - it would have been much more concise and thus easier to read. Due to the aforementioned issues, I would hesitate to recommend the book to someone else, despite the fact that I agree with McDaniel on many point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V. Lewis

5.0 out of 5 starsall faiths matterSeptember 30, 2005
Format: Paperback
I found this book to be very thought-provoking and stimulating. It is well wriiten and reasoned.It is well worth the reading.

2 people found this helpful

Jay McDaniel - Wikipedia



Jay McDaniel - Wikipedia
Jay McDaniel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Jay B. McDaniel
Alma mater Vanderbilt University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Occupation Professor of Religion
Website openhorizons.org


Jay B. McDaniel is an American philosopher and theologian. He specializes in Buddhism, Whiteheadian process philosophy and process theology, constructive theology, ecotheology, interfaith dialogue, and spirituality in an age of consumerism. His current interest is "to see how these myriad concerns might unfold in China".[1]

In addition to publishing numerous books and articles, McDaniel is an active voices for process philosophy and theology on social media. He runs a blog called [www.openhorizons.org "Open Horizons"], formerly "Jesus, Jazz, and Buddhism", whose aim is "to offer ideas that might help people create multi-cultural, interfaith communities that are creative, compassionate, participatory, ecologically wise, and spiritually enjoyable".[2]

He also created a series of YouTube videos on process thought.[3] He's also a consultant for the China Project of the Center for Process Studies in Claremont, California, and a member of the advisory board of the Institute for Postmodern Development of China.

He earned a B.A. in English literature and Philosophy from Vanderbilt University and a Ph.D. in Philosophy of Religion and Theology from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1]

Books[edit]

Of God and Pelicans: A Theology of Reverence for Life. Louisville: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89.
With Roots and Wings: Christianity in an Age of Ecology and Dialogue. Maryknoll: Orbis Books, 1995.
Living from the Center. St. Louis: Chalice Press, 2000.
Gandhi’s Hope: Learning from Other Religions as a Path to Peace. Maryknoll: Orbis Books, 2005.
Earth, Sky, Gods and Mortals: Developing an Ecological Spirituality.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9.

References[edit]

^ Jump up to:a b "Dr. Jay McDaniel". Religious Studies Department. Hendrix College. Retrieved 9 February 2018.
^ Jay B. McDaniel. "What in the World is this Website About?". Open Horizons. Retrieved 9 February 2018.
^ What is Process Thought? playlist on YouTube

3.1운동 정신의 통합학문적 이해와 기독교 신앙의 미래 2



에큐메니안 모바일 사이트, 3.1운동 정신과 한반도의 제 종교



3.1운동 정신과 한반도의 제 종교

기사승인 2019.01.19 19:14:21

- 작게+ 크게
공유


- 3.1운동 정신의 통합학문적 이해와 기독교 신앙의 미래 2


1. 서학(西學, 기독교)과 만나는 유교

▲ 성호 이익(星湖 李瀷) 선생 초상화 ⓒGetty Image


18세기 조선의 실학자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은 당시 중국 주자학적 성리학에 실체론적으로 빠져서 고사하고 있던 조선 유교사회의 정신적 정황에 대해서 “학자들은 입만 열면 성선(性善)을 말하고 말만 하면 반드시 정자(程子), 주자(朱子)를 일컬으나, 재주가 높은 자는 훈고에 빠지고 지혜가 낮은 자는 명예와 이욕에 떨어지고 있었다”고 비판하였다.(미주 1) 이 비판에서 잘 지적하고 있듯이 그때까지 조선사회를 이끌어왔던 정신적 지주였던 유교는 당시 이웃의 강대국 중국과 그 정신세계에 깊이 종속되어서 뼛속까지 사대주의적 모화사상에 물들어 있었다. 아니면 그들이 가장 많이 말하는 것이 돈과 이름(名利)을 떠난 성학(聖學)이었지만 양반계급의 서민착취와 가렴주구는 한계를 몰랐다. 그래서 조선사회는 부패한 보수주의와 우물 안 개구리식의 허욕에 빠져서 세상이 어떻게 바뀌어 가는지를 잘 알아채지 못했고, 그래서 급기야는 나라 전체가 큰 존재의 위기에 빠지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 가운데서도 일련의 유자 그룹들은 세상과 이웃나라들의 변화를 감지하면서 자신들의 오래된 가치체계인 유교적 세계관을 그들이 새롭게 만난 낯선 타자와 연결시켜 보면서 개혁의 길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시기에 이들에게 다가온 낯선 타자는 주로 이웃 청나라를 통해서 온 서학(西學)이었는데 이 만남에서 유자들은 자기인식을 새롭게 하고 자신들 학의 본원을 다시 정립하려는 노력으로 맞섰고, 이 일의 맨 선두에 선 사람이 성호 이익(星湖 李瀷, 1681-1763)이었다. 성호는 그 서학에 대해서 온갖 어려움을 무릅쓰고 먼 곳까지 와서 전하려 하는 서양 전교자들을 자신들 유학자와 동일한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라고 인정한다. 즉 ‘사사로움’(私)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로서 나름의 방식으로 ‘세상을 구제하려 한다’는 것이다.(2)

하지만 그 제자들 중에 신후담(愼後聃, 1702-1761)이나 안정복(安鼎福, 1712-1791) 같은 사람은 스승이 강조하는 서학의 실용적 차원을 넘어서 서학으로 전해진 천주교와 자신들 성리학을 그 근본 원리와 교리의 차원에서 점검하고자 했다. 이들에 따르면 인간의 도덕심과 윤리적인 실천의 동기가 서학에서 말하듯이 천당에 가거나 불멸을 위한 것이라면 이것은 지극히 이기적이고, 사적인 이익(利) 추구의 행위와 다름없다고 비판한다. 그와는 달리 자신들 유학의 성리(性理) 이해와 心 이해에 따르면 인간은 궁극적으로 氣로 구성된 존재라서 몸의 죽음과 더불어 그 기가 흩어지는 것은 당연하고, 선한 행위라는 것도 본성의 理를 따르는 행위이지 결코 화복(禍福)이나 내세의 이익을 구하는 행위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렇게 서양의 천주학은 모든 것이 사적인 이익을 위한 추구이며 그런 동기에서 ‘천주’(天主)의 존재도 받아들이는 것이지만, 특히 안정복에 따르면 자신들의 유학이야말로 진정한 “천학”(天學)인바, “상제”(上帝)라는 말도 “우리 유자가 이미 말하였”고, 현세를 배척하고 내세의 복이나 이익을 위해서 천주를 믿는 것이 아니라 단지 상제가 부여한 천명(天命)을 따라서 그 마음을 보존하고 성품을 기르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들의 학이야말로 진정한 “천학”이라고 역설한다.(3)

이상에서처럼 유교는 불교와의 만남에서도 그렇고 낯선 서학과의 만남에서도 그 궁극적인 평가 잣대를 ‘公’(공공성)인가 아니면 ‘私/利’의 추구인가 라는 물음에 두었다. 성호 자신도 서학을 그들이 ‘세상을 구제하려 한다’라는 말로 공공성에 기초해서 평가했다. 그러나 모두가 주지하는 대로 이 유교적 공공(公共)의 관심이 조선 말기로 오면서 고사하고 왜곡되면서 나라는 큰 위기에 빠지게 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위기를 단지 수동적으로만 견딘 것이 아니라 다시 그에 대한 여러 방식의 대응을 보이는데, 심지어는 나라를 고사시킨 주범으로 비판받아온 ‘위정척사파’(衛正斥邪派)의 대응도 사실 유교적 公과 의리(義理)의 원리를 다시 강하게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3.1운동 이전의 강력한 ‘의병운동’이 파생되고 주도되었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 따르면 “의병이란 것은 민군(民軍)이다.” 그것은 나라가 위급할 때 “義로써 분기하”는 사람들인데, 이 의병의 전통은 우리 민족에게 오래된 전통이고, 일본이 대한제국을 합병하기 까지 2개 사단의 병력을 출동하여 7, 8년간 전쟁을 한 것도 의병의 저항이 있었기 때문이고, 만약 이 의병이 아니었더라면 “우리는 짐승이 되었을 것”이라고 말한다.(4) 보통 우리가 쉽게 말하기를 조선 말기의 유교 폐쇄성과 사대주의적 경직성이 결국 나라를 잃게 했다고 하고, 또 3.1운동 당시 33인의 대표 중에 유교측이 부재했던 것을 비난한다.

하지만 유교의 역할을 그것에 한정해서 보는 것은 온당치 않고, 예를 들어 유림 의병과 애국계몽 세력을 크게 연합하여 활동한 의암 유인석(毅庵 柳麟錫, 1842-1915)의 아래와 같은 언술에서도 분명히 드러나듯이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다시 ‘규준’과 ‘근본’(理)을 세우는 일을 중시하면서 그것을 구체적 의병과 독립운동으로 실천한 일에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그 유교의 의식이 이후 전개될 모든 독립항쟁 운동의 밑받침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박은식도 “의병이란 것은 독립운동의 도화선이다”라고 하면서 그 의병운동의 성패에만 매달려서 논평한다면 “식견이 천박한 것”이라고 논했다.(5) 그 의병운동의 기반에 유교의 깊은 ‘지공무사’(至公無私, 공을 높이고 사를 지양함)의 종교성과 영적 추구가 있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고 나는 생각한다.(6)
“공(公)하면 하나가 되고, 사(私)되면 만 가지로 갈라진다. 천하를 의리의 공으로 이끌면 하나 됨을 구하지 않더라도 저절로 하나가 되며, 천하를 이해타산의 사로 이끌면 만 가지로 갈라짐을 기약하지 않더라도 만 가지로 갈라진다. 천하를 하나로 할 수 있는 것은 의리가 아니면 할 수 없고, 진실로 의리로써 하나 되고 공(公)에서 나온다면 비록 천하가 하나 되길 바라지 않아도 하나가 된다.”(7)


2. 동학(東學, 천도교)을 불러일으킨 기독교

그러나 한국 기독교사상가 중에서 남강 이승훈(南崗 李昇薰, 1864-1930)이 세운 오산학교에서 공부한 함석헌(咸錫憲, 1901-1989)은 이웃종교에 대한 열린 사고에도 불구하고 한국 유교를 그렇게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1930년대 오산학교에서 역사 선생으로 있으면서 쓴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에서 그는 조선의 전통 종교사상에 대해서 그렇게 많이 언급하지 않는다. 나중에 “유교야말로 현실에 잘 이용된 종교다”라고 하면서 자신이 참으로 중시여기는 ‘뜻’(志)이 “선비(士)의 마음(心)”이고, 그 선비(士)란 “열(十)에서 하나(一)를 보고, 하나에서 열을 보는 사람”이라고 풀어내기도 하지만,(8) 그에 따르면 동양 성인(聖人)의 가르침은 “엄정한 의미의 역사철학을 가지지 못했”고, 기독교와 비교하면서 기독교가 “불교, 유교를 다시 깨워 새 생기를 주는” 일을 해야 한다고 역설한다.(9)

해방 이후 1950년대 그의 기독교 이해가 다시 한 번의 깊은 전회를 경험하지만 함석헌은 그럼에도 그 기독교의 핵을 불교의 ‘각’(覺)과 유교의 ‘학’(學) 곁에 ‘믿음’(信)을 강조하는 “인격”의 문제라는 것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여기서 인격을 강조한다는 것은 그에 따르면 사고를 더욱 더 ‘관계적’으로 하는 것을 말하는데, “인격은 홀로 생기지 못”하기 때문이고, “‘나’에 대하는 ‘너’가 있고서야 되”는 것이며, 이 인격관념이 없기 때문에 믿지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10)

▲ 천도교 2대 교주인 해월 최시형(海月 崔時亨) 선생 초상화 ⓒGetty Image


여기서 함석헌이 설명하는 논리가 얼핏 보기에 유교적 인(仁)과 공(公)의 언술과 그렇게 다르지 않게 보이지만 그가 강조하는 우리 인격의 상대는 특히 초월자 하나님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그에 따르면, “나는 하나님의 아들이다”라고 선언하는 예수라는 구체적 역사적 인물의 믿음과 인격을 통해서 “역사를 인격화했습니다. 세계를 인격화했습니다. 우주에 인격적 질서를 주었습니다”라는 의미에서 강조한 것이다.

즉 이 말에서 표현된 대로 함석헌은 기독교가 궁극(天)과 초월(聖)을 어떤 막연한 추상이나 형이상학적 이론 등으로 파악하는 것보다 ‘인격적’(“하나님 아버지”)으로 만나면 훨씬 더 구체적이고, 실천력과 함께 현실적이면서 효능적으로 그 궁극과 직접 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그 일이 바로 예수라는 인격 속에서 참으로 고유하고 진한 농도로 가능해졌기 때문에 예수는 의심 없이 스스로를 “하나님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믿고 고백할 수 있었고, 함석헌은 그 일이 우리 민족에게는 어느 다른 종교 전통에서보다도 나중에 전해진 ‘기독교’를 통해서 가능해졌다고 본 것이다.

나는 이 기독교의 방식이 한말 한반도에서 통했다고 보고, 특히 당시 사회적 약자였던 신분차별 속에 억압당했던 민중들, 그중에서도 여성들에게 크게 역할을 하여서 이들에게 참으로 강력한 방식으로 하늘(天)과 초월(聖)을 직접 만나고 대면하여 관계 맺을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고 보는 것이다. 이것을 나는 어떤 다른 종교전통에서보다도 폭넓게, 그리고 깊이 있게 “聖(거룩)의 평범성”이 확대된 사건으로 보았다.(11) 거기서 일어나는 개인적 삶의 변화는 물론이려니와 그와 더불어 특히 당시 점점 더 큰 위기에 빠져드는 민족의 독립과 안위를 위해서 자신을 버리고 국가와 민족을 위해 헌신하게 했고, 1919년 3.1운동이 가능해진 데에는 그러한 기독교 메시지를 통한 한민족 의식의 개혁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그러한 개신교의 역할 전에 그와 유사한 맥락에서 역할을 한 종교그룹이 ‘동학(천도교)’이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모두가 주지하듯이 1919년 3.1운동은 당시 교인수가 3백만 명 정도에 달하는 천도교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고, 3대 교주 손병희(孫秉熙, 1861-1922)가 대표적 지도자로 추대되어서 운동을 위한 각종 자금뿐 아니라 독립선언서의 인쇄도 천도교 직영의 보성사(普成社)에서 2만 1천매를 완성하여 사용하였다고 한다.(12)

나는 당시 토착 신흥종교로서 한없는 평등과 자주, 박애와 인권의 이상으로 3.1운동을 이끈 ‘동학’(東學/천도교)이란 그 이름에서도 드러나듯이 ‘서학’(西學/기독교)의 도전에 대해서 한국적 유교 문명권에서 나온 고유한 응전이라고 본다. 그런 맥락에서 앞에서 함석헌의 기독교 ‘믿음’(信)과 인격적 속죄론을 설명한 논리를 동학의 핵심 메시지에 적용해 보면 동학도 당시 기층민의 인격적 변화(“聖의 평범성의 확대”)를 그 이전의 유교나 불교가 이루지 못한 급진적인 방식과 정도로 성취한 경우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의미심장하게도 동학은 한 때 당시 사람들에 의해서 ‘서학’(西學)으로 지목되어 탄압을 받았다고 하는데,(13) 동학의 혁명적인 내재적 초월의식과 반봉건적 평등의식과 인권의식을 당시의 유교 기득권 세력이 서양 기독교에 대해서 그랬던 것만큼이나 용납하기 어려워했을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 탑골공원에 세워진 천도교 3대 교주인 의암 손병희(義菴 孫秉熙) 선생님의 동상 ⓒGetty Image


해월 선생이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오지로 숨어 다니던 시절 편찬되고 집필된 것으로 알려진 동학의 역사서 『도원기서道源記書』에 따르면 스승 수운(水雲 崔濟愚, 1824-1864)은 잡히기 전 새벽에 해월(崔慶湘)을 불러서 “이 도(道)는 유불선(儒彿仙) 세 도를 겸하여 나온 것이다”라고 하면서 “... 우리 도는 때에 따라 그때그때 알맞은 제례(祭禮)의 방법을 따른다”고 하였고, “용담의 물이 흘러 사해(四海)의 근원이 되고, 검악(劍岳)에 사람이 있어 한 조각 굳은 마음이다”(龍潭水流四海源 劍岳人在一片心) 등의 시를 써서 “그대의 장래 일을 위하여 내린 강결(降訣)의 시”이니 영원히 잊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한다.(14) 이러한 깊은 종교적 체험과 수행적 실천과 더불어 가능해졌던 동학혁명은 당시 정치와 제도정립 면에서는 실패했다고 할 수 있지만, 후기 조선사회의 “대내외적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책임을 평민이 인수해 일으킨 것”이라는 큰 의미로 평가받는다.

그러면서 ‘시천주’(侍天主)와 ‘대인접물’(待人接物), 다른 사람이 거짓으로 속이면 진실로써 그를 위하고, 남이 심하게 굴면 사랑으로써 대우하며, 사물을 다루는 데 있어서도 한 포기 풀이나 한 구루의 나무도 함부로 다루지 말고 하찮은 물건도 자기 몸과 같이 아껴야 한다고 설파하는 동학의 이상사회 이념은 일종의 “영적 코뮤니즘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은 오늘의 현대적 제도까지도 훨씬 넘어서는 “평등 정신의 초월적 본성”을 잘 보여준다고 지적되었다.(15) 그런 맥락에서 동학도 스스로가 “후천(後天) 오만 년(五萬年이)의 도에 남게 될 것”이라고 자임하는데, 그러한 동학 기원의 천도교가 3.1독립운동을 이끈 것은 그래서 당연한 일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16)

3. 민족(기독교)과 세계(유교)를 품고 중흥한 대종교(大倧敎)

천도교와 기독교의 핵심 역할로 가능했던 3.1운동은 그러나 일본의 합병조약 폐기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그래도 이후 한국인들의 민족의식과 해방과 독립운동에서 큰 전환점을 마련해 준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의미 있는 결실로서 여러 독립운동 세력들이 합세하여 상해에 최초의 공화제 정부인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진행에 있어서 한말의 또 다른 고유한 민족저항과 새로운 시대를 위한 창조적 모체인 ‘대종교’(大倧敎)가 있었다는 것을 주목하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대종교는 한말 러일전쟁을 계기로 점점 더 기세가 등등해지는 일본의 침략에 맞서서 전남 나주 출신 유학자 나철(弘巖 羅喆, 본명 寅永 1863-1916)이 중심이 되어 “중광”(重光)한 것이다. 여기서 왜 중광이라는 말을 쓰는가 하면 대종교는 자신들의 현현이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미 민족의 시원 속에 담겨져 있던 가르침이 오랜 동안 감추어져 있다가 민족이 큰 위기에 처하게 된 그때 다시 드러나 밝혀지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나철 대종사의 전해지는 생애사에 따르면, 그는 한말의 관료와 유학자로서 1905년 을사늑약의 상황을 맞게 되자 어떻게든 ‘신의’(信義)의 원칙으로 일본의 위정자들과 담판하려고 일본을 네 차례나 왕래한 구국운동가였고, 그러한 외교항쟁이 효과를 보지 못하자 을사오적을 처단하기 위한 비밀결사대를 조직하기도 했다. 그렇게 애쓰는 가운데 그러나 그는 1906년 1월 서울 서대문역에서 백두산의 백봉신사(白峯神師)가 보낸 백전(伯佃, 호는 頭巖)으로부터 『삼일신고三一神誥』와 『신사기神事紀』를 전해 받으면서 생의 결정적인 전환을 맞이하는데, 즉 종교 구국의 길로 들어선 것이다.

▲ 대종교 창시자 나철 대종사 ⓒGetty Image


1908년 11월 네 번째 도일했을 때 백봉신사가 또 보낸 두일백(枓一白)으로부터 『단군교포명서』를 건네 받고서 돌아와 1909년 그동안 뜻을 같이했던 반제 반봉건의 사상가 해학 이기(海鶴 李沂, 1848-1909) 등과 더불어 ‘단군교’의 중광을 선포한다. 이듬해인 1909년 일제의 주목을 피하기 위해서 교명을 ‘대종교’(大倧敎)로 개칭했고, 1913년 총본사를 백두산이 바라다 보이는 만주 화룡현(化龍懸)으로 옮겨 교세 확장과 교리의 체계화에 힘쓴다.

하지만 일제가 1915년 포교규칙(布敎規則)을 발표하여 ‘종교’(신도, 불교, 기독교)와 ‘유사종교’를 법령으로 구분하며 포교를 금하자 1916년 음력 8월 황해도 구월산의 단군사당 삼성사로 들어갔다. 거기서 그는 ‘대종교를 위해, 하늘을 위해, 인류를 위해’라는 세 가지 목숨을 끊는 이유를 밝히고(殉命三組) 방대한 양의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호흡을 끊는 방식으로 자결로써 항거하였다.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은 이때로부터 “불길처럼 번져나갔다”고 지적되었다.(17)

철학자 이규성은 대종교 홍익사서(弘益四書)로 불리는 『태백진훈太白眞訓, 삼일신고三一神誥, 천부경天符經, 참전계경參佺戒經』 중에서 특히 「천부경」을 중심으로 해서 화서 이항로 계열과 사우관계로 연결되는 서우 전병훈(曙宇 全秉薰, 1857-1927)의 정신철학(精神哲學)을 대종교 도의 특성을 잘 드러내는 것으로 평가한다. 위서(僞書) 논란이 많은 『환단고기桓檀古記』와 『규원사화揆園史話』 등을 통해 한민족 고대사를 회복하고 그 고유의 사상을 전파하다 일제에 피살된 계연수(桂延壽, 1864-1920)로부터「천부경」을 전달받은 전병훈은 그 정신을 한 마디로 천도(天道)와 인도(人道)를 겸해서 함께 이루려는 “겸성”(兼聖)의 성인(聖人)추구 그것이라고 이해했다고 한다.(18)

그것은 나 개인의 인격을 최고로 고양시키면서 동시에 사회적, 국가적, 우주적인 통일과 이상의 궁극을 함께 실현시키려는 내외쌍수의 추구로서 “하늘과 하나가 된다”는 의미이고, 우리 모두가 그러한 겸성의 성인을 지향하자는 뜻이라고 밝힌 것이다. “지극한 창조적 자유정신(至神)은 내외를 완성하는 성스러움을 겸한다(至神兼聖)”, “‘동한(東韓)의 단군 천부경은 겸성철리의 극치(兼聖哲理之極致)’, ‘겸성의 최고원리(兼聖之至理)’” 라고 전병훈은 언명하고,(19) 단군을 바로 하늘이 내린 겸성지신의 “신인”(神人)이며, “선성”(仙聖)의 모형으로 보는 것이다. 그의 현현을 근거로 우주의 온 생명은 자아완성과 세계변형의 내외 겸성을 지향하는 바, 거기서의 창조와 진화와 소통과 순환의 무한한 운동은 “시작이 없는 상태에서 시작하는 것”(一是無始一)이기도 하고, “그 하나가 세 가지 이상으로 무한히 분화한다고 해도 근본이 다함이 없는”(析三極無盡本) “궁극적인 하나”(一終無終一)라는 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천부경」의 사고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대종교 신앙의 독립운동은 그리하여 인격적 정신의 자유와 세계변형, 그리고 그 변형이 단지 자국의 독립과 해방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 우주공동체에 대한 사랑과 하나 됨(“愛合種族”, “勤務産業”)을 크게 지향하게 했고, 이렇게 한민족 고유의 불이적(不二的)이고 통합적인 세계관에 근거한 대종교는 만주로 중심을 옮긴 후 빠른 속도로 확산되어 30만의 신도를 헤아리게 되었다고 한다. 자기수련과 교육운동 및 민족해방을 위한 군사적 실천을 함께 병행하는 역동적이고도 창조적인 정신운동으로 역할하면서 3.1운동 이후 한국 독립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끈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인간 내면의 핵으로서 내재되어있는 하늘 씨앗(性)에 대한 깊은 자각과, 현실에서의 과제와 명에 대한 뚜렷한 인지(命)와, 그것을 용기 있게 실천하는 몸의 실천력(精)을 ‘삼일’(性命精 三一)로 보는 대종교가 한국 자주와 독립 운동에 지대한 역할을 한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쓴 백암 박은식, 위당 정인보(鄭寅普, 1892-1950), 상해임시정부의 산파역을 했던 예관 신규식(晲觀 申圭植, 1879-1922), 초대의장 석오 이동녕(李東寧, 1869-1940), 민족사학의 단재 신채호(申采浩, 1880-1936), 대종교 정신에 따라서 한글의 존귀성을 밝힌 주시경(周時經, 1876-1914) 등이 모두 대종교인들이었다. 생사를 초극하며 독립운동을 치열하게 이끌던 대종교 리더인 김교헌(金敎獻, 1868-1923)과 윤세복(尹世復, 1881-1960) 등 39인이 참여한 가운데 대종교 본사에서 “대한독립선언서”라는 명확한 이름으로 1918년 2월에 ‘무오독립선언’(戊午獨立宣言)이 나와서 3.1운동의 기폭제가 된 것이 지적된다.

또한 종사의 자격을 사양하고 대한독립단의 총재로서 무력 저항운동을 이끌었던 백포 서일의 활동으로 1920년 홍범도(洪範圖, 1868-1943)의 봉오동대첩과 김좌진(金佐鎭, 1889-1930)의 청산리대첩이 가능했다고 전한다.(20) 백범 김구(白凡 金九, 1876-1949)와 이시영(李始榮, 1868-1953)도 그러한 정신적 반경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한 것이고, 여운형(呂運亨, 1886-1947)은 「천부경」에 대한 찬을 썼다고 하고, 다석 유영모(柳永模, 1890-1981)가 유일하게 번역한 책이 「천부경」이었고, 그 제자 함석헌(咸錫憲, 1901-1989)이 펼친 씨ㅇ·ㄹ사상도 대종교의 정신적 계승임이 지적되기도 한다.(21)

미주
(미주 1) 홍대용, 『湛軒書』1, 「贈周道以序文」 , 이규성, 『한국현대철학사론-세계상실과 자유의 이념』, 이화여대출판부, 2015, 23에서 재인용.
(미주 2) 김선희, 『서학, 조선 유학이 만나 낯선 거울-서학의 유입과 조선 후기의 지적 변동』,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8, 101.
(미주 3) 안정복 지음․이상하 옮김, 『순암집』, 한국고전번역원, 2017, 163; 이선경, “조선시대 『천주실의』 수용 양상을 통해 본 유교와 기독교의 만남”, 현장(顯藏)아카데미 편, 『21세기 보편 영성으로서의 誠과 孝』, 동연, 2016, 127-130.
(미주 4)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상), 남만성 옮김, 서문당, 1999, 51-52.
(미주 5) 같은 책, 68.
(미주 6) 이은선, 『잃어버린 초월을 찾아서-한국 유교의 종교적 성찰과 여성주의』, 모시는사람들, 62.
(미주 7) 『毅庵集』권33, 雜著, 下冊, 58쪽, “公則一, 私則萬殊, 率天下以義理之公, 不求一, 而自一, 天下以利害之私, 不期萬, 而自萬, 一天下非以義理, 則不可. 苟以義理而一, 出於公, 則雖欲不一, 天下不得也.”, 이종상, 같은 글, 387에서 재인용.
(미주 8) 함석헌, 『인간혁명의 철학』, 함석헌전집2, 83; 함석헌,『뜻으로 본 한국역사』, 354.
(미주 9) 함석헌, “새 시대의 종교”, 함석헌 저작집 14, 24; 함석헌, 『뜻으로 본 한국역사』, 279.
(미주 10) 함석헌, “기독교 교리에서 본 세계관”, 노명식 지음, 『함석헌 다시 읽기』, 노명식 전집 04, 책과함께, 2011, 455.
(미주 11) 이은선, 종교문화적 다원성과 한국 여성신학“, 『한국생물生物여성영성의 신학-종교聖, 여성性, 정치誠의 한몸짜기』,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1, 29이하.
(미주 12) 金素眞,『韓國獨立宣言書硏究』, 국학자료원, 2015, 103.
(미주 13) 최동희, “全琫準”, 『人物로 본 韓國史』, 월간중앙 1월호 별책부록, 1973.1, 241; 수운 선생의 동학사상이 형성되는데 중요한 하나의 계기로 여겨지는 1855년 을묘년에 만났다고 하는 ‘을모천서’(乙卯天書)는 서학의 『天主實義』로 추측되기도 하는데, 그 책의 이치를 깊이 살펴보니 “기도”(祈禱)의 가르침을 담고 있었다고 고백되었다(『도원기서』, 18). 이 추측의 타당성 여부에 대한 논란은 많을 수 있겠지만 당시 동학이 서학(서구 기독교 문명)과의 대면과 나름의 응전 속에서 전개되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미주 14) 『도원기서』, 윤석산 역주,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2, 49-50.
(미주 15) 이규성, 같은 책, 114.
(미주 16) 『도원기서』, 167.
(미주 17) 이규성, 같은 책, 209; https://m.youtube.com 광주 MBC창사52주년 특집다큐 홍암 나철 100주기 다큐.
(미주 18) 같은 책, 186.
(미주 19) 같은 책, 191.
(미주 20) 이찬구, 『천부경과 동학』,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07, 594.
(미주 21) 이규성, 같은 책, 255.


이은선(한국信연구소) leeus@sejong.ac.kr

- 3.1운동 정신의 통합학문적 이해와 기독교 신앙의 미래 3

'3.1운동백주년종교개혁연대'가 결성되어 지난 12월까지 5개 종교그룹(천주교, 불교, 유교, 천도교, 개신교)이 진행시켜온 종교개혁 포럼의 기독교측 발제이다. 세번째 연재글이다. 오늘 한국교회의 개혁과 독립을 위해서 3.1운동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지, 우리 시대의 독립은 무엇이고, 그것이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과 어떻게 연관되지는지를 묻고자 한다. 2019년 한반도 독립선언서와 함께 포럼의 결과물들이 곧 한 권의 책으로 묶여져 나올 것이다.

에큐메니안 모바일 사이트, 기독교(개신교) 3.1운동 정신의 세 가지 (1)


기독교(개신교) 3.1운동 정신의 세 가지 (1)

기사승인 2019.01.26 22:09:26


- 3.1운동 정신의 통합학문적 이해와 기독교 신앙의 미래 3


이제까지 본 것처럼 3.1운동은 대한민국이 당시 일제의 무단정치로 인해서 더할 수 없는 고통 속에 빠져있던 중 의지할 곳이 종교밖에 없다는 상황에서 여러 종교 그룹들의 협력과 하나 됨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1920년 3.1운동 직후 ‘광복사’가 아닌 ‘독립운동사’를 쓰게 되었다고 통탄해하는 박은식은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서 3.1운동이 일어나기까지의 일본의 압제와 만행, 그들이 말과 신의를 어긴 것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낱낱이 밝힌다.

사망자가 30여만 명이나 있었다는 ‘동학당’ 이야기, 명성황후 시해의 잔혹성과 무법성, 을사늑약을 맺을 때의 무력과 공포 분위기, 1907년 헤이그 밀사 파견의 책임을 물어 고종을 강제로 폐위시키고 정미7조약을 맺게 하며 군대 해산 때 저항하는 군인들을 수백 명 살해한 이야기, 이후 더욱 가열 차게 일어난 전국의 의병들을 무참히 진압한 일, 초대총독과 경무총감은 “사람 죽이기를 즐겼다”는 지적과 함께 이들이 안창호에 의해서 발기된 신민회(新民會)를 독립운동 하는 곳이라 하여 120여 명을 잡아들여 “다섯 가지 고문 방법과 구타로 반죽음에 이르고 거의 목숨이 끊어지게” 될 정도로 횡포를 부린 이야기, 이어진 총독의 “탐욕 포악한 행정”은 “5천 년 문화의 나라를 토번 미개의 땅으로 인정하고, 통치방법을 모두 대만에 시행하던 것으로 시행”했다고 하면서 그들이 중일·노일의 두 전쟁을 치러서 국채가 이미 십수 억에 달해 “한국에 대한 시설의 부담은 실로 곤란한 일이었다”고 밝힌다.

그래서 행정기관을 감축하고 한인들을 내i고 일본 관리들로만 채우고, 그 관리의 봉급액은 한인 관리보다 3배 이상이 많았고, 헌병과 경찰을 모두 법률 지식이 모자라는 자들로 세워 함부로 사법재판을 행해서 인민에게 끼치는 해독이 그보다 더할 수 없었다고 한다. 총독부는 한국인 교육령을 발표하여 전통 교육기관은 다 없애버리고 한국에는 대학을 두지 않았으며, 각국의 혁명사, 독립사, 위인역사는 모두 엄하게 금지하였고, 소위 ‘수신’ 교과서는 순전히 일문(日文)으로 만들어서 일본인 교사가 가르쳤기 때문에 한국인 아동들은 절대로 그 조상의 위업이나 선행을 들을 수 없었다고 한다.

특히 “종족의 계통에 대해서도 감히 거짓말로 속여 우리 민족의 시조가 저희들 시종의 아우”라 일컬었고, 이러한 일에 대해서 박은식은 “우리나라의 부녀․아동들도 냉소하여 마지않는다”라고 지적했다. 심지어 일제는 수학교육에도 차별을 두어서 대수학의 인수분해 이상과 입체기하학, 삼각법은 한국인들에게 가르치지 못하게 했고, 체육교육에는 더욱 제한이 많아서 일본인은 보통학교, 고등보통학교에 매주 세 시간의 체조가 있었지만, 한국인에게는 고등보통학교에 국한해서 약간의 유연체조가 있었을 뿐이라고 한다.(1)

이상의 말로 다할 수 없는 차별과 억압 앞에서 종교인들이 주축이 되어서 3.1운동이 일어났고, 그 중에서도 당시 2천만 인구 중 1-1.5% 정도의 신도수(20-30만)에 불과했던 개신교가 그 한 주축을 담당했다. 그때 또 다른 축을 이루었던 천도교는 교인 수 3백만을 헤아리는 핵심 종교 그룹이었다. 주지하다시피 한국 개신교는 1885년 일본을 거쳐 한국에 입국한 두 미국 선교사, 언더우드(Horace G. Underwood, 1859-1916)와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 1856-1902)에 의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1세기 오늘의 한국 개신교와 비교해 보면 참으로 미약하고 겨우 신생 종교의 위치를 막 벗어난 상황이었는데, 어떻게 당시의 개신교가 그러한 일을 담당할 수 있었는지, 그 신앙적 신념과 이상이 무엇이었는지를 보다 주의 깊게 살펴보고자 한다. 바로 오늘 한국 사회와 개신교가 처한 어려운 상황을 해쳐나가고 새롭게 변할 수 있는 근거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1. 민족을 껴안은 3.1운동 개신교

‘종교민족주의”라는 말로 한국 대종교(大倧敎)에 대해서 연구한 논문이 있는데,(2) 나는 이 말을 좋게 생각했고, 그것을 3.1운동을 추동했던 당시의 한국 개신교에 대해서도 함께 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함석헌은 자신에게 있어서 버리지 못하는 것이 셋이 있는데 그것이란 ‘민족’과 ‘신앙’ 그리고 ‘과학’이라고 밝혔다.(3) 그러면서 자신의 개인적인 삶에 대해서도 “내겐 3.1운동이 없으면 오늘은 없다”라고 하면서 3.1운동이 자신의 삶에서 어떻게 “큰 돌아서는 점”이 되어서 당시 다니고 있던 관립 평양고등보통학교를 그만두고 민족사학 오산학교로 오면서 전혀 다른 방향으로 삶이 진행되었는지를 밝힌다.(4)

▲ 3.1운동 민족대표 기념 사진 ⓒGetty Image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도 “한국에 기독교가 빨리 번져나간 원인은 여러 가지로 설명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잊을 수 없는 하나는 그것이 민족주의를 타고 왔다는 사실”이라고 진술했고,(5) 그렇게 당시 한국인들은 함석헌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인이 된 것이 일본의 압박을 물리치고 나라를 독립시키려면 서양 선진 강국들이 믿는 기독교를 믿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기독교 역사학자 이만열 교수는 3.1운동과 기독교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서 기독교가 거기서 아무리 주동세력으로 역할을 했다 하더라도 3.1운동은 “교회운동이라기보다는 민족운동이라는 점”을 분명히 할 때 거기서의 기독교계와 기독인의 위상을 바르게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6) 즉 그에 따르면 3.1운동이 마치 기독교 세력에 의해서 수행된 것처럼 여기는 폐쇄적인 기독교 중심적인 시각이나 그 반대로 기독교회가 교단적으로 크게 참석하지 않고 단지 몇몇 개별적 참여만 있었다고 한정시키는 것은 두 가지 모두 잘못된 왜곡이라는 것이다.

당시 일제는 대종교 다음으로 기독교를 미워했는데, 왜냐하면 ‘예수교회’가 서양문명을 수입해 와서 한국인들로 하여금 새로운 사조를 북돋우게 하고, 신도들은 정세에 밝고 애국심이 강하며, 특히 서양 선교사들과 함께 하면서 자신들의 학정이 서양인들에게 잘 관찰되고 비판받게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7) 그리하여 기독교를 “배일파”(排日派)라고 지적하며 온갖 방식으로 기독교의 종교 활동과 사립학교 활동들을 방해했다고 한다.(8)

이러한 정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한국 개신교는 그 출발에서부터 민족의 처지와 더불어 씨름하는 일을 핵심으로 삼았다. 1885년 두 미국선교사의 입국에 이어서 1888년 한국에 도착한 캐나다 장로교 선교사 게일(James S. Gale, 1863-1937)은 1909년 『전환기의 한국 Korea in Transion』이라는 한국 입문서를 쓰면서 “한때 무식한 섬나라의 야만인들이라고 생각했던 일본인들” 수중에 나라가 떨어지고, 황제가 축출되고 왕비도 무참히 살해되는 것 등을 보면서 한국인들은 ‘하늘을 쳐다보기 시작했다’고 적고 있다.(9)

또한 한국인들은 기독교 복음을 전하기 시작하면 “하나님을 모르는 사람이 어딨어?” 라든가 “神을 모르는 사람이 어딨어?”라고 응답했지만,(10) 그러면서도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하늘(天)을 직접적인 ‘부모’(아버지)와 ‘당신’, ‘구세주’ 등의 구체적인 개별성의 인격으로 만나면서 한국인의 자주와 독립, 평등 의식이 크게 신장된 것을 말할 수 있겠다. 이것이 그대로 3.1운동을 촉발시킨 영적 근거가 될 수 있었음을 말하는 근거이다.

북한의 평양에도 1893년 장대현(章臺峴)교회와 남산현(南山峴) 교회가 시작되면서 특히 6-7만이었던 평양 인구가 청일전쟁(1894-1895)으로 1만 5천으로 줄 정도로 비참했던 상황에서 고통 속의 민중들과 함께 했던 기독교 교회에 대한 주민들의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하여(11)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도 일어났고, 이승훈(李承薰, 1864-1930), 길선주(吉善宙, 1869-1935), 손정도(孫貞道, 1872-1931), 안창호(安昌浩, 1878-1938), 김마리아(金瑪利亞, 1891-1944) 등 수많은 기독교 독립운동 사상가들을 배출한 것이다.

알려져 있다시피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러시아 혁명,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천명 등 ‘세계개조’의 새로운 국제질서가 전개될 것을 감지한 기독인들과 천교도인들은 비슷한 시기에 독립운동을 준비했다. 기독교 측에서는 이승훈을 중심으로 주로 장로교 계의 서북지역 그룹과 감리교 목회자 박희도(朴熙道, 1889-1951)를 중심으로 서울지역에서 움직임이 있었고, 이승훈이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을 통해서 천도교 측과 연결되어서 손병희 선생이 제시한 “대중화, 일원화, 비폭력”을 받아들여 단일화한 것이다.

이들은 “불교 단과 유교 측의 참가 없이는 완전한 민족적 통일체라 볼 수 없”다고 생각하여 다시 최린(崔麟, 1878-1958)이 불교 측의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을 접촉해서 함께 하게 되었고, 유교 측은 “전래조직이 분명치 못하였고 개인적으로는 상당한 인물이 없는 바는 아니나” 촉박한 시기와 보안상 이유로 더 넓히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12) 또한 운동 날짜의 선택과 “三․一운동”이라는 이름에 대해서도 독살당했다고 회자되는 고종 황제의 국장을 앞둔 날이기도 하지만 ‘三․一’이라는 말이 “삼위일체의 철학적 용어”이고, “삼교단이 일체가 되어서 일으킨 운동”이라는 의미도 되며, “영토, 인민, 주권의 삼요건으로서 일국가(一國家)가 형성된다는 의미”가 되므로 3월 1일에서 그냥 ‘三一’을 가져와서 거기에 ‘운동’을 붙여서 부르기로 해서 “三․一운동”이 되었다고 설명한다.(13) 날짜가 그렇게 정해지고 그와 같은 이름으로 불린 것이 큰 민족적 뜻이 있다는 것이다.

▲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Getty Image


“조선민족대표” 33인 중에서 16명이 기독인이었고, 그 외 비서명자 핵심인사 48인 중 24명이 기독인이었던 3.1운동은 그 대중적 전개과정에도 많은 기독인들이 참여했고, 특히 지방마다 기독교계 학교의 학생들이 운동을 주도했다. 또한 경의선, 경원선을 따라서 교회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기독교 인사들이 거주하는 곳이 주된 시위 장소가 되었다고 하는데, 당시 전국 개신교의 3분의 2가 집중되어 있던 서북 5도에서 만세운동이 가장 격렬했으며, 이승훈의 고향인 평북 선천에서 3.1만세운동에 대한 일제의 무차별한 사격이 시작되었다고 한다.(14) 이 만세시위는 전국 각지로 퍼져서 5월까지 3개월 동안 세차게 이어졌으며, 3월에서 4월 사이에 일어난 시위 수가 1,214회였고, 거기서 기독인들이 주동한 것이 거의 25%였고 검거된 사람의 약 17%가 기독인이었다고 한다.(15)

당시 김병조, 손정도 등의 증언에 따르면 “동양의 선진국이라고 자처하는 일본이” 손에 아무것도 들지 않고 평화적으로 시위하는 민중들을 “총검으로 참혹하게 무찔러서, 사상자가 10만이 넘고 투옥자가 30만을 헤아리는” 잔혹상을 저질렀고, 또한 “독립운동은 교회가 주도한 것이라고 하여” 헌병과 경찰을 동원해서 각 군을 다니면서 거리낌 없이 학살을 자행했는데, “그 박해는 참으로 옛날 로마 시대의 네로황제를 능가하였다”고 한다.(16) 1919년 3월 1일(토) 오후 1시 서울과 같은 날, 같은 시각에 평양에서도 고종황제 봉도식(奉禱式)을 가장한 독립선언식이 있었고, 이어진 만세운동 과정에서 검거되고 투옥되고 옥사까지 나와서 그해 가을 서울 정동교회에서 열린 미 감리회 연회에 한국 감리교회 목회자 가운데 3분의 2가 투옥과 망명, 피신으로 참석하지 못했고,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평양 지방 한국인 감리교 목회자가 28명이었는데 그해 11월 남은 목회자가 2인에 불과하게 되었다고 한다.(17)

그러면 어떻게 이와 같은 정도로 당시의 교회가 민족을 껴안을 수 있었고, 나라의 독립이 그들이 믿는 하나님의 뜻이고 반드시 독립한다는 것을 주장할 수 있었을까? 앞에서 지적한 대로 기독교 신앙의 인격주의적 특성으로 인해서 자신이 처한 삶의 정황에 대한 구체적 의식과 자각이 더욱 가능해졌고, 기독교 성서의 고난 받는 이스라엘 민족을 향한 해방과 구원의 이야기가 교회 설교 등에서 반복적으로 선포됨으로써 그것을 한민족의 경우와 쉽게 유비해 볼 수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18)

하지만 이러한 기독교 신앙으로부터의 자각 이전에 사적 자아를 넘어서 ‘公’을 우선시하는 오랜 조선 문화적 뿌리와 긴 시간 동안 축적된 한일간의 불화에 더해서 합병 이후 10여 년간 받아왔던 차별과 잘못된 ‘동화’정책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발이 함께 중첩적으로 역할하였고 본다. 박은식은 그의『한국독립운동지혈사』하편을 먼저 “빙탄(氷炭)같은 한일민족성”이라는 제목 아래 일본과 한국의 반목이 얼마나 오래되었고 뿌리 깊은지를 밝힌다.

신라 때부터의 1,500년을 말하면서 3백 년 전의 임진왜란의 피해를 여전히 기억하고, 가까이는 청일전쟁과 노일전쟁에서 일본이 무고한 인민들을 살해하고 군병의 노동자로 끌고 가고, 부녀자를 강간하고 재산에 손해를 입힌 것들의 규모를 조목조목 들면서 의병의 피살자가 10여만 이었고, 무고한 촌민으로 학살당한 자는 “독립 후가 아니고서는 그 통계를 구할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19) 그래서 “원통함은 이미 골수에 사무쳐” 있는데, 다시 1876년의 병자수호조약 이래로 10여 차에 걸쳐서 한국의 독립을 보장한다는 약속을 믿지 못하게 만들고 병합을 시켜 “동화”를 주장하니 그것은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일반 백성의 뜻을 말하자면, ... 밭매는 사람은 호미를 휘두르면서, “어느 때 저 왜놈 제거하기를 잡초 없애 버리듯 할꼬.” 하고, 나무꾼은 도끼를 휘두르면서 「언제 저 왜놈들 베기를 땔나무 베듯할꼬」한다. 빨래하는 부녀자들은 “나는 어느 날에 왜놈들을 방망이로 때려 칠꼬.”하고, 새를 쏘는 아이들은 ”나는 어느 때 왜놈을 쏴서 잡을꼬“하며, 기도하고 제사지내는 무당과 점쟁이도 ”신이여, 어느 날에 무도한 왜놈들에게 벌을 내리시겠습니까?“한다. 이것은 다 백성들의 독립정신이 뇌수에 맺히어 저절로 드러나는 것이다. 그런데도 저들은 분수없이 ‘同化’라는 쓸데없는 말을 한단 말인가.”(20)


붙잡힌 민족대표 33인과 그 중 기독교 측 16인에 대한 일본 판사의 취조서를 살펴보면 거기서 가장 빈번히 듣는 이야기는 비록 기독교 측에서는 당시 ‘(독립)선언서’보다는 보다 온건한 ‘청원서’를 내자는 의견이 강했고, 한일병합 자체에 대해서도 당시 나라 상황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라서 그 판단의 강약이 서로 달랐지만 한결같이 4천 년이 넘는 한민족의 역사에 대한 인식을 그들 모두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조선 정신과 일본 정신을 말하면서 두 민족이 결코 ‘동화’되지 않는다는 것, 당시 총독정치의 차별성과 불의가 얼마나 심한지에 대한 지적이었다.(21)

이렇게 당시 일반인뿐 아니라 기독교의 지도자들이 ‘민족’에 대한 의식을 분명히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한민족의 민족주의가 단지 근대 서구의 ‘상상의 공동체’의 모방이라거나 특히 오늘날은 그 가치와 의미를 다했다고 하면서 간단히 탈민족주의를 주장하는 것은 한국 민족의식의 역사적 뿌리를 간과한 단견임을 말하고자 한다. 3.1운동은 그렇게 기독교 운동이었으면서도 동시에 민족운동이었던 것이다.

미주
(미주 1)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상)』, 84-125.
(미주 2) 정영훈, “홍암 나철의 종교민족주의”, 『정신문화연구』2002 가을 호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29-256.
(미주 3) 함석헌, “하나님의 발길에 채어서”, 노명식, 같은 책, 151.
(미주 4) 함석헌, “죽을 때까지 이 걸음으로”, 노명식, 같은 책, 115.
(미주 5) 함석헌, “하나님의 발길에 채어서”, 노명식, 같은 책, 139.
(미주 6) 이만열, “3.1운동에 대한 기독교사적 이해”, 3.1운동 70주년 특별기고, <기독교사상> 33(3), 1989.3, 18.
(미주 7) 박은식, 같은 책, 219-220.
(미주 8) 박은식, 같은 책, 128-136.
(미주 9) J. S. 게일, 『전환기의 조선』, 신복룡 역주, 집문당, 1999, 40; 이은선, “21세기 한국 여성 리더십에 있어서의 유교와 기독교”, 『한국 생물生物여성영성의 신학』, 도서출판모시는사람들, 2011, 235.
(미주 10) J. S. 게일, 같은 책, 70; 이은선, 같은 글, 236.
(미주 11) 이덕주, 『남산재사람들-독립운동의 요람』, 그물, 2015, 45.
(미주 12) 이병헌, “최린선생 자서전중”, 『三․一運動秘史』, 52.
(미주 13) 같은 글, 53-54.
(미주 14) 최재건, “3.1정신과 대한민국의 건국정신”, 한국기독교학회 제47차 정기학술대회, 한국기독교학회, 2018.10.12-10.13, 자료집제2권, 36.
(미주 15) 양현혜, “그리스도와 민족주의 문제-3.1운동과 조선, 미국, 일본 그리스도교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74집, 1991 가을, 821.
(미주 16)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하)』, 78-79.
(미주 17) 이덕주, 같은 책, 175-176.
(미주 18) 양현혜, 같은 글, 822.
(미주 19)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하)』, 143-149.
(미주 20)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상)』, 82.
(미주 21) 이병헌, 같은 책, 284, 497, 721, 735 등.


이은선(한국信연구소, 세종대 명예교수) leeus@sejong.ac.kr

조선시대 아버지의 특별한 열 가지 교훈 : 네이버 블로그



조선시대 아버지의 특별한 열 가지 교훈 : 네이버 블로그

 ・ 2019. 9. 9. 8:00



훗날 유희춘은 작고한 아버지 유계린을 그리워하며, 아버지의 “언행과 문장은 순수하고 흠이 없었다”라고 회상했다. 유희춘은 아버지의 탁월한 행적이 후대에 전해지지 못할까 봐 조바심을 냈다. 그리하여 “두려워 삼가 피눈물을 흘리며, 아버님이 집안에서 독실히 실천하신 ‘거가십훈’을 기록”했다.



‘거가’란 벼슬을 멀리하고 집 안에 머문다는 뜻이다. 유계린은 김굉필과 최부 등 당대 최고의 성리학자로부터 가르침을 받은 학자답게 성리학적 이념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기에 힘썼다. 이를 증명하는 것이 ‘십훈’이었다. 그 대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유계린은 자신의 불우한 처지에도 불구하고, 한시도 선비의 기상을 잃지 않고자 했다. 일찍이 유계린은 아들들에게 다음과 같이 경계했다. “어깨를 으쓱이며 아첨하고 웃는 것은 여름철 밭에서 일하는 것보다 더 고통스러운 일이다. (……) 너희들이 훗날 벼슬길에 나가게 되면 올바름을 지키는 데 힘써야 한다. 남에게 절개를 굽혀서는 결코 안 되느니라.”



유계린은 선비의 자존심을 지키며 살기 위해 불필요한 외출을 하지 않았다. 그는 한 해에 겨우 두어 차례 바깥출입을 할 정도였다.



또 부당한 사적 ‘욕심을 차단하기’에 노력했다. 일상사를 처리할 때도 성리학의 가르침을 따라 이해관계를 멀리하고, 순리대로 결정할 것을 다짐했다. 아울러 대인관계에서는 상대방의 됨됨이를 미리 알아볼 줄 아는 능력을 갖추고자 했다. 그는 초야에 묻힌 선비로서 매사에 한층 더 관대하고 진실하기를 스스로에게 요구했다. 그러면서도 대의에 따른 결단이 필요하다면 누구보다 과감하기를 스스로 약속했다.





거가십훈


① 사람의 기상은 단정하고 정중해야 한다. 경솔하지 마라. 깊이 가라앉은 듯 침착하여 꼭 필요한 말만 하도록 하라.

② 재물과 여색 따위를 탐하면 잘못된 사람이 되고 만다. 너희는 이를 깊이 경계해야 한다.

③ 어버이를 정성껏 섬겨라. 부모님의 편지는 잘 간수해서 한 장이라도 잃어버려서는 안 된다.

④ 가정생활에서는 마음을 공정하게 가져야 한다. 편애하면 사이가 어긋나고 윤리가 무너진다.

⑤ 결코 남에게 아부하여 자신의 절개를 굽히지 마라.

⑥ 일을 처리할 때는 순리에 맞는가를 따지고,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마라.

⑦ 편파적이고 아첨하는 사람은 삿되다. 질박하고 진실하여 변함이 없고 신의가 있는 사람이 옳다. 너희는 마땅히 이를 기억하라.

⑧ 아첨으로 스스로를 더럽히지 말며, 진정한 마음을 가지고 사물을 극진하게 대하라.

⑨ 벼슬의 어려움이 산보다 높고 바다보다 험하다. 먹고살 만하다면 전원으로 돌아갈 줄 알아야 한다.

명예와 이익만 추구하다 풍파를 맞으면 무슨 소용이 있으랴.

⑩ 《강목(綱目)》에 관한 윤씨(尹氏)의 주석을 읽다가 저절로 춤을 추었다. 뜻이 좋은 글은 반드시 적어두고 마음의 지향을 삼으라.






조선의 아버지들저자백승종출판사우발매2016.11.28.



“그들은 어떻게 자식을 크게 키우고, 무한한 존경을 받았을까?”

역사학자 백승종이 들려주는 12명 조선시대 아버지들의 특별한 훈육법



오늘날 아버지들이 귀담아 들어야 할 보편적 가치는 무엇일까. 김숙자, 유계린, 퇴계 이황, 하서 김인후, 충무공 이순신, 명재상 이항복, 사계 김장생, 박세당,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 완당 김정희. 이 아버지들이 우리에게 대답해줄 것이다. [조선의 아버지들]에는 유일하게 ‘불행한’ 아버지 영조 임금이 등장한다. 아버지 영조의 열등감과 심리적 불안이 친자 살해라는 엄청난 비극으로 치 닿게 된 속사정을 알아본다. 실패담은 그 어떤 성공담보다 울림이 크다. 독자는 비극적인 아버지와 아들 사이를 통해 자신을 객관화시켜 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조선시대 아버지의 특별한 열 가지 교훈|작성자 사우

이은선 왕양명과 함석헌 사상 비교 연구의 근거와 출발점

에큐메니안 모바일 사이트, 왕양명과 함석헌 사상 비교 연구의 근거와 출발점



왕양명과 함석헌 사상 비교 연구의 근거와 출발점

기사승인 2019.05.11  18:36:13
공유

- 왕양명의 良知와 함석헌의 씨ㅇㆍㄹ, 생물권정치학(biosphere politics) 시대를 위한 존재사건 (1)

3.1운동 백주년 기념과 4.27 판문점선언 1주기 DMZ 인간띠잇기 행사를 많은 사람들의 수고와 참여로 잘 보냈지만 한반도 평화와 통일 문제는 여전히 앞길이 잘 보이지 않는다. 마침 이 시기에 “에큐메니안”(대표 이해학 목사, 운영위원장 윤인중 목사)에서 한나 아렌트에 대한 관심을 보여서 지난 번 오재식 선생과 노옥신 여사의 에큐메니즘 운동의 삶을 그 시각에서 살펴본 글을 실었다. 이번부터는 먼저 함석헌과 왕양명의 삶을 유교와 기독교의 대화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글을 싣기로 했다.
더 이상 의미없는 동·서 이분법
박은식 등을 포함해서 한말 지식인들이 오랜 유교 전통의 조선사회를 개혁하기 위해서 다시 찾고자 한 것이 양명학이었다. 오늘 21세기 동서를 막론하고 다시 많이 찾는 사상가가 한나 아렌트라면 이 둘 사이의 연관성과 유사성을 밝히는 글이 의미를 줄 것이다. 그런데 그에 앞서 먼저 양명의 신유교적 세계관과 다석 유영모를 잇는 함석헌의 사고를 연결시키는 글을 보기로 했다.
보통 아시아의 종교는 자속의 일이고, 기독교는 대속의 종교라고 많이 말하며 둘 사이의 간극을 강조한다. 하지만 그런 인습적인 구분이 특히 오늘날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오히려 우리 인류의 삶에 해롭기까지 하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지금 한반도가 마주하고, 그와 함께 인류가 맞이한 위기의 현실을 이 두 문명권의 화합과 연결로써 보다 용기 있게 응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얼마 전 문재인 대통령의 독일 일간지(FAZ) 글이 “평범함의 위대함”이라는 화두로 한국의 근현대사뿐 아니라 세계 문명사의 방향을 잘 밝혀주었다면, 본 글이 양명과 함석헌을 해석하는 키워드로 내세운 “聖의 평범성의 확대”는 여전히 세계 곳곳에서 동서고금을 통해 진행 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글은 먼저 양명학회와 함석헌 학회가 공동주관한 2013년 학술심포지엄에서 발표되었고, 그 후 본인의 저서 『다른 유교, 다른 기독교, 도서출판모시는사람들, 2016』에 묶어냈다.
왕양명의 ‘용장대오’와 함석헌의 ‘시즈노비 못가’
본 논문은 그 둘 안에 역사적으로 뿐 아니라 내용면에서 많은 연결점과 유사점이 있다고 여겨지는 두 사상가, 중국 명나라의 왕양명과 한국 현대의 함석헌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특히 그들 삶과 사상의 고유한 출발점과 토대를 양명의 ‘용장대오’(龍場大悟, 1508)와 함석헌의 일본 관동대지진 ‘시즈노비 못가’(1923)에서의 경험으로 본다. 거기서부터 어떻게 이들 삶과 사상이 그 강력한 ‘존재사건’의 경험에 근거해서 정치 사회적으로 급진적으로 전개되어 갔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 왕양명 ⓒWikipedia
양명의 ‘심즉리’(心卽理, 마음이 곧 하늘이다)와 ‘지행합일’(知行合一)의 깨달음은 후에 다시 ‘양지’(良知, 선한 본성)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이런 일련의 전개 속에서 그는 모든 인간 존재의 초월적 근거를 확신했다. 거기에 근거해서 당시의 학문세계, 정치, 문화, 교육 등의 혁신을 위해서 혼신의 힘을 다했다.
함석헌은 잘 알다시피 동경유학에서 돌아와서 당시 일제의 식민지 아래 놓여있던 조선의 역사를 초월적 ‘뜻’의 역사로 풀어냈다. 거기서 하느님의 ‘고난의 종’의 형상을 읽어내면서 그 역사의 주체를 ‘씨ㅇㆍㄹ’의 민중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이후 이어지는 그의 모든 정치적 저항운동과 정통 기독교신학과 교회로부터의 탈(脫)의 행보는 바로 여기/이곳에서의 존재의 현존을 경험하는 일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이것을 “聖의 평범성의 확대”라는 말로 의미화 하고자 했고, 바로 초월적(종교적) 존재사건이 가지는 강한 정치적인 파급력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왕양명과 함석헌, 어디서 만날 수 있을까
잘 알다시피 왕양명(王陽明, 1472-1529)은 중국 명나라의 신유교가로서 행정가와 군인, 교육가와 시인 등으로 매우 역동적인 삶을 산 사상가였다. 그는 당시 철저히 관학화 되었고, 주희 식의 차가운 사변이론으로 전락한 유교 전통을 다시 한 번 크게 개혁한 사상가이다.
이에 대해서 함석헌(咸錫憲, 1901-1989)은 20세기 한국이 낳은 뛰어난 기독교 사상가로서 ‘한국의 간디’라는 칭호가 잘 말해주듯이 구한말에 태어나서 3.1운동과 혹독했던 일제의 억압, 해방 후의 혼란과 6.25, 그 후로 이어지는 5.16과 박정희 군사독재를 겪으면서 민족과 나라를 위해서 저술가와 저항운동가, 시인으로 활동했던 “동서종교사상을 한 몸 안에 융섭한 위대한 혼”의 사상가이다.(1) 지금까지 이 둘 각자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렇게 이 두 사상가를 함께 연결하여 살펴보는 일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
이 둘의 비교연구의 타당성을 여러 가지로 들 수 있다. 16세기 양명학이 조선 땅에서 ‘불행한 만남’으로 시작되긴 했지만 이후 강화의 정하곡(鄭霞谷, 1649-1736)과 같은 뛰어난 학자를 배출할 정도로 한국 땅에서 전개되었다. 특히 조선조 말의 실학의 발생과 천주교 서학과의 만남에서 양명학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지적되고 있는 것을 보면,(2) 함석헌이 20세기의 시작에서 기독교의 개혁정신을 받아들였고, 또한 일본 유학에서 큰 영향을 받은 무교회주의자 우찌무라 간조가 일본 양명학의 비조인 나가에 도쥬(中江藤樹, 1608-1648)의 정신과 맞닿아 있다는 지적 등은 두 사람을 연결시킬 수 있는 좋은 근거라고 할 수 있다.(3)
본인도 함석헌 사상이 지금까지 주로 노자나 장자 등의 도교와의 관련 속에서만 동양사상적으로 의미 지어져 왔지만, 그러나 그 보다 더 근본적으로 그 사상을 형성하는 뿌리는 유교였다고 지적했다.(4) 그가 비록 구체적인 언어로써 그 영향을 의식하고 밝히는 부분은 적지만, 구한말 평안북도 용천에서 대가족의 어진 부모님 밑에서 태어나고 자라면서 받은 유교적 영향은 크고도 깊었으며, 그 삶에 대한 여러 가지 내러티브들이 좋은 증거라고 생각한다. 여기에 더해서 1921년 오산학교로 편입해서 만난 이승훈 선생과 특히 유영모 선생이 양명학을 매우 친애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므로 이 둘의 비교 연구는 무리가 아니라고 본다.
▲ 함석헌
2011년 사회학자 송호근은 조선조 유교의 역사와 특히 조선조 말 동학의 등장과 서학의 유입이라는 시간을 “인민의 탄생”이라는 화두로 정리했다.(5) 이 정리에 일면 동의하는 바이지만 나는 그가 파악하는 것보다 훨씬 더 적극적으로 조선 유교가 한국인들의 인간화와 ‘인민의 탄생’(민주화)에 기여했다고 보는 입장이다. 즉 유교가 가지고 있는 초월(하늘, 聖)의 강력한 내재화의 능력(天命, 理一分數, 性卽理/心卽理, 人物性同異論 등)은 삶의 모든 영역을 성화(聖化)하고 예화(禮化)하고자 하는 기도로 나타났다.
이 조선조 유교화의 기도가 비록 신분제에 묶이고, 특히 여성들에게는 매우 차별적으로 적용되었다 하더라도 이를 통한 인민층의 확대와 근대적 자아의식의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고 보는 입장을 말한다. 나는 이러한 전개를 특히 유교적 포스트모던적 종교성(“a secular religiosity”)에 근거한 “聖의 평범성의 확대”라고 파악하였다.(6) 이러한 유교적 기반이 있었음으로 인해서 서구 기독교가 유입되었을 때에 보다 크게 번성할 수 있었고, 그와 더불어 근대적 자아의식의 확립이 용이했음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중세’ 유교와 ‘근대’ 기독교의 관계가 송호근 교수도 포함해서 많은 서구식 의식의 학자들이 파악하는 것처럼 그렇게 양자택일적이고 반목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7)
본 연구가 양명과 함석헌의 사상을 이해하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이다. 이 둘의 의미를 한 마디로 그들 삶과 사고에서 내보이는 “존재사건의 정치적 함의”로 정리해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8) 즉 이들을 모두 나름의 ‘종교’ 사상가로  본다는 의미인데, 기독교 사상가인 함석헌뿐 아니라 신유교가인 양명도 나름의 방식으로 일종의 신비적 존재 체험가로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 둘 모두는 자신들의 심도 깊은 ‘세계 의미물음’(Sinn-Sein Frage)의 추구 가운데서 존재의 핵심과 만남을 체험했다. 이러한 존재체험이 이후 이어지는 그들 활동의 중요한 근간이 되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 뜻에서 이들에게서 종교와 정치, 존재와 윤리, 사고와 실천 등은 결코 둘로 나누어질 수 없다.
그렇게 그들은 매우 통합적이고 전일적인 삶과 사고의 사상가들이었음을 말한다. 이들 사고와 실천의 급진성과 저항성, 이들 사고의 “근본적인 민중주의적 성향”은 바로 그러한 깊이 있는 존재와의 조우가 밑받침되었다. 근본이 정립된 경우라는 것을 말하는 의미이다.(9)
존재의 가치를 밝혀야 하는 시대
오늘 우리 시대도 이러한 근본을 밝혀주는 사상가들이 긴급히 요청된다고 생각한다. 오늘 우리 시대도 그들의 시대만큼이나 각종 실리주의와 도구주의로 세상의 모든 것이 도구화되고 수단화되어서 존재의 무의미성의 고리가 한없이 이어지고 있다. 양명과 함석헌이 나름의 경험에서 존재의 내재적 가치를 발견하고, 그 가치에 근거해서 인간 삶과 생명과 우주의 가치를 웅변적으로 대변했다면 그러한 존재사건이 오늘 우리에게도 긴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서 이들 경험과 사상의 전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피보고자 한다. 그 과정 속에서 드러나는 통찰과 실천이 오늘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지를 말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 세 단계란 첫 번째, 양명이 용장대오에서 득한 ‘심즉리’(心卽理)의 체험과 함석헌이 1923년 관동대지진을 겪으면서 동경 “시즈노비 못가”에서 맞이한 생명 체험 등을 중심으로 한 이들 사고의 출발점으로서 존재체험에 관한 물음이다. 둘째, 이 존재체험에 근거해서 그들이 기성의 가치체계에 도전하고 저항하면서 제시하는 새로운 정치·사회적 대안에 관한 물음이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로서 이들 삶과 사상의 정점으로서의 종교, 정치, 교육·문화 등의 대통합적 사고와 세계의미물음에 대한 나름의 최종적 대안제시에 관한 것이다.
본인은 여기서 오늘 우리 시대를 ‘생물권 정치학’(Biosphere Politics)의 시대라고 이름 지었다. 이것은 오늘 우리 시대의 문제가 단지 인간의 문제만이 아니라 전 생물권의 우주 생태적 문제라는 의식을 표현한 것이다.(10) 오늘 우리 시대의 위기는 “단지 인식론의 위기가 아니라 존재론의 위기”(a crisis of ontology, not just of epistemology)라는 지적대로(11) 아무리 하찮은 존재라도 그 존재가 가지는 내재적 차원의 의미를 지지해줄 존재론적 근거가 요청되는 시대가 되었고, 두 사상가가 만난 존재 사건들이 가지는 의미가 우리 시대를 위해서 좋은 의미가 된다고 생각한다.
(다음 호에 계속)

미주

(미주 1) 김경재, 「함석헌의 종교사상」, 『씨ㅇㄹ의 소리』, 100호, 1988.4, 강돈구, 「유영모 종교 사상의 계보와 종교 사상사적 의의」, 김흥호·이정배 편, 『多夕 유영모의 동양사상과 신학』, 솔, 2002, 369쪽 재인용.
(미주 2) 류승국, 「한국 근대사상사에서 양명학의 역할」, 『한국 사상의 연원과 역사적 전망』, 유교문화연구소 유교문화연구총서 10, 2009, 417-442쪽.
(미주 3) 최재목, 「咸錫憲과 陽明學」,『陽明學』제32호, 2012.8, 164쪽.
(미주 4) 이은선, 仁의 사도 함석헌 사상의 유교적 뿌리에 대하여」로『陽明學』제33호, 2012.12, 295쪽 이하.
(미주 5) 송호근, 『인민의 탄생』, 민음사 2012.
(미주 6) 이은선, 「유교와 기독교-그 만남의 필요성과 의미」,『유교, 기독교 그리고 페미니즘』, 지식산업사, 2003, 26쪽 이하; 이은선,「종교문화적 다원성과 한국 여성신학」,『한국 생물生物 여성영성의 신학』,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11, 29쪽 이하.
(미주 7) 이은선, 「21세기 한국 여성리더십에서의 유교와 기독교 I」, 『東洋哲學硏究』, 제62집, 2010.5, 205-242쪽.
(미주 8) 프레드 달마이어, 『다른 하이데거』, 신충식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11, 00쪽.
(미주 9) 리처드 J. 번스타인, 『한나 아렌트와 유대인 문제』, 김선욱 옮김, 아모르 문디, 2009, 107쪽.
(미주 10) 이은선, 『생물권 정치학 시대에서의 정치와 교육-한나 아렌트와 유교와의 대화 속에서』,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13.
(미주 11) Neil L. Whitehead and Michael Wesch(eds.), Human no more-Digital Subjectivities, Unhuman Subjects and the End of Anthropology,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2012, p. 218.
이은선 명예교수(한국 信연구소, 세종대) leeus@sejong.ac.kr

이선근 유교가 실은 3 . 1혁명에서 상당히 중요한 정서적 바탕일 수 있다는 요지



(5) 이선근




이선근
13 hrs ·



_ 후기

모든 글이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선비의 글이라면 그 글은 여러 번 다시 읽어, 읽을 때마다 새롭게 배우고 또 뜻의 깊이를 더 깊은 곳에서 만나야 할 것이다. 아마도 선비 된 글은 그 글을 썼던 정성만큼 여러 번 읽어야만 내 안에서도 깊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리라. 그렇게 하면 그분들의 글이 내 안에서도 공명하여 운다.

.


지난 수요일 일보학교에서는 이은선 선생님의 “3 . 1운동 정신에서의 유교(대종교)와 기독교 — 21세기 동북아 평화를 위한 의미와 시사”를 읽었다. 나는 지난봄 계절에도 한 번 읽은 적이 있기 때문에 이번에 읽으면 두 번째가 된다. 그런데, 마치 담은 낮으나 문이 여럿 달린 전통 고택에 들어간 것처럼, 글 안으로 들어가는 길이 무척 신비롭고 고고했다.

이 글은, 흔히 3 . 1혁명에서 배제된 종교 혹은 사상이라고 생각되어왔던 유교가 실은 3 . 1혁명에서 상당히 중요한 정서적 바탕일 수 있다는 요지로, 조선 후기 유학자들의 정신으로부터 20세기 초 신흥 종교들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독립항쟁과 세계평화에 미친 영향을 종교사상사적으로 차근차근 짚어내고 있다:

“유교의 역할이 의병 활동 등과 더불어 앞으로 전개될 모든 독립항쟁 운동에 밑받침이 되었다 ...”(27)

“3 . 1운동과는 관련 없다고 여겨지는 유교가 그 이전의 세찬 의병 운동의 정신적 근거였고, 이후 동학, 기독교, 대종교의 등장과 응전에 한결같은 공의의 원리로서 출발점이 되었음을 …”(47)

조선 후기 선비들은 기꺼이 목숨을 내고 재산을 내어 의병을 일으키고 민중들과 함께 겨레의 독립과 세계의 평화를 위해 애썼다. 단지 무력만이 아니었다. 그들은, 우리 민족의 기저에 있던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하라는 가르침에 따라, 독립과 평화의 의지를 민중의 삶에 선언하는 종교운동으로서 사방 곳곳에 쏟아지듯 일어섰다.

이것은 각각이나 각각이 아니고 하나이며, 그것도 다만 하나가 아닌 참으로 각각의 온통이다. 100년의 3 . 1혁명은 바로 이 온통의 소리인바 천지를 쩌렁쩌렁 우는 독립과 평화의 울음이다. 그러나 이 소리의 시제는 현재 미완료 시제로 작금에도 여전히 민생의 독립과 세계의 평화를 위해서 멈춤 없는, 우리 내면에 살아 우는 소리다.

.

그런데 나는 한 가지 궁금증이 생겼다. 대체 ‘선비정신’이란 무엇인가? 어찌하여 500년을 줄곧 엘리트 지배계급이었던 선비가 권력과 힘의 몰아치는 압력에 솔깃하여 따르지 않고 선비의 순수한 정신으로만 그것들에 마주하여 고고하게 저항했을까? 그들은 마치 지방 향교의 낮은 담에도 불구하고 높이 오르는 주름진 곡선을 닮았다.

내 질문에 선생님은 선비에게는 ‘계급’이 없다고 답해주셨다. 아뿔싸, 어찌 나는 ‘인격’과 ‘학문’과 ‘경륜’을 무겁게 생각하는 군자의 도를 계급 이후로 생각했을까. 그들에게는 계급이라는 개념이 없다. 그들은 오로지 인의 도에 의한 생명을 귀하게 맡아 사는 뿐이다. 그러니 학식이 있고 관직이 있다고 한들 그들을 유산 지배계급으로 단순하게 정의하는 것은 옳지 않으리라.

그러나 어느 시대에나 ’선비’는 적고 ’계급’은 강력하기에 나라를 팔아먹고도 이 힘 저 힘에 붙어먹는 못돼먹은 이들이 있는 것 아닌가. 비록 그들이 학식과 관직이 있다 하더라도, 그들은 선비가 아니다. 그들에게는 정신이 없으니 진짜 선비가 아니며 다만 도적일 따름이다. 이들을 숭상하는 무리가 있다면 그들 또한 그저 소인배라 할 것이다.

정신은 하나의 반복에서 가라앉는 추락에 멈추지 않고 다시 뛰어오르는 상승으로 솟구친다. 이는 마치 가슴에서 뛰는 박동에서와같이 쿵 . 쾅 . 쿵 . 쾅, 뛰는 몸의 울음소리로 알 수 있다. 그러니 이렇게 우는 이들이 모두 선비이다. 학식이 있고 관직이 있어서가 아니라, 몸에서 정신으로 울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이 사람의 품격이며(인격), 배움과 앎의 바름이며(학문), 기쁨과 슬픔을 사는 관계(경륜)이다.

.

우리는 세류에 흔들려 돈과 권력을 쫓아다니는 소인배가 될 것인지, 아니면 인의 도를 따라 민생의 독립과 세계의 평화를 사는 군자가 될 것인지를 다짐해야 할 것이다. 우리 내면에 선비의 정신이 박동한다는 것을 부정하지만 않는다면 우리는 누구나 다 군자로 살리라. 하나, 자신을 속인다면 겨우 소인배나 다름이 없으니, 우리는 매일 깨어 선비정신을 성실히 들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이미 선비라 할지라도 경륜(수덕과 수행)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이다.

인제 보니, 얼어 죽은 소년도, 생선을 파는 여인도, 벽돌을 나르는 청년도, 높은 곳에 오른 아비도, 박스를 줍는 노인도 모두가 다 군자임을 깨닫는다. 그들은 계급을 모르는 군자다. 이리저리 몰려다니는 소인배가 아니니, 그들의 소리를 내가 들어야 한다. 쿵 . 쾅 . 쿵 . 쾅, 우는소리를 내 심장에서 들어야 한다…

오늘은 대한 독립 만세, 만세, 만세, 세계 평화 만세, 만세, 만세를 외치며 죽어간 소녀와 여인과 청년과 아비와 노인의 100년의 하루, 온통의 하루이다.

*




17이은선 and 16 others

1 comment2 shares

LikeCommentShare

Comments


이은선 고맙습니다. 오늘에도 여전히 작동되어야 하는 참된 선비정신에 대해 잘 지적해 주셨네요. 그런데 그 선비정신이 오늘 21세기 유가 그룹에서 잘 작동되지 않는 것 같아 많이 유감입니다. 거기에 대해서 잠깐 써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