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17

Corona, A Communist Agent | Yonder — Global News & Commentary



Corona, A Communist Agent | Yonder — Global News & Commentary

Connecting global events into
a new narrative.by Andrej Mrevlje


HEALTH
Corona, A Communist Agent
By Andrej Mrevlje | a day ago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onium, the voice of Slavoj Žižek is an essential one. The renowned Slovenian philosopher is there when you need him: decoding a mind-boggling event, explaining a new phenomenon that is shattering global society, connecting the dots, filling in loose ends, shedding light on the unknown. There isn’t anybody else on this planet who could transform the Coronavirus into social theory. Never expect Žižek to do something banal or obvious. Always provocative, Slovenia’s most famous export chose to speak from the Russian platform, RT (Russian Television), which is controlled by Putin:


When I suggested that the Coronavirus epidemic may give a new boost of life to communism, my claim was, as expected, ridiculed. Although it looks that the strong approach to the crisis by the Chinese state worked – at least it worked much better than what goes on now in Italy, the old authoritarian logic of communists in power also clearly demonstrated its limitations. One of them was that the fear of bringing bad news to those in power (and to the public) outweighs actual results – this was apparently the reason why those who first shared information on a new virus were reportedly arrested, and there are reports that a similar thing is going on now.

As Žižek says, China has done a pretty good job fighting the virus because of the Chinese state’s strong approach to the crisis. Meanwhile, the predominantly noncommunist world (Italy excluded) is still awaiting a spike in the epidemic. The critical moment–when the capacity of hospitals, the number of respiratory machines, and the medics will become scarce–is still looming. The pandemic may become too big to be managed by a single country, Žižek says:


The Coronavirus epidemic does not signal just the limit of market globalization, it also signals the even more fatal limit of nationalist populism which insists on full state sovereignty: it’s over with ‘America (or whoever) first!’ since America can be saved only through global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I am not a utopian here, I don’t appeal to idealized solidarity between people – on the contrary, the present crisis demonstrates clearly how glob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is in the interest of the survival of all and each of us, how it is the only rational egotist thing to do. And it’s not just Coronavirus: China itself suffered the gigantic swine flu months ago, and it is now threatened by the prospect of a locust invasion. Plus, as Owen Jones noted, climate crisis kills many more people around the world than Coronavirus, but there is no panic about this.

Let’s recapitulate: epidemics like the Coronavirus, Sars or Swine Flu are dangerous enough to teach humanity that isolation–sealing off a single country–will not block or eliminate the virus. Only glob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ll enable us to survive. There are only more bad viruses and climate change in our future. These upcoming calamities will not be resolved by a simple teleconference among global leaders. Obviously, something much stronger and binding will be necessary.

Žižek finishes his thought:


From a cynical vitalist standpoint, one would be tempted to see Coronavirus as a beneficial infection that allows humanity to get rid of the old, weak and ill, like pulling out the half-rotten weed and thus contribute to global health.

The broad communist approach I am advocating is the only way for us to really leave behind such a primitive vitalist standpoint. Signs of curtailing unconditional solidarity are already discernible in the ongoing debates, as in the following note about the role of the “three wise men” if the epidemics take a more catastrophic turn in the UK: “NHS patients could be denied life-saving care during a severe Coronavirus outbreak in Britain if intensive care units are struggling to cope, senior doctors have warned. Under a so-called ‘three wise men’ protocol, three senior consultants in each hospital would be forced to make decisions on rationing care such as ventilators and beds, in the event hospitals were overwhelmed with patients.”

What criteria will the “three wise men” rely on? Sacrifice the weakest and eldest? And will this situation not just open up space for immense corruption? Do such procedures not indicate that we are getting ready to enact the most brutal logic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So, again, the ultimate choice is this or some kind of reinvented communism.

So this is it? Some kind of reinvented communism? Why call it communism? Communism as the new world order sounds utopian, Trotsky-esque even. “Reinvented” hints towards a more creative and open model of society instead of the pure, rude communism from the Soviet Union. But does the new model include the methods that China is applying under Xi Jinping? A decade ago, Žižek considered the challenge between authoritarian and democratic regimes to be a priority that the world needed to resolve:


Following this path, the Chinese used unencumbered authoritarian state power to control the social costs of the transition to capitalism. The weird combination of capitalism and Communist rule proved not to be a ridiculous paradox, but a blessing. China has developed so fast not in spite of authoritarian Communist rule, but because of it.

There is a further paradox at work here. What if the promised second stage, the democracy that follows the authoritarian vale of tears, never arrives? This, perhaps, is what is so unsettling about China today: the suspicion that its authoritarian capitalism is not merely a reminder of our past – of the process of capitalist accumulation which, in Europe, took place from the 16th to the 18th century – but a sign of our future? What if the combination of the Asian knout and the European stock market proves economically more efficient than liberal capitalism? What if democracy, as we understand it, is no longer the condition and motor of economic development, but an obstacle to it?

The image Žižek puts forward paints China as the most efficient regime when it comes to dealing with the emergencies the world is facing at the moment. It’s been a week since we were flooded with reports on how successful China was in dealing with the latest plague. These reports were sustained in a big way by an interview with Dr. Bruce Aylward, who led the W.H.O. team that visited China to assess the country’s response to the Coronavirus outbreak. Dr. Aylward’s praises for China are endless. But if you do not want to read through all of them, you can watch the video in which a journalist from the New York Times who interviewed him shoots out a concentrated version of the Chinese model that sounds like a fairy tale. In addition to the widespread reporting on China’s success, images of the dismantling of the hospital that was built to cope with the pandemic in Wuhan and a video of Chinese workers taking off their face masks are circulating throughout the internet. However, the propaganda peaks with footage of the plane loaded with Chinese experts and medicine landing in Rome a few days ago. It is supposed to show that China is now back on its feet and ready to save the world.

But let us not forget that the Coronavirus sprung from the wet markets of Wuhan in China and th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leader Xi Jinping ordered containment—of both the virus and information about it—on January 7. Only on January 20 did the Chinese government allow any public disclosure about the deadly outbreak, losing vital weeks in which the world might have done more to prevent a pandemic if both the scientific genome sequencing and the dangers had been shared.

As Dispatch.com reports:

Xi’s prime concern was not lives at risk, or containment of the virus, but rather the nation’s and his reputation, place in the global supply chain and his grip on power. In this, Xi is much like every other dictator who prioritizes everything above the well-being of his own people, let alone others’.

Iran and Russia have also joined in as regimes that have mismanaged the virus for political purposes. As much as it might be hard to believe, Donald Trump joined the elite of dictatorial regime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way Xi and Trump forced their members of government into obedience, making them publicly praise their wisdom and success in leading their nations.

As Dispatch puts i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gimes:

When we consider the United States’ failings on this front, it’s fair to argue that Donald Trump has been more Xi and less Abraham Lincoln than desirable. (See, in particular, his insistent tweets that the virus was “contained” in the United States and his reluctance to let in the passengers of the Grand Princess cruise ship because it would hurt the “numbers.”) The president and the CDC were initially slow to face up to the challenge.

But even in this instance, the nature of the American democratic state has served to defuse Trump’s selfish impulses, with institutions stepping up to fill the void. And as we will likely see, the U.S. will belatedly come to speed, with lower fatality rates that reflect the democracy/dictatorship divide.

Even though China’s leadership finally managed to mobilize the country against the virus, how can we trust these people? The Chinese authorities put themselves at the front lines of the battle against the Coronavirus, but only after they screwed it up and allowed the virus to travel from Wuhan across China and then out into the world. Trump did the identical thing when he hushed data on the potential pandemic, blocking efficient measures that would contain the virus. Was all this done to let the financial markets remain high, to get reelected?

Turning back to the always inspiring Žižek, we can ask if Xi Jinping, Vladimir Putin, Donald Trump, and a dozen similar dictators, can reinvent communism, reinvent anything. Why did Xi Jinping not close the wild animal markets when he knew that the Coronavirus could easily jump from animals to humans in these places, creating a pandemic? Why did Donald Trump abolish the protection plan that the U.S. administration created in the case of a pandemic breakout years ago? Why today, when China is claiming to have resolved the crisis, can we not read more reports about the real state of things there? It will only be after the pandemic ends and the regimes pass by that we can start to face what lies beyond the immediate emergency. The Coronavirus will definitely change our future behavior and our way of life. Take social distancing, working from home, spending more time reading and in nature: how can we go back from this? There is no doubt that even a few weeks of a lockdown will improve climate change. What will we learn from it? There’s no doubt that we will have to reinvent many of the things that we took for granted in the past.
Coronavirus pandemic Slavoj Žižek




Yonder is a weekly newsletter from Andrej Mrevlje that connects global events in the news, delivered every week. Learn more »

Questions? am@yondernews.com

2003 박경철 [농정춘추] 이 세계는 좋아질까 - 한국농정신문

[농정춘추] 이 세계는 좋아질까 - 한국농정신문

UPDATED. 2020-03-16 14:07 (월)



[농정춘추] 이 세계는 좋아질까

박경철 충남연구원 사회통합연구실장
승인 2020.03.15 18:00



박경철 충남연구원 사회통합연구실장



아직 속단하기 이르지만 국내 코로나19 사태가 다소 진정세로 돌아선 것 같다. 이 칼럼이 출간되는 날에는 코로나19 감염자가 더욱 줄어 진정국면으로 들어서길 기대해본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미국 등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보면 쉽게 잦아들 것 같지는 않다.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이 될 거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공포가 일상이 돼버린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정부가 제시하는 예방수칙을 잘 지키는 것 말고는 없다.

몇 해 전 한 스님이 쓴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라는 책이 유행한 적 있다. 지금이 그때가 아닌가 싶다. 인간의 이기심으로 한없이 쌓아올린 바벨탑이 속절없이 무너지는 광경 앞에서 우리는 공황상태에 빠진 게 아닌가 싶다. 인간의 합리적 이성으로 만들어낸 많은 가치들이 전도되고 부정되는 요즘이다. 하늘길이 막히고 바닷길마저 끊어지고 있다. 분주했던 버스와 기차가 비어버렸다. 사람이 사람을 피하고 사람이 사람을 의심하고 사람이 사람을 혐오한다. 인간 존재의 근원적 부정이 만연하고 있다. 종교는 더 이상 구원을 위한 으뜸의 가르침이 아닌 인간 파멸의 도구가 되고 있다. 우리는 몰랐다. 종교가 얼마나 타락하고 악의적일 수 있는지를. 코로나19가 알려준 사실이 너무 많다.

역사학자와 인류학자들은 고대 도시 멸망의 이유 중 하나로 전염병을 지적한다. 소위 문명화됐다고 자부하는 도시인들은 도시의 바깥 존재들을 미개하고 야만스러운 존재라고 여겼다. 그래서 도시 바깥의 존재들이 못 들어오게 단단히 성을 쌓고 문을 닫았다. 농촌사람들과 자연은 배제의 대상이었고 두려움의 대상이고 무시의 대상이었다. 인간이 자연을 멀리하면 할수록, 자연을 배신하면 할수록 자연도 인간을 배신하게 된다. 인간이 아무리 자연을 멀리해 공고한 성을 쌓더라도 눈에 보이지도 않는 바이러스와 세균에 침몰하게 된다. 유럽인구의 1/4이 죽은 흑사병이 그랬고 수천만명이 사망한 스페인독감이 그랬다.

중국 우한은 1938년 10월 10일, 의열단의 후신인 조선의용대가 창립된 역사적인 도시기 때문에 8년 전 한 번 방문한 적 있다. 우리에게 낯선 도시지만 우리 독립운동 역사에서는 매우 의미 있는 도시다. 그런 우한이 코로나19의 진원지가 되면서 원망의 대상이 돼버렸다. 나는 중국의 여러 도시를 다니면서 원초적 두려움을 느끼곤 했다. 이름도 몰랐던 도시들도 막상 찾아가면 몇 백만명의 인구가 되고 조금 알려진 도시에선 천만 인구가 기본이었다. 갈수록 공룡화 돼가는 도시들을 인간이 완벽히 통제할 수 있다는 자체가 오만이다. 만약 서울이라는 도시가 중국 우한처럼 봉쇄됐다면 어땠을까?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지금 대구 하나도 통제하기 힘든데 서울과 같은 거대도시에서 대구와 같은 사태가 발생한다면 상상하기 힘든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유럽의 도시들은 그 유명세에도 불구하고 대개 크지 않다. 독일 같은 경우에 베를린이나 뮌헨정도가 큰 도시이지 나머지 도시들은 불과 몇십만 명에 불과하다. 도시가 크지 않은 이유 중 하나도 이러한 전염병으로부터 사회적, 물리적 거리를 유지하려는 역사적 교훈에서 비롯되지 않았나 싶다. 더욱이 놀라운 것은 인구의 절반 이상이 농촌에서 거주한다는 점이다. 도시에서 일을 하더라도 거주는 농촌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과거 역사에서 배울 것을 배운 것이다.

코로나19가 지나가면 이 세상은 좋아질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코로나19에 가려진 우울한 소식들을 연초부터 많이 들었다. 남극의 기온이 20℃를 넘어섰고, 불평등은 사상 최악으로 치달았고, 출산률은 또 다시 최저치를 갱신했다. 심각한 불평등은 우리 사회를 좀먹는 바이러스였고 사회적 병리현상은 의학적 병리현상과 맞물리면서 우리 사회를 수렁으로 빠트렸다. 우리는 일상이 비상이었는데 그 비상이 코로나19로 감춰져버렸다. 특히 농촌은 늘 사회적으로 격리되고 배제돼왔다. 늘 비상사태였지만 무감각해진지 오래다.

우리는 우리 후손에게 어떤 세상을 남겨주려고 이런 만행을 저지르고도 무감각한지 모르겠다. 도시가 전염병과 같은 재난으로 멸절돼 농촌으로 찾아오길 기대하지는 않지만 그럴 수도 있는 날을 대비해야 한다. 비상사태가 변수가 아니라 상수가 됐다. 생태적 마을공동체를 회복하고 신뢰와 협력을 통한 자립적 삶을 구축하는 것, 코로나19가 지나간 자리에 싹트길 기대한다.


경철 충남연구원 사회통합연구실장다른기사 보기

On Being an Earth Being | WipfandStock.com

On Being an Earth Being | WipfandStock.com



Print
Email
Download Cover
REQUEST EXAM COPY
REQUEST REVIEW COPY



On Being an Earth Being

Searching for the Spiritual in a Cosmic Sanctuary Called Planet Earth

BY Norman C. Habel
Imprint: Resource Publications


PAPERBACK
ISBN: 9781725259256
Pages: 176
Publication Date: 2/14/2020
Retail Price: $18.00 Web Price: $14.40
ADD TO CART
ADD TO
WISHLIST




Jump to: ABOUT ENDORSEMENTS & REVIEWS CONTRIBUTORS BIO(S) MORE FROM THE CONTRIBUTOR(S)

About
What happens when you discover you are an Earth being and not just a human being? This volume traces my journey from being a child of Mother Church to being a child of Mother Earth, from being a human being cursed with original sin to being an Earth being blessed with innate spirituality. My journey includes probing the maze of mysteries called ecology, attending the Wisdom School of the ancient world, taking a cosmic journey with the traumatized Job, joining Aboriginal peoples of Australia in reading the spiritual landscape, and celebrating life in a cosmic sanctuary called Earth. These reflections are suitable not only for personal meditation, but for readings in worship contexts and for spirituality retreats or workshops.


Endorsements & Reviews
“When someone has spent more than eight decades immersed in the Judeo-Christian Bible, one might expect that the bubble called ‘the world of the Bible’ to contain a person. Not Norm Habel. Habel has seen beyond the time of sacred writing to the traces of a more ancient wisdom. Sure, traces of that wisdom have survived in the treasures held in the Bible, and Habel has spent the more recent years of his indefatigable search prizing them out. But Habel has caught a glimpse of that ancient wisdom in indigenous spirituality, stories, and rituals. Far from mining them for his own enrichment, he has sat humbly before their custodians seeking from them how he might recover . . . himself, an Earth Being. Gone is the cultured, academic discourse of the past; now come the gentle meditations, the tentative wonder of a return home, the anxious reflections on how past and present, Christian and Earth Being, might celebrate life together.”

—Alan Cadwallader, Centre for Public and Contextual Theology, Charles Sturt University, Canberra, Australia


Contributors
Norman C. Habel

Bio(s)
Norman C. Habel is a Professorial Fellow at Flinders University. He is a biblical scholar who has specialized in the book of Job and wisdom literature. His initiatives include The Earth Bible Series, The Season of Creation, and Exploring Ecological Hermeneutics. He worked with the Aboriginal Rainbow Spirit elders in Queensland to produce Rainbow Spirit Theology: Towards an Australian Aboriginal Theology. His latest work, entitled Acknowledgement of the Land and Faith of the Indigenous Custodians after Following the Abraham Trail, is a challenge for the churches of Australia.


More from the Contributor(s)
See All »

Yahweh Versus Baal

Norman C. Habel

Wipf and Stock / DEC 2018

The Nature of Things

Graham Buxton, Norman C. Habel

Pickwick / NOV 2016

Our ImprintsExplore our different imprints . . .

2020/03/16

2003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드리는 그리스도교 공동 성명[전문]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드리는 그리스도교 공동 성명[전문]

https://news.sarangbang.com/detail/culture/2038329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드리는 그리스도교 공동 성명[전문]
입력 2020.03.11. 19:40 댓글 0개

"모든 생명이 안전하고 행복한 문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

[서울=뉴시스] 남정현 기자 = 개신교 21개 단체가 11일 성명을 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와 관련해 "밀집해서 모이는 주일예배는 당분간 중단하고, 문명 성찰의 계기로 삼아야”한다고 밝혔다.

이 성명에는 교회개혁실천연대와 교회2.0목회자운동, 기독교환경교욱센터 살림, 성서한국, 건강한작은교회동역센터, 대구이웃을위한사마리안들, 한국교회생명신학포럼 등의 단체가 참여했다.

◇다음은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드리는 그리스도교 공동 성명' 전문

"모든 생명이 안전하고 행복한 문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작년 연말부터 시작된 코로나19 감염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불안과 두려움이 지구촌을 덮고 있습니다. 더 이상의 감염자나 사망자 없이 이 사태가 진정되어 속히 사회적 안정이 이뤄지기를 기원합니다. 특히, 가장 큰 고통을 겪고 있는 대구와 경북 등지의 감염자들 및 그들의 가족들뿐 아니라 위험을 무릅쓰고 생명을 다해 수고하시는 의료진들을 포함한 방역담당자들에게 하나님께서 평안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1. 이 사건은 생명·생태적 삶으로 전환하라는 경고입니다

지금의 상황은 우리들이 두려워하고 놀라기만 할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그동안 삶의 터전인 
피조세계 전체를 경시해왔던 관행에 들려주는 경종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새로운 전염병 발생과 재유행의 원인으로 
  1.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한 인구학적 변화, 
  2. 동물 병원소와의 접촉을 증대시킨 생태학적 변화
  3. 병원체의 전파를 확장시키고 가속화하는 국가 간 여행 및 교역의 증가, 
  4. 기존 전염병의 감소에 수반된 공중보건 체계의 이완과 와해
  5. 항생제 남용 
등을 들고 있습니다.

즉, 변종 바이러스의 출현은 그동안 우리가 추구했던 산업 발달과 국제 교역의 증가를 통한 경제성장이 도리어 인간의 삶의 조건과 환경에 파괴적 변화를 수반했음을 뜻합니다. 인간의 생태계 파손 행위가 동물들의 터전을 파손하고, 동물들을 숙주로 하는 
미생물들을 자극하여 질병으로 되돌아오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사태는 
생태계를 파괴해가며 성장과 발전을 이루고자 했던 현대 문명을 향해 지금이라도 방향과 태도를 바꾸라는 경고입니다. 우리가 지금과 같은 형태의 생태파괴적인 삶을 이어간다면 앞으로 또 다른 변종 바이러스가 끊임없이 출현할 것입니다.

이 문제는 오래전부터 예견되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 '광우병'의 공포를 겪었고, 근래까지 매해 닭, 오리, 돼지, 소 등과 같은 가축들의 전염병을 겪었지만 여전히 우리는 수백 수천만의 무죄한 생명들을 살처분하고 시설들을 폐쇄하는 것으로만 일관해왔습니다. 
전염에 상시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공장식 가축 산업과 육식 위주의 식습관, 그리고 자원낭비적인 생활방식에는 손대려 하지 않았습니다.

이제라도 우리는 인간의 건강이 동물뿐 아니라 생태계 전체의 건강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속히 받아들여야 합니다. 우리는 
생명 전체의 연계성 속에서 인간의 삶을 바라보며 ‘하나의 건강’(One Health)을 지향하는 문명사적인 전환기에 서 있습니다.

2. 한국교회는 이 사태를 깊은 자기 성찰의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한국교회에 던져 준 의미는 매우 큽니다.

물론, 코로나19 감염의 기폭제가 된 곳은 한국교회가 이단으로 규정하는 신천지입니다. 신천지가 집단 감염 사실 자체를 감추는 동안 바이러스는 신천지 내부를 벗어나 대구 경북뿐 아니라 전국으로 확산되어 전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교회도 여기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종교적 특수성을 내세워 사회적 보편성을 놓치는 일은 한국교회도 범하기 쉬운 관행이기 때문입니다. 한국교회는 신천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교계 일부에서는 정부나 국회, 또는 지자체의 예배 방법 변화 요구에 순교자의 각오로 맞서야 한다고도 합니다.

그러나 이는 교회가 사회와 더욱 멀어지게 할 뿐이며 지금의 사태를 해결하는데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오히려 우리는 
지금 상황을 모든 생명을 존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기독교적 가르침에 근거한 공적 책임을 실천할 기회로 여겨야 할 것입니다.

신천지와 몇몇 교회 사례에서 확인되었듯이, 많은 대중이 좁은 공간에 밀집하게 되는 공중 예배 형태는 당분간 중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안식일이 사람을 위해 있다’고 하신 주님의 마음(막 2:27)을 실천하는 것이므로 오히려 권장하고 기쁘게 협력해야 할 것입니다.

지금은 한국교회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모든 생명을 살려내는 참된 예배의 본질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더욱 깊이 고민하며 사회를 향한 공적 책임을 더 잘 감당해야 할 시기입니다. 다만 각 교회들은 자체 방역과 개인위생 지침을 분명히 하는 가운데 개인과 공동체의 선택에 따라 모여서 예배한다면 무조건 비난할 일도 아닐 것입니다.

한국교회는 이번 사태가 주는 의미를 깊이 묵상하고 성찰해야 할 것입니다. 앞만 향해 달려온 신앙적 질주를 잠시 멈추고, 하나님이 명령하신 이웃사랑의 참된 의미를 되살려야 합니다. 특히, 교회는 큰 짐을 지고 있는 대구 경북 및 주변 이웃, 작은 교회들에 마스크 십일조, 헌금 나누기, 의료진 파송 운동 등을 전개할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입니다.

3. 사회와 국가를 향해 당부합니다

우리는 이번 사태가 정쟁의 도구로 활용되는 것을 경계합니다. 
사회적 분열을 조장하는 정치권 및 일부 세력도 선동을 중지할 것을 권고합니다. 한국사회는 이 위기에서 전염병으로 인한 사회공동체의 붕괴를 막고 고귀한 생명을 구하는 일에 전국민적으로 함께 매진해야 할 것입니다.

국정운영 전반을 책임진 정부나 보건당국 역시 책임을 회피하거나 스스로를 과신하지 말고 더욱 성실하고 겸손하게 바이러스 확산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정부는 미래에 예견되는 유사한 국제적 전염병에 대비해 국가적 방역 및 치료시설들과 제도들을 충분하게 준비하여 더 큰 재난에 대비하도록 민간 전문가 및 시민단체와 함께 유기적인 생명망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코로나19 감염사태로 경제 취약계층이 겪는 고통은 이미 임계치를 넘어섰습니다. 아울러 사회 전반에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불황'도 예상됩니다. 
정부와 경제주체들은 서민들을 위한 사회 안전망 대책 마련에도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정부나 국회, 그리고 일부 지자체도 강제성을 띤 의결이나 행정명령이 아닌 상대를 배려하는 깊은 대화와 권고로 이 상황을 함께 헤쳐 나가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일각에서 우려하는 것처럼 감염예방을 위한 정보공개가 확진자의 인권을 지나치게 침해하지 않도록 조금 더 신중한 방법을 찾아 줄 것을 당부합니다.

지금 같은 위기일수록 국민들의 현명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특정 개인과 집단에 대한 배제와 차별, 증오를 멈추고 인류애에 기초한 사랑의 연대로 이 위기를 함께 극복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슬기롭고 따뜻한 우리 국민 모두에게 주님의 평강을 빕니다.

- 우리의 제안 -

1. 우리는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생명 경시의 문화를 버리고 생명 전체를 존중하는 문명으로 전환하기를 제안합니다.

2. 한국교회는 이 사태를 자기 성찰의 기회로 삼아 이웃사랑의 공적 책무를 다하기를 제안합니다.

3. 한국사회는 이 위기를 발판으로 삼아 사회적 분열을 치유하고 사랑으로 연대하는 미래를 만들어가기를 제안합니다
.

2020년 3월 11일

건강한작은교회동역센터, 공의정치포럼, 교회개혁실천연대, 교회와사회연구소, 교회2.0목회자운동, 기독교사회적기업지원센터, 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농어촌선교연구소, 대구이웃을위한사마리안들, 사이비종교피해대책연맹, 사회적협동조합 희년, 생명누리, 성서한국, (사)인천내일을여는집, 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 한국교회생명신학포럼, 한국그리스도교일치포럼, 한국복음주의교회연합, (사)한국영성예술협회, 햇살보금자리 (21개 단체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드리는 정의평화불교연대의 성명

"합리적 성찰과 문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합니다"

정의평화불교연대, 코로나19 성명서 발표

정의평화불교연대_불교포커스
승인 2020.03.16 11:48

정의평화불교연대(상임대표: 이도흠, 공동대표: 김광수, 최연, 이희선)는 16일 코로나 사태를 맞아 발표한 "합리적 성찰과 문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합니다"라는 성명서에서 "한국사회는 주술, 광기, 반지성이 압도하고 있다. 상당수의 언론이 과학적, 의학적으로 분석하고 합리적 대응 방식을 제시하는 대신 객관적 사실까지 조작하고 SNS에 떠도는 가짜뉴스를 기사화하며 공포를 조장하고 있다. "며 개탄하였다.

정의평화불교연대는 이어 "현재 모습은 흑사병으로 당시 인구의 30∼60%인 2억 명이 죽은 14세기의 유럽으로 퇴행한 듯한 모습을 보인다. 역사는 기도가 아니라 과학이 흑사병으로부터 인류를 구원하였음을 분명히 증언한다."라 하였다.

정의평화불교연대는 "탐욕과 성장 위주의 문명을 성찰하고 온 생명과 공존하는 문명으로 전환할 것, 한국 교회와 사찰은 주술을 강요하여 부(富)를 축적한 것을 성찰하면서 기복신앙을 폐기하고 합리성과 과학에 근거하여 교리를 해석하고 신행을 이끌며, 아픈 이웃에게 우선적으로 손을 내밀 것, 언론은 과도한 공포를 조장하지 말고 정론을 펼치고 올바른 공론장을 형성할 것, 대중과 지식인들은 가짜뉴스를 전하면서 확증편향을 강화하고 혐오와 배제에 동참한 것을 성찰하고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하며 아픈 이웃과 연대할 것" 등의 6가지 코로나 극복 행동을 제안하였다.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드리는 정의평화불교연대의 성명

합리적 성찰과 문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합니다

WHO는 결국 팬데믹을 선언했습니다. 코로나 감염자는 3월 16일 현재 16만 8천여 명에 달하고 사망자도 6,493명에 이르며 이미 155개국에 퍼졌습니다. 이탈리아에서 하루에만 300명이 넘는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19는 아직 백신을 발명하지 못한 상태에서 감염 초기에 무증상 상태에서 감염을 시키기에 더욱 방역이 어렵습니다. 이 사태가 언제까지 어느 정도로 파급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이 상황에서 지금 한국사회는 주술, 광기, 반지성이 압도하고 있습니다. 상당수의 언론이 과학적, 의학적으로 분석하고 합리적 대응 방식을 제시하는 대신 객관적 사실까지 조작하고 SNS에 떠도는 가짜뉴스를 기사화하며 공포를 조장하고 있습니다. 보수 야당은 과학적 근거가 없이 ‘중국으로부터의 입국금지론’과 ‘정부 방역 실패론’만 되풀이하며 국민의 건강에는 안중에 없다는 듯 총선전략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신천지 집단은 주술적 사고로 무장한 채 위법과 거짓, 은폐와 조작을 남발하며 방역을 붕괴시켰습니다. 일부 교회들은 과학을 부정하고 주술과 광기에 집착한 신행과 예배를 고집하고 있습니다. 일부 대중들은 가짜뉴스에 휘둘리면서 중국인, 대구/경북, 신천지 교도들에 대한 혐오와 배제를 노골화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모습에서 흑사병으로 당시 인구의 30∼60%인 2억 명이 죽은 14세기의 유럽으로 퇴행한 듯한 기시감을 느낍니다. 당시 교황을 비롯하여 대다수의 성직자들은 이를 신이 내린 벌로 간주하고 대중이 교회에 모여 기도하고 속죄할 것을 강요하여 흑사병이 더 빨리 번지게 했으며, 채찍질 고행단(Confraternities of Flagellant)은 마을을 순례하며 흑사병을 전염시켰습니다. 이들은 유태인을 보이는 대로 화형시켰고, 무고한 여인을 마녀로 몰아 거의 50만 명을 불에 태워 죽였습니다.

역사는 기도가 아니라 과학이 흑사병으로부터 인류를 구원하였음을 분명히 증언합니다. 중세 말기의 대중들은 흑사병을 성찰하며 교회 바깥에 시민사회를 건설하고 공론장을 구성하여 거기에서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토론하며 여론을 형성하고 합의(consensus)에 이르렀고 이것을 정책과 제도로 정착시켰습니다. 바로 이것이 인류가 주술의 정원에서 탈출하여 계몽과 과학이 지배하는 근대 사회와 민주주의로 이행한 토대입니다.
이제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합니다. 주지하듯, 신종 바이러스의 근본 원인은 인간이 자연을 파괴하는 바람에 숲에서만 살던 바이러스가 인간을 숙주로 하여 인수(人獸) 공통 전염병으로 변형한 데 있습니다. 설혹 코로나 19 바이러스를 퇴치한다 하더라도 제2, 제3의 신종 바이러스가 4-5년의 주기로 나타날 것입니다. 대중이든 지식인이든 정부든, 모두가 자연을 파괴하고 무한하게 성장을 지속시켜 온 삶과 체제에 대해 성찰하고 온 생명을 존중하고 이들과 공존할 수 있는 문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개인은 다른 생명과 타자를 배려하여 욕망을 자발적으로 절제하여 적게 쓰면서도 행복한 소욕지족(少欲知足)의 삶을 당장 실천하고 중생이 아프면 보살도 아픈 동체대비(同體大悲)의 마음으로 아픈 자들을 먼저 돌보며, 정부는 양적 발전보다 삶의 질, GDP보다 국민의 행복지수, 경쟁보다 협력, 개발보다 공존을 지향하는 생태복지국가로 전환해야 합니다.
지금 이 시점에서 모두가 성찰하며 새로운 패러다임과 사회를 지향해야 합니다. 우리는 세 가지, 곧 성장 위주의 사회는 한계에 이른 점, 바이러스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과학과 연대라는 점, 정의는 그 어떤 차이보다 아픔의 차이를 우선해야 한다는 점에 대하여 철저히 인식한 바탕에서 생태적인 사회로 지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종교인, 언론, 정치인, 시민 모두가 각자 자리에서 성찰하고 대전환에 동참해야 합니다. 이에 우리 먼저 명상과 성찰을 하면서 여러분께 다음을 제안합니다.

-우리의 제안-

1. 우리는 생명을 죽임으로 몰아넣은 탐욕과 성장 위주의 문명을 성찰하고 온 생명을 내 몸처럼 존중하고 그들과 공존하는 문명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합니다.

1. 한국 교회와 절은 주술을 강요하여 부(富)를 축적한 것을 성찰하면서 기복신앙을 폐기하고 합리성과 과학에 근거하여 교리를 해석하고 신행을 이끌며, 아픈 이웃에게 우선적으로 손을 내밀 것을 제안합니다.

1. 정부와 지자체는 가장 가난하고 고통을 받는 이들이 가장 먼저 가장 쉽게 감염되고 사망한 데 대하여 반성하고 그들의 지원과 치유를 우선하고 장기적으로 공공의료체계를 튼실하게 확립할 것을 제안합니다.

1. 언론은 객관적 사실을 왜곡하며 과도한 공포를 조장한 것을 성찰하고 정론을 폄은 물론 올바른 공론장을 형성하여 파수견(watch dog)으로서 역할을 다할 것을 제안합니다.

1. 여야를 불문하고 정치인들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를 정치적으로 이용한 것을 성찰하고 의료보건인들이 과학에 입각하여 토론하고 고민한 끝에 판단하고 결정한 것을 존중하고 따를 것을 제안합니다.

1. 대중과 지식인들은 가짜뉴스를 전하면서 확증편향을 강화하고 혐오와 배제에 동참한 것을 성찰하고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하며 아픈 이웃과 연대할 것을 제안합니다.


불기 2564(2020)년 3월 16일

정의평화불교연대

2020/03/08

Shopping Cart / Cheap-Library.com



Shopping Cart / Cheap-Library.com




Creating a Life Together: Practical Tools to Grow Ecovillages and Intentional Communities by Diana Leafe Christian $6.57 $6.57

Married to Bhutan: How One Woman Got Lost, Said ''I Do,'' and Found Bliss by Linda Leaming $6.99 $6.99Continue Shopping

Take Back the Economy: An Ethical Guide for Transforming Our Communities: J. K. Gibson-Graham, Jenny Cameron, Stephen Healy: 9780816676071: Amazon.com: Books



Take Back the Economy: An Ethical Guide for Transforming Our Communities: J. K. Gibson-Graham, Jenny Cameron, Stephen Healy: 9780816676071: Amazon.com: Books




Take Back the Economy: An Ethical Guide for Transforming Our Communities Paperback – May 9, 2013
by J. K. Gibson-Graham (Author), & 2 more
4.2 out of 5 stars 10 ratings
In the wake of economic crisis on a global scale, more and more people are reconsidering their role in the economy and wondering what they can do to make it work better for humanity and the planet. In this innovative book, J. K. Gibson-Graham, Jenny Cameron, and Stephen Healy contribute complex understandings of economics in practical terms: what can we do right now, in our own communities, to make a difference?

Full of exercises, thinking tools, and inspiring examples from around the world, Take Back the Economy shows how people can implement small-scale changes in their own lives to create ethical economies. There is no manifesto here, no one prescribed model; rather, readers are encouraged and taught how to take back the economy in ways appropriate for their own communities and context, using what they already have at hand.

Take Back the Economy dismantles the idea that the economy is separate from us and best comprehended by experts. Instead, the authors demonstrate that the economy is the outcome of the decisions and efforts we make every day. The economy is thus reframed as a space of ethical action—something we can shape and alter according to what is best for the well-being of people and the planet. The book explores what people are already doing to build ethical economies, presenting these deeds as mutual concerns: What is necessary for survival, and what do we do with the surplus produced beyond what will fulfill basic needs? What do we consume, and how do we preserve and replenish the commons—those resources that can be shared to maintain all? And finally, how can we invest in a future worth living in?

Suitable for activists and students alike, Take Back the Economy will be of interest to anyone seeking a more just, sustainable, and equitable world.




See all 4 formats and editions

Kindle
$18.71
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Review





"Take Back the Economy is the single most farsighted and practical work enlightening us on the path to a steady transition toward a genuine postcapitalist world. It is based on the presupposition that reorienting the economy means much more than the control of production—it means reinventing ourselves, our communities, and our world in profound ways. Out of this act of ‘reframing’ there emerges a novel understanding of work, enterprise, market, property, even finance. In this wonderful new work in the tradition of Gibson-Graham, students, activists, movements, and communities will find a toolkit for ethical and effective action any time, any place."—Arturo Escoba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Take Back the Economy is a valuable, engaged accessible and very clear addition to the Community Economics Collective oeuvre, and I hope it will be read widely and--more importantly--change the world."—Antipode

"Readable, practical, radical."—Sociology

"A most exquisitely conducted study into the not-for-profit or other side of organisations. It impressively shows that ‘another world’ is not only possible but already here."—Organization

"Beneficial for the use of individuals looking to alter their environmental or economic impact, students interested in administration or economics, or researchers and planners seeking alternatives for their communities."—Journal of Appalachian Studies


Read less
About the Author






J. K. Gibson-Graham is the pen name of Katherine Gibson and the late Julie Graham, feminist political economists and economic geographers based at the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Australia, and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Editorial Reviews

Review





"Take Back the Economy is the single most farsighted and practical work enlightening us on the path to a steady transition toward a genuine postcapitalist world. It is based on the presupposition that reorienting the economy means much more than the control of production—it means reinventing ourselves, our communities, and our world in profound ways. Out of this act of ‘reframing’ there emerges a novel understanding of work, enterprise, market, property, even finance. In this wonderful new work in the tradition of Gibson-Graham, students, activists, movements, and communities will find a toolkit for ethical and effective action any time, any place."—Arturo Escoba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Take Back the Economy is a valuable, engaged accessible and very clear addition to the Community Economics Collective oeuvre, and I hope it will be read widely and--more importantly--change the world."—Antipode

"Readable, practical, radical."—Sociology

"A most exquisitely conducted study into the not-for-profit or other side of organisations. It impressively shows that ‘another world’ is not only possible but already here."—Organization

"Beneficial for the use of individuals looking to alter their environmental or economic impact, students interested in administration or economics, or researchers and planners seeking alternatives for their communities."—Journal of Appalachian Studies


Read less
About the Author






J. K. Gibson-Graham is the pen name of Katherine Gibson and the late Julie Graham, feminist political economists and economic geographers based at the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Australia, and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Product details

Paperback: 264 pages
Publisher: Univ Of Minnesota Press; 1 edition (May 9, 2013)
Language: English
ISBN-10: 0816676070
ISBN-13: 978-0816676071
Product Dimensions: 7 x 0.8 x 9 inches
Shipping Weight: 1.2 pounds (View shipping rates and policies)
Customer Reviews: 4.1 out of 5 stars 8 customer reviews
Amazon Best Sellers Rank: #447,416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
#757 in Economic Policy
#31 in Australian & Oceanian Politics
#761 in Economic Policy & Development (Books)


Would you like to tell us about a lower price?
If you are a seller for this product, would you like to suggest updates through seller support?




Related video shorts (0)Upload your video

Be the first videoYour name here


More about the authorsDiscover books, learn about writers, read author blogs, and more.

J. K. Gibson-Graham
Follow

Stephen Healy
Follow

Jenny Cameron
Follow




Ad feedback



Customer reviews
4.2 out of 5 stars
4.2 out of 5
10 customer ratings


5 star 67%
4 star 17%
3 star 0% (0%)
0%
2 star 0% (0%)
0%
1 star 16%

How does Amazon calculate star ratings?

Review this product
Share your thoughts with other customers
Write a customer review

Ad feedback




Top Reviews

Paul P. O'Connor

5.0 out of 5 stars Giving this book now to family members and friends is a special occasion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27, 2013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As we watch the middle class dwindle, its income stagnant, feeling helpless to help themselves and helpless to help the poor, along comes a book that gives us practical advice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of what we can do to change the lives of our families, our communities, our Nation and the Universe. The authors aren't just brilliant academics, they have the practical experience. Anybody can say there has to be a change or blog about what is wrong. The book tells us what we can do because we are not powerless subjects of recalcitrant governments and bureaucracies. This is one of the few books that I have sent to family members simply because of its merits and not waited for a special occasion. I suggest you not borrow a copy, buy it, because you will be marking it up in the margins, underlining, and highlighting text as you learn what you can do to "Take Back The Economy".

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vincent lyon-callo

5.0 out of 5 stars Take back the economy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27, 2013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An informative and engaging work that offers both critical insights into contemporary conditions and concrete examples of what can (and is) being done to take back the economy and create more sustainable (ecologically, emotionally, and economically sustainable) communities. This work helps readers imagine how to escape the debilitating condition of seeing "capitalism" as everywhere and forevermore. Perhaps most impressively, three academics have produced a book that is enjoyable to read with graphics and examples to illustrate their arguments. A wonderful book overall.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Steffanie Scott

5.0 out of 5 stars Fantastic, practical, inspiring resourc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12, 2015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Fantastic, practical, inspiring resource. The associated website is also tremendously helpful as a resource for education and action.
Both are great antidotes to the prolific negative takes on so many global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trends.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Barbara

5.0 out of 5 stars Five Star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2, 2016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What a wonderful book, highly recommend it, in the hope of a better world for us al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MAG

4.0 out of 5 stars an excellent text. I would recommend a little more reading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17,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Although this book is wrote for a community-level approach (and use by community members) it is a little dense in sections that prevent some of the concepts from being appropriately understood. It is, however, an excellent text. I would recommend a little more readings in the background of the neoliberal economy before trying to tackle this book though.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Sam Grant

5.0 out of 5 stars A great book to get your community considering ethical considerations in community developmen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22, 2015
Format: Paperback
Book Review

Gibson-Graham, J.K., Jenny Cameron and Stephen Healy. 2013. Take Back the Economy: An Ethical Guide for Transforming our Communiti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ISBN -978-0-8166-7606

I have been a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professional and educator on this subject for more than 20 years. I am always on the lookout for books that make it simple for emerging practitioners and students to develop a quick sense of how to frame and re-frame, act, reflect and improve upon their work in the field. This book is helpful in both the applied and the academic contexts.

People new to community development, particularly those interested in alternative development paradigms will find much benefit here in the insightful and reflective review of considerations in community economies.

The book covers the nature of work and things to think about in terms of how wages are set and options that support more fairness in the use of surplus created by production. It delves into the business models, alternative ways to think about markets, finance and property. All of it is offered in a format to support dialogue of ethical considerations in community economies. It offers what the title says: ethical guidance, and that is very useful for participatory community dialogue.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Tommy C.

1.0 out of 5 stars what a jok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5, 2015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liberal hippy garbage but was required for my class. the stuff inside is laughable at best.


HelpfulComment Report abuse

Suzanne Bergeron

5.0 out of 5 stars a guide for transforming the economy any time, any plac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4, 2013
Format: Paperback
This engaging, accessible book reframes the economy as a site of ethical action, not expert intervention. Not only does it provide a new way of thinking about the economy and our actions within it as a space of possibility, it also offers myriad inspiring exampl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creating change. An essential book for those interested in creating ethical and sustainable futures.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19 개벽의 시대, 문명적 전환의 방법과 전략 유정길

개벽의 시대, 문명적 전환의 방법과 전략

by소걸음May 23. 2019

[*이 글은 <개벽신문> 제84호(2019.5) '개벽의 창'에 실린 글입니다]
유정길 (개벽신문 편집위원, 불교환경연대 운영위원장, 한살림 마음살림위원)
---

위기가 아니라 개벽(대전환)이 중심이다

조안나 메이시는 시스템이론가, 불교학자이자 여성운동가이며 생태주의운동가입니다. 그녀는 오늘날 위기는 본래 연결되어 있는 사회와 자연을 나누고 구분해 온 것이 모든 문제의 원인이며, 우리가 느끼는 고통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서, 끊어지고 갈라진 사회와 의식을 다시 연결해야 위기를 극복하고 고통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재연결작업 (WTR : Work That Reconnects)을 해 오던 사람입니다.[ 조안나 메이시, 크리스 존스톤 지음, [Active Hope], 양춘승 옮김, 벗나래, 2016.]

그녀는 오늘날 위기의 문제를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3가지 관점과 자세가 있다고 말합니다. 첫 번째 관점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냥 살았던 대로 살자(Business as Usual)”는 입장입니다. 이제껏 그랬듯이 정치인이나 과학자들이 정책으로 과학기술로 다 해결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걱정은 되지만 잘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오늘날의 위기를 받아들이는 세 가지 태도 유형

두 번째 관점은 현재의 위기상황이 대단히 심각하고, 지금이 “대파국, 대균열의 시대(The Great Unraveling)”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위기와 파국에 주목하는 입장으로 위기의 상황이 전 지구적이라고 보고 너무도 규모가 크고 불안하여 이에 대처하고 대응하려고 백방으로 노력합니다. 이렇게 위기에 대응하려는 노력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 위기를 통해 불안감만을 고조시켜 종교적인 컬트를 만들기도 하고, 정치적 공격이나 권력 장악의 목적으로 사용하며 공포감을 조장합니다. 심지어 무력감을 느끼게 하고 자포자기하게 만듭니다.

세 번째의 관점은 현재의 위기를 대전환 (The Great Turning)의 중요한 기회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위기는 심각하지만 그 거대한 심각성 때문에 오히려 더 큰 희망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두 번째 입장은 “위기”에 초점을 두지만, 세 번째 입장은 생명사회로의 “대전환”에 초점이 있습니다. 조안나는 세 번째의 초점을 강조하고 또 강조합니다. 위기와 불안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전환의 큰 설렘과 희망을 말하는 운동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해야 하는 운동은 그 어떠한 혁명보다 크고 큰 “역사상 최대의 사회운동”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전환의 관점에서 오히려 “축복받은 불안(Blessed Unrest)”입니다. 두렵지만 오히려 잘못된 것을 바꾸어 정상의 바른 삶으로 회복하는 중요한 전환의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이제껏 수많은 환경운동가들이나 정치인들은 두 번째인 “위기성”에 초점을 둡니다. 만일 3번째 대안과 희망을 말하지 않고 두 번째만 강조하면 그야말로 공포마케팅이 됩니다. 위기가 강조되면 우리는 무력감을 느끼거나 두려운 나머지 강력한 독재자가 나타나 거대한 문제를 일거에 해결해 주길 기대하는 “에코파시즘”의 출현을 조성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대전환의 개벽을 강조하는 우리는 오히려 위기가 그동안 인류가 자연과 왜곡되게 관계를 맺어온 것을 정상적이고 건강한 관계로 ‘올바로 펴는’ 전환의 기회로 삼으려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위기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오히려 좋은 도전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제껏 살아온 반생명적 산업문명의 지속 불가능한 페러다임을 ‘폐절’, ‘단절’하고 전환하여 생명친화적인 문명으로의 변화를 꾀하려는 것입니다. 그것은 그냥 전환운동 또는 생태적 전환운동, 생명평화운동으로 통칭되는 ‘문명전환운동’이라고 할수 있으며, 탈근대 운동, 지속 가능한 발전, 녹색순환사회운동이라는 명칭을 붙일 수도 있습니다. 이 모두 개벽운동의 다양한 이름이자 다른 표현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그야말로 개벽운동의 빅텐트에 들어와 있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지요.



사회적 개벽, 문명적 전환을 위한 3가지 운동 전술



이 대전환의 개벽운동이라는 행동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전술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위기에 대응하는 세 가지 운동 전술



첫째로는, 지연전술행동입니다. 사회나 단체가 더 이상 나빠지지 않도록 감시하고 저항하며, 부패하거나 더 나빠지지 않도록 감시하고, 피해자를 보살피고 생명이 파괴되거나 죽지 않도록 착취와 전쟁, 불평등을 막고 방어하는 행동 전술입니다. 반드시 필요한 대단히 중요한 일입니다.



두 번째는, 가치실현행동입니다. 생명시스템이 유지되고 살 수 있는 바른 사회의 가치를 실현하는 행동전술입니다. 왜곡되거나 잘못된 것을 바로 세워 평등과 호혜의 원칙과 정의를 바로세우고, 균형을 만드는 생명사회를 운동입니다. 농(촌/민/업)적 문화를 근간으로 공동체적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세워 생명 중심의 사회문화를 만드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전환사회행동입니다. 자연과 인간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으로 이제까지 없었던 새로운 대안적 페러다임으로 의식과 실천을 세우며 우리가 원하는 비전과 대안사회, 전환의 가치를 직접 만들고 창조하는 행동 방법입니다. 사회변화와 더불어 자신을 변화시키는 일을 동시에 하면서 전환을 만들어 나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개별적 자아’에서 ‘관계적 자아’로, 더 나아가 ‘생태적 자아’에서 궁극에는 ‘보살적 자아’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이 3가지 활동은 서로 다른 영역이지만 같은 목표로 향한 다른 방법이기 때문에 서로를 격려하고 강화시켜주며 동지로서 함께 돕고 협력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3가지는 각자 선 자리에서 집중하는 활동에 따라 의제와 중심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래 내가 서술하려는 것은 우리가 ‘희망과 미래의 대안을 만드는 일을 하려 한다면’이라는 태도를 전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려 합니다.



전환사회로의 항해, 암초 제거와 수위 높이기



사회적 전환을 위해서 행동을 전개하는데 시기에 따라 강조점이 이동되기도 합니다. 어떤 때는 지연전술이, 또 어떤 때는 가치실현이나 전환사회행동이 강조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사회적 전환운동은 명백하게 대안과 비전, 가치를 지향하는 활동이 기조가 되면서 저항과 감시의 지연전술과 가치실현운동이 배치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운동이 전개되는 데 구체적인 실천에 다음과 같은 관계를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전환사회로 항해하는 길



새로운 미래의 대안사회를 만드는 데는 A와 같은 수위(조건)에서 활동할 수도 있고 B의 수위(조건)에서 활동할 수도 있습니다. 위의 그림 B의 경우는 물의 수위가 A보다 낮습니다. 따라서 목표를 향해 가는데 수많은 암초에 걸립니다. 이 조건에서 암초는 장애물이고, 걸림돌입니다. 그래서 암초 1~6등 모든 암초를 피하거나 깨뜨리고 제거하면서 전진해야 합니다. 이러다 잘못하면 그 암초로 인해 난파되거나 좌초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A의 상태처럼 물이 많다면 밑에 많은 암초가 있다고 해도 별 상관없는 일입니다. 암초가 장애가 되지 않습니다. 물론 장애물 (암초5)이 없진 않지만 그 장애는 6개의 암초가 있는 B와는 달리 1개 밖에 없고 제거할 양도 B처럼 엄청난 양이 아니라 그저 봉우리 (암초5)의 끝만 조금 제거하면 됩니다.



한 국가 및 사회, 조직이나 단체를 운영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두 가지 기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나는 수위를 높이는 일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암초가 없다고 할 수 없지만 중요한 것은 암초가 문제가 안 되도록 수위를 높이는 일을 하는 사람입니다. 또 다른 유형은 걸림돌인 암초를 제거하는 데 집중하는 사람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물의 수위는 희망과 대안, 창조와 긍정적 가치들입니다. 조직으로 보면 지지, 격려, 즐거움, 감사함, 건강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암초는 갈등, 분쟁, 마찰, 문제 요소 등이라고 할 수 있고 조직에서는 갈등, 비난, 좌절, 실패, 무력감, 상처 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활동 과정에서 갈등과 분쟁이 있다할지라도 희망과 대안과 지지와 격려, 즐거움이라는 물의 수위가 높으면 (A처럼) 희망적 에너지가 충만한 상태이기 때문에 문제점이나 갈등, 분쟁이라는 암초가 있다고 해도 큰 문제가 없이 뛰어넘는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바꿔 말하면 갈등과 분쟁은 그 자체도 해결해야할 과제이지만, 물의 수위 낮음, 우리 안에 대안적 긍정적 가치가 부족한 것을 원인으로 볼 수도 있는 거지요. 따라서 갈등과 분쟁이 일어난다면 그 원인 해소에도 노력해야 하지만 희망과 긍정적 가치, 즐거움과 감사함이라는 수위를 높이는 것을 동시에 추구해야 원만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것이지요.



다시 말하면 어떤 사람이 우리 조직에서 ‘이것이 문제야’라고 말했을 때 실제 그 단체에서 ‘문제일 수도’ 있지만 ‘문제가 아닐 수도’있습니다. “문제를 문제로 보는 것이 문제”라는 말도 있습니다. 보기에 따라 개인의 기준에 의해 문제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니까요. 실제 단체의 물의 수위(A의 높이)가 높으면 그 문제(암초)는 문젯거리가 안 됩니다. 그러나 물의 수위가 낮으면(B의 경우) 문제(여러 암초)가 한두 가지가 아니게 됩니다. 실제 수위가 A라 할지라도 문제가 없는 게 아닙니다. 밑에 수많은 암초가 있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희망과 비전의 수위가 높기 때문에 문제가 안 되는 거지요. ‘문제’가 실제 문제라서 문제인 경우도 있지만, 평상시에는 별문제가 안 되었던 것인데 희망의 비전이라는 수위가 낮아서 그 문제가 문제로 드러난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암초를 문제 삼는 일은 객관적인 조건을 탓하는 것이지만 수위를 문제 삼는 일은 자신의 주체적 상황을 주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요.



내 부덕의 소치

사사건건 사소한 것까지 문제를 제기하면서 단체나 조직을 불편하게 하며 불화를 조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단체에서 정말 눈엣가시 같은 사람입니다. 그런데 그 사람은 불화를 조장하는 사람으로 볼 수도 있고, 조직의 문제점과 구멍을 발견하여 대책을 세우도록 중요한 기여를 하는 사람으로 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이 사람이 좋은 사람이 될지 나쁜 사람이 될지는 단체의 자신감과 관용성, 조직의 비전과 희망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단체의 비전과 관용의 수위가 낮은데 계속 암초 역할을 한다면 결국 그 조직(배)은 좌초할 것입니다. 이 경우 문제제기하는 사람도 파괴적이고 폭력적으로 제기할 것이 아니라 배(단체)가 파괴되지 않을 수준, 견딜 만한 수준을 염두에 두면서 문제를 제기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문제제기의 방식도 “가운데를 향해 문제 폭탄을 잔뜩 투척하고 자신은 구석으로 도망가는” 무책임한 방식이 아니라 “문제를 제기하되 해결의 관점에서 제안하는” 책임 있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단체의 대표나 책임자는 아무래도 들어오는 정보의 양과 자신의 직위로 인해 ‘독수리의 눈’으로 볼 수밖에 없는 시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부분 업무를 하는 실무자들은 아무래도 ‘비둘기 눈’으로 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대표가 가져오는 일감과 업무에 대해 불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아무튼 전체의 위치에서 바라보는 시점이 중요함에도 부분적 시점을 주장하고 고집하면 개인과 단체가 곤란해집니다



물의 수위가 낮으면 암초가 문제가 되지만 수위가 높으면 그 암초 속에 수많은 해조류와 물고기들의 풍부한 서식처이자 어장의 역할을 합니다. 조직의 책임자는 전체의 시점에서 우리의 비전과 희망의 수위를 높이면 암초도 좋은 어장이 되듯, 암초를 탓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큰 희망과 비전의 자신감과 조직적 관용성의 낮음을 탓해야 할 것입니다. 예로부터 임금이자 지도자들은 자연재난이나 사회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내 부덕의 소치”라는 말을 써 왔습니다. 실제 조직에 책임 있는 사람이 덕이 크고 넉넉하여 사회적으로 관용과 여유로운 분위기로 높은 수위의 문화를 만들었다면, 국가와 조직의 분위기가 믿음과 희망, 즐겁고 행복한 조건이 되었을 텐데, 책임자가 용렬하고 치졸하면 내부의 분위기도 팍팍하고 삭막하게 되어 물의 수위가 내려가 평상시에는 암초가 아닌데 결국 암초가 되어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습니다. 결국 책임자의 부덕의 소치인 것이지요.



암초는 단기적 과제와 수위는 장기적 과제



조직 내에서 수위를 높이는 일이란 무엇일까요. 사람들끼리의 신뢰와 존중, 즐거움과 격려와 배려 등이 풍성하면 조직의 수위가 높아지고, 웬만한 문젯거리는 대부분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됩니다. 그러나 서로 비난하고 상처를 주고 갈등 경쟁을 하면 조직의 수위를 낮추는 일이 됩니다. 수위가 낮아지면 과거에 없던 일들이 문제로 되어 마구 튀어 나오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그렇게 드러난 암초로 인해 단체나 조직은 고통을 받고 좌초하게 됩니다. 그래서 단체 내의 분위기가 험악해지는 원인을 해결하는 일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서로 더 친해지지 않아서 사랑하지 않아서 신뢰하지 않아서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해서 단체의 경우 단합대회나 MT, 회식이나 뒷풀이 등을 자주하여 물의 수위를 높이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지요.



대체로 암초는 항해하면서 당장 부딪치는 문제입니다. 긴급하게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수위를 높이는 것은 금방 효과를 낼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우선은 암초를 피하기 위해 등대를 세우거나 지도를 보면서 피할 방법을 찾으면서 헤쳐 나가야 합니다. 아무튼 사람들 간의 신뢰, 사랑과 배려 등의 수위를 높이는 일은 금방 성과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 만들어 가야 할 문화입니다. 그래서 평상시에 사회적으로 조직적으로 그러한 희망과 비전을 향한 꿈을 공유하고 서로 믿고 즐기는 문화를 만들고 일상에 배어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실제 이 두 가지가 단기적이나 장기적인 과제로 구분되지 않기도 합니다. 아무튼 중요한 것은 문제를 발견했을 때 그 원인이 되는 암초를 제거하는 활동과 더불어 그것을 교훈의 계기로 삼아 수위를 높이는 문화를 만드는 해법을 동시에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사회변화의 경우에는 서로 역할을 분담할 수도 있습니다.



전환의 관점에서 지연과 가치실현행동을



앞서 3가지의 활동—지연전술행동, 가치실현행동, 전환사회운동--은 모두 똑같이 중요한 활동입니다. 그런데 새로운 사회를 만드는 문명적 대전환을 행동의 중심으로 삼는 사람이라면 위의 3가지가 기계적으로 동일하지 않습니다. 전환사회운동을 위한 가치와 희망이라는 수위를 높이는 일, 즉 대안적 가치와 비전의 가치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그것을 중심으로 지연전술행동과 가치실현행동으로서 저항운동과 비판운동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 것이지요.



기후변화와 위기시대에 희망이 없어 보이고, 남북의 갈등이 여전하고, 평화의 가능성이 요원해 보일지라도 우리는 끊임없이 대안과 희망을 조직화하는 것이 중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려고 합니다. 그래야 오래 일할 수 있을 것입니다. 희망이 있어서 희망하는 게 아니라 희망이 있어야 운동의 근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사회운동이나 종교운동 또한 이렇게 저항운동(지연전술행동)과 대안운동(가치실현 및 전환사회운동)이라는 2가지를 동시에 구사해야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치와 경제, 사회문화의 반민주적이고 불평등한 요소를 감시하고 저항하는 운동(Watch Dog)에 주목하는 시민단체가 있는가 하면, 우리가 지향해야 할 미래사회를 현실에서 구현해 보려는 마을운동, 공동체운동, 공유사회운동, 협동조합운동 등 대안사회운동이 있습니다. 앞의 사회운동 세력을 저항 주체라고 한다면 뒤의 사회운동은 창조 주체라고 할까요? 그러나 이러한 운동은 둘 다 모두 필요한 것이라 서로를 돕고 지원하며 협력적 관계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저항운동은 그 특징으로 볼 때 적과 아를 구분하는 이분법적 인식이 동반되어야 하며 필연적으로 상대를 대상화하고 타격하고 비판하는 운동이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저항운동은 상대를 적대하는 과정에서 자기 세력 간의 단합과 단결을 도모하며 동지적 유대를 만들 수 있지만, 한편 비판과 공격에 매몰되면 스스로 피폐해질 수도 있습니다. 저항 과정에서 미워하며 닮아가는 일, 괴물을 퇴치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괴물이 되는 과정을 역사에서 많이 보게 되기 때문입니다. 전환운동의 관점에서 저항운동을 한다면 진영논리에 매몰되어서는 안 됩니다. 자신의 일에 함께하지 않는 사람을 적으로 규정하거나 적을 이롭게 하는 것으로 규정하여 타격하려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되지요. 주체의 입장에서 보면 모두가 전환사회를 만드는 소중한 동력이자 동지인 것입니다.



감시와 저항의 과정에서 모아진 사람들이 장기적으로 희망적인 대안적 사회와 비전을 위해 함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또한 대안운동을 통해 모색되는 활동들이 저항운동의 방향과 방법을 규정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저항운동과 대안운동은 통전적인 관점에서 서로가 서로를 돕고 협력하는 활동이며 단지 역할을 분담한 것이며 서로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갈등을 통해 어려움을 견디는 근육 키우기



갈등이 있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해서 갈등을 해소하려고 하고, 심지어 <갈등은 나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심지어 <갈등 없는 것이 좋은 것>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갈등이 나쁜 것’이며 완벽히 없어야 한다는 ‘바로 그 생각’이 오히려 위험한 생각일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다양성을 존중한다는 말은 풍요로움이라는 좋은 점을 누릴 수 있지만, 갈등이라는 어려움도 감내해야 한다는 양면성을 갖는 것입니다. 어쩌면 아무런 갈등이 없는 완벽한 평화, 평등한 균형관계는 기계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공동묘지의 찬바람 부는 침묵의 균형, 평등은 죽음의 세계이자 기계적 세계의 ‘정적균형’일 것입니다. 살아 있는 것, 그것도 활발히 움직이는 생명은 살아 움직이고 꿈틀거리며 요동하는 것, 자체가 균형입니다. 그래서 ‘기우뚱한 균형’, ‘동적 균형’이라고 표현하며, 시스템 이론으로 보면 생명의 피드백 작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체가 아무런 소동과 교란이 없는 것보다 오히려 적절한 교란은 단체의 건강한 긴장을 높일 뿐 아니라 단체의 근력을 키우는 역할을 합니다.



어디든 갈등은 당연히 있는 것입니다. 문제는 갈등이 ‘발생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갈등을 ‘관리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인 것이지요. 갈등을 발전적으로 전화시키지 못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단체의 그릇이 작을수록 리더십의 자신감이 없어 갈등을 견뎌내는 근육이 약하고 관용성이 좁아집니다. 그래서 그 갈등을 암초라고 생각하여 제거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물의 수위가 높고 크고 넉넉한 단체는 갈등을 견딜 뿐 아니라 갈등을 전화위복으로 전환하는 근력과 내공이 있습니다. 그래서 내부에 성질이 예민하고 강한 사람도 넉넉히 관용하는 조직적 자신감이 있습니다. 실제 조직과 단체의 관용의 크기는 문화적 리더십의 탄력성의 폭만큼 많아집니다.



우리나라 초기 대안학교로 유명했던 원불교의 영산성지학교의 교훈은 ‘꼴 봐주기’였다고 합니다. 대체로 사람들은 ‘그 꼴을 못 봐’ 줍니다. 꼴을 봐 주는 근기가 없어 불화하고 갈등합니다. 그러나 이 꼴 봐주기는, 행동의 옳고 그름은 단지 현재의 조건에 따른 인연일 뿐 좋고 나쁨은 본래 없다는 걸 인식하는 불교적 지혜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고, 넉넉한 단체의 관용성의 크기인 것이지요.



암초는 죄가 없다



그런데 조금 더 나아가 보자면 ‘암초’라는 규정은 누가 하는 걸까요? 수위가 결정하는 거지요. 그 사람이 항해를 할 생각이 없으면 암초라고 부를 필요도 없고 걸림돌도 아닙니다. 내가 목표를 만들어 (유위) 무엇인가를 하려고 (항해)하니까 그것들이 암초로 되어 버린 것입니다. 나의 관념이 만든 거지요. 그리고 내가 갖고 있는 마음의 수위가 A처럼 높으면 암초는 걸림돌이 아닙니다. 아무런 문제가 안 됩니다. 그런데 내가 갖고 마음의 수위가 B로 낮으면 모든 돌들은 암초이며 걸림돌로 나에게 나쁜 것이 됩니다.



다시 말해 암초는 내가 ‘암초’라고 부르기 전에 그냥 한 바위였을 뿐입니다. 암초는 죄가 없습니다. 단지 내가 뭔가 하려는 ‘유위, 작위’의 마음이 바위를 암초로 인식하에 만든 것입니다. 또한 물의 수위는 나의 조건, 내 조직의 조건, 나와 함께하는 사람들의 주체적인 마음가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암초는 내가, 우리가 만들어 낸 것이며 어쩌면 내 밖의 사회적 현상들입니다. 다시 말해 암초는 스스로 장애물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냥 바위일 뿐입니다. 결국 내 마음의 기준에 따라 암초가 되기도 하고 풍부한 물고기가 노는 어장이 되기도 합니다.



자 여기서 문제는 내가 항해하는데 전정한 장애는 암초일까 수위의 낮음이 문제일까요. 암초를 문제 삼는 사람은 단체나 조직에서 암초 역할을 하는 사람을 걸림돌이라고 생각하여 제거하거나 미워하게 됩니다. 그러나 수위를 문제 삼는 사람은 오히려 그 암초는 오히려 우리를 단단히 단련시키고 결속시키는 풍부하고 단단한 근육을 키우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새옹지마(塞翁之馬)란 속담이 있습니다. 한 사건이 어떤 경우 좋은 일 될 수도 있지만 그 일이 다시 나쁜 일이 될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사건은 그저 한 사건일 뿐입니다. 좋다 나쁘다고 분별과 구별은 사람의 생각입니다. 관념이 만들어낸 인식인 거지요. 마치 바위는 바위일 뿐인데 그 사람의 태도와 조건에 따라 걸림돌이 되거나 물고기의 어장으로 보기도 하는 거니까요? 이게 바로 불교에서 ‘공(空’)하다는 거지요



욕망 내려 놓기과 욕망을 키우기



불교는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그 고통은 “탐(욕망), 진(분노), 치(어리석음)”에서 발생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집착, 탐심, 욕망(貪)이 생기면 욕망에만 눈이 어두워 자신의 이익밖에 보이지 않고 다른 것은 ‘뵈는 게 없어져’ 분노(瞋)합니다. 그렇게 시야가 좁아지니 당연히 모든 것을 아우르는 지혜로운 판단보다 어리석은(癡) 판단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내가 큰 해탈을 얻는데 장애가 되는 탐심(貪心)이라는 암초를 걷어내는 일, 그렇게 내려놓고 방하착(放下着)하는 일이 중요해집니다. 그러나 욕망을 없애거나 줄이라는 말도 하지만 한편 대승불교에서는 욕망을 더 키우라는 말도 나옵니다. 이름하여 큰 원이라는 표현으로 서원(誓願)입니다. 앞의 욕망은 개인을 위한 욕망이지만, 뒤의 욕망은 ‘큰 나’를 위한 (대자적인) 욕망이지요.



과거의 경험 속에 사례를 들자면, 한 중학생이 부모에게 나이키 신발을 사달라고 조르자 집안에 심각한 불화가 조성되었습니다. 그런데 당시 우연한 기회에 중학생이 중국에 역사기행을 갈 기회가 생겨 갔다가 북중 접경 지역에서 굶주리며 구걸하는 북한의 자기 또래의 소위 ‘꽂제비’를 보면서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는 돌아와서 나이키 신발을 잊어버리고 각 학년과 반을 돌아다니며 북한을 지원하고 돕는 활동에 열심히 나섰습니다. 나이키 신발을 사달라고 조르는 사람에게 신발을 사줘 버리면 불화는 해결됩니다. 원인을 해결하여 해소시킨 것이지요. 그런데 그 학생이 북한을 도와야겠다는 숭고한 마음으로 염원과 원이 더 높아지자, 나이키 신발을 사달라는 요구는 사라졌습니다. 나이키가 해결된 것이지요.



하나의 해법은 나이키를 사줘서 욕망을 충족해서 해결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욕망의 수준을 높이는 바람에 갈망을 채을 필요가 없어져 자동으로 해결된 것이지요. 이렇듯 욕망을 키우는 일, 서원을 키우는 일, 수위를 높이는 일이 문제 해법에 더욱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이것도 문제 저것도 문제라고 분별을 내는 것이 도(道)가 아니라 현재 조건에서 ‘아무런 문제도 없다’고 말하는 것이 진정한 도(道)라고 하는 말이 그런 뜻이 아닐까 생각되기도 합니다.



대전환 운동, 개벽운동의 동력은 감사와 즐거움, Recareation



한때 7-80년대 사회운동은 ‘적개심과 분노’를 동력으로 이용했던 적이 있습니다. 상대를 향한 적개심이 우리 진영을 단결시키는 도구로 생각하고, 상대를 비하하거나 우스운 조롱거리로 만들면서 우리들끼리의 오락과 즐거움을 만들곤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저항 주체로서는 적당할지 모르지만, 대안 주체와 창조 주체로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제 대전환운동과 개벽운동은 긴 호흡의 운동입니다. 길게 해야 할 일입니다. 과거에는 고뇌에 찬 결단을 하는 소수의 지사들이 필요했고, 그들이 선도적으로 깃발을 올리면 따라가는 것이 중요한 운동이었지만, 그러한 선도적 운동은 장애와 장벽을 파괴하고 일점을 돌파하는 큰 힘은 될지 모르지만, 참고 인내하는 소수의 결단의 일로 인해 개인에게 ‘내가 남과 다른 결단을 한 사람’이라는 관념적 우위성을 갖게 하여 시간이 갈수록 괴로움을 자초하게 만듭니다. 잠깐 동안의 파괴와 저항에는 지사적 결단이 필요했지만, 그런 방식으로 이를 앙다물고는 오래 일을 할 수 없습니다.



대전환의 거대하고 유장한 활동을 하려면 긴 호흡의 동력이 필요합니다. 그 동력은 무엇일까요. 바로 “감사하기”입니다. 이웃에게 감사하고 자연에 감사하고 친구들에게 감사하고, 심지어 적에게도 감사의 절을 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감사하면 감사할 일이 많이 생기고 감사의 감각이 발달하여 아주 사소하고 섬세한 감사로 인생과 삶이 즐거워집니다. 이렇게 감사하면 내가 행복해지고 내가 행복해야 오래 할 수 있고 그래야 남도 나를 따라오게 됩니다.



고뇌에 찬 결단을 하는 사람은 소수의 지사로 존경받을 수는 있겠지만 사람들이 함께 하고 싶어 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렇게 감사하는 일은 위로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더 옆으로 성공하는 일을 만듭니다. 서로 손에 손을 잡고 연대하면서 거대한 사회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것입니다. 대안적인 전환의 삶을 사는 사람은 즐겁고 행복해야 합니다. 그래야 대안이 되고 그 삶이 비전이 되어 함께하게 되는 것이지요. 사람은 그의 행동과 삶을 믿는 것이지 그의 말을 믿는 것이 아닙니다.



개벽을 영어로 찾아보니 Creation 이더군요. 그런데 우리가 주장하는 “다시 개벽”은 “Re-creation”이 되는군요. 레크레이션은 재창조라고 번역하지만 보통은 오락과 놀이를 뜻하잖아요. 그래서 이 운동은 바로 오락과 놀이처럼 즐겁고 재미있게 해야 할 일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 개벽 운동운 ‘틈 전략’이고 ‘중심이동 전략’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에 포섭되지 않은 비자본주의적 호혜의 영역을 발견하고 그 틈을 비집고 들어가 넓히는 전략이며, 정권을 잡아 전복하는 정치혁명이 아니라 서서히 중심 이동시키는 일입니다. 변방의 것을 중심에 오도록 하는 일, 비주류를 주류와 것이지요.

공멸의 지표 GNP‧GDP와 공생의 지표 GNH 유정길


Yoo Jung Gil
22 August 2019 ·



공멸의 지표 GNP‧GDP와 공생의 지표 GNH

유정길 (지혜공유협동조합 이사장, 불교환경연대 운영위원장)

성장‧발전‧진보의 직선적 패러다임, 공멸의 지표 GNP


인류는 그동안 발전과 성장, 진보를 추구해왔다. 그 특징은 정신보다 물질을 중심에 두고, 오늘보다 내일이 나아질 것이라는 직선적 발전 패러다임이다. 무한한 성장이 진보라고 생각했다. 자본주의, 그리고 그것을 비판하고 등장한 사회주의도 생산력의 고도화, 즉 물질적 풍요가 진보라고 생각한다는 점에선 공통점이 있다.

선진국과 후진국은 무엇을 기준으로 나뉘는가? 역시 생산(Product)이다. 그리고 그것을 숫자로 표현한 지표가 GDP와 GNP다. 생산을 많이 하는 나라일수록 앞선(先) 나라이고, 그렇지 못한 나라는 뒷선(後) 나라가 되어 모든 국가가 1위부터 꼴찌까지 서열이 매겨진다. 한때 우리나라는 11위를 했다고 뿌듯해 했고, 15위로 밀렸다고 불안해하기도 했다.

생산을 많이 한다는 말은 곧 소비를 많이 한다는 말이며, 그만큼 폐기를 많이 하는 나라를 의미한다. 미국 같은 앞선 나라가 표준모델이 되어 30년 또는 10년 뒤졌다고 채근하며 뒷선 나라들은 개발에 박차를 가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이들 선진국들의 자원소비가 기후변화라는 전지구적인 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이제까지 척도가 된 GNP는 인간을 절멸로 이르게 한 어리석음의 지표였다는 점을 깨닫게 됐다.

유한한 자원을 무한으로 알고 살아온 어리석음

오늘날 세계 70억 인구의 5% 밖에 안 되는 미국이 전세계 자원을 23% 정도 소비하고 있다. 또한 20%의 잘사는 국가들이 세계 화석연료를 83%나 사용한다. 거꾸로 말하면 80%의 가난한 나라 사람들이 17%의 화석연료를 나눠 쓰고 있다는 말이다.

지금의 환경문제는 마땅히 83%의 화석연료를 소모하는 20% 잘사는 나라들의 책임이다. 바꾸어 말하면 오늘날 미국와 유럽, 일본, 한국이 이렇게 많은 자원을 소비하고도 절멸하지 않고 살 수 있는 것은 바로 80%의 가난한 나라들의 적은 자원소비 덕분이다.

선진국의 성장논리 핵심은 ‘유한한 자원’을 ‘무한한 것’이라고 착각해 만들어졌다. 20%의 소수국가가 누리는 지금의 풍요를 시간간격을 두고 언젠가 인류 모두가 누릴 수 있다는 생각은 ‘자원이 무한하다’는 전제에서나 가능한 일이라는 걸 이제는 깨닫게 됐다. 실제의 자원은 당연히 무한하지 않다. ‘하나뿐인 지구’라는 말은 곧 그 유한성을 강조한 것이다. 현재 잘사는 국가들은 가난한 나라들이 써야할 자원을 빼앗아 풍요를 누리고 있다. 더 나아가 미래 세대들이 써야할 자원까지 남김없이 빼앗아 쓰고 있는 셈이다.

인류 희망의 지표 GNH

이처럼 인간을 유토피아로 이끌 것이라고 생각한 국민총생산(GNP)이라는 지표가 반대로 우리를 디스토피아(Dystopia)로 끌고 온 것이다. 이러한 인류의 깨달음은 새로운 지표를 찾게 됐다. 그래서 행복과 발전의 프레임을 다시 짜기 위해서 나온 지표가 Green GNP, 참진보지수(GPI Genuine Progress Indicator), 지구행복지수(HPI Happy Planet Index), 국민행복지수(GNH Gross National Happiness)다. 이중 가장 현실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1974년 히말라야의 작은 불교국가 부탄의 국왕이 1974년 제시했던 국민행복지수(GNH)다. 최근 OECD를 비롯해 프랑스나 일본 등의 나라들은 자신의 나라에서 이 GNH를 지속가능한 발전 지표로 적용하기 위해 개발 중이다.

부탄은 ▲지속가능하고 공평한 사회경제발전 ▲생태계의 보전과 자연환경 회복 ▲전통과 문화의 보호 ▲좋은 통치와 민주주의라는 네 가지를 중요한 정치이념으로 한다. 그리고 물질적 풍요를 추구하기보다 정신적 행복을 추구하며 강대국이 되려하지 않고 근대화를 서두르지 않는다. 교육과 의료는 모두 무료이며 농업중심의 자립국가를 기반으로 지역이 서로 협력하는 공동체를 지향한다. 부탄의 국민총행복지수(GNH Index)는 9개 영역, 33개 지표, 124개 변수에 대한 충족도를 점수화해 측정한다. 그래서 국민 행복의 정도를 4개 그룹으로 나누어, 50% 미달하는 사람은 불행, 50-66%에 속하는 사람은 좁게 행복, 66-77%에 속하는 사람은 넓게 행복, 77% 이상은 매우 행복으로 분류한다.

이제는 더 이상 선(先)진국과 같은 발전방식은 희망이 아니다. 그것은 인류의 위기를 초래하는 발전방식이었다. 따라서 이제는 ‘선진국’이라는 표현 대신 ‘소수세계’라는 표현을 쓰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또한 가난한 나라들의 삶이 자연과 함께 공동체를 이루는 보편적인 삶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후진국’이라는 말 대신에 ‘다수세계’로 바꾸어 부르자는 제안이 지지를 얻고 있다. 기후위기시대, 우리는 무엇이 옳은 방향인지 결정해야 하며 그에 따라 지표를 새롭게 바꾸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 길에서 살길을 찾을 수 있다.

<< 세계의 희망, 부탄 >> 유정길


Yoo Jung Gil
2 September 2019 ·



<< 세계의 희망, 부탄 >>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운영위원장)

<부탄, 세계의 희망이 되고 있는 불교국가>


부탄은 국민의 97%가 행복하다고 느끼는 나라이며, 물질적 성장을 위해 자원을 파괴해온 서구의 GNP지표 대신 GNH라는 국민총행복을 지표로 하는 나라다. 서구식 근대화를 서두르지 않고 전통의상과 전통건물 등 문화를 소중히 하는 나라이자, 외국의 원조에 의존하지 않고, 누구나 국왕을 쉽게 만날 수 있으며, 지하자원을 개발하지 않고 보존하며 삼림비율을 75%를 유지하는 나라다. 또한 관광객이 많이 오는 걸 원하지 않고 엄격히 제안하고 있다. 교육비가 전액 무료이고 병원비도 완전 무료인데다 세계 최초로 전 국토가 금연구역이며, 노숙자가 없고 인도나 방글라데시, 네팔 등 인근국가와 달리 구걸하는 사람도 없다, 어린이도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첫눈이 내리는 날은 공휴일이다. 살생하지 않는 나라이며, 여성이 집안을 잇는 모계사회의 전통이 강한 나라다.

히말라야 산속의 인구 75만의 이 작고 가난한 나라 부탄이 오늘날 지구위기를 걱정하는 사람들이나 환경운동가들에게 희망이자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이미 새로울 게 없는 사실이다. 본인은 지금 이 부탄을 놀라운 눈으로 만나고 있다. 정말 과연 그런가. 그리고 이것이 어떻게 가능하게 되었으며 우리가 이들처럼 살려면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이번 직접 순례 방문을 통해 발견한 내용을 보자면 우선 도시나 시골 할 것 없이 거리에 쓰레기가 거의 없이 깨끗하다. 또한 도시나 농촌의 집들이 어디를 가나 산비탈에 2층이나 3층의 정갈한 모습이 하나같이 그림 같고, 깊고 깊은 산속 트롱사를 다녀오면서도 이곳이 스위스의 어느 곳 아닐까 의심할 정도로 품위 있고 깨끗하다.

<개나 소마저도 행복한(?) 부탄>

그런데 우리 순례객들에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여기저기 널브러져 자고 있는 개들이었다. 공항이 있는 파로나 수도 팀부, 트롱사, 심지어 3000m가 넘는 높은 산의 도로변이나 도로중앙 지천에 개들이 하나같이 옆으로 누워 게으르게 자고 있는 장면은 너무도 기이하게 보였다. 이 개들은 사람을 물지도 않거니와 짖지도 않고, 가까이가도 일어서지 않으며 가끔 슬며시 다가와 슬근슬근 꼬리를 흔들 뿐이다. 그런데 도로 한복판이나 주차장 가운데 개나 소가 수십마리 누워있어도 부탄 사람 누구도 불평하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이들의 잠을 깨우지 않게 하려고 조심하며 피해 다닌다는 사실이다.

나는 이곳에서 개의 본성이 저럴 수 있는가에 놀라고 있을 따름이다. 부탄은 불교국가로 살생하지 않는 전통을 철저히 지키기 때문에 동물을 죽이지 않는다. 착한 이들에게 전혀 살심이나 공포심을 느끼지 않아서인지 개나 소들은 두려움을 경험해본 적이 없는 듯했다. 부탄이 사람들에게 행복국가라고 하지만, 생명위협이나 공포가 전혀 없는 개와 소에게 부탄은 세계에서 제일 행복한 나라가 아닐까?

사회적 약자들이 행복해야 진정 행복한 나라이듯, 동물들이 행복하고 이들의 생명권까지도 존중받는 사회라면 사람을 소중하게 여기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개나 짐승들이 사람을 닮는다는데, 경쟁과 싸움으로 지악스럽고 극악스러운 우리사회에서 짐승들도 그렇게 인간을 닮아가는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세상의 희망이 되고 있는 부처님의 나라>

아프면 병원보다 절에 먼저 가는 나라가 부탄이다. 자신의 병이 혹시 마음병이 아닌지를 먼저 살피려는 것이다. 강대국을 흉내 내거나 경제 성장을 부러워하지 않는 정책은 산업화세계의 눈으로 보면 특이하고 이상한 나라일 수밖에 없다. 풍부한 지하자원, 천연자원이 있는데도 미래세대를 위해 보존하고 개발하지 않으며 가난하면서도 품위 있고 행복하게 살고 있는 동력은 무엇일까? 그것은 국민 모두가 오래토록 부처님을 믿고 따르며 소욕지족의 정신적인 행복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불교의 깊은 문화전통이 아니고서는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한국 불교는 신도나 출가자가 줄어드는 등 걱정스러운 미래이지만, 세계적으로 볼 때 가장 존경받는 사람은 여전히 달라이라마나 틱낫한 스님이며, 미래의 희망으로 존경받는 국가는 불교전통의 부탄이라는 사실이 고마울 따름이다. 이 소중한 보석 같은 나라 부탄을 우리는 어떻게 배워야 할까.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운영위원장 ecogil21@naver.com

19 Yoo Jung Gil <미래세대에게 미래는 있는가>



(3) Yoo Jung Gil




Yoo Jung Gil
7 October 2019 ·



<미래세대에게 미래는 있는가>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운영위원장)

(세계 4위의 기후악당국가가 된 한국)


지난 5월1일 영국은 ‘기후변화비상사태’를 선언했다. 이어서 아일랜드, 캐나다,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도 기후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기후위기는 현재 기대한 것보다도 너무도 심각해 지금의 정상적인 정책으로 해결될 수 없기 때문에 실질적이고 위급한 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기후위기에 관한한 우리는 한참 뒤쳐져 있다. 한국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세계 7위의 국가이며,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뉴질랜드에 이어 4번째 ‘기후악당’ 국가로 선정될 정도이니 말이다.

현재 지구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에 비해 1도가 상승했다. 여기서 0.5도가 더 오르면 더 이상 회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 마지노선이다. 따라서 세계는 1.5도 상승에서 멈추기 위해 긴급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환경시민단체 ‘멸종저항(Extinction Rebellion)’은 영국 런던에서 몇주간 옥스퍼드, 피카디리서커스, 마블아치, 워털루브릿지, 의회광장 등 주요 장소의 교통을 막으며 시위를 했고, 9월23일 기후정상회담에 맞춰 세계의 시민단체들은 기후파업을 결의해 2000여 곳에서 동시에 시위가 진행됐다.

(어떻게 감히 그럴수 있나요? )

또한 노벨 평화상후보로까지 거론된 스웨덴 16살 소녀 그레타 툰베리의 행동에서 시작돼 3~5월 전 세계 수백개 도시에서 청소년들이 앞장서 매주 금요일 ‘미래를 위한 금요일(Friday for Future)’이라는 구호로 ‘기후를 위한 결석시위(School Strike for Climate)’를 벌였고 수십만명이 동참했다. 한국에서도 9월21일 대학로에서 대규모 기후위기 비상행동을 전개했고, 664명이 기후위기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지식인 선언문을 발표했으며, 27일에는 청소년 기후행동에서 결석시위를 벌였다.

UN 기후행동 정상회의에서 툰베리는 미래세대를 대표해 현 세대에게 강력한 절규이자 항의의 뜻을 담은 연설을 했다. “지금 사람들이 고통 받고 죽고, 생태계가 무너져 내리며 대멸종이 시작되는데 당신들은 그저 돈 이야기와 끝없는 경제성장만 이야기하고 있다. 어떻게 감히 그럴 수 있는가?” “기후위기가 과학적으로 분명한데도 어떻게 현재의 조치가 충분하다고 믿고 해결책을 아무도 제시하지 않는가, 기성세대는 미래세대를 배신하고 있으며 만일 제대로 행동하지 않으면 여러분은 악마가 될 것이고, 만일 실망스러운 선택을 한다면 결코 우리는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기후위기 비상사태선언을 해야한다)
1.5도 기후상승의 마지노선인 2030년까지는 불과 10년밖에 남지 않았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하면 그래도 되돌릴 수 있는 시간이 10년이 남아 있다. 2003년생인 툰베리가 100살이 되는 2103년까지 과연 살 수 있을지 모른다. 설령 산다고 해도 부모세대가 흥청망청 소비하고 폐기해 발생된 수많은 재앙 속에 고통스러운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 만일 지구평균기온이 2도 상승하면 이미 되돌 수 없는 파국에 이른다. 따라서 인류는 1.5도까지 묶어두는 것을 목표로 180여 국가가 2030년까지 탄소배출을 2010년 대비 45%를 줄이고 2050년 이후에는 탄소 순배출을 제로로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시민단체는 3가지를 요구하고 있다. 첫째 지금 영국에서 시작돼 확산되고 있는 ‘기후변화 비상사태’를 선언해야 한다. 둘째 온실가스 배출제로 계획을 수립하고 기후정의에 입각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셋째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독립적인 범국가기구를 구성해야 한다.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개인적인 노력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국가정책의 가장 우선적인 시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스님을 비롯한 종교인들이 신도들에게 전환의 실천을 독려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동시에 시민들에게 깊은 경각심을 주는 메시지를 통해 사회적 전환의 합의에 이르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는 국내 정쟁 사안의 블랙홀로 인해 이와 같은 위급한 사안에 관심도 쏟지 못하고 있는 것이 통탄스러울 뿐이다. 미래세대는 말한다. “우리는 그저 태어났을 뿐이다. 왜 우리는 공포 속에 죽어야 하는가.”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운영위원장 ecogil21@naver.com

Creating a Life Together: Practical Tools to Grow Ecovillages and Intentional Communities / Cheap-Library.com



Creating a Life Together: Practical Tools to Grow Ecovillages and Intentional Communities / Cheap-Library.com



Creating a Life Together: Practical Tools to Grow Ecovillages and Intentional Communities
Diana Leafe Christian


$6.57 (USD)


Publisher:
Release date: 2003
Format: PDF
Size: 2.04 MB
Language: English
Pages: 272
Add to Cart


Creating a Life Together: Practical Tools to Grow Ecovillages and Intentional Communities Kindle Edition
by Diana Leafe Christian (Author), Patch Adams (Foreword)


4.8 out of 5 stars 54 ratings
See all 7 formats and editions

Kindle
$21.87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19.24
27 Used from $11.2912 New from $15.24


Read less


Length: 274 pages Word Wise: Enabled Enhanced Typesetting: Enabled
Page Flip: Enabled


Finding Community: How to Join an Ecovillage or Intentional CommunityKindle Edition
Diana Leafe Christian
4.7 out of 5 stars 111 offer from AUD 21.23



Creating a Life Together is the only resource available that provides step-by-step practical information distilled from numerous firsthand sources on how to establish an intentional community. 

It deals in depth with 

  • structural, 
  • interpersonal and 
  • leadership issues, 
  • decision-making methods, 
  • vision statements, and 
  • the development of a legal structure, as well as 
  • profiling well-established model communities. 


This exhaustive guide includes excellent sample documents among its wealth of resources.

Diana Leafe Christian is the editor of Communities magazine and has contributed to Body & Soul, Yoga Journal, and Shaman’s Drum, among others. She is a popular public speaker and workshop leader on forming intentional communities, and has been interviewed about the subject on NPR. She is a member of an intentional community in North Carolina.

------------------------


Editorial Reviews

Review


An intentional community is a group of people who have chosen to live or work together in pursuit of a common ideal or vision. An ecovillage is a village-scale intentional community that intends to create, ecological, social, economic, and spiritual sustainability over several generations.

The 90s saw a revitalized surge of interest in intentional communities and ecovillages in North America: the number of intentional communities listed in the Communities Directory increased 60 percent between 1990 and 1995. 


But only 10 percent of the actual number of forming-community groups actually succeeded. Ninety percent failed, often in conflict and heartbreak. 

After visiting and interviewing founders of dozens of successful and failed communities, along with her own forming-community experiences, the author concluded that "the successful 10 percent" had all done the same five or six things right, and "the unsuccessful 90 percent" had made the same handful of mistakes. Recognizing that a wealth of wisdom were contained in these experiences, she set out to distill and capture them in one place.

Creating a Life Together is the only resource available that provides step-by-step, practical "how-to" information on how to launch and sustain a successful ecovillage or intentional community. Through anecdotes, stories, and cautionary tales about real communities, and by profiling seven successful communities in depth, the book examines "the successful 10 percent" and why 90 percent fail; the role of community founders; getting a group off to a good start; vision and vision documents; decision-making and governance; agreements; legal options; finding, financing, and developing land; structuring a community economy; selecting new members; and communication, process, and dealing well with conflict. Sample vision documents, community agreements, and visioning exercises are included, along with abundant resources for learning more.

Review


"Before aspiring community builders hold their first meeting, confront their first realtor, or drive their first nail, they must buy this essential book: it will improve their chances for success immensely, and will certainly save them money, time, and heartbreak. In her friendly but firm (and occasionally funny) way, Diana Christian proffers an astonishing wealth of practical information and sensible, field-tested advice."
―ERNEST CALLENBACH, AUTHOR, ECOTOPIA AND ECOTOPIA EMERGING

"Wow! The newest, most comprehensive bible for builders of intentional communities. Covers every aspect with vital information and dozens of examples of how successful communities faced the challenges and created their shared lives out of their visions. The cautionary tales of sadder experiences and how communities fail, will help in avoiding the pitfalls. Not since I wrote the Foreword to Ingrid Komar's Living the Dream (1983), which documented the Twin Oaks community, have I seen a more useful and inspiring book on this topic."
―HAZEL HENDERSON, AUTHOR CREATING ALTERNATIVE FUTURES AND POLITICS OF THE SOLAR AGE .

"A really valuable resource for anyone thinking about intentional community. I wish I had it years ago."
―STARHAWK, AUTHOR OF WEBS OF POWER , THE SPIRAL DANCE , AND THE FIFTH SACRED THING , AND LONG-TIME COMMUNITY MEMBER.

"Every potential ecovillager should read it. This book will be an essential guide and manual for the many Permaculture graduates who live in communities or design for them."
―BILL MOLLISON, COFOUNDER OF THE PERMACULTURE MOVEMENT, AND AUTHOR, PERMACULTURE: A DESIGNER'S MANUAL

"Creating a new culture of living peacefully with each other and the planet is our number one need―and this is the right book at the right time. Creating a Life Together will help community founders avoid fatal mistakes. I can't wait to tell people about it."
―HILDUR JACKSON, COFOUNDER, GLOBAL ECOVILLAGE NETWORK (GEN); CO-EDITOR, ECOVILLAGE LIVING: RESTORING THE EARTH AND HER PEOPLE

" Creating a Life Together is a comprehensive, engaging, practical, well-organized, and thoroughly digestible labor of love. Hopefully scores of wannabe community founders and seekers will discover it before they launch their quest for community, and avoid the senseless and sometimes painful lessons that come from trying to reinvent the wheel. This book is a gift to humanity―helping to move forward the elusive quest for community, fueling a quantum leap towards a fulfilling, just, and sustainable future."
―GEOPH KOZENY, PRODUCER/EDITOR OF VIDEO DOCUMENTARY,"VISIONS OF UTOPIA: EXPERIMENTS IN SUSTAINABLE CULTURE"

"While anyone can build a village, a subdivision, or a housing development, the challenge is filling it with people who can get along, who can reach agreements, and who can achieve far more together than they ever could alone. If your aspiring ecovillage or intentional community gets even this far ― and this awesome book will show you how ― then maybe you have a realistic chance of living sustainably and, by example, of changing the world.My appreciation grows daily for this thorough, practical, and engaging guide."
―ALBERT BATES, DIRECTOR, ECOVILLAGE TRAINING CENTER, AND INTERNATIONAL SECRETARY, ECOVILLAGE NETWORK OF THE AMERICAS.

"Developing a successful community requires a special blend of vision and practicality woven together with wisdom. Consider this book a marvelous mirror. If the abundant, experience-based, practicality in this book delights you then you probably have the wisdom to realize your vision."
―ROBERT GILMAN, FOUNDING EDITOR OF IN CONTEXT, A QUARTERLY OF HUMANE SUSTAINABLE CULTURE, AND AUTHOR OF ECOVILLAGES AND SUSTAINABLE COMMUNITIES

"So many well intended communities fail because they don't even know the questions to ask, let alone where to find answers. This book offers a wealth of detailed information that will help guide communities to finding what is right for their specific situation, and greatly increase their odds of their success."
―KATHRYN MCCAMANT, COHOUSING RESIDENT, ARCHITECT, AND PROJECT MANAGER, AND AUTHOR OF COHOUSING


See all Editorial Reviews

Product details

File Size: 2445 KB
Print Length: 274 pages
Publisher: New Society Publishers (January 1, 2003)
Publication Date: January 1, 2003

More about the author
Visit Amazon's Diana Leafe Christian Page

Follow

Biography
Diana Leafe Christian is an author, former editor of Communities magazine, and nationwide speaker and workshop presenter on starting new ecovillages, on building communities, and on sustainability. She lives in an off-grid homestead at Earthaven Ecovillage in the Blue Ridge Mountains of North Carolina, U.S.




Ad feedback



Customer reviews
4.8 out of 5 stars
4.8 out of 5
54 customer ratings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Hopeful co-houser
4.0 out of 5 stars Building the human community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February 29, 2016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If you have been involved in people-process for much of your life, (teacher, social worker, personnel manager etc) this book may 'only' consolidate many of your practices. But if, like me, coming from a technical background, with plenty of practical applied experience but with no formal people-skills training, this book was a revelation. It is very accessibly written, with exercises that could be used for self-realisation before trying them with other people. Although written for the North American market, almost all the information can be readily "translated" to the UK, though our planning and legal systems are very different. But the legal concerns that are raised in the book would be raised here, and it is useful to consider the type of questions that could arise before consulting a lawyer. The human development work is the really valuable part.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Michael Layden
5.0 out of 5 stars Herding Rabbits.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October 20, 2011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One of the great problems of Environmentalists,Alternative types and sustainability gurus are that they are often the greatest individualists and independent thinkers. This can make them unsuitable for establishing working communities which have to cope with simple everyday concerns.

Almost by definition anyone who is able to look at their society and understand the insanity of the world is not a group thinker. Starting a community with hyper individualists who are natural contrarians is a lot like herding rabbits. Impossible in an open space but somewhat possible if there are some boundaries to channel their hyper activity.

This is what the book is about. It discusses some of the ground rules and strategies successful communities use. It also discusses why intentional communities fail (90%!!! of them) and why others succeed.

It fills in enough detail that gives you a sense of the extreme frustration of the breakups. Not exactly "war of the roses" but you get a hint of the anguish.

Often it is the discussion of specific rules that really shows the wisdom of the groups that survived. Something as simple as how to deal with pets. For a community to survive there needs to be a strong framework in place to deal with pets.i.e How many pets an overall community is the relevant figure rather than the individual needs.I.e how do people get sleep if the dogs are barking or how do you have a nature reserve if there is a pack of cats and dogs in the community.
Similarly work load, finances, external pressures etc have all to be worked around. Who owns what, what happens if the community breaks up or people want to leave are all discussed. The delightful dictatorship of the founders, the difficulty of conflicting personalities and diverging dreams all add spice to the book.

For a very practical book, I found myself laughing quite a bit. Almost dare I say it, the book almost has the puerile appeal of a reality TV programme
Read less

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Nika
5.0 out of 5 stars Brilliant resource!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November 11, 2012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If your looking for a practical and accessible read on community life & where to even begin- this is your bible! She's very matter of fact and real in her way of writing & offers other writers as useful references too- very refreshing to read the honesty of community life

3 people found this helpfu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