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27

希修 용서와 자비희사 - revised- * 사회적 아닌 개인적 차원에서의 얘기

(5) Facebook

希修 < 용서와 자비희사 - revised >
.
* 사회적 아닌 개인적 차원에서의 얘기
*
.
(A) khanti / forgiving / 용서: 

'정의 실현'은 karma가 할 것이므로 내 손으로 복수/처벌하고 싶은 마음은 깨끗이 버림. 
재발 방지를 통해 타인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의 법적 처리가 필요하다면 하되, 미움이나 恨같은 personal한 감정은 갖지 말라는 뜻. 관계 회복이나 화해와 별개의 문제.
.
(B) mettā / goodwill / 慈: 

상대방이 지혜를 통해( =업의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탐진치를 줄여 나감으로써) 스스로! 진정한 행복에 도달하기를 기원하는 마음. 상대방을 내 행동의 수혜자로 대우해 주는 것이 아니라 본인 운명의 주체로서 존중해 주는 것. 아비담마를 번역하신 각묵스님은 mettā를 '성냄 없음'으로 정의하셨음. 즉, 누군가를 좋아하거나, 긍정적으로 평가하거나, 원하는 대로 해 주거나, 편한/친한 관계를 유지하는 등의 일은 mettā의 핵심과는 무관하다는 얘기. 서로를 옭아매는 온갖 기대, 원망, 집착, 소유욕 등으로 귀결되기가 너무나 쉽고 본질적으로 감정적인 pema / love / 사랑을 부처님은 전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으셨음. 밥을 먹으면 똥이 남고 사랑을 하면 미움과 고통과 흐려진 정신이 남는다고 말씀하셨음 (b1). (mettā를 'lovingkindness'로 번역하기 보다, Thanissaro 스님처럼 'goodwill'로 번역하는 것이 적확하다고 내가 생각하는 이유. b2) 하지만 동시에, 강도가 자신의 팔다리를 하나씩 잘라내고 있는 와중에도 상대에 대해 유지해야 하는 태도가 mettā임. "네 행복은 네 손에 달렸으니, 업/윤회로부터 벗어나는 지혜로운 삶을 니가 살기 바란다"라는 진심만 유지한다면, 누군가와의 인연을 놓아 보내더라도 慈인 것.
.
(b1) #10~30: Unsentimental Goodwill. 

What the Buddha said about 'love'. Emotional/sentimental love or naive positive thinking about human nature is not the way.
https://www.facebook.com/keepsurfinglife/media_set...
.
(b2) "If you truly feel mettā for yourself and others, you can’t let your desire for warm feelings of love and intimacy render you insensitive to what would actually be the most skillful way to promote true happiness for all."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72471653124917&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
(C) karuṇā / compassion / 悲:

상대방이 지혜를 통해 스스로! 고통/불운을 종식시키기를 바라는 마음 or 그 과정에서 상대방을 돕고자 하는 의지. 즉, 고통 속에 있는 사람에게 적용한 mettā. 아기가 죽어 울고 있는 여인 Kisa Gotami에게 부처님은 따뜻한 위로 대신 "마을에 내려가 일가 친척 누구 하나 죽은 적 없는 가문을 찾아 내어 그 집에서 겨자씨를 빌려 가져오라"는 말씀을 하셨음. 그동안 윤회해 온 억겁의 세월에 비하면 이승에서의 100년은 찰나에 불과하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비교하는 자체도 무의미하니, 이런 괴로움이 싫다면 더이상 헤매지 말고 어서 해탈하라는 뜻. 

불교의 karuṇā는 상식적 의미의 '연민'/'공감'과 다름. 
틱낫한 스님은 karuṇā는 환자를 대하는 의사의 마음( =상대방의 고통이 그치기를 바라는 마음)이라 하셨고 (c1), 
에크하르 톨레 역시 함께 슬퍼하거나 괴로와하는 행위는 공감이 아니라고 말함 (c2). 
환자의 질병을 질병으로 정확히 진단하고 처방을 알려 주는 것이 의사가 환자에게 보일 수 있는 최대의 연민/공감이지, 
환자의 질병에 속상해 하고 함께 울어 주는 것이 의사의 역할이 아님. (물론, 상대가 나의 소견/처방을 원하는지를 먼저 확인해야.)
.
(c1) 'Compassion' usually means that you suffer together, but 'karuṇā' does not.
A physician needs to understand his patients, but, if he suffers with his patients, he won't be able to help them. ... ... A bodhisattva should be able to have the kind of love (such) that (she) can (be) happy for her and understand the suffering of other people, in order to be able to help them out ... ... If you are a psychotherapist and if you have enough joy, love, patience and understanding in you, ... you won't be overwhelmed by the suffering of those who come to you. -- Thich Nhat Hanh
https://www.youtube.com/watch?v=C-wa1cvoJI0
.
(c2) A true compassion is not about commiserating. Avoid commiserating with other people’s problems, so that you don’t get caught in their mental construct. -- Eckhart Tolle
https://www.eckharttollenow.com/new-home.../default.aspx...
.
(D) mudita / empathetic joy / 喜: 상대방이 지혜를 통해 스스로! 지은 행복에 대해 함께 기뻐하는 마음. 즉, 행복 속에 있는 사람에게 적용한 mettā.
.
(E) upekkha / equanimity / 捨: 현재의 노력만으로 당장 달라질 수 없는 부분 (현재에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도 더이상 희석되지 않는 과거 업의 결과, 타인의 선택 등)에 대한 인내심, 어리석음을 고집하는 이에 대한 평정심. 예를 들자면, 도박 끊을 생각조차 아예 없는 사람에 대해서는 평정심을 유지하고, 대신, 도박을 끊으려는 노력을 하기는 하는데 아직 못 끊고 있는 사람이나 도와 주라는 말.
.
(F) 31 윤회계의 모든 존재들에 대해 무한정으로 베풀어야 하는 마음이라는 뜻에서 자비희사의 넷을 四無量心이라고 부르는데, 

이 넷과 용서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사랑', '공감', '착함', '좋은 관계' 등과 일치하지 않음. 우리는 또 부처님을 한없이 온화한 분이셨을 거라 생각하지만, 사실은 달랐음. 부처님과 대화중 자기 자신의 모순을 깨달아 민망하여 부처님의 질문에 대답않고 우물쭈물하는 사람에게 

"여래가 물을 때 대답 않으면 그 머리가 7조각으로 쪼개질 것이다"같은 무시무시한 말씀도 하시고 (f1), 자신의 질문에 대답하시는 부처님의 말씀을 Udāyin이 중간에 끊자 옆의 제자 Ānanda에게 "Ānanda야, 이 쓸모 없는 인간 Udāyin이 내 말 끊는 것좀 보렴"같은 말씀도 하심 (f2). 상대방이 당장 감정적 '상처'를 입더라도 잘못된 견해/태도는 분명히 지적하여 바로잡아 주는 것이 진정한 자비요 연민이라고 생각하셨음 (f3). 바로 이것이, 당신의 말씀을 이해할 수 있는 인간이 극소수에 불과할 거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부처님이 장장 45년동안이나 때로는 야단을 치고 때로는 더없이 신랄한 비판을 해 가면서 상세한 가르침을 펼치신 이유.
.
(f1) "If you don't answer, or evade the issue, if you keep silent or go away, your head will split into seven pieces." -- DN3, Ambaṭṭha Sutta.
.
(f2) "Look, Ānanda, at how this worthless Udāyin interrupts." -- MN136, Maha Kammavibhanga Sutta.
.
(f3) #68~69: Compassion.
https://facebook.com/keepsurfinglife/albums/1097318147306934/
.
(G) 사무량심과 용서는, 업의 인과관계를 정확히 이해만 하면 의식적으로 노력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귀결되는 태도. 따라서 "불교 수행의 두 축은 지혜와 자비"라는 얘기에서 '지혜'와 '자비'는 사실상 동의어나 다름 없음 - 자비는 지혜의 당연한 결과이기에. 한 사람의 업과 관련한 문제들은 그 자신의 수행에 달렸을 뿐, 그 누구도, 심지어 부처님조차 어떻게 도와 줄 방도가 없다는 것이 불교의 기본 전제.

.










+480



希修 added 484 new photos to the album

tSpgo1uaon nAesuuolrguaedst
 
#2~6: Generosity First.
#7~9: Dedicating Merit.
#10~30: Unsentimental Goodwill. What the Buddha said about 'love'. Emotional/sentimental love or naive positive thinking about human nature is not the way.
#31~34: For the Good of the World.
#35~45: Gratitude & Trust.
#46~52: A Post by the Ocean.
#53~59: Accepting the Buddha's Standards.
#60~64: Vows.
#65~76: Admirable Friendship.
#77~82: The Dignity of Restraint.
#83~101: The Grain of the Wood.
#102~126: Meditation Prep(aration).
#127~139: Precept Meditation.
#140~153: Goodwill as Restraint.
#154~171: The Meaning of the Body.
#172~179: To Be Your Own Teacher.
#180~203: The Breath All the Way.
#204~212: One Step at a Time.
#213~220: Levels of the Breath.
#221~243: Sensitivity All the Time.
#244~255: The Mind's Song.
#256~263: Endurance Made Easier.
#264~281: Permission to Play
#282~283: Bathed in the Breath.
#284~296: A Home for the Mind.
#297~309: How to Feed Mindfulness.
#310~323: Knowing the Body from Within.
#324~335: The Uses of Concentration.
#336~353: Always Willing to Learn.
#354~358: Perfections as Priorities.
#359~377: The Steps of Breath Meditation.
#378~385: The Interactive Present.
#386~408: Abusing Pleasure & Pain.
#409~414: What's Not on the Map.
#415~424: When Things Aren't Going Well.
#425~451: Dealing with Limitations.
#452~465: Tuning-In to the Breath.
#466~469: The Observer.
#470~477: Producing Experiences.
#478~482: Boring.
#483~484: What's Getting in the Way.
Sungsoo Hong and 3 others

希修 #78. [Source] "Metta Means Goodwill" (Not Lovingkindness)

(2) Facebook







希修  #78. [Source] "Metta Means Goodwill" (Not Lovingkindness) https://www.dhammatalks.org/.../Beyon.../Section0007.html...

[Extract] ... ... Metta is a wish for happiness—true happiness. ... ... Many people define it as “lovingkindness,” implying a desire to be there for other people: to cherish them, to provide them with intimacy, nurture, and protection. ... ... But ... there are a lot of them who—like the snake—would react to your lovingkindness with suspicion and fear. Rather than wanting your love, they would rather be left alone. Others might try to take unfair advantage of your lovingkindness, reading it as a sign either of your weakness or of your endorsement of whatever they want to do. In none of these cases would your lovingkindness lead to anyone’s true happiness.

... metta is not necessarily an attitude of lovingkindness. It’s more an attitude of goodwill—wishing the other person well, but realizing that true happiness is something that each of us ultimately will have to find for him or herself, and sometimes most easily when we go our separate ways.

... ... The Buddha never recommends developing universal pema—for, as he notes, love can easily lead to hatred when the people you love are ill-treated by others—but he does recommend developing universal metta: friendliness for all. The fact that this friendliness equates with goodwill is shown in the four passages in the Canon where the Buddha recommends phrases to hold in mind when developing thoughts of metta.

(1) "May these beings—free from animosity, free from oppression, and free from trouble—look after themselves with ease." — AN 10:176

... ... You’re not saying that you’re going to be there for all beings all the time. ... ... “May all beings be happy. May they be able to look after themselves with ease.” That way they can have the happiness of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2) "Let no one deceive another
or despise anyone anywhere,
or through anger or resistance
wish for another to suffer." — Karaṇīya Metta Sutta

... you wish not only that beings be happy, but also that they avoid the actions that would lead to bad karma, to their own unhappiness. ... For people to find true happiness, they have to understand the causes for happiness and act on them. They also have to understand that true happiness is harmless. If it depends on something that harms others, it’s not going to last.

So again, when you express goodwill, you’re not saying that you’re going to be there for them all the time. You’re hoping that all beings will wise up about how to find happiness and be there for themselves.

(3) "As a mother would risk her life
to protect her child, her only child,
even so should one cultivate a limitless heart
with regard to all beings." — Karaṇīya Metta Sutta

... ... instead of drawing a parallel between protecting your only child and protecting other beings, he draws the parallel between protecting the child and protecting your goodwill. This fits in with his other teachings in the Canon. Nowhere does he tell people to throw down their lives to prevent every cruelty and injustice in the world, but he does praise his followers for being willing to throw down their lives for their precepts. ... ... This is why the Buddha explicitly recommends developing thoughts of metta in two situations where it’s especially important—and especially difficult—to maintain skillful motivation: when others are hurting you, and when you realize that you’ve hurt others. ... ...

(4) "I have made this safeguard,
I have made this protection.
May the beings depart." — AN 4:67

... the truth that living together is often difficult ... and the happiest policy for all concerned is often to live harmlessly apart.

... ... Metta is better thought of as goodwill, and for two reasons. The first is that goodwill is an attitude you can express for everyone without fear of being hypocritical or unrealistic. It recognizes that people will become truly happy not as a result of your caring for them but as a result of their own skillful actions, and that the happiness of self-reliance is greater than any happiness that comes from dependency. The second reason is that goodwill is a more skillful feeling to have toward those who would react unskillfully to your lovingkindness. ... ... people you’ve harmed in the past ... ... people who, when they see that you want to express lovingkindness, would be quick to take advantage of it. ... ...

... ... If you truly feel metta for yourself and others, you can’t let your desire for warm feelings of love and intimacy render you insensitive to what would actually be the most skillful way to promote true happiness for all.

[cf.] Mettā (Goodwill)

(i) #78.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72471653124917&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ii) #169.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3916179980464&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iii) #170.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3917406647008&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iv) #171.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3917983313617&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v) #180.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3963433309072&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vi) #181.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4038103301605&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vii) #182.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4735436565205&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cf.] Whom, when, how and how much to help:

(viii) #111.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81575188881230&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ix) #149.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94889330883149&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x) #44~#51.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68501266855289&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xi) #172.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103918676646881&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希修] You don't even have to try hard to like, please, pamper, think positively of, take care of or maintain a 'happy' personal relationship with someone. As long as you wish the person to reach true happiness on her own! by thinking, speaking and acting 'skillfully' (with no or less greed, anger and delusion/ignorance), it is goodwill (metta). As long as you drop your desire to revenge, it is forgiving. The essence of all these five (forgiving and the four sublime states) is in fact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karma; they are not about being gullible or self-sacrificing but about cause and effect.

Why does anyone help other beings? (a) Because goodness or virtue helps to mitigate the consequences of one's own past bad karmas; (b) Because suffering tends to spill over and spreads to everyone around; (c) Because even those who made some bad karmas in the past deserve compassion. Although Buddhism says that everyone deserves compassion (the kind of mind a medical doctor would have toward a patient), Buddhism does not say everyone deserves love automatically.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89258058112943&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 metta, goodwill, not lovingkindness, true happiness, action, skillful, harmless, independence, self-reliance.
See less


希修

< Karaniya Metta Sutta: Goodwill >

This is to be done by one skilled in aims
who wants to break through to the state of peace:
Be capable, upright, & straightforward,
easy to instruct, gentle, & not conceited,
content & easy to support,
with few duties, living lightly,
with peaceful faculties, masterful,
modest, & no greed for supporters.
Do not do the slightest thing
that the wise would later censure.
Think: Happy, at rest,
may all beings be happy at heart.
Whatever beings there may be,
weak or strong, without exception,
long, large,
middling, short,
subtle, blatant,
seen & unseen,
near & far,
born & seeking birth:
May all beings be happy at heart.
Let no one deceive another
or despise anyone anywhere,
or through anger or irritation
wish for another to suffer.
As a mother would risk her life
to protect her child, her only child,
even so should one cultivate a limitless heart
with regard to all beings.
With good will for the entire cosmos,
cultivate a limitless heart:
Above, below, & all around,
unobstructed, without enmity or hate.
Whether standing, walking,
sitting, or lying down,
as long as one is alert,
one should be resolved on this mindfulness.
This is called a sublime abiding
here & now.
Not taken with views,
but virtuous & consummate in vision,
having subdued desire for sensual pleasures,
one never again
will lie in the womb.


希修

Around 6:40 in the clip, Ven. Thanissaro starts talking about a Thai lady in whose dream a spirit showed up and said "I want to use you as a medium. If you don't work for me, your father and your mother will die." But this lady refused to do so saying "My parents will die sooner or later anyway". Ven. Thanissaro comments that she had a good discernment and also that you should never give up your virtue or the right view. This means, this lady's choice is NOT against goodwill or compassion toward her parents.
Every single medium, channeler, shaman or fortuneteller says that they do what they do in order to 'help' other people with their suffering. And, at the human level, this does sound like a very 'compassionate' and 'noble' intention. Nevertheless, the Gautama Buddha explicitly forbids any such activity. The Buddha says that no religious service/ritual/gift, no person, not even the Buddha himself can help you with your karmas let alone 'saving' you. Your own practice following the Buddha's teaching is the only thing that will help you with your suffering, he says.
https://www.youtube.com/watch?v=U-0lYJT-Iy0...



YOUTUBE.COM
200331 Worry \ \ Thanissaro Bhikkhu \ \ Dhamma Talk200331 Worry \ \ Thanissaro Bhikkhu \ \ Dhamma Talk

Antony Woods

"If you think of goodwill as lovingkindness and you’re there like the mother protecting her only child, as some people believe that passage in the Karaniya Metta Sutta says, it becomes pretty oppressive — and very inflated. How are you going to go running around protecting everybody the way a mother would protect her child? It’s hard enough to protect one child, much less all beings. But actually, the Buddha’s saying in that passage that you’ve got to protect your goodwill, both for yourself and for others, as a mother would protect her child. That’s something you can actually do."

~ Thanissaro Bhikkhu "Goodwill in Action" https://www.dhammatalks.org/.../141201_Goodwill_in_Action...


希修

Dear Antony, I am deeply grateful that you always share so much.

希修 사람을 비난하면 미움, 죄를 비난하면 이해

Facebook

希修   사람을 비난하면 미움, 죄를 비난하면 이해 >
.
『청정도론』 (초기불교를 이어받은 상좌불교에서 명상을 가르치기 위해 저술한 책)에서는 사람의 성격적 특징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명상을 추천하는데, 그 기술 중 흥미로운 부분을 우연히 발견했다. Hate와 understand의 차이에 대한 부분인데..
.
“Hate seeks out only unreal faults, while understanding seeks out only real faults. And hate occurs in the mode of condemning living beings, while understanding occurs in the mode of condemning formations/fabrications.”
-- 『Visuddhimagga』
.
보통 '이해'라고 하면 '저 사람은 이러 저러 해서 그렇게 한 것이겠지'라고 어떤 사람의 어떤 생각/말/행동을 최대한 '좋은' 쪽으로 합리화해 주는 것을 의미할 때가 많다. 이게 '공감' 혹은 '사랑'이라고 흔히들 생각하고. 하지만 초기불교는 대승불교를 포함한 여타 종교들과 다른 독특한 점들이 몇 가지 있는데, 이것도 그 중 하나. 즉, 부처님은 'mettā' (goodwill)는 목숨걸고 지키라고 강조하셨지만, 'pema' (love)에 대해서는 밥을 먹으면 똥이 남고 사랑을 하면 미움과 괴로움과 흐려진 정신이 남는다고 하셨다. 누군가가 뭔가를 잘못했을 때, 애써 모른 척 하거나 그 생각/말/행동에 대해 변명해 주지 말고, 사람 자체를 비난하지도 말며, 문제가 되는 생각/말/행동 하나만을 있는 그대로 보고 impersonal하게 비판!하는 것이 이해!라는 것.
.
불교에서 해탈에 이르는 유일한 길은 '지혜' (탐진치 없는 분별력/통찰력)를 계발하는 것이다. 탐貪과 진瞋도 치癡의 다른 형태일 뿐이니 결국 '치' (어리석음=unskillfulness)의 제거가 핵심. 따라서, 나의 것이든 남의 것이든 어떤 생각/말/행동에 어떤 탐진치가 얼만큼 들어 있는지를 늘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그 행위자가 나인가 남인가, 아군인가 적군인가, 윗사람인가 아랫사람인가, 혹은 강자인가 약자인가에 따라 판단이 달라지면 안 된다 - 약자에게 좀더 너그러워야 한다는 것이 사회적으로는 바람직한 관점이지만. 나의 생각/말/행동뿐 아니라 남의 생각/말/행동도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이것이 지혜 계발을 위한 일종의 케이스 스터디이기 때문. 누가 더 잘났냐?의 비교/판단이 목적이 아니며 (비판을 에고의 놀음이라고밖에 생각 못 하는 것은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 자신의 투사요 한계일 뿐), 이런 분별의 연습이야말로 지혜계발의 필수코스라고 부처님은 가르치셨다. 치를 묵인, 부인, 은폐, 두둔해서는 치의 제거가 아예 불가능해지기에, 치는 치라고 보는 것만이, 치에 대해 진을 불태우는 치(i), 치를 알아차리지도 못하는 치(ii), 치를 방치/합리화하는 치(iii)들 사이에서 中道를 지키면서 치를 제거해 나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된다. (中道라는 게 무조건 중간값을 취하라는 얘기가 아니고, 극단을 모두 파악한 후 상위 목적에 도움이 되는 건설적인 방법을 택하라는 것으로 나는 이해한다.)
.
그러므로, 뉴질랜드 외교관의 성추행에 대해 한국 그 누구도 공식적 사과를 하지 않은 것은, 한국의 국격과 한국의 도덕 수준 둘 다를 낮추는 한국 모독인 셈.
.
.
'Metta Means Goodwill'
https://facebook.com/photo.php?fbid=1072471653124917&id=100010862771229&set=a.1042727616099321
.
.
'용서와 자비희사'
https://www.facebook.com/keepsurfinglife/posts/1095805154124900
.










+480



希修 added 484 new photos to the album "The Unexcelled Wheel" by Ṭhānissaro Bhikkhu.

tSp1 onrAuncogusSsosrtheldS ·

#2~6: Generosity First.
#7~9: Dedicating Merit.
#10~30: Unsentimental Goodwill. What the Buddha said about 'love'. Emotional/sentimental love or naive positive thinking about human nature is not the way.
#31~34: For the Good of the World.
#35~45: Gratitude & Trust.
#46~52: A Post by the Ocean.
#53~59: Accepting the Buddha's Standards.
#60~64: Vows.
#65~76: Admirable Friendship.
#77~82: The Dignity of Restraint.
#83~101: The Grain of the Wood.
#102~126: Meditation Prep(aration).
#127~139: Precept Meditation.
#140~153: Goodwill as Restraint.
#154~171: The Meaning of the Body.
#172~179: To Be Your Own Teacher.
#180~203: The Breath All the Way.
#204~212: One Step at a Time.
#213~220: Levels of the Breath.
#221~243: Sensitivity All the Time.
#244~255: The Mind's Song.
#256~263: Endurance Made Easier.
#264~281: Permission to Play
#282~283: Bathed in the Breath.
#284~296: A Home for the Mind.
#297~309: How to Feed Mindfulness.
#310~323: Knowing the Body from Within.
#324~335: The Uses of Concentration.
#336~353: Always Willing to Learn.
#354~358: Perfections as Priorities.
#359~377: The Steps of Breath Meditation.
#378~385: The Interactive Present.
#386~408: Abusing Pleasure & Pain.
#409~414: What's Not on the Map.
#415~424: When Things Aren't Going Well.
#425~451: Dealing with Limitations.
#452~465: Tuning-In to the Breath.
#466~469: The Observer.
#470~477: Producing Experiences.
#478~482: Boring.
#483~484: What's Getting in the Way.




6You, 崔明淑, Sungsoo Hong and 3 others
11 comments

---

Sejin Pak
이 포스팅과 여기 나오는 링크들을 전부 읽고, 생각하고 다시 읽는데 몇 시간이나 걸렸어요. 단연코 오늘의 문장은 "부처님은 ... 밥을 먹으면 똥이 남고 사랑을 하면 미움과 괴로움과 흐려진 정신이 남는다고 말씀하셨다. "이군요.
 · Reply · 4 w
Sejin Pak
저는 인간과 인간세상을 보는 하나의 방법으로 배울 건 많다고 생각합니다.
 · Reply · 4 w
Sejin Pak
제가 다른 불교책들을 읽는 것은 불교공부를 하려고 이미 사 두었던 책들을 읽는 것이고, 그것과는 별개로 희수님과 타니사로 스님식의 초기불교를 공부하는 것도 동시에 하려고 합니다. 이 두가지가 경쟁적이지는 않다고 봅니다. 제가 불교를 공부하는데는 두가지의 목적이 있습니다. 그 한가지는 자기 수행을 위한 것이고, 또 한가지는 인류학자가 다른나라의 불교문화를 공부하는 것 같은 것 입니다. 한국, 더 크게는 아시아의 이해를 위하여.
 · Reply · 4 w
希修
인간은 '내 기분을 좋게 하느냐 나쁘게 하느냐?'를 善惡의 기준으로 삼는 무의식적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가 인간애/사랑을 최상의 가치로 여기는 것도, 개인 차원에선 그것이 우리의 기분을 좋게 하기 때문이고 종의 차원에선 그런 감정과 그에서 기인한 행동이 인류의 번성에 크게 공헌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부처님은 '탐진치의 제거에 도움이 되느냐 안 되느냐?'를 善惡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인간적 친밀함은 우리의 기분을 좋게 하지만, 그로부터 온갖 기대와 의무와 억압들이 생겨 나고, 그 기대가 충족되지 않을 때는 미움과 비난이 생겨 나며, 정 때문에 판단이 흐려지고 (성범죄 가해자의 부모/지지자들이 피해자를 오히려 비난하는 등), 기대가 충족이 된다 해도 그 때는 또 소유욕과 집착과 맹목적 추종이 생기죠. 상대를 '사랑'하기에 내가 일방적으로 '베푼다' 해도 그것이 상대가 원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내 자신의 정서적 필요나 관념적 만족 ('난 이렇게 이타적인 사람이야')을 위한 '소비'가 되기도 하구요. (어떤 종교의 성직자가 "이웃사랑을 위해 이렇게 봉사할 수 있는 기회가 되니 코로나 위기도 축복"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보고 여러 생각이 들더군요. 자신이 세상의 중심이고 절대자/섭리조차 자신의 주위에서 돈다고 믿는 것은 혹 아닌지..)
그래서 부처님은 인간들이 최상의 가치로 삼는 사랑을 경계하고, 대신 강도가 내 팔다리를 하나씩 잘라내더라도 그 와중에도 metta (상대방이 업의 인과관계를 이해하여 바른 행동으로써 행복에 이르기를 기원하는 마음)만은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고 하셨죠. 그런데 이 metta가 동북아로 와서 '자비'로 번역되면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사랑' 혹은 '인간적인 情'의 의미를 갖게 되었구요.
말씀하셨듯이 인간과 삶과 세상을 보는 시각의 문제라고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그러니 문화인류학 공부이기도 한 셈이죠. ^^
 · Reply · 4 w · Edited
Sejin Pak
希修 궁금한 것은 동남아에서의 불교이해나 해석이 과연 이런가, 라는 질문과, 또 한국에서도 초기불교를 논하는 사람들이 같은 해석을 같고 있는가 입니다.
 · Reply · 4 w
Sejin Pak
또 한가지 궁금한 것은 한가지 같은 이슈를 두고 초기불교와 대승불교가 어떻게 다르게 취급하는가입니다. 그 차이를 알면 초기불교의 독특성이 더 이해가 잘될 것도 같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Reply · 4 w · Edited
希修
Sejin Pak 음.. 저는 선생님처럼 문화인류학적 측면에서의 관심이 아니고 부처님이 정확히 무슨 말씀을 하셨는지만이 관심사라서, 그 나라들의 현실이 어떤지는 확실히 모르겠습니다. 초기경전을 이어받은 상좌불교의 나라가 미얀마, 스리랑카, 태국인데, 미얀마같은 경우엔 특히 아비담마를 중시한다고 들었고, 베트남은 중국의 영향으로 대승불교쪽에 좀더 가까운 것 같습니다. (사찰마다 스님마다 다르기는 하겠죠.)
초기경전의 영어 번역에서 가장 유명하신 분이 보디 스님과 타니사로 스님이고 두 분은 책을 쓰시거나 말씀을 하실 때 늘 초기경전 어디에 나온 얘기인지를 밝히시는데, 영어 번역에 있어서의 단어 선택이나 해석에 있어 두 분 사이에 차이가 나는 부분들이 물론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책은 타니사로 스님의 책을 읽고 보디 스님은 유툽에 올라와 있는 강의들을 듣고 있습니다.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차이는.. 두 종교가 같은 옷을 입었을 뿐 아예 서로 다른 종교라고 말씀하시는 분도 계실 정도로 작지는 않은데, 물론 이건 전적으로 개인적인 판단이 되겠습니다만, 저는 두 종교가 서로 다른 종교라는 쪽에 좀더 공감하는 편입니다. 자세한 얘기는 차차 나누시죠. ^^
 · Reply · 4 w
Sejin Pak
希修 "두 종교가 같은 옷을 입었을 뿐 아예 서로 다른 종교"일 수도 있다는 점은 염두에 두어야할 중요한 점인 것 같습니다.
 · Reply · 4 w
希修
Sejin Pak 초기불교와 대승불교가 서로 다르게 취급하는 이슈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에 한 번에 다 열거하기는 도저히 불가능하지만, 위 본문과 관련해서 몇 가지만 생각나는 대로 언급하자면..
(1) 제가 현재 이해하기로는 초기불교에서 'mettā'는 '업에 대한 이해를 실천함'의 차원입니다. 즉, 남을 미워하거나 남의 불행을 바라는/기뻐하는 마음 (貪瞋癡의 瞋)이 그 자체로 이미 1차적으로 내 자신에게 악업이 되고, 그로 인해 어떤 행동을 할 경우엔 상대에게도 피해를 주기 때문이죠. 초기불교에서 mettā/慈를 언급할 때는 항상 悲喜捨도 함께 언급이 되는데, 이 捨는 바로 나의 능력과 시간의 한계 내에서 어떻게 도와 줄 수 없는 상대에 대한 평정심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기본적으로 각자의 업은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는 사실을 초기불교는 단 한 순간도 망각하지 않습니다 - 남을 도울 때조차.

'용서와 자비희사'
https://www.facebook.com/keepsurfinglife/posts/1095805154124900

그런데 대승불교에 와서는 이 mettā/慈가 '업의 이해' 차원이 아니라, 맹자가 말한 仁이나 상식적인 人情, 즉 감정 차원의 문제가 되었습니다. 여기에는 문화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가 모두 작용하지 않았나 개인적으로 추측합니다. ('mettā'를 '자비'로 번역하고 나니, 한자 문화권에서 '자비'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문맥에서의 그 뉘앙스가 'mettā' 위에 덧씌워지고, 사람들은 그 덧씌워진 뉘앙스가 'mettā'의 원래 의미라고 믿게 되었다는 얘기입니다.)

(2) 초기불교의 가르침은 마치 비행기의 부품을 조립하여 비행기를 완성하는 매뉴얼과도 비슷한 데 비해 (그 거대한 비행기의 아주 작은 나사 하나라도 잘못 끼워지면 안 되는 것이죠. 조립순서도 충실히 지켜야 하구요.), 대승불교에서는 이것을 대폭 간소화합니다.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不立文字, 敎外別傳, 直指人心, 見性成佛, 拈花微笑 등의, 초기경전에는 나오지도 않는 개념들을 창작하여 '근거'로 사용하구요.

물론 초기불교에서도 모든 생각/관념/노력을 놓는 것이 최후 단계에서는 필요하다고 말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8정도의 모든 8요소들을 fully 계발하고 균형을 이루어 강(윤회)의 건너편에 도달했을 때, 그 때에 가서는 배(생각/관념/노력)에서 내리라고 하는 취지인 것이죠. (배에서 내려 건너편 땅을 밟는 것이 '해탈'입니다.) 그런데 대승불교에선 강을 건너는 과정 자체는 삭제하거나 대폭 축소하고서 배에서 내리는 것을 유독 강조합니다 - "모든 생각/지식/분별을 놓아라", "오직 모를 뿐". 그러니 이 가르침을 듣는 사람이 이미 강의 건너편에 도달한 사람이 아닌 한, 강도 건너기 전에 강의 이쪽 편에서 배를 타자마자 내리고는 자신은 강을 건넜다는 착각을 하게 만들 위험이 대단히 크다는 문제가 생기는 것입니다.

(3) 브라만교에서 말하는, 만물에 내재한 영원불변 '본질'인 브라만-아트만이 없다, 라는 주장을 하기 위한 초기불교의 가르침이 소위 말하는 '무아'이고 '공'인데 (이건 Bodhi 스님의 견해. 물론 '무아'도 사실은 이 표현보다 훨씬 복잡한 이론입니다.), 대승불교에선 '참 나'/'佛性'이라는 '본질'을 말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브라만교 사상을 몸뚱이로 하면서 옷만 사성제니 팔정도니 불교의 옷을 걸쳤다, 라는 비판을 피할 길이 없게 되었습니다. 즉, 초기불교에선 인간의 병든 의식을 갱생/재활/혁신하기 위한 것이 수행인데 비해, 대승불교에서 수행은 거울에 낀 먼지를 닦는 정도에 불과합니다. 거울에 먼지가 끼어 있다 해도 여전히 거울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라는 주장이기도 하구요.

'무아와 윤회'
https://www.facebook.com/keepsurfinglife/posts/1150079848697430

(4) 초기불교에서 '보살'이라는 단어는 '곧 해탈에 이를 사람'을 의미했었는데, 대승불교에 와서는 이 단어가 '구세주'처럼 되면서, 스스로 공부+수행 안 해도 보살에게 보시/기도만 하면 누구나 무임승차로 극락갈 수 있다고 하는, '구원'이라는 테마의 '전형적인 종교'가 되었습니다. 부처님은 당신조차 타인을 구해 줄 수 없다고, 너를 구하는 건 네 자신의 수행뿐이라고 하셨는데도요..
이것이 제가 현재 갖고 있는 지식/이해의 수준인데, 혹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면 나중에라도 다시 말씀드릴 테니, 일단 그냥 참고만 하십시요 (^^;).

崔明淑
이해할 엄두는 못내고 성향별 명상법이 다르다...이말만 담고 가겠습니다. ^^
 · Reply · 4 w
希修
네, 사람마다 상황마다 명상법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과, 대부분의 영적 전통들에서 理性을 靈性의 최대 장애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지만 초기불교는 그렇지 않다는 정도만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이성이나 노력을 내려놓는 것은 해탈에 이르러서나 할 일이고, 그 과정에서 얼마든지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죠 - 바르게 사용한다는 전제 하에요.)

[불교공부] 사는 것이 힘들면 이렇게 생각하라 - 업 - 마음의 습관

 [불교공부] 사는 것이 힘들면 이렇게 생각하라

- 업 - 마음의 습관

숭산스님 <선의 나침판> (1)에서


2020/09/26

Doyoung Peak 코로나 19와 불교의 이단(異端)

Facebook

코로나 19와 불교의 이단(異端)
전염력이 강한 신종 감기인 코로나 19로 사회 전반이 혼란하다.

코로나 19의 전염 형태가 보균자와 밀접한 대면접촉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종교모임이 전염병의 주요 전파수단이 된 것이 대구 신천지교회 사례였다.

이후 종교계도 방역당국에 적극 협조하고 있지만 최근 개신교 소속 사랑의 교회에서 많은 확진가가 나오자 확진자가 나온 회당(會堂)에 대해 비난도 증가한다.



최근 불교계에서는 일련정종 서울포교소에서 20명의 확진자가 나오자 9월 8일 한국불교종단협의회(불교계 대형 29개 종단 협의체)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종단협은 일련정종은 한국불교 종단이 아니고, 서울시의 법인 허가를 받지 않은 임의단체, 군국주의 찬양과 신사참배 합리화 등 한국불교계 및 국민들의 정서에 부합하지 않은 단체이고, 한국불교계의 코로나 19 극복 노력을 훼손하고 국민들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주장하자 각종 언론은 이를 받아 보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전형적인 기득권 종교권력의 면피와 자기 위상 강화의 행위이기에 그 내용을 기록한다.



1) 일련정종은 일본불교종파 맞다.

이번 일련정종 서울포교소 감염환자로 알려진 한국 일련정종은 500년 역사를 가진 일본불교 일련종의 한 종파다.

일본 천태종의 젊은 승려 나치렌은 1523년 최상의 진리는 법화경에 있으나 말법시대가 오면 ‘남묘호렌겟쿄(南無妙法蓮華經)’ 만 외우면 성불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일련종을 개창한다.

당시 나체렌은 이단으로 취급되며 막부의 살해위협과 유배 등에 시달리다 1282년 10월 61세로 입적하고 그 제자들에 의해 다시 많은 분파로 발전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일련종, 일련정종, 창가학회(SGI), 창가학회의 정치이념을 실천하기 위해 만든 공명당(정당)이다.

자신들이 신앙하는 불교적 가치를 구체적인 현장에서 일구는 일련종 계열 종파들의 노력은 그 내용을 떠나 한국 불교도들이 본받아야 할 지점이라 생각한다.



2) 불교는 국가와 종파에 따라 차이가 있지 않다.

불교는 2564년 전 인도에서 발생해 각 지역으로 전파되며 각 지역 특성에 맞게 정착된 다양한 종파가 존재해 왔고 서로 교류를 통해 발전해 왔기에 각국의 불교종단이 다른 나라의 불교 종파에 대해 우위를 주장한다거나 폄훼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을 근본으로 부정하는 주장이다.

만약 자국의 종파만이 그 종교의 최고라면 그 종파는 세계 최고의 종교로 전 지구적인 종교가 돼야 하지만 현실의 한국불교에서 그런 종파나 세계인이 인정하는 종교인이 배출되었나?

이런 상황에서 불교 회당에서 코로나 환자가 나왔다고 ‘우리 쪽은 아니야’란 선 긋는 행동에 한국불교의 최대 종파들이 모인 단체가 먼저 나서서 할 말인지 부끄럽기만 하다.



3) 법인격이 없는 임의 종교단체는 사이비가 아니다.

종교의 시작은 국가의 관리 아래 이루어지지 않았고 근대로 들어와 서로 불간섭의 관계로 발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가 종교단체에 인격을 부여해 관리하는 것에 장단점이 있음을 부인하지 않지만 임의단체라고 하여 종교의 진정성이 없다는 식의 예단은 반대한다.

내가 신앙생활을 하는 바른불교재가모임이란 불교단체 역시 법인 등록이 없는 임의단체이지만 그 안에 구성원들을 보면 각자의 분야에서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는 교도가 대부분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이란 단체에서는 바른불교재가모임을 불교를 파괴하는 곳이란 지정했지만 조계종과 그 소속 승려들의 범계행위에 대한 단체의 지적과 행동이 부끄럽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4) 일련종의 군국주의 찬양과 신사참배 역사

일련종 조선 전파는 임진왜란 당시 일련종의 열성적 신자인 왜장 가등청정에 의해 전해진다.

당시 가등청정은 선조의 장남인 임해군과 순화군을 포로로 잡는데 명나라와 강화조약 후 임해군의 4살된 아들과 6살 딸은 인질로 끌고 갔고 임해군의 아들은 13살에 일련종 승려로 출가해 일련종의 개산조사인 탄생지에 세워진 탄생사 제18대 주지를 역임하면서 일련종을 대표하는 인물이 된다.

근대에 들어 1881년 일련종(日蓮宗)의 와타나베 이치웅(渡邊日運)이 건너와서 일련종 포교소를 설립하고 쿄토(京都) 묘각사의 주지였던 아사히 미츠(旭日苗)는 부산으로 건너와서 ‘일종해외선교회’를 조직하고 각지에 지부를 설치해 포교활동을 한다.

1895년 사노 젠레이(佐野前勵)란 승려가 조선지부장으로 부임해 5월 5일 조선국왕의 성수와 중흥유신의 성업을 축하하는 대법회를 개최법회를 개최하는데 당시 1만 4000여의 대군중이 모인다.

이는 시대상황을 비교해 볼 때 교황의 방문집회나 최근 광화문 촛불집회보다도 더 많은 사람을 모인 행사였다.

일련종은 1945년 일제 패망 후 일본으로 돌아가기까지 64년간 포교활동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일본 군국주의 찬양과 신사참배 유도, 창씨개명 등에 앞장선 사실이 있다. 그러나 이런 권력의 부역행위는 당시 조선에서 활동한 개신교, 천주교, 불교, 기타 종교와 종단의 공통된 모습이지 일련종만의 모습은 아니다. 특히 한국불교계는 친일청산을 한 역사가 없고 친일에 앞장선 승려들을 고승으로 지금까지 찬양하고 있다.



5) 일본 불교가 군국주의의 앞잡이가 된 이유

일련종을 비롯한 조선에 진출한 일본 불교계가 군국주의 찬양과 신사참배에 앞장선 배경에는 일본 불교계가 생존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했다.

1192년부터 676년간 일본은 쇼균이란 군사독재자가 통치하는 시대가 1868년 천왕과 내전에서 패하자 천왕이 직접 통치하는 메이지유신(明治維新)정부가 탄생하고 천왕을 살아있는 신으로 섬기는 신도(神道)가 중흥한다.

신도(神道)는 천왕숭배 내지 조상숭배를 핵심으로 하는 국수주의적 종교로 막부가 후원한 불교를 대대적으로 탄압하자 일본 불교계는 생존을 위해 메이지정부에 적극 협조하며 아시아 침략과 식민지 통치에 적극 부역한다.



6) 역사문제, 일본 조동종을 본받읍시다.

과거 역사를 통해 종교의 행위가 사회악이 될 수 있다는 인식과 반성이 종교인이 먼저 가져야 하지만 우리 사회 종교와 종교인들에는 이런 것을 찾기 힘들다.

1992년 11월 일본 조동종이 식민지 시기 조선에 대한 범죄행위에 대한 참사(참회와 사과)의 글을 적고 군산 동국사에 세운 비문을 옮겨 본다.

"우리 조동종은 명치유신 이후 태평양 전쟁 패전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아시아 전역에서 해외포교라는 미명 하에 당시의 정치권력이 자행한 아시아 지배 야욕에 가담하거나 영합하여 수많은 아시아인들의 인권을 침해해 왔다.... 특히 한반도에서 일본은 명성황후 시해라는 폭거를 범했으며 조선을 종속시키려 했고, 결국 한국을 강점함으로써 하나의 국가와 민족을 말살해 버렸는데, 우리 종문은 그 첨병이 되어 한민족의 일본 동화를 획책하고 황민화 정책을 추진하는 담당자가 되었다.... 인간 생명의 존엄성은 사상이나 신앙을 초월해 훨씬 엄숙하다. 우리들은 다시 한번 맹세한다. 두 번 다시 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겠다고. 그리고 과거 일본의 억압 때문에 고통을 받은 아시아 사람들에게 깊이 사죄하면서 권력에 편승하여 가해자 입장에서 포교했던 조동종 해외 전도의 과오를 진심으로 사죄하는 바이다." (1992년 11월 20일 조동종 종무총장 大竹明彦)



7) 코로나 19와 신앙형태

한국 종교계는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보건당국의 집회자제에 협조에 이구동성으로 협력한다고 하지만 이것이 이번 사태의 근본적 처방인가 고민할 차례다.



첫째 각 종교마다 집단예배가 일변인 신앙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신앙방식의 모색이 향후 종교의 미래라고 생각한다.

특히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형 회당 유지와 종교성직자의 생계를 위해 대형 종교집회가 개최되는 악순환은 종교 몰락의 지름길로 본다.

둘째 내 종교만을 위하고 다른 종교에 대한 배척과 차별 심화가 잘못이라는 인식을 종교 성직자가 교도들에게 먼저 인식해 줘야 한다.

다름과 공존은 사회구성과 유지의 기본이고 종교의 시작이다.

셋째 종교인은 사회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가장 발 벗고 나섰다.

종교인이 먼저 코로나 사태를 통한 참신앙의 모색과 들어내지 않는 자원봉사를 통해 자신이 신앙하는 종교의 이상을 확인하는 방법이 아닐까?

또한 코로나19에 감염되어 완치된 환자 중 신천지교인들이 혈장기증에 적극 나선 것은 가장 종교인다운 모습의 하나로 생각한다.



일련정종의 서울포교소는 종교집회는 정부가 권고한 종교집회의 규정사항을 지켰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교당이 위치한 건물구조의 문제를 소홀히 한 점, 무증상 환자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의 감염을 인지하지 못한 개인의 문제가 원인이었지만 종교장소에서 코로나 19 환자가 발생했다고 종교 자체를 비난하는 기득권 집단의 행태는 불교도로서 심히 불쾌한 모습이다.



-----

한국불교종단협 “일련정종은 무허가 일본불교 종파” - 법보신문

BEOPBO.COM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일련정종은 한국불교 종단이 아니며, 법인 허가를 받지 않은 임의단체다.”한국불교종단협의회가 최근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일련정종’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종단...

---

Comments

박용태

ㅎㅎ 이제 깨달음도 국가고시원에서 라이센스를 발행해 줘야 하나... 깨달음 1급 기사... 깨달음 2급 기능사... ㅎㅎㅎ

 · Reply · 5 d · Edited

성수진

군산에서 자랐습니다.

동국사도 알구요.

법보신문에는 이런 기사도 실리는군요.

늘 그렇듯 오늘도 저는 뭐하나 딱히 아는 것이 없구나;; 란 생각뿐ㅠㅠ

코로나가 정말 많은 것들을 돌아보게 하네요.

더 나누고 싶은 마음으로 공유해도 될까요?

 · Reply · 4 d

Doyoung Peak

성수진 공유해주신디니 감사합니다.

 · Reply · 4 d

성수진

Doyoung Peak 고맙습니다. 덕분에 많이 배웠습니다_()_

동국사 얘기에 근처 흥국사에 살던 고등학교때 친구가 생각났습니다.

절에서 사는 친구가 뺑뺑이 돌려 미션스쿨 와서 교회 출석 도장 못 받아와 성경시간에 매 맞았던 기억ㅠㅠ

'미션 스쿨'이 갑작스레 궁금하여 나무위키 돌려보니 ^^;; 다시 또 많은 것이 새삼스럽구만요.

종립학교와 미션스쿨의 차이,

정교회 전주예고,

대종교 미션스쿨 홍익대, 천도교 미션스쿨 동덕여대 고려대 ....

세상은 참~ 넓구만요^^~~~

정말 알 수 없어요ㅎㅎ;;

 · Reply · 4 d · Edited

성수진

정교회도 놀라운데 전주예고(조카 셋 졸업;;)가 관련이라니 다시 또 아는게 없어요^^;;

 · Reply · 4 d

Doyoung Peak

성수진 한국불교에서 종교법인 학교를 운영하는 경우는 조계종(동국대,중앙승가대), 천태종(금강대), 진각종(위덕대), 원불교(원광대)가 있고 위 종단과 천태종, 총지종 등이 초중고교를 운영합니다.

개신교는 종교중 가장 많은 학교를 갖고 있고 천주교는 카톨릭대학교를 갖고 있습니다.

천도교는 홍익대를 갖고 있었으나 정권에 빼앗깁니다.


조동종 (일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동종 (일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동종 (일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동종(曹洞宗)은 중국의 조동종에서 유래한 일본의 불교 종파이다.
---
조동종(曹洞宗)은 중국의 조동종과 일본의 조동종이 있다. 

중국 불교에서 조동종은 임제종 · 위앙종 · 운문종 · 법안종과 더불어 선종 5가의 하나이다. 선종오가 중 가장 먼저 성립했으며, 가장 융성한 임제종에 이어 양대 종파이다. 소림사가 중심사찰이다. 

일본 불교에서 조동종은 보화종 · 일본달마종 · 임제종 · 황벽종과 더불어 선종 계통의 종파의 하나로서, 2012년 현재에도 일본 최대 종파이다.

중국의 조동종은 남종선의 시조인 6조 혜능(慧能: 638~713)의 제자인 행사(行思: ?~740)의 계통의 법손인 동산양개(洞山良价: 807~869[1])와 조산본적(曹山本寂: 839~901[2])의 두 선승을 종조(宗祖)로 한다.[3] 이후 남송(南宋: 1127~1279) 초기에 조동종의 굉지정각(宏智正覺: 1091~1157[4])에 의해 묵묵히 앉아 있는 곳에 스스로 깨달음이 나타난다는 선풍(禪風)의 묵조선(默照禪)이 성립되었다.[5]

일본의 조동종의 종조(宗祖)는 도겐(道元: 1200~1253)이다.[6][7] 그는 1227년 송나라에 들어가 중국 조동종의 장옹여정(長翁如淨)의 법을 이어 묵조선을 계승하였고 1129년 귀국하여 일본에 조동종을 전파하였다.[7]

---
역사[편집]

일본의 조동종의 종조(宗祖)인 도겐(道元: 1200~1253)은 1227년 송나라에 들어가 중국 조동종의 선승장옹여정(長翁如淨)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그의 열반묘심(涅槃妙心)을 계승하였다.[1] 그는 1229년 귀국하여 일본에 조동종을 전파하였다.

도겐묵조선을 수양하고 마음이 곧 부처라고 제창하였다.[1] 따라서 도겐의 조동종에도 주관적 관념론의 철학사상이 분명히 드러나 있다.[1] 그는 "이란 일체의 법이요, 일체법이란 다만 일심(一心)인 것이다"라고 말하였으며, 또 "산하대지와 일월성신은 모두 이다"라고 말하였다.[1] 이를 통해 보면 그의 사상은 임제선(간화선)의 철학사상과 완전히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1]

선종은 일본에 전파되자 조정과 막부 장군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아 크게 흥성하였다.[1] 그런데 조동종의 신도는 대부분이 하위층 농민들이었다.[1] 이런 연유로 일본에서는 "조동의 농민, 임제의 장군"이란 말이 전해졌다.[1]

선승들은 송나라를 자주 왕래하여 송대의 문화를 대량으로 받아들였으며, 일본불교사상에 큰 영향을 끼친 오산문학(五山文學)을 형성하였다.[1]
대한민국[편집]

2012년 에도시대 양식을 한, 국내 유일의 일본식 사찰인 군산 동국사에 참회비가 세워졌다.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조동종


이동:가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일본의 사상 > 불교사상 > 조동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The Five Precepts | Dharma Wisdom

The Five Precepts | Dharma Wisdom



The Five Precepts

THE FIVE PRECEPTS CONSTITUTE THE BASIC BUDDHIST CODE OF ETHICS.

1. I take as a training precept to refrain from taking life.
2. I take as a training precept to refrain from taking that which is not freely given.
3. I take as a training precept to refrain from sexual misconduct.
4. I take as a training precept to refrain from unwise/unskillful speech.
5. I take as a training precept to refrain from intoxication that clouds the mind.

Some people find that they are more comfortable stating the precepts positively because they find it more inspiring.  Likewise, some people have crafted their own expanded or elaborated positive version because it adds momentum to their mindfulness in daily life.

The following is a sample of positively stated and elaborated version of the Precepts.  Feel free to use these or make your own.

The Five Precepts Stated Positively


1.  To the best of my ability, I will protect and support life and encourage the fulfillment of potential for love and understanding in others.

2. To the best of my ability, I will take only what is freely given and vow to practice gratitude and generosity.

3. To the best of my ability, I will respect and support on-going relationships, honor my commitments, and
practice discernment between the beauty of Eros as a feeling and the compulsiveness to act it out.

4. To the best of my ability, I will say what is true, useful, and timely and practice deep listening such that both my speaking and listening reflects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5. To the best of my ability, I will maintain a clear and alert mind that is aware of its motivations, moment to moment, such that it can discern between what is the cause of suffering and what is not the cause of suff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