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8

알라딘: 검색결과 '' 허남진 원광대

알라딘: 검색결과 ''


1.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오늘 (17~21시) 수령
    최근 1주 88.7% (중구 중림동) 지역변경
2.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12월 1일 출고
    최근 1주 81.7% (중구 중림동) 지역변경
3.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12월 1일 출고
    최근 1주 81.7% (중구 중림동) 지역변경

알라딘: 검색결과 '' 이우진 교육학

알라딘: 검색결과 ''



총 3개의 상품이 검색되었습니다.

1.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12월 1일 출고
    최근 1주 81.7% (중구 중림동) 지역변경
2.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12월 1일 출고
    최근 1주 81.7% (중구 중림동) 지역변경
3.

2020/11/27

불교페미니즘 강좌 2강부터 온라인 전환

(1) Facebook


성평등 불교연대Like Page
tSpoen2sdogredc ·


< 긴급! 2020 불교페미니즘 강좌 2강부터 온라인 전환! >

11/25(수) 2강부터 12/16(수) 5강까지 Zoom 강의로 전환 (6:30pm부터 대기 가능)

수강신청 및 입금자에 한해 Zoom 강의실 링크는 강의 당일날 메일과 문자로 전달

온라인강의 주의사항 필독 ( http://cafe.daum.net/bsge/dyOX/57?svc=cafeapi )

신청자명으로 Zoom 접속 바람 (온라인 대기실에서 확인 후 수락 & 입장)



안녕하세요.성평등불교연대 입니다.

<2020 불교페미니즘강좌>가 코로나 19의 단계 격상과 강의 참석자들의 요청으로 인해 부득이 11/25(수) 2강부터 Zoom 강의로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복합문화공간인 '기룬'에서 여러분들과 함께 진행하려고 했지만, 온라인으로의 만남으로 전환되어 참으로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2강부터 5강까지 온라인 수강을 원하시면 신청링크 작성 후 입금을 통해 등록바랍니다. 미입금자는 신청링크 작성 및 입급확인 후 수강이 가능합니다. 수강신청 및 입금자에 한해 Zoom 강의실 링크는 강의 당일날 오전에 메일과 문자로 보내 드립니다. (등록완료시 발송함)

▶신청링크:
https://forms.gle/DqZF4Ko9spwKVT8S9
▶계좌: 우리은행 1005-003-441200 성평등불교연대 (개별강좌 회당 1만원, 2강~5강 수강 4만원)

앞으로 12월 16(수)까지 4강이 더 남았으니 적극 참여 및 부탁드립니다. 명실상부한 불교페미니스트가 되어주시길 부탁드리며, 관련 단체 회원들도 함께 할 수 있도록 적극 권유 바랍니다. 세부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바랍니다.

▶ 온라인 전환 강좌 공지 확인
http://cafe.daum.net/bsge/dyOX/58

▶ 지난강좌 다시보기 (1강)
http://cafe.daum.net/bsge/dyOc/58?svc=cafeapi

▶다음강좌:

  1. 11/25(수) 2강 불교, 페미니즘에 물들다(옥복연)
  2. 12/2(수) 3강 살림의 정신은 보살, 살림 페미니즘(김정희)
  3. 12/9(수) 4강 여성의 눈으로 다시 읽는 불교사(조승미)
  4. 12/16(수) 5강 불교, 에코페미니즘, 오래된 여성문명의 회귀(현경)

알라딘: 기독교와 불교의 생태평화화

알라딘: 기독교와 불교의 생태평화화

기독교와 불교의 생태평화화 - 에코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박성용 (지은이)다산글방2007-02-17



기독교와 불교의 생태평화화

공무원.취업.자격증.IT.외국어 4만원 이상, 머그/클립보드/에코백
정가
15,000원
판매가
15,000원 (0%, 0원 할인)
마일리지
7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68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12월 2일 출고  
최근 1주 81.7%(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27 
 0.0 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384쪽152*223mm (A5신)538gISBN : 9788985061469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종교철학
이벤트

공무원.취업.자격증.IT.외국어 - 머그/클립보드

2020 올해의 책! 투표에 참여해주시는 분께 적립금 1천원!

11월 특별선물! 2021 다이어리, 달력(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목차
제1부 낡은 종교적 담론의 탈 구조화와 새로운 비전의 도래
1. 우리 시대의 징조들과 종교적 담론의 재도식화
2. 기독교 신학적 담론에 타자를 재정위하기
3. 변화하는 세계를 향한 현대불교의 새 방향

제2부 사물의 우주와 샐리 맥훼이그의 육화신학
4. 생태시대에 따른 기독교 언어의 재구성
5. 에코페미니스트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신학의 재형성
6. 생태평화 공동체의 헌신의 삶

제3부 생명의 우주와 조안나 메이시의 생태불법학
7. 갈등하는 세상에서 법륜을 돌림
8. 메이시의 불법학이 지닌 인식론, 도덕성 그리고 공동체
9. 생태평화 공동체와 헌신의 삶

제4부 종교 담론에 에코페미니스트의 비전을 엮어 넣기
10. 에코페미니스트 종교 담론의 평가와 도전들
11. 페미니즘, 종교 그리고 생태학에 있어 더 깊은 토론들

저자 및 역자소개
박성용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비폭력 실천과 평화훈련 영역에서 10년이상 일해 온 활동가다. 남과 북의 마을이 서로 가장 가까이 보이는 강화 양사면 철산리 철곳에서 출생하여서 적대적인 양쪽에 대한 대화와 소통에 일찍 관심을 갖게 되었다. 감리교 신학대학과 이후 미국 템플대학에서 “대화신학”에 관해 박사과정을 밟았다. 북파공작원이라는 케로부대 출신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미국에서 1992년 LA흑인폭동, 1997년 IMF 국가부도사태, 그리고 2001년 9.11테러 사건들이 예기치 못한 비폭력과 평화운동의 영역으로 삶의 자리를 옮기게 했다.
한국에서는 2001년 4년간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에서 시민사회실장을 지냈고 2005년부터 ‘비폭력평화물결’이란 단체에서 대표로 있으면서 비폭력 영성과 실천에 관련된 훈련영역에서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다. 특히 2007년부터 서클에 대한 국제모델들인 ‘삶을 변혁시키는 평화훈련(AVP; Alternatives to Violence Project)’, 회복적 실천 모델인 ‘청소년 평화지킴이(HIPP; Help Increase Peace Program)’과 ‘회복적 서클(RC; Restorative Circle)’ 그리고 스웨덴국가를 사회복지 민주주의 국가로 탈바꿈시킨 ‘스터디 서클’ 그리고 파커 파머의 ‘신뢰의 서클(Circle of Trust)’의 훈련가겸 진행자로 서클 모델들을 소개하고 진행자를 양성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평화영성과 서클 진행 원리에 기반한 평화서클교회 담임이기도 하며, 영혼의 내적작업에 대한 다양한 서클모임과 워크숍을 진행중이기도 하다. 현재 주로 학교와 시민사회 영역에서 평화감수성, 비폭력 실천, 갈등중재, 회복적 실천, 치유와 화해, 평화로운 회의진행과 전략 기획 등의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아시아의 종교 분쟁과 평화」 (공저, 2005, 오름), 「기독교와 불교의 생태 평화화」 (2007, 다산글방), 「청소년을 위한 비폭력평화수업 매뉴얼」 (2012, 비폭력평화물결), 「평화의 바람이 분다」 (2014, 대장간) 등과 직접 번역한 비폭력 평화훈련 매뉴얼들이 있다.

이메일: ecopeace21@hanmail.net
개인블로그: www.ecopeace.pe.kr . 접기
최근작 : <회복적 서클 가이드 북>,<평화의 바람이 분다>,<기독교와 불교의 생태평화화> … 총 3종 (모두보기)


알라딘: 불교 페미니즘

알라딘: 불교 페미니즘

불교 페미니즘 - 가부장제 이후의 불교   
리타 M. 그로스 (지은이),옥복연 (옮긴이)동연(와이미디어)2020-06-17



불교 페미니즘


 크게보기
정가
25,000원
판매가



기본정보
600쪽152*223mm (A5신)840gISBN : 9788964475805

책소개

저자는 먼저 불교의 역사를 스케치하는 것으로 저자의 과업을 시작한다. 인도 불교, 대승불교, 티베트 불교 등 3대 불교 지성 발달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역할과 이미지를 살펴보는 일이 그것이다. 과거 불교가 융성했던 시절에 널리 통용되었던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에 관한 기록들의 정확한 파악이 우선적인 과제로 수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불교사에서 드러난 이러한 여성의 기록들을 통해서 여성에 관련된 유용한 과거의 자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저자는 페미니즘적 인식을 위해 활용 가능한 불교의 자원들을 살피는 것으로 주요 교리적 개념들의 분석을 시작하는데(3부), 이는 “불교는 페미니즘”이며 따라서 “페미니즘이 불교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입장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그녀는 불교의 기본적인 가르침을 시대적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하고 시기에 따른 관점들을 살펴 간다. 첫 번째 전환기에서는 소승불교(상좌불교)의 무아의 가르침에 관련된 자아와 젠더의 문제를, 두 번째 전환기에서는 대승불교의 공성(空性)과 보살의 길에 관련된 페미니스트 윤리와 자비심의 문제를, 세 번째 전환기에서는 금강승불교의 여래장 사상과 비이원론적 접근과 관련된 젠더의 문제들을 상세하게 고찰한다. 3부를 마무리하면서 저자는 금강승불교의 명상수행에 관해 깊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것은 긍극적으로 여성적 원리와 남성적 원리의 상호보완성에 귀착된다.
목차
제I부 ╻ 목표와 방향 설정하기
1장_ 불교 페미니스트의 재평가 전략
2장_ 불교에 대한 이해: 접근 방식, 기본 교리 그리고 개괄적인 설명
제II부 ╻ 정확하고 유용한 과거를 위하여: 불교 역사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스케치
3장_ 왜 과거를 알아야 하는가, 정확하고 유용한 과거는 무엇을 위해 필요한가?
4장_ 샤카디타, 붓다의 딸들: 초기 인도 불교의 여성 역할과 이미지
5장_ 타고난 여성의 특성과 성향이 있는가?: 인도 대승불교의 여성 역할과 이미지
6장_ 여성적 원리: 인도와 티베트 금강승불교의 여성 역할과 이미지
7장_ 결론: 여성 영웅들과 토큰 같은 여성들
제III부 ╻ 담마는 여자도 남자도 아니다: 교리의 주요 개념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분석
8장_ 불교 페미니즘을 위한 교리의 다양한 자원들
9장_ 무대 만들기: 불교적 세계관의 전제들
10장_ 페미니스트의 관점으로 불교의 핵심개념 분석하기
11장_ 젠더와 무아: 페미니스트의 관점에서 본 불교의 기본 가르침
12장_ 젠더와 공성: 대승불교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이해
13장_ 젠더와 불성: 세 번째 전환기 금강승불교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입장
제IV부 ╻ “담마는 여자이고 또 남자이다”: 성평등한 불교의 재구축을 위하여
14장_ 판결과 심판: 뒤를 돌아보기 그리고 앞을 바라보기
15장_ 성평등한 기관들: 재가자, 사원과 요가 수행자들
16장_ 성평등한 세상을 위하여: 젠더화된 언어 극복하기
방법론적 부록
I. 여기, 내가 서 있다: 학문적 방법과 사회적 비전으로서의 페미니즘
II. 종교적인 경험과 종교 연구: 종교의 역사

접기
책속에서
이 글은 종교학, 페미니즘 그리고 불교라는 세 가지 관점이 복합적으로 독특하게 연결되어 전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경험도 통합된 교차문화적인 비교연구라고 할 수 있다. 각각의 관점들은 개별적으로 잘 알려져 있거나 널리 쓰이지만, 이 세 가지 요소들의 통합적인 연구는 흔치 않다. 나의 개인적인 삶 속의 경험들과 학문적인 과정을 통해 얻은 성과로, 이 요소들이 일관성 있게 상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매우 유용한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음을 영적이고 학문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 요소들이 서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조화롭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보면서, 내가 이해하고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캐롤 크리스트와 크리스틴 다우닝과 달리, 나는 이 세 가지 관점과 개인적인 경험에 직접적으로 초점을 맞추지는 않을 것이다. 그보다는 나의 연구와 고민 그리고 경험에 기초해서 나타나는 의미 있는 결과에 중점을 둘 것이다.
_ 1장 <불교 페미니스트의 재평가 전략> 중에서  접기
왜 붓다는 파자파티의 요청을 즉각 받아들이지 않았을까? 사실 그는 많은 남성의 출가를 격려했는데, 남성들처럼 여성들에게는 왜 나서서 출가를 권유하지도 않고, 또 여성들이 출가를 요청했지만 기다리게 했을까? 이것은 페미니스트적 가치를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나 민감하게 생각할 수 있는 질문이지만, 남성 중심주의와 남녀 이분법적인 성 역할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사회에서 이러한 문제는 그다지 관심이 없는 영역이다. 즉, 평등사상이나 일반적인 인류애에 대해서, 심지어는 붓다께서 깨달음을 성취한 후에도 젠더 이슈는 그의 주요 관심사가 아니었다. 남녀의 차이와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긴장감, 요컨대 여성의 눈을 통해 남성 중심적인 부정적인 면을 보는 것은 단순히 그의 관심사가 아니었다. 가부장적인 고통에 대한 여성들 자신의 경험에서 문제의식을 느꼈다면, 그것을 체험한 여성들이 평범한 일상에 도전하고 이분화된 성 역할을 거부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여성을 진심으로 지지했던 아난다는 붓다 사후 1차 경전 결집 때 여성과 관련하여 두 가지 잘못을 고백하도록 강요당했다. 즉, 그가 여성에게 비구니 승가를 설립할 것을 허락하도록 붓다께 간청했다는 것이 하나이고, 붓다의 사후 여성들이 붓다의 시신에 눈물을 흘려서 그의 옷을 더럽혔다는 것이 두 번째이다. 참으로 여성혐오적인 내용을 담은 기록이다. 카지야마 유이치와 일부 학자들은 이런 여성혐오적인 인식들이 이 시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문학에도 등장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몇몇 여성혐오적 교리는 이 시기의 어느 시점 이후부터는 초기 불교 경전이라고 할 수 있는 빠알리 경전과 초기 인도 불교의 일부 내용이 되었다.
여자는 붓다가 될 수 없고 붓다는 여자가 될 수 없다는 교리는 이 시기 이후에 널리 퍼졌다. 그 결론은 여성이 ‘깨달음의 다섯 단계’ 가운데 어느 한 곳에도 도달할 수 없고, ‘삼종지도’를 감수해야 하므로 여자는 부처가 될 수 없다는 논리로 자리 잡았다. 이 주장은 불교에서 여성의 낮은 지위에 대한 정당화와 논리적 근거로 광범위하게 퍼져서 오늘날까지 전해오고 있으며, 동아시아 불교에서 특히 인기를 끌었다. 경전에 따르면, ?테리가타?의 명확한 기록에도 불구하고, 일부 문헌에서는 여성들이 아라한에도 오를 수 없다고 한다. 한 경전에서는 붓다께서 “불가능하다, 비구여, 여자가 완전히 깨달은 아라한이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
_ 4장 <샤카디타, 붓다의 딸들> 중에서  접기
불교를 페미니즘이라고 말하는 것은 설득력 있고 정확하지만, 그 말은 완벽하지는 않다. 불교와 페미니즘 간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은 불교 페미니즘에 중요한 자원을 제공한다. 유사성보다는 상호 변혁에 초점을 맞출 때, 두 관점이 얼마나 양립할 수 있는가부터 그들이 서로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도 강조점이 바뀐다. 신학자인 존 콥John Cobb은 그의 책 『대화 너머Beyond Dialogue』에서, 불교와 기독교의 상호 변혁은 진정한 대화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대화를 넘어서는 “상호 변혁mutual transformation”이라는 문구를 사용한다. 이는 서로 다른 영적 관점들 간의 상호 작용과 변화를 위한 가장 적절한 방식을 묘사하고 있다. …
상호 변혁은 보통 서로 다른 영적 관점을 가진 두 파트너가 상호 작용을 할 때 발생한다. 불교와 페미니즘 사이의 대화와 그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상호 변혁의 경우에, 그 과정은 대개 양쪽의 입장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내면의 대화라고 할 수 있다. 내면의 대화라고 해서 그 과정이 덜 현실적이거나 덜 변혁적인 것은 아니다. 나 자신의 경험으로 볼 때, 불교 수행에 참여하기 훨씬 전부터 나는 페미니스트였다. 더욱 솔직하게 말하면, 나는 불교적인 관습에 참여하기 전에 미리 페미니스트적인 기준으로 매우 주의 깊게 조사했다. 종교라는 또 다른 복잡한 여행에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그 상징체계나 계층 구조로부터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페미니즘과 불교는 내 인생에서 두 개의 분리된, 영원히 평행선을 달리는 트랙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_ 8장 <불교 페미니즘을 위한 교리의 다양한 자원들> 중에서  접기
불교사적 유형에 대한 고찰과 불교의 핵심 개념에 관한 분석을 통해 드러난 판결을 살펴보면, 현재의 관점과 실천 사이에 참을 수 없는 모순이 있다. 그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재건의 첫 번째 접근은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불교 관행을 개혁하는 것이다. 그러한 재건을 위한 지침은 매우 간단하다. 성평등을 의무화하고 제도화하고, 불교 생활과 제도의 바로 그 틀에 완전히, 철저한 방법으로 건설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평등을 의무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모든 불교 신자들이 이를 규범적인 의무로 여기게 해야 한다. 그것은 다른 모든 윤리적, 관계적 규범과 피해야 할 행동의 목록을 포함하는, 올바른 행동 범주에 따른 여덟 가지 경로에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심지어 모든 존재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최초의 가장 중요한 교훈이다. …
만약 성평등이 전통에 대한 기본적인 윤리적 지침으로 의무화된다면, 고의적이든 우발적이든 어떤 제도적 불이행도 시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 지침들은 특히 성차별과 계급제도의 관행을 바로잡기 위함이다. 불교적 견해, 즉 불교적 가르침의 언어적, 철학적 공식은 성평등을 의무화하고 제도화함으로써 직접적으로 현실에 도전하거나 이를 강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여성에게도 불교의 가르침을 평등하게 적용해야 하고, 남성에게는 불교사 전반에 걸쳐 널리 퍼져있던 것과는 다른 방식이 필요하다. 젠더 문제에 대한 이 해결책은 여성으로 태어나는 것이 고통이므로, 아예 여성을 없애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미래의 정토에서는, 여성과 남성이 함께 살아가는 건강하고 순결한 땅이 될 것이며, 이 순결한 땅에서는 불교사 전반에 걸쳐 널리 퍼진 남성 중심적인 견해나 현실들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_14장 <판결과 심판> 중에서  접기
전통적인 불교는 현재 남성 우월적인 사원 중심제도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불교가 가부장적인 종교라는 인상을 준다. 전통적인 불교의 중심부에는 모든 종교의 페미니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친숙한 개념인 남성 우위가 있는데, 이는 거의 남성 독점이라고도 할 수 있기에 이로 인한 여성의 고통을 보여준다. 가장 최근에, 나는 살아 있는 불교라는 아름다운 삽화가 그려진 책을 보았는데, “여성의 사진은 확실히 많지 않다”라고 평한 내 친구의 말을 들으며 다시 한번 분노하면서도 슬픔을 느꼈다.
성평등한 사원 제도의 재건은 가부장제 이후의 불교를 위한 여성주의적인 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하거나 혁명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개혁은 어떠한 편견이나 차별 없이 여성들을 전통적인 불교, 사원 그리고 교육 기관들의 중심부로 완전하게 재배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분야들은 주로 불교를 보존하거나 전파하는 역할이기 때문에 보수적인 권력을 가진 세력들은 이미 시행되고 있는 제도라는 이유로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개혁가들은 이를 현대적으로 재조정해서 적용한 역사적 사례도 있다. 불교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개혁은 중단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불교도 일정 부분 유지한다.
_15장 <성평등한 기관들> 중에서  접기
더보기
추천글
이 책은 그녀(저자 리타 그로스)의 뛰어난 학식과 깊이 있는 오랜 연구의 결과물로, 가부장제와 그 이후의 불교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오늘날까지 의심할 여지 없이 모든 불교 전통에서 전해오는 불교 문헌의 차별성에 대해서 그녀는 이미 30여 년 전부터 과감하게 도전했다. 지금으로부터 약 30년 전에 쓴 책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녀의 분석이 유용할 정도로 불교가 변하지 않은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오늘날에는, 다행스럽게도 서구 불교계에는 잘 알려진 교리 스승과 학자들 가운데 여성이 많이 있으며, 여성이라고 지식 수준이나 경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나 불교 역사를 통해 볼 때, 여성이 인정받기 시작한 것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만약 불교가 그렇게 성차별적이고 가부장적이지 않다면, 제대로의 불교는 어떤 모습일까? 어떻게 하면 불교가 현대 사회에서 더욱 성평등한 종교로 나아갈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을 시작해 준 리타 그로스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불교의 핵심 교리 중에는 영원불변한 것은 없다는 가르침이 있는데, 그럼에도 가부장적 위계질서에 대해 변화를 거부하고, 특히 교리를 신선한 통찰력으로 보는 것에 대한 저항도 있다. 그러나 사회는 지속적으로 여성의 목소리를 포함시키고 여성의 권리를 발전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누구도 거역할 수 없게 되었다.
불교는 모든 존재의 상호 연관성을 중시하고, 시대를 초월하는 위대한 붓다의 지혜를 사회와 공유하기 위해 21세기로 옮겨가야 한다. 붓다의 가르침은 모든 인간에게 매우 유익한 것이며, 오늘날은 교리 연구와 실천에 종사하는 여성들도 다수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더욱 수행에 집중하고, 헌신적이며 영적인 길에 전념하는 경향성이 있으며, 미래에도 불교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주체가 될 가능성이 높다.
사실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진 금강승 비구들 중 몇몇은 미래 사회에 교리가 여성들의 손에 넘어갈 것이라고 예언해 왔다! 여성들이 얼마나 불교계에서 위대한 존재인가? 이제라도 교단은 여성들이 비주류가 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격려하고, 또한 모든 불자들은 성평등한 불국토 건설에 앞장설 수 있기를 바란다. - 텐진 팔모 
저자 및 역자소개
리타 M. 그로스 (Rita M. Gross)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시카고대학교 종교학과에서 학부 및 대학원을 마쳤으며, 위스콘신대학교(오클레어) 철학-종교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종교학자의 관점과 페미니스트의 관점을 결합한 균형잡힌 시각으로 힌두교와 불교 등 인도 종교들에 대한 많은 연구를 했다. 주요 저서로 『가부장제 이후의 불교: 불교에 관한 페미니즘적 역사, 분석, 재구성』(Buddhism after Patriarchy: A Feminist History, Analysis, and Reconstruction of Buddhism, 1993)이 있으며, 『남성중심주의를 넘어서: 여성과 종교에 관한 새로운 글들』(Beyond Androcentrism: New Essays on Women and Religion)을 엮었다. 또한 낸시 아우어 폴크(Nancy Auer Falk)와 함께 『말해지지 않은 세계들: 여성들의 종교적 삶』(Unspoken Worlds: Womens Religious Lives, 1980)을 엮었다. 접기
최근작 : <불교 페미니즘> … 총 21종 (모두보기)
옥복연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미국 코네티켓주립대학교에서 여성학을 공부(석사 학위)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여성학으로 문학박사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선임연구원과 국민대학교 강사를 거쳐, 현재 종교와젠더연구소 소장과 성평등불교연대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붓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 불교의 위대한 여성 마하마야』(2020), 『3.1운동 백주년과 한국 종교개혁』(2019), 『불교와 섹슈얼리티』(2016), 『붓다의 길을 걷는 여성』(2015) 등의 공저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불교 경전에 나타난 여성혐오적 교리 해석”, “붓다의 재가여성 십대제자에 대한 불교여성주의적 분석”, “다시 팔경계를 소환하며” 외 여러 편이 있다. 접기
최근작 : <붓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3.1운동 백주년과 한국 종교개혁>,<불교와 섹슈얼리티 (반양장)> … 총 8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불교 페미니즘을 펴내면서…

여성의 몸으로 붓다가 될 수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반응은 두 가지로 나타날 것이다. 그야 당연하지 않은가? 글쎄, 될까? 전통적인 불교의 입장은 전자라고 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후자에 가깝다. 불교의 가르침은 고통으로 가득 차고 무지에 휩싸인 상태에서 벗어나 깨달음의 평온을 얻음으로써 궁극적인 해방을 추구한다. 그래서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수행자에게 완전한 깨달음을 향하는 구도의 길이 권장된다. 그러나 붓다 사후 수 세기 만에 승단이 권력을 가지게 되고 존경과 권위를 부여받으면서 성차별이 싹트기 시작해서 마침내 여성은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는 신념이 퍼지게 되었다. 그래서 성에 대한 가장 대중적이고 오래된 불교적인 태도 가운데 하나는, 여성은 불행한 존재이며 여성으로 태어나는 연유는 나쁜 업보의 결과라는 인식이다. 오늘날 한국과 대만을 제외한 여타 국가에서 비구니 승단이 사라진 것은 가부장적 위계질서의 고착으로 인한 여성혐오적 성차별과 편견이 매우 강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되고 있는데, 저자가 이 책에서 페미니스트 관점으로 불교의 ‘재평가’를 추구하는 문제의식이 바로 여기에 있다. 여성도 깨달음을 얻고, 붓다가 될 수 있지 않은가?
저자는 먼저 불교의 역사를 스케치하는 것으로 그녀(저자)의 과업을 시작한다(2부). 인도 불교, 대승불교, 티베트 불교 등 3대 불교 지성 발달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역할과 이미지를 살펴보는 일이 그것이다. 과거 불교가 융성했던 시절에 널리 통용되었던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에 관한 기록들의 정확한 파악이 우선적인 과제로 수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불교사에서 드러난 이러한 여성의 기록들을 통해서 여성에 관련된 유용한 과거의 자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저자는 페미니즘적 인식을 위해 활용 가능한 불교의 자원들을 살피는 것으로 주요 교리적 개념들의 분석을 시작하는데(3부), 이는 “불교는 페미니즘”이며 따라서 “페미니즘이 불교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입장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그녀는 불교의 기본적인 가르침을 시대적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하고 시기에 따른 관점들을 살펴 간다. 첫 번째 전환기에서는 소승불교(상좌불교)의 무아의 가르침에 관련된 자아와 젠더의 문제를, 두 번째 전환기에서는 대승불교의 공성(空性)과 보살의 길에 관련된 페미니스트 윤리와 자비심의 문제를, 세 번째 전환기에서는 금강승불교의 여래장 사상과 비이원론적 접근과 관련된 젠더의 문제들을 상세하게 고찰한다. 3부를 마무리하면서 저자는 금강승불교의 명상수행에 관해 깊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것은 긍극적으로 여성적 원리와 남성적 원리의 상호보완성에 귀착된다.
이 책의 결론에 해당하는 4부 “성평등한 불교의 재구축을 위하여”에서 저자는 교리와 실천 사이에 존재하는 모순들을 지적하고, 가부장제를 ‘평가’하며 미래를 전망한다. 여기서 저자는 불교의 페미니스트적 재건을 위해 두 사항을 제시한다. 첫째는 재가수행자들의 생활방식에 관한 것인데, 가부장적인 성 역할의 구분으로 양육된 남녀의 상호무능성을 극복하고, 여성주의적 성평등이라는 비전에 일치하는 재가수행자의 생활 스타일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사원 제도에 대한 것인데, 전통적인 불교는 남성 우월적인 사원 제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성평등한 사원 제도가 재구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저자의 제안은 이 책이 문제로 삼고 있는 “가부장제를 극복한 불교”에 국한되는 것이지만, 남성 우월적이며 가부장적인 체계가 확고한 여타 종교들에게도 그것을 넘어서는 실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이 책이 지니는 또 다른 가치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인데, 오늘의 세계는 여전히 가부장적 체계가 사회 도처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접기

---

"불교는 페미니즘이다"...'불교 페미니즘' 출간
 조현성 기자 승인 2020.07.08 14:12 댓글 0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텐진 팔모 스님 "30년 전 분석 유효...변하지 않은 불교 안타깝다"

 

미국 종교학자 리타 그로스가 "불교는 페미니즘"이라 주장한 책이 번역 출단됐다. 종교와젠더연구소 옥복연 소장이 번역한 <불교 페미니즘: 가부장제 이후의 불교>이다. 

책은 "여성은 붓다가 될 수 있을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불교는 깨달음의 과정에 성별 구분은 없고, 모든 수행자에 깨달음으로 가는 구도의 길이 열려 있다고 한다. 

현실은 붓다의 가르침과 달리 성별은 물론 출가 재가 사이의 위계질서가 생겼다. 한국 대만을 제외한 나라에서 비구니 승단이 사라진 것이 본보기이다. 초기불교 원형을 갖고 규율로서 성차별을 금지하는 티베트 불교에서도 비구니 승단은 독자성을 갖고 있지 않다.

저자는 성평등적 관점관점에서 불교를 재평가하기 위해 인도 불교와 대승 불교, 티베트 불교 등 3대 불교 발달사에 나타난 여성의 역할과 이미지를 살핀다. 

저자는 시기별 불교의 교리와 실천 간 모순을 지적하며 불교의 페미니즘적 재건을 위해, 성평등 관점에 일치하는 재가수행자의 생활 스타일과 남성 우월적 사원 중심의 불교에서 벗어나 성평등한 사원제도 구축을 제안한다.

저자는 "미래의 정토에서는 여성과 남성이 함께 살아가는 건강하고 순결한 땅이 될 것이다. 이 순결한 땅에서는 불교사 전반에 걸쳐 널리 퍼진 남성 중심적 견해나 현실들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2015년 작고한 저자는 생전에 미국 위스콘신대 철학종교학과 교수를 지냈다. 종교학과 페미니스트적 관점의 균형 위에서 인도 종교 연구를 많이 했다.

서양 최초 비구니 스님인 텐진 팔모는 추천사를 통해서 "이 책은 가부장제와 그 이후 불교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30년 전에 쓴 책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녀의 분석이 유용할 정도로 불교가 변하지 않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라고 말한다.

역자 옥복연 소장은 "이 책을 읽은 후 여성학적 관점에서 불교가 참으로 페미니즘과 유사하다는 저자의 주장에 찬성하며 불교 연관 박사학위를 쓰기로 결심했다"고 했다.

이어 "지난 2009년 제11차 샤카디타 세계불교여성대회에서 저자를 만나 이 책이 얼마나 내게 큰 영향을 끼쳤는지를 말하며 많은 한국 여성 불자들이 읽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녀가 다른 세상으로 떠나버린 한참 지난 이제야 약속을 지키게 됐다"고 했다.

불교 페미니즘┃리타 그로스 지음┃옥복연 옮김┃동연┃2만5000원

저작권자 © 불교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현성 기자
깨달음에 남녀 구분은 없다…'불교 페미니즘' 출간
송고시간2020-07-07 13:29 공유 댓글 글자크기조정 인쇄
양정우 기자양정우 기자
미국 종교학자 리타 그로스 저서…성평등적 재가수행·사원제도 제언
깨달음에 남녀 구분은 없다…'불교 페미니즘' 출간 - 1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여성은 붓다가 될 수 있을까?"

미국 종교학자 리타 그로스가 1993년 출간한 '불교 페미니즘 : 가부장제 이후의 불교'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불교의 가르침은 고통으로 가득 차고 무지에 휩싸인 상태에서 벗어나 깨달음의 평온을 얻음으로써 궁극적인 해방을 추구하는 것이다. 깨달음의 과정에 성별 구분은 없고, 모든 수행자에게 깨달음으로 가는 구도의 길은 열려 있다.

advertisement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붓다 사후 수 세기가 지나 승단이 권력을 가지며 성별은 물론 출가자와 재가자 간 위계질서가 나타났다. 한국과 대만을 제외한 국가에서 비구니 승단이 사라지거나 복원되지 못한 것은 이를 뒷받침한다.


초기 불교의 원형이 많이 간직된 티베트 불교는 규율로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으나 이곳에서마저 비구니 승단은 여전히 독자성을 가지지 못한다.

저자는 성평등적 관점에서 불교를 재평가하기 위해 과거를 먼저 살핀다. 인도 불교와 대승 불교, 티베트 불교 등 3대 불교 발달사에 나타난 여성의 역할과 이미지를 찾아낸다. 이를 토대로 주요 시기별 교리를 분석한다.

리타 그로스는 불교의 교리와 실천 간 모순을 지적하며 불교의 페미니즘적 재건을 위해 두 가지를 제언한다. 하나는 성평등 관점에 일치하는 재가수행자의 생활 스타일이며, 다른 하나는 남성 우월적 사원 중심의 불교에서 벗어나 성평등한 사원제도를 구축하는 것이다.

그는 "미래의 정토에서는 여성과 남성이 함께 살아가는 건강하고 순결한 땅이 될 것이며, 이 순결한 땅에서는 불교사 전반에 걸쳐 널리 퍼진 남성 중심적 견해나 현실들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전망한다.

미국 위스콘신대(오클레어) 철학-종교학과 교수였던 저자는 종교학과 페미니스트적 관점의 균형 위에서 인도 종교에 대한 연구를 많이 했다. 2015년 작고했다.

서양 여성 최초의 비구니 스님인 텐진 팔모는 추천사에서 "이 책은 깊이 있는 오랜 연구의 결과물로 가부장제와 그 이후 불교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며 "지금으로부터 30년 전에 쓴 책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녀의 분석이 유용할 정도로 불교가 변하지 않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라고 지적했다.

책을 옮긴이는 여성학을 공부한 옥복연 씨다. 그는 종교와젠더연구소 소장과 성평등불교연대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동연. 600쪽. 2만5천원.

알라딘: 불교 페미니즘과 리더십

알라딘: 불교 페미니즘과 리더십

불교 페미니즘과 리더십 - 불교여성, 자비와 지혜로 세계의 중심에 서다   
텐진 빠모,조은수,본각 (지은이),샤카디타 코리아 (옮긴이)불광출판사2016-08-30
 
전자책
16,000원 
476쪽

책소개

여성 불교수행자들의 연대와 실천에 관한 37편의 이야기. '샤카디타 인터내셔널'은 세계최대 불교여성단체이다. 1987년 2월 인도 보드가야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부처님 법에서 여성과 관련된 특별한 여러 이슈들에 대해 논의할 길을 열어보자는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1987년 인도대회를 시작으로 2년에 한 번씩 세계의 여성 불교인들이 모여 불교와 여성 관련 연구를 발표하고 토론회, 각종 퍼포먼스를 연다. 이를 통하여 전 세계 불교 여성들의 깨달음, 화합 그리고 자비행을 실천한다.

2011년 태국 방콕 대회부터 2015년까지 열린 '샤카디타 인터내셔널 세계불교여성대회'에서 발표된 논문 중에서 선별한 37편의 소논문을 모았다. 이 논문들에는 세계의 모든 불교 종파와 여러 전통을 아우르며, 무엇보다 불평등한 여건 속에서 수행과 자비를 동시에 실천하는 여성들의 사례가 자세하게 담겨 있다. 이를 통해 진정한 연대와 공존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지혜'와 '자비'를 상징하는 여성적 영성이야말로 진정한 불교 페미니즘의 모토임을 되새긴다.

목차
제1부 세계의 비구니 승가
01 “비구니스님, 사랑합니다!” | 수잔 므로직
02 인도 비구니 수계의 혜택과 장벽 | 비구니 수니티
03 인도네시아 비구니 승가 건립의 장애와 기회 | 아야 산티니
04 출가 여성 교육의 중요성 | 타쉬 장모
05 네팔 비구니 승가 건립의 고충 | 비구니 담마난다
06 잊혀진 승가: 히말라야 바깥의 티베트불교 | 제쭌마 텐진 빠모
07 푸젠 지역의 비구니 교육: 민남비구니불교대학의 사례 | 마 오 루징 스님
08 보이지 않는 계승자 | 리위전
09 대만 비구니스님은 어떻게 성장하였나 | 석(釋) 꾸어시앙
10 재가 불자에게 미치는 일본식 봉건제도의 잔재 | 아이코 미즈노
11 국가를 초월한 비구니운동 | 바이니타 아그로월

제2부 붓다의 딸을 위한 여성 리더십
12 불교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해탈 | 아야 담마난다
13 『쭐라웨달라경』의 중요성: 비구니 담마딘나의 설법 | 벨리겔 담마조티 비구
14 부처님 일대기에 나타난 사랑과 상실의 교훈 | 바네사 사쏜
15 부처님의 첫 여성 제자 이야기 속에 나타난 치유력 | 카렌 C. 랭
16 여성 수행의 의미와 가치: 경전 자료를 중심으로 | 본각 스님
17 고대 인도불교의 역사 속 우바이의 지위 | 루팔리 모카쉬
18 떠오르는 여성 불자의 리더십: 신성과 불경의 교차점 | 캐롤 윈클만
19 당신은 보살입니다 | 효준 스님
20 상상 속의 여성 출가자들: 지나간 과거와 아직 오지 않은 미래 | 비구 수자토
21 여성과 타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 전환하기 | 앨리슨 굿윈
22 젠더, 불교, 그리고 교육: 상좌부 전통과 사회변혁 | 엠마 토말린?캐롤린 스타키
23 여성의 리더십과 불교의 무아설 | 조은수
24 여자로 태어나는 것은 장애인가? | 리타 그로스
25 노년을 찬미하며 | 제쭌마 텐진 빠모

제3부 현대사회의 문제와 자비의 고요한 실천
26 불도의 측면에서 본 자비에 대한 고찰 | 아드리엔 코크란
27 불교윤리학과 사회정의 | 카르마 렉셰 쏘모
28 캄보디아의 AIDS 환자구호 | 베스 골드링
29 교도소에서 법을 가르치다 | 란자니 드 실바
30 재소자들과 함께 | 로비나 컬틴
31 자비를 통한 회복의 길 찾기 | 테레사 시빌리
32 걷기명상과 영적 순례 | 수엘린 세메코스키
33 립스틱을 바른 불자와 법의 디바 | 리사 바타글리아
34 태국불교계의 성적소수자 | 쿨라버 프라파폰피파
35 대만 비구니가 펼치는 동물보호운동 | 석(釋) 츠우안화
36 노동 선(禪): 해탈을 지향하는 이민 여성 불자의 길 | 석(釋) 지엔어
37 현대 한국불교 승가에서 승려들의 역할의 재편성과 자비 실천의 개인 사례 | 효석 스님

접기
책속에서
서구의 여성들과 불교인들은 ‘불교 속의 여성’이라는 주제에 대해 학문적 관심을 일찍부터 발전시켜 왔습니다. 이에 반응하여 이제 세계의 여성들은, 불교의 선진적 여성관을 높이 평가하며 불교의 여성주의적 시각과 여성의 수행 문화, 그리고 그들이 이룬 문화적 사상적 성과에 대해 잘 알게 되었습니다. 현재 서구의 불교는 여성주의적 관점의...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텐진 빠모 (Vicki Mackenzie)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샤카디타 인터내셔널 회장.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서 1964년 20세 때 정신적인 구도의 길을 찾아 인도로 건너가 티베트 스님 제8대 캄툴 린포체를 만났고, 서양 여성으로서는 최초의 티베트 비구니가 되었다. 12년간 히말라야 동굴에서 은둔 수행한 감동적 이야기가 『Cave in the Snow』라는 제목으로 엮어져 나왔다(한국에서는 『나는 여성의 몸으로 붓다가 되리라』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음).
최근작 : <불교 페미니즘과 리더십>,<나는 여성의 몸으로 붓다가 되리라>,<텐진 빠모의 마음공부> … 총 19종 (모두보기)
조은수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샤카디타 코리아 공동대표,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제한국학센터 초대 소장,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지역 세계기록문화유산 출판소위원회 의장,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고, 2013~2015년 불교학연구회 회장을 지냈다.
최근작 : <불교 페미니즘과 리더십>,<마음과 철학 : 불교편>,<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5> … 총 5종 (모두보기)
본각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육년 스님을 은사로 모시고 출가했다. 동국대학교 철학과와 봉녕사 승가대학 대교과를 졸업했고, 일본 릿쇼立正대학에서 석사 과정을 마친 뒤 고마자와駒澤대학에서 불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승가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불교조계종 고시위원, 학교법인 승가학원 이사, 샤카디타 한국지부 공동대표, 전국비구니회 부회장, 봉녕사승가대학 화엄반 교수, 금륜사 주지로 수행 정진 중이다.
저서로는 『진리의 숲 법구경 이야기』, 『華嚴觀法の基礎的硏究』, 『華嚴經十地品槪說』, 『한국 비구니의 수행과 삶』(공저)이 있고, 『비구니와 여성불자』, 『... 더보기
최근작 : <화엄교학 강론>,<불교 페미니즘과 리더십>,<불교와 그리스도교의 생태 영성> … 총 5종 (모두보기)
샤카디타 코리아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 총 2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불광출판사 
출판사 페이지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비구 급선무>,<붓다 한 말씀 (큰글자책)>,<집으로 가는 길은 어디서라도 멀지 않다 (큰글자책)>등 총 437종
대표분야 : 불교 1위 (브랜드 지수 317,787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페미니즘이 불교 페미니즘에게 길을 묻다!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부처님은 말했다.
정신적으로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다고 말한 부처님은
세상의 첫 번째 페미니스트이다.
차별과 편견을 넘어 공존과 조화로움을 꿈꾸는
여성 불교인이 의지하는 사상적 토대는
바로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여성 불교수행자들의
연대와 실천에 관한 37편의 이야기
‘샤카디타 인터내셔널(Sakyadhita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Women)’은 세계최대 불교여성단체이다. 샤카디타는 ‘붓다의 딸들’이라는 뜻이다. 1987년 2월 인도 보드가야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부처님 법에서 여성과 관련된 특별한 여러 이슈들에 대해 논의할 길을 열어보자는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현재 세계 45개 회원국이 활동 중이다. 1987년 인도대회를 시작으로 2년에 한 번씩 태국, 스리랑카, 라닥, 캄보디아, 네팔, 타이완, 한국, 말레이시아, 미국 등에서 세계의 여성 불교인들이 모여 불교와 여성 관련 연구를 발표하고 토론회, 각종 퍼포먼스를 연다. 이를 통하여 전 세계 불교 여성들의 깨달음, 화합 그리고 자비행을 실천한다.

이 책에 모인 37편의 소논문들은 2011년 태국 방콕 대회부터 2015년까지 열린 ‘샤카디타 인터내셔널 세계불교여성대회’에서 발표된 논문 중에서 선별한 것이다. 이 논문들에는 세계의 모든 불교 종파와 여러 전통을 아우르며, 무엇보다 불평등한 여건 속에서 수행과 자비를 동시에 실천하는 여성들의 사례가 자세하게 담겨 있다. 이를 통해 진정한 연대와 공존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지혜’와 ‘자비’를 상징하는 여성적 영성이야말로 진정한 불교 페미니즘의 모토임을 되새긴다. 보이지 않는 위계 안에서 고군분투하는 여성 불교인들, 그들이 차별 없는 ‘공존과 상생’이라는 같은 꿈을 꾸는 현대의 페미니즘에게 조용히 말을 건다.

차별과 권위적인 위계 속에서
여성 불교인은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
‘페미니즘’은 아주 오랫동안 우리 사회를 지배해 온 가부장제 사회의 남성 지배 이데올로기와 다양한 방법으로 싸워 왔다. 오늘날 세계의 여성운동은 종교의 정체성 문제, 사회 계층 문제, 교육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불교의 경우, 전 세계적인 불교 커뮤니티 회원들 사이에서 불교의 전통과 불교계 안에 존재하는 불평등과 억압적 성차별에 대한 비판적 대화가 활발하게 오가고 있다. 불교 안의 불평등 문제의 핵심은, 경전과 교리를 내세워 차별을 당연시하는 것, 그리고 이를 암묵적으로 용인하는 데 있다. 종교 밖의 페미니즘이 차별을 당연시한 수많은 ‘상식’을 깨뜨리며 발전했듯이, 종교 안에서도 먼저 여성이 불평등과 억압적 성차별을 야기하는 ‘종교적 상식’과 맞설 필요가 있다. 이 책은 궁극적으로, 여성 불교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그 상식과 맞서고 있는지에 관한 이야기다.
1부 ‘세계의 비구니 승가’는 현대 여성 출가자들의 활동을 나라별로 소개한다. 특히 비구니가 없는 아시아 불교국가들과 서구 불교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비구니 승단 복원 운동을 자세히 밝힌다. 왜 수천 년 동안 비구니(여성 출가자) 승단이 존립할 수 없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고찰,그리고 비구니 승단 복원의 원동력인 여성들의 ‘연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미 부처님 시대에 대애도(大愛道, Mah?praj?pat?, 부처님의 양어머니)라는 최초의 여성 출가자가 있었다. 이후 수많은 여성들이 비구니의 길을 따랐지만, 현재 한국?대만?베트남을 제외한 동남아 국가에서 비구니는 인정되지 않거나 극히 일부에서만 받아들여진다. 여성이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다. 전통적으로 여성의 역할은 ‘어머니’로 살도록 고착되어 있었고, 교육을 받지 못했으며, 이에 따른 지식과 조직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놀랍게도, 동남아시아에서 비구니 승단이 조직된 것은 1998년에 이르러서다. 당시 세계 불교 여성들이 힘을 모아 인도 보드가야에서 ‘감격적인’ 대규모 비구니 수계식을 열었다. 이를 계기로 동남아에서 비구니는 꾸준히 늘어 가는 추세이다.
‘깨어난’ 여성이 쟁취한 것은 단지 ‘비구니’라는 자리만이 아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영적 성취는 성별이나 부, 학력의 정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 있다. 성별에 대한 잘못된 견해가 마음에 단단하게 남아 있다면, 깨달음 혹은 영적 성취는 실로 멀기만 한 일이다. 즉, 여성의 깨어남은 곧 깨달음에 이르는 바른 길을 터득한 셈이 되는 것이다.
세계의 페미니즘이 다양한 방법으로 종교의 불평등과 억압적 성차별에 대한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비구니 승가를 석가모니 부처님이 살아계셨던 당시의 모습으로 회복하기 위한 노력들은 계속되고 있다. 여성의 지혜 따위란 보잘 것 없어서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마라(마귀, 나쁜 기운)에게 답한 소마 장로니의 게송을 소개한다.

여성이라는 것이 무슨 문제인가
마음을 충분히 집중하고 있다면
지혜가 끊임없이 흐른다면
법을 정확하게 꿰뚫어 볼 수 있다면.

나는 여성이다 혹은 나는 남성이다
혹은 나는 그 무엇이다,
이런 생각이 일어나는 사람만이
마라의 상대가 될 것이다.

붓다의 딸들,
모여서 함께 실천하고 함께 깨달음에 이르다
동남아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불교는 남성 지향적이고 가부장적인 경향이 짙다. 그로 인해 여성들은 자주 무시되고, 비하되고, 권한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조금만 깊이 들여다보면, 불교 교리는 어떤 종교보다 양성 평등적이다. 초기 불전에 나타나는 부처님의 남녀평등에 관한 발언과 선구적 여성들의 자취가 그 증거이다. 여성에 대한 각종 편견을 담은 담론이 불교계에 여전히 회자되고 있는 지금, 경전을 해석하는 데 부처님의 깊은 가르침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불교 경전은 거의 2천여 년의 시간을 거쳐 편찬되어 왔다. 이 점을 감안하면 경전의 어느 한 부분만을 확대하여 강조하기보다 부처님의 사상을 아우르는 큰 틀에서 바라보는 것이 올바른 경전 해석일 것이다.
2부 ‘붓다의 딸을 위한 여성 리더십’에서는 여성주의의 시각에서 불교를 재해석하고, 암묵적으로 용인되어 온 성차별적 담론이 경전의 잘못된 해석에 있음을 밝힌다. 특히 몇몇 논문은 초기불교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여성 수행자의 삶을 조명하는데, 그 시작은 1930년 영국의 여성 불교학자 호너(I. Horner)가 『초기불교의 여성-재가 여성과 출가 여성』를 발표하면서다. 이 논문에서 호너는 테리가타의 여성 장로들의 시를 소개하고, 초기불전 속 여성 수행자들의 깨어 있음과 실천적 삶을 찬양한다. 이를 기점으로 서구의 여성들과 불교인들은 불교 속의 여성이라는 주제에 대해 학문적 관심을 발전시켜 왔으며, 서구의 불교가 여성주의적 관점의 틀 속에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변화’는 기초부터 시작해야 함을 일깨워 주는 사례이다. 우리가 ‘객관적’이라 믿고 있던 사실에 대한 의심, 변화는 거기에서 시작된다. 이런 움직임에 불편함을 느끼는 이들을 향해 미국의 비교종교학자 리타 그로스는 이렇게 말했다.

“비판적 지성으로 사유해 낸 결론을 다른 사람들이 듣기 싫어하고 화를 낸다면 그것은 그 사람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다른 사람들이 듣고 기분 나빠 한다든지 또는 사람들은 기분 나쁜 사실은 알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아무런 증오의 감정 없이 자신의 통찰력을 합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억눌러서는 안 되고 그렇게 강요되어서도 안 된다. 우리는 불교의 가르침을 젠더의 시각으로 채색하는 것이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내가 불교의 성차별적인 경향, 여성혐오, 남성 우위를 지적하면서 얼마나 유해한지를 보였을 때 내가 불교를 젠더화한다고 비난했다. 그러한 비난에 대응할 단 하나의 길은 오래전 불교의 제도가 남성을 더 우위에 두었을 때부터 불교의 가르침은 이미 젠더화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길밖에 없다.”

“종교는 발전한다”
비구니 승가의 인본주의적 불교의 구현
인본주의적 불교의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불교와 비구니 승가의 힘을 키워 줄 의미심장한 요소는 바로 종교를 ‘조화’와 ‘발전’이라는 개념과 같이 놓고 보는 것이다. 비구니 승가는 비구 승가 이상으로 사회봉사 및 자선사업 기관으로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전 세계, 특히 대만과 스리랑카 비구니 승가의 경우 병원과 학교, 자선기관, 언론 매체의 설립과 같은 세속적인 문제들은 물론 환경보호, 핵발전소 반대, 부패와 도박 청산과 같은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차별을 넘어 평등으로, 차이를 넘어 공존으로, 충돌을 넘어 조화로움으로, 고통을 넘어 행복으로 가는 것이야말로 남녀를 넘어선 인간 삶의 지향점이다.
3부 ‘현대사회의 문제와 자비의 고요한 실천’에서는 그동안 조용한 실천 봉사자의 역할을 자임하면서 그들의 모습과 활동을 감추어 왔던 여성 불자들의 활동을 소개한다. 여기에 수록된 열두 편의 논문들은 사회의 곳곳에서 활약하고 자비행을 행하는 씩씩한 여성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성적 소수자와 재소자, 이민여성, 장애인, 에이즈 환자, 동물 학대 등 무관심과 차별 속에 고통 받는 이들을 위한 권익 활동은 다양하고 폭넓다. 좌선과 걷기 명상을 함께 하기도 하고 불교 교리를 함께 공부하며 고통을 다스리고 견디는 법을 터득한다. 이것은 일방적인 베풂이 아니다. 서로 주고받는 연민과 자비의 수행이다. 인간의 고통, 인간을 삶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깊은 고민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기도 하다. 사실, 이 사회에는 너무나 많은 문제가 존재하고, 억압받고 고통 받는 이들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봉녕사 승가대 효석 스님의 말에서 그 답을 찾는다.

우리 수행자들은 열심히 수행하여 아주 튼튼한 뗏목이 되어야 한다. 처음에는 한 명을 겨우 태울 수 있는 뗏목이겠지만, 점점 더 튼튼해져서 두 명, 세 명, 네 명, 나중에는 백 명, 이백 명도 태울 수 있는 커다란 뗏목이 되어야 한다. 꾸준한 수행으로 큰 뗏목이 되어, 중생들을 열반의 언덕으로 이끌어 주는 것이 불교수행자들의 역할이며, 자비의 실천인 것이다

그 외 저자 (차례순)
수잔 므로직 | 미국 마운트 홀리요크대학 종교학과 부교수
비구니 수니티 | ‘전(全) 인도 비구니 승가’ 사무국장
아야 산티니 | 인도네시아 반둥 근처 렘방 지역 ‘위즈마 쿠살라야니’ 사원 주지
타쉬 장모 | 부탄의 수도 팀푸에 있는 ‘부탄여승재단’ 사무총장
비구니 담마난다 | 태국의 나콘빠톰에 위치한 송담마 칼리야니 사원 주지
제쭌마 텐진 빠모 | 샤카디타 인터내셔널 회장, 국제불교연합(IBC)의 최고위원회 위원
마오 루징 스님 | 태국 마하쭐랄롱꼰 라자비디아라야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리위전李玉珍 | 대만국립정치대학 종교연구연구소 부교수
석(釋) 꾸어시앙 | 대만 쑤저우대학 영문과 졸업, 1980년 출가
아이코 미즈노 | 일본 재가 불자 단체 ‘재가 불교 마음회’ 회원
바이니타 아그로월 | 작가, 2015년 아난다 만디르에서 수여하는 가야트리 가마쉬 상 수상
아야 담마난다 | 베트남 테라바다 여성수행자를 위한 ‘케마라마’에서 젊은 여승들 교육
비구 벨리겔 담마조티 | 스리랑카 루후나대학 팔리불교학과 전임강사
바네사 R. 사쏜 | 캐나다 마리아노폴리스대학 종교학 교수
카렌 C. 랭 | 미국 버지니아대학교 불교학 교수
본각 스님 | 대한불교조계종 비구니, 중앙승가대 교수, 샤카디타 코리아 공동대표
루팔리 모카쉬 | 인도 R. K. T. College of Arts, Commerce and Science 역사학과 부교수
캐롤 L. 윈클만 | 미국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 자비에르대학 언어학 교수
효준 스님 | 대한불교조계종 비구니, 제천 자광사 총무
비구 수자토 | 현재 대만에 주석하면서 팔리 니까야를 번역 중
앨리슨 굿윈 | 저술가, 교육자, 번역자
엠마 토말린 | 영국 리즈대학 종교학과 전임강사
캐롤린 스타키 | 영국 리즈대학 ‘종교와 공공의 삶’ 연구소 연구원
조은수 | 서울대 철학과 교수, 샤카디타 코리아 공동대표
리타 그로스 |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오클레어 캠퍼스 비교종교학과 명예교수. 2015년 타계
아드리엔 코크란 | 미국 그린 리버 커뮤니티칼리지 철학과 강사
카르마 렉셰 쏘모 | 미국 샌디에고대학 불교학 교수
베스 골드링 | 베트남 프놈펜에서 위파사나 강사
란자니 드 실바 | 스리랑카의 콜롬보 ‘샤카디타 교육 명상센터’ 설립자
로비나 컬틴 | 티베트 불교 겔룩파 비구니
테레사 I. 시빌리 | 미국 조지아 주 교도소 ‘인식기반 자비훈련법’ 강사
수엘린 세메코스키 | 예술가, 예술치료가, 임상치료사, 시카고 소재 예술대학교 부교수
리사 바타글리아 | 미국 알라바마 주 샘포드 대학 종교학 부교수
쿨라버 프라파폰피파 | 전 태국 창마이대학 여성학 연구소 연구원
석(釋) 츠우안화(傳法) | 대만의 비구니, 국립정치대학교 종교학과 박사과정
석(釋) 지엔어(見額) | 대만 타이쭝 푸카이 명상센터 주지
효석 스님 | 대한불교조계종 비구니, 봉녕사 승가대 부교수 접기

머무는 바 없는 마음으로 좌선, 명상



김준영교무_청개구리선방
710 subscribers

이 영상과 함께 
2시간의 좌선, 명상을 하실 수 있습니다. 
 
순서는 
좌선 전 몸풀기 - 실제 명상 수행에 관한 간단한 지침 -  좌선 명상 - 누워서 완전한 휴식 - 몸풀기 - 좌선  순서로 진행됩니다. 

좌선을 할 때 
그 마음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명상을 수행하는 분들의 오랜 의문일 것입니다. 

원불교 정전의 다양한 표현 중에 
"마음과 기운을 단전에 주하되 
 일념의 주착도 없이 원적무별의 진경에 그쳐있으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어떤 생각이라도 어디엔게 머물거나 집착하는 바 없이 
두렷하고 고요하고 모든 것이 평등하여 무차별한 경지에 함께 하라는 것이죠. 

어떻게 해야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그래서 저는 생각해 보았습니다. 
머무는 바 없는 마음으로 지금 이 순간에 그저 존재하는 거~

어떻게 하는지 감이 잡히세요?
쉽지는 않죠~ 
일단 그렇게 한 번 해보실래요? 

#2시간명상 #첫번째 #응무소주 #머무는 바 없는 마음으로 #2시간 좌선 프로그램
Licens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license (reuse allowed)

식민지조선 일본인 종교자들에 대한 기초적 연구 -디지털아카이브의 활용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김태훈(시코쿠학원대학)

 식민지조선 일본인 종교자들에 대한 기초적 연구

-디지털아카이브의 활용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김태훈(시코쿠학원대학) 1. 들어가며

식민지조선에 들어온 일본계 종교는 모두 어느 정도였을까? 어떤 종파들이 들어왔으며 1945년 해방까지 얼마나 많은 수의 일본인 포교자들이 한반도의 어느 지역에서 각자 활동하고 있었을까? 이 논문은 이러한 물 음들에 대한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 작업의 보고서이다.

식민지조선의 일본계 종교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지는 않으나 몇 가지 논점들을 중심으로 중요한 연구 들이 이루어져 왔다. 지면관계상 그리고 본 논문의 성격상 연구사적 흐름을 상세히 소개할 여유와 필요성은 없지만 주요, 논점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그 첫 번째는 ‘식민지 침략사 적’ 측면에서의 연구라 할 수 있겠다. 1876년 강화도조약에 의한 조선의 개항 으로부터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거쳐 1905년의 한국통감부, 그리고 1910년의 한일병합에 이르기까지, 일 본제국의 영토 확장에 따른 종교적 ‘이용 과’ ‘협력 에’ 대한 연구들이다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일본불교계의 청 일, 러일전쟁에 대한 협력과 조선불교에 대한 영향력 확대 양상, 그리고 한일병합 이후, 조선총독부의 지원 하에 이루어진 일본조합기독교회의 ‘식민지포교 등이’ 주된 연구 대상이었다. 즉 일본제국의 ‘식민지 침략사’ 적 관점에서 일본계 종교의 식민지 유입이 연구되어 왔던 것이다.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을 다룬 연구들과 특히 식민지조선에서의 신사 건립과 신사참배강요에 대한 연구들도 넓은 의미에서 이 영역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다.1)

두 번째 논점으로는 근대 이후의 ‘한일종교교류사 적’ 측면에서의 연구를 들 수 있겠다. 이 연구들은 ‘식민 지 침략사 적’ 관점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종교 민중운동사적 측면에서 접근한다 특히. 교파신도계의 천리교 등을 중심으로 근대 민중들의 종교적 의식 변용, 교의 내용 및 제도, 의례 분석을 통한 일반적 종교현상으로 서의 문화접촉에 관심을 가진다. 동아시아 근대사상사적 측면에서, 일본계 민중종교 창시자의 사상과 근대 한국종교 창시자나 주요 인물들의 사상 또는 동시대의 한일 종교와 관련된 지적 정책적, 담론을 비교하는 연 구, 그리고 포교자 개인의 신앙적 실천에 주목하여 ‘식민지 침략사 의’ 이면, 이른바 ‘양심적 신앙인 의’ 존재를

 

1) 이러한 연구는 대표적으로 韓晳曦의 『日本の朝鮮支配と宗教政策』(未来社, 1988)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출발하여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시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과 직접적으로 관련해서 최근에는 조선기독교 와 총독부의 종교정책을 법제사의 측면에서 분석한 안유림의 연구(『일본제국의 법과 조선기독교』, 경인문화사, 2018.) 그리고 교파신도의 한국 유입에 대한 문혜진의 연구(「일제강점기 경성부 교파신도의 현황과 활동양상」, 『서울과 역사』 제101호, 2019; 「일제강점기 부산 교파신도의 현황과 활동양상」, 『항도부산』 제38호, 2019.)와 권동우의 연구(「일제강점기 교파신도 한국 유입과 분포에 대한 연구-1907년∼1942년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일본불교문화연구 제』 11호, 2014; 「교파신도와 ‘근대신화’ 연구의 가능성 모색 한국에- 유입된 신도, 짓코교・신 리교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제64호, 2015; 「교파신도의 조선포교로 보는 근대신도의 이중성」, 『종교연구』 제80집 1호, 2020.)를 들 수 있겠다.

평가하는 연구들도 이 분야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다. 아울러 해방 이후, 현대 한국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일본계 종교들의 역사적 흐름과 현황을 분석하는 연구도 넓은 의미에서 근대 ‘한일종교교류사 로’ 분류해 볼 수 있다.2)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제국사적 종교연구 의’ 논점이라 할 수 있겠다. ‘제국사적 종교연구 는’ 앞의 두 논점 들이 가지는 근대 종교연구의 일국사적 관점의 한계를 지양하면서, 제국 본국으로부터 식민지로의 일방적인 유입이나 지배와 피지배의 이항대립적 구조에 근거한 분석틀을 거부한다. ‘식민지 근대성론 과’ ‘종교개념론’ 그리고 ‘제국사 연구 등에’ 이론적 바탕을 둔 ‘제국사적 종교연구 는’ 제국적 상황의 동시대성과 ‘근대성’ 자체 에 주목하면서 제국의 본국과 식민지를 연환하는 쌍방향적 상황의 관계성에 주목한다.3)

물론 기존의 연구들이 이 세 가지 논점으로 명확하게 구분되거나 연구사적으로 확연히 대립되는 입장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제국사적 종교연구 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연구 경향이라고 하더라도, 이 세 논점의 학술적 타당성은 상호보완적이고 동시적이며 계속성을 유지하는 관계라 할 것이다 해방. 후 오늘에 이르기까 지 한일관계 및 글로벌한 국제관계로의 변화 양상에 상응하면서 연구의 폭과 깊이가 더해졌다고 이해하는 것 이 타당하겠다.

이렇듯 다양한 관점들의 등장과 연구 성과들의 축적에도 불구하고 식민지조선의 일본계 종교 유입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는 해결되지 않은 기본적인 문제가 남아 있다. 그것은 바로 서두에서 언급한 기초적인 전체 상에 대한 이해인 것이다 즉. 1910년 8월의 병합으로부터 1945년 8월의 해방까지 35년간으로 기간을 한정 하더라도, 각 종파별로 몇 명의 포교자들이 어느 시기에 어디에서 포교활동을 했었는지 대략적으로나마 그 전체상을 이해할 수 있는 연구가 부족했던 것이다 교파신도의. 분포에 대한 연구나 일본기독교회의 통계 등, 이 기초적 과제에 대한 부분적인 연구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4) 시기적 추이와 지역별 분포 등 전체상을 이해 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그런 의미에서 이러한 연구는 이제 그 출발점에 서 있다고도 할 수 있겠다.

물론 식민지조선으로 유입된 일본불교 교파신도, 그리고 일본기독교의 여러 종파들을 그것도 35년이라는 기간을 통틀어서 전체적으로 파악한다는 것은 그다지 손쉬운 작업은 아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각각의 논점들을 더욱 심화하고 상화보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기초연구는 지금부터라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하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자는 일본학술진흥회의 연구지원사업을 통해서5) 2018년부터 현재까 지, 『조선총독부관보 에』 게재된 일본계 종교관련 기록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진행하여 홈페이지 ‘식 민지조선의 일본인 종교자’(www.jrpkc.org)에서 공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 용하여 일본계 각 종파들의 포교거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불교계, 교파신도계, 일본기 독교계의 포교거점 수와 시기별 설립 추이 그리고 지역별 분포를 확인함으로써 기초적인 전체상을 파악할 것 이다.

 

2) 이원범, 「일본 신종교 운동의 성립과 사상: 天理敎와 金光敎를 중심으로」, 『한국종교』 23, 1998; 이원범 편저, 『한국 내 일본계 종교운동의 이해』, 제이엔씨, 2007; 川瀬貴也, 『植民地朝鮮の宗教と学知ー帝国日本の眼差しの構築』, 青弓社, 2009; 이원범・사쿠라이 요시히데 편저, 『한일 종교문화 교류의 최전선』, 인문사, 2011. 등을 들 수 있다.

3) 이러한 연구들로, 磯前順一・尹海東 편저, 『植民地朝鮮と宗教ー帝国史・国家神道・固有信仰』, 三元社, 2013(이 책의 한국어판은 이소마에 준이치・윤해동 엮음, 『종교와 식민지근대』, 책과함께, 2013.); 青野正明, 『帝国神道の形成ー植民地朝鮮と国家神道の論理』, 岩波書店, 2015; 諸点淑, 『植民地近代という経験ー植民地朝鮮と日本近代仏教』, 法藏館, 2018; 배귀득, 「식민지기 조선 기독교회의 자립론에 관한 일고찰-1930년대를 중심으로-」, 이경 배 외, 『탈유교사회의 정치문화사』,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연구총서07, 2020. 등이 있다.

4) 문혜진, 앞의 논문, 권동우, 앞의 논문.

5) 「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人宗教者に関する基礎的調査研究」, 基盤研究(C), 課題番号: 18K00090.

2. 『조선총독부관보 의』 일본계 종교관련 기록들

『조선총독부관보』(이하 『관보』)는 1910년 8월 29일의 ‘호외 에’ 이어 동 30일부터 ‘정규호 를’ 시작으로 1945년 8월 31일까지 발행되었다. 『관보 에』 대해서는 각 연구 분야의 1차 사료로서 지금까지도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지만, 식민지조선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사료로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보』 그 자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관보 에서』 종교에 관련된 내용은 주로 ‘휘보 란에’ ‘종교 와’ ‘사사・종교(社寺・宗教)’라는 항목으로 게재 되었다. 그 구체적인 게재사항들의 건명을 보자면, ‘포교관리자인가(布敎管理者認可)’, ‘포교관리자변경(布敎管理者變更)’, ‘포교관리자 및 관리사무소위치변경(布敎管理者竝管理事務所位置變更)’, ‘포교계출(布教届出)’, ‘기성포교소계출(既成布教所届出)’, ‘포교담임자계출(布教擔任者届出)’, ‘포교자거주지이전계(布教者居住地移転届)’, ‘포교폐지계(布教廢止届)’, ‘포교소설치계(布敎所設置屆)’, ‘포교소명칭변경계(布敎所名稱變更屆)’, ‘포교 소소재지변경계(布敎所所在地變更屆)’, ‘사유건물폐기처분허가(寺有建物廢棄處分許可)’, ‘주지이동(住持異動)’, ‘사유림벌체허가(寺有林伐採許可)’, ‘사찰폐지허가(寺刹廢止許可)’, ‘사유임야매각허가(寺有林野賣却許可)’, ‘사 원경내지평수증가의 건 허가(寺院境內地坪數增加ノ件許可)’, ‘사찰폐지허가(寺刹廢止許可)’, ‘사원창립허가(寺院創立許可)’, ‘주지취직인가(住持就職認可)’ 등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조선총독부관보검색 의’ 분류별 검 색을 통해서 확인하자면, ‘종교’ 3,383건, ‘사사・종교’ 4,688건으로 총 8,071건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건들 은 또한 여러 종파들에 대한 복수의 정보를 게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정보량은 실로 수 만 건에 달한다. 그리 고 이 건명들은 모두 관련 법규에 근거하여 게재 되었기 때문에 이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선총 독부의 종교관련 법규를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겠다.

이미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언급되어 왔듯이, 조선에서 시행된 일본제국에 의한 최초의 종교관련 법규는 1906년 11월에 통감부령 제45호로 발령된 ‘종교의 선포에 관한 규칙 이하’( ‘선포규칙’)이다. 그리고 뒤이은 중요한 법령으로는 1911년의 ‘사찰령 총독부제령’( 제 호 과7 ) 1915년의 ‘포교규칙’(총독부령 제83호 과) ‘신사 사원규칙 총독부령( 제82호)’ 등을 들 수 있다. ) 1906년의 ‘선포규칙 은’ 한국통감부기에 조선에서 활동하는 일본인들을 기본적인 대상으로 하는 법규로서, ) 교파신도 )와 불교 그리고 기독교를 그 대상으로 했다. 하지 만 이 법령이 가지는 중요한 의미는, 1911년의 ‘사찰령 이’ 조선불교에 대한 규제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 1910년의 총독부 설립 이후 1915년의 ‘포교규칙 이’ 시행되기까지 거의 10년간 조선에서 활동하는 일본계 종교에 적용된 유일한 종교관련 법규였다는 점이다. ) 이 법규의 적용을 받으면서 일본계 종교들은 조선에서 활동을 보장받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통감부 시기인 1906년에 제정된 규칙이었기 때문에 그 내 용이 매우 간소했고 『관보 가』 발행된 이후에도 『관보 에의』 게재 조항이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았기 때 문에 실제로 ‘포교규칙 이’ 시행되기까지의 1910년부터 1915년까지 ‘선포규칙 에’ 적용되어서 『관보 에』 게재 된 연간 건수는 1915년 이후에 비해 극히 적다.

즉 종교에 관한 사항이 본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보 에』 게재 되기 시작하는 것은 1915년 ‘포교규칙 과’ ‘신사사원규칙 의’ 시행에 따른 변화였던 것이다. ‘신사사원규칙 은’ 일본이 조선 각지에 세운 신사들과 일본불 교 사원들에 대한 법령인데 이 중 일본불교는 포교소 등의 명칭 외에 ‘편조사’, ‘금강사 등’ 사원명으로 신고할 경우에는 ‘포교규칙 외에’ ‘신사사원규칙 에도’ 적용을 받았다. 그리고 ‘포교규칙 에’ 관련해서 주목되는 부분이 위에서 나열한 건명 중 ‘기성포교소계출 건인데’ , 1915년 이전부터 이미 활동하고 있던 포교자들과 포교소들 에 대해 ‘포교규칙 시행에’ 따라 그 해 12월까지 일괄적으로 이른바 재신고를 하게 하여 그 사항을 『관보』에 게재한 것이다. 따라서 건명으로서의 ‘기성포교소계출 은’ 1915년에만 등장하는 한정된 건명이며 아울러 12 월에 집중되어 있다.

각 건명의 내용과 관련법규의 연결 관계를 보자면, ‘포교관리자인가’, ‘포교관리자변경’, ‘포교관리자 및 관 리사무소위치변경 은’ 각 종파가 조선에서 활동하는 모든 포교자들을 관리하는 대표자와 관리사무소의 선정 을 규정한 ‘선포규칙 제 조와’ 1 ‘포교규칙 제 조로부터’ 3 제 조까지의7 규정에 근거하여 게재 되었다.

‘포교계출 과’ ‘포교담임자계출 은’ 개별 포교자의 포교 신고서로서, ‘선포규칙’ 제2조와 ‘포교규칙’ 제2조, 제 8조의 규정이 적용되었다. 교파명과 포교자명 그리고 거주지를 신고했으며 타 지역 포교소의 담임자로 이전 할 경우에도 매번 신고해야 했는데, 그 지역에서의 ‘포교폐지계 와’ ‘포교자거주지이전계’ 또한 별도로 제출해 야 했다.

각 종파의 포교거점은 그 설립 시기와 규모 등에 따라서 강의소, 선교소, 포교소, 교회, 예배당 등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관보 에서는』 행정용어로서의 ‘포교소 로’ 통일하고 있었다고 보아도 무방하겠다. ‘포교소설치계 와’ ‘포교소명칭변경계’ 그리고 ‘포교소소재지변경계 가’ 이에 관한 건들인데 ‘선포규칙’ 제3조, ‘포교규칙 에서는’ 제 조부터9 제12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관보 에』 게재 되었던 것이다.

그 외 ‘사유건물폐기처분허가’, ‘주지이동’, ‘사유림벌체허가’, ‘사찰폐지허가’, ‘사유임야매각허가’, ‘사원경 내지평수증가의 건 허가’, ‘사찰폐지허가’, ‘사원창립허가’, ‘주지취직인가’ 등은 기본적으로 조선불교의 사원들 에 대한 법규인 ‘사찰령 에’ 근거한 건들이지만 간혹 ‘신사사원규칙 과’ 혼동이 되었던지 이들 건명 내에도 조선 불교사원이 아닌 일본불교사원의 내용이 게재된 경우가 특히 ‘사원창립허가 건에’ 많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모두 확인해야 했다.

여기서 잠시 법령을 그 적용 대상으로 정리해 보자면, ‘신사사원규칙 은’ 신사와 일본불교에 적용된 것이고, ‘포교규칙 은’ 교파신도 일본불교, , 일본기독교와 조선불교 조선기독교를, 모두 그 적용 대상으로 하고 있었으 며 ‘사찰령 은’ 조선불교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을 정리해 두자.

필자가 서두에서 소개한 공개 데이터베이스 ‘식민지조선의 일본인 종교자 에서는’ 이와 같은 『관보』의 종 교관련 기록들을 모두 확인하여 정리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내용의 건명 수 8,071건, 수 만 개의 정보들 중 에서 조선불교와 조선기독교에 관한 정보들을 제외한 일본계 종교들에 대한 1만 여건의 기록들을 추출하여 각 종파별 포교자명과 관련연표 형식으로 정리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정보를 다시 각 종파의 포교거점 별로 분석함으로써 1910년부터 해방까지 식민지조선에서 활동한 일본계 종교의 전체상을 그려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컬렉션 조선총독부관보 https://nl.go.kr/NL/contents/N20302010000.do 植民地朝鮮の日本人宗教者 https://www.jrpkc.org

韓晳曦, 『日本の朝鮮支配と宗教政策』, 未来社, 1988. 안유림, 『일본제국의 법과 조선기독교』, 경인문화사, 2018.

문혜진, 「일제강점기 경성부 교파신도의 현황과 활동양상」, 『서울과 역사』 제101호, 2019.

「일제강점기 부산 교파신도의 현황과 활동양상」, 『항도부산』 제38호, 2019.

권동우, 「일제강점기 교파신도 한국 유입과 분포에 대한 연구-1907년∼1942년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일본불교 문화연구』제11호, 2014

「교파신도와 ‘근대신화’ 연구의 가능성 모색 한국에- 유입된 신도, 짓코교・신리교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제64호, 2015; 「교파신도의 조선포교로 보는 근대신도의 이중성」, 『종교연구』 제80집 1호, 2020. 이원범, 「일본 신종교 운동의 성립과 사상: 天理敎와 金光敎를 중심으로」, 『한국종교』 23, 1998. 이원범 편저, 『한국 내 일본계 종교운동의 이해』, 제이엔씨, 2007. 이원범・사쿠라이 요시히데 편저, 『한일 종교문화 교류의 최전선』, 인문사, 2011. 川瀬貴也, 『植民地朝鮮の宗教と学知ー帝国日本の眼差しの構築』, 青弓社, 2009.

磯前順一・尹海東 편저, 『植民地朝鮮と宗教ー帝国史・国家神道・固有信仰』, 三元社, 2013 이소마에 준이치・윤해동 엮음, 『종교와 식민지근대』, 책과함께, 2013. 青野正明, 『帝国神道の形成ー植民地朝鮮と国家神道の論理』, 岩波書店, 2015.

『植民地朝鮮の民族宗教』, 法藏館, 2018 諸点淑, 『植民地近代という経験ー植民地朝鮮と日本近代仏教』, 法藏館, 2018. 배귀득, 「1910年代、崔重珍の自由教会とその周辺」, 『전북사학』, 2012.

「식민지기 조선 기독교회의 자립론에 관한 일고찰-1930년대를 중심으로-」, 이경배 외, 『탈유교사회의 정치 문화사』,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연구총서07, 2020. 고병철, 「일제강점기의 종교 지형과 종교 법규」, 『정신문화연구』 40권 제2호, 2017.

김태훈, 「1910년 전후 ‘종교’ 개념의 행방 제국사적- 관점에서」, 이소마에 준이치・윤해동 엮음, 『종교와 식민지근 대』, 책과함께, 2013.

島園進, 『国家神道と日本人』, 岩波新書, 2010.

제점숙, 「일본불교의 근대인식과 개항기 조선 정토종의- 교육사업을 중심으로」, 『일본근대학연구』 제32집, 2011 李元重, 「植民地朝鮮における日本基督教会に関する研究」, 동지사대학박사학위논문, 2016.

코우즈키 이치로우, 「부산에서의 일본인 교회의 기원과 발전 1876-1945 –구 일본기독교회 부산교회를 중심으로

-」, 고신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