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30

Why there is no way back for religion in the West | David Voas | TEDxUni...






======
Transcript


0:00
Translator: Leonardo Silva Reviewer: Peter van de Ven
0:06
Hello.
0:07
My name is David Voas,
0:09
and I'm going to be talking about religion.
0:11
Now, I know some of you are really tempted to dash for the exit at this stage,
0:15
but I should explain that I'm a quantitative social scientist,
0:20
and I'm going to be talking about the decline of religion in the Western World.
0:24
Now, whether measured by belonging, believing, participation in services,
0:30
or how important it's felt to be in life,
0:33
religion is losing ground across the Western world.
0:37
Society is being transformed, and the momentum seems to be unstoppable.
0:43
Well, at this point, you might be asking yourself a couple of questions.
0:46
First, is it actually true?
0:49
And even if religion is losing ground, could things change in the future?
0:55
I'm going to argue that, yes, it really is true,
0:58
and, no, things won't change.
1:01
Modernization has predictable and permanent effects,
1:04
one of which I call the secular transition.
1:09
Well,
1:11
it's not the case that the pattern of decline
1:13
is that people reach the age of 30 or 40 or 50
1:17
and suddenly decide that they're not religious anymore.
1:20
What happens is they enter adulthood being less religious than their parents were.
1:26
So there's a process of generational replacement,
1:29
where older people who are more religious die out,
1:32
and they're replaced in the population by younger people coming up behind.
1:37
And that's a process that's been happening for decades now across the Western world -
1:42
in some cases, for a century or more.
1:47
Let me take as the example whether people say they have a religion.
1:53
And I'll use the example particularly of New Zealand,
1:55
which has a question on the census about this.
1:59
If you look at this graph,
2:00
the horizontal axis at the bottom shows year of birth.
2:05
So we go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on the left,
2:08
to late 20th century, on the right.
2:11
And you can see that for the oldest generations,
2:15
those on the left-hand side,
2:16
virtually everybody says that they have a religion.
2:19
And you come down to the right-hand side,
2:22
and roughly two-thirds say they don't.
2:26
So that's a remarkable shift
2:28
to have happened in the course of less than a century.
2:32
Well, this sort of story is found throughout the Western world,
2:37
even in the United States, which is often thought to be an exception.
2:41
Things have started more recently there,
2:44
the process is still only just starting to be noticed,
2:49
but it is happening.
2:50
I'll come back to the US in a moment.
2:53
And it's similar whatever measure we take.
2:55
So it's the same for attendance at services, for example.
2:59
Well, you might be thinking,
3:02
"Okay, the old Christian denominations are struggling,
3:05
people don't identify with them so much, they may not be going to services,
3:08
but surely, they still believe in God,
3:11
or at any rates, they're spiritual in some sense
3:14
even if they're not religious."
3:17
Well, here is the United States,
3:19
and this shows the proportion of the people
3:24
who say they know God really exists and they have no doubts about it,
3:29
again by year of birth -
3:30
older people on the left, younger people on the right.
3:34
And you can see that in the older section of the population,
3:38
something of the order of three-quarters,
3:40
say they know God really exists,
3:42
and that falls to not much better than 2 in 5
3:46
for people born later in the 20th century.
3:50
Or Canada, for example,
3:52
where we have data on the importance in life
3:56
of religious or indeed spiritual beliefs.
4:00
And here again, we see a sharp generational gradient,
4:03
from something like two-thirds of the oldest generation
4:07
saying that these beliefs are very important to them,
4:10
and that drops down to something like 1 in 5
4:13
for the youngest adult generations.
4:18
Well, as you look at those, you may be well wondering
4:21
whether I'm simply comparing the effect of being old
4:25
with the effect of being young.
4:27
Is it the case that people become more religious as they get older?
4:31
Well, we have census and survey data going back quite a number of years -
4:36
decades, in fact -
4:37
across the Western World now,
4:38
and we can answer that question.
4:40
And the answer is no.
4:42
On average, people within a given generation don't change
4:46
across the adult-life course.
4:48
So what we're seeing is not the effect of age,
4:50
but permanent generation gaps.
4:53
Lack of religion isn't just a stage that young people are going through.
5:00
So this idea that there's something about modernization
5:05
that erodes religious commitments,
5:08
that reduces the respect accorded to religion,
5:11
is known as the secularization thesis.
5:14
And there are a couple of objections that are commonly raised nowadays
5:18
to the secularization thesis.
5:20
One is the example of the United States,
5:22
which is modern, and yet religion seems to thrive.
5:26
And if it's an exception, then surely no generalizations are possible.
5:31
The other objection that's commonly raised
5:33
is that we're looking at change, not decline,
5:37
and that while those old, conventional churches may well be struggling,
5:42
there are new churches, new religious movements -
5:44
Mormons and Pentecostals, for example -
5:47
there's alternative spirituality and indeed non-Christian faiths,
5:52
like Islam, Hinduism, Buddhism,
5:55
that are gaining ground across the West.
5:59
Well, as I mentioned a moment ago,
6:01
even in the United States, in fact,
6:05
it seems that decline has set in.
6:08
We only just have the data now to notice,
6:11
but it seems that it started a few decades ago.
6:15
And it's following the same pattern of generational replacement
6:18
that we've observed elsewhere in the West.
6:21
And while it is the case that there have been developments,
6:26
particularly immigration,
6:28
that have brought people from more religious countries
6:30
into the Western world,
6:32
those effects aren't big enough to reverse the main trend.
6:38
So -
6:40
so far so good,
6:42
or so bad, depending on your view of religion.
6:46
Secularization is happening.
6:48
But there's still a big question.
6:51
You may be asking,
6:52
"Isn't it possible that the popularity of religion could be restored,
6:55
even in the Western world?"
6:58
After all, faith promises benefits
7:01
that are difficult or impossible to obtain any other way.
7:06
It offers meaning, purpose, solace,
7:10
ultimate justice, life after death,
7:13
the prospect of being reunited with loved ones,
7:15
and so on.
7:20
Isn't it the case, you might be wondering,
7:22
that nothing is irreversible?
7:29
There's a reluctance nowadays, I think,
7:32
to believe that we're converging towards some determined future.
7:39
This is a notion that was popular in the mid 20th century,
7:42
but that's fallen out of favor.
7:45
It reminds us now a bit of the Victorian idea of progress,
7:49
where the highest form of civilization
7:51
is represented by people who are remarkably just like us.
7:57
And yet, modernization does have effects.
8:01
We can look at, for example, the Human Development Index,
8:04
which is calculated each year by a United Nations agency.
8:09
It's based on life expectancy,
8:12
years of education,
8:14
national income per capita.
8:16
And on that score,
8:19
Norway is currently at the top;
8:21
Niger, in Africa, is at the bottom.
8:24
And as you look down this list of all the different countries in the world,
8:28
it's very apparent
8:29
that the most highly developed countries are the least religious
8:33
and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are the most religious.
8:38
Now, there are some exceptions.
8:40
There are the countries on the Arabian Peninsula, for example,
8:44
that produce oil, are off the trend line.
8:47
They're rich, but religious.
8:49
But in the mid 20th century,
8:51
they were underdeveloped and very traditional.
8:56
So it's certainly the case
8:57
that religious decline comes very lat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9:02
but it does come, at least if societies modernize.
9:10
If we think about
9:15
the very question about whether religion can decline in society,
9:22
it's often objected that most of the world is religious.
9:25
And that's very true,
9:26
but then, most of the world isn't very highly developed.
9:30
So I'm talking specifically about the 40 or 50 countries
9:34
that have gone furthest down the path of modernization,
9:38
places in Europe, North America, Australia, New Zealand,
9:42
a few in East Asia, a few in Latin America.
9:46
The 140, 150 countries elsewhere are very different.
9:57
It's not easy to specify the causal mechanisms,
9:59
and indeed, it would take another few talks
10:02
to even try to sketch some of the factors
10:06
that might connect modernizaton with problems for religion.
10:11
But to name just a few:
10:13
prosperity brings choice
10:15
and an unwillingness to defer to traditional authority;
10:20
secular and scientific worldviews start to displace religious worldviews;
10:26
communications and geographical mobility
10:29
bring people into contact with different cultures and beliefs;
10:34
and physical and material security
10:37
seem to reduce the need for the solace provided by spirituality.
10:44
Now, whether any or perhaps all of these factors operate,
10:50
it's clear that there's something about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10:53
that does cause problems for religion.
11:02
Moreover, it's very difficult for religion to bounce back.
11:08
We do know of some places
11:10
where religious involvement has increased in recent decades,
11:14
but those are typically places where national elites had suppressed religion
11:20
or imposed a degree of secularity that was lower
11:24
than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would find natural.
11:30
So one thinks, for example, of Iran, the former Soviet Union, China,
11:35
even Turkey perhaps -
11:37
but when those regimes fell or restrictions were relaxed,
11:40
religion rebounded to something that was more like an appropriate level,
11:45
given the degree of modernization.
11:50
So the secular transition is underway,
11:54
but why should it be irreversible?
11:58
I think the key reason is that people with no religion
12:01
have great difficulty in acquiring one.
12:04
And if you're wondering why that's the case,
12:07
it might help in understanding this
12:10
to think about a religion that's not your own.
12:13
Now, I'm going to guess that most of you watching aren't Hindu.
12:17
Apologies to those of you who are.
12:19
You can think of a different religion.
12:22
But here, as an example, are some of the Hindu deities.
12:29
And here are some scenes of Hindu worship.
12:34
Now, some of you may decide that Hinduism is the faith that you've been looking for,
12:39
but I suspect that for most of you, it seems a bit exotic, strange,
12:45
maybe even slightly scary.
12:48
And I suggest that that's the position
12:51
that a large proportion of young adults in the West are in
12:54
with respect to any religion.
12:58
They weren't brought up going to church, and they don't feel comfortable attending.
13:04
They didn't grow up with Christian doctrine.
13:06
That's not to say they won't become Christian.
13:09
Some of them will. Many will.
13:12
Some will become Hare Krishna or Muslim or Buddhist.
13:16
But most won't,
13:17
and for most, in fact, it's nearly impossible.
13:22
You have to be raised with a religion to find it natural.
13:27
Now, I'm not suggesting that religious belief is inherently implausible
13:31
or religious practice is inherently odd.
13:37
On the contrary.
13:39
What I want to argue is that it's a matter of custom and culture.
13:43
So in the past, in the West,
13:47
most people had a religion, at least nominally.
13:50
Most people had some sort of religious knowledge.
13:54
Religious involvement was the norm,
13:57
and it was supported by culture and popular sentiment.
14:02
These days, the default is quite the reverse.
14:05
Many people grow up with very little acquaintance with religion
14:09
or religious identity.
14:12
Religion has become almost countercultural,
14:16
indeed to the extent that people who have any contact with religion,
14:20
it's often in news stories about extremism or abuse or intolerance.
14:26
And that's simply not conducive for religious revival.
14:33
I'm not arguing that Westerners are all rationalist,
14:36
with a naturalistic worldview.
14:39
On the contrary.
14:41
A large proportion, at least half, believe in God or something out there,
14:46
a higher power perhaps.
14:49
Another large, perhaps non-overlapping proportion
14:52
believe in some form of life after death.
14:56
But for most people, it's not something they're really interested in,
15:00
it's not something that's very important in their lives;
15:02
they have little interest in becoming religiously active.
15:09
So the secular transition is underway.
15:14
Because it proceeds by generational replacements,
15:18
it works very slowly and will be going on for years to come.
15:23
When it comes to human beings, nothing is certain,
15:28
but I hope that I've shown you that there's a good argument
15:32
there's no way back for religion in the West.
15:35
Thank you.
15:36
(Applause)



=====
xmrtuvgs
I was raised with religion, and by the time I was 13, I was already wondering about all the logical inconsistencies, and not wanting any thing to do with it. Later in life, I took a deeper look, and know for sure, religious way of seeing the world, is not for me.
108
The Great Gazoo
I was fortunate enough to be born into a family that believed that your religion is your own business. We were taken to church and enrolled in sunday school, but were not forced to attend. It was a long time ago, so I can't be sure, but I think I attended two, maybe three, sunday school classes before I concluded it was nonsense and never went back.
15
Gretchen Robinson
What a relief to hear this. Now 7 years later it's even more so.
55
Jennifer Bates
I'm a 3rd generation Athesit. I am from Rhode Island, USA. My kids are 4th generation. I was raised with love, logic, and education. Same is with my children.
27
Aniket Tripathi
When we have conception of that's it,means we have chosen to close all the doors to progress further. We forget that progress is a journey never destination. Whatever we achieve is just one more milestones never final goal /achievement.
4
Sally
I was raised evangelical (the one TRUE religion according to them) and started falling away during high school. I continued going to church for a year or two just to please my mother. When I left home that was the end of church going for me. It took me 35-40 years to work through the indoctrination but at age 75 I can now call me myself a proud atheist. I don't want to believe, I want to know the truth. I'm a science gal now.
Show less
100
Roach Man
What separates me from my parents, their parents, so forth is i grew up with access to the internet, the ability to read and learn about anything i wanted, all they knew was what they were taught by their parents, i have more options to pursue what feels right for me. Those before me didn't have the same options i do with all the knowledge that a few pushes on a keyboard with google can bring. Those before us really only had one thing in the religious category that they knew about, and doors opened up for us presenting us with many different belief systems and religions, it has become more of a people know can carve their own paths instead of going down ones already laid out for us. The ability to be more independent in your religious beliefs i think is quiet nice.
Show less
29
Investing for Tomorrow
After being an early member of a church, I began evolving into a scientific materialist, however, I experienced an epiphany (Job 4: 13-15) during the controversial Vietnamese war. It made me believe that the spark of life is in every breathing human being and should be revered. Voas presents some thoughtful and learned observations.
5
Julian I
As a norwegian I can confirm you pretty much take it for granted that everyone you meet is not religious. And if someone is, one almost assumes they have some emotional trauma they are dealing with. Most "religious" beliefe is a deeply private, personal thing, here. Often found among middle aged or older women who are fairly conservative and kind, concerned with children. It's hardly a theme, here, generally. Nobody speaks much about it in public. It's a matter between friends and family. Something you open up about to your partner or close friend.
Show less
436
Robert Davidson
Yeah, Norway is pretty messed up.
33
clavo
Very important comment. It is within Christian Biblical teaching: "I did not come for the righteous." Wonder what the Norwegian view of right and wrong; or, justice is?
5
Julian I
 @clavo  Humanitarian views grounded in evolutionary biology, mosty. It's in everyones interest to live in a world where we treat each other well. Other animals do that to a large extent, too. Us humans have just expanded and expanded our circle of moral consideration past tribes, race and even species to some degree. And we have been able to do that thanks to our ability to think ahead, reflect on our values and actions, and our advanced communication skills. Other than that we are just another animal. So essentially - just like religious morality - it is grounded in an internal desire to be personally rewarded in the long run. It's just that the reason for it being "good" is grounded in our universal interests to avoid suffering, and seek pleasure/comfort. "It is good to help my neighbour, because then he will be good to me back, spread the rumour of my kindness, and it will reward me in the long run" - hence our emotional motivators gives us positive emotions when we help our neighbour. Most norwegians probably never think about this, tho, and only act according to what they have learned is socially acceptable, or what their empathy guides them away from doing. Most people seem to be motivated mostly by a desire to be socially accepted, which is understandable for a social species. But this social trait is also what can lead to moral disasters. It's the dark side of a social species, that most people are willing to do terrible things in order to fit in with their "group". Other norwegians who are privately spiritually minded might appeal to a supernatural authority to ground morality, similar to christians. Hope this can help you understand :)
Show less
81
clavo
 @Julian I  It makes logical sense to me. Only thing it leaves out is the experience of miracles. That's interesting about your view that "we are only animals." I would argue that clairvoyance is real and that is different from human to human telepathy that even dogs and horses can easily engage in. I'm referring to the cosmos type signaling. But, that's me. Others may have different experiences.
Show less
4
Julian I
 @clavo  I like that you brought that up. I myself have had experiences that seemed to trancend time, and I have a difficult time fitting that into my mostly materialistic worldview. My experiences MIGHT be only my own misremembering and misinterpreting. I find that more likely, to be honest, but I'm still not convinced that there isn't some dimension that trancends ours and has to do with consciousness. And if there is, animals are part of that, too. In my own experience with other animals they have as much a sophisticated ability to sense and feel, as we do, perhaps even a greater ability. Only they can't theorize and make logical meaning out of it - something humans seem to be pretty obsessed with, haha.
Show less
24
clavo
 @Julian I  The ability for humans to train animals is pretty wonderful. A recent documentary of TV discussed how a chemical in cat feces was effective in making mice docile and thus more available to cats as prey. If predators can do that then maybe having dogs and cats as pets isn't such a great idea.
2
Julian I
 @clavo  Interesting, maybe so. There are great health benefits in companion animals too, though. And it's always great to help someone who needs a home.
16
Wille k
Hi. As someone who reads a lot of history, the number one error I find in common parlance is how people think they are special. "I can't believe X still happens, it's 2021." They assume their own generation's psychological hardware have evolved. It's extremely arrogant. The rubber hits the road for me when, more or less all people from the dawn of time, were generally distinctly religious societies – except for us. I don't have a clear answer about what we're missing by generational absence from religion, but it's worth asking what is the cost? What positive aspects of religion are we missing after many generations of religion being undermined? If you're not religious, like me, there is still value in finding a secular replacement for what ever we might be losing out on. Thank you.
20
Julian I
 @Wille k  I think I agree with you. Thank you for pointing out it can be kind of arrogant. In other areas I see that clearly, but for some reason I had a blindspot here. Thanks for pointing it out :)
2
Doug M
 @Robert Davidson  compared to where exactly?
10
Robert Davidson
 @Doug M  without needing comparison
2
sibanought
 @Doug M  As RD said; WITHOUT NEEDING COMPARISON !!!
3

[ 자격지심과 열등감 뜻과 차이] 자격지심과 열등감 극복, 어떻게 할 것인가? : 네이버 블로그

[ 자격지심과 열등감 뜻과 차이] 자격지심과 열등감 극복, 어떻게 할 것인가? : 네이버 블로그

[자격지심과 열등감 뜻과 차이] 자격지심과 열등감 극복, 어떻게 할 것인가?
179 19
강남심리치료센터


"나는 내가 싫어요. 왜 이리 모자랄까요.
잘하는게 하나도 없어요!"
"학교 이야기만 나오면 말문이 막혀 버려요.
대화에 낄 수 없고 화제를 돌리게 돼요.
언제까지 이렇게 살아야 하죠?"
"외모에 자신이 없어요. 성형수술을 했지만
여전히 못생긴 것 같고 그래서 사람들이
무시하고 싫어할 것만 같아요."
"열심히 살았고 나름대로 성공했지만
여전히 나를 무시할 것만 같아요.

멋진 차와 명품 옷을 입었지만 내 마음은
달라지지 않아요. 나는 변할 수 없는 걸까요?."
많은 분들이 자기에 대해 부정적 느낌을
갖고 괴로움을 호소하십니다.
멋지고, 예쁘고, 나름대로 성공하신
분들에게도 자신이 없고,
사람들에게 무시당할 것만 같은
두려움에 빠져 있는 안타까운 모습들을
자주 보게 됩니다.
오늘은 우리의 삶을
자유롭고 만족스럽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자격지심과 열등감 극복, 어떻게 할 것인가?
에 대해서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열등감의 뜻
다른 사람에 비하여 자신이 뒤떨어졌다거나
자신에게 능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만성적인
감정과 생각을 말합니다.
자격지심의 뜻
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하게 여기는 마음을 말합니다.
179 19
강남심리치료센터
위의 두 용어는 비슷하게 보이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차이점은 부정적 자기 감정이 어디에서
기인하는가?...입니다.
타인과의 비교
자기자신
자격지심이 자기자신에 대해 전반적인
부정적 감정을 갖는다는 점에서
좀더 포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통점은 자기자신에 대해 부정적 감정이
있다는 점입니다.
낮은 자존감이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자격지심과 열등감은 피해의식을 갖게하여
지나치게 방어적이거나, 공격적이 되어
대인관계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자격지심과 열등감의 특징과 종류
자신을 무능하고 무가치한 존재로 여기고
자기를 부정하고 혐오하기도 합니다.
합리적이거나 이성적이지 못하고 불안한
생각에 사로 잡혀 있거나 이상 행동이
나타나기도 하고, 항상 자기는 모자라며
경쟁에서 질 것이라는 부정적 생각에
빠져 있습니다.
종류는 다양합니다.
179 19
강남심리치료센터
외모, 학력, 체력, 운동능력, 부모, 자녀,
사회적 지위, 경제력, 종교, 지적능력,
인간관계, 대화능력, 심리적 안정감,
애인 또는 배우자, 음악적 감각,
직장, 사회적 경험, 자기존재 등.
사람들은 저마다 어떤 부분에서는
남보다 못하다는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분들은 자신의 모든 부분에서
낮은 자존감으로 부족하다고 느끼고
열등하다는 지나친 생각이 있습니다.

이러한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은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기에 반드시 극복해야 합니다.
인간은 한계가 있는 존재입니다.
완전하려고 애쓰는 대신
자신의 한계를 받아 들이고
부족한 자신을 편안하고
떳떳해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자격지심과 열등감 극복,
어떻게 할 것인가?
심리치료를 하면서 나름대로 성공적인
극복 사례를 돌아보며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소개하기 앞서,
먼저 자격지심과 열등감 극복을 위해서는
자신의 의식과 무의식을
들여다 보아야 합니다.
의식은 쉽게 말하면 자신이 기억하고 있고,
알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무의식은 자신이 잘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 두 영역에서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무의식적인 것입니다.
무의식적인 것도 깊은 자기 성찰을 한다면
알아 차릴 수 있지만 혼자하기에는
어렵거나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
무의식적인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 어려운 분들은
솔직하게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면서
아래의 방법을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격지심과 열등감 극복 방법 1
내면을 탐색하라!
무엇에 자신이 없으신지요?
어떤 계기로 그런 부정적 생각이
마음에 자리 잡게 되었나요?
이러한 부정적 느낌과 인식으로

얼마나 고통받고 계신지요?
자신의 삶과 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정직하고 겸허하게 직면해 보시기 바랍니다.

강남심리치료센터
극복 방법 2
인정하고 받아 들이라!
많은 분들이 자신없어 하는 자기 모습을
감추거나 포장합니다.
이러한 억압과 회피는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탐색하신대로 자신이 없는 자기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 들여야 합니다.
인간은 완전하지 못합니다.
누구나 잘하는 것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모자란 부분이 있기 마련입니다.
완전해 지려고 애쓰는 대신에,
부족함이 있는 자신을 인정하고
사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극복 방법 3
비교는 Stop! 자신을 긍정화하라!
우리 사회는 지나친 경쟁주의로 비교하며
불행의 늪에 빠져 살고 있습니다.
사람은 저마다의 아름다움과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단점이 없는 사람이 없듯이
장점이 없는 사람도 없습니다.
비교하며 자신감을 갉아 먹는
불행의 늪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삶의 가치와 자신의 장점에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

최선을 다해 자신의 장점을 찾고
자신을 긍정화 하시기 바랍니다.
극복 방법 4
부족함을 감추지 말고 말하라!
사람들은 보통 자신이 없는 모습은
감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감추다 보면 더욱 불안해 지고
자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고착되게 됩니다.

아마도 자신을 완벽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나름대로 열등하다고 느끼는 면은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혼자만 자기에 대해 자신없는 마음을
가진 것이 아닙니다.
감추는 것 대신에 차라리 솔직하게
말하고 이해를 구하는 편이 좋습니다.
말하고 나면 시원하고 더이상
감추지 않게 되어 자유로워 집니다.
중요한 것은 자꾸 말하면서 노출하다보면
시간이 자나면서 익숙해 지고
면역력이 생긴다는 점입니다.
경우에 따라 이해받고 공감받을 수도 있고,
혼자만이 아니라 동일한 문제
또는 비슷한 다른 문제에
타인도 고민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더욱 효과적으로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가까운 분들에게 먼저 시도해 보세요!
주의점은 지나치면 안됩니다.
진지한 분위기와 상황에 따라
노출해야 합니다.

2022/12/29

알라딘: 한국과 일본, 철학으로 잇다. 야규 마코토

알라딘: 한국과 일본, 철학으로 잇다


한국과 일본, 철학으로 잇다
야규 마코토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22-10-10
























384쪽
책소개
한국과 일본에서 공통된 주요 철학적 주제를 비교함으로써 각 국가별 철학의 특징을 이해하고, 그 유사성과 차이점이 어떠한 역사적, 지리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어 갔는지를 고찰한다. 한국과 일본 철학의 친연성과 더불어 상호교류를 통한 철학적 성숙의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차이 속에서 유사성을, 유사성 속에서 근원적인 차이를 읽어내고, 철학적 안목을 한 차원 높여 나간다.

저자는 일본인으로서 일본-중국-한국에서 각각 짧지 않은 학문적 연찬 과정을 거쳐 왔으며, 이를 통해 동아시아 삼국의 철학을 거시적으로 통찰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 왔다. 이 책은 일본-중국을 거쳐 한국에서 6년 동안 체류하며 천착해 온, 한-일 철학 비교작업의 연구 성과들을 담아, 철학적 대화로써 한일 양국을 잇고 있다.


목차


여는 글

제1부┃한국의 개벽

제1장 ┃ 근대 한국 공공성의 전개와 타자와의 연대
1. 들어가는 말
2. 동학에서의 공공성 전개
3. 일본 자료를 통해 다시 보는 동학농민혁명
4. 동학군 ‘대통령’ 손병희
5. 의암의 폐정 개혁 활동
6. 3.1독립운동의 종교연대와 의암의 ‘공공신앙’
7. 맺음말
제2장 ┃ 근대 한국 시민적 공공성의 성립
1. 들어가는 말: 시민적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2. ‘공공종교’와 3.1운동
3. 종교의 역할
4. 의암이 바라본 세계시민적 공공성
5. 맺음말
제3장 ┃ 대종교 범퉁구스주의와 보편주의
1. 들어가는 말
2. 대종교의 ‘중광(重光)’
3. 대종교와 ‘범퉁구스주의’
4. 새로운 민족의식의 촉매로서의 범퉁구스주의
5. 보편주의의 계기로서의 범퉁구스주의
6. 맺음말

제2부┃일본의 개벽

제1장 ┃ 근세 일본사상의 성인관(聖人觀)
1. 들어가는 말
2. 근세 일본사상의 다채로운 성인관
3. 안도 쇼에키의 성인 비판
4. 맺음말
제2장 ┃ 일본 신종교의 개벽운동
1. 들어가는 말: ‘요나오시’의 정의
2. 일본 신종교와 ‘요나오시’
3. 맺음말
제3장 ┃ 현대 일본의 생명영성과 치유영성
1. 들어가는 말
2. 3.11과 영성
3. 일본의 코로나19 상황과 영성
4. 종래의 영성과의 비교
5. 맺음말

제3부┃실학의 시각

제1장 ┃ 19세기 실학자의 일본 인식
1. 들어가는 말
2. 최한기의 일본 인식
3. 이규경의 일본 인식
4. 맺음말
제2장 ┃ 최한기의 종교회통사상
1. 들어가는 말
2. 한국 종교회통사상의 계보
3. 최한기 ‘기학’의 체계
4. 최한기의 세계관과 ‘가르침[敎]’
5. 최한기의 ‘통교(通敎)’
6. 맺음말
제3장 ┃ 한국·일본·중국에 있어서 ‘신실학론(新實學論)’ 비교
1. 들어가는 말
2. 한국·일본·중국의 실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
3. 맺음말

제4부┃비교의 시각

제1장 ┃ 일본에서의 퇴계·율곡·다산 연구의 흐름
1. 들어가는 말
2. 에도시대 일본의 한국유학
3. 메이지 이후 일본에서의 한국유학
4. 맺음말
제2장 ┃ 최한기와 일본의 공공 사상가 비교 연구
1. 들어가는 말
2. 중국 유교 사상사에서 성인과 예악 논의
3. 일본·한국의 독자적인 성인론·예악론 전환
4. 맺음말
제3장 ┃ 동서양 공공성 연구와 한국적 공공성
1. 들어가는 말
2. 서양의 공·사·공공
3. 동양의 공·사·공공
4. 대화를 통해 열린 ‘공공하는 철학’의 이념
5. 한국적 공공성의 탐구
6. 맺음말
닫는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P. 15 동학은 ‘다시개벽(開闢)’ 또는 ‘후천개벽(後天開闢)’을 내세우면서 유교·불교 등 ‘선천(先天)’ 시대의 사상·종교나 그것에 의해 지탱되던 패러다임의 종언을 선언했다. 그리고 ‘시천주(侍天主)’ 즉 사람은 누구나 한울님을 모시는 고귀한 존재라는 영성적 자각을 통해, 전근대에 있어서는 통치와 교화의 객체였던 일반 백성, 혹은 천대받고 무시당하던 여성, 천민 등도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성을 동등하게 보유하였다고 설파함으로써 공공적 주체로서 부상시켰다. (근대 한국 공공성의 전개와 타자와의 연대) 접기
P. 53~54 천도교에서는 ‘종교’라는 말을 “고상한 인격에 의해 천연자연으로 화출된 것”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천도교에서는 ‘교정일치(敎政一致)’를 내세우면서 종교와 정치는 ‘인내천(人乃天)’의 서로 다른 표현일 따름이라고 보고 있다. 그것은 종교를 단지 개인적인 것으로 보거나 정치가 미치지 못한 사회적 영역에서 인심세태를 개선하는 것을 기대하는 일본적 (혹은 총독부적) 종교관과 확연히 다른 것이었다. (근대 한국 시민적 공공성의 성립) 접기
P. 82 1929년에 만주철도 촉탁의 기타가와 시카조[北川鹿藏]는 『판퉁구시즘과 동포의 활로―희망이냐 절망이냐 친애하는 경들에게 고함』이라는 소책자에서 범퉁구스주의를 제창했다. 기타가와는 ‘퉁구스’를 민족으로 보고 일본을 퉁구스 민족의 일원이자 문명적 선구자로 자리매김했다. 그리고 ‘퉁구스’ 민족의식을 고취함으로써 만주와 몽고를 중원의 한족과 분리시키고 ‘퉁구스’의 이름 아래 일본-한반도-만주-몽골에 걸친 일본의 세력권을 형성하고 중국인의 반일·배일 운동을 타개하려 한 것이다. 접기
P. 87 초이토 진사이[伊藤仁齋]는 오로지 공자만이 삼황(三皇), 오제(五帝)보다 뛰어난 천하만세(天下萬世)·제왕신민(帝王臣民)의 스승이라고 주장했다. ... 오규 소라이는 성인이란 ‘작자(作者)’로서 제도를 제작한 고대 중국의 지배자, 문화영웅(文化英雄)이라는 면을 강조하였다. ...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는 중국의 성인은 사람이면서 신이지만 악신(惡神)으로써 능히 나라를 빼앗다가 다시 남에게 빼앗기지 않으려는 꾀를 잘 꾸민 자라고 주장했다. ... 안도 쇼에키[安藤昌益]는 성인을 천하의 도둑이라고까지 혹평했다. 그는 자연세(自然世)에 살아가던 사람들 사이에 성인이 나타나서 사람들을 속이고 임금 자리에 오르고, 백성들의 생산물을 놀고먹는 ‘불경탐식(不耕貪食)’을 정당화했다고 평가했다. 접기
P. 121 일본 개벽종교로 ‘요나오시’를 전면에 내세운 천리교·마루야마교·오오모토를 다루었다. 원래 요나오시는 지진, 벼락을 피하는 주문이자 흉한 일을 경사로 바꾸는 것, 세상이 나쁜 상태를 좋게 고치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에도시대 중기 이후, 요나오시는 곤궁하고 억눌린 민중이 새로운 세상을 소원하는 개념이 되고 요니오시 잇키(봉기·폭동)나 우치코와시와 결부되었다. 또 ‘요나오시’ 관념이 ‘에에자나이카’ ‘오카게마이리’라고 불리는 민중의 소동, 열광적 운동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접기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야규 마코토 (지은이)


일본 오사카(大阪) 출생. 강원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박사과정 졸업. 일본 KYOTO FORUM 특임연구원, 중국 西安外國語大學 및 延安大學 일어전가(日語專家)를 역임했다. 현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대학중점연구소 연구교수.
저서로 <崔漢綺氣學硏究>(경인문화사, 2008), <東アジアの共通善─和・通・仁の現代的再創造をめざして─>(岡山大学出版會, 2017, 공저), <지구인문학의 시선>(모시는사람들, 2022, 공저), 역서로 <일본의 대학 이야기>(경인문화사, 2022, 쿠라베 시키倉部史記 지음, 공역), 『인류세의 철학』(모시는사람들, 2022, 시노하라 마사타케篠原雅武 지음, 공역)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한국과 일본, 철학으로 잇다>,<공공철학 이야기>,<최한기 기학 연구> … 총 6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한국과 일본은 고대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전 방면에 걸쳐 지속적으로 교류와 협력 또는 갈등을 지속해 오고 있다. 때로는 그 흐름이 역전되기도 하고, 또는 폭력적(전쟁)인 방식으로 그 관계가 비화하기도 했으나, 한 번도 그 관계가 본질적으로 단절된 적은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랫동안 조선은 일본의 문화적 발전의 원천이 되어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쳐 왔으나, 그 속에서도 일본은 독자적인 학문적, 철학적 특질을 구축해 나갔다. 조선으로부터 전래된 성리학(신유학)이나 퇴계학이 일본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꽃피움으로써, 그 사상의 본질을 더욱 잘 드러내는 측면도 있으며, ‘실학(實學)’의 경우 한-중-일에서 각각 공통점과 아울러 독자적인 특성을 한껏 드러냄으로써 동아시아의 학문적, 사상적 발전과 사회적 다양성의 분기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한국과 일본 또는 중국과의 교류는 자국 내에 유폐될 때 가져올 수 있는 사상적 근친상간의 위험성을 불식시키고, 서로에게 거울이 됨으로써 자기이해를 강화하며 하나의 뿌리에서 분기할 수 있는 다양성의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 사상의 심화와 확장을 가져온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작지 않다. 이 책의 저자 야규 마코토는 일본에서부터 ‘공공철학’을 중심으로 한 한-일 간의 철학적 대화의 학문적 태도를 깊이 있게 성취하였으며, 가장 한국적인 철학으로서의 최한기 ‘기학’에 대한 연구로 한국 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계속해서 중국까지 오가면서 그 학문적 기반을 확장하면서 한-일 간의 비교철학을 위한 소양을 갖추어 왔다. 이러한 소양과 안목을 기반으로 수년간의 연구는 대체로 한국과 일본 사이에 공유되는 철학적 주제들의 상사성(相似性)과 더불어, 그 가운데서도 두드러지는 독자성(獨自性)을 함께 천착함으로써, 각각의 철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제1부에서는 ‘한국의 개벽’이라는 주제 아래 동학(천도교) 등의 ‘개벽종교(開闢宗敎)’가 한국 근현대의 시민적 공공성을 발달시켜 왔음을 논증했다. 수운 최제우가 ‘다시개벽’을 제창하며 동학을 창도한 이래 개벽종교는 남녀와 반상, 빈부 간의 차이를 넘어 모두가 신격(한울님, 부처님)과 동격인 귀한 존재로 존중하고 존중받는 사회와 세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동학에서의 교조신원운동이나 동학농민혁명은 이러한 세계구축 과정을 실천적으로 추동하는 과정이었다. 또한 수운(최제우)와 해월(최시형)을 이은 의암(손병희)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 상황에서 3.1운동을 통해서 동학농민혁명의 폐정개혁의 꿈을 실현하려는 의지를 이어나갔다. 이런 맥락에서 3.1운동은 한·중·일 세 나라가 서로 독립된 대등한 국가로 뭉쳐서 서구 제국주의와 맞서고, 장차 전 세계 나라들이 연대하여, 침략과 강권과 전쟁이라는 것 자체를 세계에서 없애야 한다는 동아시아적 공공성, 나아가서는 세계적 공공성 확립을 지향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대종교가 “태백산(=백두산) 남북 7천만 동포”(「檀君敎五大宗旨佈明書」)라는 ‘범퉁구스주의’적인 동포 관념을 제시한 것도, 조선시대 유교에 입각한 소중화사상의 정체성을 극복하고 근대 국민국가로서의 한국시민의 정체성을 자각시키는 촉매 구실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2부에서는 ‘일본의 개벽’이라는 주제 아래, 오늘날 현재화한 일본과는 다른 ‘개벽적 일본’에 대한 추구와 시도의 맥락을 살펴보고 있다. 일본 에도시대의 다양한 ‘성인’ 해석과 한국의 개벽종교와 거의 같은 시기에 탄생한 일본 신종교의 새로운 세상에 대한 주장 ‘요나오시’ 등을 통해 일본적 ‘영성’의 추구 경향의 특징을 드러내고 그것이 시대적으로 변천해 간 추이를 살펴본다. 일본의 신종교는 1970~80년대를 분수령으로 ‘신종교’에서 ‘신신종교(新新宗敎)’라는 새로운 용어로 자리매김하였지만, 1990년대 옴진리교의 연쇄 테러 사건을 계기로 종교 자체에 대한 사회의 인상이 악화된 데다가 고령화의 영향까지 겹치면서 2000년대 이후에는 대부분의 종교에서 쇠퇴 현상이 나타났다. 그런데 2011년의 동일본대지진 및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사고와 2010년대 후반의 자연재해 속출, 그리고 2019년 말부터 이어진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일본 사회에서는 종교단체나 조직, 종교적 카리스마 등에 의존하지 않는 영성 현상이 잇따라 나타나게 되었다.

제3부에서는 ‘실학’을 키워드로 하여 19세기와 ‘실학’이 연구 대상이 된 현대의 한·중·일 세 나라의 신실학론을 다루었다. 우선 조선의 대표적인 실학자인 최한기와 이규경의 일본관을 검토함으로써, 그들 각자의 실학적 경향의 특질을 역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최한기는 ‘기학’의 토대 위에서 일본에 대한 객관적인 서술에 치중한 반면 이규경은 풍부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나 경계심을 감추지 않고 차별적인 시각을 드러내 보인다.

제4부에서는 ‘비교의 시각’이라는 범주 아래 “일본에서의 퇴계·율곡·다산(茶山) 연구의 흐름”을 통해 일본 내에서 한국 유학에 대한 이해와 평가의 변천 과정을 살피고, 특히 퇴계가 일본의 근대 유학 발전 및 근대사상사에서 끼친 영향을 검토하면서 일본에서 주자학의 도통론이 메이지 천황에게까지 이어지는 맥락을 살폈다. 또 “최한기와 일본의 공공 사상가 비교 연구”에서는 조선의 대표적인 기학자 최한기와 일본의 오규 소라이, 안도 쇼에키를 ‘공공사상가’라는 관점에서 비교하여 그들이 각각 독자적인 시각에서 유교적 성인의 개념을 공공세계를 구축하는 ‘제작’의 측면에 주목하여 논구하였다.

끝으로 “동서양 공공성 연구와 한국적 공공성-교토 포럼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에서는 교토포럼에서 축적되어 온 논의를 바탕으로 서양(고대·중세·근대)과 동양(중국·일본·이슬람) 그리고 한국의 공사(公私) 관념과 공공관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한국에서는 중국 문헌보다 풍부한 공공의 용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천하고금공공’이라는, 공간성과 시간성을 포함한 공공 개념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 한국 개벽종교 속에는 (1) 인간 존중 사상, (2) 생태·환경·사물존중 사상, (3) 새로운 공동체와 이상 세계(에 대한 지향), (4) 종교간 대화·소통·상호이해의 공공 지향성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접기


2022/12/28

Namgok Lee | 성재 봉기종 선생의 ‘중용강해’

Namgok Lee | Facebook:

Namgok Lee [1]
220604
  · 
오래전에 후배로부터 선물받은 책을 보기 시작했다.
성재 봉기종 선생의 ‘중용강해’다.
후배의 소개로 한 번 뵌 적이 있는 선생님이시다.

내가 논어를 접한 것은 60이 넘어 우연한(?) 계기로 시작했지만, 지금 생각하면 내 인생에 하나의 필연처럼 느껴진다.
불교는 청년 시절부터 접했지만, 노자와 장자, 묵자는 논어와의 인연을 시작으로 접하게 되었다.
중용도 한번 슬쩍 본 것 같은데, 나에게는 논어가 가장 깊게 다가왔었다.
요즘은 불경(佛經)을 많이 보게 되는데, 논어와의 만남이 나에게는 도움이 많이 되고 있다.
성경(聖經)도 훨씬 편견없이 읽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 같다.


과학기술이 발달할수록, 인간과 세계에 대한 고전(古典)이 더 빛을 발한다.
한 쪽이 높이 올라갈수록 그 균형을 잡지 못하면 위험하게 된다.
지금의 문명이 그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물론 뇌과학을 비롯해 인간의 정신에 관해서도 과학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럴수록 그 분야에서도 고전(古典)의 가치는 결코 줄어들지 않는다.
물질과 정신, 과학과 종교, 특히 고금합작(古今合作)을 생각하게 된다.

청년들보다는 나이 든 세대(世代)가 고전에 관심이 많은 것은 어쩌면 당연한지 모른다.
그것은 과학기술이 고도화한 것도 원인의 하나일지 모르지만, 인생의 사이클이라는 점에서 시대를 초월해서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나이 들어가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요즘 논어 산책을 하면서도 느끼는 것이지만, 세대 간의 역할 같은 것이 있는 것도 같다.
나이 든 세대는  나이 들어갈 세대에게 고전의 가치를 잘 전승해 줄 역할이 있는 것 같다.


오늘 읽은 중용의 문장이다.

희노애락지미발위지중(喜怒哀樂之未發謂之中)
발이개중절위지화(發而皆中節謂之和)
중야자천하지대본야(中也者天下之大本也)
화야자천하지달도야(和也者天下之達道也)

성재 선생의 번역이다.
<기쁘고 성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함이 발(發)하지 않음을 중(中)이라 이르고,
발(發)하여 다 절도(節度)에 맞음(中)을 화(和)라 이르니,
중(中)이란 천하의 큰 근본이요,
화(和)란 것은 천하의 통달(通達)한 도(道)니라>
==
Namgok Lee [2] 
220612
  · 
성재 봉기종 선생의 중용강해 중에서.
蓋中無定體 髓時而在 是乃平常之理也

‘대개 중(中)은 정(定)한 체(體)가 없고 때를 따라서 있으니 
이것이 이에 평상(平常)의 이치라“


강해

‘가운데(中)’란 정체(定體)가 없어요. ‘이것이 중(中)이다’라고 이름을 지어 놓는다고 중(中)이 되지 않습니다. 한가지 것을 가지고 ‘옳다’고 해놓으면 세속 사람들이 그것만 옳은 줄 알아요.
이치가 바뀌지 않으니까 수백년이 지나더라도 원리야 변동이 없지만, 원리에 맞게 하자니까 그 형태는 늘 변동이 되거든요. 그러니까 중(中)은 체(體)가 없어요.
‘시(時)’자는 오전 오후만 논하는 것이 아니라, 일 초까지 논해요. 초에도 변하고 분에도 변합니다. 더군다나 이 사회는 더 변동됩니다. 지금이 격변기이거든요.

독후감 

‘가운데(中)’란 정체(定體)가 없다.
다만 ‘이치가 바뀌지 않으니까 수백년이 지나더라도 원리야 변동이 없지만, 원리에 맞게 하자니까 그 형태는 늘 변동이 되거든요. 그러니까 중(中)은 체(體)가 없어요.’라는 강해는 좀 이상하게 들린다.
무슨 원리가 있어서 그에 맞게 하자니까 그 형태가 변한다는 것은 좀 뒤바뀐 것 같이 들린다. 
현상이 그러니까, 그것을 나타내는 말로 ‘중무정체(中無定體)’란 원리(관념)가 있는 것이 아닐까?
지금 같은 격변기에 격변하는 현상과 좀처럼 변하지 않는 강고한 관념(의식)의 괴리를 생각하게 된다.
결국은 관념을 현상에 맞추게 되겠지만, 그 과정의 더딤이 인류라는  종(種)에 치명상(致命傷)을 입히지 않을까?

==
Namgok Lee [3] 
221227
  · 
성재 봉기종 선생의 ‘중용(中庸) 강해’를 한꺼번에 읽지 않고 틈틈이 읽고 있습니다.
유교에 대한 좋지 않은 선입관 때문에 읽는 것이 그다지 즐겁지 않았었는데, 요즘은 그 진의(眞義)가 마음 깊이 느껴질 때가 많아 귀한 보물을 접하듯이 읽게 됩니다.
역사나 인류의 정신이 크게 변화할 때 ‘귀(歸)’라는 형태를 취하는 것 같지만, 그것은 단순한 순환이 아니라 상향(上向)의 나선형 순환이라고 생각합니다.
성재 선생님의 중용강해 가운데 오늘 읽은 부분을 발췌 소개합니다.

“공부 전체가 ‘진실로 성(誠)’입니다. 그렇다면 ‘성(誠)’이란 무엇이냐? 이치의 자연(自然)으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우리의 정성은 현재 가지고 있는 몸으로써 눈을 부릅뜨고 하는 것인데, 그 정성은 얼마가지 않아 피곤해져서 쉬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니까 그것은 참의 정성이 아니겠지요. 우리의 정성은 고집부리는 ‘혈성(血誠)’입니다.
그러면 참의 정성(精誠)은 무엇이냐? 사념(私念)이 하나도 없고 천지원리로 된 그 자리에 있어서 다른 거에 조금도 사로잡히지 않고, 끌리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 몸의 정성은 사념이 자꾸 이렇게 침범하니까 눈을 부릅뜨고 정신을 차려서 사념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그 정성을 쌓고 또 쌓아서 사념이 제거된, 옳은 성(誠)의 경지에 가서 오직 그 자리만 있게 되면 참의 정성이 됩니다“

이런 정신은 고대에도 희귀한 것입니다. 
하물며 현대인들 특히 젊은 세대에게 이런 글들이 어떻게 다가갈지, 말투도 고어(古語)체지만, 내용이 다가가기 힘들 것입니다.
멸사봉공(滅私奉公) 같은 단어가 과거 악(惡)한 전체주의와 연결되어 들리는 것은 당연한 것도 같습니다.
 인류 역사와 인류 정신의 진화 과정에서 ‘개인의 해방’은 반드시 거쳐야할 단계입니다.
 과거의 개인(私)이 억압된 전체주의나 집단주의에서 벗어나는 것은 진보(進步)의 명백한 표징으로 됩니다.
그러나 개인의 해방이 자본주의와 개인중심민주주의와 결합하면서 나타나는 폐단은 그 긴 여정을 지나 다시 공(公)의 세계를 돌아보게(歸) 합니다.
그래서 나타나는 단어가 활사개공(活私開公)입니다. 자신을 최대로 살리는 과정이 공(公)이 열리는 즉 공(公)을 위하는 정신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방향은 옳지만 어렵습니다. 저절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 물신의 지배와 각자도생의 이기주의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나도 원하지만, 그랬다가는 나만 낙오된다’는 현실을 넘어설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성재 선생님의 이야기입니다.

“오상(五常;仁義禮智信)을 그대로 기른다는 것이 무엇이냐? 우리가 육신이 있기에 육신의 사사(私邪)가 오상(五常)을 , 천연성(天然性)을 침범하려는 것을 제재(制裁)한다는 뜻입니다. 그것이 교육의 전부요 정치의 전부입니다”

이제 이런 이야기가 현대적인 어법(語法)으로(좋게는 bts의 노래와 춤으로) 달빛 속에서 햇빛 속으로 나왔으면 합니다.
교육과 정치의 역할을 생각하게 됩니다.
자신이 교육이나 정치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적어도 ‘선공후사(先公後私)’ '선사후득先事後得'
  정도의 선구성(先驅性)은 있어야 그 자격이 있지 않을까요?
==
Namgok Lee [4] 
221228
  · 
성재 선생님의 ‘중용강해’를 읽습니다.

“학문이나 정치가 민심의 기본에 자연스럽게 맞아야 합니다. 민심에 배반하면 안 됩니다. 무엇인가 끼어 있기에 민심에 배반됩니다. 순후(淳厚)하고 자연스럽게 해야 합니다”

‘민심(民心)의 기본’ ‘민심’은 무엇일까요?
실체가 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추상적 관념에 불과한 것일까요?
‘민심(民心)이 천심(天心)’이라는 것은 대단히 낙관적인 진화론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른바 ‘성선설(性善說)’은 동물계로부터 진화한 인간의 특성이 동물적 자기중심성을 넘어서 ‘숭고지향성’을 갖는 존재라는 관점입니다.
그것이 사실과 부합하는지를 떠나서, 나는 이런 견해를 지지하고 그 입장에 서 있습니다.
‘군주(君主)’주의 시대에는 군주(를 비롯한 지배층)가 주(主)가 되어 이 ‘민심의 기본’을 앙양(昂揚)하는 정치를 이상으로 생각했습니다. 그것이 성왕(聖王)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성왕(聖王)보다는 권력을 추구하고 그것을 쟁취하며 유지하기 위한 정치가 지배적이었습니다.
유교는  ‘성왕(聖王)’이라는 도덕정치를 기준으로 제시하고, 그것을  왕권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지금은 ‘민주(民主)’주의입니다.
민(民)이 주(主)가 되는 시대이지요.

이제는 윗물이 민(民)입니다. ‘민심의 기본’을 앙양(昂揚)하는 주체는 이제 민(民)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군주(君主)’주의의 의식이 여기 저기 남아 있습니다.
북(北)의 경우는 노골적이어서 실제로도 군주(君主)의 모습이지만, 많이 민주화된 남(南)에서도 알게 모르게 그런 의식들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민(民) 스스로 주(主)가 되는 의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로 되고 있지만, 그보다 먼저 (정치, 경제, 학문 사상, 종교)권력을 주무르는 자(者)들이 ‘민심의 기본’을  타락시키는 작업을 일삼고 있는 것을 중단시켜야합니다.

이 두 과제는 서로 맞닿아 있습니다.
‘윗물(민심) 맑히기’로 아랫물(정치권력)을 맑히는 것이 민주(民主)의 제대로 된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제대로 되는 민주화(民主化)입니다.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많은 논의와 실천의 물줄기들이 있습니다.
누구나 감지하고 있습니다.

나도 나름의 방략에 대해 생각도 하고 제안도 하고 있습니다.
모순이 중층적이고 복잡할 때는 그를 풀어가는 일의 순서가 있고,  방식이 있습니다.
힘과 지혜를 잘 모아야할 때입니다.
새벽 단상입니다.

==

==

2022/12/25

Philo Kalia ‘仁義’란 인간의 본성에 속한 것이고, 본성이란 하늘이 내린 명이라면(天命之謂性)

 Taechang Kim | Facebook

Philo Kalia is with Taechang Kim.

  · 
[대화]
원로 철학자이신 김태창(Taechang Kim) 선생님과 페북에서 뵙고 포스팅과 미학적인 글에 큰 사랑과 지지도 받고 더 넓은 생각의 지평을 얻을 수 있는 코멘트를 달아주시니, 참으로 기쁘고 감사한 일이다. 최근 포스팅에도 코멘트를 해주셨고 서너 번 대화가 오간 것을 기록해두고 싶어 차례로 모았다.


‘仁義’란 인간의 본성에 속한 것이고, 본성이란 하늘이 내린 명이라면(天命之謂性), 이사야를 통해 말씀하는 야훼 하나님의 의나 맹자를 통해 告한 하늘이 명한 인간의 본성(인의)은 그 표현은 달라도 내용은 같은 것이리라.


Taechang Kim
相通하는 바가 있다고 할 수는 있지만 내용이 같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상호이해는
중요하지만 서로의 고유가치를 동일의 사유로 묶어버리면 서로 다른 것의 아우러짐을 통한 새엶의 지평을 닫아버리게 되지 않겠습니까?

심광섭
Taechang Kim 相通한다는 것은 서로 다른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인데 숙고해보니 통하는 점들이 있어 공감, 공명, 교류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상이한 것들이 상보함으로써 풍부해진다는 것이고, 고유 가치는 다른 개념(표현)으로 언표되는 한 훼손되거나 일방적으로 통일될 수 없음이지만, 여기서 내용이란 사람이라면 상황과 방도는 달라도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는 큰 이치(天理)에서 나온 情의 用이란 점에서 같은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合理合情이고 順理順情이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Taechang Kim
Philo Kalia 그래도 기독교의 義와 유교의 義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고 그 차이가 기독교와 유교의 共存相尊을 의미있게 한다고 생각됩니다. 다르다고 생각해 왔는데 비슷한 점이 있다는 새로운 깨달음은 동시에 거의 같다고 느껴진 것이 다 깊은 곳에서 다르고 그러면서도 함께 있음으로써 이제까지 몰랐던 새 지평열기가 가능해진다고 생각합니다.


심광섭
Taechang Kim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과 중용의 '중용'은 정말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기독교의 義와 유교의 義사이에도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차이는 깊은 곳에서 다른 존재론적 차이라기보다는 역사적 차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근본적인 차이"라는 지적에 선뜻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역사적인 혹은 생활세계적인 차이가 있다할지라도 대의명분이 있는 어떤 절박한 문제의식이나 역사적 과제 앞에서 근본을 생각하면 동학의 가르침인 吾心卽汝心의 계기가 생기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 계기(실존적 순간)는 하나님의 마음과 합한 다윗에게서(삼상 13:14)도 나타난 것이 아닐런지요. 그렇지만 인심은 늘 인욕이 되기 쉽고 위태하니 誠敬의 태도가 필수이듯이, 역사적, 제도적, 교리적, 전례적 차이를 존중해야 한다고 봅니다. 이 존중심은 모든 종교에 상이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근원 체험(선생님이 말씀하시는 개신의 역사)에 근거하여 상고할 때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Taechang Kim
Philo Kalia 예. 대화가 되어서 기쁩니다. 선생님의 생각과 제 생각이 같을 필요는 없잖습니까? 지나 저의 미흡한 생각입니다만, 역사적 상황적 접근은 가능하지만 다름아닌 존재론적 차이가 기독교와 유교사이에 엄존한다고 봅니다. 기독교는 인간존재의 근원(본성)은 죄지은 존재(=근본악)이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죽음을 통하여 하나님의 의롭다함을 인정받아야 할('義認')존재론적 실상을 전제로 해서 구제론적 복음의 실존관련적 뜻매김 자리매김이 뚜렷해지지만, 정통유교의 인간본성론의 핵심은 본질적 선성(善性)에 전제로하기 때문에 초월적 타자에 의한 의롭다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거기서 義의 대의명분을 빙자한 独善-独断-独裁에 의한 전체주의적 지배구조의 정당화 근거가 되기도 했었던 기억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인간내면에 깊이 잠재한 근본악에의 편향가능성에 대한 자각이 없는 仁義만으로는 뿌리깊은 偽仁偽義의 창궐에 대 개신적 대응이 곤난하다는 것이 저 자신의 체감 체험 체듣한 바 입니다. 유교에서 배울만한 점이 많지만 인간 본성론만으로는 근본악의 문제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없었고 황제의 선의지와 사대부의 선인식이 부합되면 선한 세계가 이루어진다는 낙관론이 황제의 흑심과 사대부들의 욕심때문에 왜곡되고 변질되는 역사와 상황을 뿌리 바탕으로부터 바꿀 수 있는 초월적 타력의 개입을 처음부터 차단해 놓은 데서 오는 한계요 모순이라 생각됩니다. 구태어 제도적 기독교가 아니더라도 초월적 타자의 눈과 귀와 입이 있어서 인간의 오만과 자기의인(=스스로 의롭다함)이 근원적 악에로의 편향을 제어하지 못하고 악을 행하는 자기모순에 빠지는 행태를 목격해온 저로서는 유교적 인간본성론과 기독교적 인간본성론과 부분적으로 겹치고 상통하는 점이 적지 않게 있지만 결코 같다고 할 수는 없다는 생각입니다. 제 생각을 말씀드렸습니다. 선생님 생각이 다르더라도 그것을 선생님 생각으로 존중하고 배우려하는 마음은 변함이 없기 때문에 대화은 계속하고 십습니다.

심광섭
Taechang Kim 선생님의 고견을 잘 읽었습니다. 몇 가지 의문이 생겨 대화를 계속하려고 합니다. (1)서양과 동양, 기독교와 유학(유교)의 차이가 존재론적 다름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역사적 과정과 지리적 배경의 차이에서 비롯되어 2~3천 년의 역사 속에서 생성된 것인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며, 저는 후자에 무게중심을 두고 싶습니다. 물론 신학자 존 캅은 <존재구조의 비교연구>라는 책에서 세계 종교의 차이를 존재구조의 차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한 바 있습니다.
(2)기독교의 인간 본성론이 원죄라는 근본악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성악설과 가깝다는 것이 전통적 이론이고 중론이긴 합니다만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이해에 기초한 인간의 잠재적 가능성을 완전폐기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선행하는 하나님의 은총으로 말미암은 인간의 자유의지를 긍정할 여지는 남아 있습니다. 또한 유학의 인간본성론도 성리학에서 人心道心說로 세미하게 전개된 것도 있고, 논어의 처음 장들에서 외적인 巧言令色을 금하고 내적인 성찰(一日三省吾身)을 다각도로 강조하고 있으며, 敬과 誠, 愼獨 등의 사상은 偽仁偽義가 생길 위험을 철저히 경계하고 있으며, 이것이 유학의 인간본성론의 핵심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3)사상이 감언행(感言行)의 일치를 통해 체감, 체득되어야 한다면 초월적 타자가 개입되어야 한다는 생각은 타율적 인간 도덕을 벗어나 궁극적으로 자발적, 자율적, 주체적 인간의 도덕 형성에 도달하여야 한다는 목적에 잘 도달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선생님이 평소 강조하시던 “脫在”신학과 어떤 연관성 있을까, 順연관성이 있을 수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사랑과 정의’, 유학의 기초 사상인 ‘仁義’는 존재론적 차이라기 보다는 역사적 생성과정에서 형성된 차이라고 생각하며, 역사적 차이라는 관점에 설 때 오늘날 지구적 소통과 사유가 일어나는 시공간에서 동서양 사상이 잘 만나 공명하고 지구적 난제들을 극복하고 인간성을 심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는 기독교인이면서 동양사상을 이웃으로 벗삼고 사는 것만이 아니라, 제 인격과 우리 문화 안에 동서양의 사상과 문명이 혼합되어 새로운 실재를 형성해가는 도중(途中)이라고 보고 싶습니다.  
=======
+Giovanni di Paolo ,Dante and Beatrice before the Light, 1450.
33 comments

Reply22 w
유용현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대학 때 동양종교와 기독교의 대화를 추구하고, 경전들을 열독한 사람으로 과연 '차이' 혹은 '특징'을 심도깊게 연구했었습니다. 완전한 결론에는 못 이르렀지만, 제 생각으로는 장로교를 위시한 개혁교회의 신앙원리에 '완전타락'과 '하나님의 형상의 완전 파괴'가 있어서 인간이 자의적으로 신을 알 수도 없고, 신의 계시를 수용할 수도 없으며, 거룩한 상태에 도달할 수 없다는 교리와 신조가 있는데, 이것에 대한 감리교의 해석이나 수용이 다른 것과 연관이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즉, 감리교는 완전한 타락, 파괴에 동의하지 않고, 인간의 자유의지와 도덕적 행위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되면, 얼마든지 동양사상과의 접촉점이 가능해 질 수 있지요.
Reply22 w
Philo Kalia
유용현 네, 논점을 콕 집어 주셨습니다. 원죄와 악에 기초한 전통적 기독교의 인간이해가 종교와 철학을 포함한 제학문에서 탐구 되는 인간이해와 잘 소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Reply22 w
윤세형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논쟁을 보는 듯 합니다.
Reply22 w
Philo Kalia
윤세형 격조 높게 봐 주시니 영광입니다.
Reply22 w

Taechang Kim
정말 함께 서로 절차탁마하는
대화과정이 열리는 것같아서
기쁘고 감사합니다. 이제 90을
바로 앞에 든 삶자리에서 남들
이 어떻게 말했다가 아니라 저
자신이 살아오면서 배우고 익
히고 깨닫고 삶속에 녹여 뼈와
창자에 새겨온 생각을 말씀드
리는 것이며, 저는 가르치는데
는 더디고 배우는데는 서두르
는 常学人(学者나教師가아님)
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배우려
는 의도에서 현재까지의 체감
체험 체득의 일단을 말씀올림
을 너그럽게 양해해 주시기 바
랍니다. 저는 할아버지에게서
중국고전을 배웠고 그기초위에
서 중국사상을 공부했습니다.
그 후에 미국과 유럽에서 서양
사상을 공부하고 한국과 일본,
그리고 몇몇 다른 나라에서 서
양과 동양의 사상 철학 문화 종
교들사이의 대화가능성에 촛
점을 둔 철학대화를 30년 넘게
계속해 오고 있습니다. 중국대륙을 10년동안 동서남북에 있는 대학이나
연구소를 찾아다니면서 자유롭고 활발한 대화를 전개
해서 많은 현장검증도 쌓았습니다. 서양에서의 체험
학습과 중국에서의 체험학습,
그리고 일본과 한국사이에서
서로 다른 관점과 입장에 있는
분들과 나누고 있는 대화를 통
해서 몸으로 느끼고 맘으로 가다듬고 얼로 삶에 살린다는
자세와 방법으로 쌓아 온 깨달
음의 현단계의 한쪼각에 불과
합니다. 서론이 길어 졌습니다.
1. 한마디로 유교라고 말할 때
공맹유교의 성선설과 순자-한비자등의 성악설이 대립해 있고 그 사이에 치열한 논쟁이
있었지만 적어도 대외적으로
는 공맹유교를 유교의 대표성
을 유지해 왔고 심교수님이 거
론하신 유교관련 언급이 그 쪽에 무게중심이 실려있는 것
으로 이해했기 때문에 기독교
쪽도 소위 정통기독교라 칭해져왔던 입장과 관점에다
촛점을 맞춘 논의를 전개하려
했습니다. 평소에 존재신학적
인 말씀이 많으셨기 때문에
그쪽에서 논의하자면 정통기독
교와 정통유교사이에는 인간존
재의 파악과 인식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고 양쪽이 우리의 사
고발전에 좋은 시사를 던져주는 기본토대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 다음 단계로 피차
간의 역사적 상황적 변화 발전을 거듭하는 가운데서
기독교와 유교의 양쪽에서 정통과 다른 새로운 생각이
생성 정리 정립됨에 따라 성선
과 성악의 두 기틀이 겹치고
포개져서 기독교도 유교도 비슷한 인수분해과정을 걲게
되어 상호간의 대화가능성의
폭이 넓어젔습니다. 그러나
그 것은 역사적 상황적 변화에
따른 인식-실천의 파라다임이
상호접근했다는 것이지 본래
의 차이가 없어진 건 아니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핵심
포인트는 기독교는 그 뿌리
바탕이 인간개개인의 영혼구제
를 위한 하나님의 섭리를 계시
하는 복음인데 비해서 유교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지향하
는 통치철학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세계구조가 다르고 인간존재
의 파악이 다르고 핵심주체가
다릅니다. 서양과 동야의 접근
만을 주안점으로 한다면 희랍
인문주의와 유교인본주의를
비교연구하는 쪽이 훨씬 공통
점을 많이,그리고 깊이 공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역사적 상황적 변화에 따른 상호접근성이라는 각도에서
유교와 기독교의 관계를 살펴
본다는 것은 방대한 자료와
치밀한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
에 개활적인 언급으로 끝내거나 한두가지 사례로 해
결하기에는 신중한 심사숙고의
과정을 겪어야 한다는 생각입
니다. 서로 다르면서 함께 새
지평을 열어가는 일이 다 같다고 해서 끝내는 것보다
다이나믹한 사고력-상상력-
구상력을 기르는 일이 되지
않을까요?
Reply22 w
Philo Kalia
Taechang Kim 선생님의 노숙한 사유와 너른 지평을 가늠합니다. 선생님의 글을 새기며 두고두고 제 공부의 과정에서 성찰하겠습니다.
Reply22 w
손미옥
Taechang Kim 선생님,멋지고부럽습니다.
그렇게 다양한 학문의 경험과 체득을 쌓을 수있는 귀한 축복을 받으신 분^^
Reply22 w
Taechang Kim
손미옥 아닙니다. 너무 아둔해
서 남이 금방 깨닫는 것도 남
보다 몇배 힘들여야 깨닫게 되
기 때문에 노력하고 또 노력한
것뿐입니다. 공자께서 태어나
면서 아는 것이 으뜸이고 배워
서 아는 것이 중이며 힘들여 아
는 것은 하라고 하면서 힘들여
애를 써도 배우지도 알지도 못
하는 것에 대해서는 포기한 듯
한 말씀글이 있습니다. 그런데
저 자신은 공자가 포기한 그 그
룹에 속한 스스로를 알아차려
서 남보다 더 힘들여 애썼습니
다. 그러니까 배울 수 있는 기
회를 찾아 다녔습니다. 아직도
남을 가르치기 보다는 제가 배
워야할 것이 많으니까. 심광섭
선생님을 통해서 새로운 세계
와 거기 계신 분들을 만나 배우
게 되어 얼마나 기쁘고 감사한
지 노년의 값진 学-思-行을 함
께 갈고 닦을 수 있는 哲友들의
모임이라 여기고 있습니다.
Reply22 w
손미옥
Taechang Kim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단 말이 실감나네요^^
저는 공부해나가는 것이 실력이라고 생각해오고 있습니다. 배움을 즐기심은 벌써 학문의 樂 으뜸이지 않으신가요?
두분 선생님의 깊은 학문의 세계와 겸허함에 늘 고개를 숙이게 됩니다~♡
Reply22 w
Taechang Kim
손미옥 예. 그렇게 보아주시니
고마울 뿐입니다.
Reply22 w
송명호
Taechang Kim 장자에 묻지도 않았는데 끼어든다는 불사이응이란 말이 있어서 용기를 냅니다.
저는 공맹 유교라는 용어가 틀렸다고 봅니다. 공자의 유교는 동서양 대부분의 학자들이 모르며, 공자와 맹자는 판이하게 다릅니다. 맹자와 순자의 유교는 군주에 대한 충성을 겅조한다는 점에서 같다고 생각합나다.
인성 논쟁도 맹자와 공자는 다르며, 인의도 공자와 맹자는 다릅니다 공자는 인을 올바른 것을 찾아가는 과정과 이를 실천하려고 살산성인 목숨을 바침이 두었는데 맹자는 측은지심이라는 천리나 먼 것에서 찾았습니다. 안중근이 아등박문을 죽이는 것은 인의입니다. 그런데 측은지심하면 죽이지 말아야 합니다.
예도 사양지심이라고 하는데 이는 공자의 예를 새소한 매너 수준을 파악악한 것입니다. 공자의 예는 천하를 바꾸는 이데올로기였습니다. 어떻게 이데올로기를 사양지심을 바꿀 수 있겠습니까.
저는 김일성 좋아하는 좌익에게 아무 말도 않습니다. 예는 사양지심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Reply59 m


김영훈
아주 좋네요, 두 분의 생각의 차이가 충분히 논쟁거리가 되고 또한 깊이 생각해보는 기회를 주네요.
두 분께 감사할 따름!
Reply22 w
Philo Kalia
김영훈 읽어 주시니 천망관중의 박수소리를 듣는듯 합니다. 🤣
Reply22 w
Troy Clapton Choi
교수님께 과외받고싶습니다 ㅎㅎ
Reply22 w
Philo Kalia
Troy Clapton Choi 영광입니다. ㅎㅎ
Reply22 w
손미옥
가장 본성은 죄없으신 순수? 하나님의 영을 받아 사람이 생령이 되었을 땐, 하나님께서 하나님만큼 존중하여 주신 자유의지가 존재했을 땐 아예 선악이 없는 에덴은 인간의 존재적 유토피아가 아니었을까요?
인간이 눈이 밝아져 선악을 알게된 때부터 인간의 고통이 시작되고 선악이 나뉘는 역사가 시작되지 않았을까 상상해봅니다.
흔히 말하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실 때 자동인형으로 만들지 아니하시고 자유의지를 주신 것이 인간과의 참 대화와 소통하는 관계를 원하셨던 것이니 자유의지는 하나님의 레벨만큼이나 우리를 존중해 주시고 높여주심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기독교는 원죄 이전에는 성악설이 성립되지 않는단 생각을 해봅니다.
원죄 이후 인간은 전적인 타락으로 성악설에 해당하고 저는 태창선생님의 입장이 더 와닿습니다.
그래서 복음이,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론이 나올 수 밖에 없는 필연이구요.
공자의 인의예지(仁義禮知)는 피조물인 인간의 인성에 해당한다고 봅니다. 성선설의 仁은 인간이 잉태되었을 때는, 태고의 에덴동산의 원죄 이전 상태, 최초의 사람에게 생기를 불어넣어 주셨을 때의 선악 이전의 순수한 상태가 아닐까 상상해 봅니다. 인간에게 탯줄을 끊은 이후 배꼽이 남듯 그 이후 세상을 살아가면서 일말의 양심?으로 선의 흔적이 남아있고 선과 악이 공존하는 상태가 되지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저는 공자의 성선설보다 맹자의 성악설이 더 매력있게 다가오더이다. 기독교인이어서가 아니라, 선을 추구하며 현실적으로 선을 지켜나갈 수 있는 입장이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세상에 악을 없애고 실질적인 선을 세워나갈 수 있기 때문이라 생각해서 입니다.
뜬금없는 얘기지만,
일전에 중독세미나에 참석한 적이 있었는데 전문가들이 말하길, 중독자가 치료의 가망성이 보이는 때가 역설적이게도 본인의 힘으로 절대 고칠 수 없다는 때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마치 인간이 본인은 스스로 구제할 수 없는 전적으로 타락한 죄인임을 고백할 때 구원의 가능성이 시작되듯이 말입니다.
깊고 높고 넓은 학문적 경지에서 나누시는 대화에 저는 학자로서가 아닌 구냥 상식을 가진 일반 성도로서 제 의견을 개진한 것이오니 그릇된 견해가 있으시면 바로잡아 주시면 영광이겠습니다^^
Reply22 wEdited
Philo Kalia
손미옥 (1)하나님의 은총 아래 있는 인간이 계속 악만 저지르고 산다면 얼마나 하나님이 절망하실까요? 성악설, 성선설을 논의하자는 게 아닙니다. 해답이 없는 난제입니다. 다만 저는 하나님이 은총으로 주신 선한 본성을 믿을 뿐입니다. 세상의 그 어떤 惡한 것도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다는 믿음이지요 (2)유학은 인간의 원래의 성품에 인의예지의 본성이 있다고 봅니다.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는 것을 보고 경악하면서 구출하려고 달려가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을까요? 타락한 인간에게는 이런 본성이 없는 것인가요? (3)맹자 성선설이고 순자의 성악설입니다. 맹자의 성선이든 순자의 성악이든 인간의 원래 선한 본성을 회복하자는 사상입니다. 성선을 강조하면 덕성을 강조하게 되고 성악을 강조하게 되면 외왕(外王)의 방향으로 나갑니다. 內聖外王 (4)중독은 심각한 질병입니다. 타자의 도움이 있어야 중독에서 가까스로 벗어날 수 있을 겁니다. 벗어나서 주체로서 의존과 노예적 타율에서 자유로운 인간으로서 자립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치유의 목표입니다. 그러나 중독에서 벗어나서도 타자에 계속 의존해서 살아간다면 이것 또한 온전한 해결책이 아닐 것입니다. (5)기독교의 원죄나 전적 타락이 인간의 본성을 짓누르고 억압하며 어둠 속에 가둬두고 영원히 죄책감에 시달리게 하는 인간론이 아니길 바랍니다. 기독교의 인간론의 현재와 미래는 구원받고 해방된 인간으로서 기쁨과 감사의 삶, 정의와 평화를 지어나가는 인간상이 아닐까요?
Reply21 w
Taechang Kim
Philo Kalia 일본에서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서로 다른
입장과 관점을 인정 존중하면
서, 가장 기본적인 동시에 가장
공통적인 문제의식이 될 수 있
는 화두로 도겐(道元1200-12
53 일본 曹洞宗의 개조)의 자력도와 신란(親鸞1173-1262 일본 浄土真宗의
개조)의 타력도를 둘러 싸고
오래고 신중한 논재이 이어지
고 있으며 전문가에 따라서는
정통유교는 도겐의 자력도에
가깝고 기독교는 신란의 타력도에 가깝다고 이해하면
참고가 될거라는 이야기를 합
니다. 한편 유교를 연구해온 사
람과 관심을 공유하는 사람들
은 주자학과 카토릭, 양명학과
개신교를 각각 연결시키면서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조직체
계와 계율과 행사에의 참여를
중시하는 카토릭은 다분히 주
자학적인 경향으로 이해하고
인간개개인의 근원적 선성과
그것의 발현(치양지)를 기본으
로 삼는 양명학의 특징으로 보고 개신교(특히 무교회주의
의 개신교)의 개인주체성을
강조하고 조직이라는 타자의
개입으로부터 자유로운 개개
인의 주체적인 하나님과의
관계설정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점은 어데까지나 불교
또는 유교의 입장과 관점에서
기독교를 앞에 놓고 대화가능
성을 모색하면서 함께 새로운
인식지평을 열어 보려는 노력
이라는 것입니다. 지금 저 자신
은 한국의 여러분과 함께 기독
교의 입장과 관점을 공유한다
는 전제에서 불교와 유교와의
대화가능성을 모색하고 함께
새로운 인식과 실천의 차원열
기를 시도하는데 중점을 둔다
는 것입니다. 어데까지나 각자
의 고유성과 가치성을 인정 존중하면서 함께 대화를 통해
서 새 차원 열기를 기도하려
면 우선 서로의 근원적인 차이
에 대한 철저한 인식 각성 자각
이 있고 거기서 함께 개신할 수
있는 차원 지평 경지를 열어 나
간다는 신중하고 인내있는 자
세와 의지가 필요하다는 것입
니다. 영합이나 흡수가 아닌
상호이해요 相反相成을 통한
共進化를 공통목표로 한다는
의지가 필요하다는 체험지입
니다.
Reply21 w
손미옥
심광섭 에공 맞자요.
순자가 성악설이었지요.
1. 성선설, 성악설을 들으면서 나름대로 떠오른는 저의 소견을 생각나는대로 적어보았을 뿐 저도 성선설 성악설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었던 건 아닙니다. 저희가 악한 행동을 할 때, 안에 계신 성령님께서 슬피 우시지요. 존재론적 죄성-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다하심-을 말하는 것이지 저도 하나님의 자녀로서 의지적인 노력과 선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기독교가 다른 종교와 다른 것은 구원에 대한 하나님의 은혜가 감사한데서 출발하기에 교만이나 아상이 있을 틈이 없다는게 제가 특히 기독교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믿음도 선물인 것도 자랑치 못하게하려고 주신 것이니까요. 하나님은 사랑이시고 그 사랑과 공의가 십자가로 이루심요
2.믿지않는 사람에게도 양심이란 존재하므로 가능하다고 봅니다. 인간 존재는 점점 악해져 사이코패스의 인성,묻지마 살인 등도 나오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3.예수 안에서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으니
이전것은 지나가고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
예수를 믿은 후 거듭남의 과정요.
4.중독
우리가 죄인임을 인정할 때 구원이 시작됨같이스스로의 상태가 매우 심각하고 문제가 있음을 부정하지않고 수용,인정할 때 어떤 치료든 출발이 된다는 의미에서 말씀드렸던 겁니다.
친절햐고 다감하신 답변 감사드려요~♡
Reply21 wEdited
Philo Kalia
Taechang Kim 오랜 경험에서 나온 지혜의 말씀에 공감, 동의합니다. 모든 만남과 대화의 시도와 결실은 차이를 전제로 한 것임은 당연한 전제이겠지요. 차이가 없다면 대화할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다만 그 차이가 존재론적인 것인지, 역사적, 지리적,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형성된 것인지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대화를 넘어 실천을 목표로 할 때 그 목표가 같지 않으면 공동 실천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됩니다. 수천년의 역사를 통해 형성된 각각의 사상, 교리, 예전, 법, 관습 등을 무시하고 영합, 흡수하려는 식민주의적 발상의 시도는 대화가 아니라 폭력일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종교간 대화와는 별도로 자신의 정신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제종교사상의 이해와 통합은 중요한 과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유학과 도불을 공부하는 것은 그들 종교와 대화하려고 하는 것 보다 한국인으서 저 자신의 정신적 역량과 지평을 확장학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儒佛道基가 활연관통되고 원융회통되어 일심에 이를 수 있다면 하는 소망이 있음을 말씀드리면서, 선생님의 지혜를 구하고자합니다.
Reply21 w
Taechang Kim
Philo Kalia 예. 저는 저 자신
의 문제보다는 한일관계의 악
화가 심신혼을 아프게 하기 때
문에 그 아픔을 함께 하는 분들
과 힘을 합쳐서 생명개신의 새
경지를 열어가는데 전력투구하
는 입장이라 자기정체성확립과
자타관계정상화를 가능한 변행
개신하려는 것입니다. 거기에
서양사상만이 아니라 중국사상
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우리
의 사고와 판단과 행위를 틀지
어 왔는가를 냉정하게 살펴보
고 있습니다. 저 자신은 중국고
전에의 맹신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한자
사용도 중국식 표현을 인용 차
용 원용하는 것으로는 중국화
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힘들어
서요. 중국에 가서 10년동안
중국인들과 치열한 대화를 해
보고 우리가 쓰는 한자표현이
결국 자기네의 모방 응용 적용
에 불과하다는 폄하적언급에
대항하기 위해서 한겨레의 감
성과 역사적 체험이 녹아 들어
있는 한자활용을 창안함으로
써 비로서 걸맞는 인정과 대화
가 가능했던 경험을 여러번 했
습니다. 영어도 서양 사람들이
미쳐 생각지 못했던 우리 생각
을 담은 신조어를 통해서 고유성과 개방성을 동시에 이해 납득시킬 수 있다는 경험
의 축적이 있습니다. 한자가
가진 동아시아사상-철학-문화-
예술-종교에서 갖는 소통창달
력을 중국모방적이 아닌 한민
주체적으로 선용-활용-창용하
는 효과는 큽니다.
Reply21 w
Philo Kalia
Taechang Kim 동북아 및 유럽의 맥락에서 한국 사상의 고유성과 보편성을 찾아 궁리하시는 선생님의 학문적 업적과 부단한 노력에 존경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 또한 대학생 시절부터 토착화 신학과 민중신학을 통해, 선생님과 같은 안목과 관점을 익혀왔으며, 때문에 지금 intra- + inter religious Dialogue에 손원영 교수와 함께 진력하고 있는 것입니다. 유불도가 중국 및 인도에서 유입된 사상이지만 한국에 와서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 중국과 일본과는 다르게 뿌리내리고 성장했는지에 대한 연구, 그 이유는 무엇인지, 이런 맥락과 함께 하는 기독교 신학 연구는 절실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서양 모방, 중국 모방에서 벗어나 한국사상의 고유성과 보편성을 위한 연구들이 그간 다행스럽게 많이 나와 있고, 이 성과 위에서 고무되어 계속 공부할 수 있고, 미학적 관점을 더하기 할 수 있다는 것이 큰 행운입니다.
Reply21 wEdite


송명호
Taechang Kim 장자에 묻지도 않았는데 끼어든다는 불사이응이란 말이 있어서 용기를 냅니다.
저는 공맹 유교라는 용어가 틀렸다고 봅니다. 공자의 유교는 동서양 대부분의 학자들이 모르며, 공자와 맹자는 판이하게 다릅니다. 맹자와 순자의 유교는 군주에 대한 충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같다고 생각합니다.
인성 논쟁도 맹자와 공자는 다르며, 인의도 공자와 맹자는 다릅니다 공자는 인을 올바른 것을 찾아가는 과정과 이를 실천하려고 살신성인 목숨을 바침에 두었는데 맹자는 측은지심이라는 엉뚱한 것에서 찾았습니다. 안중근이 아등박문을 죽이는 것은 인의입니다. 그런데 측은지심하면 죽이지 말아야 합니다.
예도 사양지심이라고 하는데 이는 공자의 예를 사소한 매너 수준으로 파악한 것입니다. 공자의 예는 천하를 바꾸는 이데올로기였습니다. 어떻게 이데올로기를 사양지심으로 바꿀 수 있겠습니까.
저는 김일성 좋아하는 좌익에게 아무 말도 않습니다. 예는 사양지심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Reply53 m
송명호
저의 인터넷이 고장이라 모바일로 쓰다 보니 오타가 많아서 고쳐 올립니다. 죄송합니다. 위의 잘못된 글도 지우지 못해서입니다
Reply51 m


2022/12/24

“일본불교 별 니시다와 스즈키, 제국주의 미화했다” : 뉴스 : 휴심정 : 뉴스 : 한겨레

“일본불교 별 니시다와 스즈키, 제국주의 미화했다” : 뉴스 : 휴심정 : 뉴스 : 한겨레



“일본불교 별 니시다와 스즈키, 제국주의 미화했다”

등록 :2021-08-04 
조현 기자 사진

‘불교평론’ 일본불교 실상 고발
니시다 기타로·스즈키 다이세쓰
20세기 세계적 불교학자 흔적 추적

2020 도쿄올림픽을 닷새 앞둔 7월18일 도쿄 하루미 지역 올림픽선수촌 인근 도로에서 극우단체가 차량을 이용해 확성기 시위를 하고 있다. 도쿄/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2020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성화봉송로 지도에 독도를 일본 땅처럼 표기해 ‘평화의 제전’ 올림픽에서마저 제국주의적 마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불교계 대표적인 계간지 <불교평론>이 20세기를 대표하는 일본의 세계적인 불교학자들이 제국주의 이론 정립에 앞장섰다고 고발했다.

<불교평론>은 최근 펴낸 여름호 커버스토리 특집 ‘일본 불교의 특성과 실상’에서 니시다 기타로(1870~1945)와 스즈키 다이세쓰(1870~1966)의 친제국주의적 사상과 행보를 파헤치는 글을 게재했다. 이 특집에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주류 종교인 불교가 어떻게 제국주의 전쟁을 돕고 참여했는지 구체적인 자료들을 적시했다.



니시다 기타로. <한겨레> 자료사진

일제의 총동원령에 따라 우리나라 불교, 가톨릭, 개신교, 유교 등도 강압적 혹은 자발적으로 전쟁물자를 지원했으니, 일본 내 종교들이 애국이란 이름으로 전쟁에 동원된 것은 별 신기할 게 없다. 그러나 니시다 기타로와 스즈키 다이세쓰의 경우라면 이야기가 다르다. 출가하지는 않았지만 치열한 선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인가받고 이를 이론화해 서양에 전한 동갑내기 둘은 서양에서 20세기를 대표하는 불교인을 꼽을 때 1·2위를 다툴 만한 인물들이다.


니시다 기타로는 일본의 독자적인 철학을 형성한 대표적 사상가로, 교토학파의 개조(한 종파의 원조가 되는 이)다. 스즈키 다이세쓰는 19세기 후반부터 미국에 건너가 선불교를 서양인들에게 전한 서양 불교의 태두다. 그는 인류문명이 위기에 처하게 된 원인을 서양의 합리주의에 두고, 동양적인 직관, 곧 선 사상의 중요성을 알려 서구 지식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양인들이 선(禪)이 아니라 일본어인 젠(zen)으로 표기한 것도 그로 인해서다.



교토학파의 아버지인 니시다 기타로가 고뇌하며 걷던 ‘철학의 길’이 시작되는 일본 교토의 은각사 전경. 조현 기자

가톨릭과 개신교 선교사들이 제국주의가 약소국들을 침략하는 데 있어 전위대 구실을 한 데 반해, 불교는 ‘비폭력 평화의 종교’로 자리해왔음을 불교계는 자부해왔다. 하지만 이번 특집을 통해 불자도 언제든 제국주의와 폭력에 동원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나선 셈이다.

허우성 경희대 명예교수는 “니시다 기타로는 1944년 ‘일본의 국체가 바로 대승불교 참정신의 재현’이라고 주장했다”며 “니시다가 영국과 미국으로 대표되는 서양 제국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를 반대하고, 동양공영권의 기치를 높이 들고 일왕 중심으로 동아시아 각국이 단결해야 한다고 썼을 때, 그는 유사제국주의자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니시다 기타로. <한겨레> 자료사진



일본에서 발행된 니시다 기타로 기념우표.

최용운 서강대 연구교수는 “니시다는 1943년 5월 일본 군부로부터 대동아공영권의 지침에 대한 글을 요구받고 <세계 신질서의 원리>를 집필했다”며 “당시 도조 내각이 이를 수용해 중국, 만주, 필리핀, 타이, 미얀마 등의 대표가 참가한 ‘대동아의회’에서 채택한 ‘대동아공동선언’에 상당 부분 반영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대동아공영권의 이론 자체가 니시다에 의해 최초로 정립된 것은 아니지만, 근대 세계 역사를 서양 제국주의의 역사라고 비판했던 그가 피지배국의 입장을 조금도 고려치 않은 채 자국의 제국주의적 야욕에 편승했던 행적은 그의 학문적 위업의 빛을 감쇄케 한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니시다와 함께 교토학파 1세대를 대표하는 인물인 다나베 하지메(1885~1962)가 니시다와 달리 참회의 양심선언을 했다는 사실도 소개했다. 다나베는 1946년 저서 <참회도로서의 철학>을 통해 전쟁 기간에 국가의 실책에 대해 어떤 반대 의견도 제시하지 않았던 자신의 태도를 뉘우치며 철학자로서의 무력함으로 고뇌하던 중 불현듯 찾아온 참회를 통한 새로운 의식의 전환을 고백했다는 것이다.



스즈키 다이세쓰. <한겨레> 자료사진

종교학자인 이찬수 보훈교육연구원장은 선을 ‘전투 정신’으로 결부시킨 스즈키 다이세쓰를 비판했다. 스즈키는 저서에 “단순하고 직접적이고 극기적인 선 수업의 계율적인 경향은 전투 정신과 일치한다. 전투하는 이는 언제나 싸움의 대상에 마음을 오롯이 쏟으며, 곁눈질해서는 안 되고 적을 부수기 위해 똑바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썼다. 이 원장은 “일제가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킨 뒤인 1938년 일본의 대륙 침략이 한창이던 때 스즈키가 이 글을 썼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또 “태평양전쟁 패전 후 스즈키는 일본이 사태를 잘못 파악해 큰 혼란으로 들어갔다는 문제의식을 갖기는 했고, 쇼와 일왕 부부에게 화엄사상을 가르치며 ‘다른 사물이 상처를 입으면 자신도 상처를 입는다’고 했다”며 “그러나 그 상처 속에 조선인의 상처와 무고한 죽음들이 포함돼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1946년 도쿄 전범재판석에 앉은 도조 히데키(맨 왼쪽) 등 일본군 전범들. 수많은 부하들과 민간인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그들 중 다수가 아무 책임도 지지 않고 다시 출셋길을 걸었다. <한겨레> 자료사진

그는 “니시다와 스즈키는 깨닫지 못한 이들에 의한 역사적 현실을 깨달음의 논리로 너무 쉽게 긍정했다”며 “그러다 보니 전쟁의 희생자, 아수라장, 거짓과 폭력 같은 구조적 폭력과 민중의 고통을 마치 가상세계 대하듯 간과해 마침내 침략도, 전쟁도, 죽임도 무화시킨 채 결국 천황제와 군국주의도 긍정했다”고 비판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