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08

Project MUSE - The Quaker Peace Testimony, 1660 to 1941 (review)



Project MUSE - <i>The Quaker Peace Testimony, 1660 to 1941</i> (review)




The Quaker Peace Testimony, 1660 to 1941 (review)
Jean R. Soderlund
Quaker History
Friends Historical Association
Volume 80, Number 2, Fall 1991
p. 108
10.1353/qkh.1991.0002
REVIEW
View Citation
Additional Information
In lieu of an abstract, here is a brief excerpt of the content:

Book Reviews Edited by Thomas D. Hamm 
The Quaker Peace Testimony, 1660 to 1941. 
By Peter Brock. York, Eng.: Sessions , 1991. viii + 387 pp. Notes, bibliographical postscripts, and index. Cloth, $40.00; paper, $19.95. U.S. distribution by Syracuse University Press. 

Peter Brock offers in this volume an exploration of the Quaker peace testimony from the beginnings of the Society of Friends in civil war England to 1914. His survey is based largely, though not entirely, on secondary sources; primary sources include tracts written by William Penn, John Bellers, and Jonathan Dymond, and nineteenth-century Quaker journals. The book ranges widely, incorporating discussions of the Quaker peace witness in France, Prussia, Norway, and Australia as well a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pacifism in Great Britain and North America. Brock seeks the genesis of Quaker pacifism in the 1650s and concludes, like other scholars, that before 1660 Friends held widely divergent views on the question of taking up arms. Among the earliest adherents to Quakerism were many soldiers and sailors of the Commonwealth: while some believed their new faith mandated conscientious objection, others kept their military positions. From a twentieth-century perspective even George Fox seems inconsistent during these years, as he personally adopted nonviolence but urged the Commonwealth to wage war against Catholicism. In the years after 1660, Friends developed a peace testimony that assumed orthodoxy by the nineteenth century. For over a century, Brock shows, Friends in Great Britain and North America (and Quaker-ruled Pennsylvania in particular) confronted the question of what constituted the just use of force. After 1800, Quakers everywhere were a very small sect. Under many flags they maintained a firm commitment to the absolutist position and exerted an influence, far beyond that which their numbers would warrant, upon governmental policies on the military draft. Nineteenth-century Quaker meetings required members to refuse military service of all sorts, including noncombatant alternatives, and forbade the hiring of substitutes or payment of fines. Young male Friends who failed to live up to this standard could be disowned. Mennonite churches, in contrast, permitted members to assume noncombatant duties. On the other hand, Friends generally approved payment of "mixed" taxes, that is, those designated for both military and nonmilitary purposes. Thus, Brock outlines the development of a coherent Quaker peace testimony, but he also makes clear that there was never unanimity among Friends about its meaning. He surveys the complexity of the evolution of Quaker pacifism and raises important ques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example, no one has yet studied the identity of the large number of Friends who chose to fight in the American Revolution or to measure the impact on the Society of the loss of these members. As Brock suggests, pacifism went farthest of all Quaker beliefs in distinguishing Friends who adhered to the peace testimony from members of other Protestant denominations . More intensive research is required before we can understand adequately how this commitment to pacifism shaped the Society's growth.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Jean R. Soderlund ...

The Quaker Peace Testimony: Living in the Power, Reclaiming the Source



The Quaker Peace Testimony: Living in the Power, Reclaiming the Source



The Quaker Peace Testimony: Living in the Power, Reclaiming the Source


The Quaker Peace Testimony is one of the popularly well‐known outward expressions of Quaker faith. But have we forgotten its source?

In a meeting for worship I attended a few years ago a woman rose and spoke about her work for peace. She told us of letters written and meetings attended; she certainly kept busy. She confessed that it is tiring work and she certainly sounded tired and put‐upon. But she said she’d keep at it and she quoted early Friends’ mandate to us: that we must work to take away the occasion of war.

Read contemporary Friends literature and you’ll see this imperative all over the place. From one brochure: “We are called as Friends to lead lives that ‘take away the occasion of all wars.’ ” Yet this statement, like many contemporary statements on Quaker testimonies, is taken out of context. The actor has been switched and the message has been lost. For the peace testimony doesn’t instruct us to take away occasions.
The Quaker Peace Testimony: Living in the Power

The classic statement of the Quaker peace testimony is the 1660 Declaration. England was embroiled in war and insurrection. A failed political coup was blamed on Quakers and it looked like Friends were going to be persecuted once more by the civil authorities. But Friends weren’t interested in the political process swirling around them. They weren’t taking sides in the coups. “I lived in the virtue of that life and power that took away the occasion of all wars,” George Fox had told civil authorities ten years before and the signers of the declaration elaborated why they could not fight: “we do earnestly desire and wait, that by the Word of God’s power and its effectual operation in the hearts of men, the kingdoms of this world may become the kingdoms of the Lord.”

For all of the over‐intellectualism within Quakerism today, it’s a surprise that these statements are so rarely parsed down. Look at Fox’s statement: many modern activists could agree we should take away occassion for war, certainly, but it’s a subordinate clause. It is not referring to the “we,” but instead modifies “power.” Our instructions are to live in that power. It is that power that does the work of taking away war’s occasion.

I’m not quibbling but getting to the very heart of the classic understanding of peace. It is a “testimony,” in that we are “testifying” to a larger truth. We are acknowledging something: that there is a Power (let’s start capitalizing it) that takes away the need for war. It is that Power that has made peace possible and that Power that has already acted and continues to act in our world. The job has actually been done. The occasion for war has been ended. Our relationship to this Power is simply to live in it. Around the time of the Declaration, George Fox wrote a letter to Lord Protector Oliver Cromwell :


The next morning I was moved of the Lord to write a paper to the Protector, Oliver Cromwell; wherein I did, in the presence of the Lord God, declare that I denied the wearing or drawing of a carnal sword, or any other outward weapon, against him or any man; and that I was sent of God to stand a witness against all violence, and against the works of darkness; and to turn people from darkness to light; and to bring them from the causes of war and fighting, to the peaceable gospel.

The peace testimony is actually a statement of faith. Not surprising really, or it shouldn’t be. Early Friends were all about shouting out the truth. “Christ has come to teach the people himself” was a early tagline. It’s no wonder that they stretched it out to say that Christ has taken away occasion for war. Hallelujiah!, I can hear them shout. Let the celebration begin. I always hear John Lennon echoing these celebrants when he sings “War is over” and follows with “if we want it.”

Obviously war isn’t over. People must still want it. And they do. War is rooted in lusts, James 4:1 – 3 tells us. Modern American greed for material things with ever more rapacity and blindness. We drive our S.U.V.s and then fight for oil supplies in the Persian Gulf. We worry that we won’t be popular or loved if we don’t use teeth‐whitening strips or don’t obsess over the latest T.V. fad. We aren’t living in the Power and the Deceiver convinces us that war is peace.

But the Power is there. We can live in that Power and it will take away more than occasions for war, for it will take away the lusts and insecurities that lead to war.
Speaking Faith to Power

When you’ve acknowledge the Power, what does faith become? It becomes a testimony to the world. I can testify to you personally that there is a Power and that this Power will comfort you, teach you, guide you. Early Friends were proselytising when they wrote their statement. After writing his letter to Cromwell, Fox went to visit the man himself. Cromwell was undoubtedly the most powerful man in England and anything but a pacifist. He had raised and led armies against the king and it was he who ordered the beheading of King Charles I. And what did Fox talk about? Truth. And Jesus.

George Fox stood as a witness just as he promised, and tried to turn Cromwell from darkness to light, to bring him from the cause of war to the peaceable gospel. By Fox’s account, it almost worked:


As I was turning, he caught me by the hand, and with tears in his eyes said, “Come again to my house; for if thou and I were but an hour of a day together, we should be nearer one to the other”; adding that he wished me no more ill than he did to his own soul. I told him if he did he wronged his own soul; and admonished him to hearken to God’s voice, that he might stand in his counsel, and obey it; and if he did so, that would keep him from hardness of heart; but if he did not hear God’s voice, his heart would be hardened. He said it was true.

This then is the Quaker Peace Testimony. I don’t think it can be divorced from its spiritual basis. In the twentieth century, many leading Friends tried to dilute the Quaker message to make it more understandable and palatable for non‐Friends. A line of George Fox was taken out of context and used so much that most Friends have adopted “that of God in everyone” as a unified creed, forgetting that it’s a modern phrase whose ambiguity Fox wouldn’t have appreciated. When we talk about peace, we often do so in very secularized language. We’re still trying to proselytize, but our message is a rationalist one that war can be solved by technocratic means and a more democratic apportionment of resources. Most contemporary statements have all the umph of a floor speech at the Democratic National Convention, with only throw‐away references to “communities of faith,” and bland statements of “that of God” hinting that there might be something more to our message.
The freedom of living the Power

We actually share much of the peace testimony with a number of Christians. There are many Evangelical Christians who readily agree that there’s a Power but conclude that their job is just to wait for its return. They define the power strictly as Jesus Christ and the return as the Second Coming. They foresee a worldly Armageddon when peace will fail and thousands will die.

That’s not our way. Friends pulled Christianity out of the first century and refused to wait for any last century to declare that Jesus is here now, “to teach his people himself.” We keep constant vigil and rejoice to find the returned Christ already here, deep in our hearts, at work in the world. Our way of working for peace is to praise the Power, wait for its guidance and then follow it’s commands through whatever hardship await us. When we’re doing it right, we become instruments of God in the service of the Spirit. Christ does use us to take away the occasions for war!

But the waiting is necessary, the guidance is key. It gives us the strength to overcome overwork and burn‐out and it gives us the direction for our work. The slickest, most expensive peace campaigns and the most dramatic self‐inflating actions often achieve much less than the simple, humble, behind‐the‐scenes, year‐in, year‐out service. I suspect that the ways we’re most used by the Spirit are ways we barely perceive.

Quaker ministry is not a passive waiting. We pray, we test, we work hard and we use all the gifts our Creator has given us (intelligence, technologies, etc.). There are problems in the world, huge ones that need addressing and we will address them. But we do so out of a joy. And through our work, we ask others to join us in our joy, to lift up the cross with us, joining Jesus metaphorically in witnessing to the world.

The modern‐day President ordering a war suffers from the same lack of faith that George Fox’s Cromwell did. They are ignorant or impatient of Christ’s message and so take peace‐making into their own hands. But how much do faithless politicians differ from many contemporary peace activists? When I blockade a federal building or stand in front of a tank, am I trying to stop war myself? When I say it’s my job to “end the occasion for war,” am I taking on the work of God? I feel sad for the woman who rose in Meeting for Worship and told us how hard her peace work is. Each of us alone is incapable of bringing on world peace, and we turn in our own tracks with a quiet dispair. I’ve seen so many Quaker peace activists do really poor jobs with such a overwhelmed sense of sadness that they don’t get much support. Detached from the Spirit, we look to gain our self‐worth from others and we start doing things simply to impress our worldly peers. If we’re lucky we get money but not love, respect but not a new voice lifted up in the choir of praise for the Creator. We’ve given up hope in God’s promise and despair is our ever‐present companion.
Our testimony to the world

It doesn’t need to be this way. And I think for many Friends it hasn’t been. When you work for the Power, you don’t get attached to your work’s outcome in the same way. We’re just footsoldiers for the Lord. Often we’ll do things and have no idea how they’ve affected others. It’s not our job to know, for it’s not our job to be sucessful as defined by the world. Maybe all the work I’ve ever done for peace is for some exchange of ideas that I won’t recognize at the time. We need to strive to be gracious and grounded even in the midst of all the undramatic moments (as well as those most dramatic moments). We will be known to the world by how we witness our trust in God and by how faithfully we live our lives in obedience to the Spirit’s instructions.
Related Reading

Again, the link to the 1660 Declaration is the first stop for those wanting to understand Friends’ understanding on peacemaking.

Quaker Historian Jerry Frost talked about the peace testimony as part of his history of twentieth century Quakerism (“Non‐violence seemed almost a panacea for liberal Friends seeking politically and socially relevant peace work”). Bill Samuel has written a history of the peace testimony with a good list of links. Lloyd Lee Wilson wrote about being a “Christian Pacifist” in the April 2003 edition of Quaker Life.

If wars are indeed rooted in lust, then nonviolent activism should be involved in examinating those lusts. In The Roots of Nonviolence (written for Nonviolence.org), I talk a little about how activists might relate to the deeper causes of the war to transcend the “anti‐war” movement. One way I’ve been exploring anti‐consumerism in with my re‐examination of the Quaker tradition of plain dress.

For reasons I can’t understand, people sometimes read “Living in the Power: the Quaker Peace Testimony Reclaimed” and think I’m “advocating a retreat from directly engaging the problems of the world” (as one Friend put it). I ask those who think I’m positing some sort of either/or duality betwen faith vs. works, or ministry vs. activism, to please reread the essay. I have been a peace activist for over fifteen years and run nonviolence.org [update: ran, I laid it down in 2008), a prominent website on nonviolence. I think some of the misunderstandings are generational.

Related

Quaker Testimonies

One of the more revolutionary transformations of American Quakerism in the twentieth century has been our understanding of the testimonies. In online discussions I find that many Friends think the "SPICE" testimonies date back from time immemorial. Not only are they relatively new, they're a different sort of creature from…

10/15/2004

In "Quaker"

Peace and Twenty-Somethings

Over on Nonviolence.org, I've posted something I originally started writing for my personal site: Where is the grassroots contemporary nonviolence movement? It asks why there's no the kind of young, grassroots culture around peace like the networks that I see "elsewhere on the net." The piece speaks for itself but…

10/17/2003

In "Nonviolence"

Conflict in meeting and the role of heartbreak and testing

A few weeks ago a newsletter brought written reports about the latest round of conflict at a local meeting that's been fighting for the past 180 years or so. As my wife and I read through it we were a bit underwhelmed by the accounts of the newest conflict resolution…

09/16/2008

In "Quaker"Posted January 1st, 2005 , in Quaker.Tagged activists, actor, Bill Samuel, counsel, doesn, faith, george fox, gospel, heart, history, jerry frost, Jesus Christ, job, joy, king, lloyd lee wilson, need, nonviolence.org, oil supplies, peace testimony, persian gulf, Quaker peace testimony, spirit, testimonies, testimony, United Kingdom, use, voice, war, witness, work
Post navigation
← GRIEF AT THE ASIAN TRAGEDIES
KWAKERSAUR: JESUS VS CHRIST VS DISCERNMENT →

15,634 thoughts on “The Quaker Peace Testimony: Living in the Power, Reclaiming the Source”

Alastair McIntosh, Scotland
12/05/2011 at 3:04 am


This is a brilliant piece on the peace testimony. For many years I have taught a university course on spiritual activism and I also lecture regularly to the UK military on nonviolence (there is stuff on all this on my website). More and more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often not very popular, that what we are generally missing in our activism is the centrality of God, and the ability to relax back into what we are trying to achieve and to let go of anticipated outcomes because our task is to serve the greater Power of which you speak, and not try and subsume it, especially not by application of reason. Actually, the Hindu Bhagavad Gita is very good on this — it is what karma yoga, the yoga or God‐union of work in the world is all about, and Jesus equally taught it when he spoke of the one hand working without the other knowing, of lending without expectation of return, etc.. On the question of Power I presume you are familiar with Walter Wink’s “Engaging the Powers”? He has got dementia now, but considers himself to have become a Friend for reasons of the kind of theology you lay out here. Lastly, I am delighted that you identify with what I think of as “the ranter tendency” in Quakerism: very necessary to counterpoint the bourgeoise tendency that can be good for bringing in the money but not so helpful for putting spine into engaging the Powers. Go well…

Deborah Dakin
09/18/2012 at 7:41 am


Reading James Cone (and other Black theologians) teaches me that Jesus is alive today and on the side of the oppressed. This is the essence of Black theology. Anything else is intellectual or emotional drivel, and meaningless. This is one example of others experiencing what Fox referred to and lived, in our own time. Because it is a Truth. We would do well as Friends to join with those who also live the message. Thank you for this essay.

Comments are closed.

한국 정부의 ‘평화 경제’ 구상 l KBS WORLD Radio



한국 정부의 ‘평화 경제’ 구상 l KBS WORLD Radio




한국 정부의 ‘평화 경제’ 구상

#화제의 초점 l 2019-08-22

목요진단 한반도
Share


© YONHAP News

(문재인 대통령) 2045년 광복 100주년까지는 평화와 통일로 하나된 나라, 원 코리아(One Korea)로 세계 속에 우뚝 설 수 있도록 그 기반을 단단히 다지겠다고 약속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통일의 구체적인 실현 수단으로 평화 경제 구상을 천명했습니다.

연이은 미사일 발사와 강도 높은 말 폭탄까지,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평화 경제의 비전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통일연구원, 조한범 선임 연구위원과 진단합니다.



<조한범. 남> 문대통령께서 말씀하시는 평화경제의 핵심은 결국 지금 일본의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 또 중국의 한국에 대한 사드(THAAD) 보복 이런 것처럼 또 이제 남북의 분단 가장 중요한 게 이런 안보적 불안전성이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경제협력, 경제공동체형성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판단인 거죠. 그러니까 만일에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안보 문제 평화가 정착이 되면 이런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근본적으로 해소가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게 첫 번째구요. 북미 비핵화 협상 즉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이미 불가역적인 단계에 접어들었다라는 게 제 판단이구요. 그렇다고 보면 결국 평화와 번영, 한반도 평화상태의 진전에 따라서 공동의 번영을 추구하는 그러니까 문 대통령께서 언급하셨던 신 한반도체계, 새로운 한반도를 만드는 수단이자 목표가 평화경제라는 걸 의미하구요. 여기에 대한 어떤 신념이 배어있는 언급이라고 봐야 하겠죠.




평화 경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태도는 확고합니다.

지난 5일, 일본 경제 보복 및 일본경제 의존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평화 경제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9일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도 평화 경제에 대한 의지를 다졌습니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도 지난 20일, ‘현재의 한반도 정세는 평화 경제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평화 경제 구상에는 한반도의 장밋빛 미래가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조한범. 남> 지금 유라시아 대륙의 물류 체계가 북한 MDL( military demarcation line) 군사분계선에서 끝나는 거고 또 태평양의 교통물류체계는 부산항에서는 더 이상 더 올라올 수가 없는 그런 구조거든요. 그러니까 분단체제를 만일에 해소한다고 하면 유라시아 태평양 경제권의 교통 물류체계에 혁명이 일어나는 거죠. 한국이 일종의 경제허브가 되는 거점국가가 되는 거고, 또 하나는 분단체제를 해소하게 되면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그 다음에 동북3성 개발, 그 다음에 러시아가 추구하고 있는 극동시베리아 개발 즉, 신동방경제, 그 다음에 북한 재건, 이 세 가지가 융합이 된다고 그러면 충분히 세계 6위는 달성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이건 세계적인 투자가, 짐 로저스(Jim Rogers)가 이미 예측을 한 겁니다. 우리가 아니라. 그렇기 때문에 한반도를 세계 경제 성장의 새로운 엔진으로 만들 수 있죠. 분단 체제 해소라고 하는 것이.




통계청이 추계한 지난 해 국내 인구수는 5천 161만명. 미국 중앙정보국(CIA) 팩트 북에 따르면 북한 인구는 2천 538만명으로 추산됩니다. 이를 합산하면 약 8천만 명으로 평화 경제가 실현될 경우, 저출산, 고령화로 줄고 있는 경제활동인구를 늘리고, 소비를 키울 수 있습니다.

국방비 등 분단국가라는 특수성 탓에 드는 비용도 줄일 수 있습니다.

통일 한반도의 경제 규모는 이미 많은 연구기관에서 전망했습니다. 영국 경제경영연구센터의 ‘세계 경제 성적 일람표 2019’에 따르면 2030년대, 통일 한국의 GDP는 세계 6위로 예상됩니다. ‘골드만 삭스(goldmansachs)’는 2009년 보고서를 통해서 2050년 통일 한국의 1인당 소득이 8만 6천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무엇보다 평화 경제는 남북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조한범. 남> 북한은 사실은 지난 해부터 올 하노이 결렬 이전까지는 계속 전향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과거와 다르게 북미 관계 그 다음에 남북 관계를 동시에 가져갔구요. 과거엔 통미봉남이었거든요. 그 다음에 군사적 신뢰구축과 교류의 확대를 동시에 가져갔어요. 지난 해 9.19 군사합의처럼 평양 군사 분야 안보 분야에서도 상당히 신뢰가 구축이 되고 교류도 같이 가는 모습을 보였는데 지금 비핵화 협상이 진전이 안 되면서 단기적으로는 남북 관계의 난관이 조성이 되고 있고 비핵화 협상에도 난관이 조성이 되고 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이런 평화경제에 대한 문대통령의 강조는 단기적인 난관을 넘어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결국 평화경제로 귀결될 수 있는 큰 흐름의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렇게 볼 수 있구요. 결국 경제를 선택한 북한도 여기에 호응할 거라는 문대통령의 판단이 깔려있는 거다. 이렇게 봐야 겠죠.




문재인 대통령이 평화경제론을 재차 역설한 것은 남북 관계의 중장기적인 미래를 고려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북한의 무력 도발이 3차 북·미 정상회담의 협상력을 위한 지렛대로 판단하고, 양국 사이에서 비핵화 중재역을 하겠다는 의지로 분석됩니다.

그런데 북한은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북한은 16일,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동해상으로 발사했고,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대해서도 비난 담화를 내놓았습니다.

한국의 평화 경제 구상에 북한이 강하게 응수하면서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조한범. 남> 한국을 격렬하게 비난을 하지만 사실은 그 구조에는 미국과의 관계 개선 비핵화 협상 교착에 대한 북한의 불만이 배어있는 거구요. 그러니까 비난의 대상의 목표는 한국이라기보다는 미국인 거구요. 그런데 미국을 직접 공격을 하면 대화 국면이 깨질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은 좀 조심스러워하는 경향이 있구요. 결국 최근의 입장을 보면 통미봉남이 아니구요. 선미후남이죠. 그러니까 미국관의 관계를 먼저 개선하고 그 다음에 남한과의 남북관계를 가져가겠다. 왜냐하면 김정은 위원장의 경제건설총력집중노선에서 그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국의 협력이 없는 김정은 위원장의 경제 이슈는 완성이 안 되거든요. 최근에 ‘남북관계를 완전히 배제하겠다 뭐 다시 자리에 같이 앉을 생각을 하지 마라’ 이런 것도 완전히 남북관계를 배제하는 거라기 보다는 선미후남 즉 미국과의 문제를 풀어야 남북관계도 된다는 전략적인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여집니다.




북미 관계의 진전이 없는 한, 북한이 원하는 남북관계의 형성이 어렵다는 판단 하에 북한은 ‘선미후남(先美後南)’ 전략으로 전환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북미 협상이 진행되더라도 남북 관계와는 분리해 다루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남북 관계의 향배는 북미 실무협상 과정에 따라서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조한범. 남> 결국 북한이 원하는 건 남북 경협입니다. 남한과의 협력이 없이는 사실은 북한 김정은 위원장 경제전략이 성공하기 어렵구요. 이미 금강산, 개성공단과 남북교류에 대한 북한의 입장이 드러나죠. 금강산 개성공단을 우리 측도 원하지만 북한이 더 강하게 금강산, 개성공단 재개를 원하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결국 북미 관계 개선이 이루어지게 되면 단기적으로 실리를 추구할 수 있는 건 남북경협이거든요. 남북 모두 상호 윈윈, 상호 공존 공영이 가능한 남북 경협이기 때문에 북미관계의 물꼬가 터지면 저는 뭐 당연히 남북교류 특히 남북경협은 어떤 획기적인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게 또 평화 경제의 일환이기도 하구요.




문재인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지금이 한반도 비핵화의 가장 중대한 고비지만, 이 고비만 넘어서면 남북관계의 큰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강하게 반발하던 하반기 한미 연합훈련도 지난 20일, 종료됐고, 비건(Biegun) 미국 대북특별대표도 한국을 방문한 만큼 북미 대화 재개가 남북 관계 진전과 평화 경제 구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봅니다.

“가나안성도는 ‘제도로서의 교회’ 불편하다” - 기독신문



“가나안성도는 ‘제도로서의 교회’ 불편하다” - 기독신문


“가나안성도는 ‘제도로서의 교회’ 불편하다”

노충헌 기자
승인 2018.11.29 23:13


실천신대원ㆍ한국교회탐구센터 ‘가나안성도 신앙생활 탐구’ 연구세미나
-------

신앙과 생활 일치하지 않는 권의주의적 교회에 실망
“교회 불출석에 신앙 버렸다는 편견 갖지 말라” 당부
‘상수’가 된 이탈현상 근본적 해결 위한 실질 대책 시급

‘가나안성도’들을 교회가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를 살펴본 설문 및 연구 조사결과가 나왔다.

실천신대원21세기교회연구소(소장:정재영 교수)와 한국교회탐구센터(소장:송인규 교수)는 11월 30일 기독교회관에서 ‘가나안 성도 신앙생활 탐구’를 주제로 연구세미나를 진행했다. 이번 세미나는 가나안 성도들의 상황을 파악하는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교회가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연구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가나안성도는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은 있지만 현재 교회에 출석하지 않으면서 개인적으로 신앙생활을 하는 기독교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교회를 ‘안나가’는 기독교인이라는 단어를 거꾸로 칭해서 ‘가나안’성도라고 부르고 있다. 한국교회가 가나안성도에 대해서 연구를 하는 이유는 최근 연구들을 미뤄볼 때 그들의 숫자가 200만명 이상 될 것이라고 추정되기 때문이다. 전체 교회성도의 20%에 육박하는 것이다.

21세기교회연구소와 한국교회탐구센터는 2018년 10월 4일~16일 가나안성도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해서 826명의 응답을 얻었다. 조사 대상은 ‘1년에 2회 이하 교회출석자와 교회 불출석자’들이다. 설문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신앙연수가 11년 이상됐던 사람이 78.9%(620명)나 된다는 점이었다. 교회를 떠난지 11년 이상됐다는 의미다. 응답한 가나안성도들이 교회를 떠난 후 경과 시간이 평균 7.7년이었고 교회를 떠나기 전에 평균 20.1년을 신앙생활을 했다고 한다. 이렇게 오랫동안 교회를 다녔음에도 적지 않은 이들이 중도탈락했다는 사실은 교회의 책임이 없다고 말할 수 없게 한다.


이들은 왜 교회를 떠났을까? 응답자들은 ‘꼭 교회에 가야겠다는 마음이 생기지 않아서’(31.2%), ‘개인적 이유’(18.8%), ‘자유로운 신앙생활’(13.9%) 순으로 답했다. 교회를 떠나기 전에 정기적으로 출석했던 교회에 대해서 가졌던 인식을 물었는데 ’출석했던 교회에서는 신앙에 대해 어떤 질문이든 자유롭게 하지 못한다‘(42.5%). ’출석했던 교회에서는 개인의 신앙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다‘(66.9%), ’출석했던 교회 목회자는 권위주의적이다‘(53.6%), ’출석했던 교회 교인은 신앙과 생활이 일치하지 않는다‘(65.8%)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교회를 떠난 후의 예배 경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교회를 이탈한 후 교회에서 예배를 드린 적이 있다’(69.1%), ‘교회 이탈 후 드린 교회 예배는 비정기적이었다’(80.2%), ‘교회 이탈 후 기독교 TV로 예배를 드린 적이 없다’(79.8%), ‘교회 이탈 후 온라인/모바일로 예배를 드린 적이 없다’(79.6%), ‘교회 이탈 후 다른 가나안 성도들과 함께 예배드린 적이 없다’(77.1%)로 응답했다. 가나안성도가 된 후 교회에 나가서 예배를 드린 경험은 있지만 비정기적이었고, 대중매체를 통한 예배에 참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 예배 형태별로 참여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일반 교회에 가서 예배를 드리고 싶은 의향이 있다’(59.7%), ‘가정 예배를 드리고 싶은 의향이 있다’(40.6%), ‘기독교방송으로 예배를 드리고 싶은 의향이 있다’(27.4%), ‘혼자 예배를 드리고 싶은 의향이 있다’(52.9%)라고 표현했다. 돌아가고 싶은 교회가 있다면 예배당을 찾을 뜻이 있다고 밝혔다.


교회를 이탈 후에 가나안성도들은 신앙생활을 어떻게 했을까? ‘교회 이탈 후 교회 외 신앙 모임에 참여한 적이 없다’(93.7%)가 거의 전부였다. ‘향후 가나안 성도의 모임이 있으면 참여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66.5%가 없다고 밝혔다. ‘가나안성도 모임에 참석할 의향이 없는 이유’는 ‘모임에 얽매이기 싫어서’(58.3%)가 가장 많았다. 극소수만이 ‘교회를 이탈 후 자신의 신앙이 더 확실해 졌다’(3.5%)고 응답했다. 또 ‘언젠가 교회에 다시 나가고 싶다’(52.2%)는 의지를 보였다. 다만 ‘신앙과 생활이 올바른 목회자가 있는 교회’(46.0%), ‘예배 형식이 자유로운 교회’(18.2%), ‘생활의 모범을 보이는 교인이 있는 교회’(9.9%)에 나가고 싶다는 뜻을 드러냈다. 이들은 ‘교회를 출석하지 않는다고 해서 기독교신앙을 버린 것으로 보는 편견을 가지지 말아달라’(60.9%)고 당부했다.

설문조사 결과 가나안성도들은 교회에 대한 염증과 개인적인 편리함 때문에 교회를 떠난 것으로 파악됐다. 초신자 뿐만 아니라 구원의 확신이 있고 교회를 오래 다녔던 교회인들의 상당수가 가나안성도가 됐다는 점에서 상황의 심각성을 알게 했다. 교회를 떠난 뒤 하나님에 대한 신뢰나 성경에 대한 믿음 등 교리를 그대로 믿고 있으나 대개 비정기적인 신앙생활을 하고 있었다. 신앙에 대한 확신과 깊이가 떨어지고 있었다. 좋은 교회가 생기면 다시 출석할 의지는 있지만 실제로 교회나 기독교인 예배 그룹에 쉽게 참여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들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고 그들에게 접근하는 교회의 태도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게 해 준다.

설문조사를 담당한 정재영 교수(실천신대)는 교인들이 교회에 적응한 뒤 실제적인 신앙 차원에서 당면하는 여러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회는 성도들이 구원의 확신을 넘어 보다 실제적인 차원의 신앙 문제에 관심을 갖고 신앙이 성숙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정 교수는 “가나안성도들은 제도로서의 교회를 불편해 한다”면서 “이제는 개교회의 도덕적인 성찰 뿐만 아니라 교회 제도 자체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고민을 해야 할 때가 되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대량생산 대량소비가 아니라 개인 맞춤형 생산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교회도 획일적인 신앙관을 추구하기 보다 다양해진 신앙의 필요를 채워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인규 소장은 설문발표 이후 ‘가나안성도 지원 작전’이란 제목으로 강의를 했다. 송 소장은 가나안 성도 현상의 원인을 ▲세속화 ▲교회염증 ▲개인주의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송 소장은 가나안성도를 부정적으로만 봐서는 문제해결을 할 수 없다면서 “가나안성도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규명하고 해결책을 강구해 나가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목회자는 지도자 특유의 탐심과 싸우고 끊임없는 자기 발전을 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성도들은 활발한 교제를 나누고 세상 속에서 소금과 빛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했다. 대안공동체를 활성화시키고 온라인을 통한 소통과 공감 등 비공동체적 장을 마련하는데도 눈을 돌려야 한다고 언급했다.

송인규 소장은 “가나안성도의 이탈 현상은 앞으로도 절대로 그냥 누그러질 일이 아니다”면서 “한국교회에 속한 우리 모두는 이 문제를 앞에 놓고 고민하고 대책을 강구하며 하나님께 기도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나안 성도’ 5년 새 배로 늘어-국민일보



‘가나안 성도’ 5년 새 배로 늘어-국민일보

‘가나안 성도’ 5년 새 배로 늘어
한목협 ‘2017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입력 : 2017-12-29 00:00



기독교인이라고 자처하지만 교회엔 나가지 않는, 이른바 ‘가나안 성도’가 5년 사이 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같은 기간 헌금 액수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한목협·대표회장 이성구 목사)는 28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한국기독교회관에서 ‘2017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대상 1000명의 기독교인 가운데 ‘교회에 다니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23.3%였다. 직전 조사 시점인 2012년(10.5%)에 비해 12.8% 포인트 높아진 수치로, 1998년(11.7%), 2004년(11.6%)보다 낮아졌다가 최근 5년 만에 급증한 것이다.

가나안 성도들이 ‘교회에 나가지 않는 이유’로는 ‘얽매이거나 구속되기 싫어서’가 44.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목회자들의 좋지 않은 이미지’(14.4%), ‘교인들의 배타성’(11.2%) 등이 뒤를 이었다. 가나안 성도 대부분이 타의보다는 자발적으로 교회에 나가고 있지 않는 것이다.

교회의 대내외 사역 및 사역자 생활과 직결되는 헌금 액수도 5년 전에 비해 감소했다.

기독교인들의 월평균 헌금액은 2017년 17만5700원이었다. 1998년 8만3000원에서 2012년 22만2000원까지 올랐으나 올 들어 20% 정도 감소한 것이다. ‘십일조를 내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도 2012년 28%에서 2017년 39.5%로 크게 늘었다. 이 같은 헌금 감소는 교회가 펼치는 구제 및 선교 등의 중장기 사역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주관식으로 ‘기독교인들에게 가장 존경받는 목회자’를 묻는 설문 결과도 공개됐다. 고 한경직 목사가 14.5%로 1위에 올랐다. 이어 고 옥한흠(6.8%), 고 주기철(5.3%), 조용기(3.3%), 장경동(2.9%), 고 손양원(2.6%), 이찬수(2.2%), 고 하용조(2.1%) 목사 등의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앤컴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5000명, 기독교인 1000명, 비기독교인 1000명을 상대로 지난 9월 22일부터 10월 20일까지 진행됐다.

이현우 기자 base@kmib.co.kr, 그래픽=이영은 기자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875424

가나안 성도 - 나무위키





가나안 성도 - 나무위키







가나안 성도



최근 수정 시각: 2019-09-05 13:53:38





분류

기독교 신자

기독교 신앙을 갖고 있지만 교회에 나가지 않는 기독교인을 말한다. 가나안이라는 표현은 '안나가'를 거꾸로 뒤집은 말인데, 함석헌 선생의 글에서 기원을 찾기도 하지만 사실상은 신학교 언저리에서 떠돌던 언어유희 중 하나이다.

“제가 떠난 것이 이상한 것이 아니라 이런 상황에서 사람들이 거기에 여전히 남아 있는 이유가 정말 궁금합니다. 교회를 개혁하기 위해서 남아 있는 건가요, 아니면 그냥 관성으로 남아 있는 건가요?” (양희송, <가나안 성도 교회밖 신앙> 중에서)






1. 개념2. 현황3. 참고문헌

1. 개념[편집]

개신교에서는 관례적으로 '교회에 나간다'는 것이 개신교 신앙을 갖고 있다는 관용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니 교회에 나가지 않는다고 하면 기독교 신앙을 떠나는 것으로 여겨져왔다. 하지만 이 개념은 신학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보면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는 식의 카톨릭 신학과 더 가까운 것이지 하나님 앞에서 개개인의 신앙 양심을 중요하게 여기는 개신교 신학과는 딱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 물론 개신교도 교회를 중요하게 여기고 구원의 중요한 통로 중 하나로 여기지만, 교회만이 구원의 통로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교회에 안나가는 기독교인'이 이론적으로는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이론 뿐 아니라 현실적으로 한국 교회의 부패가 심각해져가면서 '신앙좋은' 이들이 교회에 환멸을 느끼고 교회를 뛰쳐나오는 일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런 이들은 스스로 기독교인이라는 자의식을 갖고 있고, 나름대로 신앙적 활동도 하지만 교회에는 소속되지 않고, 오히려 교회 개혁이나 새로운 신앙운동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런 흐름에서 신학교 언저리에서 떠돌던 '가나안 성도'라는 표현이 해학적으로 등장했고, 복음주의 활동가 양희송종교사회학자 정재영이 본격적으로 담론화 하면서 한국 기독교의 중요한 현상으로 부각 되었다.



일각에서는 교회에 출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기독교 신앙 자체를 잃어버린 사람들을 '가나안 성도'라는 고상한 표현으로 옹호해준다고 해서 표현 자체를 비난한다. 물론 그런 이들도 스스로를 가나안 성도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양희송이나 정재영의 책을 보면 알겠지만 교회에 출석하지 않지만 확고한 기독교적 자의식을 갖고 있는 사람을 '가나안 성도'라고 한다. 가톨릭의 냉담자와 같은 개념으로 여겨지는 경향도 있지만, 냉담자와는 확연히 분리되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해외에서는 이미 'Believing without Belonging (소속없는 신앙)' 혹은 'Unchurched Christian (교회 없는 크리스천)' 같은 표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역시 유럽(특히 북유럽)의 세속화된 기독교 사회에서 교회를 안나가면서도 기독교적 문화 속에 사는 사람들[1]과는 구분해서 생각해야 하고, 북미에서 많이 나타난다.



2. 현황[편집]



예전에는 한목협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기독교인의 10%정도를 가나안 성도로 추산했다.[2] (그만큼 안되지만) 대충 한국 기독교인을 천만이라 보면 백만정도가 가나안 성도라는 말이었다. 이 숫자가 지나치게 과장되었다는 논란이 있었는데, 오히려 최근 여러 조사 결과에서 숫자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2017년 최신의 통계에 따르면 청년층의 28%가 가나안 성도라는 통계도 있다.[3]. [4]

가나안 성도들을 위한 예배모임도 있고[5], 가나안 성도들끼리 교회를 만든 경우도 있다[6]. 근데 교회를 나와 새로운 교회로가면 가나안가나교인인가?



일부 기독교인은 '교회 모임은 거부하지만 최소한의 양심상 예배만 드리는' 케이스도 있는데, 기존 모임에서 뭔가 문제가 있었다든가 정신과 등의 이유로 사람 만나기가 부담스럽다거나 주일에도 출근해야 한다는 이유라면 모르겠지만, 그냥 본인이 자의적으로 그렇게 하는 거라면 차라리 교회를 안 가는 것보다 뭐가 나을 게 있나 싶다...



3. 참고문헌[편집]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 양희송 지음, 포이에마, 2014

<교회 안 나가는 그리스도인: 가나안 성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정재영 지음, IVP, 2015

<처치리스>, 조지 바나, 데이비드 키네만 지음, 터치북스, 2015





[1] 한국사람이 일상 생할에서 유교문화와 완전히 분리될수 없는 것과 같다.

[2] http://christian.nocutnews.co.kr/news/1027411

[3]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14061

[4] 가톨릭의 냉담자는 연 2차례의 판공성사를 받지 않으면 교적상으로 따로 관리되므로 그 정확한 통계가 나오지만, 개신교는 원래 신도의 개념이 교회에 속박된 존재가 아니므로 그 숫자가 왔다갔다 한다.

[5] http://ichungeoram.com/10139[6]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13688

언덕교회 창립배경과 선언문

언덕교회

창립배경과 선언문
>
교회소개 >
창립배경과 선언문





​ 창립배경과 취지



언덕교회는 수많은 교회 중 또 하나의 교회가 되고자 하지는 않습니다. 언덕교회는 한국교회의 병든 모습을 애석하게 생각하면서, 평신도가 깨어 건강하게 일구어 나가는 교회의 본이 되고자 출발하였습니다. 우리 교회만이 아니라 이 땅의 모든 교회가 이러한 목적에 동참할 수 있도록 연합하는 노력을 할 것입니다.​



1.교회개혁에 위한 절박한 몸부림



한국교회의 병든 모습을 슬퍼하며 한국교회의 건강회복을 위한 종교개혁이 절실하다는 논의와 열망은 무성하지만 이의 실천을 위한 노력의 결집은 찾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력이나마 더 늦기 전에 “우리부터라도 시작 해야겠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창립된 것이 언덕교회입니다.​


2.교회 민주화의 모범​​




사제적 권위주의, 개교회 패권주의, 차별주의, 기복신앙, 낭비와 사치, 외형성장주의, 불투명한 교회재정 운용, 도덕적 타락, 목회자 세습, 사회적 사명의 실종 등으로 얼룩진 한국교회의 병든 모습의 근원을 따져보면 목회자의 사제적 권위주의 및 평신도의 우민성으로 귀결됩니다. 물론 일차적 문제는 교권의 소유자인 목회자의 사제적 권위주의라 할 수 있지만 이를 방관하거나 조력하는 평신도의 우민성도 빼놓을 수 없는 문제이므로 양자가 동시에 지적되어야 합니다. 이들 두 가지 문제는 결국 비민주적 교회 또는 권위주의적 교회를 만들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치유책은 교회의 민주화입니다. 목회자의 권위주의가 불식되어야 하며, 평신도가 각성한 기독시민이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언덕교회는 교회민주화의 모범이 되고자 합니다.



3. 인치(人治)를 억제하는 민주적 제도화




우리는 누구나 죄성을 가진 불완전한 인간이며 따라서 누구도 전적인 신뢰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우리는 인간에 대한 전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인치를 배제해야 합니다. 특히 교회 내 권력이 특정인이나 집단에 귀속되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권력의 집중은 필연적으로 사람을 타락시켜 독재로 이어지기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일탈을 경계하는 민주적인 제도를 잘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론 제도를 움직이는 것은 인간이기 때문에 제도만이 전부일 수는 없으며 따라서 인간에 대한 민주시민성 계발도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일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사람의 일탈에 대한 적정한 제어장치로서의 제도화입니다. 민주적 제도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인간의 죄성에 의한 타락은 무한정 확대될 수 있는데, 제도는 이를 적절히 제어하는 제동장치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더욱이 제도는 인간의 생각을 변화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으며 효과도 빠르게 나타납니다. 언덕교회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교회운영에 있어서 인간의 죄성에 바탕한 일탈의 가능성을 억제하고 교인간의 적절한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기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창립총회에서 교회규약을 제정하여 이 제도에 의하여 교회운영의 근간이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어느 개인이나 집단이 교회운영을 전단하지 못하도록 제어장치를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점에서 언덕교회는 한국 초유의 교회가 되었습니다.



4. 평신도(성도)의 주체적 역할




한국교회의 평신도는 목회자에 대한 굴종과 교회문제에 대한 방관자적 입장에 안주함으로써 주체적 기독시민이 되지 못하여 왔습니다. 이러한 와중에서 목회자의 전횡은 제어되지 않고 평신도는 그저 탄식만 하는 사이에 한국교회는 중병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이라도 평신도가 각성하여 주체의식을 가지고 기독시민성을 회복한다면 목회자가 올바로 자리매김을 하고 교회도 건강해질 수 있습니다. 언덕교회는 이러한 자각에서 목회자의 창도에 의지하지 않고 뜻있는 평신도들의 합력으로 교회를 시작함으로써 목회자와 평신도의 협력적 섬김의 관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5. 교회개혁운동의 군수기지




언덕교회는 한국교회의 개혁에 관심을 갖습니다. 교회개혁을 위한 운동은 최전방에서 전투를 직접 담당하는 ‘전위대’와 전위대를 후방 지원하는 ‘군수기지’의 역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언덕교회는 시민단체가 아니며 따라서 일차적으로 전위대보다는 군수기지가 되고자 합니다. 개혁전선에서 고군분투하는 기독시민단체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든든한 기지로서의 ‘언덕’이 되고자 합니다. 아울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위대의 역할도 적극 담당하고자 합니다.



6. 대안이 아닌 보편적 모델교회




언덕교회가 건강하게 선다는 것을 전제로 할 때, 언덕교회의 전례가 다른 교회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다른 교회들과의 공통분모가 확보되어야 합니다. 다른 교회들과 너무 다르면 그러한 교회는 아무리 건강해도 이상한 교회, 특이한 교회, 기껏해야 대안교회로 치부되고, 따라서 주류 교회에 실질적 영향을 미칠 수는 없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언덕교회는 최대한 기존의 주류 교회와의 공통분모를 확보하면서 교회의 건강성을 추구하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모범 교회가 되고자 합니다. 특히 교회개혁에 관심을 갖는다고 해서 예배, 선교, 봉사, 교제 등 교회 본연의 핵심적 기능이 소홀히 취급되지 않도록 각별한 관심을 갖습니다. 사람의 건강도 그렇지만 교회의 건강 역시 교회의 모든 측면에서 균형적인 관심과 발전이 이루어져야 가능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언덕교회는 한국교회의 건강한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시대적 요구에 따른 변화는 적극 수용함으로써 과거와 미래를 잇는 한국교회의 표준적 모형이 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교회의 건강한 전통과 현대적 요구의 조화를 기할 것이 요구됩니다. 이를 위하여 ① 복음적 전통을 지키고, ② 불필요한 폐습을 버리며, ③ 건강한 교회의 특징이 외견적으로 나타나도록 노력합니다.



​ 언덕교회의 정체성




언덕교회의 정체성에 대하여 묻는 분이 많습니다. 언덕교회의 정체성은 교회규약과 선언문을 통하여 제시된 바와 같습니다. 이러한 정체성은 계속 유지되고 발전되어야 합니다. 언덕교회의 정체성은 한 두 사람의 주장만으로 확립될 수 없으며 또 그렇게 되어서도 아니 됩니다. 기본적으로 언덕교회의 정체성은 교회의 운영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가는 것입니다. 언덕교회의 정체성을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1. 우선 외부로 압축되어 표출되는 언덕교회의 정체성은 한마디로 “건강한 교회, 일하는 교회”입니다. ‘건강’과 ‘일’은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건강을 위해서는 일해야 하고, 일하기 위해서는 건강해야 합니다. 이를 교회개혁과 연결시키면, 개혁하기 위해서는 역량을 갖추어야 하고, 역량을 갖추어야 개혁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혁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개혁역량이 강화될 것입니다. 이와 같이 ‘균형 있는 개혁교회’를 언덕교회의 정체성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바꾸어 말하면 언덕교회는 내부의 건강만이 아니라 외부의 건강도 아울러 챙기는 교회를 지향합니다.



2. 이에 부가하여 언덕이라는 이름으로 “누구나 바라고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공동체”를 지향합니다. 세상의 빛이 되며, 소금이 되고자 하는 것입니다.​



3. 이념적 측면에서 언덕교회의 정체성은

① 복음적 ② 민주적 ③ 개혁적 이라는 세 가지 기조에 기반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첫째, 신앙적 노선에 있어서 성경전체를 하나님 말씀으로 믿는 복음주의를 견지합니다. 이는 창립 초기 운영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결의하고 지금까지 견지하고 있는 신앙노선입니다.



둘째, 교회운영에 있어서 신본주의를 전제로 한 민주주의를 지향합니다. 이 같은 교회민주주의는 “인간의 죄성은 민주주의를 필요로 하고, 인간의 신성은 민주주의를 가능케 한다”는 경구에서도 지지됩니다. 교회운영을 민주적으로 하는 것이 하나님의 주권을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다만 하나님 나라의 건설을 위하여 나아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간간의 관계를 민주적으로 운영하자는 것입니다. 아울러 우리는 민주주의를 지향함에 있어 갈등적 민주주의가 아니라 협력적 민주주의를 지향합니다. 일부 선각자에 의한 엘리트민주주의가 아니라 기독시민에 의한 시민의 민주주의를 지향합니다. 이때 기독시민은 그리스도 안에서 적극적 참여의식(active)과 능력(informed)을 가진 균형 있는 시민 또는 교양시민을 의미합니다. 참여의식과 능력은 참여를 통하여 형성되므로 교회는 교회운영과정에 교인의 적극적 참여를 장려하는 것입니다.



셋째, 운동 성향에 있어서 개혁주의를 지향합니다. 모든 교회는 주님이 기뻐하시는 교회가 되기 위하여 스스로를 돌아보아 개혁의 노력을 경주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언제나,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언덕교회는 이러한 노력을 내부적으로나 대외적으로나 동시에 적용하려는 교회입니다.​



​ 선언문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 - 리디북스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 - 리디북스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
4.3점29명
양희송


미리보기

출간 정보
2014.11.17. 전자책, 종이책 동시 출간
파일 정보
EPUB
10.0MB
약 9.3만 자


책소개
김규항, 박총, 변상욱, 송인수, 송태근, 이동원, 정재영, 한완상 추천.

가나안 성도 현상을 본격적으로 들여다보는 책이다. 이 책에서는 선행 연구들과 저자 자신의 이론적 탐구, 우리보다 앞서 가나안 현상을 경험한 영국과 미국의 사례, 그리고 실제 저자 자신이 만난 수많은 가나안 성도들의 목소리를 담아 가나안 성도에 관한 신뢰할 만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가나안 성도는 누구이며 왜 교회를 떠났는지, 이들을 탄생시킨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배경은 무엇인지, 아울러 이들의 존재가 한국 교회에 던지는 물음은 무엇이며, 이들이 찾아가는 대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하나씩 짚어간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교회란 무엇이며 어떻게 교회론의 확장과 심화가 가능할 것인지를 탐구한다.

---------------

목차


머리말

제1부 가나안의 현상학
1 나는 가나안 성도입니다
2 100만 가나안 성도의 시대
3 이것은 가나안 성도가 아니다

제2부 가나안의 사회학
4 그들이 떠나는 이유
5 대안은 왜 오지 않는가?
6 성인용 기독교가 필요하다

제3부 가나안의 신학
7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
8 에클레시아의 재구성
9 진격의 가나안

맺는말


-------------
책속에서

P. 33~34 “저에게 왜 떠났는지를 많이 묻습니다. 그런데 제 질문은 이겁니다. ‘당신들은 왜 아직 남아 있습니까?’ 제가 떠난 것이 이상한 것이 아니라, 이런 상황에서 사람들이 거기에 여전히 남아 있는 이유가 정말 궁금합니다. 교회를 개혁하기 위해서 남아 있는 건가요, 아니면 그냥 관성으로 남아 있는 건가요? 저에게 설득력 있는 대
답을 들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지금 질문할 사람과 대답할 사람이 바뀌어 있다고 생각해요. 안 그런가요?“ 접기
P. 52 이들은 여전히 대답 없는 질문을 가슴에 안고 있고, 그런 질문들은 쓸데없는 호기심이 아니라 오늘날 기독교 신앙을 고민하는 데 매우 중요한 물음인 경우가 많다. 다만 교회가 그런 질문을 듣지 않거나 대답해주지 못하기에 더 이상 교회와 제도권 기독교에서 적절한 대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지 않는 것이다. 이들을 위해서는 교회 바깥에 신앙을 유지?발전시켜줄 자원들이 어디에 어떻게 있는지를 찾아보거나, 그런 장을 열어가는 작업이 필요하다.
나는 가나안 성도 현상이 현재의 한국 개신교에 던져줄 수 있는 긍정적 자극과 기여가 적지 않다고 본다. 우리는 작동하지 않는 전통과 정통을 붙잡고 ‘공동체’를 말하면서, 사실상은 ‘집단주의’를 조장하는 경우가 많다. 제대로 된 공동체는 집단 의존적 개인들이 많이 모인 곳이 아니라, 자립적 개인들이 함께 모여서 상호의존을 경험할 때 가능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가 제공해주는 것이 그의 신앙적 자원의 전부일 수가 없다. 한국의 개신교 사회 전반으로부터 자신에게 필요한 영적 자원들을 끌어 쓸 수 있어야 하고, 이것이 자유롭게 유통되는 구조가 필요하다. 접기
P. 62~63 교회의 많은 이들이 원인 규명이나 진실 회복에는 관심이 없고, 이 불편한 갈등 상황을 한시라도 빨리 봉합하는 것이 능사라고 생각한다. 가나안 성도들은 그런 곳으로 다시 돌아갈 수는 없다. 갈등으로부터 아무것도 배우지 않는 집단은 똑같은 잘못을 똑같이 반복하고도 전혀 반성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P. 99 사람들은 교회를 떠나면서 비로소 교회는 대체 어떤 곳인가에 대해 묻기 시작한다. 평소 무심히 넘기던 ‘교회의 본질’이며, ‘교회의 사명’ 같은 말들을 되새겨보게 된다.
P. 108 ‘교회론〓목회론’이 아니다. 교회론은 목회론보다 더 크다. 그러나 많은 경우 우리가 접하는 교회론은 목회자가 자신의 개별적 경험을 통해 얻은 지혜인 경우가 많다. 이런 삶의 지혜를 무시할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목회자의 관점만으로 교회론을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성도론’은 대체 어디로 간 것일까? 성도들은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고, 어떻게 교회를 이루고, 어떤 자의식을 갖고 하나님나라를 섬겨야 할까? 접기
더보기

--------------

추천글

저자는 100만 가나안 성도 시대가 도래했다고 말합니다. 크리스천인데 교회를 ‘안 나가’는 성도들의 증가를 걱정하는 말입니다. 이제 그 말은 걱정이 아닌 현실이라는 데 더 큰 걱정이 앞섭니다. 우선 양희송 대표가 문제 제기로 우리를 일깨운 것을 감사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더 늦기 전에 이런 문제의 제기로 문제를 예방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그러나 이 문제 제기를 계기로 기대하고픈 거룩한 욕심이 있습니다. 그것은 본격적인 한국 교회의 구원론과 교회론의 성찰과 반성입니다. 그동안 우리는 위로부터 부어주시는 부흥의 축복만을 안이하게 누려왔습니다. 큰 노력이 없어도 우리는 교인들이 더해지는 은혜를 경험했습니다. 그러나 이 은혜는 더 이상 현실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의식을 일깨운 성도들이 전통적 교회당이 아니어도 예배할 수가 있게 된 것입니다. 거기다가 한국 교회 안에서 터져나온 부작용이 그들에게 용기(?)를 주었습니다. 왜 꼭 교회의 불의(?)를 눈감고 예배당에 가서 예배를 드려야만 하는가? 왜 별로 상식적이지도 지성적이지도 못한 설교를 인내해야 하는가? 이런 질문들이 가나안 교회의 부흥(?)의 배경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 질문들은 언제나 있어왔던 은폐된 물음이기도 합니다. 이제 이 책으로 가나안 성도의 현상이 공론화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이런 논의의 진지한 결론이 한국 교회의 갱신이 되었으면 합니다. 한 영혼을 소중히 여기는 목회에 관심 있는 모든 목회자들과 새 시대를 견인하는 선교적 통찰력을 구하는 모든 이들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다시 한 번 그리스도의 몸의 의미가 되새겨지는 은혜를 나누고 싶습니다.
- 이동원 (지구촌교회 원로, GMN 대표)

젊은 복음주의 운동가 양희송의 말에는 상투적인 표현이나 뻔한 내용이 없다. 나는 이 책에서 그가 내어놓는 분석과 전망, 그가 제시하는 대안에 깊이 동감하며, 적극적인 지지를 보낸다. 특히 가나안 성도들이 그려갈 미래, 그들이 한국 교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점들에 대해서는 한국 교회가 진지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서글프게도, 여러 가지 면에서 지금의 한국 교회는 세월호와 비슷하다. 안이하고 무책임한 승무원들이 가만히 있으라는 말만 되풀이 하는 사이, 사태를 파악한 승객들은 배에서 탈출하는데, 가나안 성도의 상당수가 바로 이들이다. 그렇다면 가나안 성도들에게 어서 돌아오라고 소리 지르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서둘러 배를 되세우거나, 아니면 구명보트를 내려 함께 탈출해 살 길을 모색해야 한다. 양희송의 이 책은 배에 남아 있는 사람과 배를 떠난 이들 모두에게 유용하다. 사뭇 논쟁적인 주장을 담은 이 책이 한국 교회에 논쟁다운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문제를 문제로 보기 시작하는 것, 그게 희망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 한완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전 통일부총리)

착한 청년들이 고통스러운 얼굴로 섬기는 교회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을 때, 나는 그렇게 대답하곤 한다. “먼저 교회인지 아닌지부터 잘 판단해보세요. 교회 건물과 목사와 예배가 있다고 해서 교회는 아니니까요. 문제가 있는 교회라면 함께 그 문제를 개혁하기 위해 최선의 행동을 해야죠. 그러나 만일 교회가 아니라면, 교회의 모양을 한 상점일 뿐이라면 고민이나 망설임은 오히려 내 신앙적 양심과 하느님을 배신하는 일일 수 있습니다.” ‘가나안 성도’의 출현은 순종적이기만 하던 한국 개신교 신도들이 드디어 ‘교회란 무엇인가’ 질문하기 시작했음을 뜻한다. 중요한 건 그 질문과 다양한 노력들이 단지 기존 교회를 비판하고 부정하는 데 소모되지 않고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이 책은 바로 그 든든한 가이드북이다.
- 김규항 (작가,《고래가 그랬어》 발행인)

한국 교회 안에도 이제 ‘예수를 따르기 위해 교회를 떠난다leaving church to follow Jesus’는 서구 교회의 모토가 현실로 다가와 있습니다. 본서의 저자 양희송 대표는 한국 교회의 가나안 현상을 매우 광범위하게 분석하여 한국 교회 앞에 문제의 화두를 던집니다. 본서가 결론짓는 논의는 시작 단계이기에 대안으로서의 목적지라고 말할 수 없고 보다 폭넓은 의견 개진이 필요하다는 점은 저자가 본서를 기록한 의도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우리 앞에 닥친 부정할 수 없는 현상에 대한 진지한 반성을 앞에 두고 한국 교회는 그의 비판을 겸허히 수용해야 할 것입니다.
- 송태근 (삼일교회 담임, 《쾌도난마》, 《믿음은 그런 것이다》 저자)

제 성향 때문인지 주제의 익숙함 때문인지 언제부턴가 교회현상을 분석하는 책은 잘 안 보게 되더군요. 사역과 밥벌이, 일상의 책무에 쫓기다 보면 기독교 2천 년 영성의 보화만 챙겨 읽기에도 바듯한 인생이니까요. 솔직히 양희송 대표의 책이라 ‘의리’에서 읽었습니다. 근데 확실히 다르네요. 쉬우면서 깊고, 헤치다가 모으고, 까발리고 싸매줍니다. 무엇보다 재밌습니다. 기꺼운 일독을 권합니다.
- 박총 (도심형 재속재가수도원 ‘신비와저항’ 원장 수사)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가나안 성도’가 1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는 현실에서, 기독교 활동가인 양희송 대표가 이들에 대해 진단하고 나름의 대안을 내놓은 것은 매우 기쁘고 환영할 일이다. 한국 교회의 문제가 농축되어 표출된 가나안 성도에 대한 대안을 찾는 것이 곧 한국 교회의 어두운 현실에 대한 대안을 찾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길을 잃은 한국 교회를 안내할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것이다.
- 정재영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고장 난 내비게이션을 반신반의하며 운전하다 드디어 지도 한 장을 구한 기분이다. 교회를 섬기지도 떠나지도 못한 채 헤매던 가나안 신자의 한 사람으로서 이 지도라면 양자택일이든 아니면 제3의 길이든 내 길을 찾아 나설 수 있을 듯하다. 위로와 용기가 되는 책. 가슴으로 부딪쳐나가지 않았으면 그릴 수 없었던 지도임을 알기에 새삼 고마움을 느낀다.
- 변상욱 (CBS 보도국 대기자)

교회가 위기 속에 있는 지금, 가나안 성도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최소한 5-10년 내에, 짓밟혀진 교회를 향한 절박한 갈망에 대답할 ‘피난처 교회들’의 흐름이 나타나야 한다. 교권과 자본으로부터 독립된, 소유를 추구하지 않되 가진 소유를 내부가 아닌 세상에 다 내어주며 사회와 소통하는, 무엇보다 목회자 의존성을 탈피하여 성도 한 사람 한 사람이 오직 그리스도에게만 의존하는 교회들. 양희송 대표의 글은 그런 가능성과 도전을 촉발하는 온갖 통찰로 가득 차 있다. 새로운 교회를 위한 좋은 이론적 기반이 될 것 같아 반갑다.

- 송인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공동대표, 전 좋은교사운동 대표)




저자 및 역자소개
양희송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브리스톨의 트리니티 칼리지(BA)와 런던 신학교(MA)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월간 『복음과상황』 편집장 및 편집위원장을 지냈고, 한동대학교에서 7년간 ‘기독교 세계관’을 가르쳤다. 다양한 기독교 및 일반 매체에 글을 기고하고 있으며, 랍 벨(Rob Bell)에서 존 스토트(John Stott)까지, 톰 라이트(Tom Wright)에서 유진 피터슨(Eugene H. Peterson)까지 ‘복음주의 운동’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소개하는 일에 관심이 많다. 2005년부터 한국 교회와 사회의 다음 세대를 위한 인재발전소 ‘청어람 ARMC’의 대표기획자로 있으면서 인문학, 정치사회, 문화예술 등의 분야에서 500여 회가 넘는 대중강좌를 기획·운영해 오고 있다. 좌우명은 “노는 게 젤 조아.”
저서로는 『다시, 프로테스탄트』(복 있는 사람),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포이에마), 『이매진 주빌리』(메디치미디어), 『세속성자』(북인더갭), 『묻고 답하다』(홍성사, 공저)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세계관 수업>,<세속성자>,<종교개혁, 그리고 이후 500년> … 총 17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포이에마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천로역정 : 두 번째 이야기>,<모든 일에는 이유가 있어 그리고 내가 사랑한 거짓말들>,<개혁자들>등 총 155종
대표분야 : 기독교(개신교) 16위 (브랜드 지수 233,411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한국 교회가 직면한 최대 현실,
100만 성도의 교회 이탈 현상에 대한 냉철한 분석,
그리고 다음 세대의 기독교를 위한 담대한 제안
★★★ 김규항, 박총, 변상욱, 송인수, 송태근, 이동원, 정재영, 한완상 추천
교회에 ‘안 나가’는 ‘가나안 성도’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은 누구이며, 왜 교회 밖으로 나가는 선택을 했는가? 복음주의운동가인 청어람아카데미의 양희송 대표가 신뢰할 만한 데이터와 인터뷰, 신학적?사회학적 성찰을 통해 가나안 성도 현상의 실상을 그려내고, 더 넓고 깊은 교회론을 위한 묵직한 화두를 던진다. 비판과 부정에 그치지 않고 대안을 찾는 이들을 위한 든든한 가이드북!

가나안 성도: ‘교회에 나가지 않는 그리스도인’을 뜻하는 말. ‘안 나가’를 뒤집어 나온 ‘가나안’이란 단어에 ‘성도’를 붙여, 오늘날 제도 밖에서 신앙을 찾고 있는 일군의 그리스도인을 가리킨다.

한국 교회가 직면한 최대 현실,
100만 성도의 교회 이탈 현상에 대한 냉철한 분석,
그리고 다음 세대의 기독교를 위한 담대한 제안

교회에 ‘안 나가’는 ‘가나안 성도’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은 누구이며, 왜 교회 밖으로 나가는 선택을 했는가? 복음주의운동가인 청어람아카데미의 양희송 대표가 신뢰할 만한 데이터와 인터뷰, 신학적·사회학적 성찰을 통해 가나안 성도 현상의 실상을 그려내고, 더 넓고 깊은 교회론을 위한 묵직한 화두를 던진다. 비판과 부정에 그치지 않고 대안을 찾는 이들을 위한 든든한 가이드북!

‘교회에 나가지 않는 그리스도인’을 일컬어 ‘가나안 성도’라고 한다. ‘안 나가’를 뒤집어 나온 ‘가나안’이란 단어에 ‘성도’를 붙여 만든 풍자적인 용어가 이제는 하나의 사회적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져가고 있다. 그 수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2013년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신을 그리스도인이라고 밝힌 사람들 가운데 10% 정도가 교회에 출석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는데, 여기에서 가나안 성도의 수를 대략 100만 명으로 추산할 수 있다. 게다가 매년 개신교 주요 교단에서 발표하는 재적교인의 수가 급감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가나안 성도는 지금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청어람아카데미 양희송 대표의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은 이렇게 한국 교회에서 부인할 수 없는 흐름으로 자리 잡은 가나안 성도 현상을 본격적으로 들여다보는 책이다. 가나안 성도 현상에 관해서는 그동안 몇 편의 보고서가 발표된 바 있다. 특히 2013년 4월,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의 조성돈·정재영 교수 연구팀이 가나안 성도 300여 명을 설문조사하고서 발표한 보고서에서 가나안 성도의 구체적인 상을 그려내어 한국 교계에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킨 것이 대표적이다. 양희송 대표 역시 일찌감치 가나안 현상에 주목하고서 가나안 성도 관련 담론의 형성과 유통에 직접적으로 관여해왔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는 선행 연구들과 저자 자신의 이론적 탐구, 우리보다 앞서 가나안 현상을 경험한 영국과 미국의 사례, 그리고 실제 저자 자신이 만난 수많은 가나안 성도들의 목소리를 담아 가나안 성도에 관한 신뢰할 만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가나안 성도는 누구이며 왜 교회를 떠났는지, 이들을 탄생시킨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배경은 무엇인지, 아울러 이들의 존재가 한국 교회에 던지는 물음은 무엇이며, 이들이 찾아가는 대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하나씩 짚어간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교회란 무엇이며 어떻게 교회론의 확장과 심화가 가능할 것인지를 탐구한다.

왜 이 책이 나와야 했는가?
오랜 시간을 복음주의 운동가로 지내온 저자는 2012년 말에 펴낸 책 《다시, 프로테스탄트》에서 지난 30년간 한국 교회를 지배해온 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주목해야 할 현상으로 ‘가나안 현상’을 지목했는데,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파고들어 저자 나름의 입장을 제시한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사실 저자는 이 주제를 10년 이상 마음속에 품고 고심해오면서 많은 가나안 성도들을 만났다. 이를 통해 가나안 성도들이 교회에 뿌리내리지 못하고 떠도는 주변인, 경계인, 혹은 부적응자라는 통념은 현실과 사뭇 다르며, 이 현상이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가나안 성도 현상은 한국 교회의 모순과 갈등이 빚어내는 가장 적나라한 현상이며, 이를 제대로 직면하지 않고서 대체 어떤 대안 모색이 가능할 것인지 되묻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수많은 가나안 성도들의 입에서 나온 충격적인 이야기들과 단도직입적 질문을 들려주면서 한국 교회의 현실을 재평가하도록 하는데, 이 물음들은 끊임없이 ‘교회’ 자체에 대해 물음으로 귀결된다.

가나안 성도는 누구인가?
가나안 성도는 입맛에 맞는 교회를 찾아 떠도는 ‘교회 쇼핑족’이나 교회의 분규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교회를 떠난 ‘영적 난민’, 혹은 머리 크고 교만한 ‘영적 엘리트주의자’ 또는 ‘영성소비자’, 좋게 보아야 ‘잃어버린 양’으로 여겨지곤 한다(3장). 그래서 목회자와 리더들은 이들이 속히 교회생활에 복귀하기를 기도하면서 권면한다. 물론 이런 유형의 가나안 성도들도 있겠지만, 저자는 가나안 성도들을 만나면서 예상 외로 많은 이들이 교회 밖에서 신앙을 잘 유지하면서 나름의 건강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기존의 교회 공동체를 대신하는 교회 밖의 모임에 참여하면서 오히려 기존의 교회에서보다 더 풍성한 공동체성을 경험하는가 하면, 신학 책을 찾아 읽거나 강의를 찾아 들으면서 교회에서 충족할 수 없었던 지적 허기를 채우기도 했다. 교회 생활이 아닌 다른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면서 더 큰 만족을 누리는 이들도 있었다. 오히려 교회 밖으로 나감으로 인해서 기존 교회의 문제점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넘어설 수 있는 의미 있는 실험을 시도할 수 있었다. 때문에 저자는 가나안 성도들을 너무 부정적으로 바라보지 말 것을 주문한다. 이들은 오늘날의 한국 교회가 앓고 있는 질병으로 생겨난 증상일 수도 있지만, 이런 질병에 대항하며 항체를 형성해나가는 대표적 사례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교회로부터 이탈하는 모든 행동과 경우가 다 정당화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 교회로부터의 탈출이 ‘하나님나라’를 위한 새로운 발걸음을 과감히 내딛는 것이라면” 이들의 몸짓은 하나님나라를 구하는 “제도권 내의 숱한 목회자들과 그리스도인들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되지, 절망의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168쪽).

교회란 무엇인가?
가나안 성도 현상이 제기하는 핵심적인 문제들은 교회론의 문제로 수렴된다. 사실 한국 교회에는 제대로 된 교회론이 없다는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신학교에서도 개론적인 교회론을 간단히 가르친 후에는, 현직 목회자들의 목회기술을 무비판적으로 나열하는 것으로 목회론과 교회론을 대신하는 경우가 많으며, 교회론이 교회성장의 기술로 전락하는 일이 다반사다. 한국 교회가 가나안 성도의 출현을 곤혹스러워하거나 애써 무시하려 하는 것은, 바로 이 같은 교회론의 빈곤에서 비롯되는 것이기도 하다. 때문에 저자는 ‘교회’ 개념이 애초에 성경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고 어떤 역사적 변화를 겪었는지를 검토하면서, 교회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가나안 성도, 그리고 최근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교회들은 교회 개념의 심화 및 확장을 요청한다. 이 책에서 제기한 물음들이 교회론에 대한 더 깊은 논의와 신학적 성찰로 이어질 때 한국 교회는 다음 세대의 기독교를 위한 든든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접기



8.6




57.1%


23.8%


14.3%


4.8%


0%






정말 좋은책 한국교회의 아픈 현실과 대안을 함께 고민해보는 사려깊은책이자 혁명적인 책
도란 2014-11-29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2015-5 책, 가나안성도 교회밖 신앙

가나안성도란?
교회 '안나가'성도를 뜻한다.

가나안 성도는 단순히 내게 맞는 교회를 쇼핑하려고 이 교회 저 교회 탐방하는 이들, 여가를 즐기기 위해 교회를 쉬는 이들이 아니라 이 땅의 교회의 왜곡에 항의하는 길을 선택한 자들을 말한다.

나는 요즘 교회가 뭔지 고민한다.
교회를 옮길까도 생각한다.

이 책이 내 고민을 좀 덜어줄까해서 보았는데, 속 시원한 답을 찾지 못했다. 하지만 제도 안에서 항의할 것인가? 제도 밖에서 항의할 것인가를 선택해야한다는 통찰을 주었고, 제도권 교회에서 내가 하는 고민이 틀리지 않았다는 안심을 줬다.



"교회로부터 이탈하는 모든 행동과 경우가 다 정당화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가나안성도가 교회로부터의 탈출이 이땅에서 에클레시아의 왜곡에 대한 강렬한 항의의자 하나님 나라를 위한 새로운 발걸음을 과감히 내딛는 것이라면 이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 이러한 몸짓은 제도권 내의 숱한 목회자들과 그리스도인들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될 것이다. 본문 168쪽"
김혜영 2015-01-28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교회란 도대체 무엇인가를 진지하게 생각하게 하는 책. 교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답안지같이 서술하지 않고 독자와 함께 고민해보자고 초대하는 책. 추천 꾸욱하고싶은 책
lee2kt 2015-03-23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길 위의 신앙

교회를 다니기 시작한지 삼년이 조금 넘었을 뿐인데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이라니. 아직 나의 이력은 이런 이야기를 논하기에는 짧다. 하지만 신앙을 갖고, 다니고 싶은 교회를 찾는 동안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는 교회의 민낯을 보며 많은 고민을 했다. 결국 나에게 맞는 교회를 찾지 못했다면 나의 신앙은 잠시 부유했다가 희미해졌으리라. 아니면 지인들이 권하는 대로 성당을 찾았을 수도 있겠다. 밖에서 보기에 최소한의 상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우리나라 교회는, 미안하지만 아니다.

나와 달리 남편의 경우 몇 년 정도를 가나안 성도로 살았다고 볼 수 있다. 어린 시절부터 교회에 다녔던 남편은 대학에 입학한 후 본인이 선택한 활동을 하고 마음에 맞는 단체에 십일조를 내는 식으로 지냈다. 그래도 무신론자 부인이 성당에 가자고 했을 때 한마디 했다. 성당보다는 교회가 역사적으로 더 진보적인 공간이라고. 종교개혁으로 탄생한 것이 기독교 이긴 하지만 현실에서도 그런가? 이방인의 시각으로 보자면 잘 모르겠다. 교회를 잘 다니고 예수를 잘 믿는 것이 어떤 것인지 모르겠지만 현실에서 나타나는 모습은 뭔가 비틀려있다.

나는 그 비틀림을 교회 안에서도 알고 있는데도 묵과하고 있는 건지 아니면 아예 알지 못하는 건지 궁금했다. 소수는 알면서 답답해하고 있고 또 다른 소수는 그걸 자신의 사리사욕에 이용하고 있고 나머지는 어쩔 수 없이 따라가면서 골방의 하나님에게 기도하고 있었을까. 이런 질문이 외부에서 시작된다면 비난을 위한 비난이 되고 말았을 텐데 성실히 믿고 따랐던 내부에서 시작된다면 이야기가 다르다.

이 책은 많은 사람들이 가나안 성도가 될 수밖에 없는 현실의 교회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한다. 가나안 성도 현상을 통해 지금 교회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짚으면서 차분하게 이야기를 진행한다. 글 시작부터 흥미진진하다. 진지하고 무겁고 논쟁적인 주제인데도 우리가 흔히 접하는 일상을 통해 풀어간다. 쓸데없는 논쟁을 줄이도록 충분히 고민하고 쓴 흔적이 엿보인다. 예민하고 불편한 주제일 수 있지만 더 이상 그냥 두고 볼 수만은 없는 현실이기도 하다.

이런 이야기를 시작하면 결국은 많은 부분들이 논쟁거리가 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결론은 그래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혼자서 예배 보는 가나안 성도는 답이 아니다 는 식으로 난다. 책을 읽어가면서 결론을 어떻게 내릴까, 답도 없는데 어설픈 희망을 이야기하면서 봉합하지 않을까 싶었다. 의외로 저자는 과거의 단독자 들을 보여준다. 역사적으로 어느 때나 힘든 때가 있었고 그들은 자신의 삶을 통해 예수 정신을 실현했다. 그 어떤 결말보다도 강하게 와 닿는다.

진정성 있는 고민과 지루하지 않은 전개 그리고 어설픈 대안이 아닌 문제를 보여주고 다 같이 논의해보자는 결론이 마음에 깊이 와 닿았다. 책에서는 교회에 나가지 않는 가나안 성도들이 나가고 싶은 교회에게 필요한 덕목을 ‘올바른 목회자가 있는 교회’, ‘공동체성이 강조되는 교회’, ‘부정부패 없는 건강한 교회’ 이 세 가지로 꼽는다. 열심히 교회를 찾아 헤맨(?) 끝에 다행히 나는 이런 조건이 맞는 공동체를 찾았다.

만약 나에게 맞는 교회를 찾지 못했다면 나의 신앙은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 반짝 했다가 다시 사라 졌을 수도 있다. 나의 신앙 자체가 아직까지도 현재 진행형이다. 죽을 때까지 그럴 것이다. 매일 매일 새로워져야만 할 만큼 의지가 약하고 생활인으로 살기에 바쁘다. 내가 생각하는 예수, 내가 생각하는 성경이 진짜인지 내가 만들어낸 건지도 구분하기 어렵다. 그래서 목회자의 설교를 듣고 배우고 또 깨달아야 된다. 약하고 어린 사람들이 서로 의지하고 풍성해지기 위해 나에게는 공동체가 필요하다.

믿음 밖에 있을 때는 ‘쯧쯧’ 혀를 차면 되는 일이었다. 하지만 이제 안으로 들어와 버린 이상 혀를 찬다고 해서 될 일이 아니다. 이제는 나도 어쩔 수 없이 책임이 있는 당사자다. 논의를 시작하는 것 문제를 있는 그대로 직시하는 것이 해결의 시작일 수도 있다. 길 위에서 끊임없이 하나님에게 물으면서 방향을 수정하고 서로에게 이웃이 되어주는 신앙의 여정을 죽을 때까지 해야 하지 않을까?

승연 2014-12-16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


뭐 평점이 중요하진 않다. 이 책은 현상을 집어주는 책이지 미래를 그리는 책은 아닌데다가 현상은내게는 좀 익숙하기 때문에. 하지만 교회에 속해있지만 그 전체상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선명한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 이들은 한 번 꼭 읽어보고 생각해볼 책. 아직도 교회에 나가는 것이 비정상이란 말은 생각해 봐야한다.
리버 2014-12-05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저와 같은 고민을...


2015-5 책, 가나안성도 교회밖 신앙

가나안성도란?
교회 '안나가'성도를 뜻한다.

가나안 성도는 단순히 내게 맞는 교회를 쇼핑하려고 이 교회 저 교회 탐방하는 이들, 여가를 즐기기 위해 교회를 쉬는 이들이 아니라 이 땅의 교회의 왜곡에 항의하는 길을 선택한 자들을 말한다.

나는 요즘 교회가 뭔지 고민한다.
교회를 옮길까도 생각한다.

이 책이 내 고민을 좀 덜어줄까해서 보았는데, 속 시원한 답을 찾지 못했다. 하지만 제도 안에서 항의할 것인가? 제도 밖에서 항의할 것인가를 선택해야한다는 통찰을 주었고, 제도권 교회에서 내가 하는 고민이 틀리지 않았다는 안심을 줬다.

"교회로부터 이탈하는 모든 행동과 경우가 다 정당화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가나안성도가 교회로부터의 탈출이 이땅에서 에클레시아의 왜곡에 대한 강렬한 항의의자 하나님 나라를 위한 새로운 발걸음을 과감히 내딛는 것이라면 이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 이러한 몸짓은 제도권 내의 숱한 목회자들과 그리스도인들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될 것이다. 본문 168쪽"
- 접기
김혜영 2015-01-28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