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4/26

The Quaker Peace Testimony, Economics, and the Common Good - Keith Helmuth



The Quaker Peace Testimony, Economics, and the Common Good - Keith Helmuth



The Quaker Peace Testimony, Economics, and the Common Good
by Keith Helmuth on December 1, 2008

Quakerism and Economics of the Common Good

English Quaker John Bellers (1654‐ 1725) was the first social thinker to advance universal healthcare as a public policy. He based his case on the enhanced level of well‐being and economic efficiency that would result from an improved level of health across the entire society. Bellers was also the first social thinker to advance a comprehensive plan of vocational training and sustainable employment as a national solution to chronic poverty. This policy and investment proposal was also based on calculations of progressive improvement in the economic well‐being of those in poverty, and on the society‐wide benefits of ameliorating social degradation and its accompanying violence.

These are but two of many social and economic reforms that unfolded from the Quaker faith and moral vision of John Bellers. His social and economic analyses and his visionary moral response come to us from the beginning of Quakerism. His lucid and prescient approach to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was focused through the new light that early Quakerism was bringing to the sense of “right relationship.” Bellers was just a half generation younger than George Fox.

Bellers repeatedly petitioned the English Parliament to enact legislation that would implement the social policies and economic projects he proposed. He was not successful in convincing the national government of the time, or the holders of capital to whom he also appealed, that implementing his proposals would advance the common good and be beneficial across the entire economy. However, it was only a matter of time until the soundness of his proposals would be recognized and acted on in many progressive jurisdictions. One hundred and fifty years later, Robert Owen, England’s greatest social reformer and the originator of the cooperative movement, said he had gotten all his best ideas from John Bellers.

As far as I know, there is no direct evidence that John Woolman was familiar with the work of John Bellers, but there is no doubt that the same holistic vision informed both men’s social and economic analyses and moral witnesses for the common good. All of John Woolman’s discussions on spiritual life, and in particular on spiritual disorders, crossed over into their social and economic consequences. And all his discussions on social and economic behavior led back to their spiritual foundations. In his continual probing of these relationships, he repeatedly returned to the recognition that minds possessed by the spirit of domination lead to social and economic disorder. Woolman’s holistic understanding also went a step further and helped set the stage for ecological thinking. He clearly understood economic geography and ecological adaptation. He understood that unwise use of resources leads to ecosystem breakdown in the same way that unwise use of labor leads to societal breakdown.

Why is it that from the beginning of Quakerism, the life of the spirit and economic affairs converge into a single focus? Why is it that both William Penn and John Woolman amplified this convergence into the larger context of the human‐Earth relationship? Why is it that Quaker economist Kenneth Boulding (1910–1993) was one of the first social scientists to recognize Earth’s ecological context as the primary reference for all progressive thinking, policy, and action with regard to the human future? The answer, I suggest, is as obvious as the full moon in a cloudless night sky.
The Spiritual Basis of Economics and Ecology

In a deeply profound sense, economics and ecology are domains of relationship. Economics is about access to the means of life. Ecology is about the mutual interdependence of life communities. There is a deep sense of right relationship within a fully rounded understanding of these domains.

For example, in the right relationship of human solidarity, we see economic activity flowing from social relations that enhance the common good. In the right relationship of ecological integrity, we see the human economy as a wholly owned subsidiary of Earth’s ecology.

When we bring these two perspectives together, the lens of human solidarity and the lens of ecological science pivot into a single focus. Through this focus we can see right relationship in a more fully rounded and deeply instructive way. Right relationship then becomes the central motif in both the social design of human well‐being and in ecologically sound economic adaptation.

Our spiritual traditions teach us that in right relationship, we touch the fullness of human meaning and the presence of the Divine. The Friends Peace Testimony is about elevating all areas of human policy and practice into this zone of right relationship. Because economic behavior is so often excluded by policy from the zone of right relationship, it is a primary area of injustice, conflict, violence, and war. A Peace Testimony that does not address economics in a major and sustained way is not a fully developed or spiritually accountable witness.
A Fully Developed Peace Testimony

Near the end of his short life, 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 saw how certain kinds of economic arrangements were directly connected to oppression, conflict, violence, and war. He began to focus his analysis through a vision of right relationship that challenged inequity and structural violence in U.S. economic behavior and its worldwide extensions. Within this enlarged context he asked the question, “What is the moral assignment?” This question of right relationship in economic policy and behavior is now central to the renewal of the Peace Testimony.

In this context we need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economics of resource competition and the economics of the common good. The former is leading to resource wars, social disintegration, and ecological degradation. The latter has the potential of creating cultures of peace, social cooperation, and ecological resilience. A fully developed Peace Testimony will offer critical intervention in the former and creative advancement of the latter.

If Friends can now move the Peace Testimony into this arena, we will help advance an already substantial faith witness that has boldly challenged economic violence and injustice. For example, when the U.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recently issued a document of social teachings strongly critical of the capital‐driven economy and its morally unacceptable inequities, some economists, politicians, and corporate leaders told them to butt out. They argued that the bishops had no business making pronouncements on economics and economic policy, and that they should just stick to religion. This naïve reaction failed, of course, to understand that Catholic social teaching has a long history in these matters.
Heritage as a Resource for Renewal

Quakerism, likewise, has a long genealogy of concern, thought, and action with regard to economics. The Peace Testimony applied to economics is not breaking new ground. We need only to update our heritage. In addition to the witnesses of Bellers and Woolman, the following more recent examples are worth noting.

In 1934, the Industrial Relations Committee of Friends General Conference prepared and published A Statement of Economic Objectives, which addressed the disaster of the Great Depression. This document offered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equity‐based economic reform. (A significant number of Quakers were deeply involved in creating the New Deal.)

In 1969, Friends Committee on National Legislation issued a well‐crafted policy statement on Goals for a Just Society: Jobs and Assured Income. This document makes the case for the elimination of poverty through a combination of measures addressing health,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employment, and basic income.

In 2004,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published the report of its Working Party on Global Economics: Putting Dignity and Rights at the Heart of the Global Economy. With an acute awareness that poverty is a peace issue, this document calls for a Global New Deal, and for the moral leadership of Friends in fostering such a transformation. The authors write, “Just as the charges of ‘idealism’ have never made the AFSC abandon the commitment to the Peace Testimony and the power of love, charges that ‘the market doesn’t work that way’ should not distract us from our goal of a world of economic justice for all.”

The most recent work on this theme comes from the Friends Testimonies and Economics Project, which is now posting its three‐volume resource guide Seeds of Violence, Seeds of Hope on the website of Friends General Conference. (Copies are available from Ed Dreby at drebymans@igc.org.)

Our quest to renew the Peace Testimony will be lifted into a more fully rounded and relevant context if we bring this heritage into a position of central focus and if we see the economics of the common good unfolding as the central peace issue.
Strengthening the Peace Testimony in Its Moral Vision

The Peace Testimony is strengthened in its address to economics when we remember that economics is primarily a social science. It is further strengthened when we realize that economics, in its origin, was a moral discipline. It still is. And being a moral discipline, economics is precisely the arena where religion enters most fully into the service of the world. It is the arena of analysis and action where Friends can discover a more fully rounded expression of the Peace Testimony as it develops within the economics of the common good. Ongoing study and research will be needed to support and advance this witness. A certain fearlessness may be required. Those who benefit from human exploitation, resource domination, and the economics of war do not want the present financial architecture and economic arrangements altered.

In the time of spiritual crisis when Quakerism began, Friends decided they could not leave religion to the established Church. In our time of mounting social and ecological crisis, Friends should likewise not leave economic relationships to the current political‐financial establishment. Economics and finance have become, in effect, the modern world’s established religion, and they now need, for sake of the common good, the same wind of reform that Quakers brought to religion in the 17th century.
The Ethics of Human Solidarity

If the ethics of human solidarity and the economics of the common good are our moral assignment, can we pose a straightforward and helpful guide to action? To answer this question we can paraphrase Aldo Leopold (1887–1948), a founding figure in conservation biology and a thinker who formulated a “land ethic”: “A thing is right when it tends to preserve the integrity, stability, and beauty of the biotic community. It is wrong when it tends otherwise.” With this simple admonition, Leopold coined an ethical formula that has entered into the foundation of the ecological worldview and environmental ethics. It is an expression of solidarity at the level of the human‐Earth relationship.

In a similar way, and with respect to human solidarity, we can say: “A thing is right when it tends to preserve the integrity, stability, and beauty of the human community. It is wrong when it tends otherwise.” In a time when human solidarity is a preeminent requirement for decent human survival, this is a moral template against which all economic policy and behavior can be gauged and evaluated.

Renewing the Peace Testimony is, in large part, a matter of how Friends respond to the economic, social, and ecological mandate now placed before us by the converging crises of our time. This is the moral assignment. As a matter of religious responsibility, we can enter fully into reshaping economic policy and economic behavior on behalf of the common good and the integrity of Creation. Thus will the visions of John Bellers, John Woolman, and many Friends since their time be given new opportunities for realization. Thus will the Peace Testimony be renewed, and thus will Quakers be able to more effectively advance a moral vision of the common good.
————————
This article was inspired by the called meeting on the renewal of the Quaker Peace Testimony held by Philadelphia Yearly Meeting, November 18, 2006, at Arch Street Meetinghouse, Philadelphia, Pa.

Facebook
Twitter
Print
More





Keith Helmuth, a member of New Brunswick Monthly Meeting in Canada, recently completed a ten-year sojourn at Central Philadelphia (Pa.) Meeting. He is a founding member of Quaker Institute for the Future and secretary of the Board.Posted in: Features


Economics, Environment, Friends Testimonies, health, History, Peace, Social Action, Social Concerns

Quaker John Woolman From Wikipedia


John Woolma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John Woolman

Church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Personal details
Born October 19, 1720
Province of New Jersey
Died October 7, 1772 (aged 51)
York, Kingdom of Great Britain
Buried York, Kingdom of Great Britain
Denomination Quaker
Parents Samuel Woolman (father) Elizabeth Burr (mother)
Spouse Sarah Ellis (née Abbott)
Children Mary
Occupation Trade


John Woolman (October 19, 1720 (O.S.)/October 30, 1720 (N.S.)[1]– October 7, 1772) was a North American merchant, tailor, journalist, and itinerant Quakerpreacher, and an early abolitionist in the colonial era

Based in Mount Holly, New Jersey, near Philadelphia, Pennsylvania, he traveled through frontier areas of British North America to preach Quaker beliefs, and advocate against slavery and the slave trade, cruelty to animals, economic injustices and oppression, and conscription. Beginning in 1755 with the outbreak of the French and Indian War, he urged tax resistance to deny support to the military. In 1772, Woolman traveled to England, where he urged Quakers to support abolition of slavery.

Woolman published numerous essays, especially against slavery. He kept a journal throughout his life; it was published posthumously, entitled The Journal of John Woolman (1774). Included in Volume I of the Harvard Classics since 1909, it is considered a prominent American spiritual work. It has also been admired for the power and clarity of its prose by non-Quakers such as the philosopher John Stuart Mill, the poet William Ellery Channing, and the essayist Charles Lamb, who urged a friend to "get the writings of John Woolman by heart."[2] The Journal has been continuously in print since 1774, published in numerous editions; the most recent scholarly edition was published in 1989.


Contents
1Biography
1.1Early life
1.2Career
1.3Testimony of Simplicity
1.4Anti-slavery activities
1.5Testimony of Peace
1.6Final days
2Published works
3Legacy and honors
4Further reading
5Footnotes
6See also
7External links


Biography[edit]
Early life[edit]

John Woolman was born in 1720 into a family who were members of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Quakers). His father Samuel Woolman was a farmer. Their estate lay between Burlington and Mount Holly Township in the New Jersey colony, near the Delaware River. Woolman's maternal and paternal grandparents were early Quaker settlers in Burlington County, New Jersey.[3]

During his youth, he happened upon a robin's nest that held hatchlings. Woolman began throwing rocks at the mother robin to see if he could hit her. After killing the mother bird, he was filled with remorse, thinking of the baby birds who had no chance of survival without her. He got the nest down from the tree and quickly killed the hatchlings, believing it to be the most merciful thing to do. This experience weighed on his heart. He was inspired to love and protect all living things from then on.[4]

Woolman married Sarah Ellis, a fellow Quaker, in a ceremony at the Chesterfield Friends Meeting. Sarah bore him a daughter whom they named Mary.[5] His choice to lead a "life of simplicity" meant sacrifices for his family, as did his frequent travels as an itinerant minister.

Career[edit]

As a young man, Woolman began work as a clerk for a merchant. When he was 23, his employer asked him to write a bill of sale for a slave. Though he told his employer that he thought that slaveholding was inconsistent with Christianity, he wrote the bill of sale.

By the age of 26, he had become an independent and successful tradesman. He refused to write the part of another customer's will which would have bequeathed or transferred the ownership of a slave, and instead convinced the owner to set the slave free by manumission. Many Friends (fellow Quakers) believed that slavery was bad—even a sin. Other Friends kept slaves but considered trading in slaves to be sinful.

Woolman eventually retired from business (i.e., "merchandising") because he viewed profit-making as distracting from his religion. He wrote that he took up the trade of tailor in order to have more free time to travel and witness to fellow Quakers about his concerns.[6]

Testimony of Simplicity[edit]

Woolman was committed to the Friends' Testimony of Simplicity. While in his 20s, he decided that the retail trade demanded too much of his time. He believed he had a calling to preach "truth and light" among Friends and others. In his Journal, he said that he quit the shop as it was "attended with much outward care and cumber," that his "mind was weaned from the desire of outward greatness," and that "where the heart is set on greatness, success in business did not satisfy the craving."[7] Woolman gave up his career as a tradesman and supported himself as a tailor; he also maintained a productive orchard.

He addressed issues of economic injustice and oppression in his Journal and other writings, and knew international trade had local effects. Despite supporting himself as a tailor, Woolman refused to use or wear dyed fabrics, because he had learned that many workers in the dye industry were poisoned by some of the noxious substances used. Concerned about treatment of animals, in later life, Woolman avoided riding in stagecoaches, for he believed operators were too often cruel and injurious to the teams of horses.

Woolman decided to minister to Friends and others in remote areas on the frontier. In 1746, he went on his first ministry trip with Isaac Andrews. They traveled about 1,500 miles round-trip in three months, going as far south as North Carolina. He preached on many topics, including slavery, during this and other such trips.

Anti-slavery activities[edit]


This section does not cite any sources. Please help improve this section by adding citations to reliable sources. Unsourced material may be challenged and removed. (May 2018)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In 1754 Woolman published Some Considerations on the Keeping of Negroes. He continued to refuse to draw up wills that bequeathed ownership of slaves to heirs. Over time, and working on a personal level, he individually convinced many Quaker slaveholders to free their slaves. As Woolman traveled, when he accepted hospitality from a slaveholder, he insisted on paying the slaves for their work in attending him. He refused to be served with silver cups, plates, and utensils, as he believed that slaves in other regions were forced to dig such precious minerals and gems for the rich. He observed that some owners used the labor of their slaves to enjoy lives of ease, which he found to be the worst situation not only for the slaves, but for the moral and spiritual condition of the owners. He could condone those owners who treated their slaves gently, or worked alongside them.

Woolman worked within the Friends' tradition of seeking the guidance of the Spirit of Christ and patiently waiting to achieve unity in the Spirit. As he went from one Friends' meeting to another, he expressed his concern about slaveholding. Gradually various Quaker Meetings began to see the evils of slavery; their minutes increasingly reflecting their condemnation of the practice. Quaker records bear witness to his and a few others' success – by the time the 1776–1783 revolution was over, almost all North American Quakers had freed their slaves, and those few Quakers who had been engaged in the trading or shipment of slaves had ceased such activities as well.

Testimony of Peace[edit]

He lived out the Friends' Peace Testimony by protesting the French and Indian War(1754–1763), the North American front of the Seven Years' War between Great Britain and France. In 1755, he decided to oppose paying those colonial taxes that supported the war and urged tax resistance among fellow Quakers in the Philadelphia Meeting, even at a time when settlers on the frontier were being attacked by French and allied Native Americans. Some Quakers joined him in his protest, and the Meeting sent a letter on this issue to other groups. In one of his prophetic dreams, recorded in his Journal, Woolman negotiated between two heads of state in an effort to prevent a war.[8]

Final days[edit]

Woolman's final journey was to England in 1772. During the voyage he stayed in steerageand spent time with the crew, rather than in the better accommodations enjoyed by some passengers. He attended the British London Yearly Meeting. The Friends resolved to include an anti-slavery statement in their Epistle (a type of letter sent to Quakers in other places). Woolman traveled to York, but he had contracted smallpox and died there. He was buried in York on October 9, 1772.[9] There is strong doubt whether the portrait shown here (and very often elsewhere) can be of John Woolman. (Janet Whitney in John Woolman, Quaker, 1943 re. AM Gummere's Journal and Essays of John Woolman, 1922.) There is no known depiction of John Woolman but the authentic silhouette of his brother Uriah shows a very different face to this elderly, wizened subject.

Published works[edit]

Essays
"Some Considerations on the Keeping of Negroes", 1753
"Some Considerations on Keeping Negroes, Part Second", 1762
"Considerations on Pure Wisdom and Human Policy, on Labor, on Schools, and on the Right Use of the Lord's Outward Gifts", 1768
"Considerations on the True Harmony of Mankind, and How it is to be Maintained", 1770

Books
  • The Journal of John Woolman, published posthumously in 1774 by Joseph Crukshank, a Philadelphia Quaker printer. Several subsequent editions are available, including the respected Whittier edition of 1871. The modern standard scholarly edition is The Journal and Major Essays of John Woolman, ed., Phillips P. Moulton, Friends United Press, 1989.
  • Serious Considerations on Various Subjects of Importance by John Woolman, of Mount-Holly, New-Jersey, with some of his dying expressions, published posthumously in 1805 by Collins, Perkins and Co., New York.
  • Gummere, Amelia Mott (1922). The Journal and Essays of John Woolman.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 Proud, James, ed. (2010). John Woolman and the Affairs of Truth: the Journalist's Essays, Epistles, and Ephemera. San Francisco, CA: Inner Light Books

Legacy and honors[edit]

In his lifetime, Woolman did not succeed in eradicating slavery even within the Society of Friends in colonial America. However, his personal efforts helped change Quaker viewpoints during the period of the Great Awakening. In 1790, after the American Revolutionary War, the Pennsylvania Society of Friends petitioned the United States Congress for the abolition of slavery. While unsuccessful at the national level, Quakers contributed to Pennsylvania's abolition of slavery. In addition, in the first two decades after the war, they were active together with Methodist and Baptist preachers in the Upper South in persuading many slaveholders to manumit their slaves. The percentage of free people of color rose markedly during those decades, for instance, from less than one to nearly ten percent in Virginia.[10]
The "fair treatment of people of all races" is today an integral part of the Friends' Testimony of Equality.

The John Woolman Memorial, 99 Branch St., Mount Holly, New Jersey(39.999000°N 74.776875°W)
The Journal of John Woolman has been included since the first year of publication in 1909 in Volume I of The Harvard Classics,together with Benjamin Franklin's His Autobiography and William Penn's Fruits of Solitude. This was published by P.F. Collier and Sons of New York. Woolman's Journal is considered a prominent American spiritual work and is the longest-published book in the history of North America other than the Bible, having been continuously in print since 1774.
The John Woolman Memorial Association was formed in Mount Holly to promote his teachings. It sponsors an annual lecture and has published a volume of Woolman genealogy, with additional volumes planned.[5]
The John Woolman Memorial in Mount Holly, New Jersey is located near one of his former orchards. A brick house built between 1771–1783, reportedly for one of Woolman's daughters and her husband, it is operated as a house museum and memorial.[5] The Memorial's parent organization also compiles an ongoing genealogical study of Woolman's descendants; notable among them are the late actor Christopher Reeve (of 'Superman' fame) and Collett Everman Woolman, a pioneer and innovator of air mail and aerial crop-dusting, and founder of Delta Airlines.[11]

1963, the John Woolman School was founded in his honor in Nevada City, Californiaas a college-preparatory boarding school, serving students in grades 10–12.[12]
The Woolman Institute was established at Wilmington College during the 1980s.
2003, a group of scholars of peace and justice studies founded the John Woolman College of Active Peace, which seeks to 'mainstream' many Quaker (and other) concepts of peace and peacemaking into higher education.[13]

Further reading[edit]


Footnotes[edit]

^ "Quaker Meeting Records". Ancestry.com. Retrieved 12 September 2017. The date in the original record is the 19th day of Eighth Month 1720. Modern readers often take this to mean August, but before the British empire's adoption of the Gregorian Calendar in 1752, "Eighth Month" was Quaker parlance for October. See https://www.swarthmore.edu/friends-historical-library/quaker-calendar for more information.
^ https://en.wikisource.org/wiki/Woolman,_John_(DNB00)
^ The Descendants of John & Elizabeth (Borton) Woolman, married 1684, of Burlington County, New Jersey, Burlington, New Jersey: The John Boorman Memorial Society, 1997
^ The Journal and Major Essays of John Woolman, ed., Phillips P. Moulton, Friends United Press, 1989
^ Jump up to:a b c John Woolman Memorial, John Woolman Memorial Association website
^ Loukes, Harold (1961). Friends Face Reality. London: Bannisdale Press. p. 151.
^ Whittier 1872 edition, chapter 2
^ Gross, David M. (2008). American Quaker War Tax Resistance, Create Space, pp. 65–68, 77–79, 88–89, 94–95
^ Slaughter, Thomas P. (2008). The Beautiful Soul of John Woolman, Apostle of Abolition,New York: Hill and Wang, p. 378
^ Peter Kolchin, American Slavery, 1619–1877, Hill and Wang, 1993
^ http://woolmancentral.com/tidbit6.html
^ "John Woolman School", official website
^ John Woolman College Archived 2012-08-25 at the Wayback Machine, website


External links[edit]
John Woolmanat Wikipedia's sister projects
Media from Wikimedia Commons
Quotations from Wikiquote

Texts from Wikisource
John Woolman, The Journal of John Woolman, in Vol. I, The Harvard Classics, New York: P.F. Collier and Sons, 1909 edition, online e-text (1994) at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John Woolman, Quintessential Quaker", review, Quaker Info website
"John Woolman", bio
Woolman Central, John Woolman Memorial Association official website
John Woolman College of Active Peace, educational consortium dedicated to teaching Woolman's Theory of Active Peace
"Excerpts from 'The Journal of John Woolman'", 1872 edition, The Picket Line: tax resistance website, primary documents and excerpts
Claus Bernet (2002). "John Woolman". In Bautz, Traugott (ed.). Biographisch-Bibliographisches Kirchenlexikon (BBKL) (in German). 20. Nordhausen: Bautz. cols. 1560–1574. ISBN 3-88309-091-3.
Works by John Woolman at Project Gutenberg
Works by or about John Woolman at Internet Archive
Works by John Woolman at LibriVox (public domain audio books)

A Clear Leading, a one-man play written and performed by Rich Swingle

hide

v
t
e
Quakers
Individuals


Susan B. Anthony
Robert Barclay
Anthony Benezet
Kenneth E. Boulding
Howard Brinton
John Cadbury
Levi Coffin
Judi Dench
Margaret Fell
George Fox
Elizabeth Fry
Edward Hicks
Elias Hicks
Herbert Hoover
Rufus Jones
Thomas R. Kelly
Benjamin Lay
Dave Matthews
Lucretia Mott
James Nayler
Richard Nixon
Parker Palmer
Alice Paul
William Penn
Robert Pleasants
Bayard Rustin
Jessamyn West
John Greenleaf Whittier
John Woolman


Groups

Yearly Meeting
Monthly Meeting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A Quaker Action Group
Britain Yearly Meeting
Evangelical Friends Church International
Friends Committee on National Legislation
Friends General Conference
Friends United Meeting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Nontheist Quakers
Quaker Council for European Affairs
Quaker Peace and Social Witness
Quaker United Nations Office
World Gathering of Young Friends
Testimonies

Peace
Equality
Integrity ("Truth")
Simplicity
By region

North America
Latin America
Europe
Africa
Other

Businesses, organizations and charities
Science
Clerk
Faith and Practice or Book of Discipline
History
Homosexuality
Inner light
Meeting houses
Query
Schools
Tapestry
Wedding
Women


Authority control

BNE: XX1274209
BNF: cb16692467r (data)
GND: 118771302
ISNI: 0000 0001 1948 0102
LCCN: n79065339
MusicBrainz: 8c82a05d-ecff-4b61-a8c0-41d1c478a880
NKC: skuk0006011
NLA: 51888187
SELIBR: 383317
SNAC: w6t72g07
SUDOC: 058611932
VIAF: 29883223
WorldCat Identities (via VIAF): 29883223

Categories:
1720 births
1772 deaths
18th-century Christian mystics
American abolitionists
American tax resisters
American Quakers
Deaths from smallpox
Quaker ministers
Quaker theologians
People from Mount Holly, New Jersey
American Christian pacifists
Infectious disease deaths in England
Protestant mystics
People of colonial New Jersey
Burials in North Yorkshire

정토회 | 스님의 하루 - “성질이 더러운 사람을 사랑으로 대할 수 있을까요?”



정토회 | 스님의 하루 - “성질이 더러운 사람을 사랑으로 대할 수 있을까요?”




“성질이 더러운 사람을 사랑으로 대할 수 있을까요?”

2019.4.17. 즉문즉설(9) 세종시


안녕하세요. 오늘 스님은 정부 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즉문즉설 강연을 했습니다.





스님은 동국대학교에서 도법스님을 비롯한 불교계 인사와 오찬을 하고 세종시로 출발했습니다. 강연 전에 정석배 교수님을 만나 연해주 독립운동 유적지인 신한촌 재건 사업 대해 의논하였습니다.





강연이 열린 정부 세종청사 대강당에는 퇴근을 하고 막 달려온 직장인부터 나이 지긋한 어르신까지 다양한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6백여 석이 꽉 차고 좌석에 앉지 못한 삼백 여명은 맨 뒤편, 계단 한쪽, 무대 앞쪽에 깔개를 깔고 앉았습니다. 바닥에도 앉지 못한 분들은 강연장 밖에서 영상으로 보았습니다.





스님은 밝은 미소와 함께 강연을 시작했습니다.






“저녁 식사는 하셨어요? 우리는 육신을 위해 매일 하루 세끼 음식을 챙겨 먹입니다. 그런데 행복의 근본인 마음을 위해서는 제대로 안 챙겨 먹이는 거 같아요. 오늘 저녁은 마음이 배부를 수 있도록 함께 즐거운 대화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참 좋은 봄날입니다. 계절의 봄은 왔는데 아직 마음의 봄이 아직 안 오신 분들도 있죠? 오늘 저녁에는 우리들의 마음에도 따뜻한 봄이 찾아왔으면 합니다. 질문을 써낸 분들은 마음이 다 겨울인 분들이에요. 대화를 하면서 마음에 맺힌 얼음이 녹고 따뜻한 봄이 되었으면 합니다.”

스님의 인사에 따뜻한 봄바람이 스치는 듯했습니다. 질문을 써낸 분이 17명이었습니다. 스님은 바로 질문을 받았습니다. 첫 질문자는 어릴 적부터 ‘왜 사는가’가 고민이었다고 합니다. 평생 무겁고 힘들게 살아왔는데 가볍게 사는 방법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스님은 질문자와 대화를 끝내고 즉문즉설의 원리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었습니다.






“두려움이 생기면 도망을 갈 게 아니라 ‘왜 두렵지?’, ‘두려움의 원인이 뭐지?’ 이렇게 접근해야 해요. ‘왜 괴롭지?’, ‘왜 슬프지?’ 이렇게 접근해서 그 원인을 규명하면 두려움과 괴로움이 사라져 버립니다. 이걸 깨달음이라고 해요. 깨닫는다는 것은 ‘꿈에서 깨어난다,’ ‘무지로부터 깨어난다’ 이런 뜻이에요. 신비스러운 것이 아닙니다.

오늘 여러분과의 대화도 그래요. 그저 이런저런 사는 얘기를 웃으면서 하는 것 같지만, 저와 얘기를 나누다 보면 ‘별 거 아니네’라고 말하는 경지에 이르게 됩니다. (모두 웃음)

‘그게 굉장한 문제인 줄 알았는데 별 거 아니네!’

진실을 발견하면 이렇게 말하게 돼요. 사실을 있는 그대로 알게 되면서 두려움이 사라져 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여러분이 무슨 괴로움을 갖고 있느냐고 묻는 거예요. 여러분이 온갖 걸 물어도 법륜 스님은 척척 얘기한다고 하지만 사실 저는 얘기할 게 없어요. (모두 웃음)






10명이 잠을 자면 10명이 다 다른 꿈을 꿉니다. 한 사람은 뱀한테 쫓기고, 한 사람은 사자한테 쫓기고, 한 사람은 강도한테 쫓겨요. 꿈속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뱀한테 쫓길 때는 어떻게 해야 하고, 사자한테 쫓길 때는 어떻게 해야 하고, 강도한테 쫓길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다 다르기 때문에 무척 복잡합니다. 그런데 그 악몽에서 벗어나는 길은 흔들어 깨우는 겁니다. 그 사람이 무슨 꿈을 꾸든 흔들어주면 됩니다. 그 사람이 뱀 꿈을 꿨든 강도 꿈을 꿨든 아무 관계가 없어요. 눈만 뜨면 해결됩니다.

즉문즉설에서 여러분이 무슨 고민을 하는지는 그렇게 중요한 문제가 아니에요. 무슨 얘기든 그냥 사실대로 얘기하면 돼요. 그래서 뭐든지 물어도 좋다고 하는 겁니다. 다만 무슨 얘기든 솔직하게 얘기하는 게 좋아요. 그래서 여러분이 괴로워하는 문제의 원인을 규명해보는 겁니다. 어제 어떤 분은 ‘공이 뭡니까?’라고 물어서 ‘그거 알아서 뭐할래요?’라고 했어요. 저와의 대화는 이런 방식입니다.

‘기도는 어떻게 합니까?’
‘기도는 왜 하는데요?’
‘기도하면 좋다고 하니까요.’
‘누가 그래요?’

여러분은 늘 어떻게 해야 한다는 전제가 되어 있어요. 저는 그 전제가 과연 맞는 것인지 묻는 겁니다. 그래서 질문자가 힘들어 죽겠다는 얘기를 해도 웃으면서 대화를 나눌 수가 있어요. 힘들어 죽겠다는 꿈을 깨면 되니까요.”
두 번째 질문자는 울먹이며 질문을 시작했습니다. 남편이 백수에다 예민한 성격이라 이혼하려고 하는데 5살 아이가 걱정이 된다고 했습니다. 세 번째 질문자는 반대로 이혼한 가정에서 자라 자살시도를 여러 번 했다며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놓았습니다. 대비되는 두 질문자와 스님의 대화를 들으며 눈물을 흘리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네 번째 질문자는 대학병원 의사인 딸이 열등감으로 불안해해서 엄마인 자신도 불안하다고 질문했고, 다섯 번째 질문자는 트럼프나 김정은 같은 사람들을 어떻게 사랑으로 대할 수 있을지 물었습니다. 여섯 번째 질문자는 통일을 하면 어떤 이익이 있는지 물었습니다.

오늘은 그중 ‘트럼프와 김정은을 어떻게 대해야 사랑으로 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트럼프, 김정은을 어떻게 사랑으로 대할 수 있을까요?

“저는 마틴 루터 킹의 ‘미움은 미움을 몰아낼 수 없다. 사랑만이 그럴 수 있다’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그런데 삶을 살면서도 그렇지만 특히 국가 간의 외교 문제에서는 상대방을 선택할 수가 없잖아요. 트럼프나 김정은처럼 개인적으로 존경할 수 없는 사람들과 외교 문제를 풀어야 한다면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까요? 그 사람들을 어떻게 사랑으로 대할 수 있을까요?”

“질문자는 마틴 루터 킹 수준이 돼요?” (모두 웃음)

“안 됩니다.”






“수준도 안 되면서 무슨 마틴 루터 킹처럼 하려고 해요? 질문자 수준에서는 미움은 미움으로 갚아야죠.”

“그러고 싶지 않으니까요.”


“미움을 미움으로 갚는 게 뭐가 나쁜데요?”

“그러면 미움이 끝나지 않으니까요.”

“끝이 안 나면 어때요? 왜 꼭 끝이 나야 해요?” (모두 웃음)

“....” (질문자 침묵)


“이렇게 질문하니까 어쩔 줄 모르겠죠? 여러분은 자꾸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 하기 때문에 고뇌가 많은 거예요. 내가 돈을 빌려야 하는 상황에서 ‘돈을 빌리면 된다, 안 된다’ 이렇게 고민하기 때문에 힘든 거예요. 궁해서 돈을 빌렸으면 그 돈을 갚는 게 중요하지, 돈을 빌린 걸 두고 ‘잘했다’, ‘잘못했다’ 이렇게 접근하면 안 됩니다. 빌리면 갚아야 해요. 갚기 싫으면 다음에는 안 빌리면 됩니다. ‘빌리지 마라’, ‘빌려라’ 이런 건 인생에 없어요.

결혼을 하려면 서로 맞춰야 해요. 맞추기 싫으면 스님처럼 결혼 안 하면 돼요. 그걸 두고 ‘결혼해야 하느냐, 안 해야 하느냐’ 이렇게 접근할 필요가 없어요.






트럼프 같은 사람이라도 만나서 문제를 푸는 게 나한테 이익이면 만나야 하고, 상대가 아무리 좋은 사람이라도 그 사람을 만나는 게 나한테 손해가 되면 안 만나야죠. 여기서 트럼프와 김정은의 인격이 뭐가 그리 중요해요? ‘미움을 사랑으로 갚아라’ 그건 그냥 하는 소리예요. 질문자는 그 수준도 안 되면서 왜 자꾸 그런 걸 갖고 고민을 해요? (모두 웃음)

내가 트럼프를 미워하면, 트럼프가 괴로울까요, 내가 괴로울까요?”

“내가 괴로워요.”


“내가 괴로운 건 내가 나를 괴롭히는 걸까요, 트럼프가 나를 괴롭히는 걸까요?”

“내가 나를 괴롭히는 겁니다.”


“내가 나를 괴롭히는 건 바보예요, 지혜로운 사람이에요?”

“바보입니다.”


“그러니 바보 같은 짓을 하지 말라는 거예요. 이건 트럼프와는 아무 관계없는 일이에요. ‘트럼프를 미워하면 안 된다’ 이런 얘기는 윤리도덕적인 얘기이지 진실하고는 아무 관계없는 얘기예요. 예를 들어, 제 대화는 이런 식입니다.

‘트럼프를 미워하는 건 네 자유다. 그런데 미워하면 네가 손해다. 손해 볼 짓인 줄 알고 하느냐?’
‘나는 손해 봐도 그렇게 하겠다.’
‘그럼 해라.’

아니면 이럴 수도 있죠.

‘아이고, 나는 손해 볼 짓은 그만 하겠다.’
‘그러면 미워하지 마라.’

그런데 여러분들은 ‘미운데 어떻게 안 미워해요?’라고 묻습니다. 그러면 저는 ‘그럼 미워하세요’라고 합니다. (모두 웃음)






‘손해 나는데 어떡해요?’라고 하면 ‘그럼 미워하지 마세요’라고 합니다. 거기에 무슨 다른 길이 있어요? 다 자기 선택입니다.

‘돈을 빌릴까요, 말까요?’
‘알아서 하세요.’
‘궁한데요!’
‘그러면 빌리세요.’
‘갚기 힘든데요!’
‘그러면 빌리지 마세요.’

지금 남북문제를 풀려면 이렇게 접근해야 해요. 미국과 북한이 싸우든 말든 우리와 관계없는 게 아니잖아요. 싸워서 전쟁이 나면 우리가 엄청난 피해를 본단 말이에요. 그러니 전쟁이 안 나도록 해야겠죠. 전쟁 안 나도록 하려면 미국은 북한에 협박을 안 해야 하고, 북한은 죽고 살기로 안 덤벼야 해요.

여기서 트럼프가 악인인지 성인인지는 중요하지 않아요. 전쟁이 나면 우리한테 손해이기 때문에 트럼프를 만나서 얘기를 해야 하는 겁니다. 김정은이 훌륭한지 안 훌륭한지 중요하지 않아요. 전쟁이 나면 우리한테 손해이기 때문에 김정은을 만나서 얘기를 해야 하는 겁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지금 스님 말씀은 외교 문제로 그 사람들과 대화를 할 때 그 사람들에 대한 내 태도를 결정할 필요가 없다는 말씀이신가요?”






“트럼프가 좋은 사람인지 나쁜 사람인지는 나하고 아무 관계없는 일이라는 거예요. 트럼프를 만나서 나에게 이익이 될 일이라면 트럼프가 나쁜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찾아가서 얘기를 해야 하고, 트럼프를 만나봐야 아무 도움이 안 된다면 그 사람이 아무리 좋은 사람이라도 내가 찾아갈 필요는 별로 없다는 겁니다.

어디 놀러 가려고 했는데 비가 온다고 합시다. 비가 오면 불편하죠. 그렇다고 비를 욕해야 할까요? 비를 간절히 바라는 모내기철에 비가 오면 비를 맞으면서 일해요. 비 맞고 일하는 것보다는 그래도 비 맞고 노는 게 쉽잖아요. 그러니 비 맞고 노는 것이 무슨 문제가 돼요? 비 맞고 일하는 사람도 있는데요. (모두 웃음)

물론 ‘비 맞고 놀 바에야 굳이 밖에 나가서 놀 게 뭐 있나?’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어요. 그러면 오늘 계획을 잡아놓았다 하더라도 안 가면 돼요. 그런데 왜 오는 비에 대해 시비를 해요? 비 맞고 놀든지, ‘굳이 비까지 맞아가면서 놀 게 뭐 있나’ 하는 생각이면 계획을 취소하고 안 가면 되죠. 그런데 여러분은 ‘버스를 대절해 놨는데 어떡해요!’ 이래요. 버스 대절해놓은 게 아까우면 버스 타고 빗속을 왔다 갔다 하든지요. (모두 웃음)






예를 하나 더 들어볼게요. 내가 병이 났는데, 이 병이 나으려면 한 달 치에 백만 원인 약을 지어먹어야 한다고 합시다. 그래서 약을 백만 원어치를 지었는데, 열흘 먹고 병원에 갔더니 병이 다 나았대요. 그러면 좋은 일이잖아요. 그런데 여러분은 ‘남은 약 이거 어떡해요? 70만 원어치나 남았는데’ 하고 스님한테 물어요. 어떡하긴요. 버려야죠. 병이 나았는데도 그 약을 꼭 먹어야 하겠어요?

그런 바보 같은 생각을 하지 마세요. 트럼프가 어떤 사람이든, 김정은이 어떤 사람이든, 시진핑이 어떤 사람이든, 아베가 어떤 사람이든 그게 뭐 그리 중요해요? 그 사람은 그렇게 생겼는데요. 한일 관계를 푸는 게 우리한테 이익이라면 아베하고도 대화를 해야 하고, ‘까짓 거 저런 놈하고 얘기할 게 뭐 있나. 너 없어도 우린 잘 살 수 있다’라고 생각한다면 상대야 욕을 하든 말든 내버려두면 돼요.

이런 관점을 분명히 가져야 외교를 잘할 수 있는 거예요. 외교는 도덕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접근하면 안 돼요. 외교는 장사예요. 장사는 이해관계를 갖고 하듯이 외교도 ‘국익’이라고 하는 이해를 갖고 해야 합니다. 질문자 같은 사람은 외교부에 있으면 안 돼요. (모두 웃음)

상사가 좀 성질이 더럽다고 해봅시다. 상사가 성질이 더러운 게 나하고 무슨 상관이 있어요? 그 사람이 성질이 더러운 걸 내가 어떡하겠어요? 이 회사에 다니는 게 좋으면 그냥 성질 더러운 상사하고 지내면서 다니는 거고, ‘내가 다른 데 가서도 돈 벌 수 있는데, 굳이 여기에서 성질 더러운 인간하고 지낼 게 뭐 있나’ 이렇게 생각하면 사표 내고 다른 회사로 가면 되는 거예요.

그런데 성질 더러운 것과 그 사람이 법을 어기는 건 별개의 문제예요. 그 사람이 법을 어기면 기분 나쁘다고 나갈 게 아니라 내 권리를 주장해야 해요. 이건 사회 정의 차원에서 권리를 주장해야 합니다. 그런데 제 얘기를 잘못 듣고 ‘스님은 그저 마음이 편하면 된다고만 한다’라고 하는데, 그런 뜻은 전혀 아니에요. 사회 정의를 위해서는 내가 마음이 좀 불편하고 손해를 보더라도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트럼프가 좋은 사람이냐 나쁜 사람이냐는 외교하고 아무 관계가 없어요. 다만 이 점은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요. 미국 안에서는 오바마와 힐러리가 트럼프보다 나을지 모르지만, 북한 문제를 푸는 데는 트럼프가 나을까요? 오바마나 힐러리가 나을까요?”

“....” (모두 침묵)






“트럼프가 나아요. 북한은 깡패 성질이 있기 때문에 같은 깡패가 나서야 문제가 풀리는 거예요. (모두 웃음) 깡패의 성질은 두 가지예요. ‘야, 칼 가져와. 너 죽고 나 죽자!’ 이렇게 한 판 붙든 지, 술 한 잔 마시고 악수하고 끝내든지, 두 가지 중 하나입니다. 북한 문제도 이렇게 둘 중 하나로 풀어야 해요. 이걸 합리적으로 접근하면 안 돼요. 그래서 북한 문제는 전쟁이 날 가능성도 있고, 지금까지 안 풀리던 게 풀릴 가능성도 있고, 두 가지 가능성이 다 있어요. 2년 전에는 전쟁할 가능성이 있었고, 지금은 풀릴 가능성이 있죠.

그런 이치를 모르니까 여러분은 트럼프가 되면 굉장히 큰일 날 것처럼 호들갑이지만 그렇지 않아요. 트럼프가 되면 더 잘할 수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지금 북한 문제를 푸는 걸 미국에서 다 반대하는데 트럼프가 혼자 하고 있어요. (모두 웃음)

미국에 가보면 아주 좌파인 소수를 제외하면 미국 전체가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반대합니다. 민주당이 다 반대해요. 힐러리나 오바마와 같은 사고방식으로는 북한 문제를 못 풉니다. 미국의 엘리트들은 합리적으로 문제를 풀려고 해요. 아래에서부터 협의해서 올라가려고 하는데, 이런 방식으로는 이 문제를 풀 수 없습니다.

미국의 엘리트들은 북한을 인정 안 합니다. 백악관, 의회, 국무성, 재무성, 국방성이 미국의 최고 엘리트 계층인데, 그런 사람들이 북한을 긍정적으로 봐주려고 할까요? 턱도 없는 소리예요. 그런데 트럼프는 미국 안에서는 아웃사이더 취급을 받아요. 트럼프는 북한 문제를 풀 수도 있고, 전쟁을 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우리가 전쟁을 거세게 반대하기만 하면, 문제가 풀리는 쪽으로 갈 수 있어요.

그래서 지금 기회가 괜찮아요. 트럼프 때문에 안 풀리는 게 아니라, 트럼프 덕분에 이만큼 온 거예요. 여러분은 문재인 대통령이나 김정은 덕분에 여기까지 온 것 같아요? 실제로는 트럼프 덕분에 여기까지 발전해 온 거예요. 트럼프가 무슨 노력을 해서 여기까지 왔다는 게 아니에요. 트럼프 같은 사람이기 때문에 문 대통령의 노력이나 김정은의 제안이 먹혀들었지, 트럼프가 아니면 미국에서는 그런 제안을 절대 안 받아줍니다. 지금 우리나라 대통령이 가서 호소했지만 미국에서는 끄떡도 안 하잖아요. 트럼프만 ‘그래도 한번 해보자!’라고 했죠. (모두 웃음)







그렇다고 스님이 트럼프를 지지하는 건 아니에요. 미국 안에서는 트럼프 지지가 약합니다. 그런데 트럼프의 정반대인 샌더스 같은 사람을 보면 참 재미있어요. 샌더스는 트럼프가 하는 건 다 반대하는데 대북 정책만큼은 찬성해요. 그래서 지금 미국 안에 있는 우리 교포나 진보 학자, 운동가들이 굉장히 딜레마에 처해 있습니다. 미국 안에서 보면 트럼프는 도저히 함께 대화하기도 어려운 사람인데, 한국 문제를 푸는 데는 지금 트럼프밖에 없거든요. 그래서 제가 그랬어요.

‘그게 뭐 딜레마예요? 다른 건 다 반대하고, 대북 정책은 잘한다고 지지해주면 되죠.’

그런데 우리는 도덕성의 관점에서 보기 때문에 그 인간이 나쁘면 다 나쁘고, 좋으면 다 좋아요. 자꾸 이렇게 접근하니까 문제가 안 풀립니다. 트럼프가 있을 때 북한 문제를 풀어야 해요.






그런데 이 점도 생각해보세요. 트럼프가 있을 때 남북 관계를 풀어서 북한 문제에 합의를 봤다고 합시다. 다음에 민주당 정부가 들어오면 이 합의를 지키지 않고 뒤집을 가능성도 있어요. 제가 그걸 걱정해서 민주당 사람한테 물어보니까 ‘스님, 걱정은 이해가 되지만, 미국의 전통을 보면 공화당이 문제를 풀어서 합의를 봐놓은 것은 민주당도 지키는 편입니다’라고 해요. 그런데 민주당이 합의를 봐놓은 것은 공화당이 반드시 뒤집는대요. 쿠바나 이란도 그랬잖아요. 그래서 트럼프가 있을 때, 또는 공화당이 있을 때 합의를 해놓는 게 오히려 뒤집힐 확률이 낮다는 겁니다.

그래도 뒤집힐 가능성이 없지는 않겠죠. 트럼프가 재선 안 될 가능성이 있고, 민주당이 대북 정책에 반대하고 있으니까요. 그래서 북한도 지금 망설이는 거예요. 합의해놔 봐야 정권 바뀌면 또 뒤집어지니까요. 그래서 남한과의 약속도 별로 신뢰하지 않는 거예요. 정권 바뀌면 뒤집어지니까요. 그래서 우리가 북한하고 신뢰를 가지려면 여야가 합의한 만큼 가야 합니다. 여야 합의 없이 너무 많이 가는 것보다는 합의한 수준까지 가주는 게 더 좋아요. 그래서 정권이 바뀌어도 안 뒤집힌다는 보장을 해줘야 북한도 신뢰를 합니다. 그런데 국내 여론을 보면 이게 잘 안 돼요. 야당까지 합의하려면 아예 북한과의 대화 진척도 어려우니까요.

‘원수를 사랑하라’ 이런 생각 하지 마세요. (모두 웃음) 미움으로 미움이 해결 안 된다는 말은 일부 맞고 일부 안 맞기도 합니다. ‘미움으로 미움을 해결하지 마라’, ‘미운 자를 사랑하라’ 이렇게 자꾸 말하면 여러분이 너무 힘들어요. 그것보다는 이렇게 얘기하는 게 낫지 않을까요?

‘미워해봤자 내 손해다. 손해 안 보려면 미워하지 마라.’”

“네. 더 낫습니다.”(모두 박수)





좋은 말이 인생을 더 괴롭게 할 때가 있습니다. 청중은 고개를 끄덕이며 박수를 보냈습니다. 오늘은 한 분, 한 분 오랜 시간 대화를 하다 보니 총 6명이 질문할 수 있었습니다. 스님은 양해를 구하고, 행복하게 살 것을 강조하며 강연을 마쳤습니다.


“질문을 다 소화 못해서, 질문하지 못한 분들에게 죄송하다는 말씀을 먼저 드립니다. 중요한 건 이거예요. ‘나는 이래서 불행해, 저래서 불행해’ 이렇게 하나하나 다 따지면 이 세상 어떤 사람도 행복할 수 없습니다. 사람마다 그 나름의 고민이 다 있잖아요. 돈 만 원이 없는 사람은 ‘만 원만 있으면’ 하지만 그 사람에게 만원이 생기면 10만 원이 있어야 하고, 10만 원이 생기면 100만 원이 있어야 해요.

돈 문제뿐만이 아닙니다. 아이가 학교를 안 가면 ‘아이고, 학교만 가면 좋겠다’ 하지만, 학교에 가면 ‘중간 등수만 하면 좋겠다’라고 하고, 중간을 하면 ‘아이고, 이왕 하는 김에 조금만 더 해서 10등 안에 들면 안 되나’라고 하고, 10등 하면 ‘이왕이면 1, 2등 하면 좋은 대학에 갈 텐데’ 이렇게 끝이 안 납니다.

나는 그렇게 살아가겠다고 하면 그렇게 살아도 괜찮아요. 우리더러 ‘이렇게 살아라’, ‘저렇게 살아라’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어떻게 살아갈 건지는 자기 선택이에요. 그러니 오늘부터 행복하게 사시기 바랍니다.”





강연장을 나서며 스님은 자살시도를 여러 번 했다던 청년과 악수하며 ‘죽을래요, 살래요?’하고 인사를 나누었습니다. 선선한 봄바람을 맞으며, 사람들은 각자의 자리로 돌아갔습니다.





스님은 책 사인회를 마치고 봉사자들과 기념촬영을 한 후 밤새 두북 수련원으로 이동하였습니다. 내일 오전에는 농사일을 하고 오후에는 운문사에서 학인 스님들을 위한 법회를 한 후 저녁에는 마산에서 즉문즉설 강연을 할 예정입니다.







<스님의 하루>에 실린 모든 내용, 디자인, 이미지, 편집구성의 저작권은 정토회에 있습니다. 허락없이 내용의 인용, 복제는 할 수 없습니다.
스님의 하루
“남자 친구가 결혼하자는 말을 안 해요.”
2019.4.16 즉문즉설(7) 성남시, 즉문즉설(8) 서울 양천구

“신라의 삼국 통일에서 배우는 지혜”
2019.4.15. 신라문화원 초청 강연

“어떻게 하면 수행을 잘할 수 있을까요?”
2019.4.14. 활동가 나들이(저녁반), 선유동 정토연수원 개원식

“아버지에게 받은 상처 때문에 괴로워요.”
2019.4.13 청년대학생 경주역사기행

“함께 일하는 사람이 못마땅해요”
2019.4.12. 활동가 나들이 (주간반)

“결혼생활 43년동안 불행했어요”
2019.4.11 즉문즉설 (6) 부산 남구

"부부 관계를 피하는 남편, 이혼해도 될까요?"
2019.4.10 장수군 초청 강연, 즉문즉설 (5) 남원시









목록
댓글(25) 댓글쓰기
목록임대근|2019-04-20삭제트름프라서 가능하단말씀 ... 존경합니다.임대근|2019-04-20삭제훌융하신스님말씀은 중생에 근심모두해결해주십니다( ) 나무관세음보살박용삼|2019-04-20삭제감사합니다 감정적으로 풀지않는게 나에게도 남에게도 이로운 길임을 새기겠습니다김 정애|2019-04-20삭제"미워해봤자 내 손해다" 그래서 사랑하는게 내게 좋은것인데 .. 실천해야지요~~*^^^^|2019-04-20삭제지혜로우신 스님말씀에 감탄합니다!삶의 어느것하나 불법 아닌것이 없네요‥수승화|2019-04-19삭제스님, 감사합니다. 스님의 하루 읽는것이 일상이 되었습니다. 건강하세요모리아|2019-04-19삭제트럼프의 지지층은 민주당처럼 요란하게 드러내 놓고 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조용히, 그렇지만 강력한 흔들림없는 지지층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죠.정명|2019-04-19삭제"‘미워해봤자 내 손해다. 손해 안 보려면 미워하지 마라.’” 감사합니다.~~^^서현|2019-04-19삭제스님말씀 듣고 많이 참회하고 제가 아직도 작은 이치마져 깨우치지 못하고 많은 우를범하고 많은 죄를짓고 사는가봅니다.스님 항시건강 하시고 저와같이 부족하고 어리석은 사람이 또 있다면 좋은말씀으로 깨우쳐 주시기바랍니다.스님 존경합니다.김민정|2019-04-19삭제마음의 양식을 위해 매일 법륜스님의 하루를 읽습니다 두려움에 떨지말고 왜 두렵지 하고 두려움의 원인을 알아가려 합니다 꿈에서 다만 깨면 됩니다 미래지향적으로 통일운동에도 적극 동참합니다정향선 |2019-04-19삭제어떻게 그 바쁜 일정을 소화하시는지~ 오전, 오후, 밤.. 가까운 거리도 아닌데 말입니다 어떤 일을 필요에 의해서 해야 한다면 감정 넣지 말고 일을 해라. 상대방의 인격 운운하지 말고 필요에 의해서 대화하고 진행해라 멋지신 말씀. 일상에서도 적용해서 그러하도록 실천하겠습니다. 편협한 한 생각을 일깨워주셔서 감사합니다 _()_보리수|2019-04-19삭제네, 현재 북한문제에 대한 트럼프의 역할(?), 그리고 상황에 대한 말씀 너무 잘 들었습니다. 우리에게 이득이 되면 찾아가야 한다. '미워해봤자 내 손해다. 손해 안 보려면 미워하지 마라.’매우 쉬운 말인데, 이상하게 마음이 가벼워집니다. 고맙습니다~^^김민정|2019-04-19삭제고구마 몇개먹은 것 같은 마음이 다 내가 만들어낸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게 사이다 발언 해주신 스님 너무 감사합니다.서정희|2019-04-19삭제스님 ~ 너무 멋져요. 도덕성 관점으로 보기보다는 대북정책은 트럼프!! 감사합니다.무지랭이|2019-04-19삭제절간을 나온 스님이 우리 가까이에 이렇게 계시다는것이 얼마나 행운이고 복인지...!!! 스님을 비롯한 모든 인연들, 고맙습니다~^^안선영|2019-04-19삭제"미워해봤자 내 손해다. 손해안보이기 위해 미워하지말자!" 오~~명확해지는 마음~~나의 이익, 행복을 기준으로 잡으니 인연과보의 진리가 명확해집니다~이모든것 나를 위해서!^^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하는 일이라면! 트럼프도 김정은도 함께 미래로!우리는 하나!^^이성현|2019-04-19삭제읽다보니 또 눈물이 납니다. 항상 스님의 법문을 읽다듣다보면 감격의 눈문이 흐릅니다. 오래오래 건강하시길 바라고 또 바랍니다.김춘경|2019-04-19삭제스님 말씀 많이들었습니다.항상 감사드립니다.?박노화|2019-04-19삭제스님의 좋은말씀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고맙습니다 존경합니다~여경희|2019-04-19삭제건강하시길 간절히 바랍니다송미해|2019-04-19삭제냉정함 안에 지혜와 관심이 읽혀집니다. 가르침 잘 따라 배우겠습니다. 고맙습니다.이장호|2019-04-19삭제두려우면 도망갈게 아니라 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해버리면 두려움도 괴로움도 사라진다. 깨달음이란 신비한 것이 아니다. 진실을 발견하면-사실을 있는 그대로 알아버리면 두려움도 괴로움도 사라져버린다. 미워하면 나만 손해니 손해날 짓 하는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오늘도 좋은 법문 감사합니다^^보각심|2019-04-19삭제감동의 눈물이 나네요~~ 스님의 건강을 빕니다~^^ 감사합니다.이미정|2019-04-19삭제미워해봤자, 내 손해다. 손해 안보려면 미워하지 마라" 그를 위해서가 아니라 나를 위해, 또한 문제를 풀기 위해 도덕성의 관점에서만 그 인간이 나쁘면 다 나쁘고, 좋으면 다 좋 사람을 보지 않도록 관점을 다시 잡습니다. 혼란스러웠던 것이 정리가 되니 명쾌합니다. 고맙습니다.박경자|2019-04-19삭제어떤꿈을 꾸었든 눈을뜨면 그만임을~ 망나니같은 트럼프가 남북문제에 지금우리에 희망을 주고있음을~ 정답이 없음을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9/04/25

똘이장군 - 나무위키



똘이장군 - 나무위키

최근 수정 시각: 2019-03-31 23:18:13


분류
한국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영화





똘이장군 제3땅굴편
간첩 잡는 똘이장군






똘이장군 제3땅굴편






간첩 잡는 똘이장군



1. 개요2. 주제가
2.1. 똘이장군 제3땅굴편2.2. 내 이름은 늑대2.3. 간첩 잡는 똘이장군3. 트리비아

1. 개요[편집]
김청기가 감독한 극장용 애니메이션 시리즈.

산 속에서 동물들과 어울려 숲속의 장군으로 살던 타잔 소년 똘이가 북한의 핍박으로 고생하던 소녀 숙이를 만나 도움을 주다가, 사람들에게 강제 노역을 시키고 짐승의 모습을 한 북한의 악당들을 쳐부수고 탐욕스런 붉은 수령까지 격파한 후 자유대한으로 넘어간다는 내용의 제3땅굴편과, 남한으로 넘어온 똘이가 요괴 같은 남파 간첩과 다시 맞서게 된다는 내용의 '간첩 잡는 똘이장군'의 총 2편으로 만들어진 반공 애니메이션.

'똘이장군 제3땅굴편'은 1978년, '간첩 잡는 똘이장군'은 1979년 제작되었다.

한국 애니메이션 사상 최초의 반공 애니메이션으로, 학교에서 반공물은 단체관람을 독려해 가며 관람시키던 분위기에 힘입어 개봉 당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렇다고 그냥 반공이 내용이라서 성공한 건 아닌 게, 일단 당시 기준으로 스토리도 상당히 흥미진진하게 만들어진 데다 당시 보던 어린이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던진 반전 등 호러나 스릴러스런 요소들도 상당히 잘 첨가되어 있었기 때문. 그 시절 반공 영상물(...)답게 북한에 대한 묘사를 그냥 '마왕이 지배하는 나라' 정도로 바꿔도 그다지 어색할 게 없다. 반공 만화 중에서는 가장 인지도가 높은데다 메시지나 표현 수위도 노골적이라, '북한 정권을 악마로 표현했다'면서 지금도 불편한 속내를 드러내는 언론 또한 적지 않다.

김청기 감독은 이후에도 똘이 캐릭터를 사용하여 1980년에는 똘이가 암행어사가 되어 왜구와 탐관오리를 물리치는 내용의 사극 액션물 '꼬마어사 똘이', 1981년에는 초자연적인 현상으로 인해 원시시대로 떨어져 자란 똘이가 폭군 공룡 티라노와 대결하는 원시 액션물 '공룡 100만년 똘이', 1985년에는 지저세계로 내려간 똘이가 제타로보트를 타고 악당들을 물리친다는 SF 액션물 '똘이와 제타로보트'를 만들었다.[1] 88년에는 자신이 발행하던 애니메이션 잡지 '월간 우뢰매'에 만화까지 연재하며 '똘이와 태권V'라는 작품을 만들 것처럼 떡밥을 던졌으나, 이후에도 습관처럼 그랬듯이 계획만 세우고 제대로 실행은 하지 않았다.

다섯 작품 모두 70, 80년대 애니메이션 음악의 대부 정민섭이 음악을 맡았고 그의 딸 정여진도 아빠가 만든 노래를 불렀다.[2][3]
2. 주제가[편집]

2.1. 똘이장군 제3땅굴편[편집]

작사·작곡: 정민섭, 노래: 최은정, 최원정, 전수진

똘이장군 나가신다 길을 비켜라
똘이장군 앞서 간다 겁낼 것 없다
덤벼라 덤벼라 붉은 무리 악한 자들아
무쇠 같은 주먹이 용서 못한다
용서 못한다

그 이름 무적의 똘이장군
그 이름 정의의 똘이장군
나간다 달린다 똘이장군
똘이장군 만만세

똘이장군 나가신다 길을 비켜라
똘이장군 앞서 간다 겁낼 것 없다
왔노라 왔노라 싸웠노라 이겼노라
똘이장군 가는 길 승리뿐이다
승리뿐이다

그 이름 무적의 똘이장군
그 이름 정의의 똘이장군
나간다 달린다 똘이장군
똘이장군 만만세

2.2. 내 이름은 늑대[편집]

(똘이장군 제3땅굴편 삽입곡)

우리는 천성이 너무 고약해
우리는 성격이 본래 야비해
사이 좋은 걸 보면 신경질이 나지요
조용하기만 하면 괜히 불안해
그래서 내 이름은 늑~대~
무섭지이~~?

우리는 날마다 이빨 갈지요
우리는 싸움을 아주 좋아해
약한 자를 보면 가만 두지 않아요
사이좋게 노는 것 우린 싫어해
그래서 내 이름은 늑~대~
무섭지이~~? 히히히히~

2.3. 간첩 잡는 똘이장군[편집]

작사·작곡: 정민섭, 노래: 정여진

용감한 소년 대한의 소년
붉은 늑대 몰아내는 똘이장군
씩씩한 용사 대한의 용사
붉은 간첩 잡아내는 똘이장군

나가자 승리의 깃발을 들고
나가자 앞으로 전진뿐이다
대한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모두 나서라

용감한 소년 대한의 소년
붉은 늑대 몰아내는 똘이장군
씩씩한 용사 대한의 용사
붉은 간첩 잡아내는 똘이장군

나가자 태극기 높이 날리며
나가자 힘차게 전진뿐이다
대한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모두 뭉쳐라

우리의 자랑 우리의 친구
붉은 수령 물리치는 똘이장군
우리의 희망 우리의 영웅
붉은 무리 소탕하는 똘이장군

3. 트리비아[편집]


그 유명한 "안녕" 짤방이 이 작품에서 나왔다.

똘이장군 자체는 표절이 아니지만, 작중 똘이의 모습이 정글북의 야생 소년 모글리에서 따왔고 나오는 동물들은 디즈니의 장편 애니메이션 정글북의 동물들에서 따왔다며 이 작품 역시 표절작으로 보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태권브이와 비슷한 경우.

김형배가 그림을 그렸고 클로버 문고로 출판된 만화 버전이 존재한다.. 각본 감수는 애니메이션판의 시나리오 작가인 조항리, 만화판에서 똘이는 금강산 스님의 도움으로 문수보살의 힘을 얻어 초인이 된다. 그런데 금강산 스님은 이다.

두사부일체에선 "계백 장군이 계씨면, 똘이장군은 똘씨냐?!"란 개그가 나온다.[4]

게임 쾌걸 얀챠마루는 한국 오락실에서 똘이장군으로 불렸다.

검열삭제가 한창이던 시절이라 김청기 감독은 당시 악마에게 잡혀먹히는 인간을 애니메이션 내부에서 표현하고 싶었으나 검열만 하면 잔인하여 잘려나갔다고 한다. 그런데 똘이장군 내부에서 북한의 꾐에 빠져 월북하는 가족들이 시뻘건 악마의 입으로 들어가는 장면을 만들었더니 단박에 통과되었다는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북한 까는 내용이면 심의는 언제나 "나는 관대하다"인 시절이었으니, 말 다했다.

2013년, TV판으로 속편 제작이 결정됐다. 똘이의 아들이 주인공으로 나와 로봇을 타고 싸운다는 설정. 중국 제작사와의 합작으로 중국 수출 기회를 얻었다고 한다...[5]반공물 원조를 공산국가로 수출하는 상황이 오다니...모순 돋네[6] 하지만 김청기 감독 자체가 워낙 이것저것 계획만 많이 세우고 실제로 만드는게 없기 때문에 계약을 체결했다고 해도 중간에 흐지부지 될 가능성이 있어 지켜봐야 될 듯.


[1] '마패소년 박문수', '똘이와 백공룡 티라노', '불타는 쥬라기' 따위의 제목도 떠돌지만 이것은 나중에 비디오로 재출시 될 때 멋대로 바꿔 붙인 것들이다.[2] 정여진은 첫 작품 제3땅굴편에서는 삽입곡만 불렀지만, 이후의 네 작품은 모두 주제곡을 불렀다. 차례차례 듣다 보면 유치원생부터 중학생에 이르는 동안 변성기가 온 것까지 느낄 수 있다.[3] 지금의 30~40대에겐 최불암과 같이 녹음했던 "아빠의 말씀" 앨범으로 상당히 유명하다. (아빠 언제 어른이 되나요~)[4] 여담으로 계백 장군의 성씨는 대동지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부여 씨라고 기록 되어있다. 고로 계백은 또다른 이름일 가능성이 많다. 다만 이러한 기록은 삼국사기 등의 정사에는 언급 되지 않으므로 신빙성이 떨어진다.[5] 중국에서는 외국 애니메이션에 대한 규제로 인해 외국의 애니메이션, 완구 제작사가 중국에 진출하려면, 중국쪽 업체와 합작을 하거나 중국지사를 차려야 한다. 그래도 중국지사를 차리지 않는 애니는 대부분 유쿠토두망 등에서 운영진들이 공식적으로 올려놓아서 중국 지사를 차리지 못한 기업의 애니는 해당 사이트들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도 아예 수입사를 저 동영상 사이트라고 해놨을 정도. 하지만 해당 애니를 제작한 나라 입장에서는 불법복제지만 다른 나라라서 어찌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지사를 차리자니 심의를 받아야할 판이라 어쩔 수 없는 듯하다.[6] 사실 오늘날 중국에서 중국 공산당과 연관지어 디스하지만 않는다면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은 어느 정도 허용되고 있다. 북한과는 다르게 수 많은 비(非)공산주의 국가들과 왕래가 자유롭다보니 가능한 것. 것보다 중국은 사실상 공산주의가 아닌 "시장이 도입된 자본주의 개발 일당제"로 정의된다. 소련고르바초프 집권기부터 반공물이 수입되어 온적 있다.

알라딘: 넌제로 - 하나된 세계를 향한 인간 운명의 논리

알라딘: 넌제로 - 하나된 세계를 향한 인간 운명의 논리



<넌제로 - 하나된 세계를 향한 인간 운명의 논리>
로버트 라이트 (지은이) 말글빛냄 2009-12-02

출판사 책소개
전작 <도덕적 동물>로 찬사를 받은 저자가 넌제로섬 원리라는 렌즈를 통하여 역사를 들여다본다. 모든 역사와 현상은 한쪽이 이기면 한쪽은 지는 '제로섬'이 아닌, 모두가 이길 수 있는 '넌제로섬'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역사의 기본적인 방향을 이 '넌제로섬'으로 설명하며, 인류가 그 기본 방향 속에서는 더 도덕적인 존재가 되어간다고 말하는 책.

이는 문화의 진화에서나 생물의 진화에서나 적용될 수 있다. 저자는 한 무리의 유전자든 한 무리의 밈(문화 요소)이든, 일단 한 배에 타게 되면 생산적인 조화와 협동에 이바지하지 않을 경우 결국 소멸의 길을 걷게 된다고 말한다.

이 책은 이 '넌제로섬의 논리'로 인류의 문화적 진화 과정에서 봉건주의, 자본시장, 환경문제 등의 역사 진화와 인간 협동을 설명하고 있다. 주요 견해는 역사의 방향성이 결국 예정된 '하나된 세계'로 나아간다는 것이며, 그 실례로 UN, EU, IMF, WTO 등 초국가적 형태의 집단의 등장과 형성과정, 그 미래를 진단한다.


목차
서론 폭풍전야

Part ONE 인류의 역사

Chapter 01 문화 진화의 사다리
경향을 부정하는 경향 | 문화의 진화

Chapter 02 그 옛날 우리의 모습
최소 중의 최소 | 유전자의 뿌리 | 넌제로섬 원리의 문제 | 사회적 지위 | 자연의 비밀 계획

Chapter 03 5천 년 동안의 기술 진보
두 부류의 에스키모 | 북서해안의 인디언들 | 시장에 간 대인(大人, Big Man) | 자연의 변종? | 독특한 쿵족 | 진화의 거울

Chapter 04 보이지 않는 뇌
초과근무 | 수정된 ‘보이지 않는 손’ | 대륙의 분할

Chapter 05 전쟁, 무슨 쓸모가 있을까?
전우애 | 밀고 당기기 | 평화의 도모

Chapter 06 농업의 필연성
좋은 시절 | 평형 상태에 대한 신화 | 농부가 아내를 데려오고 | 여가 시간 | 투쟁, 투쟁, 투쟁……

Chapter 07 추장사회 시대
폴리네시아의 추장사회 | 추장을 위한 변명 | 밈meme에 대한 몇 가지 밈들 | 넌제로섬 원리 다시 승리하다 | 영혼의 구원자로서의 추장

Chapter 08 두 번째 정보 혁명
운명 예측 | 문자의 진화 | 문자와 신뢰 | 관료적 뇌 | 시체 더미 | 너의 넌제로섬은 나의 제로섬

Chapter 09 문명의 탄생
세 개의 시험접시 | 문명의 요람 | 또 다른 문명의 요람 | 아메리카 문명 | 역사에 대한 반론

Chapter 10 우리의 친구 미개인들
미개인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들 | 역사의 평결

Chapter 11 암흑기
밈을 주목하라 | 봉건제도에 나타난 프랙탈의 아름다움 | 세계는 백업 카피를 만들어 놓는다 | 에너지 혁명 | 세계를 안전하게 만든 자본주의 | 자유와 그 밖의 효율적인 기술들

Chapter 12 불가사의한 동양
열광적인 이슬람교도 | 중국의 자본주의 도구들 | 위대성의 가장자리 | 새롭고 향상된 미개인 | 한 발 물러선 중국 | 만남의 광장 | 선(禪, Zen)과 상업적 착취의 기술 | 이슬람의 선물

Chapter 13 현대사회
항의의 기술 | 귀족들의 득세 | 민족주의의 원동력 | 역설의 논리 | 인쇄와 다원주의 | 다원주의와 무임승차 | 중국과 역사의 법칙 | 산업혁명 | 하나의 세계?

Chapter 14 지금 우리 여기에
넌제로섬 원리의 성장 | 진보의 도래

Chapter 15 새로운 세계 질서
통일성의 논리 | 한 곳으로 끌어당기기 | 한 곳으로 밀어붙이기 | 부족주의 | 악(惡)한 부족주의가 선(善)을 낳다 | 운명의 확산

Chapter 16 자유도(自由度)
세포의 삶 | 낙관주의 | 뒤섞인 감정

Part TWO 생명의 역사

Chapter 17 우주적 배경
열역학 제2법칙의 정신 | 에너지와 문화 | 에너지와 정보 | 기적의 접착제

Chapter 18 생물학적 넌제로섬 원리의 출현
원시 수프 속의 연합 | 세포는 어떻게 복잡해졌을까? | 여럿으로 이루어진 하나 | 모두에게 내재된 점균세포적 속성

Chapter 19 생명,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
되는대로 걷기 | 되는대로가 아닌 걷기 | 좋은 유전자에 나쁜 일이 일어날 때 | 왜 그렇게 오래 걸렸을까? | 체험을 통한 학습

Chapter 20 최후의 적응
에스컬레이터의 엔진 | 도구 사용 | 의사소통 | 사회적 사다리 올라가기 | 판다의 엄지 | 진화론적 서사시

Chapter 21 인류는 거대한 전지구적인 ‘뇌’
우리는 하나의 생물일까? | 거대한 전지구적 뇌가 의식을 가질 수 있을까? | 진화의 목적 | 자연선택이 낳은 자연선택

Chapter 22 신의 진화
의미의 원천 | 의미의 성장 | 선의 기원 | 선의 성장 | 선의 미래 | 신의 미래 | 오늘날의 설교 | 태초의 말씀

부록 1 _ 넌제로섬 원리에 대해서
부록 2 _ 사회적 복잡도란 무엇인가?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
P.163
‘문자 = 문명화’라는 공식에 대한 대략적이나마 정당성을 찾아보자면(실제로 어느 정도 정당화의 여지가 있다) 전혀 다른 방향에서 접근해야 한다. 좀 더 기술적인 의미에서 ‘문명화’는 종종 국가 수준의 조직화에 도달한 사회를 일컫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문자가 국가의 성립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국가의 진화에 도움을 주는 요소인 것은 분명하다. 문자는 완전히 새로운 넌제로섬 영역을 열어젖히며 추장사회에서 국가로 넘어가는 전이 과정을 매끄럽게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한다. 전 세계에 걸쳐서 국가 수준의 사회들은 정보를 기록하고 전달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가 국가 수준으로, 기술적 의미에서 문명화 수준으로 진보해나가는 것은 그 자체로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의미에서의 문명화, 즉 문명화된 행동의 장으로서의 문명화로 나아가는 길을 닦아준다고 할 수 있다. …
실제로 우리는 엄밀한 의미라기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문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사람들의 삶을 더 나아지게 만들었다고 말할 수 있다. 심지어 문자는 궁극적으로 독재자의 권력을 침식해 들어가는 역할을 수행했다. 그리고 우리는 데이터 처리 과정의 발달에서 나타난 다른 문턱들, 이를테면 인쇄기나 인터넷의 출현 등에 대해서도 비슷한 주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우리는 문자가 애초에 어떻게 진화했는지 이해해야 한다. 왜냐하면 인쇄기나 인터넷 역시 ─어떤 의미에서─ 데이터 저장 및 전달 방식에 일어난 이 태고의 혁명의 확장이기 때문이다.
(7장 두번째 정보혁명)
P.183~184
고대 국가에서 진화되었던 기본적인 정보 기술에는 문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돈(표준화된 통화) 역시 일종의 정보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돈은 개인이 과거에 수행한 노동과 그 노동에 대해 사회가 평가하는 가치를 기록한다. 한편 우리가 돈을 쓸 때 그 행위는 일종의 신호가 된다. 당신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혹은 무엇을 원하는지를 확인해주고 비록 간접적이긴 하나 그 정보를 당신의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전달한다. 이 사람 저 사람의 손을 거치면서 돈은 더욱 큰 보이지 않는 손의 신경계를 흘러 다니면서 공급자에게 수요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돈에 대해 많은 불평이 쏟아져나왔다. 어떤 사람들은 돈이 사람들을 짓밟고 억누르는 도구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돈은 오히려 억압에 대한 해법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시장 경제를 활성화함으로써 돈은 읽고 쓸 줄 아는 소수의 사람들에게 지배받는 중앙통제경제에 대한 대안을 제공해준 셈이다. 만일 어떤 경제적 정보 기술을 당신에게 유리하도록 하려면 대개 가장 좋은 방법은 당신 자신이 그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7장 두 번째 정보혁명)
P.235
자, 고맙다, 미개인들이여! 우세한 문명이 정체되고 쇠퇴하여 넌제로섬의 행진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게 되면 ─문화진화론자의 시각으로 볼 때─그 문명에는 골칫거리가 생겨 마땅하다. 그런 다음 그 시스템을 산산조각내버리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편이 낫다. 게다가 미개인들이 문명화된 밈들을 무척 좋아하는 것으로 드러난 이상, 아예 바닥부터 다시 시작할 필요도 없지 않은가!
문화의 재건이 얼마나 자주 필요한지를 생각해볼 때 문화 해체반이라는 미개인의 역할은 특히 중요하게 부각된다.233p
어떤 의미에서 미개인들은 문화의 진화에서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제로섬 동력의 한 특수한 사례, 즉 이웃한 사회들 사이의 냉혹한 경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쟁은 경직된 사회를 크든 작든 재건하고자 하는 움직임에 동요하도록 만든다. 그와 같은 사회는 주변의 거대한 문명에 흡수되어 동화될 수도 있다. 혹은 그들은 미개인의 침입을 받아서 미개인의 손에 의해 해체된 후에 나중에 다시 집결할 수도 있다. 아니면 그 사회는 재생하여 다시 주도권을 잡게 될 수도 있다. 아놀드 토인비가 강조한 ‘도전과 응전’의 동력에 따라서. 어떤 경우든 요점은 항상 동일하다. 착취, 독재, 자기 권력의 확대의 성향이 아무리 뿌리 깊은 인간의 본성이라고 하더라도 그와 같은 성향에 굴복해버리는 사회는 이 세상에 오래 발붙이지 못한다는 것이다.
(10장 우리의 친구 미개인들)
P.277
중국의 수력 방적기에 경탄한 마크 엘빈은 “만일 당시 중국이 보였던 발전 양상이 그 뒤를 이어 조금만 더 앞으로 나갔더라면 중세 중국은 향후 서양보다 400년이나 앞서서 직물 생산 분야에서 진정한 산업혁명을 일구어냈을 것이다.”
중세 말기 세계적 우위를 점유한 중국의 휘황찬란한 모습을 마주하고서 끈질긴 유럽중심주의자들은 그 사실을 자기네 입맛에 맞게 요리했다. 중국이 스스로 산업혁명을 이루어낼 기회에 얼마나 가까이 다가섰는지를 우리 모두 알게 된 이상 실제로 그 기회를 실현시키지 못한 것은 훨씬 더 용서받지 못할 못난 짓이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한때 성실하지만 아둔한 학생으로 평가받던 중국은 이제 머리는 좋은데 성적이 안 좋은 학생으로 재분류되었다. 어쨌거나 여전히 낙제점인 것은 변함없다. “불가사의한 점은 중국이 그 잠재력을 실현하지 못했다는 것이다”라고 랜즈는 못 박았다.
(12장 불가사의한 동양)
P.288~301
이 모든 것을 종합해볼 때 만일 ‘유럽의 기적’의 핵심이 지리적 상황에 있다면, 유럽과 중국의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상대적 근접성이라는 지리적 상황의 차이가 아니라 유럽과 중국의 정치적 지형이라는 지리적 상황의 차이에 있다. 유럽은 밈들을 시험할 수많은 독립적인 실험실들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중국은 정치적 단일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 단일성은 일상적 거래에 있어서는 좋은 자산이지만 기술적 우위를 놓고 벌이는 장기적 경주에서는 장애가 될 수 있다.
인쇄기는 오늘날 우리의 삶에 혁명을 가져온 정보 기술을 위해 길을 닦아준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인쇄기는 그러한 혁명의 전조가 되었다. 독특하고 어떤 면에서 역설적인 결과에 의해 인쇄기의 혁명은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microelectronics 혁명의 최종 국면과 유사하다. 실제로 인터넷이 우리의 정치적·사회적 삶을 어떻게 바꾸어 놓을지에 대해 생각하는 데 있어서, 과거에 인쇄기가 사람들의 정치적·사회적 삶을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 훌륭한 역사적 통찰이 아닐 수 없다. 현대(오늘날)는 여러 가지 면에서 근대 초기를 닮았다. 그 정도가 더 클 뿐이다.
(12장 불가사의한 동양)
더보기
추천글
조선일보: 조선일보 Books 북Zine 2009년 11월 21일자
한겨레 신문: 한겨레 신문 2009년 11월 21일 교양 새책 더보기
저자 소개
지은이: 로버트 라이트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불교는 왜 진실인가>,<신의 진화>,<넌제로> … 총 107종 (모두보기)
프린스턴 대학에서 공공문제와 국제관계, 그리고 진화심리학의 전신인 사회생물학을 공부했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진화심리학, 역사, 종교, 전쟁, 기술 등의 주제로 대중과 소통하는 저널리스트의 경력을 쌓아왔다. <뉴요커> <애틀랜틱> <타임> <뉴리퍼블릭> 등 주요 잡지에 칼럼을 기고했으며 <사이언스> 기자로 근무하며 쓴 과학, 기술, 철학에 대한 칼럼으로 ‘미국 잡지상’을 수상했다. 첫 번째 저서인 『세 과학자와 그들의 신』(1989)이 ‘전미 도서비평가 협회상’을 수상하며 주목받는 저술가로 부상했다. 그의 두 번째 책 『도덕적 동물』(1994)은 12개 국어로 번역되면서 진화심리학을 대표하는 지식인으로 자리를 굳혔다. 그 밖에 『넌제로』(2001) 『신의 진화』(2009) 등의 저서가 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 심리학부와 프린스턴 대학 종교학부에서 가르쳤으며 프린스턴 대학에서는 <불교와 현대 심리학Buddhism and Modern Psychology>이라는 일련의 온라인 강의를 진행한 바 있다(코세라와 유튜브에서 시청 가능). 또 정치, 세계문제, 철학, 과학 등의 주제를 다루는 비디오 블로그 <블로깅헤드Bloggingheads.tv>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뉴욕에 있는 유니언 신학대학의 과학 및 종교 객원교수이며 뉴저지 주 프린스턴에서 아내와 두 딸과 함께 살고 있다.
옮긴이: 임지원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 총 41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식품 영양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인문 과학서를 번역했다. 옮긴 책으로는 《공기》, 《에덴의 용》, 《진화란 무엇인가》, 《섹스의 진화》, 《스피노자의 뇌》, 《넌제로》, 《슬로우데스》, 《루시퍼 이펙트》, 《급진적 진화》, 《사랑의 발견》, 《세계를 바꾼 지도》, 《꿈》, 《빵의 역사》(공역) 등이 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 책은 전작 <도덕적 동물>로 찬사를 받은 로버트 라이트가 넌제로섬 원리라는 렌즈를 통하여 역사를 들여다보면서 역사에 방향성이 있다는 그의 주장을 설득력 있게 펼치고 있다. 그는 인류의 문화적 진화라는 독창적이고 광활한 여행지로 독자들을 안내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기본적인 도구와 기술의 발달과 농업의 발견, 추장사회에서 국가에 이르기까지 확대되는 사회 집단, 역사에서 전쟁의 역할, 문자와 인쇄의 의의, 그리고 돈과 거래와 통신의 놀라운 위력 등을 마주하게 된다. 또 봉건주의, 자본시장, 환경문제, 초국가적 조직 등을 차례로 방문하게 되며 이러한 역사의 진화와 인간의 협동을 ‘넌제로섬의 논리’로 설명하고 있다. 역사의 방향성은 결국 예정되어 있는 ‘하나 된 세계’로 향해 나아갈 것으로 보았으며, 그 실례로 UN, EU, IMF, WTO 등 초국가적인 형태의 집단의 등장과 형성과정, 그 미래를 진단한다. 실제로 EU는 2009년 11월 19일 EU대통령과 외무장관을 선출할 예정이고 2009년 12월 1일 정식으로 리스본 조약이 발효된다. 생물의 역사와 인간의 역사는 점점 더 그 수가 늘어나고, 점점 더 커지고, 점점 더 정교해지는 넌제로섬 게임을 벌이고 있다. 넌제로섬 원리는 일종의 잠재력이다. 어떻게 게임을 하느냐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이익을 얻을 수도 있고 전체적으로 손실을 볼 수도 있는 가능성이다. 넌제로섬 원리는 지구라는 행성에 사는 생명이 나아가는 기본적인 방향에 일종의 추진력을 제공한다. 이 원리는 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질 경우 생물의 진화가 고도로 지능이 발달한 생명체, 즉 기술과 문화의 다른 측면들을 생성해낼 수 있을 만큼 영리한 존재를 창조해낼 가능성이 높은지 설명해준다. 이 원리는 또한 생물학적 진화의 뒤를 이어 일어나는 기술, 좀 더 광범위한 의미에서 문화의 진화가 그 지능을 가진 종의 사회 구조를 더 풍부하게 하고 확장시켜 궁극적으로 행성 전체를 아우르는 사회 조직을 형성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지 설명해준다. 저자는 세계화가 증기선이나 전신 장치가 발명된 시점보다도, 아니 심지어 우리가 문자나 바퀴를 발명한 시점보다 더 거슬러 올라가 생명의 탄생 순간부터 미리 운명으로 정해진 것이었으며, 그 이후 전 역사에 걸쳐서 넌제로섬 원리의 가차 없는 논리는 해가 갈수록 국가들 간의 관계가 점점 더 많은 넌제로섬을 만들어내는 오늘날과 같은 시대를 지향해왔다고 강조한다. ▣ 자연의 비밀 계획 18세기 칸트는 「세계주의적 목적을 가진 보편적인 역사학에 대한 관념Idea for a Universal History with a Cosmopolitan Purpose」이라는 에세이에서 이러한 주장을 펼쳐놓았다. 이 에세이는 인간의 역사가 ‘자연의 숨겨진 계획’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했다. 아마 역사가 전개됨에 따라서 우리는 “인류가 궁극적으로 자연에 의해 심어진 씨앗이 완전히 만개하고 이 지상에서의 인간의 운명이 완전하게 실현된 사태를 향해 나아갈 것”이라고 예언했다. 칸트가 상상한 완성된 인간의 운명은 국가들 간에 평화가 지속되고 일종의 세계 정부에 의해 그 평화가 유지되는 상황을 포함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는 수천 년 간의 반목과 ‘비사회적’(비사회적 사회성)다툼에 대한 궁극적인 보상인 셈이다. ▣ 논점 넌제로에서 논의 되는 중점은 날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세계 속에서 상호 협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자연 도태를 증명하는 것이다. 라이트는 자연 도태가 발생하는 것이 서로간의 의사소통이나, 상호협력의 정도 또는 신뢰의 정도가 증가하는 것과는 독립적이라고 쓰고 있다. 이 독립적인 특성은 지능을 말하는데, 인류의 지능은 유기체의 진화과정에서 얻은 최고의 정보들만을 가지고 정점을 향하여 앞으로 나아간다. 생물의 역사에서도 정보 처리과정을 통해 생물의 자연 도태가 왜 발생했는가에 대한 증거들이 나타난다. 공격하는 이에게 매서운 화학 물질을 뿌리는 능력을 가진 곤충인 폭격수 딱정벌레를 예를 들어보자. 이것은 다시 말해서, 이 스프레이 공격을 피하는 능력을 가진 약탈자만이 자연 도태에서 살아남았다는 것이다. 라이트가 말하고 있듯이, “복잡함은 복잡함을 만들어 낸다.” 이런 상황은 종종 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군비 경쟁’의 대재앙으로 묘사되곤 한다. 유기체들이 다른 종과의 경쟁을 통해 얻은 것을 쌓아간다는 것이다. 이렇게 증가하는 세계의 복잡함 때문에 지능은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되어있고 심지어 필연적이기까지 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류의 역사와 생물의 역사의 전체를 보았을 때, 라이트는 고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의 관점과 전형적으로 대립하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굴드는 그의 책에서“인간은 단지 제비뽑기의 행운으로 여기까지 왔다”라고 표현했다. 그러나 라이트는 진화라는 것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다섯 개의 손가락, 발가락처럼 필연적으로 창조된 것이 아니고, 도구를 개발하고 발달된 기술을 사용하는 고지능을 가지고 의사소통을 하는 유기체가 만들어낸 결과라는 것이다. 또 라이트는 인간의 역사와 생물의 진화는 본질적으로 하나의 이야기를 이루는 것, 즉 단일성이라고 주장했다. 첫째, 두과정이 동일한 동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진화”는 단순히 문화적 변화에 대한 그럴듯한 메타포가 아니고, 몇몇 기본적인 수준에서 문화의 진화와 생물의 진화는 동일한 기작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 문화의 진화와 생물의 진화는 동일한 연료를 이용하는데 이것은 제로섬의 힘과 넌제로섬의 힘 사이의 활기찬 상호작용이 이 두 종류의 진화에 스며들어 있기 때문이며 셋째, 두 과정은 평행을 이루고 있어서 같은 방향, 즉 장기적으로 넌제로섬 원리가 증대되고 그 결과로 복잡성의 정도가 더 깊고 넓어지는 방향으로 나아간다고 한다. 실제로 생물의 진화는 충분히 긴 시간이 주어지면 문화의 진화를 뒷받침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복잡하고 지적인 생물을 낳을 것이라고 보았고, 문화의 진화는 본질적으로 진화의 총괄적인 경향을 더 심원하고 더 광대한 복잡성을 향해 이끈다고 말한다. ▣ 인간 사회의 복잡함과 넌제로섬 해결 라이트는 인간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넌제로섬의 이익”을 수확할 가능성도 증가한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전자통신을 통한 의사소통은 세계적인 수준의 무역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생산할 수 없거나 자국에서 얻을 수 없는 것들을 무역이라는 것을 통해 다양한 사회 간에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괜찮은 방법’은 모두에게 이득을 주는 결과를 낳았다. 이와 유사하게, 세계 정부는 공통의 문제를 같이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외계인이 침략한다거나 북극의 빙하가 녹는다거나 하는 문제에서 세계는 그들의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사회를 하나로 묶어 방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세계를 하나의 유기체로 바라보는 관점은 가이아 이론과도 유사하다. 물론 사회가 결합해서 싸워야할 공공의 적은 항상 북극의 빙하는 아니다. 때로는 다른 인류일 수도 있다. 라이트는 이 문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다루었다. 국가 간의 전쟁이 종종 기술과 문화의 진화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2차 세계 대전은 맨해튼프로젝트 개발에 박차를 가했고, 넓게 보았을 때, 궁극적으로 혜택을 줄 수도 있을 원자 에너지를 개발하고, 그와 관련된 기술 개발에 이바지 했다. 더 나아가, 진보된 사회의 국가는 전쟁에서 더 승리할 확률이 많고, 국가 정부 시스템을 하나의 기술로써 전파 할 수도 있다고 역설한다.
---------
마이리뷰쓰기
구매자 (1)전체 (1)
Lulu 2011-08-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