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25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Contemporary Cuba): Sinan Koont: 9780813054032: Amazon.com: Books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Contemporary Cuba): Sinan Koont: 9780813054032: Amazon.com: Books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n Cuba (Contemporary Cuba) Paperback – January 17, 2017
by Sinan Koont (Author)
3.3 out of 5 stars 2 customer reviews


“Pushed by necessity but enabled by its existing social and educational policies, Cuba in the 1990s launched the most extensive program of urban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world. This study is to date the only book-length investigation in either English or Spanish of this important national experiment in transforming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nature of today’s dominant system of producing food.”—Al Campbell, University of Utah

As large-scale industrial agriculture comes under increasing scrutiny because of its petroleum- and petrochemical-based input costs and environmentally objectionable consequences,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sustainable, local, and agro-ecological techniques in food production. Cuba was forced by historical circumstances to be one of the pioneers in the massive application of these techniques.

After the demise of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1990s, Cuba was left without access to external support needed to carry on with industrial agriculture. The economic crisis led the country to reconsider their former models of resource management. Cuba retooled its agricultural programs to focus on urban agriculture—sustainable, ecologically sound farming close to densely populated areas. Food now takes far less time to get to the people, who are now better nourished because they have easier access to whole foods. Moreover, urban farming has become a source of national pride—Cuba has one of the best urban agriculture programs in the world, with a thousand-fold increase in urban agricultural output since 1994.

Sinan Koont has spent the last several years researching urban agriculture in Cuba, including field work at many sustainable farms on the island. He tells the story of why and how Cuba was able to turn to urban food production on a large scale with minimal use of chemicals, petroleum, and machinery, and of the successes it achieved—along with the continuing difficulties it still faces in reducing its need for food imports.

Sinan Koont is associate professor of economics at Dickinson College.

A volume in the series Contemporary Cuba, edited by John M. Kirk

------------------------


See all 3 formats and editions

Kindle 
$10.78
Read with Our Free App 

---------------



Unfinished Puzzle: Cuban Agriculture: The Challenges, Lessons & Opportunities Paperback
May Ling Chan

4.0 out of 5 stars 1
$14.95 Prime



Customers who bought this item also bought
This shopping feature will continue to load items. In order to navigate out of this carousel please use your heading shortcut key to navigate to the next or previous heading.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Fernando Funes
4.2 out of 5 stars 4
Paperback $14.83 

Designing Urban Agriculture: A Complete Guide to the Planning,…

April Philips
4.4 out of 5 stars 12
Hardcover
$52.31 

The Cuba Reader: History, Culture, Politics (The Latin America Readers)

Aviva Chomsky
4.6 out of 5 stars 27
Paperback $23.36 

------------------

Earth Management: A Dialogue on Ancient Korean Wisdom and Its Lessons for a New Earth

Ilchi Lee
How did humanity wander so far off course, and how can we steer ourselves back to a life in harmony with the dynamic biome on which all life depends?
3
Kindle Edition
$8.99
--------------------------

Editorial Reviews

Review



“A much-needed detailed account of the strides made in Cuban urban agriculture.”—Monthly Review



“Meticulously sets out the very special political, economic, institutional and social conditions that enabled Cuba to survive the ‘Special Period’ following the sudden ending of Soviet Union support and the previous period of external food import dependency. The country has created an alternative food and farming paradigm that has many important lessons for the rest of the world. . . . Deserves careful reading and consideration.”—Journal of Experimental Agricultur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urban sustainable agriculture viewed through the lens of a successful transition from a society highly dependent on foreign support to one of self-sustained output based on ingenuity, perseverance, and necessity. . . . A thorough background to the way food security has changed in Cuba.”—New West Indian Guide



Read more
Book Description



“Pushed by necessity but enabled by its existing social and educational policies, Cuba in the 1990s launched the most extensive program of urban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world. This study is to date the only book-length investigation in either English or Spanish of this important national experiment in transforming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nature of today’s dominant system of producing food.”—Al Campbell, University of Utah

As large-scale industrial agriculture comes under increasing scrutiny because of its petroleum- and petrochemical-based input costs and environmentally objectionable consequences,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sustainable, local, and agro-ecological techniques in food production. Cuba was forced by historical circumstances to be one of the pioneers in the massive application of these techniques.

After the demise of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1990s, Cuba was left without access to external support needed to carry on with industrial agriculture. The economic crisis led the country to reconsider their former models of resource management. Cuba retooled its agricultural programs to focus on urban agriculture—sustainable, ecologically sound farming close to densely populated areas. Food now takes far less time to get to the people, who are now better nourished because they have easier access to whole foods. Moreover, urban farming has become a source of national pride—Cuba has one of the best urban agriculture programs in the world, with a thousand-fold increase in urban agricultural output since 1994.

Sinan Koont has spent the last several years researching urban agriculture in Cuba, including field work at many sustainable farms on the island. He tells the story of why and how Cuba was able to turn to urban food production on a large scale with minimal use of chemicals, petroleum, and machinery, and of the successes it achieved—along with the continuing difficulties it still faces in reducing its need for food imports.

Sinan Koont is associate professor of economics at Dickinson College.

A volume in the series Contemporary Cuba, edited by John M. Kirk


Read lessSee all Editorial Reviews


Product details

Series: Contemporary Cuba

Paperback: 254 pages
Publisher: University Press of Florida; Reprint edition (January 17, 2017)
Language: English
ISBN-10: 0813054036
ISBN-13: 978-0813054032
Product Dimensions: 6 x 0.6 x 9 inches
Shipping Weight: 12 ounces (View shipping rates and policies)
Average Customer Review: 3.3 out of 5 stars 2 customer reviews
----------------------------
Customer reviews
3.3 out of 5 stars
2

3.3 out of 5 stars
------------------

Top customer reviews

converger

2.0 out of 5 starsAn extraordinary missed opportunitySeptember 21, 2015
Format: Hardcover|Verified Purchase

A lovely if densely academic narrative about one of the poster children for sustainable, large scale, grassroots urban food production.

Otherwise, pretty much useless. I was looking for real, quantifiable, longitudinal data about what, exactly, has been accomplished. How has this changed food availability and/or quality in Havana and elsewhere? What would be everyone's food situation be if this remarkable phenomenon had never happened?How much food gets produced? What kind? What percentage of nutritional requirements are being met, for how many people? What is the seasonal flow of food and nutritional support? Is there any infrastructure for transporting food beyond neighborhoods? Is there any infrastructure for preserving food, or is it all fresh food only? How much acreage is being cultivated? What's the size distribution of garden plots? How much fertilizer goes into producing food, and what kind? Are garden soils being built up, or depleted? How is everything distributed? If money changes hands, how much do things cost, and what percentage of available income is going to buy this food? How many people do the gardening, transport, and distribution? What is the total labor input for each step in the value chain? By conventional standards, what does the cost-benefit ratio look like? Assuming that it's not great by conventional standards, what other quantifiable benefits does this phenomenon provide? Will it survive the coming transition to a capitalist economy? What has been learned from this inspiring example of urban food that can be replicated and scaled elsewhere? Nobody has really tried to answer, or even ask any of these questions (at least not outside of Cuba). This book doesn't either.

The utter failure of this dense academic text to offer any useful results, combined with its atrocious writing style (not unusually so for an academic text) and ridiculous cost makes this book a poor choice for any serious researcher. That said, there's not much in English, good or bad, about this extraordinary story. Even an awful book is probably better than nothing.
Read les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

Not Helpful|Comment|Report abuse

Walter D. Teague

5.0 out of 5 starsAnother important book censored by price.April 23, 2013
Format: Hardcover

I would love to read this book, more than the few free pages shown above. But even at the "savings" of $67.46, I will defer until it comes to a library near me. Oops, that isn't going to happen what with austerity and continuing US opposition to anything good said about Cuba.

This outrageous price, $75 retail, is another example of the old British tradition of censorship by price. I read somewhere that for a long time the British kept the masses safe from dangerous liberating knowledge by printing serious works in hardcover which the plebes couldn't afford. In the US today, some of the best research and scholarly works continue to be published in limited circulation (by exorbitant price) academic journals. And not only do they keep their information safe from the eyes of the rabble, but they make sure the world processor files or God forbid PDF versions, safely locked up behind copy-write laws.

Don't believe there is a de facto conspiracy to keep complex facts from the public discourse? Go Google this subject and read the vast number of ill-informed and irrational comments on the subject of Cuba on web pages across the internet.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2020/08/24

Beyond the Weberian Trails: An Essay on the Anthropology of Southeast Asian Buddhism - Kitiarsa - 2009 - Religion Compass - Wiley Online Library

Beyond the Weberian Trails: An Essay on the Anthropology of Southeast Asian Buddhism - Kitiarsa - 2009 - Religion Compass - Wiley Online Library

Beyond the Weberian Trails: An Essay on the Anthropology of Southeast Asian Buddhism

Pattana Kitiarsa

First published: 20 March 2009 https://doi.org/10.1111/j.1749-8171.2009.00135.xCitations: 3

Read the full text

PDFPDFTOOLS SHARE

Abstract

Theravada Buddhis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s of inquiry within a larger context of Southeast Asian studies. In this essay, I discuss an overview of anthropolo gical studies of Theravada Buddhism in Southeast Asia since the 1960s. I argue that key intellectual and social forces, which have characterized and sustained the anthropological studies of Buddhism in the region, are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factors: (1) an insistent and subtle applications of Weberian thoughts to understand complexity and multivalency of Buddhist practices in the region's diverse contexts; (2) some critical problematic relationships between Buddhism and the post‐Indochinese War (post‐Cold War) nation states and other turbulent politics of the social life of the Buddhists; and (3) some surging global interests in Theravada Buddhism, especially its teachings and meditational practices. Such interests have transformed the Buddhist World of Southeast Asia into a transnational religious phenomenon and instantly placed Southeast Asian Buddhism at the center of the world's theological and intellectual Buddhist landscapes. Toward the end, I suggest some critical issues that could ignite new directions in the field of study and create some vibrant and exciting generations of ethnographies on Southeast Asian Buddhism.


The anthropological study of Theravada Buddhism: Reviews in Anthropology: Vol 4, No 1

The anthropological study of Theravada Buddhism: Reviews in Anthropology: Vol 4, No 1



Reviews

The anthropological study of Theravada Buddhism

Steven Piker

Pages 40-58 | Published online: 05 Jul 2010

Download citation https://doi.org/10.1080/00988157.1977.9977295



Select Language​▼

Translator disclaimer

 References  Citations   Metrics  Reprints & Permissions Get access

Abstract

Richard F. Gombrich. Precept and Practice: Traditional Buddhism in the Rural Highlands of Ceylon. Oxford: Clarendon Press, 1971. viii + 366 pp. Appendixes, glossary, bibliography, and index. £4.00 (U.K.).



E. Michael Mendelson. Sangha and State in Burma: A Study of Monastic Sectarianism and Leadership.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75. 389 pp. Appendixes, bibliography, and index. $19.50.



Melford E. Spiro. Buddhism and Society: A Great Tradition and Its Burmese Vicissitudes. New York: Harper and Row, 1970. iv + 507 pp. Appendix, references, and index. $17.95.



S.J. Tambiah. Buddhism and the Spirit Cults in North‐East Thailand. Cambridge Studies in Social Anthropology, Number 2. New York and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First paperback edition), xi + 388 pp. Illustrations, maps, diagrams, tables, bibliography, and index. $6.95 paper.

2020/08/23

03 불교평론 초기불교의 사상·윤리성에 비추어 본 한국불교 / 김종명



불교평론
초기불교의 사상·윤리성에 비추어 본 한국불교 / 김종명
특집-현대 한국불교의 비판적 성찰


[17호] 2003년 12월 10일 (수) 김종명 jmk@ysu.ac.kr




1. 머리말

“머리 깎은 스님이나 부처를 믿는 신도나 부처님 말씀을 모르고 있다.”

1967년 해인사 초대방장으로 취임한 성철(1912∼1993) 스님의 사자후다.1)1) 〈성철 스님 《백일법문》으로 겨울나기〉, 〈중앙일보〉 2003년 11월 22일(27면).

나2)도 이 견해에 동의하며, 이 점은 여전히 한국불교계의 현재진행형으로 남아 있다. 불교는 부처가 경험한 다양한 형태의 삶의 산물로서 인간 삶의 진단, 고통의 원인 및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한 인생교육시스템이었다. 2) ‘필자’보다 책임성이 강조된 개념이며, 국내의 일부 학계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는 ‘한국 역사상 기복신앙으로서의 불교전통’3)은 그 수입 초기부터 현재까지 이어져내려 왔으나, 인생교육시스템으로서의 ‘초기불교’4)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현상은 인간의 현실적 삶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토대로 하여 성립된 불교의 기본 가르침에도 어긋나는 것이다. 3) 이 전통은 최근 ‘기복불교’란 개념으로 칭해지고 있다. 기복불교의 비판론에 대해서는 《불교평론》 7호(2001년 여름호), 9호(2001년 겨울호), 14호(2003년 봄호) 관련 부분 및 홍사성 〈기복신앙은 불교가 아니다〉, 《불교와 문화》 1·2호(2002) 참조. 기복불교를 옹호한 데 대해서는 〈법보신문〉 2002. 3. 13 등 참조. 이 글에서의 기복불교에 대한 논의들은 주로 이 자료들에 의하였다.

따라서 나는 이 글을 통해 한국불교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서는 사유체계와 삶의 양식으로서의 초기불교의 성격에 대한 바른 알음알이와 그 실천화가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대의 한국불교계를 진단하고, 국내외의 불교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사상과 윤리로서의 불교와 그 현대적 중요성을 검토하기로 한다.

한국불교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한국불교가 가진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그것이 부처의 말씀과 어떻게 어긋나는지 근거를 제시한 후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5) 사상·윤리6)로서의 초기불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나는 이 글의 주제와 관련, 몇 차례에 걸쳐 견해들을 발표해 왔다. 따라서 이 글은 나의 기존 견해들에 대한 종합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 여기서의 ‘초기불교’는 부처와 그의 제자들의 가르침을 뜻한다. 초기불교의 가르침, 생활, 수행법 등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는 〈특집 - 초기불교를 다시 본다〉, 《불교평론》 14호(2003년 봄호) 참조.
5) 박영록, 〈‘기복불교를 말한다’를 말한다〉, 《불교평론》 9호(2001년 겨울호). 6) 여기서의 ‘사상’은 ‘사회 및 인생에 대한 일정한 견해’를, ‘윤리’는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를 의미한다. 이들 각각의 개념에 대해서는 이숭녕 감수, 《새국어대사전》 (서울: 한국도서출판중앙회, 1997), p. 586

2. 한국불교계 진단

1) 한국불교의 현재
한국 역사상 전개된 불교의 중요성은 역사적·문화적·교육학적·철학적 측면 및 한국학의 세계화 등의 다방면에서 찾을 수 있다.7) 7) 김종명, 〈21세기와 한국불교〉, 《불교연구》 제7집(서울: 한국불교연구원, 2000), pp.259∼303.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불교학의 연구 수준은 그리 높지 않은 편이며,8) 한국사회에서 불교가 차지하는 상대적 위상 및 현대 한국의 여론 주도층 중 불교 관련 인사가 차지하는 비율도 상당히 낮다.9) 한국인들은 복을 받고 태어나서, 복을 빌며 살다가, 복을 비는 마음으로 죽는다고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복을 받고, 복을 누리는 것에 대해 운명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짙다. 여기에는 인과응보의 사고가 밑바탕에 깔려 있으며, 많은 사람들은 이를 불교사상이라고 잘못 알고 있다.10) 8) 김종명, 〈한국불교학계의 연구활동: 분석과 평가〉, 《종교연구》 제27집(2002년 여름), pp.87∼118. 9) 김종명, 〈국제대학원과 한국학의 세계화〉, 《국제한국학회지》 제2권(1997), pp.179∼182. 10) 황인규, 〈기복불교는 왜 생겨났는가〉, 《불교평론》 7호(2000년 여름호).

이런 현상은 우리의 일반 학계, 승단 및 세속 세계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현재의 한국불교계는 제사 만능주의를 표방하여 부처의 비판을 받은 그 당시의 브라만교를 방불케 하고 있는 것이다.11)11) 유동호, 〈기복주의를 넘어 공덕주의로〉, 《불교평론》 7호(2001년 여름

결과적으로, 불교는 기복 위주의 ‘종교’로만 간주된 채 인문교양교육에서도 별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불교학도 국내학계의 주변학문으로 밀려나 있다. 이는 현재 세계불교학계를 리드하고 있는 국가의 하나인 미국의 경우 인문학의 한 분야로서의 불교학 연구가 특히 1980년대 이후 ‘폭발적 성장’세를 보여 온 현상12)과는 아주 다르다. 12) 김종명, 〈국내 불교학 연구의 방향〉, 《철학사상》(2000. 11) 111호, p.70.

더욱이 불교 개념들인 ‘홍익인간’과 ‘원융무애’를 교육이념으로 채택하고 있는 나의 재직 대학교의 인문학 전공 교수들도 불교는 종교이며, 이 대학교 교양교과목 편성의 한 원칙인 종교성 배제의 원칙에도 어긋나기 때문에 불교 관련 교과목은 교양교과목이 되기에는 부적절하다고까지 주장하고 있는 형편이다.

한국불교종단의 고위 행정직을 역임하고 있는 승려들과 사찰의 승려들도 기복신앙을 당연하게 여기면서 부채질까지 하고 있으며, 현대 한국 불자들의 대부분도 복을 빌기 위해 절에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3) 13) 홍사성, 2002.

따라서 비불자들 중 상당수도 불교를 개인 차원의 기복종교로 생각하는 경향이 적지 않으며, 심지어는 무속과 같은 차원으로 이해하는 사람들도 있다.14) 불교에 대한 이러한 왜곡된 시각의 원인은 무엇인가? 14) 한명우, 〈기복불교의 실태와 문제점〉, 《불교평론》 7호 (2001년 여름호).



2) 원인 분석
이러한 상황을 초래한 원인은 다양하다. 초기불교의 자연관, 인생관, 세계관은 각각 사대설, 업보설, 십이처설이다. 그러나 한국불교는 사상적으로 이러한 초기불교를 이은 것이 아니다. 한국불교는 초기부터 중국 고유의 자연관, 인생관, 세계관인 풍수지리설·조상숭배설·천견재이설(天譴災異說)에 사상적 토대를 둔 채15) ‘기복불교’로 자리매김 되어 왔으며, 대내외적으로도 왜곡 이해된 역사를 가졌다. 15) 김종명, 《한국중세의 불교의례: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서울: 문학과지성사, 2001), pp. 206∼272. 나는 한국불교의 정체성 문제와도 직결된 이 주장에 대한 학계의 반응을 기대해 왔으나, 아직 별 반응이 없다.

대내적으로는 현실과 타협한 승단의 정치적 예속, 과거 중국불교 전통의 묵수적 수용,16) 근대 일본 불교학계의 연구 성과에 대한 무비판적 계승,17) 현대 한국승가 교육과정의 문제,18) ‘불립문자’에 대한 오해, 교리에 대한 무지19) 등에서, 대외적으로는 왕실에 의한 기복종교화, 유학자들에 의한 허무의 종교 및 비도덕적 종교로의 잘못된 이해,20) 근대 서구 선교사들에 의한 미신으로의 곡해, 근대 교육과정 수립시 구시대의 유산으로 치부된 점 등이 그 이유들로 나타난다. 

16) 카마다 시게오(鎌田武雄) 지음, 장휘옥 역, 《중국불교사》(서울: 장승, 1993), p. 21. 이러한 경향은 국내의 중국사 연구 및 의학계의 연구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각각 김태승, 〈중국근대사 인식의 계보와 유산〉, 한국사연구회 엮음, 《20세기 역사학, 21세기 역사학》(역사비평사, 2000), 82쪽 및 이종찬, 〈동서 의학의 문명사적 비교〉, 영산대학교 제6차 한의학 학술대회(2003. 11. 7) 발표논문, pp.15∼16 참조. 따라서 비판문화의 부재는 국내 동양학계의 일반적인 경향을 반영한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17) 국내 불교학계에서는 화엄사상과 정치권과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해 왔으나, 이것은 근대 일본 불교학계의 연구성과를 답습한 결과로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최연식, 〈화엄철학은 어떻게 일본의 정치이데올로기가 되었는가〉, 《불교평론》 6호 (2001년 봄호) 참조. 18) 김종명, 〈현대사회와 승가교육〉, 《한국불교학》 제28집(2001), pp.485∼518. 19) 조준호, 〈기복불교는 불교인가〉, 《불교평론》 7호(2000년 여름호). 20) 김종명, 〈퇴계의 불교관: 평가와 의의〉, 《한국인의 원류를 찾아서》, 퇴계 탄신 500주년 기념 계명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논문집(2001. 9. 16∼20), pp.59∼78. 김종명, 〈불교쟁론 23: 주자의 불교 비판〉 상·하, 〈법보신문〉 1999년 10월 13일∼20일 (12면).


그러나 이러한 외부적 원인들도 내부적 원인의 산물로 간주되므로 현대 한국사회에서 한국불교가 가진 낮은 위상의 궁극적 원인은 불교계 내부에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는 한국 역사상 바람직한 인생교육을 위한 사유체계로서 출발한 불교의 진면목이 제대로 전해지지 못한 결과로 생각된다.

특히, 기복불교는 역사상의 한국불교를 사실상 특징지워 온 가장 중요한 개념이었다. 이는 한국불교의 문제점들이 종합적으로 나타난 현상인 동시에 한국불교를 낙후시킨 대표적 병폐기도 하며,21) 한국불교의 정체성 확립의 최대 걸림돌로 인식되어 온 지도 오래다. ‘통불교’ 개념22) 및 ‘법통설’23)과 더불어 한국불교의 특징적 개념으로 간주되어 온 ‘호국불교’24) 개념도 기복불교 개념의 외연적 확장에 다름 아니다. 21) 〈불교포럼: 기복불교의 대안〉, 〈현대불교〉 불기 2545[2001]. 9. 19. 22) 이 개념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 대해서는 심재룡, 〈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 《불교평론》 3호(200년 여름호) 및 Jaeryong Shim,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Is Korean Buddhism Syncretic?” in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 2 (1989), pp.147∼157 참조. 이 개념에 대한 긍정적 시각에 대해서는 이봉춘, 〈회통불교론은 허구의 맹종인가〉, 《불교평론》 5호(2000년 겨울호) 참조.
23) ‘법통설’에 대한 비판적 견해들에 대해서는 박해당, 〈조계종의 법통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철학사상》 제11호 (2000. 12), pp.43∼62. 길희성, 〈한국불교 정체성의 탐구: 조계종의 역사와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종교연구》 제2집(2000), pp.159∼193 참조. 24) ‘호국불교’ 개념에 대한 비판적 논의는 김종명, 2001, pp.277∼286. 김종명, 〈‘호국불교’ 개념의 재검토-고려 인왕회의 경우〉, 《종교연구》 제21집(2000년 가을), pp.93∼120. Benard Senecal, “On Writing a History of Korean Buddhism: A Review of Books,” in Korea Journal(Spring 1997), pp.154∼177. Jong Myung Kim, “Chajang (fl. 636∼650) and ‘Buddhism as National Protector’ in Korea: A Reconsideration,” in Religions in Traditional Korea, ed. Henrik H. Sorensen, SBS



따라서 유교의 경우 종교로의 자리매김이 현대 한국에서 더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25)되고는 있으나, 나는 불교가 종교로만 간주되고 있는 점이 인문학으로서의 불교의 발전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교육기본법상의 제약 때문이다. 교육기본법(敎育基本法, 제정 97. 12. 13 法律 第5437號) 제1장 總則에서는 종교교육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한정시키고 있다. 제4조 (교육의 기회균등)
모든 국민은 성별, 종교, 신념, 사회적 신분, 경제적 지위 또는 신체적 조건 등을 이유로 교육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제6조 (교육의 중립성)
2항: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학교에서는 특정한 종교를 위한 종교교육을 하여서는 아니된다(시행일 98. 3. 1).

교육기본법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각자가 믿는 종교에 관계없이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으나, 국공립학교에서의 특정 종교교육은 금지되고 있다. 나름대로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교육업무를 추진하고 있는 선진 외국의 교육기관들과는 달리, 국내의 국공립학교에서 시행되는 교과과정들은 사립학교에서도 답습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법에 따라 국공립학교에서 특정 종교가 교수되지 않는다는 것은 종립학교 이외의 사립학교에서도 종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점은 국내의 대학교도 예외는 아니다. 결론적으로, 일반 교육 현장에서 특정 종교를 교수할 수 없는 국내의 교육 현실 속에서 불교가 종교로 정의되고 있는 점은 인문학으로서의 불교가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못하게 된 중요한 원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26) 26) 김종명, 〈21세기와 한국불교〉(2000), pp.266∼267.

따라서 나는 무엇보다도 현대 한국사회에서 인생교육체계로서의 불교의 중요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며, 부처의 가르침에 대한 바른 이해가 선행된 후, 그것의 한국에서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검토가 이어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불교의 성격을 먼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불교에 대한 오해는 곧 불교의 성격에 대한 오해의 산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3. 불교의 성격 검토

불교의 성격은 무엇인가? 철학인가? 종교인가? 양쪽 모두의 성격을 가진 것인가? 그 어느 쪽에도 해당되지 않는 것인가? 위의 물음들은 일견 진부해 보일지도 모르나, 적어도 현대 한국이란 지역에 한정시킬 경우 아주 중요하면서도 근본적인 것이다. 한국에 소개된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불교는 기복종교로 간주되어 왔을 뿐, 부처의 가르침은 한국 역사상 대중화되지 못한 가운데 불교의 성격에 대한 진지한 논의도 우리의 학계에서나 승단에서 별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불교의 성격에 대한 해석과 관련, 국내외의 견해들을 살펴보고, 이 견해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도해 보자.

1) 국내의 경우
국내에서 불교는 크게 승단과 학계를 통해 수행 및 연구되고 있으며, 불교학계는 다시 종립대학교와 비종립대학교로 구분된다. 이들 집단 간의 불교의 성격에 대한 시각은 다르다. 조계종으로 대표되는 한국 승단에서 불교는 기복종교로 간주되는 경향이 절대적이며, 동국대학교를 비롯한 종립대학교의 경우도 불교는 신앙 우선, 학문 그 다음이란 차원에서 취급되고 있다.

반면 비종립대학교에서는 학문, 특히 철학의 한 분야로 간주되고 있으며,27) 불교에 관심을 가진 국내의 일부 서양철학자들도 이러한 입장에 서 있다. 또한 비불교 전공자에 의한 불교 교육도 상당한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도 불교의 성격과 관련,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승단과 종립대학교의 역할이 훨씬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는 일반 대중들로 하여금 불교를 기복종교로서만 인식하게 하는 한 근본 요인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27)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경향은 서양의 학문계로부터 역풍이 분 결과라는 점을 부인하기는 힘들다. Robert E. Buswell, Jr., The Zen Monastic Experience: Buddhist Practice in Contemporary Korea(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2), p.71 및 로버트 버스웰 지음, 김종명 옮김, 《파란 눈 스님의 한국선 수행기》(서울: 예문서원, 2000), p.99 참조.


2) 서양의 경우
과거 서양에서도 불교는 종교란 편견과 철학이란 편견이 동시에 존재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서양에서 불교를 종교의 틀로만 보려는 견해는 중세 이후 기독교를 철학 및 과학과 적대시하여 종교로만 국한시켜 온 버릇에 기인한다.

또한 세계 불교학 연구의 초기에 해당하는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불교학 연구는 형이상학적 개념 분석에 치중하였으며,28) 이를 수입한 일본 불교철학계도 이 전통 위에 서 있었다. 한국불교계는 일제시대를 통하여 이러한 일본의 학풍을 다시 수입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한국 불교철학계의 전통이 되었다. 28) 형이상학적 개념 분석에 치우친 점은 한국의 동서양철학계의 공통점이다. 이 문제에 대한 논의는 김종명, 〈한국 역사에 나타난 대표적인 논쟁 학설들의 철학적 분석〉, 《한민족과 2000년대의 철학》①, 한민족철


‘Religion’의 번역어로서의 ‘종교’의 3요소인 신, 경전, 신자에 바탕을 둔 이러한 주장은 서구의 기독교에 기준을 둔 것이었다. 따라서 불교를 비롯한 아시아 종교와 많은 원시종교를 배제한 결과를 가져왔다. 불교가 기존의 종교란 틀 속에서만 이해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국내의 경우 불교는 일차적으로 기복종교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사상도 시대적 산물이란 대전제에 비추어 볼 때, 과거의 기복불교 전통이 현대에도 그대로 수용되어야 할 당위성은 없다. 오히려 그것은 개혁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기복이라는 종교행위는 초기불교의 입장에서는 성립될 수 없다.

그 이유는 연기설과 그것에 바탕을 둔 업설 때문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복을 빌어야 할 대상은 바로 우리 자신의 행위이기 때문에 사실상 불교에는 복을 빌 대상이 없다. 또한 불교의 중심교리에는 주술이나 기도로써 인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르침도 없다. 학자들이 이 시기의 불교야말로 인류 종교사에서 가장 비판적, 지성적, 이지적, 합리적, 계몽적 종교라고 한 이유도 바로 이 점 때문이다.29)29) 조준호, 2000.


소수의 지식층들이 활동하던 과거에는 대부분의 비지식층 대중을 위한 방편설로서의 기복 강조도 나름대로는 시대적 타당성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현재까지도 이러한 경향은 지구촌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다. 아프리카, 아시아처럼 사회적·경제적 박탈감이 강한 국가일수록 그에 대한 심리적 보상 차원에서 종교에 기대는 경향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 이상 문맹률 측정을 하지 않을 정도로 한국인들의 지식수준이 높아진 현대에서까지 기복신앙이 불교신행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것은 문제다. 따라서 유럽 및 북아메리카 등 서구 선진국일수록 기독교 신자가 감소하고 있는 점30)을 타산지석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30) 박정호, 〈부자 나라 기독교 쇠퇴 뚜렷〉, 〈중앙일보〉 2003년 11월 5일 31) 반면, 미국의 불교인들 중 대부분은 유럽계 백인, 고학력 중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별 차이도 크지 않다. 〈불교신문〉 불기 2547(2003)년 11월 26일 참조. 32) 김종만, 〈기복불교 옹호론의 문제점〉, 《불교평론》 14호(2003년 봄호).

현대 한국사회의 불자들은 40대 이상, 여성, 비전문인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31)

길어야 20∼30년 후, 이들을 이을 다음 세대를 위한 한국불교계의 대안은 무엇인가? 중등교육이 이미 의무화되었으며, 고교졸업생의 대학 진학률이 80%에 육박하는 현대의 한국에서 여전히 기복불교 선양에만 열을 올릴 것인가? 이는 한국불교계의 생존 전략으로서도 부적절하다. 오히려 포교 차원에서도 초기불교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갖게 하는 것이 더 나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하여 종교다원주의 시대인 현대에서 근본주의적 관점에 서서 초기불교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현대의 한국불교가 불교의 근본 가르침과 배치되고 있기 때문이다.32)

불교를 철학으로 이해하면서, 형이상학적 개념 분석에 치중해온 서구의 불교학 연구 전통은 불교의 수행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간과하였다. 불교의 중요 교학들은 철학적·논리적 사유의 산물이 아니라, 참선 경험의 산물이다. 이 점은 불교가 합리적·관념적 분석을 중시하는 서양의 철학적 사유구조와 다른 이유다. 불교 텍스트의 내용들이 수행의 목표를 위한 방편설이란 점을 간과한 것이다.33) 33) Sungtaek Cho, “Rethinking Current Buddhist Studies in Korea,” in Collection of Paper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더욱이 대부분의 불교이론들도 그렇게 오래된 것들이 아니기 때문에 그 이론들 자체에 대한 연구만으로도 충분하지 않다. 또한 불교와 서양철학은 각각의 독특한 문화적, 역사적 특징을 가지고 전개된 사유체계이기 때문에 어느 특정 사유적 전통에 의해 다른 사유 전통을 평가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불교는 단순히 철학의 영역이나 종교의 영역에만 속한다고는 할 수 없다. 불교는 이성과 논리를 강조하는 서양철학과는 달리 삶의 양식과 신념 체계를 동시에 의미하는 사상체계34)이며, 불교에서의 이 두 영역은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초기불교의 성격과 관련하여 현대의 세계불교학계에서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견해도 불교는 철학적 요소와 종교적 요소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35)34) 서구에서는 최근 이러한 사유체계를 ‘ethnophilosophy’란 개념으로 표현하고 있다. 35) Frank E. Raynolds and Charles Hellisey, “Buddhist Religion, Culture, and Civilization,” in Buddhism and Asian History, Joseph M. Kitagawa and Mark D. Cummings, ed. (New York: Macmillan


4. 사상·윤리로서의 불교

초기불교의 핵심 사상들은 사성제·연기설·사대설·오온설·십이처설·삼법인설·팔정도 등이며, 이 이론들은 철학의 일반적 관심사인 존재론·인식론·윤리론뿐 아니라, 서양철학에서는 결하고 있는 수증론(修證論)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불교는 깨달음의 철학이며, 해탈의 종교로서 철학적으로는 실재론과 운명론을 극복하면서 구체적 현실에 대한 바른 알음알이를 통해 합리적으로 사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종교적으로는 도덕적 덕목을 강조한 인간 중심의 윤리적 교육체계로서 고행주의와 쾌락주의를 극복한 가르침을 제시하였다.

1) 사상으로서의 불교
사성제의 일부, 연기설·사대설·오온설·십이처설·삼법인설은 사상으로서의 불교를 잘 표현하고 있는 이론들이다.

사성제는 인생 진단(苦), 인생 현실의 원인(集), 인생의 목표(滅), 바람직한 삶의 방법(道)에 대한 이론으로서 불교의 총체적 가르침이다. 이는 곧 인생교육시스템이며, 여기서 강조되는 것은 바른 생각과 바른 행위다. 특히 ‘고’와 ‘집’은 철학 영역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고’는 인간의 삶 자체가 고통이라는 인생에 대한 부처의 진단 결과를 지칭하는 용어다. 인생을 통하여 누구나 상대적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기쁨의 순간도 경험하게 되는데, 인간 삶 전체를 고통으로 보는 시각은 자칫 허무주의에 입각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적은 오해의 산물일 뿐이다. 불교가 제시하는 고통의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은 육체적·정신적 고통뿐 아니라, ‘불만족’도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인생을 통하여 경험하게 되는 육체적·정신적 고통은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자명한 것이지만, ‘불만족’을 고통의 내용으로 포함시킨 것은 불교만의 특징이다. 인생살이를 통한 기쁜 경험도 일시적이며, 그것이 달성된 후엔 또 다른 차원의 기쁨을 지속적으로 바라는 것이 일반적 인생사란 점에서 기쁨의 경험도 고통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통스러운 삶을 초래하게 된 원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이 ‘집’의 개념으로 나타나며, 그 내용은 무분별한 욕망이다. 불교에서의 욕망은 존재의 본질과 현상에 대한 무지, 즉 무명의 산물로 간주되어 극복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모든 욕망이 부정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란 점이다.

부정의 대상은 잘못된 인식의 결과로 인한 무분별한 욕망이며, 올바르고 정당한 욕망은 오히려 긍정된다. 불교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무명 상태의 인간은 잘못된 언설적 개념화에 의해 탐·진·치의 삼독으로 대표되는 잘못된 욕망을 일으키고, 이러한 욕망에 의해 이기적 행위를 포함한 잘못된 행위를 하게 되며, 그 결과 고통을 받으며 산다는 것이다. 따라서 불교의 목표는 이러한 무명의 타파와 욕망의 극복을 통해 존재의 본질과 현상에 대한 바른 알음알이를 얻어 마음 속의 번뇌가 없어지게 된 상태에 이르는 데 있는데, 이러한 마음의 자유 상태를 열반 또는 해탈이라 한다.

연기란 인연생기(因緣生起)의 준말이며, 그 뜻은 모든 현상은 수많은 1차 원인(因)과 2차 원인(緣)의 결합에 의해 생긴다는 것, 즉 모든 존재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의 관계성 속의 존재라는 것이다. 존재들 사이의 상호관계성을 강조한 이론인 연기설은 사성제와 함께 불교의 핵심 사상을 이루고 있으며, 부처도 ‘법(현상, 세계)을 보는 것은 연기를 보는 것이며, 연기를 보는 것은 법을 보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연기설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으므로 저것이 없으며, 이것이 없어지므로 저것도 없어진다.” 이 이론은 현대 물리학계로부터도 상당한 설득력을 인정받고 있다.

사대설은 존재의 물질적 구성 요소에 대한 이론이며, 모든 존재는 흙의 요소, 물의 요소, 불의 요소, 공기(혹은 바람)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피부·살·머리카락·발톱 등은 결국 흙으로 돌아가고, 혈액과 체액 등은 물로 환원되므로 각각 흙의 요소, 물의 요소로 구성된 것으로 본 것이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대사열 및 체온 등은 불의 요소, 날숨과 들숨 등은 공기의 요소로 간주된 것이다. 이 설은 불교 이전 인도의 존재 구성 요소설에 입각한 것으로서 현대의 과학적 지식에 비추어 보면 초보적인 분석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여전히 상당한 설득력을 지닌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오온설은 불교의 인간관이며, 인간은 오관(눈·귀·코·혀·몸)으로 대표되는 물질적 요소(色)와 일련의 정신작용, 감수작용(受)·인식작용(想)·의지작용(行)·판단작용(識)으로 이루어진 존재라는 것이 그 내용이다. 감각기관과 대상 사이의 첫 만남이 이루어지는 감수작용 단계에서는 대상에 대한 좋음, 좋지 않음, 좋지도 나쁘지도 않음의 세 가지 중 한 가지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그 대상에 대해 호감을 가질 경우, 정신작용은 그 다음 단계인 인식작용으로 진행되게 된다. 여기서는 대상의 특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게 되며, 그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그 대상에 대한 욕망이 일어나는 의지작용 단계를 거쳐, 소유 결정에 이르는 판단작용에 이르게 되며, 이는 곧 행동으로 나아가게 됨을 의미한다.

이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사대로 구성된 오관을 통해 사물을 받아들이고, 일단 받아들인 후에는 일련의 정신작용을 거쳐 행동을 하는 존재란 것이다. 인간의 육체와 정신작용은 항상성이 있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인간들은 그것들에 집착함으로써 갖가지 고통을 초래하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이 이론을 통해 인간에 대한 바른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세계란 말은 우주, 자연, 대상, 객관을 뜻하며, 불교에서는 인간 인식의 모든 대상이 되는 존재로서 법(法, dharma)이라고 표현된다. 불교의 세계관은 인간이 객관대상으로서의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하는 문제와 직결되며, 이는 십이처설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존재론적 물음에 대한 사유체계가 아니라 인식론적 사유의 산물이다.36) 36) 불교의 세계관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김종명, 〈불교의 세계관〉, 《求道》 (1997. 5), pp.7∼12 참조.


십이처설은 눈, 귀, 코, 혀, 몸, 마음(意) 등 6근과 인간의 감각기관인 오관의 대상과 마음의 대상인 세계(法)인 6경의 관계에 대한 이론이며, 그 핵심은 ‘인식 없이 세계 없다’는 것이다. 객관 대상인 세계란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관에 의해 인식되는 대상일 뿐이란 것이다. 그러나 오관 스스로가 각각의 기능을 가진 것이 아니란 점은 아주 중요하다. 일례로, 특정 대상을 주시하고 있더라도, 의식 없이 그것을 봤을 경우에는 무엇을 봤는지를 기억할 수 없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오관을 기능케 하는 ‘그 무엇’을 일컬어 억지로 마음, 의, 의식 등등으로 지칭하였으며,37) 마음은 인간 존재와 세계의 근원인 동시에 모든 인간 행동의 원천으로 간주된다. 즉 세계는 나의 마음의 산물(一切唯心造)이란 시각이며, 마음을 통해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불교의 세계관은 서양의 신(神) 중심적 세계관 및 유교의 형이상학적 세계관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현대에서도 상당한 설득력을 얻고 있는 이론이다. 37) 교학불교와 선불교를 포함함 불교역사상 마음에 대한 다른 명칭은 수십 가지가 넘는다.


삼법인설은 존재에 대한 속성론으로서 불교만이 가진 독창설이다.

그 내용은 (1) 모든 존재란 시간적으로 변한다는 것이다(諸行無常). 모든 존재는 생멸을 반복하기 때문이며, 오온으로 구성된 인간도 예외는 아니란 것이다. (2) 모든 존재는 공간적으로도 실체가 없다는 것(諸法無我)이다. 이 이론은 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가르침 중의 하나로서 존재의 본질과 참모습에 대한 바른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불교 흥기 당시 인도의 정통종교였던 브라흐만교엔 없었던 것이다.

불교에서는 사람들이 보통 자신, 혹은 영혼 등의 한 부분은 적어도 변치 않는다고 생각하며, 이렇게 상정된 영원한 자아에 묶인 삶을 살기 때문에 여러 가지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존재에 대한 무집착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 이론은 자아에 대한 절대적 부정이 아니라 ‘참 자아’를 찾게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3) 정신적, 육체적 즐거움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영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스러운 존재(一切皆苦)란 것이다. 인생살이를 통해 인간이 겪게 되는 대표적인 고통은 4고(태어남·늙어감·병듦·죽음)로 표현되며, 이것의 확대된 형태는 8고(태어남·늙어감·병듦·죽음·사랑하는 이와의 이별·싫어하는 이와의 만남·원하는 것을 얻지 못함·오온에의 집착)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가르침의 의미는 존재의 본질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한 데 있다. 일반적으로 범부들은 존재의 현상에 집착하여 판단을 내리고, 이를 바탕으로 행동하는 삶을 살기 때문에 여러 가지 고통을 겪게 되므로 존재의 본질에 대한 관심은 이러한 어려움을 줄이거나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 본 불교의 주요 사유체계들은 불교의 존재론·인식론 및 세계관을 대표하는 것들이며 인간의 의지, 즉 ‘마음’을 모든 존재의 근본으로 본 데 그 핵심이 있다. 그러나 그 어디에도 기복적 요소는 발견되지 않는다. 오히려 기복도 잘못된 마음의 산물이며, 그 속성도 영원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가르침에 따른 건강한 삶을 살 때, 복은 부수적으로 따른다고 보는 것이 오히려 상식적일 것이다.

이들 초기불교 교학들은 후대에 전개된 부파불교 전통의 대표적 학파들인 상좌부·대중부·설일체유부, 대승불교 전통의 중관학·유식학, 한국불교를 비롯한 동아시아불교 전통의 화엄종·천태종·선종·정토종 등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 그러나 한국을 포함한 역사상의 불교전통에서는 주인공인 불교의 내용보다는 부수적인 ‘방편설’이란 이름의 기복신앙이 주인 자리를 차지해 왔다.

이 점은 반성적 시각에서 비판의 대상이 될지언정 더 이상 묵수나 추종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기복불교란 기치 아래 ‘부처 팔아 밥 빌어먹는’ 일은 이제 불식되어야 한다. 이 점은 한국 역사상 시대별 대표 승려들이었던 원효(元曉, 617∼686), 지눌(知訥, 1158∼1210), 휴정(休淨, 1520∼1604),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이 질타했던 일이기도 하다.

2) 윤리로서의 불교
불교에서는 인간 행동의 범주를 몸에 의한 행동(身業), 입에 의한 행동(口業), 뜻에 의한 행동(意業)의 3가지로 분류한다. 따라서 불교윤리의 목표도 이 삼업의 청정화에 두고 있으며, 특히 의업은 모든 행위의 근원으로 간주되어 가장 중요시 된다. 불교의 윤리성은 사성제 중의 네 번째 가르침인 팔정도에서 잘 나타난다. 팔정도는 계·정·혜의 삼학으로 구성된 바람직한 삶의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서, 특히 계의 항목들―바른 말, 바른 행동, 바른 직업, 바른 정진―은 불교 윤리의 기초가 되었다. 후대에 전개된 5계·8계·10계 및 이삼백여 가지에 달하는 비구(니)계 등의 기원도 바로 여기에 있었다.

대소승불교 전통에서도 계율은 깨달음만큼 중요시되었으며, 계율은 깨달음의 하위 개념도 아니었다. 특히 대승불교권에서 잘 알려진 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는 윤리로서의 불교의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다. 중국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 772∼846)와 도림선사(道林禪師, 741∼824)의 대화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송나라에서 1004년에 편찬된 《경덕전등록》에 전하는 이 게송의 내용은 “모든 악은 짓지 말고, 선을 중시해 받들어 행하며, 스스로 그 뜻을 맑게 하는 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諸惡莫作 重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敎)”란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 불교는 곧 윤리적 가르침이었으며, 그 핵심은 마음 수행에 있었음을 의미한다.

부처는 자신의 교설의 목적을 행복(열반)을 얻는 데 두고 있었으며, 삼독을 없애는 것도 행복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곧 도덕의 완성을 의미하였다. 윤리로서의 불교는 자기 자신의 본질에 대한 확신이란 철학적 기초 위에서 자리이타를 지향하는 윤리론을 체계적으로 전개하였으며, 그 핵심은 인간은 스스로의 의지에 의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는 데 있다.

칠불통계게의 핵심도 단순히 악을 멈추고 선을 행하라는 윤리적 교훈으로서보다는 청정한 마음가짐의 중요성을 강조한 데 있으며, 그것이 바로 불교의 본질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윤리로서의 불교도 바른 마음가짐에 의한 바른 행동을 강조하고 있을 뿐 기복을 중요시하고 있지는 않다.

3) 현대적 중요성
불교의 철학적 중요성은 무엇보다도 그것이 제시한 합리적 세계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부처는 사회의 변혁과 인류 공동의 행복이 개개인의 올바른 세계관과 이에 근거한 삶의 양식의 변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자아변혁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38) 38) 안옥선, 《불교윤리의 현대적 이해: 초기불교윤리에의 한 접근》(서울: 불교시대사, 2002), pp.103∼105.


이 점은 기존의 동서양의 세계관과는 아주 다르지만, 합리적인 것이다. 세계란 형이상학적 실재인 신의 창조물이란 시각이 서양의 전통적 세계관을 구성하고 있었다면, 동양 성리학의 세계관은 세계 존재 이유로서의 이치와 다양한 만물이 생기기 이전의 태초의 세계를 ‘있다’고 보는 믿음 위에서 전개되었다. 이러한 세계관은 분석적·합리적·구체적 관점에 서 있다기 보다는 실유론적·형이상학적·사변적 시각에 입각한 것이었다.39) 39) 김종명,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하여: 그 동양철학적 모색〉, 황필홍 외, 《새로운 공동체를 찾아서》(서울: 한맥, 1997), pp.115∼147.


그러나 불교의 세계관은 형이상학적 실재에 대한 믿음에 바탕을 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본질에 대한 확신에 기초를 두고 있다. ‘사유 없이 존재 없다’는 십이처설의 메시지는 이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불교 세계관의 현대적 중요성은 기존의 동서양철학이 가진 존재론적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살필 수 있다. 이는 곧 불교의 윤리학적 특징으로도 이어진다.

현대의 종교는 윤리적 요인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더욱 넓게 정의되고 있으며, 이 점에서는 불교를 포함한 전통도 종교로 간주되고 있다.40) 연기론적 존재론과 상황윤리론을 바탕으로 한 불교윤리의 현대적 중요성은 현대 윤리학이 직면해온 합리성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윤리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40) Mircea Eliade, ed., Encyclopediea of Religion, vol. 11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3), p. 283.


윤리학의 근본과제는 인간 행위의 옳고 그름, 선과 악을 판별하는 보편적 기준을 확보하려는 데 있다. 동양의 윤리는 유가 윤리로, 서양윤리는 기독교 윤리로 대표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동서양 윤리론은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사회에서 한계성을 가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것은 양자의 윤리론이 각각 형이상학적인 개념들인 천명·신의 뜻·이성을 윤리의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양의 성리학은 윤리적으로는 이기이원론을 인간의 삶에 적용시켜 도덕적 삶의 가능성을 모색하려 하였다.

성리학의 인간관은 인간을 도덕적으로 선하다고 봄으로써 인간에 대한 신뢰를 강조한 데서 출발하고 있다. 그러나 성리학의 도덕적 형이상학도 더 이상 그 가치를 지속시킬 수 없게 되었다. 서구 근대 윤리학은 이성의 입장에서 도덕 판단의 보편적 원리를 확립하고자 노력해 왔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으며, 합리성의 위기를 맞고 있다. 그것은 인간 행위의 선과 악, 옳고 그름을 식별하고 판단하는 합리적이고도 보편적인 이유와 근거, 기준과 원칙을 제시하는 데 실패했으며, 윤리적 상대주의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41)41) 길희성, 〈현대 윤리학의 위기와 상호의존의 윤리〉, 《西江人文論叢》 第11輯(2000. 1), p.53.


그러나 불교의 연기적 상호의존의 윤리는 기존의 전통적 도덕 실재론들과 차별화되며, 또한 존재론적 근거도 갖고 있다. 어떤 행동이 좋은 것인가, 나쁜 것인가에 대한 불교의 기준은 그 행동이 자신이나 남, 혹은 양쪽 모두에게 해가 되느냐, 아니냐와 열반을 얻는 데 방해가 되느냐 아니냐에 달려 있으며, 인간 스스로가 자기 행동의 책임자로 간주된다.

이러한 특징은 기존 동서양의 형이상학적 윤리관이 가진 현실적 딜레마로부터 하나의 탈출구를 제공해주고 있으며, 인도철학사와 종교사에서 불교가 남긴 가장 큰 공헌 중의 하나도 자아와 같은 증명할 수 없는 형이상학적 실재를 가정하지 않고 윤리론을 전개했다는 사실이다. 또한 불교는 감정과 이성을 동시에 중요시하고 있는데, 지계(持戒)를 통한 바른 감정이 없으면, 지혜도 얻을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은 감정에 바탕을 둔 유럽의 홉스(Thomas Hobbes, 1588∼1679)나 흄(David Hume, 1711∼1776)의 경험론, 이성에 기초한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이성론의 한계도 극복한 것으로 간주된다.42)42) Damien Kewon, The Nature of Buddhist Ethics(New York: St. Martin’s Press, 1992), p.108.


불교윤리는 상황윤리란 점에서도 기존의 윤리론과 그 성격을 달리한다. 부처는 당시의 다른 사상가들처럼 특정 행위는 특정 결과를 낳는다고 보지 않았다. 브라흐만교에서는 범신에 대한 제사만을 선업으로 간주하였으며, 부처 당시의 육사외도들은 숙명적 인생관을 주장하고 있었다. 또한 자이나교는 업의 절대적 법칙성을 강조하였으며, 우파니샤드 철학자들은 자아가 행위자며, 결과를 받는 자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인간의 행동은 세 가지 요인인 외부 자극(접촉 등), 의식적 동기(삼독 등), 무의식적 동기(영원히 살고 싶어 하는 마음 등) 중의 하나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그것은 같은 행동이라도 환경이 다를 경우 결과도 달라진다고 파악했기 때문이었다. 모든 존재들을 과거의 업으로 해석한 결정론자들과는 달리, 부처는 업을 존재 결정의 한 요소로 간주하면서, ‘행위는 윤회의 밭, 의식은 씨, 욕망은 수분’으로 비유하였다.43) 43) David J. Kalupahana, Buddhist Philosophy, A Historical Analysis(Honolulu: Th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76), pp.44∼51.




즉 행위의 효과는 행위 자체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으며, 행위자의 상태, 행위 환경 등의 다른 요소들도 관계된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행위자의 의식이다. 이러한 사유체계는 현대의 실정법 체계와도 일맥상통하는 점을 가지고 있다.

불교의 연기적 인간관은 전통사회의 공동체적 인간관계가 지닌 폐쇄성과 배타성뿐 아니라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근대 서구 사회의 인간관계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그것은 개인주의와 폐쇄적 공동체주의,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우주적 공동체를 지향하기 때문이다.44) 44) 길희성, 2000, pp.51∼72.


따라서 불교의 상호존중성과 포용성은 현대의 다원주의 사회에서도 보편적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45) 인간의 삶과 자연 존재를 동시에 중요시하는 불교의 사유체계는 환경문제가 지구촌의 초미의 관심사가 된 현대에서 환경생태학46) 측면에서의 기여도도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45) 안옥선, 2002, pp.143∼168. 46) 불교와 생태학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는 불교문화연구원, 《불교와 생태


5. 맺음말

과거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불교는 기복불교로서 기능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역사적 산물일 뿐 인간 스스로와 그들의 삶에 대한 바른 알음알이 얻기와 그 실천에 중점을 두었던 초기불교의 가르침과도 다른 것이다. 불교에 대한 우리의 이해도 부처의 가르침 자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역사적 산물로서 전개된 한국불교에 대한 검토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현대 한국에서도 불교는 기복 위주의 종교로만 간주된 채, 인생교육체계로서의 불교의 존재는 별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불교의 철학적·윤리적 가르침들은 형이상학적 존재론에 바탕을 두고 전개된 동서양의 철학계와 종교계에 새로운 대안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불교는 현실적이고도 실용적인 가르침47)이다. 따라서 불교의 성격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해 현대 인류의 삶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우리 불교계에 남겨진 과제로 생각된다. 47) 안옥선, 〈‘불교와 불교학의 실용성’에 대한 한 생각〉, 《불교평론》 13호(2002년 겨울호).

인간의 가치는 노력과 수양과 행동에 있는 것으로서 종성(種姓)의 문제는 수도상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 부처와 그 제자들의 요지였다.48)
48) 기무라 다이켄(木村太賢), 박경준 역, 《原始佛敎思想論》(경서원,

근대 한국의 대표적 선승이었던 만공(滿空, 1876∼1946)도 승려의 기준은 겉모습에 있는 것이 아니라 불교에 대한 앎에 있음을 강조하였다.49)

무엇보다도 불교에 대한 기본 지식의 함양은 가장 시급한 과제다. 불립문자는 문자적 지식에 대한 절대적 의존성을 경고한 말이지 불교교리 자체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한국승단에는 이를 잘못 해석하여, 문자는 마귀며, 승려로서 교학을 공부하는 자는 지적 알음알이에 묶인 사람이라는 식의 인식이 팽배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당연히 불식되어야 한다. 앎이 없는 실천은 위험할 뿐 아니라 정혜쌍수를 강조해온 한국불교 전통에도 어긋나기 때문이다. 대학을 비롯한 고등교육기관들은 객관성과 보편성을 가진 인류의 관심사를 가르치고 연구하는 학문의 전당이며, 종립대학들도 이 대전제 위에 서 있다. 따라서 그 일차적 관심도 불교신앙이 아닌 불교학에 두어야 할 것이며, 그 학문적 성과는 현대 한국사회에 회향되어야 할 것이다. ■

김종명
UCLA 철학박사(불교학전공), 현재 영산대학교 조교수(문화관광 전공). 논저서로 《한국중세의 불교의례: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의》, Encyclopedia of Buddhism(공저), 《논쟁으로 보는 불교철학》(공저), 《파란 눈 스님의 한국선 수행기》(역서), 〈원효와 지눌의 수증론 비교〉 등이 있다.


알라딘: 양심이 답이다 - 양심혁명 윤홍식

 알라딘: 양심이 답이다

양심이 답이다 - 양심혁명  

윤홍식 (지은이)봉황동래2013-11-01




양심이 답이다


정가

18,000원

판매가

16,200원 (10%, 1,800원 할인)

마일리지

900원(5%) + 486원(멤버십 3%)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73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8월 25일 출고 

최근 1주 100.0%(동래구 아시아드대로 202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981

 9.8 100자평(9)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404쪽138*203mm525gISBN : 9788994950013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이벤트


인문ON 앱레터 수신 신청하면 추첨 적립금


마음산책 스무 해 브랜드전! 대상도서 2만원 이상 포스터북


8월 특별선물! 지워지는 볼펜.형광펜.온습도계.큐브 메모지(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SNS에 올린 짧은 글들과 저자가 운영하는 홍익학당에 올렸던 글들, 그리고 양심콘서트에서 했던 강의 중 한 대목을 모은 것이다. 이 책은 ‘인간의 길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과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우리가 당면한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라는 화두에 대한 답이다. 글쓴이의 체험과 생각을 통해 나온 답이기는 하지만, 모든 성자와 현인들이 함께 고민하고 결론지은 해답을 글쓴이가 체험적으로 경험하여 확인한 후 알기 쉬운 용어로 정리해 놓은 것이기도 하다.


글쓴이는 양심의 개념을 올바로 이해하고, 항상 양심을 찾고서 욕망과 괴로움을 바르게 다스리며, 양심의 힘을 이용하여 늘 창조적이고 합리적인 삶을 영위하면서, 주변 사람들과 함께 더불어 행복함을 추구해 간다면, 우리가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당면한 많은 문제들을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다고 확언한다. 글쓴이는 양심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맹자의 글을 소개하여, 양심이란 이기적인 마음인 욕심을 잠시 내려놓을 때 느껴지는 맑고 밝은 마음, 욕망· 이기심· 생각· 감정에 물들지 않은 ‘순수한 마음’이라고 명확하게 설명한다.

목차

들어가며


한국인이여, 일상에서 깨어나라!


1. 깨 어나라


초간단 마음리셋법

“모른다!” 명상의 핵심

5분 명상

10분 명상


2. 참나와 양심


참나와 에고

에고의 분석

마음을 관리하는 요령

에고의 찬가

참나와 현상계

참나의 뜻을 따르는 삶

참나와 함께 하는 삶


3. 양심을 따르는 삶


양심잠

양심노트(4단 노트)의 작성요령

4단분석(양심성찰)의 요령

깨어있음과 4단확충

6바라밀을 닦아야 하는 이유

활연관통

영성지능을 강화하라!

지혜와 사랑

남의 의견을 존중하라


4. 인간의 길


인간의 신성한 임무

영적인 진리의 탐구

군자의 길, 5단의 실천법

보살의 길, 6바라밀의 실천법

진정한 인간의 길

성현의 길을 묻는 분께 답함

완전한 인간, 성인의 경지

우주 대장부의 삶


5. 정의란 무엇인가?


양심의 자정작용

진정한 끌어당김의 법칙

업력을 극복하는 비결

인성교육의 핵심

양심이 답이다!

양심계발 5단계프로그램

양심노트(4단노트)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윤홍식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홍익당 대표이며,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홍익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동서양 인문학의 핵심을 참신하면서도 알기 쉽게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인기 있는 젊은 철학자이자 양심경영 전문가이다. 3,500여 개의 인문학 강의 조회 수는 5,100만을 돌파하였고, 구독자 수는 7만2천여 명에 달한다.

연세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한 후 홍익학당, 홍익선원, 출판사 봉황동래를 운영하고 있으며, 견성콘서트·고전콘서트·참선캠프 등을 열고 있다. BBS에서 수심결 강의를 진행했고, 동국대 불교학과 및 춘천 삼운사, 태고종, 원불교 등의 초청으로 ‘견성과 6바라밀, 대승불교’를 주제로 강의를 하였다. 그 밖에도 삼성·LG 등 일반기업과 법무부·중소기업진흥청·우정청 등 공공기관에서 고전을 통한 윤리교육과 양심리더십 교육을 맡았으며, KBS·EBS·BBS 등 방송 매체에서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WBS원음방송에서도 “정신을 개벽하자” 특강 시리즈를 강의하였다. 다양한 강의를 통해 견성과 보살도, 6바라밀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으며, 국민 전체의 인성교육을 위하여 『양심노트』를 만들어 보급하고 있다.

저서로는 『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한국 큰스님에게 배우는 禪의 지혜』 『선문답에서 배우는 선의 지혜』 『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 『양심이 답이다』 『5분 몰입의 기술』(2009년 문화체육부선정 우수도서) 『인성교육, 인문학에서 답을 얻다』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윤홍식의 수심결 강의>,<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 총 30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짧은 글들과 그림이 어우러져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양심’에 대한 지침서


이 책은 글쓴이가 SNS에 올린 짧은 글들과 글쓴이가 운영하는 홍익학당(www.hihd.co.kr)에 올렸던 글들, 그리고 양심콘서트에서 했던 강의 중 한 대목을 모은 것이다.


이 책은 ‘인간의 길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과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우리가 당면한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라는 화두에 대한 답이다. 글쓴이의 체험과 생각을 통해 나온 답이기는 하지만, 모든 성자와 현인들이 함께 고민하고 결론지은 해답을 글쓴이가 체험적으로 경험하여 확인한 후 알기 쉬운 용어로 정리해 놓은 것이기도 하다.


글쓴이는 이 책을 통해, 양심의 개념을 올바로 이해하고, 항상 양심을 찾고서 욕망과 괴로움을 바르게 다스리며, 양심의 힘을 이용하여 늘 창조적이고 합리적인 삶을 영위하면서, 주변 사람들과 함께 더불어 행복함을 추구해 간다면, 우리가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당면한 많은 문제들을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다고 확언한다.


사실 ‘양심’이라는 말처럼 우리가 자주 쓰지만 그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말도 흔치 않을 것이다. ‘양심’을 단순히 다양한 사회나 사람들의 생각이나 경험을 통하여 형성된 가변적인 도덕적 판단기준으로만 이해한다면, ‘양심이 우리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답이다.’라는 글쓴이의 주장에 동감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글쓴이는 양심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맹자의 글을 소개하여, 양심이란 이기적인 마음인 욕심을 잠시 내려놓을 때 느껴지는 맑고 밝은 마음, 욕망· 이기심· 생각· 감정에 물들지 않은 ‘순수한 마음’이라고 명확하게 설명한다.


즉 양심이란 생각과 욕심, 감정을 초월한 순수한 나, 순수한 상태를 말하며, 개인이 생각하고 욕망하여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초월한 상태이므로, 인위적인 것이 아니어서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주어진 프로그램인 것이다. 그러므로 지역이나 종교, 사상에 따라 양심을 ‘본심’, ‘신성’, ‘성령’, ‘참나’, ‘불성’, ‘logos', '초월적 자아’, ‘선의지’ 등의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양심’(혹은 사람들이 그것을 무엇이라 부르건 혹은 부르지 않건 간에)은 우리의 욕망과 이기심, 생각과 감정을 초월한 상태를 지칭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스스로의 체험을 통해 찾아야만 비로소 ‘양심을 안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들이 욕심과 번뇌를 내려놓고 차분하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한다면, 모든 사물과 생각이 선명하게 비춰지고 생각과 감정이 객관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그 상태에서는 초월적인 의식과 영감과 하나가 된 것같이 느껴지며, 또렷한 의식 속에서 내 욕심마저 우주적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기적인 선입견과 나를 지배해온 불필요한 욕망· 자극이 더 이상 나를 제약하거나 괴롭히지 못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이 곧 진정한 양심을 체험한 것이며, 양심과 하나 된 상태이다.


양심과 하나 된 상태에서는 선입견과 욕심이 가라앉기 때문에, 주변의 정보를 고정관념 없이 수용하고 판단하여 여러 사람의 이해를 고려하여 합리적이고 자명하게 분석, 판단, 대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심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내가 (남에게) 당해서 싫은 일을 남에게 가하지 않는’ 정의로움과 ‘내가 받아서 좋았던 일을 남에게 베풀어 행하는’ 사랑을 손쉽게 실천할 수 있다. 양심이 밝게 드러난 상태에서 사물과 사안을 대할 때에만 우리는 ‘합리적’인 사고와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순수한 ‘선’ 즉 대가를 바라거나 가식적이지 않은 ‘선’을 실천할 수 있다.


양심의 실체를 정확하게 체험하고 수시로 양심과 접속할 수 있다면, 우리들은 모든 성자와 철인들, 현인들이 ‘인간의 길’로서 제시한 다양한 방법론과 덕목들, 즉 사랑(공감능력)· 정의· 배려(조화능력)· 지혜(판단능력)· 육바라밀 등이 모두 양심의 속성· 상태를 말하고 있음을 충분히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들은 성자와 철인들, 현인들이 공통적으로 하나의 주장, 즉 ‘양심과 하나 되어 나부터 선을 실천하면, 주변의 모든 문제들을 조금씩 해결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선입견과 장애가 툭 떨어져 나가면서 창조적인 영감이 번뜩이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샘솟을 때가 바로 양심과 접속한 상태였음을 쉽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양심에 접속하여 많은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선입견 없이 받아들이고 늘 모두(또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최선의 결정을 창조적으로 해낼 수 있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영성(영적지능)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인류 모두의 영성 수준을 높여야만 우리 모두 더불어 행복한 지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수시로 스스로에게 ‘난 지금 깨어서 양심을 자각하고 있는가?’, ‘나는 지금 상대방이 좋아하거나 피하고 싶은 것, 내 욕망이 좋아하거나 피하고 싶은 것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가?’, ‘내가 (남에게) 당해서 싫은 일을 남에게 가하고 있지는 않은가?’, ‘상대방에게 하는 생각과 언행이 상대방을 충분히 배려하고 있는가?’, ‘내가 하는 생각과 언행은 자명한가?’를 물어보라. 지금까지 우리들은 스스로를 돌이키는데 진짜 양심을 사용하기보다 남을 지적하고 당신의 고정관념과 선입견, 욕심을 합리화하기 위해 실컷 왜곡된 양심을 잘 사용해오지 않았는지? 이제부터라도 이 책과 함께 양심이 주는 편안함과 자명함을 충분히 만끽하며 자신뿐 아니라 남들에게도 힐링을 전해주는 ‘선의지’로서 살아가보기를 기대해 본다.


이 책은 ‘선’과 ‘양심’으로 자신에게 펼쳐진 우주를 스스로 경영하고자 하는 분들께 직관적이고도 강력한 지침을 전해줄 것이다. 또한 공자· 노자· 맹자· 예수· 붓다· 소크라테스 등의 성자들, 주희· 왕양명으로부터 칸트와 김구 선생에 이르기까지 동서양을 망라한 여러 철인· 현인들이 글쓴이를 통하여 당신을 격려해 줄 것이다. 글쓴이의 강연을 녹취한 글에는 QR코드를 첨부하여, 바로바로 저자의 생생한 유튜브 강의를 연결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저자가 한지 전시회를 통해 전시한 그림도 함께 소개하였는데, 마치 선화禪畵를 연상케 하는 그림들을 보고 있으면 생각도 정리되고 마음도 차분해지면서 글을 ‘보는’ 흥취도 더해 갈 것이다. 또한 인터넷 카페 ‘홍익학당’에서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양심노트’의 양식도 제공하였다.


글쓴이는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자신안의 밝은 ‘양심’을 일깨우고 나아가 어느 특정하고 제한된 지역에 얽매이지 않는 진정한 ‘우주인’으로서 우주의 모든 존재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삶을 당당히 살아갈 수 있도록 최대한 도움을 드리고자 한다. 이 책을 길잡이 삼아 고단한 삶을 묵묵히 걸어갈 독자들이여! ‘양심’이 늘 그대들과 함께 하길…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 읽고 있어요 (0) 읽었어요 (14)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2% 10대 0.2%

4.1% 20대 3.2%

9.6% 30대 9.0%

20.7% 40대 19.4%

9.0% 50대 18.8%

1.9% 60대 4.1%

여성  남성

평점 분포

    9.8

     88.9%

     11.1%

     0%

     0%

     0%

100자평

   


등록

마이페이퍼 > 마이페이퍼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5)

전체 (9)

공감순

    

이 저자의 책은(그의 대선출마는 빼고) 두루 좋다. 한국을 다녀간 외국인들의 반응 중 항상 셋째 안에 드는 호평이 카페/도서관 등에서 자리를 비워도 폰/북이 그대로 있다라는 것과 치안이 안전하다는 것.. 시민들은 소소하게 도덕적이나 위정자등의 야만과 위선이 문제다. 국격은 여전히 후진국이다  구매

알라딘(최란)은 댓글농단을 멈춰라 2020-01-07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모든 이들이 읽었으면 좋겠네요  구매

순전히 2017-07-17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지루하지 않습니다 추천드립니다  구매

독서가좋아여 2017-09-03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대승기신론의 한줄 요약은 "양심이 답이다."  구매

wanheekim 2016-06-14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좋은책, 많은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구매

코니 2016-05-1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알라딘: [전자책] 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 윤홍식

 알라딘: [전자책] 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


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  epub

윤홍식 (지은이)봉황동래2020-07-27


종이책 페이지수 532쪽, 


책소개


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을 실천함으로써 어떠한 삶의 역경도 경영할 수 있다는 것을 소개한 책이다. 독자들이 카르마 경영의 달인이 되어, 인생의 고통을 이겨내고 운명을 창조하는 데 큰 지혜와 힘이 되어 줄 것이다.



목차

들어가며


<홍익보살의 길>

대승보살도 선언문

홍익보살 선언문

홍익보살의 길

홍익보살 실천지침 14조

대승보살의 참선법, 6바라밀선禪

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

6바라밀선禪의 구체적 실천법

보살의 길, 6바라밀의 실천법

에고의 찬가

참나와 현상계

한 생을 넘어선 큰 안목으로 보살도를 하자

존재의 목적


<참나를 밝히는 길>

모든 선禪은 대승선의 방편일 뿐이다

진정한 열반이란 무엇인가?

초간단 견성법

최상승선의 비결

우리는 본래 열반이다

지금 여기

몰입의 9단계

즐거움 속에 명상에 들어가는 방법

6바라밀선禪으로 견성하기

참나에게 믿고 맡기는 삶

6바라밀선禪은 불성의 향연

1급과 1단

영성의 1급과 1단의 실체를 밝히다

1급과 1단의 실체와 영성연구방법론

화엄 10지, 보살이 닦아 가는 길


<운명을 바꾸는 길>

양심전문가가 되어라

양심적 가정?조직의 경영을 위한 6가지 점검 사항

나와 세상을 바꾸는 6바라밀 양심혁명

6바라밀 양심캠페인과 정신문명의 도래

매 순간 자명함을 따르는 삶

6바라밀로 가정을 경영하라

먼저 주변부터 밝히는 것이 보살의 길

종교의 어두운 그림자

6바라밀을 총동원하여 독서하기

참회와 6바라밀

작은 일부터 바로잡아라

받아들임의 지혜

모든 고통에서 자유로워지는 길


<부록>

5분 명상

10분 명상

몰입의 4단계

불교의 4선정四禪定과 멸진정滅盡定

5가지 화두

10가지 견성의 인가 기준

6바라밀과 6도윤회

지상정토 게임(MMORPG) 즐기는 법


접기

----

첫문장

우리의 목표는 윤회에서 벗어나 열반에 드는 것이 아니다.

P. 69~70 ‘통증’의 신호가 건강을 지켜 주듯이, ‘찜찜함’의 신호는 우리의 양심을 지켜 줍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양심에 찜찜한 부분이 얼마나 되는지를 잘 관찰하다 보면, 자연히 양심이 보내는 자명함과 찜찜함의 신호에 민감해지게 됩니다.

P. 102 우리가 괴로운 것은 오직 ‘6바라밀’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기 때문이지 다른 이유는 없습니다. 6바라밀만 잘 돌아가면 절대계에서 처방이 척척 나오니, 현상계의 어떤 난관도 모두 극복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처리를 하지 않아도 우리 내면의 불성이 알아서 해결하기 때문에, 우리는 6바라밀만 잘하면 됩니다. 그러니 인간에게 있어 최고의 신통은 6바라밀을 잘하는 것입니다.  접기

P. 220 양심(보리심)의 소리에 최선을 다해 집중하고(선정바라밀), 양심의 소리를 이해하고(반야바라밀), 이를 진심으로 수용하고(인욕바라밀), 이를 구현하려고 노력할 때(나머지 바라밀) 문제를 제대로 풀 수 있습니다. 그래야 나와 남의 이익을 모두 고려한 답이 나오고, 그러면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나에게도 피해를 끼치지 않는 최선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접기

P. 345 다른 사람에게 기대하지 말고, 여러분이 스스로 분쟁이 있는 곳에 가서 해결해 줄 수 있는 양심전문가가 되십시오. 악이나 욕심이 판을 치는 곳에 여러분이 투입되면, 양심세력이 힘을 얻고 욕심세력이 힘을 잃게 되는 그런 전문가가 되세요. 어느 곳에 있든지 양심을 따르면 여러분은 성스러워지고 고귀해질 것입니다.

P. 412~413 짧은 시간 안에 올바른 답을 빨리 찾아내려면, ‘몰입력’을 통해 고도로 활성화된 뇌를 활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몰입을 잘하더라도 머리가 빨리 돌아가지는 않는다면 그 집중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겠죠. ① 호흡으로 ‘체력’을 기르고 ② 깨어있음으로 ‘집중력’을 기른 다음에는 ③ 양심분석으로 ‘집중사고력’을 길러야 합니다. 자명한 판단을 빨리빨리 내리는 연습이 필요한 것이죠.  접기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윤홍식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홍익당 대표이며,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홍익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동서양 인문학의 핵심을 참신하면서도 알기 쉽게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인기 있는 젊은 철학자이자 양심경영 전문가이다. 3,500여 개의 인문학 강의 조회 수는 5,100만을 돌파하였고, 구독자 수는 7만2천여 명에 달한다.

연세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한 후 홍익학당, 홍익선원, 출판사 봉황동래를 운영하고 있으며, 견성콘서트·고전콘서트·참선캠프 등을 열고 있다. BBS에서 수심결 강의를 진행했고, 동국대 불교학과 및 춘천 삼운사, 태고종, 원불교 등의 초청으로 ‘견성과 6바라밀, 대승불교’를 주제로 강의를 하였다. 그 밖에도 삼성·LG 등 일반기업과 법무부·중소기업진흥청·우정청 등 공공기관에서 고전을 통한 윤리교육과 양심리더십 교육을 맡았으며, KBS·EBS·BBS 등 방송 매체에서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WBS원음방송에서도 “정신을 개벽하자” 특강 시리즈를 강의하였다. 다양한 강의를 통해 견성과 보살도, 6바라밀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으며, 국민 전체의 인성교육을 위하여 『양심노트』를 만들어 보급하고 있다.

저서로는 『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한국 큰스님에게 배우는 禪의 지혜』 『선문답에서 배우는 선의 지혜』 『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 『양심이 답이다』 『5분 몰입의 기술』(2009년 문화체육부선정 우수도서) 『인성교육, 인문학에서 답을 얻다』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윤홍식의 수심결 강의>,<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 총 30종 (모두보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 읽고 있어요 (1) 읽었어요 (3)

이 책 어때요?

100자평

   


등록

마이페이퍼 > 마이페이퍼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0)

전체 (3)

공감순

    

지금의 삶을 올바른방향으로 가기위해서 꼭 지침서가 되는 책입니다

독서가좋아여 2019-05-09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참나는 이제 알았는데 실제 삶은 기대만큼 잘 풀리지 않는다 싶은 사람들에게는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하고, 영성 초심자에게는 참나 각성의 기초부터 쉬운 접근법을 차근차근 소개하는 책이다. 기다려오던 책!

김경민 2019-04-20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책을 읽으니 윤홍식샘 유투브 목소리 그대로 들리는 듯 생생하더군요..


인류역사상 진리 철학 존재 해탈 자유 도덕에 대해 이리도 자명하게 풀어서 중생들이 보다 손쉽게 실천력을 기르게 해주시는 분이 또 잇을까 이 책을 보면서 끊임없는 탄성이 절로 나왓습니다.


정성 가득한 선물받는 감동을!!

유노모 2019-05-16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알라딘: 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알라딘: 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윤홍식 (지은이)봉황동래2018-07-01







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미리보기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10%, 2,500원 할인)

마일리지

1,250원(5%) + 675원(멤버십 3%)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1,02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8월 25일 출고 

최근 1주 100.0%(동래구 아시아드대로 202 기준) 지역변경

불교 경전/법문 주간 34위, 종교/역학 top10 4주|Sales Point : 1,987

 10.0 100자평(12)리뷰(1)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양장본504쪽140*200mm836gISBN : 9788994950242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이벤트



마음산책 스무 해 브랜드전! 대상도서 2만원 이상 포스터북



8월 특별선물! 지워지는 볼펜.형광펜.온습도계.큐브 메모지(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4년 반에 걸친 “화엄경” 강의 가운데, “화엄경”의 원문을 풀이한 책이다. 보살도의 매뉴얼인 “화엄경”의 저작 의도를 충실히 복원하여, 우리의 중생심을 6바라밀로 잘 경영하면, 누구라도 ‘보살’이 되어 ‘정토’를 현실에서 바로 구현할 수 있다고 해설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며

회향문

대승보살도 선언문

보살의 길, 6바라밀의 실천법

보살의 길, 인간의 길

화엄 10지, 보살이 닦아 가는 길

화엄경의 수행체계

󰡔능가경󰡕에 나타난 의성신



1. 불법의 근본, 보살의 10단계

2. 환희의 단계, 1지 환희지歡喜地

3. 때를 벗는 단계, 2지 이구지離垢地

4. 지혜의 빛이 샘솟는 단계, 3지 발광지發光地

5. 지혜가 타오르는 단계, 4지 염혜지焰慧地

6. 방편이 갖추어진 단계, 5지 난승지難勝地

7. 진리가 인도하는 단계, 6지 현전지現前地

8. 번뇌를 벗어난 단계, 7지 원행지遠行地

9. 진리에 안주한 단계, 8지 부동지不動地

10. 진리를 자유로이 설하는 단계, 9지 선혜지善慧地

11. 진리의 구름이 되는 단계, 10지 법운지法雲地더보기



책속에서

첫문장

이때 해탈월 보살이 금강장 보살에게 거듭 말하였다. 불자佛子여, 원컨대 '부처님의 신통력'을 받들어서 이 불가사의 법을 분별하여 설명해 주십시오.

P. 28 우리는 본래 중생성을 버릴 수가 없습니다. 『반야심경』에서 “5온은 모두 공空하다!” “모든 법의 텅 빈 형상은 생겨남도 없고 소멸됨도 없다!”라고 말하였듯이, 중생성도 본래 공하여 텅 비었기에 소멸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본래 비로자나불입니다. 우리 내면의 ‘불성’(비로자나불, 절대계의 개체성을 초월한 부처)을 ‘중생성... 더보기

P. 38 『화엄경』의 「십주十住품」, 「십행十行품」, 「십회향十回向품」, 「십지十地품」 각각은 본래 독립적인 경전입니다. 이후 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의 순서로 승급?승단 체계가 보편화되었으나, 『화엄경』의 본래 취지는 ‘1주’와 ‘1행’과 ‘1회향’과 ‘1지’의 설명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10신은 제외), ... 더보기

P. 63 제1지 ‘환희지’는 참나에 안주하여 환희를 얻는 단계이다. ‘아공我空.법공法空’을 모두 포함한 ‘구공具空’의 참나에 안주하는 단계이기에, ‘여래의 가문’에 태어난 경지가 되며, 유식학의 ‘통달위’에 해당한다. 그러나 ‘구공의 기초’에 해당하여, 구공이 온전히 발현되지 않기에 공부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 6바라밀이 온전히 발현... 더보기

P. 68 만약 ‘중생계’가 끝나면, 나의 ‘서원’도 끝날 것이다. 만약 세계에서 세간이 구르고, 법이 구르고, 지혜가 구르는 세계까지 끝나면, 나의 원도 끝난다. 그러나 중생계는 끝나지 않기에, 세간이 구르고, 법이 구르고, 지혜가 구르는 세계까지도 끝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나의 ‘큰 서원’과 ‘선한 근기’도 끝날 수 없는 것이다.

P. 378 보살도 중생을 교화하는 일에 다함이 없기에, 세간에 영원히 머물며 사라지지 않는다.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윤홍식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홍익당 대표이며,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홍익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동서양 인문학의 핵심을 참신하면서도 알기 쉽게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인기 있는 젊은 철학자이자 양심경영 전문가이다. 3,500여 개의 인문학 강의 조회 수는 5,100만을 돌파하였고, 구독자 수는 7만2천여 명에 달한다.

연세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한 후 홍익학당, 홍익선원, 출판사 봉황동래를 운영하고 있으며, 견성콘서트·고전콘서트·참선캠프 등을 열고 있다. BBS에서 수심결 강의를 진행했고, 동국대 불교학과 및 춘천 삼운사, 태... 더보기

최근작 : <윤홍식의 수심결 강의>,<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 총 30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화엄경 ;

‘보살의 길’을 걷는

모든 부처와 중생의 매뉴얼



『화엄경』의 ‘10지’는 ‘보살의 10단계’를 의미하니

중생이 걸어야 할 ‘보살의 길’을 온전하게 보여 줍니다.



그래서 이 책은

『화엄경』의 핵심이 되는 「십지품」 중 가장 정수가 되는 부분을 선별하여,

‘보살의 길’을 걷는 모든 중생이 매뉴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보살의 길’은 ‘중생의 길’이며 ‘인간의 길’이니, 보살의 10단계 안에는

인간이 걸어가야 할 궁극의 길과 그 길을 걷는 실전 팁이 자세히 담겨 있습니다.



이 경전의 인도만 따른다면 모든 중생은 ‘중생성’(진흙)을 통해

‘불성’(6바라밀의 본체)을 멋진 ‘바라밀’(연꽃)로 꽃피울 수 있을 것입니다.



중생 한 명 한 명이 ‘꽃’(화華)으로 피어나 온 우주를 장엄하게 장식하자(엄嚴)는 것이

‘화엄’(꽃으로 장엄하게 장식함)의 참뜻입니다.



‘보살의 길’은 ‘6바라밀의 닦음’을 통해서만 걸을 수 있는 길입니다.

① 언제 어디서나 늘 깨어있으며(선정바라밀),

② 남을 나처럼 사랑하며(보시바라밀),

③ 남에게 부당한 피해를 주지 않으며(지계바라밀),

④ 진실을 겸허히 수용하며(인욕바라밀),

⑤ 양심의 구현에 최선을 다하며(정진바라밀),

⑥ 늘 선과 악을 자명하게 판별한다면(반야바라밀),

누구나 ‘보살의 길’을 걸을 수 있습니다.



이 우주에서 ‘보살의 길’을 걷는 모든 이들에게 최고의 매뉴얼이 되어 줄

『화엄경』 「십지품」의 정수를 잘 참고한다면

지금 이 순간부터 누구나 올바른 보살의 길을 걷게 될 것입니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3) 읽고 있어요 (0) 읽었어요 (16)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8% 10대 0.4%

2.7% 20대 4.9%

5.2% 30대 8.7%

16.1% 40대 20.0%

11.8% 50대 20.2%

2.3% 60대 6.8%

여성 남성

평점 분포

    10.0

    100%

    0%

    0%

    0%

    0%

100자평

   



등록

마이페이퍼 > 마이페이퍼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7)

전체 (12)

공감순

   

진리는 상식과 충돌하지 않는다. 모든 구도자들이 납득할 만한 그리고 내비게이션이 될 만한 책입니다.  구매

mimimi 2018-07-08 공감 (5) 댓글 (0)

Thanks to



공감

   

감동적인 화엄경 책발간 감사합니다^^

수많은 화엄경 있지만,

제대로 풀이한 화엄경은 처음이자 마지막이라 확신합니다.

윤홍식대표님께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구매

보라나팔꽃 2018-07-08 공감 (4) 댓글 (0)

Thanks to



공감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뜻대로 비로자나불의 순리대로 살며 육바라밀을 실천하는 양심행자 되겠습니다.  구매

ssr000 2018-07-01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화엄경의 핵심을 한 권으로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머리맡에 두고 매일 매일 조금씩 아껴봐야겠어요.  구매

xtrem 2018-07-14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감사합니다.

자명한 진리와 함께 걷겠습니다.  구매

miso7272 2018-07-30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인간의 길을 안내해주는 지도같은 해설! 와우~~ 새창으로 보기 구매

종교를 초월하여 현실감있는 자명한 해석과 유투브 강의까지 ~완전 빠져들게 되었습니다 ㅎㅎ인간의 길이란 이런것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 되네요두고두고 삶의 지침서처럼 열어보게 될것 같아요작가님~^^ 시대와 종교를 초월한 해설과 유투브 강의 진심으로 감사함다

온실화초미니 2018-12-22 공감(6) 댓글(0)

Thanks to



공감


알라딘: 윤홍식의 용호비결 강의

알라딘: 윤홍식의 용호비결 강의



윤홍식의 용호비결 강의 - 개정판 

정렴 (지은이),윤홍식 (옮긴이)봉황동래2019-01-11

윤홍식의 용호비결 강의



기본정보

양장본374쪽



책소개



최고의 단학수련서인 북창 정렴 선생의 『용호비결』을 가장 잘 풀이한 책이다. 실제 용호비결의 수련 노정을 직접 온몸으로 체험하고 10여년 이상 ‘홍익학당’ 운영을 통해 단학의 현대적 보급에 앞장선 경험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현대인들에게 ‘올바른 단학수련’의 방법과 방향성을 소개하고 단학수련을 통해 나와 남을 모두 이롭게 하는 ‘양심문명’ 건설의 길을 제시한다.



2009년 초판 발행 이후 수많은 독자들의 성원에 힘입어, 2년여에 걸쳐 구판을 꼼꼼히 수정하고 주요 내용의 첨삭을 거쳐 개정판으로 새로이 출시되었다.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용호비결』의 난해한 부분들을 최대한 쉽게 풀이하였으며, 은밀히 전수되어 오던 백두산족 수련법의 전모를 최대한 자세히 밝혔다.





목차

들어가며

북창 정렴은 누구인가?

백두산족의 단학경전, 『용호비결』



제1장 단학의 길

1-1. 단학의 길은 간단하고 쉽다

1-2. 단전에 기운을 모으는 것이 공부의 시작이다

1-3. 밖에서 구하지 말고 자신의 호흡에서 구하라

1-4. 기운을 모으는 자세와 방법

1-5. 기운을 억지로 가두지 말라

1-6. 단전까지 이르는 길을 개통하라

1-7. 현빈의 한 구멍을 얻어라

1-8. 정신을 배양하는 최고의 비법

1-9. 사악한 바람을 미리 제압하라

1-10. 올바른 기운으로 생명을 온전히 하라

1-11. 인간의 길과 신선의 길

1-12. 생각을 버리고 허무로 돌아가라



제2장 단전에 기운을 모으는 법 [폐기閉氣]

2-1. 신선이 되는 비결, 폐기

2-2. 정신이 이르는 곳에 기운도 이른다

2-3. 중궁을 잘 지켜라

2-4. 정신과 기운을 단전에 머무르게 하라

2-5. 음양이 나뉘기 이전의 경지에 도달하라



제3장 태아의 숨을 쉬는 법 [태식胎息]

3-1. 기운을 모아 원신의 태아를 결성하라

3-2. 엄마 뱃속의 숨을 회복하라

3-3. 다만 근원으로 되돌리는 법을 알라

3-4. 기운이 안정되면 호흡을 초월한다



제4장 온몸에 불기운을 돌리는 법 [주천화후周天火候]

4-1. 정기가 실해야 참된 화후가 발생한다

4-2. 불기운이 온몸을 도는 것이 주천화후이다

4-3. 열기는 올라가고 감로수는 내려온다

4-4. 상단전과 하단전이 서로 물을 대 주며 순환한다

4-5. 24시간 단전에 불을 지피면 현주가 결성된다

4-6. 화후로 약물을 구어 내단을 만들어라

4-7. 음양의 기운으로 배를 불려라



제5장 당부하는 글



부록

1. 천부경

2. 삼일신고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단학丹學'을 닦는 도道는 지극히 간단하고 쉬운 것이다.

P. 37 사실 알고 보면 내 뱃속의 단丹을 닦는 방법은 지극히 간단하고 쉽습니다. 안 될 것을 억지로 조장하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을 억지로 만드는 것도 아니니까요. 만들 만하니까 만드는 것이죠. 우리에게는 단丹을 만들 재료가 충분히 있습니다. 단은 1차적으로 ‘기운’(氣)을 뭉쳐서 만드는 것입니다. 호흡의 기운으로 만드는 것이죠. 숨을 잘 쉬어서, 들이쉬고 내쉬고를 잘해서, 뱃속에 차곡차곡 기운을 모아 가다 보면, 거기에 ‘정신’(神)이 가미되고 ‘정액’(精)이 응집되어, 좋은 ‘단’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접기

P. 40~41 대표적으로 숨을 오래 멈춘다는 것을 단전호흡의 큰 자랑으로 여겨서 오장육부가 굳어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숨을 오래 참아 기혈이 막혀서 몸이 죽어 가는데, 본인은 수련이 잘 된 줄로 잘못 알고 자랑합니다. 또한 위로 치솟아 오르는 성질을 지닌 불(火)을 맡은 상단전에만 정신을 집중해서, 불에다 정신의 불을 더해 머리를 불덩이를 만들어 가지고, ‘수水·화火’가 합해질 수 없게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불이란 치솟는 것이 본성이라 치솟기만 하지 내려오질 않아서, 머리의 불이 꺼지질 않습니다. 활활 타올라 ‘두통’과 ‘상기上氣’로 매우 고생합니다. 모두 단학의 기본 원리를 잘 몰라서 벌어지는 일들입니다.  접기

P. 54~55 올바른 단학의 요령은 절대로 어렵지 않습니다. 내 정신을 아랫배의 단전에 집중해서 호흡만 끊이지 않게 고르게 하면 됩니다. 그러다 보면 단전에 에너지가 자꾸 모이고 정신은 자꾸 밝아 져서, 소주천, 대주천, 원신의 재탄생 등의 변화들이 차근차근 자연스럽게 발생합니다. 이것이 우리 호흡법의 대강입니다. 우리 백두산족의 호흡법은 중국식이나 인도식하고 달라서 정말 쉽고 간단합니다. 인위적인 공법들이 별로 필요 없습니다. 오직 자신의 숨결을 고르게 하고, 단전에 정신과 기운을 모아 가는 중에, 몸은 건강해지고 정신도 고요해지고 밝아져서 지혜로워진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접기

P. 90 기운이 있네, 없네, 말이 많죠. 심지어는 단순한 심리적 착각일 뿐이라는 주장까지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아랫배를 휘젓고 다니는 기운을 실제로 느껴 보면 다시는 그런 말이 안 나올 것입니다. 배꼽에서 1촌 3푼 아래인 하단전 자리까지 정확히 길이 나는 것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때 하단전 자리에 기운이 집결되는 것이 느껴질 것입니다.  접기

P. 99 일반 사람들은 물론이거니와, 유가의 선비나 불가의 선사들 중에 흔히 이 도가·선가의 신선술을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래 살기만 하면 뭐하냐?” “정력만 강해지면 뭐하냐?” “왜 육 신에 공을 들이느냐, 마음이나 잘 닦아라!” 등등의 말을 흔히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소리입니다. 단학수련은 정신과 육신을 두루 배양하여 원신과 원기를 모두 되 밝혀서, 대우주의 원신·원기와 하나가 되자는 고차원의 수련법입니다.  접기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정렴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북창 정렴(1506~1549)은 용호대사라고도 불렸던 조선시대의 대표적 단학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유불선에 두루 밝았으며, 의학에도 정통했다. 어려서부터 천문지리 등을 공부하여 두루 능통했고, 특히 의학과 약리에 밝았다. 1544년에는 왕이 어려운 병에 걸리자 내의원의 추천을 받아 임금을 진찰하고 치료를 맡기도 했다. 포천현감을 지낸 적이 있지만, 벼슬에는 뜻이 없었다.



해동전도록에 실린 이야기를 보면, 그는 “본래 이인이며 저절로 외국어와 짐승의 소리를 알아 들었다. 또 3일간 삼매에 든 뒤로는 백리 밖의 일도 환하게 알았으며, 양주고을에서 10년 장좌불와한 뒤 죽으니, 사람들은 그가 신선이 되었다고 했다.”

그는 북창비결과 북창시집을 남겼는데, 이 가운데 북창비결이 바로 용호비결이며, 용호비결은 그 뒤 모든 수행자의 필독서가 되어 오늘에까지 이르렀다.

접기

최근작 : <윤홍식의 용호비결 강의>,<용호비결> … 총 2종 (모두보기)

윤홍식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홍익당 대표이며,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홍익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동서양 인문학의 핵심을 참신하면서도 알기 쉽게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인기 있는 젊은 철학자이자 양심경영 전문가이다. 3,500여 개의 인문학 강의 조회 수는 5,100만을 돌파하였고, 구독자 수는 7만2천여 명에 달한다.

연세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한 후 홍익학당, 홍익선원, 출판사 봉황동래를 운영하고 있으며, 견성콘서트·고전콘서트·참선캠프 등을 열고 있다. BBS에서 수심결 강의를 진행했고, 동국대 불교학과 및 춘천 삼운사, 태... 더보기

최근작 : <윤홍식의 수심결 강의>,<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 총 30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호흡법과 단학을 제대로 닦으려면 먼저 『용호비결』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



『용호비결』이야말로 지난 몇백 년간 무수한 도인·선인들에 의해 검증된 탁월한 단학수련서입니다. 이러한 훌륭한 단학수련서의 정종正宗을 가진 우리 겨레가, 이토록 소중한 수련법인 단학에 무지하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이야기입니다. 다만 안타까운 것은, 이 『용호비결』이 난해한 한문으로 되어 있어서 그 친절한 가르침이 현대인들에게 쉽게 와닿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본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용호비결』의 난해한 부분들을 최대한 쉽게 풀이하였으며, 은밀히 전수되어 오던 백두산족 수련법의 전모를 최대한 자세히 밝혔습니다.



성리학만이 전부인 줄 알던 조선시대에, 대황조님 이래 은밀히 전해 오던 백두산족 수련법의 정법을 친절히 밝히신 『용호비결』의 공이야말로 참으로 큰 것입니다. 백두산족 선도仙道의 대종장大宗匠이신 봉우鳳宇 권태훈權泰勳(1900~1994) 선생님께서 『봉우수단기鳳宇修丹記』를 저술할 때 이 『용호비결』을 가장 앞에 배치하시고, 호흡법을 제대로 닦으려면 먼저 이 『용호비결』을 자세히 읽어야 한다고 강조하신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였습니다.



이러한 선현들의 숭고한 가르침을 잊지 말고 『용호비결』의 가르침을 충실히 닦아서, ‘참나’를 찾고 ‘정기신’을 두루 연마하여, 널리 홍익인간을 위해 힘쓰는 진정한 백두산 겨레의 일꾼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물질문명이 그 한계를 여실히 보이고 장차 정신문명이 전 세계적으로 태동하려는 이 시점을 맞아서, 『천부경』과 『삼일신고』로 정신철학을 명확히 세우고, 『용호비결』과 그 가르침을 계승한 『봉우수단기』로 단학수련을 실천적으로 닦아 간다면, 장차 우리 겨레와 인류가 함께 나아갈 길이 분명히 개척될 것입니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 읽고 있어요 (3) 읽었어요 (10)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0%

3.8% 20대 5.0%

5.2% 30대 10.7%

12.8% 40대 19.5%

13.6% 50대 20.0%

1.7% 60대 7.6%

여성 남성

평점 분포

    10.0

    100%

    0%

    0%

    0%

    0%

100자평

   



등록

마이페이퍼 > 마이페이퍼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5)

전체 (6)

공감순

   

품절이어서 정말 오랫동안 기다려온 책이라 넘 기쁘네요!

윤홍식님이 풀어쓴 책은 정말 이해가 잘되서 어렵지 않아 좋아요

올해는 단학에 매진할 계획인데 많은 도움이 될거라는 예감이 듭니다~^^















 구매

순전히 2019-01-26 공감 (4) 댓글 (0)

Thanks to



공감

   

윤홍식님 유튜브강의를 듣다가 알게된 책입니다.

밀교형식으로만 전해오던 귀중한 비밀을 배우게되는것같아 기쁘고 감사한 마음입니다.

단학이 쉬우면서도 명상과 더불어 심신단련에 매우 도움이된다고하니 꼭 배워보고싶습니다.  구매

wowsookida 2019-01-28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고마운 선생님!  구매

fillnesss 2019-02-04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단학인들의 필독서!!  구매

독서가좋아여 2020-04-2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기다리던 책입니다

잘읽고 있습니다

쉬운설명에 기분이 좋았습니다

피터팬께 감사드리고

널리 전파되길 바래 봅니다  구매

harampapa 2019-02-02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읽고 싶을 책 새창으로 보기

20대 중반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후로 스트레스에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 하다 알게 된 단전호흡. 단전호흡을 하며 건강상, 정신상 여러모로 도움을 받았지만, 그 사실을 쉽게 사람들한테 밝힐 수 없었다. 뭐랄까. 그 용어에 왜인지 사이비스러움이 묻어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부모님이 너 요즘 뭐하며 사냐 물어보시면 그냥 요가 배우고 있어, 하고 얼버무리기도 했다. 단전호흡이 좋으면서도 쉽게 주변에 추천할 수 없는 분위기 속에서 지내다 우연히 용호비결을 접했다.







우리 조상들인 조선의 선비들도 정통주자학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이단이라는 비난을 받던 경직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이 호흡을 몰래 몰래 해왔을 뿐만 아니라 이 전통이 우리 민족의 시원에서부터 내려온다는 것을 알게 되며, 더욱 더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 이 책은 단학을 우리 민족의 홍익인간, 유교의 수기치인의 도리를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도구로써 제시한다. 호흡을 통한 수행이 단순히 나 자신의 건강이나 행복을 넘어 이 사회 전체에 기여할 수 있다니!







이 책은 단전호흡에 관한 거의 모든 중요 팁들을 담고 있다. 봉우 권태훈 선생님의 소설 단 이후 시작된 한국의 선도문화를 제대로 양지로 끌어올릴 역작이다. 하지만 단순히 단학서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한 문명의 아니 전체 인류의 비전을 담고 있는 책이라할 수 있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두근두근할 내용이 담겨있다. 우리 것이라면 무조건 까고보는 강박적 자기비하자들은 이해하기 어려울 두근거림을 주는 책이다. 앞으로 단전호흡이 조금 더 공공연히 이야기되고 사람들이 그 중요성을 더 잘 이해하면 좋겠다. 그리고 더욱 더 많은 한국인들이 이 책을 읽고 홍익인간의 비전에 공감하길 희망한다.









물질문명이 그 한계를 여실히 보이고 장차 정신문명이 전 세계적으로 태동하려는 이 시점을 맞아서, <천부경>과 <삼일신고>로 정신철학을 명확히 세우고, <용호비결>과 그 가르침을 계승한 <봉우수단기>로 단학수련을 실천적으로 닦아 간다면, 장차 우리 겨례와 인류가 함께 나아갈 길이 분명히 개척될 것입니다. p. 12



- 접기

김경민 2019-01-28 공감(6) 댓글(0)

Thanks to



공감


알라딘: 마음챙김의 지혜 100

알라딘: 마음챙김의 지혜 100



마음챙김의 지혜 100 - 조선선비들에게 배우는 

윤홍식,오병문 (지은이)봉황동래2006-04-10

마음챙김의 지혜 100



책소개



이율곡 이이, 퇴계 이황 등 조선시대 선비들이 남긴 글에서 마음 공부의 지혜를 찾아본다. 24명의 조선 지식인들의 100가지 글을 뽑아 지은이가 직접 그린 삽화를 곁들여 읽으며 '마음챙김의 고수'였던 선비들의 숨겨진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이기적인 에고를 제어하고 "항상 깨어있는" '경(敬)'의 마음챙김법을 중심으로, 더불어 사는 인간관계 가운데서 일을 처리할 때나 고요할 때나 집중되고 밝은 정신 상태를 유지하고자 했던 선비들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몸과 마음을 가다듬는 선도, 단학, 조식 등의 수련법도 접할 수 있다.

목차

들어가며



1.목은 이색

001 깨어있는 마음만이 도에 이르게 할 수 있다

002 광명한 원신은 결코 어두워지는 법이 없다

003 깨어있는 마음으로 나를 알고 남을 돌보라

004 하느님과 원신은 하나이다

005 새벽에 하느님의 마음을 보라

006 계율,선정,지혜로 해탈하라

007 우리 마음의 본체와 작용은 하늘과 땅을 포괄한다

008 도덕합일을 이루는 심법

009 사물의 본질과 현상을 정확히 꿰뚫어 보는 법

010 마음은 텅 빈 하늘과 같고, 맑은 거울과 같다



2.매월당 김시습

011 사물을 모두 꿰뚫어 본 뒤에야 자유로워질 수 있다

012 깨어있는 마음으로 사랑하고 미워하라

013 일처리에 빈틈이 없어야 참으로 깨어있는 것이다



3.한훤당 김굉필

014 새벽을 맞아 호흡을 수련하다



4.화담 서경덕

015 고요함에도 집착해서는 안 된다

016 그대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돌아가는가?

017 단학의 궁극경지



5.퇴계 이황

018 항상 깨어있되,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야 한다

019 생각이 있을 때나 없을 때나 항상 깨어있어라

020 생각과 오감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뿐이다

021 깨어있는 마음은 천하만사에 신통하게 감응한다

022 지금 하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깨어있는 것이다

023 고요함에도 움직임에도 치우치지 말라

024 격물치지의 활법

025 경재잠

026 숙흥야매잠

027 고른 호흡으로 심신을 깨어나게 하라

028 퇴계의 오도송



6.남명 조식

029 봄날의 꽃처럼 환히 빛나라

남명 조식의 신명사도

030 원신은 한 나라의 임금과 같다

031 호흡을 통해 원신을 각성하는 법

남명 조식의 경도

032 학문은 마음챙김에 달려있다

033 성욕을 이겨내라



7.북창 정렴

034 무념을 이룸이 선도수련의 핵심이다

035 혼원일기에 도달함이 참된 정신수련의 길이다



8.하서 김인후

하서 김인후의 천명도

036 신령한 액체를 보전하여 단학을 완성하라



9.토정 이지함

037 욕심을 줄이면 마음이 신령스러워진다



10.제봉 고경명

038 성인이 되는 요령은 오직 쉬지 않는 것이다

039 고요함과 텅 빔으로 원신을 되 밝혀라



11.구봉 송익필

040 하늘을 즐기는 자, 의심도 부끄러움도 없어라

041 군자의 하늘과 소인의 하늘

042 원신-각성 상태를 유지하여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라



12.율곡 이이

043 마음은 항상 고요하되 깨어있어야 한다

044 선비가 죽는 날까지 닦아야 할 3가지 사업

045 원신이 각성되면 사물을 주재할 수 있다

046 고요한 중에 만물의 근본모습이 질서정연하다

047 무념은 보고 듣는 것에 방해받지 않는다



13.사계 김장생

048 자신을 속이지 말라



14.망우당 곽재우

049 호흡을 고르게 하여 금단을 이루어야 한다

050 고요함 속에서 내단이 이루어진다



15.상촌 신흠

051 정기신을 고르게 배양하여 참 나를 회복하라

052 우주 만물은 모두 텅 빈 자리에서 나왔다

053 사물의 근본원리를 꿰뚫어 변화에 대처하라

054 우리의 원신은 본래 맑고 본래 광명하다

055 감정이 발동할 때는 항상 원신을 의식하라



16.교산 허균

056 맑고 밝은 마음으로 내 안에 계신 하느님을 뵙는다

057 오직 깨어있을 뿐!

058 내면의 세 가지 보물과 외면의 세 가지 보물

059 내단을 만드는 비밀

060 물과 불을 통해 원신을 거듭나게 하라



17.포저 조익

061 이 마음을 잘 붙잡아 챙기는 것이 경이다

062 깨어있는 마음에는 잡념이 끼어들지 못 한다

063 일에 온전히 집중하는 것이 깨어있는 것이다

064 잡념이 일어나면 알아차릴 뿐이다

065 어지러운 것을 바로잡는 것이 모든 성현들의 공부이다

066 다만 그 마음을 붙잡아라

067 낮이나 밤이나 항상 깨어있어야 한다

068 언제 어디서나 최고의 선에 도달하라

069 마음챙김을 습관화하고 숙달시켜야 한다

070 화두를 들듯이 항상 마음을 챙겨라

071 마음을 다스리는 심법

072 마음이 고요해질 때 사물의 근본원리가 보이게 된다



18.택당 이식

073 사물에 신묘하게 감응하는 마음의 근원을 알라

074 항상 깨어있어라



19.계곡 장유

075 혼자만 아는 속마음을 조심하라

076 원신은 결코 흐려지거나 어두워진 적이 없다

077 깨어있는 마음으로 단전을 지켜라

078 도대체 이 물건은 무엇인가?



20.미수 허목

079 마음공부의 큰 핵심

080 공부는 순서대로 단계별로 이루어진다



21.유암 홍만선

081 현실 속에서 현실을 벗어나라

082 생명을 보존하는 여섯 가지 방법

083 병을 물리치는 열 가지 방법

084 원신의 청정함을 그대로 드러내라

085 호흡을 고르게 하면 마음이 고요해진다

086 감정을 조절하라

087 오직 지금 이 순간에 현존하라



22.담헌 홍대용

088 아랫배의 단전에 마음을 모아라



23.연암 박지원

089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라



24. 면우 곽종석

090 참된 지혜를 얻는 방법

면우 곽종석의 본심도

면우 곽종석의 심동정도

091 고요한 중에 움직이고, 움직이는 중에 고요하라

092 고요함과 움직임에 빠져서는 안 된다

093 고요할 때 깨어있지 못하면 움직임에 실수가 많다

094 마음은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하느님이다

095 오고 감을 모두 하느님의 뜻대로 하라

096 온 우주는 나의 마음 안에 존재한다

097 항상 마음을 챙겨라

098 지혜를 완성하라

099 실천에 힘쓰라

100 참된 정좌의 의미



참 나를 되찾는 마음챙김의 길

항상 깨어있어라!



접기

책속에서

입을 다물고 눈을 반개하며 묵묵히 단전만을 살펴야 한다. 용이 여의주를 보살피듯 마음에 잊지 말며, 닭이 알을 품듯 기운을 끊어지게 하지 말며, 고양이가 쥐구멍을 지키듯 정신을 흩트리지 말라.(오로지 단전의 기운을 지극정성으로 지키라는 뜻) - 남명 조식 - 본문 171쪽에서

마음이 항상 맑고 고요하며 광명하다면 우리 몸의 면역력은 극대화되고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은 본래 맑고, 고요하며, 광명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몸은 본래 생명력이 넘칩니다.



우리는 건강을 해치는 '과도한 욕망'들을 잘 조절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과도한 욕망들은 우리의 마음을 자극합니다. 깨어있지 못한 마음은 이러한 유혹에 쉽게 넘어갑니다. 한 번 유혹에 넘어간 마음을 방치하면, 우리의 몸과 마음은 황폐해지고, 몸은 점점 더 생명력을 잃어가고 쇠약해질 것이며, 마음은 좁아지고 날카로워질 것입니다.



마음이 몸의 건강을 해치고, 몸이 마음의 건강을 해치는 최악의 순환구조가 될 것입니다. 이 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합니다. 고르고 깊은 호흡과 고요하고 깨어있는 마음이 몸의 편안함과 건강함을 가져오고, 몸의 편안함과 건강함이 고르고 깊은 호흡과 고요하고 깨어있는 마음을 항상 간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순환구조가 하루 속히 우리들의 몸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 본문 중에서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윤홍식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홍익당 대표이며,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홍익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동서양 인문학의 핵심을 참신하면서도 알기 쉽게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인기 있는 젊은 철학자이자 양심경영 전문가이다. 3,500여 개의 인문학 강의 조회 수는 5,100만을 돌파하였고, 구독자 수는 7만2천여 명에 달한다.

연세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한 후 홍익학당, 홍익선원, 출판사 봉황동래를 운영하고 있으며, 견성콘서트·고전콘서트·참선캠프 등을 열고 있다. BBS에서 수심결 강의를 진행했고, 동국대 불교학과 및 춘천 삼운사, 태고종, 원불교 등의 초청으로 ‘견성과 6바라밀, 대승불교’를 주제로 강의를 하였다. 그 밖에도 삼성·LG 등 일반기업과 법무부·중소기업진흥청·우정청 등 공공기관에서 고전을 통한 윤리교육과 양심리더십 교육을 맡았으며, KBS·EBS·BBS 등 방송 매체에서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WBS원음방송에서도 “정신을 개벽하자” 특강 시리즈를 강의하였다. 다양한 강의를 통해 견성과 보살도, 6바라밀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으며, 국민 전체의 인성교육을 위하여 『양심노트』를 만들어 보급하고 있다.

저서로는 『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한국 큰스님에게 배우는 禪의 지혜』 『선문답에서 배우는 선의 지혜』 『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 『양심이 답이다』 『5분 몰입의 기술』(2009년 문화체육부선정 우수도서) 『인성교육, 인문학에서 답을 얻다』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윤홍식의 수심결 강의>,<카르마 경영의 6가지 원칙>,<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 총 30종 (모두보기)

오병문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홍콩출생. 연세대 사학과 및 중어중문학과 졸업. 삼성SDI에서 근무했다. 현재는 동양의 지혜와 선조들의 이야기를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에 전달하는 일을 하고 있으며, 홍익학당 운영진을 맡고 있다.

최근작 : <마음챙김의 지혜 100>,<마음챙김의 지혜 100> … 총 2종 (모두보기)



   

성리학적 사상과 불교 마음공부의 연결, 모두 연기의 틀 속에서 이어지는  구매

현정 2009-08-12 공감 (7) 댓글 (0)

Thanks to



공감

   

나쁘지는 않지만 꿈보다 해몽이다. 성리학자들의 한계를 애써 지우려는 흔적이 너무 역력하다. 윤색하지 않았다면 담백하다고나 할 걸. 조금 아쉽다.  구매

인니 2014-03-20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2)



거문고 줄을 고르듯... 새창으로 보기 구매

  우리 나라 조선 시대 선비들의 마음공부가 어떠했는지를 그들의 마음 속으로 들어간 글들을 추려 놓았다. 조선역사에서 흔히 이름을 들었던 사람들도 사실 그 마음 됨됨이가 어떠했는지는 몇 가지의 일화를 통해서 알 수 있었을 뿐이었다. 저자는 백두산족 전래의 정신수련학 및 민족고유의 지덕체 양성법에 관심을 갖고 홍익학당과 홍익정신연구회, 민족 전래의 체력 양성법을 몸으로 익히는 종무회를 운영하고 있다.



  깨달음과 마음 공부에 대한 옷은 참으로 다양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많은 종교와 중국의 제자백가 사상, 그리고 우리 나라의 유교도 나름대로의 마음 수양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각 각의 종교나 문화에 따른 차이는 있을지언정 마음 속에서 체험해내고 인생을 보다 넓은 시각에서 바라보고 성숙하게 대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문제는 어떠한 옷이 나에게 맞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과정으로 책들을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주로 우리 선비들이 사용했던 정신수련법은 '호흡법'이었다. 자신의 호흡이 드나드는 것을 지켜보면서 항상 깨어있는 것이 일상화되면 '원신'이 그 진리를 드러낸다고 한다. 우리가 감정에 휩싸이게 되면 먼저 고르던 호흡이 파괴되는 것을 스스로 느낄 수 있듯이 우리의 마음상태를 가장 명료하게 보여주는 것이 호흡이었고 따라서 우리의 선비들은 호흡에 집중하는 명상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다듬었던 것이다.



  그렇게 외부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들러붙은 마음을 자신의 안으로 돌려 스스로를 성찰하는 자세로 수기했던 우리 선비들은 남들이 보나 보지 않으나 항상 신독하는 자세를 유지했다. 화담을 유혹하려고 황진이가 늦은 밤 화담의 문 앞을 옷을 벗고 왔다갔다 하지만 화담의 마음은 요지부동....모든 사물과 우주가 생겨나는 그 자리, 즉 모든 사물과 우주가 사라지는 그 자리에 마음이 머물렀던 화담 선생이 황진이의 몸짓에 움직였을 리가 없었던 것이다.



  경으로 자신의 마음을 깨어있게 했고, 그 경의 극치에서 성의 기쁨을 맛보았던 많은 선비들은 부, 귀, 명예에 초연하여 사회로 나아가기도 했을 것이고, 또 물러나 자신의 정신수련에 인생을 보내기도 했을 것이다.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외부적으로 일어나는 사건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을 스스로 챙기고 있는가 놓치고 있는가 였을 것이다. 거문고의 줄을 고르듯...너무 팽팽해도 안될 것이고 너무 느슨해도 거문고의 소리를 제대로 낼 수 없듯이 자신의 마음과 계합하는 글로써 자신의 마음을 호흡지간으로 놓치지 않고 공부하는 그들의 모습을 보면서 나의 공부를 점검한다.



  오늘을 살아가는 내가 공부를 함에 외롭지 않은 이유는 세상에 외롭지 않은 공부는 없기 때문이다. 이미 오래전에 이 땅위에서 홀로 공부하며 벗들과 어울렸던 선비들에게도 떨쳐버리지 못한 스스로의 외로움이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 외로움을 기름 삼아 불을 밝히고 공부에 매진했던 연금술이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 누구나가 자신의 인생의 성장의 길을 걷는다. 누구나가 자신만의 토양 위에 홀로 선 나무이다. 내가 선 이 자리서 내 몸 마음을 들여다보고 가는 홀로의 길을 잘 걸어가야겠다.



- 접기

달팽이 2006-05-04 공감(8) 댓글(0)

Thanks to



공감

   

오랜만에 제대로된 책을 본 기분~ 새창으로 보기 구매

책 받아보고.. 기대보다..내용도 알차고, 디자인도 깔끔해서.. 전 별점 오점 입니다~ 인물 사이 사이의 삽화 챙겨보는 재미도 있구요.. 마음챙김의 지혜와 함께..조선 선비들의 생활도 살짝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던 것같네요..

sssstang 2006-04-14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마이페이퍼

전체 (1)

페이퍼 쓰기

좋아요순

조선 선비들에게 마음챙김의 지혜를 배우고 싶다... 새창으로 보기

마음챙김의 지혜 100

윤홍식.오병문 지음 / 봉황동래 / 2006년 4월



율곡 이이, 퇴계 이황 등 조선시대 선비들이 남긴 글에서 마음 공부의 지혜를 찾아본다. 24명의 조선 지식인들의 100가지 글을 뽑아 지은이가 직접 그린 삽화를 곁들여 읽으며 '마음챙김의 고수'였던 선비들의 숨겨진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이기적인 에고를 제어하고 "항상 깨어있는" '경(敬)'의 마음챙김법을 중심으로, 더불어 사는 인간관계 가운데서 일을 처리할 때나 고요할 때나 집중되고 밝은 정신 상태를 유지하고자 했던 선비들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몸과 마음을 가다듬는 선도, 단학, 조식 등의 수련법도 접할 수 있다.



마음이 항상 맑고 고요하며 광명하다면 우리 몸의 면역력은 극대화되고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은 본래 맑고, 고요하며, 광명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몸은 본래 생명력이 넘칩니다.



우리는 건강을 해치는 '과도한 욕망'들을 잘 조절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과도한 욕망들은 우리의 마음을 자극합니다. 깨어있지 못한 마음은 이러한 유혹에 쉽게 넘어갑니다. 한 번 유혹에 넘어간 마음을 방치하면, 우리의 몸과 마음은 황폐해지고, 몸은 점점 더 생명력을 잃어가고 쇠약해질 것이며, 마음은 좁아지고 날카로워질 것입니다.



마음이 몸의 건강을 해치고, 몸이 마음의 건강을 해치는 최악의 순환구조가 될 것입니다. 이 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합니다. 고르고 깊은 호흡과 고요하고 깨어있는 마음이 몸의 편안함과 건강함을 가져오고, 몸의 편안함과 건강함이 고르고 깊은 호흡과 고요하고 깨어있는 마음을 항상 간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순환구조가 하루 속히 우리들의 몸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 본문 중에서 - 알라딘



- 접기

후애(厚愛) 2010-04-21 공감 (5) 댓글 (4)

Thanks to



공감



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