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08

김원기 '다음 생에는 태어나지 않는 게 최고'





김원기  '다음 생에는 태어나지 않는 게 최고'
tmSpo3nuso Jnulieyrhedc ·



예전에 이런 글을 썼었다고. 불교에 대해 아는 게 없으면서 깨작깨작.
------
'다음 생에는 태어나지 않는 게 최고'라는 얘기를 페친님의 글에서 읽은 김에. 

물론 '윤회라는 게 존재한다고 하면/하더라도'라는 것을 전제로 한 얘기인데, 이 얘기는 모종의 이유로 내게는 매우 친숙한 편이다. 자주 언급하던 분이 계셨기 때문에. 그러나 이 말을 들을 때마다 생각하는 것이지만, 그게 그리 쉬운 게 아니다. 카르마를 소멸시키는 것도 카르마의 법칙에 따르기 때문에 어지간한 수행으로는 택도 없는 것이다.

물론 불교적 세계관을 조금만 들여다봐도 이게 얼마나 어렵고 드문 것인지 알 수 있다. 아시겠지만 불교의 세계는 시간적 스케일이 매우 크다. 어지간한 요소들을 고대 브라만 종교에서 받아들여서 공통적으로 갖고 있기 때문인데, 사실 그 정도의 스케일이 되면 아무리 낮은 확률의 사건이라도 충분히 많이 일어나게 되어 있다 (큰 수의 법칙). 그러므로 대충 인간이 탄생해 살아온 시기를 100만 년 정도의 '작은' 규모로 파악하는 진짜 역사말고 '겁(kalpa)' 단위로 시간을 파악하는 불교적 세계관에서라면 억겁의 세월쯤 지나면 부처가 무진장 탄생해야 정상이 아닐까. 

깨달음을 통해 카르마를 소멸시키고 부처가 되는 것은 비가역적인 사건이다. 하지만 불교의 세계관에서 어지간한 것들은 다 순환적이다. 따라서 아무리 무한겁의 시간이 반복된다고 하더라도 탄생한 부처들은 누적이 되어야 하는 거다. 그런데 불교에서 말하는 부처의 숫자는 매우 적다. 그러므로 부처가 되겠다는 게 얼마나 허망한 소망인지 알 수가 있다. 사실 냉정하게 따져서 '누구나 불성을 갖고 있다'는 얘기에 속아서 수행 같은 걸 하는 게 바보다. 100까지의 숫자 중에서 6개 숫자를 뽑는 로또에 당첨되겠다고 전 재산 바치는 것보다 더 허망한 일이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적당하게 선업과 악업을 쌓는 '카르마 관리' 정도가 우리 중하근기들이 선택하기에 적절한 삶의 방식이다.
그런데 그렇게 말하면 왠지 허망하잖아. 부처 한 번 되보겠다는 꿈을 꿀 수 없다니. 그래서인지 인도에서 '스승'들이 만들어서 전해준다는 각종 '설화'를 보면 이런 현실을 도외시하고 허황된 꿈을 꾸도록 부추기는 내용들이 너무나 많다. 예를 들어, 이런 식이다.
비슈누가 시바랑 같이 인간세상에 내려와 '스승'인 척 거리에서 사람들에게 깨달음을 전해주고 있었다. 그런데 척보기에도 하찮고 비루해 보이는 거렁뱅이가 와서 물었다. "저 같은 것도 몇 번의 생을 거치면 깨달을 수 있는 희망이 있나요?" 그러자 비슈누가 "당연하지. 좀 오래 걸리겠지만 원칙적으로는 너도 할 수 있어. 희망을 버리지 마."라고 했다. 그러자 갑자기 이 거렁뱅이가 기쁨의 춤을 추기 시작하더니 그 순간 카르마를 소멸시키고 신의 세계로 넘어가 버렸다. 시바가 비슈누에게 물었다. "아무리 불쌍해 보여도, 그런 축복을 해주다니, 넘 한 거 아닌가요?" 비슈누가 대답했단다. "난 암것도 한 거 없어. 희망이 없지 않다는 말에 기쁨이 넘쳐 지 혼자 초월해버린 거라고." 그러자 시바가 오오 하고 감탄했다. 축캐는 따로 있었네.
불교만 이렇지도 않다. 초기 기독교 사막의 교부들도 이런 뻥카를 많이 쳤다. "원하기만 한다면 인간은 해가 떠서 질 때까지 신성의 크기에 도달할 수 있다." 물론 '얼마나' 원해야 하는지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진 않았다만. 그러니 이런 말에 속아 넘어간 사람들이 어떤 고생을 했을지 상상하지 말자. 눈물이 앞을 가리지 않나.
물론 이런 길고 장황한 이야기의 교훈은, 통계적으로 사고하자는 것이다. 부처가 되거나 '해가 뜨고 질 시간 동안 신성의 크기에 도달할' 확률은 극히 낮다. 그런 낮은 확률의 사건이 우리 생에 지구 어디에선가 일어나는 것을 목격하는 것조차도 기적인데 우리가 그렇게 되겠다고 마음 먹는 건 말도 안 된다.
결론 : 어차피 다음 생은 축생일 확률이 높습니다. 포기하세요. 그나마 축생을 거쳐야 다다음 생이 편해져.
. 
. 
. 
PS
전생에 얼마나 해먹은 게 많아서 현생에 이 고생인가 나는.
Insu Bae, 希修 and 27 others
8 comments
2 shares
Like
Comment
Share

Comments

  • 맞습니다. 저도 그저 '카르마 관리' 정도가 목표예요. 그런데.. 100년마다 한 번씩 숨 쉬는 눈 먼 거북이가 숨쉬기 위해 물 밖으로 머리를 내밀었는데, 때마침 그 물에 떠가는 통나무 조각에 구멍이 나 있어 그 구멍을 통과하여 거북이 머리가 쏙! 나올 확률. 31개의 윤회 차원들 중 맨아래에서부터 5번째밖에 안 되는 인간계에 태어나는 것조차 이 확률만큼 드문 일이라고 하니.. 그래서 이 발버둥이죠, ㅎㅎ.
    1
    • Like
    • Reply
    • 5 w
  • 카르마 관리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사이트 소개. http://kabc.dongguk.edu/ 동국대 한글불교 디지털 라이브러리
    메인 - 불교학술원 아카이브
    KABC.DONGGUK.EDU
    메인 - 불교학술원 아카이브
    메인 - 불교학술원 아카이브
    3
    • Like
    • Reply
    • 5 w
  • 아 참, 우주의 윤회를 다 통틀어서도 부처 (스스로 길을 찾아 해탈한 사람)의 숫자는 여태 한 자릿수라고 합니다만, 아라한 (부처가 남긴 가르침을 고대로 replicate하여 해탈한 사람)은 초기경전에 종종 나오죠. 뭐 그래도 여전히 언감생심..
    1
    • Like
    • Reply
    • 5 w
    • Edited
  • Apophthegmata Patrum으로 알려진 사막 교부들의 금언집은 일찍부터 수집, 번역되며 가톨릭 전승의 중요한 일부가 되었는데, 한국에는 펠라지우스와 요하네스(뻬라지오와 요한)의 판본을 번역한 것과, 비교적 최근에 나온 베네딕타 워드 수녀의 알파벳 순 모음집을 번역한 게 있다. 전자는 워낙 오래 전에 본 거라 정확한 저본을 모르겠고, 후자는 영어본만 갖고 있어서 번역본이 어떤지 모르겠음.
    • Like
    • Reply
    • 5 w
  • 어차피 아라한 정도든 심지어 가장 낮은 단계의 해탈이든 결국 또 전생의 근기 따라서 성취되는것이므로 안될거야 우린. 될놈될 안될안.
    1
    • Like
    • Reply
    • 5 w
    • 누구도 자신의 카르마를 제대로 안다고 자부해서는 안 됩니다. 그것도 상근기나 하는 거예요. 그러니 그냥 안 된다고 단언하며 오만 부리시면 안 됩니다. 위악은 나쁜 카르마예요, 토닥토닥. 착하게 사세요, 보살님. (후다다다다다다닥)
      1
      • Like
      • Reply
      • 5 w
      • Edited
    • 김원기
       흑흑...(운다)
      • Like
      • Reply
      • 5 w
  • 아, 그래서 우리나라 출산률이...
    • Like
    • Reply
    • 5 w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사형수' 안재구 전 경북대 교수 타계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사형수' 안재구 전 경북대 교수 타계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사형수' 안재구 전 경북대 교수 타계
이윤주 기자 입력 2020.07.08.

기하학 논문 미 학술지에 게재 등
수학 불모지에서 독보적인 활약
남로당 연락책으로 활동하기도
구국전위 사건으로 무기징역도


[경향신문]

안재구 전 경북대 교수는 남민전 사건과 구국전위 사건으로 두 차례나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며, 석방 후에도 평생 통일운동을 위해 활동해왔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통일운동가이자 수학자로 활동한 ‘남민전(남조선민족해방전선) 사형수’ 안재구 전 경북대 교수가 세상을 떠났다. 향년 87세.

유족 측은 안 전 교수가 8일 오전 4시30분쯤 경기 군포시 요양원에서 눈을 감았다고 밝혔다. 고인은 수학자로서의 학문적 업적과 함께 남민전 사건, 구국전위 사건으로 두 차례나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던 인물로 한반도 현대사의 굴곡이 그의 생에 담겼다.

1933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난 안 전 교수는 1960∼1970년대 해석적인 방법으로 공간이나 곡면 등 기하학적 대상을 탐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인 미분기하학과 응용해석학 분야에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일부는 미국 수학 학술지에 실리기도 했다. 해방 후 불모지나 다름없던 한국 수학계에서 고인의 활약은 독보적이었다. 그는 은사 박정기 전 경북대 총장의 뒤를 이어 ‘경북수학지’를 펴내기도 했다. 고 김용운 전 한양대 교수는 2004년 KBS <인물현대사>에서 “당시 대한민국 내에서 저널을 세계에 보낸 건 그것(경북수학지) 하나밖에 없었다”며 “나도 처음으로 외국에서 ‘경북수학지’를 봤을 때 감격스러웠다”고 말했다.

안 전 교수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한 조부 안병희 선생의 영향으로 해방 직후 중학교 재학 중 노동절 시위에 참가했다가 학교에서 제적됐고, 남로당 밀양군당 농민위원회 연락책으로 활동했다.

경북대 제자인 여정남이 1975년 4월 인민혁명당(인혁당) 재건위 사건으로 사형당하자 1976년 2월 무장혁명을 목표로 한 지하조직이었던 남민전 준비위원회 결성에 참여했다가 1980년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같은 해 캐나다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 참석했던 수학자 수백명이 한국 정부에 보내는 구명 서한에 연대 서명하면서 2심에서 무기징역으로 감경됐고, 1988년 가석방됐다. 당시 남민전 사건 연루자 중에는 고 이재문 전 대구일보 기자, 고 김남주 시인과 정치인 이재오, 홍세화씨 등이 있다.

1994년 6월 구국전위 사건으로 아들 영민씨와 함께 구속돼 또다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가 1999년 8·15 특사로 풀려났다. 이후 통일연대와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남측본부 등의 동향 등을 수집해 대북보고문을 정리했다는 등의 혐의로 기소돼 2017년 9월 대법원에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 자격정지 3년이 확정됐다. 당시 아들 영민씨는 “아버지가 북한에 남쪽 단체 동향을 보고할 이유가 없었다”며 무리한 수사였다고 비판했다.

연이은 투옥 사이에 경희대 교양 과목(현대과학과 철학) 강사, 전국수학교사모임 고문 등을 지냈다. 저서로 <쉽고 재미있는 수학세계> <할배, 왜놈소는 조선소랑 우는 것도 다른강> <수학문화사>, 아들 영민씨와의 공저 <아버지, 당신은 산입니다> 등이 있다. 유족으로는 아들 세민·영민씨와 딸 소정·소영씨가 있다. 프로야구 NC다이노스 안인산 선수가 손자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0일 오전 7시.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북한연구]책 By Sandra Fahy (2015)

(2) Facebook






Sejin Pak
8dmtSnr pasAuglugonsmsfot 20sc1red8ff ·
Shared with Public







[북한연구]책 <Marching Through Suffering: Loss and Survival in North Korea> By Sandra Fahy (2015)
---
- 탈북자들을 인터뷰하여 고난의 행군 시기를 격은 경험을 연구했다는 책인데, 한국어 실력이 어떤지 모르겠지만,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서 읽어보아야겠다. 한국의 북한연구에 대하여는 얼마나 알고 있는지 모르겠다.
- 전자책이 아마죤에서 미불 40불이 넘어가는데, 자꾸 찾아보니, 미불 15불, 미불 12.5불인데도 있다. 덴마크 회사인데 책은 많지는 않지만 이책이 있는데 epup format이라서 알라딘 리더에 집어넣으면 들을 수도 있다. 와~~.
---
Editorial Reviews
Marching Through Suffering is a really moving book. It is partly the subject matter, to be sure, but it is also Sandra Fahy's sensitivity to what her subjects are saying and their psychological state. That is what ethnography should be doing for us. (Stephan Haggard,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Sandra Fahy offers a unique, penetrating, and informative ethnography of one of the most opaque societies in modern history. Few scholars have sought to understand the humanity that survives, and sometimes thrives in its own way, beneath the oppressive state structure―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expert literature, yet accessible to the general reader. (Victor Cha, Georgetown University)
This book is an extraordinary contribution to the famine literature. Sandra Fahy's analysis of the North Korea famine draws extensively on her interviews with survivors, which gives this narrative a unique depth and credibility. These personal accounts lift the veil of secrecy and reveal North Koreans as real people with a healthily skeptical sense of humor, even in extreme adversity, not as mute shadow-puppets mindlessly manipulated by their dour leaders. No book I have ever read conveys the mundane horror of a famine so vividly, while retaining academic rigor and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is famine's complex causes and consequences. (Stephen Devereux,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 author of Theories of Famine and editor of The New Famines)
If you want to know why the human rights agenda matters, read this book and be reminded how complexly damaging state-led deprivation and oppression can be.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Fascinating... An important work that helps provide a far more nuanced view of the complexities of life in North Korea than that found in the media. (CHOICE)
With its nuance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s and elegant prose, Fahy's work will certainly find a place on the syllabi of many future coures on North Korea. (BAKS Papers)
What emerges is a people-centered story, a tale that empowers rather than victimizes. It is, the reviewers unequivocally conclude, a harrowing but powerful read. (Sino NK)
Subtly and sensitively, the author examines how people tried to cope with and make sense of their lives as they ran out of food in a society where words such as famine and starvation were taboo. (Times Literary Supplement)
Sandra Fahy's, Marching Through Suffering: Loss and Survival in North Korea, makes an original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n the 1990s famine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avid Hawk Human Rights Quarterly)
Sandra Fahy's fascinating work... achieves something of much depth and empirical utility to the scholar. (Pacific Affairs)
---
About the Author
Sandra Fahy is assistant professor of anthropology at Sophia University in Tokyo and a fellow at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at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he has been a Sejong Society Post-Doctoral Fellow at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and earned her Ph.D. at the School for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
https://books.google.com.au/books?id=0IAyBgAAQBAJ&pg=PR4&lpg=PR4&dq=Marching+Through+Suffering+library&source=bl&ots=8pu3idEpr5&sig=onUmDy6J42Vdrl4_ve8XzNvFbI0&hl=en&sa=X&ved=2ahUKEwj3vPTpktzcAhVEbbwKHacdALk4ChDoATAJegQIBxAB#v=onepage&q=Marching%20Through%20Suffering%20library&f=false










3崔吉城, 정승국 and 1 other




Like


Comment

Share


Comments







Write a comment...


(1) Facebook

(1) Facebook

[뉴지랜드여행]전쟁박물관 - 뉴지랜드의 전쟁박물관은 뭐를 보여주고 있나? What is shown in the New Zealand's War Museum? Honour, of course, but what was regrded as honour?
---
- 뉴지랜드의 전쟁이란 크게 나누어 세가지 종류가 있다.
1] 마오리족과의 전쟁
2] 대영제국이 식민지와 영연방으로서 대영제국의 전쟁에 참가한 것. 이것은 남아프리카에서의 전쟁, 일차대전, 이차 대전까지 포함된다. 이면에는 호주와 거의 똑 같다.
3] 이차대전 후에는 호주와 함께 미국과의 동맹관계로 한국전, 베트남 전에 공산주의와 싸운다는 이름으로 참전. 그후에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과 중동전에 참전.
---
사진은 대영제국의 한 부분으로 "세계에 문명의 빛을 퍼트리는" 제국을 위해 싸우는 "명예"를 위한 것이었다는 기록들이다. 재미있는 것은 일본은 서방의 제국과 싸우기도 하고, 동맹을 맺기도 하고 했는데, 자기네도 역시 제국으로서 특히 아시아에 "문명을 퍼트린다"는 신념을 가지고 싸왔다는 것이다.






+7





11이소, 崔吉城 and 9 others


2 shares


Like


Comment

Share


Comments









Write a comment...


Quakers in Asia-Pacific (Ch13) - The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Quakers in Asia-Pacific (Chapter 13) - The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The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Print publication year: 2018
Online publication date: April 2018

13 - Quakers in Asia-Pacific
from Part III - Regional Studies
By Stephanie Midori Komashin

Edited by Stephen W. Angell, Pink Dandelion, University of Birmingham
Publish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37-256

Summary
Spanning from India in the west, up to China in the north, and down to New Zealand in the southeast, the Asia-Pacific region is home to approximately 35,000 Friends in about twenty countries. By the numbers, close to 90% are Evangelical, 6% are non-pastoral Programmed, and 5% are Unprogrammed. This chapter looks beyond these statistics by outlining the work of Quakers, and touches on Quaker-related organizations that operate in the region.


References
Suggested Further Reading
DeVol, C. E. (1988). Fruit That Remains, The Story of the Friends Mission in China and Taiwan sponsored by The Evangelical Friends Church – Eastern Region (Formerly Ohio Yearly Meeting of Friends), Taipei: Dixon Press.
Saville, H. (2009). ‘Friends in deed’ in 50 Years of Quaker Service Australia, Surry Hills, NSW: Quaker Service Australia.
Stansell, R. (2014). ‘Friends in India and Asia’, Quaker Religious Thought 123:11, 107–14.
Sykes, M. (1997). An Indian Tapestry, Quaker Threads in the History of India, Pakistan & Bangladesh,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to Independence, ed. by Carnall, G., York: Sessions Book Tru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