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07

알라딘: [전자책] 할매의 탄생

알라딘: [전자책] 할매의 탄생


[eBook] 할매의 탄생 - 우록리 할매들의 분투하는 생애 구술사 
최현숙 (지은이)글항아리2019-07-24 



































전자책 미리 읽기

전자책정가
14,900원
종이책 페이지수 : 472쪽
책소개
박근혜 탄핵을 위한 촛불 정국이 이어지던 2017년 1월, 구술생애사 작가 최현숙은 경상북도 대구시 우록리 산골짜기로 내려가 구술사 작업을 시작한다. 전작으로 <할배의 탄생>을 냈고 태극기 부대 노인들 속으로 들어가 이야기 나누며, 노인 돌봄이로 생계를 이어왔던 그의 가장 큰 관심사는 할매, 할배들이다.

이번에 만난 이들은 농촌·젠더·노년·비문자 생활자라는 이슈가 겹겹으로 둘러싸인 분들이지만, 작가는 여기서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힘을 발견한다. 한국전쟁도 비껴간 그 깊은 산골에서 할머니들은 가난과 고생으로 일군 '깡치'로 삶을 꾸리고 있었다. 어린 나이에 우록리로 시집와 시어머니와 남편의 눈치를 보며 농사를 짓고, 식구들 밥해 먹이고, 아이를 키우면서 이제 지난 삶을 되짚어보는 그들의 말은 짙디짙다.

저자는 '나이듦'에 대한 이야기를 할머니들의 구부러진 손가락으로 대신하려 한다. 그들의 사투리와 정제되지 않은 말을 책에 고스란히 녹였다. 이 책은 힘겨웠던 고생의 경험과 가난의 상처를 헤집자는 것이 아니다. 할머니들의 삶을 긍휼의 시선으로 보자는 것도 아니다. 그 가난과 고생이 어떻게 그들을 더 강하고 전략적으로 만들었으며 그렇게 축적된 힘이 어떻게 할머니들에게 주체성을 가져다주었는지 들여다보려는 것이다.


목차


머리말
첫 번째 삶: “내 살은 거를 우예 다 말로 합니꺼”_조순이(대촌댁), 1937년생
두 번째 삶: “나 살아온 거야 좋지도 안 하고 나쁘지도 안 하지 뭐”_유옥란(안동댁), 1942년생
세 번째 삶: “글씨는 머리로 안 드가고, 베 짜는 거만 머리로 드가고”_이태경(각골댁), 1935년생
네 번째 삶: “나는 담배 따는 기계였지만 이젠 편케 생각한다”_김효실, 1954년생
다섯 번째 삶: “죽은 사람은 죽어도 산 사람은 모를 숨궈야 하는 거라”_곽판이(창녕댁), 1928년생
여섯 번째 삶: “허리 주저앉으면 맘도 주저앉는 기라”_임혜순(수점댁), 1942년생
부록: 1. 이름은 붙이지 않기로 한 그녀들의 말
2. “여자 일생이라는 게 사람 사는 게 아니지”_김성진의 우록리 이야기
에필로그: 기억과 말을 들여다보기


책속에서


첫문장
첫 인터뷰는 2017년 1월 15일 오후 3시경부터 어르신 집에서 했다.



P. 174 이제는 가차운 요 밭 그거나 부쳐 묵고 하지, 딴 데 멀리는 몬 가. 거기에 상추 숨구고 뜰깨 가와 숨구고 꼬치 쪼매 숨구고, 멀리 밖에는 안 해. 내가 혼차 또 을매나 먹나? 올개는 콩도 쪼매 먹을라 캤드만 그것도 몬 숨갔다. 올개 농사는 뭐 별라 안 할 꺼라예. 작년에는 콩 심은 거가 다 날라갔어여. 올개는 뜰깨나 쪼매 숨구고, 감자 심을라꼬. 고추는 내 따 먹을 것만 숨구지 안 해. 접기
P. 176 나 살아온 거야 아주 좋지도 안 하고 나쁘지도 안 하고 뭐 그렇지. 핵교예? 슨상님, 내 살아온 첫번 뜻은 여덟 살에 오매 죽고 넘의 오매헌티 자라다보이 때가 늦고 시간이 흘러가뿌이께네, 그렇다보이 이 몸무데기만 다 커뿌랬어예. 그러다가 또 작은집으로 보낸 거라. 그래 떠댕기다보이 다 지나도록 핵교를 드가지를 몬해 때를 놓쳐뿌랬지. 때 늦어가지고 무데기는 남맨추로 마이 컸뿌랬어. 접기
P. 340 엎어지미 자빠지미 세월 보내마 정신없이 살다보이, 세월이 언제 가버린 건지 기가 맥힐 노릇이지. 그래 이자는 기막힐 노릇이라고 생각 안 하고, 이기 내 길이다 그래 편하게 생각하고 살아야지. 할 얘기가 진짜 많은데 지금은 머리가 늙어가 마 십분지 일도 몬했다 카이. 내 머릿속에 꽉 들어가 있었는데 인제 보낼라꼬. 잊아뿔라꼬. 잊아뿔어야 산다 카이……. 접기
P. 359 억울치. 억울코말고. 다 늙어가 허리가 곯아뿌렀어도, 봄 되마 또 일을 하거든. 밭을 갈고 씨를 뿌리고 모종을 숨구거든. 눈에 흙 들어가야 끝내지 안 그라마 몬 끝낸다 카이. 그기 미련해서도 그렇지만 평생 몸에 밴 그거 따문에 그런 기라. 땅 한 뙈기 노는 거를 아까버가 놔두지를 몬하는 거라. 눈만 뜨마 땅에다가 뭐라도 해야, 자슥들 안 굶기고 쪼매 핵교 가르치고 져우 살아온 사람들이라. 그라니 자그도 몬 놀고, 땅 노는 꼴도 몬 보는 기라. 넘 말할 거 없이 내가 그렇거든. 여 할마시들 싹 다 그래. 자슥들이 아무리 하지 마라, 하지 마라 캐쌓아도, 봄 되마 땅을 놀려두지를 몬하는 기라. 내년에는 안 해야지, 하믄서도, 봄 되마 또 밭부터 가지런히 갈고 앉았는 기라. 병원비도 안 나온다꼬 그만하라고들 하지만, 평생을 그래 살았으니 별수 없는 기라. 잘하는 건 아니지. 내도 알고 할매들 다 안다. 미련퉁이라는 거 알고, 멍충이라서 그란다는 거 다 안다.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최현숙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57년생. 구술생애사 작가이자 소설가. 천주교를 통해 사회운동을 시작했고, 민주노동당 여성위원장과 성소수자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이후 요양보호사와 독거노인 생활관리사로서 노인 돌봄노동에 몸담으면서, 본격적으로 구술생애사 작업을 하게 되었다. 최근 3년 서
울역 근처에 살면서 홈리스 관련 활동과 글쓰기에 집중하고 있다. 저서로 『할매의 탄생』 『할배의 탄생』『막다른 골목이다 싶으면 다시 가느다란 길이 나왔어』『천당허고 지옥이 그만큼 칭하가 날라나』『삶을 똑바로 마주하고』『작별 일기』등이 있고, 공저로 『이번 생은 망원시장』『코... 더보기

최근작 : <황 노인 실종사건>,<힐튼호텔 옆 쪽방촌 이야기>,<마스크가 답하지 못한 질문들> … 총 24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나 살아온 거야
아주 좋지도 안 하고 나쁘지도 안 하고 그렇지예
학교예? 시간이 흘러가뿌이께네
글자 몬 익히고 몸무데기만 다 커뿌랬어예

우록리 산골짜기 할머니들의 생애 경험
그들의 삶과 언어, 기억과 해석, 보람과 상처

박근혜 탄핵을 위한 촛불 정국이 이어지던 2017년 1월, 구술생애사 작가 최현숙은 경상북도 대구시 우록리 산골짜기로 내려가 구술사 작업을 시작한다. 전작으로 <할배의 탄생>을 냈고 태극기 부대 노인들 속으로 들어가 이야기 나누며, 노인 돌봄이로 생계를 이어왔던 그의 가장 큰 관심사는 할매, 할배들이다. 이번에 만난 이들은 농촌?젠더?노년?비문자 생활자라는 이슈가 겹겹으로 둘러싸인 분들이지만, 작가는 여기서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힘을 발견한다. 한국전쟁도 비껴간 그 깊은 산골에서 할머니들은 가난과 고생으로 일군 ‘깡치’로 삶을 꾸리고 있었다. 어린 나이에 우록리로 시집와 시어머니와 남편의 눈치를 보며 농사를 짓고, 식구들 밥해 먹이고, 아이를 키우면서 이제 지난 삶을 되짚어보는 그들의 말은 짙디짙다.
저자는 ‘나이듦’에 대한 이야기를 할머니들의 구부러진 손가락으로 대신하려 한다. 그들의 사투리와 정제되지 않은 말을 책에 고스란히 녹였다. 이 책은 힘겨웠던 고생의 경험과 가난의 상처를 헤집자는 것이 아니다. 할머니들의 삶을 긍휼의 시선으로 보자는 것도 아니다. 그 가난과 고생이 어떻게 그들을 더 강하고 전략적으로 만들었으며 그렇게 축적된 힘이 어떻게 할머니들에게 주체성을 가져다주었는지 들여다보려는 것이다.
누군가는 가난한 사람들의 생애 이야기를 구술하여 세상에 내놓는 것이 ‘고통의 전시’가 아니냐고 묻는다. 그러나 저자는 구술사 작업이 세상의 온갖 정상 이데올로기로 인한 자괴와 낙인을 거둬내고, 사람 안에 있는 힘과 흥을 끄집어내 한바탕 즐기기 위한 일이라고 말한다. 가난한 사람의 힘과 흥으로 희망을 이야기하려는 것이다. 우록리 할머니들의 사투리는 희망이 되어 독자들에게 전해질 것이다. 우록의 삶은 그렇게 우리 모두의 삶으로 치환된다.

올개는 밭에 별로 안 숭굴 거라예

“내 살은 거는 마 고생한 거 말고 없어예. 모내기해가 이삭 올라오마, 어떤 해는 그 이쁜 걸 물이 확 쓸어가뿟고 이삭이 시꺼멓게 썩어들어가는 거라. 어떤 해는 잘 자라가 대가리를 숙일마 해가 통통하이 그래 이뿐데, 또 홍수가 나가 꼬꾸라지고. 그래 쓸어가뿌마 나중에 벼가 말라도 아무것도 건질 기 없는 거라.”(조순이 할매)

자식들의 탈농과 성공을 위해 평생을 노동으로 일군 할머니들의 삶은 가부장적 환경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노동이란 그들에게 자부심이자 정체성, 사회적 역할을 다하는 것이었다. 그러는 한편 자식을 먹이고 가르치는 보람으로 그 고된 노동을 견디며 살아온 할머니들에게 “정신없이 씽씽 변하는 세상”은 야속하게도 상실감의 원인으로 자리 잡았다.
사회의 변화는 농촌의 모습을 도시보다 더 빠르게 바꾸고 있다. “아아들 우는 소리조차 듣기 힘든” 농촌에서 노인들의 평생 노동은 자본의 힘에 눌려 그 가치가 절하되어간다. 일생의 결과이자 자부심인 땅이 돈 몇 푼에 거래되는 현실과 성공할수록 찾아오지 않는 자손을 기다리며 그들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사회와 격리된다. 우울증으로 잠을 이루지 못한다는 한 할머니에게 저자는 “자식들도 다 잘하는데 왜 아픈 걸까요” 하고 묻는다.

“자꾸 아프이께네 이리 살아가 뭐하나 싶고, 살아왔는 기 허프고 허전코 그렇다 카이. 몸이나 안 아프마 어디 훨훨 내 맘대로 나다녔으면 싶고. 넘이 들으마 다 그러고 사는 걸 그런 거 갖고 그러냐 카지만도, 내는 마 사는 재미가 없어예. 아아들 잘 사는 건 좋지만도 거는 마 지들 일이고, 내랑은 지네랑은 다른 거지예. 다행은 다행이지만도, 그기 내 사는 재미는 아니지예.”(임혜순 할매)

그럼에도 할머니들은 올해도 “콩 쪼매 숭구고, 들깨 쪼매 숭구고, 상추, 배치도 좀 숭구”며 살아간다. 꼬부라진 허리와 망가진 무릎으로 밭을 매는 할머니들의 터전이 자식들 사회에서는 별 가치가 없다는 사실을 스스로도 잘 알지만, 세상에 대한 섭섭함과 상실감을 외면하며 일상을 살아가는 것은 농촌의 마지막 세대라는 책임감에서 비롯된다. “나 죽으면 이제 제사도 농사도 끝이라 카이”라는 말은 노인들의 자조와 수긍을 잘 드러낸다.

자고 나면 일하고, 묵고 나면 일하고 그기지 뭐

노래 가락을 좋아하는 대촌댁 조순이 할머니는 우록리와 가까운 대구 달성군 대일리가 친정이다. 오남매 중 외동딸이었던 그는 친정아버지의 귀여움을 독차지하며 자랐다. 열한 살이 되던 해에 어머니가 체증에 걸려 죽자, 동생들을 키우며 살림을 도맡아 하다가 우록리로 시집을 왔다. 와보니 손이 큰 시어머니와 시형제 일곱이 그를 맞이했다. 갈등 끝에 첫아이를 낳고 친정으로 ‘내뺐다가’ 젖이 불어서 그 아픔을 못 이기고 다시 우록으로 돌아왔다. 시어머니와의 갈등은 아직 마음 한켠에 상처로 남아 있다.

“아 놓고 일주일 만에 모 숭구러 가는 거럴 안 말긴 거도 글코, 마 빚내서 남 퍼주는 거도 글치만도 젤 서러분 기 한동네 바로 저 있는 시동상네 사논 집으로 나가뿌신 거, 거거가 내는 제일로 그캅디다. 서럽고 화나고 우세스럽고…… 온 동네에 우세시키자는 거제예, 그기. ‘몬된 맏미누리가 시오마이 쪼까냈다’ 방 붙이는 거라예, 그기. 그카고도 사람들 붙들어 앉혀놓고 큰미누리 흉을 윽씨 봤어예, 그카니 동네 사람들이 낼 어띃게 보겠으예. 그런다고 보선 속마냥 모가지를 화딱 까뒤집어 비이줄 수도 없고. 내는 지금도 그게 제일로 서러버예.”

하지만 지금은 손주들이 잘되는 이유를 ‘시어머니가 손이 남달리 커 많이 베푼 덕’에서 찾는다. “그때는 모맀는데 내가 이자 시오마이가 돼보이 알겠더라고예. 미누리 때는 모릅디다.”
각골댁 이태경 할머니는 경북 청도군에서 시집을 왔다. 열다섯에 어머니를 잃은 그는 할머니 손에 자랐다. 어머니를 향한 그리움과 할머니에게 받은 애정은 이태경 할머니의 어린 시절을 가득 메운다. 열여덟의 나이에 집을 떠나서는 없는 살림에 시어른, 시조모까지 모시며 살았다. ‘맏이 짓’을 하던 남편 덕에 없는 고생도 사서 한 셈이다. 이태경 할머니는 그 옛날, 홍역으로 여섯 살 난 딸을 잃었다. 그래서 지금 아들만 다섯이다.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애지랑을 떨던 그 ‘가스나’가 눈에 선하다며 눈시울을 붉힌다. 이태경 할머니는 다른 할머니들에 비해 다양한 노동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진술한다. 여러 작물을 키우고, 메주를 쑤어 사람들에게 나눠주고, 명주실로 옷을 해 입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런 노동 이야기는 농촌 할머니들의 주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부분이다.

내가 어리석어가 우록에서 안 나간 거제

유옥란 할머니는 경북 안동이 고향이다. 위로 오빠가 하나 죽고, 밑으로 남동생 셋이 “문지방 기 넘어댕길 만하이 죽고 죽고 해서” 외동딸이 되었다. 화병으로 앓아누운 어머니를 살리려 한 굿이 독이 되어 어머니가 돌아가셨고, 계모 두 분 밑에서 파란만장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첫 남편의 죽음 뒤에 우록리 남성과 재혼했는데, 그에게는 딸이 있었다. 시어머니는 다시 들인 며느리가 도망갈까 겁이 났던지, 혼란스러워하는 손녀를 서울로 보내버렸다.

“넘들은 마 달린 입이라 말을 하겠지. (…) 지도 새오매 밑에, 계모 밑에 자랐으믄서 전처 아를 쫓가냈다 카마 별 억지가 많더라. 내 젊어서는 지랄지랄을 했지만도 이자는 뭐 괘않다. 나이 들어보이 딱 말 나게 생겼더라 마. 안 글나? 계모 아래 커놓고 지도 못된 계모 되는 딱 그거 아니가? 그래 마 지금은 내 죄구나 그칸다. 내 그리 태어난 게 죄고, 갸 어려서 서울 가는 거 안 막은 죄다. 마 우야겠노… 이제는 넘들 말질은 마 아무치도 않다. 갸가 젤 불쌍코, 어려서 오매 죽어뿐 내가 불쌍타. 우야겠노…….”

어른이 된 그 아이는 ‘계모’ 유옥란 할머니를 지금까지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그래도 할머니는 아이가 아버지의 제사에라도 와주기를 바란다. 계모들 밑에서 학대받으며 자란 당신이 남편 전처의 아이와 화해하게 된다면 그동안의 서러움과 한을 모두 녹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록1리에서 태어나 환갑이 넘도록 이 산골에 살고 있는 김효실은 꿋꿋한 성미의 소유자다. 어릴 적부터 도시로 나가 살고 싶었지만, 같은 상처를 가진 외지 남성과 결혼해 결국 마을을 떠나지 못했다. 그는 빨치산에게 총을 맞아 불구가 된 아버지와 아픈 어머니를 두고 도저히 우록을 나갈 수 없었다고 말한다. “친정서 14년을 꼬박 하고, 여 와서도 5, 6년 했지. 나중에는 담배 따는 거도 기계라. 다다다다닥, 다다다다닥. 손이 뭐, 기계 한가지라.” 스스로 “담배 따는 기계”라 부를 정도로 담배 농사를 많이 지어 동생들을 가르쳤지만 지금은 그들과 등 돌리고 산다. 마지막 소원이 있다면 모든 형제가 한자리에 모여 툭 터놓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다. 우록을 떠나지 못했던 한도, 식구들에게 받은 상처도 자연에 살다보니 누그러진다는 김효실은 이제 ‘담배 따는 기계’가 아니라 사람답게 살고 싶다고 말한다.

나는 제사도 하지 마라 칸다
내 죽고 나가 그거 하믄 뭐하노

창녕댁 곽판이 할머니는 우록 마을의 ‘큰형님’이다. 올해로 만 91세가 된 그는 스무 살에 혼인해 우록리로 들어왔다. 이 산골에서만 70년을 산 셈이다. 마을의 그 누구보다 긴 세월을 살아와서 곽판이 할머니는 죽음에 초연한 태도를 보인다. 시댁 식구들과 남편의 제사를 꼬박꼬박 챙기면서도 “나 죽으면 화장해라. 제사도 지내지 말라”고 한다. 맛있는 건 제삿밥으로가 아니라 살아서 먹어야 한다는, 죽음과 가까이 있으면서도 여유가 넘치는 그의 말을 따라가다보면 넘어설 수 없는 대범함이 느껴진다.

“‘화장해가 뿌리뿌라. 산에 떤지뿌라. 영감 졑에 갈 필오 없다’ 내 만날 그칸다. 죽어뿠는데 영감 마누라가 어딨노? 살아서 영감 마누라지, 하하하. 인연은 살아서로 끝나는 거라. 그라이 살아서 서로 잘해야 되는 기라. (…) 혼이 죽으마 삼혼칠백이라. 사람이 죽으마 나무둥치라 그 말이다. 아무 소용이 없고 나무둥치랑 한가지라 그기야. 내 숨 떨어져봐라. 죽어가 태우니 뜨겁다 카나, 떤지이 아푸다 카나. 죽으마 아무것도 모린다.”

수점댁 임혜순 할머니는 우울증을 앓고 있다. “육이오 피란 때 찰밥을 대소쿠리 하나를 해가 가가고, 떡도 쪄가 가갈” 정도로 친정이 잘살았다. 그런데 열여덟이 되던 해에 우록으로 시집을 와보니 지독히도 가난한 일상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농사도 안 되는 산골짜기에서 죽어라고 일해 긴 세월을 견뎌내며 느낀 보람은 나이 들어 몸이 망가지자 허탈감으로 바뀌었다. 결혼할 당시 일곱 살이었던 남편의 막내 여동생도 친동생처럼 키워 시집보냈건만, 얼마 전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살아온 게 다 한심하고 속에서 불떡증이 난다”는 그는 지금이라도 자유롭게 펄펄 날아다니며 살고 싶다는 바람을 내비친다. 그러나 괴로운 과거를 더듬으며 우울의 요소를 찾아내려는 그의 구술에는 조금이나마 상실감을 해소하려는 노력도 엿보인다. 산골 할매들의 공동체성이 드러나는 부분이기도 하다. “사는 게 너무 시장스럽고 허프다”가도 “경로당 가마 우리 또래가 여럿이고, 나이 많은 할마이는 팔십 넘기도 하고 (…) 두 시만 되마 다들 모이니께네. 지끔 내 귀가 근질근질하네요. 보자, 하마 세 시 넘었네예. 얼른 가야는데” 하며 웃는다. 그렇게 그들의 역사는 톱니바퀴처럼 함께 맞물려 서로가 삶을 견뎌낼 수 있도록 조금씩 힘을 보탠다. 접기

소설보다 재미있는 '오메들'의 생애구술사 - 오마이뉴스

소설보다 재미있는 '오메들'의 생애구술사 - 오마이뉴스



소설보다 재미있는 '오메들'의 생애구술사[서평] 우록리 할매들 이야기, 최현숙 지음 '할매의 탄생'
19.10.29
 
이정민(jl3264)


"미물(메밀)을 푹푹 씻어가, 일러 건져가, 말려가, 한푼 살짝 태워가, 까불러가, 뜨슨 물에 씻어가, 깨끗하게 빠사갖고 해야 되거든예."

대구 달성군 우록리에 사는 여든둘 조순이 할매가 미물묵을 만드는 과정이다. 웬만한 글쟁이도 흉내내기 힘든 말의 리듬이 들리는 것 같다. 할매들의 말은 살아 있다. '다글다글' 돈을 긁어모으고, '포실포실' 비가 내리고, '불룩불룩'한 성질이 미운가 하면, 기억은 '아롬아롬'하다. 늦깎이 한글 공부는 또 어떤가.

"마 콩나물 물 주드끼(주듯이) 그래 생각코 기양 하는 거라. 콩나물 기를 때 물을 주마, 물이 다 빠져나오는가 싶어도 콩나물은 크거든예. 거랑 똑같다 싶어예. 다 잊어뿌는 거 같아도 하나씩 남는 거가 있더라꼬예. 그래가 아는 글자가 하나씩 생기니 그기 좋고."

'콩나물 물 주드끼' 한글을 공부하는 우록리 여섯 할매들의 삶을 구술한 책이 <할매의 탄생>이다. 생애구술사란 '과거의 경험을 기억을 통해서 현재로 불러와서 구술자와 역사가가 대화를 통해서 쓰는 역사'다.



▲ 할매의 탄생- 우록리 할매들의 분투하는 생애 구술사. 글항아리. 2019. "오메"는 전라도 사투리로는 "어머나"라는 감탄사지만 경상도 사투리로는 "엄마"를 뜻한다.
ⓒ 글항아리


예순에서 아흔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깡촌 할매들이 일제 강점기부터 한국전쟁을 관통하는 근현대사 속에서 '땅을 숨구고' 자식을 길러낸 이야기에는 "고생 마이 했어예" 한 문장에는 담기지 않는 아픔이 있다.


"빨개이한테 밥해주믄 낮에는 저기서 와서 두드리 패제, 안 해주면 빨개이들이 두드리 패제, 이래가지고 애묵었다 카데. 낮에는 퍼렇고 밤 되마 뻘겋고."

뻘겋고 퍼런, 이념의 대립에서 오는 폭력을 몸으로 겪은 할매들의 말을 읽으니 극작가 차범석의 희곡 '산불'이 겹친다. 국군에게 밥을 해냈다고 죽이고 빨갱이에게 아부했다고 경을 친다며 마을 사람들이 탄식하는 장면이다.

일제 강점기에 대해 곽판이 할매는 "처자들도 군대 뽑아 간다꼬 훈련을 마이 받았다"라고 회상한다. "간호 그런 거도 받았지만 총 쏘고 칼로 찌르고 그런 거도 다 받았다"라며, 할매는 "나무로 총이랑 칼이랑 깎아가 했지"라고 군사 훈련을 부연한다.

농촌 여성들까지 군사 훈련을 받았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었다. 작가가 주해를 덧붙였듯 관련 구술을 확보해 사실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생애구술사의 가치는 개인의 삶을 통해 미처 알려지지 않았거나 소외된 이웃의 역사를 드러내고 밝히는 데 있는 게 아닌가 싶다.

책에는 이삼십 대 여성이 쉽게 공감하지 못하는 출산 이야기도 담겨 있다.

"가가 유월 초사흗날 거꾸로 나와가 애를 묵었어예. 머리 안 나오고 다리 먼저 나오고 궁디 나오고. 그라느라 내도 아도 죽는다 캐가 우리 동서들이 울고불고했어예. …… 산파가 오데 있십니까? 거때는 죽어도 집에 놔두는데, 오새 같으믄 벌써 병원에 실어갔을 거고마."

조산사 없는 출산과 산모 사망은 내가 일했던 아프리카나 아시아 오지 문제인 줄만 알았는데 불과 2세대 전 한국 여성 생식보건도 그에 못지않게 열악했던 것이다. 책을 내려놓고 저녁밥 짓는 어머니에게 여쭤보니 "남들 다 아는 사실도 모르는 바보"라고 하신다.

새삼 옛 여성들이 느꼈을 출산의 공포가 엄습하며 온몸의 털이 쭈뼛 선다. 근현대사의 역경을 몸으로 부딪친 할매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밭을 갈고 모를 심는다.

"죽은 사람은 죽어도 산 사람은 모를 숨궈야(심어야) 하는 거라."

할매들의 힘은 땅을 일구는 데서 나온다. 할매들이 제일 고마워하는 대상은 영감도 자식도 아니고 땅이다. "몸뚱아리 하나 말고는 암것도 없는 사람인데 애쓴 만큼 내주고, 힘들다 밉다 싫은 소리 한번 안 하고 해마다 주고 또 주는" 존재가 땅이다.

생태적 관점은 이미 땅과 더불어 식민 역사와 전쟁, 가난과 개발을 겪어낸 그녀들의 삶에 녹아 있다. 구술생애사를 통해 우록리 할매들은 고난을 이겨내고 희망을 일군 여성 농부이자 어머니로, 한국 근현대사의 주체이자 전달자로 '탄생'한 게 아닐까.



할매의 탄생 - 우록리 할매들의 분투하는 생애 구술사

최현숙 (지은이), 글항아리(2019)

[문화산책] 생애구술사, 개인의 삶과 기억이 역사가 된다

[문화산책] 생애구술사, 개인의 삶과 기억이 역사가 된다

생애구술사, 개인의 삶과 기억이 역사가 된다
입력 2013-03-04 



나의 개인적 삶이 역사가 될 수 있을까?

어떤 신문을 보고, 누구와 무엇을 먹고, 장을 어디에서 보고, 어떤 옷을 입는지, 무슨 노래를 부르는지…. 이런 사소한 일상이 역사로 기록되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생애구술사는 개인의 삶과 기억을 구술의 과정을 통해 역사로 기록하는 작업이다. 100인 열전을 기획하며, 대구 중구도심재생문화재단과 연구공동체 ‘두루’가 그 첫 성과물로 12권의 생애사 열전을 탄생시켰다. 192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생활, 문화, 정치, 종교, 교육 등 대구의 근·현대사를 열네 분의 삶과 시선으로 기록한 것이다.

나는 ‘곡주사’의 ‘이모’로 불리는 정옥순씨(78)의 구술작업에 참여했고, 이를 통해 한 개인이 어떻게 도도한 역사의 물결 속으로 합류해 가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씨실과 날실이 엮여 천을 짜듯.


자식들 공부시키기 위해 돈을 벌어야했던 한 식당 아주머니가 연민의 마음으로 삶의 굽이굽이에서 다른 선택을 하고, 결국 폭력에 저항하는 대열에 서 있게 됐다. 이를 통해 그녀는 ‘우리들의 곡주사 이모’가 됐다. 이러한 과정을 구술작업에 참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알게 됐다.

지나온 시간의 총체가 하나의 나무라면, 역사로 기록되는 것은 나무 둥치와 굵은 뿌리, 줄기, 꽃의 종류다. 그런 역사 안에서는 잔가지와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비에 떨어지는 꽃잎의 모습은 알 수 없다. 이보다는 나뭇잎의 떨림과 몸속으로 흐르는 수액의 모양을 볼 수 있고 이를 알도록 하는 것이 생애구술사 작업이다.

지금까지 역사는 권위있는 권력자나 역사가가 붙인 이름으로 기록되고 기억되어왔다. 그래서 다양한 개개인의 삶은 하나의 역사적 이름 아래로 편재된다. 하지만 생애구술사는 거꾸로 개인적인 이야기와 경험을 통해 담론을 생성해 내기 때문에 거대담론의, 중심의 역사 담론을 해체한다. 뿐만 아니라 역사를 재구성하고 새로운 이름을 생산해 낸다. 박제에 빛깔과 향기와 생기를 불어넣듯이.

이은주 <문학치료사>

[공모사업] '생애구술사의 실제' 강의 개설 : 네이버 블로그

[공모사업] '생애구술사의 실제' 강의 개설 : 네이버 블로그


이웃 교육·행사


[공모사업] '생애구술사의 실제' 강의 개설
종로마을센터 ・ 2022. 6. 20. 10:38


2022년 종로구 마을공동체 주민공모사업 선정팀인 '앤의 친구들'에서 '생애史를 통한 서로돌봄'이라는 사업을 진행합니다.



사업의 일환으로 구술생애사 양성과정을 개설하오니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 바랍니다.



* 후속 활동 : 구술채록활동에 참여 가능한 분이 강의에 우선 참여합니다. 구술생애사 채록 인터뷰, 글쓰기 활동이 있습니다.



* 이 강좌는 종로구마을공동체지원센터가 주관하고 페미니스트모임 앤의친구들이 주최하는 사업입니다. 종로지역 서로돌봄 네트워크 형성과 지역기반 구술채록활동가 양성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참가비는 무료입니다.


신청은 아래 링크 클릭하세요. 선착순이며 온라인으로 받습니다.



신청 --> ​https://forms.gle/yf3SPmR8a9pLj6us6







구술사강좌 – 한국구술사연구소

구술사강좌 – 한국구술사연구소





인터넷 강의 안내


한국구술사연구소는 2017년부터 인터넷 강좌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저희 연구소와 구술사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시간적 장소적 제한으로 인해서 구술사 강좌에 참여하지 못한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연구소에서는 다양한 지역에서 구술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들을 위해서 언제 어디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인터넷 강의는 한 해에 3학기로 운영이 됩니다. 매해 1월, 5월, 9월에 개강하여 4개월 간 강의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15주 중 13주 이상 강의를 들으신 분에 한하여 수료증(pdf 파일)을 우편 혹은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신청 방법


수강신청
기간
개강일
수강기간
구술사
콜로키엄

-=-=---

개설 강좌: 
  • 구술사 연구, 
  • 질적 연구 방법, 
  • 지방사와 공동체아카이브, 
  • 여성구술생애사, 
  • 구술사와기억연구

수강료: 15만원
신청방법회원가입 하기
수강신청 하기
신청자 본인 이름으로 수강비 입금
(신한 110-233-059455, 윤택림)

회원정보 페이지의 개인정보 페이지의 신청강좌에서 입금확인 요청
(02-521-3471로 전화주셔서 입금확인 요청해주셔도 됩니다)

연구소의 확인문자 받은 후 본인 아이디로 로그인 후 수강시작
이용방법: PC는 물론 스마트폰(안드로이드, 아이폰)과 태블릿(아이패드 및 각종 안드로이드 태블릿)에서 oralhistory.kr로 접속하시면 편리하게 동영상 강의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술사 연구



질적 연구 방법



구술사와 기억연구




여성구술생애사



지방사와 공동체 아카이브





로그인

사용자명 또는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


회원등록|비밀번호 찾기
강좌

구술사 연구


질적 연구 방법


구술사와 기억연구


여성구술생애사


지방사와 공동체 아카이브

‘생애구술사’로 ‘돌봄’을 고민하는 사람들...서울 중랑구 '건강 리더'의 통합 돌봄 - 경향신문

‘생애구술사’로 ‘돌봄’을 고민하는 사람들...서울 중랑구 '건강 리더'의 통합 돌봄 - 경향신문

‘생애구술사’로 ‘돌봄’을 고민하는 사람들...서울 중랑구 '건강 리더'의 통합 돌봄
2022.06.07

김보미 기자


서울 중랑구의 고령층 주민들을 돌보는 ‘건강 리더’들이 어르신들과 신체를 유연하게 만드는 건강소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초록상상 제공

“가난에 대해 대부분은 막연하죠. 그래서 구구절절한 사연을 접하면 우선 새로울 겁니다. 빈곤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알게 되고, 최소한의 기회조차 균등하지 않은 현실에 화가 나기도 할 거예요. 듣기 전까지는 이런 이야기는 알 수 없어요.”


지난달 3일 오전 최현숙 작가가 화상으로 진행한 생애구술사 강의. 스무 명 남짓한 사람들이 모여 2시간 넘게 집중했다. 이날 8번째 수업을 포함해 한 달 넘게 다른 사람의 인생을 기록하는 일을 공부하는 이들은 서울 중랑구에서 ‘건강 리더’로 불리는 어르신 돌봄 활동가들이었다. 생애사와 돌봄은 무슨 연관성이 있는 걸까.



중랑구에는 지역 돌봄을 고민하는 마을 공동체에서 양성한 ‘건강 리더’가 활동 중이다. 이들은 소외계층의 안부를 묻고, 매주 한 번씩 고령층 주민들과 건강을 지키는 법에 대해 연구하거나 운동을 배우는 소모임도 연다. 어르신들과 일상에서 소통하는 건강 리더들이 구술로 노년층의 생애를 들여다보는 색다른 돌봄을 해보기로 한 것이다.


이번 작업을 기획한 중랑마을넷의 장이정수 상임이사는 “혼자 사는 노인을 찾아가 도시락을 배달하고,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는 행정적으로 굉장히 잘 짜여있기는 하지만 주고받는 사람이 분리된 일방적 방식”이라며 “‘이웃을 만드는 게 더 큰 복지’라는 측면에서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살아온 기록을 남기는 작업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기록 대상은 중화2동에 거주 중인 어르신 15명이다. 중랑구는 65세 이상 인구가 7만2858명으로 전체 주민(38만8941명, 올해 4월 기준)의 18.7%에 달해 서울 평균(17%)보다 높다. 특히 중화2동은 20%가 넘는다. 중랑구 고령 1인가구의 10%가 여기에 사는 셈이다. 소외계층 비율이 높아 팬데믹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지역이기도 하다.


서울 중랑구의 고령층 주민들을 돌보는 ‘건강 리더’들이 어르신들과 꽃 그림으로 액자를 만드는 건강소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초록상상 제공

건강 리더를 육성하는 여성환경연대 동북지부 ‘초록상상’의 김주희 대표는 7일 “돌봄은 신뢰와 친근감으로 관계(라포)를 이뤄야 한다는 점에서 생애구술 작업과 공통점이 있다”며 “구술사를 통해 지역사회가 함께 복지를 고민하는 통합 돌봄을 해보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다른 관점의 돌봄을 떠올릴 수 있었던 데는 오랜 시간 이어온 지역 공동체가 큰 역할을 했다. 동네가 주민들의 건강을 살필 수 있는 방식을 논의하기 위해 2016년부터 중랑넷과 중랑의사회가 매달 만나기 시작했다. 이어 지역 약사회, 복지관, 장기요양기관, 마을의 풀뿌리 단체까지 참여한 ‘건강공동체’가 2020년 꾸려졌다. 여기서 지난해 서울시와 자치구의 주민 협치 사업으로 지역사회 통합 돌봄을 제안하면서 구술 작업도 실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김주희 대표는 “지역 공동체 의제로서 ‘건강’은 개인적인 측면, 신체적인 요건이 아니라 사회적 요인과 연계해 다루게 됐다”고 말했다. 여성의 건강에서 여성 청소년, 학교 밖 청소년으로 시선을 옮겨 조건 없는 생리대 지원을 확대하고, 여성이 주로 돌보는 고령층에 대한 건강까지 범위가 확장되는 식이다. 생애구술사도 같은 맥락이다. 소외된 이들의 이야기를 엮어 내는 과정에서 현재 돌봄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 이웃들에게 잘 몰랐던 노인들의 삶을 전하는 취지도 있다. 서로를 잘 알아야, 잘 돌볼 수 있기 때문이다.


장이정수 이사는 “사회에 무의식적인 노인 혐오도 존재한다. 하지만 고령층에서도 돌봄의 역량을 갖춘 분을 찾을 수 있다”며 “복지 서비스를 무조건 제공하는 것보다 공동체가 서로를 돌보는 선순환을 만들려면 노인에 대한 생각도 바뀌어야 한다”고 전했다.


건강 리더들은 상반기까지 어르신들에 대한 구술 작업을 마친 뒤 지역 노인들의 생애 구술사를 책으로 엮어 연말 출간할 예정이다.

2022/12/05

 『임천고치』(林泉高致)가 유가를 구현하는 방식


『임천고치』(林泉高致)가 유가를 구현하는 방식
Linquan gaozhi for Confucian Scholar officials
美學(미학)

약어 : 미학

2017, vol.83, no.1, pp. 1-31 (31 pages)

UCI : G704-000246.2017.83.1.001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 철학
정혜인 /Herin Jung 1
1서울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북송대 등장한 『임천고치』는 중국을 대표하는 화론 중 하나이지만 여느 잘 알려진 화론들과 달리 기운, 전신, 육법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그만큼 저자 곽희는 오히려 화면 속 형상에 집중했다. 

곽희가 제시한 산수화면은 경물의 물리적 형상과 도덕적 미적 가치가 부여되어 있다. 
물리적 형상은 보편, 특수, 개별 세 층차의 속성, 그리고 항상적/가변적 속성의 다층적 이미지 복합체이다. 
이 개별 형상들은 다시 천인동구론, 상호 비례적 크기를 기준으로 서로 관계를 맺으며, 
삼원법, 그리고 군자/소인, 왕/관료라는 화면 내 가장 큰 규범의 지배를 받는다. 

물론 이 화면은 제작하는 화가는 유종원의 문장학습론을 모델로 화학 과정을 거친 후 「악기」 속 수양된 군자의 인품을 갖추어야 했다. 
그만큼 곽희는 은자나 개인으로서의 문인이 아닌 관료로서의 문인, 유가자를 대상으로 한 산수화를 지향했다고 할 수 있으며, 곽희의 관심사는 동시대 개인, 주체를 중심으로 회화에 관심을 보였던 주변의 문인들과는 방향이 다르다고 할 것이다.


Linquan gaozhi 林泉高致(The lofty message of forests and streams) is remarkable work on landscape paintings by Guo Xi 郭熙(b. after 1000, d. ca. 1090) in Northern Song Dynasty. 

Though called representative of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theory, it is remarkable that the text had mentioned neither qi yun 氣韻(strong and graceful vital energy) nor liu fa 六法(six principles on paintings) which had been regarded as axioms since Six Dynasty. 

From the fact, we may suppose that Guo Xi had special goal different from other writers on paintings. 
Firstly, he focused on forms constructing elaborate schemata derived from with experience materials of general, special and particular simultaneously also of eternal and variable levels of attributes. 
Secondly he explained the relation among object-forms with naive ontology that insists tian ren tong gou lun 天人同構論(nature and human have same vital structure) instead of theory of qi yun, and composition of pictures with as king and his officials, gentleman and petty man conforming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And more Guo Xi asked painters to train themselves pursuing gentlemen's personality described by late Tang literary men liu zong yuan 柳宗元 and charge on one of Confucian canons, Li zhi 禮記, which changed painters' ideal personality based Taoism since late Tang dynasty. The book is for landscape paintings for literati officials not for literati in se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