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16

Amazon: Love, Service, Devotion, and the Ultimate Surrender: Ram Dass on the Bhagavad Gita (Audible Audio Edition): Ram Dass, Ram Dass, Sounds True: Books

Amazon.com: Love, Service, Devotion, and the Ultimate Surrender: Ram Dass on the Bhagavad Gita (Audible Audio Edition): Ram Dass, Ram Dass, Sounds True: Books





Audible sample

Love, Service, Devotion, and the Ultimate Surrender: Ram Dass on the Bhagavad Gita Audible Audiobook – Original recording
Ram Dass (Narrator, Author), Sounds True (Publisher)
4.5 out of 5 stars 7 ratings
===============


Audiobook
$0.00Free with your Audible trial
Audio CD
$77.65
10 Used from $23.585 New from $55.66

The Bhagavad Gita is a gem so precious in India's spiritual treasury that many regard it not as a volume of sacred verse, but as a living manifestation of the Divine. In the summer of 1974, inside a balmy Boulder, Colorado, warehouse that served as a main hall of a fledgling Naropa Institute, some say a minor miracle occured: The reawakening of the Gita's living presence, as it unfolded in a series of wisdom teachings led by Ram Dass. With Love, Service, Devotion, and the Ultimate Surrender, you are invited to experience these legendary gatherings.
=====

12 hours and 3 minutes
Author

Ram Dass

Product details

Listening Length 12 hours and 3 minutes
Author Ram Dass
Narrator Ram Dass
Audible.com Release Date August 23, 2011
Publisher Sounds True
Program Type Audiobook
Version Original recording
Language English
ASIN B005IT1IUE
Best Sellers Rank #28,490 in Audible Books & Originals (See Top 100 in Audible Books & Originals)
#19 in Hinduism (Audible Books & Originals)
#21 in Bhagavad Gita (Books)
#340 in Other Eastern Religions & Sacred Texts (Books)






Customer reviews
4.5 out of 5 star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Rd. Northern California

5.0 out of 5 stars Highly recommended for the spiritual path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16, 2019
Verified Purchase
Again Ram Dass delivers. I have traveled the spiritual path for many years and there is a great quantity of material on the subject but Ram Dass gives a clear and insightful message for the western yogi.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Robert Perry

3.0 out of 5 stars Where's the chanting?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26, 2016
Verified Purchase
I own the original cassette tape version, and was very disappointed to discover that so much of the footage - both from Ram Dass's lectures and from the kirtans, the latter of which were the heart of the recording - had been cut out. It has been over-edited.

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Dian

5.0 out of 5 stars Great wisdom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16, 2014
Verified Purchase
So much wonderful wisdom, I keep listening to it over and over!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Reader

3.0 out of 5 stars More like Ramdass's adventures in spiritual seeking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4, 2013

Ramdass is a great and very engaging speaker/teacher. You can listen to him regardless what is the topic he talks of, or how controversial it may be. In that way this is a great and very engaging talk, recorded in the 70s at Naropa. The point is just that it is not a whole lot about the Gita. He refers to the Gita now and then, but it is largely about his own adventures in spirituality - which of course includes considerable adventures with psychedelic drugs and a lot of stories about his guru Neem Karoli Baba. It is interesting, and there are things you can learn from him that you probably would not learn from anyone else. Such as the conflict between ahimsa and eating meat. And of the serious differences between Buddhist and hindu traditions. Along with it you will hear a lot of stuff which is to me a little disgusting, such as how many acid trips he took and why he thinks such dangerous experiments are 'sometimes ok'. All said and done, worth hearing if you are up for it. And definitely not the Bhagavad Gita.

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buse

ronnie white

5.0 out of 5 stars awesom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15, 2020

Like all of Ram Dass's books Awesome!!


HelpfulReport abuse

See all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william
5.0 out of 5 stars Ram Dass on the Bhagavad Gita (audio CD)Reviewed in Canada on February 11, 2013
Verified Purchase

Ram Dass puts spirituality into easily understandable terms, speaking from personal experience with anecdotes and stories to amplify his message. His approach is practical and down to earth, given from a Western point of view. This is important, since much of Eastern Philosophy comes to us from an Eastern culture, making it that much harder for a Westerner to grasp. His message is from the heart. Ram Dass is a brilliant speaker, enjoyable to listen to. This CD is based on the Bhagavad Gita, so may require a basic review of the Gita’s story line for some. Well worth the cover price.
Report abuse


Ratings & Reviews for
Love, Service, Devotion, and the Ultimate Surrender: Ram Dass on The Bhagavad Gita
Ram Dass
4.60
167 ratings13 reviews
5 stars
114 (68%)
4 stars
42 (25%)
3 stars
8 (4%)
2 stars
3 (1%)
1 star
0 (0%)
Search review text

Search review text

Filters
13 results
Profile Image for Nate.
Nate
117 reviews
531 followers

Follow
December 18, 2018
Charlie Chaplin once said, "what do you want a meaning for? Life is a desire, not a meaning."

On Quantum mechanics, Robert Oppenheimer wrote, "If we ask, for instanc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electron remains the same, we must say 'no'; if we ask whether the electron's position changes with time, we must say 'no'; if we ask whether the electron is at rest, we must say 'no'; if we ask whether it is in motion, we must say 'no.'"

Psychology demonstrates how motivation effects perception. Karma tasks us with working within the desire system, faced with being unattached to the ego as a doer. To do work in the world in an impersonal way, and not to feel threatened by fear or driven by shifting meanings of desires (called passionate desire).

Jana Yoga is the practice of discriminating real from unreal. Service, giving and love can only be performed via desire. Pure desires bring us closer to God, passionate desires/fears attach us to ego. This discrimination directs the electrons of our being.

On detachment, outing attachment: karma is dharma; in other words, what we must work out in this life, is precisely the obstacles and experiences we face. If the inner ego (I/me/mine desires/fears) win (external win/lose, don't matter), that obstacle/experience is faced all over again in this life or the next. The inner ego is extricated only when we remain detached from the obstacle/experience/dharma. This is how we work out our karma. We remain a non-judgmental witness to all happenings.

Divinity is indivisible: Faith, no fear; fear, no faith (can't have both: only to the One, or to the many). Faith is being grace. Being a non-judgmental witness is loving union against and amongst the human condition. Finding unity in diversity. What we think is wrong, what we know is Real. Aldous Huxley grasped at absolute, unchanging Truths via perennial philosophy - "I Am" and "God is" - all else is transitory.

Giving it up to get it: paradoxically, when a method works, we must give it up to move on to the next stage. We don't pray because repentance is liberating; we don't meditate because the still mind is bliss -- these are methods to unite with the Lord of Love ("not my, but Thy will, O Lord") O father, O son <-- holy trinity: it's all the same: no matter which way you go --> pleasure, pain; loss, gain; fame, shame: it's all the same: atop a bridge above water in flow is how and where we can watch our ego-selves go. If you don't have a sense of humor, it's just not funny.

Matthew 16:24-27: "If anyone wishes to come after Me," says Christ, "let him deny himself, and take up his cross daily, and follow Me. For he who would save his life, will lose it; but he who loses his life for My sake, will find it. For what does it profit a man, if he gain the whole world, but suffer the loss of his own soul? ... For he who would save his life, will lose it. But he who loses his life for My sake, will find it."

The spirit is between and beyond moral law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 awakening struggle is comfortably and confidently facing conflicts with social/cultural norms, and transcending both via higher consciousness. The difficulty manifests from the model of oneself by means of standing outside of oneself. Cultural/social training via institutional education is about getting data/action-points from the outside-in rather than the inside-out. Culture and ego work full-time to preserve themselves.

Going against what we previously believed to be right — leads to deeper harmony, negative issues are easy, going against positive issues are the paradoxes. go perpetually keeps us caught in who we thought we were. Anywhere we cling is going to cost. Doesn’t have to be given up all at once, but all attachment will eventually have to go. The discipline to not be caught in any patterns whatsoever, is the discipline to stand nowhere. Over time, meditation will lead to freedom from one’s own thoughts. Active memory is only but a small part of our entire internal consciousness. Get out of the active and into the inactive: slower is clearer.

Ways of dharma: do what we are most inclined to do (follow where God leads); go to where we feel most draw to (not attaching degrees of importance); live out the nature of our being; take everything God gives evenly (that is, by not comparing to anything else). See the relations between forces of nature and action; by listening deeply, we can begin to realize what part of God we are (what role we play in the whole dance-drama of life); there’s no better or worse, only different.

On the theme of karma yoga Gandhi think: (1) result to follow; (2) means thereto; (3) capacity for it - equips one to work without desire for the result (wholly engrossed in task) = how to renounce fruits of one’s action. On working within the desire system: being attached to the doer, but aware of systematic functionality (doing work in an impersonal way) Jana Yoga: discriminating real from unreal. Working with intellectual faculties (levels of the mind) - going inward rather than outward, understanding via internally, not externally. This is a sensing of understanding from inside, which cannot be performed via intellect. Theravada Buddhism: purification, concentration, correct understanding.

What desire do you use to give up all desires? The desire of sacrifice to return to one’s roots The end of all sacrifice is that of spiritual wisdom: learn it all, then give it all up. Practice offering all thoughts into a mantra. Truth is the hardest austerity to maintain. Let manifestations manifest as they are supposed to. Acts don’t change, but meanings and persons doing acts do change. Developing the witness: quiet and observe the mind; doesn’t matter what’s being done, the state of mind and being (attitude) matters.

More 

1 like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Krista Lindgren.
Krista Lindgren
28 reviews
1 follower

Follow
May 2, 2022
Quality stuff, meaningful lectures. For some reason they would cut Ram Dass off mid-story and move on to something else, which I wasn't a fan of. I also didn't agree with his take on Ahimsa.

1 like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Sara Alarcon.
Sara Alarcon
21 reviews
3 followers

Follow
June 14, 2018
I cannot get enough of Ram Dass!!!!!!

1 like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J. Maximilian Jarrett II.
J. Maximilian Jarrett II
127 reviews

Follow
April 8, 2018
Ram Dass by name, Ram Dass by nature. As insightful, compassionate, educative and inspiring as ever. Excellent. Highly recommended. I would give this an 11 out of 10 “ This is Spinal Tap” style if I could ;)

Like

Comment

Christer Edwards
5 reviews
1 follower

Follow
September 26, 2019
I've enjoyed everything I've heard by Ram Das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Julie.
Julie
62 reviews
3 followers

Follow
October 3, 2019
My favorite Ram Dass
favorites
 
spiritual-inner-work
 
yoga-ayurveda

Like

Comment

Dean Somers
9 reviews

Follow
July 4, 2022
Lovely teacher, especially on audio! He really knows how to take the pressure off while advocating a spiritual life.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Craig Bergland.
Craig Bergland
323 reviews
8 followers

Follow
August 22, 2014
This is only peripherally about the Bhagavad Gita, which is why I gave it two stars. It contains many of Ram Dass' standard stories, which are very enjoyable, but except for the first session or two virtually ignores the Gita in favor of his stories. For that reason, I found it disappointing on many levels.
eastern-spirituality
 
hinduism
 
mysticism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Kathleen .
Kathleen
216 reviews
2 followers

Follow
March 20, 2013
At first I felt like Ram Dass was straying pretty far from the Gita. Then I realized that he was merely taking it off of the page and out into life. Isn't that what we all would like to do?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Devashish Sharma.
Devashish Sharma
26 reviews

Follow
April 5, 2020
Beautiful book. An absolutely must read for a spiritual seeker.
(However not for someone who wants to read verse by verse Bhagwat Gita)
It covers spirituality in general.
Again mesmerising book.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Gaylon.
Gaylon
23 reviews
3 followers

Follow
February 6, 2013
Ram Dass presents the principles of the Gita in an approachable and pragmatic way.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John Arnette.
John Arnette
84 reviews
1 follower

Follow
August 30, 2014
Not enough actual info on the Gita.

Like

Comment

Nichol P
30 reviews

Follow
September 25, 2017
Amazing.

Like

Comment

2022/08/15

박홍규 - 한·일 역사갈등, 책임론적 화해 넘어 포용론적 화해로

(18) Facebook

한·일 역사갈등, 책임론적 화해 넘어 포용론적 화해로
중앙일보
입력 2022.04.05 00:31

최악의 한·일관계 풀어야 할 새 정부
박홍규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실타래처럼 엉킨 한·일 역사 문제를 해결하고 파국 일보 직전에 도달했던 한·일 관계의 개선을 모색할 시점이다. 20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윤석열 당선인은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전화 통화를 하고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서로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미래를 향해 희망적인 덕담을 나눈 두 사람이지만 문제는 엉킨 실타래를 어디서부터 어떻게 풀 것인가이다.

기시다 총리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 징용  판결로 악화한 한·일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국 측이 선제적인 해법을 제시하라는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모처럼 뜻을 모은 양국 간 협력이 실행으로 옮겨지기 위해서 문재인 정부와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가해자 사죄와 피해자 용서라는 책임론적 화해는 수명 다해
세계 10대 강국 한국, 가해자 입장도 듣는 포용적 태도 필요
한국이 징용문제 해법 먼저 내놓고 ‘반일·혐한’ 악순환 끊어야
초당적 협의체 한일의원연맹이 문희상 법안 수정·통과시키길
나는 윤석열 정부가 한국의 높아진 국격에 걸맞은 선제적 해법을 과감하게 제시하여 꽉 막힌 물꼬를 트고, 한·일 역사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확보하기를 기대한다. ‘포용론적 화해’는 그 해법의 철학적 토대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 한·일 과거사를 둘러싼 화해의 모색은 ‘책임론적 화해’에 근거하여 이루어져 왔다. 가해자의 사죄와 피해자의 용서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책임론적 화해는 2차 대전 이후 유럽 국가 간의 화해를 위한 이론으로서 결정적 역할을 했다. 유럽에서는 이 방식을 통해 실제적 효과를 가져왔고, 유럽연합(EU)의 탄생과 더불어 이제는 유럽에서 과거사 문제로 인한 심각한 갈등은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책임론적 화해론, 서구 기독교와 관련

한반도평화워치
한반도평화워치

한편 1991년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을 계기로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역사 문제가 현안으로 부상했다. 유럽에 비해 역사 화해가 상당히 지체된 시점이었던 만큼 이 문제를 설명하고 해결하는 데 책임론적 화해론이 사용되었다. ‘일본의 사죄와 한국의 용서’를 통한 화해의 모색이 활발히 진행되어, 1993년 고노 담화, 95년 무라야마 담화를 거쳐 마침내 98년 김대중-오부치 파트너십 선언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김대중 대통령의 낙관적 전망은 교과서 왜곡, 영토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위안부 문제 등의 장애물에 부딪혔고 이후 역사 화해가 진전되기는커녕 오히려 퇴행과 역행을 거듭하면서 마침내 2018년 10월 강제 징용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한·일 관계는 최악의 상황에 빠져버렸다. 이제 책임론적 화해론은 그 기능과 수명을 다한 듯하다.

원래 책임론적 화해론은 서구의 기독교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종교적 화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신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기반을 둔 기독교적 화해는 자신의 죄에 대한 죄인의 깨달음, 죄의 고백과 회개, 용서받기, 그리고 죄인의 시정 노력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유럽의 국가 간 화해는 이러한 개인 차원에서의 화해 순서를 국가 간에 적용하여 가해국 독일이 피해국에 대해 사죄와 보상을 함으로써 화해가 이루어졌다.

유럽과는 달리 에도 시대로부터 메이지, 그리고 제국주의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는 일본의 문화적 기반은 기독교적 세계관이나 가치관과는 거리가 한참 멀다. 그들에게 책임론적 화해론에 근거한 ‘진정한’ 사죄를 요구한다고 해도 납득할 만한 응답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비록 책임론적 화해론이 도덕적 측면에서 정당성을 가질지라도 현실의 정치 영역에서 실질적 효과를 가져오지 못한다면 새로운 화해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나는 한·일 관계의 개선과 역사 화해를 위한 철학적 토대로서 기존의 책임론적 화해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포용론적 화해론을 제시한다.

국격에 걸맞은 사고·행위 요청돼

오늘날 대한민국은 경제·군사력에서 세계 10대 선진 강국의 대열에 올라섰다. 문화의 힘은 그보다 훨씬 눈부시게 분출하고 있다. 한국의 국격은 청구권협정이 체결되었던 1965년이나, 파트너십 선언을 단행했던 98년과는 현격히 다르다. 이제 우리는 스스로에 대해 긍지를 가지고 국제사회에서 높아진 국격에 걸맞은 사고와 행위를 해야 한다. 피해자의 입장에서 가해자의 무한 책임(피해자가 원하는 만큼의 책임)을 집요하게 추궁하기보다는, 가해자의 입장·견해·주장을 듣고 이해하며 그들의 상처와 아픔조차도 함께 치유해가는 포용적 관점으로 사고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결코 가해자가 사죄하지 않으니 무조건 용서하자는 논리가 아니다. 포용은 사죄와 용서의 프레임에서 벗어난 화해의 방식이다.

책임을 추궁하는 주체에서 상대를 포용하는 주체로 자기의 정체성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금까지의 자신의 모습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요구된다. 달리 표현하자면 책임론적 화해론에 근거하여 일본을 상대해왔던 우리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책임론적 화해의 논리 구조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자.

가해자와 피해자 개념은 매우 모호하다. 피해자 개념에는 피해 당사자, 피해자 지원단체, 피해 국민, 피해국 등 결을 달리하는 여러 층위가 있다. 게다가 피해 시점과 화해의 시점이 상당히 멀어져 피해의 상속이란 문제가 추가되면 더욱 복잡해진다. 한·일 역사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포착하기 위해 피해자 대신에 여러 층위를 포괄하는 의미로서 ‘피해자 쪽’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논리 구조를 정리해 보자.

토착왜구론 등 파생적 분노 도움 안돼

과거 어느 시점에서 ‘가해 당사자’의 부정의한 행위로 인해 ‘피해 당사자’의 분노가 발생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해자 쪽’이 사죄와 보상을 하고 ‘피해 당사자’가 용서함으로써 분노를 소멸시키고 정의를 회복한다. 이후 ‘피해자 쪽’과 ‘가해자 쪽’은 함께 과거를 기억하고 추모하며 미래를 향한 교육에 매진한다.

90년대 이후 진행된 화해의 과정에서 가해자 쪽의 노력을 통해 ‘피해 당사자의 분노’(본원적 분노)는 해소될 기회가 있었고, 해소된 부분도 있다. 그러나 피해 당사자에 대한 화해의 과정이 진행되면서 오히려 ‘피해자 쪽의 분노’(파생적 분노)가 커지는 역설적 현상이 발생했다. 가해자 쪽의 노력이 미진하다는 생각과 그 노력의 진정성에 대한 불신이 가해자 쪽의 책임을 더욱 추궁하게 되고(반일), 이러한 피해자 쪽의 동향이 가해자 쪽의 반발을 불러와(혐한), 이는 또다시 피해자 쪽의 분노를 증폭시키는 현상을 낳게 되었다. 이렇듯 분노를 증폭시키는 반일과 혐한의 악순환이 거듭되는 과정에서 파생적 분노가 본원적 분노를 압도하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파생적 분노를 증폭시키는 데는 민족주의, 국민 정서, 친일파 몰이(토착왜구론)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다. 파생적 분노를 정치적 동원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저급한 정치, 책임 추궁을 통해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교조적 집단, 파생적 분노를 조장하는 무책임한 언론, 친일파 몰이에 휩싸이기를 꺼리는 방관적 지식인이 빚어내는 오해와 편견, 무지와 억지, 비겁과 침묵을 자양분으로 하여 파생적 분노는 눈덩이처럼 커져 버렸다.

나는 현시점의 역사 문제는 본원의 문제가 아닌 파생의 문제라고 본다. 본원의 문제에 대해서는 한·일 간에 이미 많은 부분을 해결했고, 앞으로 남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다. 오히려 파생의 문제가 본원 문제의 해결을 저해하고 있고 그에 따르는 손실은 너무 크고 아프다.

일방적 책임 추궁에서 벗어나야

파생적 문제의 책임을 오로지 가해자 측에 전가할 수 있겠는가? 피해 당사자에 대한 사죄와 보상으로 피해자 측의 파생적 분노를 해소할 수 있겠는가? 나는 파생적 분노는 책임론적 화해로는 해소할 수 없다고 본다. 이것이 분명하다면 역사 화해의 철학적 토대를 포용론적 화해로 전환하자. 그리고 일방적 책임 추궁에서 벗어나 높아진 국격에 걸맞게 상대를 포용하는 주체로 자기의 정체성을 정립하자. 포용론적 화해라는 새로운 철학으로 무장하고 파생적 분노를 일시적으로 유보하자. 그리고 한국이 해법을 제시하라는 일본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들의 요청을 수용하여 징용자 문제에 대한 선제적 해법을 제시하자. 2019년 12월 문희상 국회의장을 대표로 하여 14명의 여야 의원이 공동발의했다가 회기 종료로 자동 폐지된 ‘문희상 법안’을 다시 추진하는 것은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5월 10일 탄생하는 윤석열 정부 앞에는 국내외 난제가 산적해 있다. 험로를 개척하며 미래로 전진하기 위해 모든 사람이 요구하는 바가 통합과 협치다. 그러나 절반으로 갈라진 국민의 마음과 현격히 비대칭적인 여소야대 상황에서 통합과 협치가 실현될지 많은 국민이 불안감과 의구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

현역 국회의원 154명이 소속된 한일의원연맹은 초당적 협의체인 만큼 진영 논리와 정당의 이해관계를 떠나 국익을 위한 판단과 행동을 할 수 있다. 다수의 여야 의원이 뜻을 모아 문희상 법안을 수정하여 통과시키길 기대한다. 윤석열 정부의 통합과 협치를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박홍규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Jong Cheol Lee

  · 
단톡방에 아래와 같은 글이 올라 왔길래 몇 자 비판을 해보았습니다.  

"올려 주신 글 잘 읽어 보았습니다. 한일 관계가 지금처럼 악화되면 결국 한일 정부나 국민 모두에게 좋지 않겠지요. 그런 의미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책임론적 화해'를 넘어서 '포용론적 화해'라는 새로운 철학(?)까지 끌어들이는 것은 발상의 전환이라는 면에서도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이 글에서 짚어야 할 몇 가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먼저 일본의 국력을 너무 과소 평가하고 반대로 한국의 그것은 과대 평가하는 것 같습니다. 한일 간의 국력 차는 아직도 상존하고, 그런 면에서 한국이 일본을 포용할 만큼의 수준은 못 된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은 여전히 한국을 한 수 아래로 보고 있다는 현실을 엄연히 알아야 합니다. 사인들 간에도 아래 사람이 포용한다고 하면 우스개로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으로 한일 간의 관계 악화의 책임을 한국의 과도한 책임 추궁으로 모는 인상을 많이 주는데, 사실 한일 관계는 한국 쪽 보다는 일본의 국내 정치 상황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오히려 한국 쪽은 거의 수세적 반응의 수준을 넘지 못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일본의 혐한은 일본 사회의 고령화와 일본 정치의 극우화와 연관이 큽니다. 일본의 극우 정치는 젊은 세대 보다는 과거의 망령과 박탈감에 사로 잡혀 분노의 대상을 찾는 고령화 세대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아베 부류의 극우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오히려 이 세력을 자극한 면이 큽니다. 과거 한일 관계가 좋았고, 일본 내부에서 과거사 반성 분위기가 형성된 때는 대부분 극우 세력의 영향이 현저하게 약할 때였습니다. 이 점을 고려하지 않고 마치 한국의 좌파 정부가 한일 관계를 악화시켰다는 인상을 준다면 문제의 본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역사적으로 볼 때 일본의 극우주의자들은 늘 대륙 진출의 기회를 호시탐탐 노려 왔습니다. 때문에 일본이 극우주의의 망령을 제어하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과거 일본의 제국주의를 반복할 가능성이 없지 않습니다. 사실 일본 내부에서 조차 아베의 극우 정치가 일본 정치와 경제를 이류 국가로 만들어 버렸다는 진단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일본의 정치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은 일본 자신을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일본의 젊은 세대들 사이에는 한국 못지 않게 자신들의 정치를 암울하게 생각하고 좌절하면서 일본을 탈출하자는 분위기가 큽니다. 
이런 몇 가지 선결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포용론적 화해'라는 모호한 개념을 들먹이는 것은 일종의 교언영색이자 곡학아세에 가깝습니다. 무엇보다 정치학 교수라는 자의 글이 이 정도 수준뿐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
[박홍규의 한반도평화워치] 한·일 역사갈등, 책임론적 화해 넘어 포용론적 화해로
JOONGANG.CO.KR
[박홍규의 한반도평화워치] 한·일 역사갈등, 책임론적 화해 넘어 포용론적 화해로
나는 한·일 관계의 개선과 역사 화해를 위한 철학적 토대로서 기존의 책임론적 화해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포용론적 화해론을 제시한다. 파생적 분노를 정치적 동원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저급한 정치, 책임 추궁을 통해 사적 ...
=====
26 comments
이시종
저도 이 글을 읽고 이 분이 과거사 문제에 대해 제대로 알고 쓰는 것인가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교언영색과 지록위마가 정답입니다.
Reply18 w
허서
조중동의 대일관이 이러하니 조선제국귀족들의 망령은 아직도 실재합니다
Reply18 w
석락희
공감합니다
공유하겠습니다.
Reply18 w
고동식
말은 그럴듯하게 하는 양반인데 피해자가
포괄적으로 양복하라는 이야기같은데
도대체 누가 가해자고 피해자인지 모르겠습니다… See more
Reply18 w
김수정
미친 인간이네요ㆍ
일본에 포용 ?
절대 일본과 우리는 포용론적이란 단어는 적절 치 않지요~
과거나 현제에도 우리가 피해자이고
반성과 화해 ㆍ포용론 은 피해자가 결정 합니다
Reply18 wEdited
Jong Cheol Lee
김수정 그런 단순한 진실을 외면한 처사지요.
Reply18 w
김양희
옳소!!!
Reply18 w


한병식
저 교수님의 화려한 미사여구, 포용론적 화해와 책임론적 화해, 본원적 분노와 파생적 분노 등의 복잡한 논리는 결국 이솝 우화에 나오는 배고픈 여우가 자기로서는 따먹을 수 없이 높은 곳에 매달려 있는 잘 익은 포도를 보고서 ‘먹을 수 없는 덜 익은 신포도일 것’이라며 자기합리화하고 스스로 위안삼는 ‘신 포도의 우화’에서와 같이 한국이 일본에 대해서 자기합리화 체념, 정신승리하라는 주장이네요.
아마도 의도를 가진 자의 청탁에 의해서 쓴 글일텐데 전형적인 곡학아세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Reply18 wEdited
Jong Cheol Lee
한병식 아침에 글을 쓰면서 이 '곡학아세'라는 말이 생각나지 않아서 애먹었는데 한 선생님이 잘 지적해주셨네요.
Reply18 w
김양희
극히 정답입니다.
Reply18 w


김양희
화려하게 미사여구로 만들어 합리화하는 전형적인 매국자들에 수법이다!
깨어있는 집단지성민들은 바른견해로 후손들 위하여 행동해야 할것이다!!!
Reply18 w
Jong Cheol Lee
김양희 미사여구로 분장 질 했지만 속은 뻔하지요.
Reply18 w


이주한
박홍규 주장은 완벽한 이완용 표절입니다.
Reply18 w
Jong Cheol Lee
이주한 그렇게 볼 수도 있네요.
Reply18 w


Lee Jang Hee
요즘 이 문제에서 돌아가는 분위기가 좀 이상한데요, 한일관계의 악화 원인을 우리에게서 찾고 개선의 방법을 우리에게서 찾는 것이 최근 한일 전문가란 사람들의 견해 같습니다.
일본은 그러면 극우적 입장을 견지하며 그냥 하던 그대로 하면 된다는 것인지 한심합니다.
Reply18 w
Jong Cheol Lee
Lee Jang Hee 그렇지요. 적반하장도 유분수지요. 아주 그럴듯한 논리로 주장되고 있네요.
Reply18 w

[이종철 서평]오구라 기조의 '조선사상사'를 읽고..'영성'보다 '샤먼'. - 내외신문

[이종철 서평]오구라 기조의 '조선사상사'를 읽고... - 내외신문
[이종철 서평]오구라 기조의 '조선사상사'를 읽고...
 이종철 철학박사 승인 2022.04.02


1. 오구라 기조의 <조선사상사>를 지금 막 다 읽었다. 출간되자 마자 화제에 올랐고, 일전에 오구라 기조의 <한국은 하나의 리이다.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사회>라는 책을 읽고 강한 인상을 받은 터라 한 번은 꼭 읽어보고 싶었다. 마침 이 책을 번역한 이신철 선생은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던 동료이고, 그가 책까지 한 권 보내 주어서 그 기회를 앞당길 수 있었다. 아무튼 이 책을 펼쳐 들고 중반 까지는 꼼꼼하게 읽었지만 뒤로 갈 수록 간략하게 스킵하다 보니까 대 여섯 시간만에 읽기는 했다. 책을 다 읽고 나서 책장을 덮은 다음 곰곰히 생각을 했다. 
  • 한국인도 아닌 외국인이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표적인 사상가들 뿐 아니라 어쩌면 한국인들이 쓴다 해도 거의 언급 조차 되지 않을 인물들까지 들춰내서 세밀하게 쓴 것이 대단하다는 느낌도 들었다. 엄청난 연구와 독서의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결코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그점에서 본다면 이 책은 그 수준이나 성과 여부와 상관없이 조선의 사상사에 대한 저자의 깊은 애정과 그것을 학문적으로 표현해준 것에 대해 경의를 표하고 싶을 정도이다. 
  • 다음으로 일본 학자가 이런 책을 쓰는 동안에 한국의 학자들은 무엇을 했는가라는 자괴심 마저 들기도 한다. 사실 이 책이 나왔을 때도 주로 호기심 많은 저널리스트들 만이 크고 작은 관심으로 책을 소개하기도 하고 깊이 있는 서평을  써주었다. 정작 학문적으로 연관이 있는 학자들 중에는 누구도 언급하지 않은 것이 기이한 느낌마저 주기도 했다. 아마도 학자적 양심이나 부끄러움 때문이거나 혹은 그 마저도 없이 한국의 학자들이 이제 공부도 안하고 문제의식도 갖고 있지 않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마저 든다. 이런 의심이 어느 정도 합리성을 띠고 있다는 것이 도대체 한국의 학자들 -특히 인문학자들-은 두더지 처럼 자기 구멍만 팔 줄 알지 다른 학자들과 소통이나 논쟁을 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 오구라 기조 교수의 책에 대해서도 똑같이 침묵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합리적 의심마저 든다. 
  • 지난 30여년 동안 연구자들의 수가 엄청 늘어났고 그 수준도 많이 높아졌지만 그저 논문 기계들처럼 학술진흥재단의 연구비 사냥하는 일에만 관심갖고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든, 다른 학자들이 무슨 생각을 하든 도통 관심을 가지려 하지 않는 것이 인문학자들의 현실이다. 만일 한국의 인문학계가 이런 학문적 무관심과 불통을 계속한다면 가뜩이나 인문학의 소외 현상을 넘어서 미래가 더욱 암울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서평을 쓰면서 이런 푸념식의 비판부터 하는 나 자신의 마음도 편치는 못하다. 내가 한국학이나 한국철학을 전공하는 학자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이런 서평을 쓸 수 밖에 없다는 것이  그렇다. 아무튼 이런 마음을 염두에 두면서 <조선 사상사>를 살펴 보자. 
====

2. 조선의 사상사 전체를 통람한다는 면에서 본다면 이 책의 분량을 많다고는 할 수가 없다. 그럼에도 여기에는 단군신화에서 시작해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 부터 고려와 조선 그리고 조선말기 동학과 개화 사상, 식민지 시대의 사상과 북조선의 주체사상과 현대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정치가들과 사상가들의 사상까지 기술하고 문학가들의 작품까지 빠짐없이 빼곡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런 작업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앞서도 이야기를 했듯 저자의 엄청난 독서외에도 수많은 사상들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해서 간단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는 필체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거의 불가능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본다면 오구라 기조 교수는 전작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에서 보여주었듯 복잡한 현실과 사상을 단순화하는데 특별한 재능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이 책을 읽다 보면 필자와 같은 문외한도 신라의 원효와 의상, 고려의 지눌의 돈오점수의 불교, 조선의 태극논쟁, 사단칠정 논쟁, 인심도심 논쟁, 인물성 동이 논쟁 등 수많은 사상의 갈래들을 어렴풋하나마 이해하고 정리할 수 있겠다는 생각마저 들기도 한다. 그 모든 것이 저자의 명쾌한 설명과 간결한 문체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이 책은 비록 상세한 내용을 담지 않았더라도 조선 사상사 전체에 대한 소묘를 잘 해냈다는 점에서 빼어난 수작이라고 할 수 있다. 나 자신 이 책을 읽으면서 이 책을 다른 이들에게 충분히 권할 만하다는 생각을 적지 아니 했다. 

3. 필자는 이 책 전체를 작은 지면에서 다 다룰 수는 없다. 때문에 이 책을 읽으면서 특별히 저자가 강조한 입장이나 시각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언급해보고자 한다

첫째로, 오구라 기조 교수는 이 책 모두에서 조선사상사의 특징이 무엇인가에 대해 일본과 비교해서 기술하고 있다
  • "일본 문화가 외부로부터 도래하는 문화에 대해 브리콜라주(수선)적인 포섭 방법을 취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 조선은 "외부로부터 도래한 사상이 기존 시스템의 전면적인 개변을 추진하는 경향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 고려 시대에 불교가 사회 변혁을 시도했고, 조선에서는 주자학이 국가의 통치 이념이 되면서 사회를 혁명적으로 바꿨다. 이런 전통은 현대에 들어서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서 공산주의라는 사상(주체사상)이 똑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 그런 맥락에서 일본과 다르게 조선에서 '사상의 혁명적인 정치적 역할'의 크기가 막대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오구라 교수는 이 책을 쓰면서 "순수성, 하이브리드성, 정보, 생명, 영성이라는 다섯가지 키워드"에 특별히 주목한다고 했다. 

조선(이때의 조선은 이성계가 개국한 특수한 의미의 조선이 아니라 단군 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을 일컫는 보편적 의미를 띠고 있다) 사상사를 개관한다보면 일본이나 중국의 사상사와 달리 '순수성을 둘러싼 격렬한 투쟁'이 강하게 드러나고, 이런 현상은 현대에 와서도 남조선과 북조선간의 이데롤로기 대립, 그리고 저자가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오늘날 한국에서 극단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진영논리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그런데 사상의 순수성을 둘러싼 이러한 투쟁은 대개는 중화주의의 틀 안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조선 사상의 독창성의 결여와 중국에 대한 종속성과 같은 비판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이와는 달리 순수성에 대한 반대 축에는 불순성이 확고하게 자리잡고 있다
조선의 주자학이 지배하던 당시에도 양명학과 서학이 다른 사상으로 존재했고, 유불도 3교 내지 샤마니즘을 포함한 4교와 같은 혼연일체형의 '하이브리드 사상'이 조선사상을 특징지운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에 보듯 외래 사상의 유입을 차단하는 '정보의 컨트롤'이 지배적이었다. 16세기 말에 서양의 사상과 문물이 대거 동아시아로 밀려 들어 왔을 때 일본에서는 가톨릭 다이묘가 나오거나 남만 사상이 유행했지만 조선의 지배층은 철저하게 이런 정보를 통제했다. 사상의 순수성을 유지하려는 이런 조치는 19세기 말 외래 사상에 대한 적대적 태도를 보여주는 '위정척사' 운동이나 대원군의 쇄국 정책, 더 나아가서는 북조선이 주체사상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사상의 유입을 철저히 통제하는 데서도 잘 보여지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보면 전면적인 순수성의 추구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하이브리드성이 하나의 조선 속에 공존한다고 보는 것은 일종의 억지이거나 무리한 해석이 아닐까라는 의구심이 들 수 있다. 하지만 바로 이런 아포리아(aporia)에 직면해서 오구라 교수의 해석의 장점이자 조선사상의 특별한 장점이 드러난다. 오구라 교수는 일견 상호 대립하는 순수성과 하이브리드성, 정보의 통제와 개방 간의 대립을 아우르고 넘어서는 정신의 현상조선에는 분명하게 있다고 한다. 

그는 이것을 '영성'이란 말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런 현상이 신라의 원효의 화쟁사상에서부터 퇴계의 이기호발설, 그리고 19세기 조선말 경주 지방에서 등장한 최제우의 불여기연과 동학 사상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오구라 교수는 이것을 '영성의 네트워크'로 부르고, 이것이 "조선사상사 전체를 움직이는 눈에 보이지 않는 동력이 되고 있다"고 까지 확신한다. 그는 자신의 이런 주장을 특별히 뒷받침하기 위해 퇴계와 최제우의 사상적 연결을 경상도라는 특수한 유대까지 거론하면서 강조하고 있다. 오구라 교수는 이런 영성이 순수성을 둘러싼 유별난 투쟁사와 외래 사상 간의 다양성과 공존을 하나로 엮어줄 수 있는 특별한  지지대라고 보는 것이다. 

4. 그러면 마지막으로 오구라 교수의 이런 입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해 나의 생각을 피력해보고자 한다. 
먼저 하나의 사상이 한 시대, 한 사회를 완전히 지배하고 개벽한다는 입장부터 보자. 한국인들의 의식 속에는 특별히 종교적 심성이 강하다는 주장이 있다. 
이런 종교적 의식 때문에 신리와 고려에서는 불교가 하나의 지배 이데올로기로서 사회를 이끌었고, 조선에서는 성리학의 통치 이념을 제시했다. 
근대에 들어와서 새로 유입된 기독교가 유교를 대신하면서 많은 한국인들이 믿는 대표적인 종교가 되기도 했다. 
사실 기독교가 한국에서 이토록 대표적인 종교가 된 현상은 중국과 일본의 경우와 비교한다면 한국인들의 유별난 종교의식 말고는 달리 설명이 어려울 수도 있다. 
이러한 의식의 지반 속에서 그것이 불교이든 유교이든 아니면 기독교이든 시대가 변화하면서 지배적인 이념(이데올로기) 역할을 해왔다고 할 것이다. 
만약 이처럼 종교에 대한 귀속 의식이 없다고 하면 어떤 하나의 절대적인 사상이나 종교에 의해 그 사회 전체를 이끌어가는 통치 이데올로기가 나올 수는 없지 않을까라고 생각해볼 수도 있다. 
그 점에서 오구라 교수가 지적한 것처럼 조선은 외래 사상에 대해 일본이 자신들의 틀 속에서 수선하고 개량하는 태도 보다는 전면적으로 수용해서 지배 사상으로 만들고, 그것의 동력이 다한다면 새로운 피를 수혈하듯 새로운 사상으로 전면적으로 대체하는 태도를 반복한다고 할 것이다. 때문에 오구라 교수의 일반화에 대해 한국은 절대 그렇지 않다고 특별히 반박하기가 어렵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한 시대나 사회 안에서 대립적인 사상이나 종교 혹은 경향이 모순적으로 대립하면서도 그 사회를 파멸로 이끌지 않는 특별한 이유조선사상의 '영성'에서 찾는 오구라 교수의 주장을 어떻게 생각할 수 있을까? 

사실 '영성'이란 표현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말도 아니고 계산적인 이성의 합리성 틀 내에서 파악할 수 있는 개념도 아니다. 이러한 영성은 다분히 종교적 측면이 담겨 있고, 좀 더 철학적으로 표현한다면 감성과 이성을 넘어선 '정신'(Geist/sprit)의 측면에 가깝다

때문에 그것은 경험적이고 가시적인 영역을 넘어서려는 인간 정신의 초월성, 상호 대립하고 모순하는 것들을 아우르고 넘어설 수 있는 신비와 형이상학적 사유에 가깝다. 때문에 이런 영성은 사상사적으로 볼 때 장점도 있는 반면에 단점도 적지 않다. 굳이 서양철학의 칸트를 끌어들여 설명한다면 그것은 경험적 직관이나 과학적인 범주를 넘어선 형이상학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그는 이성 비판을 통해 이성의 필연적 지식이 가능한 영역과 그것을 넘어선 영역을 구분하고, 과학으로 종교를 재단하려 한다든지 아니면 종교를 가지고 과학을 지배하려 하지 말 것을 주문했다. 그런 의미에서 영성은 인간 정신의 초월이자 종교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영성을 과학의 세계 안에서 필연적으로 설명을 할 수는 없어도, 그것은 끊임없이 이성과 감성의 영역 안으로 들어와 그 세계 안에서 설명이 불가능한 것을 설명하고 그 세계 안으로 강력한 에네르기를 불어 넣을 수도 있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성령이나 종교적 부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영성 운동 같은 경우들이 그렇다.  어느 정도 신비주의의 영역에 맞닿아 있는 이런 영성이 조선사상사를 꿰뚫는 대립물의 화해와 통합의 정신에서 나타나서 끊임없이 사상의 활력을 유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오구라 교수가 영성을 강조한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나의 입장에서 볼 때 그것을 '영성'이라고 표현한 것 자체가 익숙하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영성'이란 말을 통해 오구라 교수의 취지에 충분히 공감은 하지만 그것을 좀 더 한국인들의 의식 세계를 설명하는 보편적인 언어로 바꾸면 어떨까라는 생각이다. 엄격한 의미에서 불교나 유교 그리고 현대의 기독교는 한국인들에게는 외래 사상이라고 볼 수가 있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한국인들의 무의식 세계 저변에는 동아시아의 오랜 샤만 전통이 깔려 있다.    한국인들의 무의식 속에서 이런 샤만니즘은 외래 사상을 끌어 들여 그 속에서 용해하는 거대한 용광로의 불과 같은 역할을 해왔다.
 그런 의미에서 불교와 기독교의 경우는 사먀니즘과의 친화성이 두드러져 나타나고, 엄격한 성리학적 세계관이 지배하던 조선에서도 왕실 깊숙한 세계나 기층민중의 세계에서 샤마니즘의 영향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컸다

오구라 기조 교수는 그것을 특별히 원효의 화쟁사상과 퇴계의 이발호발설, 그리고 최제우의 불연기연 사상에서 보듯 사상적인 대립을 넘어서는 초월적 정신의 수준과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그 맡바탕에 흐르는 면면한 정신은 동아시아의 샤먼적 전통 (최치원이 말한 풍월도)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영성'이란 표현보다 '샤먼'이란 표현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지만, 사상과 철학사 안으로 샤먼의 무의식을 끌어들이려고 한다면 진저리를 칠 사람이 많을 것이라는 점도 모르지는 않다. 

오구라 기조 교수의 <조선사상사>를 주마간산 격으로 읽기는 했지만 느끼는 바는 컸다. 이렇게 생각거리를 많이 주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 책의 의미가 크다.이 책을 기점으로 한국의 학자들도 사상사와 철학사의 기술에 적극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그동안 서양 사상을 수입하고 중국 사상을 반복하는 것으로도 부족해서 제 나라의 사상사를 일본 학자의 저술을 통해 배운다는 것은 학문적 자존심도 걸려 있고 학자의 입장에서도 부끄러운 일이다.


이종철의 '에세이 철학'

이종철의 '에세이 철학'
이종철의 '에세이 철학'
앞으로 네이버 스튜디오 파트너 채널을 통해 「이 종철의 ‘에세이 철학’」을 연재하고자 한다. 이 땅에서
흔히 하는 철학 활동을 보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거의 남의 철학을 소개하고 해설하고 해석하는 것들로
이루어지고 있다. 서양철학의 경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근대의 데카르트를 거쳐 영국의 경
험론이나 독일의 관념론, 그리고 20세기 들어 후썰이나 하이데거, 프랑스의 구조주의나 해체주의 계열
의 철학자들 기라성 같은 사상가들을 학습하기도 쉽지 않은데 독자적으로 해석하기는 더 어렵다. 그러
다 보니 이런 철학들을 연구하면서 자기 이야기나 철학을 이야기하기는 더 어렵다. 마찬가지로 동양철
학의 경우도 공맹과 노장 사상, 전국시대의 법가로부터 시작해서 송나라의 주희를 비롯한 신유학자들
을 연구하는 것도 벅찬데 어떻게 자기 철학을 이야기할 수 있단 말인가? 이런 사정은 한국의 사상과 철
학을 공부하는 이들도 마찬가지로 경험하고 있다. 원효와 의상의 불교 철학으로부터 조선의 뛰어난 유
학자인 퇴계와 율곡의 철학, 그리고 다산과 같은 실학자의 사상들을 연구하는 것만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과연 어떻게 나의 철학과 사상을 이야기할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철학이야말로 가장
독창적이고 주체적인 학문인데 이렇게 허구한 날 고래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남의 철학만 한다면
내가 하는 철학을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철학 활동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런 문제는 오늘날 이 땅에서
철학을 하는 연구자들이 부닥치는 공통된 딜레마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철학을 오로지 이론으로 학습을 하려 하고, 철학을 공부하는 것을 특정한 철학자들
을 연구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닐까? 철학을 나름대로 문제의식을 갖고 스스로 세운
문제들을 탐구하면서 철학을 하지 않다 보니 거의 대부분 다른 철학자들이나 사상에 의존해서만 철학
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찍이 임마누엘 칸트도 자기 수업에 들어오는 학생들을 보면서
“요즘 학생들이 철학은 많이 알고 있지만 자기 스스로 철학을 하지는 못한다(nicht philosophieren)”고
지적한 말을 귀담아 들어야 할 것이다. 과연 우리는 철학을 연구하고 해석하기만 할 뿐 자기 스스로 철
학적 사유를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진지하게 자문해보아야 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이 종철의 ‘에
세이 철학’」은 이런 딜레마적 상황에 대한 해답을 구하려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일찍이
독일의 철학자 G.W.F 헤겔은 “철학은 사유 속에 포착한 그 시대”라고 갈파한 적이 있다. 하지만 저기서
말하는 사유와 시대에 과연 나의 사유가 있고, 우리의 시대가 있을까? 영국의 경험론은 17-8세기의 영
국의 시대를 포착한 것이고, 독일 관념론은 18-9세기의 독일의 현실을 반성하면서 나온 철학이다. 20세
기 후반의 포스트 모더니즘과 해체주의는 이차 세계 대전 후 공고해진 자본주의 질서와 냉전, 그리고
6.8 혁명에 대한 반성에서 싹튼 철학이다. 이에 반해 21세기에 살아가는 한국의 어떤 철학자들도 자신
들의 시대와 현실을 반성한 적도 없고, 또 그것을 자신의 언어와 사유로 표현한 적도 없다. 그저 열심히
독일 철학과 프랑스 철학을 이야기하고, 영국 철학과 미국 철학을 이야기할 뿐이다. 정작 우리는 우리
시대와 우리 삶을 반성하지 못하고 개념적으로 포착하지도 못하다 보니 과연 한국 철학은 어디에 있는
가라는 공허한 물음만 던질 뿐이다. 앞으로 이어질 「이 종철의 ‘에세이 철학’」은 이런 근본적인 물음에
2022.05.05. 오전 12:11
이종철
8 4
이 종철의 에세이 철학 MY

이종철의 '에세이 철학'
앞으로 네이버 스튜디오 파트너 채널을 통해 「이 종철의 ‘에세이 철학’」을 연재하고자 한다. 이 땅에서
흔히 하는 철학 활동을 보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거의 남의 철학을 소개하고 해설하고 해석하는 것들로
이루어지고 있다. 서양철학의 경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근대의 데카르트를 거쳐 영국의 경
험론이나 독일의 관념론, 그리고 20세기 들어 후썰이나 하이데거, 프랑스의 구조주의나 해체주의 계열
의 철학자들 기라성 같은 사상가들을 학습하기도 쉽지 않은데 독자적으로 해석하기는 더 어렵다. 그러
다 보니 이런 철학들을 연구하면서 자기 이야기나 철학을 이야기하기는 더 어렵다. 마찬가지로 동양철
학의 경우도 공맹과 노장 사상, 전국시대의 법가로부터 시작해서 송나라의 주희를 비롯한 신유학자들
을 연구하는 것도 벅찬데 어떻게 자기 철학을 이야기할 수 있단 말인가? 이런 사정은 한국의 사상과 철
학을 공부하는 이들도 마찬가지로 경험하고 있다. 원효와 의상의 불교 철학으로부터 조선의 뛰어난 유
학자인 퇴계와 율곡의 철학, 그리고 다산과 같은 실학자의 사상들을 연구하는 것만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과연 어떻게 나의 철학과 사상을 이야기할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철학이야말로 가장
독창적이고 주체적인 학문인데 이렇게 허구한 날 고래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남의 철학만 한다면
내가 하는 철학을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철학 활동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런 문제는 오늘날 이 땅에서
철학을 하는 연구자들이 부닥치는 공통된 딜레마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철학을 오로지 이론으로 학습을 하려 하고, 철학을 공부하는 것을 특정한 철학자들
을 연구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닐까? 철학을 나름대로 문제의식을 갖고 스스로 세운
문제들을 탐구하면서 철학을 하지 않다 보니 거의 대부분 다른 철학자들이나 사상에 의존해서만 철학
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찍이 임마누엘 칸트도 자기 수업에 들어오는 학생들을 보면서
“요즘 학생들이 철학은 많이 알고 있지만 자기 스스로 철학을 하지는 못한다(nicht philosophieren)”고
지적한 말을 귀담아 들어야 할 것이다. 과연 우리는 철학을 연구하고 해석하기만 할 뿐 자기 스스로 철
학적 사유를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진지하게 자문해보아야 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이 종철의 ‘에
세이 철학’」은 이런 딜레마적 상황에 대한 해답을 구하려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일찍이
독일의 철학자 G.W.F 헤겔은 “철학은 사유 속에 포착한 그 시대”라고 갈파한 적이 있다. 하지만 저기서
말하는 사유와 시대에 과연 나의 사유가 있고, 우리의 시대가 있을까? 영국의 경험론은 17-8세기의 영
국의 시대를 포착한 것이고, 독일 관념론은 18-9세기의 독일의 현실을 반성하면서 나온 철학이다. 20세
기 후반의 포스트 모더니즘과 해체주의는 이차 세계 대전 후 공고해진 자본주의 질서와 냉전, 그리고
6.8 혁명에 대한 반성에서 싹튼 철학이다. 이에 반해 21세기에 살아가는 한국의 어떤 철학자들도 자신
들의 시대와 현실을 반성한 적도 없고, 또 그것을 자신의 언어와 사유로 표현한 적도 없다. 그저 열심히
독일 철학과 프랑스 철학을 이야기하고, 영국 철학과 미국 철학을 이야기할 뿐이다. 정작 우리는 우리
시대와 우리 삶을 반성하지 못하고 개념적으로 포착하지도 못하다 보니 과연 한국 철학은 어디에 있는
가라는 공허한 물음만 던질 뿐이다. 앞으로 이어질 「이 종철의 ‘에세이 철학’」은 이런 근본적인 물음에
2022.05.05. 오전 12:11
이종철
8 4
이 종철의 에세이 철학 MY

알라딘: 이종철 철학과 비판

알라딘: 철학과 비판
철학과 비판 - 에세이 철학의 부활을 위해 
이종철 (지은이)수류화개2021-06-01





















미리보기



9.3 100자평(3)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
무이자 할부
소득공제 900원






수량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
중고 등록알림 신청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464쪽
152*223mm (A5신)
650g
ISBN : 9791197173950

주제 분류
신간알리미 신청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출판사 제공 카드리뷰


책소개
학계의 업적평가가 이런 형태의 논문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비판적이고 자유로운 형식의 글쓰기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자기의 주장을 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권위 있는 레퍼런스를 제시하고 그 해석을 살펴야 한다. 때문에 자기 주장과 자기 언어를 말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토마스 쿤T. Kuhn이 말한 것처럼 모두가 주어진 패러다임 안에서 ‘문제풀이(Problem Solving)’에만 골몰할 뿐 도무지 다른 생각이나 시도를 하려고도 하지 않고 하기도 어렵다.

규격화와 전문화는 세계적인 추세기는 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 이런 상태에서 자유롭고 비판적인 에세이 철학이 소멸하는 것은 당연한 현실일지 모른다. 이 책은 규격화된 형태를 벗어나 철학 본래의 자유롭고 비판적인 정신을 되살리는 글쓰기를 시도하고자 한 것이다. 철학은 어떤 경우든 우리 안에 갇혀 있는 호랑이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목차


Ⅰ. 현실과 사유
1. 사유와 방법
2. 현실과 이론
3. 경험과 이론
4. 미네르바의 부엉이와 철학
5. 화이부동和而不同
6. 둘이 아니지만 하나도 아니다

Ⅱ. 배움과 탐구
1. 산수몽山水蒙
2. 호기심3. 탈레스의 별과 하녀의 웅덩이
4. 완색이유득玩索而有得
5. 음성과 문자
6. 기억과 상상
7. 《정신현상학》 강의
8. 기술공학시대의 환경윤리

Ⅲ. 글쓰기와 인문학
1. 글쓰기에 대해
2. 글쓰기와 대면더보기



책속에서


공리공담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이 말은 앞에서 말한 기계를 만지듯 생각을 하라는 말과도 통한다. 하지만 앞의 말은 방법에 비중을 두었다고 한다면 장사꾼처럼 생각을 하라는 말은 목적과 결과를 염두에 둔 것이다. 이 말은 단순히 실용주의적인 결과만 의미한 것이 아니라 사유의 현실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중략)... 장사꾼들은 언제나 현실적으로 행동한다.
- <사유와 방법> 중에서 접기
참다운 창조의 정신은 사자처럼 부정하고 비판하는 정신만으로는 안된다. 아이의 정신은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하는 것이다. 자기를 긍정하고 자기가 하는 일을 즐기는 것, 여기서 비로소 창조가 가능할 것이다. 한참을 가지고 놀다 보면 얻는 것이 있다는 ≪중용≫의 말이나 니체가 말하는 아이의 정신이나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나이를 먹어도 아이처럼 놀다 보면 늙는 것도 잊지 않을까? 신선놀음하다 보면 도끼자루 썩는 것도 모른다고 하지 않는가?
- <완색이유득玩索而有得> 중에서 접기
한국인의 의식과 삶은 한 마디로 ‘저당잡힌 의식이고 삶’이다. 한국인은 과거에 저당잡혔고 미래에 저당잡혔다. 과거에 저당잡혔다는 것은 자기 의사와 상관없이 규정되는 혈연과 지연 그리고 학연으로 묶여 있다는 의미다. 한국인이 현재를 즐기지 못하고 미래에 저당잡혔다는 것은 성취해야 할 미래의 목표, 자식들 미래의 삶이 현재를 규정하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인의 현실은 오로지 미래의 목적지를 위해 뚜벅뚜벅 걸어가는 낙타의 인종과도 같다.
- <정신의 변형과 한국인> 중에서 접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국일보
- 한국일보 2021년 6월 4일자 '새책'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21년 6월 4일 학술 새책



저자 및 역자소개
이종철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연세대 법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교원대, 숙명여대, 서울여대 등에서 강의했고, 몽골 후레 정보통신대학 한국어과 교수와 한국학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한남대 초빙교수와 연세대 인문학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브레이크 뉴스’ 논설위원과 NGO 환경단체인 ‘푸른아시아’의 홍보대사를 맡고 있다.

공저로 《철학자의 서재》, 《삐뚤빼뚤 철학하기》, 《우리와 헤겔철학》 등이 있으며, J. 이뽈리뜨의 《헤겔의 정신현상학》(1/공역, 2), A. 아인슈타인의 《나의 노년의 기록들》, S. 홀게이트의 《정신현상학 입문》, G. 루카치의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Ⅰ,Ⅱ》(2, 3, 4/공역), 《무엇이 법을 만드는가》(공역) 외 다수의 책들을 옮겼다. 접기

최근작 : <철학과 비판> … 총 11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철학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호랑이가 아니다
오늘날 학계는 A4용지 10여 장으로 규격화 그리고 전문화된 논문이 글쓰기의 정형定型이 된 지 오래다. 학계의 업적평가가 이런 형태의 논문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비판적이고 자유로운 형식의 글쓰기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자기의 주장을 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권위 있는 레퍼런스를 제시하고 그 해석을 살펴야 한다. 때문에 자기 주장과 자기 언어를 말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토마스 쿤T. Kuhn이 말한 것처럼 모두가 주어진 패러다임 안에서 ‘문제풀이(Problem Solving)’에만 골몰할 뿐 도무지 다른 생각이나 시도를 하려고도 하지 않고 하기도 어렵다.
규격화와 전문화는 세계적인 추세기는 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 이런 상태에서 자유롭고 비판적인 에세이 철학이 소멸하는 것은 당연한 현실일지 모른다. 이 책은 규격화된 형태를 벗어나 철학 본래의 자유롭고 비판적인 정신을 되살리는 글쓰기를 시도하고자 한 것이다. 철학은 어떤 경우든 우리 안에 갇혀 있는 호랑이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에세이 철학의 부활을 위해
“여기서 말하는 에세이 철학은 그저 신변잡기를 흥미 위주로 풀어낸 한국의 이상한 에세이 철학과 거리가 멀다. 과거 몽테뉴나 파스칼, 마르크스나 니체, 벤야민이나 아도르노의 에세이처럼 그리고 한국의 류영모나 함석헌의 생생한 글처럼 논문의 형식을 빌리지 않고 얼마든지 삶과 현실 그리고 시대와 역사의 문제에 대해 순수한 의미의 정신적 통찰을 보여줄 수 있는 글을 말한다. 철학이 다른 어떤 학문보다 정신적 사색과 숙고, 비판과 통찰을 중시하는 학문이라고 한다면 특정한 사상이나 레퍼런스에 의존하지 않고 글을 쓰려는 태도가 중요하다.”(-<머리말> 중) 이 책이 자유롭고 비판적인 에세이 철학의 부활을 알리는 마중물이 되어 틀에 갇힌 사유와 글쓰기에서 벗어남은 물론 철학이 강의실을 벗어나 대중과 소통하기를 기대한다. 접기

이종철 철학과 비판 에세이 철학의 부활을 위하여
 문성훈 서울여대·현대철학 승인 2021.05.30
[서평]
■ 서평_ 『철학과 비판: 에세이 철학의 부활을 위해』 (이종철 지음, 도서출판 수류화개, 464쪽, 2021.06)


대형서점에 가면 철학 코너가 있다. 칸트 책도 있고 헤겔 책도 있다. 전공자나 연구자들만 산다. 철학자들의 원전은 물론 이에 관한 연구서나 논문들은 계속 출간된다. 하지만 이를 읽는 일반 독자는 거의 없다. 학술 논문은 연구자들조차 잘 읽지 않는다. 학술 논문의 유일한 독자는 심사자라는 말도 있다. 

이와는 반대로 잘 팔리는 철학책도 있다. 이른바 대중 철학 서적이다. 철학 이론이나 개념들을 쉽게 풀어서 쓴 책들이다. 논술시험 준비로 책 좀 읽었다는 학생 중엔 철학 이론을 줄줄이 꿰고 있는 이도 있다. 그러나 대중 철학 서적을 통해 알게 된 철학은 대개 피상적이다. 철학자들의 생각이 무엇인지는 알지만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근거의 근거를 파고들지는 못한다. 그리고 철학에 대한 지식의 양은 늘지만, 그것이 사고와 행동을 바꿀 만큼 감동을 주기도 어렵다. 

1970년대 80년대까지만 해도 전공 서적도 아니고 대중 서적도 아닌 ‘에세이 철학’이 있었다. 이런 서적은 놀랍게도 대개 ‘베스트셀러’였다. 그 배후에는 김형석, 안병욱, 김태길 등 내로라하는 에세이 철학자들이 있었다. 이들의 글은 달랐다. 감동을 주고 깨우침도 주었다. 이들이 사용한 언어도 달랐다. 이들의 말은 일상어였고, 문체는 문학적이었다. 

또 다른 에세이 철학도 있다. 인간 존재와 인생의 본질에서부터 사회와 역사와 같은 무거운 주제를 다룬 철학적 에세이들이 그것이다. 서구에는 몽테뉴, 파스칼에서부터 니체, 벤야민, 아도르노 등이 있고, 우리나라엔 유영모, 함석헌도 있다. 이들의 글은 아무리 오래된 것이라도 아직도 읽히고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말과 글이 감동을 주면 평생 가슴에 남는다. 그리고 말과 글이 깨달음을 주면 우리의 의식과 행동도 바뀐다. 철학 연구자들은 연구 논문과 전문 서적을 써야 한다. 그래야 이를 쉽게 풀어쓴 대중 철학 서적도 만들어진다. 그런데 철학자가 일상의 언어로 이 세상과 삶에 대한 통찰을 직접 표현하면 어떨까?

최근 <철학과 비판>이란 책이 출간되었다. 전공 서적은 아니다. 그렇다고 대중 철학 서적인 것도 아니다. 이 책의 부제는 ‘에세이 철학의 부활을 위하여’이다. 그렇다. 이 책은 에세이 철학책이다. 그간 사라졌던 에세이 철학이 다시 나타난 것이다. 

이 책은 현실과 사유에 대해 말하고, 배움과 탐구에 관해서도 이야기한다. 그리고 철학과 철학자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고통, 폭력, 죽음의 문제도 다룬다. 물론 이런 주제를 다룬 전공 서적만이 아니라 대중 서적도 있다. 그러나 이 책은 다르다. 이 책은 유명한 철학자들의 사상을 전달하는 책이 아니다. 이 책은 저자 자신의 사색을 표현한 책이다. 이 책은 개념이나 이론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 책은 우리도 겪었을 법한 일상의 문제를 상아탑의 언어가 아닌 일상의 언어로 다룬다.

프루스트의 시 <가지 않은 길>의 한 구절이다. “숲속에 두 갈래의 길이 있었고, 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했다. 그리고 이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 이 책은 철학자들이 적게 간 길을 가려 한다. 그러나 이 책이 계기가 되고, 더 많은 사람이 이 길을 가면 철학의 많은 것들이 달라질지도 모른다.


문성훈 서울여대·현대철학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 철학과에서 악셀 호네트 교수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여대 기초교육원 현대철학 담당 교수로 재직 중이며, 『베스텐트 한국판』 책임편집자, 철학연구회 연구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미셸 푸코의 비판적 존재론』, 『인정의 시대』, 공저로는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홉스에서 마르크스까지』,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포스트모던의 테제들』, 『현대정치철학의 테제들』, 『현대페미니즘의 테제들』이 있고, 역서로는 『사회주의 재발명』, 공역서로는 『정의의 타자』 『인정투쟁』 『분배냐, 인정이냐?』 등이 있다.

저작권자 © 대학지성 In&Ou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성훈 서울여대·현대철학
문성훈 서울여대·현대철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