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11

[[20 Gerry Yokota - One Quaker’s Journey in Japan

One Quaker’s Journey in Japan – Gerry Yokota – November 28, 2020 – FWCCAWPS

One Quaker’s Journey in Japan – Gerry Yokota – November 28, 2020
Home/Educational Materials, Epistles and Reports, Recent Events, Uncategorized/One Quaker’s Journey in Japan – Gerry Yokota – November 28, 2020
--
What Is Mine To Do?
One Quaker’s Journey in Japan
Gerry Yokota
Osaka Monthly Meeting, Japan Yearly Meeting
(FWCC Asia West Pacific Section)
for FWCC Quaker Conversation #6
November 28, 202

I am an American Quaker who has been living in Japan permanently since 1992. I am not a birthright Quaker. I only attended my first Friends Meeting in the U.S. in the early nineties, when I was in my thirties, and I joined Japan Yearly Meeting soon after moving to Japan the following year.

I have just retired from my thirty-year career at Osaka University and now teach half-time at a private university that fortunately has a later retirement age than the national universities do. I now serve as Clerk of Osaka Monthly Meeting and in various capacities at the Yearly Meeting level, as well as recently accepting a very modest role in AWPS.

Japan Yearly Meeting is a very small Yearly Meeting. Only 1% of the population of the whole country of Japan is Christian, and so we are a tiny minority within a minority. But the spirit is strong! Through this essay, which was first delivered in a webinar for the FWCC World Office in conjunction with AWPS, I would like to share with you just a glimpse of how that strong, strong spirit has sustained me for these past three decades living and working in a country where the culture is deceptively similar in many ways, but subtly different in many other ways.

Over the years, I have taught various courses at various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s, and the approach I have found most helpful to bridge those various levels and topics has been a cognitive linguistic framework, raising awareness about how we form our perceptions of others, especially others from different cultures; how awareness of our implicit biases can help us minimize their negative effect on the way we treat our fellow human beings; how it can help us be better global citizens; and especially how metaphors can be used effectively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y practice as a teacher is based on GC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promoted by UNESCO. Today I will mainly share how Japan Yearly Meeting sustains my endeavor to discern What Is Mine To Do, to most respectfully and lovingly contribute to the opening of minds, including my own, to these principles.

Target 4.7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4 on Education) basically reiterates the principles of GCED. It especially calls on countries to ensure “that all learners are provided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including education for human rights, gender equality, promotion of a culture of peace and non-violence, global citizenship and appreciation of cultural diversity.” I am fortunate to be working with learners at a sufficiently high level that I can use authentic materials with them rather than being restricted to a commercial or designated textbook, and so we take the SDGs themselves as our starting point, and the course culminates in a symposium designed by the students themselves, where they choose which SDGs they want to focus on.

One of the most popular options they often take me up on is to design their own original SDG campaign. And as training to prepare for such a project, our long 90-minute classes always include a stretch break where everyone stands up and stretches or sometimes even dances while listening to music. This was especially important last semester when we were completely online, sitting in front of a computer for hours every day. I try to select music to fit the SDG themes they have chosen to focus on for their symposium, and we talk about how art and music might be effectively incorporated into an SDG campaign. I always share the lyrics to these songs, at first providing commentary and an introductory lecture on cognitive metaphors. Later, the students also do their own metaphor spotting exercise and share the images and symbols they find in their own favorite songs, and we talk about how sharing music can be an effective aid in genera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well as SDG campaigns.

So how does Japan Yearly Meeting support me in such educational endeavors? Well, first with their infinite patience for my idiosyncrasies! For example, I rarely offer vocal ministry in Meeting for Worship, but when I do, it’s usually song. Several members of Japan Yearly Meeting also share my love of traditional Japanese drama, the masked Noh drama. That art, like many of the traditional Japanese arts such as the tea ceremony, flower arrangement, and calligraphy, is based on an exquisite sensitivity to the meaning of space and silence—between words, between notes of music, between brush strokes in a painting.
 
That aesthetic philosophy, like the use of metaphor in communication, has a particular affinity with the Quaker appreciation for silence, especially being comfortable with long pauses that allow time for choosing the right words.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o be comfortable with silence when someone is struggling to translate their thoughts into another language. And so it seems to me that Japanese Quakers have an enhanced appreciation for the value of the quiet pause. And it is due to that appreciation, I believe, that they also know the great joy to be found in overcoming such barriers, the joy of a breakthrough in communication, the gratitude for the mutual effort to patiently bridge the gap.

Indeed, some of the sweetest moments I have known in my fellowship with Japanese Quakers are the moments when we shared our favorite hymns. So today I’d like to tell you a little story about one precious lesson I learned from Japanese Friends through such an experience.

Many Friends here today may be familiar with the old Christian hymn, “This Is My Father’s World.” This hymn also appears in Japanese translation in the standard Christian hymnbook used in Japan Yearly Meeting, and some of my dear Japanese Friends have lovingly remembered to this day the joy I expressed years ago when I first discovered that they knew one of my old favorites. The first time we made this discovery, we thoroughly enjoyed the pleasure of comparing the original English lyrics with the Japanese translation. It was fascinating to discover what is lost and found in translation—what is often found in the gaps, in the silence between the words and the notes, where way so often opens. One revelation I especially remember is learning that the phrase “All nature sings and ‘round me rings the music of the spheres” is translated into Japanese as “Heaven and Earth exchange song.”

This translation made me realize that the original English hymn is very anthropocentric! The knowing human subject on Earth is at the center: “round me rings.” Heaven revolves around me. The Cartesian human subject observes natural objects. Whereas in the Japanese translation, the elements are in more harmonious balance.

After that pleasant enlightening experience, I should have learned my lesson. But, to my chagrin, I must honestly report that I am still constantly tempted to place myself at the center of things, as my white privilege so easily allows me to do with impunity. For example, after that experience, I was tempted to search through my English and Japanese hymnals for similar examples, and to ask my Japanese Friends to sing more of the hymns that were familiar to me.

But through a series of wonderful learning experiences,* I have come to realize that was not the best way to promote egalitarian relationships in a diverse community. Why? Because that would have been placing myself at the center again, asking them to accommodate my language, my culture, at the sacrifice of their own. In selfish moments I must confess I have even sometimes sulked a bit—silently, of course!—when they chose to sing an original Japanese hymn that I didn’t know and could not easily sing along with. 

Which brings me to my main point about how Japan Yearly Meeting has sustained me in my quest to discern What Is Mine To Do—as a teacher, as a global citizen, and as a Friend. The short answer is that they keep me humble with their humble example, demonstrating how well they know when to decenter themselves 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le yet staying firmly grounded in their faith.

Now, one might say geography plays no small part in their cultivation of this wisdom, on this tiny archipelago, not so much centered as stuck in the middle between all these giant continental powers like China and Russia to the west and the U.S. to the east. There is also their war experience, which is rooted in that political constellation. Reasons are no doubt complex. But the result is that, ultimately, they remind me that my temptation to cling to my self-centered attitude, expecting to be accommodated, forever treated as a guest rather than as a member of the family with family duties and responsibilities, no doubt has roots in American cultural imperialism.

So this is just one of the many lessons I have learned from my dear Japanese Friends that I feel most moved to share with Friends around the world through this essay. It’s one which I think may be applicable to many of our intercultural encounters in FWCC. 
That is to say, when we talk about our spiritual practice, we often speak of centering as a positive discipline. At the spiritual level, certainly, yes. But I believe we must distinguish between centering as a spiritual practice and feeling comfortable in the center of the unjust system of white supremacy that functions as the central norm in too many places around the world, a system that is too comfortable for too many of us than we should ever allow it to be. And we must be ever vigilant to avoid equating peace with our personal comfort in that unjust system.

The humble attitude of Japanese Quakers toward both nature and their place in international human society has taught me much about 
how being centered spiritually but decentered in terms of my perspective on my place in the world can paradoxically lead me to be better grounded in my faith, more faithful to the Quaker testimony to equality. 
It is that attitude that the members of Japan Yearly Meeting model so beautifully for me, and I wish all Friends around the world 
the joy of discovering how this model might help you discern What Is Yours To Do.

*I trace this line of enlightening experiences back to an anthology of essays by feminist philosophers such as Uma Narayan and Patricia Hill Collins called Decentering the Center: Philosophy for a Multicultural, Postcolonial, and Feminist World(2000), which I used as the text in my graduate seminar on gender theory for several years. But it has been a constant struggle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 main activities that have helped me integrate the two over the years are my work with 
  1. the Asian-American student movement, 
  2. the anti-apartheid movement, 
  3. the Mixed Roots community in Japan, and currently 
  4. the American anti-racist movement
especially reading Tracy Brown’s book Mine To Do and participating in her Facebook group and online courses.

---

By Ronis Chapman|May 10th, 2021|Educational Materials, Epistles and Reports, Recent Events, Uncategorized|0 Comments
Share This Story, Choose Your Platform!
FacebookTwitterLinkedInRedditGoogle+TumblrPinterestVkEmail

도올 김용옥 | 배우 윤여정과 홍상수 감독 영화에 출연했던 과거 이야기 | 동경대전의 의미 | 한민족 정체성


민중을 위한, 민중에 의한, 민중의 정부가 아니고,
민중을 위한 신, 민중의 의한 신, 민중의 신
하늘하고 땅의 차이

Gerry Yokota the online Gathering of AWPS

(1) Sejin Pak | Facebook

Last weekend I participated in the online Gathering of AWPS, the Asia West Pacific Section of FWCC, the Friends (Quaker)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Here are just a few of the many inspiring highlights.
--
First, in his plenary talk, our representative to the UN reminded us of the principle of speaking from the heart. In the light of the Scripture that was the theme of our Gathering,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Luke 10), as I pondered what it means to be a good neighbor, I adapted that phrase to ponder also *acting* from the heart.
Second, the same Friend spoke of being aware of the seeds of war and injustice in our own actions, not just pointing fingers as if we soi-disant pacifists share no responsibility or blame. I was compelled to reflect on my tendency to identify with the Good Samaritan in terms of ideals, when my actual behavior may be closer to the priest and the Levite who cross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ad to avoid getting involved. I pray to achieve integrity of ideal and reality, word and deed.
Next, our Incoming Secretary shared his thoughts in his plenary talk about how the legalistic mind tries to divide people into insiders and outsiders. If I do not identify with the nameless traveler who was attacked by robbers, why not? Could it be a sign that I am too comfortable?
This led me back to another Friend's comment on the conflicts over access to vaccines (and, I would add, oxygen). Here I was compelled to also think about the stories I have heard about places where vaccines and oxygen are being hoarded rather than being shared, especially Myanmar. Or even worse, have been hoarded only to be discarded, as I hear is happening in the U.S.
In her concluding comments, our Outgoing Secretary echoed a line from the writings of Rufus Jones that was also quoted in the opening plenary:
"I pin my hopes to quiet processes and small circles in which vital and transforming events take place."
When asked how people here in Japan feel about the missiles launched over Japan by North Korea, I did not feel I could claim to speak for everyone, but I recalled one "vital and transforming event" that happened "quietly" in a "small circle" in Tokyo last year, when Quakers learned that the masks that had been distributed to schools nationwide had not been distributed to the ethnic Korean schools. These Quakers didn't just protest. They took it upon themselves to send a supply directly to the schools.
May be an image of flower
19
3 shares
Like
Comment
Share

[김조년] 차렷! < 칼럼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차렷! < 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금강일보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차렷!
기자명 금강일보   입력 2021.08.09 
 
한남대 명예교수

[금강일보] ‘차렷’이란 말을 처음 듣고 내 몸으로 실천해 본 적이 언제였을까? 아마도 6·25 전쟁이 끝나갈 무렵, 아니면 1·4 후퇴 때 겨울이지 않을까 싶다.

그 때 우리 마을에 한 국군 부대가 들어왔다. 겨울이었다. 그들은 각 집에 분산되어 숙소를 정하고,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동네 앞 꽁꽁 언 평평한 논에 모여 아침 체조를 하였다. 노래도 우렁차게 불렀다. 그 때 들은 구령이 ‘차렷’이요 ‘열중 쉬어’였다. 군인들은 그 구령에 맞추어 양 다리를 모으고, 손을 양 다리 옆으로 내려 꼿꼿이 서기도 하고, 다리를 벌리고 양 손을 뒤로하여 허리에 대는 행동을 했다. 그런 모습을 본 우리 어린애들은 자기 집에서 그것을 흉내내며 놀기도 하였을 것이다. 그러다가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앞으로 나란히’ ‘차렷’ ‘경례’ ‘열중 쉬어’라는 구령을 선생님들로부터 듣고 우리도 따라 했었다. 그러면서도 그 뜻이 무엇인지 나는 깨닫지를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세월이 지나 군대에 입대하였다. 그 때 하루에도 몇 수십 번씩 그 구령을 듣고 살았다. 쉬어자세는 쉬는 것이 아니고, 차렷자세는 가만히 서 있는 것만이 아님을 알았다. 차렷자세는 모든 행동의 근본이었다. 그것은 몸과 맘과 정신을 오로지 하여야 하는 자세였다. 힘을 꽉 주는 자세이면서 아무 것도 채워지지 않은 텅 빈 자세였다. 비운다고 흐느적거리는 것이 아니고, 꽉 채운다고 굳어 있는 것은 아니었다. 어떤 명령이 떨어져도 즉각 수행하여야 하는 유연한 자세이면서, 어떤 도전이 와도 금방 올바른 대응을 하고 반응을 할 수 있는 굳건한 자세였다. 그러니까 차렷자세는 꽉 찬 듯 비어 있고, 비어 있는 듯 꽉 찬 자세였다. 힘이 들어가고 빠지는 아주 예민한 경계선에 선 자세가 바로 그것이었다.

최근 여러 날 진행된 도쿄올림픽 경기 몇 종목을 보았다. 모든 경기 종목에서 나는 ‘차렷’과 ‘쉬어’가 모든 동작에서 반복되는 것을 보았다. 달리기에서 출발선에 설 때, 배구나 탁구 또는 배드민턴에서 서브하고 받을 때, 펜싱이나 양궁 또는 장대높이뛰기 할 때 모든 선수들은 한결같이 숨을 고르고 몸을 다듬고 가장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하는 것을 보았다.

공격하거나 방어할 때도, 달리고 뛰는 모든 순간과 자세에서 차렷과 쉬어의 자세를 반복하는 것을 보았다. 자신들이 실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모든 힘을 집중하면서 비워주는 차렷자세가 온갖 곳에 다 있는 것을 보았다. 그러니까 상당히 오래도록 훈련하고 연마한 모든 기술이 제대로 발휘되도록 하기 위한 자세는 바로 차렷자세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 순간에는 모든 선수들이 다른 어떤 생각을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오로지 출발할 때의 그 순간을 어떻게 채움과 비움의 조화를 최상으로 할 것인가에 집중하는 듯이 보인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공격과 방어가 모두 같다. 결국 그때까지 갈고 닦은 기술의 성공과 실패는 차렷자세에서 갈린다고 보았다.


이런 것을 생각하면서 나는 내 삶과 우리 사회의 공동생활을 떠올렸다. 내가 잘 걸으려면 일단 잘 서야 한다. 빨리 뛰고 멀리 뛰거나 높이 뛰려면 걷는 것부터 배워야 한다. 학교에서나 군대에서 왜 그토록 열심히 서는 것을 기초로 닦게 했던 것을 알 수가 있다. 바로 선다는 것은 무념무상의 상태를 유지하는 일이다. 그 상태에서라야 읽고 쓰고 분석하고 판단하며 종합할 수가 있다. 그림을 그리고 어떤 상을 조각하는 것이나, 글씨를 쓰고 악기를 연주하는 것에서 차렷과 쉬어는 가장 기본 되는 자세다. 곧 무념무상의 상태에 들어가라는 명령이다.

이러한 자세는 일상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절대로 필요한 일이다. 물론 사회를 위한다거나 나라를 위한다고 나서는 사람들은 더욱 더 이 문제에 조심해야 할 일이다. 자기를 과신해도 안 되지만, 자기를 너무 비굴하게 낮추어 자신감이 없게 보아도 안 된다.

또 자신을 높이기 위하여 남을 깎아 내리는 가장 비굴하고 비겁하고 쪼잔한 일을 하는 것은 더욱 아니다. 지금 대통령이 되겠다고 나선 사람들이 자기를 지지하는 사람들을 모으려고 온갖 수단을 다 쓴다. 이 때 필요한 것이 차렷자세다. 무념무상, 비움과 채움의 경계선에 자신을 세우고, 이제까지 살아왔던 모든 자기의 삶과 사회와의 관계를 아주 날카롭게 분석해 보아야 한다.

그러면서 자신이 정말로 개인과 사회 전체, 순간과 역사, 물질과 정신을 살릴 수 있는 삶을 이제까지 살아왔으며, 그것을 기초로 모든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이런 것을 살필 때 역시 차렷자세가 필요하다.

인간은 누구나 깨끗하고 더러운 것을 함께 가지고 있다. 그러니 남의 더러움을 너무 아프게 파헤치지 말라. 그런 것을 보고 잘한다고 박수하며 지지할 사람은 없다. 그 대신 자신이 어떻게 자기를 갈고 닦았는가를 정성스럽게 내보이라. 겸손한 자세로 시민과 어떻게 앞으로를 일구어나가겠다는 것을 밝혀라. 일반 시민들은 정치하겠다고 나섰거나 이제까지 높은 관직이나 정치일선에서 일한 사람들을 다 똑똑하고 맑고 깨끗하고 믿을 만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어쩔 수 없으니 저렇게 나선 사람들 중에서 그래도 좀 덜 한 이를 뽑겠다고 생각하고 마지못해 표를 주는 이가 많을 뿐이다. 그러니 잘났다고 껍적거리지 말고 맘을 오로지하여 차렷자세로 돌아가라. 언제나 시민은 그런 자세를 가진 자를 차렷자세를 가지고 살피고 찾는다. 아니지. 시민들이야말로 누구에게 지지 않게 차렷자세로, 무념무상의 상태에서 아주 냉철하게 후보를 살펴야 한다. 경거망동, 부화뇌동은 금물이다. 시민이 차렷하고 설 때 나라와 사회는 자연스럽게 아름답게 될 것이다.


양심수 없는 나라야말로 진짜 선진국이다 : 박노자칼럼

양심수 없는 나라야말로 진짜 선진국이다 : 칼럼 : 사설.칼럼 : 뉴스 : 한겨레:


양심수 없는 나라야말로 진짜 선진국이다

등록 :2021-08-10

만약 국가가 ‘무장투쟁’을 주장했던 1970~80년대 마오주의자들을 탄압하여 양심수들을 양산했다면, 과연 오늘날 그들은 이와 같은 생산적이며 사회적으로 매우 필요한 역할들을 맡을 수 있었을까? 결국 정치적 소수에 대한 톨레랑스는 끝에 가서 노르웨이 사회와 문화, 정치를 더 풍요롭게 만든 셈이다.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요즘 한국은 잔칫날 기분이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한국을 ‘선진국’으로 인정했기 때문이다. 사실 굳이 이 발표가 없어도 세계체제론적 차원에서 한국이 이미 준핵심부가 아닌 핵심부 국가가 되었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구매력 기준으로 계산된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이미 일본을 추월해 유럽연합의 평균과 비슷해졌을 뿐만 아니라, 한국은 자본의 수입국에서 수입국이자 수출국이 되었다. 지금도 국내 은행업 등 금융계에서 외국 자본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동시에 삼성 같은 국내 대기업들의 현지 법인은 예컨대 베트남 수출액의 3분의 1이나 생산하고 현지에서 15만명 이상을 고용하는 등 동남아시아와 같은 주변부 지역에서 ‘지배자’로 군림한다. 자국 경제 영토의 해외로의 확장이야말로 핵심부 국가들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데, 그런 의미에서는 한국도 그 그룹에 속한다는 데에 이의를 제기할 수는 없다.

그러나 마냥 기뻐만 하기 전에 한번 생각해보자. 세계체제론 차원의 ‘핵심부 국가’나 유엔무역개발회의가 말하는 ‘선진국’은 순전히 경제력에 대한 평가일 뿐이다. 이 평가는 해당 국가의 사회나 정치 등과 무관하다. 단지 세계 경제의 ‘먹이사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이야기할 뿐이다. 흑인들에게 사실상 시민권을 불허했던 1950년대 미국이나, 재일 조선인들을 ‘비국민’으로 취급했던 고속 성장 시대의 일본 역시 핵심부 국가였다. 1년에 경찰이 약 1천명의 시민을 사살하는 미국도, 경찰들도 무기를 평상시에 휴대하지 않는 노르웨이도 경제적으로 똑같이 핵심부에 속한다. 그런데 그들의 사회적 일상은 서로 판이하게 다른 것이다. 한국의 일반에서 쓰이는 ‘선진국’이라는 명칭은, 짐작건대 무장한 경찰들이 소수자들을 언제든지 사살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회라기보다는, 차라리 일상이 비폭력화되어 있는 북유럽의 복지국가 같은 곳을 의미할 것이다. 일상 언어에서 사용되는 ‘선진국’이란 단어는, 경제적 범주의 용어라기보다는 ‘바람직한 사회’의 의미가 더 강하기 때문이다. 즉, ‘우리가 살았으면 하는’ 사회를 뜻하는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우리는 아직 샴페인을 마시고 자축하기에는 이르다. 일상이 비폭력화되어 있고 평화롭고 안정적인 북유럽 복지사회의 가장 핵심적인 특징은 이념이나 사회·문화적 ‘톨레랑스’이기 때문이다. ‘톨레랑스’는 종족적 내지 종교, 생활, 문화적 소수자에 대한 ‘관용’을 의미하며, 무엇보다 특히 이념적 내지 정치적 소수 의견, 조직에 대한 존중을 의미한다. 하지만 양심수가 여전히 감옥에 갇혀 있는 한국과 같은 나라를 ‘톨레랑스의 나라’로 여기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하다. 이 차원에서 한국과 북유럽이 얼마나 다른가를, 내가 노르웨이에서 속해 있는 정당 이야기를 하면서 설명해보고자 한다.

나는 한국에서는 노동당 소속이지만, 노르웨이에서는 이와 동시에 적색당의 지역위원회에서 활동한다. 적색당은 2007년에 창당된 급진 좌파 정당으로, 현재 지지율은 6% 정도 된다. 국회의원은 아직 1명이지만, 곧 2~3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즉, 현재로서 전형적인 의회주의 좌파 정당이다. 그러나 본래 적색당의 모체는 노르웨이의 노동자 공산당(1973년 창당), 즉 노르웨이의 마오주의 운동이었다. 노동자 공산당의 전성기에 그 당의 정식 당원은 3400명 정도였지만, 마오주의자의 전체 수는 약 2만명으로 추산되어 유럽 최강의 마오주의 운동이었다. 노르웨이의 마오주의자들은 의회주의 전략을 부정하면서 무장혁명과 무산계급의 독재 정권을 지향했다. ‘무장혁명을 준비한다’는 말을 대놓고 당 강령에 쓰기도 하고, 기관지인 <계급투쟁>(Klassekampen)에도 거의 매호 ‘무장투쟁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당의 출판사인 ‘시월사’(Oktober)에서 스탈린과 마오의 저서를 번역해 지속적으로 출간했다. “제3세계를 착취하는 제1세계”에 속한다는 것에 엄청난 자책감을 느꼈던 노르웨이의 마오주의자들은, 제3세계 민중을 자본의 속박으로부터 해방시킬 세계 혁명을 노르웨이에서 일으키려 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소련과 국경을 접하며 냉전의 최전선에 선 노르웨이의 국가는 이 운동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물론 마오주의자들을 비밀리에 감시하긴 했다. 한데 마오주의자들이 실질적인 ‘폭력’을 행사하지 않는 이상 국가 역시 그들을 탄압할 생각은 안 했다. ‘무장혁명’에 대한 이야기는 ‘표현의 자유’ 차원에서 관용되며, 노동자 공산당은 여느 정당처럼 합법적 활동을 마음껏 할 수 있었다. 결국 중국의 자본화와 소련의 몰락으로 ‘무산계급 독재’에 대한 이야기는 저절로 족적을 감추게 되고 당은 1990년대 초부터 여성주의와 환경운동, 반전평화로 활동의 초점을 바꾸었다. 오늘날 그 후속 정당인 적색당은 복지국가 노르웨이의 자본이 외국에서 착취하는 현지 노동자나 노르웨이에서 고생하는 외국인 노동자의 권익을 옹호하고 복지시설의 민영화를 반대하며 노르웨이 군대의 아프가니스탄 파병 같은 해외 파병에 맞서 싸운다. 대표적인 기후정의 옹호와 군사주의, 신자유주의 반대의 정당이 된 것이다. <계급투쟁>은 노르웨이 지식인이면 꼭 봐야 할 ‘지식인 신문’이 되었고, ‘시월사’는 노르웨이 시, 소설 문학의 가장 우량한 출판사가 되었다. 만약 국가가 ‘무장투쟁’을 주장했던 1970~80년대 마오주의자들을 탄압하여 양심수들을 양산했다면, 과연 오늘날 그들은 이와 같은 생산적이며 사회적으로 매우 필요한 역할들을 맡을 수 있었을까? 결국 정치적 소수에 대한 톨레랑스는 끝에 가서 노르웨이 사회와 문화, 정치를 더 풍요롭게 만든 셈이다.

북유럽의 어느 선진국에서도 지금 8년째 옥고를 치르고 있는 이석기 전 의원의 투옥과 같은 상황을, 죽었다 깨어나도 도저히 ‘상상’할 수 없다. 이석기 전 의원의 유죄 판결의 근거가 된 그 ‘90분 연설’에 설령 다소 과격한 언사들이 포함되어 있었어도 그 어떤 ‘선진국’도 (특정 종족 등을 겨냥하는 혐오 표현이나 구체적인 특정인을 위협하는 협박, 아니면 모욕이나 명예훼손 등을 제외한) ‘언어’ 그 자체를 처벌하지는 않는다. 소수 의견을 표현할 자유가 있어야, 다양성을 자랑하는 진정한 민주 사회가 만들어진다. 이석기 전 의원이 사면, 석방되어야 우리 사회가 톨레랑스가 있는 진정한 사회·정치적인 선진국이 되는 길목에 들어설 수 있을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양심수 없는 나라, 모든 의견이 존중받는 선진국을 함께 만들어나가자는 의미에서 이번 광복절 특사에 이석기 전 의원을 포함시키기를, 간절히 희망한다.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한국학


연재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양심수 없는 나라야말로 진짜 선진국이다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한-미 동맹, 정말 문제없을까?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동포’들을 차별하는 나라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일본, 대한민국의 반면교사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직장 회식, 복종의 의례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07137.html?fbclid=IwAR2XkOWAqk_5ZNY5qU5BiD_rvcpQeBWUG0PCEPH6gsAetEoq2M5PoXFoLs4#csidxdd2761954bd8dcdbe8c12964bb964d6

안양대 ‘동서교류문헌총서’ 제1권 『신편천주실록 라틴어본·중국어본 역주』간행 “세계 최초로 완역 주해” - 교수신문

안양대 ‘동서교류문헌총서’ 제1권 『신편천주실록 라틴어본·중국어본 역주』간행 “세계 최초로 완역 주해” - 교수신문


안양대 ‘동서교류문헌총서’ 제1권 『신편천주실록 라틴어본·중국어본 역주』간행 “세계 최초로 완역 주해”

하영 기자
승인 2021.08.09

안양대(총장 박노준)가 신학연구소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에서 ‘동서교류문헌총서’ 제1권『신편천주실록 라틴어본·중국어본 역주』(미켈레 루제리 지음, 곽문석·김석주·서원모·최정연 번역 및 주해)를 간행했다고 9일 밝혔다.
제 1 권 신편천주실록 저서 이미지

‘안양대 신학연구소 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은 그동안 소외되었던 연구 분야인 동서교류문헌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가운데 연구자들의 개별 전공 영역을 뛰어넘어 문학·역사·철학·종교를 아우르는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동서교류문헌총서’는 동서교류에 관한 분야별 주요 원전을 선정한 후 공동강독회와 콜로키움, 학술대회 등을 거치며 번역 및 주해 작업을 정교하게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그 결과물을 원문 대역 역주본으로 출간한다.

제1권 『신편천주실록 라틴어본·중국어본 역주』는 명말청초 예수회 동서교류문헌 중 최초의 “서학서”이며 최초의 중국어본 “교리교육서”인 미켈레 루제리(Michele Ruggieri, 羅明堅, (1543~1607)의 『신편천주실록』(新編天主實錄)(1584)과 라틴어 저본인 Vera et Brevis Divinarum Rerum Expositio(1582)을 세계 최초로 완역 주해한 것이다.

400여년 동안 잊혀진 『신편천주실록』은 그것 자체의 번역 소개만으로도 의미가 있지만, 이 책이 마테오 리치 (Matteo Ricci, 利瑪竇, 1552-1610)의 『천주실의』(天主實義)(1603)의 모체라는 면에서 더욱 중요하다 하겠다. 이를 통해 미켈레 루제리와 마테오 리치의 관계 및 『천주실의』연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는 일념으로 중국어 판본 중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사본인 로마 예수회본부 고문헌자료실 소장본 ARSI Japonica-Sinica I, 190(1584)을 비교·번역·주해하였고
‘I, 190’의 교감본인 ‘I, 189’와의 차이, 더 나아가 마테오 리치가 주도한 『신편천주실록』의 개정 본인 『천주성교실록』(1637)에서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미켈레 루제리는 중국 본토 선교를 시작한 최초의 선교사라고 말할 수 있는데, 그의 중국 선교는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利瑪竇, 1552-1610)와 비교해서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것은 그가 중국에서 9년 정도만 활동하였고 그에 대한 기록이 지금까지도 제대로 연구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그가 최초의 “서학서”이며 최초의 중국어본 “교리교육서”인 『신편천주실록』을 저술하였는데, 이것 역시 여러 이유로 잊혔으며, 그의 사후 보유론적 관점에서 몇 차례에 걸쳐 수정·보완된 다음 최종 간행된 것이『천주성교실록』이다. 그는 본래 라틴어로 교리교육서를 작성한 다음 번역하여 중국어본을 출판하였다. 이러한 까닭에 『신편천주실록』에는 라틴어 저본이 존재한다.

미켈레 루제리가 중국 선교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가고 마테오 리치가 중국 선교의 수장이 될 무렵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보전하는 새로운 선교 전략이 확립되었다. 그 결과 불교 용어를 활용하였던『신편천주실록』은 외면당하고 목판까지 폐기되는 수모를 당하였으며, 마침내 『천주실의』가 출판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하지만『천주실의』가 『신편천주실록』의 일부 본문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편천주실록』은 『천주실의』의 모체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천주실의』를 비롯한 이후의 서학서들이 “천주”라고 번역한 서양의 신명 Deus를 계승하였다는 점에서 『신편천주실록』은 예수회 선교의 초석을 마련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동서교류문헌총서’는 2021년 9월경 제2권 『천주강생출상경해 라틴어본⸱중국어본 역주』와 제3권 『나달의 복음서 도해집 역주』를 출간하여 명말청초 동서문헌교류에 있어서 유럽에서 아시아로의 종교 및 문명 교류에 대한 기본 문헌을 소개한 다음, 이런 교류를 경험한 아시아인의 눈으로 목격한 유럽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한 제4권 곽승도의 『사서기정 역주』를 출간할 예정이다.

안양대는 지난 2019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에 선정된 뒤 ‘동서교류문헌 연구: 텍스트의 축적’ 주제의 연구를 통해 동서교류문헌을 주제별, 시대별, 언어별로 분류하고 조사하여 축적하고, 이를 통합하여 비교하며, 다시 주제·시대·언어를 뛰어넘어 이미 잘 알려진 동서교류문헌의 연구들로 연결·확장 시키고 있다.


 

2021/08/10

신동흔 - 나의 몸 나의 마음, 어디까지가 진짜 나인가 : 휴심정

나의 몸 나의 마음, 어디까지가 진짜 나인가 : 벗님글방 : 휴심정 : 뉴스 : 한겨레

나의 몸 나의 마음, 어디까지가 진짜 나인가

등록 :2021-08-10 

신동흔의 신화와 치유2
인간 탄생 신화에 담긴 존재의 비밀



신의 피조물 , 한 줌 흙으로 빚어진



태초의 혼돈이 나뉘고 걷히면서 , 또는 태초의 알이 깨지고 바다가 속내를 드러내면서 세상이 창조됐다고 한다 . 또는 무정형으로 도사리고 있던 대극 ( 對極 )의 기운이 만나서 부딪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됐다고 한다 . 그 세계에 자리 잡게 된 만물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존재 , 바로 인간이다 . 인간이 만들어낸 신화가 인간에 대해 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



인간은 처음 어떻게 생겨나서 세상에 존재하게 됐을까 ? 이 원형적 질문에 대해 세계의 신화는 가지각색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한다 . 구체적인 사연은 다르지만 그 바탕에는 서로 통하는 사유가 있다 . 첫손에 꼽을 사항은 인간의 탄생이 신 ( 神 )의 작용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 신들이 직접 나서서 인간을 빚기도 하며 , 신의 뜻에 의해 인간이 태어나기도 한다 . 예외는 거의 없다 .



많은 신화는 모든 생명 가운데 인간을 특별하게 여긴다 . 히브리 창세기에서 야훼는 엿새에 걸쳐 세상 만물을 창조한 뒤 마지막 날 자기자신을 닮은 존재로서 인간을 만들었다고 한다 . 뭇 짐승들을 다스릴 권능을 부여하면서 . 창세기만이 아니다 . 중국신화도 창조여신 여와가 자신을 닮은 존재로서 인간을 창조했다고 한다 . 그리스 신화는 어떠한가 . 프로메테우스가 정성껏 빚은 인간의 육체에 지혜의 여신 아테나가 영혼을 불어넣었다고 한다 . 하늘과 땅 사이의 특별한 존재 . 존귀한 신의 분신 ( 分身 ). 그것이 대다수 신화가 말하는 인간의 자기인식이다 . 또는 원형적 자기서사다 .




하지만 인간은 , 신과 닮았을지 몰라도 , 그 자체 신은 아니다 . 인간은 물적인 존재다 . 구체적으로 , 어떤 물질성일까 ? 인간이 처음에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의 문제인데 , 신화들이 전하는 답이 흥미롭다 . 돌 , 나무 , 뼈 , 흙 , 밀랍 , 옥수수 , 버섯 , 눈 [ 雪 ], 그리고 신의 눈물이나 배설물에 이르기까지 , 인간의 재료가 된 물질이 꽤나 다양하다 . 신의 배설물이라니 무슨 일인가 싶지만 , 인도신화에서 그것을 정액 ( 精液 )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보면서 고개를 끄덕인다 . 그 또한 인간이 신의 자손이라는 뜻일 테니까 .



여러 물질 가운데 단연 주목할 것은 바로 ‘흙 ’이다 . 세계의 많은 신화들은 신이 흙으로 인간을 빚었다고 말한다 . 히브리 창세기나 중국의 여와 신화 , 그리스 신화가 그러하며 , 수메르 신화와 아프리카 요루바족 신화 , 알타이와 몽골신화 등에서도 인간이 점토나 진흙으로 만들어졌다고 전한다 . 한국 구전신화 <셍굿 >에도 황토를 모아서 인간 남녀를 만드는 내용이 담겨 있다 .



인간이 본래 흙으로 만들어졌다는 데는 우리의 존재적 정체성에 대한 원초적 사유가 담겨 있다 . 인간이란 본래 흙에서 왔다가 흙으로 돌아간다는 것 ! 우리가 사는 것은 결국 땅 위에서다 . 땅에서 나는 것을 먹으며 , 먹은 것을 다시 땅으로 돌려보낸다 . 무엇보다도 , 우리는 죽으면 땅으로 돌아간다 . 돌아가는 곳이 땅이니 , 유래한 곳 또한 땅일 것이다 .



그 신화적 서사를 나의 존재적 속성으로 사유해 본다 . 지금 이렇게 움직이는 나의 몸이 , 내가 애지중지하는 이 신체가 사실은 진흙이고 황토라는 것 . 모기에 물려 가려운 나의 팔 , 땀이 배어 나오려는 목덜미 , 작은 지끈거림이 시작되는 머리 …… 다 흙에서 온 것이고 흙으로 돌아갈 무엇이다 . 잠시 명상에 잠겨보려고 꾹 감은 나의 두 눈도 . 무상하고 무상하다 . 한편으로 , 평화롭다 . 한 줌 흙에 무슨 번뇌가 있으리 .






존재의 역사 . 쓰러지고 스러지며 다시 태어난

나의 존재가 한 줌의 흙이라는 것은 , 절반의 진실이다 . 신화가 말하는 인간은 단순하고 전일적인 존재가 아니다 . 복합적인 존재이며 , 간단없이 전변하면서 거듭나는 존재다 .



그리스 신화 속의 인간이 프로메테우스의 진흙과 아테나의 영혼이 어우러진 존재라 했거니와 , 수메르 신화에서 엔키가 만든 인간 또한 점토에 신의 피가 섞임으로써 탄생한 것이었다 . 몽골신화에서 보르항 (부처 )이 만든 진흙 인간도 물이 피가 되고 연기가 숨이 되어 깃듦으로써 살아 움직일 수 있었다 . 히브리 신화는 어떠한가 . 세르기우스 골로빈이 『세계신화 이야기 』에서 소개한 자료에 따르면 , 신은 흙으로 아담의 살을 만들고 돌로 단단한 뼈를 , 물로 피 , 해에서 두 눈을 , 흘러가는 구름에서 생각을 , 불어오는 바람에서 숨결을 만들었다고 한다 . 인간은 흙인 동시에 돌이고 물이며 해와 구름이다 . 불어오는 바람이다 . 지상의 모든 것이다 .



여러 신화는 인간이 단번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일련의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창조되었다고 한다 . 보르네오 두산족은 신이 처음에 돌로 인간이 말을 하지 못하자 다시 나무로 인간을 만들었다고 한다 . 그리고 그가 갈라지고 썩자 다시 흰개미로부터 얻은 흙으로 인간을 만들었다고 한다 . 거꾸로 처음에 흙을 썼다가 여의치 않아 다른 재료를 이용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 중국 야오족 신화에서 창조여신 미뤄퉈는 처음에 진흙으로 인간을 만들려 했으나 결과는 사람이 아닌 물항아리였다 . 이어서 쌀밥을 사용한 결과는 술이었고 , 나뭇잎을 쓴 결과는 메뚜기 , 호박과 고구마를 쓴 결과는 원숭이였다 . 미뤄퉈 여신이 인간을 만드는 데 성공한 것은 벌집을 녹인 밀랍을 통해서였다 .




이러한 신화적 서사에 대하여 인간이 된 최종 재료나 결과만 주목하는 것은 단견이다 . 그 일련의 과정을 인간의 역사로 보는 것이 신화적 독법이다 . 돌과 나무와 진흙 , 또는 진흙과 쌀밥과 나뭇잎과 호박과 고구마와 밀랍 …… 그 모두가 인간이 세상에 존재하게 된 역사적 과정이라는 것이다 . 그것은 개인 차원의 실존적 진실이기도 하다 . 돌이었다가 나무였다가 흙이었던 것이 , 또는 흙이었다가 밥이었다가 나뭇잎이었다가 호박과 고구마이기도 했던 것이 , 그렇게 물항아리나 술이나 메뚜기나 원숭이이기도 했던 것이 , 나의 존재적 역사다 .



인간의 거듭된 창조 과정에 대하여 , 아즈텍 신화는 현세계 이전에 네 번의 선세계가 존재했으며 인간 또한 사멸과 재탄생을 거듭했다고 전한다 . 그 선세계들은 차례로 호랑이의 태양과 바람의 태양 , 화염비의 태양 , 물의 태양이다 (아즈텍 신화는 각 세상을 ‘태양 ’으로 표현한다 ). 인간이 거친 짐승 속에서 , 몰아치는 바람과 쏟아지는 불비 속에서 , 그리고 가없는 물바다 속에서 움직였다는 말이다 . 바람에 날린 인간은 원숭이가 되고 , 불의 비 속의 인간은 칠면조가 되며 , 물에 삼켜진 인간은 물고기가 된다 . 그렇게 다시 시작된 다섯 번째 태양 . 지금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은 ‘운동의 태양 ’이다 . 현세의 인간은 ‘무 ( 無 )’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 ‘물의 태양 ’에서 물고기가 되었던 인간의 뼈를 신들이 아득한 지하세계에서 힘들게 찾아온 뒤 바스러진 뼛가루에 속죄의 피를 떨어뜨려서 현 인류를 탄생시켰다고 한다 . 아득한 시련과 사멸의 역사이며 , 갸륵한 핏빛 부활의 역사다 .



아즈텍 신화가 전하는 인류 탄생의 서사에서 다시금 나 자신의 역사를 본다 . 호랑이 속이었고 , 바람 속이었으며 , 불의 빗줄기 속이었고 , 끝 모를 물속이었다 . 원숭이였고 , 칠면조였으며 , 물고기였다 . 지하에 갇혀 바스러진 뼈였다 . 그 시간을 통해 지금의 내가 있다 . 그리고 그것은 끝이 아니다 . 일컬어 운동의 태양 ! 쉼없는 운동의 시간 속에 나는 끝없이 유전한다 . 어제 칠면조였고 물고기였으며 오늘 아침 밥쟁이였던 나 , 이 순간 아테나의 지혜를 찾고 있는 중이다 . 저 아득한 영원에서 이어져온 나의 몸짓은 또 다른 영원으로 이어져갈 것이다 . 지금 내가 남기고 있는 이 뼛조각에서 또 다른 생명이 탄생할 수 있다면 …… .






금빛 은빛 신성과 한 마리 벌레 사이

돌아와 우리 신화를 본다 . 앞서 <셍굿 >을 잠깐 언급했지만 , 한국신화의 인간 탄생 서사는 함경도 구전신화 <창세가 >에서 본령을 볼 수 있다 . 태초에 거대한 창조신 미륵이 하나였던 하늘과 땅을 가르고 구리 기둥을 세웠다고 하는 그 이야기 속에서 .



“ 옛날 옛시절에 / 미륵님이 한짝 손에 은쟁반 들고 / 한짝 손에 금쟁반 들고 / 하늘에 축사하니 / 하늘에서 벌레 떨어져 / 금쟁반에도 다섯이오 / 은쟁반에도 다섯이라 . / 그 벌레 자라나서 / 금벌레는 사나이 되고 / 은벌레는 계집으로 마련하고 / 은벌레 금벌레 자라와서 / 부부로 마련하여 / 세상 사람이 낳았어라 .”



<창세가 >에서 인간은 특별히 창조된 존재다 . 창조신 미륵이 직접 나서서 최고 정성의 상징이라 할 금쟁반 은쟁반을 받쳐 들고 하늘을 향해 축원을 올린다 . 그 결과로 생명이 내린다 . 신성한 그곳 , 하늘로부터 . 그렇게 내린 생명은 어김없는 하늘 신의 분신이다 . 더없이 존귀한 . 신화는 금쟁반 은쟁반에 내린 생명을 그 자체 금벌레와 은벌레라고 칭함으로서 신성성을 단적으로 나타낸다 .



하지만 그 생명은 금 ( 金 )이고 은 ( 銀 )인 한편으로 , 하나의 ‘벌레 ’다 . 여기서 벌레는 원초적인 생명체를 뜻하는 말이겠지만 , 어떻든 하나의 미력한 물질성의 존재임은 변하지 않는다 . 무언가를 먹어야 움직일 수 있는 존재 , 추위에 떨고 더위에 허덕이는 존재 , 꾹 누르면 힘없이 절명하는 존재 , 그것이 벌레이고 인간이다 . 생사고락과 희로애락에 휘둘리다가 속절없이 스러져 흙으로 돌아갈 한 마리의 짐승 . 그것이 인간의 실존이다 .



금빛 은빛의 고귀함과 한 마리 동물의 미력함 . 이 둘을 추상화해서 표현하면 신성 ( 神性 )과 수성 ( 獸性 )이라 할 수 있다 . 동물 ( 動物 )은 하나의 물 ( 物 )이니 수성은 물성 ( 物性 )으로 일컬어도 좋다 . 사람의 존재적 속성에는 , 곧 인성 ( 人性 )에는 신성과 수성 /물성이 맞물려 있다 . 둘 사이를 끝없이 유동하는 존재가 인간이다 . 어떨 때는 신에 가깝고 어떨 때는 물에 가깝다 . 어떤 이는 신에 가깝고 어떤 이는 물에 가깝다 .



돌아와 자기서사를 반추해본다 . 내가 밟아가고 있는 서사의 길은 신 ( 神 )의 길인가 , 물 ( 物 )의 길인가 ? 이 엄중한 신화적 질문 앞에서 , 나는 그만 아득해진다 . 아무리 헤아려봐도 내가 살아온 시간은 , 그리고 지금 살아가고 있는 시간은 8할 이상이 물 ( 物 )이다 . 메뚜기와 원숭이와 칠면조와 물고기의 시간 …… 돌과 나무와 진흙의 시간 …… 그렇게 한 마리의 큰 벌레로 움직이고 있는 나 . 그것이 인간이라고 자위해 보지만 , 그렇게 떠돌다 스러진다면 그건 너무 무의미하지 않은가 .



내 안 어디엔가 깃들어 있을 금빛 은빛 신성을 찾아내야 한다 . 진흙 속에서 신의 피가 돌고 맥이 뛰게 해야 한다 . 창조여신의 젖줄이 흐르고 아테나의 영혼이 뛰놀게 해야 한다 . 신 ( 神 )과 물 ( 神 )이 어우러져 조화와 합일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나는 물을 벗어나 신이 될 수 없지만 , 둘의 조화를 이루어낼 수 있다 . 그래야 하나의 ‘인간 ’이 될 수 있다 . 어렵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 신화가 그 길을 비춰주고 이끌어줄 것이다 .






단절과 연결 , 작은 나와 큰 나

한국의 창조신화에서 금벌레 은벌레가 인간으로 자라난 것은 지상에서였다 . 그 자라남이 저절로 된 것일 리 없다 . 하늘과 땅 사이 온갖 기운을 간단없이 머금어 취한 결과였다 . 하늘에서 내리는 햇살과 이슬과 비와 바람과 눈 , 땅에서 나는 풀과 나물과 곡식과 열매들 …… 지금 여기 나의 몸은 그 모든 것들의 집합체다 . 그렇게 나는 흙이고 물이며 옥수수이고 밥이다 . 치킨이고 삼겹살이며 콜라이고 맥주다 .



어찌 몸뿐일까 . 나의 마음과 생각 또한 마찬가지다 . 내 머리 속의 갖자기 지식과 정보들 , 다 밖에서 온 것이다 . 사람에게서 , 책에서 , 그리고 TV나 인터넷에서 . 움직이는 희로애락 ( 喜怒哀樂 ) 애오구 ( 愛惡懼 ) 뭇 감정들 또한 마찬가지다 . 그 감정 가운데 외물 ( 外物 )로부터 촉발되지 않은 것이 , 밖에서 오지 않은 것이 얼마나 될까 . 이 글을 쓰는 나 . 어제는 여유로웠는데 오늘은 조급하다 . 일정 때문에 , 또는 분량 때문에 . 하지만 다시 평정심을 찾는다 . 자유로운 글이므로 . 마쳐가고 있으므로 .



가없는 인연으로 이루어진 나 . 끝없이 변화해가고 있는 나 . 과연 어디까지가 나인가 ? 나 아닌 것과 나 사이의 경계는 어디인가 ? 생각하면 무상 ( 無常 )한 일이지만 , 현실로 말하자면 그것은 ‘생각 ’ 속의 일일 따름이다 . 구체적 실존 속에서 , ‘나 ’라고 하는 존재는 너무나 뚜렷하다 . 압도적일 정도로 . 지금 내가 움직이고 있는 손가락과 노트북 자판 사이의 아득한 심연 . 노트북은 ‘나의 것 ’이지만 , ‘나 ’는 아니다 . 옆에서 발 뻗고 누워 있는 고양이도 , 거실에서 TV를 보고 있는 아내와 딸도 . 갸륵하고 소중한 존재이지만 , 그들이 곧 나일 수는 없다 . 어찌 나를 대신해서 화장실에 가랴 . 또는 이 글쓰기의 과업을 대신하랴 .

세상 만유와 연결된 존재로서의 나와 한 명의 단절된 개체로서의 나 . 인간이라는 존재의 , 우리 자기서사의 두 측면이다 . 그 중 내 삶을 규정하며 움직이는 것은 무엇인지 돌아본다 . 한 명의 작은 나로서 먹고 싸고 웃고 화내고 하면서 보내는 시간이 8할 이상이다 . 아니 , 9할 이상 ! 나와 남 사이의 , 나의 편과 남의 편 사이의 날카로운 단절 속에서 아둥바둥하는 시간의 연속이다 . 하나라도 더 가져보려고 . 이겨보려고 . 기림을 받아 보려고 …… .



돌이켜 떠올려보는 것은 조화와 합일의 길이다 . 작은 나와 큰 나 사이의 . 눈앞에 있는 나를 넘어서 , 지금의 나를 있게 한 무수한 연결을 사유해 본다 . 보이지 않고 잡히지 않아서 추상적이지만 , 그리하여 너무 쉽게 잊고 외면하지만 , 작은 나를 넘어선 또 다른 큰 나는 , 있다 . 영원에서 영원으로 이어지는 신화적 시간 속에 . 그것과 접속이 내내 끊어질 때 , 나는 하나의 진흙이고 벌레일 따름이다 .



자판에서 손을 놓고 나면 바깥으로 나가보아야겠다 . 하늘과 땅 사이 신령한 생명의 공간 속에서 몸과 마음을 열고 우주의 숨을 찬찬히 호흡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 작은 신화의 시간을 .



신동흔 / 건국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 한국문학치료학회장



***이 시리즈는 대우재단 대우꿈동산과 함께 합니다 .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well/well_friend/1007074.html?fbclid=IwAR253rYPrddufRczs4vTf5Piqfg7uj-fCOHcs8Yf2LkmW_mTPehR3dgre3I#csidx175463a030efd7ebb528063a26d2254

김종길의 ‘다석 늙은이(老子)’ 읽기 ①···참알줄(道德經)에 참의 샘이 있다 - 경향신문

김종길의 ‘다석 늙은이(老子)’ 읽기 ①···참알줄(道德經)에 참의 샘이 있다 - 경향신문



김종길의 ‘다석 늙은이(老子)’ 읽기 (1)···참알줄(道德經)에 참의 샘이 있다
김종길 다석철학 연구자2021.08.10 06:00 입력


다석 류영모(多夕 柳永模)는 1890년 3월 13일에 나서 1981년 2월 3일에 돌아갔다. 90년 10개월 21일을 사셨다. 올해는 그가 하늘로 돌아간 지 40주기가 되는 해다. 그는, 사는 동안 온통 참을 찾고, 참을 잡고, 참을 드러내고, 참으로 돌아간 ‘참사람’이다. 그러니 그의 철학적 당간지주는 오롯이 ‘참’에 있다고 할 것이다.


세상에는 수많은 참의 사상가, 참의 말씀, 참의 경전들이 있을 터이나, 그는 오롯한 하나의 참을 오래 궁리했다. 그 참은 쪼개질 수 없는 하나였다. 그 ‘오롯한 하나’에서 숱한 참의 숨이 샘솟았다. 참의 말씀이 터졌다. 그 말씀으로 ‘말숨’이 쉬어졌다. 그는 참의 숨이 ‘얼숨’이요, 얼숨 쉬는 이가 ‘참나’요, 그 참나가 ‘얼나’라고 말했다. 제 잇속만 차리는 ‘제나’를 벗고 얼나로 솟으라고 외쳤다.



몸이 쉬는 숨은 몸숨이요, 말씀으로 쉬는 숨은 말숨이다. 참을 쉬는 숨은 참숨이요, 그 참숨으로 얼을 깨우쳐 늘 쉬는 숨이 얼숨이다. 얼 깨우친 얼숨의 존재가 얼나다. 다석은 동서양의 글과 말로 사유하면서 우리말 한글로 ‘뜻글풀이’ 했다. 처음엔 다소 낯설지만, 자꾸 보면 생각이 커지고 자란다. 2008년 세계철학자대회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철학자로 그를 손꼽은 이유다. 그의 사상으로 한 편의 시로 쓰면 이렇다.


참숨 산숨으로 숨돌이 돌돌돌,

돌아 흐르는 시원한 몸과 마음과 얼.

몸맘얼이 휘돌아 오롯한 하나로 솟는 참,

씨알 터지는 알짬, 산알의 속알, 눈부신 얼빛!

짱짱한 몸 비우고, 비운 마음에 큰 바람 불어,

없이 있는 여기, 저기, 거기.


* 산숨 : 살아 솟는 숨(生氣)

* 숨돌 : 숨이 도는 힘(氣運)

* 산알 : 살아 있는 생명의 알맹이. 생명령(生命靈)이라 부르기도 함

* 알짬 : 다석이 ‘정(精)’을 우리말로 풀어 쓴 말. 쌀을 쓿어 곧은 알맹이만 고른 것의 표현

* 속알 : 다석이 ‘덕(德)’을 우리말로 풀어 쓴 말




그의 40주기를 맞아 그가 온 삶을 궁리한 ‘참’의 온통을 묻는다. <다석일지>에서 그는 <노자(老子)>를 ‘늙은이’로 풀어 놓았다. 뜻글로 번역한 ‘늙은이’는 그의 사상과 철학의 고갱이가 담뿍 담겨있다.


다석 류영모

■다석은 누구인가?


그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나마 조금 안다고 하는 이들도 신천옹 함석헌의 스승으로 알고 있을 뿐이다. 사실, 함석헌의 ‘씨알사상’도 다석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석은 1928년부터 종로 YMCA에서 연경반(硏經班) 모임을 맡아 1963년까지 35년을 강의했다. 동서양의 종교와 사상에 회통했던 그는 우리말로 ‘철학하기’를 실천했는데, ‘늙은이’는 다석철학의 드높은 한 경지를 보여준다. 제자 박영호가 정리한 연보를 간추린다.



1890년 (1세) : 아버지 류명근, 어머니 김완전의 맏아들로 태어나다.


1902년(12세) : 자하문 밖 부암동 큰집 서당에서 3년간 <맹자(孟子)>를 배우다.


1910년(20세) : 남강 이승훈의 초빙으로 2년간 평북 정주 오산학교 교사를 지내다.


1921년(31세) : 고당 조만식 후임으로 오산학교 교장이 되다. 이때 제자 함석헌을 만나다.


1928년(38세) : YMCA 간사 현동완의 간청으로 YMCA 연경반(硏經班)을 지도하다.


1939년(51세) : 예수정신을 믿음 바라기의 줏대로 삼다. 하루 한 끼, 해혼(解婚), 잣나무 널 위 잠자기를 실천하다.


1942년(52년) : ‘성서조선’ 사건으로 종로경찰서에 구금되다.


1943년(53세) : 북악 산마루에서 “하늘을 뚫고 올려보고 땅을 뚫고 내려가다(瞻徹天潛透地)”의 체험을 하다.


1977년(87세) : 방랑길을 떠났으나 3일 만에 산송장이 되어 경찰관에 업혀 오다.


1981년(91세) : 숨지고 돌아가다.


(*다석학회 누리집에서 전체 연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스스로 책을 남기지 않았다. 1955년 4월 26일부터 일기를 쓰기 시작해 1974년 10월 18일까지 20년을 지속했다. 첫 일기는 ‘하루 때문’이라 썼고, 마지막 일기는 ‘실알 마올’이라 썼다. ‘하루살이(오늘살이)’는 시간 없는 하루의 전체, 즉 찰나의 영원한 시간을 하루로 산 그의 ‘오! 늘’의 정신을 보여준다. ‘실알 마올’은 “생각실, 말씀실, 목숨실, 일도, 몬도, 時도 空도, 大도, 地도, 史도, 國도 : 한 실오래기. 므로 살려는 이는 실올을 바로 알아, 올바로 산다는 것이오.”라고 쓴 일기에서 그 뜻을 살필 수 있다. 실은 한 실오라기의 생명줄이다. 알은 한 실오라기 생명줄의 참이다. 마는 마음이요, 올은 올바름이다. 이어 묶으면 “한 실오라기 숨줄의 참으로 마음 올바름”이란 뜻이 된다. 김흥호는 “실은 생명, 알은 진리, 마는 허공, 올은 이치”로 풀었다. 다석은 마음에 무슨 실올을 가득 담아 두는 게 아니고, 모든 올을 퍼낼 수 있는 ‘됫박’, 즉 빈 바가지 같은 것이라며 다음과 같이 일기를 끝낸다.





다석일지, 1974년 10월 18일, 마지막 문장이다.


풀면, “그러므로 마침내는 저 마음 스스로 깨끗이 : 참 보이는 마음으로 돌아가고 오는 자리에 딛고 서! 온통 올바름의 바른 올 가득한 마음으로. 실알 마올. 옴.”이다. ‘하루’로 시작해 ‘옴’으로 끝낸 그의 20년 일기가 <다석일지(多夕日誌)>(홍익재, 1990)다.


<다석일지>가 그의 사상을 함축적으로 살필 수 있는 손 글씨 기록이라면, 2016년에 개정판으로 펴낸 <다석 강의>(교양인)는 1956년부터 57년까지 43편의 강의 속기록을 다듬어 엮은 1005쪽 분량의 방대한 강연록이다. 다석철학의 정수가 여기에 있다.



■왜 다석의 ‘늙은이’를 푸는가?


그는 말한다. “이 사람이 <성경>만 먹고사느냐 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유교의 경전도 먹고 불교의 경(經)들도 먹습니다. 살림이 구차하니 정식으로 먹지 못하고, 구걸하다시피 여기서도 얻어먹고 저기서도 빌어먹어 왔습니다. 그래서 그리스의 것이나 인도의 것이나 다 먹고 다니는데, 이 사람의 깜냥(消化力)으로 소화시켜 왔습니다. 그렇게 했다고 하여 내 건강이 별로 상한 일은 없습니다. <성경>을 보나 유교 경전을 보나 불교의 경을 보나 그리스의 지(智)를 보나 종국은 이 ‘몸성히’, ‘맘뇌어’, ‘뜻태우’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다석학회, <다석 강의>, 현암사, 2006, 606쪽)


“몸성히, 맘뇌어(맘놓이), 뜻태우”의 세 공부를 위해 생각의 불꽃을 피워 올리면서 하루하루 수행과 수련을 쉬지 않고 실천한 그의 ‘오늘살이’는 20세기 한국철학의 부재를 간단없이 채우고도 남는다. 그리고 그의 나이 일흔에 푼 ‘늙은이’는 다석 한글철학의 정수다.


‘늙은이’는 제자 박영호가 <빛으로 쓴 얼의 노래>, <노자와 다석>으로 이미 풀어서 엮은 바 있다. 박영호는 책의 부제에 “다석 사상으로 다시 읽는 도덕경”이라 했는데, 다석과 노자를 한데로 엮어내는 눈이 놀랍다. 하지만 다석이 우리 토박이말로 바꾸면서 거기에 담은 뜻글로서의 한글은 아직 다 풀리지 않은 것 같아 하나의 과제처럼 보인다. 사실, 다석은 노자를 푼 것이 아니라, 한문을 ‘뜻글의 한글’로 뒤바꾸는 창조적 번역을 완성했을 뿐이다. 노자에 대한 풀이(注)는 단 한 줄도 쓴 적이 없다. 그렇다면 뜻글로 뒤바꾼 한글판 ‘늙은이’를 다시 뜻풀이하는 작업이 제자의 과제가 아닐까.


노자가 아닌, 오롯이 다석의 한글판 ‘늙은이’를 풀어야 그의 사상의 골수가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오직 그 생각으로 1959년 <다석일지>에 쓴 ‘늙은이’를 보고, 또 제자들을 위해 그가 손 글씨로 정리한 ‘늙은이’를 여러 차례 살폈다. 그 부분만 복사하고 제본해서 글씨의 구조를 살피고 한글 씨말의 뜻을 비교했다. 심지어 한 편 한 편을 컴퓨터로 다시 입력하면서 그의 글쓰기를 흉내 내었다. 글쓰기로 그의 생각에 가 닿기를 바랐다. 그러다 발견한 놀라운 사실 하나는 다석의 ‘늙은이’가 아름다운 한 편 한 편의 시(詩)로 탄생했다는 점이었다.


한문을 한글로 바꿀 때의 뜻글 표기도 어느 것 하나 틀린 구석이 없었다. 그의 쓰기와 사유는 엄정했다. 곧고 올바랐다. 어떤 것은 뜻글 개념어였고, 어떤 것은 그저 한문의 한글 바꿈이었다. 말씨, 씨말의 기표와 기의가 똑발라서 다석의 한글판 ‘늙은이’는 그 자체로 ‘참나’의 길을 제시하는 얼빛 노래였다.


이제부터 ‘늙은이’를 풀려고 한다. 여러 사상의 줄기가 새끼줄 꼬이듯 꼬인 비단실 실타래이니, 푸는 방식도 딱딱한 논문이나 평론이 아닌 산파술의 대화체로 풀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다른 생각을 가진 여섯 명의 인물이 쟁론을 펼치듯 떠드는 방식인데,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독자들도 그들 사이로 슬쩍 끼어들어 생각을 섞다보면 더 쉽게 다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덕경이 ‘참알줄’이라고?


다석은 도(道)를 ‘도’라 하지 않고 줄곧 ‘길’이라 했다. 우리말의 어원에는 한자에서 유래한 말이 적지 않다. 한자와 우리말이 붙어서 생긴 말들도 많다. 도를 도라 하는 것도 도라는 말이 한자이면서 동시에 우리말로도 쓰이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또 도를 길이라 하면 ‘도학(道學)’, ‘도교(道敎)’가 표방하는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도의 개념이 잘 드러나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석이 도를 길로 바꾼 것은 우리말의 구조, 뿌리, 뜻으로 그 도를 표현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우리말의 바른소리(正音)를 알아야 참뜻의 오묘한 깊이에 가 닿을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잠깐, 한글 바른소리의 의미를 살핀다.



한글의 닿소리(첫소리 : 初聲)는 어금닛소리, 혓소리, 입술소리, 잇소리, 목소리인 ‘ㄱ­ㄴ­ㅁ­ㅅ­ㅇ’을 만들고, 소리 세기에 따라 획을 더해서 만들었다. 이 다섯 소리는 木(ㄱ)­火(ㄴ)­土(ㅁ)­金(ㅅ)­水(ㅇ)의 5행(五行)과 이어진다. 또 원방각(圓方角)이 뜻하는, 원(○)은 사람의 머리, 방(□)은 사람의 몸, 각(△)은 손발, 각(角)은 만물이 싹트는 모양, 방(方)은 잎이 넓게 자라고, 원(圓)은 열매 맺는 모양이 숨어 있다.


그 외 된소리, 입술가벼운소리도 있는데, 그것들을 다 살피면, 어금닛소리(牙音)는 ‘ㄱㄲㅋㆁ’이고, 혓소리(舌音)는 ‘ㄷㄸㅌㄴ’, 입술소리(脣音)는 ‘ㅂㅃㅍㅁ’, 잇소리(齒音)는 ‘ㅈㅉㅊㅅㅆ’, 목구멍소리(喉音)는 ‘ㆆㅎㆅㅇ’이다. 첫소리 다섯 음을 줄여서 아설순치후(牙舌脣齒喉)라 한다.


훈민정음해례 2장에 “무릇 사람이 소리를 가지고 있음은 5행에 근본을 둔 것(夫人之有聲本於五行)”이라 했는데, 닿소리의 뜻과 구조가 5행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뒤를 이어 해례본은 이렇게 적고 있다.


牙錯而長 木也 於時爲春 於音爲角(아착이장 목야 어시위춘 어음위각)

어금니는 어긋나고 길어서 오행의 나무에 속한다. 계절로는 봄에 해당하고, 오음으로는 각(角)에 속한다.


舌銳而動 火也 於時爲夏 於音爲徵(설예이동 화야 어시위하 어음위징)

혀는 날카롭게 움직여서 오행의 불에 속한다. 계절로는 여름에 해당하고, 오음으로는 징(徵)음에 속한다.


脣方而合 土也 於時爲季夏 於音爲宮(순방이합 토야 어시위계하 어음위궁)

입술은 모나지만 합해 짐으로 오행의 흙에 속한다. 계절로는 늦여름에 해당하고. 오음으로는 궁(宮)에 속한다.


齒剛而斷 金也 於時爲秋 於音爲商(치강이단 금야 어시위추 어음위상)

이는 단단하여 끊으니 오행의 금에 속한다. 계절로는 가을에 해당하고, 오음으로는 상(商)음에 속한다.


喉邃而潤 水也 於時爲冬 於音爲羽(후수이윤 수야 어시위동 어음위우)

목구멍은 깊숙한 곳에 젖어 있으니 오행의 수에 속한다. 계절로는 겨울에 해당하고 오음으로는 우(羽)음에 속한다.




홀소리(가운뎃소리 : 中聲)는 하늘땅사람(天地人)의 ‘ㆍ’, ‘ㅡ’, ‘ㅣ’을 본떴다. 글자는 이 세 홀소리를 맞추어 만든 것이다. ‘ㅗ,ㅏ’에서 ‘ㆍ’가 위와 바깥에 있는 것은 위 두 소리가 하늘에 속한 양(陽)이기 때문이다. ‘ㅜ,ㅓ’는 아래와 안에 있는데, 이 두 소리는 땅에 속한 음(陰)이기 때문이다. ‘ㆍ’의 쓰임이 음양론(陰陽論)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석은 노자의 <도덕경> 세 글자를 우리말 길(道), 속알(德), 줄(經)로 새겼다. 도를 길이라 한 것은 이미 앞에서 살폈으니 덕(德)을 보자. 이 말의 사전적 뜻은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행하려는 어질고 올바른 마음이나 훌륭한 인격”이다. 덕이라는 말을 쓸 때 우리는 ‘덕이 높다’, ‘덕을 베풀다’, ‘덕을 보다’라고 한다. 사전의 뜻을 줄여 ‘어질고 올바른 마음’이라고 할 수도 있을 터인데 너무 길다.


다석 류영모 사상은 ‘참’ 에 있다. YMCA연경반 제자들과 산날 2만2000일 기념강연을 마치고 찍은 사진이다. 앞줄 가운데 한복입고 수염 기른 이가 그다. 왼쪽 네 번째 앉은 이는 제자 함석헌.
----
다석은 어질고 올바른 마음을 가진 이를 ‘속(裏)이 찬 사람’으로 본 듯하다. 그래서 ‘속알’이라고 썼는데, 그 말은 ‘알맹이’(평북), ‘고갱이’(충북)의 방언이기도 하니 아예 없는 말도 아니다. 또 속생각을 낮잡아 쓰는 말로 ‘소갈머리’라는 말도 있잖은가. 속알은 알이니 덕을 알로 바꾸어도 무방할 것이다.


경(經)이라는 말은 실(絲)과 지하수(巠)를 더한 것인데, 실이 물처럼 흐르는 모양에 빗대어 ‘세로 줄’의 ‘날줄’을 뜻하게 되었다. 베틀의 날줄을 잘 잡은 뒤에야 씨줄을 넣을 수 있다. 길쌈은 이 줄잡기가 일의 반이다. 경(經)은 그러므로 ‘바른 줄잡기’로서의 ‘줄’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자, 그런데 나는 ‘길’을 다시 ‘참’으로 바꾸었다. 왜 ‘참’으로 바꾸었는지는 제1장에서 다시 이야기할 터인데, 다석이 푸는 방식으로 풀어 말하면 이렇다. ‘길’은 하늘이 땅 그리워 내리 그은 기역(ㄱ), 그 옆에 사람이 서 있는 이(ㅣ), 아래에 쉬지 않고 끊이지 않음을 뜻하는 리을(ㄹ)로 풀린다. 그것은 그대로 길을 닦고 길을 실천하며, 길의 삶을 사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것이 길의 ‘참길’인 것이다. ‘참길’을 밝힌 책이니 또한 ‘경(經)’인 것이고.



그러므로



도덕경(道德經)은 참알줄이다!


참길의 줄잡기!


속알의 줄잡기!


참, 알, 줄!


참알줄!



참을 아는 줄!


다석이 <다석일지』> 마지막 문장에 쓴 ‘실알 마올’이 ‘참알줄’이다.



자, 이제 ‘늙은이’ 마당으로 오시라!


■김종길은

다석철학 연구자다. 1995년 봄, 박영호 선생의 신문 연재 글에서 다석 류영모를 처음 만났는데, 그 날 그 자리에서 ‘몸맘얼’의 참 스승으로 모셨다. 다석을 만나기 전까지는 민중신학과 우리 옛 사상, 근대 민족 종교사상, 인도철학, 서구철학을 좇았다. 지금은 그것들이 모두 뜨거운 한 솥 잡곡밥이다. 함석헌, 김흥호, 박영호, 정양모, 김흡영, 박재순, 이정재, 심중식, 이기상, 김원호 님의 글과 말로 ‘정신줄’ 잡았고, 지금은 다석 스승이 쓰신 <다석일지>의 ‘늙은이’로 사상의 얼개를 그리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