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27

Zhou Dunyi - Wikipedia 주돈이Taiji Tushuo (太極圖說)

Zhou Dunyi - Wikipedia

Zhou Dunyi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Zhou Dunyi
Shou Toni.jpg
Born1017
Died1073 (age 56)
OccupationCosmologist, philosopher, writer
EraNeo-Confucianism
RegionChinese Philosophy
SchoolNeo-Confucianism
Influences
Influenced

Zhou Dunyi (Chinese周敦頤Wade–GilesChou Tun-i; 1017–1073) was a Chinese cosmologistphilosopher, and writer during the Song Dynasty. He conceptualized the Neo-Confucian cosmology of the day,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conduct and universal forces. In this way, he emphasizes that humans can master their qi ("spirit") in order to accord with nature. He was a major influence to Zhu Xi, who was the architect of Neo-Confucianism. Zhou Dunyi was mainly concerned with Taiji (supreme polarity) and Wuji (limitless potential), the yin and yang, and the wu xing (the five phases). He is also venerated and credited in Taoism as the first philosopher to popularize the concept of the taijitu or "yin-yang symbol".

Life[edit]

Born in 1017 in Yingdao CountyDaozhou prefecture, in present-day Yongzhou, southern Hunan, Zhou was originally named Zhou Dunshi. Raised by a scholar-official family, he was changed his name in 1063 to avoid a character in the personal name of the new Emperor Yingzong.[citation needed]

His father died when he was fourteen and he was taken in by his uncle Zheng Xiang. He received his first posting in government through his uncle. Although very active in his civil service career, he never did achieve a high position or get the "Presented Scholar" degree (jinshi). Some of the positions that he held were district record keeper (1040), magistrate in various districts (1046–1054), prefectural staff supervisor, and professor of the directorate of education and assistant prefect (1061–1064). He resigned from his last post one year before he died. He died near Mount Lu in Jiangxi province in 1073. After his death, Zhou was commonly called Zhou Lianxi for a name he adopted in his retirement that honored the Lian stream near his home. He was nicknamed the "Poor Zen Fellow" by Cheng Yi and posthumously honored[by whom?] as the "Duke of Yuan" (Yuangong) in 1200.[citation needed]

Descendants[edit]

Zhou Dunyi's offspring held the title of Wujing Boshi (五经博士五經博士Wǔjīng Bóshì).[1][2][3][4]

In 1452 the title of 'Wujing Boshi' was bestowed upon Meng Xiwen 孟希文, the 56th generation offspring of Mengzi[citation needed] and upon Yan Xihui 顔希惠, the 59th generation offspring of Yan Hui;[citation needed] in 1456-1457 the same was bestowed on Zhou Mian 週冕, the 12th generation offspring of Zhou Dunyi, on Chen Keren 程克仁, the 17th generation offspring of the Cheng brothers (Cheng Hao and Cheng Yi), in 1539 the same was awarded to Zeng Zhicui 曾質粹, the 60th generation offspring of Zeng Can; in 1622 an offspring of Zhang Zai received the title and in 1630 an offspring of Shao Yong.[5][6]

Writings[edit]

Taiji Tushuo[edit]

The Taijitu of Zhou Dunyi
Zhou Dunyi admiring lotuses by Kaihō Yūsetsu, mid-17th century

The Taiji Tushuo (太極圖說Explanations of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or Diagram Explaining the Supreme Ultimate) was placed at the head of the neo-Confucian anthology Jinsilu (Reflections on Things at Hand) by Zhu Xi and Lü Zuqian in 1175. He fused Confucian ethics and concepts from the Book of Changes (I Ching) with Daoist naturalism. He developed a metaphysics based on the idea that "the many are ultimately one and the one is ultimate." This was the first 11th-century Chinese text to argue for the inseparability of metaphysics or cosmology and ethics, as well as the first major Chinese text to explore the concept of the taijitu or "yin-yang symbol".

It contained his theory of creation, which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paraphrase of its first section:

"In the beginning, there was t'ai chi (taiji) (the great ultimate of being), which was fundamentally identical with wu chi (wuji) (the ultimate of non-being). Because of the abundance of energy within t'ai chi, it began to move and thus produced the yang (the positive cosmic force). When the activity of the yang reached its limit, it reverted to tranquility. Through tranquility the yin (the negative cosmic force) was generated. When tranquility reached its limit, it returned to movement (yang). Thus yin and yang generated each other. Then, through the union of the yin and the yang the transformation of both, the five agents (or elements) of metal, wood, water, fire and earth were brought into being. These five agents are conceived of as material principles rather than as concrete things. They can therefore be considered the common basis of all things. The interaction of the yin and yang through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 five agents generates all things in a process of endless transformation."[7]

Zhou Dunyi postulated that human beings receive all these qualities and forces in their higher excellence and, hence, are the most intelligent of all creatures. He also believed that the five agents corresponded directly to the five moral principles of ren (humanity), yi (righteousness), li (propriety), zhi (wisdom), and xin (faithfulness).[citation needed]

Tong Shu[edit]

The Tong Shu (The All-Embracing Book or Penetrating the 'Book of Changes) was a re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doctrines. It was the basis for ethics in neo-Confucianism. It stated that the sage is a superior man who act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propriety, humanity, righteousness, wisdom, faithfulness, tranquility and sincerity. Sincerity being the basis for moral nature, it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evil and to perfect oneself.

It spoke of principle, nature, and destiny together, which became three cardinal concepts of Confucian thought. He had a Daoist perspective toward nature. There are stories of Zhou Dunyi loving his grass so much that he would not cut it, reinforcing the concept that humans should appreciate life in nature and the importance of non-action. Zhou Dunyi is known to have said that the best quality of life is that of a pure lotus growing out of dirty waters, where the lotus is the natural equivalent of the noble person.[citation needed] He is known for pulling many ideas from D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School[edit]

Zhou Dunyi had two students who made major contributions to Confucianism: his nephews Cheng Yi and Cheng Hao. The Cheng brothers studied under Zhou Dunyi only for a short time when they were younger. The brothers moved on to establish the Cheng-Zhu School, which dominated Chinese philosophy for over 700 years. Zhou Dunyi is considered the founding father of that school although there are no references in the Cheng brothers' writings to his contributions.

Zhou Dunyi was a major influence on Zhu Xi, who was considered one of the greatest Confucian thinkers since Confucius himself. Zhu Xi was known to have said that Zhou Dunyi was the first great sage of the Song Dynasty, particularly for his emphasis on the concept of Wuji.

Though he never had much influence during his lifetime, he was remembered as warm, humane, and kin with the natural world. Many Confucians believed that he embodied the virtue of "authenticity". He had great insight into the Way of Heaven. The first major popularization of the taijitu symbol is also credited to Zhou Dunyi; this symbol (in an altered form) is now known worldwide as the commonly accepted symbol for the Chinese concepts of yin and yang.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H.S. Brunnert; V.V. Hagelstrom (15 April 2013).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Routledge. pp. 494–. ISBN 978-1-135-79795-9.
  2.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5, 2016. Retrieved April 17, 2016.
  3. ^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Archive.org.
  4. ^ Chang Woei Ong (2008). Men of Letters Within the Passes: Guanzhong Literati in Chinese History, 907-1911.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p. 132. ISBN 978-0-674-03170-8.
  5. ^ "The Ritual Formation of Confucian Orthodoxy and the Descendants of the Sage"The Journal of Asian Studies55 (3): 571. August 1996.
  6. ^ Wilson, Thomas A. (1996). "The Ritual Formation of Confucian Orthodoxy and the Descendants of the Sage"The Journal of Asian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55 (3): 571. doi:10.2307/2646446JSTOR 2646446.
  7. ^ Arrington, 1999, p. 46

Sources[edit]

  • Adler, Joseph A. "Zhou Dunyi: The Metaphysics and Practice of Sagehood". In Wm. Theodore de Bary and Irene Bloom, eds., Sources of Chinese Tradition, 2nd ed., vol. 1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ch. 20.
  • Arrington, R. (1999). A Companion to the Philosophers. Massachusetts, Blackwell Publishers Ltd.
  • Berthrong, J (1998). Transformations of the Confucian Way. Boulder, Westview Press.
  • Chan, Wing-tsit (1986). Neo-Confucian Terms Explained.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Chen, Keming and Weng, Jindun "Zhou Dunyi". Encyclopedia of China (Philosophy Edition), 1st ed.
  • Gedalecia, D (1974). "Excursion Into Substance and Function." Philosophy East and West. vol. 4, 443-451.
  • Yao Xinzhong (2003). Encyclopedia of Confucianism, 1st ed. London, RoutledgeCurzon.
  • "Zhou Duny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17 Oct. 2008 Britannica Academic

External links[edit]

윤홍식의 태극도설 (염계 주돈이) 강의 - 고전콘서트 #17


윤홍식의 태극도설 (염계 주돈이) 강의 - 고전콘서트 #17
24,666 viewsJan 22, 2013
=====


윤홍식의 견성콘서트
25.8K subscribers

홍익학당 및 홍익선원 윤홍식 대표님의 태극도설(太極圖說) 강의입니다.
태극도설은 송대 성리학자 주렴계 선생님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홍익학당 네이버tv : https://tv.naver.com/hihd
24 Comments
======
조현숙
조현숙
3 years ago
듣고  또 들어야할  강의입니다
인간이  왜  참나각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육바라밀로  이어져야하는지   통큰 우주의식을  지녀야만   가능할수  있음을  절감하는   강의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강의  놓치지않고   들었으면  합니다
긴호흡으로   강의해주신    선생님께   깊히  감사드립니다

10


White Rabbit
White Rabbit
3 years ago
어려운 동양철학을 이리도 쉽게 설명하시다니 매번 감탄할 수 밖에 없네요~ 감사합니다.

6


장인순
장인순
1 year ago
한번도 들어보지못한 강의 지금들었는데 너무 행복 하네요 감사합니다

5

윤홍식의 견성콘서트

벨벳강진숙
벨벳강진숙
1 year ago
감사드립니다!!!♡♡♡

4

윤홍식의 견성콘서트

Kwanhee Cho
Kwanhee Cho
4 years ago
동의보감 공부하는데 음양오행을 이해 못하니 공부가 되지 않더라고요. 덕분에 접근조차 두려운 태극에 대해 익숙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8


ᆞ하정
ᆞ하정
3 years ago
禮를 中이라 표현하고 智를 正이라 표현하는 글을 보니 정말 좋아요~ ㅎ (中.禮 주변과 조화를 맞추고, 천명 양심의 신호에 중심을 두고 진리를 받아들이고 . 正.智 늘 바른 판단을 하라)는  말씀으로 다가 왔습니다. .... 이 표현이 완전 좋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8


일심
일심
1 year ago
자명한 설명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6

윤홍식의 견성콘서트

전윤경
전윤경
1 year ago
감사합니다

5

윤홍식의 견성콘서트

오이켄
오이켄
2 weeks ago
이건 짱이다.....세상에 참나 깨닫고 이젠 이런 이치까지 깨닫게 되네요.... 
영적 성장을 가지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와~~ 제 자식들한테도 반드시 가르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ᆞ하정
ᆞ하정
3 years ago
1:00:31 하느님이 없다면 음양이 없기 때문에 하느님하고 음양에는 틈이 없다.  즉, 하느님은 안보이는 음양이고 음양은 보이는 하느님이다. 감사합니다.^^

6


Hye hyun Kim
Hye hyun Kim
10 months ago
감사합니다 😊

2

윤홍식의 견성콘서트

陈陈
陈陈
2 years ago
이분이 마음을 나쁘게 드시면 사이비 교주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갑자기 드네요. 강의 너무 잘하세요.

8


김수월행
김수월행
8 months ago
감사합니다 🙏

2


Jay Tak
Jay Tak
6 years ago
참 감사합니다...

5


백영연
백영연
1 year ago
육바라밀의작용으 로많이 ㄱ개여나게되네요고맙 습 니 다

5

윤홍식의 견성콘서트

Bebe shark
Bebe shark
5 months ago
태극기 에서 태극의 회전방향이 
옛 태극기 마다 다릅니다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그 의미와
 회전하는 회오리 깊이도 다른데 왜 그런지
태극 자체가 세워져 있는 태극기도 있던데
그 의미는?? 
周易에는 어떻게 설명되는지 궁금합니다 ㅎㅎ

2


Talent Corporation
Talent Corporation
1 year ago
다녀갑니다

4

윤홍식의 견성콘서트

완곡한_욕
완곡한_욕
3 years ago
무극이태극이 뭔질 공부하고 싶어서 왔는데 자꾸 자기 이념에 사람들을 끌어들이려 하시네요 윤혹식님

6

주돈이와 권근의 천인합일사상 비교 ‒ 『태극도설』과 『입학도설』을 중심으로 - earticle

주돈이와 권근의 천인합일사상 비교 ‒ 『태극도설』과 『입학도설』을 중심으로 - earticle



주돈이와 권근의 천인합일사상 비교 ‒ 『태극도설』과 『입학도설』을 중심으로
The Comparison of ‘Oneness between Heaven and Man(天人合一)’ thoughts between Zhoudunyi(周敦頤) and Kwonkun(權近)


표지보기 SNS 공유
발행기관동양고전학회 바로가기
간행물동양고전연구 KCI 등재 바로가기
통권제66집 (2017.03)바로가기
페이지pp.251-276
저자許光虎
언어한국어(KOR)
URLhttps://www.earticle.net/Article/A299391복사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구매하기 인용하기 관심논문등록

초록영어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Oneness between Heaven and Man(天人合一)” thought proposed by Zhoudunyi(周敦頤) in ‘Taijirushuo(太極圖說)’ and “Cheon-In-Sim-Seong-Haap-Il(A diagram about Unifying Heaven, Human, and Mind-and-Heart)(天人心性合一)” thought presented by Kwonkun(權近) in ‘Ip-Hak-Do-Seol(入學圖說)’. Oneness between Heaven and Man thought, which have developed into practical ideas centered on self-cultivation theory, have a philosophical depth and logical system by Zhoudunyi(周敦頤) with ‘Taijirushuo(太極圖說)’ in order to summarize the metaphysical cosmology and the treatise of human nature in Dynasty Song. Zhoudunyi established the concept of Wuji(無極) corresponding to Heaven(天), and suggested unified cosmology of ‘Wuji(無極)-Taiji(太極)-Yin and Yang(陰陽)-Five elements(五行)-Human(人間)-Everything(萬物)’. His cosmology is the perception that heaven, the creator of all things, is the relationship of unity, which is connected by man as the creature and the Order(命)and Nature(性). Thus, when people restores one’s nature and realized that it is a mandate from Heaven, he said that heavenly unity can be realized and become a Saint(聖人). The idea of Zhoudunyi(周敦頤) comes to Zhu Xi(朱熹) about 120 years later and it is concluded to be converged the Neo-Confucianism with Lichi theory. Accordingly, Zhoudunyi(周敦頤) is evaluated as the master of the Neo-Confucianism to posterity. KwonKun suggested the idea of “Cheon-In-Sim-Seong-Haap-Il(A diagram about Unifying Heaven, Human, and Mind-and-Heart)(天人心性合一)” in ‘Ip-Hak-Do-Seol(入學圖說)’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KwonKun’s “Cheon-In-Sim-Seong-Haap-Il” thought is logically coherent by adding an element of the doctrines of Chu-tzu to his teacher Yi Saek’s “Chun-In-Mu-Gan” and arranging that the functions of my mind and Li(理) are all together. Whereas Zhuodunyi is concerned with the creation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all things, KwonKun mainly cares about Heaven(天), Human(人), and Heart(心), and Nature(性) in the view of psychology. In addition, he suggested that “Cheon-In-Sim-Seong-Haap-Il” can be achieved by self-cultivation centered of Gyeong-thought(敬思想). The idea of KwonKun has become a stepping stone to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s of Chu-tzu based on psychology. His ideas came to Yi Hwang about 150 year later, and are integrated into four clue-seven emotion (Sadan Chiljung四端七情) thesis and Gyeong-thought(敬思想). However, unlike the Zhoudunyi, KwonKun is not properly evaluated despite his academic accomplishments.


한국어이 논문은 주돈이가 『태극도설』에서 제시한 천인합일사상과 권근이 『입학도설』에서 제시한 천인심성합일사상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 시도이다. 수양론 중심의 실천적인 사상으로 발전해 온 천인합일사상은 송대 주돈이가 『태극도설』에서 형이상학적 우주론과 인성론으로 정리하면서 철학적 깊이와 논리적 체계를 갖추게 된다. 그는 천(天)에 상응하는 무극(無極)의 개념을 세워 무극―태극―음양―오행―인간―만물의 일원적 우주론을 제시한다. 그의 우주론은 만물의 창조자인 천(天)은 피조자인 인간과 명(命)과 성(性)을 매개로하여 결부되는 합일의 관계라는 인식이다. 따라서 본성을 회복하여 자기의 본성이 천명(天命)임을 알면 곧 천인합일이 실현되고 성인도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주돈이의 사상은 약 120년 뒤 주희에게 와서 이기론 으로 융합된 주자학으로 집대성 된다. 이에 따라 주돈이는 주자학의 시조로 후대에 평가된다. 고려 말 권근은 그의『입학도설』에서 천인심성합일사상을 제시한다. 권근의 천인심성합일사상은 그의 스승인 이색의 천인무간사상에 주자학적 요소를 가미하여 내 마음의 작용과 리(理)가 일체라고 정리함으로써 논리적 정합성을 이룬다. 주돈이가 주로 우주와 만물의 생성원리에 대해 관심을 기진 것에 반해 권근은 주로 심성론적 관점에서 천(天), 인(人), 심(心), 성(性)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또한 경(敬)중심의 수양으로 천인심성합일을 이룰 수 있다고 제시한다. 권근의 이런 사상은 조선조 주자학이 심성론 중심으로 발전하는 단초가 되었다. 그의 사상은 약 150년후 퇴계 이황에게 와서 사단칠정론과 경(敬)사상으로 집대성 된다. 그러나 주돈이와 달리 권근은 그의 학문적 업적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하고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주돈이의 『태극도설』과 천인합일론
Ⅲ. 권근의 『입학도설』과 천인심성합일사상
Ⅳ. 천인합일사상 비교
Ⅴ. 권근의 사상과 조선 주자학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주돈이 권근 태극도설 입학도설 천인합일사상 Zhoudunyi(周敦頤) Kwonkun(權近) Taijitushuo(太極圖說) Ip-Hak- Do-Seol(入學圖說) Oneness between Heaven and Man(天人合一).

저자

태극도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극도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극도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극도설》(太極圖說)은 주돈이가 지은 이다. 태극도와 도면의 설명으로 되어 있다.[1] 《태극도설》은 송대의 도학에 있어서 형이상적 사유와 도덕론의 기본적 방향을 제시하였다.[1] 그 후의 학자는 거의 이 책을 읽고 여러 가지의 해석이나 사색을 하고 있다.[1] 주자와 육상산(陸象山)의 논쟁도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 무극이면서 태극)"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하는 점에 양자의 사상을 집약하여 이루어졌다.[1]

내용 및 해석[편집]

도면에 붙여진 그의 설명에 의하여 그 사상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1]

태극도

무극과 태극[편집]

첫째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 무극이면서 태극)"이라 한다.[1] 이 말은 세계의 궁극적인 것, 말하자면 비교 상대를 초월한 유일의 진실재(眞實在)라는 것이다.[1] 극(極)은 행하여 다한 곳(盡), 일도에 달(達)한 곳이기 때문에 무극은 행하여 다하고도 오히려 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1] 또 태극이란 “역(易)에 태극(太極)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兩儀)를 생(生)한다”라고 한 것과 같이 현상의 궁극·존재의 배후에 있는 원인이다.[1] 이렇기 때문에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 무극이면서 태극)"이라는 어구는 다같이 존재를 지탱하고 있는 원인이 적극(積極)·소극(消極) 두 양상의 형용 곧 표현이다.[1]

음양[편집]

그런데, 이와 같은 원인-궁극자가 움직임으로써 적극적으로 움직이면 (陽)을 낳고, 이 양동(陽動)이 궁극하면 정이 된다. 정이 되면 그것은 (陰)이다.[1] 그러나 이 음정(陰靜)도 그대로의 상태로 있는 것은 아니고 최후까지 가서는 다시 적극적인 양동(陽動)으로 변한다.[1] 이와 같이 1동(一動) 1정(一靜)으로 상호간에 근거가 되고 기본이 되어 교착하고 있다. 동정(動靜)이 있다고 하는 것은 양(陽)과 음(陰)으로 분리되는 일로서 결국 이 세계를 지탱하고 있는 궁극의 것이 자연히 작용하고 분화하여 서로 음이 되고 양이 되어 있는 것이다.[1] 따라서 이 음정양동(陰靜陽動)은 물(物)·사(事)가 현상(現象)으로서 생성, 변화, 소멸하고 있는 이 세계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낸다.[1]

그와 함께 음정양동으로서의 물과 사는 무극-태극이라고 하는 궁극자로부터 분리하여 그것의 바깥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1] 동(動)-정(靜) 혹은 음(陰)-양(陽)이라고 하여도 그것은 궁극자로서의 무극-태극과 상즉(相卽)하여 그 속에서 그것과 분리되는 일이 없이 생기(生起)하고 있다고 하는 논리적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1] 이와 같이 음(陰)과 양(陽)이 서로 교대하고 변화하여 5행(五行)이 생긴다.[1]

오행[편집]

(土)·(水)·(火)·나무(木)·(金)의 오행은 음양이 물과 토의 구체적 존재의 가장 기본적인 2기(기가 나뉘어 양기·음기로 된다)를 나타낸 것에 대하여 말하자면 현상(現象)하는 개개의 물건 내지는 현상 자체의 구성 요소로 생각된다.[1] 이 5행이 여러 가지의 양상으로 서로 조합되어서 건도(乾道) 즉 양기(陽氣)인 적극(積極)은 남성적인 것을 생성하고 곤도 즉 음기(陰氣)인 소극은 여성적인 것을 생성한다.[1]

인간[편집]

이와 같이 하여 만물이 생성하는 중에서 사람은 음양5행(陰陽五行)의 조합이 가장 우수한 존재이다.[1] 더욱이 사람이 이상으로 하는 성인(聖人)은 중정인의(中正仁義)의 덕을 닦아서 사람에게 있어야 할 도덕적 규범(人極)을 세워서 천지의 작용, 일월(日月)의 운행, 4시(四時)의 순환 및 귀신까지도 각기 그것의 작용에 호응하여 조화를 보전한다고 말하고 있다.[1]

각주[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태극도설 [일어]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네비게이션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태극도

태극도설』(타이키쿠즈세츠,  : 태극경환 )은 중국북송 의 주둔봉 ( 1017년 ( 천희 원년 ) - 1073년 ( 희녕 6년))이 1070년 (희녕 3년) 에 철술한 책. 총 1권.

이케이 '연사상전에 있는 '이제로 태극 있어, 이것 양의 를 일으키고, 양의는 사상 을 생기고, 사상은 팔경 을 낳지 않고 사상, 사상생 팔경)의 개념, 음양사상 , 오행사상 에 유교사상을 관련시켜 설한 것. 글자수로 불과 250자 정도의 문장이지만, 그림에 따라, 모리라 만상의 생성발전으로부터 인간의 지위나 도덕 의 근본을 논설하고 있어, 지금까지의 유교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세계관 제시한 점에서 획기적이었다.

당초는 주돈방의 또 다른 저서인 『통서』의 끝에 첨부되어 있어, 그만큼 제자들 사이에 유포하고 있었던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남송의 주황 이 본서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통서'와 독립시켜 본서를 위해 해석을 하여 '태극도해' 및 '태극도설해'를 만들어 본서의 현창에 노력했다. 이후 주자학의 융성에 따라 '태극도설'은 청나라가 사망하기까지 천년 가까이 중국 왕조시대의 주요 저작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책의 텍스트는 여러 가지 존재하지만 모두 주황의 "태극도해"및 "태극도설해"를 첨부한 것이다. 또 명의 조단이 『태극도 설술 해 』 1권을 저술했다.

백문(원문) 편집 ]

자무극이위 태극 태극동이생양 동극이인 靜而生陰준포, 4시 행연 5행 1음양야 음양 1태극야 태극, 책무극야 5행지생야 각 일일성 무극지진 25노정 생만물 만물생생靜 無欲故 靜 立人極焉 故 聖人與天地合其德 日月合其明 四時合其序 鬼神合其吉凶曰柔與剛 立人之道 曰仁與義 又曰 원시 반종 고지사생노설—  태극장애 [1]

일본어 번역 편집 ]

무극으로 태극 (혼돈의 뿌리). 태극이 움직여 양(분화 발동하는 일)을 일으키지 않고. 움직임이 극히 조용해. 조용히 음(통일함축하는 일)을 일으키지 않는다. 조용이 극히 다시 움직입니다. 일동 일정, 서로 그 뿌리를 위해, 나누어 그늘, 나누어 양, 양의 서. 양이 바뀌고 그늘이 맞아, 수화목 금토를 낳지 않고. 오기(수화목금토)가 차례로 움직여 4시(사계)가 진행된다. 이것을 오행이라고 하지만, 요컨대 일음양이다. 음양은 일태극이고 태극은 원래 무극이다. 오행이 ​​태어난다고 해도, 각각의 성질은 항상 반드시 하나가 된다. 이것이 무극이라는 것의 본질(참). 2기(음양) 오행(수화목금토)의 정(에너지)이 미묘하게 배합하여 형태를 만든다(응). 건도, 남자를 이루고, 항도, 여자를 이루고, 이 두 배가 섞여 느껴 만물화성해 간다. 그 만물은 태어나 변화 궁합 없음. 다만, 모든 생물이 여러가지 변화해 왔지만, 인간이라는 것만이 그 안에서 제일 뛰어난 것을 얻어, 매우 영묘하다. 그의 수려한 형태를 낳아 형태 속에 신(정신의 깊이)이 지식을 발한다. 오성(수화목금토)이 감동해(감에 움직여), 여기에 선악이라고 하는 것이 나누어져, 모든 인간 활동(만사)이 나온다. 그렇게 가장 수려하게 하여 신지를 발한 뛰어난 성인이 이 만물생성화육의 길을 관찰·개척하고 중정인의라는 것을 세웠다. 인간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인극)는 조용(함축·잠재)을 주로 한다. 그러므로 성인과 천지와 그의 덕을 합쳐, 일월 그의 명을 합쳐, 사시(사계 = 자연의 길)는 그의 질서에 합치한다. 귀신(창조의 파괴 작용) 신(생명의 진화 조장 작용)과 그의 길흉을 합치한다. 군자 이것을 고치고 요시, 난쟁이 이것에 모아서 흉. 그러므로 하늘의 길을 세우고 음양이라고 하고, 땅의 길을 세우고 유와 강이라고 말하고, 사람의 길을 세우고 인의라고 한다. 또, 시작을 묻고 끝으로 돌아가서 사생을 알게 된다고 한다. 큰 될까 하는 것은. 여기에 이르러서. [2]

각주 편집 ]

각주 사용법 ]
  1. ^ Wikisource reference 周敦頤.太極圖說. - 위키 소스 .
  2. ↑ 참고 문헌 : 『 태극 도설・통설・서명・정모 

외부 링크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