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bhagavad gita.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bhagavad gita. Show all posts

2022/03/26

Classical Indian Philosophy V5 eBook : Adamson, Peter, Ganeri, Jonardon

Classical Indian Philosophy: A history of philosophy without any gaps, Volume 5 eBook : Adamson, Peter, Ganeri, Jonardon: Amazon.com.au: Kindle Store

Classical Indian Philosophy: A history of philosophy without any gaps, Volume 5 Kindle Edition
by Peter Adamson (Author), Jonardon Ganeri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4.4 out of 5 stars 32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27.44Read with Our Free App
Hardcover
from $51.38
13 New from $51.38
Paperback
$26.67
5 New from $26.67







Peter Adamson and Jonardon Ganeri present a lively introduction to one of the world's richest intellectual traditions: the philosophy of classical India. They begin with the earliest extant literature, the Vedas, and the explanatory works that these inspired, known as Upaniṣads. They also discuss other famous texts of classical Vedic culture, especially the Mahābhārata and its most notable section, the Bhagavad-Gīta, alongside
the rise of Buddhism and Jainism. In this opening section, Adamson and Ganeri emphasize the way that philosophy was practiced as a form of life in search of liberation from suffering. Next, the pair move on to the explosion of philosophical speculation devoted to foundational texts called 'sutras,' discussing such traditions as the logical
and epistemological Nyāya school, the monism of Advaita Vedānta, and the spiritual discipline of Yoga. In the final section of the book, they chart further developments within Buddhism, highlighting Nagārjuna's radical critique of 'non-dependent' concepts and the no-self philosophy of mind found in authors like Dignāga, and within Jainism, focusing especially on its 'standpoint' epistemology. Unlike other introductions that cover the main schools and positions in classical
Indian philosophy, Adamson and Ganeri's lively guide also pays attention to philosophical themes such as non-violence, political authority, and the status of women, while considering textual traditions typically left out of overviews of Indian thought, like the Cārvaka school, Tantra, and aesthetic theory as well.
Adamson and Ganeri conclude by focusing on the much-debated question of whether Indian philosophy may have influenced ancient Greek philosophy and, from there, evaluate the impact that this area of philosophy had on later Western thought.
Read less




Print length

432 pages
Language

English
Publisher

OUP Oxford
Publication date

26 March 2020


Product description

Review
The ideal introduction to Indian philosophy for someone new to the field. The notes and bibliography provide ample opportunity to delve deeper into the subject matter... I cannot recommend this book highly enough. ― Joerg Tuske, Salisbury University, Philosophy East & West

An astonishing intellectual tour de force written in an accessible and engaging style. ― Paradigm Explorer --This text refers to the hardcover edition.
From the Publisher
Peter Adamson received his BA from Williams College and PhD in Philosophy from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He worked at King's College London from 2000 until 2012. He subsequently moved to the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where he is Professor of Late Ancient and Arabic Philosophy. He has published widely in ancient and medieval philosophy, and is the host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podcast. Jonardon Ganeri is a Fellow of the British Academy. He is the author of Attention, Not Self (2017), The Self (2012), The Lost Age of Reason (2011), and The Concealed Art of the Soul (2007). Ganeri's work draws on a variety of philosophical traditions to construct new positions in the philosophy of mind,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He became the first philosopher to win the Infosys Prize in the Humanities in 2015. --This text refers to the hardcover edition.

About the Author
Peter Adamson received his BA from Williams College and PhD in Philosophy from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He worked at King's College London from 2000 until 2012. He subsequently moved to the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where he is Professor of Late Ancient and Arabic Philosophy. He has published widely in ancient and medieval philosophy, and is the host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podcast. Jonardon Ganeri is a Fellow of the British Academy. He is the author of Attention, Not Self (2017), The Self (2012), The Lost Age of Reason (2011), and The Concealed Art of the Soul (2007). Ganeri's work draws on a variety of philosophical traditions to construct new positions in the philosophy of mind,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He became the first philosopher to win the Infosys Prize in the Humanities in 2015. --This text refers to the hardcover edition.
Read less


Product details

ASIN ‏ : ‎ B0822WTPMC
Publisher ‏ : ‎ OUP Oxford (26 March 2020)
Language ‏ : ‎ English
File size ‏ : ‎ 2549 KB
Text-to-Speech ‏ : ‎ Enabled
Enhanced typesetting ‏ : ‎ Enabled
X-Ray ‏ : ‎ Not Enabled
Word Wise ‏ : ‎ Enabled
Print length ‏ : ‎ 432 pages
Best Sellers Rank: 500,137 in Kindle Store (See Top 100 in Kindle Store)
3 in Jainism (Kindle Store)
96 in Aesthetics (Kindle Store)
146 in Epistemology (Kindle Store)
Customer Reviews:
4.4 out of 5 stars 32 ratings






About the authors
Follow authors to get new release updates, plus improved recommendations.



Follow

Peter Adamson



Discover more of the author’s books, see similar authors, read author blogs, and more

See more on the author's page

Follow

Jonardon Ganeri



Jonardon Ganeri Bimal. K. Matilal Distinguished Professor of Philosophy, University of Toronto. He is a philosopher whose work draws on a variety of philosophical traditions to construct new positions in the philosophy of mind,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He joined the Fellowship of the British Academy in 2015, and won the Infosys Prize in the Humanities the same year, the first philosopher to do so.

See more on the author's page




Customer reviews
4.4 out of 5 stars

There are 0 reviews and 2 ratings from Australia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ignorethepain
5.0 out of 5 stars Informative and amusing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23 August 2020
Verified Purchase

It's a good read. I got a better overall picture of Indian Philosophy, though definitely felt I'd only skimmed the surface of the many subjects dealt with. That's to be expected in a single book. Concepts are explained in interesting and amusing ways. I liked the references to modern cultural phenomena, which scattered humour throughout the book.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Report abuse

mexx
2.0 out of 5 stars Poor quality books ....Reviewed in Germany on 30 January 2021
Verified Purchase

Not complaining about the content ... its a pretty cool project and I like to read them.

but its not fair to sell these books as "hardcovers". its a paperback with glued pages and a hardback slapped on it.
it does not have binding with stitches and hence pages get loose pretty fast. they don't withstand multiple readings or time ... you can save yourself some money and buy the paperbacks ...

and "Oxford press" should stop making these books as hardcovers or start making them as real hardcovers ...

3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abuse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Impressive bookReviewed in Canada on 12 September 2021
Verified Purchase

One of the best introductions to classical Indian philosophy that I've seen.
Very readable, funny in places, comprehensive & accurate.
Highly recommended.
Report abuse

Anthony
4.0 out of 5 stars very detailed, worth a quick read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3 November 2021
Verified Purchase

An interesting summary of a thousand years or so of successive series of individuals and schools and movements arguing at each other over ontology, epistemology, logic, semantics, philosophy of mind, philosophy of language, ethics. Rich traditions. Too much to ever learn in any real detail. And occurring In the overall context of competing brahmanic/Vedic, Buddhist, and Jain ‘religious’ traditions. Where as I understand it the emphasis at least initially was on certain real/enlightened experiences which supposedly go beyond the incessant prattle of thoughts and words. But what would I know. I guess the monks had to have something to squabble about. And with which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each other. From a distance the distinctions seem thin bordering on vacuous. But At least they didn’t go to war with each other over who had the best imaginary friend. God. Whatever. Or at least I don’t think they did.
Report abuse====



Want to Read

Rate this book
1 of 5 stars2 of 5 stars3 of 5 stars4 of 5 stars5 of 5 stars
Preview

Classical Indian Philosophy
(A History of Philosophy Without Any Gaps #5)
by
Peter S. Adamson,
Jonardon Ganeri
4.42 · Rating details · 43 ratings · 6 reviews
Peter Adamson and Jonardon Ganeri present a lively introduction to one of the world's richest intellectual traditions: the philosophy of classical India. They begin with the earliest extant literature, the Vedas, and the explanatory works that these inspired, known as Upanisads. They also discuss other famous texts of classical Vedic culture, especially the Mahābhārata and its most notable section, the Bhagavad-Gīta, alongside the rise of Buddhism and Jainism. In this opening section, Adamson and Ganeri emphasize the way that philosophy was practiced as a form of life in search of liberation from suffering. Next, the pair move on to the explosion of philosophical speculation devoted to foundational texts called 'sutras,' discussing such traditions as the logical and epistemological Nyāya school, the monism of Advaita Vedānta, and the spiritual discipline of Yoga. In the final section of the book, they chart further developments within Buddhism, highlighting Nagārjuna's radical critique of 'non-dependent' concepts and the no-self philosophy of mind found in authors like Dignāga, and within Jainism, focusing especially on its 'standpoint' epistemology. Unlike other introductions that cover the main schools and positions in classical Indian philosophy, Adamson and Ganeri's lively guide also pays attention to philosophical themes such as non-violence, political authority, and the status of women, while considering textual traditions typically left out of overviews of Indian thought, like the Cārvāka school, Tantra, and aesthetic theory as well. Adamson and Ganeri conclude by focusing on the much-debated question of whether Indian philosophy may have influenced ancient Greek philosophy and, from there, evaluate the impact that this area of philosophy had on later Western thought. (less)

GET A COPY
Kobo
Online Stores ▾
Book Links ▾

Hardcover, 448 pages
Published March 26th 2020 b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first published 2020)
More Details...Edit Details




Average rating4.42 ·

Aug 17, 2021Peter Banachowski rated it it was amazing
Loved this book. Exactly what I was looking as an overview / introduction to Indian philosophy.

As a reader and lover philosophy, I felt I've read so much western philosophy, even eastern (Tao Te Ching, Art of War, Li Chi: Book of Rights), I felt like I need more South Asian (beyond the Bhagavad Gita) philosophy.

From the start, the book mentions the title is a misnomer as much of "Indian Philosophy" was developed before philosophy was really even a word. Many of the texts, cultures, traditions, were being passed on before The Republic was even written. The authors do a good job laying out a groundwork and evolution of important Indian texts and their meanings / implications over time.

A great read if you're looking for a jumping off point for Indian "philosophy".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Aug 23, 2020Joshua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Informative and amusing

It's a good read. I got a better overall picture of Indian Philosophy, though definitely felt I'd only skimmed the surface of the many subjects dealt with. That's to be expected in a single book. Concepts are explained in interesting and amusing ways. I liked the references to modern cultural phenomena, which scattered humour throughout the book.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Nov 12, 2021Anthony O'Connor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very detailed, worth a quick read

An interesting summary of a thousand years or so of successive series of individuals and schools and movements arguing at each other over ontology, epistemology, logic, semantics, philosophy of mind, philosophy of language, ethics. Rich traditions. Too much to ever learn in any real detail. And occurring In the overall context of competing brahmanic/Vedic, Buddhist, and Jain ‘religious’ traditions. Where as I understand it the emphasis at least initially was on certain real/enlightened experiences which supposedly go beyond the incessant prattle of thoughts and words. But what would I know. I guess the monks had to have something to squabble about. And with which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each other. From a distance the distinctions seem thin bordering on vacuous. But At least they didn’t go to war with each other over who had the best imaginary friend. God. Whatever. Or at least I don’t think they did.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Oct 14, 2020Maher Razouk rated it liked it
ما هو النشاط الفلسفي المركزي؟ حسنًا ، ربما يكون النشاط الفلسفي الأكثر شيوعًا هو كتابة مقال لصف الفلسفة في وقت متأخر من الليل . ثم هناك نشر كتب ومقالات حول هذا الموضوع ، والتي يميل الأكاديميون المحترفون إلى القيام بها . لكن الممارسة الأساسية للفلسفة لا تحتاج إلى تضمين الكتابة على الإطلاق. إنه حوار : تبادل هادئ وصريح للأفكار والحجج والأمثلة والأمثلة المضادة. أن تكون فيلسوفًا ، أي أن تكون مستعدًا بل ومتلهفًا لاختبار وجهة نظرك ضد وجهات النظر المتنافسة ، وإخضاع نظرياتك للدحض وتلبية هذا التفنيد بدفاع مدروس جيدًا ، أو بالفعل بتغيير رأيك. في الأدب الفلسفي القديم ، بالطبع أفلاطون هو الذي يقفز إلى الذهن باعتباره أكبر داعية للحوار الفلسفي.
.

Peter S. Adamson
Classical Indian Philosophy
Translated By #Maher_Razouk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Jun 16, 2020Nancy McQueen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india-hinduism
While they are views from a Western perspective, it was an enjoyable read. A good, well researched introduction to the varied philosophies of India.


2021/11/01

함석헌의 바가바드기타 주석에 나타나는인용 모음 주석법의 재해석* 나혜숙**

 인도철학제46집(2016.4),75~100쪽

http://krindology.com/db/docs/03.ip46_NHS.pdf

함석헌의 바가바드기타 주석에 나타나는인용 모음 주석법의 재해석*


나혜숙**


Ⅰ들어가는 말. 

Ⅱ 힌두 주석 전통에서 바라본 이 문헌의 연구 가치.

Ⅲ 인용 모음에 대한 기존 해석들. 

Ⅳ 독자의 기타 이해에 초점을 둔 인용 모음. 

Ⅴ 나가는 말.


요약문 [주요어: 함석헌, 바가바드 기타, 주석법, 인용 모음, 해석, 독자]


본 연구는 함석헌(1901-1989)의 바가바드 기타 주석에 나타나는 인용 모음 주석법을 재조명한다. 기존의 해석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함석헌이 인용 모음 주석법을 사용하는 이유가 독자의 기타 이해를 돕는 데 있다고 주장하고 다섯 가지 근거를 제시한다.

첫째, 함석헌은 마치 초횡의 노자익처럼 기타에 대한 좋은 주들 의 요점만 모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편리함을 추구한다. 이러한 의 미에서 함석헌의 기타 주석서를 ‘기타익’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함석헌은 기타 본문에는 없는 해제와 서론을 만들었다. 도움 없 이 기타를 읽기 어려웠던 경험이 있는 그는, 해제와 서론을 만드는 것은 독자가 기타를 읽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서라고 직접 밝혔다. 셋째, 함석헌은 어려운 단어, 구절, 시구에 여러 번역과 주석을 제공한 다. 자신의 인도 철학 지식에 한계가 있으므로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 번역과 주석을 제공해 독자가 읽고 스스로 뜻을 가늠하게 하기 위 해서이다. 넷째, 함석헌은 다른 주석을 인용할 때 논리적인 핵심만 인용 하지 않고 다른 주석가들이 사용하는 인용까지 포함시키는 일이 잦다. 그 이유는 되도록 다양한 인용을 통해 생소한 기타를 이해하기가 수 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함석헌은 여섯 명의 기타 주석가 가운데 라다크리슈난 의 주석을 압도적으로 인용한다. 라다크리슈난은 문헌을 풀이하고, 동서 양의 예시를 풍부하게 들고, 중세 힌두 주석가들도 인용하는 주석가이 므로, 기타의 내용을 조금 더 알기 쉽게 소개하기에 적합했을 것이다. 이 사실들에 근거를 둘 때, 함석헌의 인용 주석법은 선별한 모음이고 독자의 기타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에서 나온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

다.

 

*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5S1A5B5A07042502).

**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연구원. rapanda1@hanmail.net



Ⅰ. 들어가는 말


바가바드 기타(이하 기타로 약칭)는 고대 힌두 경전 가운 데 한국에도 잘 알려진 경전이다. 한국에 처음 이 경전이 번역된 것은 산스크리트어의 영역서(英譯書)1)를 인도학자 박석일이 번역 한 바가바드 기타로 1978년2) 정음사에서 출간되었다. 박석일의 번역은 중역(重譯)이기는 하지만 힌두교의 대표적 경전군에 속하 는 기타를 국내에 처음 소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번 역서 다음에 출간된 역서는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산스크리트 어의 영역서3)를 함석헌(1901-1989)이 번역하고 주석을 단 바가

 

1) Prabhavananda, Swami & Christopher Isherwood, trans.(1st ed. 1944; rep. ed. 1972).

2) 몇 군데에서 초판으로 소개된 1987년 박석일의 바가바드 기타는 중판(重版)이다.

3) 함석헌은 어떤 영역서(英譯書)를 저본으로 번역했는지 서지 정보를 남기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주석서 첫머리에 언급한

“에브리맨스(Everyman’s) 문고판의 바가바드기타”(함석헌 1996: 56)를

단서로 하고 여러 번역을 대조한 결과, 그가 저본으로 한 기타는 다음의

영역서에 포함된 한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Nicol Macnicol, ed.(1938),

HinduScriptures:HymnsfromtheRigveda,FiveUpanishads,the

Bhagavadgita,Everyman’s Library, London: J. M. Dent & Sons

Ltd.이다. 이 책은 이미 영역되어 출판되었던 힌두 경전들을 모아 편집한 책이다. 리그 베다와 우파니샤드는 막스 뮐러(Max Müller)의 번역, 기타는 라이오넬 바넷(Lionel D. Barnett)의 번역이고, 라빈드라나트 타고르(Rabindranath Tagore)가 서문을 썼다. 이 1938년 판본은, 로버트 제너(Robert C. Zaehner)가 새로 번역, 편집하고 서문을 쓴 개정판이 1966년 같은 출판사에서 나오기 전까지 꾸준히 인쇄를 거듭했다(1943,

1948, 1957, 1959, 1963. 1965). 이 1938년 판본에 실린 바넷의 기타

번역(책 제목은 Bhagavad-Gita:orTheLord’sSong)은 1905년 첫 출간된 이후 여러 번 증쇄했기 때문에 어떤 판본인지 확실하지 않다.

1906년부터 1982년까지 에브리맨스 문고판의 출판 역사를 편찬한

바드 기타이다. 함석헌의 역주서는 스무 권의 함석헌전집 중 한 권으로 한길사에서 1985년에 출간되었다. 이후 기타에 대한 많은 번역서, 해설서, 논문이 출판되었다.

기타에 대해 국내에서 두 번째로 발간된 역서이자 최초의 주 석서이기도 한 함석헌의 기타 주석에는 눈에 띄게 두드러지는 점이 있다. 그것은 이 문헌이 기타에 대한 다른 주석, 힌두교 외 의 종교 경전, 문학 작품의 인용을 모아놓은 방법으로 일관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논자(論者)가 논점을 근거를 들어 전개하 는 쓰기 방식이 익숙한 현대에, ‘주석가가 왜 자신의 주석을 주 (主)로 하지 않고 인용 모음을 주로 하는가?’, ‘이러한 주석법을 어 떻게 이해하면 좋은가?’와 같은 질문이 나오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러나 함석헌의 주석서에는 이 주석법에 관한 직접적인 언급이 일체 없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과거에 이 질문을 던지고 대답한 학자들의 언급을 분석한 후, 함석헌의 주석서를 주의 깊게 읽어 이 질문에 새로운 측면에서 대답해 보려고 한다. 그리고 함 석헌의 인용 모음 주석법이 기존의 이해들과 달리 ‘독자의 기타 이해’와 관련된 활동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함석헌의 주석서 판본 이 세 종류4)이기 때문에, 기타와 그 주석을 인용할 때 독자의 편의상 쪽 표기대신 기타의 장과 절로 표기한다. 선행 연구에 들어가기에 앞서 함석헌의 기타 주석서의 연구 가치를 논한다.

 

시모어(Seymour)는 1905년 판본인 듯하다고 추정한다(Seymour 2011:

146).

4) 위에서 언급한 함석헌전집 13권(한길사 1985), 이거룡의 해제를 넣은 ‘한길그레이트북스’ 18권(한길사 1996), 이거룡의 해제를 빼고 다시 편집한 함석헌저작집 28권(한길사 2009).

Ⅱ. 힌두 주석 전통에서 바라본 이 문헌의 연구 가치

함석헌의 기타 주석서는 함석헌 연구자나 기타 연구자에게 잘 알려진 문헌이기는 하지만 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세밀한 연구는 이 문헌이 출간된 후 현재까지 30년이 넘는 동안 거의 전 무하다. 박홍규는 “함석헌의 바가바드 기타에 대한 연구는 없 다” )고 바르게 지적했다. 2013년에 출판된 박홍규의 논문함석 헌과 간디의 종교관 비교: 바가바드기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 로는 중요한 서지 정보가 불분명한 데에 따른 오류가 있기는 하 지만, ) 함석헌의 기타 주석서를 연구의 주요한 한 축으로 삼았 고 텍스트 연구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이 문헌을 가장 비중 있 고 세밀하게 다룬 연구다.

이렇게 이 문헌을 대상으로 한 연구물 수는 턱없이 적지만, 이 문헌은 활발하게 연구할 가치가 있다. 연구하는 방향에 따라 그 가치를 다양하게 논할 수 있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힌두 주석 전 통에서 바라보는 이 문헌의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함석헌은  기타를 주석서 형태로 출간했는데 그 자체가 주목할 만하다. 왜 냐하면 주석서는 힌두 지적(知的) 전통이 전수되는 형태를 가장 특징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힌두교 내 교파 간 분쟁은 물리적 이라기보다 주로 지적 논쟁이고, 일반적으로 이 논쟁은 교파의 권 위 있는 근본 경전에 대한 주석과 해석 과정에서 나타난다. 즉, 주 석가는 자신이 속한 교파의 근본 경전을 주석하면서 교리의 입장 에 맞추어 경전을 해석할 수 있음을 입증해내고, 그 해석에 동의 하지 않는 다른 교파에 속한 논쟁자들의 의견을 포함시키고 논박 한다. 그리고 때때로 어떤 주석에 복(複) 주석이 쓰이고, 그 복 주 석에 또 복 주석이 쓰이는 방식으로 주석 전통이 이어졌다. 그리 고 이렇게 오랜 시간에 걸쳐 복 주석들이 붙은 주석은 경전에 준 하는 큰 권위를 얻게 되는 경우도 생겼다. 이렇게 힌두교의 교파 간 철학적, 종교적, 신학적 교류는 전통적으로 주석이라는 형태로

행해졌다.7)

함석헌이 노자와 장자의 경전에도 주석했기 때문에 왜 특별히 힌두 경전 기타에 주석을 한 것이 특별한 일일까 생각할 수 있 다. 그러나 힌두 지적(知的) 전통에서 지식이 전수되고 교류된 주 된 방식이 ‘주석’이라는 것은 인도 문헌에 관심 있는 연구자가 아 닌 이상에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고, 함석헌의 주석서에 대한 기 존 해석과 평가에서 한 번도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의를 환 기할 필요가 있다. 물론 그는 주석에서 논쟁자를 포함시키고 논박 하는 인도의 전통적인 주석 방법을 사용하지도 않았고, 그가 힌두 종교와 철학의 면면(綿綿)한 주석 전통에 대해 알고 있었는지도 알 수 없기 때문에, 그가 번역서가 아니라 주석서를 남긴 사실에 과대하게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그 사실 을 과소평가할 필요도 없다.

 

7) 김호성(2004: 195)은 다음과 같이 힌두 지적(知的) 전통의 특징을 잘 정리해 말해 주었다. “선행하는 원전에 대한 주석/해석으로서 그 철학사가

전개되어 왔다는 점은 인도철학의 한 특징이다. 근현대에 이르러

해석학(Hermeneutics)이 서양의 신학이나 철학의 영역에서 발전되어 왔음은 주지하는 바이다. 그러나, 자기학문의 방법론을 해석학으로서 의식하는 것에는 다소 뒤졌다고 하더라도, 그 哲學史 전체가 해석학적 특징을 躍如하게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정통의(vedic) 인도종교철학에 앞서는 것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함석헌은 힌두 사상을 잘 모른다고 겸손해했지만 문헌을 읽어보면 실제로는 많은 인도 주석과 번역을 읽었음을 알 수 있 다. 그가 힌두 주석 전통을 ‘이론적으로’ 몰랐을 수는 있어도, 기 타의 주석 전통이 인도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여러 인도 주석을 읽으면서 ‘실제로’ 맛보았다. 그리고 스스로 의식하지도 의 도하지도 않았겠지만 힌두 주석의 그리고 기타 주석의 전통적 흐름 안에 위치하게 되었다. 국내에 기타에 대한 한글 번역서, 해설서, 학술 논문은 적극적으로 출판된 데에 비해, 한국인이 쓴 기타 전체에 대한 주석서는 지금까지도 함석헌의 주석서뿐이다. 그래서 함석헌의 주석서에 담긴 주석 내용은 일단 차치하고라도, 힌두 경전 자체가 생소하던 1980년대 국내에 힌두 경전이 주석서 라는 형태로 출간되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함석헌의 주석서는 국내 힌두 종교와 철학 연구사에서 독특하고, 과감하고, 의미 있 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이 문헌의 가치를 주석서라는 형식상의 특징을 가지고 논했다. 이제 이 주석서의 여러 주석법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다고 판단되고 학자들도 가장 주목했던 인 용 모음식 주석법에 관해 기존의 해석들을 각각 살펴본다.


Ⅲ. 인용 모음에 대한 기존 해석들


함석헌의 인용 모음에 관한 학자들의 언급은 함석헌에 관한 글 과 기타에 관한 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들의 의견을 네 가지 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장광설 및 온갖 것의 수집으로 본 해석, 둘째, 인용을 나열이라고 성격 지운 후 회통과 종교다원주의로 본 해석, 셋째,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인용으로 대체한다는 해석, 넷 째, 인용을 비교 행위로 본 해석으로 나눌 수 있다.

1. 장광설, 온갖 것 수집 심재룡은 기타를 다양한 해탈의 길이 담긴 경전이 아니라 카 스트 제도를 옹호하는 “일관된 절대주의 철학의 산물” )로 해석한 다. 그래서 기타를 해석하는 다른 방식들을 비판하면서 “어떤 이들은 이 <노래>에서 석가, 공자, 노자, 예수 등 인류의 온갖 성 인의 말씀을 다 발견하노라고 장광설을 벌이는가 하면” )이라고 말한다. 심재룡이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이 구절의 “어떤 이 들”에 함석헌이 속한다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류황태는 “[기타에 대해] 자신의 관점을 보이는 번역 서도 거의 없다. 함석헌의 경우가 조금 다르지만 자신의 관점이 명확하지 않다. 세상 온갖 것을 다 수집해 놓은 것 같다.”10)고 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함석헌이 인용을 모으는 행위를 자신의 지식 을 장황하게 늘어놓거나 아무 것이나 수집하는 행위로 해석하지 않고, 독자가 기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행위라고 주장할 것이다.

2. 나열, 회통과 종교다원주의

이거룡은 인용 모음 주석법에 관해 처음 주목하고 가장 분량 있는 글을 남겼다. 그는 함석헌의 인용이 “겉으로 보기에 아무런 체계도 없이 그저 이런저런 주석가들의 생각을 나열해놓은 듯하 고”, ) “백과사전식의 나열처럼 보이는 것이 오히려 당연한지도 모른다” )고 말한다. 그는 무분별해 보이는 나열식 주석법이 부정 적으로 여겨질 수 있음을 잘 알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선생의 나열식 인용은 결코 싸구려 절충주의가 아니다. 오히려 이것이야말로 참다운 의미의 회통(會通)이 아닐까 싶다. 좀 단순하고 투박하게 보일지는 모르지만, 여러 종교 경전들을 나란히 인용하는 것 만으로도 의미가 크다. 그것만으로도 각 종교가 서로 배척하지 않고 등을 기대고 있는 듯하여 실로 보기가 좋은 것이다.13) 이후 김영호도 이거룡과 같은 입장에 선다.

꼭 종교학 이론을 세우지 않더라도 여러 종교 경전들을 나열식으로 인용하는 것만으로 그는 종교간의 갈등이 보이게 안 보이게 첨예한 오늘의 풍토에 경종을 주고 종교 다원주의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 그것을 학자들은 절충주의(syncretism)라고 하기도 하지만, 단순한 절 충이 아니고 높은 자리에서 감싸안는 ‘회통’(會通)이라고 하는 것이 더 어울리는 말일 것이다.14)

이렇게 이거룡, 김영호는 함석헌의 인용 모음을 ‘나열’이라고 보 고 나서 회통과 종교다원주의의 긍정적 측면으로 해석한다. 함석 헌의 인용에서 종교다원주의와 회통을 제시(김영호)까지는 아니 더라도 발견(이거룡)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본 논문에 서는 함석헌의 인용 모음 주석법이 무분별한 나열의 성격보다는 선별한 모음의 성격에 가깝고, 회통과 종교다원주의보다는 우선 독자의 기타 이해에 더 관련된 활동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3. 인용을 빌려 자신의 말을 한다.

이거룡은 함석헌이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인용을 통해 한다고

해석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어떻게 보면 선생의 생각이 담긴 부분이라고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 듯하지만, 기실 따지고 보면 다른 사람들의 주석을 끌어다 쓰는 가운데 스스로가 하고 싶은 말, 해야 할 말을 다하는 주석을 내고 있

 

13) 이거룡(1996) p. 51.

14) 김영호(2001) pp. 238-239.

다.15)

‘이러저러한 경전들이 이러저러하게 말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에, 기실 자기의 생각을 담아낸다.16)

류황태는 함석헌이 “자신의 맘에 드는, 자신의 판단에 적당한 인용 비교를 해 놓았다.”17)고 말한다. 박홍규도 류황태와 같은 입 장으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반면 함석헌의 바가바드기타 해석서에는 간디를 비롯한 여러 사 람의 해석이 함석헌 자신의 해석과 함께 포함되어 있다. 자신의 해석 과 달리 타인의 해석을 인용한 것은 어떤 의도인지 명확하지 않다. 그 해석에 찬성한다는 것인지, 아니면 해석의 하나로 제시한다는 것인지 설명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러 해석 중 한두 가지를 인용하고 있 으므로 자신의 의견과 같다고 본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18)

인용이란 함석헌이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하는 도구이거나(이거 룡), 그가 마음에 드는 부분이나(류황태) 자신의 의견과 같은 부분 을 인용했다(박홍규)는 해석이다. 주를 선별하는 행위, 선별한 주 안에서도 인용할 부분을 고르는 행위에는 선별하고 고르는 자의 시각이 분명히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그가 ‘자신 의 말을 대신 전하는 주’ 혹은 ‘자신의 의견과 같은 주’를 선별해 인용했다기보다는, ‘독자가 기타를 잘 이해하는 데에 적합하다 고 판단한 주’를 인용한다고 제안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초점이 함석헌 자신보다는 독자에게 있다고 제안할 것이다. 주석서에서 함석헌은 직접 주석하는 일도 많기 때문에, 자신이 하고 싶은 말 을 굳이 인용을 통해 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15) 이거룡(1996) p. 49.

16) 이거룡(1996) p. 51.

17) 류황태(2009) pp. 65-66.

18) 박홍규(2013) p. 89.

4. 인용을 비교한다. 기타의 구절과 인용을 비교한다.

함석헌의 인용 주석법에 대해 류황태는 “대부분 관련이 없는, 초점에 맞지 않는 인용 비교를 늘어놓는다” )고 말한다. 그리고 박홍규는 “그의 바가바드기타 해석은 … 그 각 구절을 다른 종 교나 사상과 비교하는 것이었다. 이를 비교종교학의 입장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른다.” )고 말한다. 류황태는 함석헌이 “인용 비 교”를 한다고 평가했는데, 함석헌은 번역끼리는 비교했지만, 자신 이 인용한 주석, 경전, 문학 작품끼리 비교하거나, 평가하거나, 해 석하는 일을 일체 하지 않는다. 함석헌이 주를 선별해 모으는 데 에 관심이 있었고 모아 놓은 인용들끼리 비교하지는 않았기 때문 에 류황태가 말한 “인용 비교”는 성립되기 힘들다. 그리고 본 논 문에서는, 함석헌의 인용법이 박홍규가 말한 대로 기타의 구절 과 다른 사상들을 비교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기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오히려 기타의 구절을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돕기 위해 여러 인용을 모아놓은 것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왜냐하면 비교 행 위란 모음 행위보다 한 단계 발전된 분석 행위인데, 함석헌이 기 타의 구절과 다른 종교나 사상을 ‘비교한다’고 평가할 만한 근거 가 약하기 때문이다.


Ⅳ. 독자의 기타 이해에 초점을 둔 인용 모음


기존의 해석들과 달리, 본 논문에서는 인용 모음 주석법이 독자 의 기타 이해를 초점으로 둔다고 주장하기 위해 다섯 가지 근 거를 제시할 것이다. 첫째, 함석헌은 좋은 주들에서 뽑은 요점을 한데 모은다. 둘째, 해제와 서론을 만든다. 셋째, 어려운 단어, 구 절, 문장에 여러 번역을 소개한다. 넷째, 제3의 인용을 포함시킨 다. 다섯째, 동서양의 예시들과 중세 힌두 주석가들을 인용한 라 다크리슈나의 주석을 가장 많이 인용한다. 이들을 차례로 살펴본

다.

1. 좋은 주를 한데 모아 편리하다.

함석헌은 기타 주석서에서는 인용 모음에 대해 논한 적이 없 지만, 다른 주석을 모아 놓는 주석법의 장점은 편리함이라고 다른 곳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노자의 도덕경에 대한 많은 주석서 중 초횡(焦竑)의 노자익(老子翼)에 관련해 그는 다음과 같이 말 한다.

노자에 대해서 고래로 주석이 많아요. 옛날 사람은 요새와는 또 달 라서는 노자익(老子翼)이라는 걸 제일 편리하다 하지요. 왜 그런고 하니 각 사람의 주(註)를 다 보려면,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은 그 렇겠지만, 그럴 새가 있어요? 그런데 초횡(焦竑)이라는 사람이, 상당히 재주도 있고 깊이 생각하는 사람인데, 모든 걸 골라서, 자기 말도 이따 금 나오긴 나오지만, 자기만이 아니고 남들의 좋은 주를 모아서 냈어

요.

이 책의 특색은 본문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본문을 한 사람이 해석하 는 것이 아니고 개중에 그래도 누가 누가 했던 주로 좋은 걸로 몇 개 골라서 그 요점 되는 거를 같이 실었어요. 이 사람 저 사람의 해석을 볼 수가 있어 편리한 거야. 이름도 노자익이라 하는데 왜 익(翼)이 라 그랬는고 하니, 새에게 나래가 있으면 잘 날 수 있는 모양으로 이 런 주가 있으면 좋다는 거지요. ‘덕(德)을 우익한다’ ‘호랑이에 나래 붙 은 사람’이라 그러잖아요? 노자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좋은 주를 붙 였다 그런 의미로 노자익이라 그래요.21)

함석헌이 노자에 대한 특정 주석에 관해 쓴 위 인용글에서 그

 

21) 함석헌(2009a) p. 56.

가 주석 활동에서 중시한 세 가지를 알 수 있다. 첫째, 여러 해석 을 한데 볼 수 있는 편리함을 중시한 점, 둘째, 많은 주석 가운데 좋은 주석을 골라 싣는 점, 셋째, 선별한 주석 중에서도 요점을 싣 는 점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는 기타 주석에 그대로 적용된다. 함석헌도 여러 사람의 해석을 실었고, 주를 선별했고, 선별한 주 를 다 인용한 것이 아니라 요점이라고 생각한 점을 실었다. 그러 므로 그가 초횡의 주석법을 기타에 도입했다고 볼 수 있고, 그 런 의미에서 함석헌의 기타 주석서를 ‘기타익(翼)’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노자익에 관한 함석헌의 생각을 고려 하고, 또 그가 노자익에 관해 서술한 주석법과 기타의 주석법 이 같은 점을 고려하면, 함석헌의 인용은 기존의 연구에서 쓰인 ‘나열’로 이해하기보다는 ‘모음’으로 이해하는 것이 함석헌의 주석 의도를 더 잘 살린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함석헌이 이 방법을 사용하는 목적은 ‘자신이’ 편리하게 기타를 읽기 위함도 있겠지 만, ‘독자가’ 기타에 관한 여러 주석을 한데 모아 편리하게 읽기 위함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2. 해제와 서론을 만든다.

함석헌은 해제와 서론을 만들어 싣는다. 그는 말로만 전해 듣던 기타를 부산 헌책방에서 우연히 발견해 놀라고 기뻤다고 말한 직후, “주도 설명도 하나 없으니 옳게 이해했을 리가 없습니다. 그 래도 읽고 또 읽으니 좋았습니다.”라고 말한다. 함석헌이 저본으 로 삼은 힌두 경전들(Hindu Scriptures) )의 한 부분으로 실린 바넷(Barnett)의 기타 영역에는 해설과 주가 있기는 하지만 아 주 적었다. ) 함석헌은 자신이 이 경전을 설명이 충분하지 않은 번역으로 읽을 때 막막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기타 영역서 에 포함된 서론과 부록을 선택해 해제용(解題用)으로 번역해 싣는 다. 그는 왜 해제와 서론이 필요한지를, 그리고 왜 자신의 말로 쓰 지 않고 다른 글을 번역해 싣는지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내가 경험해 봤으니 설명 없이는 알기 어려울 줄을 압니다. 해제나 서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해제의 경우] 서툰 내가 하는 것보다는 잘한 이의 것을 빌리는 것이 옳을 듯해 스와미 프라바바난다(Swami

Prabhavananda)와 크리스토퍼 이셔우드(Christopher Isherwood)의 공 동 번역에 실린기타와 마하바라타기타의 우주론두 장을 우선 실어서 앞으로 읽어가는 데 도움이 되게 할까 합니다.24)

함석헌이 해제용으로 번역해 실은기타와 마하바라타에는  기타와 기타가 속한 마하바라타의 주요 주제인 다르마 (dharma)가 소개되어 있다. 또기타의 우주론에는 기타의 핵 심 철학인, 상키야(sāṅkhya) 철학의 순수 정신인 푸루샤(puruṣa) 와 근본 물질인 프라크리티(prakṛti)의 이원론이 소개되어 있고, 근본물질에서 23개의 물질이 전개되는 원리가 도표와 함께 실려 있다. 둘 다 기타에 생소한 한국 독자에게 입문용으로 소개하기 에 적당한 자료이다. 또한 원래 기타 본문에는 서론이 없지만 함석헌은 거의 모든 장(열여덟 장 중 열다섯 장)에 인용으로 이루 어진 서론을 넣는다. 이렇게 해제와 서론을 주석에 넣는 것은, 그 가 “설명 없이는 알기 어려울 줄을 압니다. 해제나 서론이 필요합 니다”, “앞으로 읽어가는 데 도움이 되게 할까 합니다”라고 말한 대로, 독자가 기타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려는 목적 외에는 따로 이유를 찾을 수 없다.

3. 어려운 단어, 구절, 문장에 여러 번역을 소개한다.

함석헌은 기타 본문의 단어, 구절, 시구 전체가 어려울 때 여 러 번역을 제공한다. 두 가지 예를 들어본다. 우선, 기타 2.66을

 

24) 함석헌(1996) p. 56. 묶음표는 필자의 삽입.

함석헌은 “마음의 통일 없는 사람에게 이성 없고, 마음의 통일 없 는 사람에게 영감도 없다. 영감이 없는 사람에게는 평화가 없고 평화가 없는 사람에게 어디서 즐거움이 있겠느냐?”로 번역한다. 이 구절의 단어를 주석하면서 그는 “영감”의 산스크리트어 bhavana(원래는 bhāvanā)를 소개한 후, 이 단어에 대한 총 일곱 가지 번역을 소개한다. 산스크리트어 bhāvanā는 직역하면 형용사로서 ‘존재하게 하는’, ‘일으키는’, 명사로서 ‘생각’, ‘상상’, ‘명상’이라는 뜻으로 이 시구에서는 번역이 까다롭다. 그래서 함석헌은 자신의 번역인 ‘영감’으로 뜻을 결정하면서도, 일곱 번역, 즉 ‘헌신’(간디), ‘집중력’(라다크리슈난), ‘정려(靜慮)’(다카쿠스, 즉 세계성전전집 ), ‘올바른 상태’(데이비스), ‘반성’(힐), ‘지식 추구의 유지’(텔랑), ‘신령 감응’(바넷, 즉 에브리맨스 문고판)을 소개한다.

또 난해하다고 판단한 기타 8.4 )에 대해서는 다섯 명(라다크 리슈난, 다카쿠스, 간디, 스와미 프라부파다, 틸라크)의 번역을 모 두 문장 채로 소개한다. 함석헌이 주석을 길게 인용하는 일은 흔 하지만, 번역가들의 기타 시구 번역을 통째로 인용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이 시구가 그에게 상당히 난해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문에 인도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 ‘푸루샤’가 들어가자 다 음과 같이 말한다.

… 그중 가장 문제 되는 것이 둘째 구절에 있는 푸루샤라는 말이다. 그것은 사람, 사람 몸, 인류, 개인, 인격, 혼, 초월적 영, 원시 남성 등 등으로 번역되는 말이다. 인도 철학을 모르는 나로서는 도저히 확신을 가지고 그중 어느 것을 골라낼 수가 없다. 위에 인용한 여러분들의 번 역을 참조해 독자가 스스로 짐작하기 바란다.(기타 8.4에 대한 함석 헌의 주석 중) 함석헌이 이 시구와 특정 개념을 번역하는 어려움을 밝히고, 그

래서 여러 번역을 제공하고, 독자가 직접 살펴보기를 권하는 모습 을 볼 수 있다. 함석헌이 ‘푸루샤’ 개념을 이해하는 데 겪은 어려 움은 다른 곳에서도 보인다.

숨은 푸루샤를 말하는 것인데, 물질(prakriti)에 대립시켜서 생명의 씨, 혹은 정신, 혹은 얼, 혹은 인격, 혹은 말씀(로고스)이라 부를 수 있 는 것이므로 여기서 숨이라 해봤다. 어떤 번역에는 원인(原人)이라 하 기도 했다.

수천 년에 걸쳐 발전해 온 힌두교의 복잡한 교리, 철학, 신화, 우주 론의 뜻을 우리로서는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읽는 데 다소 도움이 될까 하여 바가바드기타 있는 그대로의 한 절을 인용하여 그것이 얼마나 많은 이름으로 불리는가를 보이기로 한다.(기타 8.22 에 대한 함석헌의 주석)

이렇게 말하고 나서 함석헌은 바가바드기타 있는 그대로라는 기타 주석서에 나열된 푸루샤의 별칭을 다음과 같이 인용한다.

“푸루쇼타마(Purushottama), 트리비크라마(Trivikrama), 케샤바 (Keshvava), 마다바(Madhava), 아니룻다(Aniruddha), 흐리시케샤 (Hrishikesha), 상카르사나(Sankarsana), 프리쥼나(Pradyumna), 슈리다라(Sridhara), 바수데바(Vasudeva), 다모다라(Damodhara), 자나르다나(Janardana), 나라야나(Narayana), 바마나(Vamana), 파

드마나바(Padmanabha) 등등이다.”

푸루샤는 리그 베다부터 상키야 철학과 베단타 철학을 거쳐 힌두 사상에서 풍요롭고 깊이 있게 발전한 철학 개념이므로, 함석 헌이 주석가로서 겪었을 학문적 어려움이 이해가 간다. 그런데 그 의 주석에서 보이는 훌륭한 점은 자신이 잘 모른다는 사실, 번역 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숨기거나, 언급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대신 그는 자신이 확신 있게 뜻을 선택하기 어 려움을 정직하고 겸손하게 밝히고, 여러 번역과 주석을 인용해 독 자가 이들을 참고한 후 직접 뜻을 가늠하기를 권한다. 이것은 그 의 인용 모음이 독자의 기타 이해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말 해 준다. “읽는 데 다소 도움이 될까 하여 바가바드기타 있는 그 대로의 한 절을 인용”한다고 그가 한 말에서도, 그의 주석 인용 이 독자에게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함석헌은 그가 인용한 주석들의 해석적 시각끼리 혹은 인용한 주석끼리 평가하거나 비교하는 일은 한 번도 없다. 그러나 본문의 단어, 구절, 문장 번역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일은 낯설지 않다. 이 사실은 그가 주석가들의 해석과 인용을 비교하는 일보다는 기타 의 본문을 이해하는 일에 더 무게를 둔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 준다.

4. 제3의 인용을 포함시킨다.

함석헌은 주석, 경전, 문학 작품을 직접 인용할 뿐만 아니라, 그 가 인용하는 주석가가 인용하는 제3의 인용도 자주 포함시킨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 예를 든다. 함석헌은 기타 4.23을 주석하면 서 데사이 )의 주석을 인용한다. 우선 기타 4.23은 다음과 같다.

집착을 떠나 해탈하여, 그 마음은 지혜 위에 굳게 서고, 그 행동, 희 생을 위하는 사람의 행위(業)는 온전히 소멸되어버리느니라.(기타 4.

23)

함석헌은 이 본문에 대한 데사이의 주석을 다음과 같이 인용한

다.

[4장] 19절에서 23절까지는 자유로운 행위의 모든 조건을 묶어서 설명하는 말이다. 3장 9절에서는 희생을 위한 행위는 얽어맴이 없다고 했는데 이 절에서는 희생은 카르마, 곧 업까지도 소멸시킨다고 한다. 업이란 이제 앞으로 열매를 맺을 행위다. 희생은 그와 같이 얽어맴을 예방도 하고 고칠 수도 있는 두 가지 일을 할 수 있다. 구자라트의 신 비가 나라신하 메다(Narasinha Metha)는 무지한 사람을, “굴러가는 차 밑을 걸어가면서 자기가 그 차를 끌고 가거니 하고 믿는 개와 같 다”고 말하였다. 판디트 살타발레카르(Saltavalekar)는 지혜있는 사람 을 설명하기 위해 이런 아름다운 비유를 했다. “차를 타고 앉아 있는 사람이 차가 움직이는 대로 움직이지만, 정말 움직이는 것은 차뿐이 다. 그와 마찬가지로 어진 사람은 지극히 높으신 이를 찾아 제 몸이라 는 차를 타고 나가는데, 그 몸은 움직이나 자신은 가만히 앉아 있다.”

(기타4.23에 대한 데사이의 주석)

함석헌이 데사이의 주석을 인용할 때, 데사이가 인용한 두 사람 나라신하 메다와 살타발레카르의 인용은 굳이 들어가지 않아도 되었다. 그런데 함석헌은 데사이의 주석적 요점에 더해 데사이가 인용한 부분, 즉 함석헌에게는 제3의 인용까지 포함시킨 것이다. 그가 그렇게 한 이유는 물론 그가 이 비유가 마음에 들어서 그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그가 독자가 기타 본문을 더 잘 이해하는 데에 관심을 두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생각을 뒷받침하기 위한 예를 하나 더 들어본다. 함석헌의 주석서에서 가 장 긴 주석인 기타 6.10에 대한 주석은 그 대부분이 라다크리슈 난의 주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기타 6.10은 다음과 같다.

요가를 닦는 사람은 은밀한 곳에 홀로 남아 있어, 몸과 마음을 억제 하고, 모든 욕망과 가진 것을 버리고, 늘 정신 모으기를 힘써야 하느니

라.(기타 6.10)

이 시구에 대해 라다크리슈난은 우선 요가에 대해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를 언급하면서 외부로 향하는 마음을 명상의 대상 으로 집중시켜야 한다는 점을 설명한다. 이때 구약성서의잠언 을 인용한다. 또 “은밀한 곳”이라는 구절을 주석하면서 마태복 음6장 6절을 인용하고, 오리겐이 은둔자들에 관해 기록한 글을 인용한다. 또한 “몸과 마음을 억제”하는 구절을 주석할 때에는 중 세 힌두 주석가 샹카라를 인용하고, 자기를 억제해 마음이 정결해 져야 하나님과 깊이 교통할 수 있다고 해석하면서 워즈워드, 릴케 를 인용한다. 또 외계로 향한 마음을 거두어 자신의 혼으로 한데 모음을 설명하면서 플라톤의 메논을 인용한다.

함석헌은 라다크리슈난의 주석적 요점, 즉 외부로 향하는 마음 을 명상의 대상에 집중해야 한다는 요점만 인용해도 되었을 텐데, 긴 분량인데도 라다크리슈난이 언급하고 인용하는 다양한 경전, 종교가, 문학가, 철학자를 모두 실었다. 우연히 주석 인용이 이러 한 스타일을 띄게 되었다고 말하기에는 제3의 주석이 포함되는 모습이 일관적이고 사례가 많다. 이것은 함석헌이 인용을 잘라내 기보다는 주석서에 되도록 포함시키고 싶어 한다는 것을 말해준

다.

그렇다면 함석헌은 왜 제3의 인용을 되도록 많이 포함시키고 싶어 했을까? 종교다원주의로 해석하고자 하는 독자는 이 부분을 그렇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함석헌이 기타의 시구에 나 타난 사상을 보편적인 것으로 보고, 같은 사상이 다른 종교, 사상, 문학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준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 다. 그러나 필자는 함석헌이 제3의 인용을 포함하는 이유는 국내 에 생소한 힌두 경전 기타 본문을 다양한 배경을 가진 독자가 수월하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려는 작업이라고도 이해한다. 다시 말해서, 독자가 다양한 종교적, 문화적 사고의 개념 틀에 빗 대어 기타 본문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논리적이고 딱 딱한 요점만 싣지 않고 의도적으로 제3의 인용까지 모두 포함시 킨 것이라고 해석한다.

이거룡은 함석헌의 주석법에 대해 기술하면서 다양한 언어로 표현될 때 의미가 명확해지는 점을 잘 지적했다. 그는 “어느 한 종교의 사상은 그 종교 자체의 언어로 해석되기보다는 다른 종교 의 언어로 풀어 밝혀질 때 더욱 선명하게 제모습을 드러내”27)는 것이라고 말한다. 회통의 입장에서 함석헌의 주석 모음을 해석하 는 이거룡이 이 문장에 특별한 강조점을 두었다고 생각하지는 않 지만, 이 문장은 함석헌이 다른 주석을 인용하는 주석법의 목적을 핵심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서, 함석헌은 기타 의 언어를 다른 종교들의 언어, 다른 문화들의 언어로 풀어 밝힌 부분까지 포함시킴으로써 독자가 기타의 언어를 더 잘 이해하 도록 돕고자 했다. 함석헌 자신에게도 생소했을 힌두 경전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그 스스로 연구하여 주석을 달고, 주석가들의 주석 도 인용하고, 해당 시구의 요점을 그 자신도 다른 종교와 문화에 빗대어 생각해 보고, 다른 주석가들이 인용한 부분도 빼지 않고 의도적으로 인용에 포함시켰다고 볼 수 있다.

5. 라다크리슈난 주석을 압도적으로 인용한다.

마지막으로, 함석헌은 압도적으로 라다크리슈난의 주석을 사용 한다. 라다크리슈난(1888-1975)은 대학의 철학 교수, 부총장, 외교 대사를 거쳐 인도 대통령(1962-1967)을 지낸 인물로서 학계와 정 계에서 모두 활동했지만, 인도의 고대 고전(기타, 우파니샤드, 법구경)을 주석한 주석가기도 했다. 함석헌은 기타를 주석하 면서 총 여섯 명의 인도인 주석가(인용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라 다크리슈난, 간디, 마헤시, 데사이, 틸락, 스와미 프라부파다)를 인 용하는데, 함석헌이 간디를 존경했기 때문에 간디의 주석에 크게 의지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그는 라다크리슈난의 주석을 간디 의 주석보다 세 배 가량 많이 사용하고, 기타 본문의 모든 장에 빠짐없이 사용한다.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첫째, 라다크리슈난의 주에는 산스크리트어가 로마자로 들어가 있고, 각 시구마다 주석이 길지 않고, 단어와 짧은 구절에 대한 주 석이 많다. 또한 간디, 마헤시, 틸락의 주석은 짧은 구절의 주석보 다는 자신의 해설이 주(主)이고 각자의 관점을 담은 사상이 포함

 

27) 이거룡(1996) p. 51.

되는 데에 반해, 라다크리슈난의 주석은 관점을 담았다기보다는 단어, 구절을 중심으로 문헌 풀이에 조금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라다크리슈난은 샹카라(Śaṅkara, 8세기), 라마누자 (Rāmānuja, 11세기), 마드바(Madhva, 13세기), 베단타 데시카 (Vedānta Deśika, 13세기), 마두수다나 사라스바티(Madhusūdana Sarasvatī, 16세기)와 같은 중요한 힌두 중세 기타 주석가들을 자주 소개한다. 산스크리트어를 모르는 함석헌이 주석서들을 직접 찾아보기 힘들었을 것이므로, 중세 힌두 주석가들의 작품을 풍부 하게 담은 라다크리슈난의 주석에서 도움을 받았을 것이다. 이 점 은 그가 라다크리슈난의 주석을 인용할 때 자주 이 중세 주석가 들의 인용까지 포함시키는 점으로 알 수 있다.

셋째, 라다크리슈난은 인도 철학과 종교의 가치가 서양 철학과 종교에 뒤떨어지지 않으며 동양과 서양의 사상에 교류점이 많았 다는 것을 보이고자 했으므로, 서양의 종교나 문학을 인용하여 인 도 사상과 비교해 언급하거나 인용하는 곳들이 많다. 예들 들어, 기타 11.5에서부터는 크리슈나가 아르주나의 간청을 받은 후 자 신을 신의 모습으로 현현하여 보여준다. 라다크리슈난은 이 종교 체험을 예수의 변모, 사울의 다마스커스 도상의 환상, 콘스탄틴의 십자가, 잔다르크의 환상에 빗대고, 성 힐데가르드의 작품을 인용 한다. 동서양을 이분(二分)하는 틀로 이해한 함석헌에게, 동양 사 상과 서양 사상을 비교하는 라다크리슈난의 주석 경향은 잘 맞았 을 것이다.

이렇게 다른 주석가들보다 문헌 풀이에 충실하고, 힌두교 안에 서 기타의 주석들을 소개하고, 기타와 힌두교 밖의 사상들을 비교하는 라다크리슈난의 주석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점으로 미 루어, 함석헌이 독자의 기타 본문 이해에 역점을 두었다고 이해 할 수 있다.


Ⅴ. 나가는 말


본 논문에서는 함석헌의 기타 주석에 두드러진 주석법이 인 용 모음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 주석법에 대해 기존에 행해진 해석을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장광설과 온갖 것의 수집이 라고 본 해석, 둘째, 나열이라고 성격 지운 후 회통과 종교다원주 의라고 본 해석, 셋째, 자신의 말을 대신 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용 을 사용한다는 해석, 넷째, 인용 간에 비교하거나 기타 구절과 인용을 비교한다는 해석이었다. 이 기존의 해석들과 달리, 본 논 문에서는 함석헌의 인용 모음 주석법은 독자의 기타 이해를 도 우려는 행위와 관련 있다고 주장하고, 그 근거로 다섯 가지를 제 시하였다.

첫째, 비록 함석헌이 기타 주석서에서 말한 것은 아니지만 초 횡의 노자익을 들어 설명한 부분을 참고하여, 함석헌은 기타 를 읽는 이가 좋은 주의 요점만 모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편 리함을 추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한 의미에서 기타 주석서를 함석헌의 ‘기타익’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보았다. 같은 맥락에서, 함석헌의 인용을 ‘나열’이라기보다는 ‘모음’으로 이해하는 것이 함 석헌의 주석 의도를 살린 더 적절한 이해라고 주장하였다. 둘째, 함석헌은 기타 본문에는 없는 해제와 서론을 만들었다. 자신이 해제와 서론 없이 기타를 읽기 어려웠던 경험에 바탕을 두었고, 그래서 해제와 서론을 만드는 것은 독자가 기타를 읽는 데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라고 직접 밝혔다. 셋째, 함석헌은 힌두 종교 와 철학을 논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정직하고 겸손하게 드러내 고, 어려운 단어, 구절, 시구에 여러 번역과 주석을 제공한다. 자신 의 지식에 한계가 있으므로 여러 번역과 주석을 통해 독자가 읽 고 스스로 가늠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넷째, 함석헌은 다른 주석 을 인용할 때 논리적이고 딱딱한 핵심만 인용하지 않고 다른 주 석에 담긴 제3의 인용까지 인용에 포함시키는 일이 잦다. 그 이유 는 제3의 인용을 통해 생소한 기타를 이해하기가 수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함석헌은 여섯 명의 기타 주석가 중 라다크리슈난의 주석을 압도적으로 인용 한다. 라다크리슈난은 문헌 풀이에 주목하고, 자신의 해석도 하면 서 동서양의 예시를 풍부하게 들고, 중세 힌두 주석가들도 인용하 는 주석가이므로, 함석헌이 생소한 힌두 경전의 내용을 조금 더 알기 쉽게 독자에게 소개하기에 적합했을 것이다. 이 다섯 가지에 근거를 두고 전체적으로 볼 때, 함석헌의 인용 모음 주석법은 기 존 해석들과 달리, 독자가 한국인에게 생소한 기타를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행위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함석헌이 독자의 기타 이해를 돕고자 한 이 유는, 그가 기타가 “진리의 말씀” )이라고 생각했고 그래서 다 른 사람에게 “권하고” 싶어 한 것과 관련 있다. “진리”가 무엇을 뜻하는지는 밝히지 않아 확실하지 않지만, 그가 “전도” )라는 비 유적 표현을 사용할 만큼 기타 독서에서 큰 감화를 받았고 기 타를 다른 이에게 전하고자 했던 마음은 확실하다. 즉, 그는 독 자가 기타를 지식으로만 이해하는 데 머물지 않고 그 안에 담 긴 진리를 깊이 있게 이해해 삶에서 잘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랐다. 이 바람은, 자신이 주석 없이 읽을 때 겪은 어려웠던 경험을 살려, 독자가 기타를 더 잘 이해하게끔 도와주는 행위로 표출되었다. 그리고 기꺼이 고백한 힌두 사상에 대한 지식의 한계 안에서, 최 선으로 선택한 주석법이 바로 ‘인용 모음’이라는 주석법으로 나타 났다고 이해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김영호(2001). 함석헌과 인도사상 ,함석헌 사상을 찾아서. 서울: 삼인.

김호성(2004). 바가바드기타를 읽는 틸락의 分析的 讀書法 , 종교연구 35집. 서울: 한국종교학회, pp. 195-224.

류황태(2009). 바가바드 기타 와 한국문화의 세계화 , 동서비교문학저널 21호. 서울: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pp. 51-75. 박석일(1978). 바가바드기타. 서울: 정음사. 박홍규

2013 함석헌과 간디의 종교관 비교: 바가바드기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56권. 부산: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pp. 83-114.

2015 바가바드기타로 본 함석헌과 간디의 종교관 , 함석헌과 간디: 평화를 향한 같고도 다른 길. 파주: 도서출판 들녘, pp. 235-269.

심재룡(1990). 인도 고전 해설: 바가바드 기타의 묘수풀이 , 동양의 지혜와 禪. 서울: 세계사. pp. 300-334. 이거룡(1996). 거룩한 자의 노래: 함석헌 선생 주석의 바가바드기타 , 바가바드 기타. 서울: 한길사, pp.

21-53.

이현주(2006). 평범한 사람들을 위해 간디가 해설한 바가바드 기타. 초판 2001 ; 재판 ; 서울: 당대. 함석헌

1985. 함석헌전집13: 바가바드기타. 서울: 한길사.

2009a. 함석헌저작집24: 씨의 옛글풀이. 파주: 한길사.

2009b. 함석헌저작집28: 바가바드 기타. 파주: 한길사. 함석헌 역주(1996). 바가바드 기타. 서울: 한길사.

Barnett, Lionel D. Bhagavad-Gita:orTheLord’sSong. The Temple Classics. London: J. M. Dent and Co., 1905.

Desai, Mahadev(1946). TheGospelofSelflessActionOrthe

GitaaccordingtoGandhi(TranslationoftheOriginalin

Gujarati,withanAdditionalIntroductionand Commentary). Ahmedabad, India: Navajivan Publishing House.

Gandhi, Mohandas K.(1991). M.K.GandhiInterpretsthe Bhagavadgita. 1st ed. 1980 ; rep. ed. ; New Delhi: Orient Paperbacks (A division of Vision Books Private Ltd.).

Macnicol, Nicol, ed.(1938). HinduScriptures:Hymnsfromthe Rigveda,FiveUpanishads,theBhagavadgita.

Everyman’s Library. London: J. M. Dent & Sons Ltd.

Prabhavananda, Swami & Christopher Isherwood, trans.(1972).

TheSongofGod:Bhagavad-Gita.1st ed. 1944 ; rep. ed.

; London: Phoenix House Ltd.,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Seymour, Terry(2011). APrintingHistoryofEveryman’s Library1906-1982. Bloomington, IN: AuthorHouse.

Zaehner, Robert C., trans., and ed.(1966). HinduScriptures.

Everyman’s Library. London: J. M. Dent & Sons Ltd.

Abstract

Reinterpretation of the Commentarial Method of Collecting Quotations: in Ham Seok-heon’s Commentary on the Bhagavad Gītā

Haesook Ra

Sogang University

This study aims at shedding new light on Ham Seok-heon’s commentarial method of collecting quotations in his commentary on the BhagavadGītā (henceforth Gītā). Although he leaves his own comments, Ham Seok-heon (1901-1989, henceforth Ham) mainly uses a particular kind of commentarial method; that is, he quotes passages from both other commentators’ commentaries and other religious texts as well as works of literature. Previously, several scholars interpreted this kind of commentarial method as a disorderly enumeration of quotations or as based on religious pluralism, and so on. This study, however, argues that it is rather a selected collection of quotations, by which he wants to help the readers of the commented text Gītā understand better. I suggest five reasons for this argument.

First, mentioning Jiao Hong(焦竑)’s commentarial method in the 老子翼, Ham writes that Jiao Hong collected at one place selected good comments from different commentaries. Considering this record, it can be assumed that Ham also desired the readers of the Gītāto read at one place the selected good comments. Second, He makes a preface, which is a translation of two chapters from a dif-

 

 ∙印度哲學제46집

ferent book, to the Gītāand the introductions to almost every chapter of It. Having an experience of reading it almost without any commentarial aid, Ham writes himself that he makes the preface and introductions for the sake of helping the readers understand the Gītā better. Third, he provides the difficult words, phrases, and sentences of the Gītā with various translations and comments. As he reveals that he is not conversant with Indian philosophy, the various translations and comments are for the readers themselves to decide the meaning of those difficult parts. Fourth, he quotes not only the logical and central ideas but also rich citations that other commentators provide. It can be conjectured that Ham wanted to include numerous citations, so that they facilitate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Gītā. Finally, Ham depends most on Radhakrishnan’s comments, which are characterized as annotating the Gītā text, giving abundant citations from both the Eastern and the Western traditions, and quoting the medieval Indian commentators such as Śaṅkara, Rāmānuja, and Madhva. Based on these five observations,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at Ham’s commentarial method of collecting quotations was devised in order to help the readers of the Gītā acquire a better understanding of It.

Keywords : Ham Seok-heon, BhagavadGītā, commentarial method, a selected collection of quotations, interpretation, readers.

투고 일자 : 2016년 3월 28일 심사 기간 : 2016년 4월 11일 ~ 4월 28일 게재 확정일 : 2016년 4월 29일








2021/10/31

바가바드기타나 국내 번역본 비교 리뷰

 https://blog.naver.com/binahfilm/220411687249


그래서 바가바드기타나 우파니샤드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제가 읽었던 국내 번역본들 리뷰를 간단히 하려고 해요.

먼저 국내 번역된 바가바드기타Bhagavad gita 는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원문만 있는 경우

2) 원문과 해설이 있는 경우

3) 원문 일부에 해설이 주가 되는 경우 (주로 강의 형식)

====

1) 원문만 있는 경우

바가바드기타 길희성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11.30

왼쪽에는 산스크리트어 영문 표기, 오른쪽에는 해석한 본문이 있습니다.

산스크리트어 바가바드기타를 보고 싶은 분이나 인도 철학 강의를 들으시는 분에게는 좋을 것 같지만, 처음 바가바드기타를 읽는 사람에게는 해설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이것만 보기에는 힘들 것 같아요.

============

2) 원문과 해설이 있는 경우

바가바드 기따 석지현
일지사 1995.08.30
초창기에 번역되었던 바가바드 기따입니다. 일단 원문이 잘 읽힌다는 장점이 있어요.
하지만 해설이 짧은데다가, 그 해설에 대한 역주 역시 자의적인 부분이 많습니다.
--
바가바드 기타 함석헌
한길사 2009.03.13

제가 제일 처음에 읽은 바가바드기타입니다.
마하리쉬마헤쉬, 샹카라, 라다크리슈난 등 인도 철학자, 수행자들의 해설을 첨부하여 여러 사람의 해설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함석헌 선생님만의 순 한글을 이용한 해설을 보는 재미도 있구요.
====
스리마드 바가바드 기타,  스리 브야사
동문선, 2007.02.01
----
인도에서 자아회귀 명상을 공부한 분이 범역하신 책입니다.
위의 길희성 님 책의 산스크리트어가 영문 표기로 되어 있는 반면, 이 책에서는 산스크리트어가 그대로 나오고 그 아래 음역이 나옵니다.
그래서 산스크리트어로 따라서 읽고 싶은 사람은 한글만 보고도 낭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네요!
바가바드기타가 실려 있는 본래 서사시인 <<마하바라타>>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가계도,
바가바드기타의 두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크리슈나와 아르주나의 여러 이름들이 책 앞에 제공되어 있어 좋아요.
또 부록으로 산스크리트 발음, 요가, 크리슈나 등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산스크리트 용어 사전이 첨부되어 있어 편리해요.
단 하나, 해설에 자아회귀명상이 다른 방법보다 우선하는 것처럼 표현된 부분들이 역자 해설에 종종 보여 이 점을 감안하시고 읽으시면 될 것 같아요.

====
3) 원문 일부에 해설이 주가 되는 경우
----
신에 이르는 길  람 다스
정신세계사2008.06.05
---
천상의 노래  비노바 바베
실천문학사 2002.08.05
---
천상의 노래  바가반 슈리 라마나 마하리쉬
슈리크리슈나다스아쉬람
2004.08.18
---

라마나 마하리쉬, 간디, 비노바 바베, 람다스를 비롯한 인도의 정신적 지도자들이 바가바드기타를 해설한 경우가 있어요.
이 경우에는 원문이 순차적으로 다 실리는 것이 아니라, 주제에 맞는 구절을 발췌한 뒤 해설하는 강의 형식인 경우가 많아서 바가바드기타를 처음 읽으시는 분은 2) 원문이 다 실린 책을 먼저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바가바드 기따
문을식
서강대학교출판부
2012.08.21
---
그 외 책 제목이 <<바가바드기따>>인데, 원문은 실려 있지 않고 바가바드기따를 학술적으로 분석한 책이 있어요.
바가바드기따를 포함한 마하바라타 전체의 등장인물, 가계도,  
바가바드기따의 인물 대화 분석표, 바가바드기따 저술 연도와 관련된 학설 등  
학문적으로 기따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되어왔는지 보고 싶은 분들에게 좋은 책입니다.
학술 도서로 기본적인 힌두교 사상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책이네요.
-
기존 학자별 입장과 연구를 잘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참고문헌으로 좋을 것 같아요. 
==== 
4) 다른 경전과 바가바드기타
---
법구경과 바가바드기타
정태혁
정신세계사
2009.01.07
이 책은 법구경과 바가바드기타의 다양한 구절들이 나와 흥미로워요.  
저자가 <여성불교>지에 연재한 글을 다듬어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두 경전을 중심으로 쓴 에세이적 성격이 강합니다.  
바가바드기타 외에도 우파니샤드나 다른 불경이 인용이 되어 있습니다.  
불교에 익숙하신 분들이 바가바드기타를 처음 접할 때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마하바라타 1
크리슈나 다르마
나들목
2008.10.10
--
====
5) 그 외
바가바드기타에 나오는 인물이나 바가바드기타가 가진 이야기 전체를 알고 싶으신 분은
<<마하바라타>>를 보시면 돼요.  
<<마하바라타>>-위대한 바라타족 이야기는 인도 3대 서사시인데 이 중 6권 일부가 바로 바가바드기타이고,
이 권이 독립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경전이 된 거거든요.
그래서 <<마하바라타>>를 읽으시면 바가바드기타의 배경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어요.
====
크리슈나 다르마가 소설형식으로 4권으로 정리한 마하바라타에요.  
다른 번역본 마하바라타가 단권이니까 이 책이 가장 자세히 나와 있다고 할 수 있겠네요. (총 1-4권)
====
인도철학사 1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
한길사
2014.01.20
-----
그 외에 바가바드기타가 힌두 철학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또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라다크리슈난의 <<인도철학사>> 2권(vol.2)을 보시면 돼요.  
2권에 서사시 철학을 다루면서 바가바드기타의 기본 입장이 나와 있어요.
맨 처음 바가바드기타를 읽으시는 분이라면 2) 본문과 해설이 있는 경우를 먼저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제가 안 읽은 번역본 바가바드기타도 꽤 많고 바가바드기타 철학에 관한 책도 앞으로 읽을 예정이니까,
차후에 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알라딘: 바가바드 기타 함석헌 (옮긴이)한길사2003

알라딘: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 한길그레이트북스 18  
함석헌 (옮긴이)한길사2003-03-10원제 : Bhagavadgita
---
세계의 종교 주간 11위, 소설/시/희곡 top100 3주|Sales Point : 2,402 
 8.7 100자평(18)리뷰(6)
--
양장본528쪽
---
목차
1. 아르주나의 고민
2. 삼캬 요가
3. 카르마 요가
4. 즈나나 카르마 산야사 요가
5. 내버림의 요가
6. 진정한 요가
7. 즈나나 비즈나나 요가
8. 브라마 요가
9. 왕지식과 왕신비
10. 거룩하신 능력
11. 일체상
12. 박티요가
13. 밭과 밭알이와 그 분별
14. 3성 분별
15. 멸 불멸을 초월하는 지상자아
16. 거룩한 바탈과 귀신 바탈
17. 세 종류의 신앙
18. 내버림에 의한 해탈

책속에서
P. 93
16. 비유(非有) 아닌 것이 존재할 수 없고 존재하는 것이 유(有) 아닐수 없다. 이 둘의 궁극은 참다움을 본 이에 의해서만 보일 수 있다. - 미친 나이스가이
P. 114
71. 일체의 애욕을 버리고 갈구하는 것도 없이, 나란 생각도 내것이란 생각도 아니 하는 사람은 평화에 이른다. - 미친 나이스가이
P. 129
19. 그러므로 집착을 떠나 언제나 마땅히 행하여야 할 것을 하라. 집착 없이 행하는 자가 가장 높은 데 이르기 때문이다. - 미친 나이스가이
P. 171
22. 우연히 오는 것으로 만족하고, 상대로 보기를 넘어서서, 미워하는 마음이 없이, 성공 · 실패를 하나로 보는 사람은 아무리 행동하여도 얽매임이 없느니라. - 미친 나이스가이
P. 198
10. 자기의 모든 행위를 브라만에게 바치고 집착을 떠나 행동하는 자는 죄에 물들이 없나니, 마치 연잎이 물에 젖지 않음 같으니라. - 미친 나이스가이
더보기
독서에세이
무엇에도 집착 않는 해탈에 이르는 길
기독교, 이슬람교와 더불어 세계적인 종교의 하나인 불교는 인도에서 생겨났다. 하지만 오늘날 인도는 불교 국가가 아니라 힌두교 국가이다. 기원전 5세기 무렵 불교는 인도의 동북부에서 발생하여 한동안 성행하다가 인도의 전통 종교인 힌두교에 밀려 동쪽으로 전파되기 시작한다. 중국, 한반도, 일본의 고대 사회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여기에 기인한다.

불교가 그 고향인 인도에서 힌두교에 밀린 이유는 뭘까? 불교의 평등 사상은 카스트 제도마저 부인할 정도로 진보적인 것이었는데도 인도 민중이 불교를 버린 까닭은 뭘까? 그것은 인도의 독특한 윤회 사상 때문이다.

윤회를 믿는 인도인들은 지금은 비록 노예의 신분이더라도 꾹 참고 성실하게 살아 가면 다음 세상에서는 더 좋은 신분으로 태어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렇게 다음 세상을 기약하면 되는데, 굳이 현재의 삶에서 평등을 추구할 필요가 없는 것이었다(현세의 행복은 오히려 자신의 업을 키워서 복된 내세를 저해하게 될 뿐이다).

그래서 불교는 윤회의 관념이 없는 극동에서 더 찬란하게 꽃을 피우게 된다. 하지만 인도에서 힌두교가 불교를 누른 이유는 더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바가바드 기타>이다.

<바가바드 기타>는 <베다>, <우파니샤드>와 더불어 힌두교 3대 경전 가운데 하나지만, 다른 두 경전과는 달리, 그리고 불교의 경전들과도 달리 승려가 아닌 일반 대중이 읽을 수 있는 경전이다.

"나에게 귀의하면 천민, 여자, 바이샤, 수드라라 할지라도 지고의 목표로 갈 수 있다." 불교와 달리 힌두교에는 이렇게 대중적이고 서민들의 구체적인 삶과 연관된 경전이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바가바드 기타>의 내용 자체가 대중적인 것은 아니다. '바가바드 기타'라는 말은 '거룩한 자, 존엄한 자의 노래'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아득한 옛날 쿠루크셰트라라는 들판에서 카우라바 집안과 판다바 집안이 결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두 집안은 서로 형제 간이었으니 바야흐로 골육상잔의 비극이 벌어지려는 순간이었다. 이 때 판다바의 왕자인 아르주나와 비슈누 신의 화신인 크리슈나가 나누는 대화가 <바가바드 기타>의 내용을 이룬다.

왕자와 성자의 대화, 따라서 '존엄한 자의 노래'는 어울리는 제목이라 하겠다. 아르주나는 갈등한다. 형제를 죽이고 왕이 될 것이냐, 아니면 속세를 버리고 은거하여 명상과 고행을 하는 삶을 살아 갈 것이냐. 이 극적인 장면에서 크리슈나는 용감히 나가 싸우라고 충고한다. 하지만 어찌 형제들과 싸워 이기라는 게 신의 가르침일까?

크리슈나는 그것이 단순히 세속적인 왕위를 얻기 위한 싸움이 아니라 인간 내면의 싸움이며 근원적인 갈등임을 말한 것이다.

"그대가 할 일은 오직 행위 자체일 뿐 그 결과가 아니다. 행위의 결과를 동기로 삼지 말며 행위하지 않음에도 집착하지 말라."

이것이 인간을 대표하는 아르주나에게 크리슈나가 주는 신의 가르침이다. 무엇에도 집착하지 않는 삶이란 근원적인 갈등이 해소된 상태, 곧 해탈을 가리킨다. 윤회 관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힌두교에서 지고의 목표로 제시하는 것은 역설적이게도 바로 윤회에서 벗어나는 해탈인 것이다.

<바가바드 기타>에서 가르치는 해탈에 이르기 위한 길은 세 가지이다. 첫째는 지식의 길, 즉 깨달음을 통해 참된 지식을 얻고 인간 본성으로 복귀하는 길이다. 둘째는 행위의 길, 즉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아무런 집착이 없이 수행함으로써 속세의 한가운데에서 해탈에 이르는 길이다. 셋째는 가장 높은 단계인 믿음의 길, 즉 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의 길이다. 이 셋을 종합하면, 진정한 해탈은 깨달음으로 행동하고 신을 믿음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인도의 성자로 추앙받는 마하트마 간디는 평생 동안 <바가바드 기타>를 항상 몸에서 떼어 놓지 않았다. 심지어 그는 벽에 한 구절씩 붙여 놓고 아침마다 세수할 때 읽고 이를 닦는 동안 그것을 외웠다고 한다. 그 덕분일까? 그의 영도 아래 인도는 200년 동안의 영국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나 '해탈(독립)'할 수 있었다. - 남경태(전문번역가)
--------------
저자 및 역자소개
함석헌 (옮긴이) 
-----
평점 분포
    8.7
----
구매자 (7)
전체 (18)
공감순 
     
힌두경전 기타에 함석헌 선생의 주석을 더한 인간 내면의 전쟁을 그린 지고자의 노래  구매
인문학에길을묻다 2010-07-15 공감 (23) 댓글 (0)
Thanks to
 
공감
     
인간의 몸은 아홉개의 구멍을 가진 거대한 상처다. 이 문장만으로도 한번쯤은 읽어볼만한 책.  구매
bl. 2013-11-21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책을 반정도 읽다가 갑자기 무기력증에 빠졌다. 몇달간 무기력증에서 벗어나질 못했다. 경쟁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겐 안맞는 책인듯 하다.  구매
착한레이 2013-07-24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인도를 대표할만한 성전에 대한 우리나라 사상가의 의역~ 간혹 정확하지 않은 대목이 있을 지도 모르지만 읽고 이해하기에는 놀랄만큼 너무 명료합니다.  구매
밭고랑 2013-04-02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인도의 경전에 대하여 많은 도움을 받았다. 그리고 인도 종교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구매
거북이 2012-05-05 공감 (0) 댓글 (0)
-----
마이리뷰
     
나는 오늘 궁극에 다녀왔다 새창으로 보기
바가바드기타(Bhagavad Gita)
―나는 오늘 궁극(窮極)에 다녀왔다



궁극(窮極)을 향한 노래

『바가바드기타』는 궁극을 향한 노래이다. 이는 신에 대한 종교에 대한 옳은 행위에 대한 논증을 설파하는 것도 아니다. 『바가바드기타』가 가지는 유일한 논증이라면 그것은 아름다운 비유이다. 궁극으로 가기 위해서는 놀라운 과정을 감수해야 한다 '사지가 주저앉고, 입은 바싹 타며, 전율이 내 몸을 휩싸고, 온몸의 털이 곤두서는' 고뇌를 견뎌내야 하며, 전장에서 내 목숨을 위협하는 것은 혈육이며, 지고의 순례길 중에는 온 형제 가족이 낙오되거나 죽은 끝에 결국 혼자 남은 외로운 수행길을 감당해야 한다. 이 때 귀를 맑게 하는 아름다운 깨달음의 노래는 나를 더 이상 슬픔에 빠뜨리지 않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지고자가 나를 위해 배려한 과정이며, 그러한 지고지순한 진리가 쉽게 나타날 수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
궁극이라는 것은 절대적인 자유를 의미하며, 자아를 초월한 초자아란 하나님이 완전히 내 안에 들어와 있는 상태이다. 스피노자는 그 상태를 꿈꾸어 '신을 향한 지적 사랑'을 갈구했으며, 파스칼은 '가장 위대하며 가장 비참한 상태'를 체험했다.
궁극에도 시간은 있지만, 이 때의 시간은 '영원을 헤아리는 사고방식'이다. 연대순으로 이루어진 역사는 별 의미가 없다. 영원이라는 관념에 도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창조의 상대적 분야에서 가장 오랜 수명을 가졌던 어떤 물건의 생애를 생각해 보는 일인데, 인도인들은 창조의 분야에서 가장 오랜 수명을 가진 존재를 거룩한 어머니 혹은 우주적 어머니라고 불렀다. 우주적 어머니로부터 인간의 생애에 이르기까지는 수없이 많은 단위가 놓여 있는데, 어머니의 시간 개념으로 가장 말단의 단위인 칼리 유가(kali yuga) 하나만 해도 사람의 생애 43만 2천년이다. 그래서 영원에 가깝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어머니와 나는 상상할 수 없는 시간의 벽이 서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연인의 앞에 서 있는 것처럼 사고하는 방식이 인도인의 시간관이었다.
'궁극'을 경험한 자는 많은 말을 하지 않는다.
우리가 힘겹게 찾아 올라갔던 정신의 여정은 간단한 한마디 말로 녹아야 하며, 그 말 한마디가 인생 이해의 전부를 뒤집어엎어서 사람은 단번에, 아주 완전히, 모든 얽매임을 다 벗은 영원한 해탈의 지경에 올라가게 한다.
'궁극'의 의식에 도달한 사람은 개인 생명의 수준에서 행하던 사고방식을 뛰어넘어 우주적 생명의 수준으로 올라간다. 평생 느껴보지 못한 단맛을 본 사람은 모든 단맛을 다 이기듯이 우주적인 의식을 체험했던 사람은 그 축복의 맛을 언제나 마음속에 간직한다. '궁극'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이미 인정세태의 괴로움은 사소한 추억에 불과하리라.

이 궁극의 노래는 노래의 언어로, 노래의 귀를 통해 받아들여야 한다. 사변적인 언어로 받아들이면 아름다운 향연에 참여할 수 없게 된다. 영혼의 가락과 정열에 몸을 맡기고, 가만히 듣고 있으면 당신의 내면 속에서 따라부르는 그 노랫소리가 바로 이 노래라는 것을 알게 된다.


대략적인 줄거리와 서술 방식


『바가바드기타』는 쿠루크셰트라 전쟁이라는 역사적인 사건을 무대로 한다. 하스티나푸라에 자리잡은 쿠루족의 두 형제 가문, 즉 카우라바 형제들과 판다바 형제들이 쿠루크셰트라 들판 양편에 군대를 대치시키고 왕권을 차지하기 위하여 살육전을 벌이려는 극적인 상황에서 아르주나와 크리슈나의 대화가 이루어진다. 바라타 왕국의 정당한 후계자였던 아르주나의 맏형이 두료다나의 술책에 빠져 도박으로 나라와 형제들을 다 잃고 13년 간 고행을 하게 된다. 시일이 지났을 때 두료다나는 반환을 거절했고, 생활을 꾸려 나갈 약간의 땅조차 수용하지 않아 결국 형제끼리 창을 겨누는 비극적인 상황으로 이야기는 비화되었다. 아르주나는 이 전쟁에 대한 확실한 대의 명분을 가지고 전쟁터로 나가지만 상대편 군대에서 자기 사촌들, 아저씨, 할아버지 등 혈족들을 있다. 왜냐하면 그가 자신의 혈족을 죽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자기의 혈족을 죽이고 왕국을 통치하느니 차라리 숲으로 은거하여 궁극자에 대한 명상에 몰두하는 고행자의 삶을 택하려 한다. 그때 크리슈나는 아르주나에게 '싸우라'(ii. 8)고 말하면서 둘의 토론이 시작된다.
이야기의 서두에 전쟁이 나온 것은 인간 내면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모순을 여지없이 드러내 보여주는 것이 전쟁이 주는 극적인 상황이기 때문이다.
두료다나와 아르주나는 같은 전장에 서 있지만 그들의 싸움은 이미 같은 종류가 아니다. 두료다나는 다만 권력과 부를 유지하려는 자기욕망의 표현인 반면, 아르주나는 자신의 고뇌와 만인의 사명을 안고 싸우는 입장이다. 이 둘은 모두 전쟁이라는 이름으로 말끔히 요약되며 크리슈나가 '싸우라'고 주장한 요점도 여기서 비롯된다.

오래된 인도의 경전인 이 책은 어느 경전과 같이 주석가들의 적절한 비유가 돋보인다. 라다크리슈난, 간디, 함석헌 등의 저술가들은 경전을 돋보이게 만들기 위해 세계의 고전들과 인물들을 끌어다 이 책의 '보편화'에 기여했다. 궁극의 초월정신은 어디든 통하며 지고의 경지에서 마주앉아 세상을 논한다.
『바가바드기타』는 인도의 경전 중 가장 궁극에 가까운 저술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엄격한 카스트 제도 역시 궁극의 입장에서는 한낱 사소한 제도에 불과하다.


"어떠한 신자가 신앙을 가지고 어떤 형태의 신을 예배하기를 원하더라도 나는 그의 신앙을 튼튼하게 해준다"
……
프리다의 아들아, 내게 돌아오는 자는 비록 죄의 탯집에서 났더라도, 여자로, 바이샤로, 수드라로 났더라도 다 최고의 경지에 이를 것이니,



사실 『바가바드기타』 안에는 어떤 경지나 단계 같은 것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다만 깊이 이해하고, 깨끗이 비우고, 참되게 행동하는 것을 통해 신에게 보다 깊이 다가가고자 하는 간절함이 가득할 뿐이다.


궁극의 가르침


너는 슬퍼할 수 없는 자를 위하여 슬퍼하고 있다.



아르주나는 관계에 현혹되어 있다. 즉 그는 아직도 제자나 스승, 친척은 그들 자체 때문에 소중한 것이 아니고 자아 때문에 소중한 것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난 자는 반드시 죽게 되고, 죽는 자는 반드시 나는데, 피할 수 없는 죽음을 자신이 어찌할 수 있다는 듯이 판단하고 있는 것은 아르주나가 옅은 감정에 정신을 빼앗겨 버렸기 때문이다. 아르주나는 자아를 우주적 입장에서 사려하기 힘들다. 적과의 갈등과 대립이 2중, 3중고로 다가오는 이유도 물질과 환경에 영향을 받고 홀가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사랑을 위해서 우리는 압박자와 고통과 죽음에 직면한다.
인간의 생에서 모든 행동은 필연적으로 반동을 받는 법이고, 우리의 영혼을 끝까지 얽어매 지고자와의 대면을 어렵게 한다.
이 때 크리슈나가 아르주나에게 들려주는 첫 번째 궁극은 '평정한 마음'이다. 꼭 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는 어떤 일도 없으며, 아직도 얻지 못해서 꼭 얻어야 한다는 어떤 물건도 없다. 하지만 나는 언제나 일을 하고 있다. 이 때 나의 행동은 행동 자체에 있는 것이지 결과에 이끌리지 않는다.


행동의 결과를 네 동기가 되게 하지 마라



역설적으로 보이지만,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최대의 자유는 우리의 모든 의식을 지고자에게 기울여 복종하는 것이다. 우리가 하고 싶은 대로 하고, 먹고 싶은 대로 먹는 것은 자유처럼 보이지만 사실 감각의 지배를 받는 것일 뿐이다. '무엇을 조금 알면 독단적이 되고, 조금 더 알면 묻게 되고, 또 조금 더 알면 기도하게' 된다. 그뿐 아니라 우리가 존재해 나갈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의 사랑 덕분임을 알게 되기 때문에 겸손해진다. 고금을 막론하고 위대한 사상가는 모두 종교심이 깊은 사람들이었다.
 진정한 자유를 얻은 사람은 자기가 하는 일을 우주적 영(靈)의 기계로서, 모든 운명을 지고자에게 맡기고 또 우주적 질서의 유지를 위해 살아간다. 자신의 운명을 모두 맡길 수 있으려면 믿음도 두터워야 하겠지만, 세계에 대한 절대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이로서 신과 나는 하나가 된다. 신과 하나가 될 때 나의 마음은 평정을 되찾으며 나의 행동과 말들은 생기가 돋는다. 나는 더 이상 누구의 지배도 아니며 신을 위해 일할 뿐이며, 모든 것은 신에 의해 안배되어 있다는 믿음으로 살아간다. 차가 아무리 빠르게 달린다 해도 차부는 움직이지 않듯이, 굴곡이 많은 생을 살아가는 우리 안에는 신이 타고 있다.
크리슈나가 아르주나의 차부였다는 것을 기억하자. 그는 무장을 하지 않는다.


하나님은 우리가 넘어졌을 때면 언제나 우리를 도와주시고, 우리가 실망에 떨어졌을 때 위로해 주시기를 지체하지 않지만, 우리를 위해 우리 갈 곳을 대신 기어 올라가시지는 않는다. 하나님은 우리가 그에게로 돌아갈 때까지 길이 참고 견디시기를 싫어하지 않는다.



궁극의 평정을 얻고 난 후 두 번째 궁극의 가르침은 '행위'이다.


너는 네 명함을 받은 일을 행하여라. 행(行)은 비행(非行)보다 나으니라. 행함 없이는 네 육신의 부지조차 얻을 수 없을 것이다.



『바가바드기타』에서 특히 강조하는 것은 '실천'의 덕목이다. 평정을 갖춘 행위는 십만 대군보다 의연하며 강력하다. 나는 해야 할 일이 있어서 탄생하였다. 해야 할 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만일 일하기를 그친다면 이 세계는 망해 버릴 것이다. 나는 혼란을 일으킨 자가 될 것이요, 인류는 멸망하고 말' 것이다.
지식은 그 완전한 지경에서는 이해와 체험의 두 가지를 다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람이 완전한 지경에 이르려면 세계에 대한 이해와 체험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행위'라 함은 노자가 주장하는 '무위(無爲)'를 포함한다. 무위는 자신의 행위하되 따로 행위한다고 말할 것이 없는 상태다. 항상 일하고 있으면서도 자기가 일하는 자라는 주장을 아니하는 사람의 '행위'는 무행위요, 외양으로는 행동을 피하면서도 마음속에는 천만 칸 기와집을 짓고 있는 사람의 무행위는 행위다. 이러한 행위의 이치를 깨우친 사람은 자신이 하는 행위는 없고, 지고자의 '명'을 받고 행할 뿐이다. 마치 차부가 이끌 듯이 움직이는 말과 같다.


행위 속에 무행위를 보며 무행위 속에 행위를 보는 자는 사람 중에서 깨달음을 얻는 자니라. 그러한 사람이 요가를 닦는 사람이요 모든 행위를 완성하였느니라.



그의 몸은 기계적으로 움직일 뿐이고 행동자는 하나님이지 그 자신이 아니다. 하나님은 그가 행위를 이겨낼 때까지 언제고 기다려 줄 수는 있지만, 직접 전장에 나가거나 산을 기어오르지는 않는다. 이것이 하나님과 나의 관계이다. 나는 자신를 무(無)에까지 낮춘 것이다. 이것이 진정한 자유라고 보는 것이 『기타』의 사상이다. 이런 의미에서 나는 자연을 닮았다. 하나님이 부리는 대로 꽃을 피우고 바람을 일으키는 대자연과 나는 하나가 되며 천지인(天地人)의 관계를 완성한다. 이 때 나의 행위는 지속적이어야 한다. 오래된 동양의 정신에서 '불성무물不誠無物', 즉 성실하지 않으면 만물이 생장할 수 없다고 한다. 어머니의 사랑이 없이 아이는 어린이도 될 수 없으며, 설사 어른이 되었다 할지라도 사랑을 나누어줄 수 없다. 세상에 사랑을 나누얼 줄 수 없는 사람은 마찬가지로 세상을 위태롭게 만드는 사람이다. 세상은 지고자의 지속적인 사랑과 인내로운 기다림으로 인해 유지되고 있다.


 활을 양껏 당기지 않고는 살이 힘있게 나갈 수 없고, 마음을 속으로 당기어 그 밑바닥에까지 이르게 하지 않고는 힘이 날 수 없다. 그리고 마음이 활발하며 강하지 않고는 세상에서 성공할 수 없다. 그러므로 크리슈나는 이 세상에서도, 저 세상에서도 성공하려면 정화, 즉 희생을 계속함이 필요한 것을 말해 준다.



무위는 곧 내버림이다. 아르주나가 고뇌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버리지 못하고 구질구질하게 안고 갔기 때문이다.


장자 - 안회(顔回)가 "감히 묻잡니다. 마음 씻기[心齋]란 무엇입니까" 한다. 중니(仲尼)가 "네 뜻을 하나로 하여 귀로 듣지 말고 마음으로 들으며, 마음으로 듣지 말고 기운으로 들어라. 들음은 귀에 그치는 것이고, 마음은 가져다 맞추는 쪽[符]에 그치느니라. 기운이란 비어 가지고 물건을 대하는 것이다. 도는 오직 빔에 모인다. 비게 함이 마음 씻음이니라"고 답한다. 안회가 "제가 처음에 그렇게 시켜주심을 얻지 못했을 때 정말 스스로 회(回)이옵더니, 시켜주심을 얻고 나니 비로소 회란 것이 있지 않습니다. 이러면 빔이라 할 만하옵니까." 스승이 "됐다" 하였다.



내버림이란 것은 수십년 동안 자신이 갖고 있었던 성향이나 습관, 이성 등을 모두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자아의 저항도 대단할 것이다. 하지만 내버림은 행위를 통해 높은 수준(영적인 수준)에 있는 신령한 의식 안에 존재하는 자유에 도달할 수 있다. 사람이 무지하면 수십 년 동안 틀린 지식을 신봉할 수 있다. 하지만 단 한 순간이라도 진리의 빛을 쬔 사람이라면 승복할 것이다. 이러한 영적인 체험을 통해 신 의식으로 들어간다. 거기가 바로 집 중의 편안한 집이며, 완성된 자아의 모습이다.


진정한 신


『기타』의 특징은 앞에서 말한 대로 유연한 신앙에 있다. 궁극의 종교로 가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 바로 유연성이다. 아직도 중동에서는 민족간 분쟁과 종교간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윌 듀런트는 종교 등의 미묘한 문제로 생기는 대립이 가장 무서운 것이라고 했다. 종교라는 이름으로 자행되었던 만행의 역사를 보라. 다른 사람들에게는 신이 없고 반드시 지정된 신만을 섬겨야 하는 것은 옳지 않다. 여기서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오지에 가서 똑같은 신을 섬기지 않는다고 해서 불경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신앙의 강요는 가장 잔인한 폭력이다. 왜냐하면 다른 신을 믿는 사람과 그의 신 둘을 모두 죽이기 때문이다.


맑은 물을 얻기 전에는 더러운 물을 버리지 말라는 가르침에 따라, 인도의 만신당(萬神堂) 안에는 군중들이 섬기던 가지가지의 신들이 다 모시어져 있다. 하늘의 신, 바다의 신, 시내와 숲의 신, 먼 옛날의 전설의 신, 부락 호수의 남신 여신. 시대가 지나가는 동안 어떤 것도 잃어서는 아니 된다는 두려움에, 모든 진실된 확신을 어느 것 하나 버리지 말고 조화시켜 보자는 생각에, 그것은 자신 속에 형형색색의 요소와 동기를 다 포함하는 하나의 엄청난 종합에 도달하게 됐다. 종교 안에서 깜깜하고 원시적인 미신이 시글거리는 것은 결코 놀랄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들의 신은 욕망에 의해 그려진 신이기 때문에 『기타』가 추구하는 초월적 신과는 다르다. 이들은 자신이 욕구하는 것만을 취할 뿐이다.

거룩한 바탈은 해탈을 위한 것이고 귀신 바탈은 얽어매임을 위한 것이라고 한다. 판두족의 아들아, 슬퍼하지 마라, 너는 거룩한 바탈로 났느니라.



정통종교의 이름으로 자유와 독립, 인간의 존엄을 거짓으로 해석한 종교가 세상을 병들게 하고 있다. 처음의 말씀과는 전혀 다른 방식의 해석이 나오는 현상은 가르침을 받는 자들이 스승의 진의를 파악하지 못했거나 그 안에 자신의 사리사욕을 살짝 집어넣은 경우다. 가르침이 천년이고 만년이고 전달되기 위해서는 가르침을 받는 사람은 온몸을 비우고 맑은 정신으로 그저 지고자의 명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임의의 판단은 불성실과 죄악의 결정적인 증거이다.

 

인간의 연약함을 안다는 것과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그저 주는 복만을 바라는 것은 결코 같은 말이 아니다. 불쌍히 여기신다는 것은 죄 속에 있으면서도 거기서 빠져나오려고 애를 쓰는 그 마음을 불쌍히 여기시는 것이지 결코 덮어놓고 무조건 그러시는 것은 아니다. 연잎이 물에 젖지 않는 것은 젖지 않는 성질을 제 속에 길러내어 가지고 있기 때문이지, 누가 거기 무슨 칠을 해주어서는 아니다. 하나님은 결코 뺑끼칠장이가 아니다. 그런 따위 그릇된 신앙이야말로 이 세상의 권세자와 야합하여 역사를 언제까지라도 구정물 속에 썩게 하는 것이다. 그런 일을 가리켜 예수는 "거룩한 것을 돼지에게 주는 것"이라 했다.

우리가 이러한 악행을 저지르게 되는 이유는 우리 마음 속에 악한 마음이 내재해 있기 때문이 아니라 참된 자아를 찾으려는 노력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생각이든 행위든 성(誠)이 바탕이 되지 않고는 변태되기 십상이다. 궁극에 도달하기 위해 우리가 가질 수 있는 무기는 '성실함' 밖에 없다. 그것도 임의에 따라 하고 안하고가 아니라 이미 나의 결정을 초월한 행위이다. 나의 최고의 판단에 의한 행위는 신이 시키는 행위다. 우리가 인(仁)을 생각하고 있으면 인을 행할 수 있지만, 인한 행위가 수천 년에 걸쳐 나오지 않는 이유는 인이 틀려서가 아니라 행위의 지속성을 담보할 바탕이 허약하기 때문이다. 나의 판단이란 것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를 우리가 자유라 부르기는 거북스러울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들의 일생 동안 자유라고 부를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었는지를 생각한다면 이러한 자유가 내가 생각했던 자유보다 더 자유로워 보이기도 한다.

- 접기
승주나무 2005-10-07 공감(42) 댓글(1)
Thanks to
 
공감
     
힌두교의 살아 있는 성전 새창으로 보기 구매
바가바드기타는 힌두교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애송되는 경전이다.  권위로 보면 "베다"나 "우파니샤드" 같은 계시서가 이보다 우위에 있다 하겠지만, 인도 대중들에게 끼친 영향력 면에서는 오히려 계시서를 능가하는 경전이 '거룩한 자의 노래' 바가바드기타이다.  바가바드기타는 궁극적 실재에 대한 어떤 체계적인 논리를 펴지 않는다. 단지 실천적인 삶의 원리를 가르칠 뿐이다. 지고자의 실재성은 논리적인 사변의 대상이 아니라, 영성에 의한 체험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진다.
신흥동 2011-09-24 공감(4) 댓글(0)
Thanks to
 
공감
     
깨달음에 관한 최고의 고전 새창으로 보기
바가바드기타는 인도에서 고대로부터 전수되어온 깨달음에 대한 철학시로써, 부족간의 전투에서 친족과의 전투에 임한 주인공이 싸움을 할지를 망설이는 상황에서 조언자가 등장하여, 주인공에게 삶과 죽음이 둘이 아니며, 싸움에서 이기면 현실에서 승리를 쟁취해서 좋고, 만일 싸움에서 져도 정의를 위해서 싸웠기 때문에 죽어서도 영혼은 해방되므로 좋으므로, 절대 망설이지 말고 싸움에 임하라는 격려의 내용이 담겨있는 글입니다.

보통 깨달음은 소극적 방관 내지 내 마음의 평화를 지키고,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에 초연한 것이 마치 참 깨달음인 것처럼 알려져 있는데, 이 책을 보면 이런 선입견이 철저히 깨어지게 됩니다.

 

 

또한 이 책을 통해서

살면서 가끔씩 내 마음속에서 울리는 양심의 소리에 대해서도 재고하게 됩니다.
만약 내안에 나라는 느낌을 주는 자의식외에
또다른 뭔가가 있다면 아마 양심이겠죠...
이 양심을 장자는 참주인이라고 불렀고, 하느님, 진리, 도,
진아, 참나, The Self등 참으로 많은 이름을 가지고 있답니다.
이 책은 그 양심의 입장에서 현실에서 어떻게 행위하고 어떤자세로 삶에
임해야 할지를 옆에서 차근차근 얘기해 준답니다.

 

또 요즘처럼 바쁜 현대인들에게 소극적인 도피보다는 적극적인 행위를 통해 깨달음에 이를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점에서 아주 유용하답니다.

- 접기
석천 2014-01-08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바가바드 기타 새창으로 보기 구매
읽다가 한글의 아래아 글자까지 나오는 것을 보고 읽기 포기했다. 외국의 옛 문헌을 꼭 우리의 옛날 글자로 옮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해설도 그렇게 와닿지 않았다는 점은 덤이다. 지금은 올재 클래식에서 나온 바가바드 기타를 읽고 있는데 훨씬 읽기도 편하고 해설도 나쁘지 않은 것 같다.
미친 나이스가이 2020-08-19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내가 아르주나면 함석헌 선생이 크리슈나 새창으로 보기
      처음엔 엄청난 양의 주석에 뜨악했다. 흐름이 끊기지 않을까 걱정도 되었다.
 읽어보니 함축적으로 표현된 기타를 이해하는 데 주석이 크게 도움이 되었다. 
오히려 없었으면 곤란했을 뻔했다. 
기타 못지 않게 주옥같은 명사들의 주석들이다.   함석헌 선생님 이름만 들어보았지 읽어본 저서가 없어서 어떤 분인지 잘 몰랐는데 글을 통해 만난 선생은 절로 존경심이 드는 분이었다. 함석헌 선생님 사랑합니다 존경합니다~    
무지개모모 2013-07-16 공감(2) 댓글(0)
===

서민들의 삶 속에 숨쉬는 경전, 『바가바드 기타』







『베다』나 『우파니샤드』와는 달리 언제나 서민 대중의 삶 속에서 호흡해온 대중들의 경전 『바가바드 기타』는 인도의 모든 지역, 모든 계층이 공유하며 다양한 인도를 하나로 묶는 공통분모격으로서 힌두교의 살아 있는 성전이라 할 수 있다.

쿠르크셰트라 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무대로 하는 『바가바드 기타』는 바로 이 전쟁이 벌어지려고 하는 찰나에 전쟁에 대한 대의명분을 가지고 전쟁터로 나갔으나 상대편 군대에서 자기의 혈족들을 바라보고는 고뇌에 빠지게 되는 아르주나와 크리슈나의 대화를 기록한 것이다. 여기서의 전쟁은 인간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모순을 나타내는 인간 내면의 전쟁이라 할 수 있겠다. “싸우라”고 아르주나에게 조언하는 크리슈나의 표현도 결국 전쟁을 명한 것이라기보다는 슬픔과 미혹으로 생겨난 장애를 제거하기 위한 촉구일 뿐이다.

현대에 들어 『바가바드 기타』는 더 큰 의미로 부각된다. 간디는 어려움에 직면할 때마다 마치 모르는 영어 단어를 영어사전에서 찾아보듯이 이 행동의 사전을 찾아보았다고 한다. 이외에도 라다크리슈난, 시성 타고르 등 수많은 인도의 정신적인 지도자들에게 『바가바드 기타』는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힌두교 경전 중 가장 먼저 번역된 이 『바가바드 기타』는 주석을 단 함석헌 선생이 토박이 우리말로 풀어썼다는 점에서뿐만 아니라 문자에 얽매이기보다는 뜻을 헤아려 새기는 가운데 우리의 고유 사상을 녹여놓았다는 점에서 『바가바드 기타』의 한국적인 토착화를 이루어 그 의미가 더욱 돋보이며 값지다 할 수 있다.


눈을 감고 마음을 다스리는 명상의 자세
- 본문 들여다보기

그 자리에 올라앉아, 마음을 한 점에 집중하고, 사념과 감각을 제어하여, 자기 혼을 정결케 하기 위하여 요가를 닦을지어다.

함석헌 - 장소나 자리에 대해 주의할 요점은 장시간 동안 밖에서 오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 방해를 받음이 없이, 그리고 사람의 몸이 피로해짐이 없이 견디어갈 수 있도록 하며, 마음의 활동이 깊은 정신적 체험에 들어갈 수 있도록 순조롭게 되어가도록 하자는 데 있다. 정신일도 하사불성(精神一道 何事不成)이라는 말을 많이 쓰지만 그런 지경에 가려면 많은 훈련을 쌓은 후에야 이루어지고, 처음에는 인간은 어쩔 수 없이 육신 속에 있는 것이므로 생리적인 법칙을 무시하지 말고, 서두르지 말고, 침착한 마음으로 지킬 것을 지켜가며, 불급불완(不急不緩)의 겸손한 태도로, 단계적으로, 제 분에 맞는 대로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아니된다.

특히 기독교 개신교 사람들이 주의할 것은 개신교에서는 신앙을 강조하는 나머지 개인 자질에 생리적 심리적 차이가 있다는 점을 생각 않고, 아직도 욕심을 제어하지 못한 사람들까지도 제멋대로 열심을 내어 구하기만 하면 된다 하기 때문에 잘못되는 일이 많다. 초심자는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체험 있는 이의 지도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하신 것을 보면 주의깊게 그 사람과 경우를 생각하여서 지도하신 것을 알 수 있고, 바울도 처음에는 어떻게 했는지 모르나 일단 폐단이 생긴 후는 그것을 바로 지도하기 위해 애쓴 것을 알 수 있다. 정신에라고 결코 법칙도, 원리도, 순서도 없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기독교가 아직 샤머니즘을 탈피하지 못했다는 데는, 다른 여러 가지 이유도 있겠지만 이 점도 확실히 그 하나임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라다크리슈난 - 12절에서 요가라 한 것은 쟈나 요가(dhyana yoga), 즉 명상을 말한다. 진리를 깨달으려면 실제적인 이해 관계에서 놓여나지 않고는 아니 된다. 그런데 실제적 이해란 우리 사는 외계의 물질적인 세계와 서로 얽혀 있다. 그 주된 조건은 잘 수양된 가라앉은 마음이다. 우리는 사물을 대할 때 될수록 자유롭게 비틀리지 않은 지성을 볼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우리 자신을 국외에 세우지 않으면 아니 된다.

피타고라스(Pythagoras)는, 왜 자기 자신을 철학자라 부르느냐 하는 질문을 받았을 때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했다 한다. 그는 인생을 올림피아 같은 큰 축제에 모인 가지각색의 군중에다 비했다. 어떤 사람들은 저자에 장사를 하러 가 재미를 보고, 또 어떤 사람들은 경기에 나가 상을 타려고 가고, 그리고 또 어떤 이는 단지 그런 것을 보려고 가는데, 이 나중 사람이 철학자라고 했다. 그들은 직접적인 문제나 실제적인 필요에 버물려 들지 않는다.

샹카라는 지혜를 탐구하는 자의 가장 근본적인 자격은 영원한 것과 영원하지 못한 것을 분별할 줄 아는 능력과, 현세적 내세적 행동의 결과를 누리자는 생각에 집착하지 않음과, 자제와 정신적 자유에 대한 갈망이라고 했다. 플라톤에게는 모든 지식의 목적은 선(善), 즉 삶과 앎에 다 같이 근원이 되는 선의 관념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데까지 우리를 높여주는 데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철학자란, 인생을 힘껏 다 살고 난 끝에 가서 그의 목적이 언제나 고요하고, 안으로 향해 잠잠하고 고적하며 떠나 있는 살림에 있는 사람이다. 그 살림 속에서는, 세상이 그를 잊음으로 인해, 그는 세상을 잊고 자기의 하늘을 선에 대한 외로운 명상 속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 그것만이 참 살림이다. “마음이 정결한 이는 복이 있나니, 저가 하나님을 볼 것이다.” 이 혼의 정화는 훈련에 의해서만 얻어진다. 플로티노스는 “지혜는 안정 속에 있는 심성의 한 상태라”했다.

마하리시 마헤슈 요기 - 크리슈나가 밝히고자 하는 첫째는 명상은 반드시 앉은 자세로 해야지, 눕거나 서서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누우면 정신이 둔해지고, 서면 마음이 자아 속으로 깊이 빠져들어 갔을 때 쓰러질 염려가 있다. 명상을 시작하려면 마음이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야 한다. 마음이 둔해져도 못쓰고 너무 활발해도 못쓴다. 둔하면 잠이 와서 체험할 능력이 없어지고, 너무 활발하면 이 조잡한 의식 속에 남아 있어서, 말하자면 오묘한 체험 속에 들어가기를 거부하는 셈이 된다. 마치 수면에서 활발하게 동작하면 물 속에 빠지지 않는 것과 같다. 명상한다는 것은 마음이 자아의 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일인데, 만일 섰을 때와 같이 마음이 너무 활발히 작용하면 그 빠져드는 과정이 시작되지 못한다. 그래서 명상은 앉아서 하라고 한 것이다. “한 점에 집중하고”에서 한 점에 집중하려면 마음이 점점 더 오묘한 지경에 들어가는 대로 두어야만 잘된다.




요가 수행자. 요가는 우주적 에너지의 원천과 하나되는 체험이다.

『바가바드 기타』 제6장 「진정한 요가」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욕망과 분노에 대한 통찰

『바가바드 기타』는 쿠루크셰트라 전쟁이라는 역사적인 사건을 무대로 한다. 하스티나푸라(Hastinapura)에 자리 잡은 쿠루족의 두 형제 가문, 즉 카우라바(Kaurava)형제들과 판다바(Pandava) 형제들이 쿠루르셰트라 들판 양편에 군대를 대치시키고 왕권을 차지하기 위하여 살육전을 벌이려는 극적인 상황에서 『바가바드 기타』의 가르침이 시작된다. 원래 바라타 왕국의 정당한 후계자였던 유디슈티라(Yudhis.t.hira)가 카우라바 형제들 가운데 맏형 두료다나(Duryodhana)와 도박을 하여 그 결과로 그는 왕국을 잃고 네 형제들과 함께 13년 동안 숲 속에 유배되었다. 약속한 기한이 되어 유디슈티라가 두료다나에게 자신의 왕국을 돌려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그의 요구는 거절되고 결국 두 가문 간에 전쟁이 불가피하게 된 것이다. 『바가바드 기타』는 바로 이 전쟁이 벌어지려고 하는 찰나에 판다바 가문의 다섯 형제 중 셋째인 아르주나(Arjuna)와 크리슈나(Kr.s.n.a) 사이에 오간 대화를 적은 것이다.

아르주나는 이 전쟁에 대한 확실한 대의명분을 가지고 전쟁터로 나간다. 그러나 그는 상대편 군대에서 자기 사촌들, 아저씨, 할아버지 등 혈족들을 바라보고는 고뇌에 빠진다. 왜냐하면 그가 자신의 혈족을 죽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자기의 혈족을 죽이고 왕국을 되찾느니 차라리 숲으로 은거하여 명상에 몰두하는 고행자의 삶을 택하려 한다. 그때 크리슈나는 아르주나에게 ‘싸우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것이 곧 크리슈나가 전쟁 그 자체를 옹호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크리슈나는 결코 전쟁을 열망하지 않았으며, 그는 오히려 두 가문 간의 갈등을 중재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평화의 사절이라는 것을 알아차릴 것이다. 그런데 그의 역할은 카우라바 지도자들의 억지 때문에 실패했다. 싸우지 않겠다는 아르주나의 주장을 논박하는 과정에서, 크리슈나는 판다바족에 관한 한 그 전쟁이 정당하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수행하는 것이 아르주나의 의무라는 것을 보여주면서 세속적인 관점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이유들을 제시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크리슈나의 가르침이 지니는 요체가 정작 전쟁 그 자체에 대한 옹호가 아니라, 아르주나의 결심, 즉 싸우지 않겠다는 것이 왜 옳지 않은가를 보여주는 데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아르주나가 싸우지 않겠다는 것은 단지 그 대상이 자기의 혈족이기 때문이다. 그가 자기의 사랑하는 혈족들을 죽이느니 차라리 스스로 죽겠다는 말은 일면 매우 사리에 맞는 것 같지만, 그것은 영원한 자아의 본질을 망각한 결과이며 냉철한 판단의 결과가 아니었다. 그는 무지와 이에 수반되는 격정 때문에 고뇌했다. 결국 그는 스스로 어찌할 바를 몰랐다. 그가 그의 마음이 어두운 먹구름으로 가려졌으며, 옳고 그름을 분간할 수 없다고 고백했을 때, 크리슈나는 그에게 바른 지식을 내려 무지를 제거하려고 한다. 그 가르침은 아르주나 혼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그의 고뇌를 다루는 가운데, 크리슈나는 모든 인류의 선을 위하여 『바가바드 기타』를 설한다.

‘싸우라’는 표현에 대하여 샹카라가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그것은 전쟁을 명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슬픔과 미혹으로 생겨난 장애를 제거하기 위한 촉구일 뿐이다. 자아란 육체적 생사를 초월한다는 것과, 누구나 자기 신분에 주어진 사회적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황이 바로 전쟁이다. 『바가바드 기타』의 가르침은 슬픔과 미혹과 같은 윤회의 원인을 제거하자는 것이지 결코 전쟁을 명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바가바드 기타』의 쿠루크셰트라 전쟁은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모순을 나타내는 인간 내면의 전쟁이다. 『바가바드 기타』의 가르침이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에 놓인 아르주나의 고뇌로 시작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다. 전쟁은 죽거나 죽여야 하는, 생명이 무참히 살해되는 인간의 극한 상황이다. 『바가바드 기타』의 가르침은 먼저 이러한 극한 상황에서 고뇌하는 아르주나의 내면을 묘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여기서 아르주나는 내면의 싸움에서 미혹에 눈멀고 두려움에 떠는 모든 사람을 대변한다.

이어서 설해지는 가르침이 더욱 매혹적인 것은, 그것이 아르주나의 내면의 큰 위기를 나타내는 전쟁이라는 구체적인 상황 속에 설정되기 때문이다. 전쟁이라는 상황 속에서 여실하게 드러나는 죽음이라는 문제에 대한 철저한 고뇌가 있기 때문에 참다운 철학이 가능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사람은 위기 상황에서 정확히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다. 삶 가운데 문득 찾아오는 중대한 위기 상황은 우리의 마음속에 궁극적인 가치에 대한 생각을 자극한다. 오직 그때 영적인 세계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감각의 장애를 깨부수고 내적인 실재에 닿는 데 필수적인 긴장을 얻게 된다.

아르주나의 낙심은 단지 실망한 사람의 일시적인 기분이 아니라, 모든 존재의 비실재성을 일깨우는 공허감, 가슴속에 느껴지는 일종의 죽음 상태이다. 아르주나는 만일 필요하다면 자신의 생명을 포기할 각오가 되어 있다. 그러나 그는 자기가 무엇을 해야 옳은지 모른다. 그는 전율스런 시험에 직면하였으며, 감당하기 어려운 고뇌가 그를 뒤흔든다. 아르주나가 마주치는 절망감은 문득 깨달음의 길에 꼭 지나야 할 영혼의 어두운 밤이다.

이처럼 『바가바드 기타』는 전쟁 그 자체보다는 이를 통하여 내면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순과 갈등을 다루고 있다. 영혼의 삶은 쿠루크셰트라의 전쟁터로 상징되며, 카우라비족은 영혼의 진전을 방해하는 적이다. 아르주나는 시험을 물리치고 감정을 제어하여 인간의 왕국을 되찾으려고 시도한다. 전진의 길은 고통과 자기 극기를 통해서 가능하다. 내면의 삶에 대한 추구는 “사지가 주저앉고, 입은 바싹 타며, 전율이 내 몸을 휩싸고, 온몸의 털이 곤두서는” 아르주나의 고뇌를 요한다. 이어지는 크리슈나의 가르침---참된 자아에 대한---이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것은 죽음에 대한 아르주나의 철저한 고뇌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바가바드 기타』의 시작은 갈등과 모순, 이기심, 악마의 부드러운 속삭임이 교차하는 인간의 내면세계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준다. 크리슈나와 아르주나의 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우리가 듣는 것은 전쟁의 아비규환이 아닌 신과 인간 간의 진지한 교감을 보게 된다.

이거룡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심신통합치유학


함석헌 선생은 1901년 평북 용천에서 태어나셨다. 평양고등보통학교를 다니다 3운동에 참가, 학업을 중단하셨는데 오산학교에 편입하여 이승훈, 유영모 선생의 영향을 받으셨다.

동경고등사범학교 문과일부를 다니실 때 우치무라 간조 선생의 성서연구 집회에 참여하셨고, 귀국하여서는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으셨다. 1932년에는 『성서조선』에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를 쓰기 시작하셨으며, 1938년 창씨개명과 일본어 수업을 거부하여 오산학교를 사임당하셨다.

해방을 맞아 용암포·용산군 자치위원장을 지내시고 평안북도 자치위원회 문교부장에 취임하셨다. 1947년 월남하셨으며, 서울에서 매주일 YMCA 강당에서 일요종교집회를 가지셨고, 6?5가 일어나자 부산에서 피난생활을 하시게 되었는데 이때 『수평선 너머』를 발간하셨다. 1953년 서울로 올라오셨고, 서울 용산구 원효로에 사택을 마련, 1956년부터 『사상계』에 집필을 하셨다.

1970년 잡지 『씨알의 소리』 창간호를 내셨고, 1979년 퀘이커세계협회 초청으로 미국종교대회에 참석하시기도 했다. 노벨평화상 후보로 두 차례 추천을 받으셨다. 남강문화재단을 1984년 설립하셨고, 제1회 인촌상을 수상하신 바 있다.
저서로는 『뜻으로 본 한국역사』를 비롯해 『인간혁명의 철학』 『죽을 때까지 이 걸음으로』 『씨알에게 보내는 편지』 등 많이 있는데 이는 한길사에서 펴낸 ‘함석헌 전집’ 20권에 모아져 있으며, 1996년에 나온 ‘함석헌 선집’ 5권에 다시 정리된 바 있다.

출처: https://hangilsa.tistory.com/138 [여기는 한길사 블로그입니다]


==

바가바드 기타 - 나무위키 . 한국 출간

바가바드 기타 - 나무위키

바가바드 기타

최근 수정 시각: 

바가바드 기타(भगवद्गीता, Bhagavad Gītā)
external/api.nin...
명칭
한국어: 바가바드 기타
산스크리트어: भगवद्गीता
영어: Bhagavad Gita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4. 구성5. 들어가며: 아르주나의 고민6. 내용7. 2차 창작8. 여담9. 한국 출간

1. 개요[편집]

네 할 일은 오직 행동에만 있지 결코 그 결과에 있지 않다.
행동의 결과를 네 동기가 되게 하지 마라.
그러나 또 행동하지 않아서도 안 된다.
결과가 좋고 나쁨을 동일하게 보는 마음을 가지고 행동하라.

제2장 47절, 48절.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 행위를 강조하면서..[1]
『바가바드 기타』는 산스크리트어로 '거룩한 자의 노래'라는 뜻이며, 인도인의 정신적 지침서이다. 700구절로 된 시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 마하바라타의 일부분이었다가 힌두교의 주요 경전에 포함되면서 독립되었다. [2]

드르타라슈트라는 쿠루(Kuru)족의 왕권 계승자였으나 장님인 관계로, 동생인 판두에게 왕권이 계승이 되었다. 하지만 판두는 왕위에 오르고 나서 다섯 아들을 두고는 일찍 죽어버린다. 이에 판두의 아들들과, 원래의 왕위 계승자였던 드르타라슈트라의 아들들 간의 왕위쟁탈전이 발생하게 된다. 이 과정 속에서 드르타라슈트라는 판두의 아들들과 드르타라슈트라의 아들들의 전쟁 소식을 전해 듣게 되는 것이 이 이야기의 시작이다.

전쟁에서 판두의 오 형제 중 셋째 아르주나는 왕위계승전쟁에 대해 심한 회의를 느낀다. 자기의 친형과 친동생과 연합해서, 사촌들을 죽이고 왕위를 빼앗는 것이 과연 정당한가에 대한 것이었다. 차라리 사촌 형들에게 죽임을 당하는 것이 오히려 마음이 편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때 아르주나의 마차를 몰던 마부인 크리슈나가 이러한 회의에 대해서 조언과 충고를 한다. ‘전쟁의 목적이 단지 왕권을 찬탈하는 것이 아니라, 불의에 맞서 정의를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너에게 부과된 의무(전쟁)를 성실히 수행함으로써 정의를 실현해야 하고, 그런 사명을 아르주나인 너가 가지고 있다.’ 이런 식으로 크리슈나가 아르주나에게 설교를 해 나가는 과정이 바가바드 기타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기존 질서 유지(카스트 제도)를 위한 합리화[3]에 불과하다는 말만으로는 평가될 수 없는 인도 철학의 정신을 대표하는 무언가가 있다. '행동을 할 때,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마음을 비워라'는 인생의 교훈을 얻을 수 있으며 행동에 관련해 마음을 흔드는 좋은 글귀들도 많다. 또한 바가바드 기타는 욕심을 없애기 위해서 행위를 절제하는 것이 아니라, 욕심을 버리고 평정심을 가진 상태에서의 행위를 권장함으로써, 속세에서도 마음의 평온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철학이며 삶의 태도를 적극적으로 바꿔준다는 점에서, 인도 내에서는 불교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발전된 사상으로 보며, 이를 인도 철학의 정수라고까지 생각하는 것이다.

2. 특징[편집]

  • 삶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행동하는 것이 옳은가? 아니면 행위에 따른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러한 삶에서 초탈해야 하는 것이 옳은가?
    • 삶에서 벗어나려는 것은 옳지 않다. 의무로써 삶에 참여하라. 고통과 대면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
  • 영혼(아트만)은 영원하며 소멸하지 않는다. 반면, 몸은 생성 소멸된다. 영혼은 몸을 가졌다가 없어졌다가를 반복하는 윤회를 하게 된다.
  • 자신의 위치에서 자신이 맡은 세속적인 사회적 역할에 충실하라. 즉, 각자의 본분을 잘 지켜서 사회가 유기적으로 돌아가게끔 하라. [4]
  • 삶에서 자신의 의무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 욕망을 내려놓고 행동하라! 결과에 집착하지 말고 삶이 자신에게 부여한 역할을 행하라.
  • 이렇게 각자의 자리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공동체와 세상의 질서를 위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자기 희생이 필요하다. 모든 존재는 상호의존적이기 때문이다.
  • 이러한 행동을 방해하는 것이 욕망인데, 그렇다면 욕망을 어떻게 버릴 것인가?
    • 세상사에 평정심('사마두카수캄')을 가지고 임하라. 가난한 자 앞이든, 부유한 자 앞이든, 예쁜 사람 앞이든, 추한 사람 앞이든, 무서운 사람 앞이든, 만만한 사람 앞이든, 기쁘든 슬프든, 동일한 마음을 가져야 된다는 것. 이렇게 '마음과 감각을 제어하는 자기절제의 수행법'을 요가라고 한다.
    • 욕망없는 평정심을 가지고 자기의 역할을 실천하라. 행위의 결과를 기대하지 않고 자신의 의무를 수행하는 자가, 모든 욕망을 버린 사람이라 할 수 있다.
  • 에고(자신의 욕심)가 없이 자신희생 정신으로 하는 행위, 즉 우주와 공동체 전체의 복지에 기여하는 행위를 하는 사람이 성자이다.
  • 바가바드 기타는 세세한 부분까지 상좌부 불교의 특징과 똑같다. 윤회, 오온(아트만), 지옥, 행동 중시 등에서 서로 같다. 심지어 탄생시기와 발전 시기 까지 똑같으므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내용이 비슷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바가바드 기타를 읽으면 상좌부 불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며, 동남아시아의 상좌부 불교 또한 힌두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5]
    • 다만, 상좌부 불교는 계급을 부정적으로 보았지만, 바가바드 기타는 계급을 긍정적으로 인정했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3. 등장인물[편집]

  • 드리타라스트라: 하스티나푸라 국의 국왕이자, 카우라바 100형제의 아버지.
  • 산자야: 드리타라스트라 왕의 마부이자 벗. 작중 드리타라스트라와 이야기를 나누며 비야사가 준 능력에 힘입어 영매로 전장의 상황을 전해준다.
  • 드라우파디: 판다바 5형제의 아내.
  • 드리스타드윰나: 판다바 군대의 총사령관.
  • 드루파다: 드라우파디와 드리스타드윰나, 쉬칸디의 아버지.
  • 두료다나: 카우라바 100형제 중 맏이. 작중 메인 빌런.
  • 아르주나: 판다바 5형제 중 셋째.
  • 크리슈나: 아르주나의 외사촌이자[6] 절친한 벗 겸 조력자. 전투 중에는 아르주나의 마부로 활약한다.

4. 구성[7][편집]

1. 아르주나의 고민
2. 삼캬 요가
3. 카르마(행위) 요가
4. 즈나나(지식) 카르마(행위) 산야사(내버림) 요가
5. 내버림의 요가
6. 진정한 요가
7. 즈나나(지식) 비즈나나 요가
8. 브라마 요가
9. 왕지식과 왕신비
10. 거룩하신 능력
11. 일체상
12. 박티(헌신) 요가
13. 밭과 밭알이와 그 분별
14. 3성 분별
15. 멸과 불멸을 초월하는 지상 자아
16. 거룩한 바탈과 귀신 바탈
17. 세 종류의 신앙
18. 내버림에 의한 해

5. 들어가며: 아르주나의 고민[편집]

아르주나는 (사촌이자 숙적인) 두료다나 그리고 그 휘하 군대와의 결전을 앞둔 상태였으나, 여전히 번민과 괴로움을 떨쳐 내지 못한 상태였다. 이에 대해 개전 전날 밤 크리슈나에게 자신의 심정을 토로하게 되고, 그리하여 크리슈나의 설법이 시작된다.

자세한 내막은 쿠룩셰트라 전투/배경쿠룩셰트라 전투/전력의 모집과 편성을 참조하면 좋다.

6. 내용[편집]

추가 예정.

7. 2차 창작[편집]

8. 여담[편집]

“기타가 놀라운 작품인 이유는 아주 간단한 고민에 대한 깊은 고찰을 한다는 겁니다. 바로 할 것인가, 말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죠.”

“처음 읽었던 게 50년 전이었을 거예요. 20대 때요. 작품의 언어와 이미지, 그리고 내용에 매료됐었죠. 기타는 철학 책이 될 수도 있고, 종교 책이 될 수도 있으며, 행동개시를 요구하죠. 이 모든 게 될 수 있어요. 이 모든 작용을 한다는 게, 이 작품이 가진 힘이에요. 3,000년 전에 쓰여진 이야기가 아직도 재미있다는 겁니다. 그 속의 개념들은 논쟁거리가 되기도 했죠. 그런데 아직도 흥미로운 겁니다.”

“바가바드 기타는 존재의 본질에 대해 질문하는 거죠. 이게 철학이든 대서사시이든지요. 이 우주를 통치하는 신이라는 존재가 있다면, 기타를 작성한 저자들은 그 신적 존재가 이런 말을 했을 거라고 믿고 쓴 거죠. ”

“네덜란드오페라단이 저에게 연락이 와서는 오페라를 만들자고 하길래, 간디를 주제로 하자고 했죠. 그때 간디의 삶은 기타에 근거했다는 걸 깨달았어요. 간디는 기타를 외웠어요. 그 사실에 충격을 받았죠. 왜냐하면 그는 사회 변화를 주도했으니까요. 그런데 그를 이끌었던 것은 이 한 권의 책이었다는 거예요. 비폭력에 헌신한 사람이 어떻게 투쟁을 할 수 있나? 그게 바로 핵심이에요. 기타의 핵심이기도 하고요. 간디에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비폭력 사회운동이었던 거죠. 결국 간디는 폭력의 피해자가 됐어요. 1947년 그는 암살당했잖아요. 그것도 기타의 교리를 따른다는 이들로부터요. 오페라의 마지막 부분은 행진이 있기 전날 밤을 그려요. 크리슈나가 아르주나에게 요지를 알려주죠. 선이 시들어 죽었을 때는 신이 한 인간으로 이 세상에 와서 선을 회복하기 위해 산다고 말하죠.”
필립 글래스

핵무기 역사와 조금 연관된다. 최초의 핵무기 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계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은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핵개발에 성공한 뒤 감상을 표현하면서 비슈누가 아르주나를 설득할 때 말한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도다." 를 인용하였다.

9. 한국 출간[편집]

  • 길희성 번역본 - 인도종교철학을 전공한 길희성 전 서강대 교수의 번역으로, 초판은 현음사에서 출판되었다가 이후 서울대출판부로 발행처를 옮김. 대역으로 되어 있어 연구자들이 많이 본다.
  • 함석헌 번역본 - 한길사에서 이전에 함석헌 전집 일부로 발행했다가 한길그레이트북스 시리즈로 재발행. 간디와 라다크리슈난 등의 주석을 인용. 의미가 통하는 구절마다 성서 및 쿠란, 중국 고전 경전들의 어구를 인용해 보충한 것이 특징인데,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바가바드기타 판본이다.
  • 이현주 번역본 - 간디가 해설한 바가바드기타를 옮김, <쉽게 풀어읽는 바가바드기타> 지음
  • 석지현 번역본 - 일지사에서 발행. 불교 승려인 역자가 역주.
  • 김병채 번역본 - 슈리크리슈나다스아쉬람에서 발행한 것으로 국내 최초의 샹까라 주석본 번역.
  • 박지명 번역본 - 동문선에서 발행. 길희성 번역본과 마찬가지로 범한대역.
  • 정창영 번역본 - 물병자리에서 발행. 의역이 많으나 내용을 쉽게 풀어씀

[1] 마음을 비우고 행동하라는 것이지, 포기하라는 것이 아니다. 옳다고 생각한 것이 있으면 행동을 해야되며,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마음은 내려놓아야 된다는 것.[2] 혹은 원래 독립적인 경전이었지만 이후 마하바라타 안에 편입되었다.[3] 유교도 마찬가지다. 공자의 정명이 비슷한 개념으로 "임금이 임금답고, 신하가 신하답고, 아버지가 아버지답고, 아들이 아들다워야 한다."(군군신신부부자자)는 공자의 말과 유사하다. 공자도 좋은 의미에서 한 말이지만, 후대의 사람들은 이 말을 신분제를 고착화 시키는데 이용하곤 했다.[4] 카스트 제도가 성립하는 이유이다.[5] '바가바드 기타'와 '상좌부 불교'는 둘 다, '원시 불교'와 자이나교'에 대한 반발로 탄생했기 때문이다. 원시 불교에서는 자신의 역할을 무소의 뿔처럼 던져 버리고 출가하라는 것인데, 사람들이 너도나도 출가를 하게 되니 사회가 무너지게 되고 혼란해졌다. 이에 대한 반발로 바가바드 기타와 상좌부 불교가 탄생하여, 자신의 맡은 역할을 충실이 이행하는 "행위"를 중시하는 가르침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6] 아르주나의 어머니인 쿤티가 크리슈나의 아버지인 바수데바의 친누이이다.[7] 함석헌 역주 바가바드기타를 기준으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