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Tagore.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Tagore. Show all posts

2024/04/06

Idea of Nation and Nationalism by tagore (india) | by Priyanka Nadiya | Medium

Idea of Nation and Nationalism by tagore (india) | by Priyanka Nadiya | Medium



Idea of Nation and Nationalism by tagore (india)


Priyanka Nadiya·


Rabindranath Tagore was extremely clear about his sense of nation and nationalism. Aside from being a poet and making extensive use of smiles and images in many of his writings on nation and nationalism, Tagore is vivid and surprisingly clear, when it comes to national question. 

To him, “the nation is as a perfect human as an organized body. The organization continues to press people to be the story and work well. But this hard work behind power and efficiency drains a person’s energy level from being self-sacrificing and intelligent”.

Because by that the power of self-sacrifice was shifted from one’s last thing, which is morality, to the preservation of this organization, to mechanization and all this became very dangerous to humanity. 

A person feels overwhelmed when he delegates his responsibility to the machine, which is to create his own understanding and not his entire moral character. In this sense of nationalism, freedom-loving people promote slavery in much of the world with a sense of freedom and pride. Man was treated unfairly in their actions and thoughts, accompanied by the feeling that they were helping the world to find its deserts, faithful men could continue to blindly deprive themselves of some of their human rights by self-promotion, always abusing those who were deprived of their rights.

According Tagore’s observation ‘nationalism is a serious threat. It is a special issue that has plagued India for years. And since we have been ruled and controlled by a completely politically motivated nation, we have tried to build within ourselves, despite our past legacy, the belief in our political destiny.’

Tagore was of the view that nationalism was “a political and commercial entity only”, bringing “the harvest of wealth” by spreading greed, selfishness, power and prosperity “.

Nationalism, according to Tagore, is not “automatic self-expression of man as humanity”, in which human relationships are naturally controlled, “so that men develop the goals of life collectively”, but rather political and commercial social grouping, where they come together to maximize profits, progress and power. It is the “unplanned interest of human beings, in which they are at least human and less spiritual”. Tagore saw that nationalism was a recurring threat to humanity, because by its tendency to material and intellectual, it trampled on the human spirit, human nature and human emotions, “hiding its human side under the shadow of a soulless organization”.

In the modern world it has been taught that the worship of tribal gods is better than the veneration of gods and humanity, but Tagore believed that it was his belief that his people would find their own India by fighting for that education which taught them that country was superior to humanity.

Tagore represents a different concept of nationalism, rather than popular in today’s world. Tagore was opposed to the nationalist state, but he was very opposed to India as a society joining this nationalist party and nationalist system. Tagore believed that the west had seen political domination for social purposes — and this is what India was trying to impersonate. As Tagore points out, “our real problem in India is not political. It’s a community”. Western civilization has taken the traditional politics of business violence. Western civilization was established under conditions of national unity and inadequate natural resources. They had no internal problem. They focused on how to empower when boundaries.

Indian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came under conditions of total contradiction. He had a serious racial problem. This does not mean that India is the only country that has experienced a racial crisis. The United States has also seen the problem of racial unity, which we have been trying to solve for so many years to deal with.

India is very big in its area and very different in its races. Many countries are packed in one reception area. It is the opposite of what Europe really is, namely one country being made plural.

Tagore stressed that India must first address the issue of caste. The class system has become very complex and has captured people’s minds with addiction; what was once intended to introduce social order through racial segregation in India, has now become a major system of cold blood pressure suppression.

According to Tagore “India has never had a real sense of nationalism”. India educated in western history and history of nationalism as it had developed in the west. This would do no good to Indian civilization. Indian must understand that the history of man is the history of both the east and the west. India must not consider herself merely as a ‘beggar of the west’ — she too has her own contribution to make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nd this contribution is the attempt to bring into its fold all races by acknowledging the real differences that exist between these social group, and at the same time seek some basis of unity. Tagore believes that this basis of unity of India has come forth through the saints like kabir, Nanak and Chaitanya, who preached one God to all races in the sub-continent.

Conclusion

Rabindranath Tagore was quite clear about his idea of nation and nationalism. For him nation is the ‘aspect of whole people as an organised power and this organisation focus on becoming strong nation and efficient’, this drains out the man’s energy. Whereas, for him nationalism as only an ‘organisation of politics and commerce’ that brings lot of wealth by spreading tentacles of greed, selfishness, power and prosperity. According to Tagore India never had a real sense of nationalism. The problem of India was not political but social and cultural. Tagore maintained that problem in India is that there is no common birth right, whereas in other countries we don’t have that physical repulsion. India’s concept of youth could carry in dead weight of her social organization stiffened to rigid perfection. According to Tagore after education only we can understand that after all we all are humans, but this is not possible because our education system itself is based on these norms.


References

Tagore’s notion of Nationalism and Nation state: A Potential Solution to Fundamentalist Nationalism in Post-Independence India? Arghya Bose

Rabindranath Tagore, “Nationalism in India” (1917)

Nation And Nationalism
Rabindranath Tagore
Tagore Nationalism
Tagore
Nationalism





Written by Priyanka Nadiya

182 Followers


Philosopher in process || https://priyanka-nadiya.my.canva.site/content-writing

인도에서 일본까지 --- - ▒일본불교사공부방▒ -

Everyday 공부방 19 ; 낮과 밤의 이중주 --- 인도에서 일본까지 --- - ▒일본불교사공부방▒ - 일본불교사공부방(일본 불교사 독서회)

김호성|작성시간10.11.07|조회수

낮과 밤의 이중주

              --- 인도에서 일본까지 ---

  최근 저는 일본불교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조금씩 공부해 가면서 재미를 붙이고 있습니다. 스스로 풍성해짐을 느낍니다. 풍성해 지는 만큼 행복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에게 “일본불교를 공부하자”고 말합니다. 급기야 “일본불교사 연구소”까지 만들어서, 연구활동을 촉진하려고 노력합니다.

  물론 저는 일본불교에 대하여는 ‘시로우토(素人)’입니다. 아마츄어라는 말입니다. 본격적으로 일본불교의 원전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없고, 따라서 아직까지는 특정한 주제에 대해서 논문을 쓴 일이 없습니다. 겨우 한국불교의 입장에서 일본불교를 말하는 정도였습니다.

  그렇지만 일본불교를 공부하는 것이 제 전공 공부에 도움이 될 때가 많습니다. 폭넓은 사유를 가능케 해 줍니다. 실제로 논문을 쓸 때 그러한 점을 반영해 보기도 하였습니다. 에를 들면, 「두 유형의 출가와 그 정치적 함의 --- 힌두교와 불교에서의 권력과 탈권력의 문제 --- 」(『인도철학』제26집, 인도철학회, 2009)라는 논문에서는 그 3장에서 ‘불교적 출가’ 답지 않는 사례(이를 反例라고 하였습니다만)로서, 일본불교사에서 예를 들어서 비판해 보았습니다. 그러면서 저의 논지를 강화해 보았습니다.

  앞으로 일본불교사에 대한 공부가 깊어지면 질수록 인도철학과 함께 생각하기(共觀) 역시 가능해질 것으로 봅니다. 만약 인도에서 일본까지 함께 볼 수 있다면, 그렇게 보는 것이 성공하기만 한다면, 아마도 그 이전에 나라와 나라 사이에 국경선을 그어둔 채 어느 한 나라만을 갖고서 생각할 때 보다는 안 보이던 것이 새롭게 보일 지도 모릅니다.

 

       

알라딘:Nationalism 라빈드라나드 타고르

알라딘: [전자책] Nationalism

[eBook] Nationalism 
영어로 읽는 세계문학 685
라빈드라나드 타고르 (지은이)내츄럴2017-06-24




전자책 미리 읽기

전자책정가
2,000원
판매가
2,000원
쿠폰할인가
1,800원


종이책 페이지수 : 약 214쪽
 
<내셔널리즘> 영문판.
1917년에 출간된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정치에세이.
서구(西歐))와 일본, 인도 등 다양한 각도에서 ‘민족주의(民族主義)’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목차


Nationalism in the West
Nationalism in Japan
Nationalism in India
The Sunset of the Century

일본 국수주의와 타고르의 일침 < 법보신문 2014

일본 국수주의와 타고르의 일침 < 법보시론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불교언론 법보신문

일본 국수주의와 타고르의 일침
기자명 판카즈 모한 교수
법보시론
입력 2014.03.03 

타고르는 인도만이 아니라 세계문학계에서 가장 빛나는 별 가운데 하나다. 그는 103편의 산문 서정시가 수록된 영문판 시집 ‘기탄잘리(신에게 바치는 송가)’로 1913년 아시아인으로는 최초로 노벨문학상의 영광을 얻었다. 그런 타고르가 1929년 재일 한국유학생들의 부탁을 받고 한국인을 위해 시 한편을 썼다. ‘일찍이 아시아의 황금시기에 빛나던 등불의 하나인 코리아, 그 등불 다시 한 번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타고르는 이 시구 끝부분에 ‘기탄잘리’에 실린 시 한 편을 덧붙였다. ‘마음에 두려움 없고 머리를 높이 치켜들 수 있는 곳, 지식이 자유로울 수 있는 곳, 작은 칸으로 세계가 조각조각 나눠지지 않은 곳, 말씀이 진실의 깊은 곳에서 솟아나오는 곳, 그런 자유의 천국으로 나의 조국이 눈 뜨게 하소서, 나의 님이시여.’

타고르가 쓴 ‘동방의 등불’에는 불교의 기본정신이 깊게 베어있다. 힌두교와 기독교, 이슬람교와 달리 불교는 인간이 만든 계급과 신분제도는 물론이고, 신의 굴레에서 벗어난 자유의지에 기반을 둔 종교로 출발했다. 타고르의 시에 표방된 ‘지식의 자유로움’에 관한 염원은 불교의 자유의지, 즉 자유를 성취하는 인간해방의 원리에서 유래됐다. 대반열반경에 ‘큰 바다에 맛이라곤 오직 한 가지, 소금 맛이 있듯이 부처의 가르침에는 오직 한 가지, 자유의 맛이 있을 뿐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자신을 등불로 삼고, 법을 등불로 삼아라”는 부처의 마지막 가르침에도 자유에 대한 개념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작은 칸으로 세계가 조각조각 나눠지지 않은 곳’이라는 구절에서도 불교의 영향을 찾을 수 있다. 전체와 고립돼 존재할 수 없고, 전체는 하나에 통합돼 있다는 ‘화엄경’의 가르침이 바로 그것이다. 불교를 주춧돌로 하는 고대 범아시아 문명에 대한 고찰은 타고르에게 불교문화의 영광스러운 지난날을 상기시키기에 충분했다. 그는 여러 글을 통해 불교가 지구공동체의 활발한 문화교류를 이끌었음을 아름답게 서술했다.
세속적 욕망, 야망, 격렬한 갈등에 의해 점차 산산조각 나는 세계 속에서 타고르는 부처와 불교가 무욕의 상징임을 강조했다. 또 부처의 삶과 철학은 종교적 환상주의가 인류를 찢어발기고 무고한 사람들의 피로 지구의 얼굴을 덧칠하는 오늘날 더욱 절실하다고 말했다.

타고르는 일본이 고대아시아의 찬란한 불교문화를 부활시키고 아시아를 서구의 침략세력에서 보호하거나 해방시키는데 힘이 되기를 기대했다. 일본불교사원에서 신도들이 향을 피우며 부처님께 절을 올리는 모습을 보고 “이것이 바로 내가 바라던 일본”이라고 말했지만 곧 서양의 민족주의와 근대화를 철저히 모방하고 있는 일본에 크게 실망했다. 1930년대에 중국과 전쟁을 일으키자 일본인 시인 노구치 요네지로에서 “일본이 목적을 달성하는데 실패하고 후회하기를 바란다”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다. 타고르는 죽기 직전, 자신의 생일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문명의 위기’라는 제목으로 연설했는데 제국주의를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운명의 수레바퀴에 의해 영국은 인도에 대한 식민통치를 단념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떠난 후 인도의 모습은 어떨 것인가? 수세기 동안의 영국통치가 끝나면 남겨질 진창과 오물쓰레기는 어느 정도일까?” 영국제국에 대한 타고르의 비난은 당시 조선을 침략했던 일제에 대해서도 다르지 않다.


▲ 판카즈 모한 교수오늘날 일본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와 이웃국가에 대한 호전적인 자세를 보고 있노라니 타고르의 질책이 떠오른다. 지금 세계가 겪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올바른 해답을 얻기 위해서는 타고르의 가르침대로 불교의 세계주의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일본이 국수주의를 단념하고 불교를 국가지도이념으로 삼으며 고대아시아의 눈부신 불교문화를 되찾는데 앞장서 그릇된 역사에 대해서는 사죄하는 용기를 가지기를 바란다.



판카즈 모한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pankaj@aks.ac.kr

타고르와 일본, 그리고 우리 ▒일본불교사공부방▒ 김호성|

Everyday 공부방 42 --- 타고르와 일본, 그리고 우리 --- 附 : 비슈바바라티 대학의 일본학과 --- - ▒일본불교사공부방▒ - 일본불교사공부방(일본 불교사 독서회)



Everyday 공부방 42 
--- 타고르와 일본, 그리고 우리
 --- 附 : 비슈바바라티 대학의 일본학과 
--- 작성자김호성|
작성시간10.11.07


동서회통(東西會通)의 길


명색 '인도철학'과 교수로 십수년, '인도철학'의 학인(學人)으로 삼십여년을 살아왔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라빈드라나트 타고르(Rabindranath Tagore, 1861-1941)를 별로 읽지 않았다. 속된 말로 해서 "필이 꽂히지 않았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철학'을 하고, 그는 내게 '시인'으로만 알려졌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철학의 입장에서 보면, 다른 근현대 인도사상가들의 경우에는 중요하게 다가오는 이들이 적지 않다. 지금까지 내가 논문을 쓴 오로빈도(Aurobindo Ghose, 1872-1950) 틸락(B.G.Tilak, 1856-1920), 그리고 간디(Mahatma Gandhi, 1869-1948) 같은 인물들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내가 아는 상식(?)에서는 철학적으로 타고르가 그다지 중요한 것 같지 않았다. 어쩌면 내가 '철학'과 '문학'을 너무나 별다른 것으로 여기는 풍조 속에서 자란 까닭인지도 모르겠다.

1998년도에 아시아인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아마르티아 센(Amartya Sen, 1933 - )의 책 『살아있는 인도』(청림출판)를 읽지 않았더라면, 이런 내 상식과 무식이 더 오래 이어졌을 것이다. 그런데, 다행히 센은 우리에게 타고르의 진면목과 의미를 상세하게 전하고 있다. 그 자신 타고르가 세운 산티니케탄(SAntiniketan)에서, 우리로 말하면 초등 1년부터 고등 3년(이 기간의 학교를 'Patha Bhavana/파타바반'이라 말한다.)까지 공부를 했다. 어쩌면 타고르에 대해서 가장 적확한 정보를 그 이상 더 잘 갖고 있는 사람도 드물 듯하다. 그의 이름조차 타고르가 지어주었다 하니 말이다.

그가 그려준 타고르 상(像)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시대상황 안에서 타고르가 맛보았을 '고독'이라 해야 할 것 같다. 영국 제국주의 아래에서 거의 모든 선각자들은 민족주의의 틀 안에서 저항하였다. 틸락, 오로빈도, 그리고 간디가 다 마찬가지였다.(물론 간디에게는 그의 책 『힌두스와라지』에서 보는 것처럼, 민족주의적 측면을 넘어서는 문명비판의 입장에 서서 영국에 저항한다는 입장 역시 없지는 않다. 그러나 타고르와는 다소 다른 점도 있는 것같다) 그런데 타고르는 영국 제국주의 지배의 부당성에 명확한 저항의 목소리를 내면서도, 서양 문화에 대해서는 '개방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아예 민족주의적 틀 안에서 문화적으로도 국수주의적 관점에 서버린다면, 덜 외로웠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제국주의의 허물을 명백히 보면서도 동시에 서양문화의 장점을 보고서, 배울 것은 배우겠다는 자세를 취하기는 사실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런 그가 인도문화의 가치를 외면해 버리고 서구문화만을 추종했는가 하면 그것은 아니다. 이 점에서 그는 또 민족주의자의 비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1950년대말, 산티니케탄의 미술대학(깔라 바반) 출신으로서 칸과 베니스영화제에서 입상한 영화감독 사트야짓트 레이(Satyajit Ray, 1921-1992) 역시 인도문화나 동아시아(중국과 일본)문화를 배운 것은 이 산티니케탄에서였다고 한다. 이렇게 동양과 서양의 만남 ---- 우리 동양인의 입장에서 볼 때는 영원한 '화두'일 수밖에 없는 --- 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타고르는 분명하게 '동서회통(東西會通)의 길'을 가리키고, 걸어간다. 동과 서는 실로 둘이 아니다. 동양 안에 서양이 있고, 서양 안에서 동양이 발견될 수 있다는 점 역시 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점을 일깨울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만들었고, 그를 구현하기 위해서 노력했다는 점에서 나는 그에게 고개를 숙이게 된다.

더 이상 우리는 타고를 '시인'으로만 생각해서는 아니된다. 노벨문학상은 『기탄잘리』의 시인으로서 받은 것이지만, 시만이 아니라 무용, 연극, 음악, 소설 등의 종합예술가였다 또한 그 이상으로 그는 실천적 교육자였으면, 한 사람의 사상가였던 셈이다. 우리가 새롭게 그를 읽어야 할 필요성이 여기에 있다.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나무위키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나무위키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최근 수정 시각: 
다른 뜻 아이콘  게임 '던전앤파이터'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은광의 타고르 문서
 참고하십시오.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 국기(1794-1815...

독일 제국 국기

노르웨이 국기

프랑스 국기(1794-1815...스페인 국기(1785–1873...

폴란드 입헌왕국 국기

이탈리아 왕국 국기

영국 국기

독일 제국 국기

스웨덴 국기

독일 제국 국기

벨기에 국기

독일 제국 국기

인도 제국 국기

프랑스 국기(1794-1815...

스웨덴 국기

덴마크 국기

스위스 국기

노르웨이 국기

프랑스 국기(1794-1815...

스페인 국기(1785–1873...

아일랜드 국기

폴란드 국기(1919-1927...

영국 국기아일랜드 국기

이탈리아 왕국 국기

프랑스 국기(1794-1815...

노르웨이 국기

독일 국기(3:2 비율)

미국 국기(1912-1959)

스웨덴 국기

영국 국기

이탈리아 왕국 국기

미국 국기(1912-1959)

프랑스 국기(1794-1815...

미국 국기(1912-1959)

핀란드 국기

덴마크 국기

칠레 국기

독일 국기스위스 국기

프랑스 국기(1794-1815...

영국 국기

미국 국기(1912-1959)

영국 국기

스웨덴 국기

프랑스 국기(1794-1815...

영국 국기

미국 국기(1912-1959)

아이슬란드 국기

스페인국 국기(1945–197...

프랑스 국기(1794-1815...

소련 국기

이탈리아 국기

프랑스 국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

미국 국기

그리스 국기(1822-1978...

프랑스 국기

소련 국기

이스라엘 국기독일 국기스웨덴 국기

과테말라 국기

일본 국기

아일랜드 국기

소련 국기

칠레 국기

독일 국기

호주 국기

스웨덴 국기

이탈리아 국기

미국 국기

스페인국 국기(1945–197...

폴란드 국기(1928–1980...미국 국기

그리스 국기

폴란드 국기(1928–1980...미국 국기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영국 국기

콜롬비아 국기

영국 국기

체코 국기

프랑스 국기

나이지리아 국기

미국 국기

이집트 국기

스페인 국기

멕시코 국기

남아프리카 연방 국기

세인트루시아 국기(1979–2...

미국 국기

일본 국기

아일랜드 국기

폴란드 국기

이탈리아 국기

포르투갈 국기

독일 국기

프랑스 국기
21세기 [ 펼치기 · 접기 ]

영국 국기

헝가리 국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

오스트리아 국기

영국 국기

튀르키예 국기

영국 국기

프랑스 국기모리셔스 국기

루마니아 국기독일 국기

페루 국기스페인 국기

스웨덴 국기

중국 국기

캐나다 국기

프랑스 국기

벨라루스 국기

미국 국기

영국 국기

폴란드 국기

오스트리아 국기

미국 국기

탄자니아 국기영국 국기

프랑스 국기

노르웨이 국기
BBC 방글라 선정 위대한 벵골인
[ 펼치기 · 접기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রবীন্দ্রনাথ ঠাকুর[1] | Rabindranath Tagore
Rabindranath Tag...
출생
사망
1941년 8월 7일 (향년 80세)
국적
신장
학력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법학 / 명예 학사)
캘커타대학교 (벵골 문학 / 명예 학사)
캘커타대학교 (철학 / 명예 박사)
직업
종교
서명
Rabindranath Tag...

1. 개요2. 생애3. 한국과의 관계4. 기타

1. 개요[편집]

2. 생애[편집]

1861년 5월 7일, 인도 벵골주 캘커타의 저명한 브라만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는 19세기 초에 영국 동인도 회사가 해체되는 과정에서 무역으로 막대한 부를 쌓았으며, 부친 데벤드라나트 타고르(দেবেন্দ্রনাথ ঠাকুর, 1817~1905)는 힌두교의 개혁에 관심을 두어 '마하르시(মহর্ষি, 위대한 성자)'라는 호칭까지 얻은 인물이었다.

영국의 명문 대학이자 간디가 졸업한 런던 대학교 그룹 소속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법을 전공했으나 중퇴하였다. 벵골 문예 부흥의 중심이었던 집안 분위기 탓에 8살 때부터 벵골어로 시를 썼고 16세에는 첫 시집 《들꽃》을 냈다. 초기 작품은 유미적이었으나 갈수록 현실적이고 종교적인 색채가 강해졌다. 교육 및 독립 운동에도 힘을 쏟았다.

시집 《기탄잘리》(গীতাঞ্জলি, 신께 바치는 노래)로 1913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는데, 이는 아시아인 최초의 노벨상 수상 기록이다. 이는 직접 수상한 노벨 문학상 부문을 기준으로도 마찬가지.

3. 한국과의 관계[편집]

타고르는 한국을 소재로 한 시, 《동방의 등불》을 남겼다. 《동방의 등불》은 1929년 타고르가 일본에 들렀을 때, 동아일보 기자가 한국 방문을 요청하자 이에 응하지 못함을 미안하게 여겨 그 대신 동아일보 기자에게 전해준 짧은 시이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찍이 아시아의 황금시기에
빛나던 등촉의 하나인 조선
그 등불 한번 다시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1929년 4월 2일 동아일보 기사

다음날 동아일보는 타고르가 써줬던 영어 원문도 실었다.
In the golden age of Asia
Korea was one of its lamp-bearers,
and that lamp is waiting
to be lighted once again
for the illumination
in the East

1929년 4월 3일 동아일보 기사

이보다 더 긴 버전으로 돌아다니는 시는 누군가가 타고르의 다른 작품인 '기탄잘리 35'의 글귀를 짜깁기해 이어붙이고 마지막엔 출처도 알 수 없는 '나의 마음의 조국 코리아여 깨어나소서'라는 문구가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타고르의 또 다른 작품인《패자(敗者)의 노래》는 최남선의 요청에 따라 쓴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실 이전에 타고르 자신이 번역해 미국에서 발간한 시집인 '채과집(Fruit-Gathering)'에 실린 것을 그냥 보낸 것이다. 최남선이 이를 타고르가 한국을 위해 쓴 창작물로 오해한 것. 거기다 문구도 원문과 비교하면 오역이 들어가 있는 상황이니.
위의 시들로 인해 한국을 우대한 인물로 국내에 알려져 있지만, 실은 일본의 문화에 매료된 자포네스크적 기질의 인물로 '일본은 시심을 자아내는 나라'라든지 '일본은 아시아에 희망을 가져다주었다. 우리는 이 해 뜨는 나라에 감사한다'라든지 하는 말을 하며 일본을 5차례 방문하고 러일전쟁에 일본을 숭상하는 시를 써 기고하기도 했으며 군국주의를 밀어주던 일본 우익의 거물 도야마 미쓰루(頭山滿)와도 친분이 있는 인물이었다.[2]

다만 일본에서의 강연에서 "이 나라(일본)는 물질적으로는 진보했지만 정신적으로는 퇴보하고 있다"라고 하거나, "일본이 인도에도 야심을 품고 있는 듯하다.[3] 굶주린 그들은 지금 조선을 잠식하고 중국을 물어뜯고 있다"라고 일본 제국주의를 비판하기도 했다. 오히려 일본은 정신 면에 많이 낙후되었다고 비판하여 극우 일본인들에게 크게 미움을 사기도 했다. 그가 중시한 건 바로 마음과 정신이었다.

어쨌든 타고르에게 한국은 중국이나 일본보다 한참 관심없는 국가였다. 하지만 그 시절 고립무원의 처지에 있던 조선의 지식인들에게는 이 정도도 감지덕지한 수준이었다. 지금으로 말하자면 방탄소년단이 서아프리카나 남아시아의 잘 알지도 못하는 약소국에서 팬이라고 계속 연락해오니 그 나라의 팬들을 위해 짧은 영상 하나 만들어 준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본인에게는 아무것도 아니었을지 몰라도 그 나라의 팬들에게는 매우 대단하게 생각되는 일이었을 것이니, 이런 역사적 배경을 감안하고 왜 그 시절에 타고르 열풍이 일었는지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 외에 최인훈의 소설 광장에서 주인공 이명준이 그토록 찾던 중립국으로 가는 배 이름인 '타고르 호'로 언급된다.

4. 기타[편집]

  • 타고르의 고향은 지금의 인도 영토인 서벵골 콜카타이고 힌두교도임에도 불구하고 방글라데시인들에게 타고르는 독립영웅인 봉고본두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다음가는 국가의 상징이다. 사실 종교만 힌두교와 이슬람교로 다를 뿐 타고르도 벵골인이고, 그가 벵골어로 수많은 문학작품을 남겼으며 노벨 문학상까지 받았기 때문. 그리고 타고르는 가문이 소유한 토지를 관리하는 일로 10여년간 현재의 방글라데시 쿨나 주에서 살았었다. 여기서도 작품을 상당히 많이 썼는데, 타고르에게 노벨상의 영광을 안겨 준 기탄잘리가 이곳에서 쓴 작품이다. 방글라데시인들에게 타고르는 벵골의 자존심이자 벵골인의 정체성을 정의하는 문호기 때문에 그가 서벵골 콜카타 사람이란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는 방글라데시인의 자랑을 넘어서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기도 하다.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의 중요한 계기 중 하나가, 파키스탄의 벵골어 탄압정책에 따라 1967년 타고르의 작품을 국영 언론에서 다루는걸 금지한 것이다. 비록 방글라데시의 역사와 함께하진 않았지만 방글라데시인의 정신세계를 만든 중요한 인물이라, 타고르가 죽고 인도와 방글라데시가 독립국가로 독립한 지 35년이나 지난 1976년에 방글라데시에서 타고르에게 명예 시민권을 추서하기도 했고, 타고르 박물관 8곳 중 5곳이 방글라데시에 있을 정도이다.
  • 노벨문학상을 받은 공적으로 영국으로부터 1915년에 기사 작위를 받았으나, 1919년 암리차르 학살사건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작위를 반납했다.
  • 대표작 기탄잘리에 수록된 시 중 "생명의 흐름(Stream of Life)"은 맷 하딩의 영상에 쓰인 Praan의 가사로 사용되었다.
  • 인도의 국가(國歌)인 자나 가나 마나방글라데시의 국가인 아마르 쇼나르 방라는 그의 작품이다. '자나 가나 마나'는 작사뿐만 아니라 직접 작곡까지 했고, 아마르 쇼나르 방라는 타고르의 작사에 벵골 지역의 가요 그를 어디서 만나야 합니까(কোথায় পাবো তারে ; Ami Kothay Pabo Tare)를 붙인 것이다.
  • 2003년 3월 바라티 대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던 타고르의 노벨문학상 메달과 시계 등 일부 유품이 도난당했다. 경찰이 현상금까지 걸며 4년 넘게 수사했지만 결국 물건도 범인도 찾지 못한채 2007년 수사를 종결지었다. 한편 스웨덴 노벨재단은 2004년에 메달 복제품을 만들어 인도 정부에 전달했다.

[1] 벵골어식 발음은 로빈드로나트 타쿠르[2] 아마 일본의 힘이 커졌으니 일본이 (인도를 포함한) 대다수 국가들이 서양의 식민지로 전락해있는 아시아의 주권을 위해 서양 열강과 맞서 싸울 것이라고 생각한 듯하다.(아시아주의수카르노나 찬드라 보스처럼 아시아의 민족주의자들 중에서는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한국에서도 일본이 한일병탄을 하며 대한제국을 식민지로 삼기 이전까지는 일본의 제국주의 야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그런 생각을 한 사람이 제법 많았었다. 한일병탄 이전에 쓰여진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에도 이런 시각이 어느 정도 담겨 있다. 이승만도 1903, 1904년 정도까지만 해도 일본을 그렇게 싫어하진 않았으며 일본에 우호적인 모습도 일부 있었으나, 일본이 스스로 서양 열강과 다름없이 같은 아시아 국가인 한국을 식민지화하는 모습을 드러내자 강경한 반일로 돌아선다.[3] 일본이 인도를 공격하려 한다는 이야기는 그 기원이 꽤 오래되었다. 이미 1592년 임진왜란을 일으켰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을 정복한 다음에 중국 명나라도 점령하고 그 다음으로 인도에까지 쳐들어가겠다고 호언장담했다. 그리고 1882년 12월 일본의 지식인인 후쿠자와 유키치는 “언젠가 한 번은 인도, 중국의 현지인 등을 다스리는 것에서 영국인을 본받을 뿐만 아니라..."는 글을 남겼는데출처, 이는 중국과 인도에 대한 야심을 드러낸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