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덴마크.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덴마크. Show all posts

2020/08/19

박인식 탈원전 [01-17]


--


92 탈원전 17,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박인식 17.10.23 0 90

91 탈원전 16, 해상풍력발전 여건 박인식 17.10.11 0 77

90 탈원전 15, 풍력발전 여건 사진첨부 박인식 17.10.09 0 188

89 탈원전 14, 태양광발전의 경제성 박인식 17.09.24 0 379

88 탈원전 13, 태양광발전 여건 사진첨부 박인식 17.09.20 0 86

87 탈원전 12,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방식 사진첨부 박인식 17.09.20 0 127

85 탈원전 11, 전력수요 사진첨부 박인식 17.09.07 0 325

84 탈원전 10, 원자력발전의 경제성; 사후비용 박인식 17.09.07 0 500

83 탈원전 9, 원자력발전의 경제성; 전력단가 구성 박인식 17.09.07 0 439

82 탈원전 8, 균등화 회피비용과 균등화 발전원가의 적정성 박인식 17.08.25 0 88

81 탈원전 7, 균등화 발전원가와 균등화 회피비용 사진첨부 박인식 17.08.25 0 116

80 탈원전 6, 원전 안전성 사진첨부 박인식 17.08.25 0 129

79 탈원전 5, 국내원전의 지반안정성 박인식 17.08.09 0 39
--

78 탈원전 4, 원전사고 사진첨부 박인식 17.08.09 0 61

77 탈원전 3, 활성단층 박인식 17.08.09 0 58

76 탈원전 2, 내진설계기준 박인식 17.08.09 0 52

75 탈원전 1, 글쓰기를 시작하며 박인식


--

탈원전 1, 글쓰기를 시작하며

박인식

추천 0조회 32
17.08.09 

1980년 5월, 월성 원자력 후속기 (2․3․4호기) 지질조사로 사회에 첫발을 내딛은 이래 사우디에서 SMART 원전 부지평가를 준비하고 있는 지금까지 40년 가까이 원전사업에 매진해오고 있다. 정부에서 탈원전 정책을 공식화한 지금, 평생을 원전사업에 참여해온 사람으로 뭔가 나름의 의견이 있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탈원전이 이슈가 되고난 이후 두어 달 가까이 발표된 찬반양론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 생각을 풀어나갈 방향을 정했으니 지금까지 살펴본 주장을 바탕으로, 또한 글을 써나가면서 얻는 피드백을 바탕으로 긴 씨름을 시작해보려 한다. 얼마나 긴 글이 될지, 긴 글에 걸맞은 내용을 갖출 수 있을지, 혹시 태산명동(泰山鳴動) 후에 서일필(鼠一匹)이 되지나 않을지 염려스럽기는 하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원전 부지조사가 잠깐 주춤했던 때가 있었다. 사업을 접어야 할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정도였다. 몇 년 앞으로 다가온 교토의정서 발효를 앞두고 혹시 우리와 관련한 사업이 있을지 살피다가 지구온난화의 해법이 원전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접으려 했던 원전사업을 다시 챙기고, 힘이 되어줄 분을 모셔오고, 전열을 재정비했다. 곧이어 원전 부지조사가 발주되기 시작했고, 우리의 또 다른 강점인 터널사업 경험을 연계할 수 있는 해저 냉각수 취배수관로와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건설사업까지 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원전은 시작할 때부터 안전성이 논란이 되기는 했지만,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녹색에너지원인데다가 발전원가가 훨씬 낮기 때문에 상당기간동안 확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생각했다. 더구나 원전 강국인 미국이 30년 넘게 원전건설을 중단해오고 있고, 원전건설이 이어짐에 따라 기술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건설비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게 되어 국내에서뿐 아니라 해외로 시장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새롭게 들어설 정부가 원전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에 원전사업의 확장세가 주춤할 것으로는 예상했지만, 그렇다고 해도 이렇게 급작스럽게 폐기 절차에 들어가게 될 것이라고는 짐작조차 하지 못했다.




탈원전 논리는 우선 원전이 안전하지 않다는 점과 발전원가가 다른 발전방식에 비해 결코 싸지 않다는 점에 바탕을 두고 있다. 우선 이 두 가지 논리를 살펴보고, 이후에 탈원전 대안이 과연 합리적인지 살펴보겠다. 짧은 지식으로 글을 풀어가려니 상당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고, 그래서 한 주에 한 편 정도 쓰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오류 또한 적지 않을 것인데, 페친 여러분의 적극적인 피드백을 부탁드린다.

--

탈원전 2, 내진설계기준

박인식추천 0조회 5117.08.09 







졸업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전신인 자원개발연구소에서 두해 반을 근무했다. 원전부지조사를 수행하던 응용지질실에 배속되어 본소에서 지원업무를 담당했는데, 말이 좋아 지원업무지 그저 잔심부름이나 하는 정도였다. 현장조사에 참여하던 선배 대부분이 각 연구실에서 연구과제를 수행하다 차출된 상태이다 보니 출장이 끝나면 모두 자기 연구실로 돌아가 현장에서 올라오는 자료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다. 덕분에 아무 것도 모르는 채로 떼밀려 자료를 정리하고, 나중에는 영문으로 된 조사보고서 번역까지 하게 되었다. 그때만 해도 국내에 원전부지조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기관이나 업체가 없어서 1980년대 초반까지 한전에서 연구소에 수의로 이를 의뢰하고, 경험 많은 외국회사가 관리하도록 했다. 최종보고서도 연구소에서 수행한 조사결과와 관련학과 교수들께서 작성한 기본보고서를 바탕으로 외국회사에서 작성했기 때문에 영문보고서가 공식적인 최종보고서였다.










대학을 갓 졸업한 신출내기가 뭘 알아서 번역을 했을까. 돌이켜보니 용기가 가상했다. 어쩌면 그만큼 허술했던 것인지도 모르고. 모든 번역작업이 다 어려웠지만 특히 지진관련 부분은 용어가 생소하기 짝이 없었다. G-value라고 일컫는 지반진동가속도며 안전폐쇄지진(SSE, Safe Shutdown Earthquake), 가동기준지진(OBE, Operating Basis Earthquake), 쓰나미. 부끄럽게도 무슨 뜻인지조차 모르고 번역을 했다. 쓰나미라는 말은 이제는 여러 사람이 알아듣지만 그때만 해도 학계에서조차 생소한 용어였고, 그래서 연구소를 떠날 때까지 내내 지진해일이라고 번역을 했다. 그렇기는 했어도 그러는 동안 상당히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우리나라 지진기록은 인천관측소에서 지진계를 설치하여 지진을 측정하기 시작한 1905년 이후 기록을 계기지진(instrumental earthquake), 그 이전에 발생한 지진을 역사지진(historical earthquake)으로 구분한다. 역사지진은 우리나라 모든 역사서에 언급된 지진관련 기록을 취합해서 관련 학자들이 각 지진의 규모를 평가한 자료인데, 과학기술처가 이를 주관했고 1980년도에 발간된 것으로 기억한다.










내진설계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역사지진과 계기지진을 통틀어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 같은 크기로 같은 장소에서 다시 일어났을 때 이 지진의 여파가 특정 원전지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원전 구조물이 이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설명은 간단하지만 이에는 매우 복잡한 조건과 이론이 동원되고 전문적인 조사와 평가과정을 거친다. 이때 내진설계의 기준이 되는 것이 지반진동가속도 G-value이다. 현재 운전 중인 원전이 24기인데, 이 중 2016년 운전을 시작한 신고리3호기부터 지반진동가속도를 0.3G로 적용했고 그 이전에 건설된 23기는 모두 0.2G를 적용했다. 0.2G는 원자로 아래 10km 지점에서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원자로가 견딜 수 있는 값이고, 0.3G는 같은 위치에서 규모 7.0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견딜 수 있는 값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의 최대 규모는 5.8인 것으로 알고 있다. (재확인이 필요함)










내진설계는 자연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자연현상을 예측하는 게 과연 가능한가? 예측이 불가능하니 좀 더 안전한 쪽으로 평가를 하면 좋기는 하겠지만, 어느 정도까지 여유를 두어야 안전하다고 할 수 있을까? 결국 그런 저런 조건을 다 따져서 만들어 낸 기준이 “지금까지 일어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 같은 자리에 다시 일어난다”고 가정한 것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그 가정으로 평가하는 과정에서도 요소요소에 상당한 안전율을 적용하고 있기도 하고. 그 이상 어떻게 더 엄격한 기준을 만들어 낼 수 있겠나. 이런 내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원전이 적어도 인간으로서 지진에 대비할 수 있는 최대치를 적용한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겠다.










내진설계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내용이기는 하지만 원전 구조물의 안전성과 관련해서 내진설계보다 더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이 활성단층의 존재이다.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니 별도의 글로 다시 정리하겠다.
















--

탈원전 3, 활성단층

박인식추천 0조회 57
17.08.09 


원전부지조사를 할 때 제일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활성단층의 존재이다. 미국에서는 원자력규제위원회의 기준인 ‘최근 5만 년 이내 변위가 한 번 발생했거나 최근 50만년 이내 두 번 이상 발생한 단층’을 활성단층으로 판단하며, 우리도 이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원전부지조사에서 활성단층에 주의를 기울이는 건 활성단층은 원전 운전기간 중에 변위가 다시 일어날 확률이 높으며, 이로 인한 지반거동이 원전 안전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1970년대 중반에 일부 학자들이 원전밀집지대(고리원전 및 월성원전)에 인접한 양산단층이 활성단층이라는 주장을 제기한 바가 있지만 내가 자원개발연구소에 근무하던 1980년대 초반만 해도 우리나라에는 활성단층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학계에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다가 1992년에 양산단층대가 통과하는 양산 월평마을에서 활성단층이 처음으로 확인되고, 이어서 1995년 굴업도 방사성폐기물처분장 부지조사 과정에서 해저 활성단층이 발견됨에 따라 활성단층 문제가 원전 안전성의 현안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활성단층이 원전 안전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데도 불구하고 초기의 원전 부지 선정과정에 이런 조건이 제대로 반영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1990년대 초에 한전에서 원전건설 책임자로 일하다 은퇴하신 분을 고문으로 모신 일이 있었다. 그 당시 월성원전 지질조사를 수주했는데, 월성원전 지역의 불량 암질을 이미 경험한 바가 있어서 어떻게 끌어나가야 할지 몹시 걱정을 하고 있었다. 이전부터 굳이 암질이 그렇게 나쁜 월성에 왜 원전을 건설할까 하는 의문이 들기는 했지만, 나쁜 암질을 상쇄할만한 이유가 있겠거니 생각했다. 그런데 고문께서 부지 선정과정에 지질조건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다는 뜻밖의 말씀을 하셨다. 원전건설이야 국가 정책에 관한 사항이니 다른 여건이 크게 반영되기는 했어도 지질조건 또한 그만한 비중으로 고려하지 않았을까 했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던 모양이다. 고리원전은 이보다 먼저 건설되었으니 그 역시 지질조건이 크게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보는 데 무리가 없겠다.










그렇기는 해도 활성단층 문제가 거론되기 시작했을 때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건설계획에 반영했어야 했다. 하지만 운전 중인 원전을 세워야 할지도 모른다는 부담이 발목을 잡지 않았을까 싶다. 건들기엔 너무 큰 문제라서 말이다. 게다가 그때까지는 활성단층이라고 단정할 만큼 지질학의 수준이 올라있지도 않았으니 활성단층 주장이 힘을 얻기가 어렵지 않았을까 짐작한다. 그러다가 양산단층이나 굴업도 단층이 활성단층으로 판명이 났고, 뒤이어 본격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2009년 정부 예산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을 수행했지만 석연치 않은 이유로 몇 년 전까지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 보고서에서 양산단층·울산단층·일광단층 등 17개 활성단층이 확인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정부에서 은폐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공개했을 때 예상되는 논란을 피하고 싶기야 했겠지만 감춰서 될 일도 아니고 내용을 살펴보니 굳이 감춰서 얻을 이익도 없어 보인다.* 때늦은 감이 있기는 하지만 이제부터라도 공식적으로 활성단층의 존재와 이의 영향, 그리고 그 영향을 제어하기 위한 내진설계에 대해 전문가들이 깊이 있게 논의했으면 좋겠다. 내진설계는 자연을 대상으로 한 여느 설계가 그렇듯이 상당한 안전율이 감안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기술로 예상할 수 있는 최대 지반거동을 기준으로 한다면 고리원전이나 월성원전에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한다. 다만, 최근에 학자들 사이에서 지금까지 일어난 지진보다 규모가 더 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










지반거동을 일으키는 대규모 지진은 재발주기가 길어서 100년 남짓한 계기지진기록으로 향후 거동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2천년 이상 되는 역사지진기록이 매우 중요하다. 고리원전이나 월성원전 모두 역사지진 최대치를 감안해서 내진설계를 했으니 당시로서는 최선의 조치였다고 생각한다. 최근 들어 관련 학문의 발전으로 지난 2천년 동안 일어났던 것보다 더 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그 예측을 받아들인다면 내진기준이 높아진 신고리 3호기를 제외한 모든 원전이 기준에 미달되지 않을까 싶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내진설계는 지금까지 일어난 지진 중 가장 규모가 큰 지진이 같은 장소에서 다시 일어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러니 지난 2천년 동안 일어난 최대 규모 지진보다 더 큰 지진이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것은 내진설계의 근본을 흔드는 일이다. 나는 이것이 매우 무리한 주장이라고 생각한다.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밀어붙인다면 이런 논의 자체가 의미 없는 일이 되겠지만 말이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에서 언급하고 있는 활성단층은 원전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인 활성단층과 차이가 있다. 원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활성단층은 제4기 후기(50만년)에 발생한 변위를 기준으로 삼는데 반해 이 보고서에서는 제4기 전체(180만년)에 발생한 변위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이다. (이 보고서에 언급된 활성단층이 모두 원전 안전성 평가와 직결된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

기고문(1)

탈원전 4, 원전사고




박인식추천 0조회 6017.08.09 21:38댓글 0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원전사고라고 하면 1979년 TMI(Three Mile Island) 원전사고, 1986년 체르노빌 원전사고,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꼽을 수 있겠다. 이 글을 쓰기 위해 기록을 확인하다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 원전사건(nuclear event)을 0등급에서 7등급까지 나누고, 이 중 0-3등급을 ‘고장(incident)’으로 4-7등급을 ‘사고(accident)’로 분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림 참조)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원전사건이 340회 일어났는데 1등급 고장이 15회, 2등급 고장이 4회, 3등급 피폭이 2회 발생했고 4등급 이상의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지질기술자이다 보니 지금까지 원전안전성을 지반안정성 관점에서만 바라보았다. 원전사고를 살피는 과정에서 탈원전의 핵심 명분인 ‘지진으로 인한 원전사건’은 지금까지 건설된 원전 580기(가동 449기) 중에서 한 번도 일어난 일이 없다는 사실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 지반안정성 평가를 생업으로 삼고 있는 나 역시도 구체적인 사실을 확인하는데 게을렀다. 근거를 확인하는데 좀 더 부지런해져야겠다. 한정된 지식과 한정된 지면에 원전사고를 일일이 살펴보기 어려우니 앞서 언급한 세 건을 중심으로 생각해 보겠다.










1978년 3월의 미국 펜실베이니아 TMI (2호기) 원전사고는 핵연료 재충전 과정에서 운전원의 착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 사고로 노심이 절반 이상 녹았지만 원자로가 파괴되는 사태는 모면하여 인명피해나 방사능 낙진이 떨어지는 사고로 이어지지 않았다. 사고 사실이 알려지고 나서 주민들이 공포에 휩싸여 미친 듯이 탈출했지만 콘크리트 격납용기가 방사능 외부 누출을 억제해 누출된 방사능 수준이 자연 방사선량에 미치지 않아 주민의 피폭피해는 없었다. 당시 카터 대통령은 이 사고를 이유로 원전건설 중단을 선언했고 당시 70기에 달하던 신규원전계획이 백지화되었다. 그 후 오바마 대통령이 원전건설 재개를 선언했지만 공교롭게도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일어나 원전건설 반대가 격심해졌다. 미국의 원전건설계획은 아직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사고가 일어난 2호기 옆에 있는 1호기는 2010년에 운전을 재개했다.










1986년 4월의 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는 “원자로 가동이 중단될 경우 관성으로 도는 터빈이 얼마나 오랫동안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과정에서 일어났다. 어이없게도 시험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엔지니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험 책임자가 안전장치를 모두 정지시킨 채로 시험을 강행했다. 이 과정에서 원자로 내부 과열, 내부 증기압 상승에 따른 1차 폭발, 나머지 열이 수증기를 흑연과 반응시킨 2차 폭발이 일어났다. 체르노빌 원전에는 격납용기가 없었기 때문에 두 차례에 걸친 대폭발로 히로시마에 떨어졌던 원자폭탄의 400배에 이르는 방사능 유출이 일어났다. 이 피해가 얼마나 컸던지 고르바초프 전 소련 서기장은 이 사고 복구비용이 소련의 붕괴에 결정적인 요인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주장하는 기관마다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BBC 다큐멘터리에서는 방사선 피폭량을 근거로 최소 9천 명 이상 사망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사망자는 이 보다 적었다고 보도했다. 그린피스는 2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신체장애자 동맹은 2005년 기준으로 15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발표했다. 러시아정부는 러시아 피폭자가 145만 명이라고 발표했다. 지금도 이 지역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2011년 3월의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해 발생한 쓰나미가 원전을 덮쳤고, 이로 인해 (원전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비상발전기가 침수되어 작동하지 않음으로서 원전이 정전되었으며, 노심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아 노심이 용융되고 원전건물 폭발로 이어진 것이다. 다수의 원자로가 동시에 녹아내린 최초의 사례이고 이로 인해 태평양을 포함한 일대를 방사능으로 오염시켰다. 이 사고의 가장 큰 원인은 해안방벽을 쓰나미 최대 높이보다 낮게 설치한 데 있다. 이로 인해 쓰나미가 해안방벽을 넘어 비상발전기가 침수되고 폭발로 이어진 것이다. 후쿠시마 원전은 쓰나미 최대 높이를 10m로 상정하여 해안방벽을 설치했고, 사고 당시 최대 높이는 15m였다. 도쿄전력은 2008년에 자체적으로 쓰나미 최대 높이가 15.7m일 수 있다고 판단하였음에도 사고가 일어날 때까지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문제점과 시사점, 김준섭 국방대학교 교수, 2015.07) 진앙에 더 가까웠던 오나가와 원전은 해안방벽을 충분히 높게 설치함에 따라 파고가 후쿠시마보다 더 높았음에도 안전을 유지할 수 있었다. 심지어 오나가와 원전은 3개월간 피해 주민들의 대피소가 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고리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1,368명이 사망하였다고 언급한 일이 있는데, 이후 일본정부가 항의하자 이는 일본 도쿄신문에서 발표한 ‘원전사고 관련 사망자’를 인용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일본에서는 지역 민심을 고려해 원전사고 사망자와 원전사고 관련 사망자를 엄격하게 분리해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최악의 원전사고로 기록된 세 사례 모두 자연재해가 아닌 관리 잘못으로 발생했다. TMI는 운전원의 착각으로, 체르노빌은 안전절차 위반으로, 후쿠시마는 해안방벽을 충분히 높게 설치하지 않아서 일어난 것이다. 결국 원전사고는 자연재해 때문이 아니라 정해진 절차를 따르지 않아 일어난 것으로 봐야하지 않겠나 생각한다.
















--

기고문(1)

탈원전 5, 국내원전의 지반안정성




박인식추천 0조회 3817.08.09 21:39댓글 0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지엽적인 지식을 가지고 복잡하기 이를 데 없는 원전의 안전성을 거론하자니 매우 조심스럽다. 우선 아는 분야인 지반안정성(site stability)부터 살펴보겠다.










1956년 영국 콜더 홀 원전이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래 현재에 이르기까지 원전은 총 580기가 건설되었고 현재 449기가 운전되고 있다. 이 글을 쓰기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지진으로 인해 원전이 파괴되거나 피해 입은 사례를 찾지 못했다. 적어도 지진에 관한한 모든 원전은 안전하다는 것이다. 원전이 지진으로부터 안전하기 위해서는 지진으로 인한 지반진동(vibratory ground motion)을 정확하게 산정해야 하고, 모든 시설이 산정된 크기의 지반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하며, 설계한 대로 시공해야 한다. 40년 가까이 원전건설에 간여해온 사람으로서 적어도 우리 원전은 이 모든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며, 그것이 원전의 상업운전이 시작된 이래 관련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고 생각한다.










지진학자 중에서 지금까지 일어난 지진보다 규모가 더 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다. 그게 과연 가능한 일인지 판단할 만큼 아는 게 없다. 그런 주장을 펴는 학자 중 몇몇은 아는 이들이니 만나면 설명을 부탁해보리라. 아무튼 지금까지는 역사지진과 계기지진을 통틀어 최대 지진이 같은 위치에 다시 일어난다는 가정 아래 내진설계기준(지반진동가속도)을 결정하고 있다. 지진 때문에 원전이 피해 입은 사례가 없다는 것으로 내진설계기준을 넘은 사례가 없다고 유추하는 건 지나친 비약일까? 우리나라의 역사지진기록은 2천 년이 넘는다. 나는 지난 2천 년 동안 일어난 지진보다 규모가 더 큰 지진이 일어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자연을 수치화하는 작업에서는 수많은 안전율이 적용된다. 자신이 없으니 넉넉하게 계산한다는 말이다. 실제로 기초지반의 허용지내력은 최대지내력의 1/3로 잡는데, 이럴 때 안전율을 3으로 적용했다고 표현한다. (3배 안전하다는 말이다.) 예를 들자면 땅이 평방미터 당 90톤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면 이 땅 위에 짓는 구조물의 무게는 평방미터 당 30톤을 넘을 수 없도록 한다는 말이다. 최대지내력을 측정하는 과정에서도 가능한 보수적(안전한 쪽)으로 평가한다. 내진설계기준을 결정하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지반진동가속도를 결정하고 나면 이를 기준으로 내진설계를 하는데, 이 과정에서도 수많은 안전장치와 안전율이 적용된다.










실제로 일본 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전, 미국 노스아나 원전은 내진설계기준을 2배 넘게 초과한 지진에도 원전을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었다. 동일본대지진 때 후쿠시마 원전과 오나가와 원전 역시 내진설계기준을 넘는 지진이 일어났지만 원전을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데 문제가 없었다. (양재영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 2017.08) 이 경우, 비록 안전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내진설계기준을 초과하는 지진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말이니 위의 전제가 틀린 셈이다. 재발할 수 있는 지진의 규모를 잘못 산정한 것인지, 지진 규모는 제대로 산정했는데 내진설계기준을 잘못 선정한 건지는 확인이 필요하겠다. 우리의 경우, 신고리 3,4호기부터 규모 7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기준(지반진동가속도)을 0.3G로 설정했으며, 그 이전에는 규모 6.5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0.2G로 책정하였다. 국내 최대지진인 경주지진이 일어났을 때 인접한 월성원전에서는 지반진동가속도가 0.12G로 측정되었고, 다소 떨어진 고리원전에서는 0.038G로 측정되었다. 이렇게 원전이 충분히 안전하게 건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내 모든 원전의 내진설계기준을 0.3G로 상향 조정하여 보강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앞서 예를 든 내진설계기준을 넘는 지진이 발생한 사례도 상향 조정에 고려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










원전은 사고가 일어나면 그 피해가 엄청나기 때문에 최악의 조건을 상정하여 평가하는 것이 맞다. 그렇다고 해서 억지를 쓰는 것까지 받아들여야 한다는 데는 동의하지 않는다. 지금 탈원전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리 중 지진으로 인한 위험성은 억지를 넘어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댓글0추천해요0스크랩0

--

기고문(1)

탈원전 6, 원전 안전성




박인식추천 0조회 12817.08.25 04:45댓글 0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탈원전 주장의 핵심은 원전이 안전하지 않다는 데 있다. 대체로 일반인들은 원전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지진이나 해일과 같은 자연재해를 꼽는 반면에 전문가들은 안전규칙 소홀과 같은 인위적인 사고를 꼽는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금까지 건설 운영된 580개 원전 중 어느 하나도 자연재해로 인해 사고가 난 기록이 없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자연재해 때문에 일어난 것이 아니라 쓰나미 최대 높이보다 해안방벽을 낮게 설치했고, 쓰나미 최대 높이보다 해안방벽이 낮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고 나서도 조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일반인들이 갖고 있는 원전 안전성에 대한 염려는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고, 그렇게 오해하도록 부추기고 염려를 증폭시킨 반핵단체에게도 일단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8월 13일자 오마이뉴스에 원전사고 사상자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주장은 거짓이라는 기사가 올랐다. 아래 표에서 보는 것처럼 2006-2014 기간 동안 원전 운전과 관련해 7명이 사망하고 3명+이 다쳤다는 기록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근로복지공단에서 2001년 원자력발전소 직원 정아무개씨(1999년 사망)가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앓다 사망한 것을 산업재해로 인정하고 1억3000여만 원을 보상하라는 판정을 내렸다는 사실도 거론했다. 설마 없는 사실을 인용했겠나 싶어 확인하지는 않았다. 인명은 소중한 것이고 어떤 피해도 정당화될 수 없다. 그들은 지진이 일어나면 원전이 파괴되고 방사능이 누출되어 핵폭탄을 맞은 것과 같은 피해를 입기 때문에 원전을 반대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사례를 탈원전의 주요한 논리인 ‘원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로 보는 게 과연 타당한가? 인명피해가 어디 원전 운영과정에서만 일어났겠나. 원전 건설과정에서는 또 얼마나 많은 인명피해가 일어났을까. 원전 뿐 아니라 산업재해는 어느 때건 어디서건 일어나는 일이다. 얼마 전에도 풍력발전 건설현장에서 사고로 작업원이 목숨을 잃는 일이 있었는데, 이런 이유 때문에 신재생에너지가 안전하지 않다고 주장하면 받아들이겠나? 인터넷에서 조금만 노력하면 우리나라 원전 운영과정에서 일어난 각종 사건(nuclear event) 기록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그 모든 사건이 탈원전을 주장하는 이들이 거론하는 ‘원전사고’와 거리가 멀다는 사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원전 주변의 방사능 피폭량 또한 과장과 왜곡이 심한 내용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해서는 워낙 많은 주장이 있고, 그 주장에 대해 평가할 만큼 아는 바가 없어 거론하는 게 적절치 않아 보인다. 페친인 방사선방호전문가 조건우 박사께서는 그의 블로그에서 “우리 정부가 에너지 믹스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탈원전을 선택한 배경에 방사능 피해에 대한 막연한 우려와 공포심이 주요한 한 변수가 된 것 같아 안타깝다”는 심정을 토로하면서 원자력과 방사선 연구에 40년 가까이 일평생을 보낸 전문가로서 지난 7월부터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방사능 오염에 대한 시리즈를 연재하기 시작했다. 페친들의 일독을 권한다.










1980년 원전 부지평가에 참여한 이래 지금껏 지반안정성(site stability)과 관련한 업무를 해왔고, 그래서 원전건설과정에서 원전 구조물의 안전성(nuclear safety)이 어느 정도로 엄격하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누구 못지않게 경험해오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원전안전’을 바탕으로 한 탈원전 주장은 ‘내 견해와 다른 주장’이 아니라 ‘잘못된 주장’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 물론 모든 사람이 원전의 안전성을 제대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탈원전을 주장하려면 적어도 사실관계는 확인해야 하지 않을까. 요즘처럼 관련 자료를 찾아보기 쉬운 세상에 사실과 거리가 먼 주장을 펼치는 이들이 사실이 뭔지 몰라서 잘못된 주장을 펼치는 것인가, 아니면 의도를 가지고 잘못된 주장을 고수하는 것인가? 의도적인 것이라면 그들의 궁극적인 의도는 무엇일까?










이와 같이 이중 삼중의 안전장치를 마련해 놓고 있기는 하지만 사람이 하는 일인데 어떻게 원전안전을 100% 장담할 수 있을까? 앞으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안전성 확보방안이 개선될 것이고 이와 같이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었으니 원전이 더욱 엄격하게 관리되리라 기대한다. 다만, 이런 국민의 불신을 불러온 책임이 원전을 주도한 쪽에 상당 부분 있을 것이니 그동안 원전사업을 효율에 초점을 맞춰 추진했다면 앞으로는 모든 과정을 더욱 투명하게 공개하고 좀 더 둘러가는 한이 있더라도 국민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노력을 기울였으면 좋겠다.










이미 한쪽에 발을 담그고 있으니 객관적인 글을 쓴다는 게 애초부터 불가능한 일이었다. 오늘 글에 특히 감정이 실렸다. 쉬운 일은 아니지만 나 자신이 왜곡된 주장을 하고 있는 건 아닌지 살펴보기 위해서라도 객관적인 입장을 지키도록 애써야겠다.

--




--



탈원전 7, 균등화 발전원가와 균등화 회피비용

박인식추천 0조회 11717.08.25 04:50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원자력 발전의 경제성에 대해서는 힘들이지 않고 쓸 수 있을 줄 알았다. 평생 원전사업을 하면서 원전이 값싼 에너지라는 생각에 대해 한 번도 의문을 가져본 일이 없기 때문이다. 사우디 지사에 부임하기 직전인 2007년에 태양광발전사업을 검토한 일이 있었는데, 당시 kW당 발전단가가 원전 40원, 석탄 70원, LNG 120원, 발전차액 지원 대상이었던 신재생에너지 기준가격이 태양광 710원, 풍력 110원 정도였다. (신재생에너지 가격은 산업자원부에서 고시한 금액으로 고정금액은 아니었고 매년 5%씩 감액되는 조건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내내 원전 발전단가가 월등히 싼 것으로 알고 있었으니 내겐 이런 전원별 발전 단가가 아주 자연스러웠다.




탈원전 진영에서는 원전 사업비에 방사성폐기물 처분비용이나 폐로비용, 사고 복구비용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전단가가 낮은 것처럼 보이는 것이지, 감춰진 비용을 합산하면 결코 값싼 에너지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사고 복구비용은 원전이 안전하지 않다는 전제에서 출발했고 산출한 금액도 터무니없었기 때문에 원전 안전성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는 나로서는 이런 비용이 원자력 발전단가에 포함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러니 방사성폐기물 처분비용이나 폐로비용이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확인하면 원전의 경제성 시비는 해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데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벽에 부딪쳤다. ‘균등화 발전원가(LCOE,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와 ‘균등화 회피비용(LACE, Levelized Avoided Cost of Electricity)’이라는 매우 생소한 개념이 그것이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에서는 금년 4월 ‘균등화 발전원가 및 균등화 회피비용’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발전원가는 워낙 변수가 많고 지역과 시점에 따라서도 차이가 많기 때문에 발전원에 따른 원가를 비교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발전원별로 일정한 조건에서 원가를 산출하기 위해 ‘균등화(levelization)’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예컨대 연료비는 구매 시기뿐 아니라 계약조건에 따라 달라지고, 시설에 대한 감가상각비는 적용되는 세법에 따라 달라지며, 신재생에너지에 적용되는 보조금 또한 발전원이나 적용시점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까지는 이해하는데 별 무리가 없다. 문제는 ‘균등화 회피비용’인데, 사람마다 이해하는 바가 모두 다르니 아전인수 격으로 인용하기를 서슴지 않는다. ‘균등화’라는 건 비교를 위해 조건을 같게 만든 것이니 읽는 이의 편의를 위해 이 글에서는 ‘발전원가’와 ‘회피비용’으로 용어를 줄여 쓰겠다.




USEIA 보고서에서는 “이용률, 발전원 구성, 시설용량이 지역에 따라 매우 다르기 때문에 단지 발전원가만으로 발전원의 경제성을 비교하는 것은 결과를 오도할 수 있으니 회피비용을 함께 사용하라”고 권하고 있다. 회피비용은 어떤 발전원을 다른 발전원으로 대체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석탄화력발전을 풍력발전으로 대체할 경우 풍력발전원가가 석탄화력발전의 회피비용이 되는 것이다. 어느 발전원을 다른 발전원으로 대체한다면 대체할 발전원이 어느 것이냐에 따라 회피비용이 달라진다. 그런데 USEIA 보고서에는 대체 발전원을 어떻게 구성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 아마 회피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발전원을 구성하지 않았을까 싶다. 발전원을 대체했을 때 ‘대체 발전원의 발전원가(회피비용)’가 원래 발전원의 발전원가보다 낮다면 당연히 새로 도입한 발전원이 경제적이라는 데는 누구도 이의가 없을 것이다. (이에 대해 원자력계 일부 인사가 회피비용이 낮은 발전원이 더 경제적이라고 주장한 것은 잘못이다.) 이런 논리를 바탕으로 ‘프레시안’을 비롯한 탈원전 미디어에서는 “회피비용이 발전원가보다 높으면 경제성이 있는 발전원이고, 회피비용이 발전원가보다 낮으면 경제성이 없는 발전원이다”라고 도식화하고 있다. 이 논리라면 원전은 경제성이 없는 발전원이다.




과연 그런가? 비전문가가 쉽게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이기는 하지만 USEIA 보고서를 차근차근히 살펴보았다. 그러다가 아주 중요한 조건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는데 어떤 미디어에서도, 누구도 지적하지 않은 내용이었다. 간헐전원인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은 기저부하로 사용되는 재래식 발전원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 재래식 터빈발전은 reserve margin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므로 간헐전원이 회피비용을 낮추는 방식으로는 적절치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비전문가인 내게는 이 말이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의 발전원가가 낮을 수는 있지만, ‘간헐전원’과 ‘기저부하를 감당하는 발전원’을 동등하게 놓고 비교하는 게 의미가 없다”는 말로 들린다. 혹시 내가 오해한 것이 있으면 페친들께서 망설이지 말고 지적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to consider for intermittent resources, such as wind of solar, that have subsequently different duty cycles than the base-load, intermediate, and peaking duty cycles of conventional generators. Combustion turbines are generally built for the capacity value to meet a reserve margin rather than to meet generation requirement and avoided energy costs.)




내용을 살피던 중에 탈원전 미디어에서 원전에 비해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이 훨씬 경제성 있는 발전원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로 제시한 자료가 잘못된 것을 확인했다. ‘프레시안’과 ‘탈핵신문’에서 원전은 발전원가가 회피비용보다 높아 경제성이 없고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은 두 값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회피비용이 높아서 경제성이 있는 발전원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인용한 발전원가가 내가 확인한 값과 달랐다. 살펴보니 두 미디어에서 인용한 발전원가는 보조금을 반영해 그만큼 원가를 낮춘 금액이었다. 풍력발전원가를 $52.2/MWh, 태양광발전원가를 $66.8/MWh로 밝혔는데, 보조금을 제외할 경우 발전원가는 풍력발전이 $63.7/MWh, 태양광발전이 $85/MWh가 되어 두 발전원 모두 경제성이 없는 것이 된다. 보조금이 없는 원전과 대비하자면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 모두 보조금을 제외하고 비교하는 게 타당하지 않을까?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
탈원전 8, 균등화 회피비용과 균등화 발전원가의 적정성

박인식추천 0조회 8917.08.25 04:50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USEIA 보고서에서 언급한 2016년 기준 균등화 발전단가는 보조금을 제외했을 때 MWh당 가스 56.5~109.4달러, 원자력 99.1달러, 지열 43.3달러, 바이오매스 102.4달러, 육상풍력 52.2달러, 해상풍력 145.9달러, 태양광 66.8달러, 태양열 184.4달러, 수력 66.2달러이다. 균등화 회피비용은 MWh당 가스 58.1달러, 원자력 57.3달러, 지열 65.3달러, 바이오매스 58.3달러, 육상풍력 53.2달러, 해상풍력 57.8달러, 태양광 64.7달러, 태양열 69.9달러, 수력 57.4달러이다.




장황하게 늘어놓은 숫자에서 보듯, 발전단가는 발전방식에 따라 43.3~184.4달러로 4배 이상 큰 차이를 보이는데 반해 회피비용은 53.2~69.9달러로 차이가 1.3배를 넘지 않는다. 당연한 일이다. 회피비용은 기존 발전방식을 가장 값싼 발전방식으로 대체할 때 드는 비용이고 값싼 대체 발전방식은 한정되어 있으니 회피비용이 달라질 이유가 있겠나. 나는 회피비용이라는 개념이 무슨 용도로 개발된 것인지 이해하지 못하겠다. 굳이 회피비용이라는 개념이 없어도 값싼 발전방식이 값비싼 발전방식에 비해 경제적일 것이라는 건 누구나 알 수 있는 게 아닌가.




‘회피비용’은 ‘기존의 발전방식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것이 경제적인지 판단’하기 위해 1978년 개발된 개념이라고 하는데 인터넷 검색으로는 그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 2014년 USEIA에서 관련 보고서를 발간한 이후 제한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마저도 모두 USEIA 보고서를 인용한 것이었다. 결국 ‘회피비용’이라는 개념은 제한된 사람들이 제한된 조건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위에서 본 것처럼 특별한 의미도 없다.




(The official definition has been around since 1978: The incremental cost of alternative electric energy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avoided cost and is generally defined as the “cost to an electric utility of electric energy or capacity or both which, but for the purchase from a qualifying renewable facility, such utility would generate itself or purchase from another non-renewable source.”)




국내 기사를 검색해보니 원자력이 경제성이 없다는 주장을 하려고 산업통상자원부에서 USEIA 보고서에 언급된 균등화 발전단가를 인용했고, 반대 진영에서는 이 보고서에 들어 있는 회피비용이라는 개념을 들어 신재생에너지도 경제성이 없기는 마찬가지라고 반박하는 과정에서 논쟁이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어찌되었든 위에서 살펴본 대로 큰 의미가 없는 개념이니 이것으로 갑론을박하는 건 시간낭비일 뿐이다.




균등화 발전원가도 우리 상황에 적용하는데 무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원가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 나라마다 시기마다 모두 다른데, 그런 차이를 보정하자고 미국에서 고려가 가능한 조건을 취합해 만든 것이 USEIA 균등화 발전원가이다. 뒤집어 말하자면 무수히 많은 조건 중에 미국에서 일어난 조건만 고려했다는 것이니, 다른 나라에 적용하는 게 무리하기는 마찬가지가 아닌가. 실제로 USEIA 보고서에서 제시하는 MWh당 균등화 발전원가는 원자력은 미국 99.1달러, 프랑스 50달러이고, 육상풍력은 미국 63.7달러, 호주 111~122달러, 프랑스 69달러, 독일 76달러, 태양광은 미국 85달러, 독일 110달러, 태양열은 미국 242달러, 프랑스 293달러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최근 발표한 우리나라의 대규모 태양광 균등화 발전원가는 176.3달러로 미국의 두 배가 넘는다. 육상풍력도 미국의 두 배를 훌쩍 넘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IEA 자료를 바탕으로 비교한 결과 2015년 기준 우리나라 원자력의 발전원가는 40.4달러로 미국 99.1달러, 영국 100.7달러, 일본 87.6달러에 비교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며 원전 발전원가가 가장 낮다는 프랑스 69달러의 6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글을 쓰면서 발전원가가 항공운임만큼이나 비교가 어렵다는 걸 알게 되었다. 항공운임은 조건이 워낙 많아서 어느 게 싼지 발권담당자도 모른다지 않는가. 발전원가도 조건이 워낙 많으니 우리 상황에 맞게 분석하지 않는 한 외국의 사례를 인용하는 게 의미가 있겠나. 의미가 없을 정도면 괜찮겠지만 잘못된 근거로 잘못된 판단을 내리지나 않을까 염려스럽다.




발전방식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려는 정부의 의도를 모르는 바도 아니고, 그 필요성 또한 공감한다. 문제는 신재생에너지 대부분이 간헐전원이라는 점이다. 기저부하를 감당할 재목이 아니라는 말이다. 간식으로 끼니를 때울 수 있다. 간식이니 당연히 제대로 된 식사보다 값이 싸겠지만, 그렇다고 내내 간식으로 살 수는 없는 일 아니냐. 우리나라는 비교 대상 국가보다 일조량도 적고 풍속도 낮다. 발전원가가 높고 낮고를 떠나서 과연 목표한 만큼 발전량을 확보할 조건이 되는지도 살펴봐야 하지 않겠나. 발표하는 자료 중에 왜곡하지 않은 걸 찾기 어려울 정도이니 어느 자료를 인용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담당했던 태양광발전사업이나 풍력발전사업 검토결과를 생각해보면 신재생에너지가 보기 좋고 값싸기는 한데 내 몸에는 맞지 않아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옷과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
탈원전 9, 원자력발전의 경제성; 전력단가 구성

박인식추천 0조회 44017.09.07 05:00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

탈원전 9, 원자력발전의 경제성; 전력단가 구성




박인식추천 0조회 44017.09.07 05:00댓글 0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원전산업에 종사해오면서 원자력이 가장 값싼 에너지라는 생각을 의심해본 일이 없다. 아마 원자력 전력단가를 원자력의 경제성으로 이해해왔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원자력의 경제성을 짚어보려다 보니 그것이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아는 것이 원자력 전력단가뿐이니 이를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서 경제성을 살펴보겠다.










2015년 기준으로, 한전의 발전방식별 전력구입단가는 kWh당 원자력 68원, 유연탄 73원, 유류 110원, LNG 101원, 신재생에너지(평균) 156원이다. (이를 MWh당 단가로 환산하면 원자력 60.4달러, 유연탄 64.9달러, 유류 97.8달러, LNG 89.8달러, 신재생에너지 138.7달러이다. 1달러=1,125원) 같은 해 OECD가 발표한 MWh당 한국의 균등화 발전원가(LCOE)는 원자력 51.37달러, 태양광 176.34달러이고,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이 발표한 미국의 LCOE는 원자력 99달러, 태양광 67달러이며, 영국 기업에너지전략부(BEIS)가 발표한 영국의 LCOE는 원전 95파운드(126.7달러), 태양광 63파운드(84달러), 풍력 61파운드(81.3달러)이다. 같은 해 한국 에너지연구원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원전의 LCOE는 한국 40.42달러, 미국 77.71달러, 일본 87.57달러, 영국 100.75달러이다. 이처럼 나라마다 발전원가가 차이 나는 이유는 발전설비 건설에 필요한 기술 수준이 다르고 경제·지리적 특성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숫자를 비교하는 건 적절치 않으므로 경향만 살펴보자.










첫째, 한국 원자력 전력단가는 신재생에너지의 29~44% 수준이며, 외국 원자력 전력단가의 40~61% 수준이다. 숫자의 절대 값은 큰 의미가 없으니 경향으로만 보자면 한국의 원자력 전력단가는 한국 신재생에너지의 1/3, 외국의 원자력 전력단가의 절반 수준이다.










둘째, 한국 전력단가는 신재생에너지가 원자력의 2배가 넘는데 반해 미국이나 영국의 전력단가는 오히려 원자력이 신재생에너지의 1.5배에 이른다.










혹자는 한국의 원자력 전력단가가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외국에 비해 낮은 것은 비용이 원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원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비용으로 폐로비용, 방사성폐기물처리비용, 사고처리비용을 든다. 이 주장에 따르면 모든 비용이 적절하게 반영되었을 경우 원전은 경제성이 있다는 게 확인되는 셈이다.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 전력단가를 비교하는 것은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 장에서 별도로 살펴보겠다.










한전의 원자력 전력단가는 건설비, 운전비(고정운영비), 연료비(유동운영비)로 이루어지는데, 이 중 운전비에는 (외부비용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폐로비용, 방사성폐기물처리비용, 사고처리비용’이 이미 포함되었다. 프랑스 원전기업인 Areva NP의 통계분석 자료에 따르면 전력단가는 고정건설비 70%, 고정운영비 20%, 유동운영비 10%로 이루어진다. 나라에 따라 조건이 다르기는 하지만 건설비가 가장 큰 원가요소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원자력 건설단가는 외국에 비해 훨씬 낮다. 2014년 국회 예산정책처가 발간한 ‘원자력 발전비용의 쟁점과 과제’에 따르면 kW당 건설비가 한국 231만원(APR 1400), 일본(ABWR) 365만원, 프랑스(EPR) 560만원, 미국(3+세대 원자로) 640만원 이다. 실제로 용량 2.8GW인 신고리 5.6호기 건설비는 8조 6,254억원인데 용량 2.4GW인 미국 보글원전 3.4호기는 32조원을 웃돈다. 이는 한국은 원전 기술을 수십 년 축적해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한 반면 미국은 1979년 TMI 원전 사고 이후 원전 건설을 전면 폐기하는 바람에 산업생태계가 무너지고 기술 수준도 퇴보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원전 여러 기를 한 부지에 몰아서 건설했기 때문에 행정비용과 입지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원전 운영비도 외국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데, 이는 원전이 기저부하를 담당하느라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이다. 운전효율의 지표인 고장정지율은 한국 원전이 1.1%이고 중국 1.5%, 일본 3.9%, 러시아 4.2%, 프랑스 8%인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외부비용으로 분류하기도 하는 ‘폐로비용, 방사성폐기물처리비용, 사고처리비용’은 외국과 동등한 수준으로 운영비에 이미 포함되었다. 이 비용은 논란이 되고 있는 원전의 경제성을 판가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다음 항에서 별도로 살펴보겠다.

----

탈원전 10, 원자력발전의 경제성; 사후비용




박인식추천 0조회 50117.09.07 05:01댓글 0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원전 경제성을 계산하는데 원전 찬반진영이 차이 나는 부분이 ‘폐로비용, 방사성폐기물처리비용, 사고처리비용’이다. 한전에서는 이를 운전비용에 포함시켰고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쪽에서는 대체로 이를 ‘외부비용’ 또는 ‘사회적 비용’의 일부로 분류한다. 이견이 있는 부분을 떼 내어 살펴보자니 편의상 이를 ‘사후비용’으로 분류하겠다.










탈원전 진영에서는 우리나라의 원자로 폐로비용이 외국에 비해 현저히 낮게 책정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정부는 2013년 6월 ‘방사성폐기물 관리비용 및 사용후핵연료 관리부담금 등의 산정기준에 관한 규정’ 개정을 통해 호기 당 폐로비용을 6,033억원으로 대폭 인상하였으며, 2015년에는 6,437억원으로 조정하였다. 이와 같은 폐로비용은 용량과 노형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호기 당 평균용량을 1GW로 적용할 때 6억원/MWh) 국회예산정책처에서 2014년 발간한 ‘원자력 발전비용의 쟁점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의 MWh당 폐로비용은 미국 7.8억원, 프랑스 4.7억원, 영국 17.2억원이다. (1달러=1,156원) 폐로비용이 건설비용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정량적으로 비교할만한 자료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건설비용이 낮으면 폐로비용이 낮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앞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전 건설비용이 한국 기준으로 일본 158%, 프랑스 242%, 미국 277%라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 정부 기준에 따른 폐로비용은 결코 낮다고 할 수 없다.










같은 자료에서 제시한 중저준위 폐기물 m^3당 처리비용은 한국 6,650만원(산업통상자원부 고시)으로 미국 2,450만원(반웰 폐기물처분장). 영국 1,640만원(원자력폐쇄국), 프랑스 650만원(회계감사원)에 비해 훨씬 높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2013년 발간한 ‘화석연료 대체 에너지원의 환경경제성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사용후핵연료 관리비용은 호기 당 연 170억원인데 이는 원전 균등화 발전원가 중 1.8원/kWh을 차지하며, 폐로비용의 41.8%에 해당한다.










탈원전 주장은 원전이 안전하지 않으며 방사성폐기물에서 방사능이 10만년까지 방출된다는 논리에서 출발하고 있다. 방사성폐기물 처리가 그만큼 중요하다. 원자력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은 현재로는 신재생에너지 경제성이 떨어지지만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전력단가가 원자력이나 화력 전력단가와 같아지는 Grid Parity에 곧 도달할 것이라고 한다.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발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원자력 기술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와 관련해서는 동위원소 반감기를 100년 이하로 줄이는 transmutation, 방사능을 1/1000로 폐기물 용량을 1/20로 줄이는 pyro-processing과 같은 기술은 이미 개발단계에 들어서 있다. 아직 실용화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좀 더 걸리기는 하겠지만, 이런 기술이 실용화될 경우 원전의 안전성은 극적으로 개선될 것이며, 이는 구체적인 비용절감으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pyro-processing을 통해서 재처리된 사용후핵연료는 4세대 원전인 소듐고속로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데, 소듐고속로는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 등에서 운영하였고 한국과 일본에서 새로운 소듐고속로를 개발하고 있다.










중저준위 폐기물에 들어 있는 AP(activation product) 중 대표물질인 Co-60은 반감기가 5.3년, FP (fission product) 중 대표물질인 Cs-137은 반감기가 30년이다. 10반감기가 지나면 방출되는 방사능은 0.1%만 남고 99.9%는 사라진다. 이런 이유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관리기간을 Cs-137의 10반감기인 300년으로 설정하고 있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300년이나 위험하다는 말이 아니다. 이에 대한 기술개발 현황은 확인할 수 없었지만 이 또한 기술개발로 인해 앞으로 안전성이나 경제성이 큰 폭으로 향상되리라 기대한다.










탈원전 진영에서는 원전 사고비용이 포함된다면 원자력은 다른 전원에 비해 현저하게 경제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2013년 발간한 ‘화석연료 대체 에너지원의 환경경제성 평가’ 보고서에서 2013년 한국환경운동연합과 박승준 교수가 공동으로 수행한 ‘한국 영광 고리 핵발전소 사고피해 모의실험’을 인용하고 있는데, 이는 박승준 교수가 일본 원전 사고평가프로그램인 SEO Code를 이용해 추정한 ‘일본의 원전사고 피해액 계산’을 한국에 적용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피해액이 영광원전 사고의 경우 160조원, 고리원전 사고의 경우 360조원이다. 탈원전 진영에서 인용하는 피해액이 기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이 규모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 피해액은 영광원전 사고로 인해 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3만3천명~55만명, 고리원전 사고로 인해 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7만3천명~85만명 발생한다는 전제로 산출된 금액이다. 이는 일본 원전사고 피해를 바탕으로 한 것인데 어떻게 원전사고로 발병한 암 환자가 수만~수십만 명에 이른다고 가정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도 어렵고 동의하기는 더욱 어렵다.










이는 2013년 UNSCEAR(UN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에서 발간한 ‘2011년 동일본지진 및 쓰나미로 인한 원전사고 방사능노출 평가’ 보고서의 결론과 전혀 다르다. 보고서에서는 “방사능 누출로 인한 급성질환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다.(No acute health effects, i.e. acute radiation syndrome or other deterministic effects, has been observed among the workers and the general public that could be attributed to radiation exposure from the accident.)”라고 결론짓고 있으며, 가장 큰 피해로 ‘mental health’를 꼽고 있다.










앞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국 원자력 전력단가가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외국에 비해 낮은 것은 비용이 원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원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비용으로 ‘사후비용’을 든다. 이 주장에 따르면 모든 비용이 적절하게 반영되었을 경우 원전은 경제성이 있다는 게 확인되는 셈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폐로비용과 방사성폐기물처리비용은 적절하거나 그 이상으로 반영되었고, 사고비용은 탈원전 진영에서 주장하는 바가 객관적으로 용납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난 것이니 원전의 경제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하겠다. 물론 현재 발표된 한전의 원자력 전력단가도 이 모든 요소를 적절하게 반영한 것이니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
탈원전 11, 전력수요

박인식추천 0조회 32617.09.07 05:06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2015년 7월에 발표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GDP 성장률을 3.4%로 적용하였는데 금년에 확정할 제8차 계획에는 이보다 낮은 2.5%로 적용하였다. 이와 같이 성장률이 하향 조정됨에 따라 2030년 전력수요는 113.2GW에서 101.0GW로 11.3GW가 줄어든다. 성장률이 둔화되었으니 그럴 수 있는 일이다. 그런 가운데 정부에서는 내년 GDP 성장률을 제8차 전력수급계획에 적용한 성장률과는 달리 3.0%로 계획하고 있어 탈원전을 합리화하기 위해 전력수요를 줄이려는 꼼수가 아닌가 하여 논란이 되었다.




전력은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는 만큼 수요가 늘게 마련이고, 심화된 양극화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어려운 이들까지 돌보겠다는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으니 그 수요 또한 만만치 않을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눈앞에 다가왔다고 너나 할 것 없이 발상의 전환을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니 그로 인한 수요는 또 얼마이겠나. Volvo가 2019년부터 내연자동차 생산을 중단하겠다고 하고, 독일 메르켈 총리는 2040년부터 내연자동차 판매를 금지하겠다고 하니 전기자동차가 도로를 점령할 날도 멀지 않았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우리 자동차업계에서도 이에 뒤질세라 전기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중심의 세상이 된다면 무엇보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전원계획이 검토되어야 하는데, 전력수급계획에 이런 내용이 반영되었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다.




물론 기술발전으로 에너지 효율이 급속하게 향상되고 있기는 하다. 가전제품 하나를 보아도 예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에너지 효율이 높다. 그렇다고 해서 전력수요가 줄어들었나? 주변을 한 번 돌아보라. 이전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기기가 얼마나 많은가? 옛날에는 정전이 되면 불편하기는 하지만 살 수는 있었다. 이제는 전기가 없으면 생존 자체가 불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지난 번 호우 때 정전으로 고층아파트 주민들이 피난 간 걸 보지 않았나? 80년대 말, 처음으로 가졌던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용량이 고작 40MB였다. 그때 파일 하나 크기가 GB 단위로 커질 수 있다고 상상이나 했겠나. 이렇게 세상이 하루가 다르게 격변하고 있는데, 전력수요를 공격적으로 늘려 잡지는 못할망정 기왕 세워놓은 계획까지 축소해서야 되겠나.










안타깝게도 우리는 지난 50여년 전력수급 하나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전력난과 공급과잉을 반복했다. 1961~2011년 통계에 따르면 5~10년을 주기로 무려 일곱 차례나 이런 널뛰기를 경험했다.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해서 경제성장을 견인해야 할 지난 50년간 절반은 전력난에 시달렸고, 1/3은 전력공급이 넘쳤으며, 겨우 1/5만 적정선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적정선을 유지할 수 있으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일이지만, 그렇게 할 수 없다면 아깝기는 해도 넘치는 것이 오히려 낫지 않겠나. 한 걸음만 잘못 내딛으면 나락으로 떨어질 만큼 국가 간의 경쟁이 치열한 때에 전력난이라는 리스크를 감수해야할 이유를 나는 도무지 찾지 못하겠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GDP 성장률만 낮춘 것이 아니라 설비(발전용량) 예비율도 22%에서 20%로 낮췄다. 예비율을 잘못 관리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살피기 위해 2011년 순환정전으로 돌아가 보자. 1998년에 설비예비율이 31.1%를 기록했고, 2003년도에도 30.3%에 이르렀다. 안심했던 정부는 전력산업을 개편하고 수요를 소극적으로 전망하여 설비투자를 최소한으로 줄였다. 결과는 재앙이었다. 2011년 9월 15일 예비전력이 24만kW로 떨어지는 상황을 맞았고, 전력거래소에서는 이를 수습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결국은 사용자에게 아무런 통보도 없이 지역별 순환정전에 들어가기에 이르렀다. 그 이후 매년 산업계의 조업단축으로 위기를 넘겼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매년 수천 억 원의 보조금을 쏟아 부었고 기업은 손실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했다.




더 큰 문제는 정부의 장기적인 탈원전·탈석탄 정책이 이뤄졌을 경우다. 2017년 고리1호기 영구정지를 시작으로 월성1호기, 고리2~4호기, 한빛1·2호기, 한울1·2호기, 월성2~4호기를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폐쇄할 경우 9.7GW가 줄어든다. 영동1·2호기, 서천1·2호기, 호남1·2호기, 삼천포1~4호기, 보령1~4호기, 태안1·2호기, 하동1·2호기 등 30년 이상 가동된 노후 석탄화력을 순차적으로 멈출 경우 8.5GW가 줄어든다. 무려 전체에 20% 가까운 시설용량(18.2GW)이 줄어드는 것이다. 여기에 LNG발전 등 나머지 발전설비는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대로 증설된다고 가정할 경우 2021년까지 설비예비율이 20%를 넘겠지만, 2024년 10%, 2025년 이후는 6~9%에 불과하게 된다. 굳이 이런 리스크를 감내해가면서까지 탈원전을 해야 할 명분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물론 신재생에너지로 이를 만회하겠다는 생각일 줄 안다. 그런데 무려 18.2GW에 달하는 전력을 신재생에너지로 감당하는 게 가능할까? 차차 살펴보도록 하겠다.













--
탈원전 12,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방식

박인식추천 0조회 12817.09.20 21:23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신재생에너지로는 태양광과 풍력 이외에 조력, 지열, 바이오매스, WTE(Waste-to-Energy)를 들 수 있다.




조력발전이란 조석간만의 차이가 큰 해안지역에 물막이 댐을 건설하고 그곳에 수차발전기를 설치해 밀물이나 썰물의 흐름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력발전에는 댐 건설이 필수 요소다. 조력발전이 환경에 미치는 부담의 가장 큰 부분은 바로 물막이 댐의 건설에서 비롯된다. 댐은 해저 지형과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물과 퇴적물의 흐름에 변화를 초래하며, 서해안의 중요한 자연유산인 갯벌을 파괴한다. 조력발전은 자연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활용하는 발전 방식이긴 하나 그 건설과 유지· 관리에 치러야 할 환경비용이 만만치 않다. 세계 최초의 조력발전소가 프랑스의 랑스강 하구에 건설된 1966년 이후 40여년이 지나도록 시화호 조력발전소를 제외하고는 아직 어느 나라도 상업적 조력발전소를 건설하지 않고 있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이창복 교수, 2011.10.02.) 시화호는 간척사업으로 파괴된 생태계를 조력발전을 통해 복구한 사례로 이 항목과는 무관하며, 환경에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낸 거의 유일한 경우이다. 상업적 조력발전소라 할 만한 것은 시화호 254MW, 프랑스 랑스 240MW 정도이고, 이 밖에 캐나다 아나폴리스 20MW, 중국 3.2MW, 러시아 키스라야구바 0.4MW 정도가 있다. 환경 측면에서 선택하기 어려운 방식이 아닐까 한다.




지열발전은 땅속 온도가 200도 가까이 되는 깊이까지 관정을 뚫고 이를 이용해 물을 끓인 다음 이때 발생한 증기로 발전하는 방식이다. 화산지대에서는 매우 효율적인 발전방식이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비화산지대에서는 발전에 필요한 충분한 열원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결국 땅속으로 내려갈수록 온도가 증가하는 지하증온율을 기대할 수밖에 없는데, 한반도 대부분이 지질연대가 매우 오래되었기 때문에 그것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열발전이 가능한 지역은 그나마 여건이 나은 신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포항을 중심으로 하는 한반도 남동부나 제주도 정도에 한정된다. 발전에 필요한 온도를 얻으려면 수 km 깊이까지 관정을 뚫어야 한다. 경북 포항에 2011년부터 국책사업으로 지열발전소 개발을 추진해오고 있다. 2012년 9월에 관정굴착을 시작해서 2015년 12월에 깊이 4,348미터 주입정(注入井) 굴착을 마치고 2016년 11월에 깊이 4,362미터 생산정(生産井) 굴착을 마쳤다. 온도는 174도로 지표까지 올라오면 160도 정도 유지할 수 있어 상업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른 신재생에너지는 대체로 간헐전원인데 반해 지열발전은 연속발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역도 한정 되어 있고 관정깊이가 4km를 넘어 과연 신재생에너지의 한 축을 담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관정깊이가 4km라는 것은 우리 같은 전문가에게도 어마어마한 규모이다.)








이밖에도 땅속 일정 깊이의 항온성(恒溫性)을 이용해 열교환기로 에너지를 회수해 발전하는 방식도 있다. 이 경우 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고 관정심도가 100~150미터 남짓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규모를 키우기 어렵고, 시간이 지나면서 발생하는 열오염으로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업용 대안은 되지 못한다.




바이오매스나 WTE는 소각열을 이용한다는 점은 같으나 바이오매스는 발전을 목적으로 소각하는데 반해 WTE는 폐기물처리의 한 방편인 소각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곳 사우디에서 몇 년 전부터 WTE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설의 장점을 설명하려니 에너지 다원화를 추구하는 사우디 정부 정책에 편승하느라 발전에 초점을 맞추지 않을 수 없는데, 그러다 보니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격이 되었다. 폐열을 재활용하는 것이 어떻게 덤 이상이 될 수 있을까. 바이오매스는 국내생산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데 이 중 크게 비중을 차지하는 우드펠릿은 연소과정에서 미세 먼지를 유발하는 질소산화물을 배출하며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벤젠도 나온다. 이밖에도 바이오매스나 WTE 모두 연료로서 효율이 화석연료보다 떨어져 화석연료보다 이산화탄소를 오히려 더 많이 배출하니 친환경과는 거리가 멀어 발전방식으로는 적절치 않다. 다만 WTE는 폐기물 처리가 불가피하니 없앨 수는 없고 폐열을 재활용하는 정도로 여기면 되겠다.




결국 우리나라에서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로는 태양광과 풍력 정도가 아닐까 한다. 다음 장에서 우리나라의 태양광과 풍력 입지여건이 어떤지 살펴보겠다.




♣ 2017.09.17


--
탈원전 13, 태양광발전 여건

박인식추천 0조회 8717.09.20 21:29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태양광 발전 여건으로는 무엇보다 일사량이 중요하다. 국가지표체계 자료에 따르면 2008~2016년 연간 일조량이 2,018~2,434시간으로 하루 평균 5.5~6.7시간이다. 그러나 해가 떠 있다고 해서 태양광이 그대로 발전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늘, 먼지, 구름, 적설 등의 영향도 있고, 환경오염도, 모듈 표면온도(25도 이상이면 발전효율 감소), 모듈연결배선 상태, 인버터 평균효율 등도 발전 효율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를 나타내는 지표를 ‘종합효율계수(K)’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0.7을 적용한다. 다시 말해 하루 일조시간은 5.5~6.7시간이라 하더라도 실제 발전으로 이어지는 일조시간은 하루 평균 3.8~4.7시간에 불과하다. 이러한 수치는 모듈 구조물이 정남향으로, 경사도 30도, 구조물 간격을 최적으로 유지할 경우의 값이므로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 수익분석에는 하루 평균 3.4~3.8시간을 적용한다. 태양위치에 따라 태양광 패널이 움직이는 ‘추적식’의 경우 일조시간을 늘릴 수 있지만 추가되는 비용으로 인해 경제성이 오히려 떨어진다.




이러한 국내 발전여건은 태양광발전이 활성화 되어 있는 나라에 비해 매우 불리하다. 국내에서 최고 효율을 자랑하는 영월 태양광발전소는 ‘추적식’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하루 발전시간이 4.2시간에 불과한데 반해 미국 Topaz Solar Farm이 들어선 미국 캘리포니아는 인근 애리조나 일대와 함께 하루 발전시간이 6시간이 넘는다. 하루 발전시간이 3.5시간이라는 것은 태양광발전 설비이용률(24시간 가동했을 때 발전량 대비 실제 발전량)이 15%에 불과하다는 것이므로, 하루 발전시간이 6시간으로 설비이용률이 25%에 이르는 캘리포니아에 비해 한국의 발전효율이 40% 이상 낮다. 이 뿐 아니라 태양광의 질(質)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한 시간에 1평방미터에 내리쬐는 일사량은 한국은 985kWh이지만 미국은 1,400kWh에 달한다. 참고로 설비이용률은 미국 21%, 중국 17%이다. 그나마 한국의 설비이용률은 2008년에 10% 밑으로 떨어졌다가 2011년에 15%를 웃도는 등 들쭉날쭉해서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가동하기도 어렵다. 참고로 원전 설비이용률은 80년대까지 70% 수준에 머물다 90년대에 80%에 진입하였으며, 2000년 이후 연속해서 90% 이상 유지하고 있다. 이는 같은 발전량을 생산하기 위해서 태양광(설비이용률 15%)의 설비규모는 원자력(설비이용률 90%)의 6배가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태양광 설비에 소요되는 면적도 큰 부담이다. 발전방식에 따른 소요면적이 통계마다 들쭉날쭉해 비교가 어려우니 2008년 태양광발전사업을 검토할 때 확보한 자료를 기준으로 살펴보겠다. 아래 사진은 사업검토 당시 견학한 영광 Solar Park로, 원전 6기(6GW)를 운전하고 있는 영광원전 뒤편에 3MW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였다.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시설용량 기준으로 MW당 원전은 230m^2인데 비해 태양광발전소는 이의 90배가 넘는 21,600m^2에 이른다. 이 차이는 위에서 언급한 설비이용률을 고려할 경우 540배로 늘어난다.











실제 예를 들어보겠다. 설비이용률이 90%인 원전 1GW의 1년 발전량은 7.9TWh이며 (1GW*21.6시간*365일) 이에는 땅이 0.23km^2가 필요하다. 설비이용률이 15%인 태양광으로 1년 동안 7.9TWh 발전량을 얻으려면 시설용량이 6GW가 되어야 하며 (7.9TWh/3.6시간/365일=6GW), 이에는 땅이 129.6km^2가 필요하다. 여의도 면적이 (제방 안쪽 기준) 2.9km^2이니 태양광으로 1GW 규모 원전의 동일기간 발전량만큼 전력을 생산하자면 여의도 45배에 달하는 땅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계산해놓고 나니 숫자가 너무 엄청나서 몇 번이고 다시 계산해봤다. 그리고 129.6km^2라는 게 도대체 얼마나 큰 건지 찾아보니 서울(605km^2)의 무려 21%에 해당하는 넓이더라. 어이가 없다. 이는 서울 전체를 태양광패널로 뒤덮어 발전한다 해도 영광원전 6기 전체가 생산하는 전력량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말이 아닌가 해서 말이다.




물론 이는 영광원전과 영광 Solar Park 사례를 기준으로 살펴본 것이고, 다른 사례를 기준할 경우 이와 다른 값이 나올 수는 있겠지만, 계산한 숫자가 믿어지지 않아 다시 확인해야 할 만큼 엄청난 땅이 필요한 사실은 달라지지 않지 않겠나. 이밖에도 태양광 발전량을 첨두부하를 감당할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이런 산술적인 비교는 의미가 없다는 반론이 있을 수 있겠다. 그것도 일리 있는 지적이다. 태양광 발전량을 첨두부하용으로 사용한다면 말이다. 그런데 정부 정책은 발전방식을 (태양광과 풍력이 주를 이루는) 신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개편한다는 것이 아닌가.




결국 신재생에너지가 기저부하를 감당하려면 설비이용률이 낮은 만큼 시설용량이 몇 배로 늘어나야 하겠고, 시설용량을 그대로 유지하자면 첨두부하 정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니 소요 면적 하나만으로 보더라도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개편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싶다.




어제 문 대통령이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 주요국 기후변화 주요국 정상급 대화에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까지 높이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이 어떻게 세세한 내용을 알 수 있겠나만, 이처럼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봐도 비현실적이라는 걸 금방 알 수 있는 계획을 어떻게 국가 에너지대계의 기본골격으로 삼을 수 있는지 의아하기 이를 데 없다.




♣ 2017.09.20


--
탈원전 14, 태양광발전의 경제성

박인식추천 0조회 38017.09.24 21:43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2007년, 열악해지는 사업여건을 타개하기 위해 태양광사업에 진출하기로 결정했다. 신규사업 진출을 결정하고 얼마 되지 않아서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에서 발주한 10MW 규모의 보성 태양광발전소 건설사업에 참여할 기회를 얻었다. 새로운 분야에 진출하는 일은 언제나 막막하기 마련인데 다행히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운영 중인 3MW 규모의 영광 Solar Park와 한국남동발전에서 운영 중인 1MW 규모의 영흥 태양광발전소를 견학하고 관련 자료를 얻을 수 있어 큰 도움이 되었다.




입찰을 준비하다 보니 주요자재인 태양광 모듈 값이 사업비의 70%가 넘는데다가 그마저도 발주처에서 제공하는 조건이어서 이 사업으로 얻을 것이 별로 없어 보였다. 태양광발전소는 지지대에 모듈을 설치하고 모듈을 통해 태양광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매우 단순한 시설이다. 어차피 모듈 생산에 뛰어들 상황은 아니었으니 우리가 참여할 부분은 설계와 시공에 국한되었다. 시설이 단순하니 설계에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시공이라고 해봐야 부지를 조성하고 지지대를 설치하는 정도에 불과하니 결국은 가격 싸움이 될 것이 뻔해 보였다. 이런 사업을 회사의 성장동력으로 삼을 수는 없는 일이어서 보성 사업 입찰에 한 번 참여하는 것으로 태양광사업 진출을 접었다. 그 당시 태양광발전소 건설비가 MW당 70억 원 정도였다. 이후로 주요자재인 태양광모듈의 값이 하루가 다르게 떨어져 이제는 15억 원 선까지 내려온 것으로 알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면 시설공사비는 줄게 마련인데 이는 1) 공정이 최적화 되고 자재비가 떨어지기 때문이거나, 2) 시설의 효율이 향상되어 시설 절대 규모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두 가지 관점에서 기술발전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설공사비 변화추이를 살펴보겠다.




첫째, 공정이 최적화되고 자재비가 떨어지는 경우




2008년 무렵 MW당 시설건설비는 70억 정도였는데, 그 중 70% 정도가 모듈 값이었다. 태양광발전소 시설은 매우 단순하다. 기술이 발전한다고 해서 가격이 떨어질 만한 요인이 없다는 말이다. 1MW 규모 영흥 태양광발전소의 경우, 전체 공사비는 72억으로 모듈 자재비 49억(68%), 지지대 및 인버터 설치비 9억(12.5%), 전기공사 4억(5.6%), 토목공사 4.7억(6.5%), 기타비용 5.3억(7.4%)으로 이루어졌다. 이 중 모듈 자재비를 제외하고는 기술이 발전한다고 해도 줄어들 여지가 거의 없다. 결국 태양광발전 시설공사비는 모듈 값에 의해 좌우된다.




앞서 이야기한 대로 그동안 태양광모듈 가격이 가파르게 떨어졌으며 그로 인해 시설건설비가 MW당 70억에서 15억(21%)까지 떨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모듈 자재비가 더 떨어지면 시설건설비도 떨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까? 나는 그게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흥 태양광발전소의 시설건설비 구조를 인용할 경우, 모듈 자재비가 무상에 가까운 수준까지 떨어지고 나머지 항목 전체가 70%선으로 떨어져야 70억이 15억으로 내려올 수 있다. 말하자면 이미 더 떨어질 수 없는 수준까지 내려온 것이니, 마른 수건을 쥐어짜서 지금보다 다소 낮출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것도 의미 있는 정도는 아닐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시설 효율 향상으로 시설 절대 규모가 줄어들 경우




시설 효율은 어떤 조건보다도 사업비에 크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간단하게 말해서 효율이 2배라면 시설은 반만 있으면 된다. 땅도 반만 필요하고, 지지대나 인버터도 반만 있으면 된다. 결국 전체 사업비도 거의 반 정도만 들면 되는 것이다. 그러니 효율을 늘린다는 건 공정을 개선하거나 자재비를 낮추는 것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큰 영향을 미친다.




태양광 중에서 실제로 전력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빛은 에너지가 비교적 높은 단파장대의 빛이다. 이는 광전효과를 응용하는 태양광발전의 특성상 어쩔 수 없는 숙명이다. 소재에 따라서는 최대 발전효율을 40%까지 올릴 수 있다고는 하지만, 비싸고 구하기 어렵다. 그래서 소재를 구하기 쉽고 값싼 실리콘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실리콘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의 이론적인 최대효율은 29%이다. 우리나라와 선진국, 심지어 중국까지 효율을 22~25% 정도로 올리고 있다. 2000년 초반에는 이 효율이 14% 선에 머물렀으며, 그 이후 20여년 가까이 세계적인 노력에 힘입어 10% 이상 효율이 향상된 것이니 사용제품으로서는 이제 한계치에 다다른 것으로 보아야 한다.




태양광 패널 표면에서 태양광 반사에 의한 빛 손실도 효율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데, 반사손실을 막기 위한 무반사코팅(Anti Reflective Coating) 기술은 2차 세계대전 무렵에 이미 투과율 96%를 달성했고 현재는 목표로 하는 특정 파장대에서는 투과율이 99.9%까지 도달해 있다.




결국 공정 최적화나 자재비 인하, 또는 기술개발로 시설건설비를 낮추는 것은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태양광발전 기술이 비약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태양광발전 단가 또한 낮아지고, 결국 원자력을 포함한 기존 방식의 발전단가와 같아지는 Grid Parity에 곧 도달한다는 주장이 어떻게 가능한지 모르겠다. 원자력이라고 해서 기술발전도 꾀하지 않고 손 놓고 놀 것도 아니고.





--
탈원전 15, 풍력발전 여건

박인식추천 0조회 18917.10.09 04:08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사우디에 부임한 이듬해인 2010년에 한국남동발전과 함께 풍력발전을 검토한 일이 있다. 여건이 맞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오래지 않아 사업을 접었다. 사우디 정부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기는 했지만, 그때까지 구체적인 추진계획이 세워지지도 않았고 신재생에너지 사업성을 좌우하는 보조금에 대해서는 생각조차 해보지 않은 것 같았다. 당시 만났던 사우디전력공사 부사장은 자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추진할 계획은 없고, 정부가 결정한다면 그때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이었다. 검토 당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임계풍속을 초속 6m로 봤을 때, 이를 상시 초과하는 지역은 리야드 서남부 지역이 유일했다. (Saudi Energy Atlas) 다란, 얀부, 지잔 등지에서 여름철 오후 시간에 이를 초과하고 있어 여름철 오후 시간의 첨두부하를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사우디 정부에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있는 것도 아니었고 보조금은 더욱 생각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바로 사업을 접기는 했지만, 이런 결과를 고려할 때 풍력이 기저부하를 담당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태양광발전은 나름대로 사업성검토까지 해본 일이 있고 자료도 쉽게 얻을 수 있었지만 풍력발전은 아는 것이라 해봐야 임계풍속 정도에 불과하니 검색으로 얻을 수 있는 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아쉽게도 태양광발전에 비해 사례도 많지 않고 자료도 충분치 않았다. 아는 것도 없고 자료도 얻기 어렵다 보니 적지 않게 공을 들였는데도 풍력발전에 대해 쓸 엄두를 내지 못했다. 하는 수 없이 태양광발전을 검토한 방식을 따라 발전효율, 소요부지면적, 건설운영비용 순서로 살펴보기로 했다.




풍력발전의 타당성과 경제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풍속이다. 풍력에너지는 풍속의 세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풍속이 미세하게 차이 나더라도 풍력발전량은 크게 차이난다. 풍속(초속)은 풍력터빈이 위치한 높이 80미터를 기준으로 (발전용량 2~3MW 기준) 7등급으로 나눈다. (1등급 5.9m 이하, 2등급 5.9~6.9m, 3등급 6.9~7.5m, 4등급 7.5~8.1m, 5등급 8.1~8.6m, 6등급 8.6~9.4m, 7등급 9.4m 이상) 일반적으로 4등급 이상을 풍력발전 적지로 판단해왔지만 기술이 발전하고 시설이 대형화함에 따라 3등급 지역도 유망지역으로 분류하며, 최근에는 2등급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다시 말해 기술발전이나 시설대형화를 고려한다 해도 풍속이 최소 6m는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강금석, 해상풍력 개발동향 및 토목기술의 역할, 2009.5]




기상청 풍력자원지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평균풍속이 가장 높은 곳은 미시령으로 8.4m였다. 임계풍속인 6m를 넘는 지점은 상위 38개 지점에 불과했는데 이 마저도 미시령, 무등산, 향로봉, 설악산, 덕유산과 같은 산지나 마라도, 홍도, 진도, 백령도, 소청도 같은 섬에 국한 되었다. 임계풍속은 자료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6m가 넘어야 한다는 데는 큰 이견이 없다. 결국 풍속이 6m는 되어야 한다는 점,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지역은 산지나 섬에 국한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풍력발전 입지 여건은 매우 불리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독일은 풍력발전 설비용량이 50GW로 유럽 전체의 32.5%를 차지하며 지난해 풍력으로 전체 전력의 11.9%를 생산했는데, 이는 북해에서 불어오는 평균 초속 10m의 질 좋은 바람이 있었기 때문이다. 영국·네덜란드·덴마크도 이런 강풍을 조건으로 풍력 강국으로 성장했다.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3에 발표된 17개국의 최근 5년 평균 설비가동률(발전효율, Wind Load Factor)은 22.7%이며 [그림 참조], 강원도 용대리 풍력발전소의 경우 건설 당시인 2013년 실시한 타당성조사에서는 이를 18%로 예측하였으나 실제로는 10%에 머물렀다. 바람이 많다는 제주도 동북부 해안가의 풍력발전단지에서도 북서풍이 줄기차게 부는 겨울철에야 15% 정도 올라간다. 일부 발표 자료에서 설비가동률을 25%로 언급하고 있기는 하지만, 우리나라 사례와 BP 자료를 감안할 때 설비가동률은 20~25% 정도일 것으로 보인다. 태양광 15%에 비하면 효율이 높은 편이기는 하지만 원자력발전 90%에 비하면 격차가 매우 크며, 이 마저도 임계풍속을 만족시킬만한 지역이 극히 한정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과연 풍력발전이 기저부하를 감당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떨칠 수 없다. 최근 들어 육상풍력발전의 낮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으로 해상풍력발전이 고려되고 있다. 해상풍력발전의 경우 풍력발전기가 최적의 간격과 최적의 방향으로 설치되었을 경우 설비가동률이 31~33%에 이른다. 육상풍력발전효율보다 50%나 높은데, 문제는 이와 같이 높은 효율이 해상풍력발전의 높은 건설유지비용을 상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태양광발전은 부지를 전용으로 사용하는데 반해 풍력발전은 시설 아래를 농경지나 목초지로 사용하는 게 아닌가 싶다. 독일에 자주 갈 일이 있어 비록 멀리서나마 풍력발전시설을 꽤 봤는데, 시설이 들어선 부지를 공터로 남겨놓는 것 같지는 않았다. 그러니 소요면적을 부지를 전용으로 사용하는 태양광발전과 같이 평가하는 건 적절치 않아 보인다.




아무튼 ‘국내 풍력단지의 풍력터빈 용량밀도와 이격거리 산정’ 논문에 따르면 풍력터빈 간 이격거리(wind turbine spacing)는 주(主)풍향 방향으로 최소 블레이드 직경(D)의 7배, 그 직각방향으로 5배를 권장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주(主)풍향 방향으로 5배, 그 직각방향으로 3배를 권장하고 있기도 하고, 대와류모사(大渦流模寫, Large Eddy Simulation) 결과에 따라 최소이격거리가 15배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김현구 외, 풍력에너지저널, 2016] 위의 논문에서 제안한 적정 이격거리를 기준으로 할 경우 3MW 규모 풍력발전에 필요한 면적은 블레이드 직경을 100m로 볼 경우 0.35km^2에 이르는데, 이는 GW당 116km^2에 해당한다. 여기에 원자력 발전효율(90%)과 풍력 발전효율(20%)의 차이까지 고려하면 무려 525km^2에 이른다. 참고로 같은 용량을 태양광으로 발전할 때 필요한 면적이 129.6km^2이고 서울 면적이 605km^2이다.




그것 뿐 아니라 풍력발전 부지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산지관리법에 따르면 사면의 가장 높은 봉우리의 중심점으로부터 수평거리 50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고, 주거시설 및 학교로부터 1.5km, 사육시설로부터 1km 떨어져야 할 뿐 아니라 백두대간보호법, 군사기지ㆍ시설 보호법의 제약을 받으며, 야생생물보호구역·국립공원 등 법정보호지역에서는 시설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고,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에서도 조건부로 일부 허용할 뿐이다. 따라서 능선부에 조성해야 하는 풍력발전소 입지 특성을 고려할 때 과연 필요한 부지를 확보하는 게 가능할까 싶다.




어렵게 부지를 찾아도 주민 반발을 극복해야 한다. 인근 주민들은 소음 공해에 시달리고 있으며 풍력발전소 그림자가 집안 내부로 비쳐서 생활불편을 겪기도 한다. 영암군과 신안군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인근 지역 주민은 수면장애, 이명, 어지럼증 등을 호소하고 있으며 풍력발전 소음에 대해 가까이 있는 사람뿐 아니라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도 불편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이 2011년 발표한 ‘풍력발전시설에서 발생하는 환경소음 및 저주파음에 관한 연구’를 기준으로 이격거리가 정해진다면 국내에서 육상풍력을 추진할 수 있는 입지는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풍력발전시설을 건설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질 좋은 바람을 확보하기 위해 대체로 능선에 건설하는데, 이를 위해서 산비탈을 깎아 도로를 내고 송전시설도 건설해야 한다. 건설용 진입도로로 인해 산사태의 취약성이 가속화되기도 한다. 여름철 국지성 호우가 올 때마다 대규모 산사태가 반복되는 것은 단순히 비의 양이 많아서가 아니라 이러한 개발사업으로 인한 산림훼손도 큰 이유이다. 이와 같은 부지제약조건도 해결하고 설비가동률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는 해상풍력발전에 대해 다음 장에서 살펴보겠다.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
탈원전 16, 해상풍력발전 여건

박인식추천 0조회 7817.10.11 04:08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육상풍력발전 입지여건이 매우 불리하다. 풍력발전에 필요한 임계속도를 확보할 수 있는 곳이 산지나 도서지방에 국한 되어 있으며, 그나마도 산지는 각종 개발제한조건 때문에 부지 확보가 더욱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풍속이 높고 부지 확보가 비교적 용이한 해상풍력발전을 고려할 수 있다.




풍력터빈을 해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중 지지구조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심이 경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고정식 기초는 시공성이 검증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심이 얕을 경우 경제적이지만 수심이 깊어지면 경제성이 급격히 악화된다. 반면 부유식 기초는 수심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할 수 있지만 기술개발 수준이 낮고 시공성이 입증되지 않아 실제로 적용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기술 여건으로는 수심 5~20m가 해상풍력지점으로 가장 적절하며, 수심 20~30m는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고정식 기초가 가능한 한계를 수심 50m로 보고 있다. 또한 해안 환경(경관) 및 생태계 보호와 같은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고려할 때 연안으로부터 0~10km 떨어진 해상면적 중 4%, 10~50 km 떨어진 해상면적 중 10% 정도가 개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역 중 수심 30m 이내, 풍속 3등급 이상 되는 면적을 산출하고 단위면적 당 풍력터빈 설치용량을 고려해서 개발가능 용량을 산정하면 수심 0~30m 구간의 최대 설치용량은 12.9GW로 추정된다. 지지구조물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수심 5~20m 구간으로 한정할 경우 최대 설치용량은 3.9GW에 불과하다. 참고로 국내에서 개발 중인 3MW 터빈(허브 높이 80m, 블레이드 직경 91.3m)을 10D*5D로 배치할 경우 단위면적 당 설치용량은 4.92MW/km2이다. [강금석, 해상풍력 개발동향 및 토목기술의 역할, 물과 미래, 2009.5]




해상풍력의 설비가동률은 30% 수준으로 육상풍력발전 설비가동률의 1.5배에 이르지만 원자력 설비가동률 90%의 1/3에 불과하다. 만약 해상풍력발전을 첨두부하가 아니라 기저부하로 사용할 계획이라면 동일한 발전량을 얻기 위해서는 해상풍력 시설용량이 원전 시설용량의 3배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그러니 이 경우를 가정하여 우리나라의 해상풍력 최대 시설용량을 원전 시설용량으로 환산할 경우, 수심 0~30m 구간으로 확대하면 원전 3기(4.3GW), 수심 5~20m 구간으로 한정하면 원전 1기(1.3GW)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다.




해상풍력은 풍속이 높아 설비가동률이 높고 부지확보가 쉽기는 하지만 수중 지지구조물과 해상작업의 어려움 때문에 이러한 장점이 경제성으로 이어지기 어렵다. 또한 해상변전소 및 송전을 위한 해저케이블 또한 비용이 만만치 않다. 따라서 육상풍력은 건설비 중 발전설비 80%, 시설설치 20% 정도인데 반해, 해상풍력은 발전설비 60%, 전력망연계시설 설치 22%, 지지구조물 설치 18% 정도로 시설설치가 40%에 이른다.




해상공사의 어려움은 겪어보지 않으면 모른다. 해상공사에서는 예정공정이라는 것이 육상공사처럼 큰 의미가 없다. 공사에 사용하는 플랫폼이 공사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파고가 1m만 넘어도 플랫폼을 이동하거나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오래 전에 월성원자력 해저취배수터널 설계를 위해 해상시추를 한 일이 있었다. 실 작업일이 5일에 불과했는데 이를 마치는 데 110일이 걸렸다. 파도 때문에 설치한 플랫폼이 무너져 조사장비를 모두 수장시켰을 뿐 아니라 플랫폼 인양 복구로 인해 엄청난 손실을 입었다. 그 이후 서해안에서 해상시추를 할 때는 투입하기로 한 플랫폼이 선행 조사가 날씨 때문에 엄청 지연되어 몇 달 늦게 투입이 되는 바람에 크게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파고 1m면 플랫폼 이동이며 설치가 불가능하고 플랫폼에 통선을 대기도 어려운데, 멀리서 보면 잔잔하기 이를 데 없다. 더구나 해상풍력과 같이 수심 수십m에서 지지구조물을 설치하는데 겪어야 할 어려움은 일반인은 짐작조차 하기 어렵다.




해상풍력은 사람에게 직접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줄기는 했지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하거나 더 다양해질 것이다. 해양은 해수면 위는 물론 수면 아래 해양 환경, 즉 해류나 조류, 어류나 해양포유류 등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육상환경에 비해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히 감지되지 않거나 무시되기 쉽다. 수중 지지구조물과 해저 송전케이블 설치로 인해 해저환경이 교란되고, 안전 문제 때문에 시설 주변의 어업활동이 금지될 가능성이 높다. 시설물의 해저부분 표면에 생물이 부착하거나 녹이 슬어 오손을 입기 쉽기 때문에 방오도료(防汚塗料)를 칠하는데, 이에 유해성이 확인되어 유기주석(TBT, Tri-Butyl-Tin) 성분이 포함된 방오도료는 국제협약으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어떤 화학물질도 해상풍력발전시설의 방오도료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기도 하다. 방오도료는 시설물 주변 해역의 생물 뿐 아니라 해류를 따라 흘러내려 가면서 넓은 영역에 있는 생물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물론 악영향만 있는 건 아니다. 수중에 설치하는 지지구조물이 인공어초와 특별히 다르지 않기 때문에 바다 생물에게 새로운 서식처를 제공한다. 또한 풍력단지에는 어업활동이 금지되기 때문에 생물종이 다양화하고 증가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 [신철오 외, 해상풍력발전의 환경적 경제적 영향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1.12]




해상풍력은 우리나라에 아직 설치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어쩌면 이러한 평가는 탁상공론에 불과할지 모른다. 다만 어림짐작으로 해양풍력이 육상풍력의 대안이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와는 달리 발전량 대체효과가 최대 원전3기에 불과할 것이라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사례가 없으니 경제성도 살펴볼 수 없었다. 참고로 앞서 인용한 미국 에너지정보청(USEIA)의 균등화 발전원가(LCOE,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에 따르면 해상풍력은 MWh당 157.4달러로 육상풍력 63.7달러의 2.5배에 달한다.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
탈원전 17,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박인식추천 0조회 9117.10.23 22:12댓글 0
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태양광과 풍력으로 대표되는 신재생에너지는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발전량이 간헐적이다. 발전량의 변동성이 높다는 말이다. 또한 기상조건은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불확실성 역시 높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발전량의 간헐성(intermittency)이 증가하면 전력망이 따라서 변동한다. 즉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출렁거리면 이를 뒷받침하는 나머지 기저발전소의 발전량도 따라서 출렁거리게 된다는 말이다. 이렇게 되면 전력망 안정성에 큰 부담이 될 뿐 아니라 심각한 경우에는 전력 계통이 붕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보자. 기상여건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급격하게 줄어들었는데 공교롭게 전력 최대수요 구간과 겹칠 경우, 이를 받쳐줄 화력발전소가 가동되는 사이에 전력망이 마비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심각하기는 마찬가지이다. 기상여건이 나쁠 것으로 예상해서 화력발전소 발전량을 늘렸는데 예상과 달리 기상여건이 좋아지면 발전량이 넘치게 되고, 이 넘쳐나는 전력은 어디 다른 곳으로 가는 게 아니기 때문에 송전망과 기존 발전소에 심각한 부담을 주며, 최악의 경우 발전소가 자기보호를 위해 셧다운 해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본에서는 2014년 9월부터 오키나와 전력을 포함한 5개 전력회사가 기업에서 생산하는 태양광 전력을 더 이상 사들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발전량이 들쭉날쭉해서 수급을 맞추기 어려운 것은 차치하고라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국으로부터 같은 시간대에 태양광 발전량이 집중해서 유입되는 까닭에 과부하가 일어났으며, 이 때문에 대규모 정전이 우려되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아베 총리는 ‘원전 제로’에서 ‘원전 재가동’으로 에너지 정책을 전환해야만 했다.




전력망 안정성은 주파수로 나타나는데, 주파수가 안정적이지 않으면 전기로 생산하는 제품의 품질이 낮아진다. 컴퓨터 부품 같은 경우 정밀도가 떨어지는 것이다. 요즘처럼 4차 산업혁명과 같은 전기 중심 사회로 가고 있는 상황이라면 전기 품질이 매우 좋아야 하는데, 전기 품질이 낮아진다면 우리처럼 전기전자와 같은 정밀산업 비중이 높은 나라에서는 그만큼 산업 경쟁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유럽에서는 신재생에너지가 발전량의 20% 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도 이 정도를 신재생에너지 한계치로 보고 있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태양광과 풍력은 기상여건에 따라 사용하거나 저장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량이 집중되는 시간대가 있는데, 이럴 경우 독일에서는 먼저 기저발전소의 발전량을 줄이고, 그래도 남는 부분은 수출로 해결하고 있다. 유럽 국가들은 전력망이 서로 연계되어 있어 전력 수출과 수입이 자유롭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전력망이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융통성을 발휘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며, 따라서 발전량이 부족하면 전력예비율이 떨어져 어려움을 겪고, 발전량이 남으면 저장설비를 갖추지 않는 한 버릴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말이다.




또한 발전량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 전력예비율을 높게 유지해야 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40%를 넘는 독일은 전력설비 예비율이 130.7%에 달한다. 참고로 우리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전력설비 예비율을 20%로 설정하고 있다. 독일은 높은 전력설비 예비율에도 불구하고 올해 초 ‘블랙아웃’ 직전까지 몰렸다. 흐리고 바람이 없는 날이 길어지면서 태양광과 풍력 발전량이 평소의 1/6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고 있는 국가들은 화력발전소를 예비설비로 남겨두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보완설비로 변동하는 발전량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천연가스 화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보완설비가 충분하면 전력 불안정성은 해결되지만 천연가스를 대량으로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남는다. 참고로 천연가스발전은 가격이 낮은 현재에도 원자력발전에 비해 지난 5년 평균 2.5배 비싸다. 일본이 전 세계 천연가스 무역량의 33%를 수입하는 최대 수입국이고 우리나라는 2위 국가로 13%를 수입한다. 우리나라 에너지 수입액은 국가 총 수입액의 33%에 달한다. 이 중 천연가스는 에너지 수입액의 18%로, 국가 총수입액의 5%에 달한다.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장기적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낙관론에 배경을 두고 연료전환을 긍정적으로 보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국제유가 변동은 누구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운 신의 영역에 속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천연가스 수입가격은 유가에 연동돼 있고, 약정 물량을 인수하지 않더라도 대금은 지급해야 하는 조항과 함께 극동아시아 프리미엄으로 인해 미국이나 유럽보다 비싼 가격에 천연가스를 수입할 수밖에 없다. 또한 많은 국가들이 석탄과 원자력의 대안으로 천연가스를 소비한다면 가격이 오를 것은 자명한 일이기도 하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늘어나면 그만큼 보완설비도 늘어나기 때문에 천연가스 소비량 자체도 큰 폭으로 늘어난다. 그러니 가격 인상에 물량 증가까지 이중삼중의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문제가 된다. 1kWh 전력을 생산할 때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석탄화력 990g, 천연가스 550g, 태양광 57g, 풍력 14g, 원자력 10g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절감을 위해서는 석탄과 천연가스를 줄여야 한다. 아이러니컬하게 신재생에너지를 늘릴수록 이를 보완하는 석탄이나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 사용량도 늘어나므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줄어드는 양보다 2~4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된다. 후쿠시마 이후 탈원전을 결정한 독일이 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한 후 신재생에너지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해 더 많은 석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유럽 국가 중 1위로, 전 세계에서 6위로 이산화탄소를 많이 방출하고 있다.




만약 이산화탄소 발생량 때문에 화력발전소를 보완설비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 화력발전소가 감당할 발전량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살펴보겠다.





--


--




--




--



---


--





--

2020/08/13

알라딘: 지구온난화에 속지 마라

알라딘: 지구온난화에 속지 마라


지구온난화에 속지 마라 - 과학과 역사를 통해 파헤친 1,500년 기후 변동주기론
프레드 싱거,데니스 에이버리 (지은이),김민정 (옮긴이)동아시아2009-08-05원제 : Unstoppable Global Warming: Every 1,500 Years (2006년)





































전자책
9,800원


6.6 100자평(5)리뷰(21)

392쪽
152*224mm
745g
ISBN : 9788962620122


Unstoppable Global Warming: Every 1,500 Years (Paperback, Updated) Paperback, Updated
Unstoppable Global Warming: Every 1,500 Years (Hardcover) Hardcover



책소개
대기물리학자 프레드 싱거와 데니스 에이버리가 쓴 이 책은 뉴욕타임스와 아마존에서 베스트셀러에 오르면서 지구온난화 논쟁에 불을 지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모든 통념을 과감하게 깨고, 서서히 증폭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다루고 있다.

<사이언스>와 <네이처> 등 세계적 과학저널에 실린 500여 편에 달하는 논문을 검토해 지구온난화의 파국적 시나리오를 반박하고 있으며, 영국 방송 CH4의 다큐멘터리 “지구온난화-그 거대한 사기극”에 버금가는 신선하고도 과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냉전 이후 전 세계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녹색 보호주의’, ‘탄소관세’, ‘탄소배출권시장’ 등 새로운 환경패러다임을 만들고, 다시 한 번 선진국들의 ‘사다리 걷어차기’가 재연될 수도 있는 지구온난화의 실체를 과학적으로 탐구한 역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책의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바로 역사적 사료와 전 지구적으로 발견되는 과학적 증거를 통해 지난 과거 인류의 기후사를 재구성한 부분이다. 지금 지구가 그 어느 때보다 덥다고 호들갑이지만 이들은 지금보다 더 기온이 높았던 시대가 있었고, 1500년 주기를 가지고 변동해왔음을 보여준다.


목차


프롤로그: 그린란드의 운명
제1장 기후 전쟁
제2장 대발견
제3장 온실효과 이론의 취약성
제4장 근거 없는 두려움들: 해수면이 상승하여 범람과 아비규환을 가져올 것이다
제5장 교토조약은 지구온난화를 막을 것인가
제6장 근거 없는 두려움들: 대멸종이라는 공포
제7장 인류 역사에 나타난 지구 기후 변화
제8장 근거 없는 두려움들: 가뭄과 기근이 전 세계를 덮칠 것이다
제9장 지구에 남은 기후의 흔적을 찾아서
제10장 근거 없는 두려움들: 이상기후, 모든 것이 지구온난화 때문이다
제11장 지구 기후 모델은 믿을 수 있나?
제12장 근거 없는 두려움들: 지구에 급격한 한랭화가 닥칠 것이다
제13장 태양 그리고 지구의 기후
제14장 근거 없는 두려움들: 지구온난화가 대참사를 부른다?
제15장 지구를 위한 미래 에너지
제16장 교토의정서의 딜레마
용어 해설
미주


책속에서



P. 146 본격적인 10만년의 빙하기들 사이 지구의 기후는 자연적이고 불규칙적인 1,500년 주기의 사이클에 의해 정해져 왔다. 가장 최근의 사이클들을 예로 들어보면 약 기원전 200년에 시작한 로마 온난기와 이와 짝지을 수 있는 기원 후 900년에 끝난 암흑기를 포함하고 있다. 중세 온난기와 이에 잇따른 소빙하기가 900년부터 1850년 사이에 지속되었다. 그렇다면 우리가 겪고 있는 현대 온난기(1850~현재)가 다음 기후 사이클의 한 부분이 아닐까? 접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조선일보
- 조선일보 Books 북Zine 2009년 8월 8일자 '한줄 읽기'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09년 8월 15일 지성 새책



저자 및 역자소개
프레드 싱거 (Fred Singer)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오하이오 주립대학을 졸업하고 프린스턴 대학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후와 에너지 그리고 환경에 관한 세계적 연구 업적을 내놓은 기후물리학자로 유명하다. 버지니아 대학과 조지 메이슨 대학의 명예교수로 있으며, 1990년에 설립한 비영리단체인 ‘과학과 환경정책 프로젝트’의 회장을 맡고 있다. 마이애미 대학에 환경지구과학대학의 초대학장을 지냈으며, 미 기상위성서비스센터 소장, 미 해양대기위원회 부의장을 지냈다. 대기과학과 관련하여 수많은 논쟁을 일으켜왔던 장본인이기도 한 싱거는 과학, 경제, 공공정책 등의 분야에서 400여 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뜨거운 회담, 냉정한 과학: 지구온난화 그 끝나지 않는 논쟁》, 《지구 기후 변동》, 《기후 정책: 리우에서 교토까지》 등의 저서가 있다. 접기


최근작 : <지구온난화에 속지 마라> … 총 4종 (모두보기)

데니스 에이버리 (Dennis Avery)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미시간 주립대학과 위스콘신 대학에서 농업경제학을 전공하고, 미 농무부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허드슨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환경문제 칼럼리스트로 유명한 에이버리는〈월스트리트저널〉〈마이애미헤럴드〉〈시애틀타임스〉등 수십 개 신문과《포춘》《포브스》《내셔널저널》《애틀랜틱 먼슬리》등의 잡지에 기고하고 있다. 1983년 국가지식훈장을 수상했으며, 미 대통령직속 국가자문위원회에서 식량문제 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최근작 : <지구온난화에 속지 마라> … 총 4종 (모두보기)

김민정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부산대학교 대기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기과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 대기과학과에서 레이더를 장착한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 강수량을 산출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여 2004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나사(NASA) 고다드우주항공연구소와 위스콘신 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현재는 미국 해양기상청(NOAA)에 근무하고 있으며, 위성자료를 이용해 전 지구 기상모델의 예측성을 향상시키는 임무를 맡고 있다.


최근작 : … 총 2종 (모두보기)


Editor Blog
2010 상반기 우수과학도서 - 일반 l 2010-07-29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는 상반기, 하반기로 나눠 1년에 두 차례 우수과학도서를 선정합니다. 각 출판사에서 한 차례 걸러 주요 도서를 제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사 과정을 거쳐 선별하기에 '상반기 우수과학도서'라는 이름에 부합하는 목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화, 아동, 초등, 중고등 부문을 '어린이, 청소년'으로 묶어 1차로 정리했는데, 이번에...


출판사 소개
동아시아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뉴노멀의 철학>,<남극이 부른다>,<코로나 리포트>등 총 188종
대표분야 : 과학 3위 (브랜드 지수 413,466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2008년 미국 하트랜드 리버티(Heartland Liberity)상을 수상한 대기물리학자 프레드 싱거와 데니스 에이버리가 쓴 이 책은 뉴욕타임스와 아마존에서 베스트셀러에 오르면서 지구온난화 논쟁에 불을 지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모든 통념을 과감하게 깨고, 서서히 증폭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다루고 있다. <사이언스>와 <네이처> 등 세계적 과학저널에 실린 500여 편에 달하는 논문을 검토해 지구온난화의 파국적 시나리오를 반박하고 있으며, 영국 방송 CH4의 다큐멘터리 “지구온난화-그 거대한 사기극”에 버금가는 신선하고도 과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냉전 이후 전 세계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녹색 보호주의’, ‘탄소관세’, ‘탄소배출권시장’ 등 새로운 환경패러다임을 만들고, 다시 한 번 선진국들의 ‘사다리 걷어차기’가 재연될 수도 있는 지구온난화의 실체를 과학적으로 탐구한 역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류가 남긴 역사적 기록(사료, 미술작품 등)을 통해 인류의 역사를 지배한 기후의 역사를 재구성한 부분은 이 책의 가장 독창적이고, 흥미진진한 부분이 될 것이다. 지구온난화를 회의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환경운동가들도 한 번쯤은 읽어야 할 책이다.

- 물폭탄 장마, 쓰나미, 이상고온현상, 강한 태풍……. 모든 게 지구온난화 탓?
- 지구온난화, 역사상 최악의 과학 스캔들? 온난화는 정치적, 도덕적 문제가 되었다.
- 탄소 공포 그리고 불편한 진실…….
- 《사이언스》《네이처》 등 유력 과학저널에 실린 500여 명의 저명한 과학자들의 연구와 견해를 총 망라해 지구온난화의 실체를 해부한다.
- 항상 빗나가는 일기예보, 이유가 뭘까?
- 중세온난기 영국에서 포도를 재배했으며, 한랭기에는 나일 강에 얼음이 얼었다. 인류의 기후사를 역사적 사료를 통해 재구성한다.
- 휴전선에 말라리아가? 지구온난화가 대재앙을 가져올 것이다?
- 교토의정서는 지구온난화를 막을 것인가?
- 미래 에너지를 위한 선진국들의 ‘사다리 걷어차기’. 녹색 보호주의에 대비하라
- 지구온난화라는 공포와 신화를 벗고, 가장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한다.

물폭탄 장마, 쓰나미, 이상고온현상, 강한 태풍……. 모든 게 지구온난화 탓?
‘물폭탄’, ‘기상관측사상 최악의 폭염’, ‘게릴라성 집중호우’…… 날씨가 반란을 일으키고 있다. 언론과 미디어만 보자면 지구의 기후변화로 곧 대재앙이 닥치고, 그간 인간의 개발에 속수무책으로 당해온 지구의 무시무시한 복수가 시작될 것 같다. 그 복수는 지구를 완전히 뒤집어엎고도 남을 것이다. 9.11테러로 쓰러진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인류문명을 초토화시킬 대재앙의 시나리오가 공공연하게 그려지고 있다. 그리고 그 배후엔 지구온난화가 있다. 모든 기상의 변화가 지구온난화 탓이고, 일반인들은 지구온난화가 지구의 종말을 가져올 것이라고 두려워하고 있다. 과연 지구온난화는 대재앙을 몰고 올 것인가?

지구온난화, 역사상 최악의 과학 스캔들? 온난화는 정치적, 도덕적 문제가 되었다
2007년 영국 BBC 방송에서 다큐멘터리로 제작한 <지구온난화―그 거대한 사기극 The Great Global Warming Swindle>은 유튜브에서 수십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수십 명의 저명한 과학자들의 인터뷰를 통해서 지구온난화가 거대한 사기극일 수 있음을 지적한 이 다큐멘터리에서 과학자들은 입을 모아, ‘지구온난화에 의구심을 갖는 것마저도 정치적인 문제, 도덕성의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 회의론자들이 도덕성이 없는 사람이 되고 이단으로 몰리는 시대이다’라고 토로한다. 과연 지구온난화를 회의하는 과학자들은 곧잘 ‘개발론자’와 ‘석유기업’의 시녀란 비판을 받고 있다. 지구온난화가 하나의 과학을 넘어 신화가 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는 하나의 종교, 그리고 사업이자 산업이 되고 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탄소 공포 그리고 불편한 진실…….
자동차도 저탄소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대세로 자리 잡고, 점심에 먹은 ‘칼국수’를 만드는 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측정되는 시대다.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이고, 지구를 구하기 위해서는 탄소배출을 줄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물론 친환경에너지를 개발하고,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은 인류의 미래를 위해 긍정적인 일이다. 하지만 탄소와 지구온난화가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과학적이고 역사적으로 살피는 일 또한 피해서는 안 될 일이다.
낡은 광산을 폐쇄하고, 에너지 안보를 위해 탄소가 지구온난화를 시킨다는 논리를 내세워 핵발전을 정당화했던 영국의 보수주의자 마가렛 대처 이후 지구온난화와 이산화탄소는 짝을 이루며 늘 붙어 다녔다. 그리고 미국 부통령 엘 고어의 ‘불편한 진실’ 이후 탄소를 둘러싼 기후전쟁이 시작되었다. 2009년 7월 국내의 기후변화행동연구소가 퓨지구기후변화센터 등이 내놓은 기후연구보고서를 검토해 내놓은 ‘불편한 진실 10가지’의 내용은 온실효과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주장하는 측의 주장의 핵심을 담고 있다. 이의 핵심은 지구온난화에 인간의 활동이 지대한 영향을 준다는 것,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매년 2ppm씩 증가하면서 21세기말 지구 온도가 5.2도 상승한다는 것, 북극의 해빙, 세계 곳곳의 빙하가 녹고 있다는 것 등이다.

《사이언스》《네이처》 등 유력 과학저널에 실린 500여 명의 저명한 과학자들의 연구와 견해를 총 망라해 지구온난화의 실체를 해부한다
이런 불편한 진실에 과학자들이 동의하고 있을까? 수백수천의 대기물리학자들과 기후학자들이 지구온난화론에 대해 의구심을 던지고 있다.(2008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저자인 프레드 싱거와 데니스 에이버리는 700명이 넘는 과학자가 지구의 기후가 자연적 주기에 따른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는 서명 명단을 2008년 발표했다.) 저자들은 과학의 최전선에 있는 과학자들의 실험과 《사이언스》, 《네이처》 등에 유력 과학저널에 실린 500여 명의 저명한 과학자들의 연구와 견해를 총 망라해서 지구온난화론에 회의적 견해를 제시한다. 이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 지구온난화론자들의 주장처럼 예전에는 지구의 기후가 안정상태에 있다가 산업활동이 증가한 1940년대 이후 급작스런 변화가 일어난 것이 아니다. 지구의 기후는 끊임없이 변동하고 있었을 뿐이다. 예전에도 온난화가 있었고, 한랭기가 있었으며, 소빙하기 동안에는 홍수와 가뭄, 기근, 폭풍우 등이 아주 잦았으며, 지금보다 더 심한 기후 변동이 있었다.
- 그린란드와 남극 보스토크 빙하에서 추출한 빙하 코어를 분석한 결과 지구의 기후가 1,500년 주기를 가지고 변동한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 동굴석순과 꽃가루화석, 해분에 축적된 해저침전물들, 산호초들, 수령이 수백 년씩 되는 나무 나이테들, 미술작품들, 역사적 자료들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기후가 주기적으로 변동해왔음을 저자들은 증거하고 있다.
- 이산화탄소가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미미하다. 이산화탄소는 대기중 0.054%를 차지할 뿐이며, 수증기, 메탄 등이 온실효과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뿐만 아니라 인간이 내뿜는 이산화탄소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의 양이 화산, 해양, 동물과 박테리아 등에서 배출된다. 온실효과의 주장대로라면, 지구의 표면보다 대기권의 기온이 더 뜨거워야 하는데 인공위성에서 관측한 대기권의 기온, 라디오존데를 통해서 측정된 자료들을 보면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다. 한편 기후의 역사를 보면, 1940년 이후 지구의 온도는 아주 미미하게 상승했으며(0.5도), 이산화탄소의 변화가 기온 변화 경향보다 약 800년 정도 뒤처져서 나타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말하자면 이산화탄소가 온난화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온난화가 이산화탄소를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 지구의 기후변화를 주도하는 것은 태양이다. 수많은 연구들이 태양의 흑점, 세차운동, 태양풍, 우주광선의 강도에 따른 구름양의 변화가 지구의 기후에 막강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다시 말해 지구온난화는 인간의 활동이 만들어낸 산물이 아니라 자연적 기후변동의 결과라는 것이다.

항상 빗나가는 일기예보, 이유가 뭘까?
왜 일기예보는 항상 빗나갈까? 시민들의 빗발치는 항의에 수백억 원짜리 슈퍼컴퓨터를 들여오고 기후예측모델을 정교화해도 일기예보는 항상 틀린다. 미국 나사의 저명한 기후학자 가빈 슈미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날씨를 100%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후모델을 만드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 있다. 우선 지금 우리가 사는 세계와 같은 지구를 만든다. 그리고 30억 년을 기다리면 된다.” 그의 말은 기후의 예측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우회적 표현이다. 불과 일주일 동안의 기후도 예측하지 못하는데, 향후 10년 혹은 수십 년 후의 기후는 어떻게 예측할까? 수백억 달러에 달하는 수학적인 컴퓨터 기후모델이라 해도 기후라는 것이 아주 민감한 변화에도 전혀 다른 결과를 내는 만큼 지금의 기후모델은 너무 많은 한계를 가졌다는 것이다. IPCC의 보고서를 쓰는 과학자들의 컴퓨터 기후모델에서 나온 온도상승-해수면 상승-파국의 시나리오를 저자들이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이유이기도 하다.

중세온난기 영국에서 포도를 재배했으며, 한랭기에는 나일 강에 얼음이 얼었다.
인류의 기후사를 역사적 사료를 통해 재구성한다
책의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바로 역사적 사료와 전 지구적으로 발견되는 과학적 증거를 통해 지난 과거 인류의 기후사를 재구성한 부분이다. 지금 지구가 그 어느 때보다 덥다고 호들갑이지만 이들은 지금보다 더 기온이 높았던 시대가 있었고, 1500년 주기를 가지고 변동해왔음을 보여준다. 지금의 포도재배 한계선보다 500km나 높은 영국에서 포도가 재배되던 중세온난기, 템스 강에 얼음이 꽁꽁 얼어 빙판에서 스포츠 활동을 하는 모습을 그린 마운더 흑점 극소기의 미술작품들, 온난기에 지어진 화려한 중세의 성당과 건축물들, 중세의 마녀사냥이 한랭한 기후가 단초를 제공했다는 사실 그리고 중국와 일본의 다양한 기후사 연구 등 다양한 역사적 사실들을 통해 기후 변동주기를 꼼꼼하고도 속도감 있게 보여주고 있다. 저자들의 말대로 인류의 역사는 기후의 지배를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휴전선에 말라리아가? 지구온난화가 대재앙을 가져올 것이다?
지구온난화는 간혹 잘못된 사실과 짝을 이뤄 공포를 키우기도 한다. 오존층 파괴가 그렇고, 말라리아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에서는 휴전선에 말라리아가 나타난 것을 보고, 지구온난화 때문에 열대지방에서 발견되는 말라리아가 발생했다고 떠들었지만, 사실 말라리아로 가장 큰 사상자를 냈던 곳은 아이러니하게도 1920년대 러시아에서였다.(1600만 명 감염에 60만 명이 사망했다).
이런 마당에 지구온난화를 대재앙에 의한 종말론과 연결시키는 대중들의 인식이 그리 허무맹랑하지만은 않다. 온통 지구온난화 이야기는 종들의 멸종, 해수면 상승에 의한 침몰, 기근과 가뭄, 급작스러운 한랭화, 기상이변 등 인류의 종말을 암시하는 수식어들이 따라다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들은 지구온난화를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한다. 저자들은 상세한 증거와 자료들을 통해서 북극의 곰이 실제로 줄어들지 않았으며, 극지방의 온도가 예상과는 달리 하락하고 있으며, 종들은 온난해짐에 따라 오히려 종이 번식하고 생존한계선을 확장시키며, 지구의 악천후는 늘 있어왔던 현상이며, 기근과 가뭄이 실제 일어나더라도 현대의 농업, 통신, 교통, 생명공학 테크놀로지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음을 조목조목 지적하고 있다.

교토의정서는 지구온난화를 막을 것인가?
저자의 대답은 ‘그렇지 않다’이다. 교토의정서가 1차로 내놓은 규약인 5.2% 온실가스 감축은 사실 온난화에 아무런 효과가 없는 방안이며, 당장 60~80%의 배출 감축이 있어야 어느 정도 효과가 거둘 것이라고 주장한다. 한편 중국과 인도 등 온실가스를 엄청나게 배출하는 나라들이 협상테이블로 나오지 않는 이상 무의미한 회담이 될 것이며, 탄소배출권 거래로 실제적인 지구온난화를 저지하지 못하고, 온실기체 배출을 정당화시키는 꼴이 될 것이고 주장한다. 뿐만 아니라 교토조약을 이행하는 데 드는 연간 1500억 달러의 비용을 차라리 가난한 나라의 보건, 교육, 수자원, 위생시설을 정비하는 데 쓴다면 지구의 환경을 보호하는 데 더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지구의 벗 국제본부(Friends of Earth International)의 피터 로드릭의 말대로 “교토조약은 지구에 필요한 일을 하지 못할 것이며, 너무나도 미흡하다.”

미래 에너지를 위한 선진국들의 ‘사다리 걷어차기’. 녹색 보호주의에 대비하라
무공해, 환경보호와 청정에너지는 인류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지만 역시 거기에도 정치적 역학관계에서의 힘의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한다. 지구온난화는 단순히 당위의 문제로 접근하기에는 너무나 현실적이다. 저자들도 지적하듯이 이미 과거의 탄소배출 에너지에서 신에너지로 이동하고 있는 선진국들이 이제 막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을 새로운 규범으로 통제할 가능성이 크다. 이미 미국과 EU는 개도국에 탄소관세 부과를 관철하려 하고 있다. 선진국의 사다리 걷어차기가 다시 재연될 것이다.

지구온난화라는 공포와 신화를 벗고, 가장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한다
지구의 기후는 끊임없이 변해왔다. 지금의 기후 변화가 새삼스러운 게 아니라는 것이다. 더구나 세계 도처에서 발견되는 과학적 증거가 그런 지구 기후 변화를 입증해주고 있다. 지구온난화에는 대재앙에 대한 공포에 자연의 파괴라는 죄의식이 함께 결합되어 있다. 환경의 보존이라는 인류의 과제에 과도한 공포와 죄의식은 그리 필요하지 않는 것들이다. 그리고 현실성이 없는 대책을 강구하는 데 수천억 달러의 비용을 쓰고, 컴퓨터 기후모델의 보완을 위해 수백억 달러를 쓸 것이 아니라, 식량을 얻기 위해 삼림을 태우고, 굶주림과 불량한 위생 때문에 죽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 때라는 것이 저자들의 생각이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6.6





지구온난화의 주범은 인간이 아닙니다~^^ (* 통계자료가 많아 읽는 속도 더딤)
윤슬천사 2010-02-11 공감 (8) 댓글 (0)
Thanks to
공감





오늘 책 주문을 했습니다. 일단 별 5개로 시작합니다. 자세히 읽고 판단하겠습니다
램브란트 2010-11-06 공감 (1) 댓글 (0)





[마이리뷰] 지구온난화에 속지 마라


책 내용이 산만해서 정리가 필요하다. 지구온난화는 자연적인 것이어서 멈출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그렇게 위험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지금 간빙기 말기에 살고 있어서 다가올 빙하기를 대비해야 한다.
라온 2017-03-03 공감(8) 댓글(0)
Thanks to
공감




불편한 진실에 대한 불편한 반론.


미국의 부통령이었던 앨 고어의 "불편한 진실"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지구 온난화에 대한 강력한 경고를 담은 빼어난 작품이다.

그런데 이 불편한 진실에 대한 불편한 반론을 제기한 책이 있다. 바로 "지구온난화에 속지마라"라는 제목의 책이다.

지구 온난화는 이제 모두의 상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데, 이것이 모두 거짓이라는 말인가?



저자인 프레드 싱거와 데니스 에이버리는 소위 환경 낙관론자에 해당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주된 연구 수단은 오랜 시간동안 얼어있는 빙하를 채취하여(빙하코어) 분석하는 것이다.

동결되어 보존된 시간을 연구한 결과는 많은 이들이 믿고 있는 것과는 다르다.

이들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는 인간의 경제활동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고, 이는 단지 태양활동의 변화에 따르는 현상이라는 것!

이 주기는 약 1,500년이고, 300여 페이지가 넘는 지면을 할애하여 이 주장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소개하고 있다.



지금은 태양의 활동에 따라 지구가 온난한 시기에 접어든 것이 사실이지만, 이 현상을 인간의 경제활동과 연결시키는 것은

불필요한 공포를 조장하는 것이고, 그러한 주장을 펴는 사람들의 경제적, 정치적 이익에 근거한 허구라는 주장이다.

이를테면, 미국보다 환경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유럽과 교토의정서의 조약들에서 비켜나 있는 저개발국가들이 그들이다.

이러한 주장을 폄으로써 더 많은 연구비와 주도권을 갖게되는 환경회의론자들도 그러한 부류이다.

미국 내에서 보자면, 환경과 효율적 에너지의 사용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민주당이 공화당보다 이익을 보는 부류에 가깝다.



이 책은 내가 읽은 환경낙관론자들의 책 중에 가장 설득력있는 책이다.

공허한 외침 밖에는 없던 다른 책들과 달리, 세심한 과학적 분석의 결과를 가지고 논리를 펴 나가며 일면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이들의 주장 이면에는 정치적 입장도 강하게 깔려 있다.

이들은 여러 종류의 환경오염과 자연고갈과 같은 생태적 문제 중에 유독 지구온난화라는 측면만을 강조하고 있다.

여러 과학적 근거들에 의해 확신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겠지만, 이러한 태도는 균형잡힌 태도는 아니다.

이들의 주장대로 지구온난화가 인간과는 상관없더라도 자원의 고갈이나 대기와 물, 토양의 오염 등과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들은 지구온난화는 거대한 음모에 불과할 뿐이라는 주장을 강조하며, 기아와 빈곤과 같은 문제들은 과학적으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고 가볍게 여긴다. 예를 들면, 유전자 조작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이러한 기술낙관론 혹은 과학기술 만능주의는 또 다른 문제를 낳게 마련이고, 그들은 분명 그것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그들은 지구온난화에 대한 이슈에 대해 상당히 설득력 있는 시각을 제시했다. (오바마 음모론에도 이러한 시각이 등장한다.)

그러나 다른 생태적 이슈에 대해서도 역시 같은 기준으로 접근해야 한다.

환경에 대해 위협적인 미국적 삶의 습관들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봐야한다는 것이다.

먼저 올라가서 사다리 걷어차려는 태도를 갖거나, 그간 앞서간 나라에서 저지른 본의아닌 과오를 애써 무시하지 말고 말이다.

- 접기
동녘새벽 2009-10-07 공감(8) 댓글(0)
Thanks to
공감




학자의 양심을 저버린, 혀를 내 두를정도의 무책임하고 이기적인 주장




지배적인 이론에 대해 새로운 비젼을 제시하는 대안 이론은 언제나 흥미를 불러 일으킨다. 수 십년 아니 수백년을 지배한 이론(예로 천동설 같은)이 굴러 오는 새 이론(예로 지동설)의 과학적인 증명을 통해 굴복함으로써 인류 역사는 거듭 비약적인 발전을 해 왔기 때문이다. 지배적인 이론에 대한 의심이 결코 나쁜 것은 아니라는 것쯤은 알고 있다. 어떠한 지배적인 이론에 대한 의심은 문제를 제기하고 검증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지배 이론을 낳았고, 그러한 사이클은 인류 역사가 끝날 때까지 계속 될 것이다.

이 책은 우리의 시대에 지배적인 환경이데올로기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낸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 온난화는 우리가 지구를 오염시켜서 그런 것이 아니고 지구 역사의 사이클상 그렇다는 것이다.


지금의 따뜻한 온난화는 적어도 백만 년 전부터 1,500여년(+-500년) 주기를 가지고 나타나는 자연적 기후 변동 현상의 한 부분인 것으로 보인다(p11).


두 저자는 그 예로 1984년 덴마크의 윌리 단스고르와 스위스의 한스 외슈거가 그린란드에서 처음으로 채취한 빙하 코어에서 나온 산소 동위원소를 분석한 발표 - 이 25,000여년 동안의 지구 기후 역사는 뚜렷한 주기를 가지고 기후가 변해왔다는 것이다- 와 역사적 지역적 문헌을 통한 기후 사이클를 예로 들었다.

그들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가 1,500여년의 주기에 해당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우리 지구가 더워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온난화 덕에 우리는 질병에 걸린 위험이 줄어들고 환경을 지키기 위해 150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이 드는 교토의정서를 파기하면 제 3세계 국가에게 보건, 교육, 수자원, 위생시설을 공급할 수 있고 테크놀로지에 의존하는 우리의 삶은 더욱 더 편리해지고 유기농을 고집하는 대신 화학비료를 쓴 덕에 우리는 더 많은 식량자원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사실 그들이 틀린 말을 하지 않았다. 산업화 덕에 우리의 삶은 윤택해졌고 식량 걱정 없으며 테크롤노지적 삶은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편리한 삶을 포기할 만한 용기도 가지도 있지 않을 것이다. 어쩡쩡한 환경보호주의자들에게는 이들의 말은 솔깃한 주장일 수 있다.

하지만 온난화가 1500여년 주기론의 한 부분일지라고 환경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환경주의자들을 보조금이나 더 타내려고, 온난화를 뻥튀기 했다고 애쓰는 부류들로 분류하는 저자들의 시각엔 심한 반발을 일으킨다. 너무 근시안적이고 환경오염에 대해 낙관적이며 우파적 탐욕이 그래도 여과되지 않고 드러난 주장이다.

저자들의 이론대로 지금의 온난화가 1500년 주기설이라고 치자. 지구가 탄생한 이후 18세기 전까지 지구의 환경은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다. 어떠한 변수도 존재하지 않았다. 올 초에 읽은 18세기에 최초로 미국 땅 원정에 올랐던 루이스와 클락의 <불굴의 용기>라는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적인 대목이 수 천년동안 변하지 않은 땅을 처음으로 밟고 간다고 한 대목이었다. 그 때 그 문장 읽으면서 든 생각이 아, 우리 인류가 이렇게 세계를 누비고 지형을 바꾸고 한 것이 일세기도 되지 않았구나, 였다. 사실 우리가 지구를 성형하기 시작한 것이 일세기 조금 넘어서이다. 산업화의 시작으로 지구와 인류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오염은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지구 수십억의 역사상 오염이라는 변수가 나타난 것은 일세기 남짓이다. 산업화가 가져온 오염이 지구의 환경을 변화시키지 않았을 것이라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으며 1500년 주기설을 뒷바침한다 치더라도 지금 지구는 심한 오염이라는 몸살을 앓고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 책의 어느 부분에서 더운 여름에 에어콘을 켜지 않고 살 생각을 하면 끔찍하다, 라는 뉘앙스의 글은 이 책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드러내주고 있다. 아프리카 여인의 비참한 삶을 이야기하면서 교토의정서를 파기하면 교토의정서를 지키는데 드는 비용 1500억달러를 보조할 수 있다라는 인도주의적 발언에 감흥하기 보다는 그들의 입 발린 립서비스에 짜증이 날 정도였다.

물론 나는 물리학자도 아니고 기후학자도 아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 맞을 지도 모르는 이론에 너무 반발하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설사 그들의 1500년 주기설이 맞다하더라도 지구 환경을 지키자는 환경주의자들을 비난할 생각도 없고 좀 불편하더라도 화학연료 덜 떼고 대중교통 이용하고 싶다. 이 책은 미국의 우파가 어떻게 그들의 정책을 정당화하고 인도주의적 운운, 립서비스 해 가며 탐욕스럽게 자신들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물불 안 가리는 지 알 수 있는 책이다. 제발 이 이론이 해프닝으로 끝나길 바랄 뿐이다. 그들에게 북극 곰에 관한 다큐멘타리 영화나 선물하고 싶다.
- 접기
기억의집 2009-09-12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지구 온난화를 바라보다 또 하나의 과학적 시선


대기물리학자인 저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모든 통념을 과감하게 깨고, 서서히 증폭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다루고 있다.



과거 지구의 기후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인에, 세차운동, 자전축의 기울기 변화, 지구궤도 이심률의 변화, 태양활동 변화 그리고 내적요인으로는 화산활동 등을 든다. 태양활동변화나 화산활동등과는 다른 요인들은 주기가 꽤 긴것으로 알고 있다. 그렇게 아이들을 가르치는 나로서도 이 책의 내용은 조금 어렵다고 볼수 있다. 과학에 약간의 관심이 없으면 읽기가 조금 버거울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런데 이런 요인들을 모두 종합해보면 어쩜 저자들이 주장하는 내용도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어차피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 온난화가 가장 큰 문제점이 아니라고 본다. 어찌보면 인간 위주로 생각하는 관점이 문제라고 생각한다. 저자들이 주장하는 1500년의 기후 변동주기론이 맞다면 인류를 중심에 두지 말고, 우리가 흔히 우주에 대해 공부할때처럼 우주 바깥에서 지구를 바라보며 생각해보면 된다. 예전에 이런 주기에 따라 지구가 서서히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면 그에 맞게 생물들은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서서히 서식지를 바꾸어 가면 될터이다. 그런데 현재는 이런 기후 변화에 따라 사람들은 거주지를 바꾸지 않는것이 문제인것 같다. 그래서 사람들은 '예전에 비해 더워지고 있다, 우리나라 근해에서는 예전에 볼수 없었던 열대어류가 잡히고 있다, 열대야가 지속된다.'라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지구 기후에 따라 우리의 거주지가 이동이 된다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으리라고 본다. 그렇게 지구는 46억년이란 세월을 보내왔기때문이다. 고작 몇천년밖에 지내지 않은 인류가 마치 지구의 주인인양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 제일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또다른 나의 반대 의견은 지구 온난화가 어찌보면 1500년 기후 변동주기론의 일부라 이산화탄소량의 증가를 묵과해버려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인류가 만들어내는 공해물질은 혹은 이산화탄소 혹은 자연파괴가 어쩌면 그 기후 변동주기를 더 가속화 하고 있다고 생각이 된다. 아마도 우리가 지구의 주인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자연의 일부이며 생각의 중심만을 바꾼다면 지금 겪고 있는 이상기후도 더이상은 이상한일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 접기
커피프린세스 2011-08-15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온난화와 관하여 ; 과학적 지식이 빈약한 설득과 대중에 대한 훈계




* 온난화와 관하여 ; 과학적 지식이 빈약한 설득과 대중에 대한 훈계

온난화가 기후의 순환(빙하기 및 간빙기)의 일부인가? 아니면 인간의 화석연료에 의한 즉 온실 효과에 의한 것인가? 이 질문에 처음 접한 것은 꽤 오래 전이었습니다. (정확이 기억이 나지 않음.) 이 논란의 관한 책 중 ‘기후의 순환’을 지지한 책을 처음 읽게 된 것은 <회의적 환경주의자>입니다. 그러나 이 책을 통독하지 못했습니다. 동시에 서너 권의 책을 읽는 습관에서 지루하고 두꺼운 책을 읽기를 여러 번 시도하고 여러 번 포기하였습니다.

<기후 커넥션> 안내를 보고 읽어야겠다고 생각할 즈음, 이 책을 서평단 도서로 받게 되었습니다. 일반인들에게 알려진 온실 효과에 의한 온난화를 어떻게 기후 순환으로 설득할 수 있을까? 주제는 흥미로웠습니다. 그러나 책을 읽고 난 후 감상은 (개인적인) 기대에 못 미쳤습니다.

‘창조론자는 진화의 오류나 허점을 이야기합니다. 진화론자는 창조론의 오류나 허점을 이야기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창조나 진화가 증명된 것은 아닙니다.’ ; <신비주의의 위대한 선각자들>의 서평에서 제가 쓴 글입니다.

이 책의 상당 부분은 과거의 기후 순환을 설명하고 대중들의 불합리한 (근거 없는) 두려움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과거 기후 순환의 기록은 현재 상황이 기후 순환의 일부라는 간접 증거는 될 수 있어도 직접 증거는 아닙니다. 재앙의 두려움이 근거가 빈약하다고 그 재앙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기후에 대한 연구는 대개 (어쩌면 전부가) 관찰연구입니다. 따라서 결론은 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실험연구를 상상합니다. 전 지구적으로 화석연료 사용 감소로 이산화탄소 비롯한 온실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하는 물질의 농도를 낮춥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난화가 진행하면 기후 순환의 일부이고, 만약 온난화가 회복된다면 그것은 인간의 화석 연료의 사용에 기인한 것입니다.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다 많은 과학적 사실을 설명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양의 흑점이 기후 순환과 관련 있다면 도표나 그래프로 보여 주면서 상관관계 정도의 설명 등이 있었으면 좋았겠고, 특히 산소 동위 원소를 이용하여 기후 변화를 어떻게 판정했는지가 포함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바다 속 침전물의 양으로 계산한 기후 변동주기는 본드 박사가 북대서양의 과거 빙하가 운반한 해저 바위 부스러기의 양을 통해 제시한 기후 변동 주기와 같았다. ; 이 문장도 좀 더 과학적이 설명이 있으면 합니다.

과학적 지식이나 가설은 사람의 사회에 회자되면서 왜곡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건강한 삶을 고려한 우생학이 한 인종의 인종 청소로 악용된다든지, 핵에 관한 지식이 핵 폭탄으로 사용된다든지. 반대로 돈에 의해 왜곡된 자료를 발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로 담배의 위해성을 판정하는 연구를 담배회사로 연구비를 받고 암과 관계를 부정 했던 연구 등. 온난화는 기후 순환의 일부이고 화석 연료의 사용의 기여도는 부분적이나 화석 연료 사용의 감소는 필요한 경우에도 위의 논리는 정유 회사를 비롯한 화석 연료 관련 기업에 의해 악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가능성이 적더라도 그 결과가 크다면 신중하게 고려해야합니다.

기본적으로 이 책을 저자를 포함하여 화석 연료의 온난화를 부정하는 사람들도 환경 파괴를 주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우선순위에서 에이즈를 포함하여 다른 곳에 여력을 집중하자고 하는 것입니다. <권력의 병리학>에서 언급되었던 효율성의 문제입니다.
p 35 교토조약을 16번째로 순위를 매겼다.

논리에서 ‘인간의 욕망’이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적은 땅에 농산물을 집중 수확하고 나머지 땅은 생태계를 위한 것으로 보호하자고 주장하지만 인간의 욕망은 적은 땅에서 집중 수확을 하면서 농토를 넓혀 생태계를 파괴하는 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p 126 면적당 더 많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자연에 더 많은 땅을 돌려주게 되는 것이다.

단지 이 책을 읽는 다른 독자에게 권고할 수 있는 것은 과학적 사실은 그 자체를 밝히는 것으로 의미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셨으면 합니다.

글의 구성과 철학에서 조금 아쉬움이 남는 책입니다.

(알라딘 서평단 도서입니다.)

* 밑줄 긋기 및 메모

p 114 만의 연구는 이산화탄소 재생 작용을 제외시켰다.
p 128 종의 종말이라는 망령 첨언- <멸종, 사라진 것들> 생물종 명종 속도 공룡 소멸 때보다 훨씬 빠르다.
p 146 기후는 알기 어렵다.
p 186 장기간의 가뭄은 어떻게 할 것인가? 첨언 - 부자만이 살아남을 것이다.
p 305 수소 경제의 환상 첨언 - 양수 발전소는?
* 풍력 발전소 첨언 - 차라리 번개를 모으면?
p 312 아직 알지 못한다. 첨언 - 영향이 없다는 것과 다르다.
p 322 지구 온난화라는 유령 첨언 -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 거짓말을 잘 하는 통계.
- 접기
마립간 2009-08-26 공감(2) 댓글(2)
Thanks to
공감




지구 온난화를 둘러싸고 있는 불편한 진실의 내막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을 무색하게 하는 기상 이변도 이제 현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겐 상당히 익숙해진지 오래 되었다. 앨리뇨니 라니냐하는 용어도 기상학 관련 이외의 평범한 일반인들에게도 이제 낯설지 않는 단어가 되어버렸다. 인류가 지구상에 발자취를 남기기 시작하면서 기후(날씨)에 대해선 가히 신성불가침의 영역이었다. 산업혁명을 계기로 과학혁명이 몰아 닥치기전까지만 하더라도 하늘의 날씨는 신성한 것이였고 절대권력자의 권력과도 일맥상통한 것으로 파악했다. 특히 동양 사회에서는 그 의미가 절대적이 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계몽주의 사상과 과학혁명의 시대를 겪으면서 거의 모든 자연력은 인간의 통제하에 놓였다. 아니 통제가능하다고 생각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인간 특유의 오만성은 근래에 들어 각종 기상이변의 원인이 지구 온난화에 있다는 과학적인 연구와 홍보 덕택에 더 이상 인간이 자연력을 통제할 수 없으며 결국 자연과 평화로운 동반만이 생존의 길이라는 논리를 파급하고 있다. 인간이 만들어낸 이산화탄소등의 온실가스의 과배출로 인해 지구의 온난화가 발생하게 되고 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의 빙하의 유실로 인한 해수면의 급증가로 인해 더 이상 태양계내 유일한 생명이 살고 있는 지금 같은 지구는 존재하기 힘들것이라는 엄청난 충격적인 사건으로 온 지구를 강타하고 있다. 이상태로 계속 가다면 머지 않은 장래에 우리는 후손들에게 엄청난 재앙을 물려줄 수 밖에 없다는 것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와 일본 교토를 통해서 전세계 거의 모든 국가가 합의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이 탄생하였고 향후 장래를 향하여 의무적으로 이산화탄소배출량의 감소에 합의하게 이르렀다. 그리고 대체 에너지원을 개발해서 꾸준히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 나가기로 했다. 여기까지가 우리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지구 온난화에 관한 계략적인 이야기이다.

IPCC의 탄생으로 우리의 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산화탄소의 주범인 화석연료의 자제와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 그리고 범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한 현재의 시점에서 한때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스캔들처럼 만약에 지구온난화가 이러한 스캔들이라고 하면 과연 이를 믿을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바로 이 책 <지구 온난화에 속지마라>은 우리가 알고 있고 믿어 의심치 않는 지구 온난화 문제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책이다. 더욱더 충격적인 것은 1500년 기후주기 라는 학설을 지구 곳곳에 산재하고 있는 각종 신빙성 있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함으로서 이책을 읽는 독자들로 하여금 혼란속으로 빠뜨린다는 점이다. 중세시대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을 비롯한 모든 천체가 돌고 있다는 천동설은 거의 진리였다. 그래서 지동설을 주장했던 코페르니쿠스나 갈릴레이의 학설은 이단이었고 외면당했던 것처럼 지금의 지구 온난화에 대한 의견 역시 이와 일맥상통할 것이다. 불특정 다수가 믿어 의심치 않는 이론을 전적으로 반박하는 내용은 그래서 대접을 받지 못한다. 하지만 역사가 말해주듯이 우리가 진리라고 믿고 있는 내용들은 상당수가 정치적인 음모에 의한 진실 감추기가 많았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지구온난화에 대한 전면적인 재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구는 그동안 우리가 인식하던 하지 못하던 간에 주기적으로 온난기와 한랭기를 반복해서 기후 변화를 해왔다. 과학적 근거에 의하면 오히려 온난기에 각종 생물의 성장이 좋아졌고 인류에게도 유익한 결과를 나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히려 한랭기에 접어들면서 식량문제가 대두됨으로서 더 많은 산림과 농토가 필요하게 되고 이는 결국 자연생태계 교란으로 더 악영향을 미쳤다는 것 역시 과학적 증거에 의해 판명되었다.
온난화라를 부추기고 있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가스의 증가 역시 온난화를 주장하는 이들의 생각보다 훨씬 안정적인 수치 이고 지구자체 정화력에 의해 우리가 우려할 정도의 수위는 아니다라는 것 역시 다시 생각해 볼 문제이다. 필자는 그렇다고 지구 온난화로 인한 발생 가능한 문제에 대한 지금이 대처노력에 대해서 전면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그 대응반응이 문제라고 본다. 정치적인 논리와 경제적 논리가 혼합되어 온난화에 대한 확대 왜곡된 논거들이 재생산되면서 엉뚱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지금의 대처 방법에 문제가 있다는 논지이다. 결국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인류가 발명한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을 포기하고 비경제적이고 오히려 생태파괴의 주범이 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 보다는 화석연료를 좀더 크린하게 바꿀수 있는 방법론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화학비료의 근절은 그 만큼 비례하여 방대한 농토의 확대화를 가져올 것이고 이는 바로 생태계의 파괴로 이어질 것이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는 지구 온난화라는 거대하고 극히 위험한 물결앞에 놓여있다. 물론 필자를 비롯한 반대 의견은 온난화가 너무 과도하게 확대 해석되어 불필요한 공포감만 조성하고 있다고 한다. 어느쪽의 의견이 맞을지는 우리같은 일반인으로서는 파악하기 힘든것이 사실이다. 단지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여건을 만들어가는 방법의 모색이 가장 시급하지 않을까 싶다.

- 접기
서향 2009-09-04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지구 온난화에 속지마라!!! 지구 온난화에 떨지마라^^


오랜만에 참으로 시사적인 책을 읽게 되어 괜한 생각들이 많아진 것 같다. 몇날 몇일을 걸려 읽은 탓이라 그런지 계속해서 신문기사를 읽어도 전부 온난화 관련된 기사만 보였다. 우연치 않게 교토의정서가 우리나라에서 발효되려면 1년 채 남지 않아 많은 사회적 이슈가 대두되는 추세이다. 또한 오늘은 수출입 은행에서 국내 첫 탄소펀드를 만드는 등 국내외적으로 모두가 온난화 예방에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구 온난화에 속지마라.” 제목에서부터 볼 수 있듯이 저자는 책을 읽는 내내 우리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고자 끊임없이 노력한다. 꽤나 어려운 과학적 용어들과 화학기호들이 나를 여러 번 책을 덮어두게 했지만 계속되는 저자의 질문과 폭탄발언들이 나를 끝까지 사로잡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지구가 뜨거워지는 것은 사실이다. 저자도 인정하다시피 지구는 지난 10년 전, 아니 몇십년 전보다 상대적으로 뜨거워지고 해수면이 상승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지구가 멸망한다는 것은 한낱 기우이고 지구를 제대로 관측하지 못한 자들의 오판이라고 한다. 1500년을 주기로 지구는 온난기, 소빙하기, 한랭기, 암흑기 등으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지구는 현재 온난기로 가는 과정에 있기에 점점 따뜻해지는 기온은 지구 생태학적으로 당연한 이치이며 몇천년 후에는 Big Ice Age가 도래할 것이다. 실제로 사람들이 내뱉는 이산화탄소와 매연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하며 이러한 사람들의 활동이 정확히 어떻게 환경에 반영되는지 제대로 된 연구결과가 없다. 지구 온난화 보고서와 국제협약에 쓰인 보고서들은 대개 정치적 압력이 많이 들어갔다며 폭로를 한 지은이의 글을 보며, 꽤나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책을 읽는 내내 중립적으로 읽고자 최대한 노력했으나. 점점 1500년 주기설에 빠져드는 나의 모습을 찾게 되었다.

사람들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작가는 온난화에 대한 모든 염려와 걱정에 대한 반박을 늘어놓았고 역사적으로 이것들을 증명해주었다. 나 또한 책을 통해 온난화에 대한 여러 걱정을 거의 떨치게 된 것도 사실이다.

몇일 전에는 신문기사를 읽다가 영국의 저명한 기후학자가(91세) 인간의 맹목적인 이기심 때문에 이산화탄소와 공해는 걷잡을 수 없이 환경을 파괴하였으며, 지금부터 중단하여도 지구의 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길은 더 이상 없다고 하였다. 일단, 이 책을 읽는 중이라 그 기사에 대해 비판적일 수 밖에 없었으며, 아직 살 날이 많은 나로서 91세 할아버님께서 그러한 기분 나쁜 말씀을 하셔서 더더욱 비판적이 되었다.

인간들의 환경파괴적 활동들이 지구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은 부인하지 않는다. 또한 어느정도 그 활동들이 지구 온난화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요즘 세태를 보면, 아니 신문기사들만 보아도 지구 온난화로 인해 곧 해수면은 올라가 지구는 물바다가 될 것이라는 멸망론을 부추기는 어구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혹, 온난화가 실제 계속 일어난다고 치자. 아무리 극단적이라 치더라도 몇천년 후에 일어날 일들을 곧 다가올 재앙이라며 사람들을 공포심에 몰아 넣을 이유는 없지 않는가. 나 또한 초등학교 5학년 때 어떤 그림과 사진들을 보고 물에 빠져 죽게될 무서움에 한동안 허덕였던 적이 있다. 그런 끔찍한 악몽들에 시달려 보았기에 얼마나 그런 기사들이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지 너무도 잘 알고 있다.

지구를 파괴시키는 것은 온난화가 아닌, 사람들을 극한에 몰아넣고 패닉에 빠뜨리는 것이다. 물론 환경을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후세대를 위한 지금 살아가는 자들의 의무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실세계를 보면 마치 인간들의 기술진보는 더 이상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무조건 환경이 우선적이어야지만 사람들이 죽지않는다는 식의 주장은 오히려 악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한다.

지구온난화에 속지마라.
여러분들도 속지는 말되 너무 맹목적으로 믿지는 말자. 건설적인 비판과 반박은 사회를 좀더 낳은 양질의 세계로 이끌어주지 않는가. 다수설을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현실에 지은이는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고 있기에 이 책을 여러분들에게도 추천합니다^^

- 접기
ownerless 2009-09-30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지구 온난화, 멈출 수 없다...




번역판 제목이 이상하게 붙었다. 멈출 수 없는 지구 온난화...란 제목이 속지 마라...로 변했다.
앞의 것은 과학적 관찰 결과인 이 책의 내용을 대변할 수 있지만,
뒤의 것은 마치 지구 온난화를 온실효과 탓으로 돌리는 이들에게 속지마라... 이런 주자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지구가 점차 따뜻해지고 있다고 한다. 빙하가 녹아 내리고 태평양의 어떤 섬들은 점차 표고가 해저로 가라앉는다고 한다.
그 이유를 온실 효과에 따른 지구 온난화라고 쉽게 이야기한다.
그러나...

지구의 오랜 역사에 비추어 보면, 이산화 탄소 배출에 따른 온실 효과가 과연 이렇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에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이 책의 저자는 그 의문을 제기하고,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에 직선을 긋는 일은 참으로 순진한 일이라고 이야기한다.
오랜 시간의 관찰을 통해 1500년마다 주기적으로 기후 변동을 가져오는 것이 지구의 순환이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뭐, 크게 흥분할 것은 없어보이는데...
하긴, 이런 이론을 이용해서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하고 지구 파괴를 더욱 치열하게 전개할 악마들을 염두에 둔다면 이 이론은 환경에 별로 도움이 될 이론은 아닐 성 싶다.

그렇다고 이런 이론을 펼치는 학자를 매도하는 일 또한 위험한 일이 아닌가 싶다.
온실 효과가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은 주기적 기후변동에 비하자면 너무도 미미한 것일 수도 있다.

과학자가 객관적 위치에 선다는 일은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안 그래도 교토 의정서에 따라 '개발'보다는 '환경'을 우선하는 협약에 가입하지 않는 강대국도 있는 판에, 이런 이론은 그런 강대국의 논지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위험이 충분히 있다.
그렇지만, 그렇다고 해서 더욱 신빙성이 있어 보이는 이론을 거시적으로 펼치는 일이 파렴치한 일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마치 핵폭탄을 연구한 학자들이 '핵은 지구에 평화를 가져올 것'이란 순수한 생각을 했지만,
현실적으론 돌이키지 못할 과오를 일본에 저지른 것과 같다.
온실효과와 지구 온난화보다는 더욱 스케일이 큰 이론이 다양한 근거의 뒷받침으로 논리를 펼치려 하지만, 현실적으로 악한 의도로 쓰인다면 그 이론이 치명적인 약점을 갖게 될 수도 있음과 유사하겠다.
- 접기
글샘 2009-09-21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헤게모니 장악이 아닌 진정한 지구 보호를 위하여




몇 년 전에도 비슷한 논조의 책을 읽은 기억이 난다.
어쨌든 나는 헤게모니 장악을 위해 명분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혐오하기 때문에 환경을 빌미로 3세계의 공업화를 막는 것은 절대 반대다.
어쩌면 저자의 말대로 일정 수준의 경제력에 도달해야 비로소 환경 보호를 시작할 수 있을런지도 모르겠다.
아프리카 기아 문제는 좀 더 많은 기부를 하고 NGO 들이 노력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굶주림에서 해방되는 분명한 가시적 성과가 있기 때문에 지지하지만, 내가 지구 온난화에 대해 미심쩍은 시선을 보내는 것은 이 책에 나온대로 정말로 화석연료의 사용이 기후 변동을 일으켜 해안선을 상승시키고 빙하를 녹게 하며 야생 동물을 멸종시키는지 확실치 않기 때문이다.
나는 이 책의 입장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나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논쟁할 만한 근거를 완벽하게 갖추진 못했지만 어쨌든 중요한 것은 환경 보호라는 명분 때문에 3세계의 산업 발전을 막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거야 말로 정말 사다리 걷어차기가 아닐까 싶다.
유기농법을 쓰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줄어들고 60억이나 되는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 더 많은 개간지가 필요하다.
개간지의 확충은 야생 동물의 터전을 뺏고 삼림을 계속 줄인다.
살충제와 화학비료, 관개농법, 심지어 유전자 변형 작물들이 전 세계의 기아를 해결해 왔음은 너무 당연한 일인데 특정 명분을 위해 명백한 이득을 별 거 아닌 것으로, 혹은 잃어버린 것을 지나치게 확대시켜 과장하는 주장은 경계해야 한다.
농약 안 친 유기농이 훨씬 비싸고 (정말 유기농인지 어디까지를 유기농법이라 할 수 있을지도 모호하지만) 부자들만 사 먹을 수 있다는 사실만 봐도 일부 환경보호론자들의 극단적인 주장은 회의적인 눈으로 봐야 한다.

저자의 주장은 간단하다.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배출은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현재의 지구 온난화는 대략 1500년의 주기를 가지고 변하는 자연적인 기온 상승이며, 더 중요한 것은 지구가 따뜻해지면 한랭기 보다 생물이 번성하기가 더 낫다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얼어 죽는 사람이 더워 죽는 사람보다 많다는 얘기다.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 식물들의 광합성도 훨씬 쉬워지고 농작물의 생육 가능 위도도 올라간다.
생물들이 살 수 있는 환경의 범위도 커진다.
가뭄은 비단 온난기에만 오는 게 아니라 한랭기 때도 잦으며 오히려 소빙하기 때 날씨가 추워지면서 강수량이 부족해 가뭄으로 대흉년이 왔고 추워서 집단으로 모여 있다 보면 페스트 같은 전염병도 창궐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로마나 고대 중국의 번영은 1500년 전의 온난화 덕택이고, 중세 온난화 이후 소빙하기 때 농업 생산량이 급감하고 마야인들도 도시를 버리고 정글로 들어갔다고 설명한다.
미국이 교토 의정서에 서명하지 않은 이유가 바로 이 온실효과 이론의 헛점 때문임을 이해하겠다.
저자에 따르면 오히려 기후 변화는 태양의 흑점 변화 등에 좌우된다.
많이 비치면 기온이 올라가고 적게 비치면 우주 광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막이 줄어들기 때문에 구름층 형성이 많아져 기온이 내려간다는 것이다.
날씨 변화를 아직도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는 걸 보면, 미래의 기후가 어떻게 바뀔지를 너무 앞서서 내다보는 것도 크게 신뢰가 안 가기는 한다.
저자는 기후 변화 모델 자체가 엄청난 변수들을 다 수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환경론자들은 이산화탄소 배출 때문에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자고 하지만 정작 이산화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은 또 반대한다.
풍력이나 태양력 같은 대체 에너지는 효율성이 너무 떨어지고 엄청난 돈이 들 뿐더러 현대의 편리한 생활을 유지할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생산해 내지도 못한다.
저자의 직접적인 표현대로 지구 보호를 위해 이틀에 한 번씩만 차를 타자고 하면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이 동참할 수 있을 것인가?
과소비를 줄이는 것과 기술 발전으로 인한 편리한 생활을 포기하는 것은 명백한 차이가 있다.
또 환경 보호를 위해 유해한 배기가스 등을 줄이는 것과 화석연료 사용 자체를 죄악시 하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저자는 온실가스 이론 때문에 기후학자들이 엄청난 연구 기금을 타내고 있고 해양학자들은 반대로 온난화로 인해 해류 변동이 생기면 급격한 한랭화가 올 것이니 대비하기 위해 더 많은 돈을 달라고 요구한다고 지적한다.
환경단체와 언론 역시 이 명분을 위해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발언권을 높이고 많은 자금을 운영한다.
<물에 빠진 아이 구하기> 에서 읽은 바대로 자선단체들은 성과를 명백하게 보여 줘야 한다.
환경단체 역시 가시적인 성과를 시민들 앞에 보여 줘야 하고 제약을 가했을 경우 반대로 그것 때문에 피해를 볼 수 있는 더 가난한 이들을 위한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무엇보다 막연한 공포를 조장해서는 안 되고 정말 과학자들이 공개적인 토론을 거쳐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제일 중요한 것은 얻는 것과 잃는 것을 냉정하게 따져서 이득이 되는 쪽을 선택해야 한다.
100% 다 좋을 수는 없는 일 아닌가.
환경단체들은 전문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좀 더 귀기울여야 하고, 확실치 않은 미래의 일에 지나치게 목소리를 높이지 않아야 한다.
정말 지구와 가난한 이들을 사랑한다면 말이다.
- 접기
marine 2009-09-02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찬성할 수 없는 의견, 그렇기에 읽어보자




[찬성할 수 없는 의견, 그렇기에 읽어보자]

사람들의 의견이 다양하고 표현의 자유가 있다지만 때때로 동의할 수 없는 의견을 만날 때가 있다. 단순한 의견이 아니라 이것이 책자로 나왔을 때는 더더욱 황당할 때가 있다. 얼마전 뉴라이트의 교과서를 보고는 경악을 금치 못했는데도 읽을 수 밖에 없어던 이유는 다르다는 이유로 외면하는게 아니라 과연 어떤 점에서 다른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번 책 역시 당연히 지구 온난화의 문제점과 환경보호에 대한 이야기를 기대했으나 심하게 뒤통수를 맞았다. 어린 아이들에게도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에 대해서 이야기하면 모두 고개를 끄덕이며 휴지 한조각 버리지 않으려고 하는게 보통이다. 지구환경을 보존하고 사람들이 살 터전을 안전하게 가꾸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그 구성원들의 보살핌과 실천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는 조금은 발직하게 지구온난화의 원인을 과학적 근거에서 찾으면서 인간의 탓이라기보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한다. 물론 그 말이 전적으로 틀렸다고는 할 수 없지만 지금 지구의 현실을 보면 누구의 잘못인지를 따지는 것보다 어디에서 실천적인 대안을 찾는가가 더 시급할 수도 있다. 우리가 남기는 탄소발자국, 대량소비되는 육류, 이들을 키우기 위해서 없어지는 초원과 편리한 생활을 위해 사용되는 화학연료 등등..인간의 소비와 정부의 안이한 개발이 낳은 지구온난화의 현실앞에서 우리 탓이 아니라고 하는 주장이 낯뜨겁기도 하지만 그렇기에 이들의 주장을 좀더 확실하게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안다고 다 아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아무리 학문적 지식을 많이 쌓았다고 해도 결국 최종에는 인간에 대한 존중과 도덕성에 의해서 과학이든 정치든 교육이든 종결점을 갖는다고 본다. 자신이 아는 것을 어떻게 합리화하는가는 그 사람의 가치관이 좌우하는 것도 무시할 수는 없는 것 같다.

조금은 무안하고 조금은 황당한 지구온난화의 실체를 밝힌 이 책을 한숨 섞인 시선을 바라보면서도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도 외면하기보다는 함께 알아두어야 할다는 생각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