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6/05

Namgok Lee - “우주(宇宙)란 무엇일까?‘. 이석영 교수의 이야기



Namgok Lee - 월간 ‘불교문화’ 이 달호 특집이 “우주(宇宙)란 무엇일까?‘다. 이석영 교수의 이야기 가운데...




Namgok Lee
4 hrs ·



월간 ‘불교문화’ 이 달호 특집이 “우주(宇宙)란 무엇일까?‘다.
이석영 교수의 이야기 가운데 일부다.

*인류는 기록의 역사를 살아온지 수 천년만에 드디어 우주의 존재를 이해할 수 있는 과학적 배경을 갖게 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우주론적 지식에 의하면 우주는 대략 137억년 전 쯤 거대한 팽창(빅 뱅)과 함께 시작됐다.
우주의 나이 대략 38만년 쯤 되엇을 때 빛과 물질이 분리되어 자유롭게 항해하기 시작햇다. 빛으로부터 독립한 물질은 중력에 의해 밀집하고 은하와 별을 만들기 시작했다.
*약 45억년 전 우리 태양계가 만들어졌다. 지구도 그 때 탄생했다. 우리 천문학자들은 그 후 생명이 어떻게 자리잡게 되었는지 잘 모른다. 생물학자들이 더 잘 알 것이다..
*우주엔 많은 에너지가 있는데, 그 중에 우리가 정체를 알고 있는 , 원자와 분자로 구성된 물질은 4%만을 차지한다. 나머지 96%는 그 존재의 증거는 많지만 아직 정체를 파악하지 못한 새로운 에너지 덩어리다.
*태양은 앞으로 약 50억년쯤 후에는 그 수명을 다해 부풀고 결국 지구를 삼키게 될 것이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 일을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과학자들이 지성인으로서의 인류가 만년 이상 존속할 확률이 별로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대다수 천문학자들이 인정하는 우주론을 요약하고 나니 머쓱해진다. 우주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에너지의 정체를 아직 모르기 때문이다.
* 꽃이 아름다운가? 나는 꽃보다 훨씬 아름다운 것이 우주에 잇다고 말한다. 우주는 단순한 아름다움을 넘는다. 우주는 그 존재를 확인햇을 때 갑절, 규모를 알게 되엇을 때 갑절, 그리고 그것이 나에 대해 가지는 의미를 깨달을 때 또 갑절이 되는 감동을 준다. 우주는 나이고, 나는 곧 우주다. 그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한다.

김희준 교수의 원고 뒷 편이다.

*여러분과 아인슈타인 중 누가 더 우주를 이해하는 것 같은가?
여러분이다. 아인슈타인은 1955년 죽을 때까지 ‘우주배경복사’라는 말을 들어보지도 못했다.
*우주의 역사를 드라마로 보자면, 빅뱅으로 출발해 초기 우주의 급격한 입자들의 진화, 별의 진화, 화학적 진화, 생물학적 진화, 인류의 진화가 전개되었다.
이 5단계 진화의 핵심에 화학적 진화가 잇다. 무생물이엇던 단순한 분자로부터 생명체의 필수요소인 아미노산 같은 것이 생긴 일은 엄청난 진화적 사건이다. 이 5단계의 진화는 그야말로 놀라운 드라마다. 기승전결(起承轉結)로 보자면 기(起)는 빅뱅, 승(承)은 빅뱅을 계승해 입자들이 태어나는 것, 전(轉)은 무생물에서 생물로 획기적 전환, 결(結)은 우리 자신이라 할 수 잇다.

내 생각

*지금까지 알고 있다고 하는 것도 가설(假設)일 뿐이다.
2500년 전의 현자(賢者), 공자의 무지(無知)를 출발점으로 하여 단정(斷定)이나 고정(固定) 없이 이 아름다운 우주의 비밀을 탐구해가야 한다.
우주 진화의 총아(寵兒)로 보이는 인간의 자유와 행복을 위하여.

*밤하늘의 별을 가끔이라도 쳐다보자.
그리고 시간과 공간을 느껴보자.
우리가 다녀가는 이 기적의 우주와 더 기적의 지구와 더더 기적 같은 인간으로 태어난 것을 생각해 보자.
‘아집’과 ‘소유’가 얼마나 하찮은 것인가?
그렇다고 별을 보다가 개울에 빠지진 말자.

우주 천문학은 인문학의 범주에 들어오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