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4

라마누자 - 위키백과, Ramanuja

라마누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마누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마누자의 15세기 조각

라마누자(Ramanuja)는 인도의 힌두 철학자, 구루, 사회 개혁자이다. 힌두교 내 스리 바이시나비즘(Sri Vaishnavism) 전통의 가장 중요한 주창자들 중 한 명으로 인식된다.[1][2][3] 경건주의에 대한 그의 철학적 토대는 바크티운동에 영향을 주었다.[2][4][5]

촐라의 타밀 브라만 공동체에서 태어났다. 촐라의 통치 시기 안정된 사회에서 타밀 문화 속에서 자랐다.[6]

각주[편집]

  1.  Raman 2020, 195, 198–205쪽.
  2. ↑ 이동:  C. J. Bartley 2013, 1–4, 52–53, 79쪽.
  3.  Jon Paul Sydnor (2012). 《Rāmānuja and Schleiermacher: Toward a Constructive Comparative Theology》. Casemate. 20–22 with footnote 32쪽. ISBN 978-0227680247.
  4.  Doniger, Wendy (1999).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Merriam-Webster. 904쪽. ISBN 978-0-87779-044-0.
  5.  Hermann Kulke; Dietmar Rothermund (2004). 《A History of India》. Routledge. 149쪽. ISBN 978-0-415-32920-0.
  6.  Carman 1994, 80쪽.

외부 링크[편집]



===

라마누자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라마누자

라 마누 자 타밀어 : 1017-1137 ) 인도 철학자 , 신학자 .​ 힌두교 철학 의 혁명적 존재이다.

개요 편집 ]

12 세기 남부 인도의 마두라이 틸 틸라 파리의 슐리 랭엄 사원의 대주교를했다. 처음에 샹카라 의 어드바이터 베단타 철학(후지이치 원론)을 배우고 있었지만 만족하지 않고, 비시스타드 바이타 베단타 철학 (수정 후지일 원론)을 세웠다.

그 내용은 샹카라의 것과는 크게 다르며, 현상세계는 실재이며 신은 인격신이며, 해탈은 박티 ( 신애 )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이다. 샹카라가 버라몬 을 위한 철학을 설한 반면, 라마누자는 당시 번성했던 박티(신애)를 도입해 서민을 위한 철학을 설했다. 라마누자라고 하면 열광적인 박티(신애)를 떠올리지만, 마츠모토 테루경에 의하면, 본래는 꽤 주지주의적인 것이었다고 한다.

그의 가르침은 나중에 고양이와 원숭이로 나뉘었다. 고양이파는 새끼 고양이가 위험해지면 부모 고양이가 새끼 고양이의 목을 감싸고 움직이는 반면, 원숭이는 작은 원숭이가 위험해지면 작은 원숭이가 친원에게 뛰어들어 이동한다. 즉 하나님께 모든 것을 맡기거나 개인의 노력도 필요할까 하는 것이다.

그에게는 몇 가지 저작이 있지만 '슈리바샤'가 대표작이다. 그의 후세에 미치는 영향은 크고 라마난다 , 카비르 , 구르 나낙으로까지 미치고 있다.

120세까지 살았다고 써 있지만 인도에 자주 있는 이야기로 의심스럽다.

참고 문헌 편집 ]


===

Ramanuj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amanuja
Personal
Born
Iḷaiyāḻvār[1][2][3]

April 25, 1077
Diedc. 1157 (aged 79–80[a])
ReligionHinduism
Parents
  • Keshavasomayaji (father)
  • Kanthimethi Devi (mother)
SectSri Vaishnavism
PhilosophyVishishtadvaita
Religious career
GuruYadava Prakasa
Influenced by
Influenced
Literary worksTraditionally 9 Sanskrit texts, including VedarthasamgrahaSri BhashyaGita Bhashya
HonorsEmberumānārUdaiyavarYatirāja (king of sannyasis)[7]
PropagatorVishishtadvaita Vedanta

Ramanuja ([ɽaːmaːnʊdʑɐ]Middle Tamil: Rāmāṉujam; Classical Sanskrit: Rāmānuja c. 1077 – 1157), also known as Ramanujacharya, was an Indian Hindu philosopher, guru and a social reformer. He is not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exponents of the Sri Vaishnavism tradition within Hinduism.[7][8][9] His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devotionalism were influential to the Bhakti movement.[8][10][11]

Ramanuja's guru was Yādava Prakāśa, a scholar who according to tradition belonged to the Advaita Vedānta tradition,[12] but probably was a Bhedabheda scholar.[13] Sri Vaishnava tradition holds that Ramanuja disagreed with his guru and the non-dualistic Advaita Vedānta, and instead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Tamil Alvārs tradition, the scholars Nāthamuni and Yamunāchārya.[8] Ramanuja is famous as the chief proponent of Vishishtadvaita subschool of Vedānta,[14][15] and his disciples were likely authors of texts such as the Shatyayaniya Upanishad.[12] Ramanuja himself wrote influential texts, such as bhāsya on the Brahma Sutras and the Bhagavad Gita, all in Sanskrit.[16]

His Vishishtadvaita (qualified non-dualism) philosophy has competed with the Dvaita (theistic dualism) philosophy of Madhvāchārya, and Advaita (non-dualism) philosophy of Ādi Shankara, together the three most influential Vedantic philosophies of the 2nd millennium.[17][18] Ramanuja presented the epistemic and soteriological importance of bhakti, or the devotion to a personal God (Vishnu in Ramanuja's case) as a means to spiritual liberation. His theories assert that there exists a plurality and distinction between Ātman (soul) and Brahman (metaphysical, ultimate reality), while he also affirmed that there is unity of all souls and that the individual soul has the potential to realize identity with the Brahman.[18][19][20]

Early life[edit]

A modern artist's impression of Ramanuja.

Ramanuja was born into a Tamil Brahmin community, in a village called Sriperumbudur (present-day Tamil Nadu) under the Chola Empire. His followers in the Vaishnava tradition wrote hagiographies, some of which were composed in centuries after his death, and which the tradition believes to be true.[9]

The traditional hagiographies of Ramanuja state he was born to mother Kānthimathi and father Asuri Keshava Somayāji,[21] in Sriperumbudur, near modern Chennai, Tamil Nādu.[5] He is believed to have been born in the month of Chithirai under the star Tiruvadhirai.[22] They place his life from 1017–1137 CE, yielding a lifespan of 120 years.[23] However, based on 11th- and 12th-century temple records and regional literature outside the Sri Vaishnava tradition, modern era scholars suggest that Ramanuja might have lived from 1077–1157 CE.[21][5][6]

Ramanuja married, moved to Kānchipuram, and studied with Yādava Prakāśa as his guru.[10][12][24] Ramanuja and his guru frequently disagreed in interpreting Vedic texts, particularly the Upanishads.[21][25] Ramanuja and Yādava Prakāśa separated, and thereafter Ramanuja continued his studies on his own.[9][24]

He attempted to meet another famed Vedanta scholar of 11th-century Yamunāchārya, but Sri Vaishnava tradition holds that the latter died before the meeting and they never met.[9] Ramanuja was the great-grandson of Yamunāchārya through a granddaughter.[26] However, some hagiographies assert that the corpse of Yamunāchārya miraculously rose and named Ramanuja as the new leader of Sri Vaishnava sect previously led by Yamunāchārya.[9] One hagiography states that after leaving Yādava Prakāśa, Ramanuja was initiated into Sri Vaishnavism by Periya Nambi, also called Mahapurna, another Vedānta scholar. Ramanuja renounced his married life, and became a Hindu monk.[27] However, states Katherine Young, the historical evidence on whether Ramanuja led a married life or he did renounce and became a monk is uncertain.[28]

Career[edit]

Ramanuja became a priest at the Varadharāja Perumal temple (Vishnu) at Kānchipuram, where he began to teach that moksha (liberation and release from samsara) is to be achieved not with metaphysical, nirguna Brahman but with the help of personal god and saguna Vishnu.[24][29] Ramanuja has long enjoyed foremost authority in the Sri Vaishnava tradition.[30]

Hagiographies[edit]

A number of traditional biographies of Ramanuja are known, some written in 12th century, but some written centuries later such as the 17th or 18th century, particularly after the split of the Śrīvaiṣṇava community into the Vadakalais and Teṉkalais, where each community created its own version of Ramanuja's hagiography.[28][31] The Muvāyirappaṭi Guruparamparāprabhāva by Brahmatantra Svatantra Jīyar represents the earliest Vadakalai biography, and reflects the Vadakalai view of the succession following Ramanuja. Ārāyirappaṭi Guruparamparāprabhāva, on the other hand, represents the Tenkalai biography. Other late biographies include the Yatirajavaibhavam by Andhrapurna.[28]

Historical background[edit]

Ramanuja grew up in the Tamil culture, in a stable society during the rule of the Chola dynasty.[32] This period was one of pluralistic beliefs, where Vaishnava, Shaiva, Smarta traditions, Buddhism and Jainism thrived together. In Hindu monastic tradition, Advaita Vedānta had been dominant,[12] and Ramanuja's guru Yādava Prākāsha belonged to this tradition.[24] Prior to Ramanuja, the Sri Vaishnava sampradaya was already an established organization under Yamunāchārya, and bhakti songs and devotional ideas already a part of Tamil culture because of the twelve Alvārs.[33] Ramanuja's fame grew because he was considered the first thinker in centuries that disputed Shankara's theories, and offered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Upanishadic scriptures.[32]

Early life[edit]

When Ramanuja and his guru Yadava Prakaasa parted ways due to their differences in interpreting the Vedic literature, Ramanuja became a devotee of the Varadaraja Perumal temple in Kanchi. During this period, Ramanuja's discourses and fame reached far and wide. Yamunacharya, the Vaishnavite acharya and the religious head of the Ranganathasamy temple at Srirangam had been closely following Ramanuja from a very young age. When it was time to pass on the legacy, the acharya decided that he would call upon Ramanuja. Accordingly, he summoned Sri Mahapurna, a disciple who was helping him out with the temple affairs and asked him to go to Kanchi and bring Ramanuja.[34]

When Mahapurna met Ramanuja and informed him of his guru's desire, Ramanuja was overjoyed and they both immediately left for Srirangam. But bad news awaited them at Srirangam and they both learned that Yamunacharya had died. Heart-broken, Ramanuja then left for Kanchi and refused to worship Sri Ranganatha for he held him responsible for taking away Yamunacharya from this world.[35] As for Mahapurna, he began to assist Tiruvaranga Araiyar, the son of Yamunacharya in managing the temple affairs. But as time passed by, Tiruvaranga Araiyar and other senior members of the Vaishnavite order felt that there was a vacuum after Yamunacharya's demise and that they lacked a person who could interpret the Vedas and Sastras like Yamunacharya. So it was finally decided that Sri Mahapurna should once again go and invite Ramanuja to Srirangam.[35]

Meanwhile, in Kanchi, Ramanuja met with Kanchipurna, a fellow devotee, regularly and soon decided that he would become Kanchipurna's disciple. When he approached Kanchipurna about this, Kanchipurna politely refused as he did not belong to the same caste as Ramanuja and told him that he would get a more appropriate guru.[35] After this Kanchipurna left for Tirupati to worship Lord Venkateswara and would return only after six months. When he finally came back, it was through him that Lord Varadaraja conveyed his wish to Ramanuja. Accordingly, Kanchipurna advised Ramanuja that it was the Lord's wish that he leave for Srirangam and find solace in Sri Mahapurna.[34][36]

Induction into Vaishnavism[edit]

After it was decided that Mahapurna would go and invite Ramanuja to Srirangam, the acharya left for Kanchi with his wife. While on his way to Kanchi, Mahapurna and his wife decided to take some rest at Maduranthakam, a place that is located 40 km from present day Chennai. As fate would have it Ramanuja, who was on his way to Srirangam, arrived at the same place and to his joy found Mahapurna. They soon embraced each other and Ramanuja requested that he waste no time in initiating him into the Vaishnavite order. Mahapurna immediately obliged and Ramanuja received the Panchasamskaras (the five sacraments).[36]

Persecution[edit]

Some hagiographies, composed centuries after Ramanuja died, state that a Chola king, Kulothunga II,[37] had immense hatred towards Sri Vaishnavism. He was called Krimikanta Chola or worm-necked Chola, so called as the king is said to have suffered from the cancer of the neck or throat.[38][39] Historian Nilakanta Sastri identifies Krimikanta Chola with Adhirajendra Chola or Virarajendra Chola with whom the main line (Vijayalaya line) ended.[40][41] Knowing the evil intentions of the king, Sri Rāmānujā's disciple, Sri Koorathazhwan persuaded Ramanuja to leave the Chola kingdom. Sri Rāmānujā then moved to Hoysala kingdom for 14 years, wherein he converted a Jain king, Bitti Deva to Hinduism after miraculously healing his daughter. Bitti Deva changed his name to Vishnuvardhana. King Vishnuvardhana assisted Sri Rāmānujā to build a temple of Lord Thirunarayanaswamy at Melukote, which is now a temple town in Mandya district of Karnataka. Rāmānujā later returned on his own to Tamil Nādu after the demise of Krimikanta Chola.[37] According to Sastri, Krimikanta or Adhirajendra Chola was killed in a local uprising of the Vaishnavas.[41][42]

According to "Koil Olugu" (temple records) of the Srirangam temple, Kulottunga III was the son of Krimikanta Chola or Karikala Chola.[43] The former, unlike his father, is said to have been a repentant son who supported Vaishnavism.[44][45] Ramanuja is said to have made Kulottunga III as a disciple of his nephew, Dasarathi. The king then granted the management of the Ranganathaswamy temple to Dasarathi and his descendants as per the wish of Ramanuja.[46][47] Some historians hold that Krimikanta, who persecuted Ramanuja, had a personal animosity towards Ramanuja and did not persecute Vaishnavites.[48]

Reformation[edit]

The Sri Vaishnavite order prior to Ramanuja was not averse to people from other castes as both Kanchipurna and Mahapurna were non-Brahmins.[35] So when Ramanuja revolted against the discrimination that had crept within the caste system, he was simply following the same lines as the Alwars and helped the people who were considered to be untouchables (dasa, dasulu, dasu), to get absorbed into the Sri Vaishnava Bhakti Movement, encouraging them to attain Spiritual enlightenment by teaching them Sri Alwar Divyaprabandham. He called these downtrodden classes as Tirukulattar, meaning "of noble descent" in Tamil, and was instrumental in admitting them into the temple in Melukote.[49][50] Ramanuja's liberal views also led to the reorganization of rituals in Srirangam and the involvement of non-Brahmin people in the Vaishnava worship. This policy change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social status for artisanal and other non-Brahmin caste groups, especially the weavers (SenguntharKaikola Mudaliyar) who were one of the chief beneficiaries. After the period of Ramanuja, the Sri Vaishnava community split on this issue and formed the Vadakalai (northern and Sanskritic) and Thenkalai (southern and Tamil) sects.[51] Both sects believe in initiation into Sri Vaishnavism through Pancha Samskara.[52] This ceremony or rite of passage is necessary for one to become a Sri Vaishnava Brahmin. It is performed by Brahmins and non-Brahmins in order to become Vaishnavas.[53]

Attempts on Ramanuja's life[edit]

There were multiple attempts on Ramanuja's life. When he was a student under Yadava Prakasa, the latter grew jealous of Ramanuja's rise to fame. So Yadava Prakasa tried to get rid of Ramanuja during a tour to the Ganges in northern India. Govinda, Ramanuja's cousin (son of his mother's sister),[26] learned of this plot and warned Ramanuja who then left the group and escaped to Kanchi with the help of an elderly hunter couple. Later Yadava Prakasa realised his folly and became a disciple under Ramanuja.[54][55]

Later another attempt was made on Ramanuja's life while he was about to take charge of the temple affairs in Srirangam. The head priest of the Ranganathaswamy Temple, Srirangam did not like Ramanuja and decided to kill him. Accordingly, he invited Ramanuja to his house for having food and planned to kill him by poisoning his food. However, when Ramanuja arrived, the priest's wife saw the divine glow of Ramanuja and immediately confessed her husband's plan. This did not deter the priest who then made another attempt when Ramanuja visited the temple. He poisoned the temple Theertham(holy water) and served it to Ramanuja. However instead of dying Ramanuja began to dance with joy. The priest taken aback at once realised his mistake and fell at the feet of Ramanuja.[56]

Writings[edit]

The Sri Vaisnava tradition attributes nine Sanskrit texts to Ramanuja – Vedarthasamgraha (literally, "Summary of the Vedas's meaning"), Sri Bhashya (a review and commentary on the Brahma Sutras), Bhagavad Gita Bhashya (a review and commentary on the Bhagavad Gita), and the minor works titled VedantadipaVedantasaraGadya Trayam (which is a compilation of three texts called the Sharanagati GadyamSriranga Gadyam, and the Vaikuntha Gadyam), and the Nitya Grantham.[57]

Some scholars have questioned the authenticity of the majority of his work except the three of the largest works credited to Ramanuja – Sri Bhashya, Vedarthasamgraha, and the Bhagavad Gita Bhashya.[58][59]

Philosophy[edit]

The figure of Ramanuja in Upadesa Mudra inside the Ranganathaswamy Temple, Srirangam. It is believed to be his preserved mortal remains.

Ramanuja's philosophical foundation was qualified monism, and is called Vishishtadvaita in the Hindu tradition.[18][60] His ideas are one of three subschools in Vedānta, the other two are known as Ādi Shankara's Advaita (absolute monism) and Madhvāchārya's Dvaita (dualism).[18]

Rāmānuja’s Epistemology[edit]

Rāmānuja's epistemology is hyperrealistic or similar to naïve empiricism.[61] The first two sources of knowledge are perception and inference, and they are trustworthy notwithstanding general human subjection to "beginningless ignorance." Knowledge is always of the real, even in dreams, and error is a disordered perception or faulty inference concerning what is really there. The third source of knowledge is the testimony of scripture, or more strictly, śabda ("eternal sound"), which helps to establish much that is uncertain on the basis of sense perception and inference, notably the existence and nature of the ultimate reality (brahman). Though unlike some proponents of naïve empiricism, Rāmānuja does not think that it suffices to intermittently have an acquaintance with objects of knowledge. Knowledge (jñāna) only occurs when there is direct perception of an object. Unlike proper empiricists, Rāmānuja does not restrict knowledge to that which can be gathered from the senses.[62][63][64] Rāmānuja was unique in his view that bhakti or devotion is itself an epistemic state. He says that when bhakti takes firm root in an individual, it turns into parabhakti, which is the highest form of bhakti and that bhakti is the direct awareness of Brahman's nature and thus is a kind of knowledge (jñāna).[65][66]

Ramanuja’s Ontology[edit]

Being a realist, Rāmānuja firmly opposed the notion of māyā (illusion). In his understanding, three distinct realities exist: a vast expanse of material objects, countless conscious souls within material bodies, and the transcendent Brahman. Each of these categories possesses a different degree of awareness, from the non-aware material world to the fully-aware Brahman, but they are all equally real. In Rāmānuja's interpretation of advaita (non-dualism), it is not a form of advaita as proposed by Shankara. Rāmānuja's conception of bhakti maintains that there must always be a separation between the lover (the soul) and the beloved (Vishnu), for true love cannot exist without distinct identities. His stance suggests a qualified non-dualism, where both the souls and the material world, though deeply interconnected with Brahman, eternally remain different from Brahman.[67]

In Rāmānuja's philosophy, the foundational concept of the soul-body model revolves around the idea that the entire universe, including both souls (jivas) and matter (prakrti), serves as the body (sarira) of God, referred to as "sarira-sariri-bhava", where "sarira" means body and "sariri" means the indwelling soul or consciousness. This concept is rooted in sruti passages like Brihadaranyaka Upanishad 3.7.3-23:[68]

"This soul of yours who is present within but is different from all beings, whom all beings do not know. whose body is all beings, and who controls all beings from within - he is the Inner Controller, the immortal one" - Brihadaranyaka Upanishad 3.7.14

Rāmānuja’s Soteriology[edit]

According to Rāmānuja, the highest good lies in realizing our true nature and of understanding the true essence of Brahman. Moksha, or spiritual liberation, is seen as the joy of contemplating Brahman (rather than release from the life-death-rebirth cycle),[69] and that joy is the result of devotion, praise, worship and contemplation of divine perfection. Knowledge of Brahman consists in liberation, for Rāmānuja, mainly because of the character of Brahman.[70] He writes:

"Entities other than Brahman can be objects of such cognitions of the nature of joy only to a finite extent and for limited duration. But Brahman is such that cognizing of him is an infinite and abiding joy.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śruti [scripture] says, `Brahman is bliss’ (Taittirīya Upaniṣad II.6.) Since the form of cognition as joy is determined by its object, Brahman itself is joy."[71]

Rāmānuja clarifies that mere theoretical knowledge of Brahman‘s nature is insufficient for attaining moksha.[66] According to Rāmānuja, bhakti yoga, the discipline of devotion or worship, is the effective means for liberation.[71] In his interpretation, moksha is not a negative separation from transmigration, or a series of rebirths, but rather the joy of the contemplating the divine perfection. This joy is attained by a life of exclusive devotion (bhakti) to Brahman, singing his praise, performing adulatory acts in temple and private worship, and constantly dwelling on his perfections. In return, Brahman will offer his grace, which will assist the devotee in gaining release.[72][73][69]

Criticism of Sankara[edit]

Ramanuja argued that Shankara's interpretation of the Upanishads had serious errors.[74] He had four major objections:

  1. Brahman was differentiated consciousness and not undifferentiated consciousness.
  2. Shankara's concept of Nirguna Brahman was wrong and untenable.
  3. Beginningless karma, and not superimposition, was the cause of avidya.
  4. Sankara's doctrine of Avidya (Ignorance) and Maya (Illusion) has seven major flaws and inconsistencies.[75]

Hermeneutic Criticism[edit]

Vedas as Doctrinally Unified Corpus[edit]

Ramanuja accepted that the Vedas are a reliable source of knowledge, then critiqued other schools of Hindu philosophy, including Advaita Vedānta, as having failed in interpreting all of the Vedic texts.[76] He asserted, in his Sri Bhāshya, that purvapaksin (previous schools) selectively interpret those Upanishadic passages that support their monistic interpretation, and ignore those passages that support the pluralism interpretation.[76] There is no reason, stated Ramanuja, to prefer one part of a scripture and not other, the whole of the scripture must be considered on par.[76][77] One cannot, according to Ramanuja, attempt to give interpretations of isolated portions of any scripture. Rather, the scripture must be considered one integrated corpus, expressing a consistent doctrine.[76] The Vedic literature, asserted Ramanuja, mention both plurality and oneness, therefore the truth must incorporate pluralism and monism, or qualified monism.[76]

This method of scripture interpretation distinguishes Ramanuja from Ādi Shankara.[77] Shankara's exegetical approach Samanvayat Tatparya Linga with Anvaya-Vyatireka,[78] states that for proper understanding all texts must be examined in their entirety and then their intent established by six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s studying what is stated by the author to be his goal, what he repeats in his explanation, then what he states as his conclusion and whether it can be epistemically verified.[79][80] Not everything in any text, states Shankara, has equal weight and some ideas are the essence of any expert's textual testimony.[77] This philosophical difference in scriptural studies helped Shankara conclude that the Principal Upanishads primarily teach monism with teachings such as Tat tvam asi, while helping Ramanuja conclude that qualified monism is at the foundation of Hindu spirituality.[76][81][82]

Comparison with other Vedānta schools[edit]

Ramanuja depicted with Vaishnava Tilaka and adorning Cheluva Narayana (Vishnu) statue.

Ramanuja's Vishishtadvaita shares the theistic devotionalism ideas with Madhvāchārya's Dvaita.[83] Both schools assert that Jīva (human souls) and Brahman (as Vishnu) are different, a difference that is never transcended.[67][84] God Vishnu alone is independent, all other gods and beings are dependent on Him, according to both Madhvāchārya and Ramanuja.[85] However, in contrast to Madhvāchārya's views, Ramanuja asserts "qualified non-dualism",[86] that souls share the same essential nature of Brahman,[86] and that there is a universal sameness in the quality and degree of bliss possible for human souls, and every soul can reach the bliss state of God Himself.[67][87] While the 13th- to 14th-century Madhavāchārya assert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luralism of souls", Ramanuja asserted "qualitative monism and quantitative pluralism of souls", states Sharma.[88]

Ramanuja's Vishishtadvaita school and Shankara's Advaita school are both nondualistic Vedānta schools,[24][89] both are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all souls can hope for and achieve the state of blissful liberation; in contrast, Madhvāchārya believed that some souls are eternally doomed and damned.[90][91] Shankara's theory posits that only Brahman and causes are metaphysical unchanging reality, while the empirical world (Maya) and observed effects are changing, illusive and of relative existence.[29][60] Spiritual liberation to Shankara is the full comprehension and realization of oneness of one's unchanging Ātman (soul) as the same as Ātman in everyone else as well as being identical to the nirguna Brahman.[17][89][92] In contrast, Ramanuja's theory posits both Brahman and the world of matter are two different absolutes, both metaphysically real, neither should be called false or illusive, and saguna Brahman with attributes is also real.[60] God, like man, states Ramanuja, has both soul and body, and all of the world of matter is the glory of God's body.[24] The path to Brahman (Vishnu), asserted Ramanuja, is devotion to godliness and constant remembrance of the beauty and love of personal god (saguna Brahman, Vishnu).[24][29][60]

Influence[edit]

Statue of Equality, Hyderabad

Harold Coward describes Ramanuja as "the founding interpreter of Sri Vaisnavite scripture."[93] Wendy Doniger calls him "probably the single most influential thinker of devotional Hinduism".[10] J. A. B. van Buitenen states that Ramanuja was highly influential, by giving "bhakti an intellectual basis", and his efforts made bhakti the major force within different traditions of Hinduism.[24]

Major Vaishnava temples are associated with the Ramanuja's tradition, such as the above Srirangam Ranganatha temple in Tamil Nadu.[94]

Modern scholars have compared the importance of Ramanuja in Hinduism to that of scholar Thomas Aquinas (1225–1274) in Western Christianity.[95][96][97]

Sri Ramanuja Shrine at The Ranganathasamy Temple in Srirangam

Ramanuja reformed the Srirangam Ranganathaswamy temple complex, undertook India-wide tours and expanded the reach of his organization.[30] The temple organization became the stronghold of his ideas and his disciples.[98] It is here that he wrote his influential Vishishtadvaita philosophy text, Sri Bhashyam.[99]

Ramanuja not only developed theories and published philosophical works, he organized a network of temples for Vishnu-Lakshmi worship.[10] Ramanuja set up centers of studies for his philosophy during the 11th and 12th centuries, by traveling through India in that era, and these influenced generations of poet saints devoted to the Bhakti movement.[10] Regional traditions assert that his visits, debates and discourses triggered conversion of Jains and Buddhists to Vaishnavism in Mysore and Deccan region.[10][60]

The birthplace of Ramanuja near Chennai hosts a temple and is an active Vishishtadvaita school. His doctrines inspire a lively intellectual tradition, and his religious practices continue in major Vaishnava centres like the Ranganātha temple in Srirangam and the Venkateswara Temple in Tirupati.[24]

The Statue of Equality in Hyderabad, planned by Chinna Jeeyar, is dedicated to Ramanuja.[100] It was inaugurated by Indian Prime Minister Narendra Modi on 5 February 2022.[101]

Names[edit]

Ramanuja is also known as Śrī Rāmānujāchārya, Udaiyavar, Ethirājar (Yatirāja, king of monks), Bhashyakara (Bhashyakarulu in Telugu),[102] Godāgrajar, Thiruppavai Jeeyar, Emberumānār and Lakshmana Muni[1]

  • 'Ilayazhwar' by Periya Thirumalai Nambi
  • 'Boodha Puriser' by Sriperumbudur Adikesava Perumal
  • 'Am Mudalvan Evan' by Yamunāchārya
  • 'Ethirajar' and 'Ramanuja Muni' by Kanchi Perarulala Perumal
  • 'Udayavar' by Srirangam Periya Perumal
  • 'Emperumanar' by Tirukozhtiyur Nambi
  • 'Tiruppavai Jeeyar' by Periya Nambi
  • 'Lakshmana Muni' by Tiruvaranga Perumal Arayar
  • 'Sadagopan Ponnadi' by Tirumalaiyandan
  • 'Sri Bashyakarar' by Kalaimagal
  • 'Desi Kendiran' by Tirupathi Thiruvenkatamudayan
  • 'Koil Annan' by Srivilliputhur Kothai Nachiyar

See also[edit]

Notes[edit]

  1. ^ The Tradition dates him to 1017. But it has been questioned by some modern scholarship, based on temple records and regional literature of 11th- and 12th-century outside the Sri Vaishnava tradition, and modern era scholars suggest that Ramanuja may have lived between 1077–1157 CE.[4][5][6]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Sri Ramanuja's gift to the Lord"The Hindu. India. 24 December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pril 2017. Retrieved 8 February 2017.
  2. ^ N. Jagadeesan (1989). Collected Papers on Tamil Vaishnavism. Ennes Publications. p. 82. his name 'Ramanuja' (the name of Lakshmana in the Ramayana) was done into Tamil as 'Ilaiyalvar.'
  3. ^ Gerhard Oberhammer; Marion Rastelli (2007). Studies in Hinduism: On the mutual influences and relationship of Viśiṣṭādvaita Vedānta and Pāñcarātra. IV.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p. 269. ISBN 978-3700136804Hence, says the AK, "On the twelfth day, during the naming ceremony which was preceded by giving him the divine signs, they gave him the name Ilaiyalvar
  4. ^ Sydnor, Jon Paul (2012). Ramanuja and Schleiermacher: Toward a Constructive Comparative Theology. p. 20. ISBN 9780227900352.
  5. Jump up to:a b c Jones & Ryan 2006, p. 352.
  6. Jump up to:a b Carman 1974, pp. 27–28, 45.
  7. Jump up to:a b Raman 2020, pp. 195, 198–205.
  8. Jump up to:a b c C. J. Bartley 2013, pp. 1–4, 52–53, 79.
  9. Jump up to:a b c d e Jon Paul Sydnor (2012). Rāmānuja and Schleiermacher: Toward a Constructive Comparative Theology. Casemate. pp. 20–22 with footnote 32. ISBN 978-0227680247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24. Retrieved 5 October 2016.
  10. Jump up to:a b c d e f Doniger, Wendy (1999).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Merriam-Webster. p. 904. ISBN 978-0-87779-044-0.
  11. ^ Hermann Kulke; Dietmar Rothermund (2004). A History of India. Routledge. p. 149. ISBN 978-0-415-32920-0.
  12. Jump up to:a b c d Patrick Olivelle (1992). The Samnyasa Upanisads : Hindu Scriptures on Asceticism and Renunciation: Hindu Scriptures on Asceticism and Renunci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pp. 10–11, 17–18. ISBN 978-0-19-536137-7.
  13. ^ Nicholson 2010, p. 34.
  14. ^ C. J. Bartley 2013, pp. 1–2.
  15. ^ Carman 1974, p. 24.
  16. ^ Carman 1994, pp. 82-87 with footnotes.
  17. Jump up to:a b William M. Indich (1995). Consciousness in Advaita Vedanta. Motilal Banarsidass. pp. 1–2, 97–102. ISBN 978-81-208-1251-2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24. Retrieved 5 October 2016.
  18. Jump up to:a b c d Bruce M. Sullivan (2001). The A to Z of Hinduism. Rowman & Littlefield. p. 239. ISBN 978-0-8108-4070-6.
  19. ^ C. J. Bartley 2013, pp. 1–2, 9–10, 76–79, 87–98.
  20. ^ Sean Doyle (2006). Synthesizing the Vedanta: The Theology of Pierre Johanns, S.J. Peter Lang. pp. 59–62. ISBN 978-3-03910-708-7.
  21. Jump up to:a b c Mishra, Patit Paban (2012). "Ramanuja (ca. 1077–ca. 1157)". Rāmānuja (ca. 1077–ca. 1157) in Encyclopedia of Global Religion (Editors: Mark Juergensmeyer & Wade Clark Roof)doi:10.4135/9781412997898.n598ISBN 9780761927297.
  22. ^ Narasimhacharya 2004, p. 17.
  23. ^ Carman 1994, pp. 45, 80.
  24. Jump up to:a b c d e f g h i "Ramanuja | Hindu theologian and philosopher"Encyclopædia Britannica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22. Retrieved 5 April 2019.
  25. ^ "Ramanuja's explanation"The Hindu. 13 January 2014. ISSN 0971-751X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December 2019. Retrieved 5 April 2019.
  26. Jump up to:a b Sakkottai Krishnaswami Aiyangar. Ancient India: Collected Essays on the Literary and Political History of Southern India.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04. p. 195.
  27. ^ Alkandavilli Govindāchārya (1906). The Life of Râmânujâchârya: The Exponent of the Viśistâdvaita Philosophy. S. Murthy. pp. 62–70.
  28. Jump up to:a b c Katherine Young (1996). Steven Rosen (ed.). Vaiṣṇavī. Motilal Banarsidass. pp. 286–288. ISBN 978-81-208-1437-0.
  29. Jump up to:a b c Jon Paul Sydnor (2012). Rāmānuja and Schleiermacher: Toward a Constructive Comparative Theology. Casemate. pp. 84–87. ISBN 978-0227680247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24. Retrieved 5 October 2016.
  30. Jump up to:a b Carman 1994, p. 82 with footnotes.
  31. ^ Keith E. Yandell 2001, pp. 149–150.
  32. Jump up to:a b Carman 1994, p. 80.
  33. ^ Jon Paul Sydnor (2012). Rāmānuja and Schleiermacher: Toward a Constructive Comparative Theology. Casemate. pp. 10–11. ISBN 978-0227680247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24. Retrieved 5 October 2016.
  34. Jump up to:a b Smt. Latha Balasubramanian. Sri Ramanuja Pictorial. Sri Ramakrishna Math.
  35. Jump up to:a b c d Compilation. The Complete Works of Swami Ramakrishnananda, Volume 2. Lulu Press, Inc, 2014.
  36. Jump up to:a b Narasimhacharya 2004, p. 21.
  37. Jump up to:a b K.V. Raman (2003). Sri Varadarajaswami Temple, Kanchi: A Study of Its History, Art and Architecture. Abhinav Publications. p. 15. ISBN 978-81-7017-026-6.
  38. ^ Sarojini Jagannathan. Impact of Śrī Rāmānujāçārya on Temple Worship. Nag Publishers, 1994. p. 114.
  39. ^ B. S. Chandrababu, S. Ganeshram, C. Bhavani. History of People and Their Environs: Essays in Honour of Prof. B.S. Chandrababu. Bharathi Puthakalayam, 2011. p. 278.
  40. ^ Sarojini Jagannathan. Impact of Śrī Rāmānujāçārya on Temple Worship. Nag Publishers, 1994. p. 148.
  41. Jump up to:a b Raju Kalidos. History and Culture of the Tamils: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ident's Rule. Vijay Publications, 1976. p. 139.
  42. ^ N. Subrahmanian.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Tamilnad, Volume 1. Ennes, 1993. p. 158.
  43. ^ Maṇḍikalrāma Śāstrī, Es. Ār Līlā, Bi. Es Rāmakr̥ṣṇarāv. Meghapratisandesha: With English Translation. Mandikal Ramashastry Pratishthana, 2000. p. 142.
  44. ^ V. N. Hari Rao. Kōil Ol̤ugu: The Chronicle of the Srirangam Temple with Historical Notes. Rochouse, 1961. p. 87.
  45. ^ Mu Kōvintacāmi. A Survey of the Sources for the History of Tamil Literature. Annamalai University, 1977. p. 161.
  46. ^ C. R. Sreenivasa Ayyangar. The Life and Teachings of Sri Ramanujacharya. R. Venkateshwar, 1908. p. 239.
  47. ^ Colin Mackenzie. T. V. Mahalingam (ed.). Mackenzie manuscripts; summaries of the historical manuscripts in the Mackenzie collection, Volume 1. University of Madras, 1972. p. 14.
  48. ^ B. S. Chandrababu, S. Ganeshram, C. Bhavani. History of People and Their Environs: Essays in Honour of Prof. B.S. Chandrababu. Bharathi Puthakalayam, 2011. p. 163.
  49. ^ Narasimhacharya 2004, p. 11.
  50. ^ Arvind Sharma. Reservation and Affirmative Action: Models of Social Integration in India and the United States. SAGE, 2005. p. 139.
  51. ^ Radha Champakalakshmi. Trade, ideology, and urbanization: South India 300 BC to AD 1300.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p. 397.
  52. ^ Roshen Dalal.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Penguin Books India, 2010. p. 385.
  53. ^ Jörg Gengnagel, Ute Hüsken, Srilata Raman (2005). Words and Deeds: Hindu and Buddhist Rituals in South Asia. Otto Harrassowitz Verlag, 2005. p. 91. ISBN 9783447051521.
  54. ^ Sri Ramakrishna Math, Madras. The Vedanta Kesari, Volume 76. Sri Ramakrishna Math., 1989. p. 90.
  55. ^ Swami Tapasyananda (19 December 2013). Sri Ramanuja: His Life Religion and Philosophy. Lulu Press, Inc, 2013. ISBN 9781304729071.
  56. ^ Shiri Ram Bakshi, Sangh Mittra. Saints of India: Sri Ramanuja. Criterion, 2002. pp. 201–202.
  57. ^ Lipner, Julius J. (30 March 1986). The Face of Truth: A Study of Meaning and Metaphysics in the Vedantic Theology of Ramanuja. Albany, N. 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2. ISBN 978-0-88706-039-7.
  58. ^ Robert Lester (1966), Rāmānujā and Shri Vaishnavism: the Concept of Prapatti or Sharanagati, History of Religion, Volume 5, Issue 2, pages 266-282
  59. ^ Jon Paul Sydnor (2012). Rāmānuja and Schleiermacher: Toward a Constructive Comparative Theology. Casemate. pp. 3–4. ISBN 978-0227680247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24. Retrieved 5 October 2016.
  60. Jump up to:a b c d e Joseph P. Schultz (1981). Judaism and the Gentile Faiths: Comparative Studies in Religion.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pp. 81–84. ISBN 978-0-8386-1707-6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anuary 2024. Retrieved 5 October 2016.
  61. ^ "Ramanuja | Encyclopedia.com"www.encyclopedia.com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21. Retrieved 15 November 2021.
  62. ^ T.c.a.ramanujam (24 November 2016). "His philosophy was based on Vedic texts"The HinduISSN 0971-751X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21. Retrieved 15 November 2021.
  63. ^ "Ramanuja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14. Retrieved 15 November 2021.
  64. ^ "Ramanuja | Hindu theologian and philosopher | Britannica"www.britannica.com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22. Retrieved 15 November 2021.
  65. ^ "Ramanuja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14. Retrieved 21 November 2021.
  66. Jump up to:a b Sri Ramanuja. Sri Bhashya Of Ramanuja Melkote Edition.
  67. Jump up to:a b c Stafford Betty (2010), Dvaita, Advaita, and Viśiṣṭādvaita: Contrasting Views of Mokṣa, Asian Philosoph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Philosophical Traditions of the East, Volume 20, Issue 2, pages 215-224
  68. ^ Bartley, C. J. (2011). An introduction to Indian philosophy. London: Continuum. p. 178. ISBN 978-1-84706-448-6.
  69. Jump up to:a b "Ramanuja | Hindu theologian and philosopher | Britannica"www.britannica.com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22. Retrieved 20 November 2021.
  70. ^ "What is Vishishtadvaita? - Definition from Yogapedia"Yogapedia.com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21. Retrieved 20 November 2021.
  71. Jump up to:a b "Ramanuja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14. Retrieved 20 November 2021.
  72. ^ "Vishishtadvaita | Hindu philosophy | Britannica"www.britannica.com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21. Retrieved 20 November 2021.
  73. ^ Sukthankar, Vasudev Anant. The Teachings of Vedanta according to Ramanuja (PDF). pp. 20–25.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 November 2021. Retrieved 20 November 2021.
  74. ^ "Ramanuja | Encyclopedia.com"www.encyclopedia.com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21. Retrieved 21 November 2021.
  75. ^ Grimes 1990.
  76. Jump up to:a b c d e f Shyam Ranganathan (2011), Ramanuja (c. 1017 - c. 1137)[permanent dead link], IEP, York University
  77. Jump up to:a b c Carman 1994, p. 86.
  78. ^ Mayeda 2006, pp. 46–53.
  79. ^ Mayeda & Tanizawa (1991), Studies on Indian Philosophy in Japan, 1963–1987, Philosophy East and West, Vol. 41, No. 4, pages 529–535
  80. ^ Michael Comans (1996), Śankara and the Prasankhyanavada,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Vol. 24, No. 1, pages 49–71
  81. ^ Carman 1994, pp. 86–88.
  82. ^ Julius Lipner (1986), The Face of Truth: A Study of Meaning and Metaphysics in the Vedantic Theology of Rāmānujā,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887060397, pages 120-123
  83. ^ Sharma 1994, p. 11-17, 372.
  84. ^ Edward Craig (2000), Concise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ISBN 978-0415223645, pages 517-518
  85. ^ Sharma 1994, p. 373.
  86. Jump up to:a b Stoker 2011.
  87. ^ Sharma 1994, pp. 373–374.
  88. ^ Sharma 1994, p. 374.
  89. Jump up to:a b Christopher Etter (2006). A Study of Qualitative Non-Pluralism. iUniverse. pp. 57–60, 63–65. ISBN 978-0-595-39312-1.
  90. ^ Sharma 1994, pp. 374–375.
  91. ^ Bryant 2007, pp. 361–362.
  92. ^ Roy W. Perrett (2013). Philosophy of Religion: Indian Philosophy. Routledge. pp. 247–248. ISBN 978-1-135-70322-6.
  93. ^ Coward, Harold G. (2008).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in Eastern and Western Thought.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39–141. ISBN 9780791473351.
  94. ^ J.A.B. van Buitenen (2008), Rāmānuja - Hindu theologian and Philosopher[permanent dead link], Encyclopædia Britannica
  95. ^ Ganeri, Martin (2007). "Knowledge and Love of God in Ramanuja and Aquinas"Journal of Hindu-Christian Studies20 (1). doi:10.7825/2164-6279.1381.
  96. ^ Carman, John B. (2007). "Loving God as a Devoted Servant"Journal of Hindu-Christian Studies20 (1). doi:10.7825/2164-6279.1384.
  97. ^ Sean Doyle (2006). Synthesizing the Vedanta: The Theology of Pierre Johanns, S.J. Peter Lang. pp. 235–239. ISBN 978-3-03910-708-7.
  98. ^ Narasimhacharya 2004, p. 23.
  99. ^ Dasgupta 1991, p. 114.
  100. ^ Apparasu, Rao (19 November 2017). "Telangana's 216-feet statue of Sri Ramanujacharya to be completed by March"Hindustan Times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October 2018. Retrieved 15 October 2018.
  101. ^ "PM Unveils 'Statue of Equality' in Hyderabad, Says 'Ramanujacharya's Values Will Strengthen India'". News18.com. 5 February 20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22. Retrieved 9 February 2022.
  102. ^ Haas, Ernst (1876). Catalogue of Sanskrit and Pali Books in the British Museum by Ernst Haas. Trübner. p. 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23. Retrieved 19 March 2023.

Sources[edit]

  • Ayyangar, S. Krishnaswami; Chariar, Rajagopala; Rangacharya, M (1911). Sri Ramanujacharya: a Sketch of his Life and Times and his Philosophical System. G. A. Natesan & Co.
  • C. J. Bartley (2013). The Theology of Rāmānuja: Realism and Religion. Routledge. pp. 1–4, 52–53, 79. ISBN 978-1-136-85306-7.
  • Bryant, Edwin (2007). Krishna : A Sourcebook (Chapter 15 by Deepak Sarm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48923.
  • Carman, John (1974). The Theology of Rāmānuja: An essay in interreligious understanding.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015218.
  • Carman, John B. (1994). Majesty and Meekness: A Comparative Study of Contrast and Harmony in the Concept of God. Wm. B. Eerdmans Publishing. ISBN 978-0802806932.
  • Dasgupta, Surendranath (1991).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ISBN 9788120804081.
  • Dalal, Roshen (2011).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Penguin Books India. p. 339. ISBN 978-0-14-341421-6.
  • Devamani, B. S. (1990). The Religion of Rāmānuja: A Christian Appraisal.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 Duraisingh, Christopher (1979). Toward an Indian-Christian Theology, Rāmānuja's Significance a Study of the Significance of Rāmānuja's Theological Hermeneutics for an Indian-Christi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God and All-else. Harvard University Press.
  • Jones, Constance; Ryan, James D. (2006), Encyclopedia of Hinduism, Infobase Publishing
  • Lott, Eric J. (1976). God and the universe in the Vedāntic theology of Rāmānuja: a study in his use of the self-body analogy. Rāmānuja Research Society.
  • Govindacharya, A. (1960). The Life of Rāmānuja. S. Murthy.
  • Grimes, John A. (1990), The Seven Great Untenables: Sapta-vidhā Anupapatti, Motilall Banarsidass
  • Mayeda, Sengaku (2006). A thousand teachings : the Upadeśasāhasrī of Śaṅkara.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2771-4.
  • Narasimhacharya, Madabhushini (2004). Sri Ramanuja. New Delhi: Sahitya Akademi. ISBN 81-260-1833-XOCLC 56904209.
  • Nicholson, Andrew J. (2010), Unifying Hinduism: Philosophy and Identity in Indian Intellectual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 Raghavachar, S. S. (2010). Vedartha Sangraha. Advaita Ashrama. ISBN 978-81-7505-118-8.
  • Raman, Srilata (2020). "Reflections on the King of Ascetics (Yatirāja): Rāmānuja in the Devotional Poetry of Vedānta Deśika". In Goodall, Dominic; Hatley, Shaman; Isaacson, Harunaga; Raman, Srilata (eds.). Śaivism and the Tantric Traditions: Essays in Honour of Alexis G.J.S. Sanderson. Gonda Indological Studies. Vol. 22. LeidenBrill Publishers. pp. 194–213. doi:10.1163/9789004432802_010ISBN 978-90-04-43266-6S2CID 225367594.
  • Rao, T. A. Gopinatha (1923). Sir Subrahmanya Ayyar Lectures on the History of Śrī Vaiṣṇavas. University of Madras, Government Press.
  • Sampatkumaran, M. R. (1985). The Gītābhāṣya of Rāmānuja. Bombay: Ananthacharya Indological Research Institute.
  • Sastri, K. A. Nilakanta (1955). A History of South India: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Fall of VijayanagarOxford University Press.
  • Sharma, Arvind (1978). Viśiṣṭādvaita Vedānta: A study. Heritage Publishers.
  • Sharma, Chandradhar (1994). A Critical Survey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365-7.
  • Aiyengar, C. R. Srinivasa (n.d.). The life and teachings of Sri Ramanujacharya. R. Venkateshwar.
  • Stoker, Valerie (2011). "Madhva (1238-1317)".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16. Retrieved 2 February 2016.
  • Subramanian, T. N. (1957). "South Indian Temple Inscriptions". Madras Government Oriental Series, No. 1573 (2): 145–60.
  • Barua, Ankur (2010). "God's Body at Work: Rāmānuja and Panentheism". International Journal of Hindu Studies14 (1): 1–30. doi:10.1007/s11407-010-9086-zS2CID 143607441.
  • Keith E. Yandell (2001). Faith and Narrativ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5128-6.

External links[edit]

Biographies

Works

Others


===

불일불이 뜻 - Google 검색

불일불이 뜻 - Google 검색

'不異(불이)'라고 할 때는 '二(두 이)'자를 쓰는 게 아니고, '異(다를 이)'자를 씁니다. 
그래서 불일불이(不一不異)란 '하나도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니다' 이런 뜻이 아니고, 
'같은 것도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니다' 이런 뜻입니다.2021. 10. 10.

“일상 속에서 중도(中道)를 실천하는 방법” - 스님의하루 - 정토회
===
不二…둘 아니다’ 하면 틀린 것
 조현성 기자 승인 2012.10.04 

월간 ‘불교문화’ 10월호 ‘불교용어 바로 알기’서 지적
불일(不一)과 불이(不二)는 간단한 한자어이지만 잘못 알고 있기 쉬운 불교용어이다.

현각 스님(동국대 명예교수)는 월간 <불교문화> 10월호(통권 제146호)에서 연재 중인 ‘불교용어 바로 알기’ 코너를 통해 “불이는 ‘둘 아니다’가 아닌 ‘가짜가 아닌’의 의미”라고 밝혔다.

스님은 “불일은 ekatva라고 한다. oneness로서 ‘진리’라는 말이다. 이(二)는 dvaya라고 하여 twofold nature, falsehood로서 ‘가짜’ ‘거짓’이란 뜻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유마 거사의 불이법문(不二法門)도 ‘가짜가 아닌 법문’ 혹은 ‘진리의 노선을 따라가는 법문’이라는 뜻이다. ‘둘이 아닌 법문’이라고 하면 무의미한 말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불교문화> 10월호에는 함영의 ‘세계의 수행자와 밥’-다람살라의 수행자 편(2), 고운기의 ‘내 기억 속의 절밥’-달밤, 새벽예불 그리고 아침 공양, 한길산의 ‘불교 지성에게 듣는 궁금한 불교’ 등에 실려 있다. (02)719-2606
 
조현성 기자
---

댓글 3
댓글입력
 최신순추천순
---
김똘똘 2012-10-09 00:05:23더보기
불이 ; advaita

개소리 칠 시간에 공부나 해라.
답글쓰기4 0
---
원불사 단현 2012-10-06 02:02:33더보기
용수가 공을 같지도 다르지도 않다는 의미에서 사용한 말을 갑자기 유마경을 빗대서 엉뚱한 소릴 한다.
뻔한 얘기를...
답글쓰기7 0
---
미친다 2012-10-04 17:17:19더보기
불이(不二)= 불일(不一)불이(不異)

현상계에 존재하는 것들은 각기 모양과 특성이 모두 달라 보여서, 불일(不一)이다.
그렇지만 진리의 눈으로 보면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원리적으로 동일한 존재들,불이(不異)이다.
이 양극단을 모두 이해하는 것이 불이(不二)이라는 중도이고 연기다.

불일不一에 대비되는 의미의 불이不二가 아니니 오해하지 말라.
답글쓰기2 6
----

샹카라 불이일원론적 베단타/ 오강남

 ===

불이일원론적 베단타 철학파-상카라 (인도 철학자) 그는 누구인가
[인류의 스승] 16. 샹카라/ 오강남 /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
작성자일 행|작성시간09.09.25|조회수733

범아일여〈梵俄一如〉 추구한 베단타 사상의 실질적 창시자
 
 
  • 힌두교를 기복에서 깨달음의 종교로 전환
  • 불교 위시한 다른 사상가들과 치열한 논쟁
  • 힌두이즘으로 ‘공’ 가르친 불교인 비판도

  
샹카라는 인도전역을 종횡으로 누비며 베단타 사상을 전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그는 용수의 영향을 받아 힌두교의 이름으로 불교의 공사상을 가르친 불교인으로 오해를 받기도 했다.
샹카라(Śankara, 기원후 788~820년경)가 인도 철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사상가라고 하는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거의 없다. 그는 위대하고 심오한 사상가일 뿐 아니라, 자기의 사상을 전파하기 위해 널리 주유천하하기도 하고, 불교를 논박하는데 앞장서기도 하고, 승단을 창설하거나 승원을 건설하기도 했다.

 

말하자면 그는 실천적 신비주의자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가 이룩한 최대의 공헌은 이른바 “아드바이타 베단타(Advaita Vedanta)”라는 학파를 공고한 터전 위에 세운 것이라 할 수 있다. ‘아드바이타’란 ‘불이(不二)’라는 뜻으로 영어로 ‘non-dual’이라 번역한다.

 

그는 인도 남쪽 케랄라(Kerala)의 칼라디(Kalady)에서 태어났다. 출생 및 사망 연대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8세기에서 9세기에 살았던 사람으로 보고 있다. 부모가 아이가 없어 애를 태우다가 오랜 기도 끝에 아기를 낳았다고 한다. 샹카라는 5세에 ‘학생의 삶’을 시작, 8세에 베다경에 통달했다고 한다.

 

인도 남쪽 케랄라 갈라디 출생

어릴 때부터 출가 수행자가 되려는 성향을 보였지만 어머니의 허락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다가 허가를 받자 구루를 찾으려 북쪽으로 떠났다. 나르마다 강기슭에서 가우다파다(Gaudapada)의 제자 고빈다 바가밧파다를 만났다. 그가 샹카라에게 어디에서 온 누구냐고 묻자 즉석에서 아드바이타 베단타 철학에 기초한 대답을 거침없이 할 수 있었다. 이에 깊이 감명 받은 고빈다 바가밧파다는 그를 제자로 삼았다. 그의 학문적 깊이는 날로 더해 갔다.

 

바가밧파다는 샹카라에게 브라흐마 수트라에 대한 주석서를 써서 아드바이타 베단타를 널리 전하라고 지시했다. 샹카라는 『브라흐마 수트라 Brahma Sutras』 뿐 아니라 열편의 『우파니샤드 Upanishads』 및 『바가바드 기타 Bhagavad Gita』에 대한 주석서도 썼는데, 이것이 아드바이타 베단타 학파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삼론(三論)’이 되었다.

 

샹카라는 또 아드바이타 베단타 사상을 전파하기 위해 인도 전역을 종횡으로 누비면서, 불교를 위시하여 자기 생각에 이설이라고 여겨지는 모든 사상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 논박하였다. 아드바이타 베단타 사상의 뼈대는 샹카라 이전 가우다파다에 의해 제시된 것이지만, 이처럼 샹카라가 이를 체계화하고 널리 전파하였기에 그를 실제적인 창시자라 여긴다.

 

아드바이타 베단타는 기원전 9~7세기에 나타난 『우파니샤드』라는 문헌에 기초하고 있다. 기원전 15세기 경 지금의 이란에서 인도로 들어온 아리아 족에서 유래된 인도 최초의 경전인 『베다경』이 인드라 신을 비롯하여 여러 신들을 섬기며 그들에게 복을 비는 ‘기도’를 중요시하고, 기원전 10세기경에 나타난 『브라마나스』라는 문헌이 신들에게 드리는 ‘제사’를 강조한 데 반하여 『우파니샤드』는 ‘깨달음’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무엇을 깨달으라는 것인가? 『우파니샤드』에서는 우주의 궁극 실재인 ‘브라흐만’을 깨달으라고 한다. 브라흐만은 ‘네티 네티’라고 한다. ‘이것이라 할 수도 없고 저것이라 할 수도 없다.’는 뜻이다. 절대적인 실재이므로 ‘이것’이나 ‘저것’으로 한정지을 수 없고, 우리의 제약된 생각으로는 도저히 생각할 수도 표현할 수도 없다는 이야기이다. 세계 종교들의 심층차원에서 일반적으로 주장하는 이론이다.

 

한편, 이 절대적인 실재로서의 브라흐만은 단순히 추상적인 원리만이 아니라 각 사람 속에 내재하고 있는 본질적이며 참된 ‘자아(아트만)’이기도 하다. ‘참나’는 브라흐만의 구체화된 상태로서, 이런 의미에서 “나는 곧 브라흐만이다”라는 진리가 성립된다고 한다. 이를 산스크리트어로 ‘tat tvam asi(That art thou)’라고 하는데, “그대는 바로 그것(브라흐만)”이라는 뜻이다. 한문으로 ‘범아일여(梵我一如)’라고 한다. 이렇게 내가 바로 브라흐만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것이 곧 무명(無明)이요, 이를 몸소 체득하여 깨닫는 것이 바로 해탈(解脫)이라고 하였다.

 

샹카라의 ‘아드바이타 베단타’ 사상은 이와 같은 『우파니샤드』의 기본 가르침에 따라 성립된 것이다. ‘베단타’라는 말 자체가 ‘베다의 끝’이라는 뜻으로 그 기본 사상이 베다의 끝인 『우파니샤드』에게서 나왔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물론 ‘아드바이타’라는 말도 『우파니샤드』의 범아일여 사상에 따른 것이다.

 

힌두교 중흥에 절대적 공헌

샹카라에 따르면 “브라흐만 만이 참 실재요, 시공의 세계는 허상에 불과하다. 궁극적으로 브라흐만과 개인적 자아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궁극 실재로서의 브라흐만은 결국 아무런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브라흐만을 ‘니르구나 브라흐만(nirguna Brahman)’이라 한다. 너무나 절대적이기 때문에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어떤 특성도 브라흐만에는 해당될 수가 없다는 뜻이다.

 

굳이 뭐라고라도 표현해야 한다면 그것은 ‘삿 칫 아난다’ 곧 ‘순수 존재, 순수 의식, 순수 기쁨’이라고나 할 수 있다. 마치 불교에서 궁극 실재는 언설을 이(離)한다는 뜻에서 공(空)이라 하지만 그 공마저도 공하다는 생각과 비슷하다.

그러나 브라흐만을 이렇게만 생각한다면 그것은 너무나 추상적이라 한정된 인간의 머리로는 도저히 상상할 수도, 어떤 관계를 맺을 수도 없다. 그러므로 일종의 차선책이라 할까, 양보라고 할까, 브라흐만에 모든 아름다운 특성을 다 붙여서 생각해도 좋다고 한다. 이런 면의 브라흐만을 ‘싸구나 브라흐만(saguna Brahman)’이라 한다.

 

베단타 철학의 삼론 저술

그런데 아름다움, 위대함, 능력있음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도 있지만, 그 모든 특성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인격적 특성’이다. 따라서 아직도 이 허상의 세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사람들은 브라흐만을 ‘주님(이슈바라)’라고 부르고 인격신으로 경배해도 좋다고 한다. 샹카라 자신도 시바나 비슈누 신을 위한 찬송시를 지었다. 스스로도 시바 신을 경배하였다.

 

그러나 샹카라에 의하면 이렇게 인격신으로 섬긴다고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허상의 세계에서만 허용되는 일종의 방편에 불과한 것일 뿐, 우리가 취해야 할 궁극 목표는 아니라는 것이다. 궁극 목표는 물론 니르구나 브라흐만을 체득해서 그로 인해 해탈을 얻는 것이다.

브라흐만이 ‘유일무이’한 절대적 궁극 실재라고 하는 주장은 동시에 브라흐만만이 참 실재이고 다른 모든 것은 궁극적으로 ‘마야’(illusion)에 의해 나타난 허상일 뿐이라는 이야기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허상’이라고 해서 무조건 나쁜 것만 아니라는 사실이다.

허상도 브라흐만에서 나온 것이므로 브라흐만은 일종의 허상을 만들어내는 일종의 마술사라고도 할 수 있다. 더욱이 우리가 영적 눈을 뜰 수 있다면 마야의 허상을 통해 브라흐만을 볼 수도 있다.

 

“어두움이 태양의 광채 속에서 녹아 없어지듯 만물도 영원한 실재 속에서 녹아 없어진다.” 여기에서 샹카라의 생각이 ‘모든 것이 신’이라는 범신론(汎神論)과 반대된다는 사실이 확연히 드러난다. 샹카라에게 있어서 현상 세계는 브라흐만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샹카라에 의하면 우리가 그 영원한 실재와 하나가 되면 신기루 같은 이 현상 세계도 사라진다는 것이다. 그는 이런 사상을 확대해서 삶과 죽음과 다시 태어남, 몸부림과 고통, 선과 악, 속박과 해방 등도 결국은 허상이라고 했다.

 

“묶임도 그 묶임에서 벗어남도 모두 신기루 같은 것... 제한도 놓음도, 묶임도 성공도 없고, 자유를 찾는 이도, 자유스러운 이도 없으니, 이것이야 말로 궁극 진리다.”
이 세상의 모든 일은 모두 마야의 세계에 속한 허상일 뿐이라고 한다. 깨친 이들만이 자기의 참 자아를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고 즐기는’ 자기의 개인적 자아에서 자기의 참 자아를 찾아낼 수 있다고 한다. 『반야심경』을 연상하게 하는 대목이다.

 

샹카라에 의하면 절대적인 궁극 실재는 꿈이 없는 수면(dreamless sleep) 상태에서 체득될 수 있다고 한다. 꿈이 없는 수면 상태란 편안한 즐거움의 상태를 말하는데, 이런 상태에서 궁극 실재에 대한 계시가 올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샹카라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것은 ‘아누바바(anubhava)’, 곧 궁극 실재에 대한 직관이다. 이것이야 말로 ‘완전한 앎’ ‘완전한 깨달음’이라는 것이다. 이런 직관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우주적 정신과 하나라는 것을 터득하게 된다. 우리의 개별적 자아 인식은 사라지고 모든 것을 포괄하는 우주 의식을 경험하게 된다.

 

샹카라는 우리가 살아 있을 동안에도 해탈의 경험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살아서 정신적 해방을 경험하는 것을 ‘지반묵티(jivanmukti)’라고 하고, 이렇게 해방된 사람을 지반묵타(jivanmukta), 혹은 마하트마(mahatma)라 한다. 이런 사람들은 ‘이 세상에 살되 꿈에서 본 땅에 사는 것처럼’ 살고, ‘이 몸이 계속되는 동안 그것을 그림자처럼’ 여긴다. 이렇게 살다가 이 몸이 끝나는 날 개별적 존재로서의 제약에서 완전히 벗어나 영원의 찬연한 광채를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용수에 영향 …“모든 것은 공”

샹카라는 힌두교의 이름으로 불교의 공사상을 가르친 ‘숨은 불교인(crypto-Buddhist)’이 아니었는가 하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어느 면에서 일리 있는 관찰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를 따르는 이들의 말에 의하면 불교가 기본적으로 인간 경험에 대한 관찰에서 공사상을 전개해 나간 데 반하여 샹카라는 처음부터 유일무이한 브라흐만이라는 절대적 실재를 전재로 하고 모든 것이 허상이라는 그의 사상을 구성했다고 하는 점이 다르다고 한다.

 

그 출발점이 어떠하든, 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많은 면에서 중관론의 창시자 나가르주나의 영향이 컸던 것만큼은 확실한 사실이라 볼 수 있다.

샹카라는 힌두교를 중흥시키는데 절대적으로 공헌한 인물이다. 서양에서 힌두교나 인도 철학에 관심을 가지는 많은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 우파니샤드와 샹카라의 사상에 관심을 사람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에게서 세계 종교의 심층에 흐르는 기본적 가르침의 전형을 볼 수 있기 때문이라 생각해 본다.
 
오강남 /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


1010호 [2009년 08월 17일 14:27]
-------------------------------------------------------------------------------------------

 

불이일원론적 베단타 철학파-상카라 (인도 철학자) 그는 누구인가
 
Shaṅkara라고도 쓰며, Saṅkarācārya라고도 함.
700(?) 인도 칼라디(?)~750(?) 케다르나트.
 
인도의 철학자·신학자.
 
불이일원론적(不二一元論的) 베단타 철학파의 가장 유명한 대표자이다. 오늘날 인도 사상의 주요흐름은 그의 학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는 〈브라마 수트라 Brahma-sūtra〉와 주요 〈우파니샤드 Upaniṣads〉에 대한 주석서를 써서 유일하고 영원불변한 실재인 브라만에 대한 믿음을 확고히 하고 다양성과 차별성은 환상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힌두교).

 
상카라의 전기라고 알려진 저서는 적어도 11가지가 넘는다. 이 전기들은 모두 상카라가 죽은 뒤 수백 년이 지나 저술되었기 때문에 전설적인 이야기와 믿을 수 없는 일화로 가득 차 있으며, 일부는 서로 모순되기도 한다. 오늘날 상카라의 일생을 확실하게 재구성할 수 있는 자료는 전혀 없다. 당연히 그가 태어난 연대도 논쟁거리이다. 전에는 그가 788년에 태어나 820년에 죽었다는 주장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20세기 학자들이 연구한 결과 700년경에 태어나 750년경에 죽었을 가능성이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전승에 따르면, 상카라는 남인도 케랄라 주의 추르나 강(또는 푸르나 강이나 페리야르 강) 근처 칼라디라는 조용한 마을에서 브라만 계급으로 신앙심깊은 남부디리 가문에 태어났다. 어린시절에 아버지 시바구루를 잃은 그는 어머니의 반대를 무릅쓰고 속세를 떠나 산니아신('세속적 욕망을 포기한 자'라는 뜻)이 되었다. 그는 가우다파다의 제자인 고빈다 밑에서 공부했다. 고빈다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지만, 가우다파다는 베단타 철학의 중요한 저서인 〈망두키아 카리카 Māṇḍukya-kārikā〉를 저술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이 저서에는 모든 중생의 구원을 목표로 삼고 비이원론적이거나 일원론적인 사상을 추구하는 대승불교의 영향이 뚜렷하며, 특히 마지막 장에는 그 영향이 아주 극단적으로 드러나 있다.

 
전해오는 말에 따르면, 힌두교의 주요신인 시바 신이 상카라 가문의 수호신이었고, 상카라는 태어날 때부터 샤크타(시바 신의 아내이자 聖力의 여성적 화신인 샤크티의 숭배자)가 되어야 할 운명을 짊어졌었다. 나중에 그는 시바 신의 숭배자로 여겨지게 되었고 심지어는 시바 신의 화신으로 간주되기까지 했다. 그러나 그의 학설은 시바파나 샤크티파와는 거리가 멀다. 그의 저서를 보면, 그는 비슈누 신을 숭배하는 비슈누파에 속했거나 그 종파에 호감을 갖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그가 구원을 얻는 기술인 동시에 인도의 전통적 철학 체계의 하나인 요가를 잘 알고 있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어느 학자의 연구에 따르면, 그는 처음에 요가 신봉자였다가 나중에 불이일원론을 지지하게 되었다(→ 불이원론).

 
전기 작가들의 말에 따르면, 상카라는 처음에 학문과 정신적 기풍으로 유명한 카시(바라나시)로 갔다가 그뒤 인도 전역을 여행하면서 다양한 신조를 가진 철학자들과 토론했다. 그는 미망사(논구) 학파의 철학자인 망다나 미슈라와 뜨거운 논쟁을 벌였고 미슈라의 아내가 심판 역할을 맡았다고 하는데, 이것은 그의 전기에서 가장 흥미로운 일화이며 어쩌면 실제로 있었던 사건의 반영일지도 모른다. 즉, 상카라는 브라만을 인식하는 것이 궁극적인 해탈을 얻는 유일한 수단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규정된 의무의 수행과 베다 의식을 강조하는 미망사 학파의 추종자들과 날카롭게 대립하여 불꽃튀는 논쟁을 벌였을 것이다.

 
상카라가 활동한 시기는 정치적 혼란기였다. 그는 도시에 사는 사람들한테는 자기 학설을 가르치려고 하지 않았다. 불교 세력이 이미 쇠퇴하기 시작했다고는 하지만 도시에서는 여전히 그 세력이 강했고 상인과 제조업자들 사이에는 금욕적·무신론적인 자이나교가 널리 퍼져 있었다. 대중적인 힌두교는 서민들의 마음을 차지했고,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안락함과 쾌락을 추구하고 있었다. 도시에는 또한 향락주의자들도 있었다. 상카라가 이런 사람들에게 베단타 철학을 전파하기는 어려웠다. 결국 상카라는 주로 시골의 산니아신들과 지식인들에게 자신의 가르침을 폈으며, 차츰 브라만 계급과 봉건 영주들도 그를 존경하게 되었다. 그는 당시의 평범한 힌두교도들한테 깊은 인상을 준 박티(신에 대한 헌신) 운동에는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정통 바라문교의 전통을 회복하려고 열심히 노력했다.

 
상카라는 수많은 제자들을 거느렸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파드마파다·수레슈바라·토타카(트로타카)·하스타말라카 등 4명만이 그들이 쓴 저서를 통해 알려져 있다. 상카라는 슈링게리(남쪽)·푸리(동쪽)·드바라카(서쪽)·바다리나타(북쪽)에 각각 하나씩 4개의 수도원을 세웠다고 하는데, 이 수도원들은 아마 불교의 '비하라'(승방·절) 체제를 모방한 것 같다. 이 수도원들을 세운 것은 그의 가르침이 인도의 주도 철학으로 발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는 산스크리트로 주석·해설·시 등 300편이 넘는 저서를 썼다고 한다. 그러나 그 저서들은 대부분 그의 작품으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의 대표작은 베단타 학파의 기본경전인 〈브라마 수트라〉를 주석한 〈브라마 수트라 바시아 Brahma-sūtra-bhāṣya〉이다. 상카라가 썼다는 주요 〈우파니샤드〉에 대한 주석서들은 아마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 Śvetāśvatara Upaniṣad〉에 대한 주석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진짜인 것이 분명하다. 〈망두키아 카리카〉에 대한 주석서도 역시 상카라가 직접 쓴 것이다. 요가 학파의 기본교재인 〈요가 수트라 Yoga-sūtra〉에 대한 비아사의 주석을 해설한 〈요가 수트라 바시아 비바라나 Yoga-sūtra-bhāṣya-vivaraṇa〉도 상카라가 썼을 가능성이 많다. 상카라 철학의 훌륭한 입문서인 〈우파데샤사하스리 Upadeśasāhasrῑ〉는 주석서가 아닌 유일한 저서인데, 이것은 상카라가 쓴 것이 분명하다.

 
상카라의 문체는 명쾌하고 심오하다. 날카로운 통찰과 분석 기술이 그의 저서의 특징이다. 진리에 대한 그의 접근 방식은 논리적이라기보다 심리적이고 종교적이다. 그가 20세기의 시각으로 철학자라기보다는 뛰어난 종교적 스승으로 여겨지는 것은 바로 그때문이다. 그의 저서를 보면, 그가 정통 브라만교 전통에 통달해 있을 뿐만 아니라 대승 불교에도 정통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의 반대자들은 그의 학설과 불교 사상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그를 '위장한 불교도'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불교에 대한 지식을 불교의 가르침을 가혹하게 공격하거나 불교 사상을 베단타 철학의 불이일원론으로 변형시키는 데 최대한 이용했으며, 선배 철학자들이 지나치게 불교적으로 만들었던 베단타 철학을 '베단타화'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그의 철학의 기본구조는 불교 사상보다는 오히려 무신론적 이원론 철학 체계인 상키아 요가 학파와 더 비슷하다. 상카라는 히말라야 산맥의 케다르나트에서 죽었다고 한다. 그가 창시한 불이일원론적 베단타 학파는 그뒤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인도의 지식인 사회에서 가장 우세한 철학파가 되어왔다.
Se. Mayeda 글
 
 
베단타

샹카라 이전의 망두키아 송(頌) 단편들

샹카라와 라마누자가 보다야나와 우파바르샤에 의해 지어졌다고 여겨지는 〈평석〉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으나, 샹카라 이전에 지어진 〈베단타 수트라〉에 대한 주석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렇지만 샹카라 이전에도 경전에 대한 일원론적 해석가들은 있었다. 바르트리하리·만다나· 가우다파다가 그중에서 중요하다. 샹카라는 가우다파다를 그의 스승인 고빈다의 스승으로, 베다에서 불이론(advaita)을 발견했던 사람으로 칭송하고 있으며, 샹카라 자신은 가우다파다의 주요저작인 망두키아 우파니샤드 송에 대해서 주석을 달았다.

 

가우다파다 송은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제1부는 우파니샤드 자체에 대한 설명이며, 제2부는 세계의 허망을 수립하고, 제3부는 실재의 유일성을 옹호하며, 제4부는 고(苦)로부터의 해탈 상태를 다루고 있다. '불타는 연료의 지멸'이라는 제4부의 제목이 시사하는 대로, 가우다파다의 철학적 견해는 불교의 중관철학, 유식학파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는데, 그의 기본목표 중의 하나는 우파니샤드의 가르침이 불교관념론자들의 주요이론과 부합한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의 주요 철학적 원리에는, 만물은 꿈속에 보여진 것처럼 비실재적이며, 실재에는 생성도 소멸도 없다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변화와 인과론에 대한 그의 비판은 용수를 상기시킨다. 이분법이란 망상의 생산력인 마야가 유일의 실재 위에 부탁(附託)한 것이다. 진정한 생성이란 없으므로, 가우다파다의 철학은 흔히 무생론(無生論 ajātivāda)으로 불렸다. 여기까지 그는 불교의 유식학파에 동의하지만, 유식학파에서의 마음(citta)이 실재하고 정신적 관념의 실재적 흐름이 있다는 주장은 거부하고 있다.

 

샹카라는 가우다파다의 극단적인 환영주의(幻影主義)를 완화시켰다. 비록 그는 현상세계를 잘못된 현상으로 간주하고 있지만, 꿈을 비유로 사용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그는 세계의 객관성을 꿈과 환영의 주관성과 대조시키고 있다. 둘 다 초월적인 것과는 반대되지만, 경험계와 환영계의 차이는 그의 사유방식에 중심적인 것이었다.

 

베단타의 여러 학파들

베단타가 흔히 하나의 철학체계로 지칭되지만, 여기에는 서로 매우 다른 여러 학파들이 존재한다. 이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것은 일련의 공통경전에 대한 충성일 것이다. 이들은 〈우파니샤드〉· 〈베단타 수트라〉· 〈바가바드기타〉 즉 베단타의 3개의 근본경전(prasthāna)이다. 베단타의 여러 학파들은 모두 자신들의 입장을 지지하기 위해서 이들 3가지 근본자료들에 주석을 달았다. 그 차이점들의 핵심이 되는 문제 속에는 브라만의 본성, 현상계의 지위, 유한한 개인과 브라만과의 관계, 해탈의 본성과 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주요학파로는 샹카라의 무제한적 불이론(śuddhādvaita), 라마누자의 제한불이론(viśiṣṭādvaita), 마드바의 이원론(dvaita), 바스카라의 불일불이설(不一不異說 bhedābheda), 그리고 동일과 차별을 다른 방식으로 강조하는 님바르카·발라바 학파들이 있다.

 

종교적 관점에서 보면 샹카라는 해탈의 유일한 수단으로써 형이상학적 지식을 찬양하고 신의 관념조차도 잘못으로 간주하고 있다. 라마누자는 반면에 지식에 수반된 박티(bhakti 信愛)의 길을 추천하고, 베다의 제식주의에 대해서 보다 관용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 마드바·님바르카·발라바는 모두 인격주의적 유신론을 주창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인격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이 최고로 여겨졌다. 비록 인도철학에 대한 샹카라의 영향은 다른 학파들이 따라갈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실제의 종교적 삶에서는 유신론적 베단타가 샹카라의 추상적인 형이상학보다 훨씬 큰 영향을 행사했다.

 

샹카라 철학의 근본주장은 자아(유일하고 보편적이며, 영원하고 자증적인 자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자아의 본성은 초월적인 관점에서는 주관(āśraya)과 객관(viṣaya)이 없는 순수의식이다. 이런 의미에서 바르트리하리의 어불이론(語不二論 śabdādvaita), 불교도의 식불이론(識不二論), 가우다파다의 무생불이론(無生不二論)과 나란히 샹카라의 불이론은 자아불이론(ātmādvaita)으로 불릴 수 있을 것이다. 현상계와 유한 개별적 자아는 경험적으로 실재하지만 고차적인 관점에서는 단순한 화현(化現)일 뿐이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샹카라는 논증과 성전의 해석에 의존했다. 그의 방법론적 원리에 의하면, 이성은 성전에 나타난 진리들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만 사용되어야 한다고 해서 주로 부정적 용법이었다. 그는 적수의 이론들을 반박하는 데 탁월한 논리적 기술을 보여주었으나, 그의 제자들은 불이론의 주장에 대해서 긍정적인 이성적 토대부여를 시도했다.

 

샹카라의 형이상학은 실재의 기준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공식화될 수 있다. 실재는 부정이 불가능한 것이다. 이 기준을 충족시키는 유일한 것은 의식이다. 왜냐하면 의식의 부정도 부정하는 의식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정은 상호부정(차이)이거나 부재일 것이다. 부재는 생성 이전 또는 소멸 이후의 어떤 사물의 부재이거나 또는 어떤 다른 장소에서의 부재일 것이다. 의식의 부정은 생각될 수 없으며, 어떤 종류의 부정도 의식의 술어가 될 수 없다. 의식은 자증적이다. 모든 다른 대상의 현현은 의식에 의존해야 한다. 의식에는 차별성도, 다(多)에 대한 의식도 없다.

 

복수의 의식 중심체들로 보이는 것은 화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의식 이외에 진실로 존재하는 프라크리트 같은 것은 없다. 그런 것은 비실재적 타자이다. 의식에는 내적 부분들이나, 복수의 의식적 상태란 없다. 푸름의 의식과 노랑의 의식의 차이는 의식 내의 차이가 아니라 대상 사이의 차별이 의식에 부탁된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상키야·불교유식론·니아야 - 바이셰시카의 다원론은 반박되었다. 실재는 유일, 무한, 영원, 자기조명적 정신이다. 이것은 어떤 한정도 갖지 않는다. 한정은 곧 부정이기 때문이다.

 

샹카라 철학의 근본문제는 순수자아가 어떻게 일상적 경험에서 '나의 의식'이라는 방식으로 개별화될까? 또는 '푸름에 대한 의식'에서처럼 의식이 어떻게 대상과 관계를 맺을까 하는 점이다. 어떤 것이 경험적 사실이나 동시에 그것이 그렇게 되어서는 안 된다면, 그것은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샹카라의 오류이론에 따르면 잘못된 화현(예를 들면 뱀으로 보인 새끼줄)은 적극적인 것이며, 제시된 실체이므로 존재도 비존재도 아니다. 오류는 따라서 둥근 4각형 같은 허구가 아니다. 샹카라는 존재·비존재라는 범주 이외에 오류라는 또하나의 범주를 설정했다. 세계와 제한된 개인들은 이런 의미에서 오류인 것이다. 이들은 합리적으로 설명될 수 없다.

 

이들은 브라만으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될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또한 그들에 대한 경험은 브라만에 대한 명지(明知 vidyā)로 지양(止揚)되는 것이다. 그들은 무명(avidyā)에 의해서 브라만의 존재 위에 부탁된 화현인 것이다. 무명은 무시(無始)이며, 실재의 본성을 숨기고 그 위에 오류의 화현을 제시하는 어떤 적극적인 것이다.

 

샹카라에 따르면 해탈은 획득해야 하는 완전은 아니다. 자아의 참된 본성을 숨기고 있는 무명의 파괴를 통해서 그것이 실현되는 것이다. 신(神)이란 세상을 참으로 간주하고 그 창조주와 지배자를 찾으려고 하는 무명의 마음을 가진 자에게 나타나는 것이다. 종교적 삶은 인간과 신, 덕과 악, 금생과 내생이라는 이분법적 관념들에 의해서 유지된다. 해탈의 상태에서는 이러한 이분법은 극복된다. 해탈이 육신을 지닌 상태에서 가능하다는 것도 샹카라 신념의 중요한 일부분이다. 지고의 상태를 가져오는 것은 무명의 파괴이므로 신체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정신에 대한 비실재적 한계일 따름이다. 모셔온자료-

 
 
 


===

마드바 Madhva 의 이원설 - 라마누자 - 오강남 글

마드바 뜻: 인도의 종교 사상가(1199~1278). 신과 인간과의 이원론을 내세워 다원론적 실재론을

마드바 Madhva :
인도의 종교 사상가(1199~1278). 
신과 인간과의 이원론을 내세워 다원론적 실재론을 주장하였다. 
해탈은 비시누 신의 은총에 의하여서만 가능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지식이 필요하다 하여 
브라흐마나를 고찰하도록 권장하였다.


====
가톨릭영성이야기
~ 신의 모습 중시한 ' 한정 불이론' 설파하는 - 라마누자 ~
천상의모후(=수호천사) 2014. 11. 8


신의 인격 모습 중시한 ‘한정불이론’ 설파하는 - 라마누자
신의 인격 모습 중시한 ‘한정불이론’ 설파
“이성적 깨달음보다 信愛 통한 구원이 중요” 
비쉬누 신 신앙에 강력한 이론적 근거 제공 


라마누자는 일반 대중의 종교적 헌신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인도종교사회에 큰 영향력을 발휘한 인물이다.힌두교 베단타 학파에는 크게 ‘불이론(不二論, Advaita)’ 베단타를 대표하는 샹카라와 샹카라보다 2~3백년 후에 나타나 ‘한정불이론(限定不二論, Viśistādvaita)’ 베단타를 주장한 라마누자(Rāmānuja), 그리고 다시 2백년 지나 
완전한 이원론(二元論, Dvaita)을 역설한 (Madhva)가 있다. 

이 중 라마누자는 비쉬누 신을 섬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그들 종교에서 가장 위대한 세 명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추앙받고 있다. 전통적으로 그의 생몰연대를 1017~1137로 잡지만 이렇게 되면 120년을 산 셈이라, 1077~1157 등 다른 연대를 제시하는 학자들도 있다.

베단타학파 3대 성인으로 추앙

라마누자는 인도 남부 타밀 나두의 페룸부두르(Prumbdur)에서 비쉬누 신을 섬기는 브라민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어려서 총기가 뛰어나고, 다른 캐스트 계급 사람들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십대에 결혼을 하고, 아버지가 죽은 다음, 이웃 도시로 이사. 거기서 애다바프라카샤(Yadavaprakasa)라는 스승을 만나 샹카라의 불이론 베단타를 공부했다. 총명하기 그지없던 그는 불이론 베단타를 쉽게 이해하였다. 그러나 이미 비쉬누 신 숭배를 좋게 여기던 그로서는 불이론 베단타를 그대로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스승과 작별하고 한정불이론을 가르치는 스승 야무나타랴(Yamunacharya)를 찾아 길을 떠났다.

전설에 의하면 그 스승은 라마누자가 도착하기 직전에 죽었다고 한다. 죽은 스승은 손가락 세 개를 꼬부리고 있었는데, 라마누자가 신을 섬기는 것을 해탈에 이르는 길이라 가르치고, 『브라마 수트라』 등을 주석하고, 몇몇 스승들의 이름을 널리 알리겠다는 서원을 하자 세 손가락이 다시 펴졌다고 한다. 그는 여기서 6개월 정도 있다가 부인과도 이별하고 ‘출가 수행자(sanyasin)’의 길로 들어서서 천하를 주유(周遊)하며 여러 사람들을 만나 생각을 더욱 깊이 하고, 『브라마 수트라』, 『바가바드 기타』, 『우파니샤드』 등에 대한 주석서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저술에도 힘썼다.

이처럼 라마누자의 사상은 근본적으로 불이론에 근거한 것이라 볼 수 있지만, 결국 상캬라의 불이론 베단타에 머무르지 않고, ‘한정된’ 불이론 베단타를 채택하게 된 셈이다. 둘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샹카라가 초인격적인 절대자를 깨닫는 것을 최고의 목표라고 주장한 것에 반해 라마누자는 절대자의 인격적 모습을 더욱 중요시한 것이다.

샹카라의 경우 궁극 실재로서의 브라흐만은 결국 어떤 특성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의미에서 ‘니르구나 브라흐만(nirguna Brahman)’이었다. 그러나 보통 인간으로서는 이런 추상적인 브라흐만을 상상조차 할 수 없다. 샹카라는 오로지 인간 지성에 내재한 한계성을 감안해서 브라흐만에 모든 아름다운 특성을 다 붙여서 생각해도 좋다고 하고, 이런 면의 브라흐만을 ‘싸구나 브라흐만(saguna Brahman)’이라 하였다.

그런 특성 중 가장 중요한 특성이 ‘인격’이므로 브라흐만을 ‘주님(Ishvara)’ 같은 인격적 존재로 모셔도 좋다고 했다. 그러나 샹카라는 이렇게 브라흐만을 인격신으로 경배하는 것이 어디까지나 일종의 잠정조치 내지 차선책에 불과한 것임을 강조했다. 궁극적으로는 모두가 영적 통찰을 통해 인격신의 단계를 넘어 니르구나 브라흐만을 깨닫는 경지에 이르므로 참된 해탈(목샤)을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샹카라의 ‘불이론’ 수용 안 해

힌두교에서는 해탈(목샤)에 이르는 길을 크게 세 가지로 보는데, 첫째가 깨달음의 길(jnana marga), 둘째가 신애의 길(信愛, bhakti marga), 셋째가 행동의 길(karma marga)이다. 샹카라는 철두철미 깨달음의 길을 강조했다. 말하자면 어느 신에 헌신하고 그 신을 인격적으로 경배하고 싶어 하는 일반 대중의 심성 깊이 뿌리박힌 보편적 종교성을 경시한 셈이다. 일반 대중에게는 어느 인격신 ‘주님’을 받들고 그 신에 마음과 뜻과 정성을 다 바치는 신애의 길이 훨씬 더 쉽고 실감나는 종교적 길이었다.‘신애의 길’은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3세기에 걸쳐 이루어진 『바가바드 기타(Bhāgavad Gīta)』라는 경전에서 다른 어느 길보다 더욱 훌륭한 길로 꼽히는 길이었다. 이 경전에 보면 크리쉬나의 모양으로 나타난 비쉬누 신이 누구나, 심지어 천민 계급의 슈드라도, 그리고 여자도, 크리쉬나를 진심으로 경배하고 사랑하기만 하면 구원을 받는다고 가르친다.

라마누자는 샹카라가 주장하는 깨달음의 길로서도 구원과 영복을 받을 수 있지만, 신애의 길에 의해 얻어진 최고 형태의 구원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라마누자도 샹카라처럼 브라흐만과 순수히 비인격적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오로지 깨달음이나 직관을 통해서도 브라흐만을 체득할 수 있다고 보았지만, 그런 체험은 『바가바드 기타』에서 가르치는 것처럼 브라하만을 인간에게 사랑과 은총을 부어주시는 인격신으로 보고 그를 경배하는 신애의 길을 통해 얻는 구원과 축복에 비하면 열등한 것이라 주장했다.

이 일이 어떻게 가능했을까? 라마누자의 이론에 의하면 궁극 실재 브라흐만에게는 두 가지 ‘존재 양식(prakaras)이 있는데, 그것이 곧 물질세계와 개인의 영혼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물질세계와 개인의 영혼, 그리고 궁극 실재가 다 같이 실재라고 보았다. 물질세계나 개인적 영혼도 궁극적으로 궁극 실재를 떠나서 존재하는 독립된 실재일 수 없기 때문에 궁극 실재와 마찬가지로 실재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세계나 영혼은 궁극 실재의 ‘몸’으로서 궁극 실재는 이를 통해 스스로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어느 한 쪽은 비실재이고 다른 쪽은 실재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이 둘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 ‘하나’로 본 것이다.


가르침, 후대에 남북파로 갈려

따라서 인격적 특성을 가지고 나타나는 비쉬누도 궁극 실재로서의 브라흐만과 다를 바가 없다고 역설했다. 말하자면 비쉬누가 곧 브라흐만이요, 브라흐만이 곧 비쉬누라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인격신으로서의 비쉬누를 섬기는 것은 결코 하나의 차선책이나 방편 같은 준비단계일 수 없다고 보았다. 오히려 모든 아름다운 특성을 갖춘 인격신을 모시는 것이 추상적이고 메마를 수 있는 초인격적 브라흐만을 깨닫는 것보다 더욱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종교적 길이라고 주장했다.

라마누자의 신은 기본적으로 은총과 사랑이 가득한 인격신이었다. 이런 신은 심지어 업의 원리마저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 자기 자신을 완전히 버리고 자기의 영혼을 완전히 신의 뜻에 맡기고 그의 은혜를 기다리면 된다고 했다. 누구나 비쉬누 같은 인격신에게 절대적으로 헌신하게 될 때 자기는 신의 일부일 뿐임을 자각하고 오로지 그에게만 의존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구원을 받게 되는 개별적인 영혼은 신에게 몰입되어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그 개별성을 그대로 유지하며 신과 완전한 교제에 들어가게 된다고 했다. 신과 하나이면서도 신과 별개로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한정된 불이론’이라 한 것이다. 라마누자의 이런 가르침은 그 당시 많은 사람들이 따르던 ‘신애의 길’을 옹호하고, 특히 비쉬누 신을 섬기는 사람들을 위해 강력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 셈이다.

라마누자는 좀더 구체적으로 비쉬누 신이 그를 섬기는 사람들에게 다섯 가지 모양으로 나타난다고 했다. 첫째, 하늘 도성에 거하는 영혼들을 위해 우주 뱀 쉐사(Shesha) 위에 앉아 락스미와 다른 아내들의 시중을 받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둘째, 지식의 축적, 창조, 보존, 유지, 통치력, 반대를 극복하는 능력 등에 스스로를 나타내고, 셋째, 인간들을 돕기 위해 난쟁이, 라마 왕, 크리쉬나, 물고기, 거북, 돼지, 사자, 전사, 붓다, 그리고 앞으로 올 다른 한 가지를 합해 열 가지 다른 형태의 아바타르(avatars, 化身)로 나타나고, 넷째, 사람들의 마음에 거하면서 그를 섬기는 사람들이 어디를 가든 함께 가기도 하고 때로는 비젼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다섯째, 사람들이 그를 위해 만드는 형상 속에도 나타난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목표는 하늘에 가서 완전한 의식으로 비쉬누의 현존을 즐기는 것이다.

라마누자의 사후 신의 은총이라는 개념이 더욱 확대되고, 신의 은종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북종과 남종의 두 가지 학파가 등장했다. 북종은 ‘원숭이 학파(Vadgalai)’라고 하고 남종은 ‘고양이 학파(Tengelai)’라고도 한다. 원숭이 학파는 어미 원숭이가 그 새끼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기듯 신이 그의 은총으로 인간을 구원하지만 원숭이 새끼가 그 어미 원숭이에게 매달리듯 인간도 자기가 할 수 있는 몫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와 대조적으로 고양이 학파는 어미 고양이가 입으로 새끼 고양이를 옮길 때 새끼 고양이가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전적으로 어미 고양이에게만 의존하듯 인간도 오로지 신의 은총을 믿고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고 믿었다.

라마누자의 영향을 받고 그의 가르침을 더욱 철저하게 밀고 나가 완전한 이원론을 주장하게 된 사람이 등장했다. 13세기의 마드바였다. 
마드바는 『우파니샤드』의 가르침과 완전히 결별하고 
  • 신과 인간의 영혼은 완전 별개의 실재라 주장했다. 
  • 그는 비쉬누의 아들. 바람의 신인 바유(Vāyu)가 신의 은총을 가지고 내려와 인간들에게 생명을 주는 기운을 불어넣어 주면 인간은 구원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구원 받은 영혼은 지고의 영혼인 비쉬누의 임재 하에 영복을 누리고, 여기서 제외된 영혼들은 영원히 지옥에서 살거나 끊임없는 윤회를 계속한다고 보았다. 이런 생각은 그 당시 인도에서도 잘 알려진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의 종말관에 영향을 받지 않았나 보는 학자들도 있다 라마누자는 샹카라처럼 철저하고 심오한 사상가라 할 수는 없겠지만, 일반 대중의 종교적 헌신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인도 종교사에 더욱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휘했다고 볼 수 있다.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

===


===
5. 라마누자 Rāmānuja(1055~1137년) 
오강남 


-신의 인격적 모습 중시한 ‘한정불이론’ 설파

“인격적 특성을 가지고 나타나는 비슈누도 궁극 실재로서의 브라흐만과 다를 바가 없다” 힌두교 베단타 학파에는 크게 ‘불이론不二論․Advaita’ 베단타를 대표하는 샹카라와 샹카라보
다 2~3백 년 후에 나타나 ‘한정불이론限定不二論․Viśistādvaita’ 베단타를 주장한 라마누자, 다시 2백 년 지나 완전한 이원론二元論․Dvaita을 역설한 마드바Madhva가 있다. 이 중 라마누자는 비슈누 신을 섬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위대한 세 명의 지도자 중 한 명
으로 추앙받고 있다. 전통적으로 그의 생몰 연대를 1017~1137년으로 잡지만 이렇게 되면
120년을 산 셈이라, 1077~1157년 등 다른 연대를 제시하는 학자들도 있다. 라마누자는 인도 남부 타밀나두에서 비슈누 신을 섬기는 브라흐만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어려
서 총기가 뛰어나고, 다른 카스트 계급 사람들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십대에 결혼을
하고 아버지가 죽은 다음, 이웃 도시로 이사했다. 거기서 야다바프라카샤Yadavaprakasa라는
스승을 만나 샹카라의 불이론 베단타를 공부했다. 총명하기 그지없던 그는 불이론 베단타를
쉽게 이해하였다. 그러나 이미 비슈누 신 숭배를 좋게 여기던 그로서는 불이론 베단타를 그대
로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스승과 작별하고 한정불이론을 가르치는 스승 야무나차리아
Yamunacharya를 찾아 길을 떠났다. 전설에 의하면 그 스승은 라마누자가 도착하기 직전에 죽었다고 한다. 죽은 스승은 손가락 세
개를 꼬부리고 있었는데, 라마누자가 신을 섬기는 것을 해탈에 이르는 길이라 가르치고, 『브
라흐마 수트라』 등을 주석하고, 몇몇 스승들의 이름을 널리 알리겠다는 서원을 하자 세 손가
락이 다시 펴졌다고 한다. 그는 여기서 6개월 정도 있다가 부인과도 이별하고 ‘출가 수행자
sanyasin’의 길로 들어서서 천하를 주유하며 여러 사람들을 만나 생각을 더욱 깊이 하고, 『브
라흐마 수트라』, 『바가바드 기타』, 『우파니샤드』 등에 대한 주석서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저
술에도 힘썼다. 이처럼 라마누자의 사상은 근본적으로 불이론에 근거한 것이라 볼 수 있지만, 결국 샹카라의
불이론 베단타에 머무르지 않고, ‘한정된’ 불이론 베단타를 채택하게 된 셈이다. 둘 사이의 가
장 중요한 차이점은 샹카라가 초인격적인 절대자를 깨닫는 것을 최고의 목표라고 주장한 것에
비해 라마누자는 절대자의 인격적 모습을 더욱 중요시한 것이다. 샹카라의 경우 궁극 실재로서의 브라흐만은 결국 어떤 특성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의미에서 ‘니르구나 브라흐만’이었다. 그러나 보통 인간으로서는 이런 추상적인 브라흐만을 상상조차 할
수 없다. 샹카라는 오로지 인간 지성에 내재한 한계성을 감안해서 브라흐만에 모든 아름다운
특성을 다 붙여서 생각해도 좋다고 하고, 이런 면의 브라흐만을 ‘사구나 브라흐만’이라 하였
다. 그런 특성 중 가장 중요한 특성이 ‘인격’이므로 브라흐만을 ‘이슈바라’ 같은 인격적 존재로 모
셔도 좋다고 했다. 그러나 샹카라는 이렇게 브라흐만을 인격신으로 경배하는 것이 어디까지나
일종의 잠정 조치나 차선책에 불과한 것임을 강조했다. 궁극적으로는 모두가 영적 통찰을 통
해 인격신의 단계를 넘어 니르구나 브라흐만을 깨닫는 경지에 이르러 참된 해탈(목샤)을 이룩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힌두교에서는 해탈moksha에 이르는 길을 크게 세 가지로 보는데, 첫째가 깨달음의 길jnana
marga, 둘째가 신애信愛의 길bhakti marga, 셋째가 행동의 길karma marga이다. 샹카라는                                            
- 20 -
철두철미 깨달음의 길을 강조했다. 말하자면 어느 신에 헌신하고 그 신을 인격적으로 경배하
고 싶어 하는 일반 대중의 심성 깊이 뿌리박힌 보편적 종교성을 경시한 셈이다. 일반 대중에
게는 어느 인격신을 ‘주님’으로 받들고 그 신에 마음과 뜻과 정성을 다 바치는 신애의 길이
훨씬 더 쉽고 실감 나는 종교적 길이었다.
‘신애의 길’은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3세기에 걸쳐 이루어진 『바가바드 기타』라는 경전에
서 다른 어느 길보다 더욱 훌륭한 길로 꼽히는 길이었다. 이 경전에 보면 크리슈나의 모양으
로 나타난 비슈누 신이 누구나, 심지어 천민 계급의 수드라도, 여자도, 크리슈나를 진심으로
경배하고 사랑하기만 하면 구원을 받는다고 가르친다. 라마누자는 샹카라가 주장하는 깨달음의 길로서도 구원과 영복을 받을 수 있지만, 신애의 길
에 의해 얻어진 최고 형태의 구원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라마누자도 샹카라처럼 브
라흐만과 순수히 비인격적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오로지 깨달음이나 직관을 통해서도 브라흐
만을 체득할 수 있다고 보았지만, 그런 체험은 『바가바드 기타』에서 가르치는 것처럼 브라흐
만을 인간에게 사랑과 은총을 부어주시는 인격신으로 보고 그를 경배하는 신애의 길을 통해
얻는 구원과 축복에 비하면 열등한 것이라 주장했다. 이 일이 어떻게 가능했을까? 라마누자의 이론에 의하면 궁극 실재 브라흐만에게는 두 가지 ‘존재 양식prakaras’이 있는데, 그것이 곧 물질세계와 개인의 영혼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물
질세계와 개인의 영혼, 그리고 궁극 실재가 다 같이 실재라고 보았다. 물질세계나 개인적 영
혼도 궁극적으로 궁극 실재를 떠나서 존재하는 독립된 실재일 수 없기 때문에 궁극 실재와 마
찬가지로 실재이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세계나 영혼은 궁극 실재의 ‘몸’으로서 궁극 실재는 이
것들을 통해 스스로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어느 한쪽은 비실재이고 다른 쪽은 실재라
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이 둘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 ‘하나’로 본 것이다. 따라서 인격적 특성을 가지고 나타나는 비슈누도 궁극 실재로서의 브라흐만과 다를 바가 없다
고 역설했다. 말하자면 비슈누가 곧 브라흐만이요, 브라흐만이 곧 비슈누라는 이야기이다. 따
라서 인격신으로서의 비슈누를 섬기는 것은 결코 하나의 차선책이나 방편 같은 준비 단계일
수 없고, 오히려 모든 아름다운 특성을 갖춘 인격신을 모시는 것이 추상적이고 메마를 수 있
는 초인격적 브라흐만을 깨닫는 것보다 더욱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종교적 길이라고 주장했
다. 라마누자의 신은 기본적으로 은총과 사랑이 가득한 인격신이었다. 이런 신은 심지어 업의 원
리마저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누구나 비슈누 같은 인격신에게 절대적으로 헌신
하게 될 때 자기는 신의 일부일 뿐임을 자각하고 오로지 그에게만 의존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구원을 받게 되는 개별적인 영혼은 신에게 몰입되어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언제
나 그 개별성을 그대로 유지하며 신과 완전한 교제에 들어가게 된다고 했다. 신과 하나이면서
도 신과 별개로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한정된 불이론’이라 한 것이다. 라마누자의 이런 가르침
은 그 당시 많은 사람들이 따르던 ‘신애의 길’을 옹호하고, 특히 비슈누 신을 섬기는 사람들을
위해 강력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 셈이다. 라마누자는 좀더 구체적으로 비슈누 신이 그를 섬기는 사람들에게 다섯 가지 모양으로 나타난
다고 했다. 첫째, 하늘 도성에 거하는 영혼들을 위해 우주 뱀 쉐사Shesha 위에 앉아 라크슈
미와 다른 아내들의 시중을 받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둘째, 지식의 축적, 창조, 보존, 유
지, 통치력, 반대를 극복하는 능력 등에 스스로를 나타낸다. 셋째, 인간들을 돕기 위해 난쟁
이, 라마 왕, 크리슈나, 물고기, 거북, 돼지, 사자, 전사, 붓다, 그리고 앞으로 올 다른 한 가지
를 합해 열 가지 다른 형태의 아바타avatars․化身로 나타난다. 넷째, 사람들의 마음에 거하면
                                     
- 21 -
서 그를 섬기는 사람들이 어디를 가든 함께 가기도 하고 때로는 비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다섯째, 사람들이 그를 위해 만드는 형상 속에도 나타난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목표
는 하늘에 가서 완전한 의식으로 비슈누의 현존을 즐기는 것이다. 라마누자가 죽은 다음, 신의 은총이라는 개념이 더욱 확대되고, 신의 은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북종과 남종 두 학파가 등장했다. 북종은 ‘원숭이 학파
Vadgalai’라고 하고 남종은 ‘고양이 학파Tengelai’라고도 한다. 원숭이 학파는 어미 원숭이가
그 새끼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기듯 신이 그의 은총으로 인간을 구원하지만 원숭이 새끼가 그
어미 원숭이에게 매달리듯 인간도 자기가 할 수 있는 몫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와 대조
적으로 고양이 학파는 어미 고양이가 입으로 새끼 고양이를 옮길 때 새끼 고양이가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전적으로 어미 고양이에게만 의존하듯 인간도 오로지 신의 은총을 믿고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고 가르쳤다. 라마누자의 영향을 받고 그의 가르침을 더욱 철저하게 밀고 나가 완전한 이원론을 주장하게
된 사람이 등장했다. 13세기의 마드바였다. 마드바는 『우파니샤드』의 가르침과 완전히 결별하고 신과 인간의 영혼은 완전 별개의 실재라 주장했다. 그는 비슈누의 아들. 바람의 신인 바유
Vāyu가 신의 은총을 가지고 내려와 인간들에게 생명을 주는 기운을 불어넣으면 인간은 구원
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구원받은 영혼은 지고의 영혼인 비슈누의 임재하에 영복을 누리고, 여기서 제외된 영혼들은 영원히 지옥에서 살거나 끊임없는 윤회를 계속한다고 보았다. 이런
생각은 그 당시 인도에서도 잘 알려진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의 종말관에 영향을 받지 않았나
보는 학자들도 있다. 라마누자는 샹카라처럼 철저하고 심오한 사상가라 할 수는 없겠지만, 일반 대중의 종교적 헌신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인도 종교사에 더욱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휘했다고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