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4

Kitaro Nishida - Wikipedia

Kitaro Nishida - Wikipedia

Kitaro Nishid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Kitarō Nishida
Portrait-of-Kitaro-Nishida.png
BornMay 19, 1870
DiedJune 7, 1945 (aged 75)
NationalityJapanese
Alma materTokyo Imperial University
Era20th-century philosophy
RegionJapanese philosophy
SchoolKyoto School
InstitutionsKyoto Imperial University
Main interests
MetaphysicsAesthetics
Notable ideas
  • Logic of basho
  • absolute nothingness[1]
Influences
Influenced

Kitarō Nishida (西田 幾多郎Nishida Kitarō, May 19,[2] 1870 – June 7, 1945) was a Japanese moral philosopher, philosopher of mathematics and science, and religious scholar. He was the founder of what has been called the Kyoto School of philosophy. He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Tokyo during the Meiji period in 1894 with a degree in philosophy. He was named professor of the Fourth Higher School in Ishikawa Prefecture in 1899 and later became professor of philosophy at Kyoto University. Nishida retired in 1927. In 1940, he was awarded the Order of Culture (文化勲章, bunka kunshō). He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e Chiba Institute of Technology (千葉工業大学) from 1940.

Nishida Kitarō died at the age of 75 of a renal infection. His cremated remains were divided in three and buried at different locations. Part of his remains were buried in the Nishida family grave in his birthplace Unoke, Ishikawa. A second grave can be found at Tōkei-ji Temple in Kamakura, where his friend D. T. Suzuki organized Nishida's funeral and was later also buried in the adjacent plot. Nishida's third grave is at Reiun'in (霊雲院, Reiun'in), a temple in the Myōshin-ji compound in Kyoto.[3]

Philosophy[edit]

Being born in the third year of the Meiji period, Nishida was presented with a new, unique opportunity to contemplate Eastern philosophical issues in the fresh light that Western philosophy shone on them. Nishida's original and creative philosophy, incorporating ideas of Zen and Western philosophy, was aimed at bringing the East and West closer. Throughout his lifetime, Nishida published a number of books and essays including An Inquiry into the Good and The Logic of the Place of Nothingness and the Religious Worldview. Taken as a whole, Nishida's life work was the foundation for the Kyoto School of philosophy and the inspiration for the original thinking of his disciples.

One of the most famous concepts in Nishida's philosophy is the logic of basho (Japanese: 場所; usually translated as "place" or "topos"), a non-dualistic concrete logic, meant to overcome the inadequacy of the subject-object distinction essential to the subject logic of Aristotle and the predicate logic of Immanuel Kant, through the affirmation of what he calls the "absolutely contradictory self-identity", a dynamic tension of opposites that, unlike the dialectical logic of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does not resolve in a synthesis. Rather, it defines its proper subject by maintaining the tension between affirmation and negation as opposite poles or perspectives.

In David A. Dilworth's survey of Nishida's works, he did not mention the debut book, An Inquiry into the Good. There, Nishida writes about the experience, reality, good and religion. He argues that the most profound form of experience is the pure experience. Nishida analyzes the thought, the will, the intellectual intuition, and the pure experience among them.[4] According to Nishida's vision as well as to the essence of Asian wisdom, one craves harmony in experience, for unity.[5]

Legacy[edit]

Tomb of Nishida Kitarō in Kamakura

According to Masao Abe, "During World War II right-wing thinkers attacked him as antinationalistic for his appreciation of Western philosophy and logic. But after the war left-wing thinkers criticized his philosophy as nationalistic because of his emphasis on the traditional notion of nothingness. He recognized a kind of universality in Western philosophy and logic but did not accept that it was the only universality."[6]

List of works[edit]

Collected Works [西田幾多郎全集], 2nd ed. (Tokyo: Iwanami Shoten, 2003-20), 25 vols. [hereafter NKZ]

  • An Inquiry into the Good [善の研究] (Tokyo: Kōdōkan [弘道館], January 1911), reprinted in NKZ1.
  • Thoughts and Experiences, Vol. 1 [思索と体験] (Tokyo; Senshōkan [千章館], March 1915), reprinted in NKZ1.
  • ‘On the Claims of Pure Logicists in Epistemology’ [認識論における純論理派の主張について] (Geibun [芸文], Vol. 2, Nos. 8-9, August to September 1911).
  • ‘Laws’ [法則] (Tetsugaku Zasshi [哲学雑誌], No. 300, February 1912).
  • ‘Logical Understanding and Mathematical Understanding’ [論理の理解と数理の理解] (Geibun [芸文], Vol. 3, No. 9, September 1912).
  • ‘Natural Sciences and the Study of History” [自然科学と歴史学] (Tetsugaku Zasshi [哲学雑誌], No. 319, September 1913).
  • ‘Response to Takahashi Satomi’s Criticisms of My An Inquiry into the Good’ [高橋文学士の拙著『善の研究』に対する批評に答う] (Tetsugaku Zasshi [哲学雑誌], No. 308, September 1912).
  • Bergson’s Philosophical Method’ [ベルグソンの哲学的方法論] (Geibun [芸文], Vol. 1, No. 8, August 1910).
  • Bergson’s Pure Duration’ [ベルグソンの純粋持続](Kyōiku Gakujutsu Kai [教育学術界], Vo. 24, No. 2, November 1911).
  • ‘Contemporary Philosophy’ [現代の哲学] (Tetsugaku Kenkyū, April 1916).
Added in the 2nd edition of 1922.
  • Cohen’s Pure Knowledge’ [コーヘンの純粋意識] (Geibun [芸文], Vol. 7, No. 8, August 1916).
Added in the 2nd edition of 1922.
  • Lotze’s Metaphysics’ [ロッツェの形而上学] (Lotze, Tokyo: Hōbunkan [宝文館], May 1917).
Added in the 2nd edition of 1922.
  • Poincaré as Epistemologist’ [認識論者としてのアンリ・ポアンカレ] (Geibun [芸文], Vol. 3, No. 10, October 1912).
Removed in the 2nd edition of 1922 but restored in the 3rd edition of 1937.
  • ‘On Tolstoy’ [トルストイについて] (Geibun [芸文], Vol. 2, No. 1, January 1911).
  • Gutoku Shinran’ [愚禿親鸞] (Shūsokan, April 1911).
  • ‘Preface to Tanabe Ryuji, Koizumi Yakumo’ [『小泉八雲伝』の] (Tokyo: Waseda Daigaku Shuppanbu, April 1914).
  • ‘Preface to Fujioka Sakutarō, Lectures on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国文学史講話』の] (Tokyo: Kaiseikan, March 1908).
  • ‘Preface to Henri BergsonMatter and Memory’ [『物質と記憶』の序文] (trans. Takahashi Satomi, Tokyo: Seibunkan, February 1914).
Removed in the 2nd edition of 1922.
  • Modern Idealist Philosophy [現代における理想主義の哲学] (Tokyo: Kōdōkan [弘道館], May 1917), reprinted in NKZ12.
  • ‘Subjectivism’ [主観主義].
  • ‘Objectivism’ [客観主義].
  • ‘A Historical Overview of Idealist Philosophy’ [理想主義哲学の史的概観].
  • ‘The School of Neo-Kantianism’ [新カント学派].
  • ‘The School of Brentano’ [ブレンタノ学派].
  • ‘Philosophy of Pure Experience [純粋経験の哲学].
  • Intuition and Reflection in Self-Consciousness [自覚における直観と反省]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October 1917), reprinted in NKZ2.
Originally published as a serial in Geibun (September 1913 to August 1916) which was continued in Tetsugaku Kenkyū (October 1916 to May 1917).
  • Problems of Consciousness [意識の問題] (Tokyo: Iwanami Shoten, January 1920), reprinted in NKZ2.
  • ‘What Consciousness Means’ [意識とは何を意味するか] (Tetsugaku Kenkyū, January 1918).
  • ‘Sensation’ [感覚] (Tetsugaku Kenkyū, June 1918).
  • ‘Feeling’ [感情] (Tetsugaku Kenkyū, July 1918).
  • ‘The True Meaning of Symbols’ [象徴の真意義] (Shichō, March 1918).
  • ‘Will’ [意志] (Geibun [芸文], Vol. 9, No. 9, September 1918).
  • ‘The Various Continuities of the Content of Experience’ [経験内容の種々なる連続] (Tetsugaku Kenkyū, February to March 1919).
  • ‘The Place of the Realisation of the Will’ [意志実現の場所] (Geibun [芸文], Vol. 10, No. 4, April 1919).
  • ‘The Content of the Will’ [意志の内容] (Tetsugaku Kenkyū, May to June 1919).
  • ‘On Relations’ [関係について] (Geibun [芸文], Vol. 9, No. 6, June 1919).
  • ‘On the Degrees of Consciousness’ [意識の明暗について] (Tetsugaku Kenkyū, September 1919).
  • ‘The Concept of the Individual’ [個体概念] (Shirin [史林], Vol. 4, No. 1, January 1919).
  • Leibniz’s Ontological Proof’ [ライプニッツの本体論的証明] (Geibun [芸文], Vol. 9, No. 1, January 1918).
  • Art and Morality [芸術と道徳]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July 1923), reprinted in NKZ3.
  • ‘The Essence of Beauty’ [美の本質] (Tetsugaku Kenkyū, March to April 1920).
  • Max Klinger’s Painting and Drawing’ [マックス・クリンゲルの『絵画と線画』の中から] (Geibun [芸文], Vol. 11, No. 10, October 1920).
  • ‘The Content of Feeling and the Content of the Will’ [感情の内容と意志の内容] (Tetsugaku Kenkyū, April 1921).
  • ‘The World of Objects of Reflective Judgement’ [反省的判断の対象界] (Geibun [芸文], Vol. 12, No. 11, November 1921).
  • ‘The Intersection of the True, the Good and the Beautiful’ [真善美の合一点] (Tetsugaku Kenkyū, September 1921).
  • ‘Society and the Individual’ [社会と個人] (Tetsugaku Kenkyū, April 1922).
  • ‘Consciousness of Acts’ [作用の意識] (Geibun [芸文], Vol. 13, Nos. 9-10, September to October 1922).
  • ‘The Acting Subject’ [行為的主観] (Tetsugaku Kenkyū, September 1923).
  • ‘The Will and Syllogism’ [意志と推論式] (Shisō [思想], No. 12, September 1922).
  • ‘The Beautiful and the Good’ [美と善] (Tetsugaku Kenkyū, September 1923).
  • ‘Law and Morality’ [法と道徳] (Tetsugaku Kenkyū, February 1923).
  • ‘The True and the Beautiful’ [真と美] (Kaizō, February 1923).
  • ‘The True and the Good’ [真と善] (Shisō [思想], No. 18, March 1923).
  • From the Actor to the Seer [働くものから見るものへ] (Tokyo: Iwanami Shoten, October 1927), reprinted in NKZ3.
  • ‘The Immediately Given’ [直接に与えられるもの] (Tetsugaku Kenkyū, September 1923).
  • ‘Intuition and Will’ [直観と意志] (Kōza, November 1923).
  • ‘What Lies Behind Physical Phenomena’ [物理現象の背後にあるもの] (Shisō, January 1924).
  • ‘On Internal Perception’ [内部知覚について] (Tetsugaku Kenkyū, March, September and October 1924).
  • ‘Acts of Expression’ [表現作用] (Shisō [思想], No. 41, March 1925).
  • ‘The Actor’ [働くもの] (Tetsugaku Kenkyū, October 1925).
  • ‘Place’ [場所] (Tetsugaku Kenkyū, June 1926).
  • ‘Response to Dr. Sōda Ki’ichirō’ [左右田博士に答う] (Tetsugaku Kenkyū, April 1927).
  • ‘The Knower’ [知るもの] (Shisō, August to September 1927).
  • The System of Universals according to Self-Consciousness [一般者の自覚的体系] (Tokyo: Iwanami Shoten, January 1930), reprinted in NKZ4.
  •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So-Called World of Objects of Knowledge’ [いわゆる認識対象界の論理的構造] (Tetsugaku Kenkyū, April 1928).
Nishida is referring to »die Welt der Erkenntnisgegenstände«.
  • ‘Logicism of the Predicate’ [述語的論理主義] (Shisō, April 1928).
  • ‘The Place of That Which Sees Itself and the Place of Consciousness’ [自己自身を見るもののおいてある場所と意識の場所] (Tetsugaku Kenkyū, July 1928).
  • ‘The Intelligible World’ [叡智的世界] (Tetsugaku Kenkyū, October 1928).
  • ‘Intuitive Knowledge’ [直観的知識] (Tetsugaku Kenkyū, January 1929).
  • ‘The Relationship between Being and What Lies Behind Being in the Self-Conscious Universal’ [自覚的一般者においてあるもの及びそれとその背後にあるものとの関係] (Shisō, April to June 1929).
  •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Universal’ [一般者の自己限定] (Shisō, September to October 1929).
  • The Determination of the Nothing by Self-Consciousness [無の自覚的限定] (Tokyo: Iwanami Shoten, December 1932), reprinted in NKZ5.
  •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Expressive Self’ [表現的自己の自己限定] (Tetsugaku Kenkyū, July to August 1930).
  • ‘Acts of Consciousness as the Self-Determination of Place’ [場所の自己限定としての意識作用] (ShisōNo. 100, September 1930).
  • ‘What I Call the Self-Conscious Determination of the Absolute Nothing’ [私の絶対無の自覚的限定というもの] (Shisō, February to March 1931).
  •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Eternal Now’ [永遠の今の自己限定] (Tetsugaku Kenkyū, June 1931).
  • ‘The Temporal and the Atemporal’ [時間的なるもの及び非時間的なるもの] (ShisōNo. 112, September 1931).
  • ‘Love of the Self, Love of the Other and the Dialectic’ [自愛と他愛及び弁証法] (Tetsugaku Kenkyū, February to March 1932).
  • ‘Free Will’ [自由意志] (ShisōNo. 120, May 1932).
  • ‘I and Thou’ [私と汝] (Iwanami Kōza: Tetsugaku, July 1932).
  • ‘On the Philosophy of Life’ [生の哲学について] (Risō, October 1932).
  • Fundamental Problems of Philosophy, Vol. 1: The World of Action [哲学の根本問題——行為の世界] (Tokyo: Iwanami Shoten, December 1933), reprinted in NKZ6.
  • ‘Prolegomena to Metaphysics’ [形而上学序論] (Iwanami Kōza: Tetsugaku, February 1933).
  • ‘I and the World’ [私と世界] (previously unpublished, begun in April 1933).
  • Fundamental Problems of Philosophy, Vol. 2: The Dialectical World [哲学の根本問題 続編——弁証法的世界] (Tokyo: Iwanami Shoten, October 1934), reprinted in NKZ6.
  •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Real World’ [現実の世界の論理的構造] (ShisōNos. 140-42, January to March 1934).
  • ‘The World as a Dialectical Universal’ [弁証法的一般者としての世界] (Tetsugaku Kenkyū, June to August 1935).
  • ‘Cultural Forms of the Ancient East and West as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Metaphysics’ [形而上学的立場から見た東西古代の文化形態] (previously unpublished)
  • Philosophical Essays, Vol. 1: Plans for a System of Philosophy [哲学論文集 第1——哲学体系への企図] (Tokyo: Iwanami Shoten, November 1935), reprinted in NKZ7.
  • ‘The World’s Self-Identity and Continuity’ [世界の自己同一と連続] (ShisōNos. 152-4, January to March 1935).
  • ‘The Standpoint of Active Intuition’ [行為的直観の立場] (ShisōNos. 158-60, July to September 1935).
  • Thoughts and Experiences, Vol. 2 [続 思索と体験] (Tokyo: Iwanami Shoten, May 1937), reprinted in NKZ7.
  • ‘Remaining Problems of Consciousness’ [取残されたる意識の問題] (Festschrift for Tokunō Bun [得能博士還暦記念哲学論文集], Iwanami Shoten, July 1926).
  • ‘Anthropology’ [人間学] (Festschrift for Tomonaga Sanjūrō [朝永博士還暦記念哲学論文集], Iwanami Shoten, August 1930).
  • ‘History’ [歴史] (Iwanami Kōza: Tetsugaku, August 1931).
  • ‘Hegel’s Dialectic as Seen from My Standpoint’ [私の立場から見たヘーゲルの弁証法] (Hegel and Hegelianism [ヘーゲルとヘーゲル主義], Iwanami Shoten, February 1931).
  • ‘On Pedagogy’ [教育学について] (previously unpublished, finished in February 1933).
  • ‘‘Being’ in Greek Philosophy’ [ギリシャ哲学においての「有るもの」] (Iwanami Kōza: Sekai Shichō, April 1928).
  • ‘Self-Consciousness in Augustine’ [アウグスチヌスの自覚] (Iwanami Kōza: Sekai Shichō, July 1928).
  • ‘The Essence of Platonic Ideas’ [プラトンのイデヤの本質] (Girisha-Raten Kōza, July 1931).
  • ‘My Thoughts on French Philosophy’ [フランス哲学についての感想] (Shisō [思想], December 1936).
  • Bolzano’s Autobiography’ [ボルツァーノの自伝] (Tetsugaku Kenkyū, November 1922).
  • Abel the Mathematician’ [数学者アーベル] (Asahi Shimbun, September 1933).
  • Goethe’s Background’ [ゲーテの背景] (Gēte Nenpō, December 1931).
  • ‘The Beauty of Writing’ [書の美] (previously unpublished, finished in May 1930).
  • ‘The Flexibility of National Language’ [国語の自在性] (Kokugo, January 1936).
  • ‘The Objectivity of Knowledge’ [知識の客観性] (Kaizō [改造], February 1933).
  • ‘Reminiscences of the Fourth Higher School’ [四高の思出] (Shikō Dōsōkaihō, April 1927).
  • ‘The Retirement Speech of a Certain Professor’ [ある教授の退職の辞] (Shisō [思想], April 1929).
  • ‘A Poem on Kamakura’ [鎌倉雑詠] (Shisō [思想], May 1929).
  • ‘Two Translated Poems’ [訳詩] (The Muse, August 1928 and September 1929).
The poems translated by Nishida here are Goethe’s ‘Mignon’ and Browning’s ‘Home Thoughts from the Sea’.
  • ‘A Fireside Chat’ [暖炉の側から] (The Muse, February 1931).
  • ‘My Copy of the Song Era Erya’ [書影宋本爾雅後] (previously unpublished, finished in May 1933).
  • ‘Songs and Poems’ [歌并詩] (previously unpublished, composed between 1920 and 1935).
  • Philosophical Essays, Vol. 2 [哲学論文集 第2]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November 1937), reprinted in NKZ8.
  • ‘Logic and Life’ [論理と生命] (Shisō [思想], Nos. 170-72, July to September 1936).
  • ‘Praxis and the Knowledge of Objects: The Place of Knowledge in the Historical World’ [実践と対象認識——歴史的世界においての認識の立場] (Tetsugaku Kenkyū [哲学研究], March to May 1937).
  • ‘Problems of Species Formation and Development’ [種の生成発展の問題] (Shisō [思想], No. 182, July 1937).
  • ‘Active Intuition’ [行為的直観] (Shisō [思想], No. 183, August 1937).
  • Philosophical Essays, Vol. 3 [哲学論文集 第3]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November 1939), reprinted in NKZ8.
  • ‘Human Existence’ [人間的存在] (Shisō [思想], No. 190, March 1938).
  • ‘The Standpoint of the Individual in the Historical World’ [歴史的世界においての個物の立場] (Shisō [思想], Nos. 195-96, August to September 1938).
  • ‘Absolutely Contradictory Self-Identity’ [絶対矛盾的自己同一] (ShisōNo. 202, March 1939).
  • ‘The Science of Experience’ [経験科学] (Shisō [思想], No. 207 August 1939).
  • Problems of Japanese Culture [日本文化の問題]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March 1940), reprinted in NKZ9.
  • Philosophical Essays, Vol. 4 [哲学論文集 第4]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November 1941), reprinted in NKZ9.
  • ‘Prolegomena to Practical Philosophy’ [実践哲学序論] (Iwanami Kōza: Rinrigaku [岩波講座 倫理学], August 1940).
  • Poiēsis and Praxis: An Appendix to the Prolegomena to Practical Philosophy’ [ポイエシスとプラクシス——実践哲学序論補説] (Shisō [思想], December 1940).
  • ‘Artistic Creation as Historical Acts of Formation’ [歴史的形成作用としての芸術的創作] (Shisō [思想], May to June 1941).
  • ‘The Problem of Raison d’état’ [国家理由の問題] (Iwanami Kōza: Rinrigaku [岩波講座 倫理学], September 1941).
  • Philosophical Essays, Vol. 5 [哲学論文集 第5]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August 1944), reprinted in NKZ9.
  • ‘On the Objectivity or Knowledge: A New Foundation for Epistemology’ [知識の客観性について——新たなる知識論の基盤] (Shisō [思想], Nos. 248-49, January to February 1943).
  • ‘On Self-Consciousness: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receding Essay’ [自覚について——前論文の基礎付け] (Shisō [思想], Nos. 252-53, May to June 1943).
  • Philosophical Essays, Vol. 6 [哲学論文集 第6]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December 1945), reprinted in NKZ10.
  • ‘The World of Physics’ [物理の世界] (Shisō [思想], No. 260, January 1944).
  • ‘Logic and Mathematics’ [論理と数理] (Shisō [思想], No. 262, March 1944).
  • ‘Towards a Philosophy of Religion, Using Pre-Established Harmony as a Guide’ [予定調和を手引きとして宗教哲学へ] (Shisō [思想], No. 264, May/June 1944).
  • ‘On Cartesian Philosophy’ [デカルト哲学について] (Shisō [思想], No. 265, July 1944).
  • ‘Tradition’ [伝統] (Shisō [思想], No. 256, September 1943).
  • ‘Space’ [空間] (previously unpublished, finished in July 1944).
  • ‘Lay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Mathematics’ [数学の哲学的基礎付け] (previously unpublished, composed between December 1944 and January 1945).
  • Philosophical Essays, Vol. 7 [哲学論文集 第7]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February 1946), reprinted in NKZ10.
  • ‘Life’ [生命] (Shisō [思想], Nos. 267-68, October 1944 to August 1945).
  • ‘The Logic of Place and the Religious Worldview’ [場所的論理と宗教的世界観] (previously unpublished, composed between February and April 1945).
  • Thoughts and Experiences, Vol. 3 [『続 思索と体験』以後] (Tokyo: Iwanami Shoten [岩波書店], March 1948), reprinted in NKZ10.
  • Shorter Writings, reprinted in NKZ11
  • ‘An Outline of Green’s Ethics’ [グリーン氏倫理哲学の大意] (Kyōiku Jiron, Nos. 362-4, May 1895), reprinted in NKZ11:3-22.
Nishida’s first published work.
  • Hume’s Law of Causation’ [ヒュームの因果法].
  • ‘Debating the Existence of Innate Knowledge’ [先天智識の有無を論ず].
  • ‘My Thoughts on Yamamoto Yasunosuke’s Essay ‘Religion and Reason’’ [山本安之助君の「宗教と理性」という論文を読みて所感を述ぶ].
  • ‘An Explication of the Beautiful’ [美の説明].
  • Benedictus Spinoza’ [ベネヂクトス、スピノーザ].
  • ‘Kantianism in Ethics’ [カント倫理学主義].
  • ‘On Contemporary Religion’ [現今の宗教について].
  • ‘The School of Self-Consciousness’ [自覚主義].
  • ‘My Contribution to Recommended Books for Edification’ [『静修書目答問』への回答].
  • ‘The Essence of Religion’ [宗教の本質].
  • Jakob Boehme’ [ヤコッブ、ベーメ].
  •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oul’ [心の中と外].
  • ‘Miscellaneous Thoughts’ [雑感].
  • ‘An Apology for Philosophy’ [哲学のアポロジー].
  • ‘Reading’ [読書].
  • ‘On the So-Called Japaneseness’ [日本的ということについて].
  • ‘On Reading Tanaka Ōdō’s Review’ [田中王堂君の批評を読みて].
  • Augustine’s Theory of Trinity’ [アウグスチヌスの三位一体論].
  • ‘The World of Objects of Art’ [芸術の対象界].
  • ‘On Contemporary Idealism’ [現今の理想主義について].
  • Russell as a Scholar’ [学者としてのラッスル].
  • ‘The Meaning of My Voluntarism’ [私の主意主義の意味].
  • ‘Explanation of Philosophical Terms’ [哲学用語解説].
  • ‘After the Great Earthquake’ [大震災の後に].
  • Lectures
  • ‘Modern Idealist Philosophy’ [現代における理想主義の哲学], reprinted in NKZ12.
  • Fichte’s Philosophy’ [フイヒテの哲学], reprinted in NKZ12.
  • Cohen’s Philosophy’ [コーヘンの哲学], reprinted in NKZ12.
  • Plato’s Philosophy’ [プラトンの哲学], reprinted in NKZ12.
  • ‘The Concept of Personality as the Ground of Reality’ [実在の根柢としての人格概念], reprinted in NKZ12.
  • ‘The World of Action’ [行為の世界], reprinted in NKZ12.
  •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Real World’ [現実の世界の論理的構造], reprinted in NKZ12.
  • ‘The Body as Historical’ [歴史的身体], reprinted in NKZ12.
  • ‘Problems of Japanese Culture’ [日本文化の問題], reprinted in NKZ13.
  • ‘The Reciproc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between Pure Experiences’ [純粋経験相互の関係および連絡について], reprinted in NKZ13.
  • ‘Anti-Natural-Scientific Thought’ [反自然科学的思想], reprinted in NKZ13.
  • ‘Contemporary Spiritualism’ [現今の唯心論], reprinted in NKZ13.
  • ‘The Concept of Scientific Truth in Contemporary Philosophy’ [現代哲学における科学的真理の概念], reprinted in NKZ13.
  • ‘Contemporary Idealism’ [現今の理想主義], reprinted in NKZ13.
  • Coincidentia oppositorum and Love’ [Coincidentia oppositorumと愛], reprinted in NKZ13.
  • ‘The Standpoint of Religion’ [宗教の立場], reprinted in NKZ13.
  • Eckhart’s Mysticism and the Life at Ittōen’ [エックハルトの神秘説と一燈園生活], reprinted in NKZ13.
  • ‘What I Call the Universal of Judgement’ [私の判断的一般者というもの], reprinted in NKZ13.
  • ‘Life, Reality and Logic’ [生と実在と論理], reprinted in NKZ13.
  • ‘On Time and Personality’ [時と人格], reprinted in NKZ13.
  • ‘On Personality’ [人格について], reprinted in NKZ13.
  •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Real World’ [現実の世界の論理的構造], reprinted in NKZ13.
  • ‘My Philosophical Position and Method’ [私の哲学の立場と方法], reprinted in NKZ13.
  • ‘On Traditionalism’ [伝統主義について], reprinted in NKZ13.
  • Lecture Notes
  • ‘The Study of Religion’ [宗教学] (1914-15), reprinted in NKZ14.
Nishida’s sources for these lectures include LeubaThe Psychological Study of Religion (1912); StarbuckThe Psychology of Religion (1899); Edward Scribner Ames, The Psychology of Religious Experience (1910); James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1902); TieleGrundzüge der Religionswissenschaft (1904); Hermann Siebeck, Lehrbuch der Religionsphilosophie (1893); and HöffdingReligionsphilosophie (1901).
  • ‘An Outline of Philosophy’ [哲学概論], reprinted in NKZ14.
Nishida gave these introductory lectures annually while at Kyoto Imperial University. This version is based on notes from the Taishō and Shōwa era.
  • Aristotle’s Metaphysics’ [アリストテレスの形而上学] (1924-25), reprinted in NKZ14.
  • Plotinus’ Philosophy’ [プロチノスの哲学] (1924-25), reprinted in NKZ14.
  • ‘A History of Ethics in Britain’ [英国倫理学史] (ca. 1904), reprinted in NKZ14.
Nishida breaks this history into four periods: [1] The Beginning (Hobbes); [2] The First Phase (CudworthCumberlandLocke); [3] The Second Phase (ShaftesburyHutchesonButlerHumeSmithHartley); and [4] The Third Phase (Intuition School: PriceReid; Utilitarianism: PaleyBenthamMill; Evolutional Ethics: Spencer).
  • ‘Lectures on Psychology’ [心理学講義] (1904-05), reprinted in NKZ14.
Nishida’s sources for these lectures include WundtGrundriss der Psychologie (1896); ZiehenPsychophysiologische Erkenntnistheorie (1898); and KülpeGrundriss der Psychologie auf experimenteller Grundlage dargestellt (1893).
  • ‘A Draft of Ethics’ [倫理学草案] (1904-05), reprinted in NKZ14.
Nishida’s sources include SidgwickOutlines of the History of Ethics for English Readers (1886); MartineauTypes of Ethical Theory (1885); and James MackintoshDissertation on the Progress of Ethical Philosophy: Chiefly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1836)
  • ‘An Outline of Philosophy’ [哲学概論], reprinted in NKZ15.
This version is based on notes from the late Meiji era, so the early incarnations of these introductory lectures.
  • ‘Vorlesung 1926’, reprinted in NKZ15.
  • ‘Ethics Lecture Notes’ [倫理学講義ノート], reprinted in NKZ25.
  • ‘The Study of Religion Lecture Notes’ [宗教学講義ノート], reprinted in NKZ25.
  • Fragments and Notes, reprinted in NKZ16.
  • Diaries
  • Diary entries from 1897 to 1912, reprinted in NKZ17.
  • Diary entries from 1913 to 1945, reprinted in NKZ18.
  • Correspondence
  • Letters from 1887 to 1920, reprinted in NKZ19.
  • Letters from 1921 to 1930, reprinted in NKZ20.
  • Letters from 1931 to 1936, reprinted in NKZ21.
  • Letters from 1937 to 1941, reprinted in NKZ22.
  • Letters from 1942 to 1945, reprinted in NKZ23.

Translated works[edit]

  • An Inquiry into the Good, trans. Masao Abe and Christopher Iv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0.
  • "An Explanation of Beauty," trans. Steve Odin. Monumenta Nipponica vol. 42 no. 2 (1987): 211–217.
  • Intuition and Reflection in Self-Consciousness, trans. Valdo H. ViglielmoTakeuchi Yoshinori and Joseph S. O'Leary.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7.
  • Last Writings: Nothingness and the Religious Worldview, trans. David Dilworth.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3.
    • "Logic of the Place of Nothingness and the Religious Worldview"
    • "Concerning My Logic"
  • Place and Dialectic: Two Essays by Nishida Kitaro, trans. John W. M. Krummel and Shigenori Nagatomo.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 Ontology of Production: Three Essays, trans. William Haver.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2012.
  • The Unsolved Issue of Consciousness, trans. John W. M. Krummell, in Philosophy East and West 62, no 1 (2012):44–59.
  • L’Éveil à soi, trans. Jacynthe Tremblay. Paris: CNRS Éditions, 2003, 298 p.
  • De ce qui agit à ce qui voit, trans. Jacynthe Tremblay. Montréal: Presses de l'Université de Montréal, 2015, 364 p.
  • Autoéveil. Le Système des universels, trans. Jacynthe Tremblay. Nagoya: Chisokudō Publications, 2017.

See also[edit]

Footnotes[edit]

  1. ^ Nishida Kitaro a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 ^ Yusa Michiko. Zen & Philosophy: An Intellectual Biography of Nishida Kitaro.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p. 5.
  3. ^ Yusa Michiko. Zen & Philosophy: An Intellectual Biography of Nishida Kitaro.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p. 337.
  4. ^ Nishida, Kitarō (1980), Zen no kenkyū An Inquiry into the Good, Tokyo: Iwanami Shoten.
  5. ^ Iţu, Mircia (2005), Nishida Kitarō. O cercetare asupra binelui, Braşov: Orientul latin, page 240 ISBN 973-9338-77-1.
  6. ^ Abe, Maso (1987). An Inquiry Into the Goo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 xxv. ISBN 978-0-300-05233-6.

Further reading[edit]

Books[edit]

  • Carter, Robert EThe Nothingness beyond God: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Nishida Kitaro Paragon House, 1989. ISBN 1-55778-761-1)
  • Christopher IvesImperial-Way Zen: Ishikawa Hakugen's Critique and Lingering Questions for Buddhist Ethic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9. ISBN 978-0-8248-3331-2
  • Heisig, James WPhilosophers of Nothingnes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1. ISBN 0-8248-2481-4
  • Mayeda, Graham. Japanese Philosophers on Society and Culture: Nishida Kitarō, Watsuji Tetsurō, and Kuki Shūzō. Lanham: Lexington Books, 2020. ISBN 978-1-4985-7208-8
  • Nishitani KeijiNishida Kitar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ISBN 0-520-07364-9
  • Tremblay Jacynthe, Nishida Kitarō. Le Jeu de l’individuel et de l’universel, Paris, CNRS Éditions, 2000, 334 p.
  • Tremblay Jacynthe, Introduction à la philosophie de Nishida, Paris, L’Harmattan, 2007, 141 p.
  • Tremblay Jacynthe, Auto-éveil et temporalité. Les Défis posés par la philosophie de Nishida, Paris, L’Harmattan, 2007, 229 p.
  • Tremblay Jacynthe, L’Être-soi et l’être-ensemble. L’Auto-éveil comme méthode philosophique chez Nishida, Paris, L’Harmattan, 2007, 194 p.
  • Tremblay Jacynthe, Je suis un lieu, Montréal, Les Presses de l’Université de Montréal, 2016, 316 p.
  • Tremblay Jacynthe (ed.), Laval Théologique et Philosophique. Philosophie japonaise du XXe siècle, 64 (June 2008, no. 2) 233-573.
  • Tremblay Jacynthe (ed.), Philosophes japonais contemporains, Montréal, Presses de l’Université de Montréal, 2010, 492 p.
  • Tremblay Jacynthe (ed.), Théologiques. Les philosophes de l’École de Kyōto et la théologie 12 (2012, no. 1-2) 3-383.
  • Tremblay Jacynthe (ed.), Milieux modernes et reflets japonais. Chemins philosophiques, Québec, Presses de l’Université Laval, 2015, 286 p. (with Marie-Hélène Parizeau).
  • Wargo, Robert J. JThe Logic Of Nothingness: A Study Of Nishida Kitaro.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5. ISBN 0-8248-2969-7
  • Yusa MichikoZen & Philosophy: An Intellectual Biography of Nishida Kitaro.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ISBN 0-8248-2459-8

Articles[edit]

External links[edit]

===

교토 학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토 학파(京都学派)는 서양의 철학과 종교적 사상을 완전히 이해하여 그것을 동아시아 문화 전통에 특화된 종교적, 도덕적 내면을 창조하기 위하여 이용한 교토 대학을 중심으로 활동한 철학 운동에 붙여진 이름이다.[1] 그러나 이는 또한 교토 대학에서 교수하고, 교토 학파를 창립한 사상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일본의 고유성에 대한 독특한 이론을 발달시킨 몇 명의 전후 학자들을 이르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두 번째 뜻에 포함되는 사상가와 작가는 교토 대학 인문과학 연구소(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라는 이름으로 나타난다.

대략 1913년 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郎)에서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심각한 논쟁에서 살아남아 유명하고 활동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교토 학파는 프랑크푸르트 학파나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와 같이 전통적인 학파의 의미에서 철학 "학파"는 아니다. 대신 교토 대학을 중심으로 모인 학자 그룹은 독자적인 사상을 장려하였다.

제임스 하이직(James Heisig)에 따르면 교토 학파라는 이름은 1932년 니시다의 제자와 다나베 하지메(田辺元)가 처음 사용하였다.[2] 도사카 준(戸坂潤)은 그 자신을 학파의 막시스트 좌파의 한 명이라고 생각하였다. 이후 일본 밖의 미디어와 다른 학술 기관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1970년대에 널리 받아들여진 용어가 되었다.

각주[편집]

  1.  D.S. Clarke, Jr. "Introduction" in Nishida Kitaro by Nishitani Keiji, 1991.
  2.  Heisig 2001, p.4

===

알라딘: [홍대선]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알라딘: [전자책]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eBook]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 6인의 철학자가 삶으로 입증한 견고한 나 되는 법 
홍대선 (지은이)푸른숲2018-08-06 



책소개

개인이 개인에게 드리는 개인의 이야기다. 근대철학에 이르러, 인간은 독립된 개인이자 절대적인 주체가 되었다. 데카르트 철학은 ‘나’의 탄생이었다. 이후 스피노자,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를 거쳐 니체에 이르기까지 ‘나’의 정체성은 더욱 견고해졌다. 이들의 철학은 현대적 개인이 탄생한 과정이며, 따라서 다름 아닌 우리의 이야기다.

저자는 인권의 개념마저 없던 시대를 살던 철학자들의 삶의 궤적을 쫓으며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으로 살 수 있었는지’를 탐구했다. 그들에게는 공통적으로 깨지지 않는 견고한 규칙이 있었다. 바로 ‘나답게 산다는 것’이다.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 삶의 질서를 지키고 확신을 가지며 세간의 비난과 가족의 외면, 고독과 가난까지 감수하고 극복하며 살아냈다.

그들이 생전에 주장했던 철학이 곧 그들의 삶이었다. 한 인간으로서 매순간 다양한 변곡점을 넘나들며 치열하게 살아간 그들의 인생 스토리가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로 우리의 피부 가까이 다가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목차
들어가는 말
철학자들의 비밀에 독자 여러분을 초대하며

데카르트 나는 주체다
의심하는 어린이
의심하는 여행자
의심하는 은둔자
의심하는 철학자
의심스러운 세계

스피노자 나는 개인이다
복 받은 아이
모두의 스피노자
누구의 것도 아닌 스피노자
나는 개인이다
스피노자는 스피노자다
악마의 하수인
홀로서기
나, 고독한 개인
나, 이기적 개인
나, 윤리적 개인

칸트 나는 신념이다
쾨니히스베르크의 임마누엘
삶의 매듭, 철학의 매듭
경험과 이성 사이에서
철학자의 사생활
나는 신념이다

헤겔 나는 역사다
뒤처진 시대, 뒤처진 사람
뒤늦은 사람의 시대
나는 역사다
절대적이고 시대적이며 세계적인
인생의 정반합

쇼펜하우어 나는 고독이다
아버지의 그늘
어머니의 그늘
헤겔의 그늘
무명의 그늘
인간의 그늘

니체 나는 투쟁이다
인간의 탄생
남자의 탄생
철인의 탄생
비극의 탄생
광인의 탄생
초인의 탄생

맺는말
개인이 개인에게 드리는 개인의 이야기를 마치며

참고문헌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데카르트는 1596년 3월 31일 프랑스 투렌 지방의 작은 마을 라에유에서 태어났다. 그는 생후 1년 2개월 만에 어머니를 여의었다.
P. 28
삶의 길에서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최후의 1인은 우리 자신이다. 살아보지 않고는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없다.
- <데카르트>
P. 136
자신의 욕망을 소중히 하는 사람만이 타인의 이기심도 존중할 수 있다. ‘너 자신과 너의 삶을 사랑하라’는 말을 하기 위해 그토록 많은 비난과 저주를 받은 사람은 없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토록 초연했던 사람 역시 없다. 스피노자는 삶 자체를 향유하라고 한다. 지금 즐겁다면 만족하고, 불편하면 다른 걸 하면 된다. 철학을 하는 목적도 어디까지나 삶을 위해서다.
- <스피노자> 61  접기
P. 142
칸트 이전의 철학은 칸트에게 흘러들어갔고, 칸트 이후의 철학은 칸트로부터 흘러나왔다.
- <칸트>
P. 229
열등감, 질투, 슬픔, 분노는 삶에 주어진 숙제다. 숙제의 빈칸을 채워야 다음 숙제로 넘어갈 수 있다. 더 나은 사람이 되는 데 오늘도 가까스로 성공하면서 한 층씩 ‘빌둥’을 쌓아나가야 한다. 우리는 오늘도 스스로를 쌓고 보수한다.
- <헤겔>
P. 232,258
고약한 인상, 툭하면 내뱉는 여성혐오, 세상에는 사랑도 희망도 없다고 외치는 성마른 목소리.
그러나 그의 철학은 쇼펜하우어 자신처럼 옹졸하지 않다. 그는 말한다. “세상에 꼭 꿈과 희망이 있어야 하는가?”
- <쇼펜하우어>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홍대선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문학과 칼럼, 시나리오 등 다양한 글쓰기를 해왔다. 국내 최초 인터넷 신문인 《딴지일보》에서 일하며 쓴 <테무진 to the 칸>은 역대 최고 조회수를 기록했다. 인문교양 팟캐스트 〈안 물어봐도 알려주는 남 얘기〉 등의 진행자로도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1미터 개인의 간격》,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테무진 to the 칸》, 《축구는 문화다》, 《태양의 해적》 등이 있다.
한국인은 누구이며, 어떻게 현재의 한국인이 되었는지를 탐구하며 답을 찾고 있다. 이 책은 그 질문에 대한 중간... 더보기
최근작 : <유신 그리고 유신>,<[큰글자도서]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1미터 개인의 간격> … 총 11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데카르트, 스피노자,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니체,
그들은 때로 흔들렸지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었다

그 누구와도 다른 개인으로 살아가는 법

이 책은 근대를 열고 지금 우리가 아는 개인의 개념을 만든 위대한 여섯 명의 사상가 데카르트, 스피노자,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니체를 ‘개인의 시선’으로 접근한다. 수많은 규율과 제약에 묶인 한 인간이 어떠한 경험들을 통해 자신을 고유한 개인으로 구축해나갈 수 있었는지 살펴본다. 그래서 그들이 각각 ‘개인의 발견’을 이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인간은 태어나지만 개인은 만들어진다. 철학자이기 이전에 개인이었던 그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스스로 규정하기 위해 나름의 길을 구했다. 영국의 철학자인 앨프리드 화이트헤드는 “철학자 개인의 경험에 붙인 각주”가 곧 ‘철학’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철학이 곧 그 사람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들은 ‘개인’이라는 개념조차 낯선 시대였음에도 예측 가능하고 비슷비슷한 삶을 거부하고 생의 방향을 직접 선택했다. 계속되는 경기침체와 구직난, 언제 어떻게 닥쳐올지 모르는 자연적?국가적 재난으로 인한 생존의 위협은 우리를 점점 더 움츠러들게 만든다. 이미 오래전 철학책에 박제되어 버린, 귀에 익숙하지만 멀게만 느껴지는 이들을 지금의 현실로 소환하는 이유는 생존조차 위협받는 불안 속에서 ‘나 자신’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고유한 개인으로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을지 앞이 보이지 않는 막막한 현실에서 우리는 철학자들의 내밀한 삶의 태도를 통해 자신만의 열쇠가 되어 줄 해결의 단초를 찾을지도 모른다.

“어른이 되는 길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하나는 순응, 또 다른 하나는 의심.
순응을 하면 사회공동체의 구성원이 되고, 의심을 하면 세상 그 누구와도 다른 개인이 된다.“
- 데카르트


“우리는 자기 삶의 주인이자 세계의 중심이다.”
- 니체

지금이 즐겁다면 만족하고, 불편하면 다른 걸 하면 된다.
철학을 하는 목적도 어디까지나 삶을 위해서다.

이 책은 개인이 개인에게 드리는 개인의 이야기입니다. 근대철학에 이르러, 인간은 독립된 개인이자 절대적인 주체가 되었습니다. 데카르트 철학은 ‘나’의 탄생이었습니다. 이후 스피노자,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를 거쳐 니체에 이르기까지 ‘나’의 정체성은 더욱 견고해졌습니다. 이들의 철학은 현대적 개인이 탄생한 과정이며, 따라서 다름 아닌 우리의 이야기입니다.

위대한 철학자들, 그들도 인간의 숙명에 따라 때로 혹은 자주 흔들리는 개인이었습니다. 우리는 모두 각자이기에 제멋대로 스스로를 규정하고 이끌어갈 용기를 가져야 합니다. 겁을 먹을지언정 움츠려들어 있기만 할 수 없습니다. 어느 시점에서는 회피가 불가능해집니다. 나의 목적은 나입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피부를 백지 삼아 선언문을 작성해야 합니다. 내가 누구인지 결정할 이는 나뿐이라고 말입니다.
_ 저자의 말 중에서

■ 나를 치유하기 위해 시작한 이야기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는 홍대선이 절망의 끝자락에서 찾은 실낱같은 삶의 연결고리였다. 2011년 4월, 대한민국을 들썩이게 한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저자가 안방에서 겪은 또 다른 세월호였다. 가족을 잃은 고통, 먹고사는 문제와 암울한 미래에 대한 고민은 ‘홍대선’이 오롯이 ‘개인’으로 넘어야만 하는 과제였다. 사느냐 마느냐의 기로에서 떠올린 철학 공부는 그를 다시 양지로 나오게 하는 자양분이 되었다. 내가 누구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스스로에게 되물으면서 철학적 탐색을 시작했다.

누구나 살다 보면 느닷없이 넘어지는 순간이 온다. 예상치 못한 일들로 마음이 한없이 무너지다 보면 나와 나를 둘러싼 모든 것들, 그리고 인생의 깊숙한 곳까지 되돌아보게 된다. 누구도 삶의 끝까지 가보지 않았기에 우리는 그 어디에서도 확신을 얻지 못하고, 막연한 두려움에 반쯤 젖은 상태로 하루하루를 버티며 살아간다. 저자는 그러한 혼란 속에서 이미 혼란을 넘으며 살아간 사람들을 찾았다.

바로 데카르트, 스피노자,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니체다. 저자는 인권의 개념마저 없던 시대를 살던 철학자들의 삶의 궤적을 쫓으며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으로 살 수 있었는지’를 탐구했다. 그들에게는 공통적으로 깨지지 않는 견고한 규칙이 있었다. 바로 ‘나로 존재하고 나답게 산다는 것’이다. 그들은 세간의 비난과 가족의 외면, 고독과 가난까지 감수하고 그들 나름대로 삶의 질서에 대한 확신을 지키며 살아냈다. 그들이 구축한 철학이 곧 그들의 삶이었다.

한 인간으로서 매순간 다양한 변곡점을 넘나들며 치열하게 살아간 그들의 인생 스토리가 가까이 다가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 온전히 내 뜻대로 살아간 6인의 철학자들

● 나는 모든 것을 의심한다 - 데카르트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 이 한 문장으로 유명한 데카르트는 태어나자마자 생사의 갈림길에 놓일 만큼 병약했다. 르네라는 이름도 ‘다시 태어나다’라는 라틴어 ‘레나투스’를 프랑스식으로 따온 것이다.(17쪽) 늘 침상에 누워 있던 그는 보이는 모든 것을 의심하곤 했다.(18~19쪽)

열 살이 되었을 때, 라플레슈라는 학교에 입학한 데카르트는 그곳에서 받는 교육에 대해서도 의심을 품었다.(20~21쪽) 8년을 라플레슈에서 보낸 데카르트는 《방법서설》에 다음과 같이 회고한다. “나는 스승들의 예속에서 벗어나도 좋을 나이에 이르자마자 그동안 배워온 공부를 완전히 버렸다.”(23쪽) “데카르트는 사회적?종교적 권위를 가진 사람일지라도 남이 하는 말은 웬만해선 믿지 않겠노라고 다짐했다.

‘불온사상’과 까탈스러운 고집이 그를 근대철학의 아버지로 만들 줄은 그 자신도 몰랐을 것이다.”(20~23쪽)

● 너 자신과 너의 삶을 사랑하라 - 스피노자
스피노자는 5살 때 지나고그라는 작은 유대 공동체의 랍비로 낙점되었다.(71쪽) 그러나 스피노자는 “내 뜻대로 철학적 진리를 추구할 수 있는 나”를 원했다. “스피노자는 ‘나 자신’을 쟁취하지 않으면 그의 인생은 실패라고 확신했다. 스피노자는 스피노자의 생각으로 존재하는 스피노자여야 했다.”(80~81쪽) 종교적 엄숙주의가 강했던 시대에 그가 거침없이 내뱉은 ‘개인주의자 선언’은 엄청난 파국을 불러왔고, 오랜 기간 재판과 형벌을 받고 공동체에서 쫓겨난 그는 이렇게 말했다. “이제 자유다.”(89쪽)

그 후 스피노자는 남은 평생을 철학 연구와 유리 세공에 매진했다. 그는 자급자족하는 자신의 삶에 큰 만족을 느꼈고, 단 한 번도 과거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았다. 가족, 돈, 명예 심지어 생명의 위협을 느낄 때마저도 그는 흔들리지 않았다.(108~112쪽) 그는 “진정한 개인주의자만이 선량한 사회구성원이 될 자격을 얻는다”(61쪽)고 말한다. “즉, 자신의 욕망을 소중히 하는 사람만이 타인의 이기심도 존중할 수 있다”(61쪽)는 것이다. “스피노자는 자유, 인권, 평등의 철학을 위해 기꺼이 소외당하는 삶을 받아들인 어쩌면 최초의 개인”이다.(329쪽)

● 단지 그것이 옳기 때문에 - 칸트
시간을 칼같이 지키기로 유명한 규칙광 칸트는 “스피노자의 개인에 도덕적 확신을 입혔”(329쪽)다. “엄청난 암기력과 학구열의 소유자였던 칸트는 분야를 가리지 않고 지식을 흡수했다. 때문에 오늘날의 시간강사와 비슷한 위치인 사강사의 지위로 푼돈을 받으며 극한의 열정노동에 시달렸다.”(147쪽) “칸트가 가난한 강사 처지를 벗어나 정교수가 되기까지는 무려 15년이라는 긴 세월이 걸렸다.”(148쪽)

깐깐한 선비인 칸트는 ‘확신’을 가진 개인을 추구했다. 그는 “인간이 자기 자신으로 살기 위해서는 확신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175쪽) “인간에게는 스스로 부여한 마음의 기둥이 있어야”(181쪽) 하는데, “구구절절 설명할 수 없어도 필요한 순간 ‘그렇다!’, ‘아니다!’라고 힘주어 말할 수 없다면 온전한 개인이 아니”(182쪽)라고 주장한다. 칸트에게 그것은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인간의 양심과 존엄”(184쪽)이었다.

● 나는 내 삶의 증인이다 - 헤겔
헤겔 역시 칸트와 마찬가지로 뒤늦게 성공했다. 현실에 관심이 많았던 헤겔은 유럽 다른 나라와 달리 여전히 영주의 독재가 판을 치는 전근대적인 독일에 회의와 분노를 느꼈다.(189쪽) 그러한 독일에 자유와 평등이라는 도저한 물결을 몰고 온 나폴레옹을 향해 헤겔은 그 유명한 문구를 남긴다. “저기 말을 탄 세계정신이 지나간다.”(201쪽)

헤겔은 “역사가 진보해온 결과”를 받아들이고 소화하는 개인(212쪽), 즉 “노력하는 존재”(329쪽)로서의 개인을 주장했다. 헤겔은 “개인은 각자 자신의 삶을 살아내지만 역사에 영향을 끼치고 거꾸로 영향 받는다”(214쪽)고 말한다. 때문에 진보를 위해선 정신적?지적 세계가 누적된 교양이 필요하다 여겼고(212쪽), 건축물처럼 쌓아올린다는 뜻의 “빌둥(bildung, 교양)”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211쪽)

“우리 대부분은 '당신은 어떤 사람이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보통 자신이 되고 싶은 모습을 이야기한다. 이에 대해 헤겔은 내가 해왔던 행동, 내가 보여 온 태도가 곧 나이며, 더 나은 사람이 되려면 그만한 행동과 태도를 반복해야 한다”(213~214쪽)고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그가 말한 “나는 내 삶의 증인이다”(230쪽)라는 뜻이 앞의 내용들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 개개인의 인생사는 고뇌의 역사다 - 쇼펜하우어
“고약한 인상, 툭하면 내뱉는 여성혐오, 세상에는 사랑도 희망도 없다고 외치는 성마른 목소리”(232쪽), 어머니를 증오하는 아들, 애견 ‘부츠’와의 산책으로 프랑크푸르트를 상징하는 명물이 된 쇼펜하우어.(272쪽) “그는 나약하게 태어나 속 좁은 인간으로 살았지만”(276쪽) 그 때문에 그만의 철학을 탄생시킬 수 있었다. 쇼펜하우어는 인간인 이상 “필연적으로 고독”(276쪽)할 수밖에 없고 그 누구도 결핍이 없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도 고독과 애정을 갈구했던 그의 양면성은 그가 남긴 《여록과 보유》에 분명하게 드러난다.

“추운 겨울날, 고슴도치들은 얼어 죽지 않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바싹 달라붙어 한 덩어리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곧 그들은 가시가 서로를 찌름을 느꼈다. 그래서 그들은 다시 떨어졌다. 그러자 그들은 추위에 견딜 수 없어 다시 한 덩어리가 되었다. 그러자 가시가 서로를 찔러 또다시 떨어졌다. 이렇게 그들은 두 악마 사이를 오갔다. 그러다 그들은 결국 상대방의 가시를 견딜 수 있는 적당한 거리를 발견했다. 인간 생활의 공허함과 단조로움에서 생겨나는 사회생활의 욕망은 인간을 한 덩어리로 만든다. 그러나 그들은 불쾌감과 반발심으로 인해 다시 떨어진다. 그들은 마침내 서로 견딜 수 있는 적당한 간격을 발견하게 되었다. 바로 정중함과 예의다.” (273쪽)

“단순한 철학적 우화로도 뛰어나지만 《여록과 보유》가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의 부록집인 만큼 쇼펜하우어 철학의 세계관(인간에 대한 상)에도 완벽히 부합하는 이야기다.”(273쪽)

“자연이 부여한 끝없는 의지 때문에 인간은 욕망 사이에서 갈등한다. 그리고 어느 하나를 제 몫으로 선택하고 책임져야 하는 실존적 상황에 처한다. 정중함과 예의는 의지가 베푼 보상인 동시에 품위를 알게 된 인간이 다시는 내버릴 수 없는 등짐”(273쪽)이라고 쇼펜하우어는 말한다. “이렇게 인간은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헤매며 한 걸음씩 나아간다.”(273쪽)

● 사람은 극복되어야 할 그 무엇이다 - 니체
“현대 철학의 창시자이자 최초의 현대인”으로, “우리의 의식 구조를 형성한 정신적 선조 중 한 명“인 니체.(278쪽) 그는 데카르트와 마찬가지로 허약한 체질 때문에 어린 시절 대부분을 누워서 보냈다.(281쪽) 니체는 데카르트처럼 관찰하고 의심하고 회의했다. “날선 두뇌와 예민한 문학적 감수성, 그리고 아픈 몸은 철학자가 될 최적의 조건이었는지도 모른다.”(282쪽)

“병약한 아이는 어쩔 수 없이 민폐”(282쪽)를 끼칠 수밖에 없다. 집안의 어른이 주로 여성뿐이라 그들의 보살핌에 의존해야만 했던 니체는 자신의 모습을 거부하고 싶었고, “여성에게 의존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강박을 키웠다.”(282쪽) 그런 “니체의 여성혐오는 자기혐오와도 맞닿아 있다.”(282쪽)

뇌종양이 악화되면서 “니체는 언제 와장창 잃을지 모르는 건강 때문에라도 더 치열하게 사유하고 썼다.”(314쪽) 그래서인지 그의 “철학은 투쟁적”(330쪽)이다.

“그가 말하는 투쟁은 나 자신과의 투쟁이다.”(330쪽) 그는 가장 든든한 전우도 최강의 적도 바로 ‘나 자신’이라고 말한다.(326쪽) 그가 말한 ‘위버멘쉬’ 즉, 초인의 개념이 이렇게 탄생한다.(315, 324쪽) 위버멘쉬란 인간 자신과 세계를 긍정할 수 있는 존재이며, 지상에 의미를 부여하고 완성시키는 주인의 역할을 하는 존재를 말한다.

니체의 “철학에는 집단성이 없다. 어울림, 존중, 이해는 있어도 협동과 의무는 보이지 않는다. 니체는 이타적이 되지 말라고 한다. 인간은 이기적이고 그런 자신을 긍정해야 한다고, 그러나 남의 이기심도 인정하고 끝없이 합의하려는 ‘귀족적 정신’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건강한 이기심’이며 인간 도덕의 시작과 끝”(324쪽)이라는 것이다.

“철학을 한다는 것은 사는 법을 연습하는 것이다.”
- 스피노자 접기


평점 분포
    8.9


구매자 (4)
전체 (5)
공감순 
     
순결한 가터벨트만 생각나네..
철학자 인생 요약서로만 좋음.  구매
LineIDsecondto0 2018-08-23 공감 (10) 댓글 (0)
Thanks to
 
공감
     
과거 철학자들의 사상과 적당한 가십들을 버무려 재미있게 서술. 엑스세대 느낌의 아재개그도 나름 적중했다. 힐링캠프스러운 제목만이 유일한 오점. 작가의 팬이 되었다.  구매
catcher 2021-11-10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딴지일보 출신 철학자의 재기발랄한 철학입문서처럼 보이지만, 다 읽곤나니 철학책을 쓸 정도로 거듭할수밖에 없었던 고민들과, 그렇게 거쳐온 저자의 삶에 고개가 숙여졌다.  구매
만권 2022-01-14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딴지일보 기자로 더 유명한 저자. 페이스북에 연재했던 내용을 기반으로 쓴 저작물. 언제 출간하나 기다리고 있었는데 드디어 출간!!! 너무 유명하지만 어렵게만 여겼던 철학자들을 그들의 삶과 연관지어 철학을 한 편의 영화처럼 흥미롭고 이해하기 쉽게 기술한 책이다.  구매
이범석 2018-08-04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4)
전체 (19)
리뷰쓰기
공감순 
     
[마이리뷰]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새창으로 보기 구매
제목이 책의 내용과 잘 맞지 않는것 같았은데 읽다보니 그럭저럭 덜 맞춰지는 퍼즐처럼 얼기설기 엮어지는듯 하다!서양 근대철학자 6인의 삶을 중심으로 그 삶의 횡보와 철학을 무겁지 않게, 그러나 너무 가볍지도 않게 다루고 있어 재미있고 편하게 읽었다! 특히, 스피노자의 삶이 매력적으로 느껴졌고 어린시절부터 들어 왔던 ˝내일 지구가 멸망할지라도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그의 말을 조금이나마 새삼스레 느낄 수 있었던것 같았다.또한, 시크함과 약간의 찌질함을 겸비한 쇼펜하우어의 삶도 흥미롭게 다가온건 나에게 또 다른 덤이었다!ㅎ
막시무스 2020-09-05 공감(54) 댓글(6)
Thanks to
 
공감
     
데카르트, 스피노자,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니체 등이 보인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 방법을 논한 책 새창으로 보기 구매
 

홍대선이 쓴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는 데카르트, 스피노자,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니체 등 유명 철학자들의 사상을 삶을 중심으로 설명한 책이다. 삶을 강조하는 저자의 진의는 철학이란 개인의 경험에 붙인 각주라는 말을 통해 드러난다. 저자는 철학을 태도를 설정으로 작업으로도 정의한다.

 

본문에 소개된 철학자들은 대체로 몸이 약했다. 데카르트는 어려서부터 몸이 약해 걸핏하면 드러누웠다.(그의 이름 르네는 다시 태어났다는 의미의 라틴어 레나투스의 프랑스어 버전이다. 데카르트는 생후 1년 여만에 결핵으로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가 살아났다.) 늦잠의 황제이자 "날씨가 추우면 생각을 할 수 없"었다는 데카르트는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의 초청을 받고 그 추운 나라에서 새벽부터 여왕에게 강의하다가 53세에 폐렴으로 사망했다.

 

스피노자는 규폐증에 의한 결핵으로 사망했다.(폐는 스피노자 집안의 아킬레스건이나 다름없었다.) 칸트는 늘 아플락 말락 했지만 한 번도 아픈 적이 없었다. 몸이 쇠약해 늘 골골했지만 섭생에 신경 써서 실제 아프지는 않았다. 그런 몸으로 칸트는 80세를 살았다.(백종현 지음 ‘인간이란 무엇인가’ 참고)

 

쇼펜하우어는 웅장하고 섬세한 사상을 가졌지만 진리를 향해 고행을 감내할 강인함이 없었다.(252 페이지) 어릴 때부터 뇌 속의 피가 원활히 돌아가지 않았던 니체는 스위스 바젤대학교 교수직을 보장받고 프로이센 국적을 포기한 후 프랑스 - 프로이센 전쟁에 프로이센 용병으로 참전했으나 가슴에 부상을 입고 쓰러진 데 이어 시도 때도 없이 두통과 안통으로 드러누웠다.(294 페이지)

 

니체는 45세때인 1889년 튜린 여행 중 길거리에서 마부에게 학대받는 말을 끌어안고 흐느끼다가 졸도한 뒤 깨어나 정신병자가 되었다.(310 페이지) 니체가 시적인 문장으로 철학적 분석을 대체한 데에는 건강문제도 있다. 니체는 금방 머리가 피로해졌다. 그럴수록 직관과 확신, 타고난 문학성으로 철학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여섯 명의 철학자들의 독특한 여성관계도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데카르트는 평생 여성에게 호의적인 감정을 가졌다. 스피노자는 클라라라는 소녀와 연애를 했지만 기껏 지킨 재산권을 여동생에게 주고 빚쟁이가 되더니 치열한 법정 소송을 거쳐 겨우 렌즈 세공사로 먹고 살 미래를 남겨놓았다.(클라라는 노동의 삶을 선택한 스피노자에게서 재빨리 떠나 경영권을 물려줄 사업체가 있는 대학생과 결혼했다. 스피노자는 이를 담담하게 받아들였다. 스피노자는 클라라의 선택을 선악, 귀천 등으로 나누지 않았다.)

 

칸트는 한 여인의 청혼을 받고 생각좀 해볼 테니 기달려 달라고 한 뒤 사랑과 관련된 책을 모두 읽고 결혼을 해야 할 이유와 하지 말아야 할 이유를 정리했다. 칸트는 결혼을 해야 할 이유가 하지 말아야 할 이유보다 4개 더 많다는 결론을 내린 뒤 청혼을 한 여인을 찾아갔으나 이미 7년의 시간이 지난 뒤여서 그 여인은 이미 결혼해 자식까지 두었다.(174 페이지)

 

쇼펜하우어는 아버지가 자살(가업을 물려주려 했으나 쇼펜하우어가 거절하자 좌절감에 자살) 했는데 어머니가 너무 밝자 어머니를 의심한 데 이어 아버지의 죽음은 어머니의 이기심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쇼펜하우어는 어머니 뿐 아니라 모든 여자가 문제라고 생각했다. 쇼펜하우어가 여성을 혐오하면서도 침대에서는 원하자 여동생이 사랑을 하려면 똑바로 하라고 하자 언행일치를 위해 여성혐오를 계속하는 한 여자를 멀리해야 한다는 황당한 결론을 이끌어냈다.

 

니체의 여성혐오는 자기혐오와 맞닿아 있다. 니체는 몸이 아파 여성의 보살핌에 의존해야 하는 자신의 모습을 아름답지 않은 것으로 보았다. 니체는 여성에게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강박을 키웠다. 니체는 여성에게 의존적이지 않으려면 여성을 부정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가 프랑스 - 프로이센 전쟁에 프랑스 용병으로 참전한 것은 전쟁터에 가서 남성 어른임을 자각하려 한 결과이다.

 

그러면 여섯 철학자들의 사상은 어떤가. 데카르트는 영혼과 물질을 물과 기름처럼 나눈 철저한 심신이원론자였다. 데카르트에게 자아 즉 나 자신은 영혼이었다. 육체는 물질에 불과하며 영혼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였다. 데카르트의 논리대로라면 영혼은 자신의 육체와도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신체를 조종하는 것일까? 데카르트는 고심 끝에 탈출구를 찾았다. 인간의 머릿속에 영혼과 육체가 연결되는 송과선이라는 통로가 있어서 이성이 물질을 움직인다는 논리였다.(50 페이지)

 

영국의 공주 엘리자베스는 데카르트에게 쓴 편지에서 "저는 비물질적인 존재가 육체를 움직이고 육체에 의해 영향을 받는 능력을 가졌다는 것보다는 영혼이 질료와 연장을 가졌다는 것을 더 쉽게 용인할 수 있겠어요."란 말을 했다. 17세기 암스테르담의 유대인들은 역사상 그 어떤 유대인들보다도 더 강력하게 유대교 외의 가치를 배척했다.

 

머리가 좋은 스피노자는 5세에 랍비로 낙점받았다. 스피노자는 히브리어 교본을 썼고 포르투갈어와 네덜란드어를 모국어로 썼고 글은 라틴어로 썼다. 스페인어와 프랑스어도 조금 했다. 그리스어 책을 읽을 줄도 알았다. 스피노자 가문의 고향은 스페인이었다.(스페인계 유대인)

 

근대가 시작되며 보수적인 스페인에서는 마녀사냥이 빈번했다. 스피노자 집안은 스페인에서 추방 명령을 받고 포르투갈로 갔다. 스피노자가 태어나기 140년 전(1492년)의 일이다. 포르투갈은 자국내 유대인들에게 카톨릭 개종과 죽음 중 하나를 선택할 것을 강요했다. 카톨릭으로 개종한 스피노자 가문은 속으로는 은밀하게 유대교를 믿었다.

 

스피노자 집안은 낭트 칙령으로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 프랑스로 갔다. 그러나 종교의 자유는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중 하나를 선택할 자유였지 유대교는 선택의 대상이 아니었다. 프랑스에서 추방 명령을 받은 스피노자 가족은 네덜란드로 갔다. 암스테르담의 유대인들은 네덜란드에서만큼은 쫓겨나지 않기 위해 자중하기로 암묵 합의했다. 하지만 자치권을 허락받자 급격히 우경화되어 유대교 외의 가치를 철저히 배격했다.

 

유럽과 아라비아의 유대인들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외지에 무일푼으로 추방당해도 먹고살 수 있도록 확고한 직업 하나를 연마하면서 성장하는 게 불문율이었다. 보통 서민층 유대인은 기능공이 되었고 상류층 유대인은 변호사나 의사가 되었다. 스피노자는 자신의 의지로 유리 세공을 배웠다. 스피노자에게 렌즈는 수학적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도구였다.

 

스피노자는 아버지와 공동체 사이에서 분열했다. 아버지는 스피노자에게 경영수업을 시키려 했고 공동체는 랍비 수업을 시키려 했다. 클라라와의 이별 후 조금 고독해진 스피노자는 데카르트의 '방법서설'과 '성찰'을 읽었다. 그는 진정한 해방(유대 공동체와의 결별)을 맛보기 위해 일전했다. 그는 자신의 뜻대로 철학적 진리를 추구할 수 있는 자신을 목표로 했다.

 

스피노자는 신이 왜 남성의 정체성을 지니며 인간사에 불공평하게 개입하며 이다지도 불완전한 세상을 내버려두고 애초에 세상을 불완전하게 창조한 인격신이어야 하느냐 생각했다. 공동체로부터 추방당한 스피노자는 낮에는 렌즈를 깎고 밤에는 철학을 했다. 스피노자의 렌즈 세공은 태양의 직사광선에 비춰야 렌즈의 정밀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작업이었다.

 

밤에는 새벽 3시까지 연구와 집필에 몰두했다. 체력 고갈, 안구 피로, 두통을 피할 수 없었다. 스피노자는 국가의 진정한 목적은 개인의 자유에 있고 철학의 궁극의 목적은 시민의 자유에 있다고 썼다. 1677년 사망한 스피노자는 교회에 안치되지만 시신이 도난당해 끝내 행방은 밝혀지지 않았다. 스피노자에게 인간은 만물의 영장도 신의 자랑스러운 피조물도 아닌 동물일 뿐이다.

 

스피노자 철학에서 인간은 목적을 가지고 태어나지 않는다. 스피노자 철학에서 인간은 능산(能産)이자 소산(所山)이다. 우리의 원인이자 결과이다. '에티카'의 결론은 시민사회다. 개인들이 되도록 좀 더 자유롭고 보다 덜 불편하기 위해 사회계약을 맺은 상태가 그가 생각하는 국가다. 즉 이기적인 개인들이 적당히 타협한 상태이다. 스피노자에게 충성을 강요하는 국가는 국가가 아니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이성의 한계와 기능을 명확히 판가름하자는 취지를 갖는다. 칸트가 생각하기에 이성은 있다. 다만 합리론은 이성을 과대평가했고 경험론은 이성을 지나치게 평가절하했다. 칸트는 경험론이 말하는 후천적 경험과 합리론이 붙잡아온 선험적 이성 모두 인간의 지식과 판단을 구성한다고 설명하는데 성공했다. 내용 없는 사상은 공허하고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란 말은 순수이성비판의 핵심이다.

 

헤겔은 중국을 특히 혐오했다. 전족 풍습 따위를 전해들은 뒤 가진 생각이다. 그는 중국은 공간만 있고 시간은 없는 나라라 말했다. 최강의 모욕이다. 쇼펜하우어는 물자체(物自體)에 다가갈 수 없다는 칸트의 주장을 지지했다. 헤겔이 말한 자아의 팽창, 직감, 절대정신 따위는 우스꽝스러워 보였다. 그는 칸트가 남긴 근원적 외로움을 순순히 인정하기 위해 표상을 꺼내들었다.

 

표상은 인식에 맺히는 주관적 상이다. 인간은 자기 주관의 한계로 세계를 인식할 수 밖에 없다. 인간에게 세계는 의지와 표상으로서 다가온다. '비극의 탄생'은 니체의 첫 철학 저술이자 마지막 고전문헌학 저술이다. 그는 고전문헌학을 전공했다. 니체의 삶에서 루 살로메를 빼놓을 수 없다. 그녀는 수많은 남자에게 예술적 영감을 준 뮤즈이자 실연의 상처를 준 마성의 팜므파탈이었다.

 

니체는 그녀에게 첫 눈에 반한다. 그가 이성에 매료되고 사랑에 빠진 유일한 순간이었다. 니체의 여동생 엘리자베스는 니체를 독점하고 싶어 했다. 엘리자베스의 남편 베른하르트 푀스터는 반유대주의자이자 극우 독일민족주의자였고 훗날 나치즘에도 영향을 끼쳤다. 순수 아리안 혈통이니, 유대인은 독일의 기생충이니 하는 말은 이 사람의 작품이다.

 

니체는 알려진 것과는 달리 반유대주의자가 아니다. 오히려 반유대주의자를 보면 총으로 쏴버리고 싶다고 할 정도로 차별주의를 경멸했다. 엘리자베스에 의해 니체는 나치 독일의 정신적 선배로 오인되었다. 엘리자베스는 남편에 의해 이식된 니체의 유고를 짜깁기해 '힘에의 의지'를 출간했다. 지금은 엘리자베스의 흔적을 지운 니체 전집 정본이 수립된 상태다. 유럽의 문헌학자들이 꽤나 고생해준 덕이다.(니체는 문헌학자들을 두더지라 경멸했지만 그들의 도움을 받았으니 아이러니하다.)

 

니체는 형이상학을 거부했다. 인간의 존재 근거는 형이상학이 아닌 인간 스스로다. 니체는 인간은 이성, 육체, 의지로 이루어진다고 말했다. 이때의 의지는 힘에의 의지다. 니체가 말한 힘에의 의지는 아리안 종족과 히틀러를 수식하는 데 쓰였다.(왜곡되었다.) 힘에의 의지는 그 자체로 옳거나 그르지 않다. 그저 존재하는 것이며 자각하고 활용할 것이지 추종할 것이 아니다.(318 페이지)

 

니체는 도덕을 부정하지도 않았고 도덕적으로 살면 안 된다고도 하지 않았다. 객관적이고 선험적인 도덕 원칙, 선 그 자체라는 허상을 지웠을 뿐이다. 니체는 있는 것은 아무 것도 버릴 것이 없으며 없어도 좋은 것은 없다고 외쳤다. 디오니소스적 긍정이다. 현실을 살아가는 불완전한 존재인 자신에 대한 긍정이다. 그의 긍정은 조건부 긍정이 아니다. 저자는 니체의 철학은 스피노자의 윤리학과 놀랍도록 비슷하다고 말한다.(320 페이지)

 

스피노자는 ‘에티카’ 4부 정리 50 주석에서 이런 말을 했다. “모든 실재가 신의 본성의 필연성으로부터 따라 나오고 자연의 영원한 법칙과 규칙에 따라 일어난다는 것을 올바로 인식하는 사람은 미워하거나 조롱하거나 무시할 만한 것이 아무 것도 없고, 연민을 느낄 만한 것이 아무 것도 없음을 확실히 알게 될 것이다. 대신 그는 인간의 덕이 허락하는 한 이른바 잘 행위하고 기뻐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니체의 철학은 스피노자의 윤리학과 놀랍도록 비슷하다는 말은 이런 비교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이제 ‘성부 베르그손, 성자 스피노자, 성령 니체‘란 말을 확인하는 데로 나아가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 접기
벤투의스케치북 2019-02-05 공감(12) 댓글(0)
Thanks to
 
공감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새창으로 보기








몇 년 전 항상 팟캐스트에서 지대넓얕을 들으면서 출퇴근하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지대넓얕이 시즌 1이 끝나고 공허하던 때 '안알남' 을 알게 되었다.

이제 지대넓얕 대신 출퇴근 시 안알남을 듣거나 독서하거나 둘 중 하나가 되었다.

그중에서 철학 파트는 정말 재미있어서 여러 번 반복해서 듣다가

그것도 아쉬워서 청취하면서 마음에 드는 구절은 정지시켜놓고 

받아 적기를 반복하면서 방송대본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마침 이 책이 출간되어 바로 E book으로 구매하였다.

구매 후 페이스북에서 서평 이벤트 하는 것을 보고 어차피 읽고 쓰려고 

했던거라서 바로 신청하고 책을 받게 되었다. 종이책까지 소장되어 너무 기쁘다.

책의 표지를 보면 왼쪽에 철학자 이름이 쓰여있다.

데카르트->스피노자->칸트->헤겔->쇼펜하우어->니체로 마무리된다.







보통 철학 책은 너무 난해하고 어려워서 입문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이 책은 입문자가 이해하기 쉽게 철학자의 말을 인용하고

인용문에 대한 쉬운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해준다.

홍대선 작가의 문체도 소설의 문체 느낌이나서 읽기도 편했다.

대신 책에선 한 철학자의 대해서 깊게 다루지 않고

입문자가 입문하기 쉬울 정도만 다루기 때문에

더 깊게 알고 싶으면 다른 책을 더 봐야 한다.

우선 철학자들이 살던 시대 배경과 이 사람이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왜 그러한 사상을 펼쳤는지 먼저 들여다보고 시작하기 때문에

그 사람의 사상을 조금 더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다.


철학자들의 메시지를 아주 짧게 요약하였다.








● 데카르트

모든 것을 의심해도 그러한 생각을 하는 나

의심을 하는 동안에도 생각하는 나

생각하는 나는 존재하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스피노자

자유가 억압되어 사람들이 울타리 안에 갇히고 권력의

허락 없이 움직일 수 없는 사회에 이르면

국가의 대한 충성과 믿음은 파괴될 것이다.



우주를 관통하는 보편적 선이 사라진 자리에는

공공선과 공익이 남고, 악 대신 부정과 기회주의자가 남는다.

국가도 사회도 윤리도 모두 거래일 뿐이다.

타인의 욕망을 존중하고 자신의 욕망도 인정받는 거래가 필요하다.



● 칸트

이 세계 안에서 우리가 제한 없이 선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은 오직 선의지뿐이다.

보상을 바라지 않고 '단지 그것이 옳기 때문에 

'도덕적 행위'를 하는 인간이 있다.



한가지 예로 도쿄 신오쿠보역 사망사건의 이수현 씨는

술에 취해 선로에 떨어진 취객을 구하기 위해 뛰어들었다가

목숨을 잃었다. 칸트가 말하는 선의지다.



● 헤겔

"우주의 시공간은 하나이며 오직 하나로 실재하는 전체가 존재한다."

이것의 의지를 'AbsoluterGeist'앱설루트가이스트, 

절대정신이라고 부른다. 절대정신이 특정 시대에 맞게 모습을 

드러내는 양상은 'ZeitGeist'자이트가이스트 다.

고려 말 조선 초의 시대정신은 민본. 

프랑스 혁명기의 시대정신은 자유로운 시민.

시대정신을 이룩하기 위해 각성한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의지는 'WeltGeist'벨트가 이스트, 세계정신이다.

헤겔이 본 나폴레옹은 '말을 탄 '세계정신'이었다.



● 쇼펜하우어

표상은 인식에 맺히는 주관적 상이다.

어차피 인간은 자기 주관의 한계로 세계를 인식할 수밖에 없다.



쇼펜하우어는 노년에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개정판을

내면서 초판과 재판의 격차를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여록과 보유>라는 제목의 부록 집을 따로 냈다.



"추운 겨울날, 고슴도치들은 얼어 죽지 않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바짝 달라붙어

한 덩어리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곧 그들은 가시가 서로를 찔러서

아픔을 느끼고 다시 떨어졌다.

다시 추위에 견디지 못해 다시 붙었다가

또 가시에 찔려 또다시 떨어졌다. 

이렇게 그들은 두 악마 사이를 오갔다.

그러 그들은 결국 상대방의 가시를 견딜 수있는

적당한 거리를 발견했다.



인간 생활의 공허함과 단조로움에서 생겨나는

사회생활의 욕망은 인간을 한 덩어리로 만든다.

그러나 그들은 불쾌감과 반발심으로 다시 서로를 멀리한다.

그러나 그들은 마침내 서로 견딜 수 있는 적당한 간격을

발견하게 된다. 바로 정중함과 예의이다.



인간은 의지와 표상에 갇혀 뿌연 안갯속에헤매지만

의지와 표상에 의해 위대해지기도 한다.





● 프리드리히 니체

도덕은 '끊임없는 해석의 대상이다.'

욕망과 욕망이 충돌할 때, 전쟁을 갈등으로,

갈등을 타협으로 이끌어내는 행위가 정치이자

현대 시민 사회다.

이것이 '해석으로서의 도덕이다.'



니체는 '주인의 삶'을 살라고 명령한다.

우리는 자기 삶의 주인이자 세계의 중심이다.

니체는 위버멘쉬가 되는 법을 우화로 함축했다.



"나 이제 그대들에게 이야기하려 하네.

정신이 어떻게 낙 나가 되고 낙타가 어떻게 사자가 되고

어떻게 어린아이가 되는지를"



니체에 따르면 어린아이를 초인이라고 부른다.

다른 사람 눈치 보지 않고 자기의 욕망을 긍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로 태어나고 사회가 만든 시스템으로 교육을 받아 가며

성장할수록 자신의 욕망은 숨기고

사회가 만든 법과 질서에 맞춰 살아가게 된다.

니체는 타인의 욕망을 인정하면서

자신의 욕망도 긍정하는 삶을 살라고 한다.

스스로 생각해서 행동하는 주체적인 삶


그저 부모가 원하는 삶.



아무런 목적 없이 그저 부자가 되겠다고 하는 맹목적인 삶

다 필요 없고 그냥 안정적으로 살고 싶다는 안일한 삶



이러한 삶을 살지 말고 하루를 살아도 매일 반복되어도

나는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라고 생각이 들게 살라고 한다.



니체는 유대인을 차별을 반대하면서도 싫어했다고 한다.

그는 유대인이 누리는 기득권, 즉 '고리대금업'이라는

삶의 방식을 혐오했다.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해서

유대인이 하는 모든 일이 불쌍하다고 정당화해주면

이야말로 유대인을 노예 취급하는 행동이라 여겼다.



- 접기
Wony's 2018-09-16 공감(6) 댓글(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새창으로 보기 구매
홀로서기
Wony's 2018-09-12 공감(4) 댓글(0)
Thanks to
 
공감
     
[서평]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새창으로 보기
‘철학’을 떠올려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지? 일단 어렵다, 힘들다는 생각이 가장 많이 떠오르지 않는지. 철학은 왜 그런 생각이 들까? 모든 학문의 기본이 되는 학문이라고 하는데 왜 이다지도 어렵기만 한 건지 모르겠다. 철학사를 쭉 따라 올라가보면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스토아학파 어쩌구 저쩌구 읽다보면 늘 그 자리다. 그러다보니 다시 읽으려 하면 지겹고 또 지겹기만 하다.



이 책은 제목부터 뭔가 힘차다.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현대인들은 철저하게 개인주의적이면서도 또 동시에 한없이 공동체 정신을 강요하고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을 무시하고 분리하는 경향이 있다. 그 안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우리들이 알고 있는 위대한 철학자들의 이야기를 하나하나 설명해 주면서 그들의 사상과 저서 그리고 일생을 정리하고 있다. 6명의 철학자들을 한 명씩 만나보았는데 데카르트, 스피노자,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니체다.



이중에서 쇼펜하우어의 인생이 인상 깊었다. 어릴 때 부유한 상인 아버지와 유쾌하고 문학적인 재능을 가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우울한 성격을 닮아 늘 부정적이고 우울했다. 아버지가 상인의 삶을 거부한 아들 때문에 자살을 하고 난 후에는 더더욱 여성 혐오의 시간을 보내게 된다. 살롱을 열고 문학적인 능력을 보이는 어머니를 혐오하고 평생 증오하면서 보내게 된다. 결국 의절까지 하고 평생 여성을 혐오하는 말을 남기고 실제로 비하하면서 지냈다. 세상에.... 어릴 때의 기억이나 경험이 이렇게 중요하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어릴 때의 생각이 자라나는 시기에 잘 못 심어진 작은 생각 하나가 평생 한 가정과 한 남자를 누르는 굴레가 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쇼펜하우어는 이런 생각의 바탕 중에 책도 쓰고 사상을 완성하고 있다.




이 책은 철학자들의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일생을 간단하면서도 핵심적인 사항만을 잘 정리하고 있어 바로 바로 읽기 좋다. 6명의 철학자들에 대한 것은 확실하게 알 수 있어 은근히 공부도 되었다.

- 접기
벌침 2018-08-20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2022/12/20

알라딘: 천자문 해석 - 맹꽁이도 문득 깨달은 윤일원

알라딘: 천자문 해석


천자문 해석 - 맹꽁이도 문득 깨달은
윤일원
(지은이)피서산장2022-11-12




















미리보기

레터링 머그.다이어리.본투리드 텀블러(자격증.토익.공무원.IT교재 4만원 이상)

정가
18,500원
300쪽
책소개
인문, 경제, 과학, 기술 등의 지식을 망라한 법고창신으로 천자문을 재해석 한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등의 책과 평생 직업으로 살아왔던 디지털 관련 첨단기술 경험이 뒷받침된다. 옛글이라 하여 모두 진리인 것처럼 미화하지도 않고, 내 해석이 무조건 맞는다고 합리화하지도 않는다.

천자문은 사언절구 2개씩, 총 125문장이다. 천자문의 다양한 사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담고 싶다. 그것이 내 임무다. 거기에는 도리도 있고, 변론도 있고, 설명도 있고, 칭송도 있고, 사랑도 있다.


목차


Ⅰ. 치국(治國)

▸001 天地玄黃(천지현황) 宇宙洪荒(우주홍황) / 18
▸002 日月盈昃(일월영측) 辰宿列張(진수열장) / 20
▸003 寒來暑往(한래서왕) 秋收冬藏(추수동장) / 22
▸004 閏餘成歲(윤여성세) 律呂調陽(율려조양) / 24
▸005 雲騰致雨(운등치우) 露結爲霜(노결위상) / 26
▸006 金生麗水(금생여수) 玉出崑岡(옥출곤강) / 28
▸007 劍號巨闕(검호거궐) 珠稱夜光(주칭야광) / 30
▸008 果珍李柰(과진이내) 菜重芥薑(채중개강) / 32
▸009 海鹹河淡(해함하담) 鱗潛羽翔(인잠우상) / 34
▸010 龍師火帝(용사화제) 鳥官人皇(조관인황) / 36
▸011 始制文字(시제문자) 乃服衣裳(내복의상) / 38
▸012 推位讓國(추위양국) 有虞陶唐(유우도당) / 40
▸013 弔民伐罪(조민벌죄) 周發殷湯(주발은탕) / 42
▸014 坐朝問道(좌조문도) 垂拱平章(수공평장) / 44
▸015 愛育黎首(애육여수) 臣伏戎羌(신복융강) / 46
▸016 遐邇壹體(하이일체) 率賓歸王(솔빈귀왕) / 48
▸017 鳴鳳在樹(명봉재수) 白駒食場(백구식장) / 50
▸018 化被草木(화피초목) 賴及萬方(뇌급만방) / 52

Ⅱ. 수신(修身)

▸019 蓋此身髮(개차신발) 四大五常(사대오상) / 56
▸020 恭惟鞠養(공유국양) 豈敢毁傷(기감훼상) / 58
▸021 女慕貞烈(여모정렬) 男效才良(남효재량) / 60
▸022 知過必改(지과필개) 得能莫忘(득능막망) / 62
▸023 罔談彼短(망담피단) 靡恃己長(미시기장) / 64
▸024 信使可覆(신사가복) 器欲難量(기욕난량) / 66
▸025 墨悲絲染(묵비사염) 詩讚羔羊(시찬고양) / 68
▸026 景行維賢(경행유현) 克念作聖(극념작성) / 70
▸027 德建名立(덕건명립) 形端表正(형단표정) / 72
▸028 空谷傳聲(공곡전성) 虛堂習聽(허당습청) / 74
▸029 禍因惡積(화인악적) 福緣善慶(복연선경) / 76
▸030 尺璧非寶(척벽비보) 寸陰是競(촌음시경) / 78
▸031 資父事君(자부사군) 曰嚴與敬(왈엄여경) / 80
▸032 孝當竭力(효당갈력) 忠則盡命(충즉진명) / 82
▸033 臨深履薄(임심이박) 夙興溫凊(숙흥온청) / 84
▸034 似蘭斯馨(사란사형) 如松之盛(여송지성) / 86
▸035 川流不息(천류불식) 淵澄取暎(연징취영) / 88
▸036 容止若思(용지약사) 言辭安定(언사안정) / 90
▸037 篤初誠美(독초성미) 愼終宜令(신종의령) / 92
▸038 榮業所基(영업소기) 籍甚無竟(적심무경) / 94
▸039 學優登仕(학우등사) 攝職從政(섭직종정) / 96
▸040 存以甘棠(존이감당) 去而益詠(거이익영) / 98
▸041 樂殊貴賤(악수귀천) 禮別尊卑(예별존비) / 100

Ⅲ. 제가(齊家)

▸042 上和下睦(상화하목) 夫唱婦隨(부창부수) / 104
▸043 外受傅訓(외수부훈) 入奉母儀(입봉모의) / 106
▸044 諸姑伯叔(제고백숙) 猶子比兒(유자비아) / 108
▸045 孔懷兄弟(공회형제) 同氣連枝(동기연지) / 110
▸046 交友投分(교우투분) 切磨箴規(절마잠규) / 116
▸047 仁慈隱惻(인자은측) 造次弗離(조차불리) / 118
▸048 節義廉退(절의염퇴) 顚沛匪虧(전패비휴) / 120
▸049 性靜情逸(성정정일) 心動神疲(심동신피) / 122
▸050 守眞志滿(수진지만) 逐物意移(축물의이) / 124
▸051 堅持雅操(견지아조) 好爵自縻(호작자미) / 126

Ⅳ. 전쟁(戰爭)

▸052 都邑華夏(도읍화하) 東西二京(동서이경) / 130
▸053 背邙面洛(배망면락) 浮渭據涇(부위거경) / 132
▸054 宮殿盤鬱(궁전반울) 樓觀飛驚(누관비경) / 134
▸055 圖寫禽獸(도사금수) 畫綵仙靈(화채선령) / 136
▸056 丙舍傍啓(병사방계) 甲帳對楹(갑장대영) / 138
▸057 肆筵設席(사연설석) 鼓瑟吹笙(고슬취생)<제가> / 140
▸058 陞階納陛(승계납폐) 弁轉疑星(변전의성)<치국> / 142
▸059 右通廣內(우통광내) 左達承明(좌달승명)<치국> / 144
▸060 旣集墳典(기집분전) 亦聚群英(역취군영)<치국> / 146
▸061 杜槀鍾隷(두고종례) 漆書壁經(칠서벽경)<치국> / 148
▸062 府羅將相(부라장상) 路挾槐卿(노협괴경) / 150
▸063 戶封八縣(호봉팔현) 家給千兵(가급천병) / 152
▸064 高冠陪輦(고관배련) 驅轂振纓(구곡진영) / 154
▸065 世祿侈富(세록치부) 車駕肥輕(거가비경) / 156
▸066 策功茂實(책공무실) 勒碑刻銘(늑비각명) / 158
▸067 磻溪伊尹(반계이윤) 佐時阿衡(좌시아형) / 160
▸068 奄宅曲阜(엄택곡부) 微旦孰營(미단숙영) / 162
▸069 桓公匡合(환공광합) 濟弱扶傾(제약부경) / 164
▸070 綺回漢惠(기회한혜) 說感武丁(열감무정) / 166
▸071 俊乂密勿(준예밀물) 多士寔寧(다사식녕) / 168
▸072 晉楚更覇(진초경패) 趙魏困橫(조위곤횡) / 170
▸073 假途滅虢(가도멸괵) 踐土會盟(천토회맹) / 172
▸074 何遵約法(하준약법) 韓弊煩刑(한폐번형)<치국> / 174
▸075 起翦頗牧(기전파목) 用軍最精(용군최정) / 176
▸076 宣威沙漠(선위사막) 馳譽丹靑(치예단청) / 180
▸077 九州禹跡(구주우적) 百郡秦幷(백군진병)<치국> / 182
▸078 嶽宗恒岱(악종항대) 禪主云亭(선주운정)<치국> / 184
▸079 雁門紫塞(안문자새) 雞田赤城(계전적성) / 186
▸080 昆池碣石(곤지갈석) 鉅野洞庭(거야동정) / 188
▸081 曠遠綿邈(광원면막) 巖岫杳冥(암수묘명) / 190

Ⅴ. 평천하(平天下)

▸082 治本於農(치본어농) 務玆稼穡(무자가색) / 194
▸083 俶載南畝(숙재남무) 我藝黍稷(아예서직) / 196
▸084 稅熟貢新(세숙공신) 勸賞黜陟(권상출척) / 198
▸085 孟軻敦素(맹가돈소) 史魚秉直(사어병직) / 200
▸086 庶幾中庸(서기중용) 勞謙謹勅(노겸근칙) / 202
▸087 聆音察理(영음찰리) 鑑貌辨色(감모변색) / 204
▸088 貽厥嘉猷(이궐가유) 勉其祗植(면기지식) / 206
▸089 省躬譏誡(성궁기계) 寵增抗極(총증항극) / 208
▸090 殆辱近恥(태욕근치) 林皐幸卽(임고행즉) / 210
▸091 兩疏見機(양소견기) 解組誰逼(해조수핍) / 212
▸092 索居閒處(색거한처) 沈默寂寥(침묵적요) / 216
▸093 求古尋論(구고심론) 散慮逍遙(산여소요) / 218
▸094 欣奏累遣(흔주누견) 慼謝歡招(척사환초) / 220
▸095 渠荷的歷(거하적력) 園莽抽條(원망추조) / 222
▸096 枇杷晩翠(비파만취) 梧桐早凋(오동조조) / 224
▸097 陳根委翳(진근위예) 落葉飄颻(낙엽표요) / 226
▸098 遊鯤獨運(유곤독운) 凌摩絳霄(능마강소) / 228
▸099 耽讀翫市(탐독완시) 寓目囊箱(우목낭상) / 230
▸100 易輶攸畏(이유유외) 屬耳垣牆(속이원장) / 232
▸101 具膳飧飯(구선손반) 適口充腸(적구충장) / 234
▸102 飽飫烹宰(포어팽재) 飢厭糟糠(기염조강) / 236
▸103 親戚故舊(친척고구) 老少異糧(노소이량) / 238
▸104 妾御績紡(첩어적방) 侍巾帷房(시건유방) / 240
▸105 紈扇圓潔(환선원결) 銀燭煒煌(은촉위황) / 242
▸106 晝眠夕寐(주면석매) 藍筍象牀(남순상상) / 244
▸107 絃歌酒讌(현가주연) 接杯擧觴(접배거상) / 246
▸108 矯手頓足(교수돈족) 悅豫且康(열예차강) / 248
▸109 嫡後嗣續(적후사속) 祭祀蒸嘗(제사증상) / 250
▸110 稽顙再拜(계상재배) 悚懼恐惶(송구공황) / 252
▸111 牋牒簡要(전첩간요) 顧答審詳(고답심상) / 254
▸112 骸垢想浴(해구상욕) 執熱願凉(집열원량) / 256
▸113 驢騾犢特(여라독특) 駭躍超驤(해약초양) / 258
▸114 誅斬賊盜(주참적도) 捕獲叛亡(포획반망) / 260
▸115 布射僚丸(포사요환) 嵇琴阮嘯(혜금완소) / 262
▸116 恬筆倫紙(염필윤지) 鈞巧任釣(균교임조) / 264
▸117 釋紛利俗(석분이속) 並皆佳妙(병개가묘) / 266
▸118 毛施淑姿(모시숙자) 工嚬姸笑(공빈연소) / 268
▸119 年矢每催(연시매최) 羲暉朗曜(희휘낭요) / 270
▸120 璇璣懸斡(선기현알) 晦魄環照(회백환조) / 272
▸121 指薪修祐(지신수우) 永綏吉邵(영유길소) / 274
▸122 矩步引領(구보인령) 俯仰廊廟(부앙낭묘) / 276
▸123 束帶矜莊(속대긍장) 徘徊瞻眺(배회첨조) / 279
▸124 孤陋寡聞(고루과문) 愚蒙等誚(우몽등초) / 280
▸125 謂語助者(위어조자) 焉哉乎也(언재호야) / 282
접기


책속에서


시대가 아무리 흘러도 변하지 말아야 할 것과 변해야 하는 것이 있다.
천자문이라는 고전 속에서 변하지 말아야 할 것을 찾아 떠난 여행,
그 속에는 사랑과 미움, 효도와 우애, 반란과 전쟁은 물론 통치의 격론이 숨어 있다.
『맹꽁이도 문득 깨달은 천자문』은 최신의 인문·경제·과학·기술 지식을 통하여 풀어낸
1500년의 지적향연 인문학 보고다.


-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사랑하는 사람의 아이를 낳고, 사랑하는 사람을 보듬고,
사랑하는 사람을 보내면서, 나 또한 하늘과 땅, 별로 돌아간다.
<001 天地玄黃(천지현황), 宇宙洪荒(우주홍황) 중에서>

- 낚시를 훔친 자는 사형에 처하지만, 나라를 훔친 자는 제후가 된다.
무엇을 훔치느냐에 따라 도둑이 되고 임금이 된다.
<013 弔民伐罪(조민벌죄), 周發殷湯(주발은탕) 중에서>

- 너무 늦기 전에 부모님께 꽃을 보내라. 살아 있는 사람은 향기를 맡지만
죽은 사람은 향기를 맡지 못한다.
<032 孝當竭力(효당갈력), 忠則盡命(충즉진명) 중에서>

- 나라를 세우는 데는 군대가 필요하고, 다스리는 데는 철학이 필요하다.
철학 없는 정치는 국가를 망하게 하는 악덕이다.
<068 奄宅曲阜(엄택곡부), 微旦孰營(미단숙영) 중에서>

- 천하의 명장도 자신의 목숨은 지킬 수 없었다.
어리석은 군주는 수십만의 적군보다 더 위험하다.
<075 起翦頗牧(기전파목), 用軍最精(용군최정) 중에서>

- 시간이 쏜 화살에 죽지 말고, 자기 빛깔을 온전히 드러내라.
그리고 세상 모든 것을 보듬어 가슴에 품어라. 그것이 삶이다.
<119 年矢每催(연시매최), 羲暉朗曜(희휘랑요) 중에서>

- 리더는 폼 나는 일이 아니라 똥내 나는 일을 열심히 하는 사람이다.
보이지 않은 곳에서 묵묵히 일하는 사람, 그들이 진정 영웅이다.
<125 謂語助者(위어조자) 焉哉乎也(언재호야) 중에서>



<이상>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윤일원 (지은이)

1963년 경북 예천 출생, 경북대 공대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경영학 석사와
숭실대에서 공학 박사를 취득했다
.
국방부에서 31년 동안 디지털 관련 업무를 수행하면서

“왜 어떤 나라는 파괴적 기술로 부국강병의 길을 걷고,
왜 어떤 나라는 파괴적 기술로 지배를 당할까?”
라는
궁극적 질문과 마주하게 된다.
그 길을 찾는 과정에서 만난 역사와 인문학, 경제, 기술,
혁신에 관한 글쓰기다.
인류는 수많은 난제를 뚫고 발전했다.
겉으로 드러난 현상은 수만 가지지만
결국 인간해석으로 돌파구를 마련한다.

그 과정의 첫 번째 저술이 『부자는 사회주의를 꿈꾼다』이며,
두 번째 저술이 주흥사가 지은
『천자문(千字文)』에서 찾은 변치 않은 인간 본성에 기인한
삶의 해석이다. 접기



최근작 : <천자문 해석>,<부자는 사회주의를 꿈꾼다> … 총 2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하늘 천 따 지 가마솥에 누룽지”, 누구나 천자문을 외웠지만, 끝까지 읽어 본 적이 없는 천자문. 제비도 ‘지지위지지(知之爲知之)’ 논어를
외우고, 개구리도 ‘독악락여중악락(獨樂樂與衆樂樂)’ 맹자를 외우니,
맹꽁이도 ‘득능막망망담피단(得能莫忘罔談彼短)’ 천자문을 외운다.

동아시아는 한자 문화권이다. 한․중․일 3국이 공통으로 쓰는 한자 1,000개를 고른 후 서로 소통한다면 웬만한 의사전달에는 문제가 없다. 『열하일기』를 지은 박지원이나, 천애지기(天涯知己, 만 리 떨어져 있어도 자기의 속마음을 알아주는 친구)를 이룬 홍대용은 말이 통하지 않는 중국인과 필담(筆談, 문자로 대화를 나눔)으로 의견을 나누었다.

본 책은, 인문, 경제, 과학, 기술 등의 지식을 망라한 법고창신(法古創新, 옛 지식을 현대에 알맞게 적용)으로 천자문을 재해석 한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등의 책과 평생 직업으로 살아왔던 디지털 관련 첨단기술 경험이 뒷받침된다. 옛글이라 하여 모두 진리인 것처럼 미화하지도 않고, 내 해석이 무조건 맞는다고 합리화하지도 않는다.

천자문은 사언절구 2개씩, 총 125문장이다. 천자문의 다양한 사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담고 싶다. 그것이 내 임무다. 거기에는 도리도 있고, 변론도 있고, 설명도 있고, 칭송도 있고, 사랑도 있다.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