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02

대념처경(大念處經) – 디지털 불교

대념처경(大念處經) – 디지털 불교

대념처경(大念處經)

고엔카지가 해석하는 대념처경(Mahāsatipatthāna Sutta)

알아차림의 확립에 대한 큰 경 (大念處經)

목 차 (Contents)

0. 들어가는 말(uddeso)
1. 몸에 대한 관찰(Kāyānupassanā)

A. 호흡(Ānāpāna)에 대한 장
B. 몸의 자세(Iriyāpatha)에 대한 장
C. 무상에 대한 지속적이며 철저한 앎(Sampajāna)에 대한 장
D. 혐오감에 대한 반조(Paṭikūlamanasikāra)의 장
E. 물질요소(四大)에 대한 관찰(Dhātumanasikāra)의 장
F. 묘지에서의 아홉 가지(Navsivathika) 관찰에 대한 장

2. 감각(느낌)에 대한 관찰(Vedanānupassanā)

3. 마음에 대한 관찰(Cittāanupassanā)

4. 법에 대한 관찰(Dhammānupassanā)
A. 덮개(五蓋 Nīvaraṇa)에 대한 장
B. 무더기(五蘊 Khandha)에 대한 장
C. 감각의 육처(六處 Āyatana)에 대한 장
D. 깨달음의 요소(七覺支 Bojjhaṅga)에 대한 장
E. 고귀한 진리(四聖諦 Catusacca)에 대한 장

5. 사띠빳타나 수행의 결실(Satipatthānabhāvananisaṃso)

…………………………………………………………………………..
마하사띠빳타나 숫따 (Mahāsatipatthāna Sutta)
알아차림의 확립에 대한 큰 경(大念處經)
…………………………………………………………………………..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부처님은 꾸루족의 읍내인 깜마사담마라는 곳에서 꾸루 사람들 사이에 머물고 계셨다.
거기서 부처님은 비구들에게 “비구들이여”라고 부르시자, 비구들은 “세존이시여”라고 대답했다. 그리고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0. 들어가는 말(uddeso)

비구들이여, 이것은 하나이자 유일한 길로서, 중생들을 청정하게 하고, 슬픔과 비탄을 극복하게 하며, 괴로움과 고통을 소멸시키게 하고, 진리의 길을 얻게 하며 그리고 열반을 직접 체득하게 하는 길이다.
바로 이것이 네 가지에 대한 알아차림의 확립(四念處)이다.

그러면 무엇이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열심히 무상에 대해 지속적이고도 철저한 앎과 알아차림을 지니며,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 대한 욕망과 혐오를 제거하면서 지낸다.
그는 감각(受)에서 감각을 관찰하며 열심히 무상에 대해 지속적이고도 철저한 앎과 알아차림을 지니며,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 대한 욕망과 혐오를 제거하면서 지낸다.
그는 마음(心)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열심히 무상에 대해 지속적이고도 철저한 앎과 알아차림을 지니며,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 대한 욕망과 혐오를 제거하면서 지낸다.
그는 법(法)에서 법을 관찰하며 열심히 무상에 대해 지속적이고도 철저한 앎과 알아차림을 지니며,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 대한 욕망과 혐오를 제거하면서 지낸다.

1. 몸에 대한 관찰(Kāyānupassanā)

A. 호흡(Ānāpāna)에 대한 장

비구들이여, 그럼 어떻게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가?

여기에 비구들이여, 어떤 비구가 숲으로 가거나 나무 아래, 혹은 빈방으로 가서 다리를 가부좌로 하고 윗몸을 반듯하게 세운 뒤, 입 주변의 한 부분에 알아차림을 고정시키고 앉는다.

그는 알아차리면서 숨을 들이 쉬고, 알아차리면서 숨을 내쉰다. 깊거나 길게 숨을 들이쉴 때는 “나는 깊거나 길게 숨을 들이 쉰다”고 바르게 알고, 얕거나 짧게 숨을 들이쉴 때는 “나는 얕거나 짧게 숨을 들이 쉰다”고 바르게 안다.
깊거나 길게 숨을 내쉴 때는 “깊거나 길게 숨을 내 쉰다”고 바르게 알고, 얕거나 짧게 숨을 내쉴 때는 “얕거나 짧게 숨을 내 쉰다”고 바르게 안다.
그는 스스로 수련하기를, “한 호흡 동안에 온 몸을 느끼면서 숨을 들이쉬리라”,그리고 “한 호흡 동안에 온 몸을 느끼면서 숨을 내쉬리라” 라고 그는 스스로 수련한다.
“몸의 활동(身行)을 가라앉히면서 숨을 들이쉬리라”, 그리고 “몸을 활동을 가라앉히면서 숨을 내쉬리라” 라고 그는 스스로 수련한다.
마치 기술 좋은 도공이나 그의 제자가 원반 위에 놓인 흙을 오래 돌릴 때에는 “나는 오래 돌려서 만든다”고 바르게 알고, 짧게 돌리며 만드는 동안에는 “짧게 돌려서 만든다” 고 바르게 아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비구도 깊거나 길게 숨을 들이쉴 때는 “(나는) 깊거나 길게 숨을 들이 쉰다”고 바르게 알고, 얕거나 짧게 숨을 들이쉴 때는 “(나는) 얕거나 짧게 숨을 들이 쉰다”고 바르게 안다.
깊거나 길게 숨을 내쉴 때는 “깊거나 길게 숨을 내 쉰다”고 바르게 알고, 얕거나 짧게 숨을 내쉴 때는 “얕거나 짧게 숨을 내 쉰다”고 바르게 안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스스로 다음과 같이 수련한다.
“한 호흡 동안에 온 몸을 느끼면서 숨을 들이쉬리라.” 그리고 ”한 호흡 동안에 온 몸을 느끼면서 숨을 내쉬리라” 라고 그는 스스로 수련한다. “몸을 활동(身行)을 가라앉히면서 숨을 들이쉬리라” 그리고 “몸의 활동을 가라앉히면서 숨을 내쉬리라” 라고 그는 스스로 수련한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B. 몸의 자세(Iriyāpatha)에 대한 장

다시 비구들이여, 어떤 비구가 걷고 있는(行) 동안에는 “나는 걷고 있다”고 바르게 알고, 서(住) 있는 동안에는 “서 있다”고 바르게 안다.
앉아있는(坐) 동안에는 “앉아 있다”고 바르게 알고, 누워있는(臥) 동안에는 “누워 있다”고 바르게 안다. 그의 몸이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든지 간에, 그는 그것을 바르게 안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C. 무상에 대한 지속적이며 철저한 앎(Sampajāna)에 대한 장

다시 비구들이여, 어떤 비구가 앞으로 가거나 되돌아오는 동안, 그는 끊임없이 무상을 알아차리며 그것을 이해한다.
앞을 보거나 옆을 보는 동안에도, 그는 끊임없이 무상을 알아차리며 그것을 이해한다. (몸이나 팔다리를) 구부리거나 펴는 동안에도, 그는 끊임없이 무상을 알아차리며 그것을 이해한다. 가사를 입거나 발우를 들고 가는 동안에도, 그는 끊임없이 무상을 알아차리며 그것을 이해한다. (음식을) 먹거나 마시거나, 씹거나 삼키는 동안에도, 그는 끊임없이 무상을 알아차리며 그것을 이해한다. 소변을 보거나 대변을 볼 때에도, 그는 끊임없이 무상을 알아차리며 그것을 이해한다. 걷거나 서 있거나 앉아 있거나 잠자고 일어나는 동안에, 그리고 말하거나 침묵하는 동안에도 그는 끊임없이 무상을 알아차리며 그것을 이해한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D. 혐오감에 대한 반조(Paṭikūlamanasikāra)의 장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아래로는 발바닥에서부터 위로는 머리카락에 이르기까지 피부로 싸여져 있고, 모든 종류의 더러움들로 가득 차 있는 바로 이 몸을 다음과 같이 관찰해야만 한다.
이 몸에는 머리카락, 몸의 털, 손톱, 발톱, 이빨, 피부, 살, 힘줄, 뼈, 골수, 콩팥, 심장, 간장, 늑막, 지라, 허파, 내장, 내장의 내용물, 위장, 위장의 내용물, 대변, 담즙, 가래, 고름, 혈액, 땀, 고형지방질, 눈물, 액체지방질, 침, 콧물, 관절 액, 소변 등이 있다고.
마치 양쪽 입구가 다 터진 자루에 여러 종류의 곡식과 씨앗들, 즉 벼, 보리, 녹두, 콩, 깨, 쌀 등이 가득 들어 있는 것과 같고, 눈 밝은 사람이 이 자루를 열어보고서 “이것은 벼, 이것은 보리, 이것은 녹두, 이것은 콩, 이것은 참깨, 그리고 이것은 쌀이다”라고 내용물을 아는 것과 같다.

마찬가지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이 아래로는 발바닥에서부터 위로는 머리카락에 이르기까지 피부로 싸여져 있고, 모든 종류의 더러움들로 가득 차 있는 바로 이 몸을 다음과 같이 관찰해야만 한다.
“이 몸에는 머리카락, 몸의 털, 손톱, 발톱, 이빨, 피부, 살, 힘줄, 뼈, 골수, 콩팥, 심장, 간장, 늑막, 지라, 허파, 내장, 내장의 내용물, 위장, 위장의 내용물, 대변, 담즙, 가래, 고름, 혈액, 땀, 고형지방질, 눈물, 액체지방질, 침, 콧물, 관절 액, 소변 등이 있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E. 물질 요소(四大)에 대한 관찰(Dhātumanasikāra)의 장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이 구성되어져 있는 그대로, 각 요소의 특성에 따라 그것을 숙고하면서 이 몸을 관찰해야 한다. “이 몸에는 땅의 요소(地大)가 있고, 물의 요소(水大), 불의 요소(火大), 공기의 요소(風大)가 있다”고.

비구들이여,
마치 솜씨 좋은 백정이나 그의 조수가 소를 잡은 뒤 그것을 여러 토막으로 나눈 뒤에, 사거리 건널목에 (전을 펴고) 앉아 있는 것과 같이, 마찬가지로 비구들이여, 비구도 이 몸이 구성되어져 있는 그대로, 물질의 요소들을 숙고하면서 이 몸을 관찰해야 한다.
“이 몸에는 땅의 요소가 있고, 물의 요소가 있고, 불의 요소가 있으며, 공기의 요소가 있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F. 묘지에서의 아홉 가지(Navasivathika) 관찰에 대한 장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묘지에 버려져 죽은 지 하루, 혹은 이 삼일이 지나 부풀어 오르고 검푸르며 부패되는 시체를 볼 때마다, 그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
“실로 이 몸도 (저 시체와) 똑같은 성질의 것이다. 이 몸도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까마귀에게 먹히고, 독수리에게 먹히고, 매, 왜가리, 개, 호랑이, 표범, 재칼 등 여러 종류의 동물들에게 먹히는 것을 볼 때마다, 그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
“실로 이 몸도 (저 시체와) 똑같은 성질의 것이다. 이 몸도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피 뭍은 살점과 힘줄로 서로 붙어있는 해골(뼈)로 변해버린 것을 볼 때마다, 그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
“실로 이 몸도 (저 시체와) 똑같은 성질의 것이다. 이 몸도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묘지에 버려져 살점 하나 없이 피만 묻은 시체가 힘줄에 의해 서로 붙어있는 해골로 변해버린 것을 볼 때마다, 그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
“실로 이 몸도 (저 시체와) 똑같은 성질의 것이다. 이 몸도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한점의 살도 피도 없이 힘줄에 의해 서로 붙어있는 해골로 변해버린 것을 볼 때마다, 그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
“실로 이 몸도 (저 시체와) 똑같은 성질의 것이다. 이 몸도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묘지에 버려진 시체의 뼈들이 서로 분리되고 사방으로 흩어져, 여기저기에서 손뼈, 다리뼈, 발목뼈, 무릎 뼈, 정강이뼈, 넓적다리뼈, 척추 뼈, 등뼈, 어깨뼈, 목뼈, 턱뼈, 이빨, 머리뼈들을 볼 때마다, 그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
“실로 이 몸도 (저 시체와) 똑같은 성질의 것이다. 이 몸도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조개처럼 하얗게 뼈로 변해버린 것을 볼 때마다, 그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
“실로 이 몸도 (저 시체와) 똑같은 성질의 것이다. 이 몸도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일년이 넘어 뼈 무더기가 되어 쌓여 있는 것들을 볼 때마다, 그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
“실로 이 몸도 (저 시체와) 똑같은 성질의 것이다. 이 몸도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뼈 가루로 삭아버린 것을 볼 때마다, 그는 자신의 몸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
“실로 이 몸도 (저 시체와) 똑같은 성질의 것이다. 이 몸도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身)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몸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몸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2. 감각(느낌)에 대한 관찰(Vedanānupassanā)

비구들이여, 그럼 어떻게 비구가 감각(느낌)에서 감각을 관찰하며 지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즐거운 감각을 경험하는 동안에는 “나는 즐거운 감각을 경험한다”고 바르게 안다. 괴로운 감각을 경험하는 동안에는 “나는 괴로운 감각을 경험한다”고 바르게 안다.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감각을 경험하는 동안에는 나는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감각을 경험 한다”고 바르게 안다.
집착이 있는 즐거운 감각을 경험하는 동안에는 “집착이 있는 즐거운 감각을 경험한다”고 바르게 안다. 집착이 없는 즐거운 감각을 경험하는 동안은 “집착이 없는 즐거운 감각을 경험한다”고 바르게 알고, 집착이 있는 괴로운 감각을 경험하는 동안에는 “집착이 있는 괴로운 감각을 경험 한다”고 바르게 안다. 집착 없는 괴로운 감각을 경험하는 동안은 “집착 없는 괴로운 감각을 경험한다”고 바르게 알고,
집착이 있는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감각을 경험하는 동안에는 집착이 있는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감각을 경험한다”고 바르게 안다.
집착이 없는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감각을 경험하는 동안에는 집착이 없는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감각을 경험한다”고 바르게 안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감각, 느낌(受)에서 감각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감각에서 감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감각에서 감각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감각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감각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감각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감각(受)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감각에서 감각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3. 마음에 대한 관찰(Cittāanupassanā)

다시 비구들이여, 그럼 어떻게 비구가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지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탐욕이 있는 마음을 탐욕이 있는 마음이라고 바르게 알며, 탐욕으로부터 자유로운 마음을 탐욕으로부터 자유로운 마음이라고 바르게 안다.
악의가 있는 마음을 악의가 있는 마음이라고 바르게 알며, 악의로부터 자유로운 마음을 악의로부터 자유로운 마음이라고 바르게 안다.
무지가 있는 마음을 무지가 있는 마음이라고 바르게 알며, 무지로부터 자유로운 마음을 무지로부터 자유로운 마음이라고 바르게 안다.
그리고 그는 침체된 마음을 침체된 마음이라고 바르게 알고, 산란한 마음을 산란한 마음이라고 바르게 안다. 확장된 마음을 확장된 마음이라고 바르게 알고, 확장되지 않은 마음을 확장되지 않는 마음이라고 바르게 안다. 더 초월할 수 있는 마음을 더 초월할 수 있는 마음이라고 바르게 알고, 더 이상 초월 할 수 없는 최상의 마음을 더 이상 초월할 수 없는 최상의 마음이라고 바르게 안다. 집중된 마음을 집중된 마음이라고 바르게 알고, 집중되지 않은 마음을 집중되지 않은 마음이라고 바르게 안다. 자유롭게 된(해탈된) 마음을 자유롭게 된 마음이라고 바르게 알며, 자유롭게 되지 않은 마음을 자유롭게 되지 않은 마음이라고 바르게 안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마음(心)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마음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마음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마음(心)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4. 법에 대한 관찰(Dhammānupassanā)

A. 덮개(五蓋 Nīvaraṇa)에 대한 장

다시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법(정신적인 내용, 현상들)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5개(五蓋)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낸다. 비구들이여, 그럼 어떻게 비구가 五蓋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그에게 감각적인 욕망이 있을 때마다, 그는 “내 안에 감각적인 욕망이 있다”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감각적인 욕망이 없을 때는 “내 안에 감각적인 욕망이 없다”고 바르게 안다.|아직 그에게 일어나지 않은 감각적인 욕망이 어떻게 일어나게 되는지, 그는 그것을 바르게 안다. 그에게 지금 일어난 감각적인 욕망이 어떻게 소멸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소멸된 감각적인 욕망이 어떻게 앞으로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것인지 바르게 안다.
그에게 혐오(악의)가 있을 때마다, 그는 “내 안에 혐오가 있다”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혐오가 없을 때에는 “내 안에 혐오가 없다”고 바르게 안다. 아직 그에게 일어나지 않은 혐오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그에게 일어난 혐오가 어떻게 소멸되어 가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소멸된 혐오가 어떻게 앞으로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지 바르게 안다.
그에게 혼침과 졸음이 있을 때마다, 그는 “내 안에 혼침과 졸음이 있다”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혼침과 졸음이 없을 때에는 “내 안에 혼침과 졸음이 없다”고 바르게 안다. 아직 그에게 일어나지 않은 혼침과 졸음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는 바르게 안다. 지금 그에게 일어난 혼침과 졸음이 어떻게 소멸되어 가는지 바르게 안다.지금 소멸된 혼침과 졸음이 앞으로 어떻게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지 바르게 안다.
그에게 동요와 후회(산란심)가 있을 때마다, 그는 “내 안에 동요와 후회가 있다”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동요와 후회가 없을 때에는 “내 안에 동요와 후회가 없다”고 바르게 안다. 아직 그에게 일어나지 않은 동요와 후회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그에게 일어난 동요와 후회가 어떻게 소멸되어 가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소멸된 동요와 후회가 앞으로 어떻게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지 바르게 안다. 그에게 의심이 있을 때마다, 그는 “내 안에 의심이 있다”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의심이 없을 때에는 “내 안에 의심이 없다”고 바르게 안다. 아직 그에게 일어나지 않은 의심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그에게 일어난 의심이 어떻게 소멸되어 가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소멸된 의심이 앞으로 어떻게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지 바르게 안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법(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법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법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법(法)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五蓋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B. 무더기(五蘊 khandha)에 대한 장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집착의 다섯 가지 무더기(五蘊)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낸다.
비구들이여, 그럼 어떻게 비구가 집착의 다섯 가지 무더기(五蘊)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이것이 물질(色)이고, 이것이 물질의 일어남이며, 이것이 물질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감각(受)이고, 이것이 감각의 일어남이며, 이것은 감각의 사라짐이다.이것은 인식(想)이고 이것은 인식의 일어남이며, 이것은 인식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반응(行)이고, 이것은 반응의 일어남이며, 이것은 반응의 사라짐이다. 이것은 의식(識)이고, 이것은 의식의 일어남이며, 이것은 의식의 사라짐이다…라고 바르게 안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법(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법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법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법(法)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五蘊이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C. 감각의 육처(六處 Āyatana)에 대한 장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여섯 가지 내적(六內處)인 그리고 외적인 감각 처(六外處)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면서 지낸다.

비구들이여, 그럼 어떻게 비구가 여섯 가지 내적(六內處)인 그리고 외적인 감각 처(六外處)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면서 지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눈(眼)을 바르게 알고, 보이는 대상(色)을 바르게 알며, 이 두 가지를 의존해서 일어나는 속박(束縛)을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속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속박이 어떻게 소멸되어 가는지 바르게 안다. 그리고 지금 소멸된 속박이 앞으로 어떻게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지 바르게 안다.

그는 귀(耳)를 바르게 알고, 소리(聲)를 바르게 알며, 이 두 가지를 의존해서 일어나는 속박을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속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속박이 어떻게 소멸되어 가는지 바르게 안다. 그리고 지금 소멸된 속박이 앞으로 어떻게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지 바르게 안다.

그는 코(鼻)를 바르게 알고, 그는 냄새(香)를 바르게 알며, 이 두 가지를 의존해서 일어나는 속박을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속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속박이 어떻게 소멸되어 가는지 바르게 안다. 그리고 지금 소멸된 속박이 앞으로 어떻게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지 바르게 안다.

그는 혀(舌)를 바르게 알고, 맛(味)을 바르게 알며, 이 두 가지를 의존해서 일어나는 속박을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속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속박이 어떻게 소멸되어 가는지 바르게 안다.
그리고 지금 소멸된 속박이 앞으로 어떻게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지 바르게 안다.

그는 몸(身)을 바르게 알고, 그는 접촉(觸)을 바르게 알며, 이 두 가지를 의존해서 일어나는 속박을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속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속박이 어떻게 소멸되어 가는지 바르게 안다.
그리고 지금 소멸된 속박이 앞으로 어떻게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지 바르게 안다.

그는 마음(心)을 바르게 알고, 그는 마음의 대상(法)을 바르게 알며, 이 두 가지를 의존해서 일어나는 속박을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속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속박이 어떻게 소멸되어 가는지 바르게 안다.
그리고 지금 소멸된 속박이 앞으로 어떻게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지 바르게 안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법(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면서 지내고, 법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법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법(法)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인식의 육처(六處)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D. 깨달음의 요소(七覺支 Bojjhaṅga)에 대한 장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깨달음의 일곱 가지 요소(七覺支)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면서 지낸다.

비구들이여, 그럼 어떻게 비구가 깨달음의 일곱 가지 요소(七覺支)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면서 지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그에게 ‘알아차림’이라는 깨달음의 요소(念覺支)가 있을 때, 그는 “내 안에 알아차림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있다”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알아차림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을 때, 그는 “내 안에 알아차림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다”고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알아차림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일어나게 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알아차림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발전되고 완전해지는지 그는 바르게 안다.

그에게 ‘법에 대한 고찰’이라는 깨달음의 요소(擇法覺支)가 있을 때, 그는 “내 안에 법에 대한 고찰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있다”라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법에 대한 고찰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을 때, “내 안에 법에 대한 고찰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다”라고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법에 대한 고찰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일어나게 되는지 바르게 안다. 그는 지금 일어난 법에 대한 고찰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발전되고 완전해지는지 그는 바르게 안다.

그에게 ‘노력(정진)’이라는 깨달음의 요소(精進覺支)가 있을 때, 그는 “내 안에 노력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있다”라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노력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을 때, “내 안에 노력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다”라고 바르게 안다.
아직 그에게 일어나지 않은 노력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일어나게 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노력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발전되고 완전해지는지 그는 바르게 안다.

그에게 ‘희열’이라는 깨달음의 요소(喜覺支)가 있을 때, 그는 “내 안에 희열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있다”라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희열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을 때, “내 안에 희열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다”라고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희열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일어나게 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희열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발전되고 완전해지는지 그는 바르게 안다.

그에게 ‘고요함’이라는 깨달음의 요소(輕安覺支)가 있을 때, 그는 “내 안에 고요함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있다”라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고요함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을 때, “내 안에 고요함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다”라고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고요함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일어나게 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고요함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발전되고 완전해지는지 그는 바르게 안다.

그에게 ‘마음집중(선정)’이라는 깨달음의 요소(定覺支)가 있을 때, 그는 “내 안에 마음집중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있다”라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마음집중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을 때, “내 안에 마음집중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다”라고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마음집중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일어나게 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마음집중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발전되고 완전해지는지 그는 바르게 안다.
그에게 ‘평정심(평온)’이라는 깨달음의 요소(捨覺支)가 있을 때, 그는 “내 안에 평정심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있다”라고 바르게 안다. 그에게 평정심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을 때, “내 안에 평정심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없다”라고 바르게 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평정심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일어나게 되는지 바르게 안다. 지금 일어난 평정심이라는 깨달음의 요소가 어떻게 발전되고 완전해지는지 바르게 안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법(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면서 지낸다.
그는 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면서 지내고, 법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법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법(法)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七覺支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E. 고귀한 진리(四聖諦 Catusacca)에 대한 장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네 가지 고귀한 진리(四聖諦)에 관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낸다.
비구들이여, 그럼 어떻게 비구가 네 가지 고귀한 진리(四聖諦)에 관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이것은 괴로움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바르게 안다. “이것은 괴로움의 일어남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바르게 안다.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바르게 안다. “이것은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길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바르게 안다.

Ⅰ. 괴로움의 진리(苦諦 Dukkhasaccam)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苦聖諦)인가?
태어남(生)이 괴로움이며, 늙음(老)이 괴로움이다. (병듦(病)이 괴로움이며) 죽음(死)도 괴로움이다. 슬픔, 비탄, 괴로움, 고통, 고뇌도 괴로움이다. 좋아하지 않는 것과의 만남이 괴로움이며, 좋아하는 것과의 헤어짐이 괴로움이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함도 괴로움이다. 요컨대 오온에 대한 집착이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태어남(生)인가? 어떤 종류의 존재이든지 거기에서 모든 생명들의 태어남이 있다면,
그들의 잉태됨, 태어남, 생김, 오온의 형태가 나타나면서 감각기관들이 형성되어 가는 것-비구들이여, 이것을 태어남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늙음(老)인가?
어떤 종류의 존재이든지 거기에서 모든 생명들의 늙음이 있다면, 그들의 나약해짐과 노쇠해짐, 이는 삭고 머리는 하얗게 변하며, 주름이 생기고, 살아야 할 수명이 줄고, 감각기관들이 쇠퇴해지는 것-비구들이여, 이것을 늙음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죽음(死)인가?
어떤 종류의 존재이든 거기서 모든 생명들의 사라짐과 죽어감이 있다면, 그들의 분리됨, 사라짐, 죽어감, 수명이 다하고, 오온이 분해 되어, 몸은 버려지고 생명 에너지가 파괴되는 것-비구들이여, 이것을 죽음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슬픔인가?
비구들이여, 사람이 여러 가지 실패와 불행을 접할 때마다, 거기에는 슬픔, 슬퍼함, 비애, 내적인 비통, 내적인 깊은 고뇌 등, 이런 저런 마음의 슬픈 상태가 따른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슬픔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비탄인가?
비구들이여, 사람이 가지가지 실패와 불행을 접할 때마다, 통곡과 울음, 비탄, 깊은 통곡, 깊은 비탄, 깊은 통곡과 깊은 비탄 등, 이런 저런 마음의 슬픈 상태가 따른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비탄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괴로움인가?
비구들이여, 육체적인 괴로움, 육체적인 불편함 또 육체적인 접촉으로 인해서 생긴 육체적인 괴로움과 불편한 느낌, 비구들이여, 이것을 괴로움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고통인가?
비구들이여, 정신적인 괴로움, 정신적인 불편함 또 정신적인 접촉으로 인해서 생긴 정신적인 괴로움과 불쾌한 느낌, 비구들이여, 이것을 고통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고뇌인가?
비구들이여, 사람이 가지가지 실패와 불행을 접할 때마다, 고뇌, 번민, 굉장한 고뇌, 고뇌와 굉장한 고뇌의 번민 등, 이런 저런 마음의 슬픈 상태가 따른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고뇌라고 한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좋아하지 않는 것과의 만남에서 오는 괴로움인가?
여기에 어떤 사람이 괴롭고 불편하고 또 좋아하지 않는 시각, 소리, 향기, 맛, 촉감, 마음의 대상(법)을 언제 어디서나 발견할 때마다, 또 어떤 사람이 그의 불행, 피해, 어려움, 불안함을 기원하는 누군가를 어디에서든지 발견할 때마다, 그것들과 관련되고, 만나고, 접촉하고, 결부된다면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좋아하지 않는 것들과 만나는 데서 오는 괴로움이라고 한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좋아하는 것과의 헤어짐에서 오는 괴로움인가?
여기에 어떤 사람이 즐겁고 마음에 들고 또 좋아하는 시각, 소리, 향기, 맛, 촉감, 마음의 대상(법)을 어디에서든지 발견할 때마다, 또 어떤 사람이 그 자신의 행운, 번영, 안락함, 또는 그 자신의 안전을 기원하는 사람-즉 어머니나 아버지, 형제나 자매, 친구나 동료, 혹은 친척들- 을 어디에서든지 발견할 때마다, 만약 그들과 헤어지게 되고, 만나지 못하고, 접촉할 수 없게 되고, 함께 화합하지 못한다면, -비구들이여, 이것이 좋아하는 것들과 헤어지게 되는 데서 오는 괴로움이라고 한다.

비구들이여, 그럼 무엇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괴로움인가?

비구들이여, 태어나게 되어있는 존재들에게는 이와 같은 바램이 일어난다. “오, 실로 우리는 태어나지 말아야 할 텐데! 오, 실로 우리에게 새로운 태어남이 없기를!” 그러나 이것은 단지 그런 바램만 가지고는 얻어질 수 없다. 그래서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은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늙게 되어있는 존재들에게는 이와 같은 바램이 일어난다.
“오, 실로 우리는 늙지 말아야 할 텐데! 오, 실로 우리는 늙게 되지 않기를!” 그러나 이것은 단지 그런 바램만 가지고는 얻어질 수 없다. 그래서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은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병들게 되어있는 존재들에게는 이와 같은 바램이 일어난다.
“오, 실로 우리는 병들지 말아야 할 텐데! 오, 실로 우리가 병들지 않기를!” 그러나 이것은 단지 그런 바램만 가지고는 얻어질 수 없다. 그래서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은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죽게 되어있는 존재들에게는 이와 같은 바램이 일어난다.
“오, 실로 우리는 죽지 말아야 할 텐데! 오, 실로 우리가 죽게 되지 않기를!” 그러나 이것은 단지 그런 바램만 가지고는 얻어질 수 없다. 그래서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은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슬픔, 비탄, 괴로움, 고통, 번민이 있게 마련인 존재들에게는 이와 같은 바램이 일어난다.
“오, 실로 우리는 슬픔과 비탄, 고통, 비애, 번민이 없어야 할 텐데! 오, 실로 우리가 슬픔과 비탄, 고통, 비애, 번민으로 고통 받지 않기를!” 그러나 이것은 단지 그런 바램만 가지고는 얻어질 수 없다. 그래서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은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요컨대 그럼 어떻게 오온에 대한 집착이 괴로움인가?
그것은 다음과 같다. 물질의 무더기(色蘊)에 집착하는 것은 괴로움이며, 감각의 무더기(受蘊)에 집착하는 것도 괴로움이며, 인식의 무더기(想蘊)에 집착하는 것도 괴로움이고, 반응의 무더기(行蘊)에 집착하는 것도 괴로움이며, 의식의 무더기(識蘊)에 집착하는 것도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요컨대 오온에 대한 집착 때문에 오는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苦聖諦)이다.

Ⅱ. (괴로움의) 일어남의 진리(集諦 Samudayasaccam)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괴로움의 일어남이란 고귀한 진리(集聖諦)인가?

그것은 욕망으로 계속해서 다시 태어나게 만들고, 쾌락과 탐욕을 동반하며, 여기저기에서 즐거움을 찾는다. 그것은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慾愛), 계속해서 태어나고자 하는 욕망(有愛), 그리고 절멸(태어나지 않고자)에 대한 욕망(無有愛)이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이 욕망은 어디에서 일어나고 어디에서 자리 잡는가?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는 어디에나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 있다. 거기서 이 욕망은 일어나고 거기서 이 욕망은 자리 잡는다.

그러면 무엇이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인가?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눈(眼)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은 일어나고, 그리고 거기서 이 욕망이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귀(耳)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혀(舌)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몸(身)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마음(意)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色), 즉 물질의 형태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이 욕망이 자리 잡는다.
소리(聲)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향기(香)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맛(味)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촉감(觸)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의 대상(法)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눈의 의식(眼識)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귀의 의식(耳識)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코의 의식(鼻識)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혀의 의식(舌識)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몸의 의식(身識)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의 의식(意識)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눈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귀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코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혀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몸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눈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귀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혀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몸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물질 형태의, 시각대상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소리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향기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맛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몸의 접촉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의 대상(법)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소리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향기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맛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촉감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의 대상(법)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소리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향기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맛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몸의 접촉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의 대상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소리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향기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맛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몸의 접촉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의 대상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소리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향기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맛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몸의 접촉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마음의 대상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의 바로 괴로움의 일어남이라는 고귀한 진리(集聖諦)이다.

Ⅲ.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滅諦 Nirodhasaccam)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괴로움의 소멸이란 고귀한 진리(滅聖諦)인가?
그것은 바로 이 욕망의 완전한 소멸이며, 버림이고, 포기이며, 그것으로부터의 해탈이며, 초연함이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이 욕망은 어디에서 없어지고, 어디에서 소멸될 것인가? 마음과 물질의 이 세계에는 어디에나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 있다. 거기에서 이 욕망은 없어지고, 거기에서 이 욕망이 소멸될 것이다.

그러면 마음과 물질의 이 세계에서 무엇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인가?
눈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은 없어지고, 거기서 (이 욕망이) 소멸될 것이다.
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은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코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은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은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몸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은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은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소리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향기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맛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몸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의 대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안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이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비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설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신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의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눈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귀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코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혀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몸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의 접촉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눈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귀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코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혀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몸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의 접촉으로 일어난 감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소리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질 것이며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향기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맛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몸의 접촉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의 대상에 대한 인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소리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향기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맛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몸의 접촉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의 대상에 대한 마음의 반응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소리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향기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맛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몸의 접촉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의 대상에 대한 욕망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소리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향기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맛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몸의 접촉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의 대상에 대한 생각이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시각대상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소리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향기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맛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몸의 접촉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마음의 대상에 대한 생각의 유지가 유혹적이며 즐거운 것이다. 거기서 이 욕망이 없어지고 거기서 소멸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의 바로 괴로움의 소멸이란 고귀한 진리(滅聖諦)이다.

Ⅳ.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길의 진리(道諦 Maggasaccam)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길의 고귀한 진리(道聖諦)인가? 그것은 바로 고귀한 여덞 가지 길(八正道)이다. 즉
바른 이해(正見), 바른 생각(正思惟), 바른 말(正語), 바른 행동(正行), 바른 생계(正命), 바른 노력(正精進), 바른 알아차림(正念). 바른 선정(正定)이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바른 이해(견해)인가? 비구들이여, 그것은 괴로움에 대한 참다운 앎, 괴로움의 원인에 대한 참다운 앎,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참다운 앎,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길의 참다운 앎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바른 이해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생각인가? 출리(出離)에 대한 생각, 혐오(악의)로부터 자유로운 생각,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생각,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바른 생각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말인가? 거짓말을 삼가고, 중상과 이간질을 삼가며, 거친 말을 삼가고, 잡담을 삼가는 것,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바른 말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행동인가? 살생을 삼가고, 도둑질을 삼가고, 잘못된 음행을 삼가는 것,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바른 행동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생계인가?
여기에 비구들이여, 어떤 고귀한 제자가 잘못된 방법의 생계를 포기하고 바른 수단으로 그의 생계를 유지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바른 생계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노력(정진)인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아직 일어나지 않는 불순한 번뇌들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의지를 낸다. 즉 강한 노력을 하고, 정진을 하고, 그것에 마음을 적용시키며 힘쓴다.
이미 일어난 불순한 번뇌들을 없애기 위해, 그는 의지를 내고 강한 노력을 하며, 정진을 하며 그것에 마음을 적용시키고 열심히 애쓴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선한 법을 계발시키기 위해 그는 의지를 내고 강한 노력을 하며, 정진을 하며 그것에 마음을 적용시키고 열심히 애쓴다.
이미 일어난 선한 법들을 유지하기 위해 그것들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고, 증장시키며, 완전한 성숙과 완전한 개발을 위해 그는 의지를 내고 강한 노력을 하며, 정진을 하며 그것에 마음을 적용시키고 열심히 애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바른 노력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알아차림인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아주 열심히 무상에 대한 지속적이며 철저한 이해를 가지고 알아차림을 지니며,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 대한 어떠한 욕망이나 혐오도 제거하면서 지낸다.
감각에서 감각을 관찰하며, 아주 열심히 무상에 대한 지속적이며 철저한 이해를 가지고 알아차림을 지니며,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 대한 어떠한 욕망이나 혐오도 제거하면서 지낸다.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아주 열심히 무상에 대한 지속적이며 철저한 이해를 가지고 알아차림을 지니며,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 대한 어떠한 욕망이나 혐오도 제거하면서 지낸다.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아주 열심히 무상에 대한 지속적이며 철저한 이해를 가지고 알아차림을 지니며,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 대한 어떠한 욕망이나 혐오도 제거하면서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바른 알아차림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선정인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비구가 감각적인 욕망으로부터 초연하고, 불순한 번뇌들로부터 초연해져서, 대상에 대한 마음의 적용(尋)과 대상에 지속되는 주의력(伺)이 있고, 초연함으로부터 생겨난 마음의 희열(喜)과 몸의 행복감(樂)으로 채워진 첫 번째 선정(初禪)에 들어가 거기서 머문다.
대상에 대한 마음의 적용과 지속되는 주의력이 가라앉아, 내적인 고요와 마음의 통일을 얻으며, 대상에 대한 마음의 적용과 지속되는 주의력이 사라지고, 삼매에서 생겨난 희열과 행복감으로 채워진 두 번째 선정(二禪)에 들어가 거기서 머문다.
희열이 사라지고 그는 감각의 완전한 알아차림과 무상에 대한 지속적이며 철저한 앎을 지닌 평정심에 주하며, 성인들이 말하는 “평정심과 알아차림을 지닌 사람이 경험하는 행복감”과 같은 즐거움을 몸으로 경험하는 세 번째 선정(三禪)에 들어가 거기서 머문다.
육체적인 즐거움과 괴로움도 사라지고, 정신적인 기쁨과 슬픔도 이전에 사라졌기에, 그는 즐거움과 괴로움을 넘어 평정심과 알아차림으로 완전히 청정해진 네 번째 선정(四禪)에 들어가서 거기서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바른 선정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고귀한 길의 진리(道聖諦)이다.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법(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고, 밖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 안팎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낸다. 그는 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고, 법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내며, 또한 법에서 동시에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지낸다.
“이것이 법(法)이다”라는 알아차림은 그에게 확립된다.
이렇게 그는 그의 알아차림을 오로지 지혜와 바른 알아차림만이 있는 단계까지 개발한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마음과 물질의 세계에서 그 어떤 것에도 집착함이 없이 초연하게 지낸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비구가 사성제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지내는 방법이다.
5. 사띠빳타나 수행의 결실(Satipaṭṭhānabhāvanānisaṃso)

비구들이여, 누구라도 이 네 가지에 대한 알아차림의 확립(사념처)을 7년 동안 정확한 방법으로 수행한다면, 그는 두 가지 결실 중 한 가지를 기대할 수 있다.
바로 이 생에서 최상의(아라한) 지혜를 얻거나, 또는 오온의 토대가 얼마간 남아있다면 아나함(불환과)의 단계를 기대할 수 있다.

비구들이여, 7년이 아니어도 좋다. 누구든지 이 사념처를 6년간 정확한 방법으로 수행한다면, 그는 두 가지 결실 중 한 가지를 기대할 수 있다.
바로 이 생에서 최상의 지혜를 얻거나, 오온의 토대가 얼마간 남아있다면 아나함의 단계를 기대할 수 있다.

비구들이여, 6년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5년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4년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3년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2년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1년이 아니어도 좋다. 누구라도 이 사념처를 7개월간 정확한 방법으로 수행한다면, 그는 두 가지 결실 중 한 가지를 기대할 수 있다. 바로 이 생에서 최상의 지혜를 얻거나, 오온의 토대가 얼마간 남아있다면 아나함의 단계를 기대할 수 있다.

비구들이여, 7개월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6개월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5개월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4개월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3개월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2개월이 아니어도 좋다.
비구들이여, 보름이 아니어도 좋다. 누구라도 이 사념처를 7일간 정확한 방법으로 수행한다면,
그는 두 가지 결실 중 한 가지를 기대할 수 있다. 바로 이 생에서 최상의 지혜를 얻거나, 오온의 토대가 얼마간 남아 있다면 아나함의 단계를 기대할 수 있다.
비구들이여, 이런 이유 때문에 다음과 같이 말한 것이다. 이것은 하나이자 유일한 길로서,

중생들을 청정하게 하고, 슬픔과 비탄을 극복하게 하며, 괴로움과 고통을 소멸시키게 하고, 진리의 길을 얻게 하며 그리고 열반을 직접 체득하게 하는 길이다. 바로 이것이 네 가지에 대한 알아차림의 확립(四念處)이다.
이와 같이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에 진심으로 기뻐했다.

한글대장경으로

대념처경 大念處經 마음챙김의 확립 (Mahaasatipat*t*haana Sutta, D22)

아침숲속 * 마음공부

[스크랩] 대념처경 (전문) -각묵스님번역 | 불해탐주(佛海探珠)/불해탐주


아침숲속 2016. 10. 5. 

http://blog.daum.net/sanbo1950/1327

<link rel="stylesheet" href="http://editor.daum.net/services/blog/css/contents4view.css?ver=1.1.114" type="text/css"/><link rel="stylesheet" href="http://editor.daum.net/services/blog/css/theme4view.css?ver=1.1.114" type="text/css"/>

대념처경 大念處經

마음챙김의 확립(Mahaasatipat*t*haana Sutta, D22)




초기불전연구원 각묵스님이 빠알리어에서 한글로 직접 번역.
(실상사 화엄학림 강사, 초기 불전 연구원 지도법사)




경의 차례


I. 서언

II. 몸의 관찰[身隨觀]
II-1.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
II-2. 네 가지 자세[四威儀]
II-3. 분명하게 알아차림
II-4. 몸의 32가지 부위에 대한 혐오
II-5. 네 가지 근본물질[四大]
II-6. 아홉 가지 공동묘지의 관찰

III. 느낌의 관찰[受隨觀]

IV. 마음의 관찰[心隨觀]

V. 법의 관찰[法隨觀]
V-1. 다섯 가지 장애[五蓋]
V-2. 다섯 가지 무더기[五蘊]
V-3. 여섯 가지 감각장소[六處]
V-4.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
V-5.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
V-5-1.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
V-5-2.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集聖諦]
V-5-3. 괴로움의 지멸의 성스러운 진리[滅聖諦]
V-5-4. 도닦음의 성스러운 진리[道聖諦]
VI. 결어
------------------

I. 서언


1-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께서는 꾸루 지방의 깜맛사담마라는 꾸루족들의 읍에 머무셨다. 그곳에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1-2. “비구들이여, 이 도는 유일한 길이니 중생들의 청정을 위하고 근심과 탄식을 다 건너기 위한 것이며,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사라지게 하고 옳은 방법을 터득하고 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이다.”

1-3. “무엇이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II. 몸의 관찰[身隨觀]


II-1.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

2-1.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가 숲 속에 가거나 나무 아래에 가거나 외진 처소에 가서 가부좌를 틀고 몸을 곧추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앉는다. 그는 마음챙겨 숨을 들이쉬고 마음챙겨 숨을 내쉰다. 길게 들이쉬면서 ‘길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pajānāti), 길게 내쉬면서 ‘길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짧게 들이쉬면서 ‘짧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짧게 내쉬면서 ‘짧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온 몸을 경험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sikkhati) 온 몸을 경험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신행(身行)을 편안히 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신행을 편안히 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II-2. 네 가지 자세[四威儀]

3.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걸어가면서 ‘걷고 있다’고 꿰뚫어 알고, 서있으면서 ‘서있다’고 꿰뚫어 알며, 앉아있으면서 ‘앉아있다’고 꿰뚫어 알고, 누워있으면서 ‘누워있다’고 꿰뚫어 안다. 또 그의 몸이 다른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든 그 자세대로 꿰뚫어 안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II-3. 분명하게 알아차림

4.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아갈 때도 물러날 때도 [자신의 거동을] 분명히 알면서[正知] 행한다(sampajāna-kāri). 앞을 볼 때도 돌아 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구부릴 때도 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가사·발우·의복을 지닐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먹을 때도 마실 때도 씹을 때도 맛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대소변을 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걸으면서·서면서·앉으면서·잠들면서·잠을 깨면서·말하면서·침묵하면서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II-4. 몸의 32가지 부위에 대한 혐오

5-1.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이 여러 가지 부정(不淨)한 것으로 가득 차 있음을 발바닥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며 그리고 머리털에서부터 내려가며 반조한다. 즉 ‘이 몸에는 머리털·몸털·손발톱·이빨·살갗·살·힘줄·뼈·골수·콩팥·염통·간·근막·지라·허파·큰창자·작은창자·위·똥·쓸개즙·가래·고름·피·땀·굳기름·눈물·[피부의] 기름기·침·콧물·관절활액·오줌 등이 있다’고.
대념처경 주석 2-4. 몸의 32부위

5-2. 비구들이여, 이는 마치 양쪽에 아가리가 있는 자루에 여러 가지 곡식, 즉 밭벼·논벼·콩·완두·기장·현미 등이 가득 담겨 있는데 어떤 눈 밝은 사람 이 그 자루를 풀고 일일이 헤쳐 보면서 ‘이것은 밭벼, 이것은 논벼, 이것은 콩, 이것은 완두, 이것은 기장, 이것은 현미’라 하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여러 가지 부정한 것으로 가득 차 있는 이 몸을 발바닥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며 그리고 머리털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며 반조한다. 즉 ‘이 몸에는 머리털·몸털·손발톱·이·살갗·살·힘줄·뼈·골수·콩팥·염통·간·근막·지라·허파·큰창자·작은창자·위·똥·쓸개즙·가래·고름·피·땀·굳기름·눈물·[피부의] 기름기·침·콧물·관절활액·오줌 등이 있다’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II-5. 네 가지 근본물질[四大]

6.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을 처해진 대로 놓여진 대로 요소[界]별로 고찰한다. ‘이 몸에는 땅[地]의 요소, 물[水]의 요소, 불[火]의 요소, 바람[風]의 요소가 있다’고.

비구들이여, 마치 솜씨 좋은 백정이나 그 조수가 소를 잡아서 각을 뜬 다음 큰길 네 거리에 이를 벌려놓고 앉아있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이 몸을 처해진 대로 놓여진 대로 요소[界]별로 고찰한다. ‘이 몸에는 땅의 요소, 물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가 있다’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II-6. 아홉 가지 공동묘지의 관찰

7. “다시 비구들이여, ①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죽은 지 하루나 이틀 또는 사흘 된 시체가 부풀고 검푸르게 되고 문드러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에 비추어 바라본다(upasamharati). ‘이 몸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8. “다시 비구들이여, ②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시체를 까마귀가 마구 쪼아 먹고, 솔개가 마구 쪼아 먹고, 독수리가 마구 쪼아 먹고, 개가 마구 뜯어먹고, 자칼이 마구 뜯어먹고, 수없이 많은 갖가지 벌레들이 덤벼들어 파먹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에 비추어 바라본다. ‘이 몸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9. 다시 비구들이여, ③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해골이 되어 살과 피가 묻은 채 힘줄로 얽히어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④ 해골이 되어 살은 없이 피만 엉긴 채 힘줄로 얽히어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⑤ 해골이 되어 살과 피는 없고 힘줄만 남아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⑥ 해골이 되어 힘줄도 사라지고 뼈들이 흩어져서 여기에는 손뼈, 저기에는 발뼈, 또 저기에는 정강이뼈, 저기에는 넓적다리뼈, 저기에는 엉덩이뼈, 저기에는 등뼈, 저기에는 갈빗대, 저기에는 가슴뼈, 저기에는 팔뼈, 저기에는 어깨뼈, 저기에는 목뼈, 저기에는 턱뼈, 저기에는 치골, 저기에는 두개골 등이 사방에 널려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에 비추어 바라본다. ‘이 몸도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10-1. “다시 비구들이여, ⑦ 비구는 마치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해골이 되어 뼈가 조개껍질 색깔같이 하얗게 백골이 된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⑧ 해골이 되어 풍상을 겪어 단지 뼈 무더기가 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⑨ 해골이 되었다가 다시 삭아서 티끌로 변한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그에 비추어 바라본다. ‘이 몸도 또한 그와 같고, 그와 같이 될 것이며,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고.”

10-2.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몸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사견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III. 느낌의 관찰[受隨觀]

11-1.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隨觀]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즐거운 느낌을 느끼면서 ‘즐거운 느낌을 느낀다’고 꿰뚫어 안다. 괴로운 느낌을 느끼면서 ‘괴로운 느낌을 느낀다’고 꿰뚫어 안다.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끼면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낀다’고 꿰뚫어 안다.
세간적인 즐거운 느낌을 느끼면서 ‘세간적인 즐거운 느낌을 느낀다’고 꿰뚫어 안다. 출세간적인 즐거운 느낌을 … 세간적인 괴로운 느낌을 … 출세간적인 괴로운 느낌을 … 세간적인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 출세간적인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끼면서 ‘출세간적인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낀다’고 꿰뚫어 안다.”

11-2. “이와 같이 안으로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느낌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느낌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느낌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느낌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사견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 머문다.”


IV. 마음의 관찰[心隨觀]

12-1.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隨觀]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① 탐욕이 있는 마음을 탐욕이 있는 마음이라 꿰뚫어 안다. 탐욕을 여읜 마음을 탐욕이 없는 마음이라 꿰뚫어 안다. ② 성냄이 있는 … 성냄을 여읜 … ③ 미혹이 있는 … 미혹을 여읜 … ④ 위축된 … 산란한 … ⑤ 고귀한 … 고귀하지 않은 … ⑥ [아직도] 위가 남아있는 … [더 이상] 위가 없는[無上心] … ⑦ 삼매에 든 … 삼매에 들지 않은 … ⑧ 해탈한 … 해탈하지 않은 마음을 해탈하지 않은 마음이라 꿰뚫어 안다.”

12-2. “이와 같이 안으로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마음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마음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마음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사견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 머문다.”


V. 법의 관찰[法隨觀]


V-1. 다섯 가지 장애[五蓋]

13-1.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다섯 가지 장애[五蓋]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다섯 가지 장애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자기에게 감각 욕망이 있을 때 ‘내게 감각 욕망이 있다’고 꿰뚫어 알고, 감각 욕망이 없을 때 ‘내게 감각 욕망이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감각 욕망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감각 욕망을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감각 욕망이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13-2. 자기에게 악의가 있을 때 ‘내게 악의가 있다’고 꿰뚫어 알고, 악의가 없을 때 ‘내게 악의가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악의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악의를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 한 악의가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13-3. 자기에게 해태와 혼침이 있을 때 ‘내게 해태와 혼침이 있다’고 꿰뚫어 알고, 해태와 혼침이 없을 때 ‘내게 해태와 혼침이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해태와 혼침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해태와 혼침을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해태와 혼침이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13-4. 자기에게 들뜸과 후회가 있을 때 ‘내게 들뜸과 후회가 있다’고 꿰뚫어 알고, 들뜸과 후회가 없을 때 ‘내게 들뜸 과 후회가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들뜸과 후회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들뜸과 후회를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들뜸과 후회가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13-5. 자기에게 회의적 의심이 있을 때 ‘내게 의심이 있다’고 꿰뚫어 알고, 의심이 없을 때 ‘내게 의심이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의심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의심을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의심이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13-6. 이와 같이 안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법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사견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다섯 가지 장애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V-2. 다섯 가지 무더기[五蘊]

14.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다섯 가지 취착하는 무더기[五取蘊]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다섯 가지 취착하는 무더기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이것이 물질이다. 이것이 물질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물질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느낌이다. 이것이 느낌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느낌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인식이다. 이것이 인식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인식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상카라[行]들이다. 이것이 상카라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상카라들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알음알이다. 이것이 알음알이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알음알이의 사라짐이다’라고 [관찰하며 머문다].

이와 같이 안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다섯 가지 취착하는 무더기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V-3. 여섯 가지 감각장소[六處]

15.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여섯 가지 안팎의 감각장소[六內外處]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여섯 가지 안팎의 감각장소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눈을 꿰뚫어 안다. 형상을 꿰뚫어 안다. 이 둘을 조건으로[緣] 일어난 족쇄도 꿰뚫어 안다. 전에 없던 족쇄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족쇄를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족쇄가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귀를 꿰뚫어 안다. 소리를 꿰뚫어 안다. … 코를 꿰뚫어 안다. 냄새를 꿰뚫어 안다. … 혀를 꿰뚫어 안다. 맛을 꿰뚫어 안다. … 몸을 꿰뚫어 안다. 감촉을 꿰뚫어 안다. … 마노를 꿰뚫어 안다. 이 둘을 조건으로 일어난 족쇄도 꿰뚫어 안다. 법을 꿰뚫어 안다. 전에 없던 족쇄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족쇄를 어떻게 제거하는지 꿰뚫어 알며, 어떻게 하면 제거한 족쇄가 앞으로 다시 일어나지 않는지 꿰뚫어 안다.

이와 같이 안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여섯 가지 안팎의 감각장소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V-4.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

16-1.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자기에게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念覺支]가 있을 때 ‘내게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있다’고 꿰뚫어 알고,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없을 때 ‘내게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를 어떻게 닦아서 성취하는지 꿰뚫어 안다.

16-2. 자기에게 법을 간택하는 깨달음의 구성요소[擇法覺支]가 있을 때 … 정진의 깨달음의 구성요소[精進覺支]가 있을 때 … 희열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喜覺支]가 있을 때 … 편안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輕安覺支]가 있을 때 … 삼매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定覺支]가 있을 때 …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捨覺支]가 있을 때 ‘내게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있다’고 꿰뚫어 알고,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없을 때 ‘내게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없다’고 꿰뚫어 안다. 비구는 전에 없던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꿰뚫어 알고, 일어난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를 어떻게 닦아서 성취하는지 꿰뚫어 안다.

16-3. 이와 같이 안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들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V-5.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

17.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여기 비구는 ‘이것이 괴로움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이것이 괴로움의 지멸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이것이 괴로움의 지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V-5-1.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

18-1.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인가? 태어남도 괴로움이다. 늙음도 괴로움이다. 병도 괴로움이다. 죽음도 괴로움이다.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도 괴로움이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다. 요컨대 다섯 가지 취착하는 무더기[五取蘊]들 자체가 괴로움이다.”

18-2.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태어남인가? 이런 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 저런 중생들의 태어남, 출생, 도래함, 생김, 탄생, 오온의 나타남, 감각장소[處]를 획득함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태어남이라 한다.”

18-3.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늙음인가? 이런 저런 중생들의 무리 가운데서 이런 저런 중생들의 늙음, 노쇠함, 부서진 [이빨], 희어진 [머리털], 주름진 피부, 수명의 감소, 감각기능[根]의 허약함 ― 이를 일러 늙음이라 한다.”

18-4.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죽음인가? 이런 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 저런 중생들의 종말, 제거됨, 부서짐, 사라짐, 사망, 죽음, 서거, 오온의 부서짐, 시체를 안치함, 생명기능[命根]의 끊어짐 ― 이를 일러 죽음이라 한다.”

18-5.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근심인가? 비구들이여, 이런 저런 불행을 만나고 이런 저런 괴로운 현상에 맞닿은 사람의 근심, 근심함, 근심스러움, 내면의 근심, 내면의 슬픔 ― 이를 일러 근심이라 한다.”

18-6.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탄식인가? 비구들이여, 이런 저런 불행을 만나고 이런 저런 괴로운 법에 맞닿은 사람의 한탄, 비탄, 한탄함, 비탄함, 한탄스러움, 비탄스러움 ― 이를 일러 탄식이라 한다.”

18-7.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육체적 고통인가? 비구들이여, 몸의 고통, 몸의 불편함, 몸에 맞닿아 생긴 고통스럽고 불편한 느낌 ― 이를 일러 육체적 고통이라 한다.”

18-8.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정신적 고통인가? 비구들이여, 정신적인 불편함, 마음에 맞닿아 생긴 고통스럽고 불편한 느낌 ― 이를 일러 정신적 고통이라 한다.”

18-9.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절망인가? 비구들이여, 이런 저런 불행을 만나고 이런 저런 괴로운 법에 맞닿은 사람의 실망, 절망, 실망함, 절망함 ― 이를 일러 절망이라 한다.”

18-10.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괴로움인가? 비구들이여, 태어나기 마련인 중생들에게 이런 바람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우리에게 태어나는 법이 있지 않기를! 참으로 그 태어남이 우리에게 오지 않기를!’이라고. 그러나 이것은 원함으로서 얻어지지 않는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이것도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늙기 마련인 중생들에게 … 병들기 마련인 중생들에게 … 죽기 마련인 중생들에게 …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을 하기 마련인 중생들에게 이런 바람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우리에게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하는 법이 있지 않기를! 참으로 그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이 우리에게 오지 않기를!’이라고. 그러나 이것은 원함으로서 얻어지지 않는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이것도 역시 괴로움이다.”

18-11.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요컨대 다섯 가지 취착하는 무더기[五取蘊]들 자체가 괴로움인가? 그것은 취착하는 물질의 무더기[色取蘊], 취착하는 느낌의 무더기[受取蘊], 취착하는 인식의 무더기[想取蘊], 취착하는 상카라들의 무더기[行取蘊], 취착하는 알음알이의 무더기[識取蘊]이다. 비구들이여, 요컨대 취착하는 이 다섯 가지 무더기들 자체가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라 한다.”


V-5-2.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集聖諦]

19-1.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苦集聖諦]인가? 그것은 갈애이니, 다시 태어남을 가져오고 환희와 탐욕이 함께 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것이다. 즉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慾愛], 존재에 대한 갈애[有愛],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갈애[無有愛]가 그것이다.”

19-2. “다시 비구들이여, 이런 갈애는 어디서 일어나서 어디서 자리 잡는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 있으면 거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거기서 자리 잡는다. 그러면 세상에서 어떤 것이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인가? 눈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귀는 … 코는 … 혀는 … 몸은 … 마노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형상은 … 소리는 … 냄새는 … 맛은 … 감촉은 … [마노의 대상인] 법[法]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알음알이는 … 귀의 알음알이는 … 코의 알음알이는 … 혀의 알음알이는 … 몸의 알음알이는 … 마노의 알음알이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19-3. “눈의 감각접촉[觸]은 … 귀의 감각접촉은 … 코의 감각접촉은 … 혀의 감각접촉은 … 몸의 감각접촉은 … 마노의 감각접촉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귀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코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혀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몸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마노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인식은 … 귀의 인식은 … 코의 인식은 … 혀의 인식은 … 몸의 인식은 … 마노의 인식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19-4. “눈의 의도는 … 귀의 의도는 … 코의 의도는 … 혀의 의도는 … 몸의 의도는 … 마노의 의도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갈애는 … 귀의 갈애는 … 코의 갈애는 … 혀의 갈애는 … 몸의 갈애는 … 마노의 갈애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일으킨 생각[尋]은 … 귀의 일으킨 생각은 … 코의 일으킨 생각은 … 혀의 일으킨 생각은 … 몸의 일으킨 생각은 … 마노의 일으킨 생각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눈의 지속적인 고찰[伺]은 … 귀의 지속적인 고찰은 … 코의 지속적인 고찰은 … 혀의 지속적인 고찰은 … 몸의 지속적인 고찰은 … 마노의 지속적인 고찰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일어나고 여기서 자리 잡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라 한다.”


V-5-3. 괴로움의 지멸의 성스러운 진리[滅聖諦]

20-1.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의 지멸의 성스러운 진리[苦滅聖諦]인가? 갈애가 남김없이 빛바래어 지멸함, 버림, 놓아버림, 벗어남, 집착 없음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지멸의 성스러운 진리라 한다.”

20-2. “다시 비구들이여, 그런 이 갈애는 어디서 없어지고 어디서 지멸되는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 있으면 거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거기서 지멸된다. 그러면 세상에서 어떤 것이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인가? 눈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귀는 … 코는 … 혀는 … 몸은 … 마음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형상은 … 소리는 … 냄새는 … 맛은 … 감촉은 … [마노의 대상인] 법[法]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알음알이는 … 귀의 알음알이는 … 코의 알음알이는 … 혀의 알음알이는 … 몸의 알음알이는 … 마노의 알음알이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20-3. “눈의 감각접촉은 … 귀의 감각접촉은 … 코의 감각접촉은 … 혀의 감각접촉은 … 몸의 감각접촉은 … 마노의 감각접촉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귀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코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혀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몸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 마노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인식은 … 귀의 인식은 … 코의 인식은 … 혀의 인식은 … 몸의 인식은 … 마노의 인식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20-4. “눈의 의도는 … 귀의 의도는 … 코의 의도는 … 혀의 의도는 … 몸의 의도는 … 마노의 의도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갈애는 … 귀의 갈애는 … 코의 갈애는 … 혀의 갈애는 … 몸의 갈애는 … 마노의 갈애는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일으킨 생각은 … 귀의 일으킨 생각은 … 코의 일으킨 생각은 … 혀의 일으킨 생각은 … 몸의 일으킨 생각은 … 마노의 일으킨 생각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눈의 지속적인 고찰은 … 귀의 지속적인 고찰은 … 코의 지속적인 고찰은 … 혀의 지속적인 고찰은 … 몸의 지속적인 고찰은 … 마노의 지속적인 고찰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는 없어지고 여기서 지멸된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지멸의 성스러운 진리라 한다.”


V-5-4. 도닦음의 성스러운 진리[道聖諦]

21-1.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의 지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의 성스러운 진리[苦滅道聖諦]인가? 그것은 바로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八支聖道]이니, 즉 바른 견해[正見], 바른 사유[正思惟], 바른 말[正語], 바른 행위[正業], 바른 생계[正命], 바른 정진[正精進], 바른 마음챙김[正念], 바른 삼매[正定]이다.”

21-2.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견해[正見]인가? 비구들이여, 괴로움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일어남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지멸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지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에 대한 지혜 ― 이를 일러 바른 견해라 한다.”

21-3.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사유[正思惟]인가? 비구들이여, 출리에 대한 사유, 악의 없음에 대한 사유, 해코지 않음[不害]에 대한 사유 ― 이를 일러 바른 사유라 한다.”

21-4.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말[正語]인가? 비구들이여, 거짓말을 삼가하고 중상모략을 삼가하고 욕설을 삼가하고 잡담을 삼가하는 것 ― 이를 일러 바른 말이라 한다.”

21-5.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행위[正業]인가? 비구들이여, 살생을 삼가하고 도둑질을 삼가하고 삿된 음행을 삼가하는 것 ― 이를 일러 바른 행위라 한다.”

21-6.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생계[正命]인가?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삿된 생계를 제거하고 바른 생계로 생명을 영위한다.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바른 생계라 한다.”

21-7.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정진[正精進]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악하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을 일어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미 일어난 사악하고 해로운 법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유익한 법[善法]들을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미 일어난 유익한 법들을 지속시키고 사라지지 않게 하고 증장시키고 충만하게 하고 개발하기 위해서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바른 정진이라 한다.”

21-8.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마음챙김[正念]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며 머문다. 느낌들에서 … 마음에서 …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며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바른 마음챙김이라 한다.”

21-9.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삼매[正定]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감각적 욕망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을 떨쳐버린 뒤, 일으킨 생각[尋]과 지속적인 고찰[伺]이 있고 떨쳐버렸음에서 생겼고, 희열[喜, pīti]과 행복[樂, sukha]이 있는 초선(初禪)에 들어 머문다.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을 가라앉혔기 때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자기 내면의 것이고, 확신(sampasādana)이 있으며, 마음의 단일한 상태이고,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 없고, 삼매에서 생긴 희열과 행복이 있는 제2선(二禪)에 들어 머문다.
희열이 빛바랬기 때문에 평온하게 머물고, 마음챙기고 알아차리며[正念正知] 몸으로 행복을 경험한다. 이를 두고 성자들이 ‘평온하게 마음챙기며 행복하게 머문다’고 묘사하는 제3선(三禪)에 들어 머문다.
행복도 버리고 괴로움도 버리고, 아울러 그 이전에 이미 기쁨과 슬픔을 없앴으므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으며, 평온으로 인해 마음챙김이 청정한[捨念淸淨] 제4선(四禪)에 들어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바른 삼매라 한다.”

21-10. “이와 같이 안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들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들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법들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법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사견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의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 머문다.”


VI. 결어

22. “비구들이여, 누구든지 이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을 이와 같이 칠 년을 닦는 사람은 두 가지 결과 중의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 여기서 구경지(究竟智)를 얻거나, 취착의 자취가 남아 있으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경지[不還果]를 기대할 수 있다.

비구들이여, 칠 년은 그만두고 누구든지 이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을 이와 같이 육 년을 닦는 사람은 … 오 년을 … 사 년을 … 삼 년을 … 이 년을 … 일년은 그만두고 누구든지 이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을 이와 같이 일곱 달을 닦는 사람은 두 가지 결과 중의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 여기서 구경지를 얻거나, 취착의 자취가 남아 있으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경지를 기대할 수 있다.

일곱 달은 그만두고 누구든지 여섯 달을 … 다섯 달을 … 네 달을 … 세 달을 … 두 달을 … 한 달을 … 반달을 … 반달은 그만두고 누구든지 이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을 이와 같이 칠 일을 닦는 사람은 두 가지 결과 중의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 여기서 구경지를 얻거나, 취착의 자취가 남아 있으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경지를 기대할 수 있다.”

“‘비구들이여, 이 도는 유일한 길이니 중생들의 청정을 위하고 근심과 탄식을 다 건너기 위한 것이며,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사라지게 하고 옳은 방법을 터득하고 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이다.’라고 설한 것은 이것을 반연하여 설하였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설하셨다. 그 비구들은 마음이 흡족해져서 세존의 설법을 기뻐하였다.

(대념처경 끝)

출처 : 바라밀
글쓴이 : 위빠사나포도반 원글보기
메모 :

좋아요3

알라딘: 검색결과 '' 각묵 스님 책들

알라딘: 검색결과 ''

[국내도서] 네가지 마음챙기는 공부 
각묵 (지은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04년 9월

[국내도서] 금강경 역해 
각묵 스님 (지은이) | 불광출판사 | 2001년 9월

[국내도서] 초기 불교 이해 
각묵 (지은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10년 8월

[국내도서] 초기불교입문 - 초기불교, 그 핵심을 담다 
각묵 (지은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17년 10월

---

[국내도서] 아비담마 길라잡이 1 ㅣ 아비담마 길라잡이 1 
[국내도서] 아비담마 길라잡이 2 ㅣ 아비담마 길라잡이 2 
대림, 각묵 (옮긴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17년 2월
----

[국내도서] 부처님의 마지막 발자취 - 대반열반경, 초기불전 시리즈 003 
각묵 (엮은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07년 3월
---
[국내도서] 디가니까야 1 - 길게 설하신 경 
[국내도서] 디가니까야 2 - 길게 설하신 경 
[국내도서] 디가니까야 3 - 길게 설하신 경 
각묵 (옮긴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06년 1월

[국내도서] 수행자의 길 - 티베트 옛 고승들의 경책 ㅣ 보리수잎 17 
게셰 완걀 (엮은이), 각묵 (옮긴이) | 고요한소리 | 2015년 6월

[국내도서] 상윳따 니까야 1 - 계송을 포함한 가르침 
[국내도서] 상윳따 니까야 2 - 연기를 위주로 한 가르침 
[국내도서] 상윳따 니까야 3 - 오온을 위주로 한 가르침 
[국내도서] 상윳따 니까야 4 - 육처를 위주로 한 가르침 
[국내도서] 상윳따 니까야 5 - 수행을 위주로 한 가르침 
[국내도서] 상윳따 니까야 6 - 진리를 위주로 한 가르침 
각묵 (지은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09년 11월

[국내도서] 이띠웃따까 - 청신녀 쿳줏따라가 들어서 전해준 부처님 말씀 
각묵 (옮긴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20년 4월

[국내도서] 니까야 강독 Ⅰ : 출가자의 길 ㅣ 초기불전 시리즈 5 
[국내도서] 니까야 강독 Ⅱ : 교학과 수행 ㅣ 초기불전 시리즈 6 
대림, 각묵 (옮긴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13년 3월

[국내도서] 우다나 - 우러나온 말씀 (自說經), 빠알리 경장 
각묵 (옮긴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20년 11월

[국내도서] 담마상가니 1 - 법의 갈무리 ㅣ 담마상가니 1 
[국내도서] 담마상가니 2 - 법의 갈무리 ㅣ 담마상가니 2 
각묵 스님 (옮긴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16년 5월

[국내도서] 위방가 법의 분석 2 
각묵 (지은이) | 초기불전연구원 | 2018년 11월

----
[국내도서] [세트] 보리수잎 시리즈 세트 - 전48권 ㅣ 보리수잎  
니나 봔 고르콤, 레너드 불렌, 나타샤 잭슨, 아이야 메다난디, 아이.비.호너, 시따 파울릭 뿔레-렌프류, 릴리 드 실바, 페트르 카렐 온틀, 루스 월슈, 엘리자베스 에쉬비, 로버트 보고다, 엠 오 시 월슈, 나라다, 프란시스 스토리, 아잔 수메도, 레너드 프라이스, 비구 보디, 카렐 베르네르, 엠오시 월슈, 냐나띨로까, 라스뜨라빨, 소마 스님, 아쟌 차, 칸띠빨로, 뽄 디스쿨, 카렐 베르너, 케마, 아차리아 붓다라키타, 아찬 코어, 붓다다싸, 수잔 엘바움 주틸라, 와뽀, 사나트 나나약까라, 아이비호너, 우 실라난다, 존 디 아이어랜드, 소마, 나나야끼라, 게오르게 그림, 웨라삐띠야, 냐나뽀니까 (지은이), 냐나삿따, 게셰 완걀 (엮은이), 전채린, 24,000원 → 24,000원

알라딘: 초기불교입문 각묵 2017, 2014

알라딘: 초기불교입문
------------------

초기불교입문 - 초기불교, 그 핵심을 담다   
각묵 (지은이)초기불전연구원2017-10-30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약어

초기불교의 개요
제1장 초기불교란 무엇인가
원시불교인가 근본불교인가 초기불교인가
왜 초기불교인가
초기불교의 목적은 행복의 실현이다
초기불교의 기본 가르침
초기불교의 핵심은 ‘법’이다
법이란 무엇인가
초기불교의 특징은 ‘해체해서 보기’이다

초기불교의 교학
제2장 나는 무엇인가
오온① :나는 오온이다
오온②: 물질의 무더기
오온③: 느낌의 무더기
오온④: 인식의 무더기
오온⑤: 심리현상들의 무더기
오온⑥: 알음알이의 무더기
오온⑦: 오온은 순차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제3장 세상이란 무엇인가
12처①: 열두 가지 감각장소
12처②: 12처가 곧 일체이다
18계: 18가지 요소
인간이 가진 22가지 능력
해탈 · 열반에 이르는 여섯 단계의 가르침

제4장 진리란 무엇인가
사성제①: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②: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③: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④: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⑤: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의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⑥: 네 가지 진리에 사무쳐야 한다

제5장 연기란 무엇인가
연기①: 연기는 12연기로 정리된다
연기②: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
연기③: 12연기는 삼세양중인과를 설한다

초기불교의 수행
제6장 37보리분법
37보리분법이란 무엇인가
사념처①: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사념처②: 마음챙김의 대상
사념처③: 마음챙김에 대한 세 가지 비유
사념처④: 마음챙기는 공부의 요점
사념처⑤: 들숨날숨에 마음챙기는 공부
사정근: 네 가지 바른 노력
사여의족: 네 가지 성취수단
오근: 다섯 가지 기능
오력: 다섯 가지 힘
오근 · 오력과 간화선
칠각지: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
팔정도①: 부처님 최초의 설법이자 최후의 설법
팔정도②: 여덟 가지 구성요소
팔정도③: 팔정도가 중도이다
팔정도④: 팔정도 가르침의 핵심

제7장 사마타와 위빳사나
사마타 위빳사나①: 사마타와 위빳사나는 부처님 직설
사마타 위빳사나②: 사마타와 위빳사나의 비교
사마타 위빳사나③: 본삼매와 찰나삼매

제8장 계정혜 삼학
계정혜 삼학①: 세 가지 공부지음
계정혜 삼학②: 계학과 정학과 혜학
계정혜 삼학③: 계정혜의 정형구
계정혜 삼학④: 다섯 가지 법의 무더기
계정혜 삼학⑤: 일곱 가지 청정

제9장 족쇄를 푼 성자들
열 가지 족쇄와 네 부류의 성자들
불교와 윤회

부록1 오온
부록2 상좌부의 4위 82법
부록3 물질 28가지
부록4 상좌부의 89가지 / 121가지 마음
부록5 마음부수 52가지
부록6 연기
부록7 칠청정과 위빳사나 지혜
참고문헌
찾아보기

-----------------------
저자 및 역자소개
각묵 (지은이) 

공감순 
     
초기불교에 대해 정말 잘 요약한 책입니다. 몇번 읽고 초기불교이해 라는 책으로 갑니다.  구매
mugbaba 2020-01-16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구매자 (0)
전체 (1)
공감순 
  -----------
초기불교입문 - 알기 쉽게 풀이한 초기불교의 핵심교학   
각묵 (지은이)
이솔2014-09-30

기본정보
248쪽

책소개

초기불교는 역사적으로 실존하셨던 석가모니 부처님과 그 직계 제자들이 직접 설한 가르침이다. 이 책은 부처님의 생생한 육성을 불교 2,600년사의 흐름 속에서 고스란히 전승해 오고 있는 남방 상좌부 불교의 빠알리어 니까야를 토대로 한 초기불교 입문서이다.

초기불전연구원 지도법사 각묵 스님이 초기불교의 핵심 가르침을 명쾌하게 풀이한 이 책은 초기불교를 처음 접하는 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불교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오온, 12처, 18계, 사성제, 12연기, 37보리분법, 사마타와 위빳사나, 계정혜 삼학 등의 주제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초기불교를 공부하는 데에 유용한 길잡이가 되도록 하였다.
목차
초기불교의 개요
제1장 초기불교란 무엇인가
원시불교인가 근본불교인가 초기불교인가
왜 초기불교인가
초기불교의 목적은 행복의 실현이다
초기불교의 기본 가르침
초기불교의 핵심은 ‘법’이다
법이란 무엇인가
초기불교의 특징은 ‘해체해서 보기’이다

초기불교의 교학
제2장 나는 무엇인가
오온① :나는 오온이다
오온②: 물질의 무더기
오온③: 느낌의 무더기
오온④: 인식의 무더기
오온⑤: 심리현상들의 무더기
오온⑥: 알음알이의 무더기
오온⑦: 오온은 순차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제3장 세상이란 무엇인가
12처①: 열두 가지 감각장소
12처②: 12처가 곧 일체이다
18계: 18가지 요소
인간이 가진 22가지 능력
해탈 · 열반에 이르는 여섯 단계의 가르침

제4장 진리란 무엇인가
사성제①: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②: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③: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④: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⑤: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의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⑥: 네 가지 진리에 사무쳐야 한다

제5장 연기란 무엇인가
연기①: 연기는 12연기로 정리된다
연기②: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
연기③: 12연기는 삼세양중인과를 설한다

초기불교의 수행
제6장 37보리분법
37보리분법이란 무엇인가
사념처①: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사념처②: 마음챙김의 대상
사념처③: 마음챙김에 대한 세 가지 비유
사념처④: 마음챙기는 공부의 요점
사념처⑤: 들숨날숨에 마음챙기는 공부
사정근: 네 가지 바른 노력
사여의족: 네 가지 성취수단
오근: 다섯 가지 기능
오력: 다섯 가지 힘
오근 · 오력과 간화선
칠각지: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
팔정도①: 부처님 최초의 설법이자 최후의 설법
팔정도②: 여덟 가지 구성요소
팔정도③: 팔정도가 중도이다
팔정도④: 팔정도 가르침의 핵심

제7장 사마타와 위빳사나
사마타 위빳사나①: 사마타와 위빳사나는 부처님 직설
사마타 위빳사나②: 사마타와 위빳사나의 비교
사마타 위빳사나③: 본삼매와 찰나삼매

제8장 계정혜 삼학
계정혜 삼학①: 세 가지 공부지음
계정혜 삼학②: 계학과 정학과 혜학
계정혜 삼학③: 계정혜의 정형구
계정혜 삼학④: 다섯 가지 법의 무더기
계정혜 삼학⑤: 일곱 가지 청정

제9장 족쇄를 푼 성자들
열 가지 족쇄와 네 부류의 성자들
불교와 윤회

접기
책속에서
역사적으로 실존하셨던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직접 설하신 가르침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초기불교는 부처님의 원음이요, 불교의 뿌리이다.

불교는 행복을 추구한다. 부처님께서는 금생의 행복, 내생의 행복, 그리고 궁극적인 행복의 실현을 말씀하셨다. 보시와 지계는 금생의 행복과 내생의 행복을 얻는 수단이며, 수행은 궁극적 행...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각묵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위방가 법의 분석 2>,<위방가 법의 분석 1>,<초기불교입문> … 총 27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부처님께서 직접 설하신 가르침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초기불교는
불교의 뿌리요, 시작이다.”

초기불교의 핵심 가르침을 체계적이고 명쾌하게 풀이한 입문서!

초기불교는 역사적으로 실존하셨던 석가모니 부처님과 그 직계 제자들이 직접 설한 가르침이다. 이 책은 부처님의 생생한 육성을 불교 2,600년사의 흐름 속에서 고스란히 전승해 오고 있는 남방 상좌부 불교의 빠알리어 니까야Nikaya를 토대로 한 초기불교 입문서이다.

초기불전연구원 지도법사 각묵 스님이 초기불교의 핵심 가르침을 명쾌하게 풀이한 이 책은 초기불교를 처음 접하는 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불교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오온, 12처, 18계, 사성제, 12연기, 37보리분법, 사마타와 위빳사나, 계정혜 삼학 등의 주제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초기불교를 공부하는 데에 유용한 길잡이가 되도록 하였다.

* 이 책은 초기불전연구원 지도법사 각묵 스님이 불교신문에 50회에 걸쳐
연재한 초기불교의 핵심교학 해설을 보완해서 새롭게 정리한 것이다. 접기

   
깔끔하게 정리된책. 단 대승쪽 애기가 나오면 저자가 약간 흥분한다는게 느껴짐. 
뚱띵 2017-07-17 공감 (0) 댓글 (0)

     
각묵의 <초기불교입문> 새창으로 보기
0. 어떤 종교도 어떤 철학도 불교라는 바위 앞에서는 달걀입니다. 그 사상의 광대무변廣大無邊함은 췌론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 광대무변함이야말로 불교의 치명적 약점이라는 진실을 덮어버릴 만큼.


 

1. <시사인>에 실린 장정일의 『예수는 괴물이다』 서평 가운데 이런 부분이 있습니다.

 

“무신론자인 지젝은 외부의 충격과 만나기를 피하지 않으며, 사랑하기 위해 선택하기를 주저하지 않는 기독교를 높이 산다. 반대로 불교는 자아를 비우고, 무차별심을 연마하고, 모든 정념을 억누르고자 한다. 이런 입장은 타자의 심연이나 외상과 거리를 두는 형태를 취하지만, 배면에는 유기적이고 조화로운 세계가 전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불교는 파시즘이나 국가주의와 쉽게 결합될 뿐 아니라, 광란의 경쟁이 벌어지는 자본주의에 효율적으로 참여한다. 자본주의가 발전한 나라일수록 불교의 선이나 동양에 기원을 둔 뉴에이지 종교가 높은 인기를 얻는다.”


 

지젝이 말한 기독교가 (실제로 그런지와 무관하게) 불교와 선명하게 대비되는 부분을 인용합니다.

 

“외부의 충격과 만나기를 피하지 않으며, 사랑하기 위해 선택하기를 주저하지 않는” (기독교)

 

“타자의 심연이나 외상과 거리를 두는” (불교)

 

다시, 이 대비에서 불교 부분만을 꺼내 생각하겠습니다. 불교가 타자의 심연이나 외상과 거리를 두는 것이 맞을까요? 얼핏 보면 잘못된 통찰이라 여겨집니다. 그도 그럴 것이 불교는 자비의 종교라는데. 싯다르타 왕자가 고통으로 신음하는 궁 밖의 백성을 보고 출가했다는데. 이 문제에 관해 통속불교의 행태 아닌 붓다 원음이라 일컬어지는 빨리어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이른바 초기불교 내용으로 판단해보기로 합니다.

 

 2. 『초기불교입문』은 저자인 각묵이 직접 접한 초기불교 경전의 가르침에 터하여 쓴, 빠짐도 군더더기도 없는, 정갈한 입문서입니다. 불교신문에 연재하고, 불자들이 인터넷 매체에 올려놓을 때부터 틈틈이 읽어온 내용을 단행본(2014년 9월 30일 출간)으로 다시 촘촘히 읽었습니다. 그 동안 이리저리 흩어져 뒹굴던 생각들이 단정하게 정리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동시에, 그 동안 품고 키워왔던 의문이 더욱 깊어지는 것도 함께 느꼈습니다.

 

이 책에 따르면 불교의 핵심은 사성제四聖諦로 집약됩니다. 사성제의 고갱이는 고苦입니다. 고苦의 문제를 풀어 열반, 그러니까 행복에 이르는 길이 다름 아닌 불교입니다. 일一에서 팔만사천八萬四千까지 허다한 숫자들로 가득 찬 온갖 가르침의 목록, 그 번다함이 부질없어지는 요약입니다. 고苦의 진경으로 들어가야 불교의 속살이 드러납니다.


 

3. 고苦는 빨리어 dukkha를 번역한 것입니다. 무엇보다 먼저 번역 자체를 문제 삼을 수 있습니다. 한자문화권에서는 고통苦痛이라는 합성어를 오랫동안 써왔기 때문에 일상의 차원에서 둘을 분명하게 구분하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고苦는 정신적 괴로움suffering이고, 통痛은 육체적인 아픔pain입니다. 물론 둘은 서로 관통하고 흡수합니다. 정신의 괴로움은 육체의 아픔을 유발하고, 육체의 아픔은 정신의 괴로움을 유발합니다. 하지만 완전히 포개지지는 않습니다. 구분은 불가피합니다.

 

경전을 만들 당시 빨리어 전통에서 dukkha는 통痛과 구분되는 고苦였을까요? 만일 그렇다면 불교, 아니 붓다의 근본 가르침에 큰 구멍이 뚫려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번역 당시 고苦로써 통痛까지 포괄했다는 증거가 없는 한) 번역이 잘못된 것이므로 적어도 한자문화권 불교 전체에 일대 변화가 일어나야 합니다. 두 경우 모두 큰일입니다!

 

dukkha 언어학적 검증은 제 능력 밖의 일입니다.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번역이 바르다고 전제하고, 그러니까 붓다의 가르침이 고苦를 중심으로 전개된다고 보고 이를 화두 삼는 것입니다. 과연 『초기불교입문』전체에서 통痛이 전면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전혀 없습니다. 물론 고苦를 ‘해체하여’ 설할 때 ‘육체적 괴로움’을 포함하기는 하지만 ‘육체적 괴로움’은 이치상 부정확한 표현일뿐더러 거의 전혀 존재감 없는 고苦의 하위개념에 지나지 않습니다. 붓다의 가르침은 명백히 고苦-패러다임입니다.

 

붓다는 왜 통痛을 범주로 인식하지 않았을까요? 생태문화적 맥락을 먼저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고대 인도는 정신주의의 본향이었습니다. 정신주의는 채식문화와 결합되어 있습니다. 채식문화의 육체에 대한 감각·인식은 식물적입니다. 식물적 감각·인식을 지닌 사람에게 육체의 통痛은 정신의 고苦에 비하면 거의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육식문화의 전통에서 형성된 서구의학이 진통鎭痛적 본질을 지니며, 심지어 정신조차 진통제적 성격의 차단 약물로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 금방 수긍이 가는 이야기입니다.

 

사회정치적 지평도 고려할만합니다. 어떤 연구에 따르면 불교가 인도 사회에 깊고 넓게 뿌리내리지 못한 까닭은 붓다 자신이 그렇듯 10대 제자 거의 대부분이 크샤트리아 이상의 신분을 지닌 사람들이었다는 상징적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기층 민중에게 어필하는 면이 약했다는 지적입니다. 기층 민중에게는 통痛이 훨씬 더 민감하고 절박한 문제입니다. 제대로 먹지 못하고 입지 못해 육체적으로 더 쉽게 많이 아픈 문제는 분명히 통痛의 문제이지 고苦의 문제가 아닙니다.

 

붓다 이후 제자들은 이 문제를 인식하고 스승의 가르침을 보완하여 현실 삶의 아픔을 보듬는 쪽으로 나아가지 않은 듯합니다. 적어도 『초기불교입문』에 정리된 바에 따르면 그 문화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보다는 스승의 ‘해체’설법을 번다한 소박 분석체계로 만들어 도그마 짓는데 심혈을 기울였던 듯합니다. 모든 종교·사상의 에피고넨이 걸었던 길을 그들도 따라간 것입니다.

 

4. 통痛과 고苦를 이치에 따라 처음부터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앞서 통痛은 육체에, 고苦는 정신에 일단 귀속시켰습니다. 상호침투에 대해서도 말씀드렸습니다. 이런 얼개를 전제하고 볼 때 적어도 현실의 인간 생명현상에서 통痛을 앞서는 고苦는 없습니다. 육체가 있고서야 정신이 있기 때문입니다. 육체가 없는 정신 현상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이미 인간의 영역 밖입니다. 『초기불교입문』에서 나타나는 바 고苦의 대표적 원인인 갈애渴愛는 기본적으로 목마름입니다. 육체로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집착적 욕망인 갈애를 정신 현상으로까지 확대한다 해도 뿌리는 결국 육체입니다. 고苦 앞서 통痛이 갑니다. 통痛이야말로 인간의 숙명입니다. 고苦는 거의 대부분 선택의 문제입니다. 고苦를 푸는 도道로 풀리지 않는 통痛이 있습니다. 그 통痛은 의학의 영역이라 할 것입니까. 그러면 고苦 또한 정신의학의 영역이라 하면 그만일 것입니다. 좀 더 쫀득하게 촘촘하게 진실에 육박하는 정신이 필요합니다. 그게 『초기불교입문』에서 저자가 자주 말하는 “고구정녕한” 붓다의 정신이 아닐까요.

 

0. 『초기불교입문』 앞에 향 맑은 마음으로 다시 앉습니다. 아니 이 가르침을 내린 붓다 앞에 삼가 온몸으로 엎드립니다. 문득 질문 하나 솟아오릅니다.

 

“일 년 넘도록 딸의 시신조차 찾지 못하고 있는 다윤 엄마의 울부짖음을 고苦라 할 것입니까?”

 

대답이 “그렇다.” 하면 저는 붓다의 따귀를 후려갈기고 돌아설 것입니다.

 

- 접기
bari_che 2015-04-22 공감(14)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