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27

Biocentrism: How Life and Consciousness Are the Keys to Understanding the True Nature of the Universe by Robert Lanza | Goodreads

Biocentrism: How Life and Consciousness Are the Keys to Understanding the True Nature of the Universe by Robert Lanza | Goodreads

Biocentrism: How Life and Consciousness Are the Keys to Understanding the True Nature of the Universe

 3.94  ·   Rating details ·  3,869 ratings  ·  440 reviews
Robert Lanza is one of the most respected scientists in the world—a US News & World Report cover story called him a "genius" and a "renegade thinker," even likening him to Einstein. Lanza has teamed with Bob Berman, the most widely read astronomer in the world, to produce Biocentrism, a revolutionary new view of the universe.

Every now and then a simple yet radical idea shakes the very foundations of knowledge. The startling discovery that the world was not flat challenged and ultimately changed the way people perceived themselv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world. For most humans of the 15th century, the notion of Earth as ball of rock was nonsense. The whole of Western, natural philosophy is undergoing a sea change again, increasingly being forced upon us by the experimental findings of quantum theory, and at the same time, towards doubt and uncertainty in the physical explanations of the universe’s genesis and structure. Biocentrism completes this shift in worldview, turning the planet upside down again with the revolutionary view that life creates the universe instead of the other way around.

In this paradigm, life is not an accidental byproduct of the laws of physics. Biocentrism takes the reader on a seemingly improbable but ultimately inescapable journey through a foreign universe—our own—from the viewpoints of an acclaimed biologist and a leading astronomer. Switching perspective from physics to biology unlocks the cages in which Western science has unwittingly managed to confine itself. Biocentrism will shatter the reader’s ideas of life—time and space, and even death. At the same time it will release us from the dull worldview of life being merely the activity of an admixture of carbon and a few other elements; it suggests the exhilarating possibility that life is fundamentally immortal.

The 21st century is predicted to be the Century of Biology, a shift from the previous century dominated by physics. It seems fitting, then, to begin the century by turning the universe outside-in and unifying the foundations of science with a simple idea discovered by one of the leading life-scientists of our age. Biocentrism awakens in readers a new sense of possibility, and is full of so many shocking new perspectives that the reader will never see reality the same way again.
 (less)

GET A COPY

Hardcover223 pages
Published April 14th 2009 by BenBella Books
Original Title
Biocentrism: How Life and Consciousness Are the Keys to Understanding the True Nature of the Universe
ISBN
1933771690  (ISBN13: 9781933771694)
Edition Language
English
...Less DetailEdit Details

FRIEND REVIEWS

Recommend This Book None of your friends have reviewed this book yet.

READER Q&A

Ask the Goodreads community a question about Biocentrism
54355902. uy100 cr1,0,100,100
Popular Answered Questions

COMMUNITY REVIEWS

Showing 1-30
 Average rating3.94  · 
 ·  3,869 ratings  ·  440 reviews


 | 
Sejin,
Sejin, start your review of Biocentrism: How Life and Consciousness Are the Keys to Understanding the True Nature of the Universe
William Richburg
Jun 17, 2018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A Worldview That Works For The 21st Century

Perhaps the most important book about science ever written.

The authors, both scientists with impeccable credentials, have made an enormous contribution to human civilization that will raise the consciousness of every serious open minded reader.
Susan Botich
Dec 03, 2013rated it it was amazing
Robert Lanza has been noted as a brilliant biologist, having accomplished significant breakthroughs in stem cell research as well as other contributions to medical science. In Biocentrism, he elucidates an extremely challenging concept for the reader bound to the status quo to grasp: that the universe is actually a perception of consciousness, not a static "out there" reality. Lanza explains step-by-step how this is so, using known and quantified laws of physics and other sciences, and explains his claim in an exquisite, elegant yet easy-to-understand language so that any lay person can easily grasp what he is saying. He also has a wonderful sense of humor that pops through at the most unexpected times that brings a lightheartedness to the weight of his subject.

I highly recommend this book to everyone who enjoys exploring the age-old quandary of the origin of the universe. 
(less)
Delta
Jan 06, 2015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z2015
This is one of those books that I will always believe changed my life. It's also going to be one of the few books I read more than once. Biocentrism helped me understand how I am not alone in this universe, but a part of it, and realize that I do matter in the grand scheme of things, if only to create the world around me. I came across this theory after reading James Rollins' "The Eye of God" and it was nothing like I expected. Since reading this book I have felt much closer to the universe and more aware of the world around me. I have comforted friends who suffer from bouts of depression and loneliness, including myself.

Don't get me wrong, this is a difficult read; possibly the most difficult I have ever read. But if you put the time into it and really apply the concepts, it could open you up to a world you never knew was around you.
 (less)
Wayne
Nov 15, 2013rated it it was amazing
Recommends it for: Everyone
Recommended to Wayne by: Goodreads
This book of biocentrism is a scientific book. It is one of the best books I have ever read. Not that it was entertaining. It wasn't. What this book did was introduce me to some of the most amazing experimental accomplished in the realm of quantum physics and some conclusions that can be drawn. There is not any argument in the scientific community about much of the results of experiments in quantum physics but it has become clear that quantum physic is ill equipped to explain many things. Thus came along biocentrism. The concepts in biocentrism has its roots in quantum physic testing but a great deal of thought and reflection is required to objectively delve into this exciting new field.

One of the quantum physics experiments that is astounding is the two photons that go through a slit and are divided by space. Observing one photon which is a subatomic particle causes it to change and exhibit wave characteristics with vertical polarization. The twin photon separated by considerable space immediately changes from a particle to a wave with horizontal polarization. This leads to a conclusion that philosophers for years have speculated upon. Space and time do not exist in the real universe but are only fabrications of the human mind to enable us to sort things out. Another concept is that if you could travel at the speed of light you could be everywhere in the universe at the same time. Putting it another way if you were in a space ship approaching the speed of light the cosmos would look like a basketball in front of you.

For engineers, philosophers, and scientist this is a must read book. I think everybody should read this book. This book gets as close to religion as science has ever done. I love reading science books that explain complex ideas in a way that can be easy visualized. This book does this. The more I learn the more the reality of a supreme being and eternal life are manifested. The body dies but the spirit lives on. As the scientists will say energy never is destroyed it only changes form. And science shows we are energy. It can be measure as equivalent to a 100 watt light bulb.

So read this book and let your mind be stretched. You will find it fascinating.
 (less)
Joshua Wulf
Aug 02, 2014rated it it was amazing
After reading a lot on relativity, quantum mechanics, and consciousness, this is the first book where I felt that the author had a solid grasp of all three and was able to bring something to the conversation.

The Western scientific revolution was predicated on an ontology of objective things that had an existence independent of observers. The periodic table we encountered in high school science is a good example. It exists independent of the reader of the table or the observer of the elements. The observer is an afterthought, and superfluous to the elements, which have their own concrete existence.

However, this view of the world - though utilitarian in that it produces technology such as the computer I am using to write this review - ignores that the entire ontological structure is in fact built through the very observation of the observer that it ignores.

The book begins by examining the Zen-koan-like question "If a tree falls in the woods and there is no-one there to hear it, does it make a sound?"

The authors approach this question in a way that distinguishes sense perception from the phenomena it perceives. "Sound" is a perception - it requires an observer. Things do not make sound - we perceive certain phenomena as sound. Sound is an emergent phenomenon at the intersection of consciousness, senses, and stimulus. The author uses this to show how closely, and transparently, consciousness and observing are bound to our observations; and how difficult it is for us to reason about the world with this distinction.

This is by no means the first time I'd encountered the question of the tree in the woods, but before reading this, it had never occurred to me that the language of "sound" intrinsically implies an observer. Otherwise the "what happened" is merely pressure waves in air. These only become "sound" when perceived through the ear of an observer that processes this phenomenon as sound. No observer = no "sound"; merely pressure waves.

Observation is invisibly embedded in our language and the ideal of objectivity promoted by classical science is an illusion. Lanza uses this example to cause the observer to show up in classical physics.

This is just the beginning, though.

The discoveries of Quantum Mechanics, beginning in the 20th century, turned the ontological basis of science on its head. It turns out that the universe does not exist in the concrete fashion depicted in the periodic table when no-one is looking at it. Ignoring the consciousness of the tree for the moment - if there is no observer present, not only does the tree not make a sound when it falls - it doesn't even exist!

Not only the existence of concrete elements beginning from atoms, but even the phenomenon of time and space themselves are dependent on observation.

In other words, time and space are not an objective background against which reality takes place, but rather they emerge from the interaction of the universe and our experience. Consciousness really is at the centre of everything that we know about the world. Time and space, and even concrete matter do not appear unless consciousness is present. Quantum mechanical experiments have given us knowledge of what the universe "looks like" when no-one is looking: it is an uncollapsed wave function - a state of undetermined probability.

Relativity was the first clue that experience dictates the nature of reality - with changes to space and time taking place depending on the observer - and quantum mechanics has shown that it is not merely a late-stage artifact of reality, but at its very core.

Lanza then takes us further, to show how the primacy of consciousness not only explains both relativity and quantum mechanics, but reconciles the two.

Having personally spent over a decade studying yoga and Eastern philosophy, in addition to my western scientific and engineering education and career, I found this book to come the closest of any I have read to date in presenting an accurate synthesis of the two.

I've read many books that misrepresented either, and sometimes both, in their efforts.

Having given the author credit for presenting a synthesis, in some respects his original material represents a more accurate presentation of ancient ideas than when he is explicitly presenting "Eastern religion" or philosophy. Those parts are a superficial presentation, dwelling on the popularly-known aspects like unified consciousness (Advaita) or reincarnation.

There are other aspects of Vedic cosmology that are more interesting in light of the findings of relativity and quantum mechanics and the desire of the author to explain these things in light of consciousness.

In a discourse on the nature of the material world (a section of Eastern philosophy known as "Sankhya" or "Distinction"), material nature is described in the Srimad Bhagavatam as "pradhana" - an undifferentiated state of potential:

"The unmanifested eternal combination of the three modes is the cause of the manifest state and is called pradhana. It is called prakriti when in the manifested stage of existence.SB. 3.26.10

The discussion continues to describe the various object of sense perception ("sound", "sight", etc), the sense organs ("ears", "eyes"), which are material, and then the senses ("hearing", "vision") and mental apparatus, which are of a subtle material nature, through which consciousness experiences the world (SB. 3.26.11-14), and then explains that both time and the appearance of space of variegated experience arise from the undifferentiated material potentiality through the injection of consciousness (SB.3.26.15-19).

This is, in fact, the argument being made by Lanza in this book. Quantum mechanical experiments reveal that the world exists as a cloud of undifferentiated, unmanifested "probability" until experienced by consciousness through senses, at which point it "collapses" into a deterministic state.

The author of this book comes down against the Many Worlds interpretation of QM.

Personally, I find the Many Worlds interpretation of QM to be more in line with the descriptions given in Bhagavatam, which - in addition to the consciousness-first nature of reality, and sensory-driven wave form collapse - deals with karma - fate and freewill.

An Einsteinian block universe is experienced by living entities as a sequence of events. However, the sequence is "predetermined" in that time is a subjective experience - not an objective reality. This gives us a universe in which past, present, and future are already written, and are merely experienced sequentially. (Don't worry if you don't get that immediately - it took me a lot of reading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physics arrow of time to get that).

However, QM demonstrates that quantum uncertainty exists. This is one of the issues in reconciling Newtonian/Einsteinian physics of the macro-world with the Quantum Mechanical nature of the microscopic.

The Many Worlds interpretation of QM allows that an unlimited number of static, predetermined Einsteinian block universes exist, but which universe you are in can change at every moment.

Exactly this scenario is described in Bhagavad-gita, where Arjuna is shown "the Universal Form" - a vision of the Einsteinian block universe in which past, present, and future are all present and visible. He is told that the fate of his enemies is already sealed, but he has the free will to become the agent of that fate. The stage is set, the script is written, but the casting is open.

In this model predetermination and free will co-exist, as they do in a Choose-Your-Own-Adventure. All the paths are there, already written; but which one you are on can chang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low of a living entity through different paths (different universes == different fates) are discussed in Srimad BhagavatamBhagavad-gita, and many other texts of Buddhist and Vedic-derivation.

I'm looking forward to the book that builds on Lanza's offering with a more detailed expos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ity, QM, and consciousness; the insights available in Eastern philosophies, and the issues of fate and free will.

In some universes there will be a Joshua Wulf reading it. In others Joshua Wulf will be the writer. I wonder which one I will experience?
 (less)
Steve
Mar 19, 2014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ebookkindle
Before reading this book, I had always thought of time as somehow real. But now I know it isn't. Whey you look at a distant star, you think you are seeing light millions of years old. This is only because the science, in the last hundred years or so, has told us so. But, quantum entanglement means that if I am on that distant star, and I am quantumly entangled with you, the reader, then things happen simultaneously. These two principles seem to violate each other. How can things be millions of light years apart but acting simultaneously? Here is a quote from Wikipedia:

"Like Einstein, Schrödinger was dissatisfied with the concept of entanglement, because it seemed to violate the speed limit o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mplicit in the theory of relativity.[16] Einstein later famously derided entanglement as "spukhafte Fernwirkung"[17] or "spooky action at a distance.""

But, as the observer knows, they are seeing the light from the stars now, as you look at that star, in the evening, in the sky, and hear the trees rustle around you. The time is now, not millions of years ago.

It is all a very clever illusion, and we are creating it with our completely lost-from-source minds. And we believe it to be "real" and out of our control. But it is we, the observer, who are out of control.

We need to become better observers. This book helps.
 (less)
Stacey
Jul 08, 2015rated it it was amazing
I want all of my friends to read this so we can talk about it for hours. My only problem with this book was some questions he left answered (which did not compromise my rating because questions are not the same as criticism.) His premise is logically viable, it works very well with Bohm's hypothesis; however I would have enjoyed him exploring more of the various states of consciousness or even more of the neuroscience behind consciousness. I think it would have strengthened his argument if he was able to elaborate, for consciousness is not a static entity. Brain waves, for example: alpha, beta, theta, and delta, sleep, dreaming &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that can come about through psychoactive drugs or meditation. Anyway, this was an amazing, horizon-expanding altered view of the universe. It annoyed me to read in some of the reviews that this was a philosophy book when he clearly used experiments and data from the literature to prove every point he made. It's like people skipped the intro, skimmed the first view paragraphs in each chapter and wrote it off as a new-age concept book written by a hippie.

If life exists because consciousness exists, that could be the "theory of everything" that physicists & philosophers alike have been looking for since man could "think, therefore I am."
 (less)
Linda Robinson
Nov 24, 2010rated it really liked it
Reading science/cosmology/metaphysical in combination makes me forget my name and all my passwords. But I zipped right through this book which leads me to believe that I am already on the path, or I totally don't get it. The book quotes a Zen saying, "Name the color, blind the eye," and perhaps putting a label to consciousness does the same to awareness. But the book addresses questions I have now. What was there before the Big Bang? What is the universe expanding into? Quantum physics doesn't answer. The answer cannot be nothing, because nothing is not model-based reality. Quantum physics is working on finding a Grand Unified Theory (GUT) that wraps all this up nicely. In waves or strings, or M-theory, or vintage jacquard ribbon? Superposition experiments now underway might reveal something. But what if, the authors of Biocentrism query, what if consciousness is what created it all? Suppose that external and internal are just language distinctions. Suppose time and space are constructs of our consciousness? (less)
Dennis Venturoni
Jan 14, 2020rated it it was amazing
I bought this book a couple of years ago on a whim, and it forever changed how I look at the universe. Biocentrism is scientific theory mixed in with some philosophy and metaphysics. Lanza does a good balancing act, and his theories are compelling. The idea that physicists have had it exactly backward the past hundred-plus years, that the universe is in fact a construct of our own minds and cannot exist without us, not the other way around, is mindblowing. I think Lanza is onto something
Kitap
Aug 09, 2012rated it it was ok
Recommended to Kitap by: Dr. Bryan Miller
This review has been hidden because it contains spoilers. To view it, click here.
Jafar
May 28, 2011rated it it was ok  ·  review of another edition
This book is a bunch of baloney. When I read The Master and His Emissary a few weeks ago, I complained that McGilchrist had written such a large tome to support his claim that I got lost putting it together. Lanza has gone to the other extreme. He’s making pretty much the biggest claim that anyone can make, i.e., explaining existence itself, and he’s put together a few chapters of hogwash to prove it. Lanza is not only sloppy in every aspect, he comes off totally smug and arrogant. You can almost read “Look, aren’t I a genius” between the lines. He’s inserted a few stories from his own personal life for no apparent reason but self-infatuation.

Lanza explicitly denies the reality of time and space. Implicitly, he also denies the existence of an objective reality outside ourselves. Nothing exists out there if there is no “consciousness” to observe it. He stays clear of defining this consciousness and explaining how it came about if nothing existed prior to it. What he offers in term of “scientific proof” is: a) the infamous double-slit experiment of quantum mechanics; b) the amazing fact that the constants of physics appear as if they’d been fine-tuned for the eventual emergence of starts and planets and life. As puzzling and inexplicable these two may be (there are theories and explanations), none of them can support Lanza’s claim by any stretch of imagination. The only chapter worth reading in the book is the one about the double-slit experiment and its different ingenious variations.

I should have taken Deepak Chopra’s endorsement of this book as a bad sign. Lanza plays defensive in the introduction and says that he’s not trying to prove any New Age philosophies (I have to give him credit for realizing that this would be quite bad for a book that claims to be scientific), but in the end what he says is not more than some New Age mumbo-jumbo about the universe being a single and continuous consciousness, etc. – all with the pretense of being scientific.
(less)
Connor Adams
Jun 13, 2014rated it it was amazing
Robert Lanza steps forward to prompt a paradigm shift in the way we think. For those of us who have been waiting for science to finally tackle (Or at least tickle) the behemoth question of consciousness and produce a piece of literature that can practically influence us in a down to earth manner regarding our daily rituals, without boiling down reality to a mass of random stupidity; this is for you.

A wonderful, colourful read, striking the perfect balance between fact, story and wonder, leaving out all the 'spooky knowledge' that so taints previous explanations of the sorts.

Would recommend to all. 
(less)
Jeffrey  Sylvester
Mar 11, 2014rated it it was amazing
“Biocentrism” by Robert Lanza and Robert Berman is excellent.
Lanza is an M.D., and advanced cell scientist, and Berman a famous astronomer. They propose that life creates the universe and not the other way around, and that biology should be the discipline used to develop a “theory of everything” that accounts for life and consciousness to better understand reality, being and the cosmos.

According to Lanza the physics model that Western science has employed has reached its limits in attempting to explain the age-old questions raised by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regarding the cosmos, the origin of existence and consciousness.

Lanza challenges readers to question the claims of contemporary science such as where the Big Bang came from, the probability of our existence, and how consciousness arose from matter. Essentially Lanza makes the case that the more we know, the less we understand, and that answering the aforesaid questions requires a fundamental shift away from physics and toward biology. By extension, Lanza suggests the theory he proposes, Biocentrism, provides the answers physics cannot answer. Beyond offering the basis for a complete paradigm shift that opens new lines of investigation in physics and cosmology, Lanza suggests other researchers conduct “quantum superposition” experiments to either confirm or refute the theory.

Like any decent resource, Lanza spends much of his time declaring the limitations of what we know before proceeding with his proposed theory that could help close those gaps. For example, we now know that 96% of the universe is dark energy and dark matter but we have little idea of what those are or how they operate. We understand and guide our lives based on animal conceptions of time and space but both are illusory. We have academic fleets dedicated to brain science but the holes in the methodologies used to explain consciousness is never discussed (a problem particularly rife in behavioral ‘science’). We suggest that life was an incredibly improbable chance event when it is more probable the universe was fine-tuned to support life. We operate within the confines of human language and logic, and due to these limitations, are “constitutional materialists, hard-wired, designed, to think linearly”, always seeking sociological and scientific certainty upon which to base the order of our lives.

Much of biocentrism is explained through Lanza and Berman’s understandings of quantum theory and the bizarre relationships between subatomic particles. I have read several breakdowns of this theory by different scholars and felt Lanza’s was well explained. He also uses variations of the Anthropic Principle to support his arguments and ultimately concludes that consciousness must exist beyond our terrestrial realm, and that the content of our minds constitute “reality”, as humans throughout history have always suspected.

Structurally Lanza’s book is user-friendly, particularly at the end where Lanza breaks down “Answers to Basic Questions” and the different ways in which Classical Science, Western Religions and advocates of Biocentrism would respond. The dialogue he sets forth helps exemplify what Western science cannot know and what Biocentrism can provide in consideration of the gaps exposed.

I have also found fascinating how many scholars, building upon recent theoretical findings in physics, have concluded that these new theories increasingly support multi-universe, BiosLogos, and the Anthropic theories, the tenets of which line up with various aspects of millennia old Eastern religions.

5 stars out of 5 for Lanza and Berman!
(less)
Shane
Jun 14, 2014rated it really liked it
Brain successfully fried.
Katelynd Rallo
Jun 02, 2013rated it really liked it
At first I thought these guys were full of it. Everything that they started to approach seemed common sense and to be already proven with psychology and philosophy which in my mind are not to be considered a "science". I decided it would be best to actually read the whole book before making a proper judgement.

As I read I realized the point. If you rated this book a low rating it's probably because you didn't get it. Trust me it took me a few times to read this just to grasp the concept fully.

I have always been on the side of science and never believed perception or consciousness were relevant when discussing the matters of the universe. I love science because there is always an answer and there are very few exceptions to the laws and theories we have developed over the course of human history. What makes this book special is it's ability to force the reader to realize their place. The only reason why anything exists is because we exist to perceive it.

I hate to admit it but psychology and philosophy may actually have a place in the world of science, something you would never catch me saying out loud. 
(less)
Julie
Apr 15, 2010rated it it was amazing
This book must be read twice! I am into my second read and the clarity is overwhelming. Lanza points out and illustrates the flaws in majorly accepted scientific theory about the universe and how it is, and offers up the only possible alternative in his theory of Biocentrism -- a universe that springs from life (the observer), instead of a universe that exists independently of life.

Denise みか Hutchins
I purchased this book when I saw it mentioned on an episode of Through the Wormhole with Morgan Freeman. It was presented there as an alternative to the preeminent string theory and I was enchanted by the idea. However, what I learned from this book ended up being so much more than that.

Not only does Biocentrism, the theory, do more than simply explain the strange behavior of quantum particles, Biocentrism, the book, was an excellent starting point for all kinds of scientific knowledge. I didn’t just learn about a new theory, I learned about the various scientific experiments and scientific theories that lead the authors to come to the Biocentrism conclusion. If ever I so choose, I can find my way to all that additional science through this book’s bibliography and expand my scientific knowledge even further. I think this is the main reason I LOVED reading this book: it didn’t just shove a new idea in my face and say, “There! Accept it!”, it took the time to explain itself and teach me new things along the way. The two main facets, learning the tenets of a new and wildly different scientific theory and learning about all the solid evidence that supports that theory, worked in harmony to make the whole book extremely readable and eternally fascinating.

Whether or not you end up convinced about this idea’s validity (I certainly am!), this is still an excellent book that sparks new ideas, can elicit extreme emotional response in its reader, is written in an easy style sprinkled with dry humor, and leads the reader to even more avenues of scientific exploration. My view of life and existence has been wholly altered by this book and I’m extremely glad I read it.
 (less)
Thomas
Sep 04, 2018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This book is fantastic. It presents a worldview entirely new to me, rooted in science and very exciting. Some of the science blew my mind. The only thing I still struggle with is other consciousness. Does reality exist where not you as the individual, but someone else sees it? How is consciousness tied to the individual? It probably isn't, because the book makes clear there are clear hints to a single consciousness (and no free will), but regardless, I'm still struggling with those questions. (less)
Richard Pinnell
Jun 25, 2009rated it did not like it
The central theme of this book is that life creates the universe and that consciousness lies at the center of existence. This is not a new idea and there is absolutely nothing new in this book. Lanza draws on two main sources to back up this idea. The first is that consciousness appears to cause the wave function to collapse in the famous double slit experiment. The second concerns the anthropic principle and how it seems that universe is uncannily just right for life. Both of these 'proofs' are open to various interpretations including the possibility that consciousness does indeed lie at the center of creation. However, that is only one possible conclusion that can be drawn and Lanza adds absolutely zero to the debate. He uses his book to lambaste physics and physicists for such like as not being able to tell us what came before the big bang, whilst at the same time declaring consciousness to be the be all and end all of everything without actually defining what consciousness is or offering any sort of explanation of how it came into existence or how it creates the physical universe. On top of that much of the book contains sections that have absolutely nothing to do with the subject matter and concern nothing more than Lanza's own life experiences. He uses these chapters to butter his own biscuit, blast his own trumpet and bang his own drum interspersed with a bit of name dropping. The worst book I've read all year! (less)
Neil Hayes
May 04, 2015rated it it was amazing
The central point of this book is that consciousness creates the universe, not the other way round. Although not a new insight, this compelling book is the best I have read to bring home the importance of this phenomenon, and the simplest explanation of the quantum physics behind it. Interweaved with the science is a charmingly personal account of some defining experiences in Lanza's life. A wonderful book, and to me a must-read for any student of the mind, the universe, or indeed practically anything. (less)

알라딘: 바이오센트리즘 Biocentrism Robert Lanza

알라딘: 바이오센트리즘
바이오센트리즘 - 왜 과학은 생명과 의식을 설명하지 못하는가?   
로버트 란자,밥 버먼 (지은이),박세연 (옮긴이)예문아카이브2018-03-29

원제 : Biocentrism  Robert Lanza

책소개

아마존 과학분야 10년 연속 베스트셀러. 출간되자마자 과학계를 충격에 빠뜨리고, 이후 10년 동안 물리학자와 생물학자 등 전세계 과학자들을 갑론을박 논쟁하게 만든 문제작이 한국어판으로 나왔다.

의학계에서 줄기세포 최고 권위자로 유명한 로버트 란자 박사는 “생명과 의식이 우주의 실체를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는 새로운 관점, 즉 ‘생물중심주의(Biocentrism)’를 제시하면서 기존 현대 물리학의 한계를 가차없이 비판한다. 물리학은 우주를 설명하면서 빅뱅 이론을 내세우지만 “왜 지구는 생명을 부양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는가?”라는 가장 기본적인 질문에도 대답하지 못하고 있다. 란자 박사는 양자 역학의 이중 슬릿 실험을 통해 “우주가 의식적인 관찰자에 의해 탄생했다”는 근거를 제시하고 “우리가 생각하는 현실(실재)은 의식을 수반하는 과정”이라고 주장하면서 생물중심주의 7가지 원칙을 설명한다.

또한 로버트 란자 박사는 시간은 “우리가 주변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도구”이며, 공간은 “생명체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또 한 가지 도구”라고 말하면서 “시간과 공간은 허상”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시간과 공간이 없는 곳에서는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도 제기한다. 에너지 보존 법칙을 따를 때, 육체가 소멸하더라도 “우리의 존재를 이루는 핵심 에너지 또한 늘어나거나 줄지 않는” 이유 때문이다.
목차
이 책에 쏟아진 찬사
들어가며_ 어떤 이론이 물리적 세상을 제대로 설명하는가

제1장_ 암흑으로 가득한 우주
제2장_ 태초에 무엇이 있었던가?
제3장_ 나무가 쓰러지는 소리
제4장_ 여정의 시작
제5장_ 우주는 어디에 있을까?
제6장_ 시간의 흔적들
제7장_ 어제보다 앞선 내일
제8장_ 역사상 가장 놀라운 실험
제9장_ 골디락스의 우주
제10장_ 시간은 허상이다
제11장_ 공간도 허상이다
제12장_ 내가 몰랐던 한 사람
제13장_ 마음이라고 하는 풍차
제14장_ 천국에서 떨어지다
제15장_ 창조의 벽돌
제16장_ 우리는 어떤 세상에서 살아가는가?
제17장_ SF가 현실이 되다
제18장_ 의식의 미스터리
제19장_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제20장_ 생물중심주의의 미래

옮긴이의 글
부록 1_로렌츠 변환
부록 2_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생물중심주의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전체적으로 볼 때, 세상은 교과서에서 설명하던 그런 곳이 아니다.
의식은 생물학의 핵심 연구 분야가 아니다. 의식은 물리학의 과제다. 그러나 현대 물리학의 어떤 분야도 두뇌를 이루는 분자들이 어떻게 의식을 창조하는지 설명하지 못한다. 낙조의 황홀함, 사랑의 기적, 맛있는 요리의 축복 등 우리의 의식적 경험은 현대 과학에서 신비로 남겨져 있다. 과학의 어떤 영역도 물질이 어떻게 의식으로 전환되는지 밝혀내지 못했다. 그래서 기존 모형은 의식의 존재를 부정하는 방식으로 대처해왔다.
---pp.17~18 「제1장: 암흑으로 가득한 우주」 중에서  접기
“그게 정말로 거기에 있을까?”
이는 대단히 오래된 질문이다. 생물중심주의보다 훨씬 더 먼저 등장했다. 그리고 이 질문에 가장 먼저 대답을 내놓을 것도 생물중심주의가 아니다. 하지만 생물중심주의야말로 다른 모든 이론과는 달리 이 질문에 대한 타당한 ‘설명’을 제시한다. 거꾸로 이 질문에 대한 타당한 설명은 곧 생물중심주의다. “생물학적 존재 외부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세상이란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때, 기존의 많은 이론은 그 설득력을 잃어버리고 만다.
---p.35「제2장: 태초에 무엇이 있었던가?」 중에서  접기
좀 더 직관적인 사례로 무지개에 대해 생각해보자. 산봉우리 사이에 펼쳐진 화려한 무지개는 보는 이의 숨을 멎게 만들 정도로 아름답다. 그러나 무지개가 모습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관찰자의 존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인식 주체가 없으면 무지개도 없다.
---pp.40~41「제3장: 나무가 쓰러지는 소리」 중에서
아인슈타인은 위대한 말을 남겼다.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
이는 양자 이론에 대한 공격이었다. 사물이 특정 시점에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확률로서 존재한다는 주장에 대한 비난이었다. “유령 같은 원격 작용”이라는 아인슈타인의 말은 이후로 수십 년 동안 물리학 강의 시간에 등장했다. 이 표... 더보기
우주가 정말로 관찰자 등장 이전에 불확실한 확률(생명의 존재를 허락하지 않았던)의 상태로 머물러 있었다면, 관찰이 시작돼 우주가 현실로 붕괴됐을 때 우주는 필연적으로 스스로를 붕괴시킨 관찰을 허용하는 상태로 머물러 있었던 것이다. 우주에 관한 골디락스의 신비는 이와 같은 생물중심주의의 설명으로 사라진다. 그리고 우주와 우주를 존재... 더보기
더보기
추천글
로버트 란자 박사의 바이오센트리즘 이론은 ‘의식이 실제 물리적 세계를 지배한다’는 고대사회의 관점과 같다. 바이오센트리즘은 과학적·철학적 엄밀성이 결여돼 있지만 현대 물리학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과학적 소양이 얕은 독자에게는 매우 위험한 책이지만 물리학적 관점이 뚜렷한 독자들에게는 과학철학적인 도전이 될 것이다. - 이정모 (국립과천과학관장) 
양자 역학의 해석을 통해 생명과 의식, 우주의 본질을 규정하는 로버트 란자의 세계관은 과학적 관점에서 논란과 비판의 소지가 높다. 하지만 어이없을 만큼 조잡한 유사 주장들에 비해서는 훨씬 정교하고 논리적 설득력을 지니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인지 ‘우주가 정말 이렇다면 어떨까’ 하는 유혹을 느끼게 만드는 힘이 있다. - 원종우 (과학과 사람들 대표) 
인류 역사상 대부분의 사회는 인간의 존재와 주변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신, 또는 여러 신들을 들먹인다. 그리고 과학자는 그 절대적인 해답을 얻기 위해 무한한 우주나 원자의 내부 구조를 들여다본다. 반면 란자 박사가 주창하는 생물중심주의는 그 해답을 관찰 대상이 아니라 관찰자에게서 찾는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통섭의 중심에 생물학을 놓아두는 과학적·철학적 고찰이다. 인간의 존재에 관한 오랜 의문을 바라보는 완전히 새로운 접근방식이라는 점에서, 이 책은 다양한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우리를 생각하게 자극할 것이라는 점이다. - 에드워드 도널 토머스 (1990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워싱턴 의과대학 명예 교수이자 프레드 허치슨 암연구소 임상연구 과장) 
의식이 현실(실재)을 만들어낸다는 관념은 양자 이론을 근거로 한다. 이는 생물학과 신경과학이 우리 존재의 구조에 대해 말해주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책은 새로운 획기적인 전환을 보여준다. 우리는 실재라고 부르는 모든 가능한 결과물의 특별한 배열에 의미를 부여하는 개체다. 이 책은 매우 훌륭한 프로젝트다. - 로널드 그린 (다트머스대학 교수이자 윤리학 연구소 소장) 
그의 새로운 우주 이론은 우리가 지난 세기 동안 이뤄낸 모든 지식을 설명한다. 그 우주 이론은 우리의 존재와 우주를 둘러싼 진리를 이해할 수 없게 한 생물학적 한계를 긴 안목으로 두고 우리의 존재와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새로운 이론은 앞으로 수세기 동안 자연의 법칙에 대한 개념에 대변혁을 일으킬 것이다. - 앤서니 아탈라 (웨이크 포레스트 재생의학연구소 소장) 
나는 천체물리학자로서 대단히 크고 멀리 떨어진 사물만 들여다본다. 그리고 의식에 관한 모든 문제는 거대한 우주의 중요한 사안이라 생각한다. 로버트 란자는 이 책을 통해 지극히 거시적인 세상에서도 그 현실을 경험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쩔 수 없이 마음에 의존하게 된다는 깨우침을 던진다. ‘양자 불가사의’는 거시 세상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인 것이다. 시간과 공간은 우리의 지각에 달렸다. 그럼에도 우리는 당연한 듯 일상을 살아가고, 또한 물리적 우주를 객관적 실체인 양 연구한다(확률은 그 정도의 믿음을 우리에게 허용한다). 그러나 란자 박사는 생물학이라고 하는 근본적인 관점을 추가함으로써 진실에 한 걸음더 다가서고 있다. 물론 내가 NASA와 그곳 과학자들의 생각을 대변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개인적인 입장에서 생물중심주의의 우주관에 대해 란자 박사로부터 더 많은 이야기를 듣고 싶다. - 데이비드 톰슨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천체물리학자) 
그렇다. 이제 공간과 시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신경생리학적 매커니즘의 결과물인지 질문을 던져야 할 때가 왔다. 또한 최초의 생명이 지구에서 출현하고, 단세포를 시작으로 진핵생물로, 그리고 결국 우리 인간에 이르기까지 진화하는 과정에서 환경 요인들이 정확하게 기능했다는 사실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질문을 던져야 할 때가 왔다. 나는 이 책이 좋은 독자를 만나리라 생각한다. 단지 독단적인 이론을 던지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생각과 믿음에 도전함으로써 나를 생각하게 자극하는 책이 많이 출판되었으면 한다. 이 책은 분명히 그러한 사례에 해당한다. - 스티븐 베리 (시카고대학교 화학과 명예 교수, 미국과학아카데미 회원) 
진정으로 위대한 책이다. 란자 박사는 지각과 의식으로 어떻게 현실을 경험하게 되는지를 신선하면서도 학문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깊이 있는 이해와 폭넓은 통찰력으로 20세기 물리학과 현대 생물학을 조망한다. 그 과정에서 오래 묵은 인식론적 딜레마를 새롭게 평가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비록 그의 주장에 모두가 동의하지는 않겠지만, 많은 독자들은 그의 생각이 흥미진진하며, 도전적이고 설득력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놀랍다. - 마이클 리자트 (브라운대학교 의료공학과 교수, 생명공학연구소 소장) 
과학이란 사람들이 세상을 설명하기 위해 모든 논리적 가능성에 도전하도록 열정을 불어넣는 자유의 징표다. 로버트 란자는 생물학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획기적인 접근방식을 들고 나왔다. 이 책에서 그는 과학자들이 과연 지금까지 세상을 탐구하기 위해 모든 가능한 방법을 시도해보았는지 묻는다. 과학은 생물학을 통해 대통일 이론을 완성할 것인가? 완전히 새로운 이론인 생물중심주의는 ‘그렇다’고 말한다. 란자 박사는 인간의 고유한 특성을 넘어서서,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그 근간을 이루는 모든 생명체 사이의 상호연관성에 주목한다. 이처럼 독특한 접근방식을 제시하는 이 책은 틀림없이 우리 사회를 놀라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새로운 가설을 검증해보도록 요구할 것이다.
- 군터 클레티트쉬카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지구물리학자)

 
저자 및 역자소개
로버트 란자 (Robert Lanza)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세계적인 생명공학자이자 웨이크포레스트 의과대학 교수.
재생의료 전문기업 아스텔라스 글로벌(Astellas Global Regenerative Medicine) 대표로서 줄기세포 분야 세계 최고 권위자이며 아인슈타인에 비견되는 천재 과학자다.
열세 살 때 닭 유전자 조작 실험을 하면서 하버드대학교에 무작정 찾아갔던 로버트 란자는 신경생물학을 창시한 스티븐 커플러 교수의 도움으로 실험을 시작했으며, 고교 졸업 직후 MIT에서는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살바도르 루리아 교수와 함께 연구했다. 또한 행동주의 심리학의 아버지 B. F. 스키너,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 제럴드 에델만과 로드니 포터, 소아마비 백신 개발자 조너스 소크, 최초로 심장 이식을 성공한 크리스천 버나드 등 우리 시대 최고의 과학자들과 함께 연구했다.
2014년 〈타임〉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2015년 〈프로스펙트(Prospect)〉 선정 ‘세계의 사상가 50인’에 이름을 올렸다. 2005년에 〈와이어드〉로부터 의학 분야 레이브 상(Rave Award)을, 2006년
에는 〈매스하이테크(Mass High Tech)〉로부터 생명공학 분야의 올스타 상(All Star Award)을, 2010년에는 하버드 의과대학 김광수 교수와 함께 미국국립보건원(NIH) 디렉터 상(Director’s Award)을 수상하는 등 의
학과 생명공학 분야에서 수많은 상을 받았다.
란자 박사의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복제에 성공했으며, 위기에 처한 여러 종을 복제하고, 핵이식으로 노화 과정을 되돌릴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또한 인간배아를 파괴하지 않고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2009년에는 김광수 교수팀과 진행한 줄기세포 연구를 발표하여 〈네이처〉에 ‘올해 최고의 연구 5’에 선정됐다. 2011년에 한국에서 열린 제3차 국제 줄기세포 심포지엄에 참석했던 란자 박사는 스타가르트병(청소년 실명)과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에서 미국식품의약국(FDA) 임상 허가를 획득한 배아줄기세포 망막치료제의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시각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고 있다.
〈뉴욕타임스〉 1면 특집을 포함한 〈포춘〉 〈파이낸셜타임스〉 등 많은 매체에서 커버스토리로 다룬 인물인 로버트 란자 박사의 연구성과는 CNN 등 주요 TV 방송사는 물론, 〈타임〉 〈뉴스위크〉 〈피플〉 〈월스트리트저널〉 〈워싱턴포스트〉 〈LA타임스〉 〈USA투데이〉 등 거의 모든 전세계 리딩 언론들이 앞다퉈 소개하고 있다.
수백 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30권의 책을 출간한 로버트 란자 박사는 《바이오센트리즘》을 통해 “생명과 의식이 우주의 실체를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면서, 양자 이론을 근거로 “우리가 생각하는 현실(실재)은 의식을 수반하는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많은 저작 가운데 대표작인 《조직공학의 원리(Principles of Tissue Engineering)》는 학계에서 주요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줄기세포와 그 생물학적 원리에 관한 안내서(Handbook of Stem Cells and Essentials of Stem Cell Biology)》는 줄기세포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용되는 책이다. 그 밖에도 《하나의 세상: 21세기 인류의 건강과 생존(One World: The Health & Survival of the Human Species in the 21st Century)》 《재생의학의 원리(Principles of Regenerative Medicine)》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바이오센트리즘> … 총 32종 (모두보기)
밥 버먼 (Bob Berman)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메리마운트대학교 천문학 교수이자 과학 칼럼니스트, 저술가.
〈디스커버(Discover)〉의 유명한 ‘나이트 워치맨(Night Watchman)’ 칼럼을 17년 동안 진행했으며 최고의 천문학지 〈애스트로노미(Astronomy)〉에 인기 칼럼을 연재하면서 ‘스카이맨 밥(Skyman Bob)’이라는 애칭을 얻었다. 〈노스이스트퍼블릭라디오(Northeast PublicRadio)〉를 진행하고 있고 〈올드파머스앨머낵(Old Farmer’s Almanac)〉의 과학 편집자로도 활동 중이다. 또한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과학칼럼니스트이자 과학을 가장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는 과학 커뮤니케이터로서 뛰어난 입담과 필력을 자랑하는 작가다. 종종 일반인들을 이끌고 ‘일식 투어’, ‘유성우 샤워’, ‘알래스카 오로라 투어’ 등에서 눈 덮인 설원과 깜깜한 하늘과 끝없는 우주의 신비에 대해 과학적인 해설도 해주고 있다.
수많은 자연현상을 취재하며 그 모습과 감동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재치 넘치는 과학 기자인 밥 버먼은 어느 날 폭풍 때문에 집이 망가지는 사건을 겪는다. 그날 이후, 자연과 우주에서 움직이고 있는 모든 것들을 추적하기 위해 세계여행을 시작한다. 이 책은 그 과정을 기록한 여행기이자 세상의 거의 모든 움직임과 그 속도에 관한 탐험기다.
지은 책으로 세계적인 천재 과학자 로버트 란자 박사와 공저한 《바이오센트리즘》을 비롯해 《이상한 우주(Strange Universe)》 《밤하늘의 비밀(Secrets of the Night Sky)》 등이 있다.
http://skymanbob.com
접기
최근작 : <거의 모든 것의 종말>,<ZOOM 거의 모든 것의 속도>,<바이오센트리즘> … 총 42종 (모두보기)
박세연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글로벌 IT기업에서 10년간 마케터와 브랜드 매니저로 일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면서 번역가 모임 ‘번역인’의 공동 대표를 맡고 있다. 옮긴 책으로 《변화는 어떻게 촉발되는가》, 《행동경제학》, 《슈퍼펌프드》, 《실리콘밸리의 팀장들》, 《OKR》,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더 나은 세상》, 《이카루스 이야기》, 《플루토크라트》, 《죽음이란 무엇인가》, 《디퍼런트》 등이 있다.
최근작 : … 총 122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시간과 공간은 허상인가, 죽음까지도?”
우주의 구성 요소를 밝혀줄 생물중심주의 7가지 원칙
★아마존 과학분야 10년 연속 베스트셀러
★천재 과학자이자 줄기세포 최고 권위자의 문제작

출간되자마자 과학계를 충격에 빠뜨리고, 이후 10년 동안 물리학자와 생물학자 등 전세계 과학자들을 갑론을박 논쟁하게 만든 문제작 《바이오센트리즘(Biocentrism)》의 한국어판이 나왔다.
의학계에서 줄기세포 최고 권위자로 유명한 로버트 란자 박사는 “생명과 의식이 우주의 실체를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는 새로운 관점, 즉 ‘생물중심주의(Biocentrism)’를 제시하면서 기존 현대 물리학의 한계를 가차없이 비판한다. 물리학은 우주를 설명하면서 빅뱅 이론을 내세우지만 “왜 지구는 생명을 부양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는가?”라는 가장 기본적인 질문에도 대답하지 못하고 있다. 란자 박사는 양자 역학의 이중 슬릿 실험을 통해 “우주가 ... 더보기


====
구매자 (1)
전체 (4)
공감순 
     
가볍게 읽기 좋다. 물론, 다소 어려운 현대물리학 이론들이 기술되는데. 발상의 전환을 위한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입문서 길라잡이 성격이 큰 책이다. 이를 바탕으로 엉뚱하게도 신비주의나 사이비 종교들로 빠진다면 스스로 이성의 끈을 정신줄을 놓는거라 하겠다. 끝가지 이성을 챙기시길요! 홧팅!  구매
jethrotull 2018-12-10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3)
리뷰쓰기
공감순 
     
왜 의식중심주의가 아니고 생물중심주의인가 새창으로 보기
기존의 고정관념을 깬다는 면에서는 훌륭하나 왜 '의식중심주의'가 아니고 "생물중심주의"인지 설명이 부족하다. 마찬가지로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가 아닌지도 설명이 불충분. 양자역학의 이중슬릿실험과 불확정성원리등이  관찰자와의 상호관계를 드러낸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러한 상호작용이나 상호관계를 초월해서 '관찰'이 대상을 규정한다고 결론내리긴 힘들다. 양자가 유기적 연관이 있다라는 정도에서 판단을 중지하는게 옳지 않을까? 코펜하겐 해석까지는 과학계에서 수용가능하다고 보지만 그 이상은 판단을 보류하는게 맞다고 본다. 



부언하자면 왜 인간중심주의나 의식중심주의가 아니라 생물중심주의biocentrism인지 책을 읽으면서도 계속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다. 굳이 그렇게 명명한 이유가 물질적 대상, 그리고 시공간과 상호작용하는  '관찰'행위라는게 인간의 의식이나 관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생명체도 가능하다고 보기때문인가? 그렇다면 생물이나 생명이란 무엇인지부터 규명되어야 하지 않을까? 미생물도 생물이고 대상에 반응하는 지각을 가지고있음에 분명하다면 그때부터 생물중심주의의 적용이 가능하다고 해야할까? 더 확장해서 생각해보면 지구밖의 외계생명체의 관찰도 고려해야하지 않을까? 기타등등. 



이런저런 여러가지 불충분한 내용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통념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시각이라는 점에서 충분히 일독해볼만한 가치는 있다. 특히 시공간과 관련된  10,11장은 인상적이다.   



  

- 접기
yoonta 2018-05-18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생물중심주의와 생물중심주의 원칙 새창으로 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보시겠습니까?
회색 영역을 클릭하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산 2018-12-21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흥미로운 새창으로 보기
흥미로운
이항표 2018-03-26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Prapañca - Encyclopedia of Buddhism

Prapañca - Encyclopedia of Buddhism

Prapañca

Prapañca (P. papañca; T. spros pa; C. xilun) is translated as "conceputal elaboration," "conceptual proliferation," etc.

Christian Coseru states:

The Buddhist philosophical term used for describing the state of ordinary mentation is prapañca in Sanskrit. It literally means ‘fabrication,’ usually translated as ‘conceptual proliferation’ or 'conceptual elaboration' [see Samyutta Nikāya, IV, 72]. 

We don't simply apprehend an object. Rather, we apprehend it as the locus of a multiplicity of associations: in seeing a tree we perceive an entity made of trunk, branches, and foliage but also something that can provide shade and lumber. 
In perception we are ordinarily assailed by a stream of conceptualizing tendencies, which have their ultimate source in linguistic conventions and categorizing practices. These conceptualizing tendencies overwhelm and distort the perceptual experience.[1]

References

  1. Jump up Coseru, Christian, "Mind in Indian Buddhist Philosophy",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Winter 2012 Edition), Edward N. Zalta (ed.), URL = <http://plato.stanford.edu/archives/win2012/entries/mind-indian-buddhism/>.


Alternative Translations

  • mental constructs (Thomas Doctor)
  • mental elaboration
  • conceptual proliferation (Nyanatiloka Mahathera)
  • proliferation of discursive thought

Conceptual proliferation - Wikipedia Pāli: papañca; Sanskrit: prapañca; Chinese: 戲論

Conceptual proliferation - Wikipedia

Conceptual proliferatio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In Buddhismconceptual proliferation (PālipapañcaSanskritprapañcasimplified Chinese戏论traditional Chinese戲論pinyinxìlùnJapanese戯論) or, alternatively, mental proliferation or conceptual elaboration, refers to conceptualization of the world through language and concepts which can then be a cause for suffering to arise.[1] The translation of papañca as conceptual proliferation was first made by Katukurunde Nyanananda Thera in his research monograph Concept and Reality.[2]

The term is mentioned in a variety of suttas in the Pali canon, such as the Madhupindika Sutta (MN 18), and is mentioned in Mahayana Buddhism as well. When referencing the concepts derived from this process, such concepts are referred to in Pali as papañca-saññā-sankhāNippapañca is the diametrical opposition of papañca.

Theravada Buddhist monk Chandima Gangodawila writes:

Papañca is one of the most helpful Theravāda Buddhist teachings used to understand how our thoughts become impure and the most compelling account of this subject is the Madhupiṇḍika Sutta. Since many writers don't utilize papañca when alluding to defilements, many readers discover the setting of mental purification hard to understand. If we seriously want to learn how to keep our mental purification unadulterated from defilements, we should figure out how the mental purification can be tainted through papañca.

In addition, Chandima examines the association of papañca to kilesa (defilements), upakkilesa (mental impurities), saññā (perceptions) and abhiññā (comprehensions)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 essential components of mental purification begin from managing papañca, or the other dhamma concepts, that can be bold for anyone who struggles to subsume defilements in modern-day life.[3]


See also[edit]

Notes[edit]

  1. ^ Nanananda 1997, p. 4
  2. ^ Nanananda 1997
  3. ^ Gangodawila 2020

References[edit]

External links[edit]

Namgok Lee ‘스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 도법 묻고 담정 답하다’를 일단 다 읽었다.

Facebook

Namgok Lee
 · 
‘스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 도법 묻고 담정 답하다’를 일단 다 읽었다.

나는 불교에 대한 이론이나 논리에 대해서 공부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이지만, 나도 내 나름으로 ‘중도’를 추구하는 사람이라서 두 분의 대화를 통해서 ‘중도(中道)’ ‘중(中)’에 대해서 생각해 볼 기회가 되었다.

특히 나라가 악성 편가름으로 정치적 혼돈이 계속되고, 문명을 둘러싸고 대전환이 요청되는  시점에서 현실에 대한 여러 생각들이 떠올랐다.
이 책을 보게 된 것을 감사하며, 두 분의 대화  뒷 부분 가운데 내가 밑줄을 친 부분을 소개하는 것으로 독후감을 대신한다.
===

도법; 담정의 말에 따르자면 언어 자체를 희론(戱論)이라 할 수 있다. 분명 언어에는 언어 자체의 한계와 위험성이 있다고 말해야 할 부분도 있지만 ‘언어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라고 말해야 할 점도 있다.
담정; 스님은 부처님 말씀을 포함하여 일체 희론이라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도법; 응병여약(應病與藥)의 말씀은 희론이 아니다. 붓다의 말씀 자체를 몽땅 희론으로 규정하는 것은 천부당만부당하다.
담정; 그렇지 않다. 부처님 말씀도 희론이다!  일체 희론을 벗겨 나는 것은 단 하나도 없다. 이것을 받아들일 때만 방편교설의 진정한 의미를, 연기실상의 삶을 직시할 수 있다.


도법; 공도 왜곡되게 쓰면 희론이 된다고 하면 모를까 처음부터 희론인 공을 말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것이 아닌가 한다.
대승의 언어에서는 도(道)를 말할 때 두 가지를 말한다.
첫 번째는 ‘도(道)는 말할 수 없다’이다.
두 번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로 한다’이다.

도법; 그렇게 말하고 있는 <중론>에서 언어로 된 모든 것이 희론이라면, <중론>도 이제론도 공론도 논파론도 다 희론이지 않는가?
담정; 그렇다. 당연하다.

도법; 적멸해야할 것이 희론이라면서 왜 소멸해야할 그 희론을 설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담정; 필요 때문에 그렇다. 14난(難)과 같은 형이상학적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고 싶어했던 사람들에게는 이런 설명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담정; 경론을 손에서 놓을 만큼 강조하는 선(禪), 즉 ‘선의 과잉’은 오늘날 맞지 않다고 본다. 선의 위대한 조사들도 자기 시대에 맞는 불교를 했고, 그 선불교도 불교의 긴 역사와 전통의 일부일 뿐이다.
도법; 선의 과잉이나 왜곡에 대한 문제 의식은 공감한다.  하지만 조사들 때문이라고 보는 것에는 동의가 안된다.
담정; 조사들은 자신들이 살던 시대의 불교를 하신 분들이다.
당시는 99%가 글을 모르던 문맹의 시대다.
오늘날은 99% 이상이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다.
이 ‘문자 생활 시대’라는 변화는 기존의 불법을 담았던 ‘선’이라는 그릇을 다른 그릇으로 바꿀 것을 요구한다.

담정; 중요한 것은 (고려 지눌 스님등의 방법이) 부처님께서 쓰신 방법과 같았다는 점이다.
새로운 해석일지라도 기존의 것과 척지지 말아야 한다. 부처님께서는 동물희생제를 반대하시면서도 불에 대한 제사를 최고의 제사라고 하시며 제사 행위 자체를 부정하는 극단적인 것을 피하셨다. 
민중과 괴리되는 불교나 중앙과 대치되는 극단적 선택은 현실에서 살아남지 못한다. 현실은 중앙 다수파 옆에서 비슷하게 같이 가면서도 자기 정체성을 꾸려나가는 기나긴 싸움이다.

담정; 우리나라에서 한문으로된 글을 제일 많이 쓴 사람은 다산 정약용이고, 불교에 관한 문헌을 가장 많이 쓴 사람은 원효 스님이다. 이런 원효 스님이 붓을 들고 민중 속으로 들어갔을까, 버리고 갔을까? 나는 붓을 꺾고 갔다고 본다.

도법; 붓을 들고 갔든 버리고 갔든 꺾고 갔든 크게 중요하지 않다.
화쟁이 고통과 불행을 낳는 싸움을 해결하자는 것이기 때문에 그 이론을 국가가 필요로 해서라 하더라도 정치권력과 같이 가는 것보다 민중과 함께 가는 것이 더 옳기도 하고 바람직하다는 판단으로 선택한 것으로 본다.

담정;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실천과 이론화 작업의 사이에서 이론화 작업을 포기하고 민중 속으로 갔다는 것이다.
도법; 학술불교를 접고 갔다는 말에는 동의하지만, 원효 스님이 현장으로 가는 것이 이론을 버렸다고 보지는 않는다.

담정; 그렇다면 다음은 ‘그럼 원효 스님은 민중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았는가?’이다.
그는 대외적으로는 학술불교의 대표자이자 대내적으로는 민중불교의 대표자였다. 한 인물이 가지고 있는 그 역동성은 지금도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담정; 교학불교는 교학 불교대로, 실천불교는 실천불교대로 자기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도법; 교학과 실천은 일치되어야 한다. 이 점에 대해서 <중론>이 답을 내놓으면 바로 받아들이겠다.

담정; 이건 ‘탁!’해서 될 일이 아니다.
도법; 내 방식으로 하면 ‘탁!’해서 된다.
도법; 담정이 역경사로서 이론에 충실할 뿐 아니라 동시에 현실문제와 연결해 해답을 만들어내는 이론으로 진화하면 역경도 훨씬 좋은 결과를 내올 것이다.
담정; 나는 생각하는 것이 곧 실천하는 것이라며 불법의 정확한 의미를 옮기는 역경사의 삶에 만족한다. 땅을 파든, 경을 파든, 그렇게 파며 사는 삶에 만족한다.
---
이상 몇 대화를 옮겼다.
아마 읽으시면서 자신도 하고 싶은 말이 생기신 분에게는 이 책을 읽어보시라고 권하고 싶다.

=====


===

희론(戱論)... 그만 내려놓으세요
달과 손가락 2020. 7. 26. 

산스크리트어 prapañca의 한자어(漢字語)로 허구적인 관념(觀念)을 실재(實在)하는 대상으로 간주하는 마음 작용, 마음속으로 실재하지 않는 형상을 지어냄, 혹은 허망한 언어(言語) 무의미한 말, 헛소리, 관념을 가리켜 희론(戱論)이라 합니다.

그 말은 허위(虛僞), 망상(妄想)’과 같이 좋지 않은 뜻으로만 쓰입니다. 무언가 진상(眞相)을 꿰뚫지 못하고 언저리로만 얼쩡거리는, 알갱이를 꿰차지 못하고 모호하게 흩뜨리는 말이 희론입니다.
중심(中心)에 적중(適中)치 못하거나, 그것을 방해하는 모든 말들을 희론(戱論)으로 간주하며, 싯다르타는 가끔 그 말을 사용해 제자들을 경책했습니다.

내가 하는 말, 내가 읽고 있는 글들이 얼마나 중심에 적중하고 있는지를 살피며 사는 것이 "깨어있음"입니다. 화살을 맞았다면 화살촉을 빼어내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화살이 어디서 날아왔는지 화살촉의 재질(材質)이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계(五戒)의 하나에 불망언(不妄言)이 있습니다. 보통은 '거짓말하지 말라'는 뜻이라고 가르치고는 있습니다만, 원래의 의미는 이치나 사리에 맞지 않는 말, 깨달음, 즉 “지금 여기”와는 아무 상관이 없이 검증(檢證) 역시도 불가능한 것으로 쓸데없이 타인의 시간을 뺏는 말들을 망령되게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지금 우리의 가슴에는 독화살이 꽂혀있으며, 머리 위는 불타고 있다고 선지식(善知識)들은 말합니다. 그런 상황에 깨달음 말고 신경 쓸 일이 세상 어디에 있겠습니까?

당신의 관심사가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를 살피세요. 과연 당신의 말과 행동은 생명 에너지 자리, 깨달음을 향해가고 있는가 말입니다.
먹고 입는 것, 그리고 소유하는 것과 전생(前生)이나 다음 생(生)에 대한 말들은 이제 그만 내려놓아도 아무 지장이 없습니다. 그런 것들이 바로 희론(戱論)이 되는 것입니다.

당장 깨달음을 향해 필요한 에너지(氣) 그리고 내가 누군지를 파악하는 일(見性)이 가장 시급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당신이 누구고 어떤 옷을 입고 있든 당신은 꿈을 꾸고 있는 것입니다.
내 말이 귓등으로 들린다면 역시 당신은 수행자(修行者)가 아닙니다.
희론(戱論)에서 벗어나세요. 그것이 가슴에서 화살을 뽑고 불타는 머리 위를 식히는 일입니다.
그것이 지금 당신이 할 최선(最先)입니다.

===

아론을 잡는 그릇

월인천강, 평등과 자유의 열쇠/말의 얼굴 
2018. 4. 12. 11:53
https://arukda.tistory.com/entry/%EC%95%84%EB%A1%AC%EC%9D%84-%EC%9E%A1%EB%8A%94-%EA%B7%B8%EB%A6%87

전(筌), 고기잡는 그릇

오늘날 세존이 우리를 제법(諸法) 농담의 의론(議論)의 똥을 사랑하여 덜게 하실새
농담의 의론을 거꾸로 가려 마음을 더럽히기 때문에 똥이라고 했다.
『월인석보』의 구절이다. 세종의 말투이다. ‘농담의 의론(議論)’은 희론(戱論)을 번역한 것이다.
‘똥을 사랑하다’라고 한다. ‘사랑’은 물론 사유(思惟)이다. 똥을 사랑하고 똥을 덜라고 한다.
무릇 말씀이 있으면 다 노릇의 말씀이 되며
희론(戱論), 불교에서 참 자주 쓰는 말이다. 언해불전에서는 이 말을 ‘노릇의 말씀’이라고 새긴
다. 여기서 노릇은 놀이이다. 농담이라는 말, 말을 놀린다. 가지고 논다. 희론(戱論)은 목적과 의도
를 벗어난 논란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독화살의 비유’라는 게 있다. 독화살을 맞았다면 화살을 뽑
고 약을 쓰고, 어떤 조치라도 얼른 해야 한다. 당장 해야할 일은 제쳐 두고, 독이 어떠니 화살이 어
떠니 시시비비를 따진다면 그런 것이 희론이다. 이런 논란은 감정에 휘둘리고 지식과 이론에 집착
하기 때문에 벌어진다. 언해불전의 ‘노릇의 말씀’은 웃자고 하는 농담, 그냥 말장난이 아니다. 그렇
다고 목적과 의도를 벗어난 논란 만을 탓하는 것도 아니다. ‘노릇의 말씀’은 말씀의 본질이다. 말의
얼굴이다. 말은 개념이나 논리, 나름의 규칙을 따라 노는 놀이이다. ‘노릇의 말씀’은 말하자면 불교
의 언어관이다. 소통의 철학이다. 개념이나 논리를 따라 가는 말씀, 이런 말씀을 따라 가다 보면 생
각이 뒤집히고 마음을 더럽힌다. 그래서 ‘노릇의 말씀’은 모두가 똥이라고 한다.
부혈기지속(夫血氣之屬)이 필유지(必有知)하고, 범유지자(凡有知者)가 필동체(必同體)하니
피와 기분(氣分)의 류(類)는 반드시 아롬이 있고, 무릇 아롬이 있는 것은 반드시 체(體)가
한가지이니
언해불전의 구절이지만, 이건 유교의 경전 『예기(禮記)』에서 빌어온 말이다. 혈기(血氣), 기
(氣)를 ‘기분’이라고 읽는다. 피와 기분을 가진 무리들, 언해불전은 이 구절을 불교의 중생(衆生)으
로 읽는다. 몸과 생명을 가졌다. 지(知)를 ‘아롬’이라고 새긴다. 피가 흐르고 기가 흐르는 중생들은
반드시 아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아롬을 가졌다면 모두가 동체(同體), 한 몸이다. 이렇게 읽으면
유교도 불교도 다툴 것도 없다. 언해불전에서 이 구절을 인용하는 까닭은 이 구절에 언해불전에서
하고 싶은 말이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살아 있는 몸이 한가지로 가졌다는 ‘아롬’이다. 아롬
은 ‘알다’라는 동사의 명사형이다. 요즘에야 ‘앎’이라고 한다. ‘알다’라는 동사는 ‘모르다’와 짝을
이룬다. 언해불전은 이 말의 명사형을 ‘모롬’이라고 쓴다. ‘모롬과 아롬’의 짝이다.
구태여 아롬을 앞세우는 까닭은 ‘모롬’이 있기 때문이다. 언해불전은 뒤집힌 ‘아롬’을 다룬다.
뒤집힌 ‘아롬’이 ‘모롬’이다. 모롬과 아롬 사이에 말이 있다. 모롬을 다시 뒤집어 아롬으로 바꾸고
자 한다. 말은 모롬을 아롬으로 바꿔 주는 수단이다. 길이다. 언해불전은 ‘니라다’라는 동사를 쓴
다. ‘(말을) 이르다’의 옛말이다. 그리고 이 말의 명사형은 ‘니롬’이라고 한다. ‘니라다’의 짝은 ‘듣
다’이다. 이 말의 명사형은 ‘드롬’이다 .‘니롬과 드롬’의 짝이다. 니롬과 드롬의 길을 통하여 모롬이
아롬으로 바뀐다. 모롬을 아롬으로 바꾸는 말의 길이다. 이 두 개의 짝을 순서대로 맞춰보자면 ‘모
롬-니롬-드롬-아롬’이 된다. 언해불전의 말투가 이렇다.
이 두 개의 짝 , 요즘에는 쓰지 않는 옛말이다. 그래도 나는 이 짝을 좋아한다. 무엇보다 운이
맞는다. 입에 착착 붙는다. 내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말투에 관한 이야기이다. 15세기 언해불전
에 담긴 우리말투이다. 이 말투에는 말을 하는 기술과 말을 듣는 기술이 담겨 있다. ‘니롬과 드
롬’의 짝이다. 그리고 이 짝은 ‘모롬과 아롬’의 짝을 향한다. 모르는 상태를 아는 상태로 바꾸어 가
는 방향이다. 이 두개의 짝, 내 입에 착착 붙는 말, 그래서 나는 이 짝 만큼은 그냥 쓰려고 한다. 오
래된 옛말이다. 요즘 문법에 맞는지도 모르겠다. 요즘 말로 바꾸어 보려고도 했다. 그러다 보니 말
도 길어지고 짝도 맞지를 않았다. 낯설고, 이상하더라도 그러려니 들어주길 바란다.
전(筌)은 고기 잡는 그릇이오, 제(蹄)는 토끼 그물이니 고기를 잡으면 전(筌)을 잊고, 토끼
를 잡으면 제(蹄)를 잊는다.
이건 『장자(莊子)』에서 따온 말이다. 고기 잡는 그릇, 전(筌)을 전(詮)으로 비겨 읽는다. 그리
고 ‘니라다’, 또는 ‘니롬’으로 새긴다. 니롬과 드롬, 말을 그릇과 그물에 비긴다. 모롬을 아롬으로
바꿔 주는 그릇이다. 니롬과 드롬의 그릇으로 아롬을 잡는다. 이게 말의 쓰임새이다. 아롬을 잡는
그릇, 아롬을 잡으면 잊으라고 한다. 고기 잡는 그릇, 쓰고 나면 창고든 어디든 던져 두면 된다. 그
런데 니롬과 드롬의 그릇, 던져 두기가 쉽지 않다. 고기를 잡은 뒤에도 오락 가락 놀린다. 그러다
보면 노릇의 말씀이 되고, 똥이 된다. 고기를 잡기는커녕, 나와 남을 함께 더럽힌다.

===
고작 다섯 손가락으로 세상을 헤아리려고 한다. 
희론(戱論)이다! 
박유하를 생각한다.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patiensky&logNo=220283816561


문학과 철학 또는 사회 과학은 
결코 같은 선상에 놓일 수 없다는 것을. 
시는 하늘의 언어, p로 쓰는 것, 
소설은 그야말로 잡(雜)이고.., 
철학은? 사상은? 
학문의 엄니가 철학인 것은 
그것이 철학이기 때문이라는 
동어반복 이외에 답이 없다. 
파천 단상
희론(戱論)과 박유하
담정
2015. 2. 26. 8:52
 이웃추가
3 1 담정의 샨띠 통신
가라타니 고진을 옮겼을 때, 
박유하는 어떤 시각으로 고진을 보았을까? 
민족nation이 민족국가nation인 것을!
~~~
『중론』의 귀경게다.
무언가에 의지하여 생겨난 것[緣起](이기에)
소멸함이 없고[不滅] 생겨남이 없고[不生]
그침이 없고[不斷] 항상함이 없고[不常]
오는 게 없고[不來] 가는 게 없고[不去]
다른 의미가 아니고[不異] 같은 의미가 아닌 것[不一]이니
희론(戱論)*이 적멸하여 적정(한 상태에 머물 수 있는) 가르침
정등각자의 말씀들의
진리, 그것에 경배하옵니다.**
* 희론(戱論, Skt. prapaňca Tib. spros pa)은 중관사상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한 참고할만한 산스끄리뜨어 어원 분석은 다음과 같다.
‘prapaňca(희론, 여러 갈래로 퍼진 사유와 언어, 진리에 어긋난 사유와 언어. … pra(앞으로)+√p
aňc(퍼지다, 다섯 손가락을 펴다. pra-√paňc(생각 등이 여러 갈래로 퍼져 나가다. 망상하다. 생
각을 표현하다.’ - 『쁘라산나빠다』, p. 38.
‘*√paňc는 다섯 손가락(paňca)을 연상한다. 그러므로 언어, 사유 및 논리와 같은 세간 관습에 의
하여 절대적 진리를 파악하려는 시도는 허공을 움켜쥐려고 벌린 다섯 손가락의 부질없는 동작
에 비유된다.’ - 같은 책, p. 993(자세한 내용은 같은 책 [318(22-15)]번 게송 해제 참조,
어근 ‘빤쯔(√paňc)’는 ‘빠즈(√pac)’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기에는 ‘요리하다’는 뜻부터 ‘to ripen,
mature, bring to perfection or completion, to develop or change into’ 등의 긍정적인 뜻이 있
다.
** 산스끄리뜨어 원본이나 [청목소]의 용수보살의 귀경게가 아닌 티벳 게송을 직역으로 옮겼다.
여기서 보이는 것은 왜 용수가 붓다에게 예경하는 지에 대한 이유인데, ‘열반적정’은 희론(戱論)
이 그친 상태[寂滅], 즉 적정(寂靜 = 평온)을 이끄는 그것이 바로 연기(緣起)라는 것이다. 그 내
용은 물론 8불중도이다. 연기 사상에 대한 강조는 명확하고 그 8불중도의 내용 또한 밝혀져 있
으나, 티벳 불교에서는 이 귀경게의 의미에 집중하기보다 이후 월칭으로 대별되는 ‘쁘라상기까’
주석 방법에 따른 것이 한역 경전권과 갈리진, 커다란 두 가지 해석의 흐름을 나은 배경이 아닌
가 한다.
~~~
3 1 담정의 샨띠 통신
*사진은 나까무라 하지메(中村 哲) 선생... 모든 불학자들의 큰 스승이셨던 분. 70년대 강의를
들었던 분에 따르자면, 강의는 잼병이었다고 ^^

===
대중과호흡하는불교, 월간불광
100호 특집II-이것이 불교 중흥의 길이다
---
부처님은 말 같지 않은 말을 희론(戱論)이라 하셨다. 
마음에 와 닿지 않는 말은 희론이라는 뜻이다. 남의
말을 되풀이하고 불경의 말씀을 인용한다고 그것이 의미 있는 것은 아니다. 나와 대중에 감동을 주지 않을
때 그 말은 희론에 지나지 않는다. 오늘날 불교인은 이 희론의 늪에서 벗어나야 한다. 신심과 감동이 따르
지 않은 불교지식, 불교학은 체온이 없는 말이나 글에 지나지 않는다. 불교가 다시 흥하고 사는 길은 부처
님의 말씀을 쉽고 평범하게 전하는 것이고 체험된 말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통이라는 외형적 틀에 묶여 있을 것이 아니라, 현재 살아 움직이는 현실을 빨리, 정확하게 봐야
한다. 불법은 해인사 장경각에 있는 것이 아니고 시중(市中)에 있어야 한다. 책 속에서 불법을 구하는 자세
에서, 가슴 속에서 불법을 구하는 불교인이 되어야 불교가 다시 살 것이다
===
<희론戱論, 산스크리트어 prapanca쁘라빤짜>
아미산 2017. 4. 13. 11:07 http://blog.daum.net/511-33/12369931


여기서 희戱는 진실이 모자란다는 뜻이고 론論은 사물에 대한 생각이 진리에 맞지 않는
언론을 말한다 따라서 희론이란 허망한 언어 무의미한 말 부질없는 말 헛소리에 가까운 쓸데
없는 말장난을 일컫는다 그러므로 희론戱論은 잘못되고 무의미한 말로서 다듬어지지 않은 생
각이며 진리에 어긋나고 그릇된 집착과 차별에서 비롯돼 사람들을 망상의 세계 속에 빠뜨리는
것이다
탐ㆍ진ㆍ치 삼독심에 오염된 마음작용이 희론이다
주객전도된 전도몽상 번뇌 망상이 희론이다
사실본래성품 그대로 자각 인식하지 못하고 알음알이로 사유하고 고집하는 것이 희론이다 희론은 나는 존재한다라는 자아의식에 기반을 두고 있는 일상적 지각의 확산 즉 망상을
의미한다 세상사람 가운데는 가장 중요하고 근원적인 문제를 탐구하는 정론正論보다도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와 같은 결론이 나지 않는 끝없는 쟁론만을 생산해내는 희론戱論에 빠져 허송세월하는 안타까운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따라서 무익한 희론戱論을 일삼는다면 마음만 산란해진다 이러한 망상은 개인적으로든 사회적으로든 모든 질병의 근원이다 이것이 개인적으로 나타나면 탐욕 성냄 어리석음을 수반하고 사회적으로 나타나면 싸움 논쟁 언쟁 교만
중상 질투 인색을 수반한다


희론은 산스크리트어 쁘라빤짜prapanca의 한역인데 이는 어근 prapa 또는 prapac
- 상세히 설명하다 흩뜨리다에서 나온 명사형이다 원래는 현상 확장 다양화 상세한 설명
발산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이율배반적인 사유의 개념적 확장 등의 의미를 가졌다
이 말이 점차로 철학적 영역에서는 현상 환상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희곡에서는 어리석은
말을 뜻하게 된다 한역에서는 희론을 허위虛僞), 망상妄想과 같이 좋지 않은 뜻으로만 쓰
인다
이는 희론이 무언가 진상을 꿰뚫지 못하고 언저리로만 얼쩡거리는 알갱이를 꿰차지 못하고
모호하게 흩뜨리는 말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행할 수 있을지 어떨지 모르면서 말로만 떠드는 것


경전經典에 어떤 구절을 기억해 가지고 어떤 경전에 이런 말이 있다느니 해서 자기를 과시하
는 것이 희론이다 그래서 희론은 진정한 깨달음과는 거리가 멀다
용수龍樹는 <중론中論>에 희론戱論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용수는 희론을 무대 위에서
춤추는 광대 같은 것이라 했다 허구적인 관념을 실재하는 대상으로 간주하는 마음작용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희론에는 어디까지나 전도된 인식이 전제된다 예컨대 우리가 나라는 표현을
할 때 마치 그 말에 따라 어떤 영속적인 나라는 실체가 존재한다는 선입견을 갖게 되는 것과 같
〈중론송〉의 다음 게송을 대비시켜 생각해보면 그 의의가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난다
업과 번뇌가 소멸함으로써 해탈이 있다 업과 번뇌는 분별심에서 생기고 분별심은 희론에서
생기지만 희론은 공성空性에서 소멸한다185고 했다
이 말을 중국에서 희론적멸戱論寂滅이라 멋지게 한역했다 참된 궁극적 실재에서는 희론
이 절멸된다는 뜻이다
그리고 용수는 공성空性은 연기와 같은 말인데 연기緣起는 세간의 무수한 속설로써는
접근할 수 없다고 했다 그리고 연기는 바로 공성空性이라고 했다 그리고 희론은 생사윤
회의 원인을 가리키는 것으로 풀이하고 연기와 대극적對極的인 자리에 놓았다
그리하여 중도中道나 중관中觀은 바로 이런 망상희론을 없애고 세상을 똑바로 보는 방법
을 말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런 망상의 소멸 번뇌의 소멸이 바로 깨달음이고 해탈이라고 했다
부파불교 당시 무성했던 아비담마abhidhamma에는 희론이 너무 많았다 이를 공격하기
위해 등장한 대승불교였기에 용수는 <중론中論>에서 심도 있게 희론을 다룬 듯하다
허긴 침체한 우리 불교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는 남방불교의 아비담마 중에도 이해하지
못할 허황된 희론이 많이 보인다 사몰심死沒心), 그리고 재생연결식再生連結識이니 존재지
속식存在持續識이니 결생심結生心이니 하는 바왕가찌따bhavanga citta 등은 언뜻 보기
엔 제법 그럴 듯하게 보이지만 깊이 사유해보면 완전히 무대 위에서 춤추는 광대 같은 소리다
때문에 오늘날 남방 상좌부불교 이론에 열광하는 범부들을 위해 마구 퍼다 옮기는 식의 행태는
곤란하다
희론을 정면으로 거부하는 간화선看話禪이라는 기제에 맞서려는 듯한 아비담마가 오히려
희론에 가까운 것은 아닌지 냉정히 검토해봐야 한다 숭고한 부처님 법을 다룸에는 조심스러워
야 하는데 얼마간의 알음알이로 신중하지 못하고 종횡무진 하는 일부 남방 아비담마 전공자들
의 태도에는 문제가 있다
성불하십시오 작성자 아미산이덕호
※이 글을 작성함에 많은 분의 글을 참고하고 인용했음을 밝혀둡니다 감사합니다

===

What we can learn from Desmond Tutu, a man for whom forgiveness trumped vengeance - ABC News

What we can learn from Desmond Tutu, a man for whom forgiveness trumped vengeance - ABC News

What we can learn from Desmond Tutu, a man for whom forgiveness trumped vengeanceBy Stan Grant
Posted 6h ago6 hours ago

Desmond Tutu (right) hands over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port to South Africa President Nelson Mandela in 1998.(Reuters)
Help keep family & friends informed by sharing this article
abc.net.au/news/desmond-tutu-lessons-for-australia/100726406COPY LINKSHARE


Desmond Tutu showed us that we can triumph over history.

Resentment and vengeance were not for him. As apartheid fell, he set his nation on a more profound path: freedom and forgiveness.

To Archbishop Tutu,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ere the "only truly viable alternatives to revenge, retribution and reprisal".

"Without forgiveness," he said, "there is no future".

Together with Nelson Mandela — South Africa's first black president — Desmond Tutu sought to unite and heal his nation.

Archbishop Tutu, who died on Sunday, headed a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significantly not a truth and justice commission. The difference is critical. He did not seek to punish. But the truth would be heard.
Archbishop Tutu appealed to a greater truth in South Africans after the apartheid era.(Reuters)

Justice may have been easier. Certainly, black South Africans had cause to see those who had inflicted such suffering pay for their crimes.

Retribution would have been entirely human. Indeed,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was criticised for being weighted too heavily in favour of the perpetrators.

This was the test of leadership: to lift his nation's sights.
Forgiveness or resentment?

Archbishop Tutu appealed to a higher truth. A higher justice, if you like. He offered his people a more godly task.

"Forgiveness is not facile or cheap. It is a costly business that makes those who are willing to forgive even more extraordinary," he said.
Archbishop Tutu, seen here with the Dalai Lama in 2004, was one of the world's greatest voices for forgiveness.(Reuters: Lyle Stafford)

But are there crimes so monstrous they can never be forgiven?
Desmond Tutu was the conscience of a nation


Archbishop Emeritus Desmond Tutu described voting in South Africa's first democratic election in 1994 as "like falling in love", a remark that is being remembered after his death at the age of 90.Read more


Philosopher Thomas Brudholm has criticised Tutu's reconciliation. Recalling the atrocities and genocide of modern times from Poland to Germany to Cambodia to Rwanda, he says, in the face of such crimes, "healing appears like a fantasy".

To Brudholm, resentment can be a virtue. He says there can be too much pressure on survivors or victims to forgive.

Indeed, there is a tendency to blame those who have suffered the most.

"When societies try to 'move on' after mass atrocity, victims who cannot, or will not, abide with the call to forgive and reconcile are often pictured as 'prisoners of the past'," Brudholm says.

Brudholm is inspired by Holocaust survivor and writer Jean Amery, who said there were things that cannot so easily be placed in "the cold storage of history".

Brudholm challenges us about what to do with history, what the Polish Nobel Laureate poet, Czeslaw Milosz, called "the memory of wounds".
'Historical fever brings decay'
Desmond Tutu travelled to Haiti in 2006 to calm angry crowds after a contentious election.(Reuters: Carlos Barria)

It can seem as if there is no way to break the chains of the past.

French philosopher Jean-Paul Sartre said we were all "condemned to history".

Friedrich Nietzsche warned that history would be the death of us.

The past, he said, becomes "a festering wound". It can become the poison in the blood of our identities.

Our "historical fever", Nietzsche said, "may bring about the decay of a people".

If history becomes sovereign, he wrote, it "would constitute a kind of final closing out of the accounts of life for mankind".

Isn't this what we see in our world now?

Everywhere, there is resurgent populism, nationalism, sectarianism, tribalism. And it feeds on historical resentment.
Xi Jinping has stoked the anger of the Chinese people to support his political agenda.(Reuters: Thomas Peter)

Xi Jinping tells the Chinese people to never forget the hundred years of humiliation by foreign powers. Vladimir Putin laments the end of the Soviet Union as the greatest geopolitical catastrophe of the 20th century.

Political leaders like Turkey's Erdoğan, Hungary's Orban, India's Modi, all use history as a weapon.

Far-right extremists and Islamist militants too draw from the toxic well of historical vengeance.

It has been called militant nostalgia. The promise to restore a people to a lost glory. It is captured in vacuous bumper sticker slogans like "Make America Great Again".

From left or right, the politics of history is the province of scoundrels. Worse than that, it can become a death cult. We are pitted against each other by those who return, time and again, to the original wound that they cannot or will not allow to heal.

Not that we can deny the past. But we ask ourselves who owns truth? Who decides when or how truth is told? All nations have stains on their history.
What about Australia?
Members of the Referendum Council sign the Uluru Statement from the Heart in 2017.(Supplied)

Australia is no exception. For too long we silenced our truth. The Uluru Statement from the Heart has called for truth-telling as central to giving voice to Indigenous people.
Frederik Willem de Klerk dead at 85


Frederik Willem de Klerk, the last president of apartheid South Africa, dies aged 85 after a battle with cancer. Read more


It is a journey our nation is already on, however haltingly. These are hard truths to tell and to hear.

We cannot just "move on". We live in history. But history need not live in us.

That is what Desmond Tutu taught us. We can do worse than look to his example. He was a giant who appealed to our better angels when other so-called leaders appeal to our worst.

Maybe politics wins. Maybe hatred and vengeance are the easiest paths to power. But Archbishop Tutu knew that politics is not peace. It is not truly freedom.

Desmond Tutu was not blind to the evil we can do. As a black South African, he experienced the worst of it.

South Africa today is a nation still on the journey from its past to the future. But Desmond Tutu left them a legacy to build that nation: forgiveness is stronger than politics. It is love.

Stan Grant presents China Tonight on Monday at 9.35pm on ABC TV, and Tuesday at 8pm on ABC News Channel.
Posted 6h ago6 hours ago
Share





Related Stories

'Moral compass': Obama, Queen pay tribute to anti-apartheid crusader Desmond Tutu


Desmond Tutu remembered as South Africa's conscience beyond the apartheid era


How Desmond Tutu used his gifts to help end apartheid

More on:
AUSTRALIA
FOREIGN AFFAIRS
SOUTH AFRICA
WORLD POLITICS

===
Gerry Yokota
Favorite Tutu Quotes on Palestine (all from God Is Not a Christian)
If you changed the names, the description of what is happening in the Gaza Strip and the West Bank could be a description of what is happening in South Africa. Israel cannot do that: it is out of line with her biblical and historical traditions. Jews, having suffered so much, cannot allow their government to cause other people to suffer so much. Jews, having been dispossessed for so long, cannot allow their government to dispossess others. Jews, having been victims of gross injustice, cannot allow their government to make others victims of injustice.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denunciation of violence. We must go further by insisting on the removal of the conditions which are conducive to violence.
(In response to accusations of being antisemitic for criticizing the Israeli government) I criticize Mrs. Margaret Thatcher fairly sharply, but I’ve not usually been called anti-British for doing so.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