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28

Colin Ward - Wikipedia anarchist

Colin Ward - Wikipedia

Colin Ward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Colin Ward in his workroom, October 2003

Colin Ward (14 August 1924 – 11 February 2010) was a British anarchist writer. He has been called "one of the greatest anarchist thinkers of the past half century, and a pioneering social historian."[1]

Life[edit source]

Ward was born in WansteadEssex. He became an anarchist while in the British Army during World War II. As a subscriber to War Commentary, the war-time equivalent of Freedom, he was called in 1945 from Orkney, where he was serving, to give evidence at the London trial of the editors for publishing an article allegedly intended to seduce soldiers from their duty or allegiance. Ward robustly repudiated any seduction, but the three editors (Philip SansomVernon Richards and John Hewetson) were convicted and sentenced to nine months imprisonment.

He was an editor of the British anarchist newspaper Freedom from 1947 to 1960, and the founder and editor of the monthly anarchist journal Anarchy from 1961 to 1970.[2]

From 1952 to 1961, Ward worked as an architect. In 1971, he became the Education Officer for the Town and Country Planning Association. He published widely on education, architecture and town planning. His most influential book was The Child in the City (1978), about children's street culture. From 1995 to 1996, Ward was Centennial Professor of Housing and Social Policy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3]

In 2001, Ward was made an Honorary Doctor of Philosophy at Anglia Ruskin University.[4]

Thought[edit source]

Anarchism[edit source]

Ward's philosophy aimed at removing authoritarian forms of social organisation and replacing them with self-managed, non-hierarchical forms. This is based upon the principle that, as Ward put it, "in small face-to-face groups, the bureaucratising and hierarchical tendencies inherent in organisations have least opportunity to develop".[5] He particularly admired the Swiss system of direct democracy and cantons whereby each canton is run by its members who have control on the laws placed upon them, although he disapproved of many the policies this system enacted.

"I believe that the social ideas of anarchism: autonomous groups, spontaneous order, workers' control, the federative principle, add up to a coherent theory of social organisation which is a valid and realistic alternative to the authoritarian, hierarchical and institutional social philosophy which we see in application all around us. Man will be compelled, Kropotkin declared, 'to find new forms of organisation for the social functions which the State fulfils through the bureaucracy' and he insisted that 'as long as this is not done nothing will be done. I think we have discovered what these new forms of organisation should be. We have now to make the opportunities for putting them into practice".

Anarchism for Ward is "a description of a mode of human organization, rooted in the experience of everyday life, which operates side by side with, and in spite of, the dominant authoritarian trends of our society".[6] In contrast to many anarchist philosophers and practitioners, Ward holds that "anarchism in all its guises is an assertion of human dignity and responsibility. It is not a programme for political change but an act of social self-determination".[7]

Rural issues[edit source]

Most of Ward's works deal with the issue of rural housing and the problems of overpopulation and planning regulations in Britain to which he proposed anarchistic solutions. He was a keen admirer of architect Walter Segal who set up a 'build it yourself' system in Lewisham meaning that land that was too small or difficult to build on conventionally was given to people who with Segal's help would build their own homes. Ward was very keen on the idea of 'build it yourself' having said in response to the proposition of removing all planning laws, 'I don't believe in just letting it rip, the rich get away with murder when that happens. But I do want the planning system to be flexible enough to give homeless people a chance'. In his book Cotters and Squatters, Ward describ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informal customs to appropriate land for housing which frequently grew up in opposition to legally constituted systems of land ownership. Ward described folkways in many cultures which parallel the Welsh tradition of the Tŷ unnos or 'one night house' erected on common land.

Ward included a passage from one of his anarchist forebears, Peter Kropotkin, who said of the empty and overgrown landscape of Surrey and Sussex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every direction I see abandoned cottages and orchards going to ruin, a whole population has disappeared.' Ward himself went on to observe: 'Precisely a century after this account was written, the fields were empty again. Fifty years of subsidies had made the owners of arable land millionaires through mechanised cultivation and, with a crisis of over-production; the European Community was rewarding them for growing no crops on part of their land. However, opportunities for the homeless poor were fewer than ever in history. The grown-up children of local families can't get on the housing ladder'. Ward's solution was that 'there should be some place in every parish where it's possible for people to build their own homes, and they should be allowed to do it a bit at a time, starting in a simple way and improving the structure as they go along. The idea that a house should be completed in one go before you can get planning permission and a mortgage is ridiculous. Look at the houses in this village. Many of them have developed their character over centuries - a bit of medieval at the back, with Tudor and Georgian add-ons.'

Education[edit source]

Colin Ward in his main theoretical publication Anarchy in Action (1973) in a chapter called "Schools No Longer" "discusses the genealogy of education and schooling, in particular examining the writings of Everett Reimer and Ivan Illich, and the beliefs of anarchist educator Paul Goodman. Many of Colin’s writings in the 1970s, in particular Streetwork: The Exploding School (1973, with Anthony Fyson), focused on learning practices and spaces outside of the school building. In introducing Streetwork, Ward writes, "[this] is a book about ideas: ideas of the environment as the educational resource, ideas of the enquiring school, the school without walls...”. In the same year, Ward contributed to Education Without Schools (edited by Peter Buckman) discussing 'the role of the state'. He argued that "one significant role of the state in the national education systems of the world is to perpetuate social and economic injustice"".[8]

In The Child in the City (1978), and later The Child in the Country (1988), Ward "examined the everyday spaces of young people’s lives and how they can negotiate and re-articulate the various environments they inhabit. In his earlier text, the more famous of the two, Colin Ward explores the creativity and uniqueness of children and how they cultivate 'the art of making the city work'. He argued that through play, appropriation and imagination, children can counter adult-based inten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built environment. His later text, The Child in the Country, inspired a number of social scientists, notably geographer Chris Philo (1992), to call for more attention to be paid to young people as a 'hidden' and marginalised group in society."[8]

Bibliography[edit source]

  • Talking Green (2012)
  • Autonomy, Solidarity, Possibility: The Colin Ward Reader (edited by Damian F. White and Chris Wilbert) (2011)
  • Anarc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2004)
  • Cotters and Squatters: The Hidden History of Housing (2004)
  • Talking Anarchy (with David Goodway) (2003)
  • Sociable Cities: The Legacy of Ebenezer Howard (with Peter Hall) (1999)
  • Reflected in Water: a Crisis of Social Responsibility (1997)
  • Havens and Springboards: The Foyer Movement in Context (1997)
  • Stamps: Designs For Anarchist Postage Stamps (illustrated by Clifford Harper) (1997)
  • Talking to Architects (1996)
  • New Town, Home Town (1993)
  • Freedom to Go: After the Motor Age (1991)
  • Influences: Voices of Creative Dissent (1991)
  • Talking Houses: 10 Lectures (1990)
  • Undermining the Central Line (with Ruth Rendell) (1989)
  • Welcome, Thinner City: Urban Survival in the 1990s (1989)
  • The Allotment: Its Landscape and Culture (with David Crouch) (1988)
  • The Child in the Country (1988)
  • A Decade of Anarchy (1961-1970) (1987)
  • Chartres: the Making of a Miracle (1986)
  • Goodnight Campers! The History of the British Holiday camp (with Dennis Hardy) (1986)
  • When We Build Again: Let's Have Housing that Works! (1985)
  • Arcadia for All: The Legacy of a Makeshift Landscape (with Dennis Hardy) (1984)
  • The Child in the City (1978)
  • Housing: An Anarchist Approach (1976)
  • British School Buildings: Designs and Appraisals 1964-74 (1976)
  • Tenants Take Over (1974)
  • Utopia (1974)
  • Vandalism (ed.) (1974)
  • Anarchy in Action (1973)
  • Streetwork: The Exploding School (with Anthony Fyson) (1973)
  • Work (1972)

Critical work on Colin Ward[edit source]

  • Wilbert, Chris, and Damian F. White. Autonomy, solidarity, possibility: the Colin Ward reader. AK Press, 2011.
  • Levy, Carl. Colin Ward: Life, Times and Thought. Lawrence & Wishart, 2013.
  • Remembering Colin Ward (Five Leaves Press 2011)
  • Richer Futures. Fashioning A New Politics (Earthscan, 1999)
  • Goodway, David. Anarchist Seeds Beneath the Snow: Left-libertarian Thought and British Writers from William Morris to Colin Ward. PM Press, 2012.
  • Honeywell, Carissa. A British Anarchist Tradition: Herbert Read, Alex Comfort and Colin Ward. A&C Black, 2011.
  • Levy, Carl. "Introduction: Colin Ward (1924-2010)." Anarchist Studies 19.2 (2011): 7-16.
  • Goodway, David. "Colin Ward and the New Left." Anarchist Studies 19.2 (2011): 42–56.
  • Price, Wayne (2015). "Colin Ward's Anarchism"Anarcho-Syndicalist Review63.
  • White, Stuart. "Social anarchism, lifestyle anarchism, and the anarchism of Colin Ward." Anarchist Studies 19.2 (2011): 92-104.
  • White, Stuart. "Making anarchism respectable? The social philosophy of Colin Ward." Journal of Political Ideologies, 12:1 (2007): 11–28, DOI: 10.1080/13569310601095580

See also[edit source]

References[edit source]

  1. ^ Krznaric, Roman (27 February 2010). "Colin Ward – an obituary and appreciation of the chuckling anarchist"outrospection.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September 2011. Retrieved 27 February 2010.
  2. ^ "Anglia Ruskin University"anglia.ac.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ly 2008. Retrieved 13 July 2008.
  3. ^ "The Times & The Sunday Times"The Times.
  4. ^ "Anglia Ruskin University, profile"anglia.ac.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ly 2008. Retrieved 13 July 2008.
  5. ^ « in small face-to-face groups, the bureaucratising and hierarchical tendencies inherent in organisations have least opportunity to develop », Colin Ward, Anarchism as a Theory of Organization, 1966,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rch 2010. Retrieved 1 March 2010..
  6. ^ Colin Ward, Anarchism as a Theory of Organization, Freedom Press, London, 1988, p. 14
  7. ^ Colin Ward, Anarchism as a Theory of Organization, Freedom Press, London, 1988, p. 143
  8. Jump up to:a b Mills, S. (2010) 'Colin Ward: The ‘Gentle’ Anarchist and Informal Education’ at the encyclopaedia of informal education.

Further reading[edit source]

External links[edit source]

예수 호흡 기도 - YES24

예수 호흡 기도 - YES24
공유하기

소득공제

예수 호흡 기도 [ 핸디북 ]정원 저 | 영성의숲 | 2009년 11월 20일리뷰 총점10.0 정보 더 보기/감추기 회원리뷰(1건) | 판매지수 198 판매지수란?

책소개
2008년 출간한 『예수 호흡 기도』의 핸드북.

전통적으로 동방의 기독교에서 영성훈련을 위해 많이 사용되었던 기도 방법인 예수 호흡기도에 대해 쓴 책이다. 저자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직접 기도가 주는 풍성함을 느껴서 소개한다고 한다. 총 7부로 구성 되어있고, 예수 호흡기도에 대한 소개, 원리, 방법, 적용, 사역자와 예수 호흡기도, 소감, 그리고 마지막으로 질의 응답의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목차
서문
1부 예수 호흡기도에 대한 소개
2부 호흡과 영의 원리
3부 예수 호흡기도의 방법
4부 예수 호흡기도의 적용
5부 사역자와 예수 호흡기도
6부 예수 호흡기도 소감
7부 질의 응답 및 정리
결언

저자 소개
저자 : 정원
56년에 서울에서 출생했으며 총신대학과 총신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3년간 목회사역을 하였으며 지금은 목회사역을 내려놓고 주로 기도와 영성에 대한 글을 쓰고 있다. 저서로는 『부르짖는 기도』, 『대적기도』등을 비롯하여 30여권이 있다.



원문주소 : http://blog.yes24.com/document/5823084




우리의 기도는 호흡과 같은 것이라는 표현을 많이 한다. 그러나 막상 호흡과 기도의 관계를 설명함은 미흡하다. 호흡기도는 전통적으로는 예수기도라고 부르며 더러 심장기도, 마음의 기도라고 부르기도 하는 동방기독교 전통의 뿌리 깊은 기도다. 기독교영성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고 한다.



이 기도는 5세기에서 8세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고 발전되었고 사막에서 생활한 남녀 교부들에게서 발견되었다. 시내 반도의 저술가들은 예수기도와 호흡의 리듬사이의 관계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것은 중세 시대에 분명해졌다. 중세 시대에 이 기도는 정교회 수도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고, 19세기에 익명의 저서인 「순례자의 길」 로 말미암아 이 기도가 러시아에서 서방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예수호흡기도의 기본 요소 및 사상은 ‘끊임없이 기도’하는 것이며, 일상생활 속에서 하나님께 집중할 수 있도록 자신의 호흡이나 심장의 고동과 리듬을 맞추어 짧은 기도를 되풀이하는 것이다. 기도문의 내용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주 예수 그리스도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이다.
아울러 1) 예수의 이름을 사용하고
2) 하나님의 자비를 호소하며
3) 반복하여 되풀이하되
4) 내적으로 침묵을 지키는 시간도 중요하다.

「 “내가 잘지라도 마음은 깨었는데” (아가서 5:2)
쉬지 않고 기도를 할 수 있는 비결은 ‘호흡기도’에 있다. 처음에는 힘들지만 어느 정도 훈련이 되면 예수 그리스도가 저절로 움직여 입에서 마음(심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쉬지 않고 기도하며 주님과 교류하는 은혜를 얻게 된다.」

기도의 중심은 무엇일까? 기도가 다른 행위와 구별 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그것은 기도가 인격적인 것이며 그 대상이 있다는 것이다. 기도는 독백이 아니며 구체적인 대상과 함께 교제를 나누는 것이다. 기도는 삼위일체 하나님과 교류하는 것이다. 내가 혼자하는 것이 아니다. 기도하는 자의 마음이 하나님이라는 분명한 대상을 향하는 것이다. 기도의 대상이 있고 그 대상을 향한 마음이 있는 것, 이것이 기도의 중심요소이다. 그러므로 기도는 인격적인 교류이지 방법적이고 테크닉적인 것이 아니다. 외적으로 보았을 때 기도하는 것 같은 자세와 행위가 있다고 할지라도 대상이 없거나 그 대상을 향한 마음이 없다면 그것은 기도가 아니다.

“이 말씀을 하시고 그들을 향하사 숨을 내쉬며 이르시되 성령을 받으라.” (요 20:22)
예수님은 성령을 받으라고 말씀을 하시면서 숨을 내쉬셨다. 그것은 혼자의 탄식이 아니었다. 제자들을 향하여 분명하게 숨을 내뿜으신 것이다. 이것은 제자들에게 성령을 받으라고, 성령을 주시면서 취하신 행동이었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향하여 숨을 내쉬면서 성령을 부어주시고, 제자들은 예수님의 그 숨을 들이마시면서 성령을 받게 되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향하여 숨을 내쉰 것은 단순한 한숨이 아니라 예수님 안에 충만한 그 영을 제자들에게 공급하시는 방편이었다.

무디와 함께 부흥운동을 일으켰던 R.A 토레이 목사의 손자로서, 한국의 예수원에서 중보기도운동을 일으켰던 대천덕 신부(영국 성공회)는 이 부분(숨을 내쉬며)을 다음과 같이 설명해주고 있다.
“고린도전서 12장 13절의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이 되었고 또 다 한 성령을 마시게 하셨느니라’ 여기서 ‘성령을 마신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예수님은 숨을 내쉬시며 그들에게 성령을 불어넣어 주셨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숨을 내쉬며’(breathed upon)란 정확한 번역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오순절에 강림하신 성령과도 일치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것은 창세기 2장 7절의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신 날 ‘하나님의 영을 인간에게 불어넣으셨다’ (breathed into man his own spirit ,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 창 2:7)는 말씀과 일치하는 것입니다.” (산골짜기에서 외치는 소리, 22~23쪽, 한국양서)

쉬지 않고 기도하는 것은 토털(total)기도라고 한다. 부분적으로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상황에서, 모든 것을 통하여 기도하는 것. 우리의 언어가 기도가 되게 하고, 우리의 모든 행동이 기도가 되게 하고, 우리 마음의 묵상과 사소한 생각도 주님께 열납 되기를 바라고, 우리의 숨소리조차도 주님께 드려지는 기도가 되게 하는 것이 쉬지 않는 기도이며 토털기도이다.

호흡은 들이마심,(흡,吸)과 내보냄(호,呼)으로 이뤄진다.
영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들이마심은 생명의 충전을 위한 것이며 내보냄은 부정적인 에너지의 배출을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호흡의 충분한 마심과 배출은 우리의 영적, 정신적, 신체적 충만함과 정화에 매우 중요하다.

“예수 호흡기도는 예수의 이름을 부르는 것으로 시작된다. 예수의 이름에는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과 은혜가 나타난다. 예수의 이름에는 인간의 죄를 담당하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의 사역이 포함되어 있다. 예수 호흡기도의 대표적인 기도문은 ‘끼리에 엘레이손’ 즉, ‘주 예수 그리스도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이다. 그러나 기도 문장은 짧을수록 좋고, 각자 은혜롭게 만든다. ‘예수 충만’, ‘예수 평안’. ‘예수 사랑’, ‘예수 능력’, ‘예수 치유’등이 있다. 방법은 코로 들이마시고, 코로 내쉰다. 천천히 들이마시며 ‘예수’ 내쉬면서 ‘평안’이라고 한다.”

[진복팔단] 호흡처럼 바치는 예수 기도 - 가톨릭일꾼

[진복팔단] 호흡처럼 바치는 예수 기도 - 가톨릭일꾼

[진복팔단] 호흡처럼 바치는 예수 기도
 짐 포레스트 승인 2017.09.26 07:58 댓글 0페이스북

[진복의 사다리-20] 복되다, 마음이 순수한 사람들
마음의 정화는 보다 더 하느님 중심의 삶을 추구하는 끝없는 투쟁을 의미한다. 매 순간 순간 하느님의 현존에 깨어 있으려고 노력하고 훈련하므로 마음은 우리자신의 걱정이나 야망 혹은 외모에 마음이 사로잡히지 않는다. 기도는 이런 노력에 있어 기본적인 것이다. 기도는 우리가 외워서 하는 기도이든 자발적인 기도이든 독서, 음악듣기 혹은 거룩한 것에 대한 자각을 높여주는 모든 수단들을 이용해서 하는 것이다. 기도는 우리의 주의를 하느님께로 향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많은 성인들처럼, 세라핌의 삶에서 분리시킬 수 없는 것은 마음의 기도라고도 알려진 예수 기도였다. 세라핌은 수련자들을 이렇게 가르쳤다. “오든 가든, 앉아있든 서있든, 일하든 교회에 있든, 이 기도가 항상 여러분의 입술에서 떠나지 말게 하라: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이시여, 죄인인 저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기도의 모든 표현이 그곳에 다 있다. 마음속에 이 기도로써 여러분은 내적인 평화 그리고 신체와 영혼의 절제를 발견할 것이다.”

마음의 기도에는 여러 변형이 있다. 때때로 “죄인”이 빠진다. 어떤 때에는 더 짧게 한다: “주님 예수, 저에게 자비를 가지소서,” 아니면 “예수, 자비”의 두 마디만으로 기도한다. 어떤 형태이든지 간에, 이 기도는 기도하는 사람을 점점 더 깊게 그리스도의 자비 속으로 이끌어 간다. 나는 때때로 다른 이들을 위하여 이 기도를 한다: “주님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 우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아니면 어떤 사람, 그룹 등).” 수도원의 문학과 실천은 이 기도의 완전한 형태를 “전체 복음이 한 문장 안에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사진=한상봉
의식의 중심이 머리에서 마음으로 옮겨가도록

어떤 사람들은 이 기도를 너무나 항구하게 하므로 가슴으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것처럼 기도가 삶 속에 완전히 통합되기도 한다. 이 기도를 사용하는 것을 배우는 것은 4세기 사막교부들의 시대이후로 수도생활에 있어 기본적인 요소가 되어온 것 같다. 19세기의 고전, 순례의 길은 어떤 방랑하는 러시아인이 수도승의 격려와 지도를 받으며 어떻게 끊임없이 예수 기도를 하는가를 묘사한다. 나는 모스크바의 한 수도원 가게에서 예수 기도를 속삭이면서 나에게 줄 거스름돈을 세고 있던 사람을 만난 적이 있다.

항상 기도를 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예수 기도는 일상생활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는데, 걸으면서 기다리면서 분노를 누르면서 혹은 절망했을 때, 침상에 누워 잠들 수 없을 때 조용히 암송할 수 있다. 처음에는 꾸미는 것 같고 산만한 것 같지만, 내적인 침묵을 이끌어주는 안내자가 될 수 있고 더 주의를 집중시키는 길이 되기도 한다.

"늘 당신의 정신을 마음속에 모으라”고 기도의 위대한 스승인 은둔자 성 테오판이 가르쳤다. 예수기도는 영적 생활의 한가지 전통으로, 의식의 중심이 머리에서 마음으로 옮겨가도록 도와준다. 여기에서 머리와 마음은 단순히 신체적인 의미로만 이해되어선 안 된다. 머리, 정신은 의식의 분석적이고 조직적인 측면을 나타내고, 자아의 부분인 마음, 가슴은 하느님의 현존에 가장 민감하고 하느님의 사랑을 가장 확실히 체험할 수 있게 한다.

마음의 잔혹감을 넘어서기 위하여

예수기도는 우리의 영혼을 실제이건 상상으로 생각한 것이든 간에 다른 사람들의 잘못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끌어 주는 한가지 단순한 방법이다. “모든 사람들을 좋게 보고 어떤 창조된 피조물도 자기에게 불순하거나 더럽혀진 존재로 보여지지 않을 때 그 사람은 마음이 참으로 순수한 것이다”라고 시리아의 성 이사악(또한 니느웨의 이사악이라고도 알려짐)이 썼다.

사막의 교부들 이야기는 대부분이 수도승들의 이야기인데 그들의 가장 어려운 전투는 다른 이들을 판단하고 단죄하게 만드는 마음의 잔혹함을 극복하는 것이었다.

두 명의 에집트 수도승들이 개울의 건너편에서 물이 너무 깊어 건너오지 못해 곤경에 빠져있는 한 여인을 보게 되었다. 수도승 중 한 사람이 그 여인을 들어 다른 쪽에 안전하게 옮겨주었다. 이 행동이 다른 수도승에게 스캔들이 되었다. 마침내 오랫동안 말을 안하고 걷고 있었던 그 수도승은 여인을 만짐으로써 정결의 서원을 깨뜨렸다고 화가 나서 그의 형제를 비난하였다. 그러자 다른 수도승이 응답했다, “난 그 여인을 강 건너로 옮겨 놓았지만, 당신은 아직도 그 여인을 붙잡고 있네요.”

순수한 마음이란 그 마음을 통해 하느님의 자비가 다른 이들에게로 흘러드는 것이다. 이것을 말해주는 에집트 사막의 또다른 이야기가 있다. 이 이야기는 4세기 혹은 5세기 초의 이야기이다:

한 젊은 형제가 나이든 형제를 찾아가 자신이 끊임없이 성적인 환상들에 의해 시달리고 있다고 고백했다. 나이든 수도승은 자신이 그러한 유혹을 겪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젊은이에게 수도생활이 맞지 않는다고 충고했다. 자격이 없다는 사실에 동의하면서 젊은이는 세상에 돌아가기로 결심했다.

하느님의 섭리로 아폴로 원장이 젊은이에게 다가와 실망한 그를 보고 이유가 무엇인지 물었다. “그것은 하나도 이상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시오. 나의 아들이여, 실망하지 마시오. 나도 지금 나이에 그리고 이런 수도생활에서는 그런 생각들 때문에 힘들게 지낼 때가 있습니다.” 하고 아폴로 원장이 고백했다. “그러므로 그런 유혹을 받을 때 포기하지 마시오. 치유책은 우리의 걱정스러운 생각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연민에 있습니다.” 젊은 수도승은 그 말을 마음에 새겼고 다시 수도생활로 돌아갔다.

이야기는 더 이어진다. 아폴로 원장은 연민이 너무나 부족했던 나이든 수도승의 방으로 곧장 걸어가서 처소 바깥에 조용히 섰다. 그리고 그 나이든 형제가 젊은 수도승이 겪었던 같은 유혹과 마주치기를 기도했다. 그의 기도가 너무나 빨리 들어졌고 그래서 얼마 안 지나 그 나이든 수도승은 방에서 달아났고 마치 술에 취한 것처럼 걸으며 젊은이가 갔던 길을 걸어내려 가면서 자신이 더 이상 수도승이 될 수 없다고 확신했다.

그러나 아폴로 원장이 그를 멈추게 하고 말한다, “방으로 돌아가시오. 당신의 약함을 인정하고 당신 자신을 바라보시오. 지금까지 악마가 당신을 잊었던가 혹은 당신을 경멸해서 싸울만한 가치도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전투라고 말했나요? 당신은 그런 공격을 단 하루도 견딜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런 유혹이 당신에게 닥친 것은 그 젊은이가 당신에게 우리가 겪는 공통의 적에 대해 도움을 청하러 왔을 때 위로의 말을 전하는 대신 그를 절망 속에 그대로 내쳤기 때문입니다.”

마음이 더 순수할수록, 그 마음은 창조 속에서 창조주를 더 알아본다고 비잔틴 시기의 위대한 성인인 시리아의 성 이사악이 가르쳤다. 그는 고행의 생활에 큰 무게를 두었다 ­기도, 단식, 자발적 가난, 가난한 이들에게 관대함­ 이것들은 마음을 정화시키는 길이었다. 세계의 욕망에 대항하는 전사, 7세기의 이 주교는 창조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을 갖고 있었는데, 그것은 하느님의 모상대로 만들어진 인간뿐만 아니라 하느님이 생명의 은총을 준 모든 것에 대한 사랑이었다. 

[원출처] <진복의 사다리>, 짐 포레스트, The Ladder of the Beatitudes, Orbis, 1999
[출처] <참사람되어> 2002년 10

 

[우리는 친구] "하나님과 한울님은 하나죠"(끝) - 예장 통합 안광덕 목사

[우리는 친구] "하나님과 한울님은 하나죠"(끝) - 중앙일보



"하나님과 한울님은 하나죠"(끝)
[중앙일보] 입력 2005.08.13 04:41 수정 2006.06.14




예장 통합 안광덕 목사(왼쪽)·천도교 이선영 선도사(오른쪽).
가족보다 더 가깝고 편안한 사이. 안광덕(51) 목사와 이선영(48) 천도교 선도사는 5년 전 영성순례 프로그램에서 만났다. 국선도 수련을 해온 안목사에게서 이선도사가 깊은 인상을 받았고 이후 둘은 서로에게 '자극제'가 되는 만남을 계속해 오고 있다.







예장 통합 안광덕 목사
천도교 이선영 선도사안목사는 유치원 시절부터 교회에 다녔고, 장신대를 졸업 91년 목사 안수를 받았다. 서울 안동교회 부목사로 시작해 현재 예장 통합에 속한 생명목회실천협의회의 상임총무를 맡고 있다. 이 협의회는 바른 목회와 건강한 교회를 위하여 전국의 목사들을 교육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단체. 그는 특이한 경력이 있다. 10년 전 국선도 호흡수련에 입문, 사범까지 됐다. 국선도와 기독교 신앙의 만남을 주제로, 최근 연세대 연합신학원에서 박사논문을 쓰기도 했다. 제목은'예수기도의 한국식 영성교육과 호흡기도 모형'이다.

"하나님과 하나 됨을 체험하는 데 국선도를 접목하면 무엇이 나올까가 궁금했지요. 설사 교회가 종교다원주의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해도 기독교가 한반도에서 뿌리를 내리려면 민족적인 것과 결합을 해야 합니다."

그런 까닭에 천도교에도 익숙한 안 목사는 천도교의 인내천(人乃天)을 "하나님이 내 안에, 내 안에 하나님이 있는 상태"라 풀어낸다. 그가 일찌감치 천도교를 접했던 것은 오늘날 천도교의 모태가 된 동학교(동학의 계열)가 성했던 경북 상주가 고향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선영 선도사는 종교계에서 마당발로 통하는 대표적인 천도교인.

"사람이 하늘 됨, 인내천은 사람 속에 본래 있는 신(神), 즉 천(天), 하늘의 재발견입니다. 내 속에는 하느님.부처님.공자님이 다 들어 있지요. 모든 성인의 가르침은 본래 하나 됨, 회통(會通)이지요. 난 한울님을 만나기 전 예수님을 먼저 만났었는데 사람들이 나에게 한울님과 하느님이 뭐가 다르냐 물으면 궁극적인 존재의 다른 이름이라고 대답합니다."

선도사(宣道師)는 기독교의 선교사에 해당하는 보직. 그는 교무관 직도 맡아 대외적으로 천도교 강의도 하고 있다. 이선도사는 평범한 주부로 살다가 아버지의 신앙을 따라 개종했다. 한때는 장로교 열성신자였지만 실향민인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자식된 도리로 천도교에 입문했다. 부친은 해방 전 북한에서 천도교 청우당 활동을 하다 단신 월남, 천도교 지도자급 교역자인 도정(道正)을 지내기도 했다. 효심으로 시작한 공부가 교리를 섭렵하고, 수행까지 이르게 했다.

"사인여천(事人如天)입니다. 사람 섬기기를 하늘처럼, 모든 사람이 한울님으로 보이는 경지까지 가야 해요. 한울 백성은 한 뱃속에서 나왔습니다. 그것을 알면 여기가 지상천국입니다."

그들은 자식들에게 재산은 몰라도 굳건한 신앙 하나만은 철저하게 물려줄 생각이다. 상대의 속까지 훤히 들여다 보는 편안한 사이라는 그들이 앉은 자리엔 여자.남자, 내 믿음.네 믿음이 구분이 없다. 세 살 터울의 오누이 같다. 굳이 천도교니 기독교니 말하지 않아도 여기서 난 한울님과 하나님이 하나 됨을 본다.

김나미 <자유기고가>

[출처: 중앙일보] [우리는 친구] "하나님과 한울님은 하나죠"(끝)

국회도서관 '예수기도'의 한국식 영성교육과 호흡기도 모형 : 몸과 영을 일치시키는 호흡기도 방법 / 안광덕

국회도서관 소장자료검색 전체

'예수기도'의 한국식 영성교육과 호흡기도 모형 : 몸과 영을 일치시키는 호흡기도 방법 / 안광덕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5.8
청구기호
TD 268.6 ㅇ147ㅇ
형태사항
v, 240 p. ; 26 cm
자료실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논문실)
제어번호
KDMT1200570703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목회신학, 2005.8
원문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예수기도'의 한국식 영성교육과 호흡기도 모형 : 몸과 영을 일치시키는 호흡기도 방법
저자
안광덕
발행정보
연세대학교 2005년
피인용횟수
1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무료원문
원문 보기
주제분야
인문학 > 종교학
키워드
예수기도, 영성교육, 호흡기도
목차
참고문헌
목차
표제지
감사의 글
(국문 요약)
-----------------------------------
목차
제1장 서론 11
1. 연구 목적 11
2. 문제 제기 15
3. 선행 연구 22
4. 연구 방법과 범위 27

제2장 '예수기도'와 동방교회 영성 35
제1절 동방교회 역사 특징 35
1. 성서 중심 36
2. 초기 수도원 전통 38
3. 예전적 요소 42
4. 헤시카즘 44

제2절 정교회 영성의 본질적 요소 47
1. 신비신학과 신화(神化) 47
2. 어두움의 길(부정신학) 51
3. 하나님 은혜와 사람 의지 52
4. 수덕주의(收德義主)와 신비주의 53
5. 기도와 관상 55

제3절 예수기도(Jesus prayer) 58
1. 예수기도 발전 역사 58
2. 예수기도 특성 63
3. 예수기도 단계와 자세 66
제4절 예수기도와 호흡 69


제3장 개신교 영성과 기도 73
제1절 영성 개념 이해 73
1. 영성의 일반 개념 74
2. 영성의 현대 개념 76

제2절 영성 훈련의 전통적 형태와 유형 92
1. 영성훈련의 대표 형태 92
2. 영성훈련의 대표 유형 95

제3절 영성훈련의 성찰과 영성 교육 100
1. 영성훈련의 한계와 성찰 100
2. 영성교육 특징 102

제4절 한국 개신교 영성 전망 106
1. 한국교회 영성 방향 106
2. 한국 영성과 호흡 108
3. 영성 관련 용어와 정기신 111
4. 영성의 접목 사례 125

제5절 영성과 기도 145
1. 참여자로서 기도연구 방법 145
2. 기도의 개괄 이해 147
3. 기도 유형 151


제4장 한국식 영성교육과 호흡기도 157
제1절 호흡기도 접목 원리 157
제2절 호흡기도 목적 162
제3절 호흡기도 교육 내용 166
1. 몸 고르기 167
2. 마음 고르기 173
3./다.) 호흡 고르기 181

제4절 호흡기도 교수-학습 방법 183
1. 기도 말 183
2. 호흡과 가락 190
3. 기도 단계 192
4. 교수-학습 지도 지침 196
제5절 호흡기도 환경 198
1. 일상적 삶에 내면화 198
2. 교사-학습자 사이 203
제6절 교육 평가 204
제7절 한국식 영성교육의 전망 208

제5장 결론 213
1. 요약 213
2. 연구 결과와 의의 216
3. 남은 과제와 제안 220

참고문헌 224
부록 1 : 몸고르기 준비운동 234
부록 2 : 정리운동 240

Abstract 247
표목차
표 1. 정기신 용어와 개념 정리 125
그림목차
그림 1. 정기신의 구성 비유 122
그림 2. 켄 윌버 온수준ㆍ온상한ㆍ온계통ㆍ온사상한도 164
그림 3. 켄 윌버 '의식 스펙트럼 9계층기본구조' 165
그림 4. 호흡기도 악보 191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