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5/26

Astrophysics for People in a Hurry

Amazon.com: Customer reviews: Astrophysics for People in a Hurry

Over a year on the New York Times bestseller list and more than a million copies sold.



The essential universe, from our most celebrated and beloved astrophysicist.

What is the nature of space and time? How do we fit within the universe? How does the universe fit within us? There’s no better guide through these mind-expanding questions than acclaimed astrophysicist and best-selling author Neil deGrasse Tyson.

But today, few of us have time to contemplate the cosmos. So Tyson brings the universe down to Earth succinctly and clearly, with sparkling wit, in tasty chapters consumable anytime and anywhere in your busy day.

While you wait for your morning coffee to brew, for the bus, the train, or a plane to arrive, Astrophysics for People in a Hurry will reveal just what you need to be fluent and ready for the next cosmic headlines: from the Big Bang to black holes, from quarks to quantum mechanics, and from the search for planets to the search for life in the universe.



on May 4, 2017
First off, I love Neil deGrasse Tyson. He's one of my idols and I aspire to be where he is. My issue with this book is that I read it directly after reading his book "Death by Black Hole"...and A LOT of the content from that book is inserted into this one...word for word. It was disappointing to say the least. I pre-ordered this book two months ago and was excited when it came. I actually do really like the size of it, but the content troubles me.

I will always read his books but I don't like that there is very little original content in this one. If you already own Death by Black Hole and Origins, save your money. You already have this entire book. \

3 stars because it is informative IF you've never read any of his other books.
1,558 people found this helpful

|23 comments|Report abuse



Showing 5 comments


Sort by:
Newest
Oldest






Andy Rink15 days ago


Report abuse


The very title "astrophysics ... in a hurry" tells me if you've read his books for people NOT in a hurry, this might not be new to you. He's not writing this book for scholars, he's writing it for the layperson who wants a better understanding, and more than likely have been in too much of a hurry to read his previous works.


Leave a reply


K. Yancy24 days ago


Report abuse


With all due respect, in the Acknowledgements, he clearly concedes that much of this content comes from essays written over the years when acknowledging his literary editors. I also got the e-book edition to listen to while on a long drive out of town this weekend. Enjoyed that version WAY more than the book version, hearing it in his own words really adds a lot IMHO.


Leave a reply


Brez4 months ago


Report abuse


I suspected as much after reading the Sample. Thanks for the confirmation.


Leave a reply


Amazon Customer5 months ago


Report abuse


Adam illuminae, REALLY? You thought the reply to a review of a book about astrophysics is the correct place to post FOUR copies of the same huge spam about the Illuminati? Well, you convinced ME to have nothing to do with them.


Leave a reply


GALIA TERUEL6 months ago


Report abuse


but not many pages .. like the "origins .. right ?.. i never read the others so.. i dont know what to do , help :)


Leave a reply

Show more comments
on January 9, 2018
I needed to “cleanse my palate” after binge reading a fantasy series. I decided to step as far from fantasy as possible, so I ventured into the far more complex realm of…

Fact.

Astrophysics, to be precise.

What’d I learn?

I learned the universe is much bigger than I can comprehend, and we puny humans are much less significant to the universe than we imagine.

I learned I’m glad there are people who are good at Astrophysics, because I’m not

Mostly, I learned that Astrophysics is really (Really, REALLY) complicated. Even having Neil deGrasse Tyson spell it out for me couldn’t get topics like quantum mechanics, prolate spheroids, dark matter, or E=MC2 to be more than curiosities beyond my reach.

Getting through the book was worth it just to get to the last chapter, where Neil deGrasse Tyson brings the “our universe is so big and we are so insignificant” talk to a climax with some great comparisons. For example…

Did you know there are more molecules in a cup of water than there are cups of water on Earth?

Of course you didn’t. Because you’re not an Astrophysicist.

Instead of feeling small, however, I was left feeling part of something very, very grand.

Some call it science. Some call it God. I call it both.

Interested in Astrophysics but clueless about Astrophysics? This is the book for you. You’ll still be clueless, but you’ll feel okay being clueless once you get a sense for the overwhelming complexity involved in with the physics of the universe.

It’s a big place.

Happy Reading.

95 people found this helpful

|Comment|Report abuse
on May 11, 2017
I have read Origins, Death By Back Hole, and Space Chronicles before this one. I feel like I have read this book before. It reads like an updated Origins. Good material, but a waste of money for me.

341 people found this helpful

|3 comments|Report abuse
on May 4, 2017
This is a quick tour through the current state of astrophysics in 12 essays. Tyson infuses the subject with his usual dynamic enthusiasm and humor. The subject is not presented especially deep but it is useful for anyone wanting to get a better layman's understanding of the Big Bang (weird stuff), dark matter (weirder stuff), and dark energy (way weirder stuff). Tyson gives you a good appreciation of how chemistry and biology are part of astrophysics. He concludes with an essay on "Reflections on the Cosmic Perspective" that shows even astrophysicists can have great wonder at the universe we live in. Recommended.

545 people found this helpful

|11 comments|Report abuse
on May 25, 2017
My son Ioved the book
review image

30 people found this helpful

|Comment|Report abuse
This is a series of related essays about astrophysics. The author, Neil deGrasse Tyson, does a really great job taking an immensely complicated subject and conveying a distillation of that subject in layman terms. I still ended up looking up several terms, persons, and concepts to buttress my comprehension of the information discussed.

It would be difficult to exaggerate how much I enjoyed this work. I purchased and read this book on Kindle while listening to the audiobook simultaneously. The audiobook was narrated by the author. I enjoyed that tremendously. Neil deGrasse Tyson comes across as an extremely intelligent, but very benevolent instructor / lecturer. I love that mixture.

Some time ago I read another book, "A Universe From Nothing" by Lawrence M. Krausse. I felt there is a lot of overlap between these two fine works. Personally, I liked this book under review more than the book by Mr. Krausse. Another reader might enjoy reading that book for purposes of comparison and contrast.

In summary, I completely enjoyed this reading experience. I intend to look for another book by Neil deGrasse Tyson. Thank You...

4 people found this helpful

|Comment|Report abuse
on March 23, 2018
I picked up this book recently since I was curious what were the latest discoveries in science were and figured that Neal deGrasse Tyson would be a good intro. Used to keep up with all the science discoveries when I was younger, but have not lately. This book was the right one for just such an update. The chapters are fairly brief most of the time and he lets one idea develop before transitioning to another. You do not feel overwhelmed (most of the time) with facts and discoveries and can reflect on the material as you go along. The personal asides are a nice touch, like the one about the hot cocoa and using science to prove that someone had made a mistake. This is one of the things that makes it feel not like a science textbook, but a science conversation with him.

One of the things I really enjoyed about the book was when you are reading it, you feel like he is standing there talking to you and that it is not just written words. After finishing the book, I put on Cosmos hosted by Neal deGrasse Tyson and it felt the same as when I was reading the book which shows his style is the same for both mediums. Each chapter usually will have a personal aside which makes it less of a scientific recital as a conversation between people and a real teaching experience.

I would highly recommend this book to anyone who wants to catch up on the recent discoveries in science and wants a way to understand the terms you hear thrown around on TV and the Internet. This book does an excellent job of bridging the gap between those who are science knowledgeable and those who need it explained in more everyday terms in order to understand what is going on in the world today.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Comment|Report abuse
on May 4, 2017
This book is made out to be an "astrophysics for dummies" but it's far more difficult to grasp than I'd imagined. That being said, I'm still glad I read it.

229 people found this helpful

|1 comment|Report abuse
on July 5, 2017
I'm more than half-way through the book but it is getting more difficult to remain motivated and finish it. I'm not keeping up my enthusiasm. Reasons: (1) it is a collection of magazine articles he wrote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some years ago, and (2) the knowledge base one needs for comprehension is beyond the layman in my opinion. I think this book is over rated with all of the 4 and 5 star reviews!

25 people found this helpful

|Comment|Report abuse
on March 14, 2018
Neil deGrasse Tyson is an excellent communicator. He presents the astrophysicists’ view with knowledge, intelligence, wisdom, clarity, and humor. I love his view (mainly because it echoes my own, I must admit) that the unimaginable vastness and richness of the cosmos should inspire us and lift us above pettiness.

There is a great deal of science in this book, of course, but it should not scare anyone off. Tyson brings most facts and concepts to an understandable level. Even passages that may seem confusing should not deter anyone from reading this book. It is not only informative, but, more importantly, it is inspirational, encouraging—or, hopefully, causing—us to think beyond ourselves. I not only highly recommend this book, I think it should be required reading in high school.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Comment|Report abuse

==========
TOP 500 REVIEWER
24 July 2017
Verified Purchase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2018/05/10

대한민국 보수의 멘탈리티를 말하다

대한민국 보수의 멘탈리티를 말하다

이 모든 생각들의 토대를 이루는 것이 국가주의 국가론이다 이를 따르는 사람과 정치세력을 기리키는 용어로는 이념형 보수가 적당할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국가주의 국가론은 강령한 경쟁력을 지닌 이론이다 논리적으로 매우 단순명료해서 긴 설명을 할 필요가 없다 내부 혼란과 침략의 위험이 상존하는 국민국가의 시대 더욱이 이데올로기적 군사적 대결을 동반한 한반도 분단체제가 계속되는 한 대한민국에서 홉스의 국가론은 앞으로도 긴 세월 위력을 떨칠 것이다 국가란 무엇인가 돌배게 P.43)
b
르포라이터 김민성
y
Jul 08. 2017
2017년 한국의 보수는 망했다고 많은 사람이 생각했다
하지만대통령 선거의 판을 열어보자 자
유한국당의 홍준표 후보가 2위를 차지하는 모습을 보았다
많은 사람들특히 젊은 층의 입장에서
시국의 책임을 져야할 보수당이 아직도 대통령 선거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일 것이다
하지만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홍준표 대통령 후보가 개인적인 문제와 도덕적 결함이
있는데도 2위를 차지했다는 점은 한국의 보수당과 보수지지자들의 사고를 읽어 낼 수 있다
유시민 작가는 대한민국의 보수를 이념적 보수로 정의했다
이념적 보수는 국가주의적 보수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에서 보수 후보가 내거는 공략은 매우 간단하다
경제와 안보를 통한 사회 안정이다
대한민국의 보수는 아무리 미친 짓을 해도 보수라는 타이틀
북한과 좌파 세력의 척결 그리고 경제만 잘 살게 해준다면 표를 던진다
내가 생각하기에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 된 것은 경제 대통령
의 이미지가 있었고 박근혜 대통령은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의 향수 때문이었다
젊은 세대는 보수를 이해 못하고 비합리적으로 본다
그러나 우리는 보수의 멘탈리티와 철학을 이해해야 한다
왜냐하면 대한민국의 정치는 특수한 상황에 놓였는데
보수가 먼저 형성되고 진보가 이에 대한
반격을 가하는 행태를 보인다
이런 행태는 대한민국의 특수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정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수의 형성 과정을 하나 하나 뜯어 보아야 한다
체제 선택의 정치 : 광복부터 이승만 대통령이 세워질 때까지
한편 미군정은 일제하의 한국인 관료와 경찰을 상당 부분 유임시켰다 미군정은 이들을 행정과 치안 및 질서유지를 위한 기능적인력으로만 생각했지 그것을 둘러싼 한국인들의 민족적 감정을 고려하지 않았다 건국과 부국 생각의 나무 P.36)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이어진 태극기 집회에서 눈여겨 볼만한 장면은 태극기와 미국의 성조기를 동시에 들고 나타났다는 점이다
태극기 집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반대하기 때문에
나라를 지키겠다는 어르신들의 마음은 이해는 간다
그렇지만 거기에 왜 성조기가 나타났을까
최초의 선거인 5.10 선거가 있기 이전대한민국에서 합법적인 무력을 사용할 수 있던 집단은 바로 미군정이었다
8.15 광복 이후부터 이승만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이전에 수많은 정치 세력
이 있었다
여운형을 필두로 한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김성수와 송진우를 필두로한 한국민주당
김구를 필두로한 임시정부 그리고 조선공산당 등이었다
하지만 혼란의 시기 속에서 이 정치세력
은 국가의 핵심인 합법적 폭력을 가지지 못했다
실질적으로 광복을 맞은 국가를 운영하는 것은
바로 미국이었다
미군정의 권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좌파 세력은 이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
미군정과 좌파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미군정은 일할 사람들이 필요했다
그렇기 때문에 친일 세
력을 대부분 유임시키며 국가를 돌렸다
미군정은 자신들과 일할 수 있는 보수를 선택했다
미군정의 지지를 얻었던 민족개량주의자들은 자신의 친일 행적의 약점을 미군정의 지지로 버틸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한민당 계열이 행정 일을 맞게 되었다
그러던 중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신탁통치를 결정하게 되었다
신탁통치를 공표하자 많은사람들이 이에 대해 반응하기 시작했다
우파 세력은 신탁통치에 대해 반대했다
조선공산당과조선인민당과 같은 좌파도 처음에는 반탁을 했지만 신탁통치를 기능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생각해 찬탁이라 말하지 않고 3상회의
결의사항 전폭 지지라고입장을 바꾸었다
이에 대해 많은 민족이 분노를 했다
신탁은 마치 일제 강점기를 떠올리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많은 민중이 미군정과 좌익 세력을 비난하기 시작했다
미군정은 난처했다
그동안 손을 잡았던 우파 세력이 반탁을외치하고 좌파 세력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미군정은 좌우합작운동을 지지한다
좌우합작운동이 비록 숫자는 적었지만 미군정의 지지를 받았기 때문에 유지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국은 자신의 통치 방식을 바꾸고 이 문제를 UN에 상정했다
UN은 남한에게만 단독정부 수립을 허가했다
이에 따라 이승만은 미국의 정책을 지지했고 한민당 또한 반탁 진영에서
나와 지지를 표명했다
그리고 5.10 선거가 치러줬다
510선거의 선거권은 23세 피선거권은 25세 이상의 성인 남녀에게 모두 주어지지만 민족 반역자나 일제로부터 작위를 받은 자 및 고위 친일 관리는 자격을 박탈했다 소선거구 단순다수대표제를 체택했으며 기표는 입후보자의 이름을 직접 쓰는 자서 방식을 택했다 그리고 이북 출신의 월남자를 위한 특별 선거구를 두도록 했다 건국과 부국 생각의 나무 P.68)

하지만 510선거도 지리적으로나 이념적으로는 한계가 있는 선거였다 좌파남노당는 선거에참여할 수 없었고 중간파민죽자주연맹와 우파의 일부한독당는 적어도 공식적으로는 선거에 참여하기를 거부한 가운데 한민당과 이승만 세력독촉 그리고 무소속이 대거 참여하여 남한에서만 치러진 선거였기 때문이다 건국과 부국 생각의 나무 P.69)
대한민국이 국가의 형태가 된 5.10 총선은 대한민국 보수의 뿌리가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보수가먼저 형성된 것은 미군정의 통치 방식 때문이었다
미군정의 입장에서 한국에서 일을 해야하는데
자신을 지지하는 세력이 보수세력이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보수의 개념
은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
다만이념적 보수가 등장할 수 있는 땅은 마련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정치를 이해할 때
미국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미국은 겉으로 보이지 않지만 통
치자들과 관리들을 이용해 보이지 않는 정치를 한다
르포라이터김민성 2 46.25 전쟁과 한국인의 탄생

이 무렵 한국의 국민적 정체성 확립과 관련된 대표적인 계기는 농기개혁과 한국전쟁 그리고 반공이었다 건국과 부국 생각의 나무 P.171)
이승만 정부가 이 땅에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꽃피운 것은 분명 아니다 당시 정치는 권위주의적이였고 시장은 경제를 움직이는 부분적 메커니즘에 불과했다그러나 분명한 것은 권위주의가 전체주의보다 나으며 부분적으로 작동할지라도 시장이 전면적인 통제와 계획보다는 효율
적이라는 점이다 건국과 부국 생각의 나무 P.83)
수능 시험에서 이승만 정부의 농지개혁은 시험 밭이다
그 만큼 농지개혁은 중요하다
6.25 전쟁
이 터지기 전 이승만 정부는 대대적으로 농지개혁을 펼친다
농지개혁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번째로 지주들의 지배 구조를 무너트려 버린 것이다
두번째로 많은 사람들이 자신 소유의 땅을 가지게 된 것이다
두번째가 중요한데 바로 자신이 지켜야 할 자신의 재산 즉 소유물이 생긴 것
이다
이승만 정부로부터 땅을 받은 농민들은 이승만 정부에 대해 지지를 표하게 보수적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이승만 정부는 농지개혁 이전에 땅이 없는 농민들을 선동하던 좌익 세
력의 힘을 빼놓고지주들의 지지를 받던 한민당의 힘 또한 빼버린다
이런 상태에서 북한이 남한으로 처들어 오고 6.25 전쟁이 시작된다
휴전이 있고 이승만 정부는 반공을 택한다
북한에게 가족을 잃었던 농민들에게 반공정책은 더욱 이승만 정부를 더욱 지지하게 만든다
외부에 적이 생기면 내부는 단결한다
6.25 전쟁 이후 조선인들은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는 아이덴티티를 획득한

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보수적인 국가의 면모를 보이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중도파는 사라지기 시작했다
우리 편 아니면 나쁜 놈이라는 이분법 속에서 중간파가 설 자리는 없었다
이렇게 이승만 정부는 안정기를 맞이했지만 무리한 정권 연장과 비선 실세들이 등장 그리고 일본과 갈등을
조장하려는 이승만을 지지하지 않는 미국의 태도가 합쳐져서 419혁명
이후 이승만 정권은 무너
지게 된다
이승만 정부 시기에서 눈여겨 볼만한 것은 보수층의 멘탈리티의 기본이 완성되었다는
것이다
박정희 시대의 개막과 경제 발전

발전국가란 사유재산과 시장경제를 기본 원칙으로 하면서도 방어적 근대화라는 목표를 위해 시장에 대한 장기적이면서 전략적인 개입을 하는 국가이다 건국과 부국 생각의 나무 P.319)

이러한 반전국가적인 시장개입의 과정에서 관치 금융이 발생했고 정경유착이 싹텄으며 비효율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산업화 초기 단계에서는 이렇게 한정된 자원을 특정분야에 몰아주는 방식이 상당한 효과를 발휘한 것도 사실이다 이때 정북가 추구하는 것은 단기적인 효율성 보다는 중장기적인 효과성이였다 건국과 부국 생각의 나무 P.320)
저자는 이승만 정부에서 산업화를 이룰 재료는 준비가 되었지만 이를 주도적으로 이끌 카리스마를 가진 지도자가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박정희 대통령이 등장하고 국면은 바뀌게 된다
박정희대통령은 5.16 군사 쿠테타를 일으켜 정권을 획득한다
비합법적으로 권력을 획득한 조직의 문제는 바로 지지기반이 없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군정은 처음에 인기 영합주의를 시도한다
반공 태세를 강화하고 3.15 부정선거자를 처단하고 화폐 개혁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것은 미봉책에 불과했다
더 큰 그림이 필요했다
그리하여 박정희 군정은 정치와 경제에 손을 대기 시작한다
정치적으로는 자신을 지지할 당을 만드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선거의 규칙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박정희 정부는 정권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졍제 개발 우선 정책을 추진한다
그리하여
한일국교 정상화를 추지하고
배트남 파병을 하며 저자가 말하는 발전국가의 완전한
틀을 만들었다경제 발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 지며 박정희 대통령은 많은 국민에게 지지를 받게 된다
그렇지만 이들은 주기적으로 돌아오는 경쟁 특히 1967년 선거를 피할 수 없었다 그리고 이번경쟁에서 이겼다 해도 이들 세력의 핵심인 박정희는 게임의 규칙에 따라 더 이상 출전의 기회를얻지 못하게 되어 있다는 데 이들의 고민이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발전국가를 사회 내의 여러 계급뿐 아니라 의호 및 정당정치로부터 자율성을 지닌 국가로 만들고자 했다 이것은 정치가 실종되고 오로지 행정적 효율성에 의해 지배되는 국가가 탄생하는 것을 의미했다 건국과 부국 생각의 나무 PP. 378-379)

이러한 의회 및 정당정치 위축 공화당의 자율성 상실 당내민주주의 소멸 등과 같은 현상들은 유신체제가 출범하면서 그 절정에 달했다 중략 이 모든 과정의 절정이 유신이었지만 , 그것의 시발은 삼선개인이었다 건국과 부국 생각의 나무 P.391)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두 가지로 갈린다
바로 경제를일으킨 훌륭한 대통령인가 아니면 독재자인가라는의문이다
여기서 저자는 이 질문에 대한 근본 문제를 과연 정치발전과 경제발
전이 함께 갈 수 있느냐는 질문으로 지적해 주었다
장하준 교수의 <사다리 걷어차기>에서 선진국들이 발전할 때 민주주의가 먼저 발전하나 아니면 산업화가 먼저 이루어지나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다
그 책에 따르면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산업화가 먼저 이루어지고 그 후에 제도적
민주주의가 세워지기 시작했다고 주장한다
아마 저자도 이에 착안을 했던 것 같다
저자가 지적하는 것은 바로 산업화와 민주주의는 동시에 발전할 수 없다는 것이다
비록지금 우리에게 많은문제를 안겨 주었지만 박정희 대통령이 경제 발전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주장한다
여하튼 <건국과 부국>은 여기서 끝난다
-------------
<건국과 부국>은 두 가지 점에서 마음에 든다 비록 절판이 되었지만

첫번째로 저자가 자신이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앞에다 설명한 것이다
사실 역사를 배울때 교과서나 선생님들이 마음에 안 드는 점은 자신의 역사관을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비겁한짓이다

두번째로한국 보수의 이념적 멘탈리티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것이다
저자의깊은 의도인지는 모르겠지만 유신체제에서 책을 끝내는 것은 보수의 멘탈리티가 광복 이후 박정희 정권에 따라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마하는 것이 아닐까

이제 다음에는 유시민 작가의 <나의한국 현대사>를 읽어 봐야겠다
한국의 보수에 따라 진보가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봐야 한국 정치
를 이해하는 큰 틀을 형성할 것이니까 말이다

한국 현대정치사론(논형학술 63) - 인터넷교보문고



한국 현대정치사론(논형학술 63) - 인터넷교보문고





한국 현대정치사론
논형학술 63
김일영 , 김도종 (엮음) 지음 | 논형 | 2011년 12월 30일 출간
리뷰 0개 리뷰쓰기


크게보기
매장 재고 · 위치


정가 : 27,000원
판매가 : 24,300원 [10%↓ 2,700원 할인]
제휴할인가 : 18,220원 교보-롯데카드 최대 25% 청구할인 카드/포인트 안내
통합포인트 :
[기본적립] 270원 적립 [1% 적립] 안내[추가적립]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적립[회원혜택] 우수회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3% 추가적립
추가혜택 더보기


배송비 : 무료 배송비 안내
배송일정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장산로 기준 지역변경
-----------
쪽수 499쪽
크기 153 * 224 mm 판형알림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정치/사회 > 정치/외교 > 각국정치 > 한국근현대정치
『한국 현대정치사론』은 한국 현대정치사를 ‘한국 현대정치사의 쟁점’과 ‘한국 정치의 지형 변화와 이념적 좌표’로 나누어 한국정치체제에 대한 다각적 분석하였다. 또한 국제 정치적 요인과 국내 정치세력에 대한 고찰, 정치 연합세력, 보수세력 간의 정치적 갈등과 대결, 군사정권의 등장 및 민주화운동의 실상을 다루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 김일영
작가 자세히 보기 관심작가 등록
저자가 속한 분야
정치/사회작가 > 정치/외교학자
인문/교육작가 > 대학/대학원 교수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역임.
학문연구의 진정성과 교수의 길을 실천하시다 2009년 11월 22일 지병으로 별세.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연구 분야는 현대한국정치사, 한국외교사, 법정치학.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초빙교수, 일본 규슈대학 법학부 객원교수,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외교통일안보분과위원회 자문위원, 통일부, 법제처, 국방부, 국가보훈처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중앙상임위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 논저로는 『건국과 부국』, 『주한미군』(공저), 『해방전후사의 재인식』(편저), 『박정희 시대와 한국현대사』(공저), 『자주냐 동맹이냐』(공저), 『한미동맹 50년』(편저), 『북핵퍼즐』(역서), 『적대적 제휴』(역서) 등이 있다.

김일영님의 최근작
정당과 정당체계의 변화
품격있는 보수를 꿈꾸다
건국과 부국(개정신판)(양장본 HardCover)
주한미군 역사 쟁점 전망
주한미군 역사 쟁점 전망
전체선택 장바구니 담기

저자 : 김도종 (엮음)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사회과학대학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 국제정치학 석사.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 정치학 박사.
주요 논저로는 『세계의 학생운동』, 『정치심리학』 등이 있다.
------------------------
목차
편집자 서문

1부 한국 현대정치사의 쟁점
1장 농지개혁을 둘러싼 신화의 해체
1. 농지개혁,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의 변증법 / 2. 농지개혁법 제정을 둘러싼 신화의 해체: ‘이승만 퍼즐’의 풀이
3. 농지개혁의 시행과정을 둘러싼 신화의 해체 / 4. 농지개혁과 전쟁 그리고 계급구조의 변화
5. 농지개혁, 전쟁 그리고 경제발전: 발전국가의 사회적 토대 형성

2장 전시정치의 재조명
1. 전쟁과 정치 / 2. 원내 세력의 이합집산: 가변적 정립 구도 / 3. 게임의 규칙을 바꾸어라: 두 갈래의 개헌공작
4. 부산정치파동: 정부, 국회, 군부 그리고 미국의 상호작용 / 5. 보나파르트의 등장 / 6. 북진통일론과 두 갈래 개헌론의 관계

3장 이승만정부의 외교정책과 국내정치
1. 빠진 고리를 찾아서 / 2. 미국의 대한정책과 북진(통일)정책의 성립 / 3. 국가형성과 휴전 및 한미상호방위조약 체제의 성립 / 4. 반일정책, 경제부흥 그리고 정권유지의 삼중주 / 5. 불협화음과 이승만의 붕괴

4장 이승만정부의 산업정책과 렌트추구
1. 렌트추구와 부패 / 2. 왜 소비재 위주의 수입대체산업화 정책을 추진했는가? / 3. 수입대체산업화의 렌트 및 부패 생성의 네 가지 경로 / 4. 렌트추구 활동과 부패의 유형별 내용 / 5. 렌트추구 및 부패와 경제발전

5장 5·16 군사쿠데타, 군정 그리고 미국
1. 한국의 빅 브라더, 미국 / 2. 이중권력하에서 ‘이미’ 정치화된 한국군: 중립도 정치적 선택이다 / 3. 기이한 쿠데타 음모: 다수가 알고 있었으나 아무도 저지하지 않았다 / 4. 쿠데타가 ‘혁명’으로: 유약한 장면과 근시안적 윤보선 그리고 미국의 묵인 / 5. 빅 브라더의 분할지배전략: 박정희와 김종필을 분리시켜라 / 6.역사는 반복되는가?

6장 1960년대 한국 발전국가의 형성과정
1. ‘국가의 시대’의 개막과 ‘발전국가’의 등장 / 2. ‘혁명’의 제도화과정: 발전국가의 물리적 기초와 정당성 기반의 형성 / 3. 대외개방전략 / 4. 수출지향형 지배연합과 발전국가의 물적 기초의 형성 / 5. 발전국가의 완성을 향하여: 정치에 대한 행정의 추월 / 6. 발전국가의 위기

7장 박정희체제 18년
1. 최근의 사관논쟁: 망령을 불러내는 망령 / 2. 가치판단의 준거점: 희생이 수반된 선택의 문제 / 3.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은 양립가능한가? / 4. 박정희 체제에서 진행된 발전의 동인과 과정 / 5. 발전지향적 권위주의체제의 변증법적 자기부정

8장 권위주의체제의 한국적 특성과 변화
1. 문제제기 / 2. 한국 권위주의체제의 기원: 국가로부터 정치와 관료의 분화로 / 3. 한국 권위주의체제의 성격
4. 민주화와 한국 권위주의체제의 변화 / 5. 맺음말

2부 한국의 정치지형 변화와 이념적 좌표

9장 노태우정부에서의 정치사회적 갈등양상과 해결경험
1. 민주화와 정치사회적 갈등양상의 변화 / 2. 과도기로서의 노태우정부 / 3. 6·29 선언과 요구의 분출 그리고 ‘87년 체제’의 탄생 / 4. 여소야대 구도하에서의 정치사회적 갈등해결 방식 / 5. 여대야소 구도하에서의 갈등해결 방식의 변화 / 6. ‘87년 체제’와 노태우정부, 어떻게 볼 것인가?

10장 참여민주주의인가 신자유주의적 포퓰리즘인가
1. 신자유주의와 포퓰리즘의 이율배반적 결합 / 2. 신자유주의적 포퓰리즘의 등장과 변화 메커니즘 / 3. 김대중정권 : 신자유주의적 관치경제하의 포퓰리즘 / 4. 노무현정권:경제정책 부재 속에서의 디지털 포퓰리즘의 가능성 / 5. 대표성과 책임성있는 포퓰리즘은 불가피한가?

11장 한국정치의 새로운 이념적 좌표를 찾아서
1. 정체성 혼란에 빠진 한국 / 2. 한국에서 보수와 진보의 의미 변화 / 3. 한국의 보수와 진보가 직면한 딜레마 / 4. ‘뉴라이트’와 ‘뉴레프트’의 만남의 광장: 자유주의 / 5. ‘뉴라이트’의 지향점: 작지만 강한 국가, 책임 있는 강한 사회

12장 현대 한국에서 자유주의의 전개과정
1. 왜 자유주의가 문제인가? / 2. 자유주의, 헌정주의 그리고 민주주의 / 3. 권위주의 시대 헌법규범 속에서 구현된 한국 자유주의 / 4. 권위주의 시대의 헌법현실과 한국 자유주의의 빈곤 / 5. 민주화 이후의 한국 자유주의 / 6. ‘미완의 프로젝트’로서의 한국 자유주의

13장 한반도의 ‘긴 평화’와 한미동맹
1. 정전체제: ‘불안정한 안정’이자 ‘긴 평화’ / 2. 냉전기 미국의 동아시아 봉쇄정책: 적극적 및 소극적 개입주의 / 3. 한미동맹의 원형적 구조(‘삼위일체+1’)의 형성 / 4. 냉전기 및 탈냉전 초기 ‘삼위일체+1’ 구조의 변화 / 5. ‘삼위일체+1’ 구조의 근본적 재조정 움직임 / 6. 도미노 효과의 지속인가 혹은 새로운 균형의 모색인가?

-------------

김일영 교수 연구업적 목록 / 색인
책 속으로
한국이 경제발전에 성공한 요인으로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것이 효과적인 국가개입과 그것을 가능하게 만든 발전국가이다. 발전국가의 속성으로는 높은 국가의 자율성과 능력이 흔히 거론된다. 자율성이란 국가가 사회의 지배계급의 의사에 반해 정책을 입안·추진할 수 있는 정도이며, 능력은 관료조직의 효율성과 정책의 적실성 등을 일컫는다. 한국에서 이러한 발전국가가 형성·발전된 것은 1960년대 이후이지만, 그 사회적 토대는 1950년대에 만들어졌다. 특히 농지개혁과 전쟁은 자율성이 큰 국가를 낳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요컨대 농지개혁이 전쟁과 어우러지면서 지주가 몰락하고, 자본가가 국가의존적이 되었으며, 기층 사회계급이 숨죽이고 있는 상황이 조성되었다. 이러한 사회 세력의 전반적 약화는 한국의 국가를 사회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자율성을 지닌 존재로 만들었다. 이로써 의회에 대한 행정부의 우위에 덧붙여 사회에 대한 국가의 우위도 나타나게 되었다. 1960년대의 발전국가는 바로 이러한 조건에서 등장한 것이다.
(1장 농지개혁을 둘러싼 신화의 해체 중에서)

전시정치는 내각제와 대통령직선제라는 두 갈래의 개헌 움직임이 서로 대결하는 형국이었다. 이 갈등은 단순히 권력을 장악하기 위한 정쟁(政爭)의 차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미국의 영향권 내에 들어간 한국의 의회와 상대적으로 독자적인 한국정부 사이의 힘 겨루기로 그리고 6·25 전쟁을 휴전으로 봉합하여 분단선을 설정하려는 미국과 북진통일을 주장하는 이승만의 싸움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갈등의 정점이 부산정치파동이었다.
북진통일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우리는 이승만의 개헌공작이 지닌 또 다른 측면을 평가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한다. 북진통일론을 단순히 호전적 반공주의자의 공갈로만 본다면, 직선제 개헌론 역시 독재자의 권력연장술책에 불과한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북진통일론을 일본을 중심으로 놓으려는 미국의 동아시아정책과 재분단을 겨냥한 미국의 한반도정책에 대한 약소국의 견제수단이자 협상수단으로 생각한다면, 직선제 개헌론은 집권연장책 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 이 점에서 이승만은 정치를 전쟁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고 있었던 유일한 정치가였다고 할 수 있다.
(2장 전시정치의 재조명 중에서)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대외정책은 군사우선에서 경제중시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미국은 아시아를 포함한 제3세계 국가들의 경제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 정책의 핵심인 ‘건전한 경제’의 확립으로 여타 동맹국들은 통상전력의 강화라는 명목하에 더 많은 군비를 부담해야 했고 한국을 위시한 주변부국가들로까지 확대되었다.
이러한 미국의 정책변화에 대응하여 한국 내부에서도 리더십과 제도 그리고 정책이 변화할 조짐을 보였다. 1950년대 후반 자유당 내부에 형성된 이기붕을 중심으로 한 관료정치가집단(온건파)과 해방 후 미국의 지원 아래 여러 프로그램을 통해 훈련된 기술관료들이 이러한 미국의 정책변화에 대응하는 주체였다. 그들은 부흥부와 몇몇 위원회를 중심으로 재정안정계획과 장기경제개발계획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변화의 조짐은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그 이유는 이승만 정권 말기로 갈수록 개발보다는 정권에 집착하는 강경파가 득세하게 되었고, 미국은 원조를 대폭 삭감했으며, 미국을 대신하여 재원을 공급할 일본과의 관계개선은 여전히 부진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동아시아 정책변화 속에서 한일 간의 조속한 관계개선을 원했던 미국은 이승만의 반일정책을 점차 용인하기 어려웠다. 북진정책 이후 한국외교를 이끌어온 반일정책이 드디어 이승만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 이 와중에 국내정치에서의 부정선거와 그에 대한 국민의 분노는 미국에게 이승만이란 부담을 덜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3장 이승만정부의 외교정책과 국내정치 중에서) 닫기
출판사 서평
한국의 현대정치를 되짚어본다

이 책은 한국 현대정치사를 ‘한국 현대정치사의 쟁점’과 ‘한국 정치의 지형 변화와 이념적 좌표’로 나누어 한국정치체제에 대한 다각적 분석, 국제 정치적 요인과 국내 정치세력에 대한 고찰, 정치 연합세력, 보수세력 간의 정치적 갈등과 대결, 군사정권의 등장 및 민주화운동의 실상을 다루고 있다.
대한민국이 농업국가에서 산업국가로 급속한 전환을 이루며 근대정상국가의 모습을 갖추는 데는 정부수립 후 토지를 매개로 한 봉건관계의 해소가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농지개혁은 우리나라가 근대정상국가로 향하는 첫 걸음이었다. 6·25 전쟁은 우리 민족의 비극적인 사건이었지만 그 와중에서도 국가형성을 위한 노력은 꾸준히 진행되었다. 전쟁의 기간 중에 겪은 부산정치파동은 그 파행성의 부정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정당정치의 원형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미국으로부터 막대한 군사·경제원조를 받으면서도 전쟁기간 중 또 전후 복구시기에 미국이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대아시아 정책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였다. 이것은 정부수립과 대한민국의 국가형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근대화와 관련하여 박정희체제를 다루고 있다. 박정희정권의 절정이라 할 수 있는 유신체제는 독재정치의 상징이자 자유와 인권문제의 억압적 체제로서 각인되어왔지만 박정희 시대에 이룩된 경제성장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권위주의적 발전국가라고 명명될 수 있는 산업화 추진과정 속에서 대한민국에서 나타난 발전국가와 권위주의의 특성을 정치경제적 차원에서 분석한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부터 민주주의의 공고화가 시작되어 안팎의 우려와는 달리 거의 완벽한 수준의 절차적 민주주의를 성취하였다. 그런데 민주주의 공고화가 진행되면서 오히려 정치퇴행적인 모습이 더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념적 갈등이 격화되어왔다. 과연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새로운 이념적 좌표는 없는가?
이 책은 큰 흐름 속에서 건국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주요 쟁점에 대해 맥을 잡으려 노력하고 있으며 그 맥은 과연 대한민국의 정체성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긴 여정이라 하겠다.

<책속으로 추가>
미국은 5·16 쿠데타 이후 박정희를 인정한 뒤에도 군정을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몰고 가려고 박정희와 김종필을 분리시키는 전략을 구사했는데, 부산정치파동 이후에도 유사한 일이 벌어졌다. 미국은 이승만의 집권연장을 인정하면서도 그를 자신들의 영향력 아래 두기 위해 그와 이범석을 분리시키는 분할지배전략을 구사했던 것이다. 미국에 의해 쿠데타는 해프닝으로 끝날 수도 있고 구국의 ‘혁명’으로 둔갑할 수도 있었다. 이 점에서 쿠데타를 성공시킨 ‘궁극적’ 요인은 분명 미국의 묵인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왜 미국이 반란을 묵인할 수밖에 없었는가에 대해서도 생각할 필요가 있다. 미국이 한국정치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명분과 매개체가 필요한데, 당시 미국은 이것을 찾아내기 어려웠다. 만약 장면이 은신하지 않고 쿠데타 세력에 맞서는 모습을 보여주었더라면 그리고 윤보선이 정략에 얽매이지 않고 민간정부를 지키려는 노력을 했더라면, 아마도 미국은 관망이나 불개입과는 다른 행동을 취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장면은 잠적한 채 미국의 대응만을 촉구하고 있고, 윤보선은 눈앞의 이익에 사로잡혀 쿠데타를 정략적으로 이용하려고 하는 상황에서 미국으로서는 개입의 적절한 명분과 동기를 찾기가 어려웠다.
(5장 5·16 군사쿠데타, 군정 그리고 미국 중에서)

민주화 이후 20여 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87년 체제’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대개 진보진영은 불만족스럽게 보는 반면 보수진영은 그 의의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87년 체제’의 성립과 함께 탄생한 노태우정부에서는 국회와 사법부의 권한과 자율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강화되었다. 국회의 국정감사권이 부활되었고, 대통령의 국회해산권이 없어졌으며, 국회는 국무총리와 대법원장 및 헌법재판소장에 대한 임명동의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지방자치제도 30년 만에 부활했다. 언론의 자유를 옥죄던 악법인 언론기본법이 폐지되었고, 언론은 적어도 정치권력으로부터는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는 자율성을 맛보게 되었다. 그리고 노동운동이 활성화되는 등 정치사회적 자유도 크게 신장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적 정당성을 구비했음에도 불구하고 노태우정부는 여러 가지 면에서 정당성 부족과 능력 부족에 시달렸다. 그래서 노태우정부는 국민들에게 ‘변형된 군부정권’ 정도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노태우정부는 민주화 이후 터져 나오는 국민들의 폭발적 요구를 효율적으로 수용·관리하지 못함으로써 무능력하다는 비판에 시달렸다. 그 결과 5공 청산, 사회경제적 민주화, 산업구조조정 등 많은 중요한 과제들이 노태우정부에서는 해결되지 못하고 다음 정부로 넘겨지고 말았다.
(9장 노태우정부에서의 정치사회적 갈등양상과 해결경험 중에서) 닫기

김일영. 건국과 부국 - 이승만.박정희 시대의 재조명, 개정판



알라딘: 건국과 부국 - 이승만.박정희 시대의 재조명, 개정판

건국과 부국 - 이승만.박정희 시대의 재조명, 개정판

김일영(저자) | 기파랑(기파랑에크리) | 2010-05-17




정가 19,000원
판매가 17,100원 (10%, 1,900원 할인) | 무이자 할부

492쪽 | 152*223mm (A5신) | 689g | ISBN : 9788991965058

- 이 도서는 품절 입니다. (확인일 : 2014-09-11)
- 이 도서를 판매중인 서점을 찾아보았습니다. : 1곳 판매

10.0

Sales Point : 137




고인이 지난 2004년 출간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다시 내놓는 것으로, 현대한국사 중 ‘해방 후부터 박정희 유신 시기까지’를 다룬 책이다. 정치학자였던 저자는 사학자 이상의 노력으로 1차 자료를 수집하고 꼼꼼히 검토하여, 1970년 후반까지의 대한민국 정치사를 비교사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그러한 분석에 바탕을 둔 그의 해석이 갖는 객관성은 이념적 성향을 떠나 좌우 모든 학자들을 수긍케 하였다.

책은 현대한국사에 내포되어 있는 일반성과 특수성으로 인해 많은 학술연구가 보여주었던 오류들을 교정하는 나침반 역할을 한다. 그동안 우리 사회의 학자들은 좌나 우나 해방 후 현대한국의 특수한 경험과 일반적 현상을 선택적이고도 자의적으로 짜깁기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합리화시키는데 교묘히 활용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이 책은 그 같은 한계를 넘어서 세계사적 일반성은 씨줄로, 민족사적 특수성은 날줄로 삼은 정교한 분석틀을 마련하여 현대사를 객관적으로 해석해 준다.






목차
'한국현대사강좌'를 펴내며

머리말 │한국현대사, 어떻게 볼 것인가
프롤로그 │정치 개념으로 구분해 본 현대한국정치사

제1장, 대한민국의 탄생
정치의 탄생
해방과 체제선택의 정치
정부 수립과 국가형성의 정치
대한민국 수립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제2장, 분단에서 전쟁으로
'체제 선택 정치'와 '이해갈등 조정의 정치'
'체제 선택 정치'의 잔존
이해갈등조정의 정치
폭풍전야

제3장, 한국전쟁과 그 영향
북한의 남침과 남한점령통치
미국의 개입과 북진 그리고 북한점령통치
휴전을 둘러싼 한미 간의 갈등
전쟁의 영향(1) : 한미동맹의 성립과 '삼위일체+1' 구조
전쟁의 영향(2) : 계급구조 변화와 국민의 정체성 확립

제4장, 이승만 정권의 안정과 동요 그리고 붕괴
부산정치파동
이상만 정권의 안정화
안정기의 정치
동요하는 이승만 정권
미국의 정책변화와 이승만 정권의 붕괴

제5장, 1950년대 : 맹아萌芽의 시기
불임인가 맹아인가
이승만 정부의 경제정책 : 소비재 중심의 수입대체산업화
경제개발계획의 입안 노력과 좌절

제6장, 4 · 19 혁명, 장면 정권, 그리고 민주주의의 유산流産
4 · 19혁명과 이승만 하야
장면 정권의 성립과 불안정성
발저의 실패, 무능력인가 시간부족인가
사회적 안정유지의 실패
군부통제의 실패
미국의 우려증대
시간과의 경쟁에서의 패배

제7장, 부국富國 : 박정희 정권과 발전국가의 등장
국가의 시대 개막
쿠데타가 '혁명'으로
'혁명'의 제도화 과정
정치권의 재편 : 대선과 총선
국회의원 선거 : '이상6, 현실4'
발전국가의 물질 기초의 형성
발전국가의 형성과 위기

제8장, 유신체제와 그 이후
유신체제
전환기의 한국 발전국가
한국 발전국가의 미래 : 민주적 발전국가와 강하나 사회의 조합

에필로그│박정희 정권, 어떻게 볼 것인가

연표
찾아보기


김광동
: 건물 짓기와 목수들의 스토리
황성준
: ‘역사투쟁’의 신발끈을 동여매면서…





저자 : 김일영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주한미군 : 역사, 쟁점, 전망>,<건국과 부국>,<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2> … 총 12종 (모두보기)
소개 : 하버드대학 옌칭연구소 초빙교수, 일본 규슈대학 법학부 객원교수, 성균관대학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연구 분야는 현대한국정치사, 한국외교사, 법정치학이었다. 성균관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지내다가 2009년에 지병으로 별세했다.

주요 저서로는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건국과 부국> <주한미군> <박정희 시대와 한국현대사> <자주냐 동맹이냐> <한미동맹 50년>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북핵 퍼즐> <적대적 제휴> <헌법 논쟁> 등이 있다.




* 김일영은 누구인가?

2009년 11월 만 49세의 한창 나이에 세상을 떠난 김일영(金一榮) 교수는 이 시대 최고의 현대 한국정치사 전문가 중 한 명이다. 그는 균형 잡힌 시각에서 사실과 이론을 조화롭게 접목시켜 대한민국 정치사를 분석하고 또 재해석하는 일관성 있는 학술작업을 통해 학계의 발전에 공헌한 학자였다. 고인의 지단 한 노력으로 생산된 업적들은 지난 80년대 이후 우리 사회를 그릇되게 억눌러왔던 수정주의적 사관의 파고를 잠재우는데 크게 기여했다.
1960년 1월 강원도 동해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5학년의 어린 나이에 서울에 유학 와 성균관대학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1991년). 1992년 9월부터 성균관대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했으며, 미국 하버드대 옌칭연구소 방문학자, 일본 규슈(九州)대학 법학부 방문학자를 역임했다. 한국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사학회의 임원으로 활발한 학회 활동을 했고, 여러 정부와 사회기관의 자문, ‘바른 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교과서포럼’ 계간 “시대정신”등의 사회참여, 그리고 여러 언론매체에서의 기고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 이 책의 내용은?

이 책은 고인이 지난 2004년 출간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다시 내놓는 것으로, 현대한국사 중 ‘해방 후부터 박정희 유신 시기까지’를 다루고 있다. 정치학자였던 저자는 사학자 이상의 노력으로 1차 자료를 수집하고 꼼꼼히 검토하여, 1970년 후반까지의 대한민국 정치사를 비교사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다. 그러한 분석에 바탕을 둔 그의 해석이 갖는 객관성은 이념적 성향을 떠나 좌우 모든 학자들을 수긍케 한다.
이 책은 현대한국사에 내포되어 있는 일반성과 특수성으로 인해 많은 학술연구가 보여주었던 오류들을 교정하는 나침반 역할을 한다. 그동안 우리 사회의 학자들은 좌나 우나 해방 후 현대한국의 특수한 경험과 일반적 현상을 선택적이고도 자의적으로 짜깁기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합리화시키는데 교묘히 활용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이 책은 그 같은 한계를 넘어서 세계사적 일반성은 씨줄로, 민족사적 특수성은 날줄로 삼은 정교한 분석틀을 마련하여 현대사를 객관적으로 해석했다.


* 김일영 유고집 간행위원회

고 김일영 교수의 학자적 역량과 인품을 존경했던 동료, 선후배 학자들이 그의 업적과 뜻을 기리고자 만든 모임이다. 간행위원회는 『건국과 부국』의 부분 수정본을 복간하는데 이어, 앞으로 그의 주옥같은 논문들을 모은 논문집 2권과 칼럼집, 『헌법논쟁』『정당과 정당체계』와 같은 번역서들, 그리고 추모 논문집 등을 순차적으로 출간할 계획이다. 위원장은 김도종 명지대 사회과학대학장이 맡고 있다.

============

‘품격 있는 보수’를 꿈꾸던 김일영 교수 유고집 두 권
[중앙일보] 입력 2010.05.25 01:24 수정 2010.05.25 01:25 | 종합 29면 지면보기





지난해 11월 49세로 타계한 김일영(사진) 전 성균관대 교수의 책 두 권이 새롭게 출간됐다.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건국과 부국』(기파랑·부분 수정본)과 신문·잡지 등에 기고한 칼럼 모음집 『품격 있는 보수를 꿈꾸다』(이담북스)다. 한국 현대정치사 연구에 남긴 고인의 업적을 기억하기 위해 올 초 구성된 ‘김일영 유고집 간행위원회’(위원장 김도종)의 첫 성과다. 앞으로 고인의 논문집 2권을 비롯해 『헌법논쟁』 『정당과 정당체계』 같은 번역서, 추모 논문집 등도 계속 나올 예정이다.


『건국과 부국』의 초판은 2004년 나왔다. 한국 현대정치사를 바라보는 그의 신보수주의적 관점이 집약돼 있다. 이승만·박정희 대통령으로 대변되는 우리의 현대정치사를 건국과 부국이란 두개의 키워드로 재해석해 냈다. 생전에 그는 이 책을 대폭 개정·보완해 펴내는 작업에 착수했다. 하지만 그의 타계로 ‘부분 수정본’으로만 나오게 됐다.

고인은 뉴라이트(신보수)의 핵심 이론가다. 하지만 정작 본인은 뉴라이트라는 편가르기식 용어를 쓰기 싫어했다. 칼럼집 제목처럼 ‘품격 있는 보수’를 꿈꾸었다. 대한민국 현대사를 폄하해온 좌편향적 역사인식을 비판했지만, 동시에 우편향에 대해서도 관대하지만은 않았다. 대한민국의 보수가 보다 전문적인 이론과 품격을 갖추길 기대했던 그의 모습을 두 권의 책을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념 대립이 극심한 우리 사회에 대한 합리적 성찰을 읽을 수 있다.

배영대 기자

[출처: 중앙일보] ‘품격 있는 보수’를 꿈꾸던 김일영 교수 유고집 두 권
===================

"우리는 모두 이승만과 박정희의 후예다" 
모든사이 ㅣ 2009-12-31 ㅣ 공감(1) ㅣ 댓글 (4)
한국 현대사를 둘러싼 ‘수정주의 논쟁’은 오랫동안 역사학계의 화두였다. 수정주의는 미국 학자 브루스 커밍스에 의해 처음 제기됐다. 한국전쟁을 둘러싼 기존의 정통적·우파적 시각에 도전하며 한 시대를 풍미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수정주의는 후퇴하고 있다. 오랫동안 침묵해 있던 우파적 시각이 다시 득세하고 있다. 소장 정치학자 김일영 성균관대 교수가 최근 펴낸 ‘건국과 부국 : 현대 한국 정치사 강의’도 그 중 하나다. 이 책은 생각의 나무 출판사에서 보수적 학자들이 한꺼번에 쏟아낸 다섯권의 ‘한국 현대사 강좌’ 시리즈 중 가장 논쟁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김교수는 자신의 시각을 ‘포스트수정주의’라고 말한다. 그것은 “미시적·일국적·도덕적 시각에 사로잡히지 않고 좀더 거시적이고 비교사적 시각에서 한국 현대사를 바라보는 것”이다. 그는 ‘커밍스와 그의 아이들’이 가진 시각은 한국 현대사를 ‘오욕의 역사’로 폄훼하고 있다고 본다. 이들의 현대사 해석은 ‘아버지 죽이기’에 다름 아니라는 얘기다. 저자는 수정주의에 의해 버림받은 이승만 전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을 ‘건국과 부국’의 아버지로 되살려 놓으려 한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시기는 1945년 해방에서부터 1972년 유신체제의 성립까지다. 남한의 단독 정부 수립과 한국전쟁, 그리고 이 전 대통령과 박 전 대통령의 통치 시기인 셈이다. 그는 이승만 전 대통령에 의한 단정 수립은 “통일 정부 수립의 실패”가 아니라 냉전체제에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해석한다. 현재 “남한 사회가 누리는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이 전 대통령의 단정 노선에서 출발한 것”이라는 얘기다. 이승만과 김일성의 서로 다른 체제 선택은 결과적으로 남한의 승리로 끝났다는 것이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도 마찬가지다.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는 장면 정부의 경제 발전 계획안을 전면 수정해 ‘한강의 기적’을 이뤄냈다.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이라는 두가지 선택지 중 박 전 대통령이 택한 것은 후자였다. 세계적으로 이 두가지 목표를 성공적으로 병행시킨 나라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게 저자의 진단. “이러한 가치 선택에 입각할 경우 박정희 정권 하의 경제 발전은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부분이 적지 않으며, 그 과정에서 수반된 많은 희생은 가치 선택의 결단에 부수되는 불가피한 손실”이 된다.

김교수는 ‘남한은 민족 분열세력이 세운 나라’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해석은 ‘체제 부정적 사고’라고 비판한다. 이 책이 참여정부 등장 이래 계속되고 있는 과거사 논란과 무관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저자는 최근 상황을 “기억을 둘러싼 계급투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파악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진보적 시각에서 과거사를 청산하려는 움직임에 맞서는 보수주의의 도전이라 할 만하다. 그의 보수주의는 과거의 냉전적 보수주의를 훌쩍 뛰어넘고 있다. 자료에 대한 꼼꼼한 해석도 눈여겨볼 만하다. 진보주의자들에겐 오랜만에 만나는 호적수다.
========




파고세운닥나무 2010-01-12 17: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마 전 저자가 작고 했죠.

추천하신 말씀대로 눈여겨 보며 읽어볼만 하겠네요.






모든사이 2010-01-13 08: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이 책에 대한 서평을 쓴게 벌써 6년전인데, 김일영 교수가 작년에 돌아가셨죠. 빈소에 가보니 대통령부터 국회의원까지 한국의 대표적인 '우파'들의 화환이 즐비하더군요. 적어도 김교수는 싸구려 아스팔트 우파와는 확실히 다른 인물이죠. 

진보라고 분류되는 김호기교수가 작년에 중앙일보에 쓴 추도사(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944485&cloc=rss|news|column)는, 성향이 다른 교수가 쓴 예의를 갖춘 글이라 생각됩니다. 쓸만한 우파는 가고, 남은 넘들은 싸구려에 껍데기 뿐이 아닌가 합니다.
=======

[중앙시평] 서동만과 김일영을 기억하며
[중앙일보] 입력 2009.12.29 19:57
지금 내 컴퓨터 옆에는 두 권의 책이 놓여 있다. 하나는 고(故) 서동만 교수가 동료들과 함께 쓴 『한반도 평화 보고서』이며, 다른 하나는 고(故) 김일영 교수가 쓴 『건국과 부국』이다.

돌아보면 올해 우리 사회에서는 죽음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가져왔다.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이 그러했고, 김대중·노무현 두 대통령의 서거가 그러했다. 세 사람의 죽음은 새삼 화해와 통합, 그리고 가치의 중요성을 일깨워 줬다. 기억하고 싶은 또 다른 슬픔은 지난 6월 서동만 교수와 11월 김일영 교수의 죽음이다.
------
개인적으로 두 교수와 아주 가까운 사이는 아니었다. 서동만 교수와는 몇 년 전부터 ‘진보와 개혁을 위한 의제 27’이라는 포럼에서 함께 활동했다. 서 교수는 대북 포용정책의 대표적 전문가였다. 국가정보원 기조실장을 지내기도 한 그는 직함에 어울리지 않게 학구적이고 내성적인 사람이었다. 2004년 학계로 돌아온 서 교수는 미국과 일본의 대북정책을 날카롭게 분석하는 한편 노무현 정부가 초심을 잃어가고 있다는 우려를 공개적으로 표명하기도 했다. 경향신문 이대근 논설위원이 안타까워했듯 그의 죽음은 학문적으로나 정책적으로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김일영 교수와의 인연은 좀 더 올라간다. 1980년대 중반 당시 대학원에 다니던 우리는 산업사회연구회에서 국가론 세미나를 함께했다. 교수가 된 후 언제부턴가는 뉴라이트와 뉴레프트를 대변해 김 교수와 공개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 조선일보 이선민 문화부장이 토로했듯 그는 한국 현대사를 가장 폭넓고 깊이 있게 이해한 뛰어난 정치학자였다. 김 교수의 부음을 들었을 때 먼저 떠올랐던 것은 지난 10월 말 그와 나눈 마지막 통화였다. 부디 기운을 내라고 말했지만, 다소 숨찬 그의 목소리가 여전히 마음 한편에 서늘하게 남아 있다.

예기찮고 더없이 안타까웠던 두 교수의 죽음으로부터 생각한 것은 두 가지다. 첫째, 지식인은 무엇으로 사는가의 문제다. 결과의 대소고하(大小高下)를 물을 게 아니라 질(質)의 참됨만이 지식인의 갈 길이라는 것이 양명학의 가르침이다.
일의 성패가 아니라 동기의 순수성 여부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옳고 그름의 신념윤리가 결과를 고려해야 하는 책임윤리에 선행해야 한다는 게 ‘직업으로서의 학문’이 갖는 일차적 사명이라고 막스 베버 역시 강조한 바 있다.

내가 보기에 서 교수와 김 교수는 모두 신념윤리와 책임윤리의 경계에 서서 그 긴장을 견뎌 온 지식인들이다. 남북한 평화정착, 부국으로서의 성장, 그리고 민주주의의 성숙은 이념을 떠나 여전히 우리 사회의 최대 과제다.
평화든 부국이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문 연구와 정책 개발은 동시적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두 사람은 신념윤리의 관점에서 평화와 부국을 탐구하고, 책임윤리의 관점에서 그 비전과 대안을 모색해 온 지식인들이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둘째, 우리 사회의 미래다. 2010년은 우리 역사에서 뜻 깊은 해다. 경술국치 100주년, 한국전쟁 60주년, 4월 혁명 50주년, 광주 민주화운동 30주년이 되기 때문이다. 두 교수와 연관해 나는 70년과 2000년을 주목하고 싶다. 70년은 박정희 체제가 추구했던 부국의 명암이 가장 극명하게 나타났던 해다. 경부고속도로가 완공된 해인 동시에 전태일이 분신한 해이기도 하다. 그리고 2000년은 역사적인 제1차 남북 정상회담이 열렸던 해다. 10년의 우여곡절 끝에 최근 남북관계는 교착 상태에 놓여 있다.


정치적으로 서 교수와 김 교수가 결코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학자들은 아니었다. 하지만 평화와 부국은 상충적 가치가 아니라 상보적 목표다. 나라를 사랑하고 그 미래를 모색하는 데 이념적 차이가 그렇게 큰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정치적 이념은 둘일지언정 나라의 미래를 염려하는 마음은 하나였을 것이다. 평화와 부국을 위한 민주주의, 민주주의를 위한 평화와 부국이 두 교수가 동료와 후배들에게 남겨 놓은 숙제일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다시 서동만 교수와 김일영 교수의 책 여기저기를 들춰본다. 지금 이 글을 쓰는 나처럼, 두 사람 역시 새벽에 일어나 모니터 앞에서 키보드를 두드리다 우리 사회에 대한 이런저런 걱정에 잠시 허공을 바라보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두 사람이 꿈꿨던 남북한 평화정착과 새로운 부국에의 길, 성큼 다가선 2010년에는 부디 성취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두 교수의 명복을 다시 한 번 기원한다.

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

[출처: 중앙일보] [중앙시평] 서동만과 김일영을 기억하며
===============


김일영 교수 유고집 나와

김기철 기자

입력 : 2010.03.10 03:26
日학자 하세베·스기타 대담 번역한 '헌법논쟁'
'건국과 부국' 개정판·논문·칼럼집도 속속 출간

지난해 11월 지병으로 세상을 뜬 정치학자 김일영(1960~2009) 전 성균관대 교수의 유고집이 나왔다. 일본 헌법학자 하세베 야스오(長谷部恭男) 도쿄대 교수와 정치학자 스기타 아쓰시(杉田敦) 호세이대 교수가 입헌주의(立憲主義)를 주제로 가진 대담을 번역한 《헌법논쟁》(논형출판사)이다.

하세베 교수는 이 책에서 국회가 만든 법률을 위헌으로 무효화할 수 있는 기관(예를 들어 헌법재판소)이 국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지 않는다는 비판에 대해, 헌법은 원래 민주적 정치과정에 대해 밖에서 제약을 가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그냥 참으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헌법(憲法)의 존재 이유가 민주주의와의 정합성이 아니라 민주적이지 않다는 데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최근 몇 년 새 대통령 탄핵과 행정수도 법안 위헌판결, 사형제 합헌 판결 등 한국 사회의 심판관으로 급부상한 헌법재판소의 위상을 이해하는 데도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보인다.

김일영 교수 유고집 출간은 지난 1월 김 교수의 학계 동료들이 유고집 간행위원회(위원장 김도종 명지대교수)를 만들면서 구체화됐다. 박지향·정종섭(서울대), 이철우·김세중·김성호(연세대), 마인섭·안종범·이희옥(성균관대), 이종훈·강규형(명지대), 김호섭(중앙대), 김영호·김용직(성신여대) 교수와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 등이 참여했다. 김일영 교수가 생전에 개정 작업을 준비했던 저서 《건국과 부국》과 논문집 2권, 신문·잡지 기고를 모은 칼럼집 1권이 상반기 중에 나올 예정이다. 또 미국 하버드대 역사학자 니알 퍼거슨의 《Colossus》 번역서가 연내에 나온다.




FIFA온라인4 사전등록 400만명 돌파!

현대한국정치를 전공한 김일영 교수는 《건국과 부국》 《주한미군》 등 주목할 만한 저서를 남겼고, 《한국현대사의 허구와 진실》《대안교과서 한국근·현대사》 등의 저술에 참여했다. 또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편집위원을 맡는 등 한국현대사 인식의 좌(左)편향을 바로잡기 위해 힘써왔다. 특히 말년에는 암 투병 가운데서도 타계 직전까지 대학원 수업을 진행해 교육자로서도 모범이 됐다.

간행위 총무 강규형 교수는 "김일영 교수가 남긴 지적 유산을 한국 사회가 공유하기 위해 유고집 간행에 나서게 됐다"면서 "머지않아 동학(同學)과 제자들이 한국정치 관련 논문을 모아 김일영 교수 추모집을 펴낼 계획"이라고 했다.
日文으로 이 기사 읽기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3/09/2010030901863.html

===========



건국과 부국 / 김일영

마음

2013. 5. 23.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_code&logNo=130168717131&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au%2F




건국과 부국작가김일영출판기파랑발매2010.05.10

돌이켜보면 한국현대사에 대해 제대로 탐독한 적이 없는 것 같아 골랐던 책. 좋은 책이다. 흑백논리에서 벗어나 현대사를 굉장히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YES24인가 에서 현대사에 관해 좌,우 입장에서 서술한 책들을 나열하고 이 책을 중립에 두고 소개한 일을 본일이 있는데, 내 의견도 같다. 그래서 내 입장에서 보면 이승만에 대해서 좀 부정적으로 묘사되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ㅋ

책의 특징은 세가지다.

첫째, 한국정치를 ‘체제선택과 국가형성의 정치’와 ‘이해갈등조정의 정치’ 두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해방 이후부터 정부수립까지는 ‘체제선택의 정치’, 수립 후 ‘체제선택의 정치’와 이해갈등조정의 정치’의 혼재되다가 한국전쟁은 체제선택의 전쟁, 휴전 이후에는 체제경쟁과 이해갈등조정의 혼합의 모습을 띤다고 보고 있다.

둘째, 미국의 외교정책을 통해 한반도의 상황을 입체적으로 보고 있다. 미국은 우리의 광복 직후까지 국제주의 정책을 기반으로 소련과 대화협력을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4개국 신탁통치를 추진했다. 그러나 47년을 기점으로 봉쇄정책으로 정책방향이 바뀌면서 소련의 확장을 저지하고 한반도 분단을 유지 관리하고자 하였다. 6.25전쟁 당시 38선을 넘는 선택은 봉쇄정책의 틀을 깬 것이라 볼 수 있으나 이는 오래 가지 못했다. 저자는 이외에도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을 탐구하며 이승만이 이런 미국의 정책을 상대로 대한민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였는가는 잘 서술하고 있다. 중국이나 일본에 중점을 두고 동아시아 정책을 추진했던 미국과 대한민국의 이익이 같을 리가 없었고 6.25 전쟁과 그 이후에도 이승만은 사사건건 미국의 정책을 순순히 따르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이승만은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높일 수 있었다.

셋째, 저자는 발전국가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사유재산과 시장경제를 기본원칙으로 하면서도 방어적 근대화라는 목표를 위해 시장에 대한 장기적이면서도 전략적인 개입을 하는 국가’ 후발 산업화 국가들은 추격발전과 자국방어라는 두 가지 과제에 직면한다. 발전국가는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자원배분에서 선택과 효율을 강조하여 민주주의 보다는 권위주의 체제와 선택적 친화관계에 있다. 저자는 이승만 이후 대한민국의 상황을 이 발전국가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해방직후부터 6.25 전후를 살펴보면 한국은 참 운이 좋은 나라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아니, 운이라고 하기엔 너무나도 큰 행운이다. 사회주의가 당시 민중들에게 매력적인 체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의 신탁통치 찬성 때문에 조선인들의 민심이 좌파에게서 멀어진 것을 시작으로, 미래에 대한 청사진이 분명하면서도 지주의 편도, 농민의 편도 아닌 확실한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을 가지고 있던 이승만의 존재, 그리고 6.25 전쟁직전 농지분배가 이루어져 아직까지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내 삶의 터전을 지키려 ‘대한민국’을 위해 싸울 수 있게 되었던 것까지.
이렇게 하나씩 따지다 보면 정말 무수한 행운이 시기마다 척척 대한민국의 발 앞에 준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당시 현실은 어이가 없을 만큼 좌충우돌이었던 점이 대부분이다. 민주주의도 자본주의도 제대로 겪어본 적이 없는 국민들이 무엇을 할 수 있었겠나. 그러나 조금만 눈을 돌리면 놀랍고 감동적이고,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이 있다. 큰 고비 마다 놀라운 선택을 했던 대한민국의 운명을 생각하고 역사의 거대한 물줄기를 본다면, 대한민국이 자랑스럽지 않을 수 없다. 이런 균형잡힌 역사책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Why Democracy Fails to Reduce Inequality: Blame the Brahmin Left -



Why Democracy Fails to Reduce Inequality: Blame the Brahmin Left -



Why Democracy Fails to Reduce Inequality: Blame the Brahmin Left
Posted on April 17, 2018 by Asher Schechter

A new paper by Thomas Piketty finds that major parties on both sides of the political spectrum have been captured by elites and warns of a future political system that pits “globalists” against “nativists.”

Photo by Gage Skidmore [CC BY-SA 2.0], via Wikimedia Commons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often point to rising inequality as one of the main drivers of the current wave of populist politics engulfing Europe and the US. Income and wealth inequality have been at the forefront of the political debate across Western democracies for a long time, fueling voter dissatisfaction and leading to the widespread perception that the system is “rigged.” And yet Western democracies are no closer to addressing this crisis than they were two years ago, with a recent report by Britain’s House of Commons finding that the world’s richest one percent is on track to hold as much as two-thirds of global wealth by 2030.



In theory, at least, this kind of growth in inequality is expected to bring about public demand for redistributive policies, such as higher taxes on the rich. So far, though, this has not been the case at all. Instead, we’re seeing far-right populist parties gaining momentum at the expense of moderates and center-left parties, spurred by outraged white working- and middle-class voters rebelling against the perceived interests of “globalist” elites.



Why has democracy failed to slow down rising inequality? And why is the current populist wave characterized by so much nativism and xenophobia when—as David McKnight recently noted in The Guardian—a progressive version of populism also exists?



In Project Syndicate and in a recent interview with ProMarket, Harvard economist Dani Rodrik provided one possible explanation: the left, he argued, has been largely complicit in the policies that led to rising inequality—namely globalization and financial deregulation—and has therefore been “missing in action” for the past 20 years.



In his 2016 book “Listen, Liberal,” social critic Thomas Frank mounted a similar critique: the Democratic Party, which traditionally represented the working and lower middle classes, has gradually abandoned its traditional base and class commitments over the last 40 years, he argued, in favor of a technocratic elite of well-educated and affluent professionals. This entailed a set of policies that served to deepen American inequality, rationalized under the now-fetishized idea of “meritocracy,” under which many leading Democrats came to believe that (to quote Larry Summers) if inequality has gone up, it is because “people are being treated closer to the way that they’re supposed to be treated.” By failing to tackle the growth of inequality, argued Frank, the Democratic Party has ceded its historic role as “party of the people,” thus leaving far-right populists to fill the vacuum it left.



In a new paper, French economist Thomas Piketty, who became a worldwide sensation with his seminal 2013 book on inequality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attempts to answer both questions: why democracy failed to address the rise of inequality, and why the response so far has been a turn to nativism.



To do so, Piketty tracks electoral trends across three countries—the US, Britain, and France—from 1948 to 2017. Despite their vastly different electoral systems and political histories, he finds, a similar trend can be found in all three countries: left and center-left parties no longer represent the working- and lower-middle-class voters they were traditionally associated with.



Instead, both the left- and right-wing parties have come to represent two distinct elites whose interests diverge from the rest of the electorate: the intellectual elite (“Brahmin Left”) and the business elite (“Merchant Right”). Piketty calls this a “multiple-elite party system”: the highly educated elite votes one way, and the high-income, high-wealth elite votes another.



With the major parties on both sides of the political spectrum becoming captured by elites, it’s no wonder so many voters feel unrepresented. A 2016 poll by the Public Religion Research Institute (PRRI) found that more than six in ten Americans don’t feel that their views are being represented by either of the major political parties. A separate poll by Quinnipiac University found that 76 percent of Americans agree with the statement “Public officials don’t care much what people like me think.”



In this respect, the rise of anti-establishment populism can be seen not as an anomaly, but as harbinger of what could very well become “the central political cleavage of our time.”


The More Educated Voters Are, the More They Vote for the “Left”



In order to track the evolution of party systems and political cleavages, Piketty uses post-election surveys held in each of the three countries. While this approach has many benefits, he notes, it also has some drawbacks, namely a limited sample size and the fact that such surveys were not conducted before the 1940s. The difference in the three countries’ electoral systems also present some challenges: in Britain, Piketty examines legislative elections; in the United States he only looks at presidential elections; and in France he examines both presidential and legislative elections. In France, he simplifies the country’s multiple-party system into broad “left” and “right” categories, and in Britain he excludes third-party votes and focuses on Labour versus Conservatives.



When examined in these terms, he finds, voters in all three countries have historically been split almost evenly between right and left.



Despite the immense differences in the three countries’ political histories and socioeconomic structures, Piketty finds some striking similarities in the evolution of their party systems. In all three countries, in the 1950s and 1960s, the political system used to be divided along class lines: a vote for left-wing parties in France and Britain, and for the Democratic Party in the United States, was typically associated with low-income, low-education voters. The more educated, wealthier voters tended to vote for the right.



Starting with the 1970s, however, the three countries underwent a similar process of political realignment: the traditionally left parties, which used to be associated with poorer, less educated voters, have gradually become associated with the highly educated “intellectual” elite—as opposed to the high-wealth, high-income elite that still largely votes for the right.



The more educated voters are, he finds, the more they vote for “left” parties: in 2016, for instance, 70 percent of American voters with master’s degrees (which account for 11 percent of the electorate) voted for Hillary Clinton, along with 76 percent of voters with PhDs (2 percent of the electorate). Among voters with bachelor’s degrees (19 percent of the electorate), 51 percent voted for Clinton. Among those with only a high-school education (which account for 59 percent of voters), however, only 44 percent voted for the Democratic candidate.

Vote for Democratic Party by Education in the US, 1948-2016. Source: Piketty (2018); reproduced with permission. Author’s computations using US post-electoral surveys 1948-2016 (ANES) (see). Reading: in 2016, the democratic party candidate (Clinton) obtained 45 percent of the vote among high-school graduates and 75 percent among PhDs. Primary: voters with no high-school degree. Secondary: high-school degree but not bachelor degree. Higher (BA): bachelor degree. Higher (MA): advanced degree (master, law/medical school). Higher (PhD): PhD degree.





Even in Britain, the most “class-based” system of the three, where it was once very rare for educated voters to vote for Labour, the evolution ended up looking very similar: university graduates have massively shifted to Labour over the last few decades, particularly those with advanced degrees.

Voting for Left-Wing & Democratic Parties in France, Britain, US 1948-2017: From the Worker Party to the High-Education Party. Source: Piketty (2018); reproduced with permission. Author’s computations using French, US and British post-electoral surveys 1948-2017 (see). Reading: in 1956, left-wing parties (SFIO-PS, PC, Rad., green, extr.-left) obtain a score that is 17 points lower among university graduates than among non-university graduates in France; in 2012, their score is 9 points higher among university graduates. The evolution is similar for the democratic vote in the US and the labour vote in Britain.



While globalization and immigration have played a big role in the creation of this “multiple-elite” party system, notes Piketty, the process that led to its creation began before these issues became so politically charged, and possibly would have taken place without them. The crucial factor was the growing number of voter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which, he writes, “creates new forms of inequality cleavages and political conflict that did not exist at the time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ome have criticized Piketty’s study for not giving enough weight to immigration and racism, particularly when it comes to the realignment of Democrats and Republicans in the United States around racial issues. Piketty does acknowledge that the strong support of Muslims in France for left-wing parties and of African-Americans and Latinos for Democrats in the United States cannot be explained solely by variables such as income, education, and wealth, but has to take into account the substantial hostility minorities encounter from the right side of the political spectrum. He also acknowledges that racial sentiments did play a part in driving certain white low-income, low-education voters away from Democratic Party. Nevertheless, he argues, the trend holds: America has become a multiple-elite party system, even when entirely excluding the Southern states.



Overall, the polarized debate over immigration has a curious effect on multiple-elite party systems: it ruptures them even more. In France, Piketty finds, the share of voters that oppose immigration has actually declined, from 70 to 75 percent in the 1980s to about 50 percent today. The intensity of the right/left cleavage, however, has increased as the issue became much more divisive over time.



While evenly split on immigration, French voters are also roughly evenly split on economics, with 52 percent of French voters supporting redistributive measures to reduce inequality. However, these halves are almost entirely uncorrelated, resulting in a “two-dimensional, four-quarter political cleavage” between four groups: the “internationalists egalitarians” (which Piketty describes as “pro-immigrants, pro-poor”), the “internationalists inegalitarians” (pro-immigrants, pro-rich), the “nativists-egalitarians” (anti-immigrants, pro-poor), and the “nativists-inegalitarians” (anti-immigrants, pro-rich).


Globalists vs. Nativists



The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notes Piketty, represented yet another potential political realignment: for the first time, the top 10 percent of voters (based on income) voted Democrat. A similar phenomenon was seen in France’s 2017 presidential elections (Emmanuel Macron’s voters were “highly affluent,” Piketty notes), suggesting that high-income, high-wealth voters were also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High-Income Vote in the US, 1948-2017: Before and After Controls. Source: Piketty (2018); reproduced with permission. Author’s computations using US post-electoral surveys 1948-2016 (ANES) (see). Reading: in 1948, the democratic candidate obtained a score that was 22 points lower among top 10 percent income voters than among bottom 90 percent income voters; in 2016, the score of the democratic candidate is 10 points higher among top 10 percent income voters.



This, writes Piketty, could be an anomaly, owing to the unusual nature of the 2016/17 election cycles i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But they could also herald something much more significant: a complete realignment of the party system, which would move further away from traditional notions of “left” and “right,” instead pitting “globalists” (high-income, high-education) against “nativists” (low-income, low-education).



Yet this transformation is far from certain. The “multiple-elite” structure could also stabilize—the 2017 British election, notes Piketty, points in that direction. While in France and America there are signs that high-income voters are shifting to the “left,” in Britain there is no sign of this happening anytime soon. In fact, he writes, the last two British elections (in 2015 and 2017) have “reinforced” the multiple-elite nature of the British party system: high-education voters have increased their support for Labour, while high-income voters increased their support for Conservatives.



None of the above two options seems likely to lead to a reduction in inequality, renew voters’ trust that democracy can address their problems, or overcome nativist sentiments. However, Piketty proposes a third possible trajectory, one in which left-wing parties (or nativist parties, though this is less than likely) return to their long-abandoned class-based politics and adopt a powerful progressive agenda focused on reducing inequality through redistribution. Without such an agenda, he argues, politicians would find it difficult to unite low-income, low-education voters and build a wide enough coalition able to counter inequality.



But first, left parties would necessarily have to put an end to Brahminism and convince voters they represent more than the sum of their elite.





For further discussion about Piketty, listen to Kate Waldock and Luigi Zingales discuss “Capitalism in the 21st Century” in an episode of the Capitalisn’t podcast:







Disclaimer: The ProMarket blog is dedicated to discussing how competition tends to be subverted by special interests. The posts represent the opinions of their writers, not necessarily thos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the Booth School of Business, or its faculty.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ProMarket Blog Policy.

Related Posts: